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
의안번호 연 월 일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9년도 사업계획(안)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운 영 심 의 회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제출 연월일 공개

2019년도 사업계획(안) - NDMI-태풍 ‘솔릭’ 상황관리 시 민관협력 ‘드론 긴급 운영팀’을 활용한 피해상황 모니터링 * ‘드론 긴급운영팀’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의안번호 제 1 호 의결사항

    보 고

    연 월 일2019. 2. 20.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9년도 사업계획(안)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운 영 심 의 회

    제 출 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제출 연월일 2019. 2. 20.

    공개

  • 1. 의결주문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9년도 사업계획(안)’을 별지와 같이

    의결한다.

    2. 제안이유

    ○ 「책임운영기관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2조(소속책임

    운영기관 운영심의회 심의사항)에 따라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2019년도 사업계획(안)을 심의 의결하려는 것임

    3. 주요내용

    ○ ’19년 전략체계

    - 비전 및 사업목표

    ○ ’19년 사업추진계획

    - 4대 전략목표 12개 성과목표별 추진계획

    ○ ’19년 성과관리체계

    - 핵심성과지표 및 목표치

    4. 주요 토의사항

    ○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2019년도 사업계획(안)의 적절성 및

    보완 개선사항

  • 2019년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책임운영기관

    사 업 계 획(안)

    2019. 2.

  • 목 차

    Ⅰ. 일반현황 ·················································································· 1

    Ⅱ. ‵18년 주요성과 및 개선사항 ··················································· 7 1. 주요 성과 ····························································································· 9 2. 개선‧보완사항 ····················································································· 13

    Ⅲ. ‵19년 전략체계 ······································································ 15 1. 대내‧외 환경 및 시사점 ····································································· 17 2. 미션 및 비전 ······················································································ 20 3. 전략체계 수립 프로세스 ··································································· 21 4. 전략방향 및 전략과제 ········································································ 22 5. 전략목표 별 중요도·난이도 분석에 따른 자원배분 검증 ·················· 24 6. 즉시 대응형 과제 선정 및 집행 프로세스 ········································ 26

    Ⅳ. ‵19년 사업추진계획 ······························································· 27 1. 목표 및 추진체계 ··············································································· 29 2. 성과목표별 핵심성공요인 및 실행과제 ·············································· 30 3. 세부 추진전략계획 ············································································· 31

    Ⅴ. ‵19년 성과관리체계 ······························································· 67 1. 성과지표 선정 및 목표 설정 ····························································· 69 2. 성과관리체계 및 환류 ········································································ 75 3. 2019년 성과지표 ················································································ 79

    Ⅵ. 성과관리 추진일정 ································································ 97

    참고1. R&D사업 과제현황 ········································································· 99 참고2. 전략목표 별 중요도·난이도 ··························································· 102

  • Ⅰ. 일반현황

  • Ⅰ. 일반현황 >> 3

    1 연혁 및 조직

    ■ 연혁

    ❍ 1997 : 내무부 소속 국립방재연구소 개소(9.2.)❍ 1998 : 행정자치부 소속기관으로 전환(2.28.)❍ 2004 : 소방방재청 소속기관으로 전환(6.1.)❍ 2011 : 행정안전부 소속 전환 및 ‘국립방재연구원’ 승격(10.25.)

    ⇒ 사회재난 및 재난안전정보 연구기능 신설 (안전연구실, 재난정보연구실 신설)

    ❍ 2013 : 국립재난안전연구원으로 명칭 변경(3.23.) * 책임운영기관 전환(1.1.)❍ 2014 : 국민안전처 출범에 따른 소속 전환(11.19.)

    ⇒ 재난원인 조사‧분석 기능 신설 (재난원인조사실 신설)

    ❍ 2015 :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에 따라 울산으로 이전(12.21.)❍ 2017 : 지진대책연구실 신설(1.1.)

    행정안전부 소속기관으로 전환(7.26.)

    ❍ 2018 : 지진대책연구실을 지진방재센터로 개편(9.18.)

    ■ 조직 : 1과 4실 1센터(한시 운영조직 : 2센터)

    .

    * R&D 기획‧평가센터는 재난안전 R&D 업무지원을 위한 한시 운영조직(‘16.7.) ** 재난정책연구센터는 재난안전 정책 전담연구를 위해 운영되는 임시조직(’17.9.)

  • 4 >>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2 정원 및 예산

    ■ 정원 : 87명 (‵18. 12. 31. 기준)

    구분 계고위

    (임기제)3‧4급 4급

    (임기제)5급 연구관 연구사 6급 7급 8급 9급

    정원 87 1 1 1 4 31 40 3 4 2 -

    ■ ‵19년도 연구개발 R&D 사업 예산 및 인력

    ❍ ‵19년도 연구개발 R&D 예산은 ‵18년 대비 7.9억 원 증액❍ ‵18년 정원은 87명으로 전년 대비 3명 증원. 위촉연구원 및 공무직 102명, 전문임기제

    8명 위탁경비 11명 포함 총 인원은 214명

  • Ⅰ. 일반현황 >> 5

    ■ 2019년 총 예산 : 257억 원

    3 주요기능

  • 6 >>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4 ‘19년 연구과제(R&D) 현황

    [단위 : 백만원]

    내역/세부내역 연구과제 예산액

    재난안전관리업무지원기술개발 14,176

    - R&D (21개 과제) 12,631

    1. 문제해결형 기술개발

    -1 위험대비 통합예측기술 -1-1. 국가 가뭄정보 통합 예‧경보 기술개발 700

    -2 안전약자 지원기술 -2-1. 안전취약계층 맞춤형 재난안전 지원기술 개발 500

    2. 현업적용형 기술개발

    -1 상황관리 지원기술

    -1-1. 위성자료 활용 현업지원 기술개발 800

    -1-2. 재난유형별 의사결정지원 서비스 600

    -1-3. 재난상황판단을 위한 현장정보 분석 및 전달 기술개발 400

    -1-4. 지능정보기술 기반 재난안전 상황인지 기술개발 200

    -2 빅데이터 활용기술-2-1. 빅데이터 활용 미래‧신종재난 weak signal 탐색 기술개발 800

    -2-2. 빅데이터 기반 안전사고 분석기술 개발 400

    3. 제도보완형 기술개발

    -1 재난원인 조사기술-1-1. 재난원인 현장감식 기술개발 1,350

    -1-2. 재난피해 원인규명 연구 450

    -2 실증실험 활용기술

    -2-1. 소하천 재난위험 경감기술 개발 570

    -2-2. 지반재난 관리기준 개선 680

    -2-3. 실증실험 기반 도시침수 피해저감기술 개발 490

    -2-4. 지역특성을 고려한 액상화 위험지도 표준모델 및 대응매뉴얼 개발 800

    4. 재난안전 협업 기술개발

    -1 재난피해자안심서비스구축 -1-1. 재난피해자안심서비스구축 800

    -2 지진방재협업지원기술

    -2-1. 국가 지진방재 자료구축 기반 기술개발 500

    -2-2. 지능정보기술기반 개방형 지진방재정보 활용기술개발 300

    -2-3. 지진해일 피해산정을 위한 한반도 전해역 침수범람 예측용 시뮬레이션 개발 600

    5. 이슈대응형 기술개발

    -1 재난안전기술 현안대응 -1-1. 재난대응 긴급현안 문제해결 및 현업적용 기술개발 891

    6. 자연재해대응영향예보생산기술개발

    -1 자연재해대응영향예보생산기술개발

    -1-1. 딥러닝기반 도시침수 예측 및 분석 기술개발 600

    -1-2. 온열·한랭질환 피해위험 예측 기술개발 200

    - 실험시설 운영관리 782

    - 사업운영비 763

  • Ⅱ. ‵18년 주요성과 및 개선사항

  • Ⅱ. ‘18년 주요성과 및 개선사항 >> 9

    1 2018년 주요성과

    ■ 재난안전 정책지원 성과

    ❍ 자연재난 대응 효율화 및 반복적 사고발생 방지를 위한 법령 등 제·개정 추진- 「자연재해대책법」 제29조 ‘가뭄방재를 위한 예·경보’ 신설 * 국내 최초 「가뭄 통계집(안)」 시범발간, 「상습가뭄재해지구 지정 가이드 라인」 발간 노력 등

    - 「건설기계관리법」 제29조 ‘건설기계조종사의 정기 적성검사’ 신설

    --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및 운영기준」 고시 일부개정

    ❍ 생활안전지도 및 지역안전지수 서비스 개선을 통한 활용성 강화- 생활안전지도 사용자 편리성 확보 및 추가 정보제공 업데이트를 통한 활용도 상승

    * 생활안전지도 전년대비 웹 접속자수 46% 증가, 앱 다운로드수 183% 증가

    - 담당자의 직접 사업추진력 확보를 위한 지역안전지수 지표의 직관성 강화

    * (예시) 교통사고 감축 → 도로면적당 CCTV대수, 감영병 관리 → 면적당 지역보건기관 수

    ❍ 재난원인조사를 통한 개선사항 도출 및 법·제도 개선권고- 개별 재난사고에 대한 원인조사·분석 및 법·제도 개선권고

    * 창원터널 부근 화물차 화재사고, 삭도시설 안전사고 관련 국토부 4건·소방청 6건 등 총17건 개선권고

    - 반복적 재난발생 방지를 위한 기획조사 및 개선사항도출

    * 가스질식사고, 건설현장 용접불티 화재사고(2건) 기획조사

    ❍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 대응 정책지원- 폭염 및 한파재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개발 지원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상 폭염·한파가 재난으로 명시됨에 따른 위기경보 수준 판단기준 등 수립

    - 기상청 호우특보(주의보/경보) 발령 기준 개선(안) 수립 지원

    * 강우패턴변화 및 빈번한 특보발령 고려을 고려한 특보발령 기준 변경(안) 수립

  • 10 >> ’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 재난안전 현업지원 성과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상황실과 연구원 간 유기적 의사결정지원체계 구축- 평상시와 재난시기를 구분한 체계적 상황관리 지원시스템 구축

    * (평상시) 일일상황점검회의 참석, (재난시) 24시간 재난모니터링 체제 유지

    - 지속적 현업지원 체계 정비 및 의사결정지원 체계 정례화

    * 태풍 및 7~8월 발생가능 최대해수위 분석, 국내 주요 재난정보(폭설, 산불, 산사태 등) 분석·제공

    ❍ 스마트재난상황관리시스템 및 첨단장비를 연계한 상황관리 고도화-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 드론 현장안전점검 정보와 재난상황관리시스템 연계 ‘BH

    국가위기관리센터’의 국가행사 안전상황관리 지원

    - 태풍 ‘솔릭’ 상황관리 시 민관협력 ‘드론 긴급 운영팀’을 활용한 피해상황 모니터링

    * ‘드론 긴급운영팀’ 행정안전부 정부혁신 우수사례 선정

    ■ 재난안전 기술개발 성과

    ❍ 미래 재난이슈 분석 및 시나리오 제공으로 재난 대비역량 제고- 뉴스 및 SNS를 활용한 재난이슈 전망, 동향 및 분석 보고

    * R-Scanner 웹페이지 개발 및 최근 3일간 재난이슈 모니터링 결과 정보제공

    - 빅데이터 및 전문가 집단지성을 활용한 Future Safety Issue 발간

    * (8호) 인공지능의 활용과 위험사회, (9호) 소리없이 다가온 재난, 미세먼지, (10호) 올스톱! 국가전력기능마비

    ❍ 과학기술 활용 모니터링시스템 지자체 현장적용 강화- 도시침수모니터링시스템(UFAM) 계측센서(부산·울산 25개소) 설치·운영·모니터링 체계 구축 * 계측센서 유지관리를 위한 경고스티커 제작 및 적용, 관제시스템 개발을 통한 실시간 수위확인

    - 소하천 자동유량계측장비 시범설치 및 지자체 현장 컨설팅 등 지원

    * 25개 시·군 지자체 39개 소하천 대상 계측장비 현장설치 및 적합성 판단, 표준매뉴얼 작성·배포

  • Ⅱ. ‘18년 주요성과 및 개선사항 >> 11

    ■ 국민안심을 위한 대국민 소통

    ❍ 포항 액상화 조사결과 대국민 결과발표 및 토론회 개최- 국내·외 액상화 현상 전문가의 분석결과 검토, 토론회 참가 등 신뢰성 있는 액상화 분석

    결과 발표로 막연한 액상화에 대한 지역주빈 불안감 해소

    * (언론보도) ‘포항지진 액상화 우려수준 아니다’ (KBS, MBC, 조선일보 등 언론보도 5건)

    ❍ 재난안전 연구성과 활용 대국민 서비스 - 안전커뮤니티맵핑 교육 관계자 사전교육 및 지자체 주민참여로 맵핑 활성화 기반마련

    * 울산 및 서울시 교육청,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시민단체 강사 대상 안전커뮤니티맵핑 사용법 교육,

    ‘안전한 지역사회 만들기 사업’ 연계 16개 지자체 주민참여 안전커뮤니티맵핑 교육

    - 침수상황을 경험할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 제공으로 대국민 안전의식 제고

    * 재난체험프로그램 만족도(매우만족, 만족) 2년 연속 95점 이상 달성

    ■ 재난안전분야 국제네트워크 강화 활동

    ❍ 글로벌 재난위험 저감을 통한 국제위상 제고- UNESCAP/WMO 재난위험 저감 기여로 방재분야 최고권위 「Kintanar Award」 수상

    - 필리핀 기상청장 대한민국 정부 대상 감사서한 발송, 만다나오섬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 적용으로 인명피해 ‘Zero’

    * (만다나오섬 사망자) 시스템 설치전 ’11년 태풍 WASHI 694명 → 설치후 ’17년 태풍 TEMBIN ‘0명’

    ❍ 협력적 국제 네트워크 확대·강화 - Sentinel Asia(아시아 위성활용 국제협력체) 위성영상분석그룹(DAN) 가입으로 위성

    영상 수급기간 단축 및 보유기술 활용 국제사회 재난분석결과 제공 가능

    * (기존) ‘RO’그룹 : 영상분석결과만 열람 가능 → (변경) ‘DAN’그룹 : 원본영상 직접수급·분석·공유 가능

    - 베트남·라오스 ODA사업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 구축완료 및 현지 실무자 교육실시 * 현지 공무원 담당자 대상 ODA사업 만족도 조사 2년 연속 상승(’16년94.0점→’17년95.3점’→18년95.6점)

  • 12 >> ’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 최근 6년간 주요 실적

    ❍ 정책반영 실적구 분 ’13 ’14 ’15 ’16 ’17 ’18 전년대비

    계 14 13 12 15 19 22 증 3

    정책반영 9 11 6 9 11 14 증 3

    법률 제‧개정 제안 5 2 6 6 8 8 -

    참고 정책 지원 26 26 73 91 120 150 증 30

    ❍ 재난안전기술 확산‧보급 실적구 분 ’13 ’14 ’15 ’16 ’17 ’18 전년대비

    계 53 60 76 71 74 91 증 17

    공공서비스 9 10 13 14 15 18 증 3

    공공교육 44 50 63 57 59 73 증 14

    ❍ 학술발표 실적구 분 ’13 ’14 ’15 ’16 ’17 ’18 전년대비

    계 160 184 148 190 275 221 감 54

    SCI(E) 9 3 16 7 9 14 증 5

    논문게재 24 35 23 37 49 33 감 16

    학술대회 발표 127 146 109 146 217 174 증 23

    ❍ 재난안전기술 실용화 실적구 분 ’13 ’14 ’15 ’16 ’17 ’18 전년대비

    계 25 36 62 60 73 90 증 17

    특허등록 2 2 8 13 11 20 증 9

    특허출원 8 4 30 23 45 21 감 23

    기타 지식재산권 15 30 24 24 17 39 증 22

  • Ⅱ. ‘18년 주요성과 및 개선사항 >> 13

    2 개선‧보완사항

    ■ 고유업무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효율적 대응 다소 미흡

    ❍ 재해영향평가 사전검토, 안전예산 사전협의 등 행정안전부 본부 지원업무는 확대되나, 전담인력 등 기반 미비로 대응에 한계

    ⇨ 연구원 고유업무의 법적근거 마련 등 운영기반 구축 필요

    ❍ 현행 개별 조사기관 중심으로는 정보공유 및 협력체계 부족으로 대형화·복잡화되는 재난·사고의 원인규명 및 효과적인 개선방안 마련 미흡

    ⇨ 재난원인조사기관 협의회 구성·운영으로 신뢰성 제고

    ■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재난현장 활용성 부족

    ❍ 인고위성의 관측주기 특성상 영상촬영은 2~16일 소요되나, 국가차원의 체계적 활용시스템 부족으로 적시대응 곤란

    ❍ 재난원인 과학조사를 위한 도입장비(LiDAR, UAV 등)의 현장 활용성 제고를 위한 운용체계 취약

    * 범용장비(LiDAR, UAV 등) 중심의 도입에 따른 유형별 특화장비 운용 취약

    ⇨ 첨단과학장비의 재난업무 활용 내뉴얼 수립으로 첨단장비 현업화, 재난정보 실용화 서비스 제공 확대

    ■ 대내·외 협력체계 및 소통부족

    ❍ 행정안전부 소속기관으로 본부와 정책·현안 수요·지원은 증가하나 원활한 소통부족으로 인한 체감온도차이 상존

    ❍ 다양한 인력구성으로 연구원 내부 계층 간 소통 부재 * 부서별·과제별·전공별 조직 구성·운영으로 칸막이 형성 및 갈등 발생 우려

    ⇨ 본부와의 협력체계 구축 및 내부 만족도 제고를 위한 소통강화

  • Ⅲ. ‵19년 전략체계

  • Ⅲ. ‘19년 전략체계 >> 17

    1 대내·외 환경분석 및 시사점

    ■ 재난안전 환경분석 및 시사점

    정책기조(Policy)

    국정기조

    • (국정운영 5개년 계획) 국민의 뜻을 국정에 실현, 사람중심 재난안전 정책 추진

    - 55번: 안전사고 예방 및 재난안전관리의 국가책임체제 구축(재난안전 사고로부터 국민생명 보호)

    - 56번: 통합적 재난관리체계 구축 및 현장 즉시대응역량 강화(예·경보시스템, 사후조사·치료, 대국민 정보전달) • (정부혁신 종합 추진계획) “국민이 주인인 정부”를 비전으로 사회적가치, 참여·협력, 신뢰받는 정부 실현 - 안전 등 사회적 가치실현 투자확대, 국민의 삶과 밀접한 정보공개, 국민과의 열린소통, 부처간·

    부처내 협업확대, 깨끗한 공직사회, 데이터기반 디지털 행정서비스, 낡은 관행 타파 창의행정

    국가과학기술

    정책

    •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 소득주도 성장, 혁신성장의 방법론으로 4차 산업혁명 신기술 활용 요구

    - 인공지능, 빅데이터 예측·경보시스템, 플랫폼 형태 재난대응 의사결정지원 강화 필요• (과학기술 기본계획 ’18~’22) 재난 직접 피해자 및 전문연구조직의 의견을 정책에 반영

    - 국민맞춤형 재난안전교육, 국민생활체감형 서비스 확대, 재난현장 스마트재난관리시스템 확보

    재난안전정책

    •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종합계획) ‘미래신종재난 대비 재난안전 기술선진화’(중점전략), 스마트 기술개발로 국민 맞춤형 안전복지 구현, 비정형화된 부분에서 국민만족 필요

    • (안전혁신마스터플랜) 재해예방 차원의 예측기술 개발 필요, 안전산업육성 제도활용 필요

    • (재난과학기술개발 10개년 로드맵)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연구분야 설정, 자연·사회재난 균형있는 R&D투자와 예방중심 기술설정, 로봇 대응기술 확보 현장대응력 및 원인조사 강화

    정책분석 시사점

    • 개발기술 및 정책성과가 국민의 삶과 밀접히 연계되도록 국민중심, 국민니즈를 반영한 정책 추진

    • 미래재난 대비 첨단기술 활용 예·경보 기술강화, 현장활용가능 기술개발, 국민 실생활 중심 기술개발 강조

    경제(Economical) / 산업환경(Envirionmental) / 사회·문화(Social)

    경제• 초연결사회의 도래(KT공동구화재, 방대한 지역 통신마비)로 재난발생시 막대한 경제적 손실 발생

    • 월드이코노믹 포럼 10대 글로벌 리스크에 기상이변과 자연재해가 포함, 전 세계적 재난안전R&D투자 증가

    산업환경• 지역 재난안전R&D 전담연구조직 열악(12개 시·도기관 중 전담조직 5곳)• 정부출연 재난안전 R&D는 대부분 서울·대전권에 집중(연구비 79% 집중, 소재지 82% 집중)

    사회·문화• 사회적 재난(세월호 등)에 대한 국민관심도 증가로 재난관리가 국정운영의 핵심사안으로 부각

    • 자연재난 대비 사회재난 발생의 불예측성 증가 및 사회재난 발생의 피해가 순간즉폭형으로 확산

    환경·경제 시사점

    • 초연결사회의 도래 및 사고발생원인의 다양화로 재난발생의 경제적·환경적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 불예측성 및 순간증폭형 피해발생 성격의 사회재난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 증가 및 국가차원 위기관리 강화요구

    美·日·中·EU-대한민국 간 재난안전 기술 비교·분석(Technology)

    기술수준 하위분야

    • (긴급대피수송) 하드웨어적 측면(주민대피 거점지구·시설·안전경로 확보)과 소프트웨어적 측면(공간정보 기반 취약성 분석, 위험지도 작성, 안전매핑, 매뉴얼)

    • (신종재난 대비대책) 인공지능, 빅데이터, 우주전파

    필요기술 핵심역량

    • 재난발생 시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긴급대피수송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 및 현업화·현장적용 시급•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미래재난 대비 예측·대응 체계 마련 필요

    키워드 도출

    국민니즈반영,국민참여형 정책개발

    재난안전분야 사회적 가치

    실현

    미래재난 대비 예·경보기술

    고도화

    현장대응가능, 국민생활중심

    기술개발

    사회재난 관리 강화 국민요구

    증가

    재난발생시 현장활용 가능 대피기술개발

  • 18 >>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 재난안전 주요 선진국 동향

    재난안전 주요정책 기조

    미국

    • 연방재난관리청(FEMA)는 통신시스템을 일원화하여 각종 재난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데 중점을 둠

    - 긴급정보 조정센터를 통해 연방-주 및 지역하원의 긴급사태 관리를 위해 재해 모니터링, 위험지구 등 정보제공, 자원부족지역 대상 우선지원

    - 통신시스템 일원화를 통한 상황관리 고도화

    - 지자체 상황관리정보 제공 및 자원지원

    일본• ‘전주기 재난대응 방재과학기술분야 R&D 추진방안’을 중심으로 지진,

    재해에 초점을 두고 기술개발 추진(지진 예측·관측, 재난관리 전자지도 고도화 등 재난관리 자체모델개발 및 메커니즘 파악에 중점을 둠)

    - 재난 예측·관측·관리기술 고도화

    유럽

    • (英) 재난대응 이후 회복력 강조 - 국가재난위험평가제도(NRA) 활용 국민, 경제, 국가기반체계, 삶의 방식에

    영향을 주는 모든 주요위험요인들을 확인하고 평가

    • (獨) 연방-주정부의 공동위기신고 상황센터 설치(재난발생시 상황파악 및 정보공유의 신속성 확보), 연계된 전문가와 정보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운영

    - 사후관리 회복력

    - 국가재난위험평가제도

    - 중앙정부-지자체 간 통합재난관리체계 구축

    정책기조 시사점

    • 상황정보관리시스템 활용 중앙-지방정부 간 정보공유 및 통합 재난관리체계 구축, 지자체 지원강화

    • 정부주도로 예측·관측·대응 기술력 및 사후 회복력 강화, 국민의 삶에 밀접한 위험평가시스템 운영

    재난안전 기술 및 연구개발 동향

    미국 • 기후변화 관련 대규모 자연재해 피해저감에 로봇 등 첨단장비 활용 - 재난현장 첨단장비 활용

    일본

    • 세계 최고수준의 지진 예·관측 및 대응시스템 구축 - 지진방재정보시스템 활용 지진 관측정보와 피해규모 사전예측, 빠른 초동대처

    • 정부 4차 산업혁명 용어 적극수용, AI기술 및 빅데이터 활용 재난대응 기술개발

    - 홍수 관련 복합현상 해석프로그램 활용 재난데이터 통합활용 플랫폼으로 활용

    - 빅데이터 활용 모바일 기반 지진 및 재난대비 시뮬레이션 개발

    - 재난 예·관측 및 대응 시스템 고도화

    - 정부주도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

    유럽• 유럽 및 전지구적 사회안전 유지 등을 위한 지구관측 위성 Sentinel 시리즈를

    개발하고 정보를 활용하는 코페르니쿠스 프로젝트 추진(6조 3천억 규모)

    • Horizon 2020 바탕, 재난발생예측·감시역량 강화, 재난로봇 연구 등 추진

    - 위성활용 협력적 재난 대응 및 상황관리 고도화

    - 공동연구추진 강화

    기술개발시사점

    •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재난 예측·관측기술 및 시뮬레이션 고도화, 통합적 재난데이터 관리 강화• 로봇, 드론 등 첨단장비 활용 재난현장 대응·조사, 위성 활용 재난안전정보 수급 및 상황관리 고도화

    국민의 재난안전 대응능력 지원 동향

    미국• 연방관리청(FEMA) 운영 ‘지역사회비상대응팀(CERT)’ 프로그램 운영

    - 재난대응과 관리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시민을 교육·훈련, 조직화- 참여의사 시민대상

    교육 및 조직화

    일본•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는 체험형 재해예방·대응 교육 실시 - 미래재난(30년 이내 난카이트로프 대지진) 대응능력 신장을 위해 재난상황체험 지원

    - 미래 극한재난 대비 체험형 교육

    유럽 • (英) ‘홍수 발생시 내가 할 수 있는 일’ 등 개인행동지침에 대한 구체적 체크리스트 방식 제시, 런던소방국은 학교방문 및 학생참여에 중점을 두고 교육진행- 구체적 대응매뉴얼

    - 재난약자 체험형교육

    국민지원시사점

    • 찾아가는 서비스 기반 재난약자 중심 체감형 재난교육·훈련프로그램 운영, 시민참여에 역점• 미래재난까지 고려, 실제 재난발생시 활용가능한 구체적 행동요령 대국민 정보제공 강화

    키워드 도출

    통합적 상황관리 체계

    구축·운영

    중앙-지방정부 정보공유 및

    지원강화

    미래재난 대비 예·관측기술

    고도화

    첨단기술 활용 현장대응 강화

    국민 삶 중심 전주기적 재난관리

    실효적 교육, 재난약자 배려, 시민참여 강화

  • Ⅲ. ‘19년 전략체계 >> 19

    ■ 이해관계자 별 주요니즈 분석

    대국민 참여 의견수렴

    대국민 설문조사

    • 응답자 거주지 안전도 부정응답(‘보통’미만) 52%, 보통(36.7%)

    • 재난 중 ‘지진(31%)>황사(22%)>태풍(17%)>폭염·가뭄(14%)’ 순 우려• 전주기적 재난관리 강화요구, 안전취약시설 및 대응부문 연구개발 요구

    -(예방) 안전취약지역 시설보완(44%) 등 재난안전관리 및 모니터링 기술강화

    -(대비) 재난모니터링 강화, 예·경보기술확보(29%) 등 조기경보시스템 지능화 -(대응) 대피·구조·구호서비스(48%), 현장정보분석·제공(35%) -(복구) 재난안전 환류데이터생성(24%) 등 피해원인규명 및 재발방지

    • 기타 재난안전산업육성·지원, 지역별 맞춤형 교육·양성필요 의견 제시

    - (대상) 일반국민 343명

    - (기간) 2회 실시 1차: ’18.11.6.~11.15. 2차: ’18.11.25.~12.5.

    - (설문분야)

    체감안전도

    우선지원영역

    재난안전필요연구

    기타 VOC수렴

    통통통 대국민 간담회

    • 환경변화에 따른 국민수요 연구분야 및 국민참여·소통과제 발굴 -(연구성과) 실생활에 밀접한 정보제공 및 활용성 강화, 행동요령 전파

    -(서 비 스) 찾아가는 재난안전교육 및 안전커뮤니티맵핑 등 시민참여과제 강화

    -(연구분야)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 연구강화, 주거밀집지역 안전대책 마련 -(시민참여) 정기적 대국민 소통기회 확보, 시민의견을 연구사업계획에 반영

    - (대상) 울산시민 14명

    - (기간) ’18.7.24.

    - (의견수렴방식)

    기관장-대국민 대면소통

    주요성과소개 및 의견수렴

    대국민의견분석 시사점

    • 국민은 재난에 대해 불안요소가 많다고 느끼며, 재난관리의 전주기적 부분에서 국가가 적극적으로 대처해주길 바라고 있음, 지진 등 예기치 못한 재난에 대한 불안도가 큼

    •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정보공유와 국민참여, 안전취약시설 보완 및 실제 재난발생시 활용가능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적 개발요구수요 증가

    주요고객 의견수렴

    정책고객• 중앙, 지자체 고객 등 조사결과 ‘정보공유·제공 요소’가 가장 부족• 사회재난 재발방지 정책 및 안전관리 기준 개발 지원강화 필요

    - 외부고객만족도 조사 (’18 행정안전부 주관)

    관련업계• 재난안전 R&D의 지역 간 균형있는 투자 및 인력양성에 있어

    연구원이 구심적 역할, 시·도 연구기관과의 정기적 간담회·공동체 형성- 재난안전R&D 전문가

    간담회(’17.10.17.)

    언론계• 재난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국민 정보제공을 위한 언론보도용 영상·

    자료 공급체계 구축, 국민이 알고 싶어하는 정보의 보도자료 제공- 언론담당자 수시통화

    (’18년 ‘솔릭’, ‘폭염’ 시)

    주요고객 의견분석 시사점

    • 재난안전 연구개발성과에 대한 원활한 정보공유·제공 체계 확보와 적극적인 협조자세 강조• 간담회 등 소통과 언론보도자료 배포 강화 등 보다 적극적인 정보제공체계 구축 요구

    기관 구성원 의견수렴

    만족도 • 행정업무 부담, 일·가정 양립 문화조성 및 서비스 개선 필요 - 내부고객만족도 조사

    조직진단 • 기존 4대 전략과제 중 내부 역량·소통 분야의 중요성 강조 - 자체조직진단

    내부의견시사점

    • 조직 전반적인 조직문화·소통체계·업무환경·역량지원체계 개선 필요

    핵심 키워드 도출

    국민체감형, 생활밀착형

    정보제공 강화

    재난대응 실효성 담보된

    기술개발

    국민참여·소통 기반 업무발굴

    국민불안감이 큰 미래·신종 재난연구강화

    사회재난 국민관심증가,정책개발 강화

    조직의 전반적인 운영혁신

  • 20 >>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2 미션 및 비전

    ■ Mission

    미션 안전한국 구현을 위한 정책연구 및 과학기술 개발

    미션 도출 근거 Key Word 지향점

    [설립목적] 행정안전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법률

    • 재난정책지원

    • 과학방재기술 선도

    • 국민안전확보

    • 국민공감

    • 연구역량강화

    • 고객지향

    • R&D 허브

    재난안전기술 개발 및 보급

    [운영방향] 책임운영기관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연구인력 역량강화

    [고유사업] 기관 운영목표 국민 공감 기술개발

    ■ Vision

    비전 국민에게 신뢰받는 재난안전 파트너

    비전 설정원칙

    명확성

    • 차별성 : 타 조직과 명확히 구별되는 새로운 미래상과 목표의식

    • 의미성 : 효과적인 사업방향 대변

    • 구체성 : 추상적이지 않은 명확한 방향 제시

    실효성

    • 미래성 : 구성원의 미래에 대한 도전

    • 현실성 : 달성 가능

    • 달성전략 : 체계적 전략과 이행계획

    공감성

    • 현실분석 : 대내‧외 환경에 대한 진단과 분석• 미래분석 : 미래에 대한 예측과 분석

    • 설정과정 : 기관장의 의지와 구성원들의 참여

    타기관 벤치마킹

    시사점

    • 비전, 목표, 전략, 전략과제 간 연계성이 명확하게 확보

    • 기관의 독자성 강조 및 최고, 협력, Global, 미래, 국민, 혁신, 안전, 기술 등 강조

    • 핵심적인 가치(Core Value)를 제시

    핵심구성요소 • 국민(고객), 파트너쉽, 기술, 글로벌, 가치

    비전 개선을 위한 대내·외 의견수렴

    시사점

    • 장기적 관점의 로드맵 수립에 근거한 비전‧미션 설정 • 미션과의 연계강화를 위한 기술연구와 정책연구개발의 균형성 확보 필요

    • 국민 및 주요고객과의 파트너쉽 강화를 통한 기관 미션 달성

  • Ⅲ. ‘19년 전략체계 >> 21

    3 전략체계 수립 프로세스

    ■ 전략체계 수립 프로세스

    ❍ 재난안전 환경분석(STEEP분석, 주요선진국 동향, 이해관계자 니즈) 및 키워드 도출(p.17~p.19)❍ 내부역량 및 외부환경을 고려한 SWOT 분석(p.22)❍ 재난안전 환경분석 도출 키워드 및 SWOT분석을 통한 기관 미션·비전에 부합하는 4대

    전략방향 도출 및 중요도, 시급도를 고려한 12개 성과목표 선정(p.20, p.22)

    ■ 재난안전 환경분석 및 핵심키워드 도출

    구분 주요분석 내용 시사점 도출

    거시환경분석

    (STEEP 분석)

    ※ p.17 참고

    •국정기조, 국가과학기술정책,

    재난안전정책 분석 및 시사점

    도출

    •경제, 산업환경, 사회·문화 등 환경분석 및 시사점 도출

    • (정책) 재난안전연구를 통한 사회적 가치실현, 국민

    니즈 반영 및 국민참여형 정책개발

    • (기술) 미래재난 대비 예·경보기술 고도화, 현장 대응형 기술개발, 국민생활중심 기술개발, 재난시

    현장활용 가능 대피기술 개발

    • (사회) 지역불균형 해소, 지역산업 육성 지원

    선진국 동향

    (美·日·EU 정부 및 선도기관)

    ※ p.18 참고

    • 재난관리 선진국 미국, 일본,

    유럽국가 및 재난관리 선도

    기관 동향 파악

    • 정책, 기술, 국민대응능력 지원

    현황 분석 및 벤치마킹

    • (정책) 통합적 상황관리체계 구축·운영을 통한 중앙-지방정부 간 정보공유 및 지방정부 지원강화

    • (기술) 미래재난 대비 예·관측기술 고도화, 첨단기술 활용 현장대응 강화

    • (국민) 국민 삶 중심 전주기적 재난관리 지원, 재난

    약자 배려 및 시민참여 강화

    이해관계자

    별 니즈분석

    (국민,

    정책·산업고객, 내부직원)

    ※ p.19 참고

    • 대국민 설문조사, 기관장-국민

    간 간담회를 통한 의견분석

    • 외부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재난안전R&D전문가 간담회,

    언론사 요청사항 분석

    • 내부직원 대상 고객만족도 조사,

    자체조직진단 결과분석

    • (정책) 국민참여·소통기반 연구업무발굴, 미래·신종 재난 연구강화 및 국민의 삶과 밀접한 정보제공,

    사회재난 국민관심 증가 및 재발방지 대책 마련 시급

    • (기술) 재난 발생시 국민이 활용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대응기술개발

    • (고객) 사회재난 정책개발, 지역산업·인력 육성• (직원) 조직 전반에 걸친 혁신적 개혁 필요

    환경분석핵심

    키워드 도출

    국민참여 및 사회적 가치 실현

    사회재난 재발방지 정책개발

    현장중심기술개발

    미래·신종재난대비

    지방정부·산업 지원

    통합적 재난상황

    관리

    국민·고객 정보제공

    혁신적 개혁

  • 22 >>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4 전략방향 및 전략과제

    ■ SWOT분석 및 환경분석 키워드 반영 4대 전략방향 도출

    내부역량 강 점 S 약 점 W

    외부환경

    • 정책데이터 및 현장조사 기술력 축적

    • 행정안전부 등 정부부처 정책반영 가능

    • 국제 네트워크 역량 축적

    • 상황관리, 실증실험 등 기술적 인프라 구축

    • 재난·사고 특성상 국민의 부정적 시각 존재• 낮은 외부인지도 및 지지기반 부족

    • 국민참여기재 확보 미흡

    • 재난안전 산업계와의 협력체계 미흡

    기회

    • 재난발생 증가 및 재난예측 중요성

    강화로 연구원의 역할 증대

    • 국민참여 및 사회적가치 실현을

    강조하는 정책기조 대두

    • 재난안전 관련 정책주도 여건 조성

    • 국민체감 연구영역 다양

    • 축적된 정책연구 관련 인프라 활용

    재난관리 정책개발 및 안전기준 개선

    • 기술적 인프라를 활용한 현장기반

    재난안전 관리기준 제시 및 재난

    상황관리 지원 강화

    SO전략

    • 국민체감형 기술개발 강화 및

    적극적 대국민 정보공유 체계 마련

    • 재난피해자 및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서비스 강화로 전주기적 재난관리 및

    재난복지 실현

    WO전략

    O위협

    • 예기치 못한 미래·신종재난 발생 증가• 이해관계자 만족도의 전반적 하락

    • 재난관리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존재

    • 연구개발품의 현장적용실적 미흡

    • 재난관리 선진국과의 기술교류를 통한

    재난상황관리 기술고도화 및 협력적

    기술지원 강화를 통한 국제위상 제고

    •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기술개발품의

    현장적용 확대 및 지속적 기술강화

    ST전략

    • 주요고객 대상 정보제공 및 협력

    강화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내실화

    • 기관운영 혁신을 통한 연구역량 및

    조직역량 강화

    WT전략T

    환경분석 키워드

    사회적가치 구현

    국민

    참여·소통현장중심

    기술개발미래·신종재난대비

    사회재난 재발방지

    통합적 재난상황

    관리

    국민·고객 정보제공

    혁신적

    개혁

    4대전략방향(목표)

    [정책 및 기준개발]

    사회재난 재발방지 등 재난안전 역량확보 정책 및

    방재기준 마련

    [과학기술 개발]

    미래재난 대비 현장중심 예·관측 기술 및 통합적

    재난상황관리 기술 고도화

    [사회적가치 실현]

    국민소통·공유·참여 기반 국민체감형 연구강화를 통한 사회적 가치실현

    [역량‧협력 강화]기관운영 혁신을 통한 연구 및 조직역량강화,

    협력적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 전략목표별 세부 성과목표 선정

    전략목표 성과목표 도출기준 12개 성과목표

    안전사회실현을 위한 정책 및 기준개발

    • 중요도, 시급도 등을

    고려한 전략과제 선정

    - (중요도) 기관 설립목적‧ 미션‧비전에 부합하고, 전략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과제

    - (시급도) 정책변화‧ 환경변화 등으로 새롭게

    추진되어야 하고, 고객

    및 재난안전현장 요구가

    높은 과제

    -1. 재난안전 역량확보 정책개발-2. 사회재난 재발방지를 위한 기준·제도 개선-3. 재난안전정책 중점기능 지원강화

    미래재난 대비 현장 중심

    과학기술 개발

    -1. 미래재난 대비 선도기술 개발-2. 현장 중심 예·관측 기술 고도화 -3. 통합적 재난상황관리 지원기술 고도화

    국민과의 소통·공유·참여 기반 사회적가치 구현

    -1. 국민체감형 기술개발 및 대국민 정보공유 강화-2. 맞춤형 지원기술을 통한 재난복지 실현-3. 고객만족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내실화

    NDMI 브랜드가치 제고를 위한

    역량 및 협력 강화

    -1. 보다나은 NDMI 구현을 위한 조직운영 혁신-2. 최우수연구기관 도약을 위한 조직경쟁력 강화-3. 재난안전 연구 글로벌 협력네트워크 구축

  • Ⅲ. ‘19년 전략체계 >> 23

    ■ 전략목표별 상위 전략과의 연계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기관사업목표(’15.8., 장관부여) 및 「국가안전관리 기본계획 주요전략」(’15~’19)과 4대 전략목표 간 연계성 확보를 통한 재난안전 기본계획에 부응하는 전략수립

    사업목표 및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과의 연계

    ❍ 「정부혁신 종합추진계획」(’18.3.) 및 동일 계획 내 ‘사회적가치 구현’과 4대 전략목표 간 연계성 확보를 통해 기관운영방향을 ‘국민이 주인인 정부’ 구현 및 사회적 가치로의 전환

    정부혁신종합추진계획과 사회적가치와의 연계

    ※ 4대 전략목표 35개 실행과제 모두 ‘정부혁신 종합추진계획’과 ‘사회적 가치’와 연계(p.31~p.65)

  • 24 >>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5 전략목표 별 중요도·난이도 분석에 따른 자원배분 검증

    ■ 전략목표 별 중요도·난이도 산정

    ❍ 2019년 연구과제 예산(주요연구과제와 기본과제로 구성)기반 3개* 전략목표(정책 및 기준개발, 과학기술개발, 사회적가치 구현) 실행과제들의 중요도, 난이도 분석**

    * 전략목표 ‘역량 및 협력강화’는 일반사업 예산과 관리 인력이므로 중요도·난이도 분석 미포함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역량강화 전략수립 기획연구」(2017.10.) 내부역량진단 실시 결과 반영(p.102 참고)

    ❍ 3개 전략목표 실행과제들의 중요도, 난이도의 평균을 각 전략목표의 중요도, 난이도로 적용

    전략목표중요도(40%)

    난이도(60%)

    중요도·난이도분석 결과

    중요도·난이도종합비율 (%)

    정책 및 기준개발 3.70 3.83 3.77 34.63

    과학기술 개발 3.71 3.62 3.66 33.55

    사회적 가치 구현 3.37 3.53 3.47 31.81

    합 계 10.90 100

    ■ 전략목표 별 예산·인력배분 산출 및 검증❍ 각 전략목표별 인력비율과 예산비율을 50%씩 반영하여 인력·예산 통합비율 산정

    전략목표인력·예산 비율 배분

    인력·예산 통합비율(%)인력비율 (50%) 예산비율 (50%)

    정책 및 기준개발 38.9 29.9 34.40

    과학기술 개발 28.5 45.9 37.21

    사회적 가치 구현 32.6 24.2 28.39

    계 100 100 100%

    ❍ 중요도·난이도 종합비율과 인력·예산 통합비율 간 차이가 5% 이내가 되는지 검토함으로써 각 전략목표별 인력·예산의 배분과 각 전략목표별 중요도·난이도와의 연계성 검증

    전략목표중요도·난이도종합비율 (%)

    인력·예산 통합비율(%)

    비율차(%)

    정책 및 기준개발 34.63 34.40 0.24

    과학기술 개발 33.55 37.21 3.66

    사회적 가치 구현 31.81 28.39 3.42

  • Ⅲ. ‘19년 전략체계 >> 25

    ■ 4대 전략과제 자원배분 현황

    전략목표 예산(백만원)

    인력 시스템‧기술 자원배분방향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및 기준개발

    4,720 75명

    - 안전정보통합관리시스템 - 재난원인과학조사

    특수장비- 재난원인과학조사

    프로파일링 시스템 등

    미래재난 대비

    현장중심

    과학기술 개발

    7,240 55명

    - Landsat-8, MODIS 위성 정보수신‧분석‧처리시스템

    - 너울성 파랑예측시스템 - 한반도 재난위험도평가

    대용량 자료 분석시스템- 도시침수모니터링시스템 등

    국민과의

    소통·공유·참여 기반

    사회적 가치 구현

    3,807 63명- 대피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안전맵핑 시스템 등

    NDMI 브랜드가치 제고를 위한 역량 및 협력 강화

    2,380 21명-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 자동유량경보시설 등

  • 26 >>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6 즉시 대응형 과제 선정 및 집행 프로세스

    ■ 즉시 대응형 과제(이슈대응형 연구과제) 프로세스

    ❍ 기관 내·외부 수요조사 등을 통한 과제발굴, 연구심의위원회 및 연구개발사업 추진위원회 심의를 통한 이슈대응형 연구과제 선정

    즉시대응형 과제 선정 및 집행 프로세스

    ■ 2019년도 「이슈대응형 기술개발」 세부과제 수요조사

    ❍ 조사기간 : 2018.12.13. ~2019.1.7. (26일간)❍ 조사대상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 연구원 연구부서❍ 대상사업 : 재난안전관리업무지원기술개발사업 내역사업(이슈대응형*) * 기본연구과제(연구동향 및 기획중심 과제)로 단기(1년) 추진과제

    ❍ 제안분야 : 현업지원 강화, 4차 산업혁명, 신규 기획연구❍ 결과활용 : 제출된 수요조사서는 자체연구과제 검토를 거쳐 ‘후보과제’로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과제를 대상으로 ’19년도 ‘연구과제’로 반영

  • Ⅳ. ‵19년 사업추진계획

  • Ⅳ. ‘19년 사업추진계획 >> 29

    1 목표 및 추진체계

  • 30 >>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2 성과목표별 핵심성공요인 및 실행과제

    전략목표 / 성과목표 핵심성공요인 실행과제 협력조직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및 기준개발-1. 재난안전 역량확보

    정책개발

    지자체 역량강화 ① 지역안전관리 역량제고를 위한 All-Care 서비스 안전정책실

    국가정책 수립지원 ② 국가 및 지역 단위 안전 위험요소의 사전예방기준 수립 안전정책실

    국가정책 수립지원 ③ 안전한 국토개발 환경조성을 위한 재해영향평가제도 개선 재난관리실

    -2. 사회재난 재발방지를 위한 기준·제도 개선

    사례기반 환류체계 구축 ① 빅데이터 기반 안전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안전기준 개선 안전정책실

    사례기반 환류체계 구축 ② 재난‧안전사고 피해 원인분석을 통한 재발방지대책 수립 기여 재난협력실현장기반 환류체계 구축 ③ 재난원인 현장감식기술 개발 등 원인조사체계 고도화 재난협력실

    국가정책 현업화 ④ 사회재난 발생시 구상권 청구 및 회수 데이터 조사·분석 재난관리실

    -3. 재난안전정책 중점기능 지원강화

    안전예산 투자효율화 ①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 및 효율적 사업평가 지원 안전정책실

    연구관리체계 강화 ② 행안부 재난안전 R&D 사업의 전문적인 관리 추진 재난협력실

    미래재난 대비 현장중심 과학기술 개발-1. 미래재난 대비

    선도기술 개발

    선도형 연구수행 ① 빅데이터 활용 미래신종재난 Weak Signal 탐색기술 개발 공통활용

    선도형 연구수행 ② 지역특성을 고려한 액상화 위험지도 표준모델 및 대응매뉴얼 개발 재난관리실

    시뮬레이션 개발 ③ 지진해일 피해산정을 위한 전해역 침수범람 예측시뮬레이션 개발 재난안전상황실

    -2. 현장중심 예·관측 기술개발 고도화

    재난대비 역량확보 ① 국가 가뭄정보 통합 예·경보 기술개발 재난관리실예측기술 고도화 ② 딥러닝 기반 도시침수 예측 및 분석기술 개발 기상청

    관측기술 고도화 ③ 소하천 재난위험 경감기술 개발 재난관리실

    관리기술 개발 ④ 실증실험 기반 도시침수 및 급경사지 관리기술 개발 재난관리실

    -3. 통합적 재난상황관리 지원기술 고도화

    재난대비 역량확보 ① 재난상황판단을 위한 현장정보 분석 및 전달기술 개발 재난안전상황실

    상황관리기술 고도화 ② 지능정보기술 기반 재난안전 상황인지 기술 개발 재난안전상황실

    의사결정체계 구축 ③ 재난유형별 의사결정지원 기술개발 재난안전상황실

    위성영상 분석기술 고도화 ④ 위성자료 활용 현업지원 기술개발 재난안전상황실

    국민과의 소통·공유·참여 기반 사회적 가치구현-1. 국민체감형 기술개발

    및 대국민 정보공유 강화

    국민생활 맞춤형 정보제공 ① 온열·한랭질환 피해위험 예측기술 개발 기상청지진정보 공유기술개발 ② 지능정보기술 기반 개방형 지진방재정보 활용기술 개발 재난관리실

    지진방재 콘텐츠개발 ③ 국가 지진방재 자료구축기반 기술개발 재난관리실

    -2. 맞춤형 지원기술을 통한 재난복지 실현

    재난약자 맞춤형 기술개발 ① 안전취약계층 맞춤형 재난안전 지원기술 개발 안전정책실

    사후관리 지원서비스 ② 재난피해자 안심서비스 구축 재난관리실

    -3. 국민·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내실화

    지역사회(국민)참여 ① 소통기반 지역특화형 재난안전 연구지원 재난협력실

    소통채널 다양화 ② 대국민 직접소통채널 확대 지역사회

    NDMI 브랜드가치 제고를 위한 역량 및 협력 강화-1. 보다나은 NDMI

    구축을 위한 조직운영 혁신

    창조‧자율 연구관리 ① 전문성 제고 및 과제관리 효율화 내부조직구성원 간 신뢰·협력 ② 조직 내실화를 위한 입체적 소통 강화 내부조직

    청렴도 제고 ③ 확고하고 엄정한 공직질서 확립 내부조직

    -2. 최우수 연구기관 도약을 위한 조직경쟁력 강화

    연구인프라 내실화 ① 연구성과 제고를 위한 역량지원 강화 내부조직

    유연한 조직문화 ② 마음껏 연구할 수 잇는 조직문화 구축 내부조직

    탄력적 조직운영 ③ 신속한 재난이슈 대응을 위한 탄력적 조직운영 재난관리실

    -3. 재난안전 연구 글로벌 협력네트워크 구축

    글로벌 역량강화 ①기술공유 및 지원을 통한 재난안전 선도기관 위상제고 베트남‧라오스국제협력 및 교류 ② 글로벌 재난안전 네트워크 구축 국제기구

  • Ⅳ. ‘19년 사업추진계획 >> 31

    3 세부 추진전략계획

    전략목표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및 기준개발 성과지표 재난안전정책 기여도

    전략과제 -1 재난안전 역량확보 정책개발

    ① 지역안전관리 역량제고를 위한 All-Care 서비스

    목적• 지역안전지수 적극적 활용여건 조성을 통한 지자체 안전역량 개선

    • 지자체 안전 여건분석부터 사업추진까지 찾아가는 교육, 안전문화 및 진단방법 정립

    환경분석· 기술동향

    • 지역안전지수 공표 이후 언론 노출로 지자체 안전관리 책임감 증대 분위기 조성

    • (美) 연방재난관리청(FEMA)는 지역하원의 재난관리 효율화를 위해 재해모니터링 및 위험지구 등 정보제공, 자원부족지역 대상 선정 및 우선지원 실시

    관련정책• (정부혁신 종합계획) 사회적 가치 구현

    - 지자체 재난안전관리 역량강화 지원, 찾아가는 서비스 확대

    내역사업 이슈대응형 기술개발 ’19년 예산 201,300천원 투입인력 4명

    지표Pool 지역안전지수 서비스 실적 핵심지표 연계 재난안전정책 지원, 공공서비스

    ‵19년 추진계획

    • 지자체 안전역량 개선 효과 극대화를 위한 서비스 강화

    - 권역별․지역별 지수 활용 역량강화를 위한 ‘찾아가는 지역안전지수 교육’ 서비스

    * 일부 지자체 업무여건, 관행적 사업선정 등으로 지역안전지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지역 존재

    - 지수 이해력 증진 및 컨설팅 내실화를 위한 지역별 안전지수 협의체* 운영

    * 지자체 지역안전지수 담당자, 지역 연구원, 지역 전문가, NGO 등으로 구성

    - 지역안전지수 기반 지자체 안전개선 목표 설정 및 개선대책 발굴, 모니터링을 통해

    컨설팅 결과와 지자체 안전개선 추진의 연계성 강화

    지자체 현

    안전수준진단⇨

    안전개선

    목표설정⇨

    자료분석 및

    현장조사⇨

    협의체 구성 및

    상호의견 교류⇨

    목표달성

    개선대책⇨

    모니

    터링

    목표• 지역안전지수 8개 분야 전년도 대비 사망·사고건수의 정량적 감축

    • 지역별 지역안전지수 협의체 구성·운영, 찾아가는 교육서비스 실시

    정부혁신 연계성과

    • (정부혁신) 성과제고와 정부신뢰를 위한 부처내 부처간 협업강화

    • (사회적가치) 지자체 재난안전관리 역량강화 지원, 재난·사고로부터 안전한 환경 유지, 그 밖에 공동체의 이익실현과 공공성 강화(시민사회 등 제3섹터의 지원 및 육성)

  • 32 >>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전략목표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및 기준개발 성과지표 재난안전정책 기여도

    전략과제 -1 재난안전 역량확보 정책개발

    ② 국가 및 지역 단위 안전 위험요소의 사전예방기준 수립

    목적• 국가안전관리 집행계획 수립 시 발생가능한 재난 및 취약요인 등에 대한 다각적 현황

    분석을 통한 국가 및 지역의 안전역량 증진

    환경분석· 기술동향

    • 위험목록 발간 이후 정부 부처 및 지자체 관심증가

    - ‘국가 및 지역 안전관리 계획’ 수립 지침에 활용을 통한 부처 및 지자체 위험요소 도출

    • (英) 국가재난위험평가제도(NRA) 활용 국민, 경제, 국가기반체계, 삶의 방식에 영향을 주는 모든 주요 위험요인들을 확인하고 평가

    관련정책 • 2019년 「국가안전관리 집행계획 및 시도 안전관리 계획」

    내역사업 이슈대응형 기술개발 ’19년 예산 213,100천원 투입인력 4명

    지표Pool 국가계획 수립 지원 실적 핵심지표 연계 정책반영, 재난안전정책지원

    ‵19년 추진계획

    • 행정안전부 42개 재난유형을 고려한 재난 유형별 발생 가능성 조사

    - (사전조사) 신종‧복합재난 등이 반영될 수 있도록 개방형 설문조사 실시

    - (본 조사) 사전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설계된 설문지로 우리사회 변화요인(재난가중

    요인), 5년 이내 국내에서 발생 가능한 대형재난과 발생가능한 각 재난에 취약한

    지역 및 시설 조사

    • 국가 및 지역 차원의 재난유형별 발생가능성, 취약성(지역‧시설) 및 취약지자체 분석

    - (재난전망) 5년 이내 국내에서 발생 가능한 대형재난에 대한 전문가 조사결과 분석

    - (취약정도) 전문가 설문을 토대로 재난유형별 57개 지역 및 78개 시설의 취약정도 분석

    - (취약지역) 통계 및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자체별 취약지역 및 시설 분포 매트릭스

    구축, 이를 토대로 재난유형별 상대적 취약 지자체 분석

    목표• 2019년 국가 및 지역 안전관리 집행계획 및 시도 안전관리 계획 수립 지원

    - 행정안전부 42개 재난유형 별 발생가능성 조사 및 시사점 도출

    정부혁신 연계성과

    • (정부혁신) 성과제고와 정부신뢰를 위한 부처내 부처간 협업강화

    • (사회적가치) 지자체 재난안전관리 역량강화 지원, 재난·사고로부터 안전한 환경 유지

  • Ⅳ. ‘19년 사업추진계획 >> 33

    전략목표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및 기준개발 성과지표 재난안전정책 기여도

    전략과제 -1 재난안전 역량확보 정책개발

    ③ 안전한 국토개발 환경조성을 위한 재해영향평가제도 개선

    목적• 자연재해 대책법 개정에 따른 재해유형별 재해영향평가 전문검토 추진으로 개발에 따른

    재난발생 부작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재해영향평가 제도 질적향상 및 체계적 관리

    환경분석· 기술동향

    • 「자연재해대책법」 개정(’18.10.)에 따른 개발계획의 재해유형별 사전검토 등 재해영향평가에

    대한 전문적 검토 지원 필요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질적 향상과 체계적 관리를 위한 전문 검토

    관련정책 • 자연재해대책법 및 자연재해대책법 시행령 ‘권한의 위임 등’

    내역사업 - ’19년 예산 193,060천원 투입인력 4명

    지표Pool 전문적 정책검토 및 지원 핵심지표 연계 정책반영, 재난안전정책지원

    ‵19년 추진계획

    • 재해영향평가 전문검토 업무 수행의 법적근거 마련

    - 재해영향평가 운영 시 행정안전부와 연구원의 명확한 업무분장*을 위한 자연재해대

    책법 및 시행령에 소속기관 권한 위임사항 반영

    * (행정안전부) 심의회 운영, 협의이행 관리 등 (연구원) 사전검토, 심의의견 조정 등

    ※ 자연재해대책법 제76조(권한의 위임 등)에 소속기관 위임조항 신설 및

    자연재해대책법 시행령 제73조(권한의 위임)에 권한위임 업무 개정

    • 행정안전부 재해영향평가 협의서 전문검토

    - 재해영향평가 중앙협의*(연 180건)에 대한 재해유형별 사전검토, 심의의견 조정, 재해

    저감 조치계획 적정성 분석 등 전문검토 실시(연중)

    * ’13년(90건), ’14년(102건), ’15년(137건), ’16년(181건), ’17년(225건)으로 매년 증가

    • 지자체(시·도, 시·군·구 협의) 재해영향평가 협의서 전문검토

    • 재해영향평가 제도 정착 및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

    - 재해분야별로 발생 가능한 재해영향의 평가기준 개발·작성·보완

    - 재해영향저감 기법의 효과분석 및 적정성 평가

    - 재해영향평가 등 협의서에 대한 통합관리체계 개발 및 운영

    목표• 재해영향평가 전문검토를 수행하기 위한 법적근거 마련

    • 중행정안전부 재해영향평가 협의서 전문검토

    정부혁신 연계성과

    • (정부혁신) 성과제고와 정부신뢰를 위한 부처내 부처간 협업강화

    • (사회적가치) 지자체 재난안전관리 역량강화 지원, 재난·사고로부터 안전한 환경 유지

  • 34 >>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전략목표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및 기준개발 성과지표 재난안전정책 기여도

    전략과제 -2 사회재난 재발방지를 위한 기준·제도 개선

    ① 빅데이터 기반 안전사고 분석기술을 통한 안전기준 개선(2017~2019)

    목적• 평가(지수)-진단(지표/공간)-개선(컨설팅)을 통한 지자체 맞춤형 개선정책 및 사업제시

    • 범부처 안전기준관련 법령 개정 및 신속한 재난안전사고 이슈 분석으로 최적 대응전략 수립

    환경분석· 기술동향

    • 범정부 정부혁신 종합 추진계획(’18)에서 데이터 활용 디지털 행정서비스 강화 필요성 제시

    • (美) 뉴욕은 화재/불법건축물 관련 민원의 패턴분석기술을 통해 화재위험지역 선정에 활용

    관련정책• (중장기 계획) 행정안전부 빅데이터 활용기반 마련을 위한 중장기 계획(’16), 국민안전처

    빅데이터 분석장비 구축(’16), 국민안전처 빅데이터 활용 종합계획(’16~’20)

    내역사업 현업적용형 기술개발 ’19년 예산 400,000천원 투입인력 12명

    지표Pool 안전기준 개선 핵심지표 연계 정책지원, 기술전파, 홍보, 논문, 특허, 워크숍

    ‵19년

    추진

    계획

    • 통계자료 기반 지역안전지수 평가-진단-개선 모델 개발

    - 통계자료 연계를 통한 안전사고 원인분석

    - 지역안전지수 향상을 위한 사고 저감 방안 마련

    - 안전사고에 대한 안전의식 수준 평가 방법 개발

    • 해외사례 기반 국내 안전기준 분석 및 사전정비 기술 개발

    - 안전기준 관련 해외이슈 탐색 및 현황조사

    - 사례 관련법령 내 안전기준 추출·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기준 분석·관리 방안 제안

    • 안전사고 사례 안전기준 탐색·분석 모듈개발

    목표

    • 지역 안전사고 위험진단을 통한 평가·개선방안 마련

    • 해외 사고사례의 국내발생 예방을 위한 안전기준 사전정비 기술개발

    • 안전사고 사례기반 안전기준 탐색·분석기술 확보

    정부혁신 연계성과

    • (정부혁신) 데이터 기반 디지털 서비스 혁신(공공부분 빅데이터 분석-공공서비스 제공)

    • (사회적가치) 지자체 재난안전관리 역량강화 지원, 재난·사고로부터 안전한 환경 유지

  • Ⅳ. ‘19년 사업추진계획 >> 35

    전략목표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및 기준개발 성과지표 재난안전정책 기여도

    전략과제 -2 사회재난 재발방지를 위한 기준·제도 개선

    ② 재난안전사고 피해 원인분석을 통한 재발방지대책 수립 기여(2007~2021)

    목적• 다각적 측면의 원인규명을 위한 재난프로파일링 기법고도화로 유사재난 재발방지 개선사항 발굴

    • 재난아카이브기반 재난기록물 수집ㆍ공유를 통한 재난원인키워드 사전 구축 및 활용

    환경분석· 기술동향

    • 재난의 고유특성(발생의 복잡성, 피해확산 전이성, 발생원인 다차원성)으로 원인규명 한계

    • 美NDIIPP, 英DCC 등 사고조사 자료관리 및 정보공유시스템 구축, UN재난조사 국제표준개발

    관련정책• (국정과제) 통합적 재난관리체계 구축 및 현장 즉시대응 역량강화 – 사후 재난조사 필요성

    • (중앙재난안전상황실) ‘문제해결형 상황관리체계 구축’ 중 ‘사례분석 상황관리 지원 콘텐츠 개발’

    내역사업 제도보완형 기술개발 ’19년 예산 450,000천원 투입인력 6명

    지표Pool 정책지원실적 핵심지표 연계 법·제도 개선, 정책제안

    ‵19년 추진계획

    • 재난아카이브 활용 원인분석기법 고도화 연구

    - 국내외 위험·원인요인 분류 현황분석과 재난이력 프로파일 표준(안) 도출

    - 재난아카이브 자료수집 및 전자화(Text 변환) 관리

    - 인과지도 작성을 통한 원인요인 관계해석 및 개선대책 평가

    - 시간전개해석을 통한 재난대응 수범사례분석과 최적 대응방안(정책제언)

    - 화학사고 조사·분석결과의 객관화를 위한 재난원인 정보추출 고도화 방안

    • 재난아카이브기반 재난원인키워드 사전 구축

    - 문헌자료로부터 단어 추출 알고리즘 검토 및 프로그램 개발 추진

    - 재난원인키워드 사전 구축을 위한 국어사전 활용성 검토

    - 기술검토 및 국어사전 정보를 활용한 재난원인키워드 사전 구축방안 제안

    - 구축된 재난원인키워드 사전 정확도 및 유의미성 검토

    목표

    • 재난원인조사결과의 해석적 정보 활용을 위한 ‘재난이력 프로파일’ 작성 표준(안) 마련

    • 재난원인분석기법 고도화로 종합적ㆍ객관적 원인분석결과 제시

    • 재난원인키워드 사전 구축을 통한 재난원인정보의 분석기반 확장

    정부혁신 연계성과

    • (정부혁신) 낡은 관행과 선례를 깨는 창의 행정(실패사례 공유: 재난유형별 대응사례집 발간)

    • (사회적가치) 재난과 사고로부터 안전한 근로·생활환경 유지

  • 36 >>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전략목표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및 기준개발 성과지표 재난안전정책 기여도

    전략과제 -2 사회재난 재발방지를 위한 기준·제도 개선

    ③ 재난원인 현장감식기술 개발 등 원인조사체계 고도화 (2015~2020)

    목적• 현장조사 장비운용기법 고도화를 통한 재난원인 규명의 국민 신뢰도 제고

    • 사후복구에서 예방중심으로의 체계전환을 통한 재난피해 최소화 유도

    환경분석· 기술동향

    • 반복적 사고발생(해상사고 등), 국가적 재난사건 독립조사위원회 설치(대통령 공약사항) 이행

    • 美화학안전위원회, 日노동안전연구소, 獨SENEKA 등 과학조사를 통한 사고예방법률개선 활성화

    관련정책

    • (법령)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69조 정부합동재난원인조사, 시행령 제49조의 2,3

    정부합동재난원인조사 결과보고 등

    • (안전혁신마스터플랜) 재난조사 및 평가·환류체계 강화(재난안전사고 원인조사체계 구축)

    내역사업 제도보완형 기술개발 ’19년 예산 1,350,000천원 투입인력 13명

    지표Pool 조사분석 실적, 개선사항 권고 핵심지표 연계 법·제도 개선, 정책제안, 공공서비스·교육

    ‵19년 추진계획

    • 현장조사 결과의 신뢰도 확보를 위한 장비운영·데이터 처리기법 고도화 및 체계 확립

    - 현장조사 결과의 신뢰도 확보를 위한 장비운영 기법 확립

    - 분석결과의 객관성 확보를 위한 데이터 처리 기법 고도화 및 현장운용체계 확립

    • 화학사고 원인분석 시뮬레이션 기술 고도화 및 조사·분석체계 구축

    - 화학사고 유형 및 특성을 고려한 원인분석 시뮬레이션 기술 최적화 방안 도출

    - 화학사고 원인분석을 위한 고도화된 조사·분석체계 구축

    • 첨단장비를 활용한 공간정보기반 재난현장 정밀조사 및 재난원인 분석 현업화 기술 개발

    - 로보틱스장비기반 재난사고조사 공간정보 정확도 평가·향상 및 현업화 방안 도출

    - 재난사고 원인조사를 위한 드론맵핑 현업화 기술개발

    목표

    • 현장특성 및 운영 노하우가 반영된 고유 장비운영 체계 및 신뢰성 확보

    • 화학사고 조사분석 원천기술 확보 및 피해영향범위 예측 시뮬레이션을 통한 의사결정 지원 지원

    • 강화된 정부합동 재난원인조사단의 재난원인 조사체계 및 기반기술 확보

    정부혁신 연계성과

    • (정부혁신) 성과제고와 정부신뢰를 위한 부처내 부처간 협업강화

    • (사회적가치) 재난과 사고로부터 안전한 근로·생활환경 유지

  • Ⅳ. ‘19년 사업추진계획 >> 37

    전략목표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및 기준개발 성과지표 재난안전정책 기여도

    전략과제 -2 사회재난 재발방지를 위한 기준·제도 개선

    ④ 사회재난 발생시 구상권 청구 및 회수 데이터 조사·분석

    목적

    • 사회재난의 책임소재 및 책임비율 규명을 위한 내실있는 법·제도·정책 개발을 통해 재난발생 사후 장기간 법적 절차로 고통받는 재난피해자에 대한 신속한 지원체계 마련

    • 사회재난에 대한 구상권 청구 제도 구체화·개선을 통해 산업계 등 안전관리자들에 대한 책임성 고취

    환경분석· 기술동향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구상권 청구 규정 시행(’18.1.)

    - 사회재난 원인제공자에게 국가 또는 지자체가 부담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

    • 사회재난의 책임소재 및 책임비율 규명 등에 상당기간이 소요된는 관계로 신속한 재난

    수습과정에서 국가 또는 지자체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

    관련정책•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66조 ‘재난지역에 대한 국고보조 등의 지원‘ 및 동법 부칙

    제3조 ’사회재난 원인제공자에 대한 비용 청구에 관한 적용례‘

    내역사업 - ’19년 예산 470,560천원 투입인력 10명

    지표Pool 법·제도 개선 핵심지표 연계 법·제도 제개정, 정책제안, 정책자료 검토

    ‵19년 추진계획

    • 과거 주요사회재난 자료수집

    - 사회재난으로 인한 특별재난지역선포 사례 총 8건*

    * ‘14 세월호 참사, ‘12 구미 불산유출사고, ‘03 대구지하철 화재, ‘95 삼풍백화점 붕괴 등

    - ‘17 제천 스포츠센터화재 및 ’18 밀양 세종병원화재

    • 구상권 청구 및 회수 관련 데이터 분석

    - 사회재난으로 인한 구상권 청구소송 결과(원인제공자의 과실비율) 분석

    - 구상권 청구 세부내역 및 회수율 등 분석

    • 복구지원과와 분석결과 협의(행정안전부)

    - 분석결과에 따라 2019년 연구과제 추진협의

    목표• 과거 사회재난 사례 구상권 청구소송 결과분석

    • 사회재난 구상권 청구 분석결과 반영 완성도 높은 법·제도 개선 지원

    정부혁신 연계성과

    • (정부혁신) 낡은 관행과 선례를 깨는 창의 행정(실패사례 분석 및 개선), 성과제고와

    정부신뢰를 위한 부처내 부처간 협업강화

    • (사회적가치)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 인권 보호, 재난·사고로부터 안전한 근로환경 유지

  • 38 >>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전략목표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및 기준개발 성과지표 재난안전정책 기여도

    전략과제 -3 재난안전정책 중점기능 지원강화

    ①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 및 효율적 사업평가 지원

    목적• 한정된 재난안전예산을 효율적 집행과 실효성 있는 재난안전관리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예산사전협의 및 세부 투자방향 등 수립

    환경분석· 기술동향

    • 기재부 재정사업평가 실효성 제고를 위해 재난안전사업을 평가대상에서 제외(행안부 운영)

    • (KISTEP) 과기정통부 R&D사업 예산(21조)심의를 위해 KISTEP 1본부-4센터 심의 지원

    관련정책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10조의2 ‘재난 및 안전관리 사업예산의 사전협의 등’

    내역사업 - ’19년 예산 341,960천원 투입인력 7명

    지표Pool 전문적 정책검토 및 지원 핵심지표 연계 정책반영, 재난안전정책지원

    ‵19년

    추진

    계획

    • ’20년도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 업무 지원

    - 부처에서 제출한 재난안전사업별 중기계획, 투자우선순위 및 예산요구서 등에 대한

    검토(부처 방문 사업담당자 대면 설명회) 추진

    * ’19년도 사전협의 대상사업 : 29개 부처 407개 사업(요구액 기준 14.6조원)

    - 사업별 사업내용, 위험요인, 안전여건 및 투자방향 등을 종합하여 투자우선순위 선정

    (사업별 등급화) 등 사전협의(안) 작성

    * ’18년도 연구원에서 7개 유형 138개 사업 사전협의(안) 작성(전체 40개 유형 407개 사업)

    • ’20년도 사전협의(안) 추진성과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사전협의결과 반영률 분석 등 추진성과 분석을 통해 개선안을 도출하고 개선방안

    마련 연구 추진

    * 중점투자 피해유형 선정 시 지표간 가중치 고려를 위한 연구 추진

    • ’21년도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를 위한 중점투자방향 수립

    - ’21년도에 재난안전예산을 중점으로 투자해야 할 피해유형을 선정하고 피해유형 별

    위험요인, 투자여건 등을 종합한 투자방향 수립

    * 투자방향을 부처에서 중기계획 및 예산요구서에 반영할 수 있도록 사전 통보

    목표• 안전예산 사전협의 업무 분업화를 통한 내실있는 연구원의 정책개발 기능 수행

    • 재난안전사업 관리시스템 구축·운영

    정부혁신 연계성과

    • (정부혁신) 인권, 안전 등 사회적 가치 실현 사업 재정투자 확대, 성과제고와 정부신뢰를

    위한 부처내 부처간 협업강화

    • (사회적가치) 지자체 재난안전관리 역량강화 지원, 재난·사고로부터 안전한 환경 유지

  • Ⅳ. ‘19년 사업추진계획 >> 39

    전략목표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및 기준개발 성과지표 재난안전정책 기여도

    전략과제 -3 재난안전정책 중점기능 지원강화

    ② 행안부 재난안전 R&D 사업의 전문적인 관리 추진

    목적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R&D 전문 기획·관리·평가로 성과창출 견인 및 투자효율성 제고

    환경분석· 기술동향

    • 재난안전 R&D 규모확대 및 사업의 다양성확보, 전문 관리기반 마련

    • 재난안전 투자대비 성과창출 및 활용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부족

    관련정책 •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내역사업 - ’19년 예산 1,100,000천원 투입인력 15명

    지표Pool 전문적 정책검토 및 지원 핵심지표 연계 재난안전정책지원

    ‵19년

    추진

    계획

    • 연구성과 창출 저해 요인 발굴과 개선

    - 성과관리 프로세스 전주기와 연계한 관련 규정 및 지침 정비

    * 연구수행 중 창출되는 성과수준을 높이고, 성과활용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

    - 사용자(연구자) 중심의 재난안전 R&D ‘성과안내서’를 제작, 제공 및 교육하여 R&D

    성과 프로세스 이해도 향상

    - 연구개발 전주기 연구성과 정보의 Track record 관리 추진

    * 과제 수행 전주기(협약~과제종료 후 5년) 성과관리카드 작성 관리

    - 보유특허 기술자료집 제작 및 Tech-Tree 구축을 통해 기술정보 제공 서비스를

    확대하고 성과물 등록·기탁 제고 기반 마련

    • 전문 R&D 관리를 위한 체계적 운영 기반 강화

    - 관리 대상사업 증가 및 추가 관리업무에 따른 철저한 관리체계 확보

    * 관리 대상 과제 수(계속/신규) : ’18년(12/18)→’18년(25/18)

    * 사업단(국민수요맞춤형 사업단, 지진단층 사업단) 관리‧운영 지원, 고용영향평가, 인력양성사업운영 등 추가 관리업무 발생

    - 연구정보관리시스템(RDMS*) 안정화로 효율적 정보관리체계 구축

    * R&D Management System : 행안부 재난안전 R&D 정보관리 시스템

    * RDMS의 지속적 유지‧관리로 NTIS 데이터 품질평가 점수가 상승

    목표•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R&D 성과의 전주기적 관리 강화

    • 재난안전 R&D 성과물의 현업 등 활용성 강화

    정부혁신 연계성과

    • (정부혁신) 인권, 안전 등 사회적 가치 실현 사업 재정투자 확대, 성과제고와 정부신뢰를

    위한 부처내 부처간 협업강화

    • (사회적가치) 지자체 재난안전관리 역량강화 지원, 재난·사고로부터 안전한 환경 유지

  • 40 >>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전략목표 미래재난 대비 현장중심 과학기술 개발 성과지표 재난안전과학기술 서비스지수

    전략과제 -1 미래재난 대비 선도기술 개발

    ① 빅데이터 활용 미래·신종재난 weak signal 탐색 기술개발(2013~2020)

    목적• 웹기반 R-Scanner 제공으로 재난이슈에 대한 정보탐색 시간단축 및 미래재난 통찰력 지원

    • 미래재난 이슈발굴 및 시나리오 개발을 통한 사회적 재난안전의식 환기 및 안전사각지대 해소

    환경분석· 기술동향

    • 신종복합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빅데이터 분석활용 미래재난에 대한 통찰력 확보 필요

    • (EU) iKnow프로젝트를 통한 위험신호 직접 수집, (싱가폴) 미래위험이슈 분석결과 국가위험목록에 반영

    관련정책• (미래성장동력) 빅데이터 기반 미래 재난시나리오 개발기술 확보

    •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 사회적 복합재난 저감 기술

    내역사업 현업적용형 기술개발 ’19년 예산 800,000천원 투입인력 6명

    지표Pool 빅데이터 분석서비스, 성과홍보 핵심지표 연계 공공서비스, 언론홍보, 논문

    ‵19년 추진계획

    • 기계학습 기반 미래잠재위험(weak signal) 탐색을 통한 현업지원 기술개발

    - 재난안전 관련 정보탐색 범위확장

    - 정책수요를 반영한 재난안전 분류체계 확대

    - 재난안전 어휘사전 및 단어 네트워크 구축

    - 잠재적 위험요인 파악을 위한 weak signal 탐색모델 개발

    - 현업지원형 뉴스분석 및 사례(피해사례, 안전부패, 안전무시관행 등) 연구

    • 문서/문장/단어 단위 재난안전정보 인식 방법론 개발

    • 기계학습 기술활용 재난안전 원인 및 피해정보 추출 기술개발

    목표

    • 국내외 뉴스, 학술정보 등 비정형 데이터 내 재난정보 탐색기술도구 R-Scanner 고도화

    • R-Scanner 활용 미래 잠재위험(weak signal) 탐색방법 개발

    • 시나리오 플래닝을 활용한 미래 트랜드 및 시나리오 개발(Future Safety Issue 발간)

    정부혁신 연계성과

    • (정부혁신) 데이터 기반 디지털 서비스 혁신(공공부분 빅데이터 분석-공공서비스 제공)

    • (사회적가치) 재난·사고로부터 안전한 환경 유지(국민안전을 위한 공공의 적극적 조치)

  • Ⅳ. ‘19년 사업추진계획 >> 41

    전략목표 미래재난 대비 현장중심 과학기술 개발 성과지표 재난안전과학기술 서비스지수

    전략과제 -1 미래재난 대비 선도기술 개발

    ② 지역특성을 고려한 액상화 위험지도 표준모델 및 대응매뉴얼 개발(2019~2023)

    목적• 액상화 대책 기초자료 제공 및 평가기법 공유를 통한 재난발생시 대응역량 수준 향상

    • 효율적 재난관리 및 정책수립 지원(액상화 재난관리시스템 확립 및 지진방재종합대책 수립)

    환경분석· 기술동향

    • 포항지진 시 포항일부지역에서 액상화 현상 국내 최초 관측, 액상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고조

    • (日) 액상화 위험지도 구축 및 지자체 담당부서 제공, 도로교시방서 등에 액상화 평가기법 제시

    (뉴질랜드) 액상화 안전율과 더불어 확률론적 액상화 위험도 평가지수법을 적용하여 평가

    관련정책• (대통령 지시사항) 지진방재대책의 종합적인 개선·보완(’17) - 한국형 액상화 대책수립 R&D추진

    • 제2차 지진방재종합계획(’19~’23),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종합계획(’18~’22)

    내역사업 제도보완형 기술개발 ’19년 예산 800,000천원 투입인력 5명

    지표Pool 평가기법 개발성과 핵심지표 연계 부처 현업화, 정책지원, 논문

    ‵19년 추진계획

    • 국내 지역환경을 고려한 액상화 평가기법 개발

    - 액상화 평가지표 도출 및 가중치 분석을 통한 평가기법(안) 개발

    - 포항시 대상 평가기법(안) 적용성 검토

    • 액상화 위험지도 구축 기반 마련

    - 지진에 의한 액상화 피해사례 분석 및 영향 분석

    - 포항지역 액상화 위험지역 선정을 위한 지반특성 DB 구축

    • 포항지역 대상 액상화 위험지도 시범구축

    - 액상화 평가 필요 지반정보 추출 및 신뢰성 확보 방안 마련

    - 포항지역 동적 특성 평가 및 액상화 위험지역 도출

    • 액상화 재난관리를 위한 중장기 프레임 제안

    - 국내 여건을 고려한 액상화 재난관리 역량 확보 방안 분석

    - 액상화 재난관리를 위한 법제도 문제점 분석 및 추진전략 도출

    목표

    • 현장 지반조사 및 현황조사를 통한 액상화 평가기법(안) 개발

    • 지진영향을 고려한 액상화 위험지도 작성기술 개발

    • 부처간 연계성을 고려한 액상화 재난관리를 위한 중장기 프레임 제안

    정부혁신 연계성과

    • (정부혁신) 성과제고와 정부신뢰를 위한 부처내 부처간 협업강화

    • (사회적가치) 지자체 재난안전관리 역량강화 지원, 재난·사고로부터 안전한 환경 유지

  • 42 >> 2019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업계획(안)

    전략목표 미래재난 대비 현장중심 과학기술 개발 성과지표 재난안전과학기술 서비스지수

    전략과제 -1 미래재난 대비 선도기술 개발

    ③ 지진해일 피해산정을 위한 한반도 전해역 침수범람 예측용 시뮬레이션 기술개발(2019~2021)

    목적•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지진해일 위험도 분석을 통해 지진해일에 대한 선재적 대응역량 확보

    • 한정된 범람 예측 지진해일 위험지역을 지진해일 위험성이 큰 동해안 전역으로 확대

    환경분석· 기술동향

    • ’11년 동일본 대지진 지진해일로 막대한 피해발생, 국내 실시간 지진해일 예측 및 피해추정기술 부재

    • (美) NASA-NOAA-USGS 협업을 통한 지진해일 예경보 체계 구축, 지진해일경보센터 설치·운영

    (日) 지진해일 방재시스템을 운영·지원, 기상청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간 지진해일 예경보 지원

    관련정책• (국정과제) 「대형 피해가 우려되는 재난에 대한 자동경보 및 예측기술 개발」

    - ‘해양지진·스나미 등 대형 해양재난 자동경보시스템 구축’

    내역사업 재난안전협업형 기술개발 ’19년 예산 600,000천원 투입인력 5명

    지표Pool 지진해일모델 개발 핵심지표 연계 공공서비스·교육, 특허, 논문, 언론홍보

    ‵19년 추진계획

    • 천해역을 진앙으로 하는 지진의 지진해일 발생 메커니즘 분석

    - 서‧남해 해저지진 유발 단층운동 유형 분류

    - 수치시뮬레이션을 위한 단층 파라미터 조사 및 평가‧확보

    • 서‧남해 지진해일 가상시나리오 상정

    - 서해/남해 지진규모에 따른 가상지진해일의 초기조건 결정

    • 초고속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지진해일 수치시뮬레이션 모델 구축

    - 동해 지형지물을 해상할 수 있는 FEM기법의 침수시뮬레이션 모델 구축 및 최적화

    - 과거(1983, 1993) 동해안에 내습한 지진해일 비교검증을 통한 신뢰성 확보

    - 최적의 시간 확보를 위한 지진해일 광역범람수치모델 분할 운영방안 평가

    • 과거지진해일 피해사례 및 역사지진연구사례 조사

    - 천해역의 단층운동*으로 인한 지진 및 지진해일 피해사례 분석

    * strike slip 등 단층운동 유형별 지진해일피해현황 조사

    - 한반도 및 주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