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사업보고서2013-09-04이정석 │ 강희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사업보고서∣2013-09-04∣

이정석 │ 강희찬

Page 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연구진

연구책임자 이정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강희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참여연구원 정예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노희진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위탁연구기관 (재)서울국제법연구원

(주)이에프컨설팅

(사)한국환경경제학회

산학연정 연구자문위원

김정인 (중앙대학교 교수)

오형나 (경희대학교 교수)

임동순 (동의대학교 교수)

ⓒ 201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발행인 이병욱

발행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흥로 215 (우편번호) 122-706

전화 02)380-7777 팩스 02)380-7799

http://www.kei.re.kr

인쇄 2013년 12월 26일

발행 2013년 12월 31일

출판등록 제17-254호

ISBN 978-89-8464-889-2 93530

Page 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서 언

2012년 카타르 도하 당사국총회에서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GCF)의

인천 송도 유치가 공식 인준되었습니다. 녹색기후기금은 개도국들의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유엔체제 내 국제기구로, 유엔기후변화협약 아래 당사국

들이 현재 조성을 위해 노력 중인 장기재원, 즉 2020년 기점 연간 1000억 달러 규모의

기후재원을 조성하고 활용하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할 것이라 평가되고 있습니다. 2013년

12월 녹색기후기금의 공식 출범을 맞아 녹색기후기금은 2014년부터 당장 본격적인 활동

에 들어가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크게 재원조성과 재원활용으로 나누어 녹색기후기금에 대한 제언을 시도하

였습니다. 첫째, 기존 국제기금들의 현황과 해당 기금들의 재원조성 방법을 분석하고

녹색기후기금이 채택할 수 있는 몇 가지 유용한 재원조성 방법들을 제안하였습니다.

둘째, 재원활용과 관련하여 기존 국제기금들이 수행하고 있는 사업모델들을 살펴보고

녹색기후기금이 앞으로 수행하여야 할 감축사업과 적응사업에 참고가 될 만한 중요 시사

점들을 제시하였습니다. 덧붙여 민간재원 활용 면에서 녹색기후기금을 활용한 국내 기업

들 및 산업의 진출을 염두에 두고 국내 녹색금융의 과거 실적을 점검하고, 녹색기후기금

이 적극 고려할 수 있는 민간재원 활용방안들을 제안하였습니다.

본 보고서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과 위탁연구진인 (재)서울국제법연구원(위탁

과제명: “GCF 재원 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주)이에프 컨설팅(위탁과제명: “국제기

구의 기후변화 대응 부문 사업모델 조사 연구”), (사)한국환경경제학회(위탁과제명: “기

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내 녹색금융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연구 - 녹색기업의 자금수요와

금융의 미스매치를 중심으로”)가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물을 정리한 것입니다.

Page 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본 연구를 맡아 수행해주신 본 원의 이정석 박사, 강희찬 박사, 정예원 연구원과 자본

시장연구원의 노희진 선임연구위원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그리고 바쁘신 가운데도 자문

을 해주신 중앙대학교 김정인 교수, 경희대학교 오형나 교수, 동의대학교 임동순 교수의

관심과 협조에 감사드립니다.

2013년 12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이 병 욱

Page 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국문 요약

본 과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은 한국의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GCF) 유치에 따른, 현 GCF의 주요 이슈들을 파악하고 향후 GCF를

활용하기 위한 한국의 준비를 촉구하고자 작성되었다.

GCF는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제기구이다. GCF는 또한 국제사

회로부터 재원을 조성하고 조성된 재원을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사용한다는 측면

에서 금융기구이자 동시에 환경기구의 성격을 갖는다. 한국이 이제 막 첫발을 내딛기

시작한 국제 금융·환경기구인 GCF를 유치했다는 사실은 국제사회에서 한국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제2장인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에서는 최근 녹색기후기금 이사회 논의의 쟁점사

안인 녹색기후기금 사업모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이사회의 사업모델 논의를 위한

사업모델 프레임워크에는 1) 목표, 결과, 성과지표(Objectives, Results & Performance

Indicators), 2) 수원국 주인의식(Country Ownership), 3) 재원 접근방법(Access

Modalities), 4) 금융수단(Financial Instruments), 5) 민간분야기구(Private Sector

Facility), 6) 조직구조(Structure & Organization)가 주요 요소로써 포함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각 요소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각 요소에 대한 내년도 이사회의 향후 논의계

획도 함께 제시한다.

제3장인 재원조성 부분에서는 먼저 국제사회의 기후재원 조성현황을 파악한다. 국제

사회 논의에서 기후재원이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해 아직 확실하고 공신력 있는 정의를

찾아보긴 힘들다. 그러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사용되고 있거나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

된 재원 전체를 아울러 이 모두를 기후재원으로 파악하고, 현재 다양한 기관들에서 국제

사회 기후재원 규모를 추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발표들 중 Climate Policy

Initiative에서 발표한 국제사회 기후재원 규모를 중심으로 공공재원과 민간재원에 대해

살펴본다. 그다음으로 주체별 재원조성 방법을 논의한다. 국제기구들은 그 나름의 재원

Page 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조성 방식을 만들고 이를 적용하여 필요한 재원을 조성하고 있다. GCF는 금융기구와

환경기구의 성격을 모두 가진 국제기구이다. 따라서 대표적 국제 금융기구인 국제통화기

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아시아개발은행(Asian Development

Bank, ADB) 등의 재원조성 방법과 대표적 국제 환경기구인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아울러 유엔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의 재원조성 방법을 차례대로 살펴본다. 제3장의

마지막 부분은 재원조성에 대해 GCF가 채택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몇 가지 방법들과

GCF 재원조성에 한국이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방안들을 제시한다.

제4장은 재원활용에 대해 논의한다. 먼저 국제적 차원에서 기후투자기금(Climate

Investment Funds, CIFs), 적응기금(Adaptation Fund, AF) 등 기존의 주요 다자환

경기금들을 살펴본다. 국제적 차원에서 재원활용은 어떻게 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특히 성공적인 재원활용을 이끄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성공요인들은

재원활용 면에서 GCF가 벤치마킹해야 할 부분들이라 판단된다. 기후변화 대응사업은

크게 감축사업과 적응사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GCF가 향후 수행해야 할 감축사

업과 적응사업을 염두에 두고 기존 대표적인 다자환경기금들을 분석하여 성공요인들을

제시한다. 다음으로는 GCF를 이용한 국내 기업 또는 국내 산업의 해외진출을 목적으로

국내적 차원의 재원활용을 논의한다. GCF가 한국에 유치되었다는 점은 국내 녹색금융을

다시금 제고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녹색금융의 수요자와 공급자 측면에

서 과거 우리가 어떠한 교훈을 얻을 수 있었는지 파악하고, 그 교훈을 통해 국내 산업과

기업들이 GCF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작업은 꼭 필요하고 중요

한 일이라고 판단된다. 제4장에서는 다음으로 민간재원의 활용에 대해 살펴본다. GCF는

민간재원을 활용하기 위한 PSF(Private Sector Facility)라는 조직을 설치할 예정이다.

PSF는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대응사업 참여를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사업

에 민간재원을 끌어들이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조직이다. PSF가 앞으로 어떻

게 운영되는가에 따라 GCF 전체의 성공여부가 판가름 날지도 모를 일이다. 왜냐하면

국제사회는 급격히 늘고 있는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사업 수요를 공공재원만으로는 충당

Page 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향후 GCF가 민간재원을 효과적으로 동원하여 적극 활용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한국의 기업들과 관련 산업도 GCF 활성화에 따른 많은 기회를 얻어

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부연하면, 한국의 금융 및 기술 관련 산업들이 GCF와 공동으로

기후변화 대응사업을 수행함으로써 해외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PSF와의 연계 측면에서 민간자금 활용

을 위한 투자모델에 대해 검토한다. 제4장의 마지막 부분은 재원활용 면에서 GCF에

대한 제언을 시도한다.

주제어: 국제 기후재원, 녹색기후기금, 재원조성, 재원활용, 사업모델, 민간재원

Page 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차 례∣제1장·서론 ················································································································ 1

제2장·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s, GCF) 논의동향 분석 ····················· 6

1. GCF 설립 추진 현황 ··················································································· 6

2. GCF 사업모델(안) 분석 ·············································································· 9

제3장 ·재원조성 ···································································································· 39

1. 재원조성 현황 ···························································································· 39

가. 국제 기후재원의 현황 및 규모 ··························································· 39

나. 국제 기후재원의 흐름 ·········································································· 40

다. 국제기구의 기후재원 현황 ··································································· 40

라. 시사점 ··································································································· 50

마. 분야별 재원조성 동향 ·········································································· 52

바. 민간부문 ······························································································· 53

2. 주체별 재원조성 방법 ··············································································· 54

가. 국제금융기구 ························································································ 55

나. 국제환경 및 개발 기구 ········································································ 82

3. GCF에 대한 제언 ······················································································ 88

가. GCF에의 적용 가능성 ········································································· 89

나. 녹색기후기금의 조성 논의에서 우리의 기여방안 ······························· 91

제4장 ·재원활용 ···································································································· 99

1. 국제적 재원활용 ························································································· 99

Page 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가. 국제기구의 기후변화 대응 부분 사업모델 ·········································· 99

나. 사업 성공요인 분석 ············································································ 121

다. GCF에 대한 제언 ··············································································· 136

2. 국내적 재원활용 ······················································································ 142

가. 수요자 측면에서의 평가 ····································································· 142

나. 공급자 측면에서의 평가 ····································································· 164

다. 녹색기후기금에 대한 제언 ································································· 170

3. 민간재원의 활용 ······················································································ 199

가. 녹색기후기금의 활용방안 ··································································· 199

나. 민간자금 활용을 위한 투자 모델 검토 ············································· 201

다. 민간투자 유도를 위한 공공부문의 역할 강화 ··································· 211

라. 해외 기후변화 관련 프로젝트 개발 및 투자 전문금융기관의 설립 ···· 212

마. 녹색기후기금과 공동으로 저탄소 산업 기술개발 단지의 조성 ········ 213

제5장·결론 ············································································································ 214

참고문헌 ·················································································································· 217

부록 ························································································································ 227

가. 지구환경기금(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 227

나. 기후투자기금(Climate Investment Funds, CIF) ····························· 228

다. 적응기금(Adaptation Fund, AF) ······················································· 230

Abstract ················································································································· 231

Page 1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표 차 례∣<표 2-1> GCF 사업모델(안) 핵심 결과 요약 ················································· 9

<표 2-2> 목표, 결과, 성과지표 관련 GCF 운영지침 ·································· 10

<표 2-3> GCF 운영범위 관련된 목표설정 접근방향 ··································· 10

<표 2-4> 단기적 비전에 따른 GCF의 목표 ·················································· 12

<표 2-5> GCF의 결과영역 ············································································· 13

<표 2-6> GCF 성과지표 ················································································ 14

<표 2-7> 수원국 주인의식 관련 GCF 운영지침 ··········································· 16

<표 2-8> 국가지정기구(NDA)와 국가이행기구(NIE)의 역할 비교 ·············· 17

<표 2-9> 수원국 주인의식에 따른 NDA의 모델 옵션 분석 ························ 18

<표 2-10> 수원국 주인의식 사업모델에 대한 옵션 분석 결과 ··················· 20

<표 2-11> 재원 접근방법 관련 GCF 운영지침 ············································· 21

<표 2-12> 현행 국제기금의 접근방법 ··························································· 22

<표 2-13> GCF 승인기준 및 절차 옵션 분석 ·············································· 23

<표 2-14> 재원 접근방법 및 이행기구 승인 방식에 대한 옵션 분석 결과 ··· 25

<표 2-15> 금융수단 관련 GCF 운영지침 ····················································· 26

<표 2-16> 기존의 금융수단방식 분석 ··························································· 27

<표 2-17> GCF 금융수단 지원방식 분석 ····················································· 27

<표 2-18> 민간분야기구 관련 GCF 운영지침 근거 ····································· 30

<표 2-19> GCF의 민간분야기구(PSF) 목표 옵션 ········································ 31

<표 2-20> GCF의 민간분야기구(PSF) 운영방식 옵션 ································ 32

<표 2-21> 조직구조 관련 GCF 운영지침 ····················································· 34

<표 2-22> 조직구조 사업모델 옵션 비교 ····················································· 35

<표 2-23> 이사회 내 운영위원회 역할에 대한 옵션 ··································· 36

Page 1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표 2-24> 사무총장 업무지원을 위한 운영지원조직 구성 예시 ················· 36

<표 2-25> 조직구조 사업모델에 대한 옵션 분석 결과 ································ 37

<표 3-1> 국제 기후재원의 규모 및 세부현황 ··············································· 39

<표 3-2> 공공·민간재원의 분배현황 ··························································· 40

<표 3-3> 5대 MDBs의 기후변화 사업 지원 규모 현황(2012년 기준) ······· 41

<표 3-4> 기후변화 적응분야에 대한 국제 기후기금의 지역별 지원 규모

(2011년 기준) ················································································· 45

<표 3-5> 기후변화 감축분야에 대한 지역별 지원 규모(2011년 기준) ······· 46

<표 3-6>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설립된 기금 현황 ························ 49

<표 3-7> 국제 기후재원 규모 ······································································· 54

<표 3-8> 2013년도 IMF 주요 출자국의 쿼타와 쿼타 비율 ························ 58

<표 3-9> 2013년도 IBRD 출자금 ································································· 61

<표 3-10> 2012년도 IBRD 주요 회원국의 출자금과 출자 비율 ················ 62

<표 3-11> 2013년도 IBRD 대차대조표 ························································· 63

<표 3-12> 2012년도 EBRD 출자금 ······························································ 65

<표 3-13> 2012년도 EBRD 주요 회원국의 출자금과 출자 비율 ··············· 66

<표 3-14> AfDB 출자 현황 ··········································································· 72

<표 3-15> 2012년도 AfDB 주요 출자국의 출자금 및 출자 비율 ··············· 72

<표 3-16> ADF 증자 연혁 ············································································ 80

<표 3-17> VISC를 적용한 주요 국가별 출자금 현황 ·································· 83

<표 3-18> 공적 재원조성 방식 비교 ····························································· 92

<표 3-19> PSF의 민간부문 투자 지원분야 ·················································· 98

<표 4-1> 국제기구의 기후변화 대응 부분 사업모델 추진 내용 ·················· 99

<표 4-2> 기후변화 적응사업에 대한 재원 배분 기준 ································ 100

<표 4-3> 기후변화 감축사업에 대한 재원 배분 기준 ································ 101

<표 4-4> GEF의 STAR 개요 ······································································ 102

Page 1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표 4-5> 국제기금의 재원 접근방법 ··························································· 103

<표 4-6> AF 이행기구 승인기준 ································································ 106

<표 4-7> AF 국가이행기구의 사업 목록 ···················································· 106

<표 4-8> GEF 이행기구 승인기준 ······························································ 109

<표 4-9> 다자 환경기금의 사업 유형 개요 ················································ 110

<표 4-10> 기금별 사업발굴·준비 지원 현황 ············································· 111

<표 4-11> 사업 승인절차에 대한 수원국 참여 ············································ 112

<표 4-12> AF의 사업 승인기준 ··································································· 115

<표 4-13> GEF의 사업 승인기준 ································································ 116

<표 4-14> SREP 사업 투자기준 ·································································· 118

<표 4-15> CTF 사업 투자기준 ···································································· 119

<표 4-16> FIP 사업 투자기준 ····································································· 120

<표 4-17> PPCR 사업 투자기준 ·································································· 121

<표 4-18> GEF의 성공요인 분석 대상 사업 ·············································· 125

<표 4-19> 사례별 성공요인 요약 ································································· 126

<표 4-20> 성공사례의 핵심 성공요인 ························································· 129

<표 4-21> 기금 재원활용 성공사례로부터의 시사점 ·································· 130

<표 4-22> 국제 환경기금의 재원 배분 방식 시사점 요약 ························· 131

<표 4-23> 국제 환경기금의 이행기구 선정 방식 시사점 요약 ················· 132

<표 4-24> AF와 GEF의 이행기구 승인절차·기준 비교 ·························· 133

<표 4-25> 국제 환경기금의 사업 승인절차·기준에 대한 시사점 ············ 134

<표 4-26> 사업발굴·준비 지원 사례 ························································· 138

<표 4-27> 대기업 녹색사업 추진현황 ························································· 148

<표 4-28> 주요기업 태양광 사업 추진현황 ················································ 150

<표 4-29> 에너지원별 정산 금액 규모 ······················································· 151

<표 4-30> 태양광 사업 정산 가격 ······························································ 152

Page 1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표 4-31> 태양광 RPS 평균 정산 금액 ······················································ 153

<표 4-32> 태양광 RPS 입찰 현황 ······························································ 153

<표 4-33> 국내 풍력발전 사업 수익률 ······················································· 155

<표 4-34> 에너지효율 제고를 위한 정책 수단 ·········································· 158

<표 4-35> 1993~2010년 성과보증계약 실적 ············································· 160

<표 4-36> GCF와 기존 기금과의 차이점 ··················································· 171

<표 4-37> 민간투자자와 GCF의 협업 범위 ················································ 172

<표 4-38> 신재생에너지원별 설비 단가 ······················································ 181

<표 4-39> GCB 도입에 따른 주요 시장참여자별 기대 효과 ···················· 188

<표 4-40> 자산유동화증권(ABS)과 커버드본드의 비교 ····························· 189

<표 4-41> PSF의 연계 부문 ······································································· 200

<표 4-42> 기존 모델의 GCF 활용 가능성 ················································· 211

Page 1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그림차례∣<그림 2-1> GCF 이사회별 주요 의결사항 ······················································ 8

<그림 2-2> 옵션2를 적용한 GCF의 조직구조(안) ······································· 38

<그림 3-1> 국제 기후재원의 Flow Chart ··················································· 42

<그림 3-2> 주요 국제 환경기금의 지원 규모 현황(2012년 기준) ·············· 43

<그림 3-3> 기후변화 적응분야에 대한 국제 기후기금의 지원 규모

(2011년 11월 기준) ···································································· 44

<그림 3-4> 국제 기후기금의 REDD+ 사업 지원 규모(2011년 11월 기준) ·· 47

<그림 3-5> 지역별 REDD+ 사업 지원 규모(2011년 기준) ························ 48

<그림 3-6> 국제 기후재원의 현황 요약 ························································ 51

<그림 3-7> 분야별 재원조성 비율 ································································ 52

<그림 3-8> 감축분야 연도별 통계 ································································ 53

<그림 3-9> 2010년도 IMF 회원국 쿼타 비율 ············································· 57

<그림 3-10> 2012년도 ADB financial profile ··········································· 68

<그림 3-11> 2012년도 ADB 주요 회원국의 출자 비율 ······························· 69

<그림 3-12> 2012년도 ADB 차입금 ····························································· 70

<그림 3-13> 2012년도 IDB 회원국의 출자금 ·············································· 74

<그림 3-14> IDB 통상자본재원 증자 연혁 ··················································· 75

<그림 3-15> IDA16 Financing Framework ·············································· 77

<그림 3-16> 2011년도 IDA 주요 회원국의 출자금 ······································ 78

<그림 3-17> IDA 증자 연혁 ·········································································· 79

<그림 3-18> 2012년도 ADF 회원국의 출자금 및 출자 비율 ······················ 81

<그림 3-19> 2010년도 UNEP FI 지역별 회원국 구성 ······························· 84

<그림 3-20> 2010년도 UNEP FI 분야별 사업 분포 ·································· 85

Page 1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그림 3-21> 2009년도 UNEP FI 주요 재원 ··············································· 85

<그림 3-22> UNDP의 국가주도 및 다자간 기후금융체제 예시 ················· 87

<그림 3-23> UNDP 환경/지속가능한 개발 분야의 공여액 순위 ··············· 88

<그림 3-24> 2020년 기후재원 조성 전망 ···················································· 89

<그림 3-25> 국제금융기구 재원조성 비교 ··················································· 90

<그림 3-26> 비자발적 방식을 통한 자금공여 기준 ····································· 93

<그림 3-27> 각국의 공적개발원조 규모 ······················································· 94

<그림 3-28> 2011년도 국가별 GNI 대비 ODA ··········································· 95

<그림 3-29> GDP ․ 탄소배출량을 고려한 지표 ··········································· 96

<그림 4-1> AF의 이행기구 승인절차 ·························································· 105

<그림 4-2> GEF 이행기구 승인절차 ·························································· 108

<그림 4-3> GEF의 사업 승인절차 ······························································ 112

<그림 4-4> AF의 사업 승인절차 ································································· 113

<그림 4-5> CIFs 사업 승인절차 ·································································· 114

<그림 4-6> CIFs 사업 투자기준 요약 ························································· 117

<그림 4-7> AF, CIFs, GEF의 사업 추진 현황 ········································· 122

<그림 4-8> GEF 최종평가보고서 주요 내용 ·············································· 123

<그림 4-9> GEF 사업의 평가 항목 ···························································· 124

<그림 4-10> 성공사례 선정 ········································································· 124

<그림 4-11> 국제 환경기금의 직접적 접근방법 사례 분석 ························ 132

<그림 4-12> 국제 환경기금의 사업 승인절차 ············································· 136

<그림 4-13> GCF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제언 ······································· 137

<그림 4-14> 국제기구의 기후변화 사업 조사·분석 방안 ························· 139

<그림 4-15> 직접적 접근방법 :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우수 사례 ·············· 140

<그림 4-16> 국제기구 사업 전 과정에 대한 수원국 역할 ························· 141

<그림 4-17> 2030년까지 글로벌 온실가스 한계감축곡선 ·························· 145

Page 1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그림 4-18> 온실가스 감축수단의 '긴 꼬리(Long Tail)' ··························· 146

<그림 4-19> 녹색사업 환경변화 ·································································· 149

<그림 4-20>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투자 및 풍력발전량 추이 ··················· 149

<그림 4-21> 풍력 Manufacturing 업체 수 ··············································· 154

<그림 4-22> 풍력터빈 가격 변화 ································································ 155

<그림 4-23> 녹색펀드 운영구조 ·································································· 155

<그림 4-24> ESCO 자금 지원 건수 및 지원액 ········································· 159

<그림 4-25> 제조업체와 ESCO 업체, 녹색금융과의 관계 ························ 162

<그림 4-26> 녹색금융에 대한 언론의 평가 ················································ 165

<그림 4-27> 녹색금융에 대한 언론의 평가(계속) ······································ 166

<그림 4-28> 탄소금융에 대한 언론의 평가 ················································ 167

<그림 4-32> GCF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SPC ············································ 185

<그림 4-33> ESCO 사업에서 GCF의 역할 ················································ 185

<그림 4-34> ESCO 업체의 기본 현금흐름 ················································ 186

<그림 4-35> 유럽의 커버드본드 발행 현황 ················································ 190

<그림 4-36> GCF 커버드본드 비즈니스모델 모식도 ································· 192

<그림 4-37> 녹색채권의 개념 및 발행구조 ················································ 196

<그림 4-38> Social Finance 구조 ··························································· 197

<그림 4-39> 저탄소 사업 추진기업 모태펀드의 운영 구조 ······················· 201

<그림 4-40> 요즈마 펀드 운용 체계 ·························································· 203

<그림 4-41> 사회성과연계채권의 자금 및 서비스 운용 흐름 ···················· 210

Page 1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Page 1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1장 ․ 서론 ∣ 1

∣제1장 ․ 서론 ∣본 과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은 한국의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GCF) 유치에 따른, 현 GCF의 주요 이슈들을 파악하고 향후 GCF를

활용하기 위한 한국의 준비를 촉구하고자 작성되었다.

본 보고서가 적시하고 있는 환경금융이라는 용어는 아직 생소하게 쓰이고 있다. 얼마

전 녹색금융이라는 용어가 통용되었던 적이 있었으나, 이 역시 다양한 정의로 말미암아

여전히 생소한 용어라 볼 수 있다. 본 보고서의 환경금융이라는 용어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후금융 그리고 녹색산업 진작을 위한 녹색금융 이 모두를 아우르는 광의의 금융이

라고 정의해야 할 것이다. 본 보고서가 초점을 두고 있는 GCF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설립되었고, 기후변화 대응사업 수행을 위해 소위 기후금융 그리고 녹색금융을 적극

활용할 예정인바, 본 보고서가 제시한 제목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은 본 보고서가 GCF를 연구의 중심축에 둠으로써 제목에 부합하는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아울러 본 보고서는 한국이 GCF를 유치함으로써 한국의 산업 또는 기업들이

향후 GCF를 이용하여 해외로 진출하는 것 또한 고려함으로써 장기적인 GCF 활용방안

도 연구내용으로 포함하고 있다.

2012년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GCF의 한국 유치

는 공식 인준되었다. GCF는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제기구이다.

GCF는 또한 국제사회로부터 재원을 조성하고 조성된 재원을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금융기구이자 동시에 환경기구의 성격을 갖는다. 한국이 이제

막 첫발을 내딛기 시작한 국제 금융·환경기구인 GCF를 유치했다는 사실은 국제사회에

서 한국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첫째, 한국은 GCF의 재원조성에 기여해야 한다. 국제사회는 전 지구적 기후변화 대응

에 요구되는 막대한 재원을 조성하는 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후재원은 크게

국가의 예산 책정을 통해 조성되는 공공재원과 민간의 기후변화 대응사업 참여를 통해

Page 1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조성되는 민간재원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그간 국제사회는 기후재원을 조성하는 개별

국가의 예산 책정을 통한 공공재원에 크게 의존해왔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급증하고

있는 개도국의 기후재원 수요에 적절히 부응하기 위해 작금의 국제사회는 민간재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기업 등 민간부문의 사업 참여를 통한 기후재원 조성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러한 민간재원의 기후재원으로의 활용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바로

GCF이다. GCF는 과거 기후재원 조성을 위한 국제사회의 주요 원천이었던 공공재원을

포함하여, 기후변화 대응사업의 민간참여를 적극 도모함으로써 민간재원도 기후재원으

로 활용하고자 하는 분명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한국은 GCF 유치국가로서 GCF의

이러한 기후재원 조성 노력을 적극 도와야 하는 입장에 있다. 달리 말하면, 한국은 공공재

원을 통한 GCF의 운영뿐만 아니라 민간재원을 통한 GCF의 운영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

여야 하고, GCF가 신속히 제자리를 찾아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GCF의 재원조성

노력에 한국이 국제적으로 또한 국내적으로 적극 지원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둘째, 한국은 GCF의 재원활용에 기여해야 한다. GCF 이사회는 GCF가 활용해야

할 사업모델을 확정하기 위해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빠르면 내년 상반기에는

GCF의 사업모델이 결정되어질 것으로 보인다. 사실 GCF의 재원활용은 GCF 이사회가

앞으로 어떠한 사업모델을 채택하는가에 따라 그 방식이 많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GCF 이사회가 현 유엔 기후변화협약 아래 재정 메커니즘 이행주체인 지구환경기

금(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형태의 사업모델을 채택한다면, GCF는 단지

의사결정에 집중하고 GCF가 발주한 사업의 이행은 UNEP와 같은 여타 유엔 산하 기구

들과 아시아개발은행과 같은 다자개발은행들에서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 반면, GCF

이사회가 대표적 다자개발은행인 세계은행(World Bank, WB) 형태의 사업모델을 채택

한다면, GCF는 의사결정뿐만 아니라 직접 사업을 수행하는 사업 이행주체로서 운영될

공산이 크다. 한국이 GCF 유치를 계기로 국내 기업이나 국내 산업이 해외로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GCF가 WB와 같은 사업 이행주체로서 운영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GCF 이사회가 현재 사업모델을 계속 논의 중이며 향후 어떠한

사업모델이 최종적으로 선택될 것인지 아직은 단정하기 어려운 형편이므로, 한국은 이사

Page 2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1장 ․ 서론 ∣ 3

회의 현행 논의를 예의주시하고 한국에 유리한 사업모델을 미리 고민하여, 이사회가

고려 중인 다양한 개별 의제들에 대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시의 적절히 대응해 나가

야 할 상황에 처해 있다.

본 보고서는 앞서 지적한 GCF의 두 가지 큰 당면 현안인 재원조성과 재원활용 문제에

대해, 한국 입장에서의 적절한 시각과 앞으로 필요한 준비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제2장인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에서는 최근 녹색기후기금 이사회 논의의 쟁점사

안인 녹색기후기금 사업모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이사회의 사업모델 논의를 위한

사업모델 프레임워크에는 1) 목표, 결과, 성과지표(Objectives, Results &

Performance Indicators), 2) 수원국 주인의식(Country Ownership), 3) 재원 접근방

법(Access Modalities), 4) 금융수단(Financial Instruments), 5) 민간분야기구

(Private Sector Facility), 6) 조직구조(Structure & Organization)가 주요 요소로써

포함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각 요소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각 요소에 대한 내년도 이사

회의 향후 논의계획도 함께 제시한다.

제3장인 재원조성 부분에서는 먼저 국제사회의 기후재원 조성현황을 파악한다. 국제

사회 논의에서 기후재원이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해 아직 확실하고 공신력 있는 정의를

찾아보긴 힘들다. 그러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사용되고 있거나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

된 재원 전체를 아울러 이 모두를 기후재원으로 파악하고, 현재 다양한 기관들에서 국제

사회 기후재원 규모를 추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발표들 중 Climate Policy

Initiative에서 발표한 국제사회 기후재원 규모를 중심으로 공공재원과 민간재원에 대해

살펴본다. 그다음으로 주체별 재원조성 방법을 논의한다. 국제기구들은 그 나름의 재원

조성 방식을 만들고 이를 적용하여 필요한 재원을 조성하고 있다. GCF는 금융기구와

환경기구의 성격을 모두 가진 국제기구이다. 따라서 대표적 국제 금융기구인 국제통화기

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아시아개발은행(Asian Development

Bank, ADB) 등의 재원조성 방법과 대표적 국제 환경기구인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아울러 유엔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의 재원조성 방법을 차례대로 살펴본다. GCF 유치

Page 2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국가로서 한국은 앞으로 GCF 재원조성에 상당 부분 기여해야 할 의무가 주어질 가능성

이 크다는 점과 가까운 미래에 GCF는 궁극적으로 안정적인 재원조성 방식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대표적인 국제 금융기구들 및 국제 환경기구들의 재원조성

방법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는 일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 사료된다. 제3장의 마지막

부분은 재원조성에 대해 GCF가 채택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몇 가지 방법들과 GCF

재원조성에 한국이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몇몇 방안들을 제시한다.

제4장은 재원활용에 대해 논의한다. 먼저 국제적 차원에서 기후투자기금(Climate

Investment Funds, CIFs), 적응기금(Adaptation Fund, AF) 등 기존의 주요 다자환경

기금들을 살펴본다. 국제적 차원에서 재원활용은 어떻게 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특히

성공적인 재원활용을 이끄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성공요인들은 재원

활용 면에서 GCF가 벤치마킹해야 할 부분들이라 판단된다. GCF의 사업모델을 만드는

작업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작업은 아니다. 즉, 기존 국제 다자환경기금들 중 성공적인

요인들을 추출하고 이를 적극 흡수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보다 효율적인 국제 금융·환경

기구를 만드는 작업이 바로 GCF의 사업모델을 만드는 작업이라는 뜻이다. 기후변화

대응사업은 크게 감축사업과 적응사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GCF가 향후 수행해

야 할 감축사업과 적응사업을 염두에 두고 기존 대표적인 다자환경기금들을 분석하여

성공요인들을 제시한다. 다음으로는 GCF를 이용한 국내 기업 또는 국내 산업의 해외진

출을 목적으로 국내적 차원의 재원활용을 논의한다. 불과 몇 년 전 한국은 녹색성장을

국가 정책목표로 삼고 목표 달성을 위해 녹색금융을 조성하여 활용하고자 했다. 녹색금융

은 국내 환경산업 진작을 위해 조성된 금융으로 시작 초기 국내 산업과 기업들을 중심으

로 많은 기대를 불러 일으켰다. 그러나 녹색금융은 환경부문 사업의 특수성 및 국내

금융권 유인부족 등 다방면에서 여러 문제점들을 노정하면서, 정작 시작 당시의 목적은

그 의미가 퇴색되었고 실패한 금융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는 등 오명을 안게 되었다.

GCF가 한국에 유치되었다는 점은 이러한 국내 녹색금융을 다시금 제고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GCF를 유치했다고 해서 국내 기업 또는 산업이 해외

로 진출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은 아니다. GCF가 한국에 유치됨으로써 국내 산업과

Page 2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1장 ․ 서론 ∣ 5

기업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이 과거

녹색금융을 통해 얻었던 교훈을 학습하지 못하고 똑같은 시행착오를 반복하는 경우엔

GCF를 유치한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오히려 그 기회를 놓쳐버릴 수도 있다. 따라서

녹색금융의 수요자와 공급자 측면에서 과거 우리가 어떠한 교훈을 얻을 수 있었는지

파악하고, 그 교훈을 통해 국내 산업과 기업들이 GCF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작업은 꼭 필요하고 중요한 일이라고 판단된다. 제4장에서는 다음으로

민간재원의 활용에 대해 살펴본다. GCF는 민간재원을 활용하기 위한 PSF(Private

Sector Facility)라는 조직을 설치할 예정이다. PSF는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대응사업

참여를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사업에 민간재원을 끌어들이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조직이다. PSF가 앞으로 어떻게 운영되는가에 따라 GCF 전체의 성공

여부가 판가름 날지도 모를 일이다. 왜냐하면, 국제사회는 급격히 늘어가고 있는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사업 수요를 공공재원만으로는 충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PSF와의 연계 측면에서 민간자금 활용을 위한 투자모델에 대해 검토한다. 끝으로 제4장

의 마지막 부분은 재원활용 면에서 GCF에 대한 제언을 시도한다.

Page 2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1. GCF 설립 추진 현황

가. 설립 개요1)

1) 배경

기후변화 대응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협약 및 적응기금(AF), 기후투자기금

(CIFs), 지구환경기금(GEF)과 같은 국제기금이 운영되고 있지만, 정작 기후변화사업에

필요한 재정규모를 충족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목적으로, 유엔 기후변화협약의 당사국 총회(UNFCCC COP)에서 새로운 기금을 설립하

려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2010년 12월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제16차 총회에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감축

및 적응사업 지원에 특화된 새로운 기금의 설립이 합의되었으며, 이어 2011년 12월 남아

프리카공화국 더반 총회에서 녹색기후기금(GCF)의 설립 및 운영지침이 승인되어 GCF

가 공식적으로 출범하였다. GCF는 2020년부터 매년 1천억 달러 규모로 운영되는 세계

최대 기후변화 기금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 목표 및 비전

기존의 기금들이 보여준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GCF는 기후변화 감축 및 적응사업

을 지원하기 위한 특화기금으로 운영되며, 기후변화의 악영향을 예방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적인 목표 달성의 지원을 최우선적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취약한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활동과 적응활동을 지원하며, 저탄소 성장 및 지속가

능한 발전으로의 인식전환(paradigm shift)을 촉진하려는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하고

1) Green Climate Fund(GCF), "Governing instrument for the Green Climate Fund" 및 GCF 홈페이지

<http://gcfund.net/>.

Page 2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7

있다.

따라서 GCF 이사회는 기금의 장기적 목표와 운영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최적화된 사업모델을 도출하는 것을 현재 가장 중요한 과제로 설정하였다. 도출된 사업모

델은 GCF의 운영지침(Governing Instrument)에 기반을 두어 기금의 총괄적인 운영방

식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써 활용될 예정이다.

나. 이사회별 주요 의결사항

1) 제1차 이사회(2012년 8월, 스위스 제네바)2)

GCF를 본격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제반사항들을 제1차 이사회에서 결정하였다. 기금

및 이사회 운영을 위한 추가적 절차와 참관인 선정과정에 관해 논의하였으며, 임시사무국

및 임시 수탁기구의 구성과 운영예산에 관해 지속적으로 논의하기로 하였다. 여섯 개의

국가를 대상으로 사무국 유치 후보도시 평가과정을 점검하고, 2차 이사회에 관련 안건을

승인하기로 결정하였다.

2) 제2차 이사회(2012년 10월, 대한민국 송도)3)

GCF 운영을 위한 예산안, 임시사무국 구성 및 독립사무국 설립계획에 관한 내용들을

구체화시키고 사무총장 선출과정을 점검하였으며, 세계은행을 임시 수탁기구로 지정하

고 운영내용을 공유하였다. 앞선 이사회에서의 사무국 유치 후보도시 평가결과를 바탕으

로 대한민국 송도를 GCF 사무국의 유치도시로 최종 선정하였으며, 이와 관련한 행정적

인 절차를 구체화하였다.

3) 제3차 이사회(2013년 3월, 독일 베를린)4)

2) Green Climate Fund(GCF),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Board, 23-25 August 2012",

(GCF/B.01-12/09).

3) Green Climate Fund(GCF), "Decisions of the Board - Second meeting of the Board, 18-20 October

2012", (GCF/B.02-12/12).

Page 2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이사회의 참관인 승인절차를 합의하였고, 공동대표단과 대한민국 정부 간 사무국

유치협약 절차를 마무리하였다. 사무총장 선출과정을 점검하고 독립사무국을 구성하기

위한 행정절차를 준비하였으며, 기금운영을 위한 자금조달 및 준비방식을 논의하였다.

구체적인 기금 사업모델 선정논의를 시작하였으며, 4차 이사회에서 향후 적용 가능한

옵션들에 대한 분석을 마무리하기로 결정하였다.

4) 제4차 이사회(2013년 6월, 대한민국 송도)5)

기금의 사무총장으로 Ms. Hela Cheikhrouhou를 선출하였으며, 사무국 운영을 위한

행정적 절차 결정을 사무총장에게 위임하였다. 기금의 사업모델 선정을 위한 다양한

내용을 공유·분석하고 각 프레임워크의 옵션들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

로 다음 이사회 및 2014년 첫 이사회에서 구체적인 사업모델을 결정하기로 합의하였다.

2012.08제1차 이사회

2012.10제2차 이사회

2013.03제3차 이사회

2013.06제4차 이사회

ü임시 사무국및 신탁기구

구성및 예산논의

ü사무국 유치후보검토

ü대한민국 송도를사무국

유치도시로최종 승인

üGCF�사무국구성 구체화

ü사무국 행정절차승인

ü기금의 재원조달방안마련

ü기금의 사업모델(안)�논의

ü사업모델(안)�분석내용

공유및 논의

ü사무총장 최종선출

(Ms.�Hela Cheikhrouhou)

<그림 2-1> GCF 이사회별 주요 의결사항

4) Green Climate Fund(GCF), "Decisions of the Board - Third meeting of the Board, 13-15 March

2013", (GCF/B.01-13/12).

5) Green Climate Fund(GCF), "Decisions of the Board - Fourth meeting of the Board, 26-28 June

2013", (GCF/B.04/17).

Page 2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9

2. GCF 사업모델(안) 분석

가. GCF 사업모델(안) 핵심 결과 요약

제4차 이사회를 통해서 기금의 사업모델(안)을 구성하는 여섯 가지 구체적인 프레임

워크(Business Model Frameworks)를 논의하였으며, 2013년 제5차 이사회 및 2014년

첫 이사회에서 기금의 최종 사업모델을 선정하기로 하였다. 제4차 이사회에서 논의된

사업모델 프레임워크에 대한 핵심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분석 결과는 GCF 공식 문서에

담긴 내용을 기반으로 하였다.

사업모델 프레임워크 핵심 결과

목표, 결과, 성과지표

(Objectives, Results & Performance

Indicators)

기후변화 감축 및 적응을 통한

지속가능개발 극대화

수원국 주인의식이 핵심원칙

수원국 주인의식

(Country Ownership)

수원국 별 NDA(국가지정기구) 지정

NDA는 사업 제안 및 운영과정에 참여

재원 접근방법

(Access Modalities)

개도국의 역량에 따른 유연한 접근방법

적용

GCF 고유의 이행기구 승인 방식 개발

금융수단

(Financial Instruments)

공여와 양허성 차관을 우선 활용

향후 보증 등 다양한 수단 활용성 열어둠

민간분야기구

(Private Sector Facility)

이사회가 PSF 감독

초기에는 이행기구 · 중개기관을 통한

간접투자 실시, 향후 직접투자 가능

조직구조

(Structure & Organization)

적응, 감축, PSF로 구분

국가단위 전략 · 프로그램 지원에 초점

<표 2-1> GCF 사업모델(안) 핵심 결과 요약

나. 목표, 결과, 성과지표(Objectives, Results and Performance Indicators)6)

1) 배경

6) Green Climate Fund(GCF), "Business Model Framework : Objectives, Results and Performance

Indicators", (GCF/B.04/03).

Page 2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제3차 회의 이후 이사회는 기금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및 구체적 결과의 범위와

지원사업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성과지표 설계에 착수하였다. GCF 운영지침을 바탕

으로 한 최적화된 사업모델이 도출될 수 있도록 이사회에서는 다양한 옵션들을 제안하여

기금의 궁극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운영지침 핵심사항

제2항 저탄소 및 기후회복적 지속가능성장으로의 인식전환을 촉진

제3항국가 기반적 접근 기반 이해관계자 및 기관의 효과적 참여 촉진

감독 및 평가체계(Monitoring & Evaluation)를 통해 지속적인 지식 창출

제58항적절한 결과분석체계를 구축하고 정기적 검토를 진행, 기금의 영향력, 실효성

및 수행역량 향상

<표 2-2> 목표, 결과, 성과지표 관련 GCF 운영지침

2) 이사회 분석내용

이사회는 기금의 운영범위에 관한 목표를 설정하였다. 기금의 목표는 결과, 성과지표,

기금의 우선순위영역, 결과분석체계와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금의 재원을 어떻

게 배분할 것인지 결정하는 데 중요한 사항이다.

1. 저탄소, 기후회복적 지속가능개발로의 인식전환

광범위적 접근 및 고려 적정규모의 사업지원

역량 및 준비성 강화위험요소 저감을 위한 체계 마련

시간 추이적 목표 변화결과기반 체계의 올바른 적용

기존 개방방식 고착화 지양

2. 국가주도적 접근방법, 상호이익 및 기후변화 취약국가 기반 전략 수립

국가 계획 및 전략 중점화 복합적 이익으로의 전환

판단기준 우선순위 설정 제도체계에 적합한 금융수단 선택

<표 2-3> GCF 운영범위 관련된 목표설정 접근방향

Page 2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11

GCF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타 기금의 재정창구를 활용할 수도 있으며, 이 과정

에서 협력관계를 구축할 수도 있다. 기타 기금에서 지원하는 유사사업들을 조직화함으로

써 목표 달성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향후 GCF가 국제 기후재원의 핵심 메커니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 요건이라고 판단된다.

이와 함께 이사회는 빠른 시기 안에 GCF가 추구하는 장기적 비전을 시기별로 달성해

야 할 목표들로 분화시킴으로써, 기금이 단계적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향후 단기적 목표 달성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GCF가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장기적이고 혁신적인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단기적 이익 창출과 전 세계의 장기적 인식

전환을 동시에 가져올 수 있는 주력 사업영역을 우선적으로 선정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GCF가 향후 구축해야 할 전 지구적 공공재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국제 기후기금으

로서 책임성, 높은 수준의 연구능력 확보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Page 2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초기

저탄소·기후변화 탄력적 개발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능케 하기 위해 수원국의

중요사항들을 충족

국가주도적 접근

GCF의 재원이 몇 개국에 집중되는 리스크 감소

변혁적인 파급을 달성하는 능력 향상

모든 국가, 분야 및 접근법들에 걸친 전반적인 필요들을 다룰 수 있는 GCF의

능력 요구

향후

옵션 1: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전략적 집중

제한된 자금조달로 높은 상호이익을 저해하는 방해요소를 제거하는 역할

낮은 상호이익을 가진 사업들에 대한 더욱 직접적인 재원조달자의 역할

결과물 달성에 있어 효과성 제고

핵심 분야에 대한 역량 개발

국가 주도권이 덜 중요시됨

감축 프로그램의 경우 비교적 적은 수의 국가들에 집중

옵션 2: 지속가능개발과의 시너지를 통한 상호이익 극대화에 관한 전략적 집중

감축의 경우, 각국이 결정한 상호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분야 선택

적응의 경우, 옵션 1에서보다 더 큰 국가적 무엇을 투입 예상

점넓은 분야에 걸친 국가 주도권 중시, 단 옵션 1보다는 주도권이 낮게 나타남

감축 및 적응의 직접적인 이익에 집중이 제한됨

높은 이득을 가지는 사업의 경우, GCF의 지원 없이도 시행되고 있을 수 있음

폭넓은 포트폴리오 관리를 위한 GCF의 광범위한 능력범위 요구

<표 2-4> 단기적 비전에 따른 GCF의 목표

기금운영의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이사회는 1) 종합적 영향력, 2) 상호이익 도출가능

성, 3) 잠재적 영향력을 공통으로 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실현 가능한 결과를

나열하였다. 다양한 사업 단계에서 즉각적 결과와 장기적 영향력을 동시에 성취할 수

있도록, 각 영역에서의 결과유도 가능성과 적절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결과들을

도출하였다.

Page 3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13

감축

개도국의 저배출 지속가능한 개발

본 문서에 제안된 감축 부문의 결과영역들은 감축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기간에

따라 분류가 되며, 이는 다음과 같음: 단기(0-10년), 중기(10-20년), 장기(20-40년)

M1: 건물 및 기기로부터의 에너지 사용 감소

M2: 산업 생산의 배출 집약도 감축

M3: 저탄소 연료 교통수단 접근성 증대

M4: 가정에 저탄소 현대 에너지 접근성 제공

M5: 저탄소 전력 발전소 개발, 이전 및 배치 지원

M6: 농업 및 관련 토지이용으로 발생한 배출 감소

M7: REDD+ 단계별 접근 시행 지원

공통

감축과 적응 부문의 증가하는 활동들과 두 분야 간의 시너지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두 분야를 넘나드는 여러 결과들이 향후 증가될 것으로 전망됨

C1: 지속가능한 도시 설계 및 계획

C2: 필수적이며 지속가능한 삼림경영을 위한 감축-적응 합동 접근법

적응

적응 측면에서 GCF의 핵심목적은 기후를 고려한 개발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장려

이에 개발 계획에는 기후 관련 리스크에 대한 판별 및 이에 대한 대응, 적절한 시기 및

상황에서의 적응계획을 실행할 수 있는 초석, 마지막으로 이에 관한 모니터링과 평가과정이

포함되어야 함

A1: 적응 결과영역 전반에 걸친 지원

A2: 선택적인 분야별 결과영역 지원

A3: 결과영역을 아우르는 선택분야 지원(주력사업 선정)

A4: 계획에 따른 변화 사업들에 대한 능력 배양

A5: 효과적인 커뮤니티 기반 적응 사업들의 규모 증대

A6: ‘지식 허브’와 같은 공공재 조직화 지원

<표 2-5> GCF의 결과영역

기금의 목표, 결과영역과 연계성을 가지는 성과지표를 선정하기 위하여, 이사회는

여러 다자개발은행 및 다자기금의 관리 및 평가체계를 분석하여 중요한 요소들을 선정하

였다. 특히 지원하는 사업의 규모, 기간, 창출할 수 있는 공공이익에 따라서 성과지표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으며, 각 사업 및 수원국 단위의 비용대비 효율적

데이터수집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Page 3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옵션 P1: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결과물 성과지표

장점 개발과 적응 면에서 GCF 사업들의 물리적 영향을 나타냄

단점 GCF의 재정지원의 영향은 집행 및 시행에 의한 보고에 따라 달라짐

우선순위 결과영역 지표

감축

건축물 및 기기들로부터 감소된 배출량 (tCO2/m2)저탄소 연료 교통수단으로의 증가된 접근성 (tCO2/passenger km)

농업 및 관련 토지이용관리로부터 감소된 배출량 (tCO2/ha sequestered; tCO2 sequestered; tN2O/hectare from fertilizer)

GCF 개입을 통해 절감된 tCO2저탄소 전력발전 기술 배치 (tCO2/Kwh)저탄소 신기술 접근성을 가진 가구 수

마이너스 감축 기술 지원 (탄소 포집 및 저장 프로젝트 수, 격리된 tCO2)REDD+ 단계적 시행 지원

적응

조기경보 절차에 의해 지원되거나 이에 익숙한 사람 수적응관련 지표는 결과역영, 국가 및 사업종류에 적합하게 선별되어야 함

각 선택분야는 중점분야와 관련 있는 지표를 가져야 함커뮤니티 기반 접근의 규모증대 수

위 규모증대에 의해 지원받은 사람 수개별 규모증대 사업은 해당 사업 활동에 따라 특정한 성과지표를 가짐

기존 시범사업에서 100배/1000배로 인원이 늘어난 규모증대를 달성한 사업 수시범 커뮤니티 기반 접근 사업 수 및 규모증대로 지원받은 부분

기후변화적응 관련 지역기구로의 접근성국가 내 지역기구와의 직원 연수 및 교환 프로그램 유무 및 연수받은 인원수

옵션 P2: 펀드 운용을 통한 변화성에 관한 성과지표

장점 개발 경로에서 GCF의 전반적인 영향을 포착 가능

단점 수여국의 정책 변화 및 규제체계에 따라 달라짐

우선순위 결과영역 지표

감축경제의 탄소 집약도 (tCO2/GDP)

산업군의 감소된 에너지 집약도 (tCO2/GDP)지속가능한 도시 설계 촉진 (tCO2/capita)

적응

기후 관련 재난으로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거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의 감소 수개도국 관련하여 기후 관련 상황들로부터 발생한 화폐적/비화폐적 손실 (GDP%)

국가·커뮤니티에서 사회적 취양성의 주요 요소들GCF는 SDG와 연계해 더 많은 지표들이 정기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

혁신적인 기회를 파악하는 절차 유무, 해당 절차의 적용 수, 시행이 준비된 변화 계획 수, 시행된 계획 수

분석된 취약 지역 및 확인된 변화 기회 수, 변화 계획의 상태변화 계획의 중점분야에 따라 특정한 지표들이 선별되어야 함

지역 기후변화 기관 및 해당 기관에서 연수받은 직원을 통한 기후 위험 정보를 바탕으로 한 계획절차 수

<표 2-6> GCF 성과지표

Page 3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15

3) 분석 결과

기금이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목표, 결과, 성과지표의 옵션들을 제시하였지만, 결과

적으로 각 요소들은 서로 연계되어야 하며 기금의 성공을 위해 가장 최적화된 옵션을

선택해야 한다. 이사회는 GCF의 핵심목표와 연계하여 기금의 목표, 결과, 성과지표가

1) 지속가능한 개발과 저탄소 녹색성장을 유도하고, 2) 국가 위주의 접근방법을 통해

수원국 주인의식 역량을 강화하며, 3) 효율적인 성과지표 도입 후 사업 및 재원활용

계획에 반영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장기사업 지원을 통한 각 개도국들의 기후탄력성 및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지속적으로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중·단기 사업결과 공유의 중요성도

함께 명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금이 재원 및 역량을 충분히 구축해야만 향후 진행될

사업들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4) 향후 계획

2013년 10월 이사회에서 기금의 핵심목표를 반영하는 동시에 기존 데이터에 기반한

핵심 성과지표를 준비하여 제안하도록 요청하였으며, 제안된 핵심 성과지표가 반영된

결과분석 체계를 논의할 계획이다. 감축 및 적응사업 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응

분야의 핵심사업 분야를 선정하고 이와 관련된 결과영역 및 성과지표를 세분화하여 설정

하기로 하였다.

다. 수원국 주인의식 (Country Ownership)7)

수원국 주인의식은 2000년대 초반 이후 국가의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담론에서

주요 원칙 중 하나로 거론되기 시작하였다. 각 국가·기관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

수원국 주인의식 역량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국제 기금들도

이와 관련하여 수원국의 사업 준비, 관리, 이행 등의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을 도입하

7) Green Climate Fund(GCF), "Business Model Framework : Country Ownership", (GCF/B.04/04).

Page 3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고 있다. GEF의 Operational Focal Point, AF의 Designated Authority와 같은 기관들

이 이러한 수단에 해당된다. 수원국 주인의식은 GCF의 대원칙이며 국가지정기구

(National Designated Authority, NDA)를 통해 수원국 주도적인 사업을 수행하겠다는

것이 확고하므로 향후 GCF의 운영에 수원국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1) 배경

GCF는 수원국 주인의식을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와 국가 정부기관, 공공기관, 비

정부기관, 민간기관 등을 통한 이행으로 국가 프로그램 개발 및 국가 수준에서 자원

관리 ·감독에 최대한의 책임을 부여하는 수단’으로 정의하였고, 다음과 같은 운영지침에

기반으로 하여 수원국 주인의식에 대한 사업모델을 분석하였다.

운영지침 핵심사항

제3항 관련 이해관계자 및 기관 참여 촉진을 통한 국가 주도적 접근 방법 채택

제31항 자금에 대한 단순하고 개선된 직접접근방식 채택

제36항NAMAs, NAPAs, NAPs 등 개도국의 기후변화 국가 전략 및 계획을 반영한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의 운영 촉진

제46항개도국은 국가지정기구(NDA)를 통해 이사회의 자금지원에 대한 의견 제시

가능

제53항효율적인 프로그래밍 및 사업 승인절차를 통해 자원 공급; 작은 규모 사업의 경우

승인절차 간소화

<표 2-7> 수원국 주인의식 관련 GCF 운영지침

GCF는 수원국 주인의식 수준을 반영할 수 있는 국가지정기구(NDA)의 중요성을

Page 3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17

강조하고 있다. NDA는 수원국과 GCF의 Focal Point의 역할을 하는 기구이며 국가이행

기구(NIE)와는 다르다. NDA는 기금의 사업 전 과정에 있어서 기금의 활동이 수원국의

국가전략과 부합하도록 지원한다. NIE는 기금의 사업을 이행하는 기구이며, NDA의

추천과 기금의 이행기구 승인기준과 절차에 따라 선정된다. 이행기구로 선정된 이후

국가의 전략과 부합한 다양한 사업을 제안할 수 있고, NIE가 제안한 사업은 NDA의

추천과 이사회 심사에 따라 승인여부가 결정된다. 아래 표는 NDA와 NIE의 역할을

구분한 것이다.

국가지정기구

(National Designated Authority, NDA)

국가이행기구

(National Implementing Entity, NIE)

이사회에 국가기후변화 전략/계획에 부합하는

사업제안서 추천

No-objection procedure 수행

중개 및 이행기관의 사업제안서가 국가계획/

전략과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보장

사업제안서 작성 및 승인 요청

사업 전 과정 이행 및 관리·감독

이행기구로 선정 및 사업 승인을 위해서 NDA의

추천 필요

<표 2-8> 국가지정기구(NDA)와 국가이행기구(NIE)의 역할 비교

2) 사업모델 분석 내용

수원국 주인의식 사업모델은 NDA의 역할을 중심으로 집권적 기본모델(옵션1)과

분권적 확장모델(옵션2)의 두 가지 옵션이 분석되었다.

Page 3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구분옵션1. 집권적 기본모델

(Centralized Basic Model)

옵션2. 분권적 확장모델

(Decentralized Expanded Model)

특징

NDA가 사업제안을 직접 작성하지 않음

주로 정부 내에 위치한 NDA가 이미 공인된

이행기구의 사업제안을 검토하여 국가 전략과

부합하는 사업 선별

No-objection procedure 강조

NDA가 직접 사업을 제안하는 형태

높은 수준의 국가 coordination 가능한 경우

적합

다수의 이해관계자와 의사결정을 포함하는

이사회·위원회를 통해 전략 자금지원 요청

가능

감독 책임 및 이행을 위한 선택절차 부담

장점

사업 제안을 하기에 역량이 낮은 NDA

보유국가도 기금 지원을 받을 수 있음

NDA로 기존 국가 구조 및 공인기관 활용

국가 전략에 관한 자금 지원 요청 검토과정

최소화

단기비용 최소화

No-objection 승인절차가 최소 수준의

국가수준 결정 보장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로 프로그램 역량

확대 및 신뢰도 향상

국가 수준 행위자 및 기관에 더 많은 책임

양도

공여자가 국가전략에 협조적일 경우 전환비용

감소

프로그램 기반 포괄적 자금지원 요청 장려

국가 전략에 부합하는 다수의 이행기구의

사업 통합 가능

국가주도적 환경, 사업제안서 개발

단점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 부재에 따른 리스크

작용

기존 기금 운영 방식 고수, 국가적 전략 보다는

프로젝트 수준 자금지원 선호

GCF 이사회 및 사무국에 관리감독의무 증대

조정과 투입과정에 더 많은 시간 소요

행정 · 조정에 더 많은 비용 소요

일정수준 이상의 역량요구, 대부분의 국가가

이를 달성하는데 시간 소요

국가전략에 기반한 견고한 자금지원 제안

개발에 필요한 역량강화로 인한 시간 지연

<표 2-9> 수원국 주인의식에 따른 NDA의 모델 옵션 분석

옵션1에서는 NDA가 사업개발 및 제안을 직접 하지 않는다. 주로 정부 내에 위치한

NDA가 MDBs, UN 기구 등 이미 공인된 국제이행기구(IEs)의 사업제안을 검토하여

국가전략과 부합하는 사업을 선별한다. 따라서 본 옵션에서는 no-objection procedure

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옵션1의 경우 기반이 갖추어진 수원국 국가기관을 NDA로

지정하므로 국가 전략에 관한 지원요청 검토과정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NDA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낮으므로 국제기구 사업개발 및 제안역량이 낮은 국가도

Page 3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19

기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기존 기금 운영방식과

다를 바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옵션2는 NDA가 직접 사업을 개발하고 제안하는 형태이므로 높은 수준의 국가

coordination 역량을 보유한 경우에 적합하다. 본 옵션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로 구성된

이사회 또는 위원회가 NDA의 역할을 한다. 옵션2는 하나의 국가전략에 부합하는 프로젝

트들의 통합이 가능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국가 주도적 환경에서 사업제안

서가 개발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옵션은 NDA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역량이

요구되므로 많은 국가들의 경우 이를 달성하는 데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된다.

3) 옵션 분석 결과

수원국 주인의식에 대한 사업모델 분석 결과 수원국 주인의식과 국가 주도적 접근이

GCF의 대원칙임을 재확인하였다. 특히 수원국 주인의식 실행을 위한 준비작업의 중요성

을 강조했으며 각 수원국은 GCF 운영지침에 부합하는 NDA를 지정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NDA에게는 GCF와 국가 간의 Focal Point의 역할이 주어지며, 국가 기후

변화 전략과 계획에 부합하는 사업제안서 추천, no-objection procedure 수행 및 이행기

구를 추천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즉 NDA는 이행기구의 사업제안서가 국가전략

및 계획과의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수원국 주인의식 사업모델에서는 국가지정기구(NDA)의 역할에 따라 수원국 주인의

식과 관련하여 집권적 기본모델(옵션1)과 분권적 확장모델(옵션2) 두 가지 옵션이 제안

되었다. GCF는 두 옵션이 배타적이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유연성 있게 활용되어야 한다

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옵션1 채택 후 옵션2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는 시사와 함께 옵션1을 NDA의 최소 역할로, 옵션2를 선택적 역할로 합의하였다.

Page 3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구분 옵션1. 옵션2.

핵심

내용

NDA의 사업 관리감독 역량 부재

No-objection procedure 강조

공인된 이행기구의 사업제안서 검토,

선정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 부재

주요 의사결정에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

국가 전략을 기반으로 사업 제안

사업 이행에 대한 전략/의견 제시 및

사업 평가 등 가능

시사점

수원국 주인의식 강화에 기여하지

못하지만 기금의 신속한 운영을 위해

단기적으로 활용 가능

수원국 주인의식 강화에 기여함

그러나 사업개발 및 관리감독 역량이

낮은 국가의 배제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원국의 역량 강화 이후 도입 가능한

모델로, 장기적인 측면에서 적합함

<표 2-10> 수원국 주인의식 사업모델에 대한 옵션 분석 결과

4) 향후 계획

2013년 10월 이사회에서는 수원국의 투명한 no-objection 절차에 관한 논의를 진행

하고, 같은 기간 동안 임시사무국에 수원국 주인의식 향상을 위한 옵션과 NDA에 적용

가능한 자원을 준비할 것을 요청하였다. 또한 2014년 첫 이사회에서 NDA와 연락관

체계 구성을 위한 방법을 논의하고, 기타 기금의 우수사례를 분석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를 장려하고 수원국 주인의식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사무국은

최단 시일 내에(가능한 2014년 6월 이내) NDA 지정과정 시작을 위해 필요한 모든 절차

를 마련할 계획이다.

라. 재원 접근방법(Access Modalities)8)

수원국 주도적인 사업 운영이 강조됨에 따라 국제기금은 국제적 접근방법 및 직접적

접근방법을 병행하여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직접적 접근방법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8) Green Climate Fund(GCF), "Business Model Framework : Access Modalities", (GCF/B.04/05).

Page 3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21

실정임을 본 연구의 제2장의 분석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국제적 접근방법

과 직접적 접근방법에 동일한 이행기구 선정 절차와 기준이 적용되므로 국제 기후변화

사업의 경험이 많은 MDBs, UN 기구와 동일한 신탁기준 및 기타 추가 기준을 만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GCF에서는 개선된 이행기구 승인절차를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GCF의

이행기구 승인 방식에 대한 옵션들을 분석하여 GCF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1) 배경

GCF의 재원 접근방법에 대한 사업모델은, 국가주도적 접근 활동에 기반하며 단순하

고 개선된 기금 접근방법이 제공되어야 된다는 근거하에 분석되었다. GCF의 재원 접근

방법에 대한 사업모델은 아래 운영지침 사항에 근거하여 수립되었다.

운영지침 핵심사항

제31항 국가주도적 접근 활동에 기반, 단순하고 개선된 기금 접근방법 제공

제40항 기금 직접접근을 위한 승인절차 준비활동 및 기술적 지원 제공

제45항 이사회로부터 승인된 국가, 지역, 국제 이행기구를 통해 기금에 접근 가능

제46항수원국은 국가지정기구(NDA)를 선정할 수 있고 NDA는 이사회에 사업제안서를

추천할 수 있음

제47항수원국은 국가, 지역 이행기구를 추천할 수 있고, 이사회는 직접적 접근방법을

강화방안을 마련함

제48항 수원국은 UN 산하기관 및 다자개발은행을 통한 접근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음

제49항 이사회는 이행기구 승인절차, 기준의 수립과 관리·감독을 총괄

<표 2-11> 재원 접근방법 관련 GCF 운영지침

Page 3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2) 사업모델 분석 내용

현행 국제기금의 접근방법은 이행 기능의 분배에 따라 직접적 접근방법과 국제적

접근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GCF의 경우 국제적 접근방법과 국가이행기구(NIE)를

통한 직접적 접근방법을 지원할 예정이다. 현행 국제기금들 중에는 두 가지 접근방법을

모두 병행하는 경우도 있다.

접근방법직접적 접근

(Direct Access)

국제적 접근

(International

Access)

강화된 접근

(Enhanced Access)

특징

수원국이 지명,

이사회가 승인한

NIE에 이행기능 위임

기금 차원에서 운영

기금관리

UN산하기관, MDBs,

IFI와 같이 공인된 지역

및 국제적 독립 기관이

이행기능 수행

기금 차원에서 운영

기금관리

특정(또는 운영상의)

기금관리기능을 수혜

대상이 가진다는

점에서 타방법과 차별

중개기관이 부분적

운영기금 관리 가능

전략적

기금관리기금 기금 기금

Financial

Intermediariesn/a n/a

중개기관

(Intermediaries)

국가협력 국가지정기구(NDA) 국가지정기구(NDA) 국가지정기구(NDA)

이행 국가이행기구 국제이행기구 국가 / 국제이행기구

집행 집행기구 집행기구 집행기구

사례

AF, GAVI Alliance,

Global Fund, GEF

직접접근 파일럿

전통적 다자접근 모델

(GEF, LDCF, SCCF,

CIFs 등)

국가 신탁기금, 예산

지원, 크레딧 라인,

Global Fund

<표 2-12> 현행 국제기금의 접근방법

GCF의 접근방법과 관련하여 승인기준 및 절차가 마련되어야 하며, 이에 대해 GCF

고유 승인기준 마련(옵션1)과 기존 승인기준 활용(옵션2)인 두 가지 옵션을 제시하였다.

Page 4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23

구분 옵션1. GCF 고유의 승인기준 마련 옵션2. 기존 승인기준 활용

특징

이사회와 사무국이 수탁기준 및 원칙,

환경사회적 세이프가드, 기타 기준 및

세부기준과 함께 GCF 고유의 종합적

승인기준을 개발, 덧붙여 이사회가 GCF의

승인절차 개발

세부기준은 승인절차가 목표로 하는 서로

다른 기능 반영 가능 (예. 일반적인

이행기구(IEs)와 투자기관(FEs)의 분화,

운영기금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금융중개기관 등)

이사회는 단계적 접근 및 수원국 주인의식에

부합하도록

신청자 승인기준 및 원칙,

이행기구 및 중개기관 승인방식 및

관리규정을 포함한 신청가능기관의 결정

검토 책임 및 신청 승인과정에서 의사결정을

수립해야 함

GCF고유의 (표준) 승인절차를 고려하여 이미

국제적인 승인절차를 거쳤거나 기존

기금들에 의해 적격한 것으로 간주된

이행기구에 대한 평가

2a

GCF는 국제적인 승인절차를 통해

공인된 이행기구를 기금을 지원하기에

적격한 기관으로 간주

2b

GCF는 GCF 기준과 일관되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의 적용을

받아 MDBs 및 기타 국제금융기구 또는

투자기관 등을 통해 승인받은

이행기구를 기금을 지원하기에 적격한

기관으로 간주

장점서로 다른 요소에 대한 세분화된

기준적용으로 최선의 실행기준 보장

시간 및 자원 소모 최소화

낮은 리스크, 신속한 승인절차

필요시 추가적 조건 수립 가능

단점 개발까지 시간 소요기존 승인기구를 보유하지 않은 국가에 대한

배제 가능성 존재

<표 2-13> GCF 승인기준 및 절차 옵션 분석

옵션1은 GCF 고유의 종합적 승인기준을 개발하는 옵션이다. 특히 세부기준은 승인

절차가 목표로 하는 서로 다른 기능을 반영하여 최선의 실행기준을 보장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개발까지 많이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옵션2는 이미 국제적인 승인절차를 거쳤거나 기존 기금들에 의해 적격한 것으로

간주되는 이행기구를 활용하는 방안이다. 본 옵션은 시간 및 자원 사용, 사업에 대한

리스크 등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직접적 접근방법 측면에서는 기준 승인기구

를 보유하지 않은 국가에 대한 배제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재원의 공평성에 대한 우려가

Page 4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있다.

옵션1은 장기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을 지닌 기본적인 모델이라면, 옵션2는

기존의 기반을 활용할 수 있는 신속한 착수 가능성을 제공한다. 두 가지 옵션이 상호배타

적이지 않기 때문에, 수원국의 상황에 맞게 주어진 옵션을 모듈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옵션 분석 결과

제4차 이사회 결과, GCF는 국가 주도적 접근을 장려하는 단순하고 개선된 접근방법

의 원칙을 재확인하고 직접적 접근방법의 확대를 위해 향후 추가적인 방법을 논의하기로

하였다. 특히 이행기구의 승인절차와 기준에 대해 GCF 고유의 방법을 개발할 필요를

강조하였다.

접근방법 및 이행기구 승인 방식에 대해 신속한 착수가 가능한 옵션에서 GCF의

궁극적 목적을 잘 반영하는 옵션으로 나아가는 안을 채택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즉 각 옵션 간 전환과정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GCF는 이와 관련해 유예

기간의 설정 등을 고려하고 있으며, 2014년 두 번째 이사회에서 전환 절차를 더욱 자세히

논의할 예정이다.

Page 4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25

구분 접근방법 승인방식

옵션직접적, 국제적 접근방법을 병행

직접적 접근을 강화하는 방식 고려

옵션1.

GCF 고유의

승인방식 마련

GCF 고유의 종합적

승인기준 개발,

이사회가 GCF 승인절차

개발

옵션2. 기존

승인기준 활용

이미 국제적 승인절차를

거쳤거나 기존 기금들에

의해 적격한 것으로

간주된 이행기구 평가

시사점

전술된 접근방법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되, 초기에는 하나의 접근

방법을 활용

시간에 따라 단계적으로 다른

접근방법 적용

기존 승인된 국제기구 및 개도국 기구를

허용하지만 GCF만의 승인기준도 수립하여

기존 이행기구 미보유 국가를 배제하지

않도록 균형적 접근 계획

<표 2-14> 재원 접근방법 및 이행기구 승인 방식에 대한 옵션 분석 결과

4) 향후 계획

2013년 10월 이사회에서 임시승인절차, 지방, 국가, 지역 이행기구 승인기준에 관해

논의하고 이를 위해 다른 기금의 승인기준을 평가하고 분석하기로 합의하였다. 또한

2014년 이사회에서는 현행 직접적 접근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추가적인 방안 등에 대해서

논의하고, 임시 승인절차와 기준에 GCF 고유의 승인기준과 절차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논의할 예정이다.

마. 금융수단 (Financial Instruments)9)

1) 배경

GCF의 운영지침에 부합하는 금융수단을 선정하는 것은 기금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사업모델 구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9) Green Climate Fund(GCF), "Business Model Framework : Financial Instruments", (GCF/B.04/06).

Page 4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운영지침 핵심사항

제54항 증여, 양허성 차관 등 이사회가 승인한 금융수단 제공

제55항 적응분야 장려를 위한 결과기반 재정접근방식 적용

제56항 기금의 수탁원칙 및 환경사회적 세이프가드에 따른 재정관리

<표 2-15> 금융수단 관련 GCF 운영지침

이사회에서는 기금의 운영지침과 이사회의 결정사항에 부합할 수 있는 금융수단을

탐색하고, 기금의 핵심목표와 기준에 적합한 금융수단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옵션을

분석하였다.

2) 이사회 분석내용

GCF 이사회에서는 원조, 양허성 차관, 보증, 지분 투자와 같이 일반적인 국제기금의

금융수단들을 주로 분석하였으며, 단일 또는 혼합방식으로 운영되는 형태의 다양한 금융

수단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이 중 기금의 목표와 사업결과를 가장 높은 수준으로 달성

하고, 빠르고 안정적인 기금운영이 가능한 금융수단에 관해 분석하였다.

또한 이사회는 다양한 형태의 금융수단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는 것에

1) 재정자원의 투입방식 및 규모, 2) 기금투입방식과 관련된 약관규정, 3) 재정자원의

관리 및 분배방식을 기준으로 하여 가장 적절한 형태의 금융수단과 지원방식을 분석하였

다.

Page 4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27

금융수단 정의 장단점

원조

(Grant)

자금회수를 고려하지 않고

제공되는 공공적 성격의 자금

장점: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필수적인

사업활성화에 기여. 특히, 적응부문 사업의

전체 비용을 커버할 수 있으며, 타

금융기법의 보완적 역할 수행 가능

단점: 수익성이 고려되지 않고, 제공기준 및

조건이 까다로워 제한적 투자만 가능.

민간금융기관의 고려요소가 아님

양허성 차관

(Concessional

loan)

민간 금융시장의 융자조건보다

유리한 조건(저리장기상환)의 지원

자금

장점: 금융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업개발자의 사업리스크를 낮춤

모든 융자자 위험을 경감시키고,

민간금융기관(지역은행 등)의

투자참여활성화에 기여

보증

(Guarantee)

융자자의 책무를 보증자에게

전가하여 리스크를 줄여주는

금융기법

장점: 사업의 재무적 매력 및 불확실성

저감에 기여

단점: 리스크 정량화가 어려움

지분투자

(Equity)

직접투자: 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법인이 발행한 주식 및

주식연계증권 등 증권을 직접 취득

간접투자: 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간접투자기구 등에 출자하거나

투자를 위탁

장점: 투자자금 레버리지 가능

단점: 리스크 정량화의 어려움

<표 2-16> 기존의 금융수단방식 분석

<표 2-17> GCF 금융수단 지원방식 분석

접근방식 정의 장단점

채무 스왑

(Debt swap)

양 당사자가 상대방을 위하여

공채증서(debt instrument)의

자발적 교환. 교환수단은 현금,

제3의 자산 또는 새로운

지불약정 등이 해당

장점: 채무수준을 낮추며 추가적인 적응투자

증대 가능

단점: 융자자에게 부정적 인센티브 양산

사전 구매약정

(Advanced

market

commitment)

시장수요가 불투명한 상품에

대하여 일정가격으로 구매할

것을 미리 약속하는

개발금융기법

장점: 수요 창출을 통해 시장 활성화에 기여

단점: 건강분야 이외의 영역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혁신 메커니즘

Page 4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접근방식 정의 장단점

성과중심

지분제도

(Performance

based payment)

사업 또는 프로그램에서 검증

완료된 사전적 목표 또는

정량화된 배출 저감량에 대해

부문별로 원조 또는 차관의

지불기법

장점: 성공적인 사업/프로그램 이행에 대한

보답의 성격으로, 정책개선, 역량형성 및

투자사업 착수 등에 효과적

단점: 지불의사결정을 위해 요구되는

성과측정의 기준점을 정의하기 매우 어려움

민관파트너쉽

(PPP)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더

용이하게 협력할 수 있도록

공식적인 계약 프레임워크를

마련하여 공동으로 작업하는

방식

장점: 공공부문은 사업적 위험요소를 분산하고,

민간투자자는 재정적 위험요소를 경감시키는

효과. 상호 역량의 보완을 통해 시너지를 발생

협조융자

(Co-financing)

동일융자대상 사업에 대해 둘

이상의 융자기관이 자금을

분담하여 융자하는 방식. 단일

금융기관의 자금 부담이 클 경우

또는 동일 융자대상사업에 수

개국 내지 여러 금융기관이

융자할 때 이용

장점: 융자기관 입장에서 볼 때 자금부담경감,

위험분산 등 이득 발생. 차입자의 입장에서는

필요 자금을 보다 대규모로 원활하게 확보

단점: 강제성이 없어 금융기관들의 통일된

의견을 마련하기 어렵고 실제 집행이 난해

정책융자

(Policy based

loan)

기후친화적 지속가능한 정책 및

교육수행 등에 대한

보상차원에서 제공되는 융자,

개발도상국의 기후정책 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융자

장점: 정책개발 및 역량형성 활성화 가능

장기프로그램

융자

(Adaptable

program loan)

일련의 연속사업으로 구성된

장기개발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융자

장점: 장기 전략수립 가능

특정투자 융자

(Sector

investment

loan)

기후변화 관련 경제, 사회,

제도적 인프라 구축 등을

지원하기 위한 융자로 해당

부문의 정책과 투자 자생력 등을

다각도로 검토한 후 실행

장점: 부문별 개발 가능

할인원조

(Discounted

grants)

투자자가 시장 조건에 부합하는

융자를 제공받은 후 상환시점이

되었을 때, 펀드는 현재가치로

계상된 제로쿠폰채권을 통해

자금 원조

장점: 펀드 규모 확대

<표 2-17> GCF 금융수단 지원방식 분석 (계속)

Page 4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29

3) 분석 결과

차후 승인된 국가, 지역, 국제 중개기구 및 이행기구를 통해 증여, 양허성 차관 등의

금융수단을 제공하기로 결정하였으며 기금목표 달성을 위한 목적으로 보증과 지분투자

와 같은 추가적인 수단을 적용하기로 합의하였다. 또한 기금의 금융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방법을 준비하기로 하였다.

4) 향후 계획

2013년 10월 이사회에서 GCF 운영 초기에 승인된 중개기구 및 이행기구에 적용

가능한 증여 및 양허성 차관 관련 이용약관을 마련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에 관련된

문서들을 준비할 것을 요청하였다.

바. 민간분야기구(Private Sector Facility)10)

1) 배경

기후변화 감축사업의 규모가 확장됨에 따라, 공공재원만으로 관련 사업을 지원하는

것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공재원 이외의 민간재원 투자

가 필수적이지만, 개도국이 안고 있는 경제적 리스크 때문에 원활한 투자와 지원이 이루

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GCF는 민간투자를 전담할 수 있는 기구를 기금 내에 포함하여

운영하도록 제반사항을 운영지침에 명시하고 있다.

10) Green Climate Fund(GCF), "Business Model Framework : Private Sector Facility",

(GCF/B.04/07).

Page 4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3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운영지침 핵심사항

제41항 다양한 사업단계에서 직·간접적 민간분야 감축 및 적응활동 지원

제42항 국가기반적 접근방법에 의한 운영

제43항 군소도서개발국, 최빈국 포함 개도국의 현지 민간기구 참여 독려

제44항 승인절차 마련 등 기구 운영을 위한 제반사항 도출

<표 2-18> 민간분야기구 관련 GCF 운영지침 근거

GCF는 운영지침에 의거하여 민간분야기구(Private Sector Facility, PSF)를 설립

함으로써 민간투자의 리스크를 완화하고 다른 민간재원의 투자를 유도하는 운영계획을

사업모델 프레임워크에 포함하고 있다.

2) 이사회 분석내용

이사회는 기금 전체의 핵심목표, 결과, 성과지표를 설정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PSF의 운영방식을 논의하고 있다. 또한 PSF의 역할도 국가기반 접근방법에 기반해야

하며, 지속가능한 성장에 대한 인식전환이라는 핵심목표와 일관성을 가지고 결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PSF의 목표 및 운영방안을 설계하는 것에 있어서 다양한 금융·기

술적 지원사항을 고려하였고 이에 부합하는 옵션들을 분석하였다.

Page 4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31

옵션 세부 내용

옵션1투자의

가능성 증가

민간 부문의 행위자 행동과 혁신을 장려하는 메커니즘의 다른 유형을

제공

투자가능성을 높이는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공, 중개역할 및 특정 활동의

경제성을 개선, 증분원가(incremental costs)를 낮추어, 동 활동의 민간

부문 투자를 유도

옵션2투자 위험

감소

인수에 참가 또는 가능한 기술 능률을 설정하여 시범 프로젝트에 착수

상황에 따라 사용 가능한 기술을 적용하여 투자

제한적 손실 책임을 지고 민간 보험역할 수행 가능

부분적·선택적으로 민간 기후 관련 투자의 수준을 높이는 정책과 규제

불확실성과 지역 기관의 부도 위험 저감

에너지 부문에서 전력 구매 계약을 보장, 제품을 제공하는 민간보험의

역할 수행

옵션3역량과

준비성 구축

각 국가별 상황에 따라, 적절한 역량강화를 위해 노력

역량 강화 활동은 기후 관련 기회를 추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필요한 도구 제공을 목표

기후 변화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주도, 다른 기관으로의 확장을 지원

옵션4기술개발

지원

관련 분야에서 지역별 기술 이니셔티브 구축

감축과 적응 부문의 기후변화 투자의 기술 개발 지원을 위한 생태계

조성에 기여

옵션5정보전달

지원

전자 및 인쇄 등 모두 매체를 통해, 영세산업 및 중소산업 대상으로

주요 정보의 전달 이니셔티브에 투자

모범 사례 제시, 행위자가 필요로 하는 가치사슬의 모든 요소를 연계하고,

성공적인 이니셔티브의 세부 사항을 전파, 적응 및 지역환경 관련 완화

옵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

<표 2-19> GCF의 민간분야기구(PSF) 목표 옵션

PSF의 결과영역은 전체기금의 결과영역을 반영한다. 이것은 GCF의 운영범위 내에서

PSF의 활동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며, 성과지표 역시 PSF의 목표, 결과와 연계하여

설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민간자본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금융수단 및 접근방법에

관한 옵션이 제시되었고, 향후 선정할 PSF 성과지표에 기술적 사항(달러와 탄소) 및

이사회 결정사항(영향력에 대한 가중치)을 포함하기로 하였다.

Page 4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3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구분 옵션1 옵션2

특징이사회 권한을 위임받은 관할기구를 포함,

기금의 사업기구로써 운영

기금의 운영 및 경영구조에 통합된

사업기구로써 운영

내용

PSF는 이사회의 구성원과 민간부문

대표자로 구성된 Credit Committee와 같은

관할 기구 보유

특정 범위 내 PSF의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을

승인할 권한을 위임

자금 승인 지침과 목표 등에 대한 사항 및

일정기간 내 할당할 수 있는 자금 풀의 한계

등의 사항 포함

이사회는 관리 기관에 민간부문 대표자

역할범위에 대하여 결정

이사회가 PSF의 사업과 프로그램 승인에

대한 전체 책임 보유

PSF CEO는 기금 사무국의 사무총장에게

보고할 수 있음

PSF의 민간 부문 자금 중개기관 인증은

펀드의 인증위원회 소관

PSF는 이사회에 직접보고 할 독립적

사무국의 일부로 최고경영자(CEO) 고용 가능

별도의 PSF 인증위원회는 전

세계·지역·국가 수준에 따라 민간자금

중개기관을 승인

전제

조건

민간 부문의 인재 활용 여부에 따라 성공 여부

결정, 상응하는 보상시스템 필요

민간 부문의 조언과 참여 등 협업과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직구조 확보 필요

장점 다양한·개별적 상황에 다른 전략추구 가능

자금운용과 조달 자율성

기금 전체 구조를 고려한 인재 및 자금 조성

및 배치 가능

단점 민간과 공공 파트너십 사이 학습효과 및 정보

축적 어려움탄력적 자금 운용 및 조달의 제한

<표 2-20> GCF의 민간분야기구(PSF) 운영방식 옵션

3) 분석결과

민간분야기구(PSF)가 기금의 사업단위 중 하나로 운영될 때, PSF의 민간재원의

투자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투자 위험감소를 주된 목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다

수다. 또한, 비교적 많은 재원이 투입되고 있는 감축분야보다 적응 또는 공통의 분야에

민간재원을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PSF를 설계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사회는 빠른 PSF 운영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해 초기에는 중개기구를 통한 협업을

Page 5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33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향후 직접투자 방안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운영방식

으로 첫 번째 옵션을 채택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데, 이 경우 GCF 전체의 권한구조를

반영하여 최적의 PSF 지배구조를 결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다른 적합한 기구로부터

숙련된 인력을 보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4) 향후 계획

‘13년 10월 이사회에서 민간부문의 이해관계자 및 시민단체의 의견을 반영하여, PSF

에 특화된 결과영역, 성과지표를 논의하기로 하였고, PSF의 재정적 운영방식에 관련하여

금융수단의 약관조건 및 단계적 접근방법에 대해 논의하기로 결정하였다.

사. 조직구조(Structure and Organization)11)

기금의 조직구조에 따라 기금의 재원 접근방법, 사업 승인절차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본 연구의 제2장에서 확인하였다. GCF 또한 조직구조에 따라 재원 접근방법, 사업 승인

절차가 좌우되므로 제4차 이사회에서 분석된 조직구조 사업모델에 대한 옵션들을 분석하

였다.

1) 배경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의 감독하에서 GCF 이사회는, 기금을 운영·관리할

수 있으며 자금 지원 의사결정에 전적인 권한을 갖는다. 따라서 기금집행을 위한 모든

이행기구의 승인절차를 개발하고 관리·감독할 수 있으며, 독립된 평가·감사·시정 기구를

설립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독립적 신탁기구를 지정하여 기금의 재정을 관리하며, 민간

분야기구(Private Sector Facility, PSF)를 두어 민간재원을 조달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주변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11) Green Climate Fund(GCF), "Business Model Framework : Structure and Organization",

(GCF/B.04/87).

Page 5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3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다. GCF의 조직구조에 대한 사업모델은 아래

운영지침 사항에 근거하여 수립되었다.

운영지침 핵심사항

제4항 UNFCCC의 100조항에 의거, GCF는 COP의 지침에 따른 금융 메커니즘으로 운영

제5항 이사회는 GCF를 운영·감독하며 자금 지원 결정에 대한 전적인 권한이 있음

제18항 이사회는 기타 위원회(subcommittees) 및 패널(panels)을 수립함

제19항 독립된 사무국이 GCF의 사업을 이행함

제20항 사무국의 사무총장은 이사회가 지명

제24항 수탁기관을 지정해 기금의 재정적 자산 관리

제37항 감축, 적응 등 주제별 자금 지원 창구 마련

제41항 민간분야기구(Private Sector Facility)를 두어 민간재원 조달

제49항이사회는 기금의 수탁기준, 환경사회적 세이프가드를 반영하는 이행기구 승인절차의

관리·감독을 총괄함

제60항 독립적인 평가기구 설립

<표 2-21> 조직구조 관련 GCF 운영지침

2) 사업모델 분석 내용

조직구조 사업모델에서는 현존하는 국제기금의 조직구조를 분석하고, GCF의 운영지

침을 근거로 하여 사무국의 핵심운영조직(core operational unit)의 역할을 중심으로

네 가지 조직구조 옵션이 제안되었다.

Page 5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35

옵션 조직구조 장점 단점

옵션1.

프로젝트 집중

주제별 구조

적응

감축

PSF

가장 단순, 저비용

기술적 직원역할 강조

국가 전략 및 프로그램

형성에 기여 불가

옵션2.

국가·프로그램에

대한 고려강화

주제별 구조

국가 전략 및 프로그램

지원

적응

감축

PSF

비교적 소규모 높은 비용

대비 효율성

국가전략, 프로그램,

직접적 접근방법의 활용

등에 기여

국가와의 소통 정도가

여전히 적정 수준 이하

옵션3.

지역별 구조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캐리비

기타 국가지부 · LDC

· SIDS

PSF

국가전략, 프로그램 및

직접적 접근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역량 강화

가장 복잡한 구조 비용

소모가 큼

높은 전문성을 가진

기술직 직원의 국제적인

활동 방해가능성

옵션4.

금융수단별 구조

PSF

양허성 차관

증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GCF에 대한 자금의

환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양허성 차관에 보다 큰

역할 부여

양허성 차관에만 적격한

세부 활동을 선험적 분류

<표 2-22> 조직구조 사업모델 옵션 비교

모든 옵션은 공통적으로 민간분문기구(Private Sector Facility, PSF)를 분리하였

다. 옵션1은 프로젝트 집중 주제별 구조로 가장 단순하며 낮은 비용으로 운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국가 전략 및 프로그램 형성에 기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옵션2에서는

옵션1 구조에 추가로 국가 전략 및 프로그램 지원을 담당하는 조직이 포함되어 있다.

본 옵션은 국가전략과 직접적 접근방법의 활용 등에 기여하면서 높은 비용 대비 효율성으

로 운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국가와의 소통 정도가 여전히 적정 수준 이하이다.

옵션3에서는 지역별로 조직을 구축하여 국가 전략, 프로그램 및 직접적 접근방법에 대한

지원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운영 측면에서는 가장 복잡한 구조이므로

높은 비용이 소모된다. 옵션4는 금융수단에 따른 조직구조이므로 GCF에 대한 자금의

Page 5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3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환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양허성 차관에 보다 큰 역할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양허성

차관에만 적격한 세부 활동을 선험적으로 분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사무국의 핵심운영조직(core operational unit)의 역할을 중심으로 네 가지 옵션이

분석되었지만 이외에도 사무총장과 이사회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는 운영지원조직

(non-operational support)의 필요성과 가능한 옵션이 논의되었고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옵션 세부내용

옵션 BC1 의사결정권 위임

기구 승인절차, 독립 평가기구 감독 등 의사결정권한 위임

전체적으로 이사회의 의결사항 수 감소, 다수 의제에 더 큰 관심

투여 가능

옵션 BC2 사전검토 및

추천권 부여

모든 사업계획안의 사전검토 등, 이사회 의사결정 추천권 부여

상세검토는 운영 위원회에서 담당, 이사회는 기금사업 운영을 위한

전체적인 관리기능 유지

<표 2-23> 이사회 내 운영위원회 역할에 대한 옵션

운영지원 기능 옵션

인사관리 인사관리부서, 분리된 소형 조직

대외관계 대외관계 및 협력부서, 분리된 소형 조직

내부 재정관리 재정부서, 분리된 소형조직

법률적 능력법무, 자원 조성, 전략, 정책 및 절차 관련 합동기능

초기에는 사무총장과 긴밀히 협업 가능한 고위 임원이 담당, 이후

적절히 분리된 조직으로 운영

기금을 위한 자원조성

전략, 정책 및 절차 지원

승인능력승인기구 : 기금의 제도적 능력 및 기구승인을 위한 기준과 절차를

보장하는 핵심직원들로 구성된 소형 조직

적절한 전문가 및 기술적 조언기술자문그룹 : 기금운영을 보조할 수 있는 한 명 이상의 외부

기술전문자문으로 구성

<표 2-24> 사무총장 업무지원을 위한 운영지원조직 구성 예시

Page 5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2장 ․ 녹색기후기금 논의동향 분석 ∣ 37

3) 옵션 분석 결과

이사회는 GCF와 사무국의 조직구조가 주제별로 구성되고 PSF를 포함해야 한다는

데 합의하였다. 또한 이 조직구조는 국가 프로그램에 집중하고 상호 연관성이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연하게 진화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조직구조 사업모델의 네 가지 옵션은 GCF의 활동 분야, 금융수단, 활동 지역 및

기능이 구체화됨에 따라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GCF의

조직구조 채택이 가능하다. 즉 GCF의 진화에 따라 조직구조가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며,

초기 단계에서는 신속한 운영을 위해서 GCF의 운영지침 및 비전을 최소로 만족하는

모델이 채택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GCF는 수원국 주인의식, GCF의 신속한 운영,

단계적인 진화 가능성 및 비용효율성을 고려하여 옵션2가 가장 적합한 모델이라고 시사

하고 있다.

구분 특징 시사점

옵션1.

프로젝트에 집중한

주제별 구조

기존 설립되어 있는 기후변화

관련 기금 형태와 유사

GCF가 공인된 MIEs와 NIEs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funder of

fund” 접근에 부합

GCF의 핵심요소인 수원국

주인의식에 부합하지 않음

프로젝트 형태로만 운영이

가능하며 기존 기후변화 기금과

다른 점이 없음

옵션 2.

국가 및 프로그램에

대한 고려를 강화한

주제별 구조

GCF의 전략적 역할, 프로그램에

입각한 접근, 직접 접근을

확대하고자 하는 의도에 부합

수원국 주인의식을 강화하는

프로그램 수준의 운영을

장려하는 GCF의 비전에 가장 잘

부합

옵션3.

지역별 구조

기후변화 부문의 유력한 주체가

되고자 하는 포괄적 GCF의

비전에 부합

각각의 부서가 적응 및 감축 세부

부서 포함

지역별로 초점을 두어 수원국과

GCF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지만

운영 측면에서는 높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됨

옵션4.

금융수단별 구조

감축 활동의 일부 유형에 대한

양허성 차관에 대해 실질적인

역할을 한다는 비전과 부합

양허성 차관의 비중이 높은 경우

유용하나 소득 또는 분야에 따라

금융수단을 구분하는 방식은

논란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음

<표 2-25> 조직구조 사업모델에 대한 옵션 분석 결과

Page 5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3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4) 향후 계획

임시사무국은 2013년 10월 이사회까지 제4차 이사회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운영

기능, 비용, 절차 시간적 요소 등을 포함한 초기 조직구조(안)를 마련하기로 했다. 초기

조직구조(안)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금 규모의 증가를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강조되었다. 2014년 첫 이사회에서는 적절한 전문가와 기술자문의 메커니즘 및 독립적

평가기구와 감사기구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질 계획이다.

당사국총회

GCF�사무국

사무총장실

전략,�정책 및 절차부서장자원조성 부서장

민간분야위기관리투자위원회

대외협력부

인사관리부

승인기구

재정부

기술고문그룹

민간분야기구 감축기구 적응기구국가전략및계획지원기구국가계획고문

신탁기구

독립감사기구독립된 시정체계 포함

독립평가기구 이사회

<그림 2-2> 옵션2를 적용한 GCF의 조직구조(안)

Page 5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39

∣제3장 ․ 재원조성 ∣1. 재원조성 현황

가. 국제 기후재원의 현황 및 규모

2010/11년도 국제 기후재원의 규모는 3,340억~3,850억 달러로 추정되며, 총 재원에서

민간 부분이 74%, 공공 부분이 26%를 차지한다. 대응분야로는 감축(Mitigation)부분이

총 재원의 96%로, 4%인 적응(Adaptation) 분야에 비해 크게 앞선다. 국가별로는 선진국

에서 총 재원의 89%가 민간으로부터 조달되는 반면, 개도국 기후변화 사업의 경우 절반

가량이 공공재원으로부터 조달된다. 특히, 감축 부문 중 재생에너지 사업의 비중이 약

60%로써 제일 큰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중국, 브라질과 인도 등

신흥국가에 가장 많은 자금이 투자된다. 한편, 적응분야에서는 농업, 산림 분야가 27%,

수자원 분야가 23%로써 동 분야의 절반을 차지한다. 개도국 기후변화 사업의 경우, 재원

의 절반이 공공재원에 의해서 조달된다. 일반적으로 다자 및 양자개발은행을 통한 증여,

양허성 차관, 지분 투자, 보증 등의 형태로 재원이 전달된다.12)

<표 3-1> 국제 기후재원의 규모 및 세부현황13)

(단위 : 1억 달러)

총 규모 재원별 국가별 분야별

3,340

~

3,850

공공

927

~

993

(26%)

개도국1,720

(47%)

공공 43%

감축

3,500 (REDD :

115)

(96%)민간 57%

민간

2,503

~

2,855

(74%)

선진국1,930

(53%)

공공 11%

적응123 ~ 158

(4%)민간 89%

12) Climate Finance Initiative(CPI), “The Landscape of Climate Finance 2012” (2012).

13) Climate Finance Initiative(CPI), “The Landscape of Climate Finance 2012” (2012).

Page 5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4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표 3-2> 공공 · 민간재원의 분배현황14)

(단위 : 1억 달러)

공공927 ~ 993

(26%)

정부 예산 160 ~ 226 (5%)

개발은행 (기후기금 포함) 773 (21%)

민간2,503 ~ 2,855

(74%)

프로젝트 개발자 1,150 ~ 1,293 (34%)

기업 693 ~ 805 (21%)

상업금융기관 307 ~ 404 (10%)

가계 323 (9%)

벤처캐피탈, 사모펀드, 인프라

펀드24 (1%)

기관 투자자 <6 (<1%)

나. 국제 기후재원의 흐름

공공분야 기후재원의 경우, 탄소시장 수익, 탄소세 및 일반세수 등을 통한 정부예

산으로부터 대부분 조달되고 있다. 이렇게 조성된 공공 기후재원은 다양한 이행기

구(Implementing Entity)를 통해서 각종 기후변화사업에 투자되며 대부분 정부 및

국제기구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운영된다. 특히 다자개발은행은 글로벌 네트워크,

프로젝트 개발경험 및 전문성, 투명성, 민간 재원투자의 레버리지(leverage) 극대화

등의 역량을 갖추고 있으므로 개도국의 기후변화 사업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민간분야의 기후재원은 프로젝트 개발자와 기업을 통해 가장 많이 조달되며 그

밖에 상업금융기관, 가계, 사모펀드, 기관 투자자 등이 있다. 민간재원은 모두 온실가

감축사업에 활용되고 있다.

다. 국제기구의 기후재원 현황

1) 5대 MDBs 기후변화 사업 지원 현황

5대 MDBs의 기후변화 감축 및 적응사업 지원 규모는 2012년 기준으로 총 969억

14) Climate Finance Initiative(CPI), “The Landscape of Climate Finance 2012” (2012).

Page 5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41

달러이다. 그중 세계은행(WB)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분야별로는 세계은행이 기후변

화 감축 및 적응분야에서 가장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으며 아시아개발은행(Asia

Development Bank, 이하 ADB)은 기구의 중점 분야인 교통, 에너지 분야에 가장 많이

지원하고 있다. 유럽부흥개발은행(European Bank of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이하 EBRD)은 민간분야에 대한 지원이 다른 다자개발은행에 비해 높고, 기후변화 감축

분야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 사업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아프리카개발은

행(African Development Bank, 이하 AfDB)의 경우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기후변화

적응사업이 지원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은행명지원 규모 (비중)

(단위 : 1억 달러)지원분야

세계은행 (WB) 544 (56%)에너지, 수송, 교통, 산업, 농업, 위생,

폐기물, 기반시설, 자연재해 등

아시아개발은행 (ADB) 248 (25%) 에너지, 수송, 교통, 수자원, 기반시설 등

유럽부흥개발은행 (EBRD) 143 (15%) 에너지

미주개발은행 (IDB) 32 (3.3%) 에너지, 자연재해

아프리카개발은행 (AfDB) 2.6 (0.7%) 수자원, 위생, 기반시설

총계 969 (100%) -

<표 3-3> 5대 MDBs의 기후변화 사업 지원 규모 현황(2012년 기준)

자료 : 각 MDB 프로젝트 DB 참조.

2) 국제기금의 기후변화 사업 지원 현황

현재 기후변화 관련해서 다양한 양자·다자기금들이 설립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는 양자기금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공재원의 규모가 다자기금보다 훨씬 크게 구성되

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자기금 부문에서는 세 개의 핵심 다자기금인

Page 5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4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기후투자기금(CIFs), 지구환경기금(GEF)와 적응기금(AF)이 해당 부문 86% 정도

를 차지한다.

$14

재원및이행기구 재정수단 채널 운용

감축

적응

REDD

다양한지출창구

$ 350

$ 214

$ 22

$ 57

$ 53

$ 13

$ 5

정책인센티브

위험관리

탄소오프셋자금

증여

저비용프로젝트 채권

프로젝트단계시장금리채권

프로젝트단계에쿼티

장부내 금융

채권비율

NE

NE

NE

NE

NE

NE

<$1

NE

$77

개발은행

$47

$23

국내 양자

다자

기후기금

탄소시장수익

탄소세

일반세수

정부예산

$ 2

$ 7 NE

NE$19

$104

$70

$32

$17

에이전시

기관투자가

프로젝트개발주체

협력주체

가계

상업금융기관 $ 32

벤처캐피탈, 프라이빗에쿼티,인프라펀드

$2

공공재원 민간재원공공

금융중개기관민간

금융중개기관오프셋자금

투자자및대출기관을위한자금

자본투자자본투자및증분원가K

EY

NE:�Not�Estimated단위 :�10억 달러

자료 : Climate Finance Initiative(CPI), “The Landscape of Climate Finance 2012” (2012).

<그림 3-1> 국제 기후재원의 Flow Chart

Page 6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43

0 50 100 150 200

Pledged

Deposited

Approved

(단위:�1억 달러)

CIFs,�GEF,�AF��������기타 다자기금 양자기금

(단위: 1억 달러)

기금명주요 다자기금 양자

기금총계

CIFs GEF AF 기타 소계

지원 금액 76 40 1.7 21.3 139 225 364

기여율(%) 55 29 1 15 100 62 100

자료 : Climate Funds Update 홈페이지, <http://climatefundsupdate.org> 및 Global Environment

Facility 홈페이지 <http://www.thegef.org/gef/>.

<그림 3-2> 주요 국제 환경기금의 지원 규모 현황(2012년 기준)

2004년부터 지원된 기후기금을 분석한 결과 약 15%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그 총액은 25억 달러로 추정된다. 그중 세계은행의

기후회복시범프로그램(Pilot Program for Climate Resilience, 이하 PPCR)이 45%를

차지하며 가장 큰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두 번째로 큰 규모의 기금은 GEF에서 운영하는

최빈국기금(Least Developed Countries Fund, 이하 LDCF)으로, 전체 기후변화 적응

기금의 24%를 차지한다.

Page 6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4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151.65

385.36

605.84

1155

259.33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Adaptation Fund

(AF)

Global Climate

Change Alliance

(GCCA)

Least Developed

Countries Fund

(LDCF)

Pilot Program for

Climate Resilience

(PPCR)

Special Climate

Change Fund

(SCCF)

(단위: 백만 달러)

자료 :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Climate Finance Fundamentals : Adaptation Finance"

(2012)

<그림 3-3> 기후변화 적응분야에 대한 국제 기후기금의 지원 규모(2011년 11월

기준)

지역별로는 자연재해에 취약한 아프리카 지역에 총 지원 규모의 43.1%가 지원되고

있다. 그중 나이지리아(1억 1천만 달러), 모잠비크(6천 7백만 달러), 에티오피아(6천 6백

만 달러) 등이 가장 큰 수원국이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대한 지원 규모는 전체 기후변

화 적응 기금의 27.8%로, 캄보디아(6천 2백만 달러), 방글라데시(4천 7백만 달러) 등이

많은 지원을 받고 있다.

Page 6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45

<표 3-4> 기후변화 적응분야에 대한 국제 기후기금의 지역별 지원 규모(2011년 기준)

국가지원 규모

(단위 : 백만 달러)

나이지리아 111.86

모잠비크 67.54

에티오피아 66.83

캄보디아 62.48

방글라데시 47.28

파키스탄 41.56

네팔 41.46

감비아 35.59

사모아 30.81

세네갈 27.4

자료 : Climate Funds Update 홈페이지, <http://climatefundsupdate.org>.

기후변화 감축분야에서는 세계은행의 기후투자기금(CIFs)이 2004년 이후 기후

변화 감축분야에 대한 총 지원 규모의 66%를 차지하면서 가장 큰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산업 활동이 높은 국가를 중심으로 하여 아시아태평양 및 중남미

카리브해 지역에 대한 지원이 가장 높다.

Page 6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4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표 3-5> 기후변화 감축분야에 대한 지역별 지원 규모(2011년 기준)

국가 지원 규모 (백만 달러)

멕시코 521.575

이집트 508.25

남아프리카 공화국 482.152

모로코 350.345

케냐 283.01

터키 282.699

중국 269.761

우즈베키스탄 241.71

태국 202.508

인도 191.349

자료 : Climate Funds Update 홈페이지, <http://climatefundsupdate.org>.

REDD+ 분야는 기후변화 관련 재원의 13%를 차지하며, 사업 지원을 위하여

2008~2011년간 총 44.6억 달러가 승인되었고 그중 25.2억 달러가 지출되었다. 지원

기금 중 브라질 아마존 펀드(Amazon Fund)와 노르웨이의 국제기후 및 산림 이니셔

티브(International Climate and Forest Initiative) 기금이 가장 큰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2011년 11월 기준으로 노르웨이의 국제기후 및 산림 이니셔티브 기금 규모는

총 16억 달러, 아마존 펀드의 기금 규모는 총 10억 달러에 도달하였다.

Page 6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47

1032.52

216.27 165 218.9 239.8

611

21.01

1607.82

170.92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Amazon Fund Australia's

International

Forest Carbon

Initiative

Congo Basin

Forest Fund

(CBFF)

Forest Carbon

Partnership

Facility -

Carbon Fund

(FCPF-CF)

Forest Carbon

Partnership

Facility -

Readiness Fund

(FCPF-RF)

Forest

Investment

Program (FIP)

Indonesia

Climate Change

Trust Fund

(ICCTF)

Norway's

International

Climate and

Forest Initiative

UN-REDD

(단위: 백만 달러)

자료 :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Climate Finance Fundamentals : REDD-plus Finance"

(2012)

<그림 3-4> 국제 기후기금의 REDD+ 사업 지원 규모(2011년 11월 기준)

중남미 지역에 대한 지원이 총 지원규모의 32.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그다음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19.7%,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역이 19.6%

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국가별로는 브라질이 가장 많은 지원을 받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콩고 민주 공화국 등이 뒤를 잇고 있다.

Page 6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4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국가지원 규모

(단위 : 백만 달러)

브라질 234.65

인도네시아 150.168

콩고 민주 공화국 73.945

가이아나 65.95

멕시코 65.13

탄자니아 44.027

파푸아뉴기니 24.45

페루 24.225

콩고 공화국 21.79

자료 : Climate Funds Update 홈페이지, http://climatefundsupdate.org>

<그림 3-5> 지역별 REDD+ 사업 지원 규모(2011년 기준)

Page 6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49

운영 주체 기금명 (21)기후변화

범위

규모 (백만 달러)

PledgedDeposit-

ed

Approv-

ed

세계은행

Clean Technology

Fund 감축 4936.00 4073.00 2340.47

Forest Carbon

Partnership FacilityREDD 458.70 458.70 41.65

Strateg

ic

Climate

Fund

Scaling-U

p

Renewable

Energy

Program

for Low

Income

Countries

감축 480.00 450.00 58.05

Pilot

Program

for Climate

Resilience

적응 1155.00 919.00 363.79

Forest

Investment

Program

REDD 611.00 490.00 69.84

지구환경기

GEF Trust Fund (GEF

Pilot, GEF Phase 1, 2,

3, 4, 5)*

감축, 적응 3187.96 3187.96 3187.96

Least Developed

Countries Fund 적응 604.74 585.51 441.71

Special Climate

Change Fund 적응 258.58 239.97 170.30

적응기금이

사회 Adaptation Fund 적응 166.65 134.57 184.29

유엔개발계

UN-REDD

ProgrammeREDD 173.34 166.03 157.92

MDG Achievement

Fund –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thematic window

감축, 적응 89.50 89.50 89.52

아프리카

개발은행

Congo Basin Forest

Fund REDD 186.02 143.63 75.48

Global Climate

Change Alliance

감축,

적응,

REDD

385.36 385.36 324.20

<표 3-6>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설립된 기금 현황

Page 6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5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운영 주체 기금명 (21)기후변화

범위

규모 (백만 달러)

PledgedDeposit-

ed

Approv-

ed

(계

속)

유럽위원회

Global 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

Fund

감축 169.50 65.66 76.57

브라질개발

은행Amazon Fund REDD 1031.87 128.91 226.48

인니

경제기획부

Indonesia Climate

Change Trust Fund

감축,

적응,

REDD+

21.01 11.21 9.51

독일

Germany's

International Climate

Initiative

감축,

적응,

REDD

1081.84 1081.84 904.23

영국UK's International

Climate Fund

감축,

적응,

REDD

4640.00 1318.20 721.18

호주

Australia's

International Forest

Carbon Initiative

감축,

REDD189.57 67.06 125.54

일본Japan's Fast Start

Finance

감축,

적응,

REDD

15000.00 12500.00 10826.00

노르웨이

Norway's

International Climate

and Forest

REDD 1607.82 1607.82 304.68

총 규모 36,434.5 28,103.9 20.699.4

주: GEF Trust Fund 규모는 1991-2013년까지의 기후변화 감축, 적응을 위한 프로젝트에 지원된

금액의 합계치임.

자료 : Climate Funds Update 홈페이지, <http://climatefundsupdate.org> 및 Global

Environment Facility 홈페이지 <http://www.thegef.org/gef/>.

<표 3-6>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설립된 기금 현황 (계속)

라. 시사점

현 국제사회의 기후재원 현황 조사 결과 민간재원이 74%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진국에서 총 재원 89%가 민간으로 조달되는 반면, 개도국 기후

변화 사업에 대해서는 절반이 정부예산 및 국제기구를 통해 조달되고 있다. 즉 개도

Page 6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51

국의 기후변화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민간재원의 확보와 투자가 유도되어야 한다.

기후변화 분야 측면에서는 기후변화 감축사업이 총 재원의 96%로 적응사업에 비해

크게 앞선다. GCF는 기후변화 감축 및 적응사업을 균형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므로

적응사업을 위한 재원의 확대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

(단위 :�1억 달러 )

• 민간재원이약 2,503�? 2,855억달러의규모로총재원의74%를

차지하며프로젝트개발자,�기업의투자가절반이상을차지하고있음

• 공공재원의총재원의 26%를차지하며대부분이개발은행을통해

지원됨

민간2,503-2,855(74%)

프로젝트개발자 (34%),�기업(21%),�상업금융기관(10%),가계(9%)�벤처캐피탈/�사모펀드/인프라펀드(1%)�기관 투자가 (<1%)

공공927-993 (26%)

개발은행(20%),기금(1%),�정부 예산 (5%)

• 선진국에서는총재원의 89%가민간으로부터조달

• 개도국기후변화사업의경우절반가량이공공재원으로부터조달

• 감축부문에대한지원이 96%로압도적비중차지

• 공공재원기준으로감축부문은재생에너지사업이56%,�에너지효율

사업이18%로가장높고,�적응분야에서는농업,�산림및수자원

분야가재원의절반차지

선진국1,930� (53%)

민간(89%),�공공(11%)

개도국1,720 (47%)

공공(43%),�민간(57%)

감축3,500 (96%)

민간(100%),공공(0%)

적응123 ?158�(4%)

민간(0%),공공(100%)

<그림 3-6> 국제 기후재원의 현황 요약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설립된 다자·양자기금의 총 지원 규모는 364억

달러에 도달하였다. 다자기금 중에는 AF, CIFs, GEF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양자기금은 독일, 영국과 일본이 선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국제 기후기금의 지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 분야에 따라 지원 지역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후변화 감축사업은 산업 활동이 높은 국가를

중심으로 하여 아시아태평양 및 중남미 카리브해 지역에 대한 지원이 가장 높은

반면, 기후변화 적응사업은 절반이 아프리카 지역에 지원되고 있다. 그 외 REDD+

사업은 중남미 지역에 가장 높게 지원되고 있다.

기후재원 연구기관인 Climate Finance Initiative에 의하면 아직까지 기후재원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과 방법론이 부재하기 때문에 기후재원의 전체 흐름을 명확하게

Page 6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5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측정할 수 없다고 한다. 명확한 기후재원의 기준과 방법론 없이는 재원 활용의 투명

성 및 효율성에 대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기후재원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후재원의 흐름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준과 방법론이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15)

마. 분야별 재원조성 동향

2010년 229억 달러의 기후변화 대응 자금 중 약 1/3(93억 달러)은 적응분야, 약

2/3(176억 달러)는 감축분야에 배정되었다. 각 분야별 재원을 주요목적, 부수목적

등으로 구분하여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다음 그림과 같다.

자료: OECD 웹사이트.

<그림 3-7> 분야별 재원조성 비율

또한 감축분야만을 연도별 감축분야 통계를 보면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을

15) Climate Finance Initiative(CPI),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limate Finance: Key Lessons",

(2011).

Page 7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53

알 수 있다.

자료: OECD 웹사이트.

<그림 3-8> 감축분야 연도별 통계

바. 민간부문

기후변화 관련 민간재원의 규모는 지금까지 공식적으로 집계된 바 없으나, UNFCC

전문가회의에서 2,500억~2,850억 달러로 추정한 예가 있으며16) 여기에는 개도국 자체

투자도 포함된 것으로 사료된다.17)

16) 2013.7 unfccc 장기금융 전문가회의, ADB's climate change financing program, Michael Rattinger, regional and sustainable development dept., ADB, p.5.

17) Dr. Mattia Romani, Mobilizing resources for climate finance, p.17, UNFCCC 장기금융 전문가회의

2013.6.

Page 7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5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표 3-7> 국제 기후재원 규모

단위: 10억 USD

재원/중개자 감축 적응 총합

민간 250.3-285.5 - 250.3-285.5

공공

다자금융

기구80.4-83.7 12.3-15.7 92.7-99.4

기후기금 18.3 2.9 21.2

기타 1.1 0.4 1.5

공공재원 합계 61-64.3 8.9-12.3 69.9-76.6

총합 330.7-369.3 12.3-15.7 343-385

자료: ADB, 2013.7

한편 기후재원 연구에 있어 유수한 기관인 Climate Policy Initiative(CPI)에서는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 이행된 기후재원을 연간 970억 달러, 민간기후재원을 연간

약 550억 달러로 추정하고 있다.18)

CPI는 이러한 민간 기후재원이 주로 지분투자 및 loan 투자 등 투자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러한 민간투자로 인하여 공공부문에서 200억 달러의 자금 지원을

추가 유발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19)

2. 주체별 재원조성 방법

국제금융기구는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및 국제부흥

개발은행(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 Development, IBRD)이 대표적

인 기관이다. 그 외에 지역 개발은행인 유럽부흥개발은행(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EBRD), 아시아개발은행(Asian Development

Bank, ADB), 아프리카 개발은행(African Development Bank, AfDB) 미주개발은행

18) Buchner, B., Falconer, A., Hervé-Mignucci, M., Trabacchi, C., Brinkman, M., Climate Policy Initiative, "The Landscape of Climate Finance", 2011.10. p. 4.

19) Buchner, B., Falconer, A., Hervé-Mignucci, M., Trabacchi, C., Brinkman, M., Climate Policy Initiative, "The Landscape of Climate Finance", 2011.10. p. 4.

Page 7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55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IDB) 등이 있다. 이 중 IBRD는 국제개발협회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IDA)와 국제투자회사(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IFC)와 함께 세계은행(World Bank) 그룹이라고도 불린다.

가. 국제금융기구

1) IMF(국제통화기금)

가) IMF의 개요20)

IMF는 1944년 7월 미국의 브레튼 우즈에서 개최되었던 UN 국제통화금융회의에

서 조인된 국제통과기금협정이 1945년 12월 27일에 발효됨에 따라 설립되었다. IMF

의 설립 목적은 국제통화, 환율제도의 확립과 국제유동성의 공급 및 국제수지불균

형의 시정, 국제무역, 고용 및 소득의 증대, 기금의 할당을 도모하는 것으로서, IMF

는 국제통화, 환율제도의 확립을 위해 외환질서의 유지, 다각적 지급제도의 수립,

단기적 외화자금의 공여와 같은 국제통화문제를 해결하고 외환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외환안정을 촉진시키고 가맹국 내의 질서 있는 외환협약을 견지하고 있다.

또한, 국제외환금융을 촉진하기 위해 경상거래에 관한 다각적 지급제도를 수립하고

외환의 자유화를 촉진하는 것을 주 업무로 하고 있다.

IMF의 주요 관심사는 국제통화환율제도의 확립을 위하여 가맹국에 국제유동성

을 공급하고, 가맹국의 국제수지가 불균형할 때 자금을 공급하여 단시간 내에 불균

형을 해소하는 것이다. 또한 가맹국이 국제수지불균형의 시정을 위하여 환율 및

외환에 관한 조치를 통하여 타국에 악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재정금융정책을 통하여

국내의 초과수요와 수입을 억제하고 수출 증대 도모를 권장하고 있다.21)

나) IMF의 재원조성 방법22)

IMF 재원조성은 회원국의 Quota 출자 및 증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20)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RTICLES OF AGREEMENT,” 1944.7, pp.2-5.

21) 국제금융연구원, “IMF 설립과 개혁, 목적”.

22) International Monetary Fund,“FACTSHEET IMF Quotas,” 2013.3, pp.1-3.

Page 7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5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A. 쿼타(Quota)의 정의 및 결정방법

쿼타는 일종의 출자금으로서 회원국이 IMF에 제공할 의무가 있는 재원의

최대 금액을 의미하며, 한 국가가 IMF에 가입할 때는 경제 규모와 특성이

대체적으로 비슷한 기존 회원국 쿼타와 같은 범위의 초기 쿼타가 배정된다.

회원국별 쿼타 산정에 있어서는 회원국의 국내총생산(GDP), 개방정도

(openness), 변동성(variability) 및 외환보유액(reserve)을 고려하게 되어 있

음. 이러한 쿼타산정 방식은 2008년 도입되었으며, 이러한 쿼타 산정의 중요

성은 IMF 쿼타가 회원국 국제수지 불균형 조정을 위한 신용공여, 투표권

산출, IMF신용 이용한도 및 차입조건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정확히 말하면 회원국 쿼타비중 = (0.5Y + 0.3P + 0.15V + 0.05R)0.95 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Y : 3년간 평균, GDP, P : 5년간 평균 경상지급과 수입,

V : 13년간 경상수입과 순자본흐름의 평균, R : 최근 12개월 외환보유액을

의미하고, 또 GDP 는 시장 환율(60%의 비중)과 PPP 환율(40%)에 기준한

혼합 GDP로 측정된다. 한편 이 공식에는 계산된 쿼타 지분이 회원국들에

대해 분산되는 것을 줄이는 ‘조정계수(a compression factor, 0.95제곱)’가 포

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현재 IMF 쿼타비율은 미국 17%, 일본 6.1% 등으로

되어 있다.

Page 7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57

자료 : Gionannini, Valiante(2012) from IMF.

<그림 3-9> 2010년도 IMF 회원국 쿼타 비율

Page 7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5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표 3-8> 2013년도 IMF 주요 출자국의 쿼타와 쿼타 비율

Mermber Millions of SDRs Percent of Total

United States 42,122.4 17.7

Japan 15,628.5 6.6

Germany 14,565.5 6.1

France 10,738.5 4.5

United Kingdom 10,738.5 4.5

China 9,525.9 4.0

Italy 7,882.3 3.3

Saudi Arabia 6,985.5 2.9

Canada 6,369.2 2.7

Russia 5,945.4 2.5

India 5,821.5 2.4

Netherlands 5,162.4 2.2

Belgium 4,605.2 1.9

Brazil 4,250.5 1.8

Spain 4,023,4 1.7

Mexico 3,625.7 1.5

Switzerland 3,458.5 1.5

Korea, Republic of 3.366.4 1.4

Australia 3.236.4 1.4

자료 :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Members’ Quotas and Voting Power, and IMF

Board of Governonrs,” Septermber 08, 2013.

B. 쿼타의 납입방법

당초 회원국은 쿼타의 25%를 금, 나머지 75%를 자국 통화로 IMF에 납입하게

되어 있었으나 1978년 4월, 금은 SDR(특별인출권, IMF의 회계 단위)로 납입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으며, 이에 따라서 현재 회원국은 쿼타의 25%는 금이나

SDR, 나머지 75%는 자국 통화로 IMF에 납입할 수 있으며, 이 중 SDR은 IMF가

인정할 경우 다른 가맹국 통화, 또는 자국 통화로 납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 쿼타의 증액

IMF 쿼타의 증액은 IMF 총회의 정기적 심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IMF는 보통

5년 간격으로 일반 쿼타 심사를 실시한다. 쿼타 변경은 회원국 총 투표권의 85%

Page 7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59

이상의 승인을 받아야 하고, 해당 회원국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IMF의 쿼타

심사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두 가지 문제를 검토한다.

첫째, 회원국이 국제수지 조정을 위해 필요한 금융을 자체적으로 조달할 수 있는

능력을 고려하여 쿼타의 적정성을 평가한다. 둘째, 회원국의 세계 경제에서의

상대적 지위의 변동을 반영하여 회원국의 쿼타를 증액시킨다. 쿼타 총액은 그동

안 세계무역량 증가에 따른 IMF자금수요 증대를 반영하여, 창설 당시 49억 SDR

에서 14차 쿼타 심사가 이루어진 2010년 12월 말에는 4,768억 SDR이 된다.

특히 제14차 쿼타 심사에서는 100%의 증액이 이루어졌는데, 중국 등 신흥개도국

의 쿼타 비중을 국제적 지위의 정확한 반영 내지 형평성의 제고라는 차원에서

조정하여 상향 조정한 점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IMF 14차 쿼타 심사의 특징23)은 다음과 같다. 쿼터가 약 2.384억 SDR로부터

약 4,768억 SDR(현행 환율을 적용할 때 미화 약 7,557억 달러)로 두 배 증가하였다.

6%가 넘는 쿼터 지분이 과대대표 회원국으로부터 과소대표 회원국으로 이전되

고, 6%가 넘는 쿼터 지분이 급성장하는 신흥시장국과 개발도상국(EMDCs)으로

이전된다. 쿼터 지분이 상당히 재조정되는데 중국은 IMF에서 세 번째로 가장

큰 회원국이 될 것이고, 이 기금의 10대 지분국 중에 네 개 EMDCs(브라질, 중국,

인도, 러시아)가 포함될 것이다.

최빈국 회원국의 쿼터와 투표 지분이 보호된다. 이 그룹의 회원국들은 저소득국

가 빈곤 감소 및 성장 신탁기금(PRGT)으로부터 차입할 자격이 있고, 1인당 국민

소득이 2008년에 미화 1,135달러(국제개발협회가 정한 한계 소득) 미만이거나,

또는 소국에 대해서는 그 금액의 두 배인 회원국으로 정의된다.

2) IBRD(국제부흥개발은행)

가) IBRD의 개요

23) International Monetary Fund,“FACTSHEET IMF Quotas,”2013.3, p.3.

Page 7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6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IBRD는 1944년 7월 브레튼 우즈의 UN 통화금융회의에서 IMF 설립협정문과

함께 채택된 IBRD 설립협정문을 근거로 1946년 6월 25일 워싱턴에 본부를 두고

업무를 개시하였다.24)

IBRD의 설립 목적은 생산적인 투자에 의한 경제개발을 지원하고, 민간투자를

보증하거나, 국제적인 투자를 장려하여 국제수지의 균형을 유지하고 생산력, 생활

수준 및 노동조건을 향상시키고, 유용도 면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투자계획에 우선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경기에 대한 투자영향을 고려하여 전시경제에서 평화 경제

로의 이행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설립 당시에는 2차 세계대전 이후, 가맹국의 전쟁피

해 복구와 개발을 위해 활동했으나, 현재는 개발도상국의 공업화와 시장경제로 이

행 중인 나라를 대상으로 한 개발융자가 중심이 되고 있다. 즉, 자본 풍요국으로부터

자본 필요국으로 자본 이동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이를

위해 장기적인 개발자금의 지원, 개도국 개발정책의 수립 및 집행에 요구되는 기술

지원 등 고유 업무 외, 재원 및 기술 지원에 관한 조정역할, 융자대상사업의 연구평

가, 아울러 개도국 개발담당인사에 대한 연수 실시 등 고유 업무 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25)

IBRD의 주요 관심사는 개도국 전력과 교통시설의 보급에 원조액을 제공하는

등 기간시설사업을 실시하는 데 있으며, 최근 들어 최빈개도국 빈민 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투자를 강조하고 보건, 가족계획, 교육 등으로 그 역할을 확대하

고 있는 상황이다.

나) IBRD의 재원 조성방법26)

IBRD의 재원조성은 회원국의 출자 및 대외차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A. 출자금

IBRD 회원국은 출자금의 일부만을 납입하고 나머지는 IBRD가 추후 회원국

24) “IBRD,” http://en.wikipedia.org

25) “IBRD,” http://en.wikipedia.org

26)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Articles of Agreement, ARTICLEⅡ: Membership in and Capital of the Bank,” June 27, 2012, pp.3-5.

Page 7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61

에 납입을 요청할 경우 회원국이 납입하게 되는데, 전자를 납입자본(paid-in

capital), 후자를 최고자본(催告資本 : callable capital)이라고 한다. 최고자본

은 IBRD의 재원으로 직접 사용되지는 않지만 IBRD가 국제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차입할 때 IBRD의 변제능력이 있음을 보증해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2013년 6월 말 현재 IBRD의 출자금은 2,232억 달러이다. 이 중 납입자본금은

134억 달러에 불과하고 나머지 2,097억 달러는 최고자본이며 아직까지 최고

자본이 최고된 적은 없다.

<표 3-9> 2013년도 IBRD 출자금

단위 : 백만 달러

6월 30일로서 지불된 각국 통화 중

미화로 환전한 금액$4,482

미화로 환전되지 않은 금액 $7,609

합계 $12,091

미화로 지급된 금액 $1,343

납입자본금 $13,434

자발적 납입 $209,747

총 납입금액 $223,181

자료: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IBRD MANAGEMENT’S

DISCUSSION AND ANALYSIS: JUNE 30,2013,” p.25.

B. 출자 비율의 결정

IBRD의 출자지분의 산정에 있어서 종래 IMF출자 비중을 따랐으나, 2008년 수정

출자 지분 산정 방식을 도입하여 회원국의 경제적 비중(Economic Weight), 재정

적 기여도(Financial Contribution), 개발 기여도(Development Contribution)를

고려하고 있다. 공식은, 회원국 출자 비율 = 0.75 EW + 0.2 FC + 0.05 DC 이다.

여기서 EW는 3년간 GDP(시장환율 GDP 60% + PPP-GDP 40%), FC는 IDA에

대한 재정적 기여도, DC는 개도국의 IDA 참여 실적을 의미한다.

C. 출자금의 납입방법

출자금 납입자본 중 2%는 금이나 미국 달러화로, 18%는 자국통화로, 80%는

Page 7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6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IBRD의 요구에 맞추어 금, 미국 달러화 그리고 자국통화 중 선택하여 납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최고자본 납입의 경우에는 IBRD의 요구에 따라 미국

달러화, 금 그리고 자국통화 중 선택 납입할 수 있는 길을 열어두고 있다.

D. 출자금의 증액

IBRD는 재원 증대를 위하여 5년마다 증자 여부를 검토한다. 이는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 세계은행 개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세계은행 총회 승인을

얻어야 하며, 증자 결정은 총회 총 투표권 중 3/4 이상의 찬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증자는 개발 수요에 따른 재원 확대를 위해 회원국 전체에 대해 출자비율에

따라 주식을 배정하는 일반증자와 회원국의 상대적 경제력 변동으로 인한

IBRD 내 지위향상과 세계은행에 대한 기여도(IBRD, IDA에 대한 재원공여

실적)에 따라 특정회원국에 대해서만 주식을 추가로 배분하는 특별증자

(Special Capital Increase)로 구분되는바, 2012년 총회에서는 5년 후 출자금을

2,761억 달러로 증액할 것을 승인한 바 있고, 현재 주요국 출자비율은 미국

16.5%, 일본 9.7%, 독일 4.8% 등으로 되어있다.

<표 3-10> 2012년도 IBRD 주요 회원국의 출자금과 출자 비율

최대 주주(2012년 6월 30일 기준)

미국 13.51%

일본 9.72%

독일 4.84%

프랑스 4.33%

영국 4.33%

유동자금 (2012년 6월 30일 기준, 10억USD) 5년후 자본증가액 (10억 USD)

납입자본금 $12.4 납입자본금 $16.6

대기자본금 $193.0 대기자본금 $259.6

총 납입자본 $205.4 총 납입자본 $276.1

Page 8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63

E. 차입금

IBRD의 대출재원은 국제금융시장, 회원국의 정부나 중앙은행을 통해 조달되는

차입금이 그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2013 회계연도 말 현재 1,415억 달러를

차입하였다.

IBRD의 차입은 채권발생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1970년대까지는 주로 5∼7년 간

고정금리부 중·장기 채권발행에 의존해왔으나, 1982년 7월 1일부터 변동금리부

단기차입 방식을 추가 도입하여 시행 중에 있고, IBRD는 또한 차입 시 비용 최소화

와 환위험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통화, 상환기간, 지급체계 등을 상이하게 하여

차입하며 아울러 이자율 스왑, 통화 스왑, 파생상품 기법 등을 활용하고 있다.

한편, 증자 및 차입 확대만으로는 세계은행이 동원할 수 있는 자금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세계은행은 자체 재원에 다른 재원을 결합하여 대출하는 협조융자

(Co-financing) 제도를 활용하여 왔으며, 협조융자를 통하여 각종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차입이 아닌 외부 추가재원을 동원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표 3-11> 2013년도 IBRD 대차대조표

단위 : 백만 달러

(2013년 6월 30일 기준)

은행 투자/부채 $41,637

순 미지불 부채(net loans outstanding) $141,692

파생상품 미수금 $137,385

기타 자산(asset) $3,653

자산총계 $324,367

대출(borrowings) $141,500

파생상품 채무 $129,809

기타 부채 $13,535

자본 $39,523

부채/자본 총계 $324,367

자료 :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IBRD MANAGEMENT’S

DISCUSSION AND ANALYSIS: JUNE 30,2013,” p.4.

Page 8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6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3) EBRD(유럽부흥개발은행)

가) EBRD의 개요27)

EBRD의 설립 목적은 동유럽과 소련의 붕괴에 따른 민간경제부문의 시장경제로

의 체제 전환을 지원하고 민간의 기업가적 창의성을 증진하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해 EBRD는 민간 및 기타 관련 투자가들을 통하여 생산적이고 경쟁

적인 민간 부문 활동, 특히 중소기업의 설립, 개선 및 확장을 지원하고 용역과 금융부

문, 민간의 기업가적 창의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필요한 관련 기관 산업에 투자하는

것을 포함하여 생산적 투자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경쟁적 환경의 조성과 생산성을

증가하고 생활수준 향상 및 근로조건 개선을 지원한다. 또한, 자본시장의 개발을

촉진하고, 2개국 이상의 수혜 회원국이 관련된 건전하고 경제적으로 바람직한 사업

을 지원하고, 모든 범위의 은행활동에 있어서 환경파괴를 초래하지 않는 지속적

개발을 촉진하는 것을 그 주요 기능으로 삼고 있다.

나) EBRD의 재원 조성방법28)

EBRD의 재원은 두 가지 즉, 일반자원재원(ordinary capital resources)과 특별기

금재원(special fund resource)으로 구성된다. 일반자본재원은 출자자본금, 차입금,

대출상환금, 기타 일반재원운용 수익금 등이며, 특별기금재원은 특별출연금, 특별기

금대출상환금, 기금운용관련 수익금 등이다.

A. 출자자본금

EBRD의 수권자본금은 200억 유로이며, 이 중 납입자본은 62억 유로, 최고

자본은 140억 유로이다(30% 납입자본, 70% 최고자본).

27)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유럽부흥개발은행 설립협정,” 1991.03.28.

28) 기획재정부, “EBRD의 일반재원,” 2006.12.26

Page 8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65

<표 3-12> 2012년도 EBRD 출자금

(백만 유로) 2012

손상차손 이전 실현이익(Realized profit for the year before

impairment)1006

순이익(net income) 전환 이전 순익(손실) (Net(loss)/profit

for the year before transfers of net income approved by

the Board of Governors)

1020

이사회 승인된 순이익 전환금(Transfers of net income

approved by the Board of Governors)-190

이사회 승인 이후 순이익 전화 후 순익(손실) (Net(loss)/profit

for the year after transfers of net income approved by

the Board of Governors)

830

납입자본금(Paid-in capital) 6202

예비금과 사내유보(Reserves and retained earnings) 7808

자본금 총계(Total members' equity) 14010

자료 :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Annual Report 2012.

Page 8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6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표 3-13> 2012년도 EBRD 주요 회원국의 출자금과 출자 비율

Member Commitments(€) Capital share(%)

Sweden 7,549,572 2.28

Austria 3,640,491 2.28

Czech Republic 2,488,111 0.85

Luxembourg 2,042,760 0.2

Finland 1,644,430 1.25

Taipei China 1,364,320 -

Germany 1,300,000 8.52

Spain 1,233,128 3.4

Slovak Republic 875,725 -

Japan 865,300 8.52

United States 805,000 10

Norway 749,848 1.25

Italy 592,000 8.52

Portugal 312,000 0.42

Netherlands 185,383 2.48

Denmark 65,450 1.2

Belgium 64,200 2.28

France 64,000 8.52

자료 :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DONOR REPORT 2013,” 16 April

2013, p.8.

EBRD는 최초출자 시 30%, 제1차 일반증자 시에는 22.5%를 납입자본금으로 납입

하도록 하였으며 납입통화를 유로화나, 미 달러화 또는 일본 엔화로 한정하고

이 중 50%(제1차 일반증자 시 60%)는 무이자 비양도성 증권으로 납입할 수 있도

록 하였다. 또한 회원국의 출자금 납입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납입자본금을 최

초출자금은 5년, 제1차 일반증자금은 8년에 걸쳐 분할 납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B. 출자금의 증액

EBRD는 필요한 경우 일반증자 또는 특별증자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일반증

자는 재원조달 확대를 주목적으로 하며 5년마다 회원국 총회에서 일반증자

의 필요성 여부를 검토한다.

일반증자의 경우 모든 회원국은 출자비중에 따라 증자에 참여할 권리를

Page 8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67

가지나 의무를 지지는 않는다. 그간 일반증자가 1997년 한 차례 실시되었으

며 수권자본금을 100억 Euro에서 200억 Euro로 증액하였다.

특별증자는 신규 회원국의 가입 또는 상대적 경제력과 기여도 등이 크게

변화한 특정 회원국의 요청에 따라 실시되는데 EU권의 출자비중을 총출자

금의 50% 이하로 하락시키는 증자는 허용되지 않는다.

C. 채권발행 및 차입

EBRD는 우수한 신용등급(AAA)을 바탕으로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채권발행 및

차입을 통해 업무수행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고 있다. EBRD의 채권발행 및 차입

은 장기자금 공급을 목적으로 자산과 부채의 만기구조 일치에 의한 리파이낸싱

위험의 최소화, 최적의 비용 효율성, 이 두 가지 원칙에 입각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EBRD는 채권의 만기/액면가격/종류 및 발행통화 등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있으며

발행조건도 발행시기, 인수대상자 등에 따라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채권발행한도

는 1992년 중기채권프로그램(Global Medium Term Note Programme)을 도입하

면서 200억 Euro로 제한하였다.

D. 특별재원

EBRD는 그 목적 및 기능 수행상의 필요에 의해 특별기금(Special Funds)을 설치할

수 있는데,현재 특정지역 또는 특정용도에의 지원을 목적으로 한 아홉 개의 투자특별기

금과 세 개의 기술협력특별기금 등 총 열두 개의 기금이 설치되어 있다.

4) ADB(아시아개발은행)

가) ADB의 개요29)

ADB의 설립 목적은 아세아 및 극동지역의 저개발 또는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

및 경제협력을 증진하며 지역 내 개발도상회원국의 경제 발전 과정을 촉진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29) Asian Development Bank,“아세아 개발은행 설립협정,” 1966.08.22

Page 8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6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ADB는 개발목적을 위한 공공 및 민간자본의 지역 내 투자를 촉진하고 지역전역

에 걸친 균형 있는 경제개발에 가장 효율적으로 기여하는 지역적, 준지역적, 국가적

계획사업 및 계획에 우선순위를 매기고 또한 지역 내의 소규모회원국 또는 개발도

상회원국의 개발소요에 특별한 고려를 기하면서 은행이 이용할 수 있는 재원을

분배한다.

또한, 지역 내 회원국의 경제적 보완관계를 더욱 강화시키면서 지역 내 회원국이

재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그들의 개발정책 및 개발계획을 조정한다. 그

리고 특정계획사업에 대한 대부 신청의 작성을 포함하는 개발계획사업 및 개발계획

의 준비, 자금조달 및 수행을 위한 기술 원조를 제공한다.

나) ADB의 재원 조달

A. 출자금

ADB는 수권자본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며 설립 당시 수권자본금은 11억 SDR(10

억 달러) 중 5억 달러는 납입자본금이고 나머지 5억 달러는 최고자본금이었다.30)

2012년 현재 납입자본금 82억 달러, 최고자본금 1,550억 달러 등 자본금 합계는

1,642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단위: 백만 달러

자료: Asian Development Bank, “ADB Financial Profile 2013,” April 2013, p.8.

<그림 3-10> 2012년도 ADB financial profile

30) Asian Development Bank, “아세아 개발은행 설립협정,” 1966.08.22. 제4조 수권자본.

Page 8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69

회원국이 현재 아시아 역내국이 대부분인 차입국과 주로 역외국가인 비차입

국으로 나뉘어 있으며, 미국과 일본이 각각 15.6%, 중국이 6.4%, 한국 5.0%

등으로 지분율을 가지고 있다.

자료: ADB annul report 2012

<그림 3-11> 2012년도 ADB 주요 회원국의 출자 비율

회원국은 출자금을 매회 20%씩 5회에 걸쳐 분할 불입하며, 50%는 금 또는

달러화로 불입하고 50%는 회원국 통화로 불입한다.31)

B. 출자금의 증액

총회는 5년마다 은행의 수권자본을 검토하여 증액여부를 결정한다.32)

C. 차입금33)

31) Asian Development Bank, “아세아 개발은행 설립협정,” 1966.08.22. 제6조 응모액의 불입.

32) Asian Development Bank, “아세아 개발은행 설립협정,” 1966.08.22, 제4조 수권자본.

Page 8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7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차입금은 주로 채권(아시아개발은행채)의 발행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2012

말 현재 643억 달러에 이른다.

단위: 백만 달러

자료: Asian Development Bank, “ADB Financial Profile 2013,” April 2013, p.18.

<그림 3-12> 2012년도 ADB 차입금

D. 특별기금

특별기금으로 다목적 특별기금, 기술원조 특별기금 및 1974년 6월에 발족한 아시아

개발기금(Asian Development Fund, ADF)의 세 가지 특별기금이 있는데 회원국의

별도 각출금과 각국의 납입자본 중 10%를 조달받아 그 재원으로 충당하고 있다.

5) AfDB(아프리카개발은행)

33) Asian Development Bank, “ADB Financial Profile 2013,” April 2013, p.6.

Page 8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71

가) AfDB의 개요34)

AfDB의 설립 목적은 역내 저개발 또는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는 것이

며, 그 설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역내 가맹국의 경제사회개발에 관련된 투자 프로

젝트와 프로그램에 대한 융자를 위하여 가용재원을 사용하며 특히, 성격 혹은 범위

상 수개 가맹국이 관련되는 프로젝트나 프로그램, 가맹국 경제 간의 보완성을 제고

하고 가맹국 간 국제무역의 질서 있는 확대를 가져오도록 계획된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 또는 동 개발에 기여하는 프로젝트, 기업 및 사업의 선정, 조사 및 준비를

수행하거나 참여하고 있다. 또한, AfDB는 동 투자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아프리카 내외에서 재원을 동원하고 증대하며, 역내 가맹국의

경제개발 또는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아프리카 지역

내의 공공 및 민간투자를 촉진하고 기술 원조를 제공한다.

나) AfDB의 재원조성 방법

A. 출자금35)

각 회원국의 주식 출자는 동 수의 납입주식과 최고 주식으로 구성되며, 수권자

본은 2.5억 UA(Unit of Account)로서 UA의 가치는 순금 0.88867088g으로

되어 있다. 수권자본 중에서 납입주식과 최고 주식은 각각 1.25억 UA이다.

당초 출자금액의 납입은 6회 분할 납입되는바, 제1차분은 동 금액의 5%, 제2

차분은 35%, 잔여 4차분은 각각 15%가 되며, 납입자본에 대한 출자금 납입은

교환성 통화로 행하여야 한다. 다만, 최고자본에 대한 출자금액 납입은 당해

회원국의 선택에 따라 교환성 통화 또는 기타 통화로 할 수 있다. 그동안

수차 증자를 시행하여 당초 2.5억 UA의 출자금이 현재는 652억 UA로 증가하

였다.

34) African Development Bank, “아프리카 개발은행 설립협정,” 1983.02.19.

35) African Development Bank, “아프리카 개발은행 설립협정,” 1983.02.19, 제2장 자본.

Page 8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7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표 3-14> AfDB 출자 현황

단위 : 백만 UA

2012 2011 2010

승인된 금액

(authorized capital)66,975 66,055 67,687

납입자본금 4,963 3,289 2,376

대기자본금 60,252 34,033 21,549

총 납입자본금

(subscribed capital)65,252 37,322 23,925

자료: African Development Bank, “ANNUAL REPORT 2012,” May 27-31, 2013, p.60

<표 3-15> 2012년도 AfDB 주요 출자국의 출자금 및 출자 비율

MemberTotal Shares

(UA thousands)% of Total Shares

Nigeria 588,948 9.335

United States of America 418,250 6.629

Japan 348,471 5,523

Egypt 340,853 5.403

South Africa 305,208 4.838

Algeria 266,666 4.227

Germany 260,238 4.125

Libya 255,883 4.056

Canada 241,520 3.828

France 238,291 3.777

Côte d’lvoire 234,299 3.714

Morocco 221,444 3.510

자료: African Development Bank, “ANNUAL REPORT 2012,” May 27-31, 2013,

pp.128-129.

B. 차입

2012년 현재 122억 UA의 차입잔액이 있다.

6) IDB(미주개발은행)

가) IDB의 설립 목적과 주요 활동36)

Page 9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73

1959년 설립된 IDB의 설립 목적은 역내 개발도상회원국의 경제 및 사회개발과정

의 가속화에 기여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공공 및 민간자본의 투자를 촉진하고

회원국의 경제성장에 가장 효과적으로 기여할 대출 및 보증에 우선순위를 두면서

회원국에 개발자금을 융통하기 위하여 자체 자본, 은행이 금융시장에서 조달한 자

금 및 그 밖의 가용자원을 사용한다.

그리고 회원국의 경제적 상호보완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대외무역의 균형적 성장

을 촉진하려는 목적에 부합하는 방법으로 개발정책이 그 자원의 보다 효율적인

사용을 지향하도록 회원국과 협조하며, 우선순위의 연구 및 특정 사업 제안의 작성

을 포함하여 개발계획과 사업의 준비·금융 및 수행을 위한 기술지원을 제공한다.

나) IDB의 재원조성 방법

IDB의 재원은 통상자본재원과 특별사업기금으로 나뉘고, 통상자본재원은 납입

및 최고자본금을 포함한 수권통상자본과 차입에 의해 조성한 자금, 대출의 상환으

로 수령한 자금, 전술한 자금에 의한 대출 또는 보증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득 등을

포함한다.

A. 출자금37)

IDB의 최초 자본금은 1959년 미화 8.5억 달러로 하였으며, 납입자본 4억

달러, 최고자본 4.5억 달러로 구성된다. 각 회원국은 납입자본에 출자하는

금액을 3회 분할로 납입하되, 제1차분은 20%, 제2차분 및 제3차분은 각각

40%씩 납입하며, 분납금의 50%는 금 또는 달러화로, 50%는 회원국 통화

로 납입한다.

36)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d, “미주개발은행 설립 협정,” 1959.12.30.

37)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d, “미주개발은행 설립 협정,” 1959.12.30.

Page 9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7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단위 : 백만 달러

자료: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d,“2012 Annual Report,” p.28.

<그림 3-13> 2012년도 IDB 회원국의 출자금

Page 9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75

B. 출자금의 증액38)39)

통상자본 증자의 경우, 각 회원국은 은행이 정하는 조건에 따라 당해 회원국이

출자한 자본이 은행 총자본에서 차지하는 비율과 동일한 비율의 증자분에

출자할 권리를 가진다. 그러나 회원국은 이러한 증자의 어느 부분에 대하여도

출자할 의무를 지지 않는다.

1959년 최초 출자금은 4억 달러의 납입자본을 포함, 자본금 규모가 8.5억 달러

였으나 그 후 9차의 증자를 통해 2010년에는 170억불의 납입자본을 포함하여

자본금 규모가 700억불이다.

자료: IDB 홈페이지

<그림 3-14> IDB 통상자본재원 증자 연혁

38)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d, “미주개발은행 설립 협정,” 1959.12.30, 제2절 수권통상자본

39)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d, “미주개발은행 설립 협정,” 1959.12.30, 제3절 출자

Page 9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7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C. 특별사업기금40)

IDB는 특정 국가에서 발생하거나 특정 사업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특수상

황에 대처하기에 적절한 조건으로 대출을 제공하기 위하여 특별사업기금

을 설립한다. 특별사업기금의 재원은 미주기구 회원국과 캐나다, 바하마,

가이아나의 출연금, 그리고 이 기금으로 차입에 의하여 조성한 자금 등으로

구성되나, 회원국들이 출연하는 1.5억 달러를 최초 재원으로 하여 설립된다.

동 출연금 납입방법은 첫째, 납입일정은 50%는 최초, 그리고 잔여 50%는

은행의 업무 개시 후 1년 경과 후 3년 이내 3회에 나누어 납입하며, 둘째,

납입통화는 50%는 금 또는 미화로, 50%는 회원국의 통화로 납입한다.

7) IDA(국제개발협회)

가) IDA의 설립 목적과 주요 활동

IDA(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는 IBRD의 3대 산하기구 중 하나이

자 IBRD의 자매기구로서 저소득 국가에 대한 경제개발과 생산성 향상을 돕기 위해

1960년 9월에 설립되었으며, 특히 양허적인 조건으로 저소득 국가에 융자해주는

것이 특징이다.41) 즉, IDA는 일반적인 대출조건에 비하여 보다 융통성이 있고 국제

수지 부담이 보다 적은 조건으로 회원국의 중요한 개발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자금

을 공급하여 회원국 영역내의 저개발지역의 경제개발의 촉진, 생산성의 증대 및

생활수준의 향상을 기하기 위한 것이다.42)

나) IDA의 재원 조달

IDA의 재원은 주로 각 회원국의 정기적인 출자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외 세계은

행 그룹 중 자매기관인 IBRD 및 IFC의 이전재원도 중요한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A. 출자금43)

40)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d,“미주개발은행 설립 협정,” 1959.12.30, 제4조 특별사업기금.

41) 국제개발협회 웹사이트.

42)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Articles of Agreement,” 1961.5, 제1절.

Page 9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77

IDA 은행의 최초 출자금은 1960년 9월 9.1억 달러였으나, 2010년 12월에

는 509억 달러에 이르렀으며, 이 중 회원국 출자금 317억 달러, 내부 수익

162억 달러, IBRD 및 IFC 출자금 28억 달러로 구성된다.

자료: IDA Resource Mobilization Department,“IDA17 FINANCING FRAMEWORK,”JUNE

2013, p.3.

<그림 3-15> IDA16 Financing Framework

각 회원국의 당초 출자액 중 10%는 금 또는 자유교환성 통화로 불입하며 1차

납입 시에는 50%를, 2~5차 납입 시에는 12.5%씩 4년에 걸쳐 불입한다. 각 회원국

의 당초 출자액 중 잔여 90%는 국가별로 다르게 불입하는데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등의 국가들은 금 또는 자유교환성 통화로 불입하며 중국, 인도,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의 국가들은 회원국의 통화로 불입한다. 원 회원국의 당초

43)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Articles of Agreement,” 1961.5, 제2절 당초출자액.

Page 9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7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출자액 중 90%는 5년간에 걸쳐 균등 분할 불입한다.

단위 : 백만 달러

자료: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Statement of Subscriptions and

Contributions Committed,” JUNE 30, 2011, p.1.

<그림 3-16> 2011년도 IDA 주요 회원국의 출자금

B. 자본의 증액44)45)

IDA 재원의 조성은 비용 분담에 기반을 둔 정기적인 증자 과정을 통해

재원을 조달하고 있다. 회원국 총회에서 3년마다 협회의 자금이 적당한가를

검토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출자액의 전반적 증자를 승인한다.

44) Green Climate Fund, “Resource Mobilization for Green Climate Fund Ⅴ.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a periodic replenishment process,” 2013.2, pp.7-11.

45) Green Climate Fund, “Resource Mobilization for Green Climate Fund Ⅴ.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a periodic replenishment process,” 2013.2, 제3조 자금의 추가.

Page 9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79

자료: Lawrence MacDonald,“The Future of IDA,”10/10/12.

<그림 3-17> IDA 증자 연혁

C. 출자 기준46)

회원국의 출자 금액을 선정하는 기준은 각국의 비용 분담을 원칙으로

하고 GNP를 그러한 분담에 있어서의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하여 왔으

나, GNP도 비용 분담을 위한 토대만 제공할 뿐이며, 구체적으로 증자과

정에서 각국의 출자 금액을 결정할 때는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는다.

8) ADF(아시아개발기금)

가) ADF의 설립 목적과 주요 활동

ADF는 아시아개발은행이 제6차 연차총회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저개발 또

는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고 개발도상국에 대해 저리 차관을 제공하기

46) op.cit, 5.5.1 Approaches used by other funds and institutions, p.9.

Page 9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8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위해 발족한 기금이다.

나) ADF의 재원 조달

A. 출자금 및 증자47)

각 원회원국의 당초 출자액은 회원국의 통화로 불입하며 원회원국은 최초

출자 시 3분의 2를 불입하도록 하며 그 이후에 3분의 1을 불입하도록 한다.

은행의 최초 출자액은 5.25억 달러였으나, 2012년 제10회 연차총회 시에는

출자금이 79.3억 SDR(124억 달러)에 달한다.

<표 3-16> ADF 증자 연혁

연도 연차총회 증자액

1973 1 $525 million

1977 2 $2.2 billion

1981 3 $4.1 billion

1985 4 $3.6 billion

1990 5 $4.2 billion

1995 6 $6.3 billion

2000 7 $5.6 billion

2004 8 $7.0 billion

2008 9 $11.3 billion

2012 10 $12.4 billion

자료: ADF reportsⅠ~Ⅺ.

B. 출자 비율의 결정48)

회원국의 GNP와 자본금 지분을 고려하여 결정되나, 경우에 따라서 회원

국의 의사에 의해 결정되기도 한다.

47) Asian Development Bank, “MOBILIZATION OF RESOURCES FOR THE ASIAN DEVELOPMENT BANK,” 20 June 1973.

48) Asian Development Bank, “MOBILIZATION OF RESOURCES FOR THE ASIAN DEVELOPMENT BANK,” 20 June 1973, Amount of Individual Allocations, p.7.

Page 9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81

자료: Asian Development Bank, “ASIAN DEVELOPMENT FUND Ⅺ DONORS’ REPORT,”

May 2012, p.33.

<그림 3-18> 2012년도 ADF 회원국의 출자금 및 출자 비율

Page 9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8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나. 국제환경 및 개발 기구

1)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49)

가) UNEP 개요

UNEP는 비금융기관이기 때문에 필요한 재원을 직접 신탁기관으로서 공여받을

수 없으나, 기후변화 관련 기금들의 특징을 파악하여 필요한 곳에 적합한 투자를

이끌어낼 수 있다. UNEP는 국가 기여금, 유엔 일반예산 등 여러 재원들로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들을 운영한다.

나) UNEP의 재원조성방안 및 현황50)

UNEP 전체 재원의 대부분은 환경기금(Envrionment Fund)으로 조성되어 있으

며, 유엔 일반예산은 유엔환경계획 전체 재원의 4 %에 불과하다. 환경기금은 공여국

들의 자발적인 기여로 조성되고 있으며, 이를 독려하기 위해 자발적 기여금 예시규

모인 VISC(voluntary indicative scale of contributions)를 활용한다.

UNEP는 아래 항목들을 고려한 VISC 산출결과를 토대로 환경기금 공여국들이

적합한 규모로 공여를 이행하는지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한다(표 3-11 참조).

유엔 분담률51)을 결정하는 유엔정규부담률 산정기준을 살펴보면, 유엔정규분담

률은 매 3년마다 각국의 국민소득(Gross National Income, GNI), 외채 등 객관적

경제지표에 근거하여 산정한다. 또한 분담률의 상한 및 하한은 어떤 국가의 분담률

도 22%를 넘지 않으며, 0.001%보다 낮지 않으며, 최빈국의 분담률은 0.01% 미만의

수준이다. 즉, 최소 0.001 %의 지출비율, 최대 22 %의 지출비율이다. 최빈국들은

0.01 %를 최대 지출비율로 설정하며, 여기서 지출비율이란, 전체 UN 분담금의 액수

중 각 국가의 능력에 따라 분담금으로 내는 금액의 비율을 의미한다. 각 국가, 특히

49) UNEP Finance Initiative. About UNEP FI. Available at http://www.unepfi.org/about/index.html.

50) UNEP. Financing of UNEP. Available from http://www.unep.org/rms/en/Financing_of_UNEP/

51) 외교부 유엔과

Page 10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83

개발도상국 및 전환경제 국가들의 경제적, 사회적 규모를 측정한다.

VISC 도입을 통해 선진국들이 적합한 수준의 공여이행 여부를 비교할 수 있게

되었고, 자발적 공여금액의 증가에도 영향을 끼쳤다.

<표 3-17> VISC를 적용한 주요 국가별 출자금 현황

Country

VISC

2010-2011

US$

VISC

2010-2011

%

1 Afghanistan 900 0.00100

2 Albania 1,800 0.00200

3 Algeria 23,000 0.02556

4 Andorra 36,000 0.04000

5 Angola 1,200 0.00133

6 Antigua & Barbuda 1,000 0.00111

7 Argentina 85,000 0.09444

8 Armenia 1,500 0.00167

9 Australia 1,100,000 1.22222

10 Austria 800,000 0.88889

11 Azerbaijan 3,700 0.00411

12 Bahamas 3,000 0.00333

13 Bahrain 11,000 0.01222

14 Bangladesh 2,500 0.00278

15 Barbados 5,000 0.00556

Total 91,023,450 101.13717

자료: UNEP(http://www.unep.org/rms/en/Partnership_agreement/index.asp).

UNEP는 정부들의 분담금을 신탁기금으로 운영하고 있다. 유엔환경계획 신탁기

금으로 2008~2009년간 233백만 달러가 마련되었고, 이는 유엔환경계획-국가간 협

약을 통해 이루어졌다. 신탁기금의 주요 기여국은 노르웨이, 벨기에, 아일랜드, 스웨

덴, 스페인, 포르투갈52)이다.

52) UNEP. Partnership Agreements. Available at http://www.unep.org/rms/en/Partnership_agreement/index.asp.

Page 10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8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다) UNEP 금융계획(UNEP Financial Initiative, UNEP FI)

UNEP FI은 유엔환경계획과의 협력을 통해 민간금융관련 기관들과 기후변화 관

련 이슈에 공동대응을 모색하고자 한다.53) UNEP FI은 UNEP FI 성명서(UNEP

FI Statement)에 서명한 200개 이상의 금융조직과 가깝게 협력하고 있으며, 이 성명

서는 지속가능함과 금융 분야의 관련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2010년, 20개 기관이 UNEP FI의 신규회원이 되었고, 현재 200여 개 회원기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UNEP FI(2010).

<그림 3-19> 2010년도 UNEP FI 지역별 회원국 구성

2010년 기준, UNEP FI의 분야별 사업분포는 아래와 같다.

53) UNEP Finance Initiative. 2010. 2010 UNEP FI Overview.

Page 10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85

자료: UNEP FI(2010).

<그림 3-20> 2010년도 UNEP FI 분야별 사업 분포

2009년 기준, UNEP FI의 주요 재원구성은 아래와 같다.

자료: UNEP FI(2010).

<그림 3-21> 2009년도 UNEP FI 주요 재원

Page 10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8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UNEP FI는 동료 간(peer-to-peer) 네트워크, 연구 및 훈련 등을 통해 각기 다른

지역 및 상황에 따른 최적의 프로젝트 수행을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하며 주요 활동

들은, 환경·사회적 측면의 문제, 정부의 외부효과 등을 내면화시킬 수 있는 비즈니스

사례연구, 기후 관련 금융체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지침 및 시행방안 연구, 국제

세미나 및 정책포럼 등에서 기후변화 관련 교육 및 능력 배양에 힘써 UNEP FI

관련 이해관계자들 간의 네트워킹 주도이다.

2) 유엔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54)

가) UNDP 개요

개발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 UNDP는 기후변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구

는 아니지만, 지속가능한 개발의 중요성과 맞물려 기후변화 및 환경 관련 분야에서

도 활동범위를 넓히고 있다.

UNDP가 추구하는 기후금융체제의 특징은 공공 및 민간 재원 조성을 통한 저탄

소, 녹색성장 달성 추구, 금융 및 기술 부문을 지원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 감축

및 적응분야의 성과 이행, 도출 및 결과보고 체계 확립이다.

 

54) UNDP. All Projects. Available at http://open.undp.org/#2013.

Page 10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87

자료: UNDP(2010)

<그림 3-22> UNDP의 국가주도 및 다자간 기후금융체제 예시

나) UNDP 재원조성 방식 및 현황

UNDP는 매년 약 50억 달러의 예산을 운영하며, 예산의 대부분은 국가 및 기관들

의 자발적인 공여로 조성된다. UNDP의 기후변화 관련 기금은 ‘환경과 지속가능한

개발’로 분류되며, 전체 기금의 약 22 %를 차지한다. 2013년도에 환경과 지속가능한

개발 분야에 총 2억 7천 370만 달러의 예산을 할당한다. 2013년도에 계획한 환경과

지속가능한 개발 분야의 프로젝트는 총 688개이고, 200여 국가 및 여러 기구로부터

재원이 마련되었다.

유엔개발계획은 국가의 공여로만 재원을 조성하지 않고, GEF나 UNEP와 같은

국제기구에서도 공여를 받는다. 현재, GEF가 압도적으로 많은 액수를 UNDP의

환경/지속가능한 개발 분야에 지원하고 있으며, 예상 외로 브라질이나 모로코가

공여 순위 6위 내에 있다.

Page 10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8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자료: UNDP(2013).

<그림 3-23> UNDP 환경/지속가능한 개발 분야의 공여액 순위

3. GCF에 대한 제언

GGGI 부국장인 Dr. Mattia Romani는 아래 그림과 같이 탄소시장, 국제 항공

및 해상운송, 탄소세, 금융거래세 등을 활용하여 2020년 시점의 장기재원을 마련하

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향후 GCF 재원 조성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동인은 2020년에는 탄소가격 20~25달러/톤인 경우 장기재원중 공공부문은 500억

달러, 탄소시장 300~500억 달러 및 다자간 융자 300억~400억 달러 등 1,100억~1,400

억 달러를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탄소가격 15달러/톤인 경우 총 500~800억

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55)

55) Dr. Mattia Romani, op.cit. pp.4-5, 순수민간투자 1,000억~2,000억 달러 제외.

Page 10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89

(단위: 10억 달러)

(전제 : 탄소가격 20~25달러)

자료: Dr. Mattia Romani, op.cit. pp.4-5.

<그림 3-24> 2020년 기후재원 조성 전망

가. GCF에의 적용 가능성

1) 국제금융기구 재원조성상 시사점

국제금융기구의 경우 재원조달의 중요한 근간이 되는 각국별 출자 기준을 설정함

에 있어 기본적으로는 동 기구의 설립 목적에 충실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IMF의 경우 쿼터 결정 기준은 경제력 및 대외결제규모, 외환보유규모 등 주로 대외

거래 안정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IBRD는 경제력과 자금공여 능력을 출자 기준으

로 하고 있고, 또 ADB, AfDB, EBRD는 지역금융기구로서 IBRD와 유사한 요소를

출자규모의 결정 기준으로 삼고 있다. 또한 IDA는 GNP를 고려하며 이외에도 비용

분담의 원칙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ADF는 IDA와 마찬가지로 GNP를 고려하며

기준 결정에 회원국들의 의사를 존중하고 있다.

따라서 GCF의 주요 재원인 출자 기준의 결정에 있어서도 국제기구로서 재원

조달의 기본 요소인 각국의 경제력 및 대외 자금공여능력을 고려하는 외에 GCF

Page 10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9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설립 목적에 충실하게 기후변화 대응 기여도 등을 고려함으로써 국제기구의 신뢰성

과 정당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한편 출자 방법, 시기 등 행정적인 사항을 국제금융기구 사례를 벤치마킹할 필요

도 있을 것이다. 현재 국제금융기구의 출자금 납입은 대체로 교환성 통화인 미 달러

화를 통해 일정 부분이 이뤄지며 나머지는 회원국의 통화를 사용하며, 납입은 분할

납입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자료: 본 보고서 p.68-94 본문내용 요약정리.

<그림 3-25> 국제금융기구 재원조성 비교

Page 10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91

2) 국제환경 및 개발기구 재원조성상 시사점

환경국제기구는 비금융기관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공여국들의 자발적 기여로

재원을 조성하고 있다. UNEP는 자발적 예시기여금 규모(VISC)를 활용하여 기여금

을 받고 있는 바, 동 VISC는 기본적으로 UN분담률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또한,

UNDP는 재원의 대부분은 각국의 공여로 조성하고 있으나 상당 부분은 여타 국제기

구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고 있다.

GCF도 유사한 성격의 국제기구로서 각국의 자발적 공여에 주로 의존해야 하는

동시에 여타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의 주력기관으로

성장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나. 녹색기후기금의 조성 논의에서 우리의 기여방안

1) 공공 부문 재원 관련 기여방안

GCF 재원조달은 주로 공공부문에 의존해야 할 것인바, 이에 따라 재원조성과

관련 선진국들 간 공감대 마련이 긴요하여 상호 원활한 협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우선 자금조성을 비자발적․ 정기적 방식으로 할 것인지 자발적․비정기적 방식으로

할 것인지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해 GCF 이사회 문서는 다음과 같이

양 방안을 정리하고 있다.56)

56) GCF/B.01-13/07, 2013,2.20, Resource Mobilization for the Green Climate Fund.

Page 10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9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구분 자발적, 비정기적 재원조성 비자발적, 정기적 재원조성

초기

재원조성

자금공여국에 유연성을 제공하므로 재원의

신속한 조성 가능

초기 재원조성과 재원보충에 있어서 보다

장기간 소요

공여시기 및

규모

자금공여시기 및 규모 불확실로

장기계획수립 곤란

재원공여시기와 규모가 명확하여 재원

배분계획 원활

공여국별

협약 내용

개별 협의에 따른 협약체결로 협약조건이

일정치 않음

자금공여 항목과 조건이 균등하며

공여국가의 일관된 합의 가능

증자과정 개별적으로 제공자와 협의정기적으로 1~2년에 걸친 공식, 비공식

회의를 통한 협의

재원보충시

특정 자금제공기간 없으며 제공자와의

협의에 의존

3~4년마다 증자, 연 3~4회 분납 및

약속자금 9~10년 현금화

공여규모최소금액은 없으나 일정 규모 이상인 경우

이사회 참여 가능비용분담 원칙에 기초한 개별자금 결정

GCF 업무

관여공여국의 업무 참여 없음 상당한 부분 업무 관여 허용

사례 Global Fund, CIFs, CGIAR GEF, IDA, IFAD, Multilateral Fund

<표 3-18> 공적 재원조성 방식 비교

새롭고 추가적인 예산을 통해 기후변화재원을 마련해야 하는데 최근 경제위기

이후 선진국들의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하면 우선 자발적 방식으로 이행하여 초기

출범을 추진하고 점차 정기적 재원보충 형식으로 전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GEF가 추진한 과정을 참고로 보면, GEF는 1994년에 재조직되기 이전에

Page 11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93

는 비정기적이고 자발적인 방법으로 재원을 조달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4년마다

정기적 증자 과정을 통해 재원을 조달하고 있다. 또 GEF 증자 논의회의에는 4백만

SDR 이상 제공 의사를 밝힌 자금 공여국들이 참여하고, 자금을 제공받는 국가들

중 4개국(아프리카, 아시아, 동유럽, 중남미로부터 각각 한 명씩)이 대표로 참여한다.

다만, 향후 비자발적 방식을 통한 자금공여 기준을 검토해보면 아래와 같다.

자료: GCF/B.01-13/07, 2013,2.20, Resource Mobilization for the Green Climate Fund.

<그림 3-26> 비자발적 방식을 통한 자금공여 기준

A. 옵션 1: 기존 ODA 분담비율 적용

현재 각국 공공재원의 대부분은 ODA 예산에서 마련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각국 ODA 동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Page 11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9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자료: OECD(2011).

<그림 3-27> 각국의 공적개발원조 규모

특히 GNI 대비 ODA 비율을 참고하여 GCF 재원조성 기준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Page 11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95

자료: OECD(2011).

<그림 3-28> 2011년도 국가별 GNI 대비 ODA

다만, 개발재원인 ODA를 기후변화 재원 마련에 연결시키는 데 있어서는

UNFCCC의 기후변화 재원은 ‘새롭고 추가적’이어야 한다는 기본 방침이

고려되어야 한다. 기존 ODA 내에서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한 개발원조 활

동들을 분류하고 있는 리오지표(Rio Marker)를 통해 기존 개발재원이 기후

변화 대응 분야에 어떻게 배분되어 왔는지에 분석하여 향후 새롭고 추가적

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을 마련하는 데 적용하여야 한다.

B. 옵션 2: 유엔분담금 비율 적용

신흥개발국 및 중저개발국들(예: 중국, 인도, 브라질 등)도 GCF의 재원조성에 참여

하여 주인의식을 가지도록 할 필요성에 대비한 방안이다. 다만, 원칙적으로 선진국

들만으로 재원을 조성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개발도상국을 참여시키더라도 그 분

담비율은 낮은 수준으로 조정되어야 한다. 이에, 저배출·기후변화를 고려한 개발

로의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GCF의 궁극적 목적 달성에 있어서 신흥개발국 및

중저개발국들의 위치, 역할 및 책임에 대한 논의가 향후 이뤄진다면 GCF 재원조

성 과정에서 이들의 역할 또한 중요하게 다뤄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Page 11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9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C. 옵션 3: IDA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GDP를 기본적인 기준으로 삼되,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기여도를 감안

경제적 능력기준 외에 기후변화 요소를 추가하여 GCF 설립목적에 충실하게

하자는 방안이다. 이에 따라 GDP를 기준으로 하되, GHG 배출량을 부가적

요소로 투입하여 지분율을 정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예: GDP:배

출량을 7:3 수준으로 적용). 참고로 GEF는 출자 비율을 결정할 때, GEF 시범

사업 출자 비율과 GNP, UN 평가 척도, IDA의 출자 비율을 사용한다.57)

* : GDP 비중 ⨯ 0.7 + 탄소배출비율 ⨯ 0.3

자료: IMF, UNFCC, GDP는 2012년, 탄소배출량은 2011년 기준

<그림 3-29> GDP ․ 탄소배출량을 고려한 지표

D. 옵션 4: 국내외적 합의를 통한 정책 시행 및 공공재원 활용을 통해

재원을 형성하는 경우 해당 제도 기준 적용에 의존

각 국가별로 기후변화를 고려한 특정한 정책을 시행할 경우(예: 화석연료

사용료 부과, 탄소세 부과) 옵션 1~3에 다시 의존해야 할 것이나, 국제적인

합의를 통해 통일된 정책을 시행하게 되는 경우(예: 금융거래세를 통한 재원

57) Green Climate Fund, “Resource Mobilization for Green Climate Fund Ⅲ,Ⅴ,” 2013.2, p.2, pp.7-10.

Page 11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3장 ․ 재원조성 ∣ 97

생성, 항공표세를 통한 재원생성) 관련 물량의 일정 지분을 기여금으로 한다

는 새로운 기준을 책정해야 한다.

기존의 국제조세제도 및 국제협약체제를 통한 재원조성 방안 외에도 개발재

원 또는 기타 여러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국제기금들의 혁신적

인 재원마련 방안들에 대한 검토는 기후변화 재원마련의 기준을 설정하는

데 필요하다.

한편, 탄소시장에서의 탄소배출권 거래에 따른 재원마련을 위해서는 참여국

가에 대해서 국제적인 인센티브(예를 들어 관세혜택 등)을 주도록 할 필요가

있다.

2) 민간부문 재원조성 관련 기여방안

민간재원은 적절한 투자수익이 존재해야 투입될 수 있는 재원이다. 관건은 민간

재원에게 적절한 수익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어떻게 개발하느냐에 달려

있다.

GCF는 기존의 다른 기후변화재원과 달리 민간 금융과의 협업(CO-financing)을

통하여 민간 금융이 GCF를 이용하여 개발도상국에 진출할 수 있도록 PSF(Private

Sector Facility)를 두어 민간재원을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GCF 재원조성은 민간자

금의 마중물 역할 또는 민간자금을 유도하기 위한 민간자금의 리스크 경감 또는

수익 배분 시 민간재원에 우선 수익 배분을 해줄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부문에서 GCF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

며, 각국 민간투자 지원펀드를 연구․벤치마킹한 적절한 활용도 요청된다.

Page 11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9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구분 부문 지원분야

PSF 지원

가능 분야

매칭펀드

등 활용

사업투자

∙PSF와 정부 및 민간금융기관 간의 매칭펀드 등을 통해 벤처캐피탈,

PE, 프로젝트 파이낸싱, 리파이낸싱, 수출금융 등 자금 공급

∙PSF와 민간금융기관 간 사업 예비타당성평가 지원을 목적으로 한

매칭펀드 조성

기반시설

구축

∙수익사업에 도움이 되는 SOCs 무상원조(도로, 집하장, 자역사회 교육,

일자리 창출 등 지원)

보증 및

지원

∙개도국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대한 투자, 대출하는 금융기관들에 대한

지급 보증, 대출이자 지원 등

∙특정사업을 위해 개도국 정부나 개도국 전력구매회사 등의 신용 보강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개도국의 발전차액지원제도(feed in-traff) 등에

자금 지원

탄소배출권

투자

∙개도국의 온실가스 저감실적에 대해 PSF의 단독구매, 배출권 담보부

대출 및 투자 등 금융적 인센티브 제공

<표 3-19> PSF의 민간부문 투자 지원분야

출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웹사이트(www.kiep.go.kr).

Page 11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99

∣제4장 ․ 재원활용∣1. 국제적 재원활용

가. 국제기구의 기후변화 대응 부분 사업모델

국제기구의 기후변화 대응 부분 사업모델 분석을 위해서 두 개의 파트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는 기존 기후변화 관련 국제기금인 적응기금(AF), 기후투자

기금(CIFs) 및 지구환경기금(GEF)의 재원 배분 방식, 재원의 접근방법, 사업 승인

절차·기준 등 기금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후 완료된 기후변화사업 실적이

있는 GEF의 최종사업평가 내용을 검토하여 우수 평가된 사례로 선정하여 실제

국제기구에서 수행된 기후변화 사업의 성공요인을 검토하였다.

추진 내용 세부 추진 내용 연구 방법

국제 환경기금의

재원활용 부분 조사

기금의 재원 배분 방식

AF, CIFs, GEF 등 핵심

기후변화 관련 다자기금의 운영

사례 조사

재원 접근방법

사업 승인절차·기준

성공사례 조사수행 및 평가 완료 사업 사례 중

우수사례

GEF의 기후변화 완료 사업 평가

내용 검토

<표 4-1> 국제기구의 기후변화 대응 부분 사업모델 추진 내용

1) 기금의 재원 배분 방식

GCF 재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위해서는 기존 유사 기금의 재원이 개도국 간

어떻게 배분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분석 결과 재원 분배 기준은 크게

기후변화 지원분야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사업에 대한 재원 분배

Page 11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0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기준을 분석하기 위해서 적응기금(AF), GEF의 적응기금(LDCF)과 특별기후변화

기금(Special Climate Change Fund, 이하 SCCF), 기후투자기금(CIFs)의 기후회복

을 위한 시범 프로그램(PPCR)의 사례를 살펴보았고, 기후변화 감축사업에 대한

재원 배분 기준은 지구환경기금(GEF)과 CIFs의 청정기술기금(Clean Technology

Fund, 이하 CTF)의 사례를 참고하였다.

가) 기후변화 적응사업에 대한 재원 배분 기준

분석 결과 모든 기금이 공통적으로 기후변화 취약성,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

등을 고려하고 있고 AF와 LDCF는 기금의 재원 배분에 대한 공평성을 위해 1개

국가가 접근할 수 있는 총 재원에 상한선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은 재원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측정하기에는 제한적이므로 특정한 재원 배분 기준이 있다고는

볼 수 없다.

기금 재원 배분 기준

LDCF58)

기후변화 적응 효과 창출

모든 최빈국(Least Developed Countries)에 대한 공평한 배분 → 매년 1개

국가가 접근할 수 있는 총 재원에 상한선을 두어 재원이 공평하게 배분될 수

있게 함

SCCF59) 기후변화 적응에 효과 창출

PPCR60) 기후변화 취약성

AF61)

1개 국가에 배분될 수 있는 재원에 대해 100억 달러의 상한선(country cap)을

임시적으로 둠

기후변화 취약성

기후변화 적응사업의 필요성

재원의 공평성

사업 설계 및 수행을 통한 시사점 도출 가능 여부

지역적 효과 극대화 여부

다분야 효과 극대화 및 분야별 공통적 기대효과 창출 여부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 여부

<표 4-2> 기후변화 적응사업에 대한 재원 배분 기준

58) Global Environment Facility(GEF), "Accessing Resources under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Page 11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01

나) 기후변화 감축사업에 대한 재원 배분 기준

기후변화 감축사업의 경우 적응사업과 다르게 국가별 배분되는 재원의 기준이

보다 구체적이다. CTF의 경우 1개국에 대한 재원 배분 상한선(15%)을 두어 국가별

재원을 균형 있게 배분한다. GEF는 GEF-4 시기에 적용되었던 ‘자원 배분 프레임워

크(Resource Allocation Framework, 이하 RAF)’를 개선해 GEF-5(2010년 이후)부

터 ‘자원의 투명한 배분을 위한 시스템(System for Transparent Allocation of

Resources, 이하 STAR)의 기준하에 재원을 배분한다.62)

기금 재원 배분 기준

CTF 1개국에 대한 재원 배분 상한선 = 총 재원의 15%

GEF 자원의 투명한 배분을 위한 시스템(STAR) 도입

<표 4-3> 기후변화 감축사업에 대한 재원 배분 기준

GEF의 STAR는 수원국의 소득(Gross Domestic Product Index), 기후변화 사업

의 기대효과(GEF Benefits Index) 및 성과(GEF Performance Index) 등 3개의 지표

를 통해 대상국의 재원 배분을 결정하므로 수원국의 수요에 대한 예측 가능성, 투명

성, 수원국 주인의식(country ownership)을 강화한다.63) 따라서, GEF의 STAR는

현존하는 기금 중 가장 선진화된 배분 시스템이라고 판단된다.

Fund".

59) Global Environment Facility(GEF), "Accessing Resources under the Special Climate Change

Fund".

60) Climate Investment Funds(CIFs), "Pilot Program for Climate Resilience Design Document".

61) Adaptation Fund(AF), "Operational Policies and Guidelines".

62) GEF는 1994년부터 4년 주기로 기금을 보충하며 현재 5차 주기에 있음.

63) Global Environment Facility(GEF), "System for Transparent Allocation of Resources".

Page 11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0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지표 측정 기준 효과

기대효과

(GBI)

수혜국의 GEF의 세 가지 중점사업인

종다양성, 기후변화, 토지황폐화

내에서 기금의 투자이익 측정

수원국 수요에 대한 예측 가능성 강화

성과

(GPI)

효율적으로 재원을 활용하는

국가에게 더 높은 배분 부여

수원국이 재원을 보다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하는

인센티브로 작용

국가소득

(GDPI)

국가의 소득에 따라서 자원분배율

조절

저소득국에 대한 우대

저소득국에 대한 우대로 보다 공평한

자원 배분

<표 4-4> GEF의 STAR 개요

2) 재원 접근방법

가) 국제기금의 재원 접근방법

국제기금의 재원은 기금이 승인한 이행기구(Implementing Entities)를 통해서만

활용이 가능하며 크게 국제이행기구(International Implementing Entities, 이하

IIEs)64)를 통한 국제적 접근방법(international access)과 국가이행기구(National

Implementing Entities, 이하 NIEs)를 통한 직접적 접근방법(direct access)으로 구

분된다. 국제적 접근 방법의 경우 UN 산하기관, MDBs, 국제금융기구(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이하 IFIs)와 같이 공인된 지역 및 국제적 독립기관이 기금

의 재원을 위탁 받아 사업을 이행한다. 직접적 접근방법은 수원국이 지명해 각 기금

의 이사회가 승인한 국가기구에게 사업 이행기능이 위임되는 경우이다. 2000년대

초반 이후 수원국 주인의식(country ownership)이 지속가능한 개발의 주요 원칙

중 하나로 거론되면서 직접적 접근방법은 수원국이 기타 기관을 통해서가 아닌

직접 기금의 재원에 접근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64) 국제이행기구는 다자이행기구(Multilateral Implementing Entities, MIEs)라고도 불림.

Page 12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03

기존 기금의 접근방법을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접근방법이 병행되고 있으며 국제

적 접근방법으로 시작한 기금의 경우에도 점차적으로 직접적 접근방법을 채택하는

추세이다.

접근방법

(Access

Modalities)

특징

기능

기금

관리

국가

사업

관리

이행 실행65) 사례

직접적 접근

(Direct

Access)

수원국이 지명해

이사회가 승인한

국가이행기구에

이행기능 위임

기금

지정된

수원국

정부

기관

NIEs EEsAF, GEF

(시범사업)

국제적 접근

(Internation

al Access)

UN산하기관, MDBs,

IFIs와 같이 공인된

지역 및 국제적

독립기관이 이행기능

수행

기금

지정된

수원국

정부

기관

IIEs EEsAF, GEF,

CIFs 등

<표 4-5> 국제기금의 재원 접근방법

AF와 GEF에서는 직접적 접근방법을 활용하는 반면, CIFs는 5대 MDBs를 이행

기구로 지정하여 사업을 수행한다. AF는 기금 설립 시점부터 직접적 접근방법이

도입되었고, GEF보다는 직접적 접근방법이 활성화되어 있다.

AF는 총 이행기구 비중에 국제이행기구 승인 비중을 50%로 제한하여 국가이행

기구(NIEs)의 참여를 촉진하고 있다. 그 밖에 이행기구 승인절차와 기준에 대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Toolkit)을 제공한다. AF의 이행기구 및 승인된 사업 통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15개 기관이 국가이행기구의 자격을 얻었지만, 국가이행기구를

통해 승인된 사업 수는 네 개에 그쳤다. 반면 국제이행기구를 통해 승인된 사업

65) 실행기구(Executing Entities, EEs)는 수원국의 사업을 세부활동을 실행하는 기구를 의미함.

Page 12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0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수는 여섯 배인 24개로 확인되었다.

GEF는 국제적 접근방법만 수용하였지만, 2011년 6월에 직접적 접근방법 시범사

업(pilot program)의 도입을 통해 직접적 접근방법의 테스트베드(test-bed)를 구축

하였다. 동 기관에서는 AF와 유사하게 국가기관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국가기관

이 총 이행기구에 최소 50%를 차지할 수 있도록 국가기관을 승인절차에서 우대한

다. 그러나 시범사업의 추진현황에 따르면 대부분 신청기관들이 승인기준에 미달하여

최종 승인을 위해서는 추가검토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66)

두 기금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국제적 접근방법에 비해 직접적 접근방법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지만, AF의 이행기구 승인이 GEF보다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기금의 이행기구 승인기준과 절차를 비교분석하여 차이

점과 공통점을 검토하고, 이행기구로 선정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나) 이행기구 승인 방식·절차

AF와 GEF는 국가이행기구를 통한 수원국의 기금에 대한 직접적 접근방법을

수용하므로써, 개도국의 수요와 우선순위에 기반을 둔 지원을 촉진하고 있다. 그러

나 앞서 분석된 결과, 직접적 접근방법이 아직은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F의 경우 15개의 국가이행기구가 승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이행기구에 비해 국가이행기구를 통한 사업 승인이 제한적인 것으로 확인되었

고 GEF 시범사업은 대부분 승인 요청 기관들이 GEF의 승인기준에 미달하여 직접

적 접근방법 운영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AF와 GEF의 사례를 중점

으로 각 기금의 이행기구 승인기준 및 절차를 분석하여 GCF 운영에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F는 국제 환경기금 중 가장 먼저 직접적 접근방법을 수용한 기금이다. AF의

국제·국가·지역이행기구는 모두 같은 이행기구 승인절차와 기준에 따라 선정된다.

66) Adaptation Fund(AF), "Operational Policies and Guidelines"; 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Report on the Pilot Accreditation of GEF Project Agencies".

Page 12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05

AF의 국가이행기구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우선 해당국 정부의 추천이 있어야 한다.

그 후 기금의 수탁기준(fiduciary standard)을 만족한다는 이행기구 신청서

(Accreditation Application)를 수원국 지정기구(Designated Authority, 이하 DA)의

추천서(Endorsement Letter)와 함께 제출한다. 이행기구 신청서는 AF의 승인기구

(Accreditation Panel, 이하 AP) 검토 후 승인, 조건부 승인, 승인 보류, 승인 취소,

재승인의 심사 결과로 구분되어 이사회에게 제출된다. 마지막으로 이사회는 AP의

심사 내용을 바탕으로 승인하거나 추가 자료를 요청하게 된다. AF의 국가이행기구

의 승인은 5년간 유효하며 이후 재승인 요청을 해야 한다.

NIE�추천

Accreditation�

Application�및DA�

Endorsement�Letter�제출

Accreditation�Panel�심사

/�결과 제출

① 승인(accreditation)

② 조건부승인

③ 승인보류

④ 승인취소

⑤ 재승인

이사회심사 /�승인

① 승인

② 추가자료 요청이행기구

수원국

AF

자료: Adaptation Fund(AF), "NIE Accreditation Toolkit".

<그림 4-1> AF의 이행기구 승인절차

이행기구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기금의 수탁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AF의 수탁기

준은 신청기관의 재정 건전성, 프로젝트 수행 역량을 측정하는 제도적 역량과 투명

성 등을 요구하고 있다.

Page 12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0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이행기구 승인기준 세부내용

재정 건전성

정확하고 정기적인 거래·재정 기록

자금의 효율적 관리·배분

장래성 있는 재정계획·예산

AF 및 기타 기관과 계약 가능한 법적 효력

제도적 역량

적절한 자금조달 절차

모니터링 및 평가(Monitoring & Evaluation) 능력

프로젝트 도출·개발·평가 능력

프로젝트, 프로그램, 수혜자에 대한 관리·감독·이행 능력

투명성 및 자정능력 잘못된 사업 이행이나 재원 배분에 대한 대처 능력

<표 4-6> AF 이행기구 승인기준

자료: Adaptation Fund(AF), "Operational Policies and Guidelines".

AF에서 현재까지 총 15개 기관이 국제이행기구로 최종 승인되었다. 그중 세

개의 국가이행기구가 사업 승인에 성공하였으며 한 개는 승인 중이다.

국가 국가이행기구(NIE) 관련 프로젝트 비고

세네갈 생태보존센터 취약지역의 해안침식 적응 ‘11년 승인

자메이카 자메이카 기획기관농업부문 회복력 증대, 해안 지역

생태개선 및 식량 안보 강화‘12년 승인

우루과이 국립 연구혁신국 소농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 ‘12년 승인

아르헨티나 농촌개발기구북아르헨티나 지역 소규모 농업의 기후

회복 및 적용 역량 강화승인 요청

<표 4-7> AF 국가이행기구의 사업 목록

자료: Adaptation Fund(AF) 홈페이지(https://www.adaptation-fund.org).

GEF는 현재까지 국제이행기구인 UN기구 및 MDB를 통해 사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국제사회에서 수원국의 주인인식에 대한 강화가 요구되면서 수원국의 사업

Page 12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07

주도능력 및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GEF는

직접적 접근방법 시범사업(GEF Direct Access Pilot Program)을 2011년 6월에 수립

하였다.

GEF의 이행기구 승인절차는 세 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1단계는 수원국 지정기

구 (Operational Focal Point)의 추천서와 GEF의 부가가치기준을 평가하는 1단계

지원서를 GEF 사무국이 심사한다. GEF 사무국 심사 후 추천 받은 기관은 기관은

이사회 승인이 완료된 후 2단계 지원서 제출과 신청비를 지불한다. 2단계 지원서는

신청기관의 수탁기준, 환경사회적 세이프가드 등을 승인기구(Accreditation Panel,

AP)가 담당하여 심사한다. GEF 승인기구의 결과는 승인, 조건부 승인, 추가 검토

필요, 승인 거절 등 네 가지로 구분된다. 2단계에서 승인된 기구는 마지막 단계로

신탁기구와 FPA(Fee Protection Agreement)를 체결하고 GEF와는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를 체결한다. 2단계 심사 결과 조건부 승인

또는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결과를 받은 신청기관에 대해서는 추가 검토 후 승인

여부가 결정되며, 승인이 거절된 기관은 다시 1단계 지원서 제출을 통해 승인 요청을

할 수 있다.

Page 12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0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추천거절

1단계지원서재작성/제출

이행기구 GEF�

추천승인

1단계지원서 제출

*Operational�Focal�Point�지지필요

부가가치기준(value-added�criteria)

심사

사무국심사 /�추천 여부결정

이사회 심사 /�승인

비용지불2단계지원서 제출Accreditation�Panel�

심사

승인거절 승인 추가검토 필요조건부승인

1단계지원서재작성/제출

Grace�period후승인여부결정

Accreditation�Panel�추가검토후 결정

이행기구-신탁기구FPA�체결

이행기구-GEF�MOU�체결GEF�&�이행기구

자료: Global Environment Facility(GEF), "Procedure: Accreditation of GEF Project Agencies".

<그림 4-2> GEF 이행기구 승인절차

GEF의 이행기구 승인기준은 크게 GEF 부가가치기준(value-added criteria), 수

탁기준(프로젝트 관리, 거버넌스 구조), 환경사회적 세이프가드 그리고 양성평등요

소로 구분되며 GEF 부가가치기준을 우선적으로 만족해야만 다음 승인 단계로 넘어

갈 수 있다.

Page 12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09

승인 단계 승인기준

1단계GEF 부가가치

기준

GEF 목표 및 중점 지원분야와의 연관성

명확한 환경적 성과 도출능력 및 통합적 기여가능성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기존 기구들과의 연계가능성

GEF 수준의 균형 잡힌 co-financing을 마련할 수 있는 능력

해당기관의 업무 효율성

수행을 위한 국가·지역 단위의 협조 / 전문가 네트워크 범위

2단계

프로젝트 관리

조달 절차

관리감독 및 위험요소 관리 시스템

프로젝트 평가 기능

거버넌스 구조

외부 재정 감사 및 재정 감독 구조, 재정 투명성

윤리적 행동기준, 내부 감사체계

자체 분석기능 및 신고체계

환경사회적

세이프가드 및

양성평등요소

GEF 이사회에서 제시하는 환경사회적 세이프가드

GEF의 정책과 부합하는 양성평등 고려요소 반영

<표 4-8> GEF 이행기구 승인기준

앞서 조사된 GEF의 이행기구 승인절차와 기준은 국가이행기구 선정에도 적용

된다. 2011년 6월에 도입된 GEF 직접적 접근방법 시범사업에 대한 2단계 승인 결과

가 2013년 6월에 발표되었다. 총 16개 기관이 신청하였고 1단계에서 14개 기관이

승인되었다. 그러나 2단계에서는 조건부 승인 두 개, 거절 한 개 및 나머지 아홉

개 기관에 대해서는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즉, 모든 신청기관이 GEF

승인기준에 미달한 것으로 확인된다.67)

AF와 GEF의 이행기구 승인절차와 기준을 분석한 결과 두 기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AF의 승인절차는 GEF보다 단순하다. 또한, AF는 수탁기준

의 만족만을 요구하는 반면 GEF는 수탁기준 외 GEF의 부가가치기준, 환경사회적

세이프가드, 양성평등요소 등 추가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두 기금의 공통점은 국제

적 접근방법과 직접적 접근방법에 같은 이행기구 승인절차와 기준이 적용된다는

67) Global Environment Facility(GEF), "Report on the Pilot Accreditation of GEF Project Agencies".

Page 12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1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것이다.

3) 사업 승인기준·절차

가) 사업 유형

다자 환경기금은 공여(grant) 형태로 사업을 지원하며 사업유형에 따라 지원금

액 및 목적에 차이가 있다. 전체 사업 수행을 위해 필요한 나머지 금액은 수원국,

선진국, 기타 국제기금 및 민간 등을 통한 co-financing을 통해 지원된다. AF, CIFs

와 GEF의 사업유형을 검토한 결과 기금별로 약간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기금명 사업 유형 사업별 지원액($) 기준 비고

AF68)

Small-size Projects 10억 미만 -

Regular Projects and

Programmes10억 이상 -

CIFs69)Country Plans &

Projects-

국가 프로그램 형태로

다양한 사업이 지원되며

사업별 지원 규모에 대한

기준은 없음

GEF70)

Full Sized Projects

(FSPs)

10억 이상

(LDCF : 20억 이상)-

Medium Sized Projects

(MSPs)

10억 미만

(LDCF : 20억 미만)

NGOs, 시민사회 등의

참여 촉진을 위해 설립

Small Grant Projects 5만

작은 규모의 지역사회

발전 사업을 위해 NGOs,

지역사회단체에 제공

<표 4-9> 다자 환경기금의 사업 유형 개요

Page 12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11

기금별 사업유형과 지원규모에는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사업발굴과 준비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GEF는 사업규모에 따라 사업발굴·준비 자금의 규모가 정해

져 있지만, AF는 개별 사업에 따라 지원 규모가 다르다. CIFs는 지원분야에 따라

사업발굴·준비 지원 규모가 다르며 최빈국 사업에 보다 높은 금액을 지원하고 있다.

기금 프로그램명 지원 규모 (달러)

GEF Enabling Activities (EAs)FSPs : 5억 이상

MSPs : 5억 미만

AFProject/Programme Formulation

Grants (PFG)사업별로 지원액이 다름

CIFs Preparation Grant

CTF : 100만

SREP & PPCR : 최대 150만

FIP : 25만

<표 4-10> 기금별 사업발굴·준비 지원 현황

나) 사업 승인절차

기금별 사업 승인절차를 검토한 결과, 유사점 및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중 가장 눈여겨 볼 수 있는 공통점은 사업 승인을 위해서 수원국의 추천이 있어야

된다는 점이다. 각 기금들은 기금 준비, 관리, 이행 등의 과정에서 국가의 참여를

증대시켜 사업 전 과정이 국가 전략과 부합하도록 촉진하고 있다. 예를 들면 GEF와

AF는 기금의 수원국 Focal Point 역할을 하는 국가지정기구 또는 수원국 담당자의

추천서를 사업제안서와 함께 제출하도록 한다. CIFs에서는 사업발굴 단계부터

MDB와 수원국이 협력한다.

68) Adaptation Fund(AF), "Instructions for Preparing a Request for Project or Programme Funding

from the Adaptation Fund".

69) Climate Investment Funds(CIFs), "2012 Annual Report".

70) Global Environment Facility(GEF), "A GEF Operational Focal Point's Guide to the GEF Project

Cycle".

Page 12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1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GEF AF CIFs

사업 전 과정의 수원국 참여

유도

개별 사업에 대한 승인 전

Operational Focal Point의

추천 필요

사업 전 과정의 수원국 참여

유도

개별 사업에 대한 승인 전

Designated Authority의

추천 필요

사업 전 과정의 수원국 참여

유도

국가 투자계획(Investment

Plan)에 대한 수원국 추천

필요

<표 4-11> 사업 승인절차에 대한 수원국 참여

제출된 사업제안서는 각 기금의 승인절차에 따라 승인된다. AF와 CIFs의 경우

조직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이사회 승인만이 필요하지만 보다 복잡한 조직구조를

갖춘 GEF의 경우 이사회와 CEO의 승인이 요구된다. AF와 GEF의 승인절차의

공통점은 비교적으로 작은 규모의 사업유형에 대해서는 승인절차를 단순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업발굴

사업제안서준비

CEO��승인

Project�Document�

제출

이사회승인

*FSP�사업유형에만해당

Project�Preparation�

Grant�(PPG)�요청

*수원국

Project�Identification�

Form�(PIF)�제출

*OFP�(Operational�Focal�

Point�승인필요)

이사회심사

*MSP�2주;�FSP�4주소요CEO��승인

GEF�이행기구

GEF

CEO��승인

선택사항

자료: Global Environment Facility(GEF), "A GEF Operational Focal Point's Guide to the GEF

Project Cycle".

<그림 4-3> GEF의 사업 승인절차

Page 13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13

사업발굴

Project/ProgrammeConcept�

Document�제출

*DA(Designated�Authority)�

Endorsement�Letter�제출

Fully�Developed�

Project/ProgrammeDocument�

제출

사무국검토 (기술평가)

PPRC(Project�and�

Program�Review�

Committee)�검토

이사회심사/승인

사무국검토 (기술평가)

PPRC(Project�and�

Program�Review�

Committee)�검토

이사회심사/승인

Project/Programme

Formulation�Grants�

(PFG)�요청

*수원국

선택사항

이행기구

AF

1차 심사 단계 *Small/Regular�Project�해당*

2차심사 단계 *Regular�Project만해당*

자료: Adaptation Fund(AF), "Accessing Resources from the Adaptation Fund : The Handbook".

<그림 4-4> AF의 사업 승인절차

Page 13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1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국가프로그램

(programme)발굴

국가투자계획서제출

*수원국사전 승인필요위원회검토및승인

개발사업(project)�준비Project�Document�제출위원회심사/승인

관련MDB�심사/승인 수원국&�MDB�협동

수원국

CIFs

MDB

Preparation�Grant�

요청

선택사항

위원회검토및승인

자료: Climate Investment Funds(CIFs), "Clean Technology Fund Financing Products,

Terms, and Review Procedures for Public Sector Operations".

<그림 4-5> CIFs 사업 승인절차

다) 사업 승인기준

기금별 사업 승인기준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평가되는 기준도 있지만 특징

에 따라 다양한 기준이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F는 사업의 규모에 따라 승인절차가 다르다. 소규모(Small-sized projects) 사

업의 경우 Project Concept 승인에 따라 사업 승인이 완료되는 반면 일반규모

(Regular-sized project) 사업은 Project Document의 승인이 추가로 요구된다. 사업

규모에 따라 사업 승인절차에는 차이가 있지만, 요구되는 승인기준은 같고 또한

국가지정기구(DA)의 추천서(Government Endorsement Letter)가 있어야 한다.

Page 13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15

평가 항목 세부 기준

국가 적합성교토의정서 회원국

기후변화 취약국

사업의 적합성

수원국 정부의 추천 (AF 지정기구인 Designated Authority의 승인

여부)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력 강화를 위한 명확한 활동 계획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기대효과 창출

투자대비 효율성

국가 지속가능개발, 국가개발전략, 빈곤퇴치 전략 등과의 부합성

수원국 기술수준에 대한 적합성

기타 기금 사업과의 중복성

사후검토 및 지식공유를 위한 시스템 구비

사업비의 타당성

AF의 결과 프레임워크(result framework)와의 부합성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려

재원 배분의 적합성

국가별 한도 초과여부

이행기구 관리비용 한도 (전체 비용의 8.5% 이하)

사업 수행비용 한도 (전체 비용의 9.5% 이하)

이행기구의 적합성 AF로부터 승인된 국가·지역·국제이행기구를 통한 사업(안) 제출

사업 관리

사업 관리방안의 적절성

사업/경제적 위험요소 관리를 위한 대응책

명확한 모니터링 및 평가(M&E) 예산 및 체계 준비

사업 결과 프레임워크의 완성도 (양성평등적 목표/일반 성과지표

분리체계 등)

<표 4-12> AF의 사업 승인기준

자료: Adaptation Fund(AF), "Adaptation Fund Project/Programme Review Criteria".

GEF는 AF와 마찬가지로 사업유형에 따라 사업 승인절차에 차이가 있지만 사업

승인기준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준이 적용된다. 대규모 사업(Full-sized Projects)은

CEO 승인과 이사회 승인을 받아야 하는 반면 중간규모 사업(Medium-sized

Projects)은 CEO 승인만이 요구된다. 사업 승인기준으로는 1) 국가 적합성, 2) 이행

기구의 비교우위, 3) 재원 배분의 적합성, 4) 사업의 부합성, 5) 사업 설계, 6) 사업

예산, 7) 모니터링 및 평가 기준, 8) 이행기구의 요구 대응 수준 등 8개의 평가 항목이

적용된다. GEF 5차부터는 사업의 부합성, 사업의 설계 및 이행기구의 비교우위에 초점을

Page 13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1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두어 평가하고 있다.71)

평가 항목 세부 내용

국가 적합성

GEF 지원 대상국

Operational Focal Point의 추천

수원국 국가전략 및 우선순위와의 부합성

GEF 전략 및 목표와의 적합성

GEF 및 수원국의 의견 일치 (사업비용 부문 포함)

사업 예산의 적합성 (co-financing 규모 포함)

이행기구의 비교우위

사업을 제안하는 이행기구의 비교우위

Co-financing 규모의 적합성

이행기구의 프로그램, 인력 역량의 적합성

재원 배분의 적합성 GEF 총 지원 가능한 규모 및 배분 기준 내에서 지원

사업의 부합성

결과 프레임워크와의 부합성

수원국 국가전략·계획과의 부합성

지속가능성에 기여 여부

사업 설계

Baseline의 적합성

비용효율성에 대한 근거 제공

재원의 추가성 만족

사업 프레임워크의 적절성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기대효과

시민사회 등 이해관계자 고려 여부

기후변화 위험요소, 기후탄력성 측정 방안

기타 국가 및 지역의 유관 기관과의 협력 체계

사업 수행 및 집행 방안

사업 추진 체계

사업 예산

승인된 총 지원규모의 적절성

재정승인 및 비용지출의 타당성

사업관리 비용의 적절성

Co-financing 규모의 적절성

모니터링 및 평가 (M&E)적절한 사업 tracking tool 및 성과지표

성과/목표 측정 모니터링·평가 계획 및 예산 편성

이행기구의 GEF

요구사항 대응 수준GEF와의 적극적인 협조 및 의사소통

<표 4-13> GEF의 사업 승인기준

자료: Global Environment Facility(GEF), "GEF Project and Programmatic Approach

Cycles" and "GEF Secretariat Review for Full Medium-Sized Projects".

71) Global Environment Facility(GEF), “GEF Project and Programmatic Approach Cycles.”

Page 13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17

세계은행의 기후투작기금(CIFs)은 세부 기금별로 투자기준을 수립하여 기금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기금별 투자기준의 세부사항에는 차이가

있지만 지원 분야 또는 대상에 따라 공통점이 있다.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지원하는

청정기술기금(CTF)과 산림투자프로그램(Forest Investment Program, 이하 FIP)

사업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가능성, 비용 효율성, 경제적 지속가능성, 대규모 전환

가능성,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과의 연계성, 수원국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잠재력, 수원국의 공공·민간 자원, 양자·다자 개발 파트너를 통한 자금 조달 가능성

등이 공통적으로 평가된다. 최빈국을 지원하는 저소득국의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Scaling Up Renewable Energy in Low Income Countries, 이하 SREP)과

기후회복을 위한 시범 프로그램(PPCR) 사업은 수원국의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의지 및 사업의 참여의지가 투자기준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① 온실가스배출량 감축가능성

② 비용효율성 및경제적 지속가능성

③ 해당지역에 지속적으로적용될 수있는 대규모전환 가능성

④ 국가의지속가능한 발전전략 (개발계획,�MDGs�목표 등)과의연계성

⑤ 수혜국의실행 가능성에대한 잠재력 (관련 분야의 제도, 기반, 수행역량 유무)

⑥ 수혜국의공공 및민간 자원,�양자 및다자 개발파트너를 통한재원/자원 조달가능성

→ CTF�민간사업의 추가기준 :�시장 왜곡완화 및내재된 리스크완화 방법제시

→ FIP�사업의 추가기준 :�토착민,�지역공동체등의 참여와협력 기반구축 방안제시

기후변화 감축 사업에 대한 공통 기준

최빈국 사업에 대한 공통 기준

① 지속가능한개발에 대한의지 및강한 참여의향 (관련 분야에대한 개발전략,�체계

등에대한 의지)

→ SREP�사업의 추가기준 :�재생에너지 사업에대한 실적및 정부의추가 지원역량 요구

→ PPCR�사업의추가 기준 :�기후변화 영향에가장 취약한국가 지원우대

CIFs�사업 투자/지원 대상 선정 기준

ü CIFs는다자기후기금 중유일하게세부적인투자 기준이명시되어 있음

ü CIFs의투자기준은 세부기금별 약간의차이는있지만, 공통되는부분을 찾을있었음

- 기후변화감축 사업인 CTF,�FIP�사업에공통되는 기준

- 최빈국지원 사업인 SREP,�PPCR�사업에공통되는 기준

<그림 4-6> CIFs 사업 투자기준 요약

Page 13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1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항목 세부내용

개발의지

프로젝트 기간 내 재생에너지 촉진 체계 정착 의지 표명

대규모 파급 효과를 위한 신재생 에너지 개발 전략 수립 의지

관련 분야 높은 수준의 거버넌스 체계 유무

잠재역량

재생에너지 사업을 위한 충분한 제도적 역량 및 비즈니스 환경을 갖춘

국가

민간 분야를 포함한 재생에너지 관련 사업 행적 기록

추가 지원을 추진할 수 있는 정부의 역량

균형

지원 수혜국에 대한 지역적 균형

발전/산업화 균형

재생에너지 발전 정도

자연환경적 특성 재생에너지 사업을 위한 자연 환경적 특성에 부합

<표 4-14> SREP 사업 투자기준

자료:Climate Investment Funds(CIFs), "SREP Criteria for Selecting Country and Regional

Pilots under SREP".

Page 13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19

구분 항목 세부내용

공통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가능성이 높은 국가/지역에 대한 투자

우대

기술적인 실행가능성, 시장성, 배출절감효과를 고려한 기술

지원

비용 효율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소요되는 한계비용 및 기술적 진보에

따른 비용감소 분석

1tCO2e를 감축하기 위해 소요되는 한계비용이 US$200

이상인 사업은 투자 불가

대규모 전환

가능성

해당 지역에 본 사업이 지속적으로 적용될 경우 감축 가능한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CTF가 제공한 저탄소 기술의 국가/지역적 파급 가능성 평가

(경제/정책적 변화 가능성)

개발 효과

지원 사업이 지속가능한 발전과 MDG 목표 달성에 미치는

잠재력 평가

GDP당 에너지 소비량 감소, 온실가스/대기오염 동시감축

최빈곤층에 교통/에너지 접근성 확대

실행가능성국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자원 동원, 양자 및 다자 개발

파트너 동원 전략 제시

추가비용 및

리스크 프리미엄

CDM이 지원하지 않거나 간과하고 넘어가는 프로젝트 지원

GEF를 통해 상업적/기술적으로 파급 가능한 프로젝트

상호보완

추가

기준

공공

실행가능성

국가/지역적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정책, 기관

기술 정착을 지원 가능 역량 보유 기관

장기적인 관리를 위한 정책/이행 공약

추가비용 및

리스크 프리미엄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비용 및 리스크 프리미엄 분석

CTF 펀드를 이용한 수익률 제고 방안 제시

민간

재정적

지속가능성

CTF의 장기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한 사업 배제

시장에서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역량 고려

양허성 자금의

효율적 운용

CTF의 지원 없이 사업이 완료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는

경우에만 부가적으로 자금 조달

시장 왜곡의 완화시장 왜곡 현상 최소화를 위한 전략 제시

CTF 펀드는 탄소 금융과 상호보완적 관계임을 명시

리스크내재된 위험과 완화 방법 제시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 논의

<표 4-15> CTF 사업 투자기준

자료:Climate Investment Funds(CIFs), "CTF Investment Criteria for Public Sector Operations"

and "CTF Private Sector Operational Guidelines".

Page 13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2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항목 세부내용

기후변화 완화

가능성

사업 기간 동안 온실가스 직접배출량의 감소율 예측

일부 사업의 경우 즉각적인 배출량 감소보다는 추후에 REDD+ 를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

대규모 전환

가능성

지리적으로 넓은 곳보다는 기후변화 감축 가능성 높은 지역

과거 배출량 분석과 미래 배출량 예측을 통해 산림벌채가 이루어지는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국가 내 다른 지역에 대한 참고기준 제시

비용 효율성

공공/민간 부문의 잠재적 투자 기관 및 투자 비율 설정

지속적인 지원 없이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모델 추진

관련 기관의 투명성, 신뢰성 모니터링

실행 가능성

REDD+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정책, 기관, 관리방법 유무

수혜국의 REDD+ 전략과 일치하는 사업

REDD+ 적용을 위한 국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자원 동원, 양자 및 다자

개발 파트너의 co-financing 여부

지속가능 개발의

통합

산림과 밀접하게 연관된 토착민, 지역공동체, 생태계 등의 보호와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FIP 투자의 경제/사회/환경 관련 영향과 국가 전략과의 일관성

보호 조치

산림관련 기관의 역할 강화를 통한 산림의 지속가능개발

토착민, 지역공동체, 정부, 민간 부문 등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투자계획

수립

<표 4-16> FIP 사업 투자기준

자료: Climate Investment Funds(CIFs), "FIP Investment Criteria and Financing Modalities".

Page 13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21

항목 세부내용

우선순위 기후 변화에 가장 취약한 최빈국을 도출하여 우선순위 선정

참여의향서 PPCR 부위원회에서 제시하는 형식에 맞추어 참여의향서 제출

<표 4-17> PPCR 사업 투자기준

자료: Climate Investment Funds(CIFs), "PPCR Design Document".

GEF와 AF는 사업 규모에 따라 사업 승인절차가 다르지만 같은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두 기금의 사업 승인기준은 지원 대상국의 적합성, 이행기구의 적합성,

사업 설계, 기대효과 등 많은 유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CIFs의 사업 승인기준은

기타 기금과는 차이가 있었다. CIFs의 경우 세부기금별 사업 제안 단계에서 고려해

야 하는 투자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나. 사업 성공요인 분석

1) 성공사례 조사

성공사례 조사 및 성공요인 분석을 위해 국제기구의 기후변화 완료사업 중 평가

결과가 높은 우수사례를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우선 AF, CIFs와 GEF의 기후변화

대응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축하였다. 총 1,248개의

사업이 진행되었고 그중 완료된 사업은 전체 10% 미만인 108개로, 이는 모두 GEF

사업이었다.72) 평균적으로 국제기구의 기후변화 사업의 발굴과 계획은 2년 이상, 이행

및 완료는 5년 이상이 소요되므로, AF와 CIFs와 같은 영세 기금의 사업은 대부분 초기

단계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완료된 사업의 실적이 있는 GEF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72) AF, CIFs, GEF 홈페이지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자료 참고.

Page 13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2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기후변화사업DB�구축

기금명 진행중 완료

GEF

GEF 736 104

LDCF 156 2

SCCF 37 2

AF 28 0

CIFs 85 0

• AF,�CIFs와 GEF의기후변화 대응관련 프로젝트에

대한데이터베이스(database)구축

• 1,248개의사업이진행되었고 그중 완료된사업은

108개로10%�미만

AF,�CIFs,�GEF�완료사업 현황

<그림 4-7> AF, CIFs, GEF의 사업 추진 현황

성공사례를 선정하기 위해서 GEF 완료사업의 최종평가 결과를 활용하였다. GEF

는 모든 사업의 최종평가 결과를 최종평가보고서(Terminal Evaluation Report, 이

하 TER)에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TER은 독립적인 평가자가 사업에 대한 조사·분

석(desk review), 관계자 인터뷰(interview), 현장조사(site visit) 등을 함으로써 완

료된다. 사업 개요, 평가 개요, 평가 항목별 결과 및 사업에 대한 시사점·제언이

TER의 주요 내용을 구성한다.

Page 14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23

개요• 평가대상 사업의개요• 평가개요 (평가자에대한 전문성,�평가 장소,�시간,�방법등)

평가항목별결과

• 목표및 결과 (연계성,�실효성,�효율성)• 지속가능성• 효과극대화• 모니터링및 평가체계• 사후모니터링 체계• 사업이행 과정의영향 요소 (수원국 주도성,�사업준비성,�이해관계자 참여,�재정적 타당성,�이행기구관리ž감독수준,�co-financing,�사업지연요소)

시사점및 제언• 본사업의 성공요인,�실패요인, 향후관리 방안• 향후유사 사업수행의 성공을위한 시사점및전략적제언

최종평가보고서 주요 내용

자료: Global Environment Facility, "Guidelines for GEF Agencies in Conducting Terminal

Evaluation".

<그림 4-8> GEF 최종평가보고서 주요 내용

GEF 사업의 성공여부는 사업 설계 단계에서 수립된 세부 목표의 달성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온실가스 감축사업의 경우 사업 완료시점에 측정한

온실가스 감축량이 사업 설계 단계에서 측정한 온실가스 감축량보다 많거나 같다면

성공사례로 분류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목표 및 결과를 평가하는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업을 성공사례 후보로 선정하였다. 목표 및 결과에 대한 평가

항목은 세 개의 세부 평가 항목인 연계성(relevance), 실효성(effectiveness), 효율성

(efficiency) 및 종합 결과(overall)이며, 평가 점수는 여섯 개 등급으로 분류된다

: 만족(Highly Satisfactory, HS), 만족(Satisfactory, S) 일부 만족(Moderately

Satisfactory), 일부 불만족(Moderately Unsatisfactory, MU), 불만족

(Unsatisfactory), 매우 불만족(Highly Unsatisfactory, HU). 73)

73) Global Environment Facility, "Guidelines for GEF Agencies in Conducting Terminal Evaluation".

Page 14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2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목표 및 결과 평가 항목 세부 내용

• 각영역별로 6개등급으로 분류되어평가 진행 :�HS(매우만족),�S(만족),�MS(일부만족),�MU(일부불만족),�

U(불만족),�HU(매우불만족)

평가 대상 세부 평가 내용

목표 및 결과

관련성 (Relevance) 지속가능전략/투자중점분야와의 연관성

실효성 (Effectiveness) 초기목표/실제달성목표 간의 일치성

효율성 (Efficiency) 비교우위적 투자대비/시간적 효율성

종합 (Overall) 3개의 세부 평가 내용을 종합 결과

•목표및결과 (연계성,�실효성,�효율성)•지속가능성•효과극대화•모니터링및평가체계•사후모니터링체계•사업이행과정의영향요소 (수원국주도성,�사업준비성,�이해관계자참여,�재정적타당성,�이행기구관리ž감독수준,�co-financing,�사업지연요소)

• GEF�사업은총6개항목에대해평가함• 그중 ‘목표및결과’항목의평가결과에따라프로젝트의성공여부가결정됨

GEF�사업의 평가 항목

<그림 4-9> GEF 사업의 평가 항목

완료사업의 평가 내용 분석 결과, 총 사업 중 43개 사업이 목표 및 결과에 대한

종합 평가에서 일부 만족(MS) 이상의 평가를 받았다. 나머지는 일부 만족(MS)

이하의 평가를 받거나 아직 평가 결과가 공개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는 목표 및

결과의 세부 평가 항목인 연계성, 실효성, 효율성 중 두 개 이상의 항목에서 매우 만족

(HS)으로 평가된 12개 사례를 성공사례로 선정하였다.74)

완료사업의평가결과 DB�구축

수행완료 사업 성공요인분석 대상사례

108개 12개

* 완료사업중최종평가보고서(TER)가없는사례 또는평가

결과에세부내용이없는사례가있으므로,�본 연구시점에

공개된내용한에서분석대상사례선정이가능

• 완료사업의평가 내용분석 결과,�총 사업중 43개의

사업이목표 및결과에 대한종합 평가에서일부

만족(MS)�이상으로평가됨

• 최종적으로는목표 및결과의 세부평가 항목인연계성,�

실효성,�효율성 중 2개이상 항목에서매우

만족(HS)으로평가된12개사례의 성공요인분석

<그림 4-10> 성공사례 선정

74) 12개 사업 외 높게 평가된 다른 사례도 있었지만, 사업 평가 결과에 대해서만 공개되었고 평가 세부내용이

없어서, 성공요인 분석에서 제외됨.

Page 14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25

세부 기금

국가 사업명

지원액 (달러)수행

기간GEFco-financi

ng

G

E

F

Bela

rus

Biomass Energy for Heating and Hot

Water Supply3,129,000 5,562,000

2003

-

2008

Removing Barriers to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s in the State Sector in

Belarus

1,400,000 8,369,600

2007

-

2011

Chin

a

Energy Conservation and GHG Emission

Reduction in Chinese Township and

Village Enterprises (TVE), Phase II

8,000,00010,550,00

0

2001

-

2007

Barrier Removal for the Widespread

Commercialization of Energy-Efficient

CFC-Free Refrigerators in China

9,617,000 31,289,500

1999

-

2005

Indo

nesi

a

Integrated Microhydro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rogram (IMIDAP), Part I2,000,000 18,455,000

2008

-

2010

Mon

golia

Commercialization of Super Insulated

Building Technology725,000 1,000,000

2002

-

2007

Tanz

ania

Transformation of the Rural

Photovoltaics (PV) Market2,250,000 4,734,070

2004

-

2009

Thai

land

Removal of Barriers to Biomass Power

Generation and Co-generation6,805,000

66,390,00

0

2001

-

2009

Viet

nam

Promoting Energy Conservation in Small

and Medium Scale Enterprises (PECSME)5,469,000

23,428,20

0

2006

-

2011

Regi

onal

Regional Programme on Electrical Energy

Efficiency in Industrial and Commercial

Service Sectors in Central America (El

Salvador, Nicaragua, Costa Rica, Panama)

2,180,000 7,065,000

2006

-

2012

Glob

al

Solar and Wind Energy Resource

Assessment6,512,000 2,508,000

2001

-

2008

SC

CF

Tanz

ania

Mainstreaming Climate Change in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Pangani River Basin

1,000,000 1,574,880

2003

-

2010

<표 4-18> GEF의 성공요인 분석 대상 사업

자료: Global Environment Facility, "Guidelines for GEF Agencies in Conducting Terminal

Evaluation".

Page 14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2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2) 성공요인 분석

성공요인 분석은 최종평가보고서(Terminal Evaluation Report, 이하 TER)의

세부내용 중 ‘시사점·제언’ 내용을 참고하여 공통적인 핵심 성공요인에 대한 시사점

을 도출하였다. 아래 표는 성공사례별 성공요인을 요약한 내용이다.

국가 사업명 성공요인

Belar

us

Biomass Energy for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수원국 전략, 정책과의 부합성

수원국의 적극적인 참여 및 지원

가장 쉽게(least complex) 수행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

시범사업(demonstration site)에 우선순위를 두어 바이오매스

사업의 타당성을 빠른 기간 내 증명

본 사업에 대한 수원국 고위 정부 담당자 지정, 지속적인 참여

고위 정부 담당자의 변경은 사업 지연에 원인임

사업 수행기간 동안에는 고위 정부 담당자에 변경이 없어야 함

회전 자금(Revolving Fund)과 같은 새로운 재정적 메커니즘

도입 시 선진국의 best-practice와 수원국의 제도적 현황을 모두

고려함

추가 co-financing 확보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사업의 필요한 자원에 대한 비용이

상승했지만, 사업제안 시 예측한 co-financing보다 높은

co-financing 확보

정부 co-financing : 계획 (210만 달러), 실제 조달 (580만 달러)

Site owners co-financing (지분투자) : 계획 (337만 달러),

실제 투자 (1억 3만 달러)

북유럽 환경금융공사(Nordic Environmental Finance

Corporation)를 통한 회전 자금 확보

Removing Barriers to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s in the

State Sector in

Belarus

사업 총괄 책임자(Project Manager)의 높은 전문성, 경험,

역량

주기적인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국제 전문가의 참여를 통한 국제 best practice에 대한

know-how 확보

<표 4-19> 사례별 성공요인 요약

Page 14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27

<표 4-19> 사례별 성공요인 요약 (계속)

국가 사업명 성공요인

Chin

a

Energy Conservation

and GHG Emission

Reduction in Chinese

Township and Village

Enterprises (TVE),

Phase II

높은 수준의 사업 설계와 준비

기존 계획된 co-financing보다 높은 자금 확보

사업의 유연성

변하는 외부 환경에 따라 사업 추진 내용 조정

타 지역에 유사 사업 전파

본 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GEF는 방글라데시, 키르기스스탄,

스리랑카에 유사 사업 계획

Barrier Removal for

the Widespread

Commercialization of

Energy-Efficient

CFC-Free

Refrigerators in China

통합적인 문제 해결 능력

사업 대상자에 대해 인센티브 제공

본 사업은 CFC-Free 냉장고 생산을 촉진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것을 목표함. 따라서 CFC-Free 냉장고 생산자에 에코

인증서 등을 제공하여 제품 홍보에 기여함

사업 대상자에 대해 인센티브 제공

적합한 국제 전문가 참여를 통한 역량 강화 교육 제공

변하는 외부 환경에 따른 사업 유연성

Indo

nesia

Integrated

Microhydro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rogram

(IMIDAP), Part I

수원국 정부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

계획된 co-financing 및 파트너십 전략을 통해 co-financing

추가 확보

이해관계자 참여 등을 통해 사업의 지속가능성 촉진

Thail

and

Removal of Barriers to

Biomass Power

Generation and

Co-generation

사업 환경의 변화에 따른 유연성

본 사업 설계 당시 바이오매스 발전 사업을 위한 자원이

풍부하였기에 바이오매스 발전 사업을 촉진하는 것이 사업의

주목적으로 수립됨

그러나 2년 사이에 태국의 외부 환경에 의해 바이오매스 자원이

감소와 재생에너지 시장의 변화에 따라 바이오매스 외

바이오가스, 풍력, 태양광 등 기타 재생에너지의 또한 다룸

본 사업은 수원국의 외부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함

수원국 정부의 제도적 지원

Viet

nam

Promoting Energy

Conservation in Small

and Medium Scale

Enterprises

(PECSME)

높은 수준의 사업 설계와 준비

실현 가능성 있는 프로젝트 설계로 인한 높은 수준의 결과 도출

수원국 정부의 적극적인 참여 및 지원

사업 수행을 위한 제도적인 기반 수립

종합적인 역량 강화 프로그램 수립을 통한 에너지 효율 지식

전파

성공적인 시범사업(demonstration projects) 수행을 통한

투자 유치

Page 14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2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표 4-19> 사례별 성공요인 요약 (계속)

국가 사업명 성공요인

Tanz

ania

Mainstreaming

Climate Change in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Pangani River Basin

수원국 국가전략과의 부합성

수원국 주인의식 강화

사업 완료 후 exit strategy를 수립하여 사업 결과에 대한

지속가능성 촉진

Regi

onal

Regional Programme

on Electrical Energy

Efficiency in

Industrial and

Commercial Service

Sectors in Central

America (El Salvador,

Nicaragua, Costa

Rica, Panama)

같은 에너지 효율 문제를 겪고 있는 국가들이 모여 경험과 지식을

공유할 수 있음

세계화 등에 따라 지역적 에너지 효율 전략이 요구됨. 따라서

본 사업과 같은 지역적 프로젝트를 통해 효과를 극대화함

수행기구(Executing Agency)의 전문성 및 역량

본 사업 특성에 적합한 NGO를 수행기구로 참여

Glob

al

Solar and Wind

Energy Resource

Assessment

다양한 국제 전문 기관의 참여

전문 기관별 명확한 지역 및 역할 구분

효율적인 사업 관리

다양한 국가의 참여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으로 사업을 관리함

향후 유사 사업 수행 시 동일한 소득/개발 수준 국가의 참여를

통해 사업 관리의 효율 향상

자료: Global Environment Facility, "Guidelines for GEF Agencies in Conducting Terminal

Evaluation".

GEF 사업의 성공여부는 사업의 목표와 결과 달성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사업의

목표와 결과에 대한 평가를 높게 받은 사업의 최종평가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공개

된 자료의 내용을 바탕으로 명확한 성공요인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아래와 같은 핵심 성공요인에 대한 시사점

을 도출하였다.

Page 14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29

성공요인 내용

수원국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

영향력 있는 수원국 정부기관/담당자의 적극적인 사업 참여와 지원

제도적 기반 수립을 통한 지원

사업 설계 단계의 중요성

수원국 전략과의 부합성

철저한 배경 분석 및 사업 준비

사업 간 위험요소 분석/대응책 조기 마련

실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사업설계

국제 전문가 및 현지

전문가의 협력

국제 전문가의 참여를 통한 국제 best practice에 대한 know-how

확보 및 수원국 역량 강화

국제 우수사례 적용 시 수원국의 현황을 최대한 고려

적절한 co-financing

확보

적절한 co-financing 확보를 통한 사업 수행 비용(cost) 상승에 대한

대비 및 사업의 원활한 운영에 기여

이행기구 역량 사업 총괄 책임자의 높은 전문성, 경험, 역량

사업의 유연성 변화는 외부 혼경에 따라 사업 추진 내용 조정

지속가능성을 위한 향후

계획

적절한 exit strategy 수립

향후 관리 방안 수립을 통한 사업의 효과 극대화

<표 4-20> 성공사례의 핵심 성공요인

본 연구에서는 한 개의 사례를 제외하고 모두 에너지 효율 또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사업이므로 미흡하지만 공통적인 성공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

다고 본다.

3) 시사점

본 장에서는 국제기구의 기후변화 대응 부분 사업모델 분석을 위해 크게 핵심

기후변화 관련 국제기금인 적응기금(AF), 기후투자기금(CIFs) 및 지구환경기금

Page 14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3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GEF)의 운영사례와 국제기구 기후변화 사업의 성공사례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하

여 향후 녹색기후기금(GCF)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표 4-21> 기금 재원활용 성공사례로부터의 시사점

1. 국제 기후변화 관련(climate-related) 기금의 재원 활용 부분 조사

구분 시사점

기금의 재원

배분 방식

재원 배분 방식은 기후변화 사업 분야에 따라 다름(적응, 감축)

기후변화 감축사업은 재원의 효율성, 투명성 및 공평성과 연계한 지표를

통해 배분됨(GEF의 STAR 사례)

기후변화 적응사업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배분 기준이 없음

재원의 접근방법

직접적 접근방법은 국제적 접근방법에 비해 활성화되지 못함

국제적 접근방법과 직접적 접근방법에 동일한 이행기구 선정 절차와 기준이

적용됨

이행기구로 선정되고 위해서는 수원국의 추천이 필요함

이행기구 선정 절차와 기준은 기금의 특성(조직구조, 지원분야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음

사업

승인절차·기준

모든 기금은 사업발굴·준비를 위한 자금을 지원함

사업 규모에 따라 사업 승인절차에 차이가 있음

모든 사업유형에 동일한 사업 승인기준이 적용됨

수원국의 사전 승인, 추천이 요구됨

2. 성공사례 조사

국제기금의 기후변화 대응 부문 사업은 대부분 진행 중에 있으면 완료된 사업은 총 사업의

10% 미만임

AF와 CIFs 사업은 사업 수행 초기단계에 있고 GEF 사업만이 완료사업에 대한 실적이 있음

GEF는 모든 기후변화 사업에 대해 제3자를 통한 독립적인 평가를 수행하고, 최종평가보고서를

통해 결과를 공개함

궁극적으로 GEF 사업의 성공여부는 ‘목표 및 결과’에 대한 평가 결과에 따라 결정됨

최종평가보고서는 사업의 성공요인 및 향후 유사 사업을 위한 전략적 제언을 포함하고 있음

국제기구에 공개된 자료의 내용은 명확한 성공요인을 도출하기에 부족함

가) 기금의 재원 배분 방식

기금의 재원 배분 방식을 분석한 결과, 재원 배분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크게

Page 14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31

기후변화 감축사업과 적응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기후변화 적응사업의 경우

재원의 공평성과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재원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가 없는 실정이다. 반면 기후변화 감축사업에 대해서는 보다 효율적인

재원 배분 방식이 활용되고 있으며 GEF의 투명한 재원 배분을 위한 시스템(STAR)

이 가장 선도적인 사례이다. GEF의 STAR는 수원국의 소득, 기후변화 사업의 기대

효과 및 성과 등 세 개의 지표를 통해 대상국의 재원 배분을 결정하므로 수원국의

수요에 대한 예측 가능성, 투명성과 주인의식을 강화한다.

기후변화 감축사업 기후변화 적응사업

재원의 효율성, 투명성, 공평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통한 재원 배분 (GEF STAR 사례)

기후변화 취약성, 재원의 배분 공평성(국가에

배분될 수 있는 재원에 대한 상한선 수립)을

고려하나 측정할 수 있는 지표 부재

<표 4-22> 국제 환경기금의 재원 배분 방식 시사점 요약

나) 재원 접근방법

기존 국제기금의 접근방법을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접근방법이 병행되고 있으며

국제적 접근방법으로 시작한 기금의 경우에도 점차 직접적 접근방법을 채택하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국제적 접근방법이 비교적 활발하게 활용

되고 있고, 특히 5대 MDBs 및 유엔기구가 주도적 역할을 한다. CIFs는 5대 MDBs를

통해서만 사업을 이행하고 있다. AF는 직접적 접근방법을 설립당시부터 수용했기

때문에 다수의 국가이행기구가 승인된 현황이다. 2011년에 직접적 접근방법 시범사

업을 도입한 GEF에 경우 국가이행기구 승인절차가 진행 중이므로 현 시점에 승인

된 기구는 없다. AF는 현재까지 15개의 국가이행기구를 승인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이행기구에 비해 승인된 프로젝트 수가 적다. 즉 국가이행기구는 아직까지 국

제기구가 요구하는 기준에 부합하는 사업을 제안할 역량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4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3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AF와 GEF와 다르게 CIFs는 5대 MDBs를 통해서만 사업을 이행하고 있다.

ü기금설립부터 직접적접근방법 도입

ü총이행기구 수의국제이행기구 비중에 50%�상한선을두고승인방식에필요한 온라인 Toolkit을 제공하여,�NIEs�참여를촉진함

AF의 직접적 접근방법 GEF의 직접적 접근방법 시범사업

ü GEF는현재까지 국제적접근방법만 수용하였지만,�’11년 6월

수혜대상국의주도능력 및역량강화를 위해시범사업 도입

ü 최대10개의이행기구 승인및 그중 최소 5개의 NIEs를

우선적으로승인하기로 함

구분 국가이행기구(NIE) 다자이행기구 (MIE)

승인이행기구 15 10

승인프로젝트수 4 24

현재까지15개의NIEs가승인됨에도불구하고,�MIE에

비해NIE을통한프로젝트승인이제한적임

단계1차검토결과(’12년6월)

2차검토결과(’13년6월)

승인현황• 16개신청• 14개승인

• 2개조건부승인• 1개거절• 8개추가검토요청

2단계중간검토결과모든신청기구가GEF�승인기준에

미달하여,�운영개선의필요성제기

<그림 4-11> 국제 환경기금의 직접적 접근방법 사례 분석

직접적 접근방법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이행기구

선정 절차와 기준을 분석하였다. AF와 GEF의 이행기구 선정 절차와 기준을 분석한

결과, 기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공통점 차이점

국제적 접근방법 및 직접적 접근방법에 동일한

이행기구 선정 절차와 기준이 적용됨

이행기구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수원국 추천이

필요함

이행기구 선정 절차와 기준은 기금의

특성(조직구조, 지원분야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음

<표 4-23> 국제 환경기금의 이행기구 선정 방식 시사점 요약

공통점은 국제적 접근방법 및 직접적 접근방법에 대한 이행기구 선정 절차와

Page 15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33

기준에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국가이행기구로 선정되는 기관들은 MDBs, UN기구

와 동일한 신탁기준 및 기타 추가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또한 이행기구 신청서를

제출하기 전에 수원국의 추천이 있어야 한다. AF의 국가지정기구(Designated

Authority)가 이행기구 후보를 추천한다.

두 기금의 이행기구 선정 절차와 기준을 분석한 결과 기금의 조직구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F의 이행기구 선정 절차와 기준은 GEF에 비해

단순하다. AF에서는 수원국의 추천으로 시작하여 AF의 승인기구의 검토와 이사회

최종 승인을 통해 이행기구로 선정될 수 있다. 기준 측면에서는 AF의 신탁기준을

만족하면 된다. GEF는 조직구조가 AF보다 복잡하므로 이행기구 승인에 더 많은

절차가 요구된다. 1단계로는 GEF의 부가가치기준을 만족해야 하며 이에 대한 사무

국의 심사 후 이사회 승인을 통해 2단계 승인절차로 넘어갈 수 있다. 2단계에서는

심사를 위한 심사비용 지불과 수탁기준, 환경적 세이프가드 및 양성평등요소에 대

한 승인기구의 평가 후 최종 승인 여부가 결정된다.

구분 AF GEF

이행기구

절차

수원국 추천/심사 신청 →

승인기구 심사 → 이사회 승인

수원국 추천/1단계 심사 신청 → 1단계 심사

→ 사무국 심사/추천 → 이사회 심사/승인 →

심사비용 지불 → 2단계 지원서 제출 →

승인기구 심사/승인

이행기구

기준수탁기준

GEF 부가가치기준 (1단계)

수탁기준 (2단계)

환경사회적 세이프가드 (2단계)

양성평등요소 (2단계)

<표 4-24> AF와 GEF의 이행기구 승인절차·기준 비교

AF의 경우 이행기구 선정 절차와 기준이 GEF에 비해 단순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Page 15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3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총 15개의 국가이행기구가 선정될 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반면 GEF는 승인기

준에 요구되는 사항이 다양하고 복잡한 승인절차를 거쳐 승인이 완료된다. 따라서

GEF가 진행 중인 직접적 접근방법 시범사업에 모든 신청기구들이 GEF의 승인기준

에 미달한 것으로 파악되며 직접적 접근방법 활성화를 위해서는 승인절차와 기준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 사업 승인절차·기준

마지막으로 국제 환경기금의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검토해야 할 요소는 개별

사업에 대한 승인절차와 기준이다. 분석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구분 공통점 차이점

사업 유형

소규모 및 대규모 사업 지원

프로그램 형태 사업 지원

사업개발·준비 자금 지원

사업개발·준비 지원 자금규모

사업 유형별 지원 자금규모

사업 승인기준

사업 설계, 수원국 참여의지,

수원국 국가전략과의 부합성, 사업

기대효과 등 공통 기준

감축사업에 대한 co-financing

요구

기금 특징에 따른 추가 기준

CIFs는 세부기금별 구체화된 기준이

있음

GEF는 다양한 기준을 갖추고 있지만

사업 설계, 사업의 부합성, 이행기구의

비교우위를 중점적으로 검토

AF는 기타 기금의 기준보다 단순함

사업 승인절차

수원국의 추천 필요

사업 규모에 따라 절차에 차이가

있음

기금의 조직구조에 따라 승인절차가

다름

<표 4-25> 국제 환경기금의 사업 승인절차·기준에 대한 시사점

본 연구에서 분석된 세 개의 기금은 모두 사업발굴·준비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AF는 개별 사업에 따라 사업발굴·준비 자금이 다른 반면 GEF는 대규모 사업에

Page 15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35

대해서는 5억 이상, 소규모 사업에 대해서는 5억 미만을 지원한다. CIFs는 기타

기금에 비해 지원되는 사업발굴·준비 자금이 적지만, 최빈국 사업을 지원하는 사업

에 더 많은 자금을 지원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업 유형은 기금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다. AF와 GEF는 프로그램 형태의 사업

도 지원하지만 대부분 소규모 또는 대규모의 프로젝트 형태의 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있다. 또한 사업 규모에 따라 동일한 지원 자금 상한선을 가지고 있다.

CIFs는 국가별 프로그램을 수립한 후 프로그램과 부합한 개별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CIFs는 AF, GEF와 다르게 개별 사업에 대한 지원 규모 기준이 없다.

각 기금의 사업 승인기준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평가되는 기준이 있지만

기금별 특징에 따라 다양한 기준 또한 적용되고 있다. 사업의 설계, 수원국 참여의지,

사업의 부합성, 사업 기대효과는 사업 승인기준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그 외 감축

사업에 대해서는 co-financing 확보 여부 또한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CIFs는 세부기

금별로 구체화된 투자기준을 수립하여 이행기구가 사업 제안 전 단계에서 어떤

사업들이 지원되는지 사전에 파악할 수 있게 한다. GEF는 다양한 사업 승인기준을

갖추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사업의 부합성, 사업 설계와 이행기구의 비교우위를 중

점적으로 검토한다. AF는 타 기금에 비해 단순한 사업 승인기준을 갖추고 있다.

각 기금의 사업 절차는 기금의 조직구조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CIFs와

AF의 조직구조는 비교적 단순하기 때문에 이사회 승인만이 요구되는 반면 보다

복잡한 조직구조를 가진 GEF의 경우 이사회 외에도 CEO의 승인이 요구된다. 또한

AF와 GEF는 규모가 비교적 작은 사업유형에 대해서는 승인절차를 단순화하고

있다는 공통점도 있다.

기금의 사업 승인기준을 만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세 기금은 공통적으로 사업

승인을 받기 위해 수원국의 추천이 있어야 한다. GEF와 AF는 각 기금의 수원국

지정기구를 지정하여 사업 전 과정에 참여하도록 한다. 따라서 모든 사업제안서는

수원국의 추천이 있어야 한다. CIFs는 국가의 사업발굴 단계부터 MDB와 수원국이

협력하며 국가투자계획서가 CIFs 위원회에서 심사되기 전에 수원국의 승인을 우선적으

Page 15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3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로 확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사업(안)에 대한

수원국 지지 확보

기금의 사업 승인

기준 만족사업발굴 사업승인

사업승인 절차

<그림 4-12> 국제 환경기금의 사업 승인절차

라) 성공사례

국제기구의 성공사례를 분석하기에는 아직까지 완료된 사업 수가 적으며, 분석

가능한 사업의 경우 국제기구에서 공개하는 자료의 내용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GCF의 성공적인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국가별 진행된 국제기구 기후변화 사업

에 대한 조사·분석 또는 세부 분야별(예: 신재생에너지 사업, 재해방지 사업 등)

조사·분석을 통해 우수사례를 선별하고 성공요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다. GCF에 대한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기구의 기후변화 대응 부문에 대한 사업모델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향후 GCF의 성공적인 운영과 개도국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1) 국제 기후재원 현황 조사, 2) 국제기구의 기후변화 대응 부문 사업모델

조사, 3) GCF 사업모델을 위한 시사점 도출 등 세 가지 핵심주제로 구분하여 진행되

었고 각 핵심주제에 대한 조사·분석 결과에 따라 다음 그림과 같이 GCF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Page 15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37

� 개도국 수요조사 지원

‚ 국제기구 기후변화 사업 조사ž분석

ƒ 재원 배분 기준 수립

„ 직접적 접근방법 활성화 방안 구축

… 수원국의 사업 전과정 참여 촉진

GCF의성공적인 운영 방안

기존기후변화관련국제기금의운영사례및기후변화성공사례조사

GCF�개요및사업모델(안)조사ž분석

국제기금의효율적활용을위한시사점도출

GCF�사업모델(안)�핵심결과도출

<그림 4-13> GCF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제언

1) 개도국 수요조사 지원

GCF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수원국의 수요에 부합하는

재원의 배분과 사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AF, CIFs, GEF 등 기존 기금은 모두 수원국

의 사업발굴·준비를 지원하기 위한 자금을 제공하고 있다. 사업 규모에 따라 지원자

금에 상한선을 두고 있고, 사업발굴·준비 자금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본 사업에 대한

승인절차와 유사한 절차를 만족해야 한다.

Page 15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3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기금 프로그램 명 지원 규모 ($)

GEF Enabling Activities (EAs)FSPs : 5억 이상

MSPs : 5억 미만

AFProject/Programme Formulation

Grants (PFG)사업별로 지원액이 다름

CIFs Preparation Grant

CTF : 100만

SREP & PPCR : 최대 150만

FIP : 25만

GCF사업발굴·준비를 위한 재정적 지원 및 지원 자금 한도, 승인기준 마련

국가전략·계획 지원 조직 또는 전문가 패널을 통한 기술적 지원

<표 4-26> 사업발굴·준비 지원 사례

GCF 또한 사업발굴 단계에서부터 수원국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재정적 지원

이 가능해야 한다. 기존 기금의 사례를 검토하여 지원 규모에 대한 금액을 정하고

사업 준비 승인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수립해야 한다. 재정적 지원과 함께 국가 전략

담당 조직 또는 전문가 패널을 통해 기술적 지원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국제기구 기후변화 사업 조사·분석

개도국의 기후변화 사업은 수원국이 자체적인 자금으로 수행하는 경우도 있지

만, 대부분 MDBs 또는 GCF와 같은 국제 기후기금의 지원을 통해 수행한다. 이처럼

다양한 국제기구에서 개도국의 기후변화 사업을 지원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진행된

기후변화 사업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성공요인을 분석할 수 있는 선행 연구자료

등이 부족한 실정이다. GCF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수원국의 수요를 예측하

고 기금의 재원을 가장 효율적이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현재까지 진행된

국제기구 기후변화 사업을 국가별 또는 분야별로 조사·분석하여 GCF에 적용할

Page 15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39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국제기구의기후변화 사업 조사ž분석

§ MDBs,�UN,�다자 환경기금등

국제기구의기후변화사업조사분석을

통한국가별,�분야별지원현황파악

ü사업의 중복 방지

ü유사 사업 수행 시 성공요인 참고

ü연계 사업 발굴

GCF의성공적인 운영에 기여

기후재원의 효율적인 활용

<그림 4-14> 국제기구의 기후변화 사업 조사·분석 방안

3) 기금의 재원 배분 기준 수립

GCF는 재원의 효율성, 투명성 및 공평성과 연계할 수 있는 GCF만의 측정 지표

를 우선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현재 기후변화 감축사업에 대해서는 GEF의

STAR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 반면 벤치마킹이 가능한 적응사업

에 대한 재원 배분 기준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GCF는 기존 기금과 다르게 기후변

화 감축과 적응사업을 균형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적응사업에

대한 구축 방안 또한 필요할 것이다.

4) 직접적 접근방법 활성화 방안 구축

현행 국제 환경기금의 접근방법을 분석한 결과 이미 언급한 두 가지 접근방법이

병행되고 있으며 국제적 접근방법으로 시작한 기금의 경우에도 단계적으로 직접적

접근방법을 채택하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국제적 접근방법이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5대 MDBs 및 UN기구가 주도적 역할을

Page 15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4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한다. AF는 현재까지 15개의 국가이행기구를 승인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이행기

구에 비해 승인된 프로젝트 수가 낮다. GEF의 경우 진행 중인 직접적 접근방법

시범사업에서 모든 신청기관이 GEF의 승인기준에 미달하여 직접적 접근방법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직접적 접근방법이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는 이유는 수원국 기관이 국제기구가

준수하고 있는 높은 신탁기준 등을 만족하기에는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이행기구로 승인된 후에도 국제기구 사업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

여 국제이행기구에 비해 사업제안 역량 또한 미진한 실정이다.

수원국 주도적 사업을 수행하는 것이 GCF의 핵심 원칙이므로 직접적 접근방법

의 활성화 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기존 기금의 직접적 접근방법에 대한 애로사항

을 검토하여 개선된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 밖에 GCF는 국가이행기구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이행기구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국가이행기구를

우대하는 기준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그림 4-15> 직접적 접근방법 :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우수 사례

5) 수원국의 사업 전 과정 참여 촉진

국제기구 사업은 크게 1)사업 발굴, 2)사업 준비, 3)사업 심사/승인, 4)사업 이행,

Page 15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41

5)사업 완료/평가, 이상 다섯 개의 단계로 진행된다. GCF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

는 국제기구 사업 전 과정에 수원국의 참여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

<그림 4-16> 국제기구 사업 전 과정에 대한 수원국 역할

본 연구의 2장에서 분석한 결과 기존 기금은 수원국 중앙정부 기관을 국가지정

기구로 지정하여 해당국의 사업(안) 제출, 승인 및 진행과정에서 수원국의 의사를

최대로 반영하게 한다. AF와 GEF는 국가지정기구의 추천서를 사업제안서와 함께

제출하도록 요구한다. 그 밖에 CIFs는 MDB와 수원국이 사업발굴 단계부터 협력하

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또한 국제기구의 기후변화 사업 사례를 분석한 결과,

수원국의 참여가 높은 사업에 대한 성공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GCF는 국가지정기구(NDA)를 지정하여 이사회에 국가 기후변화 전략·계획에

부합하는 사업제안서를 추천하고 no-objection procedure를 수행할 할 예정이다.

그러나 수원국별 NDA의 사업개발, 제안 및 관리·감독에 대한 역량이 다르다. 따라

서 GCF는 사업 전 과정에 NDA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명확히 하고, 단계별로 역량

Page 15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4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강화를 지원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2. 국내적 재원활용

가. 수요자 측면에서의 평가

녹색성장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경제성장과 환경보전의 시너지 창출을 통해

경제와 환경이 균형적 성장을 추구하는 개념으로 환경을 새로운 동력으로 삼는

경제성장 패턴이다. 녹색성장의 메커니즘은 생산과정에서 녹색기술의 투입으로 환

경오염을 줄이고, 에너지/자원을 확충하여 생산력을 지속적으로 재고시키는 것으로

일회성 정책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과제라는 사회 전반의 공감

대 형성이 필요하다.

녹색금융의 범위는 녹색산업을 지원하는 금융, 친환경 활동을 유도하는 금융, 탄소시

장 비즈니스로 구분된다.75) 녹색산업을 지원한다는 것은 기업금융, PF, 펀드, 벤처투자

등 녹색 기업을 위한 자금 중개 과정에서 녹색기업을 지원하는 것이다. 친환경 활동을

유도한다는 것은 기업의 환경경영 정도를 대출심사에 반영하여 개인과 기업의 친환경

투자 및 소비를 촉진한다는 것이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이 두 가지 영역에서 녹색금융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현황을 보면 수요자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발견된다.

우선 녹색산업을 지원한다는 측면에서, 현재까지 녹색금융은 주로 신재생에너지,

탄소배출권, 그리고 환경시설에 관련된 대규모 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이는 녹색금융의 태동기에 금융 공급자와 수요자가 빠르게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는 분야에 우선적으로 집중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녹색금융이라는

이름의 대부분의 상품들은 기존의 인프라 사업과 거의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즉 기존의 인프라 파이낸싱과 거의 동일한 금융 소비자(공공기관이나

대형 사업자), 거의 동일한 사업 방식(프로젝트 파이낸싱, 민관 파트너십(PPP) 등)

으로 ‘녹색’이라는 이름을 붙여 진행되었다. 초기에는 이런 모델이 성공적이었으나,

75) 녹색금융 종합포털(http://www.green-finance.or.kr/sub07/sub07_01_01.php).

Page 16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43

현재는 좋은 프로젝트가 고갈되어 신규 프로젝트를 발굴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렇게 대형 프로젝트 파이낸싱 위주의 비즈니스 모델은 그 자체로 문제가 있다

고 보기는 어렵지만, 녹색 금융을 바라보고 사업화하는 금융기관은 구체적으로 기

업과 개인(가계)을 녹색 금융의 소비자로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이들을 위한 맞춤형

상품개발이 미흡했다고 볼 수 있다.

녹색사업에서 시장 매력도, 사업 경쟁력과 금융은 기업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성장 가능성이 높으나, 기술의 발전이 부족한 사업일수록 금융 조달

문제가 대두되는 것은 사업 특성상 시장 메커니즘에만 의존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신성장 사업 중에서 경제발전의 원동력으로 녹색기술이 추진되고 있고 녹색금융은

이를 촉진하고 있는 역할을 하는데 금융기관이 녹색기술에 내재하는 위험과 수익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존재한다.

녹색기술과 금융융합의 실패현상은 첫째, 신성장 분야의 불확실성으로 금융기관

들은 위험을 평가하고 관리기보다는 기피하려는 특성 때문이다. 신성장 기술개발과

정은 성공여부와 시기를 예측하기도 힘들며, 개발을 하더라도 상용화에는 추가적인

시간과 자원이 필요하다. 그 이후에도 기술에 대한 잠재수요가 수익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2008년「저탄소 녹색성장 비전선포」

와 함께 핵심추진 10대 과제로 선정되었고, 2009년 3개 부문 17개 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선정되었다. 녹색기술 개발과 정부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인해 다수의 민

간기업이 사업에 진출하여 풍력, 태양광등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이룩하였지만 유럽

발 경기침체와 미국발 셰일가스의 등장으로 신재생에너지 수요의 불확실성을 예측

하기 어려운 수준까지 증가시켰다. 둘째, 유형자산을 보유하지 않는 신성장사업

영역은 자금조달 능력이 더욱 떨어지게 된다. 기술지식에 기초하여 사업화하려는

기업의 경우 기술개발과정 혹은 상용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유형자산에

비해 무형자산에 대한 담보를 보장할 수 없어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는 투자자금에

대한 회수가 불확실하다. 셋째, 외국은 녹색기술 혹은 녹색성장을 환경개선을 위한

Page 16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4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금융 역할을 강조하는 반면 국내는 경제발전 촉진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정책기금

등의 상품의 목적과 기준이 모호하다.

기업의 경우, 기업 규모와 기술 개발 단계에 따라 엔젤 및 벤처 투자부터 회사채와

여신까지 다양한 형태의 자금 수요가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같은 대규

모 프로젝트와 대규모 금융을 필요로 하는 기업의 수는 제한되어 있다. 컨설팅 업체인

맥킨지의 보고서에 의하면76),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비용이 낮은 기술옵션부터

정리하면 가장 낮은 기술옵션들은 대부분 가정/상업/공공 부문의 에너지 효율 향상과

관련이 되어 있다. 조명을 LED로 교체, 가전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거나, 공장/건물

의 전동기의 에너지 효율 향상, 건물의 냉난방 에너지효율 향상 및 단열재 보강이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들의 감축 옵션들은 한계감축비용이 음(-)이므로

결과적으로는 항상 투자비가 회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사업들에서 녹색금융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보다는 오히려 이들보다 한계감축비용이 높은 옵션들인 매립지 발전이나

신재생에너지 개발 사업에서 녹색금융이 이루어졌다는 것은 온실가스 감축 수요에 제대

로 대응한 것인지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76) McKinsey & Company, Impact of the financial crisis on carbon economics version 2.1 of the

Global Greenhouse Gas Abatement Cost Curve, 2010, p. 8.

Page 16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45

자료: McKinsey & Company(2010)

<그림 4-17> 2030년까지 글로벌 온실가스 한계감축곡선

물론 규모의 경제에 의하여, 소수의 대형 프로젝트를 발굴하여 금융지원을 하는

것이 다수의 중소형 프로젝트에 대해 금융 지원을 하는 것보다 수익률이 높다. 그래

서 우선적으로 그런 대형 자금 수요에 맞추어 활동을 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프로젝트들이 점점 물량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UNFCCC는 물론, 환경 관련 국제기구들은 일찍이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것을 예상하

고 있었다. Figueres & Philips (2007)에 의하면,77) 최종 소비자 측의 에너지 효율 개선

프로젝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긴 꼬리(Long Tail)‘의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소규모의 다수 프로젝트를 묶어내는 프로그램 CDM(pCDM)과 프로그램 활동

77) Figueres & Philips (2007), Scaling Up Demand–Side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s through

Programmatic CDM, ESMAP Technical Paper 120/07, Energy Sector Management Assistance

Program and The World Bank Carbon Finance Unit, p. 8.

Page 16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4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자료: Figueres & Philips(2007)

<그림 4-18> 온실가스 감축수단의 '긴 꼬리(Long Tail)'

(Programme of Activities. PoA)이 전 지구적인 에너지 효율 개선과 온실가스 감축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 특히 가정 부문 및 중소기업이 온실가스 감축활동

에 참여할 수 있어 CDM 사업의 이익이 직접 지속가능한 개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78)

녹색금융의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않았고, 탄소배출권 가격이 급격히 폭락한

것을 고려함에도 불구하고 녹색 금융이 다양한 금융소비자의 니즈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수요에 대응하기보다는 인프라나 대형 사업 위주로 진행된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는 듯하다. 즉, 기존 금융 소비자의 기존 수요를 새로운 방법(예: 대체

투자 등)으로 충족시켜준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기존의 방법으로 새로운 금융 소비

자를 발굴하여 신규 수요를 충족시켜준 것도 아닌 상황이 되었다. 물론 금융 산업이

78) 그러나 아직도 pCDM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pCDM 사업이 소규모의 온실가스 감축활동을

묶어내는 활동이다 보니 모니터링 및 검증 과정에서 기존 CDM사업보다 너무 많은 비용이 소요된

다.

Page 16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47

본질적으로 사업모델 개발과 관련된 리스크가 너무 크고, 고도로 규제를 받는 산업

이라는 특성을 감안한다고 해도 최근까지의 상품 개발 현황과 성과는 초라하다.

이는 공급자인 금융회사들이 소비자들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적극적으로 요구함에

도 적절한 금융 서비스를 공급하지 못한 측면도 있고, 새로운 사업모델의 개발과

시도도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1) 녹색산업 환경변화에 따른 기업의 정책변화

기업은 투자를 결정하기 전에 시장 성장성, 수익성, 시급성, 리스크 등의 시장매력

도와 내부역량, 자금활용 등 사업경쟁력을 복합적이며 다양한 분석을 통해 신사업

을 추진하게 된다. 특히, 지난 정부의 핵심 어젠다였던 녹색성장은 많은 기업에

위기이자 기회요인으로 접근해왔다. 정부의 강력한 추진의지와 환경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통한 경제부흥의 논리가 접목되어 많은 기업에서 신성장 사업으로 녹색사업

을 추진하였다. 민간기업은 기후변화에 대한 기업의 역할에 공감하고, 리스크를

사업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에너지집약산업인

철강업계의 인식과 더불어 경영환경에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최

근 녹색산업의 시장환경 변화는 민간기업으로 하여금 투자우선 순위에 변화로 이뤄

지고 있다.

국내 대표적인 기업인 삼성, LG, 포스코는 기존 사업과 연관성이 있는 신재생에

너지로 선택과 집중을 통해 매출을 증대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삼성과 LG는 반도체

사업과 연관성이 있는 2차전지, 태양광전지, LED, 스마트그리드를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포스코의 경우 연료전지, 태양광, 석탄가스화에 집중하면서, 그룹 내

R&D, 제작, EPC, O&M 등 역할 분담으로 시너지 창출에 노력하였다.79)

79) 2009년~2011년 지속가능성 보고서, 탄소보고서, 사업보고서.

Page 16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4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사업 참여부문 매출비중 역할

삼성6개 부문 (20개 사업)

(2차전지, 태양광전지 등)

1.01%

(2.77조원)

R&D :중기원 등

제조 : 전자, SDI

EPC : 물산, 중공업

O&M : 물산, 중공업

LG5개 부문 (12개 사업)

(2차전지, 태양광전지 등)

1.38%

(1.96조원)

R&D : 전자기술원

제조 : 전자, 화학

EPC : CNS

O&M : 전자, 솔라에너지

포스코13개 부문 (27개 사업)

(연료전지, 석탄가스화)

0.34%

(0.24조원)

R&D : RIST 등

제조 : 플랜텍

EPC : 건설, ICT

O&M : 에너지

<표 4-27> 대기업 녹색사업 추진현황

자료: 2012 IEA 자료 분석.

하지만, <그림 4-19>에서 볼 수 있듯이 국제 경기침체, 셰일가스 등장은 녹색사

업을 추진하는 기업으로 하여금 예상보다 신재생에너지 시장활성화 지연이라는

시장매력도 부족으로 이어져 민간기업의 투자우선순위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중국

및 선진국의 원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치열한 시장 경쟁은 사업에 대한 리스크가

날로 증가하는 요인으로 반영되고, 시장 활성화 지연으로 인한 투자회수의 어려움

은 결국 대규모 투자에 대한 부담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경기 변화는

금융조달의 어려움보다 사업을 지금 추진해야 하는가 하는 전략의 변화로 이어지게

된다.

Page 16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49

자료: 녹색성장위원회 IEA 자료 참고 저자 작성.

<그림 4-19> 녹색사업 환경변화

<그림 4-19>에서 볼 수 있듯이 2009년 각국 정부에서 추진한 Green New Deal

현상이 유로존 재정위기로 보다 쉽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자원개발 쪽으

로 투자의 방향이 변화하고 있다. 이는 기술 및 수익성이 부족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 변화로 이어지게 된다. <그림 4-20>는 미국 및 중국의 풍력발전 투자액

과 풍력발전량 추이로 풍력발전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이것은 2010년

까지의 투자효과로 신재생에너지로 투입되었던 자금이 2011년을 정점으로 감소하

는 것을 알 수 있다.

자료: IEA(2012), BP Alternative energy Report(2013), www.bp.com

<그림 4-20>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투자 및 풍력발전량 추이

Page 16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5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투자확대 : 경영층 의지 및 M&A 투자유지

GE: 美 Primestar M&A로 태양전지

사업 참여

- 박막형 태양전지로 기술차별화

한화 : 中 Solartfun, 獨Q-Cells 인수

- 폴리실리폰, 잉콘, 웨이퍼,

전지, 모듈 PC 등 V/C 구축

삼성 : 태양전지 그룹 내 사업이관

- 결정질 설비매각 추진

2011년 550억 추진

LG : 결정질에서 박막형으로 전환

- 결정질 실리콘 생산라인

확대 취소

투자축소 : 사업 속도조절 사업철수

SK : 수익성 악화로 투자보류

현대중공업 : 추가 투자보류

- 2011년 매출 3,990억 원,

영업이익 1,752억 원

BP : 수익성 저하 및 원가경쟁력 부족

- 2002년 태양전지 2위-->

2006년 24위

GS퓨얼셀 : 영업적자로 사업축소

- 가정용 연료전지 시장 불투명

신재생에너지 여건변화에 따라 기업은 크게 세 가지의 전략변화를 보인다. 첫째,

투자확대로 사업의 여건은 부족하지만, 시장을 선점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경제적

논리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경영층의 강력한 의지가 바탕이 되어 추진하

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GE, 한화로 신기술의 개발과 M&A를

통한 공격적인 투자를 병행함으로써 Value-Chain을 완성하여 일부 사업에서 부족

한 수익을 다른 사업으로 보존하는 방식으로 추진한다. 둘째로 투자축소 또는 투자

유보로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방식이다. 마지막 사업철수로 수익성 악화의

리스크 매각을 보존하는 방식이다.

<표 4-28> 주요기업 태양광 사업 추진현황

자료: 한화그룹 홈페이지(2011.04.12), 뉴스1(2013.03.17), 뉴스에너지(2012.08.09), 그린데일리

(2012.02.04), 매경이코노미(2012.10.29).

이러한 기업들의 전략의 차이는 사업을 바라보는 관점과 경영층의 의지로 구분되

며, 최근 태양광에 진출하였던 민간기업 중 신성장사업의 리스크로 인하여 그룹

Page 16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51

구분 정산단가(원/kWh) 구분 정산단가(원/kWh)

원자력 28.4 매립 160.3

석탄 49.0 중유 236.3

국내탄 73.6 태양광 183.5

등유 438.7 폐기물 160.5

바이오 163.7 풍력 172.3

부생 92.2 LNG 147.7

소수력 162.8 연료전지 161.7

수력 196.3 해양에너지 164.8

양수 241.5

전체의 자금조달의 문제로 연결되는 현상은 민간기업으로 하여금 녹색사업에 시사

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가) 녹색사업 추진현황 분석

신재생에너지로 대변되는 녹색성장사업은 기술 부족으로 인해 정부 보조금으로 사업

을 육성하였으나, 2012년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제도의 도입을 통해 신재생에너지원 간, 사업자 간 경쟁과 시장원리를 도입해 비용절감은

물론 신기술 개발을 유도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의 경제성을 높이면서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의 경쟁력 또한 강화한다는 계획하에 추진되었다. 그러나 시장이 성숙하지

않은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경쟁체제 및 시장원리는 수익성이 낮은 산업에 투자해야

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 구매자의 구매력을 떨어뜨리려 기자재산업의 사업 성장 속도가

예상보다 늦어지는 악순환을 일으키고 있다. 게다가 정부에서 발표한 2030년까지 전력

공급 중 신재생에너지 11% 보급 비중이 2006년 2.3%, 2008년 2.4%, 2011년 2.9% 등

보급 속도를 느리게 하고 있다.80)

<표 4-29> 에너지원별 정산 금액 규모

자료: 한국전력거래소 시장운영실적 공개자료(12년도).

80) 민간발전협회 웹사이트(www.ippak.or.kr).

Page 16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5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표 4-29>에서 볼 수 있듯이 국내전력시장에서 신재생에너지는 유류발전소 외

에 발전정산단가 부족으로 타 발전기에 비해 경쟁력이 부족하다. 특히 최근 지경부

에서 검토 중인 전력단가 상한제의 경우 신재생에너지는 제외되었으나, SMP 결정

발전기에 영향으로 정산단가 하락할 가능성이 존재하여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수익

성은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13년도 신규발전소 원자력 2기, 복합 3기, GT 3기 및 열병합 발전소 2기를

통해 6,356MW, 14년도 원자력 1기, 복합 7기, 열병합 3기 등 5,740MW 발전소가

신규로 시장에 진입함으로써 전력정산 가격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하락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신재생에너지원이 수익성 측면에서 Grid Parity에 접근하여 LNG

발전과 직접적인 경쟁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졌으나, 예상보다 경쟁상황이 지연되고

있으며 풍력, 태양광의 지형적 한계, 연료전지, 폐자원의 구조적 한계(도시 인근)로

인해 비상발전사업 영역으로 진화하는 유류발전소 또한 대체하지도 못하고 있다.

① 태양광 사업

정부의 태양광 우대제도로 인하여 태양광발전 EPC, 기자재 기술 확보가 가능하

였다. 그러나 FIT(발전차액지원제도, Feed in Tariff)에서 RPS로의 정책변화는 사

업투자자로 하여금 투자매력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2011년 이전 FIT까지

는 일반사업자의 투자비 회수 및 최소 수익률을 보장받을 수 있었으나, 2011년 이후

RPS에서는 수익 회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일반사업자가 아닌 발전사업자의

할당량을 맞춰가는 규제 대응으로 왜곡되고 있다. 이는 태양광 사업의 수익률과

관계가 있다.

<표 4-30> 태양광 사업 정산 가격

FIT RPS

12년도 677.38원/kWh 340.23원/kWh

자료: 한국거래소 전력통계 정보시스템(https://epsis.kpx.or.kr/).

Page 17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53

<표 4-31> 태양광 RPS 평균 정산 금액

REC 정산가격(태양광) SMP(평균) 정산금액 (원/kWh)

2012.2 229.4 158.0 387.4

2012.3 220.0 175.7 395.7

2012.4 219.0 156.3 375.3

2012.5 165.0 169.7 334.7

2012.6 159.8 177.1 336.9

2012.7 163.4 183.7 347.2

2012.8 164.5 161.0 325.5

2012.9 166.8 132.1 298.9

2012.10 168.6 147.8 316.4

2012.11 165.9 137.4 303.3

2012.12 157.6 163.6 321.2

자료: 한국전력거래소 계통한계가격 공개자료(12년도), 한국전력거래소 전력통계 정보시스템

(https://epsis.kpx.or.kr/).

<표 4-32> 태양광 RPS 입찰 현황

구분2011년 2012 2013년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입찰시기 ‘11.8월 ‘12.4월 ‘12.10월 ‘13.4월

접수물량(MW) 95.81 114.05 290.00 268.31

접수업체수(개수) 448 633 1,585 1,475

선정물량 32.58 16.00 115.3 61.00

선정업체수 88 93 765 211

기준상한가(천원/REC) 350 270 270 227

거래평균가(천원/REC) 219.98 156.63 158.66 136.10

자료: 2012년 REC거래시장 시장동향 분석(www.kpx.co.kr).

FIT 제도하에서는 15~20년간 고정가격을 통한 최소수익률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투자회수기간 10년 이내이다. <표 4-32>는 RPS 제도하 태양광 입찰현황으로 태양

광 중소업체의 난립으로 인해 태양광 수익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RPS

Page 17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5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제도하에서는 전력 SMP 변동가격으로 인한 수익 불안정성, 투자비용 미회수에

대한 사업 RISK 증가, 민간기업의 최소투자 수익률 미확보 등 사업추진에 대한

타당성이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업환경 변화는 일반사업자의 투자사업이 아닌

발전사업자의 규제대응 차원이며, 투자수익 확보를 위해 태양광 설비 단가 등으로

비용이 전가되고 있어 태양광사업의 매력도가 떨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다.

대부분의 민간기업에서 RPS 제도 변경 이후 규제대응을 위한 태양광 건설 외에는

운영수익을 위한 발주가 줄어가고 있다.

② 풍력 발전

풍력발전사업은 대규모의 발전사업이 가능하여 타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비해

Parity Grid에 접근하고 있는 녹색사업이다. 하지만 태양광 발전과 마찬가지로 육상

풍력의 경우 치열한 가격경쟁으로 인한 설비 제조업체의 수익률이 감소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조선사의 터빈경쟁력을 바탕으로 대우조선해양, STX중공업, 현대중

공업, 효성, 유니슨, 삼성중공업, 두산중공업 등이 진출해 있으며, <그림 4-21>에서

볼 수 있듯이 해외의 경우는 터빈 제조사만 100개사 이상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자료: New Energy Finance Report(www.newenergyfinance.com).

<그림 4-21> 풍력 Manufacturing 업체 수

육상풍력의 지리적/환경적 한계로 인하여 해상풍력발전으로 사업이 진출하고 있

으나, 육상풍력과 동일한 전력요금에 REC 가중치 외에는 특별한 투자회수방안이

없어 투자비는 증가하고 회수기간은 길어지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Page 17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55

<표 4-33> 국내 풍력발전 사업 수익률

FIT RPS

기타 107.29원/kWh (SMP선택) 180원/kWh

자료: 12.7.25일자 Bloomburg Energy, Wind Market outlook 2012 발표자료, 한국수출입은행, 12년

태양광, 풍력산업동향 및 해외진출전략.

<그림 4-22> 풍력터빈 가격 변화

풍력터빈의 가격은 지속적으로 감소해가고, 국내 녹색사업정책은 정부 지원에서

시장논리로 전환되어가는 상황에서 민간기업은 제조업체들 간의 시장경쟁이 완료

및 시장활성화 이후에 진출을 도모하는 상황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진출시기

의 변화는 정부에서 추진해온 민간기업이 제조업에 진출을 통한 경제 활성화가

아닌 O&M만 진출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그림 4-23> 녹색펀드 운영구조

Page 17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5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녹색펀드 활성화 방안으로는 공모펀드에 투자한 재정/전략적 투자자에 대한 세제

지원 방법과 녹색산업에 대한 리스크 평가를 위한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해주어야한

다. 특히 녹색산업에 대해 장기투자 자금을 저리로 조달하는 방안과 국민들의 공감

대를 통한 혼합자산에 직접적인 투자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은 투자위험 부담과 손익을 금융기업과 해당기업이 출자비

율대로 공유하는 방식으로 녹색산업처럼 불확실성과 수익성이 보장받지 않는 사업

의 경우 투자 및 펀드공모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2) 산업 에너지 역설

에너지 역설(Energy Paradox)81)은 비용대비 효과가 우수한 에너지 기술이 소비자의

선택을 받지 못하거나, 매우 느리게 확산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정보 전달의 비효율

성, 주인-대리인 문제, 외부성 발생과 같은 시장 실패와 관련이 되어있기도 하고, 사적

정보비용(private information costs), 높은 할인율, 기술 수용자의 다양성과 같은 시장

실패로는 설명되지 않은 부분이 있기도 하다. 또한 에너지 역설은 경제적 인센티브나

직접 규제와 같은 정부의 정책도구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기도 한다. 이를 자세

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장 실패는 외부성이 발생하거나 주인-대리인 문제가 나타나는 경우에 가장

극명하게 발생한다. 외부성이 발생하는 경우는 특정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신기술을

처음 도입하는 기업(선발 도입 기업)은 매우 높은 리스크와 불확실성에 직면하게

되지만, 일단 성공사례가 있으면 그 이후에 도입하는 기업(후발 도입 기업)은 기술

적용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쌓을 수 있으므로 상당히 낮은 불확실성과 리스크를

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발 도입에 대한 비용과 리스크를 후발 도입 기업이

지불하지 않는 외부성이 나타나게 되므로, 그 누구도 선발 도입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81) Jaffe, Stavins (1994), The energy paradox and the diffusion of conservation technology,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Volume 16, Issue 2, pp. 91–122.

Page 17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57

그러면 시장 실패나 외부성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을 도입하면 이 문제가 해결되

는가? 그렇지 않다. 시장 실패와 무관한 문제들이 여전히 산적해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계 담당자 또는 의사결정자 입장에서 에너지 효율 투자는 일반적인 생산 설비

투자와는 다르게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생산 설비 투자는 그 회사에서 주력으로

생산하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투자이므로 대부분 적극적으로 투자하도록 독려하

지만, 에너지 또는 환경 분야의 시설 투자는 그 자체로 이윤을 창출하지 않기 때문에

-심지어 비용절감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비용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따라서 생산

설비에 대한 기대 회수 기간과 할인율은 에너지 절감 또는 환경 개선 시설에 대한

기대 회수 기간과 할인율이 큰 차이가 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에너지 가격의 불확실성, 신기술의 성과의 불확실성, 신기술 도입 시의 비가역성

및 경로의존성, 신기술의 학습 비용을 고려하면 관성적으로 기존 기술과 시설을

활용하는 쪽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기 쉽다.

위와 같은 이유에서 아무리 회수기간이 짧고 투자 수익률이 높은 에너지 시설

투자라고 해도 산업계에서 받아들이지 못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에너지 역설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표 4-34>와 같이 시장 장벽과 이를 해소하는 정책수

단을 적용해야 한다82). 그런데 표의 장벽들은 금융과 연결이 되어 있으면서도 장벽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녹색금융이 에너지 역설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금융적 접근과 더불어 청정 생산이나 녹색 컨설팅과 ‘비금융적 접근’이 동시에 이루어져

야 한다. 그런데 IBK 기업은행과 같이 녹색 동반성장을 내세운 금융기관 이외의 타

금융기관이 이러한 비금융적 접근법을 적절히 도입하여 적용하였다고 보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

82) Hirst, E. M. Brown (1990), Closing the efficiency gap: barriers to the efficient use of energy,

Resource m Conservation and Recycling, Vol. 3, pp 267-281.

Page 17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5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표 4-34> 에너지효율 제고를 위한 정책 수단

장벽 대응 정책

연료 가격의 왜곡

- 연료세 인상

- 오염 방지 규제 강화

- 연료 생산에 대한 세금 혜택 폐지

- 전기 및 가스 유틸리티의 규제

미래 연료 가격의 불확실성 - 연료 가격 전망 출판

자본 접근의 한계- 에너지효율 시스템에 대한 금융 인센티브

- 에너지 투자에 대한 세금 혜택

정부의 재정 및 규제 정책- 에너지효율 연구 및 프로그램에 대한 재정 지출 확대

- 유틸리티에 대한 규제 조정

표준 - 에너지효율 표준 제정 및 적용

인프라 공급의 한계- 효율 기기 및 시스템의 정부 조달 요구

- 에너지 유틸리티 효율 프로그램 제공

에너지효율에 대한 자세- 프로그램 홍보

- 가시적인 리더십 제공

에너지효율 투자 위험

- 프로그램 홍보

- 성과 계약 서비스 제공(ESCO)

- 인증, 표시 및 평가 시스템 확대

정보 격차

- 정보제공 프로그램 실시

- 인증, 표시 및 평가 시스템 확대

- 에너지 진단 실시 및 지원

적절하지 않은 인센티브

- 정보제공 프로그램 실시

- 표준 강화

- 측정(metering) 강화

- 금융 인센티브 프로그램 제공

Page 17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59

자료: 박기현 외(2012), 에너지수요관리 혁신 및 정책 거버넌스 개선방안 연구 p.81 재인용.

3) ESCO의 활성화 미흡

ESCO(Energy Service Company) 사업이란 제3자의 에너지 진단과 그에 따른

에너지 절감 투자를 통해 수용가의 에너지를 절약하는 사업을 의미한다. 국내

ESCO 자금 지원 실적을 보면, 2010년까지 1조 4천억 원 규모로 지원하였고, 지원액

은 공정개선(28.7%), 열병합발전(20.8%), 폐열회수(17.0%)로 집행되었다. 이에 따

라 지원액 1억 원당 연간 3,800만 원(92 TOE) 절약효과를 추산하고 있다. 아래

그림에서 보면, 조명이나 폐열회수, 공정개선, 동력 설비와 같이 중소규모의 프로젝

트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의 McKinsey & Company의

분석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ESCO 시장은 공공, 민간을

합쳐 연간 약 2천억 원의 영세규모를 유지하여 전반적으로 정책자금에 의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여전히 수요 측(에너지 수용가)의 성과배분 인식이

낮고, ESCO 기업은 사업을 추진하면 할수록 부채가 증가하여 재정이 점점 취약해

진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림 4-24> ESCO 자금 지원 건수 및 지원액(단위 : 억 원)

Page 17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6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구분 지원건수 지원금액

대기업 39건 481억 원

중소기업 17건 248억 원

<표 4-35> 1993~2010년 성과보증계약 실적

4) 초기 투자비 및 리스크 배분 문제

ESCO 사업에서 ESCO 공급자, 수요자(에너지 수용가), 그리고 ESCO 금융의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에 불균형이 발견된다. 바로 초기 투자비의 문제이다. 초기투

자비를 누가 낼 것이며, 불확실성에 의한 리스크를 누가 감당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에너지 수용가는 초기 투자가 거의 없는 성과배분방식을 선호하나, ESCO 업체는

장기 매출채권이 발생하지 않는 성과보증방식을 선호한다. 우리나라에서 1993년

이후 2010년까지 전체 ESCO 사업 중에서 성과보증계약 방식은 건수기준 시 3,280건

중 56건으로 1.7% 점유, 금액기준 시 전체 14,228억 원 중에서 약 729억 원으로

5.1% 점유에 지나지 않다.

자료: 에너지관리공단

초기에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에서 성과배분과 같은 방식을 에너지 수용가가 원하

기 때문에 이는 당연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성과배분계약은 ESCO 업체가

계속 부채가 증가하는 형태이므로 ESCO 업체 입장에서는 기피하나, 기피하기만

하면 시장을 점유할 수 없으므로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진행할 수밖에 없다. 오히려

자체 자금을 통해 초기 투자 여력이 있는 대기업에서 성과보증계약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진행되는 것이 자연스러워 보인다.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ESCO 어음 팩토링 제도가 1995년에 도입되었

다. 팩토링이란 금융회사가 어음 또는 장기 매출 채권을 할인된 가격으로 매입하고,

채권 회수활동을 통해 이익을 얻는 기법을 의미한다. ESCO 업체로서는 성과배분계

약의 장기채권을 팩토링을 통해 단기 회수하는 방법을 활용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Page 17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61

경우 정책금융공사와 산은캐피탈의 그린 팩토링과 같이 LED, ESCO, 태양광 전문

중견 중소기업의 자금 수요를 채워주는 정책자금이 일부 존재하지만, 그 규모가

연 700억 원 규모로 시장의 수요에 비하여 매우 미미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정책자

금의 특성상 시장의 수요에 맞게 규모를 유연하게 운용할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고, 상대적으로 안정된 ESCO 매출 채권의 매입에 민간금융기관이 나서는

것이 아니라 정책자금으로 매입한다는 것이 시장 논리에 맞지 않아서 여전히 문제

로 남는다.

이러한 모순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금융상품은 여전히 없는 상황에서, 제도적으

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2년부터 성과보증계약과 신성과배분계약 방식을

도입하고, 기존 성과배분계약방식은 2013년부터 퇴출된다.

ESCO의 수요자인 제조업 입장에서 보면, 투자 자금의 규모 문제, 투자시 비용

인식의 문제(주로 에너지 역설과 관계됨), 그리고 녹색 성과(주로 ESCO에 의한

에너지 절감 성과)를 위한 초기 비용과 사후 검증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문제를 발생

시키게 된다.

에너지 절약 시설투자를 중심으로 하는 제조업체와 ESCO 업체, 녹색금융과의

문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식화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Page 17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6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그림 4-25> 제조업체와 ESCO 업체, 녹색금융과의 관계

장치산업이 아닌 제조업, 주로 조립과 관련된 기계, 전자 제조업체는 제조 및

생산 자체가 가장 중요한 활동이므로 제조시설의 에너지 효율이나 에너지 비용은

최우선 고려사항이 아니다. 오히려 생산량, 출시 시점이나 리드 타임 단축과 같은

시장 지향의 전략적 사항이 우선적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생산 위주로 라인을 구축

하게 되고, 일단 라인이 구축되면 제품 수명주기에 따라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제조 시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투자는 이루어지기 어렵고, 실제

투자를 하더라도 라인 전체를 바꾸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중소규모의 투자가 이루

어지게 된다. 현재의 녹색금융이 인프라 및 프로젝트 파이낸싱 위주로 이루어진다

면, 이러한 중소규모의 투자에 대한 금융수요를 만족시키기는 어려울 가능성이 높

다.

투자 규모와는 별개로 투자 의사결정 시 여전히 에너지 절약시설에 대한 투자는

Page 18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63

넘어야 할 벽이 또 있다. 바로 비용인식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에너지 비용절감효과

가 상당한 투자조차도 제품 생산을 위한 투자, 즉 당장 돈을 버는 시설투자와 비교하

면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된다. 현재 꽤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것은 명백하나, 그

효과는 여전히 미래에 나타나게 되면 한정된 자원을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에 할당

하기는 쉽지 않다. 게다가 전문 경영인이 당해 연도에 투자회수가 되지 않는 투자를

하도록 의사결정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따라서 제조업체가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를 직접 수행할 유인이 많지 않다.

그래서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 같은 곳에서 에너지 진단 및 투자를 전문적

으로 시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ESCO 사업은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를

ESCO 업체가 우선 수행하고, 에너지 절약 성과를 배분하여 투자를 회수한다. 따라

서 투자 의사결정 시 비용인식의 장벽을 넘어서는 좋은 도구가 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초기비용을 누가 부담하는가의 문제와 사후 검증을 통해 성과

를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일단 ESCO 원래의 성격에 맞추

어 초기투자비용을 ESCO 업체에서 부담하게 되면, ESCO 업체는 부채가 점점 더

증가하는 것에 비하여 성과배분계약하에서 매출 채권은 장기로 발생하게 되어 재무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사업장을 가지고 있는 제조업체에서 초기

투자비용을 부담하는 경우에는 비용인식의 문제가 다시 반복되는 것은 물론이고,

시중금리보다 우대된 금리에도 불구하고 행정절차가 복잡한 ESCO 자금을 받아서

시설투자를 할 유인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로 정부에서는 ESCO 업체를 대상으로 장기매출채권을 매입해주

는 팩토링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정책 자금의 규모가 작고, ESCO 업체

뿐아니라 태양광 제조업체와 LED 제조업체의 매출채권까지 대상을 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문제해결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정책 자금이 민간자금을 끌어오는 효과

는 크지 않다.

Page 18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6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나. 공급자 측면에서의 평가

1) 녹색금융 전체 자금 평가

녹색금융을 국가 신성장동력 10대 과제 중 하나로 설정하고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한 우리나라에 대한 3년간의 언론 평가는 긍정적이지 않다.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녹색금융과 관련하여 전담부서도 설립하는 등 나름대로

적극적 동참하고자 노력했으나, 정부의 정책 리스크(녹색금융을 정치적 유행으로

받아들이는 사회 분위기)와 시장 리스크(녹색시장 침체) 등으로 활성화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몇 년 전부터 경제상황이 악화되고 있고, 국내 금융기관의 수익도 감소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금융기관의 주요 관심사도 ‘여신건전성 확보’가 되었다. 여신건전성 측면

에서 볼 때, 투자리스크가 큰 기술금융 영역으로 국내 제1금융권이 취급하는 상업금

융의 영역이라 보기 어렵다.

2008년 신재생에너지, 특히 태양광산업이 가파르게 성장하던 시점에는 관련 기업

주식(예: OCI) 역시 두세 배 상승하며 시장을 주도했던 시절이 있었다. 이렇게 급성

장을 거듭하던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부응하여 국내 제1금융권, 제2금융권 모두 녹

색펀드를 출시하며 신재생에너지 시장을 동시 견인하였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

아 유럽 경제위기와 태양광시장의 주요 수요처였던 스웨덴, 독일 등 유럽국가 상황

이 나빠지면서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침체기를 걷기 시작했다. 여기에 유럽 국가들

의 보조금 축소 및 철폐, 중국 정부의 지원으로 성장한 중국 신재생에너지 기업의

생산에 따른 공급과잉은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하락세를 더욱 부추기게 되었고, 이

로 인해 국내 기업의 경영악화에 따른 부실화가 나타났다.

국내 신재생에너지시장에서 금융기관의 참여가 저조한 것은 바로 시장 리스크가

커지면서 확대된 불확실성과 이로 인한 부실화 때문이었다.

국내 금융기관에 신재생에너지 사업 및 기업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전문심사역

이 부족한 것이 이유라는 의견도 있다. 신재생에너지와 같은 기술금융 영역은 엔지

Page 18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65

니어링 전공을 갖춘 전문심사역이 필요하나 국내 은행 내 심사역 중 동 영역 전문성

을 갖춘 심사역을 찾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심사역이 기업분석 시에는 유관기관․기업의 자문 등 복합적으로 조사하여 의사결정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전문심사역

부족이 핵심 이유라 보기는 어렵다.

자료: 2012.04.24.일자 아주경제, 2014.04.15.일자 아시아투데이, 2012.05.02.일자 조세일보,

2012.04.09.일자 이투뉴스, 2012.04.15.일자 아시아투데이(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그림 4-26> 녹색금융에 대한 언론의 평가

Page 18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6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자료: 2012.06.04.일자 문화일보.

<그림 4-27> 녹색금융에 대한 언론의 평가(계속)

정부는 2012년 녹색성장위원회에서 ‘녹색금융 활성화 대책’을 주제로 방안 마련에

나서 정책금융공사가 운영 중이던 ‘LED 팩토링 지원프로그램’을 350억 원에서 700

억 원으로 상향조정하고 지원대상도 태양광사업, 에너지절약전문사업 등으로 확대

하는 등 대책 마련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녹색금융에 대한 정부의

유인책은 여전히 국내외 정책․시장리스크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탄소금융이 활성화되지 못한 것은 온전히 국제 탄소시장의 침체에 이유가 있다.

국내 유일한 탄소배출권 사모․공모 펀드였던 한국투자사모탄소배출권특별자산, 한

국투자사모수출입은행 탄소배출권특별자산, 동양탄소배출권특별자산 모두 설정

후 투자수익률이 -50%를 오르내리며 종합주가지수보다 매우 저조한 투자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국내 운용사의 거래능력 부족 때문이 아닌 국제 탄소배출권가격

의 급락에 따른 결과였다.

Page 18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67

이유가 무엇이든 간에 국제 탄소시장의 침체는 국내 탄소금융시장에도 큰 타격을

입혔고, 금융기관에게 ‘탄소금융은 수익 없는 위험한 시장’이라는 평가를 주기에

충분했다. 여기에 국내 탄소금융에 대한 언론의 부정적인 평가는 시장을 더욱 경직

시켰다.

자료: 2012.04.30.일자 머니투데이.

<그림 4-28> 탄소금융에 대한 언론의 평가

언론의 평가와 달리, 탄소금융과 관련하여 국내 금융기관의 역량은 매우 높은

수준이다. 앞서 실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내 금융기관 최초로 정부 탄소배출권

거래 시범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IBK기업은행이나, 서울시 탄소배출권거래 시범사

업에 참여 중인 국민은행, 해외 CDM 사업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성공시킨 산업은행,

탄소배출권담보 CB 발행을 한 신한금융투자 등이 대표적인 국내 탄소금융 주도

금융기관이며 이들의 내부 전문성은 매우 높은 수준이다. 국내외 시장환경만 개선

된다면 얼마든지 국내탄소금융 시장을 활성화시키고, 국제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과 역량을 갖추고 있다.

Page 18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6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녹색금융 공급액 기준 실적은 기업 대상 여신이 지속적으로 증가해온 것에 비해

투자는 상대적으로 증가세가 적다. 무엇보다 여신 증가세에 대해서는 정책금융기관

의 역할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민간 금융기관의 여신 증가세 대비 정책금융기관

의 여신증가세는 큰 수준이며 이는 정부의 정책적 의지에 따른 성장세와 정책금융

기관의 적극적인 여신지원 노력이 반영된 실적이다.

민간 금융기관의 여신지원 증가세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유럽을 중심으로 한

경기침체와 청정에너지 분야의 공급과잉에 따른 성장둔화가 그 영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청정에너지 시장의 성장둔화는 리스크 증가로 인한 자금흐름 위축에

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보증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지만 여전히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

지난 정부는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드라이브를 시도하였으나

금융기관 실무자들의 의견은 다소 부정적인 것이 사실이다. 금융기관 실무자들은

정부의 정책적 의지가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금융지원 뒷받침 없이 상징적으로 진행

된 부분이 없지 않다는 평가이다.

즉, 녹색금융을 글로벌 이슈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일시적인 정치이슈로 받아들여

많은 정책이 나왔으나 실효성 측면에서는 괴리감이 있었다는 평가다. 정부는 투자

대상이 되는 녹색기업을 명확히 하기 위해 녹색인증제를 시행하였다. 녹색인증제는

이미 네덜란드에서 정책적으로 성공한 모델인 만큼 국내에 도입 시 적용성이 높다

는 판단이었다. 그러나 실제 제도가 시행된 이후 기대보다 활성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데 관련하여 대표적인 문제점이 금융기관에게 부과되는 과도한 패널티와 연계

금융상품을 출시할 만큼의 대상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정부는 금융기관이 녹색인증기업 지원 시 필요한 자금조달을 원활히 하기 위해

세제혜택을 부여(녹색예금․채권․펀드를 통해 조달된 자금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

을 부여)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조달된 자금의 60% 이상은 녹색사업/전문기업 인증

을 받은 기업에게만 투융자되어야 한다는 단서조항이 문제가 되었다. 예를 들어

녹색예금 판매를 통해 1조 원의 자금조달을 했을 경우 6천억 원 이상은 녹색인증을

Page 18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69

획득한 기업에게 여신 지원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녹색전문기업으로 인증받

는 기업이 이제 100개가 넘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투자처가 적다는 문제가 있다.

녹색전문기업으로 인증받는 100여 업체 모두가 은행으로부터 여신지원이 필요한

상황도 아니다. 자체 자금을 이용하는 대기업을 제외하면 여신지원을 희망하는 대

상은 더 적은데 만일 조달자금의 60% 이상을 녹색인증기업에게 투자하지 못할

경우 3년간 비과세된 소득세 전액을 은행이 반납해야한다. 투자 대상 모수가 별로

없어 금융기관이 관련 금융상품을 만들기는 쉽지 않은 구조이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녹색인증 획득 기업에게 여신우대를 해주는 금융상품은 초기 IBK기업은행의

‘IBK 녹색기업융자’ 상품 등이 유일했으며, 최근 신한은행 등에서 상품을 출시하는

정도이다. 패널티 조항 때문에 국내 어떤 금융기관도 녹색예금․채권․펀드 출시자체

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여 금융기관이 소극적으로 참여한다는 평가에

앞서 제도 정비가 우선시된다.

Page 18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7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다. 녹색기후기금에 대한 제언

1) GCF의 역할

가) 녹색금융에서 GCF의 역할

GCF는 기존의 유관 국제기구의 금융기법 또는 기금운영방식과는 다른 대규모

자금을 조달 및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이는 GCF의 운영규모와

이에 따르는 역할 및 기대가 기존의 국제기구의 기금과 다르기 때문이다.

GCF는 기존 다른 국제기구와 같이 사업에 대한 규제, 금융조달 환경 및 가격

시그널 구축 등 투자를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사업환경을 조성하여 민간기업 및

투자자 등 관련자들이 투자할 수 있도록 불안정성(uncertainty) 해소 및 리스크 관리

를 통해 초기시장을 형성해야 한다. 이와 함께 GCF는 기존 국제기구의 기금과 다르

게 다양한 참여자들이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방식과 범위를 확대하고 Sunk Cost

등 진입비용을 최소화하여 다양한 Player들이 여러 가지 방식과 규모로 시장에 참여

할 수 있도록 시장 규모를 확대하여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Page 18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71

진행 단계 정의기존 기후기금

지원범위

GCF

지원범위

사업환경 조성․규제환경 및 금융시장, 안정적 가격신호 구축 등을 통해

투자환경을 조성하는 단계ü ü

초기시장 형성․초기 진입비용 및 관련 리스크의 분담을 통해 최초

성공사례를 구축하는 단계ü ü

시장규모 확대․시장참여자 범위를 확대하고, 진입비용을 낮춰 시장

활성화를 유인하는 단계ü

시장 자립․탄소가격의 내재화를 통해 보조금 없이 시장이 경쟁할

수 있는 단계

<표 4-36> GCF와 기존 기금과의 차이점

GCF는 다양한 참여자들의 시장진입을 유도하여야 함과 동시에 민간금융기관의

참여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그러나 한정적인 지원 범위, 투명성 및 공익성과 지식

공유 등의 이슈로 인해 민간금융의 적극적인 참여를 저조하게 만들고 있다. 민간

sector의 특성상 대상사업이 공익성보다 수익성이 중시되기 때문에 GCF는 유무상

원조와 같은 순수 지원 성격보다 민간기관 및 민간금융기관이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여야 한다.

기존의 녹색산업 및 녹색금융은 좁은 지원 범위로 인해 시행자만 참여하고 직접

저감사업에 한정되기 때문에 간접 투자에 대한 지원을 포함하는 투자지원의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민간사업 상이성으로 보상수준, return에 대한 이슈가 발생하

는 등 투명성에 대한 문제가 빈번이 발생하기 때문에 감독 및 관리 체계 강화가

필요로 한다. 민간의 참여로 인해 수익추구에만 목적을 둔다면 녹색금융의 목적

중 하나인 공익성을 훼손할 수 있어서 공익성을 유지할 수 있는 리스크 분담과

동시에 수익성 제고가 필요하다. 공공기관과 민간기간과의 협업을 통한 지식공유로

Page 18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7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참여형태 세부형태 참여방법 주요사례

직접 투자자

지분 투자자

․PPP (BOT 등)

- 정보보증 보강

․지분 투자

KfW

(Global Climate

Partnership Fund)

융자 참여자․후순위 융자 참여

․여신 제공

AFD

(Interact Climate Change

Fund)

간접 투자자

펀드 투자자 ․PPP : PE 투자 등

EIB

(Global EE and Re energy

fund)

채권 투자자․Green Bond

- 최소손실부담

WB

(Green Bond)

배출권 투자자․배출권 구매

․가격하한 보장

ADB

(Future Carbon Fund)

기타 기술업체 ․녹색수출보험 및 보증

각자의 특성 및 장점에 시너지를 더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즉, 민간재원의 적극적인 참여는 GCF 성공에 필수사항이다. 그렇다면 어떠한

민간재원 참여 동기부여책을 통해 GCF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민간금융기관의 공급

확대를 유도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민간투자자의 GCF 협업방안은 아래

와 같다.

<표 4-37> 민간투자자와 GCF의 협업 범위

GCF는 전통적인 금융기법 이외에 민간금융기관이 참여할 수 있도록 기반 마련

즉, 민간금융기관의 참여 동기 부여가 가장 큰 숙제라 하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녹색금융의 불안전성 특히, 수익과 리스크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한다면 민간금융기

관의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다. 기존 금융기법 중 민간금융기관이 참여할 수 있도록

Page 19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73

제도적 보완과 pilot test가 우선시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GCF가 보증하는 녹색채권

의 발행으로 안정적인 투자금 마련, 정치적 위험에 대한 보전, 보증금, 보증, 무상

대부 등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안정성 보장 등을 들 수 있다.

나) 녹색산업에서 GCF의 역할

녹색산업 신사업은 기술개발, 상용화, 사업화의 3단계로 나누어지며, 각 단계별

필요로 하는 금용방식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그림 4-29>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자금규모

기술개발 단계는 수행하는 위험도가 높아 민간기업의 재원보다 정부의 연구개발

(R&D)지원 자금에 의존하게 된다. 특히 기술에 대한 무형 자산을 완성하기 위한

연구개발은 실패 확률이 높고, 성공과 상용화에 대한 불확실성에 의해 금융에서의

직접적인 조달은 쉽지 않다. 대기업의 경우 자기 재원을 통해 불확실성이 높은 녹색

사업에 대한 연구개발에 나설 수 있으나, 중소기업의 경우는 정부 지원이 없이는 연구개

발에 한계가 존재한다. 2009년 녹색성장 위원회83)의 자료에는 연구개발 단계에서 시장성

83) 제4차 녹색성장위원회 “녹색투자 촉진을 위한 자금유입 활성화 방안”.

Page 19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7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확보와 상용화 가능성을 재고하기 위해 민간자본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개발 성공 시 사후보상 제도로 정책자금 및 금융권 중심으로 ‘연구개발 매칭펀드’를

조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Sunk Cost로 인식되는 비용을 GCF에서 R&D 자금 또는 기반

사업 자금을 조성하여 기업이 이를 활용하면 사업화 또는 상용화 단계 이전의 연구개발에

대한 기업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상용화단계에서는 정부 지원과 민간기업의 투자자금이 동시에 수행되어야 하는

단계로 정부에서는 연구개발 자금지원의 성과를 상용화로 연계되기 위한 자금 확충

지원과 더불어 시장에서 투자자(금융기관)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상용화 단계에서는 수익 안정성과 공공성 모두를 동시에 추구하는 지원방

식으로 직접적인 투자방식과 세제혜택 방식이 존재한다. 직접적인 투자방식으로는

무상자금지원 혹은 조건부 지원금으로 정책자금을 들 수 있다. 세제혜택 방식은

세제로 받은 자금이 상용화 자금으로 지원될 수 있게 선순환 구조의 지원방식이다.

상용화 단계에서 GCF는 R&D 또는 기반사업 자금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상용화

에 성공하는 경우, 이에 대한 수익의 일부를 받아 R&D 또는 기반사업에 활용함으로

써 GCF가 사업의 기틀을 다지고 사업추진의 교두보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업화 단계는 사업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 단계로 시장을 통해 공모/

사모 펀드, PEF, PF, 벤처캐피탈 등 다양한 형태의 자금조달이 가능하다. 녹색성장

위원회(2009년)에서 제안한 방식은 자본시장을 활용하여 수익성이 낮은 녹색산업

에 대한 장기자금 조달 방안으로, 금융공사를 통한 신용보증 확대와 세제지원을

통해 투자위험을 경감하는 방식이다. 특히, 녹색산업 프로젝트로 인증 받을 경우

투자 펀드를 통해 자원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 단계에서 GCF는 R&D 및 상용화

단계에서의 공익성보다 민간기업 또는 민간투자기관과 같은 사업 투자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사업에 대한 수익을 추구할 수 있으나, 사업 활성화 차원에서 수익

분배에 대해 기업의 수익을 우선시하고 GCF는 후순위로 수익 배분을 받으며 관련

된 공공에 대한 지원도 동시에 시행해야 한다.

Page 19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75

다) 녹색금융 및 산업 간 Mismatching에서의 GCF 역할

지금까지 녹색산업에서는 녹색금융의 유동자금은 풍부하였으나, 실질적인 투자

처가 없었다. 이는 민간금융기관이 참여를 원하는 사업 발굴이 제대로 되지 않았고

사업의 수익성, 금융지원방안이 매우 미흡하였다. 민간기업들 역시 녹색금융의 다

른 금융과의 차별성을 느끼지 못하고 녹색금융의 특성상 공공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행정부담이 적지 않았다. GCF는 녹색금융과 민간기업 사이에서 녹색산

업 활성화를 위하여 수요 및 공급 측면에서 상호보완 작용을 하여야 한다. 공급자

측인 민간금융기관이 투자처로서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사업 발굴과 수익성 보장

등 사업 안정성 확보를 해야 하고, 수요자 측인 민간기업들의 투자 및 사업 추진

활성화를 위해 국제기구로써 사업 추진국가의 정치적인 위험 경감 등의 사업 Risk

완화에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민간기업의 수익을 보장해주기 위해 민간금융기관

의 조율 및 수익에 대한 일정 부분 보장을 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대규모의 부지가 필요한데 GCF는

사업추진국 정부와 협력을 통해 부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민간금융기관의

투자 유도를 위해 대규모 즉 규모의 경제가 실행될 수 있는 부지를 확보해야 한다.

또한, 민간기업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인프라 등 기반시설을 지원해야 하고

정치적 지역적 안정성을 담보해주어야 한다.

한국 정부는 녹색산업에 자산유동화증권(P-CBO) 발행을 희망했으나 금융기관

의 참여저조로 이행에 실패하였고 이로 인해 녹색산업에 원할한 자금수급이 어려워

져서 기업의 강력한 신용보강 필요하게 되어 기업으로 하여금 사업추진의 위험도

증가와 행정적 부담을 가중시켰다. 따라서 GCF는 사업 추진에 있어 한국의 기업보

증 또는 신용보증과 같은 전체 또는 부분 보증의 역할을 해야 한다. 또한, GCF는

보증기금의 지원함에 있어 우수한 사업의 경우 단기상환으로 수익의 재투자 등

투자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개도국의 불확실성이 높고 위험부

담의 높은 사업일수록 대출상환의 장기화 및 지원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한국은 2008년부터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에 따라 녹색금융에 대한 다양한

Page 19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7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1) 유동자금은 많았으나 투자처가 없었음 ⇒ 민간금융기관이 매력을 느낄 수 있는 투자처(수익률,

부실률, 금융지원방안) 발굴 필요 ⇒ NDA와 PSF가 향후 수행해야 할 의무이자 역할임을 강조

2) 신재생에너지 설치를 위한 부지 마련 곤란 ⇒ 투자매력 제고 가능한 대규모(규모의 경제)

국제적 부지 확보 필요 ⇒ NDA와 PSF 협력하에 확보 노력 필요

3) 한국 정부는 녹색산업에 자산유동화증권(P-CBO) 발행을 희망했으나 금융기관의 참여저조로

이행에 실패. 이로 인해 녹색산업에 원할한 자금수급 곤란 ⇒ 강력한 신용보강 필요 ⇒ GCF가

한국의 기보/신보와 같은 전체/부분 보증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와 해야 함을 강조

4) 보증기금의 단기상환에 따른 활용 한계 ⇒ 대출상환 장기화 필요 ⇒ GCF 자금으로 해결

필요

5) 법적 기반 부재로 민간금융기관의 탄소금융 시장 참여 한계 ⇒ 국제법상 탄소배출권의 법적

지위 규정 ⇒ GCF에서 UNFCCC와 이에 대한 명문화를 해주길 기대

6) 장기회수기간에 따른 민간금융기관 참여율 저조 ⇒ 민간금융기관의 단기 Exit이 가능토록

Secondary fund, ESCO 팩토링 확대(상환청구권 보증 포함), 우발채무는 부채로 미계상(법적

근거 마련), 대체 등 금융기법 마련이 필요 ⇒ GCF에서 구체화시켜야 하는 금융기법

사업을 시도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아래와 같은 경험 및 GCF에서 이행해야 할

사항을 도출할 수 있었다.

2) GCF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GCF 설계위원회에서의 민간금융 참여활성화(Leveraging the private sector)에

관한 논의(2011.9)에 따르면 핵심은 'GCF에 민간부문을 어떠한 방법으로 참여시킬

것인가?, GCF가 민간참여 프로젝트 수행 시 자금도 민간자금으로 조성할 것인가?,

최빈국이나 도서국에도 민간참여가 가능하다면 어떤 형태가 될 것인가?, 기금집행

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민간부문에 대한 최적의 접근방안은 무엇인가?'였다.

GCF가 지향하는 소위 ‘Paradigm shift'의 핵심은 'Enhanced Direct Access'이다.

이는 이미 31항에 명기된 사항으로, 우리나라의 국책/민간금융과 연계하여 생각해

보면, 법률적으로 인정된 기관/개인/정부 펀드의 GCF 직접참여를 원활하고 효과적

으로 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만드는 것이 GCF의 역할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Page 19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77

- 정치적 리스크 저감체제 마련 - 정치적 위험에 대한 보전

- 잠재적 리스크 저감체제 마련 - 보조금, 보증, 무상대부 등

- 민관이 리스크를 공유하는 PPP 체제 마련

- 기후채권 발행 - GCF가 보증하는 녹색채권 발행 등

가) PPP Instruments(녹색투자펀드에 무상원조 자금지원 등) 마련

PPP(Public-Private Partnership)는 공공과 민간부문의 협력을 통하여 사회기반

시설 건설 및 공공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방식이며 공공과 민간이 사업에서 비롯된

위험성을 분담하는 특성을 갖는다.

민간투자자가 투자를 결정하는 조건은 위험조정이익이 충분하고 양호한 투자환

경과 잘 발달된 자본시장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이다. 그러나 GCF가 투자 대상으로

하는 국가 및 사업유형은 대부분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상당

수의 개발도상국에서 정치적 불확실성, 경제적 위험을 갖고 있고 기술격차가 존재

하au 탄소가격의 불확실성 등의 문제가 상존하여 위험요인이 많다. 이러한 상황에

서 막연하게 PPP를 통해 투자규모 확대 및 민간금융기관 참여를 종용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못하다.

GCF의 민간참여를 통한 활성화의 방안으로 UNEP FI는 아래와 같이 제안한

바 있다. GCF는 PPP 사업이 원활히 활성화되기 위해 UNEP FI 제안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안에 대한 검토를 수행해야 한다.

나) 민간참여 유인동기 프로그램 마련(글로벌 외부성 보상, 인센티브 등)

민간투자자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를 위해서는 다양한 유인동기책 마련이 필요하

다. 대표적인 국제 펀드를 통해 어떻게 민간부문의 참여 인센티브가 제공되는지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GEF의 경우, 세계은행이 운영하되 실행기관은 IFC가 진행한다. IFC는 추가

Page 19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7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적인 민간투자자의 유인동기책을 제공하여 민간참여를 유도하고 기금규모를 확대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각 프로젝트에서 최소 레버리지는 1:3 비율(GEF : Other

funding)이며 벤처캐피탈 자금이 IFC 플랫폼 내에서 디자인되고 외부전문가에 의

해 운용된다.

EU의 GEEREF(The Global 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 Fund,

2007)의 경우, 민간투자 유인을 위한 투자 동반 리스크를 부담함과 동시에 공적

펀드를 활용하여 민간자본 유입을 촉진시키고 있다. EU 집행위원회가 다양한 투자

자들을 위해 새로운 투자방안(예: 위험분산 및 공동펀드 등)을 마련하고, 투자자와

기금제공자들이 허용한 범위 내에서 전문 펀드매니저들이 기금을 운용하고 있다.

투자비용 대비 수익규모가 작고, 회수기간이 긴 사업은 GEEREF가 투자자금을 지원함

으로써 위험 공유라는 측면에서 민간투자 증대효과를 보이고 있다.84)

일본의 경우, 정부가 먼저 나서서 정부와 민간기업의 협의체를 만들고 협조체제

를 구축한다. 해외에서 구체적인 사업안건이 발굴되면 정부 ODA, JBIC(일본국제협

력은행) 등 공적금융기관의 금융지원, 기업의 기술과 자금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정부는 사업리스크를 부담하고 일정 부분 이윤을 확보해줌으로써 기업으로부터

투자를 유도하고, 또한 기업은 정부 지원을 토대로 개도국의 환경시장에 진출한다.85)

민관투자펀드(Public-Private Fund, PPF)는 위험과 보상의 불확실성, 금융접근

성 부족(LDC 등), 다양한 프로젝트 부재 등으로 GCF 환경하에서 활성화가 쉽지

않다. GCF는 수익구조를 갖춘 민관투자펀드 조성을 위해 참여한 민간투자자에 대

한 보상책 및 표준화된 규칙을 마련해야 한다.

다) GCF 참여의 민간투자장벽 완화(투자자유화, 투자자 보호)

민간투자장벽 완화를 위해서는 민간투자자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창구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관련기구(가칭 ‘PSF위원회’)를 만들어 이로 하여금 프

로젝트 발굴, 수익성 강화, 자금운용․집행, 감시 등을 담당해야 한다.

8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웹사이트(www.kiep.go.kr).

8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웹사이트(www.kiep.go.kr).

Page 19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79

투자장벽 완화를 위해 중요한 부분은 발생가능한 리스크에 대한 지원이다. 대표

적인 GCF 사업투자리스크는 Counterparty Risk, Price Risk, Exog enous Risk가

있다. 먼저 Counterparty Risk의 경우 대부분의 투자사업이 장기투자 및 회수사업인

관계로 투자대상국, 투자대상기관 등 이해관계자에 대한 리스크 헷지가 쉽지 않다.

Price risk의 경우, 2011년~2013년까지 CER 가격은 16유로에서 0.2유로까지 매우

큰 가격변동성을 가져왔다. 이처럼 변동성이 극심한 환경에서 민간투자가 원활히

이루어지기는 매우 어렵다.

전통적인 인프라금융 영역에 비해 높은 투자리스크를 갖는 기후산업 투자활성화

를 위해서는 민간금융기관의 다양한 리스크에 대한 지원은 물론 투자자유화, 투자

자 보호 등 프로그램이 만들어져야 한다.

라) 사업평가를 위한 수익성판단 및 투자금액 결정 모델 정립

GCF의 사업투자 시 어떠한 표준과 방법론에 입각하여 투자의사결정이 이루어지

는 가는 사업의 투명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수익성판단 및 투자금액 결정모델

정립에 있어 다섯 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먼저 개별협상(deal by deal

negotiations)을 통한 방법이다. 사업별 다양성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민간금융기관의 참여리스크가 높고, 수익성에 대한 판단이 용이치 않아

민간금융기관의 참여 측면에서 매력이 낮다. 다음 시장가치산정법(market based

pricing)이다. 시장의 가격을 가장 정확히 반영한다는 측면에서는 현실적인 방안이나

대부분이 장기투자회수인 탄소금융 특성을 고려할 때 민간금융기관이 높은 탄소가

치변동성에도 불구하고 투자의사결정을 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이미 CDM 사업을

통해 투자실패를 경험한 다수의 민간금융기관이 동일한 행위를 할 가능성 역시 낮다.

또한 원가산정법(cost based pricing)이 있다.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며 수익성에

대한 판단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기도 하지만 지나친 투명성으로 인해 투자수익률이

낮아져 투자매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다음 경매(auctioning)와 GCF가

기준가격을 정해버리는 방식(top down pricing)도 있을 수 있다.

이 중 어떠한 방식이 민간투자자들의 금융리스크를 최소화시키면서 참여 동기부

Page 19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8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여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마) GCF와 타 메커니즘과의 연계방안

GCF가 다른 메커니즘(예: GEF)과 어떻게 상호 연계되며, 민간금융기관의 투자참

여는 어느 범위까지 허용되는지 등에 대한 프로세스는 기존 교토메커니즘을 존속시

키고 상호 발전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다.

국제적인 관점에서 환경금융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국제탄소시장이 활성화되

어야 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논의 중인 CERs 소각용 펀드 조성을 GCF 내에 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3) GCF 비즈니스 모델과 정책 제언

가) GCF 비즈니스 모델의 금융적 고찰

GCF는 향후 기존 전통적인 금융기법에 대해 사업투자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안 마련 등의 활동을 이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PPP(Public-Private Partnership)의 경우 민간투자자가 투자를

결정하는 조건은 위험조정이익이 충분하고 양호한 투자환경과 잘 발달된 자본시장

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이다. 그러나 GCF가 투자 대상으로 하는 국가 및 사업유형은

대부분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상당수의 개발도상국에서 정

치적 불확실성, 경제적 위험을 갖고 있고 기술격차가 존재하며 탄소가격의 불확실

성 등의 문제가 상존하여 위험요인이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막연하게 PPP를 통해

투자규모 확대 및 민간금융기관 참여를 종용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못하다.

민관투자펀드(PPF: Public-Private Fund)는 위험과 보상의 불확실성, 금융접근

성 부족(LDC 등), 다양한 프로젝트 부재 등으로 GCF 환경하에서 활성화가 쉽지

않다. GCF는 수익구조를 갖춘 민관투자펀드 조성을 위해 참여한 민간투자자에 대

한 보상책 및 표준화된 규칙을 마련해야 한다.

GCF의 자금이 타 국제금융기관에서 사용해온 전통적인 금융기법을 활용하는

Page 19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81

신재생에너지 설비 단가 규모

육상풍력 27억 원/MW MW급

해상풍력 50억 원/MW MW급

연료전지 45억 원/MW MW급

태양광 45억 원/MW KW급

것은 당연하나, 원조나 차관 등의 금융기법으로는 GCF가 의도한 ‘기존 수준을 뛰어

넘는 규모로의 자금조성 확대’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민간금융

기관의 적극적인 투자참여가 가능토록 하기 위해서는 과거 기후변화 영역에서 국제

금융기관이 행하여왔던 원조나 차관방식이 아닌 PPP, Co-financing, 지분투자는

물론 민간금융기관 참여에 대한 보증 등의 방법이 적극 고려되어야 한다.

PSF의 역할이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세계은행의 경우 IFC가 추가

적인 민간투자자의 유인동기책을 제공하여 민간참여를 유도하고 기금규모를 확대

하는 역할을 한다. GCF에서는 PSF가 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며, 다양한 민간투자

자 유인동기책을 제공해야 한다. 당장의 비즈니스모델을 정립하기보다는 PSF를

얼마나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기구로 만드느냐가 중요하다.

나) 신재생에너지 사업에서의 GCF 비즈니스 모델

수익을 추구하는 민간기업 입장에서는 신재생에너지는 향후 성장성이 높은 사업

이지만, 현 상황에서는 매력적인 사업영역은 아니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11% 대비 3%의 보급 현황을 보면 알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의 높은 단가로 인해

개인/중소업자가 태양광 설비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래의 <표 4-38>을 보면

신재생에너지원별 설비단가는 원별로 비슷하지만 풍력, 연료전지 등이 태양광에

비해 설비가 가능한 규모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표 4-38> 신재생에너지원별 설비 단가

자료: 에너지관리공단(2011년, 2012년 신재생에너지원별 기준단가 공고)

즉, 태양광 사업은 개인/중소업자에서 설비 건설이 가능하지만, 풍력 및 연료전지

Page 19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8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는 대규모 자금조달과 대규모 용량을 기반으로 사업을 추진하기에 금융권에서도

보증이 가능한 대기업 위주로 사업이 추진되게 된다.

최근 정부에서는 신재생에너지활성화 방안(2013.8.26)를 통해 발전사업자 위주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에서 대용량 수용자의 사업참여를 위해 RPS 2단계를 추진하고

있다. 이는 신재생에너지의 활성화에는 지원이 될 수 있으나, 시장의 규모 및 금융이

지원되지 않고 있는 현 상황하에서는 보급보다는 규제라는 민간기업의 불만이 증폭

될 수 있다. 이에 아래와 같이 GCF 또는 금융권과 정부기관에서 민간기업이 자금조

달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① GCF 비즈니스 모델 1 :

중소사업자/대규모 투자자를 위한 GCF 활용

일반적인 투자 사업방식은 기업이 사업구도 및 Equity 자금을 조달하고 은행이나

펀드를 활용하여 PF를 조성하는 방법으로 사업을 기획하는 기업의 자금력, 규모

등의 구도에 따라, GP, LP, SI, FI 등 다양한 사업구도를 만들게 된다. 특히, 중소사업

자는 육상/해상 풍력 등 대용량 신재생에너지 진출을 위해 금융권(GP)에서 다수의

중소사업자를 모집하여 신재생에너지 SPC를 설립하는 일반적인 펀드활용방법을

다수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중소기업의 입장에서는 사업 개발 등 주요한

업무대비 금융조달이라는 이유로 GP/LP에 기대 이상의 수익(이자)을 분배해야 하

며, 수익 후순위에 따른 자금회수의 문제(일반적으로 GP, LP, 사업자 순), 은행권에

서의 RISK를 회피하기 위한 직접보증이 아닌 간접보증, 각종 민원 및 SOC 문제

등 사업의 많은 문제가 중소사업자에게 전가하게 된다. 또한, 최근 예를 들면, 금융권

또는 펀드를 조성하게 되면 중소사업자는 LP로 참여하기에 금융권에서는 직접보증

의 관계를 형성하기 어렵다. 이에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어지는 REC를 통해 간접

보증을 하는 추세이다. 즉, GP는 REC판매를 사업자와 계약판매를 추진하고 판매가

격을 정부 보존가격이 아닌 금융권 조달비용 회수를 위해 회수가격으로 선판매

후 재정산하는 간접보증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을 위해 정부에서는 다양한 자금을 지원하고 금융권

Page 20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83

에서는 펀드 등을 조성하여 지원하고 있으나, 실제 사업추진과정에서 자금은 중소

기업이든 대기업이든 금융권에서 조달할 수 있으나, 보증의 범위가 사업추진을 결

정하게 된다.

대규모 신재생에너지사업에 중소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여건은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금융권에 제공하는 보증과 사업환경의 기간투자인 SOC의 해결이다. 즉,

GCF를 활용하여 신재생에너지를 활성하기 위해서는 단순 자금을 지원해주는 역할

뿐만 아니라, 직접투자를 통해 중소기업의 참여를 독려하는 방법이 병행되어야 한

다. 즉 GCF는 대규모 자금이 투자되어야 하는 SOC를 Equity 형태로 추진하면서

사회간접투자를 실시하고 SI로 사업자가 아닌 사업에 대한 보증을 해줌으로써 중소

기업의 보증 RISK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그림 4-30> 중소기업 지원 모델

우리나라에서는 풍력과 같은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투자사업이 환경문제 및 면적

으로 인해 해상으로 진출하는 트렌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해상으로의 진출은

대규모 투자사업 외에 SOC 부분을 위해 1.5X 이상의 투자비가 추가되게 된다. 즉

자금조달 이자 1%가 사업성에 엄청난 영향을 주게 된다. GCF는 기후온난화와 더불

어 신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다양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해상풍력에 투자비

를 확장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해상풍력의 대규모 투자로 인해 걸음마 수준

이다. 즉 GCF가 자금조달 영역과, 리스크가 존재하는 부분(SOC)에 직접투자를 일

Page 20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8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으키게 되면 보다 많은 사업자의 진출이 가능할 것이다.

정부에서 추진 중인 RPS 2단계의 경우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신재생에너지

의무화가 추가되기에 중소기업을 위한 REC 거래시장을 별도로 만들 필요가 있다.

대용량 수용가 혹은 발전사업자가 SPC에 지분형태로 투자하고 이를 필요하는 소규

모 수용가에 재판매하는 방법으로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사업

에 대해 GCF에서 사업성을 평가하고 점검하는 대신 중소기업을 위해 규모를 추가

하여 대규모 사업에 참여함으로서 SOC, Equity를 최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이다.

또한, GCF에서 구입한 REC를 중소기업에 저가로 공급하는 판매시장을 별도로 구

성할 수 있다.

<그림 4-31> 대규모 투자자 모델

② GCF 비즈니스 모델 2 : 정부, GCF의 신재생에너지 투자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대용량 신재생에너지 투자의 문제점은 대규모 자금조달을

필요하다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금융권에 전가되는 RISK를 Hedge하기 위해

보증 등의 순환이 재반복된다. 하지만 정부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통해 설비

사업을 활성화해야 하며, 발전사업자는 정부의무화에 대응해야 한다. 즉 양쪽의

필요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REC를 거래하는 시장 활성화만이 급속한 보급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를 위해 GCF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비용을 활용하여

GCF 산하 신재생에너지 SPC를 설립하고 정부의 정책자금을 공공 금융사에 직접투

Page 20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85

자하거나 혹은 사업자 간 공동 출자한 SPC를 운영하는 방안이 있다.

<그림 4-32> GCF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SPC

즉, 사업의 RISK를 정부, 금융권, 사업자간에 동일하게 분배함으로써 사업자는

미래의 사업에 투자하고, 정부는 보급을 활성화하며 금융권에서는 자금을 운영하면

서 수익을 얻는 Win-Win 구조를 만들 수 있다.

③ ESCO 사업 관련 GCF 비즈니스 모델

<그림 4-33> ESCO 사업에서 GCF의 역할

Page 20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8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위와 같이 다수의 ESCO 업체와 다수의 대형 제조업체86)가 중소규모(10억~30억 원

규모)의 에너지효율 리스 계약을 체결한 상황을 생각해볼 수 있다. 다수의 ESCO 업체가

보유한 다수의 에너지효율 리스 계약을 금융기관에 자산 양도하면 금융기관에서 이를

자산유동화 증권을 발행할 수 있도록 자산유동화 전문회사, 수탁기관, 자산관리자를 수립

한다. 이후 민간투자기관과 GCF를 대상으로 채권을 판매하는데, 민간투자의 유인을

높이기 위하여 민간투자기관은 선순위 채권을 구매하고, GCF는 후순위 채권을 구매하여

안정성을 높인다. 그러면 구매대금, 즉 채권 투자금이 자산유동화 전문회사로 들어오고,

ESCO 업체들에게 팩토링을 해주어 초기 시설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ESCO 업체들은 투자금의 조기회수로 높아지는 부채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리스 계약기간 동안 제조업체들은 리스 대금을 자산유동화 수탁기관에 지불

하고, 자산유동화 수탁기관은 다시 민간투자기관 및 GCF에 다시 채권 원리금을

지급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조업체와 ESCO 업체의 현금흐름을 설명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4-34> ESCO 업체의 기본 현금흐름

86) 가능하면 리스 대금 지급에 문제가 적은 신용도 높은 대기업

Page 20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87

ESCO 업체는 성과배분계약하에서 위 그림의 (a)와 같은 현금 흐름을 갖게 된다.

초기에 시설투자금을 지출하고, 이후에 성과 모니터링을 통해 합의된 에너지 절감

성과를 제조업체로부터 지불받아 현금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계절 및 제조

업체(에너지 수용가)의 에너지 이용에서 비롯된 불규칙한 성과배분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에너지효율 리스 계약을 맺게 된다면, (b)와 같은 일정한 현금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일정한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자산유동화 증권을 발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와 임기추(2010)에서 제시된 자산유동화증권의 구조와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본 구조는 ESCO 기업의 재무적 신용도보다 제조업체의 신용도 및

리스 대금 지불능력을 중심으로 자산유동화증권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ESCO 프로

젝트 자체의 안정성이 더 강조되는 것이다. 한편 임기추(2010)의 경우에는 ESCO

업체가 금융기관에 대출원리금을 지급하는 대출채권을 중심으로 자산유동화증권

을 만들기 때문에, ESCO 업체의 신용도가 더욱 중요하게 된다. 그런데 ESCO 업체

의 대부분이 중소업체임을 고려하면, ESCO를 이용하는 대형 제조업체들은 지불능

력과 신용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이들의 ESCO프로젝트 자체의 투자

수익률은 저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녹색금융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금융기관의 이

익보다는 녹색활동을 하는 ESCO와 제조업체의 이익이 먼저 고려되어야 하며, 위에

서 제시한 구조로 자산유동화증권을 수립하는 경우에 모든 이해관계자의 후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정책자금 중심의 팩토링이 소규모였음을 고려해보면, GCF에 후순위채

권을 구매하는 정책적 지원이 가미되면 민간투자기관이 선순위채권을 투자할 수

있는 유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파이가 커지면 반대로 팩토링을 할 수 있는

대상이 더욱 증가하면서 ESCO 사업 또는 에너지효율 리스 사업 자체가 더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Page 20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8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주체 기대 효과

GCF GCF 지원사업 활성화

투자자1) 안정적인 방법을 통해 투자

2) 직접투자를 위한 전문성 축적

프로젝트 개발자 저금리로 장기의 안정적 자금조달

금융기관1) 융자에 대한 유동화

2) 안정적 장기 재원 조달

<표 4-39> GCB 도입에 따른 주요 시장참여자별 기대 효과

4) GCF 新금융 비즈니스 모델

가) Covered Bond

① 개요

GCF의 최대 과제는 민간금융기관 참여활성화를 이루어야 하며 이를 위해 매력도

증진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즉, 대상 사업(pipeline)이 확보된다 하더라도 충분한

투자자금이 확보되지 않으면 곤란한데 이중상환청구권은 일반적인 금융기관의 사

채보다 높은 신용도를 보장할 수 있어 자금조달이 보다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부동산에 대한 커버드본드 도입여부가 최대 화두 중 하나이다.

커버드본드란 금융기관이 보유한 모기지(Mortgage) 등 우량자산을 담보로 하여 발행하

는 채권으로 투자자가 금융기관과 담보자산에 대한 이중상환청구권87)을 갖는다는 특징

이 있다.

현 상황에서 GCF가 추진대상으로 하는 온실가스 감축, 적응, 산림사업은 공공부

문이나 모기지 등에 비해 리스크가 높아 커버드본드가 도입된다고 해도 담보대상으

로 정의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GCF추진사업 커버드본드(GCB, GCF Covered

Bonds)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GCF 대상사업의 안정성 확보가 선결되어야 한다.

87) Double recourse: 상환청구권(recourse)이란 채무자의 원리금 상환의무가 이행되지 않을 시, 채권자

가 채무자의 자산 또는 채무자에 대한 보증인에 대해 원리금 상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이중상환청구권은 채무자의 자산 및 보증인에 대해 이중으로 상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Page 20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89

요소 ABS 커버드본드

발행인 특수목적회사(SPC) 자산을 보유한 금융기관

적격자산에 대한 규제 없음 있음

청구권 담보자산 현금흐름발행인, 담보자산

(이중청구권)

담보자산거래방식 소유권을 SPC로 이전 담보거래

장부기재방식 부외증권화 부내증권화

담보자산관리 양도시점에 고정화지속적관리

(담보 부족 시 보충)

<표 4-40> 자산유동화증권(ABS)과 커버드본드의 비교

금융기관의 융자가 감소되고 전반적인 투자도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국가

들은 보다 엄격한 규제를 기반으로 장기 재원 마련이 가능한 커버드본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기존 자산유동화증권(Asset Backed Securities, ABS)의 경우 적격자

산에 대한 규제가 없어 다양한 자산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긴 하였으나

담보가치에 대한 통제가 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하여 그에 따른 부작용이 컸다. 서브

프라임모기지 사태 이후 ABS의 부작용에 대한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안전성이

높은 커버드본드 발행이 늘어나고 있다. 커버드본드는 이중상환청구권과 담보자산

에 대한 엄격한 규제라는 장치를 통해 투자자를 보호하고 있다는 점에서 ABS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부내증권화와 부외증권화

부내증권화(on-balance sheet securitization)

- 자산보유자가 자신명의의 자산을 담보로 증권을 발행하는 것. 이 경우에 증권화 또는 유동화

되는 자산이 자산보유자의 대차대조표에 남아 있고 증권 발행의 주체는 자산보유자가 됨

부외증권화(off-balance sheet securitization)

- 유동화증권이 자산보유자와 별개인 독립적인 개체에 발행되는 것을 의미함. 이에 따라 유동화

되는 자산이 자산보유자의 재무제표에 남아있지 않게 되므로 모든 위험은 투자자에게로 전가됨

Page 20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9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그림 4-35> 유럽의 커버드본드 발행 현황

유럽에서는 이미 많은 국가들이 커버드본드를 발행하여 공공부문 투자 및 모기지

에 사용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커버드본드 발행을 위해서는 발행과 관련된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많은

국가88)들이 커버드본드 관련 법률을 제정하고 있다. 2011년 현재 유럽 27개국과 유럽

외 지역 5개국에서 관련 법률이 제정되었고 점점 확산되는 추세이다.

해외의 경우 아직 발행된 사례가 없으나 현재 독일에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커버드본드(CB)를 발행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독일은 세계 커버드본

드 발행의 25%를 차지하고 있고, 커버드본드를 통해 은행 융자를 증가시키고 주택

과 공공부문시설 투자 증가효과를 보았다. 정부 부채나 주택 등의 저위험자산 유동

화를 위해서 설계되었으며, 통일 이후 동독의 인프라 투자에 큰 기여를 하였다.

현재 공공부문, 모기지, 선박, 항공 관련 커버드본드가 존재한다. 정부의 적극적

지원 하에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이 성공을 거두고 있고, 전력소비서 재생가능에

88) 독일: 특별법인 German Pfandbrief Act 외에도 Covered Bonds와 관련된 법률이 3가지 더 존재함

미국: 2011년 11월 커버드본드 도입을 위한 법안(U.S. Covered Bond Act)이 발의됨

영국: 2008년 2월 영국 커버드본드법(The Regulated Covered Bonds Regulations 2008)을 제정

Page 20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91

너지 비율이 약 20%이며, 태양광발전설비는 2008년에 발전 용량이 6GW, 2011년에

는 26GW로 증가, 2011년 한 해 동안만 8GW 증가하였다. 독일은 활성화된 커버드본

드 시장과 안정적 성장을 보이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결합하여 신재생에너지CB를

발행하기 위한 논의가 적극적으로 진행 중이다.89)

② 커버드본드 상세

커버드본드는 금융기관이 보유한 모기지 등 우량자산을 담보로 제공하고 발행하

는 금융기관의 회사채이다. 커버드본드는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갖는다.

․ 금융기관이 상환의 일차적인 책임을 갖는 금융기관채권이며, 동시에 금융기관이

보유한 우량 자산을 담보로 제공하는 담보부채권의 특성을 지니고 있음

․ 투자자는 금융기관의 높은 신용도와 우량 담보에 대한 우선적인 담보권자라는

이중상환청구권을 지님

․ 금융기관이 보유한 우량 자산을 담보로 제공하기 때문에 예금자와 무담보부

채권자는 상대적으로 열위의 상환권을 지니게 됨

․ 커버드본드를 도입한 국가의 경우 발행한도, 담보 등과 관련한 엄격한 규제를 시행하

고 있음90)

커버드본드는 자산담보 풀을 바탕으로 증권화하여 투자자로부터 자본을 조달한

다. 이때 발행자는 자산담보 풀을 투명하고 엄격하게 관리하여 담보가치가 상환가

치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유지해야 하는 의무를 부과 받는다.

<그림 4-36> 은 GCF에 대한 커버드본드 활용 비즈니스모델의 운용 구조이다.

89) How Covered Bond markets can be adapted for Renewable Energy Finance and how this could Catalyse

Innovation in Low-Carbon Capital Markets(By Frank Damerow, Sean Kidney and Stuart Clenaghan).

90) 자본시장연구원 보도자료(2012.06.13) 주요국 커버드본드시장 분석과 국내 도입 방안.

Page 20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9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그림 4-36> GCF 커버드본드 비즈니스모델 모식도

발행기관(GCF)은 융자를 시행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여 담보자산 풀을 구성한다.

전통적인 커버드본드의 담보자산 풀은 공공부문(공공 인프라) 및 주택담보융자 등의

안전자산으로 구성되고 있다. 발행기관(GCF)은 담보자산 풀을 담보로 하여 관련 규정에

맞춰 커버드본드를 발행한다. 민간투자자는 발행된 커버드본드를 매입하고, 발행기관

(GCF)은 약정된 이자를 민간투자자에 지급하며 약정기간 만료 시 일시에 투자금을 상환

한다. 발행기관(GCF)은 약정기간 동안 담보자산 풀의 가치 유지에 대한 의무를 가진다.

- 정기적인 평가를 통해 담보자산 풀의 가치손상 여부를 파악

- 담보자산 풀의 가치손상 발생 시 담보자산 풀을 보강

③ 커버드본드의 장점

커버드본드의 경우 장기자금조달이 가능하며 금융기관(GCF)의 신용도에 담보자

산 가치까지 적용돼 보다 낮은 금리(고정금리)로 융자가 가능해진다. 현재는 CD금

리를 바탕으로 3개월, 6개월의 단기 변동금리로 융자가 이루이지고 있다. 피융자인

입장에서는 단기의 변동금리보다는 장기 고정금리를 선호한다(예측가능한 안정적

Page 21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93

- 담보자산: 자산의 자격요건, 담보인정비율 등의 결정 필요

- 발행절차 및 감독 방안: 시행조건, 규제 권한 주체, 국제법 포함 여부 결정 필요

- 관리 기준: 담보자산 풀 관리기준 필요

- 채권자 및 채무자의 책임과 권리: 커버드본드 관련 법령의 제정 및 개정 필요

인 금융비용을 선호).

민간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금융기관(GCF) 파산 시에도 담보자산의 우선적인 청

구권을 지니게 되어 높은 신용도를 갖는 투자가 되며 이를 통해 다양한 투자기회

확대 효과를 갖게 된다. 커버드본드 대상이 되는 산업의 경우 UNFCCC하에서 추진

되는 국제적/정부 차원의 정책지원 사업이므로 이에 대한 투자를 통해 정책지원

사업 분야에 대한 간접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 특히 장기간 안정적 고정이자를

수취할 수 있어 보험사, 기금 등의 선호 투자처가 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시장 측면에서 보면 1) 장기자금조달을 가능하게 하여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제고

하고, 2)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위축된 투자 및 융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UNFCCC 관점에서는 커버드본드의 특성상 금융권의 부실을 키우지 않으면서

실물경제의 유동성을 부여하여 민간투자자의 투자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GCF가 의도한 연간 100조 원 규모의 펀드 자금 확보가 가능해진다.

④ 커버드본드 발행을 위한 조건

커버드본드가 발행되기 위해서는 발행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 및 투자자보

호 등 다음 사항에 대한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

⑤ 도입을 위한 필요조건

도입을 위해서는 GCF가 추진하고자 하는 대상 사업 유형(예: 신재생에너지프로

젝트)이 기존 커버드본드의 담보자산 풀과 유사한 수준의 자산안전성을 보유해야한

다. 현재 커버드본드가 발행되고 있는 해외 시장에 대한 사례조사 결과, 담보자산

풀은 담보자산의 안정적 장기 현금흐름이 보장됨과 동시에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

Page 21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9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 공공인프라: 도로, 항만, 공항 등 담보자산 자체의 장부가치가 높고 이용료 수입 등 고정적

현금흐름이 높음

- 모기지: 자산보존능력이 우수하고 경기부양 및 민생 안정화의 정책적 이니셔티브를 가짐

- 선박 및 항공: 산업의 현금흐름이 우수하며 타산업에 대한 파급성이 높아 해당 국가의 주력

산업으로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다수임

- UNFCCC 차원: 투자가 활성화 및 이를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의 원동력 확보

- GCF: 1) 융자채권에 대한 유동화가 가능하며 2) 담보자산을 바탕으로 보다 높은 신용도를

제공하여 저리의 자금 조달이 가능함

- 민간금융투자자: 1) 높은 리스크를 안정적인 투자방법을 통해 상쇄시킴으로써 폭넓은 투자

기회를 확보 가능. 즉, GCF 추진 프로젝트 자체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에 투자한

‘GCF’에 투자

2) 프로젝트에 대한 직접적 위험 노출 없이 프로젝트에 대해 간접적으로 경험, 산업에 대한

전문성을 배양

- 산업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역량 및 기반 제공

- 역량 축적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직접 투자 진행

- 프로젝트 개발자: 금융 접근성이 강화되어 프로젝트의 사업화 가능성 상승. 사업화를

바탕으로 후속 사업 발굴에 필요한 재원 확보, 사업 확대의 선순환 구축 가능

- 각국 정부: 정부 주도로 조성한 녹색 펀드의 안전한 투자처 확보 프로젝트의 높은

리스크로 인해 조성된 녹색 펀드의 직접투자가 어려움. 이를 통해 안정적인 투자 방안을

확보하여 펀드의 투자 유도가 가능

는 산업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다음은 담보자산 풀을 구성하는 주요 산업이다.

GCF 추진사업이 커버드본드의 담보대상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산업의 안정성

이 보장되어야 한다.

⑥ 커버드본드 도입 기대효과

Page 21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95

나) Green NAMA Bond

GCF는 녹색채권(Green NAMA Bond)을 통한 사업모델을 고려해볼 수 있다.

Green NAMA Bond(Green Sectoral Bond)는 IETA에 의해 제안된 개념으로 개도국

의 대규모 온실가스 저감사업을 채권 발행을 통해 지원하는 것이 골이다. 2010년

상반기에 녹색채권을 국제사회에 제안하면서 Green Sectoral Bond라 칭하였으나

부문별(sectoral) 온실가스 저감방식을 거부하는 개도국 의견을 수렴하여 Green

NAMA(NAMA: Nationally Appropriated Mitigation Action) Bond로 변경되었다.

기본적인 발행절차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91)

① 녹색채권 발행 희망 개도국은 IGBB(International Green Bond Board)

앞으로 검증된 온실가스 인벤토리 제출

② IGBB는 검증된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기반을 두고 해당 국가 앞으로

GCCU(Guaranteed Carbon Collateral Unit) 발행(당사국 온실가스 배출량 및

부채감당능력, 부속서 1국가의 2020년까지 저감목표 등을 고려하여 할당)

③ 당사국은 할당된 GCCU 한도 내에서만 녹색채권을 발행

④ 당사국은 GCCU를 받은 후 온실가스 저감사업에 대한 추진계획이 포함된

BIDD(Bond Issuance Design Document)를 작성하여 IGBB에게 제출

⑤ CDM과 동일하게 타당성검토(validation) 절차를 거침

* 녹색채권에는 MRV 벤치마크가 사전에 정해지기에 복잡한 MRV 검증

으로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CDM의 전철을 되풀이하지 않을 계획

⑥ 당사국은 타당성검토 후 녹색채권 발행

* 채원에 대한 신용(credit)을 제공하는 국제금융기관에게 일정량의 G

CCU를 이전해야 하며, GCCU는 채권이 성과를 내고 만기가 가까워지면 BIDD상의

조건을 부합할 때 당사국으로 반환

* 당사국이 GCCU 한도를 소진하면 녹색채원 메커니즘에서 차단되며 온

91) 오인하(2010), 2012년 이후 국제 탄소시장 전망 및 활용전략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Page 21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9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실가스 저감실적을 올리거나 보증기관으로부터 GCCU를 재구매해야 함

⑦ 녹색채권에 투자한 투자자는 채권상의 이자에 해당하는 금액을 배정받게

되며, 채권의 구조에 따라 배출권을 배당받을 수 있다.92)

<그림 4-37> 녹색채권의 개념 및 발행구조

92) 자연환경국민신탁(2012). 의무적 자발적 탄소시장 형성에 관한 연구.

Page 21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97

5) GCF에 대한 新금융기관으로서 비즈니스 모델(Social Finance)

국제기구로써 GCF의 공공성과 동시에 국제 금융기관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금융, 그중에서도 Social Finance 관점의 접근법이 필요하다.

자료: Social Finance, 인천대(2013).

<그림 4-38> Social Finance 구조

GCF는 네덜란드의 토리오도스 은행의 환경분야에서의 역할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들은 민간주도의 Social Finance 즉, 공공성을 가미한 소규모의 금융지원을 하고

있다. 은행이라는 형식이 있으나, 공공성을 추구하는 비영리 집단으로 민간이 공공

성을 주도한다는 것에 GCF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토리오도스 은행은 저탄소를 유도하기 위하여 관련 인프라에 투자 또는 대출을

하는데 환경분야 사업에는 특별자금을 투입한다. 토리오도스 은행과 허븐파이낸스

협동조합은 지역의 쓰레기 문제와 재활용사업 등 재생에너지의 높은 자본 비용과

낮은 운영비용 때문에 장기적 상환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사업 자체에 투자 또는 대출을 한다. GCF는

이 같은 투자 방식과 더불어 그들이 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Grid 대출사

업에 주목해야 한다. 토리오도스 은행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추진에서 인프라

사업인 전력의 공급선 즉 Local Grid에 지역자치단체와 함께 저리 대출을 지원하고

Page 21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19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있다. 물론 장기 상환을 조건으로 하고 있는데 상환이 원활하고 같은 지역에서 비슷

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할 경우에는 기존보다 장기로 기존보다 저리로 대출하

여 신재생에너지사업 기반을 구축하여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확대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였다.

GCF는 개도국의 온실가스 저감사업을 함에 있어서 민간의 투자 및 사업개발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민간이 추진하기 어려운 인프라 사업 특히, 송·배전, 댐 등

해당 국가 전략산업에 우선적으로 기반을 구축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민간기관

및 민간금융이 사업의 안정성을 담보로 사업추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GCF는 개도국 온실가스 저감 사업 투자금 이외에 앞서 언급하였던 R&D 또는

기반기금을 투자비의 일부 또는 Donation의 형태로 별도 기금을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별도 기금은 Sunk Cost를 감당하기도 하나, 기본적으로 사업의 원활한 추진

으로 수익이 창출되는 경우, 후순위로 Return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특별기금의

선순환의 경우, 기반사업 구축 등 인프라 사업에 재투자되어 다른 사업 개발을 활성

화하여 사업규모, 지역 등을 확대할 수 있다.

6) GCF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시사점 및 제언

GCF는 기존 전통적인 국제금융기관의 금융기법으로는 민간 금융기관의 참여활

성화를 통한 Scale up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PSF 조직화에 우선 집중하고,

지속적으로 민간금융기관 참여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사업 아이템 발굴 및 금융

기법 도입을 통한 매력적인 비즈니스 모델 정립을 해나가야 한다.

한국 입장에서는 PSF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PSF가 선진국이 아닌 송도 GCF

내에 설립되고, 국내 금융기관 및 투자자들이 참여 및 주도할 수 있도록 협상․지원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 금융기관, 학계가 주축이 된 GCF민관협의체를 조직하여

대외 정책추진 및 협상의 지원창구로 활용해야 한다. 환경경제학회 내 설립된 ‘기후

에너지금융포럼’과 같은 기존 협의체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도 제안한다.

Page 21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199

GCF의 규모는 기존 기후기금을 대체하고자 하는 국제사회의 의지와 그에 따른

재정공여 수준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이는 GCF가 기존 기후기금과 얼마만큼 차별

화된 민간투자 참여유인역량을 갖추느냐에 따라 그 규모와 성공여부가 결정될 것이

란 점이다. 관련하여 앞서 언급한 내용 이외에 향후과제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지원범위와 관련하여 기후변화와 연관도가 떨어지는 장애요인(국가리스크,

인프라 금융 등)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지원대상과 관련하여 최빈국과 중대형 개도국의 서로 다른 Needs를 어떻게

충족시킬지 고민해야 한다.

셋째, 투명성 확보와 관련하여 지원규모의 적정성 및 투명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지원확대와 관련하여 어떻게 민간재원을 적응부문으로 유인할 것인지 동기

부여책 마련과 투자수익성 제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본 연구과제에서 제안한 GCF 추진사업에 대한 커버드본드 도입 등 민간

금융기관 참여활성화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구체화해야 한다.

3. 민간재원의 활용

가. 녹색기후기금의 활용방안

GCF는 기존의 기후기금과는 다르게 민간 금융과의 협업을 강조한다. 따라서 민

간 금융이 GCF를 이용하여 개발도상국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크다. 이러한 역할

을 하는 PSF를 두어 국제, 국가, 지역적 차원에서 민간부문의 감축과 적응활동에

직 · 간접적으로 금융지원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특히 개도국의 민간부문인 중소기업과

지방 금융기관 등 지역 기관들의 참여를 촉진한다.93) PSF는 민간부문이 소규모 도서

개발도상국(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이나 최빈국(Least Developed

Countries)에 참여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94)

93) 노희진(2012), 탄소금융의 국제동향 분석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자본시장연구원.

Page 21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0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구분 부문 지원 분야

프로젝트

개발

단계별

협력

가능

분야

개발

과정

·벤처캐피탈, PE 등 위험자본이 적합

·초기개발비 지원 필요

·초기프로젝트 개발지원 투자펀드(Developer 지분투자 등)

·F/S지원을 위한 매칭펀드 조성

·CDM 사업의 경우 배출권구매조건부 투자(PFS에서 투자 후 배출권 확보)

금융

과정

·프로젝트 파이낸싱

·금융보증보험 서비스 확대

·개도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인센티브개발 및 자금 지원

·개도국 전력구매기관(전력공사-정부)의 신재생전력 구매 관련 신용

보증

·CDM 담보부 대출을 위한 기금 조성

건설

과정

·국내건설사+개도국 현지건설사 컨소시엄(기술이전 포함) 시

수출금융지원

·민간 부문의 기술 이전 시 교육훈련비용 지원 등

운영

과정

·개발된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 지원

·예를 들어, 바이오매스 연료 공급을 위한 지원:

지역개발(도로정비, 연료보관시설설치 등), 일자리 창출, 신재생 에너지

확보 등을 위한 지역개발사업 지원

PSF

지원

가능

분야

매칭펀드

등을 통한

사업투자

·PSF와 정부 및 민간금융기관 간의 매칭펀드를 통한 벤처캐피탈, PE, 금리 우대

대출, 프로젝트 파이낸싱, 리파이낸싱, 수출금융 등의 자금 공급

·PSF와 민간금융기관 간 사업 예비타당성평가 지원 목적의 매칭펀드 조성

기반 시설

구축

·수익사업에 도움이 되는 SOCs 무상원조(e·g, 바이오매스 발전의 경우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해 도로, 일자리 창출 등 지원)

보증 및 지원

·개도국 온실가스 감축, 저감사업 투자 사업에 대해 투자, 대출하는

금융기관들에 대한 지급 보증, 대출 이자 지원 등

·특정 사업을 위해 개도국 정부나 국가기관(전력구매회사 등) 등의 신용

보강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개도국의 발전차액지원제도(feed-in-tariff)

등에 자금 지원

탄소배출권

투자

·개도국 온실가스 감축실적에 대한 PSF의 단독 구매, 배출권 담보부

대출 및 투자 등 금융적 인센티브 제공(2012년 이후 유럽에서는 최빈국

탄소배출권만 거래 허용)

<표 4-41> PSF의 연계 부문

출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웹사이트(www.kiep.go.kr).

94) 노희진(2012), 탄소금융의 국제동향 분석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자본시장연구원.

Page 21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201

나. 민간자금 활용을 위한 투자 모델 검토

민간자금과의 협업을 위해서 기존 유사한 형태의 공적자금과 민간자금의 협업

모델을 국별로 살펴보고 GCF에 적용 가능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1) 모태펀드 모델

지난 2004년 종전의 창업투자조합에 정부가 직접 출자하던 체계를 ‘모태펀드

(Fund of fund)’의 운용체계로 전환했다. 모태펀드는 개별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투자가

아닌 하위 펀드에 대한 출자를 전문으로 하는 펀드로 정의할 수 있다.95)

모태펀드는 1999년에 외국투자기관과 공동으로 결성한 한국벤처투자조합(Korea

Venture Fund)이 시초이며, 동 펀드를 벤치마킹하여 Korea IT Fund(2002년), 다산

모태펀드(한국벤처투자(주)의 전신인 다산벤처(주)가 2003년 결성)가 결성되었다.96)

정책금융기관 정부

사무수탁회사: 정기적 포트폴리오 관리

운용회사

일반투자자(연기금)

투자대상탄소감축기업

자펀드1 자펀드 2 자펀드 3

투자 투자수익 수익

모태펀드모태펀드운영위원회

(관리회사)

자료: 노희진(2012), PSF와의 협력 활성화를 위한 금융기반 구축, 자본시장연구원 발표자료.

<그림 4-39> 저탄소 사업 추진기업 모태펀드의 운영 구조

95) 노희진(2012), PSF와의 협력 활성화를 위한 금융기반 구축, 자본시장연구원 발표자료.

96) 김세종(2008), 벤처기업 관련 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 중소기업연구원.

Page 21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0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모태펀드의 출자대상은 창업투자조합, LLC(유한회사형), 세컨더리·해외진출지원투

자조합 등 한국벤처투자조합, 중소기업전용 기업구조조정조합 등이 있다.

모태펀드-子펀드 운영체계는 국내의 벤처캐피탈 선진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미래 벤처캐피탈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라 볼 수 있다.97)

2) 요즈마 모델

이스라엘의 신생 벤처기업은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영 노하

우, 마케팅, 해외 네트워크의 부재로 특히 자금조달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98) 이러한

배경하에서, 이스라엘은 1990년 벤처산업 육성을 목적으로 Inbal Program을 도입하였

으나 실패하였고, 이에 정부는 보증기관을 창설하고 텔아비브 증권거래소에 상장한 벤처

캐피탈 투자자에게 투자액의 85%를 5년에서 7년까지 보증 했지만 10% 이상의 주식보유

제한, 투자대상 프로젝트의 정부 인가, 이스라엘 국내 기업 투자 제한 등의 규제로 인해

실패하였다.99)

동 Program의 실패사례를 교훈삼아 1993년 이스라엘 산업통상노동부(Ministry of

Industry, Trade & Labor) 산하 OCS(Office of the Chief Scientist)의 주도로 정부가

1억 달러를 출자하여 결성하게 된 것이 요즈마펀드이다.

조성 목적은 이스라엘 내 벤처캐피탈 산업의 육성과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활성화,

많은 우수 기술 및 아이디어의 성공적인 상업화, 그리고 이스라엘 벤처산업에 대한 외국

인 투자유치 촉진과 수출 지향적 하이테크 산업 성장을 촉진하고자 함이다.100)

펀드 특징은 1993년 정부가 1억 달러를 출자하였고, 정부의 주식비율은 거의 100%에

가까웠다. 정부는 연구개발의 사업화에 따른 위험을 분산하고 성과 또한 나누어 갖는

인센티브 구조를 갖추었다.101) 요즈마는 자금 지원뿐만 아니라 경영 노하우, 마케팅 등

97) 김세종(2008), 벤처기업 관련 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 중소기업연구원.

98) 손병호(2006), 과학기술 투자펀드 설립 및 운영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99) 이기종(2006), 과학기술투자재원 조성 및 운영에 관한 해외선진 사례 분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00) 손병호(2006), 과학기술 투자펀드 설립 및 운영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01) 손병호(2006), 과학기술 투자펀드 설립 및 운영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Page 22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203

경영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스라엘의 Ofer그룹, Bank Hapoalim 등 기술 및 금융 분야에

이스라엘 국내외 공식 및 비공식적인 네트워크를 활용하였다.102) 또한 요즈마는 국내자

본 외에 애드번트, 웰덴 등 세계 유수의 투자회사들과 9개 펀드, 2억 100만 달러를 조성하

여 170여 벤처기업에 창업자금 1억 3,000만 달러를 지원하였다. 1993~ 1997년까지 각각

2천만 달러 이상의 10개 자펀드를 성공적으로 조성하였다.

운영 체계 OCS는 요즈마펀드 운영에서 정부출자를 담당하고, 민영화 이전에는

펀드관리기관의 관리자로 참여하며, 자펀드의 투자심의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했다.103)

펀드관리기관은 요즈마펀드의 직접·간접투자를 담당하며, 주로 자펀드의 무한책임사원

(General partnership, GP)선정과 직접투자 대상 기업 선정에 관여하였다. 요즈마 초기

(1993)는 OCS 창설자 및 근무자 그리고 독일계 하이테크 기업 근무자 등 총 세 명으로

출범하였으며, 이후 2000년 말에는 여섯 명의 직원으로 구성되었다. 요즈마펀드로부터

출자를 받은 자펀드의 위탁운용사는 투자심의위원회를 구성하고 투자선정과 집행, 그리

고 관리를 담당하였다.104)

OCS

출자

지원

요즈마펀드

자펀드1

자펀드2

자펀드3

투자회사

1

투자회사

2

투자회사

3

위탁운용사

1

위탁운용사

2

위탁운용사

3

펀드관리기관

투자심의위원회

간접투자 직접투자

자료: 이기종(2006)

<그림 4-40> 요즈마 펀드 운용 체계

102) 손병호(2006), 과학기술 투자펀드 설립 및 운영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03) 손병호(2006), 과학기술 투자펀드 설립 및 운영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04) 손병호(2006), 과학기술 투자펀드 설립 및 운영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Page 22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0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성공 요인은 정부가 LP로서 자금을 제공했을 뿐, 펀드 의사결정상에 관여하지 않아

시장원리에 의해 작동할 수 있었다. 정부는 벤처캐피탈의 해외유치 및 공적 펀드의 국가

조성 시 일정기간 후 민영화를 통해 정부지분을 시장에 이양하겠다는 의지를 사전에

명백히 함으로써 민간자본 유치를 촉진하였다. 부족한 자본능력의 보완, 창업기업과 선진

기업 간 전략적 제휴 촉진, 미국의 벤처캐피탈 네트워크 활용으로 이스라엘 정부는 해외

자본의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였으며, 미국, 캐나다, 싱가포르 등과 각기 산업협

력기금을 설치하여 투자 및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강화하였다.105) 기술개발 지원 대상

으로서 연구과제 및 예비 창업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잠재적인 수출 가능성을 중요한

선정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기술개발에서 상품 수출 단계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국제화를 지향하면서 관련제도를 운영하였다.106) 처음부터 벤처기업들이 수출시장 등

대외지향성을 갖도록 마케팅, 기술개발 등을 지원하고 세계시장에 정통한 인사들과의

폭넓은 인적 유대를 갖도록 지원하고 유태인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였다.

3) 중소기업 지원 모델107)

미국식 중소기업 지원정책 모델로 미국 내에서도 SBA(US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가 설립되어 구체적인 프로그램들을 시행하게 된 이후부터 본격적

으로 시작되었다. 연방정부 기관들이 각 영역에서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수행하고

있는데, 수출정책은 상무부가, 그리고 정부계약은 국방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에 대한 대부분의 지원 정책은 SBA가 수립·시행하고 있다.108)

SBA의 중소기업 지원 정책은 크게 금융지원정책, 창업·경영지원정책, 정부구매

지원정책, 재난복구지원정책으로 나눌 수 있는데 여기서는 금융지원정책을 중심으

로 살펴보려고 한다. SBA의 주요 기능인 권익보호, 경영지원, 구매지원, 및 금융지

105) 임채윤(1999), 벤처기업의 기술지원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6) 안두현(2001), 기술의 투자가치 분석방법 및 개선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7) 최홍건(2008),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108) 김종운(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Page 22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205

원 중 핵심적인 지원정책이라고 할 수 있는 금융지원은 투자와 융자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의회에서 매년 승인받는 예산에 의해 SBA의 융자능력은 결정되며, 의회

가 결정하는 지침에 따라 SBA가 수행하는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수혜요건이 정해진

다.109)

SBA는 대출하거나 융자보증을 할 수 있다. 대출을 하기 위해서는 필요 자금이

정부로부터 공급돼야 하는데, 이러한 직접 대출 프로그램(SBA's Direct Loan

Program)은 1995년 이후 중단되었지만, 소규모 자금대출의 경우, SBA가 금융기관

에 자금을 공급하고 금융기관이 이 자금으로 영세기업에 대출하는 형식으로 2005년

까지 시행하였으나 이후 대폭 축소하였다. 따라서, SBA는 이제 중소기업에 대하여 직접

대출하지 않는다.110)

SBA는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명칭에 있어 중소기업법의 표현에 따라 ‘대출’이라

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민간 금융기관의 대출에 대한 ‘보증’을 한다. SBA가

융자 기관에 보증을 공급하고 융자기관이 중소기업에 대출하는 방식인 것이다.111) 이러

한 융자보증방식은 대출기관에 대해 대출자의 상환불능 위험을 보증 비율만큼 덜어줌으

로써, 자금 대출이 어려운 중소기업에 대해 신용접근 가능성을 높여주게 되었다. 이러한

SBA 보증 대출은 최대 25년의 장기 대출이므로 중소기업의 안정적 경영 및 성장에

도움이 되며, 이러한 SBA 보증 대출은 2차 시장에서 일반투자자들에게 매각되어 대출기

관 자체의 유동성 확보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112)

SBA의 보증대출은 그 목적상 크게 일반대출과 벤처프로그램 대출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대출은 SBA의 대표적인 보증대출 프로그램인 ‘7(a) 대출’과 ‘504’대출,

그리고 소규모 대출이 있고, 벤처프로그램 대출로는 “중소기업투자회사 대출”과

‘중소기업투자회사 채무증서 보증’ 등이 있다. 최근 미국 정부의 대출 프로그램 단순

화 작업으로 예전 소규모 대출 프로그램들이 대부분 7(a) 프로그램에 통합되었다.

109) 김종운(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110) 김종운(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111) 김종운(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112) 김종운(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Page 22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0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각각의 중소기업들의 특수한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안된 일반대출 프로그램들

을 요약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113)

7(a) 프로그램은 가장 탄력적인 프로그램으로서 자재 구입이나 창업과 같은 일반

적인 목적으로부터 계약이나 수출 금융과 같은 특정 목적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

한 용도의 자금을 제공한다. 공인개발회사(CDC) 또는 504 프로그램은 제3자 융자와

함께 대출기업 스스로의 자본 확충을 통해 고정된 이자율로 사업용 고정자산 구입

지원을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소규모융자(Microloan)는 적격중소기업에 대

해 작은 규모의 자금을 대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SBA는 소규모융자기관에

자금을 공급하고 융자기관이 대출을 한다. 벤처대출 프로그램인 중소기업투자회사

대출프로그램은 중소기업의 창업과 성장에 필요한 자금요소와 벤처캐피탈 이용가

능성과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1985년 제정된 중소기업투자회사법에 기초하여 SBA가

운용하는 프로그램이다.114)

㉠ 7(a) 프로그램

ⓐ 7(a) 기본 프로그램

7(a) 프로그램은 SBA 대출 중 가장 기본적이고 흔히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그 이름은 SBA에 중소기업 대출권한을 부여한 중소기업법 7(a)조에서 연유한다.

2002년 회계연도 SBA 대출액의 69% 이상, 그리고 대출건수의 90% 가까이가 7(a)

프로그램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7(a) 프로그램 대출을 받으려면, 첫 번째로 적격성

을 갖추어야 하고, 충분한 신용상태여야 하며, 대출기관이 SBA 대출 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가 있어야 한다.

중소기업법에는 직접적인 대출도 가능하게 하였지만, 실제로 7(a) 대출은 보증

방식으로만 활용이 가능하다. 이것은 그러한 대출이 민간 대출기관을 통해서 이루

어지며, 민간 대출기관은 대출 시스템을 SBA의 요구조건에 맞추어 대출자금의 일

113) 김종운(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114) 김종운(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Page 22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207

정 부분을 보증 받게 된다. SBA는 대출자금을 전액 보증하지는 않고 대출기관과

SBA는 대출자가 완제하지 못하게 될 위험을 분담한다. 대출기관의 부주의나 대출 기업

의 허위에 의한 것 등은 보증하지 않는다.115)

7(a)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개념은 대출 자금이 정부로부터가 아니라 민간 대출기

관으로부터 나온다는 것이다. 대출기관이 대출을 하지 않기로 결정하면, 비록 SBA

의 보증 대상이 된다 하더라도, SBA는 당해 대출을 강요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SBA도 재원이 없기 때문에 직접 대출을 할 수 없으므로 신청기업은 대출기관에

적극적으로 접근해야 하며, SBA 요건뿐 아니라 대출기업의 기준과 요건도 알아야 한

다.116)

ⓑ 7(a) 특별 프로그램

SBA는 중소기업의 특수한 자금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많은 변형 7(a) 대출

프로그램들을 시행하고 있다. 이들 변형 프로그램들은 기본 7(a) 기본 프로그램 대출

조건에 일부 추가되거나 대체된 대출 조건들을 가지고 있다.117)

□ 에너지보존대출

SBA는 에너지 자원 절약을 위한 장비, 기술을 고안 및 개발하거나 제조, 배포,

판매, 설치, 서비스 하는 중소기업에 대해 대출 또는 보증을 할 수 있다. 대상이

되는 장비나 기술은 태양열 장비, 산업폐기물을 활용하는 난방 장비, 수력발전 장비

등 각종 다양한 장비가 포함되며, 그 외에도 장치 개발을 위한 엔지니어링, 컨설팅

등 서비스 제공도 포함된다. 대출 자금은 지원 목적에 부합하는 공장건설, 기계,

설비, 원재료 구입 또는 그 외 연구개발이나 운전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제공된다.118)

일반적인 신용평가와 함께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 기술 적격성 등 다방면에서

115) 김종운(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116) 김종운(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117) 김종운(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118) 김종운(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Page 22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0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예상 판매액과 재무적 상태를 평가한다. 이 프로그램은 에너지 관련 제품 구입을

원하는 중소기업에 대해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아니다. 그러한 제품을 구입하려는

중소기업은 7(a) 기본 프로그램에 의한 대출을 받을 수 있다.

□ 무역대출 프로그램

SBA의 무역대출 프로그램은 중소기업이 업무용 부동산 구입이나 기계장비 구매

등으로 경쟁력이 약화된 경우 상황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운영된다.

신청기업은 7(a) 대출 프로그램의 신청자격 요건을 갖추고 있어야 하고, ⓐ 대출

이 수출시장 확대에 기여한다는 것, 또는 ⓑ 수입품에 의해 당해 기업이 영업상

애로가 발생했다는 것, 이와 더불어 도입장비가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함께 입증해야 한다. 수출시장 개발 또는 확대의 경우, 신청기업은 수출 확대 가능성을

보여줄 만한 정보가 포함된, 두 쪽의 무역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한다.119)

□ 수출용 운전자금 프로그램

수출품 제조를 위한 운전자금 대출 프로그램(Export Working Capital Program)

은 수출기업들에 대한 단기 운전자금 공급을 목적으로 한다.

이 프로그램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수출을 위한 여타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자금

확보가 여의치 않을 경우 이들을 지원한다. 또한 대출금융기관에 대해 최고 150만

달러 또는 대출금액의 90% 중 작은 금액까지를 보증하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대출금

융기관의 대출을 장려한다.120)

㉡ 504 및 소규모자금대출 프로그램

SBA는 7(a) 프로그램 외에 중소기업의 다른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인개

발회사(Certified Development Company) 프로그램과 소규모자금대출(Microloan

119) 김종운(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120) 김종운(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Page 22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209

Demonstration Loan) 프로그램 등의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 중소기업투자회사 프로그램

중소기업투자회사(Small Business Investment Company, SBIC) 프로그램은 중

소기업의 창업 및 성장에 필요한 자금 소요와 벤처캐피탈 이용가능성 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1958년 제정된 중소기업투자회사법(Small Business Investment

Act)에 기초하여 SBA가 운용하는 프로그램이다.

SBIC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투자전문가에 의해 펀드가 운용되어야 하

고, SBA가 정하는 조건을 충족하여 SBA로부터 면허를 받아야 한다. SBIC는 금융

적 지원(leverage)을 받을 목적으로 보증채권(SBA-guaranteed debentures) 또는

참여증권(participating securities)의 형태로 SBA로부터 면허를 받기도 하고, 금융

지원 없는 투자 목적으로 SBA로부터 면허를 받기도 한다. 즉, 참여하는 SBIC의 사업계

획과 투자전략이 금융 지원 양식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가 된다.121)

4) SIB(사회성과연계채권) 모델122)

정부의 지급 보증 약정을 토대로 투자계약 시, 사회사업 주체가 원리금 상환이

사회성과와 연계된 채권을 민간투자자에게 발행하는 것을 말한다.

사회성과연계채권 투자계약 시, 정부는 사회적 성과(social outcome) 달성을

조건으로 하여 채무의 상환과 예산절감효과에 비례한 성과금 지급을 사회성과연계

채권 발행인(Social Impact Bond-Issuing Organization, SBIO)과 약정한다.

사회성과연계채권을 자금과 서비스운용 흐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23) 첫째,

투자자는 사회성과연계채권을 받고 SIBIO에 자금을 공급한다. 둘째, SIBIO는 사회적 서비스

121) 김종운(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122) 김갑래(2012), 사회성과연계채권(SIB) 활용방안: 자본시장을 통한 사회문제의 해결, 자본시장연구원.

123) Langford, A. 2011. Social Impact Bonds in Canada: From Theory to Implementation. Simon

Fraser University, p.18.

Page 22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1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제공자에게 투자자로부터 모집한 자금을 운용자금으로써 공급한다. 셋째, 프로그램 대상 그룹

에 사회적 서비스 제공자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넷째, 정부 예산의 절감 효과는 제공된

사회적 서비스가 사회적 성과를 달성하면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다섯째, 정부는 사회적 성과

에 따른 보상을 한다. 여섯째, SIBIO는 정부지급액을 바탕으로 투자자에게 원금과 수익을

배분한다. 사회성과연계채권 투자는 전통적 채권투자와는 다른 측면들이 있다. 먼저 사회성과

연계채권은 투자수익이 측정가능한 사회적 성과에 연동되는 조건부 채권이라는 점에서 전형

적인 채무증권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다.

민간/자선투자자

사회성연계채권발행기관 정부

사회적서비스제공자

대상그룹에 대한사회적 성과 개선

사회적서비스 효용의 흐름

민간부문 자금

정부자금

2)�프로그램운용을 위한자금지원

3)�프로그램 대상그룹에사회적 서비스 제공

4)�개선된 사회적 성과로인해 정부 예산이 절감

5)�성과에따른 지급

6)�정부의 성과급으로부터원금상황 및 투자수익 지급

1)�선행 투자자금

자료: Langford, Social Impact Bonds in Canada(2011).

<그림 4-41> 사회성과연계채권의 자금 및 서비스 운용 흐름

사회성과연계채권의 성과가 있을 경우에 정부가 자금을 지원한다는 특징이 있다.

즉 개발도상국 지원에 있어서도 민간자금이 먼저 지원되고 성과가 있을 경우에

공적자금이 지원되는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Page 22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211

5) 기존 모델의 GCF 활용 가능성 검토

<표 4-42> 기존 모델의 GCF 활용 가능성

모델 특징 활용방안

모태펀드 모델

· 개별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투자를

지양하고 하위 펀드에 대한 출자를

전문 · 모태펀드 모델과 요즈마

모델에서 정부의 담당은

출자에 국한됨

· GCF가 정부의 역할을 하여

민간자금의 마중물로 출자를

담당하는 방향으로 활용

요즈마 모델

· OCS는 정부출자를 담당하고 민영화

이전에는 펀드관리기관의 관리자로

참여하며, 자펀드의 투자심의위원회

위원으로서 요즈마펀드 운영 지원

· 정부가 LP로서 자금을 제공했을 뿐,

펀드 의사결정상에 관여하지 않아

시장원리에 의해 작동

중소기업 지원 모델

· SBA가 융자 기관에 보증을 공급하고

융자기관이 중소기업에 대출하는 방식

· 대출기관에 대해 대출자의 상환불능

위험을 보증 비율만큼 덜어줌으로써,

그렇지 않다면 자금 대출이 곤란했을

중소기업에 대해 신용접근 가능성을

높임

· 중소기업지원모델과

SIB모델에서 정부의 담당은

대출기관 및 사업 주체에 대한

보증을 제공

· 정부의 보증 제공 역할을

GCF가 담당하는 방향으로

활용

. 특히 SIB의 경우, 민간의

성과가 있을 경우에 GCF가

지원

SIB 모델

· 정부의 지급 보증 약정을 바탕으로

사회사업 주체가 원리금의 상환이

사회성과와 연계된 채권을

민간투자자에게 발행하는 내용의

투자계약

· 재무적 성과를 사회적 성과에

연계시킴으로써 자본시장을 이용한

사회문제의 해결을 도모

다. 민간투자 유도를 위한 공공부문의 역할 강화

공공부문은 민간투자에 대해 정상적인 조건을 창출하는 데 매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공공부문은 재원 조달의 원천으로서가 아니라 민간투자가 원활하게 이루

어질 수 있는 조건의 창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민간투자가 확대되기 위해서,

Page 22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1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민간투자자를 유인할 수 있도록 투자가 리스크-리턴 프로파일을 가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펀드가 전달될 수 있는 강력한 금융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공공부문의 지원을 통하여 극복되어야 할 다양한 장애요인이 존재한다. 발전차액지원

제도(Feed In Tariff, FIT)124)와 같이 누적비용(incremental cost)을 커버하거나 또는

기업에 규제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투자에 대한 유인책 마련해야 한다. 대부분의

조치들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재정 지원을 필요로 한다. 투자자에게

중요한 것은 투자자의 수익률을 제고하기 위하여 프로젝트가 수행되는 기간에 걸친 누적

비용에 대하여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소득 지원이다.

국가 리스크, 외환 리스크 및 다양한 리스크가 투자에 대한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며, 공공부문은 민간투자자보다 이러한 리스크를 보다 잘 다룰 수 있다. 적응

및 감축 행동에 민간투자와 관련된 리스크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공적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것은 관련 수익률을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개발자 지원과 저탄소경제성장 정책 계획 등과 같은 시행 가능한

투자 기회 창출을 위한 민간부문 참여에 대한 재정적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pilot projects에 대한 지원과 초기 단계의 저탄소 프로젝트 개발에 대하여 공적

자금으로 자금 조달이 이루어지되, 민간에 의해 운용될 수 있도록 저탄소 프로젝트

개발 회사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라. 해외 기후변화 관련 프로젝트 개발 및 투자 전문금융기관의 설립

국내 민간 금융기관의 경우, 불확실성이 높고 수익이 보장되지 않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요하는 친환경적인 기술과 기업에 자발적으로 자금을 공급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친환경적 기술에 대한 분석 체계가 미흡하고, 환경과 금융을

연계하는 전문 인력의 부족 등으로 원활한 자금 지원에도 한계가 존재한다. 민간

124) 발전차액지원제도(feed in tariff)는 비효율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높은 비용과 시장가격의 차이를

정부가 지원해주는 차액지원제도로 재생에너지의 단가가 높은 것을 고려해 발전사업자는 이윤을 포함

한 가격으로 구매를 해주고, 대신 그 차액을 정부가 지원해주는 것임. 스페인의 경우 2008년 2GW의

태양광 설비가 설치되었는데, 이때 스페인 정부는 1KW당 0.44유로의 보조금을 지원했음.

Page 23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4장 ․ 재원활용 ∣ 213

금융은 전문성이 매우 부족해 기후변화 프로젝트에 내재하는 위험과 수익을 올바로

평가하기가 어렵다. 해외 프로젝트의 투자는 특히, 장기투자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경영진은 임기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단기간 내 가시적 성과를 내야 한다. 장기적

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는 해외기후변화 투자경우에는 관심을 갖기 쉽지 않다.

또한 기후변화 분야는 미개척 분야의 사업이기 때문에 리스크가 높다. 민간금융회

사가 개별적 지원을 하거나 대규모의 수요자금을 공급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

다. 이런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후변화 프로젝트 개발 및 투자 전문회사를 설립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전문회사 설립을 통해 첫째, 미래수익성이 높은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개발 프

로젝트에 특화하여 관련 전문가를 고용하여 고부가가치 투자를 할 수 있다. 둘째,

발굴하고 투자하는 개발도상국의 프로젝트에 민간금융회사의 공동 투자를 유도하

여 민간투자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 셋째, GCF와 민간금융의 협업의 창구 역할을

할 수 있다. 좋은 프로젝트를 개발하여 GCF와 민간금융의 협업을 할 수 있는 프로젝

트를 양쪽에 제공해줄 수 있다.

마. 녹색기후기금과 공동으로 저탄소 산업 기술개발 단지의 조성

GCF 자금 지원을 바탕으로 저탄소 기술개발 단지를 조성하여 개발된 기술을

개발도상국에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기술개발을 하여 개발도상국에 지원을

하면 선진국과 개발 도상국이 기후변화 대응을 하면서 개발된 기술을 이용하여

경제 발전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예를 들어, 외국의 일부 저탄소·생태 산업단지는

관광지처럼 소개되어 지역 소득 증대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국가 이미지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산업단지 클러스터 구축을 통해 집적이익 및 탄소 저감

기술의 공동개발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125) 이를 활용하여 저탄소 산업 단지 기술

및 시스템을 개도국에 지원하거나 수출도 가능하다.

125) 산업자원부(2004). 생태산업단지의 이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age 23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1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제5장 결론∣본 보고서는 GCF 한국 유치를 염두에 두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

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GCF의 운영 활성화는 전지구적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국제

사회가 적극 노력한다는 의미이고, 또한 GCF의 운영 활성화는 이러한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한국이 적극 참여함으로써 한국 내 관련 산업과 기업들에게

기회가 주어질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보고서는 GCF의 재원조성과 재원활용 문제를 중점 내용으로 다루었다. 재원

조성 문제를 다룬 제3장에서는 넓은 범위에서 국제사회의 기후재원 규모와 현황을

파악하고, 구체적으로 대표적인 5대 다자개발은행의 재원조성 방식을 살펴보았다.

국제사회는 현재 공공재원에 의존해 기후재원을 마련하는 방식으로는 급증하고

있는 기후재원 수요를 충당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잘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기후재

원 조성에 있어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대응사업 참여를 통한 민간재원의 확보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인식이 국제사회의 저변에 확대되어 있는 실정이다.

GCF가 민간재원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일 수 있고 민간재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는 본 보고서의 제4장에서 기술하고 있는 민간재원

활용을 위한 투자모델 부분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향후 GCF가 민간재원을 효과적으로 동원하여 적극 활용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한국의 기업들과 관련 산업도 GCF 활성화에 따른 많은 기회를 얻어낼 수 있다고 판단된

다. 부연하면, 한국의 금융 및 기술 관련 산업들이 GCF와 공동으로 기후변화 대응사업을

수행함으로써 해외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보고서 제4장에서 다루고 있는 국내적 재원활용 부분은 이런 차원에서 참고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아울러 GCF가 수행해야 할 기후변화 감축사업과 적응사업에

대한 방향은 본 보고서 제4장의 국제적 재원활용 부분을 통해 미리 살펴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는 기존 환경 관련 다자기금들에서 GCF가 벤치마킹 할 수 있는 부분들을

Page 23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제5장 ․ 결론 ∣ 215

분석하고 정리해 놓았기 때문이다.

본 보고서 제3장에서 다루고 있는 GCF의 재원조성 문제는 사실 국제사회의 정치

적 문제로도 볼 수 있다. 왜냐하면, GCF의 운영 초기에는 현실적으로 선진국들이

자발적으로 공여하는 재원에 의존해 GCF가 운영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국제

환경 관련 다자기금들을 살펴보면, 그간 상당 부분 선진국들 또는 회원국들의 자발

적 공여로 조성된 재원에 의지해 운영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IMF와

같은 국제 금융기구들의 경우 회원국들의 정기적 재원보충 회의를 통한 안정적

재원확보 장치를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면에서 볼 때, GCF는 국제사회의

야심찬 목표 달성을 위한 실험적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급격히 늘어가고 있는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수요를 충족하고자 하

는 야심찬 목표와 PSF를 이용하여 민간재원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실험적 방식을

GCF는 채택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현실적으로 이러한 국제사회의 새로운 실험인

GCF가 중·장기적으로 안정화되기 위해서는 운영 초기에는 선진국들의 자발적 공여

로 시작한다 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국제 금융기구들이 채택하고 있는 정기적 재

원보충 방식을 마련하고 이에 의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보고서 제3장의

GCF에 대한 제언 부분에서 제시하고 있는 몇 가지 방식들은 중·장기적 GCF 재원보

충 방식 마련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과제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의 연구결과가 GCF의 현 주요 이슈들을 파악하고, 향후

GCF를 활용하기 위한 한국의 준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

한다.

Page 23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Page 23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참고문헌 ∣ 217

∣참고문헌∣국제금융연구원. 「IMF 설립과 개혁, 목적」.곽대종․이영주․진혜진. 2011.12. 「녹색산업의 신규 비즈니스 창출 및 지속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과제」.금융감독원. 2013. 「2012년 자산유동화증권 발행실적 분석」.금융위원회․녹색성장위원회․기획재정부․지식경제부․환경부. 2012. 5. 「녹색금융 이행점검 결

과 및 향후 발전방향」.기획재정부. 2012, 11. 「GCF의 성공적인 출범, 운영을 위한 포럼」.기획재정부. 2006. 「EBRD의 일반재원」.김세종. 2008. 「벤처기업 관련 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 중소기업연구원.

김갑래. 2012. 「사회성과연계채권(SIB) 활용방안: 자본시장을 통한 사회문제의 해결」. 자본

시장연구원.

김종운. 2009.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노희진. 2010. 「녹색금융의 발전방향과 추진전략, 자본시장연구원조사보고서 10-01」.. 2012a. 「탄소금융의 국제동향 분석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자본시장연구원.

. 2012b. 「PSF와의 협력 활성화를 위한 금융기반 구축」. 자본시장연구원 발표자료

녹색금융 종합포털. http://www.green-finance.or.kr/sub07/sub07_01_01.php.

대외경제정책연구원. www.kiep.go.kr.

도건우․이지훈․신창목. 2009. 「녹색뉴딜사업의 재조명」.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제691호.

딜로이트. 2009. 「대․중소기업 상생비즈니스 모델」.박기현 외. 2012. 「에너지수요관리 혁신 및 정책 거버넌스 개선방안 연구」. 녹색성장위원회,

p81.

블룸버그에너지. 2012년 7월 25일. 「Wind Market Outlook 2012」. 발표자료.

산업자원부. 2004. 「생태산업단지의 이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손병호. 2006. 「과학기술 투자펀드 설립 및 운영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

가원.

안두현. 2001. 「기술의 투자가치 분석방법 및 개선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Page 23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1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에너지관리공단. 2012. 「11년, 12년 신재생에너지원별 기준단가 공고」.에코프론티어. 2009. 「민간 금융기관의 녹색금융 대응전략」.오인하. 2010. 「2012년 이후 국제 탄소시장 전망 및 활용전략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유럽부흥개발은행. 1991. 「유럽부흥개발은행 설립협정」.유엔디피. 1966. 「아세아 개발은행 설립협정」.이기종. 2006. 「과학기술투자재원 조성 및 운영에 관한 해외선진 사례 분석」. 한국과학기술기

획평가원.

이상혁. 2012. 「Dr. LEE의 용어로 풀어보는 글로벌 이슈」. KP Publisher.임기추. 2010. 「에너지효율시장 조성방안 연구, 녹색 성장 종합연구 총서 10-02-31」, 에너지

경제연구원.

임채윤. 1999. 「벤처기업의 기술지원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자본시장연구원. 2012. 보도자료 「주요국 커버드본드시장 분석과 국내 도입 방안」.자연환경국민신탁. 2012. 「의무적·자발적 탄소시장 형성에 관한 연구」.정서용. 2011. 「글로벌 기후변화 거버넌스와 국제법」. 박영사.

정희수. 2011. 「탄소배출권거래제 도입에 따른 녹색금융의 재조명」, 월간 금융 2011년 7월호,

p.58-64.

제4차 녹색성장위원회. 「녹색투자 촉진을 위한 자금유입 활성화 방안」.최홍건. 2008. 「미국의 중소기업정책」. 중소기업연구원.

한국거래소 「전력통계 정보시스템」. https://epsis.kpx.or.kr/한국수출입은행. 2012. 「12년 태양광, 풍력산업동향 및 해외진출전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10. 「녹색금융의 현황 및 향후 과제」.한국전력거래소. 2012. 「2012년 REC거래시장 시장동향 분석」. www.kpx.co.kr

. 2012. 「계통한계가격 공개자료」.현대경제연구소. 2009. 「국내외 녹색금융 비교와 시사점」.

Adaptation Fund (AF). Operational Policies and Guidelines.

______. NIE Accreditation Toolkit.

______. Instructions for Preparing a Request for Project or Programme Funding for

the Adaptation Fund.

Page 23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참고문헌 ∣ 219

______. Accessing Resources from the Adaptation Fund: The Handbook.

______. Annual Performance Report: FY 2012.

Adaptation Fund Board (AFB). 2012. Financial status of the Adaptation Fund Trust Fund,

Adaptation Fund.

African Development Bank. 1983. Agreement Establishing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______. 1966. Agreement Establishing the Asian Development Bank.

Asian Development Bank (ADB). 1973. Mobilization of Resources for the Asian

Development Bank.

______. 2013. ADB Financial Profile 2013.

Biagini, Bonizella., and Dobardzic, Saliha. 2011. Accessing Resources Under the Least

Developed Coutnries Fund. Professional Graphics.

Biagini, Bonizella et al. 2011. Strategy on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for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Fund (LDCF) and The Special Climate Change Fund

(SCCF). Global Environment Fund (GEF).

Brown, Jessica., Stadelmann, Martin., and Hörnlein, Lena. 2011. Fast-start finance to

address climate change: what we know at the mid-point. Background Note,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ODI).

Buchner, B., Falconer, A., Hervé-Mignucci, M., Trabacchi, C., and Brinkman, M. 2011.

The Landscape of Climate Finance. Venice: Climate Policy Initiative, 2012,12.

UNFCCC 18차 총회 장기금융 전문가회의 보고서.

Chung, Suh-Yong. ed. 2013. Post 2020 Climate Change Regime Formation. Routledge.

Climate Investment Funds (CIFs). 2012. 2012 Annual Report.

______. Pilot Program for Climate Resilience Design Document.

______. Clean Technology Fund Financing Products, Terms, and Review Procedures

for Public Sector Operations.

______. SREP Criteria for Selecting Country and Regional Pilots under SREP.

______. CTF Investment Criteria for Public Sector Operations.

______. CTF Private Sector Operational Guidelines.

Page 23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2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______. FIP Investment Criteria and Financing Modalities.

______. PPCR Design Document.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CRS). 2013.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Financing:

The Climate Investment Funds.

Climate Finance Initiative (CPI). 2012. The Landscape of Climate Finance 2012.

______. 2011.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limate Finance: Key Lessons.

Cunning, Victoria. 2011. White Paper. Bloomberg New Energy Finance.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1991. Agreement Establishing the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Figueres and Philips. 2007. Scaling up Demand-side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s

through Programmatic CDM, ESMAP. Technical Paper 120/07. Energy Sector

Management Assistance Program and the World Bank Carbon Finance Unit, p.8.

Green Climate Fund (GCF). 2013a. Business Model Framework on the Green Climate

Fund (GCF/B.04/03-08).

______. 2013b. Resource Mobilization for Green Climate Fund.

______. 2012. Decisions of the Board - Second meeting of the Board, 18-20 October

2012 (GCF/B.02-12/12).

______. 2013. Decisions of the Board - Third meeting of the Board, 13-15 March 2013

(GCF/B.01-13/12).

______. 2013. Decisions of the Board - Fourth meeting of the Board, 26-28 June 2013

(GCF/B.04/17).

______. 2012.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the Board, 23-25 August 2012

(GCF/B.01-12/09).

______. 2012. Governing Instrument for the Green Climate Fund.

______. Business Model Framework: Objectives, Results and Performance Indicators

(GCF/B.04/03).

______. Business Model Framework: Country Ownership (GCF/B.04/04).

______. Business Model Framework: Financial Instruments (GCF/B.04/06).

Page 23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참고문헌 ∣ 221

______. Business Model Framework: Private Sector Facility (GCF/B.04/07).

______. Business Model Framework: Structure and Organization (GCF/B.04/87).

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Accessing Resources under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Fund.

______. 2003. Co-financing, GEF council document, agenda item 13. GEF/C.20/6/Rev.1.

______. 2010. Summary of Negotiations: Fifth Replenishment of the GEF Trust

Fund. GEF/A.4/7.

______. 2011a. Instru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Restructured Global Environment

Facility.

______. 2011b. Status Report on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Fund and the Special

Climate Change Fund. http://www.thegef.org/gef/content/status-report-least-

developed-countries-fund-and-special-climate-change-fund-0.

______. Accessing Resources under the Special Climate Change Fund.

______. Guidelines for GEF Agencies in Conducting Terminal Evaluations.

______. System for Transparent Allocation of Resources.

______. Report on the Pilot Accreditation of GEF Project Agencies.

______. Procedure: Accreditation of GEF Project Agencies.

______. A GEF Operational Focal Point's Guide to the GEF Project Cycle.

______. GEF Project and Programmatic Approach Cycles.

______. GEF Secretariat Review for Full Medium-Sized Projects.

______. Terminal Evaluation Reports.

______. Biomass Energy for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______. Removing Barriers to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s in the State, Sector in

Belarus.

______. Energy Conservation and GHG Emission Reduction in Chinese.

______. Township and Village Enterprises (TVE), Phase II.

______. Barrier Removal for the Widespread Commercialization of Energy-Efficient

CFC-Free Refrigerators in China.

Page 23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2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______. Integrated Microhydro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rogram (IMIDAP), Part I.

______. Commercialization of Super Insulated Building Technology.

______. Transformation of the Rural Photovoltaics (PV) Market.

______. Removal of Barriers to Biomass Power Generation and Co-generation

Promoting Energy Conservation in Small and Medium Scale Enterprises

(PECSME).

______. Regional Programme on Electrical Energy Efficiency in Industrial and

Commercial Service Sectors in Central America (El Salvador, Nicaragua, Costa

Rica, Panama).

______. Solar and Wind Energy Resource Assessment.

______. Mainstreaming Climate Change in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Pangani River Basin.

GEF Evaluation Office. 2012. Evaluation of the Special Climate Change Fund Volume

2: Annexes.

GEF & World Bank. 2010. Summary of Negotiations fifth replenishment of the GEF Trust

Fund.

Haites, Erik., and Mwape, Carol. 2011. Sources of Long-term Climate Change Fund.

Oxford Climate Policy, LDC Paper Series, Oxford, UK.

Hirst, Eric., and Brown, Marilyn. 1990. Closing the Efficiancy Gap: Barriers to the Efficient

Use of Energy. Resource, Conservation and Recycling, Vol.3,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TN, the United States.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1959. Agreement Establishing the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IBRD). 2012. Articles of

Agreement.

______. 2013. Articles of Agreement.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IDA). 1961. Articles of Agreement.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2012. BP Alternative Energy Report (2013).

Page 24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참고문헌 ∣ 223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1944. Articles of Agreement.

______. 2013. FACTSHEET IMF Quotas.

Jenkins, Patrick., and Atkins, Ralph. 2013. Banks call on BoE to oppose financial

transaction tax. Financial Times.

http://www.ft.com/cms/s/0/948b16a6-b589-11e2-85.

Lanford, A. 2011. Social Impact bonds in Canada: From Theory to Implementation. Simon

Fraser University, Canada.

Lies, Craeynest. 2012. Briefing for the UNFCCC Work Programme on Long-term

Finance. Oxfam International, Bonn, Germany.

McKinsey & Company. 2010. Impact of the Financial Crisis on Carbon Economics.

Version 2.1 of the Global Greenhouse Gas Abatement Cost Curve, p.8.

New Energy Finance Report. http://www.newenergyfinance.com.

OECD. 2011. First-ever Comprehensive Data on Aid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online database. http://www.oecd.org/dac/stats/49187939.pdf.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12a. Climate Finance Fundamentals: Adaptation

Finance.

______. 2012b. Climate Finance Fundamentals: REDD-plus Finance.

OXFAM. 2012. Briefing for the UNFCCC Work Programme on Long-term Finance.

______. Aid statistics. http://www.oecd.org/dac/stats/.

Rattinger, Michael. 2012. "Landscape of Climate Finance," Climate Policy Initiative.

regional and sustainable development dept. ADB.

Romani, Mattia. 2013. Mobilizing Resources for Climate Finance. UNFCCC Long-term

Finance Expert Meeting.

Romani, Mattia. 2012. Mobilizing Resources for Climate Finance.

Schalatek, Liane., Bird, Neil., and Brown, Jessica. 2010. Where’s the Money? The Status

of Climate Finance Post-Copenhagen. Heinrich Boll Foundation North America,

ODI. pp.2-3.

Social Justice Ireland. Bill Gates proposes a Financial Transaction Tax to G20 to Fund

Page 24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24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Development. http://www.socialjustice.ie/content/bill-gates-proposes-financial-

transaction-tax-g20-fund-development.

Stavins, Jaffe. 1994. The Energy Paradox and the Diffusion of Conservation Technology.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Vol.16. Issue2.

The City UK. 2012a. Carbon Market 2011.

______. 2012b. Carbon Market 2012.

UNDP. 2013. All Projects.

______. 2010. A Framework for Climate Finance.

UNEP. Financing of UNEP. http://www.unepfi.org/about/index.html.

______. 2010 UNEP FI Overview.

UNFCCC. 2001. Guidance to an entity entrus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financial

mechanism of the Conven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fund. FCCC/CP/2001/13/Add.4, Decision 27/CP.7.

______. 2009. Copenhagen Accord. FCCC/CP/2009/L.7.

______. 2012a. Report on the workshops of the work programme on long-term finance.

FCCC/CP/2012/3.

______. 2012b. Submissions on information from developed country Parties on the

resources provided to fulfil the commitment referred to in decision 1/CP.16,

paragraph 95. FCCC/CP/2012/INF.1.

World Bank. 2012a. Implementation Completion and Results Report: The First Phase

of the Renewable Energy Scale-up Program.

______. 2012b. Implementation Completion and Results Report: Caribbean Catastrophe

Risk Insurance Project.

______. 2012c. The State and Trends of the Carbon Market.

World Resources Institute (WRI). 2012. Developed Country Fast-Start Climate Finance

Pledges: A Summary of Self-Reported Information.

Page 24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참고문헌 ∣ 225

<웹사이트>

녹색금융포털. http://www.green-finance.or.kr

세계은행(World Bank). http://www.worldbank.org

미주개발은행(IDB). http://iadb.org

민간발전협회. www.ippak.or.kr

아시아개발은행(ADB). http://www.adb.org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http://www.afdb.org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http://www.ebrd.com

Adaptation Fund (AF). http://www.adaptation-fund.org

Biagini, Bonizella. Least Developed Countries Fund (LDCF). http://www.climatefinanceoptions.

org/cfo/node/60

Catalyst Project. http://www.catalystproject.info/index.php.

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http://www.thegef.org/gef/

______. Least Developed Countries Fund (LDCF), http://www.thegef.org/gef/ldcf.

______. Special Climate Change Fund (SCCF), http://www.thegef.org/gef/SCCF.

______. 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http://www.climatefinanceoptions.org

/cfo/node/41.

Climate Finance and the World Bank: The Facts. http://climatechange.worldbank.org/

content/climate-finance-and-world-bank-facts.

Climate Finance Options. Least Developed Countries Fund (LDCF),

http://www.climatefinanceoptions.org/cfo/node/60.

______. Special Climate Change Fund (SCCF), http://www.climatefinanceoptions.org/cfo/node/58.

______. The 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http://www.climatefinanceoptions.org/cfo/node/41.

Climate Funds Update (CFU). http://climatefundsupdate.org

Climate Investment Funds (CIFs). http://www.climateinvestmentfunds.org

Green Climate Fund (GCF). http://gcfund.net

Mizuno, Osamu. The Global Environment Facility (the GEF),

Page 24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26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http://www.climatefinanceoptions.org/cfo/node/41.

______. All Projects, http://open.undp.org/#2013.

UNEP. About UNEP FI, http://www.unepfi.org/about/index.html.

______. Financing of UNEP, http://www.unep.org/rms/en/Financing_of_UNEP/

______. Partnership Agreements, http://www.unep.org

/rms/en/Partnership_agreement/index.asp.

______. Climate Finance and the World Bank: The Facts, http://climatechange.

worldbank.org/content/climate-finance-and-world-bank-facts.

UNFCCC. Background information: the work programme on long-term finance,

http://unfccc.int/cooperation_support/financial_mechanism/long-term_finance/ite

ms/7405.php.

______. Fast-start Finance, http://unfccc.int/cooperation

_support/financial_mechanism/fast_start_finance/items/5646.php.

______. FOCUS: Finance, http://unfccc.int/focus/finance/items/7001.php.

WIKIPEDIA.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http://en.wikipedia.org

Page 24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부록 ∣ 227

기금명GEF 신탁기금

(Trust Fund)

최빈국 기금

(LDCF)

특별기후

변화기금

(SCCF)

설립 1994 2002

목적

개도국과 체제전환국들이

지속가능한 경제개발과 동시에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이라는 UNFCCC의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

기후변화 영향에

취약한 49개 최빈국

수요 대응

국가적응행동계획(

NAPA) 준비 및

이행지원

기후변화 적응 및

기술이전

프로젝트 지원

지원

규모

(1억

$)

지원액 32 6 2.6

co-

financin

g

242 20 16

지원분야

기후변화 완화: 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 지속가능한 교통,

토지의 이용과 용도변경 및 산림

(LULUCF) 분야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

기후변화 적응: 개발정책,

계획,프로그램, 프로젝트 개발 시

중장기 기후변화 대응책을 마련,

개발도상국이 기후변화에 유연할

수 있도록 지원

최빈국 NAPA의

준비 및 이행지원

기후변화

적응사업

기술이전

에너지,교통,산업

,농업,산림,

폐기물 관리

개도국의 경제

다변화

<부록> 주요 다자환경기금 개요(AF,

CIFs, GEF)

가. 지구환경기금(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Page 24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28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기금명청정기술기금

(CTF)

산림투자

프로그램

(FIP)

기후회복을

위한

시범프로그램

(PPCR)

저소득국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

(SREP)

설립 2008.7 2009.7 2008.7 2009.12

목적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저탄소 기술의

보급 및 이전

개도국의

REDD+ 및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증진

사업

기후변화에

강한

국가개발계획을

위한 프로그램

저소득국의

저탄소사회

전환가능성

실증

기금명GEF 신탁기금

(Trust Fund)

최빈국 기금

(LDCF)

특별기후

변화기금

(SCCF)

금융수단 증여 (Grants)

접근방법국제적 접근

직접 접근 (시범프로그램)국제적 접근 국제적 접근

조직구조

자료: Global Environment Facility(GEF) 홈페이지 및 Climate Funds Update 홈페이지.

나. 기후투자기금(Climate Investment Funds, CIFs)

Page 24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부록 ∣ 229

기금명청정기술기금

(CTF)

산림투자

프로그램

(FIP)

기후회복을 위한

시범프로그램

(PPCR)

저소득국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

(SREP)

지원

규모

(1억

$)

지원액 52 6.4 13 5.0

co-

financi

ng

400 9.9 14.7 17.4

지원 분야

전력 분야:

저탄소 성장을

위한 재생에너지

및 고효율 기술

교통 분야: 효율

개선 및 교통방식

전환

에너지 효율:

산업 및 건축

산림생태계 개선

통한 감축 노력

투자

대안적

생계활동, 빈곤

감소를 위한 활동

등 산림 분야 외의

분야를 지원,

산림 위험 저감

기후탄력에 대한

고려 확대

생물다양성 보존

국가 또는 분야별

개발계획에

기후회복력을

통합할 수 있도록

기술 지원

국가 또는 분야별

개발 계획 전략에

명시된

공공·민간

부문의 기후변화

대응 관련 투자

지원

재생에너지의

사용과 생산 지원

기술 지원계획 및

투자의 사전조사

금융수단

증여, 양허성

차관, 보증,

위험공동부담

증여, 양허성

차관

증여, 양허성

차관

증여, 양허성

차관

접근방법 국제적 접근

조직구조

자료: Climate Investment Funds(CIFs) 홈페이지 <https://www.climateinvestmentfunds.org/>;

Climate Investment Funds(CIFs), "2012 Annual Report", (2012);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CRS),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Financing: The Climate

Investment Funds", (2013).

Page 24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3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기금명 적응기금 (AF)

설립 2009

목적기후변화가 지역사회, 국가, 섹터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저감하는

적응사업 지원

지원 규모

(백만 $)

지원액 169

co-

financing15

지원분야

수자원, 토지, 농업, 보건, 인프라, 생태계 관리

기후변화 관련 질병 관리 및 자연재해의 예방, 계획, 대비, 관리 등을

위한 역량강화

극단적 자연재해에 대한 신속 대응 시스템 및 정보네트워크 구축

금융수단 증여 (Grants)

접근방법 직접 접근

조직구조

다. 적응기금(Adaptation Fund, AF)

자료: Adaptation Fund(AF) 홈페이지 및 “Annual Performance Report: FY 2012".

Page 248: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Abstract ∣ 231

Abstract

Vitalizing Environment Finance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Our research on “Vitalizing Environment Finance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ttempts to identify key issues for the GCF (Green Climate Fund), and urge preparation for its utilization.

The GCF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It raises fund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utilizes the fund, acting both as a financial institution and an environmental organization. The fact that South Korea has hosted the GCF means that the country has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second chapter analyzes recent discussions of the GCF Board regarding the potential business model. Key elements in the business model framework for discussion suggested by the GCF Board include: 1) objectives, results, and performance indicators (Objectives, Results & Performance Indicators, 2) ownership of recipient countries (Country Ownership), 3) financing approach (Access Modalities), 4) financial instruments (Financial Instruments), 5) private sector organizations (Private Sector Facility), and 6) organizational structure (Structure & Organization). Chapter 2, discusses future plans of the GCF Board for the coming years, along with an analysis of each element.

The third chapter studies the financial climate statu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egarding the mobilization of climate finance.

Page 24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23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still in disagreement on the definition of climate finance. However, all financial resources cor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re regarded as climate finance and the measures are used as global climate finance. Private and public funding are based on the measures of the Climate Policy Initiative announc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ext, the paper discusses specific funds. Each international organization has its own way of composing funds. The GCF has the nature of both a financial institution and the environment organization. Thus, the paper gives an overview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and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The last section of Chapter 3 suggests how South Korea may contribute to GCF fundraising.

Chapter 4 discusses the allocation of funds. First, the paper examines Climate Investment Funds (CIFs) and Adaptation Fund (AF), which are the existing types of major multilateral environmental funds. The paper analyzes the success factors of such institutions. The success factors need to be benchmarked by the GCF. Climate change project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mitigation and adaptation. Fund allocation is then discussed in terms of facilitating the domestic industry to provide investment opportunity overseas through GCF projects. Hosting of the GCF has encouraged Korea to identify lessons learned from the perspectives of suppliers and consumers of climate finance, which has also allowed identification of effective methods to utilize GCF funds. The second part of Chapter 4 discusses the use of private funds. The GCF plans to launches an organization named Private Sector Facility (PSF). PSF catalyzes the use of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for climate change projects, and attracts private funding. The success of GCF operation depends on the effectiveness of PSF, because public funding cannot meet the demand of increasing funding needs of developing countries. Effective mobilization of private funding will provide enormous opportunities for Korean companies and industries. In addition,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and technology companies will

Page 250: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3.pdf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금융 활성화 ... 이정석 │ 강희찬

Abstract ∣ 233

have opportunities to expand overseas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GCF. The study examines business model in conjunction with the PSF. The final section of Chapter 4 proposes methods of allocating funds.

Keywords: Global Climate Finance, Green Climate Fund(GCF), Fund

Mobilization, Fund Allocation, Business Model, Private F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