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생태유아교육연구

2014. 제13권 제1호 , 199 - 219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요 약

본 연구는 초중등 학생들에게 심각한 중독율을 보이고 있는 스마트기기의 중독이 유아기에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스마트기기의 중독 경향이 있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놀이와 가정생활에 대한 현상적 이해를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

상은 B지역 소재 만3,4,5세 유아 152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그 중에서 중독 경향이 있는

유아 5인을 참여관찰, 부모 및 교사의 면담을 포함하여 질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유아 스마트기기 보유현황은 16%의 유아가 개인 기기를 보유하고 있었고, 하루 스마트기기

사용 시간은 1시간 이상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유아가 11.2%에 해당하였다. 또한 일주일에

스마트기기를 4회 이상 사용하는 유아가 25.7%에 해당하였고, 스마트기기의 사용 용도는 동

영상과 게임이 가장 많았다. 중독 성향이 있는 유아의 일상생활에서의 현상적 특성은 부족한

의사소통, 짧은 놀이 집중력 및 산만함, 현실 인지 부족 및 회피, 불안을 포함하는 특정행동

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유아기(early childhood)

스마트기기(smart devices)

중독성(addiction)

※ 논문 접수 : 2014. 01. 29 / 수정본 접수 : 2014. 03. 10 / 게재 승인 : 2014. 03. 15

* 2012년 고신대학교 교내연구비로 이루어진 연구임

** 고신대학교 비즈니스학과 교수

***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교신저자, [email protected])

****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Page 2: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20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사회는 스마트기기 하나만으로도 모든 것을 처리하는 시대가 되었다. 교육부는 2013

년 7월에 전국 초중고생 스마트 기기 보유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는데 이에 근거

하면 초중고생의 69.1%인 434만 734명이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고, 초등학생의 경우만 보

더라도 2명 중 1명이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음을 보도한 바 있다. 즉 스마트기기는 학생

들의 필수품으로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가고 있다.

이러한 실태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연계되어 부작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미래창조과학부(2013)가 발표한 「2012인터넷 중독 실태조사」에 따르면 스마트기기는 이

제 국민의 절반가량이 사용하고 있으며, 청소년의 스마트 중독이 거의 10명 중 2명에 해당

하는 18.4%에 다다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행 스마트기기의 중독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그 심각성이 간과될 수 없는 수준임

을 알 수 있다. 인터넷중독과 휴대전화중독에 따른 공격성의 차이 연구에서 중독수준에 따

라 초등학생이 중·고등학생보다 공격성이 높게 나온다고 하였다(강미영, 2011). 또한 휴대전

화 중독이 높을수록 충동성이 높아지며(김선영, 2008), 휴대전화 중독이 높을수록 자기통제

력은 낮아진다(김선영, 2008; 임경미, 2004). 학업에 있어서도 성적이 낮은 경우(이명희,

2010; 이재연, 2003; 이진영, 2006)와 자아존중감이 낮은 경우(김정남, 2012)에 휴대폰 중독

이 더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에는 공격성과 충

동성이 높아지고 자기통제력은 낮아짐으로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음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학업성적이 낮거나 자아존중감이 낮은 아이들은 평소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되는 아이들로 스마트 중독에 더 쉽게 노출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유아는 스마트기기 중독에서 자유로운가? 일반적으로 중독은 약물 중독이나 나

아가 물질중독으로 지칭되는 경우가 다수이지만 특정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충동이나 요

구를 조절하지 못하는 행동장애를 가지는 것으로 도박, 비디오게임 중독, 운동, 섹스, 인터

넷중독 등을 중독 장애에 포함하고 있다(장로, 2013). 최근 스마트기기 중독과 영향력이 유

아기로 확대되고 있음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발표한

「2011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와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2012인터넷 중독 실태조

사」를 비교하여 보면 전체중독률은 2011년도 7.7%에 대비하여 2012년도 7.2%로 감소하였

Page 3: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201

지만 만5세 유아의 중독률은 2011년 3.6%에 대비하여 2012년도 4.3%로 증가하는 결과를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중독 현상의 저연령화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기기의 보급 확산은 유아의 중독현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가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육아정책연구소 학술지인 「육아정책연구」에 발표된 이원석·성영화(2013)의 연구에 따

르면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이 일주일에 적게는 1∼2회, 많게는 매일 주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전체 84.5%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렇게 스마트폰을 처음으로 접하

게 해 준 사람은 부모가 82.1%라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즉 스마트기기의 보급 확산과 더불

어 스마트기기는 유아의 생활과 별개의 것으로 볼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고, 이는 인터넷

중독만이 아니라 스마트 중독의 현상적 이해를 통해 구체적 지원책을 마련해야 하는 과제

를 던져주고 있다..

유아기의 스마트기기의 중독 위험성은 결정적 시기라는 발달 특성으로 인해 더욱 강한

경고를 하고 있다. 2∼4세의 유아는 외부적 자극이 두뇌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시기로

듣고 말하는 과정이 언어발달 및 운동신경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4∼6세의 유아는

뇌 에너지 대사가 최고에 달한다는 논의가 있어왔다(곽노의, 김경철, 김유미, 박대근, 2007).

중앙일보(2013.01.07)는 중독전문가인 이홍석 교수와의 인터뷰에서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

은 유아기의 뇌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을 제시한 바 있다. 반면 이주연(2011)의 연구에

서는 유아가 스마트폰에서 한 가지 앱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75%이며, 부모는 이

것이 유아 학습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초 중등 학생들에게 심각한 중독율을 보이고 있는 스마트기기의 중독이 유아기에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그 실제 현상적 영향력이 어떠한가에 대한 관심은

최근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방효구·김낙흥, 2013; 이원석·성영화, 2013; 이주연,

2011)을 볼 때 양적인 실태 위주의 논의를 포함하고 있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유아의 스마트기기 중독 성향에 따른 현상적 특성이 어떠한가를 질적 접근으로

탐색하는 과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스마트기기의 중독 경향이 어느 정도인가를 살펴보

고, 중독 경향이 있는 유아들의 놀이와 생활에 대한 현상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질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는 추후 유아 스마트기기 중독 예방을 위한 방안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

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Page 4: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20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2. 연구문제

이상의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스마트기기의 사용 실제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의 현상적 특징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연구대상자는 B지역에 소재한 B어린이집의 만3,4,5세의 원아 200명을 대상으로 하여 그 부

모에게 연구목적 및 방법을 제시하여 동의서를 받은 뒤 연구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결과

총 152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모집방법은 임의모집으로서 어린이집 관계자

의 동의하에 부모에게 동의를 구하고 200명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의 결과는 참여

유아의 결과 및 정보에 대한 비밀유지가 될 것임을 고지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질적 탐색을

연계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임의로 한 기관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소정의 감사 답례품으로 보상 실시를 하였으며, 연구과정에서 참여철회를 요청할

수 있음을 고지하였다. 본 연구는 K대학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를 통과하여 실시하였

다.

질적 접근의 연구는 설문지 결과에 따라 중독 성향이 있는 유아 중에서 그 경향이 높은 유

아 5인을 선정하여 그 부모에게 설문결과와 연구목적 및 방법을 설명하고 이에 동의를 구한

뒤 최종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선정된 5인은 어머니와의 면담에서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걱

정을 하고 있는 상황으로 연구참여에 대한 동의와 참여 의지를 포함한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그 유아가 속한 학급의 교사 5명에게도 동의를 구한 뒤 심층면담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 실제에 대해 가장 구체적 인식을 할 수 있는 대상이 어머니

이므로 각 유아의 어머니 5인도 심층면담의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과정에서 참여철회를

언제든지 요청할 수 있음을 공지하였고,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의 대상자에게도 소정의 도서를

답례품으로 보상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의 유아 대상자 및 어머니에 대한 구체적 정보는 다음

표 1과 같고, 교사에 대한 구체적 정보는 다음 표 2와 같다.

Page 5: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203

<표 1> 연구대상 유아 및 어머니의 현황

유아 어머니

성명 연령 성별 성명 연령 가족원

이은○ 만4세 남 양혜○ 37세 4명

정지○ 만5세 여 손은○ 34세 3명

김소○ 만3세 남 정윤○ 43세 4명

김은○ 만4세 남 유선○ 33세 5명

김주○ 만5세 남 조진○ 40세 4명

<표 2> 연구대상 교사의 현황

성명 연령 성별 경력 담당학급 담당유아

박신○ 27세 여 2년11개월 맑은○○ 이은○

오현○ 27세 여 3년 11개월 행복○○ 정지○

이성○ 33세 여 9년 사랑○○ 김소○

황은○ 36세 여 6년4개월 산들○○ 김은○

김민○ 33세 여 8년6개월 푸른○○ 김주○

2. 자료수집

1) 설문지조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중독설문지는 현행 유아용 스마트기기사용 관련 설문지로 개발된 도

구가 없으므로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아동 인터넷 중독 관찰자 척도」에 나타난

아동용 스마트 기기 사용 관련 문항을 수정하여 유아용으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문항의

내용은 유아교육 관련 전문가에게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받아 사전에 부모 10인에게 예비조

사를 실시한 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그 문항의 내용은 다음 표 3과 같다. 이 척도는

총 15문항으로 구성된 5점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 1점~매우 그렇다: 5점)로 응답점수가

높을수록 관찰대상 유아동의 중독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유아동 관찰자 척도의 문

항 신뢰도는 Cronbach 알파 값이 .922 나타났다. B지역 소재 B어린이집의 부모를 대상으

로 하여 유아중독 설문지 200부를 배포하였고, 152부를 회수하여 총 회수율은 76%이었다.

설문지조사 대상 유아 중 남아가 76명, 여아 73명, 무응답이 3명이었다.

Page 6: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20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표 3> 스마트기기사용 관련 설문지 문항

구분 세부사항 문항수

스마트기기활용 일반사항

소유정도, 가정보유율, 사용시간,

사용횟수, 사용용도5

스마트기기

관련 경험

스마트기기 몰입 정도 2

스마트기기 흥미 정도 3

스마트기기 의존 정도 4

스마트기기 놀이 성향 2

생활 불규칙성 4

2) 참여관찰

설문지 결과에 따라 고위험군 1인, 잠재적 위험군 2인, 일반사용자 중 중독 성향 점수가

가장 높은 상위 7인을 포함한 10인의 유아와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전달하고 연구윤리에 근거하여 부모동의를 얻은 후에 실시하였다.

참여관찰은 2013년 11월 중순부터 12월 말까지 매주 2회씩 10회의 참여관찰을 실시하였

다. 참여장소는 각 유아가 속한 학급의 자유선택활동시간과 대그룹활동시간을 포함하여 하

루 1시간 이상을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참여관찰은 연구자의 편견과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

여 1인의 연구보조자를 포함하여 연구자와 함께 2인이 동시에 관찰하여 현장노트를 작성하

고, 필요에 따라서 비디오 촬영을 포함하였다. 비디오 촬영자료는 연구참여자의 부모동의를

받은 후에 촬영하고 본 연구의 분석이후 연구자가 직접 파기하였다. 참여관찰은

Stake(2000)의 쟁점에 의거한 관찰에 기초하여 1단계 서술관찰(3회기), 2단계 쟁점관찰(6회

기), 3단계 선별관찰(3회기)로 이루어졌다. 1단계는 유아의 개인적 생활과 행동 패턴을 탐색

하기 위해 자연스런 서술 방식으로 탐색하고, 2단계는 특이한 특성에 근거한 쟁점을 발견

하여 이에 초점을 맞추어 관찰하고, 3단계는 중요하고 의미 있는 행동을 집중적으로 선별

하여 선별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중독 설문의 결과에 따라 중독 경향이 높게 나타나는 대상에게 연구 후

유아상담과 부모교육을 포함하여 상담프로그램을 지원하였다. 또한 유아와의 상담 및 부모

와의 상담을 거쳐 ‘스마트기기의 사용과 중독 예방’이라는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3) 심층면담

심층면담은 앞선 설문지 조사 결과에 따라 연구대상자로 결정된 어머니 5인, 각 유아가

소속된 학급의 교사를 포함하여 실시하였다. 어머니와 교사는 유아의 생활이나 스마트폰

Page 7: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205

사용 상황에 대한 가장 구체적 이해를 포함하고 있는 대상자이므로 심층면담의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참여자가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드러낼 수

있도록 하여 진행하였다. 양육자 심층면담은 실시 이전에 연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윤리에 근거한 연구동의를 받은 후에 실시하였다. 전사된 자료는 Seidman(2012)이 제

시한 면담의 관리 및 분석의 체계를 따라 면담 자료의 녹음, 테이프 전사, 원문과의 비교

검토, 면담자료 분석하기를 거쳐 관찰 자료와 면담 자료를 종합하여 범주화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3. 자료분석

1) 설문지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사용된 중독설문지의 자료분석은 유아의 관찰 및 심층면담 대상자 선정의

기준으로 활용할 것이다. 중독설문지의 분석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아동 인터넷

중독 관찰자 척도’에서 스마트기기 사용에 관련된 척도를 활용한 것이므로 이 척도의 분석

기준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문항중독 설문지 결과를 분석하여 원점수 총점이 44점 이상

인 유아는 고위험사용자 그룹, 40점 이상 43점 이하의 유아는 잠재적위험사용자 그룹으로

분류하고, 두 그룹에 속한 유아중 설문결과 중독지수가 가장 높은 5인의 유아를 선정하여

2차 질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2)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 자료분석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Fetterman(1989)이 제시한 귀납적 분석의 단계에 근거하여 심층면

담 전사 자료, 참여관찰 현장 노트 등을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귀납적 분석은 데이터 해독

과 분석 틀 확인, 의미론적 관계에 따른 영역 분류, 영역 상세화, 부합하지 않는 테이터 조

사, 영역 분석 완결, 영역에 적합한 주제 조사, 영역 간 관게를 종하하는 개요 작성, 개요

별 대표적 데이터 발췌 등의 과정을 통해서 자료 정리, 분석 및 범주화, 해석, 글쓰기 등의

과정을 거쳐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관찰의 경우 연구보조자와 함께 2인이 관찰을

실시하고 실시된 현장일지는 오류 확인 및 점검을 2인이 동시에 실시하여 연구자 삼각측정

(investigator triangulation)을 사용하였다. 또한 심층면담도 전사된 자료를 연구참여자가 확

인하도곡 하여 질적 연구의 타당성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자료분석에 있어서 자료

원도 참여관찰, 면담을 통해 상호 검증을 통해 내용의 타당성을 점검하는 과정을 거쳤다.

Page 8: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20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Ⅲ. 연구결과

1. 유아기 스마트기기 사용 실태

1) 유아 본인 개인스마트기기 보유 현황

유아의 개인 스마트기기 보유 현황을 살펴본 결과 그림 1과 같이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가 128명으로 84%였고, 가지고 있는 경우가 24명으로 16%에 해당하였다. 이는 유아기부터

개인 스마트기기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가 16%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에서 보

유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의 보유대수는 2.4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유아 개인스마트기기 보유 현황

2) 유아의 하루 스마트기기 사용 시간

유아가 하루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에 대한 조사결과는 그림 2와 같이 1시간에서

2시간 미만이 13명으로 8%에 해당하고, 2시간에서 3시간 미만은 1%, 3시간 이상은 2%에

해당하였다. 1시간 미만은 132명으로 87%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1시간 이상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유아가 11.2%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Page 9: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207

[그림 2] 유아 일일 스마트기기 사용 시간

3) 유아의 일주일간 스마트기기 사용 횟수

유아의 일주일간 스마트기기 사용의 횟수를 살펴보면 그림 3과 같이 주 2회에서 3회가

47%로 가장 많았다. 주 4회에서 5회 사용하는 경우도 24명으로 16%에 해당하였고, 6회 이

상도 10%에 달했다. 이는 일주일에 스마트기기를 주 4회 이상 사용하는 유아가 25.7%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림 3] 유아 일주일 스마트기기 사용 횟수

Page 10: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20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4) 스마트기기 사용 용도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 용도는 복수응답으로 조사되었으며, 그림 4와 같이 동영상이 87

명이었고, 게임이 71명이었다. 즉 그림 4와 같은 결과로 유아들이 주로 동영상이나 게임을

스마트기기 사용 용도로 쓰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림 4] 스마트기기 사용 용도

2.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의 일상생활의 현상적 특징

1) 부족한 의사표현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의 특성을 지닌 유아의 놀이나 일상에서 나타나는 현상적 특성

으로 의사표현의 현저한 부족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였다. 대상 유아들은 상호작용이 부

족하거나 다른 유아에게 자신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며, 표현의 부족으로

유아 간의 상호작용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이가 잘못 그리자 은○이가 들고 있던 색연필을 빼앗아 직접 그려준다. 그래도 은○

이는 아무말 없이 보고 있다. 은○이 앞에 있던 한 장짜리 스케치북을 하○이가 가져와서

그림을 그리고 “이거 가질 사람?”이라고 한다. 은○이가 손을 들자 하○이가 “태현이랑 가

위, 바위, 보 해라”라고 한다. 은○이는 말없이 도리질을 친다. 스케치북은 태○이가 가졌다

(2013. 11.26. 은○의 참여관찰 중에서).

사각 블록을 가지고 끼우기를 한다. 옆의 은호가 와서 앉으며 “뭐 해?”라고 하니 노란색

Page 11: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209

블록을 가져다고 아무말 없이 블록 끼우기만 계속 한다(2013. 11. 24. 소○이의 참여관찰

중에서).

그림을 그리면서 아무말도 하지 않고 옆에 앉아 있는 친구들도 은서에게 말을 걸지 않

는다. 반대편에 앉아 있던 준혁이가 큰 소리로 얘기를 하고 있어도 오직 고개 숙여 종이와

싸인펜을 쳐다보고 있다(2013. 11.20).

이상의 사례와 같이 의사표현이 부족하고 의사소통에서 문제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었다.

놀이의 경우 단독놀이가 많고, 옆에 친구들과 함께 하더라도 최소한의 의사소통을 하는 것

으로 보였다. 초등학생의 휴대폰 중독이 학교생활 적응에 부정적 관계를 가진다는 이재연

(2013)의 연구와는 의미 있는 연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생의 경

우는 오히려 친구와의 소통을 통한 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김선영, 2008)도

나타난 바 있다. 이는 초등학생의 경우 문자나 소통의 도구로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

으나 유아의 경우에는 문자적 제한으로 인해 오히려 의사소통에 부정적 영향을 가지고 올

수 있음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상적 관찰이나 면담을 통해 분석된 내용

에 기초하면 대상 유아들의 경우 대부분 의사소통이 적거나 아니면 의사소통이 서툴러서

상호작용에서 갈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을 하고자 시도를 해도 흥분을 하거

나 적절한 상호작용 기술이 드러나지 않아 다음과 같이 갈등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았다.

동오가 “선생님 주○이가 자꾸 귀찮게 해요”라고 얘기하자 중○이가 “내가 언제? 아∼

씨”라고 하면서 주먹으로 종이를 누른다. “동오, 씨”하면서 계속 동오를 쳐다본다(2013.

12.23. 주○의 참여관찰 중에서).

특히 유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면담을 살펴보면 유아가 상호작용이 서툴거나 말투가

거칠어지는 등의 특성이 나타났다. 대화에 있어서 논리성이 부족하다는 교사의 인식이나

부모가 느끼는 상호작용의 부재는 대상 유아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이었다.

상황에 맞지 않는 대화를 많이 하고, 주제에 맞지 않는 대답을 많이 해요. 동문서답을

한다고 볼 수 있지요. 아이들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편이라고 볼 수 있어요

(2014.1.13. 은○의 담임 박교사 면담 중에서).

요즈음은 우울한 기색이 보이는 것 같아요. 엄마가 너무 바빠서 제대로 돌보지 못해서

Page 12: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21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그런지 말투도 거칠어지고 변하는 것 같아요(2014. 1. 20. 지○의 어머니 면담 중에서).

2) 짧은 놀이 집중력 및 산만함

유아기의 영유아 발달을 살펴볼 수 있는 가장 주요한 부분은 놀이이며, 놀이를 통해서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는 논의(유효순, 조정숙, 2004; 이숙재,

1984; Piaget, 1962)는 꾸준히 있어왔다. 연구 대상 유아의 경우 놀이의 특성은 사회적이고

인지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었는데 특히 놀이의 형태에 있어서 소극적이며 방관자적 태도의

수준을 드러내고 있었다.

은○이는 조끼에 손을 넣고 역할 영역, 조작영역을 구경하며 돌아다닌다. 쳐다만 보고

활동을 선택하지 못하고 서성이다가 미술영역에 가서 책상에 매달려 있다. 눈은 초점 없이

뭔가 응시를 하다가 친구들의 놀이를 쳐다본다(2013. 11. 26. 은○의 참여관찰 중에서)

놀이에 있어서의 소극성이나 방관자적 태도는 교사가 유아에 대한 일반적 놀이 형태에

있어서 사회적 관계나 사회성과도 여러 가지 특징적 의미를 드러내는 것으로 보였다.

의자에 엉덩이만 걸치고 양손을 의자에 대고 의자를 앞뒤로 왔다갔다를 반복한다. 왼손으

로 오른쪽 콧구멍을 후벼판 뒤 입으로 빨아먹는다(20013. 11. 18. 은○의 참여관찰 중에서)

역할영역을 쳐다보고 있다가 미술영역으로 간다. 미술영역을 두리번 거리다 다시 과학영

역으로 간다. 효은이와 돋보기 보기를 1분 간 하더니 다시 언어영역으로 가서는 서성인다

(2013. 12. 10. 은○의 참여관찰 중에서)

바닥이나 의자에 잘 앉지 못하고, 의자에서 잘 넘어져요(2014. 1. 13. 박신○ 교사 면담

중에서)

등원이 불규칙하고 하루 일과가 매일 다르게 시작하게 되니 활동에 잘 참여하지를 못해

요. 컨디션 조절이 잘 되지 않고 자세가 산만하고 흐트러지는 부분이 있어요(2014. 1. 13.

오현○ 교사 면담 중에서)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을 힘들어 하고 의자에 바르게 앉지를 못하는 경향이 많은 것 같아

요(2014. 1. 13. 황은○ 교사 면담 중에서)

Page 13: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211

대상 유아들이 가지는 부족한 집중력은 부모나 교사의 면담을 통해서도 확인될 수 있었

다. 담당 유아교사들은 유아가 다른 유아들에 비해 의사에 앉거나 활동의 지속시간을 견디

기 힘들어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스마트기기 사용 중독 경향을 보인 연구 대상 유

아들의 일상생활 특징으로 집중력 부족이 나타나고 있었다. 유치원 일과 속에서 자유선택

활동이나 대소그룹활동 내에서 지속적으로 집중력 부족이 대상 유아 모두에게 나타나고 있

다. 다음의 사례처럼 집중을 하지 못하고 있고, 산만하게 몸을 계속 움직이는 행동을 보였

다. 특히 자유활동시간에서 한 영역에서의 활동시간이 짧은 편이고 활동의 지속시간이 짧

고 약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주로 부모 영향이 큰 것 같아요. 컴퓨터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심심할 때 주로 스마트

폰을 많이 쓰게 되지요. 주로 유튜브나 에니메이션 동영상을 보면서 노는 경우가 많아요

(2014. 1. 20. 이은○ 어머니 면담 중에서)

스마트기기의 사용에서 유튜브나 동영상과 같은 수동적 활동이 많다는 점과 이러한 놀이

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초등학생의 휴대폰 중독이 학교생활 적응과 정

신 건강 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들(김광진, 2012; 김선영, 2008; 이재연,

2013)은 유아기의 놀이와 삶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연계하여 그 논의가 지속적으로 필

요함을 드러내고 있다.

3) 현실 인지 부족 및 회피

대상 유아들의 특징 중에 하나로 현실을 인지하는 것이 부족하거나 현실 회피의 경향을

타나내고 있었다.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동적이거나 지나치게 정적이어서 대인과의 구체적

관계나 실패를 회피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었다.

암벽을 타고 내려오지 않고 그냥 바닥으로 뛰어내려 “은○아, 높은 곳에서 그냥 그렇게

뛰어내리면 다칠 수 있어서 위험해. 조심하게요”라고 했더니 “괜찮아요”라고 하면서 파워

레인저 동작을 해 보인다(2013. 12. 16. 이은○ 참여관찰 중에서).

쌓기놀이에서 성을 만들어 놓고 인형놀이를 한다. 은○이가 “이 사람이 자기를 때리려고

해서 칼로 죽였데”라고 하자 태현이가 “진짜로”라고 하자 은○이는 “얘는 숨이서 안 보이

는데 진짜다”(2013. 12. 26. 김은○ 참여관찰 중에서).

Page 14: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21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하경이가 옆에서 와플 블록으로 자석 블록 위헤 한 개씩 올려 놓으니 하경이 팔을 밀어

내며 “하지마”라고 인상을 찌푸린다. 민형이가 말을 걸자 대답을 하지 않고 앉아 자석블럭

만 계속 쳐다본다( 2013. 12. 3. 김소○의 참여관찰 중에서)

혼자놀기는 싫어하지만 다른 친구들이 간섭하는 것을 앃어하고 짜증을 잘 낸다. 친구들

옆에서 놀지만 간섭하지도 않고 혼자 조용히 놀고, 의기 소침하고 예민하다(2014. 1. 13. 이

성○ 교사 면담 중에서)

초등학생의 경우 스마트기기의 사용 중독 성향이 높을수록 충동성이나 공격성이 증가하

는 것은 현실감의 저하나 자기통제력의 저하로 해석되어지는 것(강미영, 2011; 김광진,

2012; 김선영, 2008)과 일관되게 유아에게도 현실 인지가 부족하여 현실 회피적 판단이나

충동이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활동이나 대화에 있어서도 진지함이 부족한 특성

들도 보이고 있었다. 대소그룹활동을 하거나 대화를 할 때에 우스꽝스런 태도나 행동으로

현 상태를 회피하거나 현실을 빨리 넘어가버리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구 대상자에 대

해 교사들은 과도하게 큰 행동을 보이거나 매우 소극적인 경우의 2가지 성향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현실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사회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고 있었다.

친구관계에서 사회성이 부족하고 적극성이 부족한 편이에요. 놀이를 해도 다른 친구들의

놀이를 살피고 다른 친구들의 놀이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지요. 의기소침하고 좌절감을 많

이 느끼는 편이에요(2014. 1. 13. 이성○ 교사 면담 중에서).

놀이상황에서 함께 친구들과 앉아 있음에도 놀이에 동참하지 않고 방관자적 태도를 취

하는 경우가 많아요. 이야기 나누기 사간에 질문을 하면 진지하지 않고 웃긴 대답을 많이

하고 그것을 즐기는 듯 해요. 게임이나 이런 것을 즐기는 것이 유아에게 현실감각을 잃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갈수록 아이들이 산만해져서 걱정이에요(2014. 1. 13. 황은○ 교

사 면담 중에서)

반면 대상 유아의 어머니는 유아가 컴퓨터나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때는 매우 능숙하고

집중을 잘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스마트기기가 없을 때는 불안해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특히 유아기 스마트기기의 사용은 게임이나 동영상이 주를 이루고 있

고, 이러한 내용은 유아에게 현실과 다른 세계를 연결시켜준다는 면에서 논의의 필요성을

포함하고 있다. 스마트기기의 문제 중에서 뇌의 불균형 발달이나 인지 및 정서에 대한 발

Page 15: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213

달적 의미에 대한 다양한 논쟁들(강미영, 2011; 이찬숙·신혜경·주현경, 2010; 허수향·신은수,

2012)은 이러한 면에서 본 연구결과와 일관된 쟁점을 불러일으킨다고 볼 수 있다.

휴대폰이 없으면 불안해 하고 늘 휴대폰을 하는 것 같아요. 어른들을 대할 때 수줍음이

많고 컴퓨터는 굉장히 잘 다루는 편이에요. 휴대폰을 좋아하기는 하지만 컴퓨터나 기기를

다루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2014. 1. 20. 지○ 어머니 면담 중에서)

아이가 심심해할 때가 있어요. 누나가 공부를 할 때나 혼자 놀 때 스마트폰을 주게 되지

요. 스마트폰 검색 능력이 탁월해요. 집에서 인간성은 좋은 것 같은데 무엇을 못하게 하면

잘 울어요(2014. 1. 20).

4) 불안을 포함하는 특정 행동

연구 대상 유아들에게 나타나는 공통된 특성으로 특이한 개인적 버릇을 포함하는 행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자기 물건을 잘 챙기지 못하거나 손톱을 물어뜯거나 물건을

빠는 등의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손톱을 물거나 손을 빨거나 손을 깨무는

등의 행동이 대상 유아의 경우 5명 중에서 4명에게 나타나고 있었다.

머리를 묶고 있던 리본핀을 풀어 책상 위에 올려놓은 채 활동을 하다가 핀을 놓아둔 채

다른 영역으로 간다(2013. 12. 10 정지○의 참여관찰 중에서)

양치 후 화장실에 나와서 쌓기영역 카페트로 가서 손톱을 보더니 입으로 손을 넣어 뜯

는다(2013. 11. 18 김소○의 참여관찰 중에서).

바구니에 있던 테트리스 도구를 가져와 너트 사이에 끼워넣고 입으로 가져가서 빨고 있

다(2013. 12. 6. 이은○의 참여관찰 중에서).

의자 위에 무릎을 꿇고 앉아서 손가락을 입에 넣고 깨물고 있으면서 친구가 그림 그리

는 것을 보고 있다.(d013. 11. 25. 김은○ 참여관찰 중에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유아의 경우 손톱을 물어뜯거나 잘 울거나 물건을 챙기지 못하는

등의 행동들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것에 대해 어머니가 크게 걱정을 하고 있지는 않았다.

특히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의 주 영향이 부모가 게임을 하도록 주거나 시간을 보내도록

Page 16: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21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주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통해 유아들에게 스마트기기를 가지고 노는 것이 습관화되는 경

향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특이한 버릇으로 손톱을 물거나 뜯는 경우가 간혹 나타나고 있어요. 다른 것을 보고 있을

때 특히 손가락을 빨며 멍하니 있는 경우가 있지요(2013. 1. 13. 황은○ 교사 면담 중에서)

감정표현에 눈물이 많고, 수줍음도 많은 편이에요. 기억력이 좋은 것 같은데 요즈음은

우울한 기색도 보이고 있어요(2014. 1.l 20. 정지○ 어머니 면담 중에서).

욕심이 없고 자기 주장도 없고 독립심이 약해서 걱정이에요. 주로 게임을 하게 되는데

아빠가 좋아해서 같이 하게 되지요. 심심하면 자꾸 손을 물거나 하는 행동을 하는 것 같기

도 해요(2014. 1. 20. 김은○ 어머니 면담 중에서).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의 경우 스마트기기나 인터넷 중독이 일상생활장애나 금단, 통제상

실 등을 나타내며 건강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논의가 있다(연미정, 2006; 장로,

2013). 유아의 경우도 스마트기기 중독 성향의 유아 대부분에서 현상적 특성으로 손톱 물어

뜯기, 빨기, 울기 등이 나타나고 있음은 행동이나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

제 제기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스마트기기의 과도한 사용이 유아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에

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이숙희, 2010; 조은정·김지현, 2010)을 고려해 볼 때 유

아기 스마트기기의 사용과 특이한 행동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논의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의 중독이 유아기에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B지역에 소재한 B어린이집 유아 152명의 부모가 인식한 유아 스마트기기 사용 실제

를 분석하였고, 그 중에서 중독성을 가진 유아 5인을 선정하여 일상생활에서의 현상적 특

징이 어떠한가를 질적으로 탐색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유아기 스마트기기 사용 실태는 유아가 개인적으로 스마트기기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16%에 해당하였고, 가정별 스마트기기 보유대수는 평균 2.4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

Page 17: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215

루 스마트기기 사용 시간은 1시간에서 2시간 미만이 8%, 2시간에서 3시간 미만은 1%, 3시간

이상은 2%, 1시간 미만은 87%에 해당하였다. 즉 하루에 1시간 이상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유아가 11.2%임을 드러내고 있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기기 사용 실태에 대한

박선영(2013)의 연구에서 보면 59.5%의 아동이 개인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었고 거의 매일 1

시간에서 3시간씩 사용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김광진(2012)의 연구에 의하면 하루 스

마트폰의 사용시간이 1시간 미만이 38.4%로 가장 많았다는 결과를 내놓기도 하였다. 유아기

의 경우도 스마트기기 보유가 16%나 되며, 1시간 이상도 11.2%라는 것은 간과할 수 없는 실

제로서 유아기 스마트기기 사용실태와 중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일주일간 스마트기기 사용의 횟수도 살펴보면 주 2회에서 3회가 47%, 주 4회에서 5회

사용이 16%, 6회 이상이 10%에 해당하였다. 이는 유아가 스마트기기를 주 4회 이상 사용

하는 경우가 25.7%에 달함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경우 박선영(2013)의 연구에서는

거의 매일 1시간에서 3시간 정도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로(2013)의 연구에서는

스마트기폰 미사용자는 24.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기 스마트기기가 주

4회 이상 사용자가 25.7%나 된다는 것은 유아기 스마트기기 접촉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단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스마트기기의 유아 사용 용도는 동영상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게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초등학생의 경우 평일 스마트기기의 활용에서 게임을 하지 않는다는 대

상자가 34.2%에 해당한다는 결과(장로, 2013)나 핸드폰 사용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이 17.8%로 게임오락으로 나타났지만 음성통화나 문자가 각각 17%와 13.6%에 해당된다는

연구결과(이재연, 2013)의 결과들과 비교할 때 유아기 사용 실태는 의미있는 결과를 드러내

고 있다. 즉 유아기는 음성통화나 문자가 거의 없다는 측면에서 볼 때 동영상과 게임이 주

된 사용이며 그 영향력도 중독성 경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측면을 드러내고 있다.

둘째로 스마트기기 사용 중독적 성향을 가진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일상생활의 현상적 특

징을 살펴본 결과 부족한 의사표현, 짧은 놀이 집중력 및 산만함, 현실 인지 부족 및 회피,

특이한 버릇을 가지는 등의 현상적 특징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그에 비

해 부모의 인식은 그 심각성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스마트 중독은 더 심해질 것으로 보인

다. 스마트기기 중독 정도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이유진, 2013)에서는

신체적 건강악화, 사회적 위축이나 소외감이나 불안감과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스마트기기의 중독이 언어파괴, 폭력, 음란 등의 일상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를 낳는다는

보고(김선영, 2008; 이민석, 2011) 등을 고려해 볼 때 유아기는 현상적 특징이 놀이에서 많

이 드러나며 또래와의 관계에서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신체적 건강악화나 음란 등의 문

Page 18: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21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제와는 직접적 연결이 드러나지 않으나 사회적 위축, 언어파괴 등의 단면들이 일상생활의

현상적 특성 속에 포함되어 드러나고 있음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이주연(2011)의 연구에

서 유아의 스마트기기에서의 앱 사용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 인식과 한 가지 앱 사용이 일

주일 이상 꾸준히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유아가 75%에 달한다는 연구들은 부모들의 스마트

기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단면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추후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의 사용이 유아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고, 이

것이 유아의 일상생활이나 놀이에서 현상적 특성을 포함하여 부정적 영향을 나타나고 있음

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유아기 스마트기기의 사용이 가지는 부정적 영향들을 고려할

때 추후 유아를 포함한 부모, 교사를 위한 다양한 지원 체계가 논의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의 유아교육기관 1곳을 대상으로 하여 그 실태와 현상적 특성

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추후 지역과 기관을 확대하여 그 실태와 현

상적 특성을 좀 더 다양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유아의 일상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살펴볼 때 어머니의 면담을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아버지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면 부분의 중요성을 고려

할 때 추후 면담에 아버지를 포함하는 접근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에 근거하여 부

모의 스마트기기 사용 실태와 유아의 중독성 관계나 지원 방안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추후 이러한 부모를 대상으로 한 인식 실태나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좀 더 심층적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유아의 중독 성향에 따른 일상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므로 교사는

보조적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교사가 인식하는 부모나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의

문제점을 살펴보거나 교사 자신의 스마트기기 사용 실태에 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

인다. 특히 최근 유아교육기관에서 컴퓨터가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교육적 접근이 확대되고

있는 점을 볼 때 유아교육에서의 스마트기기 사용 실태와 교사교육 등의 지원 방안에 대한

모색도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중독 성향에 따른 특징을 살펴본 연구로서 유아의 스마트

기기 사용의 문제를 인식하는 기초자료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유아 스마트기기 사

용 절제와 중독 예방을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추

후 유아, 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기기 중독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의 다각적 논의

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Page 19: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217

참 고 문 헌

강미영(2011). 초·중·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휴대전화중독에 따른 공격성 차이. 나세렛대

학교 재활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곽노의, 김경철, 김유미, 박대근(2007). 영유아발달. 경기: 양서원.

교육부(2013). 초·중·고 학교 스마트기기 보유 현황. 2013년 7월 29일 보도 자료. 서울: 교

육부.

김광진(2012).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 조사 및 스마트폰 사용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영(2008).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과 충동성, 자기통제력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남(2012).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2013). 2012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

진흥원.

박선영(2013). 아동의 스마트기기 중독성과 부모 중재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방효구, 김낙흥(2013).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및 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6), 43-64.

연미정(2006).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실태와 건강문제.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효순, 조정숙(2004). 놀이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이명희(2010). 초등학생의 휴대폰 중독, 학교생활 적응,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 연구.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민석(2011).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숙재(1984). 유아의 상상놀이와 제변인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숙희(2010). 컴퓨터 게임 중독 이행과 유아의 공격성 및 사회적 관계 변화 연구. 유아교

육학논집, 14(1), 185-202.

이원석, 성영화(2013).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어머니의 인식. 육아정책연구, 6(1),

20-38.

이유진(2013). 스마트폰 의존 유형이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전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age 20: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21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이재연(2013). 초등학생의 휴대폰 중독, 학교생활 적응,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 연구.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주연(2011).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앱에 대한 부모 인식조사- 유아의 행동패턴에 따른 부

모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진영(2006).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환경적 변인과 개인 심리적 변

인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찬숙, 신혜경, 주현경(2010). 그림책을 통한 죽음 교육이 아동의 인터넷 게임 중독, 죽음

개념 및 죽음 불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4(6), 251-272.

임경미(2004). 중학생의 휴대폰 중독과 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로(2013).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이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명지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은정, 김지현(2010). 가정내 인터넷 게임 사용 실태와 유아의 인터넷 게임 중독 경향성.

한국생활과학회지, 19(6), 967-980.

허수향·신은수(2012). 유아 컴퓨터 게임중독에 대한 뇌 기반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

술발표논문집, 386-387.

Fetterman, D, M.(1989). Ethnograpy: Step by step.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0351161&cloc=olink|article|default

중앙일보, 2013.01.07, 배지영기자

Piaget, J.(1962).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New York: Norton.

Seidman, I.(2012).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박혜준, 이승연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6에 출판).

Stake, R. E.(2000). 질적 사례연구[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홍용희, 노경주, 심종

희 역). 서울: 창지사(원전은 1995에 출판).

Page 21: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 ecoece.or.kr · 김종민** ․ 문정주*** ․ 권미량**** !"#$%$ & '() *+, -. ' /!"#+,0 1&2 3 / 4!5 6'75"#89+ :+;?@abc d ef>'gh+;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219

Abstract

Smart devices addiction in early childhood

Jong Min Kim, Jung Ju Mun, Mee Ryang Kweon

Past research has been done looking at addiction to smart devices in elementary to high

school aged students. There has yet to be a study done looking at addiction to smart

devices in early childhood. This study will be looking at the possible effects of addiction to

smart devices in early childhood. Researchers looked at the effects of the addiction by

investigating the how the child behaves in family life, and during playtime. 152 participants

in B area were recruited from the city of Busan, and the age ranges from three years to

five years old children. Under parental supervision the children were given a questionnaire to

answer. Those, who were determined to be addicted to smart devices, were interviewed by a

professional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ddi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16% of the

children owned smart devices, and 11.2% used the smart devices for more than an hour per

day. Also, 25.7% used smart devices more than four times a week, and most of the time

was spent watching videos and playing games. The researchers found that children had

problems communicating, and had short concentration times during play. The children tend

to evade reality, and developed strange hab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