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10.16873/tkl.2017. 77. 391> 한국문학논총 제77(2017. 12) 391~435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 KBS 라디오의 <무엇일까요>를 중심으로 1) 최 미 진 * 차 례 1. 망각의 자리, 어린이 퀴즈 프로그 <무엇일까요> 2. 제작 환경과 벤치마킹의 자리 3. <무엇일까요>의 성장 동력 1) 초등교육정책의 프로파간다와 높 은 교육열 2) 대중적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4. <무엇일까요>의 한계와 의의 국문초록 이 글은 KBS 라디오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무엇일까요>를 실증 적으로 재구성하여 장수 프로그램의 동력과 그 한계를 고찰하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우선, 역사적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무엇일까요>를 실증 적으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 인사들이 제작과 운영에 참여하였다. 편성계장 노정팔 이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PD는 어린이계 담당자 한용희가, 진행은 강영 * 부산대학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lt1016873tkl2017 77 391gt

한국문학논총 제77집(2017 12) 391~435쪽

어린이 퀴즈 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 KBS 라디오의 lt무엇일까요gt를 심으로

1)최 미 진

차 례

1 망각의 자리 어린이 퀴즈 프로그

램 lt무엇일까요gt

2 제작 환경과 벤치마킹의 자리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초등교육정책의 프로파간다와 높

은 교육열

2) 대중적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국문 록

이 글은 KBS 라디오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실증

적으로 재구성하여 장수 프로그램의 동력과 그 한계를 고찰하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우선 역사적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lt무엇일까요gt를 실증

적으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 인사들이 제작과 운영에 참여하였다 편성계장 노정팔

이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PD는 어린이계 담당자 한용희가 진행은 강영

부산대학교

39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숙 김인숙 등이 담당했다 당시 퀴즈 프로그램에 작가를 따로 둔 점이

특이한데 노정팔이 작가 박일암으로 활동하는 가운데 강소천이 조력했

을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프로그램의 신설은 1954년 1월 30일이었으며

폐지 시기는 1966년 이후로 짐작되었다

다음으로 장수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동력은 신설 목적인 교육적

재미를 추동한 요인들에서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속에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아 당대

초등교육정책의 프로파간다 역할을 했다 거기에 중학입시제도와 연계

된 높은 교육열이 프로그램의 성공에 한몫을 했다 둘째 대중적인 포맷

과 양식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재미를 이끌어냈다 대중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하여 프로그램의 공정성 확보와

청취자 참여기회의 확대 그리고 또래집단의 관심 확산을 꾀했다 그리

고 긴 기간 방송되었음에도 프로그램의 제작과 운영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새로움을 잃지 않았다 특히 lsquo질문-응답rsquo 구조에 극과 음악 등

을 다각적으로 활용하여 밋밋하기 쉬운 퀴즈 프로그램 자체에 생동감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점들은 퀴즈 프로그램이 내장한 긴장감과 자기성취

욕망을 아우르면서 교육적 재미를 자연스럽게 이끌어내게 했다

마지막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는 폐지 이유와 맞물려 있었다 lt무

엇일까요gt는 1950년대 중반 이후 KBS 라디오를 비롯한 여러 방송국에

서 벤치마킹할 만큼 성공적 콘텐츠였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 프로그램

내부의 허점들이 노출되면서 신뢰도가 떨어져 갔다 그리고 다변화된 매

체환경 속에서 경쟁력이 약화된 데다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더

해서 프로그램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

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나아가 매체환경의 변화 속에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에

듀테인먼트의 활로 모색에도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3

주제어 1950-60년대 라디오방송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 매체 제도 교육 프로파간다 재미 포맷 극 양식 벤치

마킹 재매개

1 망각의 자리 어린이 퀴즈 로그램 lt무엇일까요gt

이 글은 KBS 라디오1)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2)을 실

증적으로 재구성하여 장수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그 한계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퀴즈 프로그램은 질문에 답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그 내용을 재미있는 쇼 형식으로 연출한 프로그램이다3) lsquo질문-답rsquo으로

구조화된 내용이 근대 지식의 장(場)을 되살리며 교육적 기능을 수반한

다면 그것을 떠받치는 형식은 다양한 구경거리로 오락적 기능을 수행한

다 그러니까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적인 동시에 오락적인 성격을 내장한

프로그램인 것이다

한국에서 첫 퀴즈 프로그램은 1947년 8월부터 방송된 ≪스무고개≫이

다 당시 KBS 라디오의 PD로 복귀한 문제안이 미국의 ≪Twenty

Question≫과 일본의 ≪스무 개의 문≫을 벤치마킹하여 명명을 달리 한

프로그램이었다4) 사회 저명인사나 인기 연예인으로 구성된 패널이 진

1) 이 글에서 방송국 명칭은 영문의 별칭에 라디오방송과 텔레비전방송을 각각 밝

혀 사용하기로 하겠다 연구대상인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시기가 서울중앙방송국

과 서울텔레비전방송국 시대로 이어지는데다 서울텔레비전방송국만 KBS로 통

칭되는 최근 현실이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게다가 1960년 전후 신설 방송국들

은 복잡한 변천과 개칭 과정을 거친 경우가 적잖아 독자들에게 친숙한 별칭이 효

과적이기 때문이다

2) 정규 프로그램은 lsquo≪ ≫rsquo로 그 세부 프로그램은 lsquolt gtrsquo로 각각 표기하였다

3)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871쪽

4)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면 일본의 lt스무 개의

문gt이 미국의 ltTwenty Questiongt을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이고 보면 우리나라

의 lt스무고개gt는 겹으로 벤치마킹한 퀴즈 프로그램이었던 셈이다

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퀴즈형식이었다 ≪스무고개≫는 1950년대 ≪노래자랑≫과 더불어 KBS

라디오의 대표적 프로그램으로 부상했을 뿐 아니라5) 여러 신문이나 잡지

에 「지상(紙上) 스무고개」6)가 게재될 정도로 꾸준하게 관심을 모았던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그러나 이 시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가 ≪스무고개≫

와 시대를 함께 호흡했다는 점은 세인의 기억에서 잊히거나 새로운 세

대들에게 모르는 사실로 다가서고 있다 지금 여기에서 lt무엇일까요gt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크게 세 가지이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를 비롯한 라디오방송 퀴즈 프로그램들의 복기조

차 힘들어졌다는 점이다 한국의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

로 미진하다 방송학 개론이나 방송사에서 퀴즈 프로그램은 간략하게 언

급되는 정도에 머물러왔으며 특정 퀴즈 프로그램의 다각적인 검토는 상

당 부분 뒤쳐져 있다 급변하는 매체환경과 연동한 것을 차치한다면 작

금의 퀴즈 프로그램 연구는 이용과 충족이론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손범수7)와 김현주8)가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들의 서로

다른 시청동기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다변화노력을 촉구하였다면 손미

령9)과 노영선10)은 놀이의 심리적 혹은 서사적 기제를 분석하여 유희성

5) 당대의 이러한 정황은 몇몇 문학작품들에서도 확인 가능한데 이를테면 강소천의

동화에서도 ldquo「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방송을 들으려고 주인댁 식구들은 모두

안방에 모여들었고 우리는 우리대로 우리방에서 래디오를 듣고 있었다rdquo라는 대

목을 찾아볼 수 있다 강소천 「잃어버린 시계(3)」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912 4면

6) 「지상(紙上) 스무고개」는 985172한국일보985173가 일요 특집판으로 다루면서 다른 일간지

에도 영향을 끼쳤다 lsquo스무고개rsquo의 답을 엽서에 적어 보내면 정답자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주는 방식이었는데 이러한 포맷은 방송잡지 985172월간방송985173에서도 발견된다

뿐만 아니라 당대 대중잡지들은 보다 짤막한 형식으로 다루는 면면을 확인할 수

있다

7)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0

8)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9)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5

의 긍정적 면면을 강조하였다 여기에서 비켜선 연구들 또한 넓게는 문

화론적 연구와 접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최은영이 알튀세 이론을 원용

하여 퀴즈 프로그램의 지배이데올로기를 분석한 것이나11) 윤일기는 비

교문화론적 관점에서 한국적 퀴즈쇼의 특성을 검토한 경우가 여기에 해

당한다12)

그럼에도 유독 라디오매체는 간과되고 있다 대부분 텔레비전 퀴즈 프

로그램에 집중되어 있을 뿐 라디오를 통해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들은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초창기 여론조사를 비롯한 수용자 연구

가 몇몇 눈에 띠지만 퀴즈 프로그램에는 눈길두지 않았다 특정 퀴즈 프

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만무할뿐더러 당대 퀴즈 프로그램의

동향을 다룬 글조차 발견하기 힘들다 게다가 열악한 방송환경에서 짧은

라디오시대를 지나온 까닭에 1차 방송자료는 흔적을 찾기 어렵고 문헌

사료의 망실조차 심각한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조차 정확성을 담보하

기 힘든 경우가 적잖다 지금이라도 라디오방송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제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머잖아 복기 자체가 불가능해질 위험

이 높다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 연구는 한국사회 특유의 학생 퀴즈 프로그램

의 자리를 살피는 데 필수불가결하다 우리에게 친숙한 학생 퀴즈 프로

그램은 단연 ≪장학퀴즈≫이다 ≪장학퀴즈≫는 고등학생들의 뛰어난

역량을 뽐내는 퀴즈 프로그램으로 본격적인 텔레비전 방송시대를 맞이

한 1973년 2월 18일 MBC-TV에서 첫 방송되었다 당시 ≪장학퀴즈≫의

인기는 방송국마다 어린이와 중학생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 신설을 추동

하는 등 퀴즈 붐을 일으켰다13) 뿐만 아니라 ≪장학퀴즈≫는 40년을 훌

10)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11)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12)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

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센터 2002 144-160쪽

39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쩍 넘은 기간 학생 퀴즈 프로그램으로 굳건히 자리매김해오고 있다

1996년 가을 중단되었다가 이듬해 EBS로 옮겨 지금도 ≪장학퀴즈-학교

를 가다≫가 방송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장학퀴즈≫의 전신이 MBC 라디오의 ≪장학금퀴즈≫14)에

앞선 KBS 라디오의 ≪라디오게임≫이었다는 점은 거의 간과되어왔다

≪라디오게임≫은 1957년 4월 6일 KBS 제1라디오를 통해 방송되기 시

작했으며 처음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었다 신설 당시

희망자들 중에서 출연자를 선출하는 수용자 중심 경쟁프로그램 형식을

선택했는데 그 결과 ≪라디오게임≫은 중고등학생 중심의 퀴즈 프로그

램으로 변모했다15) 초창기에는 비껴간 참여자층 때문에 우려가 없지

않았지만 중고등학생의 높은 참여율과 청취율로 열기는 쉽게 가라앉지

13) ≪장학퀴즈≫가 인기몰이에 성공하자 TBC-TV가 재빨리 ≪어린이퀴즈≫와 ≪

중학생 퀴즈왕≫을 신설했고 MBC-TV도 ≪어린이 장학퀴즈≫를 신설했다 ≪

장학퀴즈≫ 신설 당시 채산성 문제로 학생 퀴즈프로그램이 거의 전무했던 상황

과는 대조적이라 하겠다 이러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들의 붐은 같은 해 방송국

마다 일반인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들 그러니까 KBS-TV의 ≪퀴즈대학≫

MBC-TV의 ≪알뜰살뜰 퀴즈≫ TBC-TV의 ≪쌍쌍퀴즈≫ 등이 속속 신설되는

것으로 이어졌다 주춤했던 퀴즈 프로그램들의 인기가 동반 상승하면서 퀴즈 붐

의 시대를 맞고 있었던 것이다 「TV3국 「퀴즈」프로경쟁 이젠 주부ㆍ쌍쌍 등장

기세」 985172경향신문985173 1973126 8면

14) ≪장학금퀴즈≫는 1961년 12월 2일 MBC 라디오가 개국하면서 신설된 고등학

생 퀴즈 프로그램이다 당시 공개방송은 연출에 손형식 PD와 주수황 아나운서

사회로 매주 화요일 오후 3시 종로예식장에서 진행되었으며 MBC 라디오를 통

해 매주 일요일 오후 8시부터 30분간 골든아워에 방송되었다 ≪장학금퀴즈≫는

고교대항전 형식까지 KBS 라디오의 ≪라디오게임≫을 벤치마킹한 것이었는데

두 프로그램이 동일 시간대 방송을 고집할 만큼 치열한 경쟁 구도를 띠었다 여

기에는 ≪장학금퀴즈≫가 1위 학교에 내건 상금 3만원이 큰 영향을 끼친 듯하

나 결국 국영방송체제 아래 8월부터 목요일로 방송일자를 변경하고 참여대상도

중학교로 확대해나갔다 「중복되는 프로들 청취사정을 알라」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 77 4면 「맞붙은 KA와 KV」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7 4면 「985172장학금퀴즈985173」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822 8면 「상금도 3만원」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829 5면

15) 원 희 「시평 푸로의 계속적인 연구를-장래성 없는 것은 강요하지 말라」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1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8125 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7

않았다 거기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였겠지만 특히 참여자들 대부분이

이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에 친숙한 청취자 혹은 출연

자였다는 점을 간과하기 힘들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는 학생 퀴즈

프로그램의 변천과정을 고찰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위치에 있다 하겠

마지막으로 lt무엇일까요gt 연구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지

향점을 가늠하게 한다는 점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과 오락을 동시에

내장한 양가적 프로그램이다 다르게 말하면 퀴즈 프로그램은 기획의도

와 운영방식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띠며 그만큼 논자들의 시각차도 크

다 피스크는 퀴즈 프로그램이 평등한 기회라는 당의정에 상품을 내건

경쟁구조를 실어 나르는 엘리트 교육제도의 은유이자 자본주의와 가부

장적 이데올로기의 전달자라고 비판한다16) 그 연장선에서 근대 지식을

단순 기억술로 전화(轉化)하거나17) 도박같이 사행심을 조장할18) 위험을

경고한 학자들도 적잖다 물론 반격도 만만찮은데 그 중심에 학계뿐 아

니라 방송관계자들도 앞장선다 그들은 퀴즈 프로그램의 경쟁이 지금의

현실을 반영할 뿐 아니라 상금의 양과 시청률이 반드시 비례관계에 놓

이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한다19) 특히 퀴즈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에게

즐기면서 가르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논의된다20) 이렇게 분분

한 입장들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은 라디오시대를 넘어 텔레비전 시대에

도 대중들과 긴밀하게 호흡하고 있다

그럼에도 유독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성쇠의 자리가 두드러진다 근

대의 발명인 어린이는 사회적 기대감과 우려를 동시에 환기시켜왔다 그

16)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1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18)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19)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쪽

20) 앤 쿠퍼 첸 위의 책 282-292쪽

39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런 어린이들로 특정된 퀴즈 프로그램 또한 여느 프로그램들과 다른 방

송문법으로 특성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방송매체의 전환은 어린

이 퀴즈 프로그램의 전략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이 성쇠를 거듭하며 새롭게 지향점을 모

색해야 하는 이유로 작용했을 것이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면면을 보다 면밀히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여 이 글은 우선 역사적 문헌연구방법을 원용하

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을 실증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

다 문헌자료의 망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이 프로그램은 망각과 착오를

거듭하며 서로 다르게 기억되고 있다 때문에 프로그램의 제반환경과 사

회적 상황 등을 검토하여 lt무엇일까요gt의 자리를 분명히 하고자 한다

나아가 lt무엇일까요gt의 면면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장수프로그램의

동력과 그 한계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연계하여 고찰할 것

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라디오방송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역동성을 새롭게 의미화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2 제작 환경과 벤치마킹의 자리

lt무엇일까요gt는 주목할 만한 기록을 남긴 KBS 라디오의 어린이 프

로그램들 중 하나다 그것은 처음 시도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었을

뿐 아니라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가장 오랫동안 인기를 끌었던

공개방송 프로그램이었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에 대한 실증적 조사

나 연구가 거의 부재한 가운데 기초적 정보가 미흡하거나 잘못 알려진

부분이 적지 않다 여기에서는 착오가 적잖은 프로그램의 제작환경을 실

증하고 한 걸음 나아가 성공의 지표로서 벤치마킹한 자리를 살펴볼 것

이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9

제작환경 면에서는 lt무엇일까요gt의 정보는 부정확한 편이다 첫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가 언제 첫 방송되고 마지막 방송

이 이루어졌는지 종잡기 힘들다 985172한국방송사985173는 한국방송언론사 중에

서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해 비교적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편이다 이

책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0월 개편 이후21) 혹은 10월 30일22) 신

설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당시 정황은 1954년 4월 개편 이후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15분에서 30분으로 증가되었고 이때 신

설된 공개방송 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 뒤에 lt무엇일까요gt가 놓

여 있다23)

하지만 문헌연구의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월 30일 토요일 첫

방송되었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ldquoHLKA 서울 중앙방송국에서 이 방송을 처음 시작한 것은 단기 4287년

1월 30일rdquo24)로 명시한 바 있지만 그간 한국방송언론사에서 간과해온 것

이다 그럼에도 신설 당시 정황은 밝히지 않은 까닭에 2차 문헌사료들을

통해 추적해볼 수밖에 없었다 ≪어린이시간≫에 포함된 세부 프로그램

들 중 하나인 lt무엇일까요gt는 기존에 토요일마다 방송되던 lt노래극gt

시간을 대체한 것이었다 당시 방송시간도 오후 6시부터 15분간이었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은 당시 방송시간의 증가가 주요한 이유

로 작용하지 않았던 셈이다 아울러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30분

간으로 증가한 것은 1954년 11월 1일부터이며 10월 개편 이후 신설된

것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로 1955년 2월 11일 첫 방송되었다25) 오히려

lt누가 누가 잘하나gt가 방송시간의 증가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 힘

21)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258쪽

22)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91쪽

23)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58쪽

24) 박일암 엮음 「머리말」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25)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40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입어 신설된 프로그램이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시기는 여전히 밝혀진 바 없다 985172한국

방송사985173에 따르면 5ㆍ16쿠데타 이후에도 운영되다가 ldquo뒤에 없어졌고rdquo라

고만 기록되어 있다26) 그러나 ldquo뒤에rdquo가 가리키는 시점이 언제쯤인지 가

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62년 3월 21일 400회 특집기념방송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진행되었

고27) 500회 기념방송이 이루어졌던 1964년에도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

에서 어린이가 가장 즐겨듣는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지목되었다28) 그리

고 1965년 10월 27일 590회 방송이 진행 중인29) KBS 라디오 ≪어린이

시간≫의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66년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행보는 돌연 찾아보기 힘들며 이즈음 폐지 수순을 밟

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에서 제작진의 구성과 성격 그 변천 등도 적확하

지 않다 노정팔의 회고록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는 KBS 라디오 편성

계장으로 있던 노정팔 자신이 신설하였다 당시 PD는 어린이계 담당자

였던 한용희 사회는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과 김인숙 그리고 작가는 박

일암이 각각 맡았다30) 이러한 진용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에 KBS 라

26)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앞의 책 413쪽

27)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28)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는 1964년 7월 6-10일까지 서울지역 10-12세 어린이들을

표본 추출하여 질문지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조사항목 중 라디오 부분에서 lsquo어

린이가 즐겨 듣는 프로그램 베스트ㆍ텐rsquo의 1위는 KBS 라디오의 lt어른 연속방

송극gt이었고 2위가 lt무엇일까요gt 8위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이었다 그만큼

어린이 청취자들에게 lt무엇일까요gt는 lt누가 누가 잘하나gt보다 인기가 높았음

을 알 수 있다 「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결과-어린이의 생활과 방송」 985172방송985173 제7

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91 4-5면

29) 「프로탐방 KA 어린이시간-호화스런 시간 각 부문을 망라」 985172방송985173 제53호 방

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51023 7면

30)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1

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인물들이 참여했다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그러

니까 신설 당시부터 KBS 라디오가 lt무엇일까요gt에 비중을 두었던 셈

이다

특히 lt무엇일까요gt에 작가를 따로 두었다는 점은 여느 퀴즈 프로그

램들과 차별화된다 인기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만 하더라도 작가

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 당시 제작환경을 고려한다면 전속작가가 이 프

로그램의 구성작가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작가의 존재는

프로그램의 인기에 비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라디오게임≫도 마찬가지다 그런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당시부터 작가를 따로 밝힌 드문 경우에 속한다 이 프로그램의 작가는

박일암인데 이는 다름 아닌 노정팔의 필명이다 그러니까 노정팔이 lt무

엇일까요gt를 신설하고 작가로도 활동했던 것이다

더욱이 노정팔은 긴 기간 작가로 활동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에 따르면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를 펴낸 1961년까지 ldquo8년

가까이rdquo를 lt무엇일까요gt와 함께 했다31) 1950년대 주요 일간지의 라디

오 방송안내를 보더라도 작가는 대부분 ldquo박일암rdquo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를 전담할 만큼 노정팔의 신분

에 큰 변동이 없었는가 하는 점은 의문이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의 편

성계장은 공무원 신분이고 인사이동도 있게 마련이다 노정팔 또한 ldquo8년

가까이rdquo KBS 라디오에만 머물지 않았다 1955년 7월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구속된 적이 있었는가 하면32) 1957년 6월부터 5개월간은 미 국

3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32) 당시 주요 일간지에 따르면 1955년 7월 5일 노정팔은 국가보안법 및 병역법 위

반 사문서 위조 업무횡령 등으로 구속되었고 곧이어 검찰에 송치되었다 「보안

법위반혐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7 3면 「노편성계장송청」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 14 3면 반공주의를 앞세운 이승만 정권에서 공무원 신분의 노정팔이 국가보안

법을 위반했다는 것만으로도 위중한 혐의에 속한다 그럼에도 무슨 곡절이었는

지 그는 돌연 복귀하여 8월 3일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다 「라디오」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3 4면

40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무성 초청으로 보스턴대학에 파견 근무를 했다33) 이 기간 노정팔의 빈

자리를 대신한 것은 다름 아닌 어린이문학가 강소천이었다 강소천은 귀

국한 노정팔이 공보실 방송관리국에서 근무했던 기간34)에도 lt무엇일까

요gt를 집필한 것으로 확인된다35) 당시 노정팔이 KBS 제1라디오의

lt반공독본gt을 집필했던 상황36)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ldquo박일암rdquo의 이름으로 노정팔을 앞세우

고 그 빈자리를 강소천이 대신했거나 조력하는 방식을 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가 ldquo박일암rdquo의 편저 형식으로 출

간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작용했다 하겠다 그러나 책 출간 이후 노정팔

의 작가 활동여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37)

33) 1956년부터 미 국무성 인사교환계획에 따라 방송관계자들의 해외파견이 이루어

졌다 1차 파견자는 윤길구 조남사 한기선이었으며 노정팔은 최창봉과 함께 2

차 파견자로 뽑혀 보스턴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정

팔 앞의 책 246-247쪽

34) 노정팔 위의 책 261쪽

35) 1950년대 2차 문헌사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요 일간지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흔적들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물론 당시 일

간지의 라디오방송 안내가 들쭉날쭉하고 인기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조차 상

세하게 밝히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이들 일간지에 따르

면 강소천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자로 처음 확인된 것은 1955년 7월 13일 20

일 27일 3회에 그쳤다 한동안 소강상태였다가 동명 프로그램에서 강소천의 이

름은 1957년 후반부터 1958년 전반에 걸쳐 드문드문 확인할 수 있었다

36) 노정팔은 1958년 2월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6시 20분부터 10분간 lt반공독본gt

을 집필했다 「오늘의 라디오」 985172서울신문985173 195822 4면

37) 현재까지 2차 문헌사료에서도 책을 펴낸 1961년 12월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작

가에 대한 정보는 거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만 기존의 집필방식에 견주어 노

정팔이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는 합리적 의심은 해볼 수 있다 만약 그

렇다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과 폐지시기를 노정팔의 이력과 연계시켜 추정해

보자 노정팔은 1962년 1월 부산방송국장으로 부임했다가 6개월만인 동년 7월

공보실 방송관리국 관리과장으로 돌아왔고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기

존대로 강소천이 대신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1963년 5월부터 1966년 4월

초까지 노정팔은 서울국제방송국장을 역임하였는데 1963년 5월 강소천이 갑작

스러운 건강 악화로 작고한 까닭에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오롯이 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3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은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이 활성화된 데서 확인 가능하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된 기간 방송국

마다 유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방송매체

의 제반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에도 변함없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1950년대 중후반에 국한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

램들이 여럿이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은 1956년 1월 3

일 CBS에서 첫 방송된 lt알아맞히기gt가 맨 앞에 놓인다 lt알아맞히기gt

는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적 사례를 참조하여 스튜디오 대신 특정 초등

학교를 찾아다니며 공개녹음 방식으로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이다 신설

당시부터 ≪어린이시간≫의 러닝 타임을 모두 소화한 첫 프로그램으로

쏟은 공력에 걸맞게 CBS의 대표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승승장구

했다38) 이에 KBS 라디오는 lt무엇일까요gt와 병행할 공개방송 퀴즈 프

로그램 lt꾀돌이문답gt을 신설하고 1957년 10월 12일 토요일 첫 방송했

다 lt꾀돌이문답gt은 오락성을 앞세운 코너들 즉 10분 안에 알아맞혀야

하는 lsquo열 고개rsquo 테마를 제시하면 연기를 해야 하는 즉흥극 또는 전화놀

이 노래에 가사붙이기 등을 다채롭게 운영하여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

았다39) 거기에 첫 텔레비전방송국 HLKZ-TV가 1958년 ≪어린이차지≫

시간에 lt누가 먼저 맞추나gt를 신설하여 경쟁에 가세하였다 lt누가 먼

저 맞추나gt는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치

정팔의 몫이었거나 새로운 작가를 동원했을 수 있다 노정팔이 1966년 4월 9일

부터 대구방송국장으로 옮겨 2년 여 동안 재직하였는데 공교롭게도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 추정시점과 맞물린다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면

그의 이력이 프로그램의 존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

는 셈이다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118 1면 「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3 2면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430 2면 「공보부 국장급 7명 곧

이동할 방침」 985172동아일보985173 196648 1면 「문화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8 727 2면

38)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39)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197쪽

40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호 사회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후반 이들 프로그램들은 경쟁적 구도 속에서도 각 방송국

을 대표하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높은 인기에도 짧은 기간 방송되다

가 폐지되었다 lt알아맞히기gt는 2년 3개월여 만인 1958년 3월 18일 마

지막 방송을 했고 lt꾀돌이문답gt은 1959년 10월 17일 100회 방송으로

끝맺었다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방송국 전소로 불가피하게 하차한 경

우라면 앞선 프로그램들은 갑작스러운 폐지였던 만큼 이유가 불분명하

다 1960년을 가뿐히 넘어선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가

유일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에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텔레

비전매체에서 재매개한 프로그램들이 계속 신설되었고 또 lt무엇일까

요gt를 뛰어넘지 못한 채 폐지 수순을 밟아나갔다 그만큼 lt무엇일까

요gt의 성공적 입지는 청취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되었던 셈이다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등교육정책의 로 간다와 높은 교육열

lt무엇일까요gt는 한국방송사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첫 시도였

으며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까지 KBS 라디오 어린이방송의 대표적

인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당대의 방송정

책과 방송환경 교육제도와 어린이생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정치

사회사적 흐름에 따른 변폭도 적지 않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 목적인 청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시절

ldquo재미있고 즐겁게 공부rdquo하는 데 놓여 있다 ldquo이해보다 기억을 강요rdquo하는

ldquo무리한rdquo 공부에 힘겨워했던40) 당시 어린이들의 상황을 타개하는 동시

에 차별화하는 전략 즉 lsquo교육적 재미rsquo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2: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39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숙 김인숙 등이 담당했다 당시 퀴즈 프로그램에 작가를 따로 둔 점이

특이한데 노정팔이 작가 박일암으로 활동하는 가운데 강소천이 조력했

을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프로그램의 신설은 1954년 1월 30일이었으며

폐지 시기는 1966년 이후로 짐작되었다

다음으로 장수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동력은 신설 목적인 교육적

재미를 추동한 요인들에서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속에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아 당대

초등교육정책의 프로파간다 역할을 했다 거기에 중학입시제도와 연계

된 높은 교육열이 프로그램의 성공에 한몫을 했다 둘째 대중적인 포맷

과 양식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재미를 이끌어냈다 대중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하여 프로그램의 공정성 확보와

청취자 참여기회의 확대 그리고 또래집단의 관심 확산을 꾀했다 그리

고 긴 기간 방송되었음에도 프로그램의 제작과 운영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새로움을 잃지 않았다 특히 lsquo질문-응답rsquo 구조에 극과 음악 등

을 다각적으로 활용하여 밋밋하기 쉬운 퀴즈 프로그램 자체에 생동감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점들은 퀴즈 프로그램이 내장한 긴장감과 자기성취

욕망을 아우르면서 교육적 재미를 자연스럽게 이끌어내게 했다

마지막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는 폐지 이유와 맞물려 있었다 lt무

엇일까요gt는 1950년대 중반 이후 KBS 라디오를 비롯한 여러 방송국에

서 벤치마킹할 만큼 성공적 콘텐츠였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 프로그램

내부의 허점들이 노출되면서 신뢰도가 떨어져 갔다 그리고 다변화된 매

체환경 속에서 경쟁력이 약화된 데다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더

해서 프로그램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

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나아가 매체환경의 변화 속에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에

듀테인먼트의 활로 모색에도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3

주제어 1950-60년대 라디오방송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 매체 제도 교육 프로파간다 재미 포맷 극 양식 벤치

마킹 재매개

1 망각의 자리 어린이 퀴즈 로그램 lt무엇일까요gt

이 글은 KBS 라디오1)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2)을 실

증적으로 재구성하여 장수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그 한계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퀴즈 프로그램은 질문에 답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그 내용을 재미있는 쇼 형식으로 연출한 프로그램이다3) lsquo질문-답rsquo으로

구조화된 내용이 근대 지식의 장(場)을 되살리며 교육적 기능을 수반한

다면 그것을 떠받치는 형식은 다양한 구경거리로 오락적 기능을 수행한

다 그러니까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적인 동시에 오락적인 성격을 내장한

프로그램인 것이다

한국에서 첫 퀴즈 프로그램은 1947년 8월부터 방송된 ≪스무고개≫이

다 당시 KBS 라디오의 PD로 복귀한 문제안이 미국의 ≪Twenty

Question≫과 일본의 ≪스무 개의 문≫을 벤치마킹하여 명명을 달리 한

프로그램이었다4) 사회 저명인사나 인기 연예인으로 구성된 패널이 진

1) 이 글에서 방송국 명칭은 영문의 별칭에 라디오방송과 텔레비전방송을 각각 밝

혀 사용하기로 하겠다 연구대상인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시기가 서울중앙방송국

과 서울텔레비전방송국 시대로 이어지는데다 서울텔레비전방송국만 KBS로 통

칭되는 최근 현실이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게다가 1960년 전후 신설 방송국들

은 복잡한 변천과 개칭 과정을 거친 경우가 적잖아 독자들에게 친숙한 별칭이 효

과적이기 때문이다

2) 정규 프로그램은 lsquo≪ ≫rsquo로 그 세부 프로그램은 lsquolt gtrsquo로 각각 표기하였다

3)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871쪽

4)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면 일본의 lt스무 개의

문gt이 미국의 ltTwenty Questiongt을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이고 보면 우리나라

의 lt스무고개gt는 겹으로 벤치마킹한 퀴즈 프로그램이었던 셈이다

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퀴즈형식이었다 ≪스무고개≫는 1950년대 ≪노래자랑≫과 더불어 KBS

라디오의 대표적 프로그램으로 부상했을 뿐 아니라5) 여러 신문이나 잡지

에 「지상(紙上) 스무고개」6)가 게재될 정도로 꾸준하게 관심을 모았던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그러나 이 시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가 ≪스무고개≫

와 시대를 함께 호흡했다는 점은 세인의 기억에서 잊히거나 새로운 세

대들에게 모르는 사실로 다가서고 있다 지금 여기에서 lt무엇일까요gt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크게 세 가지이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를 비롯한 라디오방송 퀴즈 프로그램들의 복기조

차 힘들어졌다는 점이다 한국의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

로 미진하다 방송학 개론이나 방송사에서 퀴즈 프로그램은 간략하게 언

급되는 정도에 머물러왔으며 특정 퀴즈 프로그램의 다각적인 검토는 상

당 부분 뒤쳐져 있다 급변하는 매체환경과 연동한 것을 차치한다면 작

금의 퀴즈 프로그램 연구는 이용과 충족이론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손범수7)와 김현주8)가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들의 서로

다른 시청동기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다변화노력을 촉구하였다면 손미

령9)과 노영선10)은 놀이의 심리적 혹은 서사적 기제를 분석하여 유희성

5) 당대의 이러한 정황은 몇몇 문학작품들에서도 확인 가능한데 이를테면 강소천의

동화에서도 ldquo「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방송을 들으려고 주인댁 식구들은 모두

안방에 모여들었고 우리는 우리대로 우리방에서 래디오를 듣고 있었다rdquo라는 대

목을 찾아볼 수 있다 강소천 「잃어버린 시계(3)」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912 4면

6) 「지상(紙上) 스무고개」는 985172한국일보985173가 일요 특집판으로 다루면서 다른 일간지

에도 영향을 끼쳤다 lsquo스무고개rsquo의 답을 엽서에 적어 보내면 정답자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주는 방식이었는데 이러한 포맷은 방송잡지 985172월간방송985173에서도 발견된다

뿐만 아니라 당대 대중잡지들은 보다 짤막한 형식으로 다루는 면면을 확인할 수

있다

7)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0

8)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9)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5

의 긍정적 면면을 강조하였다 여기에서 비켜선 연구들 또한 넓게는 문

화론적 연구와 접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최은영이 알튀세 이론을 원용

하여 퀴즈 프로그램의 지배이데올로기를 분석한 것이나11) 윤일기는 비

교문화론적 관점에서 한국적 퀴즈쇼의 특성을 검토한 경우가 여기에 해

당한다12)

그럼에도 유독 라디오매체는 간과되고 있다 대부분 텔레비전 퀴즈 프

로그램에 집중되어 있을 뿐 라디오를 통해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들은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초창기 여론조사를 비롯한 수용자 연구

가 몇몇 눈에 띠지만 퀴즈 프로그램에는 눈길두지 않았다 특정 퀴즈 프

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만무할뿐더러 당대 퀴즈 프로그램의

동향을 다룬 글조차 발견하기 힘들다 게다가 열악한 방송환경에서 짧은

라디오시대를 지나온 까닭에 1차 방송자료는 흔적을 찾기 어렵고 문헌

사료의 망실조차 심각한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조차 정확성을 담보하

기 힘든 경우가 적잖다 지금이라도 라디오방송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제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머잖아 복기 자체가 불가능해질 위험

이 높다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 연구는 한국사회 특유의 학생 퀴즈 프로그램

의 자리를 살피는 데 필수불가결하다 우리에게 친숙한 학생 퀴즈 프로

그램은 단연 ≪장학퀴즈≫이다 ≪장학퀴즈≫는 고등학생들의 뛰어난

역량을 뽐내는 퀴즈 프로그램으로 본격적인 텔레비전 방송시대를 맞이

한 1973년 2월 18일 MBC-TV에서 첫 방송되었다 당시 ≪장학퀴즈≫의

인기는 방송국마다 어린이와 중학생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 신설을 추동

하는 등 퀴즈 붐을 일으켰다13) 뿐만 아니라 ≪장학퀴즈≫는 40년을 훌

10)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11)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12)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

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센터 2002 144-160쪽

39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쩍 넘은 기간 학생 퀴즈 프로그램으로 굳건히 자리매김해오고 있다

1996년 가을 중단되었다가 이듬해 EBS로 옮겨 지금도 ≪장학퀴즈-학교

를 가다≫가 방송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장학퀴즈≫의 전신이 MBC 라디오의 ≪장학금퀴즈≫14)에

앞선 KBS 라디오의 ≪라디오게임≫이었다는 점은 거의 간과되어왔다

≪라디오게임≫은 1957년 4월 6일 KBS 제1라디오를 통해 방송되기 시

작했으며 처음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었다 신설 당시

희망자들 중에서 출연자를 선출하는 수용자 중심 경쟁프로그램 형식을

선택했는데 그 결과 ≪라디오게임≫은 중고등학생 중심의 퀴즈 프로그

램으로 변모했다15) 초창기에는 비껴간 참여자층 때문에 우려가 없지

않았지만 중고등학생의 높은 참여율과 청취율로 열기는 쉽게 가라앉지

13) ≪장학퀴즈≫가 인기몰이에 성공하자 TBC-TV가 재빨리 ≪어린이퀴즈≫와 ≪

중학생 퀴즈왕≫을 신설했고 MBC-TV도 ≪어린이 장학퀴즈≫를 신설했다 ≪

장학퀴즈≫ 신설 당시 채산성 문제로 학생 퀴즈프로그램이 거의 전무했던 상황

과는 대조적이라 하겠다 이러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들의 붐은 같은 해 방송국

마다 일반인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들 그러니까 KBS-TV의 ≪퀴즈대학≫

MBC-TV의 ≪알뜰살뜰 퀴즈≫ TBC-TV의 ≪쌍쌍퀴즈≫ 등이 속속 신설되는

것으로 이어졌다 주춤했던 퀴즈 프로그램들의 인기가 동반 상승하면서 퀴즈 붐

의 시대를 맞고 있었던 것이다 「TV3국 「퀴즈」프로경쟁 이젠 주부ㆍ쌍쌍 등장

기세」 985172경향신문985173 1973126 8면

14) ≪장학금퀴즈≫는 1961년 12월 2일 MBC 라디오가 개국하면서 신설된 고등학

생 퀴즈 프로그램이다 당시 공개방송은 연출에 손형식 PD와 주수황 아나운서

사회로 매주 화요일 오후 3시 종로예식장에서 진행되었으며 MBC 라디오를 통

해 매주 일요일 오후 8시부터 30분간 골든아워에 방송되었다 ≪장학금퀴즈≫는

고교대항전 형식까지 KBS 라디오의 ≪라디오게임≫을 벤치마킹한 것이었는데

두 프로그램이 동일 시간대 방송을 고집할 만큼 치열한 경쟁 구도를 띠었다 여

기에는 ≪장학금퀴즈≫가 1위 학교에 내건 상금 3만원이 큰 영향을 끼친 듯하

나 결국 국영방송체제 아래 8월부터 목요일로 방송일자를 변경하고 참여대상도

중학교로 확대해나갔다 「중복되는 프로들 청취사정을 알라」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 77 4면 「맞붙은 KA와 KV」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7 4면 「985172장학금퀴즈985173」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822 8면 「상금도 3만원」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829 5면

15) 원 희 「시평 푸로의 계속적인 연구를-장래성 없는 것은 강요하지 말라」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1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8125 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7

않았다 거기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였겠지만 특히 참여자들 대부분이

이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에 친숙한 청취자 혹은 출연

자였다는 점을 간과하기 힘들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는 학생 퀴즈

프로그램의 변천과정을 고찰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위치에 있다 하겠

마지막으로 lt무엇일까요gt 연구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지

향점을 가늠하게 한다는 점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과 오락을 동시에

내장한 양가적 프로그램이다 다르게 말하면 퀴즈 프로그램은 기획의도

와 운영방식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띠며 그만큼 논자들의 시각차도 크

다 피스크는 퀴즈 프로그램이 평등한 기회라는 당의정에 상품을 내건

경쟁구조를 실어 나르는 엘리트 교육제도의 은유이자 자본주의와 가부

장적 이데올로기의 전달자라고 비판한다16) 그 연장선에서 근대 지식을

단순 기억술로 전화(轉化)하거나17) 도박같이 사행심을 조장할18) 위험을

경고한 학자들도 적잖다 물론 반격도 만만찮은데 그 중심에 학계뿐 아

니라 방송관계자들도 앞장선다 그들은 퀴즈 프로그램의 경쟁이 지금의

현실을 반영할 뿐 아니라 상금의 양과 시청률이 반드시 비례관계에 놓

이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한다19) 특히 퀴즈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에게

즐기면서 가르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논의된다20) 이렇게 분분

한 입장들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은 라디오시대를 넘어 텔레비전 시대에

도 대중들과 긴밀하게 호흡하고 있다

그럼에도 유독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성쇠의 자리가 두드러진다 근

대의 발명인 어린이는 사회적 기대감과 우려를 동시에 환기시켜왔다 그

16)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1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18)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19)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쪽

20) 앤 쿠퍼 첸 위의 책 282-292쪽

39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런 어린이들로 특정된 퀴즈 프로그램 또한 여느 프로그램들과 다른 방

송문법으로 특성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방송매체의 전환은 어린

이 퀴즈 프로그램의 전략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이 성쇠를 거듭하며 새롭게 지향점을 모

색해야 하는 이유로 작용했을 것이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면면을 보다 면밀히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여 이 글은 우선 역사적 문헌연구방법을 원용하

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을 실증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

다 문헌자료의 망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이 프로그램은 망각과 착오를

거듭하며 서로 다르게 기억되고 있다 때문에 프로그램의 제반환경과 사

회적 상황 등을 검토하여 lt무엇일까요gt의 자리를 분명히 하고자 한다

나아가 lt무엇일까요gt의 면면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장수프로그램의

동력과 그 한계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연계하여 고찰할 것

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라디오방송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역동성을 새롭게 의미화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2 제작 환경과 벤치마킹의 자리

lt무엇일까요gt는 주목할 만한 기록을 남긴 KBS 라디오의 어린이 프

로그램들 중 하나다 그것은 처음 시도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었을

뿐 아니라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가장 오랫동안 인기를 끌었던

공개방송 프로그램이었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에 대한 실증적 조사

나 연구가 거의 부재한 가운데 기초적 정보가 미흡하거나 잘못 알려진

부분이 적지 않다 여기에서는 착오가 적잖은 프로그램의 제작환경을 실

증하고 한 걸음 나아가 성공의 지표로서 벤치마킹한 자리를 살펴볼 것

이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9

제작환경 면에서는 lt무엇일까요gt의 정보는 부정확한 편이다 첫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가 언제 첫 방송되고 마지막 방송

이 이루어졌는지 종잡기 힘들다 985172한국방송사985173는 한국방송언론사 중에

서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해 비교적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편이다 이

책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0월 개편 이후21) 혹은 10월 30일22) 신

설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당시 정황은 1954년 4월 개편 이후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15분에서 30분으로 증가되었고 이때 신

설된 공개방송 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 뒤에 lt무엇일까요gt가 놓

여 있다23)

하지만 문헌연구의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월 30일 토요일 첫

방송되었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ldquoHLKA 서울 중앙방송국에서 이 방송을 처음 시작한 것은 단기 4287년

1월 30일rdquo24)로 명시한 바 있지만 그간 한국방송언론사에서 간과해온 것

이다 그럼에도 신설 당시 정황은 밝히지 않은 까닭에 2차 문헌사료들을

통해 추적해볼 수밖에 없었다 ≪어린이시간≫에 포함된 세부 프로그램

들 중 하나인 lt무엇일까요gt는 기존에 토요일마다 방송되던 lt노래극gt

시간을 대체한 것이었다 당시 방송시간도 오후 6시부터 15분간이었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은 당시 방송시간의 증가가 주요한 이유

로 작용하지 않았던 셈이다 아울러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30분

간으로 증가한 것은 1954년 11월 1일부터이며 10월 개편 이후 신설된

것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로 1955년 2월 11일 첫 방송되었다25) 오히려

lt누가 누가 잘하나gt가 방송시간의 증가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 힘

21)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258쪽

22)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91쪽

23)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58쪽

24) 박일암 엮음 「머리말」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25)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40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입어 신설된 프로그램이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시기는 여전히 밝혀진 바 없다 985172한국

방송사985173에 따르면 5ㆍ16쿠데타 이후에도 운영되다가 ldquo뒤에 없어졌고rdquo라

고만 기록되어 있다26) 그러나 ldquo뒤에rdquo가 가리키는 시점이 언제쯤인지 가

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62년 3월 21일 400회 특집기념방송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진행되었

고27) 500회 기념방송이 이루어졌던 1964년에도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

에서 어린이가 가장 즐겨듣는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지목되었다28) 그리

고 1965년 10월 27일 590회 방송이 진행 중인29) KBS 라디오 ≪어린이

시간≫의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66년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행보는 돌연 찾아보기 힘들며 이즈음 폐지 수순을 밟

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에서 제작진의 구성과 성격 그 변천 등도 적확하

지 않다 노정팔의 회고록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는 KBS 라디오 편성

계장으로 있던 노정팔 자신이 신설하였다 당시 PD는 어린이계 담당자

였던 한용희 사회는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과 김인숙 그리고 작가는 박

일암이 각각 맡았다30) 이러한 진용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에 KBS 라

26)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앞의 책 413쪽

27)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28)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는 1964년 7월 6-10일까지 서울지역 10-12세 어린이들을

표본 추출하여 질문지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조사항목 중 라디오 부분에서 lsquo어

린이가 즐겨 듣는 프로그램 베스트ㆍ텐rsquo의 1위는 KBS 라디오의 lt어른 연속방

송극gt이었고 2위가 lt무엇일까요gt 8위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이었다 그만큼

어린이 청취자들에게 lt무엇일까요gt는 lt누가 누가 잘하나gt보다 인기가 높았음

을 알 수 있다 「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결과-어린이의 생활과 방송」 985172방송985173 제7

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91 4-5면

29) 「프로탐방 KA 어린이시간-호화스런 시간 각 부문을 망라」 985172방송985173 제53호 방

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51023 7면

30)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1

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인물들이 참여했다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그러

니까 신설 당시부터 KBS 라디오가 lt무엇일까요gt에 비중을 두었던 셈

이다

특히 lt무엇일까요gt에 작가를 따로 두었다는 점은 여느 퀴즈 프로그

램들과 차별화된다 인기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만 하더라도 작가

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 당시 제작환경을 고려한다면 전속작가가 이 프

로그램의 구성작가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작가의 존재는

프로그램의 인기에 비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라디오게임≫도 마찬가지다 그런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당시부터 작가를 따로 밝힌 드문 경우에 속한다 이 프로그램의 작가는

박일암인데 이는 다름 아닌 노정팔의 필명이다 그러니까 노정팔이 lt무

엇일까요gt를 신설하고 작가로도 활동했던 것이다

더욱이 노정팔은 긴 기간 작가로 활동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에 따르면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를 펴낸 1961년까지 ldquo8년

가까이rdquo를 lt무엇일까요gt와 함께 했다31) 1950년대 주요 일간지의 라디

오 방송안내를 보더라도 작가는 대부분 ldquo박일암rdquo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를 전담할 만큼 노정팔의 신분

에 큰 변동이 없었는가 하는 점은 의문이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의 편

성계장은 공무원 신분이고 인사이동도 있게 마련이다 노정팔 또한 ldquo8년

가까이rdquo KBS 라디오에만 머물지 않았다 1955년 7월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구속된 적이 있었는가 하면32) 1957년 6월부터 5개월간은 미 국

3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32) 당시 주요 일간지에 따르면 1955년 7월 5일 노정팔은 국가보안법 및 병역법 위

반 사문서 위조 업무횡령 등으로 구속되었고 곧이어 검찰에 송치되었다 「보안

법위반혐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7 3면 「노편성계장송청」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 14 3면 반공주의를 앞세운 이승만 정권에서 공무원 신분의 노정팔이 국가보안

법을 위반했다는 것만으로도 위중한 혐의에 속한다 그럼에도 무슨 곡절이었는

지 그는 돌연 복귀하여 8월 3일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다 「라디오」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3 4면

40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무성 초청으로 보스턴대학에 파견 근무를 했다33) 이 기간 노정팔의 빈

자리를 대신한 것은 다름 아닌 어린이문학가 강소천이었다 강소천은 귀

국한 노정팔이 공보실 방송관리국에서 근무했던 기간34)에도 lt무엇일까

요gt를 집필한 것으로 확인된다35) 당시 노정팔이 KBS 제1라디오의

lt반공독본gt을 집필했던 상황36)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ldquo박일암rdquo의 이름으로 노정팔을 앞세우

고 그 빈자리를 강소천이 대신했거나 조력하는 방식을 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가 ldquo박일암rdquo의 편저 형식으로 출

간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작용했다 하겠다 그러나 책 출간 이후 노정팔

의 작가 활동여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37)

33) 1956년부터 미 국무성 인사교환계획에 따라 방송관계자들의 해외파견이 이루어

졌다 1차 파견자는 윤길구 조남사 한기선이었으며 노정팔은 최창봉과 함께 2

차 파견자로 뽑혀 보스턴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정

팔 앞의 책 246-247쪽

34) 노정팔 위의 책 261쪽

35) 1950년대 2차 문헌사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요 일간지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흔적들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물론 당시 일

간지의 라디오방송 안내가 들쭉날쭉하고 인기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조차 상

세하게 밝히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이들 일간지에 따르

면 강소천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자로 처음 확인된 것은 1955년 7월 13일 20

일 27일 3회에 그쳤다 한동안 소강상태였다가 동명 프로그램에서 강소천의 이

름은 1957년 후반부터 1958년 전반에 걸쳐 드문드문 확인할 수 있었다

36) 노정팔은 1958년 2월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6시 20분부터 10분간 lt반공독본gt

을 집필했다 「오늘의 라디오」 985172서울신문985173 195822 4면

37) 현재까지 2차 문헌사료에서도 책을 펴낸 1961년 12월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작

가에 대한 정보는 거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만 기존의 집필방식에 견주어 노

정팔이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는 합리적 의심은 해볼 수 있다 만약 그

렇다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과 폐지시기를 노정팔의 이력과 연계시켜 추정해

보자 노정팔은 1962년 1월 부산방송국장으로 부임했다가 6개월만인 동년 7월

공보실 방송관리국 관리과장으로 돌아왔고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기

존대로 강소천이 대신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1963년 5월부터 1966년 4월

초까지 노정팔은 서울국제방송국장을 역임하였는데 1963년 5월 강소천이 갑작

스러운 건강 악화로 작고한 까닭에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오롯이 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3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은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이 활성화된 데서 확인 가능하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된 기간 방송국

마다 유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방송매체

의 제반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에도 변함없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1950년대 중후반에 국한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

램들이 여럿이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은 1956년 1월 3

일 CBS에서 첫 방송된 lt알아맞히기gt가 맨 앞에 놓인다 lt알아맞히기gt

는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적 사례를 참조하여 스튜디오 대신 특정 초등

학교를 찾아다니며 공개녹음 방식으로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이다 신설

당시부터 ≪어린이시간≫의 러닝 타임을 모두 소화한 첫 프로그램으로

쏟은 공력에 걸맞게 CBS의 대표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승승장구

했다38) 이에 KBS 라디오는 lt무엇일까요gt와 병행할 공개방송 퀴즈 프

로그램 lt꾀돌이문답gt을 신설하고 1957년 10월 12일 토요일 첫 방송했

다 lt꾀돌이문답gt은 오락성을 앞세운 코너들 즉 10분 안에 알아맞혀야

하는 lsquo열 고개rsquo 테마를 제시하면 연기를 해야 하는 즉흥극 또는 전화놀

이 노래에 가사붙이기 등을 다채롭게 운영하여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

았다39) 거기에 첫 텔레비전방송국 HLKZ-TV가 1958년 ≪어린이차지≫

시간에 lt누가 먼저 맞추나gt를 신설하여 경쟁에 가세하였다 lt누가 먼

저 맞추나gt는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치

정팔의 몫이었거나 새로운 작가를 동원했을 수 있다 노정팔이 1966년 4월 9일

부터 대구방송국장으로 옮겨 2년 여 동안 재직하였는데 공교롭게도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 추정시점과 맞물린다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면

그의 이력이 프로그램의 존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

는 셈이다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118 1면 「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3 2면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430 2면 「공보부 국장급 7명 곧

이동할 방침」 985172동아일보985173 196648 1면 「문화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8 727 2면

38)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39)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197쪽

40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호 사회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후반 이들 프로그램들은 경쟁적 구도 속에서도 각 방송국

을 대표하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높은 인기에도 짧은 기간 방송되다

가 폐지되었다 lt알아맞히기gt는 2년 3개월여 만인 1958년 3월 18일 마

지막 방송을 했고 lt꾀돌이문답gt은 1959년 10월 17일 100회 방송으로

끝맺었다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방송국 전소로 불가피하게 하차한 경

우라면 앞선 프로그램들은 갑작스러운 폐지였던 만큼 이유가 불분명하

다 1960년을 가뿐히 넘어선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가

유일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에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텔레

비전매체에서 재매개한 프로그램들이 계속 신설되었고 또 lt무엇일까

요gt를 뛰어넘지 못한 채 폐지 수순을 밟아나갔다 그만큼 lt무엇일까

요gt의 성공적 입지는 청취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되었던 셈이다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등교육정책의 로 간다와 높은 교육열

lt무엇일까요gt는 한국방송사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첫 시도였

으며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까지 KBS 라디오 어린이방송의 대표적

인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당대의 방송정

책과 방송환경 교육제도와 어린이생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정치

사회사적 흐름에 따른 변폭도 적지 않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 목적인 청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시절

ldquo재미있고 즐겁게 공부rdquo하는 데 놓여 있다 ldquo이해보다 기억을 강요rdquo하는

ldquo무리한rdquo 공부에 힘겨워했던40) 당시 어린이들의 상황을 타개하는 동시

에 차별화하는 전략 즉 lsquo교육적 재미rsquo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3

주제어 1950-60년대 라디오방송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 매체 제도 교육 프로파간다 재미 포맷 극 양식 벤치

마킹 재매개

1 망각의 자리 어린이 퀴즈 로그램 lt무엇일까요gt

이 글은 KBS 라디오1)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2)을 실

증적으로 재구성하여 장수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그 한계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퀴즈 프로그램은 질문에 답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그 내용을 재미있는 쇼 형식으로 연출한 프로그램이다3) lsquo질문-답rsquo으로

구조화된 내용이 근대 지식의 장(場)을 되살리며 교육적 기능을 수반한

다면 그것을 떠받치는 형식은 다양한 구경거리로 오락적 기능을 수행한

다 그러니까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적인 동시에 오락적인 성격을 내장한

프로그램인 것이다

한국에서 첫 퀴즈 프로그램은 1947년 8월부터 방송된 ≪스무고개≫이

다 당시 KBS 라디오의 PD로 복귀한 문제안이 미국의 ≪Twenty

Question≫과 일본의 ≪스무 개의 문≫을 벤치마킹하여 명명을 달리 한

프로그램이었다4) 사회 저명인사나 인기 연예인으로 구성된 패널이 진

1) 이 글에서 방송국 명칭은 영문의 별칭에 라디오방송과 텔레비전방송을 각각 밝

혀 사용하기로 하겠다 연구대상인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시기가 서울중앙방송국

과 서울텔레비전방송국 시대로 이어지는데다 서울텔레비전방송국만 KBS로 통

칭되는 최근 현실이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게다가 1960년 전후 신설 방송국들

은 복잡한 변천과 개칭 과정을 거친 경우가 적잖아 독자들에게 친숙한 별칭이 효

과적이기 때문이다

2) 정규 프로그램은 lsquo≪ ≫rsquo로 그 세부 프로그램은 lsquolt gtrsquo로 각각 표기하였다

3)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871쪽

4)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면 일본의 lt스무 개의

문gt이 미국의 ltTwenty Questiongt을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이고 보면 우리나라

의 lt스무고개gt는 겹으로 벤치마킹한 퀴즈 프로그램이었던 셈이다

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퀴즈형식이었다 ≪스무고개≫는 1950년대 ≪노래자랑≫과 더불어 KBS

라디오의 대표적 프로그램으로 부상했을 뿐 아니라5) 여러 신문이나 잡지

에 「지상(紙上) 스무고개」6)가 게재될 정도로 꾸준하게 관심을 모았던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그러나 이 시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가 ≪스무고개≫

와 시대를 함께 호흡했다는 점은 세인의 기억에서 잊히거나 새로운 세

대들에게 모르는 사실로 다가서고 있다 지금 여기에서 lt무엇일까요gt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크게 세 가지이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를 비롯한 라디오방송 퀴즈 프로그램들의 복기조

차 힘들어졌다는 점이다 한국의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

로 미진하다 방송학 개론이나 방송사에서 퀴즈 프로그램은 간략하게 언

급되는 정도에 머물러왔으며 특정 퀴즈 프로그램의 다각적인 검토는 상

당 부분 뒤쳐져 있다 급변하는 매체환경과 연동한 것을 차치한다면 작

금의 퀴즈 프로그램 연구는 이용과 충족이론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손범수7)와 김현주8)가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들의 서로

다른 시청동기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다변화노력을 촉구하였다면 손미

령9)과 노영선10)은 놀이의 심리적 혹은 서사적 기제를 분석하여 유희성

5) 당대의 이러한 정황은 몇몇 문학작품들에서도 확인 가능한데 이를테면 강소천의

동화에서도 ldquo「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방송을 들으려고 주인댁 식구들은 모두

안방에 모여들었고 우리는 우리대로 우리방에서 래디오를 듣고 있었다rdquo라는 대

목을 찾아볼 수 있다 강소천 「잃어버린 시계(3)」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912 4면

6) 「지상(紙上) 스무고개」는 985172한국일보985173가 일요 특집판으로 다루면서 다른 일간지

에도 영향을 끼쳤다 lsquo스무고개rsquo의 답을 엽서에 적어 보내면 정답자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주는 방식이었는데 이러한 포맷은 방송잡지 985172월간방송985173에서도 발견된다

뿐만 아니라 당대 대중잡지들은 보다 짤막한 형식으로 다루는 면면을 확인할 수

있다

7)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0

8)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9)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5

의 긍정적 면면을 강조하였다 여기에서 비켜선 연구들 또한 넓게는 문

화론적 연구와 접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최은영이 알튀세 이론을 원용

하여 퀴즈 프로그램의 지배이데올로기를 분석한 것이나11) 윤일기는 비

교문화론적 관점에서 한국적 퀴즈쇼의 특성을 검토한 경우가 여기에 해

당한다12)

그럼에도 유독 라디오매체는 간과되고 있다 대부분 텔레비전 퀴즈 프

로그램에 집중되어 있을 뿐 라디오를 통해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들은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초창기 여론조사를 비롯한 수용자 연구

가 몇몇 눈에 띠지만 퀴즈 프로그램에는 눈길두지 않았다 특정 퀴즈 프

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만무할뿐더러 당대 퀴즈 프로그램의

동향을 다룬 글조차 발견하기 힘들다 게다가 열악한 방송환경에서 짧은

라디오시대를 지나온 까닭에 1차 방송자료는 흔적을 찾기 어렵고 문헌

사료의 망실조차 심각한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조차 정확성을 담보하

기 힘든 경우가 적잖다 지금이라도 라디오방송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제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머잖아 복기 자체가 불가능해질 위험

이 높다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 연구는 한국사회 특유의 학생 퀴즈 프로그램

의 자리를 살피는 데 필수불가결하다 우리에게 친숙한 학생 퀴즈 프로

그램은 단연 ≪장학퀴즈≫이다 ≪장학퀴즈≫는 고등학생들의 뛰어난

역량을 뽐내는 퀴즈 프로그램으로 본격적인 텔레비전 방송시대를 맞이

한 1973년 2월 18일 MBC-TV에서 첫 방송되었다 당시 ≪장학퀴즈≫의

인기는 방송국마다 어린이와 중학생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 신설을 추동

하는 등 퀴즈 붐을 일으켰다13) 뿐만 아니라 ≪장학퀴즈≫는 40년을 훌

10)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11)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12)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

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센터 2002 144-160쪽

39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쩍 넘은 기간 학생 퀴즈 프로그램으로 굳건히 자리매김해오고 있다

1996년 가을 중단되었다가 이듬해 EBS로 옮겨 지금도 ≪장학퀴즈-학교

를 가다≫가 방송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장학퀴즈≫의 전신이 MBC 라디오의 ≪장학금퀴즈≫14)에

앞선 KBS 라디오의 ≪라디오게임≫이었다는 점은 거의 간과되어왔다

≪라디오게임≫은 1957년 4월 6일 KBS 제1라디오를 통해 방송되기 시

작했으며 처음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었다 신설 당시

희망자들 중에서 출연자를 선출하는 수용자 중심 경쟁프로그램 형식을

선택했는데 그 결과 ≪라디오게임≫은 중고등학생 중심의 퀴즈 프로그

램으로 변모했다15) 초창기에는 비껴간 참여자층 때문에 우려가 없지

않았지만 중고등학생의 높은 참여율과 청취율로 열기는 쉽게 가라앉지

13) ≪장학퀴즈≫가 인기몰이에 성공하자 TBC-TV가 재빨리 ≪어린이퀴즈≫와 ≪

중학생 퀴즈왕≫을 신설했고 MBC-TV도 ≪어린이 장학퀴즈≫를 신설했다 ≪

장학퀴즈≫ 신설 당시 채산성 문제로 학생 퀴즈프로그램이 거의 전무했던 상황

과는 대조적이라 하겠다 이러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들의 붐은 같은 해 방송국

마다 일반인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들 그러니까 KBS-TV의 ≪퀴즈대학≫

MBC-TV의 ≪알뜰살뜰 퀴즈≫ TBC-TV의 ≪쌍쌍퀴즈≫ 등이 속속 신설되는

것으로 이어졌다 주춤했던 퀴즈 프로그램들의 인기가 동반 상승하면서 퀴즈 붐

의 시대를 맞고 있었던 것이다 「TV3국 「퀴즈」프로경쟁 이젠 주부ㆍ쌍쌍 등장

기세」 985172경향신문985173 1973126 8면

14) ≪장학금퀴즈≫는 1961년 12월 2일 MBC 라디오가 개국하면서 신설된 고등학

생 퀴즈 프로그램이다 당시 공개방송은 연출에 손형식 PD와 주수황 아나운서

사회로 매주 화요일 오후 3시 종로예식장에서 진행되었으며 MBC 라디오를 통

해 매주 일요일 오후 8시부터 30분간 골든아워에 방송되었다 ≪장학금퀴즈≫는

고교대항전 형식까지 KBS 라디오의 ≪라디오게임≫을 벤치마킹한 것이었는데

두 프로그램이 동일 시간대 방송을 고집할 만큼 치열한 경쟁 구도를 띠었다 여

기에는 ≪장학금퀴즈≫가 1위 학교에 내건 상금 3만원이 큰 영향을 끼친 듯하

나 결국 국영방송체제 아래 8월부터 목요일로 방송일자를 변경하고 참여대상도

중학교로 확대해나갔다 「중복되는 프로들 청취사정을 알라」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 77 4면 「맞붙은 KA와 KV」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7 4면 「985172장학금퀴즈985173」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822 8면 「상금도 3만원」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829 5면

15) 원 희 「시평 푸로의 계속적인 연구를-장래성 없는 것은 강요하지 말라」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1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8125 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7

않았다 거기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였겠지만 특히 참여자들 대부분이

이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에 친숙한 청취자 혹은 출연

자였다는 점을 간과하기 힘들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는 학생 퀴즈

프로그램의 변천과정을 고찰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위치에 있다 하겠

마지막으로 lt무엇일까요gt 연구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지

향점을 가늠하게 한다는 점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과 오락을 동시에

내장한 양가적 프로그램이다 다르게 말하면 퀴즈 프로그램은 기획의도

와 운영방식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띠며 그만큼 논자들의 시각차도 크

다 피스크는 퀴즈 프로그램이 평등한 기회라는 당의정에 상품을 내건

경쟁구조를 실어 나르는 엘리트 교육제도의 은유이자 자본주의와 가부

장적 이데올로기의 전달자라고 비판한다16) 그 연장선에서 근대 지식을

단순 기억술로 전화(轉化)하거나17) 도박같이 사행심을 조장할18) 위험을

경고한 학자들도 적잖다 물론 반격도 만만찮은데 그 중심에 학계뿐 아

니라 방송관계자들도 앞장선다 그들은 퀴즈 프로그램의 경쟁이 지금의

현실을 반영할 뿐 아니라 상금의 양과 시청률이 반드시 비례관계에 놓

이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한다19) 특히 퀴즈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에게

즐기면서 가르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논의된다20) 이렇게 분분

한 입장들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은 라디오시대를 넘어 텔레비전 시대에

도 대중들과 긴밀하게 호흡하고 있다

그럼에도 유독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성쇠의 자리가 두드러진다 근

대의 발명인 어린이는 사회적 기대감과 우려를 동시에 환기시켜왔다 그

16)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1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18)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19)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쪽

20) 앤 쿠퍼 첸 위의 책 282-292쪽

39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런 어린이들로 특정된 퀴즈 프로그램 또한 여느 프로그램들과 다른 방

송문법으로 특성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방송매체의 전환은 어린

이 퀴즈 프로그램의 전략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이 성쇠를 거듭하며 새롭게 지향점을 모

색해야 하는 이유로 작용했을 것이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면면을 보다 면밀히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여 이 글은 우선 역사적 문헌연구방법을 원용하

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을 실증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

다 문헌자료의 망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이 프로그램은 망각과 착오를

거듭하며 서로 다르게 기억되고 있다 때문에 프로그램의 제반환경과 사

회적 상황 등을 검토하여 lt무엇일까요gt의 자리를 분명히 하고자 한다

나아가 lt무엇일까요gt의 면면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장수프로그램의

동력과 그 한계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연계하여 고찰할 것

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라디오방송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역동성을 새롭게 의미화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2 제작 환경과 벤치마킹의 자리

lt무엇일까요gt는 주목할 만한 기록을 남긴 KBS 라디오의 어린이 프

로그램들 중 하나다 그것은 처음 시도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었을

뿐 아니라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가장 오랫동안 인기를 끌었던

공개방송 프로그램이었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에 대한 실증적 조사

나 연구가 거의 부재한 가운데 기초적 정보가 미흡하거나 잘못 알려진

부분이 적지 않다 여기에서는 착오가 적잖은 프로그램의 제작환경을 실

증하고 한 걸음 나아가 성공의 지표로서 벤치마킹한 자리를 살펴볼 것

이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9

제작환경 면에서는 lt무엇일까요gt의 정보는 부정확한 편이다 첫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가 언제 첫 방송되고 마지막 방송

이 이루어졌는지 종잡기 힘들다 985172한국방송사985173는 한국방송언론사 중에

서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해 비교적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편이다 이

책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0월 개편 이후21) 혹은 10월 30일22) 신

설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당시 정황은 1954년 4월 개편 이후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15분에서 30분으로 증가되었고 이때 신

설된 공개방송 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 뒤에 lt무엇일까요gt가 놓

여 있다23)

하지만 문헌연구의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월 30일 토요일 첫

방송되었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ldquoHLKA 서울 중앙방송국에서 이 방송을 처음 시작한 것은 단기 4287년

1월 30일rdquo24)로 명시한 바 있지만 그간 한국방송언론사에서 간과해온 것

이다 그럼에도 신설 당시 정황은 밝히지 않은 까닭에 2차 문헌사료들을

통해 추적해볼 수밖에 없었다 ≪어린이시간≫에 포함된 세부 프로그램

들 중 하나인 lt무엇일까요gt는 기존에 토요일마다 방송되던 lt노래극gt

시간을 대체한 것이었다 당시 방송시간도 오후 6시부터 15분간이었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은 당시 방송시간의 증가가 주요한 이유

로 작용하지 않았던 셈이다 아울러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30분

간으로 증가한 것은 1954년 11월 1일부터이며 10월 개편 이후 신설된

것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로 1955년 2월 11일 첫 방송되었다25) 오히려

lt누가 누가 잘하나gt가 방송시간의 증가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 힘

21)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258쪽

22)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91쪽

23)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58쪽

24) 박일암 엮음 「머리말」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25)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40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입어 신설된 프로그램이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시기는 여전히 밝혀진 바 없다 985172한국

방송사985173에 따르면 5ㆍ16쿠데타 이후에도 운영되다가 ldquo뒤에 없어졌고rdquo라

고만 기록되어 있다26) 그러나 ldquo뒤에rdquo가 가리키는 시점이 언제쯤인지 가

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62년 3월 21일 400회 특집기념방송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진행되었

고27) 500회 기념방송이 이루어졌던 1964년에도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

에서 어린이가 가장 즐겨듣는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지목되었다28) 그리

고 1965년 10월 27일 590회 방송이 진행 중인29) KBS 라디오 ≪어린이

시간≫의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66년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행보는 돌연 찾아보기 힘들며 이즈음 폐지 수순을 밟

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에서 제작진의 구성과 성격 그 변천 등도 적확하

지 않다 노정팔의 회고록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는 KBS 라디오 편성

계장으로 있던 노정팔 자신이 신설하였다 당시 PD는 어린이계 담당자

였던 한용희 사회는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과 김인숙 그리고 작가는 박

일암이 각각 맡았다30) 이러한 진용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에 KBS 라

26)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앞의 책 413쪽

27)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28)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는 1964년 7월 6-10일까지 서울지역 10-12세 어린이들을

표본 추출하여 질문지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조사항목 중 라디오 부분에서 lsquo어

린이가 즐겨 듣는 프로그램 베스트ㆍ텐rsquo의 1위는 KBS 라디오의 lt어른 연속방

송극gt이었고 2위가 lt무엇일까요gt 8위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이었다 그만큼

어린이 청취자들에게 lt무엇일까요gt는 lt누가 누가 잘하나gt보다 인기가 높았음

을 알 수 있다 「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결과-어린이의 생활과 방송」 985172방송985173 제7

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91 4-5면

29) 「프로탐방 KA 어린이시간-호화스런 시간 각 부문을 망라」 985172방송985173 제53호 방

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51023 7면

30)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1

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인물들이 참여했다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그러

니까 신설 당시부터 KBS 라디오가 lt무엇일까요gt에 비중을 두었던 셈

이다

특히 lt무엇일까요gt에 작가를 따로 두었다는 점은 여느 퀴즈 프로그

램들과 차별화된다 인기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만 하더라도 작가

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 당시 제작환경을 고려한다면 전속작가가 이 프

로그램의 구성작가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작가의 존재는

프로그램의 인기에 비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라디오게임≫도 마찬가지다 그런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당시부터 작가를 따로 밝힌 드문 경우에 속한다 이 프로그램의 작가는

박일암인데 이는 다름 아닌 노정팔의 필명이다 그러니까 노정팔이 lt무

엇일까요gt를 신설하고 작가로도 활동했던 것이다

더욱이 노정팔은 긴 기간 작가로 활동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에 따르면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를 펴낸 1961년까지 ldquo8년

가까이rdquo를 lt무엇일까요gt와 함께 했다31) 1950년대 주요 일간지의 라디

오 방송안내를 보더라도 작가는 대부분 ldquo박일암rdquo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를 전담할 만큼 노정팔의 신분

에 큰 변동이 없었는가 하는 점은 의문이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의 편

성계장은 공무원 신분이고 인사이동도 있게 마련이다 노정팔 또한 ldquo8년

가까이rdquo KBS 라디오에만 머물지 않았다 1955년 7월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구속된 적이 있었는가 하면32) 1957년 6월부터 5개월간은 미 국

3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32) 당시 주요 일간지에 따르면 1955년 7월 5일 노정팔은 국가보안법 및 병역법 위

반 사문서 위조 업무횡령 등으로 구속되었고 곧이어 검찰에 송치되었다 「보안

법위반혐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7 3면 「노편성계장송청」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 14 3면 반공주의를 앞세운 이승만 정권에서 공무원 신분의 노정팔이 국가보안

법을 위반했다는 것만으로도 위중한 혐의에 속한다 그럼에도 무슨 곡절이었는

지 그는 돌연 복귀하여 8월 3일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다 「라디오」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3 4면

40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무성 초청으로 보스턴대학에 파견 근무를 했다33) 이 기간 노정팔의 빈

자리를 대신한 것은 다름 아닌 어린이문학가 강소천이었다 강소천은 귀

국한 노정팔이 공보실 방송관리국에서 근무했던 기간34)에도 lt무엇일까

요gt를 집필한 것으로 확인된다35) 당시 노정팔이 KBS 제1라디오의

lt반공독본gt을 집필했던 상황36)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ldquo박일암rdquo의 이름으로 노정팔을 앞세우

고 그 빈자리를 강소천이 대신했거나 조력하는 방식을 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가 ldquo박일암rdquo의 편저 형식으로 출

간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작용했다 하겠다 그러나 책 출간 이후 노정팔

의 작가 활동여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37)

33) 1956년부터 미 국무성 인사교환계획에 따라 방송관계자들의 해외파견이 이루어

졌다 1차 파견자는 윤길구 조남사 한기선이었으며 노정팔은 최창봉과 함께 2

차 파견자로 뽑혀 보스턴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정

팔 앞의 책 246-247쪽

34) 노정팔 위의 책 261쪽

35) 1950년대 2차 문헌사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요 일간지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흔적들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물론 당시 일

간지의 라디오방송 안내가 들쭉날쭉하고 인기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조차 상

세하게 밝히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이들 일간지에 따르

면 강소천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자로 처음 확인된 것은 1955년 7월 13일 20

일 27일 3회에 그쳤다 한동안 소강상태였다가 동명 프로그램에서 강소천의 이

름은 1957년 후반부터 1958년 전반에 걸쳐 드문드문 확인할 수 있었다

36) 노정팔은 1958년 2월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6시 20분부터 10분간 lt반공독본gt

을 집필했다 「오늘의 라디오」 985172서울신문985173 195822 4면

37) 현재까지 2차 문헌사료에서도 책을 펴낸 1961년 12월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작

가에 대한 정보는 거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만 기존의 집필방식에 견주어 노

정팔이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는 합리적 의심은 해볼 수 있다 만약 그

렇다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과 폐지시기를 노정팔의 이력과 연계시켜 추정해

보자 노정팔은 1962년 1월 부산방송국장으로 부임했다가 6개월만인 동년 7월

공보실 방송관리국 관리과장으로 돌아왔고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기

존대로 강소천이 대신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1963년 5월부터 1966년 4월

초까지 노정팔은 서울국제방송국장을 역임하였는데 1963년 5월 강소천이 갑작

스러운 건강 악화로 작고한 까닭에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오롯이 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3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은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이 활성화된 데서 확인 가능하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된 기간 방송국

마다 유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방송매체

의 제반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에도 변함없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1950년대 중후반에 국한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

램들이 여럿이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은 1956년 1월 3

일 CBS에서 첫 방송된 lt알아맞히기gt가 맨 앞에 놓인다 lt알아맞히기gt

는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적 사례를 참조하여 스튜디오 대신 특정 초등

학교를 찾아다니며 공개녹음 방식으로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이다 신설

당시부터 ≪어린이시간≫의 러닝 타임을 모두 소화한 첫 프로그램으로

쏟은 공력에 걸맞게 CBS의 대표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승승장구

했다38) 이에 KBS 라디오는 lt무엇일까요gt와 병행할 공개방송 퀴즈 프

로그램 lt꾀돌이문답gt을 신설하고 1957년 10월 12일 토요일 첫 방송했

다 lt꾀돌이문답gt은 오락성을 앞세운 코너들 즉 10분 안에 알아맞혀야

하는 lsquo열 고개rsquo 테마를 제시하면 연기를 해야 하는 즉흥극 또는 전화놀

이 노래에 가사붙이기 등을 다채롭게 운영하여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

았다39) 거기에 첫 텔레비전방송국 HLKZ-TV가 1958년 ≪어린이차지≫

시간에 lt누가 먼저 맞추나gt를 신설하여 경쟁에 가세하였다 lt누가 먼

저 맞추나gt는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치

정팔의 몫이었거나 새로운 작가를 동원했을 수 있다 노정팔이 1966년 4월 9일

부터 대구방송국장으로 옮겨 2년 여 동안 재직하였는데 공교롭게도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 추정시점과 맞물린다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면

그의 이력이 프로그램의 존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

는 셈이다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118 1면 「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3 2면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430 2면 「공보부 국장급 7명 곧

이동할 방침」 985172동아일보985173 196648 1면 「문화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8 727 2면

38)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39)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197쪽

40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호 사회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후반 이들 프로그램들은 경쟁적 구도 속에서도 각 방송국

을 대표하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높은 인기에도 짧은 기간 방송되다

가 폐지되었다 lt알아맞히기gt는 2년 3개월여 만인 1958년 3월 18일 마

지막 방송을 했고 lt꾀돌이문답gt은 1959년 10월 17일 100회 방송으로

끝맺었다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방송국 전소로 불가피하게 하차한 경

우라면 앞선 프로그램들은 갑작스러운 폐지였던 만큼 이유가 불분명하

다 1960년을 가뿐히 넘어선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가

유일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에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텔레

비전매체에서 재매개한 프로그램들이 계속 신설되었고 또 lt무엇일까

요gt를 뛰어넘지 못한 채 폐지 수순을 밟아나갔다 그만큼 lt무엇일까

요gt의 성공적 입지는 청취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되었던 셈이다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등교육정책의 로 간다와 높은 교육열

lt무엇일까요gt는 한국방송사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첫 시도였

으며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까지 KBS 라디오 어린이방송의 대표적

인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당대의 방송정

책과 방송환경 교육제도와 어린이생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정치

사회사적 흐름에 따른 변폭도 적지 않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 목적인 청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시절

ldquo재미있고 즐겁게 공부rdquo하는 데 놓여 있다 ldquo이해보다 기억을 강요rdquo하는

ldquo무리한rdquo 공부에 힘겨워했던40) 당시 어린이들의 상황을 타개하는 동시

에 차별화하는 전략 즉 lsquo교육적 재미rsquo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퀴즈형식이었다 ≪스무고개≫는 1950년대 ≪노래자랑≫과 더불어 KBS

라디오의 대표적 프로그램으로 부상했을 뿐 아니라5) 여러 신문이나 잡지

에 「지상(紙上) 스무고개」6)가 게재될 정도로 꾸준하게 관심을 모았던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그러나 이 시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가 ≪스무고개≫

와 시대를 함께 호흡했다는 점은 세인의 기억에서 잊히거나 새로운 세

대들에게 모르는 사실로 다가서고 있다 지금 여기에서 lt무엇일까요gt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크게 세 가지이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를 비롯한 라디오방송 퀴즈 프로그램들의 복기조

차 힘들어졌다는 점이다 한국의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

로 미진하다 방송학 개론이나 방송사에서 퀴즈 프로그램은 간략하게 언

급되는 정도에 머물러왔으며 특정 퀴즈 프로그램의 다각적인 검토는 상

당 부분 뒤쳐져 있다 급변하는 매체환경과 연동한 것을 차치한다면 작

금의 퀴즈 프로그램 연구는 이용과 충족이론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손범수7)와 김현주8)가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들의 서로

다른 시청동기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다변화노력을 촉구하였다면 손미

령9)과 노영선10)은 놀이의 심리적 혹은 서사적 기제를 분석하여 유희성

5) 당대의 이러한 정황은 몇몇 문학작품들에서도 확인 가능한데 이를테면 강소천의

동화에서도 ldquo「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방송을 들으려고 주인댁 식구들은 모두

안방에 모여들었고 우리는 우리대로 우리방에서 래디오를 듣고 있었다rdquo라는 대

목을 찾아볼 수 있다 강소천 「잃어버린 시계(3)」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912 4면

6) 「지상(紙上) 스무고개」는 985172한국일보985173가 일요 특집판으로 다루면서 다른 일간지

에도 영향을 끼쳤다 lsquo스무고개rsquo의 답을 엽서에 적어 보내면 정답자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주는 방식이었는데 이러한 포맷은 방송잡지 985172월간방송985173에서도 발견된다

뿐만 아니라 당대 대중잡지들은 보다 짤막한 형식으로 다루는 면면을 확인할 수

있다

7)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0

8)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9)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5

의 긍정적 면면을 강조하였다 여기에서 비켜선 연구들 또한 넓게는 문

화론적 연구와 접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최은영이 알튀세 이론을 원용

하여 퀴즈 프로그램의 지배이데올로기를 분석한 것이나11) 윤일기는 비

교문화론적 관점에서 한국적 퀴즈쇼의 특성을 검토한 경우가 여기에 해

당한다12)

그럼에도 유독 라디오매체는 간과되고 있다 대부분 텔레비전 퀴즈 프

로그램에 집중되어 있을 뿐 라디오를 통해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들은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초창기 여론조사를 비롯한 수용자 연구

가 몇몇 눈에 띠지만 퀴즈 프로그램에는 눈길두지 않았다 특정 퀴즈 프

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만무할뿐더러 당대 퀴즈 프로그램의

동향을 다룬 글조차 발견하기 힘들다 게다가 열악한 방송환경에서 짧은

라디오시대를 지나온 까닭에 1차 방송자료는 흔적을 찾기 어렵고 문헌

사료의 망실조차 심각한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조차 정확성을 담보하

기 힘든 경우가 적잖다 지금이라도 라디오방송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제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머잖아 복기 자체가 불가능해질 위험

이 높다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 연구는 한국사회 특유의 학생 퀴즈 프로그램

의 자리를 살피는 데 필수불가결하다 우리에게 친숙한 학생 퀴즈 프로

그램은 단연 ≪장학퀴즈≫이다 ≪장학퀴즈≫는 고등학생들의 뛰어난

역량을 뽐내는 퀴즈 프로그램으로 본격적인 텔레비전 방송시대를 맞이

한 1973년 2월 18일 MBC-TV에서 첫 방송되었다 당시 ≪장학퀴즈≫의

인기는 방송국마다 어린이와 중학생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 신설을 추동

하는 등 퀴즈 붐을 일으켰다13) 뿐만 아니라 ≪장학퀴즈≫는 40년을 훌

10)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11)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12)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

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센터 2002 144-160쪽

39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쩍 넘은 기간 학생 퀴즈 프로그램으로 굳건히 자리매김해오고 있다

1996년 가을 중단되었다가 이듬해 EBS로 옮겨 지금도 ≪장학퀴즈-학교

를 가다≫가 방송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장학퀴즈≫의 전신이 MBC 라디오의 ≪장학금퀴즈≫14)에

앞선 KBS 라디오의 ≪라디오게임≫이었다는 점은 거의 간과되어왔다

≪라디오게임≫은 1957년 4월 6일 KBS 제1라디오를 통해 방송되기 시

작했으며 처음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었다 신설 당시

희망자들 중에서 출연자를 선출하는 수용자 중심 경쟁프로그램 형식을

선택했는데 그 결과 ≪라디오게임≫은 중고등학생 중심의 퀴즈 프로그

램으로 변모했다15) 초창기에는 비껴간 참여자층 때문에 우려가 없지

않았지만 중고등학생의 높은 참여율과 청취율로 열기는 쉽게 가라앉지

13) ≪장학퀴즈≫가 인기몰이에 성공하자 TBC-TV가 재빨리 ≪어린이퀴즈≫와 ≪

중학생 퀴즈왕≫을 신설했고 MBC-TV도 ≪어린이 장학퀴즈≫를 신설했다 ≪

장학퀴즈≫ 신설 당시 채산성 문제로 학생 퀴즈프로그램이 거의 전무했던 상황

과는 대조적이라 하겠다 이러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들의 붐은 같은 해 방송국

마다 일반인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들 그러니까 KBS-TV의 ≪퀴즈대학≫

MBC-TV의 ≪알뜰살뜰 퀴즈≫ TBC-TV의 ≪쌍쌍퀴즈≫ 등이 속속 신설되는

것으로 이어졌다 주춤했던 퀴즈 프로그램들의 인기가 동반 상승하면서 퀴즈 붐

의 시대를 맞고 있었던 것이다 「TV3국 「퀴즈」프로경쟁 이젠 주부ㆍ쌍쌍 등장

기세」 985172경향신문985173 1973126 8면

14) ≪장학금퀴즈≫는 1961년 12월 2일 MBC 라디오가 개국하면서 신설된 고등학

생 퀴즈 프로그램이다 당시 공개방송은 연출에 손형식 PD와 주수황 아나운서

사회로 매주 화요일 오후 3시 종로예식장에서 진행되었으며 MBC 라디오를 통

해 매주 일요일 오후 8시부터 30분간 골든아워에 방송되었다 ≪장학금퀴즈≫는

고교대항전 형식까지 KBS 라디오의 ≪라디오게임≫을 벤치마킹한 것이었는데

두 프로그램이 동일 시간대 방송을 고집할 만큼 치열한 경쟁 구도를 띠었다 여

기에는 ≪장학금퀴즈≫가 1위 학교에 내건 상금 3만원이 큰 영향을 끼친 듯하

나 결국 국영방송체제 아래 8월부터 목요일로 방송일자를 변경하고 참여대상도

중학교로 확대해나갔다 「중복되는 프로들 청취사정을 알라」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 77 4면 「맞붙은 KA와 KV」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7 4면 「985172장학금퀴즈985173」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822 8면 「상금도 3만원」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829 5면

15) 원 희 「시평 푸로의 계속적인 연구를-장래성 없는 것은 강요하지 말라」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1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8125 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7

않았다 거기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였겠지만 특히 참여자들 대부분이

이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에 친숙한 청취자 혹은 출연

자였다는 점을 간과하기 힘들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는 학생 퀴즈

프로그램의 변천과정을 고찰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위치에 있다 하겠

마지막으로 lt무엇일까요gt 연구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지

향점을 가늠하게 한다는 점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과 오락을 동시에

내장한 양가적 프로그램이다 다르게 말하면 퀴즈 프로그램은 기획의도

와 운영방식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띠며 그만큼 논자들의 시각차도 크

다 피스크는 퀴즈 프로그램이 평등한 기회라는 당의정에 상품을 내건

경쟁구조를 실어 나르는 엘리트 교육제도의 은유이자 자본주의와 가부

장적 이데올로기의 전달자라고 비판한다16) 그 연장선에서 근대 지식을

단순 기억술로 전화(轉化)하거나17) 도박같이 사행심을 조장할18) 위험을

경고한 학자들도 적잖다 물론 반격도 만만찮은데 그 중심에 학계뿐 아

니라 방송관계자들도 앞장선다 그들은 퀴즈 프로그램의 경쟁이 지금의

현실을 반영할 뿐 아니라 상금의 양과 시청률이 반드시 비례관계에 놓

이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한다19) 특히 퀴즈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에게

즐기면서 가르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논의된다20) 이렇게 분분

한 입장들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은 라디오시대를 넘어 텔레비전 시대에

도 대중들과 긴밀하게 호흡하고 있다

그럼에도 유독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성쇠의 자리가 두드러진다 근

대의 발명인 어린이는 사회적 기대감과 우려를 동시에 환기시켜왔다 그

16)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1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18)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19)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쪽

20) 앤 쿠퍼 첸 위의 책 282-292쪽

39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런 어린이들로 특정된 퀴즈 프로그램 또한 여느 프로그램들과 다른 방

송문법으로 특성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방송매체의 전환은 어린

이 퀴즈 프로그램의 전략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이 성쇠를 거듭하며 새롭게 지향점을 모

색해야 하는 이유로 작용했을 것이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면면을 보다 면밀히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여 이 글은 우선 역사적 문헌연구방법을 원용하

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을 실증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

다 문헌자료의 망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이 프로그램은 망각과 착오를

거듭하며 서로 다르게 기억되고 있다 때문에 프로그램의 제반환경과 사

회적 상황 등을 검토하여 lt무엇일까요gt의 자리를 분명히 하고자 한다

나아가 lt무엇일까요gt의 면면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장수프로그램의

동력과 그 한계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연계하여 고찰할 것

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라디오방송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역동성을 새롭게 의미화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2 제작 환경과 벤치마킹의 자리

lt무엇일까요gt는 주목할 만한 기록을 남긴 KBS 라디오의 어린이 프

로그램들 중 하나다 그것은 처음 시도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었을

뿐 아니라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가장 오랫동안 인기를 끌었던

공개방송 프로그램이었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에 대한 실증적 조사

나 연구가 거의 부재한 가운데 기초적 정보가 미흡하거나 잘못 알려진

부분이 적지 않다 여기에서는 착오가 적잖은 프로그램의 제작환경을 실

증하고 한 걸음 나아가 성공의 지표로서 벤치마킹한 자리를 살펴볼 것

이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9

제작환경 면에서는 lt무엇일까요gt의 정보는 부정확한 편이다 첫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가 언제 첫 방송되고 마지막 방송

이 이루어졌는지 종잡기 힘들다 985172한국방송사985173는 한국방송언론사 중에

서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해 비교적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편이다 이

책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0월 개편 이후21) 혹은 10월 30일22) 신

설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당시 정황은 1954년 4월 개편 이후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15분에서 30분으로 증가되었고 이때 신

설된 공개방송 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 뒤에 lt무엇일까요gt가 놓

여 있다23)

하지만 문헌연구의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월 30일 토요일 첫

방송되었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ldquoHLKA 서울 중앙방송국에서 이 방송을 처음 시작한 것은 단기 4287년

1월 30일rdquo24)로 명시한 바 있지만 그간 한국방송언론사에서 간과해온 것

이다 그럼에도 신설 당시 정황은 밝히지 않은 까닭에 2차 문헌사료들을

통해 추적해볼 수밖에 없었다 ≪어린이시간≫에 포함된 세부 프로그램

들 중 하나인 lt무엇일까요gt는 기존에 토요일마다 방송되던 lt노래극gt

시간을 대체한 것이었다 당시 방송시간도 오후 6시부터 15분간이었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은 당시 방송시간의 증가가 주요한 이유

로 작용하지 않았던 셈이다 아울러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30분

간으로 증가한 것은 1954년 11월 1일부터이며 10월 개편 이후 신설된

것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로 1955년 2월 11일 첫 방송되었다25) 오히려

lt누가 누가 잘하나gt가 방송시간의 증가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 힘

21)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258쪽

22)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91쪽

23)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58쪽

24) 박일암 엮음 「머리말」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25)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40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입어 신설된 프로그램이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시기는 여전히 밝혀진 바 없다 985172한국

방송사985173에 따르면 5ㆍ16쿠데타 이후에도 운영되다가 ldquo뒤에 없어졌고rdquo라

고만 기록되어 있다26) 그러나 ldquo뒤에rdquo가 가리키는 시점이 언제쯤인지 가

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62년 3월 21일 400회 특집기념방송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진행되었

고27) 500회 기념방송이 이루어졌던 1964년에도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

에서 어린이가 가장 즐겨듣는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지목되었다28) 그리

고 1965년 10월 27일 590회 방송이 진행 중인29) KBS 라디오 ≪어린이

시간≫의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66년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행보는 돌연 찾아보기 힘들며 이즈음 폐지 수순을 밟

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에서 제작진의 구성과 성격 그 변천 등도 적확하

지 않다 노정팔의 회고록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는 KBS 라디오 편성

계장으로 있던 노정팔 자신이 신설하였다 당시 PD는 어린이계 담당자

였던 한용희 사회는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과 김인숙 그리고 작가는 박

일암이 각각 맡았다30) 이러한 진용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에 KBS 라

26)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앞의 책 413쪽

27)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28)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는 1964년 7월 6-10일까지 서울지역 10-12세 어린이들을

표본 추출하여 질문지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조사항목 중 라디오 부분에서 lsquo어

린이가 즐겨 듣는 프로그램 베스트ㆍ텐rsquo의 1위는 KBS 라디오의 lt어른 연속방

송극gt이었고 2위가 lt무엇일까요gt 8위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이었다 그만큼

어린이 청취자들에게 lt무엇일까요gt는 lt누가 누가 잘하나gt보다 인기가 높았음

을 알 수 있다 「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결과-어린이의 생활과 방송」 985172방송985173 제7

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91 4-5면

29) 「프로탐방 KA 어린이시간-호화스런 시간 각 부문을 망라」 985172방송985173 제53호 방

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51023 7면

30)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1

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인물들이 참여했다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그러

니까 신설 당시부터 KBS 라디오가 lt무엇일까요gt에 비중을 두었던 셈

이다

특히 lt무엇일까요gt에 작가를 따로 두었다는 점은 여느 퀴즈 프로그

램들과 차별화된다 인기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만 하더라도 작가

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 당시 제작환경을 고려한다면 전속작가가 이 프

로그램의 구성작가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작가의 존재는

프로그램의 인기에 비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라디오게임≫도 마찬가지다 그런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당시부터 작가를 따로 밝힌 드문 경우에 속한다 이 프로그램의 작가는

박일암인데 이는 다름 아닌 노정팔의 필명이다 그러니까 노정팔이 lt무

엇일까요gt를 신설하고 작가로도 활동했던 것이다

더욱이 노정팔은 긴 기간 작가로 활동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에 따르면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를 펴낸 1961년까지 ldquo8년

가까이rdquo를 lt무엇일까요gt와 함께 했다31) 1950년대 주요 일간지의 라디

오 방송안내를 보더라도 작가는 대부분 ldquo박일암rdquo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를 전담할 만큼 노정팔의 신분

에 큰 변동이 없었는가 하는 점은 의문이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의 편

성계장은 공무원 신분이고 인사이동도 있게 마련이다 노정팔 또한 ldquo8년

가까이rdquo KBS 라디오에만 머물지 않았다 1955년 7월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구속된 적이 있었는가 하면32) 1957년 6월부터 5개월간은 미 국

3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32) 당시 주요 일간지에 따르면 1955년 7월 5일 노정팔은 국가보안법 및 병역법 위

반 사문서 위조 업무횡령 등으로 구속되었고 곧이어 검찰에 송치되었다 「보안

법위반혐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7 3면 「노편성계장송청」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 14 3면 반공주의를 앞세운 이승만 정권에서 공무원 신분의 노정팔이 국가보안

법을 위반했다는 것만으로도 위중한 혐의에 속한다 그럼에도 무슨 곡절이었는

지 그는 돌연 복귀하여 8월 3일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다 「라디오」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3 4면

40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무성 초청으로 보스턴대학에 파견 근무를 했다33) 이 기간 노정팔의 빈

자리를 대신한 것은 다름 아닌 어린이문학가 강소천이었다 강소천은 귀

국한 노정팔이 공보실 방송관리국에서 근무했던 기간34)에도 lt무엇일까

요gt를 집필한 것으로 확인된다35) 당시 노정팔이 KBS 제1라디오의

lt반공독본gt을 집필했던 상황36)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ldquo박일암rdquo의 이름으로 노정팔을 앞세우

고 그 빈자리를 강소천이 대신했거나 조력하는 방식을 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가 ldquo박일암rdquo의 편저 형식으로 출

간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작용했다 하겠다 그러나 책 출간 이후 노정팔

의 작가 활동여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37)

33) 1956년부터 미 국무성 인사교환계획에 따라 방송관계자들의 해외파견이 이루어

졌다 1차 파견자는 윤길구 조남사 한기선이었으며 노정팔은 최창봉과 함께 2

차 파견자로 뽑혀 보스턴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정

팔 앞의 책 246-247쪽

34) 노정팔 위의 책 261쪽

35) 1950년대 2차 문헌사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요 일간지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흔적들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물론 당시 일

간지의 라디오방송 안내가 들쭉날쭉하고 인기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조차 상

세하게 밝히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이들 일간지에 따르

면 강소천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자로 처음 확인된 것은 1955년 7월 13일 20

일 27일 3회에 그쳤다 한동안 소강상태였다가 동명 프로그램에서 강소천의 이

름은 1957년 후반부터 1958년 전반에 걸쳐 드문드문 확인할 수 있었다

36) 노정팔은 1958년 2월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6시 20분부터 10분간 lt반공독본gt

을 집필했다 「오늘의 라디오」 985172서울신문985173 195822 4면

37) 현재까지 2차 문헌사료에서도 책을 펴낸 1961년 12월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작

가에 대한 정보는 거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만 기존의 집필방식에 견주어 노

정팔이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는 합리적 의심은 해볼 수 있다 만약 그

렇다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과 폐지시기를 노정팔의 이력과 연계시켜 추정해

보자 노정팔은 1962년 1월 부산방송국장으로 부임했다가 6개월만인 동년 7월

공보실 방송관리국 관리과장으로 돌아왔고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기

존대로 강소천이 대신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1963년 5월부터 1966년 4월

초까지 노정팔은 서울국제방송국장을 역임하였는데 1963년 5월 강소천이 갑작

스러운 건강 악화로 작고한 까닭에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오롯이 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3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은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이 활성화된 데서 확인 가능하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된 기간 방송국

마다 유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방송매체

의 제반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에도 변함없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1950년대 중후반에 국한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

램들이 여럿이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은 1956년 1월 3

일 CBS에서 첫 방송된 lt알아맞히기gt가 맨 앞에 놓인다 lt알아맞히기gt

는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적 사례를 참조하여 스튜디오 대신 특정 초등

학교를 찾아다니며 공개녹음 방식으로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이다 신설

당시부터 ≪어린이시간≫의 러닝 타임을 모두 소화한 첫 프로그램으로

쏟은 공력에 걸맞게 CBS의 대표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승승장구

했다38) 이에 KBS 라디오는 lt무엇일까요gt와 병행할 공개방송 퀴즈 프

로그램 lt꾀돌이문답gt을 신설하고 1957년 10월 12일 토요일 첫 방송했

다 lt꾀돌이문답gt은 오락성을 앞세운 코너들 즉 10분 안에 알아맞혀야

하는 lsquo열 고개rsquo 테마를 제시하면 연기를 해야 하는 즉흥극 또는 전화놀

이 노래에 가사붙이기 등을 다채롭게 운영하여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

았다39) 거기에 첫 텔레비전방송국 HLKZ-TV가 1958년 ≪어린이차지≫

시간에 lt누가 먼저 맞추나gt를 신설하여 경쟁에 가세하였다 lt누가 먼

저 맞추나gt는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치

정팔의 몫이었거나 새로운 작가를 동원했을 수 있다 노정팔이 1966년 4월 9일

부터 대구방송국장으로 옮겨 2년 여 동안 재직하였는데 공교롭게도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 추정시점과 맞물린다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면

그의 이력이 프로그램의 존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

는 셈이다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118 1면 「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3 2면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430 2면 「공보부 국장급 7명 곧

이동할 방침」 985172동아일보985173 196648 1면 「문화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8 727 2면

38)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39)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197쪽

40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호 사회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후반 이들 프로그램들은 경쟁적 구도 속에서도 각 방송국

을 대표하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높은 인기에도 짧은 기간 방송되다

가 폐지되었다 lt알아맞히기gt는 2년 3개월여 만인 1958년 3월 18일 마

지막 방송을 했고 lt꾀돌이문답gt은 1959년 10월 17일 100회 방송으로

끝맺었다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방송국 전소로 불가피하게 하차한 경

우라면 앞선 프로그램들은 갑작스러운 폐지였던 만큼 이유가 불분명하

다 1960년을 가뿐히 넘어선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가

유일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에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텔레

비전매체에서 재매개한 프로그램들이 계속 신설되었고 또 lt무엇일까

요gt를 뛰어넘지 못한 채 폐지 수순을 밟아나갔다 그만큼 lt무엇일까

요gt의 성공적 입지는 청취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되었던 셈이다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등교육정책의 로 간다와 높은 교육열

lt무엇일까요gt는 한국방송사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첫 시도였

으며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까지 KBS 라디오 어린이방송의 대표적

인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당대의 방송정

책과 방송환경 교육제도와 어린이생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정치

사회사적 흐름에 따른 변폭도 적지 않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 목적인 청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시절

ldquo재미있고 즐겁게 공부rdquo하는 데 놓여 있다 ldquo이해보다 기억을 강요rdquo하는

ldquo무리한rdquo 공부에 힘겨워했던40) 당시 어린이들의 상황을 타개하는 동시

에 차별화하는 전략 즉 lsquo교육적 재미rsquo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5: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5

의 긍정적 면면을 강조하였다 여기에서 비켜선 연구들 또한 넓게는 문

화론적 연구와 접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최은영이 알튀세 이론을 원용

하여 퀴즈 프로그램의 지배이데올로기를 분석한 것이나11) 윤일기는 비

교문화론적 관점에서 한국적 퀴즈쇼의 특성을 검토한 경우가 여기에 해

당한다12)

그럼에도 유독 라디오매체는 간과되고 있다 대부분 텔레비전 퀴즈 프

로그램에 집중되어 있을 뿐 라디오를 통해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들은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초창기 여론조사를 비롯한 수용자 연구

가 몇몇 눈에 띠지만 퀴즈 프로그램에는 눈길두지 않았다 특정 퀴즈 프

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만무할뿐더러 당대 퀴즈 프로그램의

동향을 다룬 글조차 발견하기 힘들다 게다가 열악한 방송환경에서 짧은

라디오시대를 지나온 까닭에 1차 방송자료는 흔적을 찾기 어렵고 문헌

사료의 망실조차 심각한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조차 정확성을 담보하

기 힘든 경우가 적잖다 지금이라도 라디오방송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제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머잖아 복기 자체가 불가능해질 위험

이 높다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 연구는 한국사회 특유의 학생 퀴즈 프로그램

의 자리를 살피는 데 필수불가결하다 우리에게 친숙한 학생 퀴즈 프로

그램은 단연 ≪장학퀴즈≫이다 ≪장학퀴즈≫는 고등학생들의 뛰어난

역량을 뽐내는 퀴즈 프로그램으로 본격적인 텔레비전 방송시대를 맞이

한 1973년 2월 18일 MBC-TV에서 첫 방송되었다 당시 ≪장학퀴즈≫의

인기는 방송국마다 어린이와 중학생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 신설을 추동

하는 등 퀴즈 붐을 일으켰다13) 뿐만 아니라 ≪장학퀴즈≫는 40년을 훌

10)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11)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12)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

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센터 2002 144-160쪽

39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쩍 넘은 기간 학생 퀴즈 프로그램으로 굳건히 자리매김해오고 있다

1996년 가을 중단되었다가 이듬해 EBS로 옮겨 지금도 ≪장학퀴즈-학교

를 가다≫가 방송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장학퀴즈≫의 전신이 MBC 라디오의 ≪장학금퀴즈≫14)에

앞선 KBS 라디오의 ≪라디오게임≫이었다는 점은 거의 간과되어왔다

≪라디오게임≫은 1957년 4월 6일 KBS 제1라디오를 통해 방송되기 시

작했으며 처음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었다 신설 당시

희망자들 중에서 출연자를 선출하는 수용자 중심 경쟁프로그램 형식을

선택했는데 그 결과 ≪라디오게임≫은 중고등학생 중심의 퀴즈 프로그

램으로 변모했다15) 초창기에는 비껴간 참여자층 때문에 우려가 없지

않았지만 중고등학생의 높은 참여율과 청취율로 열기는 쉽게 가라앉지

13) ≪장학퀴즈≫가 인기몰이에 성공하자 TBC-TV가 재빨리 ≪어린이퀴즈≫와 ≪

중학생 퀴즈왕≫을 신설했고 MBC-TV도 ≪어린이 장학퀴즈≫를 신설했다 ≪

장학퀴즈≫ 신설 당시 채산성 문제로 학생 퀴즈프로그램이 거의 전무했던 상황

과는 대조적이라 하겠다 이러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들의 붐은 같은 해 방송국

마다 일반인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들 그러니까 KBS-TV의 ≪퀴즈대학≫

MBC-TV의 ≪알뜰살뜰 퀴즈≫ TBC-TV의 ≪쌍쌍퀴즈≫ 등이 속속 신설되는

것으로 이어졌다 주춤했던 퀴즈 프로그램들의 인기가 동반 상승하면서 퀴즈 붐

의 시대를 맞고 있었던 것이다 「TV3국 「퀴즈」프로경쟁 이젠 주부ㆍ쌍쌍 등장

기세」 985172경향신문985173 1973126 8면

14) ≪장학금퀴즈≫는 1961년 12월 2일 MBC 라디오가 개국하면서 신설된 고등학

생 퀴즈 프로그램이다 당시 공개방송은 연출에 손형식 PD와 주수황 아나운서

사회로 매주 화요일 오후 3시 종로예식장에서 진행되었으며 MBC 라디오를 통

해 매주 일요일 오후 8시부터 30분간 골든아워에 방송되었다 ≪장학금퀴즈≫는

고교대항전 형식까지 KBS 라디오의 ≪라디오게임≫을 벤치마킹한 것이었는데

두 프로그램이 동일 시간대 방송을 고집할 만큼 치열한 경쟁 구도를 띠었다 여

기에는 ≪장학금퀴즈≫가 1위 학교에 내건 상금 3만원이 큰 영향을 끼친 듯하

나 결국 국영방송체제 아래 8월부터 목요일로 방송일자를 변경하고 참여대상도

중학교로 확대해나갔다 「중복되는 프로들 청취사정을 알라」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 77 4면 「맞붙은 KA와 KV」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7 4면 「985172장학금퀴즈985173」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822 8면 「상금도 3만원」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829 5면

15) 원 희 「시평 푸로의 계속적인 연구를-장래성 없는 것은 강요하지 말라」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1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8125 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7

않았다 거기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였겠지만 특히 참여자들 대부분이

이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에 친숙한 청취자 혹은 출연

자였다는 점을 간과하기 힘들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는 학생 퀴즈

프로그램의 변천과정을 고찰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위치에 있다 하겠

마지막으로 lt무엇일까요gt 연구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지

향점을 가늠하게 한다는 점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과 오락을 동시에

내장한 양가적 프로그램이다 다르게 말하면 퀴즈 프로그램은 기획의도

와 운영방식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띠며 그만큼 논자들의 시각차도 크

다 피스크는 퀴즈 프로그램이 평등한 기회라는 당의정에 상품을 내건

경쟁구조를 실어 나르는 엘리트 교육제도의 은유이자 자본주의와 가부

장적 이데올로기의 전달자라고 비판한다16) 그 연장선에서 근대 지식을

단순 기억술로 전화(轉化)하거나17) 도박같이 사행심을 조장할18) 위험을

경고한 학자들도 적잖다 물론 반격도 만만찮은데 그 중심에 학계뿐 아

니라 방송관계자들도 앞장선다 그들은 퀴즈 프로그램의 경쟁이 지금의

현실을 반영할 뿐 아니라 상금의 양과 시청률이 반드시 비례관계에 놓

이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한다19) 특히 퀴즈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에게

즐기면서 가르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논의된다20) 이렇게 분분

한 입장들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은 라디오시대를 넘어 텔레비전 시대에

도 대중들과 긴밀하게 호흡하고 있다

그럼에도 유독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성쇠의 자리가 두드러진다 근

대의 발명인 어린이는 사회적 기대감과 우려를 동시에 환기시켜왔다 그

16)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1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18)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19)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쪽

20) 앤 쿠퍼 첸 위의 책 282-292쪽

39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런 어린이들로 특정된 퀴즈 프로그램 또한 여느 프로그램들과 다른 방

송문법으로 특성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방송매체의 전환은 어린

이 퀴즈 프로그램의 전략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이 성쇠를 거듭하며 새롭게 지향점을 모

색해야 하는 이유로 작용했을 것이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면면을 보다 면밀히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여 이 글은 우선 역사적 문헌연구방법을 원용하

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을 실증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

다 문헌자료의 망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이 프로그램은 망각과 착오를

거듭하며 서로 다르게 기억되고 있다 때문에 프로그램의 제반환경과 사

회적 상황 등을 검토하여 lt무엇일까요gt의 자리를 분명히 하고자 한다

나아가 lt무엇일까요gt의 면면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장수프로그램의

동력과 그 한계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연계하여 고찰할 것

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라디오방송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역동성을 새롭게 의미화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2 제작 환경과 벤치마킹의 자리

lt무엇일까요gt는 주목할 만한 기록을 남긴 KBS 라디오의 어린이 프

로그램들 중 하나다 그것은 처음 시도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었을

뿐 아니라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가장 오랫동안 인기를 끌었던

공개방송 프로그램이었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에 대한 실증적 조사

나 연구가 거의 부재한 가운데 기초적 정보가 미흡하거나 잘못 알려진

부분이 적지 않다 여기에서는 착오가 적잖은 프로그램의 제작환경을 실

증하고 한 걸음 나아가 성공의 지표로서 벤치마킹한 자리를 살펴볼 것

이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9

제작환경 면에서는 lt무엇일까요gt의 정보는 부정확한 편이다 첫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가 언제 첫 방송되고 마지막 방송

이 이루어졌는지 종잡기 힘들다 985172한국방송사985173는 한국방송언론사 중에

서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해 비교적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편이다 이

책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0월 개편 이후21) 혹은 10월 30일22) 신

설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당시 정황은 1954년 4월 개편 이후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15분에서 30분으로 증가되었고 이때 신

설된 공개방송 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 뒤에 lt무엇일까요gt가 놓

여 있다23)

하지만 문헌연구의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월 30일 토요일 첫

방송되었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ldquoHLKA 서울 중앙방송국에서 이 방송을 처음 시작한 것은 단기 4287년

1월 30일rdquo24)로 명시한 바 있지만 그간 한국방송언론사에서 간과해온 것

이다 그럼에도 신설 당시 정황은 밝히지 않은 까닭에 2차 문헌사료들을

통해 추적해볼 수밖에 없었다 ≪어린이시간≫에 포함된 세부 프로그램

들 중 하나인 lt무엇일까요gt는 기존에 토요일마다 방송되던 lt노래극gt

시간을 대체한 것이었다 당시 방송시간도 오후 6시부터 15분간이었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은 당시 방송시간의 증가가 주요한 이유

로 작용하지 않았던 셈이다 아울러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30분

간으로 증가한 것은 1954년 11월 1일부터이며 10월 개편 이후 신설된

것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로 1955년 2월 11일 첫 방송되었다25) 오히려

lt누가 누가 잘하나gt가 방송시간의 증가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 힘

21)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258쪽

22)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91쪽

23)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58쪽

24) 박일암 엮음 「머리말」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25)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40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입어 신설된 프로그램이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시기는 여전히 밝혀진 바 없다 985172한국

방송사985173에 따르면 5ㆍ16쿠데타 이후에도 운영되다가 ldquo뒤에 없어졌고rdquo라

고만 기록되어 있다26) 그러나 ldquo뒤에rdquo가 가리키는 시점이 언제쯤인지 가

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62년 3월 21일 400회 특집기념방송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진행되었

고27) 500회 기념방송이 이루어졌던 1964년에도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

에서 어린이가 가장 즐겨듣는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지목되었다28) 그리

고 1965년 10월 27일 590회 방송이 진행 중인29) KBS 라디오 ≪어린이

시간≫의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66년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행보는 돌연 찾아보기 힘들며 이즈음 폐지 수순을 밟

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에서 제작진의 구성과 성격 그 변천 등도 적확하

지 않다 노정팔의 회고록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는 KBS 라디오 편성

계장으로 있던 노정팔 자신이 신설하였다 당시 PD는 어린이계 담당자

였던 한용희 사회는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과 김인숙 그리고 작가는 박

일암이 각각 맡았다30) 이러한 진용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에 KBS 라

26)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앞의 책 413쪽

27)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28)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는 1964년 7월 6-10일까지 서울지역 10-12세 어린이들을

표본 추출하여 질문지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조사항목 중 라디오 부분에서 lsquo어

린이가 즐겨 듣는 프로그램 베스트ㆍ텐rsquo의 1위는 KBS 라디오의 lt어른 연속방

송극gt이었고 2위가 lt무엇일까요gt 8위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이었다 그만큼

어린이 청취자들에게 lt무엇일까요gt는 lt누가 누가 잘하나gt보다 인기가 높았음

을 알 수 있다 「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결과-어린이의 생활과 방송」 985172방송985173 제7

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91 4-5면

29) 「프로탐방 KA 어린이시간-호화스런 시간 각 부문을 망라」 985172방송985173 제53호 방

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51023 7면

30)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1

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인물들이 참여했다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그러

니까 신설 당시부터 KBS 라디오가 lt무엇일까요gt에 비중을 두었던 셈

이다

특히 lt무엇일까요gt에 작가를 따로 두었다는 점은 여느 퀴즈 프로그

램들과 차별화된다 인기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만 하더라도 작가

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 당시 제작환경을 고려한다면 전속작가가 이 프

로그램의 구성작가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작가의 존재는

프로그램의 인기에 비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라디오게임≫도 마찬가지다 그런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당시부터 작가를 따로 밝힌 드문 경우에 속한다 이 프로그램의 작가는

박일암인데 이는 다름 아닌 노정팔의 필명이다 그러니까 노정팔이 lt무

엇일까요gt를 신설하고 작가로도 활동했던 것이다

더욱이 노정팔은 긴 기간 작가로 활동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에 따르면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를 펴낸 1961년까지 ldquo8년

가까이rdquo를 lt무엇일까요gt와 함께 했다31) 1950년대 주요 일간지의 라디

오 방송안내를 보더라도 작가는 대부분 ldquo박일암rdquo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를 전담할 만큼 노정팔의 신분

에 큰 변동이 없었는가 하는 점은 의문이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의 편

성계장은 공무원 신분이고 인사이동도 있게 마련이다 노정팔 또한 ldquo8년

가까이rdquo KBS 라디오에만 머물지 않았다 1955년 7월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구속된 적이 있었는가 하면32) 1957년 6월부터 5개월간은 미 국

3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32) 당시 주요 일간지에 따르면 1955년 7월 5일 노정팔은 국가보안법 및 병역법 위

반 사문서 위조 업무횡령 등으로 구속되었고 곧이어 검찰에 송치되었다 「보안

법위반혐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7 3면 「노편성계장송청」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 14 3면 반공주의를 앞세운 이승만 정권에서 공무원 신분의 노정팔이 국가보안

법을 위반했다는 것만으로도 위중한 혐의에 속한다 그럼에도 무슨 곡절이었는

지 그는 돌연 복귀하여 8월 3일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다 「라디오」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3 4면

40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무성 초청으로 보스턴대학에 파견 근무를 했다33) 이 기간 노정팔의 빈

자리를 대신한 것은 다름 아닌 어린이문학가 강소천이었다 강소천은 귀

국한 노정팔이 공보실 방송관리국에서 근무했던 기간34)에도 lt무엇일까

요gt를 집필한 것으로 확인된다35) 당시 노정팔이 KBS 제1라디오의

lt반공독본gt을 집필했던 상황36)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ldquo박일암rdquo의 이름으로 노정팔을 앞세우

고 그 빈자리를 강소천이 대신했거나 조력하는 방식을 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가 ldquo박일암rdquo의 편저 형식으로 출

간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작용했다 하겠다 그러나 책 출간 이후 노정팔

의 작가 활동여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37)

33) 1956년부터 미 국무성 인사교환계획에 따라 방송관계자들의 해외파견이 이루어

졌다 1차 파견자는 윤길구 조남사 한기선이었으며 노정팔은 최창봉과 함께 2

차 파견자로 뽑혀 보스턴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정

팔 앞의 책 246-247쪽

34) 노정팔 위의 책 261쪽

35) 1950년대 2차 문헌사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요 일간지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흔적들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물론 당시 일

간지의 라디오방송 안내가 들쭉날쭉하고 인기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조차 상

세하게 밝히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이들 일간지에 따르

면 강소천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자로 처음 확인된 것은 1955년 7월 13일 20

일 27일 3회에 그쳤다 한동안 소강상태였다가 동명 프로그램에서 강소천의 이

름은 1957년 후반부터 1958년 전반에 걸쳐 드문드문 확인할 수 있었다

36) 노정팔은 1958년 2월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6시 20분부터 10분간 lt반공독본gt

을 집필했다 「오늘의 라디오」 985172서울신문985173 195822 4면

37) 현재까지 2차 문헌사료에서도 책을 펴낸 1961년 12월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작

가에 대한 정보는 거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만 기존의 집필방식에 견주어 노

정팔이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는 합리적 의심은 해볼 수 있다 만약 그

렇다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과 폐지시기를 노정팔의 이력과 연계시켜 추정해

보자 노정팔은 1962년 1월 부산방송국장으로 부임했다가 6개월만인 동년 7월

공보실 방송관리국 관리과장으로 돌아왔고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기

존대로 강소천이 대신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1963년 5월부터 1966년 4월

초까지 노정팔은 서울국제방송국장을 역임하였는데 1963년 5월 강소천이 갑작

스러운 건강 악화로 작고한 까닭에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오롯이 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3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은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이 활성화된 데서 확인 가능하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된 기간 방송국

마다 유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방송매체

의 제반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에도 변함없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1950년대 중후반에 국한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

램들이 여럿이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은 1956년 1월 3

일 CBS에서 첫 방송된 lt알아맞히기gt가 맨 앞에 놓인다 lt알아맞히기gt

는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적 사례를 참조하여 스튜디오 대신 특정 초등

학교를 찾아다니며 공개녹음 방식으로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이다 신설

당시부터 ≪어린이시간≫의 러닝 타임을 모두 소화한 첫 프로그램으로

쏟은 공력에 걸맞게 CBS의 대표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승승장구

했다38) 이에 KBS 라디오는 lt무엇일까요gt와 병행할 공개방송 퀴즈 프

로그램 lt꾀돌이문답gt을 신설하고 1957년 10월 12일 토요일 첫 방송했

다 lt꾀돌이문답gt은 오락성을 앞세운 코너들 즉 10분 안에 알아맞혀야

하는 lsquo열 고개rsquo 테마를 제시하면 연기를 해야 하는 즉흥극 또는 전화놀

이 노래에 가사붙이기 등을 다채롭게 운영하여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

았다39) 거기에 첫 텔레비전방송국 HLKZ-TV가 1958년 ≪어린이차지≫

시간에 lt누가 먼저 맞추나gt를 신설하여 경쟁에 가세하였다 lt누가 먼

저 맞추나gt는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치

정팔의 몫이었거나 새로운 작가를 동원했을 수 있다 노정팔이 1966년 4월 9일

부터 대구방송국장으로 옮겨 2년 여 동안 재직하였는데 공교롭게도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 추정시점과 맞물린다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면

그의 이력이 프로그램의 존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

는 셈이다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118 1면 「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3 2면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430 2면 「공보부 국장급 7명 곧

이동할 방침」 985172동아일보985173 196648 1면 「문화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8 727 2면

38)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39)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197쪽

40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호 사회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후반 이들 프로그램들은 경쟁적 구도 속에서도 각 방송국

을 대표하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높은 인기에도 짧은 기간 방송되다

가 폐지되었다 lt알아맞히기gt는 2년 3개월여 만인 1958년 3월 18일 마

지막 방송을 했고 lt꾀돌이문답gt은 1959년 10월 17일 100회 방송으로

끝맺었다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방송국 전소로 불가피하게 하차한 경

우라면 앞선 프로그램들은 갑작스러운 폐지였던 만큼 이유가 불분명하

다 1960년을 가뿐히 넘어선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가

유일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에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텔레

비전매체에서 재매개한 프로그램들이 계속 신설되었고 또 lt무엇일까

요gt를 뛰어넘지 못한 채 폐지 수순을 밟아나갔다 그만큼 lt무엇일까

요gt의 성공적 입지는 청취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되었던 셈이다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등교육정책의 로 간다와 높은 교육열

lt무엇일까요gt는 한국방송사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첫 시도였

으며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까지 KBS 라디오 어린이방송의 대표적

인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당대의 방송정

책과 방송환경 교육제도와 어린이생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정치

사회사적 흐름에 따른 변폭도 적지 않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 목적인 청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시절

ldquo재미있고 즐겁게 공부rdquo하는 데 놓여 있다 ldquo이해보다 기억을 강요rdquo하는

ldquo무리한rdquo 공부에 힘겨워했던40) 당시 어린이들의 상황을 타개하는 동시

에 차별화하는 전략 즉 lsquo교육적 재미rsquo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6: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39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쩍 넘은 기간 학생 퀴즈 프로그램으로 굳건히 자리매김해오고 있다

1996년 가을 중단되었다가 이듬해 EBS로 옮겨 지금도 ≪장학퀴즈-학교

를 가다≫가 방송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장학퀴즈≫의 전신이 MBC 라디오의 ≪장학금퀴즈≫14)에

앞선 KBS 라디오의 ≪라디오게임≫이었다는 점은 거의 간과되어왔다

≪라디오게임≫은 1957년 4월 6일 KBS 제1라디오를 통해 방송되기 시

작했으며 처음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었다 신설 당시

희망자들 중에서 출연자를 선출하는 수용자 중심 경쟁프로그램 형식을

선택했는데 그 결과 ≪라디오게임≫은 중고등학생 중심의 퀴즈 프로그

램으로 변모했다15) 초창기에는 비껴간 참여자층 때문에 우려가 없지

않았지만 중고등학생의 높은 참여율과 청취율로 열기는 쉽게 가라앉지

13) ≪장학퀴즈≫가 인기몰이에 성공하자 TBC-TV가 재빨리 ≪어린이퀴즈≫와 ≪

중학생 퀴즈왕≫을 신설했고 MBC-TV도 ≪어린이 장학퀴즈≫를 신설했다 ≪

장학퀴즈≫ 신설 당시 채산성 문제로 학생 퀴즈프로그램이 거의 전무했던 상황

과는 대조적이라 하겠다 이러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들의 붐은 같은 해 방송국

마다 일반인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들 그러니까 KBS-TV의 ≪퀴즈대학≫

MBC-TV의 ≪알뜰살뜰 퀴즈≫ TBC-TV의 ≪쌍쌍퀴즈≫ 등이 속속 신설되는

것으로 이어졌다 주춤했던 퀴즈 프로그램들의 인기가 동반 상승하면서 퀴즈 붐

의 시대를 맞고 있었던 것이다 「TV3국 「퀴즈」프로경쟁 이젠 주부ㆍ쌍쌍 등장

기세」 985172경향신문985173 1973126 8면

14) ≪장학금퀴즈≫는 1961년 12월 2일 MBC 라디오가 개국하면서 신설된 고등학

생 퀴즈 프로그램이다 당시 공개방송은 연출에 손형식 PD와 주수황 아나운서

사회로 매주 화요일 오후 3시 종로예식장에서 진행되었으며 MBC 라디오를 통

해 매주 일요일 오후 8시부터 30분간 골든아워에 방송되었다 ≪장학금퀴즈≫는

고교대항전 형식까지 KBS 라디오의 ≪라디오게임≫을 벤치마킹한 것이었는데

두 프로그램이 동일 시간대 방송을 고집할 만큼 치열한 경쟁 구도를 띠었다 여

기에는 ≪장학금퀴즈≫가 1위 학교에 내건 상금 3만원이 큰 영향을 끼친 듯하

나 결국 국영방송체제 아래 8월부터 목요일로 방송일자를 변경하고 참여대상도

중학교로 확대해나갔다 「중복되는 프로들 청취사정을 알라」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 77 4면 「맞붙은 KA와 KV」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7 4면 「985172장학금퀴즈985173」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822 8면 「상금도 3만원」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829 5면

15) 원 희 「시평 푸로의 계속적인 연구를-장래성 없는 것은 강요하지 말라」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1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8125 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7

않았다 거기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였겠지만 특히 참여자들 대부분이

이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에 친숙한 청취자 혹은 출연

자였다는 점을 간과하기 힘들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는 학생 퀴즈

프로그램의 변천과정을 고찰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위치에 있다 하겠

마지막으로 lt무엇일까요gt 연구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지

향점을 가늠하게 한다는 점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과 오락을 동시에

내장한 양가적 프로그램이다 다르게 말하면 퀴즈 프로그램은 기획의도

와 운영방식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띠며 그만큼 논자들의 시각차도 크

다 피스크는 퀴즈 프로그램이 평등한 기회라는 당의정에 상품을 내건

경쟁구조를 실어 나르는 엘리트 교육제도의 은유이자 자본주의와 가부

장적 이데올로기의 전달자라고 비판한다16) 그 연장선에서 근대 지식을

단순 기억술로 전화(轉化)하거나17) 도박같이 사행심을 조장할18) 위험을

경고한 학자들도 적잖다 물론 반격도 만만찮은데 그 중심에 학계뿐 아

니라 방송관계자들도 앞장선다 그들은 퀴즈 프로그램의 경쟁이 지금의

현실을 반영할 뿐 아니라 상금의 양과 시청률이 반드시 비례관계에 놓

이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한다19) 특히 퀴즈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에게

즐기면서 가르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논의된다20) 이렇게 분분

한 입장들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은 라디오시대를 넘어 텔레비전 시대에

도 대중들과 긴밀하게 호흡하고 있다

그럼에도 유독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성쇠의 자리가 두드러진다 근

대의 발명인 어린이는 사회적 기대감과 우려를 동시에 환기시켜왔다 그

16)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1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18)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19)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쪽

20) 앤 쿠퍼 첸 위의 책 282-292쪽

39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런 어린이들로 특정된 퀴즈 프로그램 또한 여느 프로그램들과 다른 방

송문법으로 특성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방송매체의 전환은 어린

이 퀴즈 프로그램의 전략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이 성쇠를 거듭하며 새롭게 지향점을 모

색해야 하는 이유로 작용했을 것이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면면을 보다 면밀히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여 이 글은 우선 역사적 문헌연구방법을 원용하

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을 실증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

다 문헌자료의 망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이 프로그램은 망각과 착오를

거듭하며 서로 다르게 기억되고 있다 때문에 프로그램의 제반환경과 사

회적 상황 등을 검토하여 lt무엇일까요gt의 자리를 분명히 하고자 한다

나아가 lt무엇일까요gt의 면면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장수프로그램의

동력과 그 한계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연계하여 고찰할 것

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라디오방송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역동성을 새롭게 의미화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2 제작 환경과 벤치마킹의 자리

lt무엇일까요gt는 주목할 만한 기록을 남긴 KBS 라디오의 어린이 프

로그램들 중 하나다 그것은 처음 시도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었을

뿐 아니라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가장 오랫동안 인기를 끌었던

공개방송 프로그램이었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에 대한 실증적 조사

나 연구가 거의 부재한 가운데 기초적 정보가 미흡하거나 잘못 알려진

부분이 적지 않다 여기에서는 착오가 적잖은 프로그램의 제작환경을 실

증하고 한 걸음 나아가 성공의 지표로서 벤치마킹한 자리를 살펴볼 것

이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9

제작환경 면에서는 lt무엇일까요gt의 정보는 부정확한 편이다 첫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가 언제 첫 방송되고 마지막 방송

이 이루어졌는지 종잡기 힘들다 985172한국방송사985173는 한국방송언론사 중에

서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해 비교적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편이다 이

책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0월 개편 이후21) 혹은 10월 30일22) 신

설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당시 정황은 1954년 4월 개편 이후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15분에서 30분으로 증가되었고 이때 신

설된 공개방송 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 뒤에 lt무엇일까요gt가 놓

여 있다23)

하지만 문헌연구의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월 30일 토요일 첫

방송되었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ldquoHLKA 서울 중앙방송국에서 이 방송을 처음 시작한 것은 단기 4287년

1월 30일rdquo24)로 명시한 바 있지만 그간 한국방송언론사에서 간과해온 것

이다 그럼에도 신설 당시 정황은 밝히지 않은 까닭에 2차 문헌사료들을

통해 추적해볼 수밖에 없었다 ≪어린이시간≫에 포함된 세부 프로그램

들 중 하나인 lt무엇일까요gt는 기존에 토요일마다 방송되던 lt노래극gt

시간을 대체한 것이었다 당시 방송시간도 오후 6시부터 15분간이었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은 당시 방송시간의 증가가 주요한 이유

로 작용하지 않았던 셈이다 아울러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30분

간으로 증가한 것은 1954년 11월 1일부터이며 10월 개편 이후 신설된

것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로 1955년 2월 11일 첫 방송되었다25) 오히려

lt누가 누가 잘하나gt가 방송시간의 증가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 힘

21)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258쪽

22)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91쪽

23)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58쪽

24) 박일암 엮음 「머리말」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25)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40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입어 신설된 프로그램이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시기는 여전히 밝혀진 바 없다 985172한국

방송사985173에 따르면 5ㆍ16쿠데타 이후에도 운영되다가 ldquo뒤에 없어졌고rdquo라

고만 기록되어 있다26) 그러나 ldquo뒤에rdquo가 가리키는 시점이 언제쯤인지 가

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62년 3월 21일 400회 특집기념방송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진행되었

고27) 500회 기념방송이 이루어졌던 1964년에도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

에서 어린이가 가장 즐겨듣는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지목되었다28) 그리

고 1965년 10월 27일 590회 방송이 진행 중인29) KBS 라디오 ≪어린이

시간≫의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66년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행보는 돌연 찾아보기 힘들며 이즈음 폐지 수순을 밟

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에서 제작진의 구성과 성격 그 변천 등도 적확하

지 않다 노정팔의 회고록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는 KBS 라디오 편성

계장으로 있던 노정팔 자신이 신설하였다 당시 PD는 어린이계 담당자

였던 한용희 사회는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과 김인숙 그리고 작가는 박

일암이 각각 맡았다30) 이러한 진용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에 KBS 라

26)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앞의 책 413쪽

27)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28)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는 1964년 7월 6-10일까지 서울지역 10-12세 어린이들을

표본 추출하여 질문지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조사항목 중 라디오 부분에서 lsquo어

린이가 즐겨 듣는 프로그램 베스트ㆍ텐rsquo의 1위는 KBS 라디오의 lt어른 연속방

송극gt이었고 2위가 lt무엇일까요gt 8위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이었다 그만큼

어린이 청취자들에게 lt무엇일까요gt는 lt누가 누가 잘하나gt보다 인기가 높았음

을 알 수 있다 「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결과-어린이의 생활과 방송」 985172방송985173 제7

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91 4-5면

29) 「프로탐방 KA 어린이시간-호화스런 시간 각 부문을 망라」 985172방송985173 제53호 방

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51023 7면

30)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1

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인물들이 참여했다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그러

니까 신설 당시부터 KBS 라디오가 lt무엇일까요gt에 비중을 두었던 셈

이다

특히 lt무엇일까요gt에 작가를 따로 두었다는 점은 여느 퀴즈 프로그

램들과 차별화된다 인기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만 하더라도 작가

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 당시 제작환경을 고려한다면 전속작가가 이 프

로그램의 구성작가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작가의 존재는

프로그램의 인기에 비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라디오게임≫도 마찬가지다 그런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당시부터 작가를 따로 밝힌 드문 경우에 속한다 이 프로그램의 작가는

박일암인데 이는 다름 아닌 노정팔의 필명이다 그러니까 노정팔이 lt무

엇일까요gt를 신설하고 작가로도 활동했던 것이다

더욱이 노정팔은 긴 기간 작가로 활동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에 따르면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를 펴낸 1961년까지 ldquo8년

가까이rdquo를 lt무엇일까요gt와 함께 했다31) 1950년대 주요 일간지의 라디

오 방송안내를 보더라도 작가는 대부분 ldquo박일암rdquo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를 전담할 만큼 노정팔의 신분

에 큰 변동이 없었는가 하는 점은 의문이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의 편

성계장은 공무원 신분이고 인사이동도 있게 마련이다 노정팔 또한 ldquo8년

가까이rdquo KBS 라디오에만 머물지 않았다 1955년 7월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구속된 적이 있었는가 하면32) 1957년 6월부터 5개월간은 미 국

3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32) 당시 주요 일간지에 따르면 1955년 7월 5일 노정팔은 국가보안법 및 병역법 위

반 사문서 위조 업무횡령 등으로 구속되었고 곧이어 검찰에 송치되었다 「보안

법위반혐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7 3면 「노편성계장송청」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 14 3면 반공주의를 앞세운 이승만 정권에서 공무원 신분의 노정팔이 국가보안

법을 위반했다는 것만으로도 위중한 혐의에 속한다 그럼에도 무슨 곡절이었는

지 그는 돌연 복귀하여 8월 3일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다 「라디오」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3 4면

40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무성 초청으로 보스턴대학에 파견 근무를 했다33) 이 기간 노정팔의 빈

자리를 대신한 것은 다름 아닌 어린이문학가 강소천이었다 강소천은 귀

국한 노정팔이 공보실 방송관리국에서 근무했던 기간34)에도 lt무엇일까

요gt를 집필한 것으로 확인된다35) 당시 노정팔이 KBS 제1라디오의

lt반공독본gt을 집필했던 상황36)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ldquo박일암rdquo의 이름으로 노정팔을 앞세우

고 그 빈자리를 강소천이 대신했거나 조력하는 방식을 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가 ldquo박일암rdquo의 편저 형식으로 출

간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작용했다 하겠다 그러나 책 출간 이후 노정팔

의 작가 활동여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37)

33) 1956년부터 미 국무성 인사교환계획에 따라 방송관계자들의 해외파견이 이루어

졌다 1차 파견자는 윤길구 조남사 한기선이었으며 노정팔은 최창봉과 함께 2

차 파견자로 뽑혀 보스턴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정

팔 앞의 책 246-247쪽

34) 노정팔 위의 책 261쪽

35) 1950년대 2차 문헌사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요 일간지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흔적들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물론 당시 일

간지의 라디오방송 안내가 들쭉날쭉하고 인기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조차 상

세하게 밝히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이들 일간지에 따르

면 강소천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자로 처음 확인된 것은 1955년 7월 13일 20

일 27일 3회에 그쳤다 한동안 소강상태였다가 동명 프로그램에서 강소천의 이

름은 1957년 후반부터 1958년 전반에 걸쳐 드문드문 확인할 수 있었다

36) 노정팔은 1958년 2월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6시 20분부터 10분간 lt반공독본gt

을 집필했다 「오늘의 라디오」 985172서울신문985173 195822 4면

37) 현재까지 2차 문헌사료에서도 책을 펴낸 1961년 12월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작

가에 대한 정보는 거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만 기존의 집필방식에 견주어 노

정팔이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는 합리적 의심은 해볼 수 있다 만약 그

렇다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과 폐지시기를 노정팔의 이력과 연계시켜 추정해

보자 노정팔은 1962년 1월 부산방송국장으로 부임했다가 6개월만인 동년 7월

공보실 방송관리국 관리과장으로 돌아왔고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기

존대로 강소천이 대신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1963년 5월부터 1966년 4월

초까지 노정팔은 서울국제방송국장을 역임하였는데 1963년 5월 강소천이 갑작

스러운 건강 악화로 작고한 까닭에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오롯이 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3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은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이 활성화된 데서 확인 가능하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된 기간 방송국

마다 유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방송매체

의 제반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에도 변함없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1950년대 중후반에 국한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

램들이 여럿이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은 1956년 1월 3

일 CBS에서 첫 방송된 lt알아맞히기gt가 맨 앞에 놓인다 lt알아맞히기gt

는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적 사례를 참조하여 스튜디오 대신 특정 초등

학교를 찾아다니며 공개녹음 방식으로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이다 신설

당시부터 ≪어린이시간≫의 러닝 타임을 모두 소화한 첫 프로그램으로

쏟은 공력에 걸맞게 CBS의 대표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승승장구

했다38) 이에 KBS 라디오는 lt무엇일까요gt와 병행할 공개방송 퀴즈 프

로그램 lt꾀돌이문답gt을 신설하고 1957년 10월 12일 토요일 첫 방송했

다 lt꾀돌이문답gt은 오락성을 앞세운 코너들 즉 10분 안에 알아맞혀야

하는 lsquo열 고개rsquo 테마를 제시하면 연기를 해야 하는 즉흥극 또는 전화놀

이 노래에 가사붙이기 등을 다채롭게 운영하여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

았다39) 거기에 첫 텔레비전방송국 HLKZ-TV가 1958년 ≪어린이차지≫

시간에 lt누가 먼저 맞추나gt를 신설하여 경쟁에 가세하였다 lt누가 먼

저 맞추나gt는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치

정팔의 몫이었거나 새로운 작가를 동원했을 수 있다 노정팔이 1966년 4월 9일

부터 대구방송국장으로 옮겨 2년 여 동안 재직하였는데 공교롭게도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 추정시점과 맞물린다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면

그의 이력이 프로그램의 존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

는 셈이다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118 1면 「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3 2면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430 2면 「공보부 국장급 7명 곧

이동할 방침」 985172동아일보985173 196648 1면 「문화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8 727 2면

38)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39)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197쪽

40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호 사회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후반 이들 프로그램들은 경쟁적 구도 속에서도 각 방송국

을 대표하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높은 인기에도 짧은 기간 방송되다

가 폐지되었다 lt알아맞히기gt는 2년 3개월여 만인 1958년 3월 18일 마

지막 방송을 했고 lt꾀돌이문답gt은 1959년 10월 17일 100회 방송으로

끝맺었다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방송국 전소로 불가피하게 하차한 경

우라면 앞선 프로그램들은 갑작스러운 폐지였던 만큼 이유가 불분명하

다 1960년을 가뿐히 넘어선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가

유일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에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텔레

비전매체에서 재매개한 프로그램들이 계속 신설되었고 또 lt무엇일까

요gt를 뛰어넘지 못한 채 폐지 수순을 밟아나갔다 그만큼 lt무엇일까

요gt의 성공적 입지는 청취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되었던 셈이다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등교육정책의 로 간다와 높은 교육열

lt무엇일까요gt는 한국방송사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첫 시도였

으며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까지 KBS 라디오 어린이방송의 대표적

인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당대의 방송정

책과 방송환경 교육제도와 어린이생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정치

사회사적 흐름에 따른 변폭도 적지 않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 목적인 청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시절

ldquo재미있고 즐겁게 공부rdquo하는 데 놓여 있다 ldquo이해보다 기억을 강요rdquo하는

ldquo무리한rdquo 공부에 힘겨워했던40) 당시 어린이들의 상황을 타개하는 동시

에 차별화하는 전략 즉 lsquo교육적 재미rsquo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7: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7

않았다 거기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였겠지만 특히 참여자들 대부분이

이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에 친숙한 청취자 혹은 출연

자였다는 점을 간과하기 힘들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는 학생 퀴즈

프로그램의 변천과정을 고찰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위치에 있다 하겠

마지막으로 lt무엇일까요gt 연구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지

향점을 가늠하게 한다는 점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과 오락을 동시에

내장한 양가적 프로그램이다 다르게 말하면 퀴즈 프로그램은 기획의도

와 운영방식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띠며 그만큼 논자들의 시각차도 크

다 피스크는 퀴즈 프로그램이 평등한 기회라는 당의정에 상품을 내건

경쟁구조를 실어 나르는 엘리트 교육제도의 은유이자 자본주의와 가부

장적 이데올로기의 전달자라고 비판한다16) 그 연장선에서 근대 지식을

단순 기억술로 전화(轉化)하거나17) 도박같이 사행심을 조장할18) 위험을

경고한 학자들도 적잖다 물론 반격도 만만찮은데 그 중심에 학계뿐 아

니라 방송관계자들도 앞장선다 그들은 퀴즈 프로그램의 경쟁이 지금의

현실을 반영할 뿐 아니라 상금의 양과 시청률이 반드시 비례관계에 놓

이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한다19) 특히 퀴즈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에게

즐기면서 가르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논의된다20) 이렇게 분분

한 입장들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은 라디오시대를 넘어 텔레비전 시대에

도 대중들과 긴밀하게 호흡하고 있다

그럼에도 유독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성쇠의 자리가 두드러진다 근

대의 발명인 어린이는 사회적 기대감과 우려를 동시에 환기시켜왔다 그

16)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1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18)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19)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쪽

20) 앤 쿠퍼 첸 위의 책 282-292쪽

39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런 어린이들로 특정된 퀴즈 프로그램 또한 여느 프로그램들과 다른 방

송문법으로 특성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방송매체의 전환은 어린

이 퀴즈 프로그램의 전략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이 성쇠를 거듭하며 새롭게 지향점을 모

색해야 하는 이유로 작용했을 것이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면면을 보다 면밀히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여 이 글은 우선 역사적 문헌연구방법을 원용하

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을 실증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

다 문헌자료의 망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이 프로그램은 망각과 착오를

거듭하며 서로 다르게 기억되고 있다 때문에 프로그램의 제반환경과 사

회적 상황 등을 검토하여 lt무엇일까요gt의 자리를 분명히 하고자 한다

나아가 lt무엇일까요gt의 면면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장수프로그램의

동력과 그 한계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연계하여 고찰할 것

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라디오방송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역동성을 새롭게 의미화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2 제작 환경과 벤치마킹의 자리

lt무엇일까요gt는 주목할 만한 기록을 남긴 KBS 라디오의 어린이 프

로그램들 중 하나다 그것은 처음 시도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었을

뿐 아니라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가장 오랫동안 인기를 끌었던

공개방송 프로그램이었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에 대한 실증적 조사

나 연구가 거의 부재한 가운데 기초적 정보가 미흡하거나 잘못 알려진

부분이 적지 않다 여기에서는 착오가 적잖은 프로그램의 제작환경을 실

증하고 한 걸음 나아가 성공의 지표로서 벤치마킹한 자리를 살펴볼 것

이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9

제작환경 면에서는 lt무엇일까요gt의 정보는 부정확한 편이다 첫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가 언제 첫 방송되고 마지막 방송

이 이루어졌는지 종잡기 힘들다 985172한국방송사985173는 한국방송언론사 중에

서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해 비교적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편이다 이

책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0월 개편 이후21) 혹은 10월 30일22) 신

설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당시 정황은 1954년 4월 개편 이후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15분에서 30분으로 증가되었고 이때 신

설된 공개방송 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 뒤에 lt무엇일까요gt가 놓

여 있다23)

하지만 문헌연구의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월 30일 토요일 첫

방송되었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ldquoHLKA 서울 중앙방송국에서 이 방송을 처음 시작한 것은 단기 4287년

1월 30일rdquo24)로 명시한 바 있지만 그간 한국방송언론사에서 간과해온 것

이다 그럼에도 신설 당시 정황은 밝히지 않은 까닭에 2차 문헌사료들을

통해 추적해볼 수밖에 없었다 ≪어린이시간≫에 포함된 세부 프로그램

들 중 하나인 lt무엇일까요gt는 기존에 토요일마다 방송되던 lt노래극gt

시간을 대체한 것이었다 당시 방송시간도 오후 6시부터 15분간이었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은 당시 방송시간의 증가가 주요한 이유

로 작용하지 않았던 셈이다 아울러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30분

간으로 증가한 것은 1954년 11월 1일부터이며 10월 개편 이후 신설된

것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로 1955년 2월 11일 첫 방송되었다25) 오히려

lt누가 누가 잘하나gt가 방송시간의 증가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 힘

21)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258쪽

22)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91쪽

23)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58쪽

24) 박일암 엮음 「머리말」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25)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40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입어 신설된 프로그램이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시기는 여전히 밝혀진 바 없다 985172한국

방송사985173에 따르면 5ㆍ16쿠데타 이후에도 운영되다가 ldquo뒤에 없어졌고rdquo라

고만 기록되어 있다26) 그러나 ldquo뒤에rdquo가 가리키는 시점이 언제쯤인지 가

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62년 3월 21일 400회 특집기념방송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진행되었

고27) 500회 기념방송이 이루어졌던 1964년에도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

에서 어린이가 가장 즐겨듣는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지목되었다28) 그리

고 1965년 10월 27일 590회 방송이 진행 중인29) KBS 라디오 ≪어린이

시간≫의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66년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행보는 돌연 찾아보기 힘들며 이즈음 폐지 수순을 밟

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에서 제작진의 구성과 성격 그 변천 등도 적확하

지 않다 노정팔의 회고록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는 KBS 라디오 편성

계장으로 있던 노정팔 자신이 신설하였다 당시 PD는 어린이계 담당자

였던 한용희 사회는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과 김인숙 그리고 작가는 박

일암이 각각 맡았다30) 이러한 진용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에 KBS 라

26)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앞의 책 413쪽

27)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28)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는 1964년 7월 6-10일까지 서울지역 10-12세 어린이들을

표본 추출하여 질문지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조사항목 중 라디오 부분에서 lsquo어

린이가 즐겨 듣는 프로그램 베스트ㆍ텐rsquo의 1위는 KBS 라디오의 lt어른 연속방

송극gt이었고 2위가 lt무엇일까요gt 8위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이었다 그만큼

어린이 청취자들에게 lt무엇일까요gt는 lt누가 누가 잘하나gt보다 인기가 높았음

을 알 수 있다 「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결과-어린이의 생활과 방송」 985172방송985173 제7

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91 4-5면

29) 「프로탐방 KA 어린이시간-호화스런 시간 각 부문을 망라」 985172방송985173 제53호 방

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51023 7면

30)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1

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인물들이 참여했다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그러

니까 신설 당시부터 KBS 라디오가 lt무엇일까요gt에 비중을 두었던 셈

이다

특히 lt무엇일까요gt에 작가를 따로 두었다는 점은 여느 퀴즈 프로그

램들과 차별화된다 인기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만 하더라도 작가

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 당시 제작환경을 고려한다면 전속작가가 이 프

로그램의 구성작가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작가의 존재는

프로그램의 인기에 비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라디오게임≫도 마찬가지다 그런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당시부터 작가를 따로 밝힌 드문 경우에 속한다 이 프로그램의 작가는

박일암인데 이는 다름 아닌 노정팔의 필명이다 그러니까 노정팔이 lt무

엇일까요gt를 신설하고 작가로도 활동했던 것이다

더욱이 노정팔은 긴 기간 작가로 활동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에 따르면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를 펴낸 1961년까지 ldquo8년

가까이rdquo를 lt무엇일까요gt와 함께 했다31) 1950년대 주요 일간지의 라디

오 방송안내를 보더라도 작가는 대부분 ldquo박일암rdquo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를 전담할 만큼 노정팔의 신분

에 큰 변동이 없었는가 하는 점은 의문이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의 편

성계장은 공무원 신분이고 인사이동도 있게 마련이다 노정팔 또한 ldquo8년

가까이rdquo KBS 라디오에만 머물지 않았다 1955년 7월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구속된 적이 있었는가 하면32) 1957년 6월부터 5개월간은 미 국

3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32) 당시 주요 일간지에 따르면 1955년 7월 5일 노정팔은 국가보안법 및 병역법 위

반 사문서 위조 업무횡령 등으로 구속되었고 곧이어 검찰에 송치되었다 「보안

법위반혐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7 3면 「노편성계장송청」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 14 3면 반공주의를 앞세운 이승만 정권에서 공무원 신분의 노정팔이 국가보안

법을 위반했다는 것만으로도 위중한 혐의에 속한다 그럼에도 무슨 곡절이었는

지 그는 돌연 복귀하여 8월 3일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다 「라디오」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3 4면

40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무성 초청으로 보스턴대학에 파견 근무를 했다33) 이 기간 노정팔의 빈

자리를 대신한 것은 다름 아닌 어린이문학가 강소천이었다 강소천은 귀

국한 노정팔이 공보실 방송관리국에서 근무했던 기간34)에도 lt무엇일까

요gt를 집필한 것으로 확인된다35) 당시 노정팔이 KBS 제1라디오의

lt반공독본gt을 집필했던 상황36)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ldquo박일암rdquo의 이름으로 노정팔을 앞세우

고 그 빈자리를 강소천이 대신했거나 조력하는 방식을 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가 ldquo박일암rdquo의 편저 형식으로 출

간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작용했다 하겠다 그러나 책 출간 이후 노정팔

의 작가 활동여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37)

33) 1956년부터 미 국무성 인사교환계획에 따라 방송관계자들의 해외파견이 이루어

졌다 1차 파견자는 윤길구 조남사 한기선이었으며 노정팔은 최창봉과 함께 2

차 파견자로 뽑혀 보스턴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정

팔 앞의 책 246-247쪽

34) 노정팔 위의 책 261쪽

35) 1950년대 2차 문헌사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요 일간지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흔적들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물론 당시 일

간지의 라디오방송 안내가 들쭉날쭉하고 인기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조차 상

세하게 밝히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이들 일간지에 따르

면 강소천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자로 처음 확인된 것은 1955년 7월 13일 20

일 27일 3회에 그쳤다 한동안 소강상태였다가 동명 프로그램에서 강소천의 이

름은 1957년 후반부터 1958년 전반에 걸쳐 드문드문 확인할 수 있었다

36) 노정팔은 1958년 2월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6시 20분부터 10분간 lt반공독본gt

을 집필했다 「오늘의 라디오」 985172서울신문985173 195822 4면

37) 현재까지 2차 문헌사료에서도 책을 펴낸 1961년 12월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작

가에 대한 정보는 거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만 기존의 집필방식에 견주어 노

정팔이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는 합리적 의심은 해볼 수 있다 만약 그

렇다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과 폐지시기를 노정팔의 이력과 연계시켜 추정해

보자 노정팔은 1962년 1월 부산방송국장으로 부임했다가 6개월만인 동년 7월

공보실 방송관리국 관리과장으로 돌아왔고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기

존대로 강소천이 대신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1963년 5월부터 1966년 4월

초까지 노정팔은 서울국제방송국장을 역임하였는데 1963년 5월 강소천이 갑작

스러운 건강 악화로 작고한 까닭에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오롯이 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3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은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이 활성화된 데서 확인 가능하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된 기간 방송국

마다 유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방송매체

의 제반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에도 변함없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1950년대 중후반에 국한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

램들이 여럿이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은 1956년 1월 3

일 CBS에서 첫 방송된 lt알아맞히기gt가 맨 앞에 놓인다 lt알아맞히기gt

는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적 사례를 참조하여 스튜디오 대신 특정 초등

학교를 찾아다니며 공개녹음 방식으로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이다 신설

당시부터 ≪어린이시간≫의 러닝 타임을 모두 소화한 첫 프로그램으로

쏟은 공력에 걸맞게 CBS의 대표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승승장구

했다38) 이에 KBS 라디오는 lt무엇일까요gt와 병행할 공개방송 퀴즈 프

로그램 lt꾀돌이문답gt을 신설하고 1957년 10월 12일 토요일 첫 방송했

다 lt꾀돌이문답gt은 오락성을 앞세운 코너들 즉 10분 안에 알아맞혀야

하는 lsquo열 고개rsquo 테마를 제시하면 연기를 해야 하는 즉흥극 또는 전화놀

이 노래에 가사붙이기 등을 다채롭게 운영하여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

았다39) 거기에 첫 텔레비전방송국 HLKZ-TV가 1958년 ≪어린이차지≫

시간에 lt누가 먼저 맞추나gt를 신설하여 경쟁에 가세하였다 lt누가 먼

저 맞추나gt는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치

정팔의 몫이었거나 새로운 작가를 동원했을 수 있다 노정팔이 1966년 4월 9일

부터 대구방송국장으로 옮겨 2년 여 동안 재직하였는데 공교롭게도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 추정시점과 맞물린다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면

그의 이력이 프로그램의 존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

는 셈이다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118 1면 「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3 2면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430 2면 「공보부 국장급 7명 곧

이동할 방침」 985172동아일보985173 196648 1면 「문화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8 727 2면

38)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39)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197쪽

40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호 사회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후반 이들 프로그램들은 경쟁적 구도 속에서도 각 방송국

을 대표하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높은 인기에도 짧은 기간 방송되다

가 폐지되었다 lt알아맞히기gt는 2년 3개월여 만인 1958년 3월 18일 마

지막 방송을 했고 lt꾀돌이문답gt은 1959년 10월 17일 100회 방송으로

끝맺었다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방송국 전소로 불가피하게 하차한 경

우라면 앞선 프로그램들은 갑작스러운 폐지였던 만큼 이유가 불분명하

다 1960년을 가뿐히 넘어선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가

유일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에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텔레

비전매체에서 재매개한 프로그램들이 계속 신설되었고 또 lt무엇일까

요gt를 뛰어넘지 못한 채 폐지 수순을 밟아나갔다 그만큼 lt무엇일까

요gt의 성공적 입지는 청취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되었던 셈이다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등교육정책의 로 간다와 높은 교육열

lt무엇일까요gt는 한국방송사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첫 시도였

으며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까지 KBS 라디오 어린이방송의 대표적

인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당대의 방송정

책과 방송환경 교육제도와 어린이생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정치

사회사적 흐름에 따른 변폭도 적지 않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 목적인 청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시절

ldquo재미있고 즐겁게 공부rdquo하는 데 놓여 있다 ldquo이해보다 기억을 강요rdquo하는

ldquo무리한rdquo 공부에 힘겨워했던40) 당시 어린이들의 상황을 타개하는 동시

에 차별화하는 전략 즉 lsquo교육적 재미rsquo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8: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39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런 어린이들로 특정된 퀴즈 프로그램 또한 여느 프로그램들과 다른 방

송문법으로 특성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방송매체의 전환은 어린

이 퀴즈 프로그램의 전략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이 성쇠를 거듭하며 새롭게 지향점을 모

색해야 하는 이유로 작용했을 것이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면면을 보다 면밀히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여 이 글은 우선 역사적 문헌연구방법을 원용하

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을 실증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

다 문헌자료의 망실이 심각한 상황에서 이 프로그램은 망각과 착오를

거듭하며 서로 다르게 기억되고 있다 때문에 프로그램의 제반환경과 사

회적 상황 등을 검토하여 lt무엇일까요gt의 자리를 분명히 하고자 한다

나아가 lt무엇일까요gt의 면면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장수프로그램의

동력과 그 한계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과 연계하여 고찰할 것

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라디오방송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역동성을 새롭게 의미화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2 제작 환경과 벤치마킹의 자리

lt무엇일까요gt는 주목할 만한 기록을 남긴 KBS 라디오의 어린이 프

로그램들 중 하나다 그것은 처음 시도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었을

뿐 아니라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가장 오랫동안 인기를 끌었던

공개방송 프로그램이었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에 대한 실증적 조사

나 연구가 거의 부재한 가운데 기초적 정보가 미흡하거나 잘못 알려진

부분이 적지 않다 여기에서는 착오가 적잖은 프로그램의 제작환경을 실

증하고 한 걸음 나아가 성공의 지표로서 벤치마킹한 자리를 살펴볼 것

이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9

제작환경 면에서는 lt무엇일까요gt의 정보는 부정확한 편이다 첫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가 언제 첫 방송되고 마지막 방송

이 이루어졌는지 종잡기 힘들다 985172한국방송사985173는 한국방송언론사 중에

서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해 비교적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편이다 이

책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0월 개편 이후21) 혹은 10월 30일22) 신

설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당시 정황은 1954년 4월 개편 이후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15분에서 30분으로 증가되었고 이때 신

설된 공개방송 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 뒤에 lt무엇일까요gt가 놓

여 있다23)

하지만 문헌연구의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월 30일 토요일 첫

방송되었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ldquoHLKA 서울 중앙방송국에서 이 방송을 처음 시작한 것은 단기 4287년

1월 30일rdquo24)로 명시한 바 있지만 그간 한국방송언론사에서 간과해온 것

이다 그럼에도 신설 당시 정황은 밝히지 않은 까닭에 2차 문헌사료들을

통해 추적해볼 수밖에 없었다 ≪어린이시간≫에 포함된 세부 프로그램

들 중 하나인 lt무엇일까요gt는 기존에 토요일마다 방송되던 lt노래극gt

시간을 대체한 것이었다 당시 방송시간도 오후 6시부터 15분간이었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은 당시 방송시간의 증가가 주요한 이유

로 작용하지 않았던 셈이다 아울러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30분

간으로 증가한 것은 1954년 11월 1일부터이며 10월 개편 이후 신설된

것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로 1955년 2월 11일 첫 방송되었다25) 오히려

lt누가 누가 잘하나gt가 방송시간의 증가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 힘

21)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258쪽

22)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91쪽

23)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58쪽

24) 박일암 엮음 「머리말」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25)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40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입어 신설된 프로그램이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시기는 여전히 밝혀진 바 없다 985172한국

방송사985173에 따르면 5ㆍ16쿠데타 이후에도 운영되다가 ldquo뒤에 없어졌고rdquo라

고만 기록되어 있다26) 그러나 ldquo뒤에rdquo가 가리키는 시점이 언제쯤인지 가

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62년 3월 21일 400회 특집기념방송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진행되었

고27) 500회 기념방송이 이루어졌던 1964년에도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

에서 어린이가 가장 즐겨듣는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지목되었다28) 그리

고 1965년 10월 27일 590회 방송이 진행 중인29) KBS 라디오 ≪어린이

시간≫의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66년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행보는 돌연 찾아보기 힘들며 이즈음 폐지 수순을 밟

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에서 제작진의 구성과 성격 그 변천 등도 적확하

지 않다 노정팔의 회고록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는 KBS 라디오 편성

계장으로 있던 노정팔 자신이 신설하였다 당시 PD는 어린이계 담당자

였던 한용희 사회는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과 김인숙 그리고 작가는 박

일암이 각각 맡았다30) 이러한 진용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에 KBS 라

26)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앞의 책 413쪽

27)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28)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는 1964년 7월 6-10일까지 서울지역 10-12세 어린이들을

표본 추출하여 질문지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조사항목 중 라디오 부분에서 lsquo어

린이가 즐겨 듣는 프로그램 베스트ㆍ텐rsquo의 1위는 KBS 라디오의 lt어른 연속방

송극gt이었고 2위가 lt무엇일까요gt 8위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이었다 그만큼

어린이 청취자들에게 lt무엇일까요gt는 lt누가 누가 잘하나gt보다 인기가 높았음

을 알 수 있다 「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결과-어린이의 생활과 방송」 985172방송985173 제7

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91 4-5면

29) 「프로탐방 KA 어린이시간-호화스런 시간 각 부문을 망라」 985172방송985173 제53호 방

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51023 7면

30)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1

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인물들이 참여했다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그러

니까 신설 당시부터 KBS 라디오가 lt무엇일까요gt에 비중을 두었던 셈

이다

특히 lt무엇일까요gt에 작가를 따로 두었다는 점은 여느 퀴즈 프로그

램들과 차별화된다 인기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만 하더라도 작가

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 당시 제작환경을 고려한다면 전속작가가 이 프

로그램의 구성작가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작가의 존재는

프로그램의 인기에 비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라디오게임≫도 마찬가지다 그런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당시부터 작가를 따로 밝힌 드문 경우에 속한다 이 프로그램의 작가는

박일암인데 이는 다름 아닌 노정팔의 필명이다 그러니까 노정팔이 lt무

엇일까요gt를 신설하고 작가로도 활동했던 것이다

더욱이 노정팔은 긴 기간 작가로 활동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에 따르면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를 펴낸 1961년까지 ldquo8년

가까이rdquo를 lt무엇일까요gt와 함께 했다31) 1950년대 주요 일간지의 라디

오 방송안내를 보더라도 작가는 대부분 ldquo박일암rdquo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를 전담할 만큼 노정팔의 신분

에 큰 변동이 없었는가 하는 점은 의문이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의 편

성계장은 공무원 신분이고 인사이동도 있게 마련이다 노정팔 또한 ldquo8년

가까이rdquo KBS 라디오에만 머물지 않았다 1955년 7월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구속된 적이 있었는가 하면32) 1957년 6월부터 5개월간은 미 국

3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32) 당시 주요 일간지에 따르면 1955년 7월 5일 노정팔은 국가보안법 및 병역법 위

반 사문서 위조 업무횡령 등으로 구속되었고 곧이어 검찰에 송치되었다 「보안

법위반혐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7 3면 「노편성계장송청」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 14 3면 반공주의를 앞세운 이승만 정권에서 공무원 신분의 노정팔이 국가보안

법을 위반했다는 것만으로도 위중한 혐의에 속한다 그럼에도 무슨 곡절이었는

지 그는 돌연 복귀하여 8월 3일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다 「라디오」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3 4면

40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무성 초청으로 보스턴대학에 파견 근무를 했다33) 이 기간 노정팔의 빈

자리를 대신한 것은 다름 아닌 어린이문학가 강소천이었다 강소천은 귀

국한 노정팔이 공보실 방송관리국에서 근무했던 기간34)에도 lt무엇일까

요gt를 집필한 것으로 확인된다35) 당시 노정팔이 KBS 제1라디오의

lt반공독본gt을 집필했던 상황36)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ldquo박일암rdquo의 이름으로 노정팔을 앞세우

고 그 빈자리를 강소천이 대신했거나 조력하는 방식을 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가 ldquo박일암rdquo의 편저 형식으로 출

간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작용했다 하겠다 그러나 책 출간 이후 노정팔

의 작가 활동여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37)

33) 1956년부터 미 국무성 인사교환계획에 따라 방송관계자들의 해외파견이 이루어

졌다 1차 파견자는 윤길구 조남사 한기선이었으며 노정팔은 최창봉과 함께 2

차 파견자로 뽑혀 보스턴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정

팔 앞의 책 246-247쪽

34) 노정팔 위의 책 261쪽

35) 1950년대 2차 문헌사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요 일간지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흔적들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물론 당시 일

간지의 라디오방송 안내가 들쭉날쭉하고 인기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조차 상

세하게 밝히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이들 일간지에 따르

면 강소천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자로 처음 확인된 것은 1955년 7월 13일 20

일 27일 3회에 그쳤다 한동안 소강상태였다가 동명 프로그램에서 강소천의 이

름은 1957년 후반부터 1958년 전반에 걸쳐 드문드문 확인할 수 있었다

36) 노정팔은 1958년 2월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6시 20분부터 10분간 lt반공독본gt

을 집필했다 「오늘의 라디오」 985172서울신문985173 195822 4면

37) 현재까지 2차 문헌사료에서도 책을 펴낸 1961년 12월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작

가에 대한 정보는 거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만 기존의 집필방식에 견주어 노

정팔이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는 합리적 의심은 해볼 수 있다 만약 그

렇다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과 폐지시기를 노정팔의 이력과 연계시켜 추정해

보자 노정팔은 1962년 1월 부산방송국장으로 부임했다가 6개월만인 동년 7월

공보실 방송관리국 관리과장으로 돌아왔고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기

존대로 강소천이 대신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1963년 5월부터 1966년 4월

초까지 노정팔은 서울국제방송국장을 역임하였는데 1963년 5월 강소천이 갑작

스러운 건강 악화로 작고한 까닭에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오롯이 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3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은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이 활성화된 데서 확인 가능하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된 기간 방송국

마다 유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방송매체

의 제반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에도 변함없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1950년대 중후반에 국한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

램들이 여럿이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은 1956년 1월 3

일 CBS에서 첫 방송된 lt알아맞히기gt가 맨 앞에 놓인다 lt알아맞히기gt

는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적 사례를 참조하여 스튜디오 대신 특정 초등

학교를 찾아다니며 공개녹음 방식으로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이다 신설

당시부터 ≪어린이시간≫의 러닝 타임을 모두 소화한 첫 프로그램으로

쏟은 공력에 걸맞게 CBS의 대표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승승장구

했다38) 이에 KBS 라디오는 lt무엇일까요gt와 병행할 공개방송 퀴즈 프

로그램 lt꾀돌이문답gt을 신설하고 1957년 10월 12일 토요일 첫 방송했

다 lt꾀돌이문답gt은 오락성을 앞세운 코너들 즉 10분 안에 알아맞혀야

하는 lsquo열 고개rsquo 테마를 제시하면 연기를 해야 하는 즉흥극 또는 전화놀

이 노래에 가사붙이기 등을 다채롭게 운영하여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

았다39) 거기에 첫 텔레비전방송국 HLKZ-TV가 1958년 ≪어린이차지≫

시간에 lt누가 먼저 맞추나gt를 신설하여 경쟁에 가세하였다 lt누가 먼

저 맞추나gt는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치

정팔의 몫이었거나 새로운 작가를 동원했을 수 있다 노정팔이 1966년 4월 9일

부터 대구방송국장으로 옮겨 2년 여 동안 재직하였는데 공교롭게도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 추정시점과 맞물린다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면

그의 이력이 프로그램의 존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

는 셈이다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118 1면 「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3 2면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430 2면 「공보부 국장급 7명 곧

이동할 방침」 985172동아일보985173 196648 1면 「문화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8 727 2면

38)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39)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197쪽

40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호 사회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후반 이들 프로그램들은 경쟁적 구도 속에서도 각 방송국

을 대표하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높은 인기에도 짧은 기간 방송되다

가 폐지되었다 lt알아맞히기gt는 2년 3개월여 만인 1958년 3월 18일 마

지막 방송을 했고 lt꾀돌이문답gt은 1959년 10월 17일 100회 방송으로

끝맺었다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방송국 전소로 불가피하게 하차한 경

우라면 앞선 프로그램들은 갑작스러운 폐지였던 만큼 이유가 불분명하

다 1960년을 가뿐히 넘어선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가

유일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에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텔레

비전매체에서 재매개한 프로그램들이 계속 신설되었고 또 lt무엇일까

요gt를 뛰어넘지 못한 채 폐지 수순을 밟아나갔다 그만큼 lt무엇일까

요gt의 성공적 입지는 청취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되었던 셈이다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등교육정책의 로 간다와 높은 교육열

lt무엇일까요gt는 한국방송사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첫 시도였

으며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까지 KBS 라디오 어린이방송의 대표적

인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당대의 방송정

책과 방송환경 교육제도와 어린이생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정치

사회사적 흐름에 따른 변폭도 적지 않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 목적인 청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시절

ldquo재미있고 즐겁게 공부rdquo하는 데 놓여 있다 ldquo이해보다 기억을 강요rdquo하는

ldquo무리한rdquo 공부에 힘겨워했던40) 당시 어린이들의 상황을 타개하는 동시

에 차별화하는 전략 즉 lsquo교육적 재미rsquo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9: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399

제작환경 면에서는 lt무엇일까요gt의 정보는 부정확한 편이다 첫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가 언제 첫 방송되고 마지막 방송

이 이루어졌는지 종잡기 힘들다 985172한국방송사985173는 한국방송언론사 중에

서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해 비교적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편이다 이

책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0월 개편 이후21) 혹은 10월 30일22) 신

설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당시 정황은 1954년 4월 개편 이후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15분에서 30분으로 증가되었고 이때 신

설된 공개방송 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 뒤에 lt무엇일까요gt가 놓

여 있다23)

하지만 문헌연구의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54년 1월 30일 토요일 첫

방송되었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ldquoHLKA 서울 중앙방송국에서 이 방송을 처음 시작한 것은 단기 4287년

1월 30일rdquo24)로 명시한 바 있지만 그간 한국방송언론사에서 간과해온 것

이다 그럼에도 신설 당시 정황은 밝히지 않은 까닭에 2차 문헌사료들을

통해 추적해볼 수밖에 없었다 ≪어린이시간≫에 포함된 세부 프로그램

들 중 하나인 lt무엇일까요gt는 기존에 토요일마다 방송되던 lt노래극gt

시간을 대체한 것이었다 당시 방송시간도 오후 6시부터 15분간이었다

그러니까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은 당시 방송시간의 증가가 주요한 이유

로 작용하지 않았던 셈이다 아울러 ≪어린이시간≫의 방송시간이 30분

간으로 증가한 것은 1954년 11월 1일부터이며 10월 개편 이후 신설된

것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로 1955년 2월 11일 첫 방송되었다25) 오히려

lt누가 누가 잘하나gt가 방송시간의 증가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 힘

21)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258쪽

22)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91쪽

23)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258쪽

24) 박일암 엮음 「머리말」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25)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40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입어 신설된 프로그램이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시기는 여전히 밝혀진 바 없다 985172한국

방송사985173에 따르면 5ㆍ16쿠데타 이후에도 운영되다가 ldquo뒤에 없어졌고rdquo라

고만 기록되어 있다26) 그러나 ldquo뒤에rdquo가 가리키는 시점이 언제쯤인지 가

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62년 3월 21일 400회 특집기념방송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진행되었

고27) 500회 기념방송이 이루어졌던 1964년에도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

에서 어린이가 가장 즐겨듣는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지목되었다28) 그리

고 1965년 10월 27일 590회 방송이 진행 중인29) KBS 라디오 ≪어린이

시간≫의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66년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행보는 돌연 찾아보기 힘들며 이즈음 폐지 수순을 밟

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에서 제작진의 구성과 성격 그 변천 등도 적확하

지 않다 노정팔의 회고록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는 KBS 라디오 편성

계장으로 있던 노정팔 자신이 신설하였다 당시 PD는 어린이계 담당자

였던 한용희 사회는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과 김인숙 그리고 작가는 박

일암이 각각 맡았다30) 이러한 진용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에 KBS 라

26)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앞의 책 413쪽

27)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28)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는 1964년 7월 6-10일까지 서울지역 10-12세 어린이들을

표본 추출하여 질문지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조사항목 중 라디오 부분에서 lsquo어

린이가 즐겨 듣는 프로그램 베스트ㆍ텐rsquo의 1위는 KBS 라디오의 lt어른 연속방

송극gt이었고 2위가 lt무엇일까요gt 8위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이었다 그만큼

어린이 청취자들에게 lt무엇일까요gt는 lt누가 누가 잘하나gt보다 인기가 높았음

을 알 수 있다 「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결과-어린이의 생활과 방송」 985172방송985173 제7

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91 4-5면

29) 「프로탐방 KA 어린이시간-호화스런 시간 각 부문을 망라」 985172방송985173 제53호 방

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51023 7면

30)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1

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인물들이 참여했다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그러

니까 신설 당시부터 KBS 라디오가 lt무엇일까요gt에 비중을 두었던 셈

이다

특히 lt무엇일까요gt에 작가를 따로 두었다는 점은 여느 퀴즈 프로그

램들과 차별화된다 인기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만 하더라도 작가

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 당시 제작환경을 고려한다면 전속작가가 이 프

로그램의 구성작가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작가의 존재는

프로그램의 인기에 비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라디오게임≫도 마찬가지다 그런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당시부터 작가를 따로 밝힌 드문 경우에 속한다 이 프로그램의 작가는

박일암인데 이는 다름 아닌 노정팔의 필명이다 그러니까 노정팔이 lt무

엇일까요gt를 신설하고 작가로도 활동했던 것이다

더욱이 노정팔은 긴 기간 작가로 활동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에 따르면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를 펴낸 1961년까지 ldquo8년

가까이rdquo를 lt무엇일까요gt와 함께 했다31) 1950년대 주요 일간지의 라디

오 방송안내를 보더라도 작가는 대부분 ldquo박일암rdquo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를 전담할 만큼 노정팔의 신분

에 큰 변동이 없었는가 하는 점은 의문이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의 편

성계장은 공무원 신분이고 인사이동도 있게 마련이다 노정팔 또한 ldquo8년

가까이rdquo KBS 라디오에만 머물지 않았다 1955년 7월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구속된 적이 있었는가 하면32) 1957년 6월부터 5개월간은 미 국

3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32) 당시 주요 일간지에 따르면 1955년 7월 5일 노정팔은 국가보안법 및 병역법 위

반 사문서 위조 업무횡령 등으로 구속되었고 곧이어 검찰에 송치되었다 「보안

법위반혐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7 3면 「노편성계장송청」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 14 3면 반공주의를 앞세운 이승만 정권에서 공무원 신분의 노정팔이 국가보안

법을 위반했다는 것만으로도 위중한 혐의에 속한다 그럼에도 무슨 곡절이었는

지 그는 돌연 복귀하여 8월 3일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다 「라디오」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3 4면

40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무성 초청으로 보스턴대학에 파견 근무를 했다33) 이 기간 노정팔의 빈

자리를 대신한 것은 다름 아닌 어린이문학가 강소천이었다 강소천은 귀

국한 노정팔이 공보실 방송관리국에서 근무했던 기간34)에도 lt무엇일까

요gt를 집필한 것으로 확인된다35) 당시 노정팔이 KBS 제1라디오의

lt반공독본gt을 집필했던 상황36)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ldquo박일암rdquo의 이름으로 노정팔을 앞세우

고 그 빈자리를 강소천이 대신했거나 조력하는 방식을 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가 ldquo박일암rdquo의 편저 형식으로 출

간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작용했다 하겠다 그러나 책 출간 이후 노정팔

의 작가 활동여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37)

33) 1956년부터 미 국무성 인사교환계획에 따라 방송관계자들의 해외파견이 이루어

졌다 1차 파견자는 윤길구 조남사 한기선이었으며 노정팔은 최창봉과 함께 2

차 파견자로 뽑혀 보스턴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정

팔 앞의 책 246-247쪽

34) 노정팔 위의 책 261쪽

35) 1950년대 2차 문헌사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요 일간지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흔적들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물론 당시 일

간지의 라디오방송 안내가 들쭉날쭉하고 인기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조차 상

세하게 밝히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이들 일간지에 따르

면 강소천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자로 처음 확인된 것은 1955년 7월 13일 20

일 27일 3회에 그쳤다 한동안 소강상태였다가 동명 프로그램에서 강소천의 이

름은 1957년 후반부터 1958년 전반에 걸쳐 드문드문 확인할 수 있었다

36) 노정팔은 1958년 2월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6시 20분부터 10분간 lt반공독본gt

을 집필했다 「오늘의 라디오」 985172서울신문985173 195822 4면

37) 현재까지 2차 문헌사료에서도 책을 펴낸 1961년 12월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작

가에 대한 정보는 거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만 기존의 집필방식에 견주어 노

정팔이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는 합리적 의심은 해볼 수 있다 만약 그

렇다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과 폐지시기를 노정팔의 이력과 연계시켜 추정해

보자 노정팔은 1962년 1월 부산방송국장으로 부임했다가 6개월만인 동년 7월

공보실 방송관리국 관리과장으로 돌아왔고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기

존대로 강소천이 대신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1963년 5월부터 1966년 4월

초까지 노정팔은 서울국제방송국장을 역임하였는데 1963년 5월 강소천이 갑작

스러운 건강 악화로 작고한 까닭에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오롯이 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3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은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이 활성화된 데서 확인 가능하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된 기간 방송국

마다 유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방송매체

의 제반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에도 변함없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1950년대 중후반에 국한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

램들이 여럿이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은 1956년 1월 3

일 CBS에서 첫 방송된 lt알아맞히기gt가 맨 앞에 놓인다 lt알아맞히기gt

는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적 사례를 참조하여 스튜디오 대신 특정 초등

학교를 찾아다니며 공개녹음 방식으로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이다 신설

당시부터 ≪어린이시간≫의 러닝 타임을 모두 소화한 첫 프로그램으로

쏟은 공력에 걸맞게 CBS의 대표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승승장구

했다38) 이에 KBS 라디오는 lt무엇일까요gt와 병행할 공개방송 퀴즈 프

로그램 lt꾀돌이문답gt을 신설하고 1957년 10월 12일 토요일 첫 방송했

다 lt꾀돌이문답gt은 오락성을 앞세운 코너들 즉 10분 안에 알아맞혀야

하는 lsquo열 고개rsquo 테마를 제시하면 연기를 해야 하는 즉흥극 또는 전화놀

이 노래에 가사붙이기 등을 다채롭게 운영하여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

았다39) 거기에 첫 텔레비전방송국 HLKZ-TV가 1958년 ≪어린이차지≫

시간에 lt누가 먼저 맞추나gt를 신설하여 경쟁에 가세하였다 lt누가 먼

저 맞추나gt는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치

정팔의 몫이었거나 새로운 작가를 동원했을 수 있다 노정팔이 1966년 4월 9일

부터 대구방송국장으로 옮겨 2년 여 동안 재직하였는데 공교롭게도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 추정시점과 맞물린다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면

그의 이력이 프로그램의 존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

는 셈이다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118 1면 「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3 2면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430 2면 「공보부 국장급 7명 곧

이동할 방침」 985172동아일보985173 196648 1면 「문화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8 727 2면

38)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39)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197쪽

40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호 사회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후반 이들 프로그램들은 경쟁적 구도 속에서도 각 방송국

을 대표하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높은 인기에도 짧은 기간 방송되다

가 폐지되었다 lt알아맞히기gt는 2년 3개월여 만인 1958년 3월 18일 마

지막 방송을 했고 lt꾀돌이문답gt은 1959년 10월 17일 100회 방송으로

끝맺었다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방송국 전소로 불가피하게 하차한 경

우라면 앞선 프로그램들은 갑작스러운 폐지였던 만큼 이유가 불분명하

다 1960년을 가뿐히 넘어선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가

유일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에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텔레

비전매체에서 재매개한 프로그램들이 계속 신설되었고 또 lt무엇일까

요gt를 뛰어넘지 못한 채 폐지 수순을 밟아나갔다 그만큼 lt무엇일까

요gt의 성공적 입지는 청취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되었던 셈이다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등교육정책의 로 간다와 높은 교육열

lt무엇일까요gt는 한국방송사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첫 시도였

으며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까지 KBS 라디오 어린이방송의 대표적

인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당대의 방송정

책과 방송환경 교육제도와 어린이생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정치

사회사적 흐름에 따른 변폭도 적지 않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 목적인 청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시절

ldquo재미있고 즐겁게 공부rdquo하는 데 놓여 있다 ldquo이해보다 기억을 강요rdquo하는

ldquo무리한rdquo 공부에 힘겨워했던40) 당시 어린이들의 상황을 타개하는 동시

에 차별화하는 전략 즉 lsquo교육적 재미rsquo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1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0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입어 신설된 프로그램이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시기는 여전히 밝혀진 바 없다 985172한국

방송사985173에 따르면 5ㆍ16쿠데타 이후에도 운영되다가 ldquo뒤에 없어졌고rdquo라

고만 기록되어 있다26) 그러나 ldquo뒤에rdquo가 가리키는 시점이 언제쯤인지 가

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2차 문헌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lt무엇일까요gt는

1962년 3월 21일 400회 특집기념방송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진행되었

고27) 500회 기념방송이 이루어졌던 1964년에도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

에서 어린이가 가장 즐겨듣는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지목되었다28) 그리

고 1965년 10월 27일 590회 방송이 진행 중인29) KBS 라디오 ≪어린이

시간≫의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66년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행보는 돌연 찾아보기 힘들며 이즈음 폐지 수순을 밟

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에서 제작진의 구성과 성격 그 변천 등도 적확하

지 않다 노정팔의 회고록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는 KBS 라디오 편성

계장으로 있던 노정팔 자신이 신설하였다 당시 PD는 어린이계 담당자

였던 한용희 사회는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과 김인숙 그리고 작가는 박

일암이 각각 맡았다30) 이러한 진용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에 KBS 라

26) 한국방송사편찬위원회 편 앞의 책 413쪽

27)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28) lsquo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rsquo는 1964년 7월 6-10일까지 서울지역 10-12세 어린이들을

표본 추출하여 질문지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조사항목 중 라디오 부분에서 lsquo어

린이가 즐겨 듣는 프로그램 베스트ㆍ텐rsquo의 1위는 KBS 라디오의 lt어른 연속방

송극gt이었고 2위가 lt무엇일까요gt 8위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이었다 그만큼

어린이 청취자들에게 lt무엇일까요gt는 lt누가 누가 잘하나gt보다 인기가 높았음

을 알 수 있다 「어린이청취자여론조사결과-어린이의 생활과 방송」 985172방송985173 제7

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91 4-5면

29) 「프로탐방 KA 어린이시간-호화스런 시간 각 부문을 망라」 985172방송985173 제53호 방

송조사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51023 7면

30)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1

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인물들이 참여했다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그러

니까 신설 당시부터 KBS 라디오가 lt무엇일까요gt에 비중을 두었던 셈

이다

특히 lt무엇일까요gt에 작가를 따로 두었다는 점은 여느 퀴즈 프로그

램들과 차별화된다 인기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만 하더라도 작가

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 당시 제작환경을 고려한다면 전속작가가 이 프

로그램의 구성작가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작가의 존재는

프로그램의 인기에 비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라디오게임≫도 마찬가지다 그런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당시부터 작가를 따로 밝힌 드문 경우에 속한다 이 프로그램의 작가는

박일암인데 이는 다름 아닌 노정팔의 필명이다 그러니까 노정팔이 lt무

엇일까요gt를 신설하고 작가로도 활동했던 것이다

더욱이 노정팔은 긴 기간 작가로 활동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에 따르면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를 펴낸 1961년까지 ldquo8년

가까이rdquo를 lt무엇일까요gt와 함께 했다31) 1950년대 주요 일간지의 라디

오 방송안내를 보더라도 작가는 대부분 ldquo박일암rdquo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를 전담할 만큼 노정팔의 신분

에 큰 변동이 없었는가 하는 점은 의문이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의 편

성계장은 공무원 신분이고 인사이동도 있게 마련이다 노정팔 또한 ldquo8년

가까이rdquo KBS 라디오에만 머물지 않았다 1955년 7월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구속된 적이 있었는가 하면32) 1957년 6월부터 5개월간은 미 국

3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32) 당시 주요 일간지에 따르면 1955년 7월 5일 노정팔은 국가보안법 및 병역법 위

반 사문서 위조 업무횡령 등으로 구속되었고 곧이어 검찰에 송치되었다 「보안

법위반혐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7 3면 「노편성계장송청」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 14 3면 반공주의를 앞세운 이승만 정권에서 공무원 신분의 노정팔이 국가보안

법을 위반했다는 것만으로도 위중한 혐의에 속한다 그럼에도 무슨 곡절이었는

지 그는 돌연 복귀하여 8월 3일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다 「라디오」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3 4면

40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무성 초청으로 보스턴대학에 파견 근무를 했다33) 이 기간 노정팔의 빈

자리를 대신한 것은 다름 아닌 어린이문학가 강소천이었다 강소천은 귀

국한 노정팔이 공보실 방송관리국에서 근무했던 기간34)에도 lt무엇일까

요gt를 집필한 것으로 확인된다35) 당시 노정팔이 KBS 제1라디오의

lt반공독본gt을 집필했던 상황36)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ldquo박일암rdquo의 이름으로 노정팔을 앞세우

고 그 빈자리를 강소천이 대신했거나 조력하는 방식을 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가 ldquo박일암rdquo의 편저 형식으로 출

간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작용했다 하겠다 그러나 책 출간 이후 노정팔

의 작가 활동여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37)

33) 1956년부터 미 국무성 인사교환계획에 따라 방송관계자들의 해외파견이 이루어

졌다 1차 파견자는 윤길구 조남사 한기선이었으며 노정팔은 최창봉과 함께 2

차 파견자로 뽑혀 보스턴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정

팔 앞의 책 246-247쪽

34) 노정팔 위의 책 261쪽

35) 1950년대 2차 문헌사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요 일간지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흔적들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물론 당시 일

간지의 라디오방송 안내가 들쭉날쭉하고 인기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조차 상

세하게 밝히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이들 일간지에 따르

면 강소천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자로 처음 확인된 것은 1955년 7월 13일 20

일 27일 3회에 그쳤다 한동안 소강상태였다가 동명 프로그램에서 강소천의 이

름은 1957년 후반부터 1958년 전반에 걸쳐 드문드문 확인할 수 있었다

36) 노정팔은 1958년 2월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6시 20분부터 10분간 lt반공독본gt

을 집필했다 「오늘의 라디오」 985172서울신문985173 195822 4면

37) 현재까지 2차 문헌사료에서도 책을 펴낸 1961년 12월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작

가에 대한 정보는 거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만 기존의 집필방식에 견주어 노

정팔이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는 합리적 의심은 해볼 수 있다 만약 그

렇다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과 폐지시기를 노정팔의 이력과 연계시켜 추정해

보자 노정팔은 1962년 1월 부산방송국장으로 부임했다가 6개월만인 동년 7월

공보실 방송관리국 관리과장으로 돌아왔고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기

존대로 강소천이 대신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1963년 5월부터 1966년 4월

초까지 노정팔은 서울국제방송국장을 역임하였는데 1963년 5월 강소천이 갑작

스러운 건강 악화로 작고한 까닭에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오롯이 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3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은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이 활성화된 데서 확인 가능하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된 기간 방송국

마다 유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방송매체

의 제반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에도 변함없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1950년대 중후반에 국한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

램들이 여럿이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은 1956년 1월 3

일 CBS에서 첫 방송된 lt알아맞히기gt가 맨 앞에 놓인다 lt알아맞히기gt

는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적 사례를 참조하여 스튜디오 대신 특정 초등

학교를 찾아다니며 공개녹음 방식으로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이다 신설

당시부터 ≪어린이시간≫의 러닝 타임을 모두 소화한 첫 프로그램으로

쏟은 공력에 걸맞게 CBS의 대표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승승장구

했다38) 이에 KBS 라디오는 lt무엇일까요gt와 병행할 공개방송 퀴즈 프

로그램 lt꾀돌이문답gt을 신설하고 1957년 10월 12일 토요일 첫 방송했

다 lt꾀돌이문답gt은 오락성을 앞세운 코너들 즉 10분 안에 알아맞혀야

하는 lsquo열 고개rsquo 테마를 제시하면 연기를 해야 하는 즉흥극 또는 전화놀

이 노래에 가사붙이기 등을 다채롭게 운영하여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

았다39) 거기에 첫 텔레비전방송국 HLKZ-TV가 1958년 ≪어린이차지≫

시간에 lt누가 먼저 맞추나gt를 신설하여 경쟁에 가세하였다 lt누가 먼

저 맞추나gt는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치

정팔의 몫이었거나 새로운 작가를 동원했을 수 있다 노정팔이 1966년 4월 9일

부터 대구방송국장으로 옮겨 2년 여 동안 재직하였는데 공교롭게도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 추정시점과 맞물린다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면

그의 이력이 프로그램의 존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

는 셈이다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118 1면 「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3 2면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430 2면 「공보부 국장급 7명 곧

이동할 방침」 985172동아일보985173 196648 1면 「문화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8 727 2면

38)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39)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197쪽

40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호 사회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후반 이들 프로그램들은 경쟁적 구도 속에서도 각 방송국

을 대표하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높은 인기에도 짧은 기간 방송되다

가 폐지되었다 lt알아맞히기gt는 2년 3개월여 만인 1958년 3월 18일 마

지막 방송을 했고 lt꾀돌이문답gt은 1959년 10월 17일 100회 방송으로

끝맺었다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방송국 전소로 불가피하게 하차한 경

우라면 앞선 프로그램들은 갑작스러운 폐지였던 만큼 이유가 불분명하

다 1960년을 가뿐히 넘어선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가

유일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에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텔레

비전매체에서 재매개한 프로그램들이 계속 신설되었고 또 lt무엇일까

요gt를 뛰어넘지 못한 채 폐지 수순을 밟아나갔다 그만큼 lt무엇일까

요gt의 성공적 입지는 청취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되었던 셈이다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등교육정책의 로 간다와 높은 교육열

lt무엇일까요gt는 한국방송사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첫 시도였

으며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까지 KBS 라디오 어린이방송의 대표적

인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당대의 방송정

책과 방송환경 교육제도와 어린이생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정치

사회사적 흐름에 따른 변폭도 적지 않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 목적인 청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시절

ldquo재미있고 즐겁게 공부rdquo하는 데 놓여 있다 ldquo이해보다 기억을 강요rdquo하는

ldquo무리한rdquo 공부에 힘겨워했던40) 당시 어린이들의 상황을 타개하는 동시

에 차별화하는 전략 즉 lsquo교육적 재미rsquo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11: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1

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인물들이 참여했다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그러

니까 신설 당시부터 KBS 라디오가 lt무엇일까요gt에 비중을 두었던 셈

이다

특히 lt무엇일까요gt에 작가를 따로 두었다는 점은 여느 퀴즈 프로그

램들과 차별화된다 인기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만 하더라도 작가

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 당시 제작환경을 고려한다면 전속작가가 이 프

로그램의 구성작가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작가의 존재는

프로그램의 인기에 비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라디오게임≫도 마찬가지다 그런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당시부터 작가를 따로 밝힌 드문 경우에 속한다 이 프로그램의 작가는

박일암인데 이는 다름 아닌 노정팔의 필명이다 그러니까 노정팔이 lt무

엇일까요gt를 신설하고 작가로도 활동했던 것이다

더욱이 노정팔은 긴 기간 작가로 활동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에 따르면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를 펴낸 1961년까지 ldquo8년

가까이rdquo를 lt무엇일까요gt와 함께 했다31) 1950년대 주요 일간지의 라디

오 방송안내를 보더라도 작가는 대부분 ldquo박일암rdquo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를 전담할 만큼 노정팔의 신분

에 큰 변동이 없었는가 하는 점은 의문이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의 편

성계장은 공무원 신분이고 인사이동도 있게 마련이다 노정팔 또한 ldquo8년

가까이rdquo KBS 라디오에만 머물지 않았다 1955년 7월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구속된 적이 있었는가 하면32) 1957년 6월부터 5개월간은 미 국

3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32) 당시 주요 일간지에 따르면 1955년 7월 5일 노정팔은 국가보안법 및 병역법 위

반 사문서 위조 업무횡령 등으로 구속되었고 곧이어 검찰에 송치되었다 「보안

법위반혐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7 3면 「노편성계장송청」 985172경향신문985173 19557 14 3면 반공주의를 앞세운 이승만 정권에서 공무원 신분의 노정팔이 국가보안

법을 위반했다는 것만으로도 위중한 혐의에 속한다 그럼에도 무슨 곡절이었는

지 그는 돌연 복귀하여 8월 3일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다 「라디오」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3 4면

40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무성 초청으로 보스턴대학에 파견 근무를 했다33) 이 기간 노정팔의 빈

자리를 대신한 것은 다름 아닌 어린이문학가 강소천이었다 강소천은 귀

국한 노정팔이 공보실 방송관리국에서 근무했던 기간34)에도 lt무엇일까

요gt를 집필한 것으로 확인된다35) 당시 노정팔이 KBS 제1라디오의

lt반공독본gt을 집필했던 상황36)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ldquo박일암rdquo의 이름으로 노정팔을 앞세우

고 그 빈자리를 강소천이 대신했거나 조력하는 방식을 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가 ldquo박일암rdquo의 편저 형식으로 출

간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작용했다 하겠다 그러나 책 출간 이후 노정팔

의 작가 활동여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37)

33) 1956년부터 미 국무성 인사교환계획에 따라 방송관계자들의 해외파견이 이루어

졌다 1차 파견자는 윤길구 조남사 한기선이었으며 노정팔은 최창봉과 함께 2

차 파견자로 뽑혀 보스턴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정

팔 앞의 책 246-247쪽

34) 노정팔 위의 책 261쪽

35) 1950년대 2차 문헌사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요 일간지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흔적들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물론 당시 일

간지의 라디오방송 안내가 들쭉날쭉하고 인기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조차 상

세하게 밝히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이들 일간지에 따르

면 강소천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자로 처음 확인된 것은 1955년 7월 13일 20

일 27일 3회에 그쳤다 한동안 소강상태였다가 동명 프로그램에서 강소천의 이

름은 1957년 후반부터 1958년 전반에 걸쳐 드문드문 확인할 수 있었다

36) 노정팔은 1958년 2월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6시 20분부터 10분간 lt반공독본gt

을 집필했다 「오늘의 라디오」 985172서울신문985173 195822 4면

37) 현재까지 2차 문헌사료에서도 책을 펴낸 1961년 12월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작

가에 대한 정보는 거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만 기존의 집필방식에 견주어 노

정팔이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는 합리적 의심은 해볼 수 있다 만약 그

렇다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과 폐지시기를 노정팔의 이력과 연계시켜 추정해

보자 노정팔은 1962년 1월 부산방송국장으로 부임했다가 6개월만인 동년 7월

공보실 방송관리국 관리과장으로 돌아왔고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기

존대로 강소천이 대신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1963년 5월부터 1966년 4월

초까지 노정팔은 서울국제방송국장을 역임하였는데 1963년 5월 강소천이 갑작

스러운 건강 악화로 작고한 까닭에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오롯이 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3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은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이 활성화된 데서 확인 가능하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된 기간 방송국

마다 유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방송매체

의 제반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에도 변함없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1950년대 중후반에 국한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

램들이 여럿이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은 1956년 1월 3

일 CBS에서 첫 방송된 lt알아맞히기gt가 맨 앞에 놓인다 lt알아맞히기gt

는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적 사례를 참조하여 스튜디오 대신 특정 초등

학교를 찾아다니며 공개녹음 방식으로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이다 신설

당시부터 ≪어린이시간≫의 러닝 타임을 모두 소화한 첫 프로그램으로

쏟은 공력에 걸맞게 CBS의 대표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승승장구

했다38) 이에 KBS 라디오는 lt무엇일까요gt와 병행할 공개방송 퀴즈 프

로그램 lt꾀돌이문답gt을 신설하고 1957년 10월 12일 토요일 첫 방송했

다 lt꾀돌이문답gt은 오락성을 앞세운 코너들 즉 10분 안에 알아맞혀야

하는 lsquo열 고개rsquo 테마를 제시하면 연기를 해야 하는 즉흥극 또는 전화놀

이 노래에 가사붙이기 등을 다채롭게 운영하여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

았다39) 거기에 첫 텔레비전방송국 HLKZ-TV가 1958년 ≪어린이차지≫

시간에 lt누가 먼저 맞추나gt를 신설하여 경쟁에 가세하였다 lt누가 먼

저 맞추나gt는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치

정팔의 몫이었거나 새로운 작가를 동원했을 수 있다 노정팔이 1966년 4월 9일

부터 대구방송국장으로 옮겨 2년 여 동안 재직하였는데 공교롭게도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 추정시점과 맞물린다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면

그의 이력이 프로그램의 존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

는 셈이다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118 1면 「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3 2면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430 2면 「공보부 국장급 7명 곧

이동할 방침」 985172동아일보985173 196648 1면 「문화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8 727 2면

38)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39)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197쪽

40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호 사회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후반 이들 프로그램들은 경쟁적 구도 속에서도 각 방송국

을 대표하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높은 인기에도 짧은 기간 방송되다

가 폐지되었다 lt알아맞히기gt는 2년 3개월여 만인 1958년 3월 18일 마

지막 방송을 했고 lt꾀돌이문답gt은 1959년 10월 17일 100회 방송으로

끝맺었다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방송국 전소로 불가피하게 하차한 경

우라면 앞선 프로그램들은 갑작스러운 폐지였던 만큼 이유가 불분명하

다 1960년을 가뿐히 넘어선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가

유일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에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텔레

비전매체에서 재매개한 프로그램들이 계속 신설되었고 또 lt무엇일까

요gt를 뛰어넘지 못한 채 폐지 수순을 밟아나갔다 그만큼 lt무엇일까

요gt의 성공적 입지는 청취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되었던 셈이다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등교육정책의 로 간다와 높은 교육열

lt무엇일까요gt는 한국방송사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첫 시도였

으며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까지 KBS 라디오 어린이방송의 대표적

인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당대의 방송정

책과 방송환경 교육제도와 어린이생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정치

사회사적 흐름에 따른 변폭도 적지 않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 목적인 청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시절

ldquo재미있고 즐겁게 공부rdquo하는 데 놓여 있다 ldquo이해보다 기억을 강요rdquo하는

ldquo무리한rdquo 공부에 힘겨워했던40) 당시 어린이들의 상황을 타개하는 동시

에 차별화하는 전략 즉 lsquo교육적 재미rsquo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12: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0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무성 초청으로 보스턴대학에 파견 근무를 했다33) 이 기간 노정팔의 빈

자리를 대신한 것은 다름 아닌 어린이문학가 강소천이었다 강소천은 귀

국한 노정팔이 공보실 방송관리국에서 근무했던 기간34)에도 lt무엇일까

요gt를 집필한 것으로 확인된다35) 당시 노정팔이 KBS 제1라디오의

lt반공독본gt을 집필했던 상황36)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ldquo8년

가까이rdquo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ldquo박일암rdquo의 이름으로 노정팔을 앞세우

고 그 빈자리를 강소천이 대신했거나 조력하는 방식을 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가 ldquo박일암rdquo의 편저 형식으로 출

간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작용했다 하겠다 그러나 책 출간 이후 노정팔

의 작가 활동여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37)

33) 1956년부터 미 국무성 인사교환계획에 따라 방송관계자들의 해외파견이 이루어

졌다 1차 파견자는 윤길구 조남사 한기선이었으며 노정팔은 최창봉과 함께 2

차 파견자로 뽑혀 보스턴대학교에서 라디오텔레비전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정

팔 앞의 책 246-247쪽

34) 노정팔 위의 책 261쪽

35) 1950년대 2차 문헌사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요 일간지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흔적들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물론 당시 일

간지의 라디오방송 안내가 들쭉날쭉하고 인기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조차 상

세하게 밝히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이들 일간지에 따르

면 강소천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자로 처음 확인된 것은 1955년 7월 13일 20

일 27일 3회에 그쳤다 한동안 소강상태였다가 동명 프로그램에서 강소천의 이

름은 1957년 후반부터 1958년 전반에 걸쳐 드문드문 확인할 수 있었다

36) 노정팔은 1958년 2월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6시 20분부터 10분간 lt반공독본gt

을 집필했다 「오늘의 라디오」 985172서울신문985173 195822 4면

37) 현재까지 2차 문헌사료에서도 책을 펴낸 1961년 12월 이후 lt무엇일까요gt의 작

가에 대한 정보는 거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만 기존의 집필방식에 견주어 노

정팔이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는 합리적 의심은 해볼 수 있다 만약 그

렇다면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과 폐지시기를 노정팔의 이력과 연계시켜 추정해

보자 노정팔은 1962년 1월 부산방송국장으로 부임했다가 6개월만인 동년 7월

공보실 방송관리국 관리과장으로 돌아왔고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기

존대로 강소천이 대신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1963년 5월부터 1966년 4월

초까지 노정팔은 서울국제방송국장을 역임하였는데 1963년 5월 강소천이 갑작

스러운 건강 악화로 작고한 까닭에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집필은 오롯이 노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3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은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이 활성화된 데서 확인 가능하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된 기간 방송국

마다 유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방송매체

의 제반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에도 변함없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1950년대 중후반에 국한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

램들이 여럿이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은 1956년 1월 3

일 CBS에서 첫 방송된 lt알아맞히기gt가 맨 앞에 놓인다 lt알아맞히기gt

는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적 사례를 참조하여 스튜디오 대신 특정 초등

학교를 찾아다니며 공개녹음 방식으로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이다 신설

당시부터 ≪어린이시간≫의 러닝 타임을 모두 소화한 첫 프로그램으로

쏟은 공력에 걸맞게 CBS의 대표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승승장구

했다38) 이에 KBS 라디오는 lt무엇일까요gt와 병행할 공개방송 퀴즈 프

로그램 lt꾀돌이문답gt을 신설하고 1957년 10월 12일 토요일 첫 방송했

다 lt꾀돌이문답gt은 오락성을 앞세운 코너들 즉 10분 안에 알아맞혀야

하는 lsquo열 고개rsquo 테마를 제시하면 연기를 해야 하는 즉흥극 또는 전화놀

이 노래에 가사붙이기 등을 다채롭게 운영하여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

았다39) 거기에 첫 텔레비전방송국 HLKZ-TV가 1958년 ≪어린이차지≫

시간에 lt누가 먼저 맞추나gt를 신설하여 경쟁에 가세하였다 lt누가 먼

저 맞추나gt는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치

정팔의 몫이었거나 새로운 작가를 동원했을 수 있다 노정팔이 1966년 4월 9일

부터 대구방송국장으로 옮겨 2년 여 동안 재직하였는데 공교롭게도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 추정시점과 맞물린다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면

그의 이력이 프로그램의 존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

는 셈이다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118 1면 「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3 2면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430 2면 「공보부 국장급 7명 곧

이동할 방침」 985172동아일보985173 196648 1면 「문화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8 727 2면

38)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39)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197쪽

40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호 사회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후반 이들 프로그램들은 경쟁적 구도 속에서도 각 방송국

을 대표하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높은 인기에도 짧은 기간 방송되다

가 폐지되었다 lt알아맞히기gt는 2년 3개월여 만인 1958년 3월 18일 마

지막 방송을 했고 lt꾀돌이문답gt은 1959년 10월 17일 100회 방송으로

끝맺었다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방송국 전소로 불가피하게 하차한 경

우라면 앞선 프로그램들은 갑작스러운 폐지였던 만큼 이유가 불분명하

다 1960년을 가뿐히 넘어선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가

유일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에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텔레

비전매체에서 재매개한 프로그램들이 계속 신설되었고 또 lt무엇일까

요gt를 뛰어넘지 못한 채 폐지 수순을 밟아나갔다 그만큼 lt무엇일까

요gt의 성공적 입지는 청취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되었던 셈이다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등교육정책의 로 간다와 높은 교육열

lt무엇일까요gt는 한국방송사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첫 시도였

으며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까지 KBS 라디오 어린이방송의 대표적

인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당대의 방송정

책과 방송환경 교육제도와 어린이생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정치

사회사적 흐름에 따른 변폭도 적지 않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 목적인 청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시절

ldquo재미있고 즐겁게 공부rdquo하는 데 놓여 있다 ldquo이해보다 기억을 강요rdquo하는

ldquo무리한rdquo 공부에 힘겨워했던40) 당시 어린이들의 상황을 타개하는 동시

에 차별화하는 전략 즉 lsquo교육적 재미rsquo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1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3

다음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은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이 활성화된 데서 확인 가능하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된 기간 방송국

마다 유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신설이 이루어졌다 그것은 방송매체

의 제반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에도 변함없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1950년대 중후반에 국한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

램들이 여럿이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은 1956년 1월 3

일 CBS에서 첫 방송된 lt알아맞히기gt가 맨 앞에 놓인다 lt알아맞히기gt

는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적 사례를 참조하여 스튜디오 대신 특정 초등

학교를 찾아다니며 공개녹음 방식으로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이다 신설

당시부터 ≪어린이시간≫의 러닝 타임을 모두 소화한 첫 프로그램으로

쏟은 공력에 걸맞게 CBS의 대표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승승장구

했다38) 이에 KBS 라디오는 lt무엇일까요gt와 병행할 공개방송 퀴즈 프

로그램 lt꾀돌이문답gt을 신설하고 1957년 10월 12일 토요일 첫 방송했

다 lt꾀돌이문답gt은 오락성을 앞세운 코너들 즉 10분 안에 알아맞혀야

하는 lsquo열 고개rsquo 테마를 제시하면 연기를 해야 하는 즉흥극 또는 전화놀

이 노래에 가사붙이기 등을 다채롭게 운영하여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

았다39) 거기에 첫 텔레비전방송국 HLKZ-TV가 1958년 ≪어린이차지≫

시간에 lt누가 먼저 맞추나gt를 신설하여 경쟁에 가세하였다 lt누가 먼

저 맞추나gt는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치

정팔의 몫이었거나 새로운 작가를 동원했을 수 있다 노정팔이 1966년 4월 9일

부터 대구방송국장으로 옮겨 2년 여 동안 재직하였는데 공교롭게도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폐지 추정시점과 맞물린다 lt무엇일까요gt를 계속 집필했다면

그의 이력이 프로그램의 존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

는 셈이다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118 1면 「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2713 2면 「정부인사」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430 2면 「공보부 국장급 7명 곧

이동할 방침」 985172동아일보985173 196648 1면 「문화공보부인사」 985172동아일보985173 1968 727 2면

38)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39)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197쪽

40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호 사회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후반 이들 프로그램들은 경쟁적 구도 속에서도 각 방송국

을 대표하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높은 인기에도 짧은 기간 방송되다

가 폐지되었다 lt알아맞히기gt는 2년 3개월여 만인 1958년 3월 18일 마

지막 방송을 했고 lt꾀돌이문답gt은 1959년 10월 17일 100회 방송으로

끝맺었다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방송국 전소로 불가피하게 하차한 경

우라면 앞선 프로그램들은 갑작스러운 폐지였던 만큼 이유가 불분명하

다 1960년을 가뿐히 넘어선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가

유일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에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텔레

비전매체에서 재매개한 프로그램들이 계속 신설되었고 또 lt무엇일까

요gt를 뛰어넘지 못한 채 폐지 수순을 밟아나갔다 그만큼 lt무엇일까

요gt의 성공적 입지는 청취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되었던 셈이다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등교육정책의 로 간다와 높은 교육열

lt무엇일까요gt는 한국방송사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첫 시도였

으며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까지 KBS 라디오 어린이방송의 대표적

인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당대의 방송정

책과 방송환경 교육제도와 어린이생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정치

사회사적 흐름에 따른 변폭도 적지 않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 목적인 청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시절

ldquo재미있고 즐겁게 공부rdquo하는 데 놓여 있다 ldquo이해보다 기억을 강요rdquo하는

ldquo무리한rdquo 공부에 힘겨워했던40) 당시 어린이들의 상황을 타개하는 동시

에 차별화하는 전략 즉 lsquo교육적 재미rsquo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1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0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호 사회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중후반 이들 프로그램들은 경쟁적 구도 속에서도 각 방송국

을 대표하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높은 인기에도 짧은 기간 방송되다

가 폐지되었다 lt알아맞히기gt는 2년 3개월여 만인 1958년 3월 18일 마

지막 방송을 했고 lt꾀돌이문답gt은 1959년 10월 17일 100회 방송으로

끝맺었다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방송국 전소로 불가피하게 하차한 경

우라면 앞선 프로그램들은 갑작스러운 폐지였던 만큼 이유가 불분명하

다 1960년을 가뿐히 넘어선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가

유일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에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텔레

비전매체에서 재매개한 프로그램들이 계속 신설되었고 또 lt무엇일까

요gt를 뛰어넘지 못한 채 폐지 수순을 밟아나갔다 그만큼 lt무엇일까

요gt의 성공적 입지는 청취자들에게 분명하게 각인되었던 셈이다

3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

1) 등교육정책의 로 간다와 높은 교육열

lt무엇일까요gt는 한국방송사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첫 시도였

으며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까지 KBS 라디오 어린이방송의 대표적

인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당대의 방송정

책과 방송환경 교육제도와 어린이생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정치

사회사적 흐름에 따른 변폭도 적지 않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신설 목적인 청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시절

ldquo재미있고 즐겁게 공부rdquo하는 데 놓여 있다 ldquo이해보다 기억을 강요rdquo하는

ldquo무리한rdquo 공부에 힘겨워했던40) 당시 어린이들의 상황을 타개하는 동시

에 차별화하는 전략 즉 lsquo교육적 재미rsquo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때문에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15: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5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이 다른 내외적 요

인들과 연계된 접점 혹은 방식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내용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지식을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퀴즈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근간한 지식을 주

요 내용으로 한다 ldquo국민학교의 모든 교과는 물론 시사문제 일반 상식

등 국민학교 어린이로서 꼭 알아 두어야 할rdquo41) 지식을 대상으로 삼는다

구체적으로는 ldquo초등학교 456학년 정도의 국어 사회 생활 음악 미술

등 모든 교과목과 방학공부책 및 그러한 수준의 상식rdquo을 아우르는 것이

었다42)

이러한 점들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나는 lt무엇일까요gt는

불특정 다수의 lsquo어린이rsquo보다 초등학교 고학년 lsquo학생rsquo을 대상으로 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할 범박한

상식보다 당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식에 비중을 두어 내용을 구성했

다는 점이다 지식은 특수하고 실용적인 정보가 아닌 사고과정을 거쳐

분석하고 체계화된 것이다43) 그것은 인류사적 지혜나 개인적 경험과도

구분되는 체계들의 체계이며 좁게는 학문적 체계로 특화된 산물이다44)

퀴즈 프로그램이 무엇을 지식으로 구성하고 어떻게 교육을 강조했으며

그것들이 라디오방송 시스템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등을 밝혀낼 때 보

다 분명해진다

공교롭게도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어 활성화된 단계는 국가 주도의

제1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

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ㆍ공포된 lsquo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

령rsquo과 1955년 8월 문교부령 제44호로 공포된 lsquo각급 학교 교과과정rsquo을 근

4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1)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42) 노정팔 앞의 책 212쪽

43)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쪽

44) 피터 버크 위의 책 145-157쪽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16: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0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간으로 1963년 2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45) 1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학문 분야의 교과목 지식

이나 기능에 두었다 학교교육은 단일 교과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기능

을 전통적 교육방법으로 전수하며 가치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에 둔 것

이다46) 여기에서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어 산수 사회생활 자

연 보건 음악 미술 실과의 8과목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학생활동 등

의 특별활동 시간이 편성되어 있었다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은 그러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면면은 985172HLKA 어린

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에서 확인 가능하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퀴즈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들을

가려 뽑아 총 272개에 달하는 문제의 실제를 제시하고 있다 각 문제들

은 lsquo문답번호 문제 답rsquo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과별 구분을 따로 하

지 않았다47) 이를 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해 분류해보면 국어 40

회로 147 사회생활 122회 449 산수 11회로 4 자연 60회로 22

체육 3회로 11 음악 8회로 29 미술과 실과 각 1회로 04를 차지

한다 여기에서 전 교과목에 걸쳐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총 30회

1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특히 사회생활에서 역사가 46회 169

에 달했다 그리고 당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시사문제도 14회 5 정

도를 차지했다 이 책만을 두고 lt무엇일까요gt의 내용을 모두 간파하기

45)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46)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47) 1950년대 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 ≪라디오게임≫도 lt무엇일까요gt와 마찬가지

로 1960년대 초반 책으로 출간되었다 담당 아나운서였던 최일환이 펴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아림출판사 1962)에 이어 PD 김석호도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지식의 광장985173(춘조사 1963)과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

임)지식의 광장(속편)985173(춘조사 1964)을 출간했다 여기에서 김석호가 펴낸 책들

은 나름대로 지식을 분류했다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니까 지

식을 무작위로 배열하거나 교과별로 정리하기보다 예능편(음악 미술) 문학편

(국어국문학 세계문학) 사회생활편(역사 지리 공민ㆍ경제ㆍ기타) 과학편(물

리 화학 생물) 등 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17: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7

힘들겠지만 적어도 lt무엇일까요gt가 제1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깊숙

이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가 KBS 라디오에서 신설되어 방송된 어린이 프로

그램이라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근대 교육제도가 지식을 효율적으

로 교육하는 학교교육을 주축으로 삼았다면 근대매체들은 그것을 효율

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조력자이자 비판자였다 근대 교육과 매체는 긴

밀하게 연동하였던 셈인데 특히 국영방송은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교육정책에 보다 깊숙이 관여하며 홍보전에 앞장섰다 그것은 lt무엇일

까요gt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영방송 KBS 라디오는 단정수립 이래 정부직속기관에 예속되어 있

었고 전후 다변화된 방송환경에도 국가 주도의 검열과 통제는 좀처럼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국영방송체제에서 방송 내용은 국가와 정부의 의

사가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하달되는 정치성 획일성 선전성 등을 띠며

정부의 정치이념 구현과 신속한 정책수행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48)

방송목표 또한 공익성이라는 미명아래 정부와 여당의 영향력을 확산시

키고 편성방향을 국가와 정부 활동의 홍보에 중점을 둔다49) 때문에 단

속적이나마 KBS 라디오에도 방송의 민영화 요구가 계속되었고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가의 공공성조차 거스르

자 KBS 라디오는 문화예술 관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50) 1950년대 KBS 라디오의 방송내용은 완전한 정부의 공보기관

역할에만 그치는 편파적 방침을 취하고 있어 무능한 방송행정의 난점은

거의 사회의 정평이 되어왔던 것이다51) 그것은 4ㆍ19혁명 당시 KBS

48)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쪽

49)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50) 1954년 세밑 한 좌담에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운용이 라디오방송에 대한 문화

인들의 비적극적 자세를 문제 삼자 극작가 박진은 KBS 라디오가 공보처 중앙

방송국이기 때문에 문화인이 방송에 관심을 가져도 기대에 어그러져서 도외시

하게 된다고 직접 토로한 바 있다 「갑오년문화계의 회고(상)」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216 4면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18: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0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라디오의 불공정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비판의 뭇매를 맞았지만 이어

진 자성과 쇄신의 움직임들은 5ㆍ16쿠데타에 이은 방송법 제정으로 유

야무야되고 말았다52)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KBS 라디오는

치명적 문제를 내장한 국영방송이자 관제방송의 자리에서 큰 흔들림이

없었던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아래 초등교육정책에 대한 프로파간다 역할에 놓여 있다 전후복구

기 KBS 라디오는 방송의 오락성과 선전성 만큼이나 국민 계몽53)과 교

육기관54)임을 자처했으며 특히 ≪어린이시간≫은 ldquo어디까지나 교육적

테두리rdquo55)에서 운영되었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인 lt무엇일

까요gt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려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책홍보에 손색이 없었다 1954년 4월 20일 제1차 초등교육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뒤이어 동년 10월 1일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던 lsquo의무교육 6

개년계획rsquo이 재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정책들은 전후복구기 열

악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힘들었다56) 마땅한

홍보 전략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신설 이래 높은 인

기와 인지도에 힘입어 효과적인 선전기구가 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것

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과 지지 속에서 허다한 개편의 뭇매를 비

켜나 장수프로그램의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에는 의무교육 완성에 따른 중학입시제

51) 「방송관리 민영화 움직임」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819 3면

52)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참조

53) 백 철 「한국방송의 중요성」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2 7

54) 김기석 「방송과 교육-오락본위를 교육에로」 985172방송985173 창간호 공보실 방송관리

국 19569 7쪽

55) 한용희 「어린이시간에 있어서」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0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0 30쪽

56)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육의 강

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38-49쪽 참조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19: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09

도와 높은 교육열이 한 몫을 담당하였다 1950년대 교육정책은 초등교육

에 집중되었고 특히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제도적ㆍ재정적 지원이 치

중되었다 1952년 4월 23일 교육법 시행령이 공포되고 1954년 10월 1일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1954-1959)rsquo이 실시되면서 목표연도에 학령아동의

취학률을 9613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57) 의무교육의 완성을 위해 학

교시설 교원채용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 데 당시 문교예산의 77 이

상을 쏟아 부을 정도였다 이에 힘입어 학령아동의 취학률은 달성되었

고 뒤이은 lsquo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2-1966)rsquo과 lsquo제2차 의

무교육시설확충 5개년계획(1967-1971)rsquo은 의무교육의 실질적 환경개선

에 집중되었다58) 이에 반해 같은 시기 중등교육은 재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 중등교육은 전적으로 수익자 부담에 의존했으며 학교 수

도 초등학교에 비해 훨씬 적었다 lsquo의무교육 6개년계획rsquo 당시 초등학교

졸업자 대비 중학교 입학자 비율은 48 수준에 그쳤다 초등 의무교육

으로 높아진 취학률이 중등학교의 진학으로 연계되기 힘든 구조였던 것

이다

하지만 초등 의무교육의 완성은 중학입시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열로 이어졌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교 지원자 대비

입학자 비율은 평균 715였지만 일부 명문중학교에 지원자가 몰려 입

학시험에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더욱이 혼란스러운 중학입시제도

는 과도한 입시경쟁을 부추겼다59) 중학 입시경쟁은 교육열이 왕성한

57)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한교육법

학회 2002 146-147쪽

58)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권 부산교

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59)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21권 숙

명여대 1981 82-95쪽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되던 시기 중학입시제도는 혼선을

거듭했다 그 변천과정도 복잡다기한데 함종규의 분류에 따르면 당시 중학입시

제도는 lsquo유시험ㆍ무시험 병행제도(1954-1957)rarr연합출제제도(1958-1961)rarr국가

고시제도(1962)rarr시도별 공동출제제도(1963-1965)rarr공동ㆍ단독출제 병행제도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2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1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증거이지만 치열한 경쟁주의와 학력주의를 조장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lt무엇일까요gt의 또 다른 성공 동력으로 작

용했다 현재 EBS처럼 lt무엇일까요gt는 당시 중학입시제도와 연동하여

공신력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의

책표지에 선명히 제시된 ldquo중학입시에 반드시 필요한 문답집rdquo이라는 선

전문구가 이를 방증한다 lt무엇일까요gt가 방송 당시 중학입시제도가 지

배하는 한국적 교육여건60)과 교육열에 편승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국가교육과정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무력

화하는 역설적인 자리에 놓여 있었던 셈이다

2) 인 포맷의 활용과 다양한 양식의 공연

다음으로 형식적 측면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의 성

공 동력을 살펴보자 어린이 프로그램은 청취 대상을 어린이로 특정한

사회ㆍ교양분야의 라디오방송 프로그램이다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프

로그램이라 해도 연예ㆍ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lt무엇일까

요gt는 사회ㆍ교양분야에 속하는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의 세부

프로그램이며 때문에 교육적 목적에 치중하는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기

본적 성격을 내장한다 하지만 교육 일변도의 프로그램은 청취자 어린이

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런 점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성패는 교육적

인 만큼 ldquo재미있고 즐겁게rdquo라는 퀴즈 프로그램의 특장을 얼마나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달려 있다 청취자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주기 위

해 어떻게 제작하고 운영하느냐는 실질적 문제이다 세부적으로는 라디

오방송의 매체적 특징과 그와 연동한 방송형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66)rsquo 등 제도적이고 실질적인 요구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를 겪었다

60)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

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사학회 2017 140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21: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1

그리고 그것이 당대 방송환경과 청취자문화 사이에 어떻게 자리매김하

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첫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은 대중적인 포맷을 활용하여 성공적

으로 안착한 데 있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중적인 라

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동시에 활용한 첫 사례이다 라디오 포

맷은 라디오 프로그램의 형식을 일컫는다 라디오 포맷에서 공개방송이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라면 퀴즈는 장르에 따른 구분에 속한다61)

공개방송은 일반 청취자에게 방송 실황을 보여주면서 제작하는 형식

이다 그것은 방송 상황에서 창출되는 특유한 분위기로 인해 대중성 확

보에 유리하다 방청객은 프로그램 청취자 혹은 애청자가 참여하며 일

반 청취자들은 그런 방청객들의 반응을 들으며 현장에 함께 있는 듯한

상상을 하게 된다62) 방송의 생생한 현장성을 매개로 방청객과 일반 청

취자의 감성에 파고들어 프로그램에 일체감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것

이다 대형 공개방송의 경우 청취자의 확대와 방송국 홍보에 효과적이

지만 예산이 많이 들고 기획 또한 까다로운 편이다 한편 퀴즈는 일반인

혹은 유명인이 출연해 질문에 답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상

금이나 상품을 높고 겨루는 프로그램으로 방송콘텐츠 분야에서 게임쇼

포맷에 포괄하여 일컫는 경우가 많다63) 퀴즈는 적은 제작비용에 비해

청취율이 안정적인데 특히 학습을 앞세운 학생 퀴즈 프로그램은 세계적

으로 호소력을 갖는 몇 안 되는 게임쇼 포맷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64)

이렇듯 공개방송과 퀴즈는 대중성이 검증된 라디오 포맷이고 lt무엇일

까요gt는 그런 포맷을 활용하여 어린이 프로그램에 정규 편성하였던 것

이다

61)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ⅴ-ⅹⅶ

62) 김승월 위의 책 58-61쪽

63)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64) 앤 쿠퍼-첸 앞의 책 188-190쪽 쿠퍼-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호소력을 갖는

게임쇼는 학습 외에도 데이트 쇼핑 가족 간의 친밀감을 들고 있다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22: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1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대중적 포맷들을 한국의 매체현실에 맞게 효

과적으로 안착시켰다 신설 프로그램에서 대중적인 두 포맷들은 프로그

램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취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거

기에 신설 당시 청취율이 높은 토요일에 파격적으로 편성되었다는 점은

라디오매체의 대량성과 속보성을 최대한 활용하여65) 포맷들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대중성이 검증되었다 하더라도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퀴즈 포맷과 어느 정도의 재정적 부담이 불가피한 공개

방송을 결합한 신설 프로그램을 그것도 파격적으로 토요일에 정규 편성

했다는 점은 KBS 라디오가 이 프로그램에 적잖은 무게를 실어줬음을

방증한다 이에 힘입어 신설한 지 4개월여 만에 수요일로 변경할 만큼

lt무엇일까요gt는 프로그램의 인기와 안정성을 빠르게 확보했던 것이다

둘째 lt무엇일까요gt의 장수 비결은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 지속적으

로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제작과정의 변화는 청취자들에게 전혀 낯선

내용이나 형식을 사용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저해하는 수준이 아니다 당

시 방송평들에 따르면 lt무엇일까요gt가 ldquo내용과 진행요령을 부단히 변

화시켜 성인층 상대의 그것 모양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rdquo66)했다

는 점을 누누이 강조한다 그러니까 제작과정이 안정화를 넘어 스테레오

타입으로 공식화되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던 것이다 이때 변화되는 내용

의 중심에 ldquo광범한 취재(取材)와 입체적 형식rdquo67)이 놓여 있었다면 진행

요령은 ldquo그동안 많은 변천을 가져왔다rdquo68)는 정황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과정이나 그 변화에 대한 구체적 면면

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공개방송만 하더라도 녹음여부 장소 변경여

부 방청객 모집방식과 규모 등을 제시한 연구나 조사 자료를 찾아보기

65)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참조

66) 「따분하기만 한 985172젊은이시간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19601019 4면

67)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68)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2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3

힘들다 당시 방송환경과 2차 문헌사료를 참조하여 역추적하면 프로그

램 신설 당시 공개방송은 녹음보다 실황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BS 라디오의 공개녹음방송이 1955년 8월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부터 시작되었던 까닭이다69) 이들 프로그램의 공개방송이 신세계백화

점의 전신인 동화백화점에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lt무엇일까요gt는 신

설 당시 열악한 정동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54년 10월 제1

회 lsquo방송어린이콩쿨rsquo도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졌던 만큼70)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방송환경의 변화 특히 1957년 7월

KBS홀 개관과 동년 12월 남산방송국 이전에 따라 lt무엇일까요gt의 공

개방송 장소도 바뀌었다 ldquoKBS홀로 모여드는 어린이들의 수효rdquo71) 운운

은 1957년 말 공개방송의 장소 변화와 프로그램의 인기를 동시에 증명

해준다

그리고 방청객 모집방식은 개별 신청자 우선주의에서 기관별 배분방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초창기 공개방송 방청권은 ldquo서울중앙방

송국 수위실에서 신청하면 누구든rdquo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인기가 스튜디오 수용능력과 방청권 배분의 한계를 넘으면서 1958년

당시 ldquo아동들이 출연하는 푸로의 방청권은 초등학교에rdquo 배분하는 방식

으로 바뀌어 있었다72) 그럼에도 공개방송을 둘러싼 일련의 변화시기와

규모 등은 정확하게 확인하기 힘들다 lt무엇일까요gt의 명성에 비한다면

구체적인 실제를 밝힌 부분이 너무 적은 셈이다

69) 「독자쌀롱 스무고개와 노래자랑」 985172동아일보985173 1955818 4면

70) 「「방송어린이콩쿨」 서울방송국주최로」 985172경향신문985173 19541021 2면

71) 「방송계 일년의 총수확 서울중앙방송국」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

리국 195712 13쪽

72) 「방송방청까지 귀천가리나」 985172경향신문985173 1958216 4면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2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1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그림 1] 김인숙 아나운서가 진행한 lt무엇일까요gt의 장면73)

[그림 1]에서 상단의 두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출연진들을 보여준

다 마이크 앞쪽에는 진행자인 김인숙 아나운서가 서 있는데 그녀는 강

영숙 아나운서에 이어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를 담당했던 인물

이다 마이크 뒤쪽에는 옷을 맞춰 입은 KBS 라디오 어린이극회와 어린

이노래회 회원들이 대기하고 있다 그들이 출연했다는 점은 lt무엇일까

요gt가 여느 퀴즈 프로그램의 단조로운 진행방식과 사뭇 달랐음을 환기

시킨다

한편 하단의 사진들은 lt무엇일까요gt의 퀴즈의 답을 맞히는 방청객들

의 상황을 제시한다 오른편 사진이 스튜디오에 밀집해 있는 방청객들의

모습이라면 왼편 사진은 그들 중 한 학생이 무대 쪽으로 나와 아나운서

73)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

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25: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5

에게 답을 말하는 장면이다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는 방청객들 중에서

답을 아는 학생들이 손을 들면 아나운서가 그들 중에서 한 명을 지명하

여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현장에서 방청객들과 소통하

는 lsquo날 것rsquo으로서 공개방송의 특성을 십분 활용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공개방송의 현장은 드라마보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방

청객들의 입장에서 퀴즈의 답을 맞히는 과정은 아나운서에게 지명되는

행운을 기대하며 순수한 의미에서 경쟁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출연

자를 정해두지 않은 까닭에 경쟁 자체에 어떠한 이권도 개입하기 힘들

다 방청객들은 짧은 시간 내에 lsquo정답이 무엇인가rsquo를 찾아내기 위해 긴

장감 넘치는 경쟁에 몰두하고 그 과정 자체에서 퀴즈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나아가 행운이 결합한 아나운서의 지명과 정답을 판가름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방청객들은 자신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환상을

키우며 퀴즈를 즐길 수 있다74)

청취자들 또한 이러한 현장 분위기를 공유하면서 퀴즈 프로그램을 재

미있게 즐길 수 있다 공개방송의 특성 덕분에 청취자들은 정답을 알아

맞히기 위해 방청객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한다 라디오수신기 앞에서 개

별 청취자들은 자신이 정답을 맞힐 때마다 자기 존중을 지지하고 과시

할 기회도 주어지는데 적어도 가족들에게 존중받을 수 있을 뿐더러 방

청객들의 우열을 가릴 위치가 된다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는 반 능동

(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계들을 무기로 패배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답을 배우는 교육적 재미와 무지를 스스로 인지하

는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75) 그러니까 청취자는 실제 정답

74) 앤 쿠퍼-첸 앞의 책 48-50쪽

75)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여기에서 반 능동(semi-active) 청취상황이 제공하는 핑

계들은 ldquo깜빡 잊었어rdquo ldquo알았는데 생각날 듯 말 듯 지나쳐 버렸어rdquo ldquo질문 받았

을 때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았어rdquo ldquo충분히 명확하게 듣지 못했어rdquo 등을 예

로 들 수 있다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26: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1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자가 될 수 없더라도 긴장감 넘치는 현장 분위기를 함께 즐기고 배울 수

있는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일반 청취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현상모집을 병행했다 방청객 수효만큼이나 ldquo서신에 의한 현상해답 수

효rdquo도 상당했다는 사실은76) 청취자들 스스로 퀴즈를 즐기고 참여에 대

한 기대 또한 높았음을 말해준다 현상모집 결과는 추첨을 통해 공개방

송에서 당첨자를 발표하고 ldquo행운의 상품rdquo을 제공했다77) 상품은 국영방

송 특유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고78)

lt무엇일까요gt 또한 당첨자를 제외하고는 상품의 존재 여부조차 지적된

경우를 찾기 힘들다 ldquo행운의 상품rdquo은 말 그대로 당첨자에게 상품의 경

중보다 행운에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림 1]의 공개방송 방식은 고정적이지 않았다 1962년에는

출연진을 미리 정해 문제를 풀게 하고 못 알아맞힐 때만 방청객들에게

대답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79) 이렇듯 공개방송을 비롯한

진행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변함없이 인기를 이끌어냈다 하겠다

셋째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은 lsquo질문-응답rsquo의 퀴즈 구조에 다양한

양식을 접목하여 청취자들에게 이해와 재미를 이끌어낸 데 있다 무엇보

다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질문-답rsquo 구조에 극 양식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

이 특징적이다 퀴즈 프로그램은 운영방식에 따라 출연자의 구성과 게임

의 구조가 다르지만 특히 학습 퀴즈 프로그램은 대부분 lsquo질문-답rsquo의 구

조를 활용한다 lsquo질문-답rsquo 구조는 전형적인 만큼 무미건조하기 십상이다

이때 lt무엇일까요gt는 퀴즈 문제를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ldquo극으

76) 「방송계 일 년의 총 수확」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12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12

13쪽

77)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77쪽

78) 앤 쿠퍼-첸 앞의 책 303쪽

79) 「어린이시간 「무엇일까요」 21일 4백돌맞이 기념방송」 985172경향신문985173 1962317 4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27: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7

로 꾸미고 이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형식rdquo80)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문제

제시 방식에 활용된 극 양식은 온전한 라디오드라마 양식을 갖춘 것이

아니다 ldquo간단한 드라마 형식rdquo81) ldquo입체적 형식rdquo82) 등으로 설명되듯 라

디오드라마가 지닌 극적 상황을 ldquo대화 형식rdquo으로 연출한 것이다

노 인 아이구 아이구 팔이야 팔이 몹시 아프구나 그러기에

차를 너무 속력내지 말고 조심해 운전하라고 타일 건

만 듣지 않고 이런 사고를 내고 말았구나 아이구 팔

이야

인 식 할아버지 저는 다리가 부러졌나 봐요 이걸 어떻게 하

면 좋아요 아파서 못 견디겠어요

간호원 잠깐만 기다려요 의사 선생님이 곧 오시니까

노 인 의사 선생님은 어디로 갔소

간호원 지금 다른 응급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곧 오십니다

저기 오시는군요

의 사 할아버지 어디 봅시다 할아버지 팔은 골절됐군요 이

으면 곧 낫습니다 너무 염려 마십시오 그럼 고 학생

다리 좀 보자

넌 부러진 게 아니고 휘어들었구나 아무 일 없다 곧

낫는다83)

[물음] 자동차 사고로 노인은 팔이 부러지고 아이는 다리가 휘어들

었습니다 그런데 왜 노인의 뼈는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

는 휘기 쉬울까요

[ 답 ] 노인의 뼈는 석회질이 많아서 부러지기 쉽고 아이의 뼈는

아교질이 많아서 휘어지기 쉽습니다

80) 박일암 엮음 「머리말」 앞의 책

81) 노정팔 앞의 책 212쪽

82) 이영희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정서생활-어린이에게 꿈을 주는 데 인색하지

마라」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7쪽

83) 박일암 엮음 앞의 책 164쪽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28: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1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ANN 자 무엇일까요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

다 같이 박수

ANN 전국에 계신 어린이 여러분 그리고 이 자리에 나오신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유익한 문제를 내서 알아

맞히어 보는 ldquo무엇일까요rdquo 시간입니다 오늘은 과연 어

떠한 문제가 나올지 어서 막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다 같이 박수

lt중략gt

아 버 지 옛날엔 추석이 아주 큰 명절이었단다 요즈음엔 새 명

절이 많아졌지만 그 땐 설날과 추석을 제일로 쳤단다

그러기에 이런 속담이 다 있었지 더도 말고 늘 가윗날

만 같아라

아 들 어떻게 놀았는데요

아 버 지 어린이들의 때때옷은 물론이지만 어른들도 새로 추수

한 햇곡식으로 빚은 술과 떡을 조상에게 바치고 즐겁

게 놀았단다

아 들 옛날엔 길쌈 짜기도 했다죠

아 버 지 베 짜는 아가씨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4일부터 이

날까지 한 달 동안 열심히 베를 짜가지고 내기 하는데

진편이 이긴 편에 대해 한턱 잘 내야 했단다

아 들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놀았군요

사 회 한가윗날 편을 갈라 베 짜는 내기를 했다는 이 풍속은

어느 시대에 시작한 것일까요

(답 신라시대)

노래회 추석의 노래

ANN 여러분과 함께 문제를 내서 알아맞히고 있는 동안 어

느새 시간이 다 갔습니다 그럼 어린이 여러분 여기서

ldquo무엇일까요rdquo를 전부 마치겠습니다 전국의 어린이 여

러분 내 주 이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M) ldquo무엇일까요rdquo의 노래8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29: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19

인용문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활용한 극 양식의 실제를 보여준다 ⑴은

자연 과목에서 인간의 신체 특히 나이에 따른 뼈의 특징을 묻는 문제이

다 자동차 사고 후 병원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4인극으로 꾸민 다음 질

문과 답을 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⑵는 사회생활 과목에서 추석의

주요 민속놀이를 다룬 문제이다 이 또한 추석을 앞두고 아버지와 아들

이 민속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극적 상황을 제시한 다음 진행자 아나

운서가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문제제시의 전 단계로서 극

양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lt무엇일까요gt에서 활용된 극 양식은 라디오매체에 걸맞게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라디오매체는 보이지 않는 매체 즉 청각매체이다 청각에만

호소하는 까닭에 청취자들은 상상 속에서 관련된 이미지를 스스로 떠올

려야 한다 이때 극 양식은 그러한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어낸다 여러 명

이 대화를 나누면 극적인 상황이 쉽게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 또한 친숙

하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니까 극 양식은 시각화의 좋은 방법인 셈이다

그리고 라디오매체의 시각화 과정은 전적으로 청각 그러니까 성우들의

lsquo목소리rsquo에 의존한다 목소리는 라디오매체 특유의 감성을 상호 교류하게

한다 그것은 청취자들에게 극적 상황을 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감 있게

다가서게 한다 그러나 전달과정에서 목소리의 한계는 엄연히 존재한다

청각매체인 라디오방송에서 한꺼번에 너무 많은 목소리를 전달하면 청

취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극 양식의 효율성을 위해서 성우의

숫자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lt무엇일까요gt에서도 크게 다

르지 않다

박일암이 펴낸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는 방송 당시 활용된

극 양식의 다양한 자리를 잘 보여준다 이 책이 ldquo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문제만을 추려서rdquo 제시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lt무엇일까요gt의 문제

제시 방식은 전적으로 극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극 양식은 ldquo질문

84) 한용희최준철 앞의 책 172-178쪽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3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2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이 대화로 제기rdquo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청취자 어린이들이 답변을 능

동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85) 극 양식을 활용하면 어린이들

이 질문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답 또한 능동적으로 기억하여 자연스럽

게 교육적 재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극 양식은 출연자의 숫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다 이

책에서 1인극이 92회로 338 2인극 138회로 507 3인극이 34회로

125 4인극 이상이 8회로 29를 각각 차지한다 과반 이상이 2인극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이 높다 2인극은 3인극 이상

에 비해 극적 상황을 구성하기 손쉬울 뿐만 아니라 청취자들의 문제 이

해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1인극의 비중

이 높은데 그것은 lsquo낭독rsquo이나 lsquo해설rsquo 등을 단순 설정한 경우와 lsquo할아버지rsquo

나 lsquo안내원rsquo 등 작중인물을 내세운 경우로 나뉜다 338에 달하는 1인극

중에서 전자가 15회로 55에 불과하다면 후자는 77회 283를 차지한

이러한 결과들은 lt무엇일까요gt가 어떠한 방식이든 극적 상황을 창출

하고자 했음을 드러낸다 아울러 방송에서 극 양식을 서로 다르게 진행

해야 할 이유로 작용한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dquo어린이극회원의 연기에 따른 질문과 사회자의 질문 두 가지로 제시rdquo86)

되었다 그러니까 2인극 이상은 어린이극회원들이 상연하고 1인극은 사

회자인 아나운서가 담당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ldquo사회자의 질문rdquo이 1인극

을 경유했다는 점은 문제제시 방식의 차별화를 위한 남다른 노력으로

읽힌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가 lsquo질문-답rsquo 구조의 단순 반복 속에서 지

식의 경쟁만을 추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문제제시 과정에서 청취자 어

린이들이 극적 상황을 재미있게 즐기게 할 뿐 아니라 제출될 문제를 쉽

게 이해함으로써 알아맞히는 재미와 사고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만

85) Paul F Lazarsfeld 앞의 책 p75

86)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99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31: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1

큼 극 양식은 lt무엇일까요gt를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화하는 주요

장치였던 셈이다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는 극 양식에 음악 양식 등을 더해 한 편의 공연

효과를 창출했다 인용문 ⑵는 1960년대 중반 lt무엇일까요gt의 방송 현

장을 제시하고 있다 당시 lt무엇일까요gt는 lsquo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arr

퀴즈rarr아나운서 멘트와 주제가rsquo 순서로 진행되었다 주제가 lsquoldquo무엇일까

요rdquo의 노래rsquo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요gt를 상징하는 음악이

다 그 가사는 ldquo자 자 여러분 무엇일까요 알 듯 알 듯 하면서 생각나지

않는 것 정말 정말 무엇일까요rdquo87)로 lt무엇일까요gt의 프로그램명과 퀴

즈 포맷의 묘미를 간결하지만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주제가

는 아나운서 멘트에 앞뒤에서 효과음악(M)을 통해 프로그램 시작과 끝

을 알렸는데 아나운서 멘트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lt무엇일까요gt를 대

표했다

그리고 lt무엇일까요gt의 중심인 퀴즈 단계는 대부분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가 lsquo극 양식을 통한 문제제시rarr사회자의 질문과 방청객의 해답rsquo의

앞 혹은 뒤에 마련되어 있다 lsquo문제와 관련된 노래rsquo는 공개방송 현장에서

KBS 라디오의 어린이노래회가 참여해 피아노 반주에 맞춰 직접 부르는

방식이었다 그 노래들은 어린이 프로그램에 걸맞게 동요 특히 창작동

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전쟁 이후 1960

년대에도 K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동요가 전략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

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시기 방송동요는 lsquo새롭고 아름다운 동요rsquo를

지향하며 매주 한두 곡 이상이 창작되어 방송되었는데88) 거기에는 인

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88) 전후복구기 KBS 라디오는 방송동요를 통해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불렸던 왜

색동요와 전시동요 대신 어린이 마음을 순화시키고 어린이생활을 대변하는 창

작동요 혹은 생활동요로의 전환을 꾀했다 KBS 라디오 ≪어린이시간≫만 하더

라도 lt노래모음gt lt노래교실gt lt이 주일의 동요gt 등 방송동요 관련 프로그램

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당시 어린이계를 담당했던 한용희 또한 동요 작곡가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32: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2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용문 ⑵의 lsquo추석의 노래rsquo처럼 각종 행사나 의식을 위한 창작동요도 적잖

았다 그러한 창작동요들이 극 양식과 결합하면서 lt무엇일까요gt의 공개

방송은 단순한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한 편의 공연을 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했다 때문에 방청객뿐 아니라 청취자 어린이들은 퀴즈 프로그램 특

유의 재미에 더해 다양한 양식의 공연을 즐기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었

을 것으로 보인다

4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와 의의

1960년대 들어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가도는 불안한 진행형이었다 공

개방송의 높은 참여율과 우위를 점하는 청취율은 여전해 보였지만 이면

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우선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 전반에서 드러난 허점들이 신뢰도를 하락

시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장수 프로그램의 내부 동력들이 오히려 사회적

논평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ldquo광범한 취재(取材)rdquo는 퀴즈문제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퀴즈 프로그램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던 것이 어린이 눈높이에 걸맞지 않은 난해한

문제를89) 비롯하여 유사 문제의 연속출제90)특정 과목의 편중과 지나치

게 적은 문제숫자91)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퀴즈문제가 단순 기

억력 위주로 재편되는 경향은 논란을 가중시켰다 그런 문제가 어린이들

의 사고력과 판단력 향상과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과 중학입시를 위

한 과외수업 문제를 편파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

로도 왕성하게 활동하였으며 그런 1950년대를 동요의 lsquo전성시대rsquo로 규정한 바

있다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89) 「꼬마에게 어려운 통신사 소재 문제」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316 8면

90)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20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111 6면

9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3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3

회적 비판에 직면했던 것이다92)

더욱이 lt무엇일까요gt 특유의 극 양식과 음악 양식의 합작은 ldquo퀴즈 노

래식의 공식rdquo으로 답보하는 양상을 띠고 말았다 어느 순간 손쉬운 대로

동요를 앞세워 식상한 틀에 갇힘으로써 성공적인 콘텐츠로서 퀴즈 프로

그램의 재미와 발랄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제작진

의 성실성과 전문성 문제가 연계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공무원 신분의

KBS 라디오 제작진은 안이한 제작태도 때문에 일반 청취자들에게 원성

이 잦았는데 이 시기 lt무엇일까요gt의 제작진도 거기에 합류하였을 가

능성이 높다 특히 강소천과 같은 작가의 부재는 lt무엇일까요gt만의 양

식을 발전시키고 새롭게 하는 데 적잖은 한계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

한 상황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청취자들이 바라는 lsquo낯선 친숙함rsquo을 제공

하지 못한 채 lsquo낯익은 공식rsquo만 반복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아나운서의 진행방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엉터리 문제풀이93) 근거

없는 정답자 변경94) 권위주의적 태도95) 부정확한 발음 미숙한 프로그

램 진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lt무

엇일까요gt 내부의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하락시켰다 하겠다

둘째 매체환경의 다변화 속에서 lt무엇일까요gt의 경쟁력이 약화되었

다는 점이다 1960년대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가 신설되던 국영방송

시대나 성공적으로 안착했던 국민영 방송시대와는 사뭇 달랐다 4ㆍ19

혁명과 5ㆍ16쿠데타를 거치면서 1960년대 매체환경은 다각화되었다

1961년 12월 MBC 라디오를 시작으로 1963년 4월 DBS 1964년 5월 라

디오 RSB96)가 속속 개국하면서 본격적인 민영 상업 방송시대를 열었

92)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3) 「「무엇일까요」시간 엉터리 산수풀이법」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126 8면

94) 「한 가지 대답인데 맞고 안 맞는 판단」 985172경향신문985173 196329 8면

95)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39호 방송조사연구실 편 방송관리국 1965717 6면

96) 동양방송은 개국 이래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64년 라디오서울 RSB는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3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2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다 게다가 1961년 12월 KBS-TV가 개국한 이후 1964년 12월 TBC-

TV 1969년 8월 MBC-TV가 속속 개국하면서 텔레비전방송에 힘을 싣

기 시작했다97) 1960년대는 본격적인 라디오시대를 맞이한 동시에 새로

운 텔레비전 시대를 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 간의

새로운 경쟁구도에 직면해 있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가릴 것 없이

방송국들이 개국할 때마다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한 어린이 퀴즈 프

로그램을 신설하였던 까닭이다 그 가운데 성공적인 퀴즈 프로그램은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과 TBC-TV의 ≪퀴즈올림픽≫이

대표적이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일찍이 HLKZ-TV

에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방송했다가 중단된 프로그램을 다

시금 라디오매체로 재매개한 것이다 게다가 lt무엇일까요gt의 사회자

였던 인기 아나운서 강영숙을 다시 사회자로 내세웠다 MBC 라디오의

≪누가 먼저 맞추나≫는 청취자들과의 lsquo친숙성rsquo을 상업적 전략으로 삼았

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1962년 당시 ≪누가 먼저 맞추나≫는 MBC

라디오와 KBS-TV에서 동명의 공개방송 퀴즈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었다 KBS-TV는 같은 해 9월부터 일자를 조정하여 두 방송국 모두

일요일에 공개방송이 진행되는 상황을 만드는가 하면 lt무엇일까요gt와

달리 출연자에게 상품을 공식적으로 내걸기까지 했다98) 그만큼 ≪누가

먼저 맞추나≫을 둘러싼 두 방송국의 각축전이 치열했던 셈이지만99)

JBS에 이어 TBC로 바뀌었다 텔레비전 방송도 마찬가지였는데 동양방송

D-TV로 개국하였지만 곧이어 JBS-TV TBC-TV로 개명하였다 일련의 개명

과정은 삼성그룹이 방송사에 이어 신문사를 설립하면서 lsquo라디오서울방송 주식

회사rarr중앙라디오방송 주식회사rarr주식회사 중앙방송rsquo으로 확장하는 과정과 함

께 한다

97)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쪽과 168-181쪽 참조

98) 「누가 먼저 맞추나」 985172KBS연감 1963985173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3 208쪽

99) 이러한 상황은 청취자들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듯하다 1970년대 TBC-TV에서 ≪누가 먼저 맞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35: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5

두 방송국 모두 오랜 기간 방송되지는 못했다

그리고 TBC-TV의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방송국의 프로그램명

과 포맷 모두 벤치마킹한 경우에 해당된다 ≪퀴즈올림픽≫은 서울중앙

방송국의 장수 퀴즈 프로그램 ≪재치만담≫의 과거 프로그램명을100) 그

대로 끌어오는 동시에 신설 당시 lt무엇일까요gt를 벤치마킹하여 중학

입시에 나옴직한 시험문제들을 두고 학교별 대항전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퀴즈올림픽≫은 lt무엇일까요gt의 포맷을 거의 변형하지 않은 탓에

텔레비전 매체에 걸맞은 시각적 재미를 청취자들에게 이끌어내지 못했

다101) 그런데도 학교별 대항전이 내장한 출신학교의 명예와 민영 상업

방송다운 상당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적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연말

왕중왕전은 분기별 장원전과 더불어 대대적 홍보 속에 특별 공개방송을

진행해 그러한 분위기를 이어나갔다 이렇듯 신설 방송국들은 lt무엇일

까요gt를 벤치마킹하거나 재매개하여 청취자들에게 lsquo친숙성rsquo을 확보하고

여기에 상업적 전략과 경쟁적 분위기를 더해 인기도를 높여 나갔다 이

러한 상황은 1950년대 lt무엇일까요gt의 독보적 위상을 위축시키는 동시

에 경쟁적 구도를 형성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lt무엇일까요gt는 KBS-TV와의 경쟁력에서도 점차 뒤

지고 있었다 KBS-TV 개국 당시 lt무엇일까요gt에 대당한 ≪누가 먼저

맞추나≫102)가 신설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적확

추나≫를 또 다시 벤치마킹한 것도 그러한 이유가 적잖아 보인다

100) ≪재치문답≫은 1948년 신설된 서울중앙방송국의 퀴즈 프로그램 ≪스무고개≫

에서 출발하여 ≪천문만답≫ ≪퀴즈올림픽≫ 등의 변형을 거쳐 1960년대 중반

에 사용된 프로그램명이다 「방송 장수 프로⑷-성년된 첫 공개퀴즈프로 중앙

방송 「재치문답」」 985172동아일보985173 1967530 5면

101)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제69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321 6

102) KBS-TV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미리 배부된 방청권에 의해서 스튜디오에

모인 약 100여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공개방송이 진행되었다 방송내용은 노래

부르기 문제 알아맞히기 재미나는 놀이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송문

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208쪽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36: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26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하게 제시된 바 없지만 앞서 살폈듯이 MBC 라디오의 동명 프로그램과

의 경쟁 구도가 한 몫을 담당했다 그럼에도 이 시기 TV수상기의 보급

이 매우 열악했다는 점과 텔레비전매체에 걸맞은 제작방식에 미숙했던

점 등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1960년 중반 이후 상황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1962년 공보실

조사국과 1966년 방송문화연구실에서 각각 실시한 lsquo라디오청취율조사rsquo의

비교 결과에 주목해보자 1962년만 해도 라디오청취율 변화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이 주로 ldquo생활시간과 방송내용rdquo이었는데 1966년 조사결과는 ldquo두

조건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는 요건으로서 텔레비전의 영향rdquo103)을 직접

거론하고 있다 1967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은 전국 라디오수신기 보급의

18와 TV수상기 보급의 87를 차지하였다 다르게는 서울 시민들은

라디오 한 대에 3명이 청취하고 TV시청은 한 대에 4명이 보는 셈이 된

다104) 1960년대 중반만 해도 TV수상기 보급이 서울지역에 편중되었던

셈인데 그만큼 서울지역만은 텔레비전방송의 영향력이 라디오방송 못

지않게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S-TV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위상을 다르게 자리

매김하게 한다 공개방송이 대부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까닭

이다 이즈음 KBS-TV는 ldquo퀴즈공개방송rdquo lt누가 누가 잘하나gt를 방송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방송에서 어린이들의 노래솜씨를 뽐

내는 장수프로그램 lt누가 누가 잘하나gt에서 명칭을 lt무엇일까요gt에

서 퀴즈 프로그램 포맷을 각각 벤치마킹하였다 텔레비전매체의 제작이

미숙한데도105)이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와 같은 수요일에 방송을 이

103) 「조사연구 최근의 라디오」 985172방송985173 제90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

리국 19661114 5면

104) 「이것이 서울이다⒆-라디오ㆍTV」 985172매일경제985173 1967921 3면

105) KBS-TV에서 방송된 lt누가 누가 잘하나gt는 노래와 퀴즈에만 의존하는 구성

방식 수준 낮은 출연자와 미숙한 사회자 미숙한 촬영방식 시각적 요소가 적

은 라디오적 요소 등 제작 전반에서 비판적 논평이 많았다 「모니터」 985172방송985173제67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27 6면 「모니터」 985172방송98517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37: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7

어나갔다 그러니까 라디오매체가 강성했던 시기 lt무엇일까요gt가 여전

히 맹위를 떨치면서 텔레비전 포맷을 적용했던 lt누가 먼저 맞추나gt는

폐지 수순을 밟았던 데 반해 1966년 상황에서는 장수 프로그램 lt무엇일

까요gt가 유사 포맷의 텔레비전방송 lt누가 누가 잘하나gt의 신설로 폐지

위기에 직면했던 듯하다 이렇듯 다변화된 매체환경은 lt무엇일까요gt의

굳건했던 자리도 흔들어놓을 만큼 위력적이었던 셈이다

셋째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결정적 변수로 작용하였다는 점

이다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에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

아 중학입시제도와 연계시킨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함께 사회 전반에

초등교육에 대한 높은 교육열이 팽배하면서 퀴즈 프로그램 lt무엇일까

요gt의 참가율과 청취율이 높아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ldquo라

디오를 듣고 어린이 방송에도 한 번 못나간다고 눈총을 주는 어머니

들rdquo106)의 경쟁 탓에 어린이들이 심리적 압박을 받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가운데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 점차 힘을 얻어

갔다 어린이 청취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퀴즈 프로그램에서 일련의 변화

를 꾀하는 것이었다 어린이세계에서 오락은 창의력의 배양이며 삶의 원

동력이라는 점107) 오락방송은 정서 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108)

그래서 퀴즈 프로그램은 교육을 앞세워 경쟁심을 부추기기보다 어린이

정서에 치중한 오락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9) 1960년대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퀴즈 프로그램의 오락성은 상업성 문제와 결부

제73호 방송문화연구실 편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652 6면

106) 박순녀 「어린이와 라디오를 통해서 느낀 점」 985172방송985173 제3권 제2호 공보실 방

송관리국 19582 63쪽

107) 오소백 「생활과 오락방송」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7

108) 윤봉림 「오락방송과 청취자의 심리」 985172방송985173 제2권 제7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77 8쪽

109) 윤태림 「어린이시간과 어린이의 실생활-라디오가 미치는 영향」 985172방송985173 제4권

제4호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9년 여름 15쪽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38: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28 한국문학논총 제77집

되어 새롭게 담론화되었고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도 예외가 아

니었다

하지만 더 큰 변수는 중학입시제도에 놓여 있었다 새로운 매체환경에

서 제작되었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들은 어김없이 중학입시제도의 연

장선에 놓여 있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lt무엇일까요gt보다 더 밀착된 중

학교 입시문제 강화된 경쟁구도 높아진 상품 가치 등으로 논란이 되었

다 여기에 중학입시제도로 인한 어린이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과 단순

기억력 위주의 지식 습득 등에 대한 비판이 가세하였다 더욱이 lsquo의무교

육 6개년계획rsquo의 성공적 결과로 1960년대 중반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

위기가 거세졌다 이러한 가운데 성장 동력이 약화된 lt무엇일까요gt는

1969년 중학입시제도 전면 폐지를 앞두고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 lt무엇일까요gt의 한계들은 달라진 매체환

경과 사회분위기 속에서 본연의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과정의 산물이었

그럼에도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 lt무엇일까요gt는 어

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이 프로그램은 lt누가 누가 잘하나gt와 더불어 KBS 라디오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라디오방송을 넘

어 텔레비전방송에서도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라디오게임≫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활성화하

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교육과 재미를 결합하는 방

식에서 여느 퀴즈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두드러지게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면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후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퀴즈의 내용으로 삼

았고 광범위한 취재와 지속적인 변화를 꾀하며 당시 초등교육정책 및

중학입시제도와 연계해갔다 국영방송체제에서 lt무엇일까요gt가 교육정

책에 대한 프로파간다로 역할을 담당했던 지점이자 전후 높은 교육열과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39: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29

접점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lt무엇일까요gt의 성장 동력이자 한계

라는 역설적 위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니까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이 국영

방송체제의 한계 속에서 성쇠를 함께 했던 것이다 한편으로 어린이 퀴

즈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방송제도의 자율성이 담보될 때 비로소 가능하

다는 점을 환기시켜주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입시제도 중심으로 재편된

한국의 교육사회에서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을 약화시키는 대신 중고등

학생 퀴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형식적 측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다양한 라디오 포맷과 양식

들을 활용하여 청취자 어린이들에게 퀴즈 프로그램의 재미를 제공하였

다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적 제작진이 앞장선 까닭도 있겠지만

lt무엇일까요gt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만의 재미를 특성화하였다 대중

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시켜 방청객과 청취자 어린

이들에게 교육적 재미에 더하는 경쟁적 재미와 자기평가의 재미를 성취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문제제시 방식에 극과 동요 양식을 결합

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고 즐기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특유의 재미를 창출하는 방식이었지만 오히려 답보된 제

작방식이 퀴즈 프로그램의 발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어

린이로 특정된 청취자층과 퀴즈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

이 잇따를 때에만 lt무엇일까요gt의 진면목을 유지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텔레비전매체로의 전환 국면에서 lt무엇일까요gt는 위축되어

갔다 1960년대 중반에 이미 텔레비전 시대에 걸맞은 어린이 퀴즈 프로

그램이 요구되었지만 라디오매체의 한계 속에서 제도교육의 견고함과

자본을 앞세운 상업성에 떠밀려 패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현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은 에듀테인먼트로 거듭나고 있다 다매체시대 에듀테인

먼트의 경쟁력은 라디오시대 lt무엇일까요gt의 성공 동력 혹은 한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lt무엇일까요gt는 에듀테인

먼트의 새로운 활로 모색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4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30 한국문학논총 제77집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공보실 방송관리국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실 방송관리국 19569-196312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985173 춘조사 1963

김석호 편 985172(HLKA 퀴즈프로 라디오게임) 지식의 광장(속편)985173 춘조사

1964

박일암 엮음 985172HLKA 어린이방송 무엇일까요985173 아림출판사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2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1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KBS연감 1963985173 사단법인 한국방송문화협회 1962

방송문화연구실 편 985172방송985173 공보부 방송관리국 19647-196612

최일환 편 985172HLKA 라디오께임-문제와 해답985173 아림출판사 1962

한국방송사 편찬위원회 985172한국방송사985173 한국방송공사 1977

한용희최준철 985172방송국이야기985173 배영사 1967

985172경향신문985173 985172동아일보985173 985172조선일보985173 985172한국일보985173 985172서울신문985173 195311 -19691231

2 2차 자료

노정팔 985172한국방송과 50년985173 나남출판 1995 212 246-247 261쪽

김승월 985172라디오 프로그램 포맷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8-61쪽

김영봉 외 985172교육학개론985173 서현사 2007 168쪽

김재춘 외 985172교육과정과 교육평가985173 교육과학사 2017 46-48쪽

김현주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의 이용행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4

노영선 「텔레비전 퀴즈쇼에 나타난 놀이기능의 서사구조 분석」 985172지방

자치연구985173 제18집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 2014 1-27쪽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41: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1

박천환ㆍ박채형 「우리나라 의무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985172논문집985173 제2

권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0 8-12쪽

방송문화진흥회 편 985172방송대사전985173 나남 1990 62 871쪽

손미령 「TV 퀴즈 프로그램의 유희성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손범수 「복합장르 프로그램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신창섭 985172방송법 50년 약사985173 생각나눔 2014 제2장 제3절

윤일기 「미국 영국 독일의 퀴즈쇼 열풍과 한국의 퀴즈쇼 반응 저변에

깔려있는 문화적 차이」 985172경영연구985173 제4권 남서울대 경영연구

센터 2002 144-160쪽

이덕근 「제13화 방송 50년(19)」 985172중앙일보985173 1971626 5쪽

이영돈 985172영상콘텐츠 제작사전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쪽

정재선 「해방ㆍ국가재건기(1945-1959) 의무교육 정책의 추이와 초등교

육의 강화」 서울대 석사논문 2014

정현승 「의무교육제도의 법적 고찰」 985172교육사학연구985173 제14권 제1호 대

한교육법학회 2002 146-147쪽

최미진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1)」 985172대중

서사연구985173 제20권 제1호 대중서사학회 2014 160-161쪽

______ 「라디오방송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문학의 자리(2)」 985172한국

문학논총985173 제73집 한국문학회 2016 393쪽

최은영 「lsquo이데올로기적 주체rsquo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1994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제1차 및 제2차 국

가교육과정의 재평가」 985172한국교육사학985173 제39권 제2호 한국교육

사학회 2017 140쪽

최창봉ㆍ강현두 985172우리방송 100년985173 현암사 2001 152-161 168-181쪽

최창섭 985172한국방송론985173 나남 1985 201-208쪽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42: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32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한용희 985172한국동요음악사985173 세광음악출판사 1988 127-141쪽

한진만 985172방송 편성 전략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0쪽

함종규 「한국 중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985172논문집985173 제

21권 숙명여대 1981 82-95쪽

앤 쿠퍼 첸 이영음 옮김 985172지구촌 게임쇼985173 한국방송개발원 1996

35-36 188-190 282-292 303쪽

피터 버크 박광식 옮김 985172지식985173 현실문화연구 2006 28 145-157쪽

John Fiske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4

pp206-207

Hal Himmelstein Television Myth and the American Mind New

York Praeger 1984 p243

Harry Waters ldquoWhat a Dealrdquo Newsweek 9 Feb 1987 p64

Paul F Lazarsfeld Radio and the printed page Dull Sloan and

Pearge New York 1971 pp66-87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그때 그 공개방송 그 목소리와 그 사진」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무엇일까요 누가 누가 잘하나 mp3」 블로그 lsquo춘하추동방송rsquo

httpblogdaumnetjc21th17781350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43: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3

ltAbstractgt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110)Choi Mi-Jin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rsquos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rsquo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ltWhat is itg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44: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43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rsquo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lsquoquestion-answerrsquo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ltWhat is itg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ltWhat is itg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ltWhat is itgt along with ltWho is

goodgt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rsquos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45: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435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Key Words 1950-60s radio broadcasting children quiz program

ltWhat is itgt media system education propaganda

fun format form drama benchmarking re-mediation

논문 수 2017년 11월 20일

심사완료 2017년 12월 11일

게재확정 2017년 12월 18일

Page 46: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394 한국문학논총 제77집 행자의 질문과 힌트를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을 추론하는 일종의 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