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통권32, 2014. 03. 31. 129~156.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송해룡(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김찬원(성균관대학교 SSK연구팀 연구원)*** 김원제(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본 연구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 및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 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이나 불안, 무서움 정도가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각한 위험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공포감, 결과적 심각성 지각 *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비)으로 한 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330-2011-1-B00228). ** 주저자 : [email protected] *** 공저자 :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email protected]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통권32호 2014 03 31 129~156쪽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15)

송해룡(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김찬원(성균관대학교 SSK연구팀 연구원)

김원제(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본 연구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 및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

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이나 불안 무서움 정도가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각한 위험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공포감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330-2011-1-B00228)

주저자 imokwgdaumnet

공저자 ares6357navercom

교신저자 wonje5daumnet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1 문제제기

한국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매우 중요한 위험영역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한

국은 세계적인 정보통신기술 및 인프라 강국으로서 고도의 네트워크가 밀집된 국

가이자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테스트베드(test bed)이기도 하다 그 만큼

세계적으로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는 IT강국이라고 할 수 있으나 역설적으로 사

이버범죄가 자주 발생하기도 한다

정보기술의 발달 및 인터넷의 대중화에 기인하는 사이버범죄는 자신의 신분을

노출하지 않고 범행하거나 다른 사람의 ID를 도용해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익명적이며 현실이 아닌 가상공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피해자와 직접 대

면하지 않아 자제력을 감소시켜 대형범죄로 이어지기도 한다 정보통신망만 연결

되어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범죄가 쉽게 이루어지고 완벽한 대처나 복구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특성을 지닌다(동아일보 20140116) 국내에서는 그 동안 주요 정

부기관이나 금융권 포털 등에 대한 디도스(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

과 해킹에 의한 악성코드 유포 등의 사이버범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대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주요 기관 웹 사이트를 마비시킨 디도스 공격 사

례부터 2011년 3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을 상대로 한 디도스 공격 그리고

2011년 4월 해킹에 의한 농협 전산망 마비 등 다양한 사이버범죄가 발생하여 사회

적으로 큰 혼란을 겪었다 또한 가짜 인터넷뱅킹 홈페이지로 접속을 유도 개인의

금융정보를 빼내가는 파밍(pharming)부터 전화사기인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 문

자메시지를 통해 소액결제를 유도하는 스미싱(smishing) 등 계속해서 새로운 유형의

사이버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2014년 1월에는 국내 유명카드 3사의 민감한

고객 개인정보(성명 전화번호 주민번호 주소 결제계좌 대출정보 신용정보 등)가 대량으

로 유출되어 소비자의 불안을 가중시키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사이버범죄는 그 유형도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며 실제로 사이버범

죄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피해당사자는 피해 여부를 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대로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개인이나 사회를 파멸적 형국으로 몰아갈 수 있는

매우 심각한 범죄라고 할 수 있다

사이버범죄는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구분되는데 일반 사이버

범죄는 사기(통신 게임)와 불법복제(음란물 프로그램) 불법유해사이트(음란 도박 폭발

물 자살) 명예훼손 개인정보침해 사이버스토킹 사이버성폭력 협박공갈 등 사이

버공간이 범죄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범죄를 의미하고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해킹

(단순침입 사용자도용 파일삭제변경 자료유출 폭탄메일 DOS 공격)이나 바이러스와 같이

고도의 기술적인 요소가 포함된 정보통신망에 대한 공격행위를 의미한다(사이버테러

대응센터 2014) 국내에서 발생한 사이버범죄 현황을 보면 2012년에는 총 108223

건이 발생하였으며 이중에서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9607건 일반 사이버범죄는

98616건으로 나타나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공중을 대상으로 한 일반 사

이버범죄의 발생건수가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04)

사이버공간의 확대와 컴퓨터 및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와 지능화에 의해 갈수

록 그 의존도와 사회적 영향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사이버범죄 또

한 갈수록 다양화 고도화 첨단화되어가고 있고 사이버범죄에 의한 광범위한 피

해성과 기하급수적 발생률 그리고 발생형태의 다양성으로 인해 현실적 대안마련

도 쉽지 않다(김영환 2009) 그러므로 사이버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관련

기관 및 기업 그리고 국민 모두가 사이버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높은 보안 및

안전의식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이버범죄의 다양성 지능화 및 고도

화로 인해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인지하기 어렵고 관련 정보에 대한 이해도 부족

하기 때문(전용식이종호 2007)에 위험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공중이 사이버범죄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예방을 위한 노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중의

인지적 변화를 우선적으로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Kao Wang amp Huang 2010) 또한

일반 사이버범죄 중 악플이나 사이버명예훼손 스토킹 사이버성폭력 등의 경우에

는 물리공간에서의 면대면(face to face)이 아니라 사이버공간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

문에 가해자는 피해정도를 인지하는 정도도 낮아 자신의 행동이 그다지 나쁜 행동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은 아니라는 태도를 형성하기도 한다(이성식 2004) 이에 기술적 대책이나 사법적

대책도 중요하지만 사이버범죄에 대한 성찰과 더불어 사이버범죄 피해의 심각성

과 그에 따른 윤리교육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결국 사전에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중의 성찰과 사회규범의 확산(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을 통해 사이버범죄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높은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인지

적 차원에서 변화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지각하는 위험특성을 파악하고 공중의 위험특성과 감정(공포감)이 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2 이론적 배경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근래에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심리측정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공중의 다양한

위험인식을 규명하고 있다 초기 위험에 대한 시각은 어떤 위험에 대비하려는 인

간의 행동은 위험의 발생가능성과 결과를 최소화하는데 들어가는 비용과 비교하여

결정한다는 lsquo경제적 인간의 합리적 선호모델(rational choice theory)rsquo에 바탕을 두었다

그러나 lsquo위험은 인간의 머릿속에서 만들어지는 심리적인 것이며 사회적 문화적

영향이 크게 작용 한다rsquo는 구성주의적 시각이 나타나면서 경제적 인간의 합리적 선

호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제기하고 불확실한 상황에서 인간은 확률과 피해를 복

잡하게 계산하기 보다는 경험법칙(heuristics)에 의해 직관적으로 위험을 판단하고

평가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정지범 2010) 다시 말해서 사람은 귀납적 추론이

나 경험법칙과 같은 인지적 메커니즘을 통해 위험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에

(Sternberg 1996) 사람마다 서로 다르게 위험을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심리측정 패러다임은 위험을 객관적이고 평면적인 현상이라고 가정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고 보는 전통적 기술적 위험 측정방법으로는 위험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고 보며(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차용진 2006) 위험을 평가

하는데 있어 공중의 위험인식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은 물론 위험 관련 정책결정

이나 집행과정에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차용진 2012)

한편 사람이 어떤 특정대상을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는 과정은 위험특성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 즉 사람은 위험을 주관적으로 판단하지만 위험에 대한 인식은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 속성에 의해 결정된다 위험에 대한

노출이 자발적인지 통제가능한지 치명적인지 혹은 인위적인지와 같은 위험의 속

성에 따라 위험을 인지하고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위험이 자발적이

고 자신에 의해 통제 가능하며 치명적이지 않고 과학에 의해 알려진 위험은 덜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지만 비자발적이며 인위적이며 치명적이고 과학에 의해 알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려지지 않은 위험에 대해서는 보다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성을 위험특성이라고 한다(송해룡김원제 2013) 일반적으로 공중은 위험을 지각하는데 있어 지나치게 과장하는 측면

이 있기 때문에 특정 위험대상을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는 결정요소 즉 위험특성

을 파악하는 것은 사회 내에 위험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키고 위험과 관련된 정치

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Ho Shaw Lin amp

Chiu 2008 Heitz Spaeter Auzet amp Glatron 2009 Kellens Zaalberg Neutens Vanneuville amp

Maeyer 2010)

Slovic과 그의 동료들(Fischhoff Slovic amp Lichtenstein 1982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 의해 개발된 심리측정 패러다임(Psychometric paradigm)은 위험인

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되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통해 위험들을 특성화시

키고 각 위험에 대해 개별적으로 다른 반응을 보이는 공중이 어떻게 전문가와 다

르게 위험을 지각하는지를 파악한다(Dobbie amp Brown 2013 Slovic 1992) 이에 따라

위험특성은 자발적인지 친근한지 노출되어 있는지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지

통제 가능한지 인위적인 것인지 발견할 수 있는지 등을 통해 측정되며 또 다른

위험과 비교하여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지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Keller Siegrist amp Gutscher 2006) 특히 전문가는 통계적 데이터나 수

치를 통해 위험을 평가하고 비교하지만 공중의 위험 평가는 광범위하게 질적 요

소 즉 통제 가능한지 또는 새롭거나 빈번하게 발생하는지 등의 위험특성에 기반

하여 결과적으로 얼마나 심각한 상황이나 피해를 유발하는가와 관련된 결과적 심

각성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므로(Jacobs amp Worthley 1999 Kellens et al 2010) 공중

을 대상으로 위험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위험특성을 고려하여 위험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이해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하겠다

더구나 공중은 전문가에 의해 평가된 위험을 잘못 해석하여 위험대상에 대한 잘

못된 신념을 가질 수 있으므로 위험특성을 통해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측정하여

전반적으로 공중의 잘못된 위험지각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Bickerstaff 2004 Dobbie amp Brown 2013 Sjoumlberg Moet amp Rundmo 2004) 이처럼 위험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상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탐색함으로서 공중이 위험대

상을 올바르게 바라보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주

요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연구들은 사람들이 다양한 경험을 통해 위험정보

를 처리하고 이를 통해 형성된 위험특성은 사람들이 위험대상에 대해 얼마나 심

각하게 지각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Sandman Miller Johnson

amp Weinstein 1993 Visschers Meertens Passchier amp de Vries 2007) 국내에서도 자연재해

에 대해 공중이 친근하지 않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지 않으며 발견할 수 없는

위험이라는 주관적 속성(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송해룡김원제 2013) 이처럼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

성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나 국내에서 특정

위험을 대상으로 그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찾아

보기 쉽지 않다 특히 사이버범죄가 최근 사회적으로 심각한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에 대해 어떻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파악한 연구들은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통해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과 그에 다른 결과

적 심각성 지각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1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범

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사람은 어떤 위험의 실재를 인식하고 위험에 대한 민감성을 지각하게 되면 그

위험이 결과적 측면에서 얼마나 심각하고 위험한가를 지각 평가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은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Severtson amp Myers 201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은 사람이 위험대상의 불확실성을

지각할 때 보다 높아지는데 보통 위험대상에 대한 정보를 신뢰할 수 없거나 불완

전하며 또는 혼란스러울 때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이 제공한 정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가 상호 불일치하거나 전문가 간 의견이 상충될 때도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Camerer amp Weber 1992 Han Moser amp Klein 2006 Severtson amp Myers 2013) 이러한 불

확실성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감정은 외부 자극에 의해 단기간에 발생하는 강렬한 심리상태로서

특정 사건이나 인물 혹은 메시지에 대한 평가적 반응(최유진 2014)으로서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감정 특히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본다 이때 공중은 위험을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전반적 위험을 지각하게

되고(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포감과 지각된 위협으로부터 벗어

나기 위해 다양한 행동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위험커뮤니케이션 영역에

서 공포감은 특정 위험요소에 대한 사회적 각성을 촉구하는데 효과적인 감정 요소

(송해룡 2012)로 인식되면서도 지나칠 경우에는 사회적 혼란과 같은 의도치 못한 반

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예컨대

2008년 인간이 광우병에 감염되면 죽음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에서 오는 공포로 인

해 광우병과 인간광우병 간 인과관계가 과학적으로 증명되거나 확립되지 않았음에

도 불구하고 광우병 사태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 갈등과 혼란이 발생하였고(노진철

2009) 2009년에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신종플루로 인해 당시 국내에서 유사환자

및 의심환자의 증가 기존 백신의 부족 및 효과성 문제 신종 백신의 개발 불투명

등 미디어를 통해 선정적이고 경쟁적으로 보도되면서 많은 대중들이 신종플루에

대한 불안과 공포감으로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Dobbie와

Brown(2013)은 공중이 위험대상을 지각하는데 있어 필연적으로 감정을 수반한다고

하였고 Sjoumlberg(2000)도 사람들이 특정 위험대상에 대해 지식이나 신뢰를 포함한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함으로서 두려움이나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결정요인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확장병행과정모델(EPPM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이나 보호동기이론(PMT Protection Motivation Theory)에

서도 공포감과 위험에 대한 지각이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

히 Dobbie와 Brown(2013)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은 위험발생 이전과 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생 이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시사하고 있다 즉 공포감이나 걱정 두려움 등

과 같은 감정은 위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발생하는 반면에 혐오감이나 후회와

같은 감정은 미래에 위험의 결과에 의해 발생되는 감정이라는 것이다 결국 위험

대상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감정에 따라 공중이 위험을 다르게 지각할 수도 있음

을 의미한다 이처럼 공중의 위험지각과 관련된 연구들은 공중이 인식하는 주관적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위험과 관련하여 사람들의 의식과 감정에 초점을 둔다

(Kellens et al 2010) 따라서 위험대상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두

려움이 클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클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2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3) 위험특성과 감정

심리측정 패러다임에서는 위험과 관련하여 공중이 비이성적인 존재가 아님을

강조한다 즉 보통의 공중은 어떤 위험이 자신과 가장 관련이 있는가를 판단할 때

전문가보다 위험을 광범위하게 해석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문가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는 정책입안자들은 위험을 치명적인 결과의 크기에 의한 위험등급을

통해 평가하지만 비전문가인 공중은 질적 측면에서 자발성 즉시성 파국적 재앙

을 유발할 가능성 등과 같은 위험특성을 통해 판단한다는 것이다(Marris Langford

Saunderson amp OrsquoRiordan 1997) 위험특성은 위험대상을 통해 유발되는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Siegrist Keller amp Kiers 2005 Slovic 2001) 위험의 인지

적 과정에 포함되는 위험특성은 개인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의

미하는 개인적 지식 그리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 정도를 뜻하는 사회적 지식

과도 관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식은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유발한다(Dobbie amp

Brown 2013) 즉 두려움은 해당 위험이 얼마나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통제할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수 없으며 비자발적으로 노출되는지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좌보경 외 2013 차용

진 2006) 공중이 위험특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느

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

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3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공포감도 높아질 것이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00명을 할당표집을 통해 추

출하였고 설문조사는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응답자 특성은 다음

의 lt표 1gt에서 제시하였다

lt표 1gt 응답자 특성(N=500)

빈도(N) 비율()

성별남성 249 498

여성 251 502

연령

20대 103 206

30대 114 228

40대 119 238

50대 100 200

60대(이상) 64 128

교육

중학교졸업 36 72

고등학교졸업 217 434

대학교졸업 236 472

대학원재학 7 14

대학원졸업 4 08

2) 측정도구

(1) 위험특성

본 연구에서 위험특성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

성으로 정의하고(송해룡김원제 2013) Ulmber(2001)와 서보윤(2006)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위험특성 문항은 총 7문항의 5점 의미분별척도로 이루어졌

으며 관련 문항은 lsquo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

되는통제되지 않는rsquo lsquo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rsquo lsquo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인rsquo lsquo자연적인인위적인rsquo lsquo오래된새로운rsquo lsquo내가 사는 곳에 있는내가 사는 곳에 없

는rsquo 등이다

(2) 공포감

본 연구에서 공포감은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주관적 감정으로서 불

안이나 걱정 등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욱(2010)이 사용한

공포감 3문항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공포

감 문항은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으며 관련 문항은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 불안 무

서움으로서 구체적으로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rsquo으로 구성하였다

(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본 연구에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위험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범

죄에 대해 주관적으로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

에서는 Slovic Fischhoff와 Lichtenstein(1985)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였다 이 문

항은 위험대상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묻는 단일문항으로서 lsquo제시된 위험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가rsquo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이버범죄는 사이

버테러형 범죄와 일반 사이버범죄로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테

러대응센터(2014)가 분류한 기준을 참조하여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 스팸메일(폭탄메일 포함) 악성코드 주

민번호도용 데이터손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로 인터넷사기 악플 유

해사이트 및 콘텐츠(도박이나 자살 음란 폭탄제조) 잘못된 정보유포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성폭력 사이버스토킹 등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위험에 대해 얼마나 심각하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결과적 심각

성 지각은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

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자료처리를 위해 IBM SPSS 20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

을 활용하였다 우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 평가(χ2 RMR

NFI IFI CFI) 그리고 관측변수에 대한 잠재변수의 효과성 등을 통해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특히 적합도 지수의 평가는 χ2경우에 pgt05 RMR=06 이하 NFI=90 이

상 IFI=90 이상 CFI=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수용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χ2의 경우에 표본의 수에 민감함이 고려되므로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최종 판정하였다(이학식임지훈 2009) 이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내적 일치도(Cronbachrsquos α)를 알아보

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method)과 베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80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51817 df=21 plt001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은 단일요인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요인부하량은 53~68의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는 χ2=3563 plt01 RMR=03

NFI=93 IFI=95 CFI=95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2gt와 같이 잠재변수가 모든 관측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검증이 되었으며 표준화 β값은 43~61의 분포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특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rsquos

alpha 값이 72로 확인되었다

lt표 2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43 -

오래된새로운 58 17 748

자연적인인위적인 61 20 769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44 15 650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48 16 658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되지 않는 59 20 727

자발적으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47 16 665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2: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1 문제제기

한국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매우 중요한 위험영역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한

국은 세계적인 정보통신기술 및 인프라 강국으로서 고도의 네트워크가 밀집된 국

가이자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테스트베드(test bed)이기도 하다 그 만큼

세계적으로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는 IT강국이라고 할 수 있으나 역설적으로 사

이버범죄가 자주 발생하기도 한다

정보기술의 발달 및 인터넷의 대중화에 기인하는 사이버범죄는 자신의 신분을

노출하지 않고 범행하거나 다른 사람의 ID를 도용해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익명적이며 현실이 아닌 가상공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피해자와 직접 대

면하지 않아 자제력을 감소시켜 대형범죄로 이어지기도 한다 정보통신망만 연결

되어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범죄가 쉽게 이루어지고 완벽한 대처나 복구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특성을 지닌다(동아일보 20140116) 국내에서는 그 동안 주요 정

부기관이나 금융권 포털 등에 대한 디도스(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

과 해킹에 의한 악성코드 유포 등의 사이버범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대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주요 기관 웹 사이트를 마비시킨 디도스 공격 사

례부터 2011년 3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을 상대로 한 디도스 공격 그리고

2011년 4월 해킹에 의한 농협 전산망 마비 등 다양한 사이버범죄가 발생하여 사회

적으로 큰 혼란을 겪었다 또한 가짜 인터넷뱅킹 홈페이지로 접속을 유도 개인의

금융정보를 빼내가는 파밍(pharming)부터 전화사기인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 문

자메시지를 통해 소액결제를 유도하는 스미싱(smishing) 등 계속해서 새로운 유형의

사이버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2014년 1월에는 국내 유명카드 3사의 민감한

고객 개인정보(성명 전화번호 주민번호 주소 결제계좌 대출정보 신용정보 등)가 대량으

로 유출되어 소비자의 불안을 가중시키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사이버범죄는 그 유형도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며 실제로 사이버범

죄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피해당사자는 피해 여부를 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대로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개인이나 사회를 파멸적 형국으로 몰아갈 수 있는

매우 심각한 범죄라고 할 수 있다

사이버범죄는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구분되는데 일반 사이버

범죄는 사기(통신 게임)와 불법복제(음란물 프로그램) 불법유해사이트(음란 도박 폭발

물 자살) 명예훼손 개인정보침해 사이버스토킹 사이버성폭력 협박공갈 등 사이

버공간이 범죄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범죄를 의미하고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해킹

(단순침입 사용자도용 파일삭제변경 자료유출 폭탄메일 DOS 공격)이나 바이러스와 같이

고도의 기술적인 요소가 포함된 정보통신망에 대한 공격행위를 의미한다(사이버테러

대응센터 2014) 국내에서 발생한 사이버범죄 현황을 보면 2012년에는 총 108223

건이 발생하였으며 이중에서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9607건 일반 사이버범죄는

98616건으로 나타나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공중을 대상으로 한 일반 사

이버범죄의 발생건수가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04)

사이버공간의 확대와 컴퓨터 및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와 지능화에 의해 갈수

록 그 의존도와 사회적 영향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사이버범죄 또

한 갈수록 다양화 고도화 첨단화되어가고 있고 사이버범죄에 의한 광범위한 피

해성과 기하급수적 발생률 그리고 발생형태의 다양성으로 인해 현실적 대안마련

도 쉽지 않다(김영환 2009) 그러므로 사이버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관련

기관 및 기업 그리고 국민 모두가 사이버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높은 보안 및

안전의식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이버범죄의 다양성 지능화 및 고도

화로 인해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인지하기 어렵고 관련 정보에 대한 이해도 부족

하기 때문(전용식이종호 2007)에 위험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공중이 사이버범죄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예방을 위한 노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중의

인지적 변화를 우선적으로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Kao Wang amp Huang 2010) 또한

일반 사이버범죄 중 악플이나 사이버명예훼손 스토킹 사이버성폭력 등의 경우에

는 물리공간에서의 면대면(face to face)이 아니라 사이버공간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

문에 가해자는 피해정도를 인지하는 정도도 낮아 자신의 행동이 그다지 나쁜 행동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은 아니라는 태도를 형성하기도 한다(이성식 2004) 이에 기술적 대책이나 사법적

대책도 중요하지만 사이버범죄에 대한 성찰과 더불어 사이버범죄 피해의 심각성

과 그에 따른 윤리교육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결국 사전에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중의 성찰과 사회규범의 확산(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을 통해 사이버범죄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높은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인지

적 차원에서 변화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지각하는 위험특성을 파악하고 공중의 위험특성과 감정(공포감)이 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2 이론적 배경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근래에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심리측정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공중의 다양한

위험인식을 규명하고 있다 초기 위험에 대한 시각은 어떤 위험에 대비하려는 인

간의 행동은 위험의 발생가능성과 결과를 최소화하는데 들어가는 비용과 비교하여

결정한다는 lsquo경제적 인간의 합리적 선호모델(rational choice theory)rsquo에 바탕을 두었다

그러나 lsquo위험은 인간의 머릿속에서 만들어지는 심리적인 것이며 사회적 문화적

영향이 크게 작용 한다rsquo는 구성주의적 시각이 나타나면서 경제적 인간의 합리적 선

호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제기하고 불확실한 상황에서 인간은 확률과 피해를 복

잡하게 계산하기 보다는 경험법칙(heuristics)에 의해 직관적으로 위험을 판단하고

평가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정지범 2010) 다시 말해서 사람은 귀납적 추론이

나 경험법칙과 같은 인지적 메커니즘을 통해 위험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에

(Sternberg 1996) 사람마다 서로 다르게 위험을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심리측정 패러다임은 위험을 객관적이고 평면적인 현상이라고 가정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고 보는 전통적 기술적 위험 측정방법으로는 위험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고 보며(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차용진 2006) 위험을 평가

하는데 있어 공중의 위험인식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은 물론 위험 관련 정책결정

이나 집행과정에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차용진 2012)

한편 사람이 어떤 특정대상을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는 과정은 위험특성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 즉 사람은 위험을 주관적으로 판단하지만 위험에 대한 인식은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 속성에 의해 결정된다 위험에 대한

노출이 자발적인지 통제가능한지 치명적인지 혹은 인위적인지와 같은 위험의 속

성에 따라 위험을 인지하고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위험이 자발적이

고 자신에 의해 통제 가능하며 치명적이지 않고 과학에 의해 알려진 위험은 덜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지만 비자발적이며 인위적이며 치명적이고 과학에 의해 알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려지지 않은 위험에 대해서는 보다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성을 위험특성이라고 한다(송해룡김원제 2013) 일반적으로 공중은 위험을 지각하는데 있어 지나치게 과장하는 측면

이 있기 때문에 특정 위험대상을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는 결정요소 즉 위험특성

을 파악하는 것은 사회 내에 위험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키고 위험과 관련된 정치

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Ho Shaw Lin amp

Chiu 2008 Heitz Spaeter Auzet amp Glatron 2009 Kellens Zaalberg Neutens Vanneuville amp

Maeyer 2010)

Slovic과 그의 동료들(Fischhoff Slovic amp Lichtenstein 1982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 의해 개발된 심리측정 패러다임(Psychometric paradigm)은 위험인

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되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통해 위험들을 특성화시

키고 각 위험에 대해 개별적으로 다른 반응을 보이는 공중이 어떻게 전문가와 다

르게 위험을 지각하는지를 파악한다(Dobbie amp Brown 2013 Slovic 1992) 이에 따라

위험특성은 자발적인지 친근한지 노출되어 있는지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지

통제 가능한지 인위적인 것인지 발견할 수 있는지 등을 통해 측정되며 또 다른

위험과 비교하여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지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Keller Siegrist amp Gutscher 2006) 특히 전문가는 통계적 데이터나 수

치를 통해 위험을 평가하고 비교하지만 공중의 위험 평가는 광범위하게 질적 요

소 즉 통제 가능한지 또는 새롭거나 빈번하게 발생하는지 등의 위험특성에 기반

하여 결과적으로 얼마나 심각한 상황이나 피해를 유발하는가와 관련된 결과적 심

각성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므로(Jacobs amp Worthley 1999 Kellens et al 2010) 공중

을 대상으로 위험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위험특성을 고려하여 위험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이해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하겠다

더구나 공중은 전문가에 의해 평가된 위험을 잘못 해석하여 위험대상에 대한 잘

못된 신념을 가질 수 있으므로 위험특성을 통해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측정하여

전반적으로 공중의 잘못된 위험지각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Bickerstaff 2004 Dobbie amp Brown 2013 Sjoumlberg Moet amp Rundmo 2004) 이처럼 위험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상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탐색함으로서 공중이 위험대

상을 올바르게 바라보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주

요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연구들은 사람들이 다양한 경험을 통해 위험정보

를 처리하고 이를 통해 형성된 위험특성은 사람들이 위험대상에 대해 얼마나 심

각하게 지각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Sandman Miller Johnson

amp Weinstein 1993 Visschers Meertens Passchier amp de Vries 2007) 국내에서도 자연재해

에 대해 공중이 친근하지 않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지 않으며 발견할 수 없는

위험이라는 주관적 속성(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송해룡김원제 2013) 이처럼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

성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나 국내에서 특정

위험을 대상으로 그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찾아

보기 쉽지 않다 특히 사이버범죄가 최근 사회적으로 심각한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에 대해 어떻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파악한 연구들은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통해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과 그에 다른 결과

적 심각성 지각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1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범

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사람은 어떤 위험의 실재를 인식하고 위험에 대한 민감성을 지각하게 되면 그

위험이 결과적 측면에서 얼마나 심각하고 위험한가를 지각 평가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은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Severtson amp Myers 201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은 사람이 위험대상의 불확실성을

지각할 때 보다 높아지는데 보통 위험대상에 대한 정보를 신뢰할 수 없거나 불완

전하며 또는 혼란스러울 때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이 제공한 정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가 상호 불일치하거나 전문가 간 의견이 상충될 때도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Camerer amp Weber 1992 Han Moser amp Klein 2006 Severtson amp Myers 2013) 이러한 불

확실성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감정은 외부 자극에 의해 단기간에 발생하는 강렬한 심리상태로서

특정 사건이나 인물 혹은 메시지에 대한 평가적 반응(최유진 2014)으로서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감정 특히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본다 이때 공중은 위험을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전반적 위험을 지각하게

되고(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포감과 지각된 위협으로부터 벗어

나기 위해 다양한 행동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위험커뮤니케이션 영역에

서 공포감은 특정 위험요소에 대한 사회적 각성을 촉구하는데 효과적인 감정 요소

(송해룡 2012)로 인식되면서도 지나칠 경우에는 사회적 혼란과 같은 의도치 못한 반

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예컨대

2008년 인간이 광우병에 감염되면 죽음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에서 오는 공포로 인

해 광우병과 인간광우병 간 인과관계가 과학적으로 증명되거나 확립되지 않았음에

도 불구하고 광우병 사태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 갈등과 혼란이 발생하였고(노진철

2009) 2009년에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신종플루로 인해 당시 국내에서 유사환자

및 의심환자의 증가 기존 백신의 부족 및 효과성 문제 신종 백신의 개발 불투명

등 미디어를 통해 선정적이고 경쟁적으로 보도되면서 많은 대중들이 신종플루에

대한 불안과 공포감으로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Dobbie와

Brown(2013)은 공중이 위험대상을 지각하는데 있어 필연적으로 감정을 수반한다고

하였고 Sjoumlberg(2000)도 사람들이 특정 위험대상에 대해 지식이나 신뢰를 포함한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함으로서 두려움이나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결정요인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확장병행과정모델(EPPM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이나 보호동기이론(PMT Protection Motivation Theory)에

서도 공포감과 위험에 대한 지각이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

히 Dobbie와 Brown(2013)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은 위험발생 이전과 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생 이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시사하고 있다 즉 공포감이나 걱정 두려움 등

과 같은 감정은 위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발생하는 반면에 혐오감이나 후회와

같은 감정은 미래에 위험의 결과에 의해 발생되는 감정이라는 것이다 결국 위험

대상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감정에 따라 공중이 위험을 다르게 지각할 수도 있음

을 의미한다 이처럼 공중의 위험지각과 관련된 연구들은 공중이 인식하는 주관적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위험과 관련하여 사람들의 의식과 감정에 초점을 둔다

(Kellens et al 2010) 따라서 위험대상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두

려움이 클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클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2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3) 위험특성과 감정

심리측정 패러다임에서는 위험과 관련하여 공중이 비이성적인 존재가 아님을

강조한다 즉 보통의 공중은 어떤 위험이 자신과 가장 관련이 있는가를 판단할 때

전문가보다 위험을 광범위하게 해석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문가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는 정책입안자들은 위험을 치명적인 결과의 크기에 의한 위험등급을

통해 평가하지만 비전문가인 공중은 질적 측면에서 자발성 즉시성 파국적 재앙

을 유발할 가능성 등과 같은 위험특성을 통해 판단한다는 것이다(Marris Langford

Saunderson amp OrsquoRiordan 1997) 위험특성은 위험대상을 통해 유발되는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Siegrist Keller amp Kiers 2005 Slovic 2001) 위험의 인지

적 과정에 포함되는 위험특성은 개인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의

미하는 개인적 지식 그리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 정도를 뜻하는 사회적 지식

과도 관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식은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유발한다(Dobbie amp

Brown 2013) 즉 두려움은 해당 위험이 얼마나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통제할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수 없으며 비자발적으로 노출되는지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좌보경 외 2013 차용

진 2006) 공중이 위험특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느

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

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3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공포감도 높아질 것이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00명을 할당표집을 통해 추

출하였고 설문조사는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응답자 특성은 다음

의 lt표 1gt에서 제시하였다

lt표 1gt 응답자 특성(N=500)

빈도(N) 비율()

성별남성 249 498

여성 251 502

연령

20대 103 206

30대 114 228

40대 119 238

50대 100 200

60대(이상) 64 128

교육

중학교졸업 36 72

고등학교졸업 217 434

대학교졸업 236 472

대학원재학 7 14

대학원졸업 4 08

2) 측정도구

(1) 위험특성

본 연구에서 위험특성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

성으로 정의하고(송해룡김원제 2013) Ulmber(2001)와 서보윤(2006)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위험특성 문항은 총 7문항의 5점 의미분별척도로 이루어졌

으며 관련 문항은 lsquo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

되는통제되지 않는rsquo lsquo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rsquo lsquo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인rsquo lsquo자연적인인위적인rsquo lsquo오래된새로운rsquo lsquo내가 사는 곳에 있는내가 사는 곳에 없

는rsquo 등이다

(2) 공포감

본 연구에서 공포감은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주관적 감정으로서 불

안이나 걱정 등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욱(2010)이 사용한

공포감 3문항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공포

감 문항은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으며 관련 문항은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 불안 무

서움으로서 구체적으로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rsquo으로 구성하였다

(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본 연구에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위험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범

죄에 대해 주관적으로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

에서는 Slovic Fischhoff와 Lichtenstein(1985)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였다 이 문

항은 위험대상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묻는 단일문항으로서 lsquo제시된 위험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가rsquo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이버범죄는 사이

버테러형 범죄와 일반 사이버범죄로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테

러대응센터(2014)가 분류한 기준을 참조하여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 스팸메일(폭탄메일 포함) 악성코드 주

민번호도용 데이터손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로 인터넷사기 악플 유

해사이트 및 콘텐츠(도박이나 자살 음란 폭탄제조) 잘못된 정보유포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성폭력 사이버스토킹 등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위험에 대해 얼마나 심각하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결과적 심각

성 지각은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

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자료처리를 위해 IBM SPSS 20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

을 활용하였다 우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 평가(χ2 RMR

NFI IFI CFI) 그리고 관측변수에 대한 잠재변수의 효과성 등을 통해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특히 적합도 지수의 평가는 χ2경우에 pgt05 RMR=06 이하 NFI=90 이

상 IFI=90 이상 CFI=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수용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χ2의 경우에 표본의 수에 민감함이 고려되므로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최종 판정하였다(이학식임지훈 2009) 이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내적 일치도(Cronbachrsquos α)를 알아보

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method)과 베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80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51817 df=21 plt001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은 단일요인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요인부하량은 53~68의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는 χ2=3563 plt01 RMR=03

NFI=93 IFI=95 CFI=95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2gt와 같이 잠재변수가 모든 관측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검증이 되었으며 표준화 β값은 43~61의 분포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특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rsquos

alpha 값이 72로 확인되었다

lt표 2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43 -

오래된새로운 58 17 748

자연적인인위적인 61 20 769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44 15 650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48 16 658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되지 않는 59 20 727

자발적으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47 16 665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3: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대로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개인이나 사회를 파멸적 형국으로 몰아갈 수 있는

매우 심각한 범죄라고 할 수 있다

사이버범죄는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구분되는데 일반 사이버

범죄는 사기(통신 게임)와 불법복제(음란물 프로그램) 불법유해사이트(음란 도박 폭발

물 자살) 명예훼손 개인정보침해 사이버스토킹 사이버성폭력 협박공갈 등 사이

버공간이 범죄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범죄를 의미하고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해킹

(단순침입 사용자도용 파일삭제변경 자료유출 폭탄메일 DOS 공격)이나 바이러스와 같이

고도의 기술적인 요소가 포함된 정보통신망에 대한 공격행위를 의미한다(사이버테러

대응센터 2014) 국내에서 발생한 사이버범죄 현황을 보면 2012년에는 총 108223

건이 발생하였으며 이중에서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9607건 일반 사이버범죄는

98616건으로 나타나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공중을 대상으로 한 일반 사

이버범죄의 발생건수가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04)

사이버공간의 확대와 컴퓨터 및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와 지능화에 의해 갈수

록 그 의존도와 사회적 영향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사이버범죄 또

한 갈수록 다양화 고도화 첨단화되어가고 있고 사이버범죄에 의한 광범위한 피

해성과 기하급수적 발생률 그리고 발생형태의 다양성으로 인해 현실적 대안마련

도 쉽지 않다(김영환 2009) 그러므로 사이버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관련

기관 및 기업 그리고 국민 모두가 사이버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높은 보안 및

안전의식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이버범죄의 다양성 지능화 및 고도

화로 인해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인지하기 어렵고 관련 정보에 대한 이해도 부족

하기 때문(전용식이종호 2007)에 위험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공중이 사이버범죄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예방을 위한 노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중의

인지적 변화를 우선적으로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Kao Wang amp Huang 2010) 또한

일반 사이버범죄 중 악플이나 사이버명예훼손 스토킹 사이버성폭력 등의 경우에

는 물리공간에서의 면대면(face to face)이 아니라 사이버공간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

문에 가해자는 피해정도를 인지하는 정도도 낮아 자신의 행동이 그다지 나쁜 행동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은 아니라는 태도를 형성하기도 한다(이성식 2004) 이에 기술적 대책이나 사법적

대책도 중요하지만 사이버범죄에 대한 성찰과 더불어 사이버범죄 피해의 심각성

과 그에 따른 윤리교육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결국 사전에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중의 성찰과 사회규범의 확산(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을 통해 사이버범죄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높은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인지

적 차원에서 변화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지각하는 위험특성을 파악하고 공중의 위험특성과 감정(공포감)이 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2 이론적 배경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근래에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심리측정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공중의 다양한

위험인식을 규명하고 있다 초기 위험에 대한 시각은 어떤 위험에 대비하려는 인

간의 행동은 위험의 발생가능성과 결과를 최소화하는데 들어가는 비용과 비교하여

결정한다는 lsquo경제적 인간의 합리적 선호모델(rational choice theory)rsquo에 바탕을 두었다

그러나 lsquo위험은 인간의 머릿속에서 만들어지는 심리적인 것이며 사회적 문화적

영향이 크게 작용 한다rsquo는 구성주의적 시각이 나타나면서 경제적 인간의 합리적 선

호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제기하고 불확실한 상황에서 인간은 확률과 피해를 복

잡하게 계산하기 보다는 경험법칙(heuristics)에 의해 직관적으로 위험을 판단하고

평가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정지범 2010) 다시 말해서 사람은 귀납적 추론이

나 경험법칙과 같은 인지적 메커니즘을 통해 위험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에

(Sternberg 1996) 사람마다 서로 다르게 위험을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심리측정 패러다임은 위험을 객관적이고 평면적인 현상이라고 가정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고 보는 전통적 기술적 위험 측정방법으로는 위험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고 보며(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차용진 2006) 위험을 평가

하는데 있어 공중의 위험인식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은 물론 위험 관련 정책결정

이나 집행과정에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차용진 2012)

한편 사람이 어떤 특정대상을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는 과정은 위험특성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 즉 사람은 위험을 주관적으로 판단하지만 위험에 대한 인식은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 속성에 의해 결정된다 위험에 대한

노출이 자발적인지 통제가능한지 치명적인지 혹은 인위적인지와 같은 위험의 속

성에 따라 위험을 인지하고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위험이 자발적이

고 자신에 의해 통제 가능하며 치명적이지 않고 과학에 의해 알려진 위험은 덜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지만 비자발적이며 인위적이며 치명적이고 과학에 의해 알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려지지 않은 위험에 대해서는 보다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성을 위험특성이라고 한다(송해룡김원제 2013) 일반적으로 공중은 위험을 지각하는데 있어 지나치게 과장하는 측면

이 있기 때문에 특정 위험대상을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는 결정요소 즉 위험특성

을 파악하는 것은 사회 내에 위험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키고 위험과 관련된 정치

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Ho Shaw Lin amp

Chiu 2008 Heitz Spaeter Auzet amp Glatron 2009 Kellens Zaalberg Neutens Vanneuville amp

Maeyer 2010)

Slovic과 그의 동료들(Fischhoff Slovic amp Lichtenstein 1982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 의해 개발된 심리측정 패러다임(Psychometric paradigm)은 위험인

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되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통해 위험들을 특성화시

키고 각 위험에 대해 개별적으로 다른 반응을 보이는 공중이 어떻게 전문가와 다

르게 위험을 지각하는지를 파악한다(Dobbie amp Brown 2013 Slovic 1992) 이에 따라

위험특성은 자발적인지 친근한지 노출되어 있는지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지

통제 가능한지 인위적인 것인지 발견할 수 있는지 등을 통해 측정되며 또 다른

위험과 비교하여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지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Keller Siegrist amp Gutscher 2006) 특히 전문가는 통계적 데이터나 수

치를 통해 위험을 평가하고 비교하지만 공중의 위험 평가는 광범위하게 질적 요

소 즉 통제 가능한지 또는 새롭거나 빈번하게 발생하는지 등의 위험특성에 기반

하여 결과적으로 얼마나 심각한 상황이나 피해를 유발하는가와 관련된 결과적 심

각성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므로(Jacobs amp Worthley 1999 Kellens et al 2010) 공중

을 대상으로 위험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위험특성을 고려하여 위험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이해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하겠다

더구나 공중은 전문가에 의해 평가된 위험을 잘못 해석하여 위험대상에 대한 잘

못된 신념을 가질 수 있으므로 위험특성을 통해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측정하여

전반적으로 공중의 잘못된 위험지각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Bickerstaff 2004 Dobbie amp Brown 2013 Sjoumlberg Moet amp Rundmo 2004) 이처럼 위험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상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탐색함으로서 공중이 위험대

상을 올바르게 바라보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주

요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연구들은 사람들이 다양한 경험을 통해 위험정보

를 처리하고 이를 통해 형성된 위험특성은 사람들이 위험대상에 대해 얼마나 심

각하게 지각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Sandman Miller Johnson

amp Weinstein 1993 Visschers Meertens Passchier amp de Vries 2007) 국내에서도 자연재해

에 대해 공중이 친근하지 않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지 않으며 발견할 수 없는

위험이라는 주관적 속성(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송해룡김원제 2013) 이처럼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

성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나 국내에서 특정

위험을 대상으로 그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찾아

보기 쉽지 않다 특히 사이버범죄가 최근 사회적으로 심각한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에 대해 어떻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파악한 연구들은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통해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과 그에 다른 결과

적 심각성 지각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1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범

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사람은 어떤 위험의 실재를 인식하고 위험에 대한 민감성을 지각하게 되면 그

위험이 결과적 측면에서 얼마나 심각하고 위험한가를 지각 평가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은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Severtson amp Myers 201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은 사람이 위험대상의 불확실성을

지각할 때 보다 높아지는데 보통 위험대상에 대한 정보를 신뢰할 수 없거나 불완

전하며 또는 혼란스러울 때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이 제공한 정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가 상호 불일치하거나 전문가 간 의견이 상충될 때도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Camerer amp Weber 1992 Han Moser amp Klein 2006 Severtson amp Myers 2013) 이러한 불

확실성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감정은 외부 자극에 의해 단기간에 발생하는 강렬한 심리상태로서

특정 사건이나 인물 혹은 메시지에 대한 평가적 반응(최유진 2014)으로서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감정 특히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본다 이때 공중은 위험을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전반적 위험을 지각하게

되고(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포감과 지각된 위협으로부터 벗어

나기 위해 다양한 행동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위험커뮤니케이션 영역에

서 공포감은 특정 위험요소에 대한 사회적 각성을 촉구하는데 효과적인 감정 요소

(송해룡 2012)로 인식되면서도 지나칠 경우에는 사회적 혼란과 같은 의도치 못한 반

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예컨대

2008년 인간이 광우병에 감염되면 죽음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에서 오는 공포로 인

해 광우병과 인간광우병 간 인과관계가 과학적으로 증명되거나 확립되지 않았음에

도 불구하고 광우병 사태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 갈등과 혼란이 발생하였고(노진철

2009) 2009년에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신종플루로 인해 당시 국내에서 유사환자

및 의심환자의 증가 기존 백신의 부족 및 효과성 문제 신종 백신의 개발 불투명

등 미디어를 통해 선정적이고 경쟁적으로 보도되면서 많은 대중들이 신종플루에

대한 불안과 공포감으로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Dobbie와

Brown(2013)은 공중이 위험대상을 지각하는데 있어 필연적으로 감정을 수반한다고

하였고 Sjoumlberg(2000)도 사람들이 특정 위험대상에 대해 지식이나 신뢰를 포함한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함으로서 두려움이나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결정요인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확장병행과정모델(EPPM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이나 보호동기이론(PMT Protection Motivation Theory)에

서도 공포감과 위험에 대한 지각이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

히 Dobbie와 Brown(2013)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은 위험발생 이전과 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생 이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시사하고 있다 즉 공포감이나 걱정 두려움 등

과 같은 감정은 위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발생하는 반면에 혐오감이나 후회와

같은 감정은 미래에 위험의 결과에 의해 발생되는 감정이라는 것이다 결국 위험

대상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감정에 따라 공중이 위험을 다르게 지각할 수도 있음

을 의미한다 이처럼 공중의 위험지각과 관련된 연구들은 공중이 인식하는 주관적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위험과 관련하여 사람들의 의식과 감정에 초점을 둔다

(Kellens et al 2010) 따라서 위험대상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두

려움이 클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클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2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3) 위험특성과 감정

심리측정 패러다임에서는 위험과 관련하여 공중이 비이성적인 존재가 아님을

강조한다 즉 보통의 공중은 어떤 위험이 자신과 가장 관련이 있는가를 판단할 때

전문가보다 위험을 광범위하게 해석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문가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는 정책입안자들은 위험을 치명적인 결과의 크기에 의한 위험등급을

통해 평가하지만 비전문가인 공중은 질적 측면에서 자발성 즉시성 파국적 재앙

을 유발할 가능성 등과 같은 위험특성을 통해 판단한다는 것이다(Marris Langford

Saunderson amp OrsquoRiordan 1997) 위험특성은 위험대상을 통해 유발되는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Siegrist Keller amp Kiers 2005 Slovic 2001) 위험의 인지

적 과정에 포함되는 위험특성은 개인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의

미하는 개인적 지식 그리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 정도를 뜻하는 사회적 지식

과도 관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식은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유발한다(Dobbie amp

Brown 2013) 즉 두려움은 해당 위험이 얼마나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통제할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수 없으며 비자발적으로 노출되는지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좌보경 외 2013 차용

진 2006) 공중이 위험특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느

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

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3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공포감도 높아질 것이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00명을 할당표집을 통해 추

출하였고 설문조사는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응답자 특성은 다음

의 lt표 1gt에서 제시하였다

lt표 1gt 응답자 특성(N=500)

빈도(N) 비율()

성별남성 249 498

여성 251 502

연령

20대 103 206

30대 114 228

40대 119 238

50대 100 200

60대(이상) 64 128

교육

중학교졸업 36 72

고등학교졸업 217 434

대학교졸업 236 472

대학원재학 7 14

대학원졸업 4 08

2) 측정도구

(1) 위험특성

본 연구에서 위험특성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

성으로 정의하고(송해룡김원제 2013) Ulmber(2001)와 서보윤(2006)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위험특성 문항은 총 7문항의 5점 의미분별척도로 이루어졌

으며 관련 문항은 lsquo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

되는통제되지 않는rsquo lsquo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rsquo lsquo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인rsquo lsquo자연적인인위적인rsquo lsquo오래된새로운rsquo lsquo내가 사는 곳에 있는내가 사는 곳에 없

는rsquo 등이다

(2) 공포감

본 연구에서 공포감은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주관적 감정으로서 불

안이나 걱정 등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욱(2010)이 사용한

공포감 3문항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공포

감 문항은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으며 관련 문항은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 불안 무

서움으로서 구체적으로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rsquo으로 구성하였다

(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본 연구에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위험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범

죄에 대해 주관적으로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

에서는 Slovic Fischhoff와 Lichtenstein(1985)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였다 이 문

항은 위험대상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묻는 단일문항으로서 lsquo제시된 위험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가rsquo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이버범죄는 사이

버테러형 범죄와 일반 사이버범죄로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테

러대응센터(2014)가 분류한 기준을 참조하여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 스팸메일(폭탄메일 포함) 악성코드 주

민번호도용 데이터손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로 인터넷사기 악플 유

해사이트 및 콘텐츠(도박이나 자살 음란 폭탄제조) 잘못된 정보유포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성폭력 사이버스토킹 등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위험에 대해 얼마나 심각하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결과적 심각

성 지각은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

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자료처리를 위해 IBM SPSS 20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

을 활용하였다 우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 평가(χ2 RMR

NFI IFI CFI) 그리고 관측변수에 대한 잠재변수의 효과성 등을 통해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특히 적합도 지수의 평가는 χ2경우에 pgt05 RMR=06 이하 NFI=90 이

상 IFI=90 이상 CFI=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수용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χ2의 경우에 표본의 수에 민감함이 고려되므로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최종 판정하였다(이학식임지훈 2009) 이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내적 일치도(Cronbachrsquos α)를 알아보

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method)과 베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80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51817 df=21 plt001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은 단일요인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요인부하량은 53~68의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는 χ2=3563 plt01 RMR=03

NFI=93 IFI=95 CFI=95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2gt와 같이 잠재변수가 모든 관측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검증이 되었으며 표준화 β값은 43~61의 분포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특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rsquos

alpha 값이 72로 확인되었다

lt표 2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43 -

오래된새로운 58 17 748

자연적인인위적인 61 20 769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44 15 650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48 16 658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되지 않는 59 20 727

자발적으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47 16 665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4: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은 아니라는 태도를 형성하기도 한다(이성식 2004) 이에 기술적 대책이나 사법적

대책도 중요하지만 사이버범죄에 대한 성찰과 더불어 사이버범죄 피해의 심각성

과 그에 따른 윤리교육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결국 사전에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중의 성찰과 사회규범의 확산(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을 통해 사이버범죄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높은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인지

적 차원에서 변화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지각하는 위험특성을 파악하고 공중의 위험특성과 감정(공포감)이 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2 이론적 배경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근래에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심리측정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공중의 다양한

위험인식을 규명하고 있다 초기 위험에 대한 시각은 어떤 위험에 대비하려는 인

간의 행동은 위험의 발생가능성과 결과를 최소화하는데 들어가는 비용과 비교하여

결정한다는 lsquo경제적 인간의 합리적 선호모델(rational choice theory)rsquo에 바탕을 두었다

그러나 lsquo위험은 인간의 머릿속에서 만들어지는 심리적인 것이며 사회적 문화적

영향이 크게 작용 한다rsquo는 구성주의적 시각이 나타나면서 경제적 인간의 합리적 선

호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제기하고 불확실한 상황에서 인간은 확률과 피해를 복

잡하게 계산하기 보다는 경험법칙(heuristics)에 의해 직관적으로 위험을 판단하고

평가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정지범 2010) 다시 말해서 사람은 귀납적 추론이

나 경험법칙과 같은 인지적 메커니즘을 통해 위험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에

(Sternberg 1996) 사람마다 서로 다르게 위험을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심리측정 패러다임은 위험을 객관적이고 평면적인 현상이라고 가정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고 보는 전통적 기술적 위험 측정방법으로는 위험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고 보며(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차용진 2006) 위험을 평가

하는데 있어 공중의 위험인식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은 물론 위험 관련 정책결정

이나 집행과정에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차용진 2012)

한편 사람이 어떤 특정대상을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는 과정은 위험특성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 즉 사람은 위험을 주관적으로 판단하지만 위험에 대한 인식은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 속성에 의해 결정된다 위험에 대한

노출이 자발적인지 통제가능한지 치명적인지 혹은 인위적인지와 같은 위험의 속

성에 따라 위험을 인지하고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위험이 자발적이

고 자신에 의해 통제 가능하며 치명적이지 않고 과학에 의해 알려진 위험은 덜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지만 비자발적이며 인위적이며 치명적이고 과학에 의해 알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려지지 않은 위험에 대해서는 보다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성을 위험특성이라고 한다(송해룡김원제 2013) 일반적으로 공중은 위험을 지각하는데 있어 지나치게 과장하는 측면

이 있기 때문에 특정 위험대상을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는 결정요소 즉 위험특성

을 파악하는 것은 사회 내에 위험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키고 위험과 관련된 정치

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Ho Shaw Lin amp

Chiu 2008 Heitz Spaeter Auzet amp Glatron 2009 Kellens Zaalberg Neutens Vanneuville amp

Maeyer 2010)

Slovic과 그의 동료들(Fischhoff Slovic amp Lichtenstein 1982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 의해 개발된 심리측정 패러다임(Psychometric paradigm)은 위험인

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되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통해 위험들을 특성화시

키고 각 위험에 대해 개별적으로 다른 반응을 보이는 공중이 어떻게 전문가와 다

르게 위험을 지각하는지를 파악한다(Dobbie amp Brown 2013 Slovic 1992) 이에 따라

위험특성은 자발적인지 친근한지 노출되어 있는지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지

통제 가능한지 인위적인 것인지 발견할 수 있는지 등을 통해 측정되며 또 다른

위험과 비교하여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지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Keller Siegrist amp Gutscher 2006) 특히 전문가는 통계적 데이터나 수

치를 통해 위험을 평가하고 비교하지만 공중의 위험 평가는 광범위하게 질적 요

소 즉 통제 가능한지 또는 새롭거나 빈번하게 발생하는지 등의 위험특성에 기반

하여 결과적으로 얼마나 심각한 상황이나 피해를 유발하는가와 관련된 결과적 심

각성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므로(Jacobs amp Worthley 1999 Kellens et al 2010) 공중

을 대상으로 위험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위험특성을 고려하여 위험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이해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하겠다

더구나 공중은 전문가에 의해 평가된 위험을 잘못 해석하여 위험대상에 대한 잘

못된 신념을 가질 수 있으므로 위험특성을 통해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측정하여

전반적으로 공중의 잘못된 위험지각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Bickerstaff 2004 Dobbie amp Brown 2013 Sjoumlberg Moet amp Rundmo 2004) 이처럼 위험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상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탐색함으로서 공중이 위험대

상을 올바르게 바라보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주

요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연구들은 사람들이 다양한 경험을 통해 위험정보

를 처리하고 이를 통해 형성된 위험특성은 사람들이 위험대상에 대해 얼마나 심

각하게 지각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Sandman Miller Johnson

amp Weinstein 1993 Visschers Meertens Passchier amp de Vries 2007) 국내에서도 자연재해

에 대해 공중이 친근하지 않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지 않으며 발견할 수 없는

위험이라는 주관적 속성(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송해룡김원제 2013) 이처럼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

성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나 국내에서 특정

위험을 대상으로 그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찾아

보기 쉽지 않다 특히 사이버범죄가 최근 사회적으로 심각한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에 대해 어떻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파악한 연구들은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통해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과 그에 다른 결과

적 심각성 지각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1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범

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사람은 어떤 위험의 실재를 인식하고 위험에 대한 민감성을 지각하게 되면 그

위험이 결과적 측면에서 얼마나 심각하고 위험한가를 지각 평가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은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Severtson amp Myers 201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은 사람이 위험대상의 불확실성을

지각할 때 보다 높아지는데 보통 위험대상에 대한 정보를 신뢰할 수 없거나 불완

전하며 또는 혼란스러울 때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이 제공한 정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가 상호 불일치하거나 전문가 간 의견이 상충될 때도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Camerer amp Weber 1992 Han Moser amp Klein 2006 Severtson amp Myers 2013) 이러한 불

확실성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감정은 외부 자극에 의해 단기간에 발생하는 강렬한 심리상태로서

특정 사건이나 인물 혹은 메시지에 대한 평가적 반응(최유진 2014)으로서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감정 특히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본다 이때 공중은 위험을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전반적 위험을 지각하게

되고(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포감과 지각된 위협으로부터 벗어

나기 위해 다양한 행동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위험커뮤니케이션 영역에

서 공포감은 특정 위험요소에 대한 사회적 각성을 촉구하는데 효과적인 감정 요소

(송해룡 2012)로 인식되면서도 지나칠 경우에는 사회적 혼란과 같은 의도치 못한 반

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예컨대

2008년 인간이 광우병에 감염되면 죽음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에서 오는 공포로 인

해 광우병과 인간광우병 간 인과관계가 과학적으로 증명되거나 확립되지 않았음에

도 불구하고 광우병 사태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 갈등과 혼란이 발생하였고(노진철

2009) 2009년에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신종플루로 인해 당시 국내에서 유사환자

및 의심환자의 증가 기존 백신의 부족 및 효과성 문제 신종 백신의 개발 불투명

등 미디어를 통해 선정적이고 경쟁적으로 보도되면서 많은 대중들이 신종플루에

대한 불안과 공포감으로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Dobbie와

Brown(2013)은 공중이 위험대상을 지각하는데 있어 필연적으로 감정을 수반한다고

하였고 Sjoumlberg(2000)도 사람들이 특정 위험대상에 대해 지식이나 신뢰를 포함한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함으로서 두려움이나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결정요인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확장병행과정모델(EPPM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이나 보호동기이론(PMT Protection Motivation Theory)에

서도 공포감과 위험에 대한 지각이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

히 Dobbie와 Brown(2013)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은 위험발생 이전과 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생 이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시사하고 있다 즉 공포감이나 걱정 두려움 등

과 같은 감정은 위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발생하는 반면에 혐오감이나 후회와

같은 감정은 미래에 위험의 결과에 의해 발생되는 감정이라는 것이다 결국 위험

대상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감정에 따라 공중이 위험을 다르게 지각할 수도 있음

을 의미한다 이처럼 공중의 위험지각과 관련된 연구들은 공중이 인식하는 주관적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위험과 관련하여 사람들의 의식과 감정에 초점을 둔다

(Kellens et al 2010) 따라서 위험대상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두

려움이 클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클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2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3) 위험특성과 감정

심리측정 패러다임에서는 위험과 관련하여 공중이 비이성적인 존재가 아님을

강조한다 즉 보통의 공중은 어떤 위험이 자신과 가장 관련이 있는가를 판단할 때

전문가보다 위험을 광범위하게 해석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문가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는 정책입안자들은 위험을 치명적인 결과의 크기에 의한 위험등급을

통해 평가하지만 비전문가인 공중은 질적 측면에서 자발성 즉시성 파국적 재앙

을 유발할 가능성 등과 같은 위험특성을 통해 판단한다는 것이다(Marris Langford

Saunderson amp OrsquoRiordan 1997) 위험특성은 위험대상을 통해 유발되는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Siegrist Keller amp Kiers 2005 Slovic 2001) 위험의 인지

적 과정에 포함되는 위험특성은 개인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의

미하는 개인적 지식 그리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 정도를 뜻하는 사회적 지식

과도 관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식은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유발한다(Dobbie amp

Brown 2013) 즉 두려움은 해당 위험이 얼마나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통제할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수 없으며 비자발적으로 노출되는지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좌보경 외 2013 차용

진 2006) 공중이 위험특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느

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

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3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공포감도 높아질 것이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00명을 할당표집을 통해 추

출하였고 설문조사는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응답자 특성은 다음

의 lt표 1gt에서 제시하였다

lt표 1gt 응답자 특성(N=500)

빈도(N) 비율()

성별남성 249 498

여성 251 502

연령

20대 103 206

30대 114 228

40대 119 238

50대 100 200

60대(이상) 64 128

교육

중학교졸업 36 72

고등학교졸업 217 434

대학교졸업 236 472

대학원재학 7 14

대학원졸업 4 08

2) 측정도구

(1) 위험특성

본 연구에서 위험특성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

성으로 정의하고(송해룡김원제 2013) Ulmber(2001)와 서보윤(2006)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위험특성 문항은 총 7문항의 5점 의미분별척도로 이루어졌

으며 관련 문항은 lsquo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

되는통제되지 않는rsquo lsquo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rsquo lsquo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인rsquo lsquo자연적인인위적인rsquo lsquo오래된새로운rsquo lsquo내가 사는 곳에 있는내가 사는 곳에 없

는rsquo 등이다

(2) 공포감

본 연구에서 공포감은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주관적 감정으로서 불

안이나 걱정 등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욱(2010)이 사용한

공포감 3문항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공포

감 문항은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으며 관련 문항은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 불안 무

서움으로서 구체적으로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rsquo으로 구성하였다

(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본 연구에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위험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범

죄에 대해 주관적으로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

에서는 Slovic Fischhoff와 Lichtenstein(1985)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였다 이 문

항은 위험대상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묻는 단일문항으로서 lsquo제시된 위험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가rsquo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이버범죄는 사이

버테러형 범죄와 일반 사이버범죄로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테

러대응센터(2014)가 분류한 기준을 참조하여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 스팸메일(폭탄메일 포함) 악성코드 주

민번호도용 데이터손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로 인터넷사기 악플 유

해사이트 및 콘텐츠(도박이나 자살 음란 폭탄제조) 잘못된 정보유포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성폭력 사이버스토킹 등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위험에 대해 얼마나 심각하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결과적 심각

성 지각은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

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자료처리를 위해 IBM SPSS 20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

을 활용하였다 우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 평가(χ2 RMR

NFI IFI CFI) 그리고 관측변수에 대한 잠재변수의 효과성 등을 통해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특히 적합도 지수의 평가는 χ2경우에 pgt05 RMR=06 이하 NFI=90 이

상 IFI=90 이상 CFI=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수용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χ2의 경우에 표본의 수에 민감함이 고려되므로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최종 판정하였다(이학식임지훈 2009) 이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내적 일치도(Cronbachrsquos α)를 알아보

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method)과 베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80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51817 df=21 plt001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은 단일요인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요인부하량은 53~68의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는 χ2=3563 plt01 RMR=03

NFI=93 IFI=95 CFI=95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2gt와 같이 잠재변수가 모든 관측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검증이 되었으며 표준화 β값은 43~61의 분포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특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rsquos

alpha 값이 72로 확인되었다

lt표 2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43 -

오래된새로운 58 17 748

자연적인인위적인 61 20 769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44 15 650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48 16 658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되지 않는 59 20 727

자발적으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47 16 665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5: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2 이론적 배경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근래에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심리측정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공중의 다양한

위험인식을 규명하고 있다 초기 위험에 대한 시각은 어떤 위험에 대비하려는 인

간의 행동은 위험의 발생가능성과 결과를 최소화하는데 들어가는 비용과 비교하여

결정한다는 lsquo경제적 인간의 합리적 선호모델(rational choice theory)rsquo에 바탕을 두었다

그러나 lsquo위험은 인간의 머릿속에서 만들어지는 심리적인 것이며 사회적 문화적

영향이 크게 작용 한다rsquo는 구성주의적 시각이 나타나면서 경제적 인간의 합리적 선

호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제기하고 불확실한 상황에서 인간은 확률과 피해를 복

잡하게 계산하기 보다는 경험법칙(heuristics)에 의해 직관적으로 위험을 판단하고

평가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정지범 2010) 다시 말해서 사람은 귀납적 추론이

나 경험법칙과 같은 인지적 메커니즘을 통해 위험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에

(Sternberg 1996) 사람마다 서로 다르게 위험을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심리측정 패러다임은 위험을 객관적이고 평면적인 현상이라고 가정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고 보는 전통적 기술적 위험 측정방법으로는 위험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고 보며(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차용진 2006) 위험을 평가

하는데 있어 공중의 위험인식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은 물론 위험 관련 정책결정

이나 집행과정에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차용진 2012)

한편 사람이 어떤 특정대상을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는 과정은 위험특성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 즉 사람은 위험을 주관적으로 판단하지만 위험에 대한 인식은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 속성에 의해 결정된다 위험에 대한

노출이 자발적인지 통제가능한지 치명적인지 혹은 인위적인지와 같은 위험의 속

성에 따라 위험을 인지하고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위험이 자발적이

고 자신에 의해 통제 가능하며 치명적이지 않고 과학에 의해 알려진 위험은 덜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지만 비자발적이며 인위적이며 치명적이고 과학에 의해 알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려지지 않은 위험에 대해서는 보다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성을 위험특성이라고 한다(송해룡김원제 2013) 일반적으로 공중은 위험을 지각하는데 있어 지나치게 과장하는 측면

이 있기 때문에 특정 위험대상을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는 결정요소 즉 위험특성

을 파악하는 것은 사회 내에 위험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키고 위험과 관련된 정치

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Ho Shaw Lin amp

Chiu 2008 Heitz Spaeter Auzet amp Glatron 2009 Kellens Zaalberg Neutens Vanneuville amp

Maeyer 2010)

Slovic과 그의 동료들(Fischhoff Slovic amp Lichtenstein 1982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 의해 개발된 심리측정 패러다임(Psychometric paradigm)은 위험인

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되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통해 위험들을 특성화시

키고 각 위험에 대해 개별적으로 다른 반응을 보이는 공중이 어떻게 전문가와 다

르게 위험을 지각하는지를 파악한다(Dobbie amp Brown 2013 Slovic 1992) 이에 따라

위험특성은 자발적인지 친근한지 노출되어 있는지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지

통제 가능한지 인위적인 것인지 발견할 수 있는지 등을 통해 측정되며 또 다른

위험과 비교하여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지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Keller Siegrist amp Gutscher 2006) 특히 전문가는 통계적 데이터나 수

치를 통해 위험을 평가하고 비교하지만 공중의 위험 평가는 광범위하게 질적 요

소 즉 통제 가능한지 또는 새롭거나 빈번하게 발생하는지 등의 위험특성에 기반

하여 결과적으로 얼마나 심각한 상황이나 피해를 유발하는가와 관련된 결과적 심

각성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므로(Jacobs amp Worthley 1999 Kellens et al 2010) 공중

을 대상으로 위험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위험특성을 고려하여 위험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이해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하겠다

더구나 공중은 전문가에 의해 평가된 위험을 잘못 해석하여 위험대상에 대한 잘

못된 신념을 가질 수 있으므로 위험특성을 통해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측정하여

전반적으로 공중의 잘못된 위험지각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Bickerstaff 2004 Dobbie amp Brown 2013 Sjoumlberg Moet amp Rundmo 2004) 이처럼 위험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상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탐색함으로서 공중이 위험대

상을 올바르게 바라보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주

요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연구들은 사람들이 다양한 경험을 통해 위험정보

를 처리하고 이를 통해 형성된 위험특성은 사람들이 위험대상에 대해 얼마나 심

각하게 지각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Sandman Miller Johnson

amp Weinstein 1993 Visschers Meertens Passchier amp de Vries 2007) 국내에서도 자연재해

에 대해 공중이 친근하지 않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지 않으며 발견할 수 없는

위험이라는 주관적 속성(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송해룡김원제 2013) 이처럼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

성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나 국내에서 특정

위험을 대상으로 그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찾아

보기 쉽지 않다 특히 사이버범죄가 최근 사회적으로 심각한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에 대해 어떻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파악한 연구들은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통해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과 그에 다른 결과

적 심각성 지각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1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범

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사람은 어떤 위험의 실재를 인식하고 위험에 대한 민감성을 지각하게 되면 그

위험이 결과적 측면에서 얼마나 심각하고 위험한가를 지각 평가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은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Severtson amp Myers 201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은 사람이 위험대상의 불확실성을

지각할 때 보다 높아지는데 보통 위험대상에 대한 정보를 신뢰할 수 없거나 불완

전하며 또는 혼란스러울 때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이 제공한 정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가 상호 불일치하거나 전문가 간 의견이 상충될 때도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Camerer amp Weber 1992 Han Moser amp Klein 2006 Severtson amp Myers 2013) 이러한 불

확실성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감정은 외부 자극에 의해 단기간에 발생하는 강렬한 심리상태로서

특정 사건이나 인물 혹은 메시지에 대한 평가적 반응(최유진 2014)으로서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감정 특히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본다 이때 공중은 위험을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전반적 위험을 지각하게

되고(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포감과 지각된 위협으로부터 벗어

나기 위해 다양한 행동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위험커뮤니케이션 영역에

서 공포감은 특정 위험요소에 대한 사회적 각성을 촉구하는데 효과적인 감정 요소

(송해룡 2012)로 인식되면서도 지나칠 경우에는 사회적 혼란과 같은 의도치 못한 반

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예컨대

2008년 인간이 광우병에 감염되면 죽음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에서 오는 공포로 인

해 광우병과 인간광우병 간 인과관계가 과학적으로 증명되거나 확립되지 않았음에

도 불구하고 광우병 사태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 갈등과 혼란이 발생하였고(노진철

2009) 2009년에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신종플루로 인해 당시 국내에서 유사환자

및 의심환자의 증가 기존 백신의 부족 및 효과성 문제 신종 백신의 개발 불투명

등 미디어를 통해 선정적이고 경쟁적으로 보도되면서 많은 대중들이 신종플루에

대한 불안과 공포감으로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Dobbie와

Brown(2013)은 공중이 위험대상을 지각하는데 있어 필연적으로 감정을 수반한다고

하였고 Sjoumlberg(2000)도 사람들이 특정 위험대상에 대해 지식이나 신뢰를 포함한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함으로서 두려움이나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결정요인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확장병행과정모델(EPPM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이나 보호동기이론(PMT Protection Motivation Theory)에

서도 공포감과 위험에 대한 지각이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

히 Dobbie와 Brown(2013)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은 위험발생 이전과 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생 이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시사하고 있다 즉 공포감이나 걱정 두려움 등

과 같은 감정은 위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발생하는 반면에 혐오감이나 후회와

같은 감정은 미래에 위험의 결과에 의해 발생되는 감정이라는 것이다 결국 위험

대상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감정에 따라 공중이 위험을 다르게 지각할 수도 있음

을 의미한다 이처럼 공중의 위험지각과 관련된 연구들은 공중이 인식하는 주관적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위험과 관련하여 사람들의 의식과 감정에 초점을 둔다

(Kellens et al 2010) 따라서 위험대상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두

려움이 클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클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2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3) 위험특성과 감정

심리측정 패러다임에서는 위험과 관련하여 공중이 비이성적인 존재가 아님을

강조한다 즉 보통의 공중은 어떤 위험이 자신과 가장 관련이 있는가를 판단할 때

전문가보다 위험을 광범위하게 해석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문가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는 정책입안자들은 위험을 치명적인 결과의 크기에 의한 위험등급을

통해 평가하지만 비전문가인 공중은 질적 측면에서 자발성 즉시성 파국적 재앙

을 유발할 가능성 등과 같은 위험특성을 통해 판단한다는 것이다(Marris Langford

Saunderson amp OrsquoRiordan 1997) 위험특성은 위험대상을 통해 유발되는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Siegrist Keller amp Kiers 2005 Slovic 2001) 위험의 인지

적 과정에 포함되는 위험특성은 개인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의

미하는 개인적 지식 그리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 정도를 뜻하는 사회적 지식

과도 관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식은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유발한다(Dobbie amp

Brown 2013) 즉 두려움은 해당 위험이 얼마나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통제할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수 없으며 비자발적으로 노출되는지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좌보경 외 2013 차용

진 2006) 공중이 위험특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느

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

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3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공포감도 높아질 것이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00명을 할당표집을 통해 추

출하였고 설문조사는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응답자 특성은 다음

의 lt표 1gt에서 제시하였다

lt표 1gt 응답자 특성(N=500)

빈도(N) 비율()

성별남성 249 498

여성 251 502

연령

20대 103 206

30대 114 228

40대 119 238

50대 100 200

60대(이상) 64 128

교육

중학교졸업 36 72

고등학교졸업 217 434

대학교졸업 236 472

대학원재학 7 14

대학원졸업 4 08

2) 측정도구

(1) 위험특성

본 연구에서 위험특성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

성으로 정의하고(송해룡김원제 2013) Ulmber(2001)와 서보윤(2006)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위험특성 문항은 총 7문항의 5점 의미분별척도로 이루어졌

으며 관련 문항은 lsquo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

되는통제되지 않는rsquo lsquo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rsquo lsquo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인rsquo lsquo자연적인인위적인rsquo lsquo오래된새로운rsquo lsquo내가 사는 곳에 있는내가 사는 곳에 없

는rsquo 등이다

(2) 공포감

본 연구에서 공포감은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주관적 감정으로서 불

안이나 걱정 등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욱(2010)이 사용한

공포감 3문항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공포

감 문항은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으며 관련 문항은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 불안 무

서움으로서 구체적으로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rsquo으로 구성하였다

(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본 연구에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위험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범

죄에 대해 주관적으로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

에서는 Slovic Fischhoff와 Lichtenstein(1985)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였다 이 문

항은 위험대상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묻는 단일문항으로서 lsquo제시된 위험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가rsquo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이버범죄는 사이

버테러형 범죄와 일반 사이버범죄로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테

러대응센터(2014)가 분류한 기준을 참조하여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 스팸메일(폭탄메일 포함) 악성코드 주

민번호도용 데이터손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로 인터넷사기 악플 유

해사이트 및 콘텐츠(도박이나 자살 음란 폭탄제조) 잘못된 정보유포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성폭력 사이버스토킹 등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위험에 대해 얼마나 심각하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결과적 심각

성 지각은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

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자료처리를 위해 IBM SPSS 20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

을 활용하였다 우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 평가(χ2 RMR

NFI IFI CFI) 그리고 관측변수에 대한 잠재변수의 효과성 등을 통해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특히 적합도 지수의 평가는 χ2경우에 pgt05 RMR=06 이하 NFI=90 이

상 IFI=90 이상 CFI=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수용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χ2의 경우에 표본의 수에 민감함이 고려되므로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최종 판정하였다(이학식임지훈 2009) 이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내적 일치도(Cronbachrsquos α)를 알아보

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method)과 베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80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51817 df=21 plt001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은 단일요인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요인부하량은 53~68의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는 χ2=3563 plt01 RMR=03

NFI=93 IFI=95 CFI=95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2gt와 같이 잠재변수가 모든 관측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검증이 되었으며 표준화 β값은 43~61의 분포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특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rsquos

alpha 값이 72로 확인되었다

lt표 2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43 -

오래된새로운 58 17 748

자연적인인위적인 61 20 769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44 15 650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48 16 658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되지 않는 59 20 727

자발적으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47 16 665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6: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려지지 않은 위험에 대해서는 보다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성을 위험특성이라고 한다(송해룡김원제 2013) 일반적으로 공중은 위험을 지각하는데 있어 지나치게 과장하는 측면

이 있기 때문에 특정 위험대상을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는 결정요소 즉 위험특성

을 파악하는 것은 사회 내에 위험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키고 위험과 관련된 정치

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Ho Shaw Lin amp

Chiu 2008 Heitz Spaeter Auzet amp Glatron 2009 Kellens Zaalberg Neutens Vanneuville amp

Maeyer 2010)

Slovic과 그의 동료들(Fischhoff Slovic amp Lichtenstein 1982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 의해 개발된 심리측정 패러다임(Psychometric paradigm)은 위험인

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되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통해 위험들을 특성화시

키고 각 위험에 대해 개별적으로 다른 반응을 보이는 공중이 어떻게 전문가와 다

르게 위험을 지각하는지를 파악한다(Dobbie amp Brown 2013 Slovic 1992) 이에 따라

위험특성은 자발적인지 친근한지 노출되어 있는지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지

통제 가능한지 인위적인 것인지 발견할 수 있는지 등을 통해 측정되며 또 다른

위험과 비교하여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지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Keller Siegrist amp Gutscher 2006) 특히 전문가는 통계적 데이터나 수

치를 통해 위험을 평가하고 비교하지만 공중의 위험 평가는 광범위하게 질적 요

소 즉 통제 가능한지 또는 새롭거나 빈번하게 발생하는지 등의 위험특성에 기반

하여 결과적으로 얼마나 심각한 상황이나 피해를 유발하는가와 관련된 결과적 심

각성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므로(Jacobs amp Worthley 1999 Kellens et al 2010) 공중

을 대상으로 위험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위험특성을 고려하여 위험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이해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하겠다

더구나 공중은 전문가에 의해 평가된 위험을 잘못 해석하여 위험대상에 대한 잘

못된 신념을 가질 수 있으므로 위험특성을 통해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측정하여

전반적으로 공중의 잘못된 위험지각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Bickerstaff 2004 Dobbie amp Brown 2013 Sjoumlberg Moet amp Rundmo 2004) 이처럼 위험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상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탐색함으로서 공중이 위험대

상을 올바르게 바라보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주

요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연구들은 사람들이 다양한 경험을 통해 위험정보

를 처리하고 이를 통해 형성된 위험특성은 사람들이 위험대상에 대해 얼마나 심

각하게 지각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Sandman Miller Johnson

amp Weinstein 1993 Visschers Meertens Passchier amp de Vries 2007) 국내에서도 자연재해

에 대해 공중이 친근하지 않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지 않으며 발견할 수 없는

위험이라는 주관적 속성(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송해룡김원제 2013) 이처럼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

성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나 국내에서 특정

위험을 대상으로 그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찾아

보기 쉽지 않다 특히 사이버범죄가 최근 사회적으로 심각한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에 대해 어떻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파악한 연구들은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통해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과 그에 다른 결과

적 심각성 지각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1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범

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사람은 어떤 위험의 실재를 인식하고 위험에 대한 민감성을 지각하게 되면 그

위험이 결과적 측면에서 얼마나 심각하고 위험한가를 지각 평가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은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Severtson amp Myers 201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은 사람이 위험대상의 불확실성을

지각할 때 보다 높아지는데 보통 위험대상에 대한 정보를 신뢰할 수 없거나 불완

전하며 또는 혼란스러울 때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이 제공한 정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가 상호 불일치하거나 전문가 간 의견이 상충될 때도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Camerer amp Weber 1992 Han Moser amp Klein 2006 Severtson amp Myers 2013) 이러한 불

확실성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감정은 외부 자극에 의해 단기간에 발생하는 강렬한 심리상태로서

특정 사건이나 인물 혹은 메시지에 대한 평가적 반응(최유진 2014)으로서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감정 특히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본다 이때 공중은 위험을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전반적 위험을 지각하게

되고(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포감과 지각된 위협으로부터 벗어

나기 위해 다양한 행동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위험커뮤니케이션 영역에

서 공포감은 특정 위험요소에 대한 사회적 각성을 촉구하는데 효과적인 감정 요소

(송해룡 2012)로 인식되면서도 지나칠 경우에는 사회적 혼란과 같은 의도치 못한 반

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예컨대

2008년 인간이 광우병에 감염되면 죽음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에서 오는 공포로 인

해 광우병과 인간광우병 간 인과관계가 과학적으로 증명되거나 확립되지 않았음에

도 불구하고 광우병 사태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 갈등과 혼란이 발생하였고(노진철

2009) 2009년에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신종플루로 인해 당시 국내에서 유사환자

및 의심환자의 증가 기존 백신의 부족 및 효과성 문제 신종 백신의 개발 불투명

등 미디어를 통해 선정적이고 경쟁적으로 보도되면서 많은 대중들이 신종플루에

대한 불안과 공포감으로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Dobbie와

Brown(2013)은 공중이 위험대상을 지각하는데 있어 필연적으로 감정을 수반한다고

하였고 Sjoumlberg(2000)도 사람들이 특정 위험대상에 대해 지식이나 신뢰를 포함한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함으로서 두려움이나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결정요인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확장병행과정모델(EPPM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이나 보호동기이론(PMT Protection Motivation Theory)에

서도 공포감과 위험에 대한 지각이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

히 Dobbie와 Brown(2013)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은 위험발생 이전과 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생 이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시사하고 있다 즉 공포감이나 걱정 두려움 등

과 같은 감정은 위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발생하는 반면에 혐오감이나 후회와

같은 감정은 미래에 위험의 결과에 의해 발생되는 감정이라는 것이다 결국 위험

대상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감정에 따라 공중이 위험을 다르게 지각할 수도 있음

을 의미한다 이처럼 공중의 위험지각과 관련된 연구들은 공중이 인식하는 주관적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위험과 관련하여 사람들의 의식과 감정에 초점을 둔다

(Kellens et al 2010) 따라서 위험대상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두

려움이 클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클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2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3) 위험특성과 감정

심리측정 패러다임에서는 위험과 관련하여 공중이 비이성적인 존재가 아님을

강조한다 즉 보통의 공중은 어떤 위험이 자신과 가장 관련이 있는가를 판단할 때

전문가보다 위험을 광범위하게 해석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문가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는 정책입안자들은 위험을 치명적인 결과의 크기에 의한 위험등급을

통해 평가하지만 비전문가인 공중은 질적 측면에서 자발성 즉시성 파국적 재앙

을 유발할 가능성 등과 같은 위험특성을 통해 판단한다는 것이다(Marris Langford

Saunderson amp OrsquoRiordan 1997) 위험특성은 위험대상을 통해 유발되는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Siegrist Keller amp Kiers 2005 Slovic 2001) 위험의 인지

적 과정에 포함되는 위험특성은 개인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의

미하는 개인적 지식 그리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 정도를 뜻하는 사회적 지식

과도 관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식은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유발한다(Dobbie amp

Brown 2013) 즉 두려움은 해당 위험이 얼마나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통제할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수 없으며 비자발적으로 노출되는지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좌보경 외 2013 차용

진 2006) 공중이 위험특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느

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

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3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공포감도 높아질 것이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00명을 할당표집을 통해 추

출하였고 설문조사는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응답자 특성은 다음

의 lt표 1gt에서 제시하였다

lt표 1gt 응답자 특성(N=500)

빈도(N) 비율()

성별남성 249 498

여성 251 502

연령

20대 103 206

30대 114 228

40대 119 238

50대 100 200

60대(이상) 64 128

교육

중학교졸업 36 72

고등학교졸업 217 434

대학교졸업 236 472

대학원재학 7 14

대학원졸업 4 08

2) 측정도구

(1) 위험특성

본 연구에서 위험특성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

성으로 정의하고(송해룡김원제 2013) Ulmber(2001)와 서보윤(2006)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위험특성 문항은 총 7문항의 5점 의미분별척도로 이루어졌

으며 관련 문항은 lsquo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

되는통제되지 않는rsquo lsquo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rsquo lsquo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인rsquo lsquo자연적인인위적인rsquo lsquo오래된새로운rsquo lsquo내가 사는 곳에 있는내가 사는 곳에 없

는rsquo 등이다

(2) 공포감

본 연구에서 공포감은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주관적 감정으로서 불

안이나 걱정 등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욱(2010)이 사용한

공포감 3문항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공포

감 문항은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으며 관련 문항은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 불안 무

서움으로서 구체적으로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rsquo으로 구성하였다

(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본 연구에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위험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범

죄에 대해 주관적으로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

에서는 Slovic Fischhoff와 Lichtenstein(1985)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였다 이 문

항은 위험대상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묻는 단일문항으로서 lsquo제시된 위험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가rsquo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이버범죄는 사이

버테러형 범죄와 일반 사이버범죄로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테

러대응센터(2014)가 분류한 기준을 참조하여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 스팸메일(폭탄메일 포함) 악성코드 주

민번호도용 데이터손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로 인터넷사기 악플 유

해사이트 및 콘텐츠(도박이나 자살 음란 폭탄제조) 잘못된 정보유포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성폭력 사이버스토킹 등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위험에 대해 얼마나 심각하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결과적 심각

성 지각은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

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자료처리를 위해 IBM SPSS 20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

을 활용하였다 우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 평가(χ2 RMR

NFI IFI CFI) 그리고 관측변수에 대한 잠재변수의 효과성 등을 통해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특히 적합도 지수의 평가는 χ2경우에 pgt05 RMR=06 이하 NFI=90 이

상 IFI=90 이상 CFI=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수용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χ2의 경우에 표본의 수에 민감함이 고려되므로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최종 판정하였다(이학식임지훈 2009) 이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내적 일치도(Cronbachrsquos α)를 알아보

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method)과 베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80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51817 df=21 plt001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은 단일요인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요인부하량은 53~68의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는 χ2=3563 plt01 RMR=03

NFI=93 IFI=95 CFI=95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2gt와 같이 잠재변수가 모든 관측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검증이 되었으며 표준화 β값은 43~61의 분포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특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rsquos

alpha 값이 72로 확인되었다

lt표 2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43 -

오래된새로운 58 17 748

자연적인인위적인 61 20 769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44 15 650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48 16 658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되지 않는 59 20 727

자발적으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47 16 665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7: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상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탐색함으로서 공중이 위험대

상을 올바르게 바라보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주

요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연구들은 사람들이 다양한 경험을 통해 위험정보

를 처리하고 이를 통해 형성된 위험특성은 사람들이 위험대상에 대해 얼마나 심

각하게 지각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Sandman Miller Johnson

amp Weinstein 1993 Visschers Meertens Passchier amp de Vries 2007) 국내에서도 자연재해

에 대해 공중이 친근하지 않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지 않으며 발견할 수 없는

위험이라는 주관적 속성(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송해룡김원제 2013) 이처럼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

성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나 국내에서 특정

위험을 대상으로 그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찾아

보기 쉽지 않다 특히 사이버범죄가 최근 사회적으로 심각한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에 대해 어떻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파악한 연구들은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통해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과 그에 다른 결과

적 심각성 지각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1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범

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사람은 어떤 위험의 실재를 인식하고 위험에 대한 민감성을 지각하게 되면 그

위험이 결과적 측면에서 얼마나 심각하고 위험한가를 지각 평가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은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Severtson amp Myers 201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은 사람이 위험대상의 불확실성을

지각할 때 보다 높아지는데 보통 위험대상에 대한 정보를 신뢰할 수 없거나 불완

전하며 또는 혼란스러울 때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이 제공한 정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가 상호 불일치하거나 전문가 간 의견이 상충될 때도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Camerer amp Weber 1992 Han Moser amp Klein 2006 Severtson amp Myers 2013) 이러한 불

확실성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감정은 외부 자극에 의해 단기간에 발생하는 강렬한 심리상태로서

특정 사건이나 인물 혹은 메시지에 대한 평가적 반응(최유진 2014)으로서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감정 특히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본다 이때 공중은 위험을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전반적 위험을 지각하게

되고(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포감과 지각된 위협으로부터 벗어

나기 위해 다양한 행동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위험커뮤니케이션 영역에

서 공포감은 특정 위험요소에 대한 사회적 각성을 촉구하는데 효과적인 감정 요소

(송해룡 2012)로 인식되면서도 지나칠 경우에는 사회적 혼란과 같은 의도치 못한 반

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예컨대

2008년 인간이 광우병에 감염되면 죽음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에서 오는 공포로 인

해 광우병과 인간광우병 간 인과관계가 과학적으로 증명되거나 확립되지 않았음에

도 불구하고 광우병 사태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 갈등과 혼란이 발생하였고(노진철

2009) 2009년에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신종플루로 인해 당시 국내에서 유사환자

및 의심환자의 증가 기존 백신의 부족 및 효과성 문제 신종 백신의 개발 불투명

등 미디어를 통해 선정적이고 경쟁적으로 보도되면서 많은 대중들이 신종플루에

대한 불안과 공포감으로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Dobbie와

Brown(2013)은 공중이 위험대상을 지각하는데 있어 필연적으로 감정을 수반한다고

하였고 Sjoumlberg(2000)도 사람들이 특정 위험대상에 대해 지식이나 신뢰를 포함한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함으로서 두려움이나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결정요인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확장병행과정모델(EPPM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이나 보호동기이론(PMT Protection Motivation Theory)에

서도 공포감과 위험에 대한 지각이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

히 Dobbie와 Brown(2013)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은 위험발생 이전과 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생 이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시사하고 있다 즉 공포감이나 걱정 두려움 등

과 같은 감정은 위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발생하는 반면에 혐오감이나 후회와

같은 감정은 미래에 위험의 결과에 의해 발생되는 감정이라는 것이다 결국 위험

대상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감정에 따라 공중이 위험을 다르게 지각할 수도 있음

을 의미한다 이처럼 공중의 위험지각과 관련된 연구들은 공중이 인식하는 주관적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위험과 관련하여 사람들의 의식과 감정에 초점을 둔다

(Kellens et al 2010) 따라서 위험대상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두

려움이 클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클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2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3) 위험특성과 감정

심리측정 패러다임에서는 위험과 관련하여 공중이 비이성적인 존재가 아님을

강조한다 즉 보통의 공중은 어떤 위험이 자신과 가장 관련이 있는가를 판단할 때

전문가보다 위험을 광범위하게 해석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문가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는 정책입안자들은 위험을 치명적인 결과의 크기에 의한 위험등급을

통해 평가하지만 비전문가인 공중은 질적 측면에서 자발성 즉시성 파국적 재앙

을 유발할 가능성 등과 같은 위험특성을 통해 판단한다는 것이다(Marris Langford

Saunderson amp OrsquoRiordan 1997) 위험특성은 위험대상을 통해 유발되는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Siegrist Keller amp Kiers 2005 Slovic 2001) 위험의 인지

적 과정에 포함되는 위험특성은 개인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의

미하는 개인적 지식 그리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 정도를 뜻하는 사회적 지식

과도 관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식은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유발한다(Dobbie amp

Brown 2013) 즉 두려움은 해당 위험이 얼마나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통제할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수 없으며 비자발적으로 노출되는지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좌보경 외 2013 차용

진 2006) 공중이 위험특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느

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

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3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공포감도 높아질 것이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00명을 할당표집을 통해 추

출하였고 설문조사는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응답자 특성은 다음

의 lt표 1gt에서 제시하였다

lt표 1gt 응답자 특성(N=500)

빈도(N) 비율()

성별남성 249 498

여성 251 502

연령

20대 103 206

30대 114 228

40대 119 238

50대 100 200

60대(이상) 64 128

교육

중학교졸업 36 72

고등학교졸업 217 434

대학교졸업 236 472

대학원재학 7 14

대학원졸업 4 08

2) 측정도구

(1) 위험특성

본 연구에서 위험특성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

성으로 정의하고(송해룡김원제 2013) Ulmber(2001)와 서보윤(2006)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위험특성 문항은 총 7문항의 5점 의미분별척도로 이루어졌

으며 관련 문항은 lsquo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

되는통제되지 않는rsquo lsquo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rsquo lsquo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인rsquo lsquo자연적인인위적인rsquo lsquo오래된새로운rsquo lsquo내가 사는 곳에 있는내가 사는 곳에 없

는rsquo 등이다

(2) 공포감

본 연구에서 공포감은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주관적 감정으로서 불

안이나 걱정 등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욱(2010)이 사용한

공포감 3문항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공포

감 문항은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으며 관련 문항은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 불안 무

서움으로서 구체적으로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rsquo으로 구성하였다

(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본 연구에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위험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범

죄에 대해 주관적으로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

에서는 Slovic Fischhoff와 Lichtenstein(1985)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였다 이 문

항은 위험대상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묻는 단일문항으로서 lsquo제시된 위험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가rsquo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이버범죄는 사이

버테러형 범죄와 일반 사이버범죄로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테

러대응센터(2014)가 분류한 기준을 참조하여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 스팸메일(폭탄메일 포함) 악성코드 주

민번호도용 데이터손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로 인터넷사기 악플 유

해사이트 및 콘텐츠(도박이나 자살 음란 폭탄제조) 잘못된 정보유포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성폭력 사이버스토킹 등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위험에 대해 얼마나 심각하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결과적 심각

성 지각은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

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자료처리를 위해 IBM SPSS 20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

을 활용하였다 우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 평가(χ2 RMR

NFI IFI CFI) 그리고 관측변수에 대한 잠재변수의 효과성 등을 통해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특히 적합도 지수의 평가는 χ2경우에 pgt05 RMR=06 이하 NFI=90 이

상 IFI=90 이상 CFI=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수용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χ2의 경우에 표본의 수에 민감함이 고려되므로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최종 판정하였다(이학식임지훈 2009) 이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내적 일치도(Cronbachrsquos α)를 알아보

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method)과 베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80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51817 df=21 plt001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은 단일요인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요인부하량은 53~68의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는 χ2=3563 plt01 RMR=03

NFI=93 IFI=95 CFI=95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2gt와 같이 잠재변수가 모든 관측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검증이 되었으며 표준화 β값은 43~61의 분포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특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rsquos

alpha 값이 72로 확인되었다

lt표 2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43 -

오래된새로운 58 17 748

자연적인인위적인 61 20 769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44 15 650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48 16 658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되지 않는 59 20 727

자발적으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47 16 665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8: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가 상호 불일치하거나 전문가 간 의견이 상충될 때도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Camerer amp Weber 1992 Han Moser amp Klein 2006 Severtson amp Myers 2013) 이러한 불

확실성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감정은 외부 자극에 의해 단기간에 발생하는 강렬한 심리상태로서

특정 사건이나 인물 혹은 메시지에 대한 평가적 반응(최유진 2014)으로서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감정 특히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본다 이때 공중은 위험을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전반적 위험을 지각하게

되고(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포감과 지각된 위협으로부터 벗어

나기 위해 다양한 행동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위험커뮤니케이션 영역에

서 공포감은 특정 위험요소에 대한 사회적 각성을 촉구하는데 효과적인 감정 요소

(송해룡 2012)로 인식되면서도 지나칠 경우에는 사회적 혼란과 같은 의도치 못한 반

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예컨대

2008년 인간이 광우병에 감염되면 죽음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에서 오는 공포로 인

해 광우병과 인간광우병 간 인과관계가 과학적으로 증명되거나 확립되지 않았음에

도 불구하고 광우병 사태로 인해 극심한 사회적 갈등과 혼란이 발생하였고(노진철

2009) 2009년에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신종플루로 인해 당시 국내에서 유사환자

및 의심환자의 증가 기존 백신의 부족 및 효과성 문제 신종 백신의 개발 불투명

등 미디어를 통해 선정적이고 경쟁적으로 보도되면서 많은 대중들이 신종플루에

대한 불안과 공포감으로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Dobbie와

Brown(2013)은 공중이 위험대상을 지각하는데 있어 필연적으로 감정을 수반한다고

하였고 Sjoumlberg(2000)도 사람들이 특정 위험대상에 대해 지식이나 신뢰를 포함한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함으로서 두려움이나

공포감이 위험을 지각하는 결정요인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확장병행과정모델(EPPM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이나 보호동기이론(PMT Protection Motivation Theory)에

서도 공포감과 위험에 대한 지각이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

히 Dobbie와 Brown(2013)은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감정은 위험발생 이전과 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생 이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시사하고 있다 즉 공포감이나 걱정 두려움 등

과 같은 감정은 위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발생하는 반면에 혐오감이나 후회와

같은 감정은 미래에 위험의 결과에 의해 발생되는 감정이라는 것이다 결국 위험

대상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감정에 따라 공중이 위험을 다르게 지각할 수도 있음

을 의미한다 이처럼 공중의 위험지각과 관련된 연구들은 공중이 인식하는 주관적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위험과 관련하여 사람들의 의식과 감정에 초점을 둔다

(Kellens et al 2010) 따라서 위험대상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두

려움이 클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클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2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3) 위험특성과 감정

심리측정 패러다임에서는 위험과 관련하여 공중이 비이성적인 존재가 아님을

강조한다 즉 보통의 공중은 어떤 위험이 자신과 가장 관련이 있는가를 판단할 때

전문가보다 위험을 광범위하게 해석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문가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는 정책입안자들은 위험을 치명적인 결과의 크기에 의한 위험등급을

통해 평가하지만 비전문가인 공중은 질적 측면에서 자발성 즉시성 파국적 재앙

을 유발할 가능성 등과 같은 위험특성을 통해 판단한다는 것이다(Marris Langford

Saunderson amp OrsquoRiordan 1997) 위험특성은 위험대상을 통해 유발되는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Siegrist Keller amp Kiers 2005 Slovic 2001) 위험의 인지

적 과정에 포함되는 위험특성은 개인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의

미하는 개인적 지식 그리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 정도를 뜻하는 사회적 지식

과도 관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식은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유발한다(Dobbie amp

Brown 2013) 즉 두려움은 해당 위험이 얼마나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통제할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수 없으며 비자발적으로 노출되는지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좌보경 외 2013 차용

진 2006) 공중이 위험특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느

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

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3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공포감도 높아질 것이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00명을 할당표집을 통해 추

출하였고 설문조사는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응답자 특성은 다음

의 lt표 1gt에서 제시하였다

lt표 1gt 응답자 특성(N=500)

빈도(N) 비율()

성별남성 249 498

여성 251 502

연령

20대 103 206

30대 114 228

40대 119 238

50대 100 200

60대(이상) 64 128

교육

중학교졸업 36 72

고등학교졸업 217 434

대학교졸업 236 472

대학원재학 7 14

대학원졸업 4 08

2) 측정도구

(1) 위험특성

본 연구에서 위험특성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

성으로 정의하고(송해룡김원제 2013) Ulmber(2001)와 서보윤(2006)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위험특성 문항은 총 7문항의 5점 의미분별척도로 이루어졌

으며 관련 문항은 lsquo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

되는통제되지 않는rsquo lsquo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rsquo lsquo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인rsquo lsquo자연적인인위적인rsquo lsquo오래된새로운rsquo lsquo내가 사는 곳에 있는내가 사는 곳에 없

는rsquo 등이다

(2) 공포감

본 연구에서 공포감은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주관적 감정으로서 불

안이나 걱정 등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욱(2010)이 사용한

공포감 3문항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공포

감 문항은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으며 관련 문항은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 불안 무

서움으로서 구체적으로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rsquo으로 구성하였다

(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본 연구에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위험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범

죄에 대해 주관적으로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

에서는 Slovic Fischhoff와 Lichtenstein(1985)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였다 이 문

항은 위험대상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묻는 단일문항으로서 lsquo제시된 위험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가rsquo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이버범죄는 사이

버테러형 범죄와 일반 사이버범죄로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테

러대응센터(2014)가 분류한 기준을 참조하여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 스팸메일(폭탄메일 포함) 악성코드 주

민번호도용 데이터손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로 인터넷사기 악플 유

해사이트 및 콘텐츠(도박이나 자살 음란 폭탄제조) 잘못된 정보유포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성폭력 사이버스토킹 등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위험에 대해 얼마나 심각하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결과적 심각

성 지각은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

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자료처리를 위해 IBM SPSS 20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

을 활용하였다 우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 평가(χ2 RMR

NFI IFI CFI) 그리고 관측변수에 대한 잠재변수의 효과성 등을 통해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특히 적합도 지수의 평가는 χ2경우에 pgt05 RMR=06 이하 NFI=90 이

상 IFI=90 이상 CFI=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수용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χ2의 경우에 표본의 수에 민감함이 고려되므로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최종 판정하였다(이학식임지훈 2009) 이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내적 일치도(Cronbachrsquos α)를 알아보

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method)과 베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80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51817 df=21 plt001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은 단일요인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요인부하량은 53~68의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는 χ2=3563 plt01 RMR=03

NFI=93 IFI=95 CFI=95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2gt와 같이 잠재변수가 모든 관측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검증이 되었으며 표준화 β값은 43~61의 분포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특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rsquos

alpha 값이 72로 확인되었다

lt표 2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43 -

오래된새로운 58 17 748

자연적인인위적인 61 20 769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44 15 650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48 16 658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되지 않는 59 20 727

자발적으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47 16 665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9: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생 이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시사하고 있다 즉 공포감이나 걱정 두려움 등

과 같은 감정은 위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발생하는 반면에 혐오감이나 후회와

같은 감정은 미래에 위험의 결과에 의해 발생되는 감정이라는 것이다 결국 위험

대상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감정에 따라 공중이 위험을 다르게 지각할 수도 있음

을 의미한다 이처럼 공중의 위험지각과 관련된 연구들은 공중이 인식하는 주관적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위험과 관련하여 사람들의 의식과 감정에 초점을 둔다

(Kellens et al 2010) 따라서 위험대상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두려움이나 공포감은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의 두

려움이 클수록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클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2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3) 위험특성과 감정

심리측정 패러다임에서는 위험과 관련하여 공중이 비이성적인 존재가 아님을

강조한다 즉 보통의 공중은 어떤 위험이 자신과 가장 관련이 있는가를 판단할 때

전문가보다 위험을 광범위하게 해석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문가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는 정책입안자들은 위험을 치명적인 결과의 크기에 의한 위험등급을

통해 평가하지만 비전문가인 공중은 질적 측면에서 자발성 즉시성 파국적 재앙

을 유발할 가능성 등과 같은 위험특성을 통해 판단한다는 것이다(Marris Langford

Saunderson amp OrsquoRiordan 1997) 위험특성은 위험대상을 통해 유발되는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Siegrist Keller amp Kiers 2005 Slovic 2001) 위험의 인지

적 과정에 포함되는 위험특성은 개인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도를 의

미하는 개인적 지식 그리고 과학에 의해 알려져 있는 정도를 뜻하는 사회적 지식

과도 관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식은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유발한다(Dobbie amp

Brown 2013) 즉 두려움은 해당 위험이 얼마나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통제할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수 없으며 비자발적으로 노출되는지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좌보경 외 2013 차용

진 2006) 공중이 위험특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느

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

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3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공포감도 높아질 것이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00명을 할당표집을 통해 추

출하였고 설문조사는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응답자 특성은 다음

의 lt표 1gt에서 제시하였다

lt표 1gt 응답자 특성(N=500)

빈도(N) 비율()

성별남성 249 498

여성 251 502

연령

20대 103 206

30대 114 228

40대 119 238

50대 100 200

60대(이상) 64 128

교육

중학교졸업 36 72

고등학교졸업 217 434

대학교졸업 236 472

대학원재학 7 14

대학원졸업 4 08

2) 측정도구

(1) 위험특성

본 연구에서 위험특성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

성으로 정의하고(송해룡김원제 2013) Ulmber(2001)와 서보윤(2006)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위험특성 문항은 총 7문항의 5점 의미분별척도로 이루어졌

으며 관련 문항은 lsquo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

되는통제되지 않는rsquo lsquo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rsquo lsquo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인rsquo lsquo자연적인인위적인rsquo lsquo오래된새로운rsquo lsquo내가 사는 곳에 있는내가 사는 곳에 없

는rsquo 등이다

(2) 공포감

본 연구에서 공포감은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주관적 감정으로서 불

안이나 걱정 등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욱(2010)이 사용한

공포감 3문항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공포

감 문항은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으며 관련 문항은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 불안 무

서움으로서 구체적으로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rsquo으로 구성하였다

(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본 연구에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위험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범

죄에 대해 주관적으로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

에서는 Slovic Fischhoff와 Lichtenstein(1985)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였다 이 문

항은 위험대상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묻는 단일문항으로서 lsquo제시된 위험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가rsquo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이버범죄는 사이

버테러형 범죄와 일반 사이버범죄로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테

러대응센터(2014)가 분류한 기준을 참조하여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 스팸메일(폭탄메일 포함) 악성코드 주

민번호도용 데이터손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로 인터넷사기 악플 유

해사이트 및 콘텐츠(도박이나 자살 음란 폭탄제조) 잘못된 정보유포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성폭력 사이버스토킹 등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위험에 대해 얼마나 심각하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결과적 심각

성 지각은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

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자료처리를 위해 IBM SPSS 20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

을 활용하였다 우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 평가(χ2 RMR

NFI IFI CFI) 그리고 관측변수에 대한 잠재변수의 효과성 등을 통해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특히 적합도 지수의 평가는 χ2경우에 pgt05 RMR=06 이하 NFI=90 이

상 IFI=90 이상 CFI=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수용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χ2의 경우에 표본의 수에 민감함이 고려되므로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최종 판정하였다(이학식임지훈 2009) 이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내적 일치도(Cronbachrsquos α)를 알아보

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method)과 베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80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51817 df=21 plt001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은 단일요인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요인부하량은 53~68의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는 χ2=3563 plt01 RMR=03

NFI=93 IFI=95 CFI=95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2gt와 같이 잠재변수가 모든 관측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검증이 되었으며 표준화 β값은 43~61의 분포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특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rsquos

alpha 값이 72로 확인되었다

lt표 2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43 -

오래된새로운 58 17 748

자연적인인위적인 61 20 769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44 15 650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48 16 658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되지 않는 59 20 727

자발적으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47 16 665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10: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수 없으며 비자발적으로 노출되는지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좌보경 외 2013 차용

진 2006) 공중이 위험특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느

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범죄를 적용하여 다

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3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공포감도 높아질 것이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00명을 할당표집을 통해 추

출하였고 설문조사는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응답자 특성은 다음

의 lt표 1gt에서 제시하였다

lt표 1gt 응답자 특성(N=500)

빈도(N) 비율()

성별남성 249 498

여성 251 502

연령

20대 103 206

30대 114 228

40대 119 238

50대 100 200

60대(이상) 64 128

교육

중학교졸업 36 72

고등학교졸업 217 434

대학교졸업 236 472

대학원재학 7 14

대학원졸업 4 08

2) 측정도구

(1) 위험특성

본 연구에서 위험특성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

성으로 정의하고(송해룡김원제 2013) Ulmber(2001)와 서보윤(2006)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위험특성 문항은 총 7문항의 5점 의미분별척도로 이루어졌

으며 관련 문항은 lsquo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

되는통제되지 않는rsquo lsquo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rsquo lsquo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인rsquo lsquo자연적인인위적인rsquo lsquo오래된새로운rsquo lsquo내가 사는 곳에 있는내가 사는 곳에 없

는rsquo 등이다

(2) 공포감

본 연구에서 공포감은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주관적 감정으로서 불

안이나 걱정 등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욱(2010)이 사용한

공포감 3문항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공포

감 문항은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으며 관련 문항은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 불안 무

서움으로서 구체적으로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rsquo으로 구성하였다

(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본 연구에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위험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범

죄에 대해 주관적으로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

에서는 Slovic Fischhoff와 Lichtenstein(1985)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였다 이 문

항은 위험대상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묻는 단일문항으로서 lsquo제시된 위험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가rsquo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이버범죄는 사이

버테러형 범죄와 일반 사이버범죄로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테

러대응센터(2014)가 분류한 기준을 참조하여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 스팸메일(폭탄메일 포함) 악성코드 주

민번호도용 데이터손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로 인터넷사기 악플 유

해사이트 및 콘텐츠(도박이나 자살 음란 폭탄제조) 잘못된 정보유포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성폭력 사이버스토킹 등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위험에 대해 얼마나 심각하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결과적 심각

성 지각은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

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자료처리를 위해 IBM SPSS 20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

을 활용하였다 우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 평가(χ2 RMR

NFI IFI CFI) 그리고 관측변수에 대한 잠재변수의 효과성 등을 통해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특히 적합도 지수의 평가는 χ2경우에 pgt05 RMR=06 이하 NFI=90 이

상 IFI=90 이상 CFI=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수용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χ2의 경우에 표본의 수에 민감함이 고려되므로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최종 판정하였다(이학식임지훈 2009) 이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내적 일치도(Cronbachrsquos α)를 알아보

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method)과 베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80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51817 df=21 plt001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은 단일요인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요인부하량은 53~68의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는 χ2=3563 plt01 RMR=03

NFI=93 IFI=95 CFI=95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2gt와 같이 잠재변수가 모든 관측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검증이 되었으며 표준화 β값은 43~61의 분포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특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rsquos

alpha 값이 72로 확인되었다

lt표 2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43 -

오래된새로운 58 17 748

자연적인인위적인 61 20 769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44 15 650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48 16 658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되지 않는 59 20 727

자발적으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47 16 665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11: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00명을 할당표집을 통해 추

출하였고 설문조사는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응답자 특성은 다음

의 lt표 1gt에서 제시하였다

lt표 1gt 응답자 특성(N=500)

빈도(N) 비율()

성별남성 249 498

여성 251 502

연령

20대 103 206

30대 114 228

40대 119 238

50대 100 200

60대(이상) 64 128

교육

중학교졸업 36 72

고등학교졸업 217 434

대학교졸업 236 472

대학원재학 7 14

대학원졸업 4 08

2) 측정도구

(1) 위험특성

본 연구에서 위험특성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가치적인 속

성으로 정의하고(송해룡김원제 2013) Ulmber(2001)와 서보윤(2006)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위험특성 문항은 총 7문항의 5점 의미분별척도로 이루어졌

으며 관련 문항은 lsquo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

되는통제되지 않는rsquo lsquo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rsquo lsquo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인rsquo lsquo자연적인인위적인rsquo lsquo오래된새로운rsquo lsquo내가 사는 곳에 있는내가 사는 곳에 없

는rsquo 등이다

(2) 공포감

본 연구에서 공포감은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주관적 감정으로서 불

안이나 걱정 등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욱(2010)이 사용한

공포감 3문항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공포

감 문항은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으며 관련 문항은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 불안 무

서움으로서 구체적으로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rsquo으로 구성하였다

(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본 연구에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위험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범

죄에 대해 주관적으로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

에서는 Slovic Fischhoff와 Lichtenstein(1985)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였다 이 문

항은 위험대상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묻는 단일문항으로서 lsquo제시된 위험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가rsquo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이버범죄는 사이

버테러형 범죄와 일반 사이버범죄로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테

러대응센터(2014)가 분류한 기준을 참조하여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 스팸메일(폭탄메일 포함) 악성코드 주

민번호도용 데이터손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로 인터넷사기 악플 유

해사이트 및 콘텐츠(도박이나 자살 음란 폭탄제조) 잘못된 정보유포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성폭력 사이버스토킹 등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위험에 대해 얼마나 심각하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결과적 심각

성 지각은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

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자료처리를 위해 IBM SPSS 20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

을 활용하였다 우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 평가(χ2 RMR

NFI IFI CFI) 그리고 관측변수에 대한 잠재변수의 효과성 등을 통해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특히 적합도 지수의 평가는 χ2경우에 pgt05 RMR=06 이하 NFI=90 이

상 IFI=90 이상 CFI=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수용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χ2의 경우에 표본의 수에 민감함이 고려되므로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최종 판정하였다(이학식임지훈 2009) 이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내적 일치도(Cronbachrsquos α)를 알아보

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method)과 베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80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51817 df=21 plt001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은 단일요인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요인부하량은 53~68의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는 χ2=3563 plt01 RMR=03

NFI=93 IFI=95 CFI=95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2gt와 같이 잠재변수가 모든 관측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검증이 되었으며 표준화 β값은 43~61의 분포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특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rsquos

alpha 값이 72로 확인되었다

lt표 2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43 -

오래된새로운 58 17 748

자연적인인위적인 61 20 769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44 15 650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48 16 658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되지 않는 59 20 727

자발적으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47 16 665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12: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인rsquo lsquo자연적인인위적인rsquo lsquo오래된새로운rsquo lsquo내가 사는 곳에 있는내가 사는 곳에 없

는rsquo 등이다

(2) 공포감

본 연구에서 공포감은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주관적 감정으로서 불

안이나 걱정 등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욱(2010)이 사용한

공포감 3문항을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공포

감 문항은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으며 관련 문항은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 불안 무

서움으로서 구체적으로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함rsquo lsquo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rsquo으로 구성하였다

(3)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본 연구에서 위험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위험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범

죄에 대해 주관적으로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

에서는 Slovic Fischhoff와 Lichtenstein(1985)이 제시한 문항을 참조하였다 이 문

항은 위험대상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묻는 단일문항으로서 lsquo제시된 위험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가rsquo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이버범죄는 사이

버테러형 범죄와 일반 사이버범죄로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테

러대응센터(2014)가 분류한 기준을 참조하여 사이버테러형 범죄로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 스팸메일(폭탄메일 포함) 악성코드 주

민번호도용 데이터손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로 인터넷사기 악플 유

해사이트 및 콘텐츠(도박이나 자살 음란 폭탄제조) 잘못된 정보유포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성폭력 사이버스토킹 등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위험에 대해 얼마나 심각하

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결과적 심각

성 지각은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점 lsquo전혀 그렇지 않음rsquo에서 5점 lsquo매우 그

러함rsquo의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로 측정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자료처리를 위해 IBM SPSS 20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

을 활용하였다 우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 평가(χ2 RMR

NFI IFI CFI) 그리고 관측변수에 대한 잠재변수의 효과성 등을 통해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특히 적합도 지수의 평가는 χ2경우에 pgt05 RMR=06 이하 NFI=90 이

상 IFI=90 이상 CFI=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수용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χ2의 경우에 표본의 수에 민감함이 고려되므로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최종 판정하였다(이학식임지훈 2009) 이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내적 일치도(Cronbachrsquos α)를 알아보

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method)과 베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80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51817 df=21 plt001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은 단일요인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요인부하량은 53~68의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는 χ2=3563 plt01 RMR=03

NFI=93 IFI=95 CFI=95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2gt와 같이 잠재변수가 모든 관측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검증이 되었으며 표준화 β값은 43~61의 분포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특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rsquos

alpha 값이 72로 확인되었다

lt표 2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43 -

오래된새로운 58 17 748

자연적인인위적인 61 20 769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44 15 650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48 16 658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되지 않는 59 20 727

자발적으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47 16 665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13: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자료처리를 위해 IBM SPSS 20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

을 활용하였다 우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 평가(χ2 RMR

NFI IFI CFI) 그리고 관측변수에 대한 잠재변수의 효과성 등을 통해 타당도를 평가

하였다 특히 적합도 지수의 평가는 χ2경우에 pgt05 RMR=06 이하 NFI=90 이

상 IFI=90 이상 CFI=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수용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χ2의 경우에 표본의 수에 민감함이 고려되므로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최종 판정하였다(이학식임지훈 2009) 이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내적 일치도(Cronbachrsquos α)를 알아보

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method)과 베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80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51817 df=21 plt001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은 단일요인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요인부하량은 53~68의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는 χ2=3563 plt01 RMR=03

NFI=93 IFI=95 CFI=95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2gt와 같이 잠재변수가 모든 관측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검증이 되었으며 표준화 β값은 43~61의 분포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특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rsquos

alpha 값이 72로 확인되었다

lt표 2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43 -

오래된새로운 58 17 748

자연적인인위적인 61 20 769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44 15 650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48 16 658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되지 않는 59 20 727

자발적으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47 16 665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14: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method)과 베리맥스회전(varimax rotation)을 적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먼저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80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51817 df=21 plt001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은 단일요인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항목별

요인부하량은 53~68의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는 χ2=3563 plt01 RMR=03

NFI=93 IFI=95 CFI=95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2gt와 같이 잠재변수가 모든 관측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검증이 되었으며 표준화 β값은 43~61의 분포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특성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rsquos

alpha 값이 72로 확인되었다

lt표 2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사이버범죄

위험특성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43 -

오래된새로운 58 17 748

자연적인인위적인 61 20 769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44 15 650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48 16 658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되지 않는 59 20 727

자발적으로 알려진알려지지 않은 47 16 665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15: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1) 감정 공포감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이버범죄 공포감 측정도구가 3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은 제외하였다

(2)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Kaiser Meyer Olkin을 살펴본 결과 KMO=93 Bartlett 구형성 검정치는

χ2=435145 df=105 plt001로 조사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의 lt표 3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은 일반 사이버범죄(사이버성

폭력 사이버스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컴퓨

터바이러스 개인정보유출 DDoS 공격 해킹 ID도용)로 분류되었으며 설명력은

일반 사이버범죄 5239 사이버테러형 범죄 747 전체 설명력은 5986로 확

인되었다

lt표 3gt 탐색적 요인분석-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변량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

테러형 범죄

사이버성폭력 83 19 73

사이버스토킹 82 24 74

사이버명예훼손 76 29 66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70 35 62

악플 66 39 60

컴퓨터바이러스 20 77 63

개인정보유출 22 73 58

DDoS 공격 28 72 60

해킹 31 71 61

ID도용 39 65 59

eigen value 785 112

of variance 5239 747

cumulative 5239 5986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16: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이버범죄에 대한 적합도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ㅊ=26958 df=34 pg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R=04 NFI=90 IFI=91 CFI=91로 나타나 대부

분의 적합지수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잠재변수가 관측

변수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의 lt표 4gt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잠재

변수(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도 관측변수(잠재변수 구성 개념)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표준화

β값의 분포는 64~85의 수준을 보였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사이버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8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Cronbachs

alpha 값이 84로 분석되었다

lt표 4gt 잠재변수가 관측변수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잠재변수 관측변수 표준 β SE t

일반 사이버범죄

악플 71 - -

유해사이트 72 06 1573

사이버명예훼손 79 06 1640

사이버스토킹 85 05 1692

사이버성폭력 82 06 1653

사이버테러형 범죄

ID도용 75 - -

해킹 77 06 1723

DDoS공격 75 06 1571

개인정보유출 64 06 1374

컴퓨터바이러스 71 06 1480

plt00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주요 측정도구인 위험특성 감정으로서 공포감 그리고 사이버범죄(일

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기술통계를 보면 다음의 lt표 5gt와 같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17: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t표 5gt 기술통계

M SD

위험특성

자발적으로 알려진자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334 95

나에 의해 통제되는통제될 수 없는 346 99

누구에게나 공평한공평하지 않은 333 88

치명적이지 않은치명적인 347 93

자연적인인위적인 360 102

오래된새로운 348 90

내가 사는 곳에 없는내가 사는 곳에 있는 338 93

공포감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 321 85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불안 310 96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할까봐 무서움 345 92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범죄

사이버성폭력 340 83

사이버스토킹 338 78

사이버명예훼손 340 85

유해사이트(도박 자살 음란 폭탄제조) 359 94

악플 355 96

사이버테러

형 범죄

컴퓨터바이러스 371 89

개인정보유출 389 86

DDoS공격 354 87

해킹 357 91

ID도용 353 89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의 lt표 6gt과 같다 위

험특성은 공포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매우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r=08 plt05)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23 plt01)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

(r=27 plt01)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감은 결과적 심각성 지각

차원에서 일반 사이버범죄(r=39 plt01) 사이버테러형 범죄(r=38 plt01)와 각각 정

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반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r=67 plt0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18: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표 6gt 상관관계 분석

위험특성 공포감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일반 사이버 범죄사이버

테러형 범죄

위험특성 -

공포감 08 -

일반 사이버범죄 23 39 -

사이버테러형 범죄 27 38 67 -

plt05 plt01

3) 가설검증

사이버범죄의 위험특성 공포 그리고 사이버범죄(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37856 plt001로 나타나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χ2는 표본의 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머지 적합지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R=04 NFI=90 IFI=94

CFI=94로 나타나 나머지 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의 lt표 7gt에 제시

하였다

lt표 7gt 가설검증

경로 표준β SE t

가설1위험특성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22 09 401

위험특성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33 10 542

가설2공포감rarr 일반 사이버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34

공포감rarr 사이버테러형 범죄 결과적 심각성 지각 48 09 707

가설3 위험특성rarr 공포감 08 07 127

plt05 plt001

가설 1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19: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증한 결과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

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22 t=401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도 높게 지각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위험특성은

표준화 β=33 t=542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이 높

을수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

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lsquo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

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도 높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반 사이버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감은 표준화 β=48 t=734

plt001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포감이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포감은 사이버테

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대해 공포

감은 표준화 β=48 t=707 plt001로 나타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

록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

설 2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lsquo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공포감도 높

을 것rsquo으로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 3은 기각되었다(표준화 β=08

t=127 pgt05)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20: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14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그리고 사이버공간의 확대로 인한 사이버범

죄의 증가 및 지능화에 주목하고 공중이 사이버범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위험특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추가로 사이버범죄에 대해 공중이 느끼는

공포감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

였다 특히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얼마나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

펴보기 위하여 일반 사이버범죄(악플 유해사이트 및 콘텐츠 사이버명예훼손 사이버스토

킹 사이버성폭력)와 사이버테러형 범죄(ID도용 해킹 DDos 공격 개인정보유출 컴퓨터바이

러스)로 분류하여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

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

은 결과는 공중이 사이버범죄를 비자발적이고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에

게 치명적이고 인위적인 위험이라고 인식할수록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

형 범죄를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중은 일반 사이버범죄(표준화 β=22)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표준화 β=33)

에 의한 결과적 심각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나 공중이 개인정보유출이나 컴

퓨터 바이러스 DDoS 공격 해킹 ID도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매우 심각

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

는 사이버범죄는 사이버테러형 범죄보다는 일반 사이버범죄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심각한 것

으로 지각하였다 그 이유는 2009년과 2011년 3월과 4월에 국내 주요 공공기관 및

은행 포털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및 해킹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 사이버범

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의한 사회적 여파 및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21: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9

판단된다(Hardy 2011) 이러한 사이버범죄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

록 그 범죄유형이나 피해를 가늠할 수 없고 개인이나 사회 국가적으로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Kao Wang amp Huang 2010)에서 매우

심각한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이 사이버범죄는 lsquo인위적이며(β=61)rsquo lsquo나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β=59)rsquo lsquo새로운(β

=58)rsquo 위험특성이 높았고 이러한 위험특성이 일반 사이버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향후 공중의 전반적인

사이버범죄에 대한 예방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을 경고하고 관련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철저한 사전 보안의식

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 다양한 범죄행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이버범죄에 대한 피해를 대수롭지 않게 인식하는 태도

나 자신에게는 그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태도는 사이버범죄

에 대한 심각성 지각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이윤호김도우 2011) 따라

서 사이버범죄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피해의 결과적 심각성이 높다는 점을 지속

적으로 홍보하고 그에 따른 보안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

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성폭력이나 사이버스

토킹 사이버명예훼손 유해사이트 악플 등과 같은 일반 사이버범죄 그리고 해킹

이나 컴퓨터바이러스 DDoS공격과 같은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

각한 위험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공포감이 공중의 일반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테러형 범죄에 대한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의미한

다 전술한 것처럼 공중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위험을 해석한다 특히 공중은 위

험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공중의 감정은 공중이 위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onnelly amp Knuth

1998 Lion Meertens amp Bot 2002 MacGregor Slovic amp Morgan 1994) 따라서 공중에게

사이버범죄에 대한 보안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을 lsquo머리로 생각하는 것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22: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15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보다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rsquo 전략적 접근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공포감과 같은 감정은 공중의 예방적인 위험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강조한다 다만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충분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Meijnders

Midden amp Wilke 2001) 물론 적절한 공포감 수준을 어디까지로 봐야 하는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적절한 긴장과 공포감은 특정 위험대상에 대한 공중

및 미디어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정부의 정책적 관리 및 통제를 이끌어낼 수 있

다는 점(Jackson 2006)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에게 알려져 있거나 노출되어 있는 정

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관련 위험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나 사회적 지식 등이 있

어야 그에 따른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나(Dobbie amp Brown 2013) 사이버범죄는 비

교적 새로운 위험 영역에 속하고 공중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은밀하고 지

능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라는 점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

다 이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이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문가의 위험평가와 공중의 위험지각 사이에서 불일치가 발

생하지 않도록 가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당위성과 연결

되는 것이다(Bier 2001)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국가와 사회의 근간

을 무너뜨리고 자칫 파멸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범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위험영역에 속해 있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을 파

악하고 공포감과 연결시킴으로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

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자

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인간의

감정이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공포감만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제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정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23: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1

을 보다 세분화하고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인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탐

색하여 공포감 및 결과적 심각성 지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면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중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을 예측하는데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량엄명용김태웅 (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

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7권 5호 27~35

김영환 (2009)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

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985172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985173 14권 6호 165~171

노진철 (2009)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985172경제와 사회985173 84 158~182

동아일보 (20140116) 사이버 세상 안의 소리 없는 폭력 사이버범죄 httpit

dongacom17116

사이버테러대응센터 (2014) 사이버범죄란 httpwwwctrcgokr

서보윤 (2006) 985172디지털사회의 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KT문화재단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13)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

치는 효과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3권 4호 198~207

송해룡김찬원김원제 (20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동에 대한 수용자의 신

뢰성 연구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29호 115~147

유선욱박계현나은영 (2010)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4권 3호 27~53

이성식 (200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자에 대한 피해인식과 사이버범죄행위 985172피해자학연구985173 12권 2호 161~179

이윤호김도우 (2011) 사이버범죄와 보안의식에 대한 연구 985172산업보안연구학회논

문지985173 2권 2호 3~24

이학식임지훈 (2009) 985172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985173 서울 법문사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24: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15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전용식이종호 (2007)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범죄 인식수준 985172전자상거래학회지985173 8권 2호 81~101

정지범 (2010) 한국인의 위험지각 특성과 지역사회 안전에의 함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17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 (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6권 1호 148~177

좌보경윤문영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특성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이슈를 중심으로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7권 4호 72~109

차용진 (2006) 위험인식 연구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985172한국

정책과학회보985173 10권 4호 181~201

차용진 (2012) 위험인식모형과 원자력위험 심리측정 패러다임 검증 및 적용 985172한국정책학보985173 21권 1호 285~312

최유진 (2014) 공포 혐오감 분노가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 흡연태도 및 금연의도

에 미치는 영향 985172홍보학연구985173 18권 1호 151~187

Bickerstaff K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30(6)

827~840

Bier V M (2001) On the state of the art Risk communication to the public

Reliability Engineering amp system Safety 71(2) 139~150

Camerer C amp Weber M (1992) Recent developments in modeling preferences

Uncertainty and ambigui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5 325~370

Connelly N A amp Knuth B A (1998) Evaluating risk communication

Examining target audience perceptions about four presentation formats for

fish consumption health advisory information Risk Analysis 18 649~659

Dobbie M F amp Brown R R (2013)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ter practitioner Risk

Analysis 1~15

Fischhoff B Slovic P amp Lichtenstein S (1982) Lay foibles and expert

fables in judgements about risk American Statistician 36(3) 240~255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25: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3

Han P K J Moser R P amp Klein W M P (2006) Perceived ambiguity

about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cancer preventability risk and worr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51~69

Hardy K (2011) WWWMDs Cyber-attacks against infrastructure in domestic

anti-terror low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7(2) 152~161

Heitz C Spaeter S Auzet A V amp Glatron S (2009) Local stakeholdersrsquo

perception of muddy flood risk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pproaches A case study in Alsace(France) Land Use Policy 26(2)

443~451

Ho M C Shaw D Lin S Y amp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Jackson J (2006)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26(1) 253~264

Jacobs L amp Worthley R A (1999)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9(2) 225~247

Kao D Y Wang S J amp Huang F F (2010) SoTE Strategy of triple-E on

solving trojan defense in cyber-crime cases Computer Law amp Security

Review 26 52~60

Kellens W Zaalberg R Neutens T Vanneuville W amp Maeyer P D

(2010)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Risk Analysis 31(7) 1055~1068

Keller C Siegrist M amp Gutscher H (2006) The role of the affect and

availability heuristic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26(3) 631~639

Lion R Meertens R M amp Bot I (2002) Priorities in information desire

about unknown risks Risk Analysis 22 765~776

MacGregor D G Slovic P amp Morgan M G (1994) Perception of risks

from electromagnetic fields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risk-

communication approach Risk Analysis 14 815~828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26: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15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Marris C Langford I Saunderson T amp OrsquoRiordan T (1997) Exploring the

lsquopsychometric paradigmrsquo Comparisons between aggregate and individual

analyses Risk Analysis 17(3) 303~312

Meijnders A L Midden C J H amp Wilke H A M (2001) Role of negative

emotion in communication about CO2 risks Risk Analysis 21(5) 955~

966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Sandman P M Miller P M Johnson B B amp Weinstein N D (1993)

Agency communication community outrage and perception of risk

Three simulation experiments Risk Analysis 13 585~598

Severtson D J amp Myers J D (2013) The influence of uncertain map

features on risk beliefs and perceived ambiguity for maps of modeled

cancer risk from air pollution Risk Analysis 33(5) 818~837

Siegrist M keller C amp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 Analysis 25(1)

211~222

Sjoumlberg L (2000) The methodology of risk perception research Quality and

Quantity 34(4) 407~4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in risk perception research

Trondheim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lovic P (1992) Perception of risk Reflections on the psychometric paradigm

(117~152) In S Krimsky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Westport London Praeger

Slovic P (2001) the risk gam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6 17~24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 183~203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27: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55

Slovic P Fischhoff B amp Lichtenstein S (1985) Characterizing perceived

risk In R W Kates C Hohenemser amp J X Kasperson (Eds)

Perilous progress Managing the hazards of technology (91~125)

Boulder CO Westview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Fort Worth Harcourt Brace

Ulmer R R (2001)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rough established stakeholder

relationship malden mills as a case stud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4) 590~615

Visschers V H M Meertens R M Passchier W F amp de Vries N K

(2007)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Risk Analysis 27(3) 715~727

투고일 20140207 수정일 20140318 게재확정일 20140325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
Page 28: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shb.skku.edu/_res/riskcomm/etc/13.pdf · 표적으로 2009년 한국과 미국의

15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32호)

ltAbstractgt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Hae-Ryong S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Chan-Won Kim(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Won-Je Kim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rsquo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

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rsquo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rsquo fear on cyber crime

(Key words cyber crime risk characteristic fear severity of consequences)

  • 요약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 3) 위험특성과 감정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4 연구결과
            •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3) 가설검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ltAbstractg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