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
무역실무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Embed Size (px)

DESCRIPTION

무역실무 , 국제운송1

Citation preview

Page 1: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무역실무

Page 2: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2 / 65

학습준비

1. 해상운송

2. 선하증권

학습목차

해상운송의 의의를 배운다.

무역거래에서 사용되는 선하증권의 법적 의의와 종류를 배운다.

학습목표

Page 3: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3 / 65

학습준비

학습개요

해상운송 : 선박을 운송수단으로 하여 타인의 화물이나 사람을 운송하고 그 대가로 운임을 받거나 또는 선박회사가 자기의 화물을 직접 운송하여 이익을 얻는 상업 활동

부정기선 : 고정항로, 운항일정 등이 없이 주로 단일제품을 소수의 화주로부터 위탁받아 불규칙적으로 운항하는 선박

정기선 : 소량의 화물을 다수의 화주로부터 위탁받아 운송업을 행하는 형태로 반드시 공시된 항로와 운항일자에 따라 규칙적으로 운항하는 선박

해운동맹 : 특정항로에 배선하고 있는 정기선 선박회사들이 상호간의 독립성은 유지하면서 과당경쟁을 방지하고 상호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운송조건을 협정하는 국제 카르텔(cartel).

컨테이너 : 일정 화물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운송할 수 있는 규격화된 운송용기

선하증권(Bill of Lading) : 선주가 화주로부터 화물운송을 위탁받은 사실과 화물을 목적지까지 운송하여 이를 선하증권의 소지자에게 인도할 것을 약속하는 증권

전자식 선하증권 : 인터넷, 컴퓨터 등을 이용한 전자무역거래에서 사용하기 위해 고안한 선하증권

주요용어 해설

무역과 해운은 상호 필수불가분의 관계로 무역의 발달 없이 해운도 발달할 수 없고 해운의 발달 없이 무역의 발달을 기대할 수도 없다. 이와 같이 운송은 국제무역의 수행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중추 기능이다. 국제운송은 크게 해상운송, 항공운송 및 복합운송으로 구분되고 있다. 4주차에서는 국제물동량의 대부분을 운송하고 있는 해상운송과 무역거래에서 무역화폐라고까지 불리우는 선하증권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Page 4: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4 / 65

1. 해상운송

해상운송의 의의

1) 해상운송의 의의와 형태

선박을 운송수단으로 하여 타인의 화물이나 사람을 운송하고 그

대가로 운임을 받거나 또는 선박회사가 자기의 화물을 직접

운송하여 이익을 얻는 상업 활동 해상운송

해상운송의 특징

해상운송은 대량운송이 가능함

해상운송은 경제성이 있음

해상운송은 원거리의 국제운송에 적합함

1

2

3

Page 5: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5 / 65

1. 해상운송

해상운송의 형태

1) 해상운송의 의의와 형태

정기선 운송

▪ 부정기선 : 정항로, 운항일정 등이 없이 주로 단일제품을 소수의 화주로부터

위탁받아 불규칙적으로 운항하는 형태

▪ 취급하는 화물은 양곡, 원면, 원당 등 주로 1차 상품이기 때문에 이들이 수확되는

계절에 집중적으로 운항되는 경우가 많음

▪ 운임은 당시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선주와 화주간의 협상에 의해 결정됨

▪ 일반 건화물을 취급하는 건화물 부정기선과 화물의 성질에 따라 특수한 시설을 갖춘

냉동선, 유조선, 곡물전용선, 목재전용선 등과 같은 특수전용선이 있음

부정기선 운송

Page 6: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6 / 65

1. 해상운송

해상운송의 형태

1) 해상운송의 의의와 형태

부정기선 운송

▪ 정기선(liner) : 소량의 화물을 불특정 다수의 화주로부터 위탁받아 운송업을 행하는

형태로 반드시 공시된 항로와 운항일자에 따라 규칙적으로 운항함

▪ 고정된 항로(정기선 항로)를 따라 선적 물동량에 관계없이 공시된

운항일정표(sailing schedule)에 의해 규칙적이고 반복적으로 운항함

▪ 정기선에서 취급하는 상품은 일반적인 포장화물이며 주로 완제품 내지 반제품인

2차 상품이고 각 화주와 개별적으로 개품운송계약이 체결됨

▪ 정기선 운임은 고시된 운임표에 따라 결정됨

정기선 운송

Page 7: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7 / 65

1. 해상운송

해상운송의 형태

1) 해상운송의 의의와 형태

부정기선 운송과 정기선 운송의 비교

구 분 부 정 기 선 운 송 정 기 선 운 송

선 박 부정기선 정기선

운항형태 지역별, 시기별 불규칙적 운항 고정항로, 운항일정에 의한 규칙적 운항

화 물 단일 화주의 원유, 철광석, 석탄, 곡물, 시멘트(산적화물)

다수 화주의 컨테이너 화물, 포장화물 (2차상품)

운 임 수요와 공급에 따른 변동운임 공시운임

운송계약 용선(용선계약서) 개품운송계약(선하증권)

Page 8: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8 / 65

1. 해상운송

용선계약

2) 부정기선운송

▪ 화물을 운송하기 위하여 화주가 선박회사로부터 선복의 일부 또는 전부를 빌리는

운송계약을 말함

▪ 용선계약에 의해서 운송되는 화물은 석탄, 원면, 양곡, 광석 등과 같이 일시에 대량 운송이

필요한 화물이여 주로 부정기선이 이용됨

▪ 용선계약이 체결되면 선주와 화주 간에 용선계약서(charter party ; C/P)가 작성됨

용선

일부용선(partial charter)

전부용선(whole charter)

기간용선

항해용선

나용선

Page 9: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9 / 65

1. 해상운송

용선계약

2) 부정기선운송

기간용선(또는 정기용선)

▪ 화주가 일정 기간 선주로부터 선박을 빌리는 경우를 말한

▪ 대부분 다른 사람의 화물을 운송하고 운임을 벌기 위해서 전문적인 해운업자들이

정기 용선함

항해용선 (voyage charter : trip charter)

▪ 화주가 선박을 특정 항구에서 특정 항구까지 용선하는 운송계약임

▪ 화주는 용선료를 “화물의 톤당 얼마”와 같이 운송화물의 양에 따라 지급함

▪ 무역거래에서 항해용선 많이 이용하는데, 계약에 포함시킬 구체적 항목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표준계약서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표준서식은 GENCON (Uniform General Charter)임

나용선(bareboat charter)

▪ 선주가 선체(bareboat)만 빌려 주고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선원, 장비, 소모품 등은 용선자가

갖추는 용선계약을 말함

▪ 용선기간이 끝나는 시점에 선박의 소유권이 선주에게서 용선자로 이전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Demise Charter라 함

▪ 용선료는 상대적으로 비싸지만, 용선자는 향후 자체 선박을 보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Page 10: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10 / 65

1. 해상운송

항해용선의 하역비용

2) 부정기선운송

하역비용 운송화물을 본선에 선적하거나 양륙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하역비용 약정의 조건

Free In and Out

(FIO)

Free In(FI)

Free Out(FO)

▪ 대부분 화주가 선적비와 양륙비용을 부담하는 FIO 조건이 이용됨

▪ 선적항(in) 및 양륙항(out) 모두에서 선주가 책임이 없다는 뜻임

▪ 선주가 선적항에서만 책임이 없다는 표시

▪ 선적항에서 소요되는 선적비와 위험은 화주의 부담이며, 반면

양륙항구에서의 하역비용은 선주가 부담

▪ FI와 반대로 선주는 선적비용을 부담하고 화주는 양륙비용을

부담함

Page 11: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11 / 65

1. 해상운송

항해용선의 정박기간

2) 부정기선운송

▪ 정박기간(lay days, lay time)은 화주가 운송화물 모두를 선적 또는 양륙하기 위해서 본선을

부두에 정박시킬 수 있는 기간을 말함

▪ 선주와 화주 간에 정박기간을 약정하고, 하역작업이 끝나면 실제 사용한 정박일수를

기재한 정박기간 계산서(lay days statement)를 작성하여 선장과 화주가 서명함

체선료

(demurrage) 약정된 기일 내에 하역작업이 끝나지 않으면 선주에게 지급

조출료

(dispatch money) 예정된 기일보다 일찍 하역작업이 끝나면 선주에게 지급

Page 12: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12 / 65

1. 해상운송

항해용선의 정박기간

2) 부정기선운송

정박기간 결정방법

Running Lay Days 하역가능일수 관습적 조속하역

▪ 관습적 조속하역(customary quick dispatch ; CQD) 방식은 일정 기간을 약정하지

않고 본선이 정박 중인 항구의 관습적 하역방법이나 하역능력 등에 따라 가능한 한

빨리 하역하도록 약정하는 것

▪ 이 방법은 분쟁이 초래될 여지가 있음

Page 13: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13 / 65

1. 해상운송

항해용선의 정박기간

2) 부정기선운송

정박기간 결정방법

관습적 조속하역 하역가능일수

▪ 하역작업이 시작된 날로부터 끝날 때까지 경과된 일수를 정박기간으로 정하는 방법

▪ 우천, 파업, 불가항력 등에 의하여 작업을 하지 못한 날이나 일요일 및 공휴일 모두

정박기간에 계산되며, 정박기간은 총 하역 물동량을 1일 하역 물동량으로 나눈

일수로 표시됨

Running Lay Days

Page 14: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14 / 65

1. 해상운송

항해용선의 정박기간

2) 부정기선운송

정박기간 결정방법

관습적 조속하역 Running Lay Days

▪ 하역가능일수(weather working days ; WWD) 방식은 하역이 가능한 기후 하에서의

작업일 만을 정박기간으로 계산하는 방법으로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음

▪ 기후가 애매모호한 경우에는 선장과 화주가 합의하여 작업가능 일을 결정함

하역가능일수

Page 15: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15 / 65

1. 해상운송

정기선운송계약

3) 정기선운송

▪ 정기선을 이용할 경우 체결되는 계약을 개품운송계약이라 함

▪ 대개 화주가 선박회사 또는 그 대리점 등에 운송계약을 신청하고 선주가 이를 승낙하면

운송계약이 성립됨

정기선운임

품목별운임 (commodity rate) : 컨테이너 내용물의 가치에 따라 운임을 정하는 방식

무차별운임(freight all kinds ; FAK) : 컨테이너에 적재된 화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1 컨테이너

단위당 동일한 운임을 적용하는 방식

품목별 박스운임(commodity box rate ; CBR) : 물품을 몇 가지 등급으로 분류해서 적용하는 방식

Page 16: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16 / 65

1. 해상운송

정기선 할증운임

중량, 용적 및 장척할증료

▪ 화물 1단위의 무게가 일정 중량을 초과 할 때에는 기본운임의 몇 % 또는 금액 얼마로

표시된 중량할증료(heavy lift surcharge)가 부과됨

▪ 화물 1단위가 일정 용적이나 일정 길이를 초과할 때에는 각각 용적할증료(bulky surcharge)

및 장척할증료(lengthy surcharge)가 부과됨

3) 정기선운송

유류할증료(bunker surcharge)

: 선박의 주 연료인 벙커유의 가격이 인상되었을 경우 부과되는 할증료임

통화할증료(currency surcharge)

▪ 해상운임의 지급수단으로 많이 이용되는 미국 달러화의 환차손을 보전하기 위해서

부과되는 할증료

▪ 미국 달러화가 강세이면 마이너스(-), 약세이면 플러스(+) 통화할증료가 적용됨

Page 17: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17 / 65

1. 해상운송

정기선 할증운임

외항할증료(out port surcharge)

: 정기 선박회사들은 정기선의 기항항구를 "Main Port(Base Port)"와 "Out Port"로 구분하고

"Out Port"에 대해서는 일정한 할증료를 부과시킴

3) 정기선운송

전쟁위험할증료(war risk surcharge)

: 어떤 나라가 전쟁 중일 경우에 그 나라의 항구로 운송되는 화물에 대하여 부과되는 할증료

체선할증료(port congestion surcharge)

: 항만시설, 하역능력 또는 장비 등의 부족으로 하역작업이나 선박의 입출항에 상당한

지연이 발생할 경우 부과됨

Page 18: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18 / 65

1. 해상운송

정기선 운송수수료

3) 정기선운송

▪ 운송조건이 변경되거나 화주가 특별한 운송조건을 요구할 경우 운송수수료가 부과됨

환적수수료

(transshipment charge) 화물이 운송 도중 특정 다른 선박으로 환적 될 경우 부과됨

도착항 선택수수료

(optional charge)

본선 출항 시까지 화물의 도착항을 지정하지 못하거나 여러 개의

항구를 선택하였을 경우 항구수의 증가에 비례하여 부과됨

도착항 변경수수료

(diversion charge) 운송 도중 도착항을 변경할 경우 부과됨

최저운임 운임을 산정한 결과 그 운임이 일정 금액에 미달될 경우에는

일괄적으로 최저운임이 적용됨

반송운임(back freight) 도착항에서 수화인이 화물 인수를 거절할 경우 화물을 원래의

송화인에게 반송할 때의 운임

Page 19: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19 / 65

1. 해상운송

적용화폐 및 지급시기

3) 정기선운송

▪ 정기선의 경우에는 운임표에 적용통화가 표시되어 있고 운임 지급지의 환율이 적용됨

▪ 운임 지급지는 가격조건에 따라서 달라짐

C그룹 F그룹

CFR

CIF

CPT

CIP

FCA FAS

FOB

선적항에서 지급되고 환율은 선하증권 발행일의 시세가 적용된

도착항에서 지급되고 환율은 운임이 실제 지급되는 날의 시세에 따른

Page 20: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20 / 65

1. 해상운송

해운동맹의 의의

4) 해운동맹

▪ 기선 운항에는 일정한 상선대가 필요하고 각 기항지마다 화물의 집화나 연락을 위한

지점이나 대리점을 설치해야 하므로 많은 고정자본이 필요함

▪ 산업조절기능이 매우 약한 특성이 있음

▪ 누구나 경쟁에 참여할 수 있어 육상을 근거로 한 산업에 비해 경쟁이 심한 편임

▪ 정기선 선박회사 상호간에 경쟁을 배제하고 독점적인 운임 수입을 확보하기 위하여 결성된

것이 해운동맹(shipping conference)임

▪ 해운동맹은 특정항로에 배선하고 있는 정기선 선박회사들이 상호간의 독립성은 유지하면서

과당경쟁을 방지하고 상호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운임률, 적취량, 배선회수 등

운송조건을 협정하는 국제적인 카르텔(cartel)임

▪ 1875년 영국과 캘커타 해운동맹(United Kingdom / Calcutta Shipping Conference)이

최초로 결성되어 영국을 중심으로 발전하게 되었음

Page 21: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21 / 65

1. 해상운송

해운동맹의 운영

4) 해운동맹

내내적 운영방법

대외적 운영방법

▪ 공동계산협정(pooling system, pooling agreement) : 이는 가맹선사들이 특정

항로에서 일정기간 벌어들이는 운임의 전부나 일부를 각출해 공동기금을 형성한

후 미리 정한 비율에 따라 이를 각사에 배분하는 방법

▪ 항해협정(sailing agreement) : 이는 항해와 관련되는 사항을 사전에 협정하여

가맹선사간의 과당 경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 운임협정(rate agreement) : 이는 가맹선사들로 하여금 사전에 협정된 동일한

운임을 사용하도록 하여 운임경쟁을 막기 위한 것이다.

Page 22: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22 / 65

1. 해상운송

해운동맹의 운영

4) 해운동맹

내내적 운영방법

대외적 운영방법

▪ 계약운임제(contract rate system) : 동맹선박만을 이용하겠다는 협정을 체결한

계약화주에게는 그렇지 않은 비계약화주보다 낮은 운임을 적용하여 화주가

동맹선사만을 이용하도록 하는 제도

▪ 운임연환급제(deferred rebate system) : 화주가 일정기간(보통 6개월) 비동맹 선박에

일체 선적하지 않았을 때는 그 기간 내에 지급된 총운임 중 일부분(보통 10%)을

환급받을 수 있는 자격을 화주에게 일단 주고, 계속해서 다음의 일정기간에도

동맹선박을 이용하면 즉시 그 금액을 환급해 주는 제도

▪ 실환급제(fidelity rebate system) : 일정기간 자기 화물을 모두 동맹선박에만 선적한

화주에 대해서 그 기간 내에 선박회사가 받은 운임의 일정 비율을 통상 4개월이

지나면 환급해 주는 제도

Page 23: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23 / 65

1. 해상운송

해운동맹의 현황

4) 해운동맹

영국 미국

폐쇄적 동명(closed conference)

해운동맹을 결성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가능

개방적 동맹(open conference)

동맹의 역할이 크지 못함

▪ 1970년대부터 해상운송에서 컨테이너가 본격적으로 사용됨

▪ 동안 동맹선이 누려왔던 비교우위가 없어지기 시작함

▪ 해운시장의 민감한 환경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가 없었음

⇒ 대형 선박회사들이 점차 해운동맹을 탈퇴하여 독자적으로 운항함에 따라 오늘날

해운동맹의 기능은 점차 약화되어 가고 있음

Page 24: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24 / 65

1. 해상운송

컨테이너의 개념

5) 컨테이너(Container) 운송

▪ 모든 컨테이너는 동일한 규격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대량 화물을 일시에 적재하거나

양륙할 수 있어 운송기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운송수단 간의 접속 및 환적이 매우

용이함

▪ 컨테이너를 이용하게 되면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을 완결시킬 수 있는 “문에서

문까지(door to door)"의 운송을 실현할 수 있음

▪ 육상운송에만 국한되지 않고 육상, 해상, 항공운송을 동시에 이용하여 화물운송에

있어서의 3대 원칙인 경제성, 신속성, 안전성을 최대한 충족시키면서 목적지까지

일괄수송(through transport)하는 컨테이너 복합운송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음

컨테이너 일정 화물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운송할 수 있는 규격화된

운송용기를 말함

Page 25: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25 / 65

1. 해상운송

장점

정박기간이 단축됨

운송수단 간의 환적이 용이함

창고료가 절감됨

화물이 안전함

항해기간이 단축됨

운임이 절감됨

갑판적재 화물의 적용을 받지 않음

단점

고정자본이 필요함

컨테이너에 의해서 운송하지 못하는 화물이 많음

컨테이너의 장점과 단점

5) 컨테이너(Container) 운송

Page 26: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26 / 65

1. 해상운송

컨테이너의 종류

5) 컨테이너(Container) 운송

드라이 컨테이너

냉동컨테이너

탱크 컨테이너

오픈 톱 컨테이너

플랫 랙 컨테이너

펜 컨테이너

플랫폼 컨테이너

온도조절이 필요하지 않는 일반 잡화를 수송하기 위한 표준 컨테이너로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음

냉동기가 달린 컨테이너로서 -28oC에서 +26oC까지 온도를 조절할 수 있음

액체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

장척화물이나 중량품, 기계류 등을 운송하기 위한 지붕이 없는 개방식의 컨테이너

승용차, 기계류, 합판 등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

동물을 운송하는데 이용되는 컨테이너로 환기가능하고 동물에게 먹이를 줄 수 있음

중량 화물이나 부피가 큰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

의류용 컨테이너 고급 의복류를 옷걸이에 걸린 상태로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Page 27: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27 / 65

1. 해상운송

컨테이너선박의 분류

5) 컨테이너(Container) 운송

본선 또는 육상의 겐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을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본선에 수직으로 하역하는 방식

Lo/Lo (Lift

On/Off) 방식

선측, 선수 또는 선미의 램프(ramp)로부터 컨테이너 또는

트레일러를 수평으로 적재 또는 양륙하는 방식

Ro/Ro (Roll

On/Off) 방식

부선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부선에 설치되어 있는 크레인 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하역하는 방식

Fo/Fo (Float

On/Off) 방식

Page 28: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28 / 65

1. 해상운송

컨테이너 화물의 유통기지

5) 컨테이너(Container) 운송

내륙 컨테이너 기지

Container Yard (CY)

Container Freight

Station(CFS)

▪ 컨테이너 터미널(container terminal ; CT)은 컨테이너

전용부두에 설치되어 있는 컨테이너 전용대합실을 말함

▪ CT에는 컨테이너 선박이 자유로이 입출항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심과 안벽시설이 갖추어져 있고 컨테이너 하역에

관련된 여러 가지 기기 및 시설이 설치되어 있음

▪ 철도나 도로운송이 쉽게 연결되는 편리한 위치에 있어 모든

컨테이너화물은 내륙지역으로부터 항계 내에 위치한 CT로

집결한 후 컨테이너 전용선의 출항시간에 맞춰 반출되어

선적됨

컨테이너 터미널

Page 29: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29 / 65

1. 해상운송

컨테이너 화물의 유통기지

5) 컨테이너(Container) 운송

컨테이너 터미널

Container Yard (CY)

Container Freight

Station(CFS)

▪ 내륙 컨테이너 기지(inland container depot ; ICD)는

컨테이너 화물을 효율적으로 운송하기 위해 내륙지점에

설치된 컨테이너 화물의 집결지를 말함

▪ 이 기지에 집결된 컨테이너 화물은 선박회사나 운송인이

전세 계약한 컨테이너 전용열차(container unit train)를

이용하여 CT로 입고됨

내륙 컨테이너 기지

Page 30: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30 / 65

1. 해상운송

컨테이너 화물의 유통기지

5) 컨테이너(Container) 운송

컨테이너 터미널

내륙 컨테이너 기지

Container Freight

Station(CFS)

▪ 컨테이너 1개 이상을 완전히 채울 수 있는 화물(FCL

cargo)인 경우에는 송화인이 자신의 공장이나 창고 등에서

선박회사가 보낸 준 컨테이너에 화물을 직접 적입한 후 이

컨테이너를 CT내에 설치되어 있는 선박회사가 지정한

화물인수장소로 인도하는데 이러한 컨테이너 야적장을 의미 Container Yard (CY)

Page 31: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31 / 65

1. 해상운송

컨테이너 화물의 유통기지

5) 컨테이너(Container) 운송

컨테이너 터미널

내륙 컨테이너 기지

Container Yard (CY)

▪ 1개의 컨테이너를 채울 수 없는 소량의 화물(LCL cargo)을

여러 화주로부터 인수하여 목적지별로 선별하여 컨테이너에

적입(vanning)하거나 또는 각 화주에게 인도하기 위해 한

컨테이너로부터 해체(devanning)하는 컨테이너 화물

조작장소를 CFS라 함

Container Freight

Station(CFS)

Page 32: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32 / 65

1. 해상운송

컨테이너 화물의 유통경로

▪ 송화인이 자신의 공장이나 창고 등에서 물품을 컨테이너에 적입하여 이를 내륙에

설치되어 있는 컨테이너 기지(ICD)로 보냄

▪ ICD에 집결된 컨테이너 화물은 선박회사나 다른 운송인이 전세 계약한 컨테이너

전용열차에 의해 컨테이너 전용부두에 설치된 컨테이너 터미널의 야적장(CY)으로 운송됨

▪ 내륙지점에 ICD가 없으면 송화인이 직접 컨테이너 터미널로 화물을 운송함

▪ CY에 야적된 컨테이너 화물은 컨테이너 전용선에 적재되어 목적항구까지 해상 운송됨

▪ 목적항에 도착한 컨테이너 화물은 모두 컨테이너 터미널에 하역되었다가 다시 목적지의

ICD로 철도나 도로에 의해 운송됨

5) 컨테이너(Container) 운송

ICD 콘테이너

터미널

콘테이너

터미널 ICD 송화인

트럭

송화인

송화인

송화인

송화인

송화인

트럭 철도도로 운송

해상 운송

철도도로 운송

Page 33: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33 / 65

1. 해상운송

컨테이너 관련 국제조약

컨테이너 통관조약(CCC)

▪ 컨테이너로 화물을 운송하더라도 컨테이너까지 수화인에게 인도되는 것이 아니며,

컨테이너도 고가품이어서 수입관세가 부과되면 원활한 컨테이너운송을 도모할 수 없음

▪ 1956년 유럽 경제위원회는 컨테이너 통관조약(Customs Convection on Container)을 채택

▪ 이 조약은 일시적으로 수입된 컨테이너에 대해서는 재수출하는 조건으로 면세하고,

국내보세운송할 경우 조약체결국 정부의 세관이 봉한 봉인(seal)을 존중할 것 등을 규정하고

있어 체약 당사국간의 컨테이너 운송이 원활하게 되었음

5) 컨테이너(Container) 운송

국제도로운송 통관조약(TIR)

▪ 공식명칭은 “국제도로운송수첩의 담보하에 행하는 화물의 국제운송에 관한

통관조약(Customs Convention on the International Transport of goods under Cover of

TIR Carnets)"이며 약칭으로 TIR(Trailer Interchange Receipt) 조약으로 부르고 있음

▪ 특정 국가를 경유하여 최종목적지까지 소위 통과 운송할 경우 경유지 국가가 컨테이너

내용물에 대해서 관세법상의 특혜를 제공할 것을 규정하고 있음

▪ 컨테이너 봉인에 이상이 없고 국제운송수첩(TIR Carnets)에 의한 보증이 있을 경우에는

경유지 세관이 수입세나 수출세의 납부 또는 공탁을 면제하고 세관검사도 면제됨

Page 34: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34 / 65

2. 선하증권

선하증권의 발달

1) 선하증권의 의의

15-16세기경부터 해상교역에서 사용되기 시작

▪ 화주가 화물을 본선에 적재하면 선박회사는 선하증권(bill of lading)을 발급해 줌

중세기까지는 선하증권같은 운송서류가 필요하지 않았음

한자동맹(Hanseatic league) 시대에 와서 해상교역량이 많아짐에 따라 화주들은

자신들의 화물을 운송해 주도록 선장에게 위탁했고, 선장은 화물을 위탁받았다는

일종의 영수증으로서 선하증권을 발급하기 시작함

항공기의 등장으로 대부분 선하증권이 화물보다 목적지에 먼저 도착함으로써

목적지의 상인들은 화물 대신 선하증권을 사고팔기 시작하여 선하증권은 화물을

대표하는 권리증권으로서 유통․유가증권의 성질을 가지게 되었음

Page 35: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35 / 65

운송계약이 체결되었다는 가장 믿을 만한 증거는 선하증권이다. 따라서 선주가

선하증권을 발행하면 선주와 화주 간에 운송계약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됨

2. 선하증권

선하증권의 기능

1) 선하증권의 의의

선주와 화주 간에 운송계약이 체결되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증거서류임 1

선주가 선하증권 상에 표기된 화물을 영수하였다고 인정하는 서류의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운송화물의 수량, 중량, 상태 등이 기재되기 때문에 선하증권은

곧 화물에 대한 명세서이기도 함

선적된 화물의 수취증, 선적화물의 수량과 상태에 관한 명세서의 역할함 2

선하증권은 화물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권리증권 3

Page 36: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36 / 65

2. 선하증권

선하증권의 법률적 성격

1) 선하증권의 의의

요인증권

▪ 해상운송계약에 의해 화물의 선적 또는 수락을 전제로 하여 발행되는 것이므로 법률상

요인증권

요식증권

▪ 상법에서 규정된 법정기재사항의 기재를 필요로 하는 요식증권임

채권․처분증권

▪ 상법에서 규정된 법정기재사항의 기재를 필요로 하는 요식증권임

Page 37: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37 / 65

2. 선하증권

선하증권의 법률적 성격

1) 선하증권의 의의

요인증권

요식증권

채권․

처분증권

유가․

유통증권

문언증권

상환․

인도증권

해상운송계약에 의해 화물의 선적

또는 수락을 전제로 하여 발행되는 것

상법에서 규정된

법정기재사항의 기재를

필요로 함

선박회사에 화물의 인도를 청구할 수 있고, 운송 화물 처분하기 위해서 선하증권 사용해야 함

화물을 대표하는 유가증권으로서 배서 또는 인도에 의해 소유권이 이전됨

선주와 화주의 의무는 선하증권에 기재된 문언에 따라이행됨

소지인이 화물의 인도를 청구할 때 선하증권을 제시해야 하고, 선하증권의 인도는 화물을 인도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음 법률적

성격

Page 38: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38 / 65

2. 선하증권

선하증권의 기재사항

2) 선하증권의 내용

선하증권의 법정기재사항

▪ 선하증권의 요식성은 엄격한 것이 아니므로 법정기재사항의 일부가 기재되지 않거나

반대로 법정기재사항 이외의 다른 사항이 기재되더라도 증권이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님

선박의 명칭․국적․톤수 운송물의 종류․중량/용적, 포장명세

운송물의 외관상태 용선자 또는 송화인의 성명 또는 상호

수화인 또는 통지선의 성명 또는 상호 선적항

양륙항 운임

발행지 및 발행연월일 발행통수

Page 39: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39 / 65

2. 선하증권

2) 선하증권의 내용

▪ 보통 선하증권의 상단에는 운송물품을 보내는 송화인(shipper) 즉 수출업자의 이름을

기재함

선하증권의 기재사항

송화인

▪ 수화인은 통상 수입업자이지만 선하증권 그 자체가 권리증권이며 유가증권이기 때문에

수화인을 표시하는 것은 중요함

수화인

기명식

지시식

무기명식

수화인 난에 특정인의 성명을 기입하는 방법

수화인을 “Order", "Order of shipper”, 또는 “Shipper or order"로 표시하는 방법

수화인을 "Shipper or bearer" 또는 "Bearer(지참인)“으로 표시함

Page 40: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40 / 65

2. 선하증권

2) 선하증권의 내용

▪ 화물도착통지서(arrival notice ; A/N)를 받아보는 당사자를 통지선(notify party)이라 함

▪ 대부분 수입업자가 통지선이기 때문에 “accountee" 또는 "same as consignee" 처럼

기재됨

선하증권의 기재사항

통지선

▪ 운송선박의 이름이 기재되며, 선박의 소속국적(flag)은 선박명으로 판명되기 때문에

기재할 필요는 없음

선박명 및 국적

▪ 상품 및 포장에 관한 명세가 기재되는데 컨테이너 화물은 "Shipper's load and count"

또는 “said by shipper to contain”이 기재됨

▪ 송화인이 직접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했다는 표시이며, 운송인은 컨테이너 내용물에

대해서 책임지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함

▪ 컨테이너 내용물에 대해서도 "380 CTNS(64,300) PCS) of Light Bulbs"처럼 내용물의

수량을 표시해 주어야 함

상품 및 포장명세서

Page 41: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41 / 65

2. 선하증권

2) 선하증권의 내용

선하증권의 기재사항

운임

▪ 선하증권의 하단에는 운임 및 기타 수수료를 기재하고 옆의 선불난 또는 도착지불난에

표시함

C 그룹의 가격조건

운임은 선적항에서 지급되고

선하증권의 가운데 “Freight Paid"

혹은 ”Freight Prepaid"로 표시됨

F그룹의 가격조건

도착항에서 운임이 지급되기 때문에

"Freight Collect"가 표시되는데

실무에서는 FOB 거래조건에서 운임이

선불되는 경우가 많음

▪ 운임은 선불되더라도 기타 수수료는 도착항에서 지급되는 경우가 있는데 수화인은 미지급

수수료를 지불해야만 화물을 인도 받을 수 있음

Page 42: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42 / 65

2. 선하증권

2) 선하증권의 내용

선하증권의 기재사항

선하증권의 작성통수

original

duplicate triplicate

1세트(set)로 발행

▪ 수출업자는 선하증권 원본 3통을 관련 은행에 모두 제시해야만 수출대금을 찾을 수 있음

▪ 사본에는 “유통불능(non negotiable)"이라는 문언이 인쇄되어 있어 화물을 찾는데 사용될

수 없음

작성지역 및 작성 연월일

▪ 작성지역은 선하증권과 관련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적용될 준거법을 명시한 것임

▪ 발급일자는 대부분 화물이 본선 상에 적재된 일자와 동일하며, 수출업자는 이 날짜를

기준으로 21일 이내에 선하증권을 제시해야 함

Page 43: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43 / 65

2. 선하증권

2) 선하증권의 내용

운송약관

법률적으로 보면 부합약관(adhesion clause)의 일종이기 때문에 운송인이 일방으로

약관을 제정하고 화주들은 이 내용을 포괄적으로 승인함

주로 준거법에 의한 규정, 운송인의 면책사항, 화주의 의무 등을 약정한 것임

운송약관의 기본정신은 1968년 헤이그-비스비 규칙에 입각해야 함

Page 44: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44 / 65

2. 선하증권

3) 선하증권에 관한 국제규칙

헤이그 규칙(Hague Rules)

해상운송에 관해 국제적인 통일을 갖기

위해서 1924년 8월 25일 브뤼셀에서

개최된 제5차 해상법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선하증권에 관한 통일조약이 채택됨

각국들은 이 통일조약의 기본정신을 바탕으로 선하증권에 관한 법을 제정하게 됨

▪ 통일조약은 선주에게 다소 유리한 해상 운송법인데 선주가 감항능력을 갖추기 위해

정당한 노력(due diligence)만을 기울이도록 규정하고 있음

▪ 이 사실만 입증하면 설령 해상사고가 감항능력의 결여로 발생했다 하더라도 선주는

면책됨

▪ 1921년 헤이그 규칙을 모체로 한 것이어서 그대로 헤이그 규칙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까지 해상운송에 관한 기본적인 국제법으로 남아있음

Page 45: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45 / 65

2. 선하증권

3) 선하증권에 관한 국제규칙

헤이그-비스비 규칙(Hague-Visby Rules)

▪ 많은 국가에서 헤이그 규칙을 모체로 자국의 해상운송법을 제정함으로써 헤이그 규칙은

해상운송에 관한 기본적인 국제법이 됨

▪ 1950년대 말부터 국제해사위원회를 중심으로 헤이그 규칙에 대한 수정안이 논의됨

▪ 1968년 헤이그-비스비 규칙이 정식으로 채택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음

헤이그-비스비 규칙(Hague-Visby Rules)

▪ 헤이그-비스비 규칙이 발효되기도 전에 많은 개발도상국가들이 종래의 통일조약은 너무

선주 위주로 되어 있어 화주들의 권익이 제대로 반영되어 있지 않다는 주장을

UNCTAD에서 제기하였음

▪ 1968년에 국제해운입법작업부회가 설치되어 새로운 선하증권 조약만을 마련하였고,

이 개정조약안은 1978년 함부르크에서 개최된 개정조약안 채택을 위한 전권회의에서

채택되어 UN해상화물운송조약, 즉 함부르크 규칙이 되었음

Page 46: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46 / 65

2. 선하증권

4) 선하증권의 종류

선적선하증권∙수취선하증권

▪ 선적선하증권(Shipped or On Board B/L)은 운송물품이 본선에 적재된 후 발급되는

선하증권임

▪ 운송선박이 아직 부두에 정박하지 않았거나 입항조차 하지 않았을 경우 화물은 일단

선박회사의 부두창고에 입고되어 선적순서를 기다리게 되는데 이 때 선박회사는 화물을

수취하였음을 나타내는 수취선하증권(Received for B/L)을 발급함

무사고 선하증권∙사고부 선하증권

▪ 화물을 본선 상에 선적할 때 화물의 상태가 외관상 양호하고 수량이 맞아 선하증권의

비고난에 아무런 표시가 없는 선하증권을 무사고 또는 무고장 선하증권(Clean B/L)이라 함

▪ 선하증권은 외관상 아무런 하자사항이 없는 양호한 화물이 본선 상에 선적되었음을

나타내는 "shipped on board in apparent good order and condition"라는 표현이

있어야만 완전한 선하증권이 됨

▪ 만약 포장상태가 불완전하거나 수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선하증권상에 “5 cases loss strap",

"5 cartons short in dispute"등과 같은 단서조항이 기재되는데 이런 선하증권을 사고부

선하증권(Dirty or foul B/L)이라 함

Page 47: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47 / 65

2. 선하증권

기명식 선하증권∙지시식 선하증권

▪ 기명식 선하증권(Straight B/L)은 화물을 받아보는 수화인의 이름이 증권 상에 구체적으로

표시된 선하증권을 말하는데 통상 수입업자의 이름이 기재됨

▪ 지시식 선하증권(Order B/L)은 수화인에 대한 표시가 “Order", "Order of ABC Bank" 등과

같이 표시되어 있는 선하증권을 말하는데 수출업자는 선하증권의 뒷면에 무기명배서만

하면 이 선하증권은 자유롭게 유통됨

▪ 오늘날의 무역거래에서는 대부분 지시식 선하증권이 사용되고 있음

기명식 선하증권∙지시식 선하증권

▪ 국제해상운송인 경우에는 해양선하증권(Ocean B/L)이 발행되고, 국내의 해상운송인

경우는 내국선하증권(Local B/L)이 발행됨

유통가능 선하증권∙유통불능 선하증권

▪ 선하증권은 보통 원본 3장과 그 외에 많은 사본이 발급되는데 원본 3장의 선하증권을

유통가능 선하증권(Negotiable B/L)이라 하며, 증권상에 "Negotiable"이라는 표시가

인쇄되어 있음

▪ 선하증권 사본에는 "Non-negotiable" 및 "Copy"라는 표시가 되어 있어 이를 유통불능

선하증권(Non-negotiable B/L)이라 하며 선하증권으로서의 기능을 전혀 발휘하지못함

4) 선하증권의 종류

Page 48: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48 / 65

2. 선하증권

약식선하증권

▪ 발행수속을 간소화하기 위해 운송약관이 인쇄되어 있지 않은 선하증권을 약식 또는 간이

선하증권(Short Form B/L)이라 하며 신용장상에 별도의 명시가 없는 한 은행은 이러한

서류를 수리함

All the terms of the carrier's regular long form of Bill of Lading are incorporated herein with like force and effect as if they were written at length herein. A copy of such Bill of Lading may be obtained from the carrier, its agent, or the master."

환적선하증권

▪ 목적항구까지 직접 가는 직항선박이 없을 경우에는 중간 항구에서 다른 선박에 화물을

환적하여 운송함

▪ 구간마다 각각 다른 선하증권이 발급되지 않고 처음 발행된 선하증권을 목적항구까지

그대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선하증권을 환적선하증권(Transshipment B/L)이라 함

4) 선하증권의 종류

Page 49: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49 / 65

2. 선하증권

통과선하증권

▪ 목적지까지 해상운송과 육상운송을 동시에 이용할 경우 발행되는 선하증권을

통과선하증권 또는 통선하증권(Through B/L)이라 함

▪ 미국에서는 이러한 선하증권을 Overland B/L 또는 Overland Common Point B/L이라 함

Stale B/L

▪ 선하증권이 발행된 후 21일이 지난 뒤 은행에 제시되는 선하증권을 Stale B/L이라 하고,

특별히 “Stale B/L acceptable" 이라는 조항이 없는 한 은행에서 수리하지 않음

Third Party B/L

▪ 중계무역의 경우에는 수출업자 대신 제3자 특히 선박회사의 이름을 기재하는데 이를

Third Party B/L이라 함

▪ 이름을 숨기는 것은 만약 수입업자가 선하증권 상의 송화인을 알게 되면 향후 거래에서는

중계무역을 하지 않고 직접 수출업자와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 무역업자의 이익을

보호해 주기 위해서임

4) 선하증권의 종류

Page 50: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50 / 65

2. 선하증권

집단선하증권(Groupage B/L, Master B/L)

▪ 한 컨테이너 안에 여러 화주의 화물이 적재되었음을 표시하는 선하증권을 말함

▪ 운송주선인은 개별 화주에 대해서는 운송인의 입장에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해서는

일종의 선적증명서인 House B/L 또는 Forwarder's B/L을 발급해 줌

부서부 선하증권(Countersign B/L)

▪ 선하증권에는 운임, 수수료 등 선박회사에 지불할 채무가 표시되어 있음

▪ 선박회사에 대한 지급이 완료되면, 선박회사는 이를 증명하기 위해 선하증권사에 서명을

하는데, 이런 선하증권을 부서부 선하증권(Countersign B/L)이라 함

용선계약부 선하증권(Charter Party B/L)

▪ 화주가 화물을 대량으로 운송하기 위해 선박을 용선하는 경우 화주와 선박회사 사이에

체결되는 용선계약에 의해서 발행되는 선하증권을 말함

해상화물운송장(Sea Waybill ; SWB)

▪ 선박회사가 화물을 수취했음을 나타내는 화물수취증이며, 수화인의 성명과 주소가

명기되어 있고 유통금지문언이 부기되어 있음

4) 선하증권의 종류

Page 51: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51 / 65

2. 선하증권

5) 선하증권에 관한 국제규칙

CMI 규칙에 의한 전자식 선하증권

▪ 1990년 국제해사법회(Comite Maritime International)에서 채택한 “전자식 선하증권에

관한 CMI 규칙”(CMI Rules for Electronic Bill of Landing)에 언급된 선하증권임

▪ 운송중인 물품에 대한 권리의 전자적 이전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선하증권 상의 권리를 이전함

▪ 선박회사가 양도인, 양수인 등에게 개인키를 부여하고 양도 의사를 전자적 지시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선하증권 상의 권리가 이전됨

▪ 그 동안 화물에 대한 통제권은 선하증권의 소지인이 갖고 있었지만 전자식

선하증권에서는 전자적 지시를 하는 선박회사가 갖게 됨

개념

Page 52: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52 / 65

2. 선하증권

5) 선하증권에 관한 국제규칙

권리이전 과정

송화인과 운송인간에 운송계약이 체결되면 그 내용이 운송인의 컴퓨터에 입력됨 1

운송인은 송화인으로부터 물품을 수취한 후 그 사실을 전송함 2

송화인은 운송인의 전송 내용을 확인하면 전자식 선하증권의 소지인이 됨 3

만약 소지인이 물품을 타인에게 양도할 경우에는 이런 의사표시를 운송인에게

전송함 4

새로운 소지인은 이의 수락을 운송인에게 전송하고 운송인은 현재의 개인 키를

폐기하고, 새로운 소지인에게 새로운 개인키를 부여함 5

Page 53: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53 / 65

2. 선하증권

5) 선하증권에 관한 국제규칙

화물인도 과정

화물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운송인은 전자식 선하증권의 소지인에게 물품인도 예정

장소 및 일자를 전송함

만약 소지인이 수화인을 지명하지 않으면 소지인 자신이 수화인으로 간주됨

수취한 소지인은 개인 키를 사용하여 수화인을 지명하고, 운송인에게 인도에 관한

지시를 함

운송인은 인도지시에 따라 지정된 수하인 또는 소지인에게 물품을 인도함

화물이 인도되면 개인 키는 자동적으로 폐기됨

Page 54: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54 / 65

2. 선하증권

5) 선하증권에 관한 국제규칙

Bolero시스템의 전자식 선하증권

▪ Bolero(Bill of Lading Electronic Registry Organization)는 범세계적으로 전자상거래에

대한 법적 환경이 정비되고 전자통신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암호화 기법이 발전하면서

선적서류 일체를 전자화하여 이를 상업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개발한 시스템임

▪ 1994년에 미국, 영국 등의 선사, 은행, 통신회사 등이 참여한 컨소시움 형태로 시작되었음

▪ 무역거래에 필요한 종이서류를 전자메시지로 전환하여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개요

특징

▪ 별도의 조직을 설립하여 중앙등록기관으로 운영함

▪ 메시지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현재까지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 RSA

방식의 디지털 서명을 메시지 전송에 채택하고 있으며, 사용자 시스템의 접속에도 IC

Card를 활용하여 안전성을 높였음

Page 55: 무역실무_4차시_국제운송I

55 / 65

2. 선하증권

5) 선하증권에 관한 국제규칙

Bolero시스템의 전자식 선하증권

권리이전 과정

운송인과 송화인 사이에 운송계약이 체결된다

운송인은 이 지시를 확인한다

송화인이 운송인에게 차후로는 수화인의 지시를 받을 것을 지시한다

운송인은 수화인에게 물품을 점유하고 있음과 이제부터 오직 수화인의 인도

지시만 받겠다고 통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