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
제11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 otad.or.kr ·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을 이용한 노인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하지 분석 ... 차수민, 김지연, 김다혜,

  • Upload
    others

  • View
    6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제11권 제2호

ISSN 1976-109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11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목 차/

치매 환자에서 약물치료와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의 병행 효과

박민수, 민지홍, 신용일, 고성화

1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인지자극 프로그램 효과

조승현, 양영애

11

65세 이상 노인의 인지 기능과 손의 민첩성 및 보드게임 수행도에 따른

상관관계 연구

이륜재, 김효주, 김해인, 정경진, 양영애

19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을 이용한 노인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하지 분석

유찬욱

29

뇌졸중환자의 기능수준에 따른 주돌봄자가 느끼는 돌봄부담감 및 교육요구도

차수민, 김지연, 김다혜, 박성진, 채상호, 현지은

35

정상 성인의 손 반응속도검사를 위한 Box and Block Test와 Ruler

Drop Test,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간의 상관관계

이혜진, 양영애, 김시은

47

노인을 위한 필라테스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신중일, 이혜림, 박수희

55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Ⅰ. 서 론

치매는 기억력, 언어능력, 계산능력, 시공간 능력,

개념화 및 판단력 등 여러 가지 정신 기능이 지속적

으로 저하된 상태를 의미하는 증후군이며, 이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독립수준과 삶의 참여가 저하되는 질환

의 통칭이다(Alzheimer's Association, 2014). 의학의 발

달로 생명이 연장되고 노인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면

서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 2016년 현재 우리나라의 치매 인구는 68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치매 유병율은 노인 인구의 약 8-10%

로 추정되며 65세가 지나면서 그 수가 5년마다 두 배

씩 증가하여 80세 노인의 경우는 17%, 85세 이상에서

는 30% 이상이라고 보고되어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치매를 발생시키는 주요 질환에는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에서 약물치료와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의 병행 효과

박민수* 민지홍**, 신용일***, 고성화**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융합연구소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재활의학교실 및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융합연구소

목적약물치료와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의 병행치료가 경도-중등도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에 대한 효과

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실험대조군 비교연구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및 혈관성 치매로 진단받고 도네페질을 복용

하고 있는 경도-중등도 치매 환자 40명을 대상로 무작위 선정을 통해 도네페질 단독복용군과 뇌파

기반 자가 인지훈련 병행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은 1회 30분씩 주 3회,

8주간 시행하였으며, 주의력 자가보고, 인지기능평가,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평가, 우울감 및 이상행

동평가, 삶의 질 평가를 연구 시작 전과 연구 종료 후 총 2회에 걸쳐 실시하여 각 군별 중재 전후

및 군간 기능호전 여부를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과 도네페질 투여를 병행한 그룹에서 중재 전후로 주의력 설문지 척도 점수

가 향상되었고, 글자 색채 검사시 소요 시간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약물치료를 단독으로

수행한 군과 비교하였을 때 인지기능평가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평가, 우울감 및 이상행동 평가,

삶의 질 평가에서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약물치료와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을 병행하였을 때 경도-중등도 치매 환자 스스로 느끼는 주의력

에 대한 인식과 시각적 주의력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약물치료와 비교하여 약물 및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 병행치료가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 독립수준 등에서 우월한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향후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바이오피드백 인지훈련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추가적인

중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치매, 약물치료, 뇌파기반 인지훈련, 바이오피드백

교신저자 : Ko Sung-Hwa([email protected]/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접수일 : 2017년 10월 25일∥심사일 : 2017년 12월 22일∥개재승인일 : 2017년 12월 26일

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뇌혈관의 손상으로 인한 혈관성 치매, 루이소체 치매,

전측두엽 치매 등이 있으며, 이 중 알츠하이머병과 혈

관성 치매의 유병율이 가장 높다(Alzheimer's Association,

2014). 치매 환자들이 보이는 가장 주요한 증상 중 하

나는 기억장애이며, 병이 진행함에 따라 주의력, 언어

능력, 실행능력, 시공간 능력 등의 장애가 나타나게

된다(Cummings & Benson, 1992).

이러한 치매의 증상 완화 및 유지를 위한 치료방법

은 크게 약물적 치료와 비약물적 치료로 나눌 수 있

다. 약물적 치료에는 도네페질(donepezil, Aricept®), 리

바스티그민(rivastigmin, Exelon®), 갈란타민(galantamine,

Reminyl®)과 같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가 경

도-중등도 치매 환자에게 일차 약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Doody et al., 2001). 치매 환자에게 주로 제공되

는 비약물적 치료는 약물학적 접근이 어렵거나, 약물

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경우, 혹은 사회/환경적 치

료의 중요성, 다각도의 공동 치료적 접근 필요성 등에

의해 약물적 치료와 함께 제공되는 치료로 약물학적

치료에 상호 보완적 개념으로 적용된다(Teri et al.,

2000). 치매 환자의 비약물적 치료에는 대표적으로 작

업치료, 회상치료, 음악이나 미술 등을 이용한 치료,

레크리에이션 치료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대부분의 비약물적 치료는 전반적인 치매 환

자의 기능 증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치매의 유형이

나 특정 증상의 치료를 위한 구체적이고 과학적인 치

료 접근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최근 치매 환자의 기능 증진 및 유지를 위해 바이

오피드백(Bio-feedback)의 개념을 이용하는 시도가 확

대되고 있다. 바이오피드백이란 생리학적 기능에 있

어 동작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

에서 감각 및 생체 인식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직접적

으로 과제수행자에게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이다

(Tsolaki et al., 2015). 이는 말초의 근육 움직임이나 운

동조절 등에 대한 생리학적 변화를 바탕으로 신경계

손상 환자의 운동기능 증진을 위해 주로 사용되어 왔

으나, 최근 뇌파를 이용한 다양한 뉴로피드백 재활 기

술들이 등장하고 있다. 뇌파는 뇌의 활동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자신의 뇌에 다양한 훈련을 통해 피

드백을 인지하게 되면 특정 뇌파에 대한 조절 능력을

학습할 수 있다(Ootani, Nara, Kaneko, & Okamura,

2005). 이와 같이 뇌파를 이용하여 임상학적으로 이용

하는 것을 뇌파 자기조절(electroencephalogram self-

regulation)이라 하며, 이는 뉴로피드백 전략의 하나이

다. 특히 뇌파 중 감각운동리듬(sensory motor rhythm)

은 각성의 준비상태 및 주의집중과 관련이 깊은 것으

로 알려졌으며(Sterman, 1977), 이를 기반으로 뇌병변

환자의 주의집중능력과 긴장완화 등에 뇌파 자기조절

기술을 이용하기도 한다(Machado et al., 2010).

이와 같이 기존의 약물적 치료 및 비약물적 치료의

인지기능 증진과 관련한 연구는 다수 이루어졌지만,

아직 국내에서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치료와 뇌

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의 병행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

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약물치료와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의 병행치료가 경도-중등도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변화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2014년 1월부터 2015년 9월

까지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신경과 및 재활의학과에 외

래 방문하여 진료를 받은 이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구체적인 선정 기준은 1) DSM-IV의

기준에 따라 알츠하이머병 혹은 혈관성 치매로 진단

을 받고, 2)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K-MMSE) 점수가 10점 이

상 26점 이하이며, 3) 임상치매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2 이하인 자, 4) 염산 도네피질을 복용하

고 있는 자, 5)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자, 6) 환자에 대해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보호자 및 간병인이 있으며, 임상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임상연구 참여에 본인과 보호자가

동의한 자이다. 본 연구의 참여 제외기준은 1) 시험

참여일 4주 이내에 다른 임상시험약물을 복용하거나

인지기능 호전 목적의 다른 임상연구에 참여한 자, 2)

말초성 전정 기관 장애, 간질 등의 신경학적 이유로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을 수행할 수 없는 자, 3) 중

3

증 우울증이나 정신질환을 가진 자, 4) 염산 도네페질

이나 피페리딘 유도체 또는 도네페질 구성 성분에 과

민증을 보이거나 보인 적이 있는 자이다.

본 임상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총 40명이었으며,

이 중 거주지 이전으로 인한 탈락 2명, 동의 후 철회

나 추적 조사 거부로 인한 탈락 6명, 내과적 질환 악

화로 인한 탈락 3명, 훈련 수행 기준 미달로 인한 탈

락 4명이 발생하여 최종 연구 분석 대상자는 25명이

었다. 이 중 실험군인 도네페질 복용 및 뇌파기반 자

가 인지훈련 병행군은 14명, 대조군인 도네페질 단독

복용군은 11명이었다.

2. 연구설계

본 연구는 실험대조군 비교연구로 구성되었다. 연

구 대상자는 난수표를 이용한 무작위 선정을 통해 2

개의 그룹 중 하나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군은

도네페질 복용 및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 병행군으

로, 도네페질 복용과 함께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을

연구 기간 동안 수행하였고, 대조군은 도네페질 단독

복용군으로 연구 기간 동안 도네페질만을 복용하였

다. 결과 평가를 위해 연구 시작 전과 연구 종료 후 2

회에 걸쳐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눈가림을 위해 연구

대상자의 분류를 알지 못하는 평가자가 평가를 수행

한 단일 눈가림 모델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1) 약물복용

모든 연구 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총 8주

간 도네페질을 복용하였다. 도네페질은 1일 1회, 1회

1정을 투여하였으며, 용량은 전문의의 임상적 결정에

따라 매일 5-10mg을 복용하였다. 총 투여 기간은 8주

이며, 투약 여부는 개인별 처방 기록과 보호자와의 면

담을 통해 판별하였다.

2)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

실험군에 배정된 연구 대상자는 도네페질 복용과

병행하여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을 수행하였다. 뇌

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은 연구 대상자가 보호자의 도

움을 통해 자가 수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에게 친숙

하고 집중하기 쉬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연구 대상

자의 가정에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 기기를 비치하

고, 조용하고 밝은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보호자

를 교육하였다.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은 1회 30분씩

주 3회, 총 8주간 시행하였으며, 시행 시작 시간과 종

료 시간의 프로그램 로그를 이용하여 수행 여부를 판

단하였다.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은 연구 대상자의 전두엽

부위에 밴드를 이용한 뇌파센서를 부착하고, 뇌파 분

석 알고리즘을 통해 연구 대상자의 집중 정도를 수치

화하여 이를 훈련의 컨트롤러로 사용하거나, 훈련에

있어 어드밴티지나 핸디캡을 제공하여 연구 대상자의

주의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자

가 시행한 훈련은 주의력과 단기 기억력 훈련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3. 평가도구

연구 대상자의 도네페질 단독 복용 및 도네페질 복

용과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병행에 따른 기능의 변

화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 수행 전과 연구 종료 후 평

가를 수행하였다. 기능 평가는 연구 대상자의 분류에

대해 알지 못하며, 일련의 교육을 수료하고 해당 평가

에 대해 숙달된 작업치료사에 의해 시행되었다.

1) 주의력 설문지 척도(Attention Questionnaire Scale,

AQS)

연구 대상자의 주의력에 대한 자가 인식 정도를 알

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AQS 평가를 수행하였다.

AQS는 주의력과 관련한 1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대상자는 해당 문항을 읽고 전혀 그렇지 않다(0

점), 가끔 혹은 조금 그렇다(1점), 항상 또는 많이 그

렇다(2점) 중 하나의 답변을 선택할 수 있다. 검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8개의 부정적 문항과 7개

의 긍정적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점수는 30

점이다.

2) K-MMSE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 평

가를 위해 K-MMSE를 시행하였다. K-MMSE는 MMSE

를 대한민국의 문화적 환경과 특성에 맞게 번안한 것

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으로, 시간 및 장소에 대한 지남력, 기억력, 주의집중

및 계산, 이름대기, 따라 말하기, 명령 수행, 오각형

그리기 등 19항목을 통해 대상자의 인지기능 수준을

빠르게 선별할 수 있는 평가도구이다.

3) CDR

CDR은 치매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 및 사회 기능

정도를 측정하는 등급 척도이다. 기억력, 지남력, 판단

력과 문제해결능력, 사회활동, 집안생활과 취미, 위생

및 몸치장 등을 평가하여 전체 CDR 점수를 산출하여

치매의 심각도를 평가한다. 일반적으로 CDR 0은 정

상, CDR 0.5는 치매 의심 혹은 치매 고위험, CDR 1은

경증 치매, CDR 2는 중등도 치매를 의미한다. 본 연

구에서는 CDR 2 이하의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선별

하였다.

4) 전산화신경인지기능검사(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

연구 대상자의 주의력 및 실행기능의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해 중재 전후 CNT를 시행하였다. CNT는 컴퓨

터를 이용한 인지평가로써, 검사수행 과정과 점수화

과정이 전산화되어 있어 수행 결과의 점수화와 자료

저장 및 변환, 검사간의 결과 비교가 용이하고, 반응

각각에 대한 측정과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터치스크

린과 입력패드의 사용을 통해 CNT는 총 11개 항목으

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을 평가할

수 있는 4개의 검사를 시행하였다.

① 청각적 연속수행검사(Auditory Continuous

Performance Test; ACPT)

ACPT는 연구 대상자의 청각 자극에 대한 주의력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이다. 컴퓨터 스피커를 통해 0-9까

지의 숫자 중 하나가 무작위로 출력되며, 대상자는 숫

자 3이 음성으로 출력될 때 가능한 빠르게 입력패드

의 버튼을 눌러 반응한다. 제시되는 숫자는 총 135회

이며, 총 평가 시간은 9분이다.

② 시각적 연속수행검사(Visual Continuous

Performance Test; VCPT)

VCPT는 연구 대상자의 시각 자극에 대한 주의력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이다. 대상자의 모니터에 0-9까지

의 숫자 중 하나가 무작위로 제시되고, 대상자는 숫자

3이 제시될 때 가능한 빠르게 입력패드의 버튼을 누

른다. 제시되는 숫자는 총 135회로, 총 평가 시간은 9

분이다.

③ 단어색채검사(Word Color Test; WCT)

WCT는 시각적 주의력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으로,

단어읽기, 색채말하기, 색단어 단어읽기, 색단어-색채

말하기 순으로 검사를 수행한다. 색과 단어는 4가지

(빨강, 파랑, 노랑, 초록)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검사

당 모두 24개의 자극을 제시한다. 대상자의 반응 시간

과 정오반응을 측정한다.

④ 선 추적 검사(Trail Making Test; TMT)

TMT는 화면에 제시된 1-25까지의 숫자를 순서대로

선을 잇는 방법으로 평가한다. 1부터 시작하여 25까지

순서대로 숫자를 터치스크린을 이용해 입력하면 선이

이어진다. 순서가 틀린 경우에는 경고음과 함께 올바른

순서대로 입력하여야 한다는 청각 주의가 제시된다.

5) 전두엽 기능 검사(Frontal Assessment Battery;

FAB)

FAB는 관념화와 추상적 사고(similarity and

conceptualization), 사고의 유연성과 언어 유창성

(mental flexibility and lexical fluency), 운동 계획(motor

programing), 외부의 간섭에 대한 반응(sensitivity to

interference), 억제 조절(inhibitory control), 자동성

(environmental autonomy)의 6가지 항목으로 이루어진

평가이다. 주로 전두엽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

하며, 각 항목별 최대 점수는 3점, 최하 점수는 0점으

로 최대 총점은 18점이다.

6)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능력 척도(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K-IADL은 주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기능 상태와

일상생활활동 독립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이다.

K-IADL은 몸단장, 집안일, 식사준비, 빨래하기, 근거

리 외출, 교통수단 이용, 물건 사기, 금전 관리, 전화

사용, 약 챙겨 먹기 등 총 10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

으며, 각 항목 당 3점 혹은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5

점수가 낮을수록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높은 것으

로 간주된다.

7)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 Korean Version; GDS-K)

GDS-K는 노인 환자의 우울 증상을 측정하는 척도

로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상자가 읽기가 가

능하고, 주의력이 유지될 경우에는 스스로 문항을 읽

고 예 혹은 아니오로 자가선택 하거나, 검사자가 문항

을 읽어주고 대상자가 제대로 이해하였는지 확인하여

대상자가 구두로 예 혹은 아니오를 답할 수 있다. 최

고 점수는 3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함의 정도

가 심함을 의미한다.

8) 신경정신행동검사(Neuropsychiatric Inventory

Questionnaire; NPI-Q)

NPI-Q는 Cummings 등이 1994년 개발한 행동심리증

상 검사이며, 이를 바탕으로 대한노인정신의학회에서

국내 실정에 맞게 2003년 표준화한 평가도구이다. 본

평가는 망상, 환각, 초조/공격성, 우울/낙담, 불안, 다

행감/들뜬 기분, 무감동/무관심, 탈 억제, 과민/불안정,

이상 운동 증상, 수면/야간행동, 식욕/식습관의 변화

등 1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항목에 대한 답변

은 증상의 심각도와 보호자의 고통 정도로 나누어 평

가하며, 심한 정도는 3단계로, 보호자의 고통 정도는

6단계로 측정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증상이나 보호자

의 고통 정도가 심한 것으로 해석한다.

9) 삶의 질 평가(EuroQol-5D; EQ-5D)

연구 대상자의 건강에 대한 자가 척도 및 삶의 질

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EQ-5D를 시행하였

다. EQ-5D는 환자의 자가보고척도이며, 환자의 건강

상태와 일상생활독립상태, 우울상태 등을 환자 스스

로의 주관성에 기초하여 평가하는 도구이다. 각각의

문항의 답변을 구조화된 방정식에 적용하여 점수를

도출하며, 1점에 가까울수록 환자 스스로의 건강 상태

및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

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빈도분석, independent t-test 및

chi-square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자의 중재

전후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paired t-test를 시행하였으

며, 그룹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COVA를 수행

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PSS 21.0 for Windows

(Chicago, IL)를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설

정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도네페질 복용 및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 병행군

과 도네페질 단독 복용군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

족력, 질환 종류 등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1].

2. 중재 전후 기능 변화 및 그룹간 기능

변화 차이

연구 대상자의 중재 전후 인지기능과 주의력, 일상

생활활동 독립수준 및 삶의 질 변화 비교 결과는 표 2

와 같다. 주의력 자가척도인 AQS 평가 결과가 도네페

질 복용 및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 병행군에서 유의

하게 향상되었으나 도네페질 단독 복용군과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CNT 평가 항목 중 시각 주의

력 및 실행기능을 평가하는 WCT 항목에서도 도네페

질 복용 및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 병행군이 중재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도네페질 단

독 복용군과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

았다. 이외에 항목들에서는 모두 중재 전후 유의한 변

화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두 그룹 간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Ⅳ. 고 찰

본 연구는 치매 환자에게 도네페질을 이용한 약물

치료를 단독으로 수행하였을 경우와 도네페질 복용과

함께 뇌파 자가조절을 이용한 바이오피드백 인지기능

증진 훈련을 수행하였을 때의 주의력 자가보고정도,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독립수준, 우울 및 이상행동,

삶의 질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

DivisionEEG based SCT with

donepezil group (n=14)Donepezil group (n=11) p

Sex Male 8 (57.14) 7 (63.64)

.845 Femal 6 (42.86) 4 (36.36)Age(mean±SD) 70.23±10.55 68.87±13.13 .171Education No education 1 (7.14) 0 (0.00)

.549

0 – 3 years 1 (7.14) 1 (9.09) 4 – 6 years 2 (14.29) 3 (27.27) 7 – 9 years 2 (14.29) 2 (18.18) 10 – 12 years 5 (35.71) 3 (27.27) More than 13 years 3 (21.43) 2 (18.18)Familial history of dementia Yes 3 (21.43) 3 (27.27)

.719 No 11 (78.57) 8 (72.73)Subtype of dementia Alzheimer's disease 10 (71.43) 9 (81.82)

.690 Vascular dementia 4 (28.57) 2 (18.18)

*p<0.0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TestEEG based SCT with donepezil group (n=14) Donepezil group (n=11) Inter-Group

Pre- intervention Post- intervention p Pre- intervention Post- intervention p p

AQS 16.88±9.29 19.16±10.65 .035* 15.80±6.28 17.04±8.07 .280 .182

K-MMSE 14.46±9.71 15.95±7.64 .112 14.68±9.95 14.32±7.09 .301 .769

CDR 1.23±0.27 1.54±0.36 .414 1.56±0.31 1.68±0.53 .394 .430

ACPT 96.20±15.09 98.82±17.96 .484 94.15±12.83 95.21±15.52 .865 .830

VCPT 101.99±17.17 99.42±14.25 .655 99.63±11.41 101.21±13.38 .754 .661

WCT 33.85±14.60 29.81±16.59 .041* 40.67±18.11 38.72±16.88 .613 .112

TMT 89.93±70.05 87.65±65.23 .372 92.19±83.58 90.54±79.00 .405 .971

FAB 9.67±6.01 10.25±4.86 .239 8.67±5.95 8.89±6.62 .575 .874

K-IADL 15.46±4.45 14.30±4.64 .121 15.98±5.22 15.34±4.63 .832 .143

GDS-K 7.30±4.33 7.63±4.05 .422 8.03±4.04 7.41±4.19 .112 .075

NPI-Q 23.25±32.33 21.92±37.28 .732 28.35±26.91 27.57±25.28 .838 .912

EQ-5D 0.85±0.10 0.87±0.07 .804 0.83±1.16 0.84±0.10 .684 .810

*p<0.05, EEG based SCT; Electroencephalogram based self-cognition training

Table 2. Functional change pre-and post-intervention

7

결과에 따르면 도네페질을 단독 투여한 군과 도네페

질 투여와 함께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을 병행한 군

모두에서 중재를 시행하는 동안 대부분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독립수준, 우울 및 이상행동 및 삶의 질

등에서 그 기능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간의

중재 전후 기능을 비교해보면,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

련과 도네페질 투여를 병행한 그룹에서 주의력 자가

척도 점수가 향상되었고, 시각적 주의력 및 실행능력

을 반영하는 글자 색채 검사 소요 시간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이를 포함한 모든 평가 항목에서 약

물치료를 단독으로 수행하였을 때와 비교해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이 치

매 노인의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보고하였던

선행 연구의 결과와 부분적으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Oh, Kim, Kim, & Shin, 2003) 선행 연구에서는 전산

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REHACOM)을 이용하여 임상

심리사와 일대일로 방식으로 총 8회를 실시하여 프로

그램 전후 인지기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의

력항목이 통계적인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 자가 보고와 시각적 주의력에서만

호전을 보였다. 이는 선행연구에서는 전산화 인지 재

활 프로그램을 단독으로 수행하여 중재 전후를 비교

분석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도네페질 투약과 함께

병행하여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임상적 근거를 가진 약물치료의 효과로 인

해 비약물적 치료의 효과가 다소 상쇄되었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의 치매환자의 약물치료의 체

계적 문헌고찰 및 치료 비용 효과성 연구에 따르면,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치료에서 일반적인 보존적 치료보다 높은 치료 근거

를 가지고 있으며, 비용 효과성에서도 매우 강력한 근

거를 가진다(Bond et al., 2012). 또한 도네페질 약물

치료는 혈관성 치매 환자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나타

내었으며, 혈관성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과 전반적인

치매 중증도 및 일상생활활동 독립수준에 유의한 향

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밝혀졌다(Malouf & Birks,

2004). 이러한 선행 연구의 결과에서 추론해 볼 때, 본

연구에서 도네페질 단독 투여군과 도네페질 투여 및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 병행군의 중재 후 변화에서

차이가 보이지 않는 것은 두 군 모두 시행한 도네페

질 투약의 약리작용에 의해 상대적으로 뇌파기반 자

가 인지훈련을 이용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가 부각

되지 못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

한 뇌파기반 인지훈련을 가정에서 자가 훈련으로 수

행한 것으로 인한 중재의 한계로 사료된다. Rothi 등

(2009)의 기존의 연구에서는 도네페질 투약과 함께 치

료사와 인지훈련을 함께 수행한 연구에서는 인지훈련

이 도네페질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증가시킨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자가훈련

을 수행함으로써 치료사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적

절한 언어적 도움이나 등급화가 질 수 없었으며, 뇌파

자가조절을 스스로 학습하고 뇌파조절에 대한 피드백

에 익숙해지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던 점 등이 영향

을 주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기존의 전산화 인

지 재활 프로그램처럼 뇌파기반 인지훈련도 치료사의

중재 하에 시행하여 그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네페질 투약 및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 병행군의 주의력 자가 인식 척도의 유의한

향상은 약물치료와 바이오피드백 기반의 비약물치료

의 병행 치료가 기존의 고식적 치료에 대한 상호보완

적 전략으로 개인의 동기와 흥미를 이끌어냄과 동시

에 효과적으로 신경생리학적 조절을 획득하는 새로운

치매 중재로의 가능성은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약물치료의 효과를 배제한 바이오피

드백 자가 인지훈련 단독으로서의 치료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를 비롯하여 치료사 중재 하에 수행하는

뇌 바이오피드백 인지훈련 등의 추가적인 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경증 및 중등도 치매 환자에게 약물치료

와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 병행의 효과를 확인하고

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약물치료와 뇌파기반

자가 인지훈련을 병행하였을 때 환자 스스로 느끼는

주의력에 대한 인식과 시각적 주의력 및 실행기능에

서는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이외의 인지기능에서는

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환자의 잔존 기능이 유지되는 정도의 결과를 보였으

며, 약물치료와 비교하여 약물 및 뇌파기반 자가 인지

훈련 병행치료가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 독립수준

에서 우월한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향후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바이오피드백 인지훈련의 효과를 극

대화 할 수 있는 추가적인 중재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Alzheimer's Association. (2014). 2014 Alzheimer's dis-

ease facts and figures. Alzheimer's & Dementia, 10(2),

e47-92.

Bond, M., Rogers, G., Peters, J., Anderson, R., Hoyle,

M., Miners, A., Hyde, C. (2012). The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donepezil, galantamine, riva-

stigmine and memantine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review of Technology Appraisal

No. 111): a systematic review and economic model.

Health Technol Assess, 16(21), 1-470.

doi:10.3310/hta16210

Cummings, J. L., & Benson, D. F. (1992). Demential: A

clinical Approach (2 ed.). Massachusetts:

Butterworth-Heinemann.

Doody, R. S., Stevens, J. C., Beck, C., Dubinsky, R. M.,

Kaye, J. A., Gwyther, L., … Cummings, J. L. (2001).

Practice parameter: management of dementia (an evi-

dence-based review). Report of the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Neurology, 56(9), 1154-1166.

Machado, S., Araujo, F., Paes, F., Velasques, B., Cunha,

M., Budde, H., … Ribeiro, P. (2010). EEG-based

brain-computer interfaces: an overview of basic con-

cepts and clinical applications in neurorehabilitation.

Rev Neurosci, 21(6), 451-468.

Malouf, R., & Birks, J. (2004). Donepezil for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Cochrane Database Syst Rev(1),

CD004395. doi:10.1002/14651858.CD004395.pub2

Oh, B. H., Kim, Y. K., Kim, J. H., & Shin, Y. S.

(2003).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2(4),

514-519.

Ootani, M., Nara, I., Kaneko, F., & Okamura, H. (2005).

Construction of a speed feedback therapy system to

improve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 preliminary report. Dement Geriatr Cogn

Disord, 20(2-3), 105-111. doi:10.1159/000086611

Rothi, L. J., Fuller, R., Leon, S. A., Kendall, D., Moore,

A., Wu, S. S., … Nadeau, S. E. (2009). Errorless

practice as a possible adjuvant to donepezil in

Alzheimer's disease. J Int Neuropsychol Soc, 15(2),

311-322.

Sterman, M. B. (1977). Sensorimotor EEG operant con-

ditioning: experimental and clinical effects. Pavlov J

Biol Sci, 12(2), 63-92.

Teri, L., Logsdon, R. G., Peskind, E., Raskind, M.,

Weiner, M. F., Tractenberg, R. E., … Alzheimer's

Disease Cooperative, S. (2000). Treatment of agitation

in AD: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Neurology, 55(9), 1271-1278.

Tsolaki, M., Zygouris, S., Lazarou, I., Kompatsiaris, I.,

Chatzileontiadis, L., Votis, C., … Bamidis, P. (2015).

Our experience with informative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n dementia. Hell J Nucl Med, 18

Suppl 1, 131-13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Annual Report 2016. Gyeonggi-do:

Korea.

9

Abstract

Effects of Combination therapy with Donepezil

and Electroencephalogram based Self-Cognition Training in Dementia

Park, MinSu, O.T.*, Min, Ji-Hong, M.D.**, Shin, Yong-Il, M.D, PhD.***, Ko, Sung-Hwa, M.D.**

*Research Institute for Convergence of Bio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Research Institute for Convergence of Bio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oencephalogram based self-cognition training (EEG based SCT) with donepezil in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dementia.

Methods : Forty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lzheimer's dementia and vascular dementia was includ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onepezil group and EEG based SCT with donepezil group. EEG based SCT was given 30 minutes for 3 times a week for 8 weeks. Self-attention report, cognitive function test, activity of daily living, depression, neuro-psychiatric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 analyzed the functional improvement of each group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com-pared two groups.

Results : The attention questionnaire scale and the word color test of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was improved in EEG based SCT with donepezi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other cognitive function test, activity of daily living, depression, neuropsychiatric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when compared with the group in do-nepezil alone.

Conclusion :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self-attention report and visual attention of EEG based SCT with donepezil in mild to moderate dementia. However, compared with only donepezil ther-apy, EEG based SCT with donepezil therapy did not show superiority in cognitive function and independence level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Key Words : Dementia, Donepezil, Electroencephalogram based self-cognition training, Biofeedback

Ⅰ. 서 론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ed; MCI)는 정상

노화와 치매의 중간에서 인지 저하가 특징인 상태를

말한다(Teixeira et al., 2012).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알

츠하이머 치매 이행률은 연간 10∼40%로, 일반 노인

의 연간 치매 이행률이 1∼2%임을 볼 때 상당히 높은

위험이 있다 할 수 있다. 또한,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2

년이 지나면 64%가 알츠하이머 치매로 전환된다는

결과도 있다(Geslani, Tiemey, Herrman, & Szalai, 2015;

Petersen et al., 2001; Wenisch et al., 2007). 경도인지장

애는 치매 전 단계로 볼 수 있으며, 경도인지장애 환

자들을 치매로 발전하지 못하게 하고 기능적 저하를

방지하는 치료가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Rotrou et

al., 2015).

보건복지부는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16∼2020)

을 발표하면서 치매로 발전할 수 있는 3대 고위험군

중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포함시키며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 예방 ․ 관리에 대하여 강화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

다. 또한, 2012년 보건복지부의 치매유병률 조사에 의

하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27.8%이며, 이 비율은 크게 변화하지는 않

으나 노인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경도인지장

애 환자수 또한 급증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이 내

용을 종합하면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치매로 발전할

위험이 상당하며, 우리나라는 이런 경도인지장애 환

자가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급증하고 있고,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예방 및 관리면에서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경도인지장애 환자에게는 약물치료는 유의한 효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인지자극 프로그램 효과

조승현*, 양영애**

*강동구 치매지원센터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목적이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인지자극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

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 20명에게 주 2회, 1회기 당 1시간, 총 8회기로 구성된

인지자극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인지기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사후 평가는 몬트리올 인지

평가(MoCA-K), 알렌 인지 수준 판별 검사(ACLS) 두 가지 검사 도구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몬트리올 인지평가(MoCA-K)와 알렌 인지 수준 판별 검사(ACLS) 모두에서 인지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고찰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인지자극 프로그램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증진에 효과

가 있다.

주제어 경도인지장애, 인지자극, 인지중재, 작업치료

교신저자 : Yang, Yeong-Ae([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접수일 : 2017년 12월 19일∥심사일 : 2017년 12월 22일∥개재승인일 : 2017년 12월 26일

1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비약물적 치료를

3∼12주간 주당 1∼4회의 기간과 빈도로 경도인지장

애 환자에게 적용할 때 기억력, 집중력, 실행기능이

증진된 것이 체계적 고찰을 통해 확인되었다(Teixeira

et al., 2012), 경도인지장애 환자에게 작업치료 프로그

램을 적용했을 때 인지 기능은 물론 정서적 부분에서

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Ng et al., 2006), 경도

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기반의 중재를 시행했

을 때 기억력과 언어기능이 향상되는 결과도 보고되

었다(Jeong, Sung, & Sim, 2014).

인지기반의 중재는 크게 인지자극(Cognitive

stimulation), 인지훈련(Cognitive training), 인지재활

(Cognitive rehabilitation)로 분류하고 있다. 그 중 인지

자극이란 전반적 인지기능과 사회기능 향상으로 목적

으로 다양한 활동과 토론을 시행하는 것으로 정의되

고 있다(Lee, 2015). 인지자극은 치매환자에게 적용하

였을 때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Spector et al., 2003).

특히 최근에는 인지자극치료가 다른 치료와 비교하여

비용 효과적인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Knapp et

al., 2006). 이에,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

으로 인지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경도인지장애 환

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경도인지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예방

관리의 효과적인 접근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절차

연구자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및 헬싱키

선언 등 국제 지침을 숙지하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

구자는 연구 참여자와 보호자에게 연구 내용을 설명

하고, 이에 동의한 경우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

여자가 연구 진행 중 참여를 더는 원치 않을 때는 언

제든지 중도 포기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으며, 이에 따

른 불이익은 없음을 설명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

자의 데이터를 개인정보 ․ 민감정보 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삭제하고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관리

하며, 연구목적 달성 즉시 관련 정보를 모두 폐기함을

연구 참여자에게 설명하였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단일군 실험전-실험후 설계로 연구 참여

자는 65세 이상 노인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 모집은 전화 인터뷰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참여자 선정 방법

은 아래와 같다.

첫째,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고 임상치매척도

(CDR) 0.5 이하인 자 (즉, 치매상태가 아닌 자)

둘째, 연구 기간 내 유사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

지 않은 자

셋째, 시설에 입소하지 아니하고 지역사회 내에 거

주하고 있는 자

넷째,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

3. 연구도구

중재 전 몬트리올 인지 평가(MoCA-K), 알렌 인지

수준 판별 검사(ACLS) 두 가지의 검사 도구를 이용하

여 사전검사를 시행하였다. 중재는 주 2회, 1회기 당

1시간, 총 8회기로 구성된 인지자극 프로그램을 시행

하였다. 중재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 도구로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는 5년 차 이상의 작업치료사

1인이 시행하였다.

1) 몬트리올 인지평가(MoCA-K)

몬트리올 인지평가(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는 간이정신상태 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에서 정상으로 판별되는 경도인지장애를 검진

하기 위해 개발된 방법이다. 단기 기억, 시공간 능력,

수행력, 집중-작업 기억, 언어, 지남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MoCA-K로 표준화되어 있다.

MoCA-K의 경도인지장애 절단점은 22/23이고,

MoCA-K는 MMSE와 유의한 상관을 보인다(r=0.65).

각각의 항목을 보면 경도인지장애를 감별하기 위해

13

MMSE보다 까다로운 항목이 포함되어 있으며, MMSE

와 비교하여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감별하는데 89%의

민감도와 84%의 특이도를 보이며, MoCA-K의 신뢰도

는 Cronbach’s ∝=.81∼84이다(Lee, 2008).

2) 알렌 인지 수준 검사(ACLS)

알렌 인지 수준 검사 (Allen Cognitive Level Scale,

ACLS)는 알렌 인지 수준(Allen cognitive level)을 바탕

으로 개발된 인지기능 검사 도구이다. 세 가지의 가죽

바느질로 구성된 감각 운동 과제 수행을 관찰하여 검

사하며, 점수 범위는 3.0에서 6.0이다. 점수가 높을수

록 인지 기능이 좋은 것을 나타내고, 개인의 기능 수

준과 적응 능력 수준을 알 수 있다(Allen et al, 2007).

알렌 인지 수준 검사는 환자의 지시 따르기 능력, 문

제해결능력,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는 능력을 검사할

수 있고(Allen, 1996), 지남력과 지각력과 같은 기초

인지기능보다는 운동 조직력, 사고 조작력과 같은 고

위 인지기능과 더 관련이 있는 검사 도구이다(Kim et

al., 2007). 검사자간 신뢰도는 0.97이고, 검사-재검사의

신뢰도는 0.90이다(Park, Yoo, & Jung, 2007).

3) 인지자극 프로그램(Cognitive stimulation)

인지자극에 이용되는 활동은 연관된 말 찾기, 범주

나누기, 사물이름대기, 과거회상하기, 시사토론, 그림

그리기, 노래, 취미활동토론, 현금사용훈련, 일과계획

하기, 시계보기, 화초 가꾸기, 체조, 레크리에이션, 가

족교육활동 등을 일컫는다(Lee, 2015). 본 연구에서는

신체활동과 인지활동을 1회기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아래와 같이 8회기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Table 1].

Table 1.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Session Contents

1 Physical activity, Planning and scheduling

2 Physical activity, Hobby debate

3 Physical activity, Sing along with songs

4 Physical activity, Colored mosaic

5 Physical activity, Airplane folding

6 Physical activity, Bracelet/necklace made

7 Physical activity, Tangram activity

8 Physical activity, Retrospective recall

4.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정규성 검정을 우선 시행하였다. 이

후 정규분포를 따르고 있는 MoCA-K 결과는 모수적

방법으로 대응표본 t-검정을 실행하였다. 정규분포를

따르고 있지 않은 ACLS 결과는 비모수적 방법으로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20.0을 사용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

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Figure 1).

Subject selection(n=20)

⇩Pre-test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MoCA-K)

Allen Cognitive Level Scale(ACLS)

⇩Intervention

2 per week, 1 hour per session, 4 week

total 8 session

⇩Post-test

(Such as a pre-test)

⇩Result Analysis

Figure 1. Course of Research

Ⅲ. 연구결과

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에 참여한 20명 중 1명은 입원, 1명은 치매로

전환, 1명은 원거리 전출로 총 3명이 연구 진행 중 중

도탈락하게 되었다. 따라서 중도 탈락한 3명을 제외한

총 17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 7명(41.2%), 여

자 10명(58.8%)이고 나이별로 볼 때 65∼69세 3명

(17.6%), 70∼79세 8명(47.1%), 80∼89세 6명(35.3%)이

였다[Table 2].

1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Characteristic DivisionSubject

(N)

Percentage

(%)

GenderMale 7 41.2

Female 10 58.8

Age

65∼69 3 17.6

70∼79 8 47.1

80∼89 6 35.3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

2. 실험 전-후 MoCA-K 변화

몬트리올 인지 평가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사전검

사 13.62점에서 중재 이후 사후검사 평균 15.15점으로

사전검사보다 전반적인 인지능력이 유의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p<0.05)[Table 3].

Pre-test Post-test t p

13.62±5.08 15.15±4.54 -2.993 .011*

*p<.05

Table 3. MoCA-K change

3. 실험 전-후 ACLS 변화

알렌 인지 수준 검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사전검

사 4.36레벨에서 중재 이후 사후검사에서 4.60레벨로

통합된 인지 사용능력이 유의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

타났다(p<0.05).

Pre-test Post-test Z p

4.36±0.53 4.60±0.57 -2.070 .038*

*p<.05

Table 4. ACLS change

Ⅳ. 고 찰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접근법을 제시

하여 임상에 적용할 때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하

여 시행하였다.

정상과 치매의 중간 단계로 알려진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알츠하이머 치매로의 이행률이 정상노인에 비

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졌으며(Teixeira et

al., 2012), 치매는 전 세계적으로 막대한 사회적 비용

지출의 문제가 있는 보건학적 최우선 해결 과제로 꼽

히고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이에 경제

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에서는 10대 핵심 치매

관리정책 방향을 제시하였고, 치매 발병위험 사전관

리를 첫 번째 과제로 설정하였다(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5).

보건복지부가 2015년 12월 발표한 제3차 치매관리

종합계획(2016∼2020)에서도 이러한 세계적 치매관리

방향의 추세에 맞추어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예방 및

관리라는 추진 영역을 첫 번째로 설정하였으며, 세부

과제로 전 국민 대상 치매예방 실천지원(치매발병위

험 사전관리, 치매예방실천지수 개발 및 확산, 인지훈

련 콘텐츠 개발 및 확산), 치매발생 3대 고위험군(경

도인지장애 등)에 대한 관리 및 치매조기발견 지원을

설정하였다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따

라서 치매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인지장애 노인

을 대상으로 인지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지기능

향상효과를 확인한 본 연구는 국가 치매관리방향에

알맞은 연구라 할 수 있다.

인지기반의 중재는 인지자극(Cognitive stimulation),

인지훈련(Cognitive training), 인지재활(Cognitive

rehabilitation)로 분류된다. 인지훈련(Cognitive training)

은 기억력, 집중력 또는 문제해결능력과 같은 특정 인

지기능을 훈련하기 위한 과제를 정해진 방법으로 반

복 연습하거나 기억전략훈련을 시행하는 것이다. 인

지재활(Cognitive rehabilitation)은 저하된 인지영역이

아니라 인지기능에 이상 있는 사람의 장애와 핸디캡

에 초점을 두고 기능을 최대화하는데 목표를 두는 방

식이다. 예를 들어 기억력이 저하된 환자에게 기억 보

조 도구와 같은 것들을 보상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을

포괄하는 것이다. 인지훈련(Cognitive training)과 인지

재활(Cognitive rehabilitation) 방식의 중재는 환자의 상

태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작업치

15

료사와 같은 훈련받은 전문 인력이 시행할 수 있는

중재방식으로 불리기도 한다(Clare, Woods, Moniz

Cook, Orrell, & Spector, 2003; Ryu, 2010).

본 연구와 유사한 연구를 보면 Choi, & Kim(2017)

은 경도인지장애 대상자 168명에게 실험군과 대조군

으로 나누어 10회기 12주간의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

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

계적으로 유의한 인지기능과 삶의 질 향상이 있던 것

을 확인하였고,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다 볼

수 있다. 또한, Cha(2016)는 지역사회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총 8회기 8주간 작업회상치료를 제

공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의 인지기능, 신체적 건강상

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기술 및 우울감이 대조군보

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진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

결과 역시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다 볼 수 있다.

인지자극(Cognitive stimulation)은 현실인식교육

(Reality orientation)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개인 계획

표, 낱말 맞추기, 블록 쌓기, 퍼즐, 시사문제 등과 함

께 시간, 장소 등에 대한 지남력 훈련, 연관된 말 찾

기, 범주나누기, 사물이름대기, 과거회상하기, 시사토

론, 그림그리기, 노래, 취미활동토론, 현금사용훈련,

일과계획하기, 시계보기, 화초 가꾸기, 체조, 레크리에

이션, 가족교육활동 등이 있다. 이는 인지훈련이나 인

지재활과 같이 중재 시행자의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는 않기에 환자가족 등도 쉽게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어서, 치매주간보호 센터 등에서도 쉽게 시행되고

있다(Lee, 2015). 즉, 인지자극(Cognitive stimulation) 방

식의 인지기반 중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도인지

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

한 인지자극 프로그램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

능을 향상에 도움이 됨은 물론이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기에 본 연구에서 시행한 인지자극 프

로그램을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한다면 지역사

회 중심의 치매예방관리의 효과적인 접근법 중 하나

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 환경의 제한으로 대조군

을 설정하지 못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수가 적어 모

든 경도인지장애 환자에게 일반화하기에는 미흡하다

는 점이다. 또한, 추적검사를 시행하지 않아 중재의

효과가 지속하는지 알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차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고, 실험군-

대조군 연구 설계를 시행하며, 중재 후 효과의 지속성

에 대하여 추적검사를 시행한다면 경도인지장애 환자

를 대상으로 한 인지자극 프로그램의 치료 접근법을

일반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는 몬트리올 인지 평가(MoCA-K)와 알렌 인지 수준

검사(ACLS)로 검사하였다. 중재는 주 2회, 1회기 당 1

시간, 총 8회기로 구성된 인지자극 프로그램을 시행하

였다.

연구 결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인지자극 프로그

램을 적용할 때 중재 전보다 중재 후 인지기능이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인지자극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한다면 인지기능이 향상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문헌

Allen, C. K., Austin, S. L., David, S. K., Earhart, C. A.,

McCraith, D. B., & Riska-Williams, L. (2007).

Manual for the Allen Cognitive Level Screen-5

(ACLS-5) and Large Allen Cognitive Level Screen-5

(LACLS-5). Camarillo, CA: ACLS and LACLS

Committee.

Allen, C. K. (1996). Allen Cognitive Level Screen 1996:

Test Manual. Colchester, CT: S&S Worldwide.

Cha, Y. J. (2016). A Study on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ORT)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in Local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cooperation Society, 17(8), 605-614.

Clare, L., Woods, R. T., Moniz Cook, E. D., Orrell, M.,

& Spector, A. (2003).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cognitive training for early-stage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Cochrane Database Systemic

Review, 4, CD003260.

Geslani, D. M., Tierney, M. C., Herrmann, N., & Szalai,

J. P. (2005). Mild cognitive impairment: an opera-

tional definition and its conversion rate to Alzheimer’s

disease.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19(5-6), 383-389.

Jeong, P. Y., Sung, J. E., & Sim, H. S. (2014).

Meta-Analysis of cognition-focused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9(2), 199-212.

Kim, S. K., Yeum, H. Y., Hwang, K. S., Lee, H. R.,

Beak, Y. S., & Jung, M. Y. (2007). Correlations

Among the Allen Cognitive Level Screen,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and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in Persons with Strok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1), 35-46.

Knapp, M., Thorgrimsen, L., Patel, A., Spector, A.,

Hallam, A., Woods, B., & Orrell, M. (2006).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for people with de-

mentia: cost-effectiveness analysi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88(6), 574-580.

Lee, J. K. (2015). Cognitive Rehabilitation of Dementia.

Brain & Neurorehabilitation, 8(1), 29-33.

Lee, J. Y., Lee, D. W., Cho, S. J., Na, D. L., Jeon, H.

J., Kim, S. K., & Cho, M. J. (2008). Brief screening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outpatient

clinic: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21(2), 104-110.

Ng, S., Lo, A., Lee, G., Lam, M., Yeong, E., Koo, M.,

& Lai, A. (2006). Report of the outcomes of occupa-

tional therapy programmes for elderly person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n community eld-

erly centres. Hong Kong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6(1), 16-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The 3rd

National Dementia Plan: Living well with dementia in

the community.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5). Addressing Dementia: The

OECD Response, OECD Health Policy Studies. Paris,

Franc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k, H. S., Yoo, E. Y., & Jung, M. Y. (2007).

Availability of Allen Cognitive Level Screen for de-

tection dementia in elderly.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2), 26-36.

Petersen, R. C., Stevens, J. C., Ganguli, M., Tangalos, E.

G., Cummings, J. L., & DeKosky, S. T. (2001).

Practice parameter: Early detection of dementia: Mild

cognitive impairment (an evidence-based review)

Report of the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Neurology, 56(9),

1133-1142.

Rotrou, J., Wenisch, E., Chausson, C., Dray, F.,

Faucounau, V., & Rigaud, A. S. (2005). Accidental

MCI in healthy subjects: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12(11),

879-885.

Ryu, S. H. (2010). Psychosocial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3(11), 984-992.

Spector, A., Thorgrimsen, L., Woods, B. O. B., Royan,

L., Davies, S., Butterworth, M., & Orrell, M. (2003).

Efficacy of an evidence-based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programme for people with dementia.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83(3), 248-254.

Teixeira, C. V. L., Gobbi, L. T. B., Corazza, D. I.,

Stella, F., Costa, J. L. R., & Gobbi, S. (2012).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n cognitive func-

tions in older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4(1),

17

175-180..

Wenisch, E., Cantegreil-Kallen, I., De Rotrou, J.,

Garrigue, P., Moulin, F., Batouche, F., ... & Rigaud,

A. S. (2007). Cognitive stimulation intervention for

elder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compared to

normal aged subjects: preliminary results. Aging clin-

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9(4), 316-32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Dementia: A public

health priority.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Yuill, N., & Hollis, V. (2011). A systematic review of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for older adults with

mild to moderate dementia: a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8(4),

163-186.

1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Abstract

Effects of Cognitive Stimulation on

Cognitive Function in Mild Cognitive Impaired Patients

Cho, Seung-Hyun*, MPH, O.T., Yang, Young-Ae**, Ph.D, O.T.*Gangdong Center for Dementia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stimulation on cognitive function in mild cognitive impaired patients.

Methods : Twenty mild cognitive impaired patients were administered cognitive stimulation. The inter-vention were applied for 1 hours in a day and 2 times in a week for 8 weeks. The measure-ment was Allen Cognitive Level Scale(ACLS) and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MoCA-K).

Results : The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cognitive function. The MoCA-K and ACLS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 Cognitive stimulation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n mild cog-nitive impaired patients.

Key Words : Cognitive stimulation, Cognitive intervention, Mild cognitive impaired, Occupational therapy

Ⅰ. 서 론

오늘날 한국사회는 빠른 속도로 노년기 사회로 진

입하고 있다. 2000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인구

의 7.1%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이후 2017년에

는 전체인구 대비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13.8%로 증가하였다(Statistics Korea, 2015). 고령화 사

회로 진입하면서 노화는 삶의 질에서 많은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이 되고 있다(Choi, 2012).

노년기 인지기능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기능의 손

상 혹은 저하가 일반적이라고 하더라도 고정된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변화할 수 있는 개

인의 내적 속성이다(Lee, & Kang, 2011). 이러한 인지

기능의 저하와 장애는 일상생활 수행을 어렵게 만든

65세 이상 노인의 인지 기능과 손의 민첩성 및

보드게임 수행도에 따른 상관관계 연구

이륜재*, 김효주**, 김해인**, 정경진**, 양영애***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고령친화산업학과, 인제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친고령산업융합학과,

인제대학교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목적

본 연구는 인지, 손의 민첩성에 따른 보드게임 수행도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 예상하였으나 이

에 대한 선행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인지기능과 손의 민첩

성에 따른 보드게임 수행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노인의 인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작업

치료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동구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남녀노인 80명이며, 2017년 6월 10일부터

9월 12일까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D 노인복지관에 2회 방문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인지평가를 위한 몬트리올 인지평가(MoCA-K)

와 손의 민첩성 평가도구(Box and Block Test) 그리고 보드게임 수행도 평가를 위한 수행도 설문

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SPSS version 23.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인지기능에 따른 보드게임 수행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손의 기능에

따른 보드게임 수행도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고찰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지와 손의 민첩성에 따른 보드게임 수행도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

진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고 손을 많이 사용할 수 있는 보드게임

을 작업치료 도구로 사용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주제어 노인, 인지, 손 기능, 보드게임

교신저자 : Yang, Yeong-Ae([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접수일 : 2017년 10월 16일∥심사일 : 2017년 12월 21일∥개재승인일 : 2017년 12월 26일

2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다(Yoo, & Hwang, 2015). 노인의 정신적 변화는 만성

적인 질환으로 이어지며, 인지적 기능의 저하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와 같이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는 다양한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고 초고령화 사회로 진행되는 상황에

서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며 인지기능 저

하를 예방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Kim, 2013).

최근 연구되어지고 있는 것들을 보면 운동 기능은

인지 기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

다(Haywood, & Getchell, 2005). 인지기능이 저하된 사

람에게서 효율적인 손사용은 뇌를 자극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손은 사용할수록 두뇌 활동을 촉진시켜 인

지기능의 저하를 늦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손을 사용

한다는 것은 인지기능에 자극을 줄 수 있다(Kang, &

Jung, 2015).

손은 뇌에 가장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감각기관이

며, 뇌로부터 내려오는 명령을 수행하는 운동기관이

다. 만약 질병이나 손상을 입으면 손은 현저하게 숙련

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노인의 손 기능 회

복을 위한 훈련도구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효과적인

손의 사용은 손 기술의 복잡한 상호작용, 자세, 인지,

시지각 등에 의해 좌우된다(Lee, 2014).

작업치료에서 의미 있는 활동은 건강을 위한 수단

으로 삶의 즐거움과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치료적 중

재로써 유용하여 삶의 질이 향상된다고 하였다

(Funaki, Kaneko, & Okamura, 2005). 게임 활동은 치료

적 동맹, 즐거움 제공, 의사소통, 정서적 성장, 사회화,

인지발달 촉지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Lee,

2015). 보드게임은 인지기능 뿐 아니라 일상생활활동

증진, 자아실현 향상, 심리적 역량 강화, 사회적 문제

해결력 향상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보였

다(Kim, Lim, &Yang, 2016). 전략을 사용해야하는 보

드게임을 통해 대상자들은 전략을 계획하게 되고, 다

른 사람이 사용한 전략을 관찰하며, 의사소통을 하고

게임을 하면서 얻었던 성과들에 대해 평가하는 과정

을 통해 문제 해결력이 향상된다고 하였다(Krulik,

2001).

이러한 인지능력 향상에 대한 기대와 더불어 보드

게임은 상대방을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을 통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킨다(Jung, 2011). 그러나 아

직 게임요법을 노인들에게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경

험적으로 밝힌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

다(Kim,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인지와 손의 민첩성,

보드게임 수행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간

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노인의 인지와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작업치료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기간 및 연구대상

2017년 6월 10일부터 9월 12일까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D 노인복지관에 2회 방문하여 진행하였다. 65

세 이상 노인 81명 중 손의 민첩성 평가가 불가능한

대상자 1명을 제외하여 8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다음과 같다.

1) 65세 이상 노인

2) 연구에 동의한 자

3) 손의 민첩성 평가가 가능한 자

4) 시각적, 청각적으로 장애가 없는 자

5) 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6) 정기적으로 복지관을 방문하는 자

2. 연구 내용 및 절차

대상자는 실험의 목적 및 방법 등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을 듣고 이해하였으며, 연구에 동의한 65세 이상

노인 81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에 대한 자료를 수

집하고, 인지 기능, 손 기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상

자들은 보드게임에 규칙과 게임 방법에 대해서 설명

을 듣고 직접 보드게임을 수행 한 후 보드게임 설문

지를 작성하였다. 보드게임 수행도 설문지는 이준석

(2008)의 논문의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21

Selection of research subjects (N=80)

Pre-test

MoCA-K, Box and Block Test

Playing Board Game

Performance survey

Analysis(Spss23.0)

Analysis of frequenc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CA/ Independent samples t-test

Figure 1. Follow Diagram

2. 연구도구

1) 인지기능

① 한국판몬트리올인지평가(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orean Version; MoCA-K)

몬트리올 인지평가(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orean Version; MoCA-K)는 경도인지장애를 보다 더

정확하게 변별할 목적으로 개발된 검사로써(Petersen,

2004), 시공간/실행력, 어휘력, 주의력, 문장력, 추상력,

지연회상력, 지남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점은 30점

으로 23점 이상이면 정상으로 간주하지만 22점 이하

일 경우 경도인지장애의 선별대상자가 된다.

2) 손 기능

① Box and Block Test(BBT)

손의 민첩성(hand dexterity)을 측정하는 도구로 손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를 평가하는데 사용되어왔다

(Mathiowetz, Volland, Kashman, & Weber, 1985). 검사

방법은 1인치 크기의 블록을 한 쪽 상자에서 다른 쪽

상자로 옮기는 것으로 각각의 손이 1분 동안 옮긴 블

록의 개수를 점수로 한다(Trombly, Radomski, 2002).

높은 점수일수록 손동작이 좋은 것이다(Kim, 2013).

3) 보드게임

Jenga

A board game in which block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except

for the topmost block of a wooden

block tower of 18 stories each.

Ulbongo

A game in which a dice is rolled

and quickly puzzles within a limited

time, winning the most number of

gems in the same color.

Tumblin

Monkeys

A game in which a monkey is

dropped from the tree and carefully

pulled out of the colored stick to

win the person who dropped the

least monkey.

Zicke

Zacke

A game in which four chickens run

in order not to lose each other's

paws. When a player tries to turn an

octagonal tile to match the picture of

an egg tile, he takes one of the

feathers of the opponent's feathers

and catches the tail of the four

chickens first.

Halli

Galli

A total of four different kinds of

fruits will appear. When one of the

five fruits of the same type is

played, one card must be played

first. When five fruits are collected,

the first person who takes the bell

will take all the cards.

Davinci

Code

An abstract strategy game where you

have a numbered panel from 0 to

11, hidden behind enemies, and then

guessing all the enemy numbers.

4) 보드게임 수행도

보드게임 프로그램에 대한 수행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대상자들이 직접 설문지를 작성했다. 설문지는

완벽하지 못한 수행(1점)부터 완벽한 수행(5점)까지 5점

척도로 총 20문항 총점 100점 만점으로 조사하였다.

보드게임 수행도 설문지는 Lee(2008)의 논문의 설문지

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2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5)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s) version 23.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과 손의 민첩성,

보드게임 수행도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관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p<0.05, p<0.01).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남녀의 인지기능 비교는 독립표본 T-test, 일원배

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65세 이상 노인 80명으로 남성이 23명(28.8%), 여성

이 57명(71.3%)이다. 대상자들의 연령대는 70-74세가

23명(28.8%)로 가장 많았으며, 최종학력은 초졸이 34

명(42.5%)로 가장 많았다. 결혼여부는 기혼이 38명

(47.5%)로 가장 많았고 동거인은 없음이 37명(46.3%)

로 가장 많았다. 생활비는 40-59만원이 28명(35%)로

가장 많았고 소득원은 자녀용돈이 26명(32.5%)로 가

장 많았다. 질병은 기타가 33명(41.3%)로 가장 많았다.

취미는 친목활동이 43명(43.8%)로 가장 많았고 취미

횟수는 기타가 25명(31.25%)로 가장 많았다[Table 1].

2. 인지와 손의 민첩성과 보드게임 수행도의

남녀 평균 및 전체 평균

BBT에서 오른손, 왼손의 남녀 평균은 유의한 차이

를 보였으나(p<0.05), MoCA-K, 보드게임 수행도에서

는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p<0.05). 대상자 전체

평균은 MoCA-K는 약 19점, BBT.R은 약 61개 BBT.L

은 약 65개 보드게임 수행도는 약 68점이다[Table 2].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 수준

연령에 따른 인지는 p = .003 (p<0.05)로 유의하며

65-69세와 85세 이상의 그룹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최종학력에 따른 인지는 p =

.000 (p<0.05)로 유의하며 무학, 초졸과 고졸, 고졸이상

의 그룹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 결혼여부에 따른 인지는 p = .000 (p<0.05)로 유의

하며 기혼과 사별 사이의 그룹 사이에서 통계학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동거상태에 따른 인지는 p

= .000 (p<0.05)로 유의하며 가족동거와 독거 사이의

그룹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활비에 따른 인지는 p = .000 (p<0.05)로 유의하며

40만원 이하와 80만원 이상의 그룹 사이에서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득원에 따른 인지는

p = .000 (p<0.05)로 유의하며 국가 지원금을 받는 그

룹과 그렇지 않는 그룹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취미에 따른 인지는 p = .000

(p<0.05)로 유의하며 취미가 없는 그룹과 친목 활동,

기타 취미를 가진 그룹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취미 횟수에 따른 인지는 p = .002

(p<0.05)로 유의하며 취미 활동을 하지 않는 그룹과

매일 하는 그룹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Table 3].

4. 인지와 손의 민첩성과 보드게임 수행도의

상관관계

사후검정 Scheffe-test를 사용하였으며, MoCA-K와

BBT.R은 상관계수 r = .46 (p<0.01)으로 유의한 상관관

계를 보인다. MoCA-K와 보드게임 수행도는 상관계수

r = .512 (p<0.01)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BBT.R과 보드게임 수행도는 상관계수 r = .394

(p<0.01)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어휘력과 보

드게임 수행도는 상관계수 r = .543 (p<0.01)으로 유의

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추상력과 보드게임 수행도는

상관계수 r = .292 (p<0.01)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

인다. 지연 회상력과 보드게임 수행도는 상관계수 r =

.499 (p<0.01)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지남력

과 보드게임 수행도는 유의한 상관계수 r = .451

(p<0.01)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다(Table 4).

23

General Characteristic Division N Percent (%)

GenderMale 23 28.8

Female 57 71.3

Age

65-69 20 2570-74 23 28.875-79 16 2080-84 14 17.5

More than 85 7 8.8

Education

Nothing 20 25Elementary school 34 42.5

Middle school 9 11.3High school 11 13.8

More than high school 6 7.5

Marital status

Married 38 47.5Single 7 8.8

Separation 8 10Separation by death 27 33.8

Living conditionFamily 43 43.8

Live alone 37 56.2

Living expenses

Less than 40 12 1540-59 28 3560-79 10 12.580-99 22 27.5

More than 100 8 10

State income source

Rectal 22 27.5Retty cash 26 32.5

Pension 12 15State subsidy 20 25

HealthExistence 64 80

Nonexistence 16 20

Hobbies

Nothing 3 3.8Reading 4 5

Watching TV 8 10Fellowship activity 43 43.8

Etc. 22 27.5

Hobby frequency

Nothing 6 7.5Once or twice a week 22 27.5

Three or four times a week 30 37.5Five or six times a week 8 10

All days 14 1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N=80)

2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ItemsMale (n=23) Female (n=57)

t pTotal (N=80)

M±SD M±SD M±SDMoCA-K 21.00±5.309 18.72±6.224 1.544 .127 19.37±6.032BBT.R 53.83±8.978 63.77±20.299 -2.256 .027* 60.91±18.304BBT.L 56.52±9.414 68.21±9.281 -5.078 .000* 64.85±10.681

Board game performance 66.65±8.003 68.88±12.016 -.816 .417 68.24±11.010*p<0.05,

M±SD: Mean±Standard Deviation

MoCA-K: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orean Version,

BBT: Box and Block Test

Table 2. The average of male and female in terms of cognitive and dexterity, board game performance(N=80)

General Characteristic Division n M±SD t / F p

GenderMen 23 21.00±5.309

1.544 .127Women 57 18.72±6.224

Age

65-69 20 23.15±5.181ᵅ

4.460 .003*

70-74 23 19.13±4.893ᵅᵇ75-79 16 19.31±4.771ᵅᵇ80-84 24 17.07±6.866ᵅᵇ

More than 85 7 14.14±7.647ᵇ

Education

Nothing 20 16.25±3.462ᵅ

13.507 .000*

Elementary school 34 17.12±6.256ᵅMiddle school 9 22.56±3.877ᵅᵇHigh school 11 25.00±1.732ᵇ

More than high school 6 27.50±0.548ᵇ

Marital status

Married 38 21.97±4.801ᵅ8.652 .000*Single 7 21.29±3.402ᵅᵇ

Separation 8 19.13±5.718ᵅᵇSeparation by death 27 15.30±6.176ᵇ

Living conditionFamily 43 21.91±4.913

4.517 .000*

Live alone 37 16.43±5.928

Living expenses

Less than 40 12 19.17±4.529ᵅ

7.175 .000*

40-59 28 15.71±6.497ᵅᵇ60-79 10 18.90±3.107ᵅᵇ80-99 22 22.59±5.261ᵇ

More than 100 8 24.25±2.550ᵇ

State income source

Rectal 22 23.09±4.689ᵅ12.151 .000*Petty cash 26 20.42±5.021ᵇ

Pension 12 19.42±5.071ᵇState subsidy 20 13.90±5.467ᵇ

HealthExistence 64 19.73±5.672

1.067 .289Nonexistence 16 17.94±7.335

Table 3. Cogni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N=80)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부산 D 노인 복지관에 방문하는 65세 이

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인지 기능, 손의 민첩성, 보드

게임 수행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 80명으로 남성이

23명, 여성이 57명이다. 그리고 대상자들의 연령대는

70대, 최종학력은 초졸, 동거 상태는 독거, 질병은 기타,

취미는 친목활동을 즐겨 하는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들에게 사용된 평가도구는 MoCA-K, Box

and Blocks Test이다. 대상자 80명의 평가 값을 이용해

인지 기능, 손의 민첩성과 보드게임 수행도 간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여 보드게임을 이용한 프로그램이 노인

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는 작업치료

중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이 더 높은 인지점수를 받았다.

이는, Joe(2014)의 연구에서 남성이 더 높은 점수를 받

았다는 것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대상자들의 나이가 많을수록 인지 점수가 낮게 나

타났다. 이는, Hwang(2013)의 연구에서 연령이 높아질

수록 통계학적으로 인지 점수가 유의하게 낮아진다는

의견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의 증

가에 따른 뇌의 노화가 이미 고차 연합 기능들을 수

행하는 전두엽, 두정엽, 내측 측두엽과 깊은 관련이

있음이 밝혀진 것에서도 알 수 있다 Walhovd(2005).

Han(2017)의 연구에 따르면 저학력일수록 인지 기

능은 낮아진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높은 인지 점수를 받았으며, 이러한 선행 연

구에서 우리의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연구 결과 대

상자들의 대다수는 초등학교 이하의 학력을 갖고 있

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못

하였던 우리나라의 과거 상황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

다 Kim(2014).

동거상태에 따라 혼자 생활하는 대상자일수록 낮은

인지 점수를 받았다. 이는, Choi(2013)의 연구에서 사

회적 특성 중 독거가구의 노인은 동거인과 함께 생활

하는 노인에 비해 인지장애 발생이 0.81배로 오히려

인지장애 발생 위험이 낮은 것으로 조사된다는 연구

와 반대되는 결과이다. 이 결과는 연구 대상자가 지역

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만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노인들이 복지시설에 참여하는 영향을 받았다

고 사료된다.

자발적인 경제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낮은 인지점수

를 받았다. Hwang(2009)의 연구에서 경제활동에 참여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는 집단들에 비해 더 높은 인

지 기능 점수를 받았다. 이는, 사회활동 참여가 인지

기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발적인 경제활동을 하

는 대상자가 인지 기능이 더 높다고 사료된다.

취미활동을 가진 대상자가 인지 기능에서 높은 점

수를 받았다. 이는, Hwang(2009)의 연구에서 취미활동

의 참여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

로 높은 인지 기능 점수를 나타냈다. 이 결과는 취미

활동이 인지 기능 장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더 나아

가 인지 기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

하고 있다.

Yoo(2015)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손을 움직이거나

손으로 바깥의 변화를 받아들일 때 뇌는 활성화된다

고 하였다. 손을 사용하면 전두엽에 자극이 가해지고

Hobbies

Nothing 3 21.67±0.577ᵅ

7.177 .000*

Reading 4 25.00±1.155ᵅᵇWatching TV 8 13.25±6.409ᵅᵇ

Fellowship activity 43 18.02±5.796ᵇEtc. 22 22.91±4.230ᵇ

Hobby frequency

Nothing 6 22.83±4.579ᵅ

4.663 .002*

Once or twice a week 22 16.36±6.192ᵅᵇThree or four times a week 30 21.30±5.312ᵅᵇ

Five or six times a week 8 15.00±7.309ᵅᵇAll days 14 21.00±3.922ᵇ

*p<0.05

2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그 과정에서 인간 두뇌의 중추인 전두엽은 자극을 해

석하는 것을 넘어서 창의적 활동을 한다. 이를 바탕으

로 본 연구에서는 인지 기능과 손 기능의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인지 평가와 손 기능 평가를 실시

하였다. 그 결과 인지 기능과 오른손 기능은 r =

.460(p<0.05)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인지 기

능과 왼손 기능은 r = .147(p<0.05)로 유의하지 않은 상

관관계가 나타나 인지기능과 손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작업치료 도

구로서의 보드게임의 적절성을 나타내며, 보드게임을

이용한 작업치료는 노인들의 치매예방과 인지 수준

향상에 대한 의의가 있을 것임을 알 수 있다.

Paik(2012)의 연구에 따르면 보드게임을 이용한 작

업치료 프로그램 후 대상자들의 인지 수준이 유지되

거나 향상되어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MoCA-K의 항목별로 세부적인 인지 기능과

보드게임 수행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MoCA-K 총점에서 보드게임 수행도와 유의한 상관관

계가 있었으며, 주의력, 추상력, 지연회상력, 지남력에

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주의력에서 r =

.543(p<0.05)로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

므로 선행연구는 인지 기능과 보드게임 수행도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하고 있으며, 보드게임을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에 대한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바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선별검사 없이‘연구에 동

의한 자’들을 대상자로 선택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인지 수준이 낮았다. 둘째, 부산의 한 지역에 국한 되

어 있고, 대상자의 수가 적어 일반화하기 어렵다. 셋

째, 남녀성비가 맞지 않아 전체적으로 여성 대상자 수

가 많다. 넷째, 보드게임 수행도 설문지가 주관적이기

때문에 대상자들이 실제 수행도 보다 높은 점수를 책

정했다. 다섯째, 손 기능 검사에 BBT만 사용하여 연

구결과를 다양한 결과 도출이 어렵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2017년 6월 10일부터 9월 12일까지 부산

광역시에 위치한 D 노인복지관에 2회 방문하여 65세

이상 성인 80명을 선정하고 인지와 손의 민첩성에 따

른 보드게임 수행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

다. 연구에는 MoCA-K와 BBT 그리고 6개의 보드게임

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oCA-K와 보드게임 수행도 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 BBT와 보드게임 수행도는 BBT.R에서는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BBT.L에서

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

았다.

3. 인지와 손의 민첩성과 보드게임 수행도간의 유

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지와 손 기능은 보드게임 수행도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나타났으며, 이러한 상관관계는 앞으로 치료

적 도구로서의 보드게임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보

여준다.

또한 정상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해 보드게임이 유용

한 치료적 중재로의 사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제

언한다.

참고문헌

Statistics Korea. (2015). 2015 Survey of the elderly.

Choi, M. S.(2012).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

port,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of the elders resid-

ing in a community. Graduate School of Clinical

Nursing Inform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Jung, A. S. (2011). Effects of Board Game Therapy on

Executive Function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Nursing, Seoul.

Kwon, J. I. (2005). A Cross Genr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Online Game and Flow.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Daegu.

Jung, M. K. (2008).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Learning Commitment in Online Multiplayer Role

Playing Game.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27

Lee, J. S. (2008). Effects of learning style on learner's

Flow in MMORPG. Ajo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Cho, J. H. (2014). A Comparison of Cognitive

Impairment Level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and

MMSE-DS of the Elderl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Graduate School: Nursing, Seoul.

Jeon, H. S.(2013).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dictors of Cognitive Improvement among Older

Adults: Us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3(2), 461-488.

Lee, H. J. & Kahng S. K. (2011).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ing and

Depressive Symptom: Group Comparison by Gend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2(2),

179-203.

Kim, Y. S. & Lee, O. (2013).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Fitness of

Rural Elderly People. The Korean Society for Old

Age, 33(4), 727-739.

Kim, H. T. (2013). The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

Physical Training on EEG Oscillations and Upper

Extremity Functions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Graduate School of Seonam University,

Seonam.

Lee, J. W. (2014).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ool

Developed for Hand Function Recovery Training.

Korean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6, 17-20.

Lee, M. J., & Lee, S. M. (2015). Effect of Board Game

Program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the Life for

Elderly with Stroke. Special Education Rehabilitation

Science Research, 54(3).

Kim, S. E., Lim H. J., & Yang Y. A. (2016). A

Systematic Study on the Cognitive Therapeutic

Approach of Board Games.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0(2), 1-8.

Paik, Y. R. (2012).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using a Board Games for the Cogni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Mild Dementia

Case.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6(1), 27-38.

Hwang, Y. J. (2013). The Comparison of Level of

Cognitive Fun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5, 9-17.

Funaki, Y., Kaneko, F., & Okamura, H. (2005). Quality

of lire following stroke: negotiating disability, identity,

and resources.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24(4),

319-336.

Reid, K. E. (1991). Social work practice with groups : a

clinical perspective. pacific Grove, CA: Brooks/Cole.

Kovach C. R., & Henschel, H.(1996). Planning activities

for patients with dementia: A descriptive study of ther-

apeutic activities on special care units. J. Gerontol.

Nurs, 22(9), 33-38.

2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Abstract

The correlation of board game performance

according to cognitive function and hand dexterity

Yi, Ryun-Jae*, Kim, Hyo-Ju**, Kim, Hae-In**, Jung, kyung-Jin**, Yang, Yeong-A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Inje University, Institu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and Medical Science,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 This study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a correlation between board game performance and cognition and hand dexterity, but previous research on thi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hand dexterity of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occupational therapy for improving the percep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Methods : The study included 80 men and women aged 65 and older living in Dong-gu, Busan, and collected data collection periods twice in June and September of 2016.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who visited the D elderly welfare center in Busan. The study tool was used to assess the perception of the Montreal (MoCA-K), hand and box dexterity (Box and Block Test), and the performance of the board games using the performance questionnaire and SPSS version 23.0 .

Results : In this stud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of a board game and the ability to perform a board game.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of a board game and the ability to perform a board game. Research continues to suggest that a study that improves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ll continue to serve as a too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human being and using a tool repair tool as a tool.

Key Words : The elderly, cognition, hand function, board game

Ⅰ. 서 론

뇌에 공급되는 뇌혈관의 출혈이나 허혈 등의 문제

로 인해 성인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인 뇌졸중은, 움직임의 어려움, 인지능력의 손

상, 지각의 손상, 감각 및 언어능력에서의 장애등이

나타나는 질환이다(Adamson, Beswick & Ebrahim.

2004; Reed, 1991). 특히, 뇌졸중 환자의 많은 부분에

서 한쪽의 근력이 약화되고 비정상적인 근육긴장도를

보이는 등의 편마비가 특징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Horak, 1997), 많은 뇌졸중 편마비 환자들에서 근 약

화와 운동조절능력 등의 감소로 인해 균형을 잡거나

이동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있어 뇌졸중 환자의 재

활에서 하지의 기능회복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Sakai, Tanaka & Holland, 2002). 이러한 하지능력의

감소는 옷 입고 벗기, 목욕하기, 이동하기 등 일상생

활활동에서의 어려움을 발생시키게 되며 성격변화와

우울감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wakel &

Kollen, 2007; Kim, 2017; Hwang et al., 2017). 이로 인

해 작업치료와 같은 재활치료에서는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능력을 유지시키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목표를 두고 있으며 인지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활

발한 예방프로그램을 필요로 한다(Cho & Lee, 2012;

Park & Sihn, 2017).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은 몸 조직의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 침습적인 분석방법으로 안전하고,

실용적으로 생체조직을 측정함으로서 질병을 진단하

거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분석방법

이다(Thomasset, 1962). 이러한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을 이용한 노인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하지 분석

유찬욱*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목적본 연구는 노인 뇌졸중 편마비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하지부위에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바이오 임

피던스 값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2015년 10월부터 11월 까지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편마비환자 22명을 대상으로 하

였다. MultiScan5000을 이용하여 바이오임피던스를 측정하였고 프래딕션마커(prediction mark), 저

항성분(resistance), 리액턴스(reactance), 위상각(phase angle)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마비측과 비마비측 부위에서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정량화된 수치로 나타

낸 결과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프래딕션마커(prediction mark), 리액턴스

(reactance), 위상각(phase angle)의 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고찰본 연구 결과를 통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하지에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임피던스값의 유의한 차이

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이를 통해 임상의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의 치료에 정량

화된 수치로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평가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 뇌졸중 편마비, 하지

교신저자 : Yoo, Chan-Uk([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Hanlyo University)

접수일 : 2017년 10월 26일∥심사일 : 2017년 12월 22일∥개재승인일 : 2017년 12월 26일

3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방법은 우리 신체 조직의 체수분량, 근육과 지방의양,

조직세포의 투과도 및 건강상태 등 우리 신체 조직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분석법이다

(Lukaski, 1987).

신체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

되는 임피던스 값으로 프래딕션마커(prediction marker;

PM), 저항성분(resistance; R), 리액턴스(reactance; Xc),

그리고 위상각(phase angle; PA)이 있다(Lukaski, 1996).

프래딕션마커는 신체 세포의 건강도를 나타내고 저항

성분은 수분과 지방 등의 함유량의 크기와 관련되고,

리액턴스는 새포막의 견고함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

으며 위상각은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영양상태를 나타

내는 지표로 쓰이고 있다(Norman, Strobaus & Pirlich,

2012).

최근 바이오임피던스분석 기법을 통한 다양한 연구

가 진행되고 있는데, Chumea(1999) 등은 신체조직의

세포내액과 세포외액의 분포도를 임피던스 분석기법

을 통해 연구를 하였으며, Cho(2012) 등은 수술환자의

몸통과 사지의 임피던스 분석을 이용해 심장과 허파

의 부종을 측정하는 등 주로 수술환자, 암환자의 신체

성분을 분석하거나 세포내액, 세포외액, 체수분 분석

을 위한 연구가 최근에 임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최근 바이오임피던스분석 기법을 이용한 연

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재활영역에서

뇌졸중환자의 신체조직 상태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분석 도구로서는 아직 보급되어 있지 못하고 있

는 실정이며 작업치료와 같은 재활치료영역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신뢰도가 높은 신체 측정도구가 부족

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임피던스 분

석기법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과 비마비측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기간 및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10월부터 11월까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P재활병원에서 실시하였으며, 입원하여 뇌

졸중 진단을 받고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편마

비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임상시험

심사위원회를 통과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모든 연

구대상자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로 하였다(document number:

2014250, project number: 201041024-AB-N-01). 연구 참

여 대상자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뇌졸중

편마비로 진단 받고 발병 후 6개월 이상인자, 둘째,

연구자의 지시를 따를 수 있는 정도의 인지력이 있는

자, 셋째, 뇌졸중 이외의 다른 신경학적, 정형 외과적

질환이 없는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

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Characteristic Participants

Gender(male/female) 6/16

Age(yr) 74.2±6.6

Hight(cm) 162±6.7

Mass(kg) 56±8.8

Onset(month) 21.3±10.2

Affected side(right/left) 10/12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 of the study participants

(N=22)

2. 연구도구

1)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시스템(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system)

본 연구는 미국국립보건원(NIH)에서 추천되는 측정

도구인 Multiscan 5000 (Bodystat Ltd., Isle of Man, UK)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다(NIH, 2006). 바이오임피던스 분석은 4개의 전

극을 부착하여 미세한 전류(800µA)를 인체에 흘려보

낸 다음 주파수(5~1000 kHz) 범위에서 프래딕션마커,

저항성분, 리액턴스, 그리고 위상각의 값을 측정하게

된다(Figure 1).

31

Figure 1. Multiscan 5000

(Bodystat Ltd., Isle of Man, UK)

3. 연구과정

소음과 조명이 적절한 환경에서 검사자와 피검자

1:1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검자는 침대에 바로 누운

자세에서 실시하며 측정값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몸

에 있는 금속물질을 제거하고 진행하였다. 손목부위

와 발목부위에 전극을 부착하여 측정하였으며 손목부

위의 부착은 손목과 손의 가운데 뼈 그리고 기절골이

이루는 관절에 전극을 부착하였고. 발목부위는 발목

부위와 발가락의 가운데 뼈와 기절골이 이루는 관절

에 전극을 부착하였다. 비마비측을 먼저 측정하고 이

후에 마비측을 측정하였으며 측정은 각각 1회 씩 측

정 하였다. 소요시간은 한쪽 각 분절당 10초정도 소요

되었으며 프래딕션마커, 저항성분, 리액턴스, 그리고

위상각의 값을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측정된 결과

값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4. 연구 분석방법

본 연구의 통계적 분석은 PASW 18.0(Version 18.0,

SPSS Inc., Chicago, IL, USA) 과 Excel program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

기 위해 기술 통계를 사용하였고, 대응표본 T검증

(Paired t-test)을 이용해 마비부위와 비 마비 부위의 값

을 비교분석하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전신 BIA 측정 결과비교

연구 대상자의 전신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연구 대상자의 전신측정에서 마비측

과 비마비측의 프래딕션마커는 마비측 0.865, 비마비

측은 0.851, 저항성분은 마비측 611Ω, 비마비측 625Ω,

리액턴스는 마비측 35.2Ω 비마비측 44.6Ω, 그리고 위

상각은 마비측 3.5°, 비마비측 4.0°로 나타났다. 프래

딕션마커, 리액턴스, 그리고 위상각은 마비측과 비마

비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하지만 저항성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p>0.05).

Affected side Non-affected side

(Mean±SD) (Mean±SD)

Prediction Marker(PM) 0.865±0.31 0.851±0.47*

Resistance(R) 611.0±65.3 625.4±62.4

Reactance(Xc) 35.2±4.8 44.6±5.5*

Phase Angle(PA) 3.5±0.9 4.0±0.8*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able 2. whole-body scores of BIA for the af-fected side and non-affected side in the participants

(N=22)

2. 하지 BIA 측정 결과 비교

연구 대상자의 하지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하지측정에서 마비측

과 비마비측의 프래딕션마커는 마비측0.912, 비마비측

은 0.892, 저항성분은 마비측 282Ω, 비마비측 276Ω,

리액턴스는 마비측 14.4Ω 비마비측 15.4Ω, 그리고 위

상각은 마비측 3.0°, 비마비측 3.5°로 나타났다. 프래

딕션마커, 리액턴스, 위상각의 값은 마비측과 비마비

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하

지만 저항성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p>0.05).

3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Affected side Non-affected side

(Mean±SD) (Mean±SD)

Prediction Marker(PM) 0.912±0.33 0.892±0.44*

Resistance(R) 282.0±65.8 276.4±63.4

Reactance(Xc) 14.4±4.4 15.4±4.5*

Phase Angle(PA) 3.0±0.8 3.5±0.9*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able 3. Lower extremity scores of BIA for theaffected side and non-affected side in the participants

(N=22)

Ⅳ. 고 찰

뇌졸중 편마비환자는 하지근육의 약화로 인해 감

각, 움직임의 어려움들이 발생할 수 있고 일상생활활

동에서의 어려움이 발생되어 자기관리능력에 어려움

이 발생될 수 있다(Kelley & Borazanci, 2009).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방법은 비 침습적인 방법으로 안전하

고, 실용적으로 신체 조직의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이

다. 이번 연구에서는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편

마비환자를 대상으로 마비측과 비미비측의 전신과 하

지 분절에 대한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환자의 신체 조직상태 및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알아

볼 수 있는 지표인 프래딕션마커, 저항성분, 리액턴스,

그리고 위상각의 값을 측정해 보았다. 측정결과 뇌졸

중 편마비환자에서 전신과 하지모두에서 마비측과 비

마비측의 프래딕션마커, 리액턴스, 그리고 위상상 값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우

리의 연구결과는 Gupta 등의 연구에서 위상각의 감소

는 암환자의 사망률과 비례한다는 연구결과와 유의하

게 마비측이 비마비측에 비해 위상각의 유의한 감소

를 보였다. 그러나 Nescolarde(2013) 등이 연구한 운동

선수의 외부충격에 의한 부상 후 회복하는 과정에 대

한 연구에서 부상 이후 회복이 진행 될수록 저항성분

과 리액턴스가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

과는 외부충격으로 인해 조직에 수분(부종)이 발생하

게 되고 점차 수분이 감소하기 때문에 저항성분이 유

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우리연구의 대

상자는 중추신경계손상환자이므로 스포츠 선수의 회

복과정과 단순히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일반

적으로 조직세포의 건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프래딕

션마커 값은 측정결과가 높을수록 세포의 건강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우리연구에서는 마비측이

0.86, 비 마비측이 0.85으로 마비측이 비마비측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마비측이 유의하게

세포의 건강도가 낮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리액턴

스는 세포막의 견고함을 나타내는 지표로 수치가 높

을수록 세포막의 견고함이 높을 것을 의미하는데 전

신측정에서 마비측이 35.2Ω 비마비측이 44.6Ω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며(p<0.05), 하지의 측

정에서도 마비측 14.4Ω, 비마비측 15.4Ω로 역시 통계

적으로 마비측 세포막의 견고함이 약화된 것으로 나

타났다(p<0.05). 위상각은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다양한 임상상황에서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데 위상각의 값이 낮게 나온다는 것은

세포의 온전함이 약해지고 세포가 죽는 것을 의미한

다. 이번 연구결과 마비측이 3.5° 비마비측이 4.0°로

마비측이 비마비측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을 볼 수

있다(p<0.05).

신체 수분량, 지방량과 관련된 저항성분은 마비측

과 비마비측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는데(p>0.05) 이는 실험대상자의 특성에 대해 구분하

지 않고 측정하여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던 것으로 판

단된다. 이번연구를 통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비마

비측이 마비측에 비해 건강도가 유의하게 높다는 것

을 정량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작업치료와 같이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재활에 대한

결과를 정량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는데 바이오 임피던

스 분석은 뇌졸중 편마비환자와 같이 재활을 하는 대

상에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수치를 얻을 수 있다. 그러

므로 재활을 받는 환자의 현재 상태 재활진행 상황과

환자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실험대상자의 수가 부족해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 있고, 뇌경색, 뇌

출혈 등 환자의 특성에 따라 정확히 구분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며 그리고 재활치료를 받은 환자와 받지

못한 환자를 비교분석하지 못한 점이 있다. 향후 연구

33

에서는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다양한 특성에 따라 분

류하여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급성기와 만

성기의 환자를 대상으로 재활치료 중재이전과 중재

이후의 임피던스 값을 비교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기법을 이용하

여 뇌졸중 편마비로 진단 받은 환자의 마비측과 비마

비측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포의 전반적인 건

강도, 세포막의 견고함, 전반적인 영양상태를 나타내

는 지표인 프래딕션마커, 리액턴스, 그리고 위상각을

통해 마비측이 비마비측에 비해 유의하게 건강도가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번 연구결과를 통

해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편마비환자의 재활상태와

재활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Adamson J, Beswick A, & Ebrahim S. (2004). Is stroke

the most common cause of disability. J Stroke

Cerebrovasc Dis, 13(1), 171-177.

Cho, K. H, & Lee, W. H. (2012). Effects of inpatient re-

habilitation on functional recovery of stroke patients: a

comparis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and without

cognitive impairment. J Phys Ther Sci, 24(10), 245–248.

Cho, Y. C., Kim, M. S., & Yoon, J. O. (2013). A study

on the electrical difference for the limbs and thoracic

impedance using real-time bio-impedance measurement

system. J Korea Industry Inf Syst Res, 18(1), 9-16.

Chumea, W. C., & Guo, S. S. (1999). Bioelectrical im-

pedance and body composition: present status and fu-

ture direction. Human Biology, 52(6), 221-234.

Gupta, D., et al. (2008). Bioelectrical impedance phase

angle as a prognostic indicator in breast cancer. BMC

Cancer, 8(5), 249-256.

Horak, F. R. (1997). “Clinical assissment of balance dis-

orders,” Gait & posture, 6(6), 79-84.

Hwang, S. H. et al., (2017). The effects of use of smart-

phone and Cognitive function on depression and lone-

liness of life in elders. Journal of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1(1), 57-65.

Kelley, R. E., & Borazanci, A. P. (2009). Stroke

rehabilitation. Neurol Res, 31, 832-840.

Kim, H. Y. (2017). Social support and relations accord-

ing to personality changes in stroke elderly patients.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1(1), 57-65.

Kwakel, G., & Kollen, B. (2007). Predicting improvement

in the lower paretic limb after stroke: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Restor Neurol Neurosci, 25, 453–460.

Lukaski, H. C. (1987).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human body composition: traditional and new.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46(2), 537-556.

Lukaski, H. C. (1996). Biological indices considered in

the derivation of the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m J Clin Nutr, 64(3), 397–404.

Nescolarde, L. et al., (2013). Localized bioimpedance to

assess muscle injury. Physiol. Meas, 34, 237–245.

Norman, K., Strobaus, N., Pirlich, M., & Bosy-Westphal,

A. (2012). Bioelectrical phase angle and impedance

vectoranalysis-clinical relevance and applicability of

impedance parameters. Clin Nutr, 31(2), 854–861.

Park, S. H & Shin, J. I. (2017).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f intervention to prevent progression of

dementia in MCI.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1(1), 51-56.

Reed, K. L. (1991). Quick Reference to occupational

therapy, Aspen Publishers Inc.

Sakai, T., Tanaka, K., & Holland, G. J. (2002).

Functional and locomotive characteristics of stroke

survivors in Japanes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Am J Phys Med Rehabil, 81(2), 675-683.

Thomasset, A. (1962). Bio-electrical properties of tissue

impedance measurements. Lyon Med, 207, 17-18.

3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Abstract

Analysis on lower extremity of hemiplegic stroke older patients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Yoo, Chan-Uk*,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bioelectrical impedance values on the lower ex-tremity (affected and non-affected side) in hemiplegic stroke older patients.

Methods : Experimental subjects were 24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undergoing stroke rehabilitation between October to November, 2015. Prediction marker, resistance, reactance, and phase angle were measured in the lower extremity (affected and non-affected side) of hemiplegic stroke patients, using MultiScan 5000, and then they were expressed as quantified values.

Results : The affected and non-affected side of lower extremity in stroke older patients with hemiplegia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diction marker, reactance, and phase angle (p<0.05).

Conclusion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edance values at the affected and non-affected side of hemiplegic stroke older patients. Thus, the possibility of evaluating stroke patients un-dergoing clinical rehabilitation therapy was suggested.

Key Words :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BIA), hemiplegic stroke patient, Lower extremity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고령사회 또는 초고령 사회의 여러 문제점 중 하나

가 바로 노인질환의 관리이며 노인질환 중 가장 대표

적인 것이 뇌졸중이다(Cho, & Won, 2011). 뇌졸중이

란 뇌혈관의 이상으로 혈류를 통한 뇌 조직에 지속적

으로 산소와 포도당의 뇌 공급이 부족하게 되어, 국소

뇌조직의 이상을 초래함으로 신경학적 기능장애를 유

발하는 것을 말한다(Kim, 2009). 뇌손상으로 인한 장

애를 갖게 된 뇌졸중 환자는 개인위생은 물론 일상생

활 동작에 제한을 받으며 생활 전 영역에 있어 가족

을 포함한 타인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독립성을 잃게 된다(Lee, 2011). 결국 뇌졸중환자는 발

병 당시부터 타인의 지속적인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된

다(You, 2014).

최근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사망률이 감소하고 만성

뇌졸중환자의 기능수준에 따른

주돌봄자가 느끼는 돌봄부담감 및 교육요구도

차수민*, 김지연*, 김다혜*, 박성진**, 채상호**, 현지은*

*춘해보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세민에스요양병원 작업치료팀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입원한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능력을 파악하고, 그

에 따른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과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방법2017년 7월부터 8월까지 해당 병원 재활치료부의 허락을 받은 후, 뇌졸중 환자의 주돌봄자에게 설

문지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다.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은 의무기록의 자료를 근거로 하였고, 뇌졸

중환자의 기능수준은 본 연구자가 직접 관찰,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뇌졸중환자의 특성에 따른 돌봄부담감과 교육요구도는 환자의 교육수준에 따라 교육요구도에 유의

한 차이가 있었으며. 환자의 일상생활능력 수준에 따라 돌봄부담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5). 주돌봄자의 특성에 따른 돌봄부담감과 교육요구도는 주돌봄자의 교육수준에 따라 교육요구

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주돌봄자의 신체적 건강상태에 따라 돌봄부담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p<.05).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 교육요구도,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 수준간의 상관

관계 분석결과 환자의 인지기능과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p<.05).

고찰본 연구를 통해 주돌봄자의 교육요구도를 충족시키고, 돌봄부담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적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며, 작업치료 교육수가 도입 등 수가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어 교육요구도, 돌봄부담감, 주돌봄자

교신저자 : Cha Sumin([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접수일 : 2017년 10월 18일∥심사일 : 2017년 12월 24일∥개재승인일 : 2017년 12월 26일

3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질환자가 증가함에 따라(Kang, 2011) 뇌졸중환자도 증

가하고 있는 추세이다(Jo & Song, 1999). 뇌졸중발병

초기부터 재활 치료를 받아 회복을 하여 사회로의 복

귀도 하지만 심각한 후유장애로 인해 독립적인 자조

활동과 일상생활활동수행이 어려워져 직업과 여가 활

동 등 자기에게 의미있는 작업 영역 참여가 어려워지

기도 한다(Song, 2011).

뇌졸중환자의 발생은 주돌봄자에게 커다란 불안과

부담감을 야기한다(Kim, 2012). 돌봄이라는 책임감은

돌봄자들에게 심리적 고통이나 실질적인 생활에까지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라고 하였고, 주돌봄자가 환자

를 돌보면서 느끼며 경험하게 되는 주관적이며 객관

적인 부담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라고 정의

할 수 없는 다차원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You,

2014).

뇌졸중환자의 주돌봄자가 의료지식이 부족하고, 환

경적 ․ 심리적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환자를 돌본

다면 정신적 ․ 육체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Park,

2001). 그렇지만 주돌봄자가 질병에 대한 필요한 지식

을 갖게 되면 환자 행위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고 그

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이 감소한다(Jung, 2013). 그래

서 뇌졸중환자만이 아니라 그들과 함께 생활하는 주

돌봄자의 질환에 대한 지식 및 이해수준을 파악하여

요구에 따라 교육을 실시한다면 그들이 느끼는 부담

감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뇌졸중환자의 주돌봄자가 느끼는 부담감에

대한 연구는 간호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는데

주로 부담감을 높이는 주요인으로는 질병발생기간,

뇌졸중 발병 후 입원기간, 간병비용 등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Cha, 2017). 또한 Kim(2006)

의 연구에서도 가족 교육요구도는 ‘질병에 대한 지식

영역’이 가장 높았고, 가족 부담감과 교육요구도는 유

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에 비해 뇌졸중환자 중재

가 활발한 작업치료분야에서는 이런 주제를 다룬 연

구가 미흡하다. 작업치료는 환자뿐 아니라 환자의 삶

에서 중요한 사람들까지 포함시켜 고려해야하며 환자

는 환경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데 제한을 받기도하

고 훌륭한 지지를 제공받기도 한다. 작업치료사는 환

자뿐만 아니라 그들의 보호자를 위한 상담 및 교육,

훈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할을 맡고 있다

(Yang & Han, 2015).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기능에 따라

주돌봄자의 부담감을 파악하고, 주돌봄자 교육요구도

를 조사하여 뇌졸중환자 주돌봄자의 부담감을 해소시

킬 수 있는 교육 중재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

와 차후 작업치료 교육수가 도입 등 수가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입원한 환자의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주

돌봄자의 돌봄부담감과 교육요구도를 조사함으로써

주돌봄자의 교육요구도를 충족시키고, 돌봄부담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적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

기 위한 기초자료제시를 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

적은 다음과 같다.

1) 뇌졸중환자 및 주돌봄자의 일반적 특성과 인지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수행능력을 파악한다.

2) 뇌졸중환자의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 및 교육요

구도를 파악한다.

3) 뇌졸중환자의 특성에 따른 주돌봄자의 돌봄부담

감 및 교육요구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4) 뇌졸중환자의 주돌봄자 특성에 따른 돌봄부담감

및 교육요구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5) 뇌졸중환자의 기능수준(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따른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 및 교

육요구도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Ⅱ.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로는 경남지역 130병상 이상의 준

종합병원과 250병상 이상의 재활전문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가족구성원 중 주돌봄자를 대상

으로 연구목적과 설문내용을 이해하고,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총 27명의 주돌봄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37

2. 연구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MMSE-K는 1975년 미국의 Folstein이 개발한

MMSE를 Kwon과 Park(1989)이 우리말로 번안하여 표

준화한 것으로 노인이나 뇌손상 환자의 인지 손상을

판별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12문항에 총 30점 만점으로

되어있고, 시간과 공간에 대한 지남력, 세 단어 기억

등록, 집중력과 계산, 3가지 단어의 기억회상, 언어 및

공간구성으로 이루어져있다. 검사 결과 0-30점으로 나

타나는데, 24점 이상은 ‘확정적 정상’, 19점 이하는

‘확정적 치매’, 20-23점 ‘치매 의심’으로 판별된다. 교

육을 받지 못한 노인들의 경우 시간에 대한 지남력과

1점, 주의 집중 및 계산 2점, 언어기능에 1점씩 가산

해 교정한다.

2)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Barthel Index는 일상생활동작과 자립도를 평가기준

으로 하여 개발한 것으로 환자의 기능호전 변화를 반

영하는 평가방법이다(Yu, et. al, 1997). 10가지의 구체

적인 일상생활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신변처리

동작(self-care index) 7개 항목과 가동능력(mobility

index) 3개 항목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각 동작별로 5

단계의 점수를 주게 되고 100점을 만점으로 0~24점은

완전 의존성, 25~49점은 최대 의존성, 50~74점은 부분

의존성, 75~90점은 약간 의존성, 91~99점은 최소 의존

성, 100점은 완전 독립성을 나타낸다. 검사-재검사 신

뢰도 r = .89, 검사자간 신뢰도 r = .95로 알려져 있다

(Granger, Albrecht, & Hamilton, 1979).

3)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

뇌졸중 환자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은 Kim과 No

(2005)가 개발한 도구를 Kim(2009)이 35문항에서 24문

항으로 축소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사회적

활동 10문항, 가족 지지체계 6문항, 환자의 미래 2문

항, 돌보는 자의 미래 2문항, 재정적 상태 1문항, 환자

의 의존성 1문항, 신체적 건강 2문항 등 7개 영역의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각각의 문항에 대해 ‘전

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의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담감 점수는 최저 24점에

서 최고 120점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부담감이 큰 것

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0.931이었고 수정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0.944였다.

4) 주돌봄자의 교육요구도

뇌졸중 환자 주돌봄자의 교육요구도는 뇌졸중 환자

가족의 퇴원 후 교육요구도에 대해 Yun(2005)이 개발

한 도구를 사용했다. 이는 질병 7문항, 환자간호 22문

항, 환자추후관리 9문항, 가족의 안녕 및 사회자원 13

문항으로 총 4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각각의 문

항은 ‘전혀 알고 싶지 않다’(1점)에서 ‘정말 알고 싶

다’까지 4점 척도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교육요구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그

밖에 대상자가 알고 싶어하는 기타 내용은 ‘기타 궁금

한 점’이라는 란을 두어 기록하게 하였다. 본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0.95 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인 뇌졸중 환자 가족의 일반적 특

성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종교, 동거여부, 환

자와의 관계, 월수입, 교육경험, 교육받은 형태, 환자

를 돌본 기간, 가족의 형태, 주돌봄자의 도움정도, 돌

봄자의 교대빈도와 교대시간, 교대해주는 사람이 대

상자와 어떤 관계인지에 대해 대상자가 직접 기록하

도록 하였고, 환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환자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 발병횟수, 마비부위, 언어장애, 인지

장애, 유병기간, 퇴원기간을 대상자가 직접 기록하게

하였다.

3. 자료수집 절차

자료 수집은 2017년 7월부터 8월까지 2개월 간 해

당 병원 재활치료부의 허락을 받은 후 실시하였다. 대

상자(주돌봄자)에게 설문지 내용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후 직접 작성하게 하거나, 설문지 작성이 어려운

경우 면담을 통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환자의 질병

관련 특성은 의무기록의 자료를 근거로 하였고, 뇌졸

중환자의 기능수준은 본 연구자가 직접 관찰, 측정하

였다.

3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4. 자료분석 방법

1) 뇌졸중환자 및 주돌봄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

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2) 뇌졸중환자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 및 교육요구

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3) 급성기 뇌졸중환자의 특성에 따른 돌봄부담감,

교육요구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

였다.

4) 뇌졸중환자 주돌봄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

봄부담감, 교육요구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

로 분석하였다.

5) 급성기 뇌졸중환자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과 교

육요구도, 환자의 기능수준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뇌졸중환자의 특성에 따른 돌봄부담감과

교육요구도

뇌졸중환자의 특성에 따른 돌봄부담감과 교육요구

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환자의 교육수준에 따라 교육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환자의 일상생활

능력 수준에 따라 돌봄부담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p<.05). ‘발병기간’이 길수록 돌봄부담감이 4.18

점으로 더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 ‘발병

횟수’가 많을수록 돌봄부담감이 3.79점으로 높았을 뿐

만 아니라 교육요구도도 3.64점으로 높게 나왔지만 유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마비부위’가

편측일 때보다 양측일 때 돌봄부담감이 4.23점, 교육

요구도가 3.67점으로 높게 나왔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Table 1].

2. 주돌봄자의 특성에 따른 부담감과

교육요구도

주돌봄자의 특성에 따른 돌봄부담감과 교육요구도

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주돌봄자의 신체적 건강

상태에 따라 돌봄부담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5).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월

수입’이 낮을수록 돌봄부담감이 4.03점으로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교대 근무’가 없으면 돌봄

부담감이 3.71점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돌봄 경

험’이 없는 사람이 있는 사람보다 교육요구도가 3.47

점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Table 2].

3.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 교육요구도,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 수준과의

상관관계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 교육요구도, 환자의 일상생

활활동, 인지기능 수준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환자

의 인지기능과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5).

39

Category NBurden

PEducational needs

PMn SD t(F) Mn SD t(F)

SexMale 15 3.91 0.376

2.187 .2013.55 0.359

1.501 .079Female 12 3.38 0.829 3.29 0.544

Age<50 11 3.91 0.463

1.700 .2043.48 0.243

.414 .66560 11 3.41 0.409 3.46 0.509>70 5 3.73 0.435 3.26 0.735

Level of

education

Below high school 20 3.64 0.745-.489 .159

3.33 0.489-2.853 .009*

college graduates 7 3.78 0.349 3.71 0.198

Marriage

of state

Married 18 3.62 0.750.404 .672

3.49 0.445.834 .447Divorce/Bereavement 6 3.67 0.422 3.22 0.596

Single 3 4.00 0.522 3.49 0.109

Religion

Christianity 8 3.77 0.450

.686 .570

3.72 0.238

1.854 .166Buddhism 14 3.58 0.816 3.28 0.536Catholic 1 3.04 . 3.67 .

Have no religion 4 3.97 0.662 3.33 0.327

Duration

of disease

⪯1year 13 3.47 0.8141.470 .250

3.37 0.553.254 .7781-5year 12 3.80 0.445 3.50 0.389

>5year 2 4.18 0.029 3.45 0.277Number of

outbreaks

1 time 23 3.65 0.711-.383 .204

3.39 .487-.990 .094

More than 2 times 4 3.79 0.243 3.64 .178

Person

responsible for

hospital bills

Myself 14 3.72 0.530

1.167 .344

3.31 0.456

1.709 .193Partner 7 3.37 1.00 3.73 0.392

Children 3 3.63 0.150 3.22 0.476More than 2 people 3 4.19 0.268 3.54 0.473

Paralytic

region

Left 13 3.52 0.339-.383 .335

3.31 0.566.896 .421Right 12 3.75 0.898 3.52 0.342

Both 2 4.23 0.383 3.67 0.139

MBIComplete dependence 10 3.85 0.564

6.377 .006*

3.64 0.3391.924 .168Moderate dependence 15 3.74 0.428 3.28 0.482

Minimal dependence 2 2.33 1.414 3.51 0.693

MMSE-KNormal 12 3.41 0.775

1.929 .1673.40 0.458

.492 .617Questionable Dementia 1 4.08 . 3.04 .Dementia 14 3.87 0.496 3.49 0.480

*p<.05

Table 1. Main caregivers burden and educational needs a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N=27)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Category NBurden

PEducational needs

PMn SD t(F) Mn SD t(F)

SexMale 7 3.56 0.431

-.518 .6093.50 0.389

.478 .637Female 20 3.71 0.731 3.41 0.490

Age<50 12 3.64 0.832

.115 .8913.56 0.296

1.065 .36160 12 3.67 0.510 3.29 0.570>70 3 3.85 0.627 3.46 0.518

Level of

education

Below high school 21 3.79 0.4951.821 .081

3.36 0.491-2.439 .024*

college graduates 6 3.26 1.015 3.69 0.198

Jobexistence 9 3.51 0.369

-.906 .3743.37 0.512

-.479 .636nonexistence 18 3.75 0.764 3.46 0.446

Relations

with patient

Partner 13 3.83 0.5271.776 .191

3.46 0.3931.190 .321Children 4 3.14 1.221 3.70 0.254

The others 10 3.69 0.485 3.29 0.575Concate

nation status

Together 19 3.80 0.5101.530 .139

3.44 0.394.105 .917

living apart 8 3.38 0.904 3.42 0.624

Monthly

income

<100 millon 4 4.03 0.541

.412 .798

3.23 0.626

.445 .775100~200 7 3.74 0.491 3.49 0.481200~300 8 3.59 0.384 3.36 0.537300~400 6 3.51 1.173 3.50 0.324

<400 million 2 3.54 0.589 3.72 0.069

Shift dutyexistence 6 3.56 1.187

-.485 .6323.53 0.480

.563 .578nonexistence 21 3.71 0.460 3.40 0.464

Caring

Experience

existence 8 3.73 0.576.282 .781

3.33 0.468-.746 .462

nonexistence 19 3.65 0.708 3.47 0.464

Physical

condition

of caregiver

Very good 1 4.67 .

4.985 .008*

3.43 .

.384 .766Good 6 3.01 0.867 3.53 0.517

Normal 13 3.72 0.394 3.48 0.534Bad 7 4.01 0.461 3.27 0.289

time of

caring

in a day

1-8 2 3.90 0.796

2.529 .101

3.34 0.458

.055 .9479-16 2 4.58 0.118 3.50 0.097

17-24 23 3.57 0.631 3.43 0.489*p<.05

Table 2. Main caregivers burden and educational needs a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Main caregivers.(N=27)

CategoryMain caregiver’s

burden

Main caregiver’s

educational needs

Patient’s level of

ADL

Patient’s level of

cognitive skillMain caregiver’s burden 1

Main caregiver’s

educational needs.776 1

Patient’s level of ADL .059 .288 1Patient’s level of

cognitive skill.071 .289 .005* 1

*p<.05

Table 3. A correlation among main giver s burden, educational needs, stroke patient s level of ADL and level of cognitive skill

(N=27)

41

Ⅳ. 논 의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

생활활동수행능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주돌봄자들

의 돌봄부담감과 교육요구도를 조사함으로써 주돌봄

자의 교육요구도를 충족시키고, 돌봄부담감을 감소시

킬 수 있는 작업치료적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

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이다.

뇌졸중 환자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67점으로 보통 이상의 점수가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조사된 돌봄 부담 7개 하위영역 중 ‘환자의 의

존성’ 항목의 돌봄부담(4.33)이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같은 연구도구를 사용한 Kim(2009)의 연구에서는 ‘재

정 상태’, Son(2016)의 연구에서는 ‘환자의 미래’ 항목

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를 참여

한 뇌졸중 환자 대상자들의 일상생활수행능력(35.67)

이 보다 낮게 나왔기 때문에 환자들이 주돌봄자들에

게 의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가족지지체계’ 항목의 돌봄부담(2.75)은 Kim(2009)과

Son(2016)의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발병기

간이 길수록(5년 이상) 돌봄부담감이 높았는데 이는

Kim(2002)의 연구에서는 경계역 수준의 유의성을 나

타냈다. Kim(2002)은 가족구성원에 대한 수년의 돌봄

으로 인한 지속되는 신체적 ․ 정서적 작업은 부담감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돌봄 기간이 부담감을

예측하는 변수로 고려되어야함을 나타낸다고 언급했

다. 또한 입원기간이 길어지는 환자의 경우 기능 향상

의 속도가 더디기 때문에 재활동기의 발생이 어려워

져 주돌봄자들에게 의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돌봄기간이 길어질수록 돌봄부담감이 오히려

낮게 나타나는 연구결과도 발표된 바 있다(Kim, 2007).

마비부위가 편측이 아닌 양측인 경우 돌봄부담감이

유의하지 않지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Kim(2006)의 연구와 일치했다. Jo 등(1999)의 연구에

서는 마비부위가 양쪽에 있는 경우 독립적 자기관리

수행정도가 낮게 나타난다고 보고했고, Nam(1997)의

연구에서 환자의 독립적 자기관리 수행정도와 주돌봄

자의 부담감 관계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본 연

구 조사결과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수준이 낮아질

수록 돌봄부담감이 커지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p<.05). 월수입에 따른 돌봄부담감을 보면 유의하진

않았지만 월수입이 많아질수록 돌봄부담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Kim(2007)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했

다. Ye(2014)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는 경제적 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에 주로 입원하게 되어 경제력이 상

실되고 가족의 수입은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데 수입이 적을수록 부담감은 커지고 가족 내 갈등이

깊을수록, 가족 내의 역할이 가중될수록 환자를 돌보

는 부담감은 커진다고 하였다.

주돌봄자의 건강상태에 따른 돌봄부담감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Son(2016)의 연구에서와 동일

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장시간 환자 돌봄으로 인한 신

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돌봄자의 건강문

제를 관리하는 것은 뇌졸중 환자와 돌봄자 모두에게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주돌봄자가 환자

의 가족 구성원이라면 가족지지체계를 갖추게 하거나

간병인서비스 등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하여 그들의

부담감을 덜어주어야 하고, 주돌봄자가 간병인이라면

Kim(2009)의 연구에 따라 그들의 열악한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간병 서비스의 질을 높여야할 것으로 사료

된다.

뇌졸중 환자의 주돌봄자 교육요구도는 4점 만점에

평균 3.43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조사된 교육 요구 하위 영역 중 ‘질병’ 항목의

교육 요구(3.58)로 가장 높았고, 이는 Yun(2005)과

Yu(2003)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그 다음으로 ‘가족

의 안녕 및 사회자원’(3.47), ‘환자간호’(3.46)와 ‘환자

추후관리’(3.18) 순서로 높았는데, 모든 하위 영역이

비슷한 점수가 나온 것을 보아 본 연구 대상자인 주

돌봄자들은 전체적인 뇌졸중 전반의 교육 요구를 보

였다고 생각된다. 그 중 가장 낮은 점수였던 ‘환자추

후관리’(3.18) 항목은 현재 입원환자들을 돌보고 있는

상황이며 질환 특성상 장기 입원일수도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점수를 보였다고 사료된다. 이는

Yun(2005)의 연구에서도 일치하는 결과가 나왔는데,

본 연구와는 다르게 퇴원한 환자들의 가족을 대상으

로 하였기에 지속적인 외래 방문과 재활치료를 위해

통원치료를 하고 있었던 상태로, 환자의 추후관리에

대해 그 동안의 경험적 지식이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4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언급했다.

주돌봄자의 교육수준에 따른 교육요구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이는 주돌봄자가 환자의 가

족인 경우의 선행연구(Song, 2012; Kim, 2009)와 주돌

봄자가 요양보호사인 경우의 선행연구(Lee, 2014)에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고학력일수록 교육요구의 점수

가 높아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수행능력과 인지기능은 유의

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1). 이러한 결과는 선행

논문(Bae, 2012; Cha, 2017, Song et al., 2011) 등에서도

많이 나타났다. 그 외 나머지 요인들은 유의한 값이

나타나지 않았고, Kim(2009)의 연구에서도 주돌봄자

의 돌봄부담감과 교육요구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

타나지 않았다.

Choi(2003)의 연구에서 환자 가족의 뇌졸중에 대한

모든 지식수준집단(낮은, 중간, 높은)은 지식습득에 대

해 시간적 부담감을 가장 많이 느꼈고, 지식 습득 방

법은 의사와 치료사에 의해 얻었다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Kwon(2003)의 연구에서 환자의 재활동기는

가족지지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그 중 정서적지

지와 정보적지지에 상관이 높았다. 이는 환자를 돌보

는 주돌봄자들의 지지는 환자의 회복에도 관련이 있

다고 생각된다. 또한 Kwon(2003)는 뇌졸중 유병기간

에 따라 재활동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에 맞춘 심리사

회적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Nam(1997)의 연구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 후 주돌

봄자들이 환자를 돌보는 새로운 역할에 대한 정보 부

족으로 어려움을 느끼는 역할스트레스가 감소된 결과

가 나타났다. 덧붙여 교육프로그램은 다양한 정보의

제공과 함께 환자의 가족들도 자조집단에 속해 다른

환자 가족들과 정보 공유와 서로에게 지지할 수 있으

며 더 큰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주

돌봄자의 긍정적인 지지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중

요한 요소이며 그 과정에 있어 그들이 느낄 수 있는

변화된 환경과 생활 패턴에 대해 미리 확인시켜주어

야 한다고 생각된다.

실제 본 연구의 ‘주돌봄자의 일반적 특성’설문지의

마지막 문항이었던 주관식 문항의 답변내용을 정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발병기간이 길어지면 재활치료

가 줄어들어 하루 중 병상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 주

돌봄자들이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을 해주

었으면 한다.”, “재활치료 중 또는 병실에서 주돌봄자

가 환자에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가르쳐주어 주돌

봄자들이 환자 치료에 참여도를 높였으면 한다.”, “작

업치료의 명확한 의미와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정확히

모르겠다.”, “뇌졸중 환자의 정신적 임상증상으로 인

해 환자가 가정에서의 역할수행이 어려우며 주돌봄자

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막중하다.” 등이 있었다. 본 연

구 대상자들 중 교육프로그램을 요구할 뿐 아니라, 환

자가 받아온 작업치료의 의미를 모르는 대상자도 있

었다.

그러므로 임상에서는 작업치료의 목적뿐만 아니라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라 주돌봄자들의 교육요구

파악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인지하고 그들의 돌봄부

담감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작업치료적 중재를 개발

하여 그들에게 제공해야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

능력에 따른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과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작업치료적 중재방법을 개발하기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부

터 8월까지 해당 병원 재활치료부의 허락을 받은 후,

뇌졸중 환자의 주돌봄자에게 설문지를 통해 자료 수

집을 하였다.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은 의무기록의 자

료를 근거로 하였고, 뇌졸중환자의 기능수준은 본 연

구자가 직접 관찰,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뇌

졸중환자의 특성에 따른 돌봄부담감과 교육요구도는

환자의 교육수준에 따라 교육요구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환자의 일상생활능력 수준에 따라 돌봄부

담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둘째, 주돌봄자의 특성에 따른 돌봄부담감과 교육

요구도는 주돌봄자의 교육수준에 따라 교육요구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주돌봄자의 신체적 건강상

태에 따라 돌봄부담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5).

셋째,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 교육요구도, 환자의

43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 수준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환자의 인지기능과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간에 유

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5).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 수가 적었고, 특정 지역의 뇌

졸중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가 어

려운 제한점이 있었다. 하지만 설문조사를 통해 주돌

봄자의 작업치료 교육요구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추후 작업치료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

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주돌봄자의 교육요구도를 충

족시키고, 돌봄부담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

적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 및 작업

치료 교육수가 도입 등 수가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참고문헌

Bae, Y. J. (2012). The Effect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Cogni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DL in Chronic Stroke Patients ac-

cording to Age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yeongsangnam-do.

Cha, K. H. (2017). A study on mental health condition

and burden of primary caregivers resulted from stroke

patient's activ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

tion(Master’s thesis). Shinhan University,

Gyeonggi-do.

Cho, N. J., Won, Y. S. (2011). The Correlations Among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nd Geriatric Depression Scale of

the Old Elderly with Stroke.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5(1), 1-12.

Choi, E. S. (2003). Family knowledge and attitude to-

wards stroke patients:(master's thesis). Daejeon

National University, Daejeon.

Jo, B. H. Kim, M. H. Su, N. S. So, H. S. (1999). A

Study on the Degree of Self-care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the Family Burden,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Primary Caregiver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2), 243-256.

Jo, E. Y. Song, K. H. (1999). A Study on BMI,

Smoking and Alcohol Intake in Cerebrovascular

Accidents Patients, Journal of the natural science,

96-105.

Jung, B. C. (2013).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educa-

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

givers(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hungbuk.

Kang, J. G. (2011). Factors related stroke patients’ qual-

ity of life, and moderating effect of rehabilitation mo-

tivation(Docto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im, H. S. (2006). A study on acute stroke patient's

functional condition, the Family burden and the family

educational needs(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Chungnam.

Kim, J. W. (2007). Family Cregivers’ Burde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Kim, Y, J. (2012). Sources of Anxiety and Burden of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Knowledge about Car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1), 1-10.

Kim, Y. H. (2009). Caregiver's burden and educational

needs of acute stroke patient. Eulji Universiti,

Sungnam.

Kim. H. L. (2002). (The) associated factors with care-

giving burden of stroke patient's caregivers.

Kwon, E. H.(2002). study on the rehabilitation motive of

stroke patients : Focused on individual and family

support factor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won, Y. C., Park, J. H.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 II. Diagnostic

Validity. Psychiatry investigation, 28(3), 508-513.

Lee, H. S. (2014). The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Stroke among Care Workers

4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Lee, Y. Y. (2001). Patients' Lived Experience in

Rehabilitating from Stroke. The Korean journal of re-

habilitation nursing, 4(1), 20-30.

Nam, M. S. (1997). The effects of family education of

stroke patient to their family burden and roll-stress.

Son, J. H. (2016). Burden and intention to use the

long-term care hospital among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with stroke(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Song, E. G. (2011). effect of depression and social sup-

port on the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cheongnam-do.

Song, E. K., Lee, J. E., Han, J. H. (2011).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5(1), 45-54.

Song, S. E. (2012). a Study on th Health Conditions and

Education Needs for Family of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Yang, H. J., Han, S. W. (2015). Burden of Dementia

Patient’ Caregiver.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9(2), 1-13.

Ye, C. H. (2014). A Study on Current Condition of

Caring Behaviors and Economic and Ecmotional

Butden Families of Long-term Rehabilitation Patients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aegu.

You, S. I. (2014). Study on quality of life and burden of

caregiving for primary caregiver of stroke pa-

tients(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Yu, E. Y., Jeon, S. I., Oh, H. C., Jeon, J. S. (1997). The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in Relatio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8-19.

Yu, S. H. (2003). The educational needs of family-care-

givers of stroke patient in admission and discharg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Yun, M. K. (2005). (The) educational needs of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 after discharge.

45

Abstract

Caregiver’s Burden and Educational Needs of According to

the Stroke Patients’s Level of Function

Cha, Sumin*, Ph.D., O.T., Kim, Jiyeon*, Kim, Dahye*, Park, Sungjin**,

Chae, Sangho**, Hyun, Jie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emin S Hospital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ctivities of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hospital with stroke diagnosis, and to inves-tigate the caregiver’s burden and education needs.

Methods : After receiving permission from the hospital rehabilitation department from July to August 201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the main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Patient'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were based on data from medical records, and the functional level of stroke patients was directly observed and measured.

Results :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the burden of care and education ne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of the pati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urden of care according to the level of daily living ability of the patients (p<.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caregiv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giver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caregiv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re burdens according to the physical health status of the caregivers (p<.05).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patient and the daily life ability of the patient (p<.05).

Conclus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that meets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state carers and reduces the burden of care.

Key Words : Caregiver, Burden, Educational Needs

Ⅰ. 서 론

사람이 운동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상

대방의 움직임 및 환경변화를 빠르게 탐지하고 어떤

반응을 일으킬지 결정하여 효과적인 동작을 시작하는

것에는 반응속도가 중요하다(Kwon, 1994). 반응속도

란 시작 신호부터 움직임의 시작까지의 시간이며, 주

어진 자극을 분석하고 자극이 요구하는 반응을 선택,

결정하며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 반응을 계획 및 조

직화하는 모든 과정동안의 시간을 말한다(Ma &

Trombly, 2004). 또한, 반응속도는 신체적인 능력과 더

불어 일상생활에 필수적 요인으로써, 그 중요성이 매

우 크며, 일상생활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은 생존에

직결되고, 신체적인 상해,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는 데

에도 크게 기여한다(Lee & Choi, 1999). 그러나, 이러

정상 성인의 손 반응속도검사를 위한 Box and Block Test와

Ruler Drop Test,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간의 상관관계

이혜진*, 양영애**, 김시은***

*춘해보건대학교작업치료과

*인제대학교일반대학원재활과학

**인제대학교의생명공학대학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양산부산대학교병원발달장애행동발달증진센터

***인제대학교일반대학원작업치료학과

목적정상성인의 손 반응속도를 짧은 시간 내 측정하기 위한 방법인 자 떨어트리기 검사(Ruler Drop

Test: RDT)와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Reaction Speed Application: RSA)을 소개하고, 신뢰도와 타

당도가 검증된 박스 앤 블록(Box and Block Test: BBT)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대에서 70세 이상 정상성인 273명을 대상으로 박스 앤 블록(BBT), 자 떨어트리기 검사(RDT),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RSA)을 실시하였다. 개인의 손 장악력의 저하로 인한 Ruler Drop Test 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대상자 선별은 자마(Jamar) 장악력 평가로 정상범주의 해당하는 대상자만 선정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윈도우용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박스 앤 블록과 자 떨어트리기 검사,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고찰자 떨어트리기 검사(RDT)와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RSA) 검사가 시간과 도구에 제한을 받지 않고

간단하게 정상 성인의 손 반응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손 반응속도의 객

관적 자료와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주제어 손반응속도, 반응속도, 박스앤블럭검사

교신저자 : Yang, Yeong-Ae([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접수일 : 2017년 11월 10일∥심사일 : 2017년 12월 27일∥개재승인일 : 2017년 12월 27일

4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한 반응속도는 젊은 성인에서는 좋은 반응속도가 나

타나지만,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반응속도의 저하로

인해 위험요인에 노출되게 된다. Lord 등은 1992년과

1994년의 연구를 통해 반응속도의 저하가 노인에서

사고의 위험인자라고 보고하였다(Loed, Ward, Wiliams

& Anstey, 1994). 특히, 고령자는 신체적 기능의 저하

로 반응속도가 느리고 주의력이 부족해 교통사고의

위험이 다른 연령층에 비하여 매우 높다(Bin, Rue &

Gee, 2009). 반응속도는 교통안전 및 자동차 조작에서

매우 중요한 신체적 조건인데 노인의 경우 시력의 약

화와 함께 신경체계의 저하로 반응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40세가 넘으면 신경계에서 근육계

로의 정보전달 시간이 느려지기 시작하는데 65세 이

상이 되면 대체로 젊은 사람의 속도보다 30%가 더 오

래 걸리게 된다(Lee & Choi, 1999).

손은 일상생활 동작의 수행 및 작업능력을 위해 쓰

이는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이며(George, 1991). 생

존유지 기능 및 정보를 획득하거나 환경 안에서 상호

작용을 하는데 본질적인 운동 활동을 실행하는 기관

이다(Lim, Chung & Kim, 2011). 손의 민첩성은 자극에

대한 반응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반응시간이 짧을수록 민첩성이 좋아진다고 보

고하였다(Lim, Jung & Kim, 2012). 따라서 손의 기능

을 평가하기 위해 손의 해부 및 생역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그 측정방법이 표준화될 필요성이 있다

(Han, Nam & Ahn, 2009). 그러나 손의 기능과 관련하

여 악력, 집기력, 기민성, 민첩성 등 여러 기능에 대한

기준치를 마련한 선행연구는 다양한 반면에, 손 반응

속도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반응속도의 측정은 누적된 지속시간과 동작의 효율

성을 알아볼 수 있으며, 근․신경 기능의 통합 시간을

알 수 있게 한다(Schmidts, 1988). 손의 반응속도는 고

차원적인 통합기능중 하나로서 다양한 활동 중에 기

능을 발휘하여 영향을 미친다. 일상생활활동 및 산업

체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기능적인 수행에 관하여 대상

자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으

므로, 손 반응속도는 표준화된 도구로 측정 및 평가가

이루어져야할 필요성이 있다. 객관적인 평가는 치료

의 진전과정을 알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며 치료 효

과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환자의 동기를 유

발할 수 있으며 재활 전문가들 사이에 정확한 의사소

통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Kim & Park, 2008). 그러나

손 반응속도에 관한 정상 표준치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반응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

된 평가도구 역시 없는 실정이다.

기존에 있는 반응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들

은 긴 검사시간과 부피가 크거나 무거운 장비를 이용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 반면, 자 떨어뜨리기 검사

(Ruler Drop Test)는 민첩성과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검

사로 검사시간이 매우 짧고 간단하다(Fong, Ng &

Chung, 2013). Park(2000)의 연구에서는 임상치료사들

에게 평가도구 사용에 대한 인식이 높음에도 불구하

고 사용률이 저조한 이유는 첫째, 제한된 치료시간에

많은 환자를 치료해야하는 임상적 여건과 둘째,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한 경우 각각의 평가에 대해 의

료보험료를 청구할 수 없는 현행 의료보험수가체계의

문제점이 있었고, 셋째, 전문대학, 대학교 및 대학원

재학 중 또는 졸업 후 평가에 대한 교육 경험 또는 교

육 기회의 부족을 들었다(Park, Lee & Jo, 2000). Park

과 Yu(2002)는 한국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에

관한 연구에서 우리나라 작업치료사들이 주로 사용하

는 검사도구는 검사가 간편하고, 시간이 적게 소요되

는 것이라고 하였다(Park & Yu, 2002). 그러나 국내에

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검사도구를 알아본 결과, 그 종

류는 많이 있으나 표준화된 검사도구가 있어야 하고,

측정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Kim & Park, 2008).

자 떨어뜨리기 검사는 바로 서거나 책상에 앉아 팔

을 기댄 자세에서 실시하게 되면, 의자와 자만 있으면

검사가 가능하다. 그러나 자 떨어뜨리기 검사 역시 표

준치에 관한 연구가 없는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

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기존 상지 민첩성 및 손 기민

성 평가를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박스앤 블

록(BBT)을 기준으로 자 떨어트리기(Ruler Drop Test)

와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기존 상지 민첩성 및 손 기민성 평가를 위해 신뢰도

와 타당도가 검증되어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박스 앤 블록(BBT)과 자 떨어트리기(Ruler Drop Test)

49

와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이며, 각 도구에 대한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연

령별 손 반응속도 통계적 기준치를 마련하기 위한 기

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기간 및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6년 4월 10일부터 4월 30일까지 3주

동안 김해시 건강한 성인 20대에서 70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

해하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Jamar 악력 측정기를

사용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측정한 결과 기준

치의 하위 10% 이하인 자와 만성 질환으로 전신 쇠약

이 있는 자는 제외하였다.

2. 연구도구

1) 자마(Jamar) 악력 측정기

장악력의 저하로 자 떨어트리기 검사(Ruler Drop

Test)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Jamar 악력 측정기를 사

용하여 대상자를 선별하였다. 악력 측정 시 자세는 의

자에 앉아 견관절을 내전시키고 회전시키지 않은 상

태에서, 주관절은 90도 굴곡, 아래 팔 및 손목 관절은

중립 위치로 측정하며, 우세손과 비우세손 각각 3회

평균치를 사용한다.

2) 박스 앤 블록 검사(Box and Block Test: BBT)

상지 민첩성 및 손 기민성을 측정하는 도구이며, 검

사 방법은 1인치 크기의 블록을 한 쪽 상자에서 다른

쪽 상자로 옮기는 것으로 각각의 손이 1분 동안 옮긴

블록의 개수를 점수로 하였다(Trombly & Radomski,

2002).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오른손은 r = 0.98이며 왼

손은 r = 0.94로 높았다(Cromwell, 1976). 동시 타당도

는 Minesota Rate of Manipulation Test의 하위검사 항목

을 적용해 보았을 때 r = 0.91이었다(Cromwell, 1976).

3) 자 떨어트리기 검사(Ruler Drop Test: RDT)

시각반응에 대한 반응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30cm 자를 이용하였다. 시험자가 중력방향의 수직으

로 자를 잡고 있으며, 대상자는 양손으로 자의 0cm 부

분 위치에 검지와 엄지 사이를 2.5cm 유지한 후 실험

자가 자를 떨어뜨리면 대상자가 자를 잡았을 때의 거

리를 이용하여 반응시간을 계산하였다(Ruler Drop

Test site, 2017) 이 때, 두 번 자를 치거나 바닥에 떨어

뜨리면 실패로 간주 하였으며 각각 3회 실시 후 평균

치로 계산하였다(Figure 1). 0cm와 엄지 사이의 거리가

클수록 민첩성과 반응시간이 낮음을 의미한다(Fong,

et al., 2013). (표준 값: 훌륭함 < 7.5, 7.5 ≤좋음 < 15.9,

15.9 ≤평균 < 20.4, 20.4 ≤ 낮음 < 28, 28 ≤매우 낮음)

Figure 1. Ruler Drop Test: RDT

4)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Reaction Speed

Application: RSA)

반응 속도를 수치화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8x8칸으로 나눠져 있는 판에 빨간 불빛이 켜지는 곳

에 맞춰 60초 동안 그 지점을 정확히 터치한 수로 점

수를 낸다. 모든 대상자는 동일한 속도로 불이 들어오

게 3단계에 맞춰서 진행하였다. 아이패드를 사용하였

고 대상자는 테이블에 앉은 자세로 아이패드를 책상

에 놓고 실시하였다(Figure 2).

5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Figure 2. Reaction Speed

Application: RSA

3. 연구절차

대상자들의 장악력의 저하로 인한 자 떨어트리기

검사(RDT)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자마(Jamar) 악력 측

정기를 사용하였으며, 300명의 성인을 대상자로 1차

대상자를 선별하였다. 모든 검사는 작업치료사 3명이

평가하였으며, 300명 중 기준치의 하위 10% 이하인

27자를 제외한 27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의 손 반응속도를 알아보기 위해 박스 앤 블

록 검사(BBT), 자 떨어트리기 검사(RDT) 반응속도 어

플리케이션(RSA)을 사용하였다(Figure 3). 검사 순서

는 박스앤 블록 검사, 자 떨어트리기 검사,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 순서대로 시행하였으며, 3개의 검사를

시행하기 위해 총 소요된 시간은 각 검사도구의 설명

시간과 검사 시행 시간을 합쳐 총 10분의 시간이 소

요되었다. 검사 간 간격은 2분 정도의 시간을 두고 검

사를 시행하였다.

4. 자료 분석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도구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

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특성은 표 1과 같다. 성별은 남자 96

명(35.2%), 여자 177명(64.8%)로 여자가 많았으며, 연

Figure 3. Flow chart of study

item categoryN

(273)

Percentage

(%)

genderMen 96 35.2

Female 177 64.8

age

20-29 74 27.130-39 32 11.740-49 24 8.850-59 35 12.860-69 44 16.1

More than 70 64 23.4

Dominant

hand

Right 223 81.7Left 47 17.2Both 3 1.1

disease

Osteoarthritis 15 5.5Diabetes 3 1.1

Hypertension 18 6.6Cardiopulmonary

disease5 1.8

Etc 20 7.3None 170 62.3

More than two 42 15.3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51

령은 20—29세 74명(27.1%), 다음 70세 이상 64명

(23.4%)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들의 우세손은 오른손

이 223명(81.7%)로 가장 많았으며, 질병에서는 없음이

170명(62.3%)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Table 1].

2. 자마(Jamar) 악력 측정,

박스 앤 블록(Box and Block: BBT),

자 떨어트리기 검사(Ruler Drop Test:

RDT),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Reaction

Speed Application: RSA) 검사와의

상관관계

연구대상자 선별도구로 사용된 자마(Jamar) 악력측

정기의 점수와 각 대상자들을 평가한 Box and Block,

Ruler Drop Test,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 검사의 상관

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다. 그 결

과 Jamar(Rt.)와 Jamar(Lt.) 점수간에는 상관계수 r =

.946, BBT(Rt.) 점수간에는 상관계수 r = .271, BBT(Lt.)

점수간에는 상관계수 r = .196, RDT 1 점수간에는 음

의 상관계수 r = -.414, RDT 2 점수간에는 음의 상관계

수 r = -.340, RSA 점수간에는 상관계수 r = .381로 유

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Jamar(Lt.)와 BBT(Rt.) 점

수간에는 상관계수 r = .256, BBT(Lt.) 점수간에는 상관

계수 r = .180, RDT1 점수간에는 음의 상관계수 r =

-.411, RDT2 점수간에는 음의 상관계수 r = -.350, RSA

점수간에는 상관계수 r = .352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

타냈다[Table 2].

BBT(Rt.)와 BBT(Lt.) 점수간에는 상관계수 r = .832,

BBT(Rt.)와 RDT1 점수간에는 음의 상관계수 r = -.350,

RDT2 점수간에는 음의 상관계수 r = -.341, RSA 점수

간에는 상관계수 r = -.436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

타냈다. BBT(Lt.)와 RDT1 점수간에는 음의 상관계수

r = -.185, RDT2 점수간에는 음의 상관계수 r = -.179,

RSA 점수간에는 상관계수 r = -.334로 유의한 상관관

계를 나타냈다[Table 2].

RDT1과 RDT2와의 점수간에는 상관계수 r = .774,

RSA 점수간에는 상관계수 r = -.564로 유의한 상관관

계를 나타냈다[Table 2].

Jamar

(Rt.)

Jamar

(Lt.)

BBT

(Rt.)

BBT

(Lt.)RDT 1 RDT 2 RSA

Jamar

(Rt.)Jamar

(Lt.).946**

BBT

(Rt.).271** .256**

BBT

(Lt.).196** .180** .832**

RDT 1 -.414** -.411** -.350** -.185**

RDT 2 -.340** -.350** -.341** -.179** .774**

RSA .381** .352** .436** .334** -.628** -.564**

**p<0.01

BBT(Bax and Block)

RDT 1(Ruler Drop Test): 자를 잡은 평균 거리(cm)

RDT 2(Ruler Drop Tes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환산한 반응시간

RSA(Reaction speed Test)

Table 2. Correlations of Box and Block Test and Ruler Drop Test, Reaction Speed Application

Ⅳ. 고 찰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20대에서 70대 273명을 대

상으로 Jamar 악력 측정기를 사용하여 악력이 반응검

사의 오류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하여 기준치의 하위

10%이하인자를 제외하고 대상자를 선별하였다. 본 연

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정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기존 상지 민첩성 및 손 기민성 평가를 위해 신뢰도

와 타당도가 검증된 박스앤 블록(BBT)을 기준으로 자

떨어트리기(Ruler Drop Test)와 반응속도 어플리케이

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으며, 세

검사도구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자마(Jamar) 악력측정기의 점수와 BBT

와 RSA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RDT1,2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

과는 대상자들의 장악력의 점수가 높을수록 BBT 점

수와 RSA의 점수가 높은 것을 의미하며, RDT1,2에서

는 장악력의 점수가 높을수록 반응속도는 빠른 것으

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손의 장악력이 손 반

응속도와도 연관이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방요

52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순(2009)연구에서는 장악력이 높을수록 상지기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사용

한 BBT는 손의 민첩성과 기민성을 확인할 수 있는 평

가도구로 손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이다(Bang,

Kim & Lee, 2009). 본 연구에서 장악력과 BBT에서 양

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선

행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손 반응속도가 좋을수

록 장악력이 좋은 것을 알 수 있지만, 단순 손의 장악

력만으로 손의 기능과 반응속도를 확인하기에는 제한

이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각 손의 집기(pinch)능

력을 검사하여, 다양한 손의 집기방법과 손 반응속도

와의 상관관계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BBT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교적 간단

한 손 기능 평가로, 비교적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표준화된 박스와 블록이 갖추어진 검

사도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BBT의 검사도구

는 부피도 다소 큰 편이며, 무게도 무거운 편에 속한

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지와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표준화된 검사도구 없이도 간단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BBT의 결과는 오른손과 왼손

의 점수로 양손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RDT1,2점

수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BBT의 점수

가 높을수록 반응속도가 빠른 것을 의미한다. BBT와

RSA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

는 손의 기민성과 상지의 민첩성을 평가하는 BBT 도

구의 점수가 높을수록 반응속도가 빠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RSA는 손 반응속도를 평가하는 어플리케이

션으로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이러한 반응속도

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있지만, 결

과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근거나 표준화가 없는 실정

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BBT와 RSA의 상관관계를 확

인함으로써, RSA가 RDT이외에도 손 반응속도를 평

가할 수 있는 또 다른 평가도구로 사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RDT1,2의 결과는 RDT1은 대

상자들이 잡은 자의 길이의 결과치고, RDT2는 자의

길이를 반응속도로 변환한 도구를 사용한 속도이다.

이러한 RDT1,2에서 RSA와의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

으며, 이러한 결과는 RDT1,2의 반응속도가 좋을수록

RSA의 점수가 높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RDT 검사는 30cm자만으로 짧은

시간 내에 손 반응속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장점 이외

에도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BBT와의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여 손 반응속도를 평가하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평가도구의 타

당성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연령을 구분하여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본 연구에서는 제

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후의 연구에서는 대상자

의 연령을 구분하여 결과를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정상성인을 대상으로 손 반응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 떨어트리기 검사(RDT),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RSA)을 이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박스 앤 블록 검사(BBT)결과와의 상

관관계를 알아보고 짧은 시간 내 손 반응속도를 검사

할 수 있는 도구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20대에서 70세 이상까지 정상성인 273명을 대상으

로 박스 앤 블록(BBT), 자 떨어트리기 검사(RDT), 반

응속도 어플리케이션(RSA) 검사를 실행한 결과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손의 장악력을 측정한 자마(Jamar) 악력 측정기

의 결과에서 오른손(Rt.), 왼손(Lt.)의 결과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박스 앤 블록

(BBT)과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RSA) 검사와의

결과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자

떨어트리기 검사(RDT) RDT1, RDT2 모두 유의

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2. 상지 민첩성 및 손 기민성을 측정한 박스앤 블록

검사(BBT)와의 결과에서 오른손(Rt.), 왼손(Lt.)의

결과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반응

53

속도 어플리케이션(RSA) 검사에서도 유의한 상

관관계를 나타냈다. 자 떨어트리기 검사(RDT)

RDT1, RDT2 모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

냈다.

3. 자 떨어트리기 검사(RDT) RDT1, RDT2의 결과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RSA)검사와의 결과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손의 장악력과 손

반응속도와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지의

민첩성 및 손의 기민성 역시 손 반응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 떨어트리기 검사

(RDT)와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RSA) 검사가 손 반

응속도를 검사하는데 시간과 도구에 제한을 받지 않

고, 간단하게 손 반응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고, 향후 성인을 대상으로 손 반응속도를

알 수 있는 자 떨어트리기 검사(RDT)와 반응속도 어

플리케이션(RSA) 검사의 연령별 평균치와 기준치를

구하는 연구가 시행되어 손 반응속도의 객관적 자료

를 제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Bang YS, Kim HY, Lee MK. (2009). Factors Affecti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Korea Contents Association, 9(7): 202-210.

Bin MY, Rue SG, Gee WS. (2009). The Republic of

Korea and Gyeonggi issues, diagnosis and solutions :

User friendly traffic safety facilities. Gyeonggi devel-

opment institute: 593-615.

Cromwell, F. S. (1976). Occupational therapist’s manual

for basic skill assessment: Primary prevocational

evaluation. Altadena, CA: Fair Oals, 1976.

Fong, S., Ng, S. and Chung, L. (2013). Health through

martial arts training, Physical fitness and reaction time

in adolescent Taekwondo practitioners, 5(6A3): 1-5.

George, E. S, N. Ariella. (1992). Cognitive motor abilities

of the elderly driver. Human Factors, 34(1): 53-65.

Han SH, Nam KS, Ahn TK. (2009). Analysis of Grip

and Pinch Strength in Korean People. J Korean

Orthop Assoc, 44(2): 219-225.

http://www.brianmac.co.uk/rulerdrop.htm

Kim EJ, Park SY. (2008). Correlations Among the

10-Second Test, Box and Block Test, and 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 for Hand Dexiterity

Evaluation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3): 49-59.

Kwon YP. (199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action Speed. The Korea Athletic Academic

education. 2(1): 38-52.

Lee KM, Choi JW. (2014). Effects of 12-week Regular

Exercise on Reaction Time in the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9(3): 66.

Lim CJ, Chung ST, Kim YJ. (2011) Development of

Serious Game Contents using Dynamometer for

Senior. Korea Game Society, Special Edition: 71-81.

Lim JY, Jung SH, Kim WS. (2012).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poststroke falls after discharge from in-

patient rehabilitation. 4(1): 945-953.

Lord SR, Ward JA, Williams P, Anstey KJ. (1994).

Physiological factors associates with fall in older com-

munity dwelling women. J Am Geriatr Soc, 42:

1110-1117.

Ma, H, & Trombly, C. A. (2004). Effects of task com-

plexity on reaction time and movement kinematics in

elderly peopl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8(1): 150-158.

Park HJ, Lee CH, Jo SH. (2000). Physical Therapist's

Understanding and the Usage of Assessment Tools for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and Cerebral

Palsy. The Journal Korean Research Society of

Physical Therapy. 7(1): 1-21.

Park SY, Yu EY. (2002). The Use of Occupational

T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0(2): 99-108.

Schmidts, R.A. (1988). Motor control and learning,

Champaign. Human Kinetics publishers.

54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Abstract

Correlations Box and Block Test and Ruler Drop Test, Reaction Speed

Application for Hand Reaction Speed Test in normal adults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Kim, Si-Eun***, O.T.R.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Psychia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Objective : This study introduced Ruler Drop Test and reaction speed application that can measure normal adults’ hand reaction speed without using a special test tool, and ai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with the results of Box and Block Test whose reliability and validity have been proven.

Methods : For research method, Box and Block (BBT), Ruler Drop Test, and reaction speed application test were conducted on 273 normal adults aging from 20s to 70s or older. To reduce the er-ror of Ruler Drop Test due to the declined power of individual’s hand command, only the adults who belonged to the normal range were selected by the Jamar command power assess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Windows SPSS 18.0 program.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Box and Block, Ruler Drop Test, and reaction speed application.

Conclusion : This shows that Ruler Drop Test and reaction speed application test that are not restricted by the time consumed and tool needed to carry out the test can simply measure the hand re-action speed of normal adults; they are also considered to be helpful for suggesting objective data of hand reaction speed.

Key Words : Hand Reaction Speed, Reaction Speed, Box and Block Test

Ⅰ. 서 론

세계에 60세 이상의 인구는 2000년에 약 6억명이

넘었고, 노인 인구는 2025년까지 12억명, 2050년까지

20억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WHO, 2010). 우리나라

의 고령화 속도는 다른 어떤 나라보다 빠르게 진행되

어 2000년에 65세 이상 인구가 이미 7.1%가 되어 고

령화 사회에 접어들었고, 2018년에는 고령사회로 진

입할 것으로 전망되어 고령 사회의 대비가 시급한 국

가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2050년까지 약 3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며 노년부양비

또한 2060년 80.6명으로 2010년 15.2명에 비해 약 5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Statistics Korea,

2011).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와 전체 인구의 비율

이 증가하면 노인들의 건강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

다(Samira & Amer, 2015).

노화는 신체적 기능이 저하되어, 신체적 손상과 장

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노년의 건강 유지를 어렵게

한다(Greblo et al., 2017). 노인들이 낙상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운동이 강조되고 있는데, 특히 요부의

근력 강화를 위한 운동 훈련이 신체의 균형 능력고

보행능력을 향상시켜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Aukthora & Nadler, 2004). 노화에 의한 근

육량 감소는 운동 지구력을 감소시키고 신체 활동의

저하로 이어지며, 근육량과 신체활동의 저하는 복부

지방의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을 유발하게 된다

(Baumgartner, 2000).

1920년대 Joseph Pilates가 개발 한 필라테스는 요가,

로마 체조, 가라데, 선과 같은다양한 운동을 혼합하여

일련의 신체적 정신적 조절 운동으로 발전했다

(Aladro-Gonzalvo et al., 2013). 필라테스 운동은 몸의

노인을 위한 필라테스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신중일*, 이혜림**, 박수희*

*호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전남과학대학교 작업치료과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위한 필라테스 중재 방법의 효과에 대한 근거를 확보에 있다.

연구방법

CINAHL, MEDLINE, PubMed, Science Direct, PEDro, Cochrane library 6개의 전자 데이터베이

스를 이용하여 Pilates와 Pilates method를 검색하였다. 2000년에서 2016년까지 건강한 노인을 대상

으로 한 연구 중 무작위대조군실험(RCTs)로 설계된 논문을 분석하였다. 2명의 저자가 선정기준에

맞는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최종적으로 6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이 중 4편의 논문에서 필라테스 중재가 노인들의 건강 증진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고찰고찰 결과 노인을 위한 필라테스 중재의 효과에 대한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건강한 노인을 위

한 건강증진 중재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노인, 필라테스, 체계적 고찰

교신저자 : Soohee, Park([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College, Honam University)

접수일 : 2017년 12월 20일∥심사일 : 2017년 12월 26일∥개재승인일 : 2017년 12월 26일

56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긴장을 풀어주고 강화시키며 유연성과 신체 균형, 자

세교정을 체계적이며 합리적으로 행하는 몸의 중심부

조절 운동이다(Bae & Chang, 2013). 필라테스는 전신

운동, 호흡, 집중력, 중심, 정밀도 및 리듬을 포함한

운동 원리에 기초한 운동의 한 형태이다(Mazzarino et

al., 2015). 필라테스는 최근 몇 년 동안 매우 인기 있

는 운동 모델이며, 몸 중심부의 안정화와 몸 전체에

균형 증진에 유익한 효과가 있다(Fadime et al., 2016).

이런 필라테스는 무용수나 전문가들의 훈련에 사용되

는 전통적인(traditional) 필라테스와 전통적인(traditional)

필라테스의 기본적인 원리를 적용하여 노인이나 임산

부,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현대적인

(modern) 필라테스와 같은 두 가지의 형태로 적용되고

있다(Dreas, 2002).

노인의 필라테스 운동은 동적 균형과 척추 정렬에

개선 효과가 있다는 연구와, 신체 조정에는 유의한 효

과가 없다는 연구가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에서 제

시하는 결과 중 효과가 없다는 연구도 있어서 그 효

과를 검증해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위한 필라테스 중재의 효

과를 검증하기 위함이고, 이를 위해 체계적 고찰을 시

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을 위한 필라테스

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 이는 노인들을 위한 중재를

계획하는데 도움이 될 것 이다.

Ⅱ. 연구방법

CINAHL, MEDLINE, PubMed, Science Direct,

PEDro, Cochrane library를 이용하여 Pilates 또는

Pilates method로 2000년에서 2016년까지 발표된 논문

을 검색하였다. 영어로 출판 된 논문만 채택했다. 3명

의 연구자가 전문을 검토하여, 선정 기준에 따라 연구

를 선정하였다. 저자간의 이견이 있는 연구에 대해서

는 3명의 연구자가 모두 합의를 한 논문만 포함시켰

다. 연구에 포함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필라테

스를 중재로 사용한 논문이다. (2) 대상자는 노인이다.

(3) 무작위대조군실험 설계에 해당한다. 선정 기준에

포함 된 논문은 PEDro scale를 사용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Ⅲ. 연구결과

Pilates와 Pilates method로 302개의 논문을 검색했고,

이 중 중복되는 논문은 제외하여 제목과 초록을 검토

하여 37개의 무작위대조군(RCT) 논문을 선정했다. 3명

의 연구자가 전문을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6개의 논문

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Fig 1.은 연구의 진행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연구방법적으로 높은 수준의 연구를 3

점 이상으로 보는데, 분석 논문은 PEDro 점수 4~8 사

이에 분포하고 있었다.

Identification of 302 articles

(Pilates)

265 articles excluded

(not RCTs)

37 articles’ full text

screened

31 articles excluded

(subjects not elderly)

6 articles finally included

Figure 1. Flowchart of process for selecting

studies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es

Ⅳ. 고 찰

근육감소증은 65세 이상 노인에게서 25%이상 발병

하고 있으며, 80세 이상 노인에게는 50% 정도가 나타

나고 있다(Iannuzzi, Prestwood, & Kenny, 2002). 미국대

학스포츠의학회(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와 미국심장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에서는 노

인들의 건강관리를 위해서 주 5회 1일 30분 이상씩

중등도 강도로 실시하도록 권장하고 있다(Nelson, et

al, 2007). 그러나 지역사회에서 거주하고 있는 일반

노인들이 스스로 주 5회 이상 정기적으로 운동을 실

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Hong(2008)의 연구에

서 국내의 경우에도 주 5회 이상 운동을 실시하는 노

인의 비율이 약 12.8%에 불과하다고 보고하였다. 필

57

라테스는 유산소성 운동과 저항성 운동을 병행할 수

있어 근력강화에 효과가 있으며, 근육량을 향상시키

는 운동으로 알려져 있어 근육량이 적은 노인에게 적

합한 운동의 형태이다(Critchley, Pierson & Battersby,

2010). 필라테스는 기초대사량 향상과 근력, 근지구력,

평형성, 유연성과 같은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낙상의 예방과 연결되며 독립적인 생활의 향상과 삶

의 질 향상으로 연결된다(Gary, John & Marcas, 2004).

필라테스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인들을 위한 운동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필라테스운동이 노인의 신체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내연구를 살펴보면 Ku 등(2012)의 연

구에서는 유연성, 심폐지구력, 평형성 등의 향상을 위

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고하였는데 주 1회

4주의 운동으로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Kim &

Kim(2012)의 연구에서는 주 3회 일 1시간의 필라테스

StudyPEDro

ScoreParticipants

InterventionOutcome

measureMain resultsExperimental

groupControl group

Cruz-

Díaz et

al., 2015

6 n=97

71.14(±3.30)y

Pilates

6 weeks

Physiotherapy Fear of falling

Functional

mobility

Balance

Significant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Donath

et al.,

2015

4 n=48

Pilates(n=17)

70.8(±6.5)y

balance(n=16)

69.1(±5.8)y

control(n=15)

69.2(±6.1)y

Mat-based Pilates

and Balance

training

2 sessions/week

(66minfor8weeks)

Control group

(non

intervention)

Balance

performance

Significant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Gabizon

et al.,

2015

7 n=88

intervention(n=44)

control(n=44)

71.15(±4.30)y

Group based

Pilates

3 sessions/week

for 12 weeks

Control group

(non

intervention)

Postural

stability

Balance

Health status

Between-group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Markovic

et al.,

2015

7 n=34

70(±4)y

3 sessions/week

for 8 weeks

Huber exercise

(feedback-based

balance and core

resistance

training)

Balance

Neuromuscular

function

Improvement of

the Huber

exercise group

Cruz-

Díaz et

al., 2016

8 n=101 Pilates + Physical

therapy

6 weeks

Physical therapy Pain

Functional

status

Significant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Barker et

al., 2016

6 n=53

69.3

2 sessions/week

12 weeks

60 min/session

Control group

(non

intervention)

Fall risk Significant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Table 1. Analysis of studies on pilates benefits for older people

58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운동을 통해 근위축 비만 노인들의 신체구성과 염증

지표들의 긍정적 변화를 보고하였다. Seo(2014)의 연

구에서는 8주 동안의 필라테스운동이 여성 노인들의

건강체력과 낙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노인들을 위한 중재로 필라테스를 많이 활용

하고 있으나 필라테스 중재가 노년층의 건강에 향상

에 도움이 된다는 근거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부족한 근거를 확보하고자 진행되었고 필라테스 중재

가 효과가 있다는 근거를 확보하였다.

그러나 본 고찰에는 몇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검토에 포함 된 연구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서로

다른 중재 목표, 환자 선택 기준 및 결과 측정 방법이

다르다. 둘째, 영어로 작성된 연구만 포함된 것이다.

본 고찰에는 필라테스가 노년층을 위해 중재로 긍정

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4개의 연구를 확인했다. 요약하

면, 현재 체계적으로 검토 한 결과, 필라테스가 노년

층의 건강 증진에 기여한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는

근거를 확보하였다.

Ⅴ. 결 론

체계적 고찰의 결과 필라테스 중재가 노년층의 건

강 증진 효과가 있다고 검증되었다. 노년층은 건강 증

진을 위해 활발한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현재 많은 중

재들이 질환을 가진 노인들을 위한 프로그램에 중점

을 두고 있다.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필라테스를

활용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필라테스를 비롯한 노년층

을 위한 다양한 중재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고 효과성

을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Akuthora V, & Nadler SF. (2004). Core strengthen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3): 86-92.

Aladro-Gonzalvo AR, Araya-Vargas GA, Machado-Díaz

M, et al. (2013). Pilates-based exercise for persistent,

non-specific low back pain and associated functional

disability: a meta-analysis with meta-regression. J

Bodyw Mov Ther, 17: 125–136.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8th ed.) (2009).

ACSM's Guid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Bae KJ, Chang IH. (2013). Effect of Pilates Exercise on

Body Shape, Physical Fitness and Trunk Muscle

Activity in Menopause, Non-menopause Middle-aged

Woman. International Journal of Coaching Science,

15(4): 135-144.

Barker AL, Talevski J, Bohensky MA, Brand CA,

Cameron PA, Morello RT. (2016). Feasibility of

Pilates exercised to decrease falls risk: a pilot random-

ized controlled trial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Clin Rehabil, 30: 984-996.

Baumgartner RN. (2000). Body composition in healthy

aging. Annals of New York Academy of Science, 904:

437-448.

Critchley DJ, Pierson Z, & Battersby G. (2010). Effect

of pilates mat exercise and conventional exercise pro-

grames on transversus abdominis and obliquus internus

abdominis activity: Pilot randomized trial. Manual

Therapy, 16(2): 183-189.

Cruz-Díaz D, Martínez-Amat A, De la Torre-Cruz MJ,

Casuso RA, de Guevara NM, Hita-Contreras F.

(2015). Effects of a six-week Pilates intervention on

balance and fear of falling in women aged over 65

with chronic low-ba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aturitas, 82: 371-376.

Cruz-Díaz D, Martínez-Amat A, Osuna-Pérez MC, De la

Torre-Cruz MJ, Hita-Contreras F. (2016). Short- and

long-term effects of a six-week clinical Pilates pro-

gram in addition to physical therapy on post-

menopausal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sabil Rehabil, 38:

1300-1308.

Donath L, Roth R, Hurlimann C, Zahner L, Faude O.

(2016). Pilates vs. Balance Training in Health

Community-Dwelling Seniors: 1 3-arm,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 J Sports Med, 37: 202-210.

59

Dreas, R. (2002). Ultimate Pilates. London: Vemilion,

Random House.

Fadime K, Bilge K, Esra CP, Egemen I. (2016).

Improvements in cognition, quality of life, and phys-

ical performance with clinical Pilates in multiple scle-

ros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Phys Ther Sci,

28: 761-768.

Gabizon H, Press Y, Volkov I, Melzer I. (2016). The

Effects of Pilates Training on Balance Control and

Self-reported Health Statu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ging

Phys Act, 24: 376-383.

Gary RH, John PM, & Marcas MB. (2004).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on older adults. Sports Medicine,

34(5): 329-348.

Greblo JZ, Krizanic V, Sarabon N, Markovic G: Effects

of feedback-based balance and core resistance training

vs. Pilates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s in older

women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ging Clin Exp Res,

2017, 3: 1-4.

Hong, SY. (2008). Comparison of senior fitness test

scores of Korean older women with SFT normative

score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7(5): 405-413.

Iannuzzi SM, Prestwood KM, & Kenny AM. (2002).

Prevalence of Sarcopenia and predictors of skeletal

muscle mass in healthy, older men and women.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7(12): 772-777.

Kim, HT, Kim, NJ. (2012). The Effect of Pilates Mat

Exercise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Inflammation Markers in Sarcopenic Obesity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1(4),

407-417.

Ku, MO, Eun, Y, Kim, ES, Ahn, HR, Kwon, IS, Oh,

HS, Kang, YS, Jung, MS, Choi, SY, Sung, GM,

Kang, HY. (2012). Effects of an Elder Health

Promotion Program using the Strategy of Elder Health

Leader Training in Senior Citizen H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1), 12-135.

Markovic G, Sarabon N, Greblo Z, Krizanic V. (2015).

Effects of feedback-based balance and core resistance

training vs. Pilates training on balance and muscle

function in older women: a randomized-controlled

trial. Arch Gerontol Geriatr, 61: 117-123.

Mazzarino M, Kerr D, Wajswelner H, Morris ME.

(2015). Pilates Method for Women’s Health: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ch Phys Med Rehabil, 96: 2231-2242.

Samira AL, Amer AS. (2015). Assessment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among Saudi older

adults. J Phys Ther Sci, 27: 1691-1695.

Seo, DI, Han, YR, Kim, IH, Oh, HO, Park, ST, So,

WY. The Effect of 8 Weeks of Pilates on Physical

Fitness and Fall Efficacy in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9(4), 201-208.

Statistics Korea. (2011). Report for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http://kostat.go.kr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Towards poli-

cy for health & ageing.

6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1권/제2호

Abstract

Pilates for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Shin, Joong-Il*, O.T.R., Lee, Hye-Rim**, O.T.R., Park, Soo-hee***, O.T.R.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Health Science College, Honam University**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hunnam Techno University

Objective : To evaluate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Pilates method on health outcomes in older people.

Methods : Six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including CINAHL, MEDLINE, PubMed, Science Direct, PEDro, and Cochrane library. Databases were searched using the terms Pilates and Pilates Method. Publish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ere selected if they included older participants with a health condition, if a health outcome was measured, if Pilates was administered, and if the article was published in English in a peer-reviewed journal from 2000 to 2016. Following completion of the searches, two reviewers independently assessed the trials and extracted data using a data extraction form.

Results : Six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ultimately included in this review. Four of the RCTs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lder people as a result of Pilates.

Conclusion : This review of the literature presents evidence attesting to the benefits of participation in Pilates for older people.

Key Words : older people, Pilates, systematic review

제1장 총칙

제1조 (명칭)

본 회는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이하 “본 학회”

라 한다)라 칭하며, 영문 표기는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약칭: OTAD)라

한다.

제2조 (목적)

본 학회는 고령자와 치매관련 작업치료의 연구를

통하여 고령자와 치매작업치료의 학술적 발전을 도모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 (사무소)

본 학회의 주 사무소는 학회장이 지정한 곳에 두는

곳을 원칙으로 한다.

제4조 (사업)

본 학회는 제2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사업을 수행한다.

① 학술지 발간사업

② 고령자 ・ 치매전문작업치료사 양성교육에 관한

사업

③ 국내외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 관련 학문교류에

관한 사업

④ 기타 본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제2장 회원

제5조 (구성)

학회의 회원은 정회원, 명예회원으로 한다.

제6조 (회원의 자격)

본 학회의 회원 자격은 아래와 같다.

① 정회원: 고령자와 치매에 관심이 있고 관련분야

에 종사하거나 이에 상당하는 자격이 있다고 인

정된 자로 학회에 가입하여 회비를 납부한 자

② 명예회원: 본 학회의 발전에 현저한 공로가 있

는 개인 또는 전체

제7조 (회원의 권리, 의무)

본 학회의 회원은 다음 각 호의 권리와 의무를 진

다.

① 회원은 학회의 운영규정을 준수하고, 학회가 정

한 입회금, 회비, 기타 교육 등에 참가할 경우

학회가 정하는 부담금을 납부하여야 한다.

② 회원은 본 학회가 주관하는 학술활동에 적극적

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제8조 (회원의 관리)

전항의 의무를 이행한 회원은 다음 각 호의 권리를

갖는다.

① 운영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발의권, 의결권,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가진다.

② 운영규정 제4조의 사업수행에 참여할 권리를 갖

는다.

③ 학회가 발행하는 학회지나 각종 유인물 등을 제

공받는다.

④ 회원은 탈퇴 절차를 거쳐 탈퇴할 수 있다.

제9조 (회원의 징계)

① 본 학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자는 이사회의 결의

에 따라 징계를 내릴 수 있다.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정관

제3장 임원

제10조 (임원의 종류)

본 학회의 임원은 이사와 감사로 나눈다.

① 회장 1인

② 부회장 1인

③ 이사 30인 이내

④ 감사 2인

제11조 (임원의 자격)

임원의 자격은 학회 정관에 의한 회원의 의무를 성

실히 이행한 자로 한다.

제12조 (임원의 직무)

① 회장은 학회를 대표하고, 총회 및 이사회의 의

장이 되어 회무를 총괄한다.

② 이사는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학회의 각종 업

무를 의결, 분장, 운영하며 이사회 또는 회장으

로부터 위임받은 업무를 수행한다.

③ 감사는 재산상황, 이사회의 운영과 업무에 관한

사항을 감사하며 부당한 점이 있을 때, 이사회,

총회에 그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

제13조 (임원의 선임)

① 학회의 회장,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한다.

② 임명직 이사는 회장의 추천에 의해 총회의 인준

을 받아야 한다.

제14조 (임명직 이사의 해임)

임명직 이사가 다음 각 1에 해당할 때는 총회의 의

결을 거쳐 해임한다.

① 제9조의 규정에 의하여 징계 처분되었을 때

② 학회의 목적에 반하는 행위를 한 때

③ 임원으로서 직무를 태만히 할 때

④ 3년 기간 동안 이사재임기간 중 개최되는 이사

회(임시이사회 포함)에 50% 이상 불참 시 이사

재신임 여부를 묻는다.

제15조 (임원의 보선)

학회의 임원 중에서 결원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결

원일로부터 2월 이내에 보선하여야 한다. 다만, 학회

의 업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의결

을 거쳐 차기 총회까지 그 보선을 연기할 수 있다.

제16조 (임원의 임기)

① 회장, 임명직 이사, 감사는 각각 3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다만, 제15조의 규정에 의하여

보선된 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기간으로

한다.

② 임원의 임기가 만료되더라도 차기임원이 선출

될 때까지는 그 직무를 계속 수행하여야 한다.

제4장 총회

제17조 (구성 및 의결정족수)

① 학회는 최고 의결기관으로 총회를 둔다.

② 총회는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로 구분하여 개최

한다.

③ 정기 총회는 연 1회 정기학술대회 기간 중에 회

장이 소집하고, 임시총회는 정회원의 1/3 이상의

요구가 있거나, 감사의 요구에 따라 회장이 이

를 소집한다.

④ 총회는 출석인원으로 성립되고 모든 의결은 참

석인원의 과반수로 의결한다.

제18조 (총회의 의결사항)

총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

① 학회 해산에 관한 사항

② 정관 변경에 관한 사항

③ 회장단, 감사의 선출에 관한 사항

④ 임명직 이사의 인준에 관한 사항

⑤ 예산 및 결산의 승인에 관한 사항

⑥ 주요 사업계획 승인에 관한 사항

⑦ 이사회에서 부의하는 사항

제5장 이사회

제19조 (구성 및 의결정족수)

① 학회는 회무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 의결하기

위하여 이사회와 실행이사회를 두고 회장이 그

의장이 된다.

② 이사회는 재적이사 과반수의 출석으로 성립하

며, 출석이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20조 (이사회의 개최)

이사회는 정기이사회, 임시이사회 및 실행이사회로

구분한다.

1) 정기이사회는 매년 1회 회장이 소집하여 개최

한다.

2) 임시이사회와 실행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유

가 있을 때에 회장이 소집하여 개최한다.

① 회장이 이사회의 소집이 필요하다고 요구

한 때

② 재적이사 3분의 1이상 또는 감사가 감사결

과를 보고하기 위하여 이사회의 소집을 요

구한 때

3) 이사회의 소집은 회의개최 15일전에 그 회의의

목적, 의결사항 또는 보고사항, 일시 및 장소 등

을 기재한 서면에 의하여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제21조 (이사회의 의결사항)

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

① 총회에서 위임받는 사항

② 정관에 의하여 그 권한에 속하는 사항

③ 사업계획 수립 및 집행에 관한 사항

④ 예산 결산서 작성에 관한 사항

⑤ 총회에 부의할 안건에 관한 사항

⑥ 기타 주요 사항

제22조 (실행이사회 구성, 임무 및 기타사항)

① 실행이사회 구성은 회장을 의장으로 하고 일반

이사 중에서 10명이내로 선정 후 학회에서 개최

되는 모든 회의에 필수적으로 참석하여야 한다.

② 이사회의 대표로서 실행이사회에 결정된 사항

은 학회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이사

회에서 의결된 사항과 동일한 효력을 발휘하고

시행된다.

③ 실행이사회 개최 및 의결사항은 이사회 개최 및

의결사항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6장 편집위원회

제23조 (구성)

① 이사회에서는 본 학회의 학회지 발간을 위하여

편집위원회를 둔다.

② 편집위원회는 편집위원장 1인, 편집위원 5인 이

상으로 구성한다.

③ 본 학회 편집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고, 논문

의 성격에 따라 임시 위원을 선정할 수 있다.

제24조 (자격)

① 편집위원장은 학회 회원 중에 회장이 추천하여

이사회에서 의결한다.

② 편집위원은 학회 회원 중에 편집위원장의 추천

을 받아 회장이 위촉한다.

제25조 (임무)

① 편집위원회는 1년에 2회 학회지를 발간한다.

② 학회지의 발간 시기는 매년 4월 30일, 12월 30

일을 원칙으로 한다.

③ 편집위원회는 논문투고 및 논문심사를 위한 규

정을 별도로 둔다.

④ 발행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학회지 발행 업무

를 관할한다.

제7장 재정 및 회계

제26조 (재원)

학회의 재정은 다음 각 호의 수입금으로 충당한다.

① 입회비

② 회비

③ 교육비

④ 기타 수입금

제27조 (자산관리 및 예산집행)

① 학회의 자산은 회장 책임 하에 금융기관에 예금

하고 관리 운영하며, 승인 및 예산 규정에 따라

집행하며, 그 밖의 중요한 예산은 이사회의 의

결에 따라 집행한다.

제8장 징계

제28조 (징계)

회원으로써 다음의 각호에 해당하는 자에 대하여는

이사회의 의결로써 경고, 견책, 자격정지, 또는 그 이

상의 적응한 징계를 취한다.

① 본회의 명예를 훼손한 자

② 소정의 회비를 2년간 체납한 자

③ 회원으로써 부여된 의무를 태만하게 여기는 자

제9장 사무국

제29조(사무국 및 직원)

본회의 사무를 집행하기 위해 사무국을 둘 수 있으

며, 유급 또는 무급직원(아르바이트 학생)을 둘 수 있다.

제10장 보칙

제1조 (학회해산)

본 학회를 해산하고자 할 때에는 총회에서 회원 4

분의 3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하여 해산한다.

제2조 (학회 해산 시 재산처리)

본 학회가 해산할 때 잔여재산은 국가 지방자치단

체 또는 본 학회와 유사한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에

기증한다.

제3조 (서면결의)

본회의 의결사항 중 정관개정에 관한 사항은 서면

결의를 할 수 없다. 다만 이외의 의결사항은 서면결의

할 수 있다.

제4조 (준용)

본 정관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민법 중 사단법

인에 관한 규정과 보건복지부 비영리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을 준용한다.

부 칙

본 회칙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일반 관례에 의

한다.

본 회칙은 2007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본 회칙은 2007년 9월 8일부터 시행한다.

본 회칙은 2008년 4월 24일부터 시행한다.

본 회칙은 2011년 5월 1일부터 시행한다.

본 회칙은 2017년 9월 30일부터 시행한다.

Ⅰ. 일반규정

본 학회지의 논문의 편집 방향은 작업치료 관련 분야의 논문을 투고 받아 전공별 심사위원들의 심사를 거쳐

게재함으로서 고령자 ・ 치매와 관련된 작업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임과 동시에 고령자 ・ 치매치료분야의 학문적

연구와 새로운 이론을 점검하여 작업치료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1. 본 학회지는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

재 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본 학회지는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와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① 노인관련 작업치료

② 노인관련 건강증진

③ 노인복지

④ 노인직업훈련

⑤ 일상생활환경

⑥ 인지 및 지각관련

⑦ 지역사회재활

⑧ ADL 및 보조도구

⑨ 노인주거환경

⑩ 연하장애

⑪ 교육관련

⑫ 기타 노인관련분야

3.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

할 수 없다.

4.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온라인투고시스템을 통해 고령자 ・ 치매

작업치료학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서약 및 저작권이양동의서, 문헌유사

도검사결과를 함께 제출해야 한다.

5.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고령자・ 치매치료학회지 투고규정

6.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 20부를 기본으로 하면 별쇄본은 자비 부담으로 한다.

7.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제1 저자 및 교신저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하여야 한다.

8.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

송한다.

9. 본 학회지에 게재되는 모든 원고에 대한 저작권은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가 소유한다.

II.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본 학회지의 논문 투고를 위해서는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

판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3.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

은 신명조,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

다.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영문으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

하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

문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2매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초과할 경우의 추가 비용은 저자가

부담한다.

4. 본문 내 문헌 인용 시에는 해당부위에 저자명과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며 어깨번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국내 문헌과 국외 문헌 모두 영문으로 작성하며,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은 ‘와(과)’로 연

결한다. 3~5인의 경우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그 이후에는 제 1저자명 뒤에 ‘등’을 붙인다.

단 저자명을 문장의 끝에 표기할 경우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과 국외문헌 모두 영문으로 시작하며 저자

가 2인인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로 연결하며, 저자가 3~5인인 경우 첫 인용 시에만 전제저자를 표기

하고 그 이후에는 제 1저자명 뒤에 ‘et al’을 붙인다. 또한 6인 이상이거나 3~5인의 재인용일 경우 국내문헌

과 국외문헌 모두 ‘et al’을 붙인다.

(1) 저자명을 주어로 사용한 경우

- 저자가 1인인 경우

예) Kim(2000)은

- 저자가 2인인 경우

예) Jo와 Kim(2003)은, Song과 Jones(1984)는

- 저자가 5인인 이상인 경우

예) Jang, Kim, Park과 Ahn(2013)은

- 저자가 6인 이상인 경우

예) Kim 등(2013)은, Jane 등(1922)은

(2) 문장 끝에 표기하는 경우: 여러 문헌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으로 나누어 표기하며 국내문

헌과 외국문헌 모두 ABC순으로 작성한다.

예) … 라고 하였다(Kim et al., 1999; Rachale et al., 2000; Ottenbacher et al, 1988; Posner & Berk, 1980).

5.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국내문헌과 국외문헌 모두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국내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순으로, 그 외 참고문헌의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

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국외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

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한글로 제시된 문헌은 ‘,’, 그 외 문헌은 ‘&’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7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7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6저자까지만 나열(‘&’생략)한 후 제6저자명 뒤에 ‘...’을 삽입하고 마지막 저자명을 표기한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1)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Lee, J. S., & Jeon, B. J. (2008). A study on the balance ability and obesity of rural elderly persons in

Nons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1), 55-66.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예) Sillick, T. J., & Schutte, N. S. (2006).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mediate between perceived

early parental love and adult happiness. E-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2), 38-48. Retrieve from

http://ojs. lib. swin.deu.au/index.php/ejap

(2)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Kang, D. H., Yoo, E. Y., Chung, B. I., Jung, M. Y., Chang, K. Y., & Jeon, H. S. (2008). The applica-

tion of client-centred occupational therapy for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5, 253-268. doi:10.1002/oti.258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김경미, 이재신. (1997). 작업치료. 서울, 한국: 정담

예) Mattingly, C., &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

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이지연. (2007). 조기중재. 정민예, 아동작업치료 (pp. 27-43). 서울, 한국: 계축문화사.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 B. A. Boyt

Schell (Eds.), Willard &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예) Exner, C. E. (2001). Development of hand skills. In J. Case-Smith(Ed.),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4th ed., pp. 289-328). St. Louis, MO: Mosby.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1)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im, J. K. (2002). He effects of the universal cuff on upper limb motion during feeding in healthy sub-

jects(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

ing education(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최혜숙, 권혜련, 김성원, 김수일, 박수현, 양경희, ... 채수경. (역) (2007). 작업치료학. 서울, 한국: 현문사.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강대혁. (2003, 여름). 세계 보건의료를 선도하는 작업치료. 작업치료, 21, 6-7.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

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9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Performance Enterprises. (2000). Dynavision 2000 operating manual [Brochure]. Markham, Canada: Author.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

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1)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대한작업치료사협회. (2005). 2005년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수가산정. http://www. kaot.org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2)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6.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

에서 편집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논문제목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은 홈페이지 논문투고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 아래 ․ 좌 ․ 우의 여백은 A4 용

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

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고령자・ 치매치료학회지 저자 점검표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영어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에는 해당부위에 저자명과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며 어깨번호를 사용하지 않

는다. 국내 문헌과 국외 문헌 모두 영문으로 작성하며,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은 ‘와

(과)’로 연결한다. 3~5인의 경우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그 이후에는 제 1저자명 뒤에

‘등’을 붙인다. 단 저자명을 문장의 끝에 표기할 경우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과 국외문헌 모두 영문

으로 시작하며 저자가 2인인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로 연결하며, 저자가 3~5인인 경우 첫 인용

시에만 전제저자를 표기하고 그 이후에는 제 1저자명 뒤에 ‘et al’을 붙인다. 또한 6인 이상이거나 3~5

인의 재인용일 경우 국내문헌과 국외문헌 모두 ‘et al’을 붙인다.

(1) 저자명을 주어로 사용한 경우

∙ 저자가 1인인 경우 예) Kim(2000)은

∙ 저자가 2인인 경우 예) Jo와 Kim(2003)은, Song과 Jones(1984)는

∙ 저자가 5인인 이상인 경우 예) Jang, Kim, Park과 Ahn(2013)은

∙ 저자가 6인 이상인 경우 예) Kim 등(2013)은, Jane 등(1922)은

(2) 문장 끝에 표기하는 경우: 여러 문헌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으로 나누어 표기하며

국내문헌과 외국문헌 모두 ABC순으로 작성한다.

예) … 라고 하였다(Kim et al., 1999; Rachale et al., 2000; Ottenbacher et al, 1988; Posner & Berk,

1980).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1)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Lee, J. S., & Jeon, B. J. (2008). A study on the balance ability and obesity of rural elderly persons

in Nons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1), 55-66.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예) Sillick, T. J., & Schutte, N. S. (2006).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mediate between per-

ceived early parental love and adult happiness. E-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2), 38-48.

Retrieve from http://ojs. lib. swin.deu.au/index.php/ejap

(2)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Kang, D. H., Yoo, E. Y., Chung, B. I., Jung, M. Y., Chang, K. Y., & Jeon, H. S. (2008). The ap-

plication of client-centred occupational therapy for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5, 253-268. doi:10.1002/oti.258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김경미, 이재신. (1997). 작업치료. 서울, 한국: 정담

예) Mattingly, C., &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

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이지연. (2007). 조기중재. 정민예, 아동작업치료 (pp. 27-43). 서울, 한국: 계축문화사.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 B.

A. Boyt Schell (Eds.), Willard &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예) Exner, C. E. (2001). Development of hand skills. In J. Case-Smith(Ed.),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4th ed., pp. 289-328). St. Louis, MO: Mosby.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1)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im, J. K. (2002). He effects of the universal cuff on upper limb motion during feeding in healthy

subjects(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최혜숙, 권혜련, 김성원, 김수일, 박수현, 양경희, ... 채수경. (역) (2007). 작업치료학. 서울, 한국:

현문사.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강대혁. (2003, 여름). 세계 보건의료를 선도하는 작업치료. 작업치료, 21, 6-7.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

행처.

예) Performance Enterprises. (2000). Dynavision 2000 operating manual [Brochure]. Markham, Canada:

Author.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1)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대한작업치료사협회. (2005). 2005년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수가산정. http://www. kaot.org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

ualization.html

(2)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

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 06.3_ Kessy_and_Urio.pdf

_______ 국내문헌은 가나다순으로, 외국문헌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표 만들기”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

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인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

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______________________ (인)

공동저자 ______________________ (인)

______________________ (인)

______________________ (인)

*본 저자점검표는 2016년 3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5판

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편집위원회

학 회 장 양영애/인제대학교

부 회 장 김한수/대구보건대학교

감 사 이미자/경복대학교, 장 철/경남정보대학교

학 술 이 사 오혜원/우석대학교, 박수희/호남대학교

총 무 이 사 김정기/대구보건대학교, 신중일/호남대학교

기 획 이 사 정복희/호원대학교, 김정자/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송보경/강원대학교, 박주형/청주대학교

국 제 이 사 정상미/상지영서대학교, 박주영/동주대학교

홍 보 이 사 김미점/충남도립대학교, 박보라/우석대학교

재 무 이 사 정현애/동신대학교, 박수정/대구보건대학교

정 보 이 사 홍재란/광양보건대학교, 유찬욱/한려대학교

이 사 박소연/한서대학교, 백현희/광주대학교, 황기철/백석대학교,

김환중/우석대학교, 양경희/경복대학교, 이선명/마산대학교,

채경주/경복대학교, 최혜숙/동남보건대학교, 배주한/구미대학교,

양경옥/한영대학교, 김행란/아주대학교병원, 김은정/광양보건대학교,

한승협/마산대학교, 박인혜/구미대학교, 정재엽/여주대학교,

윤정애/대전보건대학교, 박윤희/춘해보건대학교, 용미현/경운대학교,

차수민/춘해보건대학교, 최정실/충북보건대학교, 김덕주/청주대학교,

김우택/백병원

편 집 위 원 장 김희진/한양대병원

편 집 위 원 양심영/숭의여자대학교, 김승현/한양대병원, 정재엽/여주대학교,

김덕주/청주대학교, 황기철/백석대학교, 신중일/호남대학교,

김희동/동신대학교, 정복희/호원대학교, 송보경/강원대학교,

김훈주/동주대학교, 감경윤/인제대학교, 한승협/마산대학교,

김정기/대구보건대학교, 고주연/대구보건대학교,

이범석/일본군마대학교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제11권 2호 ISSN 1976-1090

발행일 / 2017년 12월 30일

발행인 / 양영애발행처 /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우) 50834 경남 김해시 인제로 197인제대학교 G동 B215호TEL: 055-320-3799

인 쇄 /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