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26 3 2009 9 韓國食品流通學會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第 26 卷 第 3 號2009 年 9 月

韓國食品流通學會

1

R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정책과 단계별 발전 전략- 영국 요크셔- 험버 식품클러스터의 시사점 -

ABSTRACTⅠ 서 론Ⅱ 식품산업의 구조와 특징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Ⅳ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방향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Ⅵ 결 론참고문헌

목 차

ABSTRACTecently Koran government launched a policy for establishing food clusters This is an effort to develop Korean food industry that could not properly perform RampD

investment and promote new products because of the small scale of food industry in Korea The food cluster policy comprised of two measures which are implemented in national and regional level respectively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food industry and suggests a desirable strategy for managing national and regional food clusters

Key Wordsfood cluster food industry UK food cluster policy

강원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교수 교신저자단국대학교 환경자원경제학과 교수 공동저자

2

한Ⅰ 서 론

국농업은 1995년 WTO체제 출범 이후 크게 위축되고 있다 여기에 DDA 협상의 진전 및 칠레미국 등과의 FTA 체결로 개방화는 가속화 되고 있다 호당 경지면적이

영세한 한국농업의 현실에서 규모확대를 통한 생산비 절감에는 한계가 있다 결국 개방화는 농가소득의 정체로 이어질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최근 농가소득과 도시 근로자 소득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있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난국을 타개하고자 2008년 농림부를 농림수산식품부로 재편하고 식품산업의 육성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에는 식품산업본부가 신설되고 산하에 식품산업팀 식품진흥팀 소비안전팀이 설치되었다 또 동년 식품산업진흥법을 제정하고 농업농촌 기본법을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으로 개정하여 식품산업 육성의 법적근거를 마련하였다

식품산업은 농업으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아 농산물의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고용창출 수출 등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전통식품은 국산 농산물을 많이 사용하면서 수요가 꾸준하고 수입제품과의 경합도 별로 없다

그러나 식품산업은 자본과 기술력이 필요하고 안전성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물론 RampD 등 관련부문과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한 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효율적인 수단이며 선진국에서 이미 많이 도입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2008년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시작하였으며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사업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아직 역사가 짧고 실적이 작아 평가하기에는 이르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구조와 특징을 개관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을 소개하면서 영국의 사례를 토대로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3

Ⅱ 식품산업의 구조와 특징

1 식품산업의 구조한국의 식품산업은 1980년대 이후 산업화가 진전되면서 경제성장 및 소득향상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6년 기준 식품산업의 매출액은 998조원으로 1999년 대비 438 증가하였고 종사자는 163만명으로 동 기간중 86 증가하였다 참고로 2006년의 농림어업의 생산액은 42조원으로 동 기간 중 111 증가에 그쳤다

lt표 1gt 한국의 식품산업 매출액 및 고용규모 추이(단위10억원 천명)

항 목 1999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6년매출액 - 음식료품 제조업 - 외식업

694463618733257

726723720035472

831404264940491

961364776748370

998384894650892

종사자 - 음식료품 제조업 - 외식업

1507174

1333

1608178

1430

1769183

1586

1742186

1556

1636185

1450

주음식료품제조업은 종사자 5인 이상 사업체 대상임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원자료는 통계청 985172제조업 통계조사985173 2008 985172도소매업 통계조사985173 2008

식품산업의 구조는 영세성 양극화 등으로 인해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제조업체의 대다수는 영세규모의 자영업 형태로서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 그러나 일부 소수 대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엄청나게 커서 집중도가 높다

lt표 2gt에서 보듯이 2006년에 한국의 식품제조업체(종사자 5인 이상) 수는 8495개소인데 이중 종업원 50인 미만의 소기업이 916를 차지하며 전체 매출액의 340를 생산한다 한편 300인 이상 대기업의 수는 05에 불과하나 매출액의 164를 차지한다 평균 매출액은 소기업이 21억원 중기업이 361억원인데 비해 대기업은 1958억원이다 연 매출액 10억원 미만의 영세한 식품제조업체가 전체 업체의 558를 차지한다 식품제조업체의 평균 매출액은 576억원으로 전체 제조업 평균 763억원의 75 수준이다

4

lt표 2gt 한국의 식품제조업체 현황(2006년)구 분 사업체수(개) 고용인원(명) 매출액(10억원) 평균매출액(억원)

소기업(50인 미만)중기업(50~300인)대기업(300인 이상)

7781( 916)673( 79)41( 05)

95827( 517)68869( 371)20723( 112)

16642( 340)24278( 496)8027( 164)

2143607

19577

합 계 8495(1000) 185419(1000) 48946(1000) 573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원자료는 통계청 985172광업제조업통계985173 2008

또한 547천여개의 외식업소 중 종업원 5인 미만이 904 매출액 1억원 미만이 750로 대부분 영세한 자영업 형태이다 2006년의 외식업소 점포당 매출액은 8천7백만원인데 이는 일본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식품산업 발전의 토대가 되는 인프라와 제도적 기반도 취약하다 RampD 투자가 미흡하여 식품산업의 기술수준이 낮고 식품통계와 정보의 인프라 인력양성 시스템 등이 전반적으로 미비한 상태이다

2007년 말 기준으로 연 매출액이 1조원 이상의 식품기업은 CJ(2조원) 농심(15조원) 삼양사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오뚜기(각 1조원) 등 8개이다

가공식품의 수출액은 19억달러 수출액은 88억달러로 수입액이 4배 이상 많다 주요 가공식품 수출품목은 연초류(22) 과자류(12) 주류(10) 면류(10) 커피류(9) 당류(8) 등이다 수출국가는 일본(20) 미국(13) 중국(12) 러시아(11) 아세안(9) 등이다 즉 수출품목과 수출 대상국의 범위가 좁다고 할 수 있다 약 119개의 한국 식품기업이 22개국에 진출해 있는데 이중 중국이 68로 가장 많고 다음이 일본(5) 미국(4) 베트남 인도네시아 러시아 순이다

2 식품산업의 특징첫째 식품제조업이나 외식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자영업 형태가 많아 경쟁력이 취약하

다 한편 일부 소수 대기업의 시장 지배력이 크다 특히 지역의 전통식품 업체는 기술력이나 자본력이 취약하여 자체 제품개발 능력이 매우 약하다

둘째 대규모 식품제조업체나 외식업체는 원료의 대부분을 외국에서 조달하고 있는데

이는 국산 원료 농산물의 가격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는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부

5

족 및 낮은 식량자급률을 초래한다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2007년에 272로 OECD 국가중 최하위 수준이다 또한 국제 곡물가 상승 등 해외 식품원료 조달의 위험요소는 증가하고 있으나 민관합동의 대응은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셋째 국내산 식품의 소비품목이 다양하지 못하다 보니 지역별로 소수의 생산품목에 집중되고 이는 과잉경쟁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식품산업에서의 새로운 상품개발 노력 부족에서 기인한다

넷째 최근 빈발하고 있는 국내외 안전성 사고로 소비자들은 안전성에 대해 매우 민감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규모 식품업체는 시설비 부담으로 HACCP등 안전성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국내 식품산업의 소비자신뢰 확보를 위해서는 안전성관리를 강화해야 하나 이는 대다수 영세 식품업체에게 시설비증대를 초래하여 시행에 어려움이 있다

다섯째 국가차원에서 위험분석(Risk Analysis) 등 선진적인 안전성관리 시스템을 정비하지 못하고 있고 국가나 식품기업과 소비자간에 위험 정보교환(Risk Communication)이 원활하지 못하며 식품유통의 투명성이 취약하다 보니 전반적으로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낮다 이는 식품산업 발전에 큰 저해요인이 되고 있으며 종종 사회문제로 비화되어 막대한 사회적 손실을 초래한다 2008년 5월부터 8월 사이에 BSE 위험이 있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문제를 놓고 서울에서 대규모 시위가 연달아 일어났는데 그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여섯째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인식과 유통체계가 아직 미흡하다 보니 일본의 지산지소나 서양의 로컬 푸드시스템이 정착되지 않고 있다 학생이나 소비자에 대한 식생활교육 또는 소비자교육 체계도 미흡하여 식품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가 낮은 편이다

일곱째 한식의 세계화가 미흡하여 식품이나 식자재의 해외수출이 낮은 수준이다 김치나 장류 등 발효식품은 최근 건강식품으로 그 효능이 입증되고 있는데도 이를 외국인들이 먹기 쉬운 형태로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6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낮은 기술 경쟁력 문제를 해결하고 식품산업의 고부

가가치화와 농어업의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를 목적으로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참고로 한국 식품산업의 RampD 투자비율을 보면 2007년 시점 매출액 대비 03로 산업전체의 25나 제조업 평균 30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업은 2008년 12월 전라북도 익산시로 입지선정을 완료하고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총사업비 약 1조원을 투입하여 400ha 규모의 식품전문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공되면 약 9조 9천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4만 8천명의 고용유발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는 100여개 이상의 국내외 식품기업 10개 이상의 민간연구소 연관 기업 지원시설 등이 입지하게 된다 현재 전라북도에는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원광대학교 군산대학교 등의 대학이 있으며 2012년까지 농촌진흥청과 한국식품연구원이 이곳으로 이전할 예정이어 연구 인프라가 크게 확충된다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곧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될 예정인데 이는 식품산업을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되면 입주 기업에 대한 임대료 및 조세감면 RampD 자금과 같은 재정지원 인허가 간편 서비스 등의 인센티브가 주어지고 우수 전문인력 유치를 위한 정주생활복지공간교육시설 확충 등의 혜택이 따른다

앞으로 여기에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진흥원 식품 RampD 연구센터(식품 기능성 평가센터

식품 품질안전 지원센터 식품 포장기술 지원센터 Pilot Plant 등) 식품 전처리시설 창업보육 센터 공동 집배송 센터 등의 지원시설들이 입주하게 된다

식품산업 클러스터 진흥원은 클러스터 전체의 관리 및 기획 업무를 담당하면서 부설 식품 아카데미 과정을 통해 식품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또 식품 기능성 평가센터는 기능성식품의 연구개발을 식품 품질안전 지원센터식품 포장기술 지원센터창업보육 센터임대형 공장공동 집배송 센터 등은 중소 식품제조업체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신선 편의식품 및 국산 농산물 사용을 위한 대규모 전처리시설도 건립된다

lt그림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에서는 국가 식품산업의 허브로서 연구개발 업무에 중점을 두면서 단지 내의 기업이나 연구소는 물론 지역의 식품산업 클러

7

스터 및 중소 식품업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협력과 지원을 강화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협력증진과 기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할 lsquo식품클러스터 협의회rsquo가 구성된다 국가 식품클러스터 내에서의 생산활동은 고부가가치 품목(예를 들어 기능성식품 발효식품 천연 첨가물 등)이나 수출품목(인삼 김치 등)에 주력하게 된다

전라북도의 대규모 간척지인 새만금지구에는 앞으로 친환경 농업단지 수출 산업단지

항만 등이 조성되는데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이곳과 연계하여 동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식품수출의 전진기지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나아가서 첨단기술과 접목한 가공무역도 확대할 계획이다

lt그림 1gt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와 지역 식품산업의 협력관계

2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에는 2007년까지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라는 명칭의 사업이 없었다 2008년부터 광

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1개소를 선정하여 시범사업으로 실시하다가 실적을 보아 2년에 1개소씩 추가한다는 계획이어 구체적인 실적이 없다

그러나 lt표 3gt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5년부터 실시되어 온 지역농업 육성사업 예를 들어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 향토산업 육성사업 신활력사업 지역특구 지정 사업 등의

8

상당부분은 식품관련 사업이다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개념은 식품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특정지역에 모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기술개발 원료조달 인력과 정보교류 등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조직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 사업들이 식품산업을 육성하는 사업이라고 하여 바로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할 수는 없지만

넓은 의미에서 유사한 형태로 볼 수 있겠다

그동안의 지역농업 육성사업들이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가공이나 판매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업영역이 시군단위이고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으며 제품개발이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시스템이 미비하다는 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초기단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보성 녹차 클러스터 순창 장류 클러스터 등 일부 지역농업 클러스터는 대기업의 참여와 연구기반 확충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 육성품목의 범위가 적다보니 동일품목을 여러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데 인기가 있는 품목은 포도(와인) 6개소 녹차 5개소 고추사과인삼 각 4개소 감마늘장류 각 3개소 등이다 아직까지 가공품은 장류 한과 떡 곶감 치즈 죽염 불고기 정도이고 수출까지 이어지는 품목은 별로 없다

lt표 3gt 한국의 지역농업 육성사업구 분 지역농업 클러스터 향토산업 육성 신활력 사업 지역특구 지정사업목적 지역핵심

농산업 육성향토자원 개발육성

낙후지역 지 원

지역특화 개 발

담당부처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시행지구 20개 19개 70개 65개식품관련 15개 15개 35개 28개예 산 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20~30억원없음

(규제특례 적용)

주요사례한우 양돈 쌀 콩 사과 포도 귤 인삼 고추 녹차 치즈 한과

쌀작두콩 포도 딸기 호박 인삼 메밀 생강 구기자 약쑥 녹차 민속떡 장류 죽염

사과 배 유자 참외 복분자 마늘 오미자 약초 녹차 송이 장류 곶감 치즈

사과 포도 복분자 마늘 인삼 오미자 고추 녹차 장류 곶감 불고기

자료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9

lt표 4gt에서 지역농업 클러스터 선정사업의 품목변화를 살펴보면 축산과 청과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공품에 특화한 클러스터는 여전히 소수이다 이는 아직도 지역의 식품산업이 기술수준이나 조직력 면에서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까지 선정된 42개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을 내용별로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38

개 사업이 시군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단위의 광역사업은 4개에 불과하다 광역사업은 경북한우 충북 친환경축산 제주감귤 제주말이다 생산유통 사업이 25개로 가장 많고

가공사업은 11개 테마사업은 6개이다 테마사업에는 아산 친환경 정읍 순환농업 진안 친환경 한방과 같은 친환경농업 중심형과 논산 예스민 딸기 완주 감 영천 와인과 같은 관광 중심형이 포함된다

lt표 4gt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품목의 변화품 목 제1기 (2005~2007년) 제2기 (2008~2010년)축 산 한우(2) 양돈(1) 3 한우(4) 양돈(1) 말(1) 축산(1) 7

곡물 서류 쌀(2) 콩(1) 3 고구마(1) 1

과 수 사과(1) 포도(1) 귤(1) 3 포도(1) 산머루(1) 감(1) 무화과(1) 4

채소 과채 고추(1) 1 시금치(2) 생강(1) 메론(1) 딸기(1) 5

특 작 인삼(1) 녹차(2) 3 산수유(1) 한방(1) 2

가 공 품 한과(1) 치즈(1) 2 떡(1) 와인(1) 2

기 타 모시(1) 포괄(4) 5 종묘(1) 1

합 계 20개소 22개소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lt표 5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부는 지역농업 클러스터를 연차적으로 확대하여 2016년까지 100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앞으로는 가공사업과 테마사업의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내용적으로도 수출중심형 연합브랜드 중심형 생산유통 한방 중심형 바이오산업 중심형 가공 관광중심형 테마 등으로 다양화되고 고도화될 전망이다

정부가 2008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그동안 실시해온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으로 확대하고 Ramp

D식품기업공동시설 등 기반조성과 역량을 강화하면서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10

lt표 5gt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육성계획유 형 개소 육 성 목 표

생 산유 통 42

수출중심형 7 브랜드화와 수출증대주산물 중심형 30 특화브랜드 구축으로 농가소득 향상연합브랜드 중심형 5 마케팅능력 제고로 경쟁력 강화

가 공 43

가공 중심형 20 특화작목 가공으로 부가가치 제고특산품 중심형 15 전통지식 산업화로 지역경제 활성화한방 중심형 3 전통과 신기술 접목으로 벤처농 육성바이오산업 중심형 5 생명산업 접목으로 고부가가치 실현

테 마 15관광 중심형 10 농업의 관광산업화로 농가소득 증대친환경농업 중심형 5 환경농업 실현으로 부가가치 제고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즉 지역의 여건과 의지가 충분히 갖추어진 곳을 중심으로 소수의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되 정부지원은 하드웨어의 경우 연구기반과 공동시설 소프트웨어의 경우 네트워크 구축 등에 한정하여 5~6년 이후 정부지원을 중단해도 자립운영이 가능하도록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이하 이러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염두에 두고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에서 도입해야 할 원칙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의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각각 어떤 단계별 전략을 갖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고찰하고 외국의 사례로 영국 요크셔-험버지역의 식품클러스터를 살펴보고자 한다

Ⅳ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방향

1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정책방향역사적으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지역의 1차 생산물을 이용한 소규모 가공업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11

성장하는 것이고 둘째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한 정책적인 지원으로 식품산업의 중심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발전방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해당 산업의 지역적 여건을 반영하는 것과 관련 주체들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전체 식품산업 발전을 도모할 기반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주도적인 기관이나 지역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품산업의 지역별 여건이 서로 상이해서 각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두 가지를 동시에 육성하면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로서는 식품산업 육성의 성과를 앞당긴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다원적 가치 및 지역 정체성을 잘 살려야 한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과 더불어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을 앞당긴다는 목적에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화적환경적 측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유치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데는 각기 서로 다른 차원의 내용과 주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클러스터에 관한 일반이론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적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어떤 전략적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하는지 그 방안을 살펴보자

2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중앙정부의 지원 전략국가적인 규모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

12

진다 첫 번째는 클러스터 모델에서 산업생산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생산가공과 관련된 사업체의 창업과 유치를 위해 산업단지와 각종 인프라를 건설하여 지역 내 관련 사업체가 집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산업단지와 같이 업체들의 입지와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인위적으로 업체들이 입지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낙후지역 산업개발을 위해 사용했던 방식으로 해당지역에 입지하는 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할 경우는 성공할 수 있으나 수요가 불투명하거나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클러스터로의 발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기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규모 투자에 의해 이러한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정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두 번째는 과학기술시스템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구기관의 설립 또는 입지를 통해서 지역 내 연구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지역 내 창업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방향은 궁극적으로는 연구개발의 성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것으로 대덕 연구단지를 비롯한 몇 가지 세계적인 사례가 있다 실제 연구기관의 이전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내 업체들의 요구에 의해 대학과 연구기관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기술개발의 성과와 제품화 가능성 그리고 시장수요를 고려하여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책이다

사실상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이 미약한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볼 때 대규모 예산을 초기에 투입하는 방식보다는 식품연구 및 산업체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기능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국가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추진전략 식품산업의 주요 구성주체들이 일정 지역에 집적되어 있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단계별로 적절히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러스터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계별 발전모형(그림 2)

을 토대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단계별로 국가적 차원에서 하드웨어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을 결합하는 발전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자

1) 형성 준비기이 단계는 식품연구개발 분야의 혁신역량을 지닌 지역을 판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13

실시하는 시기이다 즉 식품산업발전을 주도할 지역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서 식품관련 연구기관간의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연구기관의 협력적 전통과 분위기가 조성된 지역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각종 연구기관들간의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사후적으로 파악하여 클러스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원활한 연구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근접해 있는 기관간의 협력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 하드웨어적인 지원은 불필요하며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의 확산 및 인력양성 등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lt그림 2gt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모형

2) 기반조성 준비기 이 단계의 주요 사항은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센터의 역할은 일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식품연구개발의 수요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업체 및 연구기관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심지 또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관은 대학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네트워크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설립하여야 한다 연구센터가 설립되는 지역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2: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1

R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정책과 단계별 발전 전략- 영국 요크셔- 험버 식품클러스터의 시사점 -

ABSTRACTⅠ 서 론Ⅱ 식품산업의 구조와 특징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Ⅳ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방향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Ⅵ 결 론참고문헌

목 차

ABSTRACTecently Koran government launched a policy for establishing food clusters This is an effort to develop Korean food industry that could not properly perform RampD

investment and promote new products because of the small scale of food industry in Korea The food cluster policy comprised of two measures which are implemented in national and regional level respectively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food industry and suggests a desirable strategy for managing national and regional food clusters

Key Wordsfood cluster food industry UK food cluster policy

강원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교수 교신저자단국대학교 환경자원경제학과 교수 공동저자

2

한Ⅰ 서 론

국농업은 1995년 WTO체제 출범 이후 크게 위축되고 있다 여기에 DDA 협상의 진전 및 칠레미국 등과의 FTA 체결로 개방화는 가속화 되고 있다 호당 경지면적이

영세한 한국농업의 현실에서 규모확대를 통한 생산비 절감에는 한계가 있다 결국 개방화는 농가소득의 정체로 이어질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최근 농가소득과 도시 근로자 소득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있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난국을 타개하고자 2008년 농림부를 농림수산식품부로 재편하고 식품산업의 육성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에는 식품산업본부가 신설되고 산하에 식품산업팀 식품진흥팀 소비안전팀이 설치되었다 또 동년 식품산업진흥법을 제정하고 농업농촌 기본법을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으로 개정하여 식품산업 육성의 법적근거를 마련하였다

식품산업은 농업으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아 농산물의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고용창출 수출 등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전통식품은 국산 농산물을 많이 사용하면서 수요가 꾸준하고 수입제품과의 경합도 별로 없다

그러나 식품산업은 자본과 기술력이 필요하고 안전성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물론 RampD 등 관련부문과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한 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효율적인 수단이며 선진국에서 이미 많이 도입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2008년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시작하였으며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사업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아직 역사가 짧고 실적이 작아 평가하기에는 이르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구조와 특징을 개관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을 소개하면서 영국의 사례를 토대로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3

Ⅱ 식품산업의 구조와 특징

1 식품산업의 구조한국의 식품산업은 1980년대 이후 산업화가 진전되면서 경제성장 및 소득향상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6년 기준 식품산업의 매출액은 998조원으로 1999년 대비 438 증가하였고 종사자는 163만명으로 동 기간중 86 증가하였다 참고로 2006년의 농림어업의 생산액은 42조원으로 동 기간 중 111 증가에 그쳤다

lt표 1gt 한국의 식품산업 매출액 및 고용규모 추이(단위10억원 천명)

항 목 1999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6년매출액 - 음식료품 제조업 - 외식업

694463618733257

726723720035472

831404264940491

961364776748370

998384894650892

종사자 - 음식료품 제조업 - 외식업

1507174

1333

1608178

1430

1769183

1586

1742186

1556

1636185

1450

주음식료품제조업은 종사자 5인 이상 사업체 대상임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원자료는 통계청 985172제조업 통계조사985173 2008 985172도소매업 통계조사985173 2008

식품산업의 구조는 영세성 양극화 등으로 인해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제조업체의 대다수는 영세규모의 자영업 형태로서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 그러나 일부 소수 대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엄청나게 커서 집중도가 높다

lt표 2gt에서 보듯이 2006년에 한국의 식품제조업체(종사자 5인 이상) 수는 8495개소인데 이중 종업원 50인 미만의 소기업이 916를 차지하며 전체 매출액의 340를 생산한다 한편 300인 이상 대기업의 수는 05에 불과하나 매출액의 164를 차지한다 평균 매출액은 소기업이 21억원 중기업이 361억원인데 비해 대기업은 1958억원이다 연 매출액 10억원 미만의 영세한 식품제조업체가 전체 업체의 558를 차지한다 식품제조업체의 평균 매출액은 576억원으로 전체 제조업 평균 763억원의 75 수준이다

4

lt표 2gt 한국의 식품제조업체 현황(2006년)구 분 사업체수(개) 고용인원(명) 매출액(10억원) 평균매출액(억원)

소기업(50인 미만)중기업(50~300인)대기업(300인 이상)

7781( 916)673( 79)41( 05)

95827( 517)68869( 371)20723( 112)

16642( 340)24278( 496)8027( 164)

2143607

19577

합 계 8495(1000) 185419(1000) 48946(1000) 573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원자료는 통계청 985172광업제조업통계985173 2008

또한 547천여개의 외식업소 중 종업원 5인 미만이 904 매출액 1억원 미만이 750로 대부분 영세한 자영업 형태이다 2006년의 외식업소 점포당 매출액은 8천7백만원인데 이는 일본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식품산업 발전의 토대가 되는 인프라와 제도적 기반도 취약하다 RampD 투자가 미흡하여 식품산업의 기술수준이 낮고 식품통계와 정보의 인프라 인력양성 시스템 등이 전반적으로 미비한 상태이다

2007년 말 기준으로 연 매출액이 1조원 이상의 식품기업은 CJ(2조원) 농심(15조원) 삼양사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오뚜기(각 1조원) 등 8개이다

가공식품의 수출액은 19억달러 수출액은 88억달러로 수입액이 4배 이상 많다 주요 가공식품 수출품목은 연초류(22) 과자류(12) 주류(10) 면류(10) 커피류(9) 당류(8) 등이다 수출국가는 일본(20) 미국(13) 중국(12) 러시아(11) 아세안(9) 등이다 즉 수출품목과 수출 대상국의 범위가 좁다고 할 수 있다 약 119개의 한국 식품기업이 22개국에 진출해 있는데 이중 중국이 68로 가장 많고 다음이 일본(5) 미국(4) 베트남 인도네시아 러시아 순이다

2 식품산업의 특징첫째 식품제조업이나 외식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자영업 형태가 많아 경쟁력이 취약하

다 한편 일부 소수 대기업의 시장 지배력이 크다 특히 지역의 전통식품 업체는 기술력이나 자본력이 취약하여 자체 제품개발 능력이 매우 약하다

둘째 대규모 식품제조업체나 외식업체는 원료의 대부분을 외국에서 조달하고 있는데

이는 국산 원료 농산물의 가격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는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부

5

족 및 낮은 식량자급률을 초래한다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2007년에 272로 OECD 국가중 최하위 수준이다 또한 국제 곡물가 상승 등 해외 식품원료 조달의 위험요소는 증가하고 있으나 민관합동의 대응은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셋째 국내산 식품의 소비품목이 다양하지 못하다 보니 지역별로 소수의 생산품목에 집중되고 이는 과잉경쟁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식품산업에서의 새로운 상품개발 노력 부족에서 기인한다

넷째 최근 빈발하고 있는 국내외 안전성 사고로 소비자들은 안전성에 대해 매우 민감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규모 식품업체는 시설비 부담으로 HACCP등 안전성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국내 식품산업의 소비자신뢰 확보를 위해서는 안전성관리를 강화해야 하나 이는 대다수 영세 식품업체에게 시설비증대를 초래하여 시행에 어려움이 있다

다섯째 국가차원에서 위험분석(Risk Analysis) 등 선진적인 안전성관리 시스템을 정비하지 못하고 있고 국가나 식품기업과 소비자간에 위험 정보교환(Risk Communication)이 원활하지 못하며 식품유통의 투명성이 취약하다 보니 전반적으로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낮다 이는 식품산업 발전에 큰 저해요인이 되고 있으며 종종 사회문제로 비화되어 막대한 사회적 손실을 초래한다 2008년 5월부터 8월 사이에 BSE 위험이 있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문제를 놓고 서울에서 대규모 시위가 연달아 일어났는데 그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여섯째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인식과 유통체계가 아직 미흡하다 보니 일본의 지산지소나 서양의 로컬 푸드시스템이 정착되지 않고 있다 학생이나 소비자에 대한 식생활교육 또는 소비자교육 체계도 미흡하여 식품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가 낮은 편이다

일곱째 한식의 세계화가 미흡하여 식품이나 식자재의 해외수출이 낮은 수준이다 김치나 장류 등 발효식품은 최근 건강식품으로 그 효능이 입증되고 있는데도 이를 외국인들이 먹기 쉬운 형태로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6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낮은 기술 경쟁력 문제를 해결하고 식품산업의 고부

가가치화와 농어업의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를 목적으로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참고로 한국 식품산업의 RampD 투자비율을 보면 2007년 시점 매출액 대비 03로 산업전체의 25나 제조업 평균 30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업은 2008년 12월 전라북도 익산시로 입지선정을 완료하고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총사업비 약 1조원을 투입하여 400ha 규모의 식품전문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공되면 약 9조 9천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4만 8천명의 고용유발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는 100여개 이상의 국내외 식품기업 10개 이상의 민간연구소 연관 기업 지원시설 등이 입지하게 된다 현재 전라북도에는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원광대학교 군산대학교 등의 대학이 있으며 2012년까지 농촌진흥청과 한국식품연구원이 이곳으로 이전할 예정이어 연구 인프라가 크게 확충된다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곧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될 예정인데 이는 식품산업을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되면 입주 기업에 대한 임대료 및 조세감면 RampD 자금과 같은 재정지원 인허가 간편 서비스 등의 인센티브가 주어지고 우수 전문인력 유치를 위한 정주생활복지공간교육시설 확충 등의 혜택이 따른다

앞으로 여기에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진흥원 식품 RampD 연구센터(식품 기능성 평가센터

식품 품질안전 지원센터 식품 포장기술 지원센터 Pilot Plant 등) 식품 전처리시설 창업보육 센터 공동 집배송 센터 등의 지원시설들이 입주하게 된다

식품산업 클러스터 진흥원은 클러스터 전체의 관리 및 기획 업무를 담당하면서 부설 식품 아카데미 과정을 통해 식품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또 식품 기능성 평가센터는 기능성식품의 연구개발을 식품 품질안전 지원센터식품 포장기술 지원센터창업보육 센터임대형 공장공동 집배송 센터 등은 중소 식품제조업체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신선 편의식품 및 국산 농산물 사용을 위한 대규모 전처리시설도 건립된다

lt그림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에서는 국가 식품산업의 허브로서 연구개발 업무에 중점을 두면서 단지 내의 기업이나 연구소는 물론 지역의 식품산업 클러

7

스터 및 중소 식품업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협력과 지원을 강화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협력증진과 기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할 lsquo식품클러스터 협의회rsquo가 구성된다 국가 식품클러스터 내에서의 생산활동은 고부가가치 품목(예를 들어 기능성식품 발효식품 천연 첨가물 등)이나 수출품목(인삼 김치 등)에 주력하게 된다

전라북도의 대규모 간척지인 새만금지구에는 앞으로 친환경 농업단지 수출 산업단지

항만 등이 조성되는데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이곳과 연계하여 동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식품수출의 전진기지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나아가서 첨단기술과 접목한 가공무역도 확대할 계획이다

lt그림 1gt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와 지역 식품산업의 협력관계

2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에는 2007년까지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라는 명칭의 사업이 없었다 2008년부터 광

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1개소를 선정하여 시범사업으로 실시하다가 실적을 보아 2년에 1개소씩 추가한다는 계획이어 구체적인 실적이 없다

그러나 lt표 3gt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5년부터 실시되어 온 지역농업 육성사업 예를 들어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 향토산업 육성사업 신활력사업 지역특구 지정 사업 등의

8

상당부분은 식품관련 사업이다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개념은 식품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특정지역에 모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기술개발 원료조달 인력과 정보교류 등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조직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 사업들이 식품산업을 육성하는 사업이라고 하여 바로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할 수는 없지만

넓은 의미에서 유사한 형태로 볼 수 있겠다

그동안의 지역농업 육성사업들이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가공이나 판매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업영역이 시군단위이고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으며 제품개발이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시스템이 미비하다는 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초기단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보성 녹차 클러스터 순창 장류 클러스터 등 일부 지역농업 클러스터는 대기업의 참여와 연구기반 확충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 육성품목의 범위가 적다보니 동일품목을 여러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데 인기가 있는 품목은 포도(와인) 6개소 녹차 5개소 고추사과인삼 각 4개소 감마늘장류 각 3개소 등이다 아직까지 가공품은 장류 한과 떡 곶감 치즈 죽염 불고기 정도이고 수출까지 이어지는 품목은 별로 없다

lt표 3gt 한국의 지역농업 육성사업구 분 지역농업 클러스터 향토산업 육성 신활력 사업 지역특구 지정사업목적 지역핵심

농산업 육성향토자원 개발육성

낙후지역 지 원

지역특화 개 발

담당부처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시행지구 20개 19개 70개 65개식품관련 15개 15개 35개 28개예 산 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20~30억원없음

(규제특례 적용)

주요사례한우 양돈 쌀 콩 사과 포도 귤 인삼 고추 녹차 치즈 한과

쌀작두콩 포도 딸기 호박 인삼 메밀 생강 구기자 약쑥 녹차 민속떡 장류 죽염

사과 배 유자 참외 복분자 마늘 오미자 약초 녹차 송이 장류 곶감 치즈

사과 포도 복분자 마늘 인삼 오미자 고추 녹차 장류 곶감 불고기

자료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9

lt표 4gt에서 지역농업 클러스터 선정사업의 품목변화를 살펴보면 축산과 청과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공품에 특화한 클러스터는 여전히 소수이다 이는 아직도 지역의 식품산업이 기술수준이나 조직력 면에서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까지 선정된 42개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을 내용별로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38

개 사업이 시군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단위의 광역사업은 4개에 불과하다 광역사업은 경북한우 충북 친환경축산 제주감귤 제주말이다 생산유통 사업이 25개로 가장 많고

가공사업은 11개 테마사업은 6개이다 테마사업에는 아산 친환경 정읍 순환농업 진안 친환경 한방과 같은 친환경농업 중심형과 논산 예스민 딸기 완주 감 영천 와인과 같은 관광 중심형이 포함된다

lt표 4gt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품목의 변화품 목 제1기 (2005~2007년) 제2기 (2008~2010년)축 산 한우(2) 양돈(1) 3 한우(4) 양돈(1) 말(1) 축산(1) 7

곡물 서류 쌀(2) 콩(1) 3 고구마(1) 1

과 수 사과(1) 포도(1) 귤(1) 3 포도(1) 산머루(1) 감(1) 무화과(1) 4

채소 과채 고추(1) 1 시금치(2) 생강(1) 메론(1) 딸기(1) 5

특 작 인삼(1) 녹차(2) 3 산수유(1) 한방(1) 2

가 공 품 한과(1) 치즈(1) 2 떡(1) 와인(1) 2

기 타 모시(1) 포괄(4) 5 종묘(1) 1

합 계 20개소 22개소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lt표 5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부는 지역농업 클러스터를 연차적으로 확대하여 2016년까지 100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앞으로는 가공사업과 테마사업의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내용적으로도 수출중심형 연합브랜드 중심형 생산유통 한방 중심형 바이오산업 중심형 가공 관광중심형 테마 등으로 다양화되고 고도화될 전망이다

정부가 2008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그동안 실시해온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으로 확대하고 Ramp

D식품기업공동시설 등 기반조성과 역량을 강화하면서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10

lt표 5gt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육성계획유 형 개소 육 성 목 표

생 산유 통 42

수출중심형 7 브랜드화와 수출증대주산물 중심형 30 특화브랜드 구축으로 농가소득 향상연합브랜드 중심형 5 마케팅능력 제고로 경쟁력 강화

가 공 43

가공 중심형 20 특화작목 가공으로 부가가치 제고특산품 중심형 15 전통지식 산업화로 지역경제 활성화한방 중심형 3 전통과 신기술 접목으로 벤처농 육성바이오산업 중심형 5 생명산업 접목으로 고부가가치 실현

테 마 15관광 중심형 10 농업의 관광산업화로 농가소득 증대친환경농업 중심형 5 환경농업 실현으로 부가가치 제고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즉 지역의 여건과 의지가 충분히 갖추어진 곳을 중심으로 소수의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되 정부지원은 하드웨어의 경우 연구기반과 공동시설 소프트웨어의 경우 네트워크 구축 등에 한정하여 5~6년 이후 정부지원을 중단해도 자립운영이 가능하도록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이하 이러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염두에 두고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에서 도입해야 할 원칙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의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각각 어떤 단계별 전략을 갖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고찰하고 외국의 사례로 영국 요크셔-험버지역의 식품클러스터를 살펴보고자 한다

Ⅳ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방향

1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정책방향역사적으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지역의 1차 생산물을 이용한 소규모 가공업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11

성장하는 것이고 둘째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한 정책적인 지원으로 식품산업의 중심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발전방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해당 산업의 지역적 여건을 반영하는 것과 관련 주체들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전체 식품산업 발전을 도모할 기반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주도적인 기관이나 지역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품산업의 지역별 여건이 서로 상이해서 각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두 가지를 동시에 육성하면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로서는 식품산업 육성의 성과를 앞당긴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다원적 가치 및 지역 정체성을 잘 살려야 한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과 더불어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을 앞당긴다는 목적에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화적환경적 측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유치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데는 각기 서로 다른 차원의 내용과 주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클러스터에 관한 일반이론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적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어떤 전략적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하는지 그 방안을 살펴보자

2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중앙정부의 지원 전략국가적인 규모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

12

진다 첫 번째는 클러스터 모델에서 산업생산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생산가공과 관련된 사업체의 창업과 유치를 위해 산업단지와 각종 인프라를 건설하여 지역 내 관련 사업체가 집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산업단지와 같이 업체들의 입지와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인위적으로 업체들이 입지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낙후지역 산업개발을 위해 사용했던 방식으로 해당지역에 입지하는 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할 경우는 성공할 수 있으나 수요가 불투명하거나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클러스터로의 발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기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규모 투자에 의해 이러한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정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두 번째는 과학기술시스템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구기관의 설립 또는 입지를 통해서 지역 내 연구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지역 내 창업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방향은 궁극적으로는 연구개발의 성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것으로 대덕 연구단지를 비롯한 몇 가지 세계적인 사례가 있다 실제 연구기관의 이전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내 업체들의 요구에 의해 대학과 연구기관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기술개발의 성과와 제품화 가능성 그리고 시장수요를 고려하여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책이다

사실상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이 미약한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볼 때 대규모 예산을 초기에 투입하는 방식보다는 식품연구 및 산업체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기능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국가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추진전략 식품산업의 주요 구성주체들이 일정 지역에 집적되어 있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단계별로 적절히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러스터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계별 발전모형(그림 2)

을 토대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단계별로 국가적 차원에서 하드웨어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을 결합하는 발전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자

1) 형성 준비기이 단계는 식품연구개발 분야의 혁신역량을 지닌 지역을 판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13

실시하는 시기이다 즉 식품산업발전을 주도할 지역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서 식품관련 연구기관간의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연구기관의 협력적 전통과 분위기가 조성된 지역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각종 연구기관들간의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사후적으로 파악하여 클러스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원활한 연구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근접해 있는 기관간의 협력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 하드웨어적인 지원은 불필요하며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의 확산 및 인력양성 등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lt그림 2gt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모형

2) 기반조성 준비기 이 단계의 주요 사항은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센터의 역할은 일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식품연구개발의 수요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업체 및 연구기관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심지 또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관은 대학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네트워크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설립하여야 한다 연구센터가 설립되는 지역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3: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2

한Ⅰ 서 론

국농업은 1995년 WTO체제 출범 이후 크게 위축되고 있다 여기에 DDA 협상의 진전 및 칠레미국 등과의 FTA 체결로 개방화는 가속화 되고 있다 호당 경지면적이

영세한 한국농업의 현실에서 규모확대를 통한 생산비 절감에는 한계가 있다 결국 개방화는 농가소득의 정체로 이어질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최근 농가소득과 도시 근로자 소득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있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난국을 타개하고자 2008년 농림부를 농림수산식품부로 재편하고 식품산업의 육성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에는 식품산업본부가 신설되고 산하에 식품산업팀 식품진흥팀 소비안전팀이 설치되었다 또 동년 식품산업진흥법을 제정하고 농업농촌 기본법을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으로 개정하여 식품산업 육성의 법적근거를 마련하였다

식품산업은 농업으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아 농산물의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고용창출 수출 등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전통식품은 국산 농산물을 많이 사용하면서 수요가 꾸준하고 수입제품과의 경합도 별로 없다

그러나 식품산업은 자본과 기술력이 필요하고 안전성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물론 RampD 등 관련부문과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한 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효율적인 수단이며 선진국에서 이미 많이 도입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2008년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시작하였으며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사업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아직 역사가 짧고 실적이 작아 평가하기에는 이르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구조와 특징을 개관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을 소개하면서 영국의 사례를 토대로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3

Ⅱ 식품산업의 구조와 특징

1 식품산업의 구조한국의 식품산업은 1980년대 이후 산업화가 진전되면서 경제성장 및 소득향상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6년 기준 식품산업의 매출액은 998조원으로 1999년 대비 438 증가하였고 종사자는 163만명으로 동 기간중 86 증가하였다 참고로 2006년의 농림어업의 생산액은 42조원으로 동 기간 중 111 증가에 그쳤다

lt표 1gt 한국의 식품산업 매출액 및 고용규모 추이(단위10억원 천명)

항 목 1999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6년매출액 - 음식료품 제조업 - 외식업

694463618733257

726723720035472

831404264940491

961364776748370

998384894650892

종사자 - 음식료품 제조업 - 외식업

1507174

1333

1608178

1430

1769183

1586

1742186

1556

1636185

1450

주음식료품제조업은 종사자 5인 이상 사업체 대상임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원자료는 통계청 985172제조업 통계조사985173 2008 985172도소매업 통계조사985173 2008

식품산업의 구조는 영세성 양극화 등으로 인해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제조업체의 대다수는 영세규모의 자영업 형태로서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 그러나 일부 소수 대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엄청나게 커서 집중도가 높다

lt표 2gt에서 보듯이 2006년에 한국의 식품제조업체(종사자 5인 이상) 수는 8495개소인데 이중 종업원 50인 미만의 소기업이 916를 차지하며 전체 매출액의 340를 생산한다 한편 300인 이상 대기업의 수는 05에 불과하나 매출액의 164를 차지한다 평균 매출액은 소기업이 21억원 중기업이 361억원인데 비해 대기업은 1958억원이다 연 매출액 10억원 미만의 영세한 식품제조업체가 전체 업체의 558를 차지한다 식품제조업체의 평균 매출액은 576억원으로 전체 제조업 평균 763억원의 75 수준이다

4

lt표 2gt 한국의 식품제조업체 현황(2006년)구 분 사업체수(개) 고용인원(명) 매출액(10억원) 평균매출액(억원)

소기업(50인 미만)중기업(50~300인)대기업(300인 이상)

7781( 916)673( 79)41( 05)

95827( 517)68869( 371)20723( 112)

16642( 340)24278( 496)8027( 164)

2143607

19577

합 계 8495(1000) 185419(1000) 48946(1000) 573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원자료는 통계청 985172광업제조업통계985173 2008

또한 547천여개의 외식업소 중 종업원 5인 미만이 904 매출액 1억원 미만이 750로 대부분 영세한 자영업 형태이다 2006년의 외식업소 점포당 매출액은 8천7백만원인데 이는 일본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식품산업 발전의 토대가 되는 인프라와 제도적 기반도 취약하다 RampD 투자가 미흡하여 식품산업의 기술수준이 낮고 식품통계와 정보의 인프라 인력양성 시스템 등이 전반적으로 미비한 상태이다

2007년 말 기준으로 연 매출액이 1조원 이상의 식품기업은 CJ(2조원) 농심(15조원) 삼양사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오뚜기(각 1조원) 등 8개이다

가공식품의 수출액은 19억달러 수출액은 88억달러로 수입액이 4배 이상 많다 주요 가공식품 수출품목은 연초류(22) 과자류(12) 주류(10) 면류(10) 커피류(9) 당류(8) 등이다 수출국가는 일본(20) 미국(13) 중국(12) 러시아(11) 아세안(9) 등이다 즉 수출품목과 수출 대상국의 범위가 좁다고 할 수 있다 약 119개의 한국 식품기업이 22개국에 진출해 있는데 이중 중국이 68로 가장 많고 다음이 일본(5) 미국(4) 베트남 인도네시아 러시아 순이다

2 식품산업의 특징첫째 식품제조업이나 외식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자영업 형태가 많아 경쟁력이 취약하

다 한편 일부 소수 대기업의 시장 지배력이 크다 특히 지역의 전통식품 업체는 기술력이나 자본력이 취약하여 자체 제품개발 능력이 매우 약하다

둘째 대규모 식품제조업체나 외식업체는 원료의 대부분을 외국에서 조달하고 있는데

이는 국산 원료 농산물의 가격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는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부

5

족 및 낮은 식량자급률을 초래한다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2007년에 272로 OECD 국가중 최하위 수준이다 또한 국제 곡물가 상승 등 해외 식품원료 조달의 위험요소는 증가하고 있으나 민관합동의 대응은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셋째 국내산 식품의 소비품목이 다양하지 못하다 보니 지역별로 소수의 생산품목에 집중되고 이는 과잉경쟁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식품산업에서의 새로운 상품개발 노력 부족에서 기인한다

넷째 최근 빈발하고 있는 국내외 안전성 사고로 소비자들은 안전성에 대해 매우 민감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규모 식품업체는 시설비 부담으로 HACCP등 안전성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국내 식품산업의 소비자신뢰 확보를 위해서는 안전성관리를 강화해야 하나 이는 대다수 영세 식품업체에게 시설비증대를 초래하여 시행에 어려움이 있다

다섯째 국가차원에서 위험분석(Risk Analysis) 등 선진적인 안전성관리 시스템을 정비하지 못하고 있고 국가나 식품기업과 소비자간에 위험 정보교환(Risk Communication)이 원활하지 못하며 식품유통의 투명성이 취약하다 보니 전반적으로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낮다 이는 식품산업 발전에 큰 저해요인이 되고 있으며 종종 사회문제로 비화되어 막대한 사회적 손실을 초래한다 2008년 5월부터 8월 사이에 BSE 위험이 있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문제를 놓고 서울에서 대규모 시위가 연달아 일어났는데 그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여섯째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인식과 유통체계가 아직 미흡하다 보니 일본의 지산지소나 서양의 로컬 푸드시스템이 정착되지 않고 있다 학생이나 소비자에 대한 식생활교육 또는 소비자교육 체계도 미흡하여 식품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가 낮은 편이다

일곱째 한식의 세계화가 미흡하여 식품이나 식자재의 해외수출이 낮은 수준이다 김치나 장류 등 발효식품은 최근 건강식품으로 그 효능이 입증되고 있는데도 이를 외국인들이 먹기 쉬운 형태로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6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낮은 기술 경쟁력 문제를 해결하고 식품산업의 고부

가가치화와 농어업의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를 목적으로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참고로 한국 식품산업의 RampD 투자비율을 보면 2007년 시점 매출액 대비 03로 산업전체의 25나 제조업 평균 30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업은 2008년 12월 전라북도 익산시로 입지선정을 완료하고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총사업비 약 1조원을 투입하여 400ha 규모의 식품전문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공되면 약 9조 9천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4만 8천명의 고용유발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는 100여개 이상의 국내외 식품기업 10개 이상의 민간연구소 연관 기업 지원시설 등이 입지하게 된다 현재 전라북도에는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원광대학교 군산대학교 등의 대학이 있으며 2012년까지 농촌진흥청과 한국식품연구원이 이곳으로 이전할 예정이어 연구 인프라가 크게 확충된다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곧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될 예정인데 이는 식품산업을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되면 입주 기업에 대한 임대료 및 조세감면 RampD 자금과 같은 재정지원 인허가 간편 서비스 등의 인센티브가 주어지고 우수 전문인력 유치를 위한 정주생활복지공간교육시설 확충 등의 혜택이 따른다

앞으로 여기에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진흥원 식품 RampD 연구센터(식품 기능성 평가센터

식품 품질안전 지원센터 식품 포장기술 지원센터 Pilot Plant 등) 식품 전처리시설 창업보육 센터 공동 집배송 센터 등의 지원시설들이 입주하게 된다

식품산업 클러스터 진흥원은 클러스터 전체의 관리 및 기획 업무를 담당하면서 부설 식품 아카데미 과정을 통해 식품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또 식품 기능성 평가센터는 기능성식품의 연구개발을 식품 품질안전 지원센터식품 포장기술 지원센터창업보육 센터임대형 공장공동 집배송 센터 등은 중소 식품제조업체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신선 편의식품 및 국산 농산물 사용을 위한 대규모 전처리시설도 건립된다

lt그림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에서는 국가 식품산업의 허브로서 연구개발 업무에 중점을 두면서 단지 내의 기업이나 연구소는 물론 지역의 식품산업 클러

7

스터 및 중소 식품업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협력과 지원을 강화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협력증진과 기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할 lsquo식품클러스터 협의회rsquo가 구성된다 국가 식품클러스터 내에서의 생산활동은 고부가가치 품목(예를 들어 기능성식품 발효식품 천연 첨가물 등)이나 수출품목(인삼 김치 등)에 주력하게 된다

전라북도의 대규모 간척지인 새만금지구에는 앞으로 친환경 농업단지 수출 산업단지

항만 등이 조성되는데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이곳과 연계하여 동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식품수출의 전진기지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나아가서 첨단기술과 접목한 가공무역도 확대할 계획이다

lt그림 1gt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와 지역 식품산업의 협력관계

2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에는 2007년까지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라는 명칭의 사업이 없었다 2008년부터 광

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1개소를 선정하여 시범사업으로 실시하다가 실적을 보아 2년에 1개소씩 추가한다는 계획이어 구체적인 실적이 없다

그러나 lt표 3gt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5년부터 실시되어 온 지역농업 육성사업 예를 들어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 향토산업 육성사업 신활력사업 지역특구 지정 사업 등의

8

상당부분은 식품관련 사업이다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개념은 식품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특정지역에 모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기술개발 원료조달 인력과 정보교류 등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조직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 사업들이 식품산업을 육성하는 사업이라고 하여 바로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할 수는 없지만

넓은 의미에서 유사한 형태로 볼 수 있겠다

그동안의 지역농업 육성사업들이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가공이나 판매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업영역이 시군단위이고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으며 제품개발이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시스템이 미비하다는 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초기단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보성 녹차 클러스터 순창 장류 클러스터 등 일부 지역농업 클러스터는 대기업의 참여와 연구기반 확충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 육성품목의 범위가 적다보니 동일품목을 여러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데 인기가 있는 품목은 포도(와인) 6개소 녹차 5개소 고추사과인삼 각 4개소 감마늘장류 각 3개소 등이다 아직까지 가공품은 장류 한과 떡 곶감 치즈 죽염 불고기 정도이고 수출까지 이어지는 품목은 별로 없다

lt표 3gt 한국의 지역농업 육성사업구 분 지역농업 클러스터 향토산업 육성 신활력 사업 지역특구 지정사업목적 지역핵심

농산업 육성향토자원 개발육성

낙후지역 지 원

지역특화 개 발

담당부처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시행지구 20개 19개 70개 65개식품관련 15개 15개 35개 28개예 산 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20~30억원없음

(규제특례 적용)

주요사례한우 양돈 쌀 콩 사과 포도 귤 인삼 고추 녹차 치즈 한과

쌀작두콩 포도 딸기 호박 인삼 메밀 생강 구기자 약쑥 녹차 민속떡 장류 죽염

사과 배 유자 참외 복분자 마늘 오미자 약초 녹차 송이 장류 곶감 치즈

사과 포도 복분자 마늘 인삼 오미자 고추 녹차 장류 곶감 불고기

자료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9

lt표 4gt에서 지역농업 클러스터 선정사업의 품목변화를 살펴보면 축산과 청과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공품에 특화한 클러스터는 여전히 소수이다 이는 아직도 지역의 식품산업이 기술수준이나 조직력 면에서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까지 선정된 42개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을 내용별로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38

개 사업이 시군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단위의 광역사업은 4개에 불과하다 광역사업은 경북한우 충북 친환경축산 제주감귤 제주말이다 생산유통 사업이 25개로 가장 많고

가공사업은 11개 테마사업은 6개이다 테마사업에는 아산 친환경 정읍 순환농업 진안 친환경 한방과 같은 친환경농업 중심형과 논산 예스민 딸기 완주 감 영천 와인과 같은 관광 중심형이 포함된다

lt표 4gt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품목의 변화품 목 제1기 (2005~2007년) 제2기 (2008~2010년)축 산 한우(2) 양돈(1) 3 한우(4) 양돈(1) 말(1) 축산(1) 7

곡물 서류 쌀(2) 콩(1) 3 고구마(1) 1

과 수 사과(1) 포도(1) 귤(1) 3 포도(1) 산머루(1) 감(1) 무화과(1) 4

채소 과채 고추(1) 1 시금치(2) 생강(1) 메론(1) 딸기(1) 5

특 작 인삼(1) 녹차(2) 3 산수유(1) 한방(1) 2

가 공 품 한과(1) 치즈(1) 2 떡(1) 와인(1) 2

기 타 모시(1) 포괄(4) 5 종묘(1) 1

합 계 20개소 22개소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lt표 5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부는 지역농업 클러스터를 연차적으로 확대하여 2016년까지 100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앞으로는 가공사업과 테마사업의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내용적으로도 수출중심형 연합브랜드 중심형 생산유통 한방 중심형 바이오산업 중심형 가공 관광중심형 테마 등으로 다양화되고 고도화될 전망이다

정부가 2008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그동안 실시해온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으로 확대하고 Ramp

D식품기업공동시설 등 기반조성과 역량을 강화하면서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10

lt표 5gt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육성계획유 형 개소 육 성 목 표

생 산유 통 42

수출중심형 7 브랜드화와 수출증대주산물 중심형 30 특화브랜드 구축으로 농가소득 향상연합브랜드 중심형 5 마케팅능력 제고로 경쟁력 강화

가 공 43

가공 중심형 20 특화작목 가공으로 부가가치 제고특산품 중심형 15 전통지식 산업화로 지역경제 활성화한방 중심형 3 전통과 신기술 접목으로 벤처농 육성바이오산업 중심형 5 생명산업 접목으로 고부가가치 실현

테 마 15관광 중심형 10 농업의 관광산업화로 농가소득 증대친환경농업 중심형 5 환경농업 실현으로 부가가치 제고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즉 지역의 여건과 의지가 충분히 갖추어진 곳을 중심으로 소수의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되 정부지원은 하드웨어의 경우 연구기반과 공동시설 소프트웨어의 경우 네트워크 구축 등에 한정하여 5~6년 이후 정부지원을 중단해도 자립운영이 가능하도록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이하 이러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염두에 두고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에서 도입해야 할 원칙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의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각각 어떤 단계별 전략을 갖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고찰하고 외국의 사례로 영국 요크셔-험버지역의 식품클러스터를 살펴보고자 한다

Ⅳ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방향

1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정책방향역사적으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지역의 1차 생산물을 이용한 소규모 가공업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11

성장하는 것이고 둘째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한 정책적인 지원으로 식품산업의 중심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발전방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해당 산업의 지역적 여건을 반영하는 것과 관련 주체들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전체 식품산업 발전을 도모할 기반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주도적인 기관이나 지역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품산업의 지역별 여건이 서로 상이해서 각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두 가지를 동시에 육성하면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로서는 식품산업 육성의 성과를 앞당긴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다원적 가치 및 지역 정체성을 잘 살려야 한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과 더불어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을 앞당긴다는 목적에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화적환경적 측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유치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데는 각기 서로 다른 차원의 내용과 주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클러스터에 관한 일반이론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적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어떤 전략적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하는지 그 방안을 살펴보자

2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중앙정부의 지원 전략국가적인 규모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

12

진다 첫 번째는 클러스터 모델에서 산업생산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생산가공과 관련된 사업체의 창업과 유치를 위해 산업단지와 각종 인프라를 건설하여 지역 내 관련 사업체가 집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산업단지와 같이 업체들의 입지와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인위적으로 업체들이 입지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낙후지역 산업개발을 위해 사용했던 방식으로 해당지역에 입지하는 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할 경우는 성공할 수 있으나 수요가 불투명하거나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클러스터로의 발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기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규모 투자에 의해 이러한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정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두 번째는 과학기술시스템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구기관의 설립 또는 입지를 통해서 지역 내 연구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지역 내 창업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방향은 궁극적으로는 연구개발의 성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것으로 대덕 연구단지를 비롯한 몇 가지 세계적인 사례가 있다 실제 연구기관의 이전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내 업체들의 요구에 의해 대학과 연구기관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기술개발의 성과와 제품화 가능성 그리고 시장수요를 고려하여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책이다

사실상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이 미약한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볼 때 대규모 예산을 초기에 투입하는 방식보다는 식품연구 및 산업체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기능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국가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추진전략 식품산업의 주요 구성주체들이 일정 지역에 집적되어 있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단계별로 적절히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러스터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계별 발전모형(그림 2)

을 토대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단계별로 국가적 차원에서 하드웨어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을 결합하는 발전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자

1) 형성 준비기이 단계는 식품연구개발 분야의 혁신역량을 지닌 지역을 판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13

실시하는 시기이다 즉 식품산업발전을 주도할 지역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서 식품관련 연구기관간의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연구기관의 협력적 전통과 분위기가 조성된 지역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각종 연구기관들간의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사후적으로 파악하여 클러스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원활한 연구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근접해 있는 기관간의 협력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 하드웨어적인 지원은 불필요하며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의 확산 및 인력양성 등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lt그림 2gt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모형

2) 기반조성 준비기 이 단계의 주요 사항은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센터의 역할은 일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식품연구개발의 수요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업체 및 연구기관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심지 또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관은 대학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네트워크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설립하여야 한다 연구센터가 설립되는 지역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4: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3

Ⅱ 식품산업의 구조와 특징

1 식품산업의 구조한국의 식품산업은 1980년대 이후 산업화가 진전되면서 경제성장 및 소득향상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6년 기준 식품산업의 매출액은 998조원으로 1999년 대비 438 증가하였고 종사자는 163만명으로 동 기간중 86 증가하였다 참고로 2006년의 농림어업의 생산액은 42조원으로 동 기간 중 111 증가에 그쳤다

lt표 1gt 한국의 식품산업 매출액 및 고용규모 추이(단위10억원 천명)

항 목 1999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6년매출액 - 음식료품 제조업 - 외식업

694463618733257

726723720035472

831404264940491

961364776748370

998384894650892

종사자 - 음식료품 제조업 - 외식업

1507174

1333

1608178

1430

1769183

1586

1742186

1556

1636185

1450

주음식료품제조업은 종사자 5인 이상 사업체 대상임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원자료는 통계청 985172제조업 통계조사985173 2008 985172도소매업 통계조사985173 2008

식품산업의 구조는 영세성 양극화 등으로 인해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제조업체의 대다수는 영세규모의 자영업 형태로서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 그러나 일부 소수 대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엄청나게 커서 집중도가 높다

lt표 2gt에서 보듯이 2006년에 한국의 식품제조업체(종사자 5인 이상) 수는 8495개소인데 이중 종업원 50인 미만의 소기업이 916를 차지하며 전체 매출액의 340를 생산한다 한편 300인 이상 대기업의 수는 05에 불과하나 매출액의 164를 차지한다 평균 매출액은 소기업이 21억원 중기업이 361억원인데 비해 대기업은 1958억원이다 연 매출액 10억원 미만의 영세한 식품제조업체가 전체 업체의 558를 차지한다 식품제조업체의 평균 매출액은 576억원으로 전체 제조업 평균 763억원의 75 수준이다

4

lt표 2gt 한국의 식품제조업체 현황(2006년)구 분 사업체수(개) 고용인원(명) 매출액(10억원) 평균매출액(억원)

소기업(50인 미만)중기업(50~300인)대기업(300인 이상)

7781( 916)673( 79)41( 05)

95827( 517)68869( 371)20723( 112)

16642( 340)24278( 496)8027( 164)

2143607

19577

합 계 8495(1000) 185419(1000) 48946(1000) 573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원자료는 통계청 985172광업제조업통계985173 2008

또한 547천여개의 외식업소 중 종업원 5인 미만이 904 매출액 1억원 미만이 750로 대부분 영세한 자영업 형태이다 2006년의 외식업소 점포당 매출액은 8천7백만원인데 이는 일본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식품산업 발전의 토대가 되는 인프라와 제도적 기반도 취약하다 RampD 투자가 미흡하여 식품산업의 기술수준이 낮고 식품통계와 정보의 인프라 인력양성 시스템 등이 전반적으로 미비한 상태이다

2007년 말 기준으로 연 매출액이 1조원 이상의 식품기업은 CJ(2조원) 농심(15조원) 삼양사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오뚜기(각 1조원) 등 8개이다

가공식품의 수출액은 19억달러 수출액은 88억달러로 수입액이 4배 이상 많다 주요 가공식품 수출품목은 연초류(22) 과자류(12) 주류(10) 면류(10) 커피류(9) 당류(8) 등이다 수출국가는 일본(20) 미국(13) 중국(12) 러시아(11) 아세안(9) 등이다 즉 수출품목과 수출 대상국의 범위가 좁다고 할 수 있다 약 119개의 한국 식품기업이 22개국에 진출해 있는데 이중 중국이 68로 가장 많고 다음이 일본(5) 미국(4) 베트남 인도네시아 러시아 순이다

2 식품산업의 특징첫째 식품제조업이나 외식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자영업 형태가 많아 경쟁력이 취약하

다 한편 일부 소수 대기업의 시장 지배력이 크다 특히 지역의 전통식품 업체는 기술력이나 자본력이 취약하여 자체 제품개발 능력이 매우 약하다

둘째 대규모 식품제조업체나 외식업체는 원료의 대부분을 외국에서 조달하고 있는데

이는 국산 원료 농산물의 가격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는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부

5

족 및 낮은 식량자급률을 초래한다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2007년에 272로 OECD 국가중 최하위 수준이다 또한 국제 곡물가 상승 등 해외 식품원료 조달의 위험요소는 증가하고 있으나 민관합동의 대응은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셋째 국내산 식품의 소비품목이 다양하지 못하다 보니 지역별로 소수의 생산품목에 집중되고 이는 과잉경쟁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식품산업에서의 새로운 상품개발 노력 부족에서 기인한다

넷째 최근 빈발하고 있는 국내외 안전성 사고로 소비자들은 안전성에 대해 매우 민감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규모 식품업체는 시설비 부담으로 HACCP등 안전성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국내 식품산업의 소비자신뢰 확보를 위해서는 안전성관리를 강화해야 하나 이는 대다수 영세 식품업체에게 시설비증대를 초래하여 시행에 어려움이 있다

다섯째 국가차원에서 위험분석(Risk Analysis) 등 선진적인 안전성관리 시스템을 정비하지 못하고 있고 국가나 식품기업과 소비자간에 위험 정보교환(Risk Communication)이 원활하지 못하며 식품유통의 투명성이 취약하다 보니 전반적으로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낮다 이는 식품산업 발전에 큰 저해요인이 되고 있으며 종종 사회문제로 비화되어 막대한 사회적 손실을 초래한다 2008년 5월부터 8월 사이에 BSE 위험이 있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문제를 놓고 서울에서 대규모 시위가 연달아 일어났는데 그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여섯째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인식과 유통체계가 아직 미흡하다 보니 일본의 지산지소나 서양의 로컬 푸드시스템이 정착되지 않고 있다 학생이나 소비자에 대한 식생활교육 또는 소비자교육 체계도 미흡하여 식품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가 낮은 편이다

일곱째 한식의 세계화가 미흡하여 식품이나 식자재의 해외수출이 낮은 수준이다 김치나 장류 등 발효식품은 최근 건강식품으로 그 효능이 입증되고 있는데도 이를 외국인들이 먹기 쉬운 형태로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6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낮은 기술 경쟁력 문제를 해결하고 식품산업의 고부

가가치화와 농어업의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를 목적으로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참고로 한국 식품산업의 RampD 투자비율을 보면 2007년 시점 매출액 대비 03로 산업전체의 25나 제조업 평균 30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업은 2008년 12월 전라북도 익산시로 입지선정을 완료하고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총사업비 약 1조원을 투입하여 400ha 규모의 식품전문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공되면 약 9조 9천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4만 8천명의 고용유발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는 100여개 이상의 국내외 식품기업 10개 이상의 민간연구소 연관 기업 지원시설 등이 입지하게 된다 현재 전라북도에는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원광대학교 군산대학교 등의 대학이 있으며 2012년까지 농촌진흥청과 한국식품연구원이 이곳으로 이전할 예정이어 연구 인프라가 크게 확충된다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곧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될 예정인데 이는 식품산업을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되면 입주 기업에 대한 임대료 및 조세감면 RampD 자금과 같은 재정지원 인허가 간편 서비스 등의 인센티브가 주어지고 우수 전문인력 유치를 위한 정주생활복지공간교육시설 확충 등의 혜택이 따른다

앞으로 여기에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진흥원 식품 RampD 연구센터(식품 기능성 평가센터

식품 품질안전 지원센터 식품 포장기술 지원센터 Pilot Plant 등) 식품 전처리시설 창업보육 센터 공동 집배송 센터 등의 지원시설들이 입주하게 된다

식품산업 클러스터 진흥원은 클러스터 전체의 관리 및 기획 업무를 담당하면서 부설 식품 아카데미 과정을 통해 식품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또 식품 기능성 평가센터는 기능성식품의 연구개발을 식품 품질안전 지원센터식품 포장기술 지원센터창업보육 센터임대형 공장공동 집배송 센터 등은 중소 식품제조업체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신선 편의식품 및 국산 농산물 사용을 위한 대규모 전처리시설도 건립된다

lt그림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에서는 국가 식품산업의 허브로서 연구개발 업무에 중점을 두면서 단지 내의 기업이나 연구소는 물론 지역의 식품산업 클러

7

스터 및 중소 식품업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협력과 지원을 강화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협력증진과 기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할 lsquo식품클러스터 협의회rsquo가 구성된다 국가 식품클러스터 내에서의 생산활동은 고부가가치 품목(예를 들어 기능성식품 발효식품 천연 첨가물 등)이나 수출품목(인삼 김치 등)에 주력하게 된다

전라북도의 대규모 간척지인 새만금지구에는 앞으로 친환경 농업단지 수출 산업단지

항만 등이 조성되는데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이곳과 연계하여 동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식품수출의 전진기지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나아가서 첨단기술과 접목한 가공무역도 확대할 계획이다

lt그림 1gt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와 지역 식품산업의 협력관계

2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에는 2007년까지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라는 명칭의 사업이 없었다 2008년부터 광

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1개소를 선정하여 시범사업으로 실시하다가 실적을 보아 2년에 1개소씩 추가한다는 계획이어 구체적인 실적이 없다

그러나 lt표 3gt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5년부터 실시되어 온 지역농업 육성사업 예를 들어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 향토산업 육성사업 신활력사업 지역특구 지정 사업 등의

8

상당부분은 식품관련 사업이다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개념은 식품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특정지역에 모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기술개발 원료조달 인력과 정보교류 등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조직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 사업들이 식품산업을 육성하는 사업이라고 하여 바로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할 수는 없지만

넓은 의미에서 유사한 형태로 볼 수 있겠다

그동안의 지역농업 육성사업들이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가공이나 판매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업영역이 시군단위이고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으며 제품개발이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시스템이 미비하다는 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초기단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보성 녹차 클러스터 순창 장류 클러스터 등 일부 지역농업 클러스터는 대기업의 참여와 연구기반 확충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 육성품목의 범위가 적다보니 동일품목을 여러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데 인기가 있는 품목은 포도(와인) 6개소 녹차 5개소 고추사과인삼 각 4개소 감마늘장류 각 3개소 등이다 아직까지 가공품은 장류 한과 떡 곶감 치즈 죽염 불고기 정도이고 수출까지 이어지는 품목은 별로 없다

lt표 3gt 한국의 지역농업 육성사업구 분 지역농업 클러스터 향토산업 육성 신활력 사업 지역특구 지정사업목적 지역핵심

농산업 육성향토자원 개발육성

낙후지역 지 원

지역특화 개 발

담당부처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시행지구 20개 19개 70개 65개식품관련 15개 15개 35개 28개예 산 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20~30억원없음

(규제특례 적용)

주요사례한우 양돈 쌀 콩 사과 포도 귤 인삼 고추 녹차 치즈 한과

쌀작두콩 포도 딸기 호박 인삼 메밀 생강 구기자 약쑥 녹차 민속떡 장류 죽염

사과 배 유자 참외 복분자 마늘 오미자 약초 녹차 송이 장류 곶감 치즈

사과 포도 복분자 마늘 인삼 오미자 고추 녹차 장류 곶감 불고기

자료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9

lt표 4gt에서 지역농업 클러스터 선정사업의 품목변화를 살펴보면 축산과 청과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공품에 특화한 클러스터는 여전히 소수이다 이는 아직도 지역의 식품산업이 기술수준이나 조직력 면에서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까지 선정된 42개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을 내용별로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38

개 사업이 시군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단위의 광역사업은 4개에 불과하다 광역사업은 경북한우 충북 친환경축산 제주감귤 제주말이다 생산유통 사업이 25개로 가장 많고

가공사업은 11개 테마사업은 6개이다 테마사업에는 아산 친환경 정읍 순환농업 진안 친환경 한방과 같은 친환경농업 중심형과 논산 예스민 딸기 완주 감 영천 와인과 같은 관광 중심형이 포함된다

lt표 4gt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품목의 변화품 목 제1기 (2005~2007년) 제2기 (2008~2010년)축 산 한우(2) 양돈(1) 3 한우(4) 양돈(1) 말(1) 축산(1) 7

곡물 서류 쌀(2) 콩(1) 3 고구마(1) 1

과 수 사과(1) 포도(1) 귤(1) 3 포도(1) 산머루(1) 감(1) 무화과(1) 4

채소 과채 고추(1) 1 시금치(2) 생강(1) 메론(1) 딸기(1) 5

특 작 인삼(1) 녹차(2) 3 산수유(1) 한방(1) 2

가 공 품 한과(1) 치즈(1) 2 떡(1) 와인(1) 2

기 타 모시(1) 포괄(4) 5 종묘(1) 1

합 계 20개소 22개소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lt표 5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부는 지역농업 클러스터를 연차적으로 확대하여 2016년까지 100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앞으로는 가공사업과 테마사업의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내용적으로도 수출중심형 연합브랜드 중심형 생산유통 한방 중심형 바이오산업 중심형 가공 관광중심형 테마 등으로 다양화되고 고도화될 전망이다

정부가 2008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그동안 실시해온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으로 확대하고 Ramp

D식품기업공동시설 등 기반조성과 역량을 강화하면서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10

lt표 5gt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육성계획유 형 개소 육 성 목 표

생 산유 통 42

수출중심형 7 브랜드화와 수출증대주산물 중심형 30 특화브랜드 구축으로 농가소득 향상연합브랜드 중심형 5 마케팅능력 제고로 경쟁력 강화

가 공 43

가공 중심형 20 특화작목 가공으로 부가가치 제고특산품 중심형 15 전통지식 산업화로 지역경제 활성화한방 중심형 3 전통과 신기술 접목으로 벤처농 육성바이오산업 중심형 5 생명산업 접목으로 고부가가치 실현

테 마 15관광 중심형 10 농업의 관광산업화로 농가소득 증대친환경농업 중심형 5 환경농업 실현으로 부가가치 제고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즉 지역의 여건과 의지가 충분히 갖추어진 곳을 중심으로 소수의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되 정부지원은 하드웨어의 경우 연구기반과 공동시설 소프트웨어의 경우 네트워크 구축 등에 한정하여 5~6년 이후 정부지원을 중단해도 자립운영이 가능하도록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이하 이러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염두에 두고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에서 도입해야 할 원칙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의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각각 어떤 단계별 전략을 갖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고찰하고 외국의 사례로 영국 요크셔-험버지역의 식품클러스터를 살펴보고자 한다

Ⅳ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방향

1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정책방향역사적으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지역의 1차 생산물을 이용한 소규모 가공업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11

성장하는 것이고 둘째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한 정책적인 지원으로 식품산업의 중심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발전방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해당 산업의 지역적 여건을 반영하는 것과 관련 주체들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전체 식품산업 발전을 도모할 기반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주도적인 기관이나 지역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품산업의 지역별 여건이 서로 상이해서 각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두 가지를 동시에 육성하면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로서는 식품산업 육성의 성과를 앞당긴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다원적 가치 및 지역 정체성을 잘 살려야 한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과 더불어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을 앞당긴다는 목적에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화적환경적 측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유치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데는 각기 서로 다른 차원의 내용과 주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클러스터에 관한 일반이론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적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어떤 전략적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하는지 그 방안을 살펴보자

2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중앙정부의 지원 전략국가적인 규모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

12

진다 첫 번째는 클러스터 모델에서 산업생산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생산가공과 관련된 사업체의 창업과 유치를 위해 산업단지와 각종 인프라를 건설하여 지역 내 관련 사업체가 집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산업단지와 같이 업체들의 입지와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인위적으로 업체들이 입지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낙후지역 산업개발을 위해 사용했던 방식으로 해당지역에 입지하는 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할 경우는 성공할 수 있으나 수요가 불투명하거나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클러스터로의 발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기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규모 투자에 의해 이러한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정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두 번째는 과학기술시스템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구기관의 설립 또는 입지를 통해서 지역 내 연구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지역 내 창업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방향은 궁극적으로는 연구개발의 성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것으로 대덕 연구단지를 비롯한 몇 가지 세계적인 사례가 있다 실제 연구기관의 이전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내 업체들의 요구에 의해 대학과 연구기관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기술개발의 성과와 제품화 가능성 그리고 시장수요를 고려하여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책이다

사실상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이 미약한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볼 때 대규모 예산을 초기에 투입하는 방식보다는 식품연구 및 산업체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기능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국가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추진전략 식품산업의 주요 구성주체들이 일정 지역에 집적되어 있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단계별로 적절히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러스터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계별 발전모형(그림 2)

을 토대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단계별로 국가적 차원에서 하드웨어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을 결합하는 발전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자

1) 형성 준비기이 단계는 식품연구개발 분야의 혁신역량을 지닌 지역을 판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13

실시하는 시기이다 즉 식품산업발전을 주도할 지역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서 식품관련 연구기관간의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연구기관의 협력적 전통과 분위기가 조성된 지역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각종 연구기관들간의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사후적으로 파악하여 클러스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원활한 연구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근접해 있는 기관간의 협력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 하드웨어적인 지원은 불필요하며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의 확산 및 인력양성 등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lt그림 2gt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모형

2) 기반조성 준비기 이 단계의 주요 사항은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센터의 역할은 일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식품연구개발의 수요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업체 및 연구기관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심지 또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관은 대학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네트워크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설립하여야 한다 연구센터가 설립되는 지역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5: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4

lt표 2gt 한국의 식품제조업체 현황(2006년)구 분 사업체수(개) 고용인원(명) 매출액(10억원) 평균매출액(억원)

소기업(50인 미만)중기업(50~300인)대기업(300인 이상)

7781( 916)673( 79)41( 05)

95827( 517)68869( 371)20723( 112)

16642( 340)24278( 496)8027( 164)

2143607

19577

합 계 8495(1000) 185419(1000) 48946(1000) 573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원자료는 통계청 985172광업제조업통계985173 2008

또한 547천여개의 외식업소 중 종업원 5인 미만이 904 매출액 1억원 미만이 750로 대부분 영세한 자영업 형태이다 2006년의 외식업소 점포당 매출액은 8천7백만원인데 이는 일본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식품산업 발전의 토대가 되는 인프라와 제도적 기반도 취약하다 RampD 투자가 미흡하여 식품산업의 기술수준이 낮고 식품통계와 정보의 인프라 인력양성 시스템 등이 전반적으로 미비한 상태이다

2007년 말 기준으로 연 매출액이 1조원 이상의 식품기업은 CJ(2조원) 농심(15조원) 삼양사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오뚜기(각 1조원) 등 8개이다

가공식품의 수출액은 19억달러 수출액은 88억달러로 수입액이 4배 이상 많다 주요 가공식품 수출품목은 연초류(22) 과자류(12) 주류(10) 면류(10) 커피류(9) 당류(8) 등이다 수출국가는 일본(20) 미국(13) 중국(12) 러시아(11) 아세안(9) 등이다 즉 수출품목과 수출 대상국의 범위가 좁다고 할 수 있다 약 119개의 한국 식품기업이 22개국에 진출해 있는데 이중 중국이 68로 가장 많고 다음이 일본(5) 미국(4) 베트남 인도네시아 러시아 순이다

2 식품산업의 특징첫째 식품제조업이나 외식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자영업 형태가 많아 경쟁력이 취약하

다 한편 일부 소수 대기업의 시장 지배력이 크다 특히 지역의 전통식품 업체는 기술력이나 자본력이 취약하여 자체 제품개발 능력이 매우 약하다

둘째 대규모 식품제조업체나 외식업체는 원료의 대부분을 외국에서 조달하고 있는데

이는 국산 원료 농산물의 가격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는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부

5

족 및 낮은 식량자급률을 초래한다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2007년에 272로 OECD 국가중 최하위 수준이다 또한 국제 곡물가 상승 등 해외 식품원료 조달의 위험요소는 증가하고 있으나 민관합동의 대응은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셋째 국내산 식품의 소비품목이 다양하지 못하다 보니 지역별로 소수의 생산품목에 집중되고 이는 과잉경쟁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식품산업에서의 새로운 상품개발 노력 부족에서 기인한다

넷째 최근 빈발하고 있는 국내외 안전성 사고로 소비자들은 안전성에 대해 매우 민감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규모 식품업체는 시설비 부담으로 HACCP등 안전성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국내 식품산업의 소비자신뢰 확보를 위해서는 안전성관리를 강화해야 하나 이는 대다수 영세 식품업체에게 시설비증대를 초래하여 시행에 어려움이 있다

다섯째 국가차원에서 위험분석(Risk Analysis) 등 선진적인 안전성관리 시스템을 정비하지 못하고 있고 국가나 식품기업과 소비자간에 위험 정보교환(Risk Communication)이 원활하지 못하며 식품유통의 투명성이 취약하다 보니 전반적으로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낮다 이는 식품산업 발전에 큰 저해요인이 되고 있으며 종종 사회문제로 비화되어 막대한 사회적 손실을 초래한다 2008년 5월부터 8월 사이에 BSE 위험이 있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문제를 놓고 서울에서 대규모 시위가 연달아 일어났는데 그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여섯째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인식과 유통체계가 아직 미흡하다 보니 일본의 지산지소나 서양의 로컬 푸드시스템이 정착되지 않고 있다 학생이나 소비자에 대한 식생활교육 또는 소비자교육 체계도 미흡하여 식품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가 낮은 편이다

일곱째 한식의 세계화가 미흡하여 식품이나 식자재의 해외수출이 낮은 수준이다 김치나 장류 등 발효식품은 최근 건강식품으로 그 효능이 입증되고 있는데도 이를 외국인들이 먹기 쉬운 형태로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6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낮은 기술 경쟁력 문제를 해결하고 식품산업의 고부

가가치화와 농어업의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를 목적으로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참고로 한국 식품산업의 RampD 투자비율을 보면 2007년 시점 매출액 대비 03로 산업전체의 25나 제조업 평균 30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업은 2008년 12월 전라북도 익산시로 입지선정을 완료하고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총사업비 약 1조원을 투입하여 400ha 규모의 식품전문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공되면 약 9조 9천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4만 8천명의 고용유발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는 100여개 이상의 국내외 식품기업 10개 이상의 민간연구소 연관 기업 지원시설 등이 입지하게 된다 현재 전라북도에는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원광대학교 군산대학교 등의 대학이 있으며 2012년까지 농촌진흥청과 한국식품연구원이 이곳으로 이전할 예정이어 연구 인프라가 크게 확충된다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곧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될 예정인데 이는 식품산업을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되면 입주 기업에 대한 임대료 및 조세감면 RampD 자금과 같은 재정지원 인허가 간편 서비스 등의 인센티브가 주어지고 우수 전문인력 유치를 위한 정주생활복지공간교육시설 확충 등의 혜택이 따른다

앞으로 여기에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진흥원 식품 RampD 연구센터(식품 기능성 평가센터

식품 품질안전 지원센터 식품 포장기술 지원센터 Pilot Plant 등) 식품 전처리시설 창업보육 센터 공동 집배송 센터 등의 지원시설들이 입주하게 된다

식품산업 클러스터 진흥원은 클러스터 전체의 관리 및 기획 업무를 담당하면서 부설 식품 아카데미 과정을 통해 식품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또 식품 기능성 평가센터는 기능성식품의 연구개발을 식품 품질안전 지원센터식품 포장기술 지원센터창업보육 센터임대형 공장공동 집배송 센터 등은 중소 식품제조업체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신선 편의식품 및 국산 농산물 사용을 위한 대규모 전처리시설도 건립된다

lt그림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에서는 국가 식품산업의 허브로서 연구개발 업무에 중점을 두면서 단지 내의 기업이나 연구소는 물론 지역의 식품산업 클러

7

스터 및 중소 식품업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협력과 지원을 강화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협력증진과 기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할 lsquo식품클러스터 협의회rsquo가 구성된다 국가 식품클러스터 내에서의 생산활동은 고부가가치 품목(예를 들어 기능성식품 발효식품 천연 첨가물 등)이나 수출품목(인삼 김치 등)에 주력하게 된다

전라북도의 대규모 간척지인 새만금지구에는 앞으로 친환경 농업단지 수출 산업단지

항만 등이 조성되는데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이곳과 연계하여 동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식품수출의 전진기지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나아가서 첨단기술과 접목한 가공무역도 확대할 계획이다

lt그림 1gt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와 지역 식품산업의 협력관계

2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에는 2007년까지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라는 명칭의 사업이 없었다 2008년부터 광

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1개소를 선정하여 시범사업으로 실시하다가 실적을 보아 2년에 1개소씩 추가한다는 계획이어 구체적인 실적이 없다

그러나 lt표 3gt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5년부터 실시되어 온 지역농업 육성사업 예를 들어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 향토산업 육성사업 신활력사업 지역특구 지정 사업 등의

8

상당부분은 식품관련 사업이다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개념은 식품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특정지역에 모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기술개발 원료조달 인력과 정보교류 등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조직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 사업들이 식품산업을 육성하는 사업이라고 하여 바로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할 수는 없지만

넓은 의미에서 유사한 형태로 볼 수 있겠다

그동안의 지역농업 육성사업들이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가공이나 판매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업영역이 시군단위이고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으며 제품개발이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시스템이 미비하다는 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초기단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보성 녹차 클러스터 순창 장류 클러스터 등 일부 지역농업 클러스터는 대기업의 참여와 연구기반 확충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 육성품목의 범위가 적다보니 동일품목을 여러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데 인기가 있는 품목은 포도(와인) 6개소 녹차 5개소 고추사과인삼 각 4개소 감마늘장류 각 3개소 등이다 아직까지 가공품은 장류 한과 떡 곶감 치즈 죽염 불고기 정도이고 수출까지 이어지는 품목은 별로 없다

lt표 3gt 한국의 지역농업 육성사업구 분 지역농업 클러스터 향토산업 육성 신활력 사업 지역특구 지정사업목적 지역핵심

농산업 육성향토자원 개발육성

낙후지역 지 원

지역특화 개 발

담당부처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시행지구 20개 19개 70개 65개식품관련 15개 15개 35개 28개예 산 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20~30억원없음

(규제특례 적용)

주요사례한우 양돈 쌀 콩 사과 포도 귤 인삼 고추 녹차 치즈 한과

쌀작두콩 포도 딸기 호박 인삼 메밀 생강 구기자 약쑥 녹차 민속떡 장류 죽염

사과 배 유자 참외 복분자 마늘 오미자 약초 녹차 송이 장류 곶감 치즈

사과 포도 복분자 마늘 인삼 오미자 고추 녹차 장류 곶감 불고기

자료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9

lt표 4gt에서 지역농업 클러스터 선정사업의 품목변화를 살펴보면 축산과 청과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공품에 특화한 클러스터는 여전히 소수이다 이는 아직도 지역의 식품산업이 기술수준이나 조직력 면에서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까지 선정된 42개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을 내용별로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38

개 사업이 시군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단위의 광역사업은 4개에 불과하다 광역사업은 경북한우 충북 친환경축산 제주감귤 제주말이다 생산유통 사업이 25개로 가장 많고

가공사업은 11개 테마사업은 6개이다 테마사업에는 아산 친환경 정읍 순환농업 진안 친환경 한방과 같은 친환경농업 중심형과 논산 예스민 딸기 완주 감 영천 와인과 같은 관광 중심형이 포함된다

lt표 4gt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품목의 변화품 목 제1기 (2005~2007년) 제2기 (2008~2010년)축 산 한우(2) 양돈(1) 3 한우(4) 양돈(1) 말(1) 축산(1) 7

곡물 서류 쌀(2) 콩(1) 3 고구마(1) 1

과 수 사과(1) 포도(1) 귤(1) 3 포도(1) 산머루(1) 감(1) 무화과(1) 4

채소 과채 고추(1) 1 시금치(2) 생강(1) 메론(1) 딸기(1) 5

특 작 인삼(1) 녹차(2) 3 산수유(1) 한방(1) 2

가 공 품 한과(1) 치즈(1) 2 떡(1) 와인(1) 2

기 타 모시(1) 포괄(4) 5 종묘(1) 1

합 계 20개소 22개소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lt표 5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부는 지역농업 클러스터를 연차적으로 확대하여 2016년까지 100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앞으로는 가공사업과 테마사업의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내용적으로도 수출중심형 연합브랜드 중심형 생산유통 한방 중심형 바이오산업 중심형 가공 관광중심형 테마 등으로 다양화되고 고도화될 전망이다

정부가 2008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그동안 실시해온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으로 확대하고 Ramp

D식품기업공동시설 등 기반조성과 역량을 강화하면서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10

lt표 5gt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육성계획유 형 개소 육 성 목 표

생 산유 통 42

수출중심형 7 브랜드화와 수출증대주산물 중심형 30 특화브랜드 구축으로 농가소득 향상연합브랜드 중심형 5 마케팅능력 제고로 경쟁력 강화

가 공 43

가공 중심형 20 특화작목 가공으로 부가가치 제고특산품 중심형 15 전통지식 산업화로 지역경제 활성화한방 중심형 3 전통과 신기술 접목으로 벤처농 육성바이오산업 중심형 5 생명산업 접목으로 고부가가치 실현

테 마 15관광 중심형 10 농업의 관광산업화로 농가소득 증대친환경농업 중심형 5 환경농업 실현으로 부가가치 제고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즉 지역의 여건과 의지가 충분히 갖추어진 곳을 중심으로 소수의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되 정부지원은 하드웨어의 경우 연구기반과 공동시설 소프트웨어의 경우 네트워크 구축 등에 한정하여 5~6년 이후 정부지원을 중단해도 자립운영이 가능하도록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이하 이러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염두에 두고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에서 도입해야 할 원칙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의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각각 어떤 단계별 전략을 갖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고찰하고 외국의 사례로 영국 요크셔-험버지역의 식품클러스터를 살펴보고자 한다

Ⅳ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방향

1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정책방향역사적으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지역의 1차 생산물을 이용한 소규모 가공업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11

성장하는 것이고 둘째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한 정책적인 지원으로 식품산업의 중심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발전방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해당 산업의 지역적 여건을 반영하는 것과 관련 주체들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전체 식품산업 발전을 도모할 기반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주도적인 기관이나 지역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품산업의 지역별 여건이 서로 상이해서 각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두 가지를 동시에 육성하면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로서는 식품산업 육성의 성과를 앞당긴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다원적 가치 및 지역 정체성을 잘 살려야 한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과 더불어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을 앞당긴다는 목적에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화적환경적 측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유치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데는 각기 서로 다른 차원의 내용과 주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클러스터에 관한 일반이론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적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어떤 전략적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하는지 그 방안을 살펴보자

2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중앙정부의 지원 전략국가적인 규모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

12

진다 첫 번째는 클러스터 모델에서 산업생산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생산가공과 관련된 사업체의 창업과 유치를 위해 산업단지와 각종 인프라를 건설하여 지역 내 관련 사업체가 집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산업단지와 같이 업체들의 입지와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인위적으로 업체들이 입지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낙후지역 산업개발을 위해 사용했던 방식으로 해당지역에 입지하는 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할 경우는 성공할 수 있으나 수요가 불투명하거나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클러스터로의 발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기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규모 투자에 의해 이러한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정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두 번째는 과학기술시스템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구기관의 설립 또는 입지를 통해서 지역 내 연구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지역 내 창업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방향은 궁극적으로는 연구개발의 성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것으로 대덕 연구단지를 비롯한 몇 가지 세계적인 사례가 있다 실제 연구기관의 이전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내 업체들의 요구에 의해 대학과 연구기관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기술개발의 성과와 제품화 가능성 그리고 시장수요를 고려하여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책이다

사실상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이 미약한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볼 때 대규모 예산을 초기에 투입하는 방식보다는 식품연구 및 산업체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기능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국가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추진전략 식품산업의 주요 구성주체들이 일정 지역에 집적되어 있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단계별로 적절히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러스터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계별 발전모형(그림 2)

을 토대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단계별로 국가적 차원에서 하드웨어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을 결합하는 발전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자

1) 형성 준비기이 단계는 식품연구개발 분야의 혁신역량을 지닌 지역을 판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13

실시하는 시기이다 즉 식품산업발전을 주도할 지역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서 식품관련 연구기관간의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연구기관의 협력적 전통과 분위기가 조성된 지역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각종 연구기관들간의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사후적으로 파악하여 클러스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원활한 연구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근접해 있는 기관간의 협력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 하드웨어적인 지원은 불필요하며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의 확산 및 인력양성 등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lt그림 2gt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모형

2) 기반조성 준비기 이 단계의 주요 사항은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센터의 역할은 일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식품연구개발의 수요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업체 및 연구기관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심지 또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관은 대학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네트워크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설립하여야 한다 연구센터가 설립되는 지역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6: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5

족 및 낮은 식량자급률을 초래한다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2007년에 272로 OECD 국가중 최하위 수준이다 또한 국제 곡물가 상승 등 해외 식품원료 조달의 위험요소는 증가하고 있으나 민관합동의 대응은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셋째 국내산 식품의 소비품목이 다양하지 못하다 보니 지역별로 소수의 생산품목에 집중되고 이는 과잉경쟁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식품산업에서의 새로운 상품개발 노력 부족에서 기인한다

넷째 최근 빈발하고 있는 국내외 안전성 사고로 소비자들은 안전성에 대해 매우 민감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규모 식품업체는 시설비 부담으로 HACCP등 안전성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국내 식품산업의 소비자신뢰 확보를 위해서는 안전성관리를 강화해야 하나 이는 대다수 영세 식품업체에게 시설비증대를 초래하여 시행에 어려움이 있다

다섯째 국가차원에서 위험분석(Risk Analysis) 등 선진적인 안전성관리 시스템을 정비하지 못하고 있고 국가나 식품기업과 소비자간에 위험 정보교환(Risk Communication)이 원활하지 못하며 식품유통의 투명성이 취약하다 보니 전반적으로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낮다 이는 식품산업 발전에 큰 저해요인이 되고 있으며 종종 사회문제로 비화되어 막대한 사회적 손실을 초래한다 2008년 5월부터 8월 사이에 BSE 위험이 있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문제를 놓고 서울에서 대규모 시위가 연달아 일어났는데 그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여섯째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인식과 유통체계가 아직 미흡하다 보니 일본의 지산지소나 서양의 로컬 푸드시스템이 정착되지 않고 있다 학생이나 소비자에 대한 식생활교육 또는 소비자교육 체계도 미흡하여 식품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해가 낮은 편이다

일곱째 한식의 세계화가 미흡하여 식품이나 식자재의 해외수출이 낮은 수준이다 김치나 장류 등 발효식품은 최근 건강식품으로 그 효능이 입증되고 있는데도 이를 외국인들이 먹기 쉬운 형태로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6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낮은 기술 경쟁력 문제를 해결하고 식품산업의 고부

가가치화와 농어업의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를 목적으로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참고로 한국 식품산업의 RampD 투자비율을 보면 2007년 시점 매출액 대비 03로 산업전체의 25나 제조업 평균 30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업은 2008년 12월 전라북도 익산시로 입지선정을 완료하고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총사업비 약 1조원을 투입하여 400ha 규모의 식품전문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공되면 약 9조 9천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4만 8천명의 고용유발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는 100여개 이상의 국내외 식품기업 10개 이상의 민간연구소 연관 기업 지원시설 등이 입지하게 된다 현재 전라북도에는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원광대학교 군산대학교 등의 대학이 있으며 2012년까지 농촌진흥청과 한국식품연구원이 이곳으로 이전할 예정이어 연구 인프라가 크게 확충된다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곧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될 예정인데 이는 식품산업을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되면 입주 기업에 대한 임대료 및 조세감면 RampD 자금과 같은 재정지원 인허가 간편 서비스 등의 인센티브가 주어지고 우수 전문인력 유치를 위한 정주생활복지공간교육시설 확충 등의 혜택이 따른다

앞으로 여기에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진흥원 식품 RampD 연구센터(식품 기능성 평가센터

식품 품질안전 지원센터 식품 포장기술 지원센터 Pilot Plant 등) 식품 전처리시설 창업보육 센터 공동 집배송 센터 등의 지원시설들이 입주하게 된다

식품산업 클러스터 진흥원은 클러스터 전체의 관리 및 기획 업무를 담당하면서 부설 식품 아카데미 과정을 통해 식품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또 식품 기능성 평가센터는 기능성식품의 연구개발을 식품 품질안전 지원센터식품 포장기술 지원센터창업보육 센터임대형 공장공동 집배송 센터 등은 중소 식품제조업체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신선 편의식품 및 국산 농산물 사용을 위한 대규모 전처리시설도 건립된다

lt그림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에서는 국가 식품산업의 허브로서 연구개발 업무에 중점을 두면서 단지 내의 기업이나 연구소는 물론 지역의 식품산업 클러

7

스터 및 중소 식품업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협력과 지원을 강화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협력증진과 기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할 lsquo식품클러스터 협의회rsquo가 구성된다 국가 식품클러스터 내에서의 생산활동은 고부가가치 품목(예를 들어 기능성식품 발효식품 천연 첨가물 등)이나 수출품목(인삼 김치 등)에 주력하게 된다

전라북도의 대규모 간척지인 새만금지구에는 앞으로 친환경 농업단지 수출 산업단지

항만 등이 조성되는데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이곳과 연계하여 동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식품수출의 전진기지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나아가서 첨단기술과 접목한 가공무역도 확대할 계획이다

lt그림 1gt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와 지역 식품산업의 협력관계

2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에는 2007년까지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라는 명칭의 사업이 없었다 2008년부터 광

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1개소를 선정하여 시범사업으로 실시하다가 실적을 보아 2년에 1개소씩 추가한다는 계획이어 구체적인 실적이 없다

그러나 lt표 3gt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5년부터 실시되어 온 지역농업 육성사업 예를 들어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 향토산업 육성사업 신활력사업 지역특구 지정 사업 등의

8

상당부분은 식품관련 사업이다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개념은 식품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특정지역에 모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기술개발 원료조달 인력과 정보교류 등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조직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 사업들이 식품산업을 육성하는 사업이라고 하여 바로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할 수는 없지만

넓은 의미에서 유사한 형태로 볼 수 있겠다

그동안의 지역농업 육성사업들이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가공이나 판매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업영역이 시군단위이고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으며 제품개발이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시스템이 미비하다는 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초기단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보성 녹차 클러스터 순창 장류 클러스터 등 일부 지역농업 클러스터는 대기업의 참여와 연구기반 확충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 육성품목의 범위가 적다보니 동일품목을 여러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데 인기가 있는 품목은 포도(와인) 6개소 녹차 5개소 고추사과인삼 각 4개소 감마늘장류 각 3개소 등이다 아직까지 가공품은 장류 한과 떡 곶감 치즈 죽염 불고기 정도이고 수출까지 이어지는 품목은 별로 없다

lt표 3gt 한국의 지역농업 육성사업구 분 지역농업 클러스터 향토산업 육성 신활력 사업 지역특구 지정사업목적 지역핵심

농산업 육성향토자원 개발육성

낙후지역 지 원

지역특화 개 발

담당부처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시행지구 20개 19개 70개 65개식품관련 15개 15개 35개 28개예 산 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20~30억원없음

(규제특례 적용)

주요사례한우 양돈 쌀 콩 사과 포도 귤 인삼 고추 녹차 치즈 한과

쌀작두콩 포도 딸기 호박 인삼 메밀 생강 구기자 약쑥 녹차 민속떡 장류 죽염

사과 배 유자 참외 복분자 마늘 오미자 약초 녹차 송이 장류 곶감 치즈

사과 포도 복분자 마늘 인삼 오미자 고추 녹차 장류 곶감 불고기

자료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9

lt표 4gt에서 지역농업 클러스터 선정사업의 품목변화를 살펴보면 축산과 청과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공품에 특화한 클러스터는 여전히 소수이다 이는 아직도 지역의 식품산업이 기술수준이나 조직력 면에서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까지 선정된 42개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을 내용별로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38

개 사업이 시군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단위의 광역사업은 4개에 불과하다 광역사업은 경북한우 충북 친환경축산 제주감귤 제주말이다 생산유통 사업이 25개로 가장 많고

가공사업은 11개 테마사업은 6개이다 테마사업에는 아산 친환경 정읍 순환농업 진안 친환경 한방과 같은 친환경농업 중심형과 논산 예스민 딸기 완주 감 영천 와인과 같은 관광 중심형이 포함된다

lt표 4gt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품목의 변화품 목 제1기 (2005~2007년) 제2기 (2008~2010년)축 산 한우(2) 양돈(1) 3 한우(4) 양돈(1) 말(1) 축산(1) 7

곡물 서류 쌀(2) 콩(1) 3 고구마(1) 1

과 수 사과(1) 포도(1) 귤(1) 3 포도(1) 산머루(1) 감(1) 무화과(1) 4

채소 과채 고추(1) 1 시금치(2) 생강(1) 메론(1) 딸기(1) 5

특 작 인삼(1) 녹차(2) 3 산수유(1) 한방(1) 2

가 공 품 한과(1) 치즈(1) 2 떡(1) 와인(1) 2

기 타 모시(1) 포괄(4) 5 종묘(1) 1

합 계 20개소 22개소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lt표 5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부는 지역농업 클러스터를 연차적으로 확대하여 2016년까지 100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앞으로는 가공사업과 테마사업의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내용적으로도 수출중심형 연합브랜드 중심형 생산유통 한방 중심형 바이오산업 중심형 가공 관광중심형 테마 등으로 다양화되고 고도화될 전망이다

정부가 2008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그동안 실시해온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으로 확대하고 Ramp

D식품기업공동시설 등 기반조성과 역량을 강화하면서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10

lt표 5gt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육성계획유 형 개소 육 성 목 표

생 산유 통 42

수출중심형 7 브랜드화와 수출증대주산물 중심형 30 특화브랜드 구축으로 농가소득 향상연합브랜드 중심형 5 마케팅능력 제고로 경쟁력 강화

가 공 43

가공 중심형 20 특화작목 가공으로 부가가치 제고특산품 중심형 15 전통지식 산업화로 지역경제 활성화한방 중심형 3 전통과 신기술 접목으로 벤처농 육성바이오산업 중심형 5 생명산업 접목으로 고부가가치 실현

테 마 15관광 중심형 10 농업의 관광산업화로 농가소득 증대친환경농업 중심형 5 환경농업 실현으로 부가가치 제고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즉 지역의 여건과 의지가 충분히 갖추어진 곳을 중심으로 소수의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되 정부지원은 하드웨어의 경우 연구기반과 공동시설 소프트웨어의 경우 네트워크 구축 등에 한정하여 5~6년 이후 정부지원을 중단해도 자립운영이 가능하도록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이하 이러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염두에 두고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에서 도입해야 할 원칙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의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각각 어떤 단계별 전략을 갖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고찰하고 외국의 사례로 영국 요크셔-험버지역의 식품클러스터를 살펴보고자 한다

Ⅳ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방향

1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정책방향역사적으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지역의 1차 생산물을 이용한 소규모 가공업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11

성장하는 것이고 둘째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한 정책적인 지원으로 식품산업의 중심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발전방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해당 산업의 지역적 여건을 반영하는 것과 관련 주체들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전체 식품산업 발전을 도모할 기반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주도적인 기관이나 지역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품산업의 지역별 여건이 서로 상이해서 각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두 가지를 동시에 육성하면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로서는 식품산업 육성의 성과를 앞당긴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다원적 가치 및 지역 정체성을 잘 살려야 한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과 더불어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을 앞당긴다는 목적에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화적환경적 측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유치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데는 각기 서로 다른 차원의 내용과 주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클러스터에 관한 일반이론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적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어떤 전략적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하는지 그 방안을 살펴보자

2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중앙정부의 지원 전략국가적인 규모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

12

진다 첫 번째는 클러스터 모델에서 산업생산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생산가공과 관련된 사업체의 창업과 유치를 위해 산업단지와 각종 인프라를 건설하여 지역 내 관련 사업체가 집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산업단지와 같이 업체들의 입지와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인위적으로 업체들이 입지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낙후지역 산업개발을 위해 사용했던 방식으로 해당지역에 입지하는 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할 경우는 성공할 수 있으나 수요가 불투명하거나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클러스터로의 발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기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규모 투자에 의해 이러한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정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두 번째는 과학기술시스템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구기관의 설립 또는 입지를 통해서 지역 내 연구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지역 내 창업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방향은 궁극적으로는 연구개발의 성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것으로 대덕 연구단지를 비롯한 몇 가지 세계적인 사례가 있다 실제 연구기관의 이전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내 업체들의 요구에 의해 대학과 연구기관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기술개발의 성과와 제품화 가능성 그리고 시장수요를 고려하여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책이다

사실상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이 미약한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볼 때 대규모 예산을 초기에 투입하는 방식보다는 식품연구 및 산업체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기능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국가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추진전략 식품산업의 주요 구성주체들이 일정 지역에 집적되어 있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단계별로 적절히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러스터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계별 발전모형(그림 2)

을 토대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단계별로 국가적 차원에서 하드웨어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을 결합하는 발전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자

1) 형성 준비기이 단계는 식품연구개발 분야의 혁신역량을 지닌 지역을 판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13

실시하는 시기이다 즉 식품산업발전을 주도할 지역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서 식품관련 연구기관간의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연구기관의 협력적 전통과 분위기가 조성된 지역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각종 연구기관들간의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사후적으로 파악하여 클러스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원활한 연구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근접해 있는 기관간의 협력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 하드웨어적인 지원은 불필요하며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의 확산 및 인력양성 등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lt그림 2gt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모형

2) 기반조성 준비기 이 단계의 주요 사항은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센터의 역할은 일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식품연구개발의 수요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업체 및 연구기관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심지 또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관은 대학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네트워크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설립하여야 한다 연구센터가 설립되는 지역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7: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6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낮은 기술 경쟁력 문제를 해결하고 식품산업의 고부

가가치화와 농어업의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를 목적으로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참고로 한국 식품산업의 RampD 투자비율을 보면 2007년 시점 매출액 대비 03로 산업전체의 25나 제조업 평균 30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사업은 2008년 12월 전라북도 익산시로 입지선정을 완료하고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총사업비 약 1조원을 투입하여 400ha 규모의 식품전문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공되면 약 9조 9천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4만 8천명의 고용유발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는 100여개 이상의 국내외 식품기업 10개 이상의 민간연구소 연관 기업 지원시설 등이 입지하게 된다 현재 전라북도에는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원광대학교 군산대학교 등의 대학이 있으며 2012년까지 농촌진흥청과 한국식품연구원이 이곳으로 이전할 예정이어 연구 인프라가 크게 확충된다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곧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될 예정인데 이는 식품산업을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되면 입주 기업에 대한 임대료 및 조세감면 RampD 자금과 같은 재정지원 인허가 간편 서비스 등의 인센티브가 주어지고 우수 전문인력 유치를 위한 정주생활복지공간교육시설 확충 등의 혜택이 따른다

앞으로 여기에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진흥원 식품 RampD 연구센터(식품 기능성 평가센터

식품 품질안전 지원센터 식품 포장기술 지원센터 Pilot Plant 등) 식품 전처리시설 창업보육 센터 공동 집배송 센터 등의 지원시설들이 입주하게 된다

식품산업 클러스터 진흥원은 클러스터 전체의 관리 및 기획 업무를 담당하면서 부설 식품 아카데미 과정을 통해 식품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또 식품 기능성 평가센터는 기능성식품의 연구개발을 식품 품질안전 지원센터식품 포장기술 지원센터창업보육 센터임대형 공장공동 집배송 센터 등은 중소 식품제조업체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신선 편의식품 및 국산 농산물 사용을 위한 대규모 전처리시설도 건립된다

lt그림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에서는 국가 식품산업의 허브로서 연구개발 업무에 중점을 두면서 단지 내의 기업이나 연구소는 물론 지역의 식품산업 클러

7

스터 및 중소 식품업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협력과 지원을 강화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협력증진과 기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할 lsquo식품클러스터 협의회rsquo가 구성된다 국가 식품클러스터 내에서의 생산활동은 고부가가치 품목(예를 들어 기능성식품 발효식품 천연 첨가물 등)이나 수출품목(인삼 김치 등)에 주력하게 된다

전라북도의 대규모 간척지인 새만금지구에는 앞으로 친환경 농업단지 수출 산업단지

항만 등이 조성되는데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이곳과 연계하여 동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식품수출의 전진기지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나아가서 첨단기술과 접목한 가공무역도 확대할 계획이다

lt그림 1gt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와 지역 식품산업의 협력관계

2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에는 2007년까지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라는 명칭의 사업이 없었다 2008년부터 광

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1개소를 선정하여 시범사업으로 실시하다가 실적을 보아 2년에 1개소씩 추가한다는 계획이어 구체적인 실적이 없다

그러나 lt표 3gt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5년부터 실시되어 온 지역농업 육성사업 예를 들어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 향토산업 육성사업 신활력사업 지역특구 지정 사업 등의

8

상당부분은 식품관련 사업이다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개념은 식품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특정지역에 모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기술개발 원료조달 인력과 정보교류 등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조직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 사업들이 식품산업을 육성하는 사업이라고 하여 바로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할 수는 없지만

넓은 의미에서 유사한 형태로 볼 수 있겠다

그동안의 지역농업 육성사업들이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가공이나 판매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업영역이 시군단위이고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으며 제품개발이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시스템이 미비하다는 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초기단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보성 녹차 클러스터 순창 장류 클러스터 등 일부 지역농업 클러스터는 대기업의 참여와 연구기반 확충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 육성품목의 범위가 적다보니 동일품목을 여러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데 인기가 있는 품목은 포도(와인) 6개소 녹차 5개소 고추사과인삼 각 4개소 감마늘장류 각 3개소 등이다 아직까지 가공품은 장류 한과 떡 곶감 치즈 죽염 불고기 정도이고 수출까지 이어지는 품목은 별로 없다

lt표 3gt 한국의 지역농업 육성사업구 분 지역농업 클러스터 향토산업 육성 신활력 사업 지역특구 지정사업목적 지역핵심

농산업 육성향토자원 개발육성

낙후지역 지 원

지역특화 개 발

담당부처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시행지구 20개 19개 70개 65개식품관련 15개 15개 35개 28개예 산 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20~30억원없음

(규제특례 적용)

주요사례한우 양돈 쌀 콩 사과 포도 귤 인삼 고추 녹차 치즈 한과

쌀작두콩 포도 딸기 호박 인삼 메밀 생강 구기자 약쑥 녹차 민속떡 장류 죽염

사과 배 유자 참외 복분자 마늘 오미자 약초 녹차 송이 장류 곶감 치즈

사과 포도 복분자 마늘 인삼 오미자 고추 녹차 장류 곶감 불고기

자료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9

lt표 4gt에서 지역농업 클러스터 선정사업의 품목변화를 살펴보면 축산과 청과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공품에 특화한 클러스터는 여전히 소수이다 이는 아직도 지역의 식품산업이 기술수준이나 조직력 면에서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까지 선정된 42개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을 내용별로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38

개 사업이 시군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단위의 광역사업은 4개에 불과하다 광역사업은 경북한우 충북 친환경축산 제주감귤 제주말이다 생산유통 사업이 25개로 가장 많고

가공사업은 11개 테마사업은 6개이다 테마사업에는 아산 친환경 정읍 순환농업 진안 친환경 한방과 같은 친환경농업 중심형과 논산 예스민 딸기 완주 감 영천 와인과 같은 관광 중심형이 포함된다

lt표 4gt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품목의 변화품 목 제1기 (2005~2007년) 제2기 (2008~2010년)축 산 한우(2) 양돈(1) 3 한우(4) 양돈(1) 말(1) 축산(1) 7

곡물 서류 쌀(2) 콩(1) 3 고구마(1) 1

과 수 사과(1) 포도(1) 귤(1) 3 포도(1) 산머루(1) 감(1) 무화과(1) 4

채소 과채 고추(1) 1 시금치(2) 생강(1) 메론(1) 딸기(1) 5

특 작 인삼(1) 녹차(2) 3 산수유(1) 한방(1) 2

가 공 품 한과(1) 치즈(1) 2 떡(1) 와인(1) 2

기 타 모시(1) 포괄(4) 5 종묘(1) 1

합 계 20개소 22개소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lt표 5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부는 지역농업 클러스터를 연차적으로 확대하여 2016년까지 100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앞으로는 가공사업과 테마사업의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내용적으로도 수출중심형 연합브랜드 중심형 생산유통 한방 중심형 바이오산업 중심형 가공 관광중심형 테마 등으로 다양화되고 고도화될 전망이다

정부가 2008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그동안 실시해온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으로 확대하고 Ramp

D식품기업공동시설 등 기반조성과 역량을 강화하면서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10

lt표 5gt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육성계획유 형 개소 육 성 목 표

생 산유 통 42

수출중심형 7 브랜드화와 수출증대주산물 중심형 30 특화브랜드 구축으로 농가소득 향상연합브랜드 중심형 5 마케팅능력 제고로 경쟁력 강화

가 공 43

가공 중심형 20 특화작목 가공으로 부가가치 제고특산품 중심형 15 전통지식 산업화로 지역경제 활성화한방 중심형 3 전통과 신기술 접목으로 벤처농 육성바이오산업 중심형 5 생명산업 접목으로 고부가가치 실현

테 마 15관광 중심형 10 농업의 관광산업화로 농가소득 증대친환경농업 중심형 5 환경농업 실현으로 부가가치 제고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즉 지역의 여건과 의지가 충분히 갖추어진 곳을 중심으로 소수의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되 정부지원은 하드웨어의 경우 연구기반과 공동시설 소프트웨어의 경우 네트워크 구축 등에 한정하여 5~6년 이후 정부지원을 중단해도 자립운영이 가능하도록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이하 이러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염두에 두고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에서 도입해야 할 원칙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의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각각 어떤 단계별 전략을 갖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고찰하고 외국의 사례로 영국 요크셔-험버지역의 식품클러스터를 살펴보고자 한다

Ⅳ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방향

1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정책방향역사적으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지역의 1차 생산물을 이용한 소규모 가공업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11

성장하는 것이고 둘째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한 정책적인 지원으로 식품산업의 중심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발전방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해당 산업의 지역적 여건을 반영하는 것과 관련 주체들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전체 식품산업 발전을 도모할 기반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주도적인 기관이나 지역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품산업의 지역별 여건이 서로 상이해서 각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두 가지를 동시에 육성하면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로서는 식품산업 육성의 성과를 앞당긴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다원적 가치 및 지역 정체성을 잘 살려야 한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과 더불어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을 앞당긴다는 목적에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화적환경적 측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유치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데는 각기 서로 다른 차원의 내용과 주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클러스터에 관한 일반이론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적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어떤 전략적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하는지 그 방안을 살펴보자

2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중앙정부의 지원 전략국가적인 규모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

12

진다 첫 번째는 클러스터 모델에서 산업생산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생산가공과 관련된 사업체의 창업과 유치를 위해 산업단지와 각종 인프라를 건설하여 지역 내 관련 사업체가 집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산업단지와 같이 업체들의 입지와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인위적으로 업체들이 입지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낙후지역 산업개발을 위해 사용했던 방식으로 해당지역에 입지하는 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할 경우는 성공할 수 있으나 수요가 불투명하거나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클러스터로의 발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기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규모 투자에 의해 이러한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정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두 번째는 과학기술시스템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구기관의 설립 또는 입지를 통해서 지역 내 연구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지역 내 창업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방향은 궁극적으로는 연구개발의 성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것으로 대덕 연구단지를 비롯한 몇 가지 세계적인 사례가 있다 실제 연구기관의 이전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내 업체들의 요구에 의해 대학과 연구기관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기술개발의 성과와 제품화 가능성 그리고 시장수요를 고려하여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책이다

사실상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이 미약한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볼 때 대규모 예산을 초기에 투입하는 방식보다는 식품연구 및 산업체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기능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국가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추진전략 식품산업의 주요 구성주체들이 일정 지역에 집적되어 있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단계별로 적절히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러스터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계별 발전모형(그림 2)

을 토대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단계별로 국가적 차원에서 하드웨어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을 결합하는 발전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자

1) 형성 준비기이 단계는 식품연구개발 분야의 혁신역량을 지닌 지역을 판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13

실시하는 시기이다 즉 식품산업발전을 주도할 지역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서 식품관련 연구기관간의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연구기관의 협력적 전통과 분위기가 조성된 지역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각종 연구기관들간의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사후적으로 파악하여 클러스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원활한 연구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근접해 있는 기관간의 협력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 하드웨어적인 지원은 불필요하며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의 확산 및 인력양성 등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lt그림 2gt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모형

2) 기반조성 준비기 이 단계의 주요 사항은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센터의 역할은 일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식품연구개발의 수요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업체 및 연구기관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심지 또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관은 대학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네트워크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설립하여야 한다 연구센터가 설립되는 지역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8: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7

스터 및 중소 식품업체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협력과 지원을 강화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협력증진과 기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할 lsquo식품클러스터 협의회rsquo가 구성된다 국가 식품클러스터 내에서의 생산활동은 고부가가치 품목(예를 들어 기능성식품 발효식품 천연 첨가물 등)이나 수출품목(인삼 김치 등)에 주력하게 된다

전라북도의 대규모 간척지인 새만금지구에는 앞으로 친환경 농업단지 수출 산업단지

항만 등이 조성되는데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이곳과 연계하여 동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식품수출의 전진기지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나아가서 첨단기술과 접목한 가공무역도 확대할 계획이다

lt그림 1gt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와 지역 식품산업의 협력관계

2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한국에는 2007년까지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라는 명칭의 사업이 없었다 2008년부터 광

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1개소를 선정하여 시범사업으로 실시하다가 실적을 보아 2년에 1개소씩 추가한다는 계획이어 구체적인 실적이 없다

그러나 lt표 3gt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05년부터 실시되어 온 지역농업 육성사업 예를 들어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 향토산업 육성사업 신활력사업 지역특구 지정 사업 등의

8

상당부분은 식품관련 사업이다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개념은 식품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특정지역에 모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기술개발 원료조달 인력과 정보교류 등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조직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 사업들이 식품산업을 육성하는 사업이라고 하여 바로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할 수는 없지만

넓은 의미에서 유사한 형태로 볼 수 있겠다

그동안의 지역농업 육성사업들이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가공이나 판매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업영역이 시군단위이고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으며 제품개발이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시스템이 미비하다는 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초기단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보성 녹차 클러스터 순창 장류 클러스터 등 일부 지역농업 클러스터는 대기업의 참여와 연구기반 확충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 육성품목의 범위가 적다보니 동일품목을 여러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데 인기가 있는 품목은 포도(와인) 6개소 녹차 5개소 고추사과인삼 각 4개소 감마늘장류 각 3개소 등이다 아직까지 가공품은 장류 한과 떡 곶감 치즈 죽염 불고기 정도이고 수출까지 이어지는 품목은 별로 없다

lt표 3gt 한국의 지역농업 육성사업구 분 지역농업 클러스터 향토산업 육성 신활력 사업 지역특구 지정사업목적 지역핵심

농산업 육성향토자원 개발육성

낙후지역 지 원

지역특화 개 발

담당부처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시행지구 20개 19개 70개 65개식품관련 15개 15개 35개 28개예 산 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20~30억원없음

(규제특례 적용)

주요사례한우 양돈 쌀 콩 사과 포도 귤 인삼 고추 녹차 치즈 한과

쌀작두콩 포도 딸기 호박 인삼 메밀 생강 구기자 약쑥 녹차 민속떡 장류 죽염

사과 배 유자 참외 복분자 마늘 오미자 약초 녹차 송이 장류 곶감 치즈

사과 포도 복분자 마늘 인삼 오미자 고추 녹차 장류 곶감 불고기

자료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9

lt표 4gt에서 지역농업 클러스터 선정사업의 품목변화를 살펴보면 축산과 청과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공품에 특화한 클러스터는 여전히 소수이다 이는 아직도 지역의 식품산업이 기술수준이나 조직력 면에서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까지 선정된 42개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을 내용별로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38

개 사업이 시군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단위의 광역사업은 4개에 불과하다 광역사업은 경북한우 충북 친환경축산 제주감귤 제주말이다 생산유통 사업이 25개로 가장 많고

가공사업은 11개 테마사업은 6개이다 테마사업에는 아산 친환경 정읍 순환농업 진안 친환경 한방과 같은 친환경농업 중심형과 논산 예스민 딸기 완주 감 영천 와인과 같은 관광 중심형이 포함된다

lt표 4gt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품목의 변화품 목 제1기 (2005~2007년) 제2기 (2008~2010년)축 산 한우(2) 양돈(1) 3 한우(4) 양돈(1) 말(1) 축산(1) 7

곡물 서류 쌀(2) 콩(1) 3 고구마(1) 1

과 수 사과(1) 포도(1) 귤(1) 3 포도(1) 산머루(1) 감(1) 무화과(1) 4

채소 과채 고추(1) 1 시금치(2) 생강(1) 메론(1) 딸기(1) 5

특 작 인삼(1) 녹차(2) 3 산수유(1) 한방(1) 2

가 공 품 한과(1) 치즈(1) 2 떡(1) 와인(1) 2

기 타 모시(1) 포괄(4) 5 종묘(1) 1

합 계 20개소 22개소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lt표 5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부는 지역농업 클러스터를 연차적으로 확대하여 2016년까지 100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앞으로는 가공사업과 테마사업의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내용적으로도 수출중심형 연합브랜드 중심형 생산유통 한방 중심형 바이오산업 중심형 가공 관광중심형 테마 등으로 다양화되고 고도화될 전망이다

정부가 2008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그동안 실시해온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으로 확대하고 Ramp

D식품기업공동시설 등 기반조성과 역량을 강화하면서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10

lt표 5gt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육성계획유 형 개소 육 성 목 표

생 산유 통 42

수출중심형 7 브랜드화와 수출증대주산물 중심형 30 특화브랜드 구축으로 농가소득 향상연합브랜드 중심형 5 마케팅능력 제고로 경쟁력 강화

가 공 43

가공 중심형 20 특화작목 가공으로 부가가치 제고특산품 중심형 15 전통지식 산업화로 지역경제 활성화한방 중심형 3 전통과 신기술 접목으로 벤처농 육성바이오산업 중심형 5 생명산업 접목으로 고부가가치 실현

테 마 15관광 중심형 10 농업의 관광산업화로 농가소득 증대친환경농업 중심형 5 환경농업 실현으로 부가가치 제고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즉 지역의 여건과 의지가 충분히 갖추어진 곳을 중심으로 소수의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되 정부지원은 하드웨어의 경우 연구기반과 공동시설 소프트웨어의 경우 네트워크 구축 등에 한정하여 5~6년 이후 정부지원을 중단해도 자립운영이 가능하도록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이하 이러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염두에 두고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에서 도입해야 할 원칙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의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각각 어떤 단계별 전략을 갖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고찰하고 외국의 사례로 영국 요크셔-험버지역의 식품클러스터를 살펴보고자 한다

Ⅳ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방향

1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정책방향역사적으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지역의 1차 생산물을 이용한 소규모 가공업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11

성장하는 것이고 둘째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한 정책적인 지원으로 식품산업의 중심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발전방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해당 산업의 지역적 여건을 반영하는 것과 관련 주체들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전체 식품산업 발전을 도모할 기반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주도적인 기관이나 지역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품산업의 지역별 여건이 서로 상이해서 각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두 가지를 동시에 육성하면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로서는 식품산업 육성의 성과를 앞당긴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다원적 가치 및 지역 정체성을 잘 살려야 한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과 더불어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을 앞당긴다는 목적에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화적환경적 측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유치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데는 각기 서로 다른 차원의 내용과 주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클러스터에 관한 일반이론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적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어떤 전략적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하는지 그 방안을 살펴보자

2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중앙정부의 지원 전략국가적인 규모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

12

진다 첫 번째는 클러스터 모델에서 산업생산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생산가공과 관련된 사업체의 창업과 유치를 위해 산업단지와 각종 인프라를 건설하여 지역 내 관련 사업체가 집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산업단지와 같이 업체들의 입지와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인위적으로 업체들이 입지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낙후지역 산업개발을 위해 사용했던 방식으로 해당지역에 입지하는 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할 경우는 성공할 수 있으나 수요가 불투명하거나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클러스터로의 발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기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규모 투자에 의해 이러한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정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두 번째는 과학기술시스템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구기관의 설립 또는 입지를 통해서 지역 내 연구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지역 내 창업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방향은 궁극적으로는 연구개발의 성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것으로 대덕 연구단지를 비롯한 몇 가지 세계적인 사례가 있다 실제 연구기관의 이전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내 업체들의 요구에 의해 대학과 연구기관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기술개발의 성과와 제품화 가능성 그리고 시장수요를 고려하여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책이다

사실상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이 미약한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볼 때 대규모 예산을 초기에 투입하는 방식보다는 식품연구 및 산업체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기능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국가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추진전략 식품산업의 주요 구성주체들이 일정 지역에 집적되어 있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단계별로 적절히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러스터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계별 발전모형(그림 2)

을 토대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단계별로 국가적 차원에서 하드웨어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을 결합하는 발전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자

1) 형성 준비기이 단계는 식품연구개발 분야의 혁신역량을 지닌 지역을 판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13

실시하는 시기이다 즉 식품산업발전을 주도할 지역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서 식품관련 연구기관간의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연구기관의 협력적 전통과 분위기가 조성된 지역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각종 연구기관들간의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사후적으로 파악하여 클러스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원활한 연구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근접해 있는 기관간의 협력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 하드웨어적인 지원은 불필요하며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의 확산 및 인력양성 등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lt그림 2gt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모형

2) 기반조성 준비기 이 단계의 주요 사항은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센터의 역할은 일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식품연구개발의 수요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업체 및 연구기관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심지 또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관은 대학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네트워크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설립하여야 한다 연구센터가 설립되는 지역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9: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8

상당부분은 식품관련 사업이다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개념은 식품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특정지역에 모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기술개발 원료조달 인력과 정보교류 등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조직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 사업들이 식품산업을 육성하는 사업이라고 하여 바로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할 수는 없지만

넓은 의미에서 유사한 형태로 볼 수 있겠다

그동안의 지역농업 육성사업들이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가공이나 판매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업영역이 시군단위이고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으며 제품개발이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시스템이 미비하다는 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초기단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보성 녹차 클러스터 순창 장류 클러스터 등 일부 지역농업 클러스터는 대기업의 참여와 연구기반 확충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 육성품목의 범위가 적다보니 동일품목을 여러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데 인기가 있는 품목은 포도(와인) 6개소 녹차 5개소 고추사과인삼 각 4개소 감마늘장류 각 3개소 등이다 아직까지 가공품은 장류 한과 떡 곶감 치즈 죽염 불고기 정도이고 수출까지 이어지는 품목은 별로 없다

lt표 3gt 한국의 지역농업 육성사업구 분 지역농업 클러스터 향토산업 육성 신활력 사업 지역특구 지정사업목적 지역핵심

농산업 육성향토자원 개발육성

낙후지역 지 원

지역특화 개 발

담당부처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시행지구 20개 19개 70개 65개식품관련 15개 15개 35개 28개예 산 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10억원개소당

평균 20~30억원없음

(규제특례 적용)

주요사례한우 양돈 쌀 콩 사과 포도 귤 인삼 고추 녹차 치즈 한과

쌀작두콩 포도 딸기 호박 인삼 메밀 생강 구기자 약쑥 녹차 민속떡 장류 죽염

사과 배 유자 참외 복분자 마늘 오미자 약초 녹차 송이 장류 곶감 치즈

사과 포도 복분자 마늘 인삼 오미자 고추 녹차 장류 곶감 불고기

자료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9

lt표 4gt에서 지역농업 클러스터 선정사업의 품목변화를 살펴보면 축산과 청과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공품에 특화한 클러스터는 여전히 소수이다 이는 아직도 지역의 식품산업이 기술수준이나 조직력 면에서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까지 선정된 42개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을 내용별로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38

개 사업이 시군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단위의 광역사업은 4개에 불과하다 광역사업은 경북한우 충북 친환경축산 제주감귤 제주말이다 생산유통 사업이 25개로 가장 많고

가공사업은 11개 테마사업은 6개이다 테마사업에는 아산 친환경 정읍 순환농업 진안 친환경 한방과 같은 친환경농업 중심형과 논산 예스민 딸기 완주 감 영천 와인과 같은 관광 중심형이 포함된다

lt표 4gt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품목의 변화품 목 제1기 (2005~2007년) 제2기 (2008~2010년)축 산 한우(2) 양돈(1) 3 한우(4) 양돈(1) 말(1) 축산(1) 7

곡물 서류 쌀(2) 콩(1) 3 고구마(1) 1

과 수 사과(1) 포도(1) 귤(1) 3 포도(1) 산머루(1) 감(1) 무화과(1) 4

채소 과채 고추(1) 1 시금치(2) 생강(1) 메론(1) 딸기(1) 5

특 작 인삼(1) 녹차(2) 3 산수유(1) 한방(1) 2

가 공 품 한과(1) 치즈(1) 2 떡(1) 와인(1) 2

기 타 모시(1) 포괄(4) 5 종묘(1) 1

합 계 20개소 22개소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lt표 5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부는 지역농업 클러스터를 연차적으로 확대하여 2016년까지 100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앞으로는 가공사업과 테마사업의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내용적으로도 수출중심형 연합브랜드 중심형 생산유통 한방 중심형 바이오산업 중심형 가공 관광중심형 테마 등으로 다양화되고 고도화될 전망이다

정부가 2008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그동안 실시해온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으로 확대하고 Ramp

D식품기업공동시설 등 기반조성과 역량을 강화하면서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10

lt표 5gt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육성계획유 형 개소 육 성 목 표

생 산유 통 42

수출중심형 7 브랜드화와 수출증대주산물 중심형 30 특화브랜드 구축으로 농가소득 향상연합브랜드 중심형 5 마케팅능력 제고로 경쟁력 강화

가 공 43

가공 중심형 20 특화작목 가공으로 부가가치 제고특산품 중심형 15 전통지식 산업화로 지역경제 활성화한방 중심형 3 전통과 신기술 접목으로 벤처농 육성바이오산업 중심형 5 생명산업 접목으로 고부가가치 실현

테 마 15관광 중심형 10 농업의 관광산업화로 농가소득 증대친환경농업 중심형 5 환경농업 실현으로 부가가치 제고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즉 지역의 여건과 의지가 충분히 갖추어진 곳을 중심으로 소수의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되 정부지원은 하드웨어의 경우 연구기반과 공동시설 소프트웨어의 경우 네트워크 구축 등에 한정하여 5~6년 이후 정부지원을 중단해도 자립운영이 가능하도록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이하 이러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염두에 두고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에서 도입해야 할 원칙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의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각각 어떤 단계별 전략을 갖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고찰하고 외국의 사례로 영국 요크셔-험버지역의 식품클러스터를 살펴보고자 한다

Ⅳ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방향

1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정책방향역사적으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지역의 1차 생산물을 이용한 소규모 가공업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11

성장하는 것이고 둘째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한 정책적인 지원으로 식품산업의 중심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발전방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해당 산업의 지역적 여건을 반영하는 것과 관련 주체들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전체 식품산업 발전을 도모할 기반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주도적인 기관이나 지역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품산업의 지역별 여건이 서로 상이해서 각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두 가지를 동시에 육성하면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로서는 식품산업 육성의 성과를 앞당긴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다원적 가치 및 지역 정체성을 잘 살려야 한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과 더불어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을 앞당긴다는 목적에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화적환경적 측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유치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데는 각기 서로 다른 차원의 내용과 주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클러스터에 관한 일반이론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적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어떤 전략적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하는지 그 방안을 살펴보자

2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중앙정부의 지원 전략국가적인 규모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

12

진다 첫 번째는 클러스터 모델에서 산업생산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생산가공과 관련된 사업체의 창업과 유치를 위해 산업단지와 각종 인프라를 건설하여 지역 내 관련 사업체가 집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산업단지와 같이 업체들의 입지와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인위적으로 업체들이 입지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낙후지역 산업개발을 위해 사용했던 방식으로 해당지역에 입지하는 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할 경우는 성공할 수 있으나 수요가 불투명하거나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클러스터로의 발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기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규모 투자에 의해 이러한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정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두 번째는 과학기술시스템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구기관의 설립 또는 입지를 통해서 지역 내 연구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지역 내 창업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방향은 궁극적으로는 연구개발의 성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것으로 대덕 연구단지를 비롯한 몇 가지 세계적인 사례가 있다 실제 연구기관의 이전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내 업체들의 요구에 의해 대학과 연구기관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기술개발의 성과와 제품화 가능성 그리고 시장수요를 고려하여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책이다

사실상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이 미약한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볼 때 대규모 예산을 초기에 투입하는 방식보다는 식품연구 및 산업체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기능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국가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추진전략 식품산업의 주요 구성주체들이 일정 지역에 집적되어 있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단계별로 적절히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러스터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계별 발전모형(그림 2)

을 토대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단계별로 국가적 차원에서 하드웨어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을 결합하는 발전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자

1) 형성 준비기이 단계는 식품연구개발 분야의 혁신역량을 지닌 지역을 판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13

실시하는 시기이다 즉 식품산업발전을 주도할 지역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서 식품관련 연구기관간의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연구기관의 협력적 전통과 분위기가 조성된 지역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각종 연구기관들간의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사후적으로 파악하여 클러스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원활한 연구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근접해 있는 기관간의 협력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 하드웨어적인 지원은 불필요하며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의 확산 및 인력양성 등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lt그림 2gt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모형

2) 기반조성 준비기 이 단계의 주요 사항은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센터의 역할은 일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식품연구개발의 수요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업체 및 연구기관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심지 또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관은 대학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네트워크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설립하여야 한다 연구센터가 설립되는 지역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10: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9

lt표 4gt에서 지역농업 클러스터 선정사업의 품목변화를 살펴보면 축산과 청과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공품에 특화한 클러스터는 여전히 소수이다 이는 아직도 지역의 식품산업이 기술수준이나 조직력 면에서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까지 선정된 42개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을 내용별로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38

개 사업이 시군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단위의 광역사업은 4개에 불과하다 광역사업은 경북한우 충북 친환경축산 제주감귤 제주말이다 생산유통 사업이 25개로 가장 많고

가공사업은 11개 테마사업은 6개이다 테마사업에는 아산 친환경 정읍 순환농업 진안 친환경 한방과 같은 친환경농업 중심형과 논산 예스민 딸기 완주 감 영천 와인과 같은 관광 중심형이 포함된다

lt표 4gt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품목의 변화품 목 제1기 (2005~2007년) 제2기 (2008~2010년)축 산 한우(2) 양돈(1) 3 한우(4) 양돈(1) 말(1) 축산(1) 7

곡물 서류 쌀(2) 콩(1) 3 고구마(1) 1

과 수 사과(1) 포도(1) 귤(1) 3 포도(1) 산머루(1) 감(1) 무화과(1) 4

채소 과채 고추(1) 1 시금치(2) 생강(1) 메론(1) 딸기(1) 5

특 작 인삼(1) 녹차(2) 3 산수유(1) 한방(1) 2

가 공 품 한과(1) 치즈(1) 2 떡(1) 와인(1) 2

기 타 모시(1) 포괄(4) 5 종묘(1) 1

합 계 20개소 22개소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lt표 5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부는 지역농업 클러스터를 연차적으로 확대하여 2016년까지 100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앞으로는 가공사업과 테마사업의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내용적으로도 수출중심형 연합브랜드 중심형 생산유통 한방 중심형 바이오산업 중심형 가공 관광중심형 테마 등으로 다양화되고 고도화될 전망이다

정부가 2008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그동안 실시해온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으로 확대하고 Ramp

D식품기업공동시설 등 기반조성과 역량을 강화하면서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10

lt표 5gt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육성계획유 형 개소 육 성 목 표

생 산유 통 42

수출중심형 7 브랜드화와 수출증대주산물 중심형 30 특화브랜드 구축으로 농가소득 향상연합브랜드 중심형 5 마케팅능력 제고로 경쟁력 강화

가 공 43

가공 중심형 20 특화작목 가공으로 부가가치 제고특산품 중심형 15 전통지식 산업화로 지역경제 활성화한방 중심형 3 전통과 신기술 접목으로 벤처농 육성바이오산업 중심형 5 생명산업 접목으로 고부가가치 실현

테 마 15관광 중심형 10 농업의 관광산업화로 농가소득 증대친환경농업 중심형 5 환경농업 실현으로 부가가치 제고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즉 지역의 여건과 의지가 충분히 갖추어진 곳을 중심으로 소수의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되 정부지원은 하드웨어의 경우 연구기반과 공동시설 소프트웨어의 경우 네트워크 구축 등에 한정하여 5~6년 이후 정부지원을 중단해도 자립운영이 가능하도록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이하 이러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염두에 두고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에서 도입해야 할 원칙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의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각각 어떤 단계별 전략을 갖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고찰하고 외국의 사례로 영국 요크셔-험버지역의 식품클러스터를 살펴보고자 한다

Ⅳ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방향

1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정책방향역사적으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지역의 1차 생산물을 이용한 소규모 가공업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11

성장하는 것이고 둘째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한 정책적인 지원으로 식품산업의 중심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발전방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해당 산업의 지역적 여건을 반영하는 것과 관련 주체들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전체 식품산업 발전을 도모할 기반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주도적인 기관이나 지역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품산업의 지역별 여건이 서로 상이해서 각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두 가지를 동시에 육성하면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로서는 식품산업 육성의 성과를 앞당긴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다원적 가치 및 지역 정체성을 잘 살려야 한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과 더불어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을 앞당긴다는 목적에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화적환경적 측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유치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데는 각기 서로 다른 차원의 내용과 주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클러스터에 관한 일반이론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적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어떤 전략적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하는지 그 방안을 살펴보자

2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중앙정부의 지원 전략국가적인 규모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

12

진다 첫 번째는 클러스터 모델에서 산업생산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생산가공과 관련된 사업체의 창업과 유치를 위해 산업단지와 각종 인프라를 건설하여 지역 내 관련 사업체가 집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산업단지와 같이 업체들의 입지와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인위적으로 업체들이 입지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낙후지역 산업개발을 위해 사용했던 방식으로 해당지역에 입지하는 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할 경우는 성공할 수 있으나 수요가 불투명하거나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클러스터로의 발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기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규모 투자에 의해 이러한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정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두 번째는 과학기술시스템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구기관의 설립 또는 입지를 통해서 지역 내 연구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지역 내 창업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방향은 궁극적으로는 연구개발의 성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것으로 대덕 연구단지를 비롯한 몇 가지 세계적인 사례가 있다 실제 연구기관의 이전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내 업체들의 요구에 의해 대학과 연구기관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기술개발의 성과와 제품화 가능성 그리고 시장수요를 고려하여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책이다

사실상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이 미약한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볼 때 대규모 예산을 초기에 투입하는 방식보다는 식품연구 및 산업체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기능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국가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추진전략 식품산업의 주요 구성주체들이 일정 지역에 집적되어 있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단계별로 적절히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러스터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계별 발전모형(그림 2)

을 토대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단계별로 국가적 차원에서 하드웨어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을 결합하는 발전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자

1) 형성 준비기이 단계는 식품연구개발 분야의 혁신역량을 지닌 지역을 판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13

실시하는 시기이다 즉 식품산업발전을 주도할 지역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서 식품관련 연구기관간의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연구기관의 협력적 전통과 분위기가 조성된 지역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각종 연구기관들간의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사후적으로 파악하여 클러스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원활한 연구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근접해 있는 기관간의 협력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 하드웨어적인 지원은 불필요하며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의 확산 및 인력양성 등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lt그림 2gt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모형

2) 기반조성 준비기 이 단계의 주요 사항은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센터의 역할은 일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식품연구개발의 수요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업체 및 연구기관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심지 또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관은 대학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네트워크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설립하여야 한다 연구센터가 설립되는 지역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11: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10

lt표 5gt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육성계획유 형 개소 육 성 목 표

생 산유 통 42

수출중심형 7 브랜드화와 수출증대주산물 중심형 30 특화브랜드 구축으로 농가소득 향상연합브랜드 중심형 5 마케팅능력 제고로 경쟁력 강화

가 공 43

가공 중심형 20 특화작목 가공으로 부가가치 제고특산품 중심형 15 전통지식 산업화로 지역경제 활성화한방 중심형 3 전통과 신기술 접목으로 벤처농 육성바이오산업 중심형 5 생명산업 접목으로 고부가가치 실현

테 마 15관광 중심형 10 농업의 관광산업화로 농가소득 증대친환경농업 중심형 5 환경농업 실현으로 부가가치 제고

자료농림수산식품부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985173 2008 11

즉 지역의 여건과 의지가 충분히 갖추어진 곳을 중심으로 소수의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되 정부지원은 하드웨어의 경우 연구기반과 공동시설 소프트웨어의 경우 네트워크 구축 등에 한정하여 5~6년 이후 정부지원을 중단해도 자립운영이 가능하도록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이하 이러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염두에 두고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에서 도입해야 할 원칙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의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각각 어떤 단계별 전략을 갖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고찰하고 외국의 사례로 영국 요크셔-험버지역의 식품클러스터를 살펴보고자 한다

Ⅳ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방향

1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정책방향역사적으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지역의 1차 생산물을 이용한 소규모 가공업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11

성장하는 것이고 둘째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한 정책적인 지원으로 식품산업의 중심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발전방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해당 산업의 지역적 여건을 반영하는 것과 관련 주체들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전체 식품산업 발전을 도모할 기반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주도적인 기관이나 지역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품산업의 지역별 여건이 서로 상이해서 각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두 가지를 동시에 육성하면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로서는 식품산업 육성의 성과를 앞당긴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다원적 가치 및 지역 정체성을 잘 살려야 한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과 더불어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을 앞당긴다는 목적에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화적환경적 측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유치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데는 각기 서로 다른 차원의 내용과 주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클러스터에 관한 일반이론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적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어떤 전략적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하는지 그 방안을 살펴보자

2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중앙정부의 지원 전략국가적인 규모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

12

진다 첫 번째는 클러스터 모델에서 산업생산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생산가공과 관련된 사업체의 창업과 유치를 위해 산업단지와 각종 인프라를 건설하여 지역 내 관련 사업체가 집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산업단지와 같이 업체들의 입지와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인위적으로 업체들이 입지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낙후지역 산업개발을 위해 사용했던 방식으로 해당지역에 입지하는 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할 경우는 성공할 수 있으나 수요가 불투명하거나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클러스터로의 발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기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규모 투자에 의해 이러한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정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두 번째는 과학기술시스템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구기관의 설립 또는 입지를 통해서 지역 내 연구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지역 내 창업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방향은 궁극적으로는 연구개발의 성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것으로 대덕 연구단지를 비롯한 몇 가지 세계적인 사례가 있다 실제 연구기관의 이전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내 업체들의 요구에 의해 대학과 연구기관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기술개발의 성과와 제품화 가능성 그리고 시장수요를 고려하여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책이다

사실상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이 미약한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볼 때 대규모 예산을 초기에 투입하는 방식보다는 식품연구 및 산업체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기능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국가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추진전략 식품산업의 주요 구성주체들이 일정 지역에 집적되어 있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단계별로 적절히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러스터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계별 발전모형(그림 2)

을 토대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단계별로 국가적 차원에서 하드웨어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을 결합하는 발전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자

1) 형성 준비기이 단계는 식품연구개발 분야의 혁신역량을 지닌 지역을 판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13

실시하는 시기이다 즉 식품산업발전을 주도할 지역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서 식품관련 연구기관간의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연구기관의 협력적 전통과 분위기가 조성된 지역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각종 연구기관들간의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사후적으로 파악하여 클러스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원활한 연구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근접해 있는 기관간의 협력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 하드웨어적인 지원은 불필요하며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의 확산 및 인력양성 등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lt그림 2gt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모형

2) 기반조성 준비기 이 단계의 주요 사항은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센터의 역할은 일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식품연구개발의 수요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업체 및 연구기관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심지 또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관은 대학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네트워크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설립하여야 한다 연구센터가 설립되는 지역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12: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11

성장하는 것이고 둘째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한 정책적인 지원으로 식품산업의 중심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발전방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해당 산업의 지역적 여건을 반영하는 것과 관련 주체들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전체 식품산업 발전을 도모할 기반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주도적인 기관이나 지역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품산업의 지역별 여건이 서로 상이해서 각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가 및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두 가지를 동시에 육성하면 한국과 같은 후발주자로서는 식품산업 육성의 성과를 앞당긴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다원적 가치 및 지역 정체성을 잘 살려야 한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과 더불어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을 앞당긴다는 목적에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화적환경적 측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유치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데는 각기 서로 다른 차원의 내용과 주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클러스터에 관한 일반이론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국가적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어떤 전략적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하는지 그 방안을 살펴보자

2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중앙정부의 지원 전략국가적인 규모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

12

진다 첫 번째는 클러스터 모델에서 산업생산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생산가공과 관련된 사업체의 창업과 유치를 위해 산업단지와 각종 인프라를 건설하여 지역 내 관련 사업체가 집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산업단지와 같이 업체들의 입지와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인위적으로 업체들이 입지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낙후지역 산업개발을 위해 사용했던 방식으로 해당지역에 입지하는 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할 경우는 성공할 수 있으나 수요가 불투명하거나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클러스터로의 발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기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규모 투자에 의해 이러한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정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두 번째는 과학기술시스템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구기관의 설립 또는 입지를 통해서 지역 내 연구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지역 내 창업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방향은 궁극적으로는 연구개발의 성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것으로 대덕 연구단지를 비롯한 몇 가지 세계적인 사례가 있다 실제 연구기관의 이전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내 업체들의 요구에 의해 대학과 연구기관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기술개발의 성과와 제품화 가능성 그리고 시장수요를 고려하여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책이다

사실상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이 미약한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볼 때 대규모 예산을 초기에 투입하는 방식보다는 식품연구 및 산업체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기능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국가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추진전략 식품산업의 주요 구성주체들이 일정 지역에 집적되어 있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단계별로 적절히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러스터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계별 발전모형(그림 2)

을 토대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단계별로 국가적 차원에서 하드웨어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을 결합하는 발전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자

1) 형성 준비기이 단계는 식품연구개발 분야의 혁신역량을 지닌 지역을 판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13

실시하는 시기이다 즉 식품산업발전을 주도할 지역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서 식품관련 연구기관간의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연구기관의 협력적 전통과 분위기가 조성된 지역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각종 연구기관들간의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사후적으로 파악하여 클러스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원활한 연구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근접해 있는 기관간의 협력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 하드웨어적인 지원은 불필요하며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의 확산 및 인력양성 등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lt그림 2gt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모형

2) 기반조성 준비기 이 단계의 주요 사항은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센터의 역할은 일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식품연구개발의 수요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업체 및 연구기관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심지 또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관은 대학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네트워크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설립하여야 한다 연구센터가 설립되는 지역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13: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12

진다 첫 번째는 클러스터 모델에서 산업생산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생산가공과 관련된 사업체의 창업과 유치를 위해 산업단지와 각종 인프라를 건설하여 지역 내 관련 사업체가 집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산업단지와 같이 업체들의 입지와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인위적으로 업체들이 입지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낙후지역 산업개발을 위해 사용했던 방식으로 해당지역에 입지하는 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할 경우는 성공할 수 있으나 수요가 불투명하거나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클러스터로의 발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기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부의 대규모 투자에 의해 이러한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정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두 번째는 과학기술시스템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구기관의 설립 또는 입지를 통해서 지역 내 연구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지역 내 창업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방향은 궁극적으로는 연구개발의 성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것으로 대덕 연구단지를 비롯한 몇 가지 세계적인 사례가 있다 실제 연구기관의 이전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역 내 업체들의 요구에 의해 대학과 연구기관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기술개발의 성과와 제품화 가능성 그리고 시장수요를 고려하여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투자가 필요한 정책이다

사실상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이 미약한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볼 때 대규모 예산을 초기에 투입하는 방식보다는 식품연구 및 산업체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기능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국가적인 식품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단계별 추진전략 식품산업의 주요 구성주체들이 일정 지역에 집적되어 있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단계별로 적절히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러스터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계별 발전모형(그림 2)

을 토대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단계별로 국가적 차원에서 하드웨어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을 결합하는 발전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자

1) 형성 준비기이 단계는 식품연구개발 분야의 혁신역량을 지닌 지역을 판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13

실시하는 시기이다 즉 식품산업발전을 주도할 지역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서 식품관련 연구기관간의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연구기관의 협력적 전통과 분위기가 조성된 지역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각종 연구기관들간의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사후적으로 파악하여 클러스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원활한 연구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근접해 있는 기관간의 협력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 하드웨어적인 지원은 불필요하며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의 확산 및 인력양성 등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lt그림 2gt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모형

2) 기반조성 준비기 이 단계의 주요 사항은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센터의 역할은 일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식품연구개발의 수요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업체 및 연구기관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심지 또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관은 대학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네트워크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설립하여야 한다 연구센터가 설립되는 지역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14: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13

실시하는 시기이다 즉 식품산업발전을 주도할 지역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서 식품관련 연구기관간의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연구기관의 협력적 전통과 분위기가 조성된 지역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각종 연구기관들간의 연구협력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사후적으로 파악하여 클러스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원활한 연구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근접해 있는 기관간의 협력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 하드웨어적인 지원은 불필요하며 공동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성과의 확산 및 인력양성 등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lt그림 2gt 국가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모형

2) 기반조성 준비기 이 단계의 주요 사항은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센터의 설립을 추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센터의 역할은 일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식품연구개발의 수요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업체 및 연구기관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중심지 또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관은 대학 및 연구기관간의 협력네트워크가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설립하여야 한다 연구센터가 설립되는 지역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15: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14

첫째 지역 내 식품관련 연구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외부 연구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등의 연구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여건 내지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은 지역에서 연구센터를 설립할 경우 연구센터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면 오히려 다른 지역 연구기관과의 협력에 장애가 되는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3) 발생기 이 시기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식품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리적 집적

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하는 업체들이 출현하는 것이며 외부 기업의 유치를 통해 산업체의 집적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업의 집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①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의 건립 및 운영 ②산업단지와 물류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 투자는 시장의 반응을 토대로 투자여부와 규모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정책추진과정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가 재정적인 인센티브보다는 경영 시장 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그리고 인적자원의 활용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업체의 입지를 유도해야한다 즉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자금지원 등 양적인 지원보다는 한 단계 높은 질적인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입주업체들이 다른 지역에서 보다도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성장발전기이 시기는 기존의 발전성과를 바탕으로 각종 파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과 확산이 강화

되고 식품산업 클러스터가 성장하는 단계이다 즉 전후방 연계산업이 입지하면서 지역 내 분업관계와 가치사슬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실제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 산학관의 요구와 문제제기를 수용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정책적인 차원의 중재를 통해서 대규모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16: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15

이 시기 정부의 지원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지역 내 업체간 경쟁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협력을 제고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즉 지역 전체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의 개보수와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소규모 기업에 대한 경영 및 기술상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가 지역식품산업 지원 전략 한국은 전통적으로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과 음식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러한 추

세를 지속시키는 것이 식품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연계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지역별로 서로 다른 조리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외식업의 발전도 지역식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농촌관광을 결합시킬 경우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부터 일정지역에서 특성화된 식품이나 음식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다수 존재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제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 농업과 식품산업간의 연계를 형성하는 것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안정적인 동반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안정적인 원료공급체계의 확보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외에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으로는 농촌지역 다원적 가치의 제고 및 지역적 정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농업과 식품제조업의 발전만이 아니라 농촌관광과 연계되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자원을 보존하는 분야의 식품산업 발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농촌 지역경제를 고려한다면 지역식품산업의 급격한 발전을 목적으로 외부 생산업체를 과도하게 유치하는 정책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문화적환경적인 면에서 지역의 수용능력 범위를 초과하는 외부업체의 입지는 지역시장을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에서 형성된 지역의 사회자본 즉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급격히 훼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단기적인 소득증대에 치중하여 장기적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지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17: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16

역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능력을 감안한 점진적인 투자와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나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은 lt표 6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여섯 단계로 구분하

여 그 발전전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각 단계의 전략과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표 6gt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단계별 발전전략 발전단계 전 략 내 용기 반형성단계

지역 농특산물 가공산업 지원

985103 기존 농림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실시985103 현재 생산중인 상품과 업체가 대상

협력네트워크형성단계

지역 내 업체간 공동사업 지원

985103 지역 내 업체간 공동이익 사업 실시 지원985103 자발적 참여업체만을 대상으로 함

생산체계형성단계

지역농업과 식품산업간 연체 추진

985103 농민과 가공업자간 원료조달체계 형성985103 소규모 지역 업체의 참여 유도

확 산준비단계

현장애로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네트워크 형성

985103 전후방 연계 체계 형성을 위한 사업 지원985103 원료 및 가공품의 품질향상 연구 지원 985103 외부 전문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진

성장단계 창업 및 업체 유치를 통한 기업집적

985103 생산 가공 유통 판매관련 업체 창업 및 유치를 통한 지역 내 가치사슬 형성 지원

985103 산업단지 조성 및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985103 역동적 소규모 기업의 창업 및 유치

외 연 적 확대단계

사업적 지리적 영역의 확대

985103 경영 및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유사 클러스터와의 협력 강화

985103 신기술 도입과 소비자 요구에 따른 혁신추진 자료김태연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985173 2008

1) 기반형성 단계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수산물을 이용한 가공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기초적인

식품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아직 생산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품의 마케팅전략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지역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산 판매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장검증이 완료된 분야에 대해 먼저 추진하는 것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18: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17

이 안전하다

2) 협력네트워크 형성단계지역 원료로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들 간에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에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정보의 제공 지역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제품의 홍보 공동브랜드와 품질관리 등의 부문에 대해 정책지원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생산체계 형성단계지역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를 추진하여 지역 내 산업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 숫자 이상의 업체들이 집적集積되어야 하는데 그 결과 업체간 원료확보 경쟁의 심화 수입산 원료의 사용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내 원료 농산물 생산자와 가공업자간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실제로 이것이 클러스터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행정에서는 지역 내 이해관계자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촉매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4) 확산준비단계원료 농산물과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각종 현장애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식

품산업의 외연적 확산 기반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지역 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성과에 대한 활용권한을 지역 내 연구기관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기술은 향후 지역 내 창업과 외부 기업유치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된다

5) 성장단계지역 식품에 대한 연구성과와 시장성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체의 창업을 장려하고 외부

업체의 유치를 통해 본격적인 중소기업형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지역 특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창업이나 유치를 통해 지역 내 분업관계 및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거나 관련 업체의 입지를 독려하는 각종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지원도 필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19: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18

요하다

6) 외연적 확대단계클러스터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영 및 기술 분야의 다양한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클러스터는 점차로 소멸된다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된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술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혁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기술과 정보의 입수가 필수적이다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국내외 다른 지역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Ⅴ 영국의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사례

1 영국의 식품산업정책 개요 1990년대 광우병을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그 동안 주로 식품안전성에 초점을 맞추고 소

비자에게 안전한 고품질 식품을 공급하는 것에 식품정책의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2001

년 구제역이 전국을 휩쓸면서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들이 강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발표된 소위 커리 보고서(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2002)에서 농업과 식품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권고하면서 식품산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커리 보고서는 영국의 소비자들이 지역 식품 또는 지역적 근원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농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지역식품시장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토대라고 밝히고 있다 커리 보고서는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시 방안으로 각 지역의 지역으로청(RDA)이 식품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 커영국의 식품수출 지원 따(Food From Britain)과 각 지역의 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이 지역식품산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형성원 따한다고 권고하였다(Food From Britain 2002) 이러한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20: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19

2 영국의 지역 식품산업 지원정책 가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커리 보고서(2002)의 권고에 따라 2002년 중앙부처인 환경식품농촌부(DEFRA) Food

From Britain 전원청(Countryside Agency) 등 세 기관이 영국의 지역식품산업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DEFRA 2002)을 마련하였다 영국이 지역식품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첫째로 지역식품 생산자에 대한 지원은 실제로 생산자 개인의 이득보다도 더 큰 공공적 이익을 확산시킨다는 점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에 따른 지역경제의 연관 효과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현실적인 식품산업의 경쟁구도에서 나타나는 시장실패를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식품 생산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소 또는 영세규모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이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향상이나 시장개척에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식품산업의 필요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자

먼저 영국이 밝히고 있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필요성은 우선적으로 지역식품산업이 농촌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생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며 또한 지역경제 내에 부가가치가 잔존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들 생산자들이 대부분 농장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지역 식품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광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정부의 농업보조금에 대한 농가소득 의존도를 감소시켜 농업정책의 순조로운 개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외국 수출 업체나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업체들이 육성될 수 있고 다섯째는 지역식품에 대한 홍보로 지역의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소비자들의 식품 생산지에 관심을 증대시켜서 농촌지역과 식품생산 그리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각종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은 우선 만약 농민이 식품산업을 경영하면서 많은 소득을 올리게 될 경우 이는 친환경적으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이를 통해 농촌경관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농법으로 전환되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영국 지역식품산업 지원정책은 궁극적인 목적은 영국 내에 가능한 한 많은 고품질 지역식품산업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이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21: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20

지역경제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는 ①첫째 식품산업 생산자와 종사자 수를 증가시고 총생산액과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것②둘째 지역식품이 영국의 식품문화로 자리잡고

국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타 식품판매업과 외식업에서도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는 것③셋째 지역 농산물에 대한 부가가치를 통해서 농민과 소규모 생산자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것④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및 소비를 도모하는 것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지역식품산업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의 달성을 세부적인 목표로 선정했다고 할 수 있다

나 정책의 내용과 지원체계 영국은 지역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하여 정책적 지원을 실시

하고 있다

첫째 지역의 소매업자 및 식품가공업체들이 지역식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소규모 생산자가 식품유통체인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효율적 유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나 축제 지원 지역식품 생산자 목록 작성 지원 식품산업 관련 생산자 및 기타 푸드체인 관련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있다 둘째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식품의 다양성에 대한 홍보와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업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식품 생산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의 각종 전문기관 및 단체들이 경영 및 기술지원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시장현황 및 변화추이에 관한 정보 제공 사업전략계획 작성 지원 마케팅과 홍보 전략에 대한 자문 생산과 상품디자인에 대한 지원 각종 법규 및 정책적 지원에 관한 정보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책의 지원방식은 크게 중앙정부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업체를 지원하는 방식과 지역의 식품업체 및 관련 기관들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원 방식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지원방식은 농촌개발이나 지역개발 정책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별로 차별적인 정책운영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자의 지역 파트너쉽에 의한 지원방식은 영국 지역개발정책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식품분야와 관련해서는 주로 지역개발청(RDA)의 주도하에 지역식품그룹(Regional Food Groups)을 중심으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즉 중앙부처는 영국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을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22: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21

형성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지역식품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시행은 지역기관인 지역개발청(RDA)와 지역식품그룹에 의해서 시행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지역식품그룹은 커리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영국의 잉글랜드 지역에서만 총 8개의 지역식품그룹이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직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생산 업체들간의 협력단체들이 지역식품그룹이라고 명명된 것이고 정부정책의 지역 파트너로 그 역할이 확대된 것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지역 식품생산업체들의 수익성 증대와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식품그룹은 소비자 소매업체 식당 숙박업체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정보를 지역 식품업체에게 공급하고 또 지역 식품에 대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영국이 지역식품그룹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지원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식품 개발이 지역경제에 매우 중요한 공공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별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지역의 특징적인 식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에는 식품시장이 너무 경쟁적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업체들이 참여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전통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제를 형성함으로써 지역 내 경제활동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영국에서 식품산업은 지역경제발전에 매우 긴요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 식품클러스터의 형성 및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식품클러스터 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의 요크셔-험버(Yorkshire and Humber)

지역을 살펴보자

3 요크셔-험버지역 식품클러스터 사례 가 지역적 특성영국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요크셔-험버지역은 북요크셔 서요크셔 남요크셔 험버

등 총 4개의 카운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농업 식품 제조업 운송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산업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서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리즈와 브래드포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23: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22

드 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적 성격의 지역이며 지역 식품산업의 중심지역이다 이 지역 총 고용의 약 13인 65000여명이 식품산업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영국의 남북 고속도로(M1)와 동서 고속도로(M62)와 서로 교차하고 있어서 대규모 식품 제조업체가 많이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맥주제조 식수 음료수 낙농제품 제빵 제당업 등이다

북요크셔(North Yorkshire) 카운티는 페나인 산지에서부터 북해연안에 접해있는 지역으로 요크셔 데일(Yorkshire Dales)와 요크셔 무어(Yorkshire Moor) 등 두 개의 국립공원을 갖고 있는 농촌지역이다 요크셔-험버 지역 농업종사자의 약 50가 북요크셔 카운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축산업을 행하고 있다 이 지역식품산업의 특성의 국립공원을 축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고용이 높으면서 이 지기반으로 한 다양한 1 2차 가공셔-험크셔이 활발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역 축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ETH 2차 가-험규모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공원을 적의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북요크셔 카운티의 주요 식품산업분야는 기능성 식품 동물사료 축산물 가공 초코렛 및 코코아 등이다

남요크셔(South Yorkshire) 카운티는 도시 주변지역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쉐필드를 중심으로 기계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로 넓은 평야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특성상 주로 감자 과일 채소 밀 등의 경종작물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지역 식품가공 및 제조업체의 13이 빵 제조업일 정도로 제과제빵 산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식품도소매업이 발달하여 약 5000명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험버(Humber) 카운티는 북해연안에 접해있고 험버 강이 중심에 흐르고 있어서 전형적으로 수산물 가공 및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주로 아이슬랜드에서 수입되는 대구를 가공하는 사업체가 험버 강 유역에 입지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업활동이 양돈업이어서 돈육 가공업이 활발하다

한편 요크셔-험버 지역의 편리한 운송여건도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요인 중에 하나이며 식품제조업뿐만 아니라 식품도소매업이 이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도로 운송여건을 보면 영국의 남북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와 동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영국 어디로든 물류를 운송하기 편리한 상황이다 또한 항공운송의 경우에도 리즈 국제공항 험버사이드 공항 셰필드 공항 등 3개의 공항이 서로 30분 거리에 있다 험버 강 유역의 헐(Hull)시를 중심으로 한 해상운송도 유리한 점인데 이 지역의 항구를 통해서 북해 연안의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지역으로 연결된다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24: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23

나 식품산업의 현황 영국 식품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요크셔-험버 지역은 지역경제에서 가장

큰 고용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품산업으로 약 200000여명이 농업 식품제조업 도소매업 등의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경제의 제조업 분야 고용 중 177

를 식품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분야를 포함할 경우 약 60000여명이 식품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고용구조를 보면 도소매업이 221 호텔 및 외식업이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 식품산업 분야의 총 사업체 수는 15000여 개이며 이 중 1100여 개가 제조업 분야이며 그 중 880여 개가 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이다 즉 지역 식품산업의 특징은 식품제조업 중심이면서도 영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5년도 요크셔-험버 지역의 식품 총생산액은 약 27억 파운드에 달하며 이는 지역 총 생산액의 4수준이지만 5년 내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Yorkshire Forward 2006)

요크셔-험버 지역 식품업체들의 수출현황은 다음의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다

lt표 7gt 요크셔- 험버 지역의 음식료품 수출액(20032004)(단위천£)

구 분 2003 2004 변화율()수 산 물 80514 80384 0마 가 린 62013 70692 14사 료 66222 56615 98510315빵 류 51652 54004 5축 산 물 32924 34359 4조 제 식 품 26739 33494 25초 코 렛 27563 27540 01 차 가 공 농 산 물 18389 17053 9851037설 탕 16653 16214 9851033음 료 14912 14638 9851032낙 농 제 품 27372 11839 985103571차 가공축수산물 16402 10064 98510339채 소 9858 8237 98510316기 타 7213 5854 985103188총 계 458428 440997 9851034

자료Food From Britain 2005 985172FFB Research Services985173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25: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24

이 지역의 식품수출액은 영국 전체 식품수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품목 중 상위 10품목이 전체 수출액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요크셔-험버 지역의 수출은 총액 4억 4100만 파운드이며 전년도에 비해 38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은 1차 농산물의 수출액이 감소한 것이며 식품가공품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빵류 축산물 조제식품 등의 수출액이 증가하였고 낙농제품에서는 57가 감소하였으며 1차 가공된 수산물과 축산물에서도 2004년에 전년에 비해 수출액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 식품산업 지원전략 및 성과 요크셔-험버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청인 요크셔 포워드(Yorkshire Forward)가 식품산업 클

러스터 정책을 실시하면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품산업 지원전략(ADAS 2002)에 따르면 식품산업 발전의 비전으로 ldquo모든 식품기업들이 선택하는 혁신적인 기업 지역으로 만드는 것rdquo을 설정하고 그 하위목표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는 미래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현재 나타나고 있는 수출시장 확대 새로운 식품분야의 등장 웰빙 열풍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등의 상황변화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제거해야 할 위협요인으로 저가 대량식품 생산에 많은 비용을 낭비하는 것 중간층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 식품산업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업지원 프로그램의 모호성을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준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서 지역 식품업체들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따라 2005년에 총 41개의 신규 기업이 창업하였고 765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신규 일자리 497개 기존 일자리 427개가 유지되었다 교육과 관련해서도 연간 총 443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개발청에서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모두 상회하는 것이었다(Yorkshire Forward 2006)

한편 지역의 식품산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즉 지역개발청에서는 산업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식품산업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 식품산업이 소비자 및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과 시설을 공급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식품관련 학과나 연구소를 운영중인 지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26: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25

역의 8개 대학과 40여개의 각종 교육기관들이 다양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보면 요크시의 주도록 설립된 중앙과학연구소(The

Central Science Laboratory) 지역개발청의 재정지원으로 중소식품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거나 알선하는 식품기술지원 서비스(Food Technology Advisory Service) 역시 지역개발청에서 주도하는 네트워크인 요크셔포워드 산학협력센터(The Yorkshire Forward Centers

of Industrial Collaboration) 등이다((Yorkshire Forward 2007)

이와 같은 연구네트워크 이외에 직접적으로 산학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산학 협동연구를 지원하여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링크(LINK)와 지역식품그룹에서 주도하는 팀 푸드(TEAM Food) 프로젝트 식품가공패러디 파트너십(Food Processing Faraday Partnership) 등이 있다

라 시사점 영국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지역별로 차별적인 식품산업 발전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 진흥정책을 지역개발정책의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중 식품산업이 특히 중요한 지역에서는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지역개발청과 지역식품그룹이다 이들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인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식품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지역발전 전략 내에 식품산업 발전 전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부문과 협력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정책시행 체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클러스터 정책과 관련한 또 다른 시사점은 전통적인 지역의 농업 경쟁력

식품산업의 활동 운송의 편리성 등이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배경이고 지역농업과 식품산업의 발전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식품산업의 발전이 전통적인 지역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하게 경쟁력이 없거나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는 식품분야를 새롭게 발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도 지역농업의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혁신을 위한 기술연구기관과 산업체 간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규모 식품기업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요크셔-험버의 사례에서 보면 대규모 식품연구기관이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27: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26

별도로 설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존 대학에서 식품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을 강화하는 것이 연구능력 향상의 출발점이고 여기에 지역기관이나 업체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실용화기술을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협력체계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형성 및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국은 개방화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의 난국을 타개하고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자 식품산업의 육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그 일환으로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을 개편

하고 식품산업진흥법 및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을 제(개)정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 체계가 미흡하여 지역에 산재한 소규모 식품업체들이 자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신제품을 개발하지 못하다 보니 상품의 범위가 작고 이는 다시 국내 식품업체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소득수준의 향상과 그린투어리즘의 확산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식품의 잠재수요는 매우 크다 따라서 지역의 소규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푸드 투어리즘 개념과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정부는 식품산업의 RampD 기능을 확충시키고 지역의 중소규모 식품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에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RampD 연구센터 및 지원시설들이 입주하여 한국 식품산업 발전의 허브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5년부터 전국의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온 지역농업클러스터 등 지역농업 육성사업은 그 상당수가 식품관련 사업이어 넓은 의미의 식품산업 클러스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이 아직 농산물의 단순가공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제품개발 및 네트워크 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업영역을 복수의 시군이나 도단위로 넓히고 RampD와 기반시설을 확충하여 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지역 식품산업 클러스터는 인프라 기술력 및 마케팅력 부족 재정문제 등을 고려하여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28: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27

단계를 나누어 점진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듯이 국가 식품클러스터나 다른 지역의 클러스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호 외 985172지역농업 클러스터985173 농촌정보문화센터 2006 7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전략rdquo 98517221세기 한국의 먹을거리정책방향과 과제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ldquo식품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지역경제 활성화rdquo 985172먹을거리문제의 대안적 접근985173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 호 외 985172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향985173 농림부단국대학교 2007 12

농림부 985172광역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계획985173 2007 9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업무계획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ldquo지역농업 클러스터 현황 및 향후계획rdquo 2008 11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85172한국의 향토음식 100선985173 2008 5

이계임김민정 985172전통식품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시장활성화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1

이동필최경은 985172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1

이병오 ldquo한국의 농업과 식품산업 동향 및 과제rdquo 985172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5

이병오 외 985172강원도 식품산업 육성방안 수립985173 강원도 2008 10

이상만 ldquo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과 발전방향rdquo 985172유통산업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985173 한국유통학회 2008 11

이용선 ldquo식품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rdqu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1

이정희 외 985172농식품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985172농식품생명산업의 선진화 전략985173 2008 4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

Page 29: 韓國食品流通學會 - KFMA (사)한국 ...Ⅲ. 식품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현황 1. 국가 식품산업 클러스터 한국 정부는 식품산업의 영세성과

28

지식경제부 985172지역특화발전 특구 연례보고서985173 2008 10

최지현김철민김성훈 985172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성 제고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85172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985173 2008 5

齊藤 修 985172食料産業 클러스터와 地域브랜드985173 農文協 2007 3

ADAS Yorkshire and the HumberFood Cluster Development Plan Phase 1Draft Report

Leeds Yorkshire Forward 2002

DEFRA The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Facing the Future London 2002

DEFRA Food Industry Sustainability Strategy London 2006

Food From Britain A Strategy for Regional Food London 2002

Policy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Farming and FoodA Sustainable

Future London Cabinet Office 2002

Yorkshire Forward Supporting a Fast Growing and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od and Drink

Sector Leeds 2006

Yorkshire Forward The UKrsquos Food amp Drink CapitalLeading Centre for Innovation Pioneering

Product Processes and Packaging Technologies Leeds 2007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09년 7월 1일2009년 7월 20일2009년 8월 23일2009년 8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