33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발행일

2014.2.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학교문화예술교육본부장 노준석

정책연구팀장 홍유진

정책연구팀 류윤호

등록

KACES-1340-R006

ISBN

978-89-6748-068-4� 93370

문의

Tel.� (02)6209-5900

Fax.� (02)6209-5999

E-mail.� [email protected]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Page 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연구진

연구책임자

정헌수 건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공동연구자

한 준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김정욱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민간투자지원실장

김기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백 령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위원

박종효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교직과 교수

연구보조원

진재원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유지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조사연구원

김유나 한국갤럽 선임연구원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age 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Page 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목차|v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의 배경 4

2.1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이론적 검토 4

2.2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현황 및 성과 4

3. 문화예술교육 기대가치 6

Ⅱ. 이론적 배경 9

1.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정의 11

1.1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 11

2. 문화예술교육의 변화에 따른 정책의 현황 및 추진 성과 13

2.1 문화예술교육의 출현과 기반 조성 14

2.2 한국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흐름과 목표 15

2.3 문화예술교육의 목표 변화 17

3. 개별 사업의 목표와 추진 현황 18

3.1 학교 문화예술 교육 18

3.2 사회 문화예술 교육 23

4.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 현황에 관한 분석 30

4.1 기반조성 30

4.2 사업 운영 33

5.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메타분석 36

5.1 메타분석의 정의 36

5.2 문화예술 교육의 메타분석 36

5.3.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 추정 연구 검토 38

Page 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vi|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Ⅲ. 연구 방법 43

1. 연구모형 45

1.1 지표 개발 과정 및 실사 과정 47

1.2 매칭 방법을 통해 찾아볼 지표 48

1.3 삶의 질 지표의 선정 근거 49

1.4 문화자본 지표의 선정 근거 49

1.5 사회자본 지표의 선정 근거 50

1.6 사회적 형평성 50

2.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가치 분석 방법 51

3.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방법 52

3.1 경제적 가치의 분석 52

3.2 사회적 가치의 분석 57

3.3 사회경제지표 측정방법 59

3.4 사회경제적 가치에 따른 추가적 연구검토 62

3.5 사회경제적 가치의 측정 62

3.6 경제적 가치 측정의 한계 65

3.7 문화예술교육의 교육적 가치 분석 67

4.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을 위한 조사 설계 69

4.1 통합적 조사 설계 69

4.2 분석대상 정책 영역 69

4.3 설문조사 실사 설계 70

4.4 노출집단과 유사집단의 매칭(matching) 분석 70

4.5 매칭(matching) 분석 시 분석대상 변수 72

5. 사회경제적 가치 측정 지표 72

5.1 조사표의 구성 72

5.2 사회경제적 가치 측정 지표 72

5.3 연구모형, 측정 지표, 설문 문항 간 연계성 75

Page 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목차|vii

Ⅳ. 연구 결과 77

1.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 분석 79

1.1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 조사 설계 79

1.2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 응답 결과 80

1.3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 참여집단 분석 결과 82

1.4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 참여집단 분석 결과 93

2. 유사집단 매칭(matching)분석 100

2.1 문제제기와 분석과제 100

2.2 유사집단 조사 설계 및 분석 자료 102

2.3 분석변수 및 분석모형 107

2.4 학생표본에 대한 분석결과 110

2.5 노인표본에 대한 분석결과 118

2.6 매칭조사 결과 124

3. 경제 지표 결과 125

3.1 WTP에 관한 결과 125

Ⅴ. 결론 131

1. 연구 결과 및 논의 133

2. 미래 정책을 위한 제언 140

참고 문헌 143

부록 151

Page 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viii|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표 목차

<표 Ⅰ-1> 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 성격에 따른 분류 5

<표 Ⅰ-2> 각 영역에 따른 연구 지표 정리 7

<표 Ⅱ-1> 사회/학교별 기존 정책사업연구 보고서 검토 15

<표 Ⅱ-2>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현황(2003-2013)-강사 수 18

<표 Ⅱ-3>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현황(2003-2013)-참여 학교 수 19

<표 Ⅱ-4> 예술꽃씨앗학교 주요 성과 20

<표 Ⅱ-5> 예술꽃씨앗학교 지역별 지원사업 참여 학교 현황 20

<표 Ⅱ-6> 예술꽃씨앗학교 1~4기 현황 21

<표 Ⅱ-7> 사회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실시현황 24

<표 Ⅱ-8> 사회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대상별 수혜자 수(2004~2013) 24

<표 Ⅱ-9>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 목표(아동·노인·장애인) 25

<표 Ⅱ-10> 사회분야 예술 강사 지원 사업 현황 (2004~2012) -시설 수 25

<표 Ⅱ-11> 사회분야 예술 강사 지원 사업 현황 (2004~2012) -참여자 수 26

<표 Ⅱ-12> 사회분야 예술 강사 지원 사업 현황 (2004~2012) -강사 수 26

<표 Ⅱ-13> 군/특수분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군장병, 교정시설, 소년원학교 26

<표 Ⅱ-14> 군/특수분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노인복지, 장애인, 아동청소년 등 27

<표 Ⅱ-15>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목표 28

<표 Ⅱ-16>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28

<표 Ⅱ-17> 문화예술기관 문화학교(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 현황(2013) 29

<표 Ⅱ-18> 토요문화학교 지역별 운영기관(단체) 수(2012) 30

<표 Ⅱ-19>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세부 목표- 사회 33

<표 Ⅱ-20>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세부 목표- 학교 33

<표 Ⅱ-21>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목표 34

<표 Ⅱ-22>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변화와 주요 사업 35

Page 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목차|ix

<표 Ⅲ-1> 개인과 사회에 대한 예술의 가치 57

<표 Ⅲ-2> 측정지표 측정근거 59

<표 Ⅲ-3> 각 사회경제적 지표들에 대한 측정치 61

<표 Ⅲ-4> 경제적 가치 측정 64

<표 Ⅲ-5> 가치분석도구의 내용 및 장/단점 64

<표 Ⅲ-6> 개인가치 설문 문항 73

<표 Ⅲ-7> 사회적, 교육적 가치 설문 문항 74

<표 Ⅲ-8> 문화적 가치 설문 문항 74

<표 Ⅲ-9> 경제적 가치 설문 문항 74

<표 Ⅳ-1> 각 사업별 표본규모 설정 79

<표 Ⅳ-2>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 응답 결과 80

<표 Ⅳ-3>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 응답 결과 81

<표 Ⅳ-4> 삶의 조건에 대한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83

<표 Ⅳ-5> 정신건강에 대한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83

<표 Ⅳ-6> 행복감에 대한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84

<표 Ⅳ-7> 자아존중감에 대한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84

<표 Ⅳ-8> 제도에 대한 신뢰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85

<표 Ⅳ-9> 사람에 대한 신뢰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86

<표 Ⅳ-10> 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86

<표 Ⅳ-11> 사회적 관계에 대한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87

<표 Ⅳ-12>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87

<표 Ⅳ-13> 성별 학교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활동 관람 경험 비교 89

<표 Ⅳ-14> 연령별 학교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활동 관람 경험 비교 89

<표 Ⅳ-15> 지역별 학교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활동 관람 경험 비교 90

<표 Ⅳ-16> 학교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에 대한 비교 91

<표 Ⅳ-17> 학교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교육 가치에 대한 비교 91

<표 Ⅳ-18> 학교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교육 만족감에 대한 비교 92

<표 Ⅳ-19> 삶의 조건에 대한 사회사업 참여집단 비교 93

Page 1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x|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표 Ⅳ-20>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사업 참여집단 비교 94

<표 Ⅳ-21> 행복감에 대한 사회사업 참여집단 비교 94

<표 Ⅳ-22>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회사업 참여집단 비교 95

<표 Ⅳ-23> 사람에 대한 신뢰 사회사업 참여집단 비교 95

<표 Ⅳ-24> 사회적 관계에 대한 사회사업 참여집단 비교 96

<표 Ⅳ-25>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사회사업 참여집단 비교 96

<표 Ⅳ-26> 사회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에 대한 비교 97

<표 Ⅳ-27> 사회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교육 가치에 대한 비교 97

<표 Ⅳ-28> 사회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교육 만족감에 대한 비교 98

<표 Ⅳ-29> 사회사업 참여집단 참여프로그램별 응답평균 비교 99

<표 Ⅳ-30> 유사집단 조사 표본설계안 103

<표 Ⅳ-31> 학생 조사 – 표본할당 103

<표 Ⅳ-32> 노인 조사 – 표본할당 104

<표 Ⅳ-33> 조사방법 104

<표 Ⅳ-34> 학생표본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조사결과 비교 105

<표 Ⅳ-35> 노인표본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07

<표 Ⅳ-36> 매칭(matching) 전후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09

<표 Ⅳ-37> 학생 표본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대한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10

<표 Ⅳ-38> 학생 표본 행복감에 대한 매칭분석 결과(CEM모형) 111

<표 Ⅳ-39> 학생 표본 신뢰와 사회적 관계에 대한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12

<표 Ⅳ-40> 학생 표본 사회적 관계에 대한 매칭분석 결과(CEM모형) 113

<표 Ⅳ-41> 학생 표본 음악회 및 연주회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14

<표 Ⅳ-42> 학생 표본 연극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14

<표 Ⅳ-43> 학생 표본 무용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14

<표 Ⅳ-44> 학생 표본 영화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15

<표 Ⅳ-45> 학생 표본 박물관 및 미술관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15

<표 Ⅳ-46> 학생 표본 문화예술교육 문해력과 가치에 대한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16

<표 Ⅳ-47> 학생 표본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에 대한 매칭분석 결과(CEM모형) 117

Page 1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목차|xi

<표 Ⅳ-48> 노인표본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대한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18

<표 Ⅳ-49> 노인표본 행복감에 대한 매칭분석 결과(CEM모형) 119

<표 Ⅳ-50> 노인표본 신뢰와 사회적 관계에 대한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20

<표 Ⅳ-51> 노인표본 사회적 관계에 대한 매칭분석 결과(CEM모형) 120

<표 Ⅳ-52> 노인표본 음악회 및 연주회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21

<표 Ⅳ-53> 노인표본 연극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21

<표 Ⅳ-54> 무용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22

<표 Ⅳ-55> 영화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22

<표 Ⅳ-56> 박물관 및 미술관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22

<표 Ⅳ-57> 노인표본 문화예술교육 문해력과 가치에 대한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123

<표 Ⅳ-58> 노인표본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에 대한 매칭분석 결과(CEM모형) 123

<표 Ⅳ-59>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매칭분석 결과 비교 124

<표 IV-60>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 정도(학교 대상) 125

<표 IV-61>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 정도 (사회 대상) 126

<표 IV-62>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 설문 결과(유사집단(비수혜자, 미수요자)) 126

<표 IV-63>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세금부담의향 설문 결과 (단위:%) 127

<표 IV-64>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 설문 결과 (단위:%) 128

Page 1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xii|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그림 목차

<그림 Ⅰ-1>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전략 6

<그림 Ⅱ-1>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 과정 16

<그림 Ⅱ-2>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사회경제적 가치 그래프 39

<그림 Ⅲ-1> 연구모형 45

<그림 Ⅲ-2> 연구 피라미드 46

<그림 Ⅲ-3> 정책 성과 및 가치 간 관계 51

<그림 Ⅲ-4> 이차자료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52

<그림 Ⅲ-5> 경제적 가치의 분류 53

<그림 Ⅲ-6> 표준화 회귀계수 추정치 59

<그림 Ⅲ-7> 문화자본 구성도 60

<그림 Ⅲ-8> 통합적 가치측정 모형 69

<그림 Ⅳ-1> 학생집단 문화예술교육 참여 프로그램의 종류 106

<그림 Ⅳ-2> 학생집단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기간 106

<그림 Ⅳ-3>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세금부담의향 설문 결과 127

<그림 Ⅳ-4>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 설문 결과 128

Page 1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요약|xiii

요약

□ 연구 목적 및 내용

1) 연구 배경 및 목적

○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 문화산업,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으로 학교와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됨

○ 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돕거나 예술을 교육의 매체로 활용하여 기능적 예능교육이 아닌

통합적 교육으로 체험과 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 문화예술교육임

○ 문화예술교육정책이 시작된 지 10년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지속적인

발전에 필요한 당위성 확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측정·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문화예술교육의 가치가 개인적 차원의 영향을 넘어 동 사업이 사회경제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

쳤으며, 어떤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 및 평가가 필요

○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지속되어온 문화예술교육정책이 사회․경제에 미친 영향을 계량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객관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정당성을 찾고,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공감대를 확보하여 국민들의 지지를 이끌어내고자 함

2) 연구 내용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이론적 검토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추진배경 및 목적에 대한 검토

- 문화예술교육정책 및 관련 사업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선행연구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가치 분석을 위한 방법론 검토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현황 및 성과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구조, 범위, 추진체계, 추진현황

- 문화예술교육정책 및 관련 사업의 변화(목표, 대상, 방법 등) 및 특성의 분석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성과분석을 통한 경제적 가치 파악

Page 1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xiv|2013�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측정 방법론 개발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이론적 검토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측정을 위한 분석 모형 설계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측정

- 연구 조사 설계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종합적 분류)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주요 사업유형별 가치 (학교/사회 사업군별 분류)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발전방향

- 가치 분석 결과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정책의 향후 개선 방향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 및 사업의 개선과제 제시

□ 연구 절차 및 조사 설계

1) 연구 절차

<표 1>� 연구 절차

연구 내용추진일정

9월 10월 11월 12월 01월 02월

사회,� 경제 연구지표 개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메타분석

FGI� 시행

설문조사 시행

설문자료 분석 및 이차자료 분석

연구결과도출

○ 사회경제적 지표 선정을 위해 문화예술교육 선행연구 분석을 진행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사

회, 경제, 문화, 교육 분야를 연구진과의 논의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사회적‧경제적

지표를 추출해냄

Page 1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요약|xv

○ 연구진들의 문화예술교육정책 사업의 현황 파악 및 인식 수준을 높이고, 설문조사에 사용

할 문항에 대한 지표 선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FGI를 실시함

-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각 사업군별 참가자 일부를 대상으로 FGI 조사 시행

- FGI를 통해 연구 및 조사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지표 설정의 근거를 찾고,

정책 참여자와 비참여자(유사집단) 간의 차이 구분

- 사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정책에 참여한 집단과 문화예술교육을 제공받지

않았지만, 정책집단과 성별 및 연령이 비슷한 유사집단을 대상으로 두 가지의 설문문항을

결정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을 기술해보면 다음과 같음

- 문헌연구 및 자료조사

- FGI(focus group interview)

- 사회경제적 지표의 개발 및 선정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측정을 위한 이차자료 분석

- 설문조사 결과 데이터를 매칭분석 방법을 통해 이차적으로 분석하여 가치 측정

○ 정책과 직결되는 가치 분석

- 기존 보고서 검토 결과 정책대상자인 개인 지향적 가치에 대해서는 매년 정기적으로

성과보고서를 발간했으며, 성과만족지수가 꾸준히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남

- 보고서 결과가(2010 학교 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연구, 2010 사회 문화예술교육 성과

평가연구) 본 연구가 보고자 한 방향(본 연구가 각 정책대상자의 사업 만족정도를 측정

하고자 한 점)과 일치하여 이를 다시 조사하지 않고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조사함

- 개인의 교육적 가치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정책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유사집단)간의

차이에 대하여 비교분석을 통해 결과를 제시함

○ 사회적 가치 검증

- 사회적 가치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밟았음

1단계: 정책과 관련된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결과물 도출

2단계: 정책과 결과물간의 관계를 입증하기 위해 매칭(matching)방법 도입

3단계: 정책 프로그램을 체험한 국민과 체험하지 않은 유사한 국민집단 매칭

4단계: 두 집단의 비교분석을 통해 해당정책의 체험가치 추정

Page 1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xvi|2013�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 경제적 가치 검증

- 경제적 투입(input) 및 산출(output)에 대한 정의

- 정책에 소요된 비용, 투여된 인원, 전체시간 등 경제적 투입(input)을 정의

- WTP(Willingness To Pay)를 경제적 가치의 지표로 설정하여 조사

- 각 사업별 수혜자수 대비 투입된 비용 WTP의 비교분석을 통해 경제적 가치를 제시

2) 조사 설계

○ 통합적 조사 설계

-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적 가치측정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그림 1>와 같은 통합적 가치

측정 방법을 제시함

- 또한 사회적인 매칭방법을 적용하여 정책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을 구분함. 본 연구는

정책노출집단을 참여집단으로, 비노출집단을 유사집단으로 구분함(이하 동일)

� <그림 1>� 통합적 가치측정 모형

- 정책에 참여하지 않은 유사집단의 경우 정책참여집단의 특성파악에 기초하여 유사한

집단을 지리적, 인구 통계적 또는 사회 심리적 변수 관점에서 찾아 유사집단을 형성함

Page 1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요약|xvii

구분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

(노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범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

(군인/소외청소년/

산업단지)

목표표본

800명�

(타 사업대비

가장 큰 규모)

100명�

(초등학생을

표본대상으로 설정)

400명 300명대상 별 총

400명

조사기간

-� 2013년 11월 18일~22일 :� 설문지 제작 완료

- 2013년 11월 25일~29일 :� 설문지 배포

- 2013년 12월 2일~� 6일 :� 설문 결과 측정

배포지역 -� 전국 16개 광역시·도

조사방법

-� 우편을 통한 배포/회수

비고-�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해당기관의 담당자와 직접 전화연결을 통해 설문조사 가능 여부 파악

후 설문지를 배포함

3) 조사 개요

<표 2>� 조사 개요-� 정책 참여집단 대상

<표 3>� 조사개요-유사집단(정책 비참여자 대상)

구 분 학생 조사 노인 조사

조 사 대 상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없는만10세 이상 19세 미만

남녀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없는만65세 이상성인 남녀

표 본 수 800명 350명

조 사 지 역 전국 16개 시․도표 본 추 출 할당표본추출법

조 사 방 법 1:1�대인면접 조사 1:1�대인면접 조사

자료 수집 도구 구조화된 질문지(Structured�Questionnaire)

조 사 기 간 2014년 1월 20일 ~� 1월 27일 (8일간)� 2014년 1월 17일 ~1월 27일(11일간)

Page 1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xviii|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 조사 대상

- 연구대상 범위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유사집단)를 대상으로 구분

- 정책 참여대상은 학교문화예술교육/사회문화예술교육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정

- 학교문화예술교육은 예술강사 지원사업(800명), 예술꽃씨앗학교(100명)로 구분함

사회문화예술교육은 노인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400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300명),

범부처협력 문화예술교육(군장병·소외청소년·산업단지 대상, 대상별 각 400명)으로 구분

- Gallup의 유사집단 조사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험이 없는 만10세 이상 19세 미만의

청소년(800명)과 문화예술교육경험이 없는 만65세 이상 성인 남녀(350명)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함. 정책참여집단을 대상으로 1차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분석을 기초로 가장

유사한 인구통계적 특성을 할당하여 표본 추출함

○ 설문조사 설계

- 본 연구에서 시행된 설문조사는 정책에 노출된 참여자(정책참여집단)들에 대한 조사와

정책에 노출되지 않은 유사집단에 대한 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정책 노출집단과 비노출

집단(유사집단)의 설문조사는 각각 다른 시점에 시행함

- 설문은 우편물 배부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설문조사 실행 전 연구진은 해당기관 담당

자와 직접적인 연락을 통해 사전 허락 받음 (전화통화 및 e-mail 연락 후 진행함)

- 구체적으로, 학생집단의 경우 성별×지역×학교 교급별 할당 비중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임의표집으로 추출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며 각 층별로 할당 비중에 맞게 표본수를

추출하였음. 노인집단에 대한 유사집단 표본추출은 학생조사와 마찬가지로 성별×지역

×연령별 할당 비중을 통해 이루어짐

4) 조사 절차

○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여 년 동안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시행된 정부의 문화예술

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밞음

- 연구대상 정책사업 선정 및 해당 정책사업의 가치항목 구성, 연구의 전체적인 진행 방향은

다음 <그림 2>, <표 4>과 같음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현황을 파악 후, 연구 대상의 정책 사업을 설정함

- 분석결과로 문화예술교육정책이 가지는 각 개인에 대한 교육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가치를 제시함

- 분석방법은 매칭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 정책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유사집단)

을 비교하며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지불하고자하는 가치(WTP)를 산정함

Page 1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요약|xix

<그림 2>� 연구대상 정책사업 분석과정�

매칭 방법 매칭 방법 지불의사계수(WTP) 수혜자 만족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파악

연구대상 정책사업 설정

분석 요인

분석 방법

범부처 협력문화예술교육

복지시설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지원사업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예술꽃씨앗학교

사회 가치 문화 가치 경제 가치 교육 가치

<표 4>� 정책사업의 가치항목 분류

정책영역연구대상

정책사업사업별 가치항목 일반적 가치항목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적 재능,� 창의성,� 정서 관리,� 사회

문화적 관계

정책관련

인지/평가,�

만족도 상승,�

정책의 고용 및

소득 증대 가치,�

거시적 국민경제

상승

예술꽃

씨앗학교

창의성,� 리더십,� 교과학습태도,�

정서통제,� 자기표현력,� 사회성,�

정서안정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범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

예술잠재능력,� 정서,� 범죄율/재범죄율,�

사회성

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

예술감각,� 문화예술재능,� 여가시간,�

정신건강,� 사회참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여가선용 인지도,� 가족화목도,�

문화예술적 감상 능력

Page 2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xx|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 설문 내용 및 결과

1) 설문 내용

○ 본 설문에서 질문한 내용은 연구진이 검토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짐

- 정책 참여자인 개인과 관련해 삶의 조건 및 정신건강, 생활역량 및 심리적 상태에

관한 질문을 한 뒤 문화예술교육 관련 경험 만족도를 질문함

- 사회성과 관련하여 사회적 성향을 나타내는 신뢰성 정도를 묻고, 설문 응답자가

참여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대해 질문함

- 문화예술활동 관람 및 참여여부,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대한 지식수준을 질문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도를 판단함

- 정책참여집단의 경우, 설문 당사자가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WTP 및 대체시장가

격을 질문하며 문화예술교육의 경제적 가치를 판단하였고, 유사집단의 경우 문화예술교

육을 직접적으로 경험하지는 않았으나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한 경우를

질문함

2) 설문 결과

○ 참여집단/유사집단 설문조사 결과

<표 5>� 조사대상 인구통계적 특성

구분 표본수(%)

성별남자 381(47.92)

여자 414(52.08)

연령

20세 미만 114(14.34)

20~50세 미만 280(35.22)

60세 이상 401(50.44)

지역

수도권 391(49.18)

경상권 183(23.02)

충청권 109(13.71)

전라권 93(11.70)

강원권 19(2.39)

참여한문화예술교육사업

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노인) 398(50.06)

범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군장병) 160(20.13)

범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소외청소년) 117(14.72)

범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산업단지) 120(15.09)

전체 795(100)

Page 2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요약|xxi

<표 6>� 매칭기법 활용을 위해 추출한 참여집단과 유사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

(단위:�%)

구분 참여집단 유사집단

학생

성별남학생 449(37.8%) 303(37.8%)

여학생 740(62.2%) 497(62.1%)

학년

초등학생 114(9.6%) 77(9.6%)

중학생 533(44.8%) 359(44.9%)

고등학생 542(45.6%) 364(45.4%)

지역

수도권(서울,�인천,�경기) 575(48.4%) 401(50.1%)

충청권(대전,�충청남북도) 44(3.7%) 52(6.5%)

전라권(광주,�전라남북도) 329(27.7%) 222(27.8%)

경상권(대구,�울산,�부산,�경상남북도) 156(13.1%) 106(13.3%)

강원권(강원) 85(7.1%) 19(2.4%)

전체(학생) 1,189(100.0%) 800(100.0%)

노인

성별남자 105(26.4%) 91(25.9%)

여자 293(73.6%) 260(74.1%)

연령만65-69세 162(40.7%) 143(40.7%)

만70세 이상 236(59.3%) 208(59.3%)

지역

수도권(서울,�인천,�경기) 215(54.0%) 189(53.8%)

충청권(대전,�충청남북도) 80(20.1%) 70(19.9%)

전라권(광주,�전라남북도) 66(16.6%) 66(16.6%)

경상권(대구,�울산,�부산,�경상남북도) 37(9.3%) 37(9.3%)

전체 398(100.0%) 351(100.0%)

- 유사집단 조사의 경우 이들 중 학생표본 800명, 노인표본 350명을 본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 활용할 매칭기법을 통해 할당표본으로 추출하였으며, 이들의 인구 통계적

특성은 위의 <표 5><표 6>과 같음

- 정책참여집단을 크게 초․중․고등학생인 학생집단과 노인집단으로 나누어 분석을 시도함

- 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의 각 대상별로 수집된 조사 자료를 그대로 사용하지 못한 이유는

청소년과 노인집단 이외에 군인, 소외 청소년, 산업단지 종사자 등의 표본수가 많지

않아 유사집단과의 비교분석이 쉽지 않았음. 군인이나 소외청소년, 산업단지 종사자는

유사집단의 모집단 추정이 어렵거나 정책참여집단 수집을 위한 조사 수행이 어려웠으며,

학교 문화예술사업 조사 표본 중 학생이 아닌 경우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함

- 설문 분석결과 문화예술교육정책에 참여한 집단이 유사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반응결과를 보여줌. 또한 대부분의 지표들에서 매칭 전 정책 노출집단(정책 참여자)과

유사집단(정책 비참여자)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개인, 사회,

문화, 경제 분야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Page 2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xxii|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① 개인적 교육가치 측면의 조사결과

<표 7>� 학생 표본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대한 노출집단 및 비노출집단 비교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학생

자아존중감참여집단 3.4971 .94158

-2.926***유사집단 3.3763 .84197

행복감참여집단 3.1245 .86739

-6.523***유사집단 2.8682 .84646

노인

자아존중감참여집단 3.7973 .75094

-12.507***유사집단 3.1738 .59136

행복감참여집단 3.7362 .77026

-13.701***유사집단 2.9994 .69142

� *� p<.05� **� p<.01� ***� p<.001

- 개인 삶의 평가지표 중 행복감의 경우 매칭 전이나 매칭 후와 관계없이 정책 노출집단

과 비노출집단 간에 통계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음.(학생 3.1245 > 2.8682, 노인

3.7362 > 2.9994). 자아 존중감의 경우 노인 정책참여집단의 경우 비노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수치가 높으나(3.7973 > 3.1738), 학생 참여집단의 경우 유사집단

에 비해 수치는 높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음(3.4971 > 3.3763) <표 7>참조

② 사회적 가치 측면의 조사결과

<표 8>� 신뢰와 사회적 관계에 대한 노출집단 및 비노출집단 비교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학생사람에 대한 신뢰

참여집단 3.0553 .58084-1.016

유사집단 3.0293 .53155

사회적 관계참여집단 3.6740 .93028

-10.353***유사집단 3.2398 .89771

노인사람에 대한 신뢰

참여집단 3.4407 .61012-1.016

유사집단 3.4137 .46234

사회적 관계참여집단 3.2864 .87735

-7.595***유사집단 2.7806 .94468

� *� p<.05� **� p<.01� ***� p<.001

- 사람에 대한 신뢰의 경우 노출집단이 비노출집단에 비하여 수치가 높으나 (학생 3.0553

> 3.0293, 노인 3.4407 > 3.4137)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지 않으며, 사회적

관계의 경우 학생, 노인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남(학생 3.6740 >

3.2398, 노인 3.2864 > 2.7806) <표 8> 참조

- 이는 문화예술교육이 참여자 사이의 연대감을 높이며, 각 개인이 어려운 상황에 빠졌을

경우도 이를 극복할 수 있다는 공동체의식을 고양시키는 것으로 판단됨

Page 2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요약|xxiii

③ 문화적 가치 측면의 조사결과

<표 9>� 문화예술교육 문해력과 가치에 대한 노출집단 및 비노출집단 비교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학생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참여집단 3.1245 1.01735

-14.080***유사집단 2.4825 .96611

문화예술교육 가치참여집단 3.5356 .93804

-1.184유사집단 3.4879 .79165

노인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참여집단 2.6432 1.16768

-7.338***유사집단 2.0712 .96453

문화예술교육 가치참여집단 4.3618 .66316

-22.520***유사집단 3.3187 .59602

� *� p<.05� **� p<.01� ***� p<.001

- 지난 1년 간 음악회 및 연주회 관람 여부에 대해서 학생 문화예술교육정책참여집단은

63.0%인데 비해서 유사집단은 26.8%로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음. 이러한 결과는 문화

예술교육을 받은 집단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활동 장르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는 결과임 (IV장 연구결과 참조)

- 노인의 경우 학생보다 정책참여집단과 유사집단 간에 더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음.

음악회 및 연주회 관람 경험에 대한 사항의 경우 정책참여집단은 지난 1년간 59.3%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유사집단은 7.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자

세한 내용은 IV장 연구결과 참조)

-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문해력(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식수준) 관점에서 보면 정책참여집

단이 유사집단에 비해 학생층과 노인층 모두(학생 3.1245 > 2.4825, 노인 2.6432 >

2.0712)에게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음 <표 9> 참조

- 반면 문화예술의 가치에 대한 평가부분은 학생집단은 단순히 정책참여집단이 통계적 수

치 면에서 유사집단에 비해 크지만(3.5356 > 3.4879), 노인층의 경우 두 집단 간 통계

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남(4.3618 > 3.3187)

Page 2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xxiv|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표 10>� 문화예술교육 노출집단 및 비노출집단 매칭분석 결과 비교

학생 노인

매칭(matching)� 전 매칭(matching)� 후 매칭(matching)� 전 매칭(matching)� 후

문화예술교육 문해력(문화예술적 가치)

.503(.050)*** .458(.050)*** .674(.105)*** .572(.128)***

행복감(삶의 질)

� 1.089(.209)*** � .996(.211)*** 3.216(.366)*** 3.739(.456)***

사회적 관계(사회적 가치)

� 1.835(.230)*** � .699(.233)*** 1.127(.444)* .964(.532)

*� p<.05� **� p<.01� ***� p<.001

- 매칭분석을 통해 설문조사한 모든 문항에 대해 CEM1) (Coarsensed Exact Matching)

매칭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표 10>과 같이 나타남

- 즉,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정책 참여집단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문해력이 유사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적으로 높고, 개인적 삶에 대해 느끼는 행복감도 통계적으

로 유의적으로 높음. 그러나 사회적 관계(공동체 의식)관점에서는 학생집단의 경우 매

칭 전후에 통계적으로 정책노출집단이 수치가 높으나, 노인집단의 경우 사전에 정책노

출집단이 높았던 수치가 매칭 후 차이가 없어짐

④ 경제적 가치 측면의 조사결과

-(1) 예술강사 일자리 창출: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경제적 가치로 측정하고자 하였을 때

예술강사 교육시수와 기타 비용인 지원액이 인력시장의 규모로 판단될 수 있음.

2013년 현재 전국 시군구의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8,884명의 예술강사를 배출

했으며, 이들은 전국 시군구 학교에 1,323,506 시간을 교육하여 약 697억원을 소요

함.(자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자료 참고)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진은

예술강사 지원사업이 없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이러한 교육활동이 발생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약 697억원의 신규 인력시장이 발생했다고 판단함.

최근 전국 예술강사의 월평균 급여가 약 174만원인 것으로 나타난 점을 기준으로

할 때, (출처: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유은혜 의원 국정감사 자료(2013),

한국일보 2013. 10. 15. "초중고 예술강사 22%, 월수입 100만원 미만" 기사 재인용)

8,884명의 예술강사가 양성된 것으로 간주할 경우, 신규 인력시장의 규모는 약 155억

1146만원으로 추정할 수 있음. (174.6만원 x 8884=155억 1146만원)

1) CEM은 사전처리 통제변수들을 유의미한 범주들로 재분류하고, 새로운 거친(Coarsened) 변수들을 조합하여 층화시킨 후(예를 들어, 교육수준은 고졸이하와 대졸이상으로 분류하고, 성별 변수와 조합할 경우 4개로 층화할 수 있다.), 각 층들(stratum)에 해당되는 개인들을 재배치한 후 최소 하나의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례들이 포함되지 않는 층들의 관찰 값들은 제외시키는 방법이다.

Page 2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요약|xxv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2013년 기준 총 69,722,296,080원의 사업비가 소요되어

2,227,890명의 학생이 수혜의 대상인 것으로 추정됨. 이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수혜자 1인당 약 31,300원의 비용이 소요되었음을 의미함. 설문조사에서 추정된

바와 같이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추진으로 인한 WTP(지불의사비용) 혹은

경제적 가치는 1인당 약 34만원이며, 사업비 대비 지불의사비용의 비율은 10.93%

정도임을 알 수 있음. 이러한 결과는 학교 문화예술 지원사업의 수혜자는 비용의

약 11배에 달하는 정도를 지불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시사함

-(2) 경제적 가치(WTP):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세금 부가의향에 관련된 설문 문항의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참여집단의 경우 WTP(지불의사금액)는

1인당 약 34만원으로 로 도출되었으며, 학생 유사집단(정책비참여자)의 경우엔 해당

금액이 1인당 약 18만원으로 산정되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참여 집단의 경우 1인당 약 30만 원 정도의 WTP(지불의사금액)이 도출되었으며

유사집단의 경우에는 14만원으로 추정됨. 분석 결과 정책참여집단이 유사집단에

비해 높은 WTP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음

-(3) 경제적 가치(시장가치 및 대체재가치): 학생집단의 경우 평균 시장가치2) 약 28만원,

의식주 대체재가치가 약 30만원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집단의 경우 시장가치 약 42만

원, 의식주 대체재가치 49만원으로 드러남.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WTP, 시장가치,

의식주 대체가치 중 어떤 측정치로 측정했느냐와 상관없이 학생집단 약 28만~30만

원, 노인집단 약 30만~50만원으로 범위가 산정되어, 문화예술교육의 전반적인 경제적

가치는 대략 28만 ~50만원대 정도로 산정됨을 알 수 있음. 이 결과값을 중앙값으로

나타내면 39만원 정도로 나타낼 수 있음

○ 결과의 타당성검토

- 본 연구는 현 문화예술교육정책과 관련된 상황에서 매칭(matching)방법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판단하고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측정

- 매칭방법은 기존연구결과에 의해 폭넓게 지지되는 부분임. (제시된 연구자들은 모두 매

칭방법을 채택, 적용하고 있음) (김기헌, 신인철(2008), 김선애, 김진영(2011), 변수용,

황여정, 김경근(2011, 2012), 안준기, 배호중(2011, 2013), 안서연(2008), 이광현(2012),

이석원(2010), 이종열(2012), 이필남(2011, 2012), Dehejia, R. H.(1998), Haviland, A.

& Nagin, D.S. & Rosenbaum, P.R. & Trembl(2008), Rubin, D. B.(1996))

2) 시장가치(Market value)란 상품의 판매 및 매입, 사용 등의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개인, 기업, 정부 등의 경제주체의 단위가 현금 등의 등가물을 거래수단을 통해 이루어지는 가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을 이러한 시장가치에 맞추어 가치 정도를 평가하였다.

Page 2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xxvi|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 연구 결과 및 제언

1) 연구의 결과

○ 설문조사 결과에서 제시되었듯 문화예술교육 참여는 개인의 교육적, 사회적, 문화적 가치

증진에 있어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됨

- 문화예술교육정책 참여집단과 유사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갖는 유사집단 과의 비교에

서 문화예술교육과 인과관계가 아닌 지표관점에서 뚜렷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이 매

칭분석 결과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음

○ 본 연구에서 일컫는 뚜렷한 차이란 정책 참여집단과 유사집단간의 행복감에 대해 큰 차이

가 났음을 시사하며 아울러 사회공동체 의식 고양과 각종 문화 활동 참여 및 문화예술에

관한 지식(문해력)관점에서 차이를 보임

○ 설문결과에서 제시되었듯이 개인관점에서 정책참여집단 내 개인의 행복감의 차이는 매우

의미 있는 결과로 받아들여짐. 이는 이번 정부에서 추구하는 “문화를 통한 국민행복”의 문

화융성 8대 정책 과제(세부 과제 포함)와 연계하여 목표가 일치함을 볼 수 있음

- 특히 주요과제로 제시되고 있는 참여기회 확대 및 내실화(문화 참여, 문화예술의 생활

화, 생활문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확대, 지역문화 진흥, 지역 공동체 회복 (학교문화

예술교육 해당)이 이에 해당됨)와 관련하여 본 연구결과 문화예술교육 경험자가 비경험

자에 비해 지역 공동체 의식을 더 많이 소유하고 있다는 점은 현 문화예술교육이 지향

하는 바가 국정과제가 지향하는 바와 일치함을 보여줌

○ 문화예술교육 참여가 미치는 영향이 학생집단보다 노인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남. 이는 본

연구에서 주목해야 될 점임

- 연구 전반에 걸쳐 학생층 보다 노년층이 문화예술교육정책에 대해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IV 연구결과 참조) 전수조사 결과 정책참여집단 내 응답자들은 대

부분 척도의 중앙값3)(3)보다 높은 수준에 있었으며, 반면에 유사집단의 경우는 대부분

중앙값(3)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음(부록 참조)

- 문화예술교육 사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책참여집단(학생집단/노인집단 포함)의 경우

유사집단에 비해 문해력과 문화예술에 대한 가치 관점에서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3) 5점척도의 중앙값은 3으로 일반적으로 평균을 산정할 때 3보다 큰 값은 큰 값, 3보다 적은 값은 적은 값으로 이분류를 하여 분석함.

Page 2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요약|xxvii

○ 이는 문화예술교육이 피상적인 교육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문화예술교육 자체에 대해

더욱 흥미를 가지게 하며 더 나아가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제반요소에 대해 더 잘 이해

할 수 있게 만든다는 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유인효과4)가 크다는 것을 의미함

○ 요즘 청소년들이 게임 등에 여가 시간을 보내며 혼자 있는 시간이 증가됨을 고려해 보았

을 때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인 문화예술교육 참여로 인해 유발되는 개인의 사회성

증가현상(문화예술교육을 받음으로써 청소년의 사회성이 증가하는 현상)은 큰 의미를 가지

고 있다고 볼 수 있음

○ 노년층의 경우 사회성보다는 자신의 삶의 질에 대한 만족과 행복감 관점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는 부분은 문화예술교육정책이 노인층이 느끼는 자신의 복지수준을 향상시키

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음.

○ 경제적 가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WTP 수치에 사용된 마침표는 소수점을 나타냄)

- 학교 문화예술교육정책참여집단 참여자의 경우 1인당 약 34만원의 지불의사 금액이 도

출되었으며, 유사집단 중 학생의 경우에는 해당 금액이 18만원으로 산정되어 큰 차이

를 보이고 있음 16만원의 세금을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응답자가 더 내겠다고 응답한

점은 매우 의미 있는 것으로 보임

-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투여된 1인당 사업비가 약 31,300원인 것을 감안하면 사업

비 대비 지불의사비용의 비율은 10.93 정도임을 알 수 있음 이러한 결과는 학교 문화

예술 지원사업의 수혜자(정책 참여자)는 비용의 11배에 달하는 정도를 지불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알 수 있음 정책이 비용 상 효과적이었음을 나타냄

- 사회 문화예술교육의 경우에도 정책참여자와 유사집단(비참여자)를 비교해보면 사회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의 경우 1인당 30만 원 정도의 지불의사 금액이 도출되었으며 비

수혜자의 경우에는 14만원으로 추정됨 따라서 사회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WTP는 16만

원의 가치가 있음

- 시장가치 및 대체재 가치가 학생집단 28만~30만원대, 노인집단 30만~50 만원대로 범

위가 산정되어, 문화예술교육위 전반적인 경제적 가치는 28만 ~50만원대로 파악할 수

있음 이를 중앙값(자료의 중앙을 대표하는 값)으로 나타내면 약 39만원으로 나타남

이는 문화예술교육의 공공서비스로서의 가치가 매우 큼을 의미함

4)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흥미를 느끼게 하여 더욱 몰두하게 하는 효과

Page 2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xxviii|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2) 제언

○ 본 연구는 단순한 학술적 연구가 아닌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가치를 검증하는 데 의미가 있음

○ 앞부분의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바는 지난 10여 년간 시행되어온 문화예술교육정책이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가치가 충분한 정책이었음을 나타냄. 특히 학생집단, 노인집단을 대상으로

수행된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개인의 행복수준을 높이고 사회인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을 고

양시키며 다양한 문화 활동을 접하게 하는 등 문화자본을 고양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남

○ 따라서 향후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점을 유의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기존 사업에 대

해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임 특히 현재 문화예술교육 시장이 성장초기인 산업

(약 80억 규모)인 점을 감안할 때 현재 투자금액보다 더 큰 투자지원이 필요함

○ 지난 10년이 정책 효과가 발휘되기 짧은 시간이지만 문화예술교육정책이 정책의 수혜자인

학생, 노인 등 다양한 계층에게 정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삶의 질,

사회자본, 문화자본을 크게 증진시킴

○ 정부는 문화예술 교육의 확대를 통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받아들여지는 개인 삶의 행

복 및 사회, 문화자본 확충을 지속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더 많은 지원을 해야 할 임

○ 경제적 가치분석에서 나타났듯이 개인이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대해 지불하고자 하는 가치

(세금)가 거의 2배 수준 (학생: 34만원 vs 18만원, 노인: 30만원 vs. 14만원)에 달한다는

점과 이 가치가 이들 사업을 시행하는 데 소요된 일인당비용의 10배 이상의 금액가치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이들 사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음

○ 문화예술교육 사업이 각각의 참여 집단에 보여준 영향은 다음과 같음. 학생 집단의 경우에

는 사회성이 두각되었으며, 노년층의 경우에는 삶의 질과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드러

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문화예술교육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가 필요함을 요구함

Page 2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요약|xxix

○ 아울러 본 연구에서 시행한(결과는 제시하지 않음) 2차 자료 분석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경우 이들 사업의 대표적인 지표인 예술강사 수와 예술교육시수 및

수혜자수 등이 교육의 질에 매우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난 바 있으며, 이들 사업

에 대해 보다 많은 지원과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해 보임

○ 특히,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원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추진 중인 사업에 대해 이루

어져야하지만 지속적인 인프라 측면지원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을 이끌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임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또한 정책 사업을 수행해온지 10년이 되어가는 시점에서 현재의

성과와는 별개로 사업의 방향과 목표 및 사업프로그램의 정비를 통해 더 나은 조직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 필요해 보임

- 본 연구가 제시하듯이 노인층이 학생층보다 더 문화예술교육정책을 선호하므로 노년층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되, 학생들의 경우 노년층보다 더

많은 사회적 유인이 존재하여 이와 같은 현상이 빚어졌을 수 있으므로 두 집단 모두

주요 문화예술교육 대상자 그룹으로 유지, 관리해야 할 것임

Page 3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Page 3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배경

3. 문화예술교육 기대 가치

Page 3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3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Ⅰ.서론|3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세기가 지식·정보화의 사회이자, 문화의 시대로서 도래하면서 대중매체도 급성장하게 되었

다. 이에 따른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게 됨에 따라 개개인의 풍요로운 문화적 삶의 욕

구도 커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일컫는 문화예술교육이란 문화예술을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을 말한다. 문화예술을 통해 수학, 역사 등의 학문을 가르치는데 활용한다면 이 또한 문화

예술교육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문화융성을 통해 ‘희망의 새 시대’를 열어가는 만큼 문화예술교

육의 사회적․경제적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에 중심을 둔 동 사업들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문화예술

교육정책이 시작된 지 10년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고 국민

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 역량 강화에 기여하는 데 목적을 둔 문화예술교육지원

법이 제정되어 문화예술교육이 전 국민에게 어떤 차별도 없이 골고루 부여되는 권리임과 문화

예술의 향유와 창조적 사고를 함양하기 위해 필수적인 교육임을 나타내어 주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당위성 확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

치를 객관적으로 측정 및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문화예술교육의 개

인적 차원의 영향을 넘어 동 사업이 사회경제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어떤 가치가 있는지

에 대해 분석 및 평가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학교 교육 및 지역사회에서 펼쳐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양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육과학기술부와 협력한 가운데 문화체육관광부 주도의 새로운 문화예

술정책적 접근을 시행해 왔다. 그 결과 2004년 “문화예술교육활성화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2005년에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을 재정·시행하면서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

하였다. 기존의 문화예술교육정책가치 분석의 연구들은 주로 설문조사나 만족도 측정 등의 방법

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매우 주관적인 데이터이므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객관적

으로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과업은 지난 10년간 지속되어온 문

화예술교육정책이 국민을 비롯하여 사회․경제에 미친 영향을 계량적 데이터로 사용하여 객관적

으로 제시함으로써, 이를 통해 동 정책의 정당성과 가치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국민들의 지

지를 이끌어낼 것이다.

Page 3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2. 연구 배경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 문화산업,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

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 즉, 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돕거나 예

술을 교육의 매체로 활용하여 기능적 예능교육이 아닌 통합적 교육으로 체험과 소통에 적극적

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 문화예술교육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

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한 이론적 검토, 관련정책의 현황 및 성과를 살펴본다.

2.1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이론적 검토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는 다음의 3가지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문화예술정책의 정책수용자 관점에서 정책을 평가하는 것으로 “소비자학 분야”가 여기에

해당된다. 소비자 또는 국민들이 특정 정책에 접함으로서 인지, 이해, 판단, 체험, 체험 후 만족

으로 이어지는 반응에 기초하여 가치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 참여자들을 일종

의 소비자로 간주하여 소비자학적 분야로 연구 접근을 시행하였다.

둘째, 사회학적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연구하였다.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관점에서 특정 정

책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집단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지 본

연구를 통해 연구하였다.

셋째, 경제적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연구하였다. 문화예술교육정책과 관련된 인풋(in-put)과

아웃풋(out-put)을 규정하고 인풋과 아웃풋의 비율로서 경제적 효율성을 따지는 방법으로 연관

분석법, 조건부 가치측정법, 고용유발지수, 원가효용분석 등을 채택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이 3가지 분야는 소비자학, 사회학, 경제학에서 이미 수많은 지지논문이 발간되었으며, 각 분

야의 학문적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 연구진은 위의 세 분야가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가치를 연구

하는 데에도 적합할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연구에 적용하였다.

2.2 문화예술교육정책의 현황 및 성과

문화예술교육정책은 개개인 모두에게 창의성과 문화적 감수성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으로써 중장기적으로 문화예술의 수요기반을 확대하는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의 학

교 교육이 단순한 지식 전달 수단의 일종으로 전락하였다는 비판이 확산되면서 학생이 자유로

운 상상력과 창의력, 인간의 전인적 성장을 꿈꾸는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이 국민의 정책

적 공감대를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이러한 공감대의 확산으로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중요성은 더

욱 두각을 나타내었다고 할 수 있다.

Page 3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Ⅰ.서론|5

정책영역 사 업

①학교 문화예술교육-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씨앗학교

②사회 문화예술교육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

-군/특수분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역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③문화예술교육 기반조성

-연구개발

-인력양성

-대외협력

-국제교류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병행되어 지원될 필요

성이 있으며, 이 가운데 학교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의 형평적 혜택 제공과 저변의 확대

에 우선 중점을 두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엔 문화예술교육이 단순한 학

교차원을 벗어나 지역사회 전반에 골고루 미쳐야 한다는 인식이 생기고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기존 공급내용을 보완할 수 있는 신진 문화예

술교육 전문 인력 및 관련시설. 장비 등의 확보와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하며

이는 정책적 고려와 행·재정적 지원을 통해 현실화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준비하여,

진행 중에 있다. 대표적인 문화예술교육정책 사업을 분석해본 결과 사업의 성격에 따라 크게 다

음의 세 가지로 분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① 학교 문화예술교육 ② 사회 문화예술교육 ③ 문화예술교육 기반조성

<표 Ⅰ-1>� 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 성격에 따른 분류

자료:�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내부자료 재작성

Page 3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3. 문화예술교육 기대 가치

우리나라의 문화예술 교육은 다음의 표에서 제시된 4가지의 큰 틀로 활성화 전략을 수립해 왔

다.

<그림Ⅰ-1�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전략>

Ÿ 지식정보서비스 개선, 확충

Ÿ 온라인 아카데미 운영

Ÿ 아·태지역 문화예술교육 거점화

Ÿ 국제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

Ÿ 문화예술 대학원대학 설립 검토

Ÿ 현장과 연계한 전문 인력 양성

Ÿ 체계적 재교육 지원체계 구축

Ÿ 취약계층 및 특수 시설

Ÿ 문화예술교육지원 강화

Ÿ 다문화교육 정책 기반 조성

Ÿ 문화예술 기반 다문화교육 지원

Ÿ 주민 생활권 내 문화시설과 연계강화

Ÿ 문화예술교육파트너십 강화

Ÿ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

Ÿ 학교 문화예술교육 내실화

Ÿ 예술영재 체계적 육성 지원

사회적 소수자 문화적 권리 신장

지식정보 확충 및

국제적 위상 확보

참여기회 확대 및 내실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전략

(2007-2013)

자료:� 『국가별 학교문화예술교육정책 자료집(2013)』� 참조

2013년 발간된 <문화예술교육정책백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4대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전략은

문화예술교육 4대 사업영역(학교, 사회, 전문 인력, 기반 조성) 간의 유기적 연계로 가능하다 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정부에서 추구하는 “문화를 통한 국민행복”의 문화융성 8대 정책 과제(세부

과제 포함)와 연계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중장기적 목표와 방향을 논의 할 수 있다.

-참여기회 확대 및 내실화:

문화 참여, 문화예술의 생활화, 생활문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확대, 지역문화 진흥, 지역

공동체 회복 (학교문화예술교육 해당)

-사회적 소수자 문화적 권리 신장:

주도성 회복, 경제적 격차에서 오는 문화 격차 최소화, 사회 문화적 박탈감 최소화, 삶의

방식을 수용하는 세대별 맞춤형 지원, 문화적 안정망을 통한 사회 통합

Page 3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Ⅰ.서론|7

영역 학교영역 사회영역

문화예술교육전략 참여기회 확대 및 내실화 사회적 소수자 문화적 권리 신장

목표

-� 기회 확대-� 창의력 향상-� 진로모색-� 인성 교육

-� 접근성-� 자존감과 사회성-� 격차 해소와 심리적 안정-� 성취감

연구지표-� 문화자본 형성-� 사회적형평성 증대

-� 개인적 삶의 질 향상-� 사회적 공감대 형성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수요, 시장 공급의 문화예술생태계 형성, 문화예술 공간 확충 및 프로그램 전문성 담보,

자율적 사회활동의 체계적 지원 지역 문화매개인력 활동 강화 (전문 인력 양성)

-지식정보 확충 및 국제위상 확보:

인문학적 성찰, 국제문화정상회의 개최, 문화외교 전략마련 (기반조성)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전략』 구현의 지향점과 구체적 방법은 2005년부터 현장에서 실행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 경제적 가치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지표를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표 Ⅰ-2>� 문화예술교육 영역 분류에 따른 연구 지표 정리

기존에 진행되어진 사업의 방향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가치분석을 통해 기존정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특히 정책과 직결된 가치분석을 통해 정책을 보다 정책수혜자5)(정책

참여집단)에게 가치 있도록 만들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어 수정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

다.

사회, 경제적 가치추정도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정책이 특정 사회적 경제적 발전방향에 기여

하는 부분을 분명히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실제로 기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을 찾아내어 정책을 보다 고도화, 다양화시킬 수 있다.

5)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정책 참여집단을 참여집단 혹은 수혜집단으로 지칭하며, 문화예술교육 정책에 참여하지는 않았으나 문화예술교육정책 수혜자와 인적사항이 유사한 집단을 정책 비참여집단·유사집단·비수혜집단·미수요집단으로 정의하여 연구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정책 비참여집단은 정책 참여집단의 효과적인 가치분석을 위해 연구 결과 값을 정책 참여집단의 결과 값과 비교·분석하는 데 사용하였다.

Page 3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Page 3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 이론적 배경

1.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정의

2. 문화예술교육정책의 현황 및 추진 성과

3. 개별 사업의 목표와 추진 현황

4.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 현황

5.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메타분석

Page 4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4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11

II. 이론적 배경

1.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정의

1.1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

문화예술교육의 사회문화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가치에 대해 이론적으로 근거 있는 이해와

적용이 필요하다. 가치(value)에 대한 사회학적 논의에서 한스 요하스(Hans Joas)는 가치에 대

한 다양한 철학적 접근들을 검토한다. 예컨대 공리주의에서는 가치를 유용성(utility)과 동일시한

다. 이러한 입장은 현대 경제학에서 가치를 모두 시장에서의 경제적 가치로 환원하여 생각하는

경향을 낳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다분히 협소하다 할 수 있다. 협소함에도 불구하고 공

리주의적으로 가치를 이해하는 관점은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연구에서도 많이 보이는

데, 다음 인용문에서 보는 것과 같은 예가 대표적이다.

“사회·경제적 가치는 경제적 가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경제적 가치란 화폐단위로 계산된다는

의미를 가지며, 경제학적 개념에 근거한다. 따라서 청소년 체험활동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구체

적으로 정의하기에 앞서, 경제적 의미의 가치에 대해 먼저 논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사

용되는 경제적 의미의 가치는 신고전학파 후생경제학에 근거하고 있다. 후생경제학의 기본적인

전제는 경제활동의 목적이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들의 복지를 증진하는 데 있고, 주어진 상황에

서 각 개인의 복지 수준을 가장 잘 판단할 수 있는 사람은 자기 자신이라는 것이다. 각 개인의

후생은 자신의 시장재 소비뿐만 아니라 아직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지 않은 비시장재

(non-market goods)인 청소년 체험활동의 소비에도 의존한다.” (성은모 외, 2012)

분명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는 위의 인용문에서 협소하게 생각하는 경제적 가치에만

국한되지는 않고 보다 광의로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공리주의에서는 욕구(desire)의 충족

이라는 면에서 욕구하는 것(desired)에 초점을 맞춘다. 하지만 이처럼 욕구하는 것이 반드시 바

람직한 것(desirable)이라고 보기는 쉽지 않다. 개인적 가치가 아닌 사회경제적 가치가 되려면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바라는 것이라는 의미가 추가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다수의 사람들

이 바라는 내용을 어떻게 확정할 것인가이다.

공리주의에서 출발하지만 공리주의의 개인주의적 한계를 넘어서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 바로

아담 스미스(Adam Smith)이다. 아담 스미스는 시장에서의 교환의 기초는 서로 상대방이 가진

것을 욕구하는 것이라고 보았으며, 이때 공정한 교환이 가상의 공정한 관찰자(impartial-

spectator)의 관점으로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것이 가능하려면 시장에 참여하는 개인들이 서로

공감(empathy)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그는 주장했다.

Page 4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아담 스미스와 유사하지만 시장을 벗어난 공적 영역 혹은 공론장에서 가치의 기원을 찾는 것

이 존 듀이(John Dewey)와 위르겐 하버마스(Jurgen Habermas)이다. 이들은 공적 영역이나 공

론장에서 사람들의 의사소통을 통해서 합의된 바들이 시민적 가치로 정립되며 이는 정부의 정

책의 기초가 된다고 주장한다.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따지려면 과연 국민들이 문화예술교육이 어떤 바람직한 결

과를 가져오는가에 대해 동의하는 내용에 대한 파악에서 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

문화예술복지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평가한 최근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문화의 ‘가치(value)’와 ‘효과(impact)’라는 용어는 혼용되는 경향이 있으나, 문화의 가치

(cultural value)가 ‘문화의 존재 의의’를 뜻한다면 문화의 효과(impact, effect)란 문화 활동의

성과(performance) 혹은 결과(outcome), 즉 ‘실현된 가치’, 혹은 ‘측정된 가치’라고 볼 수 있

다.”(양혜원 2012)

또한 “문화의 경제적 가치(economic value)란 문화적 재화나 서비스가 가지는 가격 또는 그것

의 교환가치를 뜻하며 문화의 사회적 가치(social value)란 문화의 사회적 가치는 사회적 관계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개인들, 그룹들, 공동체들, 사회들 간의 신뢰, 우정, 사랑, 정체성, 공감

등의 가치들이 증진되는 데에 있어서 각 단위들의 다양한 문화적 습속, 제도, 신념, 활동과 산

물들이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총괄하는 것이라고 본다.

또한 문화적 가치란 문화가 가진 내재적 가치로서 숭고하고 성스럽고 미적인 경험을 획득하고

체화하고 계발할 수 있으며, 그에 관한 문화사적 지식을 축적할 수 있는 능력으로 본다. 문화의

내재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는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 따라 달라

질 수 있고, 또한 문화적 가치평가의 주체인 집단과 개인에 따라 사회적 가치 평가 또한 달라질

수 있다.”(양혜원, 2012)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위와 같은 의미로 이해하고, 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 나타나는 경제적 가치 혹은 사회적 가치의 변동을 분석할 것이다.

Page 4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13

2. 문화예술교육정책의 현황 및 추진 성과

1980년대 세계 경제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주도로 시작된 새로운 사회 편성은 “세계화''로

이해된다. 세계화의 근간인 신자유주의(New Liberalism) 30년은 오늘날 우리의 삶과 문화를 변

화하게 하는 담론 양식에서 헤게모니로 자리 잡고 있다. 신자유주의는 서구사고의 체계와 방식

으로 대부분 오늘날 우리가 세계를 해석하고 살아가며 이해하는 상식적 방식까지 변화하게 하

고 있다.

지난 30여 년 전부터 등장한 많은 낯선 개념들 중 이젠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을

살펴보면 싱크탱크(think tank), 대중매체와 전자 매체를 활용한 소통의 변화, 국제기구와 기관

의 영향력 확보, 사회제도와 생활과 사고방식, 재생산 및 재구성, 창조적 해체 등으로 학자들

은 '정보 사회'라는 언어로 압축하여 주장하기도 하였다.

새로운 사고를 기반으로 한 사회 질서 속에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기술의 발달은 '시공간 압

축'을 통해 "일시적 계약이 정치적 상황 뿐 아니라 전문적, 감성적, 성적, 문화적, 가족적, 국제

적 영역들에서 영구적 제도“로 대신하게 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세계화, 국제기관을 중심으

로 한 국제 관계 재구조화, 표준화, 객관성, 민영화, 민관 협치(governance), 유토피아 프로젝트,

개인의 최상가치화, 가족 및 공동체 해체 등으로 정리 될 수 있다. 이러한 세계적 움직임과 변

화 때문에 개체의 특성, 주관적 관점, 전통과 및 민족 정통성과 정체성의 문제가 가시화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미래학자들은 자연과 환경 기반의 농업에서 산업혁명의 공장 기반 산업, 다시

금융 산업으로 온 과정을 설명하며 창조 산업으로의 전환을 논의하기 시작 하였다. 영국과 미

국 등의 서구 강국 문화 정책인 Creative Britain 과 Creative America는 우리 사회가 19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온 경쟁력 있는 “창조성(creativity)을 가진 사회” 로의 진입과 당면

한 과제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게 된 것 같다. 문화예술교육의 출현은 아마도 21세기를 준비

하는 서구의 사례를 접하면서 가속화되었다.

2004년 새로운 한국의 예술정책 <예술의 힘>과 문화 비전을 제시 한 <창의 한국>은 문화예술

교육의 출현과 가속화의 근간이다. 지향하는 목적이 명확한 정책 사업으로 출현한 문화예술교육

의 지난 10여년의 변화 과정과 성과는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할 것이나 누구도 부정 할 수 없

는 것은 양적 팽창이다. 예산, 사업 유형과 장르, 예술강사, 전달체계, 관련 전문가, 참여 학교,

단체, 학습자, 사회적 인식 등 모든 면에서 양적 팽창은 그간의 활동을 요약 할 수 있을 것이

다. 양적 팽창은 존재의 근거를 확인하게하고 사회적 위상 향상과 인식 정도를 가시화하게 해

주었다.

Page 4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본 연구는 양적으로 팽창해온 문화예술교육의 지난 10년을 되돌아보는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목표와 진행된 사업의 관계 검토, 목표 달성을 위한 과정에서 발현된 사회 경제적 가치

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설정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 경제적 가치의 영역과 지표인 개인 삶의 질 향상, 개인

문화자본의 형성, 사회 자본(공동체 의식) 향상, 사회 형평성 증대, 문화예술교육 시장 확대 및

문화예술교육 인프라 구축의 설정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2.1 문화예술교육의 출현과 기반 조성

문화가 경제적, 정치적 논리에 의해 그 위상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는 2000년대 초반의 상황에

서 문화와 예술의 사회적 의미를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은 노력 이상의 가치를 가지게 되었다.

경제적 가치나 정치적 이념 보다 문화적 가치가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슈는 “예술이 21세기적 새로운 패러다임을 갖기 위해서는 대중과 함께 하여야 한다.” 라는 새

로운 교육 현장의 마련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새로운 문화예술의 공공성과 실천적 영

역에 대한 제도와 기반 마련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의 문화예술방향이 주로 창작자를 위한 것이라면, 현재의 문화예술은 문화예술 향유자를

개발하고 새로운 수용자 층을 창출하는 방향으로 모습이 바뀌었다. 문화예술교육 참여자를 위한

정책으로써 지방 자치제 이래 지속적으로 성장 가능한 시민교육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의 출현

이 가능하게 되었다.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을 수용 할 수 있는 사회적 합의, 교육적 합의의

기반 조성 마련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문화와 예술에 대한 교육적 관심은 일반 시민을 비롯해 학부모, 학생들에게 예상보다 높은 관

심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입시교육의 한계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감성적 성장을

위한 감성교육, 체험 교육의 높은 욕구와 생애주기교육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정서적 공감대의

필요성이 두각을 나타내었다.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지식교육, 입시교육 위주의 공교육 안에서

학생들의 창의력이나 감수성을 향상하는 교육이 소외되었고 음악, 미술, 체육의 세 과목이 정규

교과로 구성되어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의 확장은 특기적성, 재량학습, 특별활동, 동아리 활동 등으로 학교교육과정과 접

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7차 교육과정 실행을 통해 가능할 수 있었다. 7차 교육과정을

통해 교과목 선택의 자율성을 높이려 했으나 입시 현실 속에서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필요한 기

초과목들은 외면당하게 되었다.

Page 4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15

구분 정책사업 분석 연구

연구과제명

사회 문화예술교육정책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학교 문화예술교육정책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목표

ㅇ창의성 제고

ㅇ가족 유대 강화

ㅇ정체성 강화

ㅇ창조산업 발전

ㅇ공동체 형성

ㅇ창의적 통합적 사고형 인재양성

ㅇ사회공동체 형성

ㅇ일상적 삶 속에서의 문화적 가치 실현에 기여

문제점

ㅇ정책대상의 격차

ㅇ지원 장르의 편중화

ㅇ지원규모의 차이

ㅇ지원방식의 한계

ㅇ추진체계의 한계

ㅇ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인식 공유 부재

ㅇ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 주체의 협력체계 부족

ㅇ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가치성 극대를

위한 인프라 부재

ㅇ학교관계자와 예술강사의 상호 이해부족

향후

방향 및

추진

과제

ㅇ문화예술교육의 정책영역 체계화

ㅇ계층 내 대상별 맞춤형 지원방안 모색

ㅇ문화유산,�문화산업,�인문학등으로지원분야확대

ㅇ사회문화예술교육의 직접/간접지원 결합

ㅇ예술강사의 교육과 창작의 병행

ㅇ도서관 활용 확대

ㅇ시민창작스튜디오 신설

ㅇ신규정책 영역 대상 개발

(아마추어,� 마니아,� 대학생,� 가족)

ㅇ종합 포탈 시스템 구축(R&D,매뉴얼,홍보)

ㅇ학교차원의 실행공동체 구축

ㅇ시업 지속의 불확실성 제거

ㅇ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사업 운영

ㅇ학교 문화예술교육 구성원 간 협력 유도

ㅇ학습 성과 관리 및 피드백 체계 마련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수요 제고와 예술 전공자 및 관련 전문가에 대한 교육 현장 참여 기

회 제공을 위해 2000년부터 국악 강사제가 문화관광부에 의해 지원되었다. 이들은 학교에 문화

예술교육을 강화하는 교육적인 목표와 학교 교육을 통한 예술 전공자들과 관련 전문가의 활동

폭을 확장하는 예술적인 목적을 동시에 실현하고자 하는 정책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사회문화적으로 소외된 계층에게 문화예술교육이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

하고 체험, 학습, 창작 활동을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 개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

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사회 소외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취약계층’ 대상의 사업

은 이후일반 시민으로 확대되어 지원되고 있다.

2.2 한국 문화예술정책의 흐름과 목표

<표 Ⅱ-1>� 사회/� 학교별 기존 정책사업 연구보고서 검토

자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선행연구 분석

Page 4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문화예술교육의 출현이 가시화된 것은 문화개념에 기초한 정책 영역의 재편과 문화예술교육,

문화 복지, 문화 창조, 문화 경제, 문화 환경, 문화외교의 상호연계성에 기반 한 정책 영역의 체

계화와의 동반 등장이라 할 수 있다6).

이와 더불어 문화예술교육 진흥분위기가 조성되어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근간을 마련하게 되었

다. 이들은 제도적 안정 및 기반 조성, 중앙정부와 지역을 연계하는 전달체계 마련, 문화와 교

육의 접점 모색과 이의 사업화 방안 등을 모색하게 되었다.

2004년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계획의 수립, 2005년 문화예술교육정책체계와 법적기반이 구축되

었고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정 및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비전과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유관

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되었다. 이 중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교육인적자원부와 문

화부 사이에 최초로 합의에 의해 발표된 <지역사회 문화기반시설과 학교 간 연계 체제 구축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추진계획>이다. 또한 정책의 전문적 추진을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을 설립하여 지원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다.

2006년 개정된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문화예술 진흥법 제 2조 2항 제

1조 제 1호에 따른 문화예술 및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 2조 제 1항의 규정에 따른 문화산업,

문화재보호법 제2조 제 1항의 규정에 따른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으로 정의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의 범주를 그 전달 경로를 중심으로 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

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하였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은 “영유아보육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보육시설, 유아교육법 제 2조의 구정

에 따른 유치원과 초 중등교육법 재2조의 규정에 따른 학교에서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행하여지

는 문화예술교육”으로, 사회 문화예술교육을 “제2조 제3호 및 제 4호에서 규정하는 문화예술교

육 시설 및 문화예술교육 단체와 제 24조의 각종 시설 및 단체 등에서 행하는 학교문화예술교

육외의 모든 형태의 문화예술교육”으로 규정하였다. 이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학교문화예

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대외협력 및 국제교류의 기반 조성으로 업무를 분장

하여 사업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림 Ⅱ-1>�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 과정

자료:�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시행령 참조

6) <창의 한국>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설립

(2005.08)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2005.12)

문화부

예술교육 활성화

중장기 전략

(2007.06)

창의성과 인성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

활성화 기본 방향

(2007.06)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

(2004.11)

Page 4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17

2.3 문화예술교육의 목표 변화

21세기의 준비를 위해 국내외의 사례들 중 핵심 주제어가 접근성(accessibility)과 전문성

(excellence)이었다면 국내에서 발간된 정책 연구물 속에서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주제어를 검토

하고자 한다.

문화예술교육 목표와 기대가치는 2004년 처음으로 논의된 이후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사회 환

경 및 정책의제의 변화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의 변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 중 2007년 문화예

술교육 활성화 중장기 전략은 유일하게 개개인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사회의 문화역량강화

를 비전으로 제시 하고 있다.

-시민의 문화 향유력과 창의성 향상 (창의한국, 2004)

-질적 개선과 양적 확대 (학교), 다양화 및 기회 확대 (사회) 가치와 반향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 활성화를 위한 제반 여건 마련 (2007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중장기 전략)

-문화민주주의 확대, 국민 창의성 향상, 사회적 통합, 문화예술에의 참여권리 보장 문화리터

러시 향상, 문화예술에의 참여권리 부장, 개개인과 사회의 균형적인 성장 도모 질적 교육

강화 (2011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문화적 향유와 만족(개인), 문화공동체 형성(사회), 창조성과 상상력의 경제 (국가) (2012

문화예술교육정책 발전전략 연구)

이들의 내용을 목표, 대상과 영역으로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ü 정책의 목표: 향유, 역량과 창의성 개발⇒ 창의성, 통합, 복지, 행복

ü 정책의 대상: 취약계층⇒ 취약계층과 일반 시민

ü 정책의 영역: 장르 중심 예술 ⇒ 예술과 문화

2007년 이후의 문화예술교육정책 목표는 2007년 제시한 개개인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사

회의 문화역량강화를 비전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와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Page 4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3.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목표와 추진 현황

3.1 학교 문화예술교육

학교 내에서 진행되는 문화예술교육으로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를 주요사업(예산

중심)으로 볼 수 있으며 이외에 예술에 소질과 적성이 있는 학생대상의 특화된 심화교육을 위

한 예술중점학교로 구분될 수 있다.

3.1.1 예술강사 지원사업

○ 목표

: 전국 초 중등 학교 교과 및 방과 후 시간을 이용 학생대상 문화예술교육의 기회 확대를 통한

문화적 감수성 및 창의력 향상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기반 조성과 예술강사의 사회적 일

자리 마련에 중점을 둠.)

○ 추진 현황

<표 Ⅱ-2>�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 현황 (2003-2013)-� 강사 수

(단위 :� 명)

구분강사 수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국악 942 873 949 742 822 984 1,093 1,567 1,733 1,699 1,779

연극 113 269 386 326 366 450 743 840 725 766 767

영화 - 89 89 113 137 121 300 330 253 253 245

무용 - - 110 150 248 292 595 801 763 807 851

만화 - - 94 100 191 299 452 500 499 467 466

공예 - - - - - - - 52 87 127 167

사진 - - - - - - - 27 37 48 66

디자인 - - - - - - - 39 67 96 124

계 1,055 1,231 1,628 1,431 1,764 2,146 3,483 4,156 4,164 4,263 4,485

자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 자료 참조

Page 4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19

구분참여 학교 수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국악 3,128 3,982 2,503 1,812 1,951 2,275 3,642 4,147 3,685 4,071 4,090

연극 101 275 386 274 413 452 1,448 1,560 1,459 1,486 1,541

영화 - 100 148 109 202 243 566 633 500 1636 445

무용 - - 100 150 327 392 1,131 1,436 1,557 467 1,678

만화 - - 77 100 264 264 911 1,157 1,021 1,061 1,083

공예 - - - - - - - 115 180 297 378

사진 - - - - - - - 55 88 155 208

디자인 - - - - - - - 86 125 184 246

계 3,229 4,357 3,214 2,445 3,157 3,626 7,698 9,189 8,615 9,357 9,669

자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 자료 참조

<표 Ⅱ-3>�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 현황 (2003-2013)-� 참여 학교 수

(단위 :� 개교)

참고:� 2010년부터 공예,�사진,�디자인 분야 예술강사 지원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예술 강사 지원 사업은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수요자 중심의 지원

정책 변화를 통해 분야별 수혜대상을 꾸준히 확대하였다. 또한 예술 강사의 역량과 교육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 추진 사업에 대한 평가와 결과 분석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관

하에 실시하였다.

예술 강사 지원사업의 종합적인 성과평가 점수는 86.99점(100점 만점 기준)으로 사업성과 달

성률이 매년 전반적으로 상향 추세를 보였다. (‘09년 72.8점→ ’10년 81.7점→ ‘12년 86.99점)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정책 참여 집단에 대한 조사를 한 결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프로그

램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예술체험 활동을 하게 된 것을 가장 큰 성과로 여기고 있다.

Page 5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수요자의

높은 만족도

‘예술꽃씨앗학교’는 이제 각� 학교의 전통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 교사의 만족도·신뢰도가 높아지

고 있다.

일자리 창출 가치

오케스트라,� 국악관현악,� 영화,� 뮤지컬,� 미술교실 등 전교생 1인 1예능활동

지원을 위해 전문 예술강사를 예술꽃씨앗학교에 배치시켜 청년 일자리를 창

출하고 있다.

경제적 가치

농어촌 등 소외지역 초등학교 대상 예술꽃씨앗학교 운영이 성공적으로 정착

되면서 폐교위기 학교가 다시 살아나고 있는 등 지역사회의 활력을 제공하고

있다.

<표Ⅱ-5>� 예술꽃씨앗학교 지역별 지원사업 참여 학교 현황(2013)

(단위:� 개수)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계

1기 - 1 - - 1 - 1 - 1 - - - 2 2 1 1 10

2기 - 1 - - - 2 - 2 2 1 1 2 2 1 1 1 16

3기 1 1 1 - - 1 - 1 - - 1 1 1 - 2 - 10

4기 1 - - - - - - - - 1 - - - - 1 1 4

계 2 3 1 - 1 3 1 3 3 2 2 3 5 3 5 3 40

자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자료 내용 재구성

3.1.2 예술꽃씨앗학교

2008년 문화예술교육에 힘써 온 전국 10개 초등학교를 집중 지원 대상학교로 선정하고, 전교

생이 원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4년 동안 매년 1억 원씩 집중 지원하는

‘예술꽃씨앗학교’육성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감성이 풍부한 초등학교시절부터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을 장기적이고 체계적으

로 지원하여 평생교육 차원에서 학생들이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고, 창의력과 꿈을 펼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우수 모델로 키워냄으로써 공교육 차원에서

모든 학교에 확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표Ⅱ­4>� 예술꽃씨앗학교 주요 성과

자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자료 정리

○ 목표

-학교 교육에서의 문화예술교육 가치와 활용도를 높이고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학교의 우수모델 창조와 확산

-지역사회 재생과 활력 제공

-소규모 학교를 대상으로 함으로써 문화예술 관련 경험으로서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 학생의

인성 개발과 문화예술적 역량 향상

○ 추진 현황

Page 5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21

지역 지역형태 수혜자 운영분야

전북 완주군 면지역 86명 전통예술교육 (국악 관현악)

충남 아산시 면지역 127명 통합예술교육 (생태포함)

전북 남원시 중소도시 392명 음악예술교육 (국악 관현악)

경남 통영시 중소도시 56명 음악예술교육 (국악관현악)

대전 광역시 대도시 (도농복합) 104명 전통예술교육 (국악 관현악)

대전 광역시 대도시 (도농복합) 58명 공연예술교육 (디지털뮤지컬)

경기 광주시 읍지역 139명 통합예술교육 (전통위주)

부산 광역시 대도시 (도심 외) 72명 통합예술교육 (생태포함,농악)

경북 상주시 면지역 67명 시각예술교육 (도·공예)

강원 춘천시 면지역 50명 시각예술교육 (디자인)

제주 제주시 중소도시 130명 음악예술교육 (서양악)

경기 양평군 면지역 288명 음악예술교육 (퓨전)

강원 인제군 읍지역 323명 음악예술교육 (음악극)

충북 괴산군 면지역 89명 음악예술교육 (서양악)

전남 화순군 면지역 77명 공연예술교육 (연극,� 영화)

전남 해남군 면지역 78명 음악예술교육 (퓨전)

지역 지역형태 수혜자 운영분야

부산 금정구 대도시 120명 통합예술교육 (생태포함)

광주 북구 대도시 (도농 복합) 140명 음악예술교육 (국악관현악)

울산 울주군 읍지역 302명 음악예술교육 (서양악)

강원 속초시 중소도시 63명 음악예술교육 (국악관현악)

전남 여수시 중소도시 83명 음악예술교육 (오케스트라)

전남 순천시 도농복합 (읍) 115명 음악예술교육 (국악,� 양약)

경북 포항시 도농복합 (면) 104명 음악예술교육 (국악,� 양약)

경북 봉화군 읍지역 228명 미디어 예술교육 (영화)

경남 남해군 면지역 84명 통합예술교육 (음악)

제주서귀포시 도농복합 (읍) 387명 미디어 예술교육 (영화)

<표 Ⅱ-6>� 예술꽃씨앗학교 1~4기 현황

§ 제 1기 (2008-2011)

§ 제 2기 (2011-2014)

Page 5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지역 지역형태 수혜자 운영분야

경남 고성군 면지역 132명 통합예술교육 (생태포함)

전남 담양군 면지역 138명 공연예술교육 (영어뮤지컬)

대전 유성구 도서벽지 59명 음악예술교육 (국악 관현악)

전북 군산시 중소도시 170명 음악예술교육 (창작 국악 극)

대구 동구 대도시 311명 음악예술교육 (관현악)

부산 금정구 대도시 230명 음악예술교육 (국악 양악)

서울 강서구 대도시 242명 음악예술교육 (음악극)

충남 천안시 면지역 65명 공연예술교육 (뮤페라)

경기 김포시 면지역 55명 통합예술교육 (음악,� 디자인,� 국악)

경남 거제시 도서벽지 55명 음악예술교육 (관악 3중주)

지역 지역형태 수혜자 운영분야

서울 대도시 220명 공연예술교육

울산 중소도시 308명 음악예술교육 (서양약)

제주 중소도시 70명 공연예술교육

충북 면지역 72명 음악예술교육 (서양약)

§ 제 3기 (2012-2015)

§ 제 4기 (2012-2015)

자료:�문화예술교육정책백서(2013)�참조

예술꽃씨앗학교는 꾸준히 수혜지역을 넓혀왔고 이에 따라 혜택을 받는 인원도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예술꽃씨앗학교의 현황을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조사에 참고하였다.

지역 대비 정책참여자의 수를 판단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형평적 기회 제공의 유무를 2차 분

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Page 5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23

3.2 사회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서는 사회 문화예술교육을 제2조 제3호 및 제4호에서 규정하는 문화예

술교육시설 및 문화예술교육단체와, 제24조의 각종 시설 및 단체 등에서 행하는 학교 문화예술

교육 외의 모든 형태의 문화예술교육으로 정의한다.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은 사회문화적으로 소외된 계층에게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체험·학습·창작 활동을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책 참여자(수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05년부터 추진해온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은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사회 문화적으로 소외된 저소득계층 아동·청소년, 노인, 장애인, 소년원생 및 교도소 수

감자, 군인, 산업단지 근로자 등으로 수혜대상을 세분하여 각 집단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을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정책의 패러다임이 문화예술 기능 전수

및 일회적 체험 차원에서 창의성, 사회성, 문화공동체 등을 위한 통합적 차원으로 확대되도록

하고 있다.

셋째, 예술 강사와 문화예술교육 매개인력을 새롭게 창출함으로써 사회적 일자리 창출에도 기

여하고 있다.

넷째, 예술 강사 및 교육수행단체의 평가·컨설팅 등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연계성을 확

보함으로써 다양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다섯째, 문화예술교육정책 국정 운영(governance)을 구축하여 문화예술교육정책과 교육정책,

평생교육정책, 사회복지정책, 다문화정책, 교정행정, 노인정책, 여성정책, 여가정책 등과의 협력

기반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실시하는 사회 문화예술교육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복지시설 예술강사지원사업(노인복지에 한함.), 군/특수 분야 범부처 협력문화예술교육 지원사

업, 지역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으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

행하였다.

Page 5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표Ⅱ-7>� 사회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실시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도

사업명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1.�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 ● ● ● ● ● ●

2.� 군/특수분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 군 분야 ● ● ● ● ● ● ●

� -� 특수분야(교정시설,소년원) ● ● ● ● ● ●

3.� 지역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 -� 기획공모(지역거점)� 지원사업 ● ●

� -� 일반공모 지원사업 ● ● ● ● ● ● ●

4.�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 사회적 기업 육성 지원 ● ● ● ●

� -� 산업단지 커뮤니티 활성화 지원 ● ● ● ●

� -� 시민 문화예술교육 거점 조성 ● ● ●

5.� 토요문화학교 ● ●

○ 추진현황

자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자료 내용 재구성

<표Ⅱ-8>� 사회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 대상별 수혜자 수(2004~2013)

(단위:� 명)

사업구분 수혜자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예술강사

지원사업

아동 7,123 7,694 8,307 7,263 7,836 7,695 4,542 4,360 5,941 4,323

노인 - - 916 1,095 1,297 1,240 2,893 2,800 4,890 5,396

장애인 - - 285 184 343 310 613 780 1,060 1,457

군/특수

분야

지원사업

군인 - - 400 600 1,727 1,840 1,687 1,865 6,882 3,939

교정시설 - - 857 940 578 327 320 279 1,018 788

소년원 - - 542 1,072 127 146 238 194 608 222

합 계 7,123 7,694 19,235 18,826 20,105 17,704 16,915 19,824 31,014 16,125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12),� 「2012� 문화예술정책백서」,� 내용 재구성

Page 5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25

3.2.1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

○ 목표

- 특정 장르의 기능전수보다는 누구나 예술을 부담 없이 접하고 즐기며 자연스럽게 향유하

고, 나아가 이 경험이 삶에 의미 있는 경험으로 자리하게 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함.

- 각 대상별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음.

: 아동은 ‘경험’, ‘인지’, ‘가치관 형성’, ‘이해’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공감과 사회통합 목적에

어느 정도 부합하고 있으며, ‘자기표현’, ‘성취감’ 등 아동의 행복추구를 위한 정서적인 부

분도 담고 있음. 노인은 ‘신체활동 촉진 및 정서적 건강’, ‘소통(사회성)’ 중심으로 목표가

구성되어 있음. 장애인은 ‘소통’과 ‘정서적 건강’, ‘사회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가족의

경우 ‘정서적 안정’ 및 ‘관계형성’에 목표를 두고 있음.

<표Ⅱ-9>�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 목표(아동·노인·장애인)

사업목표예술을 부담 없이 접하고 즐기며 자연스럽게 향유하고,� 나아가 이 경험이 삶에 의미 있는

경험으로 자리하게 함

대상 아동 노인 장애인

목표

◦�문화예술교육 체험기회 확대

◦�정서적 안정

◦�문화예술분야잠재력및소질개발

◦�자신감·자존감 회복

◦�새로운 배움의 즐거움 경험

◦�문화향유 욕구 충족

◦�사회성 증가

◦�신체적 변화

◦�정서적 안정

◦�사회성(협동·배려심)� 증가

◦�자기표현기술 증가

주요

키워드

◦� 경험,� 인지(인식),� 이해,�

가치관 형성,� 성취감,� 심미감,�

사회성(공동체 의식,� 소통),�

자기표현

◦� 활력도모,� 신체·정신건강

증대,� 소통력,� 사회성

◦� 장애인:� 심미적 능력,� 소

통력,� 정서건강,�사회성 증대

◦�장애인 가족:� 정서적 안정,�

관계형성

자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2),� 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안내사항-복지시설용

○ 추진현황

<표Ⅱ-10>� 사회분야 예술 강사 지원 사업 현황 (2004~2013)-� 시설 수

(단위 :� 개수)

구분시설 수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아동 194 201 213 201 220 235 144 144 299 230

노인 - - 48 59 67 62 84 140 156 270

장애인 - - 23 20 32 30 48 78 73 137

계 194 201 284 280 319 327 276 362 528 637

자료:� 문화예술교육정책백서(2013)� 내용 재구성

Page 5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구분군장병 교정시설 소년원 학교

‘06 ‘07 ‘08 ‘09 ‘10 ‘11 ‘12 ‘13 ‘06 ‘07 ‘08 ‘09 ‘10 ‘11 ‘12 ‘13 ‘06 ‘07 ‘08 ‘09 ‘10 ‘11 ‘12 ‘13

지원

단체

8 9 39 42 47 91 140 102 5 11 17 9 10 30 48 36 - 7 7 7 9 9 16 10

수혜

시설

10 18 71 82 87 91 140 180 11 11 28 20 20 30 44 42 9 7 8 8 9 9 10 10

<표Ⅱ-11>� 사회분야 예술 강사 지원 사업 현황 (2004~2013)-� 참여자 수

(단위:� 명수)

구분참여자 수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아동 7,123 7,694 8,307 7,263 7,836 7,695 4,542 4,360 5,941 4,323

노인 - - 916 1,095 1,297 1,240 2,893 2,800 4,890 5,396

장애인 - - 285 184 343 310 613 780 1,060 1,457

계 7,123 7,694 9,508 8,542 9,476 9,245 8,048 7,940 11,891 11,176

자료:� 문화예술교육정책백서(2013)� 내용 재구성

<표Ⅱ-12>� 사회분야 예술 강사 지원 사업 현황 (2004~2013)-� 강사 수

(단위:� 명수)

구분강사 수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아동 205 233 253 236 260 288 219 234 414 188

노인 - - 33 43 33 30 74 94 100 118

장애인 - - 17 18 28 31 45 51 61 67

계 205 233 303 297 321 349 338 379 575 373

자료:� 문화예술교육정책백서(2013)� 내용 재구성

3.2.2 군/특수 분야 범부처 협력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제도·환경적 여건으로 소외된 특수계층 (군 장병, 교정시설, 소년원 학교)에 대한 문화예술 교

육도 2006년부터 시작되어 지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수혜자의 특성상 관련 기관 및 조직이

특수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관계부처 (국방부·법무부)와 사업 준비 단계부터 세부적인 협의과정

을 통해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표Ⅱ-13>� 군/특수분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군장병,� 교정시설,� 소년원학교

(단위:� 개수)

자료:� 문화예술교육정책백서(2013)� 내용 재구성

Page 5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27

○ 목표

- 군부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전투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고, 병영 내에서의 건전한

여가생활과 활기찬 병영문화 조성

- 교정시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성, 자아성취감을 향상시키고 단체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자존감 강화에 도움

-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성취감, 자신감 등을 갖게

되며 일상생활에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기반 마련

3.2.3 지역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지역별 활성화를 위해서 2005년부터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지역문화기반시

설 등과 협력하여 소외계층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2005년부터 시작된 지자체

협력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2007년까지 복권기금(28억 원)을 통해 지역의 노인·장애인·

취약계층 (농산어촌 지역주민, 새터민,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등)에게 문화예술교육을 지원

하였고, 2008년 예산을 국고로 전환하여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표Ⅱ-14>� 군/특수분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노인복지,� 장애인,� 아동청소년 등

(단위 :� 개수,� 명)

구분노인 장애인 아동·청소년 등

‘06 ‘07 ‘08 ‘09 ‘10 ‘11 ‘12 ‘06 ‘07 ‘08 ‘09 ‘10 ‘11 ‘12 ‘06 ‘07 ‘08 ‘09 ‘10 ‘11 ‘12

지원

단체

44 60 81 94 59 25 31 45 86 82 67 44 33 28 46 84 129 112 153 206 275

프로

그램

134 97 94 109 94 31 39 153 109 94 81 55 41 42 160 117 162 153 295 375 458

수혜

인원

2871 2362 2462 2504 1494 817 847 2408 2350 1793 1210 754 737 632 2649 2960 3942 2432 4374 7992 9136

자료:� 문화예술교육정책백서(2013)� 내용 재구성

○ 목표

- 사회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했을 때의 주된 사업목표는 향유 격차해소로 설정함.

-교육대상이 확대됨에 따라 목표가 창의적인 활동을 통해 생활 속에서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변화됨.

Page 5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표Ⅱ-15>�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목표

사업명 사업목표

문화예술교육형

사회적 기업육성 지원사업

◦�지속가능성을 확보한 시민 문화예술교육 사업모델을 발굴하고,� 각�지

역에서 본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사회적기업의 풀을 확대시킴으로써,�

더 많은 시민들이 문화예술교육의 주체적 참여자가 될 수 있도록 유도

◦� 전략개발 및 사업실행 지원을 통해 지속가능한 문화예술교육 사업

을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 추진

산업단지

문화예술 커뮤니티

활성화 사업

◦� 산업단지 내 근로자들의 주체적 문화예술 향유를 통한 노-사 간 화

합 및 근로자 간 교류를 통한 산업단지에 대한 소속감과 자긍심 고취

◦� 산업단지 근로자와 문화예술 전문가의 협업을 통한 문화예술 공연

콘텐츠 개발 및 발현을 통해 사회적 이슈화 유도

시민 문화예술교육

거점 조성사업(행정시설)

◦�국민 모두가 일상 속에서 자유롭게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는 환경조성

◦��민·관주도의시설(공간)을기반으로한현장중심의통합적문화예술교육지원체계구축

자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 2011�사회적기업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공모

� � � �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2),� 2012�산업단지 문화예술 커뮤니티 활성화 사업 공모

� � � �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2),� 2012�시민 문화예술교육 거점 조성 사업행정시설 공모

3.2.4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세부사업별 목표

○ 추진 현황

2011년과 2012년 지원사업에 선정된 단체(시설)는 다음과 같다.

<표Ⅱ-16>�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사업명 2011 2012 2013

문화예술교육형 사회적 기업육성 지원사업 4개 단체 8개 단체 -

산업단지 문화예술커뮤니티 활성화 사업 3개 단체 12개 단체 9개 단체

시민 문화예술교육 거점 조성사업(행정시설) 사업모델 개발 7개 기관 23개 기관

자료:� 문화예술 정책백서(2012)� 재구성

Page 5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29

지역 프로그램 수지역별 전체

참여자 수 (명)지역 프로그램 수

지역별 전체

참여자 수 (명)

서울 31 1,666 강원 15 713

부산 19 921 충북 14 687

대구 18 1,604 충남 20 730

인천 17 1,770 전북 18 520

광주 15 630 전남 18 948

대전 20 963 경북 20 687

울산 16 1,009 경남 24 2,490

경기 34 2,181 제주 12 616

합계 프로그램 수 311 학생 수 9,886

자료: 문화예술교육정책백서(2012)� 재구성

3.2.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2012년 주 5일제 전면 실시에 따라 아동·청소년을 중심으로 새로운 토

요일 여가 및 가족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원 사업으로 전국

16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및 국공립기관, 유수의 지역 문화예술기관과 함께 하였다.

201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6개 국공립기관과 협력·운영한 국공립기관 연계사업과 16개 시·

도 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와 연계하여 지역별로 진행된 광역센터 연계사업으로 구성되었다. 광

역센터 연계사업의 경우,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 기초 이해에 중점을 둔 아우름 프로그램과 음

악, 미술, 사진 등 주제별·장르별 특성화 교육을 위한 차오름 프로그램으로 구분된다. 2012년

전국 151개 프로그램이 기획·운영되었으며, 총 9,886명의 초·중·고등학생 및 학생을 중심으로

한 가족이 토요일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을 체험할 수 있었다. 주 5일제 시행 100일 기념으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참여 학생 및 학부모 대상으로 시행한 만족도 조사 결과, 각각

73.1%, 93.8%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향후 재참여 여부는 73.2%, 93.8%가 긍정적으로

답변하였다. 이 같이 2012년도 사업 운영 결과 본 운영사업은 주 5일제에 따른 주말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대안책으로 높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표Ⅱ-17>� 문화예술기관 문화학교(꿈다락토요문화학교)� 운영 현황(2013)

(단위:� 개수,� 명)

○ 목표

- 문화예술을 통한 삶의 이해(Life Literacy)

- 참여자의 건강한 여가 문화 및 가족 학습문화 조성에 기여하여 공동체 화합을 유도

- 지역의 다양한 문화예술기관·단체가 참여하여 콘텐츠를 개발하고 운영함으로써 청소년의

창의·인성 교육 기회확대 및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도모함.

- 지역문화기반시설이 토요문화학교운영을 통해 시민 누구나 이용가능한 장소로의 인식전환과

가족이 함께하는 여가문화 프로그램 활성화

Page 6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3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표Ⅱ-18>� 토요문화학교 지역별 운영기관(단체)� 수 (2012)

(단위:� 개수)

지역 운영 기관(단체)� 수 지역 운영 기관(단체)� 수

서울 19 강원 8

부산 10 충북 9

대구 7 충남 6

인천 8 전북 7

광주 6 전남 9

대전 8 경북 7

울산 6 경남 12

경기 20 제주 10

합 계 152

자료:� 문화예술교육 정책백서(2013)� 재구성

○ 추진 현황

4. 문화예술교육 목표와 현황에 대한 분석

2005년부터 진행되어 온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업의 목표는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다. 하나는 기반조성 측면과 사업운영 측면이다. 이 장 초기에 언급한 국제 관계 재구조화,

표준화, 객관성, 민관협치 (governance)등이 기반조성 측면의 요소라면 사업 운영 체계의 안정

화와 사업의 성과와 가치의 가시화 등이 사업 측면의 요소 일 것이다. 이들 지표를 중심으로 문

화예술교육의 목표와 현황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4.1 기반 조성

2006년 세계대회 준비를 위해 2005년 서울에서 개최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지역 컨퍼런

스 개최를 시작으로 2006년 리스본 유네스코 세계회의와 2010년 서울 유네스코 예술교육 세계

회의 참석으로 이어지는 국제회의 참석과 이어 아·태지역 옵저버토리 온라인허브 사이트 운영은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국제적 위상을 확립하고 있다. (Releasing the power of Arts-Exploring

Arts Education in the Asia Pacific, UNESCO 2013 참조)

2006년 리스본 유네스코 예술교육 세계회의에 참석은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도약의 계기를 마

련하였다. 이 대회의 참석은 국내 문화예술교육이 가지고 있던 실천으로서의 예술교육, 문화교

육과의 접점과 차별 점, 노동환경의 변화 속에서의 인간의 삶, 보편적 접근으로 인간의 조건에

대한 재해석, 공공성, 공교육에서 해결되어야 하는 이슈 등에 대한 국제적 관점과 국내 현황에

대해 논의의 기회로 발현되었다. 이 대회에서 채택된 “예술교육의 로드맵”의 보편적 접근을 기

반으로 한 국내 문화예술교육 지형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어 제2차 서울 세계예술교육 대회에서

는 2006년 제1차 대회에서 도출된 '예술교육로드맵'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이번 서울대회의 여

러 워크숍, 특별회의 및 고위급 원탁회의 내용과 유네스코 예술교육 로드맵 설문조사 결과를 바

탕으로 '서울 아젠다(Seoul Agenda): 예술교육 발전목표'가 제시되었다.

Page 6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31

이번 대회의 공식 결과물인 '서울 아젠다'는 예술교육을 지속가능한 교육으로 발전시키고, 모두

를 위한 양질의 교육을 확산시키자는 취지 아래 10개 목표 및 세부 전략을 마련했다. 이는 향

후 각국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지속적인 실천을 촉구하고 성과를 점검하는 지표인 동시에, 각국

문화예술교육 발전의 실천 전략으로서 전 세계 193개 유네스코 전 회원국에 배포하였다.

이러한 국제대회 참석과 유치는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언어와 체계의 표준화를 마련하고자 다

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언어와 체계의 표준화는 다양한 국외 서적의 번역

과 국내 서적 발간의 문화예술교육 총서 발간, 해외 교류 프로그램 운영, 지속적 문화예술교육

포럼과 콜로키움 운영, 문화예술교육 새로운 영역 개발, 문화예술교육 그로서리 개발, 개별 장르

의 표준화 지표 개발 연구 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음악, 미술, 연극, 무용, 국

악, 영화, 만화/애니메이션 이였던 장르는 공예, 사진, 문학, 디자인을 문화예술교육의 영역을 확

대하게 되었다. 이들 과목에 대한 교육표준개발 연구를 진행하여 9개 장르의 교육기반과 체계를

표준화하고 객관성을 담보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외에도 창의성 지표, 문화역량지표 등 유네스코, OECD, DeCeco 등의 국제적 기구에서 활

용하고 있는 국제적 지표를 국내 문화예술교육 환경에 부합하도록 새롭게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지표 역시 이들 국제기구에서 문화예술, 문화예술교육의 객관적이

며 보편적 가치나 가치를 도출하기 위해 활용하는 사례를 중심으로 구체적 지표가 도출되었다.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의미 중 하나는 문화관광부와 교육부 (당시 교육인적자원부)간에 문화

예술교육정책을 위해 <지역사회문화기반 시설과 학교 간 연계체제 구축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추진계획서>를 합의한 것이다. 이는 최초로 부처 간 사업 운영을 위해 협약서를 체결하

였고 이후 법무부를 비롯해 여러 부처와 협업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은 예술 전공자와 관련 전문가의 사회 참여의 기회를 창

출하였다.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과 공공영역과 민간 영역의 협력을 통해 지역 사회발전과 지역

공동체 형성 조성에 이바지 하였다 할 수 있다. 예술교육의 패러다임이 일회적인 체험(감상)과

기능 위주 교육에서 창의성, 사회 통합, 공동체 형성 조성 등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새로운 문

화예술교육의 유형(내용, 방법, 교안 개발, 인력 양성, 평가 체계 등)이 개발 되었고 타 부처와

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소외계층에 초점을 두고 있어 원활한 사업 지원

을 위해 타 부처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력기반을 확보 한 것이 주요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민관협치는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정으로 현실화하

였다.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지역센터)는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 10조 6항에 근거하여 지

역문화예술교육 지원의 효율적인 실시 및 이에 필요한 참여주체간의 협의, 조정, 그 밖의 협력

증진을 위하여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또는 기초자치단체장과의 협의를 거쳐 지정되는 기

관 및 단체를 의미한다.

Page 6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3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 10조 7항에 따르면,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의 업무에 준하여 지역여건에 적합한 사업7)을 시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0조 8항

에서는 문화예술교육 관련 인적 물적 자원의 교류 등 협력망 구축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의 기능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다.

현재 16개의 광역지역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14개 기관은 지역 문화재단 소속으로 2개 곳은

민관 단체가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의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연계 할

뿐 아니라 지역 교육관련 전문인, 교육청, 문화기반시설, 사회복지시설, 예술단체, 강사와의 협

력을 기반으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하도록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지역센터는 언급한 바와 같이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 지역 특성화 사업, 토요문학학교 사업

운영을 비롯해 지역 전문인력 양성 및 재교육, 교류와 협업 등의 사업의 주체로서의 역할을 담

당한다. 지역 센터의 목표는 중앙과의 원활한 소통과 지역의 네트워크 구성과 협업을 통한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라 할 수 있다. 개별 지역센터의 여건과 환경에 따라 지역 대학 예술대,

교육대 혹은 관련 학과나 대학과의 연계, 지역 현장 활동가들과의 협력(자문, 심사, 모니터링,

평가, 컨설팅)을 통해 지역 문화예술교육사업의 체계 마련과 운영의 정교화를 노력하고 있다.

이들 지역센터는 초기 단계이기는 하나 민관협치의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이들 조직과 활동 환

경이 열약하고 이직률이 높으나 이에 대한 순차적 해결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2005년 사업이 시작된 이후 사업의 결과, 성과, 가치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대

부분 사업별 평가 보고서는 외부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지표에 의해 내용이 정리되었다. 학교사

업의 경우 개별 예술강사의 현장 평가는 매년 진행되었으며 이외에 학교문화예술교육정책 분

석 연구가 2011년 진행되었다. 사회사업의 경우 당년도 사업결과 보고서는 외부 전문가나 연구

소가 개발한 지표에 따라 내용이 정리 되었으며 2010년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 분석연구가 진

행되었다.

이후 2009년 문화예술교육 장기 성과평가모형 구축 연구를 시작으로 다양한 관련 연구가 진행

되었다. 2011년 문화예술교육 사업성과 평가 연구가 진행되어 문화예술교육사업에 대한 통합적

평가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대한 사업의 현황, 문제점, 성

과 및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과 성과 평가를 실시하여 단위사업별 발전방안 및 제안사항을 도

출하고자 하였다. 이외에도 2004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조성방안 연구, 문화

예술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를 비롯해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방향과 지향점, 전략뿐 아니라

개별 사업 운영의 체계와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7) 이러한 사업에는 ①학교, 교육시설 및 교육단체간의 상호 연계 협력망의 구축 및 운영 ②문화예술교육의 지원을 위한 학술 연구 및 조사 ③교육시설 및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평가 ④교원의 연수지원 ⑤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양성 및 연수 ⑥문화예술교육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의 확충 및 정비 ⑦문화예술교육 원격교육시스템의 구축 및 관리 ⑧문화예술교육의 지원을 위한 국제협력 및 관련 사업 ⑨그 밖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설립 목적 달성에 필요한 사업 등이 포함됨.

Page 6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33

4.2 사업 운영

미시적 측면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변화는 목표의 분석과 운영체계에 관한 분석이다. 이 연구

가 제시하는 개인 삶의 질 향상, 개인 문화자본의 형성, 사회 자본(공동체 의식) 향상, 사회 형

평성 증대, 문화예술교육 시장 확대 및 문화예술교육 인프라 향상의 관점에서 분류하고자 한다.

○ 학교와 사회사업의 목표 <표 Ⅱ-19>�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세부 목표-� 사회

영역 개별 사업 목표 공통의 목표 연구의 지표

사회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

(아동)� 문화예술교육 체험기회 확대,� � � � �

� 정서적 안정,� 문화예술분야 소질 개발

(노인)� 자신감·자존감 회복,새로운 배움의

즐거움 경험,� 문화향유 욕구 충족,� 사회

성 증가

(장애인)신체/정서적안정,사회성(협동·배

려심)� 증가,� 기표현기술 증가

접근권,

자기표현과

자존감,

사회성

사회 공동체 형성,

사회 형평성 증대

범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군부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전투력 증

진 기여/병영 내 건전한 여가생활

(교정시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

해 사회성/� 자아성취감 향상/� 단체 생활

스트레스 완화와 자존감 강화

(소년원학교)� � 심리적 안정과 성취감,� 자

신감/� 일상생활에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생활 기반 마련

스트레스

완화,

심리적

안정,

성취감

개인 삶의 질 향상

토요문화학교

삶의 이해(Life� Literacy)

여가 문화 및 가족 학습문화 조성에 기

여하여 공동체 화합을 유도

여가활용,

세대소통

문화자본 향상,

삶의 질 제고

자료:� 문화예술교육 정책백서(2013)� 재구성

<표 Ⅱ-20>�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세부 목표-� 학교

영역 개별 사업 목표 공통 목표 연구의 지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기회 확대를 통해 문화적

감수성 및 창의력 향상

기회 확대

(접근권),

창의력향상,

진로 모색,

인성 육성

문화자본 형성,

사회 형평성 증대

예술꽃 씨앗

학교

문화예술 관련 경험으로서 접근성이 떨

어지는 지역 학생들의 인성 개발과 문화

예술적 역량 향상

자료:� 문화예술교육 정책백서(2013)� 재구성

Page 6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3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정책

비전

개인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사회문화 역량 강화를 통한

행복 추구

정책

목표

문화예술 향유와 체험을 통한 정서 순환

소통,� 공감 연대를 통한문화 공동체 형성

추진

과제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기반 조성

대표

사업

예술강사지원사업

예술꽃 씨앗 학교

예술중점 학교

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 사업

범부처 협력문화예술교육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국제적 위상

전달체계

(파트너십 과 협력체계 구축)�

연구와 개발

성과

지표

정책의 인지 평가,� 만족도등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 도출된 성

영역 확대

문화예술교육의 국제화

저변 확대

지식 DB�확대

사회

경제적

가치

개인 삶의 질 향상

개인 문화자본 향상

사회 자본의식 향상

사회 형평성 증대

자존감과 개인 의식 등의 사회

적 가치

문화예술교육시장 확대

문화예술교육 질 향상

방법

정책의 인지,� 평가,� 만족도

유네스코 삶의 지표 및 문화

자본을 근거로 설문조사ㅡ�

이차자료를 중심으로 정책

에 따른 변화 추이 추적

정책의 인지,� 평가,� 만족도,� 사

회 자본,� 사회 형평성,� 범죄율

이차자료 및 설문 조사를 바탕

으로 한 10년간의 변화 추이

추적

문화예술시장의 규모나 질

의 향상을 선진국 대비 한

국의 비용 분석을 통해 현

재의 열세적 상황 파악

<표 II-22>는 본 연구의 대상인 학교문화예술복지 사업과 사회문화예술복지 사업이 어떻게 본

연구가 지향하고 있는 지표들과 연관되는가를 잘 나타내어 주고 있다. 각 사업별로 목표 및 공

통목표가 제시되고 이것이 어떤 사회적 지표와 연관되는가를 나타내어 준다. 또한 표에서 제시

되고 있지는 않지만 모든 사업들이 사업정책에 소요된 비용대비 수혜자들이 경험하는 혜택관점

에서 본 연구가 제시할 경제적 지표에도 해당된다.

이외에 전달체계와 기반조성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문화예술교육 인프라 조성의 표준화와 민

관 협치(governance)의 시도와 정착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의 사회 경제적 가치를 도출하는 연구는 정책 비전인 ‘개인의 문화 삶의 질 향상

및 사회문화 역량 강화를 통한 행복 추구’와 정책 목표인 ‘문화예술향유와 체험을 통한 정서 순

환과 소통, 공감 연대를 통한 문화공동체 형성’을 추진과제와 대표사업으로 분류하고 개별 사업

의 성과지표와 사회적경제적 가치를 도출하고자 다양한 사회과학적 방법을 취하고자 한다.

<표 Ⅱ-21>� 문화예술정책의 목표

자료:� 연구진 의견 재구성

Page 6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35

구분 2004 2007 2010 2012

정책

비전

개개인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 및 사회의 문

화역량 강화

개인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사회의 문

화역량 강화

-문화적 체험과 배움을

통한 행복

정책

목표

ㅇ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개선과 양적 확대

ㅇ사회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화 및 기회 확대

ㅇ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방향성에대한공감대형성

ㅇ�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를위한제반여건마련

ㅇ문화의 세기,�

ㅇ문화시민 역량 배양

ㅇ학생 주도의 능동적 학

습과 참여형 체험 활동을

강조하는 예술교육을 통

해 학생의 창의성증대 및

상상력 발현 도모

ㅇ� 개인의 인성 및 정

서 함양의 기회 제공

ㅇ�예술교육의가치와중요

성을확산하는계기마련

ㅇ문화예술 향유와 체

험을 통한 정서 순화

ㅇ소통,�공감,�연대를 통한

문화공동체

ㅇ창조성과 상상력,� 창조

경제의 견인

추진

과제

ㅇ유․초․중등학교 및 학

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

교육 활성화술교육 지원

ㅇ초․중등 교원 전문성 강화 지원 및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연수ㅇ문화예술교육인프라구축

ㅇ문화예술교육의 법․제도적기반마련

ㅇ참여기회확대및내실화

ㅇ사회소수자문화권리신장

ㅇ전문인력양성

ㅇ지식정보확충및국제적

위상확보

ㅇ교과활동에서의 예술

교육 강화

ㅇ학교-지역사회 연계

를 통한 예술교육 강화

ㅇ각급 교육기관의 예

술심화교육 과학과 예

술의 통합교육 실시지

원 확대

ㅇ예술교육 지원 협력

체계 구축

ㅇ문화예술 정책으로서

학교문화예술교육정책

의 역할

ㅇ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목표 공유�

ㅇ예술강사의전문성제고

ㅇ대상 확대 및 대상의

특수성 이해 필요

문화예술교육정책은 예술창작자 지원 중심에서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수요자 지원의 비중을 높

인 대표적인 정책이다. 2004년 문화관광부는 교육과학기술부와 공동으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을 수립하였고 이를 토대로 무화예술교육부문 정책사업의 영역을 구체화하여 확장해왔

다.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주요한 변화와, 주된 사업에 관해 작성한 표이다.

<표Ⅱ-22>�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변화와 주요 사업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과학기술부는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해 문화적 소양이 중요함을 인지하

였고, 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업무 협약을 맺게 되었다. 양 부처의 협

약 체결 결과로 경제적으로 어려워 문화향유 기회가 적었던 계층의 경우 보다 체계적인 문화예

술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향후 문화체육관광부는 보건복지가족부와 협력을 강화해서

지역 소재의 문화 및 복지시설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더욱 활용할 예정이다.

Page 6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3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5.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메타분석

5.1 메타 분석의 정의

메타분석에서 메타(meta)의 의미는 “~에 대한”이라는 뜻이다. 이 의미를 그대로 적용하면 메타분석

은 “분석에 대한 분석”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메타분석이라고 하면 경험적 연구 결과에 대해 체계

적으로 분석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적용하는 계량적 분석방법이다. 이때 메타분석은 동일한 주제

에 대해 유사한 자료수집과 분석방법을 사용한 연구결과들을 주된 변수의 가치(effect)의 크기를 비

교하는 통계적 추론을 여러 분석결과들에 적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분석결과의 체계적 비교분석 이전에 보다 광범위하게 연구의 주제에 대한 자료수집과 분석

방법에 대한 비교도 필요하다. 특히 연구 및 분석방법에 대한 단일하고 명확한 합의가 존재하지 않

는다면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보다 폭넓은 의미에서의 메타분석을 체계적 문헌검토(systematic

review)로 부르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폭 넓게 해석해서 체계적 문헌검토 역시 메타분석으로 간주하여 적용하

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는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연구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주제이다. 하지만 문화예술의 사회경제적 가치 혹은 다른 정책의 사회

경제적 가치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었으며,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 이

들 두 종류의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적용된 연구방법과 분석방법을 비교 검토하는 작업은

전인미답의 주제를 연구, 분석해야 하는 본 연구에는 절대로 필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의 메타분석은 여기에서는 사회경제적 가치의 의미가 무엇인가에 대해 우선 검토하고,

뒤에 오는 연구방법 부분에서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측정방법을 위주로 여러 연구들을 비

교·검토할 것이다. 우선 문화예술 교육의 가치에 대한 다양한 의미를 먼저 검토하자.

5.2 문화예술 교육의 메타분석 문화예술은 현대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19세기 영국의 사상가인 매튜 아

놀드(Mathew Arnold)는 문화예술을 통해서 인간의 정신이 고양되고 특히 이러한 긍정적 가치

가 사회의 하층에서 더욱 강하게 작용한다고 주장함으로써 현대 국가의 문화예술 정책의 기본

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20세기 미국의 교육학자이자 사상가인 존 듀이(John Dewey)는 ‘체

험으로서의 예술’을 주장하며 예술이 단지 보거나 듣고 즐기는 것이 아닌 경험을 통해 감동을

받고 소통하며 새로운 인간성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문화예술에 대한 이러한

주장들은 문화예술이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Page 6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37

문화예술에서 추구하는 가치로서 美(beauty)는 그 자체로서 초월적 가치를 갖는다는 것이 근대

미학의 창시자인 칸트의 주장이다. 하지만 미적 가치가 초월적이라고 하더라도 그 의미는 사회

경제적 현실과 무관하거나 현실을 외면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현실의 장애나

곤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의 초월로 이해할 수도 있다. 미적 가치에 대

한 감수성을 키워주고 문화예술을 통해서 미적 경험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인지적, 정서적 기

초를 마련해주는 문화예술교육은 이러한 의미에서 단지 문화예술적 가치를 지니는 것만이 아니

라 사회적, 경제적 가치 또한 지닐 수밖에 없다.

사실 문화예술이 지니는 가치의 실제적 측정(measurement)을 통해 문화가 가지는 가치를 증명

하려는 시도는 오랫동안 의구심의 대상이었다. 그것은 “예술 자체의 개념은 정의가 불가능하며,

이를 측정하려는 그 어떤 시도도 그것이 가진 핵심적인 요소를 대표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했

던 Hewison(2002:85)과 Missel(1983)의 언급과 그 맥락이 닿아있는 것이다. “문화의 사회경제

적 가치를 계량화⋅화페화하는데 활용되는 경제이론은 바흐의 곡이나 번스타인의 작품 속에 내

재된 가치가 인생을 풍요롭게 하고, 때로는 삶을 송두리째 바꾸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표

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Bakhshi et al, 2009)는 주장이 이러한 관점을 가장 잘 대변한다.

따라서 1980년대 이전까지는 문화의 내재적 가치에 대한 논의가 중심이 되었고, 문화에 대한

지원은 문화가 가지는 미적 정당성과 문화의 내재적, 교화적 가치(civilizing values)에 근거해 왔

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영국을 위시하여 문화의 사회적⋅경제적 가치를 실증적으로 규명하

기 위한 문화의 가치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세계적 경제위기로 인해 재정긴

축의 압박, 즉 Smith(2010b)가 말한 예술 지원에 대한 ‘cooler climate'의 맥락에서 더욱 강조되

기 시작하여 문화 가치의 입증이라는 문제는 이제는 문화영역의 생존과 관련된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Scott & Soren, 2009).

사회의 공공정책으로서 문화 복지를 제공하거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공공지원을 하는 근거는

바로 앞서 말한 것처럼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성장한 미적 인식과 감각이 개인의 삶의 질은 물

론 사회의 질을 높이고 또한 창의성을 자극함으로써 생산적 결과를 가져온다는 확신과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화예술의 가치가 미적 가치만이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갖는다

는 이론적 근거와 현실적 정책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문화예술 및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공공지원이 어떤 내용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얼마나 생산하는가에 대한 경험적 평가는 결코 쉽

지 않다. 그것은 여러 원인들에 기인한다. 하나는 문화예술의 가치가 갖는 사회경제적 가치의

내용이 다양하다는 점이다. 또 하나는 앞의 문제와 관련되는 것으로 문화예술의 사회경제적 가

치를 양화(quantification) 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는 점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문화예

술에 대한 공공지원은 특히 경제적으로 가치평가의 기준이 되는 시장을 거치지 않는 경우가 많

기 때문이기도 하다.

Page 6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3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이러한 여러 문제들과 사정을 고려할 때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경험적으로 평가

해보는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이전에 기존에 이루어졌던 유사한 관련 분야의 연구로서

과거의 문화예술의 사회경제적 가치 혹은 문화예술의 가치에 대한 평가연구는 어떤 내용이며

본 연구의 관점에서 이들 연구 결과를 어떻게 이해하고 판단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연구의

단계이다. 본 메타분석은 이러한 필요에서 시작되며 최근 문화예술교육사업에 대한 성과 및 가

치평가 작업과 아울러 다른 유관 분야에서의 사회경제적 가치 평가 작업을 비판적으로 검토함

으로써 본 연구에 참고하고자 한다. 이러한 메타분석의 결과는 뒤의 연구방법에 대해 서술한 3

장에 제시되어 있다.

5.3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 추정 연구 검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과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가치를

분석하려 한 선행연구들은 전체 정책에 대한 연구와 개별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전체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연구는 2011년도와 2012년도에 문화예술교육 성과

평가 연구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이들 연구는 체계적인 성과평가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사

회경제적 가치가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사회경제적 가치의 분석이라고 보기는 어렵지

만 선두적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이들 연구에서는 시스템적 접근을 취해서 문화예술교육을 (1) 투입, (2) 집행, (3) 산출, (4) 결

과, (5) 영향이라고 하는 시스템의 투입(input), 중간과정(thru-put), 결과(output)의 과정을 중

심으로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회경제적 가치는 이들 다섯 단계들 중에서 마지막의 영

향에 주로 관련된다.

이들 연구에서는 영향에 해당하는 것을 문화예술적 가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교육적

가치로 나누었다. 이들 각각의 세부 내용을 보면 문화예술적 가치에는 (1) 문화예술교육 지속

가능성, (2) 문화예술교육 수준 제고, (3)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4) 문화예술적 가치 확대 기여

도가 포함되며, 교육적 가치에는 학교 교육 전반에 대한 긍정적 영향이 포함된다. 경제적 가치

로는 (1) 문화예술교육 종사자의 경제적 여건 개선, (2) 경제적 가치 확대 기여도가 포함되며,

사회적 가치에는 (1) 소외지역 문화예술 격차 해소, (2) 지역사회 문화역량 강화, 그리고 (3) 사

회적 가치 확대 기여도 등이 포함된다.

이들 네 종류 가치의 세부 내용에 대한 추정은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즉 이들 지원사업

의 수혜자 집단에 대해 만족도와 마찬가지로 이들 사업이 위에 열거한 가치들에 기여했는지 여

부를 직접 묻는 방법을 취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중에서 사회

경제적 가치 관련된 부분이 아래 그래프로 제시되어 있다.

Page 6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39

<그림Ⅱ-2>�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사회경제적 가치 그래프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특수시설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시민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사업 연도별 경제적,� 사회적 가치

Page 7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4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분석 결과를 보면 그래프 오른편 아래쪽 그림에서 보듯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는 경제

적 가치에 비해 사회적 가치가 전반적으로 더 높지만, 연도별로 최근에 올수록 가치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경우 사회적 가치에 비해 경제적 가치가 더

우세하게 나타나며, 그 밖의 모든 지원 사업들은 경제적 가치에 비해 사회적 가치가 높게 나타

난다. 그런데 이 성과평가 연구에서의 가치추정은 주관적 응답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점

과 함께 비교 기준이 될 집단(실험/통제 집단의 구분)이나 시점(사전/사후 조사의 분리)이 설정

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연구 설계의 한계를 안고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 사용하는 사회적 가치

와 경제적 가치의 개념이 매우 추상적이거나 협소하게 정의되어 있다. 예컨대 경제적 가치의 항

목인 “경제적 가치 확대 기여도”나 사회적 가치의 항목인 “사회적 가치 확대 기여도”는 지나치

게 추상적이고, 경제적 가치의 항목인 “문화예술교육 종사자의 경제적 여건 개선”은 지나치게

협소하다. 위에서 살펴본 다양한 경제적 가치의 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사회적 가치의 측면에서도 “소외지역 문화예술 격차 해소”나 “지역사회 문화역량 강화”는 불평

등과 격차의 측면만 강조되고 있어, 신뢰와 사회적 자본, 사회적 소통과 참여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추가할 수 있다고 보인다. 위의 표에서 열거한 것과 같은 다양한 측면들을 고려하되, 대

상이 학생인지 성인인지에 따라 구별해서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개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평가 연구에서 사회적, 경제적 가치와 관련된 부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로 경제적 가치에 대한 부분보다는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부분이 보다 우세하

다.

-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에 대한 평가(정문성 2012)에서는 학생, 학교, 지역주민들을 설문조

사하되,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창의성, 문화예술감수성, 자기표현력, 협동과 사회성, 자기조절력

등을 조사하고, 학교와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물적 자본, 대외적 네트워크를 평가하였다. 그 결

과 학생들은 자신감, 창의성, 감수성, 자기표현, 협동과 사회성, 자기조절력 등이 중간 이상 수

준을 보이며, 저학년일수록 사교육을 받고 경제환경이 좋을수록 특히 가치성이 높다는 분석 결

과를 얻었다. 또한 학교 및 지역사회에서는 교사들이 문화환경 개선, 문화예술 역량 증진, 전반

적 교육력 향상, 대외적 이미지 개선, 문화예술 인프라 활용 증진 등의 분야에서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런데 이 연구에서는 지원사업의 수혜를 받은 학생과 학교, 지역사회

의 현재 상태만을 조사함으로써 사업의 전/후, 사업의 유/무 등 비교의 기준이 존재하지 않아서

만족도와 현황 파악에 머무는 한계를 지닌다. 물론 이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스스로 인지하고

향후 연구에 대해 연구의 시기를 사전/후 비교가 가능하도록 할 것을 제언한다.

-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에 대한 평가(오성호, 2011)에서는 지원사업의 수혜

를 받은 지역과 기관들을 중심으로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설문조사와 객관적 자료를

중심으로 평가를 하였다. 그런데 주로 사업의 운영에 대한 평가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하고 있

어, 그 결과 및 보다 중요하게는 영향에 대해서는 관심이나 언급이 보이지 않는다는 한계를 지

닌다.

Page 7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Ⅱ.이론적 배경|41

- 군/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오성호, 2011)에 대한 평가는 각 기관들에서

지원사업의 운영과 관련된 여러 지표들을 설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평가를 하였다. 사회적 영역

으로는 참여자 가치와 공동체 가치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참여자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참여

자의 숫자의 적절성과 지속성을 파악하였다. 그 근거는 프로그램이 성격과 지원규모에 적합한

수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참여자의 숫자를 구성하고 지속적인 참여를 보장 할 때, 기획의도에

맞는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성공적인 동기부여와 자긍심의 증가는 참여자의 만족

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참여자의 지속성과도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는 측면에서

참여자 가치 부분을 평가하고 프로그램 참여자의 여건에 대한 평가 요소를 포함하였다고 한다.

또한 공동체 가치로는 공동체 구성원과의 접점을 얼마나 확대하고 교류를 증진 시켰는가를 파

악하였으며, 프로그램의 결과물을 통한 활발한 공연/전시 활동이나, 프로그램의 과정을 통해 지

속적으로 지역의 문화를 만들어가는 프로그램이 커뮤니티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내용들은 주로 사업 자체의 운영에만 초점을 맞추어서 해당 지원사업의

영향이나 장기적 성과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않는다는 한계를 지닌다.

-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가치분석 연구(임영식 외, 2012)에서는 노인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

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즐거움, 문화예술 선호성, 도전정신, 부정적 자아존중감, 건강관리, 사회

성, 긍정적 자아존중감 등의 항목에 걸쳐 어떤 차이 혹은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실험/통제집단의

구분, 사전/사후 비교 등을 통해서 밝혔다. 분석 결과 노인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가치성은 높

게 나타났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측정치를 공변량 처리하여 사후 측정치를 분석한 결

과, 전체 문화예술교육가치성은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하위요인별로는 즐

거움, 문화예술선호성, 도전정신, 건강관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부정

적 자존감은 유의하게 낮아졌다. 이 연구는 가치와 가치로 나아갈 수 있는 좋은 시도이지만, 평

가 내용이 다소 협소하고 사전/사후 변화가 응답자의 주관적 평가에 머무는 한계가 있다.

- 토요문화학교 가치분석 연구(김소영, 2012)에서는 학부모와 학생들을 조사해서 가치 면에서

는 주5일제 여가문화 조성,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 공동체 의식 함양 및 소통, 인성 및 감성

발달을 중심으로 실험/통제 집단 간 비교를 하였으며, 만족도 조사도 병행하였다. 아울러 설문

조사 외에도 FGI 등의 인터뷰를 함께 수행해서 입체적으로 가치를 분석하였다. 학교폭력 예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평가연구(이정윤 외 2012) 역시 실험/통제 집단과 사전/사

후 조사를 통해서 프로그램의 가치를 검증하였다. 서울 시내 초등학교의 9개 학급을 실험집단

4학급, 통제집단 5학급으로 나누어 프로그램 참여의 가치를 폭력 관련하여 경험, 인식, 대처 등

의 영역과 품성 관련하여 공감, 분노조절, 용기라는 세 영역으로 나누어 측정하고, 만족도를 측

정하였다. 또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구체적인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폭

력과 관련된 내용 및 품성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가 프로그램 참여로 인해 발생한 것을 확인하

였다. 토요문화학교와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은 실험적 설계를 도입하여 해당 프로그램의 가치

를 정밀하게 분석하였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치를 넘어 가치의 분석으로 연결하려면 이론적 일

반화의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age 7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Page 7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III. 연구방법

1. 연구 모형

2.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가치 분석 방법

3.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방법

4.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을 위한 조사설계

5. 사회경제적 가치 측정 지표

Page 7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4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7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45

III. 연구방법

1. 연구 모형

본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그림Ⅲ-1>과 같은 연구전체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제시한 모든 단계를 철저하고 신중하게 밟아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그림Ⅲ-1>� 연구 모형

가치와 효과의 차이에 대한개념정립

가치에 대한 메타분석 시행

(개인가치,사회가치,문화가치,경제가치)

문화예술교육 정책변화에 대한

분석 및 조사대상사업 선정

지표개발 논의 및�지표산출근거 제시

매칭 방법 제시

정책노출집단(정책참여집단)�

전수조사 시행

정책 비노출집단(유사집단)

조사 시행

조사 방법 논의

결과값 비교,분석 뒤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

산정 후 제시

Page 7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4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본 연구의 프레임워크 또는 모형을 그림으로 나타내어 보면 다음의 <그림Ⅲ-2>과 같다. 본 연

구는 문화예술정책의 목표를 설정한 뒤 연구를 진행하였다. 앞부분의 메타분석 및 한국 문화예

술교육정책의 변화에서 살펴봤듯이 전체적으로 정책비전으로서 “개인의 문화 삶의 질 향상 및

사회문화역량 강화를 통한 행복추구”로 제시하였다.

<그림Ⅲ-2>� 연구 피라미드

연구 방법

사회 ·� 경제적 가치

성과 지표

대표 사업

정책목표

정책

비전개인 삶의 질 향상 및 사회 문화역량

강화를 통한 행복 추구

①�문화예술 향유와 체험을 통한 정서 순화

②�소통,� 공감연대를 통한 문화 공동체

사회·경제적 가치,� 교육적 가치

①�학교(예술강사,꿈다락토요문화학교,예술꽃씨앗학교)

②�사회 (범부처,� 복지시설,� 예술강사)

해당 정책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목표로 (1) 문화예술 향유와 체험을 통한 정서순화 (2)소

통, 공감연대를 통한 문화공동체의 형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

난 10여년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을 통해 추진된 사업들로 크게 학교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 사업들을 통해 양질의 문화예술교육 서

비스를 제공해왔다.

학교문화예술사업의 경우 (1)예술강사지원사업, (2)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2)예술꽃 씨앗학

교사업을 선택했으며, 사회문화예술사업의 경우 (1)범부처협력 문화예술교육사업 (2)복지시설 문

화예술교육사업을 선택하였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현재까지 운영해온 사업들은 이들 사

업 외에도 다수 되지만 이들 사업을 선정한 이유는 이들이 차별적인 특성들을 내포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수행하는 대표적인 사업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표

Page 7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47

Ⅱ-22> 참고)

이들 사업을 적절히 운영해나가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인프라를 갖출 필요가 있는데, 문화

예술교육 인프라의 경우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주로하고 있는 업무들과 관련하여 (1)

각종 문화시설과의 연계 (2)문화예술교육 파트너십 강화 (3)문화예술전문인력 양성 (4)문화예술

지식확충 및 국제협력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교문화예술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경제적 지표는 본연구

진의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먼저 “개인 삶의 질 향상, 개인 문화자본의 향상, 사회공동체 의식

고양”으로 제시하였다. 여기서 개인 삶의 질 및 문화자본은 지금까지 성과분석연구에서 주로 수

행된 예술교육의 질 향상, 예술교육 학습자의 교육학습가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지도제고

및 지역문화 발전에의 위상을 확보하는 등 일반적인 문화예술교육의 성과 등을 정책 수혜자 관

점에서 대표하는 지표들이다.

사회적 문화예술교육 사업에서 수혜자가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로서 개인 삶의 질 향상,

사회자본(공동체)의식향상, 사회형평성 증대가치 등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들은 그동안 성과분

석연구에서 확인되었던 사회적 일자리 창출, 학습자의 교육가치, 학습자 유형별 및 전체 참여자

확대, 문화예술교육 인지도의 증가 및 지역문화발전에의 위상 확보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 사회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기본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는 것인데, 설문조사의 경우 정책에 노출된 집단과 이들과 인구통계적으로 유사한 집단

간에 지표 점수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문화예술교육정책이 사회 경제적으로 가치를 가지고 있음

을 밝히는 것이다.

기타 사회형평성 지표와 문화예술교육 인프라와 관련하여 이차자료 분석을 통해 지난 10년간

문화예술교육정책 사업으로 인해 확충된 인프라 부분을 검토할 것이다.

1.1 지표 개발 과정 및 실사 과정

본 연구의 목적인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어떤 시각으로 바라 볼 것인가에 관해

정의를 추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차적으로 행해져 왔던 성과연구

의 주제인 “효과(effect)”와 달리 “가치(value)”라고 할 때 이 둘은 어떤 면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분석을 시행한다. 메타분석을 통해 문화예술의 가치를 어디서 찾을

것인가에 관해 기존연구들을 탐색하였다. 개인과 사회 전체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어떤 변

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사회, 경제적인 지표로 나타날 것인가에 관해

분석하였다.

지난 10여년 간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정책이 어떻게 변해왔으며 이들 정책들의 궁극적인 목표

는 무엇이었는지 조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 사업으로 선정한 사업을 제

Page 7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4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시하며 그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적인 부분인 사전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우리가 살펴볼 사회, 경제적인 지표

가 무엇인가를 논의, 결정한다. 여기서 핵심적인 부분은 이들 가치지표는 종전의 성과연구에서

자주 등장한 성과지표와 차별화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지표를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측

정치들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실사단계는 크게 두 가지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설문조사를 통해 문화예

술교육 수혜자 그룹들이 실제 인지, 파악, 행동으로 나타내고 있는 사항을 추적한다. 이어 이들

응답자 그룹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유사한 응답자들을 체계적으로 표본추출하여 대상자들을 설

문조사 하였다. 정책에 노출된 수혜자 집단과 정책과 관련이 없는 집단(유사집단)에 대해 지표

관련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두 집단의 지표측정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정책노출집단

이 유사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높은 지표 수치를 나타내는가를 검토한다,

2차 자료 분석을 통해 본 연구가 제시하고 있는 지표중의 하나인 “사회적 형평성”부분을 검토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조사자가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정책이

사회의 형평성을 증진시켰음을 밝힌다. 그리고 같은 방법으로 문화예술교육정책이 10여 년 간

양적으로 어느 정도 확대되었으며, 시회 기반 인프라 또한 어느 정도 확대되었는지 분석하였다.

1.2 매칭 방법을 통해 찾아볼 지표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먼저 사회적인 방법론(김기헌, 신인철(2008), 김선애, 김진영(2011),

변수용, 황여정, 김경근(2011, 2012), 안준기, 배호중(2011, 2013), 안서연(2008), 이광현(2012),

이석원(2010), 이종열(2012), 이필남(2011, 2012), Dehejia, R. H.(1998), Haviland, A. &

Nagin, D.S. & Rosenbaum, P.R. & Trembl(2008), Rubin, D. B.(1996))을 채택하여 정책노출

집단과 정책비노출집단으로 구분(정책이 이미 시행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전분리는 불가능하며

매칭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유사집단을 형성), 구분된 집단에 대해 정책가치와 관련된 사

회적, 경제적 질문을 수행함으로서 소비자학, 사회학, 경제학의 방법을 통합한다.

매칭방법의 사용은 사회학에서 이미 다수의 연구결과가 산출되었으며, 순수 실험설계에서 벗어

나는 측면은 있으나 현실적으로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매칭방법의 선택은 기초

변수들을 이용하여 이웃의 유사한 집단을 찾거나 일반적으로 유사한 응답자를 찾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정책참가집단과 유사집단 두 집단이 결정되면 두 집단

에 대해 정책과 관련된 질문으로 다음의 사회, 경제적 지표를 산출하였다.

Page 7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49

1.3 삶의 질 지표의 선정 근거

삶의 질은 최근 그 측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분야이다. 특히 1960년대 중반 사회지

표 운동이 일어날 무렵 두 가지 접근이 대조를 이루었다. 하나는 스웨덴 등 북유럽 지역을 중심

으로 객관적 지표 즉 삶의 각 분야에 걸친 상태, 예컨대 소득, 건강, 여가 등에서의 개선이나

진보를 중심으로 보는 접근이 있었다. 또 하나는 미국 등을 중심으로 주관적 만족 즉 다양한 조

건들을 고려하여 개개인이 현재 자신의 삶에 대해 얼마나 만족스럽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주

관적 웰빙 접근이 있었다.

그런데 최근 2008년 프랑스 사르코지 대통령의 의뢰로 작성되었고 이후 많은 삶의 질 연구의

표준이 된 스티글리츠 보고서에서는 객관적 접근과 주관적 접근이 통합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특히 이 보고서에서는 모든 삶의 질에 대한 연구에서는 주관적 만족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는 것을 강조해서 주관적 접근에 힘을 실어주었다. 그 결과 이후 OECD의 삶의 질 지표(better

life index: BLI)나 UN의 세계행복보고서 등 대부분의 삶의 질에 대한 경험적 분석에서는 이러

한 접근을 따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UN 산하기구인 UNESCO에서 작성한 삶의 질 측정을

위한 설문 문항을 이용하여 주관적 만족 중심으로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1.4 문화자본 지표의 선정 근거

문화자본이라는 개념은 프랑스의 사회학자인 피에르 부르뒤에(Bourdieu, P., 1984)가

1960-70년대에 처음 제안하였다. 그는 문화자본이 개인 수준에서도 존재하고 또한 사회구조적

인 수준에서 문화예술의 장(場: field)에도 존재한다고 보았다. 개인 수준에서 부르뒤에는 사회

에서 인정받는 미적 가치를 규정하고 이를 이해하며 즐길 수 있는 안목과 그에 투여된 노력을

총괄적으로 문화자본으로 규정한다. 부르뒤에 자신은 문화자본의 수준을 프랑스의 문화적 맥락

에서 음악이나 미술 등에서의 취향(taste)을 중심으로 측정하였다.

예컨대 바하의 평균율을 좋아하는지 아니면 대중음악을 좋아하는지, 그리고 이들 각각의 문화

작품이나 활동을 얼마나 이해하는지 등이다. 하지만 부르뒤에와 같은 방법으로 문화자본을 측정

하는 것은 설문지의 분량이 제한되고 또한 문화적 취향의 세련도가 높지 않은 경우 어렵다. 게

다가 최근에는 부르뒤에가 연구할 당시와 달리 세련된 고급문화에 대한 합의가 약해지고 다문

화주의가 부상하면서 취향만을 중심으로 측정하는데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의 폴 디마지오(DiMaggio, P., & Mohr, J., 1985)는 보다 객관적으로 문화자본을 측정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와 취향, 활동참여 등을 포함하는 다차원적 측정을 제안하였으

며 이것이 문화자본에 대한 측정으로서 최근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폴 디마지오의 다차원적 접근을 채택하여 수용하였다.

Page 8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5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5 사회자본 지표의 선정 근거

사회 자본은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하게 규정되어 왔지만 가장 중요한 연구는 제임스 콜맨

(Coleman, J., 1988)이 주장한 것처럼 개인이나 공동체가 자신들의 복리 증진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 관계나 구조로 보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 개인을 중심으로 보는가에 따라 보다

전략적으로 볼 수도 있고, 공동체나 집단을 중심으로 보는가에 따라 공익적, 규범적으로 볼 수

도 있다. 사회연결망을 중심으로 자신의 이해관계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전략적 행위를 강조한

로널드 버트(Burt, R. S., 2001).의 경우 전자에 해당된다면, 사회구성원들이 서로 얼마나 끈끈

한 유대관계를 갖고 협동이나 부조가 가능한가를 중시한 퍼트남(Putnam, R. D, 1995)의 경우

후자에 해당된다. 최근에는 퍼트남의 관점을 기본적으로 수용하된 보다 다차원적으로 사회적 규

범과 질서의 수용,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참여를 모두 포함하는 측정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

한 접근은 스톨레(Stolle, Dietlind, 2003)등이 정식화한 후 보편적으로 채택된 접근으로 본 연

구에서도 이 접근을 받아들여 활용하였다.

1.6 사회적 형평성

사회적 형평성은 최근 우리사회에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지표이다. 근대 경제사회발전에

따라 상대적으로 소외되어온 약자들에 대해 이들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전체적으로

통합된 체제를 이끌어 나가고자 하는 것이 사회적 형평성의 추구에 해당된다. 여기서 어떤 사회

가 사회적 형평성이 높은 가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있는데, 예를 들면 국민의 소득이나 물리적

인 재화의 양극화가 어느 정도 심각하지 않은가를 가지고 사회적 형평성을 논하기도 하지만, 최

근에는 이들과는 달리 사회의 구성원이 똑같은 기회를 부여받고 있는가가 더 중요하다는 인식

이 많다(Murray 1986; Dickens and Ellwood 2001; McKenna 2002). 더욱이 이들 인식의 주

요부분이 개인이 느끼는 사회형평성에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한 주관적 사회형

평성과 더불어 사회형평성과 문화예술교육간의 관련성을 검증할 수 있는 이차자료를 탐색하여

분석한다.

Page 8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51

2.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가치 분석 방법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가치를 논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책 및 사업과 해당 사업성과 및 사회, 경

제적 가치라는 3가지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해야 한다. <그림Ⅲ-3>에서 볼 수 있듯이 이들 간의

관계는 연차적 인과관계로 형성된다.

<그림Ⅲ-3>� 정책 성과 및 가치 간 관계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관련 사업

문화예술교육�

관련 성과

다양한

사회·경제적

가치

이들 중 문화예술교육정책 및 관련사업의 성과간의 관계는 이미 각종 연차성과보고서를 통해

이미 발간되었었다(2010 학교 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연구, 2010 사회 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연

구 등). 이들 성과가 정책참여자에게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사회, 경제적 가치가 본 연

구의 중점탐구 대상이다.

문화예술정책 및 사업과 문화예술교육관련 성과 간에는 강력한 인과관계가 성립되지만 이들의

결과로 나타나는 다양한 사회, 경제적 가치측면은 인과관계 추정이 힘들다는 측면이 있다. 이들

간의 관계에는 다양한 개입변수들이 작용하기 때문에 인과관계의 추정에 의해 결과를 이야기하

기 보다는 실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유추를 통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설문조사의 경우 정책에 노출된 수혜자와 정책에 노출되지 않은 수혜자를 "비교분석"하

여 이들 정책 및 관련사업의 가치를 측정하는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시

행되고 있는 정책에 노출된 집단과 정책에 노출되지 않은 집단을 비교분석하는 매칭방법

(matching method)은 논리적 근거와 타당성이 높은 관계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비교분석 방

법을 채택해 사용하기로 한다. (김기헌, 신인철(2008), 김선애, 김진영(2011), 변수용, 황여정,

김경근(2011, 2012), 안준기, 배호중(2011, 2013), 안서연(2008), 이광현(2012), 이석원(2010),

이종열(2012), 이필남(2011, 2012), Dehejia, R. H.(1998), Haviland, A. & Nagin, D.S. &

Rosenbaum, P.R. & Trembl(2008), Rubin, D. B.(1996))

매칭방법의 경우 기존연구문헌에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사용되고 있으며, 정확한 매칭

(matching)은 이름이 암시하듯이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사이에 경향점수가 같은 사례를 뽑는 것

Page 8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5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정책에 노출된 집단(문화예술교육 향유집단)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

해 정책에 노출된 집단의 사회, 경제적 가치를 먼저 측정한다. 그리고 전수조사를 통해 나타난

정책노출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가장 유사한 유사집단을 뽑아 이들을 대상으로 같은 설문을

수행하여 양 집단 간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비교분석한다.

그리고 이차자료 검색을 통해 본 연구의 사회경제적 지표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사

회적 형평성 관련부분과 문화예술교육 인프라와 관련하여 이차자료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의 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그림 Ⅲ-4>와 같다.

<그림 Ⅲ-4>� 이차자료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정책노출집단의

사회경제지표측정치

유사집단의사회경제지표

측정치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가치

이차자료 분석을 통한

사회경제지표 해석

3.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방법

경제적 가치를 “문화예술교육이 가지는 가격 또는 그것의 교환가치”라고 볼 때 문제가 되는

것은 문화예술교육의 경제적 가치를 어떻게 계산할 것인가라는 점이다. 그것은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가치 역시 마찬가지이다. 경제적 가치의 문제부터 살펴볼 것이다.

3.1 경제적 가치의 분석

본 연구에서 다루는 문화예술교육은 일반적으로 시장을 통해 거래되는 문화예술교육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정책을 통해서 시민들 일반 혹은 소외계층에 속한 시

민들에게 무상으로 제공되는 문화예술교육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한다.

예컨대 학교에 예술 강사들을 파견하고 이들의 인건비를 지원하거나, 각종 시설에 있는 사람들

에게 문화예술교육을 제공하고 그 비용을 지원할 경우 그것이 어떤 경제적 가치를 갖는가이다.

이처럼 문화예술교육이 시장을 통해 거래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 가치는 간접적으로 추정될

Page 8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53

수밖에 없다.

Pearce et al.(2002)에 따르면 문화의 경제적 가치는 다음과 같은 사용가치와 비사용가치로 구

분된다. 사용가치(use values)란 개인이 재화를 물리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부여하는 가치로서,

시장에서해당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시장가격(market price)이나 지불의사(willingness to pay)

에 반영된다. 즉 시장가격과 지불의사의 차이는 소비자 잉여이다.

이때 사용가치는 다시 실제 사용가치와 옵션가치로 구분되는데 직접사용가치(direct use value)

는 상업적 이용이나 재화 자체의 소비와 관련된 가치이고, 간접사용가치(indirect use value)는

재화를 통한 감정적, 정신적 만족 등과 관련된 가치이다. 옵션가치 혹은 선택가치(option value)

는 본인이 직접 사용하지 않더라도 다른 이가 소비하거나, 미래 세대(future generation)가 소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그 재화가 가지는 가치를 의미한다.

이때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얻게 되는 만족감 등의 가치를 대체가치 혹은 이타적

가치((altruistic value)라고 하며, 미래세대를 위해 재화를 보존하는 것에 부여하는 가치를 유증

가치 혹은 유산가치(bequest value)라고 한다.

문화 분야의 경우 무료로 제공되는 재화나 서비스가 많아 가격은 시장 가치를 온전히 파악하

는 데 곤란하다. 또한 표출된 가치 역시 시기와 사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예술작품의 상업적

가치도 살아있는 동안 변화를 보임)는 점에서 사용가치의 측정이 쉽지 않다는 한계를 가진다.

비사용가치(non-use value)란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문화재화 및 서비스의 존재 자체만으로

얻게 되는 가치를 의미한다. 그 예로는 예술단체로 인해 사람들이 느끼게 되는 자긍심, 사람들

을 매혹시키는 역사유적의 존재 등이 해당된다.

위에서 살펴본 다양한 경제적 가치의 분류를 정리해서 도식화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그림 Ⅲ-5>� 경제적 가치의 분류

Page 8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5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출처:� Pearce� et� al.(2002)

비시장재에 대한 개인의 후생을 측정하려는 경제이론은 그동안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이때

경제이론은 두 가지 가정을 하고 있다. 첫째, 사람들은 시장재와 비시장재로 구성된 재화묶음

(bundle of goods)들에 대해 잘 정의된 선호를 가진다. 둘째, 사람들은 자신의 선호를 알며, 이

러한 선호는 재화묶음을 구성하는 시장재와 비시장재 사이의 대체가능성(substitutability)의 성

격을 가진다. 즉, 어떤 개인의 재화묶음에서 한 재화의 소비를 감소시키면 그 개인은 후생의 감

소 없이 다른 재화의 소비를 증가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대체가능성은 사람들에게 중요한

재화묶음에서의 교환비율과 관계가 있기 때문에 경제적 의미의 가치 개념의 핵심이다.

한 재화의 소비를 줄여 다른 재화의 소비를 늘린다면 그로부터 우리는 사람들이 이러한 재화

에 두고 있는 가치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재화묶음 중 단 하나의 재화라도 화폐가치를 가

지고 있고, 그 재화와 관심 재화사이의 교환비율을 안다면, 관심재화의 화폐가치를 알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대체가능성에 근거한 가치개념은 지불의사액(WTP,

willingness-to-pay) 또는 수용 의사액(WTA, willingness-to-accept)으로 표현될 수 있다.

대체가능성에 근거해서 지불의사 혹은 수용의사를 바탕으로 경제적 가치측정를 측정하는 방법

(economic valuation methods)들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재화의 시장가격이 없는 경우(where

there is no market price for a good) 그 경제적 가치를 이해하기 위해 경제학자들은 여러 가

지 기법들을 개발해왔으며, 여기에는 설문방식을 통한 진술된 선호기법과 시장자료를 통한 현시

선호기법이 포함된다.

진술된 선호기법(stated preference techniques)은 사람들에게 해당 재화나 서비스의 가상적인

시장(hypothetical market)에서 그들의 선호를 진술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경제적 가치(total

economic value)를 파악하기 위한 기법으로 조건부 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과 선택모

델링(choice modeling/conjoint analysis)기법이 포함된다.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은 비시장재화에 대한 가상적 시장을 전제로 사람들에게 직접적으로

해당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지불용의를 물어보는 방법으로 비시장재화나 서비스의 양과 질의

변화-예컨대 기록 유산, 발레공연 관람- 에 대한 개인의 선호를 화폐적 방식으로 이끌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사용하여 공공정책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려한 예로는 청소년

대상의 체험활동에 대한 사회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연구(성은모 2012)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중고 재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7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체험프로그램을 위해 지불할

의사가 있는 액수를 측정하였다. 응답자들의 평균 지불의사액 추정결과 청소년 체험활동 프로그

램 운영을 위한 일반 국민들의 가구당 월간 지불의사액은 3,185.8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이 액수

를 토대로 계산하면 정부의 청소년 체험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연간 사회·경제적 가치는

6,252.84억 원으로 2012년의 여성가족부 관련예산인 1,500억 원의 약 4배 가량에 이르는 것으

Page 8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55

로 나타났다.

통상적으로 B/C ratio가 1보다 크면 편익이 비용보다 크다고 보는데, 정부의 청소년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비용 대비 편익의 비율(Benefit/Cost ratio, B/C ratio)는 4를 넘어서 이 연구에서는

이 프로그램이 경제적 측면에서 사업의 타당성을 확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선택모델링 또는 컨조인트 분석(choice modeling/conjoint analysis)은 CVM 기법의 한계를 극

복하기 위해 제안된 기법으로, 개인에 대해 직접적으로 지불의사를 물어보기보다는 선택 옵션에

대한 응답을 통해 그들의 가치부여를 이끌어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재화나 서비스의 특정 특

성의 가치를 이해하고 그러한 특질이 다른 부분들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용

이하다.

진술된 선호기법이 가진 약점들, 그중에서도 특히 사람들이 지불의사 혹은 옵션 선택을 할 때

의 자의성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현시선호기법(revealed preference techniques)이며, 이

는 실제 시장에서 실제로 사람들이 가치 부여한 것을 토대로 선호를 파악하는 기법이며, 헤도닉

가격기법(hedonic pricing method), 여행비용접근법(travel cost method)이 이에 해당된다. 헤도

닉가격기법(hedonic pricing method)은 측정하고자 하는 가치를 포함하고 있는 주택시장이나

토지시장 등과 같은 대체시장(surrogate market)의 가격자료를 이용하여 편익을 추정하는 방법

으로 공원이나 생태적 공간, 문화적 공간의 조성이 자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가치를 추

정하는 것이다.

한편 개인 단위에서 가상적 상황을 설정하고 시민들의 선호를 파악하는 자의성을 피해서 거시

적 단위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의해 생산되는 경제적 가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산업연관분석(input-output analysis 또는 inter-industrial analysis)이다. 이것은 생산 활동

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산업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수량적으로 분석하는 경제 분석 방법으로 산

업연관표로부터 도출되는 기본 방정식을 통해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노동유발계수

등을 도출해내는 것이다. 그런데 산업연관분석의 경우 도로나 공공시설 등 현물적 투자를 통해

서 유발되는 경제적, 생산적 활동이나 가치를 평가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문화예술교육처

럼 잠재성(latency)이 큰, 즉 문화예술교육을 받아서 그 가치를 체화한 사람이 향후 장기간에 걸

쳐 생산적 활동에 참가함으로써 생산한 가치를 다루는 경우에는 한계가 있다.

산업연관분석을 통해서 공공정책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예는 문화예술 복지정책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양혜원 등(2012)의 연구가 있다. 이들은 2011년에 이루어진 3개의 사업, 즉 문

화바우처 사업과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그리고 문화시설 건립사업이 국민경제에 미친 가치를

파악하였다.

이들이 문화복지사업 투자를 통한 경제적 파급가치가 나타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우선 문화

복지사업을 위해 국가 재정이 문화예술상품 구매, 임금 지급, 건설자금 투입 등의 형태로 시중

에 유입되면 문화산업계는 물론 여가 및 소비재 분야에 대한 내수분야 지출이 증대하게 된다.

Page 8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5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또한 정부로부터의 문화복지 예산이 바우처(voucher) 사업을 통한 문화상품 구입, 문화시설 건

립, 예술 강사 고용을 위한 임금으로 지급되면, 이를 지급받은 경제주체는 계속해서 재화 및 서

비스 구입을 위해 지출할 것이다.

이러한 지출 활동 등으로 교육서비스, 문화서비스, 오락 및 기타서비스 업종에 대한 지출이 증

가할 수 있고, 또한 운수 및 운수관련서비스업과 음식숙박업에 대한 민간소비지출도 증대하게

된다. 또 쇼핑활동으로 인해 각종 소비재에 대한 민간소비 지출이 증가하게 되며 건축기자재 등

생산재의 매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본 연구와 관련이 깊은 학교문화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경우를 보면 ‘교육 및 보건’부

문에 대한 수요 충격으로 볼 수 있으므로 해당 부문의 생산유발계수(1.593)를 활용하여 생산유

발가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 학교문화예술강사 지원사업이 경제적으로 유발한

총생산 가치는 약 989억 원, 부가가치 유발가치는 약 538억 원, 고용유발가치는 약 968명, 취

업유발가치는 약 1,124명에 해당한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 개인이 체화한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고 추정하는 작업은 노동경제학에

서 제안되고 분석되어온 인적 자본(human capital) 이론에 근거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인적 자

본 이론에서는 교육이나 훈련을 더 많이 받으면 더 많이 받은 만큼 우수한 노동력이 체화되기

때문에 나중에 노동시장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더 높은 소득 아니면 더 높은 생산

성으로 실현하는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인적 자본 이론에 근거한 문화예술교육의 경제적 가치의 평가와 분석은 교육에서 의도

하는 개인의 능력향상을 매개로 해서 나타나는 경제적 가치의 생산을 분석하고자 한다는 점에

서 뛰어나지만 실제적 적용하는데 난점은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시점과 그것을 경제적 가치로

실현하는 시점이 큰 격차를 보이고 그렇기 때문에 시작한지 오래 되지 않은 문화예술교육정책

의 경제적 가치는 노동시장에서 실현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이러한 접근이 가

진 또 하나의 난점은 학생들의 경우 향후 미래의 노동력과 그것이 실현된 소득으로 가치를 평

가하지만 일반 시민들 대상의 문화예술교육의 경우 그것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 경우 인적자

본 접근의 보다 근본적 한계가 드러나는데 모든 교육이 경제적 가치의 생산을 위한 것으로만

파악하는 도구적 관점이 지배하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교육 특히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경제적으로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도 볼

수 있다. 특히 성인 교육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문화적 측면이 더 중요해질 수도 있다. 인적자

본 이론을 적용하여 교육 관련 공공정책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연구는 아직까지 별로 없다.

Page 8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57

직접참여 관객참여예술가,� 예술단체 및기관의 존재

개인

신체적건강가치

-건강을 증진시키는 대인관계 구축

및 자원봉사 촉진

-자기 표현과 향유기회 증가

-청소년 범죄 감소

-향유기회 증가

-스트레스 감소

-예술에 참여할 수 있

는 개인의 기회 및 성

향 증가

인지적심리적가치

-개인의 효능감과 자아존중감 증가

-지역사회에 대한 개인의 소속감 증가

-인적자본_기술과 창조력 향상

-문화자본 증가

-모차르트 가치 (시공

간 추리력 향상)

-학업성적 향상

-

대인관계가치

-개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타인과 소통능력 향상

-타인에 대한 포용력

증가-

사회

경제적가치

-종업원을 참여시키는 임금

-사람들 (특히 관광

객,� 방문객)이 예술관

람과 자역기업에 비용

지출

-예술시설이나 기업이

지역에 지출함으로 배

가가치를 냄

-지역사회 구성원의 예

술참여 성향 증가

-관광객 기업,� 사람들

(특히 고숙련 노동자)

과 투자자 지역 매력도

증가

-창조산업의 경제적 성

장을 촉진하는 창조적

환경 조성

-경제 부흥의 가능성

높아짐

문화적가치

-집단적 정체성과 효능감 증가

-지역사회의 정체성과

자부심 형성

-다양성,� 관용,� 자유로

운 표현과 같은 긍정적

인 공동체 규범 확산

-지역사회의 이미지와

위상 제고

사회적가치

-사람들을 참여시키거나,� 단체들을 서

로 연계시키거나,� 참여자들에게 지역

정부 및 비영리 기관을 조직하거나

협력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서 사회

적 자본 형성

-이 기회가 아니면 몰

랐을 사람들이 서로

어울릴 수 있게 됨

-이웃의문화적다양성제고

-이웃의범죄및비행감소

3.2 사회적 가치의 분석

위에서 이미 언급하였지만 경제적 가치가 유용성이라는 차원에서 화폐 단위로 단일하게 측정

가능한데 비해서 사회적 가치는 대단히 다양하고 그 단위 또한 단일하지 않다. 이러한 다양한

사회적 가치의 예를 문화예술의 분야에서 연구하기 위해 Joshua Guetzkow(2002)는 기존의 실

증적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개인과 사회에 대한 예술의 가치를 다음 <표 Ⅲ-1>와 같이

체계적으로 구분하였다.

<표 Ⅲ-1>� 개인과 사회에 대한 예술의 가치

출처:� Joshua� Guetzkow(2002)�

Page 8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5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이러한 사회적 가치의 추정을 위한 방법으로는 정책에 참여하거나 정책이 실시되었을 경우 그

렇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위에서 살펴본 다양한 긍정적 가치들이 얼마나 증가 하는가 그렇지

않은가를 분석하여 밝히는 것이 주가 된다.

이러한 분석방법으로는 크게 실험적 접근과 비실험적 접근이 나뉘는데, 실험적 방법은 실험대

상을 실험집단(treatment group)과 통제집단(control group)에 무작위 배정(random assignment)

하고 실험집단에 대해서만 사업을 실시한 후 양 집단의 성과를 비교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무작위실험은 기존의 존재하는 데이터를 사용한 비실험적 방법에 비해 상당한

시간 및 자원이 소비되는 점, 인간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실험의 경우 윤리적 문제(ethical

issues)가 제기되기도 한다는 점, 사회실험의 경우 그 기간(duration)이 제한되어 이러한 시간적

제한이 참여자들에게 다른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 연구대상의 이탈(attrition)과 무응답

(interview non-response)의 문제가 발생하는 점, 현실세계에서 행해지는 실험계획은 실험실에

서 행해지는 실험과는 달라서 실험집행이 엄격히 통제되기 힘들다는 점 때문에 궁극적으로 추

정가치에 편의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기도 한다.

반면 실험적 접근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비실험적 접근은 다양한 미시적 자료와 통계적 방법,

그리고 정책 프로그램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행태적 모델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실험적 평가이든, 비실험적 평가이든 어떠한 정책 가치를 평가할 때 양자가 동일하게 마주하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은 동일한 개인이 동일한 시점에 만약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았더라면

얻었을 결과를 현실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것은 정책의 가치가 ‘그 정책 프로그램

에 참여한 참여자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얻는 성과와 만약 동일한 참여자가 그 사업에

참여하지 않았더라면 얻었을 성과와의 차이’, 즉 ‘대응적 사실(counterfactual)과 실제성과와의

차이’로 정의될 수 있기 때문이다(Holland, 1986; Heckman 외, 1997; Angrist &

Lrueger,1999; 이석원, 2001). 이에 따라 평가방법론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바로 이 대응적

사실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러한 접근을 취하여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한 대표적 연구가 문화예술복지

정책의 사회적 가치를 추정하려 한 양혜원 등(2012)의 연구이다. 이들은 다음 그림과 같은 인과

적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설문조사 자료에 적용하여 추정하였다. 이 그림에서 화살표의 숫자는

표준화 회귀계수 추정치이다.

Page 8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59

<그림 Ⅲ-6> 표준화 회귀계수 추정치

자료: 양혜원 등(2012)

이러한 모형을 적용하여 문화예술 복지정책의 사회적 가치를 추정한 결과 이 연구에서는 “문

화예술교육 경험은 참여자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문화예술에 대한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며, 문화예술 관람 횟수의 증대를 통해 행복, 건강, 신뢰,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결론 내리고, “문화예술향유 수준이 높을수록(관람횟수가 클수록)

행복, 여가만족도, 삶의 만족도, 자아존중감, 대인적 의사소통 능력, 사회적 자본, 창의성, 문화

예술에 대한 관심, 문화예술에 대한 감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우울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보고 하였다. 아울러 “이러

한 결과는 실제로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중요한 순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으로 문화예술 향유가 가지는 사회적 가치를 보여준다.”고 하였다.

3.3 사회경제지표 측정방법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측정지표는 다음에서 제시하는 <표 Ⅲ-2 >과 같다.

<표 Ⅲ-2� >� 측정지표 측정근거

사회경제 지표 측정근거개인의 삶의 질 향상 유네스코 보고서의 인간의 행복 UNESCO� (2013)

개인문화자본의 향상문화소양,� 문화적 활동 및 문화적 지식

(DiMaggio,� P.� (1982);Lamont,� M.,� &� Lareau,� A.� (1988).)

사회자본(공동체 의식)� 향상

관계형성,� 사회통합,� 공동체 의식 및 의사소통 증대

(Hooghe,� M.,� &� Stolle,� D.� (2003);Woolcock,� M.,� &�

Narayan,� D.� (2000);Joshua� Guetzkow(2002))

사회형평성 증대지역별 복지비용과 문화예술교육비용의 상관관계

(Murray� 1986;� Dickens� and� Ellwood� 2001;�McKenna� 2002)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WTP� 경제적 지불의사.� 대체적 시장가격,� 기타 경제지표

Page 9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6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은 문화예술교육사업이 개인에게 가져다줄 수 있는 창의력 향상, 예술적

감수성 증대 등 개인적 차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성과를 총괄적으로 대변하는 지표이다. 이는

유네스코 보고서(2013)에서도 인간의 행복이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에 해당된다는 것과도 일맥상

통하는 것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개인적 차원에서의 사회적 지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개인적 차원에서 생각할 수 있는 것이 개인의 문화자본의 향상이다. 문화자본은 <그림Ⅲ-7>이

제시하듯 문화 소양적 태도, 문화 활동 및 문화예술관련 정보지식의 3가지 차원에서 결정된다.

한 개인이 문화예술교육을 받고나서 가지게 되는 문화예술과 관련된 소양의 증진, 이의 결과로

나타나는 각종 문화 활동들 그리고 이와 관련된 문화지식이 이에 해당된다.

� <그림Ⅲ-7>� 문화자본 구성도

문화자본

[태도]� 문화소양

[활동]� 문화활동

[정보]� 문화지식

자료:� 본 연구진 논의 후 작성

사회적 차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표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사회자본이다. 정의로서 “사회

적 가치”의 경우, 사회적 영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 소통, 사회통합, 관계 형성, 범죄예

방, 지역 재생, 공동체성 등에 미치는 사회적 가치 및 파급가치 등을 포함한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 또 하나 기대할 수 있는 사회적 지표로 사회적 형평성의 증대를 들 수

있다. 사회형평성이란 사회구성원이 평등하게 취급되고 있다는 구성원의 인식 및 실제 물리적

형평성을 말하는데 여기서 문화예술교육의 수혜자는 자신이 사회로부터 평등한 기회를 받았다

고 인식하고 실제적으로도 더 많은 물리적 비용을 본인이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형평성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범죄율과 문제아 학생 수

등의 지표를 검토하였었으나(이들과 문화예술교육비용간의 관련성 검토) 이들 자료의 입수가능

성 및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어 지역별 복지차원비용과 문제아학생간의 상관관계 분석

을 통해 이 문제를 다루기로 했다. 그러나 문제아학생들 데이터의 경우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발견되어, 최종적으로는 지역별 질(SQ)관련 데이터를 찾아 문화예술교육 비용과의 관련성을 찾

아 사회형평성 지표를 분석하였다.

Page 9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61

지표 측정치

사회

개인의 삶의 질 향상 설문문항 Ⅳ/� 설문문항 Ⅷ

개인문화자본의 향상 설문문항 Ⅲ

사회자본(공동체 의식)� 향상 설문문항 Ⅱ-2,3,4� /� 설문문항 Ⅵ

사회형평성 증대 설문문항 Ⅶ

경제WTP(지불의사정도)-세금 �설문문항 Ⅸ-1

WTP(지불의사정도)-대체재·의식주가치 �설문문항 Ⅸ-2,3

예술강사 일자리창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내부자료 분석

WTP는 문화예술교육 수혜자가 받은 서비스에 대해 부여하는 경제적 가치를 말하여 이 분야에

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특정 서비스에 대해 어느 정도의 세금을 낼 의향을 가지고 있는

가이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사업의 경제적 가치를 숫자로 가늠한다. 우리가 기대하는 것은

문화예술교육에 노출된 집단의 겅우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높은 수준의 지불의사(willingness

to pay)를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수혜 받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시장가격도 수혜자에

게 질문하여 시장가치를 가늠한다.

문화예술교육 시장의 확대는 문화예술교육이 시작된 지 10여년이 지난 지금시점에서 볼 때 양

적, 또는 질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이 많이 확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그만큼 우리사회가 문화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 대한 검토를 통해

문화예술교육비용과 문화예술교육과정 수 및 질적인 측면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지난 10년간 확

대되어온 상황을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인프라와 관련해서도 지난 10여년 간

양적, 수적으로 많이 확대되어왔다고 판단한다. 그만큼 우리가 종전에 비해 각종 문화예술 시

설 및 행사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를 위해 각종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검토할 것이다.

이들 사회, 경제적 지표가 어떤 측정치로 전환되었는가를 살펴보면 <표 III-3>과 같다. 이들

측정치들은 대부분 근거로 제시된 보고서나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측정치들을 문화예술교육

환경에 맞게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표 Ⅲ-3>� 각� 사회경제적 지표들에 대한 측정치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지표는 대부분 기존 연구나 주요 연구보고서에서 자주 활용되는 것들이다,

먼저 개인 삶의 질 향상부분은 UNESCO(2013)에서 지속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궁극적인 목표

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이다.

아울러 개인의 문화자본 향상도 Joshua Guetzkow(2002)가 개인의 문화자본 향상이 문화예술

교육의 주요목표라고 주장하고 있다. Joshua Guetzkow(2002)는 이와 더불어 개인이 문화예술

에 접하고 나서 자신의 네트워크를 향상시키는 인식과 행동을 하는 것으로 밝히고 있는데, 즉

사회자본의 향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사회적 형평성 부분은 최근에 와서 우리 사

회에서 주요 이슈로 대두되었다. 즉, 지역 및 계층 간의 소득 및 비소득적인 격차가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Page 9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6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로 나타나는 사회적 형평성 부분을 무엇으로 잡을 것인가를 본 연구진이

고민하던 끝에 찾아낸 이차자료는 지역별 사회복지지표와 문화예술교육비용간의 상관관계이다.

이들 상관과계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을 집중화시킨 지역의 경우 그렇지 못한 지역에 비해 사회

복지지표가 우월함을 보임으로 사회형평성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WTP는 기본적으로 경제적 지표의 대표적인 것으로(Pearce et al. 2002; KDI 2008), 이를 통

해 정책 수혜자가 해당정책에 대해 어느 정도 금전적으로 가치를 부여하는 가늠해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또 다른 경제적 지표는 정책의 시장가치와 관련

된 부분이다.

이는 정책의 수혜자가 만일에 해당정책을 정부가 아닌 일반 사설시장에서 서비스를 받는다면

어느 정도 가치를 가질 것인지 관련되는 것으로 주요한 경제적 지표로 작용한다.

그 외 문화예술교육시장의 양적, 질적 확대와 관련해서는 지금까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펼쳐온 사업과 관련된 비용 및 인력의 규모 변화와 질의 변화들을 살펴볼 것이며, 인프라는 이

와 같은 사업을 펼치는데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인력, 시설, 지식 등을 살펴볼 것이

다.

앞서 살펴본 바를 토대로 같이 본 연구가 제시한 사회, 경제 지표들은 모두가 기존 연구나 주

요보고서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므로 학문적 타당성을 입증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3.4 사회경제적 가치에 따른 추가적 연구검토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표로 원칙적으로 아래의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① 소비자 가치, ② 사회적 가치, ③ 교육적 가치 ④ 경제적 가치

그러나 몇 가지 한계점 때문에 이들을 다 수용하지 못하였는데, 이하 본론 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3.5 사회경제적 가치의 측정

소비자 가치는 정책수용자 관점에서 제기되는 가치로 국민은 먼저 정부가 시행하는 특정정책

프로그램의 존재여부를 파악하고, 그 다음 해당정책의 내용을 이해하며, 정책의 수준에 대해 평

가하게 된다. 이어서 실제 정책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험만족도를 형성하

며, 체험 후에도 체험 후 만족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정책과 직결된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국민

들의 정책접촉단계별 반응도를 측정하여 이를 투입에 대비하여 정책의 직접적 가치를 측정할

수 있다.

Page 9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63

각 사업에 대한 만족도는 성과보고서를 통해 매년 보고되고 있으므로(2010 학교 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연구, 2010 사회 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연구)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전체에 대한 만

족도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사회적 가치는 문화예술교육정책이 정책 대상자들의 사회적 자본이

나 문화적 자본과 같이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부분을 신장하는데 영향을 미쳤는가를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사회적 가치는 범죄율이나 비행률(학생), 학업성취도, 창의성, 문화감수성, 자아존중

감, 사회성, 공동체의식 등이며 문화예술교육정책이 범죄나 비행을 낮추고 학업성취도나 창의성

등을 높이는데 어느 정도 기여하는가와 관련된다.

본 연구는 현 문화예술교육정책과 관련하여 매칭(matching)방법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판단

하고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고자 한다.

문화예술교육정책이 이미 과거에 시행되었고 그 가치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정책에 직접 참여

한 집단과 이에 유사한 집단을 적절히 찾아내어 비교분석하는 방법이 최선일 것이다. 다만 대안

적 방법으로 정책의 가치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종단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를 보완

해보고자 한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 조사패널의 경우 청소년과 관련된 데이터를 매년

정기적으로 수집하고 있는데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어 있다.

통계청이 조사하는 가계패널의 경우 “문화예술비용 부분”이 포함되어 있어 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면 문화예술을 많이 체험하고 있는 집단과 적게 체험하고 있는 집단의 사회경제적 가치

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문화예술”과 “문화예술교육”은 분명히 차이가 존재하는 바 이에 대

해서 한계점이 있음을 밝히고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교육적 가치는 창의성이나 예술적 감수성, 능력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등에 해당되며 분석

방법은 사회적 가치와 동일하게 매칭방법을 활용해 정책노출집단과 비노출집단 간 측정항목의

비교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정책적 교육 가치를 분석하고자 한다. 문제는 교육적 가치에

해당되는 창의성이나 예술적 감수성 및 능력과 학업성취도는 해당 항목을 측정하는 것만 해도

한 두 시간의 장시간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서 핵심지표(사

회, 경제적 지표)를 손상하지 않는 목적으로 조사에서 배제한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이론적 검토는 수행될 것이다.

경제적 가치는 투입 대비 산출로 정의하며 투입은 정책에 소요된 비용, 정책에 투입된 인원,

정책에 투입된 시간으로 정의되며 경제학 분야에서 표준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지표들이 존재한

다.

이 경우의 산출은 정책에 대한 인지 정도나 이해, 경책 수혜자의 정책에 대한 지불의사, 정책

참여율, 정책 참여자들에게 발생한 소득, 참여자들의 만족도 등이 될 수 있다. 투입 대비 산출

Page 9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6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가치 분석도구 내용 장/단점

조건부

가치측정법(CVM)

특정 조건을 상정하고 특정재화를

사용,�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 (WTP�

지불의사)을 주정하는 것.

- 공공재의 성격에 맞는 측면이 있으나 지불

의사가 설문조사 등을 통해 추정되며 WTP

의 정확도도 문제가 따르므로 한계가 있음.�

- 문화예술정책의 가치를 비록 주관적이나

정책 수혜자에게 직접적으로 묻는다는 점

에서 활용가능

산업연관분석

(고용유발계수)

특정 산업에 특정규모의 수요가

발생 시 연관분야에 발생하는 총

고용규모를 말함.

- 특정산업의 고용적 매력도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고용

측면의 매력도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줌

비용편익분석

사회자본에 관한 투자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고안된 분석도구의

하나임.

- 민간투자의 경우 이익이 판매수익인 화폐

액으로 나타나는데 비해 사회자본의 경우

에는 이익이 판매수익을 나타내지 못하므

로 한정된 자원을 가치적으로 활용하기 위

해서는 이익을 비용과 비교할 수 있도록

화폐단위로 환원해야 한다는 문제가 생김.

- 하나의 정책을 절대적 금전가치를 주장

하는 것 보다 여러 정책을 비교 평가하

지 수

문화예술교육정책 조건부 가치측정(CVM�방법)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유발고용인원수(고용유발계수법)

문화예술교육시장 증대(공적,�사적)/투입비용

경제전체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의 증대

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게 되며 자세한 내용은 <표 III-4>에 제시되어있다.

<표 Ⅲ-4>� 경제적 가치 측정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의 경우는 특정 조건을 상정하고 특정 재화를 사용,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WTP 지불의사)을 추정하는 것인데 이것도 공공재의 성격에 맞는 측면이 있으나 지불의사

가 설문조사 등을 통해 추정되며 WTP의 정확도도 문제가 따르므로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 방

법은 문화예술정책의 가치를 비록 주관적이나 정책 수혜자에게 직접적으로 묻는다는 점에서 활

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실제 실현가치가 10년 정도이상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다는 점에

서 볼 때 응답자들에게 특정 문화예술정책이 펼쳐질 경우를 가상적으로 생각하고 이에 적절한

본인의 지불의사를 묻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가치측정 방법이다.

<표 Ⅲ-5>� 가치분석도구의 내용 및 장/단점

Page 9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65

여 최적의 정책을 판단하는데 유용함.

고용유발계수는 특정 산업에 특정규모의 수요가 발생 시 연관분야에 발생하는 총 고용규모를

말하며 이는 특정산업의 고용적 매력도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고용

측면의 매력도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일반적으로 강사가 고용되기 때

문에 이 부분은 측정이 용이하나 관련 산업에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고용은 계산하기가 힘들다.

강사 외에 연관사업의 고용유발은 상당히 오랜 기간에 걸쳐 발생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적용

하기 힘들다.

비용편익분석은 사회 자본에 관한 투자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고안된 분석용구의 하나이다. 민

간투자의 경우에는 얻어지는 이익이 판매수익인 화폐액으로 나타나는데 비해 사회자본의 경우

에는 이익이 판매수익을 나타내지 못하므로 한정된 자원을 가치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익

을 비용과 비교할 수 있도록 화폐단위로 환원해야 한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문화예술교육정책의 혜택을 금전적 수치로 적절히 환원시킬 수 있으면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경

제적 가치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비용편익분석은 하나의 정책을 절대적 금전가치를 추정하는 것 보다는 여러 정책을 비

교평가 하여 최적의 정책을 판단하는데 유용하다.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경제적으로 비용편익

분석을 행할 경우 주요 문제점은 동분석이 문화예술교육의 절대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아

니라 타 정책과의 비교분석해 선호되는 정책을 결정해 준다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방법 중 가장 현실적으로 합당하다고 판단되는 CVM방법을 사용하여 정

책 수혜자에게 해당 서비스에 대해 얼마의 세금을 낼 용의가 있는지 물어서 경제적 가치를 확

정한다.

3.6 경제적 가치 측정의 한계

경제적 가치는 화폐적 단위로 산정되는 것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경제적 가치는 공공재원으로

실시하였을 경우 그로부터 유발되는 가치의 양을 나타낸다. 이러한 공공정책의 경제적 가치를

계산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예의 하나가 산업연관표를 이

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어느 한 산업분야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져서 성장이 이루

어질 경우 경제적 거래를 통해 그 산업과 연관된 다른 산업분야에 성장이 얼마나 유발 되는가

또한 고용은 얼마나 유발되는가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동안 산업연관표 분석에서 산업간 성장의

성장 및 고용에 대한 유발계수가 추산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적용하여 문화예술과 연관된 다른

분야에 일차, 혹은 이차적으로 얼마나 많은 성장과 고용을 가져올 수 있는지를 금액으로 산정할

수 있다는 논리이다.

Page 9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6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그런데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이러한 분석을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을뿐더러 논리적으로도 문

제가 발생한다. 그 이유는 산업연관관계를 이용하려면 문화예술교육을 하나의 독립된 산업으로

간주해야 하는데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도 아니고 교육도 아닌 두 분야의 교집합쯤에 해당되

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업분류 상에 독립된 범주로 존재하지 않는 문화예술교육의 산업연관가치를 계산하는

것은 자료상으로도 논리상으로도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만약 문화예술교육이 아닌 문화예술이

라면 이야기는 다를 것이다. 문화예술 분야에서 한류에 얼마를 투자하면 그와 연관된 다른 분야

들—예컨대 방송이나 관광, 이벤트 등—에서 얼마의 성장과 고용이 뒤따를 것이라는 분석을 하

는 것은 가능하다. 하지만 문화예술교육은 그러한 분석이 어렵다.

또 하나의 경제적 가치를 따지는 방법은 문화예술교육을 인적 자본(human capital)에 대한 투

자로서 간주하고 그에 따른 피교육자 개개인의 소득증대 가치를 계산해 보는 것이다. 이 방법

역시 문화예술교육에 적용하는 것에는 난점이 존재한다. 문화예술교육의 대상이 어린이로부터

노인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해 유발되는 소득증대 가치를 계산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적자본이론에서는 개개인의 소득함수를 구성하고 이 함수를 회귀분석을 통해 다양한

교육을 과거에 받은 것이 나중에 어떤 소득증대 가치를 갖는지를 추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어린

이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을 공공재원으로 받은 이들이 향후 얼마나 소득이 증대하는지에 대해서

는 아직 정책 실시가 얼마 되지 않아서 시계열적 자료를 구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노인들이나 성인들의 경우 이러한 교육이 삶의 만족감과 충족감을 주고 사회생활에 도움

이 된다고 할 수는 있지만 일하는데 직접 도움이 되는 직업교육처럼 도구적, 수단적 교육이 아

니기 때문에 그 가치를 따지는 것이 문제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시도한 경제적 가

치의 분석을 무형의 공공적 가치를 갖는 공공재인 문화예술교육을 제공했을 때 그에 대해 시민

들이 얼마나 그 재원이 될 세금을 더 지불할 의사가 있는지를 직접 묻는 지불의사

(willingness-to-pay: WTP)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경제적 가치의 계산은 정책의 직접적 결과로

서의 가치가 아닌 정책의 수혜대상이 되는 시민들의 주관적 가치평가(evaluation)의 결과를 측

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Page 9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67

3.7 문화예술교육의 교육적 가치 분석

문화예술교육은 기존의 학교교육에서 간과해 왔던 중요한 핵심역량을 계발시키는 중요한 교육

적 경험이다. 문화예술 경험은 인간의 정서순화를 통한 인성교육, 사회성 및 공동체 의식 형성,

진로적성 계발과 창의성 발달 등의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첫째, 문화예술교육 경험은 학교교육의 성적 위주, 입시 중심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데 기여

함으로써 긍정적 정서 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문화적 소외계층 아동 및 청소년

은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고, 교육여건이 취약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이나 교육활동 속에서 기쁨이

나 즐거움, 만족감, 자신감, 몰입 등의 긍정정서를 경험하는데 제한적이다. 반면에 이들은 문화

예술교육 경험을 통해 평소에 자신들이 의식하지 못하거나 향유하지 못하는 긍정적 정서를 인

식할 수 있으며 문화예술 경험을 통해 이러한 긍정적인 정서를 표현하는 중요한 기회를 경험할

수 있다. 예술꽃씨앗학교 사업분석(2011)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참여 학생들과 학부모, 지역

주민들은 예술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정서인시고가 표현력이 신장되었고 학생들 스스로 자신에

대한 자긍심, 학교에 대한 애교심, 애향심을 증대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2011 문화예술교육

가치성 연구-교정시설, 소년원 학교 분석 연구에서도 소년원과 교정시설 수감자들은 문화예술

참여를 통해 긍정성이나 자신감(효능감)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 경험은 다른 사람과 더불어 소통하고 공감하는 사회성 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을 수단으로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공감하는 대인관계 향상을 돕

는다. 문화예술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참여하는 학생들 간에 뿐 아니라 강사나 교육자와 인간적

이고 긍정적인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대인관계 능력을 발달시킨다. 더 나아가 문화예술 참여는

그동안 서로 소원했던 가족들끼리 대화와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한다. 가족 간의 관심과 대화,

소통은 지역사회 참여를 통해 더욱 확대되어 갈 수 있다. 토요문화학교 운영사업 평가분석 보고

서(2012)에 의하면 토요문화 참여 가족들은 가족에 대한 이해와 친밀도가 증가하고 가족 간에

대화 시간이 늘어나는 등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경험은 공동체나 지역사회 참여를 통해 건전한 민주시민으로 양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 다양한 지역

의 문화예술시설을 참관하고 참여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관심과 애착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문화예술시설을 수동적으로 소비하는 입장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문화예술경험을

창조하고 생산하는 적극적 입장을 취하는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주인의식, 참여의식 등을 계발

할 수 있다. 이는 지역 공동체 의식을 발현시키는데도 기여할 것이다. 토요문화학교 운영사업

평가보고서에서도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는 중요한 성과와 영향으로 확인된 바 있다.

Page 9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6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넷째, 문화예술교육 경험은 진로적성계발과 창의성 발달이라는 교육적 가치를 실천하는데 기여

할 수 있다. 기존의 학교교육이 교과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간의 다양한 적성이

나 소질을 확인하고 계발하는데 제한적이었다. 반면에 문화예술교육은 학교교육이 다루지 못하

고 있는 문화적 역량, 예술적 소질, 창의적 영역에서의 발달을 돕는 중요한 교육 및 학습경험을

제공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학교교육을 통해 발견하지 못한 중요한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확인

하는데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토대로 자신의 진로 계획과 준비를 마련할 수 있다. 특히

학교에서 성적이 좋지 않거나 여러 가지 부적응 및 문제행동을 경험하는 학생들은 방과 후 교

육 프로그램이나 창의적 체험활동, 특별활동 시간을 통해 자신의 장점과 강점을 발견할 수 있으

며 이에 대한 시의적절한 교육과 투자는 국가적 차원에서도 좋은 인재를 발굴한다는 점에서 중

요하다. 특히 학교의 교과중심 교육과 달리 문화예술 체험교육은 창의성이나 예술적 감수성 발

달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학교교육의 부족함 부분을 보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화예술교육의 교육가치는 예술꽃 씨앗학교, 토요문화학교 분석, 소년원과 교정시

설 평가분석 연구 등 다양한 사업에서 면접이나 정성자료 분석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문화예술

교육을 통한 아동 및 청소년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 몇 가지 실험 연구를 통해 교육적 가치를

유추해 볼 수 있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은 개인의 정신적 건강이나 자아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한다.

아동복지시설에 재원중인 아동을 대상으로 한 곽윤정의 연구(2010)에 의하면 문화예술프로그램

은 우울성향을 낮추어 주고 자존감을 높여주는 데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주동범의 연구에서도

학생들의 자존감 및 자아정체감 형성을 돕는데 문화예술교육은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백옥현의 프로그램 처치 연구(2012)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자신을 표현

하는 기회를 갖는 것이 자아정체감이나 자존감 발달과 관련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은 사회성 발달 및 공동체 의식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 개관연구를 통해

주동범(2010)은 문화예술교육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함양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백옥현의 실험연구(2012)에서도 학생들은 통합적인 문화예술체험이 또래 관계와의

상호작용, 협동심을 경험하는데 중요한 매개물이 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예술꽃 씨앗학교 가치성

평가를 실시한 정문성 외(2012) 연구에서도 참여집단 아동들의 협동이나 사회성 발달이 비교집

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은 예술적, 심미적 체험을 통해 감수성과 창의성 발달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정연희(2008)는 문화예술교육이 제공하는 예술적, 심미적 체험은 미래사회를 위한 핵

심역량으로서 감성과 창의성을 발달시킬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예술꽃 씨앗학교 가치성 평

가를 실시한 정문성 외(2012) 연구에서도 참여집단 아동들의 예술적 자기효능감, 문화적 감성과

창의성 수준이 높아졌다.

Page 9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69

4.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을 위한 조사 설계

4.1 통합적 조사 설계

이 연구는 본 연구의 토대가 되는 소비자적, 사회적, 교육적, 경제적 접근방법을 조사방법에서

통합하여 사회경제적 가치를 검증하고자 한다. <그림 Ⅲ-8>에서 볼 수 있듯이 우선 사회적인

매칭 방법을 사용하여 정책에 직접 노출된 사람과 노출되지 않은 사람을 구분한다.

<그림 Ⅲ-8>� 통합적 가치측정 모형

문화예술 특정프로그램에 노출된 사람의 특성은 전수조사 자료를 통하여 분석하여 파악하고

정책에 노출되지 않은 통제집단의 경우 노출집단의 특성파악에 기초하여 유사한 집단을 지리적,

인구통계적 또는 적절한 사회심리적 변수관점에서 찾아서 통제집단을 형성한다. 두 집단 소비자

들에게 정책과 관련된 질문 및 정책에 관련되지는 않지만 결과변수(사회, 경제적 질문)로서 중

요한 질문을 함으로써 사회경제적 가치측정의 기본 데이터를 형성한다.

4.2 분석대상 정책 영역

분석대상이 되는 문화예술교육은 ①학교 문화예술교육, ②사회 문화예술교육 ,③문화예술교육

기반조성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은 개개인 모두에게 창의성과 문화적 감수성

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중장기적으로 문화예술의 수요기반을 확대하는 정책이라

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병행되

어 지원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 가운데 학교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의 형평적 향수와 저

변의 확대에 우선 중점을 두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엔 문화예술교육이

단순한 학교차원을 벗어나서 지역사회 전반에 골고루 미쳐야 한다는 인식이 생기고 있다.

Page 10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7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4.3 설문조사 실사 설계

본 연구에서 시행하게 될 설문조사는 노출집단의 경우 본 연구진이 직접 수행하고 유사통제집

단에 대한 조사는 Gallup코리아에서 실행하였다. 설문조사 시행전 연구진이 연구환경에 대해 보

다 엄밀하게 파악하고 최종 설문문항의 완벽을 기하기 위해 설문 전 FGI 조사방식을 사전에 시

행하였다(FGI 결과는 부록5 참조). 유사통제집단에 대한 조사 설문단계를 살펴보면, 먼저 주요

정책분야별(예, 강사지원정책)로 참가자를 파악하고 참가자 그룹(실험집단)에 대한 특성(인구통

계적, 사회심리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어서 유사한 통제집단을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이

나 유사한 집단을 데이터베이스나 현실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할당표본(quota sampling)을 통해

추출하였다.

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의 노출집단은 학교 문화예술교육과 사회 문화예술교육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학교 문화예술교육사업은 예술강사지원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꽃 씨앗학교 등

이 있으며 사회 문화예술교육사업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과 군인, 소외

청소년, 산업단지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범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이 있다.

유사통제집단과의 비교분석에서 노출집단을 크게 초․중․고등학생인 청소년집단과 노인집단으로

나누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처럼 노출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자료를 사용하지 못한 이유는 청

소년과 노인집단 이외에 군인, 소외 청소년, 산업단지 종사자 등의 표본수가 많지 않아 유사통

제집단과의 비교분석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군인이나 소외청소년, 산업단지 종사자 등은 유사통제집단의 모집단 추정 어렵

다는 점이다. 다른 한편, 군인이나 소외청소년은 모집단 추정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사 수행

역시 매우 어려워 불가피하게 학생과 노인 집단만을 대상으로 유사통제집단과의 비교분석을 수

행하였다.

4.4 노출집단과 유사집단의 매칭(matching)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매칭(matching) 분석을 활용하여 노출집단과 유사통제집단 간 차이 검증을 통

해 사회경제적 가치를 분석하고자 한다. 엄격한 실험에서 인과성을 주장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사성 혹은 비교가능성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매칭 분석은 이러한 전제 조건을 충

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방법 중 한 가지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사성 혹은 비교가능성은

첫 번째로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확률표본추출로 분석대상집단을 추출해야 하며, 두 번째로

표본추출된 분석대상집단의 구성원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자위적(random)으로 배정해야만

성립된다.

Page 10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71

그런데 만약 확률표본추출과 두 집단 표본 배정에 있어서 무작위성이 확보되지 못했다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매칭(matching)이다(Babbie, 285-287). 매칭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

분해 볼 수 있는데 첫 번째는 가장 관련성이 높은 특성들을 모두 모아서 구성한 할당매트릭스

(quota matrix)를 활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성별과 3개의 연령집단이 관련성이 높은 특성들

이라면 할당매트릭스는 6개의 범주로 구성된다. 매트릭스의 각 범주에 포함된 실험집단의 표본

수의 비중과 동일한 비중으로 유사집단의 표본수를 설정하는 것이 첫 번째 매칭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매칭방법은 실험설계가 요구하는 것보다 더 많은 수의 표본수를 모집하는 것

이다. 그런 다음 최초 대규모 피험자집단의 특성들을 검토한 후 비슷한 피험자들의 쌍을 구성한

후 무작위적으로 한 명은 실험집단에, 다른 한 명은 유사집단에 배분하고 어느 누구와도 같지

않은 잠정적 피험자 집단을 버리는 방식이다.

매칭방법은 최근 사회조사 분야에서 정책 가치나 가치 분석에 자주 활용되고 있는데 그 이유

는 사회조사가 실험과 같이 엄격한 통제 상황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할 수 없기 때문

이다. 이 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 경험 여부가 문화적, 교육적, 사회적 가치를 증진시켰는데 기여

했는가에 대한 입증은 미경험자와 경험자의 선정에 있어서 무작위성(randomness)이 전제가 되

어야 한다. 하지만 실험과는 달리 사회조사에서는 무작위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에서

이를 보완하여 부분적으로 분석 대상의 무작위성을 확보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여기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발하게 정책가치 분석에 활용되고 있는 매칭방법(matching method)을

사용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개발된 CEM(coarsened exact matching) 기법을 사용해 실험집단

과 표본집단의 매칭 과정에서 표본 손실을 최대한 줄이고 본래 속성을 유지하는 방식을 취하고

자 한다(김기헌, 신인철, 2012: 267).

이 연구에서 매칭방법을 활용한 이유는 문화예술교육정책 노출집단에 대해서 사후조사만 이루

어 졌으며 통제집단을 설정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문화예술교육을 받지 않았으나 문화예

술교육정책 노출집단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집단을 불가피하게 추정할 필요가 있는데 인구학적

특성이 유사한 집단을 표본 추출했다고 하더라도 두 집단이 동질적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매우

강한 가정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매칭방법을 활용하였다.

여기에서 매칭방법은 표본추출과정에서 1차적으로 적용하였으며 2차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병

합(merge)해 분석하는 경우에도 사전처리 통제변수들을 활용하여 정확한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계기법을 적용해 조정하였다. 이것은 일종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두 집단 간의 특성들이 매우 유사하도록 분석대상 표본을 조정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Page 10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7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4.5 매칭(matching) 분석 시 분석대상 변수

본 연구에서 매칭분석은 각 핵심 가치를 측정하는 변수별로 단순하게 노출집단과 유사통제집

단에 대한 평균 차 검증을 시도한 후 이루어졌다. 만약 평균차 검증 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경우 매칭분석을 시도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단순 비교 검증을 통해서도 두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매칭 분석을 통

해 두 집단 간에 통계적 차이를 검증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문화예술교육과 관련

하여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문해력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가치라는 두 가지 측정변수에 대한

분석에서 사전에 실시한 평균차 검증에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문해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

으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가치는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와 매칭분석을 시도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자아존중감이나 사람에 대한 신뢰와 같이 다른 주요 변수들 중 일부도 매칭분석을

시도하지 않았다.

5. 사회경제적 가치 측정 지표

5.1 조사표의 구성

통합조사 설문지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 응답자의 문화적 성향, 사회적 성향,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삶의 질 향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생각,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공

동체 참여,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사회적 형평성 및 평등성,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만족도

및 교육 시행 후의 행동, 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 학생의 일반적 사항 등이다. 문화

예술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과 관련하여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게

된 계기,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대한 지식과 이해 정도 등을 질문하고 있으며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은 성별, 연령, 거주 지역,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문화예술교육 참여 기간 등이다.

5.2 사회경제적 가치 측정지표

먼저 소비자 가치 부분은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번 조

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지도와 이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문화예술교육 체

험 후 만족도에 관한 문항을 포함하였다.

Page 10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73

<표 Ⅲ-6>� 개인 가치 설문문항

구분 문 항

인지/이해학생은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대하여 스스로 얼마나 많은 지식과 이해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

십니까?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받으면 즐겁다.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받으면 행복하다.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받으면 편안하다.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받으면 짜증이 난다.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받으면 무기력해진다.�

체험후 만족도

나는 문화예술교육 과정에 만족한다.

나는 만족감을 느꼈던 교육을 다시 배우고 싶다.

나는 만족감을 느꼈던 교육과정을 다른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개인 삶의 질

�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바람직한 삶을 살게 되었다.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나의 삶에 만족한다.

�나는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문화예술교육을 배우고 있고,�이에 만족한다.

�나는 다시 태어나도 지금과 같은 삶을 살 것이다.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의욕적으로 생활하게 되었다.

행복감

전반적으로 나의 인생은 내가 이상적으로 여기는 모습에 가깝다.

나의 인생의 여건은 아주 좋은 편이다.

나는 나의 삶에 만족한다.

지금까지 나는 나의 인생에서 원하는 중요한 것들을 이루어냈다.

다시 태어난다 해도,� 나는 지금처럼 살아갈 것이다.�

나는 만족감을 느꼈던 교육을 다시 배우고 싶다.

자아존중감

나는 내가 다른 사람들처럼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좋은 성품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나는 자랑할 것이 많이 있다.

다음으로 사회적, 교육적 가치에 관한 설문문항은 다음과 같다. 사회자본과 행복감, 자아존중

감, 사회관계, 사회적 형평성 등으로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고려되었다.

Page 10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7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표 Ⅲ-7>� � 사회적,� 교육적 가치 설문문항

구분 문 항

사회적 자본

당신은 다음 기관의 제도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정부,� 국회,� 학교,� 기업,� 시민단체)

당신은 다음의 사람들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가족,� 친구,� 동네 이웃,� 직장 동료,� 낯선 사람)

당신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서로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회라고 생각하십니까?

사회관계

학생은 한 달에 어느 정도 타인과 접촉하십니까?� (접촉 :� 만남,� 전화,� 편지,� 인터넷),� 그 중 학생과

와 가깝게 지내는 사람은 몇 명입니까?

학생이 갑자기 돈을 빌릴 경우,�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입니까?�

학생이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입니까?

학생이 감기가 심하게 들어 개인적인 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입니

까?

사회적 형평성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소외된 사람들을 포용할 수 있다.

소외계층 사람들이 평등하게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받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이 사회적 형평성에 기여하였다.

<표 Ⅲ-8>� � 문화적 가치 설문문항

문 항

학생은 하루 중에 일이나 가사,� 식사 및 수면에 필요한 시간 이외에 여가 시간이 얼마나 되십니까?

학생은 여가 시간에 주로 어떠한 활동을 하십니까?

학생은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을 관람하신 적이 있습니까?

� (보기:� 음악회/연주회,� 연극,� 무용,� 영화,� 박물관/미술관 )

학생은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문화예술활동에 직접 참여(체험)하신 적이 있습니까?

학생은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 활동 단체에 직접 참여하신 적이 있습니까?�

<표 Ⅲ-9>� � 경제적 가치 설문문항

문 항

학생이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세금을 부담해야 한다면 얼마까지 내실 의향이 있으십니까?

학생이 최근 받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하여 시장가격으로 대체한다면 얼마까지 책정할 수 있습니까?�

(정부의 지원이 아닌 개인의 비용으로 교육을 받게 될 경우 지불 금액)

학생이 최근 받은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대체재(의·식·주)와 비교한다면 그 가치는 얼마까지 책정할 수 있습니까?�

(대체재 구입과 비교했을 때 지불 가능 금액)

마지막으로 경제적 가치와 관련하여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수혜자 소득증대는 실제 객관적 데이

터를 가지고 추적하기 힘들다. 따라서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특정 문화예술교육정책에의 참여

자수와 이들이 직접 자신이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이 자신의 소득증대 분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

가를 나타내는 파리미터를 물어서 값을 사용하여 추정하고자 한다.

Page 10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III.� 연구방법 |75

경제적 CVM지표의 경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정책들에 대해 응답자가 어느 정도 지불

할 의사가 있는지(예를 들어, 세금을 낼 의향이 있는지) 물어 각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상대적 재

화적 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유발고용인원수 지표(10억 원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투자에 대해 발생하는 직간접 고용자

수)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정책별로 투입된 인원수(이차자료 확보가능)와 정책 수혜대상자들 중

현재경제활동 참여인원들에 대해 다음의 투여인원비율을 질문하여 지표를 구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이번 조사에서 포함된 경제적 가치 설문문항은 <표 Ⅲ-9>과 같다.

5.3 연구모형, 측정 지표, 설문 문항 간 연계성

본 연구의 연구모형과 측정지표. 설문문항강의 연계성은 앞부분에서 이미 설명하였듯이 굳건한

(robust) 학술적 기초위에 설정되었다. 삶의 질과 관련된 측정지표와 설문문항은 유네스코 보고

서(2013)를 활용하였으며. 개인의 문화자본, 사회자본의 경우 Guetzkow(2002),Hooghe, M., &

Stolle, D. (2003),Woolcock, M., & Narayan, D. (2000), DiMaggio, P. (1982), Lamont, M.,

& Lareau, A. (1988)가 뒷받침하고 있으며 이들 연구들을 바탕으로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측정

치를 제시하였다.

이들이 제시한 문화소양적 태도, 문화활동 및 문화예술관련 정보지식을 바탕으로 측정치가 제

시되었으며, 사회자본의 경우 사회적 영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 소통, 사회통합, 관계 형

성, 범죄예방, 지역 재생, 공동체성 등에 미치는 사회적 가치 및 파급가치 들 중 소통, 관계형성 및

사회통합이 매우 중요하므로 소통과 관계형성을 바탕으로 측정치를 제시하였다. 사회적 형평성의 경

우 기존진행 연구로서 국회사무처 연구과제(2014)가 있는데 이들 연구를 기초로 지역별 질 수준

을 나타내는 SQ지표와 문화예술교육지표를 추출하였다. 문화예술교육시장의 확대와 문화예술교

육 인프라와 관련해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한 연차보고서 및 백서를 기초로 데이

터를 추출하였다.

Page 10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7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10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Ⅳ.연구결과

1.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 분석

2. 유사집단 매칭(Matching) 분석

3. 경제 지표 결과

Page 10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7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10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79

구분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명예술강사지원사업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예술꽃씨앗학교

복지시설문화예술교육(노인)

범부처 협력문화예술교육

(군인/소외청소년/산업단지)

목표표본

800명�

(타 사업에

비해 규모가

가장 큼)

300명

100명�

(표본수가적음

-초등학생

대상)

400명 대상 별 총 400명

배포지역

전국단위 전국단위 전국단위 전국단위 (전수조사) 전국단위 (전수조사)

배포및수거방법

-� 우편을 통한 배포/회수

비고

-�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해당기관의 담당자와 직접 전화연결 후

� � 설문조사 가능 여부 파악 후 설문지를 배포함

-� 유사집단 설문조사는 추후 예정

Ⅳ. 연구결과

1.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 분석

1.1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 조사 설계

이 절에서는 먼저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집단에 대한 조사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문화예술

교육 참여집단에 대한 조사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 참여자 집단과 사회 문화예술교육 참여

자 집단으로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조사가 이루어진 각 사업 분야와 사업별 조사 설계를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 참여집단에 대한 조사는 예술강사지원사업과 꿈다락토요문화학

교, 예술꽃 씨앗학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사업별로 사업 규모를 고려하여 목표 표본수

를 설정하였다. 가장 사업규모가 큰 예술강사지원사업의 목표 표본수는 800명이었으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300명, 초등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꽃 씨앗학교는 100명을 목표표본수로

설정하였다.

<표 IV-1>� � 각� 사업별 표본규모 설정

Page 11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8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사회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에 대한 조사는 정책 지원을 받는 대상자가 많지 않아 전수조사로

이루어졌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 사업 참여자의 경우 400명을

목표 표본수로 설정하였고 범부처 협력 사업으로 참여한 군인, 소외청소년, 산업단지 종사자들

에 대해서도 100명가량 씩 총 400명을 목표 표본수를 설정하였다.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에 대한 조사 지역은 전국 단위로 진행되었으며 우편조사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는 응답자의 기억력을 감안해 지난 3년간 특정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경우로 제한하

였다. 복수개의 프로그램에 체험한 경우는 응답표본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질문응답지에

답하게 한다.

1.2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 응답 결과

<표 Ⅳ-1>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 응답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조사 결과, 목표표본수인

1,200명에 다소 미치지 못하는 1,196명이 응답하였다. 성별로는 여성이 62.5%, 남성이 37.5%

로 여성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 Ⅳ-2>�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 응답 결과

대상 표본수(%)

전체 1,196(100)

성별남자 449(37.54)

여자 747(62.46)

연령

14세 미만 114(9.53)

15∼17세 미만 533(44.57)

17세 이상 549(45.9)

지역

수도권 575(48.08)

경상권 162(13.55)

충청권 45(3.76)

전라권 329(27.51)

강원권 85(7.11)

참여프로그램

학교문화예술교육 강사파견사업 797(66.64)

꿈다락 토요학교 300(25.08)

예술꽃 씨앗학교 99(8.28)

Page 11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81

<표 Ⅳ-3>�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 응답 결과

대상 표본수(%)

전체 795(100)

성별남자 381(47.92)

여자 414(52.08)

연령

20세 미만 114(14.34)

20~50세 미만 280(35.22)

60세 이상 401(50.44)

지역

수도권 391(49.18)

경상권 183(23.02)

충청권 109(13.71)

전라권 93(11.70)

강원권 19(2.39)

참여 프로그램

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노인) 398(50.06)

범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군장병) 160(20.13)

범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소외청소년) 117(14.72)

범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산업단지) 120(15.09)

연령별로는 17세 이상이 45.9%로 가장 많았고 15~17세 미만이 44.6%, 14세 미만이 9.5%로

나타나고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 인천을 포함하는 수도권이 전체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

차지(48.1%)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광주, 전남, 전북을 포함하는 전라권이 27.5%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사업별로는 학교문화예술교육 강사파견사업 참여자가 66.6%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 Ⅳ-3>은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 응답 결과를 제시하고 있는데 여성이 52.1%로 남성

(47.9)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50.4%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

별로는 수도권이 49.2%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이어서 대구, 부산, 울산, 경북, 경남을 포함하

는 경상권이 23.0%로 뒤를 이었다. 참여 프로그램을 보면, 노인이 대상인 복지시설 문화예술교

육 참여자인 경우가 50.1%로 가장 많았고 범부처 협력사업 참여자는 14~20%의 비중을 보여

주고 있다.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의 응답 결과를 보면, 학교 및 사회 문화예술교육 참여자 집단은 당초

목표로 했던 표본수를 대부분 확보하였다.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의 응답 분포는 유사집단 표본

설계 시에 표본추출의 할당 기준이 되며 사회 문화예술교육 참여자 집단은 노인을 제외하고 응

답률이 낮고 유사집단 조사 수행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점에서 유사집단 비교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Page 11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8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자 집단은 대부분 초․중등학생이라는 점에서 그대로 유사 집단과의 비

교 분석을 수행하고자 했으나 20세 이상의 응답자(7명)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제외하고 유사집

단과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는 20세 이상의 응답자에 대한 유사집단 표본추출이 어렵고

응답자 수가 매우 소수라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1.3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 참여집단 분석 결과

이 절에서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 참여집단의 설문 응답 결과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는

유사집단과의 매칭 분석을 위한 선행 작업으로 참여집단의 기본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과 더

불어서 설문 내용이 신뢰할만한 응답결과로 이어졌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 각 설문문항을 소개하고 변수화 과정에서 신뢰도 분석 결과를 각 범주별로 제시하

고자 한다. 한편 참여집단의 기본적인 특성에 대한 분석은 성별과 연령별, 지역별과 같이 기본

적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으로 이루어졌다.

1.3.1 개인: 삶의 질과 행복감

이어서 삶의 질과 관련된 문항 결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삶의 조건에 대한 문항들은 다른

문항과 마찬가지로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①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바람직한 삶을 살게 되었다,

②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받기에 좋은 생활여건을 갖고 있다,

③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나의 삶에 만족한다,

④ 나는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문화예술교육을 배우고 있고, 이에 만족한다,

⑤ 나는 다시 태어나도 지금과 같은 삶을 살 것이다

등 5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삶의 조건에 대한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문항 신뢰도 값는 0.856으로 높은 신뢰도 값을 보여

주고 있으며 평균차 검정(성별은 t검정, 연령 및 지역은 F검정)을 실시해 본 결과, 여성이 남성

보다, 연령이 어릴수록, 경상권과 충청권인 경우에 삶의 조건을 좋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나고 있다.

Page 11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83

<표 Ⅳ-4>� 삶의 조건에 대한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032� 0.976�

-3.319***

0.856

여성 3.212� 0.784�

연령

14세 미만 3.818� 0.871�

48.630***14-17세 미만 3.172� 0.865�

17세 이상 2.977� 0.792�

지역

수도권 2.997� 0.840�

21.270***

경상권 3.590� 0.980�

충청권 3.493� 0.709�

전라권 3.213� 0.823�

강원권 2.838� 0.611�

*� p<.05� **� p<.01� ***� p<.001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신건강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이 문항들은 ① 나는 문화예

술교육을 통해 정신적으로 안정감을 느낀다, ②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걱정거리가 줄어들었

다, ③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앞으로의 일을 낙관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④ 나는 문화예

술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사고를 더 잘 할 수 있게 되었다, ⑤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의욕적

으로 생활하게 되었다 등 5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 Ⅳ-5>� 정신건강에 대한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042� 0.951�

-1.088�

0.906

여성 3.101� 0.884�

연령

14세 미만 3.712� 0.907�

32.800***14-17세 미만 3.042� 0.935�

17세 이상 2.983� 0.831�

지역

수도권 2.950� 0.866�

11.820***

경상권 3.441� 0.932�

충청권 3.436� 0.750�

전라권 3.105� 0.975�

강원권 2.967� 0.720�

*� p<.05� **� p<.01� ***� p<.001

이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신뢰도값(Cronbach’s alpha)은 .906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여

주고 있다. 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지 않으며 연령은 어릴수록 정신건

강이 좋고 지역별로 경상권이나 충청권의 정신건강 수준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삶의 조건이나

정신건강 등은 문화예술교육과 연관된 질문으로 유사집단과의 비교분석 시에는 활용하지 않았

다.

Page 11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8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유사집단과의 비교분석 시에 주로 활용한 것은 개인의 행복감이나 자아존중감과 같이 문화예

술교육과는 무관하게 개인의 삶의 질과 관련된 문항들이다.

먼저 행복감은 5점 척도로 “① 전반적으로 나의 인생은 내가 이상적으로 여기는 모습에 가깝

다, ② 나의 인생의 여건은 아주 좋은 편이다, ③ 나는 나의 삶에 만족한다, ④ 4) 지금까지 나

는 나의 인생에서 원하는 중요한 것들을 이루어냈다, ⑤ 다시 태어난다 해도, 나는 지금처럼 살

아갈 것이다”라는 5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복감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문항간의 신뢰도값은 0.901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성

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별로 어릴수록, 경상권과 충청권인 경우 더 행

복하다는 응답 결과가 제시되었다.

<표 Ⅳ-6>� 행복감에 대한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147� 0.857�

0.586�

0.901

여성 3.116� 0.874�

연령

14세 미만 3.725� 0.831�

34.150***14-17세 미만 3.125� 0.833�

17세 이상 3.007� 0.858�

지역

수도권 3.070� 0.881�

10.690***

경상권 3.342� 0.836�

충청권 3.382� 0.892�

전라권 3.203� 0.824�

강원권 2.680� 0.789�

*� p<.05� **� p<.01� ***� p<.001

<표 Ⅳ-7>� 자아존중감에 대한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514� 0.844�

0.8823

0.846

여성 3.470� 0.856�

연령

14세 미만 3.892� 0.909�

14.760***14-17세 미만 3.430� 0.864�

17세 이상 3.457� 0.804�

지역

수도권 3.438� 0.833�

3.000

경상권 3.654� 0.870�

충청권 3.667� 0.807�

전라권 3.494� 0.880�

강원권 3.365� 0.804�

*� p<.05� **� p<.01� ***� p<.001

Page 11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85

이어서 자아존중감은 “① 나는 내가 다른 사람들처럼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② 나는 좋

은 성품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③ 나는 자랑할 것이 많이 있다” 등 3가지 문항으로 구성되며 5점 척

도로 문항 간 신뢰도 값은 0.84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평균차 검정 결과, 성별이나 지역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연령별로 어릴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1.3.2 사회: 신뢰와 사회관계, 형평성

여기에서는 사회적 신뢰와 사회관계, 형평성 등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응답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에 대한 신뢰는 정부, 국회, 학교, 기업, 시민단체 등 제도에 대한 신뢰를 묻는 질문

과 가족, 친구, 동네 이웃, 직장 동료, 낯선 사람 등 사람에 대한 신뢰를 묻는 질문, 그리고 사

회 전반적인 신뢰를 묻는 질문 등으로 구분된다.

이에 대한 응답은

① 전혀 신뢰할 수 없다, ② 신뢰할 수 없다, ③ 보통이다, ④ 신뢰할 수 있다,

⑤ 매우 신뢰할 수 있다

등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도에 대한 신뢰를 살펴보면, 5가지 문항에 대해서 신뢰도값을 구해본 결과 0.897로 높

은 신뢰도 값을 보여주고 있다.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별로는 14세 미만인 경우가, 지

역별로 경상권과 충청권의 신뢰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 Ⅳ-8>� 제도에 대한 신뢰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2.660� 0.874�

-4.469***

0.897

여성 2.882� 0.766�

연령

14세 미만 3.223� 0.950�

21.380***14-17세 미만 2.822� 0.808�

17세 이상 2.689� 0.759�

지역

수도권 2.701� 0.826�

11.160***

경상권 3.096� 0.815�

충청권 2.942� 0.805�

전라권 2.873� 0.778�

강원권 2.532� 0.679�

*� p<.05� **� p<.01� ***� p<.001

Page 11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8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이어서 사람에 대한 신뢰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문항 신뢰도값는 0.687로 신뢰할 만한 수준

을 보여주고 있으며 성별, 연령별로는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고 지역 변수만

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경상권 응답자들의 사람에 대한 신뢰가 가장 높고 수도권

응답자들의 신뢰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단일문항으로 구성된 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를 살펴보면, 제도나 사람에 대한 신뢰

결과와 유사하게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이 어릴수록, 경상권과 충청권인 경우 신뢰도가 높게 나

타나고 있다. 다만 이 경우에 성별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Ⅳ-9>� 사람에 대한 신뢰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371� 0.653�

1.540�

0.687

여성 3.313� 0.572�

연령

14세 미만 3.421� 0.790�

1.290�14-17세 미만 3.325� 0.573�

17세 이상 3.327� 0.589�

지역

수도권 3.271� 0.579�

5.690***

경상권 3.510� 0.669�

충청권 3.382� 0.575�

전라권 3.370� 0.616�

강원권 3.273� 0.537�

*� p<.05� **� p<.01� ***� p<.001

<표 Ⅳ-10>� 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성별남성 2.755� 0.963�

-0.509�여성 2.783� 0.858�

연령

14세 미만 3.246� 0.946�

21.090***14-17세 미만 2.790� 0.914�

17세 이상 2.658� 0.839�

지역

수도권 2.678� 0.887�

8.540***

경상권 3.068� 0.920�

충청권 3.000� 0.853�

전라권 2.821� 0.884�

강원권 2.541� 0.853�

*� p<.05� **� p<.01� ***� p<.001

Page 11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87

이어서 사회적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사회적 관계는 “① 학생은 한 달에 어느 정도

타인과 접촉하십니까? (접촉 : 만남, 전화, 편지, 인터넷), ② 그 중 학생과와 가깝게 지내는 사

람은 몇 명입니까?, ③ 학생이 갑자기 돈을 빌릴 경우,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입니

까?, ④ 학생이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입니까?, ⑤ 학생이

감기가 심하게 들어 개인적인 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입니까?” 등

5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답변은 “① 없음, ② 3명 미만, ③ 3명~5명 미만, ④ 5명~7명

미만, ⑤ 7명 이상” 등 5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표 Ⅳ-11>� 사회적 관계에 대한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751� 1.018�

2.155*

0.864

여성 3.627� 0.869�

연령

14세 미만 3.437� 1.015�

6.800***14-17세 미만 3.765� 0.907�

17세 이상 3.635� 0.922�

지역

수도권 3.718� 0.934�

2.770*

경상권 3.599� 0.980�

충청권 3.524� 0.996�

전라권 3.722� 0.902�

강원권 3.414� 0.823�

*� p<.05� **� p<.01� ***� p<.001

사회적 관계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신뢰도 값은 0.864로 매우 높은 신뢰 수준을 보여주었

다. 평균차 검정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사회적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14~17세

미만이, 수도권과 전라권의 사회적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Ⅳ-12>�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학교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068� 0.932�

-2.078*

0.860

여성 3.176� 0.764�

연령

14세 미만 3.746� 0.947�

36.320***14-17세 미만 3.094� 0.826�

17세 이상 3.049� 0.759�

지역

수도권 3.017� 0.805�

12.260***

경상권 3.430� 0.904�

충청권 3.504� 0.806�

전라권 3.197� 0.827�

강원권 2.937� 0.683�

*� p<.05� **� p<.01� ***� p<.001

Page 11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8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마지막으로 사회적 형평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사회적 형평성은

“①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소외된 사람들을 포용할 수 있다, ② 소외계층 사람들이 평등하게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받고 있다, ③ 문화예술교육이 사회적 형평성에 기여하였다”

등 3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한 문항 간 신뢰도값은 0.860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이 어릴

수록, 경상권과 충청권인 경우 사회적 형평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유사집단과의 비교분석과 관련하여 사회적 형평성은 분석에 포함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문

화예술교육과 관련된 형평성을 묻고 있기 때문에 보편적인 형평성을 묻는 질문과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1.3.3 문화: 문화예술교육 및 문화예술 활동

여기에서는 문화예술교육 및 문화예술 활동에 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문화예술 활

동에 대한 관람 경험에 대한 질문은 지난 1년간의 경험으로 음악회 및 연주회, 연극, 무용, 영

화, 박물관 및 미술관, 기타로 구분하여 경험 유무와 함께 5회 미만, 5~10회 미만, 10~15회 미

만, 15~20회 미만, 20회 이상 등 경험 횟수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이에 대한 응답 결과를

살펴본 결과, 문화예술활동 관람 경험이 있는 경우가 영화를 제외하고 응답비중이 높지 않아 여

기에서는 참여 여부에 대해서만 제시해 보고자 한다.

성별로 참여집단의 문화예술활동 경험을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문화예술활동 경험이 높

게 나타나고 있다. 연극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

는 여성의 문화활동 참여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일반적인 조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령별로 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문화예술활동 경험이 체계적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이 역시

조사 결과가 신뢰할만하다는 점을 말해주고 있다. 입시경쟁으로 인해 초등학생에서 중학생, 고

등학생으로 이어지면서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참여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번 조사

결과가 신뢰할 만 하다는 점을 말해주고 있다.

Page 11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89

<표 Ⅳ-13>� 성별 학교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활동 관람 경험 비교�

구 분 남성 여성 x2

음악회 및 연주회없음 206(45.88) 235(31.46)

25.054***있음 243(54.12) 512(68.54)

연극없음 232(51.67) 371(49.67)

0.451있음 217(48.33) 376(50.33)

무용없음 315(70.16) 475(63.59)

5.3956*있음 134(29.84) 272(36.41)

영화 관람없음 58(12.92) 59(7.90)

8.0054**있음 391(87.08) 688(92.10)

박물관 및 미술관없음 175(38.98) 247(33.07)

4.2895*있음 274(61.02) 500(66.93)

� � *� p<.05� **� p<.01� ***� p<.001

<표 Ⅳ-14>� 연령별 학교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활동 관람 경험 비교

구 분 14세 미만 14-17세 미만 17세 이상 x2

음악회 및 연주회없음 12(10.53) 186(34.90) 243(44.26)

47.769***있음 102(89.47) 347(65.10) 306(55.74)

연극없음 28(24.56) 288(54.03) 287(52.28)

34.035***있음 86(75.44) 245(45.97) 262(47.72)

무용없음 38(33.33) 356(66.79) 396(72.13)

63.604***있음 76(66.67) 177(33.21) 153(27.87)

영화 관람없음 11(9.65) 49(9.19) 57(10.38)

0.436있음 103(90.35) 484(90.81) 492(89.62)

박물관 및 미술관없음 11(9.65) 192(36.02) 219(39.89)

38.037***있음 103(90.35) 341(63.98) 330(60.11)

*� p<.05� **� p<.01� ***� p<.001

Page 12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9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표 Ⅳ-15>� 지역별 학교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활동 관람 경험 비교

구 분 수도권 경상권 충청권 전라권 강원권 x2

음악회 및

연주회

없음 294(51.13) 35(21.60) 18(40.00) 89(27.05) 5(5.88)115.333***

있음 281(48.87) 127(78.40) 27(60.00) 240(72.95) 80(94.12)

연극없음 330(57.39) 75(46.30) 16(35.56) 164(49.85) 18(21.18)

45.379***있음 245(42.61) 87(53.70) 29(64.44) 165(50.15) 67(78.82)

무용없음 428(74.43) 89(54.94) 23(51.11) 203(61.70) 47(55.29)

38.587***있음 147(25.57) 73(45.06) 22(48.89) 126(38.30) 38(44.71)

영화 관람없음 49(8.52) 21(12.96) 4(8.89) 31(9.42) 12(14.12)

4.7914있음 526(91.48) 141(87.04) 41(91.11) 298(90.58) 73(85.88)

박물관 및

미술관

없음 215(37.39) 47(29.01) 17(37.78) 112(34.04) 31(36.47)4.3058

있음 360(62.61) 115(70.99) 28(62.22) 217(65.96) 54(63.53)

*� p<.05� **� p<.01� ***� p<.001

지역별 결과는 다소 해석의 어려움이 있는데 수도권의 문화예술활동 참여 경험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수도권이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접근성이 훨씬 좋고 문화향유 기회도

많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의 응답자들 중 수도권에 거주하는 경우는

이러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지 않다.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해석이 필요해 보인다.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에 대한 조사에서 문화예술활동과 관련하여 관람이라는 소극적인 참여

와 더불어 직접 체험해 본적이 있는지를 질문하였는데 문화예술활동의 범주나 응답 내용에 대

한 구성은 문화예술활동 관람 경험 유무와 동일하게 질문하였다. 이 경우의 응답 경향은 참여자

의 비중이 낮은 것을 제외하고 관람 여부와 큰 차이가 없으므로 여기에서는 제시하지 않기로

한다.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질문 내용 중에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식이나 이해정도를 묻는 내

용이 있다. 이는 문화예술 교육 문해력(literacy)이라고 볼 수 있는데 문해력에 대한 질문은 “문

화예술교육 전반에 대하여 스스로 얼마나 많은 지식과 이해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라고

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① 많은 지식과 이해를 갖고 있다, ② 지식과 이해가 어느 정도 있다,

③ 지식과 이해가 보통수준이다, ④ 지식과 이해가 부족한 편이다, ⑤ 지식과 이해가 거의 없

다”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Page 12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91

<표 Ⅳ-16>� 학교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에 대한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성별남성 3.102� 1.083�

-0.548여성 3.137� 0.973�

연령

14세 미만 3.684� 0.876�

20.33***14-17세 미만 3.096� 0.993�

17세 이상 3.035� 1.029�

지역

수도권 3.064� 1.063�

2.21

경상권 3.321� 0.969�

충청권 3.244� 1.090�

전라권 3.122� 0.949�

강원권 3.094� 0.946�

*� p<.05� **� p<.01� ***� p<.001

문해력에 대해 평균차 검정(성별은 t검정, 연령 및 지역은 F검정)을 실시해 본 결과, 성별 차이

나 지역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연령별로는 나이가 어릴수록 문해력

수준이 높게 추정되고 있다. 이는 앞선 문화예술교육 참여활동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고학년

이 될수록 문화향유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상식적으로 볼 때 문화예술교육

에 대한 문해력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아져야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표 Ⅳ-17>� 학교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교육 가치에 대한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437� 0.960�

-2.979**

0.961

여성 3.603� 0.920�

연령

14세 미만 4.051� 0.968�

19.300***14-17세 미만 3.497� 0.942�

17세 이상 3.477� 0.897�

지역

수도권 3.426� 0.941�

10.900***

경상권 3.906� 0.961�

충청권 3.949� 0.705�

전라권 3.503� 0.934�

강원권 3.553� 0.769�

*� p<.05� **� p<.01� ***� p<.001

Page 12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9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표 Ⅳ-18>� 학교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교육 만족감에 대한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448� 0.835�

-2.632**

0.865

여성 3.579� 0.827�

연령

14세 미만 3.879� 0.864�

11.300***14-17세 미만 3.492� 0.861�

17세 이상 3.494� 0.780�

지역

수도권 3.463� 0.810�

10.240***

경상권 3.837� 0.804�

충청권 3.889� 0.657�

전라권 3.428� 0.895�

강원권 3.600� 0.665�

*� p<.05� **� p<.01� ***� p<.001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가치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는데 이는 “① 나는 문화예술교육

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② 나는 문화예술교육은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③ 나는 문화예술교

육은 유익하다고 생각한다, ④ 나는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많다, ⑤ 나는 문화예술교육은 매력

적이라고 생각한다, ⑥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원한다, ⑦ 나는 문화예술교육은 필요하다고 생각

한다”라는 7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5점 척도 문항을 합산 평균하여 분석변수

를 생성하였는데 7가지 문항의 신뢰도값(Cronbach’s alpha)은 0.961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여

주었다. 이에 대한 평균차검정(t검정) 결과, 성별과 연령, 지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낮을수록, 경상권과 충청권인 경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어서 문화예술교육 만족감을 묻고 있는데 이 문항은 “①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받으면 즐겁

다, ②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받으면 행복하다, ③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받으면 편안하다, ④ 나

는 문화예술교육을 받으면 짜증이 난다, ⑤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받으면 무기력해진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5 가지 문항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문항 신뢰도 값은 0.865로 매우 높게 나

타나고 있다. 이 경우에도 다른 문화예술교육 관련 문항과 유사하게 여성인 경우, 연령이 어릴

수록, 경상권과 충청권인 경우에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만족감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이

문항은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유사집단에 대한 비교분석 대상에서 제

외하였다.

Page 12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93

1.4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 참여집단 분석 결과

1.4.1 개인: 삶의 질과 행복감

본 장에서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 참여집단에 대한 분석에 이어서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

참여집단을 대상으로 조사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개인 참여집단과 동일하게 사회 참여집단에

대한 질문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주로 신뢰도 분석과 평균차 검정 결과를 중심으

로 제시해 보고자 한다.

먼저 삶의 조건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문항 신뢰도 값는 0.885로 학교 참여집단과 마찬가지

로 높은 신뢰도 값을 보여주고 있다. 평균차검정(성별은 t검정, 연령 및 지역은 F검정)을 실시해

본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이 높을수록, 수도권이나 강원권인 경우에 삶의 조건을 좋게 평

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사업 참여집단과 성별을 제외하고 차이

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신건강에 대해서 살펴보면, 신뢰도 값은 .939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성별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지 않으며 청장년층의 정신건강 수준이 가장 양호하고 충청권과

강원권의 정신건강이 타 지역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Ⅳ-19>� 삶의 조건에 대한 사회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자 3.708� 0.782�

-4.224***

0.885

여자 3.949� 0.828�

연령

20세 미만 3.223� 0.952�

41.510***20~60세 미만 3.910� 0.687�

60세 이상 3.954� 0.779�

지역

수도권 3.917� 0.831�

3.980**

경상권 3.634� 0.849�

충청권 3.851� 0.760�

전라권 3.828� 0.670�

강원권 3.968� 0.833�

*� p<.05� **� p<.01� ***� p<.001

Page 12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9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표 Ⅳ-20>�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788� 0.823�

-3.252**

0.939�

여성 3.982� 0.851�

연령

20세 미만 3.216� 0.990�

46.930***20~60세 미만 4.004� 0.721�

60세 이상 3.999� 0.788�

지역

수도권 3.931� 0.875�

3.510**

경상권 3.713� 0.847�

충청권 4.048� 0.800�

전라권 3.839� 0.707�

강원권 4.063� 0.740�

*� p<.05� **� p<.01� ***� p<.001

앞서 언급하였듯이 유사집단과의 비교분석 시에 주로 활용한 것은 개인의 행복감이나 자아존

중감 등이다. 먼저 행복감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문항간의 신뢰도값은 0.894로 매우 높게 나

타나고 있다. 학교 사업 참여집단과는 달리 성별이 유의미하게 통계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나고 있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더 행복하다고 응답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가장 행

복하다고 응답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전라권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다.

<표 Ⅳ-21>� 행복감에 대한 사회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459� 0.819�

-3.063**

0.894

여성 3.641� 0.850�

연령

20세 미만 3.046� 0.977�

31.720***20~60세 미만 3.516� 0.784�

60세 이상 3.725� 0.773�

지역

수도권 3.605� 0.869�

3.150*

경상권 3.383� 0.879�

충청권 3.572� 0.757�

전라권 3.692� 0.719�

강원권 3.379� 0.618�

*� p<.05� **� p<.01� ***� p<.001

Page 12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95

<표 Ⅳ-22>�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회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878� 0.818�

0.380

0.846

여성 3.857� 0.791�

연령

20세 미만 3.439� 1.026�

36.960***20~60세 미만 4.140� 0.673�

60세 이상 3.798� 0.748�

지역

수도권 3.892� 0.828�

1.560�

경상권 3.831� 0.802�

충청권 3.820� 0.850�

전라권 3.810� 0.645�

강원권 4.263� 0.653�

*� p<.05� **� p<.01� ***� p<.001

이어서 자아존중감의 문항 간 신뢰도 값은 0.84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평균차 검정 결

과, 학교 사업 참여집단 결과와 마찬가지로 성별이나 지역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

았으며 연령별로 청장년층의 자존감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1.4.2 사회: 신뢰와 사회관계, 형평성

본 장에서는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신뢰와 사회관계, 형평성 등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응답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사회적 신뢰와 관련하여 사람에 대한

신뢰 부분만 살펴보기로 한다. 사람에 대한 신뢰 문항에 대한 신뢰도값는 0.741로 높게 나타나

고 있으며 성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고 연령별로 청장년층이, 지역별로 강원권이

제도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고 있다.

<표 Ⅳ-23>� 사람에 대한 신뢰 사회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618� 0.587�

1.871�

0.741�

여성 3.535� 0.665�

연령

20세 미만 3.235� 0.831�

30.940***20~60세 미만 3.757� 0.495�

60세 이상 3.545� 0.604�

지역

수도권 3.500� 0.651�

5.430***

경상권 3.587� 0.620�

충청권 3.628� 0.542�

전라권 3.712� 0.596�

강원권 4.042� 0.613�

*� p<.05� **� p<.01� ***� p<.001

Page 12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9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이어서 사회적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면, 신뢰도 값은 0.870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평균차 검정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사회적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청장년층이,

경상권과 수도권의 사회적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Ⅳ-24>� 사회적 관계에 대한 사회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488� 0.915�

2.089*

0.870�

여성 3.352� 0.912�

연령

20세 미만 3.233� 1.051�

19.920***20~60세 미만 3.688� 0.850�

60세 이상 3.280� 0.876�

지역

수도권 3.441� 0.904�

2.340

경상권 3.525� 0.949�

충청권 3.350� 0.838�

전라권 3.260� 0.962�

강원권 3.042� 0.893�

*� p<.05� **� p<.01� ***� p<.001

<표 Ⅳ-25>�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사회사업 참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문항 신뢰도값

성별남성 3.697� 0.892�

3.030*

0.854

여성 3.605� 0.853�

연령

20세 미만 3.957� 0.858�

26.840***20~60세 미만 3.749� 0.733�

60세 이상 3.772� 0.703�

지역

수도권 3.697� 0.892�

3.030*

경상권 3.605� 0.853�

충청권 3.957� 0.858�

전라권 3.749� 0.733�

강원권 3.772� 0.703�

*� p<.05� **� p<.01� ***� p<.001

마지막으로 사회적 형평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사회적 형평성의 신뢰도값은 0.854로 나

타나고 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20세 미만이, 충청권인 경우가 문화예술교육에 따른 사회적 형

평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Page 12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97

1.4.3 문화: 문화예술교육 및 문화예술활동

사회사업 참여집단의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을 살펴보면, 성별 차이는 발견되지 않으며 60세 이

상이거나 수도권인 경우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 Ⅳ-26>� 사회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에 대한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성별남성 3.213� 0.992�

-0.856여성 3.273� 0.994�

연령

20세 미만 3.009� 1.068�

5.950**20~60세 미만 3.189� 0.982�

60세 이상 3.349� 0.966�

지역

수도권 3.348� 1.011�

4.750***

경상권 3.175� 0.962�

충청권 3.294� 0.956�

전라권 2.871� 0.992�

강원권 3.316� 0.671�

� � � � *� p<.05� **� p<.01� ***� p<.001

<표 Ⅳ-27>� 사회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교육 가치에 대한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문항신뢰도값

성별남성 4.189� 0.722�

-3.242**

0.952�

여성 4.355� 0.716�

연령

20세 미만 3.668� 0.913�

53.460***20~60세 미만 4.400� 0.585�

60세 이상 4.361� 0.663�

지역

수도권 4.331� 0.744�

3.800**

경상권 4.121� 0.779�

충청권 4.398� 0.628�

전라권 4.195� 0.593�

강원권 4.316� 0.571�

*� p<.05� **� p<.01� ***� p<.001

Page 12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9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표 Ⅳ-28>� 사회사업 참여집단 문화예술교육 만족감에 대한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문항신뢰도값

성별남성 4.159� 0.687�

-2.1266*

0.838

여성 4.265� 0.725�

연령

20세 미만 3.644� 0.722�

51.860***20~60세 미만 4.388� 0.607�

60세 이상 4.255� 0.691�

지역

수도권 4.194� 0.762�

1.180�

경상권 4.157� 0.695�

충청권 4.323� 0.638�

전라권 4.269� 0.600�

강원권 4.274� 0.542�

*� p<.05� **� p<.01� ***� p<.001

이어서 문화예술교육 가치에 대해서 7가지 문항간의 신뢰도값(Cronbach’s alpha)은 0.952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이에 대한 평균차검정(t검정) 결과, 성별과 연령, 지역 모두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남성보다는 여성이, 청장년인 경우, 충청권

이나 수도권인 경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교육 만족감의 경우 0.838의 신뢰

도 값을 보여주고 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청장년인 경우 만족감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어서 다양한 측정지표별로 참여한 프로그램에 따른 평균차 검정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는 이후에 기술한 매칭분석에서 전체 사회 문화예술교육 응답자가 아니라 노인 응답자만을 분

석하고 있기 때문에 참여 프로그램에 따른 편차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목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거의 모든 측정지표에서 참여 프로그램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염두에 둔다면, 참여집단과 유사집단의 비교 결과가 전체

사회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의 결과로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이를 판단해보면 노인집단외의 집단의 응답자수가 작아서 집단간 차이가 났을

수도 있다.

특히 소외 청소년집단의 측정지표 결과가 대체로 낮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어 유사집단과 비교

했을 경우 낮은 수준이 나왔을 개연성이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소외계층 자녀라는 특성으로

인해 해당 특성을 반영한 비교집단을 선별한다면 이 집단 역시 낮은 수준의 결과를 보여줄 개

연성이 있으므로 비교분석이 어떤 결과를 보여줄 지에 대해서 속단하기 어렵다.

반면, 군장병의 응답 결과는 노인 응답자보다 거의 모든 측정지표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어 유

사집단과 비교했을 경우 높은 수준이 나왔을 개연성이 있다. 물론 이 경우도 해당 집단인 군장

병을 대상으로 유사집단을 추출한다면 상대적으로 여기에서 측정한 지표에서 높은 수준을 보여

줄 개연성이 있으므로 결과 예측을 하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다.

Page 12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99

<표 Ⅳ-29>� 사회사업 참여집단 참여프로그램별 응답평균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F

자아존중감

노인 3.7942 .75047

27.491***군장병 4.2354 .67458

소외청소년 3.4389 1.00974

산업단지 4.0167 .64655

행복감

노인 3.7360 .79494

26.287***군장병 3.5950 .79494

소외청소년 3.0133 .96553

산업단지 3.3967 .766652

삶의 질

노인 3.9590 .78182

26.855***군장병 3.8712 .69512

소외청소년 3.2517 .94398

산업단지 3.9467 .67549

제도에 대한 신뢰

노인 2.9545 .77907

15.127***군장병 3.2463 .70048

소외청소년 2.6300 .86991

산업단지 3.0233 .67770

사람에 대한 신뢰

노인 3.4375 .61027

22.173***군장병 3.5737 .50413

소외청소년 3.0200 .76319

산업단지 3.5267 .53699

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

노인 3.1325 .61027

5.856**군장병 3.3062 .74392

소외청소년 2.9000 1.05639

산업단지 3.1833 .74454

사회관계

노인 3.2870 .88248

15.594***군장병 3.7762 .84060

소외청소년 3.1783 1.05154

산업단지 3.5817 .83575

사회적 형평성

노인 3.7858 .80445

19.337***군장병 3.8563 .83565

소외청소년 3.1833 .96032

산업단지 3.8194 .79787

문화예술교육 문해력

노인 3.3525 .96466

8.090***군장병 3.3375 .93086

소외청소년 2.9667 1.08414

산업단지 2.9833 1.00405

문화예술교육 가치

노인 4.3586 .66377

35.711***군장병 4.3286 .58995

소외청소년 3.6893 .91176

산업단지 4.4833 .56938

� � *� p<.05� **� p<.01� ***� p<.001

Page 13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0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2. 유사집단 매칭(matching)분석

2.1 문제제기와 분석과제

이 절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집단과 유사한

인구학적 특성을 가진 유사집단에 대한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여기에서는 포괄적으로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부분을 다루고자 하며 문화적 가치나 교육적 가치라는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는

부분도 포함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개별 문화예술교육정책 사업을 대상으로 하거나 정

책사업 자체의 가치분석에 치중하고 있으나 이 절에서는 포괄적으로 문화예술교육 수혜자 집단

과 수혜자 집단과 유사한 인구학적 특성을 가진 집단에 대해서 문화적, 사회적, 교육적으로 가

치 있다고 판단되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기여했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의 수혜자집단은 매우 다양하나 크게 보면, 학교 문화예술교육과 사회 문

화예술교육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학교 문화예술교육사업은 예술강사지원사업, 꿈다락 토요문

화학교, 예술꽃 씨앗학교 등이 있으며 사회 문화예술교육사업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과 군인, 소외청소년, 산업단지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범부처 협력 문화

예술교육이 있다.

수혜자집단을 크게 초․중․고등학생인 청소년집단과 노인집단으로 나누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문

화예술교육정책사업의 각 대상별로 수집된 조사 자료를 그대로 사용하지 못한 이유는 청소년과

노인집단 이외에 군인, 소외 청소년, 산업단지 종사자 등의 표본수가 많지 않아 유사집단과의

비교분석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유는 군인이나 소외청소년, 산업단지 종사자 등은

유사집단의 모집단 추정 어렵거나 유사집단 수집을 위한 조사 수행 자체가 어렵다는 점이다. 다

른 한편, 학교 문화예술사업 조사 표본 중 학생이 아닌 경우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여기에서는 수혜자집단을 크게 초․중․고등학생인 청소년집단과 노인집단으로 나누어 분석을 시

도하였다. 문화예술교육정책사업의 각 대상별로 수집된 조사 자료를 그대로 사용하지 못한 이유

는 청소년과 노인집단 이외에 군인, 소외 청소년, 산업단지 종사자 등의 표본수가 많지 않아 유

사집단과의 비교분석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유는 군인이나 소외청소년, 산업단지 종

사자 등은 유사집단의 모집단 추정 어렵거나 유사집단 수집을 위한 조사 수행 자체가 어렵다는

점이다. 다른 한편, 학교 문화예술사업 조사 표본 중 학생이 아닌 경우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

였다.

Page 13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01

이 절에서는 먼저 문화적 가치 혹은 문화자본이라는 맥락에서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참여와 문

화예술 교육에 대한 인지나 이해를 다루고자 한다. 후자는 문화예술교육 문해력(literacy)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데 이는 문화적 가치일 뿐만 아니라 교육적 가치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삶의 질과 관련하여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을 다루고자 한다. 삶의 질은 사회적 가치에

있어서 중요한 영역이며 자아존중감은 문화예술교육에 따른 교육적 가치로도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접적인 사회적 자본 혹은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신뢰와 사회관계를 다루고자 한

다. 신뢰는 국가나 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와 개인들에 대한 신뢰 등이 다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

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국가나 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가 바뀌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개

인들에 대한 신뢰에 국한하여 분석하였다. 동시에 사회적 공정성이나 형평성에 관한 부분도 살

펴보았다.

문화예술교육 경험 여부가 문화적, 교육적, 사회적 가치를 증진시켰는데 기여했는가에 대한 입

증은 미경험자와 경험자의 선정에 있어서 무작위성(randomness)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험과는 달리 사회조사에서는 무작위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에서 이를 보완하여 부분

적으로 분석 대상의 무작위성을 확보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여기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해 활발하게 정책가치 분석에 활용되고 있는 매칭방법(matching method)을 사용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개발된 CEM(coarsened exact matching) 기법을 사용해 실험집단과 표본집단의 매

칭 과정에서 표본 손실을 최대한 줄이고 본래 속성을 유지하는 방식을 취하고자 한다(김기헌,

신인철, 2012).

이 연구에서 매칭방법을 활용한 이유는 문화예술교육정책 노출집단에 대해서 사후조사만 이루

어 졌으며 통제집단을 설정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문화예술교육을 받지 않았으나 문화예

술교육정책 노출집단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집단을 불가피하게 추정할 필요가 있는데 인구학적

특성이 유사한 집단을 표본 추출했다고 하더라도 두 집단이 동질적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매우

강한 가정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매칭방법을 활용하였다.

매칭방법이 가지는 장점은 실험설계와 유사하게 무작위성을 부분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점

이다(Babbie, 285-287). 매칭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첫 번째는 가장 관련

성이 높은 특성들을 모두 모아서 구성한 할당매트릭스(quota matrix)를 활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성별과 3개의 연령집단이 관련성이 높은 특성들이라면 할당매트릭스는 6개의 범주로 구성

된다. 매트릭스의 각 범주에 포함된 실험집단의 표본수의 비중과 동일한 비중으로 유사집단의

표본수를 설정하는 것이 첫 번째 매칭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매칭방법은 실험설계가

요구하는 것보다 더 많은 수의 표본수를 모집하는 것이다.

Page 13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0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그런 다음 최초 대규모 피험자집단의 특성들을 검토한 후 비슷한 피험자들의 쌍을 구성한 후

무작위적으로 한 명은 실험집단에, 다른 한 명은 유사집단에 배분하고 어느 누구와도 같지 않은

잠정적 피험자 집단을 버리는 방식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자를 활용하였는데 그 이유는 실험집

단의 특성들을 사전적으로 입수한 상태에서 조사가 수행된 것이 아니라 문화예술교육정책 노출

집단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 후에 이 집단의 특성들을 파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매칭방법은 표본추출과정에서 1차적으로 적용하였으며 2차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병

합(merge)해 분석하는 경우에도 사전처리 통제변수들을 활용하여 정확한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계기법을 적용해 조정하였다. 이것은 일종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두 집단 간의 특성들이 매우 유사하도록 분석대상 표본을 조정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분석 과제는 CEM 기법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서 문화적, 교육

적,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특성들에 차이가 통계적으로 입증되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제 다

음 절에서는 이 연구의 분석자료와 분석변수, 그리고 분석모형을 살펴보기로 한다.

2.2 유사집단 조사 설계 및 분석 자료

2.2.1 유사집단 조사 설계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과 비교 분석을 위한 유사집단의 조사 설계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이

조사는 기존 실시된 수요자 조사와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나, 문화예술교육 만족도와 같

이 유사집단(비수혜자, 미수요자)가 응답할 수 없는 항목 일부를 제외하였다. 먼저 문화예술교

육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고 있는데 질문 문항들은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했는지 여부와 문화예술

교육 전반에 대한 본인의 지식 및 이해 정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가치를 묻는 질문들이다. 문

화예술교육 경험 여부는 참여집단과 유사집단을 구분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하였으며 문화예

술교육 문해력에 관한 질문은 비교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포함하였다.

다음으로 유사집단 조사에서는 여가시간과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였다. 여가시간

은 참여집단과 유사집단을 매칭(matching)하는 과정에서 주요 사전처리 통제변수로 활용하였으

며 두 집단 간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하였다. 문화예술 활동은 참여집단과 마찬

가지로 문화예술 관련 관람이나 활동 참여 여부를 질문하였다.

이어서 사회적 가치와 관련하여 유사집단 조사에서는 사회적 신뢰에 관한 문항과 삶의 질, 공

동체와 사회적 관계에 관한 질문, 사회적 형평성 및 평등성에 관한 질문을 포함하였다. 한편,

경제적 가치와 관련하여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세금 부담 의사 등을 묻는 질문을 포함하였다.

Page 13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03

(단위 :�명)

성별 교급 권역 전체대비 비율(%) 할당

중부권 0.8� 7�

전라권 0.8� 7�

경상권 2.0� 16�

중부권 11.3� 90�

전라권 3.4� 27�

경상권 1.6� 13�

중부권 12.2� 98�

전라권 2.7� 21�

경상권 2.9� 23�

중부권 1.2� 9�

전라권 1.3� 10�

경상권 3.4� 28�

중부권 13.1� 105�

전라권 14.6� 117�

경상권 0.8� 7�

중부권 20.6� 165�

전라권 4.9� 39�

경상권 2.3� 18�

합계 100.0� 800�

<표 IV-30>� 유사집단 조사 표본설계안

구 분 학생 조사 노인 조사

조 사 대 상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없는

만 10세 이상 19세 미만 남녀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없는

만 65세 이상 성인 남녀

표 본 수 800명 350명

조 사 지 역 전국 16개 시․도표 본 추 출 할당표본추출법

<표 IV-31>� 학생 조사 -� 표본할당

유사집단에 대한 조사 표본 설계는 참여집단 중에서 학교 문화예술사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유

사한 인구학적 특성을 갖는 학생조사와 사회 문화예술사업에 참여한 노인들과 유사한 인구학적

특성을 갖는 노인조사로 구분하여 이루어졌으며 참여집단의 표본수와 조사예산 등을 고려하여

전자는 800명을, 후자는 350명을 목표표본수로 잡고 참여집단의 인구학적 특성과 동일한 분포

를 갖도록 표본을 할당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먼저 학생조사의 표본 할당은 성별×지역×학교교급별 할당 비중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임의

표집으로 추출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며 각 층별로 할당 비중에 맞게 표본수를 추출하였다.

Page 13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0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다음으로 노인집단에 대한 유사집단 표본추출은 학생조사와 마찬가지로 성별×지역×연령별

할당 비중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표본수를 고려해 연령집단은 69세 미만과 70세 이상 두 범주로

나누었으며 지역은 강원권의 사례가 발견되지 않아 강원권을 제외하고 4대 권역별로 나누었다.

노인집단의 경우 유사집단의 할당변수별 표본수의 비중은 다음과 같다.

<표 IV-32>� 노인 조사 ­� 표본할당

(단위 :�명)

성별 연령 권역 전체대비 비율(%) 할당

69세 미만

수도권 2.3� 8

충청권 3.5� � 12

전라권 3.8� � 13

경상권 1.0� � 3

70세 이상

수도권 4.3� � 15

충청권 6.8� � 24

전라권 3.3� � 11

경상권 1.5� � 5

69세 미만

수도권 22.3� � 78

충청권 3.5� � 12

전라권 2.5� � 9

경상권 2.0� � 7

70세 이상

수도권 25.1� � 88

충청권 6.3� � 22

전라권 7.0� � 25

경상권 5.0� � 18

합계 100.0� 350

<표 IV-33>� 조사방법

구 분 학생 조사 노인 조사

조 사 방 법 1:1�대인면접 조사 1:1�대인면접 조사

자료 수집 도구 구조화된 질문지(Structured�Questionnaire)

조 사 기 간 2014년 1월 20일 ~�1월 27일 (8일간)� 2014년 1월 17일 ~�1월 27일(11일간)

유사집단에 대한 조사방법은 두 조사 모두 1:1 대인면접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자료수집 도수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였고 조사기간은 1월 17일부터 27일까지로 10여 일간에 걸쳐 이루어

졌다.

Page 13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05

참여집단 유사집단

전체 1,189(100.0%) 800(100.0%)

성별남학생 449(37.8%) 303(37.8%)

여학생 740(62.2%) 497(62.1%)

학년

초등학생 114(9.6%) 77(9.6%)

중학생 533(44.8%) 359(44.9%)

고등학생 542(45.6%) 364(45.4%)

지역

수도권(서울,�인천,�경기) 575(48.4%) 401(50.1%)

충청권(대전,�충청남북도) 44(3.7%) 52(6.5%)

전라권(광주,�전라남북도) 329(27.7%) 222(27.8%)

경상권(대구,�울산,�부산,�경상남북도) 156(13.1%) 106(13.3%)

강원권(강원) 85(7.1%) 19(2.4%)

2.2.2 분석 자료

이 연구의 분석 자료는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과 이와 유사한 인구학적 특성을 가진 유사집단

에 대한 조사 자료이다.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에 대한 조사는 예술강사지원사업, 꿈다락 토요

학교, 예술꽃 씨앗학교, 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사업, 범부처 협력 문화예술 교육사업에 지난 3

년 간 참여한 경험이 있는 수혜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2014년 10월부터 12월까지 우편조사

로 이루어졌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유사집단에 대한 조사는 문화예술교육 수혜자 집단 조사 결

과를 토대로 성별과 연령(학생의 경우 학교 교급), 지역에 대한 응답자 비중에 따라서 응답 표

본을 할당하여 임의 표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면접조사로 이루어졌다.

<표 Ⅳ-34>� 학생표본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조사결과 비교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에 대한 조사는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과 사회문화예술교육사업으로 나

누어지는데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의 수혜자는 초․중등교육을 벗어나거나 연령이 20세 이상인 경

우도 조사되었는데 이 연구에서는 초․중․고교생인 경우로 분석대상을 한정하였으며 이에 해당하

는 10명을 제외한 표본사례수는 1,189명이다.

학생집단에 대한 유사집단 표본추출은 성별×지역×학교교급별 할당 비중을 제시하고 이에 따

라 임의표집으로 추출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며 각 층별로 할당 비중에 맞게 조사된 유사집단 표

본 수는 총 800명이며 참여집단과 유사집단의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의 참여 프로그램별 비중을 살펴보면,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경험

한 학생은 전체 응답자의 797명으로 67.0%를 차지하고 있으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를 경험한

학생은 293명으로 24.6%, 예술꽃 씨앗학교에 참여한 학생은 99명으로 8.3%의 비중을 보여주고

있다.

Page 13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0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그림 Ⅳ-1>� 학생집단 문화예술교육 참여 프로그램의 종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기간은 6개월 미만이라는 응답이 37.9%(451명)로 가장 많

았으며 6개월 이상 1년 미만이 31.9%(379명), 1-2년 미만이 12.0%(143명), 2-3년 미만이

5.6%(66명), 3-4년 미만 4.1%(49명), 4-5년 미만이 2.4%(29명), 5-6년 미만이 1.7%(20명), 6

년 이상이 4.4%(52명)로 나타났다.

<그림 Ⅳ-2>� 학생집단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기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위:�%)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에 대한 조사는 다양한 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을 대

상으로 하였으며 65세 이상의 노인이 398명, 군장병이 160명, 소외청소년이 118명, 산업단지

종사자 120명 등이 응답하였다. 노인을 제외한 다른 수혜자 집단은 유사표본을 특정 하는 것이

어렵거나 접근이 쉽지 않은 경우들로 이 연구에서는 노인집단만을 대상으로 비교분석을 시도하

였다. 곧 이 연구의 참여집단의 표본 사례 수는 398명이다.

노인집단에 대한 유사집단 표본추출 역시 성별×지역×연령별 할당 비중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표본수를 고려해 연령집단은 69세 미만과 70세 이상 두 범주로 나누었으며 지역은 강원권의 사

례가 발견되지 않아 강원권을 제외하고 4대 권역별로 나누었다. 노인집단의 경우 참여집단과 유

사집단의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age 13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07

<표 Ⅳ-35>� 노인표본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참여집단 유사집단

전체 398(100.0%) 351(100.0%)

성별남자 105(26.4%) 91(25.9%)여자 293(73.6%) 260(74.1%)

연령만65-69세 162(40.7%) 143(40.7%)만70세 이상 236(59.3%) 208(59.3%)

지역

수도권(서울,�인천,�경기) 215(54.0%) 189(53.8%)충청권(대전,�충청남북도) 80(20.1%) 70(19.9%)전라권(광주,�전라남북도) 66(16.6%) 66(16.6%)

경상권(대구,�울산,�부산,�경상남북도) 37(9.3%) 37(9.3%)

2.3 분석변수 및 분석모형

이 연구에서 사용한 독립변수는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이다. 참여 여부는 참여집단과 유사집

단 조사자료를 병합(merge)해 생성하였으며 참여집단이면 1을, 유사집단이면 0값을 부여하였다.

이 연구에서 매칭(matching)을 위해 사용한 사전처리 통제변수들은 성별, 학교 교급 혹은 연령,

지역 변수이다. 성별은 여성을 기준범주로 여성이면 1, 남성이면 0값을 부여하였다. 학생집단

분석에서 학교 교급은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으로 구분하였으며 초등학생을 기준범주로 삼

았다. 노인집단 분석에서 연령은 만65-69세 집단과 70세 이상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만65-69

세 집단을 기준 범주로 삼았다.

지역은 학생집단 분석에서 강원권을 포함하여 5대 권역으로, 노인집단 분석에서 강원권을 제외

한 4대 권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서울과 인천, 경기도를 포함하는 수도권을 기준범주로 삼았다.

마지막으로 여가시간이 사전처리 통제변수에 포함하였으며 여가시간은 하루 중 공부나 업무, 식

사 및 수면에 필요한 시간 이외에 여가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사전처리 통제 변수 이외에 통제

변수들로는 문화예술교육 활동 경험 여부와 문화예술 관련 단체 참여 여부 등이다.

문화예술교육 활동 경험 여부는 음악회 및 연주회, 연극, 무용, 영화, 박물관 및 미술관에 대해

서 지난 1년 간 경험 여부이며 경험이 있으면 1, 없으면 0값을 부여하였다. 문화 예술 관련 단

체 참여 여부는 지난 1년 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직접 참여한 경우에 1, 참여한 적이 없

는 경우에 0값을 부여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종속 변수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교육 문해력(literacy)과 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가치를 사용하였다. 문해력은 “문화예술

교육 전반에 대하여 스스로 얼마나 많은 지식과 이해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

에 “① 많은 지식과 이해를 갖고 있다, ② 지식과 이해가 어느 정도 있다, ③ 지식과 이해가

보통수준이다, ④ 지식과 이해가 부족한 편이다, ⑤ 지식과 이해가 거의 없다.”로 응답한 결과이

며 5점 척도로 사용하였다.

Page 13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0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가치는“① 나는 문화예술교육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② 나는 문화예술

교육은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③ 나는 문화예술교육은 유익하다고 생각한다, ④ 나는 문화예

술교육에 관심이 많다, ⑤ 나는 문화예술교육은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⑥ 나는 문화예술교육

을 원한다, ⑦ 나는 문화예술교육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라는 일곱 가지 5점 척도 문항을 합

산하여 분석변수로 활용하였다.

변수 생성 전에 실시한 신뢰도분석에서 학생집단의 문화예술교육 가치에 대한 신뢰도 값

(Cronbach α)은 참여집단의 경우 .961이었으며 유사집단의 경우 .934로 매우 높은 신뢰도 값

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삶의 질과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먼저 자아존중감은“나는 내가 다른 사람들처럼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좋은

성품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나는 자랑할 것이 많이 있다.”라는 세 가지 5점 척도 문항을 합산

하여 분석변수로 활용하였다. 학생집단에서 자아존중감에 대한 신뢰도 값(Cronbach α)은 참여

집단의 경우 .716이었으며 유사집단의 경우 .835로 높은 신뢰도 값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행

복감은 “전반적으로 나의 인생은 내가 이상적으로 여기는 모습에 가깝다.”, “나의 인생의 여건

은 아주 좋은 편이다.”, “나는 나의 삶에 만족한다.”, “지금까지 나는 나의 인생에서 원하는 중

요한 것들을 이루어냈다.”, “다시 태어난다 해도, 나는 지금처럼 살아갈 것이다.” 등 다섯 가지

5점 척도 문항을 합산하여 분석변수로 활용하였다. 이 경우도 신뢰도 값(Cronbach α)은 참여

집단의 경우 .901이었으며 유사집단의 경우 .886으로 높은 신뢰도 값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성과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사람들에 대한 신뢰와 사회관계를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사람들에 대한 신뢰는 가족, 친구, 동네 이웃, 직장 동료, 낯선 사람에 대해서 “전

혀 신뢰할 수 없다”에서 “매우 신뢰할 수 있다”까지 5점 척도문항 응답결과를 합산하여 사용하

였다. 이 경우에 신뢰도 값(Cronbach α)은 참여집단의 경우 .656이었으며 유사집단의 경우

.678을 보여주었다. 사회관계는 “한 달에 어느 정도 타인과 접촉하십니까? (접촉 : 만남, 전화,

편지, 인터넷)”, “그 중 가깝게 지내는 사람은 몇 명입니까?”, “갑자기 돈을 빌릴 경우,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입니까?”,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입니까?”, “감기가 심하게 들어 개인적인 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입니까?”라는 질문에 대해서 5점 척도로 질문한 문항을 합산하여 분석변수로 활용하였다. 이

경우에 신뢰도값(Cronbach α)은 참여집단의 경우 .864이었으며 유사집단의 경우 .867로 높은

신뢰도값을 보여주었다.

여기에서는 매칭기법을 토대로 분석 대상을 사전에 선별한 후 선형확률모형으로 각 독립변수

들의 가치를 추정하였다. 매칭은 관찰 자료에서 사전처리 통제변수의 혼란가치(confounding

influence)를 일부 또는 전부 통제하기 위한 비모수적 방법이다. 이것의 주된 목적은 자료로부터

관찰 값들을 간결화 함으로써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 균형을 이루는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집단 내 설명변수들의 분포를 좀 더 유사하게 만드는 과정이다.

Page 13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09

따라서 정확하게 균형을 이룬 자료에 대해서는 매칭 후 사후분석과정에서 별도의 독립변수를

통제할 필요 없이 통제집단과 실험집단간의 차이가 바로 인과적 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김기헌․신인철, 2012 참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매칭 방법들은 각 실험집단별로 설명변수가 유사한 최소 한 개의

사례를 발견하는 것이다. 적확 매칭(exact matching)이나 마할라노비스 거리, 성향점수 방법 등

과 같은 근사매칭(approximate matching) 등으로 매칭 방법들의 차이는 단지 이러한 유사성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달려있다. 하지만 이러한 매칭 방법들을 이용할 경우 수용할만한 균형 있

는 자료가 구축될 때까지 계속해서 매칭을 반복해야 하는 수고를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다소

번거로움이 따른다. 더욱 큰 문제는 연속형 설명변수가 매칭과정에 포함될 경우에 매칭되는 사

례수가 확연히 감소되는 ‘차원의 저주(curse of dimensionality)’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Hicks and Tingley, 2011).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Iacus, King, and Porro(2008)은

CEM(Coarsened Exact Matching) 방법을 제안하였다. CEM은 사전처리 통제변수들을 유의미

한 범주들로 범주들로 재분류하고, 새로운 거친(Coarsened) 변수들을 조합하여 층화시킨 후(예

를 들어, 교육수준은 고졸이하와 대졸이상으로 분류하고, 성별 변수와 조합할 경우 4개로 층화

할 수 있다.), 각 층들(stratum)에 해당되는 개인들을 재배치한 후 최소 하나의 통제집단과 실험

집단의 사례들이 포함되지 않는 층들의 관찰 값들은 제외시키는 방법이다. 결국 CEM은 서열형

또는 연속형의 사전통제 변수들을 보다 유의미한 범주로 재분류하여 이것들의 본래 속성을 최

대한 유지하는 적확 매칭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성별, 연령(학교 교급), 지역과 여가시간을 사전처리 통제 변수로 활용하였으며

CEM을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 사전처리 통제변수별로 사례수에 대한 비교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표 Ⅳ-36>� 매칭(matching)� 전후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구분 매칭(matching)�전 매칭(matching)�후참여집단 유사집단 참여집단 유사집단

�학생표본

성별남학생 449 303 418.0 277.6여학생 740 497 729.1 482.3

학교 교급초등학생 114 77 100.0 66.4중학생 533 359 530.1 350.2고등학생 542 364 517.0 343.3

지역

수도권 575 401 569.1 376.1충청권 44 52 39.0 25.9전라권 329 222 324.0 215.2경상권 156 106 150.0 99.6강원권 85 19 65.0 43.2

�노인표본

성별남자 105 91 55.0 72.8여자 293 260 210.0 278.2

연령만65-69세 162 143 110.0 145.7만70세 이상 236 208 155.0 205.3

지역

수도권 215 189 164.0 217.2충청권 80 70 20.0 26.5전라권 66 59 56.0 74.2경상권 37 33 25.0 33.1

Page 14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1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2.4 학생표본에 대한 분석결과

2.4.1 개인: 삶의 질과 행복감

이 절에서는 삶의 질과 관련된 변수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설문지에는 삶의 질과 관련된 다양

한 변수들이 포함되어 있으나 문화예술교육 수혜집단에 대한 조사에서 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하

여 삶의 질의 문제를 묻고 있어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비교 분석이 가능한 변수만을 선택하였으

며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평균 차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이나 행복감에 있어서 참여집단이 유사집단보

다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자아존중감에 대

해서 5점 만점으로 참여집단은 3.50점을 보여주고 있는데 반해서 유사집단은 3.38점으로 보여

주고 있다. 행복감의 경우 5점 만점에서 참여집단은 3.12점을, 유사집단은 2.87점을 보여주고

있다. 두 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나 자아존중감은 두 집단 간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

에 매칭 분석은 행복감에 대해서만 실시하였다.

<표 Ⅳ-37>� 학생 표본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대한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자아존중감참여집단 3.4971 .94158

-2.926***유사집단 3.3763 .84197

행복감참여집단 3.1245 .86739

-6.523***유사집단 2.8682 .84646

*� p<.05� **� p<.01� ***� p<.001

행복감에 미치는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며 이 연구에서 충분하게 관련 요인들을 고려하지 못하

였으나 다른 종속변수들과의 비교를 위해 동일 변수군을 독립변수에 투입하여 분석결과를 제시

하였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행복감에 미치는 독립변수들의 영향을 살펴보면, 인구학적

변수와 더불어 문화예술 관련 변수들만으로 행복감에 대해 10% 이상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는 문화예술교육 문해력과 같이 직접적인 관계를 갖지 않는 행복감에

대해서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매칭 전후에 큰 차이가

발견되고 있지 않다.

행복감에 있어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중학생이나 고등학생이 초등학생에 비해 낮게 추정되고

있으며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에 비해 전라권은 높고 강원권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

Page 14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11

<표 Ⅳ-38>� 학생 표본 행복감에 대한 매칭분석 결과(CEM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독립변수 매칭(matching)�전 매칭(matching)�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참여=1) � 1.089(.209)*** � .996(.211)***

성별(여성=1) -.609(.194)** -.662(.201)**

학교교급(초등학생=1)

중학생

고등학생

-2.824(.370)***

-3.477(.371)***

-2.788(.397)***

-3.520(.397)***

지역(기준범주=수도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강원권

.583(.442)

.577(.228)*

.156(.318)

-1.379(.444)**

1.079(.537)*

.490(.229)*

.071(.328)

-1.673(.447)***

여가시간 .130(.066)* .087(.069)

문화예술 관련 경험(경험=1)

음악회 및 연주회

연극

무용

영화

박물관 및 미술관

-.135(.223)

.276(.225)

.266(.265)

.519(.313)

.376(.209)

-.032(.226)

.295(.227)

.372(.269)

.467(.318)

.415(.211)

문화예술 단체 참여(참여=1) � .500(.188)** � .367(.190)

잔여항 �15.727(.907)*** � 15.558(.924)***

R-squared 0.1138 0.1162

Adj� R-squared 0.1070 0.1092

N 1,989 1,907

*� p<.05� **� p<.01� ***� p<.001

문화예술과 관련하여 단체 참여가 매칭 전에는 유의미하나 매칭 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문화예술 관련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Page 14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1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2.4.2 사회: 신뢰와 사회적 관계

사람에 대한 신뢰와 사회적 관계에 대해서 평균 차 검증 결과 사람에 대한 신뢰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회적 관계는 참여집단이 유사집단보다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표 Ⅳ-39>� 학생 표본 신뢰와 사회적 관계에 대한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사람에 대한 신뢰참여집단 3.0553 .58084

-1.016유사집단 3.0293 .53155

사회적 관계참여집단 3.6740 .93028

-10.353***유사집단 3.2398 .89771

*� p<.05� **� p<.01� ***� p<.001

평균 차 검증 결과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 사회적 관계에 대해서 매칭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문화예술교육 참여는 사회적 관계에 매칭 후에도 다른 변수들을 모두 통제

한 상태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인구학적 변수들을 살펴보면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여성보다는 남성이, 초등학생보다는 중학생

이 높게 추정되고 있으며 지역 간 차이는 발견되고 있지 않다.

여가시간의 경우 예상과는 달리 사회적 관계와 부(-)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

라 청소년들의 여가가 주로 컴퓨터게임과 같이 혼자 하는 여가생활에 치중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문화예술활동은 학생들의 사회적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연

극이나 영화 관람 여부나 문화예술 단체 가입 여부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예술교육 경험 여부와 더불어서 문화예술 관련된 활동들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종속변수보다 독립변수들의 설명력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 관

계에 대해서 독립변수들의 설명력 8% 정도로 독립변수로 고려하지 않은 변수들의 영향이 상대

적으로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Page 14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13

<표 Ⅳ-40>� 학생 표본 사회적 관계에 대한 매칭분석 결과(CEM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독립변수 매칭(matching)�전 매칭(matching)�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참여=1) � 1.835(.230)*** � 1.699(.233)***

성별(여성=1) -.625(.213)** -.826(.213)***

학교교급(초등학생=1)

중학생

고등학생

1.141(.407)**

.576(.409)

1.007(.439)*

.397(.439)

지역(기준범주=수도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강원권

-.367(.486)

.071(.251)

-.166(.350)

-.919(.489)

-.208(.593)

.099(.253)

-.120(.363)

-.211(.494)

여가시간 -.180(.072)* -.157(.076)*

문화예술 관련 경험(경험=1)

음악회 및 연주회

연극

무용

영화

박물관 및 미술관

.497(.246)*

.752(.247)**

-.198(.291)

.980(.345)**

.135(.230)

.606(.249)*

.786(.251)**

-.162(.298)

1.216(.352)**

.010(.234)

문화예술 단체 참여(참여=1) � .514(.207)** � .417(.210)**

잔여항 �14.035(.998)*** � 13.661(1.021)***

R-squared 0.0878 0.0876

Adj� R-squared 0.0808 0.0803

N 1,989 1,907

*� p<.05� **� p<.01� ***� p<.001

Page 14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1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구 분 참여집단 유사집단 x2

음악회 및

연주회

없음빈도 440 586

251.541***

% 37.0 73.3

있음빈도 749 214

% 63.0 26.8

전체빈도 1,189 800

% 100.0 100.0

2.4.3 문화예술 관련 활동과 문해력(literacy)

여기에서는 먼저 문화예술과 관련된 활동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문해력, 가치에 대해서 살펴

보기로 한다. 학생표본에서 문화예술활동은 음악회 및 연주회, 연극, 무용, 영화, 박물관 및 미

술관 관람 등으로 구분된다.

지난 1년간 음악회 및 연주회 관람 여부에 대해서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은 63.0%가 참여한

데 비해서 유사집단은 26.8%만이 참여해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예술교

육을 받은 집단이 문화예술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표 Ⅳ-41>� 학생 표본 음악회 및 연주회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 *� p<.05� **� p<.01� ***� p<.001

다음으로 연극 관람 경험 여부를 살펴보면,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은 49.5%가 지난 1년간 경

험한 반면, 유사집단은 27.1%만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

고 있다.

<표 Ⅳ-42>� 학생 표본 연극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구 분 참여집단 유사집단 x2

연극

없음빈도 600 583

99.670***

% 50.5 72.9

있음빈도 589 217

% 49.5 27.1

전체빈도 1,189 800

% 100.0 100.0

*� p<.05� **� p<.01� ***� p<.001

� <표 Ⅳ-43>� 학생 표본 무용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구 분 참여집단 유사집단 x2

무용

없음빈도 784 753

216.371***

% 65.9 94.1

있음빈도 405 47

% 34.1 5.9

전체빈도 1,189 800

% 100.0 100.0

*� p<.05� **� p<.01� ***� p<.001

Page 14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15

무용 관람에 대한 결과 역시 두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되고 있는데 참여집단은 34.1%가 지난 1

년 간 무용을 관람한데 비해서 유사집단은 5.9%만이 관람한 것으로 나타나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영화 관람은 대중적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 관련 경험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참여집단에서 지난 1년간 영화를 관람

한 비중은 90.2%였으며 유사집단의 경우에도 88.8%가 관람한 것으로 나타나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표 Ⅳ-44>� 학생 표본 영화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구 분 참여집단 유사집단 x2

영화

없음빈도 116 90

1.150

% 9.8 11.3

있음빈도 1,073 710

% 90.2 88.8

전체빈도 1,189 800

% 100.0 100.0

*� p<.05� **� p<.01� ***� p<.001

마지막으로 박물관 및 미술관 관람 경험 여부를 살펴보면,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

되고 있는데 참여집단은 64.6%가 지난 1년 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반해서 유사집

단은 41.6%가 관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Ⅳ-45>� 학생 표본 박물관 및 미술관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구 분 참여집단 유사집단 x2

박물관 및

미술관

없음빈도 421 467

102.075***

% 35.4 58.4

있음빈도 768 333

% 64.6 41.6

전체빈도 1,189 800

% 100.0 100.0

*� p<.05� **� p<.01� ***� p<.001

Page 14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1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문해력과 가치를 살펴보면, 문해력의 경우 5점 만점에 참여집단

은 3.12점을, 유사집단은 2.48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참여집단이 유사집단에 비해 평균 차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가치는 참여집단이

5점 만점에 3.54점, 유사집단이 3.49점으로 참여집단의 평균값이 다소 높으나 두 집단 간에 유

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Ⅳ-46>� 학생 표본 문화예술교육 문해력과 가치에 대한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참여집단 3.1245 1.01735

-14.080***유사집단 2.4825 .96611

문화예술교육 가치참여집단 3.5356 .93804

-1.184유사집단 3.4879 .79165

*� p<.05� **� p<.01� ***� p<.001

평균 차 검증은 단순히 두 집단 간에 차이 여부에 대한 분석으로 다른 요인들을 통제하지 않

은 결과라는 점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엄밀한 의미에서 검증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제3의

요인이 미치는 가치가 통제 되지 않았기 때문에 과잉 추정된 결과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두 집단은 실험설계를 통해 사전과 사후 비교가 불가능하며 비교대상의 무작위성에 대한 가정

역시 불가능하다. 이러한 제약들을 어느 정도 통제한 상태에서 두 집단 간에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매칭 분석을 시도하였다.

매칭분석은 평균 차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문해

력에 대해서 실시하였다. 결과표에는 매칭 전후의 결과를 모두 보여주고 있는데 다른 요인들을

통제하고 매칭 후에도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은 문해력 수준

을 보여주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나 지식 정도는 문화예술교육 참여와 더불어 문화예술 관련 변수들

의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매칭 전후 비교와 관련하여 특징적인 학교 교급으로

매칭 전에는 초등학생보다 중학생이나 고등학생일수록 문해력이 높게 추정되었으나 매칭 후에

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Page 14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17

<표 Ⅳ-47>� 학생 표본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에 대한 매칭분석 결과(CEM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독립변수 매칭(matching)�전 매칭(matching)�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참여=1) .503(.050)*** .458(.050)***

성별(여성=1) -.003(.046) -.046(.048)

학교교급(초등학생=1)

중학생

고등학생

-.218(.088)*

-.213(.089)*

-.124(.095)

-.129(.094)

지역(기준범주=수도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강원권

.028(.105)

.014(.054)

.040(.076)

.029(.106)

-.010(.128)

.016(.054)

.097(.078)

.157(.106)

여가시간 .017(.015) .019(.016)

문화예술 관련 경험(경험=1)

음악회 및 연주회

연극

무용

영화

박물관 및 미술관

.080(.053)

.115(.053)*

.096(.063)

-.032(.075)

.136(.050)**

.113(.054)*

.122(.054)*

.096(.064)

-.022(.076)

.145(.050)**

문화예술 단체 참여(참여=1) � .157(.045)** � .164(.045)***

잔여항 2.379(.217)*** 2.259(.220)***

R-squared 0.1243 0.1194

Adj� R-squared 0.1177 0.1124

N 1,989 1,907

*� p<.05� **� p<.01� ***� p<.001

Page 14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1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2.5 노인표본에 대한 분석결과

2.5.1 개인: 삶의 질과 행복감

삶의 질과 관련하여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대해서 평균 차 검증을 시도해 본 결과, 두 경우

모두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두 집단 간 차이는 학생집단보다 높게 추정되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학생집단과 마찬가지로 행복감에 대해서만 매칭분석을 시도한 결과를 제시

해 보고자 한다.

<표 Ⅳ-48>� 노인표본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대한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자아존중감

참여집단 3.7973 .75094

-12.507***

유사집단 3.1738 .59136

행복감

참여집단 3.7362 .77026

-13.701***

유사집단 2.9994 .69142

*� p<.05� **� p<.01� ***� p<.001

분석결과, 매칭 후에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나고 있다. 독립변수들의 설명력은 매우 높게 추정되고 있으며 특히 문화예술교육 참

여 여부는 단일 변수로 모형에 투입할 때 행복도의 21% 가량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 참여가 노인층에게 삶의 질 향상에 있어서 매우 큰 긍정적인 가치

를 보여주고 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는 결과이다.

Page 14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19

<표 Ⅳ-49>� 노인표본 행복감에 대한 매칭분석 결과(CEM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독립변수 매칭(matching)�전 매칭(matching)�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참여=1) 3.216(.366)*** 3.739(.456)***

성별(여성=1) .579(.330) .847(.407)*

연령(70세 이상=1) -.075(.278) -.401(.319)

지역(기준범주=수도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403(.385)

.072(.393)

-.192(.482)

-.726(.610)

-.905(.413)*

-.376(.544)

여가시간 .044(.071) .414(.122)**

문화예술 관련 경험(경험=1)

음악회 및 연주회

연극

무용

영화

박물관 및 미술관

.276(.390)

.698(.401)

.214(.396)

.345(.358)

-.801(.369)*

-.269(.488)

-.129(.508)

.090(.492)

1.349(.406)**

-.574(.434)

문화예술 단체 참여(참여=1) � -.253(.311) � -.639(.378)

잔여항 14.167(1.078)*** 13.344(1.334)***

R-squared 0.2233 0.2692

Adj� R-squared 0.2095 0.2534

N 749 616

*� p<.05� **� p<.01� ***� p<.001

Page 15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2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독립변수 매칭(matching)�전 매칭(matching)�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참여=1) 1.127(.444)* .964(.532)

성별(여성=1) .024(.401) .891(.476)

연령(70세 이상=1) -.275(.339) -.318(.373)

지역(기준범주=수도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1.562(.469)**

.100(.478)

-1.149(.585)

-1.639(.713)*

1.128(.482)*

-.493(.635)

여가시간 .080(.087) .280(.143)

문화예술 관련 경험(경험=1)

음악회 및 연주회

연극

무용

영화

박물관 및 미술관

.623(.474)

.453(.488)

.060(.481)

.791(.435)

-.217(.449)*

.221(.570)

.687(.594)

-.792(.575)

1.588(.474)**

-.076(.506)

문화예술 단체 참여(참여=1) � 1.236(.378)** � 1.177(.441)**

잔여항 14.340(1.310)*** 12.642(1.558)***

R-squared 0.1311 0.1294

Adj� R-squared 0.1157 0.1106

N 749 616

2.5.2 사회: 신뢰와 사회적 관계

사람에 대한 신뢰와 사회적 관계에 대한 평균 차 검증 결과 사회적 관계만이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후 매칭 분석은 사회적 관계에 대해서 시도해 보고자 한다.

<표 Ⅳ-50>� 노인표본 신뢰와 사회적 관계에 대한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사람에 대한 신뢰참여집단 3.4407 .61012

-1.016유사집단 3.4137 .46234

사회적 관계

참여집단 3.2864 .87735-7.595***

유사집단 2.7806 .94468

*� p<.05� **� p<.01� ***� p<.001

<표 Ⅳ-51>� 노인표본 사회적 관계에 대한 매칭분석 결과(CEM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s.e)

*� p<.05� **� p<.01� ***� p<.001

Page 15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21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는 매칭 전에 사회적 관계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고 있으나 매칭 후에 그 가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오

히려 문화예술단체 가입 여부가 매우 뚜렷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문화예술 관련 관람 경험 중 영화 관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여주고 있는데 노인

층이 비교적 손쉽게 함께 어울려 접할 수 있는 문화예술관람 형태가 영화이기 때문으로 풀이된

다.

2.5.3 문화: 문화예술 관련 활동과 문해력(literacy)

이 절에서는 학생표본에 대한 분석에 이어서 노인표본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문화예술 관련 활동을 살펴보면, 학생보다 참여집단과 유사집단 간에 더 큰 차이를 보여주

고 있다. 먼저 음악회 및 연주회 관람 경험에 있어서 참여집단은 지난 1년간 59.3%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유사집단은 7.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Ⅳ-52>� 노인표본 음악회 및 연주회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구 분 참여집단 유사집단 x2

음악회 및

연주회

없음빈도 162 324

217.997***

% 40.7 92.3

있음빈도 236 27

% 59.3 7.7

전체빈도 398 351

% 100.0 100.0

*� p<.05� **� p<.01� ***� p<.001

지난 1년 간 연극을 관람한 경험이 있는지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면, 문화예술교육 참여진단은

51.0%가 경험한 데 비해서 유사집단은 2.6%만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Ⅳ-53>� 노인표본 연극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구 분 참여집단 유사집단 x2

연극

없음빈도 195 342

215.668***

% 49.0 97.4

있음빈도 203 9

% 51.0 2.6

전체빈도 398 351

% 100.0 100.0

*� p<.05� **� p<.01� ***� p<.001

Page 15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2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지난 1년 간 무용 관람 경험 여부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두드러지고 있다. 참여집단은 42.5%

가 무용을 관람했다고 응답한 반면, 유사집단은 2.3%만이 무용을 관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

<표 Ⅳ-54>� 무용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구 분 참여집단 유사집단 x2

무용

없음빈도 229 343

166.871***

% 57.5 97.7

있음빈도 169 8

% 42.5 2.3

전체빈도 398 351

% 100.0 100.0

*� p<.05� **� p<.01� ***� p<.001

영화 관람 경험 여부에 대해서 학생집단은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과 유사집단 간에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지 않지만 노인집단은 참여집단의 영활 관람 비중이 유사집단

보다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 Ⅳ-55>� 영화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구 분 참여집단 유사집단 x2

영화

없음빈도 145 292

167.788***

% 36.4 83.2

있음빈도 253 59

% 63.6 16.8

전체빈도 398 351

% 100.0 100.0

*� p<.05� **� p<.01� ***� p<.001

박물관 및 미술관 관람 경험 역시 참여집단이 유사집단에 비해 높은 경험 비중을 보여주고 있

다. 참여집단은 57.8%가 지난 1년 간 박물관 및 미술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반해

서 유사집단은 10.5%만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Ⅳ-56>� 박물관 및 미술관 관람 경험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구 분 참여집단 유사집단 x2

박물관 및

미술관

없음빈도 168 314

181.499***

% 42.2 89.5

있음빈도 230 37

% 57.8 10.5

전체빈도 398 351

% 100.0 100.0

*� p<.05� **� p<.01� ***� p<.001

Page 15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23

� 구분 평균 표준편차 t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참여집단 2.6432 1.16768

-7.338***유사집단 2.0712 .96453

문화예술교육 가치참여집단 4.3618 .66316

-22.520***유사집단 3.3187 .59602

<표 Ⅳ-57>� 노인표본 문화예술교육 문해력과 가치에 대한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비교

*� p<.05� **� p<.01� ***� p<.001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 문해력과 가치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평균 차 검증 결과 두 경우

에 문화예술교육 참여짐단이 유사집단보다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매칭분석에서 두 가지를

모두 분석해 볼 수 있으나 학생집단에 대한 결과와 동일하게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에 대해서만

매칭분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문해력에 있어서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고 매

칭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표 Ⅳ-58>� 노인표본 문화예술교육 문해력에 대한 매칭분석 결과(CEM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독립변수 매칭(matching)�전 매칭(matching)�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참여=1) .674(.105)*** .572(.128)***

성별(여성=1) -.055(.095) .046(.114)

연령(70세 이상=1) -.175(.080)* -.274(.089)**

지역(기준범주=수도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001(.111)

.323(.113)**

-.127(.139)

-.183(.171)

.318(.115)**

-.418(.152)**

여가시간 -.023(.020) .049(.034)

문화예술 관련 경험(경험=1)

음악회 및 연주회

연극

무용

영화

박물관 및 미술관

-.025(.112)

-.226(.115)

-.188(.114)

.132(.103)

.010(.106)

-.021(.137)

-.347(.142)*

-.146(.138)

.390(.114)**

-.054(.121)

문화예술 단체 참여(참여=1) � .071(.089) � .217(.106)*

잔여항 2.703(.311)*** 2.491(.374)***

R-squared 0.1025 0.1413

Adj� R-squared 0.0866 0.1228

N 749 616

*� p<.05� **� p<.01� ***� p<.001

Page 15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2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2.6 매칭조사 결과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과 유사집단에 대한 매칭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화예술적 가치

(측정지표로 문화예술교육 문해력)나 삶의 질(측정지표로 행복감), 그리고 사회적 가치(측정지표

로 사회적 관계)나 삶의 질, 그리고 사회적 가치라는 세 가지 측면에 있어서 참여집단은 유사집

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조사 자료에 대한 매칭 전이나 두 집단

을 정확하게 매칭한 이후에도 결과는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만, 노인집단

에서 사회적 관계는 매칭 후 참여집단과 유사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사라지고 있

다.

<표 Ⅳ-59>�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 및 유사집단 매칭분석 결과 비교

학생집단 노인집단

매칭(matching)� 전 매칭(matching)� 후 매칭(matching)� 전 매칭(matching)� 후

문화예술교육 문해력

(문화예술적 가치).503(.050)*** .458(.050)*** .674(.105)*** .572(.128)***

행복감

(삶의 질)� 1.089(.209)*** � .996(.211)*** 3.216(.366)*** 3.739(.456)***

사회적 관계

(사회적 가치)� 1.835(.230)*** � 1.699(.233)*** 1.127(.444)* .964(.532)

*� p<.05� **� p<.01� ***� p<.001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문화예술교육 참여

는 사회적, 교육적, 문화적 가치 증진에 있어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

이다. 이러한 결론에 대해서 여전히 조심스러운 것은 이 연구의 분석 자료가 인과관계 추정을

위한 의사실험 설계에 있어서 매우 많은 가정이 전제되기 때문이다. 보다 엄밀한 분석을 위해서

는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동시성(같은 시기에 조사가 이루어져야 함)이 보장될

필요가 있으며 대표성을 갖는 대규모 표본자료여야 한다. 동시에 패널조사 자료인 경우 패널분

석을 통해 미관측 가치에 대한 통제를 할 수 있다면 보다 엄밀한 결과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과 유사한 인구학적 특성을 갖는 비참여집단

간에 뚜렷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매칭분석 결과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대상 집단 중 학생보다 노인집단에서 문화예술교육 참여가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의 투자 확대를 위한 근거로 제시될 필요가

있지만 대체재적 측면에서 청소년에 대한 투자 위축으로 이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그 이유는

여기에서 추정하고 있는 가치 증진 가치는 단기간 일정 시점에서 이루어진 조사 결과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예술교육의 장기적인 영향을 추정했다면 학생들에게 미치는 사회적,

경제적 가치가 더 클 수 있다.

Page 15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25

이 연구의 결과는 엄밀한 의미에서 실험설계가 아니며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한 의사실험설계

라 하더라도 매우 강한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나 행복감과 같이 삶의 질

에 관련된 영역처럼 문화예술교육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기여

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3. 경제 지표 결과

3.1 WTP에 관한 결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참여한 학생들 896명(예술강사지원사업과 예술꽃 씨앗학교사업)을 대

상으로 한 설문에 의해 아래와 같은 경제적 가치 정도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설문 조

사 대상자는 14세 미만 초등학생 참여자가 273명(30.5%), 14세 이상의 중고등학생 응답자가

623명(69.5%)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기간은 1년 미만이라고 응답한 참여자가 536명(59.8%)로

서 상당수의 참여기간이 단기간임을 알 수 있다. 비록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한 기간은 길지

않지만 해당 교육에 참여한 이후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설문 조사 결과에 반영되

었음은 부인할 수 없다. 아래 표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 설문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표 IV-60>�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 정도(학교 대상)

(단위:� 횟수,�%)

  10만원미만10만원이상

~50만원미만

50만원이상~

100만원미만

100만원이상~

150만원미만

150만원이상 합계

세금부담의향

빈도 473 246 91 39 47 896

퍼센트 52.7 27.3 10.6 4.2 5.2 100.0

노인복지, 군장병, 소외청소년, 산업단지 등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참여자 795명을 대상으

로 한 설문도 시행되었다. 이들 중 유사집단(노인층)과의 비교를 위해 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

참가자(노인) 398명을 선택하여 이들의 WTP를 살펴본 결과 <표 IV-61>과 같다. 학교 설문과

유사하게 참여 기간이 1년 미만의 단기인 경우가 248명으로 전체의 62.4%에 달하고 있으므로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부여받고 참여한 이후의 인식 변화를 추정하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

로 사료된다. 여기서 문화예술교육을 받지 않은 유사집단(노인층)과 비교를 위해 398명의 복지

시설 문화예술교육 참가자들의 WTP를 살펴보면 <표 IV-62>과 같다.

Page 15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2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사례 수10만원

미만

10~50

만원 미만

50~100

만원 미만

100~150

만원 미만

150

만원 이상계

■�전 체 ■ 1150 78 15.8 4.1 2 0.1 100

남 자 394 73.4 16.8 6.1 3.6 0.3 100

여 자 756 80.4 15.3 3 1.2 0 100

▣연령별 Ⅰ▣

학생층 800 69.9 21.4 5.8 2.9 0.1 100

노년층 350 96.6 3.1 0.3 0 0 100

▣연령별 Ⅱ▣

초등학생 77 72.7 20.8 5.2 1.3 0 100

중학생 359 74.7 15.3 6.7 3.3 0 100

고등학생 364 64.6 27.5 4.9 2.7 0.3 100

만65∼69세 142 95.1 4.9 0 0 0 100

만70세 이상 208 97.6 1.9 0.5 0 0 100

▣�지역별 ▣

수도권 590 78 16.1 4.1 1.7 0.2 100

경상권 139 72.7 20.9 5 1.4 0 100

충청권 122 84.4 8.2 3.3 4.1 0 100

전라권 280 78.6 15.4 4.3 1.8 0 100

강원(영남/영서) 19 68.4 26.3 0 5.3 0 100

<표 IV-61>�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 정도 (사회 대상)

(단위:� 횟수,�%)

  10만원미만10만원이상

~50만원미만

50만원이상~

100만원미만

100만원이상~

150만원미만

150만원이상 합계

세금부담의향

빈도 230 98 39 14 17 398

퍼센트 57.9 24.6 9.7 3.5 4.3 100.0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미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

보자. 전체 1150명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유사집단(비수혜자, 미수요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표 IV-62>�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 설문 결과(유사집단(비수혜자,� 미수요자))

(단위:� 계 %)

Page 15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27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지불의사 금액(willingness to pay; WTP)의 편차를 보기 위해

학교 설문조사 결과와 유사집단(비수혜자, 미수요자) 설문조사 중 학생층의 설문조사 결과를 비

교하고자 한다. 세금부담 의향 설문 결과를 요약하면 <표 IV-63> 및 <그림 IV-3>과 같다.

<표 IV-63>�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세금부담의향 설문 결과

(단위:%)

10만원

미만

10-50만원

미만

50-100만원

미만

100-150만원

미만

150만원

이상

참여 학생 52.7�% 27.3�% 10.6�% 4.2� % 5.1�%

유사집단(비수혜자,�

미수요자)� 학생층69.9�% 21.4�% 5.8�% 2.9� % 0.1�%

<그림 IV-3>�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세금부담의향 설문 결과

� (단위:�%)

0

10

20

30

40

50

60

70

80

10만원미만 10-50 50-100 100-150 150만원이상

참여 학생 미수요자 학생층

표와 그림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듯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의 지불의사 금액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의 참여로 인해 해당 교육에 대한 가치 혹은 지불의사 금액이

상향되었음을 시사한다.

사회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분석하기 위해 유사한 방법으로 참여자와 유사집단(비수혜자, 미

수요자)의 설문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아래 <표 IV-64>과 <그림 IV-4>는 이러한 비교 결과

를 요약하고 있다.

Page 15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2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0만원

미만

10-50만원

미만

50-100만원

미만

100-150만원

미만

150만원

이상

참여 학생 57.9� � 47.6�% 9.7� % 3.5�% 4.3�%

유사집단(비수혜자,�

미수요자)� 학생층78.0�% 15.8�% 4.1� % 2.0�% 0.1�%

<표 IV-64>�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 설문 결과

(단위:%)

<그림 IV-4>�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 설문 결과

(단위:�%)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만원미만 10-50 50-100 100-150 150만원이상

참여자 미수요자

설문조사 결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추정할 수 있다. 설문 답변에서 경제적 가치의 정확한

수준이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각 구간의 중간 값을 대표 값으로 설정하여 산정하고자 한다. 10

만원 미만의 경우에는 5만원을 대표 값으로 설정하고 10만원 이상 50만원 미만의 경우에는 중

간 값인 30만원을 대표 값으로 설정한다. 150만원 이상의 경우에는 상한이 없음을 감안하고 다

른 설문 구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200만원을 대표 값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학교 문화예술교

육 참여자의 경우 1인당 34,225원 정도의 지불의사 금액이 도출되었다. 유사집단(비수혜자, 미

수요자) 중 학생의 경우에는 해당 금액이 약 18만원으로 산정되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요컨대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추진으로 인한 경제적 가치는 1인당 34만 원 정도

로 추정된다.

Page 15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Ⅳ.� 연구결과 |129

사회 문화예술교육 참여자(노인)와 유사집단(비수혜자, 미수요자)의 경우에도 지불의사 금액을

산정할 수 있다. 사회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의 경우 1인당 30만원 정도의 지불의사 금액이 도출

되었으며 유사집단(비수혜자, 미수요자)의 경우에는 14만원으로 추정되었다. 전반적으로 사회 문

화예술교육의 지불의사 금액은 참여자, 유사집단(비수혜자, 미수요자) 공히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지불의사 금액보다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설문조사에 기초한 지불의사 금액만을 감안

한다면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강화가 좀 더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방향 설정에는 이러한 경제적 가치 이외에 고려할 사회적 가치 등이 감안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2013년 기준 총 69,722,296,080원의 사업비가 소요되어 2,227,890

명의 학생이 수혜의 대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수혜자 1인당 약

31,300원의 비용이 소요되었음을 의미한다. 설문조사에서 추정된 바와 같이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추진으로 인한 지불의사비용 혹은 경제적 가치는 1인당 34만원 정도이다. 따라서 사업

비 대비 지불의사비용의 비율은 10.93 정도이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예

술강사 지원사업과 예술꽃 씨앗학교사업)의 수혜자는 비용의 11배에 달하는 정도를 지불할 의

사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WTP외에 수혜자가 받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시장가격과 의식주 대

비 대체재가치를 질문하였다. 학생집단의 경우 평균이 시장가치 28만원, 의식주 대체재 30만원

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집단의 경우 시장가치 42만원, 의식주 대체재가치 49만원으로 드러났다.

학생집단의 문화예술교육 시장가치와 대체재가치는 WTP보다 다소 낮게 형성되었으며, 노인집

단의 경우 WTP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노인층의 경우 본인이 지불하려는 가치보다 문화예술교육의 시장에서의 가치 및 대체재로써 문

화예술교육을 다소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는 WTP, 시장가

치, 의식주 대체제 중 어떤 측정치로 측정했느냐와 상관없이 학생집단 28만~30만원대, 노인집단

30만~50 만원대로 범위가 산정되어, 문화예술교육위 전반적인 경제적 가치는 28만 ~50만원대

정도, 이를 중앙값으로 나타내면 39만원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의 인력시장에서의 경제적 가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13년 현재 전

국 시군구의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8,884명의 예술강사를 지원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총

8,884명의 예술강사가 전국 시군구 학교에 1,323,506 시간을 교육하여 약 697억원의 지원액이

소요되었다. 만일 예술강사 지원사업이 없었다면 이러한 예술강사의 활동은 일어나지 않았을 가

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약 697억원의 신규 인력시장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Page 16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3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하지만 이러한 규모의 추정은 다소 무리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예술강사의 경우 학교 예술

강사 지원사업을 통해 전문성과 경험을 축적하여 새로운 예술 교육에의 진입이 가능하기 때문이

다. 반면 이미 예술강사로써 활동하고 있는 인력의 경우에는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기존 예술 교

육을 대체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최근 전국 예술강사의 월평균 급여는 174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국회 교육문화첵육관

광위원회 유은혜 의원 국정감사 자료(2013), 한국일보 2013. 10. 15. "초중고 예술강사 22%, 월

수입 100만원 미만" 기사에서 재인용) 이를 기준으로 할 때, 8,884명의 예술강사가 양성된 것으

로 간주할 경우 (174.6만원 x 8884=155억 1146만원) 신규 인력시장의 규모는 155억 1146만원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규모 697억원을 감안할 때, 이러한 추

정 규모(155억 1146만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진은 가용한 자료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문화예술교육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는 큰 한계가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먼저 설문조사 방법의

한계를 들 수 있다.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설문조사의 답변에 기초하여 계량화를 시도하

였으나 설문의 결과는 설문조사의 설계, 설문자 및 답변자의 태도, 설문 진행 방식 등에 민감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는 설문조사의 한계가

크게 작용한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교육의 수혜자인 개인의 지불의사 금액을

구체화하여 이를 개인의 경제적 편익으로 상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사회적 편익의 관

점에서 추정되어야할 경제적 가치와 다소 차이를 보일 수 있다. 특히 교육의 수혜자뿐만 아니라

비수혜자들도 문화예술교육으로 인한 간접적 가치 혹은 경제적 가치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경제적 가치 추정방식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확대 혹은 방향 설정에 있어 경제적 가치의 추정이 여러 단초를 제시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의 경제적 가치 추정 방법이 여러 한계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경제적 성과 추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안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문화예술교육의 진행 및 종료 시 교육대상자들에 대한 설문을 의무화하여 경제적 분석

의 기초자료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일부 문화예술교육을 유료화하여 지

원사업으로 시행되는 교육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다양한 시사점을 살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문

화예술교육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예산의 확대 등을 감안할 때 이러한 경제적 분석 자료 확보

및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Page 16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Ⅴ.결론

1. 연구 결과 및 논의

2. 미래 정책을 위한 제언

Page 16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Page 16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Ⅴ.� 결론 |133

Ⅴ. 결론

1. 연구 결과 및 논의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정책이 시작된 지 10여년이 지난 지금, 문화예술교육정책에 관한 사회적

갑론을박이 분분하다. 정책에 대한 지지, 혹은 정책에 대한 비판으로 의견이 다양하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여러 지원사업이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걸쳐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창출했다고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핵심 부분인 정책 노출집단 설문

과 비노출집단 설문의 비교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을 수혜 받은 학생 및 노년층 등은 비(非) 수

혜 유사집단에 비해 더 높은 삶의 가치(행복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들은

문화예술과 관련된 문화자본과 사회와의 관계를 형성해나가는 사회자본도 훨씬 높은 수준을 보

여주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응답자 전수조사 결과에서 드러났듯이 대부분의 문화예술교육과 관

련된 지표들에 대해 중앙값(3)보다 높은 평균치를 보였으며 (학생의 경우 12개 주요지표 중 8

개 지표, 노인의 경우 12개 주요지표 중 9개, 특히 노년층의 경우 전반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매우 높은 평가와 관심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2491/5). 구체적으로 청소년층

및 노년층모두 유사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반응을 보였다(IV 연구결과 참조). 특

히 노년층의 경우 본 연구가 제시하는 개인적 삶의 질에 대한 평가(행복감 3.7328 vs. 3.001)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만족도 관점에서 매우 높은 수준의 반응을 보였다.

문화적 형평성과 관련해 본 연구가 시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정책에 노출된 집단이 노출되지

않은 집단에 비해 높은 반응을 보였지만(학생 3.1334(노출) vs. 3.0037(비노출), 노인 3.7828(노

출) vs. 2.9133(비노출)) 이들을 더 확고하게 뒷받침하기 위해 본연구가 시행한 각종 이차자료

분석 결과는 데이터의 미비 및 이차자료 분석환경의 미비로 인해 본 연구에서 결과물로 제시하

지 못했다.

또한 과거 문화예술교육정책이 사회복지에 기여하였는가를 검증한 이차자료 분석을 보았을 때,

지역별 교육수준 지표가 지역별 문화예술교육비용과 긴밀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상관관

계 계수가 .4768로 나타났음). 이는 과거 문화예술교육이 지역별 복지수준을 높이는데도 기여했

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나타내며, 이는 문화예술교육이 사회의 형평성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

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Page 16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3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전체적으로 볼 때 본 연구결과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교육 참가자에게 문화예술교육 경험을

통해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되돌아보고 이들이 보다 문화적이고 사회적인 존재로 부상하는데

크게 도움을 준 것이 사실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로서 삶의 질, 문화자본, 사회자본, 사회적 형평성

제고를 제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회학적 매칭기법을 사용하여 정책에 노출된 정책수혜

자 집단과 유사한 일반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문화예술교육 참여는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가치 증진에 있어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추정된다는 점이다. 본 조사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문화예술교육 노출집단과 유사한 인구학

적 특성을 갖는 비노출집단 간에 문화예술교육정책과 뚜렷한 인관관계를 추정하기 힘든 지표들

에 대해 뚜렷한 차이(개인적 행복감, 사회적 관계 및 문화자본)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매칭분석

결과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정책에 노출된 참여집단의 경우 비노출집단의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개인

- 개인 삶의 평가지표 중 행복감의 경우 매칭전이나 매칭 후와 관계없이 정책노출집단과 비노

출집단 간에 통계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학생 3.1245 > 2.8682, 노인 3.7362 >

2.9994, p<.001). 자아 존중감의 경우 노인 노출집단의 경우 비노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수치가 높으나(학생 3.4971 > 3.3763, 노인 3.7973 > 3.1738, p<.001), 매칭 후 학생층

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8, 9>참조.

- 이는 청소년층, 노년층과 구분 없이 문화예술교육이 삶의 질의 주요지표인 ‘행복감’을 가져다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 사회

- 사람에 대한 신뢰의 경우 노출집단이 비노출집단에 비해 수치가 높으나 (학생 3.0553

>3.0293, 노인 3.4407 > 3.4137)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지 않으며, 사회적 관계의 경

우 학생, 노인 집단 모두 매칭전후와 관계없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남(학생 3.6740 >

3.2398, 노인 3.2864 > 2.7806). <표 10, 11> 참조.

- 이는 문화예술교육이 같은 수강생들과의 연대감을 높이며, 각 개인이 어려운 상황에 빠졌을

경우도 이를 극복할 수 있다는 공동체 의식을 고양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6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Ⅴ.� 결론 |135

▪ 문화

- 지난 1년간 음악회 및 연주회 관람 여부에 대해서 학생 문화예술교육 노출집단은 63.0%가

참여한데 비해서 비노출집단은 26.8%만이 참여해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문

화예술교육을 받은 집단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활동 장르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IV장 연구결과 참조).

- 노인의 경우 학생보다 노출집단과 비노출집단 간에 더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음악

회 및 연주회 관람 경험에 있어서 노출집단은 지난 1년간 59.3%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

으나 비노출집단은 7.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자세한 내용은 IV장 연구결과 참조).

-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문해력(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식수준) 관점에서 보면 노출집단이 비노

출집단에 비해 학생층과 노인층 모두(학생 3.1245 > 2.4825, 노인 2.6432 > 2.0712, p<.001)에

게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2. 13> 참조.

- 반면 문화예술의 가치에 대한 평가부분은 학생집단은 단순히 노출집단이 수치만 비노출집단

에 비해 크지만(3.5356 > 3.4879), 노인층의 경우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났다

(4.3618 > 3.3187).

- 노인층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에 대해 매우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있음(노출, 비노출 집

단 4.3618 vs. 3.3187, p<.001)을 알 수 있다.

- 따라서 매칭분석을 통해 설문조사한 모든 문항에 대해 CEM(Coarsensed Exact Matching)

매칭분석을 시행한 결과 문화예술교육에 접한 응답자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문해력이 비

노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적으로 높고(p<.001) 대해 느끼는 행복감도 통계적으로 유의

적으로 높다(p<.001). 그러나 사회적 관계(공동체 의식)관점에서는 학생집단의 경우 매칭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으로 정책노출집단이 수치가 높으나(p<.001), 노인집단의 경우 사전에 유의적

으로 정책노출집단이 높았던 수치(p<.05)가 매칭 후 차이가 없어졌다.

- 매칭분석 결과 첫 번째로, 문화예술교육이 개인의 삶과 관련해 행복감을 가져다주며, 개인이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를 접하게 함으로서 한 개인의 문화자본 수준을 높여줌을 보여준

다. 그리고 사회자본의 경우에도 학생층은 평소 학업과 관련된 경쟁 스트레스에 시달리기 때문

에 문화예술교육이 사회성 증진에 크게 영향을 주지만, 노년층 등 특수한 층의 경우 사회성을

넓히는데 제약(사회적 관계가 정리되어 있을 가능서이 크므로)이 따르므로 본 연구결과가 제시

하는 사회자본(공동체 의식)도 문화예술교육의 중요한 산출물이라 할 수 있다.

Page 16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3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 둘째, 대상 집단 중 학생보다 노인집단에서 문화예술교육 참여가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의 투자 확대를 위한 근거로 제시될 필요가 있

지만 대체재적 측면에서 청소년에 대한 투자 위축으로 이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그 이유는 여

기에서 추정하고 있는 증진 가치는 단기간 일정 시점에서 이루어진 조사 결과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예술교육의 장기적인 영향을 추정했다면 학생들에게 미치는 사회적, 경제적

가치가 더 클 수 있다.

- 셋째, 본 연구의 정책참여 전수조사를 분석했을 때, 대부분 응답이 중앙값8)(3)이상의 평균값

을 나타내었다(부록 참조). 학생 집단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식수준 관점에서 75.8%가

보통이상의 문화예술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답했으며, 정책 참여 학생들의 문화예술활동 단체관

람여부를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정도로 있다고 (45.92%) 응답하였다. 신뢰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 가족(4.421/5), 친구(3.8221/5), 동네이웃(2.698/5) 등 사람을 가장 신뢰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신뢰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가족, 친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자신의 삶의 질에 대한 평가에서 대부분 항목에서 3이상의 높은 평균 수치를 보였으며, 특히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 관점에서 높은 수치(3.529/5)를 보였다. 즉,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중요하고, 가치 있으며, 유익하고, 매력적이고, 관심이 많

고, 자신들한테 꼭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모든 평균값이 3.4이상). 특이한 점

은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학생들 간에 공동체 의식을 느끼는 부분에 대해 질문한 결과 평균이 3

을 넘어 약간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3.1826/5). 이는 다른 척도 평균에 비해 다소 떨어지

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청소년들의 경우 게임 등의 소모적 활동을 함으로 인해 사회

적 공동체 의식이 약해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 넷째, 학생층에 비해 노년층은 학생층에 비해 약간 더 높은 77.6%가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보통이상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성향의 경우 노년층이 다소 높아

50.57%가 문화예술관련 단체에 참여한 적이 있으며, 그 외에 사회, 기관에 신뢰순과 관련해 기

관에 대한 신뢰수준은 다소 낮게 평가되어(2.976/5), 국회 같은 기관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강하게 나타났다. 가족에 대한 신뢰(4.366/5)가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친구도 높은 수준

(3.970/5)의 신뢰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시민교육프로그램 참여자가 느끼는 삶의 질

에 대해 항목별로 질문한 결과 모두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이들 중 가장 높은 수치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만족감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4.214/5) 이는 청소년층의 같은 질문에 대한

응답 평균 3,529 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뒤이어 문화예술로 인해 생활능력

(자존감이나 우울증 등이 사라짐) 측면에서도 높은 수준(3.992/5)을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반적으로 학생층에 비해 삶의 질 평균값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만족도에 관한 사항도 문화예술 교과과정에 대해 매우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4.225/5).

8) 5점 척도의 중앙값은 3이므로 3보다 평균값이 크면 큰값 작으면 작은값으로 일반적으로 분류함

Page 16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Ⅴ.� 결론 |137

- 다섯째, 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의 경우 1인당 34.225만 원 정도의 지불의사 금액이 도출

되었다. 유사집단(비수혜자, 미수요자) 중 학생의 경우에는 해당 금액이 18.09만원으로 산정되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요컨대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추진으로 인한 경제적

가치는 1인당 34.225만 원 정도로 추정된다. 사회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의 경우 1인당 30,525만

원 정도의 지불의사 금액이 도출되었으며 유사집단(비수혜자, 미수요자)의 경우에는 14.415만원

으로 추정되었다. 전반적으로 사회 문화예술교육의 지불의사 금액은 참여자, 비참여자 모두 학

교 문화예술교육의 지불의사 금액보다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관련정책에 투여된 바용과 비교해보면 국악을 포함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2013년 기준

총 69,722,296,080원의 사업비가 소요되어 2,227,890명의 학생이 수혜의 대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수혜자 1인당 약 31,300원의 비용이 소요되었음을 의미한다. 설문조사에서

추정된 바와 같이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추진으로 인한 지불의사비용 혹은 경제적 가치는 1인당 약

34만원 정도이다. 따라서 사업비 대비 지불의사비용의 비율은 10.93 정도이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예

술강사 지원사업의 수혜자는 비용의 11배에 달하는 정도를 지불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

다. 시장가격과 의식주 대체재의 가치금액(부록참조)도 WTP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경제적 가치가 현재 투여되고 있는 금액에 비해 월등히 높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전체적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진이 생각하는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란 문

화예술교육이 인간의 삶의 질을 제고시키며 개인이 살아가는 사회에서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을 향상시

킨다는 점이다. 본 연구결과는 문화예술교육이 이와 같은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는데 매칭

분석 결과에서 드러났듯이 문화예술교육에 접했던 응답자 집단이 전혀 문화예술교육을 접하지 못한 응

답자 집단에 비해 삶의 행복감과 문화예술에 대한 전반적 지식이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아울러 사회적

공동체 의식을 대변하는 사회자본도 훨씬 높게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경제적 가치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는데 문화예술교육정책에 접했던 응답자들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에 접

하지 못했던 응답자들에 비해 두 배에 가까운 세금을 낼 의사를 표명하였으며 이것은 그동안 학교문화

예술교육정책을 펼치는데 소요된 1인단 비용의 10배에 가까운 금액이라는 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얼마

나 효율적으로 시행되어 왔는가를 보여준다.

지난 10여 년간 문화예술교육정책이 낳은 이와 같은 가치는 실로 놀랍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본 연구가 제시한 삶의 질, 사회, 문화자본이 직접적으로 문화예술교육정책과 연결되지 않는 점 때문이

다. 실제 연관성이 별로 눈에 띄지 않는데도 이와 같이 강한 매칭분석의 결과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문

화예술교육정책과 관련해 다음의 제언부분에서 언급 하는 것과 같이 보다 적극적인 투자가 요구되는 것

이다.

본 연구결과에서 미비한 점은 2차자료 분석이라 할 수 있다, 본연구진은 이차자료 분석을 위

해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적극적으로 찾았으나 기존 관련연구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못한 상

황과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신뢰성문제로 인해 본 연구에서 시행한 내용을 제시하지 못했다.

Page 16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3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채택, 사용하지 않았던 2차자료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추

정하려 다양한 2차 자료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였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기존 데이터베이스 중

단순히 ‘문화예술’이 아닌 ‘문화예술교육’을 변수로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없었다. 따라

서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중 문화예술교육관련 데이터 (예를 들면 시, 군별 지표)를 포함하고 있

는 데이터를 탐색하여 문화예술교육지표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연구초기에는 지역

별 범죄율 데이터를 문화예술교육투자와 관련시키려 했으나 범죄율데이터가 취득가능하지 못해

불가능하였다. 학교의 문제아 데이터베이스는 취득가능 하였으나 데이터를 면밀히 검토해본 결

과 대부분 학교들이 문제아 학생이 발생할 경우, 해당 학생을 학교 자체에서 처분하는 상황이

빈번해 해당 자료가 의미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진이 접한 데이터베이스는 시, 군별 교

육수준 데이터베이스였다. 향후 보다 많은 2차 자료 분석연구가 나와서 이 분야의 연구의 질이

높아지기를 바란다.

본 연구에서 시행되었지만 연구내용에서 제시되지 못한 사회적 형평성 이차자료 분석과 관련

해 간단히 언급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문화예술 경험은 인간의 정서순화를 통한 인성교육, 사회성 및 공동체 의식

형성, 진로적성 계발과 창의성 발달 등의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앞에서 언급하였

다시피 문화예술교육 경험은 우선 학교교육의 성적 위주, 입시 중심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데

기여함으로써 긍정적 정서 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 경험은 다른 사람과 더불어 소통하고 공감하는 사회성 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건전한 시민의식을 향상시킨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교육 경험은 진로적성계발과 창의성 발달이라는 교육적 가치를 실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2011 예술꽃씨앗학교 지원사업 학교 평가연구, 2012 학교폭력 예방 문화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가치분석 연구, 2012 문화예술교육 가치분석 연구 - 토요문화학교

운영사업, 2011 문화예술교육 가치성 연구-교정시설, 소년원 학교).

따라서 교육의 질이 단순히 입시성적 위주로 정의되지 않고 교육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한다면

문화예술교육사업과 관련을 가질 수밖에 없다. 문제는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계량화하여 제시

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교육의 가치는 일정의 잠재기간을 거친 후 장기

간에 걸쳐 실현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예술교육의 경우에도 그 가치는 시차를 두고 대상자들의 장래에 발생할 것이며 이는 경제

적 가치의 측정에 큰 장애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학업기간 중 학생들의 변화는 교육뿐만 아니

라 다양한 사회적, 개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Page 16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Ⅴ.� 결론 |139

이에 교육의 가치를 특정하여 제시하는 것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근본적으로 교육의

가치를 계량화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도 있다. 특히 문화예술교육의 경우 학교 및 예술강사

지원사업, 지역특성화, 국악 예술강사, 토요문화학교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업의 추진

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일정 수준의 문화예

술교육 기회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수혜자에게 제공하는 일종의 지원사업으로 볼 수 있다. 지원사업

의 경우에는 사회적 편익 혹은 경제적 가치를 계량화하여 제시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문화예

술교육을 포괄하는 교육은 국민후생을 증진시키기 위한 복지정책9)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복지정책 혹은 복지사업의 가치 혹은 성과를 계량화하기 어려운 점은 널리 알려져 있다.10) 따

라서 문화예술교육 혹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가치를 분석하는 것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가치를 살펴볼 수 있는

방법을 시도하였었다. 분석을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시행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을 선택하였다. 2013년 현재 전국 시군구 단위에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자료를 활용하고

자 한다.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경우 전국 시군구별로 예술강사의 수, 예술강사 교육 시수,

지원액, 및 수혜자수를 산정할 수 있었다.

본 2차 자료 분석결과를 본 연구에서 제시하지는 않겠으나 예술강사와 관련된 지표들과 교육

의 질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찾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상관관계의 분석 결과가 반드시 인과관계를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로 본 자료 중 주요 변수를 고려한 엄밀한 실증 분석이 요구된다 하겠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꼭 이야기할 필요가 있는 부분은 인프라 부분이다. 앞에서 이야기 하였다

시피 현재 문화예술교육에 투자하고 있는 정부의 돈은 투자금액 대비 열배의 가치를 거두고 있

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문화예술교육 시장은 막 시작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문화예술교육을

장기적으로 성장시키고자 한다면 문화예술교육 인프라에 지속적인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시장은 과거에 비해 사교육 시장도 규모가 확장된 편이지만, 이는 정확한

데이터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쉽다. 현재로썬 문화예술교육의 공공시장 관련 데

이터만 확인할 수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시행하는 정부의 지원규모가 현재 공공시

장의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이들 시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9) 복지정책은 ‘국민후생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이며, 좁은 의미의 재분배정책뿐 아니라 거시경제, 산업 및 기업, 노동시장, 교육, 환경보호, 치안 및 사법, 국방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을 포괄하게 된다.

10) 예컨대 기타 재정사업 예타지침 연구(KDI, 2013)을 참조

Page 17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4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2012년 데이터를 분석해 보았을 때 문화예술시장의 규모가 약 80억 정도로 문화예술시장이나

다른 시장의 규모에 비해 아직 열악하지만, 문화예술교육 시장은 매년 성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향후 10년 안에 큰 시장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내부 자료를 분석해보았을 때 최근 학교문화예술교육·사회문화예술

교육 지원액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그 중 사회문화예술교육 예산이 2012년에 급증하

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문화예술교육시장의 확대를 꾀함과 동시에

범국민적 복지사업 또한 성공적으로 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군에 투자

금액/투자 예술강사 수가 높아진 점은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사회 문화예술교육 정책수혜

자들의 높은 긍정적 반응과도 일치한다.

2. 미래 정책을 위한 제언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난 10여 년 간 문화예술교육의 성과가 우선 개인적으로 긍정적 삶의

지표인 행복감 향상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아울러 사회자본(공동체 의식)의 경우 각 개인은

문화예술교육의 결과로 훨씬 더 사회활동의 폭이 넓어졌으며 문화자본의 경우도 더욱더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교육을 더 자주 접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정책에 참여했던 응답자들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으며, 계속 참여하고

싶다는 평가가 높게 나온다는 점에서 문화예술교육정책위 사회적,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현재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몇 가지 측면에서 비판도 있다.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영역은 어느 분

야보다도 능동적이고 창의적이어야 하는데,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은 오히려 창의적이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진행됐다는 시선도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대

해 예술강사를 지원하는 관료적, 나열적 사업구조를 가진 조직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바는 10여 년 동안의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결과로 다수의 “정책 수혜자들”

에게 매우 “긍정적이고 다양한 반응과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창출했다는 점이다. 문화예술교

육이 한국에서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사회적, 경제적 성과와

가치는 놀랄만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가치를 넘어 정책의 일관성이라는 관점에서도 높이 평가할 만한 것이다. 다만 앞으로 보

다 다양한 사업들을 보다 유연한 조직구조로 접근하는 방법을 고민해야하고, 문화예술교육을 유

연한 틀에 맞게 새로운 방법 및 사업구조로 신중하게 접근할 방법 또한 고민해야 할 것이다. 특

히 정책 관점에서 다음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ge 17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Ⅴ.� 결론 |141

- 첫째, 지난 10년간 짧은 시간이지만 문화예술교육정책이 정책의 주 수혜자인 학생, 노인계층

에게 언뜻 정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삶의 질(행복감), 사회자본, 문화자

본을 크게 증진시켰다, 따라서 정부는 문화예술교육의 확대를 통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개인

삶의 행복 및 사회문화자본 확충을 지속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더 많은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어느 정도 지원을 더 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는 본 연구의 연구대상이 아니므로 구체적으로 이

야기 할 수 없지만 현재 지원이 줄어든 인프라 지원사업과 반응이 매우 좋게 나타난 사회문화

예술교육 사업에 대해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 둘째,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바는 현재 정부가 내세우고 있는 국정지표인 “문화를 통한 국

민행복”과도 정확하게 일치한다. 개인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이 국민의 행복감을 가져다주며, 문

화 활동의 범위를 넓히게 할 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도 향상시킨다. 따라서 국정지표를 보다 효

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라도 문화예술교육사업에 보다 많은 투자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 셋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원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추진 중인 학교, 사회문화예술

교육 사업에 대해 이루어져야겠지만 특히 인프라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성장을 이끌 수 있는 기

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모든 정책분야가 대상 사업 분야가 제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의 구축이 지속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따라서 정부는 이 분야의 지원을 통해 장기적으로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시장이 원만하게 성장하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도 기금까지의 성과와는 별개로 정책 사업을 수행해온지 10년이

지난 지금 시점에서 사업의 방향과 목표 및 사업프로그램의 정비를 통해 더 나은 조직으로 변

모해야 할 것이다. 이 분야 역시 본연구의 주연구대상이 아니므로 구체적으로 어떻게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없는 측면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 결과가 암시하는 바는 시민사회문화예술 교

육에 대해 지금보다 더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앞에서 언급한 인프라 부분도 새로 기획해야 할

것이다.

향후연구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행해질 필요가 있다.

- 첫째, 본 연구는 가치를 정의하기 위해 기존연구를 적극적으로 탐색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가치와 효과에 대해 여전히 분명한 경계선이 존재하지 않는 점이 있다. 향후 연구는 가치와

효과연구가 어떻게 다른지를 철학적, 사회적 관점에서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둘째,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매칭방법을 동원하여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우수성을 입

증하였다. 문제는 본 연구에서 시행한 정책 노출집단과 비노출집단의 조사가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향후 연구는 양 집단에 대한 조사를 본 연구가 제시한 지표들 관점에서 동시

에 진행해 정책의 우수성을 보다 명쾌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Page 17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4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 셋째, 본 연구가 제시하듯이 문화예술교육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는 여러 가지 제한이 따른다,

특히 연속적인 경제관련 지표들의 데이터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경

제적 가치를 산정하기 위해 경제관련 데이터를 정리, 지속적으로 수집할 필요가 있다.

- 넷째, 본 연구에서 실제 시행하였지만 제시하지 못했던 분석이 2차자료 분석이다. 문화예술교

육이 여러 가지 제한으로 인해 2차자료 분석을 행해오지 않은 것은 특성을 감안할 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문제는 지금부터라도 2차자료 분석을 통해 관련 연구 환경을 조성해나가야

한다는 점이다.

- 다섯째, 문화예술교육 시장의 특성과 관련해서 민간에서 행해질 수 있는 민간시장의 특성과

규모를 추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시장을 보다 체계화시킬 수 있으며

확대시킬 수 있다.

Page 17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참고 문헌

Page 17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Page 17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참고문헌 |145

참고 문헌

교육과학기술부(2010),「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문화관광부․교육인적자원부(2004.11),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문화관광부(2007.6),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중장기 전략」문화체육관광부․교육과학기술부(2010.7), 「창의성과 인성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 활성화 기본방향」문화체육관광부(2012),「2011 문화예술정책백서」

삼성경제연구소(2013.1), 2013년 국내 10대 트렌드, 「CEO Information」 제880호

정진태(2012),「예술중점학교 활성화 방안 연구: 대구 경북지역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논문

정창권(2012), 위험 사회론과 사회적 위험의 역동성,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3권 2호

정현우(2012),「예술중점학교의 운영실태 및 효율적인 운영방안: 경기지역 음악중점학교를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석사논문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4),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4),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조성방안 연구」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0),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시민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1), 「문화예술교육정책 전달체계 분석」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2), 「2013 문화예술트렌드 분석 및 전망」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2),「여가문화 활성화를 위한 여가기본법 제정안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04),「강사풀제 평가사업 보고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09), 「문화예술교육 장기성과평가모형 구축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0), 「2010 사회 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0),「2010 학교 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0), 「문화예술교육 개념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0),「문화예술교육 핵심용어 정립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0), 「사회 문화예술교육 정책분석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 「2011 문화예술교육 사업 성과평가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2011 문화예술교육가치성연구-예술꽃씨앗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 「문화역량 개발지수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 「문화예술분야 창의성지수 개발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분석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08, 2009, 2010, 2011),「2007, 2008, 2009, 2010, 2011 연차 보고서」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2),「유네스코 국제협력전략 수립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3),「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Page 17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4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권오상(2011),「예비타당성조사를 위한 CVM 분석지침 개선연구(KDI 중간보고): WTP 편익의 추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2),「토요문화학교 가치분석 연구」

김기헌·신인철(2012),「유아교육 및 보육 경험의 장기가치: 또래․교사관계 및 학업성취도」, 한국사회학

박용치(2002),「가상 상황 가치평가연구에서 출발점 편의의 검토」, 조사연구 제3권 제2호, 한국조사연구학회

성은모(2012),「청소년체험활동의 발달적 가치 및 사회경제적 가치 연구」, 청소년정책연구원

신영철(2011),「예비타당성조사를 위한 CVM 분석지침 개선연구(KDI 중간보고): WTP 함수추정에서의

타당성 검토와 비모수적 추정」

양혜원(2012),「문화복지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추정과 정책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엄영숙·권오상·신영철(2011),「예비타당성조사 적용 CVM의 분석체게와 개선과제」, 자원 환경경제연구

엄영숙·홍종호(2009),「공공사업 타당성 분석을 위한 지불의사액 추정에 있어 지불거부 반응의 식별과 보정」,

재정학연구 제2권 제4호, pp.89-117

오성호(2011),「군/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오성호(2011),「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에 대한 평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영(2011),「설문기법을 이용한 공공재의 수요 추정 : 주요 쟁점과 환경위성 탑재사업 가치평가에의 응용에 대한 논평」,

한국경제의 분석 제17권 제1호

이석원(2001),「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가치성 평가: 실험적 평가방법의 유용성과 활용방안」, 한국행정학보,

35(1), 91-109

이정윤(2012),「학교폭력 예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평가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주석(2011),「예비타당성조사를 위한 CVM 분석지침 개선연구(KDI 중간보고): 시장영역설정과 조사 및 표본설계」

임영식(2012),「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가치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정문성(2012),「 문화예술교육 가치분석 연구-예술꽃씨앗학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홍종호·엄영숙(2011),「설문기법을 이용한 공공재의 수요 추정: 주요 쟁점과 환경위성 탑재사업 가치 평가에의 응용」,

한국경제의 분석 제17권 제1호

홍종호·오형나(2006),「다중이용시설 실내 공기질 개선의 경제적 가치 추정」, 한국경제연구 17호

한국개발연구원(2008),「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5판)

곽윤정(2010),「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아동복지시설 아동의 우울성향, 자아상,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7, 1-14

주동범(2010),「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탐색」, 상담평가연구, 3(1), 61-70.

정연희(2008),「문화예술교육학 정립의 필요성. 모드니 예술」, 1(1) 145-155.

백옥현(2012),「청소년의 소통을 위한 통합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연구」, 모드니 예술,

7, 77-94.

정문성·석문주·모경환·김해경·박새롬(2012),「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예술 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20(2), 267-284.

김창환(2013),「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연구(Ⅱ):학생역량지수 개발연구(비공개)」

이성대·염동문(2012),「저소득층 가구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빈곤탈출에 미치는 효과분석」

김미라(2008),「빈곤계층 청소년의 자립의지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 지원방향모색연구」,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논문

Page 17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참고문헌 |147

Angrist,J.D.&Krueger,A.B. (1999),「 Empirical strategies in labor economics. Handbook of labor economics」,

3, 1277-1366

Arnold, Matthew(1911),「Culture & anarchy: an essay in politic」

Austin, Peter C.(2010),「The Performance of Different Propensity-score Methods for Estimating Differences in Proportions

(Risk Differences or Absolute Risk Reductions) in Observational Studies.」, Statistics in

Medicine,29,2137-2148

Ban&Ellwood(1986),「Slipping into and out of Poverty.」, The Dynamics of Journal of Human Resources.21(1).1-23.

Bernett, W.(1995),「Long-term effects of early childhood programs on cognitive and school outcomes.」,

The Future of Children 5(3):25-50

Bernal, R., and M. P. Keane.(2006)「Child care choices and children’s cognitive achievement:

the case of single mothers.」 (Working paper 06-09). Evanston, IL: Institute for Policy

Research

Bakhshi, H., & McVittie, E.(2009)「Creative supply-chain linkages and innovation: Do the creative

industries stimulate business innovation in the wider economy?」,

Innovation: management, policy & practice, 11(2), 169-189

Bourdieu,P.(1986),「The forms of capital.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Bourdieu,P.(1984),「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Harvard University Press

Burt, R. S.(2001),「Structural holes versus network closure as social capital」, Social capital: Theory

and research, 31-56

Burt, R. S.(2002),「The social capital of structural holes」, The new economic sociology: Developments in

an emerging field, 148-190

Coleman, J.(1988),「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S95-S12

Dewey, John(1934), 「Art as Experience」

Dickens and Ellwood(2001),「Whiter Poverty in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The dimension and

changing Poverty」 John F. Kennedy School of Government Harvard University, Working

Paper Series

DiMaggio, P.(1982)「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impact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of US high school studen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89-201

DiMaggio, P&Mohr,J.(1985), 「Cultural capit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marital selec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231-1261

Greene,W. H. and D. A. Hensher(2010),「Modeling ordered choices, A prim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Greene,W. H and M. N. Harris, B. Hollingsworth and P. Maitra(2008), 「A bivariate latent class correlated

generalized ordered probit model with an application to modeling observed obesity levels」,

Working Paper, Nr. 08-18, New York University, Department of Economics, New York

Guetzkow, J(2002), 「How the arts impact communities」, Centre for Arts and Cultural Policy Studies

Heckman, J. J., Ichimura, H., & Todd, P. E. (1997). 「Matching as an econometric evaluation

Page 17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4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estimator: Evidence from evaluating a job training programme」, The review of

economic studies, 64(4), 605-654

Hewison, R.(2002),「Commentary 1: Looking in the wrong place」

Hicks, R., and D. Tingley(2011),「 “Causal mediation analysis.”」,Stata Journal 11(4): 609-615

Hooghe, M.&Stolle, D.(2003),「 Generating social capital」, Palgrave.

Holland, P.W.(1986),「 Statistics and causal inference.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1(396), 945-960.

Iacus,S.M.,G.King and G.Porro.(2008),「 Matching for causal inference without balance checking」,

http://gking.harvard.edu/files/cem.pdf.

Joas, H. (1996),「 The creativity of a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amont,M.&Lareau,A(1988),「 Cultural capital: Allusions, gaps and glissandos in recent theoretical

developments. Sociological theory」, 6(2), 153-168

McKema & Ratcliffe(2002),「 Events that Trigger Poverty Entries and Exits」, JCPR

Murray. C.(1986),「 Losing Ground: American social policy」, 1950-1980 New York Basic Books

Pearce, D.W.Pearce,C.&Palmer,C.(Eds.)(2002),「 Valuing the environment in developing countries: case studies (Vol. 1)」,

Edward Elgar Publishing.

Putnam, R. D.(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1), 65-78.

Putnam, R. D. Leonardi,R.&Nanetti, R. Y.(1994),「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Scott, C. A., & Soren, B. J.(2009),「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exploring the value of museums」,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24(3), 189-193.

Smith, M.(2010),「 Arts funding in a cooler climate: Subsidy」, commerce and the mixed economy of

culture in the UK.

Stolle, Dietlind(2003),「 The sources of social capital.」, Palgrave Macmillan

Woolcock,M., & Narayan, D(2000),「Social capital: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theory, research, and policy.」,

The world bank research observer, 15(2), 225-249

Joni Maya Cherbo and Margaret J. Wyszomirski(2000), 「The Public Life df the Arts in America」,

New Brunswick, N.J. : Rutgers University Press

United Nations(2012), 「World Happiness Report」

Page 17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Page 18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부 록

1.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수혜자) 대상 설문지

2.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수혜자) 조사결과

3. 유사집단 Gallup 설문지

4. 유사집단 Gallup 조사결과

5. 사전조사- FGI 결과

6. 매칭집단 평균 비교표

Page 18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Page 18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5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부록 목차

부록 1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수혜자) 대상 설문지 153

부록 2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수혜자) 조사결과 194

부록 3 유사집단 Gallup 설문지 208

부록 4 유사집단 Gallup 조사결과 217

부록 5 사전조사 – FGI 결과 295

부록 6 매칭집단 평균비교표 308

Page 18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53

부록 1.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수혜자) 대상설문지

Page 18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5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18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55

Page 18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5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18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57

Page 18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5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18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59

Page 19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6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19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61

Page 19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6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19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63

Page 19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6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19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65

Page 19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6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19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67

Page 19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6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19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69

Page 20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7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20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71

Page 20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7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20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73

Page 20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7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20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75

Page 20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7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20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77

Page 20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7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20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79

Page 21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8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21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81

Page 21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8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21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83

Page 21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8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21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85

Page 21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8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21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87

Page 21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8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21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89

Page 22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9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22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91

Page 22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9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Page 22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93

Page 22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9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부록 2. 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수혜자) 조사결과

1. 학교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 기초통계표

1) 인구 통계적 특성에 관한 사항

인구통계적 특성

빈도 퍼센트

성별남자 449 37.54

여자 747 62.46

합계 1,196 100

연령

14세 미만 114 9.53

15~17세미만 533 44.57

17세 이상 549 45.9

합계 1,196 100

프로그램

학교 797 66.64

꿈다락 300 25.08

예술꽃 99 8.28

합계 1,196 100

참여분야(중복선택)

빈도 퍼센트

공예 89 5.51

국악 274 16.98

디자인 102 6.32

만화/애니메이션 189 11.71

무용 190 11.77

사진 62 3.84

연극 126 7.81

영화 231 14.31

기타 351 21.75

합계 1,614 100

Page 22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95

참여기간

빈도 퍼센트

6개월 미만 452 37.79

6개월 이상~1년 미만 381 31.86

1년 이상~2년 미만 145 12.12

2년 이상~3년 미만 68 5.69

3년 이상~4년 미만 49 4.1

4년 이상~5년 미만 29 2.42

5년 이상~6년 미만 20 1.67

6년 이상 52 4.35

합계 1,196 100

2)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일반적 사항

참여여부

빈도 퍼센트

예 1,196 100

아니오 0 0

참여계기

빈도 퍼센트

개인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높아서 160 13.38

직장동료나 주위의 지인들의 권유로 132 11.04

인터넷, 신문, 방송 등의 매체 광고를 통하여 61 5.1

생활의 안정감을 위하여 22 1.84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620 51.84

기타 201 16.81

합계 1,196 100

Page 22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9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지식수준

빈도 퍼센트

많은지식과 이해를 갖고 있다 90 7.53

지식과 이해가 어느정도 있다 343 28.68

지식과 이해가 보통수준이다 474 39.63

지식과 이해가 부족한 편이다 203 16.97

지식과 이해가 거의 없다 86 7.19

합계 1,196 100

3) 문화적 성향에 관한 사항

여가시간

빈도 퍼센트

1시간 미만 15 1.25

1시간 이상~2시간 미만 125 10.45

2시간 이상~3시간 미만 267 22.32

3시간 이상~4시간 미만 275 22.99

4시간 이상~5시간 미만 189 15.8

5시간 이상 325 27.17

합계 1,196 100

여가활동(두 가지 선택)

빈도 퍼센트

인터넷 649 27.88

TV시청 671 28.82

운동 215 9.24

독서 173 7.43

여행 38 1.63

사회적 교제 82 3.52

예술관람 53 2.28

기타 294 12.63

별로 하는 일 없음 153 6.57

합계 2,328 100

Page 22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97

문화예술활동 관람 횟수

  없음 5회미만5회이상

~10회미만

10회이상~

15회미만

15회이상~

20회미만20회이상 합계

음악회 및

연주회

빈도 441 632 96 16 8 3 1,196

퍼센트 36.87 52.84 8.03 1.34 0.67 0.25 100

연 극빈도 603 523 47 13 3 7 1,196

퍼센트 50.42 43.73 3.93 1.09 0.25 0.59 100

무 용빈도 790 306 47 23 9 21 1,196

퍼센트 66.05 25.59 3.93 1.92 0.75 1.76 100

영 화빈도 117 409 331 138 63 138 1,196

퍼센트 9.78 34.2 27.68 11.54 5.27 11.54 100

박물관 및

미술관

빈도 422 581 135 27 13 18 1,196

퍼센트 35.28 48.58 11.29 2.26 1.09 1.51 100

기타빈도 1,075 98 10 6 3 4 1,196

퍼센트 89.88 8.19 0.84 0.5 0.25 0.33 100

문화예술활동 직접 참여 횟수

  없음 5회미만5회이상

~10회미만

10회이상~

15회미만

15회이상~

20회미만20회이상 합계

음악회 및

연주회

빈도 819 303 46 9 2 17 1,196

퍼센트 68.48 25.33 3.85 0.75 0.17 1.42 100

연 극빈도 967 179 21 5 6 18 1,196

퍼센트 80.85 14.97 1.76 0.42 0.5 1.51 100

무 용빈도 928 145 44 19 8 52 1,196

퍼센트 77.59 12.12 3.68 1.59 0.67 4.35 100

영 화빈도 977 131 40 22 9 17 1,196

퍼센트 81.69 10.95 3.34 1.84 0.75 1.42 100

박물관 및

미술관

빈도 943 208 26 9 1 9 1,196

퍼센트 78.85 17.39 2.17 0.75 0.08 0.75 100

기타빈도 1,100 69 5 10 4 8 1,196

퍼센트 91.97 5.77 0.42 0.84 0.33 0.67 100

Page 22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9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4) 사회적 성향에 관한 사항

문화예술 활동 단체 참여 여부

빈도 퍼센트

없다 643 54.08

있다 546 45.92

합계 1,189 100

사회적 신뢰성 평균 (전체)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기관제도신뢰평균 1,196 1 5 2.799 0.815

사람신뢰평균 1,196 1 5 3.335 0.604

사회신뢰평균 1,196 1 5 2.773 0.898

사회적 신뢰성 평균 (목록별)

신뢰정도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정부 1,196 1 5 2.598 1.022

국회 1,196 1 5 2.566 1.013

학교 1,196 1 5 3.084 0.967

기업 1,196 1 5 2.729 0.899

시민단체 1,196 1 5 3.017 0.937

가족 1,196 1 5 4.421 0.793

친구 1,196 1 5 3.821 0.844

이웃 1,196 1 5 2.698 0.920

직장 1,196 1 5 2.717 1.020

낯선사람 1,196 1 5 1.639 0.883

우리사회 1,196 1 5 2.773 0.898

Page 22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199

5) 개인 삶의 질에 관한 사항

개인 삶의 질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삶의조건평균 1,196 1 5 3.144 0.865

정신건강평균 1,196 1 5 3.079 0.910

만족감평균 1,196 1 5 3.529 0.832

행복감평균 1,196 1 5 3.128 0.867

생활역량평균 1,196 1 5 3.195 0.901

삶에 대한 심리변화평균

1,196 1 5 3.487 0.851

6)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생각

문화예술교육애 대한 개인적 생각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중요하다 1,196 1 5 3.554 1.040

가치있다 1,196 1 5 3.645 1.029

유익하다 1,196 1 5 3.613 1.014

관심이많다 1,196 1 5 3.451 1.053

매력적이다 1,196 1 5 3.503 1.039

원한다 1,196 1 5 3.426 1.066

필요하다 1,196 1 5 3.594 1.055

7)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공동체 의식 성향에 관한 사항

개인적 공동체 의식 성향

  없음 3명미만 3명이상~5명미만

5명이상~7명미만 7명이상 합계

타인과의접촉빈도 33 80 204 130 749 1,196

퍼센트 2.76 6.69 17.06 10.87 62.63 100

가까운사람빈도 24 129 334 232 477 1,196

퍼센트 2.01 10.79 27.93 19.40 39.88 100 도움청할수 있는사람(1)

빈도 56 197 406 219 318 1,196퍼센트 4.68 16.47 33.95 18.31 26.59 100

도움청할수 있는사람(2)

빈도 55 220 403 208 310 1,196퍼센트 4.60 18.39 33.70 17.39 25.92 100

도움청할수 있는사람(3)

빈도 52 213 413 224 294 1,196퍼센트 4.35 17.81 34.53 18.73 24.58 100

Page 23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0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공동체의식 성향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공동체의식평균 1,196 1 5 3.189 0.897

8)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사회적 형평성 및 평등성에 관한 사항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사회적 형평성 및 평등성에 관한 사항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형평평등평균 1,196 1 5 3.135 0.832

9)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만족도에 관한 사항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만족도에 관한 사항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교육만족평균 1,196 1 5 3.335 0.966

10)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에 관한 사항

경제적 가치 정도

  10만원미만10만원이상

~50만원미만

50만원이상~

100만원미만

100만원이상~

150만원미만150만원이상 합계

세금부담의향

빈도 740 266 124 33 33 1,196

퍼센트 61.87 22.24 10.37 2.76 2.76 100

시장가격대체

빈도 619 327 167 46 37 1,196

퍼센트 51.76 27.34 13.96 3.85 3.09 100

대체재(의식주)

비교

빈도 604 317 180 55 40 1,196

퍼센트 50.50 26.51 15.05 4.60 3.34 100

Page 23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01

2.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집단 기초통계표

1) 인구 통계적 특성에 관한 사항

인구통계적 특성

빈도 퍼센트

성별남자 381 47.92

여자 414 52.08

합계 795 100

연령

20세 미만 114 14.34

20~60세미만 280 35.22

60세 이상 401 50.44

합계 795 100

프로그램

학교 398 50.06

꿈다락 160 20.13

예술꽃 117 14.72

합계 120 15.09

참여분야(중복선택)

빈도 퍼센트

공예 39 4.008

국악 84 8.633

디자인 29 2.980

만화/애니메이션 21 2.158

무용 147 15.108

사진 91 9.353

연극 114 11.716

영화 84 8.633

기타 364 37.410

합계 973 100

Page 23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0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참여기간

빈도 퍼센트

6개월 미만 111 13.96

6개월 이상~1년 미만 333 41.89

1년 이상~2년 미만 151 18.99

2년 이상~3년 미만 87 10.94

3년 이상~4년 미만 29 3.65

4년 이상~5년 미만 21 2.64

5년 이상~6년 미만 28 3.52

6년 이상 35 4.40

합계 795 100

2)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일반적 사항

참여여부

빈도 퍼센트

예 794 99.87

아니오 1 0.13

참여계기

빈도 퍼센트

개인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높아서 207 26.04

직장동료나 주위의 지인들의 권유로 199 25.03

인터넷, 신문, 방송 등의 매체 광고를 통하여 24 3.02

생활의 안정감을 위하여 49 6.16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285 35.85

기타 31 3.90

합계 795 100

Page 23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03

지식수준

빈도 퍼센트

많은지식과 이해를 갖고 있다 80 10.06

지식과 이해가 어느정도 있다 242 30.44

지식과 이해가 보통수준이다 295 37.11

지식과 이해가 부족한 편이다 148 18.62

지식과 이해가 거의 없다 30 3.77

합계 795 100

3) 문화적 성향에 관한 사항

여가시간

빈도 퍼센트

결측(군장병) 163 20.50

1시간 미만 39 4.91

1시간 이상~2시간 미만 90 11.32

2시간 이상~3시간 미만 114 14.34

3시간 이상~4시간 미만 116 14.59

4시간 이상~5시간 미만 102 12.83

5시간 이상 171 21.51

합계 795 100

여가활동(두 가지 선택)

빈도 퍼센트

결측(군장병) 377 23.71

인터넷 146 9.18

TV시청 270 16.98

운동 297 18.68

독서 149 9.37

여행 69 4.34

사회적 교제 123 7.74

예술관람 55 3.46

기타 57 3.58

별로 하는 일 없음 47 2.96

합계 1590 100

Page 23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0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문화예술활동 관람 횟수

  결측(군장병) 없음 5회

미만

5회이상~

10회미만

10회이상~

15회미만

15회이상~

20회미만

20회이상 합계

음악회 및

연주회

빈도 160 234 324 60 8 4 5 795

퍼센트 20.13 29.43 40.75 7.55 1.01 0.50 0.63 100

연 극빈도 160 313 278 30 7 4 3 795

퍼센트 20.13 39.37 34.97 3.77 0.88 0.50 0.38 100

무 용빈도 160 416 159 45 8 4 3 795

퍼센트 20.13 52.33 20.00 5.66 1.01 0.50 0.38 100

영 화빈도 160 166 295 115 32 8 19 795

퍼센트 20.13 20.88 37.11 14.47 4.03 1.01 2.39 100

박물관 및

미술관

빈도 160 269 298 46 13 3 6 795

퍼센트 20.13 33.84 37.48 5.79 1.64 0.38 0.75 100

기타빈도 160 555 65 7 1 2 5 795

퍼센트 20.13 69.81 8.18 0.88 0.13 0.25 0.63 100

문화예술활동 직접 참여 횟수

  결측(군장병) 없음 5회

미만

5회이상~

10회미만

10회이상~

15회미만

15회이상~

20회미만

20회이상 합계

음악회 및

연주회

빈도 160 336 265 17 5 2 10 795

퍼센트 20.13 42.26 33.33 2.14 0.63 0.25 1.26 100

연 극빈도 160 462 143 21 4 1 4 795

퍼센트 20.13 58.11 17.99 2.64 0.50 0.13 0.50 100

무 용빈도 160 469 123 27 4 2 10 795

퍼센트 20.13 58.99 15.47 3.40 0.50 0.25 1.26 100

영 화빈도 160 453 133 33 7 4 5 795

퍼센트 20.13 56.98 16.73 4.15 0.88 0.50 0.63 100

박물관 및

미술관

빈도 160 444 157 21 7 4 2 795

퍼센트 20.13 55.85 19.75 2.64 0.88 0.50 0.25 100

기타빈도 160 578 46 5 - 3 3 795

퍼센트 20.13 72.70 5.79 0.63 - 0.38 0.38 100

Page 23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05

4) 사회적 성향에 관한 사항

문화예술 활동 단체 참여 여부

빈도 퍼센트

없다 393 49.43

있다 402 50.57

합계 795 100

사회적 신뢰성 평균 (전체)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기관제도신뢰평균 795 1 5 2.976 0.786

사람신뢰평균 795 1 5 3.575 0.630

사회신뢰평균 795 1 5 3.147 0.814

사회적 신뢰성 평균 (목록별)

신뢰정도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정부 795 1 5 3.018 1.056

국회 795 1 5 2.613 1.040

학교 795 1 5 3.233 0.910

기업 795 1 5 3.023 0.922

시민단체 795 1 5 2.995 0.997

가족 795 1 6 4.366 0.874

친구 795 1 5 3.970 0.829

이웃 795 1 5 3.264 0.864

직장 795 1 5 3.281 0.920

낯선사람 795 1 5 2.220 0.993

우리사회 795 1 5 3.147 0.814

Page 23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0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5) 개인 삶의 질에 관한 사항

개인 삶의 질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삶의조건평균 795 1 5 3.834 0.815

정신건강평균 793 1 5 3.889 0.843

만족감평균 794 2 5 4.214 0.709

행복감평균 794 1 5 3.554 0.840

생활역량평균 795 1 5 3.992 0.844

삶에 대한 심리변화평균

795 1 5 3.867 0.804

6)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생각

문화예술교육애 대한 개인적 생각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중요하다 795 1 5 4.282 0.807

가치있다 795 1 5 4.330 0.779

유익하다 795 2 5 4.319 0.770

관심이많다 795 1 5 4.195 0.858

매력적이다 795 1 5 4.236 0.841

원한다 795 1 5 4.247 0.859

필요하다 794 1 5 4.317 0.822

7)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공동체 의식 성향에 관한 사항

개인적 공동체 의식 성향

  없음 3명미만 3명이상~5명미만

5명이상~7명미만 7명이상 합계

타인과의접촉빈도 9 75 150 164 397 795

퍼센트 1.13 9.43 18.87 20.63 49.94 100

가까운사람빈도 8 111 232 189 255 795

퍼센트 1.01 13.96 29.18 23.77 32.08 100도움청할수 있는사람(1)

빈도 68 223 264 120 120 795퍼센트 8.55 28.05 33.21 15.09 15.09 100

도움청할수 있는사람(2)

빈도 30 232 251 148 134 795퍼센트 3.77 29.18 31.57 18.62 16.86 100

도움청할수 있는사람(3)

빈도 36 248 239 128 144 795퍼센트 4.53 31.19 30.06 16.10 18.11 100

Page 23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07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공동체의식 성향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공동체의식평균 794 1 5 3.973 0.767

8)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사회적 형평성 및 평등성에 관한 사항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사회적 형평성 및 평등성에 관한 사항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형평평등평균 794 1 5 3.719 0.862

9)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만족도에 관한 사항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만족도에 관한 사항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교육만족평균 794 1 5 4.225 0.808

10)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에 관한 사항

경제적 가치 정도

  10만원미만10만원이상

~50만원미만

50만원이상~

100만원미만

100만원이상~

150만원미만150만원이상 합계

세금부담의향

빈도 512 149 73 32 29 795

퍼센트 64.40 18.74 9.18 4.03 3.65 100

시장가격대체

빈도 349 201 120 69 56 795

퍼센트 43.90 25.28 15.09 8.68 7.04 100

대체재(의식주)

비교

빈도 279 234 128 76 78 795

퍼센트 35.09 29.43 16.10 9.56 9.81 100

Page 23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110-054 서울시 종로구 사직동 208 전화 (02) 3702-2100, 팩스 (02) 3702-2121, 한국갤럽홈페이지 www.gallup.co.kr,

갤럽패널홈 panel.gallup.co.kr

affiliated with GALLUP INTERNATIONAL

20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 서울 2. 부산 3. 대구 4. 인천 5. 광주 6. 대전 7. 울산 8. 경기

9. 강원 10. 충북 11. 충남 12. 전북 13. 전남 14. 경북 15. 경남 16. 제주

부록 3 유사집단 Gallup 설문지

정책 비참여자 대상 설문지

문화예술교육정책에 관한 국민 인식 조사Gallup 2014-165-001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지는 문화예술교육정책에 관한 여러분의 생각과 의견을 듣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되는 설문조사입니다. 설문지에 응답하신 내용은 연구 목적 이외에는 절대 사용되지 않으며,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등) 및 제34조(통계작성사무 종사자 등의 의무)에 의거 비밀이 보호되오니 솔직하게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설문조사에 귀중한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2014. 1.

연구기관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발주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연락처 : 건국대학교 유지은 연구원 (010-6536-5369)교육진흥원 정책연구팀 류윤호 (02-6209-5951)

SQ 1) 귀하의 현재 거주 지역은 어디입니까? _____________ 시․도 _____________ (시․군․구)

SQ 2) 지역

SQ 3) 지역규모 : 1. 대도시(광역시) 2. 중소도시 3. 군지역

SQ 4) 성 별 : 1. 남자 2. 여자

SQ 5) 실례지만, 귀하의 나이(연세)는 올해 만으로 어떻게 되십니까? 생일을 고려하지 마시고, 우리나라 나이에서 한 살을 뺀 만 나이로 응답해 주십시오.

만 _____________ 세 ➜ 만 13세 미만, 19세 이상 면접 중단

Page 23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09

※ 문화예술교육

본 설문지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이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관련

교육프로그램만을 의미합니다. 그 종류로는 학교 예술강사를 통한 교육,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 군 체험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산업단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노인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등이

있습니다.

Ⅰ.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일반적 사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인터넷 2. TV시청 3. 운동 4. 독서 5. 여행

SQ 6) 연령대

면접원다음은 질문하지 말고 SQ5)에 따라 체크하십시오(만

나이 기준)

1. 만 13~15세 2. 만 16~18세

면접원 본 설문 시작 전 응답자에게 읽어주십시오.

문1) 귀하는 최근 1년 안에 문화예술교육에 직접 참여하신적이 있습니까?

1. 예 → 면접 중단 2. 아니요

문2) 귀하는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대하여 스스로 얼마나 많은 지식과 이해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 많은 지식과 이해를 갖고 있다 4. 지식과 이해가 부족한 편이다2. 지식과 이해가 어느 정도 있다 5. 지식과 이해가 거의 없다3. 지식과 이해가 보통수준이다

Ⅱ. 다음은 귀하의 문화적 성향에 대한 관한 질문입니다.

문3) 귀하는 하루 중에 일이나 가사, 식사 및 수면에 필요한 시간 이외에 여가 시간이 얼마나 되십니까?

시간

문4) 귀하는 여가 시간에 주로 어떠한 활동을 하십니까? 가장 많이 하는 활동 두 가지를 골라 주십시오.

Page 24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1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문 항 없음 5회 미만5~10회 미만

10~15회 미만

15~20회 미만

20회 이상

음악회 및 연주회 1 2 3 4 5 6

연 극 1 2 3 4 5 6

무 용 1 2 3 4 5 6

영 화 1 2 3 4 5 6

박물관 및 미술관 1 2 3 4 5 6

기타(적을 것 : ) 1 2 3 4 5 6

6. 사회적 교제 7. 예술관람8. 기타(적을 것 :

) 9. 별로 하는 일

없음

문 항 없다 5회 미만5~10회 미만

10~15회 미만

15~20회 미만

20회 이상

음악회 및 연주회 1 2 3 4 5 6

연 극 1 2 3 4 5 6

무 용 1 2 3 4 5 6

영 화 1 2 3 4 5 6

박물관 및 미술관 1 2 3 4 5 6

기타(적을 것 : )

1 2 3 4 5 6

1. 공예 2. 국악 3. 디자인 4. 만화/애니메이션 5. 무용

6. 사진 7. 연극 8. 영화9. 기타(적을 것 :

)

문5)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을 관람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각각에 대한 횟수에 ‘✔’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기타사항의 경우 직접 기입 바랍니다.)

문6)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에 직접 참여(체험)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각각에 대한 횟수에 ‘✔’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기타사항의 경우 직접 기입 바랍니다.)

문7) 귀하가 앞으로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분야는 무엇입니까? 모두 골라 주십시오.

Page 24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11

보 기

1. 친목 및 사교단체 (단순히 친구들 간의 만남에서 문화예술활동을 함)2. 종교단체 (교회, 성당, 절 등의 곳에서 문화예술활동을 함)3. 취미, 스포츠 및 레저 단체 (스포츠 교실 등에서 문화예술활동을 함)4. 기타 단체

문 항전혀

신뢰할 수 없다

신뢰할 수 없다

보통이다신뢰할 수

있다

매우 신뢰할 수

있다

정 부 1 2 3 4 5

국 회 1 2 3 4 5

학 교 1 2 3 4 5

기 업 1 2 3 4 5

시민단체 1 2 3 4 5

문 항전혀

신뢰할 수 없다

신뢰할 수 없다

보통이다신뢰할 수

있다

매우 신뢰할 수

있다

가 족 1 2 3 4 5

친 구 1 2 3 4 5

동네 이웃 1 2 3 4 5

직장 동료 1 2 3 4 5

낯선 사람 1 2 3 4 5

Ⅲ. 다음은 귀하의 사회적 성향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8)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 활동 단체에 직접 참여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참여한 문화예술활동 단체 중 다음 보기를 참고하여 활동한 단체를 모두 기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있다 → (1) (2) (3) 2. 없다

문9) 귀하는 다음 기관의 제도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문10) 귀하는 다음의 사람들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Page 24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1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전혀 신뢰할 수 없다

신뢰할 수 없다 보통이다 신뢰할 수 있다매우

신뢰할 수 있다

1 2 3 4 5

Ⅳ. 다음은 귀하의 삶의 질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 항전혀

그렇지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바람직한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2) 나는 생활하기에 좋은 조건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3) 나는 나의 삶에 만족한다 1 2 3 4 5

4) 나는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배울 것을 배우고 있고, 이에 만족한다

1 2 3 4 5

5) 나는 다시 태어나도 지금과 같은 삶을 살 것이다. 1 2 3 4 5

6) 나는 전반적으로 정신적으로 안정감을 느낀다 1 2 3 4 5

7) 나는 걱정거리가 적은 편이다. 1 2 3 4 5

8) 나는 앞으로 내가 헤쳐나갈 일을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1 2 3 4 5

9) 나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사고를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10) 나는 전반적으로 의욕적으로 생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문 항전혀

그렇지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내 생활이 전반적으로 즐겁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2) 나는 내 생활이 전반적으로 행복하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문11) 귀하는 우리 사회가 얼마나 서로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회라고 생각하십니까?

문12) 다음은 귀하의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문13) 다음은 귀하의 만족감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Page 24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13

문 항전혀

그렇지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전반적으로 나의 인생은 내가 이상적으로 여기는 모습에 가깝다

1 2 3 4 5

2) 나의 인생의 여건은 아주 좋은 편이다 1 2 3 4 5

3) 나는 나의 삶에 만족한다 1 2 3 4 5

4) 지금까지 나는 나의 인생에서 원하는 중요한 것들을 이루어냈다

1 2 3 4 5

5) 다시 태어난다 해도, 나는 지금처럼 살아갈 것이다

1 2 3 4 5

문 항전혀

그렇지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내가 다른 사람들처럼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 2 3 4 5

2) 나는 좋은 성품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3) 나는 자랑할 것이 많이 있다 1 2 3 4 5

3) 나는 내 생활이 전반적으로 편안하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4) 나는 평소에 짜증이 많이 난다 1 2 3 4 5

5) 나는 평소에 무기력함을 많이 느낀다 1 2 3 4 5

문 항전혀

그렇지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우울할 때 우울한 기분이 오래지않아 사라지는 편이다

1 2 3 4 5

2) 나는 나 자신의 자존감을 느낄 때가 많다 1 2 3 4 5

3) 나는 사람들과 쉽게 어울리는 편이다 1 2 3 4 5

문14) 다음은 귀하의 행복감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문15) 다음은 생활역량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16) 다음은 귀하의 삶에 대한 심리적 변화에 관한 질문입니다.

Page 24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1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Ⅴ.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17)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 항전혀

그렇지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문화예술교육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2) 나는 문화예술교육은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3) 나는 문화예술교육은 유익하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4) 나는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많다 1 2 3 4 5

5) 나는 문화예술교육은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1 2 3 4 5

6) 나는 문화예술교육을 원한다 1 2 3 4 5

7) 나는 문화예술교육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Page 24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15

Ⅵ. 다음은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공동체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18) 다음은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공동체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 항전혀

그렇지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집단적으로 수강하는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많다

1 2 3 4 5

2) 나는 평소 여러 분야의 예술활동에 관심이 많다 1 2 3 4 5

3) 나는 어떤 교육을 받을 때 다른 수강생과 협력을 하는 편이다

1 2 3 4 5

4) 나는 어떤 교육을 받을 때 다른 수강생과 친목도모를 하는 편이다

1 2 3 4 5

5) 나는 어떤 교육을 받을 때 수강생간 동질감을 느끼는 편이다

1 2 3 4 5

6) 어떤 교육을 받으면 같은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각별하고, 앞으로 그들과 계속해서 연락을 취하고 싶다

1 2 3 4 5

문19) 다음은 귀하의 사회적 관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 항 없음3명 미만

3명~5명

미만

5명~7명

미만

7명 이상

1) 귀하는 한 달에 어느 정도 타인과 접촉하십니까?(접촉 : 만남, 전화, 편지, 인터넷) 1 2 3 4 5

2) 그 중 귀하와 가깝게 지내는 사람은 몇 명입니까?

1 2 3 4 5

3) 귀하가 갑자기 돈을 빌릴 경우,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입니까? 1 2 3 4 5

4) 귀하가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입니까?1 2 3 4 5

5) 귀하가 감기가 심하게 들어 개인적인 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입니까?

1 2 3 4 5

Page 24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1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Ⅶ.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 본 사회적 형평성 및 평등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20)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 본 사회적 형평성 및 평등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 항전혀

그렇지않다

그렇지않다

보통이다

약간그렇다

매우그렇다

1)�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소외된 사람들을 포용할 수있다

1 2 3 4 5

2)�소외계층 사람들이 평등하게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제공받고 있다

1 2 3 4 5

3)�문화예술교육이 사회적 형평성에 기여하였다 1 2 3 4 5

Ⅸ.�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21)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 항10만원미만

10~50만원미만

50~100만원미만

100~150만원미만

150�만원이상

1)�귀하가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세금을부담해야 한다면 얼마까지 내실 의향이 있으십니까?

1 2 3 4 5

- 설문에 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로 사용하겠습니다.

Page 24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17

부록 4. 유사집단 Gallup 설문지 조사결과

1. 문화예술교육 참여 경험 여부

문) 귀하는 최근 1년 안에 문화예술교육에 직접 참여하신적이 있습니까?

(단위 :�%)

구분 사례수(명) 아니요 계

전 체 1,150 100.0� 100.0�

성별

남자 394� 100.0� 100.0�

여자 756� 100.0�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100.0� 100.0�

노년층 350� 100.0�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100.0� 100.0�

중학생 359� 100.0� 100.0�

고등학생 364� 100.0� 100.0�

만 65세~69세 142� 100.0� 100.0�

만 70세 이상 208� 100.0�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100.0� 100.0�

경상권 139� 100.0� 100.0�

충청권 122� 100.0� 100.0�

전라권 280� 100.0� 100.0�

강원권 19� 100.0�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00.0� 100.0�

중소도시 502� 100.0� 100.0�

군지역 107� 100.0� 100.0�

Page 24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1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2.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대한 본인의 지식 및 이해 정도

문) 귀하는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대하여 스스로 얼마나 많은 지식과 이해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많은

지식과

이해를

갖고

있다

(5점)

지식과

이해가

어느

정도

있다

(4점)

①+②③

지식과

이해가

보통

수준이

(3점)

지식과

이해가

부족한

편이다

(2점)

지식과

이해가

거의

없다

(1점)

④+⑤

모름/

무응답계 평균

100점

평균

전 체 1,150� 0.9� 11.5� 12.3� 32.2� 31.3� 23.9� 55.2� 0.3� 100.0� 2.3� 33.5�

성별

남자 394� 1.8� 14.2� 16.0� 29.2� 33.5� 21.1� 54.6� 0.3� 100.0� 2.4� 35.5�

여자 756� 0.4� 10.1� 10.4� 33.7� 30.2� 25.4� 55.6� 0.3� 100.0� 2.3� 32.4�

연령별

학생층 800� 0.9� 13.0� 13.9� 38.1� 29.5� 18.5� 48.0� 0.0� 100.0� 2.5� 37.1�

노년층 350� 0.9� 8.0� 8.9� 18.6� 35.4� 36.3� 71.7� 0.9� 100.0� 2.0� 25.2�

연령별

초등학생 77� 2.6� 15.6� 18.2� 26.0� 31.2� 24.7� 55.8� 0.0� 100.0� 2.4� 35.1�

중학생 359� 0.8� 14.2� 15.0� 38.4� 25.6� 20.9� 46.5� 0.0� 100.0� 2.5� 37.1�

고등학생 364� 0.5� 11.3� 11.8� 40.4� 33.0� 14.8� 47.8� 0.0� 100.0� 2.5� 37.4�

65세~69세142� 2.1� 8.5� 10.6� 22.5� 37.3� 28.2� 65.5� 1.4� 100.0� 2.2� 29.5�

만 70세 이상 208� 0.0� 7.7� 7.7� 15.9� 34.1� 41.8� 76.0� 0.5� 100.0� 1.9� 22.3�

지역별

수도권 590� 0.5� 10.8� 11.4� 34.1� 28.5� 25.8� 54.2� 0.3� 100.0� 2.3� 32.9�

경상권 139� 3.6� 12.2� 15.8� 20.1� 33.1� 30.2� 63.3� 0.7� 100.0� 2.3� 31.3�

충청권 122� 0.0� 3.3� 3.3� 27.0� 47.5� 22.1� 69.7� 0.0� 100.0� 2.1� 27.9�

전라권 280� 0.7� 15.0� 15.7� 36.4� 28.9� 18.9� 47.9� 0.0� 100.0� 2.5� 37.4�

강원권 19� 0.0� 26.3� 26.3� 31.6� 36.8� 5.3� 42.1� 0.0� 100.0� 2.8� 44.7�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1� 13.5� 14.6� 35.1� 28.7� 21.4� 50.1� 0.2� 100.0� 2.4� 36.0�

중소도시 502� 0.2� 9.8� 10.0� 29.7� 33.3� 26.7� 60.0� 0.4� 100.0� 2.2� 30.8�

군지역 107� 2.8� 9.3� 12.1� 29.0� 35.5� 23.4� 58.9� 0.0� 100.0� 2.3� 33.2�

Page 24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19

3. 일일 여가 시간

문) 귀하는 하루 중에 일이나 가사, 식사 및 수면에 필요한 시간 이외에 여가 시간이 얼마나 되십니까?

(단위 :�%,� 시간)

구분사례수

(명)

1시간

미만

1∼2시간

미만

2∼3시간

미만

3∼4시간

미만

4∼5시간

미만

5시간

이상계 평균

전 체 1,150� 0.8� 13.0� 19.7� 17.4� 15.7� 33.4� 100.0� 3.9�

성별

남자 394� 1.3� 12.4� 19.0� 17.8� 17.5� 32.0� 100.0� 3.9�

여자 756� 0.5� 13.4� 20.0� 17.2� 14.8� 34.1� 100.0� 3.9�

연령별

학생층 800� 1.1� 16.8� 22.8� 20.4� 15.5� 23.5� 100.0� 3.3�

노년층 350� 0.0� 4.6� 12.6� 10.6� 16.3� 56.0� 100.0� 5.1�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1.3� 11.7� 27.3� 20.8� 39.0� 100.0� 4.3�

중학생 359� 0.0� 13.9� 19.2� 22.0� 17.0� 27.9� 100.0� 3.6�

고등학생 364� 2.5� 22.8� 28.6� 17.3� 12.9� 15.9� 100.0� 2.9�

65세~69세142� 0.0� 7.0� 19.7� 15.5� 12.7� 45.1� 100.0� 4.3�

만 70세 이상 208� 0.0� 2.9� 7.7� 7.2� 18.8� 63.5� 100.0� 5.7�

지역별

수도권 590� 0.5� 14.1� 23.9� 18.1� 14.2� 29.2� 100.0� 3.6�

경상권 139� 2.2� 8.6� 14.4� 17.3� 17.3� 40.3� 100.0� 4.3�

충청권 122� 1.6� 8.2� 13.1� 10.7� 27.0� 39.3� 100.0� 4.4�

전라권 280� 0.4� 13.9� 17.1� 18.9� 12.9� 36.8� 100.0� 4.0�

강원권 19� 0.0� 31.6� 5.3� 15.8� 21.1� 26.3� 100.0� 3.2�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0.7� 12.6� 21.6� 17.0� 15.2� 32.9� 100.0� 3.8�

중소도시 502� 0.6� 15.5� 19.5� 18.9� 15.9� 29.5� 100.0� 3.7�

군지역 107� 1.9� 3.7� 10.3� 12.1� 17.8� 54.2� 100.0� 5.2�

Page 25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2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4. 여가 시간에 주로 하는 활동

문) 귀하는 여가 시간에 주로 어떠한 활동을 하십니까? 가장 많이 하는 활동 두 가지를 골라 주십시오.

(단위 :�%)

구분사례수

(명)TV시청 인터넷 운동 기타 독서

사회적

교제

별로

하는 일

없음

예술

관람여행

전 체 1,150� 70.2� 54.7� 19.2� 12.7� 11.7� 11.0� 4.7� 1.8� 1.0�

성별

남자 394� 67.3� 61.4� 27.7� 8.6� 9.6� 9.4� 3.3� 1.8� 1.5�

여자 756� 71.7� 51.2� 14.8� 14.8� 12.7� 11.8� 5.4� 1.9� 0.8�

연령별

학생층 800� 63.6� 77.3� 12.5� 13.8� 14.9� 5.8� 4.0� 2.5� 0.8�

노년층 350� 85.1� 3.1� 34.6� 10.3� 4.3� 22.9� 6.3� 0.3� 1.7�

연령별

초등학생 77� 79.2� 59.7� 14.3� 5.2� 27.3� 3.9� 1.3� 0.0� 0.0�

중학생 359� 66.3� 72.4� 11.4� 19.5� 14.2� 4.7� 3.9� 2.2� 0.8�

고등학생 364� 57.7� 85.7� 13.2� 9.9� 12.9� 7.1� 4.7� 3.3� 0.8�

만 65세~69세 142� 82.4� 4.9� 35.2� 8.5� 6.3� 19.7� 7.7� 0.0� 3.5�

만 70세 이상 208� 87.0� 1.9� 34.1� 11.5� 2.9� 25.0� 5.3� 0.5� 0.5�

지역별

수도권 590� 64.9� 56.9� 19.2� 13.6� 10.3� 9.0� 6.4� 2.4� 1.4�

경상권 139� 76.3� 56.8� 18.7� 6.5� 14.4� 18.7� 1.4� 0.7� 0.0�

충청권 122� 82.0� 35.2� 33.6� 5.7� 12.3� 15.6� 0.8� 0.0� 0.8�

전라권 280� 73.6� 55.7� 13.9� 16.1� 12.9� 10.0� 4.3� 2.1� 1.1�

강원권 19� 63.2� 78.9� 10.5� 26.3� 10.5� 0.0� 5.3� 0.0� 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72.3� 55.3� 18.7� 10.7� 11.5� 11.6� 4.1� 2.6� 0.9�

중소도시 502� 65.5� 58.2� 19.9� 14.1� 12.7� 8.0� 6.0� 1.2� 1.2�

군지역 107� 81.3� 35.5� 18.7� 15.9� 7.5� 21.5� 1.9� 0.9� 0.9�

Page 25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21

5-1. 지난 1년간 문화예술활동 관람 경험 여부 및 횟수-음악회 및 연주회

문)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을 관람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각각에 대한

횟수에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

구분 사례수(명) 없음 5회 미만5~10회

미만

10~15회

미만20회 이상 계

전 체 1,150� 79.0� 20.1� 0.7� 0.1� 0.1� 100.0�

성별

남자 394� 76.6� 23.1� 0.3� 0.0� 0.0� 100.0�

여자 756� 80.3� 18.5� 0.9� 0.1� 0.1�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73.3� 25.5� 1.0� 0.1� 0.1� 100.0�

노년층 350� 92.3� 7.7� 0.0� 0.0� 0.0�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74.0� 24.7� 0.0� 0.0� 1.3� 100.0�

중학생 359� 68.0� 29.5� 2.2� 0.3� 0.0� 100.0�

고등학생 364� 78.3� 21.7� 0.0� 0.0� 0.0� 100.0�

만 65세~69세 142� 88.7� 11.3� 0.0� 0.0� 0.0� 100.0�

만 70세 이상 208� 94.7� 5.3� 0.0� 0.0� 0.0�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81.5� 18.3� 0.2� 0.0� 0.0� 100.0�

경상권 139� 84.2� 15.1� 0.0� 0.0� 0.7� 100.0�

충청권 122� 85.2� 14.8� 0.0� 0.0� 0.0� 100.0�

전라권 280� 68.2� 28.9� 2.5� 0.4� 0.0� 100.0�

강원권 19� 84.2� 15.8� 0.0� 0.0� 0.0�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74.9� 24.0� 0.9� 0.2� 0.0� 100.0�

중소도시 502� 82.3� 17.1� 0.6� 0.0� 0.0� 100.0�

군지역 107� 85.0� 14.0� 0.0� 0.0� 0.9� 100.0�

Page 25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2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5-2. 지난 1년간 문화예술활동 관람 경험 여부 및 횟수-연극

문)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을 관람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각각에 대한

횟수에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구분 사례수(명) 없음 5회 미만 5~10회 미만 20회 이상 계

전 체 1,150� 80.3� 19.0� 0.6� 0.1� 100.0�

성별

남자 394� 82.2� 17.0� 0.5� 0.3� 100.0�

여자 756� 79.4� 20.0� 0.7� 0.0�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72.9� 26.1� 0.9� 0.1� 100.0�

노년층 350� 97.4� 2.6� 0.0� 0.0�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75.3� 22.1� 1.3� 1.3� 100.0�

중학생 359� 70.2� 28.4� 1.4� 0.0� 100.0�

고등학생 364� 75.0� 24.7� 0.3� 0.0� 100.0�

만 65세~69세 142� 95.8� 4.2� 0.0� 0.0� 100.0�

만 70세 이상 208� 98.6� 1.4� 0.0� 0.0�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78.1� 21.4� 0.5� 0.0� 100.0�

경상권 139� 87.8� 10.8� 0.7� 0.7� 100.0�

충청권 122� 93.4� 6.6� 0.0� 0.0� 100.0�

전라권 280� 75.7� 23.2� 1.1� 0.0� 100.0�

강원권 19� 78.9� 21.1� 0.0� 0.0�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74.7� 24.4� 0.7� 0.2� 100.0�

중소도시 502� 83.9� 15.7� 0.4� 0.0� 100.0�

군지역 107� 92.5� 6.5� 0.9� 0.0� 100.0�

Page 25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23

5-3. 지난 1년간 문화예술활동 관람 경험 여부 및 횟수-무용

문)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을 관람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각각에 대한

횟수에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구분 사례수(명) 없음 5회 미만5~10회

미만

10~15회

미만

15~20회

미만계

전 체 1,150� 95.2� 4.4� 0.1� 0.2� 0.1� 100.0�

성별

남자 394� 96.2� 3.6� 0.0� 0.3� 0.0� 100.0�

여자 756� 94.7� 4.9� 0.1� 0.1� 0.1�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94.1� 5.4� 0.1� 0.3� 0.1� 100.0�

노년층 350� 97.7� 2.3� 0.0� 0.0� 0.0�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92.2� 6.5� 0.0� 1.3� 0.0� 100.0�

중학생 359� 92.2� 7.5� 0.3� 0.0� 0.0� 100.0�

고등학생 364� 96.4� 3.0� 0.0� 0.3� 0.3� 100.0�

만 65세~69세 142� 97.9� 2.1� 0.0� 0.0� 0.0� 100.0�

만 70세 이상 208� 97.6� 2.4� 0.0� 0.0� 0.0�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95.4� 4.2� 0.0� 0.2� 0.2� 100.0�

경상권 139� 97.1� 2.2� 0.0� 0.7� 0.0� 100.0�

충청권 122� 97.5� 2.5� 0.0� 0.0� 0.0� 100.0�

전라권 280� 92.5� 7.1� 0.4� 0.0� 0.0� 100.0�

강원권 19� 100.0� 0.0� 0.0� 0.0� 0.0�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93.7� 5.9� 0.2� 0.0� 0.2� 100.0�

중소도시 502� 96.4� 3.4� 0.0� 0.2� 0.0� 100.0�

군지역 107� 97.2� 1.9� 0.0� 0.9� 0.0� 100.0�

Page 25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2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5-4. 지난 1년간 문화예술활동 관람 경험 여부 및 횟수-영화

문)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을 관람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각각에 대한

횟수에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구분사례수

(명)없음 5회 미만

5~10회

미만

10~15회

미만

15~20회

미만

20회

이상계

전 체 1,150� 33.1� 36.9� 17.7� 6.7� 2.3� 3.2� 100.0�

성별

남자 394� 31.5� 36.8� 19.3� 7.6� 2.3� 2.5� 100.0�

여자 756� 34.0� 36.9� 16.9� 6.2� 2.4� 3.6�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11.3� 46.1� 25.3� 9.4� 3.4� 4.6� 100.0�

노년층 350� 83.1� 15.7� 0.6� 0.6� 0.0� 0.0�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16.9� 54.5� 14.3� 9.1� 1.3� 3.9� 100.0�

중학생 359� 9.2� 42.6� 27.3� 10.6� 4.2� 6.1� 100.0�

고등학생 364� 12.1� 47.8� 25.5� 8.2� 3.0� 3.3� 100.0�

만 65세~69세 142� 78.2� 19.7� 0.7� 1.4� 0.0� 0.0� 100.0�

만 70세 이상 208� 86.5� 13.0� 0.5� 0.0� 0.0� 0.0�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34.1� 36.6� 17.8� 6.3� 2.4� 2.9� 100.0�

경상권 139� 32.4� 42.4� 14.4� 5.8� 2.2� 2.9� 100.0�

충청권 122� 59.0� 26.2� 9.0� 4.1� 0.0� 1.6� 100.0�

전라권 280� 22.1� 38.6� 22.5� 8.6� 3.6� 4.6� 100.0�

강원권 19� 5.3� 47.4� 26.3� 15.8� 0.0� 5.3�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26.6� 38.8� 20.1� 7.2� 3.3� 3.9� 100.0�

중소도시 502� 34.7� 37.3� 16.7� 7.0� 1.6� 2.8� 100.0�

군지역 107� 58.9� 25.2� 10.3� 2.8� 0.9� 1.9� 100.0�

Page 25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25

5-5. 지난 1년간 문화예술활동 관람 경험 여부 및 횟수-박물관 및 미술관

문)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을 관람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각각에 대한

횟수에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구분사례수

(명)없음 5회 미만

5~10회

미만

10~15회

미만

15~20회

미만

20회

이상계

전 체 1,150� 67.8� 29.1� 2.6� 0.2� 0.1� 0.2� 100.0�

성별

남자 394� 64.2� 33.2� 2.0� 0.3� 0.0� 0.3� 100.0�

여자 756� 69.7� 27.0� 2.9� 0.1� 0.1� 0.1�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58.4� 37.4� 3.6� 0.3� 0.1� 0.3� 100.0�

노년층 350� 89.4� 10.3� 0.3� 0.0� 0.0� 0.0�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37.7� 58.4� 3.9� 0.0� 0.0� 0.0� 100.0�

중학생 359� 51.8� 40.9� 5.8� 0.6� 0.3� 0.6� 100.0�

고등학생 364� 69.2� 29.4� 1.4� 0.0� 0.0� 0.0� 100.0�

만 65세~69세 142� 86.6� 12.7� 0.7� 0.0� 0.0� 0.0� 100.0�

만 70세 이상 208� 91.3� 8.7� 0.0� 0.0� 0.0� 0.0�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70.0� 27.6� 1.9� 0.2� 0.2� 0.2� 100.0�

경상권 139� 68.3� 29.5� 2.2� 0.0� 0.0� 0.0� 100.0�

충청권 122� 74.6� 22.1� 3.3� 0.0� 0.0� 0.0� 100.0�

전라권 280� 59.3� 35.7� 4.3� 0.4� 0.0� 0.4� 100.0�

강원권 19� 78.9� 21.1� 0.0� 0.0� 0.0� 0.0�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63.8� 31.8� 3.9� 0.2� 0.2� 0.2� 100.0�

중소도시 502� 70.1� 28.1� 1.4� 0.2� 0.0� 0.2� 100.0�

군지역 107� 77.6� 20.6� 1.9� 0.0� 0.0� 0.0� 100.0�

Page 25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2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5-6. 지난 1년간 문화예술활동 관람 경험 여부 및 횟수-기타

문)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을 관람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각각에 대한

횟수에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구분 사례수(명) 5회 미만 20회 이상 계

전 체 10� 80.0� 20.0� 100.0�

성별

남자 3� 100.0� 0.0� 100.0�

여자 7� 71.4� 28.6� 100.0�

연령별

학생층 9� 77.8� 22.2� 100.0�

노년층 1� 100.0� 0.0� 100.0�

연령별

초등학생 0� - - -

중학생 6� 66.7� 33.3� 100.0�

고등학생 3� 100.0� 0.0� 100.0�

만 65세~69세 0� - - -

만 70세 이상 1� 100.0� 0.0� 100.0�

지역별

수도권 6� 66.7� 33.3� 100.0�

경상권 1� 100.0� 0.0� 100.0�

충청권 1� 100.0� 0.0� 100.0�

전라권 2� 100.0� 0.0� 100.0�

강원권 0� - - -

지역

규모별

대도시 3� 100.0� 0.0� 100.0�

중소도시 7� 71.4� 28.6� 100.0�

군지역 0� - - -

Page 25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27

6-1. 지난 1년간 문화예술활동 참여 경험 여부 및 횟수-음악회 및 연주회

문)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에 직접 참여(체험)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각각에 대한 횟수에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구분 사례수(명) 없다 5회 미만 5~10회 미만 20회 이상 계

전 체 1,150� 92.0� 7.7� 0.2� 0.2� 100.0�

성별

남자 394� 89.3� 10.4� 0.3� 0.0� 100.0�

여자 756� 93.4� 6.2� 0.1� 0.3�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89.4� 10.1� 0.3� 0.3� 100.0�

노년층 350� 98.0� 2.0� 0.0� 0.0�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83.1� 14.3� 1.3� 1.3� 100.0�

중학생 359� 88.0� 11.4� 0.3� 0.3� 100.0�

고등학생 364� 92.0� 8.0� 0.0� 0.0� 100.0�

만 65세~69세 142� 97.2� 2.8� 0.0� 0.0� 100.0�

만 70세 이상 208� 98.6� 1.4� 0.0� 0.0�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92.4� 7.6� 0.0� 0.0� 100.0�

경상권 139� 91.4� 7.2� 0.7� 0.7� 100.0�

충청권 122� 95.1� 4.9� 0.0� 0.0� 100.0�

전라권 280� 90.4� 8.9� 0.4� 0.4� 100.0�

강원권 19� 89.5� 10.5� 0.0� 0.0�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90.2� 9.6� 0.2� 0.0� 100.0�

중소도시 502� 93.6� 6.2� 0.0� 0.2� 100.0�

군지역 107� 93.5� 4.7� 0.9� 0.9� 100.0�

Page 25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2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6-2. 지난 1년간 문화예술활동 참여 경험 여부 및 횟수-연극

문)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에 직접 참여(체험)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각각에 대한 횟수에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구분 사례수(명) 없다 5회 미만 5~10회 미만 계

전 체 1,150� 95.3� 4.3� 0.3� 100.0�

성별

남자 394� 93.4� 5.8� 0.8� 100.0�

여자 756� 96.3� 3.6� 0.1�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93.6� 5.9� 0.5� 100.0�

노년층 350� 99.1� 0.9� 0.0�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92.2� 6.5� 1.3� 100.0�

중학생 359� 91.9� 7.2� 0.8� 100.0�

고등학생 364� 95.6� 4.4� 0.0� 100.0�

만 65세~69세 142� 98.6� 1.4� 0.0� 100.0�

만 70세 이상 208� 99.5� 0.5� 0.0�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94.9� 4.6� 0.5� 100.0�

경상권 139� 95.7� 3.6� 0.7� 100.0�

충청권 122� 95.9� 4.1� 0.0� 100.0�

전라권 280� 95.7� 4.3� 0.0� 100.0�

강원권 19� 94.7� 5.3� 0.0�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94.1� 5.5� 0.4� 100.0�

중소도시 502� 95.8� 3.8� 0.4� 100.0�

군지역 107� 99.1� 0.9� 0.0� 100.0�

Page 25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29

6-3. 지난 1년간 문화예술활동 참여 경험 여부 및 횟수-무용

문)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에 직접 참여(체험)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각각에 대한 횟수에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구분 사례수(명) 없다 5회 미만 5~10회 미만 20회 이상 계

전 체 1,150� 97.6� 2.3� 0.1� 0.1� 100.0�

성별

남자 394� 97.5� 2.3� 0.0� 0.3� 100.0�

여자 756� 97.6� 2.2� 0.1� 0.0�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96.6� 3.1� 0.1� 0.1� 100.0�

노년층 350� 99.7� 0.3� 0.0� 0.0�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97.4� 2.6� 0.0� 0.0� 100.0�

중학생 359� 95.8� 4.2� 0.0� 0.0� 100.0�

고등학생 364� 97.3� 2.2� 0.3� 0.3� 100.0�

만 65세~69세 142� 99.3� 0.7� 0.0� 0.0� 100.0�

만 70세 이상 208� 100.0� 0.0� 0.0� 0.0�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97.1� 2.7� 0.0� 0.2� 100.0�

경상권 139� 99.3� 0.7� 0.0� 0.0� 100.0�

충청권 122� 99.2� 0.0� 0.8� 0.0� 100.0�

전라권 280� 97.1� 2.9� 0.0� 0.0� 100.0�

강원권 19� 94.7� 5.3� 0.0� 0.0�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97.2� 2.6� 0.2� 0.0� 100.0�

중소도시 502� 97.8� 2.0� 0.0� 0.2� 100.0�

군지역 107� 98.1� 1.9� 0.0� 0.0� 100.0�

Page 26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3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6-4. 지난 1년간 문화예술활동 참여 경험 여부 및 횟수-영화

문)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에 직접 참여(체험)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각각에 대한 횟수에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구분사례수

(명)없다 5회 미만

5~10회

미만

10~15회

미만

15~20회

미만

20회

이상계

전 체 1,150� 87.4� 8.0� 2.2� 0.9� 0.5� 1.0� 100.0�

성별

남자 394� 82.2� 10.9� 3.6� 1.8� 0.3� 1.3� 100.0�

여자 756� 90.1� 6.5� 1.5� 0.4� 0.7� 0.9�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82.6� 10.8� 3.1� 1.3� 0.8� 1.5� 100.0�

노년층 350� 98.3� 1.7� 0.0� 0.0� 0.0� 0.0�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92.2� 5.2� 0.0� 1.3� 0.0� 1.3� 100.0�

중학생 359� 80.5� 10.9� 3.9� 1.7� 1.1� 1.9� 100.0�

고등학생 364� 82.7� 11.8� 3.0� 0.8� 0.5� 1.1� 100.0�

만 65세~69세 142� 97.9� 2.1� 0.0� 0.0� 0.0� 0.0� 100.0�

만 70세 이상 208� 98.6� 1.4� 0.0� 0.0� 0.0� 0.0�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85.3� 8.8� 2.5� 1.4� 0.7� 1.4� 100.0�

경상권 139� 89.9� 7.2� 2.2� 0.0� 0.0� 0.7� 100.0�

충청권 122� 90.2� 7.4� 2.5� 0.0� 0.0� 0.0� 100.0�

전라권 280� 89.3� 7.1� 1.4� 0.7� 0.7� 0.7� 100.0�

강원권 19� 89.5� 5.3� 0.0� 0.0� 0.0� 5.3�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86.5� 8.1� 2.4� 0.7� 0.6� 1.7� 100.0�

중소도시 502� 86.5� 9.2� 2.0� 1.2� 0.6� 0.6� 100.0�

군지역 107� 96.3� 1.9� 1.9� 0.0� 0.0� 0.0� 100.0�

Page 26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31

6-5. 지난 1년간 문화예술활동 참여 경험 여부 및 횟수-박물관 및 미술관

문)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에 직접 참여(체험)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각각에 대한 횟수에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구분사례수

(명)없다 5회 미만

5~10회

미만

10~15회

미만

15~20회

미만

20회

이상계

전 체 1,150� 93.5� 5.6� 0.5� 0.2� 0.1� 0.2� 100.0�

성별

남자 394� 91.1� 7.1� 0.8� 0.5� 0.3� 0.3� 100.0�

여자 756� 94.7� 4.8� 0.4� 0.0� 0.0� 0.1�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91.8� 6.9� 0.8� 0.3� 0.1� 0.3� 100.0�

노년층 350� 97.4� 2.6� 0.0� 0.0� 0.0� 0.0�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90.9� 7.8� 1.3� 0.0� 0.0� 0.0� 100.0�

중학생 359� 89.7� 7.8� 1.1� 0.6� 0.3� 0.6� 100.0�

고등학생 364� 94.0� 5.8� 0.3� 0.0� 0.0� 0.0� 100.0�

만 65세~69세 142� 95.1� 4.9� 0.0� 0.0� 0.0� 0.0� 100.0�

만 70세 이상 208� 99.0� 1.0� 0.0� 0.0� 0.0� 0.0�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93.2� 5.6� 0.3� 0.3� 0.2� 0.3� 100.0�

경상권 139� 94.2� 5.0� 0.7� 0.0� 0.0� 0.0� 100.0�

충청권 122� 90.2� 9.8� 0.0� 0.0� 0.0� 0.0� 100.0�

전라권 280� 94.6� 4.3� 1.1� 0.0� 0.0� 0.0� 100.0�

강원권 19� 100.0� 0.0� 0.0� 0.0� 0.0� 0.0�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92.2� 6.3� 0.9� 0.4� 0.0� 0.2� 100.0�

중소도시 502� 94.2� 5.2� 0.2� 0.0� 0.2� 0.2� 100.0�

군지역 107� 96.3� 3.7� 0.0� 0.0� 0.0� 0.0� 100.0�

Page 26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3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6-6. 지난 1년간 문화예술활동 참여 경험 여부 및 횟수-기타

문)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에 직접 참여(체험)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각각에 대한 횟수에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구분 사례수(명) 5회 미만 5~10회 미만 20회 이상 계

전 체 16� 75.0� 12.5� 12.5� 100.0�

성별

남자 6� 100.0� 0.0� 0.0� 100.0�

여자 10� 60.0� 20.0� 20.0� 100.0�

연령별

학생층 12� 75.0� 16.7� 8.3� 100.0�

노년층 4� 75.0� 0.0� 25.0� 100.0�

연령별

초등학생 1� 0.0� 0.0� 100.0� 100.0�

중학생 6� 83.3� 16.7� 0.0� 100.0�

고등학생 5� 80.0� 20.0� 0.0� 100.0�

만 65세~69세 1� 100.0� 0.0� 0.0� 100.0�

만 70세 이상 3� 66.7� 0.0� 33.3� 100.0�

지역별

수도권 10� 80.0� 10.0� 10.0� 100.0�

경상권 1� 0.0� 0.0� 100.0� 100.0�

충청권 2� 100.0� 0.0� 0.0� 100.0�

전라권 3� 66.7� 33.3� 0.0� 100.0�

강원권 0� - - - -

지역

규모별

대도시 5� 60.0� 40.0� 0.0� 100.0�

중소도시 10� 90.0� 0.0� 10.0� 100.0�

군지역 1� 0.0� 0.0� 100.0� 100.0�

Page 26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33

7.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문) 귀하가 앞으로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분야는 무엇입니까? 모두 골라 주십시오.

(단위 :�%)

구분사례수

(명)영화 사진

만화/

애니

메이션

연극 디자인 공예 국악 기타 무용

전 체 1,150� 40.9� 28.9� 24.5� 21.5� 21.4� 20.7� 17.1� 12.9� 12.7�

성별

남자 394� 49.7� 26.1� 35.3� 14.0� 19.3� 11.7� 13.7� 11.2� 2.8�

여자 756� 36.2� 30.3� 18.9� 25.4� 22.5� 25.4� 18.9� 13.8� 17.9�

연령별

학생층 800� 52.6� 37.8� 34.4� 25.4� 29.8� 22.9� 6.5� 7.1� 10.1�

노년층 350� 14.0� 8.6� 2.0� 12.6� 2.3� 15.7� 41.4� 26.0� 18.6�

연령별

초등학생 77� 33.8� 15.6� 39.0� 23.4� 23.4� 37.7� 13.0� 5.2� 9.1�

중학생 359� 55.4� 38.7� 32.9� 23.7� 30.9� 21.4� 5.0� 7.0� 10.3�

고등학생 364� 53.8� 41.5� 34.9� 27.5� 29.9� 21.2� 6.6� 7.7� 10.2�

만 65세~69세 142� 18.3� 12.7� 1.4� 16.2� 2.1� 17.6� 36.6� 20.4� 18.3�

만 70세 이상 208� 11.1� 5.8� 2.4� 10.1� 2.4� 14.4� 44.7� 29.8� 18.8�

지역별

수도권 590� 42.7� 31.0� 24.2� 21.9� 21.2� 18.6� 16.4� 12.5� 14.2�

경상권 139� 44.6� 22.3� 31.7� 23.0� 23.7� 26.6� 24.5� 7.9� 8.6�

충청권 122� 23.8� 26.2� 13.9� 14.8� 13.1� 16.4� 20.5� 34.4� 8.2�

전라권 280� 41.4� 28.9� 24.6� 22.9� 22.5� 23.6� 14.6� 6.8� 12.9�

강원권 19� 57.9� 26.3� 47.4� 21.1� 47.4� 26.3� 0.0� 10.5� 21.1�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43.3� 29.8� 25.9� 24.0� 22.0� 21.8� 16.6� 9.1� 11.3�

중소도시 502� 42.6� 29.9� 25.7� 21.1� 22.5� 21.7� 16.1� 13.7� 13.5�

군지역 107� 20.6� 19.6� 12.1� 10.3� 13.1� 10.3� 24.3� 28.0� 15.9�

Page 26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3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8. 지난 1년간 문화예술 활동 단체 참여 여부

문)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 활동 단체에 직접 참여하신 적이 있습니까?

(단위 :�%)

구분 사례수(명) 있다 없다 계

전 체 1,150� 28.9� 71.1� 100.0�

성별

남자 394� 32.2� 67.8� 100.0�

여자 756� 27.1� 72.9�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31.3� 68.8� 100.0�

노년층 350� 23.4� 76.6�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23.4� 76.6� 100.0�

중학생 359� 32.9� 67.1� 100.0�

고등학생 364� 31.3� 68.7� 100.0�

만 65세~69세 142� 21.1� 78.9� 100.0�

만 70세 이상 208� 25.0� 75.0�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28.1� 71.9� 100.0�

경상권 139� 29.5� 70.5� 100.0�

충청권 122� 32.8� 67.2� 100.0�

전라권 280� 28.2� 71.8� 100.0�

강원권 19� 31.6� 68.4�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28.8� 71.2� 100.0�

중소도시 502� 29.9� 70.1� 100.0�

군지역 107� 24.3� 75.7� 100.0�

Page 26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35

8-1. 지난 1년간 참여 문화예술 활동 단체

문) 귀하는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 활동 단체에 직접 참여하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참여한 문화

예술활동 단체 중 다음 보기를 참고하여 활동한 단체를 모두 기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단위 :�%)

구분 사례수(명)친목 및

사교단체종교단체

취미,� 스포츠 및

레저 단체기타 단체

전 체 332� 48.5� 37.7� 32.8� 7.5�

성별

남자 127� 41.7� 38.6� 38.6� 7.1�

여자 205� 52.7� 37.1� 29.3� 7.8�

연령별

학생층 250� 45.2� 34.8� 31.6� 8.4�

노년층 82� 58.5� 46.3� 36.6� 4.9�

연령별

초등학생 18� 27.8� 27.8� 33.3� 22.2�

중학생 118� 30.5� 43.2� 36.4� 6.8�

고등학생 114� 63.2� 27.2� 26.3� 7.9�

만 65세~69세 30� 80.0� 40.0� 23.3� 3.3�

만 70세 이상 52� 46.2� 50.0� 44.2� 5.8�

지역별

수도권 166� 48.2� 38.0� 34.9� 6.0�

경상권 41� 53.7� 12.2� 34.1� 17.1�

충청권 40� 72.5� 37.5� 42.5� 0.0�

전라권 79� 34.2� 50.6� 24.1� 8.9�

강원권 6� 50.0� 33.3� 16.7� 16.7�

지역

규모별

대도시 156� 45.5� 39.7� 32.7� 7.1�

중소도시 150� 52.0� 34.0� 36.0� 6.0�

군지역 26� 46.2� 46.2� 15.4� 19.2�

Page 26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3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9-1. 기관의 제도에 대한 신뢰도-정부

문) 귀하는 다음 기관의 제도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전혀

신뢰

할 수

없다

(1점)

신뢰

할 수

없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신뢰

할 수

있다

(4점)

⑤�

매우

신뢰

할 수

있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11.9� 22.9� 34.8� 38.1� 23.0� 4.2� 27.1� 100.0� 2.9� 46.2�

성별

남자 394� 11.4� 24.6� 36.0� 34.3� 22.1� 7.6� 29.7� 100.0� 2.9� 47.5�

여자 756� 12.2� 22.0� 34.1� 40.1� 23.4� 2.4� 25.8� 100.0� 2.8� 45.5�

연령별

학생층 800� 16.1� 25.4� 41.5� 41.4� 13.6� 3.5� 17.1� 100.0� 2.6� 40.8�

노년층 350� 2.3� 17.1� 19.4� 30.6� 44.3� 5.7� 50.0� 100.0� 3.3� 58.5�

연령별

초등학생 77� 3.9� 7.8� 11.7� 36.4� 46.8� 5.2� 51.9� 100.0� 3.4� 60.4�

중학생 359� 16.2� 24.5� 40.7� 44.6� 10.6� 4.2� 14.8� 100.0� 2.6� 40.5�

고등학생 364� 18.7� 29.9� 48.6� 39.3� 9.6� 2.5� 12.1� 100.0� 2.5� 36.8�

만 65세~69세 142� 2.1� 16.2� 18.3� 34.5� 43.0� 4.2� 47.2� 100.0� 3.3� 57.8�

만 70세 이상 208� 2.4� 17.8� 20.2� 27.9� 45.2� 6.7� 51.9� 100.0� 3.4� 59.0�

지역별

수도권 590� 11.2� 23.4� 34.6� 36.9� 22.9� 5.6� 28.5� 100.0� 2.9� 47.1�

경상권 139� 9.4� 17.3� 26.6� 34.5� 32.4� 6.5� 38.8� 100.0� 3.1� 52.3�

충청권 122� 7.4� 20.5� 27.9� 29.5� 41.0� 1.6� 42.6� 100.0� 3.1� 52.3�

전라권 280� 16.8� 25.7� 42.5� 44.3� 11.8� 1.4� 13.2� 100.0� 2.6� 38.8�

강원권 19� 10.5� 21.1� 31.6� 63.2� 5.3� 0.0� 5.3� 100.0� 2.6� 40.8�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2.0� 23.5� 35.5� 38.6� 20.9� 5.0� 25.9� 100.0� 2.8� 45.8�

중소도시 502� 12.2� 21.5� 33.7� 38.6� 24.1� 3.6� 27.7� 100.0� 2.9� 46.4�

군지역 107� 10.3� 26.2� 36.4� 32.7� 28.0� 2.8� 30.8� 100.0� 2.9� 46.7�

Page 26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37

9-2. 기관의 제도에 대한 신뢰도-국회

문) 귀하는 다음 기관의 제도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전혀

신뢰

할 수

없다

(1점)

신뢰

할 수

없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신뢰

할 수

있다

(4점)

⑤�

매우

신뢰

할 수

있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14.6� 26.8� 41.4� 39.3� 17.0� 2.3� 19.3� 100.0� 2.7� 41.4�

성별

남자 394� 16.0� 28.4� 44.4� 37.1� 15.5� 3.0� 18.5� 100.0� 2.6� 40.3�

여자 756� 13.9� 25.9� 39.8� 40.5� 17.9� 1.9� 19.7� 100.0� 2.7� 42.0�

연령별

학생층 800� 18.4� 28.0� 46.4� 40.4� 11.5� 1.8� 13.3� 100.0� 2.5� 37.6�

노년층 350� 6.0� 24.0� 30.0� 36.9� 29.7� 3.4� 33.1� 100.0� 3.0� 50.1�

연령별

초등학생 77� 2.6� 7.8� 10.4� 39.0� 45.5� 5.2� 50.6� 100.0� 3.4� 60.7�

중학생 359� 18.4� 24.2� 42.6� 46.5� 9.2� 1.7� 10.9� 100.0� 2.5� 37.9�

고등학생 364� 21.7� 36.0� 57.7� 34.6� 6.6� 1.1� 7.7� 100.0� 2.3� 32.4�

만 65세~69세 142� 4.9� 26.1� 31.0� 35.2� 31.7� 2.1� 33.8� 100.0� 3.0� 50.0�

만 70세 이상 208� 6.7� 22.6� 29.3� 38.0� 28.4� 4.3� 32.7� 100.0� 3.0� 50.2�

지역별

수도권 590� 14.2� 28.0� 42.2� 38.1� 16.4� 3.2� 19.7� 100.0� 2.7� 41.6�

경상권 139� 12.9� 25.2� 38.1� 32.4� 25.2� 4.3� 29.5� 100.0� 2.8� 45.7�

충청권 122� 10.7� 22.1� 32.8� 34.4� 32.8� 0.0� 32.8� 100.0� 2.9� 47.3�

전라권 280� 18.2� 27.1� 45.4� 46.1� 8.2� 0.4� 8.6� 100.0� 2.5� 36.3�

강원권 19� 10.5� 26.3� 36.8� 57.9� 5.3� 0.0� 5.3� 100.0� 2.6� 39.5�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5.2� 29.0� 44.2� 37.7� 15.3� 2.8� 18.1� 100.0� 2.6� 40.4�

중소도시 502� 13.5� 24.3� 37.8� 40.8� 19.1� 2.2� 21.3� 100.0� 2.7� 43.0�

군지역 107� 16.8� 27.1� 43.9� 40.2� 15.9� 0.0� 15.9� 100.0� 2.6� 38.8�

Page 26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3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9-3. 기관의 제도에 대한 신뢰도-학교

문) 귀하는 다음 기관의 제도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전혀

신뢰

할 수

없다

(1점)

신뢰

할 수

없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신뢰

할 수

있다

(4점)

⑤�

매우

신뢰

할 수

있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3.6� 12.7� 16.3� 46.0� 31.6� 6.2� 37.7� 100.0� 3.2� 56.0�

성별

남자 394� 5.3� 14.7� 20.1� 42.6� 30.2� 7.1� 37.3� 100.0� 3.2� 54.8�

여자 756� 2.6� 11.6� 14.3� 47.8� 32.3� 5.7� 38.0� 100.0� 3.3� 56.7�

연령별

학생층 800� 5.0� 14.9� 19.9� 48.0� 25.9� 6.3� 32.1� 100.0� 3.1� 53.4�

노년층 350� 0.3� 7.7� 8.0� 41.4� 44.6� 6.0� 50.6� 100.0� 3.5� 62.1�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5.2� 5.2� 20.8� 45.5� 28.6� 74.0� 100.0� 4.0� 74.4�

중학생 359� 5.6� 13.4� 18.9� 48.7� 27.3� 5.0� 32.3� 100.0� 3.1� 53.2�

고등학생 364� 5.5� 18.4� 23.9� 53.0� 20.3� 2.7� 23.1� 100.0� 3.0� 49.1�

만 65세~69세 142� 0.0� 7.7� 7.7� 42.3� 43.7� 6.3� 50.0� 100.0� 3.5� 62.2�

만 70세 이상 208� 0.5� 7.7� 8.2� 40.9� 45.2� 5.8� 51.0� 100.0� 3.5� 62.0�

지역별

수도권 590� 3.7� 14.6� 18.3� 45.8� 29.0� 6.9� 35.9� 100.0� 3.2� 55.2�

경상권 139� 5.0� 8.6� 13.7� 36.0� 36.0� 14.4� 50.4� 100.0� 3.5� 61.5�

충청권 122� 1.6� 13.1� 14.8� 51.6� 31.1� 2.5� 33.6� 100.0� 3.2� 54.9�

전라권 280� 3.6� 10.4� 13.9� 47.5� 36.1� 2.5� 38.6� 100.0� 3.2� 55.9�

강원권 19� 0.0� 15.8� 15.8� 68.4� 15.8� 0.0� 15.8� 100.0� 3.0� 5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3.9� 13.1� 17.0� 44.5� 31.2� 7.2� 38.4� 100.0� 3.3� 56.2�

중소도시 502� 3.6� 12.4� 15.9� 48.0� 30.1� 6.0� 36.1� 100.0� 3.2� 55.6�

군지역 107� 1.9� 12.1� 14.0� 43.9� 40.2� 1.9� 42.1� 100.0� 3.3� 57.0�

Page 26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39

9-4. 기관의 제도에 대한 신뢰도-기업

문) 귀하는 다음 기관의 제도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단위 :�%,� 점)

구분사례수

(명)

전혀

신뢰

할 수

없다

(1점)

신뢰

할 수

없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신뢰

할 수

있다

(4점)

⑤�

매우

신뢰

할 수

있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5.5� 20.9� 26.3� 49.7� 22.3� 1.7� 23.9� 100.0� 2.9� 48.4�

성별

남자 394� 7.1� 24.1� 31.2� 41.4� 25.4� 2.0� 27.4� 100.0� 2.9� 47.8�

여자 756� 4.6� 19.2� 23.8� 54.1� 20.6� 1.5� 22.1� 100.0� 3.0� 48.8�

연령별

학생층 800� 7.8� 23.4� 31.1� 52.1� 15.4� 1.4� 16.8� 100.0� 2.8� 44.8�

노년층 350� 0.3� 15.1� 15.4� 44.3� 38.0� 2.3� 40.3� 100.0� 3.3� 56.7�

연령별

초등학생 77� 2.6� 6.5� 9.1� 49.4� 41.6� 0.0� 41.6� 100.0� 3.3� 57.5�

중학생 359� 8.4� 23.1� 31.5� 51.8� 14.8� 1.9� 16.7� 100.0� 2.8� 44.7�

고등학생 364� 8.2� 27.2� 35.4� 53.0� 10.4� 1.1� 11.5� 100.0� 2.7� 42.2�

만 65세~69세 142� 0.7� 16.2� 16.9� 43.7� 37.3� 2.1� 39.4� 100.0� 3.2� 56.0�

만 70세 이상 208� 0.0� 14.4� 14.4� 44.7� 38.5� 2.4� 40.9� 100.0� 3.3� 57.2�

지역별

수도권 590� 5.4� 22.9� 28.3� 47.1� 21.7� 2.9� 24.6� 100.0� 2.9� 48.4�

경상권 139� 7.9� 12.2� 20.1� 47.5� 30.9� 1.4� 32.4� 100.0� 3.1� 51.4�

충청권 122� 3.3� 16.4� 19.7� 50.0� 30.3� 0.0� 30.3� 100.0� 3.1� 51.8�

전라권 280� 5.4� 22.5� 27.9� 55.0� 17.1� 0.0� 17.1� 100.0� 2.8� 46.0�

강원권 19� 5.3� 26.3� 31.6� 68.4� 0.0� 0.0� 0.0� 100.0� 2.6� 40.8�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5.2� 22.4� 27.5� 47.9� 22.7� 1.8� 24.6� 100.0� 2.9� 48.4�

중소도시 502� 6.0� 18.7� 24.7� 51.0� 22.5� 1.8� 24.3� 100.0� 3.0� 48.9�

군지역 107� 4.7� 23.4� 28.0� 53.3� 18.7� 0.0� 18.7� 100.0� 2.9� 46.5�

Page 27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4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9-5. 기관의 제도에 대한 신뢰도-시민단체

문) 귀하는 다음 기관의 제도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전혀

신뢰

할 수

없다

(1점)

신뢰

할 수

없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신뢰

할 수

있다

(4점)

⑤�

매우

신뢰

할 수

있다

(5점)

④+⑤

모름/

무응답계 평균

100점

평균

전 체 1,150� 3.0� 12.9� 15.9� 51.1� 30.1� 2.8� 32.9� 0.1�100.

0�3.2� 54.2�

성별

남자 394� 5.1� 14.7� 19.8� 44.7� 31.2� 4.3� 35.5� 0.0�100.

0�3.2� 53.7�

여자 756� 2.0� 11.9� 13.9� 54.5� 29.5� 2.0� 31.5� 0.1�100.

0�3.2� 54.4�

연령별

학생층 800� 3.6� 11.6� 15.3� 53.6� 28.0� 3.1� 31.1� 0.0�100.

0�3.2� 53.8�

노년층 350� 1.7� 15.7� 17.4� 45.4� 34.9� 2.0� 36.9� 0.3�100.

0�3.2� 54.9�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7.8� 9.1� 42.9� 44.2� 3.9� 48.1� 0.0�100.

0�3.4� 60.4�

중학생 359� 3.1� 11.4� 14.5� 52.4� 30.1� 3.1� 33.1� 0.0�100.

0�3.2� 54.7�

고등학생 364� 4.7� 12.6� 17.3� 57.1� 22.5� 3.0� 25.5� 0.0�100.

0�3.1� 51.7�

만 65세~69세 142� 0.0� 15.5� 15.5� 52.1� 31.0� 0.7� 31.7� 0.7�100.

0�3.2� 54.3�

만 70세 이상 208� 2.9� 15.9� 18.8� 40.9� 37.5� 2.9� 40.4� 0.0�100.

0�3.2� 55.4�

지역별

수도권 590� 3.7� 15.4� 19.2� 49.8� 28.0� 3.1� 31.0� 0.0�100.

0�3.1� 52.8�

경상권 139� 3.6� 8.6� 12.2� 47.5� 36.7� 3.6� 40.3� 0.0�100.

0�3.3� 57.0�

충청권 122� 2.5� 11.5� 13.9� 54.9� 29.5� 0.8� 30.3� 0.8�100.

0�3.2� 53.7�

전라권 280� 1.8� 10.7� 12.5� 52.9� 31.8� 2.9� 34.6� 0.0�100.

0�3.2� 55.8�

강원권 19� 0.0� 5.3� 5.3� 68.4� 26.3� 0.0� 26.3� 0.0�100.

0�3.2� 55.3�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3.9� 13.9� 17.7� 49.5� 30.1� 2.6� 32.7� 0.0�100.

0�3.1� 53.4�

중소도시 502� 2.4� 11.4� 13.7� 52.4� 30.7� 3.0� 33.7� 0.2�100.

0�3.2� 55.1�

군지역 107� 1.9� 15.0� 16.8� 53.3� 27.1� 2.8� 29.9� 0.0�100.

0�3.1� 53.5�

Page 27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41

10-1. 집단별 신뢰도-가족

문) 귀하는 다음의 사람들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전혀

신뢰

할 수

없다

(1점)

신뢰

할 수

없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신뢰

할 수

있다

(4점)

⑤�

매우

신뢰

할 수

있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0.7� 1.2� 1.9� 11.4� 38.7� 48.0� 86.7� 100.0� 4.3� 83.0�

성별

남자 394� 1.5� 1.5� 3.0� 11.7� 35.0� 50.3� 85.3� 100.0� 4.3� 82.7�

여자 756� 0.3� 1.1� 1.3� 11.2� 40.6� 46.8� 87.4� 100.0� 4.3� 83.2�

연령별

학생층 800� 1.0� 1.3� 2.3� 13.3� 32.9� 51.6� 84.5� 100.0� 4.3� 83.2�

노년층 350� 0.0� 1.1� 1.1� 7.1� 52.0� 39.7� 91.7� 100.0� 4.3� 82.6�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0.0� 0.0� 6.5� 22.1� 71.4� 93.5� 100.0� 4.7� 91.2�

중학생 359� 0.8� 1.1� 1.9� 15.6� 29.8� 52.6� 82.5� 100.0� 4.3� 83.1�

고등학생 364� 1.4� 1.6� 3.0� 12.4� 38.2� 46.4� 84.6� 100.0� 4.3� 81.7�

만 65세~69세 142� 0.0� 0.0� 0.0� 10.6� 51.4� 38.0� 89.4� 100.0� 4.3� 81.9�

만 70세 이상 208� 0.0� 1.9� 1.9� 4.8� 52.4� 40.9� 93.3� 100.0� 4.3� 83.1�

지역별

수도권 590� 0.7� 0.7� 1.4� 12.0� 40.3� 46.3� 86.6� 100.0� 4.3� 82.7�

경상권 139� 0.7� 2.2� 2.9� 5.8� 27.3� 64.0� 91.4� 100.0� 4.5� 88.0�

충청권 122� 0.0� 0.8� 0.8� 15.6� 64.8� 18.9� 83.6� 100.0� 4.0� 75.4�

전라권 280� 1.1� 2.1� 3.2� 11.1� 29.6� 56.1� 85.7� 100.0� 4.4� 84.4�

강원권 19� 0.0� 0.0� 0.0� 10.5� 36.8� 52.6� 89.5� 100.0� 4.4� 85.5�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0.7� 0.9� 1.7� 10.5� 38.3� 49.5� 87.8� 100.0� 4.4� 83.7�

중소도시 502� 0.6� 0.6� 1.2� 13.3� 36.9� 48.6� 85.5� 100.0� 4.3� 83.1�

군지역 107� 0.9� 5.6� 6.5� 6.5� 49.5� 37.4� 86.9� 100.0� 4.2� 79.2�

Page 27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4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0-2. 집단별 신뢰도-친구

문) 귀하는 다음의 사람들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전혀

신뢰

할 수

없다

(1점)

신뢰

할 수

없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신뢰

할 수

있다

(4점)

⑤�

매우

신뢰

할 수

있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1.0� 4.6� 5.6� 25.0� 56.4� 13.0� 69.5� 100.0� 3.8� 69.0�

성별

남자 394� 1.8� 3.3� 5.1� 24.6� 53.6� 16.8� 70.3� 100.0� 3.8� 70.1�

여자 756� 0.5� 5.3� 5.8� 25.1� 57.9� 11.1� 69.0� 100.0� 3.7� 68.5�

연령별

학생층 800� 1.4� 5.6� 7.0� 27.1� 52.1� 13.8� 65.9� 100.0� 3.7� 67.8�

노년층 350� 0.0� 2.3� 2.3� 20.0� 66.3� 11.4� 77.7� 100.0� 3.9� 71.7�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1.3� 2.6� 16.9� 58.4� 22.1� 80.5� 100.0� 4.0� 74.7�

중학생 359� 0.8� 6.4� 7.2� 29.2� 47.1� 16.4� 63.5� 100.0� 3.7� 68.0�

고등학생 364� 1.9� 5.8� 7.7� 27.2� 55.8� 9.3� 65.1� 100.0� 3.7� 66.2�

만 65세~69세 142� 0.0� 1.4� 1.4� 20.4� 65.5� 12.7� 78.2� 100.0� 3.9� 72.4�

만 70세 이상 208� 0.0� 2.9� 2.9� 19.7� 66.8� 10.6� 77.4� 100.0� 3.9� 71.3�

지역별

수도권 590� 1.2� 3.9� 5.1� 26.4� 53.7� 14.7� 68.5� 100.0� 3.8� 69.2�

경상권 139� 0.7� 2.2� 2.9� 22.3� 58.3� 16.5� 74.8� 100.0� 3.9� 71.9�

충청권 122� 0.0� 9.0� 9.0� 28.7� 60.7� 1.6� 62.3� 100.0� 3.6� 63.7�

전라권 280� 1.1� 5.0� 6.1� 21.1� 59.6� 13.2� 72.9� 100.0� 3.8� 69.7�

강원권 19� 0.0� 10.5� 10.5� 31.6� 52.6� 5.3� 57.9� 100.0� 3.5� 63.2�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0.9� 4.3� 5.2� 24.6� 55.8� 14.4� 70.2� 100.0� 3.8� 69.6�

중소도시 502� 1.2� 4.6� 5.8� 26.1� 55.8� 12.4� 68.1� 100.0� 3.7� 68.4�

군지역 107� 0.0� 6.5� 6.5� 21.5� 62.6� 9.3� 72.0� 100.0� 3.8� 68.7�

Page 27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43

10-3. 집단별 신뢰도-동네이웃

문) 귀하는 다음의 사람들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전혀

신뢰

할 수

없다

(1점)

신뢰

할 수

없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신뢰

할 수

있다

(4점)

⑤�

매우

신뢰

할 수

있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5.6� 22.3� 27.8� 49.7� 20.4� 2.0� 22.4� 100.0� 2.9� 47.8�

성별

남자 394� 5.8� 18.8� 24.6� 50.0� 23.1� 2.3� 25.4� 100.0� 3.0� 49.3�

여자 756� 5.4� 24.1� 29.5� 49.6� 19.0� 1.9� 20.9� 100.0� 2.9� 47.0�

연령별

학생층 800� 7.9� 28.9� 36.8� 53.4� 8.9� 1.0� 9.9� 100.0� 2.7� 41.6�

노년층 350� 0.3� 7.1� 7.4� 41.4� 46.9� 4.3� 51.1� 100.0� 3.5� 61.9�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13.0� 14.3� 54.5� 28.6� 2.6� 31.2� 100.0� 3.2� 54.6�

중학생 359� 8.1� 30.9� 39.0� 51.0� 8.6� 1.4� 10.0� 100.0� 2.6� 41.1�

고등학생 364� 9.1� 30.2� 39.3� 55.5� 4.9� 0.3� 5.2� 100.0� 2.6� 39.3�

만 65세~69세 142� 0.0� 5.6� 5.6� 40.8� 50.7� 2.8� 53.5� 100.0� 3.5� 62.7�

만 70세 이상 208� 0.5� 8.2� 8.7� 41.8� 44.2� 5.3� 49.5� 100.0� 3.5� 61.4�

지역별

수도권 590� 5.4� 24.2� 29.7� 48.6� 19.0� 2.7� 21.7� 100.0� 2.9� 47.3�

경상권 139� 5.0� 14.4� 19.4� 54.7� 23.7� 2.2� 25.9� 100.0� 3.0� 50.9�

충청권 122� 4.1� 19.7� 23.8� 45.1� 31.1� 0.0� 31.1� 100.0� 3.0� 50.8�

전라권 280� 6.4� 23.2� 29.6� 51.8� 17.5� 1.1� 18.6� 100.0� 2.8� 45.9�

강원권 19� 10.5� 21.1� 31.6� 47.4� 15.8� 5.3� 21.1� 100.0� 2.8� 46.1�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5.4� 23.8� 29.2� 51.0� 18.1� 1.7� 19.8� 100.0� 2.9� 46.7�

중소도시 502� 5.2� 21.7� 26.9� 50.0� 20.3� 2.8� 23.1� 100.0� 2.9� 48.5�

군지역 107� 8.4� 16.8� 25.2� 42.1� 32.7� 0.0� 32.7� 100.0� 3.0� 49.8�

Page 27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4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구분사례수

(명)

전혀

신뢰할

없다

(1점)

신뢰할

없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신뢰할

있다

(4점)

⑤�

매우

신뢰할

있다

(5점)

④+⑤

모름/

무응답계 평균

100점

평균

전 체 1,150� 4.9� 18.0� 22.9� 57.8� 17.8� 1.2� 19.0� 0.3� 100.0� 2.9� 48.1�

성별

남자 394� 4.3� 15.5� 19.8� 57.4� 21.1� 1.5� 22.6� 0.3� 100.0� 3.0� 50.0�

여자 756� 5.2� 19.3� 24.5� 58.1� 16.1� 1.1� 17.2� 0.3� 100.0� 2.9� 47.2�

연령별

학생층 800� 6.9� 20.5� 27.4� 59.8� 11.8� 1.0� 12.8� 0.1� 100.0� 2.8� 44.9�

노년층 350� 0.3� 12.3� 12.6� 53.4� 31.7� 1.7� 33.4� 0.6� 100.0� 3.2� 55.6�

연령별

초등학생 77� 6.5� 16.9� 23.4� 51.9� 20.8� 2.6� 23.4� 1.3� 100.0� 3.0� 49.0�

중학생 359� 5.8� 22.6� 28.4� 58.8� 11.7� 1.1� 12.8� 0.0� 100.0� 2.8� 44.9�

고등학생 364� 8.0� 19.2� 27.2� 62.4� 9.9� 0.5� 10.4� 0.0� 100.0� 2.8� 44.0�

만 65세~69세 142� 0.7� 10.6� 11.3� 54.2� 32.4� 2.1� 34.5� 0.0� 100.0� 3.3� 56.2�

만 70세 이상 208� 0.0� 13.5� 13.5� 52.9� 31.3� 1.4� 32.7� 1.0� 100.0� 3.2� 55.2�

지역별

수도권 590� 4.6� 16.6� 21.2� 60.0� 17.1� 1.5� 18.6� 0.2� 100.0� 2.9� 48.6�

경상권 139� 6.5� 21.6� 28.1� 56.1� 15.1� 0.7� 15.8� 0.0� 100.0� 2.8� 45.5�

충청권 122� 1.6� 22.1� 23.8� 54.1� 20.5� 0.8� 21.3� 0.8� 100.0� 3.0� 49.2�

전라권 280� 6.4� 17.1� 23.6� 55.4� 20.0� 0.7� 20.7� 0.4� 100.0� 2.9� 47.9�

강원권 19� 0.0� 21.1� 21.1� 63.2� 10.5� 5.3� 15.8� 0.0� 100.0� 3.0� 5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4.4� 16.5� 20.9� 61.2� 16.6� 1.1� 17.7� 0.2� 100.0� 2.9� 48.4�

중소도시 502� 4.8� 20.1� 24.9� 55.4� 17.7� 1.6� 19.3� 0.4� 100.0� 2.9� 47.8�

군지역 107� 7.5� 15.9� 23.4� 52.3� 24.3� 0.0� 24.3� 0.0� 100.0� 2.9� 48.4�

10-4. 집단별 신뢰도-직장동료

문) 귀하는 다음의 사람들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단위 :�%,� 점수)

Page 27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45

10-5. 집단별 신뢰도-낯선 사람

문) 귀하는 다음의 사람들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전혀

신뢰

할 수

없다

(1점)

신뢰

할 수

없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신뢰

할 수

있다

(4점)

⑤�

매우

신뢰

할 수

있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44.3� 33.7� 77.9� 20.1� 1.7� 0.3� 2.0� 100.0� 1.8� 20.0�

성별

남자 394� 39.8� 36.3� 76.1� 21.8� 1.8� 0.3� 2.0� 100.0� 1.9� 21.6�

여자 756� 46.6� 32.3� 78.8� 19.2� 1.6� 0.4� 2.0� 100.0� 1.8� 19.3�

연령별

학생층 800� 53.3� 31.0� 84.3� 14.6� 0.8� 0.4� 1.1� 100.0� 1.6� 16.0�

노년층 350� 23.7� 39.7� 63.4� 32.6� 3.7� 0.3� 4.0� 100.0� 2.2� 29.3�

연령별

초등학생 77� 63.6� 24.7� 88.3� 7.8� 2.6� 1.3� 3.9� 100.0� 1.5� 13.3�

중학생 359� 51.3� 33.1� 84.4� 14.8� 0.8� 0.0� 0.8� 100.0� 1.7� 16.3�

고등학생 364� 53.0� 30.2� 83.2� 15.9� 0.3� 0.5� 0.8� 100.0� 1.7� 16.3�

만 65세~69세 142� 26.8� 37.3� 64.1� 33.1� 2.8� 0.0� 2.8� 100.0� 2.1� 28.0�

만 70세 이상 208� 21.6� 41.3� 63.0� 32.2� 4.3� 0.5� 4.8� 100.0� 2.2� 30.2�

지역별

수도권 590� 45.3� 32.5� 77.8� 20.2� 1.7� 0.3� 2.0� 100.0� 1.8� 19.8�

경상권 139� 55.4� 26.6� 82.0� 17.3� 0.0� 0.7� 0.7� 100.0� 1.6� 16.0�

충청권 122� 24.6� 42.6� 67.2� 26.2� 6.6� 0.0� 6.6� 100.0� 2.2� 28.7�

전라권 280� 45.0� 35.7� 80.7� 18.9� 0.4� 0.0� 0.4� 100.0� 1.8� 18.7�

강원권 19� 47.4� 31.6� 78.9� 15.8� 0.0� 5.3� 5.3� 100.0� 1.8� 21.1�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44.4� 36.6� 81.0� 18.3� 0.4� 0.4� 0.7� 100.0� 1.8� 19.0�

중소도시 502� 44.6� 28.7� 73.3� 23.3� 3.0� 0.4� 3.4� 100.0� 1.9� 21.5�

군지역 107� 42.1� 42.1� 84.1� 14.0� 1.9� 0.0� 1.9� 100.0� 1.8� 18.9�

Page 27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4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1. 사회 전반 신뢰도

문) 귀하는 우리 사회가 얼마나 서로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회라고 생각하십니까?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전혀

신뢰

할 수

없다

(1점)

신뢰

할 수

없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신뢰

할 수

있다

(4점)

⑤�

매우

신뢰

할 수

있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4.6� 30.5� 35.1� 43.8� 20.3� 0.7� 21.0� 100.0� 2.8� 45.5�

성별

남자 394� 6.1� 29.2� 35.3� 42.6� 21.6� 0.5� 22.1� 100.0� 2.8� 45.3�

여자 756� 3.8� 31.2� 35.1� 44.4� 19.7� 0.8� 20.5� 100.0� 2.8� 45.6�

연령별

학생층 800� 5.9� 37.5� 43.4� 45.1� 11.1� 0.4� 11.5� 100.0� 2.6� 40.7�

노년층 350� 1.7� 14.6� 16.3� 40.9� 41.4� 1.4� 42.9� 100.0� 3.3� 56.6�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11.7� 13.0� 48.1� 36.4� 2.6� 39.0� 100.0� 3.3� 56.8�

중학생 359� 6.4� 35.7� 42.1� 45.1� 12.5� 0.3� 12.8� 100.0� 2.7� 41.2�

고등학생 364� 6.3� 44.8� 51.1� 44.5� 4.4� 0.0� 4.4� 100.0� 2.5� 36.7�

만 65세~69세 142� 1.4� 16.9� 18.3� 43.7� 35.9� 2.1� 38.0� 100.0� 3.2� 55.1�

만 70세 이상 208� 1.9� 13.0� 14.9� 38.9� 45.2� 1.0� 46.2� 100.0� 3.3� 57.6�

지역별

수도권 590� 4.2� 32.9� 37.1� 42.5� 19.3� 1.0� 20.3� 100.0� 2.8� 45.0�

경상권 139� 5.8� 23.7� 29.5� 50.4� 19.4� 0.7� 20.1� 100.0� 2.9� 46.4�

충청권 122� 3.3� 22.1� 25.4� 32.8� 41.8� 0.0� 41.8� 100.0� 3.1� 53.3�

전라권 280� 5.4� 31.8� 37.1� 48.2� 14.3� 0.4� 14.6� 100.0� 2.7� 43.1�

강원권 19� 5.3� 42.1� 47.4� 42.1� 10.5� 0.0� 10.5� 100.0� 2.6� 39.5�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3.5� 31.1� 34.6� 47.7� 17.6� 0.2� 17.7� 100.0� 2.8� 45.0�

중소도시 502� 6.0� 30.7� 36.7� 38.8� 23.1� 1.4� 24.5� 100.0� 2.8� 45.8�

군지역 107� 3.7� 27.1� 30.8� 47.7� 21.5� 0.0� 21.5� 100.0� 2.9� 46.7�

Page 27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47

12-1.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바람직한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1.8� 10.1� 11.9� 39.3� 39.3� 9.5� 48.8� 100.0� 3.5� 61.1�

성별

남자 394� 2.3� 9.4� 11.7� 36.3� 40.1� 11.9� 52.0� 100.0� 3.5� 62.5�

여자 756� 1.6� 10.4� 12.0� 40.9� 38.9� 8.2� 47.1� 100.0� 3.4� 60.4�

연령별

학생층 800� 2.4� 11.0� 13.4� 40.0� 35.3� 11.4� 46.6� 100.0� 3.4� 60.6�

노년층 350� 0.6� 8.0� 8.6� 37.7� 48.6� 5.1� 53.7� 100.0� 3.5� 62.4�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0.0� 0.0� 39.0� 40.3� 20.8� 61.0� 100.0� 3.8� 70.5�

중학생 359� 2.5� 11.1� 13.6� 39.3� 36.2� 10.9� 47.1� 100.0� 3.4� 60.5�

고등학생 364� 2.7� 13.2� 15.9� 40.9� 33.2� 9.9� 43.1� 100.0� 3.3� 58.6�

만 65세~69세 142� 1.4� 7.7� 9.2� 32.4� 52.1� 6.3� 58.5� 100.0� 3.5� 63.6�

만 70세 이상 208� 0.0� 8.2� 8.2� 41.3� 46.2� 4.3� 50.5� 100.0� 3.5� 61.7�

지역별

수도권 590� 1.5� 12.4� 13.9� 38.6� 38.6� 8.8� 47.5� 100.0� 3.4� 60.2�

경상권 139� 0.7� 7.9� 8.6� 35.3� 41.7� 14.4� 56.1� 100.0� 3.6� 65.3�

충청권 122� 1.6� 6.6� 8.2� 50.8� 35.2� 5.7� 41.0� 100.0� 3.4� 59.2�

전라권 280� 2.9� 6.4� 9.3� 37.5� 42.9� 10.4� 53.2� 100.0� 3.5� 62.9�

강원권 19� 5.3� 31.6� 36.8� 42.1� 15.8� 5.3� 21.1� 100.0� 2.8� 46.1�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0.9� 11.3� 12.2� 40.1� 37.9� 9.8� 47.7� 100.0� 3.4� 61.1�

중소도시 502� 2.4� 8.8� 11.2� 39.6� 39.6� 9.6� 49.2� 100.0� 3.5� 61.3�

군지역 107� 3.7� 10.3� 14.0� 33.6� 44.9� 7.5� 52.3� 100.0� 3.4� 60.5�

Page 27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4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2-2. 삶의 조건 및 정신건강-생활하기에 좋은 조건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1.7� 14.6� 16.3� 40.7� 34.2� 8.9� 43.0� 100.0� 3.3� 58.5�

성별

남자 394� 2.3� 13.7� 16.0� 40.9� 32.7� 10.4� 43.1� 100.0� 3.4� 58.8�

여자 756� 1.3� 15.1� 16.4� 40.6� 34.9� 8.1� 43.0� 100.0� 3.3� 58.3�

연령별

학생층 800� 2.1� 14.1� 16.3� 39.4� 33.3� 11.1� 44.4� 100.0� 3.4� 59.3�

노년층 350� 0.6� 15.7� 16.3� 43.7� 36.3� 3.7� 40.0� 100.0� 3.3� 56.7�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6.5� 6.5� 31.2� 44.2� 18.2� 62.3� 100.0� 3.7� 68.5�

중학생 359� 1.4� 13.6� 15.0� 39.3� 34.5� 11.1� 45.7� 100.0� 3.4� 60.1�

고등학생 364� 3.3� 16.2� 19.5� 41.2� 29.7� 9.6� 39.3� 100.0� 3.3� 56.5�

만 65세~69세 142� 0.0� 13.4� 13.4� 45.8� 36.6� 4.2� 40.8� 100.0� 3.3� 57.9�

만 70세 이상 208� 1.0� 17.3� 18.3� 42.3� 36.1� 3.4� 39.4� 100.0� 3.2� 55.9�

지역별

수도권 590� 1.2� 16.1� 17.3� 43.4� 31.0� 8.3� 39.3� 100.0� 3.3� 57.3�

경상권 139� 2.2� 15.1� 17.3� 38.8� 29.5� 14.4� 43.9� 100.0� 3.4� 59.7�

충청권 122� 0.8� 13.9� 14.8� 42.6� 39.3� 3.3� 42.6� 100.0� 3.3� 57.6�

전라권 280� 2.9� 10.4� 13.2� 35.0� 41.8� 10.0� 51.8� 100.0� 3.5� 61.4�

강원권 19� 0.0� 31.6� 31.6� 42.1� 21.1� 5.3� 26.3� 100.0� 3.0� 5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1� 15.3� 16.5� 40.7� 33.6� 9.2� 42.9� 100.0� 3.4� 58.6�

중소도시 502� 1.6� 13.5� 15.1� 41.2� 34.5� 9.2� 43.6� 100.0� 3.4� 59.0�

군지역 107� 4.7� 15.9� 20.6� 38.3� 35.5� 5.6� 41.1� 100.0� 3.2� 55.4�

Page 27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49

12-3.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나의 삶에 만족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3.5� 18.3� 21.7� 34.8� 34.7� 8.8� 43.5� 100.0� 3.3� 56.8�

성별

남자 394� 4.3� 16.5� 20.8� 32.0� 35.5� 11.7� 47.2� 100.0� 3.3� 58.4�

여자 756� 3.0� 19.2� 22.2� 36.2� 34.3� 7.3� 41.5� 100.0� 3.2� 55.9�

연령별

학생층 800� 4.5� 18.6� 23.1� 32.9� 32.5� 11.5� 44.0� 100.0� 3.3� 57.0�

노년층 350� 1.1� 17.4� 18.6� 39.1� 39.7� 2.6� 42.3� 100.0� 3.3� 56.3�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3.9� 3.9� 23.4� 51.9� 20.8� 72.7� 100.0� 3.9� 72.4�

중학생 359� 3.6� 17.0� 20.6� 33.4� 33.7� 12.3� 46.0� 100.0� 3.3� 58.5�

고등학생 364� 6.3� 23.4� 29.7� 34.3� 27.2� 8.8� 36.0� 100.0� 3.1� 52.2�

만 65세~69세 142� 0.7� 16.9� 17.6� 38.0� 40.8� 3.5� 44.4� 100.0� 3.3� 57.4�

만 70세 이상 208� 1.4� 17.8� 19.2� 39.9� 38.9� 1.9� 40.9� 100.0� 3.2� 55.5�

지역별

수도권 590� 3.2� 21.5� 24.7� 34.9� 32.0� 8.3� 40.3� 100.0� 3.2� 55.2�

경상권 139� 2.2� 16.5� 18.7� 28.8� 38.8� 13.7� 52.5� 100.0� 3.5� 61.3�

충청권 122� 3.3� 17.2� 20.5� 40.2� 35.2� 4.1� 39.3� 100.0� 3.2� 54.9�

전라권 280� 4.3� 11.4� 15.7� 35.4� 39.6� 9.3� 48.9� 100.0� 3.4� 59.6�

강원권 19� 10.5� 36.8� 47.4� 31.6� 10.5� 10.5� 21.1� 100.0� 2.7� 43.4�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2.6� 19.6� 22.2� 33.8� 35.3� 8.7� 44.0� 100.0� 3.3� 57.0�

중소도시 502� 3.8� 16.5� 20.3� 35.1� 35.7� 9.0� 44.6� 100.0� 3.3� 57.4�

군지역 107� 6.5� 19.6� 26.2� 38.3� 27.1� 8.4� 35.5� 100.0� 3.1� 52.8�

Page 28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5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2-4. 삶의 조건 정신건강-배움에 대한 만족도

문) 다음은 귀하의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4.2� 22.2� 26.3� 36.0� 29.2� 8.4� 37.7� 100.0� 3.2� 53.9�

성별

남자 394� 3.8� 22.1� 25.9� 35.3� 28.9� 9.9� 38.8� 100.0� 3.2� 54.8�

여자 756� 4.4� 22.2� 26.6� 36.4� 29.4� 7.7� 37.0� 100.0� 3.1� 53.4�

연령별

학생층 800� 5.0� 19.8� 24.8� 34.8� 29.4� 11.1� 40.5� 100.0� 3.2� 55.5�

노년층 350� 2.3� 27.7� 30.0� 38.9� 28.9� 2.3� 31.1� 100.0� 3.0� 50.3�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6.5� 6.5� 32.5� 44.2� 16.9� 61.0� 100.0� 3.7� 67.9�

중학생 359� 4.7� 17.8� 22.6� 34.8� 31.8� 10.9� 42.6� 100.0� 3.3� 56.6�

고등학생 364� 6.3� 24.5� 30.8� 35.2� 23.9� 10.2� 34.1� 100.0� 3.1� 51.8�

만 65세~69세 142� 2.1� 28.9� 31.0� 33.8� 32.4� 2.8� 35.2� 100.0� 3.1� 51.2�

만 70세 이상 208� 2.4� 26.9� 29.3� 42.3� 26.4� 1.9� 28.4� 100.0� 3.0� 49.6�

지역별

수도권 590� 3.9� 24.4� 28.3� 35.1� 28.3� 8.3� 36.6� 100.0� 3.1� 53.2�

경상권 139� 5.0� 20.9� 25.9� 35.3� 28.8� 10.1� 38.8� 100.0� 3.2� 54.5�

충청권 122� 3.3� 26.2� 29.5� 39.3� 28.7� 2.5� 31.1� 100.0� 3.0� 50.2�

전라권 280� 4.6� 15.7� 20.4� 36.4� 32.5� 10.7� 43.2� 100.0� 3.3� 57.2�

강원권 19� 5.3� 31.6� 36.8� 42.1� 15.8� 5.3� 21.1� 100.0� 2.8� 46.1�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3.9� 23.7� 27.5� 33.1� 29.8� 9.6� 39.4� 100.0� 3.2� 54.4�

중소도시 502� 4.2� 19.1� 23.3� 39.2� 30.1� 7.4� 37.5� 100.0� 3.2� 54.3�

군지역 107� 5.6� 29.0� 34.6� 35.5� 22.4� 7.5� 29.9� 100.0� 3.0� 49.3�

Page 28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51

12-5.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다시 태어나도 지금과 같은 삶을 살고 싶은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14.4� 27.9� 42.3� 32.6� 20.2� 4.9� 25.0� 100.0� 2.7� 43.3�

성별

남자 394� 13.2� 27.7� 40.9� 30.2� 23.1� 5.8� 28.9� 100.0� 2.8� 45.2�

여자 756� 15.1� 28.0� 43.1� 33.9� 18.7� 4.4� 23.0� 100.0� 2.7� 42.3�

연령별

학생층 800� 17.6� 27.4� 45.0� 29.9� 18.8� 6.4� 25.1� 100.0� 2.7� 42.2�

노년층 350� 7.1� 29.1� 36.3� 38.9� 23.4� 1.4� 24.9� 100.0� 2.8� 45.7�

연령별

초등학생 77� 3.9� 10.4� 14.3� 31.2� 37.7� 16.9� 54.5� 100.0� 3.5� 63.3�

중학생 359� 14.5� 28.4� 42.9� 30.1� 20.6� 6.4� 27.0� 100.0� 2.8� 44.0�

고등학생 364� 23.6� 29.9� 53.6� 29.4� 12.9� 4.1� 17.0� 100.0� 2.4� 36.0�

만 65세~69세 142� 7.0� 29.6� 36.6� 36.6� 26.1� 0.7� 26.8� 100.0� 2.8� 46.0�

만 70세 이상 208� 7.2� 28.8� 36.1� 40.4� 21.6� 1.9� 23.6� 100.0� 2.8� 45.6�

지역별

수도권 590� 15.8� 29.0� 44.7� 32.5� 19.7� 3.1� 22.7� 100.0� 2.7� 41.3�

경상권 139� 14.4� 21.6� 36.0� 31.7� 20.9� 11.5� 32.4� 100.0� 2.9� 48.4�

충청권 122� 9.8� 27.9� 37.7� 36.9� 20.5� 4.9� 25.4� 100.0� 2.8� 45.7�

전라권 280� 13.2� 27.9� 41.1� 31.8� 21.8� 5.4� 27.1� 100.0� 2.8� 44.6�

강원권 19� 21.1� 42.1� 63.2� 26.3� 5.3� 5.3� 10.5� 100.0� 2.3� 32.9�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2.0� 30.3� 42.3� 33.1� 20.0� 4.6� 24.6� 100.0� 2.8� 43.7�

중소도시 502� 16.5� 23.5� 40.0� 33.5� 22.1� 4.4� 26.5� 100.0� 2.7� 43.6�

군지역 107� 16.8� 36.4� 53.3� 26.2� 12.1� 8.4� 20.6� 100.0� 2.6� 39.7�

Page 28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5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2-6. 삶의 조건 및 정신건강-정신적으로 안정감을 느낀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4.6� 16.3� 21.0� 40.3� 31.0� 7.7� 38.7� 100.0� 3.2� 55.2�

성별

남자 394� 4.3� 16.0� 20.3� 36.8� 35.8� 7.1� 42.9� 100.0� 3.3� 56.4�

여자 756� 4.8� 16.5� 21.3� 42.2� 28.4� 8.1� 36.5� 100.0� 3.2� 54.6�

연령별

학생층 800� 5.9� 17.5� 23.4� 38.5� 28.1� 10.0� 38.1� 100.0� 3.2� 54.7�

노년층 350� 1.7� 13.7� 15.4� 44.6� 37.4� 2.6� 40.0� 100.0� 3.3� 56.4�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2.6� 2.6� 32.5� 44.2� 20.8� 64.9� 100.0� 3.8� 70.8�

중학생 359� 3.9� 16.4� 20.3� 39.0� 30.1� 10.6� 40.7� 100.0� 3.3� 56.8�

고등학생 364� 9.1� 21.7� 30.8� 39.3� 22.8� 7.1� 29.9� 100.0� 3.0� 49.3�

만 65세~69세 142� 0.7� 14.8� 15.5� 40.8� 40.8� 2.8� 43.7� 100.0� 3.3� 57.6�

만 70세 이상 208� 2.4� 13.0� 15.4� 47.1� 35.1� 2.4� 37.5� 100.0� 3.2� 55.5�

지역별

수도권 590� 3.7� 19.3� 23.1� 41.9� 28.1� 6.9� 35.1� 100.0� 3.2� 53.8�

경상권 139� 3.6� 8.6� 12.2� 39.6� 37.4� 10.8� 48.2� 100.0� 3.4� 60.8�

충청권 122� 3.3� 18.0� 21.3� 44.3� 31.1� 3.3� 34.4� 100.0� 3.1� 53.3�

전라권 280� 7.1� 11.8� 18.9� 35.4� 35.4� 10.4� 45.7� 100.0� 3.3� 57.5�

강원권 19� 10.5� 36.8� 47.4� 47.4� 5.3� 0.0� 5.3� 100.0� 2.5� 36.8�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4.4� 16.5� 20.9� 38.8� 32.0� 8.3� 40.3� 100.0� 3.2� 55.8�

중소도시 502� 3.4� 16.7� 20.1� 41.0� 31.3� 7.6� 38.8� 100.0� 3.2� 55.7�

군지역 107� 11.2� 14.0� 25.2� 44.9� 24.3� 5.6� 29.9� 100.0� 3.0� 49.8�

Page 28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53

12-7.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걱정거리가 적은 편이라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7.9� 27.0� 35.0� 35.9� 23.7� 5.5� 29.1� 100.0� 2.9� 47.9�

성별

남자 394� 7.4� 23.1� 30.5� 38.3� 25.1� 6.1� 31.2� 100.0� 3.0� 49.9�

여자 756� 8.2� 29.1� 37.3� 34.7� 22.9� 5.2� 28.0� 100.0� 2.9� 46.9�

연령별

학생층 800� 9.9� 28.9� 38.8� 33.0� 21.4� 6.9� 28.3� 100.0� 2.9� 46.6�

노년층 350� 3.4� 22.9� 26.3� 42.6� 28.9� 2.3� 31.1� 100.0� 3.0� 50.9�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11.7� 13.0� 40.3� 27.3� 19.5� 46.8� 100.0� 3.5� 63.0�

중학생 359� 7.5� 28.7� 36.2� 33.7� 22.8� 7.2� 30.1� 100.0� 2.9� 48.4�

고등학생 364� 14.0� 32.7� 46.7� 30.8� 18.7� 3.8� 22.5� 100.0� 2.7� 41.4�

만 65세~69세 142� 4.2� 21.8� 26.1� 40.8� 29.6� 3.5� 33.1� 100.0� 3.1� 51.6�

만 70세 이상 208� 2.9� 23.6� 26.4� 43.8� 28.4� 1.4� 29.8� 100.0� 3.0� 50.5�

지역별

수도권 590� 8.1� 28.3� 36.4� 34.9� 23.7� 4.9� 28.6� 100.0� 2.9� 47.3�

경상권 139� 3.6� 25.9� 29.5� 33.1� 27.3� 10.1� 37.4� 100.0� 3.1� 53.6�

충청권 122� 6.6� 25.4� 32.0� 41.8� 26.2� 0.0� 26.2� 100.0� 2.9� 46.9�

전라권 280� 8.9� 24.3� 33.2� 37.5� 22.1� 7.1� 29.3� 100.0� 2.9� 48.6�

강원권 19� 26.3� 47.4� 73.7� 26.3� 0.0� 0.0� 0.0� 100.0� 2.0� 25.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8.5� 26.1� 34.6� 35.3� 24.0� 6.1� 30.1� 100.0� 2.9� 48.3�

중소도시 502� 7.0� 27.5� 34.5� 36.7� 24.1� 4.8� 28.9� 100.0� 2.9� 48.1�

군지역 107� 9.3� 29.9� 39.3� 35.5� 19.6� 5.6� 25.2� 100.0� 2.8� 45.6�

Page 28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5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2-8.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미래를 낙관적으로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모름/�

무응답계 평균

100점

평균

전 체 1,150� 2.7� 14.3� 17.0� 44.7� 30.2� 8.1� 38.3� 0.1�100.

0�3.3� 56.7�

성별

남자 394� 3.0� 11.9� 15.0� 42.4� 32.7� 9.6� 42.4� 0.3�100.

0�3.3� 58.5�

여자 756� 2.5� 15.5� 18.0� 45.9� 28.8� 7.3� 36.1� 0.0�100.

0�3.2� 55.7�

연령별

학생층 800� 3.5� 13.5� 17.0� 45.9� 27.8� 9.4� 37.1� 0.0�100.

0�3.3� 56.5�

노년층 350� 0.9� 16.0� 16.9� 42.0� 35.7� 5.1� 40.9� 0.3�100.

0�3.3� 57.1�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2.6� 3.9� 37.7� 41.6� 16.9� 58.4� 0.0�100.

0�3.7� 67.5�

중학생 359� 2.2� 12.8� 15.0� 49.6� 27.3� 8.1� 35.4� 0.0�100.

0�3.3� 56.6�

고등학생 364� 5.2� 16.5� 21.7� 44.0� 25.3� 9.1� 34.3� 0.0�100.

0�3.2� 54.1�

만 65세~69세 142� 0.0� 16.2� 16.2� 40.8� 35.2� 7.0� 42.3� 0.7�100.

0�3.3� 58.3�

만 70세 이상 208� 1.4� 15.9� 17.3� 42.8� 36.1� 3.8� 39.9� 0.0�100.

0�3.3� 56.3�

지역별

수도권 590� 2.7� 13.4� 16.1� 47.5� 29.2� 7.3� 36.4� 0.0�100.

0�3.3� 56.2�

경상권 139� 2.2� 15.8� 18.0� 34.5� 32.4� 15.1� 47.5� 0.0�100.

0�3.4� 60.6�

충청권 122� 0.8� 20.5� 21.3� 42.6� 31.1� 4.1� 35.2� 0.8�100.

0�3.2� 54.3�

전라권 280� 3.6� 11.8� 15.4� 43.9� 32.1� 8.6� 40.7� 0.0�100.

0�3.3� 57.6�

강원권 19� 5.3� 26.3� 31.6� 57.9� 10.5� 0.0� 10.5� 0.0�100.

0�2.7� 43.4�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7� 17.0� 18.7� 44.0� 28.8� 8.3� 37.2� 0.2�100.

0�3.3� 56.3�

중소도시 502� 3.2� 11.2� 14.3� 45.4� 32.5� 7.8� 40.2� 0.0�100.

0�3.3� 57.6�

군지역 107� 5.6� 15.0� 20.6� 44.9� 26.2� 8.4� 34.6� 0.0�100.

0�3.2� 54.2�

Page 28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55

12-9.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긍정적인 사고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2.3� 11.7� 14.0� 40.3� 36.3� 9.3� 45.7� 100.0� 3.4� 59.7�

성별

남자 394� 3.3� 9.6� 12.9� 38.8� 36.8� 11.4� 48.2� 100.0� 3.4� 60.9�

여자 756� 1.9� 12.7� 14.6� 41.1� 36.1� 8.2� 44.3� 100.0� 3.4� 59.0�

연령별

학생층 800� 3.3� 12.5� 15.8� 38.8� 33.9� 11.6� 45.5� 100.0� 3.4� 59.5�

노년층 350� 0.3� 9.7� 10.0� 44.0� 42.0� 4.0� 46.0� 100.0� 3.4� 59.9�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2.6� 3.9� 24.7� 51.9� 19.5� 71.4� 100.0� 3.9� 71.4�

중학생 359� 2.2� 12.3� 14.5� 39.3� 36.5� 9.7� 46.2� 100.0� 3.4� 59.8�

고등학생 364� 4.7� 14.8� 19.5� 41.2� 27.5� 11.8� 39.3� 100.0� 3.3� 56.7�

만 65세~69세 142� 0.0� 9.2� 9.2� 43.7� 41.5� 5.6� 47.2� 100.0� 3.4� 60.9�

만 70세 이상 208� 0.5� 10.1� 10.6� 44.2� 42.3� 2.9� 45.2� 100.0� 3.4� 59.3�

지역별

수도권 590� 2.4� 13.1� 15.4� 41.5� 34.7� 8.3� 43.1� 100.0� 3.3� 58.4�

경상권 139� 1.4� 10.1� 11.5� 31.7� 39.6� 17.3� 56.8� 100.0� 3.6� 65.3�

충청권 122� 1.6� 15.6� 17.2� 42.6� 34.4� 5.7� 40.2� 100.0� 3.3� 56.8�

전라권 280� 2.9� 6.4� 9.3� 41.1� 40.0� 9.6� 49.6� 100.0� 3.5� 61.8�

강원권 19� 5.3� 31.6� 36.8� 42.1� 21.1� 0.0� 21.1� 100.0� 2.8� 44.7�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2.0� 12.6� 14.6� 38.1� 37.5� 9.8� 47.3� 100.0� 3.4� 60.1�

중소도시 502� 2.6� 10.8� 13.3� 41.8� 35.7� 9.2� 44.8� 100.0� 3.4� 59.5�

군지역 107� 2.8� 11.2� 14.0� 44.9� 33.6� 7.5� 41.1� 100.0� 3.3� 57.9�

Page 28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5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2-10. 삶의 조건 및 정신건강-의욕적으로 생활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삶의 조건 및 정신 건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3.2� 16.8� 20.0� 42.3� 30.3� 7.3� 37.7� 100.0� 3.2� 55.4�

성별

남자 394� 3.8� 13.5� 17.3� 39.8� 33.8� 9.1� 42.9� 100.0� 3.3� 57.7�

여자 756� 2.9� 18.5� 21.4� 43.7� 28.6� 6.3� 34.9� 100.0� 3.2� 54.2�

연령별

학생층 800� 4.4� 17.1� 21.5� 40.4� 29.3� 8.9� 38.1� 100.0� 3.2� 55.3�

노년층 350� 0.6� 16.0� 16.6� 46.9� 32.9� 3.7� 36.6� 100.0� 3.2� 55.8�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7.8� 7.8� 28.6� 40.3� 23.4� 63.6� 100.0� 3.8� 69.8�

중학생 359� 2.2� 15.3� 17.5� 42.9� 30.6� 8.9� 39.6� 100.0� 3.3� 57.2�

고등학생 364� 7.4� 20.9� 28.3� 40.4� 25.5� 5.8� 31.3� 100.0� 3.0� 50.3�

만 65세~69세 142� 0.0� 14.1� 14.1� 44.4� 35.9� 5.6� 41.5� 100.0� 3.3� 58.3�

만 70세 이상 208� 1.0� 17.3� 18.3� 48.6� 30.8� 2.4� 33.2� 100.0� 3.2� 54.1�

지역별

수도권 590� 2.4� 19.2� 21.5� 43.4� 29.3� 5.8� 35.1� 100.0� 3.2� 54.2�

경상권 139� 2.9� 15.1� 18.0� 38.8� 30.2� 12.9� 43.2� 100.0� 3.4� 58.8�

충청권 122� 3.3� 14.8� 18.0� 46.7� 29.5� 5.7� 35.2� 100.0� 3.2� 54.9�

전라권 280� 4.3� 13.2� 17.5� 39.3� 34.3� 8.9� 43.2� 100.0� 3.3� 57.6�

강원권 19� 15.8� 21.1� 36.8� 52.6� 10.5� 0.0� 10.5� 100.0� 2.6� 39.5�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2.0� 19.8� 21.8� 40.1� 30.1� 7.9� 38.1� 100.0� 3.2� 55.6�

중소도시 502� 3.8� 14.3� 18.1� 43.4� 32.3� 6.2� 38.4� 100.0� 3.2� 55.7�

군지역 107� 6.5� 13.1� 19.6� 48.6� 22.4� 9.3� 31.8� 100.0� 3.2� 53.7�

Page 28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57

13-1. 만족감-내 생활이 전반적으로 즐겁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만족감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2.9� 13.0� 15.9� 39.1� 35.8� 9.1� 45.0� 100.0� 3.4� 58.8�

성별

남자 394� 4.1� 11.2� 15.2� 35.0� 38.1� 11.7� 49.7� 100.0� 3.4� 60.5�

여자 756� 2.2� 14.0� 16.3� 41.3� 34.7� 7.8� 42.5� 100.0� 3.3� 57.9�

연령별

학생층 800� 3.9� 13.5� 17.4� 36.9� 34.3� 11.5� 45.8� 100.0� 3.4� 59.0�

노년층 350� 0.6� 12.0� 12.6� 44.3� 39.4� 3.7� 43.1� 100.0� 3.3� 58.4�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2.6� 2.6� 20.8� 49.4� 27.3� 76.6� 100.0� 4.0� 75.3�

중학생 359� 3.3� 13.1� 16.4� 37.3� 34.3� 12.0� 46.2� 100.0� 3.4� 59.6�

고등학생 364� 5.2� 16.2� 21.4� 39.8� 31.0� 7.7� 38.7� 100.0� 3.2� 55.0�

만 65세~69세 142� 0.0� 12.7� 12.7� 43.7� 38.0� 5.6� 43.7� 100.0� 3.4� 59.2�

만 70세 이상 208� 1.0� 11.5� 12.5� 44.7� 40.4� 2.4� 42.8� 100.0� 3.3� 57.9�

지역별

수도권 590� 1.9� 14.4� 16.3� 41.2� 34.6� 8.0� 42.5� 100.0� 3.3� 58.1�

경상권 139� 1.4� 11.5� 12.9� 33.8� 39.6� 13.7� 53.2� 100.0� 3.5� 63.1�

충청권 122� 3.3� 15.6� 18.9� 45.9� 32.8� 2.5� 35.2� 100.0� 3.2� 53.9�

전라권 280� 4.6� 8.9� 13.6� 35.4� 38.9� 12.1� 51.1� 100.0� 3.5� 61.3�

강원권 19� 15.8� 26.3� 42.1� 26.3� 21.1� 10.5� 31.6� 100.0� 2.8� 46.1�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8� 15.2� 17.0� 37.3� 37.0� 8.7� 45.7� 100.0� 3.4� 58.9�

중소도시 502� 3.4� 11.4� 14.7� 39.6� 35.5� 10.2� 45.6� 100.0� 3.4� 59.4�

군지역 107� 5.6� 10.3� 15.9� 45.8� 31.8� 6.5� 38.3� 100.0� 3.2� 55.8�

Page 28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5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3-2. 만족감-내 생활이 전반적으로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만족감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3.4� 14.0� 17.4� 37.9� 35.5� 9.2� 44.7� 100.0� 3.3� 58.3�

성별

남자 394� 4.3� 12.7� 17.0� 32.5� 40.9� 9.6� 50.5� 100.0� 3.4� 59.7�

여자 756� 2.9� 14.7� 17.6� 40.7� 32.7� 9.0� 41.7� 100.0� 3.3� 57.5�

연령별

학생층 800� 4.6� 13.6� 18.3� 35.8� 33.9� 12.1� 46.0� 100.0� 3.4� 58.8�

노년층 350� 0.6� 14.9� 15.4� 42.9� 39.1� 2.6� 41.7� 100.0� 3.3� 57.1�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2.6� 2.6� 23.4� 41.6� 32.5� 74.0� 100.0� 4.0� 76.0�

중학생 359� 4.2� 11.1� 15.3� 34.8� 38.4� 11.4� 49.9� 100.0� 3.4� 60.5�

고등학생 364� 6.0� 18.4� 24.5� 39.3� 27.7� 8.5� 36.3� 100.0� 3.1� 53.6�

만 65세~69세 142� 0.0� 13.4� 13.4� 43.7� 41.5� 1.4� 43.0� 100.0� 3.3� 57.8�

만 70세 이상 208� 1.0� 15.9� 16.8� 42.3� 37.5� 3.4� 40.9� 100.0� 3.3� 56.6�

지역별

수도권 590� 2.7� 15.6� 18.3� 38.6� 34.6� 8.5� 43.1� 100.0� 3.3� 57.6�

경상권 139� 1.4� 15.1� 16.5� 36.7� 34.5� 12.2� 46.8� 100.0� 3.4� 60.3�

충청권 122� 2.5� 19.7� 22.1� 43.4� 31.1� 3.3� 34.4� 100.0� 3.1� 53.3�

전라권 280� 5.4� 6.4� 11.8� 36.1� 40.4� 11.8� 52.1� 100.0� 3.5� 61.7�

강원권 19� 15.8� 31.6� 47.4� 15.8� 26.3� 10.5� 36.8� 100.0� 2.8� 46.1�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3.1� 14.0� 17.2� 37.9� 36.2� 8.7� 44.9� 100.0� 3.3� 58.3�

중소도시 502� 3.2� 13.3� 16.5� 37.1� 35.7� 10.8� 46.4� 100.0� 3.4� 59.4�

군지역 107� 5.6� 16.8� 22.4� 42.1� 30.8� 4.7� 35.5� 100.0� 3.1� 53.0�

Page 28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59

13-3. 만족감-내 생활이 전반적으로 편안하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만족감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2.7� 14.3� 17.0� 36.6� 36.5� 9.9� 46.4� 100.0� 3.4� 59.2�

성별

남자 394� 3.8� 13.7� 17.5� 32.7� 38.3� 11.4� 49.7� 100.0� 3.4� 60.0�

여자 756� 2.1� 14.6� 16.7� 38.6� 35.6� 9.1� 44.7� 100.0� 3.4� 58.8�

연령별

학생층 800� 3.4� 13.6� 17.0� 36.0� 34.9� 12.1� 47.0� 100.0� 3.4� 59.7�

노년층 350� 1.1� 15.7� 16.9� 38.0� 40.3� 4.9� 45.1� 100.0� 3.3� 58.0�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3.9� 3.9� 19.5� 46.8� 29.9� 76.6� 100.0� 4.0� 75.7�

중학생 359� 2.5� 12.5� 15.0� 36.5� 37.3� 11.1� 48.5� 100.0� 3.4� 60.5�

고등학생 364� 4.9� 16.8� 21.7� 39.0� 29.9� 9.3� 39.3� 100.0� 3.2� 55.5�

만 65세~69세 142� 0.0� 17.6� 17.6� 33.8� 43.7� 4.9� 48.6� 100.0� 3.4� 59.0�

만 70세 이상 208� 1.9� 14.4� 16.3� 40.9� 38.0� 4.8� 42.8� 100.0� 3.3� 57.3�

지역별

수도권 590� 2.0� 15.6� 17.6� 39.7� 33.6� 9.2� 42.7� 100.0� 3.3� 58.1�

경상권 139� 0.7� 9.4� 10.1� 32.4� 42.4� 15.1� 57.6� 100.0� 3.6� 65.5�

충청권 122� 3.3� 18.9� 22.1� 36.9� 34.4� 6.6� 41.0� 100.0� 3.2� 55.5�

전라권 280� 3.9� 11.1� 15.0� 32.5� 41.8� 10.7� 52.5� 100.0� 3.4� 61.1�

강원권 19� 15.8� 26.3� 42.1� 31.6� 21.1� 5.3� 26.3� 100.0� 2.7� 43.4�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2.0� 15.2� 17.2� 35.9� 36.2� 10.7� 47.0� 100.0� 3.4� 59.6�

중소도시 502� 2.6� 13.1� 15.7� 38.2� 37.1� 9.0� 46.0� 100.0� 3.4� 59.2�

군지역 107� 6.5� 15.0� 21.5� 32.7� 35.5� 10.3� 45.8� 100.0� 3.3� 57.0�

Page 29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6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3-4. 만족감-평소에 짜증이 많이 난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만족감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6.4� 27.8� 34.3� 37.4� 23.7� 4.6� 28.3� 100.0� 2.9� 48.1�

성별

남자 394� 7.9� 27.7� 35.5� 39.1� 21.6� 3.8� 25.4� 100.0� 2.9� 46.5�

여자 756� 5.7� 27.9� 33.6� 36.5� 24.9� 5.0� 29.9� 100.0� 3.0� 48.9�

연령별

학생층 800� 4.9� 21.3� 26.1� 39.3� 28.3� 6.4� 34.6� 100.0� 3.1� 52.5�

노년층 350� 10.0� 42.9� 52.9� 33.1� 13.4� 0.6� 14.0� 100.0� 2.5� 37.9�

연령별

초등학생 77� 10.4� 28.6� 39.0� 45.5� 13.0� 2.6� 15.6� 100.0� 2.7� 42.2�

중학생 359� 4.2� 17.8� 22.0� 39.3� 31.2� 7.5� 38.7� 100.0� 3.2� 55.0�

고등학생 364� 4.4� 23.1� 27.5� 37.9� 28.6� 6.0� 34.6� 100.0� 3.1� 52.2�

만 65세~69세 142� 10.6� 43.7� 54.2� 35.2� 10.6� 0.0� 10.6� 100.0� 2.5� 36.4�

만 70세 이상 208� 9.6� 42.3� 51.9� 31.7� 15.4� 1.0� 16.3� 100.0� 2.6� 38.9�

지역별

수도권 590� 7.3� 27.5� 34.7� 36.6� 24.4� 4.2� 28.6� 100.0� 2.9� 47.7�

경상권 139� 5.8� 40.3� 46.0� 33.8� 14.4� 5.8� 20.1� 100.0� 2.7� 43.5�

충청권 122� 0.8� 28.7� 29.5� 44.3� 24.6� 1.6� 26.2� 100.0� 3.0� 49.4�

전라권 280� 7.5� 23.6� 31.1� 37.1� 25.7� 6.1� 31.8� 100.0� 3.0� 49.8�

강원권 19� 5.3� 5.3� 10.5� 47.4� 36.8� 5.3� 42.1� 100.0� 3.3� 57.9�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4.6� 27.7� 32.3� 37.2� 25.1� 5.4� 30.5� 100.0� 3.0� 49.7�

중소도시 502� 8.6� 28.7� 37.3� 37.6� 21.7� 3.4� 25.1� 100.0� 2.8� 45.7�

군지역 107� 5.6� 24.3� 29.9� 37.4� 26.2� 6.5� 32.7� 100.0� 3.0� 50.9�

Page 29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61

13-5. 만족감-평소에 무기력함을 많이 느낀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만족감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모름/�

무응답계 평균

100점

평균

전 체 1,150� 6.3� 25.0� 31.3� 43.4� 20.3� 5.0� 25.2� 0.1�100.

0�2.9� 48.2�

성별

남자 394� 6.3� 24.1� 30.5� 44.4� 19.5� 5.3� 24.9� 0.3�100.

0�2.9� 48.4�

여자 756� 6.2� 25.5� 31.7� 42.9� 20.6� 4.8� 25.4� 0.0�100.

0�2.9� 48.1�

연령별

학생층 800� 7.0� 21.0� 28.0� 40.8� 24.3� 7.0� 31.3� 0.0�100.

0�3.0� 50.8�

노년층 350� 4.6� 34.3� 38.9� 49.4� 11.1� 0.3� 11.4� 0.3�100.

0�2.7� 42.1�

연령별

초등학생 77� 16.9� 35.1� 51.9� 37.7� 7.8� 2.6� 10.4� 0.0�100.

0�2.4� 36.0�

중학생 359� 6.1� 21.7� 27.9� 40.7� 24.2� 7.2� 31.5� 0.0�100.

0�3.1� 51.2�

고등학생 364� 5.8� 17.3� 23.1� 41.5� 27.7� 7.7� 35.4� 0.0�100.

0�3.1� 53.6�

만 65세~69세 142� 5.6� 35.9� 41.5� 49.3� 9.2� 0.0� 9.2� 0.0�100.

0�2.6� 40.5�

만 70세 이상 208� 3.8� 33.2� 37.0� 49.5� 12.5� 0.5� 13.0� 0.5�100.

0�2.7� 43.1�

지역별

수도권 590� 5.1� 26.3� 31.4� 42.2� 22.2� 4.2� 26.4� 0.0�100.

0�2.9� 48.6�

경상권 139� 9.4� 30.9� 40.3� 36.0� 18.0� 5.8� 23.7� 0.0�100.

0�2.8� 45.0�

충청권 122� 1.6� 22.1� 23.8� 55.7� 17.2� 2.5� 19.7� 0.8�100.

0�3.0� 49.2�

전라권 280� 8.9� 22.1� 31.1� 44.6� 17.1� 7.1� 24.3� 0.0�100.

0�2.9� 47.9�

강원권 19� 10.5� 5.3� 15.8� 36.8� 42.1� 5.3� 47.4� 0.0�100.

0�3.3� 56.6�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5.9� 25.7� 31.6� 44.0� 20.9� 3.5� 24.4� 0.0�100.

0�2.9� 47.6�

중소도시 502� 7.2� 25.5� 32.7� 42.6� 18.7� 5.8� 24.5� 0.2�100.

0�2.9� 47.6�

군지역 107� 3.7� 19.6� 23.4� 43.9� 24.3� 8.4� 32.7� 0.0�100.

0�3.1� 53.5�

Page 29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6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4-1. 행복감-인생이 내가 이상적으로 여기는 모습에 가깝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행복감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모름/�

무응답계 평균

100점

평균

전 체 1,150� 8.6� 29.2� 37.8� 38.3� 20.4� 3.4� 23.8� 0.1�100.

0�2.8� 45.2�

성별

남자 394� 7.6� 28.4� 36.0� 37.6� 21.6� 4.6� 26.1� 0.3�100.

0�2.9� 46.8�

여자 756� 9.1� 29.6� 38.8� 38.6� 19.8� 2.8� 22.6� 0.0�100.

0�2.8� 44.4�

연령별

학생층 800� 11.0� 31.1� 42.1� 36.5� 17.5� 3.9� 21.4� 0.0�100.

0�2.7� 43.0�

노년층 350� 3.1� 24.9� 28.0� 42.3� 27.1� 2.3� 29.4� 0.3�100.

0�3.0� 50.1�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7.8� 7.8� 49.4� 35.1� 7.8� 42.9� 0.0�100.

0�3.4� 60.7�

중학생 359� 7.8� 32.0� 39.8� 37.9� 18.1� 4.2� 22.3� 0.0�100.

0�2.8� 44.7�

고등학생 364� 16.5� 35.2� 51.6� 32.4� 13.2� 2.7� 15.9� 0.0�100.

0�2.5� 37.6�

만 65세~69세 142� 4.2� 21.1� 25.4� 36.6� 34.5� 2.8� 37.3� 0.7�100.

0�3.1� 52.7�

만 70세 이상 208� 2.4� 27.4� 29.8� 46.2� 22.1� 1.9� 24.0� 0.0�100.

0�2.9� 48.4�

지역별

수도권 590� 9.0� 32.2� 41.2� 35.1� 20.2� 3.6� 23.7� 0.0�100.

0�2.8� 44.3�

경상권 139� 7.2� 26.6� 33.8� 38.8� 21.6� 5.8� 27.3� 0.0�100.

0�2.9� 48.0�

충청권 122� 5.7� 27.0� 32.8� 47.5� 18.0� 0.8� 18.9� 0.8�100.

0�2.8� 45.3�

전라권 280� 10.0� 25.0� 35.0� 39.3� 22.5� 3.2� 25.7� 0.0�100.

0�2.8� 46.0�

강원권 19� 5.3� 31.6� 36.8� 57.9� 5.3� 0.0� 5.3� 0.0�100.

0�2.6� 40.8�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8.3� 29.4� 37.7� 36.8� 21.3� 4.3� 25.5� 0.0�100.

0�2.8� 45.9�

중소도시 502� 8.6� 29.7� 38.2� 38.8� 20.3� 2.6� 22.9� 0.0�100.

0�2.8� 44.7�

군지역 107� 10.3� 26.2� 36.4� 43.0� 16.8� 2.8� 19.6� 0.9�100.

0�2.8� 43.9�

Page 29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63

14-2. 행복감-나의 인생의 여건은 아주 좋은 편이라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행복감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4.9� 24.3� 29.1� 41.6� 24.0� 5.3� 29.3� 100.0� 3.0� 50.2�

성별

남자 394� 5.3� 22.1� 27.4� 39.8� 26.6� 6.1� 32.7� 100.0� 3.1� 51.5�

여자 756� 4.6� 25.4� 30.0� 42.5� 22.6� 4.9� 27.5� 100.0� 3.0� 49.4�

연령별

학생층 800� 5.6� 24.4� 30.0� 40.1� 23.5� 6.4� 29.9� 100.0� 3.0� 50.2�

노년층 350� 3.1� 24.0� 27.1� 44.9� 25.1� 2.9� 28.0� 100.0� 3.0� 50.1�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9.1� 9.1� 36.4� 36.4� 18.2� 54.5� 100.0� 3.6� 65.9�

중학생 359� 3.3� 24.2� 27.6� 40.9� 24.2� 7.2� 31.5� 100.0� 3.1� 52.0�

고등학생 364� 9.1� 27.7� 36.8� 40.1� 20.1� 3.0� 23.1� 100.0� 2.8� 45.1�

만 65세~69세 142� 2.8� 23.2� 26.1� 47.2� 22.5� 4.2� 26.8� 100.0� 3.0� 50.5�

만 70세 이상 208� 3.4� 24.5� 27.9� 43.3� 26.9� 1.9� 28.8� 100.0� 3.0� 49.9�

지역별

수도권 590� 4.2� 24.9� 29.2� 42.5� 23.6� 4.7� 28.3� 100.0� 3.0� 49.9�

경상권 139� 5.8� 22.3� 28.1� 38.1� 25.2� 8.6� 33.8� 100.0� 3.1� 52.2�

충청권 122� 4.1� 27.0� 31.1� 41.8� 23.8� 3.3� 27.0� 100.0� 3.0� 48.8�

전라권 280� 5.7� 22.1� 27.9� 41.4� 24.6� 6.1� 30.7� 100.0� 3.0� 50.8�

강원권 19� 10.5� 31.6� 42.1� 36.8� 21.1� 0.0� 21.1� 100.0� 2.7� 42.1�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5.4� 23.5� 28.8� 40.3� 25.9� 5.0� 30.9� 100.0� 3.0� 50.4�

중소도시 502� 4.0� 24.5� 28.5� 42.4� 23.5� 5.6� 29.1� 100.0� 3.0� 50.6�

군지역 107� 6.5� 27.1� 33.6� 43.9� 16.8� 5.6� 22.4� 100.0� 2.9� 47.0�

Page 29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6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4-3. 행복감-나의 삶에 만족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행복감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4.0� 18.8� 22.8� 38.3� 32.1� 6.9� 39.0� 100.0� 3.2� 54.8�

성별

남자 394� 4.6� 18.3� 22.8� 34.5� 34.0� 8.6� 42.6� 100.0� 3.2� 56.0�

여자 756� 3.7� 19.0� 22.8� 40.2� 31.1� 6.0� 37.0� 100.0� 3.2� 54.1�

연령별

학생층 800� 5.4� 18.1� 23.5� 38.4� 29.6� 8.5� 38.1� 100.0� 3.2� 54.4�

노년층 350� 0.9� 20.3� 21.1� 38.0� 37.7� 3.1� 40.9� 100.0� 3.2� 55.5�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5.2� 5.2� 23.4� 48.1� 23.4� 71.4� 100.0� 3.9� 72.4�

중학생 359� 3.3� 16.7� 20.1� 40.1� 30.9� 8.9� 39.8� 100.0� 3.3� 56.3�

고등학생 364� 8.5� 22.3� 30.8� 39.8� 24.5� 4.9� 29.4� 100.0� 3.0� 48.8�

만 65세~69세 142� 0.7� 18.3� 19.0� 39.4� 37.3� 4.2� 41.5� 100.0� 3.3� 56.5�

만 70세 이상 208� 1.0� 21.6� 22.6� 37.0� 38.0� 2.4� 40.4� 100.0� 3.2� 54.8�

지역별

수도권 590� 3.4� 21.5� 24.9� 38.1� 31.4� 5.6� 36.9� 100.0� 3.1� 53.6�

경상권 139� 4.3� 14.4� 18.7� 32.4� 34.5� 14.4� 48.9� 100.0� 3.4� 60.1�

충청권 122� 4.1� 23.0� 27.0� 40.2� 29.5� 3.3� 32.8� 100.0� 3.1� 51.2�

전라권 280� 4.3� 13.2� 17.5� 39.6� 35.0� 7.9� 42.9� 100.0� 3.3� 57.2�

강원권 19� 15.8� 21.1� 36.8� 52.6� 10.5� 0.0� 10.5� 100.0� 2.6� 39.5�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3.3� 21.8� 25.1� 36.0� 31.1� 7.8� 38.8� 100.0� 3.2� 54.5�

중소도시 502� 4.0� 16.1� 20.1� 39.8� 34.3� 5.8� 40.0� 100.0� 3.2� 55.4�

군지역 107� 7.5� 15.9� 23.4� 42.1� 27.1� 7.5� 34.6� 100.0� 3.1� 52.8�

Page 29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65

14-4. 행복감-인생에서 원하는 중요한 것들을 이루었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행복감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7.1� 28.6� 35.7� 41.4� 18.6� 4.3� 22.9� 100.0� 2.8� 46.1�

성별

남자 394� 7.4� 26.1� 33.5� 40.1� 20.1� 6.3� 26.4� 100.0� 2.9� 48.0�

여자 756� 7.0� 29.9� 36.9� 42.1� 17.9� 3.2� 21.0� 100.0� 2.8� 45.1�

연령별

학생층 800� 9.5� 28.8� 38.3� 40.1� 16.4� 5.3� 21.6� 100.0� 2.8� 44.8�

노년층 350� 1.7� 28.3� 30.0� 44.3� 23.7� 2.0� 25.7� 100.0� 3.0� 49.0�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15.6� 15.6� 48.1� 23.4� 13.0� 36.4� 100.0� 3.3� 58.4�

중학생 359� 5.8� 28.4� 34.3� 43.2� 17.5� 5.0� 22.6� 100.0� 2.9� 46.9�

고등학생 364� 15.1� 31.9� 47.0� 35.4� 13.7� 3.8� 17.6� 100.0� 2.6� 39.8�

만 65세~69세 142� 2.1� 17.6� 19.7� 49.3� 28.2� 2.8� 31.0� 100.0� 3.1� 53.0�

만 70세 이상 208� 1.4� 35.6� 37.0� 40.9� 20.7� 1.4� 22.1� 100.0� 2.9� 46.3�

지역별

수도권 590� 6.6� 30.2� 36.8� 40.8� 18.6� 3.7� 22.4� 100.0� 2.8� 45.7�

경상권 139� 7.2� 29.5� 36.7� 41.0� 15.1� 7.2� 22.3� 100.0� 2.9� 46.4�

충청권 122� 4.9� 33.6� 38.5� 45.1� 13.1� 3.3� 16.4� 100.0� 2.8� 44.1�

전라권 280� 8.9� 22.5� 31.4� 40.7� 23.2� 4.6� 27.9� 100.0� 2.9� 48.0�

강원권 19� 10.5� 31.6� 42.1� 47.4� 10.5� 0.0� 10.5� 100.0� 2.6� 39.5�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6.1� 30.3� 36.4� 39.7� 19.2� 4.6� 23.8� 100.0� 2.9� 46.5�

중소도시 502� 7.6� 26.1� 33.7� 45.4� 18.3� 2.6� 20.9� 100.0� 2.8� 45.6�

군지역 107� 10.3� 31.8� 42.1� 30.8� 16.8� 10.3� 27.1� 100.0� 2.9� 46.3�

Page 29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6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4-5. 행복감-다시 태어난다 해도, 지금처럼 살아가고 싶은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행복감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모름/�

무응답계 평균

100점

평균

전 체 1,150� 14.1� 29.0� 43.0� 35.5� 17.0� 4.3� 21.4� 0.1�100.

0�2.7� 42.2�

성별

남자 394� 12.2� 27.4� 39.6� 34.3� 19.5� 6.3� 25.9� 0.3�100.

0�2.8� 45.1�

여자 756� 15.1� 29.8� 44.8� 36.1� 15.7� 3.3� 19.0� 0.0�100.

0�2.6� 40.6�

연령별

학생층 800� 17.4� 28.3� 45.6� 32.6� 16.0� 5.8� 21.8� 0.0�100.

0�2.7� 41.1�

노년층 350� 6.6� 30.6� 37.1� 42.0� 19.4� 1.1� 20.6� 0.3�100.

0�2.8� 44.5�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14.3� 15.6� 35.1� 32.5� 16.9� 49.4� 0.0�100.

0�3.5� 62.3�

중학생 359� 14.2� 27.3� 41.5� 35.1� 17.5� 5.8� 23.4� 0.0�100.

0�2.7� 43.4�

고등학생 364� 23.9� 32.1� 56.0� 29.7� 11.0� 3.3� 14.3� 0.0�100.

0�2.4� 34.4�

만 65세~69세 142� 7.0� 30.3� 37.3� 40.1� 21.8� 0.7� 22.5� 0.0�100.

0�2.8� 44.7�

만 70세 이상 208� 6.3� 30.8� 37.0� 43.3� 17.8� 1.4� 19.2� 0.5�100.

0�2.8� 44.3�

지역별

수도권 590� 15.3� 29.3� 44.6� 34.1� 18.6� 2.7� 21.4� 0.0�100.

0�2.6� 41.1�

경상권 139� 10.8� 26.6� 37.4� 33.8� 14.4� 13.7� 28.1� 0.7�100.

0�2.9� 48.4�

충청권 122� 7.4� 30.3� 37.7� 49.2� 10.7� 2.5� 13.1� 0.0�100.

0�2.7� 42.6�

전라권 280� 15.7� 28.2� 43.9� 33.9� 18.2� 3.9� 22.1� 0.0�100.

0�2.7� 41.6�

강원권 19� 21.1� 36.8� 57.9� 26.3� 10.5� 5.3� 15.8� 0.0�100.

0�2.4� 35.5�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2.6� 31.1� 43.6� 35.3� 17.0� 4.1� 21.1� 0.0�100.

0�2.7� 42.2�

중소도시 502� 15.3� 24.7� 40.0� 36.9� 18.9� 4.0� 22.9� 0.2�100.

0�2.7� 42.9�

군지역 107� 15.9� 38.3� 54.2� 29.9� 8.4� 7.5� 15.9� 0.0�100.

0�2.5� 38.3�

Page 29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67

15-1. 생활역랑-우울할 때 우울한 기분이 오래지않아 사라지는 정도

문) 다음은 생활역량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3.2� 17.2� 20.4� 37.6� 32.9� 9.1� 42.0� 100.0� 3.3� 56.9�

성별

남자 394� 4.8� 15.0� 19.8� 35.5� 34.3� 10.4� 44.7� 100.0� 3.3� 57.6�

여자 756� 2.4� 18.4� 20.8� 38.6� 32.1� 8.5� 40.6� 100.0� 3.3� 56.5�

연령별

학생층 800� 4.1� 19.5� 23.6� 37.5� 29.0� 9.9� 38.9� 100.0� 3.2� 55.3�

노년층 350� 1.1� 12.0� 13.1� 37.7� 41.7� 7.4� 49.1� 100.0� 3.4� 60.6�

연령별

초등학생 77� 2.6� 6.5� 9.1� 31.2� 37.7� 22.1� 59.7� 100.0� 3.7� 67.5�

중학생 359� 3.9� 18.1� 22.0� 39.8� 28.4� 9.7� 38.2� 100.0� 3.2� 55.5�

고등학생 364� 4.7� 23.6� 28.3� 36.5� 27.7� 7.4� 35.2� 100.0� 3.1� 52.4�

만 65세~69세 142� 2.1� 11.3� 13.4� 35.9� 38.7� 12.0� 50.7� 100.0� 3.5� 61.8�

만 70세 이상 208� 0.5� 12.5� 13.0� 38.9� 43.8� 4.3� 48.1� 100.0� 3.4� 59.7�

지역별

수도권 590� 2.9� 18.3� 21.2� 36.8� 33.1� 9.0� 42.0� 100.0� 3.3� 56.7�

경상권 139� 3.6� 18.7� 22.3� 38.8� 28.8� 10.1� 38.8� 100.0� 3.2� 55.8�

충청권 122� 1.6� 13.9� 15.6� 43.4� 38.5� 2.5� 41.0� 100.0� 3.3� 56.6�

전라권 280� 4.6� 16.1� 20.7� 35.0� 32.5� 11.8� 44.3� 100.0� 3.3� 57.7�

강원권 19� 0.0� 10.5� 10.5� 52.6� 26.3� 10.5� 36.8� 100.0� 3.4� 59.2�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3.0� 19.0� 22.0� 36.0� 33.1� 8.9� 42.0� 100.0� 3.3� 56.5�

중소도시 502� 3.4� 14.1� 17.5� 40.0� 32.9� 9.6� 42.4� 100.0� 3.3� 57.8�

군지역 107� 3.7� 22.4� 26.2� 33.6� 31.8� 8.4� 40.2� 100.0� 3.2� 54.7�

Page 29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6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5-2. 생활역랑-자존감을 느끼는 정도

문) 다음은 생활역량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1.9� 15.3� 17.2� 48.3� 29.6� 4.9� 34.4� 100.0� 3.2� 55.0�

성별

남자 394� 2.8� 11.9� 14.7� 47.0� 32.2� 6.1� 38.3� 100.0� 3.3� 56.7�

여자 756� 1.5� 17.1� 18.5� 49.1� 28.2� 4.2� 32.4� 100.0� 3.2� 54.2�

연령별

학생층 800� 2.5� 15.5� 18.0� 47.5� 29.1� 5.4� 34.5� 100.0� 3.2� 54.8�

노년층 350� 0.6� 14.9� 15.4� 50.3� 30.6� 3.7� 34.3� 100.0� 3.2� 55.5�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6.5� 6.5� 41.6� 41.6� 10.4� 51.9� 100.0� 3.6� 64.0�

중학생 359� 1.1� 15.0� 16.2� 49.0� 30.4� 4.5� 34.8� 100.0� 3.2� 55.5�

고등학생 364� 4.4� 17.9� 22.3� 47.3� 25.3� 5.2� 30.5� 100.0� 3.1� 52.3�

만 65세~69세 142� 0.0� 18.3� 18.3� 45.8� 29.6� 6.3� 35.9� 100.0� 3.2� 56.0�

만 70세 이상 208� 1.0� 12.5� 13.5� 53.4� 31.3� 1.9� 33.2� 100.0� 3.2� 55.2�

지역별

수도권 590� 1.9� 18.1� 20.0� 46.6� 29.0� 4.4� 33.4� 100.0� 3.2� 54.0�

경상권 139� 2.2� 12.2� 14.4� 51.1� 26.6� 7.9� 34.5� 100.0� 3.3� 56.5�

충청권 122� 0.8� 15.6� 16.4� 48.4� 32.8� 2.5� 35.2� 100.0� 3.2� 55.1�

전라권 280� 2.1� 11.8� 13.9� 50.4� 30.7� 5.0� 35.7� 100.0� 3.3� 56.2�

강원권 19� 5.3� 0.0� 5.3� 52.6� 31.6� 10.5� 42.1� 100.0� 3.4� 60.5�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5� 14.6� 16.1� 49.2� 31.1� 3.7� 34.8� 100.0� 3.2� 55.2�

중소도시 502� 2.0� 16.5� 18.5� 47.0� 29.3� 5.2� 34.5� 100.0� 3.2� 54.8�

군지역 107� 3.7� 13.1� 16.8� 50.5� 23.4� 9.3� 32.7� 100.0� 3.2� 55.4�

Page 29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69

15-3. 생활역랑-사람들과 쉽게 어울리는 정도

문) 다음은 생활역량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3.3� 15.7� 19.0� 38.9� 32.3� 9.7� 42.1� 100.0� 3.3� 57.4�

성별

남자 394� 4.1� 14.5� 18.5� 35.8� 35.8� 9.9� 45.7� 100.0� 3.3� 58.3�

여자 756� 2.9� 16.4� 19.3� 40.5� 30.6� 9.7� 40.2� 100.0� 3.3� 56.9�

연령별

학생층 800� 4.6� 15.4� 20.0� 37.3� 32.3� 10.5� 42.8� 100.0� 3.3� 57.2�

노년층 350� 0.3� 16.6� 16.9� 42.6� 32.6� 8.0� 40.6� 100.0� 3.3� 57.9�

연령별

초등학생 77� 2.6� 9.1� 11.7� 29.9� 29.9� 28.6� 58.4� 100.0� 3.7� 68.2�

중학생 359� 3.9� 15.0� 18.9� 36.5� 33.4� 11.1� 44.6� 100.0� 3.3� 58.2�

고등학생 364� 5.8� 17.0� 22.8� 39.6� 31.6� 6.0� 37.6� 100.0� 3.2� 53.8�

만 65세~69세 142� 0.0� 15.5� 15.5� 45.1� 30.3� 9.2� 39.4� 100.0� 3.3� 58.3�

만 70세 이상 208� 0.5� 17.3� 17.8� 40.9� 34.1� 7.2� 41.3� 100.0� 3.3� 57.6�

지역별

수도권 590� 3.1� 15.9� 19.0� 39.7� 32.7� 8.6� 41.4� 100.0� 3.3� 57.0�

경상권 139� 3.6� 14.4� 18.0� 36.0� 30.2� 15.8� 46.0� 100.0� 3.4� 60.1�

충청권 122� 3.3� 16.4� 19.7� 45.9� 29.5� 4.9� 34.4� 100.0� 3.2� 54.1�

전라권 280� 3.9� 15.4� 19.3� 35.7� 33.9� 11.1� 45.0� 100.0� 3.3� 58.2�

강원권 19� 0.0� 21.1� 21.1� 36.8� 31.6� 10.5� 42.1� 100.0� 3.3� 57.9�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2.6� 16.1� 18.7� 38.1� 33.1� 10.2� 43.3� 100.0� 3.3� 58.0�

중소도시 502� 3.6� 15.5� 19.1� 39.6� 32.5� 8.8� 41.2� 100.0� 3.3� 56.8�

군지역 107� 5.6� 15.0� 20.6� 39.3� 28.0� 12.1� 40.2� 100.0� 3.3� 56.5�

Page 30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7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6-1. 심리적 변화-내가 다른 사람들처럼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삶에 대한 심리적 변화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1.8� 9.6� 11.4� 38.5� 36.9� 13.2� 50.1� 100.0� 3.5� 62.5�

성별

남자 394� 2.8� 11.2� 14.0� 33.0� 37.3� 15.7� 53.0� 100.0� 3.5� 63.0�

여자 756� 1.3� 8.7� 10.1� 41.4� 36.6� 11.9� 48.5� 100.0� 3.5� 62.3�

연령별

학생층 800� 2.5� 9.6� 12.1� 36.5� 33.9� 17.5� 51.4� 100.0� 3.5� 63.6�

노년층 350� 0.3� 9.4� 9.7� 43.1� 43.7� 3.4� 47.1� 100.0� 3.4� 60.1�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6.5� 6.5� 27.3� 44.2� 22.1� 66.2� 100.0� 3.8� 70.5�

중학생 359� 1.4� 9.7� 11.1� 36.8� 34.8� 17.3� 52.1� 100.0� 3.6� 64.2�

고등학생 364� 4.1� 10.2� 14.3� 38.2� 30.8� 16.8� 47.5� 100.0� 3.5� 61.5�

만 65세~69세 142� 0.0� 9.2� 9.2� 37.3� 50.7� 2.8� 53.5� 100.0� 3.5� 61.8�

만 70세 이상 208� 0.5� 9.6� 10.1� 47.1� 38.9� 3.8� 42.8� 100.0� 3.4� 59.0�

지역별

수도권 590� 1.7� 11.4� 13.1� 38.1� 37.3� 11.5� 48.8� 100.0� 3.5� 61.4�

경상권 139� 0.7� 7.2� 7.9� 36.7� 38.1� 17.3� 55.4� 100.0� 3.6� 66.0�

충청권 122� 1.6� 9.8� 11.5� 50.0� 30.3� 8.2� 38.5� 100.0� 3.3� 58.4�

전라권 280� 2.5� 6.8� 9.3� 35.0� 39.3� 16.4� 55.7� 100.0� 3.6� 65.1�

강원권 19� 5.3� 10.5� 15.8� 42.1� 21.1� 21.1� 42.1� 100.0� 3.4� 60.5�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7� 9.2� 10.9� 39.7� 37.0� 12.4� 49.4� 100.0� 3.5� 62.3�

중소도시 502� 2.0� 10.2� 12.2� 35.3� 37.6� 14.9� 52.6� 100.0� 3.5� 63.4�

군지역 107� 1.9� 8.4� 10.3� 47.7� 32.7� 9.3� 42.1� 100.0� 3.4� 59.8�

Page 30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71

16-2. 심리적 변화-스스로 좋은 성품을 가졌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삶에 대한 심리적 변화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1.7� 12.4� 14.2� 37.8� 36.6� 11.4� 48.0� 100.0� 3.4� 60.9�

성별

남자 394� 2.0� 11.4� 13.5� 34.5� 38.1� 14.0� 52.0� 100.0� 3.5� 62.6�

여자 756� 1.6� 13.0� 14.6� 39.6� 35.8� 10.1� 45.9� 100.0� 3.4� 60.0�

연령별

학생층 800� 2.3� 11.9� 14.1� 35.3� 36.0� 14.6� 50.6� 100.0� 3.5� 62.2�

노년층 350� 0.6� 13.7� 14.3� 43.7� 38.0� 4.0� 42.0� 100.0� 3.3� 57.8�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3.9� 3.9� 32.5� 45.5� 18.2� 63.6� 100.0� 3.8� 69.5�

중학생 359� 1.7� 11.1� 12.8� 39.6� 34.5� 13.1� 47.6� 100.0� 3.5� 61.6�

고등학생 364� 3.3� 14.3� 17.6� 31.6� 35.4� 15.4� 50.8� 100.0� 3.5� 61.3�

만 65세~69세 142� 0.7� 15.5� 16.2� 43.0� 38.0� 2.8� 40.8� 100.0� 3.3� 56.7�

만 70세 이상 208� 0.5� 12.5� 13.0� 44.2� 38.0� 4.8� 42.8� 100.0� 3.3� 58.5�

지역별

수도권 590� 1.7� 13.9� 15.6� 36.8� 35.9� 11.7� 47.6� 100.0� 3.4� 60.5�

경상권 139� 0.7� 7.9� 8.6� 36.0� 38.8� 16.5� 55.4� 100.0� 3.6� 65.7�

충청권 122� 2.5� 18.9� 21.3� 37.7� 36.1� 4.9� 41.0� 100.0� 3.2� 55.5�

전라권 280� 2.1� 8.9� 11.1� 40.4� 36.8� 11.8� 48.6� 100.0� 3.5� 61.8�

강원권 19� 0.0� 10.5� 10.5� 47.4� 42.1� 0.0� 42.1� 100.0� 3.3� 57.9�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7� 13.9� 15.5� 36.6� 36.8� 11.1� 47.9� 100.0� 3.4� 60.4�

중소도시 502� 1.6� 11.8� 13.3� 39.4� 34.7� 12.5� 47.2� 100.0� 3.5� 61.2�

군지역 107� 2.8� 8.4� 11.2� 36.4� 44.9� 7.5� 52.3� 100.0� 3.5� 61.5�

Page 30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7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6-3. 심리적 변화-스스로 자랑할 것이 많이 있다 생각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의 삶에 대한 심리적 변화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5.0� 22.8� 27.8� 45.0� 20.6� 6.5� 27.1� 100.0� 3.0� 50.2�

성별

남자 394� 4.3� 19.8� 24.1� 41.6� 26.1� 8.1� 34.3� 100.0� 3.1� 53.5�

여자 756� 5.4� 24.3� 29.8� 46.8� 17.7� 5.7� 23.4� 100.0� 2.9� 48.5�

연령별

학생층 800� 5.5� 18.8� 24.3� 45.0� 22.0� 8.8� 30.8� 100.0� 3.1� 52.4�

노년층 350� 4.0� 32.0� 36.0� 45.1� 17.4� 1.4� 18.9� 100.0� 2.8� 45.1�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5.2� 6.5� 45.5� 36.4� 11.7� 48.1� 100.0� 3.5� 63.0�

중학생 359� 3.3� 19.8� 23.1� 46.5� 20.1� 10.3� 30.4� 100.0� 3.1� 53.6�

고등학생 364� 8.5� 20.6� 29.1� 43.4� 20.9� 6.6� 27.5� 100.0� 3.0� 49.1�

만 65세~69세 142� 4.2� 28.9� 33.1� 48.6� 16.9� 1.4� 18.3� 100.0� 2.8� 45.6�

만 70세 이상 208� 3.8� 34.1� 38.0� 42.8� 17.8� 1.4� 19.2� 100.0� 2.8� 44.7�

지역별

수도권 590� 4.6� 26.9� 31.5� 42.7� 20.5� 5.3� 25.8� 100.0� 3.0� 48.7�

경상권 139� 5.8� 15.1� 20.9� 49.6� 18.7� 10.8� 29.5� 100.0� 3.1� 53.4�

충청권 122� 4.9� 25.4� 30.3� 45.9� 19.7� 4.1� 23.8� 100.0� 2.9� 48.2�

전라권 280� 5.7� 17.1� 22.9� 47.5� 21.4� 8.2� 29.6� 100.0� 3.1� 52.3�

강원권 19� 5.3� 15.8� 21.1� 42.1� 31.6� 5.3� 36.8� 100.0� 3.2� 54.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4.6� 24.4� 29.0� 44.2� 20.1� 6.7� 26.8� 100.0� 3.0� 50.0�

중소도시 502� 4.8� 20.9� 25.7� 45.8� 22.1� 6.4� 28.5� 100.0� 3.0� 51.1�

군지역 107� 8.4� 23.4� 31.8� 45.8� 15.9� 6.5� 22.4� 100.0� 2.9� 47.2�

Page 30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73

17-1.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생각-문화예술교육은 중요함

문)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2.3� 6.0� 8.3� 36.9� 41.8� 13.0� 54.9� 100.0� 3.6� 64.4�

성별

남자 394� 3.8� 8.6� 12.4� 35.8� 37.1� 14.7� 51.8� 100.0� 3.5� 62.6�

여자 756� 1.5� 4.6� 6.1� 37.4� 44.3� 12.2� 56.5� 100.0� 3.6� 65.3�

연령별

학생층 800� 3.3� 5.1� 8.4� 37.1� 40.3� 14.3� 54.5� 100.0� 3.6� 64.3�

노년층 350� 0.0� 8.0� 8.0� 36.3� 45.4� 10.3� 55.7� 100.0� 3.6� 64.5�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1.3� 2.6� 36.4� 41.6� 19.5� 61.0� 100.0� 3.8� 69.2�

중학생 359� 3.9� 7.2� 11.1� 40.4� 37.9� 10.6� 48.5� 100.0� 3.4� 61.0�

고등학생 364� 3.0� 3.8� 6.9� 34.1� 42.3� 16.8� 59.1� 100.0� 3.7� 66.5�

만 65세~69세 142� 0.0� 9.2� 9.2� 35.9� 43.7� 11.3� 54.9� 100.0� 3.6� 64.3�

만 70세 이상 208� 0.0� 7.2� 7.2� 36.5� 46.6� 9.6� 56.3� 100.0� 3.6� 64.7�

지역별

수도권 590� 2.2� 4.7� 6.9� 35.4� 44.4� 13.2� 57.6� 100.0� 3.6� 65.4�

경상권 139� 2.9� 3.6� 6.5� 33.1� 43.2� 17.3� 60.4� 100.0� 3.7� 67.1�

충청권 122� 2.5� 18.0� 20.5� 40.2� 32.8� 6.6� 39.3� 100.0� 3.2� 55.7�

전라권 280� 2.1� 5.0� 7.1� 40.4� 40.0� 12.5� 52.5� 100.0� 3.6� 63.9�

강원권 19� 0.0� 0.0� 0.0� 36.8� 36.8� 26.3� 63.2� 100.0� 3.9� 72.4�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5� 5.7� 7.2� 34.6� 45.1� 13.1� 58.2� 100.0� 3.6� 65.7�

중소도시 502� 3.4� 6.8� 10.2� 38.0� 38.6� 13.1� 51.8� 100.0� 3.5� 62.9�

군지역 107� 0.9� 3.7� 4.7� 43.0� 40.2� 12.1� 52.3� 100.0� 3.6� 64.7�

Page 30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7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7-2.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생각-문화예술교육은 가치 있음

문)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1.7� 7.4� 9.0� 35.0� 42.9� 13.0� 55.9� 100.0� 3.6� 64.6�

성별

남자 394� 2.5� 6.9� 9.4� 34.5� 41.9� 14.2� 56.1� 100.0� 3.6� 64.6�

여자 756� 1.2� 7.7� 8.9� 35.3� 43.4� 12.4� 55.8� 100.0� 3.6� 64.6�

연령별

학생층 800� 2.4� 5.8� 8.1� 34.5� 41.6� 15.8� 57.4� 100.0� 3.6� 65.7�

노년층 350� 0.0� 11.1� 11.1� 36.3� 45.7� 6.9� 52.6� 100.0� 3.5� 62.1�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10.4� 10.4� 35.1� 39.0� 15.6� 54.5� 100.0� 3.6� 64.9�

중학생 359� 2.5� 6.7� 9.2� 38.7� 39.0� 13.1� 52.1� 100.0� 3.5� 63.4�

고등학생 364� 2.7� 3.8� 6.6� 30.2� 44.8� 18.4� 63.2� 100.0� 3.7� 68.1�

만 65세~69세 142� 0.0� 12.0� 12.0� 39.4� 41.5� 7.0� 48.6� 100.0� 3.4� 60.9�

만 70세 이상 208� 0.0� 10.6� 10.6� 34.1� 48.6� 6.7� 55.3� 100.0� 3.5� 62.9�

지역별

수도권 590� 1.7� 7.1� 8.8� 34.1� 43.7� 13.4� 57.1� 100.0� 3.6� 65.0�

경상권 139� 1.4� 8.6� 10.1� 30.9� 46.0� 12.9� 59.0� 100.0� 3.6� 65.1�

충청권 122� 1.6� 16.4� 18.0� 41.8� 32.0� 8.2� 40.2� 100.0� 3.3� 57.2�

전라권 280� 1.8� 3.9� 5.7� 35.7� 44.6� 13.9� 58.6� 100.0� 3.7� 66.3�

강원권 19� 0.0� 0.0� 0.0� 42.1� 36.8� 21.1� 57.9� 100.0� 3.8� 69.7�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3� 6.3� 7.6� 35.5� 42.9� 14.0� 56.9� 100.0� 3.6� 65.5�

중소도시 502� 2.2� 8.4� 10.6� 35.1� 42.6� 11.8� 54.4� 100.0� 3.5� 63.4�

군지역 107� 0.9� 8.4� 9.3� 32.7� 43.9� 14.0� 57.9� 100.0� 3.6� 65.4�

Page 30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75

17-3.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생각-문화예술교육은 유익함

문)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2.2� 7.7� 9.8� 32.5� 43.8� 13.8� 57.7� 100.0� 3.6� 64.9�

성별

남자 394� 3.0� 7.9� 10.9� 33.2� 38.3� 17.5� 55.8� 100.0� 3.6� 64.9�

여자 756� 1.7� 7.5� 9.3� 32.1� 46.7� 11.9� 58.6� 100.0� 3.6� 64.9�

연령별

학생층 800� 2.8� 5.5� 8.3� 33.5� 43.5� 14.8� 58.3� 100.0� 3.6� 65.5�

노년층 350� 0.9� 12.6� 13.4� 30.3� 44.6� 11.7� 56.3� 100.0� 3.5� 63.4�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6.5� 7.8� 27.3� 42.9� 22.1� 64.9� 100.0� 3.8� 69.5�

중학생 359� 2.8� 6.4� 9.2� 35.1� 45.4� 10.3� 55.7� 100.0� 3.5� 63.5�

고등학생 364� 3.0� 4.4� 7.4� 33.2� 41.8� 17.6� 59.3� 100.0� 3.7� 66.6�

만 65세~69세 142� 0.7� 14.8� 15.5� 28.9� 46.5� 9.2� 55.6� 100.0� 3.5� 62.2�

만 70세 이상 208� 1.0� 11.1� 12.0� 31.3� 43.3� 13.5� 56.7� 100.0� 3.6� 64.3�

지역별

수도권 590� 2.0� 7.3� 9.3� 32.0� 44.1� 14.6� 58.6� 100.0� 3.6� 65.5�

경상권 139� 2.9� 7.9� 10.8� 24.5� 46.8� 18.0� 64.7� 100.0� 3.7� 67.3�

충청권 122� 1.6� 18.0� 19.7� 42.6� 27.9� 9.8� 37.7� 100.0� 3.3� 56.6�

전라권 280� 2.5� 3.9� 6.4� 32.9� 48.9� 11.8� 60.7� 100.0� 3.6� 65.9�

강원권 19� 0.0� 5.3� 5.3� 36.8� 42.1� 15.8� 57.9� 100.0� 3.7� 67.1�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8� 7.0� 8.9� 31.6� 44.4� 15.2� 59.5� 100.0� 3.6� 66.0�

중소도시 502� 2.8� 8.2� 11.0� 33.5� 42.8� 12.7� 55.6� 100.0� 3.6� 63.7�

군지역 107� 0.9� 8.4� 9.3� 32.7� 45.8� 12.1� 57.9� 100.0� 3.6� 65.0�

Page 30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7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7-4.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생각-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많음

문)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3.6� 18.9� 22.4� 41.0� 27.2� 9.3� 36.5� 100.0� 3.2� 55.0�

성별

남자 394� 4.3� 22.6� 26.9� 42.4� 22.8� 7.9� 30.7� 100.0� 3.1� 51.8�

여자 756� 3.2� 16.9� 20.1� 40.3� 29.5� 10.1� 39.6� 100.0� 3.3� 56.6�

연령별

학생층 800� 4.3� 15.1� 19.4� 41.5� 28.0� 11.1� 39.1� 100.0� 3.3� 56.7�

노년층 350� 2.0� 27.4� 29.4� 40.0� 25.4� 5.1� 30.6� 100.0� 3.0� 51.1�

연령별

초등학생 77� 2.6� 11.7� 14.3� 41.6� 33.8� 10.4� 44.2� 100.0� 3.4� 59.4�

중학생 359� 5.8� 15.0� 20.9� 41.8� 27.9� 9.5� 37.3� 100.0� 3.2� 55.0�

고등학생 364� 3.0� 15.9� 19.0� 41.2� 26.9� 12.9� 39.8� 100.0� 3.3� 57.7�

만 65세~69세 142� 0.7� 24.6� 25.4� 36.6� 31.0� 7.0� 38.0� 100.0� 3.2� 54.8�

만 70세 이상 208� 2.9� 29.3� 32.2� 42.3� 21.6� 3.8� 25.5� 100.0� 2.9� 48.6�

지역별

수도권 590� 3.6� 20.0� 23.6� 40.3� 26.6� 9.5� 36.1� 100.0� 3.2� 54.6�

경상권 139� 2.9� 19.4� 22.3� 42.4� 24.5� 10.8� 35.3� 100.0� 3.2� 55.2�

충청권 122� 2.5� 29.5� 32.0� 42.6� 20.5� 4.9� 25.4� 100.0� 3.0� 49.0�

전라권 280� 4.6� 12.5� 17.1� 40.4� 32.1� 10.4� 42.5� 100.0� 3.3� 57.8�

강원권 19� 0.0� 5.3� 5.3� 52.6� 36.8� 5.3� 42.1� 100.0� 3.4� 60.5�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2.6� 19.4� 22.0� 41.0� 28.1� 8.9� 37.0� 100.0� 3.2� 55.3�

중소도시 502� 5.0� 17.1� 22.1� 41.2� 27.1� 9.6� 36.7� 100.0� 3.2� 54.8�

군지역 107� 1.9� 24.3� 26.2� 40.2� 23.4� 10.3� 33.6� 100.0� 3.2� 54.0�

Page 30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77

17-5.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생각-문화예술교육은 매력적임

문)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1.9� 11.1� 13.0� 42.8� 33.4� 10.8� 44.2� 100.0� 3.4� 60.0�

성별

남자 394� 3.0� 16.0� 19.0� 40.4� 30.5� 10.2� 40.6� 100.0� 3.3� 57.2�

여자 756� 1.3� 8.6� 9.9� 44.0� 34.9� 11.1� 46.0� 100.0� 3.5� 61.5�

연령별

학생층 800� 2.6� 8.8� 11.4� 40.5� 34.1� 14.0� 48.1� 100.0� 3.5� 62.0�

노년층 350� 0.3� 16.6� 16.9� 48.0� 31.7� 3.4� 35.1� 100.0� 3.2� 55.4�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9.1� 10.4� 41.6� 35.1� 13.0� 48.1� 100.0� 3.5� 62.3�

중학생 359� 3.1� 9.5� 12.5� 44.0� 32.9� 10.6� 43.5� 100.0� 3.4� 59.6�

고등학생 364� 2.5� 8.0� 10.4� 36.8� 35.2� 17.6� 52.7� 100.0� 3.6� 64.4�

만 65세~69세 142� 0.7� 16.2� 16.9� 47.9� 31.0� 4.2� 35.2� 100.0� 3.2� 55.5�

만 70세 이상 208� 0.0� 16.8� 16.8� 48.1� 32.2� 2.9� 35.1� 100.0� 3.2� 55.3�

지역별

수도권 590� 2.0� 11.2� 13.2� 39.2� 37.6� 10.0� 47.6� 100.0� 3.4� 60.6�

경상권 139� 1.4� 10.1� 11.5� 46.0� 27.3� 15.1� 42.4� 100.0� 3.5� 61.2�

충청권 122� 1.6� 20.5� 22.1� 52.5� 19.7� 5.7� 25.4� 100.0� 3.1� 51.8�

전라권 280� 2.1� 8.2� 10.4� 45.0� 32.5� 12.1� 44.6� 100.0� 3.4� 61.1�

강원권 19� 0.0� 0.0� 0.0� 36.8� 47.4� 15.8� 63.2� 100.0� 3.8� 69.7�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5� 12.0� 13.5� 38.8� 37.0� 10.7� 47.7� 100.0� 3.4� 60.9�

중소도시 502� 2.6� 10.4� 12.9� 44.6� 30.7� 11.8� 42.4� 100.0� 3.4� 59.7�

군지역 107� 0.9� 10.3� 11.2� 54.2� 28.0� 6.5� 34.6� 100.0� 3.3� 57.2�

Page 30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7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7-6.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생각-문화예술교육을 원하는 정도

문)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모름/�

무응답계 평균

100점

평균

전 체 1,150� 3.7� 16.3� 20.0� 42.4� 27.2� 10.3� 37.5� 0.1�100.

0�3.2� 56.0�

성별

남자 394� 3.3� 21.1� 24.4� 42.1� 22.8� 10.4� 33.2� 0.3�100.

0�3.2� 54.0�

여자 756� 3.8� 13.9� 17.7� 42.6� 29.5� 10.2� 39.7� 0.0�100.

0�3.3� 57.1�

연령별

학생층 800� 4.3� 12.5� 16.8� 41.3� 29.3� 12.8� 42.0� 0.0�100.

0�3.3� 58.4�

노년층 350� 2.3� 25.1� 27.4� 45.1� 22.6� 4.6� 27.1� 0.3�100.

0�3.0� 50.5�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10.4� 11.7� 49.4� 29.9� 9.1� 39.0� 0.0�100.

0�3.4� 58.8�

중학생 359� 5.0� 13.6� 18.7� 41.2� 29.2� 10.9� 40.1� 0.0�100.

0�3.3� 56.8�

고등학생 364� 4.1� 11.8� 15.9� 39.6� 29.1� 15.4� 44.5� 0.0�100.

0�3.4� 60.0�

만 65세~69세 142� 0.7� 22.5� 23.2� 49.3� 22.5� 4.9� 27.5� 0.0�100.

0�3.1� 52.1�

만 70세 이상 208� 3.4� 26.9� 30.3� 42.3� 22.6� 4.3� 26.9� 0.5�100.

0�3.0� 49.4�

지역별

수도권 590� 3.6� 15.8� 19.3� 43.1� 27.6� 10.0� 37.6� 0.0�100.

0�3.3� 56.2�

경상권 139� 1.4� 18.7� 20.1� 46.8� 24.5� 8.6� 33.1� 0.0�100.

0�3.2� 55.0�

충청권 122� 0.8� 31.1� 32.0� 45.9� 18.0� 3.3� 21.3� 0.8�100.

0�2.9� 47.9�

전라권 280� 6.4� 10.0� 16.4� 38.9� 30.4� 14.3� 44.6� 0.0�100.

0�3.4� 59.0�

강원권 19� 0.0� 15.8� 15.8� 21.1� 47.4� 15.8� 63.2� 0.0�100.

0�3.6� 65.8�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2.2� 15.9� 18.1� 42.9� 28.3� 10.7� 39.0� 0.0�100.

0�3.3� 57.4�

중소도시 502� 5.2� 15.9� 21.1� 42.0� 26.5� 10.4� 36.9� 0.0�100.

0�3.2� 55.2�

군지역 107� 3.7� 20.6� 24.3� 42.1� 25.2� 7.5� 32.7� 0.9�100.

0�3.1� 53.1�

Page 30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79

17-7.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 생각-문화예술교육은 필요함

문)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2.3� 8.5� 10.9� 41.1� 36.9� 11.1� 48.0� 100.0� 3.5� 61.5�

성별

남자 394� 3.3� 9.9� 13.2� 40.9� 33.0� 12.9� 45.9� 100.0� 3.4� 60.6�

여자 756� 1.9� 7.8� 9.7� 41.3� 38.9� 10.2� 49.1� 100.0� 3.5� 61.9�

연령별

학생층 800� 3.4� 6.5� 9.9� 39.5� 36.8� 13.9� 50.6� 100.0� 3.5� 62.8�

노년층 350� 0.0� 13.1� 13.1� 44.9� 37.1� 4.9� 42.0� 100.0� 3.3� 58.4�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2.6� 2.6� 41.6� 40.3� 15.6� 55.8� 100.0� 3.7� 67.2�

중학생 359� 3.9� 7.5� 11.4� 42.1� 34.5� 12.0� 46.5� 100.0� 3.4� 60.8�

고등학생 364� 3.6� 6.3� 9.9� 36.5� 38.2� 15.4� 53.6� 100.0� 3.6� 63.9�

만 65세~69세 142� 0.0� 9.9� 9.9� 49.3� 35.2� 5.6� 40.8� 100.0� 3.4� 59.2�

만 70세 이상 208� 0.0� 15.4� 15.4� 41.8� 38.5� 4.3� 42.8� 100.0� 3.3� 57.9�

지역별

수도권 590� 2.0� 8.8� 10.8� 41.0� 38.6� 9.5� 48.1� 100.0� 3.5� 61.2�

경상권 139� 2.2� 2.9� 5.0� 46.0� 34.5� 14.4� 48.9� 100.0� 3.6� 64.0�

충청권 122� 1.6� 22.1� 23.8� 45.1� 27.9� 3.3� 31.1� 100.0� 3.1� 52.3�

전라권 280� 3.6� 5.0� 8.6� 38.2� 37.9� 15.4� 53.2� 100.0� 3.6� 64.1�

강원권 19� 0.0� 5.3� 5.3� 26.3� 42.1� 26.3� 68.4� 100.0� 3.9� 72.4�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8� 7.0� 8.9� 38.6� 41.4� 11.1� 52.5� 100.0� 3.5� 63.2�

중소도시 502� 3.0� 9.4� 12.4� 44.2� 32.3� 11.2� 43.4� 100.0� 3.4� 59.8�

군지역 107� 1.9� 12.1� 14.0� 39.3� 35.5� 11.2� 46.7� 100.0� 3.4� 60.5�

Page 31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8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8-1. 공동체 의식-집단적으로 수강하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심 정도

문) 다음은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공동체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5.4� 26.3� 31.7� 45.0� 20.3� 3.0� 23.3� 100.0� 2.9� 47.3�

성별

남자 394� 6.6� 27.2� 33.8� 42.6� 19.3� 4.3� 23.6� 100.0� 2.9� 46.9�

여자 756� 4.8� 25.9� 30.7� 46.2� 20.9� 2.2� 23.1� 100.0� 2.9� 47.5�

연령별

학생층 800� 6.4� 26.4� 32.8� 46.6� 18.0� 2.6� 20.6� 100.0� 2.8� 46.0�

노년층 350� 3.1� 26.3� 29.4� 41.1� 25.7� 3.7� 29.4� 100.0� 3.0� 50.1�

연령별

초등학생 77� 2.6� 18.2� 20.8� 39.0� 35.1� 5.2� 40.3� 100.0� 3.2� 55.5�

중학생 359� 6.7� 25.6� 32.3� 48.7� 16.2� 2.8� 18.9� 100.0� 2.8� 45.7�

고등학생 364� 6.9� 28.8� 35.7� 46.2� 16.2� 1.9� 18.1� 100.0� 2.8� 44.4�

만 65세~69세 142� 1.4� 26.1� 27.5� 39.4� 28.9� 4.2� 33.1� 100.0� 3.1� 52.1�

만 70세 이상 208� 4.3� 26.4� 30.8� 42.3� 23.6� 3.4� 26.9� 100.0� 3.0� 48.8�

지역별

수도권 590� 5.3� 26.6� 31.9� 44.1� 21.7� 2.4� 24.1� 100.0� 2.9� 47.3�

경상권 139� 4.3� 28.8� 33.1� 38.8� 23.7� 4.3� 28.1� 100.0� 3.0� 48.7�

충청권 122� 4.9� 33.6� 38.5� 47.5� 13.9� 0.0� 13.9� 100.0� 2.7� 42.6�

전라권 280� 6.4� 22.9� 29.3� 46.4� 19.3� 5.0� 24.3� 100.0� 2.9� 48.4�

강원권 19� 5.3� 5.3� 10.5� 78.9� 10.5� 0.0� 10.5� 100.0� 3.0� 48.7�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4.3� 27.4� 31.6� 42.7� 22.4� 3.3� 25.7� 100.0� 2.9� 48.3�

중소도시 502� 6.6� 26.7� 33.3� 45.2� 18.9� 2.6� 21.5� 100.0� 2.8� 46.1�

군지역 107� 5.6� 19.6� 25.2� 55.1� 16.8� 2.8� 19.6� 100.0� 2.9� 47.9�

Page 31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81

18-2. 공동체 의식-평소 여러 분야의 예술활동에 대한 관심 정도

문) 다음은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공동체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4.2� 22.8� 27.0� 41.4� 26.2� 5.5� 31.7� 100.0� 3.1� 51.5�

성별

남자 394� 5.1� 25.1� 30.2� 40.9� 24.4� 4.6� 28.9� 100.0� 3.0� 49.6�

여자 756� 3.7� 21.6� 25.3� 41.7� 27.1� 6.0� 33.1� 100.0� 3.1� 52.5�

연령별

학생층 800� 4.5� 17.8� 22.3� 42.9� 27.5� 7.4� 34.9� 100.0� 3.2� 53.9�

노년층 350� 3.4� 34.3� 37.7� 38.0� 23.1� 1.1� 24.3� 100.0� 2.8� 46.1�

연령별

초등학생 77� 2.6� 16.9� 19.5� 40.3� 29.9� 10.4� 40.3� 100.0� 3.3� 57.1�

중학생 359� 5.3� 18.7� 24.0� 42.6� 27.6� 5.8� 33.4� 100.0� 3.1� 52.5�

고등학생 364� 4.1� 17.0� 21.2� 43.7� 26.9� 8.2� 35.2� 100.0� 3.2� 54.5�

만 65세~69세 142� 2.8� 28.9� 31.7� 39.4� 27.5� 1.4� 28.9� 100.0� 3.0� 48.9�

만 70세 이상 208� 3.8� 38.0� 41.8� 37.0� 20.2� 1.0� 21.2� 100.0� 2.8� 44.1�

지역별

수도권 590� 4.4� 24.1� 28.5� 40.0� 26.9� 4.6� 31.5� 100.0� 3.0� 50.8�

경상권 139� 2.2� 22.3� 24.5� 45.3� 21.6� 8.6� 30.2� 100.0� 3.1� 53.1�

충청권 122� 3.3� 29.5� 32.8� 45.9� 18.9� 2.5� 21.3� 100.0� 2.9� 46.9�

전라권 280� 5.4� 17.9� 23.2� 40.4� 29.3� 7.1� 36.4� 100.0� 3.2� 53.8�

강원권 19� 0.0� 15.8� 15.8� 42.1� 36.8� 5.3� 42.1� 100.0� 3.3� 57.9�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3.5� 22.6� 26.1� 41.4� 27.5� 5.0� 32.5� 100.0� 3.1� 52.0�

중소도시 502� 4.8� 24.5� 29.3� 40.6� 24.3� 5.8� 30.1� 100.0� 3.0� 50.5�

군지역 107� 4.7� 15.9� 20.6� 44.9� 28.0� 6.5� 34.6� 100.0� 3.2� 54.0�

Page 31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8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8-3. 공동체 의식-교육을 받을 때 다른 수강생과 협력 정도

문) 다음은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공동체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4.0� 18.7� 22.7� 48.9� 25.6� 2.9� 28.4� 100.0� 3.1� 51.2�

성별

남자 394� 4.1� 16.8� 20.8� 50.3� 25.4� 3.6� 28.9� 100.0� 3.1� 51.9�

여자 756� 4.0� 19.7� 23.7� 48.1� 25.7� 2.5� 28.2� 100.0� 3.0� 50.8�

연령별

학생층 800� 5.0� 15.6� 20.6� 49.1� 27.0� 3.3� 30.3� 100.0� 3.1� 52.0�

노년층 350� 1.7� 25.7� 27.4� 48.3� 22.3� 2.0� 24.3� 100.0� 3.0� 49.3�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14.3� 15.6� 42.9� 32.5� 9.1� 41.6� 100.0� 3.3� 58.4�

중학생 359� 5.3� 16.2� 21.4� 47.1� 28.4� 3.1� 31.5� 100.0� 3.1� 52.0�

고등학생 364� 5.5� 15.4� 20.9� 52.5� 24.5� 2.2� 26.6� 100.0� 3.0� 50.6�

만 65세~69세 142� 0.0� 27.5� 27.5� 45.1� 23.9� 3.5� 27.5� 100.0� 3.0� 50.9�

만 70세 이상 208� 2.9� 24.5� 27.4� 50.5� 21.2� 1.0� 22.1� 100.0� 2.9� 48.2�

지역별

수도권 590� 4.1� 21.5� 25.6� 48.3� 23.9� 2.2� 26.1� 100.0� 3.0� 49.7�

경상권 139� 3.6� 18.7� 22.3� 48.9� 22.3� 6.5� 28.8� 100.0� 3.1� 52.3�

충청권 122� 3.3� 21.3� 24.6� 44.3� 31.1� 0.0� 31.1� 100.0� 3.0� 50.8�

전라권 280� 4.6� 11.8� 16.4� 50.7� 28.9� 3.9� 32.9� 100.0� 3.2� 53.9�

강원권 19� 0.0� 15.8� 15.8� 68.4� 15.8� 0.0� 15.8� 100.0� 3.0� 5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3.5� 17.2� 20.7� 49.9� 26.1� 3.3� 29.4� 100.0� 3.1� 52.1�

중소도시 502� 4.6� 21.1� 25.7� 46.0� 26.3� 2.0� 28.3� 100.0� 3.0� 50.0�

군지역 107� 3.7� 15.0� 18.7� 57.0� 19.6� 4.7� 24.3� 100.0� 3.1� 51.6�

Page 31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83

18-4. 공동체 의식-교육을 받을 때 다른 수강생과 친목도모를 하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공동체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모름/�

무응답계 평균

100점

평균

전 체 1,150� 5.2� 17.6� 22.8� 48.8� 25.1� 3.2� 28.3� 0.1�100.

0�3.0� 50.9�

성별

남자 394� 4.6� 18.3� 22.8� 47.7� 24.9� 4.3� 29.2� 0.3�100.

0�3.1� 51.5�

여자 756� 5.6� 17.2� 22.8� 49.3� 25.3� 2.6� 27.9� 0.0�100.

0�3.0� 50.6�

연령별

학생층 800� 5.9� 16.3� 22.1� 48.4� 25.9� 3.6� 29.5� 0.0�100.

0�3.1� 51.3�

노년층 350� 3.7� 20.6� 24.3� 49.7� 23.4� 2.3� 25.7� 0.3�100.

0�3.0� 50.0�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13.0� 13.0� 41.6� 36.4� 9.1� 45.5� 0.0�100.

0�3.4� 60.4�

중학생 359� 7.2� 14.5� 21.7� 48.5� 25.6� 4.2� 29.8� 0.0�100.

0�3.1� 51.3�

고등학생 364� 5.8� 18.7� 24.5� 49.7� 23.9� 1.9� 25.8� 0.0�100.

0�3.0� 49.4�

만 65세~69세 142� 2.1� 22.5� 24.6� 48.6� 21.8� 4.2� 26.1� 0.7�100.

0�3.0� 50.9�

만 70세 이상 208� 4.8� 19.2� 24.0� 50.5� 24.5� 1.0� 25.5� 0.0�100.

0�3.0� 49.4�

지역별

수도권 590� 5.9� 19.8� 25.8� 49.2� 22.2� 2.9� 25.1� 0.0�100.

0�3.0� 49.1�

경상권 139� 3.6� 16.5� 20.1� 50.4� 25.9� 3.6� 29.5� 0.0�100.

0�3.1� 52.3�

충청권 122� 3.3� 24.6� 27.9� 48.4� 22.1� 0.8� 23.0� 0.8�100.

0�2.9� 48.1�

전라권 280� 5.7� 10.0� 15.7� 46.1� 33.6� 4.6� 38.2� 0.0�100.

0�3.2� 55.4�

강원권 19� 0.0� 21.1� 21.1� 68.4� 5.3� 5.3� 10.5� 0.0�100.

0�3.0� 48.7�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3.9� 16.3� 20.1� 46.8� 29.9� 3.1� 33.1� 0.0�100.

0�3.1� 53.1�

중소도시 502� 6.8� 19.7� 26.5� 49.6� 20.7� 3.2� 23.9� 0.0�100.

0�2.9� 48.5�

군지역 107� 4.7� 14.0� 18.7� 55.1� 21.5� 3.7� 25.2� 0.9�100.

0�3.1� 51.4�

Page 31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8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8-5. 공동체 의식-교육을 받을 때 수강생간 동질감을 느끼는 정도

문) 다음은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공동체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4.3� 17.0� 21.3� 49.9� 26.0� 2.8� 28.8� 100.0� 3.1� 51.5�

성별

남자 394� 4.3� 15.0� 19.3� 47.2� 29.7� 3.8� 33.5� 100.0� 3.1� 53.4�

여자 756� 4.2� 18.1� 22.4� 51.3� 24.1� 2.2� 26.3� 100.0� 3.0� 50.5�

연령별

학생층 800� 5.1� 15.4� 20.5� 50.0� 26.1� 3.4� 29.5� 100.0� 3.1� 51.8�

노년층 350� 2.3� 20.9� 23.1� 49.7� 25.7� 1.4� 27.1� 100.0� 3.0� 50.8�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9.1� 9.1� 46.8� 36.4� 7.8� 44.2� 100.0� 3.4� 60.7�

중학생 359� 5.8� 15.3� 21.2� 49.0� 26.5� 3.3� 29.8� 100.0� 3.1� 51.5�

고등학생 364� 5.5� 16.8� 22.3� 51.6� 23.6� 2.5� 26.1� 100.0� 3.0� 50.2�

만 65세~69세 142� 2.1� 21.1� 23.2� 51.4� 23.2� 2.1� 25.4� 100.0� 3.0� 50.5�

만 70세 이상 208� 2.4� 20.7� 23.1� 48.6� 27.4� 1.0� 28.4� 100.0� 3.0� 51.0�

지역별

수도권 590� 4.6� 18.1� 22.7� 49.0� 26.6� 1.7� 28.3� 100.0� 3.0� 50.7�

경상권 139� 2.9� 16.5� 19.4� 48.2� 27.3� 5.0� 32.4� 100.0� 3.2� 53.8�

충청권 122� 3.3� 22.1� 25.4� 50.0� 23.8� 0.8� 24.6� 100.0� 3.0� 49.2�

전라권 280� 5.0� 13.2� 18.2� 50.7� 26.1� 5.0� 31.1� 100.0� 3.1� 53.2�

강원권 19� 0.0� 10.5� 10.5� 78.9� 10.5� 0.0� 10.5� 100.0� 3.0� 5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3.7� 15.0� 18.7� 49.9� 28.7� 2.8� 31.4� 100.0� 3.1� 53.0�

중소도시 502� 5.0� 18.9� 23.9� 49.4� 24.1� 2.6� 26.7� 100.0� 3.0� 50.1�

군지역 107� 3.7� 18.7� 22.4� 52.3� 21.5� 3.7� 25.2� 100.0� 3.0� 50.7�

Page 31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85

18-6. 공동체 의식-같이 교육받은 사람들과 계속 연락을 취하고 싶은 정도

문) 다음은 귀하께서 생각하시는 공동체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5.2� 19.0� 24.3� 48.5� 23.5� 3.7� 27.2� 100.0� 3.0� 50.4�

성별

남자 394� 5.3� 18.0� 23.4� 47.2� 24.9� 4.6� 29.4� 100.0� 3.1� 51.3�

여자 756� 5.2� 19.6� 24.7� 49.2� 22.8� 3.3� 26.1� 100.0� 3.0� 49.9�

연령별

학생층 800� 6.4� 17.0� 23.4� 47.0� 25.1� 4.5� 29.6� 100.0� 3.0� 51.1�

노년층 350� 2.6� 23.7� 26.3� 52.0� 19.7� 2.0� 21.7� 100.0� 3.0� 48.7�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10.4� 10.4� 46.8� 32.5� 10.4� 42.9� 100.0� 3.4� 60.7�

중학생 359� 6.7� 18.7� 25.3� 43.5� 26.7� 4.5� 31.2� 100.0� 3.0� 50.9�

고등학생 364� 7.4� 16.8� 24.2� 50.5� 22.0� 3.3� 25.3� 100.0� 3.0� 49.2�

만 65세~69세 142� 0.7� 23.2� 23.9� 53.5� 19.7� 2.8� 22.5� 100.0� 3.0� 50.2�

만 70세 이상 208� 3.8� 24.0� 27.9� 51.0� 19.7� 1.4� 21.2� 100.0� 2.9� 47.7�

지역별

수도권 590� 5.9� 19.3� 25.3� 48.8� 23.4� 2.5� 25.9� 100.0� 3.0� 49.3�

경상권 139� 2.9� 16.5� 19.4� 46.0� 25.2� 9.4� 34.5� 100.0� 3.2� 55.4�

충청권 122� 3.3� 31.1� 34.4� 51.6� 11.5� 2.5� 13.9� 100.0� 2.8� 44.7�

전라권 280� 5.7� 14.6� 20.4� 47.9� 27.9� 3.9� 31.8� 100.0� 3.1� 52.4�

강원권 19� 5.3� 15.8� 21.1� 47.4� 26.3� 5.3� 31.6� 100.0� 3.1� 52.6�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4.8� 18.7� 23.5� 48.2� 25.7� 2.6� 28.3� 100.0� 3.0� 50.7�

중소도시 502� 5.8� 19.3� 25.1� 48.2� 22.1� 4.6� 26.7� 100.0� 3.0� 50.1�

군지역 107� 4.7� 19.6� 24.3� 51.4� 18.7� 5.6� 24.3� 100.0� 3.0� 50.2�

Page 31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8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9-1. 사회적 관계-한 달 간 접촉하는 타인의 수

문) 다음은 귀하의 사회적 관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구분 사례수(명) 없음 3명 미만 3명~5명 5명~7명 7명 이상 계

전 체 1,150� 1.7� 11.0� 22.4� 15.3� 49.5� 100.0�

성별

남자 394� 2.0� 8.4� 24.4� 13.5� 51.8� 100.0�

여자 756� 1.6� 12.4� 21.4� 16.3� 48.3�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2.3� 8.0� 21.5� 15.1� 53.1� 100.0�

노년층 350� 0.6� 18.0� 24.6� 15.7� 41.1�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0.0� 9.1� 15.6� 19.5� 55.8� 100.0�

중학생 359� 1.7� 6.7� 21.2� 15.6� 54.9� 100.0�

고등학생 364� 3.3� 9.1� 23.1� 13.7� 50.8� 100.0�

만 65세~69세 142� 0.0� 19.0� 22.5� 21.1� 37.3� 100.0�

만 70세 이상 208� 1.0� 17.3� 26.0� 12.0� 43.8�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1.5� 10.8� 21.4� 16.9� 49.3� 100.0�

경상권 139� 0.7� 6.5� 22.3� 18.7� 51.8� 100.0�

충청권 122� 1.6� 21.3� 36.1� 7.4� 33.6� 100.0�

전라권 280� 2.5� 9.6� 18.6� 13.9� 55.4� 100.0�

강원권 19� 5.3� 5.3� 26.3� 10.5� 52.6�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7� 11.5� 21.3� 17.0� 48.6� 100.0�

중소도시 502� 1.4� 9.6� 24.1� 14.9� 50.0� 100.0�

군지역 107� 3.7� 15.9� 20.6� 8.4� 51.4� 100.0�

Page 31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87

19-2. 사회적 관계-접촉하는 사람 중 가깝게 지내는 사람의 수

문) 다음은 귀하의 사회적 관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구분 사례수(명) 없음 3명 미만 3명~5명 5명~7명 7명 이상 계

전 체 1,150� 3.1� 24.9� 31.6� 19.2� 21.2� 100.0�

성별

남자 394� 3.0� 23.1� 31.0� 19.0� 23.9� 100.0�

여자 756� 3.2� 25.8� 31.9� 19.3� 19.8�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2.8� 19.1� 33.5� 23.4� 21.3� 100.0�

노년층 350� 4.0� 38.0� 27.1� 9.7� 21.1�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3.9� 18.2� 35.1� 20.8� 22.1� 100.0�

중학생 359� 1.9� 19.5� 30.4� 24.0� 24.2� 100.0�

고등학생 364� 3.3� 19.0� 36.3� 23.4� 18.1� 100.0�

만 65세~69세 142� 4.2� 31.7� 36.6� 8.5� 19.0� 100.0�

만 70세 이상 208� 3.8� 42.3� 20.7� 10.6� 22.6�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3.4� 24.9� 29.8� 20.8� 21.0� 100.0�

경상권 139� 5.0� 20.9� 39.6� 16.5� 18.0� 100.0�

충청권 122� 0.8� 40.2� 29.5� 8.2� 21.3� 100.0�

전라권 280� 2.9� 20.7� 32.1� 21.1� 23.2� 100.0�

강원권 19� 0.0� 15.8� 31.6� 31.6� 21.1�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3.3� 25.1� 32.2� 20.9� 18.5� 100.0�

중소도시 502� 2.6� 24.7� 31.1� 18.7� 22.9� 100.0�

군지역 107� 4.7� 24.3� 30.8� 13.1� 27.1� 100.0�

Page 31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8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9-3. 사회적 관계-갑자기 돈을 빌릴 경우,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의 수

문) 다음은 귀하의 사회적 관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구분 사례수(명) 없음 3명 미만 3명~5명 5명~7명 7명 이상 계

전 체 1,150� 14.3� 33.3� 30.6� 11.7� 10.0� 100.0�

성별

남자 394� 14.5� 29.4� 30.7� 12.9� 12.4� 100.0�

여자 756� 14.3� 35.3� 30.6� 11.1� 8.7�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9.1� 29.8� 35.6� 14.0� 11.5� 100.0�

노년층 350� 26.3� 41.4� 19.1� 6.6� 6.6�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13.0� 39.0� 24.7� 10.4� 13.0� 100.0�

중학생 359� 7.8� 29.0� 33.7� 16.4� 13.1� 100.0�

고등학생 364� 9.6� 28.6� 39.8� 12.4� 9.6� 100.0�

만 65세~69세 142� 18.3� 44.4� 21.8� 8.5� 7.0� 100.0�

만 70세 이상 208� 31.7� 39.4� 17.3� 5.3� 6.3�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11.5� 31.9� 33.1� 13.9� 9.7� 100.0�

경상권 139� 17.3� 43.2� 20.1� 6.5� 12.9� 100.0�

충청권 122� 36.9� 29.5� 22.1� 4.1� 7.4� 100.0�

전라권 280� 10.0� 33.2� 33.9� 13.2� 9.6� 100.0�

강원권 19� 0.0� 31.6� 36.8� 10.5� 21.1�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4.6� 31.4� 30.9� 14.2� 8.9� 100.0�

중소도시 502� 11.8� 36.3� 30.5� 10.8� 10.8� 100.0�

군지역 107� 25.2� 29.0� 29.9� 3.7� 12.1� 100.0�

Page 31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89

19-4. 사회적 관계-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의 수

문) 다음은 귀하의 사회적 관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구분 사례수(명) 없음 3명 미만 3명~5명 5명~7명 7명 이상 계

전 체 1,150� 10.5� 36.1� 29.0� 14.0� 10.3� 100.0�

성별

남자 394� 11.4� 34.3� 28.2� 14.2� 11.9� 100.0�

여자 756� 10.1� 37.0� 29.5� 13.9� 9.5�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7.4� 32.4� 31.9� 16.8� 11.6� 100.0�

노년층 350� 17.7� 44.6� 22.6� 7.7� 7.4�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5.2� 37.7� 27.3� 13.0� 16.9� 100.0�

중학생 359� 5.8� 31.5� 30.4� 17.8� 14.5� 100.0�

고등학생 364� 9.3� 32.1� 34.3� 16.5� 7.7� 100.0�

만 65세~69세 142� 15.5� 41.5� 26.1� 9.2� 7.7� 100.0�

만 70세 이상 208� 19.2� 46.6� 20.2� 6.7� 7.2�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9.7� 34.4� 31.0� 15.6� 9.3� 100.0�

경상권 139� 5.8� 55.4� 20.9� 7.9� 10.1� 100.0�

충청권 122� 32.0� 28.7� 23.8� 7.4� 8.2� 100.0�

전라권 280� 5.7� 33.9� 30.7� 16.8� 12.9� 100.0�

강원권 19� 5.3� 26.3� 36.8� 10.5� 21.1�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9.8� 35.9� 30.1� 16.3� 7.9� 100.0�

중소도시 502� 9.2� 37.8� 28.1� 12.5� 12.4� 100.0�

군지역 107� 20.6� 29.0� 28.0� 9.3� 13.1� 100.0�

Page 32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9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19-5. 사회적 관계-개인적인 일을 부탁할 경우,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의 수

문) 다음은 귀하의 사회적 관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구분 사례수(명) 없음 3명 미만 3명~5명 5명~7명 7명 이상 계

전 체 1,150� 10.5� 37.9� 29.3� 12.7� 9.6� 100.0�

성별

남자 394� 11.9� 33.8� 29.9� 12.2� 12.2� 100.0�

여자 756� 9.8� 40.1� 29.0� 13.0� 8.2�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7.1� 33.6� 34.8� 13.3� 11.3� 100.0�

노년층 350� 18.3� 47.7� 16.9� 11.4� 5.7�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7.8� 32.5� 37.7� 11.7� 10.4� 100.0�

중학생 359� 5.8� 32.6� 33.7� 13.9� 13.9� 100.0�

고등학생 364� 8.2� 34.9� 35.2� 12.9� 8.8� 100.0�

만 65세~69세 142� 14.1� 46.5� 20.4� 14.1� 4.9� 100.0�

만 70세 이상 208� 21.2� 48.6� 14.4� 9.6� 6.3�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8.0� 38.1� 29.2� 16.1� 8.6� 100.0�

경상권 139� 10.8� 53.2� 21.6� 3.6� 10.8� 100.0�

충청권 122� 31.1� 28.7� 27.0� 4.1� 9.0� 100.0�

전라권 280� 7.5� 34.6� 33.6� 13.2� 11.1� 100.0�

강원권 19� 0.0� 26.3� 42.1� 21.1� 10.5�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9.1� 38.4� 29.4� 14.4� 8.7� 100.0�

중소도시 502� 9.0� 39.4� 29.9� 11.8� 10.0� 100.0�

군지역 107� 25.2� 28.0� 26.2� 8.4� 12.1� 100.0�

Page 32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91

20-1. 사회적 형평성 및 평등성-소외된 사람들의 포용 가능 정도

문)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 본 사회적 형평성 및 평등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2.3� 13.1� 15.4� 48.3� 31.3� 5.0� 36.3� 100.0� 3.2� 55.9�

성별

남자 394� 3.8� 11.9� 15.7� 45.2� 32.7� 6.3� 39.1� 100.0� 3.3� 56.5�

여자 756� 1.5� 13.8� 15.2� 49.9� 30.6� 4.4� 34.9� 100.0� 3.2� 55.7�

연령별

학생층 800� 2.8� 12.3� 15.0� 49.3� 30.4� 5.4� 35.8� 100.0� 3.2� 55.8�

노년층 350� 1.1� 15.1� 16.3� 46.0� 33.4� 4.3� 37.7� 100.0� 3.3� 56.1�

연령별

초등학생 77� 1.3� 10.4� 11.7� 50.6� 29.9� 7.8� 37.7� 100.0� 3.3� 58.1�

중학생 359� 3.3� 11.7� 15.0� 48.5� 31.8� 4.7� 36.5� 100.0� 3.2� 55.7�

고등학생 364� 2.5� 13.2� 15.7� 49.7� 29.1� 5.5� 34.6� 100.0� 3.2� 55.5�

만 65세~69세 142� 1.4� 18.3� 19.7� 43.7� 29.6� 7.0� 36.6� 100.0� 3.2� 55.6�

만 70세 이상 208� 1.0� 13.0� 13.9� 47.6� 36.1� 2.4� 38.5� 100.0� 3.3� 56.5�

지역별

수도권 590� 2.2� 12.7� 14.9� 47.8� 32.5� 4.7� 37.3� 100.0� 3.3� 56.2�

경상권 139� 2.2� 10.1� 12.2� 47.5� 31.7� 8.6� 40.3� 100.0� 3.4� 58.6�

충청권 122� 2.5� 19.7� 22.1� 50.0� 26.2� 1.6� 27.9� 100.0� 3.1� 51.2�

전라권 280� 2.5� 13.2� 15.7� 48.9� 30.0� 5.4� 35.4� 100.0� 3.2� 55.6�

강원권 19� 0.0� 5.3� 5.3� 47.4� 42.1� 5.3� 47.4� 100.0� 3.5� 61.8�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1.7� 13.7� 15.3� 45.7� 33.3� 5.7� 39.0� 100.0� 3.3� 56.9�

중소도시 502� 2.8� 12.0� 14.7� 51.4� 29.5� 4.4� 33.9� 100.0� 3.2� 55.2�

군지역 107� 2.8� 15.9� 18.7� 46.7� 29.9� 4.7� 34.6� 100.0� 3.2� 54.4�

Page 32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9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20-2. 사회적 형평성 및 평등성-소외계층이 평등하게 교육기회를 받는 정도

문)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 본 사회적 형평성 및 평등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9.0� 26.6� 35.6� 43.2� 17.6� 3.7� 21.2� 100.0� 2.8� 45.1�

성별

남자 394� 8.1� 24.1� 32.2� 42.9� 20.1� 4.8� 24.9� 100.0� 2.9� 47.3�

여자 756� 9.4� 27.9� 37.3� 43.4� 16.3� 3.0� 19.3� 100.0� 2.8� 43.9�

연령별

학생층 800� 8.6� 25.0� 33.6� 43.9� 18.4� 4.1� 22.5� 100.0� 2.8� 46.1�

노년층 350� 9.7� 30.3� 40.0� 41.7� 15.7� 2.6� 18.3� 100.0� 2.7� 42.8�

연령별

초등학생 77� 6.5� 20.8� 27.3� 39.0� 22.1� 11.7� 33.8� 100.0� 3.1� 52.9�

중학생 359� 5.6� 22.0� 27.6� 49.3� 20.6� 2.5� 23.1� 100.0� 2.9� 48.1�

고등학생 364� 12.1� 28.8� 40.9� 39.6� 15.4� 4.1� 19.5� 100.0� 2.7� 42.7�

만 65세~69세 142� 12.0� 24.6� 36.6� 47.9� 12.7� 2.8� 15.5� 100.0� 2.7� 42.4�

만 70세 이상 208� 8.2� 34.1� 42.3� 37.5� 17.8� 2.4� 20.2� 100.0� 2.7� 43.0�

지역별

수도권 590� 10.8� 28.5� 39.3� 40.7� 17.3� 2.7� 20.0� 100.0� 2.7� 43.1�

경상권 139� 5.8� 22.3� 28.1� 41.7� 18.0� 12.2� 30.2� 100.0� 3.1� 52.2�

충청권 122� 3.3� 37.7� 41.0� 47.5� 11.5� 0.0� 11.5� 100.0� 2.7� 41.8�

전라권 280� 8.9� 20.4� 29.3� 47.1� 21.1� 2.5� 23.6� 100.0� 2.9� 47.0�

강원권 19� 10.5� 21.1� 31.6� 47.4� 10.5� 10.5� 21.1� 100.0� 2.9� 47.4�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7.8� 26.4� 34.2� 43.8� 18.5� 3.5� 22.0� 100.0� 2.8� 45.9�

중소도시 502� 9.4� 26.1� 35.5� 43.8� 17.1� 3.6� 20.7� 100.0� 2.8� 44.9�

군지역 107� 13.1� 29.9� 43.0� 37.4� 15.0� 4.7� 19.6� 100.0� 2.7� 42.1�

Page 32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93

20-3. 사회적 형평성 및 평등성-문화예술교육의 사회형평성 기여정도

문)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 본 사회적 형평성 및 평등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점수)

구분사례수

(명)

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①+② ③

보통

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

④+⑤

계 평균100점

평균

전 체 1,150� 6.5� 21.7� 28.3� 51.7� 16.6� 3.5� 20.1� 100.0� 2.9� 47.2�

성별

남자 394� 7.1� 20.1� 27.2� 49.5� 18.8� 4.6� 23.4� 100.0� 2.9� 48.4�

여자 756� 6.2� 22.6� 28.8� 52.8� 15.5� 2.9� 18.4� 100.0� 2.9� 46.6�

연령별

학생층 800� 6.5� 18.1� 24.6� 54.9� 16.5� 4.0� 20.5� 100.0� 2.9� 48.3�

노년층 350� 6.6� 30.0� 36.6� 44.3� 16.9� 2.3� 19.1� 100.0� 2.8� 44.6�

연령별

초등학생 77� 3.9� 22.1� 26.0� 48.1� 13.0� 13.0� 26.0� 100.0� 3.1� 52.3�

중학생 359� 5.6� 14.2� 19.8� 58.2� 18.9� 3.1� 22.0� 100.0� 3.0� 49.9�

고등학생 364� 8.0� 21.2� 29.1� 53.0� 14.8� 3.0� 17.9� 100.0� 2.8� 46.0�

만 65세~69세 142� 8.5� 28.9� 37.3� 44.4� 15.5� 2.8� 18.3� 100.0� 2.8� 43.8�

만 70세 이상 208� 5.3� 30.8� 36.1� 44.2� 17.8� 1.9� 19.7� 100.0� 2.8� 45.1�

지역별

수도권 590� 8.1� 23.9� 32.0� 47.1� 17.6� 3.2� 20.8� 100.0� 2.8� 46.0�

경상권 139� 2.9� 12.9� 15.8� 59.0� 15.8� 9.4� 25.2� 100.0� 3.2� 54.0�

충청권 122� 3.3� 28.7� 32.0� 56.6� 11.5� 0.0� 11.5� 100.0� 2.8� 44.1�

전라권 280� 6.4� 19.3� 25.7� 55.0� 17.1� 2.1� 19.3� 100.0� 2.9� 47.3�

강원권 19� 5.3� 10.5� 15.8� 57.9� 15.8� 10.5� 26.3� 100.0� 3.2� 54.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5.0� 20.9� 25.9� 52.7� 18.1� 3.3� 21.4� 100.0� 2.9� 48.5�

중소도시 502� 7.6� 22.1� 29.7� 51.0� 15.7� 3.6� 19.3� 100.0� 2.9� 46.4�

군지역 107� 9.3� 24.3� 33.6� 49.5� 13.1� 3.7� 16.8� 100.0� 2.8� 44.4�

Page 32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9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21-1.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세금 부담시, 부담 가능 액수

문)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제적 가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단위 :�%)

구분 사례수(명)10만원

미만10~50만원

50~100�

만원

100~150�

만원150만원 계

전 체 1,150� 78.0� 15.8� 4.1� 2.0� 0.1� 100.0�

성별

남자 394� 73.4� 16.8� 6.1� 3.6� 0.3� 100.0�

여자 756� 80.4� 15.3� 3.0� 1.2� 0.0� 100.0�

연령별

학생층 800� 69.9� 21.4� 5.8� 2.9� 0.1� 100.0�

노년층 350� 96.6� 3.1� 0.3� 0.0� 0.0� 100.0�

연령별

초등학생 77� 72.7� 20.8� 5.2� 1.3� 0.0� 100.0�

중학생 359� 74.7� 15.3� 6.7� 3.3� 0.0� 100.0�

고등학생 364� 64.6� 27.5� 4.9� 2.7� 0.3� 100.0�

만 65세~69세 142� 95.1� 4.9� 0.0� 0.0� 0.0� 100.0�

만 70세 이상 208� 97.6� 1.9� 0.5� 0.0� 0.0� 100.0�

지역별

수도권 590� 78.0� 16.1� 4.1� 1.7� 0.2� 100.0�

경상권 139� 72.7� 20.9� 5.0� 1.4� 0.0� 100.0�

충청권 122� 84.4� 8.2� 3.3� 4.1� 0.0� 100.0�

전라권 280� 78.6� 15.4� 4.3� 1.8� 0.0� 100.0�

강원권 19� 68.4� 26.3� 0.0� 5.3� 0.0� 100.0�

지역

규모별

대도시 541� 76.3� 17.7� 4.1� 1.8� 0.0� 100.0�

중소도시 502� 78.9� 13.7� 4.8� 2.4� 0.2� 100.0�

군지역 107� 82.2� 15.9� 0.9� 0.9� 0.0� 100.0�

Page 32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95

분류 지표 소분류 FGI� 참여자 답변

개인

-� 사회생활 확대

- 강사로서 사회 사회 참여 (자기 표현과 향유

기회)

- 효능감 /� 존중감

*효능감 /� 존중감 :� 예술가로서 사회에 소리를

내지 않던 시절이 있던 반면,� 예술 강사로 사

회 활동을 함으로써 소리를 내게 되었는데 사

회 활동에 대한 표현 기회를 여쭙고자 함.

- 지역의 소속감

- 기술과 창의력 향상

- 개인 ·�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 타인 ·� 타 기관과의 협동 및 소통능력 향상

김ㅇㅇ�

(무용)

Ÿ 사회생활 확대� :� 예술로만 느껴지던

무용이 사람들 간 관계맺음의 도구가

되는 것을 보고 뿌듯함을 느꼈다.� 이

덕분에 앞으로의 삶의 방향 또한 긍

정적으로 다시 고려해볼 수 있게 되

었다.

박ㅇㅇ�

(만화

애니메이션)

Ÿ 기술과 창의력 향상� :� 예강 사업을

통해 창의 교육을 할 수 있게 되었

고,� 이의 중요성도 알게 되었다.

Ÿ 효능감 /� 존중감 :� 함형식 님의 의견

과 동의한다.� 학교 수업을 갔을 때

선생님이 아닌 ‘아저씨’,� ‘저기요’� 등의

호칭을 들을 때가 있었다.

Ÿ 지역의 소속감 :� 가장 힘들었던 부분

은 동료애가 없다는 점이었다.� 서울

문화제단에 소속되어 있지만,� 소속 선

생님들 간 소통은 거의 없는 편이었

는데 최근 강사 선생님들 간 개별적

모임을 통해 소속감을 찾으려 노력중

이다.� 자발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

었다.�

Ÿ 개인 ·�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 예술

강사 사업을 통해 자리를 잡은 선생

님들은 삶의 안정을 느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선생님들은 여전히 생계

를 위해 알바 개념으로 예술 강사 사

업에 임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

에서 강사 간 네트워크 형성이 어려

운 것은 사실이다.�

함ㅇㅇ�

(연극)

Ÿ 사회생활 확대 :� 사회생활은 좋아졌

다.� 개인적으로 사회 생활이 확대 되

었다.� 예술 강사 교육을 위해 학위도

땄고,� 이에 관련된 공부를 많이 하게

되었다.�

Ÿ 강사로서의 사회 참여 :� 다양하게 각�

분야에서 참여하고 있다.� (군부대,� 사

회 소외 계층)

Ÿ 효능감 /� 존중감 :� 개인적으로 향상되

었다.� 하지만 이는 개인의 차이가 있

을 것이다.� 예술 교육가로서 자부심을

부록 5. 사전조사 –FGI 결과① 2013.10.02. 예술강사 대상 FGI

Page 32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9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가지고 활동하는 선생님과 알바 개념

으로 일을 하는 선생님이 있기 마련

이다.� 일반적으로 존중감은 단체가 아

닌 수업을 듣는 아이들(대상자)이 만

들어 주는 경우가 많다.�

Ÿ 지역의 소속감 :� 소속감은 없다고 느

낀다.� 선생님들은 개별 현장에서 소속

감을 느끼지 않는다.�

Ÿ 기술과 창의력 향상 :� 선생님들 개별

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예술 강사들이

skill이 부족해서 이를 향상시키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에겐 동기

부여가 가장 필요하다.� 이런 부분에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해 주셨으면 좋겠

다.� �

Ÿ 타인 ·� 타 기관과의 협동 및 소통능력

향상 :� 매우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강사 스스로가 안정되지 못하

고,� 경쟁 구도를 갖추고 있는데 과연

네트워킹이 있는지?� 이에 대해 생각

을 다시 해봐야 할 것이다.�

김ㅇㅇ�

(영화)

Ÿ 지역의 소속감 :� 분야별 측면에서 소

외됨을 많이 느끼고 있다.� 이 점이

개선되었으면 좋겠다.� 각� 개별 예술

분야에 대한 특성의 배려가 필요하다

고 생각한다.�

사회

-� 임금,� 집단적정체성

*� 집단적 정체성 :� 예술가이면서 집단에 참여

한 사람들끼리 공동체 의식을 느끼고 있는가?�

- 사회적 효능감

- 연계 /� 민간 협력

*� 민간 협력 :� 민간 협력단체가 과연 이 사업

에 대해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가?� /� 제대로 인

지하고 있는가?�

- 사회적 자본 형성

*� 사회적 자본 형성 :� � 교육 활동을 위한 자

본이 형성되었는가?� (선생님들의 활동을 위한

여건이 잘 제공 되었는가?)

김ㅇㅇ�

(무용)

Ÿ 사회적 자본� :� 학교 밖 대상자들과

만나면서 community� dance� 조성,�

사람들과 소통하는 장을 만들면서 사

회적 자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박ㅇㅇ

(만화

애니메이션)

Ÿ 사회적 효능감� :� 학교 현장에서 있으

면서 아이들의 측면에서 예술강사 사

업의 효능감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되

었다.� 아이들의 관심을 어떻게 끌 수

있는지,� 가치를 어떻게 극대화 할 수

있는지 고민을 많이 하게 되었다.�

Ÿ 집단적 정체성� :� 처음엔 학교와 부딪

히는 경우가 잦았다.� 승인은 받아서

강사가 왔으나,� 학교측의 냉대도 있었

다.� (강사임에도 불구하고 교사 책상

도 없는 경우가 있었다.)� 지금은 인식

이 많이 좋아진 편에 속한다.�

Ÿ 사회적 자본 형성 :� 예전보다는 좋아

Page 32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97

진 편이나,� 더욱 좋아질 필요성은 있

다.� 학교측에서는 강사 받았으니까 아

무것도 할 필요 없다고 나오는 경우

가� 많다.� 이럴 땐 강사가 자기 돈을

내는 경우가 생긴다.�

함ㅇㅇ�

(연극)

Ÿ 임금 /� 집단적 정책성 :� 마이너스라는

생각을 한다.� 예술 강사가 전문가로서

대접을 받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기

떄문이다.� 외국의 경우,� 예술 교육이

민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우리나라는 국가적인 형태의 사업이

되다 보니 많은 예술가들이 현장에서

내가 예술가인지 교육가인지 헷갈려

하는 경우가 많다.� 개인적으로이는 구

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술가는

배우에 집중해야 하고,� 교육자는 교육

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Ÿ 사회적 효능감 :� 효능감 같은 경우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구

체적으로 작용하고 있지는 않은 편이

다.� 이 점이 아쉽다.� (좋다라는 것은

알지만,� 구체적으로 뭐가 좋다는 제시

할 수 없는 편이다.� 예를 들어 강남

의 학교의 경우,� 학부모를 설득하기

어려운 사례도 발생하고 있는 편이다.�

)� 사회 소외계층,� 학교의 경우 긍정적

인 가치를 보이고 있다.� � �

Ÿ 연계 /� 민간 협력 :� 요즘은 많은 단체

들이 이를 행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아쉬운 점은 따로 진행되다 보니,� 예

산이 적게 책정된다.� 연계가 안되어

있어서 시너지를 낼 수 없다는 단점

이 있다.� 게다가 민간 차원에서 사업

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편이 많다.�

교육에 집중하는 것이 아닌 보여주기

식이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Ÿ 사회적 자본 형성 :� 사회적 여건은

많이 형성되었다.� 강사들을 보완하기

위한 지속적 활동이 있는 것으로 보

인다.� 사회적 인식은 매우 높아졌으

나,� 높아진 인식 만큼 사회적 지원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편이다.�

Page 32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29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김ㅇㅇ�

(영화)

Ÿ 사회적 자본 형성 :� 성공 사례가 많

이 모여져야 선생님들의 동기 부여가

이루어질 것이다.�

이ㅇㅇ�

(디자인)

Ÿ 사회적 자본 형성 :� 더 나은 예술 강

사들의 교육을 위해 가치 분석 연구

를 체계적으로 진행했으면 좋겠다.�

사회·경

제적

- 개인의 삶의 질 향상

- 문화 자본의 형성

- 공동체 의식 향상

*� 공동체 의식 향상 :� 같은 활동을 하는 사람

간에 공동체 의식이 향상 되었는지에 대한 여

김ㅇㅇ�

(무용)

Ÿ 개인 삶의 질� :� 10년 동안의 예술 강

사 사업 참여를 통해 개인적 삶의 변

화가 생기게 되었다.� 예술 대상자의

확보,� 예술 교육의 창조,� 새로운 사람

과의 접촉 등을 통해 개인적인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느꼈다.�

함ㅇㅇ�

(연극)

김ㅇㅇ�

(영화)

이ㅇㅇ�

(디자인)

Ÿ 개인 삶의 질 :� 어느 정도 나아진 편

이다.� 경제적으로 이익을 얻었다.� 하

지만 이로 인해 삶의 질 자체가 향상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Ÿ 문화 자본의 형성 :� 형성이 이루어지

고 있다고 본다.� 각종 교육 프로그램

이 작년 대비 상승한 편이다.� 하지만,�

이 자본이 강사 개개인에게 오는 것

으로 보이진 않는다.� 또한,� 문화 자본

의 향상에 대한 진정성이 크게 느껴

지지 않는다.�

Ÿ 공동체 의식 향상 :� 강사 선생님들

간 모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하지만,� 예술 강사들 간 공동

체 모임이 이루어짐으로써 예술 강사

전체의 공동체적 모임은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어서 아쉽고 걱정스럽다.� 또

한,� 예술 강사에 대한 전문성이 낮아

서 (대학생도 전문강사 자격증을 따

면 강사를 할 수 있다고 함.)� 이에 관

해 국가적 제지가 어느정도 필요하다

고 생각한다.�

Page 32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299

구 분 지 표 답 변

무용

관련

예술교

수혜자

·

학생대

(대원

외고)

1.� 문화예술교육의 개인적·사회적·

경제적 성과 (프로그램을 몸소 체

험하며 느낀 문화예술교육사업의

성과에 대해 개인적인 의견)

-만족도,� 학교생활,� 진로문제,� 교

우관계,� 스트레스 해소,� 급우 간

단결력 등 변화된 부분

2.� 무용 수업을 통한 예술의 가치

인식

3.� 삶의 질의 향상 정도

4.� 범죄율 감소

(대상이 학생이므로 범죄율 감소

측면을 학교 폭력 감소 및 문제

학생 감소 측면에서 접근)

- 정서적으로 순화 되는가?� 폭력

성향이 줄어드는가?

5.� 문화예술교육의 향후 발전 방

Q1

Ÿ 학생1� :진로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은 받지 않

는다.� 하지만 무용수업을 받음으로 정적인 활

동 외의 동적인 활동을 하게 되어 좋다.� 신체

건강을 증진시켜서 학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Ÿ 학생2� :아침에 일어나서 바로 공부하는 것보

다 무용을 하고 공부를 하게 될 때,� 말초신경

을 깨우게 되는 가치도 있는 것 같다.� 신체

건강을 촉진시켜주는 느낌이다.� 또한 무용을

함으로써 남,� 여 간 접촉이 어색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이성관계도 호전적인 편이 된다.�

Ÿ 학생3� :학교가 예고가 아닌 특수목적 고등학

교이니 만큼 예능활동을 싫어하는 친구도 많

기 마련이다.� 하지만 활동이 다양한 수업이라

공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편이고,� 또 학

우 간 단결력이 높아졌고,� 협동심도 높아졌다.�

처음에는 무용 수업을 싫어했으나 수업이 진

행되면 될수록 아이들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이 눈에 띈다.� 외고는 특성상 3년 동안 같

은 반으로 구성되는데,� 3년 동안 모든 아이들

이 좋은 감정으로 학교 생활이 유지되진 않는

다.� 무용 수업이 급우 간 트러블을 푸는 장이

되었다.

Ÿ 학생4� :무용 수업을 통해 단결력이 지속적으

로 이루어지는 느낌은 받는다.� 하지만 수업이

1주일에 한 번 밖에 없어서 단결력이 오래 지

속된다고 말하기는 어려운 것 같다.� 반 안에서

파벌/팀이 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무용 수업을

함으로 단결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도와

준다고 생각한다.� 수업이 짧은 점이 아쉽다.�

학교 밖으로 나와도 단결력이 지속된다고 느

낀다.

Ÿ 학생5� :� 개인적으로 신체 활동이 교과 과정에

필요한 편이라고 생각한다.� 무용은 2학년이

되면 시행되는데,� 1학년 때 진행되지 않았던

점이 아쉽다.� 무용 수업을 통해 개인적인 성격

의 변화도 느낀다.� 이성이 어렵지 않고,� 대인

② 2013.10.10. 무용수업 수강대상 FGI (학교)

Page 330: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300|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관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는 편도 느낀다.�

Ÿ 교수님 :� communication� 역할 향상에 우호

적인 것 같다 판단

Q2

Ÿ 학생1� :무용을 처음 접해보는 경우가 많아,� 아

이들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편이 많

다.� 무용 수업같이 틀이 정해지지 않은 수업을

좋아하는 아이들이 있는 반면에,� 확실한 firm

이 정해진 무용 수업을 원하는 아이들도 많은

데 과연 이 무용 수업이 학문으로써 가치가

있지 모르겠다.�

Ÿ 학생2� :무용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는 학생

은 있어도 이것을 전문적으로 따르고 싶어 하

는 학생은 없어 보인다.�

-� 교수님 질문:� 무용수업을 함으로써 무용을 업으

로 삼고 싶어 하는 학생도 있는가?

Ÿ 학생3� :� 일반고와 아무래도 입학 사유가 다르

다보니 무용을 업으로 삼고 싶다기보다 예술

작품을 볼 때 시각의 다양성 부분에서 무용

수업을 참고하는 학생들이 많다.�

Ÿ 학생4� :학교 특성 상 재미와 학문 사이에 괴

리를 느끼는 학생이 많다.� 무용 강사가 레크리

에이션과-학문적 무용의 경계에서 고민을 많이

할 것으로 보인다.� 수업의 적절한 개선이 필요

하다고 생각한다.

Ÿ 학생5� :진로에 대한 시각 높아졌다.� 학문에 대

한 선입견이 없어짐으로 (교수님:� 융합의 중요

성 느낀 걸로 보인다.)� 진로 방향에 플러스 알

파가 되는 방향을 찾게 되는 것 같다.� �

Q3

Ÿ 학생1� :예술에 대한 차별적 인식은 사라졌다.�

예술 분야에 대한 긍정적인 공감이 늘어났다.�

Ÿ 학생2� :학문적인 이해도가 높아졌다.�

Q4

Ÿ 학생1� :문제 학생 치료를 위해서 지금 같은

컨텐츠를 유지하는 것 보다 컨텐츠의 전달 방

식을 바꿔야 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 학생은

수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을 것이다.�

일반 고등학교와 다르게 외고 학생들이 성격

이 순한 편이어서 수업을 순순히 따르는 면이

없지 않아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문제 학생을

Page 331: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301

치료하기 위해 무용 수업이 극적 가치를 보이

기엔 무용 수업이 생각보다 적은 시간으로 편

성되었다.� � �

Ÿ 학생2� :학교 특성상 과격한 친구는 없는 편이

다.� 문제 학생의 대상을 다시 잡아야 될 것으

로 보인다.� 체계에 순응하지 않는 친구는 있어

도 폭력적인 학생은 대체적으로 없는 편이다.� �

Ÿ 학생3� :장기적인 변화까진 바랄 수 없고,� 그래

도 무용 시간에 순간적으로 친구가 변화하는

것은 본 적이 있다.� 다혈질인 친구는 협동심

정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무용

시간이 끝나고 1,2교시 정도만 안정적인 템퍼

유지가 된다.)

Q5

Ÿ 학생1� :굉장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앞으로

는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긍정

적이고 부정적인 면을 떠나서 사람이 삶을 사

는 데 대부분의 면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때

문에 개인의 성격형성에도 큰 영향 미칠 것으

로 판단된다.

Ÿ 학생2� :사회적으로 봤을 때 문화예술이 어디

든 접목될 수 있다.� 이게 곧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일상의 부분들이

이미 많이 차지하고 있고 앞으로 더 광범위하

게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age 332: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302|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구 분 지 표 답 변

복지시

문화

예술교

수혜자

·

노인대

(무용)

1.� 문화예술교육의 개인적·사회적·

경제적 성과.� (지난 십년간 진행

해온 문화예술교육사업의 성과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묻고자함.)�

2.� 사회적 형평성.

3.� 삶의 질.

4.� 범죄율 감소.� (범죄율 감소 측

면 보다는 문제의식의 완화나 학

생의 경우 문제아 감소와 같은 의

미로 해석.)

5.� 문화예술교육의 향후 발전 방

향.

안ㅇㅇ

-삶의 질 향상� :� 이러한 취미생활의 장을 열어준

것만으로도 고마움을 느낌.� 일주일에 한번 있는

이 시간이 매주 기다려짐.� 뭔가를 할 수 있다는

것에 매우 만족함.� 강사 또한 잘 이끌어 주는

것에 대해 고마움을 느낌.�

-사회적 형평성�증대� :� 일단은 나 자체도 즐겁고

양로원 같은 곳에서 공연을 하면 그 분들도 즐

거워하심.� (즐거움과 보람을 느낌.)

이ㅇㅇ

-삶의 질 향상 :� 건강에 도움이 됨.� (무용 또한

운동이기 때문에 이러한 교육을 통해 더욱 건강

해 질 수 있음.)

-개인적 성과� :� 문화예술교육을 받는 것 자체로

도 만족감을 느끼기 때문에 항상 기분이 좋고

가족들과도 웃는 얼굴로 대하기 때문에 가정이

더욱 화목해짐.

-경제적 성과� :� 돈을 주고 배워야하는 교육을 이

곳에서 무료로 이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가

치가 있음.� (월 2~3� 만원)

-사회적 형평성� :� 사회적 형평성 문제는 맞는 말

이지만 일단 본인의 의지가 가장 중요함.� (받아

들일 수 있는 마음가짐이 필요함.)

-발전 방향� :� 교육을 통해 배움에 목적이 있는데

배우는 시간이나 기간이 너무 짧음.� (배우다 마

는 경우가 대부분임.)

백ㅇㅇ

-삶의 질 향상� :�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소통하는

데 언어능력 및 자시감이 상승했음.

-발전 방향 :�더욱 나아가서 하나의 팀으로 여러

곳에서 공연을 할 수 있는 장을 만들었으면 좋

겠음.� 각종 대회에도 나가보고 싶음.

채ㅇㅇ

-사회적 성과� :�

보통 교육진흥원에서 이러한 교육을 후원하는지

많이 알지 못함.� 이러한 후원으로만 봐도 우리

나라가 많이 좋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나라

에서 이러한 지원이 있기 때문에 우리 같은 사

람들이 문화예술교육에 더욱 쉽게 다가갈 수 있

다고 생각함.

③ 2013.10.10. 노인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 수강대상 FGI (사회)

Page 333: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303

-교육진흥원에서 후원해준 단체에서 교육을 받

을 실 수혜자들이 직접 사회에 환원하고 봉사하

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됨.(예를 들어,� 무용을

배워서 양로원에서 공연을 하고 봉사를 하는 것

이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가치라고 생각됨.)�

-사회적 형평성 증대� :� 사회적 약자나 나이가 많

은 노인 분들 같은 경우 문화예술교육의 혜택을

받았으면 좋겠지만 본인의 의지나 건강상의 문

제로 실제 참여하는 것은 매우 힘들다고 생각

됨.�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제로 받은 수혜자

들이 공연이나 다른 방법을 통해 이와 같은 어

려운 사람들을 위해 봉사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고 생각됨.

-발전 방향 :� 양적 지원보단 질적 지원이 필요

함.(여러 가지를 배우기보다는 한 가지를 깊이

있게 배우고 싶은데 그 시간이 너무 짧음.)

박ㅇㅇ

-개인적 성과� :� 이곳에서 배운 무용을 요양원 같

은 곳에서 공연을 하는 것이 너무 즐거움.� 또한

즐겁게 배운 무용을 다른 사람들과 공연을 통해

즐거움을 나눌 수 있다는 것에 매우 만족함.� 공

동체 생활을 통해 친목도모가 이루어짐.(교육시

간 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도 자주 연락하고 만

남.)

-범죄율 감소 (문제의식 감소)� :� 기존의 노인정

이나 양로원의 경우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이 없

었을 때는 모여서 노름을 하거나 음주를 즐겼지

만 현재는 자신이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곳으로 다님.

강사님

강사 입장에서의 견해

-많은 분들이 이 교육에 대해 즐겁게 생각하심.�

노년기의 스트레스가 많은데 그런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듯 보임.

-처음 배울 때는 힘들어 하셨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실력도 늘고 공연을 통해서 뭔가를 했다는

만족감을 느끼는 것 같았음.

-수업 중 배운 것들을 가지고 전문성도 가질 수

있을 것 같음.� (실제로 여러 대회에 참여하는 분

들도 있음.)

-이러한 참여의 기회를 통해 노인 분들이 자신

감을 되찾고 뭔가를 해냄으로써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됨.� �

Page 334: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304|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구 분 지 표 답 변

토요

문화학

수업

수강생

대상

1-1.� 토요문화학교의 개인적 성과

(프로그램을 몸소 체험하며 느낀

토요문화학교의 성과에 대한 개인

적인 의견)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수강생이

느낀 프로그램전/후 가치 차이

김ㅇㅇ

� 평소에 표현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많이 느꼈

다.� 생각한 대로 표현을 못해서 트러블이 있었

는데,� 토요문화 수업을 배우며 소극적으로 표현

하는 모습이 개선되었고 다른 사람들에게 더 친

근하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표현하는 데 자

신감이 생긴 것이 만족스럽다.

(교수님 질문)� 표현했을 때 무엇이 더 좋은가?�

�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잘 몰랐지만,� 감정 전달

이 능숙해졌다.� 덕분에 교우 관계 유지가 긍정

적으로 변했으며,� 교우 관계도 개선되었다.

김ㅇㅇ

� 평소에 학교에서 움직이고 싶은 욕구가 지나치

게 많았다.� 학교에서는 억눌려있는 느낌이 들어

서 답답했는데,� 토요문화 수업에서 내적 욕구가

모두 표출되어서 후련함을 느꼈다.�

� 평상시에는 움직이고 싶은 욕구를 다 못 풀어

서 예민한 상태이다.�

예민해서 학교 내에서 싸움이 일어난 적도 있

고,� 학교 기물을 부신 적도 있었다.� 토요문화 수

업을 하고 나서 폭력적인 성향이 줄어들었다.�

이ㅇㅇ

� 자기 생각을 더 잘 표현하게 되었다.� 토요 문

화 수업을 듣기 전에는 학교 내,외에서 소극적

인 자세를 보였지만 토요 문화 수업을 들은 후

에는 표현을 잘 하게 되었다.� 좋은 쪽으로 변화

한 것 같다.

김ㅇㅇ

�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평소보다 더 친근감 있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원래 알고 지내던 친구

는 물론 처음 보는 친구들에게도 거리낌 없이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토요 수업이 발표를 많

이 하는데,� 이 점에서 자신감을 많이 찾게 된

원동력인 것 같다.� 이 점이 타인에게 잘 접근할

수 있는 쪽으로 나아간 것 같다.�

정ㅇㅇ

� 평소에 자신감이 부족하고 매사에 소극적인 태

도를 보였다.� 늘 긴장을 한 상태였는데 프로그

램을 통해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④ 2013.10.19.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수강생 대상 FGI (사회)

Page 335: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305

(교수님 질문)대체로 어떤 상황에서 긴장하는가?�

� 주로 대회/� 발표에서 스트레스 및 긴장상태가

된다.� 토요문화 학교를 하고 난 후,� 발표의 방

법을 터득하게 되었다.� 자신감 있고,� 큰 소리로

발표하는 법을 알게 되었고 자아를 긍정적으로

통제하는 방법 등도 알게 되었다.�

백ㅇㅇ

� 남들이 내가 하는 말이나 행동에 대해서 어떻

게 생각할지 늘 의식을 하고 있었던 편이다.� 토

요 수업을 하면서 그 점이 많이 없어진 것 같아

서 만족스럽다.� 눈치를 아예 안본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예전에 비해 눈치를 덜 보게 되

었다.� 눈치가 보이더라도 자신의 의견을 정확하

게 말하게 된 점이 수업을 듣고 난 뒤에 가장

크게 보이는 차이다.� 성격 또한 긍정적으로 바

뀌었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해 어

떻게 생각할지 고민하다 보면 내 생각대로 행동

하지 못한 점이 많았는데,� 이 점이 고쳐져서 만

족스럽다.

1-2.� 토요문화학교의 개인적 성과

(프로그램을 몸소 체험하며 느낀

토요문화학교의 성과에 대한 개인

적인 의견)

-성적 및 진로에 관한 개인적 고

김ㅇㅇ

성적 관련 :� 오히려 토요문화 수업을 받은

뒤부터 성적이 향상된 편이다.� 토요일에 신나게

놀고 집으로 돌아와 학교 수업을 더 열심히

공부하게 되었다.�

김ㅇㅇ

진로 방면� :� 학교 친구들과 엔터테인먼트를 하

고 싶다.� 지금도 댄스 동아리를 들어서 하고 있

는데,� 토요문화 학교의 연극 수업을 통해 창의

성이 향상되어 안무가 잘 생각나게 되었다.� 학

교를 다니는 지금이나 혹은 미래에 엔터테인 활

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활동도 도모하고 싶다.�

(당장은 본인이 다니는 학교 근방의 학교들과

댄스 동아리 활동을 하고 싶다.)

토요 수업을 통해 본인의 리더십 정도도 늘어난

것 같다.� 리더십이 잘 발휘될 수 있는 직업군을

시도해 보고 싶다.

이ㅇㅇ 진로 방면� :� 토요문화 수업 중에 미디어 아트

Page 336: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306|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수업을 배우게 되었는데,� 예전엔 직업군으로 생

각해 보지 못했던 업종을 직접 체험하게 되어

진로고민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후에 이와 관련

된 직업군으로 가고 싶다는 생각도 하였다.�

김ㅇㅇ성적 방면� :� 성적이 향상되었을 뿐 아니라,�

창의성도 향상되었음을 느낀다.

2.� 범죄율 감소

(대상이 학생이므로 범죄율 감소

측면을 학교 폭력 감소 및 문제

학생 정서 순화 측면에서 접근)

- 정서적으로 순화 되는가?� 폭력

성향이 줄어드는가?

- 폭력적인 성향을 지닌 친구에게

토요문화 수업을 추천해주고 싶

은가?

김ㅇㅇ

� 학교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학생들은 자신의 불

만을 다른 곳에 푸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엔

토요 문화 수업에서 자신의 의사를 잘 표현함으

로써 폭력적인 성향을 잘 풀어낼 수 있을 것 같

다.�

(교수님 의견:� 학교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학생들

은 자신의 생각을 풀어내는 방법을 몰라서 문제

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

3.� 공동체 의식

학교 생활 안에서도 토요 수업과

같은 활동을 하고 싶은가?� 예를

들면 팀 활동 같은.

(공동체 의식-다른 사람과 어울릴

수 있고,� 생각을 공유하는 등)�

김ㅇㅇ

� 학교에서 단체로 가는 수련회는 비교적 긴 시

간을 참여하면서 가서 대부분 혼나는 경우가 많

은데,� 이는 성격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고 생각한다.� 초등학교 시절에 경험했던 소풍

처럼,� 토요 수업처럼 가까운 곳을 방문하더라도

단체 생활을 함으로 단결력을 향상시켰으면 좋

겠다.� 더불어 창의성도 향상되었다.

학교는 틀에 박힌 내용만 배우지만,� 야외 수업

을 통해 수업을 하면 창의성이 높아지는 것을

느낀다.� 정답만 배우는 공부는 재미도 없을 뿐

만 아니라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느끼는 경

우도 많다.�

김ㅇㅇ

� 학교 내에서 댄스 동아리 단장을 맡고 있는데,�

토요 문화 수업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 토요 문

화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단체를 이끌

수 있게 되었다.�

이ㅇㅇ

�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수업이다.� 본인의 잠재

적 재능을 찾을 수 도 있다.� 토요로 본인의 재

능을 찾을 수 있는데 집에서 시간을 보내면서

기회를 잃어버리는 학생들이 안타깝게 느껴진다.�

Page 337: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307

백ㅇㅇ

� 문화생활을 좋아하는 친구들끼리 모임을 만들

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서울 내에는 문화생활

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이 많다.� 토요문화수업을

통해 혼자보다 여럿이 즐겁다는 생각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문화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을 모

아서 학교같이 함으로써 수업 외의 활동을 하고

싶다.� 친구들과 같이 활동하면서 교우관계가 돈

독해지고,� 친구들의 생각들도 알 수 있고,� 내가

미처 알지 못했던 문화공간도 친구들에게 공유

받으면서 문화에 대한 지식 정도도 많이 향상시

킬 수 있다.

4.� 창의적 사고

-� 본인에게 창의적 사고가 생각나

게 되었는가?

김ㅇㅇ� 창의적인 사고가 생기게 되어서 취미활동인

춤에 조예가 깊어졌다.

이ㅇㅇ

� 한 가지를 생각하는 데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하

나를 통해 여러 가지의 생각들을 하게 되었다.�

이것은 토요 문화의 문래 예술 공장을 통해 얻

은 변화라고 생각한다.� 오히려 이런 변화는 평

소 공부에 도움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김ㅇㅇ

� 학교 수업을 들을 때 예전보다 재밌어졌다.� 학

교 선생님이 같은 내용을 가르쳐 주셔도 본인의

창의성,� 생각하는 점이 향상되어서 더 생각을

깊게 할 수 있게 되었다.

5.� 단결력

- 토요 문화 수업을 통해 만난 친

구들과 앞으로 계속 연락할 의

향이 있는가?

6명

전원전부 긍정

Page 338: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308|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부록 6. 매칭집단 평균비교표

노출집단 학생 평균

N 평균 표준편차자아존중감 1189 3.4971 .94158

행복감 1189 3.1245 .86739

삶의질 1189 3.1398 .86492

생활만족도 1189 2.9257 .55643

제도에 대한 신뢰 1189 2.7960 .81587

사람에 대한 신뢰 1189 3.0553 .58084

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 1189 2.7687 .89865

사회관계 1189 3.6740 .93028

사회적 형평성 1189 3.1334 .83257

문화예술교육 문해력 1189 3.1245 1.01735

문화예술교육 가치 1189 3.5356 .93804

유효수 (목록별) 1189

유사집단 학생 평균

N 평균 표준편차자아존중감 800 3.3763 .84197

행복감 800 2.8682 .84646

삶의질 800 3.1960 .81493

생활만족도 800 3.2465 .54865

제도에 대한 신뢰 800 2.8427 .69305

사람에 대한 신뢰 800 3.0293 .53155

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 800 2.6263 .77286

사회관계 800 3.2398 .89771

사회적 형평성 800 3.0037 .73331

문화예술교육 문해력 800 2.4800 .96611

문화예술교육 가치 800 3.4879 .79165

유효수 (목록별) 800

노출집단 노인 평균

N 평균 표준편차자아존중감 399 3.7962 .75036

행복감 399 3.7328 .77219

삶의질 399 3.9564 .78106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399 4.2491 .69005

제도에 대한 신뢰 399 2.9569 .77857

사람에 대한 신뢰 399 3.4391 .61019

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 399 3.1353 .77117

사회관계 399 3.2827 .87940

사회적 형평성 399 3.7828 .80315

문화예술교육 문해력 399 3.3559 .96348

문화예술교육 가치 399 4.3591 .66451

유효수 (목록별) 399

Page 339: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분석 연구 · 2019-07-31 ·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발행인 박재은

� 부록 |309

유사집단 노인 평균

N 평균 표준편차자아존중감 350 3.1733 .59215

행복감 350 3.0011 .69166

삶의질 350 3.1714 .64403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350 3.0314 .37765

제도에 대한 신뢰 350 3.2623 .62251

사람에 대한 신뢰 350 3.4154 .46183

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 350 3.2629 .78638

사회관계 350 2.7834 .94457

사회적 형평성 350 2.9133 .71669

문화예술교육 문해력 350 2.0700 1.16800

문화예술교육 가치 350 3.3188 .59687

유효수 (목록별) 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