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통권29, 2013. 6. 30. 115~147.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 -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송해룡(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김찬원(성균관대학교 SSK연구팀 연구원)*** 김원제(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그리고 위험인식이 제도적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결과 를 중심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의 미디어의존은 위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쳐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태도는 위험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쳐 원자력기술에 대 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 도적 신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쳐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 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미디어의존, 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원자력기술 *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비)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330-2011-1-B00228) ** 주저자 : [email protected] *** 공저자 :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email protected]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통권29호 2013 6 30 115~147쪽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

-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을 중심으로1)

송해룡(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김찬원(성균관대학교 SSK연구팀 연구원)

김원제(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그리고 위험인식이 제도적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결과

를 중심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의 미디어의존은 위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쳐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태도는 위험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쳐 원자력기술에 대

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

도적 신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쳐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

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미디어의존 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원자력기술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330-2011-1-B00228)

주저자 imokwgdaumnet

공저자 ares6357navercom

교신저자 wonje5daumnet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Ⅰ 서 론

21세기 위험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lsquo위험rsquo과 lsquo안전rsquo의 문제는

핵심 이슈 중 하나이다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위험 주제에 대해 많은 학문

적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위험 주제는 모호한 것이 많다 예를 들

어 의학이나 화학 산업의 발달에 따른 의약품의 증가 생활수준에 크게 영

향을 받는 환경 위생의 개선 등은 건강 차원에서 볼 때 예전에 비해 인간

삶의 안전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 물론 근대적인 기술과 조직에 종속

되어 있지만 우리는 자연재앙이나 재난과 관련해서는 예전에 비해 훨씬 더

안전한 상황에서 살아가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현대사회가 과거와 비

교하여 더 안전한 사회라고 주장할 수 있으나 lsquo현대사회가 안전한 사회인

가rsquo라고 묻는다면 우리는 확신을 가지고 안전한 사회라고 답변하기가 쉽

지 않을 것이다 그 이유는 사람들마다 특정 기술을 lsquo위험rsquo 또는 lsquo안전rsquo하다

고 평가를 내릴 수 있는 기준이 다르고 그 기준도 개인적 경제적 사회적

가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2011년 3월에 발생한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에 세계적으로 원

자력발전소에 대한 위험논쟁이 가열되었고 국내의 경우도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대해 시민단체 및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회의적인 반응이 쏟아져

나오면서 원자력발전소 유지에 대한 찬반논쟁이 확산 심각한 사회적 갈등

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현재의 원자력관련 위험은 더 이상 통제의

대상 즉 객체로 머물지 않고 불안과 두려움이 결합되어 새로운 갈등을 유

발하는 위험으로 다가온다 이는 위험이 사람들의 관념 속에서 해석되기

때문에 때론 과장되거나 축소되면서 왜곡된 해석이 사실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위험의 진행 과정에서 또 다른 위험과 결합하여 새로운

위험을 만들어 냄으로써 회복불능 상황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확산시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17

기도 한다(조성경 2012)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그 동안 원자력기술에

대해 국내의 공중이 가졌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같은 위험인식을

실제적 위험으로 받아들이게 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국제설

문조사 기관인 IPSOS는 2011년 5월에 24개국을 대상으로 후쿠시마 원전사

고 이후 여론을 조사한 결과 한국에서는 66의 국민들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를 계기로 원자력 발전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슷한 시기에 일본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핵발전소 주요 가

동국인 일본 미국 프랑스 한국 독일 중국 러시아를 대상으로 2011년 5

월 한 달 동안 전화를 이용하여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은 조사대상

자의 82가 자국에서 원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원

전건설을 확대해야 한다는 사람들도 13에 불과해 2010년 459와 비교하

여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진상현 2012) 여기에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을

보다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즉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국내 공중의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시각은 과거에 비해 현저하게 부정적으

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낙

인효과에 의한 두려움이나 불안감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통해 증폭됨으로

써 강화되기도 하지만 미디어의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가 공중의 두려

움이나 불안감을 증폭시키는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특히 미디어의 원자력에 대한 부정적 프레이밍은 원자력발전소의 위험

성에 대한 극단적 공포로 이어지고 나아가 원자력 관련 기술의 과학적 실

제적 안전성과는 상관없이 원자력을 무조건 반대하도록 만든다 이는 쓰레

기 매립장이나 화장장과 같은 님비시설들과는 달리 원자력발전소는 사고의

위험성과 환경 피해에 대한 엄청난 두려움이 사람들의 인식 속에 구성된

이미지로 매우 강력히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심준섭김지수 2011) 이런 측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면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어떻게 보도하느냐의 문제는 위험커뮤니케이션 분

야에서도 매우 중요한 영역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송해룡이윤경 2013)

원자력 안전사고는 방사선 피폭에 대한 공중의 불안과 민감한 반응을 불

러일으킨다 과학기술계에서는 경제적 차원에서 충분히 기술적으로 위험의

통제가 가능하다고 보지만 수용자 층에서는 사회적 수용능력 차원의 가치

문제로 인식하기 때문에 단순한 경제적 문제를 넘어서는 심리적 사회문화

적인 문제로 이해되기 때문이다(진달용고영준 2012) 그러므로 원자력 안전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 미디어가 관련 위험을 어떻게 보도하느냐에 따라

공중의 심리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위험인식이나 평가가 달라질 가능

성이 높다 여기서 미디어가 특정 위험에 대해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

태도를 보인다는 것은 백선기와 이옥기(2011)의 연구를 통해 살펴볼 수 있

는데 보도내용이 자극적인 표현을 통해 선정적으로 재난을 묘사하는데 치

중하는가 사실관계에 대한 전문성이 결여되었는가 사태에 대한 심층적이

고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는가 추론적이고 부정확한 자체 통계조사를

인용하고 있는가 컬러를 사용하여 피해 현장의 모습을 극적으로 보여주거

나 그래픽과 사진을 합성하여 극적인 사진 위주로 보도하는가의 여부와 밀

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김인숙(2012)은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국내의

미디어가 lsquo일본침몰rsquo lsquo초토화rsquo lsquo경악rsquo lsquo최악rsquo 등 강력하고 자극적인 제목의

헤드라인 기사를 연일 보도하여 객관적인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대중들

에게 공포심을 증폭시켰다고 비판하였고 한동섭 등(2004)은 원자력 발전소

관련 보도가 대부분 사건 사고 갈등 중심이고 해설 등 충분한 정보의 제

공이 미흡하며 원자력 안전기술과 규제 등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여 국민들

의 불신감이 점점 심화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처럼 대부분의 사회구성원들은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을 인식하는데 이때 미디어가 핵심적인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19

역할을 수행한다 미디어는 위험사건을 어느 정도 크기로 보도할 것인지

그 위험의 특징을 어떻게 묘사할 것이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과

집단의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여러 연구들(박희제 2004

Kasperson Jhaven amp Kasperson 2001)에 의하면 미디어는 보통 드물게 발생하

는 혹은 드라마틱한 위험을 기사거리로 인식하고 이러한 위험을 선택적으

로 부각시켜 그 사회 내에서 위험을 증폭(risk amplification)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미디어의 경향이 공중의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리고 lsquo익숙하지 않은rsquo

위험과 결합될 때 공중의 위험인식은 더욱 더 증폭된다(Gregory amp Satterfield

2002) 예컨대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국내 공중의 위험인

식을 보다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원자력기술에 대해 공중

이 가졌던 기존의 위험과 미디어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위험보도 이로 인

해 공중이 느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하겠다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우리사회에서도 원자력발전소 존폐

와 관련된 사회적 논쟁이 부각되고 나아가 이명박 정부의 추가적인 원자력

발전소 건설 천명이 맞물려지면서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찬반논쟁은 사회적

갈등으로 확산되기도 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찬반 논쟁 및 갈등은 잠

재적 위험과 사회적 이익이라는 기대 가치가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나타난

문제이다 하지만 공중의 입장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이나 공포감

은 잠재적인 위험과 생존의 문제로 직결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원자력기

술에 대한 사회적 이익 차원의 접근은 별다른 위험인식의 변화를 이끌어내

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부 및 원자력기술 관련 기관과 공중 간의 원자력기술에 대

한 첨예한 대립의 원인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분명한 사실은 공중이

비합리적으로 원자력기술에 대해 평가를 내리고 관련 기술의 장점과 사회

적 편익의 관점은 도외시한 체 위험인식을 감성적으로 한다는 점이다 송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해룡과 김원제(2005)는 미디어가 원자력기술 관련 사고나 사건 등에 대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에 초점을 맞춰 비난이나 공포와 같은 비기술적 측면의

심각성과 위험성을 부각시킨다고 하였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 비난 또는 공포와 같은 감정적 측면의 보도는 공중으로 하여금 위험을

비합리적으로 판단하게 하고 특정 위험에 대해 과대평가하도록 하는데 영

향을 미치고 특정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 가능한 가치인 사회적 국가적 이

익이라는 가치 지향적 판단을 불가능하게 만드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이 공중의 미디어 의존과 위험인식의 관계는 상호 밀접한 관련

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에서 실증적 차원의 측정이 이루어진 예는

흔치 않다 일반적으로 미디어의존이론은 개인이 특정 정보에 대한 미디어

의존이 높을수록 미디어가 제공하는 메시지 효과도 높음을 제안한다(Ball-

Rokeach amp Defleur 1976) Ball-Rokeach(1985)는 특정한 위기상황에서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 잘 모르거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지

잘 모르는 애매모호한 상황일 때 그리고 잠재적으로 위협을 느끼는 상황일

때 미디어의존이 높아짐을 강조한 바 있다

이는 미디어가 특정한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에 대한 lsquo실재감rsquo을 구

축하고 평상시 상황보다 특정한 위기상황일 때 공중의 미디어에 대한 의

존이 보다 강력해짐을 시사한다 관련 연구들(Ball-Rokeach Rokeach amp Grube

1984 Loges 1994)도 특정 위기상황이 매우 높거나 불확실성이 높을 때 미디

어의존 정도가 훨씬 높아짐을 보고하였다(Lyu 2012) 이러한 선행연구들에

입각하여 원자력발전소나 관련 시설물 등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존은

원자력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공중의 위험인식 등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

과 사회적 논쟁의 이면에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 여부가 가장 커다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1

쟁점이고 안전성은 제도권에 대한 신뢰성과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

을 수 없다 이상과 같은 논의에서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

과 수용성 측면에서 공중의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의 미디어의존과 그에 따

른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그리고 제도적 신뢰성의 관

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Ⅱ 이론적 논의

1 위험인식

구소련의 체르노빌이나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공중의 원자력기술

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키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 동안 원자력기술

의 필요성을 주장한 핵심 담론은 lsquo사회적 이익 대비 비용과 편익rsquo lsquo위험발

생 가능성의 확률적 평가를 통한 안전성rsquo을 강조하여 왔다 그러나 공중은

여전히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번에 발생한 일본

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그 동안 존재했던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불신

을 더욱 더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는 전문가의 객관적 확률 및

평가나 경제지향적 관점에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 특정 위험에 대한 인식이나

수용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물론 일부 연구자들(Costa-Font

amp Mossialos 2005 2007)은 대부분의 공중들이 위험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가

지고 있지 않으며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에 대한 다양한 이익들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이른바 과학적 불확실성 때문에 lsquo비용과 편

익rsquo이라는 측면에서 특정 기술에 대한 효용성을 통해 다양한 의사결정을 내

리게 된다고 강조하였다 하지만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의 경우 예

를 들어 유전자기술과 같은 경우에는 그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경험이

나 근거가 부족하거나 전혀 없기 때문에 lsquo개발 및 상용화rsquo(Gaskell Alum Wagner

Kronberger Torgensern Hampel amp Bardes 2004)에 따른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라는 측

면을 통해 의사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이미 여러 번의 원전사고

경험과 미디어 보도를 통해 그 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감을 가지고 있

어 그 위험성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은 위험성을 결정하고 수용하는 핵심요소로 발휘되기는 힘들다 따라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3

서 원자력기술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부각되는 부분이 바로 현재 원자력기

술에 대해 형성되어 있는 공중의 위험인식이다 김영욱(2008)이 주장하듯

현 상황에서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 위험

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통찰이 없다면 원자력기술에 대한 사회

적 논쟁은 영원히 피할 수 없다

Slovic(1987)은 개인이 인식하는 위험들은 제공된 객관적 위험정보와 자

주 상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인지적 편향성은 개인의 위험인식을 형성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개인의 위험인식은 정보를 통한 가능성에

의해 평가되기보다는 질적인 측면에서 주관적 평가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가 많다는 것이다(Costa-Font amp Mossialos 2007) 그러므로 공중과 전문가들이

특정 위험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거나 평가할 때 적용하는 기준은 다르다

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여러 선행연구들(Slovic 1987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서도 나타나 있는데 특정 위험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

식은 경험 신념 상상력이나 감정적인 측면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

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을 구성하는 심리적 요소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는 것이다 즉 공중에게 위험이라는 것은 주관적 느낌으로 지각되기 때문

에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없고 개인의 경험이나 감정에 의해 달라지기 때

문에 과학적 지식에 의한 계산을 통해 위험성을 평가하는 전문가의 객관적

위험인식과는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Covello amp Sandman 2001 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이에 따라 위험인식은 경험이나 감정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이 어떤 경

로를 통해 형성되는가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여러 선행연구들(Rundmo amp Moen 2006 Rundmo Nordfjaeligrn Iversen Oltedal

amp JOslashrgensen 2011)에 의하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성과 매우 밀

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위험인식 자체가 특정 위험이 발생할 경우에 야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기되는 결과가 얼마나 큰 파멸적 재앙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심각성 평가를

통해 예측되기 때문이다(Sjoumlberg Moen amp Rundmo 2004) 공중은 원자력기술

과 관련된 여러 파멸적 재앙들 예를 들면 2차 대전 때 일본의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 원전사고인 구소련의 체르노빌 미국의 쓰리마

일 섬 일본의 후쿠시마 등의 사례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과 공

포감이 사전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인식은 다양한 정보소스를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미디어의 보도에 의존하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방식과 매우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

성과 관련이 있는데 미디어 보도는 공중의 심각성을 높이는데 일정한 영향

을 미친다

사건의 결과로부터 발생하는 심각성은 뉴스 가치와 관련하여 볼 때 전

통적인 저널리즘의 핵심 기준이 된다 위험에 대한 기술적 비기술적 심각

성을 설명하기 위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서 미디어

는 그 위험성이나 심각성을 증폭시킨다 특히 위험기사에 있어서 보도의

대부분은 비난 공포 등과 같이 비기술적 이슈인 lsquo불법행위rsquo에 초점을 맞추

는 경향이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미디어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난과 공포

중심의 보도는 공중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자극을 유발한다 일본의 후쿠

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국내 미디어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를

하였고(백선기이옥기 2011) 미국의 쓰리마일 섬 원전사고(Three Miles Island

Accident)에 대한 뉴스보도를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공포적인 것으로 받아

들였다고 보고한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Salomone amp Sandman 1991)에서 미

디어의 감정적 접근을 통한 심각성 조장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5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은 어떤 경로를 통하든 이미 사전에

형성되어 있는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로 인한 심각성에 영향을 받는다

물론 미디어는 공중에게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효과를 유발

하면서도 관련 지식의 습득을 위한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공

중은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나 재난 사고 질병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 위험에 대한 인지적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상황에 대한 판단을

위해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 그러므로 미디어는 위험을 보도할 때

국민들에게 미칠 충격을 고려한 신중한 보도와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도록

심층적인 접근의 자세가 필요하다 즉 언론은 원자력과 관련된 다양한 소

재를 발굴하여 원자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그리고 장점과 단점에

대해 균형적으로 소개하면서 합리적 해결방안을 도출하도록 공개장적 기능

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한동섭 외 2004) 그러나 과연 미디어가 공중이 상황

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재난보도와 관련하여 미디어는 지나치게 선

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로 객관적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공중에게 공포

심을 증폭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김인숙 2012 노진철 2004)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미디어의 보도는 여러 연구들의 조사에서도 일관되

게 증명되고 있는데(Greenberg Sachsman Sandman amp Salome 1989 Kasperson

Jhaveri amp Kasperson 2001) 원자력과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주로 사건 사고

나 갈등 중심이었고 미국 네트워크 텔레비전의 저녁뉴스를 분석한 연구에

서도 환경관련 뉴스는 대형 화학물질 유출사건과 같이 예상치 못한 극적인

재난들과 연관된 것에 초점을 맞추었고 특정한 사건 사고에 대해 얼마만

큼 보도를 할 것이며 어떤 소재와 언어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위험을 극대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한동섭김형일 2011) 특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히 원자력 문제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기억이 오래 가기 때문에 원자력 관련 사고가 빈도는 매우 낮

지만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해당 기술에 대해 비정상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는 강한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신호는 위험인식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에 의해 확산되어 부정적인 이미지와 인

식을 고착시키고 결국 공중으로 하여금 회피하게 만든다는 것이다(한동섭김형일 2011) 이러한 연구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그 동안 형성되어 왔던

위험인식이 미디어 보도를 통해 증폭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험커뮤니케

이션 증폭모델에서도 잘 드러나 있는데 이 모델은 특정 위험에 대한 미디

어의 집중적인 보도와 이에 반응하는 대중들의 높은 관심 그리고 각 사회

기관들의 집중도와 이에 따른 전반적인 결과는 lsquo사회적으로 증폭된(socially

amplified)rsquo 것으로 본다 즉 어떠한 결정적인 위험 관련 이슈에 대한 사건

사고나 그에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대상이 뭔가 lsquo비정상적인 위험(abnormal

risk)rsquo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에 해당 장소나 물품 혹은 연관

된 기술에 관한 부정적 이미지를 생산 사회적 인지도를 획득하게 되는 결

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허인서 2004) 그러므로 미디어의 위험보도는 관련

위험자체를 보다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후쿠시마

와 같은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미디어의 증폭된 위험신호에 의해 공

중의 인식적 행동적 변화가 보다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한편 개인의 위험판단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미디어 의존이론(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을 들 수 있다 미디어 의존

이론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내용이 개인의 목적달성과 일치할 때 개인은 미

디어에 의존하게 되며 이럴 경우 미디어의 효과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남을

강조한다 즉 미디어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인식될 경우 수

용자는 그 메시지에 의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 메시지에 영향을 받게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7

된다는 논리이다(차동필 2011) 특히 미디어 의존이론에서는 수용자들이 그

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하고 미디어의 메시지는 수용

자들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김진영

2003) 사실 미디어 의존이론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정보제공은

공중으로 하여금 원자력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성 증가에 있어서 지식의 역할

이 강조되기도 한다 Sjoumlberg와 Drottz-Sjoumlberg(1991)는 원자력과 관련된 지

식이 원자력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명확히 밝혀

진 것은 아니다(Connor amp Siegrist 2010) 다만 원자력에 관한 지식이 있는 사

람들은 신뢰와 위험인식 그리고 지각된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태도를 결정하는 반면에 원자력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오로지 신뢰에 의

존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이현주이영애 2011) 또한 지

식이 교육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정도에 따라 위험인식

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공중

의 관점도 위험인식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그 동안

위험관련 연구들은 정작 수용자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를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 이상의 관점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

식은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이다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위험연구의 또 다른 측면에서 비

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뢰이다 이는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위

험에 대한 인식이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다른 세계관이나 이질적인

감정적 경험과 반응 또는 상이한 사회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전문가나 위험관리 기관이나 기업 등을 신뢰한다면 위험인식 차원을 넘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

성경 2012)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위험갈등이나 위험논쟁은 대부분 의혹이

나 불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자력기술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의 신뢰 문제는 단순히 위험인식 영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위험

평가나 위험관리 위험예방 나아가 lsquo성찰rsquo을 통한 위험사회의 극복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위험 수용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연구는 수용을 타인과 관련한 감정적인

상호 관계로 이해한다 즉 사람과 어떠한 대상의 관계 영역에서 감정적 요

인은 당연히 고려되는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자들은 위

험수용에 대한 설명 및 진단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요인을 크게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lsquo신뢰성rsquo을 위험 수용의 근본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신뢰성은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들에 대해 갖는 확신의 수

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전 건립이나 수용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근

본적 이유는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안전성 문제 그

리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송해룡김원제 2012

Cha 2000)

한편 사회적인 영향의 핵심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인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여러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송해룡김원제 2012 Slovic Flynn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2: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Ⅰ 서 론

21세기 위험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lsquo위험rsquo과 lsquo안전rsquo의 문제는

핵심 이슈 중 하나이다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위험 주제에 대해 많은 학문

적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위험 주제는 모호한 것이 많다 예를 들

어 의학이나 화학 산업의 발달에 따른 의약품의 증가 생활수준에 크게 영

향을 받는 환경 위생의 개선 등은 건강 차원에서 볼 때 예전에 비해 인간

삶의 안전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 물론 근대적인 기술과 조직에 종속

되어 있지만 우리는 자연재앙이나 재난과 관련해서는 예전에 비해 훨씬 더

안전한 상황에서 살아가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현대사회가 과거와 비

교하여 더 안전한 사회라고 주장할 수 있으나 lsquo현대사회가 안전한 사회인

가rsquo라고 묻는다면 우리는 확신을 가지고 안전한 사회라고 답변하기가 쉽

지 않을 것이다 그 이유는 사람들마다 특정 기술을 lsquo위험rsquo 또는 lsquo안전rsquo하다

고 평가를 내릴 수 있는 기준이 다르고 그 기준도 개인적 경제적 사회적

가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2011년 3월에 발생한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에 세계적으로 원

자력발전소에 대한 위험논쟁이 가열되었고 국내의 경우도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대해 시민단체 및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회의적인 반응이 쏟아져

나오면서 원자력발전소 유지에 대한 찬반논쟁이 확산 심각한 사회적 갈등

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현재의 원자력관련 위험은 더 이상 통제의

대상 즉 객체로 머물지 않고 불안과 두려움이 결합되어 새로운 갈등을 유

발하는 위험으로 다가온다 이는 위험이 사람들의 관념 속에서 해석되기

때문에 때론 과장되거나 축소되면서 왜곡된 해석이 사실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위험의 진행 과정에서 또 다른 위험과 결합하여 새로운

위험을 만들어 냄으로써 회복불능 상황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확산시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17

기도 한다(조성경 2012)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그 동안 원자력기술에

대해 국내의 공중이 가졌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같은 위험인식을

실제적 위험으로 받아들이게 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국제설

문조사 기관인 IPSOS는 2011년 5월에 24개국을 대상으로 후쿠시마 원전사

고 이후 여론을 조사한 결과 한국에서는 66의 국민들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를 계기로 원자력 발전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슷한 시기에 일본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핵발전소 주요 가

동국인 일본 미국 프랑스 한국 독일 중국 러시아를 대상으로 2011년 5

월 한 달 동안 전화를 이용하여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은 조사대상

자의 82가 자국에서 원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원

전건설을 확대해야 한다는 사람들도 13에 불과해 2010년 459와 비교하

여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진상현 2012) 여기에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을

보다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즉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국내 공중의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시각은 과거에 비해 현저하게 부정적으

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낙

인효과에 의한 두려움이나 불안감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통해 증폭됨으로

써 강화되기도 하지만 미디어의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가 공중의 두려

움이나 불안감을 증폭시키는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특히 미디어의 원자력에 대한 부정적 프레이밍은 원자력발전소의 위험

성에 대한 극단적 공포로 이어지고 나아가 원자력 관련 기술의 과학적 실

제적 안전성과는 상관없이 원자력을 무조건 반대하도록 만든다 이는 쓰레

기 매립장이나 화장장과 같은 님비시설들과는 달리 원자력발전소는 사고의

위험성과 환경 피해에 대한 엄청난 두려움이 사람들의 인식 속에 구성된

이미지로 매우 강력히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심준섭김지수 2011) 이런 측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면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어떻게 보도하느냐의 문제는 위험커뮤니케이션 분

야에서도 매우 중요한 영역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송해룡이윤경 2013)

원자력 안전사고는 방사선 피폭에 대한 공중의 불안과 민감한 반응을 불

러일으킨다 과학기술계에서는 경제적 차원에서 충분히 기술적으로 위험의

통제가 가능하다고 보지만 수용자 층에서는 사회적 수용능력 차원의 가치

문제로 인식하기 때문에 단순한 경제적 문제를 넘어서는 심리적 사회문화

적인 문제로 이해되기 때문이다(진달용고영준 2012) 그러므로 원자력 안전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 미디어가 관련 위험을 어떻게 보도하느냐에 따라

공중의 심리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위험인식이나 평가가 달라질 가능

성이 높다 여기서 미디어가 특정 위험에 대해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

태도를 보인다는 것은 백선기와 이옥기(2011)의 연구를 통해 살펴볼 수 있

는데 보도내용이 자극적인 표현을 통해 선정적으로 재난을 묘사하는데 치

중하는가 사실관계에 대한 전문성이 결여되었는가 사태에 대한 심층적이

고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는가 추론적이고 부정확한 자체 통계조사를

인용하고 있는가 컬러를 사용하여 피해 현장의 모습을 극적으로 보여주거

나 그래픽과 사진을 합성하여 극적인 사진 위주로 보도하는가의 여부와 밀

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김인숙(2012)은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국내의

미디어가 lsquo일본침몰rsquo lsquo초토화rsquo lsquo경악rsquo lsquo최악rsquo 등 강력하고 자극적인 제목의

헤드라인 기사를 연일 보도하여 객관적인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대중들

에게 공포심을 증폭시켰다고 비판하였고 한동섭 등(2004)은 원자력 발전소

관련 보도가 대부분 사건 사고 갈등 중심이고 해설 등 충분한 정보의 제

공이 미흡하며 원자력 안전기술과 규제 등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여 국민들

의 불신감이 점점 심화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처럼 대부분의 사회구성원들은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을 인식하는데 이때 미디어가 핵심적인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19

역할을 수행한다 미디어는 위험사건을 어느 정도 크기로 보도할 것인지

그 위험의 특징을 어떻게 묘사할 것이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과

집단의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여러 연구들(박희제 2004

Kasperson Jhaven amp Kasperson 2001)에 의하면 미디어는 보통 드물게 발생하

는 혹은 드라마틱한 위험을 기사거리로 인식하고 이러한 위험을 선택적으

로 부각시켜 그 사회 내에서 위험을 증폭(risk amplification)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미디어의 경향이 공중의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리고 lsquo익숙하지 않은rsquo

위험과 결합될 때 공중의 위험인식은 더욱 더 증폭된다(Gregory amp Satterfield

2002) 예컨대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국내 공중의 위험인

식을 보다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원자력기술에 대해 공중

이 가졌던 기존의 위험과 미디어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위험보도 이로 인

해 공중이 느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하겠다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우리사회에서도 원자력발전소 존폐

와 관련된 사회적 논쟁이 부각되고 나아가 이명박 정부의 추가적인 원자력

발전소 건설 천명이 맞물려지면서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찬반논쟁은 사회적

갈등으로 확산되기도 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찬반 논쟁 및 갈등은 잠

재적 위험과 사회적 이익이라는 기대 가치가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나타난

문제이다 하지만 공중의 입장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이나 공포감

은 잠재적인 위험과 생존의 문제로 직결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원자력기

술에 대한 사회적 이익 차원의 접근은 별다른 위험인식의 변화를 이끌어내

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부 및 원자력기술 관련 기관과 공중 간의 원자력기술에 대

한 첨예한 대립의 원인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분명한 사실은 공중이

비합리적으로 원자력기술에 대해 평가를 내리고 관련 기술의 장점과 사회

적 편익의 관점은 도외시한 체 위험인식을 감성적으로 한다는 점이다 송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해룡과 김원제(2005)는 미디어가 원자력기술 관련 사고나 사건 등에 대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에 초점을 맞춰 비난이나 공포와 같은 비기술적 측면의

심각성과 위험성을 부각시킨다고 하였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 비난 또는 공포와 같은 감정적 측면의 보도는 공중으로 하여금 위험을

비합리적으로 판단하게 하고 특정 위험에 대해 과대평가하도록 하는데 영

향을 미치고 특정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 가능한 가치인 사회적 국가적 이

익이라는 가치 지향적 판단을 불가능하게 만드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이 공중의 미디어 의존과 위험인식의 관계는 상호 밀접한 관련

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에서 실증적 차원의 측정이 이루어진 예는

흔치 않다 일반적으로 미디어의존이론은 개인이 특정 정보에 대한 미디어

의존이 높을수록 미디어가 제공하는 메시지 효과도 높음을 제안한다(Ball-

Rokeach amp Defleur 1976) Ball-Rokeach(1985)는 특정한 위기상황에서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 잘 모르거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지

잘 모르는 애매모호한 상황일 때 그리고 잠재적으로 위협을 느끼는 상황일

때 미디어의존이 높아짐을 강조한 바 있다

이는 미디어가 특정한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에 대한 lsquo실재감rsquo을 구

축하고 평상시 상황보다 특정한 위기상황일 때 공중의 미디어에 대한 의

존이 보다 강력해짐을 시사한다 관련 연구들(Ball-Rokeach Rokeach amp Grube

1984 Loges 1994)도 특정 위기상황이 매우 높거나 불확실성이 높을 때 미디

어의존 정도가 훨씬 높아짐을 보고하였다(Lyu 2012) 이러한 선행연구들에

입각하여 원자력발전소나 관련 시설물 등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존은

원자력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공중의 위험인식 등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

과 사회적 논쟁의 이면에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 여부가 가장 커다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1

쟁점이고 안전성은 제도권에 대한 신뢰성과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

을 수 없다 이상과 같은 논의에서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

과 수용성 측면에서 공중의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의 미디어의존과 그에 따

른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그리고 제도적 신뢰성의 관

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Ⅱ 이론적 논의

1 위험인식

구소련의 체르노빌이나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공중의 원자력기술

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키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 동안 원자력기술

의 필요성을 주장한 핵심 담론은 lsquo사회적 이익 대비 비용과 편익rsquo lsquo위험발

생 가능성의 확률적 평가를 통한 안전성rsquo을 강조하여 왔다 그러나 공중은

여전히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번에 발생한 일본

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그 동안 존재했던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불신

을 더욱 더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는 전문가의 객관적 확률 및

평가나 경제지향적 관점에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 특정 위험에 대한 인식이나

수용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물론 일부 연구자들(Costa-Font

amp Mossialos 2005 2007)은 대부분의 공중들이 위험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가

지고 있지 않으며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에 대한 다양한 이익들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이른바 과학적 불확실성 때문에 lsquo비용과 편

익rsquo이라는 측면에서 특정 기술에 대한 효용성을 통해 다양한 의사결정을 내

리게 된다고 강조하였다 하지만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의 경우 예

를 들어 유전자기술과 같은 경우에는 그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경험이

나 근거가 부족하거나 전혀 없기 때문에 lsquo개발 및 상용화rsquo(Gaskell Alum Wagner

Kronberger Torgensern Hampel amp Bardes 2004)에 따른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라는 측

면을 통해 의사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이미 여러 번의 원전사고

경험과 미디어 보도를 통해 그 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감을 가지고 있

어 그 위험성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은 위험성을 결정하고 수용하는 핵심요소로 발휘되기는 힘들다 따라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3

서 원자력기술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부각되는 부분이 바로 현재 원자력기

술에 대해 형성되어 있는 공중의 위험인식이다 김영욱(2008)이 주장하듯

현 상황에서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 위험

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통찰이 없다면 원자력기술에 대한 사회

적 논쟁은 영원히 피할 수 없다

Slovic(1987)은 개인이 인식하는 위험들은 제공된 객관적 위험정보와 자

주 상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인지적 편향성은 개인의 위험인식을 형성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개인의 위험인식은 정보를 통한 가능성에

의해 평가되기보다는 질적인 측면에서 주관적 평가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가 많다는 것이다(Costa-Font amp Mossialos 2007) 그러므로 공중과 전문가들이

특정 위험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거나 평가할 때 적용하는 기준은 다르다

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여러 선행연구들(Slovic 1987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서도 나타나 있는데 특정 위험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

식은 경험 신념 상상력이나 감정적인 측면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

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을 구성하는 심리적 요소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는 것이다 즉 공중에게 위험이라는 것은 주관적 느낌으로 지각되기 때문

에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없고 개인의 경험이나 감정에 의해 달라지기 때

문에 과학적 지식에 의한 계산을 통해 위험성을 평가하는 전문가의 객관적

위험인식과는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Covello amp Sandman 2001 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이에 따라 위험인식은 경험이나 감정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이 어떤 경

로를 통해 형성되는가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여러 선행연구들(Rundmo amp Moen 2006 Rundmo Nordfjaeligrn Iversen Oltedal

amp JOslashrgensen 2011)에 의하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성과 매우 밀

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위험인식 자체가 특정 위험이 발생할 경우에 야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기되는 결과가 얼마나 큰 파멸적 재앙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심각성 평가를

통해 예측되기 때문이다(Sjoumlberg Moen amp Rundmo 2004) 공중은 원자력기술

과 관련된 여러 파멸적 재앙들 예를 들면 2차 대전 때 일본의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 원전사고인 구소련의 체르노빌 미국의 쓰리마

일 섬 일본의 후쿠시마 등의 사례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과 공

포감이 사전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인식은 다양한 정보소스를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미디어의 보도에 의존하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방식과 매우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

성과 관련이 있는데 미디어 보도는 공중의 심각성을 높이는데 일정한 영향

을 미친다

사건의 결과로부터 발생하는 심각성은 뉴스 가치와 관련하여 볼 때 전

통적인 저널리즘의 핵심 기준이 된다 위험에 대한 기술적 비기술적 심각

성을 설명하기 위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서 미디어

는 그 위험성이나 심각성을 증폭시킨다 특히 위험기사에 있어서 보도의

대부분은 비난 공포 등과 같이 비기술적 이슈인 lsquo불법행위rsquo에 초점을 맞추

는 경향이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미디어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난과 공포

중심의 보도는 공중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자극을 유발한다 일본의 후쿠

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국내 미디어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를

하였고(백선기이옥기 2011) 미국의 쓰리마일 섬 원전사고(Three Miles Island

Accident)에 대한 뉴스보도를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공포적인 것으로 받아

들였다고 보고한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Salomone amp Sandman 1991)에서 미

디어의 감정적 접근을 통한 심각성 조장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5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은 어떤 경로를 통하든 이미 사전에

형성되어 있는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로 인한 심각성에 영향을 받는다

물론 미디어는 공중에게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효과를 유발

하면서도 관련 지식의 습득을 위한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공

중은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나 재난 사고 질병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 위험에 대한 인지적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상황에 대한 판단을

위해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 그러므로 미디어는 위험을 보도할 때

국민들에게 미칠 충격을 고려한 신중한 보도와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도록

심층적인 접근의 자세가 필요하다 즉 언론은 원자력과 관련된 다양한 소

재를 발굴하여 원자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그리고 장점과 단점에

대해 균형적으로 소개하면서 합리적 해결방안을 도출하도록 공개장적 기능

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한동섭 외 2004) 그러나 과연 미디어가 공중이 상황

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재난보도와 관련하여 미디어는 지나치게 선

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로 객관적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공중에게 공포

심을 증폭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김인숙 2012 노진철 2004)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미디어의 보도는 여러 연구들의 조사에서도 일관되

게 증명되고 있는데(Greenberg Sachsman Sandman amp Salome 1989 Kasperson

Jhaveri amp Kasperson 2001) 원자력과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주로 사건 사고

나 갈등 중심이었고 미국 네트워크 텔레비전의 저녁뉴스를 분석한 연구에

서도 환경관련 뉴스는 대형 화학물질 유출사건과 같이 예상치 못한 극적인

재난들과 연관된 것에 초점을 맞추었고 특정한 사건 사고에 대해 얼마만

큼 보도를 할 것이며 어떤 소재와 언어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위험을 극대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한동섭김형일 2011) 특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히 원자력 문제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기억이 오래 가기 때문에 원자력 관련 사고가 빈도는 매우 낮

지만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해당 기술에 대해 비정상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는 강한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신호는 위험인식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에 의해 확산되어 부정적인 이미지와 인

식을 고착시키고 결국 공중으로 하여금 회피하게 만든다는 것이다(한동섭김형일 2011) 이러한 연구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그 동안 형성되어 왔던

위험인식이 미디어 보도를 통해 증폭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험커뮤니케

이션 증폭모델에서도 잘 드러나 있는데 이 모델은 특정 위험에 대한 미디

어의 집중적인 보도와 이에 반응하는 대중들의 높은 관심 그리고 각 사회

기관들의 집중도와 이에 따른 전반적인 결과는 lsquo사회적으로 증폭된(socially

amplified)rsquo 것으로 본다 즉 어떠한 결정적인 위험 관련 이슈에 대한 사건

사고나 그에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대상이 뭔가 lsquo비정상적인 위험(abnormal

risk)rsquo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에 해당 장소나 물품 혹은 연관

된 기술에 관한 부정적 이미지를 생산 사회적 인지도를 획득하게 되는 결

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허인서 2004) 그러므로 미디어의 위험보도는 관련

위험자체를 보다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후쿠시마

와 같은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미디어의 증폭된 위험신호에 의해 공

중의 인식적 행동적 변화가 보다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한편 개인의 위험판단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미디어 의존이론(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을 들 수 있다 미디어 의존

이론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내용이 개인의 목적달성과 일치할 때 개인은 미

디어에 의존하게 되며 이럴 경우 미디어의 효과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남을

강조한다 즉 미디어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인식될 경우 수

용자는 그 메시지에 의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 메시지에 영향을 받게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7

된다는 논리이다(차동필 2011) 특히 미디어 의존이론에서는 수용자들이 그

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하고 미디어의 메시지는 수용

자들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김진영

2003) 사실 미디어 의존이론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정보제공은

공중으로 하여금 원자력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성 증가에 있어서 지식의 역할

이 강조되기도 한다 Sjoumlberg와 Drottz-Sjoumlberg(1991)는 원자력과 관련된 지

식이 원자력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명확히 밝혀

진 것은 아니다(Connor amp Siegrist 2010) 다만 원자력에 관한 지식이 있는 사

람들은 신뢰와 위험인식 그리고 지각된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태도를 결정하는 반면에 원자력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오로지 신뢰에 의

존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이현주이영애 2011) 또한 지

식이 교육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정도에 따라 위험인식

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공중

의 관점도 위험인식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그 동안

위험관련 연구들은 정작 수용자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를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 이상의 관점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

식은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이다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위험연구의 또 다른 측면에서 비

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뢰이다 이는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위

험에 대한 인식이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다른 세계관이나 이질적인

감정적 경험과 반응 또는 상이한 사회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전문가나 위험관리 기관이나 기업 등을 신뢰한다면 위험인식 차원을 넘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

성경 2012)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위험갈등이나 위험논쟁은 대부분 의혹이

나 불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자력기술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의 신뢰 문제는 단순히 위험인식 영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위험

평가나 위험관리 위험예방 나아가 lsquo성찰rsquo을 통한 위험사회의 극복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위험 수용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연구는 수용을 타인과 관련한 감정적인

상호 관계로 이해한다 즉 사람과 어떠한 대상의 관계 영역에서 감정적 요

인은 당연히 고려되는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자들은 위

험수용에 대한 설명 및 진단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요인을 크게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lsquo신뢰성rsquo을 위험 수용의 근본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신뢰성은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들에 대해 갖는 확신의 수

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전 건립이나 수용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근

본적 이유는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안전성 문제 그

리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송해룡김원제 2012

Cha 2000)

한편 사회적인 영향의 핵심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인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여러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송해룡김원제 2012 Slovic Flynn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17

기도 한다(조성경 2012)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그 동안 원자력기술에

대해 국내의 공중이 가졌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같은 위험인식을

실제적 위험으로 받아들이게 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국제설

문조사 기관인 IPSOS는 2011년 5월에 24개국을 대상으로 후쿠시마 원전사

고 이후 여론을 조사한 결과 한국에서는 66의 국민들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를 계기로 원자력 발전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슷한 시기에 일본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핵발전소 주요 가

동국인 일본 미국 프랑스 한국 독일 중국 러시아를 대상으로 2011년 5

월 한 달 동안 전화를 이용하여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은 조사대상

자의 82가 자국에서 원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원

전건설을 확대해야 한다는 사람들도 13에 불과해 2010년 459와 비교하

여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진상현 2012) 여기에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을

보다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즉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국내 공중의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시각은 과거에 비해 현저하게 부정적으

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낙

인효과에 의한 두려움이나 불안감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통해 증폭됨으로

써 강화되기도 하지만 미디어의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가 공중의 두려

움이나 불안감을 증폭시키는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특히 미디어의 원자력에 대한 부정적 프레이밍은 원자력발전소의 위험

성에 대한 극단적 공포로 이어지고 나아가 원자력 관련 기술의 과학적 실

제적 안전성과는 상관없이 원자력을 무조건 반대하도록 만든다 이는 쓰레

기 매립장이나 화장장과 같은 님비시설들과는 달리 원자력발전소는 사고의

위험성과 환경 피해에 대한 엄청난 두려움이 사람들의 인식 속에 구성된

이미지로 매우 강력히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심준섭김지수 2011) 이런 측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면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어떻게 보도하느냐의 문제는 위험커뮤니케이션 분

야에서도 매우 중요한 영역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송해룡이윤경 2013)

원자력 안전사고는 방사선 피폭에 대한 공중의 불안과 민감한 반응을 불

러일으킨다 과학기술계에서는 경제적 차원에서 충분히 기술적으로 위험의

통제가 가능하다고 보지만 수용자 층에서는 사회적 수용능력 차원의 가치

문제로 인식하기 때문에 단순한 경제적 문제를 넘어서는 심리적 사회문화

적인 문제로 이해되기 때문이다(진달용고영준 2012) 그러므로 원자력 안전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 미디어가 관련 위험을 어떻게 보도하느냐에 따라

공중의 심리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위험인식이나 평가가 달라질 가능

성이 높다 여기서 미디어가 특정 위험에 대해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

태도를 보인다는 것은 백선기와 이옥기(2011)의 연구를 통해 살펴볼 수 있

는데 보도내용이 자극적인 표현을 통해 선정적으로 재난을 묘사하는데 치

중하는가 사실관계에 대한 전문성이 결여되었는가 사태에 대한 심층적이

고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는가 추론적이고 부정확한 자체 통계조사를

인용하고 있는가 컬러를 사용하여 피해 현장의 모습을 극적으로 보여주거

나 그래픽과 사진을 합성하여 극적인 사진 위주로 보도하는가의 여부와 밀

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김인숙(2012)은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국내의

미디어가 lsquo일본침몰rsquo lsquo초토화rsquo lsquo경악rsquo lsquo최악rsquo 등 강력하고 자극적인 제목의

헤드라인 기사를 연일 보도하여 객관적인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대중들

에게 공포심을 증폭시켰다고 비판하였고 한동섭 등(2004)은 원자력 발전소

관련 보도가 대부분 사건 사고 갈등 중심이고 해설 등 충분한 정보의 제

공이 미흡하며 원자력 안전기술과 규제 등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여 국민들

의 불신감이 점점 심화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처럼 대부분의 사회구성원들은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을 인식하는데 이때 미디어가 핵심적인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19

역할을 수행한다 미디어는 위험사건을 어느 정도 크기로 보도할 것인지

그 위험의 특징을 어떻게 묘사할 것이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과

집단의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여러 연구들(박희제 2004

Kasperson Jhaven amp Kasperson 2001)에 의하면 미디어는 보통 드물게 발생하

는 혹은 드라마틱한 위험을 기사거리로 인식하고 이러한 위험을 선택적으

로 부각시켜 그 사회 내에서 위험을 증폭(risk amplification)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미디어의 경향이 공중의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리고 lsquo익숙하지 않은rsquo

위험과 결합될 때 공중의 위험인식은 더욱 더 증폭된다(Gregory amp Satterfield

2002) 예컨대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국내 공중의 위험인

식을 보다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원자력기술에 대해 공중

이 가졌던 기존의 위험과 미디어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위험보도 이로 인

해 공중이 느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하겠다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우리사회에서도 원자력발전소 존폐

와 관련된 사회적 논쟁이 부각되고 나아가 이명박 정부의 추가적인 원자력

발전소 건설 천명이 맞물려지면서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찬반논쟁은 사회적

갈등으로 확산되기도 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찬반 논쟁 및 갈등은 잠

재적 위험과 사회적 이익이라는 기대 가치가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나타난

문제이다 하지만 공중의 입장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이나 공포감

은 잠재적인 위험과 생존의 문제로 직결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원자력기

술에 대한 사회적 이익 차원의 접근은 별다른 위험인식의 변화를 이끌어내

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부 및 원자력기술 관련 기관과 공중 간의 원자력기술에 대

한 첨예한 대립의 원인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분명한 사실은 공중이

비합리적으로 원자력기술에 대해 평가를 내리고 관련 기술의 장점과 사회

적 편익의 관점은 도외시한 체 위험인식을 감성적으로 한다는 점이다 송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해룡과 김원제(2005)는 미디어가 원자력기술 관련 사고나 사건 등에 대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에 초점을 맞춰 비난이나 공포와 같은 비기술적 측면의

심각성과 위험성을 부각시킨다고 하였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 비난 또는 공포와 같은 감정적 측면의 보도는 공중으로 하여금 위험을

비합리적으로 판단하게 하고 특정 위험에 대해 과대평가하도록 하는데 영

향을 미치고 특정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 가능한 가치인 사회적 국가적 이

익이라는 가치 지향적 판단을 불가능하게 만드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이 공중의 미디어 의존과 위험인식의 관계는 상호 밀접한 관련

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에서 실증적 차원의 측정이 이루어진 예는

흔치 않다 일반적으로 미디어의존이론은 개인이 특정 정보에 대한 미디어

의존이 높을수록 미디어가 제공하는 메시지 효과도 높음을 제안한다(Ball-

Rokeach amp Defleur 1976) Ball-Rokeach(1985)는 특정한 위기상황에서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 잘 모르거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지

잘 모르는 애매모호한 상황일 때 그리고 잠재적으로 위협을 느끼는 상황일

때 미디어의존이 높아짐을 강조한 바 있다

이는 미디어가 특정한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에 대한 lsquo실재감rsquo을 구

축하고 평상시 상황보다 특정한 위기상황일 때 공중의 미디어에 대한 의

존이 보다 강력해짐을 시사한다 관련 연구들(Ball-Rokeach Rokeach amp Grube

1984 Loges 1994)도 특정 위기상황이 매우 높거나 불확실성이 높을 때 미디

어의존 정도가 훨씬 높아짐을 보고하였다(Lyu 2012) 이러한 선행연구들에

입각하여 원자력발전소나 관련 시설물 등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존은

원자력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공중의 위험인식 등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

과 사회적 논쟁의 이면에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 여부가 가장 커다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1

쟁점이고 안전성은 제도권에 대한 신뢰성과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

을 수 없다 이상과 같은 논의에서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

과 수용성 측면에서 공중의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의 미디어의존과 그에 따

른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그리고 제도적 신뢰성의 관

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Ⅱ 이론적 논의

1 위험인식

구소련의 체르노빌이나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공중의 원자력기술

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키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 동안 원자력기술

의 필요성을 주장한 핵심 담론은 lsquo사회적 이익 대비 비용과 편익rsquo lsquo위험발

생 가능성의 확률적 평가를 통한 안전성rsquo을 강조하여 왔다 그러나 공중은

여전히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번에 발생한 일본

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그 동안 존재했던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불신

을 더욱 더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는 전문가의 객관적 확률 및

평가나 경제지향적 관점에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 특정 위험에 대한 인식이나

수용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물론 일부 연구자들(Costa-Font

amp Mossialos 2005 2007)은 대부분의 공중들이 위험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가

지고 있지 않으며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에 대한 다양한 이익들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이른바 과학적 불확실성 때문에 lsquo비용과 편

익rsquo이라는 측면에서 특정 기술에 대한 효용성을 통해 다양한 의사결정을 내

리게 된다고 강조하였다 하지만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의 경우 예

를 들어 유전자기술과 같은 경우에는 그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경험이

나 근거가 부족하거나 전혀 없기 때문에 lsquo개발 및 상용화rsquo(Gaskell Alum Wagner

Kronberger Torgensern Hampel amp Bardes 2004)에 따른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라는 측

면을 통해 의사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이미 여러 번의 원전사고

경험과 미디어 보도를 통해 그 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감을 가지고 있

어 그 위험성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은 위험성을 결정하고 수용하는 핵심요소로 발휘되기는 힘들다 따라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3

서 원자력기술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부각되는 부분이 바로 현재 원자력기

술에 대해 형성되어 있는 공중의 위험인식이다 김영욱(2008)이 주장하듯

현 상황에서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 위험

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통찰이 없다면 원자력기술에 대한 사회

적 논쟁은 영원히 피할 수 없다

Slovic(1987)은 개인이 인식하는 위험들은 제공된 객관적 위험정보와 자

주 상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인지적 편향성은 개인의 위험인식을 형성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개인의 위험인식은 정보를 통한 가능성에

의해 평가되기보다는 질적인 측면에서 주관적 평가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가 많다는 것이다(Costa-Font amp Mossialos 2007) 그러므로 공중과 전문가들이

특정 위험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거나 평가할 때 적용하는 기준은 다르다

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여러 선행연구들(Slovic 1987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서도 나타나 있는데 특정 위험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

식은 경험 신념 상상력이나 감정적인 측면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

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을 구성하는 심리적 요소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는 것이다 즉 공중에게 위험이라는 것은 주관적 느낌으로 지각되기 때문

에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없고 개인의 경험이나 감정에 의해 달라지기 때

문에 과학적 지식에 의한 계산을 통해 위험성을 평가하는 전문가의 객관적

위험인식과는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Covello amp Sandman 2001 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이에 따라 위험인식은 경험이나 감정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이 어떤 경

로를 통해 형성되는가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여러 선행연구들(Rundmo amp Moen 2006 Rundmo Nordfjaeligrn Iversen Oltedal

amp JOslashrgensen 2011)에 의하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성과 매우 밀

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위험인식 자체가 특정 위험이 발생할 경우에 야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기되는 결과가 얼마나 큰 파멸적 재앙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심각성 평가를

통해 예측되기 때문이다(Sjoumlberg Moen amp Rundmo 2004) 공중은 원자력기술

과 관련된 여러 파멸적 재앙들 예를 들면 2차 대전 때 일본의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 원전사고인 구소련의 체르노빌 미국의 쓰리마

일 섬 일본의 후쿠시마 등의 사례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과 공

포감이 사전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인식은 다양한 정보소스를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미디어의 보도에 의존하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방식과 매우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

성과 관련이 있는데 미디어 보도는 공중의 심각성을 높이는데 일정한 영향

을 미친다

사건의 결과로부터 발생하는 심각성은 뉴스 가치와 관련하여 볼 때 전

통적인 저널리즘의 핵심 기준이 된다 위험에 대한 기술적 비기술적 심각

성을 설명하기 위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서 미디어

는 그 위험성이나 심각성을 증폭시킨다 특히 위험기사에 있어서 보도의

대부분은 비난 공포 등과 같이 비기술적 이슈인 lsquo불법행위rsquo에 초점을 맞추

는 경향이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미디어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난과 공포

중심의 보도는 공중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자극을 유발한다 일본의 후쿠

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국내 미디어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를

하였고(백선기이옥기 2011) 미국의 쓰리마일 섬 원전사고(Three Miles Island

Accident)에 대한 뉴스보도를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공포적인 것으로 받아

들였다고 보고한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Salomone amp Sandman 1991)에서 미

디어의 감정적 접근을 통한 심각성 조장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5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은 어떤 경로를 통하든 이미 사전에

형성되어 있는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로 인한 심각성에 영향을 받는다

물론 미디어는 공중에게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효과를 유발

하면서도 관련 지식의 습득을 위한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공

중은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나 재난 사고 질병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 위험에 대한 인지적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상황에 대한 판단을

위해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 그러므로 미디어는 위험을 보도할 때

국민들에게 미칠 충격을 고려한 신중한 보도와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도록

심층적인 접근의 자세가 필요하다 즉 언론은 원자력과 관련된 다양한 소

재를 발굴하여 원자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그리고 장점과 단점에

대해 균형적으로 소개하면서 합리적 해결방안을 도출하도록 공개장적 기능

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한동섭 외 2004) 그러나 과연 미디어가 공중이 상황

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재난보도와 관련하여 미디어는 지나치게 선

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로 객관적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공중에게 공포

심을 증폭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김인숙 2012 노진철 2004)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미디어의 보도는 여러 연구들의 조사에서도 일관되

게 증명되고 있는데(Greenberg Sachsman Sandman amp Salome 1989 Kasperson

Jhaveri amp Kasperson 2001) 원자력과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주로 사건 사고

나 갈등 중심이었고 미국 네트워크 텔레비전의 저녁뉴스를 분석한 연구에

서도 환경관련 뉴스는 대형 화학물질 유출사건과 같이 예상치 못한 극적인

재난들과 연관된 것에 초점을 맞추었고 특정한 사건 사고에 대해 얼마만

큼 보도를 할 것이며 어떤 소재와 언어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위험을 극대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한동섭김형일 2011) 특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히 원자력 문제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기억이 오래 가기 때문에 원자력 관련 사고가 빈도는 매우 낮

지만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해당 기술에 대해 비정상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는 강한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신호는 위험인식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에 의해 확산되어 부정적인 이미지와 인

식을 고착시키고 결국 공중으로 하여금 회피하게 만든다는 것이다(한동섭김형일 2011) 이러한 연구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그 동안 형성되어 왔던

위험인식이 미디어 보도를 통해 증폭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험커뮤니케

이션 증폭모델에서도 잘 드러나 있는데 이 모델은 특정 위험에 대한 미디

어의 집중적인 보도와 이에 반응하는 대중들의 높은 관심 그리고 각 사회

기관들의 집중도와 이에 따른 전반적인 결과는 lsquo사회적으로 증폭된(socially

amplified)rsquo 것으로 본다 즉 어떠한 결정적인 위험 관련 이슈에 대한 사건

사고나 그에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대상이 뭔가 lsquo비정상적인 위험(abnormal

risk)rsquo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에 해당 장소나 물품 혹은 연관

된 기술에 관한 부정적 이미지를 생산 사회적 인지도를 획득하게 되는 결

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허인서 2004) 그러므로 미디어의 위험보도는 관련

위험자체를 보다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후쿠시마

와 같은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미디어의 증폭된 위험신호에 의해 공

중의 인식적 행동적 변화가 보다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한편 개인의 위험판단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미디어 의존이론(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을 들 수 있다 미디어 의존

이론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내용이 개인의 목적달성과 일치할 때 개인은 미

디어에 의존하게 되며 이럴 경우 미디어의 효과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남을

강조한다 즉 미디어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인식될 경우 수

용자는 그 메시지에 의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 메시지에 영향을 받게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7

된다는 논리이다(차동필 2011) 특히 미디어 의존이론에서는 수용자들이 그

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하고 미디어의 메시지는 수용

자들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김진영

2003) 사실 미디어 의존이론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정보제공은

공중으로 하여금 원자력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성 증가에 있어서 지식의 역할

이 강조되기도 한다 Sjoumlberg와 Drottz-Sjoumlberg(1991)는 원자력과 관련된 지

식이 원자력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명확히 밝혀

진 것은 아니다(Connor amp Siegrist 2010) 다만 원자력에 관한 지식이 있는 사

람들은 신뢰와 위험인식 그리고 지각된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태도를 결정하는 반면에 원자력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오로지 신뢰에 의

존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이현주이영애 2011) 또한 지

식이 교육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정도에 따라 위험인식

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공중

의 관점도 위험인식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그 동안

위험관련 연구들은 정작 수용자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를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 이상의 관점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

식은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이다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위험연구의 또 다른 측면에서 비

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뢰이다 이는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위

험에 대한 인식이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다른 세계관이나 이질적인

감정적 경험과 반응 또는 상이한 사회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전문가나 위험관리 기관이나 기업 등을 신뢰한다면 위험인식 차원을 넘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

성경 2012)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위험갈등이나 위험논쟁은 대부분 의혹이

나 불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자력기술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의 신뢰 문제는 단순히 위험인식 영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위험

평가나 위험관리 위험예방 나아가 lsquo성찰rsquo을 통한 위험사회의 극복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위험 수용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연구는 수용을 타인과 관련한 감정적인

상호 관계로 이해한다 즉 사람과 어떠한 대상의 관계 영역에서 감정적 요

인은 당연히 고려되는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자들은 위

험수용에 대한 설명 및 진단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요인을 크게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lsquo신뢰성rsquo을 위험 수용의 근본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신뢰성은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들에 대해 갖는 확신의 수

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전 건립이나 수용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근

본적 이유는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안전성 문제 그

리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송해룡김원제 2012

Cha 2000)

한편 사회적인 영향의 핵심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인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여러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송해룡김원제 2012 Slovic Flynn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4: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면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어떻게 보도하느냐의 문제는 위험커뮤니케이션 분

야에서도 매우 중요한 영역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송해룡이윤경 2013)

원자력 안전사고는 방사선 피폭에 대한 공중의 불안과 민감한 반응을 불

러일으킨다 과학기술계에서는 경제적 차원에서 충분히 기술적으로 위험의

통제가 가능하다고 보지만 수용자 층에서는 사회적 수용능력 차원의 가치

문제로 인식하기 때문에 단순한 경제적 문제를 넘어서는 심리적 사회문화

적인 문제로 이해되기 때문이다(진달용고영준 2012) 그러므로 원자력 안전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 미디어가 관련 위험을 어떻게 보도하느냐에 따라

공중의 심리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위험인식이나 평가가 달라질 가능

성이 높다 여기서 미디어가 특정 위험에 대해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

태도를 보인다는 것은 백선기와 이옥기(2011)의 연구를 통해 살펴볼 수 있

는데 보도내용이 자극적인 표현을 통해 선정적으로 재난을 묘사하는데 치

중하는가 사실관계에 대한 전문성이 결여되었는가 사태에 대한 심층적이

고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는가 추론적이고 부정확한 자체 통계조사를

인용하고 있는가 컬러를 사용하여 피해 현장의 모습을 극적으로 보여주거

나 그래픽과 사진을 합성하여 극적인 사진 위주로 보도하는가의 여부와 밀

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김인숙(2012)은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국내의

미디어가 lsquo일본침몰rsquo lsquo초토화rsquo lsquo경악rsquo lsquo최악rsquo 등 강력하고 자극적인 제목의

헤드라인 기사를 연일 보도하여 객관적인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대중들

에게 공포심을 증폭시켰다고 비판하였고 한동섭 등(2004)은 원자력 발전소

관련 보도가 대부분 사건 사고 갈등 중심이고 해설 등 충분한 정보의 제

공이 미흡하며 원자력 안전기술과 규제 등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여 국민들

의 불신감이 점점 심화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처럼 대부분의 사회구성원들은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을 인식하는데 이때 미디어가 핵심적인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19

역할을 수행한다 미디어는 위험사건을 어느 정도 크기로 보도할 것인지

그 위험의 특징을 어떻게 묘사할 것이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과

집단의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여러 연구들(박희제 2004

Kasperson Jhaven amp Kasperson 2001)에 의하면 미디어는 보통 드물게 발생하

는 혹은 드라마틱한 위험을 기사거리로 인식하고 이러한 위험을 선택적으

로 부각시켜 그 사회 내에서 위험을 증폭(risk amplification)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미디어의 경향이 공중의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리고 lsquo익숙하지 않은rsquo

위험과 결합될 때 공중의 위험인식은 더욱 더 증폭된다(Gregory amp Satterfield

2002) 예컨대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국내 공중의 위험인

식을 보다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원자력기술에 대해 공중

이 가졌던 기존의 위험과 미디어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위험보도 이로 인

해 공중이 느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하겠다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우리사회에서도 원자력발전소 존폐

와 관련된 사회적 논쟁이 부각되고 나아가 이명박 정부의 추가적인 원자력

발전소 건설 천명이 맞물려지면서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찬반논쟁은 사회적

갈등으로 확산되기도 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찬반 논쟁 및 갈등은 잠

재적 위험과 사회적 이익이라는 기대 가치가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나타난

문제이다 하지만 공중의 입장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이나 공포감

은 잠재적인 위험과 생존의 문제로 직결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원자력기

술에 대한 사회적 이익 차원의 접근은 별다른 위험인식의 변화를 이끌어내

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부 및 원자력기술 관련 기관과 공중 간의 원자력기술에 대

한 첨예한 대립의 원인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분명한 사실은 공중이

비합리적으로 원자력기술에 대해 평가를 내리고 관련 기술의 장점과 사회

적 편익의 관점은 도외시한 체 위험인식을 감성적으로 한다는 점이다 송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해룡과 김원제(2005)는 미디어가 원자력기술 관련 사고나 사건 등에 대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에 초점을 맞춰 비난이나 공포와 같은 비기술적 측면의

심각성과 위험성을 부각시킨다고 하였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 비난 또는 공포와 같은 감정적 측면의 보도는 공중으로 하여금 위험을

비합리적으로 판단하게 하고 특정 위험에 대해 과대평가하도록 하는데 영

향을 미치고 특정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 가능한 가치인 사회적 국가적 이

익이라는 가치 지향적 판단을 불가능하게 만드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이 공중의 미디어 의존과 위험인식의 관계는 상호 밀접한 관련

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에서 실증적 차원의 측정이 이루어진 예는

흔치 않다 일반적으로 미디어의존이론은 개인이 특정 정보에 대한 미디어

의존이 높을수록 미디어가 제공하는 메시지 효과도 높음을 제안한다(Ball-

Rokeach amp Defleur 1976) Ball-Rokeach(1985)는 특정한 위기상황에서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 잘 모르거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지

잘 모르는 애매모호한 상황일 때 그리고 잠재적으로 위협을 느끼는 상황일

때 미디어의존이 높아짐을 강조한 바 있다

이는 미디어가 특정한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에 대한 lsquo실재감rsquo을 구

축하고 평상시 상황보다 특정한 위기상황일 때 공중의 미디어에 대한 의

존이 보다 강력해짐을 시사한다 관련 연구들(Ball-Rokeach Rokeach amp Grube

1984 Loges 1994)도 특정 위기상황이 매우 높거나 불확실성이 높을 때 미디

어의존 정도가 훨씬 높아짐을 보고하였다(Lyu 2012) 이러한 선행연구들에

입각하여 원자력발전소나 관련 시설물 등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존은

원자력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공중의 위험인식 등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

과 사회적 논쟁의 이면에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 여부가 가장 커다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1

쟁점이고 안전성은 제도권에 대한 신뢰성과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

을 수 없다 이상과 같은 논의에서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

과 수용성 측면에서 공중의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의 미디어의존과 그에 따

른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그리고 제도적 신뢰성의 관

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Ⅱ 이론적 논의

1 위험인식

구소련의 체르노빌이나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공중의 원자력기술

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키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 동안 원자력기술

의 필요성을 주장한 핵심 담론은 lsquo사회적 이익 대비 비용과 편익rsquo lsquo위험발

생 가능성의 확률적 평가를 통한 안전성rsquo을 강조하여 왔다 그러나 공중은

여전히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번에 발생한 일본

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그 동안 존재했던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불신

을 더욱 더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는 전문가의 객관적 확률 및

평가나 경제지향적 관점에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 특정 위험에 대한 인식이나

수용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물론 일부 연구자들(Costa-Font

amp Mossialos 2005 2007)은 대부분의 공중들이 위험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가

지고 있지 않으며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에 대한 다양한 이익들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이른바 과학적 불확실성 때문에 lsquo비용과 편

익rsquo이라는 측면에서 특정 기술에 대한 효용성을 통해 다양한 의사결정을 내

리게 된다고 강조하였다 하지만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의 경우 예

를 들어 유전자기술과 같은 경우에는 그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경험이

나 근거가 부족하거나 전혀 없기 때문에 lsquo개발 및 상용화rsquo(Gaskell Alum Wagner

Kronberger Torgensern Hampel amp Bardes 2004)에 따른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라는 측

면을 통해 의사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이미 여러 번의 원전사고

경험과 미디어 보도를 통해 그 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감을 가지고 있

어 그 위험성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은 위험성을 결정하고 수용하는 핵심요소로 발휘되기는 힘들다 따라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3

서 원자력기술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부각되는 부분이 바로 현재 원자력기

술에 대해 형성되어 있는 공중의 위험인식이다 김영욱(2008)이 주장하듯

현 상황에서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 위험

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통찰이 없다면 원자력기술에 대한 사회

적 논쟁은 영원히 피할 수 없다

Slovic(1987)은 개인이 인식하는 위험들은 제공된 객관적 위험정보와 자

주 상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인지적 편향성은 개인의 위험인식을 형성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개인의 위험인식은 정보를 통한 가능성에

의해 평가되기보다는 질적인 측면에서 주관적 평가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가 많다는 것이다(Costa-Font amp Mossialos 2007) 그러므로 공중과 전문가들이

특정 위험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거나 평가할 때 적용하는 기준은 다르다

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여러 선행연구들(Slovic 1987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서도 나타나 있는데 특정 위험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

식은 경험 신념 상상력이나 감정적인 측면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

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을 구성하는 심리적 요소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는 것이다 즉 공중에게 위험이라는 것은 주관적 느낌으로 지각되기 때문

에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없고 개인의 경험이나 감정에 의해 달라지기 때

문에 과학적 지식에 의한 계산을 통해 위험성을 평가하는 전문가의 객관적

위험인식과는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Covello amp Sandman 2001 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이에 따라 위험인식은 경험이나 감정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이 어떤 경

로를 통해 형성되는가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여러 선행연구들(Rundmo amp Moen 2006 Rundmo Nordfjaeligrn Iversen Oltedal

amp JOslashrgensen 2011)에 의하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성과 매우 밀

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위험인식 자체가 특정 위험이 발생할 경우에 야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기되는 결과가 얼마나 큰 파멸적 재앙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심각성 평가를

통해 예측되기 때문이다(Sjoumlberg Moen amp Rundmo 2004) 공중은 원자력기술

과 관련된 여러 파멸적 재앙들 예를 들면 2차 대전 때 일본의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 원전사고인 구소련의 체르노빌 미국의 쓰리마

일 섬 일본의 후쿠시마 등의 사례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과 공

포감이 사전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인식은 다양한 정보소스를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미디어의 보도에 의존하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방식과 매우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

성과 관련이 있는데 미디어 보도는 공중의 심각성을 높이는데 일정한 영향

을 미친다

사건의 결과로부터 발생하는 심각성은 뉴스 가치와 관련하여 볼 때 전

통적인 저널리즘의 핵심 기준이 된다 위험에 대한 기술적 비기술적 심각

성을 설명하기 위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서 미디어

는 그 위험성이나 심각성을 증폭시킨다 특히 위험기사에 있어서 보도의

대부분은 비난 공포 등과 같이 비기술적 이슈인 lsquo불법행위rsquo에 초점을 맞추

는 경향이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미디어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난과 공포

중심의 보도는 공중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자극을 유발한다 일본의 후쿠

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국내 미디어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를

하였고(백선기이옥기 2011) 미국의 쓰리마일 섬 원전사고(Three Miles Island

Accident)에 대한 뉴스보도를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공포적인 것으로 받아

들였다고 보고한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Salomone amp Sandman 1991)에서 미

디어의 감정적 접근을 통한 심각성 조장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5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은 어떤 경로를 통하든 이미 사전에

형성되어 있는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로 인한 심각성에 영향을 받는다

물론 미디어는 공중에게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효과를 유발

하면서도 관련 지식의 습득을 위한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공

중은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나 재난 사고 질병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 위험에 대한 인지적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상황에 대한 판단을

위해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 그러므로 미디어는 위험을 보도할 때

국민들에게 미칠 충격을 고려한 신중한 보도와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도록

심층적인 접근의 자세가 필요하다 즉 언론은 원자력과 관련된 다양한 소

재를 발굴하여 원자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그리고 장점과 단점에

대해 균형적으로 소개하면서 합리적 해결방안을 도출하도록 공개장적 기능

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한동섭 외 2004) 그러나 과연 미디어가 공중이 상황

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재난보도와 관련하여 미디어는 지나치게 선

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로 객관적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공중에게 공포

심을 증폭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김인숙 2012 노진철 2004)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미디어의 보도는 여러 연구들의 조사에서도 일관되

게 증명되고 있는데(Greenberg Sachsman Sandman amp Salome 1989 Kasperson

Jhaveri amp Kasperson 2001) 원자력과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주로 사건 사고

나 갈등 중심이었고 미국 네트워크 텔레비전의 저녁뉴스를 분석한 연구에

서도 환경관련 뉴스는 대형 화학물질 유출사건과 같이 예상치 못한 극적인

재난들과 연관된 것에 초점을 맞추었고 특정한 사건 사고에 대해 얼마만

큼 보도를 할 것이며 어떤 소재와 언어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위험을 극대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한동섭김형일 2011) 특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히 원자력 문제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기억이 오래 가기 때문에 원자력 관련 사고가 빈도는 매우 낮

지만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해당 기술에 대해 비정상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는 강한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신호는 위험인식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에 의해 확산되어 부정적인 이미지와 인

식을 고착시키고 결국 공중으로 하여금 회피하게 만든다는 것이다(한동섭김형일 2011) 이러한 연구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그 동안 형성되어 왔던

위험인식이 미디어 보도를 통해 증폭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험커뮤니케

이션 증폭모델에서도 잘 드러나 있는데 이 모델은 특정 위험에 대한 미디

어의 집중적인 보도와 이에 반응하는 대중들의 높은 관심 그리고 각 사회

기관들의 집중도와 이에 따른 전반적인 결과는 lsquo사회적으로 증폭된(socially

amplified)rsquo 것으로 본다 즉 어떠한 결정적인 위험 관련 이슈에 대한 사건

사고나 그에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대상이 뭔가 lsquo비정상적인 위험(abnormal

risk)rsquo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에 해당 장소나 물품 혹은 연관

된 기술에 관한 부정적 이미지를 생산 사회적 인지도를 획득하게 되는 결

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허인서 2004) 그러므로 미디어의 위험보도는 관련

위험자체를 보다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후쿠시마

와 같은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미디어의 증폭된 위험신호에 의해 공

중의 인식적 행동적 변화가 보다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한편 개인의 위험판단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미디어 의존이론(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을 들 수 있다 미디어 의존

이론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내용이 개인의 목적달성과 일치할 때 개인은 미

디어에 의존하게 되며 이럴 경우 미디어의 효과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남을

강조한다 즉 미디어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인식될 경우 수

용자는 그 메시지에 의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 메시지에 영향을 받게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7

된다는 논리이다(차동필 2011) 특히 미디어 의존이론에서는 수용자들이 그

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하고 미디어의 메시지는 수용

자들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김진영

2003) 사실 미디어 의존이론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정보제공은

공중으로 하여금 원자력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성 증가에 있어서 지식의 역할

이 강조되기도 한다 Sjoumlberg와 Drottz-Sjoumlberg(1991)는 원자력과 관련된 지

식이 원자력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명확히 밝혀

진 것은 아니다(Connor amp Siegrist 2010) 다만 원자력에 관한 지식이 있는 사

람들은 신뢰와 위험인식 그리고 지각된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태도를 결정하는 반면에 원자력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오로지 신뢰에 의

존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이현주이영애 2011) 또한 지

식이 교육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정도에 따라 위험인식

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공중

의 관점도 위험인식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그 동안

위험관련 연구들은 정작 수용자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를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 이상의 관점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

식은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이다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위험연구의 또 다른 측면에서 비

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뢰이다 이는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위

험에 대한 인식이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다른 세계관이나 이질적인

감정적 경험과 반응 또는 상이한 사회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전문가나 위험관리 기관이나 기업 등을 신뢰한다면 위험인식 차원을 넘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

성경 2012)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위험갈등이나 위험논쟁은 대부분 의혹이

나 불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자력기술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의 신뢰 문제는 단순히 위험인식 영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위험

평가나 위험관리 위험예방 나아가 lsquo성찰rsquo을 통한 위험사회의 극복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위험 수용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연구는 수용을 타인과 관련한 감정적인

상호 관계로 이해한다 즉 사람과 어떠한 대상의 관계 영역에서 감정적 요

인은 당연히 고려되는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자들은 위

험수용에 대한 설명 및 진단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요인을 크게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lsquo신뢰성rsquo을 위험 수용의 근본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신뢰성은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들에 대해 갖는 확신의 수

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전 건립이나 수용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근

본적 이유는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안전성 문제 그

리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송해룡김원제 2012

Cha 2000)

한편 사회적인 영향의 핵심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인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여러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송해룡김원제 2012 Slovic Flynn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5: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19

역할을 수행한다 미디어는 위험사건을 어느 정도 크기로 보도할 것인지

그 위험의 특징을 어떻게 묘사할 것이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과

집단의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여러 연구들(박희제 2004

Kasperson Jhaven amp Kasperson 2001)에 의하면 미디어는 보통 드물게 발생하

는 혹은 드라마틱한 위험을 기사거리로 인식하고 이러한 위험을 선택적으

로 부각시켜 그 사회 내에서 위험을 증폭(risk amplification)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미디어의 경향이 공중의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리고 lsquo익숙하지 않은rsquo

위험과 결합될 때 공중의 위험인식은 더욱 더 증폭된다(Gregory amp Satterfield

2002) 예컨대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국내 공중의 위험인

식을 보다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원자력기술에 대해 공중

이 가졌던 기존의 위험과 미디어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위험보도 이로 인

해 공중이 느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하겠다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우리사회에서도 원자력발전소 존폐

와 관련된 사회적 논쟁이 부각되고 나아가 이명박 정부의 추가적인 원자력

발전소 건설 천명이 맞물려지면서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찬반논쟁은 사회적

갈등으로 확산되기도 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찬반 논쟁 및 갈등은 잠

재적 위험과 사회적 이익이라는 기대 가치가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나타난

문제이다 하지만 공중의 입장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이나 공포감

은 잠재적인 위험과 생존의 문제로 직결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원자력기

술에 대한 사회적 이익 차원의 접근은 별다른 위험인식의 변화를 이끌어내

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부 및 원자력기술 관련 기관과 공중 간의 원자력기술에 대

한 첨예한 대립의 원인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분명한 사실은 공중이

비합리적으로 원자력기술에 대해 평가를 내리고 관련 기술의 장점과 사회

적 편익의 관점은 도외시한 체 위험인식을 감성적으로 한다는 점이다 송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해룡과 김원제(2005)는 미디어가 원자력기술 관련 사고나 사건 등에 대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에 초점을 맞춰 비난이나 공포와 같은 비기술적 측면의

심각성과 위험성을 부각시킨다고 하였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 비난 또는 공포와 같은 감정적 측면의 보도는 공중으로 하여금 위험을

비합리적으로 판단하게 하고 특정 위험에 대해 과대평가하도록 하는데 영

향을 미치고 특정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 가능한 가치인 사회적 국가적 이

익이라는 가치 지향적 판단을 불가능하게 만드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이 공중의 미디어 의존과 위험인식의 관계는 상호 밀접한 관련

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에서 실증적 차원의 측정이 이루어진 예는

흔치 않다 일반적으로 미디어의존이론은 개인이 특정 정보에 대한 미디어

의존이 높을수록 미디어가 제공하는 메시지 효과도 높음을 제안한다(Ball-

Rokeach amp Defleur 1976) Ball-Rokeach(1985)는 특정한 위기상황에서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 잘 모르거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지

잘 모르는 애매모호한 상황일 때 그리고 잠재적으로 위협을 느끼는 상황일

때 미디어의존이 높아짐을 강조한 바 있다

이는 미디어가 특정한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에 대한 lsquo실재감rsquo을 구

축하고 평상시 상황보다 특정한 위기상황일 때 공중의 미디어에 대한 의

존이 보다 강력해짐을 시사한다 관련 연구들(Ball-Rokeach Rokeach amp Grube

1984 Loges 1994)도 특정 위기상황이 매우 높거나 불확실성이 높을 때 미디

어의존 정도가 훨씬 높아짐을 보고하였다(Lyu 2012) 이러한 선행연구들에

입각하여 원자력발전소나 관련 시설물 등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존은

원자력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공중의 위험인식 등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

과 사회적 논쟁의 이면에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 여부가 가장 커다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1

쟁점이고 안전성은 제도권에 대한 신뢰성과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

을 수 없다 이상과 같은 논의에서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

과 수용성 측면에서 공중의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의 미디어의존과 그에 따

른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그리고 제도적 신뢰성의 관

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Ⅱ 이론적 논의

1 위험인식

구소련의 체르노빌이나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공중의 원자력기술

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키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 동안 원자력기술

의 필요성을 주장한 핵심 담론은 lsquo사회적 이익 대비 비용과 편익rsquo lsquo위험발

생 가능성의 확률적 평가를 통한 안전성rsquo을 강조하여 왔다 그러나 공중은

여전히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번에 발생한 일본

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그 동안 존재했던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불신

을 더욱 더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는 전문가의 객관적 확률 및

평가나 경제지향적 관점에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 특정 위험에 대한 인식이나

수용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물론 일부 연구자들(Costa-Font

amp Mossialos 2005 2007)은 대부분의 공중들이 위험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가

지고 있지 않으며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에 대한 다양한 이익들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이른바 과학적 불확실성 때문에 lsquo비용과 편

익rsquo이라는 측면에서 특정 기술에 대한 효용성을 통해 다양한 의사결정을 내

리게 된다고 강조하였다 하지만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의 경우 예

를 들어 유전자기술과 같은 경우에는 그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경험이

나 근거가 부족하거나 전혀 없기 때문에 lsquo개발 및 상용화rsquo(Gaskell Alum Wagner

Kronberger Torgensern Hampel amp Bardes 2004)에 따른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라는 측

면을 통해 의사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이미 여러 번의 원전사고

경험과 미디어 보도를 통해 그 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감을 가지고 있

어 그 위험성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은 위험성을 결정하고 수용하는 핵심요소로 발휘되기는 힘들다 따라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3

서 원자력기술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부각되는 부분이 바로 현재 원자력기

술에 대해 형성되어 있는 공중의 위험인식이다 김영욱(2008)이 주장하듯

현 상황에서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 위험

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통찰이 없다면 원자력기술에 대한 사회

적 논쟁은 영원히 피할 수 없다

Slovic(1987)은 개인이 인식하는 위험들은 제공된 객관적 위험정보와 자

주 상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인지적 편향성은 개인의 위험인식을 형성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개인의 위험인식은 정보를 통한 가능성에

의해 평가되기보다는 질적인 측면에서 주관적 평가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가 많다는 것이다(Costa-Font amp Mossialos 2007) 그러므로 공중과 전문가들이

특정 위험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거나 평가할 때 적용하는 기준은 다르다

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여러 선행연구들(Slovic 1987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서도 나타나 있는데 특정 위험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

식은 경험 신념 상상력이나 감정적인 측면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

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을 구성하는 심리적 요소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는 것이다 즉 공중에게 위험이라는 것은 주관적 느낌으로 지각되기 때문

에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없고 개인의 경험이나 감정에 의해 달라지기 때

문에 과학적 지식에 의한 계산을 통해 위험성을 평가하는 전문가의 객관적

위험인식과는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Covello amp Sandman 2001 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이에 따라 위험인식은 경험이나 감정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이 어떤 경

로를 통해 형성되는가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여러 선행연구들(Rundmo amp Moen 2006 Rundmo Nordfjaeligrn Iversen Oltedal

amp JOslashrgensen 2011)에 의하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성과 매우 밀

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위험인식 자체가 특정 위험이 발생할 경우에 야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기되는 결과가 얼마나 큰 파멸적 재앙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심각성 평가를

통해 예측되기 때문이다(Sjoumlberg Moen amp Rundmo 2004) 공중은 원자력기술

과 관련된 여러 파멸적 재앙들 예를 들면 2차 대전 때 일본의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 원전사고인 구소련의 체르노빌 미국의 쓰리마

일 섬 일본의 후쿠시마 등의 사례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과 공

포감이 사전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인식은 다양한 정보소스를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미디어의 보도에 의존하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방식과 매우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

성과 관련이 있는데 미디어 보도는 공중의 심각성을 높이는데 일정한 영향

을 미친다

사건의 결과로부터 발생하는 심각성은 뉴스 가치와 관련하여 볼 때 전

통적인 저널리즘의 핵심 기준이 된다 위험에 대한 기술적 비기술적 심각

성을 설명하기 위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서 미디어

는 그 위험성이나 심각성을 증폭시킨다 특히 위험기사에 있어서 보도의

대부분은 비난 공포 등과 같이 비기술적 이슈인 lsquo불법행위rsquo에 초점을 맞추

는 경향이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미디어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난과 공포

중심의 보도는 공중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자극을 유발한다 일본의 후쿠

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국내 미디어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를

하였고(백선기이옥기 2011) 미국의 쓰리마일 섬 원전사고(Three Miles Island

Accident)에 대한 뉴스보도를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공포적인 것으로 받아

들였다고 보고한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Salomone amp Sandman 1991)에서 미

디어의 감정적 접근을 통한 심각성 조장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5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은 어떤 경로를 통하든 이미 사전에

형성되어 있는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로 인한 심각성에 영향을 받는다

물론 미디어는 공중에게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효과를 유발

하면서도 관련 지식의 습득을 위한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공

중은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나 재난 사고 질병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 위험에 대한 인지적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상황에 대한 판단을

위해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 그러므로 미디어는 위험을 보도할 때

국민들에게 미칠 충격을 고려한 신중한 보도와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도록

심층적인 접근의 자세가 필요하다 즉 언론은 원자력과 관련된 다양한 소

재를 발굴하여 원자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그리고 장점과 단점에

대해 균형적으로 소개하면서 합리적 해결방안을 도출하도록 공개장적 기능

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한동섭 외 2004) 그러나 과연 미디어가 공중이 상황

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재난보도와 관련하여 미디어는 지나치게 선

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로 객관적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공중에게 공포

심을 증폭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김인숙 2012 노진철 2004)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미디어의 보도는 여러 연구들의 조사에서도 일관되

게 증명되고 있는데(Greenberg Sachsman Sandman amp Salome 1989 Kasperson

Jhaveri amp Kasperson 2001) 원자력과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주로 사건 사고

나 갈등 중심이었고 미국 네트워크 텔레비전의 저녁뉴스를 분석한 연구에

서도 환경관련 뉴스는 대형 화학물질 유출사건과 같이 예상치 못한 극적인

재난들과 연관된 것에 초점을 맞추었고 특정한 사건 사고에 대해 얼마만

큼 보도를 할 것이며 어떤 소재와 언어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위험을 극대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한동섭김형일 2011) 특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히 원자력 문제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기억이 오래 가기 때문에 원자력 관련 사고가 빈도는 매우 낮

지만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해당 기술에 대해 비정상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는 강한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신호는 위험인식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에 의해 확산되어 부정적인 이미지와 인

식을 고착시키고 결국 공중으로 하여금 회피하게 만든다는 것이다(한동섭김형일 2011) 이러한 연구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그 동안 형성되어 왔던

위험인식이 미디어 보도를 통해 증폭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험커뮤니케

이션 증폭모델에서도 잘 드러나 있는데 이 모델은 특정 위험에 대한 미디

어의 집중적인 보도와 이에 반응하는 대중들의 높은 관심 그리고 각 사회

기관들의 집중도와 이에 따른 전반적인 결과는 lsquo사회적으로 증폭된(socially

amplified)rsquo 것으로 본다 즉 어떠한 결정적인 위험 관련 이슈에 대한 사건

사고나 그에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대상이 뭔가 lsquo비정상적인 위험(abnormal

risk)rsquo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에 해당 장소나 물품 혹은 연관

된 기술에 관한 부정적 이미지를 생산 사회적 인지도를 획득하게 되는 결

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허인서 2004) 그러므로 미디어의 위험보도는 관련

위험자체를 보다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후쿠시마

와 같은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미디어의 증폭된 위험신호에 의해 공

중의 인식적 행동적 변화가 보다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한편 개인의 위험판단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미디어 의존이론(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을 들 수 있다 미디어 의존

이론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내용이 개인의 목적달성과 일치할 때 개인은 미

디어에 의존하게 되며 이럴 경우 미디어의 효과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남을

강조한다 즉 미디어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인식될 경우 수

용자는 그 메시지에 의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 메시지에 영향을 받게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7

된다는 논리이다(차동필 2011) 특히 미디어 의존이론에서는 수용자들이 그

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하고 미디어의 메시지는 수용

자들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김진영

2003) 사실 미디어 의존이론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정보제공은

공중으로 하여금 원자력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성 증가에 있어서 지식의 역할

이 강조되기도 한다 Sjoumlberg와 Drottz-Sjoumlberg(1991)는 원자력과 관련된 지

식이 원자력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명확히 밝혀

진 것은 아니다(Connor amp Siegrist 2010) 다만 원자력에 관한 지식이 있는 사

람들은 신뢰와 위험인식 그리고 지각된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태도를 결정하는 반면에 원자력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오로지 신뢰에 의

존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이현주이영애 2011) 또한 지

식이 교육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정도에 따라 위험인식

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공중

의 관점도 위험인식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그 동안

위험관련 연구들은 정작 수용자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를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 이상의 관점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

식은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이다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위험연구의 또 다른 측면에서 비

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뢰이다 이는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위

험에 대한 인식이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다른 세계관이나 이질적인

감정적 경험과 반응 또는 상이한 사회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전문가나 위험관리 기관이나 기업 등을 신뢰한다면 위험인식 차원을 넘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

성경 2012)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위험갈등이나 위험논쟁은 대부분 의혹이

나 불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자력기술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의 신뢰 문제는 단순히 위험인식 영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위험

평가나 위험관리 위험예방 나아가 lsquo성찰rsquo을 통한 위험사회의 극복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위험 수용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연구는 수용을 타인과 관련한 감정적인

상호 관계로 이해한다 즉 사람과 어떠한 대상의 관계 영역에서 감정적 요

인은 당연히 고려되는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자들은 위

험수용에 대한 설명 및 진단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요인을 크게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lsquo신뢰성rsquo을 위험 수용의 근본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신뢰성은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들에 대해 갖는 확신의 수

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전 건립이나 수용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근

본적 이유는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안전성 문제 그

리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송해룡김원제 2012

Cha 2000)

한편 사회적인 영향의 핵심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인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여러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송해룡김원제 2012 Slovic Flynn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6: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해룡과 김원제(2005)는 미디어가 원자력기술 관련 사고나 사건 등에 대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에 초점을 맞춰 비난이나 공포와 같은 비기술적 측면의

심각성과 위험성을 부각시킨다고 하였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 비난 또는 공포와 같은 감정적 측면의 보도는 공중으로 하여금 위험을

비합리적으로 판단하게 하고 특정 위험에 대해 과대평가하도록 하는데 영

향을 미치고 특정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 가능한 가치인 사회적 국가적 이

익이라는 가치 지향적 판단을 불가능하게 만드는데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이 공중의 미디어 의존과 위험인식의 관계는 상호 밀접한 관련

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에서 실증적 차원의 측정이 이루어진 예는

흔치 않다 일반적으로 미디어의존이론은 개인이 특정 정보에 대한 미디어

의존이 높을수록 미디어가 제공하는 메시지 효과도 높음을 제안한다(Ball-

Rokeach amp Defleur 1976) Ball-Rokeach(1985)는 특정한 위기상황에서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 잘 모르거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지

잘 모르는 애매모호한 상황일 때 그리고 잠재적으로 위협을 느끼는 상황일

때 미디어의존이 높아짐을 강조한 바 있다

이는 미디어가 특정한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에 대한 lsquo실재감rsquo을 구

축하고 평상시 상황보다 특정한 위기상황일 때 공중의 미디어에 대한 의

존이 보다 강력해짐을 시사한다 관련 연구들(Ball-Rokeach Rokeach amp Grube

1984 Loges 1994)도 특정 위기상황이 매우 높거나 불확실성이 높을 때 미디

어의존 정도가 훨씬 높아짐을 보고하였다(Lyu 2012) 이러한 선행연구들에

입각하여 원자력발전소나 관련 시설물 등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존은

원자력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공중의 위험인식 등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

과 사회적 논쟁의 이면에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 여부가 가장 커다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1

쟁점이고 안전성은 제도권에 대한 신뢰성과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

을 수 없다 이상과 같은 논의에서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

과 수용성 측면에서 공중의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의 미디어의존과 그에 따

른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그리고 제도적 신뢰성의 관

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Ⅱ 이론적 논의

1 위험인식

구소련의 체르노빌이나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공중의 원자력기술

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키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 동안 원자력기술

의 필요성을 주장한 핵심 담론은 lsquo사회적 이익 대비 비용과 편익rsquo lsquo위험발

생 가능성의 확률적 평가를 통한 안전성rsquo을 강조하여 왔다 그러나 공중은

여전히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번에 발생한 일본

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그 동안 존재했던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불신

을 더욱 더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는 전문가의 객관적 확률 및

평가나 경제지향적 관점에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 특정 위험에 대한 인식이나

수용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물론 일부 연구자들(Costa-Font

amp Mossialos 2005 2007)은 대부분의 공중들이 위험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가

지고 있지 않으며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에 대한 다양한 이익들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이른바 과학적 불확실성 때문에 lsquo비용과 편

익rsquo이라는 측면에서 특정 기술에 대한 효용성을 통해 다양한 의사결정을 내

리게 된다고 강조하였다 하지만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의 경우 예

를 들어 유전자기술과 같은 경우에는 그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경험이

나 근거가 부족하거나 전혀 없기 때문에 lsquo개발 및 상용화rsquo(Gaskell Alum Wagner

Kronberger Torgensern Hampel amp Bardes 2004)에 따른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라는 측

면을 통해 의사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이미 여러 번의 원전사고

경험과 미디어 보도를 통해 그 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감을 가지고 있

어 그 위험성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은 위험성을 결정하고 수용하는 핵심요소로 발휘되기는 힘들다 따라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3

서 원자력기술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부각되는 부분이 바로 현재 원자력기

술에 대해 형성되어 있는 공중의 위험인식이다 김영욱(2008)이 주장하듯

현 상황에서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 위험

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통찰이 없다면 원자력기술에 대한 사회

적 논쟁은 영원히 피할 수 없다

Slovic(1987)은 개인이 인식하는 위험들은 제공된 객관적 위험정보와 자

주 상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인지적 편향성은 개인의 위험인식을 형성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개인의 위험인식은 정보를 통한 가능성에

의해 평가되기보다는 질적인 측면에서 주관적 평가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가 많다는 것이다(Costa-Font amp Mossialos 2007) 그러므로 공중과 전문가들이

특정 위험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거나 평가할 때 적용하는 기준은 다르다

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여러 선행연구들(Slovic 1987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서도 나타나 있는데 특정 위험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

식은 경험 신념 상상력이나 감정적인 측면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

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을 구성하는 심리적 요소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는 것이다 즉 공중에게 위험이라는 것은 주관적 느낌으로 지각되기 때문

에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없고 개인의 경험이나 감정에 의해 달라지기 때

문에 과학적 지식에 의한 계산을 통해 위험성을 평가하는 전문가의 객관적

위험인식과는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Covello amp Sandman 2001 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이에 따라 위험인식은 경험이나 감정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이 어떤 경

로를 통해 형성되는가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여러 선행연구들(Rundmo amp Moen 2006 Rundmo Nordfjaeligrn Iversen Oltedal

amp JOslashrgensen 2011)에 의하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성과 매우 밀

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위험인식 자체가 특정 위험이 발생할 경우에 야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기되는 결과가 얼마나 큰 파멸적 재앙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심각성 평가를

통해 예측되기 때문이다(Sjoumlberg Moen amp Rundmo 2004) 공중은 원자력기술

과 관련된 여러 파멸적 재앙들 예를 들면 2차 대전 때 일본의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 원전사고인 구소련의 체르노빌 미국의 쓰리마

일 섬 일본의 후쿠시마 등의 사례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과 공

포감이 사전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인식은 다양한 정보소스를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미디어의 보도에 의존하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방식과 매우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

성과 관련이 있는데 미디어 보도는 공중의 심각성을 높이는데 일정한 영향

을 미친다

사건의 결과로부터 발생하는 심각성은 뉴스 가치와 관련하여 볼 때 전

통적인 저널리즘의 핵심 기준이 된다 위험에 대한 기술적 비기술적 심각

성을 설명하기 위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서 미디어

는 그 위험성이나 심각성을 증폭시킨다 특히 위험기사에 있어서 보도의

대부분은 비난 공포 등과 같이 비기술적 이슈인 lsquo불법행위rsquo에 초점을 맞추

는 경향이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미디어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난과 공포

중심의 보도는 공중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자극을 유발한다 일본의 후쿠

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국내 미디어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를

하였고(백선기이옥기 2011) 미국의 쓰리마일 섬 원전사고(Three Miles Island

Accident)에 대한 뉴스보도를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공포적인 것으로 받아

들였다고 보고한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Salomone amp Sandman 1991)에서 미

디어의 감정적 접근을 통한 심각성 조장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5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은 어떤 경로를 통하든 이미 사전에

형성되어 있는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로 인한 심각성에 영향을 받는다

물론 미디어는 공중에게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효과를 유발

하면서도 관련 지식의 습득을 위한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공

중은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나 재난 사고 질병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 위험에 대한 인지적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상황에 대한 판단을

위해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 그러므로 미디어는 위험을 보도할 때

국민들에게 미칠 충격을 고려한 신중한 보도와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도록

심층적인 접근의 자세가 필요하다 즉 언론은 원자력과 관련된 다양한 소

재를 발굴하여 원자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그리고 장점과 단점에

대해 균형적으로 소개하면서 합리적 해결방안을 도출하도록 공개장적 기능

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한동섭 외 2004) 그러나 과연 미디어가 공중이 상황

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재난보도와 관련하여 미디어는 지나치게 선

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로 객관적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공중에게 공포

심을 증폭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김인숙 2012 노진철 2004)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미디어의 보도는 여러 연구들의 조사에서도 일관되

게 증명되고 있는데(Greenberg Sachsman Sandman amp Salome 1989 Kasperson

Jhaveri amp Kasperson 2001) 원자력과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주로 사건 사고

나 갈등 중심이었고 미국 네트워크 텔레비전의 저녁뉴스를 분석한 연구에

서도 환경관련 뉴스는 대형 화학물질 유출사건과 같이 예상치 못한 극적인

재난들과 연관된 것에 초점을 맞추었고 특정한 사건 사고에 대해 얼마만

큼 보도를 할 것이며 어떤 소재와 언어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위험을 극대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한동섭김형일 2011) 특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히 원자력 문제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기억이 오래 가기 때문에 원자력 관련 사고가 빈도는 매우 낮

지만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해당 기술에 대해 비정상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는 강한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신호는 위험인식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에 의해 확산되어 부정적인 이미지와 인

식을 고착시키고 결국 공중으로 하여금 회피하게 만든다는 것이다(한동섭김형일 2011) 이러한 연구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그 동안 형성되어 왔던

위험인식이 미디어 보도를 통해 증폭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험커뮤니케

이션 증폭모델에서도 잘 드러나 있는데 이 모델은 특정 위험에 대한 미디

어의 집중적인 보도와 이에 반응하는 대중들의 높은 관심 그리고 각 사회

기관들의 집중도와 이에 따른 전반적인 결과는 lsquo사회적으로 증폭된(socially

amplified)rsquo 것으로 본다 즉 어떠한 결정적인 위험 관련 이슈에 대한 사건

사고나 그에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대상이 뭔가 lsquo비정상적인 위험(abnormal

risk)rsquo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에 해당 장소나 물품 혹은 연관

된 기술에 관한 부정적 이미지를 생산 사회적 인지도를 획득하게 되는 결

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허인서 2004) 그러므로 미디어의 위험보도는 관련

위험자체를 보다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후쿠시마

와 같은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미디어의 증폭된 위험신호에 의해 공

중의 인식적 행동적 변화가 보다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한편 개인의 위험판단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미디어 의존이론(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을 들 수 있다 미디어 의존

이론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내용이 개인의 목적달성과 일치할 때 개인은 미

디어에 의존하게 되며 이럴 경우 미디어의 효과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남을

강조한다 즉 미디어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인식될 경우 수

용자는 그 메시지에 의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 메시지에 영향을 받게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7

된다는 논리이다(차동필 2011) 특히 미디어 의존이론에서는 수용자들이 그

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하고 미디어의 메시지는 수용

자들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김진영

2003) 사실 미디어 의존이론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정보제공은

공중으로 하여금 원자력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성 증가에 있어서 지식의 역할

이 강조되기도 한다 Sjoumlberg와 Drottz-Sjoumlberg(1991)는 원자력과 관련된 지

식이 원자력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명확히 밝혀

진 것은 아니다(Connor amp Siegrist 2010) 다만 원자력에 관한 지식이 있는 사

람들은 신뢰와 위험인식 그리고 지각된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태도를 결정하는 반면에 원자력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오로지 신뢰에 의

존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이현주이영애 2011) 또한 지

식이 교육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정도에 따라 위험인식

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공중

의 관점도 위험인식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그 동안

위험관련 연구들은 정작 수용자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를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 이상의 관점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

식은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이다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위험연구의 또 다른 측면에서 비

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뢰이다 이는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위

험에 대한 인식이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다른 세계관이나 이질적인

감정적 경험과 반응 또는 상이한 사회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전문가나 위험관리 기관이나 기업 등을 신뢰한다면 위험인식 차원을 넘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

성경 2012)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위험갈등이나 위험논쟁은 대부분 의혹이

나 불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자력기술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의 신뢰 문제는 단순히 위험인식 영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위험

평가나 위험관리 위험예방 나아가 lsquo성찰rsquo을 통한 위험사회의 극복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위험 수용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연구는 수용을 타인과 관련한 감정적인

상호 관계로 이해한다 즉 사람과 어떠한 대상의 관계 영역에서 감정적 요

인은 당연히 고려되는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자들은 위

험수용에 대한 설명 및 진단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요인을 크게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lsquo신뢰성rsquo을 위험 수용의 근본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신뢰성은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들에 대해 갖는 확신의 수

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전 건립이나 수용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근

본적 이유는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안전성 문제 그

리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송해룡김원제 2012

Cha 2000)

한편 사회적인 영향의 핵심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인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여러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송해룡김원제 2012 Slovic Flynn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7: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1

쟁점이고 안전성은 제도권에 대한 신뢰성과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

을 수 없다 이상과 같은 논의에서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

과 수용성 측면에서 공중의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의 미디어의존과 그에 따

른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그리고 제도적 신뢰성의 관

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Ⅱ 이론적 논의

1 위험인식

구소련의 체르노빌이나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공중의 원자력기술

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키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 동안 원자력기술

의 필요성을 주장한 핵심 담론은 lsquo사회적 이익 대비 비용과 편익rsquo lsquo위험발

생 가능성의 확률적 평가를 통한 안전성rsquo을 강조하여 왔다 그러나 공중은

여전히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번에 발생한 일본

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그 동안 존재했던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불신

을 더욱 더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는 전문가의 객관적 확률 및

평가나 경제지향적 관점에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 특정 위험에 대한 인식이나

수용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물론 일부 연구자들(Costa-Font

amp Mossialos 2005 2007)은 대부분의 공중들이 위험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가

지고 있지 않으며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에 대한 다양한 이익들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이른바 과학적 불확실성 때문에 lsquo비용과 편

익rsquo이라는 측면에서 특정 기술에 대한 효용성을 통해 다양한 의사결정을 내

리게 된다고 강조하였다 하지만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의 경우 예

를 들어 유전자기술과 같은 경우에는 그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경험이

나 근거가 부족하거나 전혀 없기 때문에 lsquo개발 및 상용화rsquo(Gaskell Alum Wagner

Kronberger Torgensern Hampel amp Bardes 2004)에 따른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라는 측

면을 통해 의사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이미 여러 번의 원전사고

경험과 미디어 보도를 통해 그 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감을 가지고 있

어 그 위험성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은 위험성을 결정하고 수용하는 핵심요소로 발휘되기는 힘들다 따라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3

서 원자력기술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부각되는 부분이 바로 현재 원자력기

술에 대해 형성되어 있는 공중의 위험인식이다 김영욱(2008)이 주장하듯

현 상황에서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 위험

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통찰이 없다면 원자력기술에 대한 사회

적 논쟁은 영원히 피할 수 없다

Slovic(1987)은 개인이 인식하는 위험들은 제공된 객관적 위험정보와 자

주 상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인지적 편향성은 개인의 위험인식을 형성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개인의 위험인식은 정보를 통한 가능성에

의해 평가되기보다는 질적인 측면에서 주관적 평가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가 많다는 것이다(Costa-Font amp Mossialos 2007) 그러므로 공중과 전문가들이

특정 위험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거나 평가할 때 적용하는 기준은 다르다

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여러 선행연구들(Slovic 1987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서도 나타나 있는데 특정 위험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

식은 경험 신념 상상력이나 감정적인 측면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

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을 구성하는 심리적 요소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는 것이다 즉 공중에게 위험이라는 것은 주관적 느낌으로 지각되기 때문

에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없고 개인의 경험이나 감정에 의해 달라지기 때

문에 과학적 지식에 의한 계산을 통해 위험성을 평가하는 전문가의 객관적

위험인식과는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Covello amp Sandman 2001 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이에 따라 위험인식은 경험이나 감정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이 어떤 경

로를 통해 형성되는가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여러 선행연구들(Rundmo amp Moen 2006 Rundmo Nordfjaeligrn Iversen Oltedal

amp JOslashrgensen 2011)에 의하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성과 매우 밀

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위험인식 자체가 특정 위험이 발생할 경우에 야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기되는 결과가 얼마나 큰 파멸적 재앙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심각성 평가를

통해 예측되기 때문이다(Sjoumlberg Moen amp Rundmo 2004) 공중은 원자력기술

과 관련된 여러 파멸적 재앙들 예를 들면 2차 대전 때 일본의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 원전사고인 구소련의 체르노빌 미국의 쓰리마

일 섬 일본의 후쿠시마 등의 사례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과 공

포감이 사전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인식은 다양한 정보소스를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미디어의 보도에 의존하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방식과 매우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

성과 관련이 있는데 미디어 보도는 공중의 심각성을 높이는데 일정한 영향

을 미친다

사건의 결과로부터 발생하는 심각성은 뉴스 가치와 관련하여 볼 때 전

통적인 저널리즘의 핵심 기준이 된다 위험에 대한 기술적 비기술적 심각

성을 설명하기 위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서 미디어

는 그 위험성이나 심각성을 증폭시킨다 특히 위험기사에 있어서 보도의

대부분은 비난 공포 등과 같이 비기술적 이슈인 lsquo불법행위rsquo에 초점을 맞추

는 경향이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미디어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난과 공포

중심의 보도는 공중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자극을 유발한다 일본의 후쿠

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국내 미디어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를

하였고(백선기이옥기 2011) 미국의 쓰리마일 섬 원전사고(Three Miles Island

Accident)에 대한 뉴스보도를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공포적인 것으로 받아

들였다고 보고한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Salomone amp Sandman 1991)에서 미

디어의 감정적 접근을 통한 심각성 조장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5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은 어떤 경로를 통하든 이미 사전에

형성되어 있는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로 인한 심각성에 영향을 받는다

물론 미디어는 공중에게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효과를 유발

하면서도 관련 지식의 습득을 위한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공

중은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나 재난 사고 질병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 위험에 대한 인지적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상황에 대한 판단을

위해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 그러므로 미디어는 위험을 보도할 때

국민들에게 미칠 충격을 고려한 신중한 보도와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도록

심층적인 접근의 자세가 필요하다 즉 언론은 원자력과 관련된 다양한 소

재를 발굴하여 원자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그리고 장점과 단점에

대해 균형적으로 소개하면서 합리적 해결방안을 도출하도록 공개장적 기능

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한동섭 외 2004) 그러나 과연 미디어가 공중이 상황

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재난보도와 관련하여 미디어는 지나치게 선

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로 객관적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공중에게 공포

심을 증폭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김인숙 2012 노진철 2004)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미디어의 보도는 여러 연구들의 조사에서도 일관되

게 증명되고 있는데(Greenberg Sachsman Sandman amp Salome 1989 Kasperson

Jhaveri amp Kasperson 2001) 원자력과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주로 사건 사고

나 갈등 중심이었고 미국 네트워크 텔레비전의 저녁뉴스를 분석한 연구에

서도 환경관련 뉴스는 대형 화학물질 유출사건과 같이 예상치 못한 극적인

재난들과 연관된 것에 초점을 맞추었고 특정한 사건 사고에 대해 얼마만

큼 보도를 할 것이며 어떤 소재와 언어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위험을 극대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한동섭김형일 2011) 특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히 원자력 문제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기억이 오래 가기 때문에 원자력 관련 사고가 빈도는 매우 낮

지만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해당 기술에 대해 비정상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는 강한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신호는 위험인식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에 의해 확산되어 부정적인 이미지와 인

식을 고착시키고 결국 공중으로 하여금 회피하게 만든다는 것이다(한동섭김형일 2011) 이러한 연구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그 동안 형성되어 왔던

위험인식이 미디어 보도를 통해 증폭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험커뮤니케

이션 증폭모델에서도 잘 드러나 있는데 이 모델은 특정 위험에 대한 미디

어의 집중적인 보도와 이에 반응하는 대중들의 높은 관심 그리고 각 사회

기관들의 집중도와 이에 따른 전반적인 결과는 lsquo사회적으로 증폭된(socially

amplified)rsquo 것으로 본다 즉 어떠한 결정적인 위험 관련 이슈에 대한 사건

사고나 그에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대상이 뭔가 lsquo비정상적인 위험(abnormal

risk)rsquo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에 해당 장소나 물품 혹은 연관

된 기술에 관한 부정적 이미지를 생산 사회적 인지도를 획득하게 되는 결

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허인서 2004) 그러므로 미디어의 위험보도는 관련

위험자체를 보다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후쿠시마

와 같은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미디어의 증폭된 위험신호에 의해 공

중의 인식적 행동적 변화가 보다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한편 개인의 위험판단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미디어 의존이론(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을 들 수 있다 미디어 의존

이론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내용이 개인의 목적달성과 일치할 때 개인은 미

디어에 의존하게 되며 이럴 경우 미디어의 효과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남을

강조한다 즉 미디어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인식될 경우 수

용자는 그 메시지에 의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 메시지에 영향을 받게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7

된다는 논리이다(차동필 2011) 특히 미디어 의존이론에서는 수용자들이 그

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하고 미디어의 메시지는 수용

자들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김진영

2003) 사실 미디어 의존이론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정보제공은

공중으로 하여금 원자력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성 증가에 있어서 지식의 역할

이 강조되기도 한다 Sjoumlberg와 Drottz-Sjoumlberg(1991)는 원자력과 관련된 지

식이 원자력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명확히 밝혀

진 것은 아니다(Connor amp Siegrist 2010) 다만 원자력에 관한 지식이 있는 사

람들은 신뢰와 위험인식 그리고 지각된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태도를 결정하는 반면에 원자력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오로지 신뢰에 의

존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이현주이영애 2011) 또한 지

식이 교육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정도에 따라 위험인식

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공중

의 관점도 위험인식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그 동안

위험관련 연구들은 정작 수용자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를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 이상의 관점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

식은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이다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위험연구의 또 다른 측면에서 비

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뢰이다 이는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위

험에 대한 인식이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다른 세계관이나 이질적인

감정적 경험과 반응 또는 상이한 사회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전문가나 위험관리 기관이나 기업 등을 신뢰한다면 위험인식 차원을 넘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

성경 2012)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위험갈등이나 위험논쟁은 대부분 의혹이

나 불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자력기술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의 신뢰 문제는 단순히 위험인식 영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위험

평가나 위험관리 위험예방 나아가 lsquo성찰rsquo을 통한 위험사회의 극복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위험 수용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연구는 수용을 타인과 관련한 감정적인

상호 관계로 이해한다 즉 사람과 어떠한 대상의 관계 영역에서 감정적 요

인은 당연히 고려되는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자들은 위

험수용에 대한 설명 및 진단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요인을 크게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lsquo신뢰성rsquo을 위험 수용의 근본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신뢰성은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들에 대해 갖는 확신의 수

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전 건립이나 수용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근

본적 이유는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안전성 문제 그

리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송해룡김원제 2012

Cha 2000)

한편 사회적인 영향의 핵심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인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여러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송해룡김원제 2012 Slovic Flynn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8: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Ⅱ 이론적 논의

1 위험인식

구소련의 체르노빌이나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공중의 원자력기술

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키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 동안 원자력기술

의 필요성을 주장한 핵심 담론은 lsquo사회적 이익 대비 비용과 편익rsquo lsquo위험발

생 가능성의 확률적 평가를 통한 안전성rsquo을 강조하여 왔다 그러나 공중은

여전히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번에 발생한 일본

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그 동안 존재했던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불신

을 더욱 더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는 전문가의 객관적 확률 및

평가나 경제지향적 관점에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 특정 위험에 대한 인식이나

수용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물론 일부 연구자들(Costa-Font

amp Mossialos 2005 2007)은 대부분의 공중들이 위험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가

지고 있지 않으며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에 대한 다양한 이익들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이른바 과학적 불확실성 때문에 lsquo비용과 편

익rsquo이라는 측면에서 특정 기술에 대한 효용성을 통해 다양한 의사결정을 내

리게 된다고 강조하였다 하지만 새롭거나 친숙하지 않은 기술의 경우 예

를 들어 유전자기술과 같은 경우에는 그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경험이

나 근거가 부족하거나 전혀 없기 때문에 lsquo개발 및 상용화rsquo(Gaskell Alum Wagner

Kronberger Torgensern Hampel amp Bardes 2004)에 따른 lsquo비용과 편익rsquo이라는 측

면을 통해 의사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이미 여러 번의 원전사고

경험과 미디어 보도를 통해 그 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감을 가지고 있

어 그 위험성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lsquo비용과

편익rsquo은 위험성을 결정하고 수용하는 핵심요소로 발휘되기는 힘들다 따라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3

서 원자력기술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부각되는 부분이 바로 현재 원자력기

술에 대해 형성되어 있는 공중의 위험인식이다 김영욱(2008)이 주장하듯

현 상황에서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 위험

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통찰이 없다면 원자력기술에 대한 사회

적 논쟁은 영원히 피할 수 없다

Slovic(1987)은 개인이 인식하는 위험들은 제공된 객관적 위험정보와 자

주 상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인지적 편향성은 개인의 위험인식을 형성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개인의 위험인식은 정보를 통한 가능성에

의해 평가되기보다는 질적인 측면에서 주관적 평가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가 많다는 것이다(Costa-Font amp Mossialos 2007) 그러므로 공중과 전문가들이

특정 위험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거나 평가할 때 적용하는 기준은 다르다

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여러 선행연구들(Slovic 1987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서도 나타나 있는데 특정 위험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

식은 경험 신념 상상력이나 감정적인 측면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

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을 구성하는 심리적 요소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는 것이다 즉 공중에게 위험이라는 것은 주관적 느낌으로 지각되기 때문

에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없고 개인의 경험이나 감정에 의해 달라지기 때

문에 과학적 지식에 의한 계산을 통해 위험성을 평가하는 전문가의 객관적

위험인식과는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Covello amp Sandman 2001 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이에 따라 위험인식은 경험이나 감정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이 어떤 경

로를 통해 형성되는가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여러 선행연구들(Rundmo amp Moen 2006 Rundmo Nordfjaeligrn Iversen Oltedal

amp JOslashrgensen 2011)에 의하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성과 매우 밀

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위험인식 자체가 특정 위험이 발생할 경우에 야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기되는 결과가 얼마나 큰 파멸적 재앙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심각성 평가를

통해 예측되기 때문이다(Sjoumlberg Moen amp Rundmo 2004) 공중은 원자력기술

과 관련된 여러 파멸적 재앙들 예를 들면 2차 대전 때 일본의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 원전사고인 구소련의 체르노빌 미국의 쓰리마

일 섬 일본의 후쿠시마 등의 사례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과 공

포감이 사전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인식은 다양한 정보소스를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미디어의 보도에 의존하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방식과 매우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

성과 관련이 있는데 미디어 보도는 공중의 심각성을 높이는데 일정한 영향

을 미친다

사건의 결과로부터 발생하는 심각성은 뉴스 가치와 관련하여 볼 때 전

통적인 저널리즘의 핵심 기준이 된다 위험에 대한 기술적 비기술적 심각

성을 설명하기 위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서 미디어

는 그 위험성이나 심각성을 증폭시킨다 특히 위험기사에 있어서 보도의

대부분은 비난 공포 등과 같이 비기술적 이슈인 lsquo불법행위rsquo에 초점을 맞추

는 경향이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미디어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난과 공포

중심의 보도는 공중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자극을 유발한다 일본의 후쿠

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국내 미디어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를

하였고(백선기이옥기 2011) 미국의 쓰리마일 섬 원전사고(Three Miles Island

Accident)에 대한 뉴스보도를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공포적인 것으로 받아

들였다고 보고한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Salomone amp Sandman 1991)에서 미

디어의 감정적 접근을 통한 심각성 조장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5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은 어떤 경로를 통하든 이미 사전에

형성되어 있는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로 인한 심각성에 영향을 받는다

물론 미디어는 공중에게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효과를 유발

하면서도 관련 지식의 습득을 위한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공

중은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나 재난 사고 질병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 위험에 대한 인지적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상황에 대한 판단을

위해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 그러므로 미디어는 위험을 보도할 때

국민들에게 미칠 충격을 고려한 신중한 보도와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도록

심층적인 접근의 자세가 필요하다 즉 언론은 원자력과 관련된 다양한 소

재를 발굴하여 원자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그리고 장점과 단점에

대해 균형적으로 소개하면서 합리적 해결방안을 도출하도록 공개장적 기능

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한동섭 외 2004) 그러나 과연 미디어가 공중이 상황

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재난보도와 관련하여 미디어는 지나치게 선

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로 객관적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공중에게 공포

심을 증폭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김인숙 2012 노진철 2004)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미디어의 보도는 여러 연구들의 조사에서도 일관되

게 증명되고 있는데(Greenberg Sachsman Sandman amp Salome 1989 Kasperson

Jhaveri amp Kasperson 2001) 원자력과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주로 사건 사고

나 갈등 중심이었고 미국 네트워크 텔레비전의 저녁뉴스를 분석한 연구에

서도 환경관련 뉴스는 대형 화학물질 유출사건과 같이 예상치 못한 극적인

재난들과 연관된 것에 초점을 맞추었고 특정한 사건 사고에 대해 얼마만

큼 보도를 할 것이며 어떤 소재와 언어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위험을 극대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한동섭김형일 2011) 특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히 원자력 문제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기억이 오래 가기 때문에 원자력 관련 사고가 빈도는 매우 낮

지만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해당 기술에 대해 비정상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는 강한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신호는 위험인식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에 의해 확산되어 부정적인 이미지와 인

식을 고착시키고 결국 공중으로 하여금 회피하게 만든다는 것이다(한동섭김형일 2011) 이러한 연구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그 동안 형성되어 왔던

위험인식이 미디어 보도를 통해 증폭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험커뮤니케

이션 증폭모델에서도 잘 드러나 있는데 이 모델은 특정 위험에 대한 미디

어의 집중적인 보도와 이에 반응하는 대중들의 높은 관심 그리고 각 사회

기관들의 집중도와 이에 따른 전반적인 결과는 lsquo사회적으로 증폭된(socially

amplified)rsquo 것으로 본다 즉 어떠한 결정적인 위험 관련 이슈에 대한 사건

사고나 그에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대상이 뭔가 lsquo비정상적인 위험(abnormal

risk)rsquo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에 해당 장소나 물품 혹은 연관

된 기술에 관한 부정적 이미지를 생산 사회적 인지도를 획득하게 되는 결

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허인서 2004) 그러므로 미디어의 위험보도는 관련

위험자체를 보다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후쿠시마

와 같은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미디어의 증폭된 위험신호에 의해 공

중의 인식적 행동적 변화가 보다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한편 개인의 위험판단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미디어 의존이론(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을 들 수 있다 미디어 의존

이론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내용이 개인의 목적달성과 일치할 때 개인은 미

디어에 의존하게 되며 이럴 경우 미디어의 효과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남을

강조한다 즉 미디어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인식될 경우 수

용자는 그 메시지에 의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 메시지에 영향을 받게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7

된다는 논리이다(차동필 2011) 특히 미디어 의존이론에서는 수용자들이 그

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하고 미디어의 메시지는 수용

자들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김진영

2003) 사실 미디어 의존이론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정보제공은

공중으로 하여금 원자력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성 증가에 있어서 지식의 역할

이 강조되기도 한다 Sjoumlberg와 Drottz-Sjoumlberg(1991)는 원자력과 관련된 지

식이 원자력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명확히 밝혀

진 것은 아니다(Connor amp Siegrist 2010) 다만 원자력에 관한 지식이 있는 사

람들은 신뢰와 위험인식 그리고 지각된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태도를 결정하는 반면에 원자력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오로지 신뢰에 의

존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이현주이영애 2011) 또한 지

식이 교육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정도에 따라 위험인식

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공중

의 관점도 위험인식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그 동안

위험관련 연구들은 정작 수용자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를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 이상의 관점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

식은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이다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위험연구의 또 다른 측면에서 비

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뢰이다 이는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위

험에 대한 인식이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다른 세계관이나 이질적인

감정적 경험과 반응 또는 상이한 사회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전문가나 위험관리 기관이나 기업 등을 신뢰한다면 위험인식 차원을 넘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

성경 2012)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위험갈등이나 위험논쟁은 대부분 의혹이

나 불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자력기술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의 신뢰 문제는 단순히 위험인식 영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위험

평가나 위험관리 위험예방 나아가 lsquo성찰rsquo을 통한 위험사회의 극복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위험 수용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연구는 수용을 타인과 관련한 감정적인

상호 관계로 이해한다 즉 사람과 어떠한 대상의 관계 영역에서 감정적 요

인은 당연히 고려되는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자들은 위

험수용에 대한 설명 및 진단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요인을 크게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lsquo신뢰성rsquo을 위험 수용의 근본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신뢰성은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들에 대해 갖는 확신의 수

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전 건립이나 수용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근

본적 이유는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안전성 문제 그

리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송해룡김원제 2012

Cha 2000)

한편 사회적인 영향의 핵심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인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여러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송해룡김원제 2012 Slovic Flynn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9: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3

서 원자력기술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부각되는 부분이 바로 현재 원자력기

술에 대해 형성되어 있는 공중의 위험인식이다 김영욱(2008)이 주장하듯

현 상황에서 공중들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 위험

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통찰이 없다면 원자력기술에 대한 사회

적 논쟁은 영원히 피할 수 없다

Slovic(1987)은 개인이 인식하는 위험들은 제공된 객관적 위험정보와 자

주 상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인지적 편향성은 개인의 위험인식을 형성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개인의 위험인식은 정보를 통한 가능성에

의해 평가되기보다는 질적인 측면에서 주관적 평가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가 많다는 것이다(Costa-Font amp Mossialos 2007) 그러므로 공중과 전문가들이

특정 위험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거나 평가할 때 적용하는 기준은 다르다

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여러 선행연구들(Slovic 1987 Slovic Fischhoff

amp Lichtenstein 1984)에서도 나타나 있는데 특정 위험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

식은 경험 신념 상상력이나 감정적인 측면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

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을 구성하는 심리적 요소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는 것이다 즉 공중에게 위험이라는 것은 주관적 느낌으로 지각되기 때문

에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없고 개인의 경험이나 감정에 의해 달라지기 때

문에 과학적 지식에 의한 계산을 통해 위험성을 평가하는 전문가의 객관적

위험인식과는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Covello amp Sandman 2001 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이에 따라 위험인식은 경험이나 감정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공중의 위험인식이 어떤 경

로를 통해 형성되는가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여러 선행연구들(Rundmo amp Moen 2006 Rundmo Nordfjaeligrn Iversen Oltedal

amp JOslashrgensen 2011)에 의하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성과 매우 밀

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위험인식 자체가 특정 위험이 발생할 경우에 야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기되는 결과가 얼마나 큰 파멸적 재앙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심각성 평가를

통해 예측되기 때문이다(Sjoumlberg Moen amp Rundmo 2004) 공중은 원자력기술

과 관련된 여러 파멸적 재앙들 예를 들면 2차 대전 때 일본의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 원전사고인 구소련의 체르노빌 미국의 쓰리마

일 섬 일본의 후쿠시마 등의 사례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과 공

포감이 사전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인식은 다양한 정보소스를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미디어의 보도에 의존하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방식과 매우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

성과 관련이 있는데 미디어 보도는 공중의 심각성을 높이는데 일정한 영향

을 미친다

사건의 결과로부터 발생하는 심각성은 뉴스 가치와 관련하여 볼 때 전

통적인 저널리즘의 핵심 기준이 된다 위험에 대한 기술적 비기술적 심각

성을 설명하기 위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서 미디어

는 그 위험성이나 심각성을 증폭시킨다 특히 위험기사에 있어서 보도의

대부분은 비난 공포 등과 같이 비기술적 이슈인 lsquo불법행위rsquo에 초점을 맞추

는 경향이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미디어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난과 공포

중심의 보도는 공중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자극을 유발한다 일본의 후쿠

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국내 미디어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를

하였고(백선기이옥기 2011) 미국의 쓰리마일 섬 원전사고(Three Miles Island

Accident)에 대한 뉴스보도를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공포적인 것으로 받아

들였다고 보고한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Salomone amp Sandman 1991)에서 미

디어의 감정적 접근을 통한 심각성 조장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5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은 어떤 경로를 통하든 이미 사전에

형성되어 있는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로 인한 심각성에 영향을 받는다

물론 미디어는 공중에게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효과를 유발

하면서도 관련 지식의 습득을 위한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공

중은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나 재난 사고 질병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 위험에 대한 인지적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상황에 대한 판단을

위해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 그러므로 미디어는 위험을 보도할 때

국민들에게 미칠 충격을 고려한 신중한 보도와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도록

심층적인 접근의 자세가 필요하다 즉 언론은 원자력과 관련된 다양한 소

재를 발굴하여 원자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그리고 장점과 단점에

대해 균형적으로 소개하면서 합리적 해결방안을 도출하도록 공개장적 기능

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한동섭 외 2004) 그러나 과연 미디어가 공중이 상황

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재난보도와 관련하여 미디어는 지나치게 선

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로 객관적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공중에게 공포

심을 증폭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김인숙 2012 노진철 2004)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미디어의 보도는 여러 연구들의 조사에서도 일관되

게 증명되고 있는데(Greenberg Sachsman Sandman amp Salome 1989 Kasperson

Jhaveri amp Kasperson 2001) 원자력과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주로 사건 사고

나 갈등 중심이었고 미국 네트워크 텔레비전의 저녁뉴스를 분석한 연구에

서도 환경관련 뉴스는 대형 화학물질 유출사건과 같이 예상치 못한 극적인

재난들과 연관된 것에 초점을 맞추었고 특정한 사건 사고에 대해 얼마만

큼 보도를 할 것이며 어떤 소재와 언어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위험을 극대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한동섭김형일 2011) 특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히 원자력 문제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기억이 오래 가기 때문에 원자력 관련 사고가 빈도는 매우 낮

지만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해당 기술에 대해 비정상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는 강한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신호는 위험인식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에 의해 확산되어 부정적인 이미지와 인

식을 고착시키고 결국 공중으로 하여금 회피하게 만든다는 것이다(한동섭김형일 2011) 이러한 연구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그 동안 형성되어 왔던

위험인식이 미디어 보도를 통해 증폭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험커뮤니케

이션 증폭모델에서도 잘 드러나 있는데 이 모델은 특정 위험에 대한 미디

어의 집중적인 보도와 이에 반응하는 대중들의 높은 관심 그리고 각 사회

기관들의 집중도와 이에 따른 전반적인 결과는 lsquo사회적으로 증폭된(socially

amplified)rsquo 것으로 본다 즉 어떠한 결정적인 위험 관련 이슈에 대한 사건

사고나 그에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대상이 뭔가 lsquo비정상적인 위험(abnormal

risk)rsquo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에 해당 장소나 물품 혹은 연관

된 기술에 관한 부정적 이미지를 생산 사회적 인지도를 획득하게 되는 결

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허인서 2004) 그러므로 미디어의 위험보도는 관련

위험자체를 보다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후쿠시마

와 같은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미디어의 증폭된 위험신호에 의해 공

중의 인식적 행동적 변화가 보다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한편 개인의 위험판단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미디어 의존이론(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을 들 수 있다 미디어 의존

이론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내용이 개인의 목적달성과 일치할 때 개인은 미

디어에 의존하게 되며 이럴 경우 미디어의 효과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남을

강조한다 즉 미디어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인식될 경우 수

용자는 그 메시지에 의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 메시지에 영향을 받게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7

된다는 논리이다(차동필 2011) 특히 미디어 의존이론에서는 수용자들이 그

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하고 미디어의 메시지는 수용

자들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김진영

2003) 사실 미디어 의존이론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정보제공은

공중으로 하여금 원자력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성 증가에 있어서 지식의 역할

이 강조되기도 한다 Sjoumlberg와 Drottz-Sjoumlberg(1991)는 원자력과 관련된 지

식이 원자력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명확히 밝혀

진 것은 아니다(Connor amp Siegrist 2010) 다만 원자력에 관한 지식이 있는 사

람들은 신뢰와 위험인식 그리고 지각된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태도를 결정하는 반면에 원자력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오로지 신뢰에 의

존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이현주이영애 2011) 또한 지

식이 교육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정도에 따라 위험인식

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공중

의 관점도 위험인식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그 동안

위험관련 연구들은 정작 수용자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를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 이상의 관점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

식은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이다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위험연구의 또 다른 측면에서 비

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뢰이다 이는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위

험에 대한 인식이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다른 세계관이나 이질적인

감정적 경험과 반응 또는 상이한 사회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전문가나 위험관리 기관이나 기업 등을 신뢰한다면 위험인식 차원을 넘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

성경 2012)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위험갈등이나 위험논쟁은 대부분 의혹이

나 불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자력기술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의 신뢰 문제는 단순히 위험인식 영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위험

평가나 위험관리 위험예방 나아가 lsquo성찰rsquo을 통한 위험사회의 극복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위험 수용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연구는 수용을 타인과 관련한 감정적인

상호 관계로 이해한다 즉 사람과 어떠한 대상의 관계 영역에서 감정적 요

인은 당연히 고려되는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자들은 위

험수용에 대한 설명 및 진단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요인을 크게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lsquo신뢰성rsquo을 위험 수용의 근본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신뢰성은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들에 대해 갖는 확신의 수

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전 건립이나 수용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근

본적 이유는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안전성 문제 그

리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송해룡김원제 2012

Cha 2000)

한편 사회적인 영향의 핵심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인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여러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송해룡김원제 2012 Slovic Flynn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10: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기되는 결과가 얼마나 큰 파멸적 재앙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심각성 평가를

통해 예측되기 때문이다(Sjoumlberg Moen amp Rundmo 2004) 공중은 원자력기술

과 관련된 여러 파멸적 재앙들 예를 들면 2차 대전 때 일본의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 원전사고인 구소련의 체르노빌 미국의 쓰리마

일 섬 일본의 후쿠시마 등의 사례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두려움과 공

포감이 사전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인식은 다양한 정보소스를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미디어의 보도에 의존하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방식과 매우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공중의 위험인식은 결과의 심각

성과 관련이 있는데 미디어 보도는 공중의 심각성을 높이는데 일정한 영향

을 미친다

사건의 결과로부터 발생하는 심각성은 뉴스 가치와 관련하여 볼 때 전

통적인 저널리즘의 핵심 기준이 된다 위험에 대한 기술적 비기술적 심각

성을 설명하기 위해 재난 또는 불법행위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서 미디어

는 그 위험성이나 심각성을 증폭시킨다 특히 위험기사에 있어서 보도의

대부분은 비난 공포 등과 같이 비기술적 이슈인 lsquo불법행위rsquo에 초점을 맞추

는 경향이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미디어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난과 공포

중심의 보도는 공중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자극을 유발한다 일본의 후쿠

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국내 미디어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를

하였고(백선기이옥기 2011) 미국의 쓰리마일 섬 원전사고(Three Miles Island

Accident)에 대한 뉴스보도를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공포적인 것으로 받아

들였다고 보고한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Salomone amp Sandman 1991)에서 미

디어의 감정적 접근을 통한 심각성 조장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5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은 어떤 경로를 통하든 이미 사전에

형성되어 있는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로 인한 심각성에 영향을 받는다

물론 미디어는 공중에게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효과를 유발

하면서도 관련 지식의 습득을 위한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공

중은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나 재난 사고 질병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 위험에 대한 인지적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상황에 대한 판단을

위해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 그러므로 미디어는 위험을 보도할 때

국민들에게 미칠 충격을 고려한 신중한 보도와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도록

심층적인 접근의 자세가 필요하다 즉 언론은 원자력과 관련된 다양한 소

재를 발굴하여 원자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그리고 장점과 단점에

대해 균형적으로 소개하면서 합리적 해결방안을 도출하도록 공개장적 기능

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한동섭 외 2004) 그러나 과연 미디어가 공중이 상황

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재난보도와 관련하여 미디어는 지나치게 선

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로 객관적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공중에게 공포

심을 증폭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김인숙 2012 노진철 2004)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미디어의 보도는 여러 연구들의 조사에서도 일관되

게 증명되고 있는데(Greenberg Sachsman Sandman amp Salome 1989 Kasperson

Jhaveri amp Kasperson 2001) 원자력과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주로 사건 사고

나 갈등 중심이었고 미국 네트워크 텔레비전의 저녁뉴스를 분석한 연구에

서도 환경관련 뉴스는 대형 화학물질 유출사건과 같이 예상치 못한 극적인

재난들과 연관된 것에 초점을 맞추었고 특정한 사건 사고에 대해 얼마만

큼 보도를 할 것이며 어떤 소재와 언어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위험을 극대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한동섭김형일 2011) 특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히 원자력 문제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기억이 오래 가기 때문에 원자력 관련 사고가 빈도는 매우 낮

지만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해당 기술에 대해 비정상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는 강한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신호는 위험인식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에 의해 확산되어 부정적인 이미지와 인

식을 고착시키고 결국 공중으로 하여금 회피하게 만든다는 것이다(한동섭김형일 2011) 이러한 연구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그 동안 형성되어 왔던

위험인식이 미디어 보도를 통해 증폭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험커뮤니케

이션 증폭모델에서도 잘 드러나 있는데 이 모델은 특정 위험에 대한 미디

어의 집중적인 보도와 이에 반응하는 대중들의 높은 관심 그리고 각 사회

기관들의 집중도와 이에 따른 전반적인 결과는 lsquo사회적으로 증폭된(socially

amplified)rsquo 것으로 본다 즉 어떠한 결정적인 위험 관련 이슈에 대한 사건

사고나 그에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대상이 뭔가 lsquo비정상적인 위험(abnormal

risk)rsquo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에 해당 장소나 물품 혹은 연관

된 기술에 관한 부정적 이미지를 생산 사회적 인지도를 획득하게 되는 결

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허인서 2004) 그러므로 미디어의 위험보도는 관련

위험자체를 보다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후쿠시마

와 같은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미디어의 증폭된 위험신호에 의해 공

중의 인식적 행동적 변화가 보다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한편 개인의 위험판단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미디어 의존이론(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을 들 수 있다 미디어 의존

이론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내용이 개인의 목적달성과 일치할 때 개인은 미

디어에 의존하게 되며 이럴 경우 미디어의 효과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남을

강조한다 즉 미디어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인식될 경우 수

용자는 그 메시지에 의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 메시지에 영향을 받게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7

된다는 논리이다(차동필 2011) 특히 미디어 의존이론에서는 수용자들이 그

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하고 미디어의 메시지는 수용

자들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김진영

2003) 사실 미디어 의존이론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정보제공은

공중으로 하여금 원자력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성 증가에 있어서 지식의 역할

이 강조되기도 한다 Sjoumlberg와 Drottz-Sjoumlberg(1991)는 원자력과 관련된 지

식이 원자력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명확히 밝혀

진 것은 아니다(Connor amp Siegrist 2010) 다만 원자력에 관한 지식이 있는 사

람들은 신뢰와 위험인식 그리고 지각된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태도를 결정하는 반면에 원자력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오로지 신뢰에 의

존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이현주이영애 2011) 또한 지

식이 교육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정도에 따라 위험인식

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공중

의 관점도 위험인식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그 동안

위험관련 연구들은 정작 수용자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를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 이상의 관점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

식은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이다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위험연구의 또 다른 측면에서 비

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뢰이다 이는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위

험에 대한 인식이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다른 세계관이나 이질적인

감정적 경험과 반응 또는 상이한 사회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전문가나 위험관리 기관이나 기업 등을 신뢰한다면 위험인식 차원을 넘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

성경 2012)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위험갈등이나 위험논쟁은 대부분 의혹이

나 불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자력기술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의 신뢰 문제는 단순히 위험인식 영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위험

평가나 위험관리 위험예방 나아가 lsquo성찰rsquo을 통한 위험사회의 극복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위험 수용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연구는 수용을 타인과 관련한 감정적인

상호 관계로 이해한다 즉 사람과 어떠한 대상의 관계 영역에서 감정적 요

인은 당연히 고려되는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자들은 위

험수용에 대한 설명 및 진단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요인을 크게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lsquo신뢰성rsquo을 위험 수용의 근본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신뢰성은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들에 대해 갖는 확신의 수

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전 건립이나 수용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근

본적 이유는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안전성 문제 그

리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송해룡김원제 2012

Cha 2000)

한편 사회적인 영향의 핵심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인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여러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송해룡김원제 2012 Slovic Flynn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11: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5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은 어떤 경로를 통하든 이미 사전에

형성되어 있는 두려움이나 공포감 그로 인한 심각성에 영향을 받는다

물론 미디어는 공중에게 두려움이나 공포감과 같은 감정적 효과를 유발

하면서도 관련 지식의 습득을 위한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공

중은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나 재난 사고 질병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 위험에 대한 인지적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상황에 대한 판단을

위해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 그러므로 미디어는 위험을 보도할 때

국민들에게 미칠 충격을 고려한 신중한 보도와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도록

심층적인 접근의 자세가 필요하다 즉 언론은 원자력과 관련된 다양한 소

재를 발굴하여 원자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그리고 장점과 단점에

대해 균형적으로 소개하면서 합리적 해결방안을 도출하도록 공개장적 기능

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한동섭 외 2004) 그러나 과연 미디어가 공중이 상황

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재난보도와 관련하여 미디어는 지나치게 선

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로 객관적 현실을 전달하지 못하고 공중에게 공포

심을 증폭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김인숙 2012 노진철 2004)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미디어의 보도는 여러 연구들의 조사에서도 일관되

게 증명되고 있는데(Greenberg Sachsman Sandman amp Salome 1989 Kasperson

Jhaveri amp Kasperson 2001) 원자력과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주로 사건 사고

나 갈등 중심이었고 미국 네트워크 텔레비전의 저녁뉴스를 분석한 연구에

서도 환경관련 뉴스는 대형 화학물질 유출사건과 같이 예상치 못한 극적인

재난들과 연관된 것에 초점을 맞추었고 특정한 사건 사고에 대해 얼마만

큼 보도를 할 것이며 어떤 소재와 언어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위험을 극대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한동섭김형일 2011) 특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히 원자력 문제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기억이 오래 가기 때문에 원자력 관련 사고가 빈도는 매우 낮

지만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해당 기술에 대해 비정상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는 강한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신호는 위험인식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에 의해 확산되어 부정적인 이미지와 인

식을 고착시키고 결국 공중으로 하여금 회피하게 만든다는 것이다(한동섭김형일 2011) 이러한 연구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그 동안 형성되어 왔던

위험인식이 미디어 보도를 통해 증폭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험커뮤니케

이션 증폭모델에서도 잘 드러나 있는데 이 모델은 특정 위험에 대한 미디

어의 집중적인 보도와 이에 반응하는 대중들의 높은 관심 그리고 각 사회

기관들의 집중도와 이에 따른 전반적인 결과는 lsquo사회적으로 증폭된(socially

amplified)rsquo 것으로 본다 즉 어떠한 결정적인 위험 관련 이슈에 대한 사건

사고나 그에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대상이 뭔가 lsquo비정상적인 위험(abnormal

risk)rsquo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에 해당 장소나 물품 혹은 연관

된 기술에 관한 부정적 이미지를 생산 사회적 인지도를 획득하게 되는 결

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허인서 2004) 그러므로 미디어의 위험보도는 관련

위험자체를 보다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후쿠시마

와 같은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미디어의 증폭된 위험신호에 의해 공

중의 인식적 행동적 변화가 보다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한편 개인의 위험판단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미디어 의존이론(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을 들 수 있다 미디어 의존

이론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내용이 개인의 목적달성과 일치할 때 개인은 미

디어에 의존하게 되며 이럴 경우 미디어의 효과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남을

강조한다 즉 미디어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인식될 경우 수

용자는 그 메시지에 의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 메시지에 영향을 받게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7

된다는 논리이다(차동필 2011) 특히 미디어 의존이론에서는 수용자들이 그

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하고 미디어의 메시지는 수용

자들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김진영

2003) 사실 미디어 의존이론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정보제공은

공중으로 하여금 원자력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성 증가에 있어서 지식의 역할

이 강조되기도 한다 Sjoumlberg와 Drottz-Sjoumlberg(1991)는 원자력과 관련된 지

식이 원자력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명확히 밝혀

진 것은 아니다(Connor amp Siegrist 2010) 다만 원자력에 관한 지식이 있는 사

람들은 신뢰와 위험인식 그리고 지각된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태도를 결정하는 반면에 원자력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오로지 신뢰에 의

존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이현주이영애 2011) 또한 지

식이 교육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정도에 따라 위험인식

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공중

의 관점도 위험인식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그 동안

위험관련 연구들은 정작 수용자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를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 이상의 관점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

식은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이다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위험연구의 또 다른 측면에서 비

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뢰이다 이는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위

험에 대한 인식이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다른 세계관이나 이질적인

감정적 경험과 반응 또는 상이한 사회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전문가나 위험관리 기관이나 기업 등을 신뢰한다면 위험인식 차원을 넘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

성경 2012)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위험갈등이나 위험논쟁은 대부분 의혹이

나 불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자력기술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의 신뢰 문제는 단순히 위험인식 영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위험

평가나 위험관리 위험예방 나아가 lsquo성찰rsquo을 통한 위험사회의 극복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위험 수용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연구는 수용을 타인과 관련한 감정적인

상호 관계로 이해한다 즉 사람과 어떠한 대상의 관계 영역에서 감정적 요

인은 당연히 고려되는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자들은 위

험수용에 대한 설명 및 진단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요인을 크게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lsquo신뢰성rsquo을 위험 수용의 근본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신뢰성은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들에 대해 갖는 확신의 수

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전 건립이나 수용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근

본적 이유는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안전성 문제 그

리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송해룡김원제 2012

Cha 2000)

한편 사회적인 영향의 핵심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인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여러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송해룡김원제 2012 Slovic Flynn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12: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히 원자력 문제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기억이 오래 가기 때문에 원자력 관련 사고가 빈도는 매우 낮

지만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해당 기술에 대해 비정상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는 강한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신호는 위험인식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위험인식은 미디어의 보도에 의해 확산되어 부정적인 이미지와 인

식을 고착시키고 결국 공중으로 하여금 회피하게 만든다는 것이다(한동섭김형일 2011) 이러한 연구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그 동안 형성되어 왔던

위험인식이 미디어 보도를 통해 증폭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험커뮤니케

이션 증폭모델에서도 잘 드러나 있는데 이 모델은 특정 위험에 대한 미디

어의 집중적인 보도와 이에 반응하는 대중들의 높은 관심 그리고 각 사회

기관들의 집중도와 이에 따른 전반적인 결과는 lsquo사회적으로 증폭된(socially

amplified)rsquo 것으로 본다 즉 어떠한 결정적인 위험 관련 이슈에 대한 사건

사고나 그에 관련된 미디어 보도는 대상이 뭔가 lsquo비정상적인 위험(abnormal

risk)rsquo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에 해당 장소나 물품 혹은 연관

된 기술에 관한 부정적 이미지를 생산 사회적 인지도를 획득하게 되는 결

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허인서 2004) 그러므로 미디어의 위험보도는 관련

위험자체를 보다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후쿠시마

와 같은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미디어의 증폭된 위험신호에 의해 공

중의 인식적 행동적 변화가 보다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한편 개인의 위험판단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미디어 의존이론(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을 들 수 있다 미디어 의존

이론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내용이 개인의 목적달성과 일치할 때 개인은 미

디어에 의존하게 되며 이럴 경우 미디어의 효과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남을

강조한다 즉 미디어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인식될 경우 수

용자는 그 메시지에 의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 메시지에 영향을 받게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7

된다는 논리이다(차동필 2011) 특히 미디어 의존이론에서는 수용자들이 그

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하고 미디어의 메시지는 수용

자들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김진영

2003) 사실 미디어 의존이론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정보제공은

공중으로 하여금 원자력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성 증가에 있어서 지식의 역할

이 강조되기도 한다 Sjoumlberg와 Drottz-Sjoumlberg(1991)는 원자력과 관련된 지

식이 원자력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명확히 밝혀

진 것은 아니다(Connor amp Siegrist 2010) 다만 원자력에 관한 지식이 있는 사

람들은 신뢰와 위험인식 그리고 지각된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태도를 결정하는 반면에 원자력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오로지 신뢰에 의

존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이현주이영애 2011) 또한 지

식이 교육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정도에 따라 위험인식

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공중

의 관점도 위험인식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그 동안

위험관련 연구들은 정작 수용자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를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 이상의 관점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

식은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이다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위험연구의 또 다른 측면에서 비

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뢰이다 이는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위

험에 대한 인식이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다른 세계관이나 이질적인

감정적 경험과 반응 또는 상이한 사회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전문가나 위험관리 기관이나 기업 등을 신뢰한다면 위험인식 차원을 넘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

성경 2012)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위험갈등이나 위험논쟁은 대부분 의혹이

나 불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자력기술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의 신뢰 문제는 단순히 위험인식 영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위험

평가나 위험관리 위험예방 나아가 lsquo성찰rsquo을 통한 위험사회의 극복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위험 수용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연구는 수용을 타인과 관련한 감정적인

상호 관계로 이해한다 즉 사람과 어떠한 대상의 관계 영역에서 감정적 요

인은 당연히 고려되는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자들은 위

험수용에 대한 설명 및 진단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요인을 크게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lsquo신뢰성rsquo을 위험 수용의 근본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신뢰성은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들에 대해 갖는 확신의 수

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전 건립이나 수용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근

본적 이유는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안전성 문제 그

리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송해룡김원제 2012

Cha 2000)

한편 사회적인 영향의 핵심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인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여러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송해룡김원제 2012 Slovic Flynn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1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7

된다는 논리이다(차동필 2011) 특히 미디어 의존이론에서는 수용자들이 그

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디어에 의존하고 미디어의 메시지는 수용

자들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김진영

2003) 사실 미디어 의존이론에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정보제공은

공중으로 하여금 원자력기술에 대한 관련 지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수용성 증가에 있어서 지식의 역할

이 강조되기도 한다 Sjoumlberg와 Drottz-Sjoumlberg(1991)는 원자력과 관련된 지

식이 원자력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명확히 밝혀

진 것은 아니다(Connor amp Siegrist 2010) 다만 원자력에 관한 지식이 있는 사

람들은 신뢰와 위험인식 그리고 지각된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태도를 결정하는 반면에 원자력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오로지 신뢰에 의

존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이현주이영애 2011) 또한 지

식이 교육정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정도에 따라 위험인식

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Robinson Robinson Raup amp Markum 2012)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해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공중

의 관점도 위험인식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그 동안

위험관련 연구들은 정작 수용자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를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 이상의 관점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

식은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이다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위험연구의 또 다른 측면에서 비

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뢰이다 이는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위

험에 대한 인식이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다른 세계관이나 이질적인

감정적 경험과 반응 또는 상이한 사회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전문가나 위험관리 기관이나 기업 등을 신뢰한다면 위험인식 차원을 넘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

성경 2012)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위험갈등이나 위험논쟁은 대부분 의혹이

나 불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자력기술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의 신뢰 문제는 단순히 위험인식 영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위험

평가나 위험관리 위험예방 나아가 lsquo성찰rsquo을 통한 위험사회의 극복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위험 수용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연구는 수용을 타인과 관련한 감정적인

상호 관계로 이해한다 즉 사람과 어떠한 대상의 관계 영역에서 감정적 요

인은 당연히 고려되는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자들은 위

험수용에 대한 설명 및 진단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요인을 크게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lsquo신뢰성rsquo을 위험 수용의 근본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신뢰성은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들에 대해 갖는 확신의 수

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전 건립이나 수용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근

본적 이유는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안전성 문제 그

리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송해룡김원제 2012

Cha 2000)

한편 사회적인 영향의 핵심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인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여러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송해룡김원제 2012 Slovic Flynn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14: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위험연구의 또 다른 측면에서 비

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뢰이다 이는 일반시민과 전문가들의 위

험에 대한 인식이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다른 세계관이나 이질적인

감정적 경험과 반응 또는 상이한 사회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일반시민들이

전문가나 위험관리 기관이나 기업 등을 신뢰한다면 위험인식 차원을 넘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

성경 2012)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위험갈등이나 위험논쟁은 대부분 의혹이

나 불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자력기술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의 신뢰 문제는 단순히 위험인식 영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위험

평가나 위험관리 위험예방 나아가 lsquo성찰rsquo을 통한 위험사회의 극복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 조성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위험 수용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연구는 수용을 타인과 관련한 감정적인

상호 관계로 이해한다 즉 사람과 어떠한 대상의 관계 영역에서 감정적 요

인은 당연히 고려되는 결정인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자들은 위

험수용에 대한 설명 및 진단과 관련하여 감정적인 요인을 크게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lsquo신뢰성rsquo을 위험 수용의 근본적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송해룡김원제 2005) 신뢰성은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위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기관들에 대해 갖는 확신의 수

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전 건립이나 수용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근

본적 이유는 원전 정책에 대한 불신 그로 인해 형성되는 안전성 문제 그

리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송해룡김원제 2012

Cha 2000)

한편 사회적인 영향의 핵심요소로서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인식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여러 연구들(송해룡김원제 2005 송해룡김원제 2012 Slovic Flynn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15: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29

amp Layman 1991)은 긍정적인 계몽 효과를 주지 못하는 정보제공은 자칫 위험

에 대한 공포를 부추기며 과장되거나 축소 왜곡된 정보는 부정적 감정을

자극하여 자칫 신뢰성의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이타

주의적 행위와 지역민의 관점에서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려 책임을 강조한

메시지는 신뢰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Cvetkovich

Siegrist Murray와 Tragesser(2002)는 원자력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 전

문가의 기술적 평가가 아무리 좋게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관련 기관들을 신

뢰하지 않는 공중은 그 결과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신뢰성의 문제가 특정 위험에 대한 수용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초임을 시

사한다

신뢰가 위험의 수용을 결정한다는 점은 이나경 임혜숙과 이영애(2008)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데 지역주민들의 경우 정부와 원자력방폐장 관

련 전문가들을 신뢰할수록 방폐장 유치를 찬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현주와 이영애(2011)의 연구에서도 신뢰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에 대한

공중의 낙인반응에 부적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 관

리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낙인반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으로 말하자면 신뢰가 높을수록 낙인반응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 관련 기관들에 대한 공중의 신뢰는 위험수용을 높이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한다

공중들은 방사능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에

대한 신뢰에 근거하여 위험을 인식한다(Slovic 1993)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

계를 보고한 연구들(심준섭 2009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Cvetkovich 1999)은

원자력 전문가 정부 또는 원자력기술 및 시설의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는

위험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신뢰성이 낮을수록 원자력 관련 시설의

위험성을 크게 인식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16: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하지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와 그로 인한 선유경향이나 위

험성 증폭 등으로 인해 이미 형성된 위험인식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에서 위험은 부분적으로 사람에게

해로운 객관적인 위협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의 결

과물로 이해된다 위험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것

으로 위험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은 늘 위험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며 이를 다른 개인 혹은 집단과 의사소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위험과 관련된 사건들과 위험에 대한 인식을 증폭시키는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문화적 과정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위험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기보다는 그 사회의 정보소통체계를

통해 위험에 대해 알게 되고 이때 위험에 대한 정보전달자인 미디어가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정부연구소나 시민운동단체 대기업 등

과 같은 사회기관들 역시 위험에 대한 사회적 논란에서 위험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관리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박희제 2004) 따라

서 사람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사전 형성된 위험인식은 위험정보소통체계

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주장하고 건립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에 대해 부정

적 인식과 더불어 불신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사회

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폐지나 원전 추가건설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높았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

성을 강조하였고 추가적인 원전의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

기도 하였다 정부를 포함한 원전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

지만 이미 선유경향이나 위험증폭에 의해 원전에 대한 높은 위험인식을 갖

고 있는 공중으로서는 원전의 안전성과 필요성만을 강조하는 관련 기관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17: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1

에 대해 불신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사람들이 정부의 원자력 관리 능력이 미흡하거나 공정하지 못하거

나 또는 정부가 자신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정

부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심준섭 2009 오미영 외 2008) 이

런 관점에서 위험인식과 신뢰는 위험정보소통체계 내에서 상호 영향을 미

치고 lsquo의존하는 관계(박희제 2004 Freudenburg 1993)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Bronfman Vazques와 Dorantes(2009)는 30개의 위험요인들을 대

상으로 규제기관에 대한 신뢰 위험인식 인식된 혜택 수용성의 관계를 연

구한 결과 신뢰와 위험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

하였음을 보고하였다(심준섭 2009) 이는 신뢰가 위험인식에 역으로 위험인

식이 신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은 논지

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

은 감소할 것이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18: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조사대상자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집단으로서 서울경

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인구 총 조사 결과기준을 통해 할당 표집 하

여 총 500명을 추출하고 이들에게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

사대상자의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249명(498) 여성 251

명(502)이었으며 연령은 20대 103명(206) 30대 114명(228) 40대 119

명(238) 50대 100명(200) 60대 이상 64명(128)으로 나타났고 평균 연

령은 4369세(SD=1309)였다 교육정도는 중학교 졸업 36명(72) 고등학교

졸업 217명(434) 대학교 졸업 236명(472) 대학원 재하 7명(14) 대학

원 졸업 4명(08)이었다

2 측정도구

1) 미디어의존

본 연구에서 미디어의존은 Hetsroni(2008) 차동필(2011)이 사용한 3문항

의 척도를 참조하여 TV가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뉴스나 정보를 접하

는데 있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

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

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한다 3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rsquos α)는 848로 나타났다

2) 원자력기술(발전소 포함)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본 연구에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는 원자력

기술에 대한 미디어(TV 중심)의 보도경향에 대해 공중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19: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3

(ldquo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지rdquo)를 의미하는 것으로 송해룡(2012)이 제시한 4문항을 참조하여 미

디어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보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서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

(Cronbachrsquos α)는 711로 나타났다

3) 위험인식

본 연구에서 위험인식은 Morton과 Duck(2001)이 사용한 4문항의 위험인

식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해 개인적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

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음을 뜻한다 4 항목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676으로

나타났다

4) 제도적 신뢰성

본 연구에서 제도적 신뢰성은 이현주와 이영애(2011)가 사용한 2문항의

신뢰 척도를 참조하여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부의 법과 규제 또는 정부 전

문가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하였

고 lsquo전혀 그렇지 않다rsquo는 1점 lsquo매우 그렇다rsquo는 5점으로 평정하였다 두 항목

의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는 741이었다

3 자료처리

본 연구는 SPSS 115 프로그램과 IBM AMO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내적 합치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신뢰도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20: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분석(reliability analysis) 등을 실시하였고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요 요인을 설정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21: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5

Ⅳ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미디어의존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

다 다음의 lt표 1gt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미디어의존은 미디어보도에 대

한 공중의 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r=-088 plt05) 위험인식과는 정적 상

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r=183 plt01)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는 위험인식(r=147 plt01) 제도적 신뢰성(r=-119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r=-213 plt01)과 부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lt표 1gt 미디어의존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 및

제도적 신뢰성의 상관관계(n=500)

M(SD) 미디어의존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위험인식

제도적 신뢰성

미디어의존 4201(71) -

미디어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3540(56) -088 -

위험인식 3549(59) 183 147 -

제도적 신뢰성 2413(70) -067 -119 -213 -

plt001

2 가설검증

본격적인 가설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확

인하였다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인 Normed χ2(표준카이스퀘어) RMR(잔차평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22: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균자승이중근 root mean square residual) GFI(적합지수 goodness-of-fit-index)

AGFI(조정적합지수 adjusted goodness-of-fit-index) RMSEA(근사오차평균자승의 이

중근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이용하였고 증분적합지수는

NFI(표준적합지수 normed fit index) RFI(상대적합지수 relative fit index) TLI(터커-

루이스지수 Turker-Lewis index) CFI(비교적합지수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

였다 적합지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Normed χ2=300 이하(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 GFI와 AGFI=90 이상일 때 RMR=06~08 이하일 때 RMSEA=08

~10 이하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보며 증분적합지수인 NFI RFI

TLI CFI는 모두 90 이상일 때 적합기준을 충족하였다고 본다(배병렬 2008)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Normed χ2=1120 RMR=

022 GFI =980 AGFI=970 RMSEA=016 NFI=959 RFI=947 TLI=994

CFI=99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lt표 2gt는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lt표 2gt 가설검증(n=500)

경로표준β

SE CR(t)효과

총 직접 간접

가설1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

미디어의존rarr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255

-

046

-

4274

-

255

-

255

-

-

-077

가설2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

공중의 태도rarr위험인식rarr 제도적 신뢰성

247

-

074

-

3536

-

247

-

247

-

-

-074

가설3 위험인식rarr제도적 신뢰성 -301 089 -4536 -301 -301

plt00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2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7

우선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1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존은 위험인식에 대해

β=255(t=4274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

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일수록 공중의 위험인식도 높아질 것rsquo이라는 가설 2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공중의 미디어보도에 대한 태도는 위험인식에 대해 β=247(t=3536 plt001)

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quo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

뢰성은 감소할 것rsquo이라는 가설 3을 살펴본 결과 공중의 위험인식은 제도적

신뢰성에 대해 β=-301(t=-4536 plt001)로 신뢰수준 999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존과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 위험인식

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인식은 -077로 나타나 미디어에 의존하면서

위험을 인식할수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마찬가지로 원자력기술 관련 미디어보도

에 대한 공중의 태도와 제도적 신뢰성에 있어서도 위험인식의 간접효과는

-074로 미디어보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위험을 인식할수

록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나 이 역시 간접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24: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제도적 신뢰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에 대한 공중의 태도 위험인식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모형을 통한 경

로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전반적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직접적인 관계는 물론 다른 변인

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한동섭김형일 2011)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공중의 위험인식

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보를 미

디어를 통해 접할수록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험인식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위험이라고 할지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위험을 인식하기 때문에 객관적 위험보다 주관적 위험인식이

더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문화적 합리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나 선택 그리고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기 때문에(심준섭 2009 한동섭김형일 2011)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주관적 위험인식은 경험과 이를 통한 감정적 측면 즉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의해 형성되기 쉽다 이미 발생한 일련의 원자력관련 사건 사고들 예를

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미디어를 통해 목도한 공중들은 원자력기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막연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실재적 위험으로 받아들이

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더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간 동안 국내 미디

어 보도의 대부분은 지나치게 공포감을 조장하는 보도 중심이었다는 비판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25: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39

(백선기이옥기 2011) 그리고 공중의 경우에 원자력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한다고 볼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태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인식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

하다

MacKuen과 Coombs(1981)는 사건의 특성과 미디어에 나타난 사건의 모

습이 이미지와 의견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하여 미디어

의 원자력기술 관련 보도가 증가할수록 태도를 변화시키는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송해룡 2012) 그러므로 공중이 원자력기술에 대한 정

보를 미디어에 의존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결과는 미디어가 원자력

기술에 대해 보도하는데 있어 위험이나 결과를 과장하거나 위험을 증폭시

키며 편향된 의견 형성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내고 있음(송해룡 2012)을 시사

한다 따라서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위험보도에 있어서 공중의 감정

적 자극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니라 위험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르게 이해와 여론형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디어가 위험의 성격을 파악

하고자 하는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합리적

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론장으로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

겠다

둘째 공중은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정확하고 잠재적이고

실재적인 위험에 대해 잘 보도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위험인식도 높았다

원자력기술은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공중이 정보를 접하더

라도 이해하기는 매우 힘들다 사실 대부분의 개인들은 특정 기술 및 위험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정보소스에 의지하지만 대부분은

미디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잠재적 이익이나 위험과 관련된 정보는 공

중의 입장에서 봤을 때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하는 정보들(Costa-Font amp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26: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Mossialos 2007)로서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공중에게 있어 위

험은 잠재적이고 불확실하며 통제 불가능한 영역이므로 그 어떤 영역보다

도 미디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디어가 위험을 사회적으로 재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구성된 위험은 그 자체로 사회적 사실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중이 미디어의 위험보도를 사실로 인식할 경우에 그에 수반되

는 위험인식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

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미디어의 사회적 재구성이 의미구성의 해석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그 해석과정에 따라 위험인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는 점에서 미디어가 위험을 보도할 때 위험 사실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을

제공하고 위험에 대한 해석과정에서 확인(무엇이 위험으로 간주되는가) 분석

(위험이 얼마나 큰가) 평가(위험은 수용 가능한가) 위험관리(위험의 통제와 위험의

축소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평가(송해룡 2012)가

중요하고 나아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학계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자유로운 소통 및 신뢰성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성찰의 공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중이 원자력기술을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의 법과 규제

정부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 등 전반적인 제도적 신뢰성은 감소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부정적 인식이 후쿠시마 원전사

고와 같은 사례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의 관련 사건에 대한 감정적 측면의

보도로 인해 위험인식이 보다 증폭되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정부의

원전추가 건설이나 원전의 유지 및 건설의 당위성 또는 필요성을 지속적으

로 주장 원전건설에 대한 사회논쟁을 확대시켰다는 점이 연구결과에 일정

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험인식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27: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1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

험인식은 기존의 선유경향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미디어보도의 영

향으로 관련 위험에 대한 인식이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추

가원전 건설 강행이나 원전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된

사실들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결국 원자력기술에 대한 공

중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자력기술 관련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

이외에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불안을 낮추는 즉 위험인식을 완화시

킬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 공공기관 및 관련 기관 과학자들 전문기관 공익단체

및 시민단체 일반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적인 위험정보 의사소통체계 구축

을 통해 원자력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원자력기술에 대

한 위험인식은 낮추고 신뢰성은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기술(발전소 포함)에 대해 공중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두려움이나 공포감 즉

선유경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실제적인 위험으로 다가왔고 미디어

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더해져 그 위험인식이 증폭되었음을 가정

하였다 이런 가정은 이론적 검증이 이루어진 위험증폭모델을 통해 설정하

였으나 분석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공중의 원자력기술에 대한 위

험인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증폭되었음을 측정하였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

과를 이끌어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연구 접

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28: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참고문헌

김인숙 (2012)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3) 79-106

김진영 (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

족정체성 미디어 의존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

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권 2 119-154

노진철 (2004) 환경뉴스에서의 위험커뮤니케이션 985172한국사회학985173 38권 1

호 77-105

박희제 (2004)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

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985172환경사회학 연구985173 6권

8-38

백선기이옥기 (2011)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

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85172한일국제심포지엄985173 9호 23-57

심준섭 (2009)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신뢰 인식된 위험과 혜택 그리고

수용성 985172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985173 3권 213-238

심준섭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985172한국행정학보985173 45권 3호

173-202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원제 (2005) 985172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수용985173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송해룡김원제 (2012)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

수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콘텐츠학회지985173 12권 6호 238-248

이현주이영애 (2011)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

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985172한국심리학회지985173 30권 3호 831-85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29: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3

송해룡이윤경 (20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985172정치커뮤

니케이션 연구985173 28호 97-144

오미영최진명김학수 (2006)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

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

용에 미치는 영향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2권 1호 467-500

진달용고영준 (2012) TV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985172언론과 사

회985173 20권 4호 5-45

진상현 (201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

석 985172한국행정논집985173 24권 4호 1011-1038

조성경 (2012)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

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동필 (2011)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

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1권 3호

325-348

한동섭김형일 (201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

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985172한국위기관리논집985173 7권 2호 1-22

한동섭배진한김형일주지혁 (2004) 985172원자력 정책에 관한 정보 신뢰도

젝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985173 과학기술부

허인서 (2004) 한국신문의 위험관련 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중앙일간지의

조류독감 보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Rokeach S J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Ball-Rokeach S J Rokeach M amp Grube J W (1984) The great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30: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4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american values test Influencing behavior and belief through

television New York Free Press

Bronfman N C Vazques E L amp Dorantes G (2009)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Safety Science 47 686

~692

Cha Y J (2000) Risk perception in Korea A comparison with Japan

amp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isk Research 3 321~332

Connor M amp Siegrist M (2010) Factors influencing peoples

acceptance of gene technology The role of knowledge health

expectations naturalness and social trust Science Communication

32 514~538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5) lsquoAmbivalentrsquo individual

preferences towards biotechnology in the European Union

Products or processes Journal of Risk Research 8(4) 341~354

Costa-Font J amp Mossialos E (2007) Are perceptions of risks and

lsquobenefitsrsquo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dependen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 173~182

Covello V amp Sandman P (2001) Risk communication Evolution and

revolution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Cvetkovich G (1990) The attribution of social trust In G Cvetkovich

amp R Lofstedt (Eds) Social trust and the management of risk

London Earthscan

Cvetkovich G Siegrist M Murray R amp Tragesser S (2002) New

information and social trust Asymmetry and perseverance of

attributions about hazard managers Risk Analysis 22(2) 359~

367

Freudenburg W R (1993) Risk and recreancy weber the division of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31: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5

labor and the rationality of risk perception Social Forces 71

909~932

Gaskell G Alum N Wagner W Kronberger N Torgensern H

Hampel J amp Bardes J (2004) GM foods and the

mis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4 185~194

Greenberg M R Sachsman D B Sandman P M amp Salome K L

(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Gregory R S amp Satterfield T A (2002) Beyond perception The

experience of risk and stigma in community contexts Risk

Analysis 22(2) 347~358

Kasperson R E Jhaveri N amp Kasperson J X (2001) Stigma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Toward a frame work of risk

analysis In Flynn J Slovic P amp Kunreuther H (eds) Risk

media and stigma Understanding public challenges to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and Sterling VA Earthscan

Publications

Loges W E (1994) Canaries in the coal mine Perceptions of threat

and media system dependency rel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1(1) 5~23

Lyu J C (2012) How young chinese depend on the media during

public health cri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Public Relations

Review 38 799~806

MacKuen M B amp Combs S L (1981) More than news Media power

in public affairs Beverley Hills CA

Morton T A amp Duck J M (2001)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Communication Research 28(5) 602~626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32: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14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9호)

Robinson K G Robinson C H Raup L amp Markum T R (2012)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8 29~36

Rundmo T amp Moen BE (2006) Risk perception and demand for risk

mitigation among experts politicians and lay people in Norway

Journal of Risk Research 9(6) 623~640

Rundmo T Nordfjaeligrn T Iversen H H Oltedal S amp JOslashrgensen

S H (2011)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nd other-risk related

judgements in transportation mode use Safety Science 49

226~235

Salomone K L amp Sandman P M (1991) Newspaper coverage of the

diamond shamrock diskin controversy How much content is

alarming reassuring or intermediate CEC

Sjoumlberg L amp Drottz-Sjoumlberg B (1991)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among nuclear power plant employees Risk Analysis 11(4)

607~618

Sjoumlberg L Moen B E amp Rundmo T (2004) Explaining risk

perception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Trondheim

Slovic P (1987) The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Slovic P (1993)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Risk Analysis

13(6) 675~682

Slovic P Flynn J amp Layman M (1991) Perceived risk trust and the

politics of nuclear waste Science 254 1603~1607

투고일 20130509 수정일 20130614 게재확정일 20130621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Page 33: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9.pdf · 의 아사히신문이 전세계 여론의 변화를 조사하기

송해룡김찬원김원제 147

ltABSTRACTgt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Song Hae-Ryong(Prof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Kim Chan-Won(Researcher SSK Risk Communication Research Team)

Kim Won-Je (Adjunct Pro in Dept of Mass Communications Sungkyungkwan Uni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trust on media dependency

and attitude toward media news focused on nuclear (power) technology

Total of 5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

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15 pro-

gram and IBM AMOS 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 media dependency on the news of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Second public attitude toward

media news about nuclear (power)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risk percep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institu-

tional trust

(Kew words media dependency risk perception institutional trust

nuclear(power) technology)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위험인식
    • 2 위험인식과 미디어 의존
    • 3 위험인식과 제도적 신뢰성 정부 전문가 기업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조사대상자
        • 2 측정도구
        • 3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상관관계 분석
            • 2 가설검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