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
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Page 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Page 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목 차/

치매쉼터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들의 인지기능 및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재홍

1

기능적 전기 자극치료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

최현세, 장태용, 부정아

11

보드게임의 인지치료적 접근에 대한 체계적 고찰

김시은, 임희정, 양영애

17

서울특별시의 노인인구수와 서비스 제공시설의 구 단위 현황

신선혜, 양영애

25

급성기 뇌경색 환자에서 인지 및 연하 기능과 일상생활 독립성

송영진, 홍재란

31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인식 조사

박보라

41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통한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NCSE)의 타당도 연구

최민국, 이소연, 전소연, 김소연, 김정기, 박수정

47

성인 뇌졸중환자의 선택적 과제 지향적 활동이 상지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동우, 김수진, 서연정, 오현석, 박수정, 김정기

55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Page 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Page 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Ⅰ. 서 론

현재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

른 속도를 보이면서 1970년 여성기준 평균수명이 65.5세에 불과하였지만, 2011년에는 84.4세로 지속적인 증

가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3). 이러

한 고령화 현상은 다양한 노인성 질환과 치매 환자의

증가로 인해 더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Kim, 2012). 특히 치매는 우리나라 노인의 15.06%가 가지고

있는 매우 흔한 질환으로, 2030년에는 120만 명, 2050년에는 271만 명으로 20년마다 약 2배씩 증가할 것으

로 예측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치매환자는 인지장애, 기능장애 및 문제행동 등을

동반하게 되면서,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과 기회를 감

소시킨다(Hwang & Jung, 2009; Kielhofner, 2002). 또한

고독, 사기 저하, 망상, 환각, 우울, 불안, 석양증후군, 무관심, 소리 지르기, 수면장애, 배회, 공격적인 행동, 자해행동, 성적 이상행동 및 섬망 등의 다양한 정신행

동학적 증상이 나타난다(Desai, & Grossberg, 2011). 결국 자가 보호 능력이 결핍되며, 모든 위험상황에

대한 인식과 대처능력이 떨어져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Berger, Fratiglioni, Forsell, Winblad, & Backman, 1999). 이러한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진행

치매쉼터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들의 인지기능 및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재홍*

*가톨릭상지대학교 작업치료과

목적신체활동, 인지훈련 및 사회적 상호작용을 복합적으로 제공한 치매쉼터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

의 인지기능 및 우울수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치매쉼터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해보기 위해 2015년 3월부터 8월까지 8주간 주 1회, 32명의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사전⋅사후 평가는 1회기와 10회기에 진행하였으며, 치매쉼터 프로그램은 120분씩 시행되었다. 사전⋅사후 평가는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자기평가 우울반응 척도(Self-Rated Depression Scale; SD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MMSE-DS 점수는 치매쉼터 프로그램 적용 후 25.75±3.43에서 26.19±2.93점으로 증가하였지만,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5). SDS 점수는 치매쉼터 프로그램 적용 후 48.41±10.96점에서

37.28±8.92점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p<0.5).

결론치매쉼터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우울 수준 감소에 효과적이며, 인지기능 향상에도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작업치료사들이 치매예방을 위하

여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복합중재 프로그램, 치매쉼터 프로그램, 치매예방

교신저자 : 이재홍([email protected])접수일 : 2016년 10월 04일∥심사일 : 2016년 10월 17일∥개재승인일 : 2016년 10월 20일

Page 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되면서 치매환자는 평생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모든 일상생활활동에서 보호자의 도움 없이는 살아갈

수 없게 된다(Oh, 2003).이러한 심각성 때문에 치매의 조기 발견과 치매예

방 대책이 성공적인 노화 적응을 돕기 위한 노인 복

지의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게 되면서(Han, 2001), 최근 지역사회에서 진행할 수 있는 치매예방 프로그램

연구가 수행되었다(Kim, Lee, park, Kang & Lee, 2010). 노인시설과 요양병원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인

지요법, 미술요법, 운동요법, 레크레이션, 음악요법 및

집단작업치료 등의 단일요법을 진행하거나(Kim, 2008; Shin, 2009; Jung, 2007; Choi & Ryu, 2007), 2가지 이상

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중재법을 이용하였다(Lee, Lee, kim, Yang & Park, 2014).

특히 복합 중재법은 치매노인의 신체활동, 인지훈

련 및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을 함께 이용하는 중재방

법으로서, 이마엽의 운동기능과 인지기능 등 여러 부

위를 동시에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인지기능 및 감

정 개선에 서로 시너지 효과를 제공하여 긍정적인 향

상을 보인다고 보고되었다(Coelho, Santos-Galduroz, Gobbi, & Stella, 2009). 하지만 대부분의 치매예방 프

로그램은 전문 인력 및 경제적 여건이 부족하여 일회

성으로 제공되는데 그치거나, 보건소⋅복지관과 멀리

떨어진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에게는 치매예방 프로

그램 참여가 여의치 않았다(Sun, 2012).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안동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지속적이며, 다양한 형태

의 치매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노인들의 인지 및

우울 수준에 어떠한 효과를 미쳤는지 확인해 보았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5년 3월부터 2015년 5월까지 3개월 간

경상북도 안동 지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32명을 대상

으로 실시하였으며, 대상자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에서 24점 이상으로 인지기능에 문제가 없는 자

둘째, 보건지소 인근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꾸준

히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자

셋째,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질의응답이 가능하며, 본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동의하는 자

2. 연구 설계

치매쉼터 프로그램 시행 전 대상자의 인지 및 우울수

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간이 정신상태 검사, 자기평가 우

울반응 척도 및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사전평가 종료된

후 치매쉼터 프로그램 총 8회기(주 1회/분)를 실시하고, 간이 정신상태 검사 및 자기평가 우울반응 척도 사후평

가하여 프로그램 전⋅후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그림 1).

3. 연구 도구

1) 설문지

설문지를 통하여 대상자의 성별, 동거 상태, 2014년

프로그램 참여여부, 교육수준, 문식(읽기, 쓰기), 주요 질

병 여부(고혈압, 당뇨, 뇌졸중, 고지혈증)를 확인하였다.

2) 간이 정신상태 검사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국가 치매검진 사업용으로 MMSE-KC와 K-MMSE의 세부항목을 이용하여 개발되었으며, 2011년부터

사용되고 있는 검사이다. 시간 및 장소에 대한 지남

력, 기억력, 주의집중 및 계산, 이름대기, 따라 말하기, 명령 수행, 오각형 그리기 등 19항목을 통해 응답자의

인지기능 상태를 측정한다.

3) 자기평가 우울반응 척도

(Self-Rated Depression Scale; SDS)

Zung(1965)이 개발한 20개 항목의 척도로 10개 항

목은 긍정적인 항목, 10개 항목은 부정적인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항목이 1∼4점으로 평가되며, 부정

적인 10문항은 부정적으로 응답할 때 더 높은 점수를

Page 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

받게 된다. 20개 항목의 평가 점수를 합산하여 평가하

며 50점을 절단점으로 사용하여 50점 이상을 우울성

향군으로 정의한다.

4. 연구 과정

본 연구에서는 신체활동, 인지활동 및 사회적 상호

작용 활동을 동시에 적용하는 치매쉼터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회기 당 120분으로 신체활동 40분, 인지

활동 40분,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 40분으로 매주 화요

일 오후 1회씩, 8회기 진행하였다. 치매쉼터 프로그램

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표 1).

5.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8.0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대상자 집

단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

통계, 프로그램 전⋅후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사용했다. 모든 통계적 유

의수준 α는 0.05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 32명은 모두 여성이었으

며, 평균 나이는 77.41±5.17세로 나타났다. 현재 독거

중인 참여자가 19명(59.4%)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교

육수준은 3.5±2.85년이었다. 읽기와 쓰기 능력에 어려

움이 있는 대상자가 25명(71.9%), 26명(81.2%) 이었으

Select subjects- 32 people agree with Dementia shelter program

⇩Initial Assessment

- Cognitive level test with MMSE-DS- Depression level test with SDS

⇩Dementia shelter program

Date Poongsan health center branch WaRyeong health center branch Gilan health center banch 3/10 Making clay dish Yut-Play Singing3/17 Yut-Play KONGKI - NORI Game Home entertainment3/24 KONGKI - NORI Game Singing Beads craft3/31 Singing Home entertainment Andong Mask Dance Festival4/07 Home entertainment Beads craft Balloon from another star4/14 Beads craft Andong Mask Dance Festival Making clay dish4/28 Andong Mask Dance Festival Balloon from another star KONGKI - NORI Game 5/12 Balloon from another star Making clay dish Yut-Play

⇩Post Assessment

- Cognitive level test with MMSE-DS- Depression level test with SDS

Figure 1. Subjects design

Page 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program purpose process

Making clay dish

- planing - finger ROM - attention - in-hand manipulation - endurance

- explain the activity- distribute clay for client- show made sample- cover on a desk with newspaper- plan what to make- manipulate clay and make it in the same way as planned.- explain the made works- keep the made works on sunny place- arrange used desk- wash hand

Yut-Play

- ROM - U/E Strength - L/E Balance- Belonging and

Responsibility

- explain the activity- move th the number of dice(1-5)- throw the dice on more time only 4, 5- move back on space(dice number 6)- line a color tape on throw place- draw a line to the target of the dice in front of the drawn line 2m. (If you do not go over this line, you will not score.)- divide the people into two teams(max 4 people) - prepare Yut-Play board- The team with four game pieces arriving at the arrival point wins - arrange used items and game

KONGKI - NORI Game

- eye-hand coordination - in-hand manipulation - pinch - deep perception - 2 step command performance- accuracy and agility

- explain the activity- tournament, Best-of-three playoff (teams of 3-4 people with similar levels)- decided who to do first through rock-paper-scissors- start the first game- close eyes and catch the five KONGKI in order- when you are playing the game, make sure to catch the ball in

order of catch- start second game- when you catch a KONGKI, catch a KONGKI after tap the

ground once- start third game- catch a KONGKI after throwing it over the head- check the winner and arrange the gamed

Singing

- memory- making hobby- induce social participation- reduce stress- QOL

- explain the activity- play a song to learn today- sing a song one small clause - note a song lyrics and melody- match erased parts of the lyrics- singing without seeing the lyrics- fixes the lyrics of the song

Table 1. Dementia shelter program

Page 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

며, 고혈압 14명(43.8%), 당뇨병 25명(78.1), 뇌졸중과

고지혈증을 앍고 있는 대상자는 없었다(표 2).

2. 대상자의 인지 및 우울 수준

치매쉼터 프로그램 시행 전 대상자의 MMSE-DS 값의 분포는 16점에서 30점으로 평균 25.75±3.43점, SDS 값의 분포는 30점에서 74점으로 평균 48.41±10.96로

나났다(표 3).

3. 프로그램 참여 후 인지 및 우울 수준 변화

8주 동안 치매쉼터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대상자들

의 MMSE-DS 점수는 평균 25.75±3.43점에서 26.19±2.93점으로 향상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기존

평균이 25.75±3.43로 높은 수준이었기 때문에 눈에 띄

- sing a song of fixed the lyrics- explain reason of fixing lyrics and talk about it - sing a original song and finish the game

Home entertainment

- self expression- concept formation- agility and power- attention

- explain the activity- divide team up to 5 people- standing in one line, turn around all but client 1- client 1 check the word- client 1 calls up client 2 and turn around and express the word

by gesturing - client 2 also calls up client 3and express the word by gesturing

to client 5- client 5 looks at client 4's expression and guesses the correct

answer to match the word.- at the given time, the team that scored the correct number of

words and won more points will win.- pick up the winning team and finish the game

Beads craft- fine motor skills- sequencing

- play National Gymnastics- divide beads and fishing line and start the activity- make beads necklace- make beads bracelet- make a boast beads necklace or bracelet- take a picture and have a snack time

Andong Mask Dance

Festival

- eye-hand coordination- gross motor and fine motor

- explain the activity-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sk- divide materials and coloring- insert rubber band on complete mask- wear mask and dance- take a picture and have a snack time

Balloon from another

star

- depth perception- sustained attention- cooperation

- explain the activity- divide team up to 4 people- prepare the balloon in front of client- when start the game, give the balloon- one team member turns around and hits balloon and not drop

the balloon on floor(tournament).- the team of first dropping the balloon is lost- pick up the winning team and finish the game

Page 1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게 향상될 수 없는 천장효과로 사료). 반면, 대상자들

의 SDS 점수는 48.41±10.96점에서 37.28±8.92점으로

감소함으로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p<.001)(표 4).

DivisionM±SD

t ppre-program post-program

MMSE-DS1) 25.75±3.43 26.19±2.93 -.558 .581SDS2) 48.41±10.96 37.28±8.92 4.186 .000***

1) MMSE-DS: Mini-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ale

2) SDS: Self-Rated Depression Scale

***p<.001

Table 4. Change of program on Cognitive and depression level

(n=32)

Ⅳ. 고 찰

본 연구는 경상북도 안동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

역사회 노인 32명을 대상으로 주 1회, 8회기 치매쉼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들의 인지 및 우울 수준에 어

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해 보았다. 연구 결과 치매

쉼터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노인인의 인지기능을 향상

시켰으며, 특히 우울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

아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최근 치매를 예방하기 위한 약물치료는 부작용이나

치료효과의 한계로 인하여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신체, 인지, 회상, 원예 등의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Kim, Park & Kim, 2012). 치매쉼터 프로그램이라는 복

합 중재법을 이용하여 지역사회 노인들에게 적용한 결

과 MMSE-DS 점수는 25.75±3.43에서 26.19±2.93점으로

약 1.5점 증가하였다.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

는 아니었지만, 대상자들의 MMSE-DS 점수가 참여

전부터 25.75±3.43점이라는 높은 점수에 의한 천장효

과로 인하여 나타난 결과라고 사료된다. 복합중재 프

로그램은 치매노인에게 적용되어 그들의 인지기능을

향상시켰던 연구(Choi, 2007; Choi, 2005)들과 일치하

는 결과를 보였으며, 치매노인 외에도 치매예방을 위

한 일반 노인들에게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인지기능은 치매의 중증도와 관련이 높은 기능

이기 때문에(Hwang et al., 2012) 치매 예방을 위해 반

드시 들어가야 할 요소로 보여진다.

Division FrequencyPercentile

(%)

GenderMale 0 0.0

Female 32 100.0

Age64 ∼ 74 9 28.075 ∼ 84 22 68.9

85 ∼ 1 3.1

Living arrangement

alone 19 59.4with Spouse 9 28.1

with Spouse and family

1 3.1

with family 3 9.4

Academic Achievement

blow graduated elementary school

16 50.0

graduated elementary school

16 50.0

Readingimpossible 9 28.1

poor 14 43.8possible 9 28.1

Writingimpossible 7 21.9

poor 19 59.3possible 6 18.8

Hypertensionnone 14 43.8yes 18 56.2

Diabetesnone 25 78.1yes 7 21.9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n=32)

Division M±SD Min MaxMMSE-DS1) 25.75±3.43 16 30

SDS2) 48.41±10.96 30 741) MMSE-DS: Mini-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ale

2) SDS: Self-Rated Depression Scale

Table 3. Cognitive and depression level (n=32)

Page 1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7

또한 치매쉼터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SDS 점수를

48.41±10.96점에서 37.28±8.92점으로 눈에 띄게 감소

시킨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치매노인들을 대상으

로 한 수공예 프로그램(Bang & Kim, 2010), 집단 미술

치료 프로그램(Lee, Park & Kim, 2011), 원예치료 프로

그램(Lim, Kim & Kim, 2008), 인지작업치료 프로그램

(Yun & Jo, 2009)의 결과와 일치하는 부분이며, 노인

의 우울과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다시 확인되었다.최근 치매노인을 위한 치료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

기 때문에 그들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Lee et al., 2014). 삶의 질은 신체적 기

능, 인지적 기능, 정서적 기능, 사회적 참여 등 다양한

요소들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Park & Ko, 2008), 치매쉼터 프로그램은 신체적 기능, 인지적 기

능, 정서적 기능 및 사회적 참여 향상으로 제한되어

있는 환경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안동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

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중재기간이 8회기로 길지 않았으

며, 중재기간동안 대상자들의 인지 및 우울 수준이 어

떻게 변화가 되었거나, 지속성에 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

는 노인들을 위하여 치매쉼터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

명하였으며, 작업치료사들이 치매노인 뿐만 아니라, 일반 노인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접근법에 대한 방

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

에서는 대조군을 통하여 치매쉼터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좀 더 면 하게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

이라고 생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 32명을 대상으로 신체활

동, 인지활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을 병행한 치매

쉼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들의 인지 및 우울 수준

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치매쉼터 프로그램은 인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우울 수준 감소에 큰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는 한정적인 지역에서 짧은 중재기간으로

진행된 연구이지만, 치매쉼터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들의 인지 및 우울 수준에 긍정적인 접근법으로

확인되었으며, 추후에는 작업치료사들이 치매예방을

위한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료를 제공하기 위

한 근거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 체계적이

고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제안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Kim, N. J. (2008). Effects of group exercise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in the elders with dementia. Master’s degree, Yongin: Yongin University.

Kim, J. G. (2012). A The Effects of Home-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Dementia.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6(2): 1-10.Kim, C. M., Park, M. S., Kim, S. H. (2012). A Study of

analyze trends in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studies conducted with Korean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4(2): 129-141.

Kim, H. S., Lee, Y. J., Park, G. H., Kang, W. G., Lee, B. M. (2010). Effects of Cognition Promoting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8): 227-239.Park, S. J., Ko, S. H. (2008).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or the Aged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8(2): 115-142.

Bang, Y. S., Kim, H. Y. (2010). The Changes of

Page 1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depression and cognition in elderly at institution according to craft activity program.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4(2):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Population

survey of Korean demented elderly. Seoul: Korea.Shin, M. K. (2009).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on

Frontal Lobe Cognitive Function i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1): 107-115.Oh, Hee. (2003). Health Condition, Burden of Caring,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Members of the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Kyunghee university: Seoul.

Lee, B. H., Park, J. S., Kim, N. R. (2011).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Physical Performance, Gait,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0(2): 307-328.

Lee, Y. J., Lee, J. H., Kim, Y. J., Yang, N. Y., Park, J. H. (2014). The Effect of Multimodal Intervention on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 A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85-97.

Lim, H. J., Kim, G. H., Kim, J. H. (2008).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DL of elderly people living in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40: 125-146.Statistics Korea. (2013). Elderly Population statistics.

Seoul: Korea.Choi, A. N., Ryu, K. G. (2007).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Cognition, Depressive mood, Quality of Life and BPSD(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in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6(3): 143-174.Choi, Y. O. (2007). Study on the care burden and

service demand of the poverty families caring for the

demented elderly.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Choi, W. S. (2005).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12(4): 951-985.Han, S. E. (2001). A Study on the Determining Factors

of Utilizing the Nursing Home Purpose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ir family caregiver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12(3): 582-588.Hwang, Y. J., Jung, W. M. (2009). Effects of a Home

Environmental Skill-Building Program on Dementia Patients Based on Community: Evidence Based Practice (A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3(2): 45-57.Hwan, H. R., Choi, S. H., Yun, D. H., Yun, B. N., Seo,

Y. J. et al. (2012). The Effect of Cognitive Training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Early Alzheimer's Disease: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8(3): 190-197.Berger, A. K., Fratiglioni, L., Forsell, Y., Winbland, B.,

& Backman, L. (1999). The Ocurr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Preclinical Phase of AD: A population-Based study. Neurology, 53, 1998-2002.

Coelho, F. G. D. M., Santos-Galduroz, R. F., Gobbi, S., & Stella, F. (2009). Systematized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elderly with Alzheimer’s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Revista Brasileira de

Psiquiatria, 31, 163-170.Desai, A., & Grossberg, G. (2011). Review of

rivastigmine and its clinical applications in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Nursing

Research, 2(4), 653-656.Kielhofner, G. (2002). A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ory and application.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age 1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9

Abstract

The Effect of Shelter of Dementia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Level in Elderly People in Community

Lee, Jae-Hong*, M.Sc., O.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atholic Sangji College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elter of dementia, consisting of physical activities, cognitive training, and social interaction activities,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level in elderly people in community

Methods :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rch, 2015 to August, 2015. We executed a shelter of de-mentia for 10 sessions. The subjects included 32 elderly people in community who underwent eight 120 min. intervention sessions once a week. In the first and tenth sessions, the patients underwent pre-tests and post-tests. We use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MMSE-DS), Self-Rated Depression Scale(SDS) as dependent measurements.

Results : The MMSE-K scores increased but not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ate (p>.05). The MMSE-DS scores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occupational reminiscence for elderly people suffering from dementia is a useful therapeutic approach by decreasing their depression level and in-creasing cognitive functions. If occupational therapists can obtain knowledge and make a pro-gram for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 research in this field will be further developed.

Key Words : dementia prevention, Multimodal intervention, shelter of dementia

Page 1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Page 1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Ⅰ. 서 론

뇌졸중은 뇌혈관 손상에 의해 야기되는 복합적인

기능 장애로 신체 한쪽의 편마비 또는 마비 증세를

일으키는 상위운동 신경기능 장애로 정의되어지며 손

상의 기전, 위치, 범위에 의해 환자의 증상이나 예후

가 결정된다(Trombly & Radomski, 2013).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은 감소되었고 환자

의 30%정도는 완전히 회복되지만 60∼70% 정도는 후

유장애가 남아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불가능해진다

(Bamett et al., 1999). 뇌졸중의 신경학적 회복은 손상

부위와 정도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3개월 이내에

신경회복의 90%정도가 가능하다(Park, 1996). 뇌졸중의

증상들을 완전하게 회복하기 위해 재활치료 접근을 하

고 재활치료를 통해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하는데 있

어서 중요한 부분이다(Yu, Yoo & Yang, 2013). 편측무시란 운동 기능 또는 감각 체계의 이상이 없

는데도 손상된 뇌의 반대 측 공간에서 의미 있는 자극

이 제공되었을 때 반응하거나 주의 집중하는데 어려움

이 있는 것을 말한다(Selzer, Clarke & Cohen et al., 2006). 편측무시를 보이는 환자들은 자신의 신체부분

과 신체의 내⋅외부 공간, 그리고 사물의 부분에 대해

서 집중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Joseph & Thomas, 2010), 신체의 한쪽으로만 옷을 입거나, 식사 시 접시

의 왼쪽에 놓인 음식을 먹지 못하며, 심한 경우에는

글씨를 쓸 때 왼쪽에 과도한 여백을 남기고, 오른쪽에

서 왼쪽 방향으로 글씨를 쓰는 등과 같은 어려움을 일

상생활활동 수행에서 보인다(Choi et al., 2005). 따라서

기능적 전기 자극치료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

최현세*, 장태용**, 부정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작업치료실

***경복대학교 작업치료과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무시를 보이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중재하였을

때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전문의로부터 뇌졸중으로 진단을 받고 입원하여 작업치료를 받는 환자 중 이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

고 참여하겠다고 동의한 편측무시가 있는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치료 중재는 1일 50분씩

주 5회, 총 3주 동안 실시하였고 중재 3주 후 재평가를 실시한다.

연구결과10명의 환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적용 결과, Albert’s test가

15.60±2.14개에서 9.70±1.29개(p<0.05), CBS가 21.30±4.76점에서 15.60±4.04점(p<0.05) 으로 감소

하여 중재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본 연구의 결과만을 가지고 정확한 결론을 입증하는 데는 부족하지만 이 결과는 추후 편측무시 중

재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주제어 편측무시, 뇌졸중,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교신저자 : 최현세([email protected])접수일 : 2016년 10월 8일∥심사일 : 2016년 10월 18일∥개재승인일 : 2016년 10월 19일

Page 1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Gail 과 Berverly(2006)은 뇌졸중 환자에게 편측무시 치

료를 위한 효율적인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

하고 Kamath 등(2011)은 회복기의 뇌졸중 환자보다 급

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나타나는 편측무시의 정도가 심

하기 때문에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중

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Yun 등(2012)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 있어서 편측무시는 조기에 평가를 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적용을 하면 편측무시 증상 감소

및 기능 회복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편측무시 치료는 질병의 다양한 원인에도 불구하고

지난 수십 년간 급속도로 발전했고 다양한 치료법들

이 편측무시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고 발견되었다

(Saevarsson, Kristjansson & Halsband, 2010). 편측무시

치료법에는 프리즘적응(Prism Adaptation: PA), 시각스

캐닝훈련(Visual Scanning Training: VST), 팔 활성화훈

련(Limb Activation Training: LAT), 기능적전기자극치

료(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등이 있다. 기능적 전기자극치료(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는 환측 말초운동신경에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근육을

수축시켜 관절 움직임을 만들고 더 나아가 기능적인 움

직임을 만들어주는 방법이다(Peter & Jane, 2009). 기능

적 전기자극치료는 임상환경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으

며 수동적 팔 활성화훈련을 할 수 있고 기능적 전기자

극치료를 편측무시환자에게 적용했을 때 편측무시 완

화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Gail & Butler, 2006).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무시를 보이는 급성기 뇌졸중 환

자들을 대상으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를 중재하였을

때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연구는 2016년 8월부터 동년 11월까지 서울특별시

A병원에서 컴퓨터단층촬영(Computer Tomopraphy: CT) 또는 자기공명촬영(Magnetic Resonance Image: MRI)상으로 뇌졸중으로 진단을 받고 입원한 환자 중 대상자

선정 기준에 적합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

적인 대상자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전문의에게 편측무시를 진단 받고 알버트 검사

에서 편측을 무시한 선의 수가 70% 이상으로 편

측무시가 있는 자(Albert, 1973)2) 뇌졸중 이외 다른 뇌 병변이 없는 자

3) 뇌졸중 발병이 3개월 미만인 자

4)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참여에

동의한 자

2. 연구도구

1) 알버트 검사(Albert’s test)알버트 검사는 편측무시를 평가하는 선 나누기 검

사의 일종이다(Albert, 1973). 검사 방법은 대상자에게

검사 용지에 있는 40개의 모든 선에 표시를 하게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A4 크기의 검사 용지에는 2.5cm 길이의 선 6개가 왼쪽에 2열, 가운데에 2열, 오른쪽에

2열 배치되어 있고, 정중앙에는 4개의 선이 배치되어

있다. 평가자는 대상자의 중앙에 검사 용지를 놓고 시

범으로 정중앙에 있는 선 4개에 표시를 하면서 검사

방법을 설명한다. 머리, 눈의 움직임, 혹은 시간에 대

한 제한은 없다. 대상자가 모든 선을 표시했다고 하면

검사가 종료된다. 무시한 선의 개수가 많을수록 편측

무시가 심각함을 의미하며, 왼쪽에 2열, 가운데에 2열, 오른쪽에 2열에서 무시한 선의 개수를 각각 파악함으

로써 편측무시 측을 파악할 수 있다. 알버트 검사의

검사-재검사간 신뢰도는 r=0.99이다(Song, Jung & Yu et al., 2006). 본 연구에서는 편측무시 검사를 위해 적

용하였고, 전체 40개의 선 중 무시한 선의 개수를 결

과 값으로 측정하였다(Sergio, Robert, Nicoletta et al., 2004; Pia, Corazzini, Folegatti et al., 2009).

2) 캐서린 버지고 척도(Catherine Bergego Scale: CBS)

캐서린 버지고 척도는 행동적 편측무시 검사도구로

써 일상활동 범위 안에서 편측무시의 유무와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디자인된 평가도구이다. 일상생활동작

수행 시 관찰되는 편측무시를 10가지 항목에 따라 점

수로 측정하고 각 항목별로 공간적인 무시가 전혀 관

찰되지 않을 경우 0점, 항상 먼저 비마비 측을 갖고 이

후에 천천히 더듬어서 마비 측을 찾기 시작하는 경우

1점, 때때로 마비측이 누락되는 경우 1점, 언제나 지속

Page 1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3

적으로 마비측을 빠지거나 누락시키고 지속적으로 마

비 측을 부딪히는 경우 2점, 전혀 마비측을 찾거나 탐

색하지 않는 경우 3점을 준다. 총점이 0점인 경우 정상

이고 1∼10점인 경우 경도 편측무시 11∼20점인 경우

중등도 편측무시 21∼30점인 경우 심각한 편측무시로

판별된다. 캐서린 버지고 척도는 편측무시를 판별하는

데 높은 민감도를 가진 검사도구로 검사자간 신뢰도는

r=0.93이다(Azouvi, Bartolomeo, Rousseaux et al.2006).

3. 연구 절차

본 연구는 대상자 선정 기준에 부합되는 15명을 선

발하였으며 중재를 실시하기 전 각각 알버트 검사, 비운동성 시지각 검사, 캐서린 버지고 척도를 평가하여

동질성을 확인한 후 중재를 실시한다. 대상 환자들은

관절운동, 과제지향적 운동, 일상생활동작훈련을 포함

한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30분간 실시한 후 추가로 실

시한 중재에서 환측 상지에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적

용을 20분간, 총 50분간 실시하였다.

1) 기능적전기자극치료

본 연구에서 이용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는 Peter와

Jane(2009)의 연구에 적용한 방법을 인용하였다. 기능

적 전기자극치료 장비는 Microstim 회사의 기계를 이

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는 하나

의 채널을 사용하였으며 자극은 적용되는 시간 10초

쉬는 시간 10초 교대로 작동되게 설정하였고 20분 실

시하였다. 부착 부위는 환측 전완에 부착하였고 강도

는 보통 20Hz를 권고(Handa, 1989)하나 환자들마다 전

기자극에 따른 역치가 다르기 때문에 손가락과 손목

움직임이 충분히 나올 만큼 근육을 수축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했다.

2) 전통적 작업치료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작업치료를 관절운동, 과제

지향적 훈련, 일상생활동작훈련을 포함하여 30분간

실시하였고 관절 운동 10분, 과제지향적 훈련 10분, 일상생활동작훈련 10분을 하였다. 관절 운동은 수동

관절운동, 능동보조관절운동, 능동관절운동을 포함하

여 시행하였고 과제지향적 훈련은 환자의 기능 수준

을 고려하고 도구를 사용하여 컵쌓기, 스케이트 보드

등의 활동을 단계적으로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훈

련으로 화장실 이용하기, 식사하기, 개인위생활동, 옷

입고 벗기, 의자/침대 이동하기 등을 시행하였다.

4. 분석 방법

본 연구는 SPSS widow version 23.0 프로그램을 이

용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고, 중재 전후 편

측무시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paired samples t-test)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의 유의수준 .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 선정 기준에 따라 15명의 환자들이 본 연구

에 참여 하였고 그 중 조기퇴원으로 인해 5명이 제외

되어 총 1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 결과를 정리

하였다. 대상자들의 성별은 남성4명(40%), 여성 6명(60%)이었고, 발병일 1개월 이내 1명(10%), 1∼2개월

5명(50%), 2∼3개월 4명(40%)이고 평균 연령은

68±13.27세이었다. 손상원인은 뇌출혈 1명(10%) 뇌경

색 9명(90%)이었다.(Table, 1)

Division Item Frequency (%)

SEXManWoman

4(40)6(60)

AGE 68±13.27

Onset≤1month1month<∼≤2month2month<∼≤3month

1(10)5(50)4(40)

CauseCerebral hemorrhgeCerebral infarction

1(10)9(90)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Page 1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2. 중재 전⋅후 편측무시 정도비교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적용한 결과, Albert’s test는

중재 전 15.60±2.14이었고, 중재 후 9.70±1.29으로 변

화하였다.(p<0.05). 캐서린 버지고 척도는 중재 전

21.30±4.76이었고, 중재 15.60±4.04으로 변화하였다

(p<0.05). 중재 전후를 비교한 결과, 모든 검사에서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Table, 2)

Test Pre-intervention post-intervention pAlbert’s test 15.60±2.14 9.70±1.29 .00

CBS 21.30±4.76 15.60±4.04 .00CBS: Catherine Bergego Scale, *p<.05

Table 2. comparison of between pre-interventionand post-intervention

Ⅳ. 논 의

본 연구에서는 편측무시를 보이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중재 시 편

측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

시하였다.Gail 과 Beverly(2006)는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를 환

측 손에 적용했을 때 여러 공간에서의 편측무시 감소

에 효과가 있었고, Peter와 Jane(2009)는 기능적 전기자

극치료를 환측 손목 폄근을 자극하는 곳에 20분간 적

용 시 편측무시가 감소 및 환측 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처럼 편측무시를 보이는 환

자에게 기능적 전기자극치료를 적용한 선행 연구들이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어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가 편측무시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프리즘 적응과 기능적 전기자극치료를 결합한 중재

법과 프리즘 적응 단독으로 적용한 중재법, 기능적 전

기자극치료를 단독으로 치료한 중재법의 중재 전⋅후

편측무시를 비교해본 결과 세 집단 모두 통계학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프리즘 적응과 기능적 전

기자극치료를 결합한 중재법이 편측무시 감소를 위한

다른 두 그룹에 비해 편측무시가 통계학적으로 유의

하게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결합된 프리

즘 적응과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중재의 효과가 반영

된 것임을 알 수 있다.본 연구는 임상 치료 환경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기능적 전기자극치료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

였다. 또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가 편측무시를 보이

는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침을 확인함으로써 임상 작업치료 환경에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시하

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자 수가 적어 본 연구의

결과를 편측무시를 보이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일반화

시키기 어렵다는 점, 전통적 작업치료가 편측무시에

미쳤을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앞으

로 진행될 연구에 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한 연구

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Park, J.U. (1996). Rehabilitation of Head Injury Patients, the Importance of Cognitive 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1): 1-4.

Yu, C. M., Yoo, M. O., & Yang, Y. A. (2013). Effect that Self Exercise Program Gives to Increase the Functions of an Acute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5(2): 47-53.

Choi, U. I., Lee, J. Y., Park, S. H., Lee, S. H., Jung B. I. (2005). The Effects of the Mental Practice to Unilateral Neglect in Person With Stroke: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3(1): 273-285.Albert, M. L. (1973). A simple test of visual neglect.

Neurology, 23: 658-664.Azouvi P., Bartolomeo P., Rousseaux M. (2006) A

battery of tests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Page 1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5

unilateral neglect.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4(4-6): 273-285.Barnett HJ., Eliasziw M., Meldrum HE. (1999) Evidence

based cardiology: prevention of ischemic stroke. BMJ, 318(7): 1539-1543.

Gail A., Beverly B. (2006) Using limb movements to improve spatial neglect: The role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4: 385–398.Handa Y. (1989) A portable multichannel FES system

for restoration of motor function of the paralyzed extrimities. Automedica, 111: 221-231.

Joseph MD., Thomas MV. (2010) Tonic and phasic alertness training: a novel behavioral therapy to improve spatial and non-spatial attention in patients with hemispatial neglect. Frontier in human

neuroscience, 4(60): 1-17.Kamath HO., Renning J., Johannsen L., et al. (2011)

The anatomy underlying acute versus chronic spatial neglect: A longitudinal study. Brain, 134(3): 903-912.

Peter H., Jane MR. (2009)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of the upper limb alleviates unilateral neglect: A case series analysis,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19(1): 41-63.Pia L., Corazzini LL., Folegatti A., et al. (2009) Mental

number line distruption in a right neglect patient after a left hemisphere stroke, Brain and Cognition, 69(1): 81-88.

Saevarsson S., Kristjansson A., Halsband U. (2010) Strength in numbers: combining neck vibration and prism adaptation produces additive therapeutic effects in unilateral neglect,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20(5): 704-724.

Sergio DS., Robert HL., Nicoletta B., et al. (2004) Perserved visuospatial transformations in representational neglect, Neuropsychologia, 42: 1358-1364.

Trombly CA., Radomski MV. (2013)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7th. Baltimore: Lippincott.

Page 2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Abstract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Rehabilitation for

Acute Stroke Unilateral Neglect

Choi, Hyun-Se*, O.T.R., Jang, Tae-Yong**, O.T.R., Boo, Jung-A***, O.T.R.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The Hallym University Kangdong Hospital***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youngbok university

Objectives : This study is investigated of the effect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unilateral neglect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15 patients who underst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of patients admitted under a diagnosis of stroke from a specialist from April 2016 to October 2016. The intervention is conducted for one day 50 minutes five times a week, three weeks to reevaluate after three weeks intervention.

Results : The Albert’s test was decreased 15.60±2.14 to 9.70±1.29 CBS was decreased 21.30±4.76 to 15.60±4.0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Alth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insufficient for drawing a definitive conclusion the resul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in the future Unilateral Neglect intervention.

Key Words : Unilateral Neglect, Stroke,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Page 2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Ⅰ. 서 론

인간의 인지기능은 주의력, 기억력, 학습, 실행기능

등 대부분의 두뇌 활동과 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Shin et al., 2016). 인지기능이

손상되면, 다른 사람 뿐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기억을 하지 못하게 될뿐더러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

이 불가하고 상황 이해 및 판단력이 어려워져 정상적

인 생활을 할 수 없게 된다(Tanaka et al. 2003). 이러한

인지손상 시 시행되는 인지재활은 재활 목표로 설정한

인지기능에 체계적으로 개입하여 정보처리를 방해하

는 인지 장애를 호전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Park et al., 2005), Gianutsos(1979)는 지각, 기억 및 언어 등과

보드게임의 인지치료적 접근에 대한 체계적 고찰

김시은*, 임희정**, 양영애***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고령친화산업학과, 인제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친고령산업융합학과, 인제대학교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고찰을 통하여 보드게임을 이용한 인지치료의 대상자, 연구 진행시기, 대상자

의 질환, 효과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 보드게임의 치료적용에 대한 구체적이

고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추후 치료용 보드게임의 분석, 중재 및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

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2005년 1월부터 2016년 8월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 DBpia, KSI를 통해서 학위 논문 및 학회지

에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주요 검색용어로는 보드게임, 인지의 단어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에 사용 된 연구는 총 11편이었다. 각 연구군에서의 적은 n수로 내적 타당도는 2, 외적타당도

는 c의 평가를 받았다. 연구대상자로는 총 11편의 논문 중 유아 및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7편이었으며, 그 외 4편은 정신분열병 환자, 경도치매환자군, 성인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적용되었다.치료효과 측면에서는 각각의 연구별 보드게임 중재 적용에 있어서 얻어진 효과로는, 인지기능 향상, 실행능력 향상, 주의집중력 향상, 공간지각력 향상, 작업기억력 향상, 의사소통능력 향상, 일상생활

활동 수준 향상, 자아실현 향상, 자율성 향상, 심리적 역량 강화, 자기규칙 향상, 자기표현능력 향

상, 사회적 문제해결력 및 조망수용능력 향상, 자기통제력 향상, 충동적 반응 감소가 있었다.

고찰

본 연구에서는 보드게임이 인지기능 뿐 아니라 일상생활활동 증진, 자아실현 향상, 심리적 역량 강

화, 사회적 문제해결력 향상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

으로 추후의 연구에서는 보드게임 중재를 통한 세부적인 인지기능에 대한 효과성 검증 및, 인지 수

준별로 적용 가능한 보드게임 분석 및 개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보드게임, 인지, 인지치료

교신저자 : Kim, Si-Eun([email protected]/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접수일 : 2016년 10월 8일∥심사일 : 2016년 10월 17일∥개재승인일 : 2016년 10월 19일

Page 2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같은 인지 기능에 장애가 있을 경우 이를 치료하는 것

으로 인지재활을 정의하였고, Ben, & Diller(1993)는 손

상된 인지기능을 호전시키기 위해 시행되는 체계적인

치료로 정의하였다. 인지 재활은 1970년대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총체적 치료 서비스의 일환으로 제공되

어 긍정적인 효과가 보고된 이래, 뇌졸중, 기타의 뇌

손상 환자에게까지 실시되는 등 점차 적용범위가 넓

어지고 있다(Park et al., 2005). 뇌손상 외, 인지 손상의

원인으로는 노화에 의한 인지저하가 대부분이며(Sung & Yang, 2015), 이러한 인지손상 환자들을 위해 인지

수준을 향상시키고 잔존 능력을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는 적절한 중재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어지

고 있는 실정이다(Paik, 2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흥

미라는 큰 강점을 가진 보드게임을 이용한 치료적 중

재에 중점을 두고 그동안 진행되어왔던 연구들을 분

석하고자 하였다. 게임은 현대사회를 구성하는 중요한 문화콘텐츠이

며, 여가활동과 생활의 재충전을 위한 오락문화의 하

나이다(Lee et al., 2006). 그 중 보드게임은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여가로서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게임을 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다는 장점

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며 만족

감을 준다(Son, 2013). 선행연구에서는 이러한 게임 활

동이 치료적 동맹, 즐거움 제공, 의사소통, 인지발달

촉진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Reid, 1991), 특히 인지능력 향상에 있어서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움직이는 전략 및 계획이 필요하고, 상대방의 생각과

행동패턴을 이해해야 하며, 과제 수행과 문제해결 능

력이 요구된다(Jeoung, 2011). 따라서 보드게임 활동은

단순 여가활동 뿐 아니라 인지치료적인 측면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 중인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해진 주제에 대해 가장 우수하고

과학적 근거의 제공이 가능한 분석방법인 체계적 고

찰을 통하여, 보드게임을 이용한 인지치료의 대상자, 연구 진행시기, 대상자의 질환, 효과성에 대해 확인하

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 보드게임의 치료적용에

대한 구체적이고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추후 인지치료용 보드게임의 개발 및 중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인지치료를 위해 보드게임 활동을 적용

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

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2005년 1월부터 2016년 8월까지 발표된 인지치료를 위해 보드게임 활동을 적

용한 연구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체적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선정기준

(1) 인지치료를 위해 보드게임 활동을 사용한 연구

(2) 전문을 구할 수 있는 연구

(3) 실험연구인 연구

2) 배제기준

(1) 인지치료를 위해 보드게임 활동을 사용하지 않

은 연구

(2) 전문을 구할 수 없는 연구

(3) 실험연구가 아닌 연구

3. 연구방법

1) 선정기준

자료의 수집에 있어서는 국내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

으며 검색으로는 보드게임, 인지, board, game, cognition등의 단어를 사용하였다. 이용한 검색엔진으로는 학

술연구정보서비스와 DBpia, KSI를 선택하여 사용하였

다. 검색된 논문은 총 255편이였으며 그 중 중복된 논

문을 제외하고 제 2저자가 논문주제로 스크리닝 하여

총 40편의 논문을 선별하였으며, 제 1저자가 논문 초

록을 사용하여 본 연구의 선정기준과 배제기준 따라

분석 및 제 2, 3 저자와 합의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

로 총 11편의 논문이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으로 사용

Page 2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9

되었다(그림 1).

2) 질적 평가 방법

선정된 문헌에 대해서 개별 연구자들이 독립적으로

미국 작업치료협회(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OTA)의 근거수준(level of evidence)을 기

준으로 연구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미국 작업치

료협회에서 제시한 근거수준은 논문의 설계 유형, 표본 크기,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를 기준으로 각각

의 연구들에 대한 객관적이 수준을 규정할 수 있도록

한 표이다(Trombly, & Ma, 2002). 본 연구에서는 각각

의 연구자들이 개별적으로 근거수준을 검토하였고 일

치하지 않는 연구의 경우에는 연구자간 토의를 통해

합의를 하여 기재하였다.

Ⅲ. 연구결과

선정 기준에 의하여 본 고찰의 대상으로 선정된 11편의 논문의 특성은 표 2와 같다. 각각의 선정된 연

구들을 살펴보면 각 연구의 참여한 연구대상자 수는

조사된 연구 중 3편은 20명 이상의 대상자수를 확보

하였으나 8편은 20명 이하로 이루어져 근거 수준이

Phase Category Definition

Design

Ⅰ Randomized trialA comparative Study on two or more groups in the randomized allocation of group or in a series of repeated measurement design

Ⅱ Non-R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eatment of two or more groups in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at does not satisfy the randomized allocation of group, same conditions, or a series of repeated measurement design

Ⅲ Non-Subject Design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post treatment of single groupⅣ Single-Subject Design Measurement of single subjects by therapeutic interventionⅤ Case studies Description and A case study

SampleSize

A n ≥ 50Strong control of elements that threaten the validty or influence the results such as attrition, non-blind evaluation, non-uniform intervention.

B n ≥ 20There are no obvious variables influencing the results, but there are one or two elements threatening tte validity

C n < 20 Did not satisfy the conditions of 1 and 2

InternalValidity

1 High Internal ValidityStrong control of elements that threaten the validty or influence the results such as attrition, non-blind evaluation, non-uniform intervention.

2Internal Validity ofSeverity

There are no obvious variables influencing the results, but there are one or two elements threatening tte validity

3 Low Internal Validity Did not satisfy the conditions of 1 and 2

ExternalValidity

aHigh ExternalValidity

Shows the current result or secures a strong theoretical background even when the subjects represent the population and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is done in a natural environment (at home or in a clinical setting)

b External Validity of Severity Satisfied 2 standards suggested in ac Low External Validity Satisfied 1 or less than 1 standard suggested in a

Table 1. Level of Evidence (level of evidence for AOTA evidence-based practice project)

Page 2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Figure 1. Flow Diagram for Literature

Search and Article Inclusion

높지 않았다. 각 논문의 연구 설계는 무작위 할당, 동일조건, 순차적 측정 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유사

실험설계에서의 두 집단에서의 비교 연구인 비-무

작위 비교실험설계(Non-RCT) 연구가 4편이었고, 그

외 단일집단의 사전-사후 치료의 비교연구 3편, 치료

적 중재를 통한 단일 대상의 측정 개별실험(Single Subject Design)연구 4편 이었다. 내적타당도와 외적

타당도 에서는 미비한 점이 있었고, Han(2012)의 연

구를 제외한 10편의 논문에서 짧은 치료기간으로 인

해 단기간의 치료 효과만을 알 수 있는 단점이 있었

다. 그리고 각 연구군에서의 적은 n수로 인해 조사된

모든 연구들에서 내적 타당도는 2, 외적타당도는 c의

평가를 받았다. 연구대상자로는 총 11편의 논문 중 유아 및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7편이었으며, 그 외 4편은 정신분

열병 환자, 경도치매환자군, 성인지적장애인을 대상으

로 적용되었다.치료효과 측면에서는 10편에서 가설과 일치한 유의

미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나머지 1편인

Paik(2012)의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효과는 얻지 못했

으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 점수의 전 후 비교

시 향상이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Youn, & Jeoung(2006)은 보드게임 요법을 통하여 독립적인 실행능력의 향

상을 입증하기 위해 지능검사를 통제요소로 사용하였

으며, 그 결과 지능의 변화 없이 실행능력이 증가한다

는 결과를 보였다. 5편의 연구에서는 보드게임 요법이

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고(Lee, 2014; Han 2012; Kim, 2014; Kim, 2011; Jeong, 2007), 특히 Lee(2014)는 주의집중력 뿐만 아니라 공간지각력

에도 효과적인 결과를 보여, 직접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구체물을 활용하여 공간에 대한 인식을 키울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Jeong(2007)은 보드게임 활동이 초

1 ADHD아동의 지속적, 선택적 주의력의 향상 뿐 아

니라 충동적 반응이 감소한다고 하였으며 Han(2012) 또한 보드게임 활동이 내재적 장애위험을 가진 아동의

주의집중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고 하였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주의집중력 뿐 아니라, 언어

성 작동기억 및 시공간 작동기억에도 긍정적인 변화

를 나타내었다고 하였다. Seamun(2011)은 보드게임이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어휘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에

향상이 있었다고 하였고, Son(2013)은 성인지적장애

인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동이 자율성, 자기규칙, 심리적 역량, 자아실현에 있어 향상을 가져왔다고 하

였다. Kim & Back(2011)은 보드게임이 만 5세 유아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및 조망수용능력 향상에 효과

적이라고 보고하였다. 각각의 연구별 보드게임 중재

적용에 있어서 얻어진 효과들을 요약하자면 인지적

기능과 관련이 있는 요소로는 인지기능 향상, 실행능

력 향상, 주의집중력 향상, 공간지각력 향상, 작업기

억력 향상, 의사소통능력 향상이 나타났으며 인지 외

적인 요소로는 일상생활활동 수준 향상, 자아실현 향

상, 자율성 향상, 심리적 역량 강화, 자기규칙 향상, 자기표현능력 향상, 사회적 문제해결력 및 조망수용

능력 향상, 자기통제력 향상, 충동적 반응 감소가 있

었다.

Page 2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1

Ⅳ. 고 찰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손상 환자에게 보드게임을

중재로 적용한 연구들의 결과를 통합하고 연구경향을

파악하여 이후 이루어질 인지치료용 보드게임 프로그

램의 분석 및 중재, 개발 연구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

다. 이를 통해서 국내에서 보드게임을 적용한 연구들

의 연구 설계, 중재 방법 및 결과를 정리하여 현재까

지의 보드게임 중재 적용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추

후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보드게임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상대를 이

기고자 전략을 세움으로써 상위 인지기능을 사용하며

집중력을 요하는 작업이다(Paik, 2012). 국외의 선행연

구들을 살펴봤을 때, Jean 등(2014)은 추적연구를 통해

보드게임이 치매에 위험이 있는 노인들의 인지능력

증진 및 우울증 감소에 효과적이라고 밝혀낸 바 있다.

Study

Sample Size(No. of subjects) Level of

EvidenceSubject Results

TherapyGroup

ControlGroup

Youn, & Jeoung (2006)

21 19 ⅡB2c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Improved Execution function

Son(2013) 3 - ⅣC2c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creased the self-realizationEnhanced psychological stationIncreased self rule

Paik(2012) 5 - ⅢA2c Mild dementia caseImproved cognitive functionImproved function of ADL

Lee(2014) 15 - ⅢB2c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Improved attentionImproved spational relationship

Han(2012) 1 - ⅣC2cChild with Internalized Behavioral Disorders

Increased attentionImproved self-expression

Kim(2014) 10 - ⅢC2c UnderachieversPositive effects on alternative attentionPositive effects on self-controlPositive effects on continuous attention

Jeong(2011) 30 30 ⅡA2c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Improved executive function

Seamum(2011) 3 - ⅣC2cChildren With

Language Delay

Improved the receptive & expressivevocabulary abilityEnhanced the ability of requesting,explaining, responding, calling attention,or calling

Kim(2011) 3 - ⅣC2cMentally Retarded

ChildImproved the concentration skillImproved working memory

Jeong(2007) 5 5 ⅡC2cElementary School

Children’s Attention Ability

Decreased impulsive responsePositive effects on continuous attention and selective attention

Kim,& Back (2011)

30 30 ⅡA2c Young ChildrenImprove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vision capacity

Table 2. Characteristics of Selected Studies on Board Game Use Application

Page 2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이는 본 연구에서 밝혀 낸 인지기능의 향상, 특히 실

행능력, 주의집중력, 공간지각력, 작업기억력 향상,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인다. 뿐만 아

니라 본 연구에서는 보드게임이 인지기능 뿐 아니라

일상생활활동 수준 향상, 자아실현 향상, 자율성 향상, 심리적 역량 강화, 자기규칙 향상, 자기표현능력 향상, 사회적 문제해결력 및 조망수용능력 향상, 자기통제

력 향상, 충동적 반응 감소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보여 인지치료 외 다양한 분야에서도 적용 가

능한 중재임을 확인하였다.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국외문헌을 살펴보지 못한

것, 연구의 질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조사되어진 연

구들 대부분이 대상군이 적고 제한된 연구 환경이라

는 배경으로 인해 연구의 내적 타당도 및 외적 타당

도가 높은 결과를 보이지 못한 것, 그리고 짧은 연구

기간으로 인해서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추적조사가 수

행되지 못해 연구 대상자들의 변화가 얼마나 지속되

는 지를 알아보지 못한 한계점이 있었다. 그리고 보드

게임을 인지적 중재로 적용되는 국내연구가 많지 않

아 좀 더 세부적인 인지기능별 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연구 결과를 일반

화 할 수 있도록 많은 대상자에게 장기간에 걸친 연

구와 추적조사를 병행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보드게

임 중재를 통한 세부적인 인지기능에 대한 효과성 검

증 및 인지 수준별로 적용 가능한 보드게임 분석과

개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

이다.

참고문헌

Ben-Yishay. Y. & Diller, L. (1993). Cognitive remediation in traumatic brain injury: updated and issu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74, 204-213

Han, S. H. (2012). Effects of Play Therapy Using

Structured Board Games on the Self-Expression and

Attention of the Child with Internalized Behavioral

Disorders(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Jean François Dartigues, Alexandra Foubert-Samier, Mélanie Le Goff, Mélanie Viltard, Hélène Amieva, Jean Marc Orgogozo, Pascale Barberger-Gateau, Catherine Helme. (2014). Playing board games,

cognitive decline and dementia: A French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Melanie Viltard, Feb26, 2014.

Jeong A. S. (2011). Effects of Board Game Therapy on Executive Function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J Korean Acad Soc Home

Care Nurs, 18(1), 40-47.Jeong, Y. H. (2007). The Effects of Structured Board

Games ADHD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ttention Ability(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im, M. K. (2011). The effects of board game activities

on the Concentration Skill and working memory of

mentally retarded child(Master’s thesis). Deagu University, Deagu.

Kim, M. J., & Back, K. M. (2011). The Effect of Board Game With a Daily Life-based Theme on Young Children’s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Perspective-taking Ability,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10(2), 45-61.Kim, Y. S. (2014). The Effect of Board Game Activities

on Attentiveness of Underachiever(Master’s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aegu.

Lee, A. L. (2014). The Effects of Board Game Activities

on Attention and Spatial Percep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Lee, K. O., Lee, H. Y., Yeo, E. J. & Cho, H. Y. (2006).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Educational

Function of Board Game - Focusing on Social

Development,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Lee, M. J. & Lee, S. M. (2015). Effect of Board Game

Program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the Life for Elderly with Strok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4(3), 235-249.Paik, Y. R. (2012).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Page 2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3

Program using a Board Games for the Cogni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Mild Dementia Cas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6(1), 27-38Park, Y. J., Youn, T., & Kim, M. S. (2005). The effect

of computerized attention rehabilitation training o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in schizophrenic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4(4), 721-737

Reid, K. E. (1991). Social work practice with groups: A

clinical perspective. Pacific Grove, CA:Brooks/Cole.Seamum, H. J. (2011). The Effect of The Play Program

Using Board Games on Vocabular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Shin, S. H., Kim, H. N. & Jeon, Y. (2016). The Effects of Art and Craft Program on Cognition and. Journal

of Korean Aging -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8(1), 19-26.

Son, Y. N. (2013). Impact of Leisure Activities by Board

Game on Self-Determination Skills amo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Sung, J. E.& Yang, Y. A. (2015).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7(1), 1-6. Trombly, C. A. & Ma, H. I. (2002). A synthesis of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persons with stroke, part Ⅰ: Restoration of roles, tasks, and activiti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3), 250-259.

Youn. T. & Jeoung A. S. (2006). The Effects of Board-Game Therapy on Cognitive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13(2), 82-94.

Page 2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Abstract

Systematic Review on the Cognitive Therapeutic Approach of Board Games

Kim, Si-Eun*, Lim, Hee-Jung**, Yang, Yeong-A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Dept. of Aging-friendly Industry,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Dept. of Industry Convergence,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subjects, timing of research, diseases and the re-sult of cognitive therapy using board ga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concrete and useful data on the application of the therapy of board games, and will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analysis of the board game for further study.

Methods : This study was searched form papers published from Jan, 2005 to Aug, 2016 using KERIS, DBpia, KSI E-data based. Key words using on the search were ‘board game’ or ‘cognitive’ and ‘cognitive therapy’.

Results : Eleven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In all studies, internal validity of research evalu-ation was 2 and external validity of research evaluation was c in oder to small number of study groups. Among the 11 subjects, seven were for young child and children, and four were for schizophrenic patients, mild dementia patients, and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effects of board games in each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mproved cognitive function 2. Improved Execution function 3. Increased attention 4. Improved working memory 5. Improved Communication Skill 6. Increased ADL skills 7. Increased the self-realization 8. Enhanced psychological station 9. Increased self rule 10. Improved self-expression 11. Improve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vision capacity 12. Positive effects on self-control 13. Decreased impulsive response.

Conclusion : In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board games have various effects such as improvement of daily life activities, improvement of self - actualization, strengthening of psychological com-petence, and improvement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s well as cognitive fun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etailed cognitive function through board game intervention and to analyze more sys-tematically applicable board game according to cognitive level.

Key Words : Board game, Cognitive, Cognitive therapy

Page 2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Ⅰ. 서 론

범세계적으로 사회,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출산율

감소 및 기대 수명 증가로 인해 노인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 세계 노인 인구는 2015년 9억 명에서

2030년 14억 명, 2050년 21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5).고령화란 평균 수명의 증가에 따라 총 인구 중에

차지하는 고령자의 인구비율이 점차로 많아지는 현상

또는 높은 상태를 말한다. UN의 기준에 따르면 65세

이상을 고령자라고 하며,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

의 7% 이상일 때를 고령화 사회, 14% 이상일 때를 고

령사회, 20% 이상일 때를 초고령사회라고 정의한다

(The compilation committee Encyclopedia of political science, 2002).

우리나라는 2000년 7.2%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

으며 세계에서 유래가 없을 정도로 빠른 속도로 고령

화가 진행되고 있다. 2015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

는 전체 인구의 12.6%로 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

다(Statistics Korea, 2016). 서울특별시의 경우 2005년에 65세 이상 노인인구수

가 전체 인구 중 7.1%를 차지하면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다(Seoul Statistics, 2016). 2016년 3분기 기준

으로는 노인인구수가 전체인구의 12.6%를 차지하였

으며, 2019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전체인

구 중 14.3%, 2026년에는 20.8%로 초고령사회에 진입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Seoul Statistics, 2016).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노년기의 연장은 생명의

연장이라는 긍정적 의미로 해석할 수 있지만, 반명 가

정적⋅사회적⋅경제적 퇴직이후의 기간도 함께 연장

서울특별시의 노인인구수와 서비스 제공시설의 구 단위 현황

신선혜*, 양영애**,***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고령자라이프디자인연구소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의 구 단위별 고령자 비율을 파악하고, 서비스 제공 시설의 현황을 파

악하여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2011년부터 2015년까지 통계청에 등록된 자료와 설립신고를 한 기관에 대한 자료를 집계, 분석

하였다.

결론

서울특별시의 고령인구 수는 은평구, 노원구, 송파구 순으로 많으며, 고령화 속도는 강북구, 도봉구, 강동구 순서로 빠르게 나타났다. 노인장기요양기관의 경우 강서구, 노원구, 양천구 순으로 많은 수의

기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노인여가 복지시설의 경우 강서구, 노원구, 양천구 순으로 많은 기관이 운

영되고 있다. 서울특별시는 광역시 중 3번째로 높은 고령인구비율을 보이고 있으면서 동시에 노인장

기요양기관도 많이 확보하고 있는 상태이며, 노인여가 복지시설도 각 구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주제어 서울특별시, 노인인구, 노인장기요양기관, 노인여가 복지시설

교신저자 : 양영애([email protected])접수일 : 2016년 10월 11일∥심사일 : 2016년 10월 17일∥개재승인일 : 2016년 10월 20일

Page 3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됨은 많은 문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노인 단독가구, 시설거주노인들은 매년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의 요구도 더욱 높아지고 있다

(Park, 2005).특히, 현대 노인들의 중대한 문제는 생활의 대부분

인 여가 시간을 어떻게 의미있고 보람있게 보내는가

이며, 노년기의 여가생활은 생활만족도 및 삶의 질과

직결되는 더욱 중요한 영역이라는 점이라는 점은 많은

선행 연구들에서 밝혀지고 있다(Park, 2002; Han, 2000; Hong, 1998). 그러므로 노인의 여가생활을 위한 기관

의 확보나 그 안에서의 프로그램은 매우 중요하다.노인의 수는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고령화

가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곳은 어디인지, 접근성은 얼마나 좋은지, 그에 따른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많이 이루

어지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7개 광역시 중 고령자 비율이 세

번째로 높은 서울특별시의 구 단위별 노인인구 비율

을 파악하고 서비스 제공시설의 현황을 파악하여, 서울특별시가 고령사회에 대비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

는 것이다. 이 자료를 통하여 체계적이고 질 높은 서

비스 제공시설을 확보하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있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자료 및 방법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통계청에 등록된

자료들과 설립신고를 한 기관에 대한 자료를 집계, 분석하였다.

2. 광역시 별 고령인구 비율

최근 5년간 7개 광역시는 모두 고령인구 비율이 늘

어나고 있다. 광역시 간의 고령화 속도를 살펴보았을

때, 부산광역시가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대구광역시, 서울특별시 순이었다. 2015년의 통계에 따르면 부산광역시의 고령인구 비율은

14%를 넘어서면서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표 1).

Metropolitan City

Elderly population rate per(%)2011 2012 2013 2014 2015

Seoul Metropolitan City

10.19 10.84 11.45 12.04 12.60

Busan Metropolitan City

11.77 12.50 13.25 13.98 14.65

Daegu Metropolitan City

10.37 10.94 11.56 12.17 12.71

Incheon Metropolitan City

8.94 9.39 9.81 10.26 10.69

Gwangju Metropolitan City

9.32 9.85 10.31 10.83 11.30

Daejeon Metropolitan City

8.96 9.38 9.83 10.34 10.90

Ulsan Metropolitan City

7.09 7.47 7.91 8.34 8.79

Table 1. Elderly population rate per megalopolis

3. 서울특별시 내 구 별 고령인구 비율

최근 5년간 서울특별시 내 25개 구의 고령인구비율

을 살펴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고령인구 비율이 늘어

나고 있다(표 2).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서울특별시 고

령인구 비율은 강북구가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

이고 있으며, 다음은 도봉구, 강동구 순서였다. 고령인

구가 가장 느리게 나타난 지역은 마포구로 나타났다.

DistrictElderly population rate per

district(%)2011 2012 2013 2014 2015

Jongno-gu 12.93 13.78 14.30 14.84 15.19 Jung-gu 12.78 13.40 14.02 14.65 15.11

Yongsan-gu 12.28 12.94 13.50 13.96 14.41 Seongdong-gu 10.61 11.14 11.55 12.07 12.51 Gwangjin-gu 8.69 9.31 9.86 10.33 10.76

Dongdaemun-gu 11.72 12.46 13.04 13.53 14.04

Table 2. Elderly population rate per district in Seoul Metropolitan City

Page 3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7

4. 서울특별시 내 구 별 고령인구(2015년)

2015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서울특별시의 고령

인구 수는 은평구, 노원구, 송파구 순으로 많았으며, 중구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3).

5. 광역시 별 노인장기요양기관 현황

2015년 통계청 자료에 따른 광역시 별 노인장기요

양기관 현황은 다음과 같다. 서울특별시가 가장 많은

기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천광역시, 부산광역시 순으로 많은 기관이 운영되고 있다(표 4).

MetropolitanCity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Care facilities for seniorcitizens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Sum

Seoul Metropolitan

City3,902 190 363 4,455

Busan Metropolitan

City1,426 93 28 1,547

Daegu Metropolitan

City 1,246 85 176 1,507

Incheon Metropolitan

City1,362 220 118 1,700

Gwangju Metropolitan

City787 78 29 894

Daejeon Metropolitan

City 914 76 39 1,029

Ulsan Metropolitan

City 305 29 15 349

Table 4. Present condition of elderly long-termrecuperation institution per megalopolis

Jungnang-gu 10.20 10.97 11.63 12.28 12.92 Seongbuk-gu 11.17 11.85 12.47 13.04 13.48 Gangbuk-gu 12.48 13.34 14.20 15.02 15.73 Dobong-gu 10.82 11.60 12.33 13.06 13.76 Nowon-gu 9.64 10.19 10.74 11.34 11.92

Eunpyeong-gu 11.36 12.01 12.66 13.31 13.88 Seodaemun-gu 12.34 12.96 13.53 14.12 14.47

Mapo-gu 10.69 11.25 11.70 11.96 12.20 Yangcheon-gu 8.13 8.69 9.26 9.82 10.31

Gangseo-gu 9.08 9.73 10.35 10.87 11.41 Guro-gu 9.15 9.96 10.62 11.20 11.82

Geumcheon-gu 9.49 10.30 10.96 11.45 12.13 Yeongdeungpo-gu 9.99 10.83 11.40 11.82 12.32

Dongjak-gu 10.71 11.34 11.88 12.48 12.99 Gwanak-gu 9.70 10.48 11.16 11.76 12.28 Seocho-gu 8.89 9.49 10.00 10.45 10.92

Gangnam-gu 8.24 8.83 9.39 9.85 10.37 Songpa-gu 8.03 8.60 9.15 9.68 10.23

Gangdong-gu 8.44 9.12 9.80 10.44 11.21

District

Th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person)

District

The numberof elderly population (person)

Jongno-gu 24,890 Mapo-gu 48,234Jung-gu 20,316 Yangcheon-gu 51,668

Yongsan-gu 35,622 Gangseo-gu 70,010Seongdong-gu 38,802 Guro-gu 54,690Gwangjin-gu 41,080 Geumcheon-gu 31,670

Dongdaemun-gu 53,086Yeongdeungpo

-gu51,297

Jungnang-gu 55,417 Dongjak-gu 54,770

Table 3. Th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perdistrict in Seoul Metropolitan City

Seongbuk-gu 63,795 Gwanak-gu 66,180Gangbuk-gu 53,622 Seocho-gu 50,453Dobong-gu 49,990 Gangnam-gu 61,349Nowon-gu 70,374 Songpa-gu 70,062

Eunpyeong-gu 70,858 Gangdong-gu 52,779Seodaemun-gu 47,148

Page 3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6. 서울특별시 내 구 별 노인장기요양기관 현황

2015년 통계청 자료에 따른 서울특별시 구 별 현황

을 살펴보면, 강서구, 노원구, 양천구 순으로 많은 기

관을 운영하고 있다. 반대로 중구에서는 39개 기관만

운영되고 있어 서울특별시에서 노인장기요양기관이

가장 적은 구로 나타났다(표 5).

7. 서울특별시 내 구 별 노인여가 복지시설 현황

노인여가 복지시설에는 노인종합복지관과 경로당, 그리고 노인교실이 있다. 서울특별시 내 구 별 노인여

가 복지시설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구 중 노원구에서

가장 많은 노인여가 복지시설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

로 파악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강서구, 구로구가 노

인여가 복지시설을 많이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표 6). 노인여가 복지시설을 가장 적게 운영하고

있는 구는 중구로 파악되었는데, 이는 2015년 통계청

자료에 따른 서울특별시 구 별 고령인구 수(표 3)에서

중구의 고령인구 수가 가장 적게 나타난 것과 상관성

이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District

Senior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Senior citizen center

older people

classroomSum

Jongno-gu 2 56 10 68Jung-gu 1 46 3 50

Yongsan-gu 1 85 25 111Seongdong-gu 1 151 15 167Gwangjin-gu 1 95 11 107Dongdaemun-gu 1 132 17 150Jungnang-gu 2 119 8 129Seongbuk-gu 1 159 8 168Gangbuk-gu 1 96 14 111Dobong-gu 1 136 6 143Nowon-gu 1 240 13 254

Eunpyeong-gu 1 148 16 165Seodaemun-gu 1 97 10 108

Mapo-gu 1 153 16 170Yangcheon-gu 1 161 28 190Gangseo-gu 1 208 18 227

Guro-gu 1 189 19 209Geumcheon-gu 1 70 6 77

Table 6. Present condition of elderly vacation welfare facilities institution per district in Seoul Metropolitan City

District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Care facilities

for senior citizens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Sum

Jongno-gu 61 8 3 72Jung-gu 35 3 1 39

Yongsan-gu 78 3 2 83Seongdong-gu 89 3 3 95Gwangjin-gu 138 11 12 161Dongdaemun-gu 146 5 20 171Jungnang-gu 191 6 40 237Seongbuk-gu 190 12 9 211Gangbuk-gu 173 6 26 205Dobong-gu 171 13 41 225Nowon-gu 263 11 23 297

Eunpyeong-gu 193 16 12 221Seodaemun-gu 122 10 14 146

Mapo-gu 141 3 3 147Yangcheon-gu 225 10 21 256Gangseo-gu 271 15 15 301

Guro-gu 177 8 10 195Geumcheon-gu 90 9 13 112Yeongdeung

po-gu166 3 20 189

Dongjak-gu 154 4 9 167Gwanak-gu 175 6 22 203Seocho-gu 113 5 3 121

Gangnam-gu 150 6 4 160Songpa-gu 198 7 15 220

Gangdong-gu 192 7 22 221

Table 5. Present condition of elderly long-term recuperation institution per district in Seoul Metropolitan City

Page 3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29

Ⅲ.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전국 7개 광역시의 중에서 특히 서울특

별시 내 고령인구 수와 노인장기요양기관, 노인여가

복지시설 수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근 5년간

고령인구를 살펴보았을 때, 7개의 광역시 전체에서 고

령인구비율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서울

특별시의 고령인구 비율은 7개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높은 고령화를 보이고 있었다. 실제적으로 서울특별

시의 노인인구 수는 2011년 10.19%, 2012년 10.84%, 2013년 11.45%, 2014년 12.04%, 2015년 12.6%로 지속

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특별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기관

수는 7개 광역시 중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고령인구가 가장 많은 부산광역시와 비교해보았을 때

도 더 많았다. 노인인구가 가장 많은 은평구, 노원구, 송파구에서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수 또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

으며, 서울특별시 내의 25개구에서 노인인구수와 기

관의 수가 모두 비례하지는 않지만 적절히 분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여가 복지시설의 경우에

도 서울특별시 내의 25개구에 적절히 분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내에서

고령인구가 두 번째로 높고 노인장기요양기관 수와

노인여가 복지시설은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되어 고

령인구에 비례하여 많은 기관과 시설을 보유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이 서비스를 이용할

때 타 지역에 비해 접근성이 높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물론, 본 연구는 노인인구와 기관 등의 수적인 현황

만을 논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서비스의 질을 파

악하지 못하여 질적인 부분을 논할 수는 없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고령사회에 진입을 앞두

고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노인인구가 이용할 수 있

는 서비스 제공시설을 체계적으로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서울특별시 내 고령인구에 대한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Park, M. S. (2002). The Effects of Leisure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5): 133-146 Park, M. S. (2005). The Leisure Constraint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in Seoul - Focusing on the Free Institutionalized Elderly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5): 203-223.

Seoul Statistics. (2016). Elderly Population Rate.Seoul Statistics. (2016). Estimated Future Population.The compilation committee Encyclopedia of political

science. (2002). 21 century Encyclopedia of political

science. Seoul: Academia Research.Statistics Korea. (2015). Elderly Population Rate(city and –do).Statistics Korea. (2015). Elderly Population Rate(Gu).Statistics Korea. (2015). Status on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eoul(Gu).Statistics Korea. (2015). Status o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ro-politan cities).Statistics Korea. (2015). Status on Long-term Care

Facilities: Seoul(Gu).Han, H. W. (2000). The Relationships between Types in

Leisure Activities and Perceive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Seoul: Dankuk Univ.Hong, S. H. (1998). The effects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6(1): 107-123.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5).

Yeongdeungpo-gu

1 172 27 200

Dongjak-gu 1 135 15 151Gwanak-gu 1 109 20 130Seocho-gu 3 131 10 144

Gangnam-gu 3 165 23 191Songpa-gu 1 160 12 173

Gangdong-gu 2 125 15 142

Page 3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Abstract

Th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Service Facilities in Borough Unit

Shin, Sun-Hye*, Yang, Yeong-Ae**,***, Ph.D., O.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ntage of elderly people in Seoul and to pro-vide a basis for social role to prepare for the aging society by grasping the status of service provision facilities.

Methods : From 2011 to 2015,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which was registered in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organizations reported the establishment.

Conclusion : Th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in Seoul is much in the order of Eunpyeong-gu, Nowon-gu and Songpa-gu, and the aging rate is rapid in the order of Gangbuk-gu, Dobong-gu and Gangdong-gu. In the cas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re are large number of institutions in the order of Gangseo-gu, Nowon-gu and Yangcheon-gu. In the case of the elderly leisure welfare facilities, there are many institutions in the order of Gangseo-gu, Nowon-gu and Yangcheon-gu. Seoul Metropolitan City is the third largest city of the percent-age of elderly people in the metropolitan city, the elderly have long-term care facilities at the same time, and the elderly leisure and welfare facilities are distributed evenly in each district.

Key Words : Seoul Metropolitan City, Elderly population, Long-term care institution for the elderly, Elderly leisure welfare facility

Page 3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Ⅰ. 서 론

뇌졸중 후 발생하는 연하 장애는 발생 빈도가 51∼73%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Gordon C et al., 1987; Robbins J et al., 1993), 인지 기능의 장애는 50∼75%의 환자에서 발생한다(Pohjasvaara T et al., 1997). 뇌졸중 후 인지 장애는 운동기능의 장애, 일상생활동

작 수행의 제한 및 정서장애와 함께 환자의 재활에

가장 문제가 되는 장애이며(Choi et al., 2007), 연하 장

애는 환자의 삶의 질이나 기능 회복을 지연시키므로

이들 환자들의 재활 프로그램을 위하여 정확한 인지

와 연하 기능 평가가 요구된다. Ertekin 등(2000)은 집

중 혹은 선택적 집중과 같은 인지기능의 손상을 야기

하는 대뇌병변은 또한 연하 조절을 손상시킬 수 있다

고 보고하였는데 이는 인지기능 장애와 연하 곤란이

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인지기

능과 연하기능이 저하되면, 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

활활동 능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하 장애는 급성 뇌졸중의 약 27∼50%에서 나타

나고(Smithard et al., 1997), 특히 뇌간 경색으로 인한

원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병우 등(2000)은 뇌

졸중의 원인으로 뇌경색이 45.9%, 뇌출혈이 34.7%, 지주막하 출혈이 19.4%로 뇌경색의 비율이 높다고 보고

하였다. 그중 뇌경색은 피질, 피질하, 뇌간, 소뇌의 순

급성기 뇌경색 환자에서 인지 및 연하 기능과 일상생활 독립성

송영진*, 홍재란**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목적본 연구는 급성기 뇌경색 환자에게 인지기능과 연하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기간은 2014년 2월부터 2014년 4월까지 12주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뇌경색으로 진단 받

은 49명이였으며,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ASHA)와 한

글판 수정바델지수(K-MBI)를 검사하여 수집한 값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지료는 SPSS for Window (ver.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인지기능, 연하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사이

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변량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지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중, 목욕하기, 식사하기, 대변조절, 보행/의자차, 의자/침대 이동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5). 또한, 연하 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중, 개인위생, 목욕하기, 식사하기, 용변처리, 대변조절, 소변조절, 보행/의자차 이동, 의자/침대 이동 항목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5)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급성기 뇌경색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해서는 인지기능과 연하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영역에 중요하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뇌경색, 인지기능, 연하기능, 일상생활활동

교신저자 : 홍재란([email protected]) 접수일 : 2016년 10월 16일∥심사일 : 2016년 10월 22일∥개재승인일 : 2016년 10월 30일

Page 3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으로 많이 발생하였고, 뇌출혈은 기저핵, 대뇌엽, 시상, 소뇌의 순으로 많았다. 연하장애는 급성기 뇌출혈

보다는 뇌경색으로 인한 원인으로 더 많이 발생된다. 정상적인 연하기능은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의 조화

를 이루는 일련의 과정이다. 연하 반사의 중추인 뇌간

에 병변이 있을 때 연하 곤란이 발생하는 것은 주지

의 사실이지만, 뇌간이나 양측 대뇌 병변을 침범한 경

우에만 국한되지 않고 편측 대뇌 병변에서도 발생하

기도 한다. 이는 대뇌의 피질 및 피질하 부위가 뇌간

에서의 연하 반응을 변형시키고 통합하기 때문이다. 대뇌반구에서도 연하 기능장애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인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Lee & Kim, 2001). Kim 등(2008)의 연구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 곤

란이 3개월 이상 지속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뇌

졸중 후 발생한 연하 곤란의 경과를 살펴 본 결과, 발병

후 2∼3주째 47%에서 연하 곤란이 관찰되나 2∼4개월

째에는 17%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87%의 환자

들이 뇌졸중 후 6개월이 경과하면 병전과 동일한 식이

를 섭취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급성기 3주 이

내의 연하 장애의 조기 재활치료가 중요함을 알 수 있

다. 또한, 뇌졸중의 발생 후 갑자기 저하된 기능의 궁극

적인 회복을 위해서는 급성기 치료와 함께 받드시 조기

의 재활치료가 뒷받침되어야 한다(Nam et al., 1991).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발병 후 2개월 이내의

급성기 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기능과 연하기능

을 알아보고, 일상생활활동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들

에 대해 파악하여 재활치료의 조기 치료에 대한 중요

성을 강조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4년 2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서울지

역에 위치한 A병원에서 뇌경색으로 입원한 49명을 대

상으로 하였다. 뇌경색 발병일이 2개월 미만인자와 과

거력에 신경 및 뇌손상 등으로 인한 신경학적 손상이

없었다고 판별되고,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

여에 동의한 자로 하였다.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49명으로 성별은 남성이 29명(59.2%), 여성이 20명(40.8%)으로 남성이 많았으며, 연령

은 50세에서 69세까지의 대상자가 23명(46.9%)로 가장

많았다. 손상 반구는 오른쪽 반구 손상이 25명(51.0%), 병변 위치는 피질병변이 28명(57.1%)로 가장 많았다. 유병 기간은 1개월 미만이 49명, 1개월 이상 2개월 미

만이 7명으로 모두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이다<표 1>.

Division Item Subject(n)Frequency

(%)Gender Male 29 59.2

Female 20 40.8Age ≤ 49 4 8.2

50 ~ 69 23 46.970 ≤ 22 44.9

Affected side

left 20 40.8right 25 51.0both 4 8.2

Lesion location

Cortical lesion 28 57.1Subcortical lesion 21 42.9

Onset < 1 month 42 85.71 month ~ 2month 7 14.3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N=49)

2. 연구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us

Examination-Korean Version, MMSE-K)

본 연구에서는 Folstein 등의 MMSE 원래 문항(Folstein et al., 1975)을 Kwon & Park(1989)이 범안하고 표준화

한 MMSE-K로 평가하였다. MMSE-K는 문맹 노인이 많

은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한 인지 기능

평가도구이다. 12문항에 총 30점 만점으로 되어 있으며

지남력(orientation), 기억등록(registration), 기억회상

(recall), 주의집중 및 계산(attention and calculation), 언어

기능(language), 이해 및 판단(reasoning and judgement) 등 6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을 받지 못한

무학 노인들의 경우 시간에 대한 지남력에 1점, 주의

Page 3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3

집중 및 계산에 2점, 언어기능에 1점씩 가산해 교정하

면서도 각 문항에서 만점을 넘지 않도록 교정하였다.

2)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American Speech-

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s System; ASHA NOMS)

미국언어청각협회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구강식사

가 불가능한 단계부터 모든 음식을 구강으로 섭취할

수 있는 단계까지 연하장애의 정도에 따라 7단계로

구분된다(O’Neil et al., 1999). 단계가 낮을수록 연하장

애의 상태가 심함을 의미하며 7단계일 때 정상 식이

를 의미한다(Wesling et al., 2003). ASHA NOMS 연하

척도는 환자의 기능 상태를 직관적으로 표현하는데

도움이 되고, 식이 단계 변화에 따라 임상적 상황을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타당도가 높은 척도로 알

려져 있다(Paik et al., 2005).

3)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K-MBI)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K-MBI)를

사용하였다. K-MBI는 10가지의 일상생활활동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신변처리 동작(self-care index) 7개 항목과

기동능력(mobility index) 3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 세부항목은 개인위생, 목욕하기, 식사하기, 용변처

리, 계단 오르기, 옷 입기, 대변조절, 소변조절, 보행/의자차, 의자/침대 이동으로 구성되어있다.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 점수화하고 10개 항목을 합산하여

총점은 100점이다. 특히 K-MBI는 다른 평가도구에 비

해 평가의 편리성, 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

처리의 용이함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Smith, 1993).

3.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for Window (ver.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

성 및 발병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여 빈도

와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대상자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

활동 수행능력, 인지능력, 연하기능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t-test)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배치 분산분석의 사후분석을 위하여 본페로니

(Bonferroni) 분석을 병행하였다. 또한 일상생활활동 수

행능력과 인지기능과의 상관관계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과 연하기능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이변량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시행하였다. 모든 분석의 유의수준은 0.05 및 0.01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비교

연구 참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수

행능력을 분석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상자의 성별, 손상 반구, 병변 위치 등에서

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 항목에서

는 70세 이상 대상자가 49세 이하 대상자 및 50세 이

상 69세 이하 대상자 군에 비해 유의하게 일상생활활

동 수행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Division Item Mean ± SD F tGender Male 47.59±27.25 1.010

Female 39.55±27.55Age ≤ 49 56.25±29.79a 9.188**

50 ~ 69 57.57±25.82a70 ≤ 28.27±19.97b

Affected side

left 45.95±28.87 2.189right 39.08±25.47both 68.75±22.01

Lesion location

Cortical lesion

41.75±28.73 -.751

Subcorticallesion

47.71±25.75

*p<.05, **p<.01

Table 2. K-MBI scores according to the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N=49)

Page 3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2. 대상자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의 비교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이에 따르면 성별, 연령, 손상

반구, 병변 위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Division Item Mean ± SD F tGender Male 20.83±9.05 .071

Female 20.65±7.96Age ≤ 49 23.00±8.29 .593

50 ~ 69 21.74±10.1570 ≤ 19.32±6.67

Affected side

left 17.85±10.05 2.046right 22.80±5.07both 22.50±15.00

Lesion location

Cortical lesion 22.00±7.26 1.184

Subcortical lesion 19.10±9.93

*p<.05, **p<.01

Table 3. MMSE scores according to subject characteristics

(N=49)

3. 대상자 특성에 따른 연하기능의 비교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기초 특성에 따른 연하

기능의 비교에서는 전 항목에 걸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변 위치에 따른 연하기능 분석에서

피질하 병변에서 피질 병변보다 평균 점수가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표 4>.

4.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인지기능과의

상관관계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인지기능과의 상관관계

분석에 따르면 전체 총점과 목욕하기, 식사하기, 대변

조절, 보행 및 의자차 이동, 의자/침대 이동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5). 특히 전체 총점과 목욕하기, 식사하기, 보행 및 의자차

이동, 의자/침대 이동 항목에서 인지기능과 통계적으

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p<.01)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일련의 순서에 따른 수행이 필요한 식사하기나 낙

상 등에 대한 고려 및 안전 관련 인식이 필요한 의자/침대 이동이 인지기능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표 5>.

Activity of Daily Living MMSEPersonal hygiene .247

Bathing -.487**

Feeding .613**

Toileting .275Stair climbing -.052

Dressing .105Bowel control .306*

Bladder control .220Ambulation/Wheelchair .387**

Chair/Bed transfer .592**

Total score .373**

*p<.05, **p<.01

Table 5. Correlation between Activity of Daily Living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N=49)

Division Item Mean ± SD F tGender Male 5.45±1.99 -.003

Female 5.45±1.90Age ≤ 49 5.75±.150 1.079

50 ~ 69 5.83±1.8370 ≤ 5.45±1.94

Affected side

left 5.05±2.11 .708right 5.72±1.72both 5.75±2.50

Lesion location

Cortical lesion 5.50±1.95 .211

Subcortical lesion 5.38±1.96

*p<.05, **p<.01

Table 4. ASHA-NORM scores according tosubject characteristics

(N=49)

Page 3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5

5.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연하기능 사이의

상관관계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과 연하기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일상생활활동 총점과 연하기능 사이에서 강한

통계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세부적으로 살펴

보면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중 개인위생, 목욕하기, 식사하기, 용변처리, 대변조절, 소변조절, 보행 및 의자차 이동, 의자/침대 이동 항목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p<.05), 특히 개인위생, 식사하기, 대변조절, 소변조절, 보행

및 의자차 이동, 의자/침대 이동 항목에서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1). 이는 앞서 기술한 일상

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인지기능 사이의 상관관계에서

나타났던 결과와 매우 유사한 것이며, 식사하기, 의자/침대 이동 등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인지기능

뿐만 아니라 연하기능과도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

음을 의미한다.

Activity of Daily Living ASHAPersonal hygiene .386**

Bathing -.362*

Feeding .677**

Toileting .358*

Stair climbing .059Dressing .231

Bowel control .508**

Bladder control .423**

Ambulation/Wheelchair .497**

Chair/Bed transfer .685**

Total score .534**

*p<.05, **p<.01

Table 6. Correlation between Activity of Daily Living performance and swallowing function

(N=49)

Ⅳ. 고찰 및 제언

본 연구는 급성기 뇌경색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지기

능과 연하기능이 일상생활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재활의학과에 의뢰된 뇌경색

환자들의 인지기능, 연하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능력

을 측정하여 기록한 값을 분석하였다. 인지기능은 한국

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Korean Version; MMSE-K)를 시행했고, 연하기능은 미

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American Speech-Language- 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s System; ASHA NOMS)로 평가했으며,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orean-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를 검사하여 인지 및 연

하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독립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은 성인에 있어 장애를 일으키는 여러 질환

중 가장 흔한 원인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생존자

의 85%가량이 기능적 장애를 가지게 되는데, 연하 장

애, 의사소통장애, 보행장애, 일상생활동작 장애, 인지

기능 저하, 정서적 문제, 사회로의 복귀 장애, 가족 구

성원으로서의 기능 상실 등 다양한 장애가 포함된다

(Park & Mun, 2007). 이러한 기능적 장애 중, 인지에

장애가 생기면 일상생활동작(ADL), 수단적 일상생활

동작(IADL), 학업, 직업, 여가, 사회적 참여를 포함한

모든 활동 영역에서 심각한 활동의 제한을 일으키게

된다(Golisz & Toglia, 2002). 또한, Choi 등(2007)의 연

구에서도 뇌경색 환자에서 인지 및 지각기능과 일상

생활동작 수행능력사이에 독립적인 상관관계가 있음

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활동간의 상관성이 있다는 본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

보고이다.연하 장애의 발생은 식사하기와 같은 기본적인 일

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지장을 주며 삶의 질을 저하시

키는 중요한 임상적 문제이다(Mchorney et al., 2002). 이러한 연하 장애에 대한 평가와 치료는 뇌졸중 환자

의 일상생활의 독립을 통하여 사회에서 독립적인 역

할 수행을 목표로 하는 작업치료 영역에서 매우 중요

한 부분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하 장애를 평가

하고 치료하는 것은 재활을 위한 중요한 문제이다

Page 4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Jung et al., 2005).뇌손상 환자의 재활치료에 있어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환자의 연령, 운동기능장애의 정

도, 뇌손상의 정도, 재활치료 시작 시기, 전신성 질환

의 유무, 인지기능 및 지각기능의 장애정도와 심리적

환경적 요인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알려져 있다. 이런

요인 중 재활치료 시작 시기는 뇌졸중 발병 직후부터

신경학적 회복이 시작되기 때문에 환자의 기능적 예

후를 위해 중요하다. 또한, 발병 후 초기 2개월 동안

빠른 회복이 이루어지다가 그 후 회복 속도가 점차로

느려지며 6개월경 정체상태에 이르기 때문에 회복이

빠른 시기의 평가가 예후 예측에 중요함을 보고(Lee et al., 2001)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자가 2개월

미만의 뇌경색 환자로 급성기 치료가 중요하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뇌졸중의 회복은 발병 후 3개월에서 6개월까지 가

장 빨리 일어나며, 이러한 회복의 기전은 두 가지 방

법이 제시되어 있다. 첫째는 자연적인 신경학적 손상

에 대한 회복이며, 둘째는 기능적 회복으로 신체적 장

애가 있는 상태에서 환자가 일상생활동작을 수행하는

능력의 향상이다(Granger et al., 1992). 재활치료는 적

응의 향상과 반복적인 훈련의 방법 뿐만 아니라 아직

논란은 있으나 신경학적 회복에 도움을 주어 기능적

회복을 촉진시키게 한다(Kwon et al., 2002). 이는 급성

기의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

구이며, Stineman 등(1997)의 연구에서도 발병 후 재활

의학적 치료 시작까지의 기간이 짧을수록 기능적 예

후가 좋은 것으로 보고하였다.뇌졸중과 동반되는 연하장애는 일반적이면서도 심

각한 문제점으로 폐렴, 탈수, 영양장애, 재원기간의 증

가, 기능적 독립성의 감소(Daniels et al., 1998)와 같은

일상생활 수행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Kim 등(2011)은

연하 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의 경우 인지장애 뿐만

아니라 운동 및 감각기능의 장애를 수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상생활의 기능적 독립성이 저하된다고

보고하였다.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분석한 결과, 성별, 손상 반구, 병변 위치

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 항

목에서는 70세 이상 대상자가 49세 이하 대상자 및 50

세 이상 69세 이하 대상자 군에 비해 유의하게 일상

생활활동 수행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

들이 신체적 노화, 정신적 기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

에서의 기능이 저하된다는 연구(Song & Kim, 2002)에서도 알 수 있듯이, 뇌경색 환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일

상생활활동 수행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를 분

석한 결과, 성별, 연령, 손상 반구, 병변 위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대상자의 기초 특성

에 따른 연하기능의 비교에서는 전 항목에 걸쳐서 유

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병변 위치에 따른 분석

에서 피질하 병변이 피질 병변보다 평균 점수가 낮았

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간

의 상관성을 알아본 결과, 전체 총점과 목욕하기, 식사하기, 대변조절, 보행 및 의자차 이동, 의자/침대 이

동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

다(p<.05). 특히 목욕하기, 식사하기, 보행 및 의자차

이동, 의자/침대 이동 항목에서 인지기능과 통계적으

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p<.01)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일련의 순서에 따른 수행이 필요한 식사하기나 낙

상 등에 대한 고려 및 안전 관련 인식이 필요한 의자/침대 이동이 인지기능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

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

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준 인지기능이 주의력, 운동조

절, 선택적 집중력이라는 Kim(2011)의 연구결과로 볼

때, 목욕하기, 식사하기와 대변 조절 항목에서 뇌졸중

환자의 주의력과 집중력이 많이 필요했을 것으로 생

각된다. 보행/의자차와 의자/침대 이동항목에서 상관

성을 보인 것은 본 연구대상자가 급성기 마비환자이

며, 49세 이하보다 50세 이상의 환자가 대부분으로 의

사소통, 동기부여와 인식력의 결여로 이동과 가동성

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간의 관련성이 있

다(Kim et al., 2013; Kim, 2011; Jang & Jung, 2012)는

여러 선행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지기능

과 일상생활활동 중 개인위생, 용변처리, 계단 오르기, 옷입기, 소변조절에선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일

상생활활동 중 인지기능이 옷입기, 신변처리에서 일

상생활활동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는 연구(Yu

Page 4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7

et al., 1997)와는 상이한 결과이다. 연하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의 상관관계

를 분석한 결과, 일상생활활동 총점과 연하기능 사이

에서 강한 통계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세부적

으로 살펴보면 뇌경색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중 계단 오르기와 옷입기를 제외하고, 개인위생, 목욕

하기, 식사하기, 용변처리, 대변조절, 소변조절, 보행

및 의자차 이동, 의자/침대 이동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p<.05), 특히 개

인위생, 식사하기, 대변조절, 소변조절, 보행 및 의자

차 이동, 의자/침대 이동 항목에서 강한 양의 상관관

계가 나타났다(p<.01). 이결과는 일상생활활동 수행능

력의 영역 가운데 식사하기가 자기관리 영역의 가장

기초 내용이며 연하와 장 관리의 항목인 대소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이 2개월 미만의 급성기 뇌졸중환자들이

대부분이여서 휠체어 생활을 하는 환자들이 많아 기

능이 떨어진 환자들이 보행/의자차와 의자/침대 이동

하기에서도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앞

서 기술한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인지기능 사이의

상관관계에서 나타났던 결과와 매우 유사한 것이며, 식사하기, 보행 및 의자차 이동,의자/침대 이동 등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인지기능 뿐만 아니라 연하

기능과도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노인환자에서 연하기능과 일상생활 영역 중 이동

과 식사하기, 대소변 영역에서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Daniel 등(2006)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 결과를 나타

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일상생활활동 중 개인위생, 목욕하기, 용변처리, 계단 오르기, 옷입기, 소변조절에

선 인지기능과 상관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지남력, 판단력, 언어이해가 연하기

능에 관련성이 있다는 Shin과 Kam(2011)의 연구로 볼

때, 인지기능이 연하기능에 영향을 미쳐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간의 상관성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

를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자 수의 부족으로 전체 뇌

경색 환자에게 일반화하여 해석하기에는 제한이 있었

다. 또한 연하기능 평가도구인 미국언어청각협회 연

하척도(ASHA)는 환자의 식이 정도와 독립 정도를 1에서 7까지 7단계로 단순하게 표현한 척도로서 환자

의 기능 상태를 직관적으로 표현하는데 도움이 되고

실제로 활발히 쓰이긴 하나, 아직 신뢰도에 대한 연구

가 진행되고 있지는 않는(Paik et al., 2005) 단점이 있

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급성기 뇌경색환자의 일상생

활활동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기능과 연하

기능에 대한 섬세한 평가와 조기 재활치료 프로그램

이 뇌경색 환자의 성공적인 재활을 위하여 필요할 것

으로 생각된다. 추후에는 더 많은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뇌경색 환자의 인지기능과 연하기능 조기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49명의 급성기 뇌경색 환자들을 대

상으로 인지기능과 연하기능이 일상생활활동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뇌경색 환자의 인지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중, 목욕하

기, 식사하기, 대변조절, 보행/의자차, 의자/침대 이동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05). 또한, 연하 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중, 개인위

생, 목욕하기, 식사하기, 용변처리, 대변조절, 소변조

절, 보행/의자차 이동, 의자/침대 이동 항목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5)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급성기 뇌경색 환자의 재활치료에 있

어서 인지기능과 연하기능에 대한 중요성을 상기시키

고, 인지기능과 연하기능의 증진 및 일상생활활동 훈

련을 위한 조기 재활치료 프로그램 중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Kim, N. H., Kwon, Y. S., Lee, K. H., Kwak, H. W., Kim, M. A. (2011).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Symptoms, and Information Needs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1): 72-80.

Page 4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Kim, D. Y., Ko, Y. S., Kang, B. S., Han, T. R., Lee, S. W. (2008).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for Dysphagia Caused by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32(1): 9-14.Kim, S. H., Kim, G. G., Jung, W. M., Lee, J. W.

(2013). The Impact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Upper Limb Functions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Stroke. Rehabilitation

Welfare, 17(4): 401-402.Kim, Y. G. (2011). The Effects of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Tras) for the Cognition and ADL in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19(3): 75-88.

Kim, J. Y. (2011). Analysis of cognitive factors affecting stroke patient's activity of daily living performance -Using the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y & Technology,

12(12): 5715-5721.Kwon, Y. W., Lee, J. M., Jeon, J. Y., Choi, J. H. Kwon,

D. Y., et al. (2002). Comparison of Functional Recovery Status according to Rehabilitation Therapy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6(4): 370-373.Kwon, Y. C., Park, J. H.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 125-135. Nam. M. H., Kim, B. O., Youn, S. H. (1991).

Evalua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after Rehabilitation trea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15(3): 295-308.

Park, C. I., Mun, J. H. (2007). Rehabilitation Medicine. Seoul: Hanmi Medicine.

Paik, N. J., Kim, I. S., Kim, J. H., Oh, B. M., Han, T. R. (2005). Clinical Validity of the Functional Dysphagia Scale Based on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9(1): 43-49.Song, G. C., Kim, D. G. (2002).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Elderly in a Rural Area and Study for Related Factors. American Geriatric society, 6(1): 29-40.

Shin, J. I., Kam, G. Y. (2011). Presence and characteristics of dysphagia in stroke patients without awareness of dysphagi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y & Technology, 12(1): 294-300.Yu, E. Y., Jeon, S. I., Oh, H. C., Jeon, J. S. (1997). The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in Relatio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Occuaptional Therapy Association, 5(1): 8-19.

Lee, B. W., Kwon, H. G., Lee H. J. (2000). Clinical Pictures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4(3): 370-374.Lee, J. H., Joo, B. G., Choi, G. H., Ha, S. B., Kwon, S.

E. (2001). The Functional Outcome of Stroke Patientswith Anterior Cerebral Artery Territorial Infarc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5(3): 388-395.Lee, C. G., Kim, J. A. (2001). Pattern of Post-Stroke

Swallowing Disorder according to the Brain Le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5(2): 193-201.Jang, Y. J., Jeon, S. S. (2012). Effec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Patients with Strokes. Journal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24(3): 305-316. Jung, W. M., Kim, T. Y., Jung H. Y. (2005).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Neck Muscles for Dysphagia. The Journal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13(1): 15-23.Choi, H Y., Park, S. M., Park, S. J., Jung, K. H., Lee,

Y. T. et al. (2007).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perceptual Function and Functional Independence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31(6): 630-635.Daniels, S. K., Brailey, K., Priestly, D. H., Herrington,

L. R., Weisberg, L. A. & Foundas, A. L. (1998).

Page 4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39

Aspiration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 79, 1-419.Ertekin C, Aydogd I, Tarlaci S, Turman B & Kiylioglu N

(2000). Mechanisms of dysphagia in suprabulbarpalsy with lacunar infarct. Stroke, 31, 1370-1376.

Folstein, M. F., Folstein, S. E.,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 189-198. Golisz, K. N., & Toglia, J. P. (2002). Perception and

Cognition: In H. L. Hopkins & H. L. Smith (Eds.),

Willard &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Gordon C, Hewer RI, Wade DT (1987). Dysphagia in

acute stroke. Br Med J, 295, 411-414.Granger CV, Hamilton BB, Fiedler RC (1992). Discharge

outcome after stroke rehabilition. Stroke, 23, 978-982.Mchorney, C. A., Robbins, J., Lomax, K., Rosenbek, J.

C., Chignell, K., Kramer, A. E., et al. (2002). The SWAL-QOL and SWAL-CARE outcomes tool for oropharyngeal dysphagia in adults: Document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Dysphagia, 17(2), 97-114.

O’neil, K. H., Purdy, M., Falk, J., Gallo, L. (1999). The dysphagia outcome and severity scale. Dysphagia, 14, 139-145.

Pohjasvaara T, Erkinjutti T, Vataja R, Kaste M (1997). Dementia three months after stroke: baseline frequency and effect of different definitions of dementia in the Helsinki Stroke Aging Memory Study(SAM) cohort. Stroke, 28, 785-792

Robbins J, Levine RL, Master A, Rosenb다 JC, Kempster GB (1993). Swallowing after unilateral stroke of the cerebral cortex. Arch Phys Med Rehabil, 74, 1295-1300.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mithard DG, O’Neil PA, England RE, Park Cl, Wyatt R, Martin DF, Morris J (1997).The natural history of dysphagia following a stroke. Dysphagia, 12(4), 188-193.

Stineman MG, Maislin G, Fiedler RC, Granger CV (1997). A prediction model for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Stroke, 28, 550-556.

Wesling, M., Bardy, S., Jensen, M., Nickell, M., Statkus, D. & Escober, N. (2003). Dysphagia outcomes in patients with brain tumors undergoging inpatient rehabilitation. Dysphagia, 18, 203-210.

Page 4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Abstract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nd Swallowing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Song, Young Jin*, M.P.H,. O.T., Hong, Jae Ran**, M.P.E.,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Asan Medical Center**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wangyang Health College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nd swallowing function and ability to perform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welve weeks from February to April 2014. Forty-nine subjects with stroke participated and were evaluated by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Korean Version((MMSE-K),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s System(ASHA NOMS) and Korean-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K-MBI). By SPSS statistics (ver. 21.0)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sked between cognitive function or swallowing and ability to perform ADL in ischemic stroke patients.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function and the items of ADL such as bathing, feeding, bladder control, walking & W/C and chair/bed transfer. In addition, the swallowing func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to grooming, bathing, feeding, toileting, bladder control, bowel control, walking & W/C and chair/bed transfer.

Conclusion : Cognitive and swallowing functions seemed to be the most important ones of ADL domains for functional recovery of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Key Words : Ischemic Stroke, Cognition, Swallow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Page 4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Ⅰ. 서 론

가상현실은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하

여 사용자에게 실제와 비슷한 경험을 하도록 만든 대

화형 시물레이션을 말한다(Rizzo, & buckwalter, 1997). 가상현실은 비디오 캡쳐 시스템(video capture system)을 적용하여 스크린에 자신의 모습이 표현되고 화면

을 통해 나타나는 과제와 상호작용하여 문제를 해결

하는 방법이다(Weiss, Rand, Katz, & Kizony, 2004). 최근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과제를 수행하고 운동, 감각, 인지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Chan, Nagim Leung, & Wong, 2010).

가상현실 참여자는 게임 형식으로 표현되는 특정한

과제 수행 시 나타나는 시각적,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

* 본 논문은 2015년도 춘해보건대학교의 학술연구 지원

을 받아 연구되었음.

받아 그로 인해 효과적인 움직임 조절을 할 수 있고, 근력, 관절가동범위, 운동 속도, 운동 조절능력이 증진

되는 장점이 있다(Flynn. Palma, Bender, 2007; Merians, Jack, Boian, Tremaine, Burdea, Adamovich, Recce,& Poizner. 2002). 이러한 기능으로 인하여 가상현실 프

로그램은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여 과제를 수행하는데

스스로 동기부여가 높아진다(Flynn, Palma, & Bender, 2007; Rand, Kizony, & Weiss, 2004). 가상현실 프로그

램은 게임적 요소를 바탕으로 정신적 편안함 및 즐거

움을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얻을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Rye, 2015). 또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대상자에게

수행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운동학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흥미유발을 통한

과제의 능동적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Kizony, Katz, & Weiss, 2004).

가상현실을 이용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환자는 스스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인식 조사*1)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가상현실 재활에 대한 현황과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 내용을 파악

하여 가상현실 재활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서울 및 부산 지역의 작업치료사 84명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치료사가 65명으로 더 많았으나,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를 작업치료사들의 대부분이 알고 있었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는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및 레저 영역 기능의 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결론작업치료사들은 현재 일하는 기관에서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를 대부분 시행하고 있

지 않았으나 향후 이를 활용한 적용은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작업치료사, 작업치료, 가상현실

교신저자 : 박보라([email protected])접수일 : 2016년 10월 20일∥심사일 : 2016년 10월 24일∥개재승인일 : 2016년 10월 29일

Page 4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로 운동에 흥미와 동기부여를 느끼고 시각과 청각, 촉각의 피드백으로 운동에 대한 접근과 조절이 용이해

졌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사람이 환경에서 과제를

수행하기에 실패확률이 높거나 위험 요소가 많을 경

우 가상이라는 안전한 상황에서 오류를 줄이는 연습

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국내에서 가상현실 훈련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

여 그 효과를 검정한 연구들이 있는데 가상현실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상지기능 향상에 효과적이

라는 결과를 발표하였다(Crosbie, Lennon, McGoldrick, McNeill, & McDonough. 2012; Turolla, Dam, Ventura, Tonin, Agostini, Zucconi, Kiper, & Cagnin. 2013; Weiss, Rand, Katx, & Stam, 2008). Hertz, Mehta, Sethi, Jeekson, Hall과 Morgan의 연구(2013)에서 가상현실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삶의 질 척도 점수가 증가되는 것

을 확인하였다. 재활분야에서 현재 지속적으로 가상

현실에 기반을 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본질적으

로 본 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치료사의 인식도와

치료에 대한 필요성과 인식도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

정이다. 이에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도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

고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7월 1일부터 2015년 9월 1일까지

서울 및 울산지역의 작업치료를 실시하는 작업치료사

100명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

치료 현황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해

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84부를 회수하였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는 Shin(2011), Rhee(2012)가 사용한 설문 도구를 바탕으로 초안을 작성 한 후

작업치료 전공 박사 2인을 대상으로 예비설문을 실시

한 후 수정하였다. 문항의 구성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

성,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실시현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에 대

한 인식,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

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자료 처리 및 분석

본 연구에서 회수된 설문지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실시현

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에 대한 인식,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항목에 대해서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Ⅲ.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26세-30세

38명(45.24%), 21세-25세 27명(32.14%), 31-35세 12명(14.29%), 36-40세 6명(7.14%). 41세 이상은 1명(1.19%)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여자가 52명(63.10%)으로 남자

보다 인원이 많았다. 최종학력은 학사가 55명(64.29%), 전문학사 22명(28.57%), 석사 5명(5.95%), 박사 1명(1.19%) 이었다. 근무기관은 종합병원 36명(42.86%), 재활병원 27명(30.95%), 대학병원 19명(22.62%), 기타 1명(3.57%)이었다. 임상경력은 3년 이

상-5년 미만 28명(33.33%), 1년 이상-3년 미만 23명(27.38%), 10년 이상 18명(21.43%), 5년 이상-10년 미

만 14명(17.86%) 순으로 나타났다<표 1>.

2.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실시현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실시 현황을

살펴보면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의 실

시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한다는 응답이 19명(22.62%),

Page 4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3

안 한다는 응답이 65명(77.38%)으로 하지 않는 곳이

더 많았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를

사용하고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프

로그램에 대한 문의에서는 Wii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5명(26.32%), 기타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는 응답이 14명(73.68%)이었다<표 2>.

Division N PercentileVR

enforcementYes 19 22.62No 65 77.38

VR programWii 5 26.32Etc 14 73.68

Table 2.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y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

(N=84)

3.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에 대한 항목 중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

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사전 지식정도에 대한 질문에

는 알고 있다 36명(42.86%), 보통이다 28명(33.33%), 잘 모른다 12명(14.29%), 매우 잘 알고 있다 6명(7.14%), 전혀 모른다 2명(2.38%)이었다. 가상현실 프

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도움이 되는

영역에 대한 질문에는 레져 24명(28.57%), 놀이 18명(21.44%), 일상생활활동 16명(19.05%), 수단적 일상생

활활동 8명(9.52%), 사회적 참여 8명(9.52%), 일 6명(7.14%), 교육 4명(4.76%)이었다<표 3>.

Division N Percentile

VR preliminary knowledge

Very well known 6 7.14known 36 42.86Normal 28 33.33

Not known 12 14.29Absolutely not known 2 2.38

Most helpful

area

ADL 16 19.05IADL 8 9.52Work 6 7.14

Education 4 4.76Social participation 8 9.52

Play 18 21.44Leisure 24 28.57

Table 3.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Therapy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

(N=84)

4.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52명(62.90%)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는 연령대로는 성인 34명

Items DivisionFrequency

(n)Percentile

(%)

Age

21 - 25 27 32.1426 - 30 38 45.2431 - 35 12 14.2936 - 40 6 7.14

41 - 1 1.19

GenderMale 31 36.90

Female 52 63.10

Education degree

College 22 28.57Bachelor 55 64.29Master 5 5.95Doctor 1 1.19

Institution type

University hospital 19 22.62General hospital 36 42.86

Rehabilitation hospital 27 30.95Etc 1 3.57

Clinical career

1y above – 3y under 23 27.383y above – 5y under 28 33.335y above – 10y under 14 17.86

10y above 18 21.43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84)

Page 4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65.38%), 아동 12명(23.08%), 노인 6명(11.54%)이었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적

용 환자군은 뇌손상환자 39명(75.00%), 기타 8명(15.38%), 근골격계손상 환자 4명(7.70%), 척수손상 환

자 1명(1.92%) 이었다<표 4>.

Division N PercentileVR

using demand

Yes 52 62.90

No 32 38.10

VR application age

Child 12 23.08Adult 34 65.38

Elderly 6 11.54

VR application group

Brain Injury 39 75.00Spinal Cord Injury 1 1.92

Musculoskeletal disorder

4 7.70

Etc 8 15.38

Table 4.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

(N=84)

Ⅵ. 고 찰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

한 작업치료에 대한 현황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파

악함으로써 차후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

료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실

시되었다.응답자는 84명의 서울, 부산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로서 2015년 7월 1일부터 2015년 9월 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를 분석

하였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에 대한 프로

그램의 시행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안 한다는 응답이

65명(77.38%)로 더 많았다. 현재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시 Wii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사용

하고 있었다. 향후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

치료를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응답자는 52명(62.90%)

로 높았다. 임상에서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

업치료가 환자들의 재활에 중요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 영역은 레저와 일상생활활동 영역이었다. 현재 작업치료사의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

업치료가 제한적으로 실시되고 있다는 결과는 적용을

희망하고, 적용하고 싶은 환자군은 있지만 포괄적인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수행하기에 제한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설문결과를 살펴보면 본인이 사용을 희망

하지만 실시하지 않는 이유를 살펴보면, 근무하는 기

관의 특성에 따라서 치료하는 대상자가 제한되어 있

거나. 치료의 세부분야가 결정되어 있어서 실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서 서울, 부산 지역의 작

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연구지역의 제한성

으로 전체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지 못해서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작업

치료사들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

업치료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

로만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치료사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

한 작업치료에 대한 현황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차후 작업치료사의 가상현실 프로그램

을 이용한 작업치료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

로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 작

업치료사들은 현재 일하는 기관에서 가상현실 프로그

램을 이용한 작업치료를 대부분 시행하고 있지 않았

으나 향후 이를 활용한 적용은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작업치료사의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

업치료가 필요한 환자군으로는 뇌손상 환자군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작업치료사의 가상현실 프로그

램을 이용한 작업치료는 환자의 레져 영역과 일상생

활활동 영역에 가장 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향후 작업치료사의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

Page 4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5

업치료를 임상에서 적용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전

국적인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치료 실태평

가 및 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Chan, C. L., Nagi, E, K., Leung, P. K., & Wong, S. (2010). Effext of the adapted Virtual Reality cognitive training program among Chinese older adul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a pilo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ic Psychiatry, 25, 643-649. Flynn, S., Palma, P., & Bender, A. (2007). Feasibility

using the Sony PlayStation 2 gaming platform for an individual poststrok: A case report. Journal of

Neurologic Physical Therapy, 31(4), 180-189.G. M. Rhee, S. Y. Kim, S. N. Kwon. (2012). A Study

on Recognition Degree of horse therapy for Autistic Disorder’s parents. Rehabilitation Engineering And

Assistive Technology Society of Korea. 61(1), 75-81.Hertz, N. B., Mehta, S. H., Sethi, K. D., Jeckson, P.,

Hall, P., and Morgan, J, C. (2013). Nintendo Wii rehabilitation(Wii-Hab) Provides benefits in Pakinson’s disease. Pakinsonism and Related Disorders, 19,

1039-1042. J. H. Crosbie, S. Lennon, M. C. McGoldrick, M. D. J.

McNeill, S. M. McDonough. (2012). “Virtual reality in the rehabilitation of the arm after hemipleg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26(9), 798-806.J. I. Shin. (2011).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On Driving Rehabilitation. Style for the Journal of

Korean Contents. 11(4), 283-289, 2011.Kizony, R., Katz, N., and Weiss, P. L. (2004). Virtual

reality based intervention in rehabilitation: relationship between motor and cognitive abilities and performance within virtual environments for patients with stroke. International Conference Disability Wirtual Reality

Association Technology, 5, 19-26.Merians, A, S., Jack, D., Boian, R., Tremaine, M.,

Burdea, G. C., Adamovich, S. V., Recce, M., & Poizner, H. (2002). Virtual reality-augmente d rehabilitation for patients following strok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82(9), 898-915.Rand, D., Kizony, R., & Weiss, P. (2004).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for all: Vivid GX versus Sony

Playstation 2 Eyetoy. Paper presented at the Proc. 5th Intl Conf. on Disability, Virtual Reality and Associated Technologies, Oxford, U.K.

Rizzo, A., & Buckwalter, J. (1997). Virtual reality cognitive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the state of the art. Studies in Health Technology and Information, 44,

123-145. Ryu, S, H. (2015). The Effect of Virtual-Reality Program

on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for Stroke Patients. Daegu University.

Turolla, M. Dam, L. Ventura, P. Tonin, M. Agostini, C. Zucconi, P. Kiper, A. Cagnin, L. (2013). Piron, “Virtual reality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upper limb motor function after stroke: a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0(1), 85-93.Weiss, P. L., Rand, D., Katz, N., & Kizony, R. (2004).

Video capture virtual reality as a flexible and effective rehabilitation tool.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1), 12.Weiss, P, L., Rand, D., Katx, N., & Stam, H. J. (2008).

“Playstation eyetoy games” improve upper estremity-related motor functioning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44(3), 237-244.

Page 5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Abstract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on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Virtual Reality Program

Park, Bo-ra, Ph.D*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necessity of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Methods : 84 occupational therapists in Seoul and Busan were interviewed about occupational therapy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

Results : There were more than 65 practitioners who did not use the virtual reality program, and most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knew the virtual reality program.And that occupational therapy using the virtual reality program would have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eisure function of the patients.

Conclusion : Occupational therapists did not perform most occupational therapies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s at their current institutions.

Key Words : Occupational Therapist, Occupational Therapy, Virtual Reality Program

Page 5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Ⅰ. 서 론

2015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13.1%이며, 2030년 24.3%, 2040년 32.3%, 2060년 40.1%로 지속적

으로 증가될 전망으로 점점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5).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경도인지장애의 유병률은 60세 이상의 인구에서 3%로 보고되었으며(Petersen, 2004), 국내 연구에서는 노인

치매환자 중 최경도와 경도의 중증도를 가진 환자가

전체 68%를 차지하고 있고, 경도인지장애의 유병률을

24%로 보고하였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경도인지장애는 인지적 연속선상 내에서 정상적 노

화의 단계와 알츠하이머치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Petersen, 2004). 경도인지장애는 Petersen 등

이 대부분의 기능이 손상되지 않은 치매가 아닌 집단

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기억력, 언어유창성, 이름대기

능력, 주의력 등의 인지기능 검사에서 같은 연령대의

사람들보다 두드러지게 낮은 수행을 보이나, 전반적

인 지적 기능의 약화가 없으며 일상생활 활동이 보존

된다는 점에서 치매와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Gainotti, 2010; Kim&Han, 2013; Perneczky et al., 2006; Petersen, 2004). 경도인지장애는 75세 이상의 노인에게 현저하

게 나타나고, 일반노인보다 치매로 이환되어 치매발병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다. 치매는 질환이 진행되

면서 증상이 더욱 심해지는 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치매로 이환될 확률이 높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조기

발견하여 조기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Furio, Brusco & Cardinali, 2007; Petersem, 2004; Plassmann et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통한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NCSE)의 타당도 연구

최민국, 이소연, 전소연, 김소연, 김정기,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목적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을 대상으로, LOTCA-G와 MMSE-K 평가에 대한 NCSE 평가의 타당도를 연

구하려 한다.

연구방법2016년 4월 20일부터 2016년 5월 20일까지 20일 동안 일반 경로당에서 70세 이상의 노인 15명 대

상으로 NCSE, MMSE-K, LOTCA-G 평가를 실시하고 각 평가 결과간의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MMSE-K와 LOTCA-G의 수행점수 간의 비교는 상관계수 r=0.760으로, 유의수준을 보였으며

LOTCA-G와 NCSE의 항목별 수행점수 간의 비교는 지남력의 상관계수 r=.791, 이름말하기의 상관

계수 r=.794, 구성능력의 상관계수 r=.639, 유사성의 상관계수 r=.823으로 유의수준이 보였지만 주

의집중의 상관계수 r=.377, 기억력의 상관계수 r=.501으로 유의 하지 않았다.

결론

MMSE-K와 LOTCA-G의 상관관계가 있고, LOTCA-G와 NCSE의 항목별 점수 비교에서 주의집중

과 기억력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민감도에 약한 MMSE-K와 장시

간인 단점인 LOTCA-G를 대신해 NCSE도 인지평가에 타당하며 치매환자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

는 평가도구로 생각된다.

주제어 경도인지장애,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 인지평가

교신저자 : 박수정([email protected])접수일 : 2016년 10월 22일∥심사일 : 2016년 10월 25일∥개재승인일 : 2016년 10월 28일

Page 5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al., 2007; Park & Yang, 2011).간이정신검사(MMSE)는 치매의 선별을 위해 국내

에서 가장 많이 임상에서 적용되는 선별검사이다

(Folstein, Folstein & McHugh, 1975). 인지기능 장애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고, 반복적인 측정으로 인지기능

의 변화를 관찰 할 수 있으며, 중등도 또는 심한 수준

의 치매를 선별에 그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어 있

다. 그러나 교육 수준과 연령의 영향의 영향을 받으

며, 치매의 유형과 확진에 구별할 수 없다. 중등도 또

는 심한 치매에 대해서는 민감도가 높지만, 경도의 인

지 기능 장애에 대한 민감도가 낮다(Park et al., 2002).이스라엘의 Lowenstein 병원에서 개발한 노인용-작

업치료인지평가도구인(LOTCA-G)는 지남력, 지각력, 실행력, 시각운동 협응 능력, 사고조직력, 기억력, 주의력/집중력 등 인지지각 기능의 각 영역을 세분화하

여 측정한 후 각 영역마다 개별화 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Katz, 1995). LOTCA-G로 얻은 정보는 정확한 인지기

능을 진단할 수 있고 다른 인지기능 검사를 위한 선

별검사로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Katz 1989). 그러나 71∼90세 사이의 노인 인지기능을 검사하는

LOTCA-G의 경우 외국에서 개발된 평가문항을 그대

로 번안하여 사용하여 문화적, 사회적 차이로 인하여

평가 결과에 대한 오차가 있을 수 있고 검사 진행 시

평균 30∼40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한정된 시

간 안에 최대한 많은 환자를 치료를 제공해야 하는

임상적 상황에 대한 제한점이 있으며, 집중력저하를

주로 호소하는 치매노인들에게 적용하기에도 다소 어

려움이 있다

Kiernan 등(1987)에 의해 개발된 신경행동학적 인지

상태검사(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는 인지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선별검사

로서 인지기능의 전반적 기능인 의식수준, 지남력 및

주의집중력의 3가지의 일반 영역과 언어, 구성능력, 기억력, 계산능력 및 사고력의 5가지의 주 기능 영역들

을 독립적으로 검사하고, 각각의 항목은 대부분 선별

측정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Kim & Park, 1997; Kim et al., 1994). 검사결과는 각각의 점수결과를 합산하지

않고, 그래프에 표시를 해 인지기능 상태에 대한 분화

된 내용을 제공하여 임상에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화된 도구이다(Kim et al., 2012). 국내에서 번안⋅수정한 신경행동학적 인

지상태검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MMSE-K에 비해 민

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적인 인지영역별

정보를 제공해 주는 유용한 인지상태 선별검사도구라

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각 영역에 선별항목이 있어서

선별검사만을 검사할 경우 5∼10분 정도가 소요되고, 하위항목까지 시행할 경우에는 15∼20분 정도가 소요

된다(Kim et al., 1994). 본 연구에서는 70세 이상의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인지평가도구 중 유용하게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를

LOTCA-G와 MMSE-K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타당도

를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본 연구는 2016년 4월 - 5월까지 D시에 소재한 경

로당을 이용하며 일반 노인들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과 검사를 동의한 70세 이상의 노인 15명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자의 선정기준은

70세 이상 노인으로 MMSE-K 평가 결과 24점 이하이

며, 청력장애나 언어장애가 없어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로 하였다. 숙련된 작업치료사를 통해 NCSE, MMSE-K, LOTCA-G 평가를 하였고 그 결과를 기준에

맞게 정리하였다.

2. 연구도구

1) MMSE-K

MMSE-K는 12문항으로 시간에 대한 지남력 5점, 장소에 대한 지남력 5점, 기억 등록 3점, 기억 회상 3점, 주위 집중 및 계산 5점, 언어 기능 7점, 이해 및 판

단 2점으로 총 30점 만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획득 점

수 중 24점 이상을 정상, 20∼23점을 경도 장애, 19점

이하를 중증 장애로 분류하였다. 교육 유무에 따라 무

Page 5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9

학 집단의 노인들에게 각 문항 점수에 만점을 넘지

않게 시간에 대한 지남력에 1점, 주의 집중 및 계산에

2점, 언어 기능에 1점씩 가산하였다(Kwon, 1989).

2) LOTCA-G

LOTCA-G는 지남력, 지각력, 실행력, 시각 운동 협응

능력, 사고조직력, 기억력, 주의력/집중력 등 7개의 인

지영역을 평가한다. 한국판 LOTCA-G 검사 방법은 피

검사자가 최대한 평가에 집중할 수 있도록 조용한 장소

에서 피검사자와 책상을 가운데 두고 마주보고 앉거나

옆에 앉아서 1:1로 실시하거나, 실행력 항목은 검사 특

성상 마주보고 앉은 자세에서 실시한다(Cha, 2008).

3) NCSE

NCSE는 인지기능의 전반적 기능인 의식수준, 지남

력 및 주의집중력의 3가지의 일반적 항목과 언어, 그림의 구성능력, 기억력, 계산능력 및 사고력의 5가지

의 주 기능 항목을 독립적으로 검사하여 언어는 유창

성, 이해, 반복 및 사물의 이름 말하기 항목으로, 사고

력 항목은 유사성과 판단력 항목으로 세분화되어있

고, 의식수준과 언어유창성 항목을 제외한 10개 항목

을 점수화한다. 10개 항목 중 지남력과 기억력을 제외

한 나머지 8개 항목은 선별 항목과 측정 항목으로 구

성되어있다. 선별 항목을 정상으로 답하면 그 항목의

기능은 정상으로 간주하여 측정항목검사를 실시하지

않고 다음의 인지기능항목을 검사한다. 선별항목검사

에 실패한 경우, 측정항목검사를 실시하며 정상범위

의 점수를 획득한 경우는 정상으로 간주한다. 검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복용, 감각 또는 운

동장애, 환자의 협조 상태나 불안감등의 요인들을 기

록한다. 인지기능의 연령과 교육의 효과에 대한 보정

은 60세 이상의 노인 군에게는 구성능력 항목에1점, 기억력 항목에 2점을 가산하고 초등교육이하의 저학

력 군에게는 구성능력, 계산력, 유사성 항목에 각1점을 가산한다(Kim et al., 1994).

3.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19.0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질병의

종류 등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

다. 각 평가도구들의 점수들 간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분석을 실시하여 알아보았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 총 15명 중 남성이 4명 여성이 11명 이

였으며, 연령분포는 70∼80세 5명 80∼90세 10명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유학 초등학교 졸업이 13.3% 이고, 대부분 무학 으로 86.7%으로 나타났다(표 1).

Division Subjects(N)Percentage

(%)

Gendermale 4 26.7

famale 11

Age70-80 5 33.3

81-90 10

educationnon 13 86.7

elementary 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2. MMSE-K와 LOTCA-G의 상관관계

연구대상자의 MMSE-K는 평균점수는 19.73±4.22 이였고, LOTCA-G는 총 점 104점 만점에 평균 72.73±4.22로 측정되었다(표 2). 그리고 두가지 평가의 수행점수

간의 상관관계는 r=.760 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

났다(p>.001).

Mean ± SD rMMSE-K 19.73±4.22

.760**

LOTCA-G 72.73±8.85**p>.001

Table 2. MMSE-K, LOTCA-G score comparison and correlation

Page 5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3. LOTCA-G와 NCSE의 하위평가 수행점수

상관관계

LOTCA-G와 NCSE의 항목별 수행점수 간의 상관관

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두 평가의 지남력 수행에

대한 상관관계는 r=.791, 이름말하기 수행에 점수 간

에 상관관계는 r=.794, 구성능력 수행의 상관관계는

r=.639, 유사성 찾기 수행의 상관관계는 r=.823으로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의집중력, 기억력 평가의 경우에는 통계학

적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표 3).

LOTCA-G NCSE rOrientation Orientation .791**

Naming Naming .794**

Constructions Constructions .639**

Similarity Similarity .823**

Attention Attention .377Memory Memory .501

Table 3. Correlation between LOTCA-G and NCSE

Ⅳ. 고 찰

현재 국내 임상에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을 평가할 때 가장 널리 쓰이는 검사방법은

MMSE-K로 짧은 시간동안 간단하고 빠르게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국소적 병변이 있

을 때 위음성 반응률이 더 높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간편하게 평가를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정확한 평가가 가능한 NCSE가

개발되었다(Kiernan et al., 1987). NCSE는 각각의 하위

평가 영역의 점수를 합산하지 않고 그래프처럼 시각

화 하여 인지의 어느 영역의 기능이 떨어져 있는지

알아보기 쉽다. 또한 선별 문항 접근 방식으로 선별문

항을 통과하면 정상으로 간주하고 측정문항을 검사하

지 않으므로 검사시간이 짧고 단계별로 시행하기 때

문에 경미한 인지장애도 발견할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하는 가

장 대표적인 인지평가도구인 MMSE-K와 LOTCA-G에

대한 NCSE의 상관관계 및 타당성을 입증하여 실제

임상에서의 NCSE의 평가도구로써의 유용성을 확인하

고자 하였다. 그 결과 MMSE-K와 NCSE 평가 사이에

양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LOTCA-G와 NCSE 사

이에는 이름말하기, 구성능력, 유사성 찾기와 같은 항

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연구의 대상자인 경도 인지 장애 군을 모집하기 위

하여 연구에 참여한 노인의 대부분 71세가 넘는 고령

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이는 노인인구의 20%이상

이 인지기능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하는 기존 연구와

더불어(Kim, 2010) 연령이 증가할수록 인지기능 장애

자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는 많

은 연구와 일치한 결과이다(Lee & Kang, 2011). 또한

연구대상자의 성별분포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훨씬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MMSE-K에 대한 경도

인지장애 유병률이 남자에서 18.4%, 여자에서 45.2%로 여성의 인지장애 증가 추세가 더 급격하게 늘어나

며 여자노인 보다는 남자노인에서 인지기능이 더 높

게나온다고 하는 Kim 등(2011) 의 연구와 일치한 결

과라는 것을 알 수 있다.대상자들의 학력수준을 보면 대다수의 노인들이 초

등학교 미 졸업으로 무학에 대한 가산점을 받았고 이

것은 대상자들의 학력이 낮을수록, 교육연령이 낮을

수록 알츠하이머 치매환자들의 유병률이 증가한다는

기존의 연구의 현상과도 비슷한 결과를 보인다

(Hodges, 2006). 대상자 모두 연령 및 초등학교 졸업

이하의 저학력이 주의집중, 구성능력, 계산능력, 및 판

단력에 영항을 미친다는 Jung 등(2008)의 연구결과에

빗대었을 때, 본 연구에서도 대상자의 나이, 학력, 문화적 요인을 고려하여 더 많은 대상자를 선별하였다

면 더 높은 MMSE-k와 LOTCA-G와의 상관관계가 도

출 된 것으로 판단된다.이 연구의 NCSE의 경도 인지장애에 대한 결과를

보면 먼저, MMSE-K와 LOTCA-G사이의 상관관계는

r=.760으로 유의한 수준을 보였고, LOTCA-G와 NCSE의 항목별 상관계수 분석결과 지남력의 상관계수

r=.791, 이름말하기의 상관계수 r=.794, 구성능력의 상

관계수 r=.639, 유사성의 상관계수 r=.823, 주의집중의

상관계수 r=.377, 기억력의 상관계수 r=.501으로 주의

Page 5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1

집중, 기억력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수준을

보였고, 이는 만족할만 한 상관성이 있다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므로 NCSE의 인지기능 평가에 대한 임

상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경도인지장애의

평가 시 NCSE가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MMSE-K, LOTCA-G에 대한 NCSE의 타

당성을 연구하고자, 임상에서 널리 쓰이는 MMSE-K와 LOTCA-G의 점수의 비교와, LOTCA-G와 NCSE의

항목별 점수비교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결과, MMSE-K와 LOTCA-G의 상관관계가 있고, LOTCA-G와 NCSE의 항목별 점수 비교에서 주의집중과 기억력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민감도에 약한 MMSE-K와 장시간인 단점인

LOTCA-G를 대신해 NCSE도 인지평가에 타당하며 치

매환자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 생각된

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NCSE 평가의 하위 평가 영역

별 상관성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된LOTCA-G의 대상

연령이 71세에서 90세까지여서 노인 연령 그룹에 대

한 비교를 할 수 없었다. 또한 연구 대상자 표본의 수

가 적어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고, 대상자의

성격이나 사회, 경제적 요소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요

인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조기 치매가 진행되기 전 경도 인지장애

환자들에게 보다 빠른 조기중재를 제공 하고 그에 대

한 효과를 검증하는데 NCSE의 효과성 및, 질환별, 연별로 다양한 대상자를 기반으로 한 민감도 조사가 이

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Kwon, Y. C., Park, J. H.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 617-631.

Kim, D. H., Kang, Y. I., Yun, J., Lee, K. R., Han, G. C., Jung, H. A. (2012). A Correlation Between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and th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in Stroke Patients. PNF and Movement, 10(3): 45-52.

Kima, S. J., Park, Y. H. (1997). Comparison of Sensitivity of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an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1(6): 1105-1109.

Kim, E. J. (2010).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Impairment of the Elderly Resi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2): 122-130.Kim, C. Y., Lee, G. W., Park, I. H. (1994). For the

Subjects over Age of 60 = A Study for Clinical Application of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3(6): 1329-1342.Kim, H. G., Kim, Y. S., Kim, T. Y. (2011), Effects of

age, education and gender on multiple cognitive measures of Korean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30(3): 681-701.Park, M. S., Jo, B. R., Kim, S. Y., Yang, D. W. (2002).

A Validation Study of a Korean Version of the 7-minute Screen Test.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3(2): 252-259.Park, S. H., Yang, Y. A. (2011). A Systematic Review

about Intervention of Dementia Patient of Cognition.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5(2): 9-15.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Health Insurance

Mid-term protection plan enhancement plan. 2012-2018.

Lee, H. J., Kang, S. K. (2011).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ing among Elderly.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7(6): 255-278.

Jung, W. M. et al. (2008). Focused effects of a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 Focu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4): 1-17.

Page 5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Cha, Y.J., Lee, T. Y. (2008).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odified LOTCA-G to Reflect Korean Cultural Contex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2): 35-45.Statistics Korea. (2015). Social Index of Korea.Folstein M. F., Folstein S.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Furio, A. M., Brusco, L. I, & Cardinali D. P. (2007).

Possible therapeutic value of melat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 of Pineal Research, 43(4),404-409.

Gainotti, G. (2010). Origins, controversies and recent developments of the MCI construction. Current

Alzheimer Research, 7(3), 271-279. Hodges, J. R. (2006). Alzheimer’s centennial legacy:

origins, landmarks and the current status of knowledge concerning cognitive aspects. Brain. 129, 2811-2822.

Katz N, Elazar B. & Itzkovich M. (1995). Onstruct validity of a geriatric version of the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 battery.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Geriatrics, 13(3), 31-46.Katz, N., Ltzkovich, M., & Averbuch, S. (1989).

“Lowenstein Occupi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battery for brain injured pati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3(3), 184-192. Kiernan R. J., Mueller J., Langston J. W., & Van Dyke

C. (1987). Th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a brief but quantitative approach to cognitive assessment. Ann Intern Med, 107(4), 481-485.

Kim, S. H., & Han, S. H.(2013). Prevalence of dementia among the South Korean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Diabetes, 14(1), 124-128. Lee, S. A., You, E. A., Chae. K. J. (2000). “He

preliminary compare study for cognitive ability of persons with stroke and normal popul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ccupational therapy,

8(1), 93-102.Marshal F. Folstein, Susan E. Folstein Paul R.

Mchugh.(1975) “Mini- 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Pergamon Pres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Perneczky R, Pohl C, Sorg C, et al. (2006) Impair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quiring memory or complex reasoning as part of the MCI syndrome. Int J

Geriatr Psychiatry. 21(2), 158–162.Petersen R, C,. (2004). Mild cognitive impairment as a

diagnostic entity. Journal of Interna Medicine, 256(3); 183-194.

Plassman, B.L., Langa, K.M., Fisher, G.G., Heeringa, S.G., Weir, D.R., Ofstedal, M.B., Burke, J.R., Hurd, M.D., Potter, G.G., Rodgers, W.L., Steffens, D.C., Willis, R.J., Wallace, R.B., (2007). Prevalence of dementia in the United States: the aging, demographics, and memory study. Neuroepidemiology 29(3).125-132.

Page 5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3

Abstract

Validity of Th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 for

The Geriatric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Choi, Min-guk, Lee, So-yeon, Jeon, So Yeon, Kim, So-yeon, Kim, Jeong-Ki, Ph.D, O.T., Park, Su-Jong,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gu Health University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NCSE evaluation for LOTCA-G and MMSE-K evaluations in the Geriatric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 NCSE, MMSE-K, and LOTCA-G were administered to 15 Geriatric people aged 71 years and older at the nursing home in U City and at D City during 20 days from April 20, 2016 to May 20, 2016.

Results :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scores of MMSE-K and LOTCA-G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r= 0.760. The comparison between the performance scores of the LOTCA-G and the NCSE was as follows: correlation coefficient r= .791, correlation co-efficient r= .794, correlation coefficient r= .639, correlation coefficient r= .823, B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attention was r= .377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memory was r= .501.

Conclusion :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MMSE-K and LOTCA-G. The scores of LOTCA-G and NCSE were correlated with items except attention and memory items.This suggests that NCSE is ap-propriate for the evaluation of cognitive evaluation and can be used as an evaluation tool to detect dementia patients early on behalf of MMSE-K which is weak in sensitivity and LOTCA-G which is a long-term disadvantage.

Key Words :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 Cognitive Test

Page 5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Page 5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Ⅰ. 서 론

뇌졸중(stroke)은 뇌경색이나 뇌출혈으로 발생하는

뇌혈관 장애로 운동기능, 인지기능, 언어기능과 감각

기능 등의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이다(O’Sullivan & Schmitz, 1994; Sharp & Brouwer, 1997). 이러한 일

차적 손상 외에도 관절가동범위의 제한, 관절 구축과

동통, 어깨관절 아탈구, 전신 피로, 심리적 문제 등의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동반하게 된다(Ryerson & Levit, 1997).

뇌졸중 발병이후 가장 일반적인 후유증인 상지 기

능장애는 근육의 약화나 마비, 비정상적인 근긴장도, 협응장애, 감각장애 등으로 인하여 손상측 상지의 운

동 능력이 현저히 감소되면서 기능적 사용에 어려움

이 있다(Trombly & Radomski, 2002).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은 발병 초기 손상측의 마비의

정도에 따라 기능회복에 영향을 미친다(Nakayama et al., 1994). 상지 기능회복은 많은 연구보고에서 뇌졸

중 초기에 일어난다고 하지만, 일부 환자의 경우 뇌졸

중 이후 1년까지도 상지 기능이 회복된다고 한다

(Liepert et al., 1998; Taub et al., 1993). 이런 연구결과

에서 빠른 회복은 초기에 일어나지만, 능동적인 기능

성인 뇌졸중환자의 선택적 과제 지향적 활동이 상지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동우*, 김수진*, 서연정*, 오현석*, 박수정*,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목적본 연구는 성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치료를 적용하여 상지운동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발병 후 1년 미만의 성인 뇌졸중 환자 9명 대상으로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과제 지향적 훈

련에 참가하는 대상자군은 4가지의 선택적 과제 지향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선택적 과제 지향

적 활동 중재는 총 20회기로 4주간 실시되며 1주에 5회, 1회 30분간 과제 지향적 프로그램을 본인

이 선택하여 1주에 1가지씩 차례대로 수행하였고, 3명의 작업치료사에 의해 중재되었고 중재 전․후

대상자의 상지운동기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그 효과는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Purdue pegboard test, and Box and block tes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선택적 과제 지향적 활동 참여 후 상지 운동기능에 향상이 나타났다. 오

른쪽 편마비 환자의 경우 모든 평가 항목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으며, 왼쪽 편마비 환자의

경우에는 Box and block test와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의 먹기흉내 내기 항목에서만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p>.05).

결론선택적 과제 지향적 활동 프로그램은 성인 뇌졸중 환자의 상지운동기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

며, 특히 상지 움직임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과제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중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환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만들어내는 재활치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과제 지향적 활동, 상지운동기능, 뇌졸중

교신저자 : 김정기([email protected])접수일 : 2016년 10월 30일∥심사일 : 2016년 11월 8일∥개재승인일 : 2016년 11월 9일

Page 6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회복과정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한다(Carr & Shepherd, 2003).

최근에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조절과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운동훈련 로봇재활, 양측성 상지훈

련활동, 강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 거울치료(mirror therapy) 등과 같은 새

로운 접근법들이 시행되고 있지만, 이런 치료적 접근

법들은 많은 노동력, 경제력을 필요로 하기에 지속적

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Amit & Sunil, 2009). 최근 뇌가소성 개념의 도입으로 특정 접근법이 아닌

기능적 회복을 위한 목적 있는 과제 지향적 훈련

(task-oriented training)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Han & Bang, 2008). 과제 지향적 접근법은 치료사보다 환자

와 과제수행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는데 환자들에게

정상적인 움직임 패턴을 반복적으로 연습시키기보다

기능적 과제를 제공하여 자발적인 문제해결을 시도함

으로써 기능 향상이 있다고 한다(Bang, 2007). 이는

Carr과 Shepherd(2003)에 의해 발표되었으며 운동 학

습이론을 배경으로 뇌졸중 환자를 위해 고안된 치료

의 한 형태이다. 과제 지향적 접근법은 기능적 활동을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과제로 구성된 효율적인 치료방법

으로 기존에 단일 동작을 반복해서 훈련하던 치료법

과 달리 기능적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과제 지

향적 훈련은 과제 목표 달성에 필요한 능력들을 훈련

시키고, 다양한 환경에서의 적응성을 향상시켜 문제

해결력과 실용적인 보상전략의 개발에 도움을 준다

(Carr & Shepherd, 2000). Van Peppen 등(2004)은 집중

적이고 반복적인 과제 지향적 훈련이 상지기능 회복

을 촉진 시키며, 상지 운동 패턴 및 기민성과 조작기

술을 발전시킨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치료를 적용하

여 상지운동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기간 및 대상

본 연구는 2016년 3월 15일부터 6월 3일까지 D광역

시 3곳의 대학병원, 재활병원, 요양병원에서 발병 후

1년 미만의 성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

며 총 9명 대상으로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참여하는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선정기준은 다

음과 같다. 1) 발병 후 1년 미만의 성인 뇌졸중 환자, 2) K-MMSE 20점 이상인 환자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환자, 3) 편측 무시 증상이 없는 자, 4) 근골격계 이상

이 없는 자, 5) Brunnstrom stage 4단계 이상인 환자, 6) 30분간 치료를 유지할 수 있는 지구력, 집중력을 가진

자, 7) 연구목적의 설명을 듣고 참여에 동의한 자로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2. 실험 방법 및 설계

과제 지향적 훈련에 참가하는 대상자군은 4가지의

선택적 과제 지향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선택적

과제 지향적 활동 중재는 총 20회기로 4주간 실시되

며 1주에 5회, 1회 30분간 과제 지향적 프로그램을 본

인이 선택하여 1주에 1가지씩 차례대로 수행하였고, 3명의 작업치료사에 의해 중재되었고 중재 전․후 대상

자의 상지운동기능을 평가하였다. 4가지의 과제 지향적 프로그램은 과제 A(수건으로

책상 닦기 & 앞단추가 있는 상의 입고 벗기), 과제 B(차 준비하기 & 양치하기), 과제 C(물마시기 & 컵 옮

기기), 과제 D(색종이 모자이크 & 빨래 정리하기)로

이루어진 훈련을 치료사의 시연 후 실시하였다(표 1).

Ⅲ. 평가도구

1. 인지기능평가

1) K-MMSE(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인지기능 검사 중 하나인

간이정신상태 검사(MMSE-K)는 다양한 인지상태의

기능들을 5~10분 정도에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검사로, 이 검사는 외국의 간이정신상태 검사(MMSE)의 원래 문항들을 가능한 한 그대로 유지하여 번역하

고 표준화 한 도구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지남력,

Page 6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7

Task Activity Activity Introduction

A

desk cleaning training with

towel

Place your hand on a towel and wipe the desk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and diagonally. This activity induces the shoulder joint (horizontal adduction, horizontal abduction), the elbow joint (flexion and extension), the wrist joint(bilateral deviation), and the fingers(flexion) and Increase the range of activity gradually.

dressing shirts with button

Use lesion side. Soulder joint(all motion), elbow joint(flexion and extension), wrisit joint(flexion, extension, deviation), in-hand-manipulation. Difficulty adjustment by size of clothes, size of buttons and number

B

preparing tea

The ready position is the sitting position(unaffected and affected side using), training with prepared items. tear teabag or instant coffee and put in cup with use both hand. affected side(grasping cup), unaffected side(Pour water into a cup with a kettle). This activity need Soulder joint(all motion), elbow joint(flexion and extension), forearm(supination, pronation), wrisit joint(flexion, extension, deviation), in-hand-manipulation. only this activity use cold water for safety

teeth brushing

perform all activity from using toothpaste to brushing. task with both upper limb coordinationUsing teethbrush[shoulder(Muscular Endurance). shoulder joint(abduction), elbow joint(flexion, extension), wrist joint(various direction exercise)]. also method of grasping teethbrush(increase in-hand-manipulation). involve process of mouse rinsing with cup

C

water drinking training

grasp a paper cup(safe consideration) various size, make appropriate hand shape, not drop and crush. elbow joint(extensio, flexion), wrsit(pronation, supination), shoulder joint (abduction, adduction, flexion), finger(flexion, extension) use without pouring water, lift and drink appropriate speed and power. also, recognize the distance from mouth and then take the paper cup to mouth exactly. difficulty adjustment is amount of water and paper cup weight

Moving cup training

shoulder abduction, elbow joint flexion and extension, shoulder horizontal abduction and adduction, flexion, finger flexion and extension useuse appropriate power following paper cup weight and then lift, move and release. difficulty adjustment is cup weight, number and size.

D

colored paper mosaic

use both sidesketch on a drawing paper, cutting colored paper with both hand and then sticking one by one with glue. both upper limb movement and coordination need. shoulder joint(flexion, horizontal abduction and adduction), elbow joint(flexion, extension), wrist and hand(flexion, extension, finemotor). difficulty adjustment is size of paper and picture.

folding laundry

This activity is bring a small towel, a large towel, a top, a bottom, etc. from drying rack and arrangement. gross movement use in whle arrangement and finemotor movement use in small size laundry, and then finish put it in closet difficulty adjustment is laundry size, button, zipper et al.

Table 1. task-oriented program Introduction

Page 6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기억등록, 주의 집중 및 계산, 기억회상, 지시 따르기, 언어 및 시공간 구성 등을 평가하여 전반적인 인지기

능을 평가하였고 평가 결과는 초기 대상자 선별 과정

에 반영되었다.

2. 상지 기능평가

Purdue pegboard test, Box & block test와 Jebsen taylor hand function test를 통해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

지의 대-소단위 운동기능 및 어깨, 팔꿈치, 손목, 손가

락의 운동능력을 평가하였다.

1) Purdue pegboard test

Purdue pegboard test는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 되

는 상지 기민성 평가도구로 Tiffin(1968)에 의해 개발

되어 손가락, 손 그리고 팔의 전반적인 기민성 측정과

조립과제에서 필요한 미세한 손가락 끝 기민성의 두

가지 유형의 손 기능을 평가할 수 있으며, 실시와 해

석 방법은 강용주(2004)에 의해 표준화 되었고 손의

기민성을 평가하다. 구멍 안에 조그마한 페그를 집기, 조작, 그리고 놓음으로써 속도와 정확도를 측정하여

손과 팔에 대한 대단위 운동과 손의 기민성을 평가하

는 평가도구이며 한번 시도한 시행의 검사-재검사 신

뢰도가 0.60-0.79로 나타났다. 핀, 칼라, 그리고 와셔를

끼울 수 있는 나무 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른손, 왼손, 양손, 오른손+왼손+양손, 조립의 5가지 하위검

사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오른손과 왼손의 각

각의 기민성을 평가하는 목적으로 오른손과 왼손을

각각 평가하는 하위 검사만을 시행하였다.

2) Box and block test

Box and Block test는 Mathionwetz 등(1985)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근육신경계손상을 가진 성인과 7-9세

아동, 성인을 대상으로 표준화되어 있는 미세운동 협

응력 검사로 가로 22cm, 세로 32cm, 높이 7cm의 상자

에 담겨있는 3cm의 정육면체 블록을 같은 크기의 다

른 상자에 2분 동안 몇 개를 옮길 수 있는지 측정하였

으며, 120개의 블록과 2개의 상자로 구성 되어있다

(Cromwell et al., 1976).

3)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THFT)

JTHFT는 손 기능 검사를 위해 Jebsen 등(1969)에 의

해 발표된 평가 도구이며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

는 손 기능을 포함하는 총 7개의 하위항목으로 이루

어진 객관적인 평가도구이다. 각 하위 검사는 쓰기, 카드 뒤집기, 작은 물건 옮기기, 먹기 흉내 내기, 장기

말 쌓기, 크고 가벼운 물건 옮기기, 크고 무거운 물건

옮기기로 평가단위는 시간(초)이며 이 평가도구의 검

사-재검사 신뢰도는 0.60-0.76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상지 운동 능력에 대해 평가하

였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윈도우용 SPSS version 19.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대상자에 적용된

중재 전ㆍ후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

수준은 .05로 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본 연구에서는 성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접근법의 중재 전ㆍ후의 상지기능의 변화를 알

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성별에 따른 대상

자의 수는 남자는 5명(55.5%) 여자 4명(44.4%)으로 총

9명이었다. 진단명에 따라서는 오른쪽 편마비 4명(44.4%), 왼쪽 편마비 5명(55.5%)이었고 연령에 따라서

는 30~40세 1명(11.1%), 50~60세 2명(22.2%), 60~70세 2명(22.2%), 70세~80세 4명(44.4%)이었다(표 2).

Item Division Number Percentile(%)

GenderMale 5 55.5

Female 4 44.4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

Page 6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59

2. 선택적 과제 지향적 활동에 대한 중재

전⋅후의 평가결과 비교

1) 중재 전⋅후의 purdue pegboard test 변화

선택적 과제 지향적 활동에 대한 중재 전⋅후

purdue pegboard test의 변화는 각각 오른쪽 편마비 환

자의 경우 purdue(R)항목은 4.20±3.83에서 6.60±3.29으로, purdue(L)항목은 8.20±4.76에서 10.00±4.18으로, purdue(B)항목은 3.20±2.95에서 5.40±2.70로 모든 항목

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표 3). 왼쪽 편마비 환자의 경우 purdue(R)항목이

8.25±1.50에서 10.50±1.73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p<.05), 나머지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4).

ItemPre

(M ± SD)Post

(M ± SD)t (p)

purdue(R) 4.20 ± 3.83 6.60 ± 3.29-9.798 (.001)*

purdue(L) 8.20 ± 4.76 10.00 ± 4.18-4.811 (.009)*

purdue(B) 3.20 ± 2.95 5.40 ± 2.70-11.00 (.000)*

*p<.05

Table 3. Rt. Hemipligia Pt. Pre-post comparison ofintervention through purdue pegboard test

2) 치료 중재 전․후의 Box & block test(BBT) 변화

선택적 과제 지향적 활동에 대한 중재 후 Box & block test(BBT)의 변화는 각각 오른쪽 편마비 환자의

경우 BBT(R)항목은 28.60±24.86에서 32.60±25.89으로, BBT(L)항목은 46.80±18.02에서 49.40±18.69로 모든 항

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표 5), 왼쪽 편마비 환자의 경우 BBT(R)항목은

50.25±14.03에서 52.00±14.07로, BBT(L)항목은 39.25± 11.09에서 41.00±11.94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

를 나타내었다(p<.05)(표 6).

ItemPre

(M ± SD)Post

(M ± SD)t (p)

BBT(R) 28.60 ± 24.86 32.60 ± 25.89-5.164 (.007)*

BBT(L) 46.80 ± 18.02 49.40 ± 18.69-6.500 (.003)*

purdue(B) 3.20 ± 2.95 5.40 ± 2.70-11.00 (.000)*

*p<.05

Table 5. Rt. Hemipligia Pt. Pre-post comparisonof intervention through BBT

ItemPre

(M ± SD)Post

(M ± SD)t (p)

BBT(R) 50.25 ± 14.03 52.00 ± 14.07-3.656 (.035)*

BBT(L) 39.25 ± 11.09 41.00 ± 11.94-3.656 (.035)*

purdue(B) 3.20 ± 2.95 5.40 ± 2.70-11.00 (.000)*

*p<.05

Table 6. Rt. Hemipligia Pt. Pre-post comparisonof intervention through BBT

Age

30~40 1 11.150~60 2 22.260~70 2 22.270~80 4 44.4

LesionRingt 5 55.5Left 4 44.4

ItemPre

(M ± SD)Post

(M ± SD)t (p)

purdue(R) 8.25 ± 1.50 10.50 ± 1.73-9.000 (.003)*

Table 4. Lt. Hemipligia Pt. Pre-post comparison ofintervention through purdue pegboard test

purdue(L) 6.75 ± 4.86 7.75 ± 4.99-2.449 (.092)

purdue(B) 4.75 ± 1.71 5.25 ± 2.06-1.732 (.182)

*p<.05

Page 6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3) 치료 중재전⋅후 Jensen-Taylor hand function

test(JTHFT)의 변화

선택적 과제 지향적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중재 전ㆍ후 Jensen-Taylor hand function test(JTHFT)의 변화를

보면, 오른쪽 편마비 환자의 경우 Card turning항목은

2.80±2.77에서 5.20±2.28으로, Simulated feeding항목은

7.40±5.90에서 10.00±5.10로, Large light object항목은

Item Pre(M ± SD) Post(M ± SD) t (p)

WritingRight 3.60 ± 4.16 4.00 ± 4.24 - 1.63(.178)Left 7.00 ± 7.00 8.80 ± 6.02 - 3.67(.021)*

Card turningRight 2.80 ± 2.77 5.20 ± 2.28 - 9.79(.001)*Left 6.40 ± 4.56 8.20 ± 4.66 - 9.00(.001)*

Small objectsRight 6.00 ± 5.48 6.60 ± 5.13 - 2.45(.070)Left 8.40 ± 4.77 10.00 ± 4.53 - 6.53(.003)*

Simulated feeding Right 7.40 ± 5.89 10.00 ± 5.10 - 3.20(.033)*Left 7.80 ± 3.49 10.00 ± 3.67 -11.00(.000)*

CheckersRight 5.20 ± 5.36 5.80 ± 5.59 - 1.50(.208)Left 8.40 ± 2.70 10.80 ± 3.03 - 9.80(.001)*

Large light objectRight 5.20 ± 4.97 7.60 ± 4.10 - 4.71(.009)*Left 6.80 ± 3.83 8.80 ± 3.83 - 4.47(.011)*

Large heavy objectRight 5.00 ± 4.85 5.60 ± 4.83 - 2.45(.070)Left 6.40 ± 3.78 8.60 ± 3.65 - 5.88(.004)*

*p<.05

Table 7. Rt. Hemipligia Pt. Pre-post comparison of intervention through JTHFT

Item Pre(M ± SD) Post(M ± SD) t (p)

WritingRight 11.00 ± 2.71 12.75 ± 2.50 - 7.00(.006)*Left 11.00 ± 1.83 11.25 ± 1.50 - 1.00(.391)

Card turningRight 6.00 ± 1.83 7.50 ± 1.91 - 5.20(.014)*Left 5.25 ± 2.63 4.25 ± 3.20 2.45(.092)

Small objectsRight 10.75 ± 2.63 12.50 ± 2.38 - 7.00(.006)*Left 6.50 ± 5.00 6.75 ± 4.65 - 1.00(.391)

Simulated feeding Right 10.00 ± 1.41 12.25 ± 1.26 - 9.00(.003)*Left 9.25 ± 3.86 12.00 ± 3.46 - 5.75(.010)*

CheckersRight 9.00 ± 0.82 14.25 ± 0.50 -10.97(.002)*Left 9.50 ± 2.52 9.50 ± 3.70 0.00(1.00)

Large light objectRight 9.25 ± 0.50 11.50 ± 1.00 - 9.00(.003)*Left 7.50 ± 3.79 10.00 ± 3.37 - 8.66(.003)*

Large heavy object

Right 10.75 ± 1.26 13.00 ± 0.00 - 3.58(.037)*Left 7.75 ± 3.59 8.25 ± 3.86 - 1.73(.182)

*p<.05

Table 8. Lt. Hemipligia Pt. Pre-post comparison of intervention through JTHFT

5.20±4.97에서 7.60±4.1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으나(p<.05), 나머지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표 7). 왼쪽 편마비 환자의 경우 Simulated feeding항목은 9.25±3.86에서 12.00±3.46로, Large light object항목은 7.50±3.79에서 10.00±3.37으로 유의하였

으나(p<.05), 나머지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표 8).

Page 6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1

Ⅴ. 고 찰

뇌졸중 발병 후 환자의 신체적 독립과 일상생활활

동은 손상된 영역과 재활치료의 시작시기가 매우 중

요한 요소이며, 발병 후 환자의 장애를 최소화 하고

일상생활활동의 수행능력을 빠르게 회복시키기 위해

다양한 재활치료가 필요하다(Andrews & Bohannon, 2003). 현재 임상현장에서 다양한 치료방법들이 뇌졸

중 환자들에게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최근 가

장 많이 연구되어지는 재활치료기법 중 과제 지향적

접근법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상생활활동에 적용하기 적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환자가 스스로 선택하는 과제 지향적 활동을 적용했

을 때 상지기능에 얼마만큼 향상되는가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과제 지향적 접근법을 이용한 치료는

뇌졸중 환자에게 실제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능력 향

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과제들로 구성되어 여러 기

능적 활동을 효과적으로 연습 할 수 있는 치료방법이

다(Carr & Shepherd, 2003). 또한 환자가 능동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면서 다양한 감각적 자극에 희한 되먹

임 조절을 통해 신경학적 내적 모형을 확립할 수 있

고, 상지 운동 패턴의 향상, 대뇌겉질 영역의 구조적

가소성과 재조직화를 유도 할 수 있다(Lee, 2002). 과제 지향적 접근법은 재활치료에서 환자의 의지에 의

한 적극적인 참여여부가 치료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

한다. Bandura(1986)는 개인이 어떤 행동을 스스로 선

택하고 수행하고 자신의 의지로 조절할 수 있다는 믿

음과 자신의 행동이나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능력에 대한 믿음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있어서 중

요한 요소라고 한다. 뇌졸중 환자치료에서 환자의 의

지와 동기는 운동기능 회복과 접한 관련이 있다고

한다(Shin et al, 2002; Wee et al., 2002; Choi, 2004). 과제 지향적 접근법은 기존에 단일동작 반복훈련 치

료법과 다르게 기능적 과제를 부여하여 환자의 자발

적인 움직임으로 능동적으로 문제해결이 되어 학습

의 효과가 뛰어나며(Carr & Shepherd, 2003), 뇌졸중

환자에게 과제 지향적 활동과제를 주면 환자의 일상

생활동작 수행능력이 향상되고 다양한 기능적 활동

을 통해 환자의 기능에 효과적인 치료법이 된다(Van

Vilet et al., 2005; Winstein et al., 2004). 또한 방요순

(2003)은 성인 뇌성마비 환자에게 과제 지향적 프로

그램으로 훈련한 경우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인다고 하였다. 이와 같

은 결과를 보면 본 연구의 선택적 과제 지향적 접근

법은 환자 스스로 치료에 참여하므로 치료중재 전․후의 상지기능의 향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과제 지향적 상지 운동은 손상 받지

않은 상지보다 손상측 상지의 능동적인 사용을 조장

하며, 운동 기능을 최대화하고 회복하는데 치료의 목

표를 둔다(Dromerick et al., 2000). 이에 Wu 등(2000)은 실제 동전이 있는 상태에서 동전 줍기 과제가 더

욱 빠른 움직임을 가능케 한다고 보고하여 과제 지향

적 운동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과

제 지향적 상지운동은 대뇌 피질의 재조직화를 유도

하고(Jang et al., 2003), 상지 운동 패턴의 향상 및 기

민성과 조작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Lee, 2002)

본 연구에서 과제 지향적 운동 접근에 적용된 과제

는 대상자들의 기능 수준에 맞게 쥐기 자세, 도움의

정도, 방향, 거리, 무게,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하였으

며, 이 기준은 대상자의 기능 회복 정도에 따라 같은

수준으로 혹은 단계적으로 적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직접 그룹화 되어있는 과제를 선택하고

선택한 과제부터 수행 할 수 있도록 8개 과제들을 2개씩 총 4개의 그룹화를 시켜 놓았다. 이러한 환자-중심(client-centered)의 치료는 과제 수행 시 동기 부여를

해주며 강한 동기부여는 기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Darrab & Battlett, 1995).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

은 본인의 기능 수준에 맞게 선택하고 실행할 수 있

는 과제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전반적인 치료과정에서

만족함을 표현하였다. Michaelsen등(2006)은 뇌졸중 발

병 1년이 넘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경도나 중등도

의 상지기능 손상이 있는 경우 과제 지향적 훈련이

상지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또한 반복적

인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영

향을 미치며 특히 일상생활활동 기능에 충분한 효과

가 있다고 한다(French et al., 2008). Blennerhassett와

Dite(2004)는 과제 지향적 상지기능훈련이 일상생활활

동 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한다. Wu 등(2000)은 과

Page 6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제 지향적 활동에 실제 과제를 포함시키는 반복 연습

을 시킨 환자에서 과제 수행시 시간 단축과 효율성을

높인다고 하였다. Gergory 등(2004)은 뇌졸중 환자에

게 과제 지향적 훈련을 일상생활 환경 내에서 목표

지향적(goal-directed)연습으로 기능적인 움직임들을 수

행하도록 특정한 기능적 과제를 제공하면 상지 기능

향상에 기여한다고 하였다. 최근 많은 연구보고에서

과제 지향적 훈련이 환자의 운동기능에 효과가 있다

는(van Peppen et al., 2004; Winstein et al., 2004) 보고

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Ⅵ. 결 론

본 연구는 선택적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를 통해 발

병한지 1년 미만의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관절운

동범위와 대운동 동작, 소운동 동작 및 미세 운동 등

여러 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했을 때 상지 기능향상을

보고자 하였다. 과제 지향적 치료 중재 후 상지기능의

변화를 보면, 1. 상지 전반의 기민성 검사에서 오른쪽 편마비의

경우 모든 기능이 향상되었고, 왼쪽 편마비의 경

우 우세손인 오른손 기능만 향상되었다. 2. 상지의 미세운동 협응력 검사에서 오른쪽과 왼

쪽 편마비 환자가 모든 기능이 향상되었다. 3. 손기능을 검사한 경우 ,오른쪽 마비 환자는 일부

항목의 오른쪽 부분과 왼쪽 마비 환자도 일부 항

목의 왼쪽 부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선택적 과제 지향적 접근법을 이

용한 훈련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 특히 뇌졸

중 환자의 상지운동기능의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따라서 과제 지향적 상지운동프로그램을 임상에서 환자

들에게 적용할 경우 환자 스스로 재활운동에 참여하

게 되어 상지기능회복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

이다.

참고문헌

Gang, Y. J., (2004). Survey on the integration of vocational ability assessment system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10: 1-134. Park, S. J, .Bae, S, Y., (2012). The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ADL Performance, Balance and Satisfa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2), 1-11.Bang, Y. S,. (2003). The Change of Activity of Daily

Living on Task-oriented Learning Program in Young Adult With Cerebral Pals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1(2), 87-99.Bang, Y. S,. (2007). The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3), 49-61.Shin S. H., Ko, M. H., & Kim Y. H.,. (2002). Effect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Brain Injury. Th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6(1), 1-8.Wee J. S., Han J. Y., Lee S. G., & Rowe G. M.,.

(2002). Brief Cognitive and Visuospatial Assessment for Patient with Stroke and Correla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Functional Outcome.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6(3), 237-242.Lee, J. H., (2002). The effect of task-oriented movement

therapy on upper motor function, patterns and

reorganization of motor network for stroke patients. A doctorate; a doctoral degree, Daegu: Daegu University.

Choi, J W.,. (2014). The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Program on Bal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in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A master´s degree, Chungbuk: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an, T. L., & Bang M. S., (2008). Rehabilitation

Page 6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3

Medicine 3rd. Seoul: Koonja.Amit, K. M., & Sunil, P. M. (2009).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task oriented approach on recovery of upper-extremity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The In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2), 31-36.Andrews, A. W., & Bohannon, R. W. (2003).

Short-Term Recovery of Limb Strength After Acu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84, 125-130.

Bandura, A. (1986). Self-efficacy: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 action, a social cognition theory. New Jersey; Prentice Hall.

Blennerhassett, J., & Dite, W. (2004). Additional task-related practice improves mobility and upper limb function early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ail. Aust J Physiother, 50(4), 219-224.

Carr J. H. & Shepherd R. B. (2000). In movement

science foundations for physical therapy in

rehabilitation. Austin, Pro-Ed.Carr J. H. & Shepherd R. B. (2003). Stroke

Rehabilitation. Newton, MA: Butterworth-Helenemann.Cromwell, R. E., Olson, D. H., & Fournier, D. G.

(1976). Tools and techniques for diagnosis and evaluation in marital and family therapy. Fam Process, 15(1), 1-49.

Darrab, J., & Battlett, D. (1995). Dynamic System Theory and Manage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nresolved Issues. Infants and Young

Childeren, 8(1), 52-9.Dromerick, A. W., Edwards, D. F., & Hahn, M. (2000).

Does the Application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During Acute Rehabilitation Reduce Arm Impairment After Ischemic Stroke? Stroke, 31(12), 2984-2988.

French, B., Leathley, M., & Sutton, C. (2008). A systemic review of repetitive functional task practice with modelling of resource use costs and effectiveness. Health Technol Assess, 12(30), 1-117.

Gergory, T. T., Dean, C. M., & Gentile, A. M. (2004). Rehabilitation of reaching after stroke: task-related

training versus progressive resistive exercise. Arch

Phys Med Rehabil, 85(10), 1613-1618.Jang, S. H., Kim, Y. H., Cho, S. H., Lee, J. H., Park, J.

W., & Kwon, Y. H. (2003). Cortical reorganization induced by task-oriented training in chronic hemiplegic stroke patients. Neuroreport, 14(1), 137-141.

Jebsen, R. H., Taylor, N., Trieschmann, R. B., et al., (1969). An objective and standardized test of hand function. Arch Phys Med Rehabil, 50, 311-319.

Liepert, J., Miltner, W. H., Bauder, H., Sommer, M., Dettmers, C., Taub, E., & Weiller, C. (1998). Motor cortex plasticity during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stroke patients. Neuroscencei Letters, 250(1), 5-8.

Mathiowetz, V., Volland, G., Kashman, N., & Weber, K. (1985). Adult norms for the Box and Block Test of manual dexterity. Am J Occup Ther, 39(6), 386-91.

Michaelsen, S. M., Dannenbaum, R., & Levin, M. F. (2006). Task-specific training with trunk restraint on arm recovery in stroke: randomized control trial. Stroke, 37, 186-192.

Nakayama, H., Jorgenson, H. S., Raaschou, H. O., & Olsen, T. (1994). Compensation in recovery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fter stroke: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5(8), 852-857.O’Sullivan, S. B., & Schmitz, T. J. (1994).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3rd, F.A. Davis.

Ryerson, S., & Levit, K. (1997). Functional Movement

Reeducation. Washington, Churchill Livingston, 30-38.Sharp, S. A., & Brouwer, B. J. (1997).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 of Phys Med Rehabil, 78(1), 1231-1236.

Taub, E., Miller, N. E., Novak, T. A., Cook, E. W., Fleming, W. C., Nepomuceno, C. S, Connell, J. S., & Crago, J. E. (1993). Technique to improve chronic motor deficit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4(4), 347-354.

Page 6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제2호

Tiffin, J. (1968). Purdue peg board examiner manual. Chicago: Science Research Associates.

Trombly, C. A., Radomski, M. V., Trexel, C., & Burnet-Smith, S. E. (2002). Occupational therapy and achievement of self-identified goals by adults with acquired brain injury: phase II. Am J Occup Ther. 56(5), 489-98.

Van peppen RP , Kwakkel G & Wood-Dauphinee S et al. (2004). The impact of physical therapy on functional outcomes after stroke: what's the evidence. Clin Rehabil, 18(8), 833-62.

Van Peppen, R. P., Kwakkel, G., Wood-Dauphinee, S., Hendricks, H. J., Vander Wee, P. J., & Dekker, J. (2004). The impact of physical therapy on functional outcomes after stroke: what’s the evidence. Clinical

Rehabilitation, 18(8), 833-862.Van Vliet, P. M., Lincoln, N. B., & Foxall, A. (2005).

Comparison of Bobath based and movement science based treatment for stroke :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76(4), 503-508.Winstein, C. J., Rose, D. K., & Lewthwaite, R. (2004).

A randomized controlled comparison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strategies in acute stroke: a pilot study of immediate and long-term outcomes. Arch Phys Med

Rehabil, 85, 620-628.Winstein, C. J., Rose, D. K., & Tan, S. M. (2004). A

randomized controlled comparison of upper-extremity rehabilitation strategies in acute stroke : A pilot study of immediate and long-term outcom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4), 620-628.Wu, C., Trombly, C. A., & Lin, K. (2000). A kinematic

study of contextual effects on reaching performance in persons with and without stroke: Influence of object availabili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1(1), 95-101.

Page 6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5

Abstract

Influence of selective task-oriented activity of adult stroke patient on

upper limb movement

Kim, Dong-Woo, Kim, Su-Jin, Seo, Yeon-Jeong, Oh, Hyun-suk, Park, Su-Jong, Kim, Jeong-Ki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aegu Health University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ask-oriented activity on the en-hancement of upper limb movement of a stroke patient, by comparing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of selective task-oriented activities

Methods : Subjects were selected as 9 adult stroke patients who developed the illness in less than one years, more specifically from the March to May of year 2016. 4 types of grouped task-ori-ented programs were selectively conducted. The subjects the programs for total 4 weeks, 5 sessions a week, and 30 minutes per session, following their selections in the first week.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ir upper limb movement,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Purdue pegboard test, and Box and block test were u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Results : The upper limb movement of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of selective task-oriented activity. In case of right-side hemiplegic patients, the results of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 left-side hemiplegic pati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BT, and JTHFT (Simulated feeding) (p<.05).

Conclusion : The training programs using the selective task-oriented approach has helped improve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especially the upper limb movement. Therefore, the task-oriented upper limb exercise program shall be clinically applied to effectively help improve the upper limb motor ability of stroke, by promoting patients to actively take part i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Key Words : Task-oriented Activity, Upper Extremity Function, Stroke

Page 7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Page 7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제1장 총칙

제1조 (명칭)

본 회는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이하 “본 학회”라

한다)라 칭하며, 영문 표기는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약칭: OTAD)라 한다.

제2조 (목적)

본 학회는 고령자와 치매관련 작업치료의 연구를

통하여 고령자와 치매작업치료의 학술적 발전을 도모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 (사무소)

본 학회의 주 사무소는 학회장이 지정한 곳에 두는

곳을 원칙으로 한다.

제4조 (사업)

본 학회는 제2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사업을 수행한다.① 학술지 발간사업

② 고령자 ・ 치매전문작업치료사 양성교육에 관한

사업

③ 국내외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 관련 학문교류에

관한 사업

④ 기타 본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제2장 회원

제5조 (구성)

학회의 회원은 정회원, 명예회원으로 한다.

제6조 (회원의 자격)

본 학회의 회원 자격은 아래와 같다.① 정회원: 고령자와 치매에 관심이 있고 관련분야

에 종사하거나 이에 상당하는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 학회에 가입하여 회비를 납부한자

② 명예회원: 본 학회의 발전에 현저한 공로가 있

는 개인 또는 전체

제7조 (회원의 권리, 의무)

본 학회의 회원은 다음 각 호의 권리와 의무를 진다.① 회원은 학회의 운영규정을 준수하고, 학회가 정

한 입회금, 회비, 기타 교육 등에 참가할 경우

학회가 정하는 부담금을 납부하여야 한다.② 회원은 본 학회가 주관하는 학술활동에 적극적

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제8조 (회원의 관리)

전항의 의무를 이행한 회원은 다음 각 호의 권리를

갖는다.① 운영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발의권, 의결권,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가진다.② 운영규정 제 4조의 사업수행에 참여할 권리를

갖는다.③ 학회가 발행하는 학회지나 각종 유인물 등을 제

공받는다.④ 회원은 탈퇴 절차를 거쳐 탈퇴할 수 있다.

제9조 (회원의 징계)

① 본 학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자는 이사회의 결의

에 따라 징계를 내릴 수 있다.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정관

Page 7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제3장 임원

제10조 (임원의 종류)

본 학회의 임원은 이사와 감사로 나눈다.① 회장 1인② 부회장 1인③ 이사 50인 이내

④ 감사 2인

제11조 (임원의 자격)

임원의 자격은 학회 정관에 의한 회원의 의무를 성

실히 이행한 자로 한다.

제12조 (임원의 직무)

① 회장은 학회를 대표하고, 총회 및 이사회의 의

장이 되어 회무를 총괄한다.② 이사는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학회의 각종 업

무를 의결, 분장, 운영하며 이사회 또는 회장으

로부터 위임받은 업무를 수행한다.③ 감사는 재산상황, 이사회의 운영과 업무에 관한

사항을 감사하며 부당한 점이 있을 때, 이사회, 총회에 그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

제13조 (임원의 선임)

① 학회의 회장,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한다.② 임명직 이사는 회장의 추천에 의해 총회의 인준

을 받아야 한다.

제14조 (임명직 이사의 해임)

임명직 이사가 다음 각 1에 해당할 때는 총회의 의

결을 거쳐 해임한다.① 제9조의 규정에 의하여 징계 처분되었을 때

② 학회의 목적에 반하는 행위를 한 때

③ 임원으로서 직무를 태만히 할 때

④ 3년 기간동안 이사재임기간 중 개최되는 이사회

(임시이사회포함)에 50%이상 불참시 이사 재신

임 여부를 묻는다.

제15조 (임원의 보선)

학회의 임원 중에서 결원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결

원일로부터 2월 이내에 보선하여야 한다. 다만, 학회

의 업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의결

을 거쳐 차기 총회까지 그 보선을 연기할 수 있다.제16조 (임원의 임기)

① 회장, 임명직 이사, 감사는 각각 3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다만, 제15조의 규정에 의하여

보선된 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기간으로

한다.② 임원의 임기가 만료되더라도 차기임원이 선출

될 때까지는 그 직무를 계속 수행하여야 한다.

제4장 총회

제17조 (구성 및 의결정족수)

① 학회는 최고 의결기관으로 총회를 둔다.② 총회는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로 구분하여 개최

한다.③ 정기 총회는 연 1회 정기학술대회 기간 중에 회

장이 소집하고, 임시총회는 정회원의 1/3이상의

요구가 있거나, 감사의 요구에 따라 회장이 이

를 소집한다.④ 총회는 출석인원으로 성립되고 모든 의결은 참

석인원의 과반수로 의결한다.

제18조 (총회의 의결사항)

총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① 학회 해산에 관한 사항

② 정관 변경에 관한 사항

③ 회장단, 감사의 선출에 관한 사항

④ 임명직 이사의 인준에 관한 사항

⑤ 예산 및 결산의 승인에 관한 사항

⑥ 주요 사업계획 승인에 관한 사항

⑦ 이사회에서 부의하는 사항

제5장 이사회

제19조 (구성 및 의결정족수)

① 학회는 회무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 의결하기

Page 7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위하여 이사회를 두고 회장이 그 의장이 된다.② 이사회는 재적이사 과반수의 출석으로 성립하

며, 출석이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20조 (이사회의 개최)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 및 실행이사회

로 구분한다.1) 정기이사회는 매년 1회 회장이 소집하여 개최

한다.2) 임시이사회와 실행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유

가 있을 때에 회장이 소집하여 개최한다.① 회장이 이사회의 소집이 필요하다고 요구

한 때

② 재적이사 3분의 1이상 또는 감사가 감사결

과를 보고하기 위하여 이사회의 소집을 요

구한 때

3) 이사회의 소집은 회의개최 15일전에 그 회의의

목적, 의결사항 또는 보고사항, 일시 및 장소 등

을 기재한 서면에 의하여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제21조 (이사회의 의결사항)

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① 총회에서 위임받는 사항

② 정관에 의하여 그 권한에 속하는 사항

③ 사업계획 수립 및 집행에 관한 사항

④ 예산 결산서 작성에 관한 사항

⑤ 총회에 부의할 안건에 관한 사항

⑥ 기타 주요 사항

제22조 (실행이사회 구성, 임무 및 기타사항)

① 실행이사회 구성은 회장을 의장으로 하고 일반

이사 중에서 10명 이내로 선정후 학회에서 개최

되는 모든 회의에 필수적으로 참석하여야 한다.② 이사회의 대표로서 실행이사회에 결정된 사항은

학회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이사회에서

의결된 사항과 동일한 효력을 발휘하고 시행된다. ③ 실행이사회 개최 및 의결사항은 이사회 개최 및

의결사항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6장 편집위원회

제23조 (구성)

① 이사회에서는 본 학회의 학회지 발간을 위하여

편집위원회를 둔다.② 편집위원회는 편집위원장 1인, 편집위원 5인 이

상, 심사위원 30인 이상으로 구성한다.③ 본 학회 편집위원과 심사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고, 논문의 성격에 따라 임시 위원을 선정할

수 있다.

제24조 (자격)

① 편집위원장은 학회 회원 중에 회장이 추천하여

이사회에서 의결한다.② 편집위원은 학회 회원 중에 편집위원장의 추천

을 받아 회장이 위촉한다.③ 심사위원은 편집위원장의 추천을 받아 회장이

위촉한다.

제25조 (임무)

① 편집위원회는 1년에 2회 학회지를 발간한다.② 학회지의 발간 시기는 매년 4월 30일, 11월 30

일을 원칙으로 한다.③ 편집위원회는 논문투고 및 논문심사를 위한 규

정을 별도로 둔다.④ 발행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학회지 발행 업무

를 관할한다.⑤ 심사위원은 학회지 심사업무를 담당한다.

제7장 재정 및 회계

제26조 (재원)

학회의 재정은 다음 각 호의 수입금으로 충당한다.① 입회비

② 회비

③ 교육비

④ 기타 수입금

Page 7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제27조 (자산관리 및 예산집행)

① 학회의 자산은 회장 책임 하에 금융기관에 예금

하고 관리 운영하며, 승인 및 예산 규정에 따라

집행하며, 그 밖의 중요한 예산은 이사회의 의

결에 따라 집행한다.

제8장 징계

제28조 (징계)

회원으로써 다음의 각호에 해당하는 자에 대하여는

이사회의 의결로써 경고, 견책, 자격정지, 또는 그 이

상의 적응한 징계를 취한다.① 본회의 명예를 훼손한 자

② 소정의 회비를 2년간 체납한 자

③ 회원으로써 부여된 의무를 태만하게 여기는 자

제9장 사무국

제29조 (사무국 및 직원)

본회의 사무를 집행하기 위해 사무국을 둘 수 있

으며, 유급 또는 무급직원(아르바이트 학생)을 둘 수

있다.

제10장 보칙

제1조 (학회해산)

본 학회를 해산하고자 할 때에는 총회에서 회원 4분의 3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하여 해산한다.

제2조 (학회 해산 시 재산처리)

본 학회가 해산할 때 잔여재산은 국가 지방자치단

체 또는 본 학회와 유사한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에

기증한다.

제3조 (서면결의)

본회의 의결사항 중 정관개정에 관한 사항은 서면

결의를 할 수 없다. 다만 이외의 의결사항은 서면결의

할 수 있다.

제4조 (준용)

본 정관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민법 중 사단법

인에 관한 규정과 보건복지부 비영리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을 준용한다.

부 칙

본 회칙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일반 관례에 의

한다.본 회칙은 2007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본 회칙은 2007년 9월 8일부터 시행한다.본 회칙은 2008년 4월 24일부터 시행한다.본 회칙은 2011년 5월 1일부터 시행한다. 본 회칙은 2013년 2월 9일부터 시행한다.

Page 7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Ⅰ. 일반규정

본 학회지의 논문의 편집 방향은 작업치료 관련 분야의 논문을 투고 받아 전공별 심사위원들의 심사를 거쳐

게재함으로서 고령자⋅치매와 관련된 작업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임과 동시에 고령자⋅치매치료분야의 학문적

연구와 새로운 이론을 점검하여 작업치료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1. 본 학회지는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본 학회지는 고령자⋅치매작업치료와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① 노인관련 작업치료

② 노인관련 건강증진

③ 노인복지

④ 노인직업훈련

⑤ 일상생활환경

⑥ 인지 및 지각관련

⑦ 지역사회재활

⑧ ADL 및 보조도구

⑨ 노인주거환경

⑩ 연하장애

⑪ 교육관련

⑫ 기타 노인관련분야

3.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4.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3월 31일, 10월 31일까지 고령자⋅치매작

업치료학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서약 및 저작권이양동의서를 함께 제출

해야 한다.

5.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고령자・ 치매치료학회지 투고규정

Page 7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6.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 20부를 기본으로 하면 별쇄본은 자비 부담으로 한다.

7.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제1 저자 및 교신저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하여야 한다.

8.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

송한다.

9. 본 학회지에 게재되는 모든 원고에 대한 저작권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가 소유한다.

Ⅱ.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본 학회지의 논문 투고를 위해서는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3. 제출된 원고는

⑴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 는 소문자를 사용

한다.⑷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⑸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영문으로 표기한다.⑹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

하여야 한다. ⑺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 에 첨부한다.(단, 영

문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⑻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⑼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2매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초과할 경우의 추가 비용은 저자가

부담한다.

4. 본문 내 문헌 인용 시에는 해당부위에 저자명과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며 어깨번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국내 문헌과 국외 문헌 모두 영문으로 작성하며,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은 ‘와(과)’로 연결

한다. 3∼5인의 경우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그 이후에는 제 1저자명 뒤에 ‘등’을 붙인다. 단

저자명을 문장의 끝에 표기할 경우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과 국외문헌 모두 영문으로 시작하며 저자가 2인인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로 연결하며, 저자가 3∼5인인 경우 첫 인용 시에만 전제저자를 표기하고

그 이후에는 제 1저자명 뒤에 ‘et al’을 붙인다. 또한 6인 이상이거나 3∼5인의 재인용일 경우 국내문헌과 국

외문헌 모두 ‘et al’을 붙인다.

Page 7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⑴ 저자명을 주어로 사용한 경우

- 저자가 1인인 경우 예) Kim(2000)은

- 저자가 2인인 경우 예) Jo와 Kim(2003)은, Song과 Jones(1984)는- 저자가 5인인 이상인 경우 예) Jang, Kim, Park과 Ahn(2013)은

- 저자가 6인 이상인 경우 예) Kim 등(2013)은, Jane 등(1922)은⑵ 문장 끝에 표기하는 경우: 여러 문헌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으로 나누 어 표기하며 국내문

헌과 외국문헌 모두 ABC순으로 작성한다. 예) … 라고 하였다(Kim et al., 1999; Rachale et al., 2000; Ottenbacher et al., 1988; Posner & Berk, 1980).

5.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국내문헌과 국외문헌 모두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국내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순으로, 그 외 참고문헌의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국외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

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다.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

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한글로 제시된 문헌은 ‘,’, 그 외 문헌은 ‘&’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7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7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 을 제6저자까지만 나열(‘&’생략)한 후 제 6저자명 뒤에 ‘...’을 삽입하고 마지막 저자명을 표기한다.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1)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Lee, J. S., & Jeon, B. J. (2008). A study on the balance ability and obesity of rural elderly persons in Nonsan. Journal ofKorean SocietyofOccupational Therapy, 16(1), 55-66.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예) Sillick, T. J., & Schutte, N. S. (2006).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mediate between perceived early parental love and adult happiness. E-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2), 38-48. Retrieve from http://ojs. lib. swin.deu.au/index.php/ejap

(2)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예) Kang, D. H., Yoo, E. Y., Chung, B. I., Jung, M. Y., Chang, K. Y., & Jeon, H. S. (2008). The

application of client-centred occupational therapy for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5, 253-268. doi:10.1002/oti.258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김경미, 이재신. (1997). 작업치료. 서울, 한국: 정담

예) Mattingly, C., &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age 7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예) 이지연. (2007). 조기중재. 정민예, 아동작업치료 (pp. 27-43). 서울, 한국: 계축문화사.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 B. A. Boyt

Schell (Eds.), Willard &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예) Exner, C. E. (2001). Development of hand skills. In J. Case-Smith(Ed.),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4th ed., pp. 289-328). St. Louis, MO: Mosby.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1)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예) Kim, J. K. (2002). he effects of the universal cuff on upper limb motion during feeding in healthy

subjects(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2)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예) 최혜숙, 권혜련, 김성원, 김수일, 박수현, 양경희, ... 채수경. (역) (2007). 작업치료학. 서울, 한국: 현문사.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예) 강대혁. (2003, 여름). 세계 보건의료를 선도하는 작업치료. 작업치료, 21, 6-7.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예) Performance Enterprises. (2000). Dynavision 2000 operating manual [Brochure]. Markham, Canada: Author.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Page 7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1)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대한작업치료사협회. (2005). 2005년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수가산정. http://www. kaot.org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2)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ments_ 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6.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Page 8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논문제목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정이 요구됩니다.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은 전자메일을 이용하거나 홈페이지 논문투고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아래⋅좌⋅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

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고령자⋅치매치료학회지 저자 점검표

Page 8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영어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에는 해당부위에 저자명과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며 어깨번호를 사용하지 않

는다. 국내 문헌과 국외 문헌 모두 영문으로 작성하며,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은

‘와(과)’로 연결한다. 3∼5인의 경우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그 이후에는 제 1저자명

뒤에 ‘등’을 붙인다. 단 저자명을 문장의 끝에 표기할 경우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과 국외문헌 모두

영문으로 시작하며 저자가 2인인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로 연결하며, 저자가 3∼5인인 경우 첫

인용 시에만 전제저자를 표기하고 그 이후에는 제 1저자명 뒤에 ‘et al’을 붙인다. 또한 6인 이상이거

나 3∼5인의 재인용일 경우 국내문헌과 국외문헌 모두 ‘et al’을 붙인다. ⑴ 저자명을 주어로 사용한 경우

- 저자가 1인인 경우 예) Kim(2000)은

- 저자가 2인인 경우 예) Jo와 Kim(2003)은, Song과 Jones(1984)는

- 저자가 5인인 이상인 경우 예) Jang, Kim, Park과 Ahn(2013)은

- 저자가 6인 이상인 경우 예) Kim 등(2013)은, Jane 등(1922)은⑵ 문장 끝에 표기하는 경우: 여러 문헌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으로 나누어 표기하며

국내문헌과 외국문헌 모두 ABC순으로 작성한다. 예) … 라고 하였다(Kim et al., 1999; Rachale et al., 2000; Ottenbacher et al., 1988; Posner & Berk,

1980).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1)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Lee, J. S., & Jeon, B. J. (2008). A study on the balance ability and obesity of rural elderly persons in Nonsan. Journal ofKorean SocietyofOccupational Therapy, 16(1), 55-66.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예) Sillick, T. J., & Schutte, N. S. (2006).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mediate between perceived early parental love and adult happiness. E-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2), 38-48. Retrieve from http://ojs. lib. swin.deu.au/index.php/ejap

(2)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예) Kang, D. H., Yoo, E. Y., Chung, B. I., Jung, M. Y., Chang, K. Y., & Jeon, H. S. (2008). The

application of client-centred occupational therapy for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5, 253-268. doi:10.1002/oti.258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Page 8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김경미, 이재신. (1997). 작업치료. 서울, 한국: 정담

예) Mattingly, C., &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이지연. (2007). 조기중재. 정민예, 아동작업치료 (pp. 27-43). 서울, 한국: 계축문화사.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

B. A. Boyt Schell (Eds.), Willard &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예) Exner, C. E. (2001). Development of hand skills. In J. Case-Smith(Ed.),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4th ed., pp. 289-328). St. Louis, MO: Mosby.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1)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예) Kim, J. K. (2002). he effects of the universal cuff on upper limb motion during feeding in

healthy subjects(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2)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예) 최혜숙, 권혜련, 김성원, 김수일, 박수현, 양경희, ... 채수경. (역) (2007). 작업치료학. 서울,

한국: 현문사.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예) 강대혁. (2003, 여름). 세계 보건의료를 선도하는 작업치료. 작업치료, 21, 6-7.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Page 8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예) Performance Enterprises. (2000). Dynavision 2000 operating manual [Brochure]. Markham,

Canada: Author.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1)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대한작업치료사협회. (2005). 2005년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수가산정. http://www. kaot.org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2)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 06.3_Kessy_ and_Urio.pdf _______ 국내문헌은 가나다순으로, 외국문헌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표 만들기”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Page 8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인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

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공동저자 (인)

(인) (인)

*본 저자점검표는 2016년 3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5판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고 령 자 ․ 치 매 작 업 치 료 학 회

Page 8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학 회 장 양영애/인제대학교

부 회 장 김한수/대구보건대학교

감 사 이미자/경복대학교, 장 철/경남정보대학교

학 술 이 사 오혜원/우석대학교, 박수희/호남대학교

총 무 이 사 김정기/대구보건대학교, 신중일/호남대학교

기 획 이 사 정복희/호원대학교, 김정자/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송보경/강원대학교, 박주형/경북전문대학교

국 제 이 사 정상미/상지영서대학교, 박주영/동주대학교

홍 보 이 사 김미점/충남도립대학교, 박보라/춘해보건대학교

재 무 이 사 정현애/동신대학교, 박수정/대구보건대학교

정 보 이 사 홍재란/광양보건대학교, 유찬욱/한려대학교

이 사 박소연/한서대학교, 백현희/광주대학교, 황기철/백석대학교,

김환중/우석대학교, 양경희/경복대학교, 이선명/마산대학교,

채경주/경복대학교, 최혜숙/동남보건대학교, 배주한/구미대학교,

양경옥/한영대학교, 김행란/아주대학교병원, 김은정/광양보건대학교,

한승협/마산대학교, 박인혜/구미대학교, 정재엽/경북과학대학교,

윤정애/대전보건대학교, 박윤희/호원대학교, 용미현/경운대학교,

차수민/춘해보건대학교, 최정실/충북보건대학교, 김덕주/청주대학교,

김우택/백병원

편집위원장 오혜원/우석대학교

편 집 위 원 감경윤/인제대학교, 오명화/동신대학교, 이정원/여주대학교,

정민예/연세대학교, 김정기/대구보건대학교, 김미점/ 충남도립대학교,

윤정애/대전보건대학교, 신중일/호남대학교, 박수희/호남대학교,

정현애/동신대학교, 유찬욱/한려대학교, 김덕주/청주대학교,

정복희/호원대학교, 용미현/경운대학교, 송보경/강원대학교

Page 8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제10권 2호 ISSN 1976-1090

발행일 / 2016년 12월 3일

발행인 / 양영애발행처 /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우) 50834 경남 김해시 인제로 197인제대학교 G동 B215호TEL: 055-320-3799

인 쇄 /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