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78 KISEP Case Reports N Korean J Otolaryngol 1998;41( 2) :278-280 식도 이물로서 발견된 선천성 식도 협착증 1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1 내과학교실 2 유우정 1 ·김병국 1 ·이흥엽 1 ·한남익 2 A Case of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Presented with Esophageal Foreign Body Woo-Jeong Yoo, MD 1 , Byung-Guk Kim, MD 1 , Heung-Youp Lee, MD 1 and Nam-Ik Han, MD 2 1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NS, 2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ABSTRACT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is a extremely rare disease in childhood. We experienced one patient with a case of esophageal stenosis with esophageal solid food impaction. According to her history of dysphagia, cine esophagogram, pH-monitoring, and esophagoscopic findings, this esophageal stenosis was confirmed as congenital stenosis. We thus reported this case along with a relevant literature review. ( Korean J Otolaryngol 1998 ; 41( 2) : 278-280) KEY WORDS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Esophageal foreign body. 선천성 식도 협착증은 약 25,000명에서 50,000명의 출 생아 중에서 1명의 발생 빈도를 보이는 매우 희귀한 질환 으로 1) 국내에서는 현재 6례만이 보고되었는데 2-5) 이들은 대부분 고형식을 시작한 후 구토, 연하 곤란, 또는 폐염 등 의 증상으로 발견되었고 식도 이물에 의해 발견된 예는 드 물다. 저자들은 6세 여아에서 식도 이물에 의해 발견된 선천성 식도 협착증 1례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환자는 이○○, 6세 여자 환자로 1997년 2월 연하곤란 및 구토 주소로 내원하였다. 현병력:내원 전날 저녁 식사시 콩을 먹은 후 연하곤란 이 발생하였으며 그후 음식 섭취시 여러 차례 구토가 있어 서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과거력:고형식을 시작한 생후 9개월부터 한 달에 한두 차례 간헐적인 구토가 있어 왔으며 외상이나 식도 부식제 를 먹은 적은 없었고 흡인성 폐렴의 병력도 없었다. 가족력:특이 소견 없음. 이학적 소견:내원시 체중은 19.8 kg으로 25 분위 수 에 해당하였고 동반된 기형이나 이학적 검사상 특이 소견 은 없었다. 임상검사 소견:특이 소견 없음. 사선학적 소견:흉부와 경부 단순 촬영상 중등도의 아 데노이드 증식이외에 식도이물과 같은 이상 소견은 발견되 지 않았다. 식도 조영술상 제5흉추 위치의 식도에서 길이 1 cm 정도의 환형 협착 병변이 관찰되었고 그 직상 근위부 확장을 보이며 이물로 보이는 약 1,5×1.0 cm의 타원형의 충만 결손을 보였다(Fig. 1). 식도 내시경 소견:상절치로부터 약 20 cm 거리의 흉부 식도에서 환형의 완만한 협착 부위가 관찰되었고, 그 직상 에 식도이물(콩)이 발견되었다(Fig. 2). 식도 점막은 정 상 소견을 보였다(Fig. 3). 치료 및 경과:식도 내시경하에서 3-wire forceps을 이 용하여 이물을 제거한 후 부우지 요법(bougienage)을 시 행하였다. 환자는 술후 2일째 적절한 저작으로 고형식이 가능한 상태로 퇴원하였고, 외래에서 시행한 식도 pH 측정 검사(pH-monitoring)상 위식도역류의 소견은 없었다. 환 논문접수일:1997년 9월 23일 / 심사완료일:1997년 10월 29일 교신저자:유우정, 422-052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소사동 2번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32) 340-2110·전송:(032) 340-2674

A Case of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Presented with ...kjorl.org/upload/pdf/0011998047.pdf임상검사 소견:특이 소견 없음. 방사선학적 소견:흉부와 경부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A Case of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Presented with ...kjorl.org/upload/pdf/0011998047.pdf임상검사 소견:특이 소견 없음. 방사선학적 소견:흉부와 경부

278

KISEP Case Reports N

Korean J Otolaryngol 1998;;;;41((((2))))::::278-280

식도 이물로서 발견된 선천성 식도 협착증 1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1 내과학교실2

유우정1·김병국1·이흥엽1·한남익2

A Case of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Presented with Esophageal Foreign Body

Woo-Jeong Yoo, MD1, Byung-Guk Kim, MD1, Heung-Youp Lee, MD1 and Nam-Ik Han, MD2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HNS, 2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ABSTRACT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is a extremely rare disease in childhood. We experienced one patient with a case of esophageal stenosis with esophageal solid food impaction. According to her history of dysphagia, cine esophagogram, pH-monitoring, and esophagoscopic findings, this esophageal stenosis was confirmed as congenital stenosis. We thus reported this case along with a relevant literature review. ((((Korean J Otolaryngol 1998;41((((2)))):278-280)))) KEY WORDS: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Esophageal foreign body.

서 론

선천성 식도 협착증은 약 25,000명에서 50,000명의 출

생아 중에서 1명의 발생 빈도를 보이는 매우 희귀한 질환

으로1) 국내에서는 현재 6례만이 보고되었는데2-5) 이들은

대부분 고형식을 시작한 후 구토, 연하 곤란, 또는 폐염 등

의 증상으로 발견되었고 식도 이물에 의해 발견된 예는 드

물다.

저자들은 6세 여아에서 식도 이물에 의해 발견된 선천성

식도 협착증 1례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증 례

환자는 이○○, 6세 여자 환자로 1997년 2월 연하곤란

및 구토 주소로 내원하였다.

현병력:내원 전날 저녁 식사시 콩을 먹은 후 연하곤란

이 발생하였으며 그후 음식 섭취시 여러 차례 구토가 있어

서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과거력:고형식을 시작한 생후 9개월부터 한 달에 한두

차례 간헐적인 구토가 있어 왔으며 외상이나 식도 부식제

를 먹은 적은 없었고 흡인성 폐렴의 병력도 없었다.

가족력:특이 소견 없음.

이학적 소견:내원시 체중은 19.8 kg으로 25백분위 수

에 해당하였고 동반된 기형이나 이학적 검사상 특이 소견

은 없었다.

임상검사 소견:특이 소견 없음.

방사선학적 소견:흉부와 경부 단순 촬영상 중등도의 아

데노이드 증식이외에 식도이물과 같은 이상 소견은 발견되

지 않았다. 식도 조영술상 제5흉추 위치의 식도에서 길이

1 cm 정도의 환형 협착 병변이 관찰되었고 그 직상방에

근위부 확장을 보이며 이물로 보이는 약 1,5×1.0 cm의

타원형의 충만 결손을 보였다(Fig. 1).

식도 내시경 소견:상절치로부터 약 20 cm 거리의 흉부

식도에서 환형의 완만한 협착 부위가 관찰되었고, 그 직상

방에 식도이물(콩)이 발견되었다(Fig. 2). 식도 점막은 정

상 소견을 보였다(Fig. 3).

치료 및 경과:식도 내시경하에서 3-wire forceps을 이

용하여 이물을 제거한 후 부우지 요법(bougienage)을 시

행하였다. 환자는 술후 2일째 적절한 저작으로 고형식이

가능한 상태로 퇴원하였고, 외래에서 시행한 식도 pH 측정

검사(pH-monitoring)상 위식도역류의 소견은 없었다. 환

논문접수일:1997년 9월 23일 / 심사완료일:1997년 10월 29일

교신저자:유우정, 422-052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소사동 2번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32) 340-2110·전송:(032) 340-2674

Page 2: A Case of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Presented with ...kjorl.org/upload/pdf/0011998047.pdf임상검사 소견:특이 소견 없음. 방사선학적 소견:흉부와 경부

유우정 외

279

자는 술후 6개월 현재 적절한 저작을 통해 고형질 식이가

가능한 상태로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고 찰

선천성 식도 협착증은 식도 벽의 선천성 이상에 의한 식도

의 내인성 협착으로 정의되며,6) 협착 원인은 조직학적으로

기관기관지 잔유물, 막성 횡경막(membranous diaphragm),

미만성 섬유화에 의한 근육과 점막하층의 분절 비후로 분

류된다.7)

그 발생기전은 4~5 mm 태생기에 기관 분기부 위치의

식도에서 기포화(vacuolization)가 일어나 내강 점막상피가

흡수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결손이 생길때 기형이 발생할

수 있고, 식도이완증과 유사하게 근육층신경얼기(myentric

plexus)의 억제신경지배(inhibitory innervation)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8)

발생률은 극히 드물어 출생아 25,000명에서 50,000명

당 1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1936년 Frey와 Duschel9)에

의해 처음 보고된 이래, 전 세계적으로 현재까지 500례 이

하로 보고되었으며,1) 국내에서는 모두 6례정도만이 보고되

었을 뿐이며2-5) 남녀 성비의 차이는 없다.1) 본 질환의 희

소성과 함께 식도 조영술상의 감별의 어려움으로 진단이

늦어지고 부적절한 치료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협착정도가

경도인 경우에는 적절한 저작에 의해 적응을 함으로써 실

제보다 진단이 안되는 것으로 여겨진다.10)

다른 기형과 연관된 경우는 약 0.03%에서 33%로 다양

하게 보고되는데 동반기형은 대부분 식도폐쇄이며 그외 심

장의 기형으로는 심실 중격 결손, 활로 4징(Fallot’s tetrad)

등이 있고, 소화기계 기형으로는 Meckel씨 게실 그리고

혈관종, 소안구, Down 증후군이 동반되기도 한다.1)11-13)

증상은 협착의 정도에 따라 발현시기가 다를 수 있으나,

대개 고형식을 시작하는 생후 4~10개월에 발현되어 연하

장애나 반복적인 구토의 증상을 보이며 발육부전을 나타낸

다. 협착이 심한 경우에는 과도한 타액 분비, 호흡 곤란, 유

동식의 역류, 흡인성 폐염등이 생길 수 있고 일부 환자에서

는 식도이물에 의해서 발견되기도 한다.1)6-8) 본 증례는 식

Fig. 1. Preoperative esophagogram shows concentric na-rrowing of the thoracic esophagus at the level of T 5 spine(arrow) and prestenotic dilatation. About 1.5 cm×1.0 cm sized oval shaped filling defect at prestenotic area (arrow head) is considered as foreign body.

Fig. 2. Endoscopic findings:Esophageal foreign body (bean) is shown just above the the circumferential narrowing ofesophagus.

Fig. 3. After foreign body was removed, esophageal stenosiswith normal mucosa is identified under endoscopy.

Page 3: A Case of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Presented with ...kjorl.org/upload/pdf/0011998047.pdf임상검사 소견:특이 소견 없음. 방사선학적 소견:흉부와 경부

선천성 식도 협착증

Korean J Otolaryngol 1998;41(2):278-280 280

도 이물에 의해 발견된 경우였다.

진단은 보통 2세이후로 지연이 되는데 고형질에 대한 연

하장애의 병력과 발육부진이 진단에 중요하고1) 식도조영술

로 식도 협착의 위치, 정도 및 길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협

착 근위부의 확장과 윤동운동의 장애를 확인할 수 있다. 협

착 부위는 주로 식도의 중 및 하 1/3에서 볼 수 있으며 간

혹 협착부 상부의 이물을 관찰할 수 있다.10) Rose 등14)은

협착 부위에서 조형제가 식도 벽으로 돌출되는 특징이 있다

고 하였지만, 이는 일부에서만 발견되며 궤양과도 혼동하기

쉬워 방사선 소견만으로는 선천성 식도 협착증을 감별하기

는 쉽지 않다. 식도 pH 측정검사를 통해 식도 협착의 원인

으로 가장 많은 위식도역류에 의한 식도협착을 감별할 수

있다. 식도 내시경검사로 식도 하부의 협착을 확인할 수 있

으며 선천성 식도협착증의 경우 정상적인 점막소견을 보이

므로 식도염에 의한 협착과의 감별에 중요한 지침이 된

다.15) 본 증례의 경우 협착 부위의 식도점막은 정상이었다.

선천성 식도협착증의 감별진단으로는 역류성 식도염, 부

식물, 방사선 조사 그리고 약물 등에 의한 식도염 등이 있

으며 이는 내시경검사, 식도 pH 측정검사와 병력에 의해

감별할 수 있다.16) 이중 역류성 식도염에 의한 하부 식도의

협착이 소아기 식도 협착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선천성

식도 협착증이라고 생각했던 경우에서 실제 식도염에 의한

협착임이 밝혀진 경우도 많다.17) 종양의 경우에도 감별이

필요한데 이 경우에는 방사선학적 소견상 종괴음영과 충만

결손, 점막선의 결손으로 구별할 수 있다. 외부 압력에 의

한 경우는 이상혈관(aberrant vessel), 심장 확대, 심낭 기

형에 의하며 이는 식도 조영술상 소견으로 구별되며 전산

화단층촬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식도 이완증, 식도

횡격막(esophageal diaphragm), 협착을 동반한 열공 헤르

니아(hiatal hernia with stricture), 비후성 유문 협착, 식

도 이물 등도 감별의 대상이 된다.16)

치료는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부우지법(Bougienage), 수

압확장법(hydrostatic dilatation) 등이 있으며, 이는 주로

섬유근육성 비후에 의한 경우에 적용된다. 이 시술로 약

65%의 환자에서 증상 경감을 가져올 수 있고, 약 2.1%에

서 식도천공과 출혈 등의 합병증이 온다고 하였다.18)

수술적 방법은 비수술적 방법, 즉 2, 3차례의 연속적인

부우지법 또는 수압확장법을 시행한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

거나 협착이 계속되는 경우 적응이 된다. 기관기관지 잔유

물에 의한 경우에는 분절 절제술이 치료원칙이 되며, 협착

의 길이가 2 cm까지 단단문합이 가능하다. 또한 Z-plasty,

Mikulicz씨 술식 같은 식도 성형술이 있고, 첩포(Patch)를

사용한 방법으로 결장 첩포(colon patch)를 이용하기도 한

다. 식도 협착이 광범위한 경우에는 식도 재건을 위해 공장,

결장 등이 이용되며, 내시경에 의한 절제로 치료한 보고도

있다.19)

본 증례에서는 식도내시경하에서 식도이물제거후 부우지

법을 시행하여 술후 6개월 현재까지 적절한 저작을 통해

고형질 식이가 가능한 상태로 향후 증상의 재발시에는 분

절절제술을 시행할 예정이다.

중심 단어: 선천성 식도 협착증·식도 이물.

REFERENCES

1) Murphy SG, Yazbeck S, Russo P. Isolated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J Pediatr Surg 1995;30:1238-41.

2) Lee KY, Kim IH, Hong MK, O CK, Yang MK. A case of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due to tracheobroncheal remnants. The New Medical Journal 1985;28:1190-3.

3) Bae TY, Kim IO, Yeon KM.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due to tracheoesophageal remnants. J Kor Radiol Soc 1987;23:752-7.

4) Lee SW, Choi WS, Lim JH, Yang MH. Esophageal stenosis due to tracheobronchial remnants. J Kor Radiol Soc 1987;23:1069-72.

5) Sung GW, Lee SY, Choi YH, et al. Four cases of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due to tracheobronchial remnants. J Kor Pediatr 1996;39:273-9.

6) Nihoul-Fekete C, De Backer A, Lortat-Jacob S.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a review of 20 cases. Pediatr Surg Int 1987;2: 86-92.

7) Yeung CK, Spitz L, Brereton RJ, Kiely EM, Leake J.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due to tracheobronchial remnant: A rare but important association with esophageal atresia. J Pediatr Surg 1992;27:852-5.

8) Singaram C, Sweet MA, Gaumnitz EA, Cameron AJ, Camiller M. Peptidergic and nitrinergic denervation in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Gastroenterology 1995;45:275-81.

9) Frey EK, Duschel L. Der kardiospasmus. Ergeb Chirur Oithop 1936;29:637-716.

10) Bluestone CD, Kerry R, Sieber WK.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Laryngoscope 1969;79:1095-104.

11) Holder TM, Cloud DT, Lewis JE. Esophageal atresia and tra-cheoesophageal fistula. Pediatrics 1964;34:542-9.

12) Nishina T, Tsuchida Y, Saitos S.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due to tracheobronchial remnants and its associated anomalies. J Pediatr Surg 1981;16:190-3.

13) Neilson TR, Croitoru DP, Guttman FM, Youssef S, Laberge JM. Distal congenital esophageal stenosis associated with esophageal atresia. J Pediatr Surg 1991;26:478-82.

14) Rose JS, Kassner EG, Jurgens KH, Farman J. Congenital esoph-ageal stricture due to cartilagineous rings. Br J Radiol 1975;48: 16-8.

15) Sneed WF, LaGarde DC, Kogutt MS, Arensman RM. Esophageal stenosis due to tracheobronchial remnants. J Pediatr Surg 1979; 14:786-8.

16) Hupscher DN. Radiology of the esophagus. New York: Thieme Medial Publishers. Inc.;1988. p.1-33.

17) Fonkalsrud EN. Esophageal stenosis due to tracheobronchial re-mnant. Am J Surg 1972;124:101-3.

18) Castell DO. The esophagus. 2nd ed. New York: Little, Brown and Company;1995. p.117-8.

19) Sharma AK, Sharma KK, Sharma CS. Congenital esophageal obstruction by intraluminal mucosal diaphragm. J Pediatr Surg 1991;26: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