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30-1 韓國中東學會論叢 , 2009, 75-106 韓國中東學會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II : 고대 이스라엘 도시가 공식종교에 미친 역할을 중심으로 장대규 *1) 들어가는 말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와 종교 개념 이해 . II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의 형태와 발전 고고학적 증거 . II : 철기 시대 이스라엘의 공식종교 문헌적 증거 . II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가 종교에 미친 역할 . II 나가는 말 . 연구원 * Karak Resources Project

철기 시대이스라엘도시화와종교연구II · 2012-12-04 · 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30-1 韓國中東學會,2009,75-106 철기 시대이스라엘도시화와종교연구ii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 2009, 75-106韓國中東學會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II :

    고대 이스라엘 도시가 공식종교에 미친 역할을 중심으로

    장 대 규*1)

    차 례

    들어가는 말.Ⅰ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와 종교 개념 이해. IIⅡ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의 형태와 발전 고고학적 증거. II :Ⅲ

    철기 시대 이스라엘의 공식종교 문헌적 증거. II :Ⅳ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가 종교에 미친 역할. IIⅤ

    나가는 말.Ⅵ

    연구원* Karak Resources Project

  • 76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A Study on the Iron Age II Urbanism

    and Religion in Ancient Israel:

    The Functional Role of the Ancient Israelite City

    on the Official Religion

    Jang, Dae-Gyu

    Karak Resources Project

    The thesis of this study is that urban life exercis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upon Israelite religion during the Iron Age II period,

    10th-6th centuries BC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demonstrate

    that the city and its urban life had an impact on Yahweh religion that

    exhibited positive outcomes. Israel acquired more formal structures,

    full-time cultic personnel(priests), and greater centralization of Yahweh

    worship. Although Israel shared some of the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of its neighbors as a results of its adoption of parts of the

    Canaanite cultural heritage, Israel's unique religion is clearly evident in

    its understanding of God and its practices in cult, liturgy, and urban

    life.

    Archaeology has provided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physical

    aspects of the city and city structures in ancient Israel. The physical

    layout of the city, structures, and objects used in their daily life has

    interpreted as to underst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the Iron Age

    II(1000-586 BCE). The physical aspects of the city will enhance out

    understanding of the urban setting and its characteristics. The city was

    historically and theologically seen as a place of refuge, of justice, and

    of religious life. A description of the development of religion during

    the monarchy is found in Genesis 28 and 35 in the pre-monarchic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77

    period. As indicated in 1 Kings 12, the religious development

    occurred as Israelite religion entered the urban setting.

    The contributions of urban life to YHWH Religion are found in the

    role of professional cultic functionaries whose primary role was to

    maintain the traditions of the past, the rite of festivals that brought

    urban and rural dwellers together in the city and its gate complex and

    exposed them to urban religious life, and the institution of the city

    gate that brought diverse peoples, the written tradition that preserved

    the practices of tradition, and the system of court that became a motif

    and expression of YHWH's concern for justice in the city.

    Key Words: Urbanism, Official Religion, Ancient Israel, Iron Age II,

    Israelite City

  • 78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들어가는 말.Ⅰ

    고대 이스라엘 도시는 성서학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중동연구와 레반트

    고고학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도시화 도시 건축물 도시 유형(Levant) . , , ,

    도시의 정치적 행정적 구조 도시의 기능과 같은 주제에 관한 연구들이 선행- ,

    되었고 연구의 한 주거 층을 더 파고 들어가 각 분야별로 상세한 연구가 진

    행되었다 예를 들어 기념적 건축물 인구조사 주거유형 도시성문 제의적. , , , , ,

    유물 해석과 기능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프릿츠 는(Volkmar Fritz) City in Ancient Israel에서 기원전 부터 고3000

    대 이스라엘의 도시위치 유형 크기 건축물 수자원과 도시문화의 사회 경제, , , , -

    적 기관을 연구하였다 헤르조그 는.(Fritz 1996) (Ze'ev Herzog) Archaeology

    of the City에서 고고학적 유물을 재해석함으로 고대 이스라엘의 사회적 상황

    을 재구성하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라베.(Herzog 1997) (Lester L. Grabbe)

    와 하아크 는 고대 이스라엘과 서아시아의 도시화가 예언활(Robert D. Haak)

    동과 히브리 성서의 예언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

    였다 구스 는.(Grabbe and Haak 2001) (C. H. J. de Geus) Town in Ancient

    Israel and in the Southern Levant에서 기원전 세기 메기도9-7 (Megiddo),

    베에르세바 예루살렘 하조르 를 통하여 고대 이스라엘(Beersheba), , (Hazor)

    도시의 성벽 성문 도시계획 성전 무덤을 연구하였다 이, , ( ), , .(de Geus 2003)

    러한 새로운 고고학적 유물의 발견 혹은 재해석을 통하여 고대 이스라엘의

    사회 경제상을 재구성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

    도시에 나타난 종교적 현상에 대한 연구는 블람퀴스트(Tina H. Blomquist)

    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블람퀴스트는. Gates and Gods에서 철기시대 시리아-

    팔레스타인 도시성문에 나타난 제의적 유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Blomquist

    장대규도 그의 논문 에서 이전1999) “Iron Age II City Gates in Palestine”

    에 블람퀴스트 연구 이후에 고고학적 발굴을 통하여 다루지 못하였던 도시성

    문의 종합적인 제의기능에 관하여 미시 상황 기능적- (micro contextual-

    연구를 시도하였다 도시에 나타난 종교적functional approach) .(Jang 2006)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79

    현상과 유물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게 이루어졌지만 단편적 기능해석과 연구

    를 뛰어 넘어서 통합적인 관점에서 고대 이스라엘 도시화가 이스라엘 공식종

    교에 미친 영향과 상호 관련성에 관한 입체적인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국내학계에서 송도영은 종교와 음식을 통한 도시공간의 문화적 네트워「

    크 논문에서 이태원 지역 이슬람 음식점들의 사례를 통하여 종교와 음식 관」

    계가 도시 공간 내에서 어떠한 역할을 미쳤는지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송도영 박정석은 인도의 식민도시 고아 의 종교건축( 2007, 98-137) (Goa)「

    물과 문화적 정체성 논문에서 포르투갈이 점령한 식민도시 고아의 종교적」

    흔적을 통하여 나타난 가톨릭교도들의 인식을 연구하였다 박정석.( 2007,

    홍치모는 독일의 종교개혁과 도시공동체 논문에서 중세시대 독일121-46) 「 」

    도시공동체에 나타난 종교개혁을 소개하였다 홍치모 하지만.( 1998, 37-65)

    국내 학계에서 고대 팔레스타인에서 고대 이스라엘 도시와 야훼 종교공식종(

    교와의 관계성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는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한국구) ,

    약학회 지중해지역연구에서 이제껏 다루지 않았다, .

    본 논고는 단지 도시 혹은 도시성문에서 발견된 단편적 유물해석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이전에 이루어 놓은 자료를 종합하는 차원에 머물지 않는다.

    본 논고는 고대 이스라엘 도시와 종교의 상호 관계성을 기능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논고는 고대 이스라엘 도시 문화의 발전이 야훼를 숭배하던 고대 이.

    스라엘 공식종교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였는지에 관한 문헌적 고고학적 연구-

    이다 본 논고는 고대 이스라엘 도시 안에서 종교적 행위를 연구하는 것이 아.

    닌 고대 이스라엘 도시화가 종교적 제도와 기관에 영향을 끼쳐 어떠한 결과를

    낳게 되었는지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국 이스라엘 도시 건설과 도시.

    화는 이스라엘 종교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음을 조명하고자 한다 본 논제를 증.

    명하기 위해서 본 소고의 두 가지 축인 고대 이스라엘 도시와 이스라엘 공식종

    교에 관한 이해를 간략하게 논한 후에 이스라엘 도시와 종교에 관한 유기적 관

    계를 논증하고자 한다 고대 이스라엘의 도시화와 종교에 관한 시대적 제한은.

    철기 시대 로 한정하며 히브리 성서 문헌과 더불II (10th-6th Centuries BCE)

    어 성서외의 문헌적 증거와 고고학적 사료를 사용할 것이다.

  • 80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와 종교 개념 이해. IIⅡ

    고대 이스라엘 도시의 개념 이해1.

    베버 는 도시(Max Weber) (『 The City 와 고대 유대교) (』 『 The Ancient

    Judaism 에서 고대 이스라엘 도시는 영구적이며 경제적 시장을 포함한 군)』

    사적 요새로 만들어진 농경사회로 정의하였다.(Weber 1952; Weber 1958,

    베버는 반 유목민들이 그들의 가족 부양을 위해서 농경지를 통해81) (semi)-

    도시와 가족의 필요를 충당한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사회학적 관점에서 유럽.

    의 중세 도시 모델을 히브리 성서에 나타난 고대 이스라엘 도시 모델에 적용

    한 베버의 주장은 몇 가지 문제점이 제기된다 첫째 중세 유럽의 도시 거주. ,

    자들의 대부분이 반 농경자로 종사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둘째로 도시의 다- .

    양한 기능과 역할 중에서 군사 역할만이 베버에 의해서 지나치게 강조되었다

    는 점이다 철기 시대 이스라엘의 도시는 군사적 기능만을 수행한 것은 아. II

    니었다 도시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종교적 경제적 행정적 정치적 법률적. , , , ,

    기능이 도시성문에서 수행되었음이 문헌적 고고학적 증거를 통하여 입증되고,

    있듯이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는 군사적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사회 문II -

    화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장대규.( 2007, 121-143)

    히브리 성서에 소개되고 있는 이스라엘 도시는 주변위성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과는 구별된다 도시는 군사적 방어목적을 위해 성벽으로 둘러싸인 공간.

    적 장소를 의미하며 그 성벽 내부에는 다양한 시민 활동을 위한 건축물들이

    세워졌다 방어적 성벽으로 둘러싸인 형태의 도시에 관한 정의는 분명히 철기.

    시대 도시가 군사적 혹은 방어적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시민적 기능을 행II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관점에서 프릭 은 고대 이스. (Frank S. Frick) 『

    라엘의 도시(The City in Ancient Israel 에서 도시의 구성 요소들에 관하)』

    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도시는 군사적 목적을 위해 성벽과 같은. (1)

    방어 구조를 지니고 있어야 하며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도시 내에는 영, (2)

    구적인 거주지역이 있어야 하고 거주 지역 내에 특별히 성전 기관 그리, (3) , ,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81

    고 도시를 주관하는 행정기구가 자리매김하고 있어야 하며 더욱더 복잡한, (4)

    도시 구조 속에 정치적 경제적 목적으로 주변위성 마을을 위한 경제적 상권,

    이 존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프릭의 연구 방법론은 본 소.(Frick 1977, 39)

    고에서 도시 문화와 이스라엘 종교에 영향을 미친 도시연구에 중요한 기초가

    된다.

    도시문명의 전환 과정 속에서 고대 이스라엘 종교는 야훼(הוהי 를 숭배하는)공식종교와 더불어 다신을 숭배하는 대중종교와 혼합을 이루었다 고대 서아.

    시아의 종교적 전통에 의하면 각 도시는 신이 주관하고 신은 도시 안에 거주

    하였다 크래머 에 의하면 도시는 신에게 속한 것이었고 도시. (S. N. Kramer)

    는 천상유형을 지상에 구체적으로 모델화한 것으로 믿었다.(Kramer 1962,

    그렇다면 고대 이스라엘 도시는 고대 서아시아의 종교적 사상에 영향을459)

    받았는가 본 질문에 관한 히브리 성서의 대답은 부정적이다 야훼는 어느 특? .

    정한 장소 혹은 도시에 제한되거나 구속되지 않음을 히브리 성서는 증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편 편과 편에서 야훼는 도시에 머무르는 신이 아닌. 48 132

    시온 산과도 연관되어 있다 또한 이스라엘의 야훼 하나님은 땅과 연관된 하.

    나님으로 묘사하더라도 도시와 항상 연결되어 나타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

    열왕기상 장에서 야훼는 사마리아 도시에서 아람 민족과의 전쟁20 (Samaria)

    을 감행하지만 야훼는 특정한 도시의 하나님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렇기에.

    베버의 주장대로 야훼 하나님을 고대 이스라엘 도시문화의 산물로 주장하는

    것은 잘못된 논리이다.

    고고학적 유물 증거와 문헌적 증거에 의하면 이스라엘 종교는 가나안의 제

    의문화를 수용한 특징을 나타낸다 특히 가나안 종교문화에서 풍요의 신들.

    을 수용하고 이스라엘 문화는 가나안의 종교 문화적 연속선(Ba‘al, asherah) -

    상에 위치하고 있다 가나안 종교가 이스라엘 종교에 영향을.(Nakhai 2001)

    미쳤지만 청동기 시대 가나안 주상과 신상은 철기 시대 이스라엘 문화에서II

    현저히 감소하는 현상을 보인다 비록 알스트롬.(Ahlström 1963, 52-53) (G.

    은 이러한 제의적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을 신상 혹은 주상을 만드Ahlström)

    는 기능공의 감소로 주장하였지만 필자는 기술적인 원인과 더불어 가나안의

    종교적 전통과 함께한 반 우상숭배를 주장하는 이스라엘 공식종교와의 공존-

  • 82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과 갈등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히브리 성서는 이스라엘 민족이 형성된 광야에서부터 야훼를 하나님으로

    섬기며 성장하여 온 것을 주장한다 농경 사회의 정착자로 가나안에 거주함에.

    따라 이스라엘 민족은 농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가나안 종교 형태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사회학적 관점에서 갓월드 는. (Norman K. Gottwald)

    가나안 농경과 문화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는 사람들이 이스라엘 민족의 일

    부로 수용되었다고 주장한다 이스라엘 민족은 농.(Gottwald 1979, 210-219)

    경사회와 문화에서 쉽게 가나안 종교를 버릴 수 없었고 야훼 종교와 공존하

    고 갈등하게 되었다.

    고대 이스라엘 종교 개념 이해 공식종교와 대중종교2. :

    베르리네르바우 는 공식종교와 대중종교의 구분 점에(Jacques Berlinerbau)

    대해서 문제를 제기한다 그는 모든 공식종교는 대중종교로부터 시작하며 공.

    식종교 안에는 대중종교의 요소들이 내재되어 있다고 주장한다.(Berlinerbau

    그는 더 나아가 공식종교는 정치적 힘이 있는 종교인 동시에 사회 종1991) -

    교적 힘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엘리트 기관에 접근할 수 있는 종교를 말한다.

    공식종교는 행정적 중앙 집권자들을 대다수 포함하지만 대중종교는 비 중앙-

    집권자 즉 소외된 자들의 힘이 작용하는 종교를 의미한다 하지만 그의 견해. ,

    에도 불구하고 공식종교와 대중종교는 상호간에 영향을 미쳤음을 본 논고는

    주장한다 더 나아가 베르리네르바우는 바벨론 포로기까지 이스라엘 민족에게.

    는 공식종교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이스라엘 종교에 있어서 대중종교에서 일,

    반화된 개념인 바알과 하늘의 여신 제의를 이스라엘 종교문화 안에서 독특한

    종교로 간주한다 베르리네르바우는 공식종교와 대중종교는.(Berlinerbau, 14)

    서로 우월을 위해서 경쟁하고 갈등을 겪었으며 히브리 성서가 증거하고 있는

    이스라엘의 종교는 엘리트 종교로 다른 계층들과 그룹의 종교적 삶에 대해서

    잘못 표현된 것으로 규정한다 결국 베르리네르바우의.(Berlinerbau, 14-15)

    주장에 따르면 엘리트 종교는 대중종교를 포함한 다른 그룹의 종교에 대해서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83

    이해하지 못한 정치적 종교적 이데올로기적 산물로 간주하고 있는 것이다, .

    하지만 필자는 그의 주장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한다 첫째 만약 바알. ,

    과 하늘의 여신을 숭배하는 가나안 종교가 이스라엘 종교에서 구별된 특별한

    종교라면 바알과 하늘의 여신을 숭배하는 특별종교는 이스라엘 민족의 대중,

    종교와 어떻게 구별되는가 하는 점이다 블록 스미스. - (Elizabeth Bloch-

    가 주장하고 있듯이 철기 시대에 만연하였던 죽은 자 숭배는 유물Smith) II

    적 문헌적 증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립된 종교로 자리매김 하지,

    못하였다 또한 바알과 아세라 를 포함한 고대.(Block-Smith 1992) (asherah)

    이스라엘의 대중종교는 이스라엘의 공식종교와 혼합 공유되었기에 어떤 형태,

    로 그들이 독립적인 종교로 자리매김을 하였는지에 대해서 구분 짓기가 모호

    하다 이스라엘 민족의 대중종교 이해는 결국 이스라엘 민족이 야훼를 섬기는.

    공식종교를 전통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그들의 특별한 일상의 충족과

    필요를 위하여 주변 문화의 영향으로 다른 신들을 섬겨 온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합당하다.

    둘째로 베르리네르바우가 주장하듯이 이스라엘에서 사회적 계층 간의 구,

    분이 다른 종교적 신념과 양식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종교적 장벽이 되

    었는가 하는 문제이다 사회적 계층이 이스라엘 사회에 존재하였어도 엘리트.

    와 문맹인 농부와 전문 기술자 마을 거주자와 도시 거주자 그리고 바알 숭, , ,

    배자와 야훼 숭배자의 관계는 문화적으로 명확하게 구별되지 않은 것이 문헌

    적 고고학적 증거에서 입증된다 예를 들어 히브리 성서에서 엘리트 계층은, .

    다른 계층의 사람에게 제의적 자문을 구하는 것이 발견된다 사무엘상 에. 28:7

    사울이 그 신하들에게 신접한 여인(תׁשא רוא־תלעב 을 찾으라고 명령한다 엘리) .트 왕권에 있는 사울이 대중종교에서 신을 부르는 신접한 여인(a

    을 찾는 성서적 증거는 계층의 구분점이 있어도 고대 이스라엘necromancer)

    문화에서 종교는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는 것이 아니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야훼를 섬기는 이스라엘의 공식종교는 철기 시대 혹은 그 이전II

    에 이미 존재하였는가 아니면 수정주의자 렘케? (revisionist) (Niels Peter

    와 탐손 과 같은 스칸디나비안 학자들이 주Lemche) (Thomas L. Thompson)

    장하는 것처럼 이스라엘 공식종교는 바벨론 포로기에 형성된 신학적 이데올-

  • 84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로기적 산물인가 히브리 성서의 역사성을 부인하는 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히브리 성서는 적어도 다윗 솔로몬 여로보암 세 예후 히스기야 요시아, , 1 , , ,

    왕들이 이스라엘 공식종교의 형태를 세우고 보존하려고 노력한 왕들로 서술

    하고 있다 다윗은 북왕국의 종교적 유물을 예루살렘으로 옮겼으며 솔로몬은. ,

    왕조 시대 예배의 중앙화를 위하여 성전을 지었고 여로보암 세는 달력을 개, 1

    정하여 예루살렘이 아닌 벧엘 에 산당도시를 세워 제의를 감독하였다(Bethel) .

    예후는 바알 숭배자들을 숙청하였고 히스기야는 바알주의로 물들인 대중종교,

    에 대항하는 야훼 종교의 회복을 위한 종교개혁 캠페인을 벌였으며 요시야는,

    성전에서 발견된 토라에 준하여 종교 개혁을 시행하였다 히스기야와 요시야.

    가 행한 종교 개혁 프로그램에 관한 기록이 설사 후대의 신명기사가 또는 역

    대사가에 의해서 최종 편집되었다고 하더라도 구전과 종교적 전통양식이 급( )

    격하게 변화되었다고는 주장하기는 힘들다.

    그렇다면 어떠한 이스라엘 종교가 본 논고에서 연구대상이 되는가 히브리?

    성서는 바로 이스라엘의 하나님으로 야훼를 인정하는 것이 다른 민족으로부

    터 구별되는 이스라엘의 공식종교임을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입장은 모세오.

    경 신명기 사가 예언자들 역사가들이 동일하게 주장하는 결론이다 다음 장, , , .

    에서 고대 이스라엘 도시의 외형적 형태와 역사적 발전에 관한 간략한 기술

    은 고대 이스라엘 도시 사회가 어떻게 종교에 영향을 끼쳤는지에 관한 이해

    에 기초가 될 것이다.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의 형태와 발전 고고학적. II :Ⅲ

    증거

    렌스키 는 규칙적이며 보편적인 도시 공동체의 출현이 농(Gerhard Lenski)

    경 사회의 특징으로 주장한다 모든 농경 사회를 일률적.(Lenski 1966, 198)

    으로 다룬다면 전체 인구의 퍼센트가 도시 인구에 해당된다 고대 이스라10 .

    엘의 도시화는 시리오 팔레스타인 에서 발생한 도시문명 발- (Syrio-Palestine)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85

    전의 한 과정에 속한다 고대 이스라엘 도시는 주변 이웃국가의 도시 문화를.

    수용하고 가나안 도시 문화의 형태를 따랐다.

    함몬드 는 고대 세계의 도시(Mason Hammond) (『 The City in the Ancient

    World 에서 이스라엘 문명은 도시 역사에 있어서 다른 독특한 발전적 특징)』

    을 드러내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가나안의 문화를 받.(Hammond 1972, 89)

    아들이고 수용한 철기 시대 이스라엘은 시리오 팔레스타인 도시문화의 세II -

    번째 시기에 해당되는 보편적인 것으로 주장된다 첫 번째 도시화는 초기 청.

    동기 시대 에 해당되며 두 번째 도시화는 중기 청동기II-III (3050-2300 BCE) ,

    시대 에 해당된다II (2000-1550 BCE) .(Mazar 1990, 174; Kempinski 1992a,

    각 도시 문명화의 시기는 문명의 흥망성쇠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자연121)

    적이든 정치적인 힘에 의한 인위적인 도시의 파괴는 삶의 형태를 새롭게 구

    성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부 도시들은 새로운.(Kemspinski 1992b, 120-121)

    도시화의 재건까지 존재하기도 하였다.

    자미손 드라케 연구에 의하면 철기 시대- (David Jamieson-Drake) I

    에 인구가 점차적으로 증가한 후에 기원전 세기 도시에(1200-1000 BCE) 10

    집중적으로 인구가 몰리기 시작한다 고고학적 지표조사도 기원전 세기에. 9-8

    퍼센트 정도 인구가 증가하는 것을 보이며 기원전 세기에 다시 퍼센트40 6 70

    감소함을 나타낸다 자미손 드라케는 중요한.(Jamieson-Drake 1991, 72-73) -

    도시감소의 원인을 생산이 증가하도록 가능케 한 행정적인 통제를 제공한 엘

    리트의 몰락으로 주장한다.(Jamieson-Drake, 75-76)

    도시계획과 구성요소1.

    고대 이스라엘의 도시는 인위적인 언덕 텔 에 건설되었으며 텔 공간의(Tel)

    활용 도시 건축물의 방향 그리고 건축물의 위치들은 지리적 사회적 경제, , , ,

    적 그리고 종교적인 관계성을 고려하여 건축되었다, .(Faust 2001, 129-155)

    도시건설은 영구적인 요새의 건축과 경제적인 상권이 형성되며 전문 장인들

    이 거주하게 되었다 또한 도시를 통제하는 행정적이며 종교적인 기관이 자리.

  • 86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잡게 되었다 도시의 외적인 형태와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

    첫째 도시 건설에 있어서 도시성벽과 도시성문 그리고 광장은 중요한 위, ,

    치를 차지한다 고대 이스라엘의 도시 건설에 있어서 성벽은 필수적인 요소였.

    다 한 두 개의 성문이 주요 출입문으로 사용되며 종종 도시 안의 거리들은.

    성벽 혹은 내부의 다른 건물들과 평행을 이루며 만들어진다 도시 성벽의 종.

    류는 철기 시대에 두꺼운 외벽 혹은 쌍벽 으II (solid walls) (casemate walls)

    로 구성되었다 게우스 연구에 의하면 성벽과 성문의 건. (Cornelius de Geus)

    축은 전체 텔 공간에 퍼센트에 해당되며 성벽은 보통 미터 높이로15 , 8-12

    세워졌다 성벽이 군사적 방어의 주된 목적으로 건축되.(de Geus 1986, 226)

    었지만 군사적 기능 외에 도시를 구성하는 외형적 형태로써 동물과 사람의

    활동을 제한하고 통제하는 역할을 감당하였다 성벽의 군사적 기능 외에도 경.

    제적 정치적 군사적으로 부하고 강함을 드러내는 상징적 이데올로기적 기능, , -

    을 수행하였다.1)

    성문이 보통 도시텔의 가장 낮은 지형에 위치한 이유는 가장 빈번한 출( )

    입과 접근이 용이한 지리적 장소였기 때문이다 성문 안쪽에는 두 개 네 개. , ,

    혹은 여섯 개의 방으로 구성된 도시성문과 함께 기둥형 건축물(public

    이 대부분의 도시pillared-buildings) (Hazor, Gezer, Megiddo, Beersheba,

    에서 발견된다 평Bethsaida, Dan, Chennereth, ‘Ira, Khirbat al-Mudaybi‘) .

    시에는 성문 안쪽에 건축된 방들과 성문 위층의 공간에서 다양한 포럼

    과 사회적 경제적 제반활동이 이루어진다 아래층의 성문 각 방에는(forum) - .

    사람이 앉을 수 있는 돌 혹은 흙으로 만들어진 벤치와 벤치보다는 낮은 선반

    과 같은 설치물이 있는데 설치물 근처에는 제의에 사용된 기구들과 상업적

    도구들이 발견된다 또한.(Beersheba, Bethsaida, Khirbat al-Mudayna, Dan)

    벤치는 제의적 목적 외에도 시민 회의와 상업적 목적을 위한 시설물로 사용

    1) 이러한 역할은 시각적 효과를 통하여 부와 정치적 힘을 나타내는 가시적 비언어수“단 이라고 할 수 있다 가시적 비언어수단은 고대 서아시아의 건축양식에서 많이 나” .타난다. Irene J. Winter, “After the Battle is Over: The Stele of Vultures andthe Beginning of Historical Narrative in the Art of the Ancient Near East,”Edited by H. L. Kessler and M. S. Simpsonin, Pictorial Narrative in Antiquityand the Middle Ages, London: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985: pp.

    을 참조하라11-32 .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87

    되었다 도시 성문의 기능이 군.(Gezer, el-Far’ah (N), Khirbat al-Mudaybi‘)

    사적인 기능에서 다양한 시민적인 사회 문화적인 역할의 변화는 철기 시대- II

    에 더욱더 발전되었고 도시생활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중심축이 되었다.

    장대규( , 127-131)

    도시 내부 즉 성문 광장(בוחר 과 인접하거나 성문의 좌우 쪽에는 행정적인)공공의 기둥형 건축물이 세워졌다 이러한 공공의 기둥형 건축물은 다른 건물.

    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크며 또한 건축양식과 구조를 살펴볼 때 일

    반적인 거주를 위한 가옥 건물로 규정되지 않는다.2) 공동의 건물은 도시 공

    동체의 경제적 상권을 이루는 시장 곡물과 기타 물건을 저장하는 저장소 혹, ,

    은 동물을 사육하는 마구간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경제적 사회적. ,

    분석과는 반대로 프릿츠 는 군사적 관점에서 막사로 사용되었(Volkmar Fritz)

    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프릿츠의 견해와는 달리 다양한 토기 석회질로 된 바. , ,

    닥 마감재 곡물가루가 발견된 기둥형 건축물은 군사적 목적의 막사보다는 다,

    양한 도시 경제를 위한 건축물로 해석된다.(Fritz 1996, 142-43; Kelm and

    Mazar 1984, 60)

    둘째로 도시 구성 요소는 거리와 주거형태의 가옥이다 규모가 작은 도시, .

    건설에 있어서 특별히 가옥이 산발적이며 비규칙적으로 건축된 후에 건축물

    사이가 자연적인 거리로 구성되지만 규모가 큰 도시는 가옥들이 도시 계획에

    준하여 건축된 후에 가옥들 사이가 일반적인 거리가 된다 주요 도시 내부의.

    거리들은 성벽과 평행을 이루고 석회석으로 포장되며 나머지 비주요 거리는

    일반적인 흙으로 다져진다 보통 거리 폭은 미터 넓이를 가진다. 2.5-3 .(Mazar

    철기 시대 주거가옥은 특별히 건축 양식에 있어서 네 방으로1990, 470) II

    구성된 기둥형 건축물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스라엘 전.(Faust 2003, 22-31)

    통가옥 구조에서 가장 뒤쪽 방은 넓은 형태의 방으로 구성되고 세 개의 방이

    넓은 방과 반대 열로 건축되어진다 요리를 할 수 있는 기구나 화로는 가옥의.

    2) 다양한 고고학적 유물들이 발견되지만 특히 많은 양의 곡식과 경제적 운송을 위한 다량의 대형 토기가 발견된다 일반적인 거주를 위한 네 방으로 구성된 기둥형 건축물.구조 와는 달리 셋으로 나누어진 건축 양식(four-room pillared houses) (tripartite

    을 지닌다structures) .

  • 88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중심 마당 안뜰에 위치한다.(Reich 1992, 1-16; Faust and Bunimovitz

    이스라엘 가옥형태는 사다리나 층계를 통하여 이층으로 연결2003, 22-23)

    되도록 건축되었고 가옥 안뜰을 중심으로 주변의 방은 가축을 위한 공간이나

    창고로 사용되었다 기둥형 건축물의 높이는 보통 미터 높이로 건축되며. 3 2

    층은 보통 미터로 지어진다2.5 .(de Geus 1986, 226)

    도시 건설에서 수자원은 주요한 도시 구성의 세 번째 요소이다 따라서 수.

    자원은 출입이 용이한 도시 성문 바깥에 위치하여 출입자와 가축에게 용이하

    게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종종 적의 공격을 받기 쉽기 때문에 히스기야.

    는 기혼 샘 에서 물을 예루살렘 도시 안으로 끌어오는 터널공(Gihon Spring)

    사를 시행하였다 열왕기하 수자원 확보는 도시구성에 있어서 중요한.( 20:20)

    요소가 되었기 때문이다 철기 시대 수로 시스템은 메기도 기브. II (Megiddo),

    온 그리고 하조르 에서 발견되며 빗물을 받기 위한 우물과(Gibeon), (Hazor)

    수로가 도시 내부에 설치되어 수자원의 문제를 해결한다.

    네 번째 도시구성 요소는 종교적 구조물과 유물이다 청동기 시대 가나안.

    의 종교적 구조물이 많이 발견되는 것과 같이 철기 시대에도 다양한 종교II

    적 구조물이 발견된다 아라드 성전에서는 두 개의 돌기둥. (Tel Arad) (תובצמ)과 두 개의 제단이 발견되었다.(Herzog, Ashroni, and Rainey 1984, 7-8)

    상당히 큰 규모의 가로 세로 미터에 해당되는 제의단 이 텔 단19 (podium) (Tel

    에서도 발견되었다 베트사이다 의 고Dan) .(Mazar 1992, 184-86) (Bethsaida)

    고학적 발굴에 의하면 성문 근처에서 제의에 사용된 제단과 돌기둥들이 발견

    되었으며 물을 사용한 제의 의 흔적도 파라 성(water cult) (Tel el-Far’ah, N)

    문에서 발견되었다.(Arav, Freund, and Shroder, Jr. 2000, 44-56; Shiloh

    1979, 12)

    메기도 도시 성문에 가까운 건축물 안에서 향단 도자기 돌기둥들을 포함, ,

    한 제의적 유물들이 본래 장소(in situ 에서 발견되었다) .(Shiloh 1979, 149)

    베에르세바에서는 기원전 세기로 추정되는 제단이 도시성문에서 발견되었9-8

    다 특별히 풍요의 여신을 상징하는 작은 입상 혹은 주상.(Mazar 1992, 495)

    들 은 도시 내부의 가옥에서 많이 발견된다(figurines) .(Tel Beersheba; Tel

    상대적으로 청동기 말기 시대에 비해서 이스라엘 철기 시대Beit Mirsim) II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89

    에 숫자적으로 입상 혹은 주상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가나안의 종교 문-

    화적 연속선상에 이스라엘 문화가 위치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의 크기와 인구2. II

    이스라엘 도시 중에 가장 큰 도시는 북왕국에 위치한 하조르로 849,828㎡

    에 해당된다 헤르조그 연구에 의하면 철기 시대 이스라.(Cohen 1984, 68) II

    엘의 보통 도시 크기는 약 에 해당된다29,987-69,969 .(Herzog 1992b,㎡

    예를 들어 라키쉬 와 메기도 모두 약 에 해당된1037-38) (Lachish) 80,936㎡

    다 마자르 는 이러한 크기에 해당되는 도시를 행정 도시로 규. (Amihai Mazar)

    정한다 고고학적 발굴에 의하면 예루살렘과 사마리아.(Mazar 1992, 463-64)

    는 비록 각 시대에 따라 도시의 크기가 조금씩 변하였더라도 철기 시대에II

    는 에 해당됨이 밝혀졌다299,868-499,780 .(Jamieson-Drake, 153)㎡

    도시의 크기에 따라서 에 해당되는 도시는 소도시로 규정14,973-49,978㎡

    되며 세켐 은 소도시의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중도시의 크기(Schechem) .

    는 메기도가 대표적인 예로 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대49,978 -99,956 .㎡ ㎡

    도시는 에 해당되는 게제르 와 아쉬도드 가99,025-239,894 (Gezer) (Ashdod)㎡

    대표적인 도시에 속한다 메가도시 는 이상에 해당되는. (mega city) 239,894㎡

    도시로 하조르약 가 대표적인 도시이다( 849,828 ) .(Baumgarten 1992, 145)㎡

    실로 는 이스라엘 전통가옥인 기둥형 건축물 연구를 통하여 각(Y. Shiloh)

    가옥은 명이 거주하였음을 논증하는 반면 마자르는 이스라엘 가옥에6-8 5-7

    명이 거주하였음을 주장한다 실로와 마자르의 가옥연구를 기초로 한 인구측.

    정과는 달리 윌킨손 은 급수량을 기초로 도시에 거주하는 인(John Wilkinson)

    구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Shiloh and Mazar 1980, 25-35; Wilkinson

    윌킨손은 개인당 약 리터의 물이 사용되었음을 전제로 예루1974, 35-51) 20

    살렘은 약 명의 거주민이 존재하였음을 주장한다2,500 .(Wilkinson, 35-51)

    하지만 남쪽으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또 다른 수자원이 있음을 고려11.5

    한다면 예루살렘의 실제 도시 인구는 대략 명이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10,600

  • 90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다 실로는 요시야 시대에 예루살렘에는 명이 거주하였고 실로와 윌킨. 20,000

    손은 철기 시대 이스라엘의 총 인구는 대략 에 명이 거II 4046.8 160-200㎡

    주하였을 것으로 주장한다.(Shiloh and Mazar, 25-35; Wilkinson, 35-51)

    고고학적 발굴에 의하면 가 거주지로 텔에 구성되었으며 메기도25-40% IVB

    주거층 조사에 의하면 까지 도시 안에서 거주 지역으로 건설되었75%

    다.(Herzog 1992a, 251-53)

    철기 시대 이스라엘의 공식종교 문헌적 증거. II :Ⅳ

    도시 문화에서 이스라엘 민족의 종교적 생활에 관한 문헌적 증거는 가나안

    의 종교 문화적 현상이 공존하였음을 입증한다 바알 아세라 그리고 죽은- . , ,

    자의 관한 제의는 반 야훼적 종교 로 이스라엘 민족- (anti-Yahwistic Religion)

    내에 공식종교와 함께 대중종교가 만연되었음을 나타낸다 브리쿠엘 차토네. -

    트 는 페니키아와 이스라엘 종교 문화 연관성을 연구하여(Briquel-Chatonnet) -

    이스라엘 왕정 시대에 페니키아의 종교적 영향이 이스라엘의 성전 건축을 포

    함한 다양한 건축양식에 영향을 끼쳤음을 주장하였다.(Briquel-Chatonnet

    후기 이스라엘 왕조 시대에 도시의 엘리트 계급은 아람 민족과1992, 302)

    앗시리아의 정치적 실리를 위해 종교와 문화를 수용한 흔적이 역대하 28:30

    과 열왕기하 아모스 에 나타난다16:10-16, 5:26-27 .3) 예를 들어 열왕기상,

    에 의하면 솔로몬은 자신의 이방 아내들을 위하여 산당을 지었으며 이11:1-9

    방 종교의 침투는 왕정을 뛰어 넘어 이스라엘 종교적 삶에 일반화 되었다 열.

    왕기상 장은 왕정에서 만연되어 있던 두로 의 바알주의 를18 (Tyre) (Baalism)

    증거하고 있다.

    이스라엘 종교는 왕정 시대 이전 야곱의 이야기인 창세기 장과 왕정시대28

    열왕기상 장의 이야기 속에 증명된다 창세기 장에 소개된 야곱 이야기12 . 28

    3) 아모스 너희가 너희 왕 식굿 과 기윤 과 너희 우상들과5:26, “ (shrine) (pedestals)「 」너희가 너희를 위하여 만든 신들의 별 형상 을 지고 가리라(star of your god) .”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91

    는 벧엘 도시의 기원에 관한 종교적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다 즉 창세기. , 28

    장은 여로보암 세에 시작된 북왕국과 초기 이스라엘의 산당 도시인 벧엘의1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창세기 장에서 야. 28

    곱은 엘로힘의 천사들이 사다리를 오르락내리락 하는 것을 경험한다 절에. 13

    야훼가 사다리 곁에 서 있고 야곱에게 그의 조상 아브라함과 이삭의 하나님

    야훼로서 나타난다 창세기 장의 이야기는 아브라함과 이삭 부족에 의(El) . 28

    해서 제의되었던 남왕국의 신 야훼에 대해서 야곱이 알고 있지만 야훼의 이,

    전 이름인 엘로힘 에 대해서는 무지하다 야곱의 야훼에 관한 언급은(Elohim) .

    창세기에 두 번 소개된다 창세기 에 이삭의 하나님으로서 야훼가 소개. 27:20

    되고 창세기 에 라반에게 야곱의 하나님으로 야훼를 소개한다 하지만30:30 .

    여기서 야곱은 절에 진실로 야훼께서 이곳에 계시거늘 내가 몰랐구나필16 “ (

    자 역 고백한 후 이곳을 엘로힘의 전)” תיב) 으로 규정하고 그가 이전에 알고)있던 야훼의 이름을 인용하여 야훼의 집으로 규정하지 않는다 야곱은 돌기둥.

    을 세우고 다시 한 번 그 곳의 이름을 야훼의 집이라 명하지 않고 벧엘(the

    이라 명한다House of El) .4) 그런 후에 야곱은 절에 맹세하기를 엘로힘이21

    나를 입히시고 먹이시고 함께 하시면 야훼의 하나님이 나의 엘로힘이 된다고

    고백한다.

    창세기 장의 이야기는 창세기 장으로 연속된다 엘로힘은 야곱을 무사28 35 .

    히 벧엘에 귀향하게 하고 야곱은 에서를 피하여 도망하던 때에 나타난 하나

    님 을 위하여 제단을 쌓는다 야곱은 아직 그의 종교적 삶에서 인정되지(El) .

    않은 야훼를 신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그에게 응답한 야훼가 엘 하나님이(El)

    아니라고 믿는다 창세기 에 야곱은 번제단을 쌓고 그곳의 이름을 벧엘. 35:7

    혹은 엘 벧엘(לא לא־תיב 이라고 명한다 분명히 창세기 장에서 엘 벧엘이 제) . 35안되고 있는 것은 야훼가 엘 에 의해서 거부되며 벧엘의 야훼로 인정되지(El)

    않고 있다는 점이다 야곱은 그의 필요가 충족되고 무사히 귀환되면 야훼가.

    그의 하나님 엘 이 된다고 하였는데 야곱은 여전히 제단의 이름을 야훼의(El)

    집이라 명하지 않는다.

    4) 창세기 를 비교하라35:14-15 .「 」

  • 92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이러한 관점에서 본 라드 는 창세기 의 이야기에(Gerhard von Rad) 35:1-7

    서 이루어진 야곱의 여정을 제의적 절기여정으로 해석한다.(von Rad 1973,

    본 라드의 논리는 히브리어 동사336-337) 가הלע 이방 신상을 버리고(1) ,자신을 정결케 하고 의복을 바꾸는 것과 연관된 것으로 보아 종교적(2) , (3)

    순례여행을 반영한 제의적 용어로 해석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스라엘.

    절기 여행의 최종 목적지는 도시 안에 있는 성전집으로 귀결된다( ) .

    여로보암은 이미 예루살렘에 있는 야훼 성전을 향한 북왕국 이스라엘 사람

    들의 지속적 충성으로 인하여 새로운 북왕국에 관한 충성이 위협을 당하고

    있음을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이러한 남유다를 향한 충성을 소극화하기 위하.

    여 이방신을 매장하는 독특한 제의를 시행한다.5) 아마도 이러한 제의적 행위

    는 여로보암의 종교 개혁 안에서 이해될 수 있다 파괴 시키는 것보다 땅에.

    묻는 행위를 통하여 여로보암야곱은 북왕국 이스라엘 사람이 야훼 숭배를 위/

    해서 예루살렘을 향한 순례 여행을 추기를 원한다 하지만 그들의 하나님. (El)

    으로 야훼를 숭배하는 북왕국 사람들을 적대시 할 수는 없었다 여로보암은.

    야훼 숭배를 근절할 수는 없었지만 이러한 종교적 캠페인을 통하여 무시하고

    배척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여로보암은 야훼 숭배자들을 위한.

    차선의 선택으로 순례 목적지가 예루살렘이 아닌 벧엘 도시를 제공하여 야훼

    하나님이 그들의 엘 로 숭배될 수 있다는 합리성과 명분을 제공한다 창세(El) .

    기 에 사람들은 그들의 귀에 있는 고리를 빼어서 야곱에게 주었다35:4 ( םהינזאבםימזנה רׁשא 주었다 분명히 창세기 에 나타난 자료는 출애굽기 에) . 35:4 32:2금송아지를 만들기 위해서 사용된 귀 고리를 연상케 한다(ימזנ בהזה רׁשא .(ינזאב비록 여로보암은 송아지 이미지를 만들었지만 하나님의 형상 외에 다른 형상

    을 만들지 말라는 계명을 어긴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출애굽기 이스.( 20:4)

    라엘 민족은 매장되어야 할 그들의 이방신들을 야곱과 여로보암에게 주었[ ]

    으며 그 중 귀걸이는 여로보암의 송아지 모양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

    었다 남유다의 제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여로보암은 벧엘로 향하며 북왕국.

    본래의 하나님인 엘로힘의 제의를 강화한다 열왕기상 그 결과로 인해.( 12:28)

    5) 창세기 35:4.「 」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93

    서 여로보암은 벧엘에 산당 도시를 건설하였고 북왕국 종교를 더욱더 발전시

    킨다 여로보암은 소 형상을 만듦으로 전통적인 이스라엘 제의적 행위와 일치.

    하는 것임을 강조하고열왕기상 신이 거주하는 성전을 지었으며 비( 12:28), -

    레위지파의 제사장들을 임명한 후 남유다와 경쟁적인 축제를 제정하기 위하

    여 다른 달력을 사용하였다 열왕기상.( 12:33)

    만약 위의 창세기 장의 야곱여로보암의 이야기에 관한 해석이 남왕28-35 /

    국과 북왕국의 종교적 긴장감을 제공한다면 벧엘에서 이루어진 종교적 자리,

    매김은 이스라엘 종교적 발전 과정을 재구성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

    이다 이러한 원인론 에 관한 이야기는 신의 현현과 함께 북왕국이. (etiology)

    왜 벧엘을 중요한 산당도시로 결정하고 건설해야 했는지 명분과 합리성을 제

    공한다 도시는 산과 강 다른 자연적인 것과는 달리 인위적으로 선택되었으. ,

    며 본 창세기의 원인론적 이야기는 그들의 기원이 자연적인 것이 아닌 도시

    에 근거를 두고 있는 공식적인 이스라엘 종교임을 반영하고 있다 결국 신학.

    적인 의미로 발전하여 벧엘은 엘 의 하나님을 위하여 바쳐진 산당 도시로(El)

    승격된다 북왕국의 산당 도시는 남왕국과는 달리 정치적 중심이며 지리적으.

    로 연결된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면에 있어서 르호보암이 왕이 되기를 원했.

    던 세켐은 거부되고 그 곳에 이방신들이 매장되었다 창세기 세켐이 정.( 35:4)

    치적인 도시로 낙인 되는 반면 벧엘은 이제 새로운 종교적 중심지로 자리매

    김 된다.6)

    창세기 장의 이야기는 종교적 양상이 유목사회에서 전형적인 도시종교로28

    변화됨을 시사한다 창세기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야곱이 행한 제의는 유목. 28 ,

    적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벧엘은 야곱 시대의 유목사회 장소로 묘사되.

    며 그는 베개를 삼고 도시가 아닌 들판에서 잠을 청한다 창세기 야곱.( 28:11)

    이 돌에 기름을 붓는 제의는 사제의 중재 없이 이루어지는 개인적이며 비형

    식적인 제의를 보여주고 있다 창세기 야곱의 제의 특징은 어떠한 전.( 28:18)

    문적인 사제의 제도성립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고 관여되거나 통제되지 않

    는 유목사회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6) 여호수아 장을 주목하라24 .「 」

  • 94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열왕기상 장에서 소개되고 있듯이 종교적 발전 단계는 제단을 건설하는12

    것으로 이루어지며열왕기상 창세기 영구적인 성전이 건립( 12:33; 35:1, 7),

    되는 단계로 발전하게 된다 창세기 마지막으로 모든 백성들의 종교적.( 28:22)

    신념과 신앙을 통제하는 것이 요구되며 그러한 제의는 민족의 신 혹은 도시

    신 벧엘 의 엘 에게 귀속되어진다 열왕기상 열왕기상(Beth-El) (El) .( 12:20-28)

    장에서 소개하고 있는 종교적 행위는 전형적인 도시 형태의 종교적 양식을12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왕정에서 임명된 사제가 도시 안에 존재하며 자연적인.

    유목 생활보다는 도시 생활의 패턴에 맞춘 새로운 달력을 제정하여 시행하였

    다 이제는 단지 유목 사회에서 세워진 제단 혹은 산당 보다는 전형적인 도시.

    형태의 성전이 세워짐으로 도시의 종교생활을 발전시킨다 열왕기상.( 12:31)

    유목 형태의 자연적인 제의에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도시 형태의 제의 변화

    는 도시 생활에 맞는 종교의 발전과 더불어 도시의 행정적인 왕정체제에 의

    해서 통제하고 조정하는 것을 증거하고 있다.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가 종교에 미친 역할. IIⅤ

    공식종교 야훼종교 의 보존과 계승1. ( )

    도시의 행정적 종교적 기구들은 구전 을 포함하여 종교적- (oral tradition)

    전통을 보존하고 계승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종교적.(Harrelson 1977, 13)

    기관 및 기구는 도시 건설과 함께 더욱더 발전하게 되었고 도시 안에서 제의

    직무를 수행하는 사제들은 종교적 전통을 기억하고 유지하고 보존하는 일을

    수행하였다 제의적 직무를 수행하는 자들은 결국 인간과 신의 중재자의 역할.

    을 수행하는 도시에 거주하는 전문적인 사제들이었다 사제들의 기능적 수행.

    에 대해서 역사서가 증언하고 있듯이 왕들은 이스라엘 종교의 생활을 위한

    개혁을 감행하는 동시에열왕기상 열왕기하( 8; 11:4-8; 12:27-33;

    사제들은 그것을 유지하고 복원하는 일에 공헌하였음은 자명하16:10-18)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95

    다 역대하 열왕기하 더 나아가 다른 이방 종교의 박수.( 23:16-19; 22:8-10) ,

    선지자 또는 신접자들과는 달리 이스라엘 도시에 거하고 있는 사제들은 종교,

    적 유물들을 유지하고 기본적인 종교적 체계를 전승하는 책임을 맡았다 이러.

    한 일은 제정된 달력에 의해서 시행되는 제의를 행함으로 사회적 종교적 체-

    제를 유지하고 보존하게 된다.

    사제들은 도시 거주자 및 농경 사회에 거주하는 자들로 하여금 토라를 수

    행하도록 하기에 사회적 종교적 영향을 미쳤다 비록 농경사회의 사람들이, .

    절기 순례를 향하여 도시에 와서 일 년에 몇 번 제사를 드린다 하더라도 이

    스라엘 주변 사회에 편만해 있는 대중종교와 더불어 국가적 그리고 유일신에

    관한 이스라엘 공식종교를 이해시키고 교육하기에 충분하였다 이러한 예는.

    신명기 에 증거하고 있듯이 일 년에 세 번씩 이스라엘 민족이 절기를16:16

    지키기 위한 순례 여정을 행하였다 종교적 절기는 특별히 단 실로 벧엘 그. , , ,

    리고 예루살렘에 위치한 이스라엘의 도시에서 행하게 되었다 결국 모든 이스.

    라엘 민족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도시문화에 영향을 받았으며 이스라엘 공

    식종교의 신념과 행위는 정기적인 절기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수행되었다 신.(

    명기 이스라엘 민족은 제의적 절기를 통하여 야훼 하나님을 경외16:11, 14)

    하며 또한 희생을 통한 제사를 배우게 되었다 따라서 신명기 은 교. 31:9-13

    육적 기능의 절기순례에 관한 요인을 담고 있다.

    도시화로 건축된 이스라엘 성전들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성전 건축은

    철기 시대 도시화 현상의 가장 두드러진 기념적 건축물이었다 제단과 산II .

    당과 같은 제의적 건축물은 도시와 유목사회에 존재하여 두 지역에 공통 분

    모적인 종교현상을 나타내었다 이스라엘의 성전은.(Haran 1985, 15, 290)

    정교한 제의적 제도와 전문적인 사제들을 통하여 도시 안에서 공식적인 야훼

    종교를 섬기도록 함으로 신이 도시에 함께 거주하고 있다는 상징물로 자리매

    김하게 되었다.

    드보 의 연구에 의하면 토라의 가르침은 포로기 이전에(Roland de Vaux)

    성전과 도시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비록 철.(de Vaux 1961, 354)

    기 시대 이후에 완성된 문헌이라고 하더라도 여전히 포로기 이전 철기II II

    시대 전통양식을 반영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토라와 도시의 밀접한 관.

  • 96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계는 토라의 공적인 낭독이 도시 성문 광장에서 혹은 성전 광장에서 백성과

    함께 시행된 것을 통하여 입증되며열왕기하 느헤미야 예언( 23:1-3; 8:1,3),

    적인 종교 행사 및 선포가 도시성문과 광장에서 이루어졌다 열왕기상.( 22:10;

    역대하 18:9)7) 결국 도시 안에 거주하는 전문적인 사제들과 제사장들은 야,

    훼의 종교 전통을 보존하고 해석하며 제의적 행위와 신학을 통하여 도시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공식종교를 강화하게 되었다.

    문서 출현과 보관2.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서 발견된 비문과 오스트라카 깨어진 도기(ostraca;

    조각에 글을 기록한 것를 포함한 문헌증거는 기원전 세기에 관찰되는 지) 8-7

    역 경제력의 생산성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입증한

    다 문서와 무역 기술직업 중앙 집권의 통제와 관계.(Jamieson-Drake, 155) , ,

    를 갖고 있는 도시화의 발전은 결국 문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왜냐하.

    면 무역 기술직업 중앙집권은 결국 도시에서 통제 기능을 관할하고 있기 때, ,

    문이다 결국 도시건설은 문서의 확장과 종교의 보전을 가능하게 하였는데 도.

    시 안에서 출현한 문서들은 종교적 신념과 관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하였다 고대 서아시아와 이스라엘에서 문서의 기능은 추상적인 이념 생각. , ,

    분석 그리고 종교를 포함한 사회적 기능의 중앙 집권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

    크로스 가 지적하고 있듯이 이스라엘 종교의 역사적 중심축(Frank M. Cross)

    은 문서저작과 연관되어 있으며 과거의 이스라엘 종교적 전통과 양식을 문서

    화하여 보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Cross 1979, 111)

    고대 이스라엘의 도시 문화는 야훼 종교에 관한 문서의 출현을 가능하게

    하였고 결국 왕조 시대에 문서를 더욱더 이용 가능하게 하였다 문제는 문서.

    가 당시 이스라엘 사회에 대중과 문맹인들의 종교적인 신념과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냐는 하는 문제이다 고고학적 발굴에 의하면 기원전 세기에 해. 8

    7) 열왕기상 이스라엘의 왕과 유다의 여호사밧 왕이 왕복을 입고 사마리아22:10, “「 」성문 어귀 광장에서 각기 왕좌에 앉아 있고 모든 선지자가 그들의 앞에서 예언을 하고 있는데.”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97

    당되는 개 이상의 오스트라카가 사마리아 도시에서 발견되었다102 .(Reisner,

    이 외에도 왕조시대의 문서에 관한 고고Fisher, and Lyons 1924, 227-46)

    학적 증거는 오펠 오스트라카 철기 시대 실로암 비문(Ophel Ostraca, II ),

    기원전 세기 야브네 얌 오스트라카(Siloam Inscription, 8 ), - (Yavneh-Yam

    철기 시대 라말렉 인장자국 철기 시대 쿤틸렛Ostraca, II ), (LMK stamps, II ),

    아즈루드 철기 시대와 다양한 장소에서 발견되는 인장과(Kuntillet ‘Ajrud, II )

    인장자국 들이다 예를 들어 항아리에 새겨진 이름들(seals and impressions) . ,

    은 경제적 무역과 상업에 사용된 항아리의 소유주를 나타내는 것인데 본 유

    물의 발견 장소는 도시와 항상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Barkay 1992,

    왜 특별히 도시의 전문적인 서기관들이 깨어진 항아리에 문서를 기303-04)

    록하였는가에 관한 답은 도시문화 속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익숙해져 있

    는 보편적인 방법이었기 때문이다.(Millard 1985, 303-308)

    도시화의 현상인 성전에서 사제에 의해 발견된 문서화된 토라는 서기관에

    의해서 낭독되었고 결국 도시열왕기하 와 종교 행위열왕기하( 23:4-12) (

    역대하 장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바로 이것이 요시아의 종23:24, 34-35 ) .

    교개혁에서 나타난 현상이다.

    왕조 시대에 있어서 문서를 작성하고 기록 보존하여 남기는 서기관은 극히

    많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마리아의 고고학적 사유를 통하.

    여 도시에 거주하는 서기관은 문서를 작성하고 기록하여 보존하는 역할을 감

    당하였다 이스라엘에 있어서 문서와 구전의 전통은.(Lemaire 1992, 1005)

    상호 존재하여 서로를 확증하고 보충하며 때론 서로 상반되는 입장을 나타내

    기도 한다 분명히 도시 문명이 낳은 전통적이며 권위적인 문서는 결국에 이.

    스라엘 공동체의 신앙을 보존하기 위한 규범과 양식을 낳게 만들었고 이러한

    문서는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적 정치적 공동체 안에 자리매김 함으로써 도시,

    생활과 도시 내부의 종교적 기반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 98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야훼종교의 율법수행3.

    도시문화의 법률 제정은 이스라엘의 야훼 법령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도

    시 생활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결국 야훼의 법과 집행은 점진적으로 발.

    전하게 되었고 신명기 에서 암시하고 있듯이 야훼 하나님은 각 도16:18-20

    시에 사사들을 명하여 이스라엘 민족을 다스리게 하였다.8) 역대하 19:4-11

    에는 여호사밧이 모든 도시에 사사들을 임명함으로 야훼의 토라를 수행하도

    록 하였다 여호와의 율법을 도시 안에 거주하는 도시 장로를 통하여 집행하.

    는 예는 신명기 에서 입증된다19:1-13, 21:18-21, 22:13-21, 25:5-10 .

    신명기 에서 부모는 패역한 아들을 도시성문에 데리고 와서 장로들에21:19

    게 나아간다 본문에 언급된 도시성문. רעׁש) 은 단지 성문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도시성문과 인접한 건축물과 더불어 도시성문 내부 혹은 바깥쪽에 위치한

    광장까지 의미하는 것이다 장대규 그곳으로 가서 도시 장로들에.( 2007, 133)

    게 아들의 완악하고 패역한 것을 보고한다 그 아들은 부모의 말을 순종치 아.

    니하고 방탕하고 술에 잠긴 자라 하여 도시민들이 돌로 쳐서 죽였다 신명기.

    장에 나타난 결과로 인하여 도시 안에서 악을 제하고 오직 야훼의 율법을21

    준행하도록 하였다.

    도시 안에 법률 기관은 도시 문명에 있어서 이스라엘의 신학적 이해를 확

    립하는데 공헌하였으며 이스라엘과 다른 나라들에 대해서 하나님의 정의의

    심판에 관한 가르침을 확언하는 일에 영향을 미쳤다 결국 도시 안에서 법률.

    적 집행은 이스라엘 공동체의 공통적인 가치관을 일반화하는 역할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도시 문명에 있어서 야훼 하나님에 관한 신학적 의미

    를 편만하게 하는 기능을 하였다 하나님이 공의의 하나님이며 도시 공동체.

    안에서 그 법을 수행하는 것을 기초로 한 것은 아모스 와 미가서 에5:24 6:8

    서 입증하고 있다.9) 결국 하나님은 재판자와 같이 도시 안에서 정의와 공의

    를 집행하신다.

    8) 문자적으로 본 제정은 인간을 위한 것이 아니라 야훼를 위한 것 으로 명명된다 역“ ” . 「대하 을 참조하라19:6 .」

    9) 아모스 오직 정의를 물같이 공의를 마르지 않는 강같이 흐르게 할지어다5:24, “ , .”「 」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99

    이스라엘 종교적 행위와 야훼에 관한 신학적 이해에 관한 것은 도시화에

    따른 다양한 기관들 사제들로 구성된 제의 기관 사사 장로들에 의해서 준행, , ,

    된 법률기관 또한 서기관들에 의하여 기록되고 보존되어 온 전통을 통하여,

    도시문화 속에서 보존되고 발전하게 되었다 전문적인 사제들과 다른 종교적.

    기능을 수행하는 전문인들의 등장은 도시 공동체를 향한 제의적 삶을 발전시

    키게 되었다 또한 도시에서 이루어진 절기 순례는 하나님이 인간을 만나는.

    거룩한 장소로 도시가 사용되었음을 주장하는 신학적 사상을 강화하는데 공

    헌하였다 정의를 행하는 법률 시스템은 혼합적인 도시 사회 안에서 야훼종교.

    의 질서와 토라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것이었으며 도시에서 문서화된 토

    라의 보존 낭독 해석은 결국 야훼종교를 보전하고 발전하게 만든 기반과 활, ,

    력소가 되었다.

    나가는 말.Ⅵ

    할리간 은 그의 논문 문서에 나타난 도시 비평 에서 모세(John Halligan) “J ”

    오경과 고대 서아시아 메소포타미아의 신화적인 기원의 이야기를 비 신화화-

    하면서 이스라엘의 도시는 하나님이 부재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주장한다 더.

    나아가 문서는 반 도시에 관한 편견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였J -

    다 이스라엘이 초기 도시사회 속에서 종교적 생활은 지배적.(Halligan 1975)

    이었으며 도시와 도시 생활은 결국 이스라엘 종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 히브리 성서가 입증하고 있듯이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는 이스라엘 공동체가 도시 문명의 발전과정에서 조직과 체계가 구성되

    고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비록 고대 이스라엘 사회가 이방 종교의.

    신념과 관습을 따랐다고 할지라도 이스라엘 공동체의 야훼 하나님에 관한 이

    해 제의 그리고 제의방식에서 나타나는 신학적인 결과는 도시 문화를 통하, ,

    여 더욱더 보존하고 발전시켰다 도시 안에서 형성된 종교적 기관과 기구들은.

    이스라엘 종교의 독특성과 유일성을 보존하고 편만하게 하기 위하여 준거 틀

  • 100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을 제공하였으며 그 결과로 야훼종교공식종교는 대중종교와의 혼합 속에서( )

    도 사라지지 않고 더욱더 강화되고 보존되었다 따라서 고대 이스라엘 도시화.

    는 도시 문명 안에서 야훼종교의 중심을 상실하게 만든 것이 아니라 대중종

    교와 공존하고 갈등하면서도 이스라엘 공식종교를 더욱더 발전시키는 긍정적

    인 영향을 미쳤음을 본 논고는 주장한다.

    주제어 도시화 공식종교 고대 이스라엘 철기 시대 도시: , , , II ,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101

    참 고 문 헌

    김창성 종교와 음식을 통한 도시공간의 문화적 네트워크 비교문화(2007). ,「 」『

    연구 제 권 호, 13 , 1 , 98-137.』

    박정식 인도의 식민도시 고아 의 종교건축물과 문화적 정체성 가(2007). (Goa) :「

    톨릭교도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 권, , 11 ,」 『 』

    121-146.

    송도영 종교와 음식을 통한 도시공간의 문화적 네트워크 이태원 지역(2007). :「

    이슬람음식점들의사례 비교문화연구 제 집, , 13 , 98-136.」『 』

    장대규 팔레스타인 철기 시대 성문의 기능적 분석 구약논단(2007). II , ,「 」『 』

    제 집24 , 121-143.

    홍치모 독일의 종교개혁과 도시공동체 최근 논의를 중심으로(1998). - - ,「 」

    한국교회사학회 제 권, 7 , 37-65.『 』

    Ahlström, G. W.(1963). Aspect of Syncretism in Israel Religion, Translated

    by Eric J. Sharpe, Lund: C. W. K. Gleerup.

    Barkay, Gabriel(1992). “The Iron Age II-III,” Edited by Ammon Ben-Tor,

    The Archaeology of Ancient Israel,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pp. 302-373.

    Baumgarten, Jacob(1992). “Urbanization in the Late Bronze Age,” Edited

    by A. Kempinski and R. Reich, The Architecture of Ancient

    Israel: From the Prehistoric to the Persian Period, Jerusalem:

    Israel Exploration Society, pp. 143-150.

    Berlinerbau, J.(1991). “The 'Official Religion' Paradigm in Studies of

    Ancient Israel: A Sociological Reading and a Methodological

    Critique,” at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November 23.

    Bloch-Smith, Elizabeth(1992). Judahite Burial Practices and Beliefs About

    the Dead,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 102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Blomquist, Tina H.(1999). Gates and Gods: Cult and City Gates of Iron

    Age Palestine - An Investigation of the Archaeological and

    Biblical Sources. Stockholm: Almquiest and Wiksell

    International.

    Briquel-Chatonnet, F.(1992). Les relations entre les cits de la cote

    phnicienne et les royaumes d'Israel et de Juda, Leuven:

    Uitgeverij Peeters.

    Cohen, R.(1984). “Urban Canaan in the Late Bronze Period”,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vol. 253, 61-73.

    Cross, Frank M.(1979). “Early Alphabetic Scripts”, Edited by Frank M.

    Cross, Symposia Celebrating the Seventy-Fif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ASOR 1900-1975, Cambridge, MA: ASOR,

    pp. 97-123.

    de Geus, C. H. J.(1986). “The Profile of an Israelite City”, The Biblical

    Archaeologist, vol. 49, 224-227.

    .(2003). Towns in Ancient Israel and in the Southern Levant,

    Leuven: Peeter.

    de Vaux, Roland(1961). Ancient Israel: Religious Institution, Translated

    by John McHugh, New York: McGraw-Hill.

    Faust, Avraham(2001). “Doorway Orientation, Settlement Planning and

    Cosmology in Ancient Israel During Iron Age II”, Oxford Journal

    of Archaeology, vol. 20, 129-155.

    Faust, Avraham(2003). and Shlomo Bunimovitz, “The Four-Room House:

    Embodying Iron Age Israelite Society”, Near Eastern

    Archaeology, vol. 66, 22-31.

    Frick, Frank S.(1977). The City in Ancient Israel, Missoula, MT: Scholar.

    Fritz, Volkmar(1996). The City in Ancient Israel,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Gottwald, Norman K.(1979). The Tribes of Yahweh: A Sociology of the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103

    Religion of Liberated Israel, 1250-1050 B.C.E., Maryknoll, NY:

    Orbis Books.

    Grabbe, Lester L.(2001). and Robert D. Haak, 'Every City Shall Be

    Forsaken': Urbanism and Prophecy in Ancient Israel and the

    Near East,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Halligan, John M.(1975). “A Critique of the City in the Yahwist Corpus,”

    Ph.D. diss., University of Notre Dame.

    Hammond, Mason(1972). The City in the Ancient World, Cambridge:

    The Harvard University Press.

    Haran, Menahem(1985). Temples and Temple Service in Ancient Israel,

    Winona Lake, IN: Eisenbrauns.

    Harrelson, Walter(1977). “Life, Faith, and the Emergence of Tradition”,

    Edited by Douglas Knight, Tradition, and Theology in the Old

    Testament, Philadelphia: Fortress, pp. 11-30.

    Herzog, Ze'ev, Miriam Aharoni, and Anson F. Rainey, Shmuel

    Moshkovitz(1984). “The Israelite Fortress at Arad”,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vol. 254, 1-34.

    ., (a)(1992). “Settlement and Fortification Planning in

    the Iron Age,” Edited by A. Kempinski and R. Reich, The

    Architecture of Ancient Israel: From the Prehistoric to the

    Persian Period, Jerusalem: Israel Exploration Society, pp.

    231-274.

    ., (b)(1992. “Cities in Ancient Israel”, Edited by David N.

    Freedman, The Anchor Bible Dictionary, vol. 1, New York:

    Doubleday, pp. 1037-1038.

    .(1997). Archaeology of the City: Urban Planning in Ancient

    Israel and its Social Implications, Tel Aviv: Tel Aviv University

    Press.

    Jamieson-Drake, David W.(1991). Scribes and Schools in Monarchic

  • 104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Israel,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Jang, Daegyu(2005). “Iron Age II City Gates in Palestine: Textual and

    Archaeological Evidence”, Ph.D. diss.,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Kempinski, A., (a)(1992). “Urbanization and Town Plans”, Edited by A.

    Kempinksi and R. Reich, The Architecture of Ancient Israel:

    From the Prehistoric to the Persian Period, Jerusalem: Israel

    Exploration Society, pp. 121-126.

    ., (b)(1992). The Rise of an Urban Culture: The Urbanization of

    Palestine in the Early Bronze Age (3000-2150 BCE). Jerusalem:

    Israel Exploration Society.

    Kelm, G. L., and A. Mazar(1984). “Timnah: A Biblical City in the Sorek

    Valley”, Archaeology, vol. 37, 58-76.

    Kramer, S. N.(1962). “Sumer”, Edited by G. A. Buttrick,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vol. 4, Nashville: Abingdon, pp.

    459-460.

    Lemaire, A.(1992). “Writing and Writing Materials”, Edited by David N.

    Freedman, The Anchor Bible Dictionary, Garden City, NY:

    Doubleday, pp. 999-1008.

    Lenski, Gerhard E.(1966). Power and Privilege: A Theory of Social

    Stratification,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Mazar, A.(1990). Archaeology of the Land of the Bible 10,000-586 BCE,

    New York: Doubleday.

    .(1992). “Temples of the Middle and Late Bronze Ages

    and the Iron Age”, Edited by A. Kempinski and R. Reich, The

    Architecture of Ancient Israel: From the Prehistoric to the

    Persian Period, Jerusalem: Israel Exploration Society, pp.

    161-189.

    Millard, Allan(1985). “An Assessment of the Evidence for Writing in

  • 철기 시대 이스라엘 도시화와 종교 연구 장대규II : 105

    Ancient Israel”, Biblical Archaeology Today: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n Biblical Archaeology Jerusalem,

    April 1984, Jerusalem: Jerusalem Exploration Society, pp.

    303-308.

    Nakhai, Beth A.(2001). Archaeology and Religions of Canaan and Israel,

    Boston: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Reich, Ronney(1992). “Building Materials and Architectural Elements in

    Ancient Israel”, Edited by A.. Kempinski and R. Reich, The

    Architecture of Ancient Israel: From the Prehistoric to the

    Persian Period, Jerusalem: Israel Exploration Society, pp. 1-16.

    Reisner, G. A., C. S. Fisher, and D. G. Lyons(1924). Harvard

    Excavations at Samaria,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Shiloh, Y.(1979). “Iron Age Sanctuaries and Cult Elements in Palestine”,

    Edited by Frank M. Cross, Symposia Celebrating the Founding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1900-1975),

    Boston: ASOR, pp. 147-157.

    Shiloh, Y., and A. Mazar(1980). “The Population of Iron Age Palestine in

    the Light of a Sample Analysis of Urban Plans, Areas and

    Population Density”, Bulletin of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vol. 239, 25-35.

    von Rad, G.(1973). Genesis, A Commentary, Old Testament Library,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Weber(1952). Max, Ancient Judaism, Glencoe, IL: The Free.

    .(1958). The City, Glencoe, IL: The Free.

    Wilkinson, John(1974). “Ancient Jerusalem, Its Water Supply and

    Population”, Palestine Exploration Quarterly, vol. 106, 35-51.

    Winter, Irene J.(1985). “After the Battle is Over: The Stele of Vultures

    and the Beginning of Historical Narrative in the Art of the

  • 106 30-1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Ancient Near East”, Edited by H. L. Kessler and M. S.

    Simpsonin, Pictorial Narrative in Antiquity and the Middle

    Ages, London: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pp. 11-32.

    장대규소 속 KRP: Karak Resources Project이메일 [email protected]

    논문접수일 년 월 일2009 5 1심사완료일 년 월 일2009 6 9게재확정일 년 월 일2009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