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GS1 Information 2

4 %BUB#BS (Q >I X - gs1kr.org Information 2_신선... · 4 "mm ddpoufout ddpqzsjhiu h'h'(4 ¡ r y Á ' ¿ d > Ý : s î ¯ q Þ v ¤ Ý Ý 8 ´ l û s 8 é Ý ÿ i Ê y Þ : É ä

  • Upload
    vohanh

  • View
    21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2014-12

GS1 Information 2

2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목 차

1. 요약 ……………………………………………………………………………………………………… 041.1. 도입이점 …………………………………………………………………………………………… 04

2. 도입 ……………………………………………………………………………………………………… 062.1. 가이드의목적및범위 ……………………………………………………………………………… 062.1.1. 목적 …………………………………………………………………………………………… 062.1.2. 범위 …………………………………………………………………………………………… 06

2.2. 가이드사용자 ……………………………………………………………………………………… 062.3. 가이드이용방법 …………………………………………………………………………………… 062.4. 신선식품의전방위판독 …………………………………………………………………………… 072.5. 핵심용어정의 ……………………………………………………………………………………… 07

3. 제조업체를 위한 도입 가이드 …………………………………………………………………… 083.1. 가변규격상품에GS1 DataBar를 도입하기위해필요한비즈니스프로세스변경사항 ………… 083.2. 제조업체준비사항체크리스트 …………………………………………………………………… 093.3. 저울라벨준비사항 ………………………………………………………………………………… 103.4. 스캐너준비사항 …………………………………………………………………………………… 113.5. 가변규격상품 ……………………………………………………………………………………… 113.5.1. 어떤바코드를사용하나? ……………………………………………………………………… 113.5.2. 계산대통과용/비통과용상품구분 …………………………………………………………… 12

3.6. 고정규격상품 ……………………………………………………………………………………… 123.6.1. 어떤바코드를사용하나? ……………………………………………………………………… 123.6.2. 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방법및변경규칙 …………………………………………………… 133.6.3. 낱개청과상품 ………………………………………………………………………………… 13

4. 유통업체를 위한 도입 가이드 …………………………………………………………………… 144.1. 비즈니스프로세스변경사항 ……………………………………………………………………… 144.2. 유통업체준비사항체크리스트 …………………………………………………………………… 154.3. POS 소프트웨어준비사항 ………………………………………………………………………… 164.4. 스캐너준비사항 …………………………………………………………………………………… 174.5. 저울라벨준비사항 ………………………………………………………………………………… 174.6. 가변규격상품 ……………………………………………………………………………………… 184.6.1. 매장내라벨부착상품 ………………………………………………………………………… 184.6.1.1. 어떤바코드를사용하나? ………………………………………………………………… 184.6.1.2. 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방법및변경규칙 ……………………………………………… 18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3

4.6.1.3. 계산대통과용/비통과용상품구분 ……………………………………………………… 194.6.2. 미리포장된 / 미리라벨이부착된상품 ……………………………………………………… 19

4.7. 고정규격상품 ……………………………………………………………………………………… 204.7.1. 어떤바코드를사용하나? ……………………………………………………………………… 204.7.2. 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방법및변경규칙 …………………………………………………… 204.7.3. 낱개청과상품 ………………………………………………………………………………… 20

5. 자동인식 장비 및 소프트웨어 업체를 위한 도입 가이드…………………………………… 215.1. 스캐너 ……………………………………………………………………………………………… 215.2. 라벨프린터 (저울기능이있는/없는프린터포함) ………………………………………………… 215.3. 유통업체및소프트웨어업체 POS 관련준비사항 ……………………………………………… 215.3.1. 응용식별자처리하기 ………………………………………………………………………… 215.3.2. 키보드로직접입력한라벨데이터처리하기 ………………………………………………… 225.3.3. 마스터데이터관계처리하기 ………………………………………………………………… 22

6. 부록 ……………………………………………………………………………………………………… 236.1. 신선식품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 …………………………………………………………… 236.2. 가변규격신선식품에자주사용되는응용식별자 ………………………………………………… 256.3. GS1 DataBar 홈페이지 URL ……………………………………………………………………… 266.4. GS1 DataBar 활용비즈니스사례 ………………………………………………………………… 266.4.1. 유통기한관리 - 계산대 (POS)에서자동판매차단…………………………………………… 266.4.2. 자동가격할인 ………………………………………………………………………………… 276.4.3. 상품리콜및이력추적 ………………………………………………………………………… 286.4.4. 상품보충 ……………………………………………………………………………………… 29

6.5. GS1 DataBar 테스트카드 ………………………………………………………………………… 30

7. 자주 묻는 질문 ……………………………………………………………………………………… 31

8. 용어정의 ……………………………………………………………………………………………… 33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4

1. 요약매년전세계식품의 25%가페기되고있다!1) 어떻게하면폐기량을줄일수있을까?

기술이 발전하고 비즈니스 환경이 다변화됨에 따라 기존 바코드에 비해 보다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바코드에 대

한수요가증가하고있다. 차세대바코드로불리는 GS1 DataBar (지에스원데이터바, 이하 GS1 DataBar로 표기)2)는

신선식품 (그리고여타) 산업에이러한새로운수요에부응하기위한해법을제시해준다.

GS1 DataBar의가장큰특징은상품식별정보와함께다양한부가정보를담을수있다는점이다. 기존 EAN/UPC 바

코드3)가 상품 식별 기능만을 갖는 것에 반해 GS1 DataBar는 부가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

기 때문에 상품 유통기한 관리, 이력추적 관리 등 다양한 응용 서비스의 창출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EAN/UPC 바

코드에비해보다많은정보를담을수있으면서보다작은크기의상품에사용할수있기때문에효용성이매우크다.

특히신선식품의경우상품카테고리 (육류, 가금류, 해산물, 델리, 유제품, 베이커리및농산물)가 매우다양하기때문

에그어느산업보다GS1 DataBar 활용범위가매우넓다.

본가이드는유통업체, 제조업체및솔루션공급업체들이GS1 DataBar를도입하는데있어필요한표준상품식별코드

(GTIN, Global Trade Item Number)4) 및 GS1 응용식별자 (AI, Application Identifier)5)를 적용하기위해필요한사항들을

기술하고있다. 특히본책자는낱개청과상품 (Loose Produce)6), 가변규격상품 (Variable Measure Trade Item)7) 및 고

정규격상품 (Fixed Measure Trade Item)8)과 같은신선식품에GS1 DataBar를 도입하는데있어필요한유통업체 POS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 변경사항에 대한 해법을 제시해 주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본 가이드의 모든 내용은‘GS1

표준규칙 (GS1 General Specifications)’9) 문서의신선식품표준규칙부문내용을준수한다.

1.1. 도입 이점

신선식품에GS1 DataBar를도입함으로써발생하는이점은다음과같다:

■기존의내부관리자코드 (RCN, Restricted Circulation Number)10)로부터표준상품식별코드로사용변경을가능하게

함 (예: 내부관리자코드는개별기업내부적으로만사용하는것이기때문에거래하는제조업체와유통업체간코드

사용규칙에대한사전약속이필요함, 그러나표준상품식별코드는전세계어디서나표준화된방식으로사용하는

표준코드이기때문에이러한문제가해소됨)

■카테고리관리 (Category Management) 향상 (예: 재고관리향상, 감손 (Shrinkage) 감소)

■ POS에서이력추적을가능하게함

■POS에서유통기한관리를가능하게함

■POS에서차등가격할인 (Markdown) 관리를가능하게함

1) 출처: 2010 IBM commercial - Tracking Food through the Supply Chain2) 보다자세한사항은본가이드‘7. 자주묻는질문’내용참고3)~8) 보다자세한사항은본가이드‘8. 용어정의’내용참고9) GS1 표준 및 사용방법을 정의한 문서로 보다 자세한 사항은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www.gs1kr.org)에 문의하기 바란다. (GS1에 관한 보다 자세한사항은본가이드‘8. 용어정의’내용참고)

10) 보다자세한사항은본가이드‘8. 용어정의’내용참고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매대에서 상품 품질검사 기능을 향상시킴 (예: 유통기한 정보를 바코드에 담을 경우 기존에 매대에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유통기한관리를POS 시스템을활용하여자동화할수있음)

■상품보충 (Product Replenishment) 향상및재고품절 (Out Of Stocks) 감소

■ POS에서가격조회정확도 (Pricing Accuracy) 향상 (예: 유기농對비유기농)

■ POS에서표준쿠폰사용을가능하게함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5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6

2. 도입2.1. 가이드의 목적 및 범위

2.1.1 목적본 가이드는 가변규격상품, 고정규격상품, 낱개 청과상품에 GS1 DataBar를 도입하는데 있어 필요한 표준상품식별코드

그리고/혹은부가정보를입력하고해독하는데필요한비즈니스프로세스변경사항에대해기술하고있다.

2.1.2. 범위본가이드는유통업체와제조업체들이GS1 DataBar를도입하는데있어필요한사항들에대해서술하고있다. 향후기술

할내용은다음의사항을이행하기위해필요한것들이다:

■ 02, 20-29와 같은 가변규격상품용 식별자 (prefix)를 이용하는 기존의 내부관리자코드로부터 표준상품식별코드와 부

가정보 (GS1 응용식별자활용)를사용하는것으로변경하는것

■기존의고정규격신선식품에GS1 응용식별자를적용하는것

주: 만일제조업체가고정규격상품에부가정보 - 가령, 중량, 가격, 유통기한혹은배치번호 - 를 넣기를원하면, GS1 DataBar 확장

형 (GS1 DataBar Expanded)11) 혹은확장적층형 (GS1 DataBar Expanded Stacked)12) 심벌을사용하면된다. 이들바코드는라

벨스티커 (on-demand) 혹은직접인쇄 (in-line) 방식으로사용할수있다.

■낱개청과상품에바코드를부착하고식별하는것

2.2. 가이드 사용자

본 가이드는 유통업체, 제조업체 및 솔루션 공급업체들이 신선식품에 표준상품식별코드, GS1 응용식별자, GS1

DataBar 및 EAN/UPC를도입함으로써발생하는비즈니스기회, 비즈니스프로세스변경사항, 그리고기타요구사항

에대한이해를돕고자제작된것이다.

2.3. 가이드 이용방법

신규사용자 :

만일 GS1 DataBar나 GS1 표준을 처음 접하는 기업이라면, 먼저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www.gs1kr.org)

에문의하기바란다.

제조업체 :

표준상품식별코드, GS1 응용식별자및GS1 DataBar를도입하는데있어필요한비즈니스프로세스변경사항에관한

사항은본가이드‘제3장’을참고하기바란다.

11)~12) 보다자세한사항은본가이드‘8. 용어정의’내용참고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7

유통업체 :

표준상품식별코드, GS1 응용식별자 및 GS1 DataBar를 도입하는 데 있어 필요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변경사항에 관

한사항은본가이드‘제4장’을참고하기바란다.

자동인식장비및소프트웨어업체 :

표준상품식별코드, GS1 응용식별자 및 GS1 DataBar를 도입하는 데 있어 필요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변경사항에 관

한사항은본가이드‘제5장’을참고하기바란다.

2.4. 신선식품의 전방위 판독

<그림 2-1>신선식품에사용되는GS1 DataBar 심벌들

주: 위의예시에는육안판독용문자 (HRI, Human Readable Interpretation)15)가 표시되어있지않다.

2.5. 핵심 용어정의

■고정규격상품 - 미리정해진규격 (예: 형태, 크기, 중량, 내용물, 디자인)에 따라생산되는상품 (일반적인공산품을

지칭)

■낱개청과상품 - 박스나케이스에담긴상태로매장에입고되어낱개혹은개별포장하여판매되는청과상품

■가변규격상품 - 미리정해진규격 (예: 형태, 크기, 중량, 내용물, 디자인) 없이거래되는상품

GS1 DataBar 전방위형13)

GTIN만사용가능 GS1 DataBar 적층전방위형14)

GTIN만사용가능

GS1 DataBar 확장적층형

GTIN+AI's (부가정보)

GS1 DataBar 확장형GTIN+AI's (부가정보)

13)~15) 보다자세한사항은본가이드‘8. 용어정의’내용참고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8

3. 제조업체를 위한 도입 가이드

3.1. 가변규격상품에 GS1 DataBar를 도입하기 위해 필요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변경사항

오늘날 POS에서 상품을 인식하고 라벨을 부착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업계는 점차 내부관리자코드로부터 표준

상품식별코드와 부가정보 (예: 중량, 가격, 유통기한 혹은 배치번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내부관리자코

드를 대체하는 표준상품식별코드와 부가정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2014년 1월부터 공개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GS1 DataBar 심벌이필요하다.

표준상품식별코드를 사용하면 개별 브랜드 소유자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표준상품식별코드를 사용하면

GS1 로벌 데이터 동기화 (GDS, Global Data Synchronization)16) 표준과 GDS 네트워크 (GDS Network)17)를 이용할

수 있어 전 세계 상품의 마스터 데이터 (Master Data)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혜택으로 제조업체들은 기존의 내

부관리자코드로부터표준상품식별코드로사용변경을더욱촉진할것이다.

표준상품식별코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www.gs1kr.org)에 회원가입을 하고 국가

코드및업체코드 (GS1 Company Prefix)를 부여받아야한다.18)

16) GDS (Global Data Synchronization): 로벌 데이터 동기화. 공급체인에 참여하는 거래 기업 간에 교환되는 정보를 동일한 데이터 표준 (Common DataStandards)을 사용하여동기화 (harmonization)하는 것을말한다. 모든기업들이동일한정보형식을사용하여온라인-오프라인거래를함으로써거래비용을낮추는것을목적으로한다. 이것을완성하기위해서는다음과같은작업들이선행되어야한다:소비자판매상품및물류단위에표준상품식별코드 (GTIN) 보급모든거래당사자가로케이션코드 (GLN) 사용상품분류체계 (Classification) 확립거래정보의정확한형식을정의한기술서 (GDAS)교환또는저장소에입력되는정보의신뢰성을확보하기위한정보인증시스템국가단위또는지역단위의데이터풀 (Data Pool) 구축데이터풀 (Data Pool)을 연계하여전지구적단위의정보검색을가능케하는 로벌정보중계소 (Registry)

17) GDSN (Global Data Synchronization Network): 로벌 데이터동기화네트워크. 전 세계표준데이터풀간의 로벌연계를통하여유통, 제조업체간의국경을초월한상품정보와거래처정보의교환을가능케하는네트워크서비스로서GS1과 GCI가공동으로추진하고있다.

18) 보다자세한사항은대한상공회의소유통물류진흥원 (www.gs1kr.org)에문의하기바란다.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9

주: 위에제시한샘플들은실제크기가아니며예시용이다. 각심벌표준에관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5장을참고하기바란다.

3.2. 제조업체 준비사항 체크리스트

상품 정보1. 표준상품식별코드관리

a. 귀사의주문처리시스템은표준상품식별코드를처리할수있는가?

b. 귀사는 표준상품식별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www.gs1kr.org)에 회원가입을 하고

국가코드와업체코드 (GS1 Company Prefix)를 부여받았는가?

2. 귀사가향후입력/생성하고자하는부가정보에해당하는GS1 응용식별자가모두있는가?

주문 처리1. 귀사의주문처리시스템은GS1 응용식별자를이용한부가정보를처리할수있는가?

2. 기존 북미에서 사용하는 02 지시자 (Code Set 2) 혹은 20-29 지시자로부터 표준상품식별코드와 GS1 응용식별자

를이용한부가정보를사용하는것으로변경시귀사의주문처리시스템은이를처리할수있는가?

일정 수립1. 기존에는대부분의제조업체들이 02, 20-29 지시자로시작하는내부관리자코드를사용할경우, 코드에담을수있

는정보 (품목번호, 가격체크번호및가격, 포장용기중량)와라벨기입내용 (FSP19), 지역별규정사항및소비자에

게 요구되는 사항)이 다양하기 때문에 주문에 따른 생산 계획을 세웠다. 향후 GS1 DataBar를 도입할 경우 귀사는

이에대비한일정수립을검토해보았는가?

2. 귀사는효과적으로일정을수립하 는가?

3. 고객사별로 GS1 DataBar를 도입하는 시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EAN/UPC와 GS1 DataBar를 이중으로 사용해

야하는경우가발생할수있다. 이에대비한계획을가지고있는가?

19) FSP (Frequent Shopper Program): 고객의이용빈도나구매금액을파악해그에대응한특전을제공하는전략

현재 02/20-29의지시자 (prefix)를사용한내부관리자코드가인쇄된라벨

<그림 3-1>

미래 GS1 DataBar가인쇄된라벨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1 0

저울 시스템1. 귀사의저울시스템은GS1 DataBar 확장형심벌을인쇄할수있는가?

2. 귀사의모든소비자단위의거래상품에표준상품식별코드를부여하라.

3. 어떠한응용식별자를사용할것인지를결정하라.

4. GS1 DataBar (바코드심벌및육안판독용문자)의크기를결정하라.

5. GS1 DataBar 도입에따른새로운라벨의레이아웃을결정하라.

6. 라벨원료 (Label Stock) 혹은포장변경이필요한지여부를결정하라.

7. 저울이새로운데이터를처리할수있는지저울의소프트웨어처리능력을판단하라.

a. 저울이표준상품식별코드를처리할수있는가?

b. 저울이응용식별자와부가정보를처리할수있는가?

8. 소비자를위해반드시처리가필요한데이터를결정하라.

9. 스캐너는GS1 DataBar 심벌을판독할수있는가?

10. 귀사는 GS1 DataBar 도입 계획을 수립하 는가? 그리고 귀사의 저울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계획을 실행시킬 수

있는데이터처리능력을갖추고있는가?

물류 이슈와 상류 프로세스 (Upstream Processes): 내부관리자코드로부터 표준상품식별코드와 응용식별자를 이용한 부가정보를 사용하는 것으로의 변경1. 내부관리자코드로부터표준상품식별코드로사용변경시이러한변화가귀사의현재시스템어플리케이션과프로

세스에얼마만큼의 향을미칠수있는지를고려해야한다.

기존의 내부관리자코드를 사용하던 것과 달리 GS1 DataBar 확장형과 확장 적층형을 사용하게 될 경우 현재의 어

플리케이션을변경할필요가있다.

2. 귀사는변경계획을수립하 는가, 그리고귀사의저장, 물류시스템은이러한계획을뒷받침할수있는가?

3.3. 저울 라벨 준비사항

저울 라벨 준비사항 점검 시, 귀사가 필요로 하는 응용식별자가 모두 있는지 혹은 귀사의 소프트웨어에 이를 적용할

수있는지를먼저확인하라.

주: 가변규격신선식품에자주사용되는응용식별자목록을알고싶으면본가이드부록제6.3장내용을참고하라.

입력하고자 하는 부가정보가 ERP 시스템과 저울 간에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필요하다면 기존 시스템을

업데이트해야 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EAN/UPC와 GS1 DataBar 확장형 심벌 모두를 표준에 따라 인쇄할 수 있어야

한다.

주: GS1 DataBar 확장형과확장적층형심벌표준에관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5장표1을참고하라.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1 1

아울러GS1 DataBar 확장형과확장적층형심벌도입에따른라벨원료 (크기및코팅여부) 혹은상품포장변경여부

를결정해야한다.

주: 가변규격신선식품에자주사용되는부가정보를알고싶으면‘GS1 표준규칙’제2장을참고하라.

주: 라벨에육안판독용문자를표기하는방법에관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4장을참고하라.

3.4. 스캐너 준비사항

스캐너는반드시 GS1 DataBar 확장형, 확장 적층형, 전방위형및 적층 전방위형심벌 모두를판독할수 있어야하고

관련기능을지원할수있어야한다.

3.5. 가변규격상품

3.5.1. 어떤 바코드를 사용하나?가변규격상품의 경우 기존에는 내부관리자코드를 입력한 EAN/UPC 심벌을 사용하고 있다. 가변/고정규격상품에 표

준상품식별코드와부가정보를사용하기위해서는GS1 DataBar 확장형혹은확장적층형심벌을사용해야한다.

주: 위의샘플들은실제크기가아니며예시용이다. 심벌표준에관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5장표 1을참고하라.

내부관리자코드가입력된 EAN/UPC

<그림 3-2>

부가정보가입력된GS1 DataBar 확장적층형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1 2

내부관리자코드로부터 표준상품식별코드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제조업체는 관련 비즈니스 프로세스 변경과 함께 소

매 단위로 판매되는 모든 상품에 단품별로 표준상품식별코드를 부여해야 한다. 표준상품식별코드 부여 시 제조업체

는다음의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을준수해야한다:

■신선식품상품포장, 패키지구성변경시이를 POS 시스템에서기존의상품과다른새로운상품으로인식하게하

고싶으면, 새로운상품에는기존상품과다른새로운표준상품식별코드를부여해야한다.

주: 신선식품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에관한보다자세한사항은본가이드부록제6.1장을참고하라.

표준상품식별코드를GS1 DataBar에 14자리형태로입력하는방법

GTIN-13

GTIN-12

GCP (GS1 Company Prefix number): 국가코드 및 업체코드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www.gs1kr.org)이

부여함)

IR (Item Reference number): 상품코드 (업체가임의로부여)

CD (Check Digit)20): 검증번호 (계산방법은대한상공회의소유통물류진흥원홈페이지 (www.gs1kr.org) 참고)

3.5.2. 계산대 통과용/비 통과용 상품 구분상품의 생산지 및 생산자와 관계없이 브랜드의 소유자가 일차적으로 표준상품식별코드를 부여하는 책임을 가진다.

브랜드소유자는 GS1의 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과거래협약에따라상품별로코드를부여하고이에따라상품

을 식별하고 재고 관리를 한다. 그렇다고 브랜드 소유자가 계산대 통과용 혹은 비 통과용으로 구분한 상품을 여타의

거래 당사자들이 임의로 변경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GS1 표준 규칙에 벗어나는 예외적인 사항들은

거래당사자간의협약에의해변경할수있다.

3.6. 고정규격상품

3.6.1. 어떤 바코드를 사용하나?만일제조업체가자사상품바코드에유통기한혹은배치번호와같은부가정보를넣기를원하면, GS1 DataBar 확장

형혹은확장적층형심벌을사용해야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0 GCP GCP GCP GCP GCP GCP GCP/IR GCP/IR GCP/IR GCP/IR GCP/IR IR C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0 0 GCP GCP GCP GCP GCP GCP GCP/IR GCP/IR GCP/IR IR IR CD

20) 표준상품식별코드가전산상에서올바르게입력이되었는지확인하는기능을함, 국가코드, 업체코드, 상품코드를대입하는특정공식에따라계산하여결정됨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1 3

만일 부가정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라면 포장지에 인쇄 공간이 충분한 경우 EAN/UPC 바코드를 사용하고 인쇄 공

간이충분하지않으면소형상품에적합한 GS1 DataBar 전방위형혹은적층전방위형 (이들 바코드는표준상품식별

코드만을입력할수있음)을사용해야한다.

3.6.2. 표준상품식별코드 부여 방법 및 변경 규칙브랜드소유자는일차적으로상품에표준상품식별코드를부여할책임이있다. 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시다음의표준

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을준수해야한다:

■신선식품상품포장, 패키지구성변경시이를 POS 시스템에서기존의상품과다른새로운상품으로인식하게하

고싶으면, 새로운상품에는기존상품과다른새로운표준상품식별코드를부여해야한다.

주: 신선식품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에관한보다자세한사항은본가이드부록제6.1장을참고하라.

3.6.3.낱개 청과상품낱개청과상품은표준상품식별코드로식별한다. 이들 신선식품은유통업체임의대로고정규격혹은 가변규격상품으

로가공할수있다.

주: 고정규격상품인경우 - ‘GS1 표준규칙’제2장‘Loose Produce Trade Items Scanned at Point-of-Sale’부분을참고하라.

주: 가변규격상품인 경우 - ‘GS1 표준 규칙’제2장‘Variable Measure Fresh Food Trade Items Scanned at Point-of-Sale Using

GTIN' 부분을참고하라.

낱개청과상품의경우GS1 DataBar 적층전방위형 (표준상품식별코드만을입력할수있음)을사용할수있다.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1 4

4. 유통업체를 위한 도입 가이드4.1. 비즈니스 프로세스 변경사항

오늘날신선식품의식별, 라벨부착, 판매및데이터인식방법이변화하고있다. 산업계는점차기존의내부관리자코

드로부터표준상품식별코드및부가정보 (예: 중량, 가격, 유통기한혹은배치번호)를사용하는것으로변화하고있다.

내부관리자코드를 대체하는 표준상품식별코드와 부가정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2014년 1월부터 공개 표준으로 도

입된GS1 DataBar 심벌이필요하다.

유통업체가 GS1 DataBar를 사용하기위해서는 POS 시스템이표준상품식별코드와부가정보를처리할수있어야한

다. 이것은현재의내부관리자코드를사용하는것과비교해볼때엄청난변화이다. 가령, 유통기한이지난상품이소

비자에게 판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소비기한 혹은 유통기한과 같은 부가정보를 GS1 DataBar에 입력할 경우,

스캐너는GS1 DataBar에입력된이들정보를모두처리할수있어야한다.

주: 이에관한보다자세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7장을참고하라.

비즈니스프로세스변경사항은다음장에서자세히설명할것이다.

GS1 DataBar 바코드가 어떻게 생겼는지 다음 예시를 보라. 그림 4-1은 현재 사용되는 라벨이며, 그림 4-2는 새로운

바코드인GS1 DataBar 심벌을사용한라벨이다. 현재사용중인가변규격상품에부착하는라벨은내부관리자코드를

사용하고있으며, 향후사용될새로운라벨은표준상품식별코드와부가정보를사용하고있다.

<그림 4-1> 02/20-29 지시자를사용하는 EAN/UPC 심벌이인쇄된현재의라벨

주: 위에 제시한 샘플들은 실제 크기가 아닌 예시용이다. 각 심벌 표준에 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GS1 표준 규칙’제5장 표1을

참고하라.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1 5

<그림 4-2>향후사용될표준상품식별코드와부가정보가입력된GS1 DataBar 확장적층형이인쇄된라벨

주: 위에 제시한 샘플들은 실제 크기가 아닌 예시용이다. 각 심벌 표준에 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GS1 표준 규칙’제5장 표1을

참고하라.

4.2. 유통업체 준비사항 체크리스트

1. 스캐너 기기는 GS1 DataBar와 응용식별자를 처리할 수 있는 기종인가? 그리고 이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정이되어있는가? (여기서스캐너기기는 POS 레인 (Lanes), 셀프체크아웃, 셀프스캔, POS 레인/매장/매장창

고의핸드헬드 (Hand-Held) 기기를포함한다.)

2. POS 소프트웨어는 GS1 DataBar 정보 (가령, GS1 응용식별자를활용하여유통업체가 구현하고자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처리할 수 있는가? (POS 소프트웨어는 계산대 레인 (Cashier Lanes), 무인 레인 (Unattended Lanes) (셀프

체크아웃, 셀프스캔및홈쇼핑어플리케이션)을포함한다.) POS 시스템은다수의응용식별자를수용할수있는능

력을가지고있어야하고그중에서원하는정보만을선별적으로처리할수있어야한다.

3. POS 트랜잭션로그 (Transaction Log)시스템은유통기한, 중량, 배치번호등의부가정보를처리할수있는가?

4. 호스트시스템소프트웨어 (Host Systems Software)/마스터데이터 (Master Data)는모든형태의표준상품식별

코드를처리할수있는가?

5. 저울/라벨소프트웨어는모든형태의표준상품식별코드와응용식별자를처리할수있는가?

6. GS1 DataBar를도입하고자하는모든상품의표준상품식별코드가POS 시스템에등록되어있는가?

7. 가격조회, 상품입고, 재고기록/확인을위한하드웨어와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이표준상품식별코드와응용식

별자를인식하고처리할수있는가?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1 6

8. POS 어플리케이션은 육안판독용문자에 있는 응용식별자를 키보드로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즉, 스캐너가바코드를판독하지못하는상황이발생할경우를대비, 계산대직원과셀프스캐닝을하는고객

들을위해키보드로바코드정보를직접입력할수있도록하는것과같은즉각적인대응책을마련해놓아야한다.

라벨에육안판독용문자를표기하는것에관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4장을참고하라.

9. GS1 DataBar를 도입할 수 있는/도입하기를 원하는 신선식품 상품 유형 목록을 작성해보라 - 그리고 이들 상품이

어떻게공급되고판매되는지를확인하라:

a. 공급업체가소비자판매용으로미리포장한상품으로라벨을미리부착하고가격을표시한상품

b. 공급업체가소비자판매용으로미리라벨을부착한상품으로가격을표시한상품

c. 공급업체가미리포장한상품으로라벨은부착하 지만가격을표시하지않은상품

d. 공급업체가미리포장한상품으로라벨도부착하지않고가격도표시하지않은상품

e. 매장내에서‘중량단위로포장하여라벨을부착’한상품 (매장내에서미리포장됨)

f. 매장내계산대에서포장되는상품 (계산대저울을통해)

g. 낱개청과상품

10. 상기 상품유형별로 GS1 DataBar 도입을통해달성하고자하는비즈니스목적을정의하라. (이 목적이정의되면

GS1 DataBar에입력할데이터가결정된다.)

a. POS에서낱개청과상품을정확히식별한다. (이를위해서는표준상품식별코드를입력한다.)

b. 정상가격및할인가격으로판매되는개별단품의수량혹은중량을각각식별한다. (이를위해서는포장중량정보

와소비자판매용포장에입력되는가격정보모두의입력이필요할수있다.)

c. 계산대에서유통기한이지난상품의판매를중단한다. (이를위해서는표준상품식별코드외유통기한혹은소비기

한을입력한다.)

d. 소비자 안전을 위해 리콜을 하거나/상품 판매를 중지한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 판매용 포장에 표준상품식별코

드외배치번호혹은로트번호를입력한다.)

11. 각상품유형별로구현하고자하는비즈니스모델의전체프로세스 (end-to-end process)를구성해보라:

a. 데이터가어디에서오는지전체공급망에서어떻게움직이는지그리고그것이매장혹은본사시스템에서어떻게

사용되는지를명확히해라.

b. 이것을토대로공급망과솔루션공급업체모두에게필요한요구조건을정의하라.

c. 이것은 - 비즈니스이익을측정하는것과함께 - 각각의비즈니스사례에정당성을부여하는데도움이된다.

4.3. POS 소프트웨어 준비사항

POS 소프트웨어는 응용식별자 정보 (예: 유통기한, 중량 등)을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현재의 내부

관리자코드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해 볼 때 큰 변화를 요하는 사항이다. POS 소프트웨어는 부가정보를 다룰 수 있어

야하며필요한정보만을선별하여처리할수있어야한다.

주: POS 소프트웨어준비사항에관한보다자세한사항은본가이드제5.3장을참고하라.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1 7

또한 POS 거래 로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후방 (Back-End) 소프트웨어 솔루션도 표준상품식별코드와 (업체의 필요사

항에따라입력된) 부가정보를처리할수있어야하며, 필요한정보만을선별하여처리할수있어야한다.

한편, POS 소프트웨어는 GS1 DataBar를 스캐너로 판독할 수 없을 경우를 대비, 키보드로 코드를 직접 입력하는 것

과같은데이터의직접입력방식을통해데이터를처리할수있도록해야한다. 이때, 표준상품식별코드외에부가정

보를 직접 입력하는 절차도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최종 계산원에게 표준상품식별코드와 부가정보의 육안판

독용문자를키보드로직접입력하는방법에대한교육이필요하다.

주: 육안판독용문자에관한보다자세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4장을참고하라.

GS1 DataBar를도입하게되면표준상품식별코드와내부관리자코드둘중하나를사용해야하기때문에기존의상품

관리시스템솔루션은이둘중하나혹은둘모두를지원할수있어야한다. 가변규격상품공급업체로부터상품을납

품 받을 때, 육안판독용문자 라벨 정보 뿐 아니라 GS1 DataBar 확장형 심벌에 입력되는 최소한의 필요 정보 (표준상

품식별코드+가변수량/거래규격)을제공받아야한다.

주: 가변규격신선식품에자주사용하는부가정보에관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2장을참고하라.

이에관한보다자세한사항은대한상공회의소유통물류진흥원 (www.gs1kr.org)에문의하기바란다.

4.4. 스캐너 준비사항

전방위형및핸드헬드스캐너는 GS1 DataBar 확장형, 확장적층형, 전방위형, 그리고적층전방위형심벌을모두판

독할수있어야한다. 2001년이후출시된기종은대부분GS1 DataBar를 판독할수있지만, 당시 GS1 DataBar가 사

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은 보통 매장에 판독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스캐너 제작 연도

에 따라 펌웨어 업그레이드 (Firmware Upgrade) 혹은 칩 셋 변경 (Chip Set Exchange) 등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귀사의스캐너가 GS1 DataBar를 판독할수있는지여부를파악하라. 스캐너가 GS1 DataBar 판독 기능을갖추

도록하기위해서필요하다면장비공급업체에문의하라.

GS1 DataBar 테스트카드를통해당사의스캐너상태를테스트할수있다. 본가이드부록에테스트카드예시가수록

되어있다. 실제테스트카드를사용하고싶으면대한상공회의소유통물류진흥원 (www.gs1kr.org)에문의하기바란다.

4.5. 저울 라벨 준비사항

저울라벨준비사항점검시, 귀사가필요로하는 GS1 응용식별자가모두있는지혹은귀사의소프트웨어에이를적

용할수있는지를먼저확인하라.

주: 가변규격신선식품에자주사용되는응용식별자목록을알고싶으면본가이드부록제6.3장내용을참고하라.

GS1 DataBar에 입력하고자하는부가정보가 ERP 시스템과저울간에상호연동될수있도록해야하며필요하다면

기존 시스템을 업데이트해야 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EAN/UPC와 GS1 DataBar 확장형 심벌 모두를 표준에 따라 인

쇄할수있어야한다.

주: GS1 DataBar 확장형과확장적층형심벌표준에관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5장표1을참고하라.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1 8

아울러 GS1 DataBar 확장형과확장적층형심벌도입에따른라벨원료 (크기와코팅여부) 혹은상품포장변경여부

를결정해야한다.

주: 가변규격신선식품에자주사용되는부가정보를알고싶으면‘GS1 표준규칙’제2장을참고하라.

주: 라벨에육안판독용문자를표기하는방법에관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4장을참고하라.

4.6. 가변규격상품

4.6.1. 매장 내 라벨 부착 상품4.6.1.1. 어떤 바코드를 사용하나?

바코드에내부관리자코드를입력하기를원하면 EAN/UPC 바코드를사용하고, 표준상품식별코드와부가정보를입력

하기를 원하면 GS1 DataBar를 사용하면 된다. 이를 위해 저울 프린터는 EAN/UPC와 GS1 DataBar 바코드 모두를

인쇄할수있어야한다. 또한저울프린터소프트웨어는GS1 응용식별자를처리할수있어야한다.

주: 위의샘플들은실제크기가아니며예시용이다. 심벌표준에관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5장표1을참고하라.

4.6.1.2. 표준상품식별코드 부여 방법 및 변경 규칙브랜드소유자는일차적으로상품에표준상품식별코드를부여할책임이있다. 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시다음의표준

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을준수해야한다:

■신선식품상품포장, 패키지구성변경시이를 POS 시스템에서기존의상품과다른새로운상품으로인식하게하

고싶으면, 새로운상품에는기존상품과다른새로운표준상품식별코드를부여해야한다.

주: 신선식품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에관한보다자세한사항은본가이드부록제6.1장을참고하라.

내부관리자코드가입력된 EAN/UPC

<그림 4-3>

부가정보가입력된GS1 DataBar 확장적층형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1 9

표준상품식별코드를GS1 DataBar에 14자리형태로입력하는방법

GTIN-13

GTIN-12

GCP (GS1 Company Prefix number): 국가코드 및 업체코드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www.gs1kr.org)이

부여함)

IR (Item Reference number): 상품코드 (업체가임의로부여)

CD (Check Digit): 검증번호 (계산방법은대한상공회의소유통물류진흥원홈페이지 (www.gs1kr.org) 참고)

4.6.1.3. 계산대 통과용/비 통과용 상품 구분상품의 생산지 및 생산자와 관계없이 브랜드의 소유자가 일차적으로 표준상품식별코드를 부여하는 책임을 가진다.

브랜드소유자는 GS1의 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과거래협약에따라상품별로코드를부여하고이에따라상품

을 식별하고 재고를 관리한다. 그렇다고 브랜드 소유자가 계산대 통과용 혹은 비 통과용으로 구분한 상품을 여타의

거래 당사자들이 임의로 변경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GS1 표준 규칙에 벗어나는 예외적인 사항들은

거래당사자간의협약에의해변경할수있다.

4.6.2. 미리 포장된/미리 라벨이 부착된 상품내부관리자코드가입력된 EAN/UPC 바코드를 계속 사용한다 하더라도 GS1 DataBar 심벌을 판독할수 있도록미리

준비해놓는것이필요하다. 가변규격상품에사용하는 GS1 DataBar 확장형심벌에는표준상품식별코드와부가정보

를입력할수있다.

귀사가GS1 DataBar를도입할준비 (소프트웨어및하드웨어)가되어있다면, 공급업체에게귀사가필요로하는사항

을 준비할 수 있도록 미리 알려주어야 한다. 응용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상품이 매장 내 입

고되기 전 공급업체로부터 샘플 라벨을 미리 받아서 테스트 해보아야 한다. 공급업체가 미리 포장/라벨을 부착하여

귀사에납품하는상품에대해서는해당공급업체가자사상품군별로표준상품식별코드를부여할책임이있다.

주: 신선식품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에관한사항은본가이드부록제6.1장을참고하라.

주: 신선식품응용표준에관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2장을참고하라.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0 GCP GCP GCP GCP GCP GCP GCP/IR GCP/IR GCP/IR GCP/IR GCP/IR IR C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0 0 GCP GCP GCP GCP GCP GCP GCP/IR GCP/IR GCP/IR IR IR CD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2 0

4.7. 고정규격상품

4.7.1. 어떤 바코드를 사용하나?만일제조업체가바코드에유통기한혹은배치번호와같은부가정보를넣기를원하면, GS1 DataBar 확장형혹은확

장적층형심벌을사용해야한다.

만일 부가정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라면 포장지에 인쇄 공간이 충분한 경우 EAN/UPC 바코드를 사용하고 인쇄 공

간이충분하지않으면소형상품에적합한 GS1 DataBar 전방위형혹은적층전방위형 (이들 바코드는표준상품식별

코드만을입력할수있음)을사용해야한다.

4.7.2. 표준상품식별코드 부여 방법 및 변경 규칙브랜드소유자는일차적으로상품에표준상품식별코드를부여할책임이있다. 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시다음의표준

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을준수해야한다:

■신선식품상품포장, 패키지구성변경시이를 POS 시스템에서기존의상품과다른새로운상품으로인식하게하

고싶으면, 새로운상품에는기존상품과다른새로운표준상품식별코드를부여해야한다.

주: 신선식품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에관한보다자세한사항은본가이드부록제6.1장을참고하라.

4.7.3. 낱개 청과상품낱개 청과상품은표준상품식별코드로식별한다. 이들 신선식품은유통업체임의대로고정규격혹은가변규격상품으

로가공할수있다.

주: 고정규격상품인경우 - ‘GS1 표준규칙’제2장‘Loose Produce Trade Items Scanned at Point-of-Sale’부분을참고하라.

주: 가변규격상품인 경우 - ‘GS1 표준 규칙’제2장‘Variable Measure Fresh Food Trade Items Scanned at Point-of-Sale Using

GTIN' 부분을참고하라.

낱개청과상품의경우GS1 DataBar 적층전방위형 (표준상품식별코드만을입력할수있음)을사용해야한다.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2 1

5. 자동인식 장비 및 소프트웨어 업체를 위한 도입 가이드5.1. 스캐너

스캐너는 GS1 DataBar 확장형, 확장 적층형, 전방위형, 적층 전방위형 심벌을 모두 판독할 수 있어야 하며, GS1

DataBar 심벌과 EAN/UPC 심벌을구별할수있어야한다.

5.2. 라벨 프린터 (저울 기능이 있는/없는 프린터 포함)

GS1 DataBar를 도입하기위해서라벨프린터는모든응용식별자를인쇄할수있어야한다. 모두인쇄하는것이힘들

경우최소한신선식품에자주사용되는응용식별자는인쇄할수있어야한다.

주: 가변규격신선식품에자주사용되는응용식별자목록을알고싶으면본가이드부록제6.2장을참고하라.

응용식별자는 크게 고정길이 데이터와 가변길이 데이터로 나뉜다. 응용식별자 전체 목록과 각 응용식별자별 데이터

길이에관한보다자세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3장을참고하기바란다.

주: 가변규격신선식품에자주사용되는부가정보를알고싶으면‘GS1 표준규칙’제2장을참고하라.

주: 육안판독용문자라벨정보에관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4장을참고하라.

5.3. 유통업체 및 소프트웨어 업체 POS 관련 준비사항

5.3.1. 응용식별자 처리하기GS1 DataBar 확장형혹은확장적층형심벌에입력된일부혹은모든응용식별자를처리하기위해서는:

■스캐너는 업체가 필요로 하는 모든 응용식별자를 판독할 수 있어야 하며 POS 응용 소프트웨어에 이들 정보를 전

달할 수 있어야 한다. 유통업체는 시스템 설계 시 그들이 원하는 응용식별자만을 응용 소프트웨어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해야한다.

가령, A라는 유통업체가 필요로 하는 정보가 표준상품식별코드와 유통기한 정보라고 가정해 보자. 그러나 이 유통업

체에 상품을 납품하는 업체는 복수의 업체이기 때문에 각 사별로 바코드에 입력한 정보의 종류와 입력 순서가 서로

다를수있다. 예를들어, B라는제조업체는자사상품바코드에유통기한정보를네번째위치에입력할수있고, C라

는 제조업체는 다섯 번째 위치에 입력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A 유통업체의 POS 시스템은 제조사별로 자사가

원하는정보 (표준상품식별코드와유통기한)만을골라내고이외불필요한정보는걸러낼수있어야한다.

■ POS 어플리케이션은바코드에입력된정보뿐아니라스캐너가판독한바코드가어떤종류의바코드인지를인식

할수있어야한다.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2 2

주:

■응용식별자별데이터길이는서로다르다.

■데이터는고정혹은가변길이를갖는다.

■소프트웨어솔루션은응용식별자최신표준에기반해야한다.

■솔루션공급업체는각소프트웨어의유지보수주기에맞추어응용식별자표준을업데이트해야한다.

주: 응용식별자목록, 각응용식별자별데이터길이및데이터제목에관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3장을참고하라.

5.3.2. 키보드로 직접 입력한 라벨 데이터 처리하기스캐너가 GS1 DataBar를 판독하지못할경우를대비, 키보드로코드정보를직접입력하여 POS 소프트웨어가데이

터를처리할수있도록해야한다.

정보의 직접 입력 시 고려사항:

■계산원이 표준상품식별코드와 부가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결정해라. 가령, 계산원이 유통기한 같은 특정 정보만

을처리하게할것인지, 혹은모든부가정보를처리하게할것인지를결정하라.

■계산원이 부가정보의 위치를 빨리 찾아낼 수 있는 방법 - 육안판독용문자를 사용하거나 혹은 라벨에 텍스트로 표

시 - 을결정하라.

■유통업체에따라직접입력하는정보의종류는다를수있다.

주: 육안판독용문자에관한보다자세한사항은‘GS1 표준규칙’제4장을참고하라.

5.3.3. 마스터 데이터 관계 처리하기GS1 DataBar를 도입하게되면기존상품마스터데이터와의연계를고려해야한다. 따라서상품관리시스템솔루션

은표준상품식별코드나내부관리자코드혹은이둘모두를지원할수있어야한다.

이것은다음의 역에 향을미칠수있다:

■재고처리소프트웨어

■상품검색시스템 (Product Look Up) 운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2 3

6. 부록6.1. 신선식품 표준상품식별코드 부여 규칙

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에관한최신내용은다음사이트를참고하라.

http://www.gs1.org/1/gtinrules/index.php/p=home

주: 다음의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은 로벌표준이다. 그러나지역별로규정이다르거나법적요구조건이다르면예외가발

생할수있다.

1. 신선식품상품포장, 패키지구성변경시이를 POS 시스템에서기존의상품과다른새로운상품으로인식하게하

고 싶으면, 새로운 상품에는 기존 상품과 다른 새로운 표준상품식별코드를 부여해야 한다. 본 규칙의 구체적인 예

는다음과같다:

주: 만일 유통업체가 매장에서 상품 패키지 구성을 변경한 경우 이것을 기존 상품 패키지와 구분하고 싶다면, 새로운 상품 패키지

에는기존패키지와다른새로운표준상품식별코드를할당해야한다.

규 칙No.

새로운GTIN부여유무

예 시 예시이미지

1.1

미리 포장된 신선식품으로 중

량별로 판매가 되지만, 명확

하게 분리된 포장 사이즈별로

판매되는 경우, 각 단품에는

서로 다른 표준상품식별코드

를부여해야한다.

미리 포장된 닭다리로 포장별로 중량이서로 다르며 중량별로 판매가 되지만 단품별로 명확하게 분리된 포장 사이즈별로 판매가 된다. (GTIN A=10팩, GTINB=14팩)

1.2

낱개로 판매되는 청과상품

(상품 1), 그리고 낱개 청과상

품을 조각내어 중량 단위로

포장하여 판매하는 상품 (상

품 2), 상품 1과 2에는각각서

로 다른 표준상품식별코드를

부여해야한다.

유수박 1통은 4 달러에 판매하고 그리고1/4 등분한 조각은 1 킬로/파운드 당1.99 달러에판매한다.

1.3

낱개 혹은 중량별로 판매되는

청과상품 (상품 3), 매장 내에

서 미리 포장하여 고정규격상

품으로 판매하는 상품 (상품

4), 상품 3과 4에는 서로 다른

표준상품식별코드를 부여해

야한다.

사과 1개당혹은킬로/파운드당 1.29 달러에 판매한다. 매장 내에서 고정규격용기에 포장하여 1팩 (사과 4개 들어있음)에 3달러에판매한다.

GTIN A

GTIN B

(상품 1) GTIN C

(상품 2) GTIN D

(상품 3) GTIN E

(상품 4) GTIN F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2 4

2. 신선식품 상품 포장, 패키지 구성을 변경하 다 하더라도 이를 POS 시스템에서 기존의 상품과 다른 새로운 상품

으로 인식하게 할 필요가 없으면, 기존과 동일한 표준상품식별코드를 사용한다. 본 규칙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브랜드/비브랜드상품에대한표준상품식별코드부여규칙및부여주체책임에관한내용은 'GS1 표준 규칙‘제4장

을참고하라.

No. 규 칙

새로운GTIN부여유무

예 시 예시이미지

1.4

고정규격 혹은 가변규격 형태

의덩어리신선식품으로 POS

판매용이 아닌 것 (상품 5), 이

덩어리를 조각내어 매장 내에

서 포장하여 중량별로 판매하

는 것 (상품 6), 상품 5와 6에

는 서로 다른 표준상품식별코

드를부여해야하며, 상품 5에

는 지시자 9를 사용하는

GTIN-14를 사용해야하며, 상

품 6에는 GTIN-12 혹은

GTIN-13을 사용해야 한다.

(상품 6은 POS 판매용)

원형의 덩어리 치즈 (POS 판매용이 아

님)에는 지시자 9를 사용한 GTIN-14를

사용한다. 이 치즈를 소비자가 구매 희

망 시 즉석에서 조각내어 가변중량 패키

지 형태로 포장하여 중량에 따라 판매할

경우 POS 판매를위해새로운표준상품

식별코드 (GTIN-12 혹은 GTIN-13)을 부

여한다.

덩어리 닭가슴살 (POS 판매용이 아님)

에는 지시자 9를 사용한 GTIN-14를 사

용한다. 이 닭가슴살을 조각내어 가변중

량 패키지 형태로 포장하여 중량 단위로

판매할 경우 POS 판매를 위해 새로운

표준상품식별코드 (GTIN-12 혹은

GTIN-13)을부여한다.

(상품 5) GTIN G

(상품 6) GTIN H

(상품 7) GTIN I

(상품 8) GTIN J

No. 규 칙

새로운GTIN부여유무

예 시 예시이미지

2.1

낱개 청과상품 (상품 9), 이

것을 소비자가 비닐봉지 등

의 담을 것 (Bag)에 넣어 구

매 (상품 10)하는 경우, 상

품 9와 10에는 동일한 표준

상품식별코드를 부여해야

한다.

POS 판매용인 낱개 청과상품을 낱개

로 구매하거나 혹은 소비자가 비닐봉

지 등 담을 것 (Bag)에 담아 구매하는

경우 모두 동일한 표준상품식별코드를

부여한다.

(상품 9) GTIN K

(상품 10) GTIN K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2 5

01 표준상품식별코드 N2+N14 GTIN

10 배치혹은로트번호 N2+X..20 (FNC1) BATCH/LOT

11(**) 생산일자 (YYMMDD) N2+N6 PROD DATE

13(**) 포장일자 (YYMMDD) N2+N6 PACK DATE

15(**) 소비기한 (YYMMDD) N2+N6 BEST BEFORE or SELL BY

17(**) 유통기한 (YYMMDD) N2+N6 USE BY OR EXPIRY

21 일련번호 N2+X..20 (FNC1) SERIAL

30 입수량 (가변규격상품) N2+X..8 (FNC1) VAR. COUNT

310(***) 순중량, 킬로그램 (가변규격상품) N4+N6 NET WEIGHT (kg)

320(***) 순중량, 파운드 (가변규격상품) N4+N6 NET WEIGHT (lb)

392(***) 지급금액, 단일화폐지역 (가변규격상품) N4+N..15 (FNC1) PRICE

393(***) 지급금액, ISO 화폐코드 (가변규격상품) N4+N3+N..15 (FNC1) PRICE

412 구매처GLN N3+N13 PURCHASE FROM

414 물리적위치식별 - GLN N4+N13 LOC No

422 원산지 N4+N3 (FNC1) ORIGIN

8008 생산일자및시간 N4+N8+N..4 (FNC1) PROD TIME

6.2. 가변규격신선식품에 자주 사용되는 응용식별자

주: GS1 DataBar 확장형심벌에는아래응용식별자목록뿐아니라POS 용으로승인된모든응용식별자를입력할수있다.

**: 연도와월만있고일자가없다면, 일자부분은 0으로채워야한다.

***: 응용식별자의네번째숫자는소수점위치를의미한다.

(예: 응용식별자 3012는소수둘째자리숫자로표시되는순중량 (kg)을의미한다.)

AI 데이터 내용 형 태 FNC1필요 유무 데이터 제목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2 6

6.3. GS1 DataBar 홈페이지 URL

GS1 DataBar에관한보다자세한정보는아래홈페이지를참고하라:

www.gs1.org/barcodes/databar

6.4. GS1 DataBar 활용 비즈니스 사례

다음의예는GS1 DataBar를활용한소비자및식품안전비즈니스모델이다.

GS1 DataBar 확장형및확장적층형 (표준상품식별코드+응용식별자)를사용한예

6.4.1. 유통기한 관리 - 계산대 (POS)에서 자동 판매 차단바코드에‘표준상품식별코드+유통기한’정보를입력하면계산대 (POS)에서상품의유통기한경과여부를확인할수

있다. 만일유통기한이경과한상품이계산대를거치게되면 POS 소프트웨어에서이를인식하여유통기한이지난상

품의판매를차단시키고신선한상품으로교환할수있도록해준다. POS에서유통기한이경과한상품을인식한경우

판매대화면에아래의팝업메시지가나타나도록한다. 아래예를보라:

“이상품은유통기한이지난상품입니다.

다른상품으로교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2 7

6.4.2. 자동 가격할인바코드에‘표준상품식별코드+유통기한’정보를입력하면유통기한이얼마남지않은상품이판매될경우 POS 소프

트웨어에서이를인식하여미리정해진할인정책에따라자동적으로가격을할인해주는것이가능하다. POS에서유

통기한이얼마남지않은상품을인식한경우판매대화면에아래의팝업메시지가나타나도록한다. 아래예를보라:

“이상품은유통기한이 3일남았습니다.

40% 할인해드립니다.”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2 8

6.4.3. 상품 리콜 및 이력 추적바코드에‘표준상품식별코드+로트번호’혹은‘표준상품식별코드+배치번호’정보를 입력하면 POS에서 상품 리콜

이가능해진다. POS에서리콜중인상품임을인식한경우판매대화면에아래의팝업메시지가나타나도록한다. 아

래예를보라:

GS1 DataBar 확장형혹은확장적층형바코드에‘표준상품식별코드+로트번호’혹은‘표준상품식별코드+배치번호’

정보를입력함으로써, POS 소프트웨어는소비자 (로열티카드사용에기반)에게이력추적서비스를제공할수있다.

소비자에게제공되는 수증에배치번호를인쇄하면이력추적이가능해진다. 아래예를보라: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2 9

6.4.4. 상품 보충

바코드에‘표준상품식별코드+유통기한’혹은‘표준상품식별코드+소비기한’정보를 입력하면 얼마나 많은 상품이

진열대/매장내판매대에남아있는지를보다정확히알수있다.

과일과채소에GS1 DataBar 적층전방위형바코드를사용한예

GS1 DataBar 적층 전방위형바코드에는표준상품식별코드만을입력할수있다. 표준상품식별코드는브랜드식별을

가능하게한다.

생산성향상및감손 (Shrink) 감소

GS1 DataBar 적층 전방위형 바코드를 사용하면 계산원 혹은 소비자 (만일 셀프 스캐닝이 가능할 경우)는 계산 시 상

품코드값을직접입력하지않고스캐너로바코드를읽기만해도정확한상품정보를얻을수있다. 정확한상품정보

는과일과채소부문의감손 (Shrink)을감소시키고재고관리뿐아니라카테고리관리능력을향상시킨다.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3 0

6.5. GS1 DataBar 테스트 카드

아래제시된카드는예시용이기때문에귀사의스캐너장비를테스트하는목적으로사용해서는안된다. 실제테스트

카드를사용하고싶으면대한상공회의소유통물류진흥원 (www.gs1kr.org)에문의하기바란다.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3 1

7. 자주 묻는 질문

Q1. GS1 DataBar란?정상크기 (EAN-8 또는 EAN-13, UPC)의 바코드를인쇄할만한공간이없는소형상품(예: 신선식품, 각종의약

품)에 부착할 목적으로 GS1이 개발한 바코드. GS1 DataBar는 식별코드 외에 부가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다. 아

래표에서와같이하나의문자를표현하는모듈의수가다른심벌에비해적기때문에소형화가가능하다.

GS1 DataBar는 GTIN-14 식별코드 (14자리)의 입력을 기본으로 하며 종류에 따라 부가정보의 추가 입력이 가

능하다. GS1 DataBar의종류와용량, 기타특징은다음표와같다.

<GS1 DataBar의종류및특징>

GS1 DataBar에관한보다자세한사항은대한상공회의소유통물류진흥원 (www.gs1kr.org)에문의하라.

바코드 심벌 1 자릿수(digit) 당 Module

ITF-14 8.0

EAN·UPC 7.0

GS1-128 5.5

GS1 DataBar 4.1

명 칭 심 벌 규격(mm) 특 성POS(유통매장) 시스템에서 작동 가능한 모델

GS1 DataBar Omni-directional

(전방위형)24x8.25

·심벌구분자 + GTIN·전방향판독가능

GS1 DataBar Stacked Omni-directional(적층전방위형)

12.5x17.25·심벌구분자 + GTIN·전방향판독가능

GS1 DataBarExpanded(확장형)

37.75x8.5

· GTIN + AIs*수치데이터: 74자까지**알파벳: 41자까지

·전방향판독가능

GS1 DataBarExpanded Stacked

(확장적층형)25.5x17.75

· GTIN + AIs*수치데이터: 74자까지**알파벳: 41자까지

·전방향판독가능

크기가 매우 작은 상품에 적용 가능한 모델GS1 DataBarTruncated(절단형)

24x3.25 ·심벌구분자 + GTIN·전방향판독불가

GS1 DataBarStacked(적층형)

12.5x3.25 ·심벌구분자 + GTIN·전방향판독불가

GS1 DataBar Limited(제한형)

18.5x2.5 ·심벌구분자 + GTIN·전방향판독불가

(01)08801234560016

( 0 1 ) 0 8 8 0 1 234560016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3 2

Q2. GS1 DataBar는 RSS의 새로운 명칭인가?그렇다. GS1 DataBar는 이전에 RSS (Reduced Space Symbology)로 불렸으며, 2001년 2월 12일에 GS1

DataBar로명칭이변경되었다.

Q3. GS1 DataBar는 EAN/UPC에 비해 인쇄와 판독이 어려운가?그렇지않다. 모두동일하다.

Q4. GS1 응용식별자 시스템은 ISO에 의해 승인을 받은 것인가?그렇다. ISO/IEC JTC1 SC31 15418을보라.

Q5. GS1 데이터 캐리어 (Data Carrier) 중 응용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는 것에는 어떤 것들이있나?다음의 데이터 캐리어들이 응용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GS1 DataBar 확장형, 확장 적층형, GS1-128, 복합

심벌 (Composite Component), GS1 Datamatrix, GS1 QR 코드, EPC/RFID

Q6. GS1 DataBar와 GS1-128의 차이점은 무엇인가?둘 모두 GS1 응용식별자를 사용하여 상품식별코드 외 부가정보를 넣을 수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GS1

DataBar는유통매장의계산대 (POS)를통과하는소매용상품에사용하는바코드인반면, GS1-128은개별기업

의 물류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물류용 바코드로, 일반적으로 팔레트, 컨테이너 등 물류단위에 사용하는 점에서

차이가있다.

Q7. GS1 DataBar 기술 규격 (Technical Specifications) 자료는 어디서 얻을 수 있나?‘GS1 표준규칙’문서제5장을참고하라. 혹은대한상공회의소유통물류진흥원 (www.gs1kr.org)에문의하라.

Q8. 응용식별자에 관한 보다 상세한 정보는 어디서 얻을 수 있나?‘GS1 표준규칙’문서제3장을참고하라. 혹은대한상공회의소유통물류진흥원 (www.gs1kr.org)에문의하라.

Q9. 소매용 바코드 중 응용식별자를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바코드는 GS1DataBar가 유일한가?그렇다. GS1 DataBar는 응용식별자를이용하여부가정보를입력할수있는바코드중특별히유통매장계산대

(POS)의전방위스캐너로판독할수있도록설계된유일한바코드이다.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 3 3

8. 용어정의

용 어 정 의

일반적인 소비재 상품에 사용하는 바코드로 우리가 마트에 가면흔히 볼 수 있는 880으로 시작하는 바코드가 대표적이다. 국제표준바코드이기 때문에 전 세계 어느 매장의 계산대에서도 읽히는국제적 통용성을 갖는다. 민간국제표준화기구인 GS1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크게 EAN-13, EAN-8, UPC-A, UPC-E의 네 종류로 나뉜다.

고정규격상품. 일반적으로 공산품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품 유형, 크기, 중량, 내용물, 디자인등이일정한상품을의미한다. [비교] Variable Measure Trade Item

표준상품식별코드. 공급체인 상에서 가격이 매겨지거나 주문 단위가 되는 상품 (즉,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모든 낱개 상품뿐만 아니라묶음 상품, 기업 간 주문 단위로 이용되는 골판지 상자 단위도 거래단품의 범주에 포함된다.)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한 코드로 전 세계 어디서나 표준화된 방식으로 사용된다. 코드 구조는 크게‘국가코드+업체코드+상품코드+체크디지트’로 이루어져 있다. GTIN은GTIN-8 (단축형 식별코드, 8자리), GTIN-13 (표준형 식별코드, 13자리), 또는 GTIN-14 (표준물류코드, 14자리) 중 하나의 코드 체계로표시된다.

상품 및 거래처의 식별과 거래정보의 교환을 위한 국제표준의 개발·보급·관리를 전담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민간 표준기구. 전 세계 110여 개국 이상에 회원기관이 있으며 ISO, WTO, WCO 등의 국제기구와 협력하여 전 산업의 표준화 및 디지털화를 선도하고 있다.(홈페이지: www.gs1.org)

GS1 응용식별자. 바로 다음에 오는 데이터 필드(Data Field)의 의미와 형식을 나타내는 2∼4자리의 숫자를 지칭한다. 배치번호, 일련번호, 유효기간, 규격, 수량 등 여러 가지 상품 속성정보를 단품식별코드 (EAN-13, EAN-14)와 함께 바코드로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육안판독용문자.바코드심벌에입력된데이터를일대일로매칭시켜사람이읽을수있는형태로표현한문자를지칭한다. 일반적으로바코드심벌아래표시된코드부분을일컫는다.

낱개 청과상품. 박스나 케이스에 담겨 입점되는 과일이나 채소를 지칭한다. 이들 상품은 낱개로 판매되거나 소비자가 원하는 만큼 비닐봉지등과같은담을것 (bag)에담아판매된다.

Loose Produce Trade Items

Human Readable Interpretation (HRI)

GS1 (Global Standards No.1)

GS1 Application Identifier (AI)

Global Trade Item Number (GTIN)

Fixed Measure Trade Item

EAN/UPC Barcode

AAllll ccoonntteennttss ccooppyyrriigghhtt GGSS113 4

용 어 정 의

내부관리자코드. GS1 식별코드중하나로특정목적을위해내부 (국가, 기업, 산업) 용으로사용되는코드이다.

가변규격상품. 과일, 채소, 육류, 치즈, 섬유, 카펫 등과같이판매, 주문, 생산 단위가 일정하지 않은 상품을 지칭한다. 가변규격상품의경우 880으로시작하는 13자리의표준상품식별코드를사용할수없으며 02 또는 20부터 29 사이의숫자들을가변상품용식별자 (prefix)로사용할수있다. 식별자다음에나오는식별코드는제품의유형, 순중량, 가격등에따라다양하게구성할수있다. [비교] Fixed Measure Trade Item

Restricted Circulation Number (RCN)

Variable Measure Trade Item

신선식품 GS1 DataBar 도입 가이드

발행인 :박 용 만편집인 :김 경 종발행처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39(남대문로 4가) 17층전화 : (02)6050-1501팩스 : (02)6050-1452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발행일 : 2014년 12월 1일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39(남대문로 4가) 대한상공회의소회관 17층

TEL : 02)6050-1501 FAX : 02)6050-1452http://www.gs1kr.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