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제8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8권 제1호

ISSN 1976-109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Page 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Page 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목 차/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 개별실험연구 -

김승태, 황정하, 임재호

1

향기요법적 접근이 노년기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안현진, 김인중, 김영훈

12

부산광역시의 노인인구수와 서비스 제공시설의 구 단위 현황

이보민, 양영애

27

원예치료가 국내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강지영

33

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Page 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Page 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 개별실험연구 -

김승태*

, 황정하**

, 임재호***

*구례군노인전문요양원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대전재활병원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개별사례 실험 연구 방법 중 반전연구(ABA')로 설계되었으며 알츠하이머 치매환자로 진

단을 받은 4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2013년 1월 21일부터 동년 3월 1일까지 총 6주간 주 5회씩 총

30회기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단어목록기억과 단어목록재인 항목은 기초선(5회)과 치료과정(20회),

기초선 회귀(5회) 동안 매회기 CERAD-K를 사용하여 반복 측정하였고 즉시기억, 최근기억, 과거기

억 항목은 CARDS를 사용하여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전⋅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결과 단어목록재인, 단어목록기억 항목은 치료과정(B)이 기초선(A)과 기초선 회귀과정(A')보다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신체활동 프로그램 적용 전⋅후를 비교한 결과 대상자들의 즉

시기억, 최근기억, 과거기억 항목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영역에 긍정적인 효

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좀 더 다양한 평가도구와 일상생활활동의 수행능력을 고려한 신체

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알츠하이머 치매, 인지기능, 신체활동 프로그램

교신저자 : 황정하([email protected])∥접수일 : 2014년 3월 19일∥개재승인일 : 2014년 4월 19일

Ⅰ. 서 론

최근 현대의학의 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증가되어 노인인구 비율이 급속하

게 증가하고 있으며, 인구고령화 속도는 프랑스 115

년, 미국 72년, 일본 24년이었고 우리나라는 17년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이삼식과 최효진, 2011). 국내 평균수명을 보면

1980년에 남자 61.8세, 여자 70.0세에 불과했으나 2010

년에 남자 77.2세, 여자 84.1세로 증가하였으며, 그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에 약 11.0%를 넘어

고령화사회로 진입하였다(통계청, 2010).

고령화는 노화로 인한 모든 장기의 신체기능 저하

와 일상생활활동에 제한을 나타내고 더 나아가 치매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된다고 보고하였다(Folstein et

al., 1991).

치매(dementia)는 후천적으로 정신기능이 퇴화하는

기질성 정신장애로 기억장애, 판단력, 언어 등의 인지

기능과 성격변화, 행동장애를 나타내는 임상 증후군

을 말한다(Benzi & Moretti, 1998). 치매 종류 중 알츠

Page 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하이머 치매(Alzheimer’s Disease; AD)는 1907년 알츠

하이머 의사에 의해 발견되었고 치매 질환을 겪고 있

는 전체 환자 중 12%는 1년, 80%는 6년 안에 이 질병

으로 진행한다고 하였다(Bozoki et al., 2001). 하지만

현재 이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법과 효과적인

진단방법이 없어 세계 각국의 의학계 및 우리나라가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장용순, 2004). 알츠하이머 치

매의 정도의 심각성은 자신 뿐 아니라 보호자에게 부

담감과 고통을 제공하며(김승돈과 김용환, 2009;

Burgener & Twigg, 2002), 특히 인격변화, 불안, 우울

등의 행동심리 증상은 모든 기능을 저하시킬 뿐 아니

라 조기수용화(institutionalization)의 원인이 된다.

또한 인지기능의 감소로 인하여 기본적 일상생활활

동과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Andersen et

al., 2004).

인지기능이란 광범위한 지적 능력을 말하며 인지기

능의 종류에는 주의집중, 기억, 판단력, 계산력, 시공

간능력 및 수행능력 등이 포함된다(McAllister, 1981).

정상적인 사람은 노화로 인하여 의미 기억, 개념형성,

집중력, 시공간능력의 인지영역의 감퇴를 보인다(전

진숙, 2000).

하지만 알츠하이머 치매환자는 이마엽앞, 우측 마

루엽의 후방부, 관자엽의 뇌피질 장애와 신경체계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위는 치매의 심각

도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부위라고 할 수

있다(유호신, 2001).

많은 연구자들은 다양한 약물학적 치료와 비약물적

치료를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에게 적용하여 인지기능

향상과 정서적 안정 그리고 행동심리증상의 완화를 치

료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 중 비약물적 치료는 약

물학적 치료와 상반된 치료가 아닌 상하보속적 관계에

서 환자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방법 중 하나로 현재

임상에서는 다각적인 치료 접근법들이 사용되어지고

있다(Teri et al., 2000). 그 종류에는 인지재활 훈련, 아

로마와 마사지, 회상치료, 원예치료, 신체활동 등을 이

용한 프로그램들이 사용되어지고 있다(강문희, 2005).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경증 치매노인에게 적용하여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인지기능 향상을 보고하였고

(김현주, 2010),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기억력과 자기

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재방안으로 회상치료가 유

용하다고 강조하였다(Rentz, 1995). 또 치매환자 10명

을 대상으로 원예치료를 실시한 결과 대상자의 우울

증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

타났으며(이상훈, 1999), 소그룹 신체활동을 실시하여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유의한 증가를 제시한 연구도

있었다(김정기 등, 2008).

그 중 신체활동은 근골격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모든 신체의 움직임이며 인간의 직접적인 표현과 내

적자아의 행위이다. 그리고 65세 노인인구의 빠른 증

가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필수적인 요소로 신체활

동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신체활동을 적용

한 노인과 참여하지 않는 노인을 비교했을 때 활동에

참여한 노인의 정신적인 증상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강진철과 이충훈, 2000). 그리고 신체활

동을 규칙적으로 수행한 경우 신체적인 측면에 긍정적

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Dishman & Gettman,

1980). 또 노인성 치매환자에게 규칙적인 신체활동 프

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능력에

유의한 효과를 제시한 연구도 있었으며(엄상용, 2003),

치매노인에게 신체활동을 실시하여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의 성장인자를 향상시킨 보고가 있었다(Barens et

al., 2003; Laurin et al., 2001). 하지만 기존 연구들에서

는 노인, 뇌졸중, 혈관성 치매, 경도인지장애를 대상으

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지만 알츠하이머 치매환

자로 진단을 받은 대상자로 한 연구는 미비하였고 또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심리적인

안녕감과 정신건강, 근력 등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그

쳤다(Abourezk & Toole, 1995). 그리고 알츠하이머 치

매환자의 신체적 요소와 인지적 관계를 고려한 신체

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고(이유나 등,

2013), 임상에서 알츠하이머 치매환자를 치료하는 작

업치료사의 치료적 개입이 절실하다고 하였다(정원미

와 이재신, 2006).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가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에게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지기

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가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면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새로운 신체활동 프

로그램으로써 유용함은 물론 환자의 인지 재활 및 치

Page 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3

매 상태 지연, 가족의 부담의 절감 등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알츠하이머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다양한 시설에

서 적용 가능한 기초 자료로도 활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전남 N 요양원에서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단을 받고 재활치료 중인 4명의 입원환자(남자: 1,

여자: 3)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1월 21일부터 동년 3월 1일까지 6주간 이루어졌다. 신

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는 기초선(A)과 기초

선 회귀과정(A') 기간에는 작업치료 총 30분 중 20분

은 인지를 사용하지 않는 단순한 작업을 수행하였으

며, 나머지 10분은 치료사가 관절운동을 실시하였다.

물리치료의 경우 전통적 물리치료를 15분 그리고 15

분은 FES(Functional Electronic Stimulation)를 사용한

전기치료를 실시하였다. 그 후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결과 측정을 위해 의사소통이 원활한 환

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전 대상자에게 연구

목적 및 방법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1)과 같다.

본 연구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전문의에게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단을 받은 자

2) CDR 점수가 0.5, 1인 자

3) 시각적 검사(MVPT)에서 이상이 없는 자

4) 독립적인 보행이 가능한 자

5)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대상자 성별 나이유병기간

(개월)CDR 교육수준

1. 노00 M 78 8 0.5 초등

2. 김00 F 88 10 0.5 초등

3. 박00 F 71 8 0.5 대학교

4. 차00 F 84 13 1 무학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개별사례 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

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반전연구(reversal design)

인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총 실험 회기는 30회기

로 실험은 기초선 과정과 치료 과정 그리고 다시 기

초선 회귀 과정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초기 기초선

과정(A)과 치료 과정 후 기초선 회귀 과정(A')은 각각

1일 1회 총 5회씩 대상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을 적용하지 않는 단순작업과 관절가동범위 증진, 통

증 감소에 중점을 둔 치료를 하였고, 치료 과정(B)에

는 총 20회기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매

회기 측정은 CERAD-K를 사용하여 인지기능을 반복

측정하였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인 CARDS를 이

용하여 임상 8년차 이상의 작업치료사가 치료 과정

전, 후 각 1회씩 측정하였다.

3. 연구도구

1) 비운동성 시각적 검사(Motor-free Visual

Perception; MVPT)

MVPT는 편측무시, 시야결손 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로써 판별, 진단, 연구를 목적으로 개발되

었다(Bouska & Kwatny, 1983). MVPT는 공간관계(spatial

relation), 시각적 완성(visual closure), 시각적 기억(visual

memory), 시각적 구별(visual discrimination), 전경배경

(figure ground)의 5개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총 36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검사자간 신뢰도는 0.86-0.90

이며, 평가도구에 따른 신뢰도는 0.89이다(이혜선,

2011). 본 연구에서는 시지각 장애가 없는 대상자들을

선별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2) 치매임상평가 척도(Expanded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치매임상평가척도는 최성혜 등(2001)이 한국판으로

개발한 것으로 지남력, 기억력, 판단력과 문제해결능력,

집안생활과 취미, 사회적 활동, 위생과 몸치장의 6개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또 행동적 범주와 인지에 대

한 평가를 통해 치매의 심각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5”와 “1”은 치매 경도, “2”는 치매 중증도, “3”

Page 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은 치매 중증으로 분류된다(Berg, 1984). 측정 시간은

약 40∼50분정도 소요되며, 검사자간 신뢰도 Kappa 값

이 0.86-1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CDR “0.5” 등급, CDR

“1”등급 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었다.

3) 인지평가 및 진단 시스템(Cognitive Assessment &

Reference Diagnosis System; CARDS)

CARDS는 치매와 경도 인지장애를 선별하고 신경심

리검사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전산화 인지검사도구이

다(서국희, 2002). 검사는 7개의 기억력 항목과 기억력

을 포함하지 않는 5가지 인지영역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환자의 과거력, 정신상태 검사, 의학적 검사,

뇌 영상술을 기록할 수 있는 항목이 첨가되어 있다. 측

정자 간 신뢰도는 0.74,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0.99이다

(서국희, 2002). 본 연구에서는 과거기억, 최근기억, 즉

시기억 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었다.

4) 신경심리평가(The Korean Version of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of Alzheimer’s Disease;

CERAD-K)

CERAD-K는 언어유창성 검사, MMSE-KC, 단어 목

록기억 검사, 구성행동 검사, 단어목록재인 검사, 단어

목록인식 검사,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 길만 들기 검

사로 구성되어 인지기능의 세부항목을 평가 할 수 있

다. 본 연구에서는 CERAD-K의 신경 심리 평가책자를

사용하였고(이동영, 2001), 검사-재검사 간 신뢰도는

0.63-0.87로 나타났다.

4. 연구과정

본 연구의 실험과정은 기초선(A), 치료과정(B), 기

초선 회귀과정(A')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진행 과정

및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그림 1), (표 2)와 같다

1) 기초선(A)

대상자 선별을 위해 MVPT, CDR을 실시하였고, 인

지기능의 매회기 측정은 CERAD-K를 사용하였다. 분

리된 개별 공간에서 동일한 연구자가 평가하였으며

인지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CARDS는 기초선 과정 중

5회기 때 1회 평가하였다.

2) 치료과정(B)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김명신(2005)이 개발한 도구의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

로그램은 알츠하이머 치매환자가 다양한 인지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활동의 구성요소를 사용하

였다. 그리고 환자가 최대한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

여 가족 및 타인에 대한 신체적 의존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자는 연구를 시작

하기 전 대상자의 인지기능 회복을 위해 대상자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 신체활동 프로그램 등에 대한 교

육을 먼저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연구자는 대상자 앞에서 5가지의 일상생활활동 과제

를 시범 보인 뒤 대상자도 수행 할 수 있도록 지도하

였다. 지도 교육 과정에서 대상자들의 운동 능력에 있

어서는 문제가 없었으며 최대한 인지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치료과정 20회기는 1일 1회씩 하나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대상자가 무작위

로 번호를 뽑아 뽑힌 숫자대로 과제수행을 실시하였

다. 매회기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끝난 후 CERAD-K를

적용하여 대상자의 인지능력을 반복 측정하였다.

3) 기초선 회귀과정(A')

중재 후 기초선 과정 때와 같은 방법으로 CERAD-K

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인지능력을 1일 1회씩 5일 동

안 측정하였다.

기초선(A)-1주 5회기

⋅CARDS 기초선 (A) 측정 (5회기 때)

⋅CERAD-K : 매회기 측정

치료과정(B)-4주 20회기

⋅주5회, 1일 1회, 25분간 총 20회기 실시

⋅신체활동 프로그램

⋅CERAD-K : 매회기 측정

기초선 회귀(A')-1주 5회기

⋅CARDS 기초선(A') 측정 (30회기 때)

⋅CERAD-K : 매회기 측정

그림 1. 연구 과정

Page 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5

5. 분석 방법

기초선, 치료과정 그리고 기초선 회귀과정의 자료

안정성과 경향을 비교하기 위해 인지능력의 각 측정

값은 시각적 그래프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전

산화 인지검사도구인 CARDS를 사용하여 인지능력의

전⋅후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성내 용

분신체활동 프로그램

1. 옷 입기⋅날씨에 맞는 옷 선택

⋅상의/하의, 벨트, 단추 등 착용30

2. 몸치장하기⋅청결관리 도구이름 알기

⋅개인위생 도구 사용30

3. 먹기⋅음식의 이름 대기

⋅음식 만드는 과정 설명30

4. 독립적으로

화장실이용

⋅화장실 위치 알기

⋅화장실 도구 및 이용30

5. 개인용품

관리하기

⋅개인용품 위치 및 이름 알기

⋅개인용품 세척/관리하기30

표 2. 신체활동 프로그램

Ⅲ. 연구 결과

1. 인지 기능의 변화(CERAD-K)

그림 2. 대상자 1의 단어목록재인, 단어목록기억 변화

신체활동 프로그램으로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인

지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선(A), 치료과

정(B), 기초선 회귀과정(A')에 따라 각각 대상자의 평

균값을 알아보았다.

CERAD-K의 각 시기별 측정 결과 대상자1은 기초

선A 과정에서 단어목록재인 평균 9점이였으나, 치료

과정B에서는 평균 14점으로 56% 향상되었고, 기초선

A'에서는 평균 13점으로 기초선A보다 44% 향상되었

다. 그리고 단어목록기억 평균 10점이였으나, 치료과

정B에서는 평균점수 14.8점으로 44% 향상되었고, 기

초선 A'에서는 평균 13.8점으로 기초선A보다 38% 향

상되었다(그림 2).

그림 3. 대상자 2의 단어목록재인, 단어목록기억 변화

CERAD-K의 각 시기별 측정 결과 대상자2는 기초

선A 과정에서 단어목록재인 평균 8.5점이였으나, 치

료과정B에서는 평균 15점으로 76% 향상되었고, 기초

선A'에서는 평균 14점으로 기초선A보다 약 65% 향상

되었다. 그리고 단어목록기억 평균 6점이였으나, 치료

과정B에서는 평균점수 10.2점으로 63% 향상되었고,

기초선 A'에서는 평균 8점으로 기초선A보다 33% 향

상되었다(그림 3).

Page 1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그림 4. 대상자 3의 단어목록재인, 단어목록기억 변화

CERAD-K의 각 시기별 측정 결과 대상자3은 기초

선A 과정에서 단어목록재인 평균 7.5점이였으나, 치

료과정B에서는 평균 9.3점으로 24% 향상되었고, 기초

선A'에서는 평균 7.7점으로 기초선A보다 약 3% 향상

되었다. 그리고 단어목록기억 평균 7점이였으나, 치료

과정B에서는 평균점수 12.2점으로 74% 향상되었고,

기초선 A'에서는 평균 12점으로 기초선A보다 71% 향

상되었다(그림 4).

그림 5. 대상자 4의 단어목록재인, 단어목록기억 변화

CERAD-K의 각 시기별 측정 결과 대상자4는 기초

선A 과정에서 단어목록재인 평균 7.7점이였으나, 치

료과정B에서는 평균 14점으로 약 82% 향상되었고, 기

초선A'에서는 평균 10.8점으로 기초선A보다 40% 향

상되었다. 그리고 단어목록기억 평균 8.4점이였으나,

치료과정B에서는 평균점수 10.2점으로 21% 향상되었

고, 기초선 A'에서는 평균 7점으로 기초선A보다-16%

감소되었다(그림 5).

2. CARDS 점수 변화

즉시기억 항목에서 대상자1은 치료 전 30%에서 치

료 후 50%이며, 치료 전⋅후 변화량은 20% 향상되었

고, 대상자2는 치료 전 30%에서 치료 후 50%이며, 치

료 전⋅후 변화량은 20% 향상되었다. 그리고 대상자3

은 치료 전 30%에서 치료 후 40%이며, 치료 전⋅후

변화량은 10% 향상되었으나, 대상자4는 치료 전 30%

에서 치료 후 20%로, 치료 전⋅후 변화량은-10% 감소

하였다(그림 6).

그림 6. CARDS 전⋅후 즉시기억 변화

최근기억 항목에서 대상자1은 치료 전 45%에서 치

료 후 55%이며, 치료 전⋅후 변화량은 10% 향상되었

고, 대상자2는 치료 전⋅후 변화량이 없다. 대상자3은

치료 전 45%에서 치료 후 55%이며, 치료 전⋅후 변화

량은 10% 향상되었고, 대상자4는 치료 전⋅후 변화량

이 없었다(그림 7).

과거기억 항목에서 대상자1은 치료 전 43%에서 치

료 후 66%이며, 치료 전⋅후 변화량은 23% 향상되었

고, 대상자2는 치료 전 43%에서 치료 후 50%이며, 치

료 전⋅후 변화량은 7% 향상되었다. 대상자3은 치료

Page 1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7

전 33%에서 치료 후 66%이며, 치료 전⋅후 변화량은

33% 향상되었고, 대상자4는 치료 전⋅후 변화량이 없

었다(그림 8).

그림 7. CARDS 전⋅후 최근기억 변화

그림 8. CARDS 전⋅후 과거기억 변화

Ⅳ. 고 찰

인지장애를 가진 치매환자의 경우 대부분 신체를

사용한 일상생활활동에서 문제를 보일 때 인지기능과

아주 밀접한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Laurin et al.,

2001). 또 치매환자가 일상생활활동 제한을 보일 때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정신건강, 삶의 질이 더 떨

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김정기 등, 2008).

그리고 이병희 등(2011)은 치매환자의 신체적인 요

소와 인지적인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신체활동 프로

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활동의 구성요소를

세분화 시킨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알츠하이머 치매환

자에게 적용하여 인지기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 CREAD-K의 단어목록재인과 단어목록

기억 항목을 매회기 반복 측정한 결과 대상자 모두 평균

값의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일상생활

활동, 즉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인지기능 영역에 긍

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더 나아가

치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Cotman &

Berrchtold, 2002)이라고 생각되어진다. 그리고 신체활동

의 참여가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킨

다는 선행연구(서유현, 2011 ; Lautenschlager et al., 2008)

들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확

인 할 수 있었다. 또 Kemoun 등(2010)의 연구를 살펴

보면 신체활동과 인지활동을 병행한 실험군과 인지활

동만을 수행한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에서 인지

기능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신체활동

이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재활에 있어 효과적이라고

보고한 Stevenson과 Topp(1990)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

다. 하지만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4는 중재 이후 단

어목록기억 항목이 오히려 감소를 보인 것은 알츠하이

머 치매환자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알츠

하이머 치매환자는 초기부터 이해 능력의 장애를 보이

고 말기에는 무언증이나 명칭실어증을 보이며(Slauson

et al., 1987), 학력이 높을수록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 높다고 보고하였다(Roger & Gerry, 2003). 이처럼 대

상자 4는 알츠하이머 치매 질환의 임상적 특성인 단어

산출능력의 저하(Appell et al., 1982)와 교육수준이 무

학인 점으로 인하여 그래프가 감소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 인지검사도구인 CARDS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즉시기억, 최근기억, 과거기억 항

목에서 향상을 보였다. 이는 신체활동을 적용 후 전산

화 인지검사도구를 통하여 인지기능의 향상을 보고한

연구(이윤미, 2011)의 결과와 일치하며, 신체활동을 수

행 한 후 최근기억, 지남력, 즉시기억, 과거기억의 인

지기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인 James와 Jamie(1995)

Page 1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그런데 대상자 4는 즉시기억 항목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그러한 이유는 유병기간,

CDR 등급이 다른 대상자에 비해 높다는 점과 질환의

특성이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알츠하이머 치매환

자의 즉시기억에 대한 효과는 향후 연구와 논의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 대상자 2, 4는 최근기억과 과거기억 항목에서 전⋅

후 변화의 점수가 동일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활

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기억과 주의기능에 전혀 영

향을 주지 못하였지만 현재 상태를 유지한 연구와 일

치하였다(김영숙, 1999). 이것은 대상자들의 교육수준

과 나이, CDR 등급이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바닥

효과(Escorbar, 1986)라고 볼 수 있으며 질환의 진행

상태와 기간에 따라 회상하는 능력의 감소(Fernando

et al., 2010), 기억을 저장하는 부호화의 차이라고 보

고한 곽경현(2004)의 연구 결과를 이유로 들 수 있다.

알츠하이머 치매가 퇴행성 질환인 점을 고려할 때 나

이가 많고 병마와 싸우는 시간이 오래되면 될수록 많

은 영향을 미치는 것도 하나의 이유라고 판단된다.

신체활동을 주2∼3회, 20분씩 1년 동안 수행한 결

과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의 유의하게 증가를 보고하였

다(Kwak et al., 2008). 이처럼 본 연구에서도 최근기억

과 과거기억 항목이 대상자들에게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일상생활활동과 연계된 신

체활동 프로그램을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인지기능을

향상시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활동이 치

매의 진행을 지연시키고 인지기능을 향상시킨다는 연

구결과를 지지한다(Heyn 등, 2004). 본 연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가 수행할 경우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것은 일상생활활동에도 영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의 일반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과 달리 작업치

료에서 사용하는 일상생활활동을 접목시켜 인지기능

을 알아보았다는 점과 신뢰성이 높은 전산화 인지검사

도구를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둘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이

다르고, 4명의 대상자로만 연구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모든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에게 일반화 하기는

어렵다. 또한 중재가 6주의 기간으로 짧았고 중재 후

지속효과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

서는 많은 알츠하이머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야 할 것이며 치료과정의 충분한 연장, 다양한 평가도

구 사용 및 일상생활활동의 수행능력을 고려한 신체

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에게 신체활동 프로

그램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

이다. 이를 위해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단을 받은 4명

의 대상자에게 매회기 측정에 사용된 CERAD-K와

CARDS를 실시하여 인지기능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대상자에게 CERAD-K를

반복 측정한 결과, 치료과정(B)이 기초선(A), 기초선

회귀과정(A') 구간보다 많은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전산화 인지검사도구인 CARDS로 평가한 결과,

즉시기억 항목에서 대상자 1, 2, 3은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지만 대상자 4는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

최근기억 항목에서 대상자 1, 3은 변화를 보인 반면,

대상자 2, 4는 최근기억 항목에서 변화를 보이지 못하

였다. 또 대상자 4는 과거기억 항목에서 변화를 확인

할 수 없는 반면 대상자 1, 2, 3 모두에서 긍정적인 변

화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알츠

하이머 치매환자에게 적용한다면 인지기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기초 연

구를 토대로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에게 다양한 신체활

동을 적용시킨 프로그램의 도입 및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Page 1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9

참고문헌

강문희. (2005). 원예요법을 적용한 간호중재프로그램

이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인지, 정서, 의사소통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전: 충남대학교.

강진철, 이충훈. (2000). 노화지연을 위한 노인 건강⋅

체력증진 프로그램 개발. 국민체육진흥 공단 체육

과학연구소.

곽경현. (2004). 교육수준에 따른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인지 부호화 사용의 차이 : 언어적, 시공간

적, 동작적 부호화를 중심으로. 서울: 중앙대학교.

김명신. (2005). 일상생활동작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자

가 간호 수행능력과 가족의 부담감에 미치는 효과.

부산: 부산대학교.

김승돈, 김용환. (2009). 가족탄력성이 치매노인 부양

가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5, 7-32.

김영숙. (1999).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증진을 위한 작

업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19(3), 167-179.

김정기, 김한수, 정복희. (2008). 소그룹 신체활동이 치

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고령자 치매 작

업치료학회지, 2(2), 13-24.

김현주. (2010). 경증치매 노인을 위한 운동병합 인지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서울: 고려대학교.

서국희. (2002). 인지평가 참고 시스템(CARDS)의 진

단능력. 대한노인정신의학회지, 6(2), 128-135.

서유현. (2011). 뇌질환연구의 최근동향과 전망.

엄상용. (2003). 규칙적인 운동이 노인성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및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

울: 고려대학교.

유호신. (2001). 지역사회 지체장애인을 위한 방문간호

사업 효과 평가. 대한간호학회지, 31(6), 1098-1108.

이동영. (2001). 한국판 CERAD 신경심리검사집[CERAD-

K(N)]의 노인정상규준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이병희, 박준수, 김나라. (2011). 주의집중훈련이 알츠

하이머 치매의 실행기능과 뇌 활성화에 미치는 영

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243-261.

이삼식, 최효진. (2011). 저출산과 인구고령화의 상관

관계. 한양고령사회논집, 2(2), 1-16.

이상훈. (1999).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과 자아존

중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 건국대학교.

이유나, 박지혁, 임경민. (2013). 신체활동 작업치료가

치매노인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

회논문지, 13(5), 322-331.

이윤미. (2011). 컴퓨터-보조 인지재활훈련과 균형운동

이 노인의 인지, 시지각, 손 기능, 균 형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대구: 대구대학교.

이혜선. (2011). 노인의 인지능력과 시지각 능력 상관

관계.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5(1), 55-63.

장용순. (2004). 혈관성치매 예방을 위한 연구: 고양시

기혼자를 중심으로. 서울: 동국대학교.

전진숙. (2000). 노인에서 신경인지기능의 진단 및 평

가. 생물치료정신의학회지, 6(1), 126-139.

정원미, 이재신. (2006). 고령자치매를 위한 전문작업치료

사 교육과정 개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4(2), 92-104.

최성혜, 나덕렬, 이병화, 함동석, 정지향, 윤수진, 유경

희, 하충건, 한일우. (2001). 한국판 Expanded Clinical

Dementia Rating(CDR) 척도의 타당도. 대한신경과

학회지, 19(6), 585-591.

통계청. (2010). 고령자 통계.

Abourezk, T., & Toole, T. (1995). Effect of task com-

plex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reaction time in older women.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3, 251-260.

Andersen, C. K., Wittrup-Jebsen, K. U., Lolk, A.,

Andersen, K., & Sorensen, P. K. (2004).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is the main factor af-

fect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dementia.

Health Quality Life Outcome, 52(2), 1186-1477.

Appell, J., Kertesz, A., & Fisman, M. (1982). A study of

language functioning in Alzheimer patients. Brain and

Language, 17, 73-91.

Barens, D. E., Yagge, K., Satariano, W. A., & Tager, I.

B. (2003). A lomgitudinal study of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cognitive function in healthy older adult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al, 51, 459-465.

Benzi, G., & Moretti, A. (1998). Is there a rationale for

the use of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in the ther-

apy of Alzheimer’s disease?. European journal of

Page 1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1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Pharmacology, 346(1), 1-13.

Berg, L. (1984). Clinical dementia rating.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5, 339.

Bouska, M. J., & Kwatny, E. (1983). Manual for application

of the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to the adult

populatio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57(1), 91-100.

Bozoki, A., Giordani, B., Heidebrink, J., Berent, S., &

Foster, N. (2001). Mild cognitive impairment predicts

dementia in nondementied elderly patients with memo-

ry loss. Archives Neurology, 58(3), 411-416.

Burgener, S., Twigg, P. (2002). Relationships among

caregiver factors and Alzheimer Disease & Associated

Disorders, 16(2), 88-102.

Cotman, C., & Berchtold, W. (2002). Exercise: a behav-

ioral intervention to enhance brain health and plasticity.

Trends Neuroscience, 25(6), 295-301.

Dishman, K., & Gettman, R. (1980). Psychobiologic in-

fluences on exercise adherence.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4), 295-310.

Escorbar, J. L. (1986). Use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mixed ethnicity: cultural and linguistic artifacts.

Journal of Neurons and Mental Disease, 174(10),

607-614.

Fernando, C., Elena, H., & Andrew, W. (2010). Impaired

word recognition in Alzheimer’s disease: The role of

age of acquisition. Neuro-psychology, 48(11), 3329-3334.

Folstein, M. F., Bassett, S. S., Anthony, J. C.,

Romanosk, A. J., & Nestadt, G. R. (1991). Dementia:

Case ascertainment in a community survey. Journal of

Gerontology, 46(4), 132-138.

Heyn, P., Abreu, B. C., & Ottenbacher, K. J. (2004). 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elderly persons with cogni-

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 meta-analys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5, 1694-1704.

James, & Jamie. (1995). Braving the 1995 biennial.

ARTnews, 94(3).

Kemoun. G., Thibaub, M., Roumagne, N., Carette, P.,

Albinet, C., Toussaint, L., Paccalin, M., & Dugue, B.

(2010). Effect of a physical training programme on-

cognitive function and walking efficiency in elderly

persons with dementia.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29(2), 214-223.

Kwak, Y. S., Um, S. Y., Son, T. G., & Kim, D. J.

(2008).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senile dementia

par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29(6), 471-474.

Lautenschlager, N. T., Cox, K. L., Flicker, L., Foster, J.

K., van Bockxmeer, F. M., Xiao, J., Greenop, K. R., &

Almeida, O. P. (2008).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 at risk for Alzheimer

disease: a randomized disease patients.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24(1), 79-84.

Laurin, D., Verreault, R., Lindsay, J., Macpherson, K., &

Rockwood, K. (2001).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in elderly persons.

Archives Neurology, 58(3), 498-504.

McAllister, T. W. (1981). Cognitive functioning in the

affective disorders. Comprehensive psychiatry, 22(6),

572-586.

Rentz, C. A. (1995). Reminiscence: A Supportive inter-

vention for the Person with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Psychological Nursing, 33(11), 15-20.

Roger, B., & Gerry, H. (2003). Realistic Expectations :

The management of Severe Alzheimer Disease.

Alzheimer Association Disorder, 17, 81-85.

Slauson, T. J., Bayles, K. A., & Tomoeda, C. K. (1987).

Communication disorder in last-stage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

Psycology, 9(1), 73-81.

Stevenson, J. S., & Topp, R. (1990). Effects of moderate

and low intensity long term exercise by older adult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3(4), 209-218.

Teri, L., Logsdon, R. G., Peskind, E., Raskind, M.,

Weiner, M. F., Tractenberg, R. E., Foster, N. L.,

Schneider, L. S., Sano, M., Whitehouse, P., Tariot, P.,

Mellow, A. M., Auchus, A. P., Grundman, M.,

Thomas, R. G., Schafer, K., & Thal, L. J. (2000).

Treatment of agitation in AD: a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clinical. Neurology, 55(9), 1271-1278.

Page 1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11

Abstract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Cognition in the Alzheimer’s Dementia

- Single Subject Design -

Kim, Seung-Tae*

, O.T., Hwang, Jung-Ha**

, O.T., Lim, Jae-ho***

,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eriatric Nursing Homes Gur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jeon Hospital

Objectives : The study is to explore effects of the cognition on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Alzheimer’s

dementia patients

Methods : This study was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with ABA' design. The subject were

four persons who diagnosed as Alzheimer’s and this design was performed during six weeks

for them. Recognition word list and Memory word list function of subjects was measured

during baseline phase(5 session: A), Intervention(20 session: B) and baseline return phase’(5

session: A') using CERAD-K each session. Recent memory, remote memory and immediate

memory was measured using CARDS in Pre-Post in physical activity program.

Results : Recognition word list and Memory word list function of subjects was more improved during

Intervention period(B) than baseline and return phase this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subjects was changed to cognitive function.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physical therapy program for Alzheimer’s dementia is a

useful therapeutic approach by enhancing the their cognitive function.

Key Words : Alzheimer’s Dementia, Cognitive function, Physical activity program

Page 1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향기요법적 접근이 노년기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안현진*

, 김인중**

, 김영훈***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생명산업공학과 환경생명공학전공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명공학부 응용생명공학전공

***늘봄 재활전문병원 재활의학과

목적향기요법적 접근이 입원 노인의 우울증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보다 과학적, 객관적으로 검증하여

작업치료실에서 노인 환자 치료에 응용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제주시에 위치한 N 재활전문병원과 J 노인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군 8

명, 대조군 8명으로 나누어 각각 향기요법 손마사지와 일반 손마사지를 일주일에 2번 6주간 시행한

후 실험 전⋅중⋅후에 노인우울척도(GDS-K)와 간이인지검사(MMSE-K)를 실시하여 변화를 비교하

였으며, 역시 실험 전⋅중⋅후에 타액채취와 채혈을 실시하여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을

통해 세로토닌 수용체(HTR1A, HTR2C, HTR6)와 세로토닌 수송체(SERT)의 증감 여부를 비교 분

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GDS-K 검사 결과 실험군 평균과 대조군 평균 모두 우울도가 낮아졌지만 실험군은 우울증 감소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난데 반해, 대조군의 경우는 실험 초기에 비해 그 효과가 지속되지 못했다.

혈액 샘플 RT-PCR 결과에서는 우울증 향상군과 비향상군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우울증 향상군

에서 세로토닌 수송체(SERT)를 비롯한 세로토닌 수용체들의 발현량이 실험 후에 대체로 줄어드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일반 마사지만으로도 일시적인 우울증 감소와 인지 향상이 보이기는 하지만 향기요법을 적용한 경

우 더 효과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T-PCR 결과는 SERT의 활성이 떨어지면 시냅

스 공간에서의 세로토닌의 양이 많아져 우울증이 감소한다는 이론을 뒷받침해 주는 것이어서 향기

요법의 효과를 증명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작업치료실에서도 우울증이 동반되어 있는 환

자에게 향기요법적 접근을 더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주제어향기요법, 노인 우울증, 세로토닌(Serotonin), 한국판 노인우울척도(GDS-K), 한국판 간이인지검사

(MMSE-K),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교신저자 : 김인중([email protected])∥접수일 : 2014년 4월 5일∥개재승인일 : 2014년 4월 20일

Ⅰ. 서 론

근래 우리나라는 산업화를 통한 경제 성장으로 경

제적 풍요와 질 높은 의료 서비스가 보편화되었고 이

로 인한 평균수명의 빠른 증가로 다른 선진국들에 비

해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가 되고 있다(권석만과 민병

배, 2010).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른 노인문제는 생산

인구가 줄어든다는 경제적 문제와 함께 다양한 신체,

정신, 사회 및 심리적 문제로 발생되고 있다(대한노인

정신의학회, 2004).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노인의 만

성적 질병 중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노인 자살은 노

년기 우울증이 그 원인이라 하겠다(문정준, 2010; 전

Page 1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13

창선, 2009). 여러 가지 노인성 질환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 중인 노인들에게서 우울증의 문제는 더욱 대두

되고 있다. 실제로 작업치료사들은 임상에서 정상적

이지 않은 몸 상태나 생활환경의 변화 등으로 우울증

이 동반되어 있는 환자들을 많이 접하게 되는데 우울

증은 재활에 대한 의욕을 감소시켜 치료 효과를 떨어

뜨리게 만들기도 한다(조남주와 원영식, 2011). 이에

재활치료와 항우울증 치료제 복용을 함께 하는 경우

가 많은데 약물 부작용을 많이 호소하는 노인에게 우

울증 치료에 있어서 약물보다는 향기요법과 같은 대

체 요법이 관심을 받고 있다(오홍근, 2003). 예전부터

민간요법처럼 많이 사용되어오던 향기요법은 최근 많

은 연구를 통해 부작용이 적고 증상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되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김연숙,

2008; 김장순 등, 2009; 신설애, 2010; 조주연, 2009).

그러나 ‘우울척도’나 ‘우울측정지’ 같은 설문지 형태

의 자료 분석은 검사자의 주관적 개입이나 답변자의

답변 당시 심리적 상황이 우울 점수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객관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오정애,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

진 향기를 이용한 후각 자극이 우울증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방식에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이라는 분자생물

학적 실험방법을 도입하였다. 보다 과학적, 객관적으

로 우울증에서의 향기요법의 효과를 검증해 보고 작

업치료실에서 노인 환자 치료에 응용 가능한지를 알

아보고자 했다.

RT-PCR에 사용할 우울증 관련 물질로는 세로토닌

(serotonin)에 중점을 두었다(Caspi et al., 2003). 세로토

닌은 뇌의 시냅스에서 분비되는 모노아민계 신경전달

물질로서 정신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부족할 경우 우

울장애(depression), 불안(anxiety), 정신분열(schizophrenia),

섭식장애(eating disorders), 강박장애(obsessive compul-

sive disorder, OCD), 편두통(migraine) 및 공황장애(pan-

ic disorder) 등과 같이 중추신경계와 관련된 정신질환

이 나타난다(민성길, 2010). 항우울제로 알려진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

hibitors, SSRIs)는 연접이전 세포로 세로토닌이 재흡수

되는 것을 막음으로서 세포외 수준의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을 증가시키고, 이로서 연접 이후 수용기와

결합할 수 있는 세로토닌의 수준을 증가하게 한다(김

소영, 2010).

세로토닌은 수용체(receptor)를 매개로 하여 작용하

며, 현재까지 인간에서는 17종류의 수용체가 알려져

있다(김나연, 2011). 미국국립생물정보센터(NCBI, 2011)

에 등록된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살펴본 결과 총 17

종의 세로토닌 수용체를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중 불

안증, 우울증, 정신분열증 및 치매 질환에 밀접한 관

련이 있음이 보고된 수용체들 중(김소영, 2010; 전시

온, 2010; Neff et al., 2009) HTR1A, HTR2C, HTR6 세

종류를 연구 대상 세로토닌 수용체로 선정했다. 또한

세로토닌 수송체(serotonin transporter, SERT)는 모노아

민 수송체 단백질로서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을 연

접 공간에서 연접전 신경세포 속으로 운반하는 완전

한 막 단백질(integral membrane protein)이다. 세로토닌

수송체(SERT) 단백질에 의한 세로토닌의 운반은 세로

토닌의 활동을 끝내고 나트륨 의존형 형태(sodium-de-

pendent manner)로 재순환하게 하는데 이 기능이 억제

되면 시냅스 내에 잔류하는 세로토닌의 양이 많아진

다(박재영, 2010; Lim et al., 2006; Tatjana, Lipa &

Branimir, 2004). 수송체들로부터 세로토닌의 결합을

감소시키는 약물(SSRIs)과 증가시키는 약물(선택적 세

로토닌 재흡수 강화제, SSREs) 모두 우울증을 비롯한

정신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박혜실, 2010).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양영애 등(2008)은 노년기의 범주를 55세 이상부터

로 정의하고 있으나 2006년에 통계청에서 발표한 「장

래인구추계」에서는 65세∼74세를 ‘전기노인’, 75세∼

84세를 ‘중기노인’, 85세 이상을 ‘후기노인’으로 나누

어 분류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노년

기의 범주를 55세∼64세, 65세∼74세, 75세∼84세, 85

세 이상으로 네 단계로 분류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가

능한 한 주변 환경을 동일시하기 위해 재활병원이나

요양병원에 입원중인 노인 중 실험기간에는 신경정신

Page 1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1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과적 약물(수면제, 항우울제 등)의 복용이 필요하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이승연, 2010).

위 내용에 적합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노인우울척

도검사(GDS-K)를 실시하여 경도 우울증에 해당하는

범위인 14점 이상부터 대상자로 선발하였으며 기억력

등 인지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한

국형 간이인지검사(MMSE-K)도 함께 실시하였다. 선

발된 대상자들에게는 실험에 대한 설명을 하고 동의

한 사람에 한하여 인적 사항에 관한 설문지(연구 참여

동의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노인우울척도 검사 후 해

당되는 대상자는 30여명 정도였으나 최종 연구에 동

의한 사람은 24명(실험군 12명, 대조군 12명) 이었으

며, 연구 진행 과정 중 퇴원하거나 연구 참여 거부 등

으로 중도 탈락한 8명이 제외되어 최종 16명(실험군 8

명, 대조군 8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최종 실험대

상자 중 N 재활전문병원에서는 실험군 5명, 대조군 4

명이었으며, J 노인요양병원에서는 실험군 3명, 대조

군 4명이었다.

인구통계학적 검사를 통해 두 집단의 동질성 검사

를 실시하였고 검사 도구는 SPSS 12.0 v.을 사용하였

다. 대상자의 성별분포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남자

2명, 여자 6명으로 같았고, 연령 또한 실험군 평균

73.75세, 대조군 평균 73.25세로 거의 동일하였다. 그

외 결혼상태, 자녀수, 의료보험, 주거 등에서도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주상병, 종교,

학력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개체수가 적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라고

보기 어려웠다(표 1).

특성 구분실험군 대조군

�² �n(8) % n(8) %

성남자 2 25.0 2 25.0

0.000 1.000여자 6 75.0 6 75.0

연령

55-64 1 12.5 1 12.5

3.943 0.26865-74 4 50.0 3 37.5

75-84 1 12.5 4 50.0

85 이상 2 25 0 0.0

주상병뇌질환 7 87.5 5 62.5

1.333 0.248기타 1 12.5 3 37.5

종교

기독교 2 25.0 1 12.5

5.200 0.158천주교 2 25.0 0 0.0

불교 3 37.5 2 25.0

무 1 12.5 5 62.5

학력초졸 이상 6 75.0 4 50.0

1.067 0.302무학 2 25.0 4 50.0

결혼상태배우자있음 3 37.5 2 25.0

0.291 0.590사별 5 62.5 6 75.0

자녀수

1-3 2 25.0 2 25.0

1.091 0.5804이상 5 62.5 6 75.0

무 1 12.5 0 0.0

의료보험

직장조합 4 50.0 3 37.5

0.476 0.788국민공단 3 37.5 3 37.5

의료급여1종 1 12.5 2 25.0

주거

자가 6 75.0 4 50.0

1.067 0.587월세 1 12.5 2 25.0

무상 1 12.5 2 25.0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통계

Page 1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15

2. 연구 절차

1) 연구 설계

제주시에 위치한 N 재활전문병원과 J 노인요양병원

에 입원 중인 노인들을 대상으로, 향기요법을 적용한

손마사지를 통해 우울증의 정도가 어느 정도 변화되

었는지를 노인 우울척도(GDS-K)를 통해 알아보고 간

이 인지검사(MMSE-K)를 통해 우울증의 변화와 기억

력 등 인지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설문 조사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검사자의 주관적 요소

를 객관화하기 위해 피험자들의 타액과 혈액을 채취

하여 타액 및 혈액에서 total RNA를 추출하고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을 실시하여 우울증 관련

물질로 알려진 세로토닌 수용체 및 세로토닌 수송체

의 증감여부를 분석해 보았다. 이 연구의 설계 모형도

는 김양희(2009)의 논문을 참고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

다(그림 1).

<집단> <사전 조사> <실험> <중간 조사> <실험> <사후 조사>

실험군 인구통계학적검사

GDS-K

MMSE-K

타액채취

채혈

아로마 손마사지

(3주간 주 2회)

아로마 발향

(3주간 주 4회)GDS-K

MMSE-K

타액채취

채혈

아로마 손마사지

(3주간 주 2회)

아로마 발향

(3주간 주 4회)GDS-K

MMSE-K

타액채취

채혈

⇨ ⇨ ⇨ ⇨ ⇨

대조군일반 손마사지

(3주간 주 2회)

일반 손마사지

(3주간 주 2회)⇨ ⇨ ⇨ ⇨ ⇨

그림 1. 연구 설계 모형도

2) 본 실험

본 실험은 2011년 5월 7일부터 6월 15일까지 6주 동

안 이루어졌으며, 5월 4일(실험 전 평가), 5월 26일(중

간 평가), 6월 16일(실험 후 평가)에 GDS-K, MMSE-K

검사 및 RT-PCR을 위한 타액채취(약 1mL)와 채혈

(5mL)이 이루어졌다. 타액은 50mL 팔콘 튜브(Falcon

tube)에 채취하였으며 김양희(2009)의 논문을 참고로

하여 가능한 한 식사시간 이전에 마시는 물로 입을

세 차례 헹궈 내고 5∼10여분 후에 드라이아이스와

함께 보관하여 차갑게 유지된 팔콘 튜브에 직접 타액

을 받아내어 바로 냉각시켰다. 혈액은 5mL를 채혈하

여 협조 병원에서 건네받은 즉시 드라이아이스로 냉

각하여 타액과 혈액 모두 실험실에서-7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실험은 제주관광대학 관광뷰티디자인과 학생 3명을

섭외하여, 대상자로 선정된 노인들에게 손마사지를

일주일에 두 차례(수, 토요일) 한 손에 5분씩 10분간

실시하였다(김양희, 2009). 효과의 증진을 위하여 실험

군에 한하여 주 2회(월, 금요일) 발향에 의한 향기 흡

입을 추가하였는데, 발향을 위해 블렌딩한 아로마 에

센셜 오일을 저녁 시간 취침 전에 입고 있는 옷(주로

환자복)의 옷깃에 한 방울씩 떨어뜨림으로서 향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선정된 노인 중 절반은 무작위로 대조군이 되어 향

기가 없는 캐리어 오일로만 손마사지를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우울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아로마 에

센셜 오일을 캐리어 오일과 블렌딩한 오일(synergy

oil)로 손마사지를 실시하였다. 향기의 확산을 방지하

기 위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은 층을 달리 하거나 병실

을 달리 하였다.

실험군에 사용한 손마사지용 아로마 에센셜 오일

은 라벤더, 제라늄, 캐모마일 로만으로 2:2:1의 비율

로 호호바 오일에 2%로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발향

용 아로마 에센셜 오일은 라벤더, 스위트 오렌지, 제

라늄, 캐모마일 로만으로 60:20:15:5의 비율로 혼합

하여 캐리어 오일에 희석하지 않고 100%를 사용하

Page 2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1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여 발향 효과를 증대시켰다. 대조군에 사용한 손마

사지용 캐리어 오일은 호호바 오일(Jojoba oil) 100%

를 사용하였다. 보통 아로마 마사지에 사용하는 아

로마 에센셜 오일의 캐리어 오일에 대한 희석비율은

3%이고 어린이나 노인 등에는 자극적이지 않게 1%

의 희석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오홍근,

2003), 본 실험에서는 향기요법 마사지군과 대조군

과의 비교 실험으로서 좀 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

하여 노인 대상자들에게도 2%의 비율로 희석된 오

일을 사용하여 향을 좀 더 강하게 했다.

실험에 사용한 오일들의 선정 및 블렌딩 비율은 시

중에 나와 있는 서적(오홍근, 2003) 및 제주관광대학

관광뷰티디자인과 장예선 교수님의 조언을 참고로 하

였으며, 마사지 방법은 기존의 연구논문(김성미, 2009;

조주연, 2009)을 참고로 하여 장예선 교수님의 도움을

받아 디자인하였다. 마사지를 도와준 제주관광대학

관광뷰티디자인과 학생들 3명은 아로마테라피와 마사

지를 전문적으로 배운 학생들로서 마사지와 관련된

국내 자격증 소유자들이었다. 실험에 사용된 오일 중

라벤더, 제라늄, 캐모마일 로만, 스위트 오렌지는 La

Drome ProvencaleⓇ

(France)사의 유기농 제품을 사용

하였고, 호호바 오일은 DESERT WHALE JOJOBA

COMPANY (USA)의 유기농 제품을 사용하였다. 이들

모든 오일들은 ‘미즈아로마’ ([email protected])를

통해 구입하였다.

3. 연구 도구

1) 한국판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K)

노인의 우울을 평가하는 측정지로 Yesavage et al.

(1983)에 의해 개발된 자기 보고형 우울척도를 조명제

등(1999)이 번역 제작한 한국어판 노인우울척도이다. 도

구의 특징은 ‘예/아니오’의 단답형으로 평가가 용이하

며, 정서⋅인지⋅신체⋅사회적 측면이 골고루 반영되어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우울현상을 쉽게 알 수 있다. 긍

정 문항은 1, 5, 7, 9, 15, 19, 21, 27, 29, 30번이다. 점수

결과 14∼18점은 우울 의심 혹은 경도 우울을 나타내

며, 19∼21점은 중도 우울, 22점 이상은 심한 우울을 의

미한다(손기철, 김수연, 이손선, 송종은, 조문경, 2006).

2) 한국판 간이인지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미국에서 Folstein et al.(1975)이 인지능력을 측정하

기 위해 개발한 MMSE를 권용철과 박종한(1989)이 한

국판으로 발간한 것으로, 단시간 내에 간단하게 노인

의 인지기능과 치매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선

별 검사 도구이다. 치매 의심 노인 또는 뇌손상 환자

를 대상으로 하며, 별다른 준비물 없이 평가용지와 연

필, 시계, 여분의 종이 한 장 정도만 있으면 평가가 가

능하다. 지남력, 기억등록, 기억회상, 주의집중 및 계

산, 언어기능, 이해 및 판단 등 6개 영역으로 구성되

어 있다. 총 30점이 만점이며 무학인 경우 시간에 대

한 지남력 문항에서 1점, 주의집중 및 계산 문항에서

2점, 언어기능 문항에서 1점을 가산하지만 각 문항에

서 만점을 넘지 않도록 한다. 24점 이상을 확정적 정

상으로, 20∼23점을 치매 의심으로, 19점 이하를 치매

로 선별한다(박수현과 정병록, 2008).

3)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PCR은 DNA, RNA 그리고 단백질 수준의 PCR로

나뉠 수 있다. 보통 유전자를 얻는 실험을 할 경우, 그

유전자의 전체를 보려는 것이 아닌 유전자 안에서의

특정 유전자를 관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하지만 DNA

를 바로 PCR하게 되면 특정 유전자를 얻기 힘들고 진

핵 생물의 경우, 인트론(intron; 비발현부위)이 같이 나

오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어서 특정 유전자에

시발체(primer)를 붙인 다음, PCR을 DNA수준이 아닌

RNA나 단백질 수준에서 하는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

응(RT-PCR)이 있다(Weaver, 2008). 본 실험에서는

RNA 수준에서의 RT-PCR을 사용하여 우울증에 관련

된 특정 유전자인 세로토닌 수용체(HTR1A, HTR2C,

HTR6)와 세로토닌 수송체(SERT)의 발현 정도를 비교

하고자 하였다.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의 목적(target) 유전자 서열

의 mRNA 서열(sequences) 정보는 미국국립생물정보

센터(NCBI)에 등록된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였으며,

프라이머는 ‘PRIMER 3(version 1.1.4)’를 이용해서 디

자인했다. 프라이머 쌍의 서열과 유전자은행 기재번

호(gene bank accession numbers), 증폭크기(amplicon

Page 2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17

length) 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물질로 사용할

house keeping 유전자로는 ACTB, GAPDH, 18S 리보솜

RNA(RN18S)를 선정했으나(Wang, Kamphuis, Huitinga,

Zhou & Swaab, 2008), RT-PCR 후의 전기영동 확인 사

진에서 위치와 밴드가 비교적 선명하게 나온 GAPDH,

RN18S 만을 비교물질로 사용하였다.

mRNAAccession

numbersOLIGO Start length

Tm

(℃)gc%

Primer

sequence

Amplicon

length(bp)

HTR1A NM_000524.2

LEFT

PRIMER419 20 59.3 55.00 accccatcgactacgtgaac

501RIGHT

PRIMER919 20 59.3 55.00 gaggcaagtgctctttggag

HTR2C NM_000868.2

LEFT

PRIMER2468 20 57.3 50.00 tgaggcacatgacagtggtt

497RIGHT

PRIMER2964 20 57.3 50.00 gatgttgaatcctgggttgg

HTR6 NM_000871.1

LEFT

PRIMER1379 20 59.3 55.00 cctcacatggctgggttact

507RIGHT

PRIMER1885 20 59.3 55.00 ttgcagcctcctggtcttag

SERT NM_001045.4

LEFT

PRIMER3446 20 57.3 50.00 actgtccaggttgctttgct

500RIGHT

PRIMER3945 20 61.4 60.00 cctctgctgtctggaccttc

GAPDH NM_002046.3

LEFT

PRIMER614 20 57.3 50.00 tggaaggactcatgaccaca

355RIGHT

PRIMER968 20 57.3 50.00 tcgctgttgaagtcagagga

RN18S M10098.1

LEFT

PRIMER1433 20 57.3 50.00 atggccgttcttagttggtg

353RIGHT

PRIMER1785 20 57.3 50.00 gggacttaatcaacgcaagc

표 2. 프라이머 쌍의 서열, 유전자은행 기재번호, 증폭 크기

4. 분석 방법

1) 한국판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K)와 한국판 간이인지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실험 전, 실험 3주 후, 실험 6주 후 세 차례에 걸쳐

검사한 자료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

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별로 우울 점수와 인지 점

수의 평균을 내어 엑셀 파일로 정리하여 그래프로 변

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 중에서도 우

울 점수 향상군과 비향상군으로 나누어 RT-PCR 결과

와 비교 분석하였다.

2)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1) 타액 분석

보관 중인 대상자의 타액에서 RNA를 추출하는 방

Page 2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1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법은 ‘Hot phenol method’ (Verwoerd, Dekker &

Hoekema, 1989)를 적용했고 본 실험의 목적에 맞게

시약의 양을 조절하였다. genomic DNA를 분해하기

위해 사용한 DNase는 TaKaRa사의 DNase I(Code

2215A)을 사용하였다. 타액에서 추출한 Total RNA는

AccuScriptⓇ

High Fidelity Reverse Transcriptase(An

Agilent Technologies Co.)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

였다. cDNA 합성 방법은 AccuScriptⓇ

High Fidelity

Reverse Transcriptase(An Agilent Technologies Co.)의

프로토콜을 그대로 준수했으며, PCR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실험 전⋅중⋅후의 Total RNA의 양은 동일하게

맞추되 가능한 한 최대로 사용하였다. 합성한 cDNA

는-20°C에서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PCR에 사용한

PCR premix는 GeNet Bio. 사의 ‘SuPrimeScript RT

Premix(2X)’ (Cat. No. SR-5000)를 사용하였다. 목적 유

전자의 프라이머를 전방 프라이머 1μL, 후방 프라이

머 1μL, 각 대상자의 타액 샘플 cDNA 1μL, Ultra

Pure Water 7μL를 넣고 PCR 기계(AUTHO RIZED

THERMAL CYCLER for PCR (TaKaRa Bio Inc.))에 넣

어 다음과 같이 가동시켰다(표 3).

1cycle 45cycle 1cycle 1cycle

95°C 95°C 62°C 72°C 72°C 4°C

1분 30초 30초 30초 5분 ∞

표 3. 타액 샘플의 PCR 가동방법

증폭된 PCR 내용물들은 1% 아라로즈겔에 10μL로

전기영동(electrophoresis)해서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비교물질로 선정한 GAPDH와 18S 리보솜 RNA(rRNA)

는 5μL로 전기영동하여 비교하였다. 전기영동에 사용

한 기준자(marker)는 BIONEER Co.의 ‘100bp Plus DNA

Ladder’(Cat. No. D-1035)를 사용하였다.

(2) 혈액 분석

-70°C에서 보관 중인 냉동 혈액 샘플 5mL에서 RNA

를 추출하는 방법은 ‘NucleoSpinⓇ

RNA Blood’ (RNA

from Blood) Kits을 사용하였으며 프로토콜을 그대로

준수하였다. 단지, 1단계에서 collection tube(2ml, with

lid) 안에 정확하게 400μL의 냉동 혈액 샘플을 담기가

어려워 액체질소로 얼려서 곱게 간 혈액 샘플을 튜브

(2mL, with lid) 안에 적당히 담아 그 질량을 측정하여

그에 맞는 양의 시약들을 섞어 주었다. 그에 따라 1단

계와 2단계에서 DL buffer와 proteinase K, 70% ethanol

등이 혈액의 양에 맞추어 프로토콜에서 지정한 양보다

조금씩 많이 들어갔고, 따라서 3단계에서 Nucleo SpinⓇ

RNA Blood Column으로 혈액과 시약이 섞인 용액

(lysate)을 걸러내는데 2회가 아닌 3회를 실시하여야 했

다. 혈액에서 추출한 Total RNA는 TOPscript TM

Reverse Transcriptase(Enzynomics TM Co.)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cDNA 합성 방법은 프로토콜을

그대로 준수했으며, PCR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실험

전⋅중⋅후의 Total RNA의 양은 동일하게 맞추되 가

능한 한 최대로 사용하였다. 합성한 cDNA는-20°C에

서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PCR에 사용한 PCR premix

는 GeNet Bio.사의 ‘SuPrimeScript RT- PCR Premix(2X)’

(Cat. No. SR-8000)를 사용하였다. 증폭된 PCR 내용물

들은 1% 아라로즈겔에 5μL로 전기영동해서 그 변화

를 살펴보았다. 비교물질로 선정한 GAPDH와 18S 리

보솜 RNA(rRNA)는 2μL로 전기영동하여 비교하였다.

타액 샘플에서 ‘Hot phenol method’를 이용해서 RNA

를 추출했을 때보다 추출된 RNA의 양이 많아 보다

농축된 혈액 cDNA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PCR 시

증폭량이 많아 cycle수를 45에서 40으로 줄이고 전기

영동 시에 사용하는 양도 타액 샘플에서보다 줄여서

확인했다. 그 외의 과정은 타액 샘플 분석 시와 동일

하게 진행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노인우울척도(GDS-K)와 간이인지검사

(MMSE-K)

1)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K, GDS-K)

노인 우울 척도 검사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우울도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실험군의 경우

평균 우울 점수가 실험 전 23.5점에서 실험 후 17.9점

으로 5.6점 낮아진데 비해 대조군의 경우는 평균 우울

Page 2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19

점수가 실험 전 20.3점에서 실험 후 14.3점으로 6점

낮아져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단, 우울점수만으로 보았을 경우 실험군은 22점 이상

의 심한 우울에서 18점 이하의 경도 우울로 변화한

반면 대조군은 21점 이하의 중도 우울에서 18점 이하

14점 이상의 경도 우울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그래프 상으로 보았을 경우 실험군은 실험 전

과 실험 3주 후, 6주 후의 변화가 지속적으로 비슷한

비율로 감소하는 반면 대조군의 경우는 실험 초기에

는 우울도가 급속히 감소했다가 실험 3주후부터 6주후

까지는 감소폭이 거의 없는 것을 볼 수 있다(그림 2).

2) 한국판 간이 인지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K, MMSE-K)

한국판 간이 인지검사는 보통 임상에서 2개월에 한

번 정도 검사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는 것을 감안해

볼 때 실험 과정 중간인 실험 3주 후에 실시했던 검사

의 점수가 인지 검사의 특성상 큰 의미가 없다고 판

단되어 실험 전의 점수와 실험 6주 후의 점수만을 비

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인지점

수의 향상을 보였으나, 실험군의 경우 인지점수의 총

합의 평균이 20.6점에서 22.6점으로 평균 2점 상승한

데 반해 대조군의 경우는 인지점수의 총합의 평균이

20.5점에서 21점으로 0.5점 상승하는데 그쳤다(그림

3). 인지 검사의 각 항목별로 점수의 평균을 나타내

보면 특히 지남력(orientation) 부분에서 실험군은 평균

0.5점 상승한 반면 대조군은 평균 0.6점 하강했다.

그림 2. 노인우울척도(GDS-K) 그룹별 평균의 실험

전⋅중⋅후 비교 그래프

그림 3. 간이인지검사(MMSE-K) 총합의 그룹별

평균의 실험 전⋅후 비교 그래프

3) 노인 우울척도와 간이 인지검사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실험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우울척도(GDS-K)와 인

지검사(MMSE-K) 사이의 상관관계를 실험군과 대조

군, 우울도 향상군과 비향상군으로 나누어 개인별로

비교해 보았다.

실험군의 경우 실험 전후 비교 시 우울척도가 3점

이상 하락한 사람이 5명, 1∼2점 하락한 사람이 2명,

우울 점수가 오히려 1점 높아진 사람이 1명이었으며,

인지도가 3점 이상 향상을 보인 사람이 2명, 1∼2점의

미미한 향상을 보인 사람이 3명, 향상이 없거나 오히

려 인지 점수가 1점 낮아진 사람이 3명이었다.

대조군의 경우에는 우울척도가 3점 이상 하락한 사람

이 4명, 향상이 없거나 오히려 우울 점수가 높아진 사람

이 4명이었으며, 인지도가 3점 이상 향상을 보인 사람이

1명, 1∼2점의 미미한 향상을 보인 사람이 1명, 향상이

없거나 오히려 인지 점수가 낮아진 사람이 6명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우울도의

향상(우울 점수가 낮아짐)을 보인 사람이 많았으며, 인

지 점수의 향상을 보인 사람도 대조군보다 많았다(표 4).

Page 2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2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GDS-K MMSE-K

3점이상 하락 1∼2점 하락 향상없음 3점이상 향상 1∼2점 향상 향상없음

실험군 5명 2명 1명 2명 3명 3명

대조군 4명 0 4명 1명 1명 6명

표 4. 향기요법 적용 전⋅후 GDS-K와 MMSE-K의 점수 비교

각 개인별로 우울도의 향상군과 비향상군을 나누어

비교해 보면 우울척도가 3점 이상 하락한 9명 중 인

지점수의 향상을 보인 사람이 5명이었으며, 1∼2점 하

락한 사람 2명 중 인지 점수의 향상을 보인 사람이 1

명이었고, 우울점수의 하락이 없는 비향상군 5명 중

인지 점수의 향상을 보인 사람은 1명이었다. 즉, 우울

척도 점수 상으로 향상군은 11명 중 6명(55%)이 인지

의 향상을 보였고 비향상군은 5명 중 1명(20%)만 인

지 향상을 보이고 있다.

2. 타액 분석

1) 실험 대상자의 타액 샘플 PCR 결과

모두 16명의 실험 대상자의 타액 중 실험 전⋅중⋅

후의 타액 모두에서 정상적으로 RNA가 추출된 경우

가 많지 않았다. 타액은 혈액보다 시료를 채취하기가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었으나, 노인분들이 대부분 입

이 말라 타액을 많이 얻기가 어려웠으며(적은 경우

0.5mL 정도 밖에 되지 않았음), 타액의 특성상 RNA를

분해하는 효소인 RNase를 함께 가지고 있어 운반, 보

관, 또는 실험 중에도 RNA가 상당수 분해되었던 것으

로 보여져 cDNA를 합성하기에 충분한 양의 RNA가

추출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cDNA가 적

절하게 합성되어 PCR결과가 비교적 관찰 가능하게

나온 샘플들만 모아서 비교해 보았다

2) RT-PCR 결과 분석

PCR 결과 선택된 물질의 비교가 가능할 정도의 증

폭 결과를 얻은 샘플들이 많지 않아서 실험 전⋅중⋅

후의 증폭량 비교는 어려웠다. cDNA 합성이 비교적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샘플들만 모아서 세로토닌 수용

체(HTR1A, HTR2C, HTR6)와 세로토닌 수송체(SERT)

의 발현량을 비교해 보면 실험군, 대조군 모두 세로토

닌 관련 대상물질 중 HTR1A와 HTR2C의 발현량이

HTR6나 SERT의 발현량보다 많음을 알 수 있었다.

3. 혈액 분석

1) 실험 대상자의 혈액 샘플 PCR

실험 결과 분석 등의 문제로 대상자 16명의 혈액 샘

플을 모두 검사하지는 못했고, GDS-K와 MMSE-K 결과

상 MMSE-K점수가 20점 이상인 대상자 중에서 GDS-K

점수가 3점 이상 향상된 6명과 향상이 없었던 1명, 더

나빠진 1명, 총 8명을 선정하여 실험 전⋅중⋅후에 채혈

한 혈액샘플에서 RNA를 추출하여 RT-PCR을 실시하였

다. 실험군 중 N재활병원에서 2명, J요양병원에서 2명

을 선정했으며, 대조군 중에서도 N재활병원에서 2명, J

요양병원에서 2명을 선정했다. 이 중 ‘김’은 향상 없는

샘플이고, ‘송’은 더 나빠진 샘플에 속한다(표 5).

2) 실험 대상자의 혈액 샘플 RT-PCR 결과 분석

PCR은 40cycle을 돌렸으며 전기영동에서 대상 유전

자 물질은 5μL로, 비교물질 유전자는 2μL로 전기영

동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그림 4, 5).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세로토닌 관련 물질이 실험

후에 더 발현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런 경향은 우울증 향상군과 비향상군으로 나

누어 보면 특히 SERT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우울점수의 변화를 나타내주는 그래프와 SERT를

RT-PCR한 결과를 직접 비교해보면 노인 우울척도 점

수에서 향상을 보인 ‘장’, ‘녀’, ‘한’, ‘홍’의 경우 SERT

의 발현량이 실험후에 현저히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노인 우울척도 점수에서 변화가 없거나 오

히려 우울정도가 증가한 ‘김’, ‘송’의 경우에는 SERT

의 발현량의 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표 5).

Page 2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21

그림 4. 실험군 혈액샘플 RT-PCR 결과 (M:Marker, 1: 실험전, 2: 실험중, 3: 실험후)

(HTR1A,HTR2C,HTR6: 세로토닌 수용체, SERT: 세로토닌 수송체, GAPDH,RN18S: 비교물질)

그림 5. 대조군 혈액샘플 RT-PCR 결과 (M:Marker, 1: 실험전, 2: 실험중, 3: 실험후)

(HTR1A,HTR2C,HTR6: 세로토닌 수용체, SERT: 세로토닌 수송체, GAPDH,RN18S: 비교물질)

Page 2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2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HTR1A HTR2C HTR6 SERT

실험군 장 1>3>2 2>3>1 1>3>2 2>1>3

녀 1>3>2 1>3>2 3>2>1 2>1>3

양 1>3>2 X 2>1>3 2>3>1

한 2>1>3 2>1>3 1>2>3 1>2>3 우울증

향상군대조군 홍 3>1>2 1>3>2 2>1>3 1>2>3

옥 2>1>3 1>3>2 2>3>1 2>3>1 ↑

김 1>3>2 2>1>3 2>1>3 3>2>1 ↓

송 3>1>2 3>2>1 1>2>3 1>2>3 비향상군

표 5. 혈액 샘플의 RT-PCR 결과 (증폭양 많음>적음, 1: 실험전, 2: 실험중, 3: 실험후)

Ⅳ. 고 찰

입원 노인들을 대상으로 향기요법 손마사지를 실시

한 실험군 8명과 일반 손마사지를 실시한 대조군 8명

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한국판 노인 우울척

도(Geriatric Depression Scale-K, GDS-K)’에 중점을 두어

손마사지 전⋅중⋅후의 변화를 살펴보되 ‘한국판 간이

인지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K, MMSE-K)’

를 함께 실시하여 ‘지남력’이나 ‘기억력’, ‘주의집중/

계산’, ‘언어기능’, ‘이해/판단’ 등 인지 능력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았다. 손마사지 전⋅중⋅후에 타액과

혈액을 채취하여 타액 및 혈액 속에 존재하는 우울증

관련 물질들의 증감 여부를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

응(RT-PCR)을 통해 보다 객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GDS-K 검사 결과 실험군 평균과 대조군 평균 모두

우울도가 낮아져서 실험군은 ‘심한 우울’에서 ‘경도

우울’로, 대조군은 ‘중도 우울’에서 ‘경도 우울’로 향

상을 보였다. 그래프 상으로 보았을 경우 실험군은 실

험 전과 실험 3주 후, 6주 후의 변화가 지속적으로 비

슷한 비율로 감소하는 반면 대조군의 경우는 실험 초

기에는 우울도가 급속히 감소했다가 3주후부터 실험

6주후까지는 감소폭이 거의 없었다. 이것은 향기요법

손마사지를 실시한 실험군의 경우에는 아로마 에센셜

오일에 의한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데 반해 일

반 손마사지를 실시한 대조군의 경우는 실험 초기에

는 마사지의 효과로 우울도가 감소했다가 3주후부터

실험 종료 시까지는 단순 마사지의 효과가 우울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

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효과적으로 우울증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MMSE-K에서도 실험 전후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

군 모두 인지 점수의 향상을 보였으나, 실험군의 경우

인지점수의 총합의 평균이 20.6점에서 22.6점으로 평

균 2점 상승한데 반해 대조군의 경우는 인지점수의 총

합의 평균이 20.5점에서 21점으로 0.5점 상승하는데 그

쳤다. 특히 ‘지남력(orientation)’부분에서 실험군과 대

조군의 차이를 볼 수 있었는데, 실험군은 평균 0.5점

상승한 반면 대조군은 평균 0.6점 하강했다. 대상자들

의 우울척도와 인지검사 사이의 상관관계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개인별로 비교해 그래프로 나타내

보았을 때 우울도의 향상과 인지도의 향상 간의 큰 연

관성을 찾기는 힘들었다. 인지도에 영향을 끼칠 정도

의 기간과 빈도가 아니었던 것으로 보여지고, 대상자

수가 향기요법 마사지 실험군 8명, 일반 마사지 대조

군 8명으로 그 수가 적어 통계상 유의할 만한 결과를

내기가 어려웠던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각 개인별

로 GDS-K 검사상 우울증 향상군과 비향상군으로 나

누어 비교해 보면 우울척도 점수상으로 향상군은 11명

중 6명(55%)이 인지의 향상을 보였고 비향상군은 5명

중 1명(20%)만 인지 향상을 보이고 있다. 대상자의 수

가 적어 통계적으로 일반화시키기엔 어려움이 있으나

우울증이 향상되면서 인지 능력도 함께 향상되는 비율

이 더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역시 실험 개체수

가 적어 MMSE-K를 실험 전후에 비교해 보는 것은 통

Page 2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23

계상 큰 의미가 없었다는 반성을 하게 된다.

보다 객관적인 증명을 위해 분자생물학적 실험방법

을 도입하여 실시했던 타액과 혈액 샘플을 이용한 세

로토닌 관련물질의 RT-PCR 결과를 보면, 우선 타액

실험에 있어서, 16명의 실험 대상자의 타액 중 실험

전⋅중⋅후의 타액 모두에서 정상적으로 RNA가 추출

된 경우가 많지 않아 RT-PCR을 제대로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타액에서 추출한 RNA로는

RT-PCR을 통하여 실험 전⋅중⋅후의 세로토닌 관련

물질의 증감 여부를 비교하기는 힘들었으나, 혈액 샘

플로 RT-PCR을 했을 때는 HTR1A, HTR6, SERT의 발

현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났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

두 세로토닌 관련 물질이 실험후에 더 발현량이 감소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런 경향은 우울

증 향상군과 비향상군으로 나누어 보면 특히 SERT에

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GDS-K 점수의 변화를

나타내주는 그래프와 SERT를 RT-PCR한 결과를 직접

비교해보면 노인 우울척도 점수에서 향상을 보인

‘장’, ‘녀’, ‘한’, ‘홍’의 경우 SERT의 발현량이 실험후

에 현저히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노인 우

울척도 점수에서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우울정도가

증가한 ‘김’, ‘송’의 경우에는 SERT의 발현량의 변화

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Praschak-Rieder et

al.(2008)은 일조량과 세로토닌 수송체 활성이 역의 상

관관계에 있어서 봄⋅여름에는 세로토닌 수송체의 활

성이 감소하고 가을⋅겨울에는 증가한다고 말하고 있

다. 따라서 봄⋅여름에 기분이 좋아지는 것은 세로토

닌 수송체의 활성이 감소하여 시냅스 공간의 세로토

닌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고, 가을⋅겨울에 우울해지

는 것은 세로토닌 수송체의 활성이 증가하여 시냅스

공간의 세로토닌 양이 감소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논문에 따르면 세로토닌 수송체의 활성이 감소하

면 시냅스 공간의 세로토닌 양이 증가하여 우울 정도

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ERT는 세로토닌을

연접전 신경세포로 재흡수시켜 세로토닌의 활성을 떨

어뜨린다(박재영, 2010). SERT의 발현이 감소했다는

것은 세로토닌의 활성이 증가하여 우울증이 감소했다

는 것이므로 향기요법 손마사지 실험군이 일반 손마

사지 대조군에 비해 우울증이 감소했다는 것을 과학

적으로 증명해준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세로토닌 수용체(HTR1A, HTR2C, HTR6) 역

시 최근 우울증이 신경전달물질에서의 변화라기보다

는 수용체 감수성(receptor sensitivity)의 변화라는 가설

이 제안되기도 했기 때문에(민성길, 2010) 우울증의

감소가 세로토닌 수용체의 수적 증가로 인한 것이 아

니라 세로토닌을 받아들이는 감수성에만 변화가 생긴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해 준다.

그러나 세로토닌 수송체(SERT)의 기능이 감소된 사

람이 불안 또는 우울과 관련된 성격 특성을 가진다는

이론도 있는 만큼(박재영, 2010) 보다 심도 있는 연구

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기영동 사진만으로

는 시각적으로 어느 것이 더 발현량이 많다고 단정

짓기에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다. RT-PCR 결과를 전

기영동 사진만으로 발현량을 비교하기 보다는

Real-Time PCR과 같이 보다 수치적이고 그래픽화된

자료들로(Bustin, 2002) 결과를 비교해 보는 것이 보다

신뢰도 있는 결과를 낼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조남주와 원영식(2011)은 뇌졸중 노인의 연구에서

기능적 독립수준이 저하될수록 인지기능이 저하되고

우울증이 높아진다고 밝히면서 우울증을 감소시키고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작업치료 중재가 필요

하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치료실에서도 우울

증이 동반되어 있는 환자에게 후각자극을 이용한 향

기요법적 접근을 더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Ⅴ. 결 론

이번 연구 결과로 향기요법을 적용하여 손마사지를

실시한 경우가 향이 없는 일반 마사지만을 실시한 경

우보다 더 효과적으로 우울증을 감소시켜 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우울증의 개선은 인지 능력에도 향상을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군 뿐 아니라 대조군에서도 약간의 우울

증 개선과 인지 능력 향상이 있었음을 볼 때 마사지

에 의한 효과도 있었음을 함께 알 수 있다(이명희 등,

2008).

향기요법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과 더불어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위한 방

Page 2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2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법으로 도입한 분자생물학적 실험방법인 RT-PCR 법

을 적용하는 새로운 시도를 수행하여 상관성 있는 결

과를 얻었다.

RT-PCR 결과는 세로토닌 수송체(SERT)가 신경세

포의 시냅스에서 세로토닌을 연접 이전 세포로 재흡

수 시키기 때문에 SERT의 활성이 떨어지면 시냅스

공간에서의 세로토닌의 양이 많아져 우울증이 감소한

다는 Praschak-Rieder et al.(2008)의 이론을 뒷받침해

주는 것이어서 향기요법의 효과를 증명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작업치료실에서도 우울증이 동반되어 있는

환자에게 후각자극을 이용한 향기요법적 접근을 더한

다면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되어진다.

참고문헌

권석만, 민병배. (2010). 노년기 정신장애. 서울: 학지사.

권용철, 박종한. (1989).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제1편 :

MMSE-K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8(1), 125-135.

김나연. (2011). 우울증 치료제로 작용하는 세로토닌

수용체 조절물질의 합성 및 활성연구. 서울: 고려대

학교.

김성미. (2009). 향요법 손마사지가 시설 여성노인의

불안, 수면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

회지, 20(4), 493-502.

김소영. (2010). Discovery of Serotonin 5-HT2C and

5-HT6 receptor antagonists for central nervous sys-

tem(CNS) disorders. 서울: 고려대학교.

김양희. (2009). 라벤더 오일을 이용한 손 마사지가 입

원 노인에서 수면의 질 개선에 미치는 효과. 대구:

계명대학교.

김연숙. (2008). 아로마테라피 적용이 산욕기 산모의

회음부 불편감, 피로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전:

을지대학교.

김장순, 이종렬, 전용수, 김보라, 박천만. (2009). 아로

마테라피가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5(4), 1452-1462.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04). 노인정신의학. 서울: 중

앙문화사.

문정준. (2010). 60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 인지기능과

우울증, 자살사고, 혈청지질농도와의 연관성. 부산:

인제대학교.

민성길. (2010). 최신정신의학. 제5판. 서울: 일조각.

박수현, 정병록. (2008). 작업치료사를 위한 임상지침

서. 개정판. 서울: 군자출판사.

박재영. (2010). 삼대립 세로토닌 수송체 유전자와 생

활사건 스트레스가 초기 성인 우울증에 미치는 영

향. 청주: 충북대학교.

박혜실. (2010). 세로토닌 수송체와 수용체에 작용하는

우울증 치료제의 합성 및 활성연구. 서울: 이화여자

대학교.

손기철, 김수연, 이손선, 송종은, 조문경. (2006). 전문

적 원예치료를 위한 평가도구 및 프로그램. 서울:

쿠북.

신설애. (2010). 상담자의 스트레스 및 심리적 소진에

아로마테라피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덕

성여자대학교.

양영애, 김영희, 이한석, 정원미, 조무신, 홍재란 등

(2008). 노인작업치료. 제 3판. 서울: 계축문화사.

오정애. (2010). 노인 우울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원

리에 기반을 둔 심리교육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

과(지역사회 노인 대상으로). 서울: 덕성여자대학교.

오홍근. (2003). 아로마테라피 핸드북. 서울: 양문사.

이명희, 이계숙, 장예선, 정병렬, 함주옥. (2008). Body

Aesthetic Basic Massage 이론과 실기. 서울: 퍼시픽

북스.

이승연. (2010). 급성 우울증 환자와 만성 우울증 환자

의 혈청 Brain Derivated Neurotrophic Factor 비교연

구. 서울: 성균관대학교.

전시온. (2010). 한국인 주요 우울 장애 환자에서 mir-

tazapine 치료반응과 CYP2D6 P34S 다형성간의 약물

유전학적 연합연구. 서울: 고려대학교.

전창선. (2009). 노인우울증에 관한 심리사회적 요인

연구. 원주: 상지대학교.

조남주, 원영식. (2011). 뇌졸중 노인의 기능적 독립수

준과 인지기능 및 우울증간의 상관관계. 고령자치

매작업치료학회지, 5(1), 1-12.

Page 2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25

조주연. (2009).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겪는 학령기 아동에게 어머니의 아로마 마사지가

미치는 영향. 서울: 건국대학교.

통계청. (2006. 11.). 성 및 연령별 노인인구. 장래인구

추계. 2011년 8월 27일 출력. http://www. nso.go.kr.

Bustin, S. A. (2002). Quantification of mRNA using re-

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CR (RT-PCR): trends

and problems. Journal of Molecular Endocrinology,

29, 23-29.

Caspi, A., Sugden, K., Moffitt, T. E., Taylor, A., Craig,

I. W., & Harrington, H. L., et al. (2003). Influence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Moderation by a

Polymorphism in the 5-HTT Gene. Science, 301,

386-389.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

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y, 12, 189-198.

Lim, J. E., Papp, A., Pinsonneault, J., Sade’e, W., &

Saffen, D. (2006). Allelic expression of serotonin

transporter (SERT) mRNA in human pons: lack of

correlation with the polymorphism SERTLPR.

Molecular Psychiatry, 11, 649-662.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NCBI).

(2011). Serotonin Receptor. 2011년 6월 25일 출력.

http://www.ncbi.nlm.nih.gov.

Neff, C. D., Abkevich, V., Parker, J. C. L., Chen, Y.,

Potter, J., & Riley, R., et al. (2009). Evidence for

HTR1A and LHPP as interacting genetic risk factors

in major depression. Molecular Psychiatry, 14, 621-630.

Praschak-Rieder, N., Willeit, M., Wilson, A. A., Houle,

S., & Meyer, J. H. (2008). Seasonal Variation in

Human Brain Serotonin Transporter Binding. ARCH

GEN PSYCHIATRY, 65(9), 1072-1078.

Tatjana, B. N., Lipa, C. S., & Branimir, J. (2004).

Expression of brain and platelet serotonin transporters

in sublines of rats with constitutionally altered seroto-

nin homeostasis. Neuroscience Letters, 369, 44-49.

Verwoerd, T. C., Dekker, B. M. M., & Hoekema, A.

(1989). A small-scale procedure for the rapid isolation

of plant RNAs. Nucleic Acids Research, 17(6), 2362.

Wang, S. S., Kamphuis, W., Huitinga, I., Zhou, J. N., &

Swaab, D. F. (2008). Gene expression analysis in the

human hypothalamus in depression by laser micro-

dissection and real-time PCR : the presence of multi-

ple receptor imbalances. Molecular Psychiatry, 13,

786-799.

Weaver, R. F. (2008). 분자생물학(Molecular Biology).

제4판. 서울: 라이프사이언스.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Lum, O.,

Huang, V., & Adey, m., et al.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y Res,

17(1), 37-49.

Zhou, T., Wang, S., Ren, H., Qi, X. R., Luchetti, S., &

Kamphuis, W., et al. (2010). Dendritic cell nuclear

protein-1, a novel depression-related protein, upregu-

lates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expression.

Brain, 133, 3069-3079.

Page 3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2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Abstract

Analysis of the Effect on Geriatric Depression by Aromatherapy

An, Hyun-Jin*

, M.Sc., O.T., Kim, In-Jung**

, Ph.D.Sc., Kim, Young-Hoon***

, Ph.D., M.D.

*Dept. of Industrial Life Science and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Jeju National University

**Faculty of Biotechnology,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s, Jeju National University

***Dept. of Rehabilitation, Nulbom Rehabilitation Hospital

Objectives : This study validates more scientifically and objectively how the aromatherapy would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depression suffered by the elderly admitted to hospital.

Methods : After conducting the hand aromatherapy and ordinary hand massage for 6 weeks in both ex-

periment group comprised of 8 and control group consisting of 8, respectively, among the

elderly admitted to the hospitals located in Jeju City, the GDS-K and MMSE-K were con-

duct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n the changes were compared. Additionally,

the saliva and blood were collect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 variation

in Serotonin Receptors and Serotonin Transporter was analyzed through RT-PCR.

Results : The results of GDS-K showed that the depression mitigation effect was sustained in the ex-

periment group, but was not sustaine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initial phase of

experiment. The results of blood sample RT-PCR showed that expression level of SERT and

Serotonin Receptors generally tended to decrease in the depression improvement group after

the experiment.

Conclusion : Although the ordinary massage led to temporary mitigation of depression and cognitive im-

provement, it was found that the aromatherapy was found to have greater effect. The results

of RT-PCR support the theory that the lower activation level of SERT results in higher sero-

tonin level in synapse space, leading to the mitigation of depression, which proves the effi-

cacy of aromatherapy. Thus, it is expected that more effective treatment can be provided if

the aromatherapy is added for patients concurrent the depression in the occupational therapy.

Key Words : Aromatherapy, Geriatric Depression, Serotonin, Geriatric Depression Scale-K (GDS-K),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 (MMSE-K),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Page 3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부산광역시의 노인인구수와 서비스 제공시설의 구 단위 현황

이보민*

, 양영애**

,***

*부산광역시 광역치매센터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7개 광역시 중 고령자 비율이 가장 높은 부산광역시의 구단위별 고령자 비율을

파악하고, 서비스 제공 시설의 현황을 파악하여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2010년부터 2013년까지 통계청에 등록된 자료들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설립신고를 한 기관에 대한

자료를 집계, 분석하였다.

결론

고령인구의 수는 부산진구, 해운대구, 남구 순으로 많으며, 고령화 속도는 동구, 서구, 중수 순으로

빠르게 나타났다. 노인장기요양기관의 경우 부산진구, 해운대구, 동래구 순으로 많은 수의 기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복지관의 경우 북구, 해운대구, 영도구 순으로 운영되고 있다. 부산광역시는 광역

시 중 가장 높은 고령비율을 보이고 있지만,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수는 부족한 실정이다.

주제어 부산광역시, 노인인구 수, 노인장기요양기관

교신저자 : 양영애([email protected])∥접수일 : 2014년 4월 8일∥개재승인일 : 2014년 4월 13일

Ⅰ. 서 론

고령화란 고령자의 수가 증가하여 전체인구에서 차지

하는 고령자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말한다. UN의 기

준에 따르면 65세 이상을 노인(고령자)이라 하며,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일 때를 고령화 사

회, 14% 이상일 때를 고령사회, 20% 이상일 때를 초고

령사회라고 정의한다(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002).

우리나라는 2000년에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후 세

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른 고령화 속

도를 보이고 있다. 2006년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자

료를 기반으로 고령화 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행되

는 속도를 비교하면, 프랑스의 경우 154년, 미국은 94

년, 스웨덴은 127년이 걸렸다. 고령화가 진행되는 속

도가 빠르다는 일본의 경우 36년이 걸렸지만 우리나

라의 경우 불과 26년 밖에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예

상했다. 하지만, 현재 고령화의 속도는 더 빨라지고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송창용과 박보경, 2006).

특히 부산의 고령인구수의 비율은 7개 광역시 중 1

위를 기록하였으며, 고령자 비율은 13.25%로 고령사

회 진입을 앞두고 있다. 동남권인 경상남도와 비교하

였을 때도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통계청, 2013).

노인부부 및 노인 단독 가구가 증가하고, 향후 자녀와

의 비동거 희망자가 증가하는 점을 감안할 때 노인 부양

문제는 공적으로 부담해야 할 문제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이정헌, 2006). 그리고 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조사

에서도 65세 이상 고령자 가운데 아직까지는 가족이 부

양해야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으나, 점점 감소하고 있

는 추세이며 가족과 함께 정부, 사회가 부양하거나 스스

로 해결해야한다는 답변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

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부양 서비스에 대한 가정과 사회

의 역할 분담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통계청, 2013).

Page 3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2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고령자들은 향후 늘려야 할 복지서비스에 대해 건강

관리 및 건강증진서비스(39.7%), 노인돌봄 종합서비스

(37.9%), 취약계층 일자리 지원 서비스(10.6%), 가사⋅

간병 방문 서비스(4.0%) 순으로 원하고 있었다(이민홍

과 이재정, 2011).

고령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고

령화가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곳은 어디인

지, 접근성은 얼마나 뛰어난지,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

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

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7개 광역시 중 고령자 비율이 가

장 높은 부산광역시의 구단위별 고령자 비율을 파악

하고, 서비스 제공 시설의 현황을 파악하여 고령화 사

회에 대비하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 것이다. 이 기초자료를 통하여 체계적인, 질 높

은 서비스 제공 시설 설립에 기반을 마련하는데 있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자료 및 방법

2010년부터 2013년까지 통계청에 등록된 자료들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설립신고를 한 기관에 대한 자료

를 집계, 분석하였다.

2. 광역시 별 고령인구 비율

최근 4년간 7개 광역시 간의 고령화 속도를 살펴보

았을 때, 부산광역시가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였

으며, 다음은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순으로 나타났

다. 2014년의 통계에 따르면 고령인구 비율은 부산광

역시, 대구광역시, 서울특별시 순으로 높았으며 울산

이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부산광역시는 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다(표 1).

3. 부산광역시 내 구 별 고령인구 비율

최근 4년간 16개 구⋅군 간의 고령화 속도를 살펴

보았을 때, 동구가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였으

며, 다음은 서구, 중구 순으로 나타났다. 2014년의 통

계에 따르면 고령인구 비율은 동구, 중구, 서구 순으

로 높았으며 북구가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기장군

과 강서구의 경우 고령화 속도가 가장 느리게 나타났

다(표 2).

광역시별고령인구 비율

2010 2011 2012 2013

서울특별시 9.72 10.19 10.84 11.45

부산광역시 11.26 11.77 12.50 13.25

대구광역시 10.04 10.37 10.94 11.56

인천광역시 8.62 8.94 9.39 9.81

광주광역시 8.97 9.32 9.85 10.31

대전광역시 8.66 8.96 9.38 9.83

울산광역시 6.82 7.09 7.47 7.91

표 1. 광역시 별 고령인구 비율

Page 3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29

구별고령인구 비율

2010 2011 2012 2013

중구 16.12 16.87 17.80 18.69

서구 15.70 16.39 17.53 18.47

동구 16.64 17.24 18.26 19.51

영도구 14.89 15.77 16.93 18.13

부산진구 12.00 12.42 13.13 13.91

동래구 10.62 11.08 11.89 12.70

남구 11.66 12.27 13.17 13.90

북구 8.78 9.24 9.71 10.40

해운대구 9.89 10.31 10.90 11.60

사하구 9.51 10.03 10.70 11.46

금정구 11.44 12.03 12.73 13.57

강서구 14.01 14.13 14.51 14.24

연제구 11.18 11.66 12.46 13.38

수영구 12.47 13.17 14.29 15.07

사상구 8.61 9.07 9.78 10.61

기장군 12.69 12.85 13.19 12.73

표 2. 부산광역시 내 구 별 고령인구 비율

4. 부산광역시 내 구 별 고령인구 수

구별 고령인구 수

중구 8,849

서구 21,939

동구 18,732

영도구 24,623

부산진구 54,216

동래구 35,140

남구 40,556

북구 32,211

해운대구 49,362

사하구 40,008

금정구 34,403

강서구 9,950

연제구 28,003

수영구 26,387

사상구 26,185

기장군 16,868

표 3. 부산광역시 내 구 별 고령인구 수

2014년 통계에 따르면, 고령인구의 수는 부산진구,

해운대구, 남구 순으로 많으며, 중구와 강서구는 10,000

명이 넘지 않는다(표 3).

5. 광역시 별 노인장기요양기관 현황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노인장기요양기관의

광역시 별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이 독보적으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순으

로 많은 기관이 운영되고 있다(표 4).

광역시별 시설 수 재가센터 수 계

서울특별시 527 1,961 2,488

부산광역시 127 723 850

대구광역시 263 616 879

인천광역시 295 625 920

광주광역시 102 428 530

대전광역시 107 431 538

울산광역시 42 159 201

표 4. 광역시 별 노인장기요양기관 현황

Page 3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3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6. 부산광역시 내 구 별 노인장기요양기관

현황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노인장기요양기관의 부

산광역시 구 별 현황을 살펴보면, 부산진구, 해운대구,

동래구 순으로 많은 수의 기관이 운영되고 있다. 강서

구의 경우 단, 7 기관만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표 5).

구별 시설 수 재가센터 수 계

중구 1 26 27

서구 3 16 18

동구 3 46 49

영도구 4 32 36

부산진구 9 97 106

동래구 10 69 79

남구 6 64 70

북구 15 59 74

해운대구 12 69 81

사하구 8 46 54

금정구 9 53 62

강서구 2 5 7

연제구 7 49 56

수영구 8 31 39

사상구 10 33 43

기장군 20 28 48

표 5. 부산광역시 내 구 별 노인장기요양기관 현황

7. 부산광역시 내 구 별 복지관 현황

부산광역시 내 구 별 복지관 현황을 살펴보면, 북

구, 해운대구, 영도구 순으로 복지관이 운영되고 있다.

금정구의 경우 노인복지관이 단 1곳도 없는 실정이다

(표 6).

구별 노인 복지관 수 사회종합복지관 수 계

중구 1 1 2

서구 2 2 4

동구 2 2 4

영도구 1 5 6

부산진구 1 4 5

동래구 1 2 3

남구 1 3 4

북구 1 9 10

해운대구 2 7 9

사하구 1 5 6

금정구 0 2 2

강서구 1 2 3

연제구 1 2 3

수영구 1 2 3

사상구 1 4 5

기장군 1 1 2

표 6. 부산광역시 내 구 별 복지관 현황

8. 노인장기요양기관 당 예상 수용인원 수

고령인구와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수를 비교하였을

때, 기관 당 수용해야할 인원을 비교하였다. 수용인원

부담이 강서구가 가장 크며, 서구의 경우에도 기관당

1,000명 이상을 부담해야한다. 중구, 기장군, 동구가

수용인원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표 7).

구별 예상 수용인원 수

중구 328

서구 1,219

동구 382

영도구 684

부산진구 511

동래구 445

남구 579

북구 435

해운대구 609

사하구 741

금정구 555

강서구 1,421

연제구 500

수영구 677

사상구 609

기장군 351

표 7. 노인장기요양기관 당 예상 수용인원 수

Page 3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31

Ⅲ. 결 론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내 고령인구 수와 노인장기

요양기관 수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급속한 인

구의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에 대한 체계적 대비에 대

한 필요성에 대해 볼 수 있었다. 부산광역시는 광역시

중 가장 높은 고령비율을 보이고 있지만, 7개의 광역

시 중 4위로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수는 부족한 실정이

다. 부산 내에서의 실정 또한 적절한 수를 확보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인구가 가장 많은 부산진구와

해운대구가 기관의 수 또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지

만 다른 구들의 경우에는 노인인구의 수와 기관의 수

가 비례하지는 않는다. 물론,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서

비스를 받기위해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인정등급

을 받은 사람들이 이용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체

노인인구의 수와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수를 비교한다

는 것이 현실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노인인구에 비해

기관이 부족하다는 점에서는 변함이 없을 것이다. 노

인복지관과 종합복지관의 경우에도 특정 구역에 집중

된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노인들이 서비스를 이

용하기에 접근성이 낮거나 이용 가능한 서비스가 부

족하다는 것을 시사할 수도 있다. 일반 노인들의 경우

복지관을 이용한 여가활동을 많이 하는 경우가 있는

데, 시설의 수가 적다면 그만큼 수용가능 인원이 적다

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렇듯, 서비스제공기관이

노인인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면, 서비스 이용의 취

약지역과 사각지대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물론, 본 연구는 실질적인 서비스의 질이나, 형태를

파악하지 못하고 수적인 현황만을 논하고 있기에 질적

인 부분을 논할 수 없다. 하지만 본 연구는 고령사회

에 체계적으로 대비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

며, 부산광역시 내 고령인구에 대한 체계적 서비스 제

공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가 되리라 사료된다.

참고문헌

국민건강보험공단. (2014). 노인장기요양기관 현황. 서

울 : 국민건강보험공단.

송창용, 박보경. (2010). 고령화 시대의 이슈와 정책

과제. 서울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민홍, 이재정. (2011). 부산시 고령친화도 평가연구.

부산 : (재)부산복지개발원.

이정헌. (2006). 고령화사회에 따른 부산시 노인주거정

책 추진방안. 부산 : 부산발전연구원.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012). 21세기 정치학대사

전. 서울 : 아카데미아리서치.

통계청. (2013). 부모부양에 대한 견해조사. 서울 : 통

계청.

통계청. (2014). 고령인구비율(시도). 서울 : 통계청.

통계청. (2014). 고령인구비율(구). 서울 : 통계청.

Page 3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3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Abstract

The Number of Old Age Populations and Present Condition of

the Service Offered Facility of the Busan.

Lee, Bo-Min*

, Yang, Yeong-Ae**

,***

, Ph.D., O.T.

*Busan metropolitan dementia center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Objectives :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aged ratio for each unit of Gu of the Busan

in which the aged ratio is the highest among 7 metropolitan cities. It provides basic data

about the social role which check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ervice offered facility and

which it compares for the aging society.

Methods : The study analyzed is a data about one institution the establishment report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d a data registered in Statistical Office from 2010 to 2013.

Conclusion : The number of old age populations was abundant by the Busanjin gu, Haewoondae-gu, and

Nam-gu order. And it showed the aging speed up as the Dong-gu, Su-gu, and Jung-gu order

rapidly. In the case of the Long term care for senior citizen, the institution of the number

which is abundant by the Busanjin gu, Haewoondae-gu, and Dongrae-gu order is operated.

And it is operated by the Buk-gu, Haewoondae-gu, and Yungdo-ku order in the case of the

welfare center.

The Busan displays the highest old age ratio among the metropolitan city. However, the num-

ber of Long term care for senior citizen are the lacking of actual condition.

Key Words : Busan metropolitan, old age populations, service offered facility

Page 3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원예치료가 국내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강지영*

*인창병원 작업치료실

목적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국내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해보

고자 체계적인 고찰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2003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데이터베이스 KISS, RISS, DBpia, 국회도서관에서 치매, 원예치

료, 원예, 일상생활 등의 단어를 검색어로 논문을 검색하였다.

연구결과

총 7편의 연구 중 각 연구의 참여한 연구 대상자 측면에서는 각 군별 대상자 수가 20명 이상인 연

구가 3편 이었고 그 외 연구들의 각 군별 대상자 수는 20명 이하로 이루어져 근거 수준이 높지 않

았다. 각 논문의 연구설계는 무작위비교실험설계(randomized trial) 연구가 2편, 비무작위 비교실험

설계(non-RCT) 연구가 1편, 비무작위 비교실험설계(non-subject design) 연구가 2편, 그리고 사례

(case studies) 연구가 2편이었다. 치료효과 측면에서는 총 7편의 연구 중 3편의 연구가 가설과 일

치한 유의미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4편의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얻지

못하였다.

결론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수의 대상군 확보와 대조군을 두는 연구 설계

및 추적조사를 통한 지속적인 치료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원예치료, 일상생활, 치매

교신저자 : 강지영([email protected])∥접수일 : 2014년 4월 9일∥개재승인일 : 2014년 4월 12일

Ⅰ. 서 론

우리 사회의 고령화 속도는 미국, 영국, 일본 등 다

른 선진국에 비해 급격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

며 2012년 6월 25일 시점으로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589만명으로 총인구의 11.8% 차지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2%에 이르러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고, 2018

년에는 14.5%fh 고령사회에, 2026년에는 20.8%가 되

어 초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6. 25).

이러한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성 질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성 치매질환자의 경우

2002년 4만8천명이던 환자가 2007년 13만 5천명으로

2.83배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WHO)의 국제 질병분류에서는 치매란 뇌의 만성 또

는 진행성 질환에서 생긴 증후군이며 이로 인해 나타

나는 기억력, 사고력, 지남력, 이해 계산, 학습력, 언어

및 판단력을 포함한 고도의 대뇌피질 기능의 다발성

장애라고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 치매 환자를 대상

으로 유병율을 조사한 연구들은 지역, 대상, 시기에

차이가 있으나 65세 이상 노인의 9.5-13%로 전 세계

의 65세 이상 치매 유병율 2.2-8.4%보다 높았다(김동

현, 2003).

Page 3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3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신체적 기능 상태는 노인이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노년기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

이 됨은 물론이고 노인의 장기요양 서비스에 대한 요

구를 결정하는 기준(Evashwick, 1996)이 되기 때문에

실제에서 더욱 중요하다. 노인의 신체적 기능상태 중

에서 특히 자기관리능력은 노인과 가족의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노인의 자기관리능력 유

지의 중요한 임상적 지표 중 하나로 일상생활 수행능

력(Activity of daily living, ADL)이 있는데 이는 노인

의 총체적 기능을 반영한다(Lee & Kim, 2004).

지금까지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신사회적

접근이 시도되고 있며, 그중에서 최근 가장 주목을 받

고 있는 것은 원예치료이다(손기철, 1997; 김홍력,

2003). 원예치료란 심신의 치료와 재활을 목적으로 식

물과 원예활동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대상자인 장애인

의 치료나 회복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까지 가능케

하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과정이다(손기철, 1997 ;

Bassen & Baltarzar, 1997 ; Gartland, 1997).

Relf(1981)에 의하면 원예치료는 신체적, 정서적, 지

적, 사회적으로 포괄적인 효과를 나타내는데, 우선 신

체적 효과 면에서 원예활동을 통해 소근육과 대근육

운동이 일어나서 근육강화에 도움이 되고 특히 손가

락과 손의 기능 회복에 유효하며 신체 균형감각도 증

진시킨다. 이와 같이 원예치료는 운동기능을 증진시

키고 정서적 안정을 가져오며 인지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인지기능장애, 정신적 문제 및 일상생활

활동의 장애를 겪게 되는 치매환자를 위해서는 매우

적절한 요법이라고 볼 수 있다(박정숙, 이현지, 김미

은, 2003).

단계 범주 정의

설계

Ⅰ. 무작위비교실험설계

(randomized trial)

집단의 무작위 할당이나 일련의 반복 측정 설계 안에서의

두 집단, 혹은 그 이상 집단의 비교 연구

Ⅱ. 비-무작위 비교실험설계

(non-RCT)

집단의 무작위 할당, 동일 조건, 순차적 측정 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유사 실험설계에서의 두 집단, 혹은 그

이상 집단 및 처치의 비교연구

Ⅲ. 비-무작위 비교실험설계

(non-subject design)단일 집단 사전-사후 치료의 비교연구

Ⅳ. 개별실험설계

(single-subject design)치료적 중재를 통한 단일 대상의 측정

Ⅴ. 사례 연구

(case studies)서술 및 사례 연구

표본

크기

A. n ≥ 50 개별실험설계 내에서 조건, 집단 관찰 당50이상의 n수B. n ≥ 20 개별실험설계 내에서 조건, 집단 관찰 당 20이상의 n수C. n 〈 20 개별실험설계 내에서 조건, 집단 관찰 당 20미만의 n수

내적

타당도

1. 높은 내적 타당도

감손(attrition), 비맹검 평가, 불균등 중재, 동시적 회복 등

타당도를 위협하거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강한

통제

2. 중등도의 내적 타당도경과에 영향을 주는 명백한 변인들은 없지만 타당도를

위협하는 요소들이 한 두 개 존재3. 낮은 내적 타당도 1,2의 요건들을 충족 못함

외적

타당도

a. 높은 외적 타당도

대상자들이 모집단을 대표하고 치료적 중재가 자연적

환경(집이나 임상)에서 실행되었을 때도 현재의 결과를

보이거나 강한 이론적 배경을 확보

b. 중등도의 외적 타당도 a에서 제시한 기준들을 두 가지 정도 충족c. 낮은 외적 타당도 a에서 제시한 기준들을 하나 및 그 이하로 충족

ATOA =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RCT = randomized control trial.

표 1. 근거의 단계(level of evidence for AOTA evidence-based practice project)

Page 3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35

원예활동은 단순하고 반복적이어서 치매 환자가 수

행하는데 있어서 간호하는 사람의 보조가 최소 수준

으로 요구되며 규칙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일상생활로

쉽게 통합될 수 있기 때문에 시설은 물론 지역사회

거주 치매환자들에게도 활용도가 높다(Lee & Kim,

2004). 치매환자의 경우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체력

과 가동 범위의 유지를 위해 규칙적 운동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Lee, Shin & Lee, 1995). 특히 집중력이

짧고 지속적인 감독이 요구되며 학습 효과를 기대하

기 어려운 치매환자의 경우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많

은 도움이 필요하고 정교하게 디자인된 활동 프로그

램은 치매환자 당사자는 물론이고 간호자에게도 어려

운 일이 되어 결국 활용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또

한 대다수의 프로그램은 치매환자와 간호자가 수행하

기에는 너무 어려워 오히려 좌절감을 안겨주거나

(Felce et al., 1999), 너무 어린애 같고 유치하고 쉽기

까지 하다(Salari & Rich 2001). 인종에 따라 노인들이

선호하는 활동 내용에 대해 연구하기도 하는데 인종

이나,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노인들이 선호하는 활동

중 대표적인 것에 원예활동이 있다(Wood, 2002).

우리나라 노인의 경우 도시(Hur, 2002)와 농촌(Kim

et al., 1999) 모두에서 노인들이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활동에 원예 또는 식물재배가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활동이 노인들의 생활 만족도와 정적 관계를 나타내

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et al., 1999).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원예치료가 국내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

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를 통합하고 연구

경향을 파악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검색방법 및 분석대상

2003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KISS, RISS, DBpia,

국회도서관을 통하여 국내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용어

로는 치매, 원예치료, 원예, 일상생활 등의 단어를 사용

하였다. 검색된 논문은 총 51편 이었으며 그 중 본 연구

의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에 대한 분석을 하여 최종적으

로 7편의 논문이 본 연구에 분석대상으로 사용되었다.

1) 선정기준

⑴ 실험논문

⑵ 전문을 구할 수 있는 것

⑶ 일상생활 평가도구를 사용한 것

⑷ 대상자가 치매환자인 것

2) 배제기준

⑴ 실험 논문이 아닌 것

⑵ 전문을 구할 수 없는 것

⑶ 일상생활 평가도구를 사용하지 않은 것

⑷ 대상자가 치매환자가 아닌 것

2. 적절성 평가 방법

선정된 문헌에 대해서 한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미국작업치료협회(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OTA)의 근거기준(level of evidence)을 기

준으로 연구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미국작업치

료협회에서 제시한 근거 수준은 논문의 설계 유형, 표

본 크기,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를 기준으로 각각

의 연구들에 대한 객관적인 수준을 규정할 수 있도록

한 표이다(Trombly & Ma, 2002)<표 1>. 본 연구에서

는 한명의 연구자가 개별적으로 근거기준을 검토하여

기재하였다.

Ⅲ. 연구 결과

선정 기준에 의하여 본 고찰의 대상으로 선정된 7

편의 논문의 특성은 표2와 같다. 각각의 선정된 연구

들을 살펴보면 각 연구의 참여한 연구대상자 수는 윤

숙영(2009)의 연구가 총 대상자 28명으로 가장 많았으

나 실험군 14명 대조군 14명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집

단별 명수가 20명이 되지 않았다. 이윤정(2003)의 연

구는 실험군이 23명이기는 하나 단일군 반복 측정연

구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 외 다른 연구들은 적게는 4

명의 대상자에서 많게는 20명의 대상자로 연구가 이

루어져 전체적으로 연구대상자 수적인 측면에서의 근

거수준은 높지 않았다.

각 논문의 연구설계는 집단의 무작위 할당이나 일

Page 4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3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련의 반복 측정 설계 안에서 두집단을 비교연구하는

무작위비교실험설계(randomized trial) 연구가 2편, 집

단의 무작위 할당, 동일 조건, 순차적 측정 등을 만족

시키지 못하는 유사 실험설계에서의 두 집단을 비교

연구하는 비-무작위 비교실험설계(non-RCT) 연구가 1

편 이었다. 단일 집단 사전-후 치료를 비교연구하는

비-무작위 비교실험설계(non-subject design) 연구가 2

편, 사례(case studies)가 2편이었다. 치료효과 측면에서

는 총 7편 중 3편이 연구의 가설과 일치한 유의미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2편의 연구에

서 전체적으로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얻지 못했으

며, 2편의 연구에서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얻지 못하였다.

근거 실험군/대조군 근거단계 결과

김미라(2012) 10/10 ⅠB2b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

김명화(2012) 8/8 ⅠC2b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

윤숙영(2009) 14/14 ⅡB2b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

최규식(2006) 12/0 ⅤC2c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영향 미침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이윤정(2003) 23/0 ⅢB2b전체적으로는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

개별적으로는 효과입증 어려움

한경희(2003) 4/0 ⅤC2c

대상자 중 1명은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향상,

2명은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유지, 1명은 일상

생활 수행능력 감소

박정숙(2003) 7/0 ⅢC2b

대상자 중 5명은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향상,

1명은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유지, 1명은 일상

생활 수행능력이 약간 감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표 2. 원예치료가 국내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논문의 특성

Ⅳ. 고 찰

본 연구의 목적은 원예치료가 국내치매노인의 일상

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를 체계적으

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원예치료가 국내치

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정리하

여 현재까지의 원예치료를 통한 일상생활 수행능력

효과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의 기초자료

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원예치료는 노인의 자신감 향상, 우울 감소, 동료와

의 관계유지, 주의 집중력 향상 등으로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향상된다(Hazen, 1997; Park, 2000). Lee and

Kim(2004)은 치매환자에게 원예활동을 적용한 결과

소근육과 대근육의 운동능력 향상과 함께 일상생활

능력이 향상된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Um(2003)이

규칙적인 운동은 노인성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

력에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Park 등(2003)의 연구에서는 원예요법 이후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증가는 하였으나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하였고 그 이유

로 대상자의 수가 7명으로 적었으며 주 1회 1시간 동

안 12주로 총 12시간 동안 실시하여 원예요법 실시기

간이 짧았음을 들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원예치료가 국내치매환자의 일

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보았을 때 치료적

효과 측면에서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연

Page 4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37

구가 7편 중 3편,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변화가 없었다는 연구가 4편이었다.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는 연구의 이유로는 치매

의 장기적인 특성에 비해 원예치료 기간이 짧았던 점,

지병 악화, 연구대상자 수 부족, 단일군 전후 설계의

문제점 등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추후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보다 많은 수의 대상군

확보와 대조군을 두는 연구 설계 및 원예치료기간을

길게 두고 일상생활 수행능력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2003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의 원예

치료가 국내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를 통합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 수는 20명 이상이 총 7편 중 3편, 그

외 모든 연구들의 대상자수는 20명 이하로 이루어졌다.

2. 연구 설계는 무작위비교실험설계 (randomized tri-

al) 연구가 2편, 비-무작위 비교실험설계(non-RCT) 연

구가 1편, 비-무작위 비교실험설계(non-subject design) 연

구가 2편, 그리고 사례(case studies) 연구가 2편이었다.

3. 원예치료가 국내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 행능력

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총 7편 중 3편이 연구의 가설

과 일치한 유의미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 되었으

나, 그 외 연구 중 2편의 연구에서는 전체적으로는 일

상생활 수행능력이 향상 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

지 않았고, 2편의 연구에서는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얻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두 집단을 비교연구로 실험설계한 연구

에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얻었으나, 단일군, 사례연구

로 설계된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추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수의 대상군의 확보와 대조군을 두는 연구 설계

및 추적조사를 통한 지속적인 치료적 효과에 대한 연

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동현. (2003). 우리나라의 치매 역학. 대한 의사협회

지, 45, 356-360.

김명화, 김정미. (2012). 원예치료를 적용한 작업치료

적 중재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일상

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역사회작업치

료학회지, 2(1), 75-84.

김미라, 김홍열, 허무룡, 박우청, 김윤선, 임기병, 손병

구, 최영환, 강점순, 이용재, 박영훈. (2012). 원예치

료가 시설 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5(4), 227-233.

김홍열. (2003). 원예치료학. 대구: 대구카톨릭대학교

출판부.

박정숙, 이현지, 김미은. (2003). 원예요법이 치매노인

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

력에 미치는 영향.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7(1), 69-82.

손기철. (1997). 원예치료에 관하여. 한국원예학회지,

2(3), 3016-3022.

손기철. (1997). 원예치료. 서울: 서원도서출판사

윤숙영, 김홍열. (2009).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일상

생활 수행능력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농업생

명과학연구, 43(5), 27-32.

이윤정, 김신미. (2003). 원예 프로그램이 시설 내 치

매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악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16(1).

최규식. (2006).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증과 일상

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인천: 성산효도대학교.

한경희, 이상미, 박진상, 김형수, 서정근. (2003). 짝지

워 수행한 치료적 원예활동이 치매노인의 ADL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사례연구. 한국인간식물환

경학회지 6(2), 1226-9778

Bassen, S., Baltarzar, V. (1997). Flower, Flower

Everywhere: Creative Horticulture Programming at the

Hebrew Home for the Aged at Riverdale. Geriatic

Nursing, 18(2), 53-56.

Evashwick, C. J. (1996). Definition of the continuum of

long-term care: An integrated systems approach. Albany:

Page 4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3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Delmar publishers. p. 3-22.

Felce, D., Lowe, K., Perry, J., Jones, E., Baxter, H.,

Bowley, C. (1999). The quality of residential and day

service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es in eight

local authorities in England: Objective data gained in

support of a social services inspectorate inspetion. J

Appl Res Intellectual Disabilitys, 12, 273-293.

Gartland, J. (1997). A garden of the imagination,

Nursing Time, 93(47), 29-30.

Hazen, T. M. (1997). Horticultural therapy in the skilled

nursing facility.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older

adult population. The Haworth Press Inc.

Hur, J. (2002). Determinants of leisure activities among

urban elderly persons. J Korea Gerontol Soc, 22(2),

227-247.

Kim, J., Par, J., Ryu, S., Lee, D., Kim, H., & Kim, Y.

(1999). The leisure activity and the degree of sat-

isfaction for the life by aged persons in a rural area.

Korean J Rural Med, 24(1), 131-143.

Lee, D., Shin, G., & Lee, W. (1995). A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treatment on dementia in orental and

occidental medicine. J Dong Guk Orient Med, 3, 67-80.

Lee, Y. J. and S. M. Kim. (2004). The effect of horti-

cultural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nd hand grip strength of in-

stitu-tionalized dementia patients. J. Korean Aced.

Adult Nurs. 16, 123-134.

Park, J. S., Lee, H. G., & Kim, M. E. (2003).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cognitive fuction, self-es-

teem, depression and ADL of elderly with dementia. J

Comm Health Nurs Acad Soc, 17(1), 69-82.

Park, Y. W. (2000).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

gram on the change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

cial improvement of old stroke patient in day-care

center. MS Diss. Seoul: Konkuk University.

Salari, S. M., & Rich, M. (2001). Social and environ-

mental infantilization of aged person: Observations in

two adult day care center. Int J Aging Hum Dev, 52,

115-134.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The aged statistics.

www. kostat.go.kr

Trombly, C. A. & Ma, H. I. (2002). A synthesis of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persons with

stroke, part Ⅰ: Restoration of roles, tasks, and

activiti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3), 250-259.

Um, S. Y. (2003). The effects of regular exercise on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ex-

ercise capacity in patient with senile dementia. Ph D

Diss. Seoul: Korea University.

Wood, F. G. (2002). Ethnic kifferences in exercise

among adults with diabetes. West J Nurs Res, 24(5),

502-515.

Page 4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39

Abstract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ADL of Demented Elders in Korea

- A Systematic Review -

Kang, Ji-Young*

*Dept. Occupational Therapy, Inchang Medical Center.

Objectives : This study is executed to test research on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ADL of de-

mented elders. We performed systematic review for it.

Methods : From January, 2003 to March, 2014. The systematic review was executed using KISS, RISS,

DBpia and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key words used for the search were dementia,

horticultural therapy, horticultural and ADL.

Results : In aspect of subjects that had participated in each studies, the study with more than twenty

subjects was three and the number of subject of all the other studies was less than twenty,

which means level of reasonability was not so high. For research design of each thesis,

randomized trial was two, non-RCT was one, non-subject design was two and case studies

was two. For the aspect of treatment effects, it was confirmed that three studies of the whole

seven obtained the significant effects same as the hypothesis of studying. But, the remain four

studying didn’t show the significant effects.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n future study, there should be constant study on ther-

apeutic effect through investigative examination and have a control group in research design

and acquirement of many groups of subject.

Key Words : Horticultural Therapy, ADL, Dementia

Page 4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가톨릭상지대학교 작업치료과

**인창병원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목적 본 연구는 경상도 지역 작업치료사의 노인학대 인식과 목격실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경상도 지역에서 근무하는 71명의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

는 SPSS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사의 노인학대에 대한 관심은 보통 이하가 72.4%로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작업치료

사는 신체적 학대를 가장 심한 학대로 인식하였고, 정서적 학대를 가장 덜 심한 학대로 인식하였

다. 대상자의 91.5%가 노인학대를 목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방임과 재정적학대를 가장

많이 목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 결과 작업치료사의 노인학대에 대한 관심과 인식은 미비하다. 앞으로 작업치료사 분야에서

도 노인학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노인학대, 작업치료사

교신저자 : 양영애([email protected])∥접수일 : 2014년 4월 10일∥개재승인일 : 2014년 4월 19일

Ⅰ. 서 론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을

차지할 때 고령화사회(aging society)로 분류한다. 우리

나라는 이미 2000년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고 2019년

에는 고령사회(aged society), 2026년에는 초고령화사

회(super aged society)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Seoul Dementia Center, 2010). 노인인구가 증가할수록

파생되는 사회적 문제점 또한 증가되고 있다. 노인에

대한 사회보장제도와 복지서비스는 가족과 노인의 욕

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고 경제적인 이유로 노인

들은 자녀들과 갈등을 격고 있는 실정이다.

전국 노인학대 실태조사에 의하면 노인인구의 13.1%

약 71만명이 노인학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

인학대 경험률은 노인학대의 유형과 정의에 따라 차

이를 나타내므로 실제 노인학대 경험자는 더 많은 것

으로 추정된다(보건복지부, 2009). 또한 2012년 한 해

동안 전국 노인보호전문기관을 통한 학대 피해 신고

건수는 9,340건이며, 이 중 학대사례는 3,424건으로 전

체의 36.7%를 차지하였으며 해마다 학대신고접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보건복지가족부, 2012).

노인학대 문제에 대해 의료보건전문가들의 관심은

일찍부터 나타났다. 간호학에서는 간호사는 노인학대를

규명하는 일차적인 전문가이며 노인학대의 간호중재에

있어 신뢰관계형성, 관리의 연속성, 포괄적 계획을 강조

하였다(김윤희, 김인홍, 손영주, 1998). 사회복지 분야에

서도 복지서비스분야의 노인학대의 인식과 연구가 활

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연호(2004)는 학대피해자

와 가해자에게 필요한 사회복지적 개입을 기반으로 한

Page 4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41

구분 빈도 비율

성별남 29 40.8%

여 42 59.2%

연령

25세 이하 15 21.1%

26세∼29세 31 43.7%

30세∼39세 23 32.4%

40대 이상 2 2.8%

표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전문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의 확대방안에 대해 고찰

하였다. 하지만 작업치료 분야에서는 노인학대 뿐만 아

니라 학대에 대한 인식과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뇌졸중 노인의 노인학대와 정신건강 및 가족탄력성

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뇌졸중 노인의 46.7%가 노인

학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뇌졸중 노인의 가

족탄력성과 정신건강에 부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김광수, 2008). 이 결과는 뇌졸중 환자

를 주 대상으로 치료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및 재활분

야 전문가들에게서 간과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며, 정

신건강과 가족의 지지도는 치료효과에 영향을 미치므

로 재활치료전문가들도 노인학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과 목

격실태를 조사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작업치료사의 노

인학대 인식의 필요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작업치

료사들이 목격한 노인학대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경남지역 노인 관련 기관

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100

부의 설문지를 우편 발송하였으며, 회수된 76부의 설

문지 중 응답내용이 부실한 5부를 제외한 71부의 설

문지를 분석하였다.

2. 연구 도구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

으며, 설문지는 일반적인 특성 8문항, 노인학대에 대

한 인식 38문항, 노인학대의 목격실태 38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 척도는 4점으로 측정

하였고(학대 아님 1, 약한 학대 2, 보통 학대 3, 심한

학대 4), 목격실태척도는 5점으로 측정하였다(전혀 1

점, 가끔 2점, 보통 3점, 자주 4점, 매우자주 5점).

3.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은 특징은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인

구사회학적 변인이 노인학대의 인식, 목격실태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 t 검증을 실시

하였다.

Ⅲ.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표 1>. 성별은 남성 40.8%, 여성은 59.2%로 남성

보다 여성이 많았다. 연령층은 20대와 30대가 97.2%

를 차지하고 있어 작업치료사가 젊은 연령층임을 반

영하고 있다.

작업치료사의 학력은 전문대학 졸업자가 63.4%로

가장 많았으며, 임상 경력은 3년 이하가 40.8%로 가장

많았다. 주 치료 대상군은 뇌졸중(69.0%), 치매(25.4%)

순으로 나타났다.

Page 4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4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학력

전문대학졸업 45 63.4%

대학졸업 21 29.6%

석사학위 5 7.0%

박사학위 0 0%

임상 경력

3년 이하 29 40.8%

4년∼6년 20 28.2%

7∼9년 16 22.5%

10년 이상 6 8.5%

주 치료 대상군

뇌졸중 49 69.0%

치매 18 25.4%

근골격계 질환 2 2.8%

기타 2 2.8%

2. 작업치료사의 노인학대 인식 수준

1) 노인학대의 관심여부

노인학대에 대한 관심 여부를 묻는 문항에서는 많

다(매우 많다 + 많다) 27.6%, 보통 40.4%, 조금 29.2%,

전혀 2.8%로 작업치료사의 노인학대에 대한 관심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 대상자 중 29명, 40.8% 만이 작업치료 교과

과정 중 노인학대에 대한 학습을 하였고, 노인학대

에 대한 작업치료적 접근법에 대해 알고 있는 대상

자는 6명에 그쳐 전체의 8.5% 만이 노인학대의 작업치

료 중재방법에 대해 알고 있었다.

2) 학대 정도에 대한 인식

다섯 가지 학대유형의 총 평균은 4점 만점 중 정서

적 학대 3.46, 언어적 학대 3.77, 신체적 학대 3.98, 재

정적 학대 3.58, 방임 3.60였다. 작업치료사는 신체적

학대를 가장 심한 학대로 인식하였고, 정서적 학대를

가장 덜 심한 학대로 인식하였다<표 2>. 노인학대 인

지 수준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학대유형 학대아님 약한학대 보통학대 심한학대 평균

정서적 학대7

(0.9)

81

(11.4)

268

(37.8)

354

(49.9)3.34

언어적 학대0

(0.9)

15

(3.5)

124

(29.2)

287

(67.4)3.66

신체적 학대0

(0.0)

0

(0.0)

63

(12.7)

434

(87.3)3.87

재정적 학대0

(0.0)

11

(2.2)

95

(19.2)

391

(78.6)3.78

방임0

(0.0)

0

(0.0)

80

(14.1)

488

(85.9)3.86

표 2. 노인학대 정도에 대한 인식

Page 4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43

3. 작업치료사의 노인학대 목격실태

1) 노인학대 목격 여부

노인학대의 목격여부를 조사한 결과 대상자의

75.9%가 목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2) 학대 유형별 목격 실태

노인학대의 학대 유형별 목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학대 정도의 인식 조사에서 사용한 38개 질문문항의

측정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측정은 5점 척도로

전혀, 가끔, 보통, 자주, 매우 자주로 측정하였다.

각 학대유형의 총 평균은 5점 만점 중 재정적 학대

1.68, 방임 1.62, 언어적 학대 1.51, 언어적 학대 2.53,

신체적 학대 1.32로 재정적 학대와 방임에 대한 목격

이 가장 많았고, 신체적 학대에 대한 목격이 가정 적

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적 학대에 있어서는 [생활이 어려운 노인에게

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용돈이나 생활비 등을 주

지 않는다]가 가장 많이 목격되고 있었다. 또한 방임

에 있어서는 [부양자나 가족이 노인에게 무관심하거

나 냉담하게 대한다]가 가장 많이 목격되었다.

학대유형 전혀 가끔 보통 자주 매우자주 평균

정서적 학대407

(57.3)

263

(37.0)

40

(5.7)

0

(0.0)

0

(0.0)1.42

언어적 학대244

(57.3)

145

(34.0)

37

(8.7)

0

(0.0)

0

(0.0)1.51

신체적 학대354

(71.2)

123

(24.7)

20

(4.1)

0

(0.0)

0

(0.0)1.32

재정적 학대267

(53.7)

131

(26.4)

83

(16.7)

9

(1.8)

7

(1.4)1.68

방임347

(61.1)

115

(20.2)

51

(9.0)

37

(6.5)

18

(3.2)1.62

표 3. 노인학대 유형별 구체적 실태

Ⅳ. 고 찰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과

목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경상도 지역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그 결과 작

업치료사의 노인학대에 대한 관심은 높지 않았고, 정

서적 학대와 방임에 대한 학대 인식도가 가장 저하되

어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실제 임상에서 정서적

학대와 방임을 가장 많이 목격하고 있는 아이러니 한

결과가 나타났다.

노인학대는 노인 삶의 질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

중 하나이며 노인의 일상생활기능 및 및 사회 참여,

자존감을 저하시키며 심각한 경우 자살에 까지 이르

게 한다. 배진희(2009)는 노인의 일상생활기능은 우울

에 직업적 영향을 미치며 학대와 사회활동의 참여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으며, 정호영과

노승현(2007)은 30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학대는 스트레스와 우울을 야기한다고 한다. 또한 65

세 이상 노인 1110명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노인의 학

대 피해 정도는 자살 생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우울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배진희, 2009).

노인학대의 개념은 다차원적이며 사회문화적 차이

로 인해 나라마다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다. 미국의 성

인보호서비스 협회(National Adult Protective Service

Association)(2006)에서는 노인학대를 “신체적 또는 심

리적 위해를 가하거나 필수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

해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를 의도적으로 박탈하는 행

Page 4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4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위”라 규정하고 있으며, 영국보건부(DoH)는 “타인에

의한 노인의 시민권 또는 인권 침해행위”라 정의하여

노인 권리 침해행위를 노인학대에 포함하고 있다. 국

제노인학대예방네트워크(International Network for the

Prevention of Elder Abuse; INPEA)에서는 “신뢰를 기

반으로 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노인에게 위해나 고통

을 일으키는 일회성 또는 반복적 행위 또는 적절한

조치의 부족”이라 정의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학자마

다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으나 노인복지법 제 1조 2항

에서는 “노인에 대하여 신체적, 정신적, 성적 폭력 및

경제적 착취 또는 가혹행위를 하거나 유기 또는 방임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노인학대의 유형분류는 학대가 발생하는 장소와 학

대행위의 내용을 기준으로 나뉜다. 학대 발생하는 장

소를 기준으로 가정 내 학대, 시설 내 학대, 자기방임

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Tatara, 1990; 권중돈, 2010). 노

인학대 행위내용에 따라서는 매우 다양한 유형분류가

존재하나 보건복지부(2010)에서는 노인학대의 유형을

신체적 학대, 정신적 학대, 성적 학대, 경제적 학대,

방임, 유기라는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 노인의 행태적 분류별 노인학대 경험률은 정서

적 학대(11.0%), 방임(3.7%), 자기방임(1.8%), 경제적

학대(0.7%), 신체적 학대(0.6%), 유기(0.5%), 성적 학대

(0.1%) 순으로 나타났다(보건복지부, 2009). 하지만 작

업치료사들은 재정적 학대와 방임을 가장 많이 경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 작업치료사들의 노인학대에 대

한 인식도는 평균 3.70점으로 이는 2000년도 사회복지

사의 노인학대 인식도 조사 평균 3.86보다도 낮았고,

노인학대의 관심도는 보통 이하가 72.5%를 차지하고

있어 노인학대의 인식도 향상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

된다. 또한 작업치료 교과과정 중 노인학대에 대한 작

업치료적 접근법을 학습한 대상자도 6명에 그쳐, 실제

임상에서 노인학대 피해자를 만나게 되더라도 적절한

조취를 취하지 못하고 묵과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것

으로 예상된다.

임상의 다양한 분야에서 고령자를 클라이언트로 만

나는 작업치료사는 학대, 방임의 개념과 증상에 대해

이해하고, 학대의 여부를 선별하고 원인을 평가하며,

중재를 행하고 결과를 파악하는 일차적 수행 전문가

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노인학대에 대한

법적인 제도와 지역사회의 의식을 깨우치는 데 지도

자적 역할을 해야 한다(박주영, 2012).

앞으로 작업치료 교과과정뿐만 아니라 보수교육 등

을 통해 작업치료사의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과 대처

방법 및 평가, 중재접근법에 대해 교육하는 것이 필요

한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과

목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경상도 지역의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업치료사의 노인학대에 대한 관심은 많다(매우

많다 +많다) 27.6%, 보통 40.4%, 조금 29.2%, 전혀

2.8%로 보통 이하가 72.4%로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

다.

2. 대상자 중 전체의 8.5%만 작업치료 교과과정 중

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적 접근법을 학습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작업치료사는 신체적 학대를 가장 심한 학대로

인식하였고, 정서적 학대를 가장 덜 심한 학대로 인식

하였다.

4. 노인학대의 목격여부를 조사한 결과 대상자의

91.5%가 목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방임과

재정적 학대를 가장 많이 목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상도 지역의 작업치료사이므

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하

지만 작업치료사의 노인학대에 대한 관심도와 인식이

부족한 것에 비해 실제 임상에서는 노인학대를 종종

목격하고 있다는 의미있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앞으로 작업치료학 교과과정

Page 4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45

뿐만 아니라 보수교육 등을 통해 작업치료사의 노인

학대에 대한 인식과 대처방법 및 평가, 중재접근법에

대해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작업치료 분야에

서도 노인학대 피해자를 선별하고 치료하는 중재법에

대해서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참고문헌

권중돈. (2004). 노인 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

국노년학, 24(1), 1-19.

권중돈. (2010). 노인복지론(4판). 서울: 학지사.

김광수. (2008). 뇌졸중노인의 노인학대와 정신건강 및

가족탄력성에 관한 연구. 서울: 연세대학교.

김미혜, 권금주, 임연옥, 이연호. (2006). 노인학대 측

정도구; 학대의 유형과 심각성을 중심으로, 한국노

년학, 26(4), 819-842.

김신영. (2005). 학대의 경험이 노인 생활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 연구. 노인복지연구, 29, 175-202.

김현정. (2005). 노인학대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 경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윤희, 김인홍, 손영주. (1998). 노인학대와 간호중재

에 관한 문헌연구. 정신간호학회지, 7(1), 65-186.

배진희, 정미순. (2008). 노인이 인식한 가해자 특성이

노인학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8, 443-458.

배진희. (2009). 고령노인의 일상생활기능 저하가 우울

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참여와 노인학대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 353-368.

배진희. (2009). 노인의 상실, 학대경험, 우울이 자살생

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44. 49-70.

보건복지부. (2009). 전국 노인학대 실태조사.

보건복지가족부. (2007). 전국 노인학대상담사업 현황

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2010). 노인보호전문기관 업무수행

지침.

서울치매센터. (2010). 2010년 서울 치매 관리 서비스

가이드북.

서윤. (2000). 노인학대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지와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7, 31-55.

서윤. (2004). 가정에서의 노인학대와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 한국노인복지연구, 32, 40-77.

이연호. (2002). 노인학대의 위험요인과 피해에 관한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이연호. (2004). 한국노인학대 개입의 사회복지 서비스

확대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인간관계학보, 9(1),

237-260.

정호영, 노승현. (2007). 노인학대의 위험요인 및 심리

적 결과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7, 181-202.

정경희, 오영희, 이소정, 권금주, 이윤경, 방효정.

(2007). 노인학대 실태조사를 위한 기초연구: 노인

보호전문기관에서의 노인학대 판정지표 개발 및 사

정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청. (2005). 장래인구 특별추계.

Baker, A. A. (1975). “Granny battering” Modern

Geriatrics. 5(8), 20-24.

Department of Health(DoH), (1999). Modernizing Social

Service. London: HMSO

Ham, R. (1981). “Pitfalls in the diagnosis of abuse of

the early in Illinois;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Legislation and policy recommendation” Springfield,

Ⅱ: State of Illinois, B1-B7.

Helfricha, C. A. & Avilesb, A. (2001). Occupational

Therapy’s Role with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16(3,4), 53-70.

Johnstona, J. L., Adamsa, R., & Helfrichb, C. A. (2001).

Knowledge and Attitudes of Occupational Therapy

Practitioners Regarding Wife Abuse.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16(3,4), 35-52.

Lafata, M. J. & Helfricha, C. A. (2001). The Occupational

Therapy Elder Abuse Checklist.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16(3,4), 141-145.

Penhale, B. (2008) “Elder Abuse in the United Kingdom”.

Journal of Elder Abuse & Neglect, 20(2), 151-168.

Pillemer, K. & Finkelhor, D. (1989) Causes of Elder

Abuse; Caregiver Stress Versus Problem Relative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9(2). 179-187.

Tatara, T. (1990) Elder Abuse in the United States; An

Issue Paper. National Aging Resource Center on Elder

Page 5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4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8권/제1호

Abuse.

Navea, J., Helfrichb, C. A., & Avilesb, A. (2001). Child

Witnesses of Domestic Violence; A Case Study Using

the OT PAL.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16(3,4), 127-140.

Page 5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47

Abstract

Study on the Occupational Therapy’s Knowledge and Conditions of Elder Abuse

Park, Ju-Young*, M.O.T., Lee, Na-Yun**, M.O.T., Yang, Yeong-Ae***,

****,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atholic Sangji colleg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Inchang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Objectives :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nowledge and conditions of elder ebuse of the oc-

cupational therapist in kyoungsangdo.

Methods : A survey was provides to 71 occupational therapist in kyoungsangdo.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to p=.05.

Results : The occupational therapist is usually less than the interest elder abuse is not high as 72.4%

was seen. Occupational therapists recognized physical abuse as the most severe abuse and

emotional abuse as the slightest abuse. 91.5% of subjects witnessed elder abuse, the most fre-

quent abuse was financial abuse and next neglect.

Conclusion : Occupational therapist's interest and awareness of elder abuse is the insufficient. And Actively

progressed research on elder abuse should be considered in Occupational therapy.

Key Words : Elder Abuse, Occupational Therapist

Page 5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정관

2007년 9월 8일

제1장 총칙

제1조 (명칭)

본 회는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이하 “본 학회”라 한다)라 칭하며, 영문 표기는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약칭: OTAD)라 한다.

제2조 (목적)

본 학회는 고령자와 치매관련 작업치료의 연구를 통하여 고령자와 치매작업치료의 학술적 발전을 도모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 (사무소)

본 학회의 주 사무소는 학회장이 지정한 곳에 두는 곳을 원칙으로 한다.

제4조 (사업)

본 학회는 제2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사업을 수행한다.

① 학술지 발간사업

② 고령자 ・ 치매전문작업치료사 양성교육에 관한 사업

③ 국내외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 관련 학문교류에 관한 사업

④ 기타 본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제2장 회원

제5조 (구성)

학회의 회원은 정회원, 명예회원으로 한다.

제6조 (회원의 자격)

본 학회의 회원 자격은 아래와 같다.

① 정회원: 고령자와 치매에 관심이 있고 관련분야에 종사하거나 이에 상당하는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

학회에 가입하여 회비를 납부한자

② 명예회원: 본 학회의 발전에 현저한 공로가 있는 개인 또는 전체

Page 5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7조 (회원의 권리, 의무)

본 학회의 회원은 다음 각 호의 권리와 의무를 진다.

① 회원은 학회의 운영규정을 준수하고, 학회가 정한 입회금, 회비, 기타 교육 등에 참가할 경우 학회가 정하

는 부담금을 납부하여야 한다.

② 회원은 본 학회가 주관하는 학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제8조 (회원의 관리)

전항의 의무를 이행한 회원은 다음 각 호의 권리를 갖는다.

① 운영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발의권, 의결권,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가진다.

② 운영규정 제 4조의 사업수행에 참여할 권리를 갖는다.

③ 학회가 발행하는 학회지나 각종 유인물 등을 제공받는다.

④ 회원은 탈퇴 절차를 거쳐 탈퇴할 수 있다.

제9조 (회원의 징계)

① 본 학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자는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징계를 내릴 수 있다.

Page 5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3장 임원

제10조 (임원의 종류)

본 학회의 임원은 이사와 감사로 나눈다.

① 회장 1인

② 부회장 1인

③ 이사 50인 이내

④ 감사 2인

제11조 (임원의 자격)

임원의 자격은 학회 정관에 의한 회원의 의무를 성실히 이행한 자로 한다.

제12조 (임원의 직무)

① 회장은 학회를 대표하고, 총회 및 이사회의 의장이 되어 회무를 총괄한다.

② 이사는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학회의 각종 업무를 의결, 분장, 운영하며 이사회 또는 회장으로부터 위임

받은 업무를 수행한다.

③ 감사는 재산상황, 이사회의 운영과 업무에 관한 사항을 감사하며 부당한 점이 있을 때, 이사회, 총회에 그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

제13조 (임원의 선임)

① 학회의 회장,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한다.

② 임명직 이사는 회장의 추천에 의해 총회의 인준을 받아야 한다.

제14조 (임명직 이사의 해임)

임명직 이사가 다음 각 1에 해당할 때는 총회의 의결을 거쳐 해임한다.

① 제9조의 규정에 의하여 징계 처분되었을 때

② 학회의 목적에 반하는 행위를 한 때

③ 임원으로서 직무를 태만히 할 때

④ 3년 기간동안 이사재임기간 중 개최되는 이사회(임시이사회포함)에 50%이상 불참시 이사 재신임 여부를

묻는다.

제15조 (임원의 보선)

학회의 임원 중에서 결원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결원일로부터 2월 이내에 보선하여야 한다. 다만, 학회의 업무

수행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차기 총회까지 그 보선을 연기할 수 있다.

제16조 (임원의 임기)

① 회장, 임명직 이사, 감사는 각각 3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다만, 제15조의 규정에 의하여 보선된 임원

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기간으로 한다.

② 임원의 임기가 만료되더라도 차기임원이 선출될 때까지는 그 직무를 계속 수행하여야 한다.

Page 5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4장 총회

제17조 (구성 및 의결정족수)

① 학회는 최고 의결기관으로 총회를 둔다.

② 총회는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로 구분하여 개최한다.

③ 정기 총회는 연 1회 정기학술대회 기간 중에 회장이 소집하고, 임시총회는 정회원의 1/3이상의 요구가 있

거나, 감사의 요구에 따라 회장이 이를 소집한다.

④ 총회는 출석인원으로 성립되고 모든 의결은 참석인원의 과반수로 의결한다.

제18조 (총회의 의결사항)

총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

① 학회 해산에 관한 사항

② 정관 변경에 관한 사항

③ 회장단, 감사의 선출에 관한 사항

④ 임명직 이사의 인준에 관한 사항

⑤ 예산 및 결산의 승인에 관한 사항

⑥ 주요 사업계획 승인에 관한 사항

⑦ 이사회에서 부의하는 사항

제5장 이사회

제19조 (구성 및 의결정족수)

① 학회는 회무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 의결하기 위하여 이사회를 두고 회장이 그 의장이 된다.

② 이사회는 재적이사 과반수의 출석으로 성립하며, 출석이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20조 (이사회의 개최)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 및 실행이사회로 구분한다.

1) 정기이사회는 매년 1회 회장이 소집하여 개최한다.

2) 임시이사회와 실행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유가 있을 때에 회장이 소집하여 개최한다.

① 회장이 이사회의 소집이 필요하다고 요구한 때

② 재적이사 3분의 1이상 또는 감사가 감사결과를 보고하기 위하여 이사회의 소집을 요구한 때

3) 이사회의 소집은 회의개최 15일전에 그 회의의 목적, 의결사항 또는 보고사항, 일시 및 장소 등을 기재한

서면에 의하여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제21조 (이사회의 의결사항)

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

① 총회에서 위임받는 사항

② 정관에 의하여 그 권한에 속하는 사항

③ 사업계획 수립 및 집행에 관한 사항

Page 5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④ 예산 결산서 작성에 관한 사항

⑤ 총회에 부의할 안건에 관한 사항

⑥ 기타 주요 사항

제22조 (실행이사회 구성, 임무 및 기타사항)

① 실행이사회 구성은 회장을 의장으로 하고 일반이사 중에서 10명 이내로 선정후 학회에서 개최되는 모든 회

의에 필수적으로 참석하여야 한다.

② 이사회의 대표로서 실행이사회에 결정된 사항은 학회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이사회에서 의결된 사

항과 동일한 효력을 발휘하고 시행된다.

③ 실행이사회 개최 및 의결사항은 이사회 개최 및 의결사항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6장 편집위원회

제23조 (구성)

① 이사회에서는 본 학회의 학회지 발간을 위하여 편집위원회를 둔다.

② 편집위원회는 편집위원장 1인, 편집위원 5인 이상, 심사위원 30인 이상으로 구성한다.

③ 본 학회 편집위원과 심사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고, 논문의 성격에 따라 임시 위원을 선정할 수 있다.

제24조 (자격)

① 편집위원장은 학회 회원 중에 회장이 추천하여 이사회에서 의결한다.

② 편집위원은 학회 회원 중에 편집위원장의 추천을 받아 회장이 위촉한다.

③ 심사위원은 편집위원장의 추천을 받아 회장이 위촉한다.

제25조 (임무)

① 편집위원회는 1년에 2회 학회지를 발간한다.

② 학회지의 발간 시기는 매년 4월 30일, 11월 30일을 원칙으로 한다.

③ 편집위원회는 논문투고 및 논문심사를 위한 규정을 별도로 둔다.

④ 발행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학회지 발행 업무를 관할한다.

⑤ 심사위원은 학회지 심사업무를 담당한다.

제7장 재정 및 회계

제26조 (재원)

학회의 재정은 다음 각 호의 수입금으로 충당한다.

① 입회비

② 회비

③ 교육비

④ 기타 수입금

Page 57: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27조 (자산관리 및 예산집행)

① 학회의 자산은 회장 책임 하에 금융기관에 예금하고 관리 운영하며, 승인 및 예산 규정에 따라 집행하며,

그 밖의 중요한 예산은 이사회의 의결에 따라 집행한다.

제8장 징계

제28조 (징계)

회원으로써 다음의 각호에 해당하는 자에 대하여는 이사회의 의결로써 경고, 견책, 자격정지, 또는 그 이상의

적응한 징계를 취한다.

① 본회의 명예를 훼손한 자

② 소정의 회비를 2년간 체납한 자

③ 회원으로써 부여된 의무를 태만하게 여기는 자

제9장 사무국

제29조 (사무국 및 직원)

본회의 사무를 집행하기 위해 사무국을 둘 수 있으며, 유급 또는 무급직원(아르바이트 학생)을 둘 수 있다.

제10장 보칙

제1조 (학회해산)

본 학회를 해산하고자 할 때에는 총회에서 회원 4분의 3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하여 해산한다.

제2조 (학회 해산 시 재산처리)

본 학회가 해산할 때 잔여재산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본 학회와 유사한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에 기증한

다.

제3조 (서면결의)

본회의 의결사항 중 정관개정에 관한 사항은 서면결의를 할 수 없다. 다만 이외의 의결사항은 서면결의 할 수

있다.

제4조 (준용)

본 정관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민법 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과 보건복지부 비영리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을 준용한다.

Page 5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부 칙

본 회칙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일반 관례에 의한다.

본 회칙은 2007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본 회칙은 2007년 9월 8일부터 시행한다.

본 회칙은 2008년 4월 24일부터 시행한다.

본 회칙은 2011년 5월 1일부터 시행한다.

본 회칙은 2013년 2월 9일부터 시행한다.

Page 59: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고령자・치매치료학회지 투고규정

2007년 9월 8일

Ⅰ. 일반규정

본 학회지의 논문의 편집 방향은 작업치료 관련 분야의 논문을 투고 받아 전공별 심사위원들의 심사를 거쳐

게재함으로서 고령자 ・ 치매와 관련된 작업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임과 동시에 고령자 ・ 치매치료분야의 학문적

연구와 새로운 이론을 점검하여 작업치료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1. 본 학회지는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

재 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본 학회지는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와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① 노인관련 작업치료

② 노인관련 건강증진

③ 노인복지

④ 노인직업훈련

⑤ 일상생활환경

⑥ 인지 및 지각관련

⑦ 지역사회재활

⑧ ADL 및 보조도구

⑨ 노인주거환경

⑩ 연하장애

⑪ 교육관련

⑫ 기타 노인관련분야

3.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

할 수 없다.

4.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3월 31일, 10월 31일까지 고령자 ・ 치매작

업치료학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를 함께 제출해야 한다.

5.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6.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 20부를 기본으로 하면 별쇄본은 자비 부담으로 한다.

Page 6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7.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제 1 저자 및 교신저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하여야 한다.

8.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

송 한다.

9. 본 학회지에 게재되는 모든 원고에 대한 저작권은 고령자 ・ 치매전문작업치료학회가 소유한다.

Ⅱ.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본 학회지의 논문 투고를 위해서는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5

판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3. 제출된 원고는

⑴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

은 신명조,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⑵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⑶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

한다.

⑷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⑸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⑹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

하여야 한다.

⑺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

문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⑻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⑼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초과할 경우의 추가 비용은 저자가

부담한다.

4. 본문 내 문헌 인용 시에는 해당부위에 저자명과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며 어깨번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과 외국문헌은 ‘와(과)로 연결한다.

3인 이상의 저자인 경우 첫 인용 시에만 전체 공동저자를 표기하고, 그 이후에는

제1저자명 뒤에 ‘등’(국내문헌), ‘et al.’(외국문헌)을 붙인다.

⑴ 저자명을 주어로 사용한 경우

- 저자가 1인인 경우

예) 홍길동(2006)은, Kim(2000)은

- 저자가 2인인 경우

Page 61: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예) 홍길동과 장길산(2001)은, Ann & Yu(2000)는

- 저자가 3인인 이상인 경우

예) 장길산 등(2002)은, Schmeidler 등(1988)은

⑵ 문장 끝에 표기하는 경우: 여러 문헌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으로 나누어 표기하며 국내문

헌은 가나다순, 외국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예) … 라고 하였다(이상호 등, 2002; 정창호, 2001; 홍길동과 장길산, 2003; Ann & Yu, 1980; Schmeidler

et al., 1988).

5.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제시하는 순서는 국내문헌의 경우에는 가나다 순, 외국

문헌은 ABC순으로 한다. 국내문헌을 먼저 쓰고 외국 문헌을 그 다음에 제시한다.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은 ‘와(과)’, 외국문헌은 ‘&’로 연결한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6인

까지만 나열하며 저자명 끝에 ‘등’(국내문헌), ‘et al.’(외국문헌)을 붙인다. 단 학술지명과 권수(호수)는 이탤

릭체로 변경하며, 단행본과 학위논문의 경우 제목을 이탤릭체로 변경한다.

(1)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예) 홍길동, 장길산, 정창호, 이상호. (2007). 뇌졸중 환자의 직업재활에서 작업환경평가(1). 고령자 ・치

매작업치료학회, 1(1), 1-12.

Clark, F. A., Parham, D., Carlson, M. E., Frank, G., Jackson, J., & Pierce, D., et al. (1991).

Occupational science: Academic innovation in the service of occupational therapy's future. Am J Occup

Ther, 45, 300-310.

⑵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발행처.

예) 홍길동, 장길산. (2002). 작업치료학. 서울: 서울출판사.

Ekman, L. L. (2002). Neurosicence: Fundamentals for rehabilitation.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⑶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개정판, 쪽수). 도시명:

발행처.

예) Clark, F., & Larson, E. A. (1993). Developing an academic discipline: The science of occupation. In H.

L. Hopkins & H. D. Smith (Eds.), Willard & Sparkman's occupational therapy (8th ed., pp. 44-57).

Philadelphia: J. B. Lippincott Company.

⑷ 학위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발행처.

예) 홍길동. (2007). 가상현실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요인. 서울: 서현대학교.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5) 국내문헌과 외국문헌의 표기방식은 동일하다.

6.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

에서 편집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Page 6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고령자・치매치료학회지 저자 점검표

2007년 9월 8일

논문제목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5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 혹은 전자메일로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 아래 ․좌 ․ 우의 여백은 A4 용

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

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Page 6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내 문헌 인용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은 ‘와(과)’, 외국문헌은 ‘&’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등’(국내문헌), ‘et al.’(외국문헌)을 붙인다.

(1) 저자명을 주어로 사용한 경우

∙ 저자가 1인인 경우 예) 홍길동(2006)은, Kim(2000)은

∙ 저자가 2인인 경우 예) 홍길동과 장길산(2001)은, Ann과 Yu(2002)는

∙ 저자가 3인인 이상인 경우 예) 장길산 등(2002)은, Schmeidler 등(1988)은

(2) 문장 끝에 표기하는 경우: 여러 문헌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으로 나누어 표기하며

국내문헌은 가나다순, 외국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예) …라고 하였다(이상호 등, 2000; 정창호, 2001; 홍길동과 장길산, 2003; Ann & Yu, 1980;

Schmeidler et al., 2000).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1)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예) 홍길동, 장길산, 정창호, 이상호. (2007). 뇌졸중 환자의 직업재활에서 작업환경평가(1). 고령자 ・치

매작업치료학회, 1(1), 1-12.

Clark, F. A., Parham, D., Carlson, M. E., Frank, G., Jackson, J., & Pierce, D., et al. (1991).

Occupational science: Academic innovation in the service of occupational therapy's future. Am J

Occup Ther, 45, 300-310.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발행처.

예) 홍길동, 장길산. (2002). 작업치료학. 서울: 서울출판사.

Ekman, L. L. (2002). Neurosicence: Fundamentals for rehabilitation.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

시명: 발행처.

예) Clark, F., & Larson, E. A. (1993). Developing an academic discipline: The science of occupation.

In H. L. Hopkins & H. D. Smith (Eds.), Willard & Sparkman's occupational therapy (8th ed., pp.

44-57). Philadelphia: J. B. Lippincott Company.

(4) 학위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발행처.

예) 홍길동. (2007). 가상현실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요인. 서울: 서현대학교.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5) 국내문헌과 외국문헌의 표기방식은 동일하다.

_______ 국내문헌은 가나다순으로, 외국문헌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Page 6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표 만들기”를 이용하여 한글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 ×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

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한글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인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

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대한작업치료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본 저자점검표는 2007년 3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저자점검표는 2007년 9월 8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5

판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고 령 자 ․ 치 매 작 업 치 료 학 회

Page 6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노인학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영, 이나윤, 양영애 4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학 회 장 양영애/인제대학교

부 회 장 김한수/대구보건대학교

감 사 이미자/경복대학교, 장 철/경남정보대학교

학 술 이 사 오혜원/우석대학교, 박수희/호남대학교

총 무 이 사 김정기/대구보건대학교, 신중일/호남대학교

기 획 이 사 정복희/호원대학교, 김정자/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송보경/극동대학교, 박주형/경북전문대학교

국 제 이 사 정상미/상지영서대학교, 박주영/가톨릭상지대학교

홍 보 이 사 김미점/청양도립대학교, 박보라/춘혜보건대학교

재 무 이 사 정현애/동신대학교, 박수정/대구보건대학교

정 보 이 사 홍재란/광양보건대학교, 유찬욱/한려대학교

이 사 박소연/한서대학교, 백현희/군장대학교, 황기철/백석대학교, 김환중/우석

대학교, 양경희/경복대학교, 이선명/마산대학교, 채경주/경복대학교, 최혜

숙/동남보건대학교, 배주한/구미대학교, 양경옥/한영대학교, 김행란/아주대

학교병원, 김은정/광양보건대학교, 김희수/한림대학교강동성심병원, 한승협

/마산대학교, 박인혜/구미대학교, 정재엽/경북과학대학교

편집위원장 오혜원/우석대학교

편 집 위 원 감경윤/인제대학교, 오명화/동신대학교, 이재신/건양대학교,

이정원/여주대학교, 정민예/연세대학교, 허진강/한림성심대학교,

신중일/호남대학교, 박수희/호남대학교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제8권 1호 ISSN 1976-1090

발행일 / 2014년 5월 7일

발행인 / 양영애

발행처 /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우) 702-722 대구광역시 북구 영송로 15 (태전동)

대구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TEL: 053-320-1803

인 쇄 /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062, FAX: 031-940-1166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