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 1 - 7. 콘크리트 시험 7.1 개요 7.1.1 콘크리트 시험의 역활 - 여러 구성 재료 이루어진 콘크리트의 특성 파악. - 특별한 종류의 콘크리트 성능 파악. - 물리적인 상수 값의 결정(ex. 탄성계수 E). - quaility control testing-콘크리트의 품질 파악. 7.1.2 표준시험의 필요성 - 시험 시 다양한 변수에 의해 측정값이 변화.(습기, 온도, 시험체의 상태...) - 시험 결과치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시험기준 제시.(ASTM, RILEM. CSA...) 7.1.3 시험의 중요성 (1) 샘플을 이용하여 구조체 내에서의 콘크리트의 품질을 예측. (2) 시험체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은 실제 값과 오차 존재. - 실험실에서 제작된 시험체를 사용.(적합한 성분, 배합비...) - 콘크리트 생산과정에서의 오차 존재. - 재료 및 주위 환경의 변화 발생. - 생산, 운반, 타설 과정에서의 부주의. (3) 구조체에 문제 발생 시 시험 보고서를 이용하여 문제 해결. (4) 공사 수행과정에서도 다양한 기준 제시.(거푸집 존치 기간 등) 7.2 콘크리트 시험 7.2.1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 - 콘크리트 구조설계에 있어서 압축강도 가장 중요시됨. - 압축강도를 이용하여 휨강도, 전단강도 등의 대략적인 값 추정 가능. (1) 원주형 공시체 시험 - φ150x300 mm공시체 사용.(φ100x200 mm 공시체 : 강도보정계수 0,97) - KS F 2403(콘크리트의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방법)에 따라 제작. 1) 몰드 - 반복사용몰드 : 단단한 금속 혹은 비흡수성 재질. - 1회 사용몰드 : KS F 2801에 따른다. 2) 다짐 방법 및 콘크리트 넣기 슬럼프(㎝) 다짐방법 7.5이상 다 짐 대 2.5~7.5 다짐대 또는 진동기 2.5이하 진 동 기 Table 7.1 슬럼프에 따른 다짐 방법(KS F 2403)

ch7. 콘크리트시험

  • Upload
    180081

  • View
    18

  • Download
    7

Embed Size (px)

DESCRIPTION

ghg

Citation preview

Page 1: ch7. 콘크리트시험

- 1 -

7. 콘크리트 시험

7.1 개요

7.1.1 콘크리트 시험의 역활

- 여러 구성 재료 이루어진 콘크리트의 특성 파악.

- 특별한 종류의 콘크리트 성능 파악.

- 물리적인 상수 값의 결정(ex. 탄성계수 E).

- quaility control testing-콘크리트의 품질 파악.

7.1.2 표준시험의 필요성

- 시험 시 다양한 변수에 의해 측정값이 변화.(습기, 온도, 시험체의 상태...)

- 시험 결과치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시험기준 제시.(ASTM, RILEM. CSA...)

7.1.3 시험의 중요성

(1) 샘플을 이용하여 구조체 내에서의 콘크리트의 품질을 예측.

(2) 시험체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은 실제 값과 오차 존재.

- 실험실에서 제작된 시험체를 사용.(적합한 성분, 배합비...)

- 콘크리트 생산과정에서의 오차 존재.

- 재료 및 주위 환경의 변화 발생.

- 생산, 운반, 타설 과정에서의 부주의.

(3) 구조체에 문제 발생 시 시험 보고서를 이용하여 문제 해결.

(4) 공사 수행과정에서도 다양한 기준 제시.(거푸집 존치 기간 등)

7.2 콘크리트 시험

7.2.1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

- 콘크리트 구조설계에 있어서 압축강도 가장 중요시됨.

- 압축강도를 이용하여 휨강도, 전단강도 등의 대략적인 값 추정 가능.

(1) 원주형 공시체 시험

- φ150x300 mm공시체 사용.(φ100x200 mm 공시체 : 강도보정계수 0,97)

- KS F 2403(콘크리트의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방법)에 따라 제작.

1) 몰드

- 반복사용몰드 : 단단한 금속 혹은 비흡수성 재질.

- 1회 사용몰드 : KS F 2801에 따른다.

2) 다짐 방법 및 콘크리트 넣기

슬럼프(㎝) 다짐방법

7.5이상 다 짐 대

2.5~7.5 다짐대 또는 진동기

2.5이하 진 동 기

Table 7.1 슬럼프에 따른 다짐 방법(KS F 2403)

Page 2: ch7. 콘크리트시험

- 2 -

공시체의 종류공시체의

높이(㎝)다짐형식 층의 수

층의

대략깊이(㎝)

압축강도

시험용

30까지 다짐대사용 3

30이상 다짐대사용 필요에 따라 10

30~46 진동대사용 2

46이상 진동대사용 3 또는 2 이상 20정도

Table 7.2 콘크리트를 몰드에 채우는 층의 수(KS F 2403)

3) 양생

- 타설후 24~28시간 동안 16~27°C로 양생.

- 이후 몰드 제거한 후 23±2°C로 습윤양생.

- 거푸집 존치 기간을 측정하기 위한 경우 구조체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생.

4) 공시체 상면 마감

- 마무리한 면의 평면도는 0.05㎜이내.

- 시멘트 페이스트에 의한 방법과 유황과 내화점토의 혼합물에 의한 캡핑.

- 캡핑을 하지 않을 때는 끝면을 연마하여 마무리.

5) 압축강도의 측정

- 매초 0.15~0.35 MPa의 재하속도로 공시체가 파괴 될 때 까지 시험.

- 분당 1mm의 변형으로 시험.

(2) 입방형 공시체 시험(영국, 독일)

- 영국 150mm 입방형 공시체, 독일 200mm 입방형 공시체 사용.

- 원주형과 입방형 공시체간 강도 차이로 보정계수 사용.

(150mm-0.8, 200mm-0.83)

(3) 압축강도 측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공시체의 응력 분포

- 가정 : 1축 압축력 작용.(전 단면에 걸쳐 동일한 압축응력 분포)

- 공시체와 가력면 사이에 마찰력으로 인해 공시체 단부가 구속된 상태.

- 단부에서 구속력 최대, 45° 각도로 감소.(강도 증가)

- l/d의 비가 2.0이하일 경우 강도 증가.(장방형>원주형)

- 압축강도 시험 시 직각 방향으로 인장력 발생으로 강도 도달전 파괴.

(인장 변형율 0.0001~0.0002로 제한)

2) 실험 장치

- 가력면과 공시체 간의 수직문제.

- 가력면의 재질에 따른 응력 분포 변화.

- brush platen의 사용 - 마찰저항 감소로 1축 압축력과 가까워짐.

(압축 강도 값이 일반적인 강재 가력면의 경우에 비해 저하)

3) l/d 비에 따른 영향

- l/d가 2.0이하일 경우 측정 압축강도 증가.(보정계수 이용)

Page 3: ch7. 콘크리트시험

- 3 -

Table 7.3 Relationship between l/d Ratio and Compressive Strengtha

l/d Ratio Strength Corection Factors2.00 1.00

1.75 0.98

1.50 0.96

1.25 0.93

1.00 0.87aFrom ASTM C 42. Copyright ASTM INTERNATIONAL. Reprinted with permission

4) 공시체의 형태

- 공시체의 형태에 따라 측정 강도 변화.(원주형<장방형)

- 공시체의 크기가 커질수록 강도와 편차가 작아짐.

- 작은 공시체일 경우 내부 결함이 적음. - “weakest link"

5) 하중 재하 속도

- 하중 재하 속도가 빠를수록 측정 강도가 커짐.

- 내부 균열의 진행 정도와 변형율의 문제로 인한 현상.

6) 수분 함유

- 건조 상태의 공시체일수록 측정 강도가 커짐.

- 수분으로 인한 내부 마찰력 변화와 공극의 압력으로 인한 현상.

- OD상태 공시체의 경우 측정 강도가 10~15% 증대.

- 실제 건조 상태를 조절하기가 어려움.

7) 시험 온도

- 시험 온도가 높을수록 측정 강도는 낮아짐.

- 온도가 높을수록 공시체의 수분 손실이 빠름.

8) 결과의 해석

- 표준시험 방법을 준수하여 시험을 행하며 결과 값 비교.

7.2.2 기타 콘크리트 시험

(1) 인장 강도 시험

RILEM (direct tension)

- 공시체와 가력판을 접착시켜 인장강도 측정.

- 초당 0.05 MPa의 하중으로 파괴될 때까지 가력.

U.S Bureau of Reclamation (spillitng test)

- 쪼갬 인장 강도 시험 : “splitting tensile test"

1) 수직 압축 응력 :

2) 수평 인장 응력 :

Page 4: ch7. 콘크리트시험

- 4 -

3) 단부에는 압축응력이 작용하지만 중앙부에는 균등한 인장응력 발생.

4) 분당 0.06±0.04 MPa의 하중으로 쪼개질 때가지 가력.

5) 장방형 공시체의 경우 :

(2) 휨 강도 시험

1) 공시체 크기 : 150 x 150 x 500 mm

공시체의 종류공시체의

높이(㎝)다짐형식 층의 수

층의

대략깊이(㎝)

휨강도 시험용

20까지 다짐대사용 2

20이상 다짐대사용 3 또는 2 이상 10

20까지 진동대사용 1

20이상 진동대사용 2 또는 2 이상 20정도

Table 7.4 콘크리트를 몰드에 채우는 층의 수(KS F 2403)

공시체의 종류공시체의 지름(㎝)

공시체의 윗면적(㎠)다짐대의 지름(㎜) 다짐회수/층

휨강도 시험용

160㎠이하 10 25

165~310㎠ 10 윗면적 7㎠당 1회

320㎠이상 10 윗면적 14㎠당 1회

Table 7.5 다짐막대를 사용할 경우 다짐 횟수(KS F 2403)

2) 3등분점 재하 방식

① 매초 0.06±0.04 MPa의 하중으로 파괴될 때까지 가력.

② 휨강도 :

③ 3등분점의 바깥쪽에서 파괴된 경우에는 시험결과 무효.

④ 실제 값보다 측정값이 크게 나옴. (nonlinear stress-strain curve)

※ Center point loading - ASTM C 293

- 가운데 한점에 하중 작용.

- 휨에의한 영향 이외에 응력 집중에 의한 전단력 작용.

- 3등분점 재하 방식에 비해 측정 강도가 크게 나옴.

3) 부재 사이즈에 따라 측정 강도 변화.

① 공시체의 크기가 작을수록 측정 강도는 커짐. - “weakest link"

② 하중 작용점 간 거리가 멀어질수록 측정 강도 적어짐.

③ 하중 작용 속도가 빨라질수록 측정강도 커짐.

Page 5: ch7. 콘크리트시험

- 5 -

(3) 탄성계수(Ec)

- chord modulus of elasticity, Ec 측정.(ASTM C 469)

- 초당 241±34 kPa의 하중으로 가력하여 stress-strain curve를 얻음.

- chord modulus of elasticity :

- Poisson's ratio :

- 전단 탄성계수 :

(4) 동탄성계수(Ed)

- 공시체의 고유 진동주기 측정.

-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

- Dynamic Shear Modulus of Elasticity :

- Dynamic Poisson's ratio :

(5) Accelerated Tests (ASTM C 684)

- 28일 강도를 빠른 시간에 예측 가능.

- 실제 28일 강도와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시험 방법에 따라 오차 존재.

1) Warm water method

- 콘크리트 공시체 제작 후 35±3°C의 물에 담근 후 23.5h 경과시켜 재령 24h±15 min에

시험.

2) Boiling water method

- 21±6°C의 습윤 상태에서 23h 양생 후 3.5h동안 끓는 물에 넣고 뺀 후 1h동안 냉각시켜

재령 28.5±15 min에서 시험.

3) Autogenous method

- 밀봉된 그릇에서 48h양생 후 재령 49h±15 min에 시험하는 방법으로 자체 수화열을

이용하여 양생.

4) High temperature and preesure method

- 고온 고압의 밀봉된 용기에서 5h 양생 과정 중 마지막 15min 양생 기간 중 시험.

7.2.3 콘크리트의 품질 평가

(1) Core Tests

1) Core Tests

- 구조물의 실제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시험.

- 콘크리트와 철근을 실제 구조체에서 채취하여 시험.

- 공시체 측정 강도가 낮을 경우, 크랙이 나타나는 경우, 일반적인 상황에 비해 큰 응력을

받는 경우 등에 실시.

Page 6: ch7. 콘크리트시험

- 6 -

2) Core Test의 문제점

① 표준 공시체에 비해 낮은 측정 강도.(실제 구조체에서의 강도)

② 코어강도와 표준 공시체 강도 간에 비율이 상이함.

③ 구조체의 부위에 따라 코어 강도 변화.

④ 타설 방향과 코어 채취 방향에 따라 강도 변화.

⑤ 표면과 내부 수분 함유량 차이에 따라 강도 변화.

3) 높이 / 직경비에 따른 보정

h/d 보정계수 비 고

2.00 1.00h/d가 중간값일 경우에는

직선보간법을 이용하여

보정 계수를 구한다.

1.75 0.98

1.50 0.96

1.25 0.93

1.00 0.89

Table 7.6 코어공시체의 높이/직경비에 의한 압축강도 보정계수

4) 코어 강도의 평가

-한 위치에서 3개의 코어강도 시험 후 평균강도가 설계강도의 85% 이상이고 그 중 어느 한

코어도 75%이하로 저하되지 않으면 적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