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나눔의 정석 9l 지역사회를 9할조 강한솔 박다솔 박수영 서은지 송다혜 이승우 최문선 2013-2 나눔리더십 9

나눔리더십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나눔리더십

나눔의 정석

9조 l 지역사회를 9할조

강한솔 박다솔 박수영 서은지 송다혜 이승우 최문선

2013-2 나눔리더십 9반

Page 2: 나눔리더십

목 차

01 선정 및 계획

02 관련 도서·영화·포럼

03 쉐어박스

04 아름다운 가게

05 한계·의의

Page 3: 나눔리더십

1. 선정 및 계획

Page 4: 나눔리더십

“나눔?”

“다른 사람과 나누는 것”

“무엇을?”

“나에게는 의미 없지만 타인에게는 소중한 것”

01

02

03

04

05

1. 선정 및 계획

Page 6: 나눔리더십

“나눔?” 01

02

03

04

05

1. 선정 및 계획

Page 7: 나눔리더십

01

02

03

04

05

나눔 상호적 나눔경제 모두가 함께 나눔과 순환의 사회 만들기!

아름다운 가게

쉐어박스 쉽고 가까운 나눔의 실천!

1. 선정 및 계획

Page 8: 나눔리더십

2

3

01

02

03

04

Why 쉐어박스?

05

펜이나 자, 칼, 포스트잇, 사소하지만 없으면 불편한 물품

누군가에겐 사소하지만 누군가에겐 유용

→ 불필요한 낭비를 막고 도움을 주기

How?

→ 나눔으로!

1. 선정 및 계획

Page 9: 나눔리더십

1

2

3

01

02

03

04

활동 기간

활동 목표

활동 주제 & 기획 의도

2013.09.23~

나눔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개선

쉐어박스 아름다운 가게

05

* 짧은 기간 – 교내로 한정

* 자원의 낭비 방지

* 사소한 나눔의 실천 유도

* 교내의 활동을 교외로 확장

* 나눔 실천 방법의 하나로

아름다운 가게 홍보

1. 선정 및 계획

Page 10: 나눔리더십

2. 관련 활동

Page 11: 나눔리더십

관련 도서

『공유경제』

로나골드 저

관련 영화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감독 미미 레더

관련 포럼

시장사회를 넘어

: 공동체 경제와 젠더

01

02

03

04

05

2. 관련 활동

Page 12: 나눔리더십

2-1. 관련 도서

도서

『공유경제』

로나골드 저

인간 중심의 경제 ‘공유경제’의 개념을 일깨워줌

기업인, 노동자, 고객, 동료 모두를 소중한 사람으로 인식

존중의 경제학 실천 제안

각자 1장씩 읽고

발제문 공유 및 토론

01

02

03

04

05

Page 13: 나눔리더십

2-1. 관련 도서

01

02

03

04

05

Page 14: 나눔리더십

2-1. 관련 도서

01

02

03

04

05

Page 15: 나눔리더십

2-2. 관련 영화

중앙도서관 시청각실에서

다같이 관람 및 토론

01

02

03

04

05

영화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감독 미미 레더

원제목 <Pay It Forward> : ‘선행 나누기’

생활 속 사소한 실천도 함께한다면 사회를 바꾸는 힘

Page 16: 나눔리더십

2-2. 관련 영화

01

02

03

04

05

Page 17: 나눔리더십

2-2. 관련 영화

01

02

03

04

05

영화 속에서 제가 깨달은 것은 트레버가 일상에서 실천한, 사소하고 별일 아니라고 여겨질 수도 있는

나눔이 실은 나름의 용기와 진심 어린 배려가 필요한 행위라는 것입니다. 저희 조가 나눔 리더십을

배우면서, 또 조별활동을 하면서 트레버처럼 나눔의 깊은 의미를 깨닫고 그것을 실천하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강한솔

나눔이라는 것이 의식해서 실천하지 않아도 되었으면, 자연스러운 것이고 당연한 미덕이 되는 날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이번 실천활동을 통해서 나도 나눔에 더 가까워지고

접하는 사람들이 나눔에 더 한발짝 나아가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박수영

생활 속 작은 실천, 사회로 확장된 실천이 함께 이행되고, 이 모든 실천은 진정한 소통과 공감을

기반으로 합니다. 물론, 이 아름다운 사회의 모습은 영화이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일 수 도 있지만,

우리가 이렇게 진정한 나눔과 공감에 대해 이야기하고 실현을 노력하다 보면 언젠가 이러한 아름다운

사회를 만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지게 한 영화였던 것 같습니다. /최문선

특히 이 영화 중 ‘나눔을 3명에게 실천하고 또 그 3명이 또 다른 3명에게 실천하고,,,’ 하는 부분은

진정하고 이상적인 나눔 사회를 그리고 있는 것 같았다. /송다혜

이를 통해 수업시간에 접했던 '3의 법칙'이 적용이 실제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느꼈으며, 아주

사소한 행동이더라도 세상을 바꿀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트레버의

아이디어처럼 우리 조 또한 이번 실천활동인 학용품 기부라는 사소한 활동을 통해 나눔을 확장하고,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이바지할 수 있길 바랍니다 /서은지

Page 18: 나눔리더십

2-3. 관련 포럼

01

02

03

04

05

포럼

시장사회를 넘어

: 공동체 경제와 젠더

Page 19: 나눔리더십

3. 쉐어박스

Page 20: 나눔리더십

3. 쉐어박스

01

02

03

04

05

쉐어박스 홍보물 제작

Page 21: 나눔리더십

3. 쉐어박스

01

02

03

04

05

쉐어박스 제작 및 설치

포스코관 지하 1층

학관 1층

Page 22: 나눔리더십

01

02

03

04

05

지속적인 홍보

SNS 페이스북 페이지 ‘나눔의 정석

온라인 이화이언 열린광장

오프라인 학관 및 포관, ECC 등

3. 쉐어박스

Page 23: 나눔리더십

01

02

03

04

05

3. 쉐어박스

활동 1주일 차

Page 24: 나눔리더십

01

02

03

04

05

3. 쉐어박스

“미미한 참여”

포스코관 쉐어박스

학관 쉐어박스

Page 25: 나눔리더십

01

02

03

04

05

3. 쉐어박스

활동 2-3주일 차

Page 26: 나눔리더십

01

02

03

04

3. 쉐어박스

나눔 참여율 증가

학관 쉐어박스

포스코관 쉐어박스

05

Page 27: 나눔리더십

01

02

03

04

05

3. 쉐어박스

인증샷 이벤트

Page 28: 나눔리더십

01

02

03

04

05

3. 쉐어박스

방명록

나눔 참여 및 학용품 사용 후기

Page 29: 나눔리더십

4. 아름다운 가게

Page 30: 나눔리더십

4-1. 가게 방문

11.04

아름다운 가게 목동점

& 행복플러스 카페 방문

11.10

아름다운 가게 한양대점 방문

11.12

아름다운 가게 홍대입구점 방문

방문, 조사 및 직원 인터뷰

01

02

03

04

05

Page 31: 나눔리더십

* 아파트 단지 내 위치 → 많은 손님

* 넓은 공간

* 주로 생활용품과 옷

* 3분 거리의 행복 플러스 카페

: 장애인 생산품 판매

목동점

4-1. 가게 방문

01

02

03

04

05

Page 32: 나눔리더십

한양대점

* 유일하게 학교 내 위치

* 공정무역 커피 판매

* 모르는 학생들이 많아 적은 방문객

* 수익금은 불우이웃에게 기부

4-1. 가게 방문

01

02

03

04

05

Page 33: 나눔리더십

홍대입구점 * 홍대입구역에서 1분거리

* 좁지만 다양하고 풍부한 물품들

* 주 고객층 3-40대

* 친절한 매장 직원들

4-1. 가게 방문

01

02

03

04

05

Page 34: 나눔리더십

01

02

03

04

05

4-2. 아름다운 가게 홍보

홍보물

Page 35: 나눔리더십

01

02

03

04

05

4-2. 아름다운 가게 홍보

* 아름다운 가게 정보 제공

* 지하철 노선도 이용

→ 방문 유도

* 각 지점마다 특징 제시

* ECC에서 홍보물 배부

Page 36: 나눔리더십

5. 한계와 의의

Page 37: 나눔리더십

5. 한계와 의의

01

02

03

04

05

한계

* 이벤트 참여 저조 → 무산

* 학용품 관리 및 분실 관리 미흡

* 아름다운 가게 홍보 부족

Page 38: 나눔리더십

5. 한계와 의의

01

02

03

04

05

* 활동을 통한 나눔의 전파

* 작지만 중요한 변화의 시작

의의

Page 39: 나눔리더십

질문 있나요?

Page 40: 나눔리더십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