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998; 38:835-841 CT : CT : : 1- 2cm CT : CT l CT CT CT %

초기 우측 대장게설염의 CT 소견1 · 과 상행대장에서만 일부에서 특정적으로 관찰되는데 대개 단발 성이고 다발성에 비해 크기가 크고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초기 우측 대장게설염의 CT 소견1 · 과 상행대장에서만 일부에서 특정적으로 관찰되는데 대개 단발 성이고 다발성에 비해 크기가 크고

[H한빙시선의학회지 1998; 38 :835-841

초기 우측 대장게설염의 CT 소견1

이 종 화·함 수 연·황 강 익

목 적 : 한국인에서 많은 우측 대장게실염의 CT 소견을 알아보고 서양언에서 많은 좌측

특히 S자 결장과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우하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응급 초음파 검사상 정

상 충수돌기를 확인하고 급성 대장게실염을 의심한 후 24시간 이내에 CT를 시행한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를 2명의 방사선과 의사가 분석하였다. CT와 동일한 부위에서

염증게실을 확인하기 위해서 추적 검사로는 10명의 환자에서 바리웅 대장검사를 실시하였

다.

결 과 : 모든 예에서 단발성 게설염을 관찰할 수 있었다.9예가 상행 결장에서, 4예가 맹

장을 침범하였으며 특정적으로 11예가 회맹판 주위에서 발생하였다. 염증 게실의 최대 크기

는 1cm이하가 3예, 1-2cm 사이가 5예, 2 - 3cm 사이가 3예, 3-4cm 사이가 2예를 각각 차

지하였다.염증게실들의 형태를크게 2가지 유형으로구분할수있었는데 , 3예(크기 1- 2cm 사이)는 결절성 모양으로 내강을 가지지 않고 대장벽보다는 상대적으로 약간의 비균질성

고음영을 보였고, 10예는 내강과 두꺼운 벽으로 구성된 과녁 형태를 보였는데 이 중 5예의

벽은 부분 흑은 전체적인 다층구조로 관찰되었다. 내강을 채우는 물질들은 5예가 가스, 2예

가 석회화, 3예가 액체를 포함하였다. 그 외 CT상 관찰되는 소견으로는, 12예 (92%)에서 염

증 게실 주위 지방층의 염증성 침윤을 보였고, 11예 (85% ) 에서 두께 4 -22mm의 대장벽 비

후, 5예 (39%)에서 비염증 게실들을, 3예 (23%)에서 단경 5mm이상 3개이상의 장간막 임파

선 종대를, 3예 (23%)에서 맹장 주위 유리 액체 저류, 2예(15%)에서 신장주위 근막의 비후

가 각각 관찰되였다. 추적 검사로서 10예에서 대장조영술이 시행되었는데 모든 예에서 CT 상에서 관찰된 부위와 동일한 장소에서 게실염을 시사할 수 있는 변형된 게설의 충만을 확

인하였다.

결 론 : 우측 초기 대장게실염의 여러 CT 소견 중 가장 중요한 병리진단적인 소견은 염 증 게실 자체로서, 그 형태는 괴사성 게실염을 포함해서 다양하였다. 하지만 한국인의 대장

게실염은 현실적으로 우하복부 동통에 대한 원할한 영상검사와 S자 결장과는 다른 해부학

적인차이로중증의 게실엽은경험하기 힘들것으로생각된다.

대장게실염은 서구인에게는 좌측에 많으나 한국인에게는 우

측에 훨씬 많아서 우하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주요

한 감별진단에 포함된다(1 -2). 수술을 필요로 하는 급성 충수

돌기염괴는 달리 경증 급성 대장게실염을 포함하여, 장간막 임

파선염, 염증성 및 감염성 대장염, 복막수염등은 우선 내과적

치료를 요하므로 감별진단이 필요하고 초음파 및 전산화 단층

촬영 (이하 CT)이 중요한 영상진단술이 된다. 우하복부 급성

통증 질환의 감벌을 위하여 응급 상태에서 대중적으로 시행되

는 장초음파의 경우 급성 대장게실염의 진단 및 감별에 대한 유

l 울산대 학교맹 원 진단방사선과 이 논문은 1998년 2웰 11 일 접수하여 1998년 3월 25일에 채택되었음

용성은 잘 알려져 있으나(3-11) , CT의 경우는 지금까지의 주

요한 소견들이 서구언에게 많은 좌측 대장 주로 S자 결장의 게

설염을 대상으로 재래식 CT 기종을 사용하여 분석된 소견들이 다. 따라서 한국인의 우측 급성 대장게실염을 대상으로 나선식

모드를 장착한 초고속 고해상력의 CT를 무통작 방법으로 시행

했을 때 질병의 소견이나 진행단계에서 과거의 소견과 약간의

차이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저자들은 우측 대장게실염

의 CT 소견을 새롭게 분석하여 그 소견들의 의의를 조명해보

고 CT 소견상 다른 질환과의 감별점을 재검토하여 보았다.

%

Page 2: 초기 우측 대장게설염의 CT 소견1 · 과 상행대장에서만 일부에서 특정적으로 관찰되는데 대개 단발 성이고 다발성에 비해 크기가 크고

대상및방법

1996년 2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우하측 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임상적 소견 및 증상에 근거하여 급성 충수돌기염을

의섬하여 응급 초음파가 의뢰된 환자들 중 정상적인 충수돌기

를확인하여 급성 충수돌기염을배재하고그다음맹장및 상행

결장의 조사 중 게실염을 시사할 수 있는 비후된 대장벽으로 부

터의 국소적 돌출성 병변을 관찰하여 대장게실염으로 일차 진

단한 후 즉각 24시간 이내에 CT 촬영을 하였던 13예의 환자들

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는 남자 7명, 여자 6명으로 구성되

였고연령 분포는 30세에서 43세였으며 평균연령은 34세 였다.

초음파 겸사는 특별한 전처치 없이 5 흑은 7.5MHz linear

transducer(Acuson 128 XP /10, Mountain view, Califor­

nia, USA)를 사용하였으며 우하복부를 graded compression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대장게설염의 초음파상 진단은 저에코성

의 대장 비후, 그 곳에서부터 국소적으로 돌출된 저에코 혹은

고에코성 병변, 게설 주위 지방층의 침윤등을 관찰함으로써 이

루어졌다.

13명의 환자들 모두의 CT 검사는 초음파 검사 후 그 당시와

가장 근접한 형태적 소견을 얻도록 하기 위해서 24시간 이내에

시행하였다. 사용된 기기는 Somatom plus 4B(Siemens Med­

i cal s ys tem, Erlangen, Ger many )이며 경구용 조영제나 물은

사용하지 않았고 150ml의 비이온성 혈관 조영제 (300mgI / ml,

Ultravist, Schering, Seoul, Korea) 로 급속 정 맥 주사 후 횡 격

막부터 ̂ d--골반부까지 절편 두께 5-8mm로 2명에서는 나선식

스캔으로, 그리고 11명에서는 두세 번의 호흡정지로 나눈 연속

촬영기법으로 얻었다. 각 환자의 CT 영상은 두 명의 방사선과

의사에 의해서 발생한 위치, 염증 게실, 대장벽의 비후, 대장 주

위 지방층의 염증성 침윤,대장주위 및 다른부위의 농양,장간

막 임파선 종대, 미만성 복막염, 장천공, 장폐색, 장누공 등의 소

견등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이견은 서로의 합의에 의해서 조절

되었다.

추적검사로는 3명을 제외한 10명의 환자에서 바리웅 대장 검

사를 실시하였는데 이 중 9명은 CT 촬영 후 3-24일사이에 실

A B

이종화 오1: 초기 무측 [H장게실염의 CT

시하였다. 대장검사의 목적은 초음파 및 CT 영상에서 의심되

는 대장의 위치에서 바라움으로 충만되는 염증게실을 확증하는

것이며 다른 동반된 게실들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결 과

총 13예의 환자들 모두는 우하복부의 국소적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응급 초음파를 시행하기까지의 평균 일수 2.5일

이였다. 다른 임상증상 빛 소견으로 백혈구 증가(8/13, 61%) ,

발열 (7/13, 53%) 반발압통(6/13, 46%) 등을 동반하였으나

이러한 증상 및 소견만으로는 이학적 검사상 급성 충수돌기염

과의 감별이 불가능하였다.CT는 모든 우측 대장 게실염에 대

해서 진단적이었다. 모든 예는 단발성이었으며 9예가 상행결장

을, 4예가 맹장을 침범하였는데 특정적으로 이 중 8예가 회맹판

의 직상방 전내측면에서, 3예가 그것의 직하방 후내측면에서

관찰되었다.CT상 가장 흔한 대장게실염의 방사선과적 소견은

대장벽에서의 국소성 돌출성 병변(염증 게설) 자체로서 모든

예(100%)에서 관찰되었다. 염증 게실의 최대 크기는 lcm 이

하가 3예, 1-2cm 사이가 5예, 2-3cm 사이가 3예, 3-4cm 사

이가 2예를 각각 차지하였다. 염증 게실 자체의 형태는 10예가

두꺼운 벽과 내강을 보이는 과녁 모양이었으며 그 벽 두께가 최

고 14mm까지 관찰되었으며 (Fig. 1) , 나머지 1-2cm 크기의 3

예는 내강을 거의 인식할 수 없는 비균질적 음영의 결절성 모양

을 보였다(Fig.2). 내강을 보이는 염증 게실 10예 중 5예는 벽

내부가 부분 혹은 전체적인 불균질 혹은 다층구조를 보였는데

이 중 2예에서는 게실벽내 가스가 관찰되었으며, 나머지 5예은

단층의 상대척인 고음영의 두꺼운 벽으로 관찰되었다. 내강을

채우는 물질들은 5예가 가스, 2예가 분석, 3예가 액체를 포함하

였다. 가장 크기가 컸던 두 염증게실은 가장 투렷한 과녁 형태

와 게실벽 다층구조, 벽내 가스, 가스로 채워진 내강등의 소견

을보여 “급성 괴사성 게실염”으로명명할수있었다.가시성에

있어서, 상행결장에서 발생한 9예의 염증 게실들은 염증성 침

윤을 일으킨 대장주위 지방과 잘 대비되므로 대장팽출과는 별

개의 비정상적인 구조물로서 인지하기 쉬웠다. 하지만 회맹판

의 하방에서 발생한 4예는인접한회맹판,충수돌기 빛 말단회

Fig. 1. Target-form lesion: A. The ascending colonic wall at the 3cm upper level of ileocecal valve shows

• moderate edematous thickening. The upper border of inflamed di­verticulum{arrows) is noted within the pericolic fat. B. Target-form lesion: There is a 3.5 cm large gas-filled inflamed diver­ticulurr배rrow) arising from the ant­

~ eromedial wall of ascending colon just above the ileocecal valve. The inflamed diverticular wall is multi-

layered with ir따amural gas{ “ gangrenous diverticulitis "). Peridiverticular fat infilteration is inconspicuous.

- 836 -

Page 3: 초기 우측 대장게설염의 CT 소견1 · 과 상행대장에서만 일부에서 특정적으로 관찰되는데 대개 단발 성이고 다발성에 비해 크기가 크고

대한방시선의학회지 1998; 38: 835-841

갖 3 4 Fig. 2. Nodular-form lesion: There is a 1. 5cm oval nodular inflamed diverticulum(arrow) with some inhomogenous den­sity arising from the anteromedial wall of ascending colon around the ileocecal valve. Mild pericolonic fat infiltrations and mild colonic wall and ileocecal valve thickenings are associated Fig. 3. There is a 2.5cm fluid-filled cecal inflamed diverticulum. In spite of relatively scant pericecal fa t, the lesion is well demonstratable with hyperattenuation and moderate peridiverticular fat infiltration(solid arrow). Normal appen­dix(open arrow) is visible between terminal ileum and inflamed diverticulum Fig. 4. Inflamed vs not-inflamed diverticula : A 1. 8cm gas-filled target-form inflamed diverticulum is well demonstrated beside the ileocecal valve(open arrow). Two thin-walled intact diverticula are notable at opposite wall.

Fig. S. Follow-up barium colon study 7 days after CT scanning for an inflamed diverticulum. Single deformed barium-filled outpouching suggestive of diverticulitis is well demonstrated in the same location with CT.

장등으로 인한 상대적인 해부학적 복잡성과 빈의댁} 대장주위

지방층으로 상행결장에 비해 대비성이 떨어졌으나 염증성 부종

으로 인한 상대적 저음영성 비후를 보이는 맹장에 비해 고음영

성 돌출 구조물로서 진단이 가능하였다(Fig . 3 ) .

그 다음 가장 흔한 소견은 염증 게실에 이웃하고 있는 지방층

내에 불명확한 연조직성 혹은 선상의 음영으로 관찰되는 대장

주위 지방층의 염증성 침윤으로 12예 (92% )에서 관찰되였다.

Table 1. CT Features of Early Right Colonic Diverticulitis in 13 Patients

Inflamed diverticulum

Periccolonic fat infilteration

Colonic wall thickening

Associated diverticula

Free pericecal fluid

Mesenteric lymph node enlargement

Perirenal fascial thickening

No. of cases( % )

13(100)

12( 92)

11 ( 85)

5( 39)

3( 23)

3( 15)

2( 15)

그리고대장벽내 부종성 저음영을보이는두께 4mm 이상의 인

접한 대장벽의 비후가 II예 ( 85% )에서 관찰되었는데 최고

22mm 까지 측정되었다. 그 외 동반 소견으로, 다른 정상척 게

실들의 발견이 5예 ( 39%) (Fig. 4) 에서, 단경 5mm이상으로 3

개 이상의 장간막 임파선 종대가 3예 (23%)에서, 맹장 주위 자

유 액체 저류가 3예 (23%) 에서, 신장 주위 근막 비후가 2예 (1 5

%)에서 각각 관찰되었다(Table 1). 하지만 대장주위 지방층과

연결되지 않는 다른 부위의 농양, 대장 자유 천공, 장폐색, 장누

공 등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내강을 가지지 않은 결절성 염증 게실 자체의 크기가 상대적

으로 작은 것으로 관찰되나 이 그룹과 내강을 가지는 상대적으

로 크기가 큰 염증 게실을 가진 그룹사이에 최초 임상증상 발현

부터 CT 검사까지의 평균시간에 대한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대장조영술은 모두 10예에서 추적검사로써 시행하였는데 최

초 응급실을 방문하여 초음파 및 CT 검사를 시행한 후 최초 3 일에서 24일사이에 시행되었다. 대장조영숭 모두에서 초음파

및 CT에서 관찰한 동일한 장소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l 잉

Page 4: 초기 우측 대장게설염의 CT 소견1 · 과 상행대장에서만 일부에서 특정적으로 관찰되는데 대개 단발 성이고 다발성에 비해 크기가 크고

게실염을 시사할 수 있는 변형된 염증게실들을 발견하였다

(Fig. 5). 1예는 대장조영술을 2번 시행하였는데 최초 3일만에

실시한 검사에서는 게설 자체는 관찰되지 않았고 의성되는 지

역에 변형된 대장팽출만 관찰되었으나 4일 후 이차 검사에서는

통일한 부위에서 변형된 게설을 확인하였다. 총 10예 중 5예는

다른 부위에서도 게실이 다발성으로 관찰되었고 나머지 5예는

하나의 게실에서 발병하였다고 판단되었다.

고 찰

대장게실은 선천적 유약성에 의하여 장벽 전층으로 구성된

진성(선천성) 게실과 대장점막이 장벽 근육의 약한 부위나 결

손부위를 통하여 대장주위 지방조직으로 돌출한 점막층으로만

구성된 가성(후천성) 게실로구분할수있다.진성 게실은맹장

과 상행대장에서만 일부에서 특정적으로 관찰되는데 대개 단발

성이고 다발성에 비해 크기가 크고 목이 더 넓으며, 가성 게실

은 좌우측대장 모두에서 저섬유성 식생활, 변비, 대장내압의 증

가, 장운동의 이상, 과민성 대장증후군 등의 후천적 요인이 관

련되어 주로 다발성으로 생기며 서양과는 탈리 동양에서는 좌

측대장보다는 우측에서 더 흔하다(1 , 12 - 15). 대장 게실 질환

의 경과는 다양하고 약 15-30%에서 게실염을 일으키는데, 게

실 소냥의 내부에 분변물은쉽게 차지만좁은경부때문에 느리

게 방출되는데 만약에 경부가 막히연 세균증식과 점액 분비로

게실의 팽창과 염증(게실염)이 일어나게 된다. 게실염의 양상

은 다양한데, 초기 게실염에서는 염증 과정이 대장 장막내에 국

한되어 있고 대장주위 지방층으로의 현미경학적 천공들이 잘

차단되어 있어 국소적 질환만이 형성되지만, 계속된 감염과 염

증이 지속되면 미만성 복막염 , 농양 형성, 자유 천공, 장폐색, 장

누공 등의 합병증들을 일으키게 된다(16). 대부분의 환자는 입

원치료를 요하며 , 경증의 게실염은 대증적 치료로 성공적으로

치유될 수 있으나 집중적인 내과적 치료에도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 급성 게실염이 재휩}는 경우, 그리고 미만성 복막염, 농

양, 지속적 장폐색, 장누공 등이 합병된 중증인 경우 수술적 중

재가 필요하다(16-18).

우측 대장게실염은 동양인에게는 드물지 않은 질환으로 초기

발병시 우하복부 동통, 압통, 발열, 백혈구증기등의 임상적 증

상 및 소견등이 진단을 시사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것들은 비특이

적이기 때문에 급성 충수 돌기염, 다른 염증성 장질환, 장간막

임파선염, 복막수염 등의 질환들과 임상적으로는 감별하기가

어렵다(19-25). 특히 저자들의 경우 우측 대장게실염들이 대

부분(12/13, 92%) 회맹장 문합부 주위 및 맹장 첨부에서 발생

하여 이학적 검사상 급성 충수돌기염과 감별이 불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대장 게실염의 조기 확정은 환자의 적절한 처

리에 필수적이므로방사선과적 영상검사는게실염의 진단을확

정짓고 그 위치와 정도의 파악 및 농양, 대장벽 누공, 장폐색,

장파열등의 합병증을 정확히 동정함으로써 내과 빛 외과적 치

료를 결정하도록 돕기 위해서 적절히 실시하여야 된다.

1985년 Parulekar에 의한 대장게실염에 대한 초음파의 첫 방

법론적 묘사 후 초음파의 유용성은 잘 알려져 왔다. 저에코성의

이종화 오1 : 초기 무측 대장게실엽의 CT

대장벽 비후, 그 콧에서부터의 저에코 혹은 고에코성의 돌출성

병변, 대장주위 지방층의 고에코성 침윤, 대장 주위 농양 및 액

체 저류, 대장 주위 임파선 종대 등이 대장 게실엽의 진단을 시

사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외의 대장게실염에 대한 보고에서 가

장 진단적이라고 알려진 염증 게실 자체의 발견에 대한 초음파

검사의 수술전 혹은 내과적 치료전 진단율의 보고는 18-97%

정도로 다양하여 대장 초음파를 실시하는 사람의 숙련 정도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일 수 있다(3-11) . 또한 현실적으로 숙

련도와 주관성에 좌우되는 대장 초음파 검사는 상대적으로 객

관성을 가지는 CT 검사에 비해 럴 대중적이고, CT가 환자의 응급성 초기 검사로서 먼저 시행될 수도 있고, 초기 우측 대장

게섣염에 대한 CT 소견의 보고도 국내외적으로 드물다. 또한 게실염에 대한 CT의 장점도 잘 알려져 있는데, 대장벽과 주위

조직을 침범하는 염증의 정확한 위치를 보여줄 수 있고 대장주

위 지방층의 염증성 변화를 단순한 대장주위 부종에서부터 순

수한 농양형성까지 구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장이외에도

다른 부위도 동정할 수 있고 대장주위 농양의 경피적 혹은 수술

적 배농을 계획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16, 22, 32) .

과거 보고들에서 CT상 대장게실염의 가장 흔하고 의미 있는

이상 소견은 게실주위염을 시사하는 대장주위 지방층의 침윤으

로, 보고에 따라 약 50 -100%의 다양한 차이를 보였고 그 외

다른 대장게실들, 대장벽의 비후, 대장벽내 빛 주위 액체저류,

대장에서 떨어진 부위의 농양, 복막염, 장누공, 장폐색등을 관

찰할 수 있다고 하였다(22 - 34) . Neff 등은 Hinchey 등이 “천

공성 게실 질환에”대해 정의한외과적 4 단계 분류에 기초하여

약간의 방사선과적 개념을 추가한 후 “게실염”에 대한 CT상 5 단계 분류를 소개하였다(27) . Stage 0는 Neff 등이 추가한 단

계로 장벽내에 국한된 염증성 질환이며, Stage 1은 장간막에 국

한된 직경 3cm 이하의 국소성 농양이나 봉와종으로 대장주위

지방조직의 염증성 침윤이 동반된 소견으로, Stage 1 이하의 치

료는 대개가 항생제 치료를 포함한 7-10일간의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한다고 하였다.8자 결장의 장간막을 뚫고 다른부위로

염증이 파급되면서 골반강 장기들에 의해서 차단되어 5-15cm

의 큰 농양을 형성한 시기가 Stage n 이며, 그 골반강 농양이

더 파급되어 복막강의 다른 부위나 후복막강을 침범했을 때가

Stage III , 그리고 큰 게실 천공에 의한 심한 미만성 복막염과

폐혈증을 보일 때가 8tage N이다. 중증 혹은 합병성 게실염을

의미동}는 8tage n - N의 치료는 경피적 배농 및 수술적 치료 를 요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과거의 보고들은 서양에서

상대적으로 발생빈도가 높은 S자 결장의 게실염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처럼 상대적으로 발생빈도가 높은 맹장

을 포함하는 우측 대장게실엽의 소견과는 부분적으로 다를 가

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우측 대장은 대개가 장간막을 가지고 있

지 않은 후복막강 장기이므후 그 게실염의 진행이 바로 후복막

강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S자 결장처럼 큰 농양의 형성이

나 골반 및 다른 복막강내로의 파급이 어렵다고 생각된다. 또한

좌측 복부보다 급성 맹장염을 포함}는 우허복부 질환들이 월

등한현실에서는감별질환을위해서 방사선과적 검사가신속하

게 이루어 지기 때문에 중증의 게실염들을 경험할 가능성이 상

- 838 -

Page 5: 초기 우측 대장게설염의 CT 소견1 · 과 상행대장에서만 일부에서 특정적으로 관찰되는데 대개 단발 성이고 다발성에 비해 크기가 크고

대한밤사선의학회지 1998; 38 : 835 - 841

당히 낮다고 생각된다. 실제로 맹장 게실염을 다푸였던 과거의

보고에서도 Neff 등의 stage II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14).

게다가 현재는 나선형 모드를 장착한 초고속 고해상력의 CT

검사가 신속하게 설시되기 때문에, 대장주위염을 포함하는 이

차적 소견보다는 오히려 경증의 초기 단순 대장게실염에 대한

소견이 우월하다고 판단되므로 우측 대장게실염에 대해서는

Neff 등의 분류를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대장게실염에 있어서 대장주위 지방층의 염증성 침윤은 병리

진단적이기 보다는 오히려 대장벽 비후와 게실주위염의 종합적

인 반영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이는 Crohn씨 질환, 골반염증성

질환, 자궁내막증, 급성 충수돌기염, 심한 대장점막 감염성 질

환, 허혈성 혹은 방사션 조사성 대장염, 드물게 대장암등에서도

역시 관찰될 수 있다(16, 22, 35). 따라서 저자들은 초음파상 우

측 대장게실엽의 소견을 먼저 관찰하고 추적 검사로서 바리웅

대장조영검사상 동일한 장소에서 게실염을 확진한 환자들에 대

한 초고속 고해상력 CT 소견의 재검토를 통해서 대장벽 비후

와대장주위염을같이 동반할수다른질환과의 감별점을확인

즙}는 절차가 당연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저자들의

경우 우리나라 환자들의 우측 대장게실염에 대한 5 - 8mm 절

편 두께의 CT 검사상가장의미 있고다른여러 질환과확실히

감별할 수 있는 병리진단적인 소견은 모든 환자에서 대장벽 비

후 및 대장주위염등의 2차적인 소견들보다도 염증 게실 자체의

발견이었다. 이는 과거의 보고들에서 염증 게실 자체 및 대장주

위 게설성 농양의 발견 빈도 24-60%외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

는데 그 이유는현재의 검사가나선행 모드를장착한초고속고

해상력의 CT 기술의 발탈과 함께 앓은 절편, 무호흡 촬영기법,

적절한 조영제 사용등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게실염이 맹장

첨부에서 발생한 경우(1 /13, 8%) CT상 급성 충수돌기염과의

감별이 어려울 수 있으나 내강을 액체로 채우고 있는 염증 게실

은 충수돌기염보다 훨씬 짧은 관상형 혹은 난형이고 염증 게설

자체가 내부에 가스를 포함하는 등 그 형태가 더 다o.}할 수 있

으며 또한 CT 위치상 정상 충수돌기를 확인함으로써 감별은

가능하다. 저자들의 경우 모든 환자에서 CT상 정상 충수돌기

를관찰하였다.

저자들이 다루였던 우측 대장게실염의 경우들은 증상 말현

후수얼 내 초음파가실시되고그다음하루내에 CT 검사를시

행하여 초기 병기에 해당되는소견들을잘대변한다고볼수있

으며 모든 환자에서 4cm 이하의 염증 게실 및 게실주위염이외

에는 어떠한 항병증도 관찰되지 않아 Neff 등의 CT상 게설염

의 진행 정도에 따른 5 등급 분류 중 Stage 1 이하에 속하는 예들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저자들의 12명 환자들

은 내과적 치료를 받았고 나머지 l명은 일차로 내과적 치료를

받았으나 이후 증상의 재발로 결국 수술적 치료를 받았다. 저자

들의 게실염 예들에 대한 “염증 게실”이란 CT상 표현은 Neff

등의 분류장 대장벽내 염증성 질환(stage 1)이나 대장 주위

소농양 흑은 봉와종(stage II)과는 약간 의미가 다른데, 그것

은 병변의 크기와 게실주위 지방층의 침윤의 정도에 따라서,

Neff 등의 stage 1 이나 stage II 의 봉와종이 CT상증명이 잘

된 예이거나, 혹은 stage II 의 소농양보다는 진행이 조긍 멀 된

- 839

전 단계에 속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저자들의 증례들

을형태적으로분석해 보면,가장크기가컸던 3-4cm의 2예들

은 다층구조의 게실벽과 벽내 가스를 가진 과녁 형태로 내강을

가스로만 채우고 있었던 괴사성 게설염의 형태였고, 3예는 내

강을 거의 인식할 수 없는 결절성 모양이였고, 3예는 분석으로

만 내강을 채우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나선형 모드를 장착한 초고속 고해상력 CT는

우측 초기 대장게실염에 대해서 매우 진단적으로 모든 환자에

서 비후된 대장벽으로부터 돌출된 4cm이하의 염증 게실 자체

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그 자체의 형태는 다양하였다. 그리고

과거 S자 결장을 주로 다루었던 대장게실엽의 보고와는 달리

합병증을 동반한 중증 단계의 질환은 관찰되지 않았는데 그것

은 신속한 검사와 맹장 및 우측 결장이 S자 결장과는 달리 대부

분 장간막을 가지고 않는 해부학적 차이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CT는 임상적으로 우하복부 동통을 주소로 하거나 대장

벽 비후 및 대장주위 지방층의 침윤을 일으킬 수 있는 대장암을

포함하는 여러 질환과의 감별진단 및 우측 대장게실염을 조기

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검사법이라고 생각된다.

~ -;l E극 등4

l 검건상, 이관세/ 최순섭 등 한국인 대장 게실의 최근 양상 대한

방사선의학회지 1984; 20: 632-638

2 고재욱, 이종구, 융은주, 문희정, 신현자 대장 게실의 이중조영

촬영소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 36 : 285-289

3. Zíelke A, Hasse C. Níes C. Kísker 0 et al. Prospectíve evalu-

atíon of ultrasonography ín acute colonic diverticulitís. Br J

Surg 1997: 84: 385-388

4 정유미 t 고영태, 임주원, 이동호, 윤 엽 대장 게실엽의 초음파

소견 대한초음파의학회지 1996: 15: 49-55

5 손미연1 차병훈I 김금원 등 대장 게실염의 초음파 소견 대한초

음파의학회지 1996; 15: 57-62

6. Yacoe ME , Jeffrey Jr RB. Sonography of appendκits and diver­

ticulitis. Radiol Clin North Am 1994; 32: 899-912

7. Schwerk WB , Schwarz S, Rothmund M. Sonography in acue

colonic diverticulitis ‘ a prospectíve study. Dis Colon Rectum

1992;35 ‘ 1077-1084

8. Wilson SR. The value of sonography in the diagnosis of acute

diverticulitís of the colon. AJR 1990; 154: 1199-1202

9. Wada M , Kíkuchi y , Doy M . Uncomplicated acute diverticulitis

of the cecum and ascending colon: sonographic findings in 19

patients. AJR 1990; 155: 283-287

10. Verbanck J, Lambrecht S, Rutgeerts L et al. Can sonography

diagnose acute colonic diverticulitis in patíents with acute co­

lonic in f1ammation? A prospective study. J Clin UltrasounU

1989; 17 ‘ 661-666

11. Parulekar SG. Sonography of colonic diverticulitis ‘ J Ultrasound

Med 1985; 4 : 659-666

12. Zarabi CM, Kuton AH. Solitary cecal diverticulum. J Clin Gas­

troenterol 1992; 14: 178-180

13. K. I. A ‘ Gharaibech, S.K. ShamL M.S. AI-Qudah et al. True cecal

divertículitis. Int Surg 1995; 80: 218-222

14. Balthazar EJ, Megibow AJ, Cordon RB. Cecal dí verticulitis

Evaluation with CT. Radiolo양11987;162 ‘ 79-81

15. Langdon A. Solitary diverticulitis of the right colon. Can J Surg

1982; 25: 579-581

Page 6: 초기 우측 대장게설염의 CT 소견1 · 과 상행대장에서만 일부에서 특정적으로 관찰되는데 대개 단발 성이고 다발성에 비해 크기가 크고

16. Hulnick DH, Megibow AJ, Balthazar EJ , Naidich DP, Bosniak

MA. Computed tomography in the evaluation of diverticulitis

Radiolo‘gy 1984 ; 152:491-495

17. Sarin S, Boulos PB. Long-term outcome of patients presenting

with acute complica-tions of diverticular disease. Ann R Coll

Surg Engl 1994; 76 : 11 7-120

18. Wedell J , Banzhaf G, Chaoui R, Reichmann J. Surgical manage

ment of complicated colonic diverticulitis. Br J Surg 1997; 84:

380-383

19. Lo CY , Chu KW. Acute diverticuliti s of the right colon. Am J

Surg 1996; 171: 244- 246

20. Rao PM, Rhea JT, Novelline RA. CT diagnosis of mesenteric

adenitis. Radiology 1997; 202: 145-149

21. 허 찬, 김용조, 이 건 등 원발성 복박수염의 방사선과적 소견

:초음파소견을 중심으로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 36: 637-

643

22. Liebermann JM, Haaga JG. Computed tomography of diverticu­

litis. J Comput Assist Tomogra 1983 ; 7 : 431 -433

23. Pilari G, Greenspan B, Vernace FM , Rosenblum G. Computed

tomography of diverticulitis. Gastrointest Radiol 1984; 9: 263

268

24. Feldberg MA , Hendriks MJ, van Waes PF. Role of CT in diag

nosis and management of complications of diverticulitis disease.

Gastrointest Radiol 1985; 10 : 370-3 77

25. Labs JD, Sarr MG, Fishman EK, Siegelmann SS, Cameron JL

Complications of acute diverticulitis of the colon: Improved

early diagnosis with CT. Am J Surg 1988 ; 176 : 111- 115

26. Johnson CD , Baker ME, Rice RP, Silerman P, Thompson WM

이종화 오1: 초기 루측 대장게실엽의 CT

Diagnosis of acute colonic diverticulitis: Comparison of barium

enema and CT. AJR 1987; 148: 541-546

27. Neff CC, van Sonnenberg E. CT of diverticulitis: Diagnosis and

treatment. Radiol Clin North Am 1989 ; 27: 743-752

28. Cho KC, Morehouse HT, Alterman DD, Thornhill BA. Sigmoid

diverticulitis: Diagnostic role of CT-Comparison with barium

enema studies. Radiology 1990; 176: 111-115

29. Balthazar EJ, Meibow A. Schinella RA et al. Limitations in the

CT diagnosis of acute diverticulitis ‘ Comparison of CT , contrast

enema , and pathologic findings in 16 patient. AJR 1990; 154:

281 -285

30. Robeπ PA, Witzig JA, Mirescu D et a l. Prognostic factors from

CT in the acue left colonic diverticulitis. Br J Surg 1992; 79 ’

117- 119

31. Doringer E. Computerized tomography of colonic diverticulitis.

Crit Rev Diagn Imaging 1992 ; 33: 421-435

32. Hachigian MP, Honickman S, Eisenstat TE, Rubin RJ, Salvati

EP. CT in the initial management of acute left-sided diverticu­

Iitis. Dis Colon Rectum 1992 ; 35 : 1123- 1129

32. Mckee RF, Deignan RW, Krukowski ZH. Radiologic investi­

gation in acute diverticulitis. Br J Surg 1993; 80: 560-56 5

33. Birnbaum BA, Balthazar EJ. CT of appendicitis and diverticu

Iitis. Radiol Clin North Am 1994 ; 32: 885-898

34. Roberts PL, Veindenheimer MC. Current management of diver­

ticulitis. Adv Surg 1994; 27 : 189-208

35 . Padidar AM , Jeffrey, Jr RB , Mindelzun RE et al. Differentiating

sigmoid diverticulitis from carcinoma on CT scans: Mesenteric

in f1ammation suggests diverticulitis . AJR 1994; 163: 81-83

- 840 -

Page 7: 초기 우측 대장게설염의 CT 소견1 · 과 상행대장에서만 일부에서 특정적으로 관찰되는데 대개 단발 성이고 다발성에 비해 크기가 크고

대한방시선의학회지 1998; 38 : 835-841

J Korean Radiol Soc 1998; 38 : 835- 841

CT Findings of Early Right Colonic Diverticulitis 1

Jong Hwa Lee, M.D. , Su Yeon Ham, M.D. , Kang Ik Whang, M.D.

1 Department of Radiology, UIsan University Hospital

Purpose: To investigate the CT findings of acute right colonic diverticulitis,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and published reports deseribing left colonic, especially sigmoid , diver­ticulitis .

Materials and Methods: In 13 patients with acute right lower quadrant pain who underwent ultrasonography a normal appendix was demonstrated and acute right colonic diverticulitis was suspected. CT was performed within 24 hours and the findings were analysed by two radiologists. For further confirmation of diverticulitis, f,이low-up barium enemas were performed in ten patients.

Results: In f1amed diverticula were visible in a11 cases, and were solitary. Nine cases occured in the ascending colon and four in the cecum; in particular, eleven occurred around the ileocecal valve. In three cases , the inflamed diverticulum was less than lcm in diameter; in five cases , 1- 2cm; in three, 2 - 3cm, and in two, 3 - 4cm. These were able to be classified into two major forms. In three cases it was nodular with hyperattenuation and some inhomogeneity, and ten shows the target form with thick walls and a central cavity. In five of these target lesions, the wall pat­tern was partia11y or completely inhomogenous, or multilayered. The materials filling the central cavity were gas in five cases, fecalith in two, and f1uid in three. Abnormal pericoloic fat infiltrations were seen in twelve cases(92%), segmental colonic wa11 thickening in eleven(85%), other not-in f1amed diverticula in five(38 %), mesenteric lymph node enlargement in three(23 %), free pericecal fluid collection in three(23 %), and perirenal fascial thickenings in two(15 %). The complications such as remote abscess cavity, colonic obstruction, fistula or perforation were not found. On bariulll colo !1 st udy , diverticulitis was in a11 cases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barium in the deformed d ivert iculum.

Conclusion : Among CT findings for acute right colonic diverticulitis, the most important and pathognomonic is lll L1 amed diverticula; the forms of these vary, and include gangrenous diverticu­litis. The CT findings of early right colonic diverticulitis in Koreans might not, however, reveal the complications which sigmoid diverticulitis frequently involves; in patients with right lower quad­rant pain imaging studies are performed promptly, and for the mesentery , the anatomical base be­tween right and left colons is different.

Index words: Colon , CT Colon, diverticula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ong-Hwa Lee, M.D. ,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Ulsan University Hospital. # 290-3 Junha-Dong, Dong-Gu, Ulsan, 682-060, Korea. Tel. 82-52-252-5160 Fax. 82-52-252-5160

- 841 -

Page 8: 초기 우측 대장게설염의 CT 소견1 · 과 상행대장에서만 일부에서 특정적으로 관찰되는데 대개 단발 성이고 다발성에 비해 크기가 크고

1999년도 대한방사선의학회 해외연수 장학생 모집공고

대한방사선의학회에서는 국제화 전략의 일환으로 다음과 같이 1999년도 해외연수 장학생을 모집

하오니 많은 응모가 있기를 바랍니다.

1. 해당연수국가및인원

일본 :0명(동강무역 후원)

독일 :0명(쉐링 후원)

스칸디나비아 3국 : 1명(나이코에드후원)

2. 연수기간

일본, 독일 :3개월 이상

스칸디나비아 3국: 1년

3. 응모자격

대한방사션의학회 정회원

4. 장학금

왕복항공료및 기본생활비

5. 제출서류

1) 이력서

2) 연구실적 (5년간)

3) 연수계획서(희망국가 및 병원, 희망전공분야, 연수기간 등 포함)

4) 추천서(소속과장, 과장의 경우소속병원장)

5) TOEIC 혹은 TOEFL 점수 증벙서(일본은 JPT도 가능) 6) 서약서(자유양식)

6. 제출마감

’98년 7월 31일 <7월 31일 소인까지 유효〉

7. 제출처

대한방사션의학회 국제협력위원회

울산의 대 서울중앙병원 진단방사선과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388-1 (우) 138-736

8. 합격자는 국제협력위원회의 선정을 거쳐 개인에게 통보

9. 기타 문의사항은 대한방사션의학회 국제협력위원회 (울산의 대 서울중앙병원 진단방사선과 소재 Tel. (02)224 - 4362, FAX: (02)476 - 4719, E-mail : [email protected])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8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