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8700/1/000000067540.pdf상장회사에 3인 이상의 사외이사를 두도록 함으로써 우리나라에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legalcod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법학석사 학위논문

    우리나라 사외이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김 수 정

  • 국문초록

    1997년 외환위기 발생 후 우리나라에서 사외이사제도가 전면적으로 도입

    된 지도 벌써 15년 이상이 지났다.

    사외이사는 외환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기업지배구조문제, 특히 최

    대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지배주주의 사적 남용에 대하여, 지배주주 및 경영진

    을 견제하여 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방법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사

    외이사의 기능 수행에 대한 평가는 현재까지 그리 우호적이라고 보기 어려운

    데, 그 원인에 대해서는 이사의 선임 과정에서 지배주주나 경영진의 영향력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이상 본래 사외이사가 자신을 선임한 지배주주나 경

    영진을 감시․견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이론적 지적뿐 아니라, 우리나라

    에서는 견제․감시기능행사의 필수 전제라고 할 수 있는 독립성 있는 사외이사

    가 선임되기보다는 지배주주에 의해 외부(특히 정부)에 대한 영향력 행사를

    목적으로 혹은 지배주주나 경영진과의 친목관계에 기초한 사외이사가 선임되

    기 때문이라는 사외이사 운영상 문제점이 지목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사외이

    사의 전문성 부족, 정보 부족, 감시유인 부족 등도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점 상당수는 우리나라에서만 발생한 것이 아니며,

    우리나라보다 앞서 사외이사제도를 도입․발전시킨 외국에서도 이미 지적된 바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먼저 기업지배구조 내에서 사외이사제도가 갖는 의미

    를 살펴본 다음, 국내외에서 지적되고 있는 사외이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사

    외이사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각국의 논의를-특히 사외이사제도를 먼저 채

    택한 미국, 영국이나 최근 사외이사제도를 도입한 일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

    다. 아울러 각국의 이론적인 논의 뿐 아니라 제도의 운영 실태에 대한 실증연

    구를 통해 사외이사가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도 살펴보았

    다. 이와 관련한 시사점으로 우리나라에는 정부에 의해 사외이사제도가 강제

    로 이식됨으로써 실증연구가 뒷받침된 제도발전이 미흡한 측면이 있었지만,

    앞으로의 제도개선에는 실증연구가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나라의 사

    외이사제도에 대해 실시된 실증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앞에서 살펴 본 사

  • 외이사제도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사외이사, 특히 독립적 사외이사의 존재와

    회사가치 사이에서 긍정적인 연관관계가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외이사의 역할에 대한 실증연구결과나 현실적으로 사외이사 외

    별다른 대안을 제시하기는 어렵다는 점 등을 종합하여 사외이사의 무용함을

    이유로 이를 폐지하기보다는 감시․견제기능을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기존 제도

    를 개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어, 사외이사제도의 활성화를 위

    한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외이사의 감시․견제기

    능의 전제조건인 사외이사의 독립성 확보이다. 추상적인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보다는 적극적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독립성의 요건을 세분화하고, 동

    시에 현행의 소극적인 배제규정이 아니라 독립성의 인정근거에 대해 적극적으

    로 판단하도록 하며, 그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를 공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금융기관에서 나타나듯이 사외이사의 편익이 비용을

    초과하지 않도록 이사회구성을 최적화하도록 하고 사외이사에게 당근과 채찍

    양면으로 적절한 감시유인을 부여하며, 사외이사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를 구성하는 것과 더불어 사외이사 스스로도 충분

    한 시간투자를 하도록 개선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주요어 : 사외이사, 독립이사, 독립성, 기업지배구조, 지배주주

    학번 : 2009-23337

  • - i -

    목 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 4

    제2장 사외이사제도와 기업지배구조 ······················································· 7

    제1절 사외이사의 기능과 특성 ····································································· 7

    1. 기업지배구조와 사외이사 ········································································ 7

    2. 사외이사의 기능 ····················································································· 10

    3. 사외이사와 여러 가지 특성 ································································· 14

    제2절 우리나라의 사외이사제도 ································································· 24

    1. 우리나라의 사외이사제도 도입 ··························································· 24

    2. 사외이사 선임 현황과 분석 ································································· 37

    제3절 사외이사의 문제점 ············································································· 52

    1. 사외이사제도 자체에 내재된 문제점 ················································· 52

    2. 우리나라의 사외이사제도의 문제점 지적 ········································· 54

  • - ii -

    제3장 각국의 사외이사제도와 실증연구 ··············································· 59

    제1절 미국에서의 논의 ················································································· 59

    1. 미국 이사회의 특성 ··············································································· 59

    2. 21세기 이전 : 사외이사제도의 확산 ················································· 59

    3. 21세기 이후 : 사외이사제도의 개혁 - SOX와 Dodd-Frank ····· 65

    4. 미국 사외이사제도의 제도 및 운영의 개선 ····································· 68

    제2절 영국의 사외이사제도 ········································································· 84

    1. 1990년대까지의 경향 ············································································ 84

    2. 1992년 Cadbury 보고서 ······································································ 85

    3. 2003년 Higgs 보고서 ··········································································· 86

    4. 세계금융위기 이후의 경향 ··································································· 88

    제3절 독일의 사외이사 제도 ······································································· 89

    1. 2원적 이사회구조 - 감사회의 감시기능 ··········································· 89

    2. 감사회의 역할에 대한 평가 ································································· 91

    3. 세계금융위기 이후의 논의 경향 ························································· 92

    제4절 일본의 사외이사제도 ········································································· 92

    1. 사외이사제도의 도입 ··········································································· 92

    2. 2014년의 회사법 개정 ·········································································· 97

    제5절 국제연성규범 ······················································································· 99

    1.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 99

    2.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 ································································· 99

  • - iii -

    제6절 사외이사 연구에 대한 실증연구와 평가 ·································· 100

    1. 미국 ········································································································· 100

    2. 우리나라 ································································································· 111

    제4장 사외이사제도의 개선방안 ··························································· 120

    제1절 사외이사의 선임제도 개선 ···························································· 120

    1. 독립적 사외이사의 선임 ····································································· 120

    2. 금융기관 사외이사의 독립성 ····························································· 128

    3. 기관투자가의 역할 ··············································································· 129

    제2절 최적의 이사회구조 형성 ································································ 132

    1. 우리나라의 이사회구조 ······································································· 132

    2. 사외이사의 비율과 최적 이사회구조 ··············································· 132

    제3절 사외이사의 감시의무와 감시유인의 부여 ·································· 135

    1. 사외이사의 감시대상 특정 ································································· 135

    2. 사외이사의 감시유인 부족과 이사회에 대한 외부평가 ··············· 136

    3. 사외이사의 법적 책임 ········································································· 138

    4. 인센티브 부여 ······················································································· 142

    5. 사외이사의 평가와 사외이사 선임 ··················································· 147

    제4절 사외이사의 전문성 및 시간, 정보 ··············································· 148

    1. 사외이사의 전문성 확보 ····································································· 148

    2. 사외이사의 시간 확보 ······································································· 151

    3. 사외이사의 정보 취득 ········································································· 152

  • - iv -

    제5장 결론 ····································································································· 158

    참고문헌 ··········································································································· 163

    Abstract ·········································································································· 174

  • - 1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997년 외환위기 발생 이후 유가증권상장규칙이 규모 2조원 이상의 대형

    상장회사에 3인 이상의 사외이사를 두도록 함으로써 우리나라에 사외이사제

    도가 전면적으로 도입된 지도 벌써 15년 이상이 흘렀다. 2010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유가증권시장 상장회사는 평균적으로 2.3명의 사외이사를 두고 있

    고, 여러 법령들이 여러 차례 제·개정된 끝에 2011년부터는 기본법인 상법이

    직접 사외이사제도를 규정하고 있는바, 2015년 현재 바라보는 우리나라 사외

    이사의 도입은 최소한 외형적인 부분에서는 상당한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보

    인다.

    사외이사가 기업경영의 통제장치로서 최초 도입될 당시에는, 사외이사가

    이사회 개혁을 주도함으로써 우리나라 기업지배구조의 최대 문제점으로 지적

    되는 지배주주(및 그 절대적 영향하에 놓인 경영진)에 대한 감시·견제역할을

    수행하여 기업경영의 투명성 및 준법성을 제고하고, 조직운영을 민주화하여

    궁극적으로 기업체질이 개선되고 기업경쟁력이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

    대되었다. 그런데 15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사외이사가 그 기대와 같이 감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였다는 평가는 드물다.

    사외이사가 지배주주나 경영진을 견제한다는 그 본연의 목적에 맞게 선임

    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을 좌지우지하고 있는 지배주주에 의해 외부(특히 정

    부)에 대한 영향력 행사를 목적으로 선임되거나 지배주주나 경영진과의 친목

    관계에 기초하여 선임됨으로써 감시·감독에 필요한 독립성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비난이 가장 크지만, 그 외에도 사외이사의 업무수행

    과정에서 지원이 미비하며, 사외이사가 감독·감시에 대한 적절한 인센티브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 또한 지적되고 있다. 금융회사의 경우 다른 산업에 비

    해 주식보유가 비교적 분산되어 있고, 이사회 내 사외이사의 비율이 압도적으

  • - 2 -

    로 높아 경영진의 감시 감독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사외이사의 본래적 역할

    수행에 적합한 형식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보이는데도, 금융회사의 사외

    이사 또한 견제와 감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데

    다, 사외이사에 부여된 권한이 지나쳐 회사 운영에 해가 되며 그 운영비용을

    모두 지불하고라도 계속 운영될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까지 제기되고 있

    는 것이다.

    그러나 위에서 지적되는 문제들이 우리나라에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사외이사제도를 포함하는 기업지배구조는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수렴되는 경

    향을 보이고 있는데, 50년 이상 사외이사제도를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고 우리

    나라 사외이사제도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유사한 문

    제점이 지적되자 이를 해결해서 사외이사의 역할을 제고하는 방법에 대한 논

    의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고(미국에서조차 사외이사의 유효성을 다룬 실증연구

    에 관한 해석들이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현재도 진행형인 것이

    다.

    오히려 정부 주도에 의하여 사외이사제도가 단시일 내 의무적으로 이식된

    우리나라와 달리 외국에서는 제도의 운영 실태에 대한 실증연구가 뒷받침되는

    비판적 접근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엔론사태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으로서 새로운 제도의 도입이 이루어져 왔다. 예컨대 미

    국은 2000년 초 대기업들의 회계부정사태를 겪은 이후 감사위원회를 중심으

    로 사외이사의 독립성을 강화하였으며, 금융위기 이후에는 사외이사의 독립성

    판단 기준을 정교화하면서 규제를 강화시키는 등, 사외이사의 전문성 확보와

    투입 시간의 한계를 제도적으로 보완하는 장치를 고안하고 동시에 ‘외부인’인

    사외이사에게 부여하는 감시의무의 내용을 조절하면서, 사외이사가 주주를 위

    하여 경영자를 감시할 유인을 제공하기 위한 법적·사회적 경주를 다하고 있

    다.

    그런데 사외이사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미국에서 본래 사외이사제도가

    도입․발전하게 된 배경과 우리나라의 현실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 지적

    되어야 한다. 미국에서 사외이사제도는 분산된 소유구조를 전제로 하여 주주

  • - 3 -

    와 경영진 사이의 대리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입된 제도로,

    지배주주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사외이사에게 요구되는 일부 규정들의

    적용이 완화되기도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상장기업 기업지배구조의 중요한

    특징은 바로 기업에 막대한 사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지배주주가 존재하는 것

    이고1), 우리나라는 지배주주(및 그 영향을 받는 경영진)에 대한 감시·감독수

    단으로서 사외이사를 채택하는바, 사외이사가 과연 의도한 목적의 달성에 적

    절한 수단인지 의문이 들 수 있다. 지배주주라는 이유만으로 주주로서 회사법

    적 권리-특히 주주총회에서 이사를 선임하는 권리-가 전적으로 제한될 수는

    없으므로, 사외이사의 선임과 역할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다만

    미국에서 주로 문제되고 있는 것은 주주와 경영진 사이의 대리인 문제인 반

    면, 우리나라에서는 경영진이 지배주주의 사실상 영향력 하에 있어 지배주주

    에 의한 사적 이익 추구, 즉 소수주주와 지배주주 사이의 대리인 문제가 주로

    발생한다는 차이가 있다. 대리인 문제의 해결을 위해 우리나라에 사외이사가

    도입된 이상, 사외이사제도의 개선․발전을 논의하는 데에도 이와 같은 차이점

    과 한계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15년간 우리나라에서 사외이사가

    수행한 기능과 역할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회사의 자원을 남용하려는

    의사를 가진 지배주주에 대해, 사외이사의 존재 자체가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아직까지 사외이사제도의 전면적 폐지는 사외이사가 이미 우리나라 기업

    지배구조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나 현재의 세계적 흐름에 비추어 볼 때 쉽게

    선택할 수 있는 방책으로 보기 어렵다. 적절한 인센티브 부여나 지원을 통해

    현존하는 제도로서의 사외이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물론 사외이사제도가 구체적인 형태에 있어서 기업의 규모, 업종을 고려하지

    않고 어느 영역에서나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하는지, 사내이사 대비 사외이사

    1) 다만, 엄밀한 의미에서의 지배주주라기보다는 소수의 지분으로 순환출자 등의 방식을 통하여 복잡한

    소유구조 뒤에 숨어 지배권을 행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순환출자의 성격이나 문

    제점, 소유구조를 이용한 사익추구행위 등은 각자 별도의 주제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이 글에서는 본격

    적으로 다루지 않는다.

  • - 4 -

    의 수나 규모, 독립성의 정도가 어떠해야 가장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가 동

    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글은 사외이사의 문제점을 되짚어 사외이사에게 기대할 수 있는 역할

    과 기능을 특정하고, 사외이사가 자신의 기능을 효율적이고 전문적으로 수행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우리

    나라 사외이사제도를 보다 잘 이해하고 그 개선을 위한 방법을 발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외이사의 현황 및 역할을 분석하고 이를 뒷받침하

    는 실증연구를 통해 현재의 사외이사제도와 그 문제점을 이해하고 더 나은 사

    외이사제도의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도입 당시부터 주주의 대리인으로서 경영진에 대한 감시자의 역할

    이 강조되는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의 사외이사는 지배주주와 소수주주의 이

    익충돌로 인한 대리인비용을 감소시키고 사익을 추구하는 지배주주에 대한 감

    시자의 역할이 강조되는 특이한 상황에 놓여 있었으며, 법적인 문제라기보다

    는 경영학적·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 이와 같은 우리나라만

    의 특수성은 사외이사의 도입 자체가 유효한지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외이사

    의 실증적인 역할에 대한 평가, 사외이사제도의 개선방안의 제시에 있어 고려

    되어야 하는 지점이다. 하지만 이사 선임시 지배주주의 영향력을 완전히 배제

    할 수는 없는데다, 우리나라는-주로 대기업을 중심으로-미국과 같은 CEO출

    신의 사외이사보다는 법조계나 학계, 특히 검찰, 법원, 금감원, 국세청 등 공

    직 경력이 있는 사외이사를 선임하는 경향이 있다. 위에서 본 대로 우리나라

    사외이사에게 보다 강하게 요구되는 견제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

    외이사에 대한 독립성 확보가 필수적이므로 특히 사외이사의 선임 과정에서

    그 독립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인바, 이 문제는 우리나

    라 사외이사제도의 평가와 한계, 개선방안의 모색에서 계속하여 고려되어야

  • - 5 -

    할 부분이다.

    이하 살펴볼 각 장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사외이사제도와 그 기능을 개관한다.

    먼저 사외이사제도가 기업지배구조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와

    그 기능과 역할,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 즉 감시·감독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전제인 독립성의 의미에 대하여 본다. 독립성은 사외이사의

    기능 수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전제로 여겨지고 독립성을 갖춘 사외이사를

    ‘독립이사’로 칭하는 경우도 많지만, 독립성이 사외이사의 구성 요건으로 여겨

    진 것은 상당히 최근의 일이다. 그 과정에서 단어의 의미도 점차 변화하여, 현

    재 미국 법제에서 사용되는 ‘독립이사’와 우리 상법이 규정하는 ‘사외이사’의

    범위는 완전히 일치하지는 아니한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외에서 사외이사제

    도의 운영에 대하여 지적되는 문제점 또한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사외이사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제로

    서, 국내 및 외국(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의 사외이사제도 및 이에 대한 선

    행연구를 검토한다. 사외이사제도의 채택 당시 우리보다 사외이사제도를 먼저

    받아들였으며 구체적인 제도 마련 당시 참고가 된 영국과 미국에서는 사외이

    사제도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개선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사외이사

    제도가 발전하여 왔다.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사외이사제도를 나중에 받아들이

    면서도, 독자적인 논의를 통해 우리나라와는 다소 다른 결론에 이르렀다.

    한편, 국내외에서 사외이사의 유효성을 의심하면서 그 근거로 공통으로

    지적하고 있는 주된 문제점으로는 선임과정에서 독립성의 확보가 미흡하다는

    점, 전문성-특히 회계전문성-의 부족, 시간과 정보의 부족, 인센티브의 부족

    등을 들 수 있고, 우리나라에 특유한 것으로서는 감시감독업무와는 무관한 이

    들-대표적인 예로 전직 정부 관료-이 대거 사외이사로 선임되는 것을 지적할

    수 있는바(그러나 전직 정부 관료는 일반적으로는 독립성 요건을 만족한다),

  • - 6 -

    이러한 문제점의 인식 및 해결을 위해 각국의 사외이사에 대한 실증연구결과

    도 살펴본다. 우리나라 사외이사 제도에 대한 현황 파악과 문제점의 지적, 개

    선책의 마련-폐지론을 포함하여-에서도, 실증연구결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

    다고 할 것이다.

    제4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사외이사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개선방안의 큰 방향은, 독립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사외이사제도의 선임

    제도를 개선하는 것, 최적의 이사회구조를 만드는 것, 사외이사의 감시의무를

    특정하고 감시유인을 부여하는 것, 사외이사로 하여금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시간을 투자하도록 하며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에는 선임과정에서의 독립성 확보방안처럼 부분적으로는 입

    법론의 영역에 속하는 것도 있고, 현재의 법 테두리 안에서 해석론으로 도입

    할 수 있는 부분도 있으며, 사외이사의 법적 책임과 같이 아직 우리나라에서

    제대로 가시화되지 않았지만 장차 활성화될 가능성이 있는 제도도 있다. 또한

    KOSDAQ과 유가증권시장의 차이, 금융기관과 비금융기업 등의 차이점에 비

    추어 볼 때, 달리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이 있는지도 살펴본다.

    제5장은 연구의 결론 부분으로, 다시 한 번 우리나라 사외이사의 나아갈

    방향을 검토하고 연구의 함의를 논의한다.

  • - 7 -

    제2장 사외이사제도와 기업지배구조

    제1절 사외이사의 기능과 특성

    1. 기업지배구조와 사외이사2)

    가. 기업지배구조와 대리문제

    회사법 모델에서 전통적으로 상정하는 지배구조는 주주총회에서 주주에

    의해 선임된 이사들이 이사회를 개최하여 회사의 정책을 결정하고, 이사들이

    결정하는 고위 임원들로 경영진을 구성하여 이들을 통해 이사회의 결의를 시

    행한다는 것이다. 즉 법이 상정하는 지배구조모델은 궁극적인 힘은 이사를 선

    임하는 주주에게서 이사로, 이사에게서 경영진에게로 흐른다고 인식하였다3).

    그러나 이미 1932년 Berle과 Means의 명저『The Modern Corporation

    and Private Corporation』는 주주들이 실제로는 이사를 선임함으로써 경영

    진을 직접 통제하지 않는다는 것, 즉 일반적으로 고도로 분산된 공개회사의

    주주는 일반적으로 회사에 대해 합리적으로 무관심하다는 것을 밝혔다. 일반

    주주의 소유지분은 매우 적으므로 이들은 회사에 대해 영향력을 제대로 행사

    하기 어렵고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경우에도 무임승차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주주는 회사에 불만이 있더라도 경영진을 통제하려고 하기보다는 그들의 지분

    을 시장에서 매도하고 회사를 떠나게 될 것이다4). 또한 주주들에 의해 선임되

    는 이사회는 대부분의 경우 시간의 부족이나 정보의 제약으로 수동적인 기능

    을 수행하고 그 역할이 극히 국한되어 있어 실질적으로는 경영진이 정책결정

    기능을 수행한다5). 이사회의 감시기능과 관련된 인터뷰 사례연구 중 최고로

    2) 이 항은 Reinier Kraakman, John Armour, Paul Davies, Luca Enriques, Henry B. Hansmann,

    Gérard Hertig, Klaus J. Hopt, Hideki Kanda, and Edward B. Rock. The Anatomy of Corporate

    Law-A Comparative and Functional Approach(Second Edition), 2009. 7. Oxford university

    press. chapter 2.부분을 주로 참조하였다.

    3) Frankling A. Gevurtz, 『Corporation Law』2000(1th edition). West Group, p230

    4) Frankling A. Gevurtz, 전게서(각주 3) p230

    5) Melvin A. Eisenberg, 주식회사법리의 새로운 경향(송상현, 김건식 공역), 경문사, 1983. 151~156면

  • - 8 -

    평가되는 Mace(1971)의 연구를 보더라도 이사들은 통상적으로 장기 계획이

    나 다른 이사의 선임과 같은 중요한 회사 결정에 제대로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주주의 통제에서 벗어난 경영진(대리인)이 주주(본인)의 이익이

    아니라 자신의 이익을 추구한다는 것이 가장 주요하고 전형적인 대리인문제

    유형으로, 주주를 위하여 경영진에 대한 감시감독기능을 수행하는 사외이사는

    주로 이 부분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한편 공개회사의 두 번째 대리인문제 유형은 지배주주와 소수주주 사이에

    발생한다. 회사의 지배주주는-특히 주주보호장치가 약한 경우에- 자신의 지배

    적 지위를 이용, 회사의 자원을 부당하게 빼돌려 사적 이익을 취득할 유인이

    있다. 이와 같은 지배주주의 행위로 인해 회사자원이 외부로 유출되면 회사의

    가치가 할인(discount)되고 소수주주는 부당한 손해를 입게 된다. 이 구조에서

    는 소수주주가 본인이고, 지배주주가 대리인이다. 이 문제는 회사를 지배하는

    지배주주가 소유하는 지분이 적을수록 더 심각하게 된다(단, 여기에서의 지배

    주주란 물리적인 다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주주가 회사의 의사결

    정을 지배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거부권을 가진 소

    수주주가 지배주주로 칭해질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도입된 사외이사는 특히

    이 두 번째 유형의 대리인문제와 관련하여 주로 논의되었다.

    세 번째 대리인 문제는 회사 자체(혹은 그 소유주)와 채권자, 고용인, 소

    비자와 같이 회사와 계약관계를 맺는 주체들 사이에서, 회사가 위 주체들의

    이익을 기회주의적으로 가로채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 글에서는 자세히 논하

    지 않는다.

    나. 대리문제와 사외이사제도

    (1) 사외이사제도의 도입

    대규모의 공개기업에서 본인이 회사 경영에 전면적으로 등장하는 것이 사

    실상의 설득력을 상실한 상태에서 본인이 지배자(경영진)를 감독·통제하여 기

    업 경영에 관여하기 위한 제도적 수단으로 등장한 것이 사외이사이다. 이사회

    의 정책수립기능을 강조하면서 이를 회사의 경영구조의 구성요소로 상정하는

  • - 9 -

    전통적 법모델과 달리, Eisenberg 교수에 의하여 강조된 감독모델은 현대 기

    업에서 주된 이사회의 역할은 경영진으로 하여금 충분한 실적을 올리는 책임

    을 다할 수 있도록 감독하는 것이라고 본다. 경영진이 자기들을 감사할 자들

    을 선임, 해임하는 한 진정한 감사란 있을 수 없으므로, 효율적 감독기능 수행

    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사회-엄밀히는 명백한 다수의 이사들-는 피감독자

    인 최고경영자로부터 완전히 독립되어야 하고, 경영진의 직무수행으로부터 충

    분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입수하거나 최소한 그러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능

    력이 보장되어야 한다6). 사외이사의 독립성 요건을 확보하는 것은 사외이사제

    도의 성공적인 운영의 핵심이다.

    (2) 사외이사와 인센티브 부여

    그러나 사외이사 또한 주주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대리인에 불과하므로-결

    국 사외이사가 경영진을 감시한다는 것은 (궁극적인 주인인 주주의) 대리인이

    (이사회의) 대리인을 감시하는 이중 대리 구조이다-사외이사의 효율적인 운용

    을 위해서도 유인과 보상을 조절하는 것, 즉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 이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은 보상 전략(reward strategy)으로, 대리인의 금전적 보상

    을 본인의 그것과 일치시키는 것(Sharing rule), 그리고 스톡옵션과 같이 대리

    인이 본인의 이익의 일부를 나눠 갖는 것은 아니더라도 그의 이익을 충실히

    수행하였을 때 금전적 보상을 해주는 것( Pay for performance regime)으로

    나눌 수 있다. 두 번째 유형은 대리인이 기회주의적으로 행동하여 취할 수 있

    는 금전적 이득과 같이 강력한 유인(high-powered incentive)이 적다면, 대

    리인은 양심, 평판과 같은 다소 낮은 유인(low-powered incentive)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사전에 대리인과 본인 사이의 이해관계의 충돌을

    제거하여 대리인이 본인의 이익을 해하면서 자신의 이익을 취하지 않도록 하

    는 것이다. 자기거래 승인에 있어서 많은 국가에서 요구하고 있는 독립이사

    제도가 이에 포함된다.

    6) Melvin A. Eisenberg, 전게서(각주 5), 179~184면

  • - 10 -

    (3) 공시제도와 사외이사

    공시는 법적 제도의 집행과 관련되어 있는 절차적 규정이지만, 그 외에도

    사외이사제도의 작동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별도

    의 항으로 기술한다. 먼저 주주들은 일반적으로 기업지배구조의 형태에 대한

    공시를 통해 회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경영진에 대한 견제수단-사외이사

    선임을 포함한-을 사용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둘째 공시를 통

    해 본인은 특정거래를 승인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외이사와 같이 수탁자 역할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공시는 자신들의 책임

    과 평판에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그들은 더욱 효과적인 감독을 수행할 수 있

    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공시는 주주 및 시장에게 대리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정한 방법-이 글에서는 사외이사를 의미한다-의 수행과 그 실적에 대

    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회계공시자료의 정정과 같이 특별한 사건(event)이

    있는 경우에는 공시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 그 자체가 사외이사의 역할에 대한

    평가 요소가 될 수 있다.

    2. 사외이사의 기능7)

    가. 회사 내부의 기능

    (1) 감시·감독기능

    사외이사는 이사회에 대한 감시와 경영진에 대한 통제를 충실히 수행하여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기에는 회사의

    이익을 해할 우려가 있는 회사와 이해관계인과의 거래에 대한 감시까지 포함

    되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 경우에는 해당 거래와 관련한 자격이 별도로 검

    토되어야 한다(상세한 내용은 아래 ‘이해관계 없는 이사’항목 참조).

    사외이사는 경영진의 직무수행 전반에 대해 감독할 수 있지만 외부자인

    사외이사가 경영진의 폭넓은 직무수행을 감시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회의적 견해도 있다. 그러나 이사회는 경영진에 대하여 여전히 기업지배구조

    7) 이 항은 Donald C. Clarke, Three concept of the independent director, 32 Delaware journal of

    corporate law 1, 2007, p80~83을 주로 참고하였다.

  • - 11 -

    에서 가장 중요한 권한인 선임권과 해임권을 보유하고, Mace가 ‘위기 상황’이

    라고 칭한 특수 상황에서는 CEO를 면직시킬 의무까지도 부담하고 있으며8),

    경영진으로서는 의안을 발표하기 이전에 독립적인 제3자가 이를 검토한다는

    우려만으로도 사전에 추가적 주의를 기울일 유인이 있어, 사외이사의 적극적

    행동이 없는 상황에서도 결정과정의 합리성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내부자거

    래나 불법행위와 같이 너무나 명백하여 피상적인 조사만으로도 밝혀지게 될

    사례들은 형식적인 검토만으로도 막을 수 있다9).

    (2) 소수주주 보호기능

    사외이사가, 자신의 명령대로 하는 이사들과 경영진을 선임하는 대주주에

    대항하여 자신의 투표권을 이용하여 소수주주를 보호할 수 있다는 견해가 있

    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는 회사법 자체가 대주주로 하여금 이사 선임에 대해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하도록 허용하는 이상, 이사 선임에 관한 기본 원

    칙이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 애당초 소수주주를 대표하는 이사가 선임되는 것

    자체가 어렵고, 소수주주의 지지를 받는 이사의 선임을 위해 집중투표제가 시

    행된다 가정하더라도 분산된 소수가 아니라 집중된 소수를 대표하는 이사가

    선임될 뿐이라는 점에서 이 기능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인 견해도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사외이사에게 기대․강조되는 기능은 지배주주의 전횡

    을 감시하여 소수주주를 보호하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바와 같은 한계를 극복

    하기 위해 사외이사의 선임 과정에서부터 독립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비록 적

    극적인 의미에서의 소수주주 보호는 어렵다 하더라도, 지배주주가 경영진으로

    선임되거나 혹은 절차적으로는 자신의 영향력 하에 있는 경영진을 통해 회사

    경영에 관여하여야 하므로, 경영진에 대한 감시․감독을 통해 지배주주의 전횡

    을 감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8) Michael S. Weisbach, Outside directors and CEO turnover,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20(1988) North-Holland, p433~457

    9) Melvin A. Eisenberg, 전게서(각주 5), p171

  • - 12 -

    (3) 정책 및 자문 제공기능

    이사회의 주요기능에는 일반적으로 회사 경영진에게 정책에 대한 정보나

    자문을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 사외이사는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사업운

    영에 상당히 친숙할 뿐 아니라 형식상으로는 최고경영자와 대등하기 때문에

    경영진이 할 수 없는 방식과 내용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10), 독립된 외부

    인으로서 내부자가 감히 말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 정보나 의견을 제공할

    수 있다.

    나. 회사 외부의 기능11)

    (1) 투자정당성의 제공 기능

    사외이사의 선임이 주주의 이익을 증대시킨다는 명제는 - 실증연구에 의

    해 뒷받침되는지는 다른 문제이지만- 최소한 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받아들

    여지는 통념이다. 따라서 사외이사의 선임 그 자체가 투자자들에게 그 기업에

    대한 투자정당성을 신호할 수 있다. Rosenstein과 Wyatt는 1981년부터 1985

    년까지의 주식수익률 자료를 조사한 결과, 이미 사외이사가 이사회를 수적으

    로 지배하고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사외이사의 신규 지명 발표는 시장에서 유

    의미하게 긍정적인 주가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사외이사의 지명

    발표는 시장에서 회사가 새로운 투자기회를 예상하고 있다는 등 회사의 전략

    변경에 대한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12). 사외이사의 존재는 잠재적 투자자들에

    게 당해 회사가 효과적인 감시를 받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 회사를 더 경쟁력

    있게 만들어, 회사의 자본비용을 감소시키고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경영진의 유대 기관(bonding device)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13).

    10) Melvin A. Eisenberg, 전게서(각주 5), 170면

    11) 이 항의 내용은 Donald C. Clarke, Three concept of the independent director, 32 Delaware

    journal of corporate law 1, 2007, p82~83를 참조하였다.

    12) Stuart Rosenstein, Jeffrey G. Wyatt, Outside directors, board independence, and shareholder

    wealth,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26(1990), 175~191

    13) Donald C. Clarke, Three concept of the independent director, 32 Delaware journal of

    corporate law 1, 2007, p106

  • - 13 -

    (2) 공시의 신빙성 향상 기능

    사외이사를 통해 외부에 의도하려는 효과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공

    시의 신빙성 향상 기능이다. 특히 1990년 말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동아시아

    각국에서 도입된 사외이사는 시장에 재무재표의 투명성을 신호하는 것으로 보

    인다14).

    실적이 공개되는 경영진은 회계원칙을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선택할

    유인이 있는바, 미국에서는 엔론과 월드콤, 우리나라에서는 SK글로벌, 대우와

    같은 분식회계 사건이 발생한 바 있다. 그 후 미국에서는 사외이사의 독립성

    과 감사위원회의 역할을 강화한 Sarbanes-Oxley법(이하 ‘SOX’라 약칭한다)

    이 제정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분식회계만이 주된 원인은 아니겠지만- 기업

    의 투명성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사외이사제도의 도입이 보다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앞에서 본 바와 같이, 공시는 사외이사의 평판 및 책임과 직결된 문제

    로 사외이사는 공시내용에 대해 비교적 높은 관심을 기울일 유인이 있다.

    한편, 미국에서는 사외이사보다 대규모 외부조직(회계법인이나 법무법인)

    으로 하여금 정보의 진실성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낫다는 견해가 있다. 이

    견해는, 연차보고서나 대차대조표가 회계기준을 준수하였는지 여부는 통상 외

    부의 독립 전문가들에게 맡겨져 있고 사외이사는 그들의 보증을 믿을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인데, 사외이사는 감독 실패에 대해 개

    인적으로 책임지는 경우가 많지 않은 반면 전문적인 외부조직의 경우 회사의

    허락 하에 사외이사보다 고급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손해배상책임까지 질 수

    있는 이상 외부조직이 사외이사보다 자신의 판단에 책임질 더 높은 유인을 가

    지고 있다고 주장한다15). 그러나 엔론이나 월드콤, SK글로벌, 대우사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규모 외부조직에 대한 신뢰가 무너진 때로부터 얼마 시간

    이 지나지 않은 현재 시점에서, - 비록 효용성에는 의문이 있다고 하더라도 -

    사외이사에 의한 회계 투명성 준수기능의 의미를 부인하기는 어렵다. 뿐만 아

    14) Chin-Jung Luan, Ming-Je Tang, Where is Independent Director Efficacy? Corporate

    Governance, Vol 15. Number 4. July 2007, p637

    15) Donald C. Clarke, Three concept of the independent director, 32 Delaware journal of

    corporate law 1, 2007, p83

  • - 14 -

    니라 앞서 언급한 분식회계의 사례에서 나타난 규모, 사용 수법, 분식회계 과

    정에서 경영진이나 외부조직의 개입 정도 등을 볼 때, 외부자인 사외이사가

    관여한 상태에서 작성된 회계자료는 적어도 최악의 경우는 피할 수 있다고 보

    인다.

    (3) 외부 규제 시행기능의 포함 여부

    사외이사는 종종 회사 내에서 외부 규제를 시행하되도록 하는 매개체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 경우 사외이사는 앞에서 본 세 번째 대리문제의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는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사외이사는 외부적

    으로 설정된 기준에 따라 행동할 것이다16). 그러나 사외이사가 회사로 하여금

    법적 의무로 여겨지지 않는 원칙들(예컨대, 특정 지역에서의 고용 극대화)에

    따라 행동하도록 의도된다면, 기본적으로 회사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주주들

    에 의해 선출되고, 그들에게 책임을 져야 하는 이사의 일원인 사외이사가 그

    와 같은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까? ‘공익에 봉사한다’고 주장하는 이사

    는 지배주주, 경영진 그리고 회사에 사실상 이해관계를 갖는 사람들 모두로부

    터 독립되어 자신의 양심의 명령에만 따라야 한다. 양심의 명령에만 따르는

    이사가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어떻게 책임을 질 것인가? 만약 이 주장이 옳다

    고 하더라도 다시, 이사가 누구에 의해서 어떻게 선출되어야 하고, 이사가 그

    스스로 옳다고 여길 의무를 어떻게 내면화하도록 할 것인지의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위 기능은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사외이사와 여러 가지 특성

    가. 외부성 : 기본적 특성

    (1) 의미

    사외이사는 회사에 상근하지 않고 이사회에만 출석하여 이사회의 각종 의

    사결정에 관여하는 이사, 즉 기업실무상의 비상근이사를 의미한다. 따라서 외

    부성은 사외이사의 가장 기본적인 특성이자 어떠한 기준에 의하더라도 사외이

    16) 정부의 정책, 사회적 관심사, 주주 아닌 이해관계인에 대한 고려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 - 15 -

    사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특성이다. 사외이사(Outside Director)란 명

    칭 자체가 법제도상의 개념이 아니라 사내이사(Inside Director)에 대칭되어

    실무상 사용된 것이다. NYSE는 1962년 사외이사를 단순히 ‘(회사에) 고용되

    지 않은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영국에서는 사외이사의 비집행성을 강조하여

    ‘비집행이사(Non-executive director)’란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17), 일부 문

    헌에서는 사외이사 대신 ‘비경영이사(Non-management dircetor)’란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구별의 필요가 없는 한 ‘사외이사’라는 명칭을 사

    용한다.

    Eisenberg 교수에 의해 강조된 이사회의 감독적 기능에서, 사외이사가 경

    영진에 대한 감독의무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중요한 전제는 독

    립성이었다. 사외이사에게 제공되는 이익을 회사가 통제할 수 있다면, 이사가

    경영진에게 반대하려는 판단과 의지는 회사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이익과

    타협할 우려가 있다18). 그러나 최소한 2000년대 초까지는 독립성의 중요성에

    도 불구하고 이것이 사외이사의 정의에 포함된 것이 아니었다. 1992년의 영

    국 Cadbury Report에서 언급되는 바람직한 이사회는 “회사 일에 대해 지식

    을 가진 집행이사와, 회사의 활동에 대해 보다 넓은 견해를 가져다 줄 수 있

    는 외부의, 비경영이사로 이루어진 이사회”일 뿐이었고, Cheffin도 비슷한 측

    면에서 사외이사의 기능에 대하여 언급한다.

    (2) 사외이사 의미의 확장

    그러나 ‘비상근’이라는 특성 외에도, 실제로는 독립성을 포함한 몇몇 특성

    들이 사외이사의 개념에 포함되어 혼용되어 왔다. ALA(American Law

    Institute, 이하 ‘ALA'라 한다)가 1994년 발표한 「Principles of corporate

    Governance : analysis and recommendations」는 사외이사의 정의개념과

    관련해서 사외이사라는 용어 자체를 사용하지 않고, 이사의 직무수행에 있어

    17) 2003년 발표된 Higg's report의 정식 명칭은 “Review of the role and effectiveness of

    non-executive directors"이다.

    18) The role of Independent directors in corporate Governance-and update of the role of

    independent directors after Sarbanes-Oxley-, American Bar Association, 2010, p5

  • - 16 -

    서 객관성을 해친다고 여겨지는 ‘중요한 관계(significant relation)’라는 개념

    을 도입한다. 각국의 다양한 사법제도와 회사지배구조 규범, 관련 문헌은 “이

    해관계가 없는 이사”, “독립이사” “사외이사” “비고용이사” “객관적인 이사”

    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각각 다르게 정의되고 사외이사

    가 수행하는 서로 다른 역할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이것들은 같은

    것을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동일한 범주에서 논의되기도 한다19). 이에 대해

    Donald C. Clarke은, 사외이사는 독립성 기준을 충족시키는지 여부와는 상관

    없이 회사의 피고용인이 아닌 일체의 이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종종 독립이사

    의 개념과 혼동되지만 양자는 다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구별하는 것이 타당하

    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20).

    (3) 다른 특성과의 구별 실익

    사외이사의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과정에서 법률이나 규준 등이 사외이사

    에게 외부성 외의 추가 요건을 필수적으로 갖추도록 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

    문에, 현재는 법률 등의 요건에 부합하는 ‘사외이사’들이 실질적으로 ‘독립이

    사’ 내지는 ‘이해관계 없는 이사’와 사실상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거나 혼용되

    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SOX, Dodd-Frank 월스트리트 개혁 및 소

    비자 보호법(이하 ‘Dodd-Frank'라고만 칭한다)이나 우리나라 현행 상법 모두

    사외이사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사외이사에게 외부성 외에도 독립

    성 요건이나 이해관계인 요건을 추가로 부가하고 있다. 예컨대 우리나라 상법

    제382조 제3항 제6호는 사외이사에게 ‘회사와 거래관계등 중요한 이해관계에

    있는 법인의 이사, 감사, 집행임원 및 피용자가 아닐 것’을 요구하며, 만약 위

    요건에 위반하는 경우에는 사외이사직을 상실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19) 예컨대, Miwa와 Ramseyer는, 일본의 “사외이사”에 대한 데이터를 “독립이사”의 역할에 관한 통념을

    반박하기 위해 사용했다. 그러나 통계학적 편의를 위해, 그들은 일본에서 통상 “사외”이사가 과거 혹

    은 현재 회사 밖에 직업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하는 것을 따랐다. 이 때에는 예컨대, 회사를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는 로펌의 파트너 변호사가 포함되는데, 그 사람은 대부분의 “독립” 정의에 의하면

    그 요건을 갖추고 있지 않다. Donald C. Clarke, Three concept of the independent director, 32

    Delaware journal of corporate law 1, 2007, p78~79.

    20) Donald C. Clarke, Three concept of the independent director, 32 Delaware journal of

    corporate law 1, 2007, p99

  • - 17 -

    외부성 외의 특성들은 대체로 사외이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부가된

    것이므로, 각각의 특성을 구별하여 이해하는 것은 사외이사가 발전해온 방향

    을 이해하고 사외이사의 기능 수행에 부족한 것이 무엇이었는지를 밝혀 사외

    이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된다.

    게다가 SOX나 Dodd-Frank 제정 전에조차 대다수의 문헌들이 사외이사

    의 특성들을 제대로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명시적으로 ‘독립

    이사’나 ‘이해관계 없는 이사’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 않는 한, 기존의 실

    증연구 결과를 지금 현재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지도 개별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독립성과 이해관계 없는 이사의 의미가 모든 경우에 동일하

    지 않으므로-예컨대 미국에서의 독립성은 경영진으로부터의 독립성을 의미하

    는 반면, 우리나라에서의 독립성은 주로 지배주주(또는 그 직접적 영향력을

    받는 경영진)로부터의 독립성을 의미한다-, 다양한 법제도에서 사외이사가 차

    지하고 있는 위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개념에 대해서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요컨대, 사외이사에게 부여되는 여러 특성을 구별하여 이해하는 것은

    사외이사의 현 지점을 밝히고 앞으로의 개선방향을 정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나. 독립성21)

    사외이사는 경영진 등을 감시․감독함으로써 주주의 경영진에 대한, 그리고

    소수주주의 지배주주에 대한 대리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그러나

    감독자가 감독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피감독자로부터 독립되어

    야 하는데, 감독자가 피감독자의 마음에 들어야 할 필요나 동기가 있다면, 본

    인-주주 또는 소수주주-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목소리를 높일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21) Donald C. Clarke, Three concept of the independent director, 32 Delaware journal of

    corporate law 1, 2007, p86~98

  • - 18 -

    앞에서 본 대로 처음에는 사외이사의 개념 자체에 독립성이 포함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외부성만을 분류 기준으로 삼는 ‘내부자(고용자)-외부자(비고

    용자)’ 분류 방법은 이사가 내부자는 아니지만 회사와 관련성(affiliations)이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이해관계의 충돌을 고려하는데 실패하게 되

    었다. 1970년대 회사지배구조개선 운동 그리고 이사회 감시기능 강화 주장의

    영향 하에, “감시 역할을 수행할 능력이 있는” 이사의 종류로서 경영진에서

    독립된 이사, 또는 아예 독립이사라는 표현이 회사지배구조 용어에 편입되게

    되었다. 그 이전까지 이사는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로만 구분되었다. 비록 기업

    들의 반대에 부딪쳐 실현되지는 못하였으나, SEC는 1978년 의결권위임 공시

    에 사외이사를 “이해관계 있는 이사”와 “독립이사”로 구분하는 것을 제안하기

    도 하였다.

    이 때의 독립이사는 독립적 판단작용이 방해될 수 있는 ‘이해관계(연관성)

    이 있는 이사가 아닐 것’을 의미하므로 어떤 이사가 독립이사인지 여부는 결

    국 그 이사가 이해관계 있는 이사가 아닌지에 따라 소극적으로 판단된다.

    1978년 주류 회사법 변호사들의 주도 하에 ABA(American Bar

    Association, 미국법조협회. 이하 ‘ABA'라 한다)가 발표한 영향력 있는 결과

    물인 회사 이사 지침(Corporate Director's Guidebook, 1st Ed)은, 이사에

    대한 2단계 구분법을 도입했다. 이 구분법은 먼저 경영이사(Managerial

    Director)와 비경영이사를 구별하고, 후자를 이해관계 있는 비경영이사 그리

    고 이해관계 없는 비경영이사로 구별하도록 한다. 회사의 전직 임원이나 피고

    용자는 경영이사의 범주에 포함되었으며, “독립적 판단작용을 방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경제적인 혹은 개인적 관련이 있는 이사 - 예컨대, 상업은행

    가, 투자은행가, 변호사 그리고 회사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공급하는 사람-는

    이해관계 있는 비경영이사로 포섭되었다.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들이 이

    해관계 없는 비경영이사가 된다. 이와 유사하게 Daily와 Dalton은 이사를 관

    계이사, 상호의존적 이사, 독립적 이사로 구별했고22), Baysinger와

    22) Chin-Jung Luan, Ming-Je Tang, Where is Independent Director Efficacy? Corporate

    Governance, Vol 15. Number 4. July 2007. p638

  • - 19 -

    Butler(1985)는 위임장 서식에 언급되어 있는 관련성 및 거래에 따라 이사를

    사내이사, 회사와 연관이 있는 사외이사(Affiliated outside director, 종종 ’회

    색이사‘로 불리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회색이사‘라 칭한다), 독립된 사

    외이사로 구분했다23). 회색이사는 회사의 상근 고용인은 아니지만, 회사에 대

    부한 투자은행이나 상업은행, 회사에 조언하는 변호사 또는 회사에 공급하는

    회사의 임원 또는 고객, 또는 CEO의 겸직이사(Interlocking Directors)와 같

    이 어떤 식으로 회사와 관련성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독립적인 사외이사는

    이사직 외에는 회사와 어떠한 관련이 없고, 개인 투자자, 기업체 간부, 학자,

    공공영역의 의사결정권자 등을 포함한다24)25). 회색이사의 ’관련성‘에 현존하

    는 업무관련성이 있는 것은 당연하지만, 잠재적 업무관련성까지 포함하는지,

    포함한다 하더라도 그 ‘잠재성’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는 결국은 구체적 사

    안마다 파악하는 수밖에 없을 것이다26).

    연방법인 SOX, Dodd-Frank 그리고 연방법의 요구조건에 따르는 NYSE

    와 NASDAQ 상장규정에 따라 최종적으로 독립성은 적극적인 의미로 바뀌었

    고, 사외이사에게 독립성을 요구하는 범위 또한 꾸준히 확장되어 현재에 이르

    렀다.

    예컨대 NYSE의 1977년 상장기준은 오직 감사위원회에서만 “경영진에서

    23) John W. Byrd, Kent A. Hickman, Do outside directors monitor managers? Evidence from

    tender offer bids, Journal of Finacial Economics 32(1992), North-Holland, p197

    24) John W. Byrd, Kent A. Hickman, Do outside directors monitor managers? Evidence from

    tender offer bids, Journal of Finacial Economics 32(1992), North-Holland p199

    25) 이 분류체계를 이용한 연구에는 Weisbach(1988), Byrd and Hickman(1992), Brickley, Coles and

    Terry(1944), Hermalin and Weisbach(1998) 등이 있다. Jongmoo Jay Choi, Sae Woon Park, and

    Sean Sehyun Yoo. The Value of Outside directors : Evidence from corporate Governance

    reform in Korea. Journal of Financial and Quantitative Analysis, Vol. 42. No.4. Dec 2007,

    p946

    26) 한편 업무관련성은 회색 이사의 감시유인에 양면적 영향을 미치는데, 회색 이사는 회사에 대한 투자

    를 보호하기 위해 더 강한 경영진 감시 유인을 가질 수 있으며, 회색 이사들이 회사가 필요로 하고 구

    하기 어려운 자원을 가진 제3의 회사를 대표하는 한(예컨대, 자본을 투자할 수 있는 은행가), 그 이사

    들은 회사 경영진에 대해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회색 이사는 그들의 이사직을 회사와 그들간

    의 사업관계를 보장하는 수단으로만 보기 때문에 그들의 관심사는 당해 회사 주주들의 관심사와 맞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은 Laura Lin, The effectiveness of outside directors as a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 : theories and evidence 90 Nw. U. L. Rev. 898, 1995~1996,

    p919~920

  • - 20 -

    독립된 이사”가 일하도록 할 것을 요구하였고, 그 의미에 대해서도 “회사와

    관례적인 상업적, 산업적, 은행 혹은 인수 관계를 가지고 있는 조직에서 온 이

    사는, 이사회가 이러한 관계가 위원회 구성원으로서의 독립적 판단에 방해가

    된다는 판단을 하지 않는 한 감사위원회에 있을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

    이었다. NYSE의 2002년 개정 기준은 “경영진 그리고 회사로부터 독립해서

    활동하는 것에 방해가 될 수 있는 관계가 없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 배제

    요건을 확장하였다. 개정 기준은 독립성은 만약 이사나 그 가족 구성원이 회

    사와 특정 관계 - 회사 이사회가 적극적으로, 이사의 독립적 판단 활동에 방

    해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결정한 거래관계를 뺀 나머지 사업관계-가 있는 경

    우 배제되었다27).

    그러나 현재의 NYSE 규칙은 “이사회가 적극적으로 그 이사가 직접적으로

    든, 회사와 관계 있는 기관의 파트너나 주주, 임원으로든 상장회사와 사이에

    중요한 관계가 없다고 판단하지 않는 한 어떤 이사도 ‘독립적’이라는 자격을

    얻지 못하며, 회사는 이사가 독립적인지 여부와 회사가 그러한 결정을 내린

    기초가 무엇인지 공시해야 한다”고 하여 명시적으로 ‘독립이사’를 규정하고 있

    다. 나아가 현행 제도에서 감사위원회, 보상위원회, 특별소송위원회와 같은 특

    별한 위원회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독립성 요건이 요구된다.

    종합하면, 독립성은 점차 수동적인 정의에서 벗어나 회사의 적극적인 판

    단을 거쳐 인정될 수 있는 요건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결국 독립성을 갖추지

    않은 사외이사는 기업지배구조 측면에서는 더 이상 독자적인 의미가 없게 되

    었다는 측면에서, 현재 미국에서는 사외이사의 적극적 개념으로 이미 ‘독립성’

    이 포섭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고, 최소한 현행 법령 요건을 갖추었다는

    의미에서는 별 무리 없이 ‘독립이사’와 ‘사외이사’ 용어를 상호 대체하는 것도

    27) 그러나 이사회로 하여금 다양한 환경에서 독립성에 대한 추정 방해물(presumptive bars)를 포기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2002년 제정된 SOX의 규정보다는 보다 유연하다고 평가된다. 이는 NYSE

    상장규칙에는 독립이사가 그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요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감사위원회는 모두

    독립이사로만 구성되어야 했지만, 외부 감사인을 고용, 감시, 이들과의 관계를 종료할 독점적 권한을

    가질 필요는 “없었다.” 때문에 독립이사와 비독립 이사 사이에 엄격한 구분을 유지하는 것이 그리 중

    요하지 않았다. Donald C. Clarke, Three concept of the independent director, 32 Delaware

    journal of corporate law 1, 2007, p87

  • - 21 -

    가능하다고 보인다28).

    다. 이해관계 없음(Disinterested)

    이해관계 없는 이사란 회사의 특정 거래나 협정(Arrangement)에 대한 승

    인 여부를 투표하는, 그 거래 혹은 협정과 경제적․개인적 이해관계가 없는 이

    사를 의미한다. 독립성의 개념이 주로 경영진에 대한 감독의 실효성 확보와

    관련하여 연방법(특히 SOX, Dodd-Frank) 및 이를 따르는 NYSE, NASDAQ

    의 상장규정을 중심으로 발달한 반면, 이해관계 없는 이사의 개념은 이해상반

    거래 등에 대한 승인과 관련하여 델라웨어 주 회사법(DGCL)과 모범회사법

    (MBCA)에 따라 정의된다. 이는 유형별 접근에 따라 개개의 ”문제된 상황에

    서“ 객관적인 이사들(혹은 의사결정권자들)의 승인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방식

    으로 판단된다29)30).

    미국법상 주주대표소송의 절차적 요건으로 회사는 이해관계 없는 이사들

    로 구성된 별도의 위원회를 통해 대표소송을 제기해 달라는 주주의 요청을 심

    사하고, 만약 회사가 주주들의 요청을 받아들이지 아니하여 주주들이 직접 법

    원에 소를 제기하는 경우 법원은 주주들의 주장에 대한 실질적인 심사에 앞서

    회사가 위원회의 판단에 따른 것이 적절한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검토하게 된

    다. 여기에서는 위원회가 독립되었는지, 즉 위원회를 구성하는 이사들에게 이

    해관계가 있었는지 여부를 따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델라웨어주 법원은 In re Oracle, Derive Litig., 808 A. s2 1206,

    1212(Del. Ch. 2002) 사건(이하 ‘오라클 사건’이라 한다)에서, “독립 위원회

    의 목적은...(중략)... 주주대표소송의 원고가 회사를 대신해서 제기한 소송의

    28) Jeffry N. Gordon, The rise of Independent Directors in the United States, 1950~2005 : of

    Shareholder value and stock market prices, 59 Stanford Law Review 1465(2007), p468는

    1950년부터 2005년까지 미국 독립이사(사외이사) 제도의 변화과정 및 그 배경에 대하여 다루면서,

    ‘독립이사’의 존재와 회사의 경제적인 성과 사이에는 경제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를 찾기 어렵다’는 표

    현을 사용하여, 사외이사와 독립이사를 구별하지 아니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그러나 위에서 본 바와

    같이 2000년대 이전과 현재의 ‘독립이사’가 동일다고 볼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29) Donald C. Clarke, Three concept of the independent director, 32 Delaware journal of

    corporate law 1, 2007, p103~104

    30) 다만 경영진의 자기거래도 적법성 및 타당성과 관련하여 사외이사의 감시의무의 대상이 되는 것은

    물론이다.

  • - 22 -

    계속이 회사의 종합적인 최대 이익에 어긋난다고 판단될 경우 유지되어야 하

    는지를 판단하도록 규정한 8 Del. C. §141 (a) 하에서 이사회에게 주어진 최

    후의 권한을 독립된 기관으로써 행사하는 것이다.”고 판시하였다31). 이 사건

    에서는 주주들이 오라클의 엘리슨 회장 등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줄 것을

    요청하였는데, 이사들 중 스탠포드대학교에 소속된 두 교수들(Hector

    Garcia-Molina, Joseph Grundfest)로 구성된 위원회에서는 소송이 중단되어

    야 한다고 판단하였고, 이에 대하여 델라웨어주 법원이 위 교수들과 대표소송

    의 상대방들(엘리슨 회장 등) 사이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 사건에서는

    스탠포드대학교와 엘리슨 회장 등 사이에서는 인간적이고 사회적인 관계가 있

    다는 점을 근거로 위원회의 독립성이 인정되지 않았다32).

    델라웨어주 법원에서 보는 회사의 이해관계 내지 독립성은 NYSE의 상장

    조건처럼 일정한 기준에 따른 것이 아니고, 사안마다 이를 따지는 기준이 다

    르며 사건 유형마다 그 요구정도가 달라진다. 예컨대 자기거래의 경우에는 이

    사 개인마다 그 이해관계를 따지게 되지만, 인수합병시에는 전체 이사회의 독

    립성이 중심이 된다. 오라클 사건에서 회사와 직접적인 친인척관계나 거래관

    계가 없는, 즉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독립이사’ 요건을 갖춘 스탠포드대학교

    교수들로 이루어진 위원회의 독립성이 부정된 것에서 볼 수 있듯, 구체적인

    사안에서 ‘이해관계가 없다’는 것은 추상적인 독립성 요건과 일치하지는 않는

    다. 이해관계 없는 모든 이사가 독립적이지 않고. 추상적으로 독립이사(회사와

    의 연결이 결여된 것으로 정의되는)가 특정 회사 거래에 대해서는 이해상반이

    될 수도 있다33).

    다만 일반적으로 위원회의 다수가 사외이사로 구성되었다면 대표소송 제

    31) 오라클 사건을 회색이사와 사외이사의 독립성과 관련된 사례로 보는 것도 분류방법에 따라 가능하다

    고 보인다. 예컨대, 김화진, 이사회-운영원리와 법률적 책임(제2판) 박영사, 2007.2. p86에는 오라클

    사건을 사외이사의 독립성에 대한 것으로 보고 있다.

    32) 엘리슨 회장의 아들이 스탠포드대학교에 입학허가를 받지 못하였다던가, 오라클과 엘리슨 회장 등이

    스탠포드대학교에 거액의 기부금을 주었다는 점 등까지 고려되었다. 오라클 사건의 구체적 사실관계

    등에 대해서는 김화진, 이사회-운영원리와 법률적 책임, 박영사(제2판, 2007.2.) 86~91면 참조

    33) The role of Independent directors in corporate Governance-and update of the role of

    independent directors after Sarbanes-Oxley-, American Bar Association, 2010, p9, 109, 설민

    수, 주식회사 지배구조와 사외이사 - 지배주주와 법원의 역할을 중심으로 본 비교법적 접근, 사법논집

    제47집, 2008, p244~250

  • - 23 -

    기 자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이해관계 없는 이사나 주주대표소송

    에서의 특별소송위원회의 독립성이 기업지배구조에서의 이사의 독립성과 겹쳐

    지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다. 델라웨어주법원이 이해관계나 독

    립성을 검토하는 기준으로 사용하는 회사와 이사 사이의 직/간접적인 금전적

    인 이해관계, 사회적 관계 등은 사외이사의 독립성 판단에서도 중요하게 고려

    되는 요소들이고, 사내이사는 사외이사보다 이해관계가 있는 거래에 관여될

    확률이 높고 사내이사의 보수결정 등은 모두 이해관계 있는 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외이사가 사내이사보다는 이해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34).

    라. 소결론

    사외이사, 독립이사, 이해관계 없는 이사는 서로 다른 법적 맥락에서 다른

    목적 하에 도입되었다. 통상 독립이사는 사외이사의 감시감독기능 실효성 강

    화 과정이라는 기업지배구조 문제에서 강조되는 개념인 반면, 이해관계 없는

    이사는 법원이 특정한 사례에서 회사 위원회가 내린 구체적인 판단을 존중할

    지 여부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특정

    사례를 전제로 하는 이해관계 없는 이사의 범위가 가장 좁고, 그 다음이 독립

    이사, 사외이사의 순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외이사, 독립이사, 이해관계 없는 이사가 구별된 개념

    이고 각각 다른 법규범 하에서 도입되었다 하더라도, 현재 기업지배구조의 문

    제에 있어서는 이 세 가지 특징이 모두 ‘독립성 있는 사외이사’의 징표로 모두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편입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35). 미국에서는 이미

    독립이사와 사외이사를 동일한 용법으로 사용하는 것에는 이미 별다른 문제가

    34) Laura Lin, The effectiveness of outside directors as a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 :

    theories and evidence 90 Nw. U. L. Rev. 898, 1995~1996, p906

    35) 예컨대, 최근 사외이사(독립이사)제도를 도입한 일본에서는 제도 도입 전에 이미 상장규정 개정을 통해

    사외이사가 속한 기부 등에 대하여도 공시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회사의 기부 문제는 앞서 이해관계 없는

    이사인지 여부가 다투어진 오라클 사건에서 고려된 쟁점이기도 한 것이다. 오라클 사건의 내용에 대하여

    는 제3장 제1절 3. 다. 참조. 일본 상장규정의 구체적 개정내용에 대하여는 山豚期平, コーポレlトガバナ

    ンスに関する上場制度の見直しに対する上場会社の対応状況, 商事法務 No.1978.(2012.10.5.자) p62~72

    참조.

  • - 24 -

    없는 것으로 보인다36). 또한 사외이사에게 기대되는 역할과 관련되어, 현행

    법령이 규정하고 있는 독립성의 자격요건이 친인척 관계와 경제적 관계 위주

    로 규정되고 있을 뿐 사회적․인간적 관계가 누락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 관계

    까지 고려할 수 있는-오라클 사건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이해관계 없는 이

    사의 개념이 독립이사의 내용에 그대로 편입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우리나

    라에서 지배주주와 대학 동문관계에 있는 사외이사의 독립성이 문제되는 것

    도, 기존의 소극적인 ‘독립성’ 정의에 따른 독립성이라기보다는 이해관계 없는

    이사의 내용과 더 가까워 보인다. 또한 독립성을 적극적으로 판단하도록 하고

    있는 현행 미국 규정의 운영에 있어서도 장차 경영진과의 사적 관계에 대한

    고려가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사용하는 명칭과 사외이사의 범위와 관련하여, 우리 상법 제

    382조가 명시적으로 ‘사외이사’라고 규정하고 있는 이상 독립이사나 이해관계

    없는 이사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사외이사’라 한다. 또한 상법 제382조

    제3항은 같은 항 각 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특정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에는

    사외이사자격을 상실한다고 규정하는데, 각 호의 요건들은 현직 또는 전직 직

    원(1호), 최대주주의 친족 또는 임원(2,3호), 현직 임원들의 친족(4호), 모자회

    사의 임원(5호), 회사와 중요한 이해관계에 있는 법인의 임원 및 피용자(6호),

    회사의 임원 및 피용자가 임원으로 있는 다른 회사의 임원, 피용자(7호)로, 이

    는 각 호에 해당하지 않는 한 사외이사로 본다는 면에서 볼 때 회색이사를 제

    외하는 방식으로 독립이사를 규정하였던 미국의 과거 방식과 유사하다고 보인

    다. 따라서 회색이사에 대해 적용되는 논의 또한 사외이사에 대한 논의에서

    제외한다.

    제2절 우리나라의 사외이사제도

    1. 우리나라의 사외이사제도 도입

    36) NYSE rules 303A.01.은 “Listed companies must have a majority of independent directors”라

    고 규정한다.

  • - 25 -

    가. 배경과 이론적 논의37)

    (1) 도입 배경

    1990년 말 이후, 기업지배구조가 국가경쟁력 내지 경제발전과 관계가 있

    다는 전제 하에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었다. 특히 태국을 시작

    으로 동남아시아에서부터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각국을 휩쓴 경제위기의

    원인에는 성숙되지 못한 기업지배구조가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으면서, 2000

    년대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관심은 학계를 넘어 정책 당국, 경제계, 시민단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

    (2) 자본시장의 세계화와 법이 기업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

    2000년대 초의 기업지배구조 담론은 크게 두 가지를 다루고 있었다. 그

    때까지는 기업의 지배구조가 경제발전단계에 따라 단선적으로 발전한다는 견

    해가 대부분이었는데, 미국경제는 1980년대 후반 재정적자와 무역적자의 누

    적으로 침체에 빠진 반면 일본과 독일은 계속하여 놀라운 경제발전을 이루었

    으므로, 주식의 소유가 분산되었고 자본시장의 기능이 강조되는 미국식 자본

    시장중심모델(주식분산모델)에 비해 주식 소유가 은행에 상당히 집중되어 있

    고 자본시장보다 은행이 훨씬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일본과 독일의 은행

    중심모델(주식집중모델)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의 여파로 은행중심모델에 대한 동경이 사라지게 되

    자, 과연 은행중심모델이 자본시장중심모델로 수렴할 것인지 여부가 논의의

    초점이 되었다. 다만 과거의 단계발전론과는 달리 자본시장의 세계화가 전세

    계적으로 기업지배구조를 수렴시키는 동인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또 하나의 논의는, 기업지배구조에 법이 얼마나 영향을 주는 것인지에 대

    한 것이다. 하버드대의 Rafael La Porta 교수, Florencio Lopez-de-Silanes

    교수, Andrei Shleifer 교수와 시카고대의 Robert Vishny 교수(이들을 통틀어

    LLSV로 약칭한다)는 법을 독립변수로 하여 전 세계 소유지배구조를 실증적으

    37) 이 항은 김건식, 기업지배구조와 법, 소화, 2010. 28~48면(기업지배구조에 관한 최근의 논의에서 무

    엇을 배울 것인가)를 참조하였다.

  • - 26 -

    로 조사하였다38). 이들은 회사법의 주된 테마였던 소수주주의 이익보호를 기

    업지배구조의 중요한 변수로 삼아, 그것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주식소

    유의 분산과 자본시장의 발전이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이들은 소수주주

    의 이익보호는 대륙법계보다는 영미법계(관습법계)에서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같은 대륙법계 중에서는 독일계가 프랑스계보다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결론내

    렸다. 이들의 연구결과는 자본시장이 투자자 보호 위주로 개선되고 집중된 소

    유구조가 분산되기 위해서는 영미법계가 지향하는 방향으로 법률체계와 사법

    부의 집행을 개선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수렴론과 LLSV의 연구결과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서는 회의적 시각이 대부분이다. 수렴론의 경우 경제학에서 말하는 경로의존

    성을 들어, 일단 우연히 한 가지 형태의 기업지배구조가 정착하게 되면 그것

    을 뒷받침하는 주변적 요소들이 생성되어(예컨대, 지배주주가 경영권의 사적

    이익을 이미 누리는 경우) 기업지배구조의 자발적인 변화를 막는 요인으로 작

    용한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또한 LLSV의 연구에 대해서도 법학자들은 기업지

    배구조에서 법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것을 강조한 공적을 인정하는 것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법제도의 중요성에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해

    서는 시장이 압력을 대신하기 때문에 법 자체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는 견해,

    러시아와 같이 집행이 배제된 법 자체는 별다른 의미가 없다는 견해, 그리고

    Eisenberg 교수의 견해와 같이 경영진의 행동통제에는 법규범보다 사회규범

    이 중요하다는 견해로 나뉜다.

    (3) 세계적 기업지배구조 개편과 사외이사제도의 도입

    그러나 수렴론과 LLSV의 연구결과는, 실제로는 우리 기업지배구조의 제

    도 개선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IMF 구제금융이라는

    국가적 비상상황에서, 그 어떠한 주장도 IMF 자금차입을 조건으로 사외이사

    의 도입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뒤집기에는 부족했던 것이다. 또한

    38) LLSV의 구체적 연구내역에 대해서는, 김현종,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다면적 분석 고찰 및 시사점 연

    구, 한국경제연구원(연구보고서) 2010. 52~55면을 아울러 참조하였다.

  • - 27 -

    기업지배구조의 취약성이 경제위기의 원인 중 (최소한) 하나였다는 인식은 구

    제금융기관인 IMF를 포함하여 정부기관, 민간에게까지 널리 퍼져 있었다. 이

    에 따라 우리나라의 회사법과 증권법에는 아래와 같이 영미식의 사외이사제도

    가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다.

    또한 IMF의 구제금융 정책에 따라, 당시 경제위기를 겪은 태국, 말레이

    시아 등 여러 국가들이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개선요구를 받으면서 사외이사제

    도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2003년 미국에서 SOX를 제정하자, 같은 해

    에만 보더라도 16개의 국가들이 지배구조에 관하여 새로운 혹은 개정된 법을

    통과시켰다는 것을 설명한다.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당한 수의 국가

    들이 2002년으로부터 10년 내에 지배구조 개혁을 시작했다39)40).

    나. 우리나라 기업지배구조의 특징과 사외이사제도의 도입

    (1) 우리나라 기업지배구조의 특징

    우리나라 상장기업 기업지배구조의 중요한 특징은 흔히 ‘오너’라고 불리는

    지배주주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들 지배주주는 아무런 견제도 받지 않고 자

    신의 그룹을 완전히 지배하여 왔다. 주주총회 등 회사법상의 기관구조가 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