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4
- 1 - 정책연구 2008-10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과 시사점 Open Innovation: Theory, Practices, and Policy Implications 김석관ㆍ장병열ㆍ이윤준ㆍ송종국 안두현ㆍ이광호ㆍ최지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정책연구 2008-10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과 시사점 · 최근 글로벌 지식 환경이 변화되면서 기업들의 혁신 활동도 전환기를 맞고 있다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 1 -

    정책연구 2008-10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과 시사점

    Open Innovation: Theory, Practices, and Policy Implications

    김석관ㆍ장병열ㆍ이윤준ㆍ송종국

    안두현ㆍ이광호ㆍ최지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 - 2 -

    발 간 사

    최근 글로벌 지식 환경이 변화되면서 기업들의 혁신 활동도 전환기를 맞고 있다.

    그러한 전환 중 대표적인 현상이 개방형 혁신의 확산이다. 개방형 혁신은 연구, 개

    발, 상업화에 이르는 기술혁신 과정에서 외부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혁신의 비용은

    줄이고 성공 가능성은 높이며 부가가치 창출을 극대화하는 기업 혁신의 방법론이라

    고 할 수 있다. 개방형 혁신은 Chesbrough가 2003년에 책을 발간하면서 주목을

    받게 되었는데, 새로운 혁신 방법론을 제시한 것은 아니지만 시대적 변화를 쉬운

    용어로 잘 포착하고 외부 자원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기업, 학계, 정부에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의 의의를 객관적으로 평가

    해보고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개방형 혁신 사례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실무

    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이 지닌 장점과 한계가 적절히 평가됨으로써 그것의 올바른 이해와 적용에 기

    여하기를 바란다. 또한 국내외 기업 사례에 대한 연구 결과가 개방형 혁신을 새롭

    게 추진하거나 강화하려는 기업들에게 유용한 지침이 되기를 바라며, 기업들의 개

    방형 혁신을 촉진하고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 방향의 수립에도 기여하기를 바란

    다. 끝으로 국내 기업 사례의 조사 과정에 협조해주신 7개 기업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08년 12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원 장 김 석 준

  • - 3 -

    요 약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최근 기업들이 기술혁신 과정에서 외부와 협력하는 현상이 확대됨에 따라

    Chesbrough가 주창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

    다. 기업을 둘러싼 지식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개방형 혁신이 기업 전략에서 차지

    하는 중요성도 점증하고 있다. 따라서 Chesbrough의 연구 이후 개방형 혁신을 강

    화하거나 새로 추진하려는 기업들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주고, 또한 기업들의 개방

    형 혁신을 촉진하고 지원하려는 정부에게 정책적 시사점을 주기 위한 진전된 연구

    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개방형 혁신의 중요성에 공감하면서도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이

    기존의 기술경영 이론들과 차별성을 지닌 새로운 혁신 방법론인지에 대해서는 의구

    심이 존재한다. 개방형 혁신의 세부 내용들은 협력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과 별로

    다르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방형 혁신 이론을 기업 실무와 정

    부 정책에 반영하기 전에 그의 이론의 정확한 위치와 의의를 객관적으로 진단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을 비판적으로 평가하

    고,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사례를 일정한 분석적 틀을 가지고 살펴봄으로써 기업

    실무적 시사점과 정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4 -

    2.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에 대한 평가

    (1)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의 주요 내용

    □ 개방형 혁신의 개념

    개방형 혁신은 기업이 연구, 개발, 상업화에 이르는 일련의 혁신 과정을 개방하여

    외부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혁신의 비용을 줄이고 성공 가능성을 제고하여 부가가치

    창출을 극대화하는 기업 혁신의 방법론을 말한다. 연구, 개발, 상업화의 과정이 단

    일 기업 내에서 모두 이루어지는 방식을 폐쇄형 혁신이라고 한다면, 개방형 혁신은

    각 단계마다 기업 내부와 외부 사이의 지식 교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외부의 기

    술이 기업 내부로 도입되거나, 그 반대로 기업 내부의 기술이 외부의 다른 경로를

    통해 상업화되는 방식들을 모두 포괄한다.

    [그림 1] 폐쇄형 혁신과 개방형 혁신

    □ 개방형 혁신의 유형

    Chesbrough는 개방형 혁신 활동을 크게 “내향형(outside-in)” 개방과 “외향형

    (inside-out)” 개방으로 나누었다. 전자는 기업이 기술혁신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기

    술이나 아이디어를 얻는 것을 가리키며, 후자는 기업이 기술을 외부로 내보내서 자

    사의 기존 비즈니스 모델이 아닌 다른 경로의 상업화를 모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Chesbrough는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들이 이 두 유형에 속하는지를 명시적으로 정

    리하지는 않았지만, 다음 과 같이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 - 5 -

    개방형 혁신의 유형

    유형 내용 비고

    내향형 개방

    기술 구매 금전적 계약을 통해 외부의 기술을 구매 특허권 라이선싱이 대표적

    공동 연구외부 기관(주로 대학)과 공동으로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보통 지적재산권의 공유를 수반

    연구 계약 (위탁 연구)

    특정 요소기술 확보나 시험평가를 위해 외부 기관에 연구용역을 의뢰

    지적재산권의 공유는 없으며, 신약 개발에서 CRO가 대표적

    장기 지원 협약

    대학 등과 연구성과 사용에 관한 협약을 맺고 대규모 연구비를 일괄 지원

    보통 발생하는 특허의 지분이나 우선 실시권을 기업이 얻는 조건

    합작 벤처 설립

    타사와 공동으로 벤처기업을 설립하고 특정 기술의 사업화를 추진

    합작 벤처는 제품 개발 완료 후 매각/인수를 통해 소멸되기도 함

    벤처 투자신기술 탐색이나 우선 실시권 확보를 위해 벤처기업에 지분을 투자

    다른 벤처캐피탈과 협력하거나 직접 벤처캐피탈을 설립

    기업 인수유망 기술의 도입을 위해 기술을 보유한 기업(주로 벤처)을 인수

    시스코, 파이자 등이 이 방식을 자주 사용하는 대표적 기업

    해결책 공모기술적 문제를 인터넷 등을 통해 전문가들에게 공개하고 해결책을 공모

    NineSigma 등 전문 사이트 활용

    사용자 혁신사용자에게 개발 툴을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아서 신제품 개발

    의료기기, 게임, 완구 등이 대표적

    집단지성 활용

    다수 전문가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하나의 기술에 대한 지속적 개선 추구

    기술의 사적 소유권을 불인정, open source S/W가 대표적

    외향형 개방

    기술 판매자사의 기술을 판매하여 타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사업화를 모색하고, 로열티 수입을 통해 수익 창출을 극대화

    기업 내에 사장된 휴면 특허를 파는 경우도 있지만, 처음부터 기술 판매를 목적으로 기술 개발을 하는 경우도 있음

    분사화 (Spin-off)

    자사의 현재 비즈니스 모델로는 사업화가 어려운 기술에 대해 벤처기업을 설립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사업화를 추진

    미활용 기술의 사업화, 사업 다각화 모색, 신성장동력 사업 창출 등이 목적

  • - 6 -

    □ 개방형 혁신의 배경

    Chesbrough는 기업들이 점점 더 개방형 혁신을 확대하고 있고 또 확대해야만 하

    는 이유로 기업을 둘러싼 지식 환경(knowledge landscape)의 변화를 들고 있다.

    그가 2003년 저서와 2006년 저서에서 개방형 혁신을 추동하는 요인으로 제시한 지

    식 환경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된다.

    [그림 2] 개방형 혁신의 배경

    (2)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에 대한 비판적 평가

    □ 현상적 새로움: 새로운 현상이 아니고 과거에도 많았다

    개방형 혁신이 최근에 두드러진 현상이라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1980년대 이전

    에도 개방형 혁신 사례들이 존재하고 19세기말과 20세기 초에는 R&D 아웃소싱이

    오히려 기업 혁신의 주류 패턴이었다.

  • - 7 -

    [그림 3] 기업의 R&D 아웃소싱 추이

    □ 이론적 새로움: 새로운 방법론은 아니다

    개방형 혁신이라는 이름은 새롭지만 세부 내용들은 이미 기존의 혁신 연구에서 모

    두 다루어진 것들이다. Chesbrough의 논의는 세부 각론에서 일부 진전은 있었지

    만, 이전에 없던 새로운 방법이 추가된 것은 없다. 따라서 개방형 혁신의 “증거”를

    찾는 그의 연구는 개방형 혁신이 새로운 방법론인 양 포장하기 위한 속임수라고 볼

    수 있다.

    개방형 혁신에 세부 유형에 관한 기존 연구

    범주 주요 주제

    조직간 협력산학연 협력, 공공-민간 파트너십, triple helix, 기업간 전략적 제휴, 혁신 네트워크, 4세대/5세대 R&D

    기술이전 및 확산 기술거래, 기술시장, 기술이전, 기술확산, spillover

    기술창업 분사창업(spin-off), 기업벤처(corporate venture), 기술사업화

    지적재산권 무형자산 관리, 기술가치 평가, IP 전략

    사용자 혁신 사용자 혁신(user innovation)

    집단 지성 open source s/w, wikipedia

    혁신 시스템 국가혁신체제, 혁신 클러스터

  • - 8 -

    □ Chesbrough의 기여

    첫째, 기업 전략을 위한 통일된 프레임웍을 제공하였다. 기업은 개방형 혁신이라는

    이름 아래 산학협력, 라이선싱, 스핀오프 등 이질적인 주제들을 하나의 전략적 틀로

    볼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지식 원천과 상업화 경로의 내부/외부 여부를 가리

    지 않고 기술개발 과정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관리하는 도구를 얻었다. 이는 기존의

    구성 요소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조합해서 중요한 변화를 주었다는 점에서 기술혁신

    방법론에 대한 일종의 아키텍처 혁신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지식 환경의 변화에

    관련된 시대정신을 open innovation이라는 쉬운 용어로 포착하였고, 이러한 변화가

    패러다임 전환에 비견될 만큼 전면적이고 시대적 변화임을 강조하였다.

    3.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개방형 혁신 사례

    □ 사례연구의 프레임웍

    기업의 모든 전략적 결정과 실행은 그 기업을 둘러싼 상황과 맥락의 영향을 받는

    다. 개방형 혁신도 기업 전략의 일부이므로 기업이 개방형 혁신을 추진하는 동기,

    구체적인 유형, 관리상의 문제 등은 기업이 처한 맥락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각

    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벤치마킹 작업의 오류를 피하기 위해서는 맥락과

    전략의 조응 관계 속에서 개방형 혁신을 바라보아야 한다. 이에 본 사례연구에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맥락-전략 프레임웍을 통해 기업들의 개방형 혁신 활동을 분석하

    였다. 기업을 둘러싼 맥락 변수는 기업특성, 산업특성, 국가특성, 공통요소의 네 가

    지로 구분하였다. 여기서 기업특성이란 동일 업종의 기업들과 달리 해당 기업만이

    독특하게 지니는 특성이고, 산업특성이란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의 기술혁신 패턴

    이나 산업구조 상의 특성을 말하며, 국가특성이란 해당 기업이 속한 국가혁신체제

    의 환경적 특성을 말하고, 공통요소란 업종과 국적을 막론하고 어느 기업에서든지

    발견될 수 있는 특성을 가리킨다.

  • - 9 -

    [그림 4] 개방형 혁신의 맥락-전략 프레임웍

    □ 사례연구 종합

    사례연구 결과 각 기업의 개방형 혁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맥락 변수는 산업

    특성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우리가 검토한 12개 기업 사례들을 개방형 혁신의 동기

    와 산업특성을 기준으로 10개 유형으로 구분하여 보았다. 동기를 기준으로 분류한

    것은 동기가 산업특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그것을 잘 반영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산업특성을 반영하는 동기를 기준으로 분류된 10가지 유형은 협력 대상이

    가치사슬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시 크게 3가지 그룹으로 묶일 수 있다. 가치

    사슬 내 기업과의 협력을 수직적 개방형 혁신으로, 가치사슬 밖 주체들과의 협력을

    수평적 개방형 혁신으로 명명하였다. 사용자 혁신은 크게 보아서는 수직적 개방형

    혁신으로 볼 수도 있지만 가치사슬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른 협력과는 질적으로 다

    른 점이 있다고 보고 별도의 그룹으로 묶어보았다.

  • - 10 -

    국내외 기업의 개방형 혁신 사례 종합

    유형 구분

    산업특성주요

    파트너협력 형태 사례 기업가치사

    슬동기

    수직적 개방형 혁신

    ① 가치사슬내 연계강화

    산업재/부품 생산업 고객기업 공동개발포스코, LG화학 Intel(Geneseo)

    조립산업 부품업체 공동개발 현대자동차

    ②기술판매 수익 창출

    과학기반산업가치사슬 하류기업

    IP 라이선싱Dupont, 제약기업(벤처)

    ③표준 선도/산업

    지배력 확대

    통신기기정보기기

    동종업계 유관기업

    공동개발Google(OHA) Intel(Geneseo)

    ④신서비스 발굴

    통신업: 핸드폰 기반의 신규서비스 창출 필요성

    벤처기업 공동개발 SK텔레콤

    인터넷: 포탈 기반의 신규서비스/신게임 개발 필요성

    벤처기업 M&A, 제휴Google, NHN, 네오위즈(게임)

    수평적 개방형 혁신

    ⑤신제품 발굴

    소비재 산업: 시장포화, 낮은 기술집약도, 다품종

    해외기업 등

    기술/제품/브랜드 라이선싱

    P&G

    ⑥신사업 발굴

    성숙산업: 성장 한계로 인해 타분야 신사업 발굴 필요

    벤처기업벤처투자, 합작벤처, M&A

    포스코, Dupont Intel(사내벤처)

    ⑦ 기술융합

    대응

    기계, 전자, 인터넷 등의 융합을 통한 제품/서비스 혁신

    이업종 유관기업

    공동개발현대자동차 SK텔레콤

    고에너지/공해유발산업: 환경규제로 인해 친환경/대체에너지 기술 개발 필요

    대학, 연구소

    공동연구 현대자동차

    해외 동종기업

    공동연구 포스코

    ⑧기술 프론티어

    개척

    첨단산업: 기술 프론티어 개척을 위해 학연과 공동 연구

    대학, 연구소

    공동연구 Intel(tablet)

    사용자 혁신

    ⑨소비자의 아이디어

    활용

    인터넷: 포탈의 신서비스/신게임에 대한 사용자 테스트

    사용자사용자 테스트 결과 반영

    Google(서비스) NHN(게임)

    소비재산업: 소비자 제안/의견/평가 반영이 중요

    소비자소비자 의견 반영

    P&G, LG생활건강

    ⑩집단지성 활용

    인터넷 환경의 개방성을 활용하여 집단적 개발

    사용자 집단개발Red Hat HNH(지식IN)

  • - 11 -

    이 세 가지 그룹은 개방형 혁신을 추진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관리 문제의 난이도에

    있어서도 차별성을 보인다. 개방형 혁신의 탐색 단계와 실행 단계에서 발생하는 관

    리 문제의 난이도는 가치사슬 내에서 일어나는 수직적 개방형 혁신보다 가치사슬

    밖에서 일어나는 수평적 개방형 혁신의 경우가 더 크다. 사용자 혁신의 경우는 수

    직적 개방형 혁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탐색 단계와 실행 단계 모두 관리상의 난이

    도는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단, 불특정 다수가 개발 과정에 참여하기

    때문에 실행 단계에서는 관리가 어려울 것이다.

    4.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

    □ 제품수명 주기: 신생산업 vs. 성숙산업

    개방형 혁신은 산업의 제품수명 주기에 따라 그 동기, 유형 선택, 관리 이슈 등의

    측면에서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인다. 성숙산업에서는 신제품/신서비스/신사업 발굴

    을 위해 벤처기업과 협력하거나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형태의 개방형 혁신이 많으

    며, 이 경우 새로운 아이디어의 탐색, 검토, 사업화(투자)를 위한 공식적 프로세스

    를 구축하고 벤처캐피탈 설립 및 투자를 통해 벤처기업 커뮤니티를 상시 모니터하

    는 것이 중요하다. 신생산업에서는 지배적 디자인 경쟁에서의 승리와 고객 확대를

    위해 기업간 컨소시엄 구성이나 사용자 혁신 형태의 개방형 혁신이 많으며, 이 경

    우 고객 커뮤니티 및 업계 유관기업과 적극적인 소통과 제휴를 통해 개방형 혁신을

    경쟁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 가치사슬: 소비재산업 vs. 자본재(생산재)산업

    개방형 혁신은 제품이 소비재인지 자본재(생산재)인지에 따라 그 동기, 유형 선택,

    관리 이슈 등의 측면에서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인다. 소비재산업에서는 외부의 다양

    한 기술 및 제품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도입하거나 소비자의 의견을 반영하는 형태

    의 개방형 혁신이 많으며, 이 경우 소비자를 포함한 외부의 아이디어를 체계적으로

    탐색, 수집하고 사업화시키는 절차를 갖추는 것과, 외부 아이디어 탐색을 위해 자체

    네트워크를 구축하거나 공개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본재(생

    산재) 산업에서는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객기업과 자본재(생산재)를 공

    동으로 개발하는 형태의 개방형 혁신이 많으며, 이 경우 고객과의 장기적이고 유기

    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고객의 니즈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 - 12 -

    □ 지식의 속성: 명시적 지식 vs. 암묵적 지식

    개방형 혁신은 산업 내 기술적 지식의 속성에 따라 그 동기, 유형 선택, 관리 이슈

    등의 측면에서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인다. 명시적 지식이 중요한 과학기반산업에서

    는 특허가 주요한 전유수단이 되고 라이선싱 형태의 개방형 혁신이 많으며, 이 경

    우 특허의 산출, 보호, 검색, 평가에 관한 조직 역량을 구축하고 특허를 전략적 자

    산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 하다. 암묵적 지식이 중요한 기술기반산업에서는 지식

    이 사람과 조직에 체화되기 때문에 라이선싱보다는 공동연구가 더 적합하며, 이 경

    우 최적의 파트너와 제휴 관계를 맺는 것과 공동연구 과정을 관리하고 성과를 공정

    하게 배분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 인터넷/콘텐츠 산업: 포탈 vs. 온라인 게임

    인터넷 포탈과 온라인 게임산업은 인터넷 환경을 공유하기 때문에 사용자 혁신의

    측면에서는 공통점을 갖지만, 콘텐츠 산업의 가치사슬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혁신 이외의 개방형 혁신은 그 동기, 유형 선택, 관리 이슈 등의 측

    면에서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인터넷 포탈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처기업과 협

    력하거나 벤처기업을 인수하는 형태의 개방형 혁신이 많으며, 이 경우 벤처기업과

    의 관계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된다. 온라인 게임산업은 특정 기술의 구

    매, 기업인수, 외주 개발, 사용자 혁신 등 다양한 개방형 혁신을 추진하며, 콘텐츠

    제작자가 지니는 관리 상의 이슈를 공유한다.

  • - 13 -

    □ 기술 융합: exploitation vs. exploration

    개방형 혁신의 중요한 동인이 되는 기술융합은 타 분야의 기존 기술을 활용

    (exploitation)하는 유형과 이종 기술 간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기술을 탐색

    (exploration)하는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두 유형은 기술 융합 대응이라는

    측면에서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개방형 혁신의 구체적인 동기, 유형 선택, 관리 이

    슈 등의 측면에서 다른 양상을 보인다. 활용 성격의 기술융합에서는 타 분야의 기

    존 기술을 자사 제품에 접목하는 것이 주된 동기이므로, 확실한 기술 획득을 위해

    타 업종 대표 기업과 제휴 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 경우 분명한 성과배분 계약이나

    기술 유출 방지 등 기업 간 협력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관리 이슈가 된다. 탐색

    성격의 기술융합에서는 이종 기술 간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주된 동기이므로, 학문적 프론티어에 있는 학/연 연구자들과 공동연구를 추진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 경우 상이한 조직 목표와 조직 문화의 차이를 극복하고 불확실

    한 기술 개발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는 것이 주된 관리 이슈가 된다.

  • - 14 -

    목 차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1. 연구의 방법

    2. 연구의 기본적 관점

    3. 연구의 범위와 한계

    4. 연구의 주요 내용

    제2장 개방형 혁신 이론의 평가와 문제 제기

    제1절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

    1. 선행 연구 검토 범위의 한정

    2. 개방형 혁신의 개념과 주요 유형

    3. 개방형 혁신의 배경: 지식 환경의 변화

    4. 폐쇄형 혁신에서 개방형 혁신으로

    5. 기술 사업화 과정의 개방: Xerox 사례의 교훈

    6. 개방형 비즈니스 모델

  • - 15 -

    제2절 Chesbrough의 이론에 대한 비판적 평가

    1. 무엇이 새로운가?

    2. Chesbrough의 기여

    제3절 문제 제기와 연구의 프레임웍

    1. 문제 제기

    2. 사례연구의 프레임웍

    제3장 해외 기업의 개방형 혁신 사례

    제1절 P&G

    1. Procter & Gamble(P&G)의 기업 개요

    2. C&D의 도입 배경

    3. C&D의 주요 수단들

    4. C&D의 성과

    5. 시사점

    제2절 Dupont

    1. 기업 개요

    2. 듀폰의 기술혁신과 R&D 문화

    3. 듀폰의 Open Innovation 전략

    4. Open Innovation 성공을 위한 노력

    제3절 Intel

    1. Intel 기업 개요 및 성장사

    2. Intel의 기술혁신 전략

    3. 개방형 혁신의 내용 및 성과

    4. Intel의 개방형 혁신이 주는 시사점

    제4절 Google

    1. 구글의 연구개발 현황

    2. 개방형 혁신 동기

    3. 개방형 혁신의 내용과 성과

    4. 개방형 혁신의 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애로사항

  • - 16 -

    제5절 Red Hat

    1. 기업 개요 및 연구개발 현황

    2. 개방형 혁신의 동기

    3. 개방형 혁신의 내용과 성과

    4. 개방형 혁신의 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애로사항

    제4장 한국 기업의 개방형 혁신 사례

    제1절 현대자동차

    1. 기업 개요

    2. 개방형 혁신의 동기

    3. 개방형 혁신의 주요 내용

    4. 개방형 혁신의 성공을 위한 노력 및 시사점

    제2절 포스코

    1. 포스코 연구개발 현황 및 개방형 혁신의 동기

    2. 개방형 혁신의 내용과 성과

    3. 개방형 혁신의 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애로사항

    제3절 LG생활건강

    1. 기업 개요

    2. 개방형 혁신 도입 배경

    3. 개방형 혁신의 내용, 성과

    4. 개방형 혁신의 장애 요인

    5. 시사점

    제4절 네오위즈

    1. 사례분석의 배경과 목적

    2. 국제공동개발의 제약요인과 촉진요인

    3. 공동개발의 과정과 성공요인

    4. 공동개발의 성과 및 관계의 진화

    5. 소결

  • - 17 -

    제5절 NHN

    1. 기업 개요 및 연구개발 현황

    2. 개방형 혁신의 동기

    3. 개방형 혁신의 내용과 성과

    4. 개방형 혁신의 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애로사항

    제6절 SK텔레콤

    1. 기업 개요

    2. 개방형 혁신의 동기

    3. 개방형 혁신의 내용과 성과

    4. 개방형 혁신의 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애로사항

    제7절 LG화학

    1. 기업 개요

    2. LG화학의 내부 R&D 역량

    3. LG화학의 Open Innovation 전략

    4. Open Innovation 성공을 위한 노력 및 시사점

    제5장 사례연구 종합 및 시사점

    제1절 사례연구 종합

    1. 개방형 혁신과 맥락 요인

    2. 산업특성에 기반한 개방형 혁신 사례의 유형 구분

    3. 개방형 혁신 유형과 관리의 난이도

    제2절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

    1. 제품수명 주기: 신생산업 vs. 성숙산업

    2. 가치사슬: 소비재산업 vs. 자본재(생산재)산업

    3. 지식의 속성: 명시적 지식 vs. 암묵적 지식

    4. 인터넷/콘텐츠 산업: 포탈 vs. 온라인 게임

    5. 기술융합: exploitation vs. exploration

  • - 18 -

    참고문헌

    SUMMARY

    CONTENTS

  • - 19 -

    표 목 차

    Open Innovation 관련 주요 학술 활동

    개방형 혁신의 유형

    개방형 혁신의 세 가지 유형

    폐쇄형 혁신과 개방형 혁신의 기본 원리와 특징

    폐쇄형 혁신과 개방형 혁신 하에서의 기업 활동

    혁신 과정과 IP 관리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의 분류

    비즈니스 모델 진화의 6단계

    한국 기업의 외부 기술 획득 및 협력 활동(2002~4, %)

    개방형 혁신에 세부 유형에 관한 기존 연구

    개방형 혁신 이론의 차별성

    P&G의 C&D 성공 사례들

    P&G 사례의 종합

    듀폰의 라이센싱 수입 추이

    듀폰의 2000년대 합작벤처(Joint venture)와 인수(Acquisition)

    Dupont 사례의 종합

    Intel 사례의 종합

    구글 2002~2007년 R&D 추이

    구글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OHA) 참여기업

    구글 안드로이드(Android) 단말기, 구글폰(2008년말 출시 예정)

    구글 2007 인수 기업

  • - 20 -

    Google 사례의 종합

    레드햇 2002~2007년 매출 및 연구개발비 추이

    레드햇의 주요 제품군

    Red Hat 사례의 종합

    제조사별 자동차 생산대수(2006)

    미국 Consumer Reports의 내구성이 좋은 차 순위

    현대자동차의 해외 연구센터 운영 현황

    현대자동차 사례의 종합

    1999~2007년 POSCO R&D 추이

    포스텍 기술투자 투자형태별 투자실적

    포스텍 기술투자 투자기업

    포스코 사례의 종합

    LG생활건강 사례의 종합

    세계 시장에서의 한국 게임 시장의 위치(2007년)

    국내 10대 게임기업 매출액 및 종사자수(2006)

    네오위즈(현 네오위즈게임즈) 사례의 종합

    NHN 사업 영역별 내용 및 매출

    1999~2007년 NHN R&D 추이

    NHN 인수ㆍ합병(M&A), 제휴, 분사 실적

    NHN 2007년 공동 R&D 및 R&D 아웃소싱 현황

    NHN 사례의 종합

    SK텔레콤 국내 개인 서비스 영역

    2000~2007년 SK텔레콤 R&D 추이

    SK텔레콤 사례의 종합

    LG화학 사업부문별 매출액 추이

    La화학의 R&D 현황

    La화학의 R&D 현황

    Open Network 소개

  • - 21 -

    LG화학 사례의 종합

    국내외 기업의 개방형 혁신 사례 종합

  • - 22 -

    그 림 목 차

    〔그림 1-1〕 연구의 범위와 한계

    〔그림 2-1〕 폐쇄형 혁신과 개방형 혁신

    〔그림 2-2〕 신약 개발의 비용 추이

    〔그림 2-3〕 혁신 신약의 도입과 독점기간의 변화

    〔그림 2-4〕 폐쇄형 혁신과 개방형 혁신에서의 비용-수익

    〔그림 2-5〕 기술 사업화의 다양한 경로

    〔그림 2-6〕 기업의 R&D 아웃소싱 추이

    〔그림 2-7〕 개방형 혁신의 맥락-전략 프레임웍

    〔그림 3-1〕 듀폰의 사업 역사 및 차세대 사업 전략

    〔그림 3-2〕 듀폰의 R&D프로젝트 선정 및 실행의 핵심

    〔그림 3-3〕 Dupont의 new business model(Rekowski, 2006)

    〔그림 3-4〕 듀폰의 성장

    〔그림 3-5〕 신제품의 매출액 기여도 변화

    〔그림 3-6〕 듀폰의 기술혁신(특허 수. R&D 투자 대비 특허 수)

    〔그림 3-7〕 IA&L 사업 모델

    〔그림 3-8〕 듀폰의 벤처투자 프로세스

    〔그림 3-9〕 Intel 연구소의 가치사슬 상의 위치

    〔그림 3-10〕 구글 연구실 화면(Labs.google.com)

    〔그림 4-1〕 주요 국가 자동차 생산대수 추이

    〔그림 4-2〕 현대자동차 BPRM 추진 체계

    〔그림 4-3〕 세계 자동차시장 전망

  • - 23 -

    〔그림 4-4〕 현대ㆍ기아차 그룹 산학연 협력의 중심 축으로서의 NGV 역할

    〔그림 4-5〕 현대자동차의 개방형 혁신 실행 조직

    〔그림 4-6〕 포스코 사내 기술개발 조직도

    〔그림 4-7〕 포스코의 R&D 산학연 협력 체제

    〔그림 4-8〕 LG 생활건강의 매출 구성 및 수출 비중

    〔그림 4-9〕 온라인게임 개발/퍼블리싱 가치사슬 구조도

    〔그림 4-10〕 온라인게임 개발/서비스과정의 참여구성원

    〔그림 4-11〕 게임의 개발/운영과정에서 외부 기업(기관)과의 협력경험

    〔그림 4-12〕 국내 게임산업의 독과점 양상

    〔그림 4-13〕 국내 게임산업의 일본, 미국과의 경쟁력 비교

    〔그림 4-14〕 SK텔레콤의 성장과정

    〔그림 4-15〕 SK텔레콤 연구개발 조직(2007.12.31 현재)

    〔그림 4-16〕 SK텔레콤의 협력적 R&D 프로그램(CRP) 개요

    〔그림 4-17〕 SK텔레콤의 협력적 R&D 프로그램(CRP) 추진 단계

    〔그림 4-18〕 SK텔레콤의 협력적 R&D 프로그램(CRP) 중점 추진 분야

    〔그림 4-19〕 SK텔레콤의 협력적 R&D 프로그램(CRP)의 4개 하위 프로그램

    〔그림 4-20〕 SK텔레콤의 협력적 R&D 프로그램(CRP)간의 연계

    〔그림 4-21〕 SK텔레콤의 협력적 R&D 프로그램(CRP) 흐름

    〔그림 4-22〕 SK텔레콤의 협력적 R&D 프로그램(CRP)을 통한 중소기업의 이익

    〔그림 4-23〕 SK텔레콤의 협력적 R&D 프로그램 (CRP)의 정량적 성과

    〔그림 4-24〕 SK텔레콤의 협력적 R&D 프로그램(CRP)의 정성적 성과

  • - 24 -

    〔그림 4-25〕 SK텔레콤의 협력적 R&D 프로그램(CRP)의 우수사례

    〔그림 4-26〕 SK텔레콤의 모바일 테스트 랩 구성

    〔그림 4-27〕 SK텔레콤의 모바일 테스트 랩 제공 테스트 종류

    〔그림 4-28〕 LG화학의 영업이익률 변화

    〔그림 4-29〕 글로벌 화학기업의 R&D 투자와 영업이익과의 관계

    〔그림 4-30〕 LG화학 기술연구원 조직

    〔그림 4-31〕 LG화학의 Open Innovation 전략

    〔그림 4-32〕 PRM-TRM 개념도

    〔그림 4-33〕 기술전략 유형 결정 기준

  • - 25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연구의 배경: 개방형 혁신의 확산

    최근 기업들이 기술혁신 과정에서 외부와 협력하는 현상이 확대됨에 따라 미국 UC

    버클리 대학의 겸임교수 Henry W. Chesbrough가 주창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개방형 혁신이란 기업이 연구, 개발, 상

    업화에 이르는 기술혁신의 과정을 개방하여 외부 자원을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개방형 혁신이 확대되고 있는 것은 기업을 둘러싼 지식 환경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

    이다. 그러한 지식 환경의 변화를 나열하면, 지식 생산 주체의 다변화와 대기업의

    지식 독점 종언, 인력 유동성 증가 및 벤처캐피탈 발달로 인한 기술사업화 경로의

    확대, 기술 개발 비용의 증가 및 제품 수명 주기의 단축으로 인한 혁신의 지속 가

    능성 위협, 한 기업이 포괄하기 어려울 정도로 확대된 지식 기반, 다 분야 공동연구

    를 요구하는 기술의 융복합화, 인터넷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한 협력 주체

    간 소통 촉진, 인터넷 기반의 새로운 기술중개자(innomediary)의 등장, 사용자 혁신

    의 확산, 집단 지성을 통한 혁신(crowd sourcing)의 등장, 글로벌화로 인한 혁신의

    국제 분업 확산, 중국, 인도 등 신흥국의 역할 증대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지식 환경의 변화를 배경으로 세계적인 선도 기업들이 개방형 혁신을 추구

    하는 동기와 목적도 다양하다. 개방형 혁신은 연구개발의 생산성 및 효율성 제고,

    외부 신기술의 확보, 다양한 외부 아이디어의 도입, 기술판매를 통한 부가 수익의

    창출, 표준 선도와 산업 지배력 확대, 신사업 아이템의 탐색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목적에서 이루어진다. 오늘날의 지식 환경 속에서 개방형 혁신의 실행은 정도의 차

    이는 있겠지만 모든 글로벌 기업에게 공통적인 현상과 과제가 되고 있다.

  • - 26 -

    (2) 연구의 필요성

    이렇듯 개방형 혁신은 21세기 기업의 기술경영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가 된 것은 틀

    림이 없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Chesbrough가 주창한 내용이 기존의 기술경영 및

    기술혁신 연구자들이 연구한 내용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있

    다. 기술혁신 과정에서 일어나는 조직간 협력이나 스핀오프를 통한 사업화 등은 이

    미 많이 논의가 되었고, 개방형 혁신은 이러한 내용과 별로 달라 보이지 않기 때문

    이다. 그러나 Chesbrough는 개방형 혁신을 기술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강

    조하면서 이전 이론들과의 차별성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그의 의견을 수용

    하여 개방형 혁신을 새로운 방법론으로 이해하고 도입하려는 기업과 정부의 움직임

    도 있다. 따라서 개방형 혁신에 관한 후속 연구를 하기 전에 그가 제시한 이론이

    정말 새로운 것인지, 또 기술경영 이론상에서 차지하는 정확한 위치는 어디이며 그

    가 진정으로 기여한 바는 무엇인지 등에 대해 비판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개방형 혁신이 새로운 이론이건 아니건 그 중요성이 점증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중요성을 반영하여 Chesbrough의 연구 이후 후속 연구들도 많이 이루어지

    고 있다. 이제까지 이루어진 개방형 혁신에 대한 연구는 몇몇 선도 기업의 개방형

    혁신 사례를 살펴보거나 기술혁신조사와 같은 대규모 데이터를 가지고 개방형 혁신

    과 혁신 성과 사이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사례연구들은 기업들이 개방형 혁신을 추진하고 있는 “증거”를 확인하는 수준에서

    그치고 있고, 통계적 연구들은 그 자체로 학술적 의미가 크지만 기업들이 벤치마킹

    하거나 실무적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부족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볼 때, 세 가지 측면에서 보다 진전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

    된다. 첫째는 이론적 측면에서 진전된 논의가 필요하다. Chesbrough가 주창한 개

    방형 혁신 모델이 어느 정도 새로운 이론인지, 기존 이론들과의 관계는 어떤 것인

    지, 그의 이론이 지니는 이론적 기여는 무엇인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Chesbrough의 원전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 - 27 -

    둘째는 경영 실무적 측면에서 진전된 논의가 필요하다. 기업들이 개방형 혁신을 중

    요한 기술전략의 일환으로 새롭게 실행하거나 강화하려고 할 때 어떤 점들을 고려

    하고 점검하고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일종의 지침 같은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

    해서는 비즈니스 현장의 소리를 듣고 관찰하기 위해 대표적 선도 기업들 사례를 살

    펴보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셋째는 정부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 진전된 논의가 필요하다. 개방형

    혁신을 추진하는 주체는 기업들이지만, 그 기업들이 개방형 혁신의 추진 과정에서

    경험하는 애로요인이나 난관 중에는 기업 자신이 해결하기 어렵고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 필요한 영역들이 있다. 더 나아가 정부의 입장에서도 기업의 개방형 혁신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것이 혁신정책의 중요한 과제가 되기 때문에 기업들의 현황에

    입각해서 정부 정책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

    론을 자세히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그의 논의가 일부 국내에 소개

    되기는 하였지만 단편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어, 조금 시간이 지나기는 하였지만

    2003년 저서에서 시작하여 그의 논의를 자세하게 소개하고 특징적인 측면을 살펴

    보는 것은 후속 논의를 위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새로운 이론의 적용 이전에

    그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선행될 필요가 있지만, 어떤 이유인지 모르게 아직까지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그의 이론에 대한 평가는 부족한 상황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혁신 이론을 기업 실무와 정부 정책에 반영하기 이전에 먼저 그

    의 이론을 평가해보려고 한다. 그의 주장이 지니는 현실 부합성과 이론적 의의를

    진단하고 그가 정말 기여한 부분은 어디인지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겠다.

  • - 28 -

    둘째,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개방형 혁신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그동안의 선행 연구들을 통해 기업의 개방형 혁신

    사례들이 많이 제시되었지만, 대체로 개방형 혁신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기 위한 일

    화적 소개에 그치고 있고, 일반화나 유형화를 통한 시사점 도출은 없었다. 특히

    Chesbrough는 보편적 경영 툴(tool)로서의 개방형 혁신을 강조하다보니 각 기업이

    속한 업종의 특수성을 간과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자칫 벤치마킹 작업이 흔히

    범할 수 있는 오류인 “기업 고유의 환경과 특성을 무시한 적용”이라는 오류를 야기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개방형 혁신을 기업 경영과 정부 정책에 적용하기에 앞서, 그

    것이 각 산업의 특수한 맥락 속에서 각기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산업에서 업종 대표기업들을 선

    정하여 그들의 개방형 혁신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각 산업별로 개방형 혁신의 특성

    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려고 한다. 이를 통해 분석의 세밀성 측면에서 한

    단계 더 진전된 논의를 제공하고, 업종별로 다른 개방형 혁신 전략이 필요함을 강

    조하게 될 것이다.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1. 연구의 방법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두 가지 목적을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려고 한다.

    하나는 Chesbrough의 저작들에 대한 면밀한 검토이고 다른 하나는 국내외 기업들

    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우선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을 객관적, 비판적으

    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혁신에 관한 그의 저작을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이 필

    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혁신을 직접 다룬 그의 저작과 더불어 그의 이론을

    태동시킨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그의 실무 경력과 학술 활동 전반을 살펴보려고 한

    다. 이를 통해 그가 개방형 혁신 이론에서 강조하려고 했던 점은 무엇인지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분석하려고 한다.

  • - 29 -

    그 다음으로는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국내외 기업들에 대한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려고 한다. 국내 사례연구에서는 몇몇 산업의 업종 대표기

    업 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조사를 통해 각 기업이 개방형 혁신을 추진한 동기, 추

    진하고 있는 구체적인 개방형 혁신의 유형, 그리고 개방형 혁신 추진 과정에서 관

    리상의 문제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국내 기업들은 특별히 개방형 혁신을 활

    발하게 도입했다거나 모범적으로 시행하고 있어서 선정된 것은 아니다. 단지 업종

    대표 기업으로서 우리 기업들의 현황을 있는 그대로 보여줄 수 있는 기업들을 선정

    하였다. 개방형 혁신이 잘 추진되고 있으면 추진되는 대로, 또 잘 추진되지 못하고

    있으면 못하는 대로 우리 기업의 현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용들은 수범적 내용이나 한계점 모두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해외 기업의 사례연구는 직접 면접조사는 하지 못하였고 이

    미 연구된 문헌들을 조사하여 우리의 분석적 틀로 다시 정리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기존 문헌들에서 개별적으로 논의된 사례를 모아서 동일한 분석적 틀로 비교하는

    것만으로도 우리가 목표한 시사점을 얻기에는 충분하였다.

    2. 연구의 기본적 관점

    본 연구에서는 기업 사례를 다룸에 있어 기본적으로 개방형 혁신이 기업 전략의 한

    부분이고, 기업 전략은 기업이 처한 상황과 맥락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개방형 혁

    신도 기업이 처한 맥락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관점을 유지한다. 이러한

    관점을 유지하는 것은 사례연구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방식이 흔히 범할

    수 있는 오류를 피하기 위해서이다. 벤치마킹 작업에서 흔히 발생하는 오류는 한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전략이나 도구를 전혀 다른 맥락 속에 있는 기업에게 적용하

    는 것인데, 이와 유사한 오류가 사례연구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즉, 한 기업이 처

    한 특수한 맥락 속에서만 가능했던 사례를 일반화하여 업종, 기술, 시장, 고객 등의

    여러 측면에서 전혀 다른 맥락 속에 있는 기업에게 적용하는 것이다.

  • - 30 -

    이제까지 이루어진 개방형 혁신의 사례연구들은 이 점을 충분히 강조하지 않은 것

    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IBM이 특허 판매를 통해 막대한 수익을 창출했다는 사례를

    근거로 모든 기업들이 자사의 휴면특허를 조사하여 판매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는 주장이 제기된다. 그러나 당시 IBM의 CEO였던 루이스 거스너의 표현대로 이것

    은 컴퓨팅 부문에서 오랜 기초연구를 통해 관련 특허를 축적했던 IBM이기에 가능

    했던 일이었다. 또한 IT나 제약산업과 같이 특허를 사고파는 거래가 일상적인 일부

    산업을 벗어나면 특허 라이선싱 자체가 드물거나 효율적인 기술이전의 수단이 아닌

    경우도 있다. 자동차산업이나 철강산업과 같이 생산 현장의 노하우나 조업 능력이

    중요한 경우가 그렇다. 특허 판매라는 한 가지 예를 들었지만 기업의 다른 전략들

    도 이런 특성을 지니기는 마찬가지다. 이렇게 모든 전략은 그 기업이 처한 독특한

    맥락 속에서만 유효한 것이기 때문에 전략은 맥락과의 조응 관계 속에서 파악되어

    야 한다. 그리고 개방형 혁신은 기업 전략의 일부이므로 이 역시 맥락과의 조응 관

    계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적인 관점이다.

    이제 본 보고서의 제목에 “산업별 특성”이 강조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

    에서는 위에서 말한 기본적 관점을 사례연구에 반영하기 위해 기업의 개방형 혁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 변수들을 기업특성, 산업특성, 국가특성, 공통요소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여기서 기업특성이란 동일 업종의 기업들과 달리 해당 기업만

    이 독특하게 지니는 특성이고, 산업특성이란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의 기술혁신 패

    턴이나 산업구조 상의 특성을 말하며, 국가 특성이란 해당 기업이 속한 국가혁신체

    제의 환경적 특성을 말하고, 공통요소란 업종과 국적을 막론하고 어느 기업에서든

    지 발견될 수 있는 특성을 가리킨다. 이렇게 기업을 둘러싼 맥락 변수를 네 가지로

    구분해서 기업 사례를 분석한 결과 산업특성이 가장 중요한 영향 요인이라는 사실

    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각 산업이 지닌 특성(기술, 제품, 시장, 산업구조 등)에 따라

    그 산업 내 기업들이 개방형 혁신을 추진하게 된 동기, 구체적으로 선택한 개방형

    혁신의 유형, 그리고 개방형 혁신의 추진 과정에서 다루어야 하는 관리상의 과제들

    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기업의 실무적 시사점이나 정

    부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함에 있어서도 개방형 혁신이 산업별로 매우 다르게 나

    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본 보고서의 중요한 결론이자 기본적

    관점이 되겠다.

  • - 31 -

    3. 연구의 범위와 한계

    당초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제기한 세 가지 연구의 필요성(이론적 측면, 경영 실무

    적 측면, 정부 정책적 측면)을 연구의 내용에 모두 반영하려고 하였다. 즉,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기업 사례 분석을 기반으

    로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을 종합하여 정리한 후, 이를 토대로 이론적, 경영 실

    무적, 정부 정책적 시사점들을 도출하려고 하였다. 특히 경영 실무적 시사점에서는

    기업이 개방형 혁신을 실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종의 실무용 지침서를 제공

    하려고 하였고, 정책적 측면에서는 구체적인 정책 과제들을 도출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론적 분석과 사례연구가 마무리된 후 마지막의 두 가지 작업이 현 단계에

    서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그림 1-1]에서 보듯이 본 연구는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에 대한 평가와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을 종

    합하고 유형화하는 선에서 마무리되었다. 이렇게 현 단계에서 경영 실무적 시사점

    과 정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그림 1-1] 연구의 범위와 한계

  • - 32 -

    첫째,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결과, 상세한 경영 실

    무용 지침이나 구체적인 정부 정책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적절하

    지도 않다고 판단하게 되었다. 2장에서 보겠지만, 본 연구의 결론 중 하나는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모델이 이전에 없던 새로운 것이 아니고, 기존의 여러

    혁신 방법론들을 하나로 모은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업의 개방형 혁

    신 활동을 위한 구체적인 안내서를 만든다는 것은 개방형 혁신에 포함된 모든 유형

    ( 참조)의 활동에서 기업들이 부딪힐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일별하고

    그것에 대한 대응지침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것은 각 유형별로 누적된

    방대한 연구를 집대성해야 한다는 점에서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며, 각 유형

    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은 그와 관련된 기존 연구 자료들을 참조하면 된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일이기도 하다. 이것은 정책적 측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둘째, 개방형 혁신 모델이 새로운 것이 아니라는 결론 자체가 기업을 위한 상세 지

    침서나 정책 과제 도출의 필요성을 상당 부분 해소시켰다. 사실, 개방형 혁신이라는

    용어를 처음 접하면서 기업들이 그것의 “도입 방법” 혹은 “실행 방법”을 궁금해 하

    고, 정부가 그것의 정책적 시사점을 찾으려 했던 것은 많은 부분 그것이 새로운 방

    법론이라는 인식에 기인한 것이었다. 그러나 우리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개방형 혁

    신이 이름은 새롭지만 실상은 공동연구, 기술 라이선싱, 사내 벤처와 같은 기존의

    혁신 방법론을 모아놓은 것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국내 기업들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우리 기업들도, 이름은 붙이지 않았지만, 이미 개방형 혁신을 다양하게 실행하

    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개방형 혁신이 “새로운 어떤 것”이 아니고 기업들

    의 일상적인 혁신 활동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는 “익숙한 그것”이라는 사실이 밝혀

    졌으므로, 개방형 혁신의 실행 방법에 대한 조언 필요성이 반감되었다. 정책적 측면

    에서도 산학연 협력,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벤처 창업 등에 관한 기존 정책들이

    모두 개방형 혁신을 촉진하는 핵심 정책에 해당되기 때문에 정책 과제의 제안 필요

    성 역시 반감되었다.

  • - 33 -

    셋째, 개방형 혁신이 이렇게 큰 틀에서는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부분적으로는 최근

    들어 새로운 트렌드들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 기반의 기술 중개인 등

    장과 이를 통한 집단적 문제 해결, IP의 전략적 관리와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성에

    대한 각성,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의 부상 등을 꼽을 수 있다. 따라서 개방형 혁신

    전체를 포괄하는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은 상당 부분 중복적이고 불

    필요한 일이지만, 이와 같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트렌드를 반영하기 위한 경영적,

    정책적 고려는 필요한 시점이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은 본 연구에서 진행된 이론적

    검토와 사례연구의 결과로부터 도출되기 어려운 내용이다. 기업 경영과 정부 정책

    에 개방형 혁신의 새로운 트렌드를 반영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

    기 위해서는 본 연구와 다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 작업은 후속

    연구를 위해 남겨두고자 한다.

    4. 연구의 주요 내용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장별로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을 그의 이전 실무 경력 및 학문적 궤적과 함께 소

    개하고 그의 이론적 기여에 대해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그리고 이러한 평가를 바탕

    으로 어떤 형태의 사례연구가 필요한지에 대해 논하고 사례연구의 프레임웍을 제시

    한다. 3장과 4장에서는 그 프레임웍에 따라 각각 해외 기업과 국내 기업의 개방형

    혁신 사례들을 분석하여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국내외 기업 사례를 산업

    특성과 개방형 혁신 동기의 관점에서 10가지로 유형화해서 종합하고, 이로부터 개

    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들을 추출하여 정리한다.

  • - 34 -

    |제2장| 개방형 혁신 이론의 평가와 문제 제기

    제1절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이론

    1. 선행 연구 검토 범위의 한정

    Chesbrough가 2003년에 그의 책 Open Innovation: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from Technology에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1)

    모델을 처음 주창한 이후 이 주제는 곧바로 학계의 주목을 받았고 다양한 학술 활

    동들을 촉발시켰다. 이 주제와 관련하여 2003년 이후 현재까지 3권의 단행본이 출

    판되었고, 유럽의 연구기관들이 잇따라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의

    경영학회를 비롯한 여러 학술 단체들은 다양한 학술회의들을 개최하고 있다. 기술

    경영 분야의 전문 학술지인 R&D Management는 2006년에 이 주제에 관한 특집호

    를 발간한 바 있으며,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는 올해

    특집호를 발간할 예정이다. 이 밖에 UC Berkeley Haas경영대학원에는 관련 연구센

    터가 설립 되었고, 대학이나 개인이 운영하는 web site도 여러 가지가 개설되었으

    며, 제목이나 주제어(keyword)에 “open innovation"을 포함시킨 많은 논문들이 학

    술지에 발표되고 있다. 이제 open innovation은 기술경영의 중요한 주제어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open innovation은 직역하면 “개방형 혁신”으로 번역되는데 여기서 innovation은 기술혁신

    을 지칭한다. 혁신은 기술혁신, 조직혁신, 미케팅혁신을 모두 포괄하지만Chesbrough를 비롯

    한 open innovation 논자들은 기술의 연구, 개발, 상업화 과정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고

    기술과 무관한 순수 조직혁신이나 마케팅혁신은 다루지 않기 때문에, open innovation 논의에

    서 혁신은 기술혁신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open innovation의 번

    역어로 “개방형 혁신”을 사용하되, “개방형 기술혁신”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겠다.

  • - 35 -

    Open Innovation 관련 주요 학술 활동

    구분저자/발행기관/주최

    기관내용(서명/보고서명/학술회의 주제/web주소 등)

    단행본

    Chesbrough(2003)Open Innovation: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from Technology

    Chesbrough(2006)Open Business Models: How to Thrive in the New Innovation Landscape

    Chesbrough et al.(eds.)(2006)

    Open Innovation: Researching a New Paradigm

    보고서

    VINNOVA(2008)Managing Open Innovation - Present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www.vinnova.sc)

    OECD(2008) Open Innovation in Global Networks

    VISION Era-Net(2008)

    Open Innovation and Globalisation: Theory, Evidence and Implications 외 3편(www.vision.eranet.org)

    삼성경제연구소(복득규 외)

    「개방형 기술혁신의 확산과 시사점」(2006)한국 제조업의 개방형 기술혁신 현황과 효과 분석」(2008)

    학술 회의

    Academy of Management 2004

    “Managing Open Innovation", August 7, 2004

    Academy of Management 2005

    All-Academy Symposium on "Open Innovation: Empirical Research on Locating and Incorporating External Innovations," August 9, 2005

    Academy of Management 2006

    “Bringing External Innovation Inside", August 13, 2006

    European Academy of Management

    2007

    Tracks on “Open Innovation" and “Managing Open Innovation through Online Communities", 16-19 May, Paris(France)

    OECD 2006The Joint OECD-Dutch Ministry of Economic Affairs Conference on “Globalisation and Open Innovation", Hague(The Netherlands), 6 Dec. 2006

    OECD 2008Business Symposium on "Open Innovation in Global Networks", Copenhagen(Denmark), 25-26 Feb. 2008

    DRUID Summer Conference 2005

    Debate over "Open Innovation"

    ISPIM 20082008 ISPIM Conference on “Open Innovation: Creating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Collaboration", 15-18 June 2008, Tours(France)

    저널 특집호

    R&D Management (2006)

    Vol.36(3) "Opening up the Innovation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forthcoming) "Broadening the Scope of Open

    Innovation"

    web sites

    UC-Berkeley openInnovation.haas.berkeley.edu

    Vanhaverbeke 등 www.openInnovation.net

    Chesbrough 등 www.openInnovation.eu

    주: DRUID: Danish Research Unit for Industrial DynamicsISPIM: International Society for Professional Innovation Management

  • - 36 -

    이러한 활발한 학술활동의 결과 5~6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적지 않은 연구 결과

    들이 발표되었다. 스웨덴의 공공연구기관인 VINNOVA가 발간한 보고서 Fredberg

    et aI.(2008)에 따르면, 2007년 11월까지 몇 가지 중요 학술 DB에 등록된 문헌들

    중 제목이나 주제어나 초록에 “open innovation"이 포함된 문헌은 모두 49개로 나

    타났다.2) 제목 등에 “open innovation"이 포함되지 않았지만 실질적으로 내용 상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는 문헌들과, 위의 조사에서 제외된 학회 발표문, 세미나 자

    료, working paper 등 비공식 자료들까지 포함한다면 관련 연구 결과의 목록은 매

    우 방대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검토 대상 선행 연구의 범위를 일단 Chesbrough 자신의 저

    작에만 국한하려고 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개방형 혁신에 관련된 연구 주제의 범위가 넓고 이에 대한 문헌들도 너무

    방대해서 이를 모두 검토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아래에서 살펴보

    겠지만, 개방형 혁신은 기업의 연구, 개발, 상업화 과정에서 기업 내/외부 사이에

    일어나는 지식 교류의 모든 활동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된 전통적인 연구 분야를

    열거하면, 산학 협력을 비롯한 조직간 협력 연구에서 시작하여 기술거래나 기술시

    장 등 기술이전 및 확산 관련 연구, 기술창업(spin-off)과 기업벤처(corporate

    venture) 등 벤처기업 관련 연구, 특허 등을 포함한 무형자산의 평가와 관리에 관한

    연구, 사용자 혁신(user innovation)에 관한 연구, 최근 각광받고 있는 open

    source나 wikipedia와 같은 집단 지성에 관한 연구,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혁신 주

    체들의 협력과 집합적 학습을 강조한 국가혁신체제나 지역혁신체제 논의까지도 포

    함될 수 있다. 이 주제들에 관한 문헌은 아마도 기술경영과 혁신 연구 분야 전체

    문헌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이다.

    2) 49개의 문헌 중 단행본이 4권, 논문이 35편, 서평이나 칼럼이 10편이었다. 35편의 논문 중

    14편은 Harvard Business Review와 같은 실무형 저널에 실린 것이었으며, 17편은 사례연구

    였다. 이는 관련 연구가 매우 현장 지향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Fredberg et al.

    (2008), 9.

  • - 37 -

    이러한 어려움을 피하기 위해 VINNOVA의 보고서는 "Open innovation"이 명시적으

    로 언급된 문헌만을 검토 대상으로 제한한 바 있다. 그러나 이 방식 또한 다른 난

    점을 피해갈 수는 없다. 내용 상 같은 주제를 다루지만 개방형 혁신이라는 말을 명

    시적으로 사용하지 않은 연구들이 더 많기 때문이다. 사용자 혁신에 관한 연구를

    예를 들어보자. 이 분야는 von Hippel을 중심으로 이미 1980년대부터 꾸준히 연구

    가 되고 있었는데, 개방형 혁신 논의가 부상하면서 그 중요한 사례로 편입(?)되었

    다. 그 결과 2006년 R&D Management의 개방형 혁신 특집호에는 전체 9개의 논

    문 중 5개가 사용자 혁신 분야로 채워졌다. 이 논문들은 개방형 혁신의 한 사례로

    이 저널에 수록되었고, 또 초록과 본문에서 “open innovation"을 언급하거나

    Chesbrough를 인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내용은 기존의 사용자 혁신 분야

    의 연구 흐름에 그대로 머물러 있다. 각 논문에서 "open innovation"이나

    Chesbrough의 연구와 연결 지으려는 시도는 매우 미미해서 오히려 형식적으로 느

    껴진다. 이런 경우에 이 저널에 실린 5개의 논문만을 개방형 혁신 연구에 포함시키

    고, 각 저자들이 발표한 다른 논문들과 사용자 혁신 분야의 다른 논문들을 제외시

    키는 것은 타당하지 않은 것 같다. 그렇다고 사용자 혁신에 관한 연구를 모두 검토

    하는 것 또한 매우 어려운 일이다.

    둘째는 Chesbrough가 제시한 개방형 혁신 모델 자체에 대한 보다 비판적인 이론

    적 평가가 필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기술경영을 포함한 경영학 분야에서는 이론

    적 유행(fad)의 부침이 심한 편이다. 경영학 교수나 컨설팅 회사들이 고안한 새로운

    경영 이론이나 기법들이 등장해서 한동안 각광을 받다가 어느새 사라지는 일이 반

    복되어 왔다.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모델도 이러한 우려에서 예외는 아니다.

    한편으로는 산뜻한 작명이 주는 호감에 더하여(“개방적”이라는 말에 거부감을 가지

    는 사람은 별로 없다) 모델의 단순성과 설득력 있는 논거로 인해 학자들과 기업가

    들 사이에서 각광을 받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기존 연구와 무엇이 다른가?"

    라는 회의적인 시각과 함께 “또 하나의 유행에 불과한 것은 아닌가?"라는 우려가

    공존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의외로 Chesbrough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이상하리만큼 매우 드물다. 우리가 발견한 Chesbrough에 대한 비판적 평가

    는 Dahlander and Gann(1997)과 OECD(2008) 정도이다.

  • - 38 -

    이러한 와중에 우리나라에서도 몇몇 대기업들은 전사 차원에서 개방형 혁신 모델을

    도입하거나 도입을 검토하기 시작했고, 정부도 개방형 혁신 모델이 지닌 혁신 정책

    적 시사점에 관심을 가지면서 한편으로는 정부 연구개발 사업에 개방형 혁신 개념

    을 직접 적용하려는 시도도 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기업과 정부에서 개방형 혁신

    에 관한 논의가 보다 확산되기 이전에 먼저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모델에 대

    한 정확한 진단과 평가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Chesbrough의 개방형 혁신 모델이

    기술경영 이론에서 지니는 정확한 위치와 의의를 진단하고 Chesbrough가 정말 기

    여한 부분은 어디인지를 적절히 평가해야만 그의 모델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도 적절히 판단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2. 개방형 혁신의 개념과 주요 유형

    (1) 개방형 혁신의 개념

    개방형 혁신은 기업이 연구, 개발, 상업화에 이르는 일련의 혁신 과정을 개방하여

    외부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혁신의 비용을 줄이고 성공 가능성을 제고하며 부가가치

    창출을 극대화하는 기업 혁신의 방법론을 말한다. 개방형 혁신이라는 용어를 처음

    도입한 Chesbrough는 개방형 혁신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개방형 혁신은 기업이 안으로의 지식 흐름(inflow)과 밖으로의 지식 흐름(outflow)

    을 적절히 활용하여 내부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혁신의 외부 활용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다. 개방형 혁신은 기업들이 내부 아이디어뿐 아니라 외부 아이디어도 활용할

    수 있고, 또 활용해야 하며, 자사의 기술을 상업화하여 시장에 진출할 때 내부뿐 아

    니라 외부 경로도 사용할 수 있고, 또 사용해야 함을 전제하는 혁신 패러다임이다.

    개방형 혁신 과정은 내부와 외부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아키텍처와 시스템을 구현한

    다. 이 아키텍처와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은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정의된다. 비

    즈니스 모델은 내부와 외부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가치를 창출하고 그 창출된 가치

    의 일부를 자사의 몫으로 전유하기 위한 내부 메커니즘을 정의한다. 개방형 혁신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내부 아이디어가 외부 경로, 즉 기업의 기존 비즈니스

    모델 밖에 있는 채널을 통해 시장으로 나갈 수 있음을 전제한다(Chesbrough

    2006b: 1).

  • - 39 -

    Chesbrough는 폐쇄형 혁신과의 비교를 통해 개방형 혁신 개념을 설명하였다. 연

    구, 개발, 상업화의 과정이 단일 기업 내에서 모두 이루어지는 방식을 폐쇄형 혁신

    이라고 한다면, 개방형 혁신은 각 단계마다 기업 내부와 외부 사이의 지식 교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외부의 기술이 기업 내부로 도입되거나, 그 반대로 기업 내부

    의 기술이 외부의 다른 경로를 통해 상업화되는 방식들을 모두 포괄한다([그림

    2-1] 참조).

    [그림 2-1] 폐쇄형 혁신과 개방형 혁신

    (2) 개방형 혁신의 기준: 무엇이 개방형 혁신인가?

    Chesbrough는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들이 개방형 혁신에 속하는지에 대해서 기준

    을 제시하거나 명확한 선을 긋지는 않고 있다. 단지 기업 사례들 속에서 개방형 혁

    신의 예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가 제시하는 사례들을 보면 연구, 개발, 상업화에

    이르는 일련의 기술혁신 과정에서 기업 내부와 외부 사이에 일어나는 모든 형태의

    지식 교류 활동이 개방형 혁신에 포함되는 것 같다. 그의 논지를 따른다면 어떤 활

    동을 개방형 혁신으로 볼 것이냐는 두 가지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 첫째는 그것이

    기술혁신 과정에 속해야만 한다는 것이고, 둘째는 외부와의 교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두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활동은 모두 개방형 혁신이라고 볼 수 있

    다.

  • - 40 -

    이 두 조건에 부합하는 개방형 혁신의 구체적 형태들을 열거하면, 외부 기술의 구

    매(licensing-in), 외부 산학연 기관과의 공동연구, 타 기업과의 공동기술개발을 위

    한 합작 벤처(joint venture) 설립, 신기술 탐색과 도입을 위한 벤처 투자, 신기술

    도입을 위한 벤처기업 인수, 내부 기술 자산의 외부 판매(licensing-out), 내부 기

    술의 사업화를 위한 분사화(spin-off) 지원, 기술적 문제 공개를 통한 해결책 공모

    (인터넷 중개 사이트 활용 포함), 집단 지성을 활용한 지속적인 개선(예: Open

    source s/w), 개발 툴 공개 및 사용자 피드백 반영을 통한 사용자 혁신(user

    innovation)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외부와의 협력이라 하더라도 모든 협력이 개방형 혁신에 포함되는 것은 아

    니다. 오직 기술혁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협력 관계만 개방형 혁신에 포함된다. 기술

    혁신 과정이 아닌 생산이나 마케팅 과정의 협력 관계는 개방형 혁신에 포함되지 않

    는다. 예를 들어 자동차 조립 회사와 부품 회사 사이에 존재하는 단순한 부품 공급

    관계는 개방형 혁신에 속하지 않는다. 그러나 부품 회사가 자체 연구를 통해 새로

    운 부품을 개발하여 조립 회사에 공급하거나, 조립 회사와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부품을 개발하는 경우는 조립 회사 입장에서 볼 때 기술혁신 과정에서 외부의 도움

    을 받았으므로 개방형 혁신에 속한다. 이 경우 혁신은 부품에 체화된(embedded)

    형태로 조립 회사에 공급 되는 셈이다.3) 또한 자사의 기술을 외부에 주어서 타사가

    그것을 토대로 제품을 만들어서 시장에 내놓았다면 이는 개방형 혁신에 속하지만,

    자사가 제품까지 다 개발한 후에 다른 회사에 생산만 위탁하거나 판매만 대행하게

    하는 것은 개방형 혁신이 아니다. 또 다른 예로, 휴대폰 생산 업체가 신제품을 개발

    하여 설계까지 마친 후 그 설계에 따라 각 부품들을 여러 부품 업체들에게 발주하

    여 부품들을 공급받는 것은 개방형 혁신이라고 볼 수 없다. 대신 여러 부품 및 소

    프트웨어 업체들을 모아서 신제품을 함께 개발했다면 그것은 개방형 혁신에 포함된

    다. Apple사의 iPad 개발 과정이 여기에 해당된다.

    3) 이 기준에서 볼 때, Chesbrough가 제시한 IBM 사례 중, IBM이 자시가 생산한 부품들(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반도체 칩)을 자사 제품에만 사용하던 것에서 벗어나 경쟁사들에게도 판매

    한 사례를 개방형 혁신에 포함시킬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Chesbrough, 2003a: 107-108). 그

    가 이 사례를 개방형 혁신에 포함시킨 것은 IBM이 부품을 타사에 판매할 때 그 부품에 담긴

    IBM의 기술도 함께 판매되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부품 공급 사례를 어떤 경우

    에 단순 공급 사슬로 이해하고 어떤 경우에 개방형 혁신으로 볼 것이냐가 참 애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개방형 혁신이 아닌 단순 공급 사슬로 이해하는 것이 더 타당한 것 같다.

    Chesbrough는 IBM이 Apple사와 “OEM 계약을 맺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Apple사에 공급

    했다고 기술하였는데, 이는 그 계약의 본질이 위탁 생산임을 드러낸다. 또한 그는 IBM이 부품

    을 타사에 팔기 시작한 이유로 그 부품에 들어가는 기술을 더 이상 IBM이 독점할 수 있는 시

    기가 지났기 때문이라고 기술하였다. 즉, 해당 부품을 IBM 제품에만 적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경쟁상의 이점이 사라질 만큼 그 기술이 보편적 기술이 되어서 타사에 부품을 팔게 되었다는

    것인데, 이는 해당 부품 판매의 본질이 기술 판매에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사례는 개방형 혁신의 한 종류인 기술 판매 사례 보다는 단순한 부품 공급 사례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IBM의 관련 기술을 Apple사가 구매해서 해당 부품을 만들었다면 모르지만, 범용

    화된 기술을 사용하여 위탁 생산을 해준 것이라면 개방형 혁신으로 보기는 어렵다.

  • - 41 -

    (3) 개방형 혁신의 유형 구분

    Chesbrough는 개방형 혁신 활동을 크게 “내향형(outside-in)" 개방과 “외향형

    (inside-out)" 개방으로 나누었다. 전자는 기업이 기술혁신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기

    술이나 아이디어를 얻는 것을 가리키며, 후자는 기업이 기술을 외부로 내보내서 자

    사의 기존 비즈니스 모델이 아닌 다른 경로의 상업화를 모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Chesbrough는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들이 이 두 유형에 속하는지를 명시적으로 정

    리하지는 않았지만, 다음 와 같이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표에는 개방형 혁신의 구체적 사례를 예시하기 위해 그 종류들을 비교적 세분화해

    서 정리하였는데, 실제 기업의 혁신 활동에서는 두 가지 이상의 개방형 혁신 활동

    이 연쇄적으로 일어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기술 탐색을 위해 벤처기업에 소규모

    지분 투자를 한 후에 해당 벤처기업의 보유 기술이 유망하다고 판단될 경우 특허권

    을 구매(license-in)할 수도 있다. 대학에 대해서도 연구소를 세워주거나 대규모 연

    구비를 일괄 지원하는 형태로 장기 지원 협약을 맺은 후에 유망한 연구 성과가 나

    오면 후속 공동연구를 추진하기도 한다. 또한 인터넷 등을 통해 특정한 기술적 문

    제의 해결책을 공모한 후 여기에 응모한 해결책에 대해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경우

    응모자와 함께 공동개발을 추진하기도 한다. 신약 개발 과정이 모듈화되어 있는 제

    약산업의 경우는 신약 후보물질의 구매와 판매가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서, 벤처기

    업이 대학에서 초기 후보물질을 구매(license-in)한 다음 전임상이나 임상 초기까지

    개발을 진행시켜서 부가가치를 높인 후에 다시 거대 제약회사에 판매(license-out)

    하는 경우도 많다.

  • - 42 -

    개방형 혁신의 유형

    유형 내용 비고

    내향형 개방

    기술 구매 금전적 계약을 통해 외부의 기술을 구매 특허권 라이선싱이 대표적

    공동 연구외부기관(주로 대학)과 공동으로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보통 지적재산권의 공유를 수반

    연구 계약(위탁 연구)

    특정 요소기술 확보나 시험평가를 위해 외부 기관에 연구용역을 의뢰

    지적재산권의 공유는 없으며, 신약 개발에서 CRO가 대표적

    장기 지원 협약

    대학 등과 연구성과 사용에 관한 협약을 맺고 대규모 연구비를 일괄 지원

    보통 발생하는 특허의 지분이나 우선 실시권을 기업이 얻는 조건

    합작 벤처 설립

    타사와 공동으로 벤처기업을 설립하고 특정 기술의 사업화를 추진

    합작 벤처는 제품 개발 완료 후 매각/인수를 통해 소멸되기도 함

    벤처 투자신기술 탐색이나 우선 실시권 확보를 위해 벤처기업에 지분을 투자

    다른 벤처캐피탈과 협력하거나 직접 벤처캐피탈을 설립

    기업 인수유망 기술의 도입을 위해 기술을 보유한 기업(주로 벤처)을 인수

    시스코, 파이자 등이 이 방식을 자주 사용하는 대표적 기업

    해결책 공모기술적 문제를 인터넷 등을 통해 전문가들에게 공개하고 해결책을 공모

    NineSigma 등 전문 사이트 활용

    사용자 혁신사용자에게 개발 툴을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아서 신제품 개발

    의료기기, 게임, 완구 등이 대표적

    집단지성 활용

    다수 전문가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하나의 기술에 대한 지속적 개선 추구

    기술의 사적 소유권을 불인정, open source S/W가 대표적

    외향형 개방

    기술 판매자사의 기술을 판매하여 타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사업화를 모색하고, 로열티 수입을 통해 수익 창출을 극대화

    기업 내에 사정된 휴면 특허를 파는 경우도 있지만, 처음부터 기술 판매를 목적으로 기술 개발을 하는 경우도 있음

    분사화 (Spin-off)

    자사의 현재 비즈니스 모델로는 사업화가 어려운 기술에 대해 벤처기업을 설립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사업화를 추진

    미활용 기술의 사업화, 사업 다각화 모색, 신성장동력 사업 창출 등이 목적

    Gassmann & Enkel(2004)은 개방형 혁신 활동을 조금 더 세분화하여 “내향형

    (outside-in process)", “외향형(inside-out process)", “혼합형(coupled process)"

    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은 124개 기업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모든

    기업들이 세 가지 유형을 같은 비중으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고 기업 마다 집중하는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여, 각 유형을 주로 사용하는 기업들의 특징을 분류하

    기도 하였다( 참조)

  • - 43 -

    개방형 혁신의 세 가지 유형

    구분 개념 혁신 과정의 주요 내용 기업의 특징

    내향형

    외부 지식의 도입을 통해 자사의 지식 기반을 확대하고 혁신성을 제고

    - 공급자 지식의 초기 통합- 사용자와의 공동 개발- 외부 지식 도입 및 통합- in-licensing 및 특허 구입

    - 저기술 산업에서 유사 기술의 확보를 위해 사용- 지식 중개자나 지식 창조자 역할- 매우 모듈화된 제품- 높은 지식 집약도

    외향형자사 기술을 외부로 내보내서 다른 경로로 수익 창줄

    - 아이디어의 상업화- out-licensing 및 특허 판매- 다른 영역에의 적용을 통한 기술 배가

    - (기초)연구집약적 회사- 기술확산(spillover)를 통한 R&D 고정비용의 절감, 브랜드 인지도 구축, 표준 설정 등을 목표로 함

    혼합형

    보완적 파트너와 제휴하여 주고받기를 통해 내향형과 외향형 과정을 혼합

    - 내향형 과정과 내향형 과정의 혼합- 외부 지식과 경쟁력을 내부로 통합하고, 내부 지식과 경쟁력을 외부로 확산

    - 표준 설정(지배적 디자인 전단계)- 수익체증(기술 배가를 통한 산업 유동화)- 보완적 파트너와의 제휴- 중요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보완적 제품- 기업에 대한 관계적 관점

    자료 : Gassmann & Enkel(2004).

    3. 개방형 혁신의 배경: 지식 환경의 변화

    Chesbrough는 기업들이 점점 더 개방형 혁신을 확대하고 있고 또 확대해야만 하

    는 이유로 기업을 둘러싼 지식 환경(knowledge landscape)의 변화를 들고 있다.

    20세기를 거치면서 진행되고 특히 1980년대 이후 가속화된 일련의 지식 환경 변화

    는 개방형 혁신을 시대적 필수요소(imperative)로 요청하고 있다는 것이 그의 주장

    이다. 그가 2003년 저서와 2006년 저서에서 개방형 혁신을 추동하는 요인으로 제

    시한 지식 환경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된다.

    (1) 대기업의 지식 독점 종언

    첫째, 대기업의 지식 독점이 끝나고 대학, 벤처기업, 외국 기업 등으로 지식 창출의

    원천이 다양해졌다. Chesbrough에 따르면 과거에는 대기업이 신제품을 개발하거나

    새로운 기술혁신을 시도할 경우 기초연구 부문에서 도움을 받을만한 외부의 주체가

    마땅치 않았다. 그 결과 대기업들은 중앙연구소 체제를 구축하고 소재와 부품에 관

    한 기초연구부터 제품화 및 생산기술에 이르기까지 기술개발의 모든 과정을 독자적

    으로 해결해야만 했다. 이렇게 기초 연구부터 제품 개발까지 모든 과정을 담당하는

    대기업 중앙연구소 체제는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고, 오랫동안 상업적 기술 개발 활

    동의 전형으로 간주되었다. 그 결과 적어도 20세기 전반부까지, 그리고 길게 보면

    1980년대까지도 대기업 연구소가 기초/응용/개발 연구를 모두 포괄하는 산업적 혁

    신 활동의 중심지였다.

  • - 44 -

    그러나 2차 세계대전 이후 급속히 확대된 미국 정부의 기초연구 투자 및 대학 육성

    의 결과로 대학을 중심으로 한 공적 지식기반이 매우 탄탄해졌고, 여기에 더하여

    1980년대 이후에는 독창적 기술을 지닌 벤처기업도 증가하면서 기업 외부의 지식

    원천이 매우 다양해지고 풍부해졌다. 우수 인력들도 과거에는 Bell Lab과 같은 대

    기업 중앙연구소에 집중되었으나, 이제는 대학의 연구실과 벤처기업, 외국 기업들에

    도 우수한 인적 자원이 풍부하게 분포하고 있다. 특히 대학의 연구실에는 외국에서

    유학 온 우수한 대학원생들과 박사 후 연구원들이 탄탄한 인적 기반을 형성하고 있

    다.4) 이러한 변화로 인해 이제 대기업들은 자사의 연구 역량이 최고이고 외부에서

    는 도움을 받을 필요가 없다는 우월감에서 벗어나 “똑똑한 사람들이 우리 회사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현실을 직시해야만 한다. 또한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새로

    운 혁신의 원천과 지식들이 세계의 다양한 주체들에게 분포되어 있는 현실은 외부

    의 지식 환경에 더 개방적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2) 인력 유동성의 증가 및 벤처캐피탈의 발달

    둘째, 인력 유동성의 증가와 벤처캐피탈의 발달로 인해 지식 확산이 가속화되고 기

    술 사업화의 채널도 다양해졌다. 인력 유동성의 증가는 우선 그 자체로 인적 자원

    에 체화된 지식의 확산을 촉진시킨다. 기존 대기업에서 근무하던 연구 인력이 회사

    를 옮기면 그 사람을 통해 기업 내의 지식과 노하우도 함께 옮겨가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신생 기업들은 자신이 투자하지 않은 인적 자원과 지식을 얻고 경제 전체

    는 지식 확산을 통해 활력을 얻지만 기존 대기업들은 인력과 지식이 유출되는 손실

    을 입는다. 이러한 현상의 증가는 기업의 폐쇄적인 인적 자원 관리 및 지식 관리

    방식을 재고할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인력의 이동은 기업이 통제할 수 있는

    현상이 아니기 때문에 기업들은 이제 인력 유동성을 전제로 하는 개방적인 지식 관

    리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4) NSF의 1998년 연구에 의하면 MIT와 스탠포드 대학의 박사후 연구원 중 50% 이상이, 그리

    고 실리콘 밸리에서 일하는 컴퓨터 분야의 전문 인력 중 30% 이상이 외국인이었다.

    Chesbrough (2003a), 36.

  • - 45 -

    인력 유동성의 증가가 지니는 더 중요한 함의는 그것이 벤처캐피탈의 발달과 맞물

    려서 기술 사업화의 채널을 확대시켰다는데 있다. 그리고 바로 이 점이

    Chesbrough가 특히 강조하는 부분이다. 과거에는 대기업의 연구소에서 나온 연구

    결과가 그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부합하지 않으면 제품 개발로 이어지지 못하고

    연구와 개발 사이에 있는 “선반”에 놓여 있다가 그대로 사장되기 일쑤였다. 이 경

    우 그 기술을 처음 개발했던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 성과가 “선반” 위에서 도태되어

    가는 것을 그냥 보고만 있어야 했다. 그러나 미국에서 벤처기업 문화가 발달하고

    벤처캐피탈이 풍부해지면서 상황이 변했다. 자신의 연구 결과가 회사 내에서 사업

    화되지 못할 경우에 그것을 가지고 회사를 나가서 벤처기업을 창업하고 독자적으로

    사업화를 시도하는 사례가 매우 빈번해진 것이다. 벤처캐피탈이 풍부하고 인력 유

    동성이 높은 미국적 환경은 벤처기업의 창업과 성공을 보다 용이하게 해주었다. 창

    업자들은 자금력이 풍부하고 경영에 관한 지원까지 해주는 벤처캐피탈의 도움을 받

    을 뿐 아니라, 기존 기업에서 훈련을 받고 충분한 경험을 쌓은 우수 경력자들을 좋

    은 조건의 스톡옵션을 통해 채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벤처 창업에 우호적인 지식 환경으로 인해 기존 기업의 기술 아이템이

    spin-off 기업을 통해 상업화되는 경우가 빈번해지면서 대기업들은 기술의 상업화

    경로를 독점할 수도 없고, 우수 연구 인력을 계속 붙잡아 둘 수도 없다는 것이 명

    백해졌다. 이러한 현상의 확산은 대기업의 중앙연구소를 중심으로 유지되어 오던

    자기 완결적이고 폐쇄적인 기술혁신 과정과 이에 연결된 인력 관리 및 지식 관리

    체계가 더 이상 기업의 욕구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