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6
3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과학기술 년사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3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편

과학기술

년사

Page 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띄어쓰기를 원칙으로 하였다. 단, 아래와 같은 경우를 예외로 하였다.

• 명사의 붙여쓰기 1) 단어 간에 붙여쓰기를 일반으로 하는 정책 용어 (예: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초연구,

사회간접자본, 성과평가, 정부부처 등)

• 명사의 붙여쓰기 2) 단어 간에 붙여쓰기를 일반으로 하는 기관 명칭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

• 부호의 사용 1) 공식 법률과 정부 계획의 명칭은 붙여쓰기를 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 책에서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띄어쓰기로 했음. 단, 명칭의 구분을 위해 홑꺽음쇠(「」)를 표기 (예: 「과학기술 기본법」, 「제1차 기술진흥

5개년계획」 등)

• 부호의 사용 2) 책, 학술지에는 겹꺽음쇠(��)를 표기 (예: �과학기술연감�, �과학기술정책�, �과학기술

40년사� 등)

• 주석은 미주로 하였으며 각 장의 말미에 참고문헌을 표기하였다.

Page 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 목 차 ❚

제1장 기초연구 ····································································································1

제1절 개요 ····················································································································3

제2절 기초연구 분야 R&D 정책 및 사업의 시대별 변천 ·········································5

1. 초창기 기초연구 지원 체계의 발전(1977년~1989년) ······································5

2. 기초연구 지원의 체계화 및 사업의 다양화 (1990년~2008년) ························9

3. 선진화된 기초연구 지원 체계 구축(2009년~2016년) ····································16

4. 정부의 기초연구 투자 확대와 역량 확보 ·························································20

제3절 주요 기초과학 분야의 발전 ············································································22

1. 수학 분야의 발전 ······························································································22

2. 물리학 분야의 발전 ··························································································27

3. 화학 분야의 발전 ······························································································35

제4절 기초연구 분야의 미래 전망 ············································································41

제2장 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47

제1절 우주・항공 ·········································································································49

1. 우주・항공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50

2. 우주・항공 R&D 주요 성과 ··············································································57

3. 우주・항공 분야의 미래 전망 ············································································65

제2절 해양 ··················································································································67

1. 해양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67

2. 해양 R&D 주요 성과 ·······················································································71

3. 해양 분야의 미래 전망 ·····················································································76

제3절 기상 ··················································································································78

1. 기상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79

2. 기상 R&D 주요 성과 ·······················································································84

3. 기상 분야의 미래 전망 ·····················································································88

제4절 천문 ··················································································································89

1. 천문 R&D 주요 성과 ·······················································································90

2. 천문 분야의 미래 전망 ·····················································································98

Page 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절 극지 ··················································································································99

1. 극지 R&D의 시대별 변천 ··············································································100

2. 극지 R&D 주요 성과 ·····················································································102

3. 극지 분야의 미래 전망 ···················································································104

제3장 산업기술 ·······························································································109

제1절 개요 ···············································································································111

제2절 산업기술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113

1. 기술 자립 기반 구축(1980년대~1990년대 초) ············································113

2. 추격형 기술 전략을 통한 기술 경쟁력 확보(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 ··118

3. 혁신 주도형 기술 개발과 지식경제 기반 구축(2000년대 중반~2010년대 초)

························································································································127

4. 선도형 기술 전략과 창조 경제(2010년대 중반~) ·········································138

제3절 산업기술 R&D 주요 분야별 핵심 성과 ·······················································143

1. 기계 기술 R&D 성과 ·····················································································143

2. 소재(재료) 기술 R&D 성과 ···········································································154

3. 화학・화공 기술 R&D 성과 ············································································160

4. 섬유 기술 R&D 성과 ·····················································································165

5. 조선 기술 R&D 성과 ·····················································································170

6. 자동차 기술 R&D 성과 ·················································································175

7. 디스플레이 기술 R&D 성과 ··········································································182

제4절 산업기술 분야의 미래 전망 ··········································································188

제4장 정보통신 ·······························································································195

제1절 개요 ···············································································································197

제2절 정보통신 R&D 행정과 정책의 시대별 변천 ················································199

1. 전신・전화 기반의 전기통신 시대(1967년~1985년) ·····································199

2. 유선전화 중심의 정보통신 시대(1985년~1995년) ·······································207

3. 이동통신 위주의 정보통신・인터넷 시대(1995년~2005년) ···························215

4. 서비스 확산의 정보통신・방송・콘텐츠 시대(2005년~2016년) ·····················223

Page 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절 정보통신 R&D 분야별 주요 성과 ································································231

1. 전자 및 반도체 기술 R&D 성과 ···································································231

2. 컴퓨터・SW 기술 R&D 성과 ·········································································234

3. 통신・네트워크 기술 R&D 성과 ·····································································240

4. 방송・미디어 기술 R&D 성과 ········································································245

제4절 정보통신 분야의 종합적 성과 및 전망 ························································251

1. 정보통신 성과 ·································································································251

2. 정보통신 전망 ·································································································254

제5장 원자력・에너지 ······················································································263

제1절 개요 ···············································································································265

제2절 원자력 ············································································································266

1. 원자력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266

2. 원자력 R&D 주요 성과 ···············································································284

3. 원자력 분야의 미래 전망 ·············································································286

제3절 에너지 ············································································································288

1. 에너지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289

2. 에너지 R&D 주요 성과 ···············································································298

3. 에너지 분야의 미래 전망 ···············································································304

제6장 지질 자원・환경 ····················································································313

제1절 개요 ···············································································································315

제2절 지질 자원 ······································································································316

1. 지질 자원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317

2. 지질 자원 R&D 주요 성과 ············································································321

3. 지질 자원 분야의 미래 전망 ········································································326

제3절 환경 ·············································································································328

1. 환경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328

2. 환경 R&D 주요 성과 ···················································································333

3. 환경 분야의 미래 전망 ···················································································338

Page 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 생명공학・보건의료 ···············································································343

제1절 개요 ···············································································································345

제2절 생명공학 ········································································································346

1. 생명공학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347

2. 생명공학 R&D 주요 성과 ··············································································350

3. 생명공학 분야의 미래 전망 ············································································353

제3절 보건의료 ········································································································354

1. 보건의료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355

2. 보건의료 R&D 주요 성과 ··············································································374

3. 보건의료 분야의 미래 전망 ············································································385

제8장 농업과학・식품 ······················································································391

제1절 개요 ···············································································································393

제2절 농업과학 ········································································································395

1. 농업과학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395

2. 농업과학 R&D 주요 성과 ··············································································405

3. 농업과학 분야의 미래 전망 ··········································································409

제3절 식품 ···············································································································412

1. 식품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413

2. 식품 R&D 주요 성과 ·····················································································422

3. 식품 분야의 미래 전망 ···················································································427

제9장 국방・재난안전 ······················································································433

제1절 개요 ···············································································································435

제2절 국방 ···············································································································437

1. 국방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437

2. 국방 R&D 주요 성과 ·····················································································446

3. 국방 분야의 미래 전망 ···················································································458

Page 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절 재난안전 ········································································································461

1. 재난안전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461

2. 재난안전 R&D 주요 성과 ··············································································469

3. 재난안전 분야의 미래 전망 ············································································475

제10장 건설・철도・도로 ··················································································483

제1절 개요 ·············································································································485

제2절 건설 ···············································································································486

1. 건설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488

2. 건설 R&D 사업의 시대별 주요 성과 ····························································497

3. 건설 분야의 미래 전망 ···················································································502

제3절 철도교통 ········································································································503

1. 철도교통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504

2. 철도교통 R&D 주요 성과 ··············································································507

3. 철도교통 분야의 미래 전망 ············································································512

제4절 도로교통 ········································································································514

1. 도로교통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515

2. 도로교통 R&D 주요 성과 ··············································································526

3. 도로교통 분야의 미래전망 ··············································································527

부록

편찬 참여자 명단 ·································································································531

Page 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 표 목 차 ❚

<표 1-1> 기초연구 정책사 주요 연혁 ············································································4

<표 1-2> 1978년~1989년 기초연구 지원 실적 ···························································6

<표 1-3> 1990년~2008년 기초연구 지원 실적 ···························································9

<표 1-4> 1990년~2000년 우수 연구센터 지원 실적 ················································10

<표 1-5> 기초연구의 변화(1978년~1992년) ······························································11

<표 1-6> 1992년~1996년 핵심 전문연구 및 특정 기초연구 지원 실적 ··················11

<표 1-7> 기초연구 수행에 대한 지원 사업 범위의 변화 ···········································13

<표 1-8> 1997년~2006년 창의적 연구 진흥 사업 지원 실적 ··································13

<표 1-9> 2005년~2015년 기초연구 지원 실적 ·························································16

<표 1-10> 2009년~2015년 기초연구 지원 실적 ·······················································17

<표 1-11> 기초연구 사업 개편 내용 ···········································································17

<표 1-12> 미래창조과학부와 교육부의 사업 구분 ······················································18

<표 1-13> 개인 연구 사업 구조 단순화 ······································································18

<표 1-14> 연구비 탄력적 운영 예시 ···········································································19

<표 1-15> 장기적・안정적 연구 환경 마련 ··································································20

<표 1-16> 학문 분야별 지원 체계 다양화 ··································································20

<표 1-17> 수학 분야 SCI급 논문 연도별 논문 편수 ·················································23

<표 1-18> 순수수학 최우수 3대 학술지 국내 수학자 논문 게재 수 ························23

<표 1-19> 기초과학연구원의 물리학 관련 연구단 ······················································30

<표 1-20> 한국 물리학자가 발표한 SCI 논문 수와 세계 점유율(2006년~2015년) ······33

<표 1-21> 물리학 분야별 피인용 횟수와 세계 점유율 (2006년~2015년) ···············33

<표 1-22> 물리 분야 피인용 상위 1% 논문 수와 국가별 점유율(2005년~2015년) ····34

<표 1-23> 세계 대학 물리학과 평가 순위 ································································34

<표 1-24> 화학 세부 분야별 정부 연구비와 과제 수(2006년~2009년) ··················38

<표 1-25> 한국연구재단 사업들의 화학분야 지원 과제수와 연구비(2010년~2016년)

····················································································································39

<표 1-26> 한국의 분야별 피인용 상위 1%, 0.1%, 0.01% 논문수(2000년~2010년)

····················································································································40

<표 2-1> 국내 우주 개발 주요 정부 기관 역할 ·························································52

<표 2-2> 항공 연구기관 역할 분담 ·············································································54

<표 2-3> 국가 우주 개발 계획 변화 ···········································································55

<표 2-4> 「항공 산업 발전 기본계획」 목표의 변화 ····················································57

Page 1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표 2-5> 인공위성 개발 현황(2016년 현재) ······························································61

<표 2-6> 발사체 개발 현황(2016년 현재) ··································································62

<표 2-7> 해양 과학기술 정책 관련 법제 현황 ···························································69

<표 2-8> 1990년대 기상연구 과제 수 ········································································82

<표 3-1> 「생산기술 발전 5개년 계획(1991~1995)」 중 부처별 투자 규모(억 원) ·····115

<표 3-2> 산업기술 개발 사업의 변화(1996년~2001년) ··········································122

<표 3-3>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 연도별 추진실적 ···············································126

<표 3-4> 「산업기술 발전 5개년 계획」 기간 중 기술 혁신 예산 증가 수준 ·········126

<표 3-5> 산업기술 개발 사업의 주체별 역할분담 체계 ···········································128

<표 3-6> 산업기술 혁신 중장기 계획의 발전 과정 ··················································131

<표 3-7> 「세계적 전문 중견기업 육성 전략」 ···························································132

<표 3-8> 지식경제 R&D 5대 사업 유형 ··································································133

<표 3-9> 산업기술 R&D 목적에 따른 사업 구조 개편(2013년) ····························139

<표 4-1> ICT R&D 투자규모 현황 ···········································································199

<표 4-2> 통신진흥협의회 분과명 및 주요 활동실적(1985년 기준) ·························201

<표 4-3> 정보통신 산업・서비스 성과 및 R&D 규모 변화 ······································220

<표 4-4> 「u-IT839 전략」 분야 ···············································································222

<표 4-5> 창조비타민 프로젝트 주요 성과 ·································································226

<표 4-6> 정보통신 기술 산업 전략 전환의 기본 방향 ·············································228

<표 4-7> 「K-ICT 전략」 주요 성과(2015년~2016년) ·············································230

<표 4-8> 주요국의 ICT 접근성 세부지표 현황(2010년 대비 2015년) ··················252

<표 4-9> ICT 산업 중장기 전망(2016년~2020년) ··················································254

<표 5-1> 「2030년을 향한 원자력 장기 정책 방향」 주요 내용 ······························276

<표 5-2> ‘원자력 안전 정책 성명’ 5대 원칙과 주요 내용 ······································276

<표 5-3> ‘핵의 평화적 이용 4원칙’ 주요 내용 ······················································277

<표 6-1> 지질 자원 분야 연구개발 주요 정책들 ······················································320

<표 6-2> 연도별 지질 자원분야 과학기술 주요성과(1945년~2016년) ···················325

<표 6-3> 환경 기술 개발 성과와 국가 연구개발 사업 전체 성과 비교 ··················330

<표 6-4> G7 환경 기술 개발 사업 개요 ··································································334

<표 6-5> G7 환경기술 개발 사업 주요 성과 ···························································334

<표 6-6> 차세대 핵심 환경기술 개발 사업 투자 실적 ·············································335

<표 6-7> 차세대 핵심 환경 기술 개발 사업 주요 성과 ···········································336

<표 6-8> 글로벌탑 환경 기술 개발 사업 주요 성과 ················································337

<표 6-9> 환경 산업 선진화 기술 개발 사업 주요 성과 ···········································337

Page 1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표 6-10> 환경 정책 기반 공공 기술 개발 사업 주요 성과 ···································338

<표 7-1> 우리나라 생명공학 정책 개요 ····································································347

<표 7-2> 생명공학 분야 SCI(E) 논문 주요국 비교 ·················································351

<표 7-3> 2007년~2015년 국내외 NSC 논문 발표 현황 ·······································351

<표 7-4> 「국가 중점 육성 기술(안)」 중 보건의료 분야 특성화 기술 ····················367

<표 7-5> 「제2차 과학기술 기본계획」 중 보건의료 분야 중점 전략 기술 및 전략 기술

····················································································································368

<표 8-1> 광복 후 농업 연구개발 조직의 변천 ·························································396

<표 8-2> 주요 통일형 품종 개발 현황 및 쌀 수량성 ··············································400

<표 8-3> 시대별 농축산식품 기술 개발 동향 ···························································404

<표 9-1> 국방 기술 연구개발 사업 ···········································································445

<표 9-2> 1차 번개사업 시제 목록(1971년 11월 16일~1971년 12월 24일) ·······447

<표 9-3> 연도별 기술 자료 도입 현황 ······································································450

<표 9-4> �제2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 수정안�의 전략 변화 내용

····················································································································468

<표 9-5> �재난・재해 R&D 협업모델(안)� ································································469

<표 9-6> �우리나라의 재난・재해 분야 과학기술 수준� ···········································471

<표 9-7> 최근 재난・안전 R&D 투자액과 전체 R&D에서의 비중 추이 ·················476

<표 10-1>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SOC 투자 정책의 변화 ································487

<표 10-2> 국토교통 연구개발 중장기 전략: 10대 중점 프로젝트 ··························496

<표 10-3> 열차이름과 속도의 변천 ···········································································505

<표 10-4> 한국의 국토교통 연구개발 추진경과 ·······················································518

<표 10-5> 국토교통 연구개발 예산 추이 ··································································519

<표 10-6> 교통 부문 연구개발 과제 수행 변화 추이 ··············································520

<표 10-7> 도로교통의 수송 효율성 제고 관련 주요 연구개발 과제 ·······················521

<표 10-8> 대중교통・복지교통 관련 주요 연구개발 과제 ·········································523

<표 10-9> 물류관련 주요 연구개발과제 ··································································525

<표 10-10> ICT 기반 첨단 교통 기반 조성 주요 연구개발 ····································525

Page 1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 그 림 목 차 ❚

[그림 1-1] 기초연구 투자 비중 추이 ···········································································21

[그림 1-2] SCI 논문 수와 세계 점유율 추이 ·····························································22

[그림 1-3] 한국 수학의 발전 단계 ··············································································24

[그림 2-1] 우주 개발 정부 추진 체계 ·········································································51

[그림 2-2] 항공 연구개발 정부 추진 체계 ··································································53

[그림 2-3] 국가 인공위성 개발 로드맵(1999~2020) ·················································60

[그림 2-4] 항공기 개발 성과 ·······················································································63

[그림 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 개발 성과 ······················································64

[그림 2-6] 최근 10년간 해양수산 R&D 정부 출연금 투자 추이 ·····························70

[그림 2-7] 해양수산 분야 연구 수행 및 관리 체계 ···················································71

[그림 2-8] 2020년 부분 완공 예정인 거대 마젤란 광학망원경(GMT) ·····················92

[그림 2-9] 한국천문연구원이 울산대에 설치한 21m 전파망원경 ······························94

[그림 2-10] 극지연구소 연도별 발표 논문(2004년~2015년) ··································103

[그림 3-1] 산업기술 개발 사업 세부사업별 투자의 변화 추이 ································123

[그림 3-2] R&D전략기획단 설립 및 구조 ································································129

[그림 3-3] 산업 원천 R&D 14대 분야 개편내용 ····················································134

[그림 3-4] 사업 개편 전후 R&D 사업 구조 비교 ···················································135

[그림 3-5] 부처별・수행 주체별 투자비중('12, %) ···················································137

[그림 3-6] 부처별・연구 단계별 투자비중('12, %) ···················································137

[그림 3-7] 산업자원부 R&D 분야별 투자 ································································137

[그림 3-8] 산업자원부 R&D 세부분야별 투자 ·························································137

[그림 3-9] 「제조업 혁신 3.0전략」 ···········································································141

[그림 3-10]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지역별 핵심 사업 ·················································141

[그림 3-11] 대면적 미세가공시스템 기술개발 결과물 ··············································145

[그림 3-12] 6축 다관절 산업용 로봇 HR-120 ·······················································146

[그림 3-13] 재난대응로봇 DRC 휴보 II ···································································146

[그림 3-14] VRF 시스템 설치 예 ·············································································149

[그림 3-15] VRF 시스템 구성 요소 ·········································································149

[그림 3-16] 웨이퍼기반 다층 나노임프린트 장비와 롤-롤 나노임프린트 장비 ······150

[그림 3-17]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EcoBee ··························································152

[그림 3-18] 두산중공업이 건설한 UAE Fujairah 담수화 플랜트 ···························153

[그림 3-19] 정삼투 공정 및 정삼투막 개발 ·····························································153

[그림 3-20] 원통형 리튬이온전지 ··············································································165

[그림 3-21] 코오롱 헤라크론 원사 및 응용제품 ······················································167

Page 1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그림 3-22] 태광산업의 아라미드 섬유 ·····································································167

[그림 3-23] 태광산업의 탄소섬유 ··············································································169

[그림 3-24] 효성 탠섬(TANSOME®) ······································································169

[그림 3-25] 최초의 한국기업 자동차 엔진, 알파엔진(1991년) ·······························179

[그림 3-26] 부품모듈화 성과, 섀시코너모듈(2005년) ··············································179

[그림 3-27] 국내 최초 양산 전기자동차 ‘블루온’ (2010) ······································181

[그림 3-28] 세계 최초 양산 연료전지차 ‘투산’(2013) ············································181

[그림 4-1] 국내 개발 디지털 전자 교환기(TDX-1) ·················································205

[그림 4-2] 무궁화 1호 발사 및 인공위성 관제소 ····················································209

[그림 4-3] 세계 최초 CDMA 상용화 ·······································································213

[그림 4-4] 「K-ICT 전략」(2015년) 비전 및 목표 ···················································228

[그림 4-5] 「K-ICT 전략 2016」 비전 및 목표 ·······················································229

[그림 4-6] 최초의 개통에 성공한 TDX (1982년 7월) ············································232

[그림 4-7] TDX 200만 회선 개통 기념식(1990년 3월) ········································232

[그림 4-8]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기원이 되었던 국산 32K ROM ····················233

[그림 4-9] 국산화에 성공한 4M DRAM ··································································233

[그림 5-1] 원자력 기술 자립 사업 추진 체계 ··························································273

[그림 5-2] 에너지 기술 개발을 통한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 ···································288

[그림 5-3] 에너지 연구개발 체계 ············································································290

[그림 5-4] 정부 에너지 연구개발 주요 담당 부처 변천 ··········································291

[그림 5-5] 에너지 분야 중장기 계획 ········································································294

[그림 5-6] 기후변화대응 기술 확보 로드맵(CTR) 개요 ···········································297

[그림 6-1] 1/5만 국가 기본 지질도 발간 (2016년말 기준) ···································323

[그림 6-2] 해수용존 리튬추출 실증 플랜트 ······························································325

[그림 6-3] 국가 환경 R&D 사업 추진 현황 ····························································330

[그림 6-4] 주요 환경 R&D 사업의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335

[그림 6-5] 세계 환경 시장 규모 전망 및 성장률 ····················································339

[그림 7-1] 과학기술혁신본부 출범에 따른 생명 분야 부처 간 역할 ·······················360

[그림 7-2] 의료산업발전기획단 및 보건의료서비스제도 개선기획단 조직 및 업무 체계도

··················································································································361

[그림 7-3] 「국민 건강을 위한 범부처 R&D 중장기 추진 계획」의 건강 범위, 비전 및 목표

·················································································································369

[그림 7-4] 녹십자 헌터라제 국가 연구개발 우수성과 선정 ·····································380

[그림 7-5] 퀴놀론계 항균제 팩티브정 320mg ························································381

[그림 7-6] 우리나라 제약・바이오BT 신약 개발 난관 극복 ·····································382

[그림 7-7] 국내 줄기세포 치료제 상용화 현황 ························································383

[그림 7-8] 국내 최초의 신장이식 ··············································································384

Page 1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그림 7-9] �뇌졸중 진료 지침(요약본)� 표지 ···························································385

[그림 8-1] 광복 이후 농업과학 기술 연구기관 변천 ················································399

[그림 8-2] 농업 과학기술의 성과와 지향점 다양화 ··················································409

[그림 8-3] 농림식품 R&D 추진체계 ·········································································421

[그림 8-4] 한국형 미곡종합처리장 ············································································425

[그림 9-1] 국방 연구개발 절차 ·················································································444

[그림 9-2] 국방 과학기술의 전개 ··············································································446

[그림 9-3] KT-1 기본 훈련기 ···················································································453

[그림 9-4] K-9 자주포 ······························································································453

[그림 9-5] 함대함 유도 무기 해성 ············································································458

[그림 9-6] K2 전차 흑표 ···························································································458

[그림 9-7] 우리나라 재난안전 관리 계획의 변천 ·····················································465

[그림 9-8] 제1차 및 2차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 비교 ················467

[그림 9-9] 재난 안전 관리 스마트 시스템 개념도 ···················································470

[그림 9-10] 홍수 통제를 위한 주요 기술 ·································································472

[그림 9-11] 임진강 강우 레이더 관측 영상 ·····························································472

[그림 9-12] 중・소하천 홍수 예・경보 체계 구축 시스템 ·········································473

[그림 9-13] 소방 장비 국산화 ···················································································474

[그림 10-1] 건설교통 연구개발 제도 발전 과정 ······················································492

[그림 10-2] 사업 전략의 발전 과정 및 연도별 예산 ···············································494

[그림 10-3] 국토해양 연구개발 발전을 위한 장기적 비전 및 목표 설정 ···············495

[그림 10-4] 경부고속도로의 과거와 현재 모습 ························································498

[그림 10-5] 지하철 개통 당시 모습 ··········································································499

[그림 10-6] 리비아 대수로 공사 현장 모습 ·····························································500

[그림 10-7] 철도궤도노반 종합성능시험기 ······························································507

[그림 10-8] 철도안전성능연구시설 기공식 ································································507

[그림 10-9] 한국형 고속열차 HSR350X ··································································508

[그림 10-10] 차세대 고속열차 HEMU430X ····························································508

[그림 10-11] K-AGT를 실용화한 부산경전철 ·························································510

[그림 10-12] 2004년 표준전동차 본선 시운전 ·······················································510

[그림 10-13] 개량 전 자갈도상궤도와 개량 후 포장궤도 ········································511

[그림 10-14] 바이모달트램 청라국제도시 시범운행(2015년) ··································513

[그림 10-15] 미니트램 공개시연회(2014년) ····························································513

[그림 10-16] 고속도로 자동 징수 시스템(ETC), 고속도로 종합 관제실 ··············522

[그림 10-17] 종합 물류 정보망 구상도 및 교통 물류 연구 사업 로드맵(Logi Mobility)

·············································································································524

Page 1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기초연구

│제1장│

Page 1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1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3

제1장 ❚ 기초연구

제1절 개요

우리나라에서 기초연구 지원의 필요성은 1970년대 후반부터 제기되었다. 1960~1970년대

우리나라 과학기술은 산업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기 때문에, 기초연구 지원이 부족했

다. 당시로서는 미래 지향적인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기초연구를 체계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1977년 우리나라 정부는 기초과학 전담기관인 한국과학재단(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KOSEF)을 설립했다.

한국과학재단 설립을 계기로 우리나라에서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기초연구 지원을 시작

할 수 있었다. 한국과학재단을 통하여 초기에는 개인 연구를 중심으로 지원하였으며, 공동

연구에 대한 지원은 198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1989년 「기초과학 연구 진흥법」 제정

이후로는 기초연구 지원 사업 예산이 대폭 증가했다. 1990년에는 집단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우수 연구센터 지원 사업을 시작하여 종합적인 연구 지원 체계(개인 연구, 공동 연구,

집단 연구)를 구축하게 되었다. 1995년에는 인프라 구축을 위해 특성화 장려 사업(연구 기기,

전문 연구정보센터, 연구 소재 은행)을 실시하여, 종합적인 연구자 지원 체계와 인프라 지원

체계까지 갖추게 되었다.

한편 1981년 정부가 한국학술진흥재단(Korea Research Foundation, KRF)을 설립하면

서 두 개의 기관을 통하여 기초연구를 지원하게 되었다. 양 기관은 상호 간의 협력과 부처

간 업무 분장에 따른 사업 이관 등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2009년에 한국연구재단(National

Research Foundation, NRF)으로 통합되었다. 통합 후 연구재단을 통한 각종 연구개발 사업

을 늘리면서 기초연구 지원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대되었다.

정부는 기초연구 지원 방식을 연구비와 연구 기간 등이 고정된 과제 지원에서 연구자 수요에

기반을 둔 지원 체계로 전환하여 2016년부터 ‘학문 분야별 연구자 맞춤형 장기 지원 체계’를

추진했다. 이 체계는 학문 분야 특성에 맞는 연구비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 및 평가 지표를

Page 1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

적용하고 연구자가 필요한 연구비와 연구 기간을 제안토록 하여, 연구자와 연구 과제에 맞는

적정한 지원을 통해 연구 생산성 제고 및 연구의 질적 수준을 제고할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체계는 기존 평균 3년 지원 방식에서 최장 10년까지 장기적으로 한 우물 파기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 방식을 개편하여 추진되고 있다.

이렇듯 기초연구 분야가 발전할 제도적 기반은 1977년 한국과학재단의 설립으로 마련되었

으며, 이후 재단 사업의 성장과 함께 기초연구 각 학문 분야의 발전이 본격화 된 것은 1990년대

이후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정부는 연구재단을 통한 연구 과제 지원과 병행하여 국가 기초과학 역량을 한 단계

도약・발전시키기 위해 2011년 기초과학 전담 연구기관인 기초과학연구원(IBS)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표 1-1> 기초연구 정책사 주요 연혁

주 요 내 용

▶ 1977년: 한국과학재단 설립

▶ 1978년: 기초연구 지원 사업 시작(일반 연구비, 정착 연구비)

▶ 1981년: 한국학술진흥재단 설립

▶ 1983년: 특정 연구개발 사업의 10% 수준 기초연구 부문 투자

▶ 1984년: 해외 차관 도입으로 대학 교육・연구 장비 지원 시작

▶ 1986년: 특정 목적 기초연구 지원 시작

▶ 1987년: 한국과학상 제정・시상

▶ 1989년: 「기초과학 연구 진흥법」 제정(기초과학 진흥원년의 해 선포)

▶ 1990년: 우수 연구센터(SRC, ERC) 사업 시작, 대학 부설 중점 연구소 지원(문교부)

▶ 1991년: 연구비 중앙 관리, 연구처 설립

▶ 1992년: 핵심 전문연구 중 신진 연구를 교육부로 이관

▶ 1993년: 특정 연구개발 사업 내의 목적 기초연구 사업을 기초연구 지원 사업으로 개칭

▶ 1994년: 최초의 「기초과학 진흥 계획」 수립

▶ 1995년: 지역협력 연구센터(RRC) 사업 시작, 연구 성과의 양적 계량화(SCI지표) 시작, 특성화

장려 사업(연구 정보/연구 장비/연구 소재) 시작

▶ 1996년: 연구 과제 중심 제도(Project Based System, PBS) 시작

▶ 1997년: 창의적 연구 진흥 사업 시작,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특별법」 제정, 「과학기술 혁신 5개년

계획」 시작, 범부처 「기초연구진흥 및 이공계 대학 연구 활성화 계획」(1997~2002) 수립

▶ 1998년: 개인 단위 사업인 핵심 전문 연구 교육부(학술진흥재단) 이관

▶ 1999년: 국가지정연구실(NRL) 시작, 두뇌한국 21(BK 21) 사업 추진, 21세기 프론티어 사업

시작, 「기초과학 연구 진흥 종합계획」(1999~2004) 수립

▶ 2000년: 한국과학재단 개인 단위 사업 재시작(지역 대학, 여성과학자, 선도과학자)

▶ 2002년: 기초 의과학 연구센터(MRC) 사업, 선도 기초과학 연구실(ABRL) 사업 시작

Page 1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5

자료: 저자 작성

제2절 기초연구 분야 R&D 정책 및 사업의 시대별 변천

1. 초창기 기초연구 지원 체계의 발전(1977년~1989년)

우리나라는 1970년대까지 총 연구개발비의 4% 정도만 대학에 투자했다. 1976년에는 대학

의 박사 인력이 우리나라 전체 박사 인력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대다수의 연구 인력이 대학에

고용되어 있었지만, 이에 대한 투자 금액은 턱없이 적어서 대학에서의 기초연구는 사실상

쉽지 않았다(과학기술부, 2008, pp.263~264).

하지만 산업이 고도로 발전할수록 제조 생산기술의 기반이 되는 기초기술 분야를 육성할

필요성이 더욱 커졌고, 이로 인해 기초연구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시작하게 되었다. 국가

차원에서 이공학 분야의 교수 및 공공・민간 연구소 연구 인력의 기초연구 활동을 활성화함으로

써 기초연구 역량을 배양하고 국가의 연구 역량을 장기적으로 제고해야 할 필요가 생긴 것이다.

이런 목적을 가지고 정부는 1977년 5월 한국과학재단을 설립하였다. 이 재단은 미국과학재

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기초 연구를 지원할 목적으

로 설립되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은 기초연구를 지원할 인프라를 구축하기 시작한 것이다.

설립 초기의 규모는 미미한 수준이었지만, 다양한 연구 활동 지원 사업, 장학금과 연수 지원

▶ 2003년: 국가 핵심 연구센터(NCRC) 사업 시작, 대학의 연구 관리 제도 변화(산학협력단)

▶ 2005년: 「제1차 기초연구 진흥 종합계획」(2006~2010) 수립

▶ 2006년: 기초연구 사업을 3개 그룹(개인형, 집단형, 기반형)으로 구조 조정

▶ 2007년: 기초과학학회 협의체 결성

▶ 2008년: 「제2차 기초연구 진흥 종합계획」(2008~2012년) 수립

▶ 2009년: 기초연구 지원 기관 통합(한국연구재단 설립), 기초연구사업 지원 체계 개편(일반 연구,

중견 연구, 리더 연구, 선도연구센터, 기초연구실)

▶ 2010년: 21세기 프론티어 사업 후속으로 글로벌 프론티어 사업 시작

▶ 2011년: 기초과학연구원 설립

▶ 2012년: 기초과학연구원 개원

▶ 2013년: 「제3차 기초연구 진흥 종합계획」(2013~2017년) 수립

▶ 2016년: 학문 분야별 연구자 맞춤형 장기 지원 체계로 전환(responsive mode)

Page 2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6

등의 과학기술 인력 지원 사업, 학회 활동 및 학회지 발간을 지원하는 학술 활동 지원 사업,

국제협력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

초창기 연구 지원 사업은 탁월성 기준에 따라 개인 연구를 지원하는 형식으로 시작하였다(과학

기술부, 2008, p.264). 대학이나 공공, 기업연구소 등에 근무하는 연구자들이 연구계획서를 제출하면

심사를 거쳐 지원하는 형태였으며, 처음에는 1년 단위로 연구를 지원했으나 이후 3년까지

그 기간이 확대되었다.

한편 1978년부터 시작된 일반 기초연구 사업은 독자적 연구 과제를 위한 일반 연구비,

외국 과학자들과의 공동 연구를 위한 국제 공동 연구비, 신진 과학자가 국내 연구계에 조기

정착할 수 있도록 신진 연구비를 지원하는 사업들로 구성되었다. 일반 연구비 지원의 목적은

“과학기술에 관한 주요 과제를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함으로써 과학기술의 창달 진흥과

국가 발전에 이바지 하도록 한다.”는 것이었다. 초기에는 지원 연구비의 규모가 과제당 평균

400만 원이었고,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지원 기간은 1년 또는 2년 단위였는데, 2년

단위 연구 과제의 경우 1년이 경과한 뒤 연구보고서를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추가 지원

여부를 결정했다. 1978년부터 1989년까지 한국과학재단의 연구 활동 지원 예산은 1978년

3억 4천 9백만 원에서 1989년 165억 8천 7백만 원으로, 11년간 47.5배로 증가했다.

1979년부터는 신진 연구비 지원도 시작되었다. 이 사업의 목적은 최근 이공계 분야의 박사

학위를 받은 신진 연구자가 국내 대학에서 연구하는 경우, 이들이 빠른 시일 내에 국내 연구

환경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었다. 신진 연구비 지원 대상은 이공계 대학의 전임강

사, 조교수, 부교수의 직급을 가진 연구자였으며. 지급 한도는 1인당 약 200만원, 지원 기간은

원칙상 1년이었다. 이 사업을 통해 해외에서 귀국한 신진 연구자가 국내 연구계에 조기에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표 1-2> 1978년~1989년 기초연구 지원 실적(단위: 백만 원, 개)

구분(연도)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연구비 349 569 761 1,146 1,237 1,510

과제수 92 157 220 300 416 478

구분(연도)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연구비 2,536 3,810 7,649 8,997 9,168 16,587

과제수 722 872 1,215 1,068 872 1,320

자료: 한국연구재단 (2015), �2015 한국연구재단 연구 지원 통계 연보�, p.83.

Page 2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7

1979년 12월 「학술 진흥법」이 제정된 이후, 정부는 1981년 한국학술진흥재단을 설립하여

모든 학문 분야의 연구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대학 교수들이 중심이 된 기초과학

연구자들은 자유 연구 과제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후 기초연구는 과학기술처를 통한

연구 활동 지원 사업과 교육부를 통한 대학의 연구 지원 사업으로 이원화되었다. 과학기술처

사업은 연구 자체가 중심이었다면, 교육부의 지원 사업은 모든 학문 분야 혹은 학과에 연구비를

배분하는 기반형 지원이라는 점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1982년에는 특정 연구개발 사업이라는 정부에 의한 대규모 연구개발 투자가 시작되었고,

관련법 개정을 통해 정부 출연 연구기관 외에도 기업 연구소와 대학이 연구개발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연구 주제 선정 방식에서 하향식 접근 방식을 택하여 국가 차원에서

파악된 기술 수요에 따른 연구를 추진하게 되었다(과학기술부, 2008, p.265).

한국과학재단은 1983년부터 전체 예산의 10%를 목적 기초연구 사업에 투자하여, 기초연구

를 더욱 촉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대학의 기본 단위 연구 능력 배양을 위한 일반

기초연구와는 달리, 목적 기초연구는 선도적인 연구와 문제 지향적인 기초연구를 수행할 목적

으로 추진되었다. 목적 기초연구는 국가적으로 시급한 분야의 연구개발을 집중 지원하고, 이를

통해 연구자들의 연구 경험을 축적하고 핵심 고급 인력을 양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었다.

이 사업은 기존의 개인 연구자 지원 외에 2인 이상의 산・학・연의 연구자들이 협동할 수 있는

공동 연구의 형태를 취했다. 특히 정부는 반도체 및 컴퓨터, 정밀화학, 기계 공업, 에너지

및 자원, 시스템 산업, 생물공업, 소재공업, 섬유고분자공업, 건설・환경・플랜트엔지니어링 등

9개 분야에서 목적 기초연구 사업을 추진했다(과학기술부, 2008, p.265).

한편 기초연구 분야의 인력 양성 정책은 1980년대 국내 대학원의 성장과 연계하여 진행되었

다. 고급 인력 양성 지원 사업은 석・박사 학위 과정 학생의 국내외 연수에 대한 지원에 중점을

두었지만, 대학의 연구 환경이 개선되고 국내 대학원의 성장에 힘입어 석・박사 배출이 증가하

게 되자, 해외 박사후 연수 지원까지 확대되었다.

1984년부터는 정부가 해외에서 차관을 도입하여 대학에 교육용 장비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연구 장비 공급 사업은 1980년대 후반부터 연구용 장비를 공급하는 것까지 확대되었고, 이는

1997년까지 진행되었다. 1988년에는 단일 대학들이 자체적으로 마련하기 어려운 장비를 공급

하기 위해 기초과학연구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서울, 대구, 부산, 광주 등 지방에 분소를 두어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연구 장비를 지원하는 체계를 갖추었다.

1986년에 수립된 「2000년대를 향한 과학기술 발전 장기 계획」(1987~2001)에서는 이전에

Page 2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8

비해 기초연구 육성 정책이 더욱 강조되었다. 이 계획의 목적은 2000년대 초 우리나라를

세계 10위권 과학기술 선진국으로 진입시키는 것이었는데, 기초연구 분야는 7대 중점 추진

분야의 하나로 선정되어 더 큰 지원을 받게 되었다. 이는 향후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초연구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었다(과학기술부, 2008, p.266).

1986년부터 정부는 3~6명이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특정 목적 기초연구를 신설하여

기존 일반 목적 기초연구와 함께 이원화된 지원 체계를 만들었다. 특정 목적 기초연구는 중형

과제 형식의 공동 연구로 과학자가 효율적인 학제적 연구를 수행하는 가운데 박사후 연수생과

석・박사 과정생의 인건비도 연구비에 포함하여 신진 연구 인력도 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1980년대 기초연구의 성장에서 가장 중요한 재원은 특정 연구개발 사업이었고, 그 지원 방식

은 국가 과학기술 발전 전략에 따라 추진되었다(과학기술부, 2008, p.266).

정부의 일반 기초연구 사업은 특정 연구개발 사업의 목적 기초연구 사업이 신설됨에 따라

일반 목적 기초연구 사업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후에 특정 목적 기초연구 사업이 신설되면

서 일반 목적 기초연구 사업과 특정 목적 기초연구 사업으로 이원화된 방식의 지원 사업이

진행되었고, 이 체제는 1992년까지 유지되었다(과학기술부, 2008, p.266).

1989년 「기초과학 연구 진흥법」의 제정은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법은 1980년대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선진국의 기술 보호주의 장벽을 극복하고 고급 연구

두뇌를 양성 공급하며 원천기술을 확보해야 하는 국가적 요구에 부응하여 제정되었다. 정부는

1989년을 ‘기초연구 진흥의 원년’으로 선언하고, 이 법의 제정과 함께 그에 따른 기초연구

활성화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기초과학 연구 진흥법」은 기초과학 연구를 육성하기 위해 대학

및 박사후 연구원의 연수와 연구비 지원, 연구교수와 객원교수 등 대학의 연구 인력 확충을

위한 지원, 대학의 연구시설과 기자재 지원, 우수 연구집단 지원 사업 신설, 기업의 기초과학

연구 활동 지원 촉진 등을 강조했다(과학기술부, 2008, p.266).

또한 이 법의 제정으로 과학기술처 중심의 기초연구 지원 정책이 범부처로 확대되었는데,

기초과학연구사업의 추진을 규정한 시행령 제5조에 의거하여 과학기술처, 교육부, 국방부 등

10개 중앙 행정기관이 별도의 단위 사업을 설정・추진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석・박사 과정 이수자에 대해 병역 관계 및 군사 관계 법령이 정하는 범위 내에서

지원할 수 있게 되었고, 교육부는 대학 우수 연구 인력의 양성 및 대학 부설 연구소 설립・운영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과학기술처는 대학의 우수 연구집단 육성을 지원하고 연구 환경을

조성하며 연구 기반을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과학기술부, 2008, p.267).

Page 2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9

이러한 제도적 기반 위에 기초연구 지원 정책은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 연구비가 대폭 확대됨에 따라 우수 연구센터 지원 사업이 진행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과학기술처와 문교부 중심의 기초과학 연구 지원 정책이 범부처 범위로 확대될

수 있었다(과학기술부, 2008, p.266).

2. 기초연구 지원의 체계화 및 사업의 다양화 (1990년~2008년)

우수 연구센터 지원 사업이 1990년에 시작되면서, 개인 연구, 공동 연구, 집단 연구의 세

가지 형태로 기초연구 체계가 정비되었다. 1990년 180억 원을 기초연구에 지원하였고, 이후

지속적으로 예산을 확대하여 10년 후인 2000년에는 1,430억 원(7.9배), 18년 후인 2008년에

는 3,168억 원(17.6배)을 지원하였다.

<표 1-3> 1990년~2008년 기초연구 지원 실적

(단위 : 백만 원, 개)

구분(연도)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연구비 18,051 28,597 34,103 49,388 58,628 61,815

과제수 1,319 1,406 1,299 1,061 1,211 1,659

구분(연도)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연구비 79,208 95,496 86,781 110,235 143,081 179,729

과제수 1,891 666 1,876 1,331 1,570 2,155

구분(연도)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연구비 199,209 220,212 259,979 193,806 208,456 274,442 316,898

과제수 2,371 2,342 2,261 919 1,054 1,572 1,871

자료: 한국연구재단(2015), �2015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 통계연보�, p.83.

1990년대 들어 정부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연구를 위해 대학 내에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 사업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 잠재되어 있는 연구 인력을 특정 분야별로

조직하고 체계화하여, 고급 두뇌 양성과 기초연구를 활성화하는 데 있었다. 이 사업은 미국과학

재단(NSF)에서 시행하여 상당한 성과를 거둔 과학기술센터(Science Technology Center,

STC)와 공학연구센터(Engineering Research Center, ERC)를 벤치마킹한 것이었다(한국과학재

단, 2008, p.216).

Page 2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0

우수 연구센터 사업을 국내에 도입하면서 미국과학재단의 과학기술센터(STC)를 과학연구센

터(Science Research Center, SRC)로 개칭하고, 공학연구센터(ERC)의 명칭은 그대로 가져

와서 사용했다. 과학연구센터는 기초과학 분야에 대한 심층적이고 창조적인 연구를 통해 국제

수준의 질 높은 논문을 발표하고 기술 개발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정립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공학연구센터는 산업 수요가 높은 첨단 산업 분야의 기초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센터로

서, 국제 수준의 원천기술을 창출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학제 간, 산・학 간 협력을 바탕으로

관련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한국과학재단, 2008, p.216).

소규모 단위 과제 중심의 기초연구 사업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당시로서는 큰 액수인

연간 약 10억 원을 9년 동안 지원했고, 여러 대학 교수들의 참여를 독려하여 협동 연구 및

연구 네트워크 형성을 촉진했다. 우수 연구센터 사업은 대학 내에서 우수 연구집단을 육성하고,

대학의 기초연구 및 산학 협력을 촉진하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시기부터

정부의 연구 활동 지원은 크게 단위 과제 중심의 기초연구 지원 사업과 연구집단을 중심으로

한 집단 연구 지원 사업으로 나뉘어 이루어졌다.

이러한 지원 사업이 시행된 1990년에는 13개 센터에 26억 원을 투자하였고, 그 결과 우수

연구센터에서 다수의 우수한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로 인해 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

고, 특히 연구 현장에서는 정부 R&D 사업 중 가장 성공한 사업으로 평가하기도 하였다. 정부

지원금은 1990년 26억 원을 시작으로 2000년에는 443억 원으로 10년 사이에 큰 폭으로

증가했는데, 이런 증가는 우수 연구센터의 성과가 우수했기에 투자가 증가한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동시에 연구 현장의 수요가 많았던 것을 반영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과학기술부, 2008, p.267).

<표 1-4> 1990년~2000년 우수 연구센터 지원 실적

(단위: 백만 원, 개)

구분(연도)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사업비 2,600 12,470 17,434 18,246 22,700 27,330

센터수 13 30 30 30 35 38

구분(연도) 1996 1997 1998 1999 2000

사업비 34,020 41,500 40,500 43,700 44,300

센터수 38 45 48 48 52

자료: 한국과학재단 (2008), �한국과학재단 30년사(1977~2007)�, p.217.

Page 2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11

1990년에 설립된 기초과학 분야의 과학연구센터, 응용과학 분야의 공학연구센터 이후,

2002년에는 기초 의과학 분야의 기초 의과학 연구센터(Medical Research Center, MRC)가

추가되었고, 2003년에는 이들보다 큰 규모인 국가 핵심 연구센터(National Core Research

Center, NCRC) 등이 설립 및 지원되었다.

1992년에는 국가 연구개발 능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한 대학합동평가단의

평가 결과에 따라, 기존의 일반 목적 기초연구 사업과 특정 목적 기초연구 사업이 목적 기초연

구 사업으로 통합되었다. 목적 기초연구 사업의 세부 사업을 교수 연구실 단위 지원 사업인

핵심 전문연구와 학제 간 공동 연구인 특정 기초연구로 이원화했고, 1979년부터 지원한 핵심

전문연구 중 신진 연구는 교육부로 이관했다. 명칭 변경에 대한 세부 내역의 변천을 살펴보면,

1978년 일반 기초연구로 시작하여 1983년에 일반 목적 기초연구로 변경되었고, 1986년에

일반 목적 기초연구와 특정 목적 기초연구로 변경되었으며, 1992년에 핵심 전문연구와 목적

기초연구로 변경하였다(과학기술부, 2008, p.272).

<표 1-5> 기초연구의 변화(1978년~1992년)

1978년~1982년 1983년~1985년 1986년 1992년

일반 기초연구 ⇨ 일반 목적 기초연구 ⇨일반 목적 기초연구

특정 목적 기초연구⇨

핵심 전문연구

목적 기초연구

자료: 저자 작성

또한 핵심 전문연구 예산은 1992년 53억 6천 6백만 원에서 1996년 160억 2천 3백만

원으로 4년 사이에 3배 정도 증가했고, 특정 기초연구 예산은 1992년 110억 4천 1백만 원에서

1996년 193억 9천 3백만 원으로 1.8배 증가하여, 기초연구가 더욱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표 1-6> 1992년~1996년 핵심 전문연구 및 특정 기초연구 지원 실적

(단위: 백만 원, 개)

구분(연도) 1992 1993 1994 1995 1996

핵심전문연구

(과제수)

5,366

(993)

4,974

(762)

7,446

(884)

12,341

(1,226)

16,023

(1,375)

특정기초연구

(과제수)

11,041

(281)

10,628

(250)

11,832

(280)

15,391

(332)

19,393

(409)

자료: 한국과학재단 (1998), �한국과학재단 20년사(1977~1997)�, p.212.

Page 2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2

과학기술 행정 측면에서는 과학기술처에 집중되었던 각종 연구개발 사업이 다른 부처로

확대되고 기초과학 지원 사업까지 실시되었고, 1992년 정부는 기초과학 부문에 한해 국무총리

실 주관으로 기관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술진흥재단은 형평성에 근거하고 교육과

연계된 학술 연구 기반 조성 사업을 맡고, 한국과학재단은 탁월성에 기초를 두고 연구 과제

중심의 지원 사업을 추진하도록 분담했다.

1993년에는 응용연구와 개발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기초연구 지원 사업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특정 연구개발 사업에 포함되어 있던 기초연구 부문을 기초과학 연구 지원 사업으

로 독립하여 확대 개편했다. 이후 1994년에는 「기초연구 진흥 종합계획」이 수립되어 기초연구

를 더욱 체계적으로 기획,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 과학기술처는 처음으로 기초연구 장기 계획

을 마련했는데, 주요 내용으로는 2000년까지 한국의 기초과학 수준을 세계 10위로 도약시킨

다는 목표 아래 연구비 증대, 연구 인력 양성, 대학의 질적 향상에 대한 계획 등이 있었다.

한편 이 시기의 기초연구 지원 사업들을 보면, 연구 자체보다 대학 거점을 중심으로 하는

큰 사업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교육부는 1994년부터 교육 중심의 우수 공과 대학을 육성하

는 국책 공과 대학에 5년간 2,000억 원을 지원하고, 1995년부터 대학원 육성을 위한 연구

중심 대학에 5년간 1,000억 원을 지원했다. 이 사업을 통해 각각 8개, 5개 대학이 5년 간

지원 받았으며, 대학원 지원 사업은 향후 교육부의 BK 21 사업으로 연결되었다. 또한 대학에서

1994년부터 학과 평가 인정제를 도입하면서 SCI 논문 실적이 중요해지기 시작했으며, 정부는

1995년부터 일부 사업에서 연구 과제 평가 시 SCI 논문 실적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1995년에는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지역의 비교우위 산업과 지역 대학의 우수한 연구개발

자원을 연계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산업을 육성하고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역협력 연구센

터(Regional Research Center, RRC)를 육성하게 되었다. 지역협력 연구센터에서는 산업

수요와 관련된 일반 기초기술을 연구하여 관련 산업체에 기술을 이전하고, 특정 산업체가

요구하는 특정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해당 산업체가 독자적으로 부담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특별 프로그램도 병행하였다. 이 사업은 산업체를 위한 기술 개발이라는 고유의 특성 때문에

2004년 산업 기술 개발을 총괄하는 산업자원통상부로 이관되었으며, 현재는 지역혁신센터

(Regional Innovation Center, RIC)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또한 1995년에는 대학에서 기초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기반이 되는 연구 기기와 연구 소재

및 연구 정보의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대학의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특성화 장려

Page 2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13

사업도 시작되었다(과학기술부, 2008, p.269). 이 사업의 목적은 기초연구의 기반이 되는 고가의 연구

기기, 특정 연구 소재, 연구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특성화된 대학을 집중 육성하여 연구 인프라

기지로 구축하기 위함이었다. 이 사업은 특수연구소재은행 운영 지원, 전문연구정보센터 운영

지원, 고가 특수 연구 기기 운영 지원 등의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현재는 특수연구소재은행과

전문연구정보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연구 소재 지원 사업은 규모별로 중앙 센터, 거점 센터,

개별 소재 은행 등으로 나누어 차등 지원하고 있다(과학기술부, 2008, p.269).

<표 1-7> 기초연구 수행에 대한 지원 사업 범위의 변화

1977~1982 1983~1989 1990~1994 1995 ~ 현재

개인 연구

개인 연구+

공동 연구⇨

개인 연구+

공동 연구+

집단 연구(센터)⇨

개인 연구+

공동 연구+

집단 연구(센터)+

인프라 구축

자료: 저자 작성

특성화 장려 사업의 시작으로 기초연구 지원은 <표 1-7>에서 보는 것처럼 개인 연구, 공동

연구, 집단 연구, 인프라 형태의 순서로 발전했으며, 1995년을 기점으로 종합적인 형태의

연구 지원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표 1-8> 1997년~2006년 창의적 연구 진흥 사업 지원 실적

(단위: 억 원, 개)

구분(연도)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과제수 27 46 51 54 57 57 57 59 56 48

(신규) (27) (19) (6) (8) (7) (3) (6) (4) - (10)

금액(억원) 200 339 321 278 295 322 348 349 354 306

구분(연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과제수 44 43 47 58 64 74 69 65 77

(신규) (7) (7) (11) (13) (10) (15) (3) (4) (18)

금액(억원) 270 268 307 390 419 485 457 462 517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2015), �2015년도 기초연구 사업 시행 계획�, p.63.

Page 2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4

1997년에는 창의적 연구 문화를 창출하고 세계적인 차세대 연구 리더를 육성하기 위해

창의적 연구 진흥 사업이 시작되었다. 이 사업의 목적은 창조적 과학에 직접 뿌리를 내려

새로운 기술 혁신의 싹을 탐색하고 발아시켜 이를 통해 미래 신산업의 창출이 가능한 독자적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기초과학에서 혁신적 돌파구를 찾아낼 역량을 갖춘 연구

자들에게 9년간 장기 지원을 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과학기술부, 2008, p.272).

1998년에는 기획예산처 주관 아래 공공 부문 경영 혁신의 일환으로 종합 평가가 이루어졌

다. 그 결과 학술진흥재단은 대학 연구의 저변 확대를 위한 소규모 연구 지원과 단기 과제의

인력 양성을 맡고, 한국과학재단은 특정 목적 지향적인 기초연구와 중장기 과제를 담당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부(한국과학재단)의 개인 단위 사업인 핵심 전문연구가 교육부(학

술진흥재단)로 이관되었다.

1999년에는 과학기술부가 국가 차원에서 육성해야 할 핵심 기술 분야에 대한 우수 연구실을

만들 목적으로 국가 지정 연구실(National Research Laboratory, NRL) 사업을 시작했다.

이는 매년 한 연구실에 2~3억 원을 5년간 지원하는 사업으로,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될 기술

분야를 연구하는 우수 연구실을 발굴하고 육성하겠다는 기본 취지에 따라 대학을 선정, 지원하

는 것이다. 이 사업을 통해 기초연구 분야에서 개인 연구, 연구실 연구, 집단 연구 등 여러

규모의 연구에 대해 지원하는 체계가 마련되었다(한국과학재단, 2008, p.237). 또한 기초연구 과제의

평가・관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분야별로 전문위원을 구성하여 평가 관리를 총괄하는 전문

위원 제도를 시작하였고, 현재도 학문 분야별로 PM(Program Manager)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000년부터는 개인 연구와 비교하여 우수 연구센터와 같은 집단 연구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개인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들이 기획되었다. 선도 과학자 육성 지원 연구는 연구

능력이 검증된 수학, 물리, 화학, 생명과학(기초 의과학 포함), 지구과학 등 기초과학 분야의

우수 연구자에게 연간 5천만 원부터 1억 원까지 연구비를 지원했다(과학기술부, 2008, p.277). 지역

대학 우수 과학자 지원 연구 사업은 연구 여건이 취약한 지방 소재 대학의 우수한 연구 인력을

지원하여 지방의 과학기술 연구 역량을 높이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 사업은 서울 이외 지역의

대학 교수에게 연간 2,500만 원 이내의 연구비를 최장 3년간 지원했다(과학기술부, 2008, p.277).

여성 과학자 지원 연구 사업은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우수 여성 과학자 도약 연구 지원,

유망 여성 과학자 경쟁력 강화 지원, 여자대학교 연구 기반 확충 지원, 여학생 멘토링을 중심으

로 하는 WISE 프로그램 등으로 구분하여 추진되었다(과학기술부, 2008, p.277).

Page 2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15

2001년부터 과학기술부는 「과학기술 기본법」 제정을 계기로 5년마다 「과학기술 기본계획」

을 수립하게 되었으며, 2006년까지 세계 10위의 기초과학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 연구개

발 예산 중 기초연구 비중을 2006년까지 17.8%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에 기반한 혁신 주도형 경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국가 정책 기조를 과학기술 중심 사회 구축으로 설정했다.

2002년에는 기초 의과학 연구센터 사업이 추진되었다. 이는 생명공학과 임상의학에 공동으

로 활용 가능한 기초 의과학 분야의 중・대 규모의 장기적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기초 의과학을

전공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국내 의대, 치대, 한의대의 기초 의학

교실을 대상으로 센터를 선정하여 최장 9년까지 지원하다가 2017년 기준 최장 7년으로 지원

기간이 줄어든 상태이다. 그리고 연구실 단위의 소규모 연구집단을 육성하기 위해 선도 기초과

학 연구실(Advanced Basic Research Laboratory, ABRL) 사업도 시작되었다. 이 사업은

수학, 물리, 화학 등 순수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력 향상을 위해 연간 2억 원 규모로 총 5년

간 연구실 단위로 소규모 연구집단을 구성・운영하도록 지원했다.

2003년에는 미래융합기술 분야의 학제 간 연구를 위한 국가 핵심 연구센터 지원 사업이

새롭게 추진되었다. 우수 연구센터의 후속 모델 사업으로 기획된 이 사업의 목적은, 국가 차원

에서 육성할 필요가 있는 미래 지향적 과학기술 분야에서 공동 연구 수행을 독려하여 세계

수준의 지식 및 경쟁력을 창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지원 대상은 학제 간 융합 분야

인력 양성 과정을 개설하거나 운영하고 있는 공동 연구센터이다. 현재는 융합 연구센터

(Convergence Research Center, CRC)로 개편하여 지원하고 있다.

같은 해 시작된 젊은 과학자 연구 활동 지원 사업은 우수한 신진 연구자들이 국가 핵심

연구 자원으로 조기 정착하여 중견 연구자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었다. 박사 학위

취득 후 7~10년 이내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3년 간 기본 연구비(연 2,500만 원)을 지원하고,

최초 5년 이내의 정규직 연구자에게는 시설・장비 비용(3년 간 최대 2억 원)을 지원했다.

2004년에는 과학기술부가 부총리 부처로 격상되고 새로운 과학기술 종합 조정 체계를 구축

하고 국가 연구개발 사업 예산의 조정・배분권을 부여받았다. 그리고 범국가적 차원의 과학기술

혁신 정책을 종합 조정・기획・평가하는 과학기술혁신본부가 설치되어 부처 간 국가 R&D 지원

체제를 조정하게 되었다. 과학기술혁신본부가 조정 역할을 담당하면서, 과학기술부는 탁월성

중심의 목적 기초연구를 맡게 되고 교육인적자원부는 보편성 중심의 순수 기초연구를 지원하

도록 역할이 조정되었다(과학기술부, 2008, p.270).

Page 3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6

2005년에 시작된 국가 과학자 연구 지원 사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성과를 냈거나

연구 업적의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입증된 국내외 연구자들을 특별히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2004년 설립된 황우석 교수 후원회를 계기로 최고 과학자 연구 지원 사업으로 추진되다가

2006년부터 국가 과학자 연구 지원 사업으로 전환되어 시행되고 있다(과학기술부, 2008, p.273).

<표 1-9> 2005년~2015년 기초연구 지원 실적

(단위 : 백만 원, 개)

구분(연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과제수 1 2 1 3 3 8

(신규) (1) (2) (1) - - (5)

금액(백만원) 2,000 3,000 1,500 4,500 4,500 11,000

구분(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과제수 8 9 5 4 4

(신규) - (2) - - -

금액(백만원) 11,000 8,479 5,200 5,000 5,000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2015), �2015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 계획�, p.72.

2008년에는 기초과학 연구 지원 사업을 중복해서 추진해 왔던 과학기술부와 교육인적자원부

가 교육과학기술부로 통합되었다. 신규 사업으로 기초연구실 지원 사업이 시작되었는데, 그

목적은 먼저 특정 분야의 소규모 기초연구 그룹을 육성・지원하여 대학의 연구 응집력과 역량을

강화하고 자생적 연구 그룹의 형성을 유도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런 연구 그룹을 우수 연구집단

으로 성장시켜 기초연구의 저변을 확대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주요한 목적이었다.

나아가 이 사업은 연구 인력이 부족한 지역 대학의 공동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학과・학부 단위

로 특성화하여 지역 공동 연구 거점으로 육성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통해 연구 기회가

적은 젊은 연구자들에게 연구 기회를 제공하고 연구집단 내에서 우수 연구자들이 노하우를

전수함으로써, 차세대 창의・융합인재를 양성하고 양질의 R&D 일자리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3. 선진화된 기초연구 지원 체계 구축(2009년~2016년)

2009년에 새로운 정부 출범으로 과학기술부와 교육부가 합쳐져 교육과학기술부가 신설되었

으며, 기초연구 지원을 총괄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국과학재단, 한국학술진흥재단, 국제과

Page 3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17

학기술협력재단을 한국연구재단으로 통합하였다. 또한 기초연구 예산은 2009년 6,410억 원

에서 2012년에는 1조 원을 넘었고, 2015년에는 1조 824억 원으로 6년 사이에 1.7배 증가했

다. 선진국처럼 기초연구가 탄탄한 과학기술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창의성에 바탕으로 한

상향식(Bottom-up) 기초 예산이 계속 증가되어야 한다는 인식 속에 정부는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를 계속 늘리고 있다.

<표 1-10> 2009년~2015년 기초연구 지원 실적

(단위 : 백만 원, 개)

구분(연도) 2009 2010 2011 2012

연구비 641,054 838,270 945,460 1,009,166

과제수 7,017 9,073 10,295 10,869

구분(연도) 2013 2014 2015

연구비 1,030,188 1,039,583 1,082,450

과제수 11,593 12,068 11,846

자료: 한국연구재단 (2016), �2016 한국연구재단 연구 지원 통계 연보�, p.80.

<표 1-11> 기초연구 사업 개편 내용

구분 사 업 명 사 업 명 세부 사업명

개인 연구

(12개)

신진 교수

일반연구자

신진 연구

기본 연구

여성 과학자

지역 대학 과학자

기초연구 과제

여성 과학자

지역 대학 우수 과학자

특정 기초중견연구자

핵심 연구

도약 연구NRL

우수 학자

리더연구자창의적 연구

국가 과학자창의적 연구 진흥

국가 과학자

집단 연구

(3개)

ERC/SRC

⇨ 집단 연구

기초 연구실 육성

MRC선도 연구센터 육성

NCRC

자료: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년도 기초연구 사업 시행 계획�, p.3.

개인 연구자 지원 사업인 구 교육부와 구 과학기술부의 이공 분야 기초연구 사업(12개)은

2개 그룹(개인+집단), 5개 연구 사업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이 중 개인 연구(3개)는 연구자의

Page 3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8

연구 역량・연구 단계별로 일반 연구자, 중견 연구자, 리더 연구자 지원으로 개편하고, 집단

연구(2개)는 기초연구실과 선도연구센터로 구분되었다.

기존 연구자 지원 방식은 한 사업에서 연구를 종료한 연구자가 그 주제에 대한 추가 연구를

원하면 보다 발전된 연구 사업에 신규 지원해야 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신규 지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2012년에는 우수한 성과를 보인 연구 과제에 대해 기존 연구 계획서와 연구

성과를 가지고 연구 기간의 갱신 및 다음 단계 사업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연구 갱신 제도를

도입하여, 우수 연구자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연구를 위한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표 1-12> 미래창조과학부와 교육부의 사업 구분

미래창조과학부 사업 교육부 사업

1) 개인 연구

- 일반 연구자 지원 사업(신진, 여성)

- 중견 연구자 지원 사업(핵심, 도약)

- 리더 연구자 지원 사업(창의, 국가 과학자)

2) 집단 연구

- 선도 연구센터 지원 사업(SRC, ERC, MRC,

NCRC), 기초 연구실 지원 사업(BRL)

3) 연구기반 구축

- 전문 연구정보 활용 사업, 기초연구 실험

데이터 글로벌 허브 구축 사업, 연구장비

엔지니어 양성 사업

1) 개인 연구

- 일반 연구자 지원 사업(기본, 지역, 리서치 펠로우)

2) 연구기반 구축

- 학문 후속 세대 양성 사업, 대학 중점 연구소

지원 사업

자료: 저자 작성

<표 1-13> 개인 연구 사업 구조 단순화

2015년 2016년

구 분 세부 사업 구 분 세부 사업

리더연구자 창의연구(연3∼8억×9년)⇨

전략공모 X프로젝트, 전략과제(별도 설정)

중견연구자

전략연구(별도 설정)

자유공모

리더연구(연3∼8억×9년)

도전연구(연3억×3년)

⇨ 중견연구(연0.5∼3억×1∼5년)핵심연구(연1억×3년)

신진연구자

신진멘토링(연5천만×3년)

여성과학자(연5천만×3년)

신진연구(연5천만×3년) ⇨ 신진연구(연0.5∼1억×1∼5년)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2016), �2016년도 기초연구 사업 시행 계획�, p.17.

Page 3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19

2015년 1월에는 “정부 R&D 혁신 방안”이 발표되어 기존의 ‘과제’ 중심에서 ‘연구자’ 맞춤형

으로 전환하고 우수 연구자에게는 장기 지원을 하는 정책이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2016년도

부터 사업별 지원 체계는 학문 분야별 연구자 맞춤형 지원 체계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사업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다수의 세부 사업을 개인 연구 지원으로 통합 운영하여 연구 지원의

유연성을 높였다.

기존 사업별 지원 제도는 사업별로 연구 기간이나 연구비를 획일적으로 일정하게 지정하여

지원했는데, 분야별 특성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예를 들어 실험을 많이 하는

분야는 연구비가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하고 이론 연구가 중심인 분야에서는 적은 연구비로도

진전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사업 운영이 필요했던 것이다. 따라

서 정부는 기초연구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기초연구 지원 체계를 연구자 맞춤형

지원 체계로 전환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 지원 사업은 연구자가 필요한 연구비와 연구 기간을

신청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개선하고 연차별 연구비를 유연하게 차등 지원하는 방식으로

개편되었다. 이제 3년 고정 연구비 지원에서 1~5년 자율적으로 연구 기간을 선택할 수 있고,

매년 연구비를 균등 지원받는 것이 아니라 연차별로 차등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런

방식을 통해 연구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연구를 제안할 수 있게 되었으며, 분야별 특성에 맞게

탄력적인 연구 지원이 가능해졌다.

<표 1-14> 연구비 탄력적 운영 예시

2015년 2016년

연구조건사업별 연구 조건 동일

(3년, 1억원/년)⇨

필요한 연구비/연구 기간 신청

(1~5년, 연구비 자율)

연차별 연구비연간 연구비 고정

(1억원 → 1억원 → 1억원) ⇨

총액 기반 연간 연구비 자율

(1.5억원 → 0.9억원 → 0.6억원)

연구비 조정 없음 ⇨연구비/연구 기간 적정성 평가

※ 평가 후 조정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2016), �2016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 계획�, p.18.

기초연구에 대한 장기적・안정적 지원을 위해 신진・중견연구의 연구기간은 5년까지 확대되

었고, 우수 과제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 과제로 선정하여 추가로 1∼5년 연속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중복성 검토를 완화하여 같은 주제라도 심화・발전, 다른 방법론 등이 인정되는

과제는 선정・지원하여 장기적인 심화 연구를 장려하고 있다.

Page 3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0

<표 1-15> 장기적・안정적 연구 환경 마련

2015년 2016년

연구기간3년 연구

(연구기간 3년, 후속연구 3년)⇨

최장 5년 연구

(연구기간 최장 5년, 후속연구 최장 5년)

심화연구 유사 주제 신규 지원 불가 ⇨ 유사 주제 심화・발전 과제 인정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2016), �2016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 계획�, p.19.

학문 분야 특성에 맞게 개인 연구 지원 체계를 다양화하기 위해, 연구 수요, 정책 방향 등을

감안하여 신규 과제 지원 예산을 학문 분야별(25개 CRB 분야)로 적정 배분하였다. 그리고

학문 특성에 따라 연구비와 연구 기간 구간별 지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각 학문 분야의

특성을 반영한 적정 연구비 및 연구 기간을 지원하고 있다.

<표 1-16> 학문 분야별 지원 체계 다양화

2015년 2016년

연구비 동일 연구비 지원 ⇨분야별 포트폴리오 수립

※ 분야 특성에 맞는 지원 체계 마련

평가 지표 공통 지표 사용 ⇨ 분야별 평가 지표 차별화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2016), �2016년도 기초연구 사업 시행 계획�, p.21.

한편 정부는 연구재단을 통한 연구 과제 지원과 병행하여 기초과학 전담 연구기관인 기초과

학연구원을 2011년에 설립하여 운영 중에 있다. 세계 주요 선진국들이 20세기 초에 기초과학

전담 연구기관을 설립하여 글로벌 기초과학 리더쉽을 발휘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나라도 과학

기술 강국의 초석이 될 수 있는 기초과학 전담 연구기관을 확보한 것이다. 기초과학연구원은

2017년 현재 28개의 연구단을 구성하여 수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등 과학의

근간을 이루는 기초 학문을 연구하고 있다.

4. 정부의 기초연구 투자 확대와 역량 확보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는 1990년대부터 급격히 증가해 2016년 19.1조 원으로 증가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를 설립하고 과학기술처를 발족한 1960년대 후반부터 정부의 연구

개발 투자는 증가하기 시작했는데, 특히 1982년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연구개발 사업인 특정

Page 3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21

연구개발 사업을 과학기술처에서 시작하면서 각 부처에서 다양한 국가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

하기 시작했다.

1992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범부처 국가 연구개발 사업인 선도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하면

서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전기를 마련했다. 1990년대 후반에는 「과학

기술 혁신 5개년 계획」(1997~2002)을 수립해 2002년까지 정부 예산 대비 연구개발 예산의

투자 비중을 5%까지 확대하는 정책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림 1-1] 기초연구 투자 비중 추이

자료: 안승구 외 (2016), �2016년도 정부 연구개발 예산 현황 분석�, p.64.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확대와 더불어 정부는 기초연구 투자를 중요한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기초연구 투자 규모를 확대하고 있으며, 2017년까지 정부 연구개발

투자의 40%를 기초연구에 투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초연구 수준 파악의 지표로 활용되는 논문 성과의 경우, 1990년대까지 미비하던 과학기술

분야의 논문 수가 2000년대 이후 크게 증가했다. 세계에서 우리나라 과학기술인용색인

(Science Citation Index, SCI) 논문 수 순위가 1981년 50위에서 2013년 12위로 크게

상승했다. 동 기간 논문 수는 약 209배 증가했으며, 한국 논문의 세계 점유율도 0.05%에서

3.30%로 약 66배 증가했다.

각 분야별 논문의 세계 순위를 참고하면 양적인 성장 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성장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01년~2003년과 2011년~2013년 두 기간의 논문을 비교해 보면 전 분야에

서 논문 수는 전 세계 14위에서 11위로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질적 수준을 나타내

는 피인용 횟수 상위 10%와 1%에 드는 논문도 각각 15위에서 13위로, 17위에서 14위로

상승해 양적 수준뿐 아니라 질적 수준도 함께 성장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Page 3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2

[그림 1-2] SCI 논문 수와 세계 점유율 추이

자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6), �국가 과학기술 성과 50년 미래 50년�, p.110.

제3절 주요 기초과학 분야의 발전

1. 수학 분야의 발전

가. 수학 분야 발전의 개요

기초학문의 대표적 분야인 수학 분야의 발전은 1980년까지 연구보다는 교육이 중심이었으

나 우리나라가 1981년에 국제수학연맹(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 IMU)에 IMU

등급 Ⅰ군1)으로 가입하면서 국제수준의 연구에도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1983년에 시행된

목적 기초연구 지원 사업을 시작으로 소규모 기초연구가 활성화되고 해외 석학의 국내 초청

강연과 국제교류 프로그램이 늘어나면서 국내 수학연구 수준은 빠르게 발전해 왔다. 1982년에

국내 수학자들이 발표한 SCI급 논문은 3편에 불과 했으나 2002년에 450편, 2012년에 1131

편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 수학자들이 발표한 논문

수 기준으로 세계 11위로, IMU 등급 Ⅴ군에 속하는 국가의 수학자들이 낸 성과에 근접한

수준이다.

Page 3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23

<표 1-17> 수학 분야 SCI급 논문 연도별 논문 편수

연도 논문편수 연도 논문편수 연도 논문편수

1949 1 2003 527 2010 865

1950~1970 3 2004 496 2011 951

1982 3 2005 596 2012 1131

1991 10 2006 594 2013 1190

2000 374 2007 757 2014 1181

2001 372 2008 809

2002 450 2009 846

자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6), �창조사회견인을 위한 수학발전 방안�

이러한 성과는 우수 연구센터 사업을 통한 집단 융합연구의 활성화와 BK 사업으로 대학원

중심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었고, 한국고등과학원(KIAS)의 설립으로 우수 연구인재의 상시

교류 등 연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2014년 세계수학자대회(ICM)2)를

한국 수학계 전체가 함께 준비하고 성공적으로 개최하면서 연구역량이 크게 성장되고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기에 가능했다.

한국 수학연구는 양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도 크게 발전해왔다. 순수수학의

3대 학술지로 불리는 Annals of Mathematics, Inventiones Mathematicae 그리고

Journal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에는 수학의 획기적인 진전에 기여한 연구

가 발표된다. 이들 3대 학술지에 출간된 논문의 90% 이상이 미국, 프랑스, 영국, 등 IMU

등급 Ⅴ군에 속하는 10개국의 수학자들이 발표한 것이다. 최근 국내 수학자들이 3대 최우수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 건수로는 세계 10위권으로 IMU 등급 Ⅳ군에서 최상위이다.

<표 1-18> 순수수학 최우수 3대 학술지 국내 수학자 논문 게재 수

순수수학분야

3대 최우수 학술지

국내 수학자 논문 게재 수

1994년~1999년 2000년~2004년 2005년~2009년 2010년~2014년

Annals of Mathematics 0 0 1 3

Inventiones Mathematicae 2 2 8 5

Journal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0 1 0 5

총합 2 3 9 13

자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6), �창조사회견인을 위한 수학발전 방안�

Page 3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4

한국 수학자들의 탁월한 연구실적은 전 세계적으로 인정되어, 국내 최초로 한국 수학자

3인(김정한, 오용근, 황준묵)이 2006년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초청 강연을 하였고 이어서 2010

년 세계수학자대회에서 박종일 교수와 오희 교수가 초청 강연자로 선정되었다. 2014년 서울

세계수학자대회에 황준묵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기조 강연자로 선정되었으며 5명의 한국인(강

석진, 김병한, 김범식, 이기암, 하승열)이 초청 강연자로 선정되었다. 또한 김정한 교수는 람지

(Ramsey) 이론에 대한 공헌으로 1997년에 폴커슨(Fulkerson)상을 수상했으며 오희 교수는

탁월한 연구로 미국수학회가 여성수학자에게 수여하는 2015년에 Satter상을 수상했다.

나. 수학 분야의 시대별 전개3)

한국 수학의 시대별 발전사는 교육의 시대(∼1980년), 연구기반 조성의 시대(1981년∼

1990년), 국제교류의 시대(1991년∼2000년), 한국 수학 세계무대로의 진출시대(2001년∼)

로 나눌 수 있다(대한수학회, 2017). 여기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교육의 시대, 연구역량강화 및 국제교

류의 시대(1981년∼2000년), 한국 수학의 세계무대로의 진출 시대(2001년∼)로 나누어 시대

별 발전상황을 살펴본다.

[그림 1-3] 한국 수학의 발전 단계

자료: 대한수학회 (2017), �대한수학회 70년사�

Page 3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25

한국 수학이 1980년까지 교육에 집중했다고 하나 1970년에 수학과가 개설된 국내 대학은

30여 개 수준에 머물렀다. 또한 1980년까지 한국 수학연구의 현주소는 대부분의 개발도상국

과 같이 열악한 수준에 머물렀으나 수학자들의 연구에 대한 열의는 대단했다. 국제적 수준으로

보면 많이 미흡했지만 대한수학회가 1964년에 최초의 수학 학술지인 �수학�을 창간했다.

과학기술처 발족과 함께 1968년에 학회간행물 출판보조비 사업의 도움으로 최초로 외국어

전문학술지인 �대한수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Mathematical Society)�와 �대한수

학회보(Bulletin of the Korean Mathematical Society)�가 �수학�으로부터 분리・창간되었

다. 이 학술지들은 수학연구의 기반을 조성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1970년 필즈상 수상자인

히로나카(H. Hironaka)교수의 초청을 계기로 해외 석학들의 초청 강연과 교류를 통해서 국내

수학계는 국제 주류 수학을 접하는 기회가 늘었고 해외 유학에서 돌아온 수학자들을 통해서

교육과정을 현대화하고 빠르게 연구기반을 조성하는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 또한 1978년

사단법인으로 등록한 대한수학회는 IMU에 가입하기 위하여 다각도로 노력하기 시작하였다.

한국 수학은 1981년에 IMU에 ‘Republic of Korea’로 가입하여 IMU에서 역할을 높여가면

서 발전했다고 할 수 있다. 국내논문의 수가 대폭 증가하여 1987년에 세 번째 학술지 �대한수

학회눈문집(Communications of the Korean Mathematical Society)�이 창간되었다. 국

제 수준의 수학인재 양성을 위해서 1988년 호주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 처녀 출전하였

다. IMO에서 한국 대표단은 1990년 후반부터 10위권 안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2012년에

는 종합 1위를 기록하였다. 1981년 가입 당시 IMU 등급 I군에 소속되어 있던 대한민국은

꾸준한 노력으로 1993년 IMU 등급 II군으로 승격되었다. 1996년에 프린스턴 고등연구소를

모델로 한 한국고등과학원(KIAS)이 설립되어 한국 수학연구와 이론과학연구를 세계 수준으로

발전시키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2000년 IMU가 지정한 ‘세계수학의 해’에 대한수학회는

‘수학으로 여는 새천년’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제41회 IMO를 대전에서 개최하였다(대

한수학회, 2017).

2003년 1월에 �대한수학회지�가 SCIE에 등재되어 우리나라 수학계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

가 되었으며 2005년 11월에는 국가수리과학연구소가 설립되어 KIAS와 함께 수학연구의 중심

기관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2006년에 수학자로는 처음으로 이임학교수가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었다. 2007년에는 회지에 이어 회보도 SCIE에 등재되었고 국내 수학자

가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논문 수가 세계 12위가 되었다. 더구나 IMU 역사상 최초로 IMU

등급 II군에서 IMU 등급 IV군으로 승격되었다. 국제적으로 높아진 한국 수학의 위상을 바탕으

Page 4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6

로 수학계는 2014 ICM 유치를 위한 위원회를 결성하고 2009년에 서울이 ICM 개최도시로

결정되었다.

2012년도 수학발전에 중요한 해로서 제12차 국제수학교육대회(ICME)가 코엑스에서 열려

83개국 3,600여 명이 참가하여 1,500여 편의 논문이 발표되는 등 성공적으로 개최되었고,

IMO에 참가한 우리 학생들이 참가 25년 만에 중국의 20년 아성을 깨고 세계 1등으로 우승을

하는 쾌거를 이루었다(대한수학회, 2017).

2014 서울 ICM 개최는 유치단계 부터 개최까지의 전 과정이 한국 수학이 세계 속으로 도약

하는 대 전기가 되었다. 유치활동에 앞서 국내 수학계의 학술 및 연구 활동에 대한 관련 데이터

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ICM 유치에 대한 청사진을 들고 정부당국을 설득한 결과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다년간 예산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제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국제적인 리더십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특히 대륙별로 개최장소

가 결정되므로 아시아 지역의 지지를 위해서 아시아 수학연합(Mathematical Union of Asia,

MUA)설립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또한 ICM 최초로 개발도상국의 수학자 1000명을 초청하는

나눔(NANUM 2014) 프로그램을 제안하여 실행하였다. 서울 ICM(2014년 8월 13일∼21일)은

총 122개국 5,217명이 등록하여 참가국 및 참가자 수에 있어서 117년의 ICM 역사에서 최대를

기록하였다. 각종 대중 프로그램에 21,227명의 청소년과 일반인이 참석한 것도 유래가 없던

일로 27,359명이 참석한 서울 ICM의 기록은 한동안 깨기 힘들 것이다(대한수학회, 2017, p.345; p.348).

서울 ICM은 한국 수학의 발전은 물론 청소년과 대중들에게 수학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하였고 특히 탁월한 젊은 수학자들 발굴과 양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었다. 브라질에서

개최되는 2018년 ICM에 금종해 교수, 박병욱 교수와 함께 34세의 젊은 수학자 허준이 박사4)가

초청 강연자로 선정되어 한국 수학의 국제적 위상을 잘 나타내고 있다.

다. 우리나라 수학의 미래 전망

한국 수학의 미래가 밝은 이유는 2014 서울 ICM을 개최하면서 한국 수학이 세계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고 국내에서는 수학에 대한 학생들과 대중의 인식이

매우 높아졌다는 것이다. 더욱이 고무적인 것은 1980말에서 1990년대 초에 대학에 진학한

세대들이 25여 년이 지난 지금 국제무대에서 맹활약하고 있고, 주요 국제 수학 학술지의 편집

위원 수도 획기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들어 특히 괄목할만한 점은 국제 경쟁력을

갖춘 국내 박사들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젊은 여성 수학자들의 맹활약이

Page 4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27

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 수학의 국제적 위상과 인지도가 높아져 미국수학회의 초대 펠로우로

박종일, 오용근, 오희, 최영주, 황준묵5)이 초청되었고, 생존한 수학계의 최고 거장들이 한국을

찾아 젊은 인재육성에 동참하는 경우를 자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국내외 환경을

고려할 때 한국 수학계가 머지않아 한국인 필즈상 수상자를 배출할 수 있다는 기대는 매우

합리적이다.

한편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제4의 물결 속에서 전 세계적으로 수학의 역할과 영향력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수학의 역할에 대한 산・학・연의 기대에 따라서 정부도 수학을 활용한 원천기술

확보와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수학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수학계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다. 그러나 수학과 같은 기초과학의 발전은 목적 지향적인

지원보다는 아래로부터의 자율적인 풀뿌리 연구가 훨씬 더 효과적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

다. 연구지원 정책이 이를 뒷받침 해 준다면 한국 수학은 머지않아 IMU 등급 Ⅴ군으로 승격함

은 물론 세계 수학발전에 기여할 최고의 수학자들을 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토양위에서

수학이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2. 물리학 분야의 발전

가. 물리학 분야의 성장(2000년대 이전)

한국 물리학의 발전은 1960년대 이후 본격화되었지만, 그 이전부터 물리학의 토대 일부가

형성되고 있었다. 일제 강점기 하에서 물리 분야의 박사학위 자로 이원철(미시간대), 조응천(인

디애나대), 최규남(미시간대), 박철재(교토제국대)가 있었다. 해방 직후 서울대학교와 연세대학

교 등 일부 학교에 물리학과가 설치되어 물리학 교육이 시작되었으며, 1950년대 들어서는

부산대학교와 조선대학교를 비롯해 총 11개 대학에 물리학과가 신설되어 물리 교육이 전국적

으로 확대되었다. 1952년에는 한국물리학회가 창립했는데, 초대 회장으로 최규남, 부회장

박철재를 선임했으며 회원은 모두 34명이었다. 1961년에는 물리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발표할

학술지 �새물리�를 창간했다.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한국의 물리학은 본격적으로 발전을 시작했다. 다수의 학자들이

해외 유학을 마치고 귀국함에 따라 연구와 교육이 활성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한국물리학회에

는 학문 분야별로 모여 토론할 수 있는 분과회를 설치하게 되었다. 특히 한국물리학회의 전체

회원수가 700명이 넘어선 1967년은 한국의 물리학이 한차원 높게 성장했음을 보여주었다.

Page 4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8

1968년에는 물리학계에서 순 영문학회지인 JKPS(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를 창간했다. 영문 학술지 발간을 계기로 국내 물리학자들의 연구 업적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한국 물리학의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된 일은 1966년 한국과학기술연구소의 설립이었다.

이 연구소에서는 대체로 산업체와 관련이 깊은 분야를 중점 연구하게 되었지만, 물리학은

반도체 분야 등과 관련되어 정원, 맹선재 등의 물리학자들이 참여하였다. 그 후 물리학의 발전

에 직접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친 정부의 시책의 하나는 한국과학원(현재의 KAIST)의 설립이었

다. 초대 과학원 원장에는 물리학자인 이상수가 임명되었고, 초대 부원장에는 과학원의 설립

초기부터 이 계획에 깊이 관여했던 정근모가 임명되었다. 초창기 과학원의 물리학과 교수진으

로는 이상수(광학), 조병하(이론), 김재관(입자) 등이 부임하여 물리학 연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1970년대 대덕연구단지 건설을 계기로 물리학 연구의 기회가 확대되었다. 이 연구단지에서

물리학과 관련된 연구소는 한국표준연구소였다. 1976년 한국과학기술연구소의 반도체 재료

연구실장이던 정원이 한국표준연구소의 부소장으로 임명되면서 한국표준연구소에서 물리학자

들이 일하게 되었다.

한편 연구지원을 전문으로 하는 기관의 설립도 물리학과 같은 기초과학의 발전을 도왔다.

과학기술처는 1977년 기초연구 분야 연구비 지원을 위하여 한국과학재단을 설립하였으며,

교육부는 1981년 학술연구비를 지원 및 관리할 기구로 학술진흥재단을 설립하였다. 이 두

기관의 설립으로 대학의 연구자들은 체계적인 연구비 지원을 받게 되어 물리학을 포함한 기초

과학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었다.

1980년대에는 물리학 연구 인프라의 확대에 주목할 만하다. 1988년 국내 연구자들이 공동

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과학 분야의 첨단 연구 장비 및 대형공동 연구시설을 설치·운영할

목적으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 설립되었다. 포항공과대학교의 설립 또한 이 시기에 이루

어졌다. 포항공과대학교는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던 김호길이 당시 포항 제철

의 박태준 회장을 설득하여 시작되었다. 포항공대 물리학과는 1986년 11월 교육부 설치인가

를 받아 1987년 3월 21명의 첫 학부 신입생을 받음으로써 공식 출범하였다.

1990년대는 우리나라 물리학 연구의 수준이 크게 신장된 시기였다. 1996년에 설립된 고등

과학원은 우리나라 기초과학 연구를 한층 도약시키는 계기였다. 수학부, 물리학부, 계산과학부

Page 4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29

의 세 학부를 설치하고 세계적인 석학 교수를 포함한 유능한 연구자들이 창의적 과제를 연구해

오고 있다. 물리학 연구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학자들의 노력 중 대표적인 것이 국제적인

학술회의의 개최다. 1985년부터 한국물리학회가 중심이 되어 추진한 국제 규모의 학회로는

1985년 제14차 물리학에 응용되는 군론에 관한 국제회의, 1990년 제4차 아시아태평양 물리

학 국제학술회의, 1992년 한국물리학회 창립40주년 기념행사, 1997년 제9차 국제 강유전체

학술대회를 들 수 있다.

1994년에 건설된 포항 방사광 가속기도 물리학 성장의 한 증거다. 이 거대 시설의 건설로

우리나라는 공동 가속기 시설을 운영하는 선진국의 대열에 합류하였다. 그 외에도 세계적

연구소를 국내에 유치하고자 하는 노력이 결실을 맺어 1997년 아시아 10개국이 회원으로

가입한 아태 이론물리 연구센터 (APCTP, Asia Pacific Center for Theoretical Physics)가

개소식을 갖게 되었으며, 이후 아시아 지역의 이론 물리 연구의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나. 물리학 분야의 성장(2000년대 이후~)

2000년대 이후 정부의 국가 정책 패러다임은 선진국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변하기 시작했

다. 선도형 과학기술 정책은 필연적으로 기존의 응용기술 위주의 지원에서 탈피하여 기초과학

에 대한 지원 확대를 수반하게 된다. 왜냐하면 미래의 선도형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기초연구를

통해 도출된 지식과 경험의 축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환의 시기에 물리학계와 정부는 다양한 형태로 기초과학 지원 확대를 위한 노력을

추구하였다. 2007년에는 한국물리학회가 주축이 되어 구성한 기초과학 학회 협의체(초기 참여

학회, 물리학회, 수학회, 화학회)가 “풀뿌리 기초과학 살리기” 운동을 펼쳤다. 이 운동은 기존의

응용 과학기술 위주의 정부 연구지원 시책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초 학문 분야의 연구여건

개선을 목적으로 전개되었다. 기초과학 학회 협의체에서는 정부의 소규모 개인 기초연구과제

지원을 제안했다. 이러한 풀뿌리 기초과학 살리기 운동이 사회적으로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

면서 그해 말 국회에서 관련 예산이 통과되었다.

물리학 성장의 또 다른 전기는 2011년의 기초과학연구원(IBS) 설립이었다. 기초과학연구원

은 독일의 막스플랑크 연구소(MPI) 그리고 일본의 이화학연구소(RIKEN)와 유사한 대형 연구

기관으로 기획되었으며, 물리학, 화학, 수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등 기초과학 분야를 중점으로

연구하는 기관이다.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의 주요 목표는 첫째, 해당 분야의 국내 연구 수준을

Page 4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0

국제적 수준까지 높이는 것, 둘째로 해당 분야의 젊은 연구자를 세계적 수준의 학자로 육성하

고, 셋째로 해당 분야의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즉 기초과학연구원은 국내

기초과학 연구 수준을 국제화하는 것을 당면 목표로 삼고 있다.

기초과학연구원에서는 연구단 단장의 선임에서 국제적으로 두각을 나타낸 국내 과학자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명망이 높은 해외 석학에게도 문호를 개방한다. 선임된 연구단장은 연구단

의 구성원을 선발하여 연구비를 배정 받아 연구를 수행하는데 연구실 설치 및 시설구입을

해야 하는 초기에는 50~100억원 수준의 연구 예산을 배정하고 있다. 2017년 현재 기초과학연

구원에는 28개의 연구단이 선정되어 운영 중이며 최종 50개의 연구단을 선정 운영할 계획이

다. 현재 28개 연구단 중 물리학 관련 연구단은 <표 1-19>와 같이 9개다.

<표 1-19> 기초과학연구원의 물리학 관련 연구단

연구단명 단장 형태 선정년도

강상관계 물질연구단 노태원 외부(서울대) ‘12년

나노구조 물리연구단 이영희 외부(성균관대) ‘12년

초강력레이저 과학연구단 남창희 캠퍼스(GIST) ‘12년

원자제어저차원 전자계연구단 염한웅 캠퍼스(GIST) ‘13년

지하실험 연구단 김영덕 본원 ‘13년

엑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 Y Semertzidis 캠퍼스(KAIST) ‘13년

순수물리이론 연구단최기운

본원‘13년

이수종 ‘16년

복잡계이론물리 연구단 Sergei Flach 본원 ‘14년

양자나노과학 연구단Andreas

Heinrich외부(이화여대) ‘17년

물리학 연구의 국제 수준을 높이기 위한 대형 시설의 건립에도 주목할 만하다. 그 하나는

포항에 건립된 4세대 방사광 가속기다. 이 가속기는 기존의 포항 방사광 가속기 옆에 새로이

건설했는데, PAL-XFEL(Pohang Accelerator Laboratory X-ay Free Electron Laser)이

라고 부른다. PAL-XFEL의 건설 책임자는 포항공대의 고인수 교수였다. 2016년 4월 완공시

시험 가동에서 파장 0.5 nm인 XFEL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이 결과는 2주후 다른 외부 위원회

의 검증을 받아 미국, 일본에 이어 우리나라가 세계 3번째로 XFEL을 현실화 한 것이 확인되었

다. XFEL의 특성은 첫째 이 빛이 결맞는 빛이고, 둘째로 빛의 순간 세기가 3세대 방사광가속기

보다 100억 배 정도로 엄청 크기 때문에 나노 크기의 물체 구조도 선명하게 관찰할 수가

Page 4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31

있다는 점이다. 세 번째 특성은 극초단 펄스 형태의 광원이어서 펨토초(10-15초) 수준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변화를 관측할 수가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XFEL을 ‘꿈의 광’이

라고 부르기도 한다.

나노 크기의 분자수준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결합 현상이나 원자의 동적 현상은 거의 펨토초

정도의 짧은 순간에 일어나기 때문에 4세대 XFEL처럼 강하고 짧은 X-선 파장의 빛이 필요하

다. 유럽에서도 11개국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XFEL 가속기를 건설하고 있다. 국내 연구자들뿐

만 아니라 외국의 연구자들도 새로운 포항 XFEL을 사용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포항 XFEL은

나노 세계와 펨토초의 동역학적 현상을 보는 현미경 역할을 하여 미래의 새로운 물질 개발과,

관련된 물리, 화학, 그리고 생물학적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국내 물리학뿐만

아니라 화학 생명과학, 재료분야의 학술적 수준을 크게 높이는데도 기여할 것이다.

다른 하나의 대형 시설은 2017년 현재 설립 중인 중이온 가속기다. 중이온 가속기는 2008년

기획된 국제 과학 비즈니스 벨트 사업 초기부터 포함된 대형 국책 사업의 하나였다. 세계의

중이온 가속기 방식은 저에너지 양성자 빔을 가속하여 무거운 표적 원자에 충돌시키는 방법과,

높은 에너지의 중이온 빔을 탄소와 같은 가벼운 원자에 충돌시키는 방법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국형 중이온 가속기는 기존의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하여 기존의 가속기보다 더 새로운 희귀

동위원소를 발견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이온 가속기 사업은 2021년 완공을

목표로 총사업비 1조 5천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다만 초기의 정책적 혼선으로 완공 시기가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핵심적인 이온 발생 장치, 가속 장치 및 희귀원소 생성 장치 외에

도, 생성되는 희귀원소를 사용하여 다양한 응용연구를 수행하기 해 필요한 실험 설비 예산

확보 문제가 대두될 가능성이 있다. 2017년 현재 중이온 가속기 건립 사업은 부지 선정이

끝나고 시공 단계에 이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가지 우려되는 점은 중이온 가속기를 이용할

다양한 사용자 그룹을 미리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제도가 필요한데 이에 대한 준비가 미흡하다

는 데 있다.

한국 물리학의 국제적 성장은 아태이론물리센터(APCTP)의 활동을 통해서도 들여다 볼 수

있다. 아태이론물리센터는 1997년 설립 당시 C. N. Yang을 초대 소장으로 선임하면서 처음부

터 국제 조직으로 출범했다. 2007년에는 아태이론물리센터의 3대 소장으로 독일 드레스덴의

막스플랑크 연구소 소장을 지낸 Peter Fulde 교수가 선임되면서 또 다른 발전의 계기를 마련했

다. Fulde 소장은 자신의 막스플랑크 연구소 소장 경험을 토대로 독일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젊은 물리학자를 리더십이 있는 학자로 길러내는 JRC(Junior Research Group) 프로그램을

Page 4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2

시작했다. 또 그는 박사후 과정생 지원 사업과 방문자 사업을 시작하여 아태이론물리센터를

명실상부한 국제 연구조직의 위상에 올려 놓았다. 아태이론물리센터 사업을 통하여 우리나라

물리학 분야는 국제화 측면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 비록 작은 규모의 국제 조직이지만 아태이

론물리센터는 여러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의 물리학자들 다수에게 국제 물리학 연구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다. 우리나라 물리학 발전의 성과와 전망

2000년대 이후 선진국 추격형 정책에서 선도형 개발 정책으로 전환하는 국가적 전환의

추세와 함께, 한국의 물리학은 국제적 수준의 향상 및 국제화를 향해 전진하고 있다.

한국물리학회는 2017년 현재 3개의 전문 학술지, JKPS(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CAP(Current Applied Physics), 그리고 �새물리�를 발행하고 있다. 그간 물리학

회의 부단한 노력으로 JKPS, CAP 및 �새물리� 모두가 SCI로 등재되어 국제적 학술지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인용지수가 2를 넘는 CAP을 제외하고는, JKPS와 �새물리�는 아직 인용지수

가 낮아 물리학회의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국물리학회는 물리학 관련 세계연합 조직인 IUPAP(국제

물리-응용물리연합)에 가입했고, 한국 물리학자 11명이 IUPAP 분과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아시아-태평양권 물리학회연합 조직인 AAPPS에 창립 회원국으로 참여하여 AAPPS

Bulletin을 한국에서 발간하고 9명의 이사 중 3명이 한국물리학자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한국물리학회는 주요 국제학술회의를 유치하고 국내에서 개최함으로써 물리학

의 국제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학술적 활동 외에도 물리학회는 2012년 물리학 각 분야의

로드맵을 작성하여 물리학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등 물리학의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 물리학자의 연구 성과는 학술지의 발표 실적을 통해 가늠해 볼 수 있다. 한국 연구자의

SCI 논문 발표 실적은 2006년 28,830편에서 2015년은 57,626편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세계 순위는 변동 없이 12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의 물리학 분야 논문 발표 현황은

10년간(2006년~2015년) 약간의 감소를 보이지만 연평균 5,100편을 발표하여 세계 9~10위

권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10년(2006년~2015년)간 한국 물리학자가 발표한 논문중 전 세계 논문의 3% 이상

Page 4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33

점유율을 차지하는 세부 분야는 응용물리, 응집물리, 다분야(multidisciplinary), 입자물리,

핵물리 다섯 분야다. 이 중 한국 물리학자가 가장 많이 연구하는 분야는 응용물리와 응집물리

분야로 세계 점유율이 5% 이상이다.

<표 1-20> 한국 물리학자가 발표한 SCI 논문 수와 세계 점유율(2006년~2015년)

No. 분야명 한국 논문 수 해당 분야 세계 논문 수 세계대비 점유율(%)

1 응용물리 38,275 478,144 8.00

2 응집물리 17,772 272,658 6.52

3 MULTIDISCIPLINARY 10,592 224,934 4.71

4 입자 & 장론 4,583 113,958 4.02

5 핵물리 2,041 67,375 3.03

자료 :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구 톰슨로이터) SCI 데이터베이스 (http://ip-science.thomsonreuters.co.kr)

물리학 분야별 논문의 피인용 회수는 다음 표에 있다. 앞의 표와 함께 참조할 때 눈에 띄는

점은 핵물리 분야다. 핵물리 분야에서 한국 논문의 세계 점유율은 3.03%인데, 인용 회수의

점유율은 7.33%로 2배 이상 높다.

<표 1-21> 물리학 분야별 피인용 횟수와 세계 점유율 (2006년~2015년)

No. 분야명 한국 피인용 횟수해당 분야 세계

피인용 횟수세계대비 점유율(%)

1 핵물리 46,682 636,667 7.33

2 응용물리 381,797 5,433,580 7.03

3 입자 & 장론 83,064 1,385,789 5.99

4 응집물리 209,426 3,777,528 5.54

5 MULTIDISCIPLINARY 88,884 2,740,610 3.24

자료 :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구 톰슨로이터) SCI 데이터베이스 (http://ip-science.thomsonreuters.co.kr)

전반적으로 한국의 논문당 피인용 회수가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는 이 회수

가 세계 평균보다 높아지고 있다. 물리학 분야 피인용 상위 1% 이내의 논문 수 국가 순위(2005

년~2015년)를 보자. 다음 표와 같이 한국의 점유율은 세계 12위로 일본의 절반 수준이긴

하지만 한국 물리학의 국제화가 괄목할 만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각국의 점유율을

합치면 100%가 넘는데, 그 이유는 상당수의 논문이 국제 공동 연구의 결과로 이중 처리되기

때문이다. 그만큼 물리학 분야에서는 국제화가 중요하다.

Page 4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4

<표 1-22> 물리 분야 피인용 상위 1% 논문 수와 국가별 점유율(2005년~2015년)

순위 국가 피인용 상위 1% 논문 수 점유율

1 미국 6,012 52.5

2 독일 2,054 17.9

3 중국 1,874 16.3

4 영국 1,441 12.6

5 프랑스 1,182 10.3

6 일본 1,058 9.2

7 스위스 877 7.7

12 한국 523 4.6

- 전체 11,462

자료 :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구 톰슨로이터) SCI 데이터베이스 (http://ip-science.thomsonreuters.co.kr)

<표 1-23> 세계 대학 물리학과 평가 순위

순위 2011년 2017년

1 Cambridge MIT

2 Harvard Harvard

3 Oxford Stanford

4 MIT Cambridge

5 Berkeley Berkeley

6 Stanford Oxford

7 Caltech Caltech

8 Imperial, England Princeton

9 Princeton 동경대

10 ETH, Swiss ETH, Swiss

11위, 동경대 16위, 교토대

20위, NUS, Singapore 18위, Beijing대

22위, 교토대 24위. Tsinghua대

27위, Beijing대 25위, NUS Singapore

37위, Tsinghua대 29위, Tokyo Ins Tech

38위, 서울대 30위, 서울대

50위권 KAIST 44위, KAIST

150위권 POSTECH, 고려대, 연세대 50위권 POSTECH, 성균관대, 고려대, 연세대

150위권 한양대

200위권 경북대, 세종대, 이화여대, 부산대, 서강대

자료: QS World University Ranking (https://www.topuniversities.com)

Page 4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35

국내 대학 물리학과의 국제화 수준도 꾸준히 향상되었다. 대학의 분야별 경쟁력을 평가하는

체계 중에서 인용이 많이 되는 것이 영국에 기반을 둔 QS 세계대학평가시스템(World University

Ranking system)이다. QS의 평가기준은 동료 평가에 의한 학술적 평가 40%, 교수/학생 비율

20%, 교수당 인용회수 20%, 교직자 평판도 10%, 외국인 교직자비율 5%, 외국인 학생비율 5%다.

QS에서 2011년과 2017년에 평가한 세계 대학 물리학 평가 순위를 다음 표에 인용하였다.

평가 기관에 따라 대학 물리학과의 순위가 많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국내

유수 대학 물리학과에 대한 평가 결과는 점진적으로 상향하고 있으며 2017년에는 6개의 국내

대학 물리학과가 세계 100위권 이내 순위에 올라와 국내 물리학 분야의 국제적 수준이 높아지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지난 50년의 역사에서 한국의 물리학은 놀라울 정도로 발전해 왔고, 2017년 현재

국제적으로 두각을 나타낸 한국 물리학자도 상당한 수에 이른다.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물리학 분야의 학문적 실적, 수상 실적과 대규모 연구단 운영 경력

면에서 성과를 축적하고 있는 한국계 물리학자들도 있다.

다른 한편 한국 물리학의 미래 전망에 우려되는 점도 있다. 무엇보다 미래 물리학계를 이끌어

갈 중등 물리 교육 상황이 밝지 않다. 물리 교과목 수강자가 줄어들고 물리학 교사가 없는

학교가 많은 게 한국의 현실이다. 고등교육에서도 물리학 교육의 미래가 밝다고 전망하기

어렵다. 물리학 교과 이수가 필요한 학과들에서조차 학생들의 물리학 이수가 줄어드는 추세다.

이러한 냉혹한 현실을 인식하고 해결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국 물리학의 지속

적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3. 화학 분야의 발전

가. 화학 분야 발전의 개요

화학은 기초학문 분야이지만 산업으로 응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19세기 후반부터

염료합성과 의약품의 제조로부터 각종 화학제품에 대한 기초연구와 이를 산업화하는 연구가 서구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세계적 추세와는 동떨어져 일제하에서 국내

에 화학이라는 학문 분과 자체가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해방 후 일제하에서 일본 유학

후 귀국한 소수의 학자들이 대학에 자리를 잡아 대학의 화학 교육이 시작되었지만 학문적 연구는

1960년대 후반까지 거의 없었다. 1960년대에 연구기관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소, 대학원 수준

Page 5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6

교육기관으로 한국과학원이 설립되어 선구 선진국의 박사급 유학생이 귀국하여 교수로 자리를

잡았다. 우리나라 중화학 공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이 두 기관에 화학 분야와 응용화학 분야는

중요한 부서가 되었고 초기의 화학 분야 산업뿐 아니라 학문적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

1976년에는 정부 출연 연구기관으로 한국화학연구소가 설립되어 농의약품 및 재료화학

연구를 중심으로 화학 관련 응용연구의 중심 기관이 되었다. 1977년 과학기술분야의 대학

연구를 지원하는 한국과학재단이 과학기술처 산하에 설립되어 화학 분야 국내 대학원의 연구

활동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1970년대 후반부터는 외국의 대학원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는 학자

들이 대학에 자리 잡으면서 대학에서 연구가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81년 교육부

산하의 한국학술진흥재단이 설립되어 대학원 연구 활동을 지원하여 화학 분야의 고급 인력

육성과 연구 활동을 더욱 활성화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과제당 연구비 규모나 KAIST

를 제외한 대학의 연구장비와 대학원 학생 수 부족 등 전반적으로 연구 환경이 열악하여 대학에

서 1980년대 후반까지도 연구다운 연구를 수행하지 못하였다.

1990년 시작된 한국과학재단의 우수 연구센터 사업은 대학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주요 계기

가 된 사업이다. 이 사업은 일반적인 사업의 과제당 연구비가 연 500만 원 정도 수준으로

1~2년 간 지원하던 당시로서는 20여명 정도의 교수로 구성된 연구집단에 연 10억 원 정도를

9년 동안 지원하는 사업으로 각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 사업을 통해 한국과학재단은 1인당

연구비가 일반 과제에 비하여 열 배정도의 금액을 지원하는 집단 연구가 활성화되는 방향으로

연구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데 기여하였다. 사업의 성과도 일반적인 과제보다 월등한

결과를 보였는데, 연구 성과의 SCI 인용 논문 발표 통계를 보면 사업단 소속 학자의 1인당

평균 발표 논문 수가 소속되지 않은 국내학자 발표 논문 수의 7배 정도에 이른다. 1995년까지

1990년 1개, 1991년 2개, 1995년 1개로 과학 분야 총 20개중 4개가 화학 분야에서 선정되었

다(한국과학재단, 1998). 1990년대 초부터 시작된 정부 지원 연구비의 획기적인 증가는 과제당 대규

모 연구비를 지원하는 사업들이 다수 생기면서 국내 화학연구의 활성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2010년대에 들어오면서 기초과학에 지원하는 가장 큰 사업은 기초과학연구원(IBS)사업으로

한 개 사업단에 평균 연 80~100억 원을 최장 9년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17년 현재 총

29개 사업단 중 화학 분야 관련 사업단이 9개 선정되어 사업이 진행 중이다.6)

1990년대 이후 연구 결과의 질적 평가가 강화되기 시작하였는데 SCI 인용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 성과를 판단하고, 특히 Science, Nature 등 높은 인용지수를 보이는 학술지에 발표하는

논문들은 언론을 통해 보도되고 있다. 화학 분야에서는 학술잡지 JACS(미국화학회지)와

Page 5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37

Angewante Chemie(독일화학회연관 Wiley-VCH발행지)가 가장 많이 인용되는 우수한 잡

지로 인정하는데 우리나라 화학자들도 1990년대 이후 상당수의 논문을 이 학술지들에 발표하

고 있다.7)

화학 분야의 학술활동은 대한화학회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7년 현재 매년 회비를

납부하는 회원수가 7000여명이고 1년 예산이 24억 원 정도로 국내 최대 학회 중의 하나이다.

소식지로 매달 �화학세계�가 발간되며, 학술지로 SCI 등재 영문지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BKCS), 화학종합학술지인 �대한화학회지(JKCS)�, 그리고 해외학회 또는

출판사와 공동으로 Chemistry, an Asian Journal 과 Physical Chemistry Chemical

Physics를 매월 또는 격월로 발간하고 있다(대한화학회, 1999). 매년 봄과 가을에 총회와 학술발표회

를 개최하는데 2017년 봄에는 4월 19~21일, 119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가 일산 KINTEX에서

개최되었는데, 등록 인원이 2500여 명이었고 발표 논문이 1400편에 달하고 있다.8) 대한화학

회 이외에 한국고분자학회, 한국공업화학회, 한국세라믹학회, 한국화학공학회가 화학의 여러

분야의 학술활동을 지원하고 있는데 이 학회들이 모여 한국화학관련학회연합회를 1999년에

창립하여 공동 학술활동을 지원하고 있다.9)

나. 화학 발전의 시대별 전개

근대화의 물결이 들어오기 시작하던 20세기 초 설립되기 시작한 서구식 고등 교육기관은

이공계 인력을 육성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하지만 1910년 이후 일제하에서는 식민지의 이공기

술인력 육성을 억제하여 대학졸업 수준의 이공계 인력의 배출은 거의 없었다. 그나마 한반도

출신의 이공계 박사가 화학 분야에서 두 사람이 있었다. 교토제국대학 이학부 화학과의 이태규

박사와 공학부 응용화학과의 이승기 박사로서 두 분 다 학위 후에 교수로도 재직하다가 해방

후 귀국하였다. 이 두 분은 한국 화학 연구의 선구자로서 이태규 박사는 1931년 촉매연구로

이학박사학위 취득 후, 1937년 조선인으로서는 유일하게 제국대학 화학과 조교수로 임명되어

미국 프린스턴에 연구원으로 유학한 후 일본에 처음으로 양자화학을 소개하였으며 1943년

교토대 교수가 되었다. 해방 후 귀국하여 서울대학교 이공학부장이 되어 우리나라 이공학

분야의 토대를 만들었고 화학 분야의 후배 교수들을 양성하였다(대한화학회 편저, 2008). 이승기 교수

는 최초로 비날론이라는 나일론과 유사한 합성섬유 합성에 성공하여 1939년 공학박사를 취득

한 후 역시 교수로 임명되었고, 해방 후 서울대학교에 잠시 근무한 후 한국전쟁당시 월북하여

북한 과학계를 대표하는 상징적 인물이 되었다.

Page 5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8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미국과 유럽에 일부 교수들을 포함하여 대학원 과정을 위한

유학이 시작되었고 박사학위를 마친 후 귀국하여 한국 화학계를 이끄는 학자들이 되었다.

그러나 국내의 연구 환경이 열악하여 대학에서는 연구보다는 후진 양성을 하였다. 화학 분야는

70년대 이후 본격적인 해외 유학시대가 된다. 화학 분야는 해외 유수 대학에 국비 유학 또는

현지 장학생으로 많은 학생들이 유학하고 1970년대 후반부터 대부분이 귀국하여 정부 연구소

와 대학에 자리 잡게 된다. 이후 대학의 교수는 거의 전부가 해외 유학파로 채워지게 되었고,

이러한 전통은 아직도 유지되면서 특히 소위 상위권 대학은 대학교수 중 80%이상이 해외

박사학위 소지자로 구성이 되어 있다. 국내 대학원 수준 학위배출은 1970년대 초에 대학원

교육만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설립되어 군 면제의 특혜가 주어진 KAIST를 중심으로 시작되었

다. 그리고 1980년대 후반까지도 대학원은 석사학위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1990년대 이후

연구비 규모가 커지고 연구 환경이 전반적으로 개선되면서 국내 대학에서도 박사학위 배출이

획기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99년 교육부에서 시작한 BK 21 사업은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과 지역 우수 대학을 육성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현재 3단계가 진행되고

있는데 대학원 연구 활성화에 기여하였다.10)

<표 1-24> 화학 세부 분야별 정부 연구비와 과제 수(2006년~2009년)

(단위: 억 원, 건)

년도 2006 2007 2008 2009 합계

(구)과학기술표준

(중분류)

정부

연구비과제수

정부

연구비과제수

정부

연구비과제수

정부

연구비과제수

정부

연구비과제수

물리화학 47 45 74 86 83 102 123 113 326 346

유기화학 72 73 79 107 104 112 161 133 415 425

무기화학 86 49 107 83 88 81 181 93 463 306

분석화학 100 36 60 38 69 39 29 30 257 143

고분자화학 56 55 43 63 72 78 135 82 306 278

생화학 13 17 43 26 24 28 50 30 130 101

광화학 5 9 2 5 12 9 58 15 77 38

전기화학 6 10 42 30 22 17 43 26 114 83

융합화학 34 24 50 29 85 65 139 69 306 187

달리 분류되지

않는 화학110 130 91 70 83 44 44 19 327 263

화학 Total 529 448 591 537 642 575 963 610 2,721 2,170

자료: NTIS 자료

Page 5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39

화학은 전통적으로 물리화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분석화학의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대학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연구가 활성화되면서 산업계의 응용과 관련되는 의약화학, 고분자화학,

생화학, 재료화학 분야의 연구 논문이 발표되었다. 국내에서도 1990년대 말 이후 화학 분야에

서도 세계적 수준의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특히 1990년대 초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시작된

나노과학 연구에 국내 과학자들도 좋은 연구결과를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표 1-24>는 2006

년부터 2009년까지 과학기술표준 분류체계에 의하여 화학 세부 분야별 정부연구비와 과제

수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표 1-25> 한국연구재단 사업들의 화학분야 지원 과제수와 연구비(2010년~2016년)

(단위 : 건 / 백만원)

구분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과제수 연구비 과제수 연구비 과제수 연구비 과제수 연구비 과제수 연구비 과제수 연구비 과제수 연구비

리더연구9

(1.6%)7,854(13.3%)

9(1.5%)

7,757(12.2%)

11(1.9%)

8,277(13.5%)

8(1.4%)

6,607(11.6%)

9(1.5%)

7,374(12.8%)

11(2.0%)

8,497(14.8%)

11(2.0%)

8,423(14.6%)

중견연구107

(19.4%)14,809(25.0%)

118(19.6%)

15,738(24.8%)

118(20.1%)

15,483(25.3%)

125(21.7%)

15,400(27.0%)

124(20.9%)

15,531(27.0%)

131(23.6%)

15,784(27.4%)

147(26.7%)

18,151(31.5%)

신진연구74

(13.4%)3,768(6.4%)

95(15.8%)

5,203(8.2%)

96(16.3%)

5,687(9.3%)

92(16.0%)

5,763(10.1%)

88(14.8%)

5,404(9.4%)

96(17.3%)

5,386(9.4%)

90(16.4%)

5,334(9.2%)

이공학개인기초

319(57.9%)

17,048(28.8%)

337(55.9%)

17,369(27.4%)

318(54.1%)

16,272(26.6%)

285(49.5%)

13,675(24.0%)

303(51.1%)

13,202(22.9%)

248(44.6%)

12,108(21.0%)

234(42.5%)

11,764(20.4%)

학문후속세대18

(3.3%)539

(0.9%)13

(2.2%)542

(0.9%)17

(2.9%)747

(1.2%)39

(6.8%)2,010(3.5%)

39(6.6%)

2,108(3.7%)

39(7.0%)

2,155(3.7%)

37(6.7%)

1,945(3.4%)

전략공모7

(1.3%)2,970(5.0%)

12(2.0%)

4,304(6.8%)

11(1.9%)

3,770(6.2%)

11(1.9%)

3,340(5.9%)

14(2.4%)

3,957(6.9%)

16(2.9%)

4,590(8.0%)

18(3.3%)

4,879(8.5%)

선도연구센터6

(1.1%)6,308(10.7%)

6(1.0%)

6,199(9.8%)

4(0.7%)

4,127(6.7%)

4(0.7%)

3,977(7.0%)

4(0.7%)

3,918(6.8%)

3(0.5%)

3,186(5.5%)

2(0.4%)

2,060(3.6%)

기초연구실2

(0.4%)990

(1.7%)3

(0.5%)1,420(2.2%)

4(0.7%)

1,995(3.3%)

4(0.7%)

2,075(3.6%)

4(0.7%)

2,002(3.5%)

4(0.7%)

1,776(3.1%)

4(0.7%)

1,850(3.2%)

글로벌연구실4

(0.7%)1,784(3.0%)

4(0.7%)

1,626(2.6%)

3(0.5%)

1,278(2.1%)

4(0.7%)

1,740(3.0%)

4(0.7%)

1,598(2.8%)

4(0.7%)

1,803(3.1%)

5(0.9%)

2,137(3.7%)

대학중점연구소

5(0.9%)

3,156(5.3%)

6(1.0%)

3,204(5.1%)

6(1.0%)

3,600(5.9%)

4(0.7%)

2,485(4.4%)

4(0.7%)

2,486(4.3%)

4(0.7%)

2,261(3.9%)

2(0.4%)

1,127(2.0%)

총합계 551 59,226 603 63,363 588 61,236 576 57,073 593 57,579 556 57,545 550 57,671

자료: NTIS 자료

개인과 소규모 집단을 지원하는 목적 기초연구 지원 사업의 경우 1995년도 총 연구비 277억

원중 화학 분야에 총 36억 원을 지원하였다. 2015년도에는 이에 해당하는 연구비가 485억

원으로 20년 동안 10배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표 1-25>는 최근 한국연구재단의 사업을

통하여 지원되는 화학 분야의 과제 수와 연구비 통계를 보여준다. 국내 학자들이 발표하는

Page 5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0

논문의 질적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피인용 상위 논문실적 비교분석 결과를 보면 상위 1%내의

논문 점유율이 2.6%로 학문 세부 분야의 세계 순위에 12위로 7위인 재료과학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순위이다. 재료과학의 상당부분도 화학자가 발표한 논문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세부학문

분야의 상대적 수준은 화학 분야가 국내에서 가장 높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2000년~2010년 사이에 발표한 논문 중 주저자가 한국인으로 피인용수가 가장 많은

논문도 1, 2위가 화학 분야로서 포항공대 김기문 교수(Nature, 2000, 피인용수 1656회),

KAIST 유룡 교수(Nature, 2001, 피인용수 947회)이다. <표 1-26>은 분야별 상위 논문수를

나타낸 것으로 제1저자 논문으로 보면 화학이 타 분야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많은 것을 알

수 있다(한국연구재단, 2011).

<표 1-26> 한국의 분야별 피인용 상위 1%, 0.1%, 0.01% 논문수(2000년~2010년)

분야전체 저자 논문 제1저자 논문

1% 0.1% 0.01% 1% 0.1% 0.01%

화학 307 20 3 235 14 1

물리학 281 26 5 126 5

공학 247 11 1 203 7 1

재료과학 218 16 4 165 7 1

임상의학 161 19 3 64 3

자료: 한국연구재단 (2011), 주요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실적 비교분석 보고서, p.104

다. 우리나라 화학의 미래 전망

화학 분야는 학술활동 면에서 지난 50년 동안 상당한 발전이 있었다. 그러나 세계적 수준과

비교해 볼 때 아직도 최고 수준의 학문적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기초학문 분야에서는

최초 또는 최고 수준 이외의 연구는 인정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기에 아직 국내 학자로서 국제적

수준, 즉 노벨상 수상 또는 그에 버금가는 학자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웃 일본의 경우는

총 22명의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나왔고 화학 분야에서는 7명인데 2000년 이후 6명이 수상하

여 최근 미국 다음으로 많은 수상자를 배출하고 있다.

학문적 미래는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있다. 어떻게는 기초학문을 육성하기

위한 과거의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기에 화학뿐 아니라 모든

학문 분야에 거의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화학 분야만의 특성으로는 실험과 실습이

Page 5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41

매우 중요한 기초학문 분야이기 때문에 미래의 화학자를 육성하는데 실험과 실습 위주의 교육

이 필요하고, 연구를 위한 실험장비의 개발과 제공에 대하여 국가적으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무엇을 연구하는가는 최고 수준의 학자를 육성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지난 50년간을 뒤

돌아보면 화학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분야의 연구 주제는 선진국 모방하기라고 볼 수 있다.

산업적 연구라면 모방된 제품이라도 싼 값에 팔 수 있기 때문에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고,

빠르게 잘 모방하는 우리나라의 추격형 전략은 상당한 성공을 거둬서 경제규모가 세계 10위권

에 접근한 나라가 되었다. 그러나 기초 과학 학문에서는 그러한 전략은 통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한명도 없는 것이다. 이웃 일본의 기초 과학의 성과의 요인은

기초 과학의 학문적 역사가 우리보다 훨씬 길다는 것 이외에 다른 학자가 전혀 연구하지 않았던

연구 분야에 초기부터 뛰어들어 상당히 기간 동안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결국은 그 분야를

개척한 선구자로 인정받게 되어 노벨 과학상을 수상하게 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화학자들이

나노화학, 재료화학 등에서 우수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지만 거의 대부분 추격자(Fast

Follower)로서 머물고 있다. 따라서 젊은 화학자들이 과감하게 새로운 연구 분야에 진출을

유도하는 정책과 상당기간동안 지속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제4절 기초연구 분야의 미래 전망

흔히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역사는 1967년부터 2016년까지 50년이라고 하지만, 기초연구의

역사는 1977년부터 2016년까지 36년이라고 볼 수 있다. 초창기 과학기술 연구는 경제 부흥을

위한 응용과학에서 출발했는데, 이는 일정 정도 경제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 받는다. 지난

36년 동안의 기초연구 지원은 개인 연구, 공동 연구, 집단 연구, 연구기반 순으로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해 왔다.

우리나라는 현재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의 문턱에 도달해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새로

운 도전과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이제까지 교육을 통한 고급 인재 양성과 과학기술 발전을

통해 경제 발전을 이루었듯이, 앞으로도 인재 양성과 과학기술 특히 기초연구 발전에 승부를

걸어야 한다. 이제부터는 추격자에서 선도자(First Mover)로 변신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Page 5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2

우리나라가 ‘기초연구 뿌리(기초 지식, 원천기술, 인재 양성)가 탄탄한 과학기술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주춧돌 역할을 할 것이다. 기초연구의 뿌리는 창의적이고 도전적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초 지식을 창출・공유함으로써 튼튼해지며, 기초연구라는 뿌리로부터 응용 분야

에서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기술 이전 및 창업이라는 줄기와 열매로 이어질 것이다. 지금까지는

추격하는 연구, 양적 성장을 이룩해 왔지만 앞으로는 기초연구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여 앞서가

는 연구를 해야 한다. 앞서가는 연구는 실패율이 높은 도전적인 연구, 남이 하지 않는 창의적인

연구이지만, 이러한 기초연구의 미션은 과학기술 선진국 도약 및 창조 경제의 주춧돌 역할을

할 것이다.

비록 짧은 과학기술 역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세계 10위권의 과학강국으로 발돋움했

다. 정부도 원천 지식을 창출하는 근원으로서 ‘기초연구’에 주목하고 있다. 또 기초연구 성과의

가치 제고를 위한 패러다임 변화를 위해 적극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는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를 더 강화해 기존의 추격형 연구개

발에서 창조형 연구개발로 전환해 나가고 있다. 국가 연구개발 사업 조사 분석 기준으로 연구개

발 단계별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현황을 살펴보면 아직까지는 개발연구가 48.9%(2014년 기

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기초연구가 30.9%, 응용연구가 20.2%로 그 뒤를 잇는다.

하지만 추격형 연구개발을 벗어나 선진형 연구개발에 나서기 위해 정부는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를 더욱 강화해 나가고 있다.

정부는 양적 투자 목표를 설정해 연구자들의 수혜 체감율을 높이고, 연구 저변을 확대했다.

현재는 양적 투자목표와 함께 질적 수준을 제고할 목적을 가지고 연구자들의 수요를 반영한

기초연구 지원 체계를 구축해가고 있다. 기존의 PBS 제도처럼 지나친 과제 수주에 집중하지

않고, 중장기적 과제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년여 동안 자율

과제 비율이 1.1조원에서 1.5조원으로 약 40% 증가하였으며, 향후 자율 기초 과제에 대한

지원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처럼 기초연구가 가진 본질적 특성이 창의성을 발휘하는 것인 만큼 정부는 연구자들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확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기초연구는 본질적으

로 창의적이어야 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연구자가 창의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연구자

중심의 자유 공모형 기초연구를 확대해나가고 있으며, 아울러 우리나라 기초연구의 미래를

이끌어갈 젊은 연구자들이 독자적으로 연구주제를 정하고, 스스로 연구 과제를 수행할 수

Page 5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43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대형・장기・집단 기초연구 수행을 위해 기초과학연구원을 설립하여 운영

하고 있다. 독일,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이 막스플랑크연구소,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이화학연구소 등을 설립하여 기초과학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켜왔듯이, 기초과학연구원을 통해

우리나라 기초과학 역량이 한 단계 도약하고, 한국이 세계의 기초과학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기초과학 선진국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해 본다.

집 필 안 화 용 (정책사)

김 두 철 (정책사)

이 혜 숙 (수학)

김 정 구 (물리학)

전 승 준 (화학)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총괄실장

기초과학연구원 원장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자문교수

고려대학교 교수

Page 5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4

참 고 문 헌

과학기술부 (2008), �과학기술 40년사�.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년도 기초연구 사업 시행 계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6), �창조사회견인을 위한 수학발전 방안�.

대한수학회 (2017), �대한수학회 70년사�.

대한화학회 (1999), �대한화학회 50년사 1946~1996�.

대한화학회 편저 (2008), �나는 과학자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화학박사 이태규 선생의 삶과 과학�.

미래창조과학부 (2015), �2015년도 기초연구 사업 시행 계획�.

미래창조과학부 (2016), �2016년도 기초연구 사업 시행 계획�.

안승구 외 (2016), �2016년도 정부 연구개발 예산 현황 분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6), �국가 과학기술 성과 50년 미래 50년�.

한국과학재단 (1998), �한국과학재단 20년사(1977~1997)�.

한국과학재단 (2008), �한국과학재단 30년사�.

한국연구재단 (2011), �주요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실적 비교분석 보고서�.

한국연구재단 (2015), �2015년도 한국과학재단 연구지원 통계 연보�.

한국연구재단 (2016), �2016년도 한국과학재단 연구 지원 통계 연보�.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구 톰슨로이터) SCI 데이터베이스 (http://ip-science.thomsonreuters.co.kr)

QS World University Ranking (https://www.topuniversities.com)

Page 5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장기초연구

45

미 주

1) IMU는 회원국의 수학 수준에 따라서 국가 등급을 Ⅰ군부터 Ⅴ군까지 5개 군으로 나누고 각국은 IMU의 주요

결정 과정에서 국가 등급만큼의 투표권을 행사함.

2) 세계수학자대회(ICM)는 전 세계수학자들의 올림픽으로 매 4년마다 IMU가 개최함. 1897년 스위스 취리히에

서 개최된 이후 1, 2차 세계대전 기간을 제외하고 개최되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해서 이룩한 수학적 성과를

발표하고 수학의 진보를 논하는 교류의 장으로 수학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즈상을 수상함.

3) 나절의 내용은 대한수학회의 70년, KMS 홈페이지 http://www.kms.or.kr/ 에서 요약 정리함

4) www.quantamagazine.org/a-path-less-taken-to-the-peak-of-the-math-world-20170627/

5) http://www.ams.org/profession/fellows-list

6) http://www.ibs.re.kr/eng/sub02_04.do 와 http://www.ibs.re.kr/eng/sub02_06.do 참조

7) Web of Science site http://apps.webofknowledge.com/WOS_GeneralSearch_input.do?product=

WOS&search_mode=GeneralSearch&SID=U2wILg3yXLHPMXFXuCr&preferencesSaved= 내 Jour

nal Citation Reports

8) http://new.kcsnet.or.kr/

9) http://www.kucst.org/

10) https://bkplus.nrf.re.kr/

Page 6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6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제2장│

Page 6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6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49

제2장 ❚ 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제1절 우주・항공

우주・항공 분야는 기술적으로 공통점이 많지만 개발 활동 및 정책 측면에서는 상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주 분야의 경우 기술과 시장에 대한 위험이 크기 때문에 대개 정부 지원의

연구개발이 많고, 공공 자금으로 개발된 기술을 전문 기업체가 이전받는다. 항공 분야의 경우

우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간 시장이 크고 연구개발이 활발한 편이다.

먼저 항공기술은 1903년 라이트형제의 동력비행 성공 이후 눈부신 발전을 이룩했다. 특히

저항을 줄이는 항공기 외형 설계기술, 가벼우면서도 안전한 기체구조물의 최적 설계기술, 효율적

인 엔진 기술, 비행자동화와 안전 확보를 위한 항공전자기술 및 정보통신기술 등이 언급될 수

있겠다. 일제 치하에서 해방한 후 산업이 제자리를 찾기도 전에 다시 625 동란으로 인해 산업기

반이 초토화된 상황에서 항공우주분야에서의 연구개발은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1970년

대에 들어 군용기 창정비등 항공기 정비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해외 업체로부터 수주

받은 일부 항공기의 부품류를 단순 제작하면서 관련 산업체들이 제작기술 능력부터 키우게 된다.

1978년에 제정된 「항공 공업 진흥법」을 통한 전문 업체 지정은 항공 산업체 활성화의 기반

을 조성했고 1980년 전후에는 휴즈의 500MD 헬리콥터, 노스롭의 F-5E/F 조립 생산이 진행

되면서 좀 더 체계적인 기술 축적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1987년에는 기존의 「항공

공업 진흥법」을 개정하여 국가가 처음으로 우주비행체에 관심을 보이면서 분야별 전문 업체

양성정책으로 경쟁체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항공 우주 산업 개발 촉진법」을 공포하였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 삼성, 대우, 현대 등 대기업들의 적극적인 우주・항공 산업 참여가 유도되

었고 관련한 부품소재, 전기전자, 기계 산업체들에 의한 우주・항공 분야 투자도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정부에서도 우주・항공 산업 진흥을 위해 제정된 관련법에 의거하여 우주・항공 산업

체들의 기술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조립생산 및 면허생산의 기회를 조성하기 시작했다.

1990년에는 육군이 사용하고 있던 UH-1의 차세대 기종으로 중형급 기동헬리콥터인

Page 6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0

UH-60을 면허생산하여 110여대를 배치하게 되었고, 1991년에는 F-16 전투기 120대를 공군

의 차세대 전투기로 확정하고 완제품 구매, 조립생산, 그리고 면허생산에 이르는 단계적 획득

정책을 마련하고 당시로는 엄청난 금액인 52억 달러를 투입하여 전투기 개발 기술의 습득

기회를 마련하였다. 이들 면허생산 과정을 통해 우리의 항공 산업체들은 항공기 전체 시스템을

좀 더 깊게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고 이어지는 자체 설계 기종의 연구개발에 물꼬를

트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88년부터 대한항공 등이 연구조합을 결성하여 과학기술처의 

국책과제로 5인승 프로펠러 경항공기 창공-91을 개발하여 1991년 시험비행을 성공적으

로 수행한 것이 자체 기종 개발의 시작이다. 그 이후 KT-1초등훈련기, T-50 훈련기, KUH

기동헬기 등의 개발이 국가의 지원으로 이루어지고 현재에는 8조 7천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들여 KFX 차세대 중급전투기 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우주 기술은 대기권을 뚫어야 하는 로켓에서부터 최고 수준의 경량화 기술을 요구하는 위성체

에 이르기까지 항공기술과 유사한 면이 많아 항공기술의 발전이 우주분야로 이전되어 시너지를

키워 왔다. 대한민국의 우주기술 개발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의 설립을 통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89년 10월 10일 「항공 우주 개발 촉진법」 제17조에 따라 한국기계

연구소 부설로 창원에 설립되었던 항공우주연구소는 이후 대전으로 이전하여 1996년 11월

15일에 재단법인으로 독립했다가 후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 개칭되었다. 1990년대의 과학

로켓, 2000년대의 나로호 개발을 통한 로켓기술 연구개발, 그리고 아리랑 저궤도 인공위성,

천리안 정지궤도위성 등의 성공적인 개발과 궤도 운용을 통해 우주기술 선진국화의 기반을

닦아 가고 있다. 현재에는 2조원의 예산이 지원되는 한국형 발사체 사업과 총 2조원에 가까운

인공위성 개발 사업으로 2대로 이루어진 정지궤도 복합위성 개발사업, 아리랑 6,7호 위성 개발

사업 등이 정부로부터 전액 지원되고 있는 등 우주개발이 활기를 띠고 있다.

정부는 2010년 「항공 산업 발전 기본계획」을 세워 2020년까지 「항공 산업 Global 7 계획」

을 추진 중이고, 2013년 말에 국가우주위원회를 통과한 「우주 개발 중장기 계획」을 통해

2040년까지의 로드맵을 제시했으며 우주 분야 역시 세계 7대 우주강국을 꿈꾸고 있다.

1. 우주・항공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행정 및 지원체계의 변천

우리나라는 1992년 실험용 소형 과학 위성인 우리별 1호를 시작으로 우주 개발 사업이

Page 6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51

전개되었다. 1999년에는 국내 최초의 실용 위성인 다목적 위성 아리랑 1호가 발사되었다.

이후 아리랑 후속 시리즈, 과학기술 위성, 통신・해양・기상 위성 천리안, 우주 발사체 나로호

등 우주 부문의 개발 계획이 지속되었다. 그 과정에서 우주 개발을 위한 효율적인 추진 체계가

만들어졌고, 우주 관련 연구개발을 진흥하고 육성할 법적 근거가 수립되었다.

[그림 2-1] 우주 개발 정부 추진 체계

우주는 국제법에 해당하는 「유엔 우주 조약」에 따라 특정 주권이 미치지 못하는 공간이다.

우주는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 규정되어 특정 개인이나 국가의 소유가 허락되지 않는다. 다만

우주 활동으로 인한 사고에 대해서는 국가가 배상책임을 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우주물체

등록, 발사 등 우주 활동을 관리하고 감독하기 위한 국내법이 제정될 필요가 있었다. 이를

뒷받침하는 법이 2005년에 제정된 「우주 개발 진흥법」이다.

우리나라에서 우주 개발 지원 체계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는 국가우주위원회다. 국가우주위

원회는 우주 개발 사업의 연구개발, 인력, 산업, 정보화 등에 대한 총괄기획・조정을 맡는다.

또한 부처 간 관련 업무 조정 등 국가 우주 개발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최종심의・의

결 기능을 가진다. 국가우주위원회는 우주 개발과 관련된 각종 기관장과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2016년 7월 기준 국가우주위원회는 위원장(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정부 위원(기재・외교・국

방・산업・국토・환경・해수부・안전처・기상청 등 차관급) 10명, 민간 위원 4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Page 6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2

<표 2-1> 국내 우주 개발 주요 정부 기관 역할

구분 관 련 기 관 역 할

위성 분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실용급 위성 개발 및 위성운용

- 위성 관제 및 운용

- 위성 우주환경 시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통신위성 탑재체 및 지상관제 기술 개발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소형 과학위성 개발 및 인력 양성

국방과학연구소 - 군사용 탑재체 기술 개발

우주 발사체 분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과학 로켓 및 위성발사용 발사체 개발 등 액체 로켓 개발

위성 활용 분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영상 총괄 관리

- 위성 영상 처리(표준화 등) 및 배포

국가기상위성센터 - 기상위성 운영 및 활용 기술 개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해양위성 활용 및 해양감시체계 구축 연구

농림수산식품교육

문화정보원- 위성영상 활용 스마트 팜 맵 구축

국립산림과학원 - 산림지도 제작 등 위성 정보 활용 기술 개발

기초연구 분야 한국연구재단 - 우주 핵심 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기초・응용 기술 개발 지원

아울러 국가우주위원회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기구로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가 있다.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는 우주 개발과 관련된 시행 계획의 심의를 위해 구성되는데, 미래창

조과학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고 관계 부처 국장급 공무원,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다(과학기술부,

2006, p.89). 또한 국가 우주 개발 사업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우주 개발 전문기관을 지정할

수 있게 하였다. 지난 2016년 12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제1호 우주 개발 전문기관으로

지정된 바 있다. 그 외에도 「우주 개발 진흥법」 16조 등에 의해 우주사고가 발생한 경우 이를

조사할 우주사고조사단을 구성・운영할 수 있다.

「우주 개발 진흥법」의 제정에 따라 우리나라는 인공위성, 우주 발사체 등 우주 물체 등록과

발사 허가에 관한 규정을 둠으로써 「유엔 우주 조약」 등의 국제법을 준수한다. 또한 이 법에서

는 정부가 우주 개발을 위해 5년마다 「우주 개발 진흥 기본계획」과 「위성 정보 활용 종합계획」

을, 그리고 10년마다 「우주 위험 대비 기본계획」을 수립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2007년 12월 21일에는 「유엔 우주 손해 책임 협약」을 이행하기 위해 「우주 손해 배상법」이

제정되어 2008년 6월 22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우주 손해 배상법」은 우주 손해가 발생한

Page 6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53

경우 손해 배상 범위와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피해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지속가능한

우주 개발 사업을 보장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우주 분야의 연구개발 사업은 1990년대 초 과학기술부가 추진한 특정 연구개발 사업의

하나로 시작되었다. 인공위성, 발사체, 우주센터 등 대부분의 대규모 사업은 특정 연구개발

사업 내의 우주 개발 사업으로 분류되었고, 일부는 국가 지정 연구실 사업의 국가 지정 연구실,

특성화 장려 사업의 전문연구정보센터로 선정되어 지원되었다. 2016년 현재 우주 개발 사업

예산 배분 구조는 일반적인 정부 R&D 예산 배분과 조정을 실시하면서 조정 체계 및 절차를

따르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정부 R&D 예산 투자방향을 설정하고 주요 R&D 사업에 대한

예산 배분・조정을 실시하면, 기획재정부가 정부 재정 수요 등을 감안하여 미래창조과학부의

예산 배분・조정 결과를 반영한 정부 R&D 예산을 편성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공공 부문에서 위성 정보 활용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2015년부터 위성

정보활용 협의체를 중심으로 위성 정보 지원 및 위성 정보 생산 기술 개발 등을 강화하고

있다. 협의체 수요의 고부가 위성 정보 생성・검증 및 자료제공, 협의체 운영 지원 시스템 개발

및 교육지원, 다중위성 정보 융・복합 공공 활용 기술 개발 등을 하고 있는 것이다(미래창조과학부,

2016, p.40).

[그림 2-2] 항공 연구개발 정부 추진 체계

한편 항공 분야 연구개발을 위한 정부의 추진 체계는 다음 그림과 같이 여러 부처의 협력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국방 분야에서는 「중기 기본계획」(2017~2021)에 의해 방위사업청 소속

Page 6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4

국방과학연구소가 무기체계 등 국방 항공기술 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민수 분야에서는 산업

통상자원부가 「항공 우주 산업 개발 촉진법」에 의거한 「항공 우주 산업 개발 기본계획」

(2010~2019)에 따라 항공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무인 이동체 미래 선도

핵심 기술 개발 사업 등 미래 원천 핵심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는 「항공법」

에 의한 「제2차 항공 정책 기본계획」(2015~2019)에 따라 항공안전, 공항개발, 항공교통 안전

관리・서비스 등을 종합하고 체계화하고 있다.

국방 관련 연구개발은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하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민간 분야의 항공

기 관련 기초 핵심 기술, 시험 평가 등 연구개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항공기 운항 및 이와

관련된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은 항공안전기술원이 주관하고 있다.

항공 분야의 발전을 위한 법제도로 「항공 우주 산업 개발 촉진법」이 있다. 이 법은 1987년

항공 우주 산업을 합리적으로 지원・육성하고 항공 우주 과학기술을 효율적으로 연구・개발함으

로써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 생활의 향상에 이바지한다는 취지로 제정되었다. 이

법은 그 이전에 있던 「항공 공업 진흥법」을 폐지하고 제정되었는데, 이후 2015년 1월까지

18차례 개정되었다.

<표 2-2> 항공 연구기관 역할 분담

관련기관 역 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기초 핵심 기술 개발

- 항공기 체계 종합 개발

- 항공기 관제/운항 및 안전 관련 기술

국방과학연구소- 군용 항공기 핵심 기술 개발

- 군용 항공기 체계 종합 개발

항공안전기술원- 사고예방 등 항공기 운항안전 기술

- 항공기 인증 및 항행안전시설 성능 적합성 증명 등

「항공 우주 산업 개발 촉진법」에 의하면 정부는 항공 우주 산업의 개발을 위해 그 목표

및 방향, 추진 체계 및 전략, 추진 계획, 연구개발을 위한 종합 연구 체제 및 연구개발 예산에

관한 사항 등을 포함한 「항공 우주 산업 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또 항공 우주 산업

육성을 위해 여객용・화물용 항공기 및 무인 항공기 개발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정부는 항공

우주 산업 특화 단지의 지정・지원할 수 있으며, 항공 우주 산업의 육성, 항공 우주 과학 기술의

연구개발 및 이와 관련된 전시회의 개최・운영을 위해 장기 저리 자금과 연구 개발비 등을

Page 6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55

지원할 수 있다. 또 항공기 등의 연구개발이나 생산을 위해 국유 시설이나 기기 등을 유상

또는 무상으로 대부・양여 또는 사용・수익하게 할 수 있다.

「항공 우주 산업 개발 촉진법」에 규정된 사항의 준수를 위해 정부는 항공 우주 분야의 기본계

획 및 그에 따른 주요 정책을 수립하고 각 부처 간 업무 조정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소속으로 항공우주산업개발정책심의회를 두고 있다.

나. 정책 및 사업의 변천

우리나라 우주 개발은 1996년 4월 한국 최초로 수립된 국가우주 개발 계획인 「우주 개발

중장기 기본계획」으로부터 본격화되었다. 이 계획은 국가 우주 개발의 비전과 목표를 담고 있으

며 국가 차원에서 우주 개발 기술 역량을 결집시키는 종합계획이었다. 이후 「우주 개발 중장기

기본계획」은 우주 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변화하는 국내외 여건에 대응하고 보다 현실성

있는 목표로 조정되어 1998년, 2000년, 2005년에 3차례 수정되었다. 2013년 11월에는 2040

년까지의 장기적인 국가 우주 개발 비전을 담은 「우주 개발 중장기 계획」이 수립되었다.

<표 2-3> 국가 우주 개발 계획 변화

국가 우주 개발 계획 주요 내용

◦ 「우주 개발 중장기 기본계획」 수립

(종합과학기술심의회, 1996. 4.)

- 2015년까지 총19기의 위성체 개발

- 과학 로켓 및 우주 발사체 개발

◦ 2005년까지 국내 기술에 의한 저궤도 위성

및 발사체 개발

◦ 2015년까지 우리나라 우주산업 세계

10위권내 진입

◦ 「우주 개발 중장기 기본계획」 1차 수정(안) 의결

(과학기술장관회의, 1998. 11.)

- 독자 위성 발사 시기를 2005년으로 변경

◦ 2005년까지 국내 기술에 의한 저궤도 위성

및 발사체 개발

◦ 2015년까지 우리나라 우주산업 세계

10위권내 진입

◦ 「우주 개발 중장기 기본계획」 2차 수정(안) 의결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0. 12.)

- 2015년까지 총 20기의 인공위성 개발

- 단계별 우주 발사체 개발 및 우주센터 건설

◦ 2005년까지 소형 위성 자력발사 능력 확보

◦ 2010년까지 저궤도 실용 위성 및 발사체

자력개발

◦ 2015년까지 우주산업 세계 10위권 내 진입

◦ 「우주 개발 중장기 기본계획」 3차 수정(안) 의결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5. 5.)

- “국내 발사장에서 우리가 개발한 위성을 우리

발사체로 발사한다”는 목표를 당초

2005년에서 2007년으로 조정

- 다목적실용 위성 개발 일정 조정

◦ 핵심 우주기술 개발로 독자적 우주 개발 능력 확보

◦ 우주산업의 세계 시장 진출을 통한 세계 10위권

진입

◦ 우주 공간의 영역 확보 및 우주 활용으로

국민 삶의 질 향상

◦ 성공적 우주 개발을 통한 국민의 자긍심 고취

Page 7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6

또한 우주 분야의 산업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2013.11.), 위성 정보

의 활용을 다각화・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략을 담은 「위성 정보 활용 종합계획」(2014.5.), 우주

물체 추락 등의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우주 위험 대비 기본계획」(2014.5.) 등 분야별 계획도

추진되고 있다. 각각의 우주 개발 관련 계획들에 대해 정부는 매년 시행 계획을 수립하여

연도별 실천 내용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을 정립하고 있다.

항공 산업 분야의 경우, 「항공 우주 산업 개발 촉진법」에 의해 「항공 우주 산업 발전 기본계

획」을 수립하도록 되어 있다. 1999년 최초로 해당 계획이 마련되었으며, 2010년 「항공 산업

국가 우주 개발 계획 주요 내용

◦ 「제1차 우주 개발 진흥 기본계획」 의결

(국가우주위원회, 2007. 6.)

- 2007년 저궤도 소형 위성 자력발사계획 지연,

다목적실용 위성 및 통신・해양・기상 위성

개발일정 조정으로 기존 「우주 개발 중장기

기본계획」을 「우주 개발 진흥법」에 규정된

「우주 개발 진흥 기본계획」으로 수정・보완

◦ 우주 개발 사업의 진흥시책 강화

◦ 우주 개발 결과의 활용 촉진

◦ 우주 개발 기반 확충

◦ 우주 개발 인력 양성 및 인프라 확충

◦ 우주 개발 선진화를 위한 국제협력 확대

◦ 우주물체의 이용・관리 체제 정비

◦ 「제2차 우주 개발 진흥 기본계획」 의결

(국가우주위원회, 2011. 12.)

- 제1차 기본계획의 추진실적을점검하고,

국내・외 동향 반영

- 우주강국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 확보 등 종합 추진

◦ 우주핵심 기술의 조기 자립화

◦ 위성 정보의 활용 확대를 위한 체제 구축

◦ 우주산업 역량 강화를 위한 민간참여 확대

◦ 우주 개발 활성화를 위한 인력 양성 및

인프라 확충

◦ 「우주 개발 중장기 계획(안)」 의결

(국가우주위원회, 2013. 11.)

- 2013년~2020년까지의 구체적인 계획

수립과 동시에 ’40년까지의 우주 개발 비전

및 목표를 제시함으로써 정책의 일관성 확보

◦ 정부 R&D 예산대비 우주예산 비중 지속 확대

◦ 한국형 발사체 개발을 통한 자력발사능력 확보

◦ 민간참여 확대를 통한 인공위성의 지속적 개발

◦ 선진국 수준의 우주 개발 경쟁력 확보

◦ 「우주 기술 산업화 전략(안)」 의결

(국가우주위원회, 2013. 11.)

- 우주산업 강국 도약으로 국가 미래성장동력

창출 및 창조 경제 실현 기여

◦ 2017년까지 인공위성 5기 수출

◦ 우주분야 전문 벤처창업 확대

◦ 우주산업 확대를 통한 신규 일자리 창출 확보

◦ 「위성 정보 활용 종합계획(안)」 의결

(국가우주위원회, 2014. 5.)

- 위성 정보 3.0 실현으로 국민편익 국대화 및

우주분야 창조 경제 실현

◦ 공공 부문 위성 정보 활용 확대

◦ 위성 정보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고부가 신시장

창출

◦ 다중위성 정보 관리・활용 역량 강화

◦ 「우주 위험 대비 기본계획(안)」 의결

(국가우주위원회, 2014. 5.)

- 우주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안전과 우주 자산 보호

◦ 우주 위험에 대한 신속한 대응 및 예・경보

◦ 우주 위험 감시・분석 능력 확보

◦ 우주 위험 대비 역량 강화와 저변 확대

Page 7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57

발전 기본계획(2010~2019)」이 발표되었다. 이 계획에 의거한 연구개발 기획과 사업들은 항공

우주산업 개발정책심의회에서 심의 및 의결된다.

<표 2-4> 「항공 산업 발전 기본계획」 목표의 변화

중장기 계획의 변화 내용 장기 목표

◦ 「항공 우주 산업 개발 기본계획」 수립

(항공우주산업개발정책심의회, 1999.4.)

- 정책심의회 및 운영위원회 정례화 방안

- 분과위원회 설치・운영방안

- 개발 사업 및 육성지원시책별 세부 추진방안 등

◦ 중대형 항공기의 주요 부품 생산기지화

◦ 중소형 항공기(30~100석급) 생산국가로 도약

◦ 전투기, 헬기 등의 독자개발 능력 확보로

자주국방 기틀 마련

◦ 「항공 산업 발전 기본계획(2010~2019)」

(항공우주산업개발정책심의회, 2010.1.21.)

- 항공산업의 특성(개발 주기 및 투자회수기간

장기)을 감안, 계획 수립기간을 10년으로 설정

◦ 2020년 생산 200억 달러, 수출 100억 달러

달성을 통한 ‘항공 산업 Global 7 도약’

- 민항기 등 완제기 수출국으로 도약

- 항공기업 300개, 고용 70,000명 달성

2. 우주・항공 R&D 주요 성과

우주・항공 분야에서 우리나라는 선진국보다 30~40년 늦게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우주・항공 분야는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투자해 괄목할만한 성과

를 이뤘다고 볼 수 있다. 1980년대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989년 설립)과 한국과학

기술원(KAIST) 내 인공위성연구센터를 설립해 국가우주 개발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1990년

대부터는 우주 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1, p.66).

주요 성과를 보면,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는 1992년 국내 최초로 50kg급 소형

실험 위성인 우리별 1호를 발사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인공위성 보유국으로 진입했다. 한국

항공우주연구원(KARI)에서는 1999년 460kg급 다목적 실용 위성 1호를 개발해 본격적인 실용급

지구 관측 위성 기술을 획득하기 시작했다. 로켓 분야에서는 1993년 소형 과학 로켓(KSR-I)과

1999년 중형 과학 로켓(KSR-II) 개발에 성공하며, 발사체 고체 로켓 기초기술을 획득했다.

2000년대는 우주 개발의 기초 원천 기반을 강화한 시기로, 2003년 과학기술 위성 1호,

2006년 다목적 실용 위성 2호를 개발해 위성 기술과 성능을 향상시켰다. 또 2002년에 액체

추진 과학 로켓(KSR-III)의 개발로 액체 로켓에 대한 기초기술을 획득했다.

2010년대에 들어서자 우리나라는 우주 개발 신흥국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2010년 천리

안 위성 발사로 정지 궤도 위성 보유국에 진입했다. 2012년 다목적 실용 위성 3호(광학),

Page 7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8

2013년 다목적 실용 위성 5호(레이더), 2015년 다목적 실용 위성 3A호(적외선)를 개발해

발사했다. 이를 통해 위성영상의 다양화와 다중 위성 운영에 돌입했다. 특히 2013년 나로호

(KSLV-I) 발사의 성공으로 우리나라도 우주 발사국의 대열에 합류했다.

2016년 현재 한국의 우주 항공계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우주 개발 선진국 진입에

도전하고 있다. 우선 한국형 발사체 개발로 실용 위성 발사 능력 확보를 추진하는 한편 달

탐사 사업으로 우주 개발 분야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다음으로, 항공기 분야는 일반적으로 ① 도입 항공기의 창정비, ② 조립・면허생산, ③ 부품

국산화와 생산, ④ 국제 공동 개발 참여, ⑤ 독자개발 같은 전형적인 개발 단계를 거친다.

우리나라도 이 같은 개발 단계를 거치며 항공산업을 발전시켰다(안동만, 2013, p.12).

우리나라 항공산업은 1955년 L-19 정찰기 창정비를 시작으로 1970년대 초까지는 C-130

수송기・군용기 등을 정비하는 수준이었다. 1970년대 중반에 처음으로 미국 휴즈의 소형 헬리

콥터 면허생산을 시작했다. 1980년대에는 미국 노스롭의 F-5 E/F 전투기 공동생산에 나섰다.

특히 1980년대 중반부터는 미국 보잉 같은 민항기 제작사로부터 수주 받아 여객기 기체 구조

물을 국내에서 생산해 수출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우리나라는 항공기 연구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기 시작했다. 군수 부문

은 주로 국방 무기 체계 획득 차원에서 추진했다. 500MD 헬리콥터, F-5E/F 전투기, UH-60

헬리콥터, KF-16 전투기에서 기술을 도입해 생산하는 과정을 거치며 기술을 습득했다. 그리고

KT-1 기본 훈련기와 같이 상대적으로 기술 수준이 낮은 항공기와 T-50 고등훈련기 같은

중급 기종을 개발하며 기술 수준을 향상시켰다.

민수 부문은 보잉과 에어버스 같은 민간 항공사에 항공 부품을 가공하고 제작해 납품하면서

규모를 키워가며 산업을 성장시켰다. 동시에 소형 프로펠러기인 창공 91, 반디호를 개발하며

항공기 체계와 기술 획득을 위한 연구개발도 병행했다. 2011년에는 틸트로트형 스마트 무인기

개발에 성공했다. 그리고 787, A350, GENx 엔진 같은 대형 항공기와 엔진에 대한 국제

공동 개발에도 적극 참여했다.

가. 우주 분야 성과

1) 위성체 분야의 우주 연구개발 성과

소형 위성 분야에서는 과학적 임무를 위해 우리별 위성 시리즈와 과학기술 위성 시리즈의

Page 7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59

개발을 추진했다. 현재는 차세대 소형 위성 사업을 통해 관련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별

1호는 위성 분야 기술 인력 양성과 우주 기초기술 확보 차원에서 한국과학기술원이 영국 서리

대의 기술을 전수받아 제작한 50kg급 소형 인공위성이다. 이후 1993년에 2호, 1999년에

3호 위성을 자체적으로 개발해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과학기술 위성 개발 사업은 우주과학 실험과 위성 기술 개발을 목표로 추진했다. 과학기술

위성 1호는 1998년 10월부터 개발에 돌입했다. 2002년 10월부터 개발을 시작한 과학기술

위성 2호는 2009년과 2010년 나로호를 이용해 두 차례 발사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2013년

나로호 3차 발사 성공 시에는 과학기술 위성 2호 대신에 기능을 축소한 나로 과학위성을 활용

했다. 하지만 2013년에 150kg급의 과학기술 위성 3호를 발사해 적외선 영상 시스템 관련

탑재체 기술을 시현했다.

최근에는 차세대 소형 위성 개발 사업을 통해 기존의 우리별 위성과 과학기술 위성의 다음

시리즈로서 한 단계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2017년에는 기존 위성을 한 단계 높인

차세대 소형 위성1호를 발사할 예정이다. 이러한 소형 위성 개발 사업 목적은 위성본체와

탑재체에 대한 핵심 기술의 연구개발과 시험에 있다. 또 우주환경 관측과 우주과학 실험을

통해 우주과학기술 습득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인공위성 관련 기술에 대한 이론과 실무 경험을

갖춘 고급 연구개발 인력을 양성하는 데 있다. 차세대 중형 위성 사업은 다양한 공공 부문의

위성 정보 수요에 대응하고, 국가 위성산업 육성과 수출 산업화를 위해 새롭게 추진 중이다.

500kg급 중형 위성 표준 플랫폼을 개발해 개발 비용과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확보한 경쟁력으로 세계 위성시장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차세대 중형

위성 사업은 1단계 사업으로 2020년까지 정밀 지상 관측용 2기를 개발할 계획이다.

정부는 우주와 위성 관련 기술이 첨단과학 기술의 복합체로 21세기 첨단산업을 주도하게

될 분야로 판단했다. 이런 배경에서 정부는 다목적 실용 위성 개발 사업을 1993년 7월 「신경제

5개년 계획」의 중점 과제로 ‘2000년대 우주기술 세계 10위권 진입’을 목표로 추진했다. 그리

고 1994년 5월 종합과학기술심의회에서 다목적 실용 위성 개발 사업을 추진키로 의결했다.

같은 해 8월 국내 부분체 개발 주관기관을 선정하고, 1999년 다목적실용 위성 1호를 성공적으

로 발사했다.

그 뒤를 이어 국내 주도로 고성능 카메라를 탑재한 다목적 실용 위성 2호를 성공시켰다.

또 고해상도 카메라를 탑재한 3호, 전천후 지상관측이 가능한 5호를 개발해 우주에 성공적으로

안착시켰다. 아리랑 3호 위성으로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4번째로 상용 서브미터급 광학 영상을

Page 7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60

제공하고 있다. 또 아리랑 5호 위성으로 세계에서 5번째로 레이더 영상(SAR)을 제공하고 있다.

아리랑 3A호 위성은 세계 최초로 고해상도 중적외선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정지 궤도 위성 개발 사업은 「우주 개발 중장기 기본계획」을 수정함에 따라 2000년 12월

통신・방송・기상 위성 개발 계획으로 수립됐다. 그리고 2002년 11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통신・해양・기상 위성 개발 계획」을 확정했다. 2002년 5월부터 1년간 진행한 통신・해양・기상

위성 선행 연구를 통해 2003년 8월 정부는 통신・해양・기상 위성 개발 사업 추진위원회에서

세부 추진 계획과 공동 운영 규정을 심의하고 의결했다. 2003년 9월에는 과학기술부와 해양수

산부, 기상청 등 각 정부 부처와 협약을 체결했다.

[그림 2-3] 국가 인공위성 개발 로드맵(1999년~2020년)

자료: �우주 개발 중장기 계획(2014~2040)�

통신・해양・기상 위성은 해양 환경 보존과 해양 수산 자원 관리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 우리나라 기상 위성을 확보해 30분 안에 급변하는 재해 기상과 국지적 기상

예보에 대한 정확도를 높여 기상재해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한다. 2010년 통신・해

양・기상 위성인 천리안 위성을 보유해 세계 최초로 정지궤도 해양위성과 세계 7번째 기상

위성 보유국 지위를 획득했다. 현재는 기상과 해양, 환경을 관측할 수 있는 정지 궤도 복합

위성인 천리안 2호 2기를 개발하고 있다. 정지 궤도 복합 위성 2A에는 기상 탑재체와 우주기상

탑재체를 탑재해 2018년에 발사할 예정이다. 정지 궤도 복합 위성 2B에는 해양 탑재체와

환경 탑재체를 탑재해 2019년에 발사할 예정이다.

Page 7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61

<표 2-5> 인공위성 개발 현황(2016년 기준)

위성 구분개발 완료(13기)

개발 중 (6기) 비고운영 종료 (7기) 운영 중 (6기)

저궤도

관측위성

(고도500

~700km)

소형위성

(0.1톤)

우리별 1, 2, 3호,

과학기술 위성 1,

2호, 나로과학위성

과학기술 위성 3호차세대 소형 위성1호

(2017년 발사)

중형위성

(0.5톤)- -

차세대 중형 위성1호

(2019년 발사),

2호(2020년 발사),

다목적

실용위성

(1톤)

다목적실용 위성1호다목적 실용 위성2,

3, 3A, 5호

다목적 실용 위성6호

(2019년 발사)

정지 궤도 위성(3톤)

(고도 36,000km) - 천리안 위성

정지 궤도 복합 위성

2A(2018년 발사),

2B(2019년 발사)

출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내부자료�.

2) 우주 발사체 분야의 연구개발 성과

발사체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은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했다. 1993년 1단형 고체 추진

과학 로켓(KSR-I)을 개발해, 같은 해 6월 4일과 9월 1일 발사에 성공했다. 이어서 2단형

고체 추진 과학 로켓인 중형 과학 로켓(KSR-II)을 개발해 1997년 7월 9일과 1998년 6월

11일 발사에 성공했다. 이후 국내 최초로 액체 추진 과학 로켓(KSR-III)을 개발해 2002년

11월 28일 발사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은 2013년 1월 30일에 100kg급 위성을 저궤도에 올릴 수 있는

한국 최초의 우주 발사체인 나로호(KSLV-I) 발사에 성공했다. 2009년 8월 1차 발사와 2010

년 6월 2차 발사 실패 후 3차 발사에서 성공한 것이다. 나로호(KSLV-I)는 2002년 액체 추진

과학 로켓 발사 시험을 통해 획득한 발사체 필수 기술인 추력 벡터 제어, 추력기자세 제어,

관성 유도 제어, 킥모터 같은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현재는 1.5톤급 실용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한국형 발사체를 개발하고 있다. 한국형 발사체는

총 7단계1)의 발사체 개발 과정 중에서 네 번째 단계인 상세 설계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다양한 발사체 서브시스템인 구조, 전자탑재, 제어 등도 개발하고 있다. 또 한국형 발사체 엔진은

6단계2)의 액체 엔진 개발 과정 중에서 세 번째 단계인 엔진 초기모델을 시험하고 있다.

Page 7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62

<표 2-6> 발사체 개발 현황(2016년 기준)

KSR-I KSR-II KSR-IIIKSLV-I

(나로호)

KSLV-II

(한국형 발사체)

목적

1단형 무유도

과학 관측로켓

국산화 개발과

한반도 오존층

탐사

초기자세제어

기능을 갖춘

2단형 고체추진

과학관측 로켓의

국산화 개발

액체 추진로켓

독자 개발과 소형

위성 발사체

개발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

100kg급

인공위성을

지구저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발사체 개발과

독자개발 기술과

경험 확보

1.5톤급 실용

위성을

지구저궤도에

(600~800km)

진입시킬 수 있는

발사체 개발과

우주 발사체 기술

확보

1

호기1993.6.4. 1997.7.9.

2002.11.28.

2009.8.25. 2019.12. 예정

2

호기1993.9.1. 1998.6.11. 2010.6.10. 2020.6. 예정

3

호기- - 2013.1.30.

특징

- 1단형 고체추진

과학 로켓

- 2단형 고체추진

과학 로켓

- 비행 중 2단

분리 성공

- 국내 최초 액체

추진로켓 독자

개발 성공

- 나로호 개발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

- 국내 최초 위성

발사체 개발

- 한・러 공동개발

-러시아 기술

협력을 통한

체계기술 확보

- 국내 최초의 실

용 위성급 위성

발사체 개발

- 국내 독자 개발

- 75톤급 액체엔진

개발

출처: 한국항공우주연구원(20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내부자료�.

3) 우주인 배출 성과

우주인 배출 사업은 2008년 4월 한국 최초의 우주인이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을 통해 국제우

주정거장에서 우주 활동과 과학 임무를 수행한 사업이다. 최초의 우주인 후보를 2006년 12월

에 선정했다. 선발된 2인의 한국 우주인은 2007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우주정거장의

승무원에게 필요한 기초 훈련과 고등 훈련을 받았다. 2008년 4월 이소연 씨는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에 탑승해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일주일 정도 체류하며 한국 최초의 우주인이 됐다. 그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과학 실험과 과학 홍보, 지상과의 교신, 우주활동 중계 등을 수행한 뒤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기지로 귀환했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0, pp.91~96).

4) 달 탐사

우리나라는 2013년 「우주 개발 중장기 계획」, 박근혜 정부의 국정 과제를 통해 2018년

Page 7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63

달 탐사 시험 궤도선 개발, 2020년 달 궤도선과 착륙선 개발 같은 달 탐사 계획을 수립했다.

1단계에서는 시험용 궤도선 설계와 제작, 발사와 운용, 심우주통신지상국 구축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2단계에서는 한국형 발사체를 활용해 달 궤도선과 착륙선을 독자 개발해 발사할

계획이다. 달 탐사는 관련 기술을 다른 산업 분야로 크게 파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브랜드 가치 상승과 국민의 자긍심 제고 같은 무형의 가치도 함께 창출하는 우주 프로젝트다.

나. 항공 분야 성과

우리나라 항공 산업은 군수 부문 위주로 성장했다. 197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까지

는 창정비와 면허 생산 위주로 단순한 생산 활동에 주력했다. 대한항공에서 경전투헬기

500MD와 전투기 F-5E/F, 수송 헬기 UH-60을 생산했고, 삼성항공에서 KF-16, 대우중공업

에서 정찰헬기 BO-105를 생산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국내 독자 모델 개발을 추진했다.

1993년에서 1998년까지 기본 훈련기인 KT-1을 독자 개발해 2006년까지 공군에 KT-1과

KA-1을 105대 납품했다. 1997년에서 2005년까지 고등 훈련기 T-50을 개발해 세계 12번째

로 초음속기를 생산하는 나라가 됐다.

[그림 2-4] 항공기 개발 성과

최근에는 산업 재편과 육성 정책을 통해 민수 부문과 수출 확대에 나서는 분위기다. 2000년

대 들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는 항공 산업의 구조조정과 부품, 소재 개발 같은

산업 육성 정책을 실시했다. 또 2006년 한국형 기동 헬기(KUH) 개발 사업에 착수해 2012년에

Page 7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64

1호기를 양산해 출고했다. 항공 부품 기술 자립화를 위한 연구개발(R&D)비도 2000년 30억

원에서 2009년 140억 원, 2015년 247억 원으로 크게 상승했다. 특히 세계 주요 항공기

제작업체인 보잉과 에어버스 같은 민항기 업체와 A350, B787 국제공동개발에 참여해 민수

부문에 대한 성장 발판도 마련했다.

[그림 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 개발 성과

2010년대는 항공기 수출 산업화 시대를 열며 항공기 신규 사업에도 착수한 시기다. 기본훈

련기 KT-1을 인도네시아에 17대, 터키에 40대, 페루에 20대 등 총 77대를 수출했다. 고등훈

련기 T-50은 인도네시아에 16대, 이라크에 24대, 필리핀에 12대, 태국에 4대 등 총 56대를

수출했다. 항공 안전 협정 체결(BASA)과 시범기 개발(KC-100)로 민항기 개발 기반도 확보했

다. 한국형 전투기(KFX) 사업과 소형 무장헬기(LAH), 소형 민수헬기(LCH) 연계 개발 사업에

도 착수했다.

민간 부문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1991년 소형 항공기 창공 91과 1992년 실험용급

경비행기 까치호, 1997년 쌍발 복합재료 항공기, 2003년 탐사용 소형 장기체공 무인기 두루미

등을 개발했다. 2001년 9월 21일에는 반디호로 이름 붙인 선미익 소형 항공기가 첫 비행에

성공했다. 2002년에는 틸트로터형 무인기인 스마트 무인기 개발에 착수했다. 그리고 2011년

에 충돌 감지와 회피, 자율비행 등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무인기가 성공적으로 하늘을

날았다. 또 2012년까지 한국형 헬기(KHP) 민군 겸용 핵심 구성품 개발에도 참여했다. 2013년

에 개발을 완료한 4인승 인증기(KC-100) 개발도 총괄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말에 중형 항공기 개발 사업을 추진하기도 했으나 협력 국가와의

이견 등으로 현재는 중단한 상태다. 최근에는 무인기뿐만 아니라 무인자동차와 선박 등을

총괄한 「무인 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을 바탕으로 무인기 관련 핵심 기술과 체계 개발에

나서고 있다.

Page 7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65

3. 우주・항공 분야의 미래 전망

지난 50년간 대한민국의 우주・항공 분야의 발전은 비록 시작은 늦었지만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과 다른 과학기술분야의 발전에 힘입어 상당한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항공 공업 진흥법」, 「항공 우주 산업 개발 촉진법」에서 부터 최근의 「항공 산업 발전 기본계

획」과 「우주 개발 중장기 계획」에서 볼 수 있다시피 정부의 강력한 지원 의지가 과학기술학계

그리고 산업계의 기술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우주 개발 분야의 경우 우리나라 정부는 1996년 「우주 개발 중장기 계획」을 시작으로 우주

개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우주 개발에 대한 강력한 정책 의지와

실행, 그리고 국민적 성원에 힘입어, 선진국과 비교하여 단기간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창출했

다. 이런 정부 주도의 일관된 사업 추진은 단기간에 선진국을 추격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2040년 로드맵에서 제시했다시피 인공위성의 자체 설계 능력 향상과 더불어 한국형 발사체

개발 사업이 순조로이 추진되어 KSLV-3, KSLV-4로 발전해 나가면서 전 세계 발사체 개발

패러다임인 로켓발사비용 대폭 저감에 개발 초점을 맞춘다면 10년 이내에 대한민국의 주요산

업분야로 성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세계 우주분야는 최근 신생 우주 기업들의 등장과 기존 업체들의 기술 혁신 등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민간 기업의 기술 역량 증대로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Elon Musk가

이끄는 Space_X, Amazon의 Jeff Bezos가 총력 투자하고 있는 Blue Origin, Richard

Branson이 적극 추진하고 있는 우주관광사업체 Virgin Galactic사 등은 미래에 예견되는

거대 우주산업을 선점하기 위해 자체 투자를 포함해 엄청난 금액의 개발비를 투자하면서 효율

적이며 재사용이 가능한 추진기관들을 개발하고 있다. 일단 저렴한 비용으로 우주공간으로

나아 갈 수 있는 길이 열리기 시작하면 준궤도 우주관광만이 아니라 저궤도, 정지궤도 관광

그리고 화성 거주사업까지 꿈꾸고 있다. 우주관광 사업은 시작일지 모른다. Jeff Bezos가

예언하듯이 가까운 미래에는 공해를 유발하는 많은 3D형 생산 제조 행위들이 대부분 우주에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한다. 여기에 더 나아가 태양궤도에서 태양광전지로 발전하여 지구로 무선

전송하는 우주기반 태양광 발전 산업, 지구에서 가까운 우주 공간의 소행성으로부터 귀금속을

채굴하려는 Space Mining 사업까지 다양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을 위시한 각국 정부들도 우주 개발 분야에서 기업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국가의 우주산업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Page 8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66

이 모든 사업들의 성패는 결국 저렴한 발사비용을 구현하느냐에 달려 있고 따라서 대한민국

의 발사체 개발은 우리가 미래 거대 우주 산업에 동참할 수 있을 것인지 여부의 주요한 열쇠를

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정부는 지난 5년간 한국형 발사체 개발 사업을 진행하면서 4,500억

원에 가까운 예산을 투입해서 로켓과 그에 사용되는 엔진을 개발하기 위한 최첨단의 시험시설

을 갖추었다. 전 세계 어느 나라도 근년에 이러한 시설을 갖춘 나라는 없을 정도의 수준이다.

다시 말하면 대한민국은 효율적이고 저렴한 경쟁력 있는 로켓엔진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고 있고 우리의 노력 여하에 따라 미래는 아주 밝게 열릴 수 있다는 것이다.

항공 분야도 밝은 미래를 전망할 수 있다. 현재에도 항공 산업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5000억

달러 전후의 대단히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물론 현재에는 이 거대한 시장의 대부분은

미국을 위시한 선진국들이 선점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도 국내 국방수요를 바탕으로 이미

초등훈련기에서부터 고등훈련기까지 훈련기 전 영역에 걸쳐 고유설계 기종을 확보하면서 이

분야의 경쟁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 여기에 현재 추진하고 있는 한국형 전투기 KFX 개발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한국의 전투기 기술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우리가 최신 중급 전투기의 개발에 성공하면 국내 수요만이 아니라

전 세계 수요를 고려한 수출시장 확대를 기대할 수 있고, 국제 정치적인 고려로 인한 최신

전투기의 판매 제한성이 상존하기에 어쩌면 한국형 전투기가 더 좋은 시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기동형 헬기(KUH)의 개발경험을 토대로 추진하고 있는 소형 민수 헬기(LCH)와 소형

무장 헬기(LAH) 개발 사업은 헬리콥터 분야에서의 경쟁력 확보에도 큰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헬리콥터가 비교적 제품 수명이 길다는 점을 감안 하면 향후 장기간 수출을 기대할 수

있는 국가 기간산업의 효자품목이 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T-50(TA-50)으로 2017년 예정된 미국 공군 노후 훈련기 교체 사업인

TX사업의 최종 입찰에 록히드마틴과 함께 참여할 계획이다. 1차로 훈련기 350대를 공급하는

총 금액이 10조 원 규모인 TX 사업에 선정된다면 국내 항공 산업이 한 단계 크게 성장할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그간의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가 빛을 발하는 순간이 되는 것이다.

그간 중형 항공기 개발 사업이 자리를 잡지 못했지만 민수 항공기 시장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서 좀 적은 소형 항공기와 비즈니스 항공기의 개발에 관심이 쏠리고 있으며

조만간 정부의 지원 계획이 도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민수항공기 분야는 시장이 협소한 우리나

Page 8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67

라 독자로는 경제성 확보가 쉽지 않으므로 국제협력을 통한 공동 투자 형태로의 개발 구상이

필요하겠다.

무인기 같은 미래 비행체 분야에서도 무인 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과 같이 여러 분야에서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무인기 운항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위협, 사생활 침해 같은 문제점 관리와 산업 육성을 위한 법과 제도도 마련하고

있다. 무인기 분야에 대한 실질적인 산업화 지원과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이러한 무인기 기술의 발전은 궁극적으로 현재의 자동차에 의한 2차원적인 이동을 3차원

적인 수준인 날아가는 자동차, 즉 개인용 항공기(Personal Aerial Vehicle, PAV)로 개화할

것이고 이렇게 되면 항공 산업의 규모는 지금의 2배 이상으로 확대 될 전망이다.

이상으로 바라본 바와 같이 우주・항공 분야의 발전 전망은 아주 밝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한국은 최근 들어 정밀기계, 전기전자, 통신, IT, 재료 등의 분야에서 이미 세계적인 수준이거나

세계 수준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우주・항공 인접 산업의 기술발전은 우주・항공기술의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는 것으로 지금까지의 정부 지원을 토대로 필요시에는 과감한 국제협력

을 통해서 연구 개발에 매진한다면 미래에는 우주・항공이 대한민국의 주요 산업 분야로 발돋움

할 것으로 전망할 수 있겠다.

제2절 해양

1. 해양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해양 과학기술 정책의 시작

해양 과학기술 정책은 1982년 한국과학기술원(KIST) 부설 해양연구소(KORDI)에 해양정

책연구실이 설치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물론 1973년 해양연구소가 출범할 당시부터

해양경제연구실 또는 해운항만연구실이라는 사회과학 분야의 조직이 있었지만, 이 조직은 국

가 해양 정책 또는 해양 과학기술 정책 연구 및 지원 업무보다는 해운 물류, 항만 건설에

관련된 타당성 연구를 주로 담당했다.

1982년 해양정책연구실 설치는 매우 의미가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 후에 국제

Page 8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68

사회에 등장하게 된 신생 독립국들은 UN 체제 하에서 기존 국제 질서를 새롭게 개편하고자

하는 열망을 가지고 있었는데, 해양 문제도 예외가 아니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 해양 과학기

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해양 자원의 이용과 배분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과 대립이 발생했고,

이는 새로운 국제 해양 질서를 마련할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였다.

이에 따라 1973년부터 「제3차 UN 해양법 회의」(UNCLOS)가 개최되어 10년에 걸친 논의

끝에 해양에 관한 헌법이라 할 수 있는 「UN 해양법 협약」(외교부 국제법률국, 2013, pp.1432~2060)이

채택되었는데, 이때가 1982년 12월이었다. 「제3차 UN 해양법 회의」 개최와 「UN 해양법

협약」의 채택으로 새로운 국제 해양 질서가 만들어졌으며, 세계 각국은 해양 공간 및 해양

자원 확보를 위해 치열히 경쟁하는 동시에 인류 생존과 관련된 해양 환경과 해양 생태계 보전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런데 이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양 과학기술력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주요 해양 선진국들과 신흥 개발도상국은 해양 과학기술력을 증진하기

위한 투자 및 정책 마련을 위해 노력하게 되었다.

해양정책연구실 설치는 이런 국내외 정세를 고려한 조치로서 해양 과학기술력을 바탕으로

하는 국가 해양 정책을 수립하고 관련된 연구 사업을 수행할 계기를 마련했다. 해양정책연구실

은 주변 해양의 관할권 확보와 관리, 그리고 공해와 심해저 및 남극 등 국제 공역의 해양・경제

영역 확대와 관련된 정책을 수립함으로써, 해양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 해양 정책

수립과 시행에 기여했다. 또한 과학기술 분야에서 정책 연구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된 것은 해양 분야의 사회과학 연구기관인 한국수산개발원(KMI) 및 해양 분야의 연구개발

관리 전문기관인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KIMST, 설립당시 명칭은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

원) 설립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심해저 광물 자원 개발 연구 사업(1982년~)과 남극 과학기지 건설・운영 사업(1988

년~), 남태평양 해양 과학 기지 건설・운영 사업(1998년~) 등은 국제 사회에서 해양 과학기술

선진국으로서의 우리나라 위상을 제고하는 데 기여했다.

나. 관련 법제의 변천

해양 정책의 수립 및 시행은 해양 과학기술적 기반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기에 그 특성을

고려하여 「해양 수산 발전 기본법」을 비롯한 해양 관련 다수의 법제들은 해양 과학기술 관련

조항들을 포함하고 있으며(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4), 2016년 12월에는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법」

이 제정되었다.

Page 8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69

<표 2-7> 해양 과학기술 정책 관련 법제 현황

법률명 제정 년도 관련 내용

「해양 개발 기본법」 1987- 해양개발 계획 수립

- 연구기관의 설치・육성(17조)

「해양 과학 조사법」 1995

- 외국의 대한민국 해양 관할권에서의 과학 조사 허가・동의

규율(제6조, 제7조)

- 해양 과학 조사의 장려(제20조) 및 해양 과학 조사 자료 공동

이용 체제(제21조)

「배타적 경제 수역법」 1996 - 대한민국 배타적 경제 수역에서의 해양 과학 조사 규율(제3조)

「연안 관리법」 1999

- 「연안 통합 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연안 관리 지역

계획」(제9조) 및 「연안 정비 계획」 수립(제21조)과 연안 해양

조사(제5조) 실시

「해양 수산 발전

기본법」2002

- 해양의 합리적 관리, 보전, 개발, 이용 그리고 「해양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제6조)

- 연구기관의 설치・육성(30조)

- 해양 과학기술 연구개발 사업 등의 추진(33조)

- 해양과학기술진흥원의 설립(33조의 2)

「남극활동 및

환경보호에 관한 법률」2004

-남극환경보호의정서 국내법수용(제1조)

-남극 관련 과학기술 연구 활동의 진흥(21조)

「독도의 지속 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2006

- 기본계획 수립(제4조)

- 연구기관의 설립 등(제9조)

「해양 심층수의 관리 및

개발에 관한 법률」2007

- 기본계획 수립(제4조)

- 해양 심층수의 개발 및 실용화에 대한 연구개발 등의 지원(제48조)

「해양 생명 자원의

확보・관리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2012

- 기초연구 지원 체계 구축을 포함한 기본시책 마련(제5조)

-매 5년마다 기초조사 실시(제6조)

- 종합계획 수립(제7조)

- 기술 개발 및 이용촉진을 위한 지원(제28조)

- 해외 해양 생명 자원 연구・개발 및 국제 협력의 촉진

(제29조)

「한국해양과학기술원법」 2013- 해양과학기술원 설립 목적(제1조)

- 해양과학기술원 지원・육성 및 안정적 재정 지원(제15조)

「해양 환경 관리법」 2014

- 해양환경 관련 과학기술 및 국제협력의 촉진(제6조)

- 「해양환경 종합계획」 수립 시 해양환경 보전과 관련한 과학기술

개발 사항 포함(제14조)

「해양 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2014

- 기본계획 수립(제9조)

- 해양 생태계 기본조사(제10조), 정밀조사 및 해양 생태계의 변화

관찰 등(제11조), 해양생태도 작성(제12조)

- 해양 생물 다양성 보전(제5장)

・ 다양성 연구, 해양 생물자원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술 개발(제38조)

・ 해양 생물 다양성의 연구 및 기술 개발(제39조)

・ 해양생물자원관의 설치・운영(제40조)

Page 8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70

다. 행정 및 수행 체계

해양 과학기술 연구개발이 포함된 정부 차원의 계획이 처음 수립된 것은 과학기술처 주관의

「해양 개발 기본계획」이었다. 1987년 「해양 개발 기본법」이 제정된 이후, 1989년 9월 정부는

「해양 개발 기본법」 시행령을 공포하고 해양개발실무위원회를 구성했다. 첫 회의는 1989년

12월 22일 과학기술처 상황실에서 개최되어「해양 개발 기본계획」 수립 문제 등을 논의했다(한

국해양연구소, 1993, pp.54~55; 한국해양연구소, 1998, p.52). 그리고 「해양 개발 기본계획」은 과학기술처를 간사

로 하고 관계 부처 협의와 해양개발위원회 심사를 거쳐 1996년 1월 23일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확정되었다(과학기술처, 1996).

1996년 출범한 해양수산부는 해양개발위원회 간사 부서로서 「해양 수산 발전 기본계획」

(Ocean Korea 21)을 수립했고, 2002년 「해양 개발 기본법」이 「해양 수산 발전 기본법」으로

전면 개정되면서 2004년에는 「해양 과학기술 개발 계획」이 수립되었다. 이 계획은 해양 과학

기술에 관한 국가 계획으로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되었으며, 이후 본 계획 시행을 위한

시행 계획들과 수정 계획들이 수립・시행되었다.

[그림 2-6] 최근 10년간 해양수산 R&D 정부 출연금 투자 추이

자료: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2016), p.44.

한편 해양 과학기술 정책을 포함한 해양 정책연구는 주로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

정책연구소가 수행하고 있다. 물론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도 해양 수산 분야의 사회과학적

연구 업무를 담당하고 있지만, 주로 해운・항만, 수산 및 연안관리 분야의 산업정책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한편 해양 과학기술 연구개발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기관으로 2006년

Page 8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71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KIMST)이 설립되어, 효율적인 연구관리 및 연구개발 사업 기획 업무

를 수행하고 있다. 2006년 KIMST 설립 당시 743억 원 규모의 해양수산 R&D 예산은 10년

후인 2015년에는 2,867억 원으로 약 4배 이상 증가했다.

[그림 2-7] 해양수산 분야 연구 수행 및 관리 체계

2. 해양 R&D 주요 성과

가. 해양 관측 인프라 개발

해양 연구는 자료를 기반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현장 조사가 필수다. 아직까지도 관측 센서와

관측 장비의 대부분을 외국에서 개발한 것을 사용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관측

인프라 분야는 꾸준하게 발전했다. 2000년 초 서울대는 국방과학연구소 특화연구센터 사업으

로 ㈜오트로닉스와 협력하여 해양 관측 시스템을 제작하고 자료 수집 및 운영 관리 방식을

국내에 정착하였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1991년 노르웨이에서 건조한 국내 최초의 종합

해양 조사선인 온누리호(1,422톤)를 취항시켰다. 같은 해 이어도호를 국내 건조 후 취항시키며

해양 조사의 기반을 갖췄다(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3).

해양 연구를 위한 선박의 건조는 꾸준히 이루어졌다. 먼저 1995년에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해양2000호(2,533톤)를 진수했다. 1996년에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지구물리 탐사 전용

Page 8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72

탐사선 탐해2호(2,085톤)를 건조했다. 2000년대에는 대학에서도 실습선 대신 연구선 건조에

나섰다. 그리고 2009년에 국내에서 쇄빙연구선 아라온호(6,950톤)를 건조 진수했다. 아라온

호의 등장에 따라 우리나라는 독자적으로 극지 해양 연구를 할 수 있게 됐다. 기상청은 2011년

부터 기상전용 관측선인 기상1호를 운항하고 있으며, 해양에서 다양한 기상환경 조사 기반을

갖췄다. 2016년에는 해양수산부 지원으로 국내 최대 종합해양연구선인 이사부호(5,900톤)를

건조했다. 이제 우리나라도 대양 관측 연구 시대를 연 셈이다.

2000년대 들어 우리나라는 해상 관측기지 설치에 나섰다. 현재 황해와 동중국해 3지점에서

관측 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1995년부터 212억 원을 투입해 2003년에 동중국해상 제주도

남서쪽 149km지점 이어도 암초 부근에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를 설치했다. 이 기지는 현재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운영 중이다. 해양과 기상 예보, 어장 예보, 지구 환경 문제와 해상 안전・

교통, 연안 재해 방지와 기후 변화 예측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해 제공하고 있다. 이 정보는

해양 연구와 해양 영토 관리에 기여하고 있다. 2009년에는 황해 소흑산도 서쪽 해역에 가거초

기지를, 2014년도에는 백령도 남쪽에 소청초 기지를 설치해 분지 규모로 실시간 해양 관측망

을 구성했다. 2016년부터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모두 운영하고 있다(국립해양조사원, 2016).

인공위성 해양 원격 탐사는 넓은 해역을 주기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수단으로 미국과 프랑스

가 기술 개발을 주도했다. 우리나라는 국토해양부(현 해양수산부)의 지원으로 세계 최초로

정지 궤도에서 해색을 관측할 수 있는 해양탑재체(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를 개발하고, 천리안위성에 탑재하여 2010년 6월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발사해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시켰다. 해양탑재체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과 프랑스

아스트리움(Astrium)社가 개발하였고, 현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 위성 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 해양탑재체(GOCI)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2,500km×2,500km 영역의 해양

환경을 500m×500m 공간 해상도로 매일 8회씩 관측하여 한반도 주변 해양 환경을 실시간에

가깝게 관측하고 있으며, 어장정보 생산과 서비스, 장단기 해양 환경 관측 등에도 활용하고

있다. 해양 관측 위성 자료는 전 세계 해양 연구자에게 제공되어 해양과학 기술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또 세계 최초로 정지 궤도 위성 자료를 공급해 다른 나라의 정지 궤도 해양

관측 탑재체 개발을 견인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또한 2019년 발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천리안

위성 2호에 탑재할 해양탑재체(GOCI-Ⅱ)도 해양수산부의 지원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에어버스(Airbus)社가 개발 중인 해양탑재체(GOCI-

Ⅱ)는 공간 해상도가 250m×250m로 4배 향상되고, 매일 10회씩 관측하는 등 향상된 성능을

Page 8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73

기반으로 해양과학기술의 발전과 해양정보 서비스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한국해양과

학기술원, 2013).

심해 관측을 위한 인프라 개발 분야도 크게 발전하였다. 1980년대 후반부터 무인 잠수정

개발에 나서, 1993년 대우조선해양은 러시아와 기술 제휴로 6,000m급 자율 항해 심해 무인

잠수정 옥포6000을 개발했다(김효철, 2010).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는 2001년부터 심해 무인 잠수

정 개발에 착수해, 2006년에 심해 무인 잠수정 해미래를 개발했다. 해미래는 모선과 케이블로

연결해 운항하는 원격 무인 잠수정이다. 수심 6,000m까지 잠수할 수 있고, 물 속에서 시속

2.8km 속도로 운항한다. 2006년 10월에 수심 2,050m까지 잠수해 동해 울릉 분지 바닥에

태극기가 새겨진 동판을 잠수정의 로봇팔을 이용해 설치했다. 2015년에는 동해와 괌 인근

해역에서 해양 탐사 실증 실험에도 성공했다. 심해 유인 잠수정은 1986년에 250m급 해양250

을 개발했으나 현재는 퇴역한 상태다. 최근 세계 6번째 규모인 6,500m급 심해 유인 잠수정

개발을 준비 중이다.

나. 우리나라 주변해 해양 특성 이해

지난 50년간 우리나라 해양 과학기술 연구의 학술적 성과 중 하나는 우리나라 관할 해역을

해양과학에 입각해 체계적으로 이해했다는 점이다. 정부가 우리나라 주변 해양을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해양 전공 연구자를 양성하며, 해양 과학기술 연구를 꾸준하게 지원한 결과다.

1960년대 중반 이후 관할 해역에 대한 종합적인 해양 조사를 시작했다. 이를 통해 수괴의

분포 특성을 파악했고, 해류 관측으로 해양 순환 형태를 이해해 갔다. 서울대를 중심으로 한

국제공동연구인 CREAMS-I, CREAMS-II, EAST 1 등 장기간 사업 수행으로 동해에 대한

해양 연구도 활성화했다. 이 연구 결과로 동해에 대한 해양 과학적 이해 수준이 한 단계 높아졌

다(Chang et al., 2016). 특히 일본 해양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의존하던 기존의 해양과학 지식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 염분 최소층과 심층의 수괴 분포 구조를 더 세밀하게 파악했다. 또 심층

해수 물성의 중장기 변동성을 연구해 수온이 상승 중이고 용존산소가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 결과는 UN 정부간기후변화협의체(IPCC) 4차보고서에도 기록됐다(Solomon et al.,

2007). 이는 동해의 변동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줬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 우리나라 해양학자

주도로 동해가 해양 변화에서 대양의 축소판이라는 점을 밝혔다는 데 더 큰 의미가 있다.

최근 연구에서 동해에서 해양이 산성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해수면 상승 경향을

Page 8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74

정량적으로 제시해 해양의 변화와 흐름을 판단하는 국내 연구진의 연구 수준이 국제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줬다. 황해와 동중국해에 대한 지난 50년간 해양 과학 연구 결과는 표층 순환

부분에서 인접 국가들의 연구를 선도하는 수준에까지 도달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을 중심으로 1990년부터 수년 동안 인공위성 추적 표층 뜰개 실험으로

쿠로시오로부터 대한해협 해역으로 연결되는 해류의 기원을 규명했다. 그 동안 공존했던 여러

설명들을 정리하고, 제주난류를 새롭게 이름 붙였으며, 여름철 양자강 담수의 영향을 받은

저염수의 분포와 이동 특성도 제시했다. 또 난제로 남아있던 황해난류의 정의와 계절적 특성과

형성 기작도 체계화했다. 1990년대 초부터는 여름철 제주도 서쪽 해역의 해류 순환 형태에

대해 기존의 해류 모식도를 벗어난 새로운 순환 형태를 제시했다. 최근에는 겨울철 황해 남부에

형성되는 열염전선을 따르는 해류를 발견해, 황해와 동중국해의 계절별 표층 순환도를 제시하

는 성과도 이뤄냈다(Lie and Cho, 2016).

다. 대양 연구의 확대

대양 조사 연구는 1980년대 초반까지 국립수산과학원의 원양 수산자원 조사에 국한됐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 심해저 광물탐사를 시작으로 태평양과 극지해역, 인도양까지 연구 영역

을 넓혔다. 1983년에는 태평양 클라리온-클리퍼턴 균열대 지역에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주도

로 한・미 공동 심해저 광물탐사를 시작했다. 1992년부터는 동태평양, 남태평양, 인도양에서

우리나라 연구선을 이용해 심해환경 탐사 등 정밀 해양조사를 수행하며 탐사 영역을 확장해갔

다. 이는 연구선 온누리호 건조와 해양수산부의 심해저 광물탐사에 대한 장기간 지원으로

이뤄진 성과다.

이러한 해양 과학 연구는 점점 연구 영토를 확장했다. 2000년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태평양

미크로네시아 축섬에 한・남태평양해양과학기지를 설치하면서 해양생물 분야로 연구 영역을

다양화했다. 국립해양조사원도 2003년에 북태평양 해류 조사를 실시하며 해양조사 영역 확장

에 기여한 바 있다. 1988년 남극세종기지 설치 후 드레이크해협에 대한 해양 조사를 진행했다.

2009년 이후에는 쇄빙 연구선 아라온호의 등장으로 아문젠해, 로스해 등 남극해와 북극해까지

해양 조사 영역을 확대했다. 이 같은 대양 연구 확장은 우리나라 해양 과학 기술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해양 과학기술 발전에도 기여해 우리나라 해양 연구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물론

대양 연구의 많은 부분은 국제공동조사 참여로 이뤄지기 때문에 우리나라 연구진만의 성과로

볼 수는 없다.

Page 8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75

지난 50년간 우리나라가 참여한 대양의 국제 공동 조사는 1965년~1970년에 수행된 쿠로시

오 공동 조사가 그 시작이었다. 이때도 실제 관측은 우리나라 관할 해역에 국한됐다. 1990년대

들어 기후변화 관련 국제 공동 연구 조사 프로그램인 세계 해양 대순환 실험(World Ocean

Circulation Experiment, WOCE)의 표층류 프로그램(SVP)과 열대해양 저지구 대기

(Tropical Ocean Global Atmosphere program, TOGA) 등 대규모 연구 사업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WOCE-SVP 참여로 우리나라는 동중국해의 해양 순환 연구에서 선두 그룹에 진입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반면 TOGA 사업은 국내에서 여러 기관이 참여했지만 연구 지원이

꾸준하지 못해 큰 성과를 얻지 못했다. 다른 국제 공동 조사 프로그램으로 심층 해수의 유동과

해수 물성을 준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ARGO 프로그램에는 기상청,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서울대가 참여해 서태평양과 남극해, 동해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전 지구적 자료를 활용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성과를 냈다.

해양 지질 분야에서는 1996년에 국제 해양 시추 사업(Ocean Drilling Program, ODP)에

가입하며 참여를 시작했다. 2011년부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을 중심으로 국제 공동 해저 지각

시추 사업(Integrated Ocean Drilling Program, IODP)에 국내 과학자가 참여해 국제 공동

연구를 수행하며, 대양 연구의 또 다른 축을 이루고 있다(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3).

라. 실용 연구의 경향

해양 과학기술의 응용은 해양 변화의 이해와 대응, 해양 환경 문제에 대한 대처, 해양 공간

이용, 그리고 자원 개발과 활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해양 과학기술 연구는 거대과학과 공공성

이라는 특성으로 정부 지원에 의존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정부의 지원은 상대적으로 실용성에

방점을 두고 있다. 대표적인 해양 자원 활용 연구인 해양생물과 해양광물, 해양에너지 분야에서

는 모두 괄목할 만한 성과가 나왔다.

해양 생물자원 분야는 수산과 해양의 융합 연구로 전통적인 수산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1998년부터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해양수산개

발원, 대학과 공동으로 연구를 시작해 2007년에 국내 시범 바다목장 1호인 통영 바다 목장을

설치했다. 현재는 바다 목장에 조성한 어류 자원 관리, 해파리와 적조 같은 유해 생물 제어

기술, 수중 음향실험에 대한 현장 실험장으로 주요하게 활용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서울대

와 부경대, 제주대 같은 대학을 중심으로 시작한 해양생명공학 연구를 최근에는 국립수산과학

원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 대학과 다수의 연구기관에서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Page 9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76

해양 광물 자원 분야는 1991년 제11차 경제장관 회의에서 수립한 「심해저 광물 자원 개발

추진 계획」에 따라 시작했다. 동태평양 공해상의 심해저에서 장기간 탐사와 연구를 지속해 우리

나라는 2002년에 국제해저기구로부터 우리나라가 배타적 권리를 갖는 심해저 망간단괴 독점

탐사 광구를 확보했다. 또 남태평양 통가와 피지의 배타적 경제 수역에 해저열수광상과 인도양

공해상 중앙 해령에 해저열수광상 독점 탐사 광구를 확보했다. 2016년에는 서태평양 마젤란

해역에서 망간각 독점 탐사 광구를 확보했다. 이를 통해 심해저 3대 광종인 망간단괴, 망간각,

해저열수광상을 모두 확보한 세 번째 국가가 됐다. 대양 심해저 연구의 결실을 얻은 셈이다(해양수산

부, 2016). 해수 중 해양 광물 자원 연구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2009년 세계 최고 수준의 해수

용존 리튬 추출 기술을 개발해 국가 전략 금속 자원 확보 기반도 마련했다(해양수산부, 2014).

해양 에너지 자원 연구는 최근 기후변화 대응 연구의 성격으로 연구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다.

1980년대부터 연구를 시작한 조력과 조류 에너지는 최근 청정에너지와 신재생에너지 붐에

힘입어 2009년에 울돌목 조류 발전소를 완공하며 고도의 조류 발전 기술력 확보로 이어졌다.

2011년에는 세계 최대 규모인 25.4만kW 발전 용량을 갖춘 시화호 조력발전소를 완공해 운영

을 시작했다. 다른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파력, 온도차 발전 같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는 국내 최초로 2016년 제주도에 설비용량 500kW급 파력발전소

를 설치했다. 한편 대체에너지 자원으로서 가능성이 높은 해저 메탄 수화물 부존 연구도 진행해

2007년 동해에서 메탄 수화물을 채집하는데 성공했다.

3. 해양 분야의 미래 전망

기후 변화, 환경, 에너지, 글로벌 경제 영토 등 21세기의 최대 현안들 상당 부분이 해양과

연계되어 있다. 이런 국가적・지구적 과제들을 해결하고 미래 해양 과학기술을 선도하기 위해서

는, 해양 정책 연구와 전략 수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구 역량을 확보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단계별로 추진하는 계획이 요구된다.

21세기 해양 강국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는 지금, 육상 자원의 고갈과 기후 변화, 해상 활동의

증가 및 쾌적한 연안과 해양 이용에 대한 수요의 증가는 해양 자원 및 제반 산업에 대한 필요성

을 높일 것이다. 또한 무한한 해양 발전 잠재력을 활용한 해양 신산업의 창출은 한국 사회의

불투명한 경제 성장과 심각한 구직난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도 있다.

이에 해양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경제의 지속적 성장과 지구적 차원 및 지역적

Page 9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77

차원의 해양 환경 보전 그리고 해양기인성 재난과 외국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선제적 해양

정책의 수립 및 그 실행에 필요한 해양 과학기술 개발 방안이 꾸준히 마련되어야 한다.

이처럼 해양 과학기술은 순수 자연과학과 다양한 공학 분야가 결합한 융합 과학기술이다.

해양 과학기술의 궁극적 목표는 미래 예측이며, 이는 해양 조사와 관측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

서 해양 과학기술은 해양 관측 수요와 실행의지에 따라 발달의 폭이 달라진다.

해양 관측 인프라 구축 분야는 최근 20여년 사이에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 정부 지원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 예상돼 관련 해양 과학기술 발달도 전망이 밝다. 특히 해양 온난화,

해수면 상승, 해양 산성화와 저산소화 같은 해양 변화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과 연계돼 해양

조사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대형 해양 종합 연구선과 쇄빙선, 정지

궤도 해양 관측 위성, 심해 무인 잠수정 같은 일반적인 관측 인프라를 모두 갖춘 상태다. 여기에

새로운 대형 쇄빙 연구선, 고해상도 정지 궤도 해양 관측 위성, 심해유인 잠수정 개발에 나서

각 부문별로 한 단계 수준 향상을 추진 중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해양 과학기술 발달에 긍정적

인 신호다.

2015년 12월 파리회의 이후 신 기후 체제에 대한 대응 과정에서 해양 과학기술 분야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온실가스 절감과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기술 등에 해양 과학기

술이 주요하게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양 탄소 흡수원 블루카본 관리기술이나 이산화탄소

해저 저장 관련기술에 새로운 해양 과학기술의 틈새기술이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연구개발

투자에 따라 이 분야의 기술발달이 기대되고 있다.

앞으로 전 세계의 에너지 정책은 화석 연료 이용에서 청정 에너지나 신재생 에너지 이용으로

전환될 것이 확실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 에너지 이용 개발도 증가할 것이다. 이미 기술력

을 확보한 조력과 조류 에너지 활용성 제고, 파력 에너지와 온도차 발전 같은 새로운 해양

과학기술 개발이 주목받으며 지속적으로 연구될 것이다.

해양 과학기술 분야 중 관측 센서와 관측 장비 기술 개발은 앞으로도 발전 가능성이 낮다.

국내 유효 수요의 한계 때문에 미래에도 외국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많은 부분에서 국내 연구팀이 기초 원천기술을 확보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을 포함한 구체적인 수요처를 공략할 수 있는 연구개발 전략도 필요하다.

Page 9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78

제3절 기상

근대 기상 업무는 일본이 1904년 3월부터 부산, 목포, 인천, 용암포, 원산, 성진, 진남포

등지에 기상 관측을 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여 기상 관측망을 구성하면서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인 기상 업무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 개시되었다. 1949년 8월 18일 대통령령

제165호로 「국립 중앙관상대 직제」가 제정되면서 문교부 소속으로 신설되었고, 이어 12월

16일 대통령령 제240호로 「국립 중앙관상대 지방측후소 및 출장소 직제」가 제정되어 기상행

정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 중앙관상대는 1953년부터 1960년대에 걸쳐서 직제를 정비하고 각종

법령을 마련했다. 기상 통신망을 개선함으로써 기상 관측 및 일부 분석 자료의 즉시 교환

체계를 구축하여 해외 협력 업무의 기틀을 마련했다. 1953년 11월에는 인천에 있던 국립

중앙관상대를 서울로 이전했으며, 기상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운영해오던 「기상기술원양성소

직제」도 1958년 10월 30일 공식적으로 공포했다. 정부 출범 당시 문교부 산하였던 국립

중앙관상대는 업무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1962년 7월 16일 교통부로 이관되었으며, 1967년

과학기술처가 발족되면서 그 산하로 소속을 변경되었다. 기상청 명칭도 초창기에는 국립 중앙

관상대였으나 1963년 2월 중앙관상대로 개칭되었다. 1961년 「기상 업무법」이 제정됨에 따라

이때까지 관례에 의해서 수행하던 모든 업무에 대한 규정들이 정비되었고, 시행령과 시행

규칙이 마련되어 업무수행 골격을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1964년 12월 2일 중앙관상대장의

훈령으로 기상 업무 규정을 제정하여 업무의 세부 사항까지 정의했다.

본격적으로 기상연구가 시작된 것은 1970년대로, 이 시기 동안 중앙관상대의 예산 증가, 조

직・장비의 현대화가 진행되었고, 기상 행정 체계와 기관운영 면에서 근대 기상 업무 시작 이래

가장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상 지원과 기상재해 예방을 위한 연구

및 기상 예보의 질적 향상을 위해 조직을 재정비하여 기상업무부와 연구조사부를 신설했다.

1971년에는 농업기상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기상연구소 설립을 추진했다. 1972년

8월에 기상연구소 사업계획서를 유엔 개발 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UNDP)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았다. 1978년 4월 15일 공식 출범한 기상연구소는 중앙관상대

의 연구조사부가 수행하던 연구 업무를 체계화하고 연구 제도를 확립하기 위해 종관기상부와

응용기상부 그리고 서무과 등 2부 1과를 두고 업무를 시작했다.

Page 9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79

1980년대는 기상 업무의 현대화 기반을 구축했다. 기상 행정 조직은 1982년 1월 1일 중앙

관상대를 중앙기상대로, 중앙관상대 지대를 지방기상대로 각각 개칭하고 대전 지방기상대를

신설했다. 아울러 중앙기상대 본대에 기획국, 응용기상국과 기상개발관을 신설하여 중앙 행정

기관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기상 인력의 교육 훈련 강화를 위해 기상기술원양성소를 기상

연수원으로 개편한 것도 이 시기였다.

1990년대는 우리나라가 기상선진국 면모를 갖춘 시기이다. 자동기상관측망(AWS)과 기상레

이더망 구축, 슈퍼컴퓨터 확보, 주간예보 매일 발표, 6시간 예보제, 기상대학 과정 신설, 외국인

기상 예보관 과정 운영 등 각 분야에서 선진화 기반이 구축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의 기상 기술을 갖추기 위해 노력한 시기였다.

조직 측면에서 기상개발관을 정보화관리관으로, 응용기상국을 기후국으로, 관측관을 관측관리

관으로 개편했다. 또한 정부의 책임 운영 기관제가 발효됨에 따라 항공기상대가 책임 운영

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05년 7월에는 차관급 중앙행정기관으로 격상되었으며, 2008년 2월

에는 과학기술부에서 환경부 외청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2015년에 기상청 조직이 개편되었

는데, 국립기상연구소는 국립기상과학원으로 개칭되면서 명실상부한 기상연구의 중심 기관으

로 자리 잡았다.

1. 기상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행정 및 지원체계의 변천

2000년대 이전에는 기상연구소의 주도로 기상청 연구 사업이 진행되었다. 1978년 4월

15일 기상 연구에 관한 사항을 분장하기 위하여 종관기상연구부와 응용기상연구부 및 서무과

로 구성되는 총 56명 정원의 기상연구소가 중앙관상대 소속으로 발족되었다. 설립 당시 기상연

구소의 연구 인력은 기상직, 농림직, 통신직, 전무직 등으로만 구성되었고, 공무원 보수규정에

따라 연구 인원에 대한 별도의 배려는 불가능했다. 또한 중앙관상대와의 잦은 인사 교류 때문에

연구에 전념하기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1985년 중앙기상대 직제 개정을 통해 기존 정원 내에서 기상개발관(3급)을 신설하고 기상연

구소의 부장제도(3급)를 폐지했다. 대신 기상연구관을 실장으로 하는 5개 연구실(예보연구실,

위성기상연구실, 레이더기상연구실, 미기상연구실, 기상계측연구실)로 개편했고, 앞서 언급한

Page 9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80

기상직 등의 직렬에서 40명의 인원이 연구직으로 전환되었다. 1986년에는 배경대기오염 관측

업무를 분장하기 위해 기상연구소 산하에 소백산 기상 관측소가 설립되었다. 그리고 1987년

기상 위성 자료 처리 업무를 담당할 필요성에 따라 위성기상연구실을 위성기상부로 확대 개편

하고 그 아래 수신과와 분석과를 두었다. 수신과는 현업부서로서 기상 위성자료의 수신을

담당하고 분석과는 위성 기상 연구를 담당했다.

1990년 중앙기상대가 기상청으로 승격되고 기구가 개편・증원되면서, 1991년 4월 기상연구

소의 일부 즉 소장, 서무과, 예보연구실, 미기상연구실, 계측연구실이 종로구 와룡동의 서울과

학관으로 이전했다. 1992년 3월에는 기상연구소의 위성기상부와 관악산레이더기상 관측소가

본청으로 이관되고, 레이더기상연구실을 원격탐사연구실로 개편하여 레이더 기상 연구와 위성

기상 연구를 수행하도록 했다. 이로써 기상연구소는 4개 연구실로 축소되어 와룡동의 서울과학

관으로 모두 이전하게 되었다. 또한 1995년 12월에는 기상계측연구실을 수문기상연구실로,

소백산기상 관측소를 안면도로 옮기면서 명칭도 배경대기관측소로 변경했다. 1996년 12월에

는 해양기상연구실이 신설되었고, 2000년 7월에는 해양기상연구실을 해양기상지진연구실로

변경하고 그 기능을 확대했다. 조직 재편과 함께 기상연구소는 기본 연구 사업과 특정 연구

사업을 수행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기상연구소 외에 국가위성센터, 레이더센터 등이 자체 수행 연구개발

사업 및 다양한 방식의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조직상으로는 2015년 1월에는 기상청

본청에 연구개발담당관을 두어 기상청 전체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계획 수립, 조정, 평가 업무

를 수행했으며, 국립기상과학원으로 격상된 국립기상연구소는 기상연구의 중심 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국립기상과학원은 현재 1부(수치모델연구부) 8과(연구기획운영과, 지구환경시스템연

구과, 환경기상연구과, 관측기반연구과, 수치모델개발과, 수치자료응용과, 기후연구과)로 운영

되고 있다. 국가기상위성센터는 2009년 4월에 3팀으로 신설되어, 기상위성 개발 기술, 운영

기술 및 활용 기술에 관한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기상레이더센터는 2010년 4월에

2팀으로 신설되어 레이더 활용기술 개발과 관련된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APEC 기후센터(APEC Climate Center, APCC)는 아태 지역의 이상 기후 감시 및

최적의 예측 정보를 생산・제공함으로써 이상기후로 인한 아태 지역 자연재해 피해 경감 및

기후 정보의 사회경제적 가치 창출을 위해 2005년 11월 부산에서 개소했다. APEC 기후센터

는 APEC 21개 회원국의 승인을 받아 설립된 유일한 아태지역 지역기후센터로서, 센터 운영

및 연구수행을 위해 우리나라가 재원을 지원하며 미국, 일본, 호주 등의 선진국은 기후예측

Page 9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81

자료를 제공하고 연구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비용의 기후예측정보 생산 능력을

갖추지 못한 아태지역 개발도상국에 고품질의 기후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APEC

기후센터는 2006년부터 아태 기후 정보 서비스 및 연구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나. 정책 및 사업의 변천

1970년대에 정부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하면서, 농업 진흥 정책과 더불어 식량

증산을 주요 시책으로 추진했다. 이에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기상 지원과 기상재해 예방을

위한 연구 및 기상 예보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목적으로, 1970년 7월 중앙관상대 내에 기상업

무부와 연구조사부가 신설되었다. 연구조사부에는 부장(물리기감 또는 물리부기감) 밑에 연구

담당관 2인(기상기정)과 조사통계과를 두었다. 연구담당관은 종관기상・해양기상・항공기상에

관한 조사・연구, 주간예보와 기상 전망 발표, 기후에 관한 조사・연구, 예보기술의 도입 및

개선, 기상도서 관리, 대기물리・농업기상・공업기상・수문기상 그리고 미기상에 관한 조사・연

구 등을 담당했다.

1971년에는 경제개발 특별회계와 대일청구권 자금으로 전국에 76개소의 분실을 설치하여

식량 증산을 위한 농업 기상 지원 체계를 구축했다. 이 시기에는 기상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미비했기에, 매년 반복되는 기상재해를 줄이기 위해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절실했다.

이에 정부는 기상전문연구기관을 설치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대기과학기술에 관한 조사업무

와 예보기법을 개발함으로써 기상재해를 예방하고 농업의 생산성 향상과 공업 등 산업전반의

발달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기상연구소를 설립하기로 했다. 1971년 3월 정부는 「기상연

구소 설립 계획 개요서」를 유엔개발계획에 제출하고 1972년 8월 정식으로 사업계획서를 제출

하여 승인을 받았다. 그리고 1975년 3월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동 1번지 중앙관상대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3층 총 1,482㎡(약 450평) 규모의 기상연구소 청사가 준공되었고, 1978년

4월 공식 출범했다.

기상연구소는 중앙관상대의 연구조사부가 수행하던 연구 업무를 체계화하고 연구 제도를

확립하기 위해 종관기상부, 응용기상부, 서무과 등 2부 1과(정원 56명)를 두었다. 기상연구소

장(물리기감 또는 물리부기감)은 관상대장의 명을 받아 소관업무를 관장했고, 종관기상연구부

는 수치・통계・장기예보・기후・태풍에 관한 연구와 기상 업무의 전산화, 전자계산실의 운영을

담당했다. 응용기상연구부는 농업・수문・해양기상에 관한 연구, 기상재해 및 대기오염에 관한

Page 9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82

연구, 대기물리연구, 기상측기와 연구기기 제작 관리, 공작기기의 운영 관리를, 그리고 서무과

는 일반 행정, 서무, 예산 및 회계, 연구관리 등을 담당했다.

한편 기상연구 장비의 경우, 1969년에 중앙관상대가 도입・운영하여 오던 관악산 기상레이

더와 인공위성 수신 장비, 그리고 유엔개발계획으로부터 무상으로 지원받은 기자재 등이 있었

다. 1971년 대일청구권 자금으로 도입된 농업기상 관측 장비는 측정된 기본 관측 값을 활용하

거나 관련된 기본 연구 사업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었다. 그리고 기상연구소가 신설되기 전인

1971년부터 1977년까지 중앙관상대 연구조사부는 한국의 기상재해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여

총 31편의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렇듯 1970년 중앙관상대에 연구조사부가 신설되면서 기상 연구가 체계화되었고, 1978년

기상연구소가 발족하면서 본격적인 기상연구를 위한 기틀이 마련되었다. 기상연구소는 예보,

관측, 기후, 응용기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했다.

1970년에 이어서 1980년대 중반까지는 예산상의 문제로 인해 기본 연구만이 소극적으로

진행되다가, 1985년부터 과학기술처가 국가적으로 운영하는 특정 연구개발 사업에 적극 참여

함으로써 대규모 연구 과제들이 수행될 수 있었다. 1985년부터 1989년까지 수행된 특정 연구

개발 사업 과제는 기본 연구 사업과 비교하여 예산이나 사업 기간 면에서 그 규모가 컸다.

단일 과제명으로 다년간 수행된 과제들을 하나의 과제로 추산해보면, 1989년까지 수행이 완료

된 과제는 다섯 개였다. 1990년대 이후 특정 연구개발 사업의 규모는 점차 커져서, 연간 8~9개

의 과제가 진행되었다.

연도 기본연구 특정연구 수탁연구 정책연구 현장연구 계

1990 7 8 1 16

1991 7 8 - 15

1992 6 4 - 10

1993 6 3 - 9

1994 6 7 2 - 15

1995 7 11 3 1 22

1996 7 10 4 1 22

1997 7 13 8 - 2 30

1998 10 11 2 1 7 31

1999 10 12 5 - 8 35

<표 2-8> 1990년대 기상연구 과제 수

자료: 기상청 (2004), �근대기상 100년사�, p.409.

Page 9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83

2000년대에 기상청은 기상 지진 기술 개발 사업의 종합계획 수립・조정 기능을 골자로 하는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를 개정했으며, 기상연구소에 해양기상・지진연구실을 신설하는

내용의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연구 수행의 기틀을 마련했다.

나아가 이 사업의 효율적인 평가 및 관리를 위해 「기상 등 연구개발 사업 처리 규정」을 제정했

으며, 연구개발 사업 평가 지침, 사업비 산정 기준, 사업비 사용 관리 및 정산 지침을 마련했다.

또한 기상 지진 기술 개발 사업을 「기상 기술 기본계획」, 「제6차 방재 기본계획」 및 �국가기술

지도� 등 국가 시책에 반영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시행 기반을 마련했다.

2010년대 들어서는 특수 목적에 대한 연구 기능을 갖는 센터가 설립됨에 따라 기상청 연구

활동이 한층 다양해졌고, 또한 출연금 사업 역시 특수 목적을 위한 사업단을 구성하여 추진하는

방식이 추가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기상 연구가 한층 고도화되었다.

우선 국립기상과학원은 기상청의 기상기술을 현대화하여 기상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고 정확

한 기상정보를 전파하기 위해 핵심 기상 기술을 개발할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국내 산・학・

연 전문가의 효율적 활용 및 연구기관 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기술 개발을 추진하며, 연구기

관별 강점 기술을 특성화하여 전문 인력 양성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국가 정책과 연계하여

기술 개발 효과를 극대화하고 안정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실용화 중심의 목표 지향적 연구개

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국가기상위성센터가 2009년 신설되었으며 기상위성 개발

기술, 운영 기술 및 활용 기술에 관한 연구개발 업무를 자체적으로 또는 학・연 협력으로 수행하

고 있다. 2010년 6월에는 천리안 기상위성을 발사하여 세계 7번째 독자 기상 위성 보유국이

되었고, 이를 통해 15분마다 한반도 주변 위험 기상을 감시하고 있다. 기상레이더센터는 2010

년 신설되어 레이더 활용 기술 개발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기상레이더 및 국토교통부

등 다른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레이더를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고자, 2013년

부터는 범부처 융합 이중 편파 레이더 활용기술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09년과 2011년 각각 「기후변화 감시 예측 및 국가정책지원강화 사업」, 「기상 산업 지원

및 활용기술 개발 사업」이 신설되면서 현재의 체계를 갖추게 되었고, 2015년에 연구 관리

전문기관을 한국기상산업진흥원으로 통합, 관리하게 하였다. 또한 한반도의 기상 특성에 적합

한 수치예보 모델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실용화함으로써 예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KIAPS

를 구성하여 한국형 수치 예보 모델 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아태지역의 이상

기후 감시 및 최적의 예측 정보를 생산・제공함으로써 이상 기후로 인한 아태지역의 자연재해

피해를 줄이고 기후정보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APEC 기후센터(APCC)를 2005

Page 9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84

년 11월에 개소하여 현재까지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차세대 도시농림 융합

기상사업단을 설립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할 도시・농림 맞춤형 스마트 기상서비스를 구현을

위한 공통 기반 기술 개발 및 기상서비스 제공을 위해, 기상청 연구개발 사업인 차세대 도시・농

림 융합스마트 기상서비스 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2. 기상 R&D 주요 성과

가. 한국형 수치 예보 모델 개발

기상청은 날씨 예측과 일기 예보를 위해 일본과 영국에서 개발한 수치 예보 모델을 도입해

활용해왔다. 그러나 외국에서 도입한 모델에 우리나라의 기상 특성을 적용해서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원천기술 습득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기상청은 한국형 수치 예보 모델3)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며, 수치 예보 모델 개발 사업단(KIAPS)에서 2011년부터 2019년까지

9년 동안 3단계의 사업으로 수행 중이다.

1단계에서는 수치 예보 모델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요소인 역학코어, 물리과정, 자료동화,

시스템모듈들에 대한 기초기술을 개발했다. 2단계는 1단계에서 개발된 기초기술의 다양한

결합과 접합을 통해 한국형 수치 예보 모델 시험 버전을 개발한다. 3단계에서는 기존에 운영

중이던 현업 모델과의 상호 비교를 통해 시험 버전에 대한 검증과 개선을 이뤄낼 예정이다.

우리나라 지형과 기상 상황에 적합한 고유의 수치 예보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2020년까지

세계 5위권의 수치 예보 분야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민 안전 보장과

삶의 질 향상으로 국민 행복 지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와 정보통

신기술을 접목한 융합형 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신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에도 이바지할 것으

로 기대하고 있다.

나. 기상분야 활용 확대를 위한 응용 기상 연구

기상현상과 건강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보건기상 분야에서는 2008년부터 ‘꽃가루 위험지

수’ 전국 예보 모델을 개발해 국민들에게 서비스하고 있다. 2015년에는 꽃가루 알레르기 확산

예측 시스템을 개발했다. 또 2013년에는 인지 온도 모델 기반의 상세 생명기상・기후분석시스

템을 통해 폭염에 따른 건강 영향을 평가했다.

Page 9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85

신재생 에너지 정책에 따라 풍력과 태양광 같은 활용 가능한 기상 자원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상 서비스도 강화했다. 수치 예보 모델과 위성자료를 기반으로 1km 격자 해상도의

풍력과 태양광 기상자원지도를 산출해 기상 자원 홈페이지(www.greenmap.go.kr)를 통해

서비스 중이다. 한편 효율적인 물 관리를 위해 2014년에는 토양 수분과 증발산량 등에 관한

수문 기상 정보 생산 체계를 구축했다. 인공적으로 비나 눈을 내리게 하는 기상조절4) 기술

개발 분야에서는 2006∼2014년 기간 동안 23회의 인공 증설우 항공실험 중 10회의 실험에서

평균 0.7mm의 강설우 증가 효과를 확인했다.

인지 온도 모델은 현재의 폭염특보 기준을 개선해 더 실질적인 예보와 경보 기준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고. 풍력 자원 지도는 풍력 발전 단지의 신규 개발과 안정적인 운영 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또 전국적으로 산출되는 토양 수분 정보는 가뭄과 홍수 예측에, 기상조절

기술은 수자원 확보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적설 지원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 미래 기후변화 전망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하려면 미래의 우리나라 기후변화 전망

과 영향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기상청은 지구 시스템 모델을 통한

4가지 온실가스의 대표농도 시나리오(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8.5, 6.0,

4.5, 2.6)에 따른 ‘전 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했다. ‘전 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135km 공간 분해능으로 1860년∼2100년의 기간에 대해 산출되었다. 이와 함께 5단계 결합

모델 상호비교 프로젝트 모델 앙상블 자료 분석에서는 20세기 말 대비 21세기 말의 전 지구

기온이 1.3℃∼3.7℃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우리나라의 지형을 반영해서 고해상도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 기후 모델을 이용해

동아시아 50km, 한반도 12.5km 공간 분해능의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도 생산했다. 이를

통해 21세기 말에 한반도 기온이 1.8℃∼4.9℃ 상승할 것을 전망했다. 이렇게 예상한 기후

시나리오는 기후변화에 대한 원인 규명과 미래 기후변화 경향, 극한 기후의 변화 전망에 활용한

다. 더불어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에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

부처에 통일된 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Page 10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86

라. 황사 예측 모델 개선

2000년대 들어 황사 발생 빈도와 농도가 매우 높아졌다. 이에 기상청은 2002년부터 PM10

농도를 기준으로 하는 황사 특보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황사 예측 모델을

개발했고, 2002년부터 예보에 준 실시간 자료를 지원하고 있다. 2007년부터는 슈퍼컴퓨터에

황사 예측모델을 추가하여 실시간 현업 지원 시스템을 구축했다.

초창기 황사 예측 모델은 봄철에만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가을과

겨울에도 황사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4계절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예측 모델로 개선했다.

현재 25km 격자 수준의 모델 수평해상도와 72시간의 선행 예측이 가능한 기술 수준을 보유하

고 있다. 2016년부터는 황사와 연무를 예측할 수 있는 황사-연무 통합 예측 모델로 개선해

서비스하고 있다.

황사와 연무는 산업 활동에 대한 지장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들의 세차와 청소 비용 증가

같은 후생 문제에도 넓게 피해를 준다. 전문가들은 황사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 4,000억

원에서 최대 17조 원으로까지 추산한다(환경부, 2013, p.72). 황사와 연무에 대한 정량적인 예측결과

를 제공함으로써 얻게 되는 경제적 가치는 얼마일까? 사전 통보로 인한 피해손실 절감률을

최소 1%로 가정할 경우 최소 40억 원에서 최대 1,700억 원의 피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마. 해양기상서비스 제공

해양 기상 예측 시스템은 슈퍼컴퓨터 1호기를 도입한 1999년 이후에 전 지구 파랑 예측

시스템과 지역 파랑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며 시작했다. 2005년 이후 슈퍼컴퓨터 2호기를

도입해 모델의 공간 해상도와 파랑 스펙트럼 분해능 확대 같은 다양한 개선 연구를 진행했다.

2008년에는 현업 파랑 모델을 WAMDI 그룹에서 개발한 3세대 파랑모델 WAM 대신 미국환경

예측센터(NCEP)에서 개발한 3세대 파랑모델 WAVEWATCH Ⅲ로 도입하였다.

한반도에서의 폭풍해일 예측을 위해 해양 순환 모델을 기반으로 동북아시아 해역에 발생

가능한 폭풍해일 예측시스템도 구축해 2006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해상 위험 기상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 전 지구 파랑 예측 시스템은 12일, 지역 파랑 예측 시스템은 3일 이상으로 예측

시간을 연장했다. 또 풍파와 너울 성분을 분리해 해양 예보를 위한 다양한 기준을 제시했다.

2015년 앙상블 파랑과 폭풍해일 시스템을 구축하며 해양 위험기상에 대한 다양한 위험 기상

Page 10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87

시나리오를 생산했다. 4일 이후에 대한 중기 예측과 확률 예측에도 활용하고 있다.

기상청은 해양 기상 예측 시스템 개선 연구를 통해 생산한 예측 자료를 해양 예보에 활용하고

있다. 대국민의 안전한 해상 활동을 지원하고, 국내외 수요자와 소통하며 니즈 분석과 즉각적인

대응으로 고품질의 해양 기상 정보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바. 한반도 지진 발생에 대비하는 지진과 지진해일 연구

1978년 발생한 홍성 지진을 계기로 우리나라도 지진 연구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에 1980년대부터 아날로그 지진계를 이용해 연구를 시작했다. 2000년대 초반 지진 장비

현대화를 진행하며 기상 지진 기술 개발 사업을 시작해 연구의 양과 질 모두 향상시켰다.

특히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과 2005년 후쿠오카 지진을 계기로 지진과 지진해일 연구를

본격화했다.

기상청은 한반도에서 발생한 진앙을 재결정하고 단층면해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한반도 지진

활동과 지진 발생 특성을 분석했다. 계기 지진뿐만 아니라 역사 문헌에 기술된 지진 기록을

바탕으로 역사 지진 목록을 발간하며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도

진행했다. 또 2007년부터 지진관측소 부지 특성과 배경 잡음 수준을 분석해 기상청 지진관측

소 표준 배경 잡음 모델을 개발해 개선하고 있다. 2009년부터는 자연지진과 인공지진을 식별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도 시작했다. 특히 지진 분석의 정확도와 정보 제공의 신속성

향상에 필요한 기술도 개발을 시작하였다..

또한 지진해일 발생 시 해안 지역에 도달하는 예상 시각과 파고를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게

했다. 이를 위해서 2007년부터 지진 해일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지진해일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2015년에는 원거리 지진해일을 가상으로 꾸며 한반도 영향여부를 알 수 있는

전 지구 지진해일 예측 시스템을 개발했다.

지진과 지진해일 연구는 한반도 지진 발생 특성을 이해하고, 핵실험 같은 다양한 인공 지진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앞으로 지진과 지진해일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를 더

정밀하게 구축해 2016년 9월 12일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과 같이 동해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과 지진해일에 대한 대응 역량도 향상시켜야 한다.

Page 10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88

3. 기상 분야의 미래 전망

기상 과학기술 연구는 사회적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상세하고 정확하며 신뢰할 수

있는 가치 지향의 기상기후 정보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서는 수 시간에서 수십

년에 이르는 다양한 시간 규모에 따라 대기와 해양, 해빙, 지면, 생물권, 수문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영향 정보 전달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효과적 대응과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지상-해양-상공에 이르는 3차원 입체관측을 시작으로 국민 건강을 해치는 황사와

미세먼지의 이동경로 파악과 예측 향상을 위해 기후변화 감시 정보 품질을 고도화하고 동북아

공동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을 지속하고 있다.

인구가 밀집된 도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도시기후 시뮬레이터 기반의 미기후 분석 기술이

개발 중이며, 기상 복지를 위해 폭염과 한파 같은 극한기온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예측의

정확성을 높여 국민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틀을 만들고 있다. 동시에 대기와

해양, 파랑, 수문, 대기질 같은 다양한 기상 모델을 통합한 환경 모델로의 전환을 통해 자연

재해 발생 위험에 대한 예측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특히 기상 기후 모델의 해상도를 고도화

시키는 연구를 통해 지역 맞춤형 예보의 정확성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예전에 경험하지 못한 극한 기상이 점점 더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고, 대규모

자연재해가 지구 곳곳에서 발생함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한 환경 변화의 감시・예측기술이 국가

경쟁력과 국가 안보의 중요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많은 국가들이 사물인터넷(IoT), 빅데

이터, 인공지능 등 새로운 기술이 세상을 바꾸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총력 대응하고 있는

오늘날, 기존 미래 성장 동력 분야와 최근 부상하는 경제사회 이슈분야 등에 대한 전략적

연구투자가 절실하다. 이에 정부에서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하여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있으며, 선도형 R&D 체제를 향한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상연구 분야에서도 미래사회의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한 사회・경제적 요구를

반영하는 기상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기상청은 향후 10년(2018년~2027년) 동안 예상되는

미래 기상 이슈 대응 및 해결을 위한 「기상 R&D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였으며, 개발 가능한

기술의 우선순위를 제시하고 시급한 기술 개발을 성공리에 추진하기 위한 투자전략과 실행계

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Page 10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89

제4절 천문

우리나라의 현대 천문학은 20세기 초에 선교사를 통해 소개되었다. 1915년 연희전문학교가

개교할 때 선교사 루퍼스(W. Carl Rufus) 박사는 천문학 강좌를 개설하여 수물과에서 천문학

강의를 시작했다. 1919년 연희전문학교 1회 졸업생 22명 중 한 사람이 우리나라 최초의 이학

박사인 이원철 박사다. 이원철 박사는 현대식 천체망원경을 연희전문 본관 옥상에 설치하고

국내 최초로 천문교육에 활용했다(한국천문학회, 2015, p.248).

천문이 학문의 기반을 갖추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말 부터다. 1958년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에 천문기상학과가 만들어지고 현정준 교수가 부임하여 본격적인 천문학 교육이 시작되었

고, 그 이듬해인 1959년에는 사범대학에 지학과가 만들어져 천문학 교육에 일조했다. 또한

성균관대학교가 1962년에 우주물리학과를, 연세대학교는 1967년 천문기상학과를 개설했으

며, 1965년 3월 21일에는 한국천문학회가 창립되어 천문학 연구와 교육의 발전을 견인했다.

1960년대 후반에는 경북대학교, 부산대학교 등 대다수의 국립대학 사범대에 지학과가 창설되

어 천문 교육의 저변을 넓히는 데 기여하였다.

1968년에는 소백산에 천문대를 건설했다. 이때 과학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61cm 광학망원

경을 설치하며 우리나라는 본격적으로 현대 천문학 연구를 시작했다. 1974년에는 국립천문대

가 발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천문학은 매우 빠르게 성장했다. 1984년에는 대전에

14m 전파망원경을 설치했고, 1996년에는 보현산천문대에 1.8m 광학망원경을 설치하여 일본

오까야마 천문대의 망원경과 함께 당시로는 동양 최대 구경의 광학망원경을 확보했다. 2002년

에는 서울대학교에 구경 6m의 전파망원경이 설치되고 2008년에는 3기의 21m급 전파간섭망

원경을 서울, 울산, 제주도에 설치하였으며, 2010년에는 3기의 외계행성 탐색용 망원경을

외국에 설치했다. 그리고 현재는 세계 최대의 광학망원경인 25m 거대 마젤란 망원경(Giant

Magellan Telescope, GMT)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불과 50년 만에 한국의 천문학이 이렇게 발전한 것은 기초과학 지원이라는 국가정책과 천문

학 관계자들의 열정과 노력이 이루어낸 결과다. 지난 50년간 천문관측 기술 개발의 과정은

다른 분야의 과학기술 개발과 함께 놀라운 수준으로 변화했다. 특히 한국천문연구원(KASI)이

국립천문대에서 정부 출연 연구기관으로 바뀌면서 망원경을 비롯한 첨단 관측 장비와 기술을

개발하는데 집중해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Page 10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90

100% 외국에서 제작한 소형 망원경을 사다 쓰던 우리나라가 불과 30년도 안 되는 기간에

세계 최대 광학망원경 제작과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또 세계 최초로 다중 빔 전파간섭 시스템

을 개발했다. 세계 최대 태양망원경에 우리가 직접 설계하고 제작한 분광기를 부착하여, 관측하

고 그 결과를 세계 최고의 과학저널에 발표하는 꿈같은 일을 준비하고 있다.

1. 천문 R&D 주요 성과

가. 광학천문학 발전

1) 소백산천문대 61cm 반사망원경

1965년 한국천문학회가 창립하면서 천문학자들은 국립천문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1967

년 2월 ‘국립천문대 설치에 관한 건의서’를 정부에 제출했다. 이 건의서는 1967년 4월 21일

출범한 과학기술처로 전달됐고, 국립천문대 설립으로 이어졌다(한국천문연구원, 2014, p.70).

한국천문학회는 1972년 소백산 연화봉을 최적의 천문관측소로 결정하고 정부 승인을 받았

다. 또 카세그레인(Cassegrain)식 리치-크레티안(Ritchy-Chretian)형의 61cm 반사망원경

을 미국 볼러앤쉬븐스와 계약해 1974년 11월 소백산에 설치했다. 이 망원경은 국가 기관에서

천문연구를 위해 설치한 국내 최초의 광학망원경이다(한국천문연구원, 2014, p.77). 이후 숙소동 건설,

도로 정비와 추가 전기 작업 같은 관측 인프라를 갖추며 1978년 9월 29일 소백산 천체관측소

를 준공했다. 소백산 천체관측소 준공은 조선일보가 선정한 ‘건국 후 한국과학기술 업적 50선’

에 뽑혔다(한국천문연구원, 2014, p.81).

사람들은 광학망원경만 있으면 천체를 관측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연구 목적으로

관측하려면 망원경 거울과 구동장치 외에도 많은 첨단 장비가 필요하다. 우선 망원경이 들어갈

돔(dome)이 필요하다. 그리고 관측하는 별빛을 감지하는 CCD 장비와 별빛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필터와 분광 장치, 그리고 대기층과 각종 장비를 거치며 흐릿해진 별빛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주는 적응광학(adaptive optics) 기술 등 다양하고 많은 장치와 기술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광학천문기술 발전은 소백산천문대의 61cm 광학망원경을 도입하면서 시작했다.

과학연구를 목적으로 관측하다 보니 이에 필요한 관측 장비 개발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1979

년부터 대학에 공개한 이 망원경은 우리나라 천문학 교육에도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는데 이론

Page 10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91

연구 중심으로 진행하던 교육을 관측연구로 전환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특히, 서울대학교에서

는 1979년부터 광자계수기 등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광전측광 장비를 소백산 천체관측소에

두고 대학원생들의 관측연구를 독려하여 외부은하의 관측 등 소백산 천체관측소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후 1980년대는 안정적인 관측을 위한 기기 개발에 힘쓴 결과 1993년

4채널 광전측광기를 개발했다. 하지만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1992년부터 CCD가 이 자리를

메우고 있다.

2) 보현산천문대 1.8m 반사망원경

1980년대 초반 천문학계는 소형 망원경이 가지는 관측 한계를 극복하려고 중형망원경 제작

을 논의한다. 한국천문연구원을 중심으로 중형망원경 제작을 기획해 1986년에 정부로부터

5개년 사업으로 인정받아 1990년에 프랑스 텔라스(TELAS)와 1.8m 광학망원경 계약을 체결

했다. 그리고 1993년 10월에 망원경 설치를 시작해 1994년 7월 18일에 슈메이커-레비 혜성

의 목성충돌 장면을 첫 번째로 관측했다.

1996년 1.8m 반사망원경을 가동하면서 광학천문연구는 안정적으로 궤도에 진입했다.

2007년에 발행한 1만 원 권 지폐에는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을 대표하는 과거와 현대의 각종

연구 장비가 들어있다. 국보급 유물들과 함께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이 대한민국의 과학을

상징하며 자랑스럽게 자리하고 있다. 국내 천문학의 요람이 된 보현산천문대는 대형망원경이

만들어지는 이 시대에도 국내 최대 구경의 망원경으로 광학천문학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

3) 25m 거대 마젤란 망원경 사업 참여

2006년 2월 한국천문연구원은 개념설계 검토를 완료한 25m 거대 마젤란 망원경 개발팀으

로부터 참여를 권유하는 제안을 받는다. 이에 국내외 전문가들과 함께 대형 광학망원경 개발

사업 방향 설정 워크숍을 개최해 2007년 거대 마젤란 망원경 국제 공동 개발 참여를 결정했다.

그리고 2009년부터 10년간 거대 마젤란 망원경 건설 지분 10%와 국내 천문학계의 연구역량

개발, 거대 마젤란 망원경 부경 개발 참여를 위한 기술 개발을 목표로 909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한국천문연구원, 2014, p.119).

거대 마젤란 망원경 개발에 참여한 가장 큰 이유는 전문가들이 이 망원경을 완성하는 2020

년대를 25m 이상의 거대 망원경 시대로 보았기 때문이다. 미래 지향적으로 볼 때 거대 망원경

Page 10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92

개발 참여는 시대 흐름이었다. 거대 마젤란 망원경 국제 공동 개발 프로젝트에는 미국의 카네기

연구소, 애리조나대, 시카고대, 하버드대, 스미소니언연구소, 텍사스대, 텍사스A&M대와 호

주, 대한민국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망원경은 해발 2500m인 칠레의 라스캄파나스 정상

에 설치할 예정이다.

[그림 2-8] 2020년 부분 완공 예정인 거대 마젤란 광학망원경(GMT)

우리나라가 2020년에 완공하는 세계 최대 망원경인 거대 마젤란 망원경 건설에 참여한

것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첫째 우리나라 광학천문학이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 앞서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둘째 한국 천문학계의 숙원이었던 대형 광학망원경

의 확보와 이를 이용한 21세기 천문학의 핵심 연구 과제에 도전할 수 있는 연구 기반을 확보한

다. 셋째 세계 최대 망원경의 부경을 우리가 제작함으로써 천문관측 장비 기술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 기술 선진화에 크게 기여한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광학천문학 분야의 망원경과

부대 관측 기기개발의 선두그룹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 대학 천문대

80년대 후반에 설립된 경북대학교, 충남대학교, 충북대학교의 천문학과 등을 포함하여

대학에 천문관련 학과가 있는 곳이면 어느 곳이나 천문대를 건설하고 소형광학망원경을 도입

하여 천문학 교육에 활용하여왔으나 연구용 광학망원경이 도입된 것은 1980년 연세대학교와

1990년 서울대학교가 61cm 광학망원경을 갖춘 천문대를 설치하고, 1992년 경희대학교와

2004년 세종대학교가 76cm 광학망원경을 설치하면서 대학에서도 천체 관측 연구가 가능해졌

Page 10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93

다. 특히, 도심지에 있는 연세대학교와 세종대학교는 일산과 곤지암에 천문대를 건설함으로서

천체 관측 환경을 개선하였다. 대학 천문대의 주요 관측 장비는 CCD를 이용한 측광 장비가

주를 이루나 경희대학교의 경우 천체분광기가 도입되어 행성과 혜성 등 태양계 천체의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연구 수요의 대부분을 보현산 천문대가 담당하게 되면서 대학은 천문기

기를 개발하거나 소구경이나 탐사에 특화된 망원경의 개발하여 국외의 관측 조건이 좋은 입지

에 두는 등 천문관측 연구의 내용과 범위가 다양해졌다. 서울대학교학교는 우즈백의 마이다낙

천문대에 CCD를 제작하여 설치해두고 연구에 활용하고 있고, 연세대학교는 2기의 50cm

광시야 망원경을 남아공 등에 설치하여 광시야 탐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나. 전파천문학 발전

1) 14m 대덕전파천문대

우리나라 전파천문학은 1975년에 국립천문대 초대 대장으로 부임한 민영기 박사가 기반을

닦기 시작했다. 국내 최초 전파천문학 박사인 그는 전파천문학의 불모지였던 우리나라에 14m

전파망원경 도입과 우주전파관측소 건설을 추진해 국내에 전파천문학의 기반을 마련했다. 우

리나라 최초의 전파관측소 건설 사업은 1981년부터 3년에 걸쳐 미국의 전자우주시스템

(ESSCO)과 14m 전파망원경 시스템 일체인 안테나, 수신기, 분광기, 컴퓨터와 설치 감독 등을

계약하며 시작했다(한국천문연구원, 2014, p.108).

광학천문학보다 전파천문학 분야의 연구개발이 늦었던 이유는 초창기 한국에는 전파천문학

을 연구하는 천문학자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사실 1984년 전파망원경이 설치될 때까지도

국내에는 전파천문학을 전공한 사람은 민영기 박사 1명밖에 없었다. 당시 한국천문연구원은

이 전파망원경을 설치하려고 광학천문학을 전공한 천문대 소속 직원 일부를 전파천문학 전공

자로 바꾸기도 했다.

1990년부터는 대학 등 외부 연구자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해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으

로 전파천문학 연구를 시작했다. 이 망원경은 전파천문학 연구에도 많은 기여를 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전파천문 기술력 향상에도 크게 기여했다. 관측자들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려고

효율성 향상과 장비 교체, 수신기 개발 등 끊임없는 기술 개발을 수행 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당한 기술력을 확보했고, 이 기술력은 전파간섭 시스템 KVN(Korean VLBI Network) 건설

사업의 밑거름이 됐다.

Page 10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94

2) 21m 전파간섭시스템(KVN)

2000년 당시 국내의 전파천문학은 건설 후 15년이 지난 대덕 전파천문대의 14m 전파망원

경에만 의존해 연구하던 수준이었다. 이 연구 장비로는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결과를 창출하기

어려웠다. 이에 한국천문연구원을 중심으로 전파천문 분야 장기 발전 계획 수립에 나섰다.

그리고 단일경 전파망원경에서 벗어나 초장기성 전파간섭계(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VLBI)를 선택했다. 또 기존 초장기성 전파간섭계 전파망원경이 수행할 수

없는 86GHz 이상의 높은 주파수대역을 선택해 수신 장치와 대기위상보상 같은 자료처리를

구현할 수 있는지 검토했다.

[그림 2-9] 한국천문연구원이 울산대에 설치한 21m 전파망원경

KVN 3기 중 하나로 서울 연세대, 제주 탐라대에 동일한 망원경이 있어 직경 500km 망원경과 동일한 분해능으로 우주를

관측한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최종적으로 4개 주파수(22, 43, 86, 129 GHz) 대역의 초장기성 전파간섭

계 동시관측을 목표로 2008년 3기의 21m 전파망원경을 연세대, 울산대, 탐라대에 설치했다.

전파간섭 시스템 KVN은 2009년부터 단일경을 활용한 연구 관측을 시작하고, 2010년에 첫

단일경 논문을 발표하였고 2012년에는 전파간섭 시스템 KVN을 이용한 첫 초장기성 전파간섭

계 논문을 출판했다. 이 결과는 2008년에 망원경 설치를 완료하고 4년 만에 달성한 결과로서

기존 외국의 초장기성 전파간섭계 장비보다 빠른 시일에 이룩한 업적이다. 2013년부터는 관측

제안서 모집 대상을 국외로 확대해 동아시아권의 천문학자에게 오픈했으며, 2015년부터는

전 세계로 공개범위를 확대했다.

Page 10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95

전파간섭 시스템 KVN은 세계 최초로 개발한 4채널 초장기성 전파간섭계 동시관측 시스템

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3대의 전파망원경으로 동시 관측을 수행하는데, 이렇게 하면 서울-울산

-제주로 이어지는 500km 원을 직경으로 하는 망원경과 동일한 분해능으로 천체를 관측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기술로 미국 특허를 취득했고, 2011년에는 한국천문연구원이 과학기

술 창의상 대통령상 수상 기관으로 선정됐다(한국천문연구원, 2014, p.261).

전파간섭 시스템 KVN 기술팀은 이어서 2013년 세계 최초로 4채널의 초장기성 전파간섭계

동시관측 이미지 취득에 성공했다. 2013년부터 한국의 KVN과 일본의 우주전판 관측망인

VERA(VLBI Exploration Radio Astrometry)를 잇는 한일 공동 초장기성 전파간섭계 관측

연구를 시작하여 동아시아권 전파망원경을 잇는 3국간의 첫 초장기성 전파간섭계, 직경

5000km 관측에도 성공했다. 이는 초장기성 전파간섭계 관측 장비로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미국의 VLBA(Very Large Baseline Array) 성능에 필적할 만한 수준이다. KVN 시스템이

이룩한 또 하나의 전파 관측 기술 개발은 일본과 공동으로 추진한 한일공동 초장기성 전파간섭

계 상관기 개발이다(오세진 외, 2008, p.53).

한일 공동으로 초장기성 전파간섭계 상관기를 개발한 최종 목적은 한국(KVN), 한일간

(KaVA), 동아시아권(East Asia VLBI Network, EAVN)의 공동협력연구를 위해 대용량 초장

기성 전파간섭계 자료처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2012년

동아시아 초장기성 전파간섭계 상관기 센터를 건설해 초장기성 전파간섭계 상관기 하드웨어를

구축하고 2013년 소프트웨어를 개발함으로써 초장기성 전파간섭계 관측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인프라를 완성했다(염재환 외, 2008, p.65). 또한 한-일 전파관측망(KaVA)과 동아시아우주전파

관측망(EAVN)의 운영으로 현 시점에서 세계 최고 수준인 미국 VLBA, 유럽 EVN(European

VLBI Network)에 버금가는 경쟁력 있는 초장기성 전파간섭계 연구기반을 확보했다.

다. 태양천문학과 우주과학 발전

1) 태양천문학과 우주감시연구

1974년 9월 국립천문대를 설립하면서 20cm 태양망원경을 구입했다(한국천문연구원, 2014, p.41).

그러나 이 망원경은 국내에 태양 관측 전문가가 없어 흑점 관측에만 이용했다. 1980년대

말 한국천문연구원은 태양플레어 망원경을 도입해 1995년 보현산 천문대에 설치했다.

이후 한국천문연구원은 2001년 중분산 분광 망원경 국내 개발과 2007년 미국 빅베어 태양

Page 11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96

관측소에 설치한 세계 최대 1.6m급 NST(New Solar Telescope) 태양망원경 건설에 참여했

다. 또 2010년에 고분해 영상 분광기(Fast Image Spectrograph System, FISS)를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해 NST에 부착하는 등 국제 경쟁력 높은 연구 성과를 거뒀다.

한편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일상생활이 급격하게 우주와 연관되며 우주 위험에 노출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우주 환경과 우주 물체 감시가 우주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현안문제로

떠올랐다. 한국천문연구원은 2007년 ‘우주환경예보센터 사업’(2007년~2013년), 2008년 ‘인

공위성 레이저 추적(Satellite Laser Ranging, SLR) 시스템 개발 사업’(2008년~2016년),

2010년 국가 현안 문제 해결형 과제로 ‘전자광학 우주 물체 감시 체계 기술 개발’(2010

년~2016년) 과제를 운영하면서 우주환경과 우주물체 감시에 관한 연구개발을 서울대학교,

연세대, 경희대, 한국과학기술원, 국립전파연구원, 충남대, 충북대와 함께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 과제를 통해 2015년 한국천문연구원은 국내 처음으로 우주환경 감시 기관으로 선정

됐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40cm 이동형과 1m 고정형 SLR 시스템을 구축해 위성을 mm단위로

추적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우주환경예보센터를 운영하면서 태양 활동으로 발생하는 위성과

통신에 미치는 영향 연구개발을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우주 물체 전자광학 감시 체계

기술 개발(Optical Wide-field patroL, OWL)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몽골과 모로코, 이스라

엘, 미국, 한국에 5개의 50cm급 우주 감시 망원경을 설치하여 우리나라 정지위성 궤도 자산을

보호하고 우주 위험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관리해 국가의 우주 자산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

2) 우주과학 발전

산란광을 비롯해 다양한 빛의 차폐나 교란 현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인류는 우주에 망원경을

보내 더 먼 우주를 보려고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우주천문 분야는 국립천문대가 1986

년 3월 정부 출연 연구기관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로 발족하면서 우주과학 연구개발 사업 기능

을 추가하면서 시작했다. 1987년 11월에는 우주 개발에 관한 연구를 위해 우주공학연구실을

신설했고, 여기서 과학 로켓 개발 연구를 진행했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한 X선 검출기를

탑재한 과학 로켓 2호를 1997년과 1998년에 발사함으로써 우리나라 우주천문학의 산실이

됐다(한국천문연구원, 2014, p.108).

우주천문 관측용 탑재체 개발 역사는 KAIST가 개발해 1999년 5월 26일에 발사한 우리별

Page 11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97

3호에서 시작했다. 우리별 3호에 탑재한 우주천문 과학 탑재체는 방사능 영향 측정기, 고에너

지 입자 검출기, 정밀 지구자기장 측정기, 전자 온도 측정기 등이다. 한편 1997년 과학기술부

가 연세대의 자외선 우주망원경 연구를 창의 사업으로 선정하면서 천체관측 탑재체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NASA와 공동으로 우주망원경(Galaxy Evolution Explorer, GALEX)을 개발

하고, 2003년에 성공적으로 발사해 10년간 다량의 논문을 발표하는 성과를 창출했다(한국천문학회,

2015, p.251).

우주망원경(GALEX)에 이어 1999년 한국천문연구원과 KAIST는 미국 버클리대와 공동으

로 천문 관측 위성인 과학기술 위성 1호 주탑재체 원자외선 분광기(Far-ultraviolet Imaging

Spectrograph, FIMS)를 개발해 2003년 9월에 발사하고 2년간 관측했다. FIMS는 우리은하

에 분포하는 수만에서 수백만도의 고온 플라즈마로부터 발생하는 원자외선 영역의 방출선

관측해 세계 최초로 원자외선 전천지도를 작성하는 쾌거를 이룩했다.

서울대학교는 2011년 발사된 일본이 주도하고 유럽의 ESA와 영국의 Imperial College를

중심으로한 유럽 컨소시엄이 참여하는 68.5cm 구경의 Astro-F라는 적외선 우주망원경 개발

사업에 참여하여 소정의 성과를 거두었다. 한국 천문학자들은 Astro-F 관측을 위한 수치모형

실험을 주로 수행했고, 전천탐사에서 점광원 목록을 만드는 일을 담당하였다. Astro-F는 발사

후 Akari라는 닉네임으로 불린다.

과학기술 위성 2호는 나로호에 실릴 예정이었으나 두 번의 나로호 발사 실패로 목적을 달성

하지 못했다. 과학위성 3호에는 국내 최초의 적외선 우주망원경,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

(Multi-purpose IR Imaging System, MIRIS)을 주탑재체로 2013년 11월 발사했다(한국천문연

구원, 2014, p.113). 과학위성 3호는 2015년 3월까지 우주용 카메라는 임무를 초과 완료했고, 지구

관측 카메라는 계속 운영 중이다. MIRIS는 우주 배경 복사와 황도광 관측, FIMS 연구를 계승하

는 우리은하의 이온화 가스를 관측했다. 국내 연구진이 이 관측 자료를 현재 분석하고 있다.

한편 경희대는 2008년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사업에 선정되면서 달 궤도 안쪽의 우주

환경 연구를 위한 큐브셋 위성 CINEMA(Cubesat for Ion, Neutral, Electron, MAgnetic

field)를 제작해 2013년 과학위성 3호와 함께 발사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국가 우주 개발

중장기 계획」에 따라 2017년에 발사할 차세대 소형 위성 1호의 근적외선 영상 분광기

(Near-Infrared Spectrometer for Star Formation History, NISS) 개발을 2012년 12월

부터 시작했다(신구환 외, 2014, p.928). NISS는 적외선 우주 배경 복사와 은하에서의 별 탄생 역사

연구를 목표로 한다.

Page 11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98

대학에서는 우주과학을 위한 탑재체 개발을 꾸준하게 하고 있다. 성균관대를 중심으로

KAIST와 연세대가 감마선 검출기(Ultra Fast Flash Observatory, UFFO)를 개발해 2015년

러시아 라모노소프(Lomonosov) 위성에 탑재했다. 이 연구 그룹은 NASA와 공동 연구로 고에

너지 우주선 검출기 개발도 하고 있다(박일홍, 2014, p.80). 경희대는 국내 처음으로 3kg 무게를

가진 3U짜리 큐브셋을 제작했다(진호, 2014, p.22).

이 같은 놀라운 성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천체 관측을 위한 우주망원경과

부대 관측기기 제작 기술에서는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가 우주 개발 계획을

통신과 방송, 기상 위성을 중심으로 수립하고 우주천문 분야에 초점을 맞출 여유가 없기 때문이

다. 다행히 국제적으로 위성 개발 추세가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는 소형 위성과

그 탑재체 개발을 중심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우리도 효율성 높은 소형 천문관측 위성을

개발해 국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2. 천문 분야의 미래 전망

1958년 서울대학교에 천문기상학과가 개설되면서 시작된 한국의 현대적인 천문학 교육은

이제 경북대학교, 충남대학교, 충북대학교 등 4개의 국립대학과 연세대학교, 경희대학교, 세종

대학교 등 3개의 사립대학에서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천문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1974년

설립된 국립천문대의 후신인 한국천문연구원에는 2백 여 명의 인력이 연구에 종사하고 있다.

각 대학에도 1명 또는 2명의 교수로 이루어지던 교육과 연구가 10명 내외의 교수진을 갖추고

천문학 전 분야에 걸쳐 골고루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어 천문 분야의 미래는 매우 밝다고

할 수 있다.

국내 광학천문학자들은 대형 망원경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세계 최대의 광학망원경인 25m

거대 마젤란 망원경 건설에 참여했다. 이 망원경을 완성하는 2020년대에 이르면 우리는 세계

정상의 망원경을 운영하면서 선도적인 천문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광학천문 분야는

당분간 거대 마젤란 망원경 시대를 대비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다.

전파천문연구 분야는 현재 전파간섭 시스템 KVN을 잘 운영하면서 세계에 시설을 개방해

우리의 천문관측 기술력을 과시하고 있다. 적절한 시기에 전파간섭 시스템 KVN을 건설해

4채널 동시관측이라는 세계 유일의 관측 장비로 국제 경쟁력을 갖췄다. 또한 세계 최대의

전파망원경 ALMA 운영에 관여해 국제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Page 11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99

정부는 2013년 11월에 새롭게 수립한 「우주 개발 중장기 계획」에서 2014년부터 2040년까

지의 우주 관련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창의적인 우주과학 연구 강화를 위해 우주

기원 규명을 위한 심우주 관측 우주망원경 개발을 하나의 세부목표로 설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차세대 소형 위성 활용과 우주망원경 국제협력 프로젝트 참여를 통한 우주망원경 기반 기술

확보, 차세대 중형 위성 이용 1m급 우주망원경 개발, 국내 주도 국제협력 3m급 우주망원경

개발을 명시하고 있다. 이 계획대로만 추진한다면 우리나라의 우주천문 기술 개발은 급속도로

발전해 갈 것이다.

불과 50년을 조금 넘는 현대 천문학사에서 세계 최초의 관측 장비를 보유하고 세계 최대의

망원경을 만들어 낼만큼 우리 천문학 분야는 크게 성장했다. 그리고 천문학 선진국들과 어깨를

같이하기에 이르렀다. 천문학 연구 발전은 천문 관측 장비인 망원경 보유와 궤를 같이한다.

우리나라 우주 측지 분야도 전망이 매우 밝다. 우리나라는 국제우주측지(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자료센터를 운영하고 있을 만큼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위치에 있다.

제5절 극지

극지는 지구 냉기의 발원지인 남극과 북극 두 곳을 말한다. 극지에 대한 연구는 1957년,

1958년 국제지구물리관측년(IGY)에 미국의 제안에 따라 12개국이 남극 대륙과 섬에 60개가

넘는 기지를 지어 남극의 대기와 고층 대기, 얼음과 지구물리를 연구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

었다. 1961년 6월 「남극조약」이 발효됨에 따라 남위 60도 이남을 남극조약구역으로 정의했으

며, 남극을 과학연구만 할 수 있는 평화로운 땅으로 제한해서 핵과 무력의 사용을 금지했다.

남극은 「남극조약」에 가입한 국가 가운데에서 업적이 인정된 남극조약협의당사국(Antarctic

Treaty Consultative Party, ATCP)이 공동으로 결정하고 관리한다. 남극조약협의당사국들

은 남극 환경 보호를 위해 남극 대륙과 해저의 지하자원을 개발하지 않기로 1991년 결의하고

「남극환경보호의정서」가 1998년 발효되었는데, 2048년까지 남극 지하자원 개발을 금지하였

다. 현재 남극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약 20개 국가가 40여 개의 상주기지를 유지하며 연구를

한다. 남극과 달리, 북극의 땅과 바다와 자원은 대부분 이미 북극해 연안국의 영유권으로 제한

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북극 스발바르군도 스피츠베르겐 섬에서 운영하는 다산 기지가 있는

Page 11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00

니알슨 과학기지촌도 노르웨이 회사가 관리하고 있다.

극지는 기온이 워낙 낮아 물질의 변화와 반응이 느려 그 자체가 지상에서 유일한 ‘거대한

실험실’이다. 20세기 들어 지구가 점점 더워지면서 극지도 그 영향을 직접 받고 있다. 그 결과

북극 바다를 덮고 있는 얼음이 계속 녹아 사라지고 있어, 곧 여름에 항해를 할 수 있을 때가

올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북극은 항해와 경제라는 실질적인 이유로 관심을 가져야 할 곳이

되었다. 남극도 기온이 점점 올라가 대부분의 남극에서는 빙상이 녹아내리고 빙붕이 후퇴하거

나 붕괴된다. 극지에서 얼음이 녹으면서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다. 극지에 대한 연구는 과학기술

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 측면과 환경적 측면에서도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1. 극지 R&D의 시대별 변천

가. 1970년대~1990년대

우리나라의 남북호는 1978년에 처음 남극에 진출해 500톤이 넘는 크릴을 시험적으로 어획

하면서 남극에 진출했다. 이 때 국립수산진흥원의 연구원들이 남극 바다에서 크릴의 이용

가능성과 어획 방법을 연구했으며, 일반 해양 조사도 함께 했다(수산청 국립수산진흥원, 1979).

이후 우리나라는, 1985년 3월 29일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협약」에 가입하여 남극에 관한

국제회의에 진출했다. 한국해양소년단연맹은 1985년 11월~12월 남극 대륙을 처음으로 탐험

했다. 빈슨 매시프 등정 팀이 높이 4,892m의 남극 최고봉인 빈슨 매시프를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등정하는 한편 기상학자와 지질학자로 구성한 킹 조지 섬 팀은 외국 기지들을 찾아

기지 건설과 월동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도 했다. 한국해양소년단연맹의 남극대륙 탐험은

순수한 민간 탐험이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컸다. 정부는 1986년 11월 28일 「남극조약」에

가입하며 남극 연구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대내외에 알렸다.

1987년 초에는 남극 연구 기지 건설을 확정했고 그 해 4월~5월에는 킹 조지 섬을 중심으로

기지 후보지 답사가 있었다. 남반구 4월~5월은 겨울인지라 남극 대륙은 탐험하지 못하고 1985

년 11월~12월에 민간 탐험 팀이 탐험했던 곳을 다시 돌아봤다. 그 조사를 바탕으로 기지

설계가 이루어져 1988년 2월 17일에 서남극 남쉐틀란드 군도 킹 조지 섬에 세종기지를 준공했

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도 남극에 어엿한 기지를 가진 나라로 성장했다(장순근, 2001). 세종기지는

킹 조지 섬에 여덟 번째로 건설된 기지였는데, 지금은 8개국에서 10개 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Page 11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101

세종기지를 준공한 후 우리나라는 1970년대의 크릴 어획을 중심으로 한 수산연구에서 벗어나,

남극에 대한 지구과학 연구와 생명과학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 연구 사업은 매년 계속되

어, 처음에는 외국의 배를 빌려서 남빙양을 조사했으나, 2010년부터는 우리 쇄빙연구선으로

조사하고 있다. 한편 세종기지에서는 월동연구대가 매년 월동(越冬)하면서 기지 주변의 자연환경

의 변화를 관찰하고 기록하고 있다. 현재 제30차 월동연구대가 세종기지에서 월동하고 있다.

나. 2000년대

우리나라는 1999년 북극해 현장조사에 발을 들인 후, 곧 2002년 4월 29일 북극 스발바르군

도 스피츠베르겐 섬의 늬-올레순(Ny-Alésund)에 다산기지를 개설했다. 북극에서는 남극과

달리 우리가 기지를 운영하지 못하는 대신, 연구원들은 임대한 노르웨이 회사의 건물에 체류하

며 현장을 조사하고 자료를 수집했다.

2003년 12월에 불행하게도 남극 연구의 첫 희생자가 나오는 비극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더 이상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게 극지 연구의 조직과 자원을 강화할 목적으로 2004년 4월

16일 한국해양연구원의 부설 기관으로 극지연구소(KOPRI)를 설립하였다. 한국해양연구원의

한 부서에서 하던 극지 연구를 종합해서 연구할 수 있도록 독립조직을 만든 것이다. 이후

남극 연구는 남쉐틀란드 군도 일대를 벗어나 2006년부터는 남극 대륙에까지 진출해 운석을

조사하기 시작하면서 운석에서 태양계와 생명체 기원에 관한 단서를 얻는 연구를 시작했다.

또 외국과 협력해 얼음과 빙하연구를 시작하여 남극 얼음 속에 포함된 기체를 분석해서 고기후

를 복원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2009년 말에는 한진중공업이 만든 우리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취항했다. 아라온호는 무게

7,507톤으로 두께 1m의 해빙을 깨면서 시속 5.6km로 항해할 수 있다. 아라온호는 2009년

말부터 2010년 초에 걸쳐 당시 대륙기지 후보지로 거론되던 후보지들을 답사하며 현재의

장보고기지의 위치를 선정하는데 크게 이바지했다. 2010년 여름에는 북극을 처음 항해하며

척치 해를 조사했다(장순근, 2011). 쇄빙선이 건조되어 유빙이 있는 바다로까지 자유로이 나서면서

우리의 연구지역은 획기적으로 넓어졌다.

다. 2010년대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는 2009년 말 취항하여 연구에도 참가했으며 2012년과 2014년에 걸

친 대륙 기지 건설에서 인력을 운반하고, 내빙선인 물자 운반선의 앞길을 개척했다.

Page 11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02

2014년 2월 12일에는 동남극에서는 북쪽인 빅토리아랜드 테라노바 만의 해안에 장보고

기지를 준공해 남극 대륙 연구의 발판을 마련했다. 남극 대륙을 덮은 얼음을 굴착하고, 남극

대륙에서 지질과 대기, 운석 연구에 나설 수 있게 됐다. 이 지역은 기지 부근에 황제 펭귄

군서지가 있고, 활화산이 있어 연구하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현재 제4차 월동연구대가

장보고기지에서 월동하고 있다.

2. 극지 R&D 주요 성과

「남극조약」은 단순히 조약에만 가입하는 것으로는 큰 의미가 없고, 남극조약협의당사국이

되어야 남극문제에 관한 발언권과 결정권을 가질 수 있다. 남극조약협의당사국이 되려면 과학

기지 운영 등으로 보여줄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활동’을 해야 하며, 이를 기존 남극조약협의

당사국들이 전원합의로 인정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1978년부터 크릴을 조사한 결과와 1988년

에 건설한 세종기지가 남극조약협의당사국들에게 인정을 받아 1989년 10월 18일 남극조약협

의당사국 자격을 획득했다. 2017년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해 53개국이 「남극조약」에 가입했으

며, 이 가운데 29개국이 남극조약협의당사국이다. 남극의 과학연구는 남극연구과학위원회

(SCAR)로부터 협조를 받는다.

북극 거버넌스에 관한 내용은 1996년에 결성된 협의체인 북극이사회가 관장하는 것이 현실

이다. 북극이사회는 북극에 영토가 있는 나라인 러시아, 캐나다, 미국, 노르웨이, 덴마크(그린

란드), 아이슬란드, 핀란드, 스웨덴 8개국이 정회원이다. 이 중에서도 북극 바다를 가지고 있는

전자 5개국, 이른바 A5가 북극에 대한 결정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2년

다산기지를 설립하고 그 간 이룬 북극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는 2013년 5월

15일 북극이사회의 정식옵서버의 지위도 얻었다.

2009년 말 아라온호의 등장은 우리나라 극지연구 지역을 넓혔을 뿐만 아니라 많은 외국학자

들을 끌어들였다. 쇄빙연구선을 이용해 연구할 수 있는 나라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 몇

나라는 쇄빙연구선이 있어도 연구에 쓰지 못하고 사람과 물자를 운반하는 정도의 한정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쇄빙연구선은 2012년 말에는 남극에서 조난당한 러시아의 어선을 구조했

으며, 2013년에는 우리나라 어선을 구조하기도 했다. 해마다 남북극으로 출항한다.

한편 본격적인 극지 연구는 다수의 우수 논문 발표로 이어졌다. 극지연구소의 연구 논문 현황

을 살펴보면 우수 논문이 꾸준하게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15년에는 논문이 이전보다

Page 11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103

40% 이상 늘었고, 이 중 90%가 SCI급 논문이다. 이 가운데는 동시베리아 해저에서 과거에

발달했던 빙원의 증거에 대해 다룬 논문과 해저 지각의 형성에 빙하기 해수면의 변동이 연관되어

지구 내부와 새로운 생태계 연구가 기대된다는 주장을 담은 논문 등이 있다.

[그림 2-10] 극지연구소 연도별 발표 논문(2004년~2015년)

또한 남극 대륙에서 500개가 넘는 운석을 발견하여 연구하고 있다. 남극 해저에서는 국내

천연가스 소비량의 300년분에 달하는 천연가스층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이 천연가스는 경우에

따라서는 귀중한 연료 자원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우리나라는 국제공동연구로서 남북극해를

잇는 양극 해양 환경의 이해와 활용을 연구하며 기후변화에서 남극해의 구실을 밝히는 데도

앞장서고 있다.

이 시기에는 극지에 관한 책들이 많이 발간되어 일반인들이 남극의 자연을 더욱 잘 이해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김정훈 외, 2014; 김학준, 강성호, 2014; 이형석, 2015). 이렇게 발간된 책에는 북극 다산기지

부근의 식물(이유경 외 2015; 이유경, 정지영, 2015)과 오로라에 관한 단행본도 포함되어있다(안병호, 지건화, 2014).

남극에서 생명과학 연구원들은 극지 바이오 연구를 통해 산업용 저온성 효소와 치매나 당뇨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의약품과 혈액 보존제로 활용하기 위한 바이오폴리머를 개발했다.

이들은 50개 가까운 특허를 얻었으며, 생활에 필요한 물질을 개발했다. 한국행정연구원은

우리나라의 남극 활동을 해방 이후 우리나라에서 가장 위대한 업적 60가지 중 하나로 선정해서

영어로도 소개했다(Chang, 2010).

Page 11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04

3. 극지 분야의 미래 전망

남극과 북극의 극지연구의 확대를 위해 한국 정부는 쇄빙연구선을 한 척 더 건조하는 것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 쇄빙연구선이 추가로 건조되면 연구 지역은 더 넓어지고 연구 자원이

더 많아질 것이며 외국학자들과의 협력 연구도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남극 대륙 연구의 강화를 위해 남극 대륙 내부 기지 건설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되

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얼음 위에 건물을 짓는 기술의 발전이 요구된다. 나아가 서남극 마리버

드랜드에도 기지를 건설할 필요가 있는데, 이 지역은 가혹한 자연환경으로 기지 건설과 유지에

막대한 비용과 헬리콥터, 1만 5000톤 급 이상의 쇄빙선 등의 수송 수단이 추가로 필요하다.

앞으로 극지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극지 정책을 전문으로 수행하는 행정 기구의 설립

및 지원도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해양수산부에는 극지정책팀이 만들어졌다. 이와 같은

극지 정책 전문 전담기관을 설치하고 이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여 극지 연구 및 정책을 지원할

정부 제도와 조직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북극 항로가 열리게 될 경우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대비할

극지전문가와 협상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남극에 대해서는 현재의 제도가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 예상된다. 따라서 북극만큼 나라

간 충돌도 크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만일을 대비해 남극에서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처 가능한 관련 전문가 양성 및 폭넓은 교육이 필요하다.

집필김 종 범 (우주・항공)

권 문 상 (해양)

이 재 학 (해양)

이 은 정 (기상)

유 민 수 (기상)

박 영 득 (천문)

안 홍 배 (천문)

장 순 근 (극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장

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기상청 연구개발담당관

국립기상과학원 과장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부산대학교 교수

극지연구소 명예연구원

Page 11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105

참 고 문 헌

과학기술부 (2006), �2006 우주 개발백서�.

기상청 (2004), �근대기상 100년사�.

기상청 (2015), �기상 See-At기술 개발 사업 중장기 발전전략(2016~2022)�.

김정훈, 정진우, 이원영, 정호성 (2014), �남극동물 핸드북�, 극지연구소.

김학준, 강성호 (2014), �극지과학자가 들려주는 결빙방지단백질 이야기�, 지식노마드.

김효철 (2010), �한국의 배�, 지성사.

미래창조과학부 (2016), �2016년도 우주 개발 시행 계획(안)�.

박일홍 (2014), “제목 미상”, �COSPAR National Report(우주과학위원회 2014년도 한국보고서)�, 80.

수산청 국립수산진흥원 (1979), �남극새우 어획시험조사보고서�.

신구환, 채장수, 이상현, 탁경모, 민경욱, 손종대, 정웅섭 (2014), “차세대소형 위성 1호 임무분석과 시스템 요구사

항 분석에 따른 시스템 설계 및 개발”,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928~931.

안동만 (2013) “우리나라의 항공 우주 역사; 뿌리고 가꾸고 거두자!”, �항공 우주 매거진� 7(1), pp.9~35.

안병호, 지건화 (2014), �극지과학자가 들려주는 오로라이야기�, 지식노마드.

염재환 외 (2008), “한일공동VLBI상관서브시스템의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한 고정소수점 연산 코드 개발”,

�제2회 천문관측기기 워크숍 논문집�, pp.65~70.

오세진 외 (2008), “동아시아VLBI관측망을 위한 VLBI상관기 개발현황”, �제2회 천문관측기기 워크숍 논문집�, 53.

외교부 국제법률국 (2013), �동북아 해양법령과 유엔해양법협약집�.

이유경, 정지영 (2015), �극지과학자가 들려주는 툰드라이야기�, 지식노마드.

이유경, 정지영, 황영심, 이규, 한동욱, 이은주 (2015), �북극 툰드라에 피는 꽃�, 지오북.

이형석 (2015), �극지과학자가 들려주는 남극 식물이야기�, 지식노마드.

장순근 (2001), �남극탐험의 꿈�, 사이언스북스.

장순근 (2011), �우리나라 최초쇄빙선 북극 척치해를 가다�, 지성사.

진호 (2014), “제목 미상”, �COSPAR National Report(우주과학위원회 2014년도 한국보고서)�, 22.

한국천문연구원 (2014), �한국천문연구원 40년사�.

한국천문학회 (2015), �한국천문학회 50년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0년사(1989~199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년사(1989~20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40년사�.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2016), �해양수산 R&D 10년 분석�.

해양수산부 (2014), “[해양자원개발] 해수 용존 리튬추출 사업”.

환경부 (2013), �제2차 황사피해방지종합대책�.

Page 12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06

CHANG, Kyung-Il et al. (eds.) (2016), �Oceanograpy of the East Sea�,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CHANG, Soon-Keun (2010), “A Leader in Polar Exploration”, Eung-kyuk PARK and Chang-se

ok PARK (eds.), �KOREA From Rags to Riches�,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

tration, 443-449.

LIE, Heung—Jae and Cheol-Ho CHO (2016), “Seasonal circulation patterns of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derived from satellite-tracked drifter trajectories and hydrographic ob

servations”, �Progress in Oceanography� 146, pp.121~141.

Solomon, S. et al. (2007),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age 12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2장거대과학(우주・항공/해양/기상/천문/극지)

107

미 주

1) ① 개념 설계(SRR) → ② 시스템 설계(SDR) → ③ 예비 설계(PDR) → ❹ 상세 설계(CDR, 현재 수행 단계)

→ ⑤ 제작・시험 → ⑥ 인증・조립 → ⑦ 발사 순으로 진행

2) ① 엔진 구성품 축소형 시험 → ② 엔진 구성품 제작/시험 → ❸ 엔진 초기모델 시험(현재 수행 단계) → ④

비행용 엔진 성능 시험→ ⑤ 비행용 엔진 인증시험 → ⑥ 비행용 단 인증시험 순으로 진행

3) 최첨단 기술 수준에 있는 모델링, 모수화, 자료동화 같은 단위 프로그램들을 접목해, 아웃소싱을 포함한 국내

외 협력을 통해 현업 운용을 목적으로 개발한 세계적 수준의 전 지구 수치 예보 모델과 자료동화시스템

4) 우리나라의 인공강우 연구는 1960년대 초에 시작했으나 한반도의 기후학적 조건의 제약, 예산과 관심 부족으

로 오랜 기간 중단됐다. 1995년 가뭄을 계기로 기상청 주도로 다시 시작했으나 3년 만에 중단됐다가, 2001

년 발생한 심각한 봄 가뭄을 계기로 다시 그 필요성이 대두돼 현재까지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Page 12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12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산업기술

│제3장│

Page 12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12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11

제3장 ❚ 산업기술

제1절 개요

1960년대 노동력 기반의 경공업에서 1970년대 대규모 시설과 장비를 활용한 중화학 공업,

1980년대 자동차와 반도체, 컴퓨터 등 첨단 기술 산업이 우리나라 경제 성장을 연이어 뒷받침하

면서 산업기술1)에 대한 의미와 중요성이 점차 커져갔다. 과학기술과는 다른 경제적・산업적

의미에서 산업기술이 갖는 중요성이 부각된 것이다. 1980년대 중반 「공업 발전법」을 제정하고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을 실시한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했다고 볼 수 있다. 기술 경쟁력과

핵심 기반이 부족한 우리나라로서는 국가 차원의 기술 개발 전략에 집중하고 확대하려는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했다. 기술 발전이 가속화되고 그 범위와 영향이 커지면서 산업기술 개발과 관련

된 다양한 인프라와 정책 수단이 산업기술 정책 범위 안에 포함되었고, 다양한 정책 수단을

효과적으로 선택하고 집중 투자하면서 세부 정책들을 조화・연계시키는 조정 업무도 중요해졌

다. 정부의 산업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가 민간 부문의 연구개발 및 설비 투자와 고용 창출을

유발한다는 측면에서 산업기술 정책은 기업 성장의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기도 했다.

우리나라의 산업기술 정책이 본격 추진된 것은 산업기술 혁신을 경제 성장과 국가 발전의

필수 요소로 인식한 1980년대 말부터였다. 중화학 공업을 육성하던 1970년대는 기술 자립을

위해 단기 기술 개발 위주로 수출 드라이브 정책을 시행했지만, 1980년대부터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첨단 기술 개발이 본격화되자 우리나라도 중장기 전략 기술 개발 정책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에 따라, 핵심 기술의 자립 기반 구축과 국제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삼아

기능별 지원 체제를 마련하고 본격적 기술 개발에 나서기 위해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을

1987년에 출범시켰다. 이후 정부는 산업기술 개발의 체계적 추진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연이어

수립했다. 기술 자립 기반 구축을 위해 「산업기술 향상 5개년 계획(1989~1993)」과 「생산기술

발전 5개년 계획(1991~1995)」을 수립하면서 그간의 기술 개발 지원 정책들을 통합해 갔다.

1990년대의 세계적 격변은 우리나라 산업기술 정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1990년

독일이 통일되면서 무너지기 시작한 유럽의 공산주의는 1991년 舊 소련연방이 해체되면서

Page 12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12

붕괴를 맞이한다. 양극 체제와 냉전 구도가 종식되면서 출범한 WTO 체제는 이후 새로운 국제

질서를 탄생시켰다. 전 세계는 정치 이념 보다 경제 대결 국면에 직면하게 되었고 기술 패권주의

가 전면으로 부상했다. 주요 선진국의 기술 개발은 급속히 진전되었으며 민간 기업과 대학의

기술 개발 노력도 가속화되었다. 이에 우리나라도 기술 경쟁력 제고에 필요한 기술 획득을

중요한 정책 목표로 설정하고 자체 개발, 기술 도입 등을 위한 지원을 강화했다.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기술 하부 구조를 확충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외연을 확장했고 이를 위해 「공업 및

에너지 기술 기반 조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산업기술 기반 조성 사업을 출범시켰다.

1990년대 말의 외환위기는 그동안 미흡했던 산업기술 개발 지원 체계와 법적 기반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외환위기는 세계화에 대한 인식과 기술 혁신을 통한 미래 성장 잠재력

확보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다. 정부는 1999년 「산업 발전법」을 제정하여 산업 구조 고도화

를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산업기술 개발의 기능별 지원을 개별 재정 사업으로

구체화하고 산업기술 개발부터 기술 사업화까지 전주기에 이르는 지원 토대를 구축했다. 1987

년부터 추진해왔던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을 산업 기반 기술 개발 사업으로 명칭을 바꾸고

「산업기술 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했다. 기술 사업화 촉진을 위해 「기술 이전 촉진법」을

제정하고 「제1차 기술 이전 및 사업화 촉진계획」을 마련한 것도 이 시기였다. 또한 국내 부품소

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부품소재 전문 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 조치법」을 제정하고

「제1차 부품소재 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부품소재의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에 이르러 WTO New Round가 타결되면서 글로벌 개방과 경쟁이 가속화되고

중국과의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해졌으며 국내에서는 고용 없는 성장이 지속되면서 기존의

투입 위주의 추격형 전략으로는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워졌다. 정부는 국가

성장 전략에 기반을 둔 전략 기술을 선택・집중하여 육성한다는 목표로 「산업기술 혁신 5개년

계획(2004~2008)」을 수립했다. 2007년에는 「신 산업기술 R&D 시스템 혁신 전략」을 통해

1995년 이후 거의 변화가 없었던 기술 개발과 기반 조성의 이원 체제를 15개 전략 기술 중심

구조로 개편했으며, 복잡다기하게 운영되던 사업을 통폐합하여 사업 구조를 단순화했다.

2000년대 말 세계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접어들면서 우리나라도 저성장 추세가 시작되었고,

그에 따른 청년 실업과 일자리 창출, 고령화 심화, 재해・재난 등의 사회적 문제가 부각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산업기술의 역할이 새롭게 조명되었다. 정부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경기침체 극복 및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산업기술 혁신 5개년 계획(2009~2013)」을

Page 12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13

수립했다(지식경제부, 2008a). 2011년에는 사람 중심의 따뜻하고 창조적인 기술 혁신을 주도한다는

개념의 「R&D 36.5℃ 전략」을 발표하기도 했다.

2010년대에 기술과 산업의 융・복합화 추세가 강화되는 것에 맞춰 정부는 기술의 융・복합화

를 촉진하여 선순환적 산업기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산업기술 혁신 5개년 계획

(2014~2018)」을 수립했다. 또한 2015년 정부는 세계 일류 수준의 제조업 생태계와 IT 인프라

를 활용하여 제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고 제조업 전반을 혁신하기 위해 「제조업 혁신 3.0전략」

을 발표했다(미래창조과학부, 2015).

이번 장에서는 198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 산업기술 개발 정책이 대내외 환경변화

에 대응하면서 어떻게 진화하고 발전해왔으며, 주요 성과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제2절 산업기술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1. 기술 자립 기반 구축(1980년대~1990년대 초)

1980년대 들어서 선진국에서 기술 보호주의를 강화하고 첨단 기술 개발 경쟁을 치열하게

전개해가자 국가적 차원에서 기술 자립화 기반을 확충하는 일이 시급해졌다. 임금 상승으로

노동력 확보가 어려워지고 소비 패턴의 다양화・고급화에 따라 기술집약적 제품 수요가 확대되

면서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점차 무게 중심이 이동하고 있었으나 우리나라는 선진국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심하고 기술 개발 투자도 매우 저조한 상황이었다. 당시 제조업 1천 명 당

연구원 수가 22.2명으로 일본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고 첨단 제품이라 할 수 있는 자동차나

컴퓨터 등의 기술도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었다. 정부는 산업기술 개발의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행정 체계를 정비하고 법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이를 근거로 기술 개발 사업을

기획하고 그 규모를 점차 확대해 갔다.

가. 산업기술 행정 체계 및 주요 지원 제도

1980년대 중반 들어 산업기술과 관련된 정책의 범위가 넓어지자 정부 부처 간 역할 조정이

필요해졌다. 정부는 특정 부처에 의한 일원화 보다는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분산형 체제를

Page 12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14

구축한다는 원칙에 따라 부처별 고유기능에 따른 산업기술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결국,

과학기술부는 범부처적 협조 하에 첨단 및 기초기술 개발을 담당하고, 각 부처는 고유 소관분야

의 기술 개발을 하는 과학기술행정의 다원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상공부는 1986년 제정된

「공업 발전법」을 근거로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을 기획・실시하면서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산업진흥과를 확대 개편하고, 1992년 산업기술국과 산업기술과를 신설하여 본격적으로 산업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산업기술과 관련된 통상산업부 내 조직은 1994년 3월 국 단위

조직이 만들어졌다. 통산산업부와 동력자원부의 기능이 통합되어 산업기술국 내에 기술정책

과, 기술 개발과, 기술 이전과, 기술협력과, 에너지기술과 등 5개과를 배치하여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기술 개발을 본격화한 것이다.

산업기술 개발 지원 정책은 기반 조성과 규제 완화 등 제도개선 정책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조세 지원도 기존의 특정산업 위주의 지원 방식에서 기능별 지원 제도로 바뀌었다. 항공 산업을

제외한 중요 산업에 대한 지원 제도가 대부분 폐지되었으며 기업이 설비 투자나 기술 개발

등을 수행할 경우 업종이나 규모와 관계없이 조세 지원을 받도록 했다. 기술 및 인력 개발비

세액 공제제도의 지원을 확대, 중소기업의 경우 공제비율을 대기업과 차별화하여 종전 10%에

서 15%로 늘렸다. 연구개발 용품 관세 감면 지원도 확대하여 지원 대상을 기존의 기업부설연구

소와 산업기술연구조합 이외에 연구개발 전담 부서를 추가했다. 자본재 산업 현장 기술인력

소득 공제 제도를 신설했으며 연구 및 인력개발 설비투자 세액 공제(또는 특별상각)제도를

조정하였다. 정책금융도 중소기업 지원 위주로 개편하고 생산성 향상 및 대외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 개발 투자 및 부품소재산업 육성 등 구조 조정 지원에 역점을 두었다. 1980년대부터

기업의 급증하는 기술 개발 활동에 필요한 자금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정책자금 융자 지원과

창업 지원, 벤처캐피탈 지원을 시작했다. 기술신용보증 지원은 1980년대 말에 시작되었다.

공업진흥기금, 기계공업진흥기금, 섬유근대화기금 등 3대 기금을 공업발전기금으로 통합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시제품 개발, 첨단산업 기술 개발을 위한 자금을 지원했다.

나. 산업기술 개발 관련 중장기 계획

1980년대 말 국민총생산(GNP) 증가율이 6.7%를 기록하여 1980년대 중반의 증가율 12.7%

에 비해 크게 낮아지고 제조업 성장률도 1980년대 중반 16.8%에서 3.7%로 현저히 낮아지자

선진국 진입의 중도탈락 위기론이 대두되었다. 정부는 「2000년대를 향한 과학기술 발전 장기

계획」과 「기술 자립 기반 구축을 위한 산업기술 향상 5개년 계획(1989~1993)」 등을 수립하면

Page 12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15

서 선진국 수준의 과학기술에 진입한다는 정책 목표를 세우고 과학기술 혁신 전 과정에 걸친

종합 시책을 적극적으로 전개했다.

생산현장에 소요되는 제품설계기술, 가공기술, 디자인기술, 시험 및 측정기술, 용접 및 주물

기술, 금형 및 자동화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생산기술력 부족에는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부족, 선진국 기술 의존의 한계, 기술 인력의 부족, 산・학・연 연계의 조직화 미흡 등이

주된 원인이 된다고 파악, 정부는 「2000년대를 향한 생산기술 발전 5개년 계획(1991~1995)」

을 발표했다. 이 계획의 목표는 생산 기술 분야에서 독립적인 개발능력을 구축하는 것으로

3대 중핵 분야를 중점 개발하는 것이었다. 3대 중핵 분야는 재래형 제조가공 기반기술 향상을

위한 취약 기술 개발, 고부가가치형 제품 창출을 위한 핵심 요소기술 개발, 차세대 선진형

첨단 생산기술 개발이었다. 이 계획은 그간의 과학기술 정책과는 다른 몇 가지 전략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우선, 생산기술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생산기술 니즈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하는 수요견인적 접근 방법을 택하였다. 또 다른 특징은 취약 생산기술, 핵심 요소기술, 첨단

생산기술들을 균등하게 개발한다는 것으로 첨단 생산기술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생산기술에서

도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취지였다. 마지막 특징은 연구개발 결과의 상업화를 추진한다는 것으

로 그동안 국내에서 개발된 기술들 중 일부만 상업화되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확산

지향적 정책 수단을 강조했다.

<표 3-1> 「생산기술 발전 5개년 계획(1991~1995)」 중 부처별 투자 규모(억 원)

구분 계 통상산업부 정보통신부 한국전력 산업은행

개발목표 919 353 50 106 410

지원 과제 1,711 1,108 82 187 334

지원 금액 12,471 7,343 2,211 1,253 1,664

- 공공부문 6,566 3,525 1,030 747 1,264

- 민간부문 5,905 3,818 1,181 506 400

주: 통상산업부 (1995), �산업기술 개발 5개년 계획�.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기술수요조사위원회가 구성되어 1990년 생산기술에 대한 수

요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27개 기술 분야 919개 과제를 도출하였다. 상공부가 주도해

추진할 353개 과제, 한국전력공사가 주도할 106개 과제, 정보통신부가 주도할 50개 과제,

산업은행이 주도하여 지원할 410개 과제 등 총 919개의 과제를 5년간 추진하도록 했다. 이러

Page 13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16

한 생산기술을 개발하는데 소요되는 예산을 약 2조 1,200억 원, 기술 인력을 약 2만 명으로

추정하고, 매년 4,500억 원의 예산을 기초연구, 연구기반 조성, 인력 양성 등에 배분했다.

생산 현장에 필요한 산업기술 정보 유통 체계를 수립하고 기술 인력 양성 과정을 운영하며,

저리와 신용대출에 의한 운영 자금을 지원하도록 하고, 정부 내에 산업기술발전심의회를 운영

하면서 생산기술연구원이 이를 핵심적으로 추진하도록 했다.

다. 산업기술 개발 사업의 전개

산업의 기술 수요에 바탕을 둔 기술 드라이브 정책 추진을 위해 1987년 당시 상공부는

기업의 공통 애로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2)을 출범시켰다. 사업 초기에

는 공업진흥청이 주관하면서 기계공업진흥회 등 37개 생산자 단체를 중심으로, 품목별 시장

규모와 기술 동향에 대한 현장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과제를 도출했으며, 이후 정부 주도 연구개

발 사업은 국립기술품질원이 주관하여 정부출연금 전액을 지원했다.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

은 공통 애로기술 개발 사업과 유망 중소기업 기술 지원 사업을 시작으로 16/64M DRAM을

개발하기 위한 차세대 기억소자 개발 사업도 시작하게 된다. 사업 초기 연도에는 176건의

과제를 접수하여 107건에 대해 80억 원을 지원하는 것으로 출발하였다. 사업 수행 주체별로

살펴보면, 민간 주도가 63건, 정부 및 민간 공동이 36건, 정부 주도가 8건으로서, 주로 고무,

방염기술, 초다층 및 고밀도 PCB 등 화학공정기술 개발 분야, NC공작기계, 섬유직기, 몰드

및 프레스, 소형 모터 코어 금형 등 기계분야, 그리고 보급형 워드프로세서, 가정용 TV 및

VTR용 부품, 계측장비 등 전자산업 분야 등의 기술개발이 주축을 이루었다.

당초 공통 애로기술 개발 외 2개 사업으로 시작한 산업기술 개발 사업은 첨단영상기기

(HDTV), 자동차 부품, 첨단 중형컴퓨터, 신소재, G4 FAX, 산업설비 개발 사업 등 향후 중기

거점 및 차세대 신기술 개발 사업의 모체가 될 중대형 과제 개발 사업으로 확대된다. 이때

시작한 HDTV 사업은 전자기술의 디지털화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1991년

한국전자부품연구원이 주도하여 추진한 Electro-21 사업은 당시 전자부품의 대일 무역역조를

시정하고,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합작투자, 독점적 생산을 지원하는 등 파격적 내용을 담고

있었다. 정부는 과학기술처가 추진 중이던 특정 연구개발 사업 중 산업기술과 관련성이 높은

분야의 사업을 과학 및 산업발전 기본계획에 의거하여 산업자원부로 이관시켰다. 산업자원부

로 이관된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은 첨단・대형 중심의 기술개발을 지향하는 특정 연구개발

사업과 달리 산업 현장 기술개발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사업으로 정착하게 된다. 지원 대상

Page 13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17

분야의 선정 방식도 사업 초기의 하향식(top-down)에서 탈피하여 상향식(bottom-up)으로

바꾸고 조사 주체도 정부 주도에서 생산기술연구원 주도로 전환했다.

1990년대 초반까지 2년~3년의 단기 애로기술 개발 위주로 운영되던 사업이 1990년 중반

이후 중・장기 대형전략 기술을 중점 지원하는 세부사업으로 확대되기 시작한다. 중기 거점

기술 개발 사업, 선도 기술 개발 사업, 항공우주기술 개발 사업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당시

대일무역 역조가 심화됨에 따라 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단기 사업화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의

성격이 보다 강화되었다. 중소기업의 단기 애로기술 해소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및 상품화 지원이

주목적으로 사업 지원 범위의 집중도가 다소 높아졌다.

정부와 산업계가 기술개발 투자를 확대하면서 1983년에는 GDP 대비 총 연구개발비가 처음

으로 1%를 넘어섰다. 정부・공공 부문에 비해 산업계의 기술개발 투자가 더 큰 폭으로 확대됨으

로써 1980년에 총 연구개발비의 38%에 불과했던 산업계의 기술개발 투자가 1983년에는

60%로, 1985년에는 65%로 확대되면서 정부 주도의 연구개발 투자가 민간 주도로 전환되었

다. 1981년에 46개에 불과하던 기업부설연구소와 1982년에 11개에 불과하던 산업기술연구

조합도 1985년에는 183개와 23개로 각각 확대되는 등 산업기술 개발 조직이 크게 확충되어

민간 주도의 산업기술개발 체제가 구축되기 시작했다.

라. 부품소재 기술개발 사업 추진

1973년 「산업 육성법」에 의해 중화학 공업 육성정책을 수립하면서 부품・소재의 단순 수입

대체를 추진했다. 품목별 국산화율을 제시하고 국산화 업체를 지정하는 등 인위적 분업을

통한 정부 주도의 국산화 시책을 추진한 것이다. 그 결과 선진국의 기술 및 장비 도입을 통해

단기간에 산업 기반을 구축하고 수출이 확대되는 긍정적 측면도 있었지만 대기업이 주도하는

조립산업 중심의 정책 추진으로 말미암아 수요 기업과 부품・소재 기업 간 종속계열화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기업들 간 경쟁 부재로 부품・소재 기업의 자생력 제고에 어려움이 생겨났다.

1979년 자동차, 컬러TV 등 261개 품목을 시작으로 1981년도까지 924개 품목에 대한

수입선 다변화 제도를 통해 일본산 수입급증 품목에 대한 수입을 규제했다. 1993년부터 품목

의 신규 지정 없이 단계적으로 이를 축소하여 1999년도에는 16개 품목의 해제를 끝으로 수입

규제 제도가 완전히 폐지되었다. 한편 「기계류 부품・소재의 국산화 대책(1987~1995)」과 「자

본재 산업 육성 대책(1995~1999)」 등에 의거하여 국산화 품목의 발굴・고시, 장기저리 융자금

Page 13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18

(1조 6,800억 원) 지원, 우수품질 인증마크 제도 도입, 기계류 할부 금융 회사 설립 등의

시장 보호 정책을 통해 부품・소재의 국산화 시책을 추진했다.

이러한 대책 추진으로 약 4,200여개 범용 부품・소재를 국산화하고 370개 품목의 우수품질

인증마크 성과를 달성한 것은 성과였지만, 미흡한 점도 있었다. 원천기술 개발이나 연구 인력

양성보다는 단기적 상용화가 가능한 중저급 기술 위주로 범용품목의 국산화에 집중했고, 지원

규모도 1억 원 내외의 살포식 배분이었다. 이렇게 되자 부품・소재 산업의 근본적 기술 경쟁력

향상을 통한 자생력 제고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생산제품에 대한 신뢰성 확보도 부족했다.

단기 상용화를 위한 수입대체와 이를 위한 융자 지원에 주력함으로서 원천기술 확보 보다

외국기술 도입이 크게 확대되었고, 이에 따라 중소 부품・소재 기업이 독자적인 자생력을 갖추

지 못한 채 수요 대기업에 의존하게 되어 기술 혁신 노력을 제약하게 된 것이다.

2. 추격형 기술 전략을 통한 기술 경쟁력 확보(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

1990년대를 거쳐 사회주의가 몰락하고 냉전체제가 붕괴하자 세계 경제는 양극 체제에서

다극화 체제로 전환되었으며 WTO 체제의 출범 등으로 새로운 국제적 경쟁질서와 규범이

등장했다. 우리나라도 OECD 회원국으로 가입하면서 국제기준을 준수해야 하는 세계화 흐름

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기술선진국을 중심으로 소극적 기술 보호주의에서 기술 패권주의

현상이 본격화하기 시작하고 정부 지원에 의한 기술개발 결과를 공개하도록 하거나 더 나아가

지원 자체를 규제하려고 했다. 환경문제와 관련된 규제 등 새로운 무역장벽도 발생하기 시작했

다. 종래의 단순 상품 중심의 무역에서 자본과 인력이 동시에 이동하고, 경제사회의 전반적

구조가 지식과 정보를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산업은 꾸준한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낮은 생산성으로 질적 성장이 저조했다.

국내의 고비용・저효율 산업 구조가 근본적 취약점으로 인식되면서 기술 혁신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1980년대의 수요견인형 산업기술 정책은 1990년대에 들어

투입 요소의 확대뿐만 아니라 각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체제와 이를 잘 작동시킬

수 있는 시스템 모형의 종합적 산업기술 혁신 정책으로 거듭났다. 「산업기술 기반 조성법」을

근거로 1995년 산업기술 기반 조성 사업을 기획, 각종 기술관련 기관들을 정보, 인력 등의

기반 요소를 중심으로 연계・시스템화 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었다.

Page 13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19

가. 산업기술 행정 체계 및 주요 지원 제도

1990년대부터 산업기술 개발 사업의 예산규모가 커지고 세부사업들이 계속 생겨나자 정부

는 사업의 평가관리 전문성 확보 차원에서 독립된 사업 전담기관을 지정・운영하였다. 1987년

부터 1990년까지 국립기술품질원에서 담당했던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의 관리 업무는 1990

년 3월 생산기술연구원 기술관리본부로 이관되었다가 1995년 7월 생산기술연구원에서 독립

한 산업기술정책연구소가 사업 관리 및 지원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이후 산업자원부는

사업의 효율적 지원과 관리를 목적으로 1999년 3월 한국산업기술평가원(ITEP)을 설립하였다.

한편 산・학・연 협력체제 구축 및 산업기술 저변 확충 등을 통한 산업기술의 발전과 진흥을

위하여 2001년 한국산업기술재단(KOTEF)을 설립하기도 했다.

산업자원부는 사업의 평가관리 3대 핵심요소인 투명성・공정성・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선

진 평가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한국산업기술평가원의 평가관리 관련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

선해갔다. 특히, 2001년부터는 한국산업기술평가원에 일임하던 사업 관리를 산업자원부 담당

관 주도의 사업 관리 체계로 개편하여 중장기 사업의 현장실태 점검을 실시하고 주요 핵심

사업에 대해서는 더욱 엄격하게 관리했다. 기술개발 전 과정의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성과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2004년부터는 모든 사업에 대한 성과분석을 실시했다. 국가 연구개발 사업

의 성과관리 강화를 위해 기술개발 과제가 성공적으로 완료 된 후 일정기간(2년~3년)이 경과된

시점에서 기술개발 결과의 사업화 등 성과활용 현황을 심층적으로 분석・평가하는 성과활용평

가(추적평가)도 시행하고 있다. 정부는 연구개발 자금 집행의 투명성과 공정성 강화를 위해

연구개발비 중 일부를 카드로 사용하게 하는 연구비 카드제를 2001년부터 도입했는데 산업자

원부의 경우, 2004년 중장기 산업기술 개발 사업(성장 동력, 중기거점, 차세대 신기술) 위주로

시범실시한 후 2005년부터 전 사업으로 확대했다.

1990년대를 거치면서 민간 부문이 총 연구개발의 70∼80%를 담당하게 되자 정부와 공공

부문 보다는 민간 부문이 주도하는 연구개발 체제가 구축되기 시작했다. 기업부설연구소는

1981년 46개에서 1995년에는 2,000개, 1999년에는 4,810개로 증가하는 등 정부의 기술개

발 자금 지원, 조세 지원, 연구요원 병역특례 지원 등의 유인시책으로 민간 연구의 활성화를

촉진했다. 1997년 IMF 외환위기의 영향으로 중소기업들이 거래 모기업의 부실화로 인해 흑자

도산하는 등 연쇄 부도가 발생하자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의 안정적 경영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금융 지원책, 입지, 판로 지원 등을 추진했다. 중소기업청이 설립되면서 중소기업의

기술 혁신 및 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술 혁신 개발 사업의 지원 제도가 도입되었다. 중소기

Page 13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20

업의 신제품 개발비용 지원, 대학 및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를 활용한 현장의 애로기술 해결

등을 지원하는 산・학・연 공동기술 개발 컨소시엄 사업도 시행되었다. 산업 구조 조정을 통해

산업 구조의 고도화를 도모하고 정보통신기술을 중심으로 벤처기업 창업 촉진에 주력하고

신성장 산업의 발굴 육성과 기존 기업의 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 등이 추진되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국가재정을 위한 세수 확보 필요성에 따라 각종의 세제 지원 폭을

축소하는 방향에서 기술 개발 조세 지원 제도도 개편되었다. 그동안 사용해 왔던 ‘기술개발비’

용어를 ‘연구개발비’로 변경하고 연구개발비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기술개발 준비

금’이 ‘연구 및 인력 개발 준비금’으로, ‘기술 및 인력 개발비에 대한 세액 공제’가 ‘연구 및

인력 개발비에 대한 세액 공제’로 변경되었다. 기술 취득 금액에 대한 세액 공제율의 경우,

1998년 기준으로 대기업은 5%에서 3%로, 중소기업은 15%에서 10%로 축소되었다. 벤처기업

에 대한 조세 지원은 강화되어 주식 매수 선택권에 대한 과세 특례 제도가 도입되고, 중소기업

창업투자조합 출자 등에 대한 소득 공제 제도도 만들어졌다. 2000년대가 되자 지식집약형

중소・벤처기업 활성화로 경제 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 세액 감면 제도

확대 등 지원 제도를 개선했다.

1997년 8월 「벤처기업 육성 특별 조치법」을 제정하여 벤처기업 확인 제도를 처음으로 도입

하고, 벤처기업이 확인된 기업에 대해서는 융자 지원 및 신용보증 지원 등을 우대해주었다.

이 법에 따라 중소기업청의 중소기업 창업 및 진흥기금 뿐만 아니라 정보화 촉진기금, 산업기반

자금, 과학기술 진흥기금, 문화산업 진흥기금 등 다른 부처의 정책기금들도 민간 창업투자회사

들이 조성하는 투자조합에 출자하는 것을 허용했다. 그 결과, 각종 정책 기금들의 벤처캐피탈

투자조합 지원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지만 2000년 이후 벤처캐피탈 시장의 도덕적 해이 문제로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었다. 벤처투자 거품 붕괴에 따른 벤처기업 자금난 해소를 위해 2001년

정부는 신용상태가 취약한 벤처기업에 대해 신용보증 지원을 크게 확대했지만 2004년부터는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부실화를 유발하기도 했다. 중소・벤처 기업 간 M&A를 활성화하기 위해

주식교환 현물출자 특례 인정, 합병 및 영업 양수도 절차 간소화, 기업 가치 공인 평가제도

도입, 인수합병 및 구조 조정을 위한 구조 조정 투자조합의 결성을 지원했다.

나. 산업기술 개발 관련 중장기 계획

통상자원부는 「생산기술 발전 5개년 계획」이 당초 목표 이상의 성과를 거두자 경제 발전의

핵심수단으로 산업기술 개발 정책에 더욱 주력한다. 1987년부터 추진해 왔던 공업 기반 기술

Page 13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21

개발 사업은 주로 단기간을 사업주기로 하고 있어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전략 방향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었다. 정부는 산업기술 정책 및 기반조성을 보다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추진하고자

「2000년대를 향한 산업기술 발전 5개년 계획(1996∼2000)」을 수립했다. 그간 추진해 온

「생산기술 발전 5개년 계획」의 성과를 기반으로 1995년에 2,300여명의 기술전문가를 대상으

로 설문 및 방문조사, 공청회 등을 거쳐 세계 초일류 수준의 유망제품 개발에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전략적 핵심 기술 개발과 상업화 추진 계획을 마련했다. 기술 분야별 특성 및 산업발

전 단계에 따른 기술개발・기술획득 전략을 수립하고, 기술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체계적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산업기술자금의 확대 및 산업기술발전심의회 구성 등을 추진했다. 생산기술

개발의 협의의 개념인 단위요소기술 개발 위주에서 시스템기술 개발로, 단편적 기술개발 정책

위주에서 기술개발 및 마케팅, 생산을 포괄하는 종합적 기술 혁신 정책으로 정책의 영역을

넓혀갔다. 지원 대상 산업 분야는 기반기술, 산업기계, 일반기계, 전기・전자, 화학, 생활/섬유

등 6개 분야이었는데, 이를 43개 분야로 세분해서 5년간 지원할 세부기술 550개를 도출했다.

도출된 기술에 대해서는 연도별로 100개 내외씩 지원하여 계획의 최종 연도에는 정부와 민간

합계 약 2조 1천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국가 기술 혁신 시스템 구축을 위한 인프라 확충을

집중 추진하여 테크노파크, TIC 등 지역 기술 혁신 인프라를 조성하고, 기술거래소와 한국산업

기술재단 등 기술 이전 및 인력 양성을 위한 전담기구도 설립했다.

정부가 추진했던 산업기술 발전 계획은 1998년 IMF 외환위기로 인해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산업자원부는 외환위기 이후 침체된 산업의 혁신 잠재력을 확대하고 민간의 기술개발 활동과

유기적으로 연관된 정부의 기술개발 체제를 구축하는 동시에, 1999년 새로 추진하는 「신산업

발전 방안」에 적합한 기술 개발 계획 수립을 위해 「산업기술 발전 5개년 계획(2000~2004)」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기술 개발 부문(「산업기술 개발 5개년 계획」)과 기술 하부 구조 부문(「산

업기술 하부 구조 확충 5개년 계획」)으로 구분하여 추진되었다. 「산업기술 개발 5개년 계획」에

서는 기술개발 우선순위에 따라 기술발전 비전과 핵심 기술군을 도출하고 개발 전략을 제시했

다. 2004년까지 산업의 전반적 기술 수준을 선진국 대비 70~80% 수준까지 높이고 전자・정보

통신, 생명공학 등 첨단 기술 분야의 경우 집중 투자를 통해 선진국 대비 80~90%까지 향상시

키고자 했다. 15개 핵심 기술 분야에서 신산업 유망 기술개발 사업 25개, 산업 고도화 기술개발

사업 50개를 선정하여 5년간 3,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산업기술 하부 구조 확충 5개년

계획」에서는 「신산업 발전 방안」에 부합하는 기술 하부 구조 조사・분석을 통해 세부 추진

전략을 수립했다. 기술인력 양성, 지역 혁신 거점, 공동 연구 기반 구축, 산업 표준화, 산업

Page 13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22

정보화, 국제 협력 기반 구축, 공공 부문 기술 이전 등의 분야에서 100여개의 지원 과제를

도출하여 추진하기로 했다.

다. 산업기술 개발 사업의 전개

1987년부터 추진된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은 1999년 「산업 발전법」 제정으로 산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으로 사업명이 변경되었으며, 2001년부터는 별도 사업으로 추진하던 청정 생산

기술 개발 사업을 포함하여 산업기술 개발 사업으로 바뀌었다. 1999년에 신규 도입된 차세대

신기술 개발 사업에서는 시스템 집적 반도체 기반 사업을 포함하여 차세대 생물 산업 핵심

기술 등의 개발을 추진했다. 지역별로 경쟁력 있는 전략 산업을 선정하여 핵심 기술 및 공통

애로기술의 자체 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지역산업의 발전 비전을 제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해 균형발전을 도모하고자 했다. 산업기술 기반 조성 사업은 1999년 「산업기술 기반 조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추진되었으며 기술 인력의 교육 및 훈련, 산업정보의 수집・분석・유통의

촉진, 기술 연구시설 등의 확충, 기술연구의 집단화 지원, 신기술 보육 사업, 국제 기술 협력

촉진, 기술력 제고를 위한 경영 또는 기술의 진단・지도, 기술의 표준화 등을 추진했다. 이후

개발 기술의 이전・알선 및 개발 성과의 확산 부분이 신설되어 포함되었다.

<표 3-2> 산업기술 개발 사업의 변화(1996년~2001년)

1996년 (2,323억) 1999년 (2,577억) 2001년 (4,365억)

공통 핵심 기술 개발(700억) 공통 핵심 기술 개발(857억) 공통 핵심 기술 개발(410억)

중기 거점 기술 개발(571억) 중기 거점 기술 개발(743억) 중기 거점 기술 개발(730억)

선도 기술 개발(430억) 선도 기술 개발(492억) 선도 기술 개발(270억)

항공우주 기술 개발(396억) 항공우주 기술 개발(95억) 항공우주 기술 개발(320억)

국제 공동 기술 개발(30억) 국제 공동 기술 개발(60억) 국제협력 기술 개발(60억)

부품연구소 지원(100억) 부품연구소 지원(66억) 부품소재 기술 개발(767억)

산업디자인포장 기술 개발(67억) 산업디자인포장 기술 개발(84억) 디자인포장 기술 개발(150억)

차세대 신기술 개발(100억) 차세대 신기술 개발(370억)

민군겸용 기술 사업(50억) 민군겸용 기술 사업(100억)

핵심 기반기술 개발(142억)

신기술 실용화 기술 개발(150억)

표준화 기술 개발(60억)

전자상거래 기술 개발(50억)

지역 특화 기술 개발(402억)

청정 생산 기술 개발(345억)

자료: 한국산업기술평가원 (2007).

Page 13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23

1996년 기술개발 사업이 출연 지원 형태인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과 융자 지원 형태인

시제품 및 첨단기술 개발 사업 융자사업으로 나뉘게 된다. 「산업기술 발전 5개년 계획」에

따라 기술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지원을 위해 기술자금의 확대 등으로 융자사업을 추진했던

것이다.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은 기술속성, 기술수준, 수출증대 및 수입대체 효과 등을

감안하여 공통 핵심 기술 개발 사업, 중기 거점 기술 개발 사업, 선도 기술 개발 사업 등으로

구분되었다. 공통 핵심 기술 개발 사업은 산업 현장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애로기술을

단기적으로 해결해주는 사업이고, 중기 거점 기술 개발 사업은 철강・자동차・반도체 등 주력산

업의 고부가 가치화를 위해 복합 기술을 중장기적으로 집중 개발하는 사업이며, 선도 기술

개발 사업은 미래 첨단산업 부문의 선진수준 진입을 위해 5년 이상 부처 공동으로 지원하는

사업이었다. 시제품 및 첨단 기술개발 융자 사업은 경제적・기술적 파급효과가 큰 자본재 전략

품목을 집중 지원하는 시제품 개발 사업으로 국내에 없는 기술로서 가까운 장래에 성장이

예상되는 첨단 기술에 지속적으로 지원했다.

[그림 3-1] 산업기술 개발 사업 세부사업별 투자의 변화 추이

(단위: 억 원)

자료: 한국산업기술평가원 (2007).

Page 13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24

1999년의 외환위기 극복을 위해 공공과 민간의 전 분야에 걸쳐 대대적 구조 조정이 추진되

었으며 국가 연구개발 사업도 조정・통합되었다.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에서는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심의평가의 간소화, 절차 및 첨부 서류 간소화 등 행정 부담 완화,

경영 상황이 악화된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및 기술 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집중 육성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지원 방안 등이 마련되었다. 개발 기술 실용화 촉진 사업을 통해 개발

완료된 기술의 실용화율을 높이고, 개발 과제의 평가관리 전문성을 확장하기 위해 국제 특허

분류 체계를 세분화하였다. 산업기술 개발 지원 대상 과제의 선정 및 평가 체계의 개선을

통해 정책적인 ‘선택과 집중’을 강화하고, 연구개발에 있어 성실히 수행된 과제에 대해 ‘free

to fail’을 확립하여 창의적인 연구개발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하여 온 산업기술 개발 사업의 세부사업별 투자의 변화 추이는 다음 [그림 3-1]에서 살펴보

는 바와 같다.

핵심 자본재 및 첨단 기술 제품의 국산화를 통해 만성적인 국제 무역 수지 적자 해소 및

산업 구조 선진화를 촉진하기 위해 자본재 시제품 및 첨단 기술 제품 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자본재 시제품 개발 사업은 수입 의존도가 높은 자본재의 국산화 수준을 빠른 시일 내에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자본재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제고 하여 무역 수지 적자의 개선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기존 소형 저가 품목 위주의 개발 지원이 아닌 개발선 공시 산업의 파급

효과와 수입 대체 등으로 무역수지 개선 효과가 큰 핵심 자본재 품목에 대해 중점 지원함으로써

IMF 체제 하의 외환위기 극복에 일조했다. 2001년을 기준으로 1986년부터 2001년까지

7,897개 품목에 총 1조 6,883억 원을 지원했으며, 이중 6,294개 품목을 개발 완료하여 국산화

함으로써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했다. 첨단 기술 제품 개발 사업은 산업 구조 고도화를 촉진하기

위해 「공업 발전법」에 근거하여 ‘첨단 기술 및 제품의 범위’ 중 수입대체 등 무역수지 개선

효과와 개발 완료시 산업의 파급효과가 큰 품목을 발굴하여 지원했다. 2001년 기준으로 1990

년부터 2001년까지 1,667개 품목에 총 5,598억 원을 지원했으며, 이중 1,024개 품목을 개발

완료하여 수입에 의존하던 첨단 기술 및 기계류 등을 국산화하여 수입 대체, 수출 증대 등으로

무역수지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

2003년에는 R&D-인프라 연계 시범 사업이 추진되고 2004년부터 개발된 기술이 산업적

성과로 연계될 수 있도록 기술 사업화 지원을 대폭 강화하였다.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그동안

하드웨어 중심의 인프라 구축으로 인한 지방의 자생적 기술 혁신 창출 기반이 취약한 점을

극복하고자 지역 기술 혁신 시스템 구축을 통해 지방 분권과 국가 균형 발전의 동태적 환경

Page 13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25

조성을 추진하였다. 지역 전략 산업과 연계하여 장비 인력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테크노파크를

지역 기술 혁신 허브로 발전시키고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국가 기술혁신 체제의 기본골격을

형성하는 한편, 지역 내 인프라 조성, 인력 양성, 기술 사업화 등 지역 사업의 통합 창구 역할을

수행하도록 했다.

라. 부품소재 기술 개발 사업 추진

2001년 「부품소재 전문 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 조치법」 제정을 계기로 보다 종합적이

고 체계적인 기술개발 계획이 시작되었다. 산업자원부는 2001년 부품소재 산업의 중장기 육성

전략인 「부품소재 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부품소재의 세계적 공급 기지화 달성을 위한

정책들을 의욕적으로 추진했다. 부품소재 전문기업 육성, 차세대 기술의 독자적 구축, 세계적

조달 체제의 편입 등 3대 발전 목표를 정하고 부품소재 기술 개발 사업, 부품소재 종합 기술

지원 사업, 신뢰성 기반 구축 사업 등의 대규모 사업을 기획했다.

부품소재 기술개발 사업은 글로벌화 하는 부품소재 시장의 수요에 부응하여 성과 실현이

빠른 실용화 기술개발을 집중 추진하는 사업으로서, 시장 친화적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단기간

에 높은 성과를 실현하고 세계 시장 10위 이내 경쟁력을 갖춘 혁신형 기업을 다수 창출했다.

부품소재 종합 기술 지원 사업은 중소 부품소재 전문기업의 혁신역량 제고를 위해 23개 공공연

구기관의 고급인력을 현장에 파견하여 기술을 지원하는 사업으로서, 현장 애로기술 지원을

통해 전문성과 인력이 부족한 중소 부품소재 기업의 기술력 제고에 기여했다. 신뢰성 기반

구축 사업에서는 개발된 부품소재의 신뢰성 향상, 신뢰성 장비・인력 확충 및 신뢰성 인증

(R-mark) 등을 실시했다. 그 결과 만도, 심택 등과 같은 기업의 글로벌 소싱 참여 사례가

증가하여 부품소재의 수출이 확대되고 글로벌 스타 기업이 등장하기도 했다. 원천기술 없이

시장성과 상용화에 주력한 소규모 살포식 지원과 부품소재 기업의 영세성 지속으로 원천기술

확보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전문화와 대형화를 촉진하는데도 미흡했다.

마. 주요 성과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은 최초 100억 원의 예산으로 시작되었으며, 1993년까지 2,000여

개 기술개발 사업에 총 5,877억 원이 투입되어 정부출연금 3,133억 원으로 2,743억 원의

민간투자를 유발했다. 1987년부터 1992년까지 지원된 기술개발 과제 1,153건의 기술개발

Page 14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26

과제 중 502건이 개발 완료되었으며 이 중 449건이 개발 성공하여 성공률 89%에 이르렀다.

이를 통해 DRAM, HDTV 등 핵심 요소기술의 자체 개발을 통한 주력 산업의 독자적 기술개발

기반을 마련했으며, 기업부설연구소의 증가, 산・학・연 합동 연구 촉진 등 기술개발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 이때 기술개발 사업으로 지원된 HDTV, 16/64M DRAM, 자동차 부품 등의

기술개발은 이후 기술 경쟁력 향상의 초석이 되었다.

<표 3-3>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 연도별 추진실적

(단위: 개, 억 원)

구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과제수 107 246 276 314 551 480 420

(신규) (107) (188) (131) (189) (333) (179) (258)

(계속) - (58) (145) (125) (218) (301) (162)

투자금액 135 324 404 544 1,369 1,395 1,706

(정부) (81) (177) (213) (336) (712) (727) (887)

(민간) (53) (147) (191) (208) (657) (668) (819)

기술개발 사업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해 수립된 「생산기술 발전 5개년 계획(1991~1995)」을

통해 5년간 통상자원부(3,525억 원), 정보통신부(1,030억 원), 한국전력(747억 원), 산업은행

(1,264억 원) 등 총 6,566억 원이 투입되었다. 공공 부문에서 당초 목표인 919개 과제의

2배 수준인 1,711개 과제에 대해 6,566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종료 과제 677개 중 577건의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생산 현장의 기술적 애로사항 해소에 크게 기여했다.

<표 3-4> 「산업기술 발전 5개년 계획」 기간 중 기술 혁신 예산 증가 수준

구분 1996 2000 2003

산업기술 개발 예산(출연, 억 원) 2,323 3,607 5,446

산업기술 기반 조성(출연, 억 원) 298 1,400 3,514

산업기술 재특회계(융자, 억 원) 2,545 2,900 1,600

기관 출연(보조, 억 원) 151 246 219

「생산기술 발전 5개년 계획」의 성과를 기반으로 수립된 「2000년대를 향산 산업기술 발전

5개년 계획(1996∼2000)」을 통해서는 1996년 5,318억 원에서 2003년 1조 736억 원으로

Page 14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27

투자규모가 크게 성장했다. 1996년부터 2002년까지 산업기술 개발 투자 3조원(정부 1조 736

억 원) 대비 26배에 이르는 매출 효과(79조 원)를 가져왔다. 산업기술 개발 사업은 시장과

연계된 기술개발을 통해 기술 발전 자체보다는 산업 경쟁력 증대를 모색했으며, 이에 따라

생산현장의 기술적 애로사항을 해결하는데 주력했다. 그동안 종료된 사업으로 고선명

TV(1994), 차세대 반도체(1997), 주문형 반도체(2000), 평판표시장치(2001) 등은 물론이고,

세계 시장 1위의 DRAM, TFT-LCD, HDTV 등이 세계 일류 수준으로 개발 완료되었다.

3. 혁신 주도형 기술 개발과 지식경제 기반 구축(2000년대 중반~2010년대 초)

2000년대 들어 가속화된 정보기술 발전은 기존 산업사회를 지식정보사회로 변모시켰다.

인터넷 기술의 보편화로 디지털화를 통한 지식 교류의 속도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빨라졌다.

수확체증의 법칙과 승자독식이 존재하는 디지털 경제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고객 수요에

적합한 전략 기술(break-through technology)을 발굴하고 집중 지원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

이 필요해졌다. 국가 경쟁력 강화의 필수 요소로 기술이 중요시되면서 선진국들은 미래유망

신기술 개발에 경쟁적으로 투자했다. 급속히 성장하는 IT 분야가 경제사회 및 산업의 각 부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자 전 세계 국가들은 전략적 발전계획을 수립했고, BT는 IT와

나노기술(NT) 등과 융합해 포스트 게놈(Post genom) 시대의 시장선점 전쟁에 불을 지폈다.

NT는 신소재와 지능형 재료의 제조 및 이의 신속한 대량생산을 통해 생산하는 모든 기기의

제조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전망되었다. 국가 간 경계가 모호해지고, 기업 합병

및 자본 이동의 자유화가 심화되면서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경쟁력 강화도 중요해

졌다. 시민의 권리 신장과 참여가 확대되면서 실업, 빈부격차, 고령화 사회 도래에 따른 복지문

제에 대한 관심 증가 등 문화 및 삶의 질 개선 욕구도 증대했다.

가. 산업기술 행정 체계 및 주요 지원 제도

2006년 12월 발표된 「신 산업기술 R&D 시스템 혁신 전략」에서는 R&D 사업 구조 개선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고자 했다. 기술 분야별로 산・학・연・관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위원회를 운영하고, 기술개발 과제는 선행특허조사와 경제성 분석 등을

포함해 최소 6개월 이상의 선(先) 기획을 실시하기로 했다. 예산배분은 산업정책본부가 운영하

는 기술전략위원회를 통해 사전 조정하고, 민관 합동의 산업기술발전위원회를 통해 최종 확정

Page 14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28

한다는 내용이었다. 평가관리 단계에 있어서도 전문성과 책임성 강화를 위해 연구 과제를

집중 검토하는 과제별 전담평가위원을 지정하여 동료평가(Peer Review) 형식의 평가를 실시

하기로 했다. 경제성에 입각한 사업 운영 원칙에 따라 R&D 과제의 기획 단계, 선정 단계,

종료 및 사업화 단계 등 R&D 전주기에 걸친 경제성 평가도 도입했다. 산업자원부 조직 개편에

따라 역할이 강화된 미래산업본부와 기간산업본부의 R&D 지원 기능 및 역할을 제고하고,

기술표준원 및 협회・연구조합 등 R&D 중간조직을 사업 운영에 참여시켜 ‘Total R&D 지원

체제’를 구축, 사업관리의 책임성을 강화했다. 기술표준원은 기술개발 과제의 진도를 관리하

고, R&D 중간조직은 전문성을 활용하여 R&D 기획을 지원하는 등 주체별 역할분담 체계를

확립했다.

<표 3-5> 산업기술 개발 사업의 주체별 역할분담 체계

주체 주요 역할

기간・미래

산업본부

� 전략 기술 사업기획, 주요 기술개발 과제 기획(기술위원회 운영)

�매분기별 Progress Report 발간 및 성과 홍보

산업정책

본부

� 전략 기술 사업기획 심의 및 예산배분조정(기술전략위원회 운영)

� 사업평가, 연구비 집행, 전담기관 관리, 기술료 관리 등

기술표준원 � 전략 산업 분야의 프로젝트 진도관리, 단계평가, 최종평가

평가관리

전담기관

� 기술개발 과제 평가위원회 운영

� 과제의 진도점검, 단계평가, 최종평가 등

� 연구비 집행 및 정산, 기술료 징수, 사후관리 등

R&D 중간조직� 기간・미래산업본부의 사업 및 기술개발 과제 기획 지원

� 산업계의 R&D 관련 의견수렴 및 산・학・연 Networking

2008년 수립된 이명박 정부는 옛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로부터 지식경제부로

이관된 107개 기술개발 사업을 49개로 통합하면서 산업 및 에너지 기술 R&D 전담기관들의

구조를 개편하는 지식경제 R&D 지원 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한국산업기술평가원, 한국산

업기술재단,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에너지기술평가원 등 업종별로 운영되고 있는 전담기관들의

기능 분석을 토대로 구조 개편을 추진했으며, 그 결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한국산

업기술진흥원(KIAT),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 등으로 개편되었다. 한편 시장과 교감하

는 R&D 관리・운영을 위한 시스템 혁신도 추진했다. 기획・평가 등 R&D 전 과정 공개 및

성과 지향적 전주기 관리 등 R&D 추진 시스템을 혁신하고, 숨어있는 R&D 규제를 완화하여

연구관리 운영의 불필요한 행정 처리를 제거하고자 했다.

Page 14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29

지식경제부는 R&D 사업을 과제관리형 예산지원 방식에서 기업형 투자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해 R&D전략기획단이라는 새로운 컨트롤타워를 2010년 6월에 공식 출범시켰다. 민간기업

CEO를 단장으로 선임하고, 민간의 산・학・연 전문가들을 영입하면서 민간기업 스타일의 사업

추진방식을 도입했다. R&D전략기획단은 하향식 방식의 과제 선정 및 경쟁 도입으로 신산업

창출을 유도, 2020년까지 세계 5대 기술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향후 10대

선도 기술을 발굴하고, 세계 1위 사업을 최소 100개 이상 육성하여 산업 전반에 융・복합화가

확산될 수 있는 역할을 하고자 했다.

[그림 3-2] R&D전략기획단 설립 및 구조

주: MD(Managing Director)는 투자관리자로 성장 동력 창출 경험이 있는 산업계 핵심 인재가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자료: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0.6.)

정부는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 2006년 연구개발 설비 투자 금액 세액 공제 제도의 일몰을

연장했다. 연구 및 인력 기술개발 준비금 제도는 2007년부터 폐지하기로 결정하고, 연구개발

을 위한 출연금 등의 손금산입 특례를 신설했다. 창업 중소기업에 대한 감면제도 일몰 연장,

중소물류기업 구조 조정 지원세제 신설 등을 통한 중소・벤처기업 및 서비스 산업에 대한 지원

은 지속하기로 했다. 2007년도에는 연구개발 서비스업을 육성하기 위한 조세감면제도를 신설

하고 대기업에 대한 연구 및 인력 개발비 세액 공제 방식을 현재의 증가분 방식 외에 당기분

방식도 선택 가능하도록 개선하는 등 연구개발에 대한 조세 지원을 강화했다.

각 부처의 정책기금으로 벤처캐피탈 펀드 직접출자를 지원하는 사업들이 상당부분 부실화되

자 출자 지원 방식을 직접 지원에서 모태펀드 설립을 통한 간접 지원으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했

다. 벤처캐피탈 업계의 고질적 문제였던 투명성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 벤처캐피탈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창업투자회사 이력 관리시스템 및 평가 모델 개발과 함께 불법행위 창업투

Page 14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30

자회사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제도개선을 추진했다. 벤처캐피탈의 경영지배 목적의 투자를

허용하고 미국식 유한회사형 벤처캐피탈 펀드의 도입으로 벤처캐피탈의 발전을 위한 환경을

조성했다. 벤처기업 패자부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중소기업진흥공단의 기술 혁신형 중소기업

지원을 점차 확대해갔다. 기술신용보증기금의 기능 재편과 기술평가보증의 확대를 위해 2005

년 말부터 새로운 평가모델을 도입하여 창업 및 기술력 우수기업에 대한 기술평가 보증 혹은

기술담보 보증의 규모를 크게 확대했다.

나. 산업기술 개발 관련 중장기 계획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는 모방형 기술 혁신의 한계, 창의적 기술인력 부족, 원천기술 개발

능력 부족, 연구개발 결과의 사업화 부진, 성숙기술의 후발국 추격 등으로 국민소득이 10여

년간 1만 달러 수준에 머물면서 성장 동력 창출 한계에 직면했다.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과

창의적 기술 혁신 체제로의 전환이 요구되자 2003년에 「제4차 산업기술 혁신 5개년 계획

(2004∼2008)」이 수립되었다. 산업자원부는 향후 10년 동안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기계, 자동차, 조선, 철강, 석유화학, 섬유패션 등 주력기간산업의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을 발굴하면서 산업 현장 맞춤형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정책을 계획했다(산업자원부,

2003). 2003년 10대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 분야의 기획단과 10대 주력 산업 분야의 기획단

400명을 구성하여 200개 핵심 기술개발 과제를 도출하고, 수요자 중심의 창조형 산업 기반

조성과 차세대 성장 동력 기술개발 체계를 갖추는 계획을 수립했다. 이 중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은 사업단 형태로 추진하면서, 10개 사업단 중 산업자원부는 디스플레이, 지능형 로봇,

미래형 자동차,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전지 분야의 주무부처가 되어 사업을 추진했다. 2004년

부터 산업기술 개발 사업은 10대 차세대성장 동력 분야 지원을 위해 성장 동력 기술개발 사업

을 신설하고 모든 과제를 종합 관리하는 기업형 산업단 체제로 운영되었다.

2008년 수립된 이명박 정부에서는 개방・혁신형 산업기술 개발 체제를 확산하고, 독자적

산업원천기술역량을 확보함으로써 신산업 창출이 가능한 창조 혁신형 산업기술 개발 영역을

확대하고자 「제5차 산업기술 혁신 5개년 계획(2009~2013)」을 발표했다. 공급자 중심의 산업

기술 혁신 정책에서 탈피하여 산업기술 혁신에 대한 시장수요 트렌드에 연동하여 변화할 수

있는 민간 주도의 시장 지향형 기술 혁신시스템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그에 따른 추진

방향을 정립했다. 중기거점, IT 원천기술 등 14개 산업기술 개발 사업의 최근 7년간 지원

Page 14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31

과제를 조사하여 핵심 기술별 R&D 지원 현황을 파악하고, 기술개발 지원의 타당성을 검증하

는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미국・일본・ EU 등 주요국 특허를 정밀 분석하고, 14대

산업 원천 분야 9,316개의 핵심 기술과 연차별 기술개발 목표를 도출하고, 시기별(단・중・장

기)・방안별(국제협력 등) 추진 전략을 제시했다.

<표 3-6> 산업기술 혁신 중장기 계획의 발전 과정

「생산기술 발전

5개년 계획」

(1991년~1995년)

「제2차 산업기술

개발 5개년 계획」

(1996년~2000년)

「제3차 산업기술

발전 5개년 계획」

(2000년~2004년)

「제4차 산업기술

혁신 5개년 계획」

(2004년~2008년)

「제5차 산업기술

혁신 5개년 계획」

(2009년~2013년)

생산기술의 개발과

기술첨단화를 통한

산업 구조의 고도화

신기술 획득과

활용의 효율적 조화/

통합을 통한 기술

혁신 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과

기술하부 구조

부문으로 구분

국가 기술 혁신 체제

구축을 통한

혁신주도형

선진산업국가건설

선순환적 산업기술

생태계 조성을 통한

선진 산업 강국 도약

-생산기술 개발 추진

체계 구축

-기술인력 양성 확대

-생산기술정보

유통과 활용의 효율

-기술행정체계개선

-정부의 생산기술

개발 지원 정책

-생산기술연구원의

전략적 활용

-기술특성을 고려한

산업기술 획득

방식선택

-산업발전단계에

따라 기술 개발진

-산업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 확대

-체계적 관리 강화

-진도관리와

환류기능 강화

-국가 기술 혁신체계

정착

-정부・민간합동의

전략적 기획

-다양한 기술적

수요에 대한 대응

-산업 구조 변화촉진과

경제시스템의

효율성 증대

-국가 기술

혁신시스템의

혁신원천 다양화

-차세대 성장 동력

기술 등 핵심

기술의 효율적 개발

-기술 개발 및 기반

조성사업의 촉진

-R&D 생산성 제고를

위한 국제공동 연구

및 협력 확대

-제조업지원 지식

서비스산업 강화

-시장중심 기술

이전・사업화 추진

-평가관리의 혁신 등

제도개선 추진

-창조 경제를 뒷받침

하는 미래 성장엔진

창출

-R&BD 중심의

新개방형 혁신체제

구축

-선도자형 산업기술

혁신기반 조성

-산업기술 혁신인재

및 기술문화 확충

자료: 한국산업기술평가원 (2007); 산업통상자원부 (2013).

한편 세계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경제 회복세를 확고히 해서 5% 성장을 실현할 수 있도록

산업의 활력을 제고하고, 세계 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경제의 체질 강화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이명박 정부의 정책 기조에 따라 지식경제부는 2010년 새로운 산업기술 전략을

제시했다. 기술 혁신・지식주도형 경제 구조로의 전환과 성장 활력의 재충전이라는 방향에서

주력 산업의 고도화와 신기술의 거대 산업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산업기술 혁신 비전 2020

」을 발표한 것이다. 지식이 중심 되는 사회에서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를 벗어나 시장을

Page 14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32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 전환해야 하고 사람 중심의, 사람을 위한 휴먼테크로

이동해야 한다는 취지로 ‘Total Solution, Early Stage Convergence, Innovation

Magnet’이라는 3가지 전략 도구를 활용하는 「The One 전략」을 수립하고 15대 핵심 분야

34개 세부 산업별 비전과 목표를 제시했다.

그동안 우리나라 산업 구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산업의 허리가 매우 취약하다는 것이었다.

중소기업을 벗어나 대기업으로 성장하기 보다는 정부 지원을 받고 중소기업 울타리에 계속

머물러 있다 보니 산업의 중간이 취약한 첨탑형 구조로 고착화되었다. 일본이나 독일에서

중견기업이 산업의 허리를 튼튼하게 지탱해주는 삼각형 구조와 대조적이었다. 이에 기획재정

부는 중견기업 육성을 위한 「세계적 전문 중견기업 육성 전략」을 2010년 발표했다. 제도적

기반 구축, 중소기업 졸업 촉진과 졸업기업 부담 완화, 중견기업 기술 경쟁력 강화, 글로벌

마케팅 지원 체계 구축 등 5대 핵심전략 9대 정책과제를 제시했다(<표 3-7> 참고). 그동안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이분법적인 정책 패러다임으로 인해 소외되어 왔던 중견기업을 경제의

핵심 주체로 인정하고, 「산업 발전법」 개정을 통해 중견기업의 정의 및 지원 근거를 명시함으로

써 중견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중소기업 졸업에 따른 부담이 완화될 수

있도록 부담 완화 기간을 5년으로 도입하고 최저 세율을 단계적으로 인상했다.

<표 3-7> 「세계적 전문 중견기업 육성 전략」

추진 전략 정책과제

중견기업 육성을 위한

법률적 근거 도입① ‘산업발전법’에 중견기업 정의 및 정책근거 마련

중소기업 졸업촉진과

졸업기업 부담완화

② 조세부담 완화: 최저한세율 인하, R&D 세액공제 확대, 가업상속 지원

확대 등

③ 금융부담 완화: 기업은행 금융거래 유지, 보증만기도래 부담 완화,

무역금융 부담 완화

④ 성장지원 자금조달 프로그램 도입: 정책금융공사를 활용한 장기설비자금

등 지원

중견기업 기술 경쟁력 강화

⑤ 기술역량 강화: R&D지원 확대, 사업화 촉진, 특허 분쟁 대응능력 제고

⑥ 독일식 기술확산시스템 전면 도입

⑦ 전문인력 지원 확대

글로벌 마케팅 지원체계 구축 ⑧ 해외정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패키지형 마케팅 지원서비스 신설

‘World-Class 300’

프로젝트 추진⑨ 성장잠재력이 높은 기업에 Package 지원

자료: 기획재정부 (2010)

Page 14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33

다. 산업기술 개발 사업의 전개

그동안 연구개발 투자 규모 등 외형적 지표는 크게 성장하였으나, 투자 성과 및 정책 실효성

의 문제점이 계속 지적되면서 산업기술 정책의 효율성과 정부의 역할을 재검토하여 성과 중심

의 새로운 정책의 틀을 정립하는데 주력했다. 2006년 「2015 산업기술 비전 및 신 산업기술

R&D 전략」을 수립, 핵심・원천기술 개발 등 전략성 강화, 기술별 특성을 반영한 패키지형

지원 체계 구축 등 산업기술 R&D 투자의 역할 변화와 함께 양적 팽창에 걸맞은 효율성 증대를

도모하고자 했다. 이 전략은 국가 기술개발의 우선순위 및 투자 방향을 제시하고, 전략 기술

분야의 산업 원천기술의 확보를 추진하는 한편 다양한 지원 방식 및 패키지형 지원 등 유연한

지원 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연구개발 과제의 경제성 평가와 성과활용평가 시범

사업을 통해 성과 중심의 연구개발 시스템 마련을 위해 노력했으며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을 추진하여 40인치 AMOLED TV, 512M DRAM 등 괄목할 만한

연구 성과가 창출되기도 했다.

<표 3-8> 지식경제 R&D 5대 사업 유형

산업원천 R&D 상용화 R&D 특정목적 R&D정부출연연구기관

지원기능별 사업

� 산업 원천기술

(14대 분야)

� 중소・중견기업

� 우수기술

연구센터

� 부품소재

� 지역사업 등

�산업기술연구회

산하 13개

정부출연연구기관

� 기반 조성

� 인력 양성

� 기술 사업화 등

자료: 지식경제부 (2008b), “지식경제부 R&D 사업 구조 개편”.

산업기술 개발 사업은 2008년 이명박 정부의 부처 통폐합에 따라 큰 변화를 겪는다. 정보통

신부의 연구개발 사업과 과학기술부의 일부 사업이 지식경제부로 이관됨에 따라, 예산 규모와

영역 측면에서 크게 확대되었다. 지식경제부 내에서도, 주무과가 과거 기술 개발과, 에너지개

발과, 정보통신정책과 등 총괄과 개념에서, 산업 관련 전 부서가 연구개발 사업을 담당하게

되는 다원화된 시스템을 갖게 된 것이다. 부처 통폐합은 산업기술 개발 사업 구조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의 연구개발 사업지원 기능을 지식경제부 5대

연구개발 사업 유형으로 통합하였다(<표 3-8> 참고). 즉, 기존 산업자원부의 20대 전략 분야와

정보통신부의 14대 전략분야를 통합하여 산업 원천 R&D 14대 분야로 정리했다([그림 3-3]

참고). 이는 전략적 선택과 집중으로 14대 전략 기술 분야를 설정하고 단계별 기술 개발 비전을

Page 14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34

도출하여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고자 했던 시도였다. 이를 위해 R&D 사업 구조를 통합 단순화

하고, 전략 기술 분야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개편했다. 사업 구조 개편으로 기존의 42개 연구개

발 사업(중장기, 단기, 기반조성)을 통합하여 14대 산업 원천기술 개발 사업으로 재편했다.

[그림 3-3] 산업 원천 R&D 14대 분야 개편내용

자료: 지식경제부 (2008b).

정부 부처의 개편에 따라 R&D 사업도 신시장 창출, 산업융합 원천기술 확보, R&D 혁신역

량 확충 등으로 전면적 구조 개편을 추진했다. 신시장과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미래 산업

선도 기술 개발,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전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글로벌 전문 기술 개발, 시장이 형성되지 않았으나 잠재적 시장 가치가 커 국가차원의

투자가 필요한 분야를 지원하는 공공 기술 개발, 개발된 유망 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사업화 연계 기술 개발 등으로 개편했다. 산업 융합・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녹색 성장, 신성장

동력, 융합 등의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산업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사업도 추진했다. 산・학・연

네트워킹, 민간 R&D 아웃소싱 활성화 등 네트워킹형 기술 혁신 체제도 구축했다. 기업 중심의

Page 14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35

산・학・연 네트워킹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공동 R&D 방식을 중소기업과 공동 협력형으로

개편하고 대학, 공공 연구소 및 테크노파크의 기업 기술 애로 해소를 위한 기술・장비 네트워킹

을 강화했다. 민간 R&D 아웃소싱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연구개발 전문 기업의 참여를 확대

하고, R&D 중간조직을 통한 혁신 주체들 간 연구 과제 탐색 및 기획 활동을 강화했다. 해외기

술・인력자원 활용을 통한 국제 공동 연구개발 등 국내 기술역량의 보완을 도모하면서 국제

공동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외국기관의 실시기관 참여 허용 등 연구개발 시스템의 유연성을

제고하고, 과제의 대형화를 통해 원천・첨단 기술 확보에 주력했다. 외국 기술인력 비자제도

개편 등으로 해외 기술연구 인력 유치 촉진 및 세제 등 지원시책도 추진했다.

[그림 3-4] 사업 개편 전후 R&D 사업 구조 비교

자료: 지식경제부.

라. 부품소재 기술 개발 사업 추진

1990년대 이전의 소극적 국산화 시책기와 국민의 정부 시대의 발전 기반 구축기를 거쳐

참여정부에 들어서면서 글로벌 경쟁력과 기술력을 제고하는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이

시기에는 부품소재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예산을 늘려 지원을 확대했는데, 참여정부 4년 동안

국민의 정부에 비해 2.9배 증가한 8,891억 원이 투입되었다.

2005년 1월 「부품소재 발전 전략」 수립을 계기로 세계 시장을 겨냥한 공세적인 전략이

추진되었다. 기업별 특성에 맞는 지원전략 추진, 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의 단계별 지원 체계

구축, 중핵기업의 육성화 방안 마련, 전략적 핵심 기술의 확보 등 기존 전략을 보다 구체화했다.

같은 해 7월에는 정책 연구, 기술 지원, 사업화의 3대 기능을 가지고 정부정책의 원활한 추진과

Page 15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36

「부품・소재 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 조치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요 사업을 체계적으

로 추진하기 위해 한국부품소재산업진흥원을 설립했다. 12월에는 「2015 부품소재 산업 발전

전략」을 수립, 2015년 부품소재 부문 무역흑자 1천억 달러 달성, 세계일류 부품소재 중핵기업

육성, 원천기술을 포함한 첨단 부품소재의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 등의 3대 목표를 설정했다.

특히 취약 분야라 할 수 있는 기초소재 부문의 설계 및 공정기술 등의 확보를 위해 기초소재의

원천기술을 집중 육성하여 수출 증가가 수입증가로 이어지는 종전의 산업 구조를 타파하고자

했다. 또한 중핵기업 300개를 중점 육성함으로서 부품소재의 세계 공급기지화 달성을 위한

전략을 추진하도록 했다.

글로벌 부품소재 기업의 전문화와 대형화 추세에 대응하여 세계적 기술력을 갖춘 중핵기업

개념을 「부품소재 발전 전략」에 도입했으나 중핵기업 특성에 맞는 전략적 지원프로그램과

세부실천방안은 미흡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중핵기업 창출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실

천계획으로서 2006년 4월에 「부품소재 중핵기업 발전대책」을 수립하게 된다. 이 대책에서는

중핵후보군 특성에 맞는 지원시스템 구축, 소재산업 발전 기반조성, 중소기업군의 중핵기업화

및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 촉진 등의 3대 전략과 모듈부품의 연구개발 역량 확충, 글로벌

네트워크의 편입 촉진, 맞춤형 소재 연구개발 체제 구축, 소재산업 발전 인프라 확충, 혁신클러

스터의 중핵단지화 등의 9대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연간 4,000억 원 규모의 부품소재 예산

을 향후 5년 내 1조원 규모로 확대 추진하고, 부품소재 정책을 중장기적으로 지속적・일괄적으

로 추진하기 위해 2011년까지 한시법으로 되어있는 「부품・소재 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정비하고자 했다.

마. 주요 성과

그동안 집중된 연구개발 투자로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수준의 연구개발 투자 국가로 부상하였

다.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총투자는 2011년 기준 세계 6위(49.9조원), GDP 대비 연구개발

투자 비중은 세계 2위(4.03%)로 성장했다. 정부의 연구개발 예산 증가율(2007년~2011년)은

연평균 11.1%로서 정부 예산 증가율(7.4%)을 상회하고 총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했다.

산업자원부의 연구개발 예산은 기업 지원과 실용화를 위한 개발연구 단계 중심으로 집중 투자

되었다. 수행 주체별로 살펴보면, 정부 연구개발 투자가 정부 출연 연구기관 및 대학 지원에

집중되었지만 산업자원부의 연구개발 투자는 기업(43.2%)에 지원이 집중되었고, 연구 단계별로

Page 15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37

는 개발 연구를 위한 투자(63.0%)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산업분야 중에서는 전자부품・컴퓨

터・통신장비 분야 비중이 가장 높았다. 즉, 산업기술 연구개발 투자는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 혁신 활동에 투자되었고, 대학과 연구소가 산업 핵심 기술개발에 크게 기여했다.

[그림 3-5] 부처별・수행 주체별 투자비중('12, %) [그림 3-6] 부처별・연구 단계별 투자비중('12, %)

출처: NTIS, 산업자원부 R&D 투자 DB.

[그림 3-7] 산업자원부 R&D 분야별 투자 [그림 3-8] 산업자원부 R&D 세부분야별 투자

출처: NTIS, 산업자원부 R&D 투자 DB.

기술 이전・사업화 지원을 확대한 결과 지식경제부의 지난 5년(2008년~2012년)간 사업화

수가 13,277건 기술료 징수액은 6,930억 원으로 연구비 1억 원당 약 348만원의 수익을 환수

했다. 신기술 사업화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신성장 동력 투자 펀드도 2013년까지 8개 펀드

8,276억 원이 조성되었다. 산업기술 혁신 기반을 양적으로 확대하고, 지역으로 지속적으로

확산했다. 연구시설・장비 등의 인프라가 꾸준히 확대되어, 연구시설・장비 구축 예산은 2008년

238억 원에서 2013년 1,290억 원으로 확대되었다. 산업기술 국제협력 사업 예산도 2007년

170억 원에서 2013년 571억 원으로 늘었으며 국제공동 R&D를 통해 약 700개의 공동 연구

Page 15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38

파트너십이 구축되었다. 지식경제부의 인력사업도 고급연구인력 육성 및 고용연계 강화로 전

환하고 수요자 중심의 전문 교육을 지속 강화했다. 테크노파크와 지역특화센터 등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지역 기업 지원의 기초가 되는 지역 기술 혁신 인프라를 전국에 광범위하게 구축하기

도 했다. 테크노파크는 전국에 18개, 지역특화센터는 72개, 지역혁신센터는 127개, 지자체연

구소는 19개로 늘어났다.

4. 선도형 기술 전략과 창조 경제(2010년대 중반~)

세계화와 정보화의 영향으로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세계금융시장 불안이 실물경제에 본격

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전반적인 국제 경제 둔화가 이어졌다. 기후변화, 탄소배출권 등 환경문제

에 대한 국제적 관심의 증가와 전력문제 등 에너지 사용 및 효율성 제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

다. 우리나라는 G20 개최 등 국가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글로벌 문제에 대해 적절히 대응해

야 했다. 급변하는 세계정세에 따라 국가의 주도적 위기해소 역할이 요구되었고 정부와 민간의

역할 분담 및 정부투자의 전략성 강화도 요구되었다. 국민복지, 한미 FTA 등 사회 문제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비 R&D 영역에 대한 지원도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정보화

시대에 기술 환경의 급변과 선도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술 혁신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면

서 선진국의 기술 모방에서 벗어나 새로운 기술 혁신 창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관심도 급증했다. 산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하고 창의적

기술 개발을 위한 정책적 변화가 필요했다. 창조형 연구개발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연구

확대 등의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기조는 유지하되, 미래 성장 동력 분야의 투자는 선택과

집중, 정부와 민간의 역할 분담이라는 원칙에 따라 추진되었다. 신성장 동력과 녹색 기술 분야

에 대한 전략적 투자가 확대되고, 복지・건강・안전에 대한 국민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사회

수요에 대응하는 연구개발 투자 확대가 진행되었다.

가. 산업기술 행정 체계 및 주요 지원 제도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면서 2013년 정보통신 분야와 중소기업청 분야의 산업기술 개발 사업

이 산업통상자원부로 이관되고, 사업 구조도 개편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부처 간 업무 중복

성 제거를 위해 산업기술 목적이 명확한 구조로 개편,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성장 동력

중장기 사업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단기 사업, 기술 혁신역량 확충을 위한 기반 조성,

Page 15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39

인력 양성, 지역 발전 등 인프라 조성 사업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 내 3국(창의

산업국, 시스템산업국, 부품소재산업국) 중심으로 담당부서를 설정했다. 이러한 산업기술 개발

정책은 민간 수요와 전문적인 기술적 이해에 바탕을 두고 추진해 왔고, 향후에도 시장 지향적으

로 추진될 것이다. 따라서 산업통상자원부는 기획과 예산 확보, 지원자 최종 확정 등 지원의

중요 절차만을 담당하고, 대부분의 관리절차들은 민간의 산하기관으로 위임하고 있다.

<표 3-9> 산업기술 R&D 목적에 따른 사업 구조 개편(2013년)

중장기

기술 개발미래 산업 선도 기술 개발 산업 핵심 기술 개발 공공 기술 개발

단기

기술 개발글로벌전문기술 개발 사업화 연계 기술 개발

R&D 혁신

역량 확충기반 조성 인력 양성 지역 발전

사업 유형

산업

기술 개발 기술기반

중장기

(산업핵심)

단기

(글로벌전문)특정목적 기반확충 지역경제

산업

분류

창의

산업

창의 산업

핵심 기술

창의 산업

글로벌 전문 성장 동력

공공 기술

우수 기술

다부처

기반구축

국제협력

정보화 및 정책

기술 확산

인력 양성

표준화 및 인증

거점기관 지원

산업 경쟁력

강화

시스템

산업국

시스템 산업

핵심 기술

시스템 산업

글로벌 전문

부품소재

산업

부품소재 산업

핵심 기술

부품소재 산업

글로벌 전문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2013).

나. 산업기술 개발 관련 중장기 계획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고 기술 개발 속도가 가속화되었지만 우리나라의 산업 경쟁력은 여전

히 개선할 부분이 많았다. 융합 트렌드를 반영한 창의 혁신 역량을 발휘하기가 어렵고, 유망

산업은 발전이 지연되었다. 부품소재 산업은 완제품 시장에서 위상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었지

만 고부가가치 소재 분야에서 영역 확장이 부진하고, 첨단 소재 산업의 경쟁력은 취약했다.

대일 무역 적자는 계속 늘어나고, 반도체와 LCD 분야 등의 핵심 소재는 일본에 의존하고

있었다. 정부는 추격형 성장 전략 및 유망 산업 발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2013년 「제6차

Page 15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40

산업기술 혁신 5개년 계획」을 수립하였다. 우리 산업의 성장 엔진을 발굴・발전시킬 수 있도록

유망 산업의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산업 간 연계・융합을 통한 선도형 산업 육성을 위해

대형 융합기술 개발을 추진하고자 했다.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창조 경제 실현의 핵심 분야로서 신규 산업고용 창출이 월등히 높게

전망되는 창의 산업 분야의 R&D 투자 비중을 상향 조정했다. 고용 창출 효과도 광범위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식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확대하고, 수출 증가 전망이 높은 부품소재 산업의 비중을

확대했다. 업종 간 융합을 통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대형 과제를 추진하고, 성공 가능성

향상과 예산 절감을 위해 동일 주제에 대해 다수 기관이 경쟁하는 경쟁 R&D 체제를 대형 과제에

도입했다. 세계 시장 1등을 목표로 도전하는 산업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글로벌 전문 기술개발

사업은 자유 공모형 과제를 50% 수준으로 확대하며, 융・복합 주제에 대해 기획 경쟁을 통해

우수기획기관에 대해서만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경쟁기획트랙을 신설했다.

다. 산업기술 개발 사업의 전개

2013년 박근혜 정부가 시작되면서 추진한 대표적 산업기술 개발 사업은 「13대 산업 엔진

프로젝트」였다. 착용형 스마트 기기, 지능형 로봇, 스마트 바이오 생산 시스템, 가상훈련 시스

템, 스마트 자동차, 수직 이착륙 무인기, 신재생 하이브리드, 초소형 발전 시스템, 첨단 소재

가공 시스템 등 13개 신기술 분야를 선제적으로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 분야는 향후

미래부의 성장 동력 분야와 일부 중복되어 통합・조정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엔진 프로

젝트를 추진하면서 기술 수준이 높으면서도 민간 투자가 많은 분야의 지원과 대기업의 지원

금액을 축소했고 대신 중소기업의 지원 범위를 확대했다. 연구개발의 책임성을 강조하는 시스

템도 도입했다.

첨단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지원 시스템을 추진하면서도 우리 경제의 걸림돌이 되었던

것은 제조업의 경쟁력 약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 지원 시스템의 부족이었다. 2014년

정부는 제조업 경쟁력 강화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1만 개 스마트 공장을 건설하여 제조업의

패러다임 혁신을 추진하는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발표했다(미래창조과학부, 2015).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으로는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립했다. 지역 기업들 간 협업과 교류

를 통해서 제조업을 활성화하고, 창업을 지원하는 혁신 모델로서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사

업을 추진한 것이다. 해당 지역별로 창업의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는 거점을 마련하고 기업

및 개인 간 소통과 협업을 통해서 신사업이 발굴・추진되도록 했다.

Page 15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41

[그림 3-9] 「제조업 혁신 3.0전략」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2015)

[그림 3-10]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지역별 핵심 사업

자료: 창조경제혁신센터(ccei.creativekorea.or.kr) 홈페이지

Page 15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42

라. 부품소재 기술개발 사업 추진

2000년대 중반까지 선진국 추격형 개발 사업으로 추진되었던 부품소재 기술개발 사업은

이후 세계 최고의 소재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바뀌었다. 2009년 부품소재 산업의 실질적 고도

화 계획을 수립하면서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최대한 줄이고, 미래 유망 100대 부품소재

핵심 기술을 확보하는 전략을 수립한 것이다. 미래 지향적 핵심 소재 70개를 개발하고, 부품소

재 중핵기업 400개사를 육성하고자 했다. 3년이 경과한 2011년 11월에는 ‘부품소재 미래비전

2020’ 선포식을 통해 소프트웨어 융합형 차세대 부품과 소재산업의 뿌리 생태계를 확충하고,

기술과 시장이 만나는 M&A 지원을 추진하여 글로벌화를 강화하기로 했다(지식경제부, 2011a). 2013

년 수립된 「부품소재 발전 기본계획」에 따라 2020년 부품소재 글로벌 4대 강국 달성을 목표로

민군 연계형 국방소재도 개발지원 범위에 포함되면서 글로벌 부품소재 공급기지 달성에 박차

를 가하게 된다.

최근에는 IT/SW융합으로 융합산업을 창출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고, 선도형 개발

전략을 추진하여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에 몰두하고 있다. 2015년 10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

의에서 미래 신시장 선점을 위한 소재 혁신방안을 제안한 바 있으며, 다음 해인 2016년 2월

무역투자회의에서는 새로운 수출동력 창출을 위한 민간의 신산업 진출 촉진 방안을 수립하여,

신소재, 에너지 신산업, 고급소비재, 바이오 헬스, ICT 제조융합 분야를 망라한 지원 계획을

수립하기도 했다.

마. 현재까지의 주요 성과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했던 「제조업 혁신 3.0 전략」의 성과가 점차 나타나기 시작

했다. 2016년 말까지 중소・중견기업 약 2,700개사의 스마트 공장 구축을 지원하여 원가 25%

절감, 불량률 51% 감소, 납기 단축(12%) 등의 다양한 성과를 창출하였다. 무엇보다 스마트

공장 구축이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필수라는 인식이 중소・중견기업 내에서 확산되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스마트 공장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2014년에는 57.0%에 불과했지만 2016년에는

86.3%로 크게 상승한 것이다.

부품소재 산업에서 기술 경쟁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어 휴대폰 부품의 국산화율은 2005년

63%에서 2015년에는 90%로 높아졌으며, 냉장고와 LCD TV의 부품 국산화율은 100%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부품소재의 대일적자가 2010년 243억 달러에서

Page 15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43

2015년에는 142억 달러로 감소하였고, 2015년 대중 수출 비중은 35.3%를 기록하였다.

기술 이전・사업화 측면에서도 일부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공공 기술을 중심으로 한

기술 이전 건수도 2010년 대비 200%나 증가하였고(2010년 4,259건 → 2014년 8,524건),

공공 기술 이전율도 지속적으로 증가(2010년 23.1% → 2014년 31.7%)하였다. 국내 M&A

시장 규모도 2012년 295억 달러에서 2015년 875억 달러로 급성장하였으며 다음・카카오의

‘김기사’ 네비앱 인수와 같은 성공 사례도 창출하였다.

제3절 산업기술 R&D 주요 분야별 핵심 성과

1. 기계 기술 R&D 성과

우리나라의 기계 기술은 1970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일제 강점기

에는 모든 시설 장치를 일본에서 가져와 한반도에 이렇다 할 기계 공장이 없었다. 설치 기계를

유지 보수할 정도의 능력만 갖췄다. 그런데 중국 진출에 나선 철도는 일본에서 다 지원할

수가 없어, 예외적으로 일정 수준에서 철도 차량을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했다.

해방 후 기계 산업이 싹트려 했으나 한국전쟁으로 황폐화됐다. 1953년 7월 휴전으로 새로운

출발을 알렸지만 생활필수품을 우선 공급해야 했으므로 기계 산업은 뒷전이었다. 또 공업

부문에 대한 경제 원조금 투자도 화학공업과 섬유공업에 집중됐다. 이런 상황에서도 화천기공,

남선기공 같은 민간 기업이 등장하며 기계 산업이 싹트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정부는 1962년부터 1966년까지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했다. 이때

는 수입대체품 생산을 목표로 하던 시기로 기계 산업은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 다만 시멘트

같은 생산 설비에 들어가는 소모품과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기업이

차륜을 생산한 대한중기와 산업 기계 부품을 생산한 조선기계다. 우리나라 기계 공업이 본격적

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시기는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기간이다. 정부는 1967년 3월에

「기계 공업 진흥법」을 제정하고, 수입 의존도가 높은 기계 설비를 국산화하려고 했다. 그 결과

기계 공업 성장률이 23%를 달성하며 제조업 평균을 뛰어넘었다.

1970년대 초인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기간은 기계 공업의 도약기였다. 1973년에

Page 15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44

창원기계공업기지를 건설해 현대양행과 같은 종합기계 공장을 비롯해 다양한 기계 공장이

들어섰다. 또 자주국방이라는 목표에 따라 방위 산업 국산화를 추진하면서 혁신적인 기계

기술 발전이 시작했다. 이를 토대로 1980년대에 우리나라 기계 공업은 세계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능력을 쌓았다. NC공작기계 기술 개발(화천, 대우, 현대), 대우의 굴삭기 독자모델

개발, 해수담수화설비, 한국종합기계의 발전설비 같이 다양한 기계 기술을 활발하게 개발해냈

다. 1990년대부터는 다양한 기종을 독자적으로 설계하고,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본격적

으로 세계 시장에 진출했다.3)

이러한 기계 기술의 발전 결과는 무역 수지에도 잘 나타나고 있다. 기계 중에서도 생산

장비를 중심으로 한 일반기계의 경우, 1995년에는 수출 81.2억 달러, 수입 199.8억 달러로

무역수지 118.6억 달러의 적자였으나, 이후 수출이 빠르게 성장하여 2004년 수출, 수입 모두

193억 달러로 균형을 맞추었으며, 2015년에는 수출 444.9억 달러, 수입 336.6억 달러로

무역수지 108.3억 달러의 흑자를 실현하였다.

기계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도 국가 주도로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한 1980년대 이후에 활성화

됐다. 1980년대에는 NC공작기계 기술, 로봇 기술 등 메카트로닉스 기술이 주목을 받았으며,

1990년대에는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산업에 필요한 초정밀 가공 기술과 나노공정, 장비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성화됐다. 한편 삶의 질의 향상과 더불어 가정용 기기에 대한 연구개

발도 활성화되어 2000년대에 냉동공조 기기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했으며, 가정용

가스 보일러 기술 등도 우리나라의 독특한 주거 문화인 아파트가 성장함에 따라 크게 발전하여

선진국과 경쟁하는 수준으로 성장했다.

가. 대면적 미세가공 시스템

대면적 미세가공 시스템을 활용하는 분야에는 도광판이나 광학필름 같은 액정디스플레이

(LCD) TV 백라이트유니트(BLU)용 광학부품, 3D 프로젝터용 렌티큘러 렌즈, 초고휘도 반사필

름, 연료전지 분리판, 태양열 집광렌즈 같은 에너지관련 초정밀부품 등이 있다. 시장 규모가

가장 큰 BLU용 광학부품은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양산 장비와 금형을 해외에 크게 의존

했다. 세계적 수준에 도달한 전방 디스플레이 산업에 비해 크게 낙후한 상황이었다.

이를 극복하려고 2007년부터 산업자원부에서 전략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며 본격적으로

대면적 미세가공시스템 기술 개발에 나섰다. BLU용 광학부품을 주요 대상으로 선정한 다음,

Page 15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45

한국기계연구원(KIMM)과 세스코가 양산에 필요한 가공장비를,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과 코아옵틱스가 금형가공을, 한국기계연구원(KIMM)과 LMS가 성형장비와 공정에 대한 원천과

상용화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총 5년간의 기술 개발로 패턴 크기 20㎛ 미세형상을 2m 대면적에서도 정밀도 0.2㎛로

생산할 수 있는 금형가공 장비와 금형가공 공정, 성형 공정이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또 BLU 광학부품 생산용 초정밀 금형, 금형 가공장비와 복합 도광판 상용화로 BLU

용 광학부품 생산 공정을 100% 국산화했다. 이를 통해 1000억 원 이상의 누적 매출 효과를

달성했다. 한국기계연구원은 연구소기업인 ㈜제이피이를 통해 2013년 기준 연 100억 원 이상

의 초정밀 롤금형 매출을 달성하며 기술 사업화에도 성공했다.

디스플레이용 BLU 관련 장비, 금형가공, 성형 기업 간 협력 개발 네트워크 구축으로 국내

산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했다. 또 2012년 제조 기반 산업 원천기술 개발 사업

혁신 성과 과제, 2014년 ‘올해의 10대 기계 기술’(한국기계기술단체총연합회), 2014년 ‘대한

민국을 빛낸 산업 기술 성과 27’(한국공학한림원, 2015) 같은 다양한 상을 수상하며 대외적으로도

인정받았다.

[그림 3-11] 대면적 미세가공시스템 기술개발 결과물

출처: 한국기계연구원 내부자료

Page 16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46

나. 로봇 기술

로봇 기술은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제조업용 로봇인 산업용 로봇을 개발하면서 시작했다.

우리나라가 본격적으로 로봇 연구개발에 나선 시기는 1982년이다. 한국기계연구원(KIMM)이

과학기술부의 특정 연구개발 사업으로 산업용 로봇 기술 개발 사업에 뛰어들면서부터다. 1983

년부터 3년간의 연구결과로 6축 산업용 로봇을 개발했고, 이때 얻은 기술을 국내 기업에 이전

시켜 국내 로봇산업의 밑거름으로 만들었다(한국기계연구소, 1985, p.277). 국내 기술로 처음 상용화에

성공한 로봇은 HR-120 로봇이다.

현대중공업은 1995년에 국내 기술로 6축 다관절 로봇을 개발해, 현재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국내 기업들이 스폿 용접 공정에 사용하고 있다. 2000년대에는 현대중공업이 첨단 제조용

지능형 시스템 개발 사업에 나서 2종의 수직다관절 로봇과 LCD글라스 핸들링 로봇을 개발했

고, 이를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에서 활용하고 있다(지식경제부, 2011b, p.5). 또 한국기계연구원이

초중량물 핸들링 로봇을, 현대중공업이 고밀도 혁신 제조 공정용 로봇을 개발했다. 이어서

1000kg를 조절할 수 있는 로봇과 자동차 생산성을 높이는 슬림형 로봇도 개발했다. 현재

국내 자동차 생산 공정에서 한몫하고 있는 대표적인 로봇들이다.

[그림 3-12] 6축 다관절 산업용 로봇

HR-120

[그림 3-13] 재난대응로봇 DRC 휴보 II

출처: www.robot-119.com 출처: KAIST 휴머노이드로봇 연구센터

Page 16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47

한편 지능형 로봇에 대한 핵심 원천기술 개발과 도우미 로봇 개발을 목표로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지능형 서비스 로봇 개발도 추진했다. 인간 기능 생활 지원 지능 로봇 기술 개발

사업으로 개발한 영어 교사 보조 로봇(EngKey)을 초등학교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휴보랩은 2004년 자체 기술로 인간형 로봇 휴보를 개발했다. 또

2009년에는 달리기가 가능한 휴보 II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휴보 개발에 쓰인 로봇 시스템을

인간형 로봇 연구 플랫폼으로 외국에 수출하고 있다(지식경제부, 2011b, p.2). 휴보는 2015년 6월에

미국에서 열린 DARPA 로보틱스 챌린지(DRC) 재난대응임무수행경쟁에서 우승을 차지했다(카

이스트, 2015).

다. 가정용 가스 보일러 기술

1980년대 초에 국내 가정은 대부분 난방 기기로 연탄 보일러와 기름 보일러를 사용했다.

일부만이 수입 가스 보일러를 사용했다. 우수한 기술력을 자랑하는 유럽의 가스 보일러가

국내에 보급되자 이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수요도 점차 늘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1984년에

롯데기공이 국내 기술로 가스 보일러를 개발했다. 그러자 코오롱과 대성, 린나이 같은 기업에서

도 가스 보일러 개발과 생산에 나섰다. 1980년대 말이 되자 국산 가스 보일러가 연 20만대를

판매하며, 판매 수량에서 수입 가스 보일러를 넘어섰다.

1990년대 들어서 정부가 도시가스 보급을 확대하고, 주택건설에 적극 나서면서 다수 기업이

가스 보일러 시장에 뛰어들었다. 삼성과 금성, 대우를 비롯해 30개가 넘는 기업이 참여해

1년에 80만대 이상을 판매했다. 그러나 1990년대 말 수요 둔화와 과잉 경쟁으로 삼성과 LG가

생산을 포기할 정도로 많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사업을 포기하거나 도산했다.

2000년대는 주택 건설 둔화와 기업 간 과잉 경쟁으로 미래 성장이 보이지 않는 산업 분야로

전락했다. 수출이 유일한 성장 돌파구였지만 유럽에 떨어지는 기술력으로는 수출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에 산업자원부는 2006년 중기 거점 기술 개발 사업으로 ‘고효율 친환경

가정용 콘덴싱 가스 보일러 개발’ 과제를 추진해 수출을 목표로 하는 가스 보일러 개발에

나섰다. 한국기계연구원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한국석유가스기기협회, 인천대, 인하대,

국민대 같은 위탁연구기관과 당시 가스 보일러를 생산하던 린나이, 경동, 귀뚜라미, 롯데,

대성, 대우가스 보일러 6개 기업이 공동 개발에 참여했다. 비공개로 자체적으로만 기술을 개발

하던 가스 보일러 기업들이 처음 공동 연구 개발에 나선 것이다.

당시에 콘덴싱 보일러는 일반 보일러보다 열효율이 7% 이상 높았다. 이를 생산하는 기업도

Page 16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48

있었지만 기술이 안정돼 있지 못해 널리 보급하기에 한계가 있던 상황이었다. 우수한 유럽

기술력과 맞서려면 반드시 고효율과 친환경으로 무장한 콘덴싱 가스 보일러 개발이 필수였다.

이에 연구팀은 유럽안전인증(CE)까지 받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연구에 몰두했다. 과제를 크게

시스템, 버너부, 열교환기부 3개 세부과제로 나눠 기업별로 임무를 분담했다. 또 원통형과

사각형 2가지 모델을 개발해 열효율 90% 이상, 질소산화물(NOx)과 일산화탄소(CO) 모두

50ppm 이하라는 목표도 달성했다.

콘덴싱 가스 보일러 연구개발 사업은 산업자원부의 에너지 기술개발 사업으로 이어졌다.

귀뚜라미와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에너지기기산업진흥회, 한양대, 부경대, 5개 중소기업과 공

동으로 30kw 급 전부하 기준에서 열효율 91%와 질소산화물(NOx) 15ppm 같은 조건을 갖춘

초고효율 친환경 가스 보일러를 양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냈다. 그리고 미국과 러시아

같은 나라에 수출도 시작했다. 수출은 2010년 25만대 6000만 달러, 2013년 45만대 1억2000

만 달러 수준으로 급격하게 늘어갔다(김석준 외, 2010).

라. VRF 시스템 기술

VRF(Variable Refrigerant Flow) 기술은 히트 펌프 기술을 활용해 외기 부하 조건에 적절

히 대응하고 냉난방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기술이다.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세계 냉난방공조시스템(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 시장

의 메가트렌드 기술로 떠올랐다.

VRF 시스템의 장점은 냉난방 설계가 쉽고, 장비를 추가하거나 확장하기가 편리하다는 점이

다. 또 설치 가격이 저렴하고, 공사기간이 짧아 건축 리모델링에도 적합하다. 무엇보다 높은

에너지 효율성과 쾌적성, 시운전과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한 대의 실외기로 1~3대의 압축기를

장착할 수 있어 용량 가변 범위가 넓고 인버터 압축기를 사용해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냉난방이 필요한 곳에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임대 건물은 사용 전력량을 파악하기

쉽고, 개별 사용자에게 요금을 부가해 에너지 절감 유도 효과도 크다.

1990년대 중반부터 가정용 에어컨 보급이 급증하기 시작하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 같은

관련 국내 업체들이 VRF 시스템 개발에 나섰다. 2000년대 들어서는 직류전류(DC) 인버터

탑재, 열교환기와 송풍기 고효율화로 에너지 절약을 도모했다. 고효율 고압식 스크롤압축기를

적용했으며 저온 난방을 위한 인젝션 기술, 그리고 연속난방기술도 VRF 시스템에서 중요한

기술로서 개발했다.

Page 16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49

대형 빌딩에서 VRF 시스템 에어컨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설계자유도도 더욱 향상됐다. 또

실외기 용량도 최대 54마력까지 높였다. 실내기 연결 가능 대수도 64대까지 대폭 향상시켰다.

한편 VRF 시스템을 대형 빌딩에 설치함에 따라 개방형 네트워크 시스템도 적용했다. 냉매

누설 문제와 최적 냉매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능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한 고장 감지 진단

(Fault Detection & Diagnosis, FDD) 기술도 개발해, VRF 시스템에 접목시켰다.

2010년대에는 에너지 고효율화와 쾌적성 향상을 함께 고려해 시스템 차원에서 새로운 연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고효율 개념은 기존 정격 조건에서 부분 부하와 실운전 연간 전기료

절감을 포함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냉매 온도 가변 제어와 부하 대응 능동 제어

기술들을 개발했다. 2015년에는 세계 최초로 실내외 습도를 참조한 절전 기술로 연간 전기료

를 줄인 제품을 출시했다. 또 VRF 시스템을 확장해 급탕과 냉동냉장, 물-냉매 하이브리드

시스템 같은 응용 제품 개발과 판매를 시작했다. 운영 측면에서는 200m 이상의 장배관 적용,

50m 이상 고저차 시스템 히트펌프 기술, 지역 기상 관측에 의한 기상 정보에서 냉매 제어를

원격으로 조절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연구를 상용화했다. 계속해서 기기와 시스템 성능의 최적

운용을 통한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Aynur, 2010; 김병순, 2010; 기계산업동

향연구회, 2015; 한국에너지공단, 2015).

[그림 3-14] VRF 시스템 설치 예 [그림 3-15] VRF 시스템 구성 요소

마. 나노공정・장비 기술

나노공정・장비 기술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시기는 2000년대다. 대표적인 연구

가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 사업인 나노 메카트로닉스 기술개발 사업단에서 시작한 나노

임프린트 기술이다. 이 기술은 8인치 웨이퍼에 서브 30nm급 나노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Page 16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50

공정과 장비기술로 1단계 원천기술 개발, 2단계 기반기술 개발, 3단계 다층 나노임프린트

장비 핵심 기술 개발 순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최종 3단계에서는 5nm 이하의 오버레이/정렬 시스템이 개발되어 다층으로 나노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다층 나노임프린트 공정과 장비기술이 개발되었다.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자

통신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서울대, KAIST, 스위스 PSI, 미국 LSU, 새한나노텍, 네오

닉스, ADP 엔지니어링 등이 기술 개발에 참여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기술을 국내 기업에

기술 이전되어 새한나노텍과 엔엔디(NND)가 나노임프린트 장비를 상용화했다(나노메카트로닉스기술

개발 사업단, 2008, pp.226~294). 이후 최근까지 많은 기술이 개발되어 산업에 응용되고 있다.

[그림 3-16] 웨이퍼기반 다층 나노임프린트 장비와 롤-롤 나노임프린트 장비

출처: 한국기계연구원 내부자료

한편 21세기 프론티어 사업에서는 연세대와 강원대, 제이엠아이(JMI) 같은 산・학・연 참여

기관 협력으로 나노/마이크로 사출 성형 기술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었다. 이 연구는 혈중

암세포 암 예후 진단 융합연구단의 ‘CTC 진단을 위한 사출성형 응용소자 제조공정과 분석

시스템 기술 개발’ 사업으로 이어져 양산형 암세포 분리 소자 제작을 위한 사출성형 기술과

패키징 기술 개발로 진행되었다. 이는 곧 바이오 분야에서 진단・분석 소자 양산화 기술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함께 2012년에서 2016년까지 수행한 ‘100nm~100㎛ 나노복합구조물 응용제품 생산

을 위한 금형가공, 에너지 10% 절감 성형시스템 개발’ 과제를 통해 마이크로 구조를 적용한

Page 16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51

도광판 등 LCD 디스플레이용 대면적 광학부품과 나노마이크로 복합 구조 적용에 의한 구조색

성형 같은 나노마이크로 사출성형 기술의 실용화 기술도 함께 개발했다.

이러한 나노마이크로 사출성형 핵심 기술 개발 결과를 기반으로, 양산형의 광학부품, 표면

기능성 부품과 진단・분석을 위한 미세유체소자 또는 바이오 소자와 제조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나노마이크로 복합 구조에서 구조색을 적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외장재, 암세포

또는 DNA 분류를 위한 나노마이크로 채널 플라스틱 플랫폼도 개발되었다. 2015년 암환자의

혈액에서 암세포를 선별하는 기능의 마이크로 채널 소자와 미세유로 기반의 정속 약제 투약기

도 개발되었다. 나노마이크로 사출성형과 패키징에 관한 기술 이전도 이루어졌으며, 연구소기

업을 통한 관련 기술의 개발과 시장 진입도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바. 자기부상열차 기술

한국기계연구원은 1980년대 차세대 교통수단을 구상하다가 자기부상열차 개발에 나섰다.

정부에서 기존의 기차를 대신할 교통 시스템을 테제베(TGV)로 결정함에 따라 연구팀은 고속

자기부상열차 대신 도시형 자기부상열차로 목표를 변경했다. 그리고 1989년 12월 과학기술부

국책 연구개발 사업으로 자기부상열차 연구를 시작했다. 한국전기연구원과 현대정공이 함께

참여했다. 또 부상・추진계 핵심부품인 전자석과 리니어모터 개발, 아날로그 방식의 부상제어기

개발도 추진했다. 이를 토대로 1991년 축소 모델에 대한 부상・추진 시험에 성공했다.

1994년부터 2단계 국책연구에 들어가 본격적으로 시스템 시험에 돌입했다. 1996년 한국기

계연구원 부지에 시험선로를 1.1km 설치했다. 그리고 시속 110km급의 2량/1편성인 도시형

자기부상열차(Urban Transit Maglev, UTM) 시험차량을 완성했다. 이후 시험선로에서 주행

시험도 하고, 일반에 공개하는 시승식도 열었다. 1998년에 두 번째 차량을 완성해 2량 연계

주행시험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 시험으로 우리나라는 자기부상열차 개발 국가가 됐다(한국기계

연구원, 2006).

2003년 산업자원부가 중기 거점 기술 개발 사업을 착수하면서 로템 주관으로 UTM-02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대전 소재 국립중앙과학관과 엑스포공원 자기부상열차 노선에서

2008년부터 운영됐다. 2005년에는 국가대형연구 실용화사업 추진과제로 ‘도시형 자기부상열

차 실용화 사업’을 선정했다. 2006년 12월부터 건설교통부 주관으로 총 4,149억 원을 투입해

1단계로 110km/hr급 자기부상 열차를 개발하고, 2단계로 상업운전을 목표로 했다. 이를

Page 16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52

위해 관련법과 제도 정비도 함께 추진했다. 그 결과 2009년 12월 시운전차량을 개발해 한국기

계연구원 시험선로에서 1년간 시험 운행했다. 그리고 2012년 8월 영종도 인천국제공항에

6.1km 시범 노선을 준공한 뒤, 양산차량 3편성 6량에 대한 종합 시운전을 진행했다.

[그림 3-17]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EcoBee

인천공항 노선은 6개 역사, 1개 차량 기지, 6.1km의 전 구간 고가방식 복선으로 구성했다.

1년 넘게 시험적으로 운행한 뒤 2016년 2월에 개통했다. 현재 하루에 71회 무인으로 운전하고

있다. 이 기술은 2013년에 공학한림원이 선정한 ‘2020년 미래 100대 기술과 주역’으로도

선정되었다.

사. 담수화 기술

우리나라의 담수화 기술은 두산중공업이 보유하고 있던 증발식의 담수화 기술을 시작으로

기술개발이 시작되었다. 증발식 담수화 기술은 오랜 경험과 경쟁력 있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중동지역에서 확고한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해수담수화 기술은

에너지비용 절감을 위해 증발식에서 역삼투막 방식으로 전환되는 과정에 있다. 우리나라도

1990년대 후반부터 정부 출연 연구기관 중심으로 소규모 역삼투식 담수화기술 개발을 시작하

여, 2007년에 국토교통부 주도의 Sea-HERO 사업단이 고효율 역삼투 공정 기술 개발을 본격

착수하였다. 참여기관인 두산중공업, 웅진케미칼, 코오롱, 효성 굿스프링스는 각각 역삼투공

정, 16인치 역삼투막, 중공사형 전처리막, 고압펌프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3.5 kWh/m3의 에너지 소비율을 보이는 역삼투 기술도 여전히 고압펌프에 의한 에너지

소비가 크기 때문에 추가적인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에너지

소비량이 많고 운영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기존의 담수화 기술들이 가진 단점들을 보완하기

Page 16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53

위한 저비용 저에너지의 새로운 담수화 기술을 개발하고자 세계 여러 나라에서 새로운 연구들

이 시작되었다. 우리나라도 신개념 담수화 기술의 개발을 위해 Eco-Ener 플랜트 경쟁력 확보

사업을 통해 2009년에 한국기계연구원 주도로 정삼투식 해수담수화 기술 개발을 시작하였다.

웅진케미칼 외에 10여개 기관이 참여하여 5년 6개월의 기간 동안 세계에서 두 번째로 정삼투

공정과 정삼투막 기술 개발에 성공하였다([그림 3-19] 참고).

저에너지 담수화 공정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정삼투 공정 외에도

막증류 공정과 압력지연삼투 공정이 MD-PRO 연구단을 통해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이와

같이 차세대 담수화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국내 산・학・연 연구기관의 노력은 현재 진행형이다.

[그림 3-18] 두산중공업이 건설한 UAE Fujairah 담수화 플랜트

출처: 두산중공업 누리집

[그림 3-19] 정삼투 공정 및 정삼투막 개발

출처: 한국기계연구원 내부자료

Page 16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54

2. 소재(재료) 기술 R&D 성과

1970년대 정부는 철강・전자・기계 등 7개 「주력 산업 육성법」을 제정했으며, 이에 근거해

1973년 중화학 공업 육성 정책을 통해 본격적으로 산업화를 추진했다. 단기간에 산업 기반을

구축하려고 선진국에서 상용화된 기술과 장비를 도입했으나, 조립 산업을 우선적으로 육성하

는 정책으로 인해 완제품 수출을 위해 부품과 소재를 단순하게 공급하는 기능만을 강조했다(한국

산업기술진흥원, 2011a, p.67). 다만 정부가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국산화율을

제시했으며, 국산화 업체를 지정하며 인위적으로 분업하도록 국산화 정책을 추진했다(과학기술부,

2008, p.301;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1a, p.68).

198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부터 범용 부품소재에 대한 국산화 정책을 마련하며 부품소재

육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기계류 부품소재의 국산화 대책」

(1987~1995)과 「자본재 산업 육성 대책」(1995~1999)으로 나눠 2단계로 국산화 정책을 추진

했다. 이에 따라 약 4,200개가 넘는 범용 부품소재를 국산화했다. 이 시기에는 원천기술 개발

이나 연구 인력 양성보다는 단기적 상용화가 가능한 중저급 기술 위주로 범용품목을 국산화하

는데 집중했으며(과학기술부, 2008, p.301;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1a, p.68), 1999년 기준 소재 분야의 기술

수준은 선진국 대비 70.8%였다(한국과학기술평가원, 1999, p.4).

2000년대에는 우리나라 주력산업이 점차 세계에서 주도적인 위치에 오를 정도로 성장하며

국내 소재산업도 고기능 신소재를 제공해야 하는 환경으로 바뀌었다. 정부도 1982년부터 시작

된 특정 연구개발 사업으로 고기능성 소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이렇게 쌓은 연구경험으로

고품위 신소재를 국산화하는데 밑거름이 되었다(소재강국연구회, 2015, p.47).

특히 2000년도에는 부품소재 분야의 기술 자립화 없이는 산업 구조의 고부가가치화에 한계

가 있다는 인식이 광범위하게 확산됐다. 이에 정부는 2001년 「부품소재 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 조치법」을 제정해 본격적으로 발전 정책을 추진했다(과학기술부, 2008, p.30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1a, p.69). 그 결과 범용 소재는 세계적인 수준에 이를 정도로 국가 경쟁력을 갖췄다. 그리고

적층 세라믹 콘덴서와 리튬이차전지 소재와 같이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소재도 출현시켰다(지식

경제부, 2011a, p.4).

하지만 반도체와 LCD 같은 정보통신 기술 분야에서 핵심 소재는 대부분 일본에 의존하는

구조를 바꾸지 못했다. 원천기술의 부족으로 2010년 기준 일본과의 무역에서 발생한 수지적자

의 58%가 소재분야에서 발생했다(지식경제부, 2011a, p.8). 2010년 소재 분야 기술은 최고인 미국

Page 16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55

대비 77.4% 수준으로 기술 추격에 진전을 보였다(한국과학기술평가원, 2011, p.151).

2010년대 들어서 정부는 부품・소재에서 소재 중심의 중장기 전략을 추진했으며(지식경제부,

2011a, p.3),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신소재들이 시장에 진입한 시기이다. 파이

넥스(FINEX) 제선공정, 사파이어 단결정성장, 자동차 차체용 마그네슘 판재가 대표적이다(소재

강국연구회, 2015, p.48). 2014년 기준 소재 분야 SCI 논문 수는 세계 3위, 미국 등록 특허 수는

세계 4위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재료연구소, 2015, pp.16~17). 앞으로 우리나라가 1인당 국민소득

에서 3만 달러를 넘어 최부강국으로 도약하려면 미래성장 동력에 필요한 첨단소재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가. 금속 분야

1960년대 우리나라 금속 분야 연구는 연구 여건조차 제대로 갖춰지지 못한 시기였으며,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 모두 많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대학을 중심으로 화학야금과

주조 같은 분야에서는 꾸준하게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미국과 유럽, 일본 같은 선진

국에서 유학한 과학자들이 귀국하면서 소재 연구를 위한 인적 토대를 갖췄다. 한편 정부가

1966년에 한국과학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금속・재료공학부를 설치하면서 금속 분야 응용연

구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 이곳에서는 주로 개발・응용연구에 치중했기 때문이다.

1970년대에 제철, 제련 분야는 물론 금속 재료 개발, 금속 가공 분야, 분말 소결, 주조,

표면 처리, 소성가공, 용접 등에서 더 미세하고 깊이 있는 내용까지 연구됐다. 특히 이론과

실험 양쪽 모두에서 광범위하게 연구가 이뤄졌다. 1973년에는 포항종합제철에서 제1기 공장

을 완공함에 따라 우리나라가 철강생산국으로 우뚝 서게 되었다.

1980년대는 1982년 당시 과학기술처가 추진한 특정 연구개발 사업 덕분에 금속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을 본격화하게 되었다. 또한 첨단산업을 뒷받침할 신금속 재료 연구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국내 학계와 연구계도 고장력강, 형상기억합금, 초내열강, 극저온재료 같은 신금속

재료 분야에 대해 관심을 두고 학술활동을 활발히 펼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중반부터는

정보통신과 가전이 발전하면서 전기적・전자적 특성을 갖는 기능성 금속재료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또 1986년에는 당시 상공부가 공업 기반 기술개발 사업에 착수해 금속 분야 연구를

활성화하는 기반을 만들었다.

1990년대는 자동차・조선・가전 같은 우리나라 주력 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했으며, 관련

Page 17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56

산업인 금속 분야도 크게 성장한 시기다. 당시 정부는 선도 기술 개발 사업 추진으로 에너지와

정보전자 분야에 사용되는 금속 소재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자동차용 고장력강과 알루미

늄 판재를 개발하였고, 또한 정보전자와 환경 분야에 사용하는 기능성 금속 소재 개발도 활발하

게 이뤄졌다.

2000년대에는 정부가 21세기 프론티어 사업, 소재 원천기술 개발 사업, 세계 일류 소재

개발 사업, 전략적 핵심 소재 개발 사업 같은 다양한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덕분에 금속

분야의 기초연구를 강화하고 새로운 산업사회를 선도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환경 친화적이며 새로운 혁신적 철강 기술의 개발, 경량・고강도・내환경성 철강과 비철재료

개발, 정보전자 기술을 위한 신소재 연구, 에너지 기술을 위한 신소재 연구개발, 교통・수송

기술을 위한 소재 개발, 친환경기술을 위한 신소재 연구개발 등과 같은 소재 분야에서도 혁신적

이고 획기적인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김상주, 1997).

나. 세라믹 분야

1957년 유엔 한국 재건단(UNKRA) 원조로 건설한 국가 기간산업 3개 공장 중 2개가 시멘트

와 세라믹 공장이었다. 이처럼 1960년대 세라믹 분야는 국가 건설 기반 산업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시작한 1960년대 초반, 외국자본 지원으로

건설경기가 살아났다. 이에 시멘트 산업을 중심으로 전통 세라믹스인 도자기・유리・내화물・법

랑・연마재 관련 산업에 대한 첨단 기술 개발보다는 세라믹원료 분석기술, 도자기 유약과 소지

의 미세구조, 킬른 구조 설계 같은 생산과 관련된 기술개발이 주를 이뤘다.

1970년대는 1973년 포항제철소 제1고로의 가동과 함께 포항종합제철에 필요한 내화물을

제때 공급하기 위해 내화물 소재와 도자기 공업용 내화갑 같은 내화물 수요가 크게 늘었다.

이에 따라 내화재료 고급화 연구가 시작됐다. 이 시기에 브라운관 유리 생산과 광학유리섬유

개발도 이뤄졌다. 1977년부터 약 10년간 시멘트와 유리, 내화물, 도자기 같은 우리나라 전통

세라믹스 업계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제품 생산시설과 장비를 국산화했을 뿐 아니라 제품과

생산실적도 크게 늘었다. 전통 세라믹스의 최고 전성기를 계속 이어나가면서도 새 시대를

여는 화인 세라믹스 연구도 활발해졌다. 이때가 세라믹스 전환기였다(한국세라믹학회, 2007, pp.33~85;

pp.342~343).

1980년대는 중동 지역 건설 붐을 발판으로 건축 소재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또 우주왕복

선 비행 성공으로 이와 관련된 1,000℃ 이상의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질화규소와 탄화

Page 17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57

규소 같은 구조세라믹소재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1980년 초부터 국내 전자공업이 자리

잡으며 화인 세라믹스에 대한 산업계 수요도 크게 늘었다. 이에 고전압용 애자, 페로브스카이트

(CaTiO3)계와 지르코늄(PZT)계 압전 세라믹스를 이용한 공진자, 통신용 필터 소자, 수중 음파

탐지기 개발도 이뤄졌다. 1980년대 말에는 VTR 자기헤드용 페라이트 세라믹스를 성공적으로

개발했다(한경섭, 2009, pp.112~122).

1990년대에는 반도체 산업이 황금기를 맞이했다. 전자부품이 소형화함에 따라 기능성 전자

세라믹 소재에 대한 박막화도 추진했다. 세라믹박막과 코팅, 그리고 반도체 장비용 세라믹

부재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고 관련 기술이 축적되기 시작한 시기다.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

한 세라믹 커패시터용 유전체 세라믹스에 관한 연구를 시작으로 각종 적층 세라믹콘덴서

(MLCC)와 선도 기술 개발 사업 과제를 통해 고주파 유전체 소재, 열기관용 비산화물 세라믹소

재 개발 연구를 수행했다. 각종 유전체, 자성체, 압전체, 반도체, 이온 전도체 개발 같은 고유한

전자기적 특성을 지난 전자 세라믹 재료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세계적인 전자 산업의 혁신적

전개를 뒷받침하는 핵심 소재로 자리 잡았다.

2000년대부터는 21세기 프론티어 소재 성형기술 개발 사업, 소재 원천기술 개발 사업, 세계

일류 소재 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했다. 특히 수입 의존도가 높아

일본과의 무역에서 적자 폭을 키우는 대표적인 세라믹 소재 부품을 국산화하고 무역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술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소재 강국으로 나아가는데 필요한 반도체・디

스플레이・휴대폰・자동차 산업용 주요 세라믹 원소재인 사파이어 단결정, 실리콘 소자가 동작하

기 힘든 고전압・대전류・고주파 등의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차세대 반도체용 초고순도 SiC

제조기술, 반도체 웨이퍼와 태양전지 기판의 기본소재인 초고순도 폴리 실리콘 제조기술, 3D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생체용 세라믹재료가 대표적인 예다(소재강국연구회, 2015, pp.97~382).

다. 고분자 분야

우리나라 고분자 산업의 역사는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남아 있는 1943년 국제고무의 말표

고무신 생산에서 시작한다. 1946년 한국나일론에서 나일론 66의 방적이 이뤄짐으로써 원료를

수입해 생필품을 단순가공 형태로 생산하며 발전했다. 1963년에는 한국나일론에서 나일론

6을, 1966년 대한플라스틱에서 PVC를, 1967년 한일합섬에서 아크릴 섬유를 생산하기 시작

했다. 1972년에는 울산 석유화학단지를 완공하며 폴리스티렌을 최초로 벌크 중합으로 양산하

Page 17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58

기 시작했다. 이후 고분자 산업은 눈부신 발전과 도약을 거듭해 현재 고분자 생산량 중 범용

고분자는 세계 5위에 이르렀다(우상선, 2006, p.578).

1990년대는 모방 연구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연구 기반 마련에 나선 시기다. 정부 주도

연구사업인 선도 기술 개발 사업를 시발점으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아미드를 비롯

해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와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인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연

구를 시작했다. 또한 호남석유화학과 한국화학연구원이 공동으로 연구한 페인팅이 가능한 접

착 수지인 애드폴리(ADPOLY)를 개발했다(한국화학연구원, 2006, p.186).

2000년대에는 산업자원부의 중기 거점 사업과 과학기술부의 국가지정연구실 사업 같은

중장기 과제 지원으로 다양한 고분자 분야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중기 거점 사업을 통해

한국화학연구원과 SKC가 공동으로 연구해 폴리이미드 필름을 상업화시켰다. 코오롱도 기업

자체 연구로 사업화에 성공했다. 2008년도에는 두 회사가 경쟁 구도에서 벗어나 공동으로

벤처캐피털인 SKC KOLON PI를 설립해 2015년 기준 1,400억 원대 매출을 올리고 있다(한국화

학연구원, 2006, p.188).

2010년대에는 삼성전자와 LG화학이 주도하는 디스플레이 산업이 세계 최고의 자리를 차지

함으로써 정부과제와 기업의 지원이 활발해졌다. 이를 통해 편광판, 액정배향막, 유연성 회로

기판용 필름소재 같은 다양한 고분자 필름을 개발하며 눈부신 발전을 이룩했다.

최근에는 고분자 소재 고유의 특성에 통신 기능을 접목하거나 복합화로 금속에 우수한 특성

을 부여하는 특수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분자 설계로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하며 미래소재로

가능성과 산업 응용과 확장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분야별로 미래 자동차용 경량화

와 스마트 소재, 사물인터넷(IoT)용 소재, 박막형 멤브레인, 헬스케어 소재와 우주・항공용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우상선, 2016, pp.494~503).

라. 복합 재료 분야

복합 재료는 2개 이상의 재료를 혼합해 단일 재료에서는 얻을 수 없는 다양한 기능적이고

구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재료 분야이다. 방산과 우주 분야에서 사용하는 특수한 목적의

복합 재료를 제외하면 대부분은 고성능 섬유와 혼합한 고분자 복합 재료로 이뤄진다. 국내

복합 재료 산업은 1970년대 유리섬유와 페놀수지로 만든 낚싯대로 시작했다.

이후에는 유리섬유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섬유 보강 복합재(Fiber Reinforced

Page 17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59

Polymers, FRP)를 위주로 스포츠와 레저, 저장 탱크에 주로 사용했다. 초기에는 금속 재료를

복합 재료로 대체하기 위한 기술을 사용해 수작업으로 제조했다. 탄소 섬유와 아라미드 섬유를

쓰기 시작하면서 섬유가 갖는 고성능 특성과 경량, 내구성 같은 장점을 크게 활용해 국방

분야에도 적용했다. 당시에는 복합 재료 가격이 비쌌기 때문에 산업에는 폭넓게 적용하지

못했다.

1980년대에는 복합 재료의 고품질, 고성능을 위한 제조 기술로 오토클레이브(Autoclave),

필라멘트 와인딩(Filament winding) 기술을 이용했으며, 항공과 방위 산업이 주요 적용 대상

이었다. 이때 정부에서 국가 연구개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항공기용 복합 재료

연구개발도 시작했다.

1990년대부터는 고생산성 기술개발과 자동화 기술의 적용으로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되어 복합 재료를 전 산업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천연가스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압축천연가스(CNG) 복합재 압력 용기 연구개발에도 나섰

다. 2000년 초에는 CNG 압력용기와 소방관 공기호흡기 등을 개발했다. 최근에는 수소연료전

지 자동차의 핵심부품인 수소저장 용기를 생산하고 있다. 또 고생산성 필라멘트 와인딩 기계를

이용해 선박용・해양플랜트용 파이프, 상하수도용 파이프, 밸러스트 파이프 등도 생산하고 있

다. 국방 관련 산업에서도 발사관과 장갑차, 발사대 등에 복합 재료를 적용하고 있다. 또 두껍고

대형인 잠수함 구조물에도 복합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 시기 풍력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길이 25m의 유리섬유 복합재 대형 풍력블레이드 개발도 시작했다. 현재

3MW 용량의 발전기용으로 길이 65m의 탄소섬유 복합재 블레이드를 생산하고 있다.

2000년대 중반부터는 국내 항공사와 부품 업체는 에어버스와 보잉의 항공기 동체와 날개

부위 부품 설계와 제작에 참여했다. 이를 통해 본격적으로 항공기 부품 납품에 나섰고, 최근에

는 스마트 무인 항공기용 복합 재료도 생산 중이다. 최근 자동차의 연비 향상과 이산화탄소

(CO2) 배출량 감소를 목적으로 전 세계가 탄소섬유 복합재와 이를 위한 중간재와 원소재 연구

개발에 적극적이다. 국내에서도 완성차 업체와 부품업체, 원소재 업체에서 자동차용 복합재

시제품 개발에 나서고 있다. 고성능 탄소섬유도 최근 국내에서 개발해 양산 중이다. 또 여러

기업에서 복합 재료 중간재인 에폭시 프리프레그(prepreg)를 생산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량생

산에 적합한 열가소성수지 프리프레그도 개발 중이다. 복합 재료에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로서

저점도・내열성・난연성・방열성・재활용성 같은 특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와 고속 생산에 적합한

신속경화 수지도 개발하고 있다.

Page 17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60

최근 나노기술의 발전으로 신소재 개발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이에 복합 재료 적용 분야를

확대하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특히 에너지와 환경 분야에서 경량화와 절전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 에너지 저장・발전, 나노재료 대체를 통한 희소자원 절감, 수처리 고도화, 이산화탄소

(CO2) 포집과 저장 능력 향상 같은 복합재료에 대한 개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3. 화학・화공 기술 R&D 성과

우리나라는 1966년 7월 상공부 제1공업국에 석유화학공업과를 설치했다. 그리고 1972년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핵심 사업 중 하나로 울산 석유화학단지를 준공했다. 이 과정

에서 1970년 1월 「석유화학 공업 육성법」을 제정했다. 법과 제도적 기반을 확고히 하며 석유

화학 산업 육성에 나선 셈이다. 울산 석유화학단지의 준공으로 우리나라는 에틸렌, 프로필렌

같은 기초화학 원료에서부터 VCM, LDPE, PP, AN 같은 중간원료와 합성수지, 합성원료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나라가 됐다.

1970년대까지는 자체 기술이나 신제품의 개발보다는 주로 외국에서 들여온 설비와 기술에

의존하는 형태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따라 유・무기 화학 분야

에서 1,2차 유도체 개발에 나서는 등 기술 개발을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의약 부문에서는

원료 합성기술 모방을 추진했다(산업연구원, 1997, pp.2~3). 이 시기에 국내에서 흑백 필름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농약 원료도 자체적으로 생산했다. 그러나 당시의 화학・화공 기술은 수입 원재료를

희석시키거나 배합해 완제품으로 바꾸는 단순 가공 수준이었다. 기술개발의 중요성을 실감한

정부는 1973년에 중화학 공업 추진을 위한 연구단지 건설을 결정했다. 그리고 선박과 기계,

석유화학, 전자, 해양 5대 전략 산업 분야의 정부 출연 연구기관을 설립했다. 이후 1970년대

후반부터 경제가 크게 성장하자 석유화학 제품 수요도 크게 늘었다. 또 정밀화학 제품도 조금씩

생산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 석유파동 이후 국가 산업에서 기술의 중요성이 크게 떠올랐다. 정부와 기업의

기술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기술에 대한 투자를 시작하면서 국가 자체 기술력

확보 단계로 접어들었다. 이는 1980년대 중요 기간산업이 어느 정도 발전 기반을 구축했고,

외국으로부터 개방 압력이 높아지면서 정부가 국가 산업 정책의 방향을 특정 산업 집중 육성에

서 자유화로 선회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

1980년대는 수입 자유화와 유통 시장 개방, 그리고 물질 특허 제도 도입 등 국내 시장의

Page 17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61

개방이 본격적으로 이뤄진 시기이자 국내 화학・화공 산업 발전의 전환기였다. 또 석유화학

산업에서 나오는 기초 원료를 기반으로 기능성 화학 원료와 제품을 생산하는 정밀 화학 산업으

로 확산・발전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우리나라 석유화학 산업은 1990년대 들어 울산과 여천, 대산의 3개 석유화학단지를 중심으

로 발전하며 수출 산업으로 전환되었고, 1993년부터 흑자를 기록했다. 1990년대 국내 화학・

화공 생산은 연평균 11.8% 성장했다. 수출도 합성수지를 중심으로 확대해 1994년 수출이

60억 달러 수준에 이르렀고, 1990년과 비교해 2배 이상 성장했다. 한편 수입은 기존 수입

수요가 국산품으로 대체되며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6% 감소했다.

이 시기 정부는 화학 산업이 향후 성장을 주도할 중요한 산업임을 인식하고 고분자 신소재,

정밀화학 같은 분야를 첨단 기술 산업으로 지정해 다양한 지원책을 폈다. 이러한 정부와 기업의

노력으로 국내 화학 산업이 한 단계 성장했다. 그러나 선진국과 비교하면 여전히 경쟁력이

취약한 상태였다.

우리나라는 자동차와 반도체, 전자, 정보통신, 생명공학, 신재생에너지와 같은 첨단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화학 산업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게 노력했다. 정부는

2001년 「부품소재 특별 조치법」을 제정하며 부품소재분야 연구개발 투자에 나서 집중 육성했

다. 이에 따라 화학소재 기업도 함께 성장했다. 또한 태양전지 같은 신재생에너지 분야와 화학

공정소재 분야의 기술개발을 위한 로드맵 작성을 통하여 화학 산업 관련 정부 연구개발 투자도

확대했다. 공공연구기관은 기초원천기술과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산업 원천기술의 확보에 집

중했고, 국가 전체적으로는 산・학・연 공동 연구와 사업화 전략을 확대했다.

2000년대까지 급성장했던 화학・화공 산업은 2010년 이후 국제 유가 급락과 중국 시장

리스크,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 등으로 위기를 맞았다. 우리나라 석유화학 산업은 내수보다

수출 비중이 큰 산업으로 외국 영향을 많이 받는다. 또한 원료에 대한 외국 의존도가 높아

석유 가격에 민감하다. 석유화학 산업 제조 원가의 70% 이상은 나프타 같은 원재료비가 차지한

다. 미국 셰일가스가 본격적으로 생산되면서 에틸렌 같은 석유화학 제품 생산을 위한 나프타와

셰일가스 기반의 에탄 사이에 글로벌 시장 경쟁 구도가 만들어졌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50달러

이하인 수준에서는 나프타 기반 공정이 에탄 기반 공정보다 원가 경쟁력이 있지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수준이면 역전이 된다.

중국은 2015년 기준 우리나라 석유화학제품 수출의 32.7%를 차지할 정도로 한국 산업의

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다. 중국 비중은 2009년 54.9%에서 점차 감소하고 있다. 그 원인은

Page 17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62

중국의 자급률 상승과 수출 다변화다. 중국 자급률 상승은 우리 석유화학 산업에 큰 위협이다.

한편 원료수입처인 중동 시장의 변화도 위기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동안 중동국가들은

원유와 같은 원료 중심으로 수출했으나, 최근에는 자국 산업의 고도화를 위해 석유화학 제품을

자체 생산함으로써 수출 상품의 다각화를 시도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화학 산업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첨단, 융・복합 트렌드에 따라 타 산업의

기반 소재를 생산하는 역할이 커지고 있다. 한국의 정밀화학 산업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전반적으

로 크게 뒤져 있다. 그러나 화학소재 수요 산업에 해당하는 LCD, DRAM 반도체, 이차전지와

휴대폰 산업은 세계 1~3위를 다투고 있다. 이들 전자제품 최종재와 관련 부품산업에 투입되는

화학소재 분야는 범용 제품 시장과 다른 고부가가치 성장 시장이다. 그러나 국내 화학 산업에서

정밀화학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5%로 50% 이상을 차지하는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가. 불소화합물(HCFC/HFC) 제조공정

1973년 제1차 석유파동을 겪은 후 1970년대~1980년대 화학공학・공정 관련 이슈 중 하나

가 프레온화합물의 제조공정 자립 연구였다. 그 중 불소화합물(CFC 등) 제조・공정 개발 연구

는 프레온 시범공장 건설, HF 파일럿 시험 시설 설계 연구를 시작으로 무수불산, CFC-12,

11・12, 할론-1301, 1211 재조공정 개발로 이어졌다. 이들 CFC 연구는 울산화학 등 관련

산업체를 탄생시키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어 당시 개발도상국으로는 유일하게 CFC물질 생산

국가가 될 수 있었다.

1970년대 시작된 불소계 화합물 연구는 우리나라의 부존자원의 부가가치 제고와 화학공정

개발 및 설계능력 배양이 주목적이었다. KIST 내에 연산 60톤의 CFC-12 파일럿 플랜트를

건설했고, 이로부터 개발된 CFC-12 제조 기술과 불산 정제 연구 결과는 K-TAC에 의해 산업

계에 기술 이전되어 연산 2,000톤의 CFC-12와 연산 700톤의 불화수소 공업화를 완성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 KIST 공정개발연구팀은 ㈜후성의 연구진과 공동협력으로 연산 2,000톤의

HCFC-22, 1만 5,000톤의 CFC-11/12, 3만 3,000톤의 형석 건조 설비, 5,000톤의 AHF(무

수불화수소) 등을 개발해 기본설계를 거쳐 산업화에 성공하였다. 1981년 ㈜한주케미컬의 소화

제 할론1301 상용공장 건설과 1987년 ㈜울산화학에 연산 1만MT 규모의 코프론-11・12 공장

이 완성되는 결실을 보았으며, 단계적으로 증설을 위한 기술 개발로 국내수요를 충족시켜

우리나라는 확고한 CFC, HCFC 생산국가로 성장했다.

Page 17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63

이후 지구 오존층 보호를 위한 유엔기구의 결의에 따라 한국과학기술연구소는 1990년 CFC

대체연구센터를 설립했고 CFC 대체품 연구에 착수해 연산 7,500톤의 신규 HCFC-22 및

1만 2,000톤의 HCFC-14b 공정 건설을 완료했으며, HFC-134a 및 HFC-32/125 등의 공정

개발 연구를 수행했다. 또한 기술 이전이 극히 어려운 불소의 전해 제조공정 개발, 반도체

가공가스인 FC-116/218, C4F6 개발, 리튬이차전지의 전해질인 LiPF6 등을 개발해 공업화를

완성했으며, 지구 오존층 보호와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대체소화제 CF3l 개발 및 기술

이전, 대체 냉매와 혼합 냉매 등 대체품 개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팀은 한 기업체와의

공동연구 역사상 최장에 해당하는 30여 년 간 협력연구를 수행하여 35억 원의 기술 이전이

이루어졌으며, 불소화합물 생산 및 수입대체 효과는 약 2조원으로 추정된다.

구체적으로 KIST 연구팀의 연구결과는 1999년 ㈜울산화학의 무수염화수소 회수공장(일산

650kg) 건설, 2004년 LiPF6 제조공장(연산 100MT), 2005년 PFC-116・218 제조공장 및

HFC-32 제조공장 건설, 2007년 반도체용 C4F6 제조공장 건설 등 다수의 상용화로 이어졌다.

코팅용 PVDF수지 중합 기술, 난포스겐 에킬렌카보네이트 제조공정, 연속식 PP발표 기술,

셀룰로스 면 신소재 제조 기술, MXDA 제조 기술 등을 SK케미칼, 호남석유, 하오기술, 한일합

섬, 코오롱인더스트리 등에 이전했다. 또한 불소가스(F2) 제조용 전해조와 불소가스 이용 기술

을 개발해 기업에 장치 이전 및 기술 지도를 통해 국내 불소화학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반 역할을 담당했다.

불소화학 제품의 연구개발 과정을 통해 제품의 국산화는 물론 화학 제품 생산의 공정개발로

부터 기본설계・상세설계・공장 건설 및 시운전・품질관리・환경보전・안전 등에 관한 자료 축적

과 화학공장 기본설계 능력 배양에 크게 기여했다. 제1회 한국공학상, 3・1문화상을 비롯해

2010년에는 한국공학한림원이 선정한 ‘대한민국 100대 기술’에 선정되었고, 2015년에는 미

래창조과학부에서 시행한 ‘광복 70년 국가 연구개발 대표성과 70선’에 선정되었다.

나. 1990년대 정밀화학 제품의 핵심 원료인 폴리부텐 제조 기술

폴리부텐은 휘발성이 거의 없고 접착성과 절연성, 윤활성이 뛰어나다. 이런 이유로 접착제와

페인트 분산제, 윤활유 첨가제, 전기 절연제, 포장재, 입술연고제, 충진제와 같은 다양한 제품에

원료로 사용된다. 1980년대까지 몇몇 선진국만 기술을 보유하던 극비 기술로 고가의 수입

제품이었다.

Page 17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64

당시 석유화학 회사들은 원유에서 분리한 나프타를 고온고압으로 분해해 에틸렌과 부타디엔

을 생산하고 남는 잔사유 찌꺼기를 활용해 무엇인가를 만들기를 원했다. 이에 호남에틸렌과

한국화학연구원이 1984년부터 이 잔사유 찌꺼기를 활용해 전량을 고가로 수입하던 폴리부텐

을 만들기로 하고 연구에 착수했다.

몇 년에 걸친 연구 끝에 연구실 수준에서 폴리부텐을 성공적으로 만들어내고, 곧이어 전남

여천에 3층 규모로 파일럿 공장을 건설했다. 연구팀 대여섯 명이 폴리부텐이 나오기까지 12시

간이 걸리는 공정이 제대로 돌아가는지 점검하며 시행착오를 반복했다. 고압 공정인데다 불도

잘 붙어서 굉장히 어렵고 위험한 공정이었다. 이를 개선하려고 한국화학연구원은 연구원 10여

명을 2년 간 현장에 파견해 생산 공정을 완성시켰다. 이 과정에서 호남에틸렌은 대림산업에

흡수 합병됐다.

그리고 2년 뒤 마침내 시제품을 생산했고, 그 시제품을 여러 기업이 시범적으로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피드백했다. 이런 과정을 반복하며 제조와 공정기술을 완성해갔다. 폴리부

텐 제조와 공정 국산화는 한국화학연구원과 기업이 오랜 시간 시행착오와 위험을 감수한 열정

의 합작품이다.

1990년대 초에는 폴리부텐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생산규모를 계속 확장한 대림산업은

2조 원에 이르는 연간 수출액으로 전 세계 폴리부텐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 성장했다.

폴리부텐 제조기술은 2010년 한국공학한림원이 선정한 ‘광복 이후 대한민국 100대 기술’로도

뽑힌 자랑스러운 국가 핵심 원천기술이다(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013, pp.164~165).

다. 세계 최대 용량의 원통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양산 기술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리튬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하며 전기를 생산하는 전지다.

스마트폰과 노트북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한다.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

키는 장치인 전지는 4대 구성 요소인 음극, 양극, 분리막, 전해질로 구성된다. 리튬산화물로

양극을 만들고 탄소화합물로 음극을 만든다. 그리고 양극과 음극에서 리튬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전해액을 넣는다.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LG화학은 1947년 처음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창립했다. 1990년대부터 정보

전자 소재 사업을 시작해 이차전지 기술 개발에 나섰다. LG화학은 1995년 리튬이온 배터리

연구개발에 착수해 1998년 국내 최초로 리튬이온전지 개발에 성공했다. 그리고 2001년

Page 17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65

2200mAh 급, 2003년 2400mAh 급, 2005년 2600mAh 급 원통형 리튬이온 전지를 연이어

세계 최초로 양산했다. 일본은 연구개발 기간으로 10년, 조사・실험・공장건설・제품 안정화에

최소 5년 이상이 걸렸다. 이와 비교할 때 LG화학의 개발 속도는 혁신적이었다. 이후 2009년

전기차용 중대형전지를 생산하면서 세계 최고의 이차전지 기업으로 발돋움했다.

LG화학은 현재 세계 최고의 리튬이온전지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고용량 양극재의 최적비율

을 적용하고 소재 혼합방식을 개선해 안전성이 보장된 고용량 배터리를 개발했다. 실리콘

계열 고용량 음극재 적용으로 용량을 추가했다. 또 열적 안정성이 뛰어난 양극재를 사용해

고전압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만들었으며, 전지 제작 설계 기술을 개발해

전지 내부 밀도를 증가시켜 사용공간을 최대화했다. 리튬이온전지의 시장규모는 2015년 230

억 달러에서 2020년 800억 달러로 연평균 28% 성장할 전망이다(고정우, 2015, p.3).

[그림 3-20] 원통형 리튬이온전지

출처: LG화학

4. 섬유 기술 R&D 성과

1960년대 초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면서 우리나라 섬유 산업이 아크릴

스웨터 수출을 시작으로 내수 산업에서 수출 산업으로 전환하며 급성장했다. 이 과정에서

1967년에는 면제품의 수요 감소에 따른 공급 과잉 현상을 해소하려고 「섬유 공업시설 임시

조치법」을 제정했다. 방적업과 제직업 등 6개 업종에 대한 설비 조정과 노후 시설 교체를

추진했다. 1968년부터는 폴리에스터 같은 화학섬유 생산을 본격화해 저렴한 노동력을 바탕으

로 섬유 산업이 급성장했다.

Page 18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66

1970년대 들어 10여 년간 부가가치 생산액은 6.5배, 수출액은 13배 증가했다.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0% 이상을 유지했다. 이러한 성장에 힘입어 우리나라 섬유 산업은 홍콩,

대만과 함께 섬유 수출 빅3로 불렸다. 하지만 1970년대 말에 우리나라 섬유 산업은 양적인

성장 한계를 맞이하였다. 이에 정부는 섬유 산업의 경쟁력 강화로 한계를 극복하고자 1979년

「섬유공업 근대화 촉진법」을 제정했다. 기업 간 자율경쟁을 유도하기 위한 생산설비의 신설과

증설을 허용하는 등 시설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또 노후 시설 개체 자금 지원과 함께 기술

개발, 인력 양성과 통상 활동 지원 등을 위한 근대화 기금을 설치하고 운영했다.

1980년대 우리나라 섬유 산업은 중화학 공업에 대한 우선 육성정책과 숙련 기능 인력 확보

의 어려움, 인건비 상승 등으로 국제 경쟁력이 크게 약해졌다. 그 동안 주로 가격 경쟁력에

의존해 왔던 섬유 산업의 고급화와 기술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섬유 수출도 의류 같은

봉제품 수출 비중은 낮아진 반면 직물류 수출 비중은 높아져 선진국형 수출 구조로 바뀌기

시작했다.

1990년대 섬유 산업은 고비용・저효율의 기업 구조와 고임금, 인력 부족 현상 심화, 공급과잉

과 업체 간 과다 경쟁에 의한 수출 단가 하락, 후발 개발도상국의 추격, 세계 경제의 블록화,

선진국들의 반덤핑 제소 등으로 섬유 제품의 고부가 가치화와 생산 구조 개선 같은 섬유산업

경쟁력 강화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됐다.

2005년에는 섬유 쿼터가 폐지돼 섬유 교역이 자유로워졌다. FTA 체결이 속도를 내면서

후발 개발도상국이 빠르게 추격하기 시작했다. 그만큼 기존 주력 수출품목의 대외 경쟁력이

약화돼 수출도 감소하기 시작했다. 내수시장 역시 경기불황에 따라 섬유제품 수요가 줄어들었

다. 또 국내 섬유 산업의 생산 기반이 약해지면서 국내 생산 활동도 줄어들었고, 이로 인해

국제 경쟁력도 약해졌다.

이 같은 섬유 산업 환경변화는 국내 섬유 산업이 양적 확대 대신 기술과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고부가 제품 생산 체제로의 구조 전환을 요구했다. 기업을 중심으로 기존의 의류용 섬유 외에

기능성과 친환경 소재, 필터, 타이어코드, 건설자재용 신소재 같이 다양한 응용 분야를 새롭게

찾았다. 특히 산업용 섬유는 산업 자재의 경량화와 고기능화, 다양화, 패션화 추세에 따라

쓰임새와 분야가 크게 늘었다. 금속과 플라스틱, 종이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도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섬유업계가 다시금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1b, pp.9~14).

Page 18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67

현재 세계 섬유산업은 의류용과 산업용으로 양분돼 있다. 중저가 의류용 섬유는 후발 개발도

상국이, 고가 의류용 섬유와 산업용 섬유는 미국과 일본, 독일 같은 선진국들이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정보통신 기술(IT), 나노 기술(NT), 생명공학 기술(BT), 환경공학 기술(ET),

우주・항공 기술(ST) 같은 신기술이 지속적으로 발달하고, 신기술간 융합이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부품소재와 생산 공정, 환경, 에너지와 의료, 건강 분야에서

글로벌 기술이 급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 높은 강도와 우수한 내열성의 아라미드 섬유 개발

1979년 코오롱은 한국과학기술연구소와 공동으로 연구해 새로운 섬유 개발에 나섰다.

1982년 실험실에서 용액형 액정(Lyotropic LC)계 펄프를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 그리고

1984년 미국과 네덜란드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아라미드 섬유를 개발했다. 이후 정부로부

터 공업 기반 기술 조성 자금과 산업화 기술 과제 개발 자금을 받아 10여 년 동안 상업화

연구를 수행해 1995년 펄프 제조 공정 기술을 획득했다.

그러나 선진국 개발업체에서 사업 진입 방해, 가격 덤핑과 시장 선점 등으로 사업화 진전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런 고난 속에서도 코오롱은 2005년에 본격적으로 상업 생산을 개시해

현재 연간 5000톤 규모의 생산 능력을 확보했다(박훈, 2013, pp.167~168). 최근 코오롱은 파라계 아라미

드 소재 제품인 헤라크론(HERACRON®) 개발과 관련해 지난 2009년부터 6년간 미국 듀폰과

진행한 법적 다툼을 마무리 짓고, 세계 시장을 무대로 헤라크론 생산과 판매에 주력하고 있다.

[그림 3-21] 코오롱 헤라크론 원사 및

응용제품

[그림 3-22] 태광산업의 아라미드 섬유

출처: www.kolonindustries.com 출처: www.taekwang.co.kr

Page 18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68

효성도 2008년 자체 기술로 아라미드 섬유를 개발했다. 2009년에는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

상업 생산에 성공했다. 현재 1500톤 규모의 생산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휴비스 역시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 개발을 마치고 로프와 전선코드, 단섬유 형태의 방적용 실을 개발해 소방복 등에

사용하고 있다. 또 태광산업은 2015년부터 연간 1,000톤 규모의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를 상업적

으로 생산하기 시작했다. 단섬유와 방적사, 직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제품 기술도 확보했다.

국내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는 현재 휴비스와 도레이케미칼에서 생산하고 있다. 휴비스는

2006년부터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2009년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메타원(Meta OneTM)이라는 브랜드를 런칭했고, 2011년에 독자 기술로 연간 1,000톤 규모의

생산설비를 보유했다. 현재 보호복과 전기 절연지, 산업용 필터 같은 각종 산업용 소재에 사용

하고 있다. 2017년까지 5,000톤 규모로 증설해 세계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시장점유율 2위로

도약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

도레이케미칼은 2012년 3,000톤 규모의 생산 설비를 구축하고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인

아라윈(ARAWIN)을 생산하고 있다. 아라윈 제품은 400도 이상의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우수한 내열성을 지닌다. 방화복과 고온 집진용 백필터, 각종 전기절연재와 내열성 부품소재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아라윈 제품은 연속 중합 방식으로 생산해 품질이

균일하고 우수하며, 염색성과 방적성이 탁월하다(박훈, 2013, pp.169~170).

나. 초경량 고강도 탄소 섬유 개발

동양제철화학은 1987년에 연간 150톤 규모의 탄소 섬유 생산 능력을 갖춘 공장을 가동했다

가 1991년에 중단했다. 태광산업도 1998년에 60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춘 공장을 가동했다.

하지만 외환위기 이후 수요 부진과 일본 기업들의 시장 교란, 선진국의 기술 이전 기피 등으로

2001년에 중단했다. 다만 SK케미칼과 한국카본이 일본의 도레이, 미쓰비시 레이온, 그리고

미국의 헥셀(HEXCEL)에서 탄소 섬유를 수입해 프리프레그(Prepreg)를 생산했다.

2000년대 후반 전 세계적으로 고유가와 환경 규제 강화, 에너지 절감을 위한 경량화 추구로

인해 탄소 섬유의 수요가 다시 늘어났다. 태광산업은 아크릴 섬유에서 집적한 기술을 통해

2009년 팬(PAN)계 탄소 섬유 프리커서(Precursor) 개발에 성공했다. 2012년에 국내 최초로

연간 3,000톤 규모의 프리커서와 연간 1,500톤 규모의 탄소 섬유 상업 생산을 시작했다.

앞으로 5,000톤 수준으로 생산 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Page 18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69

효성도 2012년 탠섬(TANSOME®)이라는 이름의 탄소 섬유 독자 브랜드를 런칭했다. 그리

고 2013년에 2,000톤 규모의 탄소 섬유 공장을 준공했다. 효성에서는 2020년까지 1조 2,000

억 원을 투자해 생산규모를 1만 7,000톤까지 확대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내세울 예정이다.

[그림 3-23] 태광산업의 탄소섬유 [그림 3-24] 효성 탠섬(TANSOME®)

출처: www.taekwang.co.kr 출처: www.hyosung.co.kr

도레이첨단소재는 일본의 도레이로부터 탄소 섬유 기술을 이전받아 2013년에 구미공장에서

2,200톤 규모의 도레이카(TORAYCA T700 Grade) 브랜드의 탄소 섬유를 생산하기 시작했

고, 2014년에는 2,500톤 설비를 증설해 생산능력을 4,700만 톤으로 확대했다. 2020년까지

1만 4,000톤까지 증설할 계획이다.

국내 2위의 정유업체인 GS칼텍스도 2013년 석유를 이용한 피치(Pitch)계 활성탄소 섬유

생산 공정 개발을 완료하고 시제품 생산에 들어갔다. 2015년에는 활성탄소 섬유 상업생산을,

2016년에는 자동차와 항공기용 경량화 소재, 2차 전지 전극용 소재 등에 사용되는 피치계

메조페이스 탄소 섬유 개발도 완료할 계획이다. 피치계 탄소 섬유는 석유와 석탄 같은 화석연료

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폐연료를 탄소화해 만든다. 아크릴 섬유를 원료로 하는 팬계

탄소 섬유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이밖에도 OCI는 군산에 공장 건설을 위한 부지를 확보하고, 2014년에 석탄을 이용한 피치

계 탄소 섬유를 40톤 규모로 시험적으로 생산했으며, 앞으로 상업 생산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

다. 삼성석유화학은 2013년 독일의 탄소 섬유 기업인 SGL그룹과 합작법인 삼성SGL탄소소재

를 설립해, 탄소 섬유의 수입과 판매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SK케미칼은 일본의

미쓰비시레이온과 전략적인 사업제휴와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해 프리프레그를 생산하고 있다

(박훈, 2013, pp.170~172).

Page 18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70

다. 친환경 신소재 폴리케톤 섬유 개발

폴리케톤(Polyketone) 섬유는 효성이 2004년부터 10년간 500억 원에 달하는 연구개발비

를 투입해 개발한 것으로 2013년 울산에 연간 1,000톤 규모의 생산 공장을 완공했다. 2014년

에는 1,250억 원을 추가로 투자해 2015년에 생산량을 연간 5만 톤 규모로 확대했다. 효성은

폴리케톤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 부가가치 창출 효과 1조 원과 폴리케톤 소재를 활용한

전후방사업을 포함해 10조 원에 달하는 매출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폴리케톤 섬유는 친환경 소재로 자동차와 전자, 산업 자재 부품에 사용한다. 나일론에 비해

충격에 견디는 힘은 2.3배, 화학물질에 대한 안정성은 1.4~2.5배에 달한다. 현존하는 가장

단단한 소재인 폴리아세털보다 14배 이상 강력한 물질이다. 자동차 연료 계통 부품과 전자제품

내외장재 등에 다양하게 쓰일 수 있다. 또 내구성과 내마모성, 내화학성이 뛰어나 타이어코드와

보호복, 보호용 장갑, 산업용 로프, 호스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대기오염의 주범인 일산화탄소와 올레핀인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원료로 만들기 때문에 대기

속 유해가스를 줄이는 역할도 한다(박훈, 2013, p.174).

5. 조선 기술 R&D 성과

1948년 정부는 공업 시설 구축과 기술도입을 추진했다. 그리고 교통부에 조선 산업 주무부

서를 설치해 조선 산업 육성에 나섰다. 그러나 한국전쟁 발발로 주요 산업 시설이 사라졌다.

또 부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조선 시설이 파괴됐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항만과 선박 복구사업이

수요를 창출했다. 또 유엔군 군수물자를 수송하는 수요가 급증하면서 해운업과 조선업을 재생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수리해야 하는 선박의 대부분이 용접선이어서 리벳공법을 사용하던

전래의 조선기술을 용접공법으로 자연스럽게 이전하며 용접 기술도 빠르게 향상시켰다.

1950년대 후반은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산업 전반을 복구하고 경제 발전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던 시기다. 조선 산업도 이 범위 안에서 피해시설 복구와 소형선 건조에 참여한 시기다.

조선업체 수는 1945년 56개에서 1951년 79개로 증가했고, 1959년 조선소와 조선용 기계류

및 내장품 제조업체가 198개로 증가했다.

1960년까지 국내 조선 기업은 자체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또 외국의

선진 기술을 도입할 능력도 갖추지 못했다. 다만 조선공학과를 설치한 대학과 조선 관련 학회,

KIST 조선해양기술연구실 등에서 한정적으로 소규모 기술 개발에 나섰다. 1960년대 후반부터

Page 18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71

1970년대 중반까지 정부는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72~1976)」에 따른 중화학 공업의

육성 정책과 「조선 공업 5개년 육성 계획」을 수립하며 우리나라 조선공업 육성 방안을 제시했

다. 조선 분야를 수출 산업화하는데 나서며 1966년에는 독자 기술로 2,600GT급 화물선을

건조했다. 또 정부 정책에 따라 산・학・연 공동으로 표준형선 설계와 개발을 추진했다.

1970년대는 현대중공업 같은 대기업이 조선소를 건설했고, 포항제철공업주식회사는 선박

용 강재인 후판을 생산하고 공급했다. 이로써 조선 산업 분야에서 세계 시장에 진입하고 이를

주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되었다. 초대형 유조선, 대형과 중형 디젤엔진 생산, 선박건조

도크 확장, 자동용접과 컨베이어 시스템 같은 초현대적 생산설비를 갖추면서 선박 건조 경쟁력

을 확대했다. 1973년에는 한국선박연구소를 설립해 조선 산업의 기술 경쟁력을 선도하는 기반

을 조성했다. 특히 1975년에 정부는 조선 산업 육성정책인 계획조선제도를 실시함으로써 수요

자와 건조자, 그리고 금융을 결합시켜 국내 조선 산업이 불황을 극복하고 세계 시장으로 확대하

는데 크게 기여했다.

1980년대는 세계적인 2차 석유파동으로 해운과 조선 산업이 장기적인 불황에 직면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조선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 정책을 추진하고, 민간 투자를

늘려가며 기술역량을 확대했다. 이에 1987년 해운 시장이 회복하면서 한국의 세계 시장 점유

율이 30.2%까지 증가했다. 특히 부가가치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벌크화물선을 중심으로 수출

도 크게 늘었다. 또 국내에서 생산한 엔진을 50% 이상 사용하면서 중소 기자재 기업 분야도

대폭 성장했다.

1990년대는 노후선을 대체하는 수요가 증가하며 세계 조선 산업 경기가 활발해졌다. 1998

년 외환위기는 원화 약세를 초래해 국내 조선 산업의 가격 경쟁력을 상대적으로 높이는 결과를

만들었다. 그 결과 선박 건조 선수금과 결제 대금이 달러로 유입되면서 환차익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경영환경이 크게 개선됐다. 철강 산업과 함께 생산성 향상과 조선기술 혁신, 원자재

비용절감 등으로 세계적인 수준으로 경쟁력을 갖춘 시기다. 특히 이중선체 유조선과 LNG

선박이 처음 건조되어 고부가가치 선박을 수출하는 국가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2000년 이후 조선 산업은 수주와 건조, 건조잔량 등에서 전체적으로 세계 1위에 올라서며,

세계를 선도하는 위상을 확보했다. 컨테이너선과 유조선은 세계 시장 점유율을 60% 이상까지

상승시켰다. 2003년에는 세계 시장 점유율 43.8%, 국내 제조업 비중의 3.3%에 도달하며

국가경제에서 큰 역할을 했다. 특히 무역수지 흑자 비중도 70.7%에 달하는 대표적인 흑자산업

으로 국가 발전에도 크게 기여했다. 2007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에는 세계적으로 물동량이

Page 18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72

줄고 경기가 침체돼 조선 산업도 크게 줄어들었다. 이에 국내 조선 산업은 초대형 블록생산기

술, 육상 건조 후 해상 진수 기술 같은 조선기술 혁신을 통해 세계 시장 선도에 나섰다.

가. 컨테이너선의 연료 경제선형 설계 기술 개발

현대중공업은 컨테이너선과 로로선 같은 고속 세장선을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선형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선박에 사용하는 자재를 줄이

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선형 설계 기술이다. 특히 여러 가지 다른 설계 조건에서도 일관성

있게 제작할 수 있으며, 운항 조건이 바뀔 때 발생하는 성능 변화도 쉽게 조사할 수 있고,

운항 조건별로 최적선형을 빠르게 준비할 수 있다.

나. 한국형 LNG 운반선 화물창 개발

지식경제부 산업 원천기술 개발 사업으로 2004년 9월부터 한국가스공사와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이 공동으로 참여해 한국형 LNG선 화물창을 개발했다. 이 사업에는

강림인슈, 화인텍, 한국화이바, 일석정밀, 파워웰 같은 기업과 경기대, 부산대, 서울대, 인하대,

한국과학기술원, 한국해양대도 위탁기관으로 참여했다.

연구팀은 5년간 기술 개발에 나서 한국형 LNG선 화물창 ‘KC-1’을 개발했다. 원천기술

관련 특허 52건을 국내와 외국에 출원했으며, 국제적인 선급 인증도 획득했다. 근접 이중방벽

구조로 만든 KC-1은 기존 시스템을 혁신적으로 개선한 구조다. 또 KC-1 방열 시스템을 매우

단순한 구조로 만들어 재료비와 시공비를 많이 절감시켰다. 특히 근접 이중방벽 구조는 1차

방벽과 2차 방벽을 비슷한 온도와 환경에서 운영해 1차 방벽에서 LNG가 누출되는 비상상황에

서도 2차 방벽에 열 충격을 주지 않고 누출된 LNG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2차 방벽도 1차 방벽과 같은 금속재 멤브레인을 사용해 액밀성(liquid tightness)과 기밀성

(gas tightness)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동안 문제가 됐던 2차 방벽에서 발생하는 누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했다. 2013년 12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국가 신기술 인증을 획득했

고, 현재 국내외에서 46건의 특허를 확보했다. 기존 기술과의 차별화에 성공해 안전성을 더

높인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가스공사는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조선 3사와 공동으로 한국형 LNG

선 화물창 상용화를 위한 합작사인 KC LNG 테크(KLT)를 설립했다. KLT는 한국형 LNG선

Page 18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73

화물창인 KC-1을 상용화하며 국내 조선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에 나섰다. 이때까지 조선

3사의 연간 LNG 선박 수주량은 20~50척으로 전 세계 발주량에서 약 70%를 차지하였으나

화물창 원천기술을 해외기술사인 프랑스의 GTT에 의존하고 있어 건조하는 배 값의 약 5%인

1척당 약 100억 원을 기술로열티로 지불하고 있었다. 앞으로 KLT가 보유한 KC-1 기술을

이용하면 기술로열티를 절감할 수 있어 국내 조선업체들의 LNG 선박 수주 경쟁력이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KC-1 기술을 적용하면 국내 조선업체들이 1척당 약 100억 원 가량인 외국 기술료에서

60% 정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4년 기준으로 보면 수주물량 전체를

대체할 경우 약 2800억 원을 절감할 수 있다. 또 1척당 약 500억 원인 LNG 선박 기자재

중 상당수를 국산화할 수 있어 국내 기자재업체도 함께 성장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창조 경제를 실현할 수 있다. 국내 조선사의 LNG 전문 인력들이 기술과

성과를 공유하며 LNG 선박 기술에서 새로운 표준을 제시함에 따라 전 세계의 모든 선주와

조선사가 만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LT는 최근 2017년 10월까지 2척의 LNG 국적선을 건조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KLT는

전 세계 해외선 선주사를 대상으로 컨퍼런스와 전시회, 세일즈투어 등을 진행하며 KC-1 LNG

선박의 기술 우수성과 안정성, 경제성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또 2척의 국적선 건조를 완료하

고 선급사로부터 최종승인을 얻은 후에는 조선3사가 수주마케팅 역량을 발휘해 협력하며 공격

적으로 해외마케팅에 나서서 수출도 확대할 전망이다.

라. 선박 계류 장치 등 세계 최고 조선 기술로 국제 표준 선도

지식경제부 국가기술표준원(KATS)은 2009년 9월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선박 계류 장치

와 관련해 12가지 기술 표준을 제안했다. 그리고 미국과 영국, 일본 등 6개국이 찬성해 모두

국제 표준으로 채택됐다. 이 기술은 4년간 삼성과 현대, 현대삼호, 대우조선, 한진 등 국내

조선소들이 조선 기자재 부품에 대해서 공용 표준화를 추진해 나온 결과다. 선박 계류 장치를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강도를 공인받고, 부품을 공용화해 자재비를 절감하면서 조선 산업에서

세계 시장을 선도했다.

선박 계류 장치(Mooring and Towing Fittings)는 선박을 바다에서 안전하게 안벽과 부두

(Jetty), 해상 부표(Buoy)에 묶어 두기 위한 모든 기기와 장비들이다. 이들은 충분한 강도를

Page 18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74

갖고 설계돼야 한다. 강도가 검증되지 않은 장치를 이용하면 선박 간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선박 손상으로 기름이 유출돼 해양오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

최근 ISO는 조선과 해양기술 분야(TC8)의 국제 표준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활동이 적은

분과위원회(SC)를 통폐합해 12개의 SC를 8개로 개편했다. 우리나라는 새롭게 구성된 ‘SC8

선박설계’ 분야에서 의장을 차지했다. 동일 국제 표준 채택으로 조선 산업국 세계 1위 위상을

ISO 국제표준화 기구에서도 이어갔다. 앞으로 우리가 제안한 기술을 모두 국제 표준으로 제정

하면 선박 계류 장치 분야에서만 우리나라는 연간 약 1조 원의 시장을 선점하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마. 고부가가치 LNG-FPSO 설계 기술 개발

현대중공업은 국토해양부의 플랜트 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2011년부터 2MTPA급 LNG-

FPSO 탑사이드 FEED 패키지, 액화 공정 설비와 선박 기본 설계, 탑사이드 시설 모듈화와

안전설계 기술 개발에 나섰다. 1단계에 테스트베드 기반을 구축하고, 2단계에 LNG-FPSO

상용 설계기술을 확보하며, 3단계에 LNG-FPSO 상용화 기술을 확보한다는 전략으로 단계적

으로 기술 개발을 추진했다.

연구팀은 LNG-FPSO의 FEED 패키지를 개발해 탑사이드 설비에 대한 자체 엔지니어링

능력을 확보했다. 특히 액화공정을 포함하는 LNG-FPSO의 주요 핵심공정을 개발해 상당한

수준의 기술 노하우를 확보했다. 국내 엔지니어링 기술 수준 향상으로 발주처의 요구에 능동적

으로 대응할 수 있는 설계 유연성도 증가했다. 테스트베드 설계와 건설 경험을 활용해 플랜트

체질 전환(Scale-up) 전략을 수립했다. 이에 LNG-FPSO 엔지니어링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

며 우리나라 엔지니어링 기술을 한 차원 높게 끌어 올리는 계기를 마련했다. 또한 삼성중공업의

프리루드(Prelude)는 실제로 건조된 세계 최대 규모의 해양플랜트인 LNG-FPSO이기도 하다.

바. 선체블럭 내부 도장 자동화 시스템 개발

삼성중공업은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지식경제부 자동차 조선 전략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선체 블록 내부를 자율적으로 주행하면서 도장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선체 블록 내부에서 작업이 가능한 도장 로봇, 도장 로봇을 블록 내부로 넣고 맨홀을

통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보조 장치, 도장 로봇이 자율적으로 주행할 수 있게 하는 주행

Page 18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75

대차를 구현한 자율이동 로봇, 도장 로봇 구동을 위한 제어기, 도장 자동화용 분사 총, 도장

주변장치 모듈, 도장 작업 프로세스에 의한 도장 작업 자동화 프로그램, 밀폐 블록의 형상을

인식하는 환경 인식 모듈, 그리고 시스템 운용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구체적으로는 도장 작업 프로세스 개발, 로봇 기구 개발, 자율 이동 로봇 개발, 케이블 공급

장치 개발, 로봇 인입 장치 개발, 도장용 스프레이건 개발, 로봇 제어기 개발, 주변 장치 모듈

개발, 환경인식 모듈 개발, 전체 시스템 운용 프로그램 개발이다. 연구팀은 도장 자동화 시스템

을 작업 대상인 선체의 규모와 종류에 따라 문제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2가지 방향으로 개발을

추진했다. 작업 대상물의 규모에 따라 도장 자동화가 쉽게 이뤄지도록 메카니즘적으로 특화해

개발했다. 이 연구로 선체 블록 내부 작업에 필요한 이동장치 등 10개의 특허를 출원했다.

그 결과로 선박건조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사. 해상 LNG 터미널(FSRU)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삼성중공업은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지식경제부의 자동차 조선 전략 기술개발 사업으로

차세대 해상 LNG 터미널(FSRU)의 고부가 핵심 설계 기술인 안전 확보를 위한 LNG FSRU

위해도 평가 시스템을 개발했다. 기본 설계 단계에서도 정량적으로 안전도를 해석해 새로운

안전 규정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 특히 이 기술은 많은 경험이 필요한

고부가가치 엔지니어링 기술이다. 조선 산업을 기술적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었

지만 현장에서는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었다. 연구팀은 사업을 통해 자체적으로 기술을

확보하고, 화재와 폭발 사고에서도 결과를 해석할 수 있는 핵심 기술도 확보했다.

6. 자동차 기술 R&D 성과

2015년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자동차 생산국으로 국내외 총 894만대를 생산, 해외시장에

714만대를 판매하는 실적을 거뒀다. 1950년대 중반 자동차 산업을 시작한 후 짧은 기간에

세계적인 자동차 강국이 됐다. 국내 산업 중에서도 수출 전략 산업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

고 있는 주력 산업이다.

자동차 산업은 국가의 기술 수준과 산업 구조를 성장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자동차가

2만 여개의 부품으로 만들어지는 만큼 자동차 산업은 기계와 전자, 전기, 소재 등 다양한

Page 19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76

산업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따라서 기술 개발의 파급 효과와 부품 국산화에 따른 생산

유발 효과도 크게 나타난다. 최근에는 친환경 자동차와 스마트 자동차에 첨단 정보통신, 배터

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같은 융합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1954년 1월 하동환이 ‘하동환자동차제작소’(1977년 동아자동차, 1986년 쌍용자동차로 이

관)를 설립하여, 1955년 최무성 등이 미군 지프 부품과 4기통 엔진을 조립해 만든 ‘시발(始發)

자동차’는 국내 최초 생산 자동차다. 하지만 독자 기술로 보기엔 부족한 면이 많았다. 1961년

정부는 「자동차 공업 발전법」을 만들어 완성차 수입 금지, 국산화 정책, 수출 산업화 정책을

펼치며 자동차 산업을 활성화시켰다. 1960년대 신진자동차와 현대자동차가 설립됐다. 1960

년대 말 현대자동차가 미국 포드와 기술협약으로 ‘코티나’를 양산하기 시작했다. 1975년에는

현대자동차가 일본 미쓰비시로부터 기술 협력을 받아 한국 최초의 고유 모델인 ‘포니’를 생산하

며 세계 15번째 자동차 생산 국가가 됐다. 그리고 1986년 소형자동차 ‘포니엑셀’을 처음 미국

에 수출하면서 최대 자동차 시장인 미국 시장에 진출했다.

기아자동차는 1980년대 봉고를 비롯해 승합차 개발에 역량을 발휘했다. 대우자동차는

1990년대 경차 ‘티코’를 생산해 자동차 대중화에 기여했다. 2000년대 들어서 우리나라 자동차

는 글로벌 역량을 발휘하며 수출 실적이 급격하게 증가했다. 핵심부품 기술력과 디자인 능력,

품질 안정화를 이루면서 2000년대 후반부터 글로벌 플레이어로서의 위상을 얻었다(한국자동차산업

협회, 2005, p.115).

1980년대까지 국내 자동차 업체들은 해외업체와의 기술협력을 통해 자동차를 생산하며

생산기술 확보에 중점을 뒀다. 1990년대부터는 정부 연구개발 사업과 함께 독자기술 개발

및 부품 국산화에 집중했다. 1991년 현대자동차는 알파 엔진을 개발해 엔진기술 자립화를

시작했고, 꾸준한 개발 노력과 부품업체들과의 협력으로 글로벌 자동차 회사에 엔진기술을

이전하는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같은 시기에 변속기 부품 국산화와 개발 능력도 갖추면서,

최근에는 8단 자동변속기와 더블클러치변속기를 독자 기술로 상용화하는 위치에까지 올랐다.

현대자동차는 1990년대 중반부터 전기 동력 파워트레인을 장착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개발

에 나서 2009년 국내 최초로 LPG 하이브리드 자동차인 ‘아반테LPi’를 선보였다. 1998년에는

연료전지 자동차를 개발하기 시작해 2001년에 ‘싼타페’ 연료전지 자동차를 개발했다. 2013년

에는 세계 최초로 연료전지 자동차를 상용화했다. 전기 자동차는 1990년대 초반부터 개발을

시작해 2010년 주행거리가 기존보다 늘어난 ‘블루온’ 전기 자동차를 상용화했다.

Page 19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77

현대모비스와 만도는 2000년대 초반부터 부품 모듈화 기술을 개발해 경량화와 원가절감에

성공했다. 섀시부품으로 제동안전시스템과 전동조향시스템 같은 분야에서 독자 기술을 확보해

외국 업체로부터 부분적으로 기술 독립을 이뤄냈다. 이는 지능형 스마트카와 자율 주행 자동차

개발의 초석을 다지는 계기를 마련했다.

자동차 기술 개발을 시작한 지 50년 만에 한국은 정부의 꾸준한 지원과 업체들의 협력으로

세계 5위의 자동차 생산국으로 도약했다.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우수한 기술 경쟁력도 확보

했다. 최근 한국은 선진국을 쫒아가는 추격자 입장에서 미래 자동차 기술을 이끌어가는 글로벌

리더의 역할을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지속적으로 차세대 자동차 기술 개발에 전력을

쏟고 있다.

가. 자동차 파워트레인 기술

1980년대 후반 이후 세계적으로 저공해 자동차에 대한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었다. 1987년

오존층 파괴물질에 대한 몬트리올 의정서를 채택한 이후 자동차에서 배출하는 유해 가스와

이산화탄소로 인해 온난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지구 환경이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위협받고

있다는 인식이 커졌기 때문이다.

1991년 국내 최초로 ‘알파’ 가솔린 엔진을 독자 개발한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국내 업체들도

고효율 저공해 엔진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었다. 정부는 1992년부터 2001

년까지 G7 차세대 자동차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해 ‘저공해 분야’에 27건의 과제를 수행하면서

산・학・연 협력으로 자동차 고효율 저공해 엔진 기술개발에 힘을 기울였다.

그 결과로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극초저공해 자동차(SULEV)에 대응하기 위해 현대자동차가

개발한 엔진 기술을 2003년부터 가솔린 승용차에 적용해 상용화했다. 또한 승용차용 HSDI

(High Speed Direct Injection) 디젤 엔진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2000년 ‘대한민국 10대

신기술’에 선정됐다. 현대자동차가 2002년부터 개발한 엔진이 유럽 배기가스 규제 기준인

Euro-Ⅲ를 만족시킴에 따라 유럽 시장 수출에도 진출했다(자동차부품연구원, 2010, p.157).

정부는 2003년부터 산업자원부 중기 거점 기술 개발 사업으로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디젤 엔진 부품과 승용차용 5단 자동변속기 개발을 지원하였으며, 국내 업체들이

빠른 시간 내에 Euro-VI와 같은 외국 환경규제와 부품 고효율화에 대응하도록 지원한 것이다.

이후에도 자동차 기반 기술개발 사업과 산업 원천기술 개발 사업 같은 정부 지원 사업으로

Page 19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78

파워트레인 부품 국산화, ECU 부품, 연료계 부품과 배기 후처리 부품 국산화를 추진해 핵심

엔진부품과 변속기 부품 산업의 국가 경쟁력도 높였다. 이러한 산・학・연 협력과 노력으로

현대자동차가 ‘세타 엔진’을 국내 기술로 개발해 미쓰비시와 크라이슬러에 기술을 이전했고,

‘타우’, ‘감마’ 엔진은 세계 10대 엔진에 선정되는 성과를 올렸다.

나. 경량화와 모듈화 부품 기술

선진국들은 자동차 소재 경량화를 위해 1990년대 ULSAB(Ultra Light Steel Auto Body)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00년대 유럽연합은 SuperLIGHT-CAR 프로젝트 같이 초경량 자동

차 소재 개발 지원에 나섰다. 기존 철강 소재뿐만 아니라 알루미늄과 마그네슘, 플라스틱 같은

경량 소재를 적극적으로 차량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국내에서도 2005년부터 부품소재 기술 개발 사업과 산업 원천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차량용

고안전 알루미늄 경량 부품 개발을 추진했다. 그 결과 경량 알루미늄 서브프레임 부품 개발,

알루미늄 판재 개발, 알루미늄 범퍼 부품 개발 성과를 올리며 경량화를 위한 비철금속 소재

적용을 본격화했다. 또한 1.5GPa급 초고강도 강을 이용한 경량 차체 부품기술을 개발해 경량

화를 달성하며 고강성 성능을 높이는 강판 기술도 확보했다. 2010년부터 산업자원부가 추진한

10대 핵심 소재 개발 사업을 통해 포스코는 초경량 마그네슘 판재 기술을 개발해 포르쉐 자동

차에 수출했다. 국내 자동차 생산 업체들은 마그네슘 소재를 차량용 내장 부품에 상용화하는

성과를 올렸다. 최근에는 자동차 경량화 방안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적용과 여러

소재들을 혼용하는 다중 소재 혼합(Multi-Material Mix) 기술과 이종 소재 접합 기술이 부각

되고 있다.

경량화와 생산성 향상, 가격 경쟁력 제고라는 측면에서 2000년 초반부터 자동차 생산 업체

들은 부품 모듈화 기술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우리나라는 2001년 중기 거점 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자동차 부품 모듈화 개발에 나섰다. 자동차 프런트엔드 쿨링팩 모듈 개발과

승용차용 섀시코너 모듈 기술 개발을 목표로 산・학・연이 힘을 모았다.

그 결과 섀시코너 모듈 기술 개발에서 뚜렷한 성과를 얻어, 참여 업체인 만도가 2003년도에

GM과 다임러-크라이슬러로부터 5억 달러의 섀시코너 모듈을 수주했다. 2004년도에는 GM

등 북미 자동차 업체에 약 14억 달러의 섀시코너 모듈을, 중국에는 약 1억 달러를 수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현대모비스는 자동차 프런트엔드 쿨링 모듈을 적용해 중량을 기존보다 11%

Page 19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79

감소시키고, 조립 공정은 22% 감소하는 효과를 얻었다. 개발한 프런트엔드 모듈은 대형 모듈화

제품으로 기아자동차의 ‘스포티지’에 탑재하는 성과를 내면서 본격적으로 부품 모듈화 시작을

알렸다(자동차부품연구원, 2010, p.175). 또한 현대 모비스는 2006년부터 크라이슬러에 프런트, 리어

섀시모듈을 연간 2조 5,000억 원 어치씩 지속적으로 납품하고 있다.

[그림 3-25] 최초의 한국기업 자동차

엔진, 알파엔진(1991년)

[그림 3-26] 부품모듈화 성과,

섀시코너모듈(2005년)

출처: 현대자동차 공식블로그 출처: 자동차부품연구원

다. 전기 동력 자동차 기술

도요타는 1997년에 하이브리드 자동차 ‘프리우스’를 세계 최초로 선보이며,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2000년대 초 지능형 기술을 내장한 2세대 ‘프리우스’를 내놓았

다. 이에 비해 당시 우리나라는 현대자동차가 2004년에 하이브리드 자동차 ‘클릭’을 발표할

계획을 갖고 있는 수준이었다. 선진국에서 강화하고 있는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 석유 고갈과

유가 상승으로 자동차 산업에도 큰 변화가 필요해지고 있었다.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를 대체할

새로운 전기 자동차 수요가 증가할 것은 확실했다.

이런 위기감에서 정부는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으로 미래형 자동차를 선정했다. 그리고

2004년부터 미래형 자동차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해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연료전지 자동차,

지능형 자동차 등 3개 전략 제품에서 9개 핵심 기술을 10년 동안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Page 19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80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 핵심 부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006년부터 에너지・자원 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추가적으로 지원에 나섰다

이 같은 업체와 정부의 노력으로 2009년 현대자동차의 아반떼 LPG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앞서있는 도요타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을 빠른 시간에 따라 잡는 계기를 마련했다. 2011

년에 현대자동차는 ‘쏘나타’ 하이브리드를 출시해 ‘병렬형 하드타입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

용한 독자적인 국내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2016년에는 전기 동력차

전용 플랫폼을 적용한 ‘아이오닉’ 하이드리드 자동차를 선보였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가 2003년에 개정한 무공해 차량(Zero Emission Vehicle, ZEV) 의무

판매 규정에 따라 자동차 생산 업체들은 완전 무공해 차인 연료전지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

개발을 서둘러야 했다. 1996년 GM은 양산 전기차 ‘EV1’을 개발했지만 수익성과 기술 한계로

사업을 접어야 했다. 2000년대 들어 에너지 문제와 엄격해진 배기가스 규제로 닛산 ‘Leaf’를

시작으로 전기 자동차 개발에 대한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졌다.

국내에서는 1998년 G7 차세대 자동차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전기 자동차용 고성능 Ni-MH

전지를 개발해 액센트 전기 자동차에 탑재했고, 1997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대기보전국

(CARB) 인증 시험에 세계에서 5번째로 통과하면서 전기 자동차 개발의 초석을 다졌다. 산업

원천기술 개발 사업으로 현대자동차는 소형차 ‘i10’을 기반으로 2010년 국내 첫 양산형 전기

자동차 ‘블루온’을 출시했다. 이 전기 자동차에는 LG화학에서 개발한 Li-Polymer 이차전지가

탑재되었다. 그리고 ‘차세대 전기차기반의 그린 수송 시스템’ 과제를 통해 2014년에는 주행거

리가 130km까지 늘어난 준준형급 전기 자동차를 선보였다.

도요타와 혼다는 1996년과 1999년에 수소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연료전지 자동차를 선보였

다. GM과 다임러-크라이슬러도 2002년 연료전지 SUV, 연료전지 버스 차량을 개발하면서

경쟁을 펼치고 있었다. 국내에서는 G7 차세대 자동차 기술개발 사업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에 나섰다. 현대자동차와 한국과학기술원은 1999년과 2001년에 각각 10kW급과

25kW급 스택을 장착하여 ‘스포티지’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싼타페’ 연료전지 자동차

를 개발했다.

이와 함께 미국 IFC사(현 두산 Fuel Cell America)와 공동 개발을 진행하며 2001년 75kW

급 스택을 장착한 ‘싼타페’ 연료전지 자동차를 선보였다. 또한 저온 시동성을 개선한 ‘투싼’

연료전지 자동차를 2004년에 선보였다. 이후 현대자동차는 부품업체들과의 요소기술 개발을

통해 연료전지 자동차 독자 기술력을 확보했다. 현대자동차에서 개발한 ‘투싼’ 연료전지 자동

Page 19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81

차는 2004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 에너지성 시범운행사업에 32대를 투입하며 연료전지 자동

차의 실용화 가능성을 검증했다. 2013년에는 세계 최초로 연료전지 자동차 생산체제를 구축하

고 상용화에 나섰다. 2015년 유럽에 수출하는 성과를 내면서 세계적인 연료전지 자동차 기술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

[그림 3-27] 국내 최초 양산 전기자동차

‘블루온’ (2010)

[그림 3-28] 세계 최초 양산

연료전지차 ‘투산’(2013)

출처: 현대자동차 공식블로그 출처: 현대자동차 공식블로그

라. 스마트 자동차 기술

2000년대 초반부터 자동차 업체들은 안전 시스템을 강화해 가고 있었다. 특히 유럽에서는

차량 자세 안정 장치(Electronic Stability Program, ESP)를 의무적으로 장착시키는 규제를

적용했다. 또 에어백과 시트벨트 같이 수동적으로 대처하던 충돌 안전 시스템에서 사고를

예방하는 능동적 안전 시스템으로 개념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G7 차세대 자동차 기술개발 사업과 미래형 자동차 기술개발 사업을 기반으로 1999년 만도

는 국내 최초로 ABS(Anti-lock Brake System)를 양산하는데 성공했다. 2000년대 중반 만도

와 현대모비스는 차량 자세 안정 장치, 전동 조향 시스템(Electronic Power Steering, EPS)과

섀시 통합 제어 시스템 같은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섀시 제어 시스템에 대한 기술 자립에

성공했을 뿐 아니라 개발품을 해외에 수출하는 성과도 올렸다. 이는 국내 업체들의 스마트

안전 시스템 개발을 위한 중요한 첫발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미래형 자동차 기술 개발 사업에서는 만도와 현대모비스가 각각 다른 컨소시엄을 구성

해 3년간의 경쟁을 통해 섀시 통합 제어 시스템을 개발했다. 그 결과 만도는 국내 최초로

GM사에 2010년부터 5년간 3억 달러의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5600억 원을 수주했다.

Page 19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82

현대모비스도 2010년까지 2800억 원을 수주 받는 등 상용화에 성공했다. 또한 미래형 자동차

기술개발 사업과 산업 원천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만도와 현대모비스는 충돌 예방 안전 시스템

도 개발했다. 차간 거리 제어 시스템(smart cruise control), 차선 유지 시스템, 자동 충돌

방지 시스템 등 최근 상용화하고 있는 스마트 자동차 시스템들을 독자 기술로 구축했다(자동차부품

연구원, 2010, p.183).

7. 디스플레이 기술 R&D 성과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정보를 인간이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화면으로 구성하는 영상 표시장치

다. 디스플레이 기술은 브라운관(CRT)에서부터 시작해 LCD(액정 디스플레이)와 PDP(플라즈

마 디스플레이 패널),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 시대를

거쳐, 플렉서블・투명・입체 디스플레이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발전하고 있다(추혜용 외, 2013,

pp.14~43; 심화영, 2010).

우리나라의 디스플레이 산업은 1960년대에 시작됐다. 1961년 우리나라는 처음 흑백 TV

방송을 시작했다. 1966년에 국내 최초로 흑백 TV 브라운관을 양산하면서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이 탄생했다. 1970년대 말에는 본격적으로 컬러 TV 브라운관을 생산해 수출했다. 1980

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전성기를 누렸던 우리나라의 브라운관 산업은 2000년대 들어 본격적

인 평판디스플레이 시대가 열리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퇴장했다.

LCD는 1980년대 말부터 연구개발에 나섰다. 1992년 삼성전자는 국내 최초로 10.4인치

컬러 LCD를 개발하며 TFT-LCD 국산화의 장을 열었으며, 1995년에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TFT-LCD 생산 라인을 가동하기 시작했다. 이후 삼성과 LG는 일본과의 격차를 단시간에

좁히고 막강한 기술력과 생산력을 갖췄다. 2001년 4월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40인치 LCD

를 개발하자, 중소형 제품에 쓰이던 LCD는 TV에도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우리나라는 LCD TV 시장을 주도했고 2001년에 LCD 패널 출하량에서 종주국인 일본을 능가

했다. 이후 현재까지 LCD 세계 시장 1위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PDP는 1990년대 초 일본 업체를 중심으로 PDP TV 열풍이 불었다. 1990년대 말부터는

한국 기업들도 PDP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LG전자와 삼성SDI가 크기 경쟁을

벌이면서 대규모로 투자하고 기술을 개발했다. 2004년 중반에는 일본을 추월해 세계 1위

자리에 올랐다. 그런데 2000년대 말부터 대형 LCD TV가 출시되면서 PDP가 LCD에 밀려나기

Page 19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83

시작했다. 그리고 2014년 이후에는 전 세계의 주요 TV 회사가 PDP TV 생산을 중단했다.

OLED는 2007년 삼성SDI가 세계 최초로 AMOLED 양산을 시작했다. LG디스플레이는

2008년부터 OLED 양산에 나섰다. 이후 삼성디스플레이는 중소형 OLED에서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2013년 1월 세계 최초로 55인치 OLED TV의 양산에 성공하

며, 대형 OLED TV에서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2015년 현재 우리나라는 OLED 세계

시장의 95%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1966년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을 시작한 뒤 40년이 채 안 되는 2004년에

디스플레이 분야 세계 1위 자리에 올라 현재까지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관련 업체들의 과감한

선제 투자와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 관세 지원에 힘입어 우리나라 기업들은 50년 만에 세계

디스플레이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산업은 2015년 현재 GDP의 4%를

점유하고, 총 수출의 6%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 주력 산업으로 도약했다(안세진, 2016, pp.49~55).

가. 흑백 TV 개발과 양산

우리나라 전자 산업계는 1966년을 기념비적인 해로 영원히 기억할 것이다. 그동안 조립생산

에 그치고 있던 우리나라 전자 산업계가 독자적인 힘으로 TV를 생산했기 때문이다. 금성은

1959년에 독자적으로 라디오를 생산했으며, 1966년에 진공관을 이용해 19인치 크기의 TV를

성공적으로 양산했다. VD-191로 이름 붙인 국내 최초의 흑백 TV는 12개의 진공관과 다이오

드 5개를 채택한 기종으로 국산화율이 무려 50%에 이르는 놀라운 제품이었다. 이런 수준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당시 국산화율이 80%를 넘는 라디오 생산 기술이 있었다.

기술의 연속성을 극적으로 보여준 이 사례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도 이어져 1979년에는 컬러

TV로, 이후에는 평판디스플레이로 연결됐다.

국내에서 TV를 생산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금성은 1963년도에 다양한 전자 부품

을 포함한 TV 생산 계획을 수립하고 직접 생산을 위한 설비를 갖추었다. 그런데 갑작스럽게

나빠진 외환 사정이 TV 양산의 발목을 잡았다. 외환 사정이 나빠지면서 수입 연료에 대한

비용이 증가했고, 이로 인해 국내 전력 사정이 나빠진 것이다. 전력 수급에 문제가 생긴 국내

상황에서 전력 소모를 촉진하는 TV 생산은 수용되기 어려웠다.

금성은 TV 국산화 필요성에 동의하지 않는 정부를 상대로 지속적으로 설득 작업을 하며

기술적으로는 차근차근 생산에 다가섰다. 일본의 히타치제작소와 협력해 기술 도입을 추진하

Page 19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84

며, TV 제작을 위한 주요 부품에 대한 면세화 조치도 추진하며 수입했다. 이 노력은 결국

결실을 맺어 1965년 말에 정부로부터 조건부 TV 생산을 허락받았다. 이때의 조건은 기술

차원에서 부품의 국산화율을 50% 이상으로 유지하고, 재정적으로는 TV 생산을 위해 수입하는

부품의 총액이 라디오 등의 TV를 제외한 다른 전자 제품 수출을 통해 발생하는 외화 획득을

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당시의 어려운 외환 사정과 국민 정서를 감안한 조건이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국산화를 통한 기술 자립화를 유도하는 매우 설득력 있는 조건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VD-191은 처음 500대를 생산해 판매에 나섰다. 당시 가격 6만 3,510원으로 고가의 제품이

었지만, 국내 최초 생산 TV라는 호기심과 우리 기술에 대한 자부심이 제품에 대한 열광적인

환호를 이끌어냈다. 초기에는 공급 부족으로 공개 추첨을 거쳐 구입해야 할 정도였다.4)

VD-191은 1968년에 단종될 때까지 초기 생산량의 80배에 달하는 4만 635대를 생산해 초기

제품치고는 매우 훌륭한 판매 실적을 올리고 무대에서 내려갔다.

금성의 TV 생산 성공은 다른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었다. 동남전기는 1967년에

일본 이야카와 합작으로 샤프 TV를 생산했고, 한국 마벨은 RCA와, 대한전선은 도시바와, 천우는

필립스와 제휴를 맺어 각각 TV 시장에 진입했다. 국내 TV 생산의 춘추전국시대가 열린 것이다.

TV 산업은 트랜지스터와 콘덴서, 저항기, 인덕터, 브라운관을 비롯한 수많은 부품의 총합으로

당시 전자 산업의 집약체라고 할 수 있다. TV 생산의 국산화는 이제 막 개막되기 시작한 영상

시대와 함께 전자 산업을 부흥시키는 중요한 분야로 성장했다. 이 시기에 축적한 기술은 지금까지

도 우리나라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영향력을 유지하는 초석이 됐다고 할 수 있다.

나. 컬러 TV 브라운관 개발과 수출

브라운관은 TV의 역사와 맥을 같이하며 성장했다. 1961년 12월 한국방송공사(KBS)가 개국

하면서 우리나라는 처음 흑백 TV 방송을 시작했다. 1966년 8월 금성사가 일본 히타치로부터

기술을 도입해 국내 최초의 흑백 TV 브라운관(VD-191)을 생산했다. 이듬해 오리온전기는

우리 기술로 흑백 TV 브라운관을 생산했고, 금성사와 삼성전관과 함께 1970년대와 1980년대

를 주름잡는 브라운관 3사로 성장했다(배일영, 2014, pp.15~41).

컬러 TV 브라운관은 1953년 미국의 RCA사가 컬러 브라운관을 개발해 바로 실용화 단계에

이르렀다. 이듬해 첫 컬러 TV 방송을 시작하면서 세계 각국으로 퍼져 나갔다. 국내에서는

Page 19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85

1974년 한국나쇼날이 최초로 컬러 TV 브라운관을 생산했다. 이후 컬러 TV에 대한 투자개발이

활발히 이뤄져 1970년대 후반에는 연간 100만 대 이상의 컬러 TV 브라운관을 수출할 정도로

국내 컬러 TV 브라운관 생산 기술이 발전했다. 우리나라의 컬러 TV 방송은 1981년 1월

1일 KBS가 ‘수출의 날’ 기념식을 천연색으로 시험 방송함으로써 시작했다.

TV가 대형화하면서 브라운관이 갖는 무게와 부피 문제가 심각하게 등장했다. 이에 평면

브라운관에 대한 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4년 금성사가 국내 최초

로 슈퍼 평면 4각 브라운관을 채용한 19인치・5인치 컬러 TV 브라운관을 개발했다. 이후 계속

적인 기술 개발로 1950년 최초 50cm가 넘었던 두께가 2005년에 35cm로 줄었다. 2006년에

는 30cm 벽까지 깨지면서 TV 브라운관의 두께를 얇게 하는데 성공했다(배일영, 2014, pp.15~41).

1980년 이전까지 브라운관은 대부분 TV로 사용됐다. 하지만 1980년대에 컴퓨터가 대중화

되자 브라운관의 용도는 컴퓨터 모니터로 확대됐다. 브라운관은 1990년대 말까지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산업을 주도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PDP나 LCD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퇴장했다. LG전자는 2010년에, 삼성전자는

2013년에 브라운관 TV 생산을 중단했다.

한편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브라운관과 동일한 원리를 가지면서 평판디스플

레이 구현이 가능한 FED(전계방출 디스플레이)5)에 대한 개발 경쟁이 치열했다. 당시 국내

FED 기술 기반은 매우 취약했다. 이에 FED 핵심 기술을 빠르게 확보하기 위해 정보통신부가

지원에 나섰다. 1996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삼성종합기술원, 오리온전기, 서울대 등

산・학・연 공동으로 FED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그 결과 1999년 1월에 3.5인치 컬러 FED

시제품을 오리온전기가 개발했다. 2001년 9월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세계 최초로 능동구

동형 FED 시제품을 개발했다. 2001년 11월에는 세계 최초로 7인치 탄소나노튜브 FED 시제

품을 삼성에서 개발했다. 이후 우리나라는 단기간에 FED 관련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했다. 2000년대 초 삼성과 LG는 대형 FED 제품 개발까지 성공해 상용화를 앞두고 있었

다. 하지만 급변하는 당시의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FED는 LCD와 PDP에 밀려 빛을 보지 못하

고 사라졌다(정진영, 2001; 이심기, 2002; 위정환, 2004).

다. 초대형 LCD・PDP TV 개발과 디스플레이 세계 1위 달성

오늘날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산업을 세계 1위로 이끈 주역은 LCD 산업이다. 1990년대

초반만 해도 샤프와 히타치 같은 일본 업체들이 LCD 시장을 독점하고 있었다. 1992년 4월

Page 20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86

삼성전자가 10.4인치 컬러 LCD를 개발하면서 TFT-LCD 국산화가 시작되었으며, 본격적인 사업

화는 1995년 2월 10.4인치 TFT-LCD 양산 라인을 국내 최초로 가동하면서부터다. 금성사는

1987년 중앙연구소에서 TFT-LCD 개발에 나서, 1995년 9월 구미에 TFT-LCD 공장을 준공하면

서 사업화를 시작했다. 이후 삼성과 LG는 경쟁적으로 대규모의 자금을 투자함으로써 일본과의

격차를 단시간에 좁히며 막강한 기술력과 생산능력을 갖췄다(문보경, 2012; 배일영, 2014, pp.69~83).

대형 LCD 기술에 대한 한국 업체들의 도전도 이어졌다. 삼성전자는 2001년 4월 세계 최초

로 40인치 LCD를 개발했다. 당시 기술로는 30인치 이상의 LCD 구현이 어렵다는 것이 정설이

었다. 하지만 40인치 LCD 개발에 성공하면서 LCD 시장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중소형

제품에 주로 사용하던 LCD가 TV에 본격적으로 적용되면서 우리나라는 LCD TV 시장을 주도

하기 시작했다. 1995년에 TFT-LCD를 양산하기 시작한 뒤 불과 6년만인 2001년에 우리나라

는 LCD 패널 출하량에서 종주국인 일본을 능가했다. 그리고 현재까지 정상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2014년 삼성전자는 세계 최대 크기의 105인치 곡면 TV를 출시했고, 이어 세계 최초로

105인치 접었다 펴는 벤더블 UHDTV를 발표했다(문보경, 2012; 한예경, 2014).

1980년대에 들어 세계적으로 고화질 TV 방송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했다. 당시 TV

시장을 주도하던 일본 기업들은 PDP TV 기술을 활발하게 개발했다. 1991년 일본의 후지쓰가

세계 최초로 21인치 컬러 PDP TV를 개발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PDP TV 열풍이 불었다.6)

우리나라에서는 1987년 5월 삼성전관과 삼성종합기술원이 10인치 PDP를 국내 최초로 개발

했다. LG전자는 2003년 76인치 PDP, 2009년 120인치 PDP를, 삼성SDI는 2005년 102인치

PDP를 개발하며 크기 경쟁을 벌였다. 이어 대규모 투자와 기술 개발로 새로운 PDP 강대국으로

떠올랐다. 2004년 중반에는 일본을 추월해 세계 1위 자리에 올랐다(배일영, 2014, pp.43~65).

그런데 2008년에 40인치 이상의 LCD TV를 출시하면서 PDP가 LCD에 의해 조금씩 밀리기

시작했다. 2006년 도시바를 필두로 소니가 PDP TV 개발 중단을 발표했다. 2007년에는 PDP

TV를 최초로 만든 후지쓰가 생산 중단을 선언했다. 세계 최대인 150인치 PDP TV를 만들던

파나소닉도 2013년 철수를 발표했다. 우리나라의 삼성SDI와 LG전자 역시 2014년에 PDP

TV 사업 중단을 발표했다. 평판디스플레이 시장 주도권을 놓고 LCD와 치열하게 경쟁했던

PDP는 이렇게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배일영, 2014, pp.43~65).

정부는 2000년대 초까지 국내 과학기술을 선진 7개국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내용의 범부

처적 초대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인 국가 선도 기술 개발 사업을 1992년부터 10년 동안 추진했

Page 20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87

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차세대 평판표시장치 기반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이 사업을

계기로 PDP는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됐고, TFT-LCD는 세계 1위로 도약했다(김순기, 2012; 고등기술연

구원, 2013, pp.145~154). 1999년 6월에는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

발전을 학문적인 연구로 뒷받침하기 위해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가 출범했다(원철린, 1999).

라. 세계 최초 대형 OLED TV 개발과 OLED 산업 주도

OLED는 별도의 광원을 사용해 뒤에서 빛을 쏘아주는 LCD와 달리 전기를 흘려주면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 디스플레이다.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LCD를 이을 유망 디스플레이 기술

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는 LCD에 비해 제조비용이 비싸고 수명이 짧은 것이 약점이

다. OLED는 원리적으로 LCD보다 얇고 가벼우며, 화면이 선명하고 응답속도가 빨라 잔상이

없다는 장점 때문에 ‘꿈의 디스플레이’로 불린다.

1982년 코닥의 칭 탕 박사가 세계 최초로 OLED 소자를 개발했다. 2000년 산요와 코닥이

공동으로 5.5인치 능동구동형 OLED 시제품을 개발해 발표하면서 상용화에도 서광이 비췄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1990년대 초 국내 최초로 OLED 연구를 시작했다. 1999년부터 정보통

신부 지원으로 국내 최초 OLED 관련 국책 과제를 오리온전기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이

공동으로 수행해 2000년 11월 플라스틱 고분자 OLED 구현에 성공했다(배일영, 2014, pp.105~125;

김길원, 2000).

2000년대 들어서자 세계 OLED 기술의 중심지가 우리나라로 이동했다. 삼성SDI가 2005년

양산라인을 구축하고 2007년 세계 최초로 AMOLED 양산을 시작했다. LG디스플레이도 2008년

파주에 OLED 라인을 구축하고 양산에 나섰다. 삼성은 중소형 OLED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LG는 2013년 1월 세계 최초로 55인치 OLED TV 양산에 나섰다. 또 같은 크기의

곡면 OLED TV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2014년에는 세계 최대 크기의 77인치 UHD 곡면

OLED TV를 내놓으며 대형 OLED TV의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2015년 현재 우리나라는

OLED 세계 시장의 95%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권건호, 2016; 안세진, 2016).

현재는 LCD가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2015년 기준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

율은 LCD가 89%, OLED가 10%다. 하지만 다양한 장점을 가진 OLED가 가격 문제를 해결하

고, LCD가 노트북 PC로 시장을 확대했던 것처럼 OLED의 장점을 살린 새로운 제품을 창출한

다면 OLED 시장도 빠르게 확대할 것이다(안세진, 2016). 한편 정부에서는 21세기 프론티어 기술

Page 20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88

개발 사업의 하나로 차세대 정보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사업을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추진

해 다기능・일체형 디스플레이 원천기술과 LCD와 PDP의 가격을 낮추기 위한 상용 기술을

개발했다.

2014년 이후 차세대 TV의 주도권을 놓고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맞수로 경쟁하고 있는 것이

초고화질(UHD)의 OLED TV와 퀀텀닷(QD, 양자점) LCD TV다. 우리나라의 LG전자와 삼성

전자가 양 진영의 수장으로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LG전자가 OLED 기반의 UHD TV 제품을

들고 나왔다면 삼성전자는 LCD 기반의 UHD TV를 만들어 경쟁하고 있다. OLED가 원리적으

로 많은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지만 LCD도 퀀텀닷 기술을 흡수하면서 OLED 못지않은 색재현

율을 구현하고 있다. 특히 가격 경쟁력에서 LCD가 OLED보다 유리한 상황이다. 당분간 차세

대 초고화질 TV에 대한 경쟁은 계속될 것이다(배일영, 2014, pp.105~125).

한편 우리나라에서 최근 디스플레이 융합 산업의 하나로 OLED 조명 분야가 두각을 나타내

고 있다. OLED 조명 분야가 차세대 친환경 조명으로 각광받는 이유는 장점이 많기 때문이다.

우선 얇고 넓게 설치하는 면발광을 할 수 있다. 또 밝기 조절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감성조명을

할 수 있다. 게다가 발열 없이 자연광에 가까운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OLED

조명은 세계 OLED 시장의 95% 이상을 점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OLED 산업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어 높은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배일영, 2014, pp.134~136).

LG디스플레이는 2014년 세계 최초로 와트당 100루멘의 광효율을 가진 OLED 조명을 개발

했다. 이 OLED 조명은 그 광효율이 세계 최고 수준인 동시에 4만 시간 이상 지속 가능하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2013년 미래창조과학부의 ‘교감형 스마트 OLED 광원 핵심 기술 개발’

과 산업통상자원부의 ‘환경/감성형 면조명 기술 개발’의 하나로 OLED 조명의 핵심 기술로서

전력 소모를 2배 이상 절감할 수 있는 광추출 소재와 부품 기술을 개발했다. 아울러 산업

인프라 구축을 위해 OLED 조명 국제 표준화도 주도하고 있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3).

제4절 산업기술 분야의 미래 전망

1980년대 중반 이후 관련법을 제정하고 산업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한 지 30여년의 세월이

지났다. 그동안 정부의 적극적 지원과 투자로 세계적 기술 경쟁력을 갖춘 산업기술 강국이

Page 20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89

되었고 그 결과 우리나라 경제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일들이 많다.

선진국 대비 기술 역량이 미흡하고, 특히 창의 산업은 기술 수준과 기술 격차 모두 우위에

있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 산업 기술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우선, 미래 유망 원천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촉진시켜야 한다. 이제는 신성장 원천기술과 함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것이 국민의 삶의 질

향상,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기반 기술의 사업화이다. 신성장 원천기술 분야에 대해서 근본

적인 산업 인프라의 체질을 장기적 관점에서 강화시키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종합적인 청사진을 수립하고 장기 비전을 갖고 추진해야 한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신성장 동력과 시책, 제도가 변화한다면 우리 산업의 체질 개선은 어려울 것이다. 기반이 되는

창의적 융합 인재를 장기적 관점에서 키워야 하고, 대학, 기업, 공공연구소 등 연구주체별

역할을 명확히 하며, 계획된 사업은 끈기 있게 추진하면서, 산・학・연 협력 하에 산업기술을

진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정부가 예산을 투자하는 직접 지원을 줄이고 간접 지원과 제도적 지원을 늘려야 한다.

예산을 동원한 시책을 지속 추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경제의 규모가 늘어나고 민간 투자가

확대되게끔 계속적으로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는 것은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시장을 교란시킬

수 있다. 정부는 제도를 통한 간접 지원 인프라 구축, 인력 양성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산업기술 정책을 추진할 주무 부처의 담당 공무원을 전문가들로 구성하여, 중장

기 비전을 갖고 업무를 추진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지금 세계 경제는 창의와

융합으로 전문영역을 확대해가고 있기 때문에 공무원들이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전문가적

장기 비전을 갖고 정책을 꾸준히 추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집필 이 병 윤 (정책사)

우 창 화 (정책사)

이 후 상 (기계)

박 상 진 (기계)

한 유 동 (소재재료)

고 영 주 (화학화공)

이 동 헌 (화학화공)

송 민 규 (섬유)

정 인 인 (조선)

정 도 현 (자동차)

조 경 익 (디스플레이)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

경상대학교 교수

한국기계연구원 전 책임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본부장

재료연구소 부장

한국화학연구원 본부장

한국화학연구원 선임연구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본부장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팀장

자동차부품연구원 본부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Page 20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90

참 고 문 헌

고등기술연구원 (2013), �선도기술 개발사업(G7) 프로그램 종합분석 연구 II�.

고정우 (2015), “2차전지 산업: 변화의 물결”, NH투자증권.

과학기술부 (2008), �과학기술 40년사�.

기계산업동향연구회 (2015) “기계산업 2015년 동향과 2016년 전망: 제50회 기계산업 동향연구회 결과”,

한국기계산업진흥회.

기획재정부 (2010), 「세계적 중견 전문기업 육성 전략」.

김병순 (2010) “HVAC 분야의 세계적 트렌드, VRF 시스템”, 냉동공조협회 블로그.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Ri25&articleno=200&categoryId=13&re

gdt=20101117135436, 2017년 6월 9일 최종접속)

김상주 (1997), “금속공학”,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869, 2017년 6월 9일 접속)

김석준 외 (2010), �고효율 친환경 가정용 콘덴싱 가스 보일러 개발�, 지식경제부 연구보고서 BSM934-1490M.

김천욱, “한국기계공업사, 1-64 (연재)” �기계저널� 51(5)-56(8), 대한기계학회.

나노메카트로닉스기술 개발 사업단 (2008), �21C 프론티어 기술 개발 사업 2단계 자체평가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미래창조과학부 (2015), �제조업 혁신 3.0 전략�.

박훈 (2013), �섬유산업의 구조고도화를 위한 국내 산업용 섬유 발전전략�, 산업연구원.

배일영 (2014), �미래를 여는 창 디스플레이 세상–청소년이 알아야 할 디스플레이 산업의 역사�, 씨마스커뮤니케이션.

산업연구원 (1997), �화학산업의 발전 과정 및 향후 전망�.

산업자원부 (2003), �제4차 산업기술 혁신 5개년 계획(2004~2008)�.

산업통상자원부 (2013), �제6차 산업기술 혁신 계획(2014~2018)�.

산업통상자원부 (2015), 「제조업 혁신 3.0 전략 실행대책」.

소재강국연구회 (2015), �선진 한국의 길 소재강국�, 대한금속학회.

안세진 (2016), “디스플레이 산업 현황 및 OLED 산업 육성 방안”, �차세대 OLED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토론회-OLED 산업의 현재와 미래�, pp.49~5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0143), �대덕특구 40년사�.

LG화학, “LG 화학의 2차 전지 사업”,

(http://www.bisd.or.kr/seminarPage/pds_data/100603_s2_04.pdf, 2017년 6월 9일 최종접속)

우상선 (2006), “고분자 재료의 산업화 최근 기술 동향”, �고분자 과학과 기술� 17(5), pp.578~590.

우상선 (2016),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 �고분자과학과 기술� 27(5), pp.494~503.

자동차부품연구원 (2010), �사람을 위한 기술, 미래를 향한 도전: 자동차부품연구원 20년사�.

재료연구소 (2015), �소재기술백서 2015�.

Page 20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91

지식경제부 (2008a), �경제위기 극복과 활기찬 시장경제를 위한 「산업기술 혁신 5개년 계획」(2009~2013)�

지식경제부 (2008b), “지식경제부 R&D 사업 구조 개편”.

지식경제부 (2011a), �부품소재산업 미래비전 2020�.

지식경제부 (2011b), “지난 10년 로봇 R&D의 결실”,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1년 1월 25일.

추혜용 외 (2013), �훤히 보이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현실보다 더 실감나는 세상� (ETRI easy IT 27), 전자신문사.

최윤식 (2016), �2030 대담한 도전�, 지식노마드.

통상산업부 (1995), �산업기술 개발 5개년 계획(1996~2000)�.

한경섭 (2009), “한국 세라믹 기술 역사”, �세라미스트� 12(3), pp.112~122.

한국공학한림원 (2015), �2014 대한민국을 빛낸 산업기술성과 27�.

한국과학기술평가원 (1999), �우리나라의 주요 과학기술 수준 조사�.

한국과학기술평가원 (2011), �2010년 기술 수준 평가(95개 중점과학기술)�.

한국기계연구소 (1985), �산업용 로봇 기술 개발(II)�, 과학기술처.

한국기계연구원 (2006), �한국기계연구원 30년사�.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1a), �2010 부품소재산업 백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1b), �섬유산업 르네상스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

한국산업기술평가원 (2007), �산업기술 개발 사업 20년: 1987~2006�.

한국세라믹학회 (2007), �한국세라믹학회 50년사�.

한국에너지공단 (2015), “공조기 기술동향”, �공기조화시스템 기술정보집�, pp. 1-6.

한국자동차산업협회 (2005), �한국 자동차 산업 50년사�

(http://kama.or.kr/enc/K_enc_history_50.jsp, 2017년 6월 9일 최종접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3), ‘ETRI, OLED 조명 핵심원천기술 개발’ (보도자료), 2013.10.1.

한국화학연구원 (2006), �한국화학연구원 30년사�.

T. N. Aynur (2010), “Variable Refrigerant Flow System: A Review,” Energy and Buildings 42

(7), pp.1106~1112.

권건호 (2016), “LG전자 TV 50년, 국내 최초 TV에서 올레드 앞세운 글로벌 선도자로”, 전자신문, 2016.08.15.

김길원 (2000), “초박막 플라스틱 디스플레이 세계 첫 구현”, 전자신문, 2000.11.02.

김순기 (2012), “[100대 사건_025] 선도기술 개발사업(G7 프로젝트) 발표 <1951년 5월>”, 전자신문, 2012.09.17.

문보경 (2012), “[100대 사건_027] TFT-LCD 국산화 <1992년 4월>”, 전자신문, 2012.09.17.

심화영 (2010), “66년 흑백 CRT ‘디스플레이 기적’ 첫단추 뀄다”, 디지털타임스, 2010.12.02.

원철린 (1999),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출범”, 전자신문, 1999.06.21.

위정환 (2004), “대형 ’나노 화면‘ 첫 개발”, 매일경제, 2004.08.28.

이심기 (2002), “삼성-LG, FED 개발 경쟁..차세대 디스플레이 주도권을 잡아라”, 한국경제, 2002.12.10.

정진영 (2001), “ETRI, 능동형(AM) FED 개발”, 전자신문, 2001.09.03.

한예경 (2014), “세계 최초・최대...LG・삼성선자, 글로벌 TV 신화 다시 쓴다”, 매일경제, 2014.08.25.

“우리 학교 휴보, DARPA 로보틱스 챌린지 최종 우승”, 카이스트 인터넷신문, 2015.08.18.

르노삼성공식블로그, blog.renaultsamsungm.com

산업기술평가관리원, www.keit.re.kr

쌍용자동차, www.smotor.com

Page 20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92

코롱인더스트리, www.kolonindustries.com

태광산업, www.taekwang.co.kr

한국에너지기기산업진흥회, http://www.eaa.or.kr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www.kaica.or.kr

한국지엠공식블로그, blog.gm-korea.co.kr

현대자동차 공식 블로그, blog.hyundai.com

효성, www.hyosung.co.kr

LG 화학, http://www.lgchem.com/kr/research-and-development/research-result

Page 20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3장산업기술

193

미 주

1) 「산업기술 개발 5개년 계획」(1996년)에서는 산업기술을 “원칙적으로 이윤추구를 목표로 하는 기업이 그 생산

활동에 필요로 하는 제반 기술 및 그와 연관된 전후방 활동을 총칭하며 그 활동의 주체가 기업이 아닌 대학,

공공기관이라 하더라도 그 연구와 활동의 목적이 상업화와 생산을 목표로 하여 수행하고 있다면 산업기술의

범위에 포함”한다고 정의하고 있음. 「산업기술 혁신 촉진법」에서는 「산업 발전법」 제2조에 따른 산업, 「광업

법」 제3조제2호에 따른 광업, 「에너지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에너지와 관련한 산업, 「신에너지 및 재생 에너

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와 관련한 산업 및 「정보통신산업 진흥법」 제

2조제2호에 따른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에 관련된 기술을 산업기술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음.

2) 이 사업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산업기술 수요 조사를 통해 도출된 국내 산업의 공통 핵심 기술 분야와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집중적으로 개발이 필요한 분야 중, 기업의 자주적 노력만으로는 기술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기술 분야에 대해 정부가 소요자금의 2/3까지 기업에 지원하고, 개발 결과가 기술적 및 상업적으로

성공하면 정부가 지원한 자금의 일부를 개발 완료 후 5년 내에 상환하게 하는 제도라고 되어 있음.

3) 김천욱, “한국기계공업사, 1-64 (연재)” �기계저널� 51(5)-56(8), 대한기계학회.

4) 당시 80kg 쌀 한 가마니 가격은 약 2500원이었으며, TV 수상기 1대 가격은 쌀 25가마니에 해당했다.

5) FED는 브라운과 동일한 원리를 가지면서 평판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브라운관의 우수한 표시특성

을 살리면서 경량・박형화가 가능해 일명 ‘Thin CRT’라고 불렸다. 당시 차세대 유망 평판디스플레이로 떠올랐다.

6) 두께가 30cm를 넘었던 브라운관 TV 대신 두께가 10cm 이하로 얇아진 PDP TV가 등장하면서 TV를 벽에도

걸 수 있게 되었고, 그리하여 PDP TV를 일명 ‘벽걸이 TV’라고 부르기도 했다.

Page 20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20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정보통신

│제4장│

Page 21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21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197

제4장 ❚ 정보통신

제1절 개요

우리나라 최초의 정보통신 관련 관청인 우정총국(郵征總局)은 1884년 4월 22일 설치되었으

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현재 “정보통신의 날”이 제정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1948년 7월 17일

정부 수립과 함께 체신부가 발족되어, 우편, 우편환금, 우편 저금, 전기통신, 국민 생명보험,

우편연금, 우편물 출항세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시작했다. 초창기에 체신부는 전신 및 우정

분야를 관장하다가 점차 유선전화, 기간통신,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약 46년간 전기통신 전반의

정책을 담당한 후, 1994년 12월 23일 정보통신부로 개편되었다.

정보통신부는 우리나라 최초의 정보통신 행정 종합 주관 부처로서 ‘산업화는 늦었지만 정보

화는 앞서 가자’라는 구호(조선일보, 2014.6.16) 아래 정보통신 정책, 우편 사업, 전파 방송 관리,

체신 금융, 정보통신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업무를 관장했다. 체신부에서 정보통신부로 직제를

개정한 주요 목적은 공보처, 과학기술처, 상공자원부의 정보통신 관련 기능을 흡수・통합함으로

써, 21세기 정보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정보통신 산업을 국가 발전 전략 산업으로 집중

육성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정보통신부의 역할은 정보화 정책의 수립 및 종합

조정,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구축 및 정보 보호, 통신사업자 허가 육성, 전파 방송에 관한 정책의

수립 및 관리, 우편・우체국 금융 사업에 관한 정책의 수립 추진 등 광범위했다.

지식경제부는 2008년 2월 29일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과거 여러 부처의 업무를 통합해

신설되었는데, 구 산업자원부의 산업, 무역・투자, 에너지 정책, 구 정보통신부의 IT 산업 정책,

우정 사업, 구 과학기술부의 산업 기술 R&D 정책, 그리고 재정경제부의 경제자유구역 기획,

지역 특화 기획 기능을 담당했다. 지식경제부 내의 정보통신 관련 조직은 구 정보통신부에서

이관된 IT 산업 및 SW, 정보 보호 산업, IT R&D 등의 정책을 담당하는 정보통신산업정책관,

그리고 산업융합정책과 및 SW 관련과가 포함된 신산업정책관 등을 포함한 성장동력실이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정부조직법」과 「방송통신위원회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Page 21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198

2008년 2월 29일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운영되고 있다. 출범 당시 조직은 정무직 장관급인

상임 위원장 1명과 정무직 차관급인 4명의 상임위원 체제 아래 기획조정실, 방송통신융합정책

실 등 2실, 방송정책국, 통신정책국, 이용자네트워크국 등 3국, 7관, 34개 과로 구성되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 정책과 통신 정책, 방송통신 융합 정책 그리고 인터넷 등 뉴미디어

정책을 총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직속으로 전파연구소와 중앙전파관리소를 두고 있다. 이후

2015년에 「방송통신위원회 직제」가 개정됨에 따라 방송통신위원회의 사무조직은 1실(기획조

정실), 3국(방송정책국, 이용자정책국, 방송기반국), 17과(방송정책기획과 등)로 재편되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교육과학기술부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구 지식경제부, 국무총리실에 분

산되어 있던 전통적인 과학기술 관련 기능과 지식 산업, ICT R&D 및 산업 진흥 기능, 방송통신

위원회의 방송 통신 R&D 및 진흥 기능, 문화체육관광부의 디지털 콘텐츠 진흥 기능, 그리고

행정안전부의 국가 정보화 기획, 정보 보안 및 정보 문화 기능 등을 이관 받아 전담해 오고

있다. 2016년 현재 정보통신 관련 정부 조직은 다음과 같다. 미래창조과학부가 ICT 및 전파・

방송 부문을 담당하고 있으며, 행정자치부가 전자정부 및 개인 정보 보호, 방송통신위원회가

방송과 통신에 관한 규제와 이용자 보호, 그리고 문화체육관광부가 콘텐츠 관련 정책을 담당하

고 상호 유기적으로 협력하면서 융합 분야의 공동 연구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정보통신 기술의 연구와 개발은 전기통신 수요의 증가와 함께 추진되었다. 1885년 9월

28일 한성전보총국이 발족되어 ‘한성-인천’ 간 전신 서비스가 최초로 제공되었지만(정보통신산업진

흥원, 2016.9), 일반 국민들에게 전기통신 서비스가 제공된 것은 1962년 「경제 개발 및 통신 사업

5개년 계획」을 통해 통신 기반이 확충되기 시작하던 때부터이다. 정부는 경제 성장과 맞물려

전기통신 수요가 급증하면서 인프라에 대한 투자와 함께 자동 전화 교환기를 개발하는 등

연구개발 사업을 적극 추진했으며, 1976년 12월에는 전자교환기 기술 도입 및 개발을 총괄할

전문 연구기관으로서 한국전자통신연구소를 발족시켜 본격적인 정보통신 기술개발 활동을

시작했다.

1981년 12월 체신부는 직접 관리하던 통신 사업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이관했고, 1984년에

는 한국전기통신공사의 출자를 통해 우리나라 최초의 무선통신 서비스 사업자인 한국이동통신

서비스가 상법상 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연구개발 분야에서는 1980년대 중반 한국전자통신연

구소의 주도 하에 디지털 전자 교환기(이하 TDX)와 DRAM이 개발되었고, 1990년대에는 디지

털 및 이동통신 수요의 급증에 대비하여 코드 분할 다중 접속(이하 CDMA) 기술,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하 DMB) 기술이 개발되어 명실 공히 정보통신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Page 21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199

2000년대에는 정보통신이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정보통신 서비스,

인프라, 기기를 모두 연계한 「IT 839 전략」이 추진되었다. 2010년대에는 지능형 로봇, IoT,

5G, AR/VR 등의 분야에서 핵심 기술이 개발되어 정보통신과 방송 및 콘텐츠를 융합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16년에는 인공지능을 포함한 「ICT R&D 전략 2022」가 수립되어 2020년대

미래 사회를 주도할 준비를 하고 있다.

한편 정보통신 분야의 체계적인 연구개발 사업 및 기술 기획 관리는 1992년 당시 정보통신

연구관리단 설립 이후이며, 1993년 722억 원에 불과했던 정보통신 기술 연구개발 투자 규모는

2015년 7,723억 원 수준으로 10배가량 증가했다. 기술 분야도 인프라, 방송・콘텐츠, SW,

융합・디바이스, 정보 보호 등 정보통신 기술 전체를 관장하고 있다(미래창조과학부, 2015c).

<표 4-1> ICT R&D 투자규모 현황

(단위 : 억원)

정보통신 분야 구분 1993년 1995년 2005년 2015년

기술 개발 722 1,155 4,537 7,723

인력 양성 35 40 1,078 1,037

표준화 95 139 302 284

기반조성 118 282 859 1,439

소계 970 1,616 6,776 1,0483

주: 2015년 정보통신 기술 개발 투자에는 사업화 지원금 513억 원 포함

자료: 연도별 「정보통신 연구개발 시행 계획」, 체신부, 정보통신부, 지식경제부, 미래창조과학부

제2절 정보통신 R&D 행정과 정책의 시대별 변천

1. 전신・전화 기반의 전기통신 시대(1967년~1985년)

가. 전기통신 시대의 조직 및 법제도 체계

전화 및 전신 기반의 전기통신 시대의 주체는 크게 정부 조직인 체신부, 전기통신 사업자,

통신 설비를 생산 공급하고 설계・시공하는 산업체, 관련 연구기관 및 인력 양성 기관 등으로

나눌 수 있다(체신부, 1984).

Page 21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00

체신부는 국가 이익과 국민 편익을 증진할 정책 방향을 수립하고 이를 위해 통신 운용 사업체

를 지도・감독하며 연구개발 활동을 조장・지원하는 한편, 통신 기기 생산업체와 통신 공사

업체를 육성하는 업무를 수행했다. 당시 정부는 데이터 통신 시대를 대비하고 계산 사무의

기계화 내지 자동화를 촉진하기 위해 1970년 11월 17일 전자계산 조직을 도입, 운용할 계획을

세웠다. 또한 전자계산 조직의 연구개발 및 전자계산 대상 업무 선정을 담당할 전자계산 담당관

을 기획관리실에 두고, 1974년 11월 1일에 전자계산소를 개소했다. 1980년대 초반 체신부는

기획관리실, 우정국, 전파관리국, 체신금융국, 총무과로 재편되었고, 1982년 1월에는 전기통

신 정책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통신정책국을 신설하고 그 산하에 통신기획과,

통신진흥과, 통신업무과, 정보통신과를 설치하여 초창기 정보통신 정책을 주도했다.

전기통신 사업자로서 한국전기통신공사는 1982년 1월 1일 「한국전기통신공사법」에 의거하

여 국영기업으로 발족했으며, 국민의 기본적 전기통신 수요 충족과 서비스 개선을 위해 공중

전기 통신 시설을 건설, 운용, 보전하는 업무를 담당했다. 종래 정부가 직접 맡았던 전기통신

사업을 국영기업으로 이관하여 공공성과 능률을 모두 갖춘 운영 체제로 개편한 것이다. 한국데

이타통신주식회사는 데이터 통신의 육성을 통해 정보화 사회를 촉진시키고자 1982년 3월

29일 정부와 민간이 합동으로 출자한 상법상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공중 정보 전송, 정보

처리 및 정보 뱅크 서비스 제공, 공중 정보통신망(PSDN)의 건설 및 운용 업무를 맡았다. 한편

한국이동통신서비스주식회사는 차량 전화 및 무선 호출 시설의 효율적 관리 및 서비스의 전문

성 확보를 위해 1984년 3월 29일 한국전기통신공사가 출자한 상법상 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이 회사는 한국전기통신공사로부터 위탁받아 차량 전화 및 무선 호출 가입 청약 접수와 승낙

업무, 단말기 설치 및 유지 보수, 무선국 허가 신청 업무 대행, 차량 전화 및 무선 호출 서비스

요금과 설비비 수납 업무를 담당했으며, 그밖에 차량 전화 단말기의 수탁 판매 및 대여 업무를

수행했다.

전기통신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개발은 주로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및 통신정책연구소에서

이루어졌다. 정부 출연 연구기관으로서 한국전자통신연구소는 1976년 12월 한국과학기술연

구소 부설로 출범했으며, 전기통신 기술의 연구개발 및 시험, 조사 활동을 통해 전기통신 사업

자 및 관련 산업체의 기술 및 서비스 향상을 돕고, 한국형 TDX와 광통신 시스템 등을 개발했

다. 그리고 1985년 1월에 설립된 통신정책연구소는 합리적 통신 정책을 수립할 목적으로

전기통신 및 정보화 사회의 발전에 따르는 제반 현상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처 방안을 연구했

다.

Page 21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01

또한 정부는 통신기술의 진흥 및 산업 육성을 추진함에 있어서 사회 각계의 의견을 모아

합리적인 정책을 구상하고 세부 시책을 추진하기 위해, 1983년부터 운영해오던 통신기술국

산하 추진협의회를 개편하여 1984년 2월에 8개 분과회로 구성된 통신진흥협의회로 확대했다.

1985년에는 「전기통신 기본법」에 입각하여 정책자문 위주의 5개 분과회로 개편했고, 기존

전문 조사 활동 업무 외에 심의 자문 역할을 부여했다. 체신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통신진흥

협의회는 정부 측의 국장급 당연직 위원 및 통신사업체, 산업체, 연구소, 학계의 대표들로 구성

되었다. 또한 각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문분과회를 설치하여, 본 협의회에서 제기된 사항들

을 세부적으로 조사, 검토하고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도 했다(체신부, 1985; 체신부, 1986).

<표 4-2> 통신진흥협의회 분과명 및 주요 활동실적(1985년 기준)

통신진흥협의회 분과명 주요 활동 실적

산업육성분과회

◦ 품질보증체계 구축을 통한 통신 산업 육성방안

- 품질 보증 체계의 구축

- 육성 품목의 선정

- 육성 업체의 선정

- 육성 업체에 대한 지원

연구개발분과회

◦ 중점 연구개발 대상 분야 선정 및 연구개발 장기전략 수립

- 국가기간통신의 선진화를 위한 중점 개발 분야에 대한 자료 제공

- 외국의 연구 동향 및 정책 파악

- 전략 연구 분야에 집중 투자를 통한 통신 기술의 선진화

서비스개발분과회

◦ 정보화 사회의 준안정 단계로서의 전화 정보 서비스 공급 방안

- 정보화 사회의 실현에 따른 일반적 고찰

- 전화 이용 현황과 이용률 분석

- 전화 정보 사회의 전기통신 서비스 공급 방안

정보통신분과회

◦ 소프트웨어 산업 육성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의 Software 현황

- 외국의 Software 육성 방법

- Software 육성을 위한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제시

전파이용분과회

◦ 무선 종사자 자격 제도의 개선 방안 연구

- 무선 종사자 국내 자격 제도의 변천

- 국제 협약 상의 무선 통신사 자격 제도

- 해상 통신 제도의 개선 방안 제시

자료: 체신부 (1986), �1986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pp.100~101.

Page 21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02

나. 전기통신 시대의 주요 성과

(1) 전기통신 기반 설비의 현대화

우리나라의 전기통신 기반 설비는 1960년대 초까지 제대로 개발되지 못했지만, 1962년부

터 시작된 경제개발 계획 및 5차에 걸친 「통신 사업 5개년 계획」의 추진으로 크게 성장하였고

현대화 되었다. 이 기간 동안의 실적을 보면 가입 전화 시설은 1981년 말 340만 회선으로

확장되었고, 100인당 보급률은 1961년 0.4대에서 1981년 말 8.4대, 1983년 12.3대로 증가

하였다. 장거리 전송로와 국제 통신망도 1967년의 마이크로웨이브 통신망 개통, 1970년의

위성통신 지구국 개국, 1980년의 한・일간 해저 케이블 준공 등으로 괄목할 만하게 성장했다.

특히 「제5차 통신 사업 5개년 계획」 기간 중에는 그간의 축적된 기술과 인력을 토대로 통신망

을 대량 확장하고 질적으로 고도화시켜 우리나라 통신을 현대화하기 위한 과감한 통신 개발

정책을 추진하였다.

교환 설비 분야에서 우리나라는 1898년에 최초의 자석식 교환기를 도입하였으며, 1908년

에 공전식 교환기, 1935년에는 자동식 교환기를 설치하였다. 1965년에는 텔렉스 교환기가

설치되고, 1967년에는 마이크로웨이브 통신망이 개통되었으며, 1970년에는 위성통신지구국

이 개국하였다. 1979년에는 전자식 교환기가 설치되기 시작하였으며, 1980년에는 한・일간

해저 케이블이 개통되었고, 1982년에는 전기통신 운영체제를 일대 개편하여 정부의 직영체제

에서 전신・전화 사업은 국영기업체로, 데이터 통신 사업은 민영회사 조직으로 전환되었다.

1983년에는 공중전화망(PSTN)을 정보통신과 팩시밀리 사용에 개방하였으며, 세계 주요 국가

로의 발신 전화가 자동화(lSD)되는 등 전기통신 서비스의 현대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가입 전화 시설 측면에서 보면 1969년에 50만 회선, 1975년 100만 회선 그리고 1985년에는

754만 회선을 돌파하였다.

(2) 경제개발 계획과 연계한 전기통신의 발전

1962년부터 시작된 정부의 경제 개발 계획과 연계한 「통신 사업 5개년 계획」은 전기통신을

현대화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제1차 통신 사업 5개년 계획」(1962∼1966)은 그 목표를 기초

통신 시설의 확보에 두고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되었다. 첫째, 957개 우체국을 신설하여 농어

촌 지역에 우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전화 교환 서비스가 보급될 수 있도록 거점을 마련했

다. 둘째, 전기통신기술훈련소를 설립하여 앞으로의 시설 확장에 소요될 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종사원의 기술 수준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 이 훈련소는 당시 국내 최대 규모, 최고 시설의

Page 21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03

통신공사연수원으로 발전했으며, 여기서 양성된 기술 인력은 정부의 통신사업 및 민간 산업체

의 주축으로 활동했다.

「제2차 통신 사업 5개년 계획」(1967∼1971)은 국제 통신과 장거리 전송로의 확충을 목표로

두 가지 정책을 추진했다. 첫째, 국제 통신 시설의 확충을 위해 1968년 6월에 한・일간 스켓타

통신을 개통하고 1970년 6월에는 위성통신지구국을 개국했다. 둘째, 장거리 전송로의 개선을

위해 1967년 1월에 마이크로웨이브 통신망을 완성하고 1969년에는 동축 케이블을 건설하여

주요 대도시간에 장거리 자동 전화 서비스를 제공했다.

「제3차 통신 사업 5개년 계획」(1972∼1976)은 도시와 농어촌의 균형적 발전을 목표로

삼아 농어촌 통신망 개선에 주력했다. 면 단위마다 전화 교환 시설을 만들고 면 소재지와

격리된 법정 리・동에도 전신・전화 취급소를 설치했다. 또한 소도시의 교환 방식을 자동화함으

로써 전국 35개 시 소재지, 64개 군・읍 소재지 및 1개 면 소재지 등 100개 지역의 가입

전화가 자동화되었고, 가입 전화 100만대를 돌파했다.

「제4차 통신 사업 5개년 계획」(1977∼1981)은 그동안의 높은 경제 성장과 함께 경제 규모

확대, 생활수준 향상, 무역 신장에 의한 국제 교류 증진 등으로 인해 통신 수요가 증가할 것에

대비하여, 통신 시설을 대량으로 확장할 기반을 마련하기로 하고 이를 위한 전화 교환 시설의

전자화를 추진했다. 그리고 국제 통신 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제2위성지구국과 한・일간 해저케

이블을 건설, 개통했다. 이에 따라 가입 전신・전화 시설 규모는 1976년 말 140만여 회선에서

1981년 말에는 350만여 회선까지 늘어났으며 100인당 전화보급률도 3.4대에서 8.4대로 증가

했다.

「제5차 통신 사업 5개년 계획」(1982∼1986)은 전기통신 수요 급증에 따른 전화 적체의

완전한 해소와 미래 정보화 사회의 기반이 될 종합정보통신망 구축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제시했다. 정부는 1982년 통신 시설의 대량 확장 및 체질 혁신과 정보화 사회 대응을 위해,

정부 직영의 전기통신 사업을 공사 체제로 개편하였다. 그리고 전자 교환기, 광통신 등 첨단

통신기기를 대량 공급하고 운용하는 계획을 마련하여 매년 100만 회선대의 신규 전화를 공급

했다. 그 결과 가입 전화 시설은 1985년 말 753만 8천 회선으로 늘었고 이 중 전자식이

전체 56%인 419만 9천 회선으로 늘어 전자화율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자동화율 역시 기계식

과 전자식을 합쳐 96.6%에 이르렀다. 또한 도농 간의 통신 서비스 격차 해소를 위해 전기통신

설비의 디지털화를 추진했고,1) 시외 전송로 시설의 대형화 및 디지털화를 위해 전 고속도로에

광통신 관료 공사를 진행했다. 또한 국제 통신 시설의 확충 및 현대화를 위해 1983년 8월

Page 21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04

국제자동전화(ISD)를 개통하여 1985년 68개국과 교신이 가능해졌고, 1985년 1월 보은 제4위

성통신지구국을 개통하여 서비스 품질을 높였다. 신규 서비스 개발 보급 측면에서도 무선

호출, 차량 전화 공급을 확대하는 데 이어 화상회의, 텔레텍스, 비디오텍스, 음성 사서함, 선박

전화, 공항 통신 등 고도의 서비스를 보급하기 위해 준비했다. 따라서 이 시기는 전기통신

조직체계의 개편, 통신 시설의 대량 공급과 현대화, 기술의 급속한 발전, 뉴미디어의 출현,

영업 형태의 전환 등 과거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시기였다.

다. 전기통신 시대의 연구개발 정책 결과

(1) 출연금을 통한 기술개발 추진

전기통신 기술개발 사업은 주로 통신공사의 출연금으로 추진되었다. 특히 TDX, 광통신

및 정보통신 시스템 개발은 많은 연구개발비와 오랜 시간이 필요한 대형 과제였기 때문에,

효율적인 관리 및 차질 없는 연구개발을 위해 정부는 1983년부터 순기 관리 기법을 적용하여

추진 실적을 관리했다. 범국가적인 사업으로 추진된 TDX의 개발(총 연구기간 1982~1986,

총 연구비 240억 원)을 위해 정부는 한국전자통신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TDX개발단과 통신공

사 내부에 TDX사업단을 구성하여 관련된 연구개발 및 관리 업무를 전담하게 했다. 또한 통신

공사에 사업지원본부를 설치하여 통신 사업 경영 및 시설 운용에 필요한 기술을 자립할 수

있도록 체제를 개편했다.2)

또한 정부는 비약적으로 혁신을 거듭하고 있는 세계적인 기술개발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 기반 조성 및 기술 혁신 촉진을 1985년 시정 목표로 설정했다. 이에 따라 당해

전기통신 관련 연구개발 투자 예산은 한국전기통신공사 연간 매출액의 약 3%에 해당하는

500억 원 수준으로 책정했다(체신부, 1985). 전자 교환기 등 첨단 기술 개발은 물론 기초 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고급 두뇌 인력 양성을 위한 한국과학기술원의 정보통신 과정 운영, 유관 연구기

관 및 학술단체 등의 기초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대학부설 연구기관까지 지원 대상에 포함시켰

다. 그리고 효과적이고 종합적인 조사 연구 및 합리적인 통신 정책 마련을 위해 통신정책연구소

의 연구 사업도 지원하였다. 정부는 선진국들이 첨단 기술 전수를 기피하고 나아가 이를 대외

전략 무기로 삼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에서 개발하기 어려운 기술을 해외 현지 법인에서

위탁 개발한 뒤 국내로 이전하는 전략을 추진하기도 했다. 나아가 해외의 전망 있는 기술이나

모험사업을 선정하고 투자함으로써, 이를 국내 산업에 도입하거나 국내의 통신・정보 기술을

역수출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Page 21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05

(2) 한국형 TDX 개발

국내 전기통신 연구개발 성과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한국형 TDX의 개발이었다. 1977년

한국전자통신연구소가 TDX를 연구하기 시작하여, 1980년에 96회선의 1차 시험기를 개발했

으며 1982년에는 경기도 용인군 송전우체국에 500회선 용량의 3차 시험기를 설치, 현장 시험

을 했고, 1984년 3월에 소형기 생산 모델(모국 2,500회선, 자국 500회선용) 제작에 성공했다.

정부는 TDX 개발을 전담할 TDX사업단을 한국전기통신공사와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산하

정식기구로 설치했으며 국내의 관련 기술 보유 업체들도 참여시켰다. 1984년 4월 서대전

전신・전화국에서 국내 개발 TDX 시범 인증 개통식이 진행되었고, 같은 해 8월 한국전자통신

연구소는 금성반도체, 삼성반도체통신, 동양전자통신, 대우통신 등 4개 업체와 TDX 개발

사업을 위한 기본협약을 체결했다(체신부, 1984). 그리고 1985년 말까지 생산업체가 상용시험기를

제작, 개통할 수 있도록 기술을 전수하고 지원했다.

[그림 4-1] 국내 개발 디지털 전자 교환기(TDX-1)

국내의 교환기종은 대부분 기계식이었지만, 1980년대 들어서는 반전자식(공간 분할식) 전자

교환기가 대량 공급되었다. 1979년에 제1기종으로서 서울의 영동・당산 전화국간에 M10CN

전자 교환기가 도입되었고, 1981년에 제2기종으로서 No. 1A가 서울의 을지・중앙전화국에

설치되었다. 1983년에는 시외 및 국제관문용으로 No.4 ESS, 시외용 및 농어촌용으로

AXE-10 전자 교환기가 도입되어, 본격적인 전자교환기 시대가 열렸다. 1984년에는 TDX-1

이 서대전 및 유성 전화국에 각각 2,400회선 및 480회선이 설치, 운용되었으며, 2차 인증시험

Page 22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06

도 실시되었다. 정부는 「제5차 경제사회 발전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통신 부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10호 이상의 자연부락까지 인접 전자 교환기를 통해 시내 자동 가입 전화로 수용함

으로써 전국을 광역화했고, 이를 통해 도시와 농・어촌간의 균형적인 발전을 추진했다.

(3) 국산 위성통신장치 개발

위성통신 분야에서도 적극적인 연구개발과 기반 시설 구축이 진행되었다. 당시 새로운 정보

매체 인프라였던 위성통신은 컴퓨터・통신・전자장치 기술을 기초로 ‘뉴 미디어, 뉴 서비스’라는

기조 아래 국제 통신, 국제 방송 중계, 국내 방송 등에 점차 이용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체신부 주관 아래 통신방송연구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위성방송통신

망 사용의 타당성과 국내 위성 보유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우리나라는 1967년에 국제해사위성기구(INTELSAT)에 가입하고 1970년에 금산 지구국을

완성한 뒤 국제간 위성통신 서비스를 개시했다. 1977년에 금산 제2지구국이 완성되어 인도양

위성을 직접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1980년에는 예비용 이동 지구국 시설이 설치되었으며,

1984년 말 보은에 제4지구국이 완성되어 모두 4개의 지구국을 운용하게 되었다. 1985년 세계

44번째로 INMARSAT에 가입했는데, 같은 해 12월 우리나라의 INMARSAT 선박지구국의

이용 현황은 14척이었다. 또한 1977년과 1979년에 열렸던 세계무선통신주관청회의(WARC)

를 통하여 6개의 TV 채널과 동경 110도의 적도 상공에 위성의 위치를 배정받았다(체신부, 1986).

그리고 국내 위성통신 및 방송과 관련하여 1982년부터 정부는 TV 난시청 지역 완전 해소

및 향후 급증할 데이터 통신, 팩시밀리 수요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 위성 방식 통신망 사용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러한 정부 방침에 따라 초보적인 위성통신 시설인 안테나와 송・수신

장치 등 지구국 시설의 일부가 국내에서 제작되기 시작했고, 1984년도 이후 직접 방송 위성

수신 시스템이 국내 기술로 개발되어 수출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당시 제4지구국의 32m

안테나가 설계 제작되었고, 32m 이내의 위성통신용 안테나 설비를 생산할 능력도 보유하게

되었다. 또한 국내 기업체가 데이터 통신 장치의 일부로서 소형 주변 장치를 개발, 생산했고,

여러 업체에서 4GHz대 직접 TV 수신 변환 장치를 제작, 수출하였으며 나아가 12GHz 장치까

지 개발되었다.

Page 22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07

2. 유선전화 중심의 정보통신 시대(1985년~1995년)

가. 정보통신 시대의 조직 및 법제도 체계

(1) 디지털화와 글로벌화를 대비하는 정보통신 조직 정비

전기통신에서 정보통신으로 넘어가는 1980년대 중반~1990년대 중반의 시기는 통신의 디

지털화와 글로벌화로 특징지을 수 있다. 1980년대 디지털화 및 규제 완화의 흐름은 1990년대

들어 멀티미디어화와 글로벌화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를 요약하면 크게 네 가지인데, ① 21세

기를 향한 정보통신 기반 구조의 본격적인 구축, ② 전기통신과 컴퓨터, 가전 영상기기의 결합

과 멀티미디어화, ③ 정보통신 분야의 자유화와 경쟁 도입, ④ 이동통신 기술의 급진전과 보급

확대였다. 이를 위해 정부는 다양한 시책을 추진했다. 첫째, 우리나라 정보통신 산업의 국제화

를 위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고 민간의 활력을 도입할 수 있는 통신 사업의 민영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통신 사업자의 업무 영역 재조정 및 진입 조건 완화 등 통신 사업의 구조를

개편했다. 둘째, 사회 전반의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해 「초고속 정보통신망구축 종합계획」을

수립했는데, 2015년까지 3단계로 나누어 약 44조 8천억 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체신부, 1994).

셋째, 영상전화가 가능한 차세대 교환(ATM) 기술을 1997년까지 개발하는 등 통신망을 고도화

시킬 수 있는 기술에 중점 투자하고, 특히 국산 중형 컴퓨터의 상용화 및 고속 병렬 컴퓨터

기술 개발 등 컴퓨터 기술의 자립에 역점을 두었다. 또한 무선통신 기술에서는 1995년에

CDMA 기술개발을 완료했고, 개인휴대통신망(PCN) 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이와 같은 정보통신 부문의 시장 개방 등 대내외 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정보통신 업무의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 1994년 7월 1일 체신부의 정책 기능과 구조를 개편하

였다. 우선 정보통신 분야의 국제화에 대비하고 정보통신 부문의 통상 업무에 효율적으로 대처

하기 위해 통신정책실 통신협력과를 차관 직속의 정보통신협력관으로 변경했다. 또한 각 실・국

에 분산되어 있던 정보통신에 관한 정책 수립 기능을 통합하고 분야별 정책 전담 체제를 구축하

기 위해 통신정책실을 정보통신정책실로 개편했으며, 정보통신국을 정보통신진흥국으로 전환

해 집행적 업무를 전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통신위성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통신

정책실의 통신위성 관련 기능을 전파관리국 기술과와 통합하여 통신위성과로 개편하였다. 이에

따라 본부기구를 2실 4국 6관 1과 체제로 운영하게 되었으며, 정보통신정책실, 전파관리국,

정보통신진흥국, 정보통신협력관이 정보통신에 관한 주무부서로 정착하게 되었다.

연구개발 기관으로는 1985년 3월 26일 「특정 연구기관 육성법」에 의거하여 한국전기통신

Page 22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08

연구소와 한국전자기술연구소를 통합한 한국전자통신연구소가 정부 출연 연구기관으로 설립

되었으며, 1992년 3월에는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기능 재정립 방침에 따라 과학기술부 대신

체신부의 관리 감독을 받게 되었다. 1995년 기준 한국전자통신연구소는 7개단 6부 1본부의

조직 아래 1,730명의 직원과 약 2,098억 원의 예산을 갖추었고, 부설기관으로서 정보통신연구

관리단을 두었다. 연구개발의 기본방향은 국가의 정보통신 기술개발 정책 방향에 부응하고,

정보 사회의 기반이 되는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 통신망・교환・전송・이동통신・위

성통신・컴퓨터・반도체 기술 및 기초기술 분야에 있어서 IMPH 즉 지능화(Intelligent), 복합화

(Multimedia), 개인화(Personal) 및 인간화(Human)를 구현하는 것이었다(정보통신부, 1995; 한국전

자통신연구원, 2012).

(2) 전산망조정위원회 및 통신위원회 설치

전산망조정위원회는 전산망의 개발 보급 및 이용 촉진에 관한 업무를 조정하기 위해 「전산망

보급 확장과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6조의 규정에 의거 1987년 5월 27일 설치되었다(체신부,

1987). 위원회의 임무는 크게 여섯 가지인데, 전산망 기본 계획 및 시행 계획의 심의와 조정,

국가 기간 전산망에 관한 전담 사업자의 지정, 국가 기간 전산망 관련 기술 및 기기 도입과

개발의 심의 및 조정, 전산망 소요 자금 조달 및 상환 계획의 심의와 조정, 국가 기간 전산망

사업을 전담하여 수행할 자의 지정, 기타 국가 기간 전산망에 관련된 법령, 제도 등 주요 정책

사항 이행이다. 전산망조정위원회는 체신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여 관계 부처 차관으로 구성

되었으며, 원활한 실무 추진을 위해 행정・금융・교육연구・국방・공안전산망의 5개 분야별 추진

위원회를 운영하였다.

통신위원회는 1992년 3월 16일 「전기통신 기본법」 제37조에 의거하여, 전기통신 사업자

간 공정경쟁의 확보 및 분쟁 조정, 전기통신 이용자의 권익 보호, 중요 통신 정책의 수립・시행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기 위해 설치되었다(체신부, 1992). 통신위원회는 통신 사업자간의

설비 제공에 관한 재정, 통신 사업자간 설비의 상호 접속 또는 공동 사용에 관한 재정, 손실

보상액, 손해 배상액 등의 이의 신청에 대한 재정 등을 의결할 권한을 가졌다. 또한 통신 사업

신규 허가, 통신 사업 구조조정, 기술 진흥 정책 등 중요 정책, 적정 경쟁 확보 및 이용자

보호 조치 명령에 대한 심의, 전기통신 서비스 제공 조직의 분리, 상호 보조 제한, 전기통신

역무에 관한 정보의 공개 등을 심의하였다. 1995년 6월까지 통신위원회는 이동전화 사업,

무선 호출 사업의 신규 허가와 관련된 심사・평가 기준, 선정 사업자의 적정 여부 등 총 14차에

걸친 심의를 진행했다(정보통신부, 1995).

Page 22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09

나. 정보통신 시대의 주요 성과

(1) 무궁화 위성 사업 추진

무궁화 위성 사업은 1995년에 통신・방송 복합용 ‘무궁화 호’를 발사하여 난시청지역을 완전

히 해소하겠다는 목표 아래 추진되었다. 정부는 1993년까지 임차 위성을 이용하여 시범 서비

스하고 위성통신 지상 장비 시제품을 개발하여 상용화를 준비했으며, 무궁화 위성의 위성방송

전송을 디지털 방식으로 결정했다. 이어 1994년에는 위성관제소 운용 준비의 일환으로 위성관

제소를 건축하고 관제 시설을 확보했으며, 서비스 운용 요원을 확보하기 위해 위성통신 기술

훈련을 지속적으로 실시했다. 이 외에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사업 제도와

위성통신 사업의 조기 정착을 위해 지상통신 서비스와 차별이 가능한 요금 구조를 마련했다.

당시 추진되었던 무궁화 위성은 통신・방송 복합 위성으로서 1995년 상반기에 주 위성을,

하반기에는 예비 위성을 발사하여 위성 통신・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을 지녔다.

[그림 4-2] 무궁화 1호 발사 및 인공위성 관제소

1995년 무궁화 위성 발사를 준비하기 위해 1991년과 1992년 위성체의 구매계약 및 각

발사체의 상세 설계가 시작되었고, 1994년 3월 기준 각각 56%까지 제작 공정이 진행되었다.

무궁화 위성과 통신할 지상 장비의 경우, 1993년 7월 연구소와 국내외 산업체가 공동으로

초소형 지구국(VSAT) 및 비상・행정통신지구국(DAMA/SCPC) 장비 시제품 개발에 성공하여

Page 22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10

상용화 시험을 진행했다. 또한 디지털 방식의 위성방송 송수신 장비도 1995년까지 개발되었고

1994년 2월 디지털 직접 위성방송 전송 방식 기술 기준이 확정되어 개발되기 시작했다. 한편

무궁화 위성의 궤도 및 사용 주파수에 대한 국제적 공인을 받기 위해, 1995년 2월 정부는

우리나라와 사전에 조정을 거쳐야 하는 7개국 및 국제해사위성기구와 협의를 완료했다. 그리고

위성통신 핵심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위성 제작 회사에 30명, 위성 발사 용역 회사에 24명의

관련 기술단을 현지에 파견하여 기술 전수도 받았다(체신부, 1994; 정보통신부, 1995).

대한민국의 통신・방송 위성인 무궁화 1호는 1995년 8월 5일 미국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발사되어 동경 113도와 116도에 위치하고 있다. 통신・방송 위성의 발사를 계기로

국내 TV 난시청 문제는 해결되었고 동북아의 동일문화권을 형성하는 데 큰 기여를 했으며

우주 통신 개발 시대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또한 위성을 통해 첨단 통신・방송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는 최근의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부응하고, 저렴하고

다양한 첨단 정보통신・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2) 국가 기간 전산망 사업 추진

정부는 1987년 「전산망 보급 확장과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제정하고, 국가

기간 전산망 사업의 조정 기관으로 전산망조정위원회를 발족시켜, 각 부처가 개별적으로 수립

한 전산화 계획을 통합, 조정하기로 했다. 전산망조정위원회의 하부 조직으로 각 부문별 전산망

사업을 심의, 조정하는 부문별전산망추진위원회를 두었고, 여기에 회부되는 안건을 사전에

검토하기 위해 전문가 중심의 실무추진위원회를 두었다. 부문별전산망추진위원회는 별도로

각 전산망 사업을 개발하고 계획하는 총괄기관 역할을 맡았으며, 이와 별도로 각 전산망을

운영하는 주관기관을 두었다(체신부, 1988; 체신부, 1989).

1983년 5월에 구성된 정보산업육성위원회와 이듬해 3월 이를 개편한 국가기간전산망조정

위원회를 통해 국가 기간 전산망 사업의 기본 방향과 방침이 정해졌고 국가 정책으로 구체화되

었다. 그러나 실제 집행을 위한 기본 계획은 「전산망법」이 제정되고 관련된 추진 체제가 정비된

1987년부터 본격 추진되었다. 「행정 전산망 기본 계획」은 1987년 4월 총무처를 총괄 기관으

로 하는 행정전산망추진위원회에서, 「금융 전산망 기본 계획」은 1988년 4월 한국은행을 총괄

기관으로 하는 금융전산망추진위원회에서, 「교육・연구 전산망 기본계획」은 1988년 9월 과학

기술처, 문교부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연구전산망 추진위원회에서 각각 수립하였다. 분야별로

추진되던 개별 전산망 사업 계획은 1988년 12월 제5차 전산망조정위원회에서 「국가 기간

Page 22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11

전산망 기본계획」으로 종합되었고, 1990년 6월 대통령 지시에 의해 수정・보완되었다. 「국가

기간 전산망 기본계획」은 행정 전산망, 금융 전산망, 교육・연구 전산망, 국방 전산망, 공안

전산망 등 5개 분야별 전산망 기본 계획과 주전산기 개발・보급, 다기능 사무기기 보급 및

성능 강화 계획, 소프트웨어 개발, 통신회선 지원, 표준화 추진, 감리 기능 발전, 정보의 보호

및 안전 대책 수립, 국가 기간 전산망 운영 체계 발전 등 8개 분야별 지원 계획으로 구성되었다.

1단계 국가 기간 전산망 사업(1987~1991)은 정보 사회에 대비한 전략적 시범 사업으로,

전산망을 구축・서비스하는 사업을 마무리하고 전산 장비와 기술의 국산화 및 표준화를 추진했

다. 그러나 사업의 목표에 비추어 볼 때 주민등록, 토지 등 기초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중형급 컴퓨터의 생산하고 기술을 개발하는 수준에 그쳤으며, 안정적인 재원 확보 미흡, 기기

및 전문 기술의 대외 의존, 전산망의 안전 운영 체계 미비 등 여러 한계를 보였다. 이에 국가

기간 전산망 확충 및 안전 운영을 위한 전산화 촉진, 관련 투자 확대, 전산망의 안전 운영

지원 등의 과제를 추후에 해결해야 했다. 또한 국내 정보 산업 육성이라는 측면에서 생산자는

높은 성능과 저렴한 가격의 국산 기기를 생산, 공급하고, 수요자는 국산 기기를 활용하여 기술

자립에 기여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전산망조정위원회의 기능을 강화하고 국가 기간 전산망의 확충・보완・

발전을 위해 2단계 국가 기간 전산망 사업(1992~1996)이 추진되었다. 주요 사업 내용은 여러

부처가 관련된 국민 편의 관련 업무를 우선 업무로 선정하여 중점 추진하는 것, 그리고 이미

구축된 전산망의 안전 운영 및 정보의 공동 활용 등이었다. 교육・연구전산망 사업은 각급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컴퓨터 보급을 확대하고, 전산 설비의 투자・운영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했

다. 금융 전산망 사업은 금융 시장 개방에 대비하여 대고객 전산망 서비스를 확대하고 제2금융

권의 공동 업무 전산화를 촉진하며, 국산 컴퓨터를 활용하고 분산 처리 방식의 도입을 이끌었

다. 국방 전산망은 기본 계획에 의한 체계적 추진 및 국산 컴퓨터 활용 증가에 중점을 두었다(체신

부, 1990; 체신부, 1991; 체신부, 1992).

다. 정보통신 시대의 연구개발 정책 결과

(1) 정보통신진흥기금 운영

정부는 1980년대 초반부터 전기통신 기술개발 능력의 확대와 새로운 고도 서비스의 발굴

및 실용화, 핵심 원천기술의 확보 그리고 관련 산업의 육성을 추진해 왔다. 이후 연구개발

Page 22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12

투자 규모를 확대하고 민간 기업의 경쟁력 확보 및 다양한 지원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정보통신진흥기금을 설치했다(체신부, 1993). 이 기금은 1991년 12월에 제정된 「정보통신

연구・개발에 관한 법률」과 1992년 8월에 공포된 동법 시행령에 법적 근거를 두었다. 기금의

관리 주체 및 사업 추진의 주무부처는 체신부이며 정보통신진흥기금의 관리 기관은 한국전자

통신연구소 부설 정보통신연구관리단으로 지정되었다. 정보통신진흥기금은 정부 출연금, 한국

전기통신공사 등 기간 통신 사업자의 출연금, 정부가 보유한 한국전기통신공사 주식의 배당금

그리고 기금 운용에 따른 수익금 등으로 조성되어 1993년부터 운용하였다. 정보통신진흥기금

을 통한 사업은 크게 융자 사업과 출연 사업으로 구분되는데, 융자 사업은 정보통신 설비

구입 및 시설 개체비 지원, 정보통신 기술 개발 지원, 국산 주전산기 보급 확대 지원, 국책

연구개발 지원 등 4개 분야로 진행되었다. 출연 사업은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 및 응용 기술

개발을 위한 초고속 정보통신 기반 구축 사업과 정부 출연 국책 연구개발 사업 그리고 기타

기금 운영 등이었다.

정보통신부는 1995년도 정보통신 분야의 연구개발 방향을 정립하고 중점 개발 기술 분야를

발굴한 후, 정보통신진흥기금 549억 원과 함께 한국통신 4,249억 원, ㈜데이콤 238억 원,

한국이동통신㈜ 1,224억 원, 무선 호출 사업자 269억 원 등 기간 통신 사업자의 연구개발

투자를 합하여 총 6,529억 원의 연구개발 투자 규모를 확정하였다. 1994년도에는 2,461억

원의 정보통신진흥기금을 확정하여 정보통신 설비 구입 및 시설 개체 지원 사업에 195.9억

원, 정보통신 기술개발 지원 사업에 800억 원, 국책 연구개발 지원 사업에 720억 원, 국산

주전산기 보급 확대 지원 사업에 213.7억 원을 대상 사업자에게 지원하였다. 정보통신부는

1994년 9월 26일 대통령의 승인을 얻어 1995년도 기금 운용 계획을 확정하였다. 1995년도

기금 운용 규모는 1994년도 2,461억 원보다 70%가 증가한 규모인 4,158억 원으로 기금

운용 규모를 계속 확대했다.

1995년도 기금 운용 계획의 내용을 살펴보면 정보통신 설비 구입 및 시설 개체비 지원

사업에 410억 원, 국산 주전산기 보급 확대 지원 사업에 240억 원을 융자 지원하며, 정보통신

기술 개발 및 국책 연구개발 사업 등 민간 기업의 정보통신 기술개발 지원 사업에 1,800억

원을 융자 지원하였다. 주요 기술 개발 분야로 교환 기술 분야의 광대역 교환 기술(ATM,

ATM-BX, ATM-MSS), 전송 기술 분야의 10Gbps 전송 장치 및 초고속 전송 기술, 무선

기술 분야의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 및 위성 방송 시스템 기술, 컴퓨터 기술 분야의 멀티미디

어 W/S 및 고속 병렬 컴퓨터 기술, 반도체 기술 분야의 ASIC 및 고속 소자와 집적회로 기술

등에 투자되었다(체신부, 1994; 정보통신부, 1995).

Page 22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13

(2) 디지털 이동통신(CDMA) 개발

1980년대 중반 이후 이동통신에 대한 수요가 급속히 늘어나고 기존 아날로그(AMPS) 방식

으로는 증가하는 수요에 대처하는데 한계가 있어, 1989년부터 기존 수용 용량을 10∼20배까

지 확장할 수 있는 CDMA 시스템 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CDMA 개발은 2단계로

나뉘어 진행되었는데, 제1단계는 퀄컴사와 공동 설계한 CDMA 시스템의 국산 시스템을 개발

하는 것이었다. 제2단계는 제1단계 모델을 기초로 국내 독자 모델을 개발하고 1995년까지

상용 시험 및 생산 설치를 완료한 후 1996년부터 상용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이었다.

[그림 4-3] 세계 최초 CDMA 상용화

CDMA 시스템 개발은 부호분할 다중접속 기술과 TDX-10 기술을 근간으로 했다. 개발 사업

은 한국전자통신연구소와 여러 기업의 공동 참여로 진행됐는데, 시스템 분야에는 금성정보통신,

삼성전자, 현대전자산업 등 3개 업체가 참여했고, 단말기 분야에는 앞의 3개 업체뿐 아니라

맥슨전자가 추가로 참여하여 미국의 퀄컴사와 국제 공동 개발을 추진했다. 연구개발은 크게

세 분야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는 이동국, 기지국, 제어국, 홈위치 등록기, 이동통신 교환기

등 전체 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분야, 두 번째는 각 시스템의 구조를 정하고

Page 22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14

이를 시험 평가하는 시스템 엔지니어링 분야, 세 번째는 가변 음성 부호화기 분석, 기지국/단말기

용 주문형 반도체 설계, 이동 전파 특성 연구 등을 포함하는 핵심 기술 분야였다. 1993년에

자체 설계한 각 구성요소의 하드웨어를 제작하여 STP(System Test Platform)를 구축했으며,

1994년도에는 STP를 이용한 시스템 통합 시험을 완료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소는 1995년 상

용화 애로기술과 핵심 부품 개발을 지원하는 동시에, 제조업체와 공동으로 기지국 및 단말기에

소요되는 디지털 이동통신 핵심 부품, 신호처리 반도체 등을 개발했다(정보통신부, 1995).

(3) 종합정보통신망(ISDN) 개발

종합정보통신망(ISDN)은 고품질의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통신 서비스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간 통신망이다. ISDN은 1970년대 초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CCITT)에 의해

그 개념이 제안된 이래 선진국 및 국제 표준화 관련 기구에서 활발히 연구되어 왔으며, 일부

선진국에서는 시험 및 시범 단계를 거쳐 협대역 ISDN 상용 서비스를 제공했다. 우리나라에서

는 1980년대 초 ISDN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1985년부터 ISDN 가입자 전송 기술

개발을 필두로 본격적인 연구개발이 시작되었다. 1989년 5월에는 국내에서 개발된 ISDN

가입자 접속 장치를 이용하여 64Kbps급의 기본 기능 접속을 시범 운영함으로써 기술적 타당

성을 확인했다.

종합정보통신망 사업은 1단계 협대역 ISDN 개발(1987년~1991년), 2단계 협대역 ISDN

상용화(1992년~1996년), 3단계 광대역 ISDN 실용화 구축(1997년~2000년)으로 진행되었

다. 최종 단계인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은 기존의 전화망, 데이터망, CATV망, 방송

망 등을 단일망으로 통합하는 것으로, 영상을 포함하는 동화상, 대용량 데이터 등을 고속으로

전송하고 다양한 디지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통신망이었다. 협대역 종합정보

통신망(N-ISDN)의 경우 이용자망 인터페이스(User Network Interface)의 최대 전송률이

1.5Mbps 또는 2Mbps에 불과했기 때문에, 컴퓨터 통신, 화상 정보 시스템, 영상 정보 시스템

등에 필요한 고속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B-ISDN에 대한 연구를 진행시켰다.3)

2000년대에 B-ISDN 서비스를 본격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체신부는 1994년까지 ATM

교환, 전송 기술 등 핵심 기술 개발, 1997년까지 소요 장치 및 서비스 개발과 시범 운용,

2001년까지 B-ISDN 서비스 상용화라는 계획을 세웠다. 특히 HAN/B-ISDN 사업은 통신망

분야에서 B-ISDN 구조 1개 장치, 교환 분야에서 ATM교환기 등 3개 장치, 전송 분야에서

10Gbps 광전송 장치 등 3개 장치, 단말 분야에서 ATM 통신 단말 1개 장치를 개발하는

Page 22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15

것이었다. 이를 위해 체신부가 주도하고 한국전기통신공사가 주관하는 가운데 한국전자통신연

구소 및 국내 산업체가 공동 참여하여, 1992년부터 2001년까지 6,850억 원의 연구비와 1만

583명의 연구 인력을 투입하기로 했다. 그리고 동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l992년에는

한국전기통신공사 내에 B-ISDN개발사업추진단을 설치하여 HAN/B-ISDN 사업을 총괄하도

록 했다(체신부, 1993).

3. 이동통신 위주의 정보통신・인터넷 시대(1995년~2005년)

가. 정보통신・인터넷 시대의 조직 및 법제도 체계

(1) 정보통신부 출범

정보통신부는 최초의 우리나라 정보통신 행정 종합 주관 부처로서 정보통신 정책, 우편

사업, 전파 방송 관리, 체신 금융, 정보통신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업무를 관장했다. 1994년

12월 23일에 「정보통신부 직제」가 발표되었는데, 주요 목적은 체신부를 정보통신부로 개편하

고 공보처, 과학기술처, 상공자원부의 정보통신 관련 기능을 흡수・통합함으로써, 21세기 정보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정보통신 산업을 국가 발전 전략 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함이

었다. 출범 당시 정보통신부 역할은 국가 사회 정보화 정책의 수립 및 종합 조정, 초고속 정보통

신망의 구축 및 정보 보호, 통신 사업자 허가 육성, 전파 방송에 관한 정책의 수립 및 관리,

우편・우체국 금융 사업에 관한 정책의 수립 추진 등이었다(정보통신부, 1995).

이렇게 출범한 정보통신부는 기존 우정 부분보다 새로운 정보통신 부분 업무에 더욱 초점을

맞췄다.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정보통신부는 상공자원부(정보통신 및 방송기기 관련 산업・멀티

미디어・컴퓨터 및 주변기기 산업에 대한 지원・육성 업무), 과학기술처(시스템 산업 개발 육성・

전자계산 조직 기술 개발 보급・컴퓨터 프로그램 보호 및 육성에 관한 업무), 공보처(유선 방송

과 관련된 업무와 종합 유선 방송 허가 업무)로부터 관련 업무를 이관 받았다. 직제 개편 당시

상공자원부의 정보통신 산업 육성 및 과학기술처의 정보 산업 기술개발 업무도 이관 받음에

따라, 정보통신진흥국을 정보통신지원국으로 개칭했고 차관 밑에 두던 정보통신협력관을 정보

통신협력국으로 개편했으며, 정보통신정책실의 정보통신과의 이름을 기능에 맞도록 정보정책

과로 바꿨다. 또한 공보처의 유선 방송 업무가 이관됨에 따라 전파관리국을 전파방송관리국으

로 개편하면서 방송과의 기능을 보강했다.

정보통신부는 1994년 출범 당시 본부 기구를 2실 5국 5관 28과 체제로 운영했으며, 그

Page 23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16

중 정보통신정책실, 정보통신지원국, 정보통신협력국, 전파방송관리국이 정보통신 정책에 관

한 주무 부서였다. 10년 뒤 2004년 5월에는 급증하는 정보통신 정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을 개편했는데, 정보통신 정책 환경에서 중장기적 전략 기획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정보통

신전략기획관실을 신설했고, 국제협력관실과 전파방송관리국을 각각 정보통신협력국과 전파

방송정책국으로 확대・개편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정보통신 산업 육성을 담당하는 정보통신정

책국을 정책총괄과, 기술정책팀, 지식정보산업팀, 소프트웨어진흥팀, 산업기술팀으로 개편했

다(정보통신부, 2004a; 정보통신부, 2005b).

(2) 「정보화 촉진 기본법」 제정

선진국들은 1990년대 초반부터 정보통신 하부 구조의 고도화와 정보통신 산업의 전략적인

육성을 추진했고, 우리나라도 이에 발맞추어 국가 기간 전산망 사업과 초고속 정보통신 기반

구축 사업을 의욕적으로 추진했다. 그러나 단위 부처별, 단위 업무별로 추진 방향에 혼선을

보여, 정작 필요한 분야의 정보화가 부진했고 일관된 추진 전략과 추진 체계가 정립되지 못했

다. 또한 정부의 산업 육성 지원 정책은 제조업 위주였고 정보통신 산업을 담당하는 정책

기능이 분산되어 있어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보통신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지원 시책이

요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95년 8월 4일 제정된 「정보화 촉진 기본법」은, 사회 전반의

정보화를 일관성 있게 추진하고 초고속 정보통신 기반을 고도화하는 과정에서 정보통신 산업

을 전략적으로 육성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국민경제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정보통신부, 1996).

「정보화 촉진 기본법」은 다음과 같은 아홉 가지의 방향으로 추진되었다. 첫째, 정부는 정부

각 부처가 시행할 정보화 사업과 정보통신 관련 사업을 종합하여 정보화 촉진 기본 계획을

작성하고, 행정 각 부처는 각기 기본 계획 시행에 필요한 재원 확보 방안 등 구체적인 시행

계획을 수립・집행하도록 함으로써 범정부적 차원에서 정보화 시책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 사회 전반의 정보화 정책

심의 기구인 정보화추진위원회를 새로이 구성・운영하여 정보화 추진 체제를 정비한다. 셋째,

정부 등 공공기관이 공공 부문의 정보화・지역정보화・산업정보화 등 각종 정보화 사업을 적극

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그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의무를 부여한다. 넷째, 정보보호센터를

설립하고 정보 보호 시스템에 관한 기준을 제정하여 이의 준수를 권고하는 등 민간 부문의

정보 보호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한다. 다섯째, 정보통신 기술개발, 정보통신 단지

의 조성, 우수 신기술에 대한 지원 및 유통 구조의 개선 등에 대한 지원 근거를 마련하며

Page 23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17

정보통신 관련 표준화의 추진과 정보통신 기술 인력의 양성 지원 등을 통하여 정보통신 산업의

진흥을 도모한다. 여섯째, 초고속 정보통신 기반의 조기 구축과 이의 이용을 활성화하는 시책을

강구・추진하도록 함과 아울러 분야별로 초고속 정보통신 기반 구축 사업을 전담하여 추진할

전담 기관을 지정하고 이에 소요되는 재원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일곱째, 일정한 지역을

사업 영역으로 하는 초고속망 사업자 제도를 도입하여 「전기통신 사업법」과 「종합 유선 방송법

」 상의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자로서 초고속망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는 누구나 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민간 부문의 참여를 활성화한다. 여덟째, 초고속망 사업자는 자가

통신설비나 CATV 전송 선로 시설 설치자로부터 그 설비・시설을 제공받아 사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휴 자가 통신 설비의 이용 효율을 제고한다. 아홉째, 기존의 정보통신진흥기금을

흡수・통합한 정보화촉진기금을 설치하여 정보화 촉진, 정보통신 산업 기반 조성 및 정보통신

기반의 고도화 특히 초고속 정보통신 기반의 구축 등에 필요한 막대한 재원의 안정적 확보를

도모하는 것이다(정보통신부, 1997; 정보통신부, 1998; 정보통신부, 1999).

(3) 정보통신윤리위원회 및 정보통신정책심의위원회 설치

정보통신윤리위원회는 1995년 4월 13일 「전기통신 사업법」 제53조의 2에 의거해 설치되었

으며, 불온 통신을 억제하고 건전한 정보 문화를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정보통신윤리위

원회는 위원장 1인을 포함한 11인 이상 15인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위원은 학계・법

조계・이용자 단체 및 정보통신 관련 업계 등에 종사하는 자 중에서 정보통신부 장관이 위촉했

다. 정보통신윤리위원회는 불온 통신의 근절 및 건전 정보의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하였다. 첫째, 정보통신 윤리에 대한 기본 강령의 제시, 둘째, 전기통신 회선을 통해 일반에

게 공개를 목적으로 유통되는 정보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정보의 심의 및 시정 요구, 셋째,

전기통신 회선을 이용해 유통되는 정보의 건전화를 위한 대책 수립의 건의, 넷째, 불건전 정보

통신 신고 센터의 운영, 다섯째, 건전한 정보 문화 창달을 위하여 필요한 활동, 여섯째, 기타

전기통신을 이용한 불건전 정보 유통의 단속과 관련하여 정보통신부 장관이 위임하는 사항

등이었다(정보통신부, 1995; 정보통신부, 1996).

정보통신정책심의위원회는 「전기통신 기본법」 제44조의 2에 의거해 1997년 2월 25일에

설치되었으며, 정보통신에 관한 주요 정책 즉, 전기통신 기본 계획, 기술 진흥 시행 계획,

기간 통신 사업의 허가, 정보통신 산업 관련 주요 정책 및 기타 정보통신부 장관이 주요 정책을

결정하기에 앞서 심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심의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 위원회는 위원장 1인을 포함한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되었다. 위원장

Page 23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18

및 위원은 관계 행정기관의 3급 이상 또는 3급 상당의 공무원, 교육법에 의한 대학이나 공인된

연구기관에서 정보통신 관련 분야에 관한 강의나 연구를 담당하고 있는 자, 정보통신 관련

단체 또는 기관의 대표자 또는 정보통신 관련 기업의 임원직에 5년 이상 있거나 있었던 자,

정보통신에 관한 학식 및 경험이 풍부한 자 중에서 정보통신부 장관이 지명 또는 위촉했다.

2004년 7월에는 정보통신정책심의위원회를 새롭게 개편하고, 「IT 839 전략」 추진 등 새로운

정책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16인으로 구성된 위원수를 20인으로 늘렸다. 이와 함께 정보통

신정책심의위원회 산하에 통신 규제 이슈를 보다 전문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통신분과위원회와

정보통신 기술개발 정책을 심도 있게 다루기 위한 기술개발분과위원회를 상설로 설치하였다(정

보통신부, 1997; 정보통신부, 2004a).

나. 정보통신・인터넷 시대의 주요 성과

(1) 정보통신 강국 토대 마련

1990년대 중반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상용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초고속 정보화 시대가

시작되었고, 동시에 WTO 체제 출범으로 시장이 개방되고 새로운 문화 경제 질서가 형성되었

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부처에서 분산되어 관장되던 정보통신

관련 업무를 정보통신부로 일원화하면서 정보통신 사업・산업・기술 전 분야를 망라하는 종합적

인 정보통신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정보화가 국가 경쟁력 강화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국가의 전략적 요소로 인식됨에

따라 정부는 1995년 「정보화 촉진 기본법」을 제정하였으며, 또한 이 법에 의거하여 정보화촉진

기금을 조성하고, 1996년에는 범국가적 정보화 촉진을 위한 마스터플랜인 「정보화 촉진 기본

계획」(1996~2010)을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2010년까지 정보 사회의 물리적 기반이 될 초고

속 대용량 정보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 1995년부터 1997년까지 초고속 국가망 사업 제1단계

를 완료했다. 1999년에는 기존의 「정보화 촉진 기본 계획」을 보완・발전시킨 「Cyber Korea

21」을 수립하여, 2002년까지의 정보화 촉진 기본 계획을 마련했다(정보통신부, 1999; 정보통신부, 2000).

「정보화 촉진 기본 계획」의 제2단계 사업(1998년~2000년)을 통해 초고속 국가망 기반이

완성되었다. 2000년 말 기준 전국 144개 지역에 대도시 사이에 2.5~5Gbps, 중・소도시 사이

에 155~622Mbps급의 고속・대용량의 광전송망을 구축했고, 2001년 말에는 모든 읍・면의

주요 지역에까지 초고속 인터넷 제공 기반을 확대했다. ATM 교환기 272대를 설치하고 교환기

용량을 40Gbps급으로 확충해 전국적인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의 기반을 완성했고, 이를 통해

Page 23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19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교육기관・연구기관・도서관・박물관 등의 공공 기관에 인터넷과 멀티미

디어 서비스 등을 저렴한 요금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정보화 촉진 기본 계획」 제3단계 사업(2001년~2005년)부터는 서비스 고도화 및 이용 활성화

를 중심으로 초고속 국가망 구축 사업 방향이 전환되었다. 즉 제3단계 사업은 전국 어디서나

고속・고품질의 정보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목표로 추진되었다. 이를

통해 다양하고 저렴한 회선 서비스와 부가 서비스가 개발・보급되었고, 기간 전송망은 WDM

기술 등이 적용되어 2002년까지 대도시 사이 40Gbps급, 중소도시 사이 622Mbps급으로 고속・고

도화되었다. 이와 함께 2002년 4월에는 IT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기 위한 「e-Korea 비전

2006」을 수립했고, 이를 수정하여 2003년 12월에 ‘IT 강국, Korea 건설’을 위한 「Broadband

IT Korea 비전 2007」을 제시했다(정보통신부, 2001; 정보통신부, 2002; 정보통신부, 2003; 정보통신부, 2004a).

(2) 성장 동력으로서 정보통신 산업 발전

우리나라의 정보통신 산업 규모는 1985년 4.5조 원에서 1995년에는 51.5조 원으로 약

11.4배 늘었으며, 20년 뒤인 2005년에는 238.1조 원으로 약 52.9배로 크게 성장하였다.

이로 인해 실질 GDP에서 정보통신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말 기준 약 15%가 되었으

며, 전체 산업 수출에서 차지하는 정보통신 수출 비중도 2005년에 약 36%가 되었다. 정보통신

수출 규모는 1989년 229억 달러에서 2005년 1,023억 달러로 약 4.5배 증가하였고, 무역수지

부문에서도 2005년 484억 달러로 전체 무역수지 232억 달러를 훨씬 초과했다. 수출 품목

중에서는 특히 반도체, 이동전화 단말기, LCD 등이 자동차, 섬유, 조선 등과 더불어 주력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이와 같이 국내 정보통신 산업은 고성장, 무역수지 흑자, 투자 확대

등으로 국민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했다.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과 궤를 같이 하는 국내 정보통신 업체들은 세계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하

여 각 분야에서 우수한 경쟁력을 보였다.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등 DRAM 업체들은 2005년에

세계 시장 점유율 최고 72.5%를 차지하여 세계 1위 자리를 굳혔고, CDMA 휴대폰・TFT-LCD・

PDP・낸드플래시 메모리・브라운관・온라인 게임 업체들 역시 일류 기업으로 도약했다. 우리나라

는 1980년대 후반 초고집적 반도체 공동 개발(4/16/64M DRAM) 등 메모리 반도체 중점 투자로

10여 년 이후 메모리 반도체 세계 최강의 지위를 얻었다. 1980년대 초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투자 이후 현대전자, LG반도체가 속속 DRAM 반도체 사업에 진출, 1998년에는 DRAM 세계

시장의 37.9%를 장악하면서 세계 1위의 ‘DRAM 반도체 강국’으로 부상했다. 이후 1999년

반도체 빅딜 파동을 겪으면서 한때 반도체 강국의 위상이 다소 흔들렸으나, 지금도 DRAM과

Page 23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20

메모리는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여 한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

TFT-LCD 산업에서도 우리나라는 1995년 일본 기업이 장악하고 있던 시장에 진출하면서

차세대 라인 투자와 가용 용량 우위를 확보하는 전략을 채택했고, 그 결과 LCD 부문은 우리나

라의 대표적인 세계 1등 산업으로서 정보통신 3대 수출 품목으로 성장했다. 우리나라

TFT-LCD 산업은 세계 1위와 2위, 10위권의 LCD 패널 제조업체를 필두로, 다양한 완제품(노

트북 PC, LCD 모니터, 디지털 TV)을 생산할 수 있는 제조업체까지 연결된 체계를 통해 세계적

인 경쟁력을 갖추었다고 평가된다.

<표 4-3> 정보통신 산업・서비스 성과 및 R&D 규모 변화

구분 항 목 1995 2005

정보통신

산업1)

정보통신

생산

정보통신 기기 38.6조 원 168.9조 원

정보통신 서비스 11.2조 원 49.1조 원

소프트웨어 1.7조 원 20.1조 원

소계 51.5조 원 238.1조 원

정보통신

수출입

정보통신 수출 229억 달러 1,023억 달러

정보통신 수입 137억 달러 539억 달러

정보통신 수지 92억 달러 484억 달러

정보통신

서비스

서비스

가입자수

시내전화 1,860만 명 2,292만 명

이동전화 164만 명 3,834만 명

초고속인터넷 37.4만 명(‘99) 1,219만 명

인터넷

가입자 및 이용자수

인터넷가입자 37.4만 명(‘99) 1,219만 명

인터넷이용자 36.6만 명 3,301만 명

정보통신

R&D2)

정보통신 R&D

투자규모

기술 개발 1,155억 원 4,537억 원

인력 양성 40억 원 1,078억 원

표준화 139억 원 302억 원

기반조성 282억 원 859억 원

소계 1,616억 원 6,776억 원

주: 1) 생산 및 수출입 통계는 10여 년 동안 분류체계가 변화하였기 때문에 다소 차이가 있음

2) IT R&D는 정보통신 연구 개발 사업 중 출연 사업을 대상(융자사업 제외)

자료: 정보통신부 (1996); 정보통신부 (2005); 정보통신부 (2006a); 정보통신부 (2006a); 정보통신부 (2006c); 한국정보

통신진흥협회 (2007)

다. 정보통신・인터넷 시대의 연구개발 정책 결과

(1) 정보통신 R&D 체계 혁신

우리나라의 정보통신 상품이 세계 시장을 주도하면서 선진국의 견제와 후발국의 도전이

Page 23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21

치열해졌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기술 추격국(follower)에서 기술 선도국(leader)으로 나아

가야 할 처지가 되었다. 따라서 정부는 대내외적인 정보통신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글로벌 정보통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기존의 단순 기술 개발 전략에서 벗어나 기술 개발・표

준화・지적 재산권을 통합・연계한 기술 획득 전략을 수립하여 정보통신 R&D 체계의 혁신을

추진하게 되었다.

먼저 정부는 정보통신 R&D 투자의 불확실성에 대응하여 전략적 기술 획득을 위한 사전

기술기획 활동을 강화했다. 정부는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2005년 9월 「정보통신

연구개발 관리 규정」을 개정하여 주요 기술 기획 활동을 명문화했고, 정보통신 기술 예측

조사, 정보통신 기술 혁신 역량 조사, 정보통신 기술 수준 조사, 정보통신 기술 로드맵 작성

등을 수행했다. 그리고 정보통신 연구개발을 효율성을 높이고 지적 재산권 성과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기존의 분야별 특허 동향 조사 외에 연구 과제 단위의 상세 특허 권리 분석을

실시했고 정보통신 중소・벤처 기업의 해외 특허 분쟁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아울러 정보통신

R&D 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관리하기 위해 R&D의 경제성 및 타당성 지표를 개발하고

관리・모니터링 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 정부 R&D 투자 지원을 정부 출연 연구기관

중심에서 산・학・연 공동 참여로 확대하여 R&D 수행 기관 간 협력 증대 및 기술 개발 과제의

상용화를 촉진시켰다. 그 결과 2005년 신규 기획 과제에 대한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단독

투자 지원 비율은 2004년 38%에서 2005년 18%로 대폭 낮아졌으며, 「정보통신 연구개발

관리 규정」 개정을 통해 연구원 인센티브를 확대(35% → 50%)하는 등 R&D 지원 체계가

개선되었다(정보통신부, 2005b; 정보통신부, 2006b).

또한 정부는 신성장 동력 품목별 PM(Project Manager) 제도를 활성화하고 활발한 기술

마케팅 활동을 통해 기술 이전 건수를 2004년 390건에서 2005년 430건으로 확대하여 R&D

결과물의 활용도를 높였다. 기술 이전의 경우, 사업화 성공 사례를 분석하고 핵심 그룹을 인터

뷰하여 사업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병목 현상을 식별하고 이를 성과 분석 지표로 하는 분석

모델을 개발했다. 그리고 공공 및 민간 기술 이전 관련 기관들과 협력하여 효율적인 기술

이전 및 사업화를 도모하기 위해, 국내 2개 기관과 해외 4개 기관 등 국내외 기술 이전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운영했으며, 사이버 기술 시장 기능을 강화하여 기술 이전에 필요한

공급 및 수요 기술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나아가 연구 성과

제고를 위해 기술・시장 및 연구 환경 등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략적 목표 관리가

가능하도록 마일스톤 중심의 R&D 관리 체계를 도입했고, 프로세스별 처리 절차 및 산출물

표준화로 연구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켰다.

Page 23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22

(2) 「IT 839 전략」

우리나라는 국가 차세대 성장 동력 발굴・육성 차원에서 디지털 컨버전스에 의한 제2의 성장

모멘텀을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해 2004년 2월부터 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IT 839 전략」을 추진했으며, 2006년 2월에는 일부 품목을 업그레이드하여 「u-IT 839 전략」

으로 전환했다. 이것은 세계적으로 앞선 서비스를 조기에 도입하고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하며,

관련 제품의 개발을 촉진함으로써 한국 정보통신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세계 정보통신

산업을 선도하고자 하는 선순환 전략이었다(정보통신부, 2004a; 정보통신부, 2005b; 정보통신부, 2006b).

「IT 839 전략」의 기조는 국내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 정책 차원에서 2001년부터 시작되었다

고 볼 수 있다. 같은 해 8월 국민경제자문회의는 21세기 지식 정보화 시대의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차세대 성장산업 발전 전략」을 수립하면서, 정보통신 기술(IT), 바이오 기술(BT), 나노

기술(NT), 환경 기술(ET), 문화 기술(CT) 등의 차세대 성장 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각 부처별로 134개 미래 유망기술・품목을 선정하고 과학기술부・산업자원

부・정보통신부 등 정부 부처 간 중복 추진되는 품목에 대해 부처별 역할을 분담했다. 이러한

조정을 통해 10개 분야의 차세대 성장 동력 후보가 결정되었으며, 업무 중복과 혼선의 최소화하

기 위해 차세대 성장 동력 부문별 주무부처를 확정하면서 「IT 839 전략」이 만들어졌다.4)

<표 4-4> 「u-IT839 전략」 분야

u-IT 839 20대 전략 분야

8대 서비스

HSDPA/W-CDMA, 와이브로(WiBro), 광대역융합서비스, DMB/DTV서비스,

u-Home서비스, 텔레매틱스/위치기반서비스(LBS), RFID/USN 활용서비스,

IT서비스

3대 인프라 BcN, USN, Soft Infraware

9대 성장 동력

이동통신/텔레매틱스기기, 광대역 홈네트워크기기, 디지털TV/방송기기, 차세대

컴퓨팅/주변기기, 지능형로봇, IT SoC 및 융합부품, RFID/USN기기, 임베디

드SW, 디지털콘텐츠/SW솔루션

자료: 정보통신부 (2006b), �2006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p.100.

「IT 839 전략」 이후에 만들어진 「u-IT 839 전략」은 IT 산업의 서비스-인프라-성장 동력

부문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IT 산업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고 이를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발전 모델이었다. 즉 제품과 기술만의 차세대 성장 동력이 아닌 차세대 서비스와의

선순환 가치 구조의 구축을 위해 「IT839 전략」을 재구성한 것이다. 「u-IT839 전략」은 와이브

Page 23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23

로(WiBro), DMB 서비스 등 8개의 신규 서비스와 광대역 통합망(BcN), USN, 소프트 인프라

웨어 등 3대 인프라, 차세대 이동통신, 디지털 TV 등 9대 신기술-제품간의 선순환 가치 구조

형성 비전을 담고 있었다. 즉 새로운 정보통신 서비스를 조기에 도입・활성화하여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유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성장 동력 산업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전략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정보통신부의 「IT 839 전략」과 「u-IT 839 전략」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산출했다.

첫째, 선진국형 R&D 발전 모델을 제시했고, 둘째, 정보통신 R&D 사업의 연구생산성을 미국

공공 연구기관 수준으로 제고했으며, 셋째,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1년 이상 단축했고, 넷째,

기술 개발과 관련된 특허와 논문의 수가 증가하는 동시에 기술료 수입도 증가했다. 정보통신

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IT 839 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2006년 기준 국제 표준 특허

111건을 확보했으며, 이후 10∼15년간 3억 달러 상당의 기술료 수입을 거둘 것으로 전망하

기도 했다. 정보통신진흥기금 대비 기술료 수입으로 측정한 정보통신 연구개발 생산성도

2006년에는 10.5%에 이르러 세계 최고 수준이 되었고, 특허, 논문, 기술료 수입 등 정량적

측면의 R&D 성과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정보통신부, 2007; 방송통신위원회・지식경제부, 2008).

4. 서비스 확산의 정보통신・방송・콘텐츠 시대(2005년~2016년)

가. 정보통신・방송・콘텐츠 시대의 조직 및 법제도 체계

1) 지식경제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및 미래창조과학부 출범

지식경제부는 2008년 2월 29일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신설되었다. 지식경제부는 구 산업자

원부의 산업, 무역・투자, 에너지 정책, 구 정보통신부의 정보통신 산업 정책, 우정 사업, 구

과학기술부의 산업 기술 R&D 정책, 그리고 재정경제부의 경제 자유 구역 기획, 지역 특화

기획 기능을 통합했다. 지식경제부 내의 정보통신 관련 조직으로는 정보통신산업정책관과 성

장동력실이 있었는데, 정보통신산업정책관에서는 정보통신부에서 이관된 정보통신 산업 및

SW, 정보 보호 산업, 정보통신 R&D 등의 업무를 담당했으며, 성장동력실은 산업융합정책과

와 SW 관련과가 포함된 신산업정책관 등을 포괄했다. 행정안전부와 문화체육관광부 내부에도

정보통신 관련 조직들이 있었으며,5) 지식경제부는 기본적인 IT 산업 육성 및 IT 융합 산업,

그린 IT 산업, IT 활용 산업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했다(방송통신위원회・지식경제부, 2008; 지식경제부, 2009;

지식경제부, 2010; 지식경제부, 2011; 지식경제부, 2012).

Page 23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24

방송통신위원회는 「정부 조직법」과 「방송통신위원회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

2008년 2월 29일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되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 정책과 통신 정책,

방송 통신 융합 정책 그리고 인터넷 등 뉴미디어 정책을 총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직속

연구개발 및 규제 기관으로 전파연구소와 중앙전파관리소를 두었다. 이후 2015년에 「방송통

신위원회 직제」가 개정됨에 따라 방송통신위원회의 사무조직은 1실(기획조정실), 3국(방송정

책국, 이용자정책국, 방송기반국), 17과(방송정책기획과 등)로 재편되었다(방송통신위원회, 2009b; 방송

통신위원회, 2016).

미래창조과학부는 2013년 3월 출범 당시, 교육과학기술부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구 지식

경제부, 국무총리실의 지식산업, 정보통신 기술 연구개발 및 산업진흥 업무,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통신 연구개발, 방송통신 융합 및 진흥기능 업무, 문화체육관광부의 디지털콘텐츠 업무

그리고 행정안전부의 국가정보화기획, 정보보안 및 정보문화 업무를 이관 받았다. 과학기술과

정보통신 두 분야를 모두 담당하는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 정책의 수립・총괄・조정・평가,

과학기술의 연구개발・협력・진흥, 우수 기술 개발 및 진흥, 원자력 연구・개발・생산・이용, 과학

기술 인력 양성, 그리고 국가 정보화・정보 보호・정보 문화, 방송・통신 융합・진흥 및 전파

관리, 정보통신 기술 산업 진흥, 우편・우편환 및 우편대체 등의 업무를 관장했다(미래창조과학부,

2013a; 미래창조과학부, 2015a).

정보통신 기술 관련 정부 조직을 보면, 미래창조과학부가 정보통신 기술 및 전파・방송 부문,

행정자치부가 전자정부 및 개인 정보 보호 부문, 방송통신위원회가 방송과 통신에 관한 규제와

이용자 보호 부문, 그리고 문화체육관광부가 콘텐츠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정보통신 기술과 기존 산업의 융합, 연구개발 혁신 촉진, 미래 성장 동력 발굴・추진 등 주요

핵심과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2015년 3월 10일 조직을 재편하기도 했다.

2)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설치

정보통신전략위원회는 정보통신 기술 진흥 및 융합 활성화에 관한 정책을 심의・의결하기

위하여 2014년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시행에 따라 국무총리 소속으

로 신설된 정보통신 기술 최상위 의결기구로, 2014년 5월 8일 출범했다. 정보통신전략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간사 1명을 포함한 2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되고, 위원장은 국무총리, 간사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맡고 위원은 대통령령으로 국무총리가 임명한다.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산하에 정보통신 활성화 추진 실무위원회를 설치하여 정보통신 기술진흥・융합 활성화를 저해하

Page 23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25

는 법・제도를 개선하고 정보통신 기술 관련 애로 사항을 심의한다(미래창조과학부, 2014a).

정보통신 기술 정책 컨트롤타워로서 정보통신전략위원회는 회의를 통해 정보통신 기술 관련

중요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2014년에는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기본계획」 등

15건을 의결했으며, 2015년에는 「K-ICT 디지털콘텐츠 산업 육성계획」 등 11건을 의결했고,

2016년에는 「사이버 시큐리티 인력 양성 종합계획」 등 13건을 의결했다. 특히 12월에는

제8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심의・의결을 통해 범정부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을 확정했다(미래창조과학부, 2015a; 미래창조과학부, 2015d).

나. 정보통신・방송・콘텐츠 시대의 주요 성과

1) 창조 경제 정보통신 기술 성과

2015년 정보통신 기술 산업은 438조 원의 생산을 달성한 가운데 꾸준히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고, 전 산업 수출 10대 품목 중 정보통신 기술 품목은 반도체를 포함해 4개로 국민경제에

서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 주력 제품인 휴대폰, 평판TV, LCD패널, 이차전지는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반도체는 이미 1위를 차지하고 있던 메모리 반도체 부문뿐 아니라 반도체

전체 부문에서도 세계 2위에 올라섰다. 아울러 정보통신 기술 발전 지수(IDI)는 4년 연속

세계 1위, 전자정부 지수(EGDI)는 3년 연속 세계 1위를 하는 등 국제적 정보통신 기술 역량도

높아졌다. 또한 미래창조과학부가 다방면으로 추진한 정보통신 기술 정책 역시 상당한 성과를

낳았는데, 세계 최초 UHD 방송 상용화, 세계 1위 SW 전문 기업 탄생, 세계 최초 225Mbps

LTE-A 상용 서비스, 기가 인터넷 상용화, 세계 최초 UHD 방송 수신 시연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미래창조과학부는 무제한 인터넷주소 서비스 시대를 열기 위해 네트워크-서비스-단말

기 전구간에 걸친 IPv6 촉진 선순환 체계를 구축했다(미래창조과학부, 2015b).

정부는 국민의 상상력과 창의적 아이디어가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 기술과 결합하여 창업

및 신산업・신시장 창출로 연결되고 좋은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도록, 2013년 6월 「창조 경제

실현 계획-창조 경제 생태계 조성방안」을 수립했다. 그리고 미래창조과학부와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창조경제위원회를 구성・운영하여 협력 과제를 발굴하고 추진 실적과 향후 계획을

점검할 정부 내 협업 체제를 구축했다. 아울러 정부와 민간의 소통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창조 경제 민관 협력체계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도 했다. 또한 정부는 초연결 선도 국가

실현을 위해 2014년에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사물인터넷 정보보호 로드맵」, 「사물인터넷

Page 24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26

R&D 추진계획」을 수립한 데 이어, 2015년에 「K-ICT 전략」 9대 전략산업으로 사물인터넷

육성을 발표했다(미래창조과학부, 2013b; 미래창조과학부, 2014b; 미래창조과학부, 2015d). 그리고 소프트웨어 부문에

서도 2014년 ‘SW 중심사회 원년’을 선언하고, 다음 해인 2015년 「SW 중심사회 확산 방안」을

발표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데 노력했다.

2) 창조비타민 프로젝트 성과

2013년부터 시작된 창조비타민 프로젝트는 과학・정보통신 기술 전담 부처의 전문적 지원

을 통해, 공공 서비스 혁신, 사회 현안 문제 해결, 경제 활성화 및 신산업 육성 등에 기여하고

자 한 정책 사업이다. 2013년 11월 「창조비타민 프로젝트 추진계획」 수립을 통해 사업 추진

기반을 조성함과 동시에 15개 과제를 시범 사업으로 선정하여 추진하였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매년 약 1,000억 원 규모로 각 42개, 48개, 33개 과제를 선정하여 추진하였다.

한편 창조비타민 프로젝트의 내실화 제고와 속도감 있는 추진을 위해 제9차 창조 경제위원회

에 「창조비타민 프로젝트 발전전략」을 보고하였다(미래창조과학부, 2014a; 미래창조과학부, 2015a).

<표 4-5> 창조비타민 프로젝트 주요 성과

공공서비스 혁신

◦ 원격영상기반 스마트 진로교육서비스를 개발하여, 2015년 1,500개교, 2016년 1,900개교에서 활용

중(농산어촌 소재교 및 자유학기제 실시교 중심)

* 개설 수업 수 : 3,239회, 참여 멘토 : 394명, 멘토 직업 : 265종(2016년 12월 기준)

◦ 진료 의뢰서, 회신서 등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정보통신 기술 기반으로 교류할 수 있도록 국가 진료정보

교류 중계시스템을 구축하고, 「진료정보교류 표준」 제정

◦ 2014년 점포・상권 평가 서비스를 중기청의 공공 서비스로 제공하기 시작하여 2016년까지 전국 주요

도시 음식・서비스・판매업 총 45개 업종으로 확대(2016년 12월 기준 누적 이용건수 약 88만 건)

사회 현안 해결

◦ 드론을 활용하여 소나무 재선충병에 감염된 피해목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고 확산 가능성을 예측

* 기존 인력 예찰에 비해 조사기간이 약 90% 단축되어, 드론 활용 피해목 조사 10배 이상 확대

(2015년 4.5천ha → 2016년 전국 44개 지자체 54천ha)

◦ 재난 대처방법에 관한 가상현실 교육콘텐츠를 개발하여 모의훈련장(197개) 등에서 체험교육 실시

* 서비스 이용자 수 13만 명(2016년 12월 기준), 대규모 테마파크 내 재난현장 체험교육관 구축

및 콘텐츠 제공(2017년)

경제 활성화

◦ 스마트 카톡 실증환경 구축사업 성과로 차량원격진단 및 운행행태분석 서비스, 스마트폰용 무전기 앱,

자동차 번호 기반 메시징 서비스 등 출시 등

◦ 초미세먼지 대응 기술 사업을 통해 연구소 기업을 창업하고, 기술 이전을 통한 상용제품 발매 및 대기

업과 기술 협력 MOU 체결

Page 24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27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자체작성

미래창조과학부는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권회의 월드 IT 쇼(2014.10.20.~10.23.)와 창조

경제박람회(2014.11.27.~11.30.)에서 ‘창조비타민관’을 설치・운영하기도 했는데, 농축수산

식품 5건, 문화관광 1건, 보건의료 3건, 주력 제조업 1건, 교육・학습 3건, 소상공업 창업

2건, 재난안전 SOC 3건 등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관람객들에게 소개하고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다. 정보통신・방송・콘텐츠 시대의 연구개발 정책 결과

1) 「K-ICT 전략」 수립

최근 한국 경제가 생산성 저하, 투자 감소 등으로 본격 저성장 국면에 진입하고 ‘신 넛크래커’

상황 등으로 인해 정보통신 기술 위기감이 고조됨에 따라, 미래창조과학부는 2015년 3월

「K-ICT 전략」을 발표하였다. “ICT가 선도하는 창조 한국 실현”을 비전으로 한 「K-ICT 전략」

은 향후 5년간 총 9조 원을 투입하여 ICT 산업 성장률 8%, 2020년 ICT 생산 240조 원,

수출 2,100억 달러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이를 위해 ① ICT 산업 체질의 근본적

개선, ② ICT 융합 서비스 확산을 위한 대규모 투자로 신수요 창출, ③ 중국・개발도상국 등

비용 절감과 사회 전반의 효율성 제고

◦ 부동산 통합 전자계약 시스템 구축으로 민원 서류 간소화 및 국민 편의성 증대

* 확정일자 무료 자동부여, 등기효력 인정을 위한 제도개선 및 서울 전역에 확대 적용 (2016년)

◦ 상수도 시설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시범 구축

지자체 에너지 절감량(kWh/월) 에너지 절감율(%) 비용 절감액(천원/월)

성남시 85,921 5.65 8,967

대전시 319,025 10.09 33,293

융합 신산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

◦ 스마트시티 실증 사업의 성과를 토대로 글로벌 기업과 파트너십 추진 및 해외 스마트시티 시범 사업

참여

* 스마트 파킹 분야 중국 진출 MOU 체결(2015년 11월), 싱가폴 진출을 위해 글로벌기업과 협업

MOU 체결(2015년 12월), 인도네시아 국가재난방재청의 ‘상황인지 대피 안내시스템 구축’ 시범

사업 선정(2015년 12월) 등

신기술 개발에 따른 특허 등록

◦ 의료데이터와 딥러닝을 이용한 유방암 진단보조시스템 관련 특허 등록(3건)

◦ 해양플랜트 구조물 탑재 시뮬레이션 SW 개발과 충돌검사 관련 특허 등록(2건) 등

Page 24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28

패키지형 수출 다변화를 통한 판로 개척, ④ SW・신산업 분야 9대 전략산업 육성 등 4대 분야

17개 과제를 중점 추진하기로 하였다. 또한 휴대폰,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잘하고 있는 선도

산업 분야도 더 잘할 수 있도록 차세대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로 하였다(미래창

조과학부, 2015d).

[그림 4-4] 「K-ICT 전략」(2015년) 비전 및 목표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2015d)

<표 4-6> 정보통신 기술 산업 전략 전환의 기본 방향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2015a), �2015 정보통신산업의 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p.52.

구분 현재 미래

기술혁신 추격형 R&D → 선도형 R&D

인력 양성 인력 미스매치 단기 해소 → 문제 해결형 창의인재 장기 육성

산업 구조 대기업 수직계열화 → 혁신적 벤처 창업 생태계

융합확산 정보통신 기술주도형 융합 → 수요중심 시장 창출형 융합

규제개선 규제를 통한 내수 성장 → 글로벌 성장을 위한 규제 완화

해외진출 선택과 집중형 수출 → 해외진출 포트폴리오 다각화

품목육성 백화점식 포괄적 진흥 → 전략적・목표지향적 육성

정부역할 정부주도 성장전략 → 민간 중심의 성장 지원

Page 24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29

최근 주요국들이 자율주행차, 지능형 의료 등 혁신적 신제품, 신서비스로 성장 돌파구를

마련함에 따라, 2016년 미래창조과학부는 ICT를 둘러싼 국내외의 변화된 환경과 지능정보기

술 기반의 제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K-ICT 전략」의 연동계획으로 「

K-ICT 전략 2016」을 발표하였다. 본 전략은 기존 「K-ICT 전략」의 6대 융합 산업을 10대

융합 산업으로 확대하였으며, 지능 정보 산업과 접목한 융합 투자를 확충하고 지능 정보 산업을

「K-ICT 전략」에 편입, 기존 9대 전략 산업을 10대 전략 산업으로 확대하는 한편, R&D 확대,

창업 확산, 해외시장 진출 등 민간의 투자를 자극할 수 있도록 4대 중점 추진 전략을 보완하였

다(미래창조과학부, 2016.5).

[그림 4-5] 「K-ICT 전략 2016」 비전 및 목표

2) 「K-ICT 전략」 추진성과

첫째, 통신, 방송 등 기존 정보통신 기술 산업의 역동성을 높이고 정보통신 기술 융합, 차세대

디바이스, ICBM(IoT, Cloud, Big Data, Mobile), 지능 정보 기술 등 신산업 분야의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10대 전략산업을 집중 육성했다.

Page 24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30

<표 4-7> 「K-ICT 전략」 주요 성과(2015년~2016년)

분야 주요 성과

① 소프트웨어� R&D를 기업친화형・성장단계별로 정비, SW융합클러스터 조성, 조선해양

ICT창의융합센터 설립

② 정보보안

� 특성화대학 지정, 정보보호 특기병・사이버의경 선발, 사이버안전 大진단

실시, 정보보호최고책임자 핫라인(4,100여개 기업) 구축. 해외 4대 진출

전략거점 구축

③ IoT� 실증단지(스마트시티, 헬스케어 2곳) 조성, 세계 최초 G20 국가중 IoT 준

비지수 2위 국가 선정, IoT 전용 전국망 구축

④ 클라우드� 「클라우드컴퓨팅법」 제정, 제20대 총선에 클라우드 기반 선거관리 서비스

를 제공, 예산 75% 절감하는 등 공공부문 성과 도출

⑤ 빅데이터� 전문기업 육성・지원, 범정부 개인정보 가이드라인 제시 등 빅데이터 활용・

확산을 위한 기반 마련

⑥ 지능정보� 지능정보산업 발전전략 수립으로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사회 변

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관련 산업 육성 기반 마련

⑦ 5G � Pre-5G 시범서비스 제공, 세계 최초로 5G 퍼스트콜 성공

⑧ UHD� 지상파 UHD 방송 주파수 분배, 700㎒대역 수도권 채널배정 및 DTV대역

(470~698㎒) 재배치 계획(안) 마련

⑨ 디지털콘텐츠� 최대 K-pop 행사인 KCON에서 우수기업 전시관 운영(2015.8), 플래그십

프로젝트, ’가상증강현실’ 국가전략프로젝트 추진(2016)

⑩ 스마트디바이스� K-ICT 디바이스랩 개소・운영(송도, 판교, 대구 등 6개소), ‘K-ICT 디바이스

랩’을 통한 맞춤형 전주기 제품화(2016, 220건) 및 투자유치(2016, 18건)

둘째, 정보통신 기술 산업의 체질을 강화하기 위해 기술혁신 가속화, 창의인재 양성, 창업벤

처 글로벌화를 추진하였다. 기술혁신 가속화는 시장・수요 기반의 정보통신 기술 R&D 제도

개편을 의미했는데, 이를 위해 R&D 바우처, 중소기업 R&D 패스트 트랙, 자유공모 방식의

창조씨앗 R&D를 도입하였다. 창의인재 양성은 창의적 SW 교육 기반 마련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고, 이를 위해 초중등 SW 교육 필수화, 선도학교 운영을 추진했다. 창업벤처 글로벌화는

민간과 시장 중심의 창업・성장・해외진출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분산된 정보통

신 기술 창업벤처 지원 정책을 ‘K-Global’이라는 단일 브랜드로 통합・연계하고 ‘스타트업

캠퍼스’를 운영했다.

셋째, 정보통신 기술 융합투자 확대를 위해 융합 서비스 확산, 융합 규제 개선, 공공 수요

확대 등을 추진하였다. 융합 서비스 확산을 위해 창조비타민 프로젝트 등 대규모 융합 프로젝트

Page 24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31

를 추진하였으며, 부처협업 기반 정보통신 기술 융합 확산을 위한 초기 지원(미래창조과학부)

및 확산(각 부처 및 민간) 체제로 핵심 분야별 융합을 실현하였다. 융합 규제 개선을 위해서는

신속처리・임시허가 제도를 시행하고, 기업 등 현장과의 소통 강화, 핀테크 및 전자상거래 규제

개선을 추진했다. 또한 대기업 참여 제한, 기술성 평가 시 중소기업 가점 부여, 불공정 발주

모니터링 등을 통해 공공 SW 시장 내 중소 SW 기업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공공

수요도 확대되었다.

넷째, 글로벌 협력 강화를 위해 창업・벤처를 현지 지원하는 글로벌혁신센터를 확대하고,

「평창 ICT 동계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한 마스터플랜」을 마련하였으며, 중소 정보통신 기술

기업 해외진출 지원으로 8천만 달러 규모 계약 달성 및 1억 5천만 달러 수출을 달성하였다.

또한 한・미, 한・영 ICT 정책포럼 등을 개최하여 5G, 사이버보안, 지능정보 등 정보통신 기술

신산업 분야의 글로벌 협력 체계를 강화하였다.

제3절 정보통신 R&D 분야별 주요 성과

1. 전자 및 반도체 기술 R&D 성과

가. TDX가 가져온 통신 혁명

1960년대 전자 산업의 태동은 우리나라 경제 성장의 시발점과도 같았다. 1960년대에 전자

산업의 기초 체력을 확보한 우리나라는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초기 성장기를 거치며 발전을

위한 내실을 다졌다. 드디어 1980년대 전자 산업은 사회문화적인 통신 혁명을 거친다. 즉

경제 발전에 따라서 민간 부분의 통신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자식 교환기의 필요성이 날로

대두하는 상황에 놓였다. 1960년대 말부터 시작한 전자 산업은 산업체를 중심으로 발전해

온 반면에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에 이르는 통신 관련 전자 산업의 발전은 정부 출연

연구기관과 산업계, 정부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며 멋진 결과를 만들어냈다.

당시 정부는 전략적인 선택으로 1980년에 정부 주도의 연구 과제로 국내 교환기 기술 기반

구축을 추진하면서 관련 연구기관의 통폐합을 시도했다. 이에 따라 여러 곳에 산재해 통신

관련 연구를 진행하던 한국통신기술연구소와 한국전자기술연구소,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

Page 24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32

가 한국전기통신연구소로 통합됐다. 그리고 1982년에는 총 연구 기간 5년, 총 연구비 240억

원, 연인원 1300명을 투입해 시분할 디지털 전자 교환기(Time Division Exchange, TDX)를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그림 4-6] 최초의 개통에 성공한 TDX

(1982년 7월)

[그림 4-7] TDX 200만 회선 개통

기념식(1990년 3월)

당시 보통 수준의 공장 1개를 건설하는 데 50억 원이 필요했다. 이때 240억 원이라는 예산

투입은 상상을 불허할 정도의 막대한 규모의 연구 예산이었다. “저의 연구소 연구원 일동은

최첨단 기술인 시분할전자교환기를 개발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며, 만약 개발에 실패할 경우

어떠한 처벌이라도 달게 받을 것을 서약합니다.” 이는 당시 TDX 개발에 참여했던 한국전기통

신연구소의 주요 보직자들이 체신부에 제출했던 서약서 내용이다. 개발자들은 국가적으로 어

려운 경제 상황에서 가히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한 연구에 대해서 얼마나 절실하게 임했는지

를 여실히 보여주는 문구다.

이렇게 시작한 독자적 TDX 개발은 1985년에 TDX-1을 필두로 우리나라를 세계 10번째

디지털 전자 교환기 생산국 반열에 올려놓았다. 1991년에는 TDX-10 상용화로 222만 회선을

공급해 회선량으로는 미국 다음의 지위를, 가구 당 공급회선 수는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그러나 국내 통신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은 더 많은 통신 회선을 요구했고, 세계 시장으로의

수출을 염두에 둔 다음 단계의 교환기 TDX-100의 개발이 추진됐다.

수출 단계에서는 한국통신 같은 공기업과 대우와 삼성, LG, 한화정보통신 같은 산업계의

연합체가 주체가 돼 개발을 진행했다. 이 같은 노력은 1999년 10월 다양한 데이터 통신 능력을

포함한 대용량 교환기의 상용화 성공으로 이어졌다. 이 교환기는 음성망과 ISDN망, 지능망,

이동망, 신호망 등 다양한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다. 또 ISDN, PCS, AIN, IDLC, TMN 같은

다양한 유무선 첨단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첨단 통신망 기술은 우리나라가 인터넷

Page 24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33

강국으로 성장하는 초석이 됐다. 또 이렇게 만들어진 통신 분야에서의 국가적 연구 협력 체계는

이동통신 분야에서 세계 최초로 CDMA 기술을 성공적으로 상용화하는 데 바탕이 됐다.

나. 전자 산업의 쌀, 반도체

1980년대는 선진국 간의 반도체 기술 개발 경쟁이 매우 치열하던 시기다. 선진국들은 다가

오는 새로운 산업혁명의 필수 요소로 반도체를 상정하고, 이 분야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

엄청난 규모의 투자를 감행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역시 반도체 기술의 자립화를 위해서 연구개

발에 뛰어들었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은 1960년대 말 외국 기업의 조립생산 기지로 산업이

싹트면서 시작했다. 그리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상당한 연구 결과들을 도출해냈

다. 하지만 산업화에 필요한 인프라의 부족은 개발 기술의 상용화를 어렵게 했다. 이는 곧

상당기간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에 정체기를 가져왔다.

[그림 4-8]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기원이 되었던 국산 32K ROM

[그림 4-9] 국산화에 성공한 4M DRAM

우리나라의 반도체 기술의 발전은 IBRD 차관 도입으로 양산용 반도체 설비를 구축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최초로 검토한 반도체 소자는 ROM이었다. 당시 ROM 기술은 미국 VTI가

제안한 것으로 우리나라 현실에 가장 잘 맞았다. VTI는 NMOS 기술에서 상당히 안정된 공정을

확보하고 있었고, 양산 설비 체제도 우리나라가 갖추고 있는 설비와 호환성이 높았다. 한국전자

기술연구소는 VTI에 105만 달러를 기술료로 지급하고 선진 기술을 습득했다. 이를 바탕으로

1982년 10월에 우리나라는 최초로 반도체 기억소자를 생산했다. 자체 기술 개발과 달리 외국

기술 도입은 소극적인 기술 개발로 보일 수 있지만 이 선택은 우리나라 전자 기술 50년사에서

가장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는 기반이 됐다.

Page 24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34

이를 기점으로 우리나라 반도체 기술은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곧이어 64K ROM이 개발됐

고, 이는 1983년과 1984년 64K DRAM과 256K DRAM 개발로 이어졌다. 그러나 반도체

선진국들은 이미 1985년도에 4M DRAM의 시제품을 생산하고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1986년 10월 초고집적 반도체 기술 공동 개발 사업에 착수하며 기술 격차를 극복하고자 산・

학・연・관이 하나가 되어 노력했다. 이 과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기업이 중심이 되어 추진

됐으며, 1989년 2월 4M DRAM 개발로 성과를 드러냈다. 이 노력으로 우리나라와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는 1년으로 줄었다. 1992년에 64M DRAM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면서 우리나라는

명실상부한 반도체 강국으로 부상했다.

2014년 우리나라 반도체 생산 규모는 약 584억 달러로 세계 시장 3,360억 달러에서 16.5%

를 차지했다. 2013년에 일본을 추월한 후 2016년 현재까지 반도체 생산국 세계 2위를 유지하

고 있다(반도체산업협회, 2015). 수출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1995년에 14%를 차지한

뒤로 20년간 꾸준하게 10%대를 유지하며 수출 1위 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GDP 비중 역시

5~6%대를 유지하며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

반도체 소자와 장비, 설계 등 반도체 분야에 900여 개 업체가 있고, 여기에서 일하는 종사자

는 2014년 기준 13만 8,000여 명이다. 간접 인력까지 포함하면 40만 명에 달한다. 각 분야에

필요한 신규 인력인 7,000명을 공급하고 실무 교육을 할 수 있도록 대학과 세부 분야별로

전문 센터가 운영되고 있다(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2015). 이 같은 반도체 강국으로서의 외형은 메모

리 반도체에서의 절대적인 우위와 스마트폰, TV 같은 완제품 업체들의 선전에 힘입은 바

크다. 하지만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60% 이상을 차지하는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는 그동안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3~5% 내외의 점유율로 부진한 상황이다.

이제 우리 앞에는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두 가지 큰 변수가 등장했다. 하나는 무어의

법칙으로 지속돼왔던 집적화의 발전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기술적 변수다. 다른 하나는 반도체

수요와 공급에서 가장 큰 시장인 중국의 등장이다. 우리나라에서 반도체 소자를 처음으로

개발한 시점이 지금으로부터 50년 전인 1966년이었다. 세계 2위의 반도체 강국으로 성장한지

채 5년도 되기 전에 우리는 중대한 고비를 맞았다.

2. 컴퓨터・SW 기술 R&D 성과

컴퓨터・SW 기술은 크게 컴퓨터 시스템, SW, 게임 분야로 나누어서 다룰 수 있다. 컴퓨터

Page 24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35

시스템 기술 분야는 컴퓨터 HW와 컴퓨터 네트워크, 운영체제 등을 포함하고, SW 기술 분야는

시스템 SW, 파일시스템, 데이터베이스, 패키지 SW, 응용 SW, 내장형 SW 등 게임을 제외한

SW 전체를 포함하고, 게임 기술 분야는 게임 SW, 온・오프라인 게임 및 게임 제작 기술 등을

포함한다. 국내 컴퓨터・SW 기술은 도입기(1960년대~1970년대), 개발기(1980년대~1990년

대), 중흥기(2000년대 이후)를 거치며 단계적으로 발전했다.

도입기는 국내 제품이나 기술이 거의 없어 국외 컴퓨터・SW 수입을 통해 국내 기술 개발

방향을 정립하는 시기였다. 이 시기에는 1967년 경제기획원의 IBM 1401 소형컴퓨터 도입을

시작으로 외산 컴퓨터・SW의 국내 수입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후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

육성법」 제정 및 「과학기술 진흥법」 개정, 「행정 전산화 5개년 기본계획」 수립으로 전자정부

도입 및 국내 컴퓨터・SW 기술 개발의 발판을 마련하였다(과학기술부, 2008, pp.309; 행정안전부 2012, pp.22).

국내 게임문화는 1970년대 말부터 등장한 전자오락실을 통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개발기는 국가정보화 개발 전략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국내에 필요한 컴퓨터 시스템 및

SW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진 시기였다. 1982년 과학기술처의 특정 연구개발 사업으로 컴퓨터

기술 개발이 본격화되었다. 1984년 청와대에 전산망조정위원회를 구성하고 1986년에는 「컴

퓨터 프로그램 보호 및 전산망 보급 확장과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국가정보화

개발 전략을 마련, 정부의 본격적인 투자가 이루어졌다(과학기술부, 2008, pp.310). 개인용 컴퓨터에서

소형 마이크로컴퓨터 및 행정 전산망용 주전산기로 이어지는 일련의 컴퓨터 개발 사업들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를 통해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 컴퓨터 시스템 및 기반 SW, 응용

SW 개발 경험이 축적되고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각종 서비스 관련 솔루션들이 개발되었다(과

학기술부, 2008, pp.518). 1987년 「전산망 보급 확장과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을 통해 행정,

금융, 교육・연구, 국방, 공안 등 5대 국가기간전산망을 구축하고, 1995년에는 「정보화 촉진

기본법」을 제정하여 전자정부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행정안전부 2012, p.36; p.57). 국내 게임은 1980

년대는 디지털 게임기의 소형화, 경량화로 가정용 비디오 게임기가 등장하고 1990년대는 인터

넷과 개인용 컴퓨터의 대중화로 네트워크 게임이 주요 장르로 등장하면서 국내 디지털 게임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중흥기는 개발기에 확보된 기술 기반으로 인터넷 강국의 꽃을 피운 시기였다. 컴퓨터・SW는

초고속 인터넷 보급으로 정보 산업 뿐 아니라 산업 전반으로 융합 발전됨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

보다 시스템 SW, 응용 SW 기술 중심으로 SW 개발이 급속히 진행되었다. 특히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SW 기술 개발이 이루어졌

Page 25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36

다(과학기술부, 2008, pp.520~523). 2001년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행정업무 등의 전자화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정보통신부에서는 「정보화 촉진 기본계획」을, 행정자치부는 「전자정부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였다. 전자정부 개발 성과로 인터넷 정부 민원서비스인 민원24, 부동산

등기 전산화, 호적 전산화, 전자조달 나라장터, 인터넷 종합 국세 서비스, 교육행정시스템

운영이 시작되었다(행정안전부 2012, pp.75). 2004년에는 신성장 동력에 임베디드 SW가 선정되면서

임베디드 SW 개발이 본격화되었고(한국전산원, 2004, pp.2~3), 2000년대 후반에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등장으로 수많은 사용자들의 요구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처리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개발이 이루어졌다. 국내 게임은 휴대폰 보급으로 모바일 게임이 본격적으로 대중화되며

디지털 콘텐츠 분야의 중심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오늘날 인공지능(AI), 로봇,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지능정보 기술을 중심

으로 한 정보통신 기술이 제4차 산업혁명의 기반이 되고 있다. 이러한 지능정보 기술인 컴퓨

터・SW 기술은 현재뿐 아니라 미래에도 정보통신 기술 인프라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가. 컴퓨터 시스템 기술 개발의 변천

우리나라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컴퓨터 시스템 연구개발에 나섰다. 1980년대는 개인

용 컴퓨터와 소형 마이크로컴퓨터 기술 개발을 진행했고, 1990년대에는 행정 전산망용 주전산

기 개발 사업을 통해 중대형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했다. 2000년대는 인터넷 서비스에 적합한

컴퓨터 시스템들을 개발하였으며, 2010년대에는 유전체 분석용 슈퍼컴 개발을 시작으로 대규

모 고성능 슈퍼컴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1980년대는 소형 컴퓨터를 개발한 시기다. 금성, 삼성전자, 동양나일론, 한국전자통신연구

원이 공동으로 8비트 컴퓨터 개발에 참여해 1983년 3월에 HAN-8로 이름 붙인 국산 소형

컴퓨터를 개발했다. 1988년 8월에는 5개 기업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공동으로 교육용 소형

컴퓨터를 개발해 실업고와 정부기관, 연구기관에 5000여 대의 PC를 보급했다. 한편 1984년에

는 삼성반도체통신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국산 상용 컴퓨터 1호인 16비트 UNIX 마이크로

컴퓨터 SSM-16을 개발해 200대를 판매했다. 1987년에는 SSM-16을 개량 개발한 32비트

UNIX 마이크로 컴퓨터 SSM-32를 2,000대 이상 보급했다.

1990년대는 행정 전산망용 주전산기를 국산화하기 위해 중대형 컴퓨터 시스템을 집중적으

로 개발한 시기다. 1991년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관으로 삼성전자, 대우통신, LG전자,

Page 25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37

현대전자가 참여해 수퍼미니급 컴퓨터인 행정 전산망 주전산기(TICOM II)를 개발했다. 이

사업에 참여한 업체들은 TICOM 시리즈를 3000여대 판매해 국내 컴퓨터 산업을 일으켰다.

1994년에는 TICOM II의 성능을 5배 이상 개량한 고속 중형컴퓨터(TICOM III)를 개발했다.

1998년에는 TICOM III의 성능을 20배 향상시킨 고속 병렬컴퓨터(TICOM IV)를 개발했다.

TICOM IV는 시제품 개발을 완료했으나 IMF 경제위기로 인해 상용화는 유보됐다.

2000년대는 인터넷 서비스에 적합한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했다. 2001년에 고속 멀티미디

어 서버를 개발했다. 2006년에는 정보통신부 5대 대형 국책 과제의 하나로 방송과 통신 융합형

컴퓨터 시스템인 디지털 케이블 미디어 방송과 IPTV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에 적합한

차세대 인터넷 서버를 개발했다. 2010년에는 웹2.0, UCC, IPTV 같은 동영상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개 SW 기반의 대용량 저비용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 플랫폼(GLORY)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네이버, 다음, 엠파스, 싸이월드 등 국내 대표 포털 업체들과 공동으로

개발을 진행한 대규모 클러스터링 플랫폼은 공개 SW 기반의 리눅스 저가 서버를 1만대까지

확장 가능했다(과학기술부, 2008, pp.520~523).

2010년대는 특정 용도의 슈퍼컴퓨터 개발을 시작으로 고성능 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2015년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중심으로 개발한 유전체 분석용 슈

퍼컴퓨터 시스템은 계산 성능 가속, 입출력 성능 가속, 성능 가속 시스템 SW 기술 개발을

통해 개인 유전체와 단백질 분석 같은 신산업 융합 분야에 특화한 110테라플롭스의 성능을

제공한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6, pp.26~39).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확산에 따라 2010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는 클라우드 가상 데스크탑(DaaS)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고, 2014년

부터는 늘어나는 데이터 센터에 적합한 고집적, 저전력 컴퓨터 시스템인 마이크로 서버 시스템

을 개발하고 있다.

나. SW 기술 개발의 변천

1978년 「행정전산화 5개년 기본계획」이 설립됨에 따라 전자정부 도입을 위한 기반이 마

련되면서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는 TDX용 실시간 운영체제 기술과 국산 주전산기인

TICOM 시리즈에 탑재된 유닉스 운영체제 개량 기술을 주로 개발했다. 또 PC 환경을 위해

1993년에는 한국컴퓨터연구조합 주관으로 한국형 PC 운영체제인 K-DOS를 개발했다.

1990년대 말부터는 공개 SW가 활성화되면서 2007년 대표적인 공개 SW인 리눅스를 기반

Page 25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38

으로 한국형 공개 SW 표준 플랫폼을 개발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기

술은 1991년 TICOM II을 개발하며 SQL1을 표준으로 지원하는 관계형 DBMS 바다I을 함

께 개발했다. 이어 1994년과 1997년 각각 바다II와 바다III를 개발했다. 또한 2000년에는

XML 문서 저장・관리・검색에 특화된 인터넷 멀티미디어문서 DBMS 바다IV를 개발했다(과학

기술부, 2008, pp.518~523).

1990년대 말부터 초고속 인터넷이 빠르게 보급됨에 따라 인터넷 관련 기술의 발전도 빠르게

이뤄낼 필요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2001년 대형 국책 과제로 「차세대 인터넷 서버 기술개발

계획」을 수립해, 2002년부터 본격적으로 개발에 나섰다. 5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2006년 가입

자당 2~20Mbps 초고속 통신망 환경에서 최대 1만 명에게 HDTV급 고품질 프로그램을 실시

간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기술과 사용자 환경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서비스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

2003년 4월 전자정부전문위원회가 설치되고 31대 전자정부 로드맵이 확정・발표되어 행정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전자정부 SW 솔루션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2008년 72개

정보화 과제를 선정하여 정보자원을 통합하고 전자정부 서비스의 연계・통합이 진행되어 우수

한 전자정부 성과들이 창출되기 시작했다.

2004년 2월 미래 신성장을 위한 「IT 839 전략」으로 8대 서비스, 3대 인프라, 9대 신성장

동력을 수립되었다. 임베디드 SW가 9대 신성장 동력에 선정되면서 본격적으로 기술 개발에

나섰다(한국전산원, 2004, pp.2~3). 2005년에는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탑재해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과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임베디드 SW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 이후 2010년에는

AUTOSAR(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 표준 규격을 기반으로 한 자동차 전기

전자 제어장치 응용 SW 개발 솔루션인 자동차 전장용 임베디드 SW 플랫폼과 개발 도구 기술

을 개발했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2, pp.242~243; p.323).

2007년부터는 저비용 대규모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 솔루션 기술 개발에 나서 2011년 1만대

노드급의 단일 데이터 센터용 클러스터 기반 인터넷 서비스 솔루션 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스토리지의 성능과 신뢰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페타(1015)바이트 규모의 저비용 클라우드 스토리

지 SW 기술도 개발했다. 또 2013년에는 사용자의 PC 환경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서비스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는 클라우드 가상 데스크톱 SW도 개발했다(한국전자

통신연구원, 2012, pp.246~247; pp.343~344).

2010년대에는 음성 인식과 자동 통・번역 같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Page 25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39

2010년에는 수십만 개의 행선지명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고 음성으로 검색할 수 있는

단말기 내장형 한국어 대어휘 음성인식 SW 기술을 개발했다. 2011년에는 한・중・영 언어를

대상으로 한 이메일과 메신저 자동 번역기술을 개발해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진 사람들끼리

실시간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게 했다. 또 2011년에는 여행에서 통역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

형 한・영 자동통역 SW 기술을 개발했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2, pp.329~331).

빅데이터와 인공지능기술이 접목되면서 심층 질의응답이 가능한 차세대 지능형 지식처리

플랫폼의 진화에 발맞추어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2013년부터 10년간 엑소브레인 SW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엑소브레인 SW는 인간의 지식증강서비스를 위해 빅데이터로부터 스스로 학습

하여 지식을 축적하고, 시스템 및 기기 간의 자율협업방식으로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것이다(한

국전자통신연구원, 2014, p.34).

다. 게임 기술 개발의 변천

1970년대 말부터 등장한 전자오락실로 만들어진 한국의 컴퓨터 게임 문화는 1980년대

들어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면서 빠르게 발전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를 거쳐 PC 게임을

기반으로 오락실에서 즐기기 어려운 장르와 새로운 형태의 게임이 등장했다. 컴퓨터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발전은 PC 게임을 진화시켰다. PC 게임이 주를 이루던 1990년대 후반의 한국

PC 게임 시장은 1995년경부터 게임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질적・양적으로 크게 성장

했다. 2000년 들어서는 외산 게임 엔진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게임 개발 환경을 벗어나기

위해 국산 게임 엔진 개발을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기도 했다(윤형섭 외, 2012).

한국 게임의 역사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전사와 함께 했다. 한국 최초의 온라인 게임은

1996년에 서비스를 한 ‘바람의 나라’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p.45). 하지만 온라인 게임의 역사는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여러 명의 사용자가 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등장하

면서 시작했다. 또 1970년대에 근거리 네트워크 기술을 보급하면서, 클라이언트-서버 기술

또는 피어투피어(peer-to-peer) 형태의 네트워크 연결 기술을 활용한 게임이 등장하기 시작

했다. 이 당시 게임들은 서버 기반이었지만 1인용 게임이었다. 주로 텍스트를 기반으로 서버에

접속해 즐기는 형태였다. 이후 네트워크와 서버 기술이 발전하면서 수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온라인 게임이 등장했다. 2000년대에는 대규모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는 네트워

크・서버 게임 기술을 정부 지원으로 개발했다. 또한 대규모의 게임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버를

대상으로 부하를 테스트하기 위한 기술도 개발해 사용했다.

Page 25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40

온라인 게임은 PC 중심에서 모바일, 콘솔 같은 다양한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2000년대

후반부터 멀티 플랫폼을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기술이 등장했다. 한편 온라인 게임이 보편화되

고 사용자가 늘면서,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게임을 하는 사용자들도 등장했다. 이러한 부정

사용자들을 찾아내고 대응하기 위한 기술도 2010년 이후에 개발해 활용하고 있다.

한편 모바일 게임은 초기에는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번들 SW 정도로 여겼다. 기기 발전과

무선 인터넷 도입,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모바일은 주요 게임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한국콘텐츠진흥

원, 2015, p.53). 2000년대 들어서면서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구축한 뒤로

모바일 게임 시장이 열렸지만, 그 규모는 상당히 작았다. 2000년대 후반에는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고, 모바일 게임 엔진 기술이 발전하면서 모바일 게임 시장이 크게 확장했다. 소셜 네트

워크 서비스는 모바일 게임이 급격하게 성장하게 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p.57).

최근 모바일 기기의 성능 발전에 힘입어 PC 게임 못지않은 고품질의 모바일 게임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동시에 많은 사용자가 즐길 수 있는 온라인 게임도 가능해졌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 탑재돼 있는 관성 센서와 카메라, GPS 등 다양한 센서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모바일 게임도 등장해 서비스되고 있다.

3. 통신・네트워크 기술 R&D 성과

1960년대 이후 경제 성장과 맞물려 통신 수요가 급증하면서 정부는 「통신사업 5개년 계획」

을 추진했다. 정부 정책에 힘입어 1970년대 들어 전화 보급률이 증가하고 장거리 전화 자동화

가 이뤄졌다. 그러나 경제가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통신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전화

적체 현상은 날로 심각해졌다. 이에 정부는 전화 적체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교환기 기술을

도입・개발할 한국전자통신연구소를 1976년 12월 31일 한국과학기술연구소 부설로 설립했다.

1년 후 이 연구소는 체신부 산하 한국통신기술연구소로 독립하여 국내 통신 기술개발을 본격화

한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2, pp.111~112).

1980년대에는 국내 기술로 컴퓨터와 통신 기술을 결합한 TDX가 개발됐다. 이로써 우리나

라는 미국과 일본, 프랑스 등에 이어 세계 10번째로 디지털 전자 교환기를 자체 개발해 생산하

는 나라가 됐다. TDX의 개발은 막대한 수입 대체 효과와 기술력 향상을 가져왔으며, 무엇보다

경제 성장의 걸림돌이었던 만성적인 전화 적체를 완전히 해소하여 1가구 1전화 시대를 열었다.

Page 25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41

또한 TDX 개발 성공은 이후 전화망에 지능을 부여해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

기술, 디지털 이동통신용 CDMA, ATM 등 다양한 통신 기술을 개발하는 데 초석을 제공했다.

유선 네트워크의 근간인 디지털 전자 교환기를 개발하며 시작된 국내 통신 기술의 성공

신화는 디지털 이동통신 기술인 CDMA로 이어졌다. 1990년대 초 국내에서는 디지털 이동통

신 방식인 시분할다중접속(TDMA) 방식과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

할 것인지를 놓고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으며, 결국 미국 퀄컴의 CDMA 방식이 채택됐다.

이동통신 교환기는 TDX-10 교환기를 근간으로 개발에 돌입했고, CDMA 핵심 기술은 퀄컴의

기술을 적극 수용해 기술 개발에 나섰다. 결국 1996년에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CDMA

기술을 상용화했다. CDMA 이동통신 기술 확보로 축적된 능력을 바탕으로 우리나라는 휴대

인터넷 와이브로(WiBro), 4세대 이통통신 LTE시스템, LTE-Advanced 개발 성공까지 이동통

신기술의 진화를 선도한다.

한편 1992년에는 음성과 패킷 서비스 통합을 목표로 비동기전송모드 ATM 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또 1995년부터 국가적인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한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HAN/B-ISDN) 기술도 개발을 추진한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7번째로 ATM

교환기를 개발하여 이를 이용한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구축했으며, 2000년부터 상용 서비스를

개시했다. ATM 교환기는 이동통신에도 사용돼 대량의 이동통신 트래픽을 처리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인터넷 이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인터넷 트래픽을 처리하는 라우터 장비가

주목을 받았다. 국내에서는 2001년에 시작한 80기가비트(Gbps)급 에지라우터 기술 개발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한국통신, 삼성전자, LG전자, 한국네트워크조합, 다산네트워크, 성지

인터넷 등이 참여해 대용량 라우터 장비의 국산화에 성공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전자통신연

구원에서는 2008년 600만 플로우별로 차별화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품질 보장 액세스

라우터를 개발하여, 현재 국방망과 전자정부망 등 국가 공공망에 설치해서 운용하고 있다.

2004년에 정부는 정보통신 산업 가치 사슬의 종합적 육성을 위해 8대 신규서비스, 3대

인프라, 9개 신성장 동력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키기 위한 「IT 839 전략」을 발표했다. 「IT

839 전략」에 따라 휴대 인터넷 와이브로, 3G WCDMA, 유선 인프라 분야의 광대역통합망

(BcN) 기술 개발이 추진되는 한편, 파장분할 다중화 광가입자망 WDM-PON, 개방형 융합

서비스 플랫폼 등의 기술도 개발됐다(정보통신부, 2004b). 광대역통합망(BcN) 구축 계획은 2009년

에 초광대역융합망(UBcN)으로 발전한다(방송통신위원회, 2009a).

Page 25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42

가. 이동통신 강국 코리아를 견인한 CDMA

우리나라가 이동통신 산업에 뛰어든 것은 1980년대 중반이다. 1984년 한국이동통신이 처

음으로 차량 전화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1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했다. 1988년 서울올림

픽을 계기로 이동통신 분야에 대한 안보 제약을 해제하면서 수요가 급증했다. 1988년 말에는

이동전화 가입자 수가 2만 명으로 늘어났다. 1990년 말에는 8만 명에 도달하며 매년 100%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인구 1000명당 이동전화 보급률은 1990년 기준 1.72대로 스웨덴 53.53

대, 미국 20.76대, 일본 5.56대에 비해 매우 낮은 상태였다. 시설과 기술력 부족으로 통화

중 단절과 혼선이 자주 발생해 서비스 질의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아날로그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2세대 이동통신인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때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접속 방식이었다. 당시 미국에서는 TDMA 방식을, 유럽에서는 GSM(Group Special

Mobile) 방식을, 일본에서는 PDC 방식을 상용화해 세계 표준 방식으로 채택시키기 위한

경쟁이 한창이었다.

국내에서는 정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중심이 돼 미국의 벤처기업인 퀄컴이 개발한

CDMA를 기반으로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 개발에 나섰다. CDMA는 가입자 용량이 아날로그

방식의 10배, TDMA 방식의 3배 이상이었다. 또 전파 효율성과 기지국 배치에서도 TDMA

방식보다 뛰어난 신기술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새롭게 등장한 기술이어서 CDMA 방식으로

시스템을 개발할 경우 선진국의 시스템 기술 종속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세계 시장 진출에도 유리할 것으로 판단했다.

1989년부터 시작한 CDMA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 개발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중심

으로 LG정보통신, 삼성전자, 현대전자, 맥슨전자 등이 참여했으며, 1996년 세계 최초로

CDMA 상용화에 성공했다. 이후 국내 이동통신 산업은 폭발적인 가입자 증가에 힘입어 초고속

성장을 거듭해 나갔다. 특히 삼성전자와 LG전자를 비롯한 국내 휴대전화 제조업체들도 비약적

으로 발전했다.

이동통신 장비와 단말기 사업에서 대외 의존도도 급격히 감소했다. 1996년 말을 기준으로

국내에서 총 100만여 대의 단말기를 판매했는데, 우리나라 기업 제품이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Page 25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43

단말기뿐만 아니라 시스템, 중계기, 계측기 등 CDMA 통신 장비 생산도 활성화돼 우리나라

경제 발전에 획기적으로 기여했다. 이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는 2011년 기준으로 총 54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996년 세계 최초 CDMA 상용화 이후, 2006년 세계 최초 휴대 인터넷 와이브로 상용화,

2008년 LTE 시스템 핵심 기술 개발, 2011년 세계 최초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LTE-Advanced

개발 성공까지 이동통신 기술의 진화를 선도하며 우리나라는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고의

이동통신 강국으로 부상했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2, p.56~61).

나. 국가 초고속 통신망의 근간 광통신망

통신망의 전송을 담당하는 광통신 기술은 1978년부터 한국통신기술연구소에서 개발을 시작

했다. 1981년 구로전화국과 안양전화국을 잇는 12km 구간에 단파장(0.85㎛) 광통신시스템을

설치했다. 이후 세계적인 광통신 기술이 장파장(1.3㎛)으로 바뀌면서 1984년 45Mbps와

90Mbps 장파장 광통신 시스템에 대한 상용 시험을 연구소와 대전시외전화국 사이에서 진행하

고, 1985년부터 360Mbps 광통신 시스템 연구를 시작했다. 1986년부터는 565Mbps 단일모

드 광통신 시스템 개발에도 착수해 1991년 상용화에 성공했다. 565Mbps 광전송 시스템은

기존의 90Mbps 시스템에 비해 용량이 6배로 늘어 광섬유 1쌍에 음성 8064회선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대용량 전송 시스템이다.

신호 다중화 기술은 디지털 전송의 고속화와 다기능화를 위한 핵심 기술이다. 1980년대까지

1.544Mbps와 2.048Mbps 기본의 비동기식 다중화 기술이 주류를 이뤘다. 그러나 1980년대

말부터 통신망의 동기화와 함께 155.520Mbps 기본의 국제 단일 표준인 동기식 다중화 기술이

등장했다. 1989년 국내에서도 155Mbps급 동기식 광전송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기 시작

했다. 1992년 7월에는 155Mbps급 동기식 광전송 시스템인 SMOT-1을 개발했다. 이로써 우리

나라는 세계 7번째로 동기식 광전송 시스템 기술을 보유한 나라가 됐다. 이후 2.5Gbps 광전송

시스템 연구와 광대역 회선 분배 장비의 개발, 10Gbps 광전송 장치 개발, 광케이블 TV 시스템

개발, 그리고 100Gbps급 광다중 전송 시스템 연구 등 기가급의 전송 기술 연구를 계속 이어갔다.

1998년까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 한화정보통신은 10Gbps 광전송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상용화 과정을 거쳐 2001년부터 KT 시외 통신망에 양산 시스템을 투입했다.

2000년대 들어 가입자망 분야에서는 인터넷 서비스의 복합화, 다양화, 고품질화, 고속화

Page 25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44

추세로 인해 xDSL 등 기존 기술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광가입자망(FTTH) 기술을

개발했다. 2006년 2월 FTTH 첫 가입자 개통을 시작으로 6월까지 광주광역시 소재 10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FTTH 시설용량 6220 회선을 구축해 실가입자 1759세대 개통을

완료했다. 이러한 FTTH 인프라 구축 사업에는 국내 핵심 기술을 적용한 E-PON과

WDM-PON 장비를 사용했다. 1Gbps E-PON 시스템은 최대 20km 거리 내에서 DVD 동영

상 영화 1편을 5.6초에 다운로드 받거나, MP3 음악파일을 1초에 333곡 가량 전달할 수 있다.

즉 이 시스템은 디지털 TV와 고품질 영상, 고속 인터넷, 음성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VDSL보다 한 단계 높은 서비스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2012년에는 대용량 광통신 시스템의 핵심 기술인 ‘100Gbps 광 송・수신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100Gbps의 전송 속도로 1초당 DVD 3장 분량의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방안으로 주목

받았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이 기술을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운용하는 미래네트워크 연구시

험망(KOREN)에 적용해 대전-서울-대전 간 510km에 달하는 장거리 광전송 현장 시험을 진행

해 실용성을 입증했다. 또 산업체 기술 이전을 통해 최대 80km 떨어진 이동통신 중계국 간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100Gbps 광트랜시버’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는 데도 성공했다.

2013년에는 미국 벨 연구소(Bell Labs)와 함께 기존 인터넷보다 2.5배 이상 트래픽이 폭증

해도 동일한 서비스 품질을 누릴 수 있는 ‘차세대 대용량 코히어런트(결맞음) 광 OFDM 기술’

을 개발했다. 기존의 광통신이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온・오프 방식이었던 데 반해, 이 기술은

빛 고유의 성질 중 위상과 편광을 조절하는 원리를 이용했으며, LTE 방식(OFDM)을 적용했다.

2014년에는 각각 분리돼 있던 광・회선・패킷 장비를 하나로 통합하는 ‘오케스트라(Optical

Carrier Ethernet System & Tera Ready Access) 광인터넷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3.2Tbps급 광전달망 시스템과 가입자당 10Gbps를 제공할 수 있는 광가입자망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동안 개별 설치・관리되던 광・회선・패킷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합해 서비스

특성에 맞는 최적 전송 경로를 설정・제어할 수 있다. 오케스트라 지휘자를 중심으로 여러

악기가 하모니를 이뤄 교향곡을 연주하듯, 국내 여러 중소 장비업체가 함께 가입자망부터

전달망까지 토털 솔루션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컸다. 2016년에는 이 기술을 연구망인

KOREN에 적용하는 시연에도 성공했으며, KOREN 고도화의 일환으로 2017년 서울, 대전,

수원, 판교 4개 사이트에 구축될 예정이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2, pp.161~164; pp.203~204; pp.263~264;

pp.376~37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7, pp.79~80).

Page 25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45

4. 방송・미디어 기술 R&D 성과

우리나라 방송은 1927년 2월에 경성방송국이 개국해 출력 1kW, 주파수 870kHz로 라디오

방송을 개시하면서 시작했다. 라디오 방송은 전파와 음성을 이용해 음성 정보를 전달하는

유일한 수단이었다. 1932년에는 일본어 방송과 분리한 한국어 방송 채널을 확보했다. 1960년

대에는 KBS, MBC, DBS 등의 중앙 방송국뿐만 아니라 많은 지역 방송국이 개국하면서, 라디

오 연속극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TV 방송이 본격화되기 전까지 라디오는 뉴스와 정보

전달 뿐만 아니라 연예 오락과 스포츠 중계를 포함하는 가장 중요한 매체로 자리 잡았다.

1956년에는 흑백 TV 방송이 시작됐으며, 1980년 12월에는 흑백 TV로도 수신이 가능한

컬러 TV 방송이 시작됐다. 1970년대 초 TV 수상기 보급 대수는 90만 대 정도에 불과했다.

그러나 점차 수상기 보급수가 늘어나면서 TV의 영향력은 급격하게 커졌다. 상대적으로 라디오

방송은 음악과 생활 정보 위주의 편성을 통해 생존 전략을 마련해 나갔다.

1980년대에는 TV 방송 역사에 획기적인 일들이 여럿 있었다. 1983년 6월에 시작한 이산가

족 찾기 생방송은 이후 4개월에 이르는 기간 동안 1만 명이 넘는 이산가족이 재상봉을 하는

감격을 맛보게 했다. TV 미디어의 영향력을 유감없이 발휘한 일대 사건이다. 1986년 아시안게

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은 새로운 첨단 기자재의 도입과 개발을 촉진했으며, 스포츠 중계방송

기술을 크게 성숙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

1990년대는 뉴미디어 방송이 등장해 본격적인 다매체, 다채널 시대로 돌입한 시기다. 1995

년 3월 케이블 TV가 본방송을 시작했고, 1996년 7월에 KBS는 무궁화 위성을 이용한 위성

시험 방송을 시작했다. 기존 지상파 방송 외에 케이블 TV, 위성 TV 같은 뉴미디어 방송을

포함한 다원화된 방송 시대가 열린 것이다.

또한 1990년대는 방송의 디지털화를 위한 기술 개발과 표준화를 본격적으로 진행한 시기다.

1997년 3월 방송사를 포함한 산・학・연 전문가들이 지상파디지털방송추진협의회를 구성해

국내 방송 표준에 대한 검토를 시작했다. 협의회는 미국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방식을 표준으로 채택할 것을 정부에 건의했고, 그 해 11월에 ATSC

방식은 국내 표준으로 확정됐다.

방송위원회는 2000년 12월에 지상파 TV 방송을 디지털로 전환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

했다. 정보통신부는 2001년 KBS1, KBS2, MBC, SBS, EBS 등 5개 디지털 방송국을 허가해

본 방송을 시작했다.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은 이동 수신이 가능한 유럽 방식과 그렇지 못한

Page 26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46

미국 방식 기술 표준 채택에 대한 논쟁으로 당초 계획보다 4년 정도 지연됐다. 디지털 TV

이동 수신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을 응용한 새로운 방송 서비스를 통해 해결하

는 것으로 정리했다.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은 세계 최초로 새로운 DMB 모바일 방송 표준을

만들고 서비스했다. 지상파 TV 방송은 2012년에 디지털로 전환하고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했

다. 위성 방송과 케이블 방송도 2000년대에 각각 디지털 전환을 추진했다.

디지털 TV 방송 기술의 핵심에는 디지털 전송 기술과 함께 오디오와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로 표현하고 압축하는 기술이 있다. CD 한 장에 영화 한 편을 수록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한

것이 MPEG-1 표준 압축 기술이다. 이어 고화질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MPEG-2 압축 기술을

개발해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채택하며 본격적으로 디지털 방송 시대를 열었다. 우리나라는

초기부터 MPEG 기술 개발과 표준화에 참여해 많은 기술을 표준에 반영시켰다. 또 DMB

방송처럼 MPEG 기술을 가장 앞서서 도입하는 선도적 역할을 했다.

2000년대는 방송의 디지털화와 함께 방송・통신 융합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린 시기다. 다양

한 형태의 추가 데이터를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송출하거나 게임과 퀴즈 참여 같은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졌으나 보편적인 서비스로 받아들여지지는 못했

다. 인터넷 광대역화 진행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TV급 방송 서비스도 등장했다. 통신 사업자

를 중심으로 IPTV 서비스를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IPTV는 기존의 VOD 및 실시

간 방송뿐만 아니라 양방향 통신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다.

2010년대는 할리우드에서 시작한 3D 입체영화의 흥행으로 3D TV 기술이 떠올랐다. 새로

운 시장 창출이 필요하던 TV 제조업체의 3D TV 기술 개발과 함께 3D TV 방송 기술 개발과

표준화가 이뤄졌다. 3D TV 방송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SBS는 상당 기간 동안 3D TV 시험

방송을 실시했다. 그러나 안경 착용의 불편함과 콘텐츠 부족 등으로 아직 3D TV 방송은 서비

스 상용화에 이르지 못했다.

한편 고화질 TV 방송을 향한 기술 개발은 HDTV를 거쳐 UHD TV로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

라는 UHD TV 방송 기술 개발과 표준화, 서비스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다. 2016년 6월

국내 표준 초안을 만들어 2017년 세계 최초로 지상파 4K UHD TV 방송을 실시하였으며,

국내의 많은 연구기관은 UHD TV 방송을 위한 비디오 초고압축 기술의 세계 표준에 적극적으

로 참여하여 많은 기술을 채택시키고 있다.

Page 26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47

가. MPEG 표준화와 디지털 TV 방송 기술 개발

MPEG은 ISO/IEC 산하의 동영상 압축 기술에 대한 표준화 그룹의 별칭이다. 현재 모든

사람이 보편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동영상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 비디오 압축 기술의 대표

명칭이기도 하다. MPEG은 1988년에 시작해 CD 한 장에 영화 한 편을 담기 위해 개발한

MPEG-1 표준으로부터 디지털 TV 방송에 채택한 MPEG-2와 MPEG-4 표준, 그리고 2013년

에 완성해 UHD TV 방송 표준에 채택한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기술에

이르기까지 비디오 압축 기술의 발전 역사를 그대로 담고 있다. 산업 파급 효과 또한 엄청나다.

DMB와 MP3 플레이어, DVD, 디지털 캠코더, 감시 카메라, 휴대폰, PMP, 전자사전, 네비게이

터 단말, 심지어 디지털 시네마 등 멀티미디어가 몰고 온 새로운 문화 패러다임의 중심에

MPEG가 자리 잡고 있다.

MPEG에서는 비디오 압축 기술뿐만 아니라 오디오 압축 기술과 전송 포맷 기술도 표준화하

고 있다. MP3라는 이름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오디오 파일 포맷도 MPEG-1 Layer 3 오디오

압축 기술을 지칭하는 용어다. 우리나라는 MPEG-2 표준까지 삼성전자가 일부 기술을 반영시

킬 정도로 미미하게 활동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에 시작된 MPEG-4 표준화 활동부터는

산・학・연의 다수 기관이 본격적으로 참여해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MPEG-7 멀티미디어

색인과 검색 표준, MPEG-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표준, 그리고 실감미디어 관련 MPEG-V

와 미디어 응용 포맷에 대한 MPEG-AF(Application Format) 표준 등 비디오 압축 기술에

한정하지 않고 미디어 활용 확대와 새로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표준화하고

있다. MPEG의 많은 분야에서 우리나라 기관들이 활동을 선도하거나 기술을 채택시키고 있다.

2000년대 초에 등장한 휴대형 MP3 플레이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상용화했다. 아날

로그 시절에 일본의 소니가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던 카세트 플레이어를 대체하는 패러다

임 변화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애플은 대용량 메모리와 혁신적인 UI를 갖춘 아이팟을 발매하

고, 아이튠즈라는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새로운 디지털 음악 유통의 생태계를 만들어 MP3

플레이어 시장을 석권했다. 기술 선도로 산업적 성공 효과를 가져왔으나 새로운 혁신 기술에

의해 사라지는 대표적인 사례이기도 하다.

반면 MPEG-4 비디오 압축 표준에 많은 기술을 채택시킨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DMB

모바일 방송 표준을 만들면서 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 기술을 채택하며,

이 기술의 산업 적용을 앞당기는 계기를 만들었다. MPEG-4 AVC 기술은 유럽의 HDTV

Page 26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48

방송 표준과 대부분의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MPEG-4 AVC보다 두 배의 압축 성능을 갖는 MPEG-H HEVC 비디오 압축 기술의 표준화도

국내 기관들이 선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상당수의 지식재산권도 국내 기관들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HEVC 기술과 함께 MPEG-H 3D 오디오 기술과 전송 포맷 분야의 MMT(MPEG Media

Transport) 기술 표준에도 국내 기관들이 주요 기술을 채택시키면서, 이제는 MPEG 표준화를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했다. 우리나라는 특히 MPEG 포럼을 중심으로 국내 기관들의 국제

표준화 활동에 대한 노하우, 국가적 대응책 마련과 최신 표준 기술 동향 전파 등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 MPEG 국제 표준화 회의에 세계 최대의 대표단을 파견하고 있으며, 의장단

진출 등 우리나라 국가 이익을 적극적으로 표준화에 반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그간 MPEG

표준에 채택된 기술이 많은 응용 분야에서 표준으로 채택되거나 활용되면서 향후 막대한 기술

료 수입도 기대하고 있다.

나. DMB 모바일 TV 방송 기술 개발

방송이 디지털화되면서 기존 아날로그와 크게 달라진 점 중의 하나는 이동 중에도 언제

어디서나 선명한 TV 방송을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라고 부르는 새로운 지상파 TV 이동 방송 방식을 국내에서 세계 최초로 표준화

하고 방송을 서비스하면서 이뤄졌다. 지상파 DMB는 집이나 사무실 같이 TV가 설치된 공간을

벗어나서 야외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나 기차 같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미디어를 소비할 수 있는 시대를 여는

촉매제 역할을 했다.

지상파 DMB는 1993년에 표준화에 나서 2000년에 완성된 MPEG-4 AVC 비디오 압축부호화

기술과 유럽에서 표준화된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방송 표준을 그 근간으로 완성했

다. DMB 방송 방식 개발 배경에는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방식의 이동 수신 성능에 대한

논쟁이 계기가 됐다. 그러나 이동 수신이 가능하다고 주장한 유럽 방식도 완전한 이동 수신을

보장할 수 없어 국내에서 새로운 방식을 개발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에 MPEG-4 기술

표준화 활동과 더불어 디지털 방송 기술 개발을 활발히 하고 있던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관련

기업체, 학계와 협력해 2004년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Page 26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49

지상파 DMB 방송 표준은 2001년 8월에 차세대방송표준포럼에서 1차 표준화 회의를 시작

해 2002년 10월에 완성한 표준안을 정보통신부에 제출했다. 2002년 12월 정보통신부는 「지

상파 DMB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지상파 DMB 방송은 2001년 8월에 아이디어를 구체화한

이래 모든 기술적이고 정책적인 과제를 해결하고 2005년 12월 수도권에서 본방송을 시작했

다. 4년 남짓한 기간에 새로운 방송 기술과 표준, 정책, 상용화를 완성하는 국내 방송사에

획기적인 성과를 이뤘다.

DMB는 표준을 만들었으나 산업화로 연결하지 못했던 MPEG-4 비디오 압축부호화 기술의

상용화를 크게 확산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 또 MPEG-4 표준 기술 개발에 노력을 기울인

국내 기업과 기관들에게 혜택이 돌아가게 만든 기술적 성과다. DMB 방송 표준은 이후 국제

표준화 기구인 월드DAB포럼과 함께 유럽의 표준인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표준으로 제안되었고, 2005년 ETSI에서 지상파 DMB 방송 표준으로

채택됐다. 이는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창안한 주요 방송 방식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된 첫

사례다. 지상파 DMB 방송은 휴대폰과 카네비게이션에 수신 기능을 포함시켜 대부분의 국민이

활용하는 서비스로 성장했다(김용한, 2006). 최근 무선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고화질 비디오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쉬워졌다. 이에 따라 DMB 방송은 상대적으로 화질이 떨어지는 한계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다. 3D TV와 UHD TV 방송 기술 개발

2000년대 초 방송의 디지털화와 함께 새로운 방송 서비스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해졌다.

데이터 방송, 양방향 방송, 맞춤형 방송과 함께 현장감을 배가시켜주는 3D TV 방송도 디지털

기술 기반의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을 받았다. 3D 영상 서비스에 대한 시도는 1838년 영국

물리학자 휘트스톤이 스테레오스코프를 통해 그 가능성을 보인 이래로 꾸준히 이어져 왔다.

1950년대에 미국에서는 할리우드를 중심으로 3D 영화 붐이 일었다.

국내에서는 1990년대 말부터 디지털 기술 기반의 실감미디어 기술 연구를 추진했다. 2002

년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중심으로 HDTV급 화질의 3D TV 영상 획득과 전송, 디스플레

이 기술을 개발했다. 월드컵 기간 동안에 전국 10개 도시에 실시간 중계 전송을 하는 기술

시범도 선보였다. 이후 2005년에는 정보통신부 주관으로 산・학・연 전문가 60여명이 참여하여

「3D Vision 2020」이라는 기술개발을 기획했다. 이를 기반으로 안경식과 무안경식 3D TV

Page 26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50

기술 개발을 진행했다. 무안경식 3D 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매체로 DMB

를 선정해 2011년에는 모바일 단말로 3D 입체 영상을 즐길 수 있는 3D DMB 방송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기반으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응용 포맷(Stereoscopic Video

Application Format, AF)을 MPEG 국제 표준에 채택시켰다.

고화질 HDTV 방송 서비스가 활성화함에 따라 평판디스플레이 기술이 빠른 속도로 함께

발전했다. 약간의 기술 추가로 HDTV급의 3D TV 상용화도 가능해졌다. 마침 2010년 할리우

드에서 제작한 3D 영화 ‘아바타(Avatar)’가 크게 흥행하면서 새로운 3D 붐이 일어났다. 미디

어와 산업계는 3D 영화와 3D TV 방송 산업화 가능성을 기대했다. LG전자와 삼성전자는

각각 편광필터 방식과 액티브셔터 방식의 3D TV를 출시하고 세계적인 기술 선도와 함께

치열한 기술 경쟁을 벌였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3D TV 방송 기술 연구와

표준화를 진행하고, 다양한 형태의 3D TV 방송 방식을 검토했다. 국내에서는 2010년에 TTA

방송 표준위원회 산하에 3D TV PG를 신설하고, 기존의 HDTV 방송과 역방향 호환성이 확보

되는 3D TV 방송 표준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했다(김진웅, 2011).

2011년에는 국내 표준안을 완성해 이를 미국 지상파 방송 표준화 기구인 ATSC에 제안했다.

2013년 초 ATSC는 이를 3D TV 방송 표준으로 채택했다. 이와 함께 위성과 케이블 3D

TV 방송 표준도 제정하고, 지상파를 포함한 모든 매체에서 실험 방송을 했다. 2012년에는

대구 국제육상대회를 3D TV로 중계 방송하며, 3D TV 방송을 선도적으로 추진했다. 그러나

3D TV 방송은 본방송 서비스로 이어지지 못했다. 영화관과는 다른 시청 환경과 3D 콘텐츠

제작의 어려움 등 극복해야 할 한계가 높았다.

디지털 방송 전환 초기에 고선명 TV로 불리던 HDTV 방송은 이전의 아날로그 TV 방송보다

월등히 우수한 고화질의 영상과 5.1채널 서라운드 음향을 제공했다. 기술 발전은 여기에 그치

지 않고 더욱더 발전해 초고화질 TV(UHD TV) 방송 기술이 등장했다. UHD TV 방송은 기존

의 HDTV 방송에 비해 4배 더 좋은 영상해상도(4K UHD)와 HDR(High Dynamic Range)라

고 하는 더 사실적인 영상 표현 기술, 10.2채널 이상의 3차원 음향 기술을 표준으로 채택했다.

우리나라는 UHD TV 방송 기술 개발과 표준화, 서비스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다. 2016년

6월 국내 표준 초안을 만들어 2017년 세계 최초로 지상파 UHD TV 방송을 실시하였다.

일본은 1990년대 중반부터 먼저 UHD TV 연구를 시작해 4K UHD TV의 4배 해상도를 가지

는 8K UHD TV에 대한 기술을 개발했다. 우리나라는 상용화 관점에서 기술적으로 충분히

Page 26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51

성숙한 4K UHD TV 서비스를 먼저 시작해 세계 방송 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질 기회를 맞고

있다(조숙희, 전동산, 최진수, 2012). 삼성전자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비롯한 국내의 많은 기관은

UHDTV 방송을 위한 비디오 초고압축 기술인 MPEG HEVC 표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많은 기술을 채택시켰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전송 기술은 미국의 ATSC 표준에 채택돼 향후 서비스 활성화에 따른 막대한 로열티 수입이

발생할 것이 기대되고 있다.

제4절 정보통신 분야의 종합적 성과 및 전망

1. 정보통신 성과

가. 세계 속의 정보통신 기술 강국으로 도약

오늘날 대한민국이 정보통신 기술 강국으로 발전한 과정에는 지난 50년간 정보통신 기반

조성과 기술개발이 크게 기여했으며, 이는 정부를 비롯한 산업체, 대학, 연구기관들이 노력한

결실이라고 볼 수 있다. 국내 시장 경쟁을 통해 성장한 정보통신 기술 상품의 경쟁력이 점차

해외에서까지 인정받으면서 정보통신이 수출 효자 상품으로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게 된

것이다. 그 결과 1991년에 OECD 회원국 상위 절반 평균의 39%에 지나지 않았던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은 2014년 75%까지 증가하면서, 대한민국은 지난 25년 동안 가장 빠르게

성장한 OECD 회원국들 중 하나가 되었다(OECD, 2016).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보고서는 “한

국이 정보통신 분야에서 이룩한 발전은 기적이며, 더 이상 권고할 것이 없는 성공적 사례”로

평가한 바 있다. 무엇보다 한국은 이동통신과 초고속인터넷 분야에서 자타가 공인하는 최고의

정보통신 기술 강국이 되었다. ITU에서 발표하는 ICT 발전 지수(ICT Development Index,

IDI) 부문에서 우리나라는 최근 7년 기간 중 2009년과 2014년에만 2위였을 뿐, 나머지 연도에

서는 모두 1위를 차지했다. 2015년 IDI 순위는 1위 한국, 2위 덴마크, 3위 아이슬란드, 4위

영국, 5위 덴마크이다.

Page 26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52

<표 4-8> 주요국의 ICT 접근성 세부지표 현황(2010년 대비 2015년)

주: 국제인터넷대역폭 : 국가간 인터넷 이용을 위해 서비스사업자가 제공하는 트래픽의 총량(단위: bit/s)

자료: ITU (2015)

IDI는 정보통신 기술에 대한 접근성, 이용도, 활용 능력의 3가지로 구성되는데, 이중 정보통

신 기술 발전 정도로 많이 인용되는 접근성 지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한국이 정보통신 기술

강국임을 잘 알 수 있다. 주요국의 경우 2010년 대비 2015년 정보통신 기술 접근성 지수를

상승시킨 요인은 국제 인터넷 대역폭 증가와 이동전화 가입자 확대이며, 상승폭이 큰 국가는

중국과 일본이다. 한국은 정보통신 기술 접근성 지수의 상승폭이 0.36점이어서 전체 평균

상승치보다 낮고, 주요국 중 유일하게 유선전화 가입자 수가 감소하지 않았으며, 인터넷 이용자

대비 국제 인터넷 대역폭이 낮은 수준이다. 그렇지만 다른 국가와 달리 6년 전과 비교하면

인터넷 이용자 대비 국제 인터넷 대역폭이 3배 이상 확대되었고, 인터넷 접속 가구 비율은

2010년에 이미 96.8%를 기록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2015년 4,367만 명으로 전체 이동전화 대비 81.4%를 점유하고, 2016년 6월 기준 4,521만

명이 사용하여 세계 1위의 보급률(88%)을 기록하고 있다.

나. ICT 강국의 성공요인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기술혁신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ICT

강국으로 도약하였으며, ICT 산업을 국가경제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이끌었다. 이것은 정부가

정보통신 기술

접근성 연도 한국 덴마크

아이슬

란드영국 스웨덴 일본 미국 중국

①인구100명당

유선전화가입자수

2010년 58.9 47.1 60.9 53.8 50.5 51.5 47.9 21.6

2015년 59.5 33.3 51.5 52.4 39.7 50.1 40.1 17.9

②인구100명당

이동전화가입자수

2010년 104.8 115.7 107.2 123.6 117.2 96.8 91.3 63.2

2015년 115.5 126.0 111.1 123.6 127.8 120.2 98.4 92.3

③인터넷이용자대비

국제인터넷

대역폭(bit/s)

2010년 11,812 142,137 297,960 132,685 236,853 15,730 40,206 2,356

2015년 43,358 341,706 519,869 429,830 527,447 48,637 70,970 4,995

④컴퓨터보유가구

비율(%)

2010년 81.8 88.0 93.0 82.6 89.5 83.4 75.5 35.4

2015년 78.3 95.0 98.1 90.8 93.4 83.3 81.5 46.7

⑤인터넷접속가구

비율(%)

2010년 96.8 86.1 92.0 79.6 88.3 81.3 71.1 23.7

2015년 98.5 93.1 96.5 89.9 89.6 97.5 79.6 47.4

Page 26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53

통신 인프라 및 정보화 부문에 지속적으로 대규모의 투자를 감행함으로써 유치 단계에 있던

ICT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수요를 만들었고, 이렇게 성장한 ICT 산업이 다시 통신 인프라

고도화, 정보화 촉진, 새로운 서비스 창출에 기여하는 선순환을 완성한 데 힘입은 것이다.

우리나라가 ICT 강국으로 도약한 성공 요인으로 첨단 기술 개발, 산업 육성 지원, 인프라

구축, 국제 표준화, 고급 인력 양성, 생태계 조성 등을 들 수 있으나, 무엇보다 강력했던 것은

중대형 ICT 연구개발 사업의 추진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이미 2014년도에 GDP

대비 R&D 투자 비중 1위 국가로 올라섰으며, 그 중 정보통신 분야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980년대 중반부터 통신 사업자 출연금 및 정보통신진흥기금으로 추진한 국책 연구개발

사업의 국민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크게 나타난 것이다. 특히 통신 장비, 반도체, 이동통신

등 대표적인 선도 기술 분야에서 산・학・연이 공동으로 개발할 수 있는 추진 체계를 확립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했다.

통신 장비의 경우, 만성적인 전화 적체와 교환기의 국산화를 위해 범국가적으로 디지털

전자 교환기 기술개발을 기획했으며, TDX개발단 및 TDX사업단을 구성하여 디지털 전자

교환기의 연구개발 및 관리 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체제를 확립했다. 또한 통신공사에 사업지원

본부를 설치하여 통신 사업 경영 및 시설 운용에 필요한 기술을 자립할 체계를 마련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세계 10번째로 자체 디지털 전자 교환기를 운용하는 국가가 되었고, 1990

년대 중반에는 개발도상국에 상당한 수출까지 하게 되었다.

반도체의 경우, 1980년대 중반부터 「반도체 종합 육성 대책」을 수립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

소와 삼성반도체통신, 금성반도체, 현대전자 등 국내 주요 전자 산업 업체들과 공동으로 연구개

발을 추진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초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공동 개발(4/16/64M DRAM)에

집중했고, 10여년이 지나 성과를 얻으면서 메모리 반도체 세계 최강이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

다. 사업 추진 결과 1998년에는 국내업체들이 DRAM 세계 시장의 37.9%를 장악하면서 세계

1위의 DRAM 반도체 강국이 된 것이다. 연구개발로 기술력을 축적한 한국의 DRAM과 메모리

는 세계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여 지금도 한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

이동통신의 경우, 정부는 기업 또는 연구소가 독자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CDMA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외국의 원천기술 보유기업(퀄컴), 정부 출연 연구기관(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기 제조업체(삼성전자, LG전자, 현대전자, 맥슨), 통신 사업자(SK텔레콤) 등을 공동으로

참여시켜 대규모 국책 사업으로 추진했다. 또한 정부는 1991년 전문가의 기술 분석에 기초하

여 CDMA 기술을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선택했고 이동통신 사업자로 하여금 CDMA 방식으

Page 26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54

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 우리나라는 CDMA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여

오늘날 이동통신 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2. 정보통신 전망

가. ICT 산업 전망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스마트 기기가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생산성 향상에

의한 원가 절감까지 이루어져, 전체적인 ICT 산업은 3% 내외로 소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렇지만 VR, AR 등에 적용되는 실감형 콘텐츠와 신체 건강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수요가

증가하면 5%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한국은 미래 산업 구조 및 시장 수요를 대비하여

신기술 개발과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표 4-9> ICT 산업 중장기 전망(2016년~2020년)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생산

(조 원)

ICT 방송 서비스 72.4 74.3 76.2 78.5 81.0 83.8

ICT 기기 333.5 336.9 345.1 359.1 371.5 380.2

소프트웨어 38.6 40.6 42.4 44.0 45.6 47.4

합계

(증가율)

444.6

(1.3%)

451.7

(1.6%)

463.7

(2.6%)

481.5

(3.8%)

498.2

(3.5%)

511.4

(2.7%)

수출

(십억 달러)

ICT 기기 수출 172.9 172.8 176.2 179.9 185.5 188.5

ICT 기기 수입 91.3 94.5 98.6 103.2 107.0 109.3

ICT 기기 수지 81.6 78.3 77.6 76.7 78.5 79.2

자료: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2015), �ICT 산업 중장기 전망(2016~2020) 및 대응전략�.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보고서에 의하면, 2016년~2020년 국내 ICT 산업 생산은 연평

균 3.1%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2020년에 약 511.4조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분야별로는 정보통신 방송 서비스 83.8조원, ICT 기기 380.2조원, 소프트웨어 47.4조원 규모

이다(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정보통신 방송 서비스는 요금제 구조 변화에

따른 일시적인 매출 정체가 발생할 수 있지만, IPTV 및 콘텐츠 등 융합 서비스의 고성장

지속, 방송 시장의 안정적 성장에 따라 동기간 연평균 3.1%의 성장세가 예상된다. ICT 기기

시장의 경우 세계 경제의 완만한 회복에 따라 수출 증가세가 회복되겠으나 해외 생산 증가와

반도체 수출 부진으로 소폭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

Page 26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55

다. 부품 시장의 경우 기존 ICT 기기 수요는 줄지만 IoT 시장 확대 및 웨어러블 기기 등

신규 수요의 증가, 이에 따른 PCB 등 부품 수요의 증가로 생산액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SW 시장은 패키지 SW의 성장세, 정보통신 서비스 업체의 신성장 동력인 융합 서비스

및 해외 진출 확대로 연평균 4.0%의 다소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ICT 수출은 연평균 2.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0년에 약 1,885달러 수출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분야별로 통신 기기의 경우 성장을 주도하는 휴대 단말기 부문의 시장이

이미 성숙되었고 중국 업체가 약진하고 있으므로 수출 증가율도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방송 기기의 경우, 선진 시장의 프리미엄급 디지털 TV 교체 수요 및 미디어 가전의 진화에

따라 기존 미디어 제품을 대체하는 신제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PC

및 스마트폰 수요 정체에 따른 반도체 수출 둔화, 동북아 디스플레이 경쟁 심화로 부품 수출은

소폭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나. ICT 사회 전망

ICT 측면에서 바라본 미래 사회는 점점 더 연결되고 보다 똑똑해진 지능 사회로서, 모든

것이 디지털 데이터로 정의되는 새로운 질서가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

원은 �ECOsight 3.0 미래사회 전망�(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래사회연구실, 2015)에서 향후 기술이 만들어낼

불연속적 궤적은 지금보다 빠른 속도로 발전할 것이며 양자컴퓨터, 뇌과학 등 또 다른 혁신의

커브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래 기술 혁신은 철기의 탄생, 내연기관의 발명 등과 같은

과거 기술의 변화량 총합을 능가할 수도 있는 변혁을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기술 진화와

사회 변화에 적응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기술의 특성과 파급력에 대한 개인적 이해와 사회

적 동의인 ICT 문해력이 필수이다.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기계, 인간(시간, 공간, 경험), 사회

(지능, 접속, 데이터)의 세 영역에서 급격한 진화가 동시에 촉발되고 있다. 즉 ICT의 기하급수

적인 양적 성장은 각 영역이 서로 맞물려 발전하면서 타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사회 시스템

전체를 뒤흔들 파괴력을 행사하고 있다. 미래 기술이 가져 올 충격은 노동 구조를 변화시키고

일자리를 재정의함으로써 제조 경제에서 서비스 경제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는 접속 사회, 지능 사회, 데이터 사회를 포함하는 초연결 지능 정보 사회로 급속하게

접근하고 있다. 접속 사회는 모든 것이 연결되고 항시 접속 가능한 온라인 사회로, 소비자와

생산자를 직접 연결시킴으로써 온디맨드 경제(On-demand Economy), 긱 경제(Gig

Economy), 공유 경제(Sharing Economy) 등을 빠르게 확산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새로운

Page 27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56

일자리가 창출되어 불평등이 해소될 수 있다는 주장과, 고용의 질이 하락하여 장기적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접속 사회에서 ‘연결’에 대한 가장 큰 우려

중 하나는 개인과 국가 안보를 위협할 수단과 방법이 보다 쉽고 다양해지는 것이기에 기존

보안 개념의 재설정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지능 사회는 산업 혁명이 산업 사회를 생성시킨 것처럼, 고도로 지능화된 ICT 기술은 생산성

뿐 아니라 고용, 시장 등 사회 경제 시스템 구조 전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산업 사회에서는

기술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했으나, 지능 사회에서는 의료, 금융 등 기존 시스템과

고용 구조 외에 인간의 가치관까지도 변화시킬 것이다. 똑똑한 기계들의 출현은 현재의 직업을

재정의하고 기계와의 공존을 보편화할 것이기에 인간의 역할 강화, 새로운 윤리 문제 등에

대한 선제적인 해결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데이터가 사회・경제의 새로운 경제 원천으로 부각되는 데이

터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즉 데이터 기반의 합리적 의사결정 체계가 확립되고, 누구나 원하는

데이터를 쉽게 찾고 거래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사회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데이터 사회에서

는 스스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보유한

기업이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ICT 발전과 함께 데이터는 지능 정보 사회 실현의

핵심 인프라로 그 중요성과 위상이 강화 될 것이다.

다. ICT 기술 전망

물리, 화학, 기계, 의학 등의 분야에서 원천기술과 응용기술의 융・복합 현상이 심해짐에

따라 ICT 기술은 무한대에 가까울 정도로 파괴력을 가지게 될 것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ECOsight 3.0 미래기술 전망�(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래사회연구실, 2015)에서 ICT 및 융합 기술의 급격한

진화와 확산, 그리고 기술・인간・사회 간 상호 작용을 통해 만들어질 미래 사회 10대 변화를

예측한 바 있다. 또한 기술・인간・사회를 아우르는 통합적 관점에서 주요 50대 미래 기술의

핵심 이슈를 분석하면서, 향후 주목해야 할 7대 기술을 제시했다. 주목해야 할 기술은 딥헬스,

신약 개발 플랫폼, 로보 인터넷, 초급속 충전, 2차원 나노 물질, 블록체인, 데이터 캐피털리즘

등이었다. 이 7대 기술은 인공지능이 처음으로 만나게 될 융합 산업(딥헬스와 신약 개발 플랫

폼), 새로운 기계시대를 정의할 핵심 기술(로보 인터넷, 초급속 충전, 2차원 나노물질), 미래

자본의 집중과 분산에 관한 통제 주체(블록체인, 데이터 캐피털리즘) 등 3개 영역으로 구분되며

다음과 같다.

Page 27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57

딥헬스는 의료영상 데이터 기반 진단을 위해 딥러닝을 활용하기 시작할 것이고, AI는 개인

유전자 정보와 결합해 정밀 의학 시대를 실현하면서 의료・생활의 경계를 허물고 의료 산업을

재정의할 것이다. 신약 개발 플랫폼은 AI가 바꾸는 신약 개발로 인해 의약 연구의 전환점을

이끌 것이고 글로벌 IT 기업들은 신약 개발 플랫폼을 중심으로 경쟁하기 시작할 것이기에,

정보기술이 신약 개발 패러다임을 바꾸고 건강 혁명을 앞당길 것이다. 로보 인터넷의 경우,

IoT 기반 상호 연결을 통해 사물・로봇의 기능・지능이 확장되고 클라우드 로보틱스, 자율 제어

등이 핵심 기술로 부상하면, 표준화・프라이버시・규제 등이 연결된 기계 생태계의 이슈가 발생

할 것이다. 초급속 충전의 경우, 더딘 발전에도 불구하고 미래 융합 분야의 핵심으로 실험실

수준을 벗어나려는 초급속 충전 기술을 개발하고 차세대 에너지 혁명을 주도하기 위한 대규모

경쟁이 시작될 것이다. 2차원 나노 물질의 경우, 탄소 등의 나노 구조 물질이 컴퓨팅 소자로

더욱 활용되고 있고 컴퓨팅 소자로서 잠재력이 뛰어난 흑린이 발견되었기에, 신소재・신물질

개발 가속화를 위한 ICT 기술이 더욱 발전할 것이다. 블록체인은 정보의 탈집중화・분산화를

기반으로 한 강력한 암호화를 바탕으로 하기에 안전하면서도 혁신적인 서비스의 등장을 낳을

것이며, 금융뿐만 아니라 산업과 사회 전반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임명환, 2016). 데이터 캐피털

리즘의 경우, 데이터가 인공지능의 원재료로서 지능 사회의 새로운 경쟁 우위 요소로 인식되고

독점, 공개・활용 등 데이터 경제 이슈가 발생함에 따라, 프라이버시, 데이터 오남용 등에 대한

제도적, 기술적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발전할 것이다.

집필 임 명 환 (정책사)

김 석 환 (전기)

류 호 준 (전자)

유 현 규 (반도체)

김 성 운 (컴퓨터・SW)

김 상 기 (통신・네트워크)

김 진 웅 (방송・미디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Page 27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58

참 고 문 헌

과학기술부 (2008), �과학기술 40년사�.

김용한 (2006), “지상파 DMB 출현 배경과 국제 표준화 에피소드”, TTA Journal 105, pp.182~185.

김진웅 (2011), “국내외 3DTV 방송 표준기술 동향”, TTA Journal 137, pp.73~78.

미래창조과학부 (2013a), �2013 정보통신산업의 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2013b), �ICT R&D 중장기 전략 (2013-2017)�.

미래창조과학부 (2014a), �2014 정보통신산업의 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2014b),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미래창조과학부 (2015a), �2015 정보통신산업의 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2015b), �2015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2015c), �2016년도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개발사업 종합 시행 계획�.

미래창조과학부 (2015d), �창조 경제 실현을 위한 K-ICT 전략�.

미래창조과학부 (2016), “미래부, 슈퍼컴퓨터 자체개발 착수” (보도자료), 2016.4.5.

방송통신위원회 (2009a), �방송통신망 중장기 발전계획�.

방송통신위원회 (2009b), �방송통신위원회 2008 연차보고서�.

방송통신위원회 (2016), �2015 방송통신위원회 연차보고서�.

방송통신위원회・지식경제부(2008), �2008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윤형섭 외 (2012), �한국 게임의 역사�, 북코리아.

임명환 (2016),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과 전망�, Insight Report 201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통신부 (1995), �1995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정보통신부 (1996), �1996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정보통신부 (1997), �1997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정보통신부 (1998), �1998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정보통신부 (1999), �1999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정보통신부 (2000), �2000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정보통신부 (2001), �2001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정보통신부 (2002), �2002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정보통신부 (2003), �2003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정보통신부 (2004a), �2004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정보통신부 (2004b), �광대역통합망(BcN)구축 기본계획�.

정보통신부 (2005a), �지난 10년간 IT산업 성과�.

정보통신부 (2005b), �2005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Page 27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59

정보통신부 (2006a), “유・무선 통신서비스 가입자 수 통계(2016.1월말 현재)” 2006.3.29.

정보통신부 (2006b), �2006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정보통신부 (2006c), �2006년도 정보통신연구개발 시행 계획�.

정보통신부 (2007), �2007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ICT 산업 중장기 전망 (2016년~2020년) 및 대응전략�.

조숙희, 전동산, 최진수 (2012), “UHDTV 기술 및 표준화 현황”, TTA Journal 140: 49-54.

지식경제부 (2009), �2009 정보통신산업의 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지식경제부 (2010), �2010 정보통신산업의 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지식경제부 (2011), �2011 정보통신산업의 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지식경제부 (2012), �2012 정보통신산업의 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체신부 (1984), �1984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체신부 (1985), �1985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체신부 (1986), �1986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체신부 (1987), �1987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체신부 (1988), �1988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체신부 (1989), �1989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체신부 (1990), �1990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체신부 (1991), �1991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체신부 (1992), �1992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체신부 (1993), �1993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체신부 (1994), �1994년도 전기통신에 관한 연차보고서�.

한국전산원 (2004), �IT839 전략 분석을 통한 u-Korea의 서비스 발전방향�.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2015), “전자 산업 인력수급 전망 및 실태조사 결과” (KEA 공지사항).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5년사(1976~2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9권 제4호’ (보도자료), 2014.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래사회연구실 (2015), �ECOsight 3.0: 미래사회 전망�, Insight Report 2015-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6), �유전체 분석용 슈퍼컴퓨팅 시스템 연구개발 백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0년사�.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2007), �2006년 정보통신산업통계연보�.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차세대 게임플랫폼의 현황과 정책방향 연구�.

행정안전부 (2012), �2011 경제발전경험모듈화 사업: 전자정부제도 도입�.

ITU (2015), Measuring the Information Society Report 2015.

OECD (2016), 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16.

신문기사

“[한국 인터넷 대중화 20년](1) 정보화 운동의 주역, 안병훈 서재필기념회재단 이사장”, 조선일보, 2014.6.16.

“전자산업 50년, 새로운 50년” (기획연재 기사), 전자신문, 2008.1.14. ~ 2008.12.15.

“한국 반도체 50년” (기획연재 기사), 전자신문, 2016.6.29. ~ 2016.11.9.

Page 27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60

웹사이트

한국방송협회 수업자료, 방송역사(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bdudv&logNo=60044333637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성전보총국 설치와 전신사업 개시”

https://www.nipa.kr/cyber/historySub.it?value=history_1885_3

Jet Blue, “우리나라 최초의 전자제품들 (Part 1, 2, 3)”, 기억을 따라서 떠나는 시간여행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jandb86/220199259805

전기박물관, “한국의 전기역사”

https://home.kepco.co.kr/kepco/PR/F/htmlView/PRFAHP00203.do?menuCd=FN0605030103

전력통계정보시스템, http://epsis.kpx.or.kr/epsis/

Page 27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4장정보통신

261

미 주

1) 도시・농촌 간의 통신 서비스 격차 해소를 위한 전국 광역 자동화 사업과 10호 이상 자연마을 가입 구역화,

섬마을 전화의 자동화 계획이 1987년까지의 완성을 목표로 순조롭게 진행시켰고, 시외교환시설의 현대화도

1983년부터 No.4-ESS 및 AXE-10을 공급하여 1984년도에 이미 시설 수 전량(44만8천회선)을 디지털화함

으로써 완료되었다.

2) 한국전자통신연구소에서 수행하던 통신사업 운용지원 성격의 과제와 인력 일부를 이전시켜, 첨단기술 중심의

연구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국전자통신연구소를 전문화했다.

3) B-ISDN은 N-ISDN과는 달리 이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간의 이용자망 인터페이스에 전화, 화상, 광, 팩스

등 모든 정보의 교환이 가능한 ATM 교환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N-ISDN은 64Kbps∼1.5Mbps 정도

의 정보속도밖에 대응할 수 없는데 반해, B-ISDN은64Kbps∼600Mbps의 정보속도에도 대응할 수 있는 광

대역성을 지니고 있어 전송용량을 100배에서 400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B-ISDN은 멀티미디어성을

지니고 있어 1개의 통신회선으로 음성・데이터・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복수의 지역에 동시전송할 수 있는 장점

이 있었다.

4)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정부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에 차세대성장동력추진특별

위원회를 2004년 4월 신설했다. 이 위원회는 재정경제부와 과학기술부 장관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범정부

차원의 위원회로서 8개 부처 장관과 산업별 실무위원회 위원장들이 참여해 종합계획의 수립하고 관계 부처

간 이견을 조정했다.

5) 행정안전부 내의 정보통신 관련 조직은 구 정보통신부에서 이관된 정보화 및 정보보호 관련 조직을 포함한 정

보화전략실(정보보호기획관, 정보보호정책관, 정보기반정책관)이다. 문화체육관광부내의 정보통신 관련 조직은

구 정보통신부에서 이관된 디지털콘텐츠 관련 조직을 포함한 문화콘텐츠산업실(콘텐츠정책관)이다.

Page 27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27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원자력・에너지

│제5장│

Page 27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27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65

제5장 ❚ 원자력・에너지

제1절 개요

이 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관련 과학기술 분야, 그 중에서도 광복 이후 독립적으로

중요한 지위를 가지는 원자력과 청정 에너지 분야에 대한 발전사를 다루고자 한다. 원자력은

에너지 기술 중의 하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행정적 역사가 오래되고 독립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단독으로 서술하였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에너지원인 석유, 석탄 및 천연가스와 관련된 과학기술 분야는 여기에 서술하지 않았다. 또한

정부 주도의 과학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어 서술하였기에, 에너지 분야 공기업, 투자기관 및

민간 기업의 과학기술 개발부문 역시 정리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에너지는 열 에너지, 전기 에너지와 같이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1970년대 석유파동으로 대변되는 국제유가 변동 및 이에 따른 경제지표의 등락, 지구 대기온

도의 상승과 같은 사례에서 잘 드러나듯이, 에너지의 생산・전달・이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치・

경제・사회적인 이슈는 우리 주변에 항상 존재한다.

우리나라는 소비하는 에너지원의 96%를 수입하는 에너지 자원 절대 빈국이다. 국제에너지

협회(WEC)가 발간하는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에너지안보 분야 순위가 70위권으로, 전

세계 평균 수준에 못 미치고 있다. 원자력은 연료인 우라늄의 에너지 밀도가 높아 총에너지

생산 비용에서 우라늄이 차지하는 비용은 5% 정도에 불과하다. 그래서 전 세계적으로 원자력

은 ‘준 국산에너지’로 불리기도 한다. 이에 우리나라는 건국 초기부터 원자력 사용기술에 많은

투자를 하여왔다. 한편 청정 에너지 기술 및 재생 에너지 기술 등은 1980년대 석유위기 이후

연구가 시작된 분야로서, 비록 생산비용이 높아 상대적으로 시장에 적용된 사례가 적으나,

자원 빈국인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개발 투자가 이루어진 분야이다.

이처럼 본 장에서는 에너지 자원 빈국인 한국에서 원자력 기술이 초기 도입부터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에너지 절약에서 재생 에너지 등의 미래 에너지 기술 분야의

발전으로 연결되는 반세기 에너지 기술의 발전사를 다루고자 한다.

Page 28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66

제2절 원자력

한국은 1956년에 미국과 원자력 협력 협정을 체결하고, 1957년 국제원자력기구(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의 창설 멤버로 가입하여 국제적으로 원자력 기술을 도입할

수 있는 협력 창구를 마련했다. 이후 국내적으로는 1959년까지 「원자력법」을 제정하여 법적

기반을 확보했고, 원자력원과 원자력연구소를 설립함으로써 원자력 에너지 도입을 위한 법적,

행정적, 기술적 기반을 구축했다. 이어 연구용 원자로 건설을 추진하여 1962년 운전에 성공하

면서 원자력 시대를 열었고, 이후 연구용 원자로를 이용해서 원자력 에너지의 생성 및 이용과

관련된 기본적인 과학기술 활동을 수행했다.

상용 원자력 발전소는 1978년에 처음으로 가동되었다. 이후 원자력 발전을 지속적으로 확대

하면서, 원자력은 국가의 에너지안보를 강화하고 경제적인 전기를 대량 공급함으로써 경제사

회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원자력 발전을 통해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82%까지 낮추는 등,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했다. 특히 원자력을 통해 매우 낮은 가격으로

전기를 공급하게 됨으로써 국가 경제의 인플레이션이 억제되었고 국내 제품의 수출 경쟁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2009년에는 원자력 발전소와 연구용 원자로를 해외에 수출함으로써, 원자력 과학기술

은 명실상부하게 국가의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 하게 되었다. 나아가 2012년에

는 세계 최초로 일체형 원자로 설계를 승인받았고, 2014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에 설계 기술을

수출함으로써,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원자력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나라가 되었다. 이 장에서

는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에너지안보와 경제 성장에 기여해 온 원자력 과학기술 혁신의 과정을

정책적인 관점에서 기술하고자 한다.

1. 원자력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원자력 기술 도입기(1950년대 후반~1970년대 후반)

1953년 12월의 UN 총회에서 미국의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평화를 위한 원자력(Atoms

for Peace)”을 주창했고, 이를 계기로 미국은 자국의 원자력 과학기술을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한 각국에 전수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도 한국전쟁 이후 국가 재건을 위한 동력으로서

Page 28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67

원자력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1956년 2월에 미국과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

협정을 체결했고,1) 같은 해 7월에 미국 디트로이트 전력회사의 사장이었던 월터 시슬러

(Walter L. Cisler)가 이승만 대통령에게 우라늄이 들어 있는 25㎤ 크기의 작은 상자를 보여주

면서 처음으로 원자력 에너지의 위력을 실감하게 했다. 석탄의 220만 배가 넘는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원자력의 가치를 이해하게 되면서, 원자력 에너지를 통해 전후 에너지와 전력

부족을 해결하고 경제를 재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한 것이다(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p.84).

미국과의 원자력 협력 협정이 체결된 직후 1956년부터 1959년까지 정부는 원자력 이용

개발을 위한 국가적 정책 기반을 신속하게 구축했다. 1956년 3월에 정부는 대통령령 제1140

호에 의거 당시 문교부 기술교육국에 원자력과를 설치했고 원자력 정책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수행했다. 원자력과의 노력에 힘입어 1958년 3월에 「원자력법」이 제정되었다.

이어서 원자력원이 1959년 1월에 설립되면서 원자력 행정 조직이 구성되었다. 원자력원 산하

에 원자력위원회와 원자력연구소 등의 2개 기관이 설치되었고, 원자력연구소가 1959년 2월에

설립되어 우리나라의 원자력 과학기술 개발을 전담하게 되었다(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p.55; p.87; p.90).

원자력위원회는 원자력을 평화적으로 이용・개발하기 위한 최상위 국가 정책을 심의・의결하는

책임을 맡았다. 1959년 10월에 원자력위원회 규칙 및 초안을 심의하기 위해 제1차 원자력위원

회가 개최되었다. 그리고 한 달 후인 11월에 원자력위원회에서 「원자력 사업 5개년 계획」이

심의・의결됨으로써 국가 차원에서 원자력 이용・개발 사업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원자력원은 원자력 사업을 통해 선진국으로부터 원자력 과학기술을 도입할 목적으로, 원자

력 정책 기반, 즉 법, 행정 및 과학기술 조직을 구축하는 한편 원자로를 선진국으로부터 수입하

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다. 그 결과 1958년 12월까지 열출력 100kWt급 규모의 TRIGA

MARK-II 연구용 원자로를 미국의 GA(General Atomic)사로부터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TRIGA MARK-II가 당시 세계적으로 연구용 원자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었으며, 기능적으로도

국내에서 필요한 원자력 기초연구와 전문 인력 양성에 매우 적합하다는 점이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미국이 ‘평화를 위한 원자력 정책’의 일환으로 TRIGA MARK-II 수입에 필요한 자금의

약 절반을 제공한다는 점도 크게 작용했다. 정부는 사업비로 1958년 예산에 38만 2,000달러

를 책정했고, 미국 정부가 무상으로 지원한 35만 달러와 함께 총 73만 2,000달러를 원자로

및 부속 기자재 도입비로 확보한 뒤 사업을 추진했다(한국원자력연구원, 2009, pp.26~27).

1959년 7월에 이승만 대통령 등 3부 요인과 외교사절, 과학기술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로인 TRIGA MARK-II 연구로 건설을 위한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이후

약 2년 반 동안 노고 끝에 1962년 3월 19일 오후 4시 52분 원자로가 임계에 도달했고, 그

Page 28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68

후 제어봉 반응도 측정, 출력 보정 등을 거쳐 1962년 3월 23일에 100kWt의 정격 열출력에

도달함으로써, 우리나라에 ‘원자력 시대’가 열렸다(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pp.114~116; 한국원자력연구원, 2009, p.29).

그 후 방사성 동위원소에 대한 수요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원자력 기초연구가 활성화되면

서 보다 높은 중성자속(中性子束)의 필요성이 커지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한편으로는

운전 중인 TRIGA MARK-II의 출력을 증강시키고 다른 한편으로 보다 출력이 높은 연구용

원자로 2호기 도입을 추진했다(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p.116). 1967년부터 1969년 6월까지 TRIGA

MARK-II의 출력을 100kWt에서 250kWt로 증강하는 사업을 달성했으며, 1965년부터는

열출력 2MW 급의 제2 연구용 원자로 도입 계획을 추진했다. 3년 이상의 검토와 협의를 거쳐

제167차 원자력위원회에서 TRIGA MARK-Ⅲ의 도입이 의결되었고, 이를 근거로 Gulf

General Atomic(GGA)사와 제 2 연구로 도입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p.118).

1969년 4월에 착공한 후 3년 만에 1972년 4월 TRIGA MARK-Ⅲ는 임계를 거쳐 2MWt

정격 출력 운전에 성공했다. 연구용 원자로의 건설과 운영을 통해 한국은 원자력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학기술을 이해하기 시작했으며 동시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육성하게 되었다(한국원자

력연구원, 2009, pp.30~31).

원자력 발전 정책은 1962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1962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시작되면서, 장차 증가할 전력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대안

으로 원자력 발전소 도입이 검토되었다. 원자력원은 산하에 원자력발전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연계하여 원자력 발전의 사전 타당성 연구를 수행했다(박익수, 2002,

p.220). 원자력원을 중심으로 상공부, 한국전력 및 석탄공사가 참여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

의 도움을 받아 약 3년 동안 연구를 수행했다. 1965년 7월 대통령 직속 기관인 경제과학심의회

가 에너지 수급 계획을 검토할 당시 1975년까지 원자력 발전의 필요성이 예측되었고, 박정희

대통령은 원자력 발전의 도입을 일 년 앞당길 것을 지시했다(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pp.128~129).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끝나고 국내의 전력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1967년 원자력 발전을 위한 타당성 연구가 다시 수행되었다. 그 결과 1970년대 중반의 전력

수요를 고려할 때, 설비용량 500MWe급의 원자력 발전소를 도입해서 전기를 생산할 경우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p.131). 1968년 2월 범부처

조직인 원자력발전추진위원회가 발족했고, 3월에 제1차 원자력발전계획심의회에서 첫 번째

원자력 발전소 추진 방침을 확정했다(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p.131; p.134).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종료 시점인 1976년까지 500MWe급의 원자력 발전소 2기를 경남 동래군 장안면 고리 일원에

Page 28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69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1968년 6월부터 2년 동안 추진된 해외 공급자 선정 과정에서

원자력 발전소 2기를 건설하려던 정부의 계획은 자금 조달의 어려움으로 인해 1기로 축소되었

다. 1970년 6월 587MWe 급의 가압 경수로형 1기의 건설에 착수하여, 1978년 4월까지

상업 운전을 하게 됨으로써, 우리나라는 역사상 처음으로 원자력 에너지에 의해서 전력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고리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이 한창이던 1973년 10월 중동전쟁이 발발하면서 석유수출국기

구(OPEC) 회원국들은 석유 자원의 무기화와 국유화에 나섰다. 1972년 배럴당 3.0 달러 미만

이던 유가가 1974년에는 11.2 달러로 4배나 급등했다. 세계 각국은 자구책을 마련하기 위해서

노력했고, 특히 일본과 프랑스 등 에너지 자원이 없는 국가들은 국가 안보 차원에서 에너지

문제를 다루기 시작했다(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p.149). 우리 정부도 석유 위기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

방법의 일환으로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1976년 11월 미국의 웨스팅하

우스사와 원전 2호기 건설을 위한 턴키 방식의 계약을 체결했고, 이렇게 건설된 고리 원자력

발전소 2호기는 1983년 7월에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이 결정되면서 「원자력법」을 비롯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 및 운전

과 관련된 법령이 제・개정되었다. 1968년에 「전기 사업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원자력 발전

및 핵연료 제조 관련 사업이 포괄적으로 「전기 사업법」의 적용을 받게 되었다(이태준 외, 2012,

p.63). 1969년 1월에는 원자력 발전소 도입을 고려하여 「원자력법」을 개정, 검사 규정 및 원자

로 파괴죄를 신설하는 등 관계 조문을 보완했다(이태준 외, 2012, p.32). 이외에 1969년 「원자로의

건설 및 운영 관리 등에 관한 규정」, 1970년 「원자로 조종사 및 조종감독자 면허령」이 제정되

었다. 그리고 1969년 「원자력 손해 배상법」, 1975년 「원자력 손해 배상 보상 계약에 관한

법률」과 1978년 「전원 개발 촉진법」이 제정되었다.

원자력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면서 이를 이끌어갈 조직도 정비되었다. 정부 측에서는 발전과

규제를 분리하여 원자력 발전 행정은 상공부, 허가 및 규제 행정은 과학기술처가 담당하기로

했다. 1973년에 과학기술처 내에 원자력국이, 1976년에 상공부의 원자력담당과가 설치되었

다. 민간 부문에서는 국내 유일의 전력 회사인 한국전력이 원자력 발전소 건설 및 운영을 담당하

고, 한국원자력연구소가 원자력 과학기술 개발뿐 만 아니라 안전 규제 업무의 책임을 맡았다(한국

원자력연구소, 1990, p.134). 1976년에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의 엔지니어링을 담당하기 위한 한국원자

력기술주식회사와 핵연료 주기 기술 개발을 전담할 한국핵연료개발공단이 설립되었다.

원자력 발전소 1호기 건설 추진과 함께 정부는 「원자력 연구개발 및 이용 장기계획」(1969~

Page 28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70

1988)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원자력 과학기술 개발 종합계획으로서

국산 원자로 개발, 핵연료 및 노재료 개발, 방사선 및 방사성 물질 이용, 방사선 안전 관리,

기초연구 분야 장기 계획 등이 포함되었다(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p.170; pp.190~191; pp.288~289).

나. 원자력 기술 자립기 (1970년대 후반~1990년대 후반)

1970년대 말부터 원자력 발전 규모를 확대하고 관련 기술을 국산화하기 위한 정책이 추진되

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전력 수요 및 제2차 석유파동이 겹치면서 국가 발전과 경제 성장을

위한 에너지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의 확대와 관련 기술의 자립을 핵심 정책으로

추진하게 된 것이다. 무엇보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중화학 공업이 육성되면서 급격히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었다. 동시에 원자력 발전소는 과학기술 집약적이고

대규모 자본 투자를 필요로 했기 때문에, 국가 과학기술 및 경제 발전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커서 이를 국산화할 필요도 있었던 것이다.

정부는 엔지니어링의 국산화 및 국산 기자재 사용을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1979년 6월에 착공된 고리 3, 4호기부터 원전 건설의 계약 방식을 턴키에서 분할

발주 방식으로 변경하여, 국내 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했다.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소요되는 기자재 중 일정 비율을 국내 업체가 공급하는 조건으로 외국 업체에 기기 발주를

허용했던 것이다. 고리 3, 4호기의 경우, 1차 계통과 2차 계통의 총 기자재 금액의 10%와

11%를 각각 국산화하도록 외국 공급자와 계약할 때 명시하도록 했다.

1983년부터는 원자력 발전 기술 자립 정책을 추진했다. 정부가 원자력 발전소 건설의 국산

화와 기술 자립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1983년 7월에 「원전 건설 사업 장기 추진 방향」,

그리고 1984년 7월에는 「원자력 발전 기술 자립을 위한 기본방안」이 마련되었다. 이들 정책에

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 및 기자재 국산화율을 95% 이상으로

높이고 표준형 원전의 반복 건설로 건설비를 절감한다는 것, 원자력 발전 기술 자립 사업은

원전 11, 12호기, 즉 영광 3, 4호기부터 적용한다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다(KHNP, 2011, pp.208~209).

그리고 원자력 발전 기술의 자립을 위해 ‘공동 연구개발(Joint R&D)과 표준화(Standardization)’

라는 두 가지 핵심전략을 채택했다. 공동 연구개발 방식이란, 턴키 방식처럼 높은 기술 수준의

국가에서 낮은 국가로 수직적・일방적으로 기술이 전수되는 것이 아니라, 수평적으로 업무를

분담하고 상호 협력해서 문제를 해결하며 기술을 이전받는 방식이다. 개발도상국의 입장에서

공동 연구개발 방식을 택하면, 기술 능력의 부족으로 위험도 크지만 성공할 경우에는 매우

Page 28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71

효율적으로 선진국의 기술을 국산화 할 수 있었다. 표준화는 동일한 기술적 사양을 가진 원자력

발전소를 반복적으로 건설・운영하는 전략이었다(KAERI, 2007, p.136; pp.140~143). 우리나라는 선진국

으로부터 배우고 자립한 원자력발전소의 제작 및 건설 기술을 표준화하여 이를 후속 호기에

반복 적용함으로써, 소위 실행에 의한 학습(learning by doing)을 통해 자립된 기술의 완성도

를 높이고 경제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기술 혁신까지 도모할 수 있었다.

1984년 4월에 원자력 발전 사업을 주관하는 동력자원부가 「원자력 발전 기술 자립 계획」을

수립하면서 정부의 노력이 본격적으로 실행되기 시작했다. 그 일환으로 원자력 발전 기술

자립을 추진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조직 체제가 만들어졌다. 1984년 9월에 동력자원부

장관실에서 개최된 표준 원자력발전소 설계 사업 추진을 위한 정책협의회에서 기관별 역할

분담이 결정되었던 것이다. 이에 따르면 원자로는 한국원자력연구소, 핵증기 공급 계통 설계는

한국전력기술, 기기 설계 및 터빈 발전기와 보조 기기는 한국중공업, 핵연료는 한국핵연료㈜가

맡는 것으로 정해졌다. 그러나 1985년 6월에 개최된 제4차 전력그룹협력회의에서는 원자로를

포함한 핵증기 공급 계통 및 핵연료의 설계를 한국원자력연구소가 맡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한국원자력연구소의 경우 기술 인력을 확보하고 있었고 확고한 기술 자립 의지를 가지고 있다

는 판단 때문이었다(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p.243; 한국원자력연구원, 2009, pp.83~84).

1985년 3월 「제6차 전원 개발 계획」에는 구체적인 원자력 기술 자립 목표가 명시되었다.

영광 원자력 발전소 3, 4호기를 표준형 원자력 발전소로 채택하고 1995년까지 95%의 원자력

발전 기술 자립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한국전력㈜의 종합 사업 관리

하에 국내 업체를 주계약자로 하고 외국 업체는 국내 주계약자의 하도급자로 참여하도록 하는

국내 주도의 기술 자립 조직 체제가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최초로 국내 기관이 주계약자로서

원자력 기술 자립을 주도하게 되었다.

그 와중에 1979년 3월 미국의 쓰리마일 섬 원자력발전소 2호기에서 중대사고가 발생했다.

이어 1986년에 구 소련의 체르노빌 원전에서 대량의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

다. 세계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원자력 발전소 건설이 유보

또는 축소되면서 관련된 산업도 급격히 위축되었다. 이에 따라 원전 시장은 구매자 주도 시장으

로 바꾸었다. 그러나 천연 에너지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우리나라는 원자력 발전 산업의 진흥,

즉 원자력 발전소 확대 및 기술 자립을 멈출 수가 없었다. 이처럼 우리 정부가 일관된 원자력

발전 정책을 펼치면서, 국제적인 원자력 발전 산업의 침체는 오히려 우리나라의 기술 자립에

결정적인 기회로 작용했다. 선진국의 원자력 발전소 공급업체들에게 우리나라의 원자력 발전

Page 28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72

소 건설 시장은 놓칠 수 없는 중요한 공간이었던 것이다(KIM, 2011, p.64). 결과적으로 선진국 공급

업체들 사이에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 시장을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펼쳐졌고, 이로

인해 우리나라는 유리한 조건에서 선진국의 원자력 발전 기술을 전수받을 수 있었다.

1987년 4월에 우리나라는 미국의 ABB-CE(ASEA Brown Boveri-Combustion Engineering)

사의 System 80+ 원자력 발전소를 모델로 핵심 기술인 핵증기 공급 계통에 대한 10년간의

국제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뿐만 아니라 미국의 제너럴일렉트릭사(GE)로부터 터빈 발전

기 기술을, 미국의 서전앤룬디사(Sargent & Lundy)로부터 건설 엔지니어링 기술을 전수받기

로 계약했다(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p.245; Kim, 2011, p.71). 이들과 계약을 체결할 때 가장 주안을 두었던

것은 이전되는 기술의 우수성과 기술 이전을 위한 공동 연구 방식 그리고 기술 이전 조건이었

다. 특히 ABB-CE를 선택한 이유는 System 80+ 원자로가 안전성을 비롯해서 기술적 성능이

뛰어나다는 점도 있었지만, 해외 공급업체 중 ABB-CE사가 원자력 발전 기술의 국내 이전에

대해 가장 호의적인 조건을 제시했기 때문이었다. ABB-CE사는 원자력발전소 건설과 관련된

기술 정보, 특허 라이센스, 교육 훈련, 연구개발 참여 및 컨설팅을 국내 업체에 제공하는 데

합의했다. 특히 우리나라가 강력히 요구한 ABB-CE사 보유 기술의 이전에 대해 기술료를

받지 않는 조건(Royalty-free condition)에 합의했다. 이들 선진국 공급업체로부터 기술을

효율적으로 이전받기 위해 국내 기관은 외국 업체의 하도급 형태로 재계약해서 업무를 수행했

다. 예를 들면 핵증기 공급 계통의 경우 ABB-CE의 하청 기관으로 한국원자력연구소가 설계를

공동으로 수행했고, 제작은 한국중공업이 담당했다. 초기 노심 설계의 경우에는 한국원자력연

구소가 기술을 이전받고, 제작은 한국핵연료주식회사가 담당했다(한국원자력연구원, 2007, p.135; Kim,

2011, pp.71~73).

특히 원자력 발전소의 핵심 기술인 핵증기 공급 계통과 핵연료 설계 분야의 기술 자립을

위해 1987년 6월까지 한국원자력연구소는 ABB-CE와 ‘영광 3, 4호기 발전로 계통 공동 설계

계약’ 및 ‘발전로 계통 및 핵연료 설계 기술 도입 계약’ 등 2건을 체결하고 정부 승인을 얻었다(한

국원자력연구원, 2009, p.84). 이후 한국원자력연구소는 발전로 계통 공동 설계팀을 핵설계, 유체 계통

설계, 기계 설계, 제어 계통 설계, 안전 해석 및 설계 관리 분야 등으로 나누고, ABB-CE

기술진과 공동으로 영광 3, 4호기의 발전로 계통의 공동 설계를 수행했다. 1989년 5월 마침내

공동 설계에 의해 최초로 건설되는 1,000MWe 급 영광 3, 4호기의 예비 안전성 분석 보고서를

인허가 규제 기관에 제출했고 그해 12월에 영광 3, 4호기의 건설이 허가되었다(한국원자력연구원,

2009, p.85). 이처럼 원자력 기술 자립을 위한 많은 준비와 노력을 거쳐서 영광 3, 4호기 원자력

발전소는 1995년 3월과 1996년 3월 각각 준공되었고, 당초에 목표한 대로 1995년까지 원자

Page 28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73

력 발전소 건설 기술의 95%까지 국산화를 달성했다. 이후 영광 3, 4호기 원자력 발전소는

한국 표준형 경수로의 참조 모델이 되었다.

[그림 5-1] 원자력 기술 자립 사업 추진 체계

출처: KAERI (2007), p.138.

영광 3, 4호기 건설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력을 가지고 세워진 울진 3, 4호기는 처음으로

국내 기술진의 책임 하에 건설된 원자력 발전소이다. 울진 3, 4호기는 원자력 발전소 기술

자립을 위해 참조했던 미국의 ABB-CE사의 System 80+ 원자력발전소 설계를 크게 개선함으

로써 안전성 및 신뢰성을 높였다. 울진 3, 4호기는 설계 수명 40년으로 설계되었으며, 핵연료

의 열적 여유도(thermal margin)를 5% 이상으로 확보했고, 한국인의 체형 및 관행에 맞는

인간공학적 개념을 적용한 최신 제어 설비를 채택해서 운전원 실수에 의한 사고 발생률을

극소화했다. 또한 주요 안전 계통의 개선 및 보완을 통해 노심 손상 확률을 낮췄다. 이처럼

국내 기술진의 책임 아래 많은 기술이 국내 상황에 맞춰 개선되면서 울진 3, 4호기는 “한국

표준형 원전(Korea Standard Nuclear Plant, KSNP)”으로 명명되었다(한국원자력연구원, 2009, p.85).

울진 3, 4호기는 1989년 5월에 착공되어 1998년과 1999년에 각각 준공되었다. 원자력 발전

소의 독자적인 설계・건설 능력을 확보하게 되자, 정부는 전력 수요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기로 했다.

Page 28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74

한편으로 정부는 1979년 3월 미국의 쓰리마일 섬 원전 사고 이후, 이에 대응하여 원자력

시설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원자력 정책도 정비했다. 우선 원자력 안전 규제를 전담할

조직을 신설했는데, 1981년 12월에 한국원자력연구소 산하에 원자력안전센터를 설치하여

안전 규제를 담당하게 했다. 또한 「원자력법」을 개정하여 원자력 시설의 안전성을 강화했다.

1982년까지 원자력 시설의 인허가를 두 단계, 즉 건설 허가(Construction Permit)와 운전

허가(Operation License)를 분리하여 엄격히 심사하도록 「원자력법」에 규정했다. 1986년

4월에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원자력 관련 국제기구와 원자력 발전 국가들이 원자력 안전

규제를 한층 더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전개했고, 우리 정부도 이런 국제적 흐름에 맞추어

원자력 안전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전담 기관을 발족했다. 1990년 그동안 한국원자력연구소

산하에 있던 원자력안전센터를 독립・확대해서 원자력안전기술원을 설립한 것이다.

이와 함께 1980년대 중반 원자력 발전소 건설과 운영이 크게 늘어나면서 관련 법률도 정비

되었다. 1986년에는 제 10차 「원자력법」 개정을 통해,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방사성 폐기물 관리 기금 운영 및 핵무기 비확산 조약 등 국제적 약속에 따른 안전 조치 이행을

위한 ‘국제 규제 물자의 계량 관리’에 관한 규정을 마련했다. 1989년에는 발전소 주변 지역에

대한 지원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전원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발전소 주변 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다. 원자력 기술 선진화기(1990년대 중반~2010년대 중반)

1990년대 중반부터 원자력 선진국 진입을 위한 중장기 정책이 추진되었다. 정부는 원자력

이용을 평화적으로 확대하고 선진국 수준의 기술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원자력 연구개발

중장기 계획」(1992~2001)을 수립하고 1992년 6월에 개최된 제230차 원자력위원회에서 이

를 확정했다. 이 계획은 우리나라의 원자력 기술 능력을, 외국 기술을 수입・응용하는 개발도상

국 수준에서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선진국 수준으로 도약시키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었다.

1990년대 중반에 9기의 원자력 발전소가 운영되면서 세계 10위권의 원전 국가로 성장하고

원자력 발전 기술 자립이 거의 완성 단계에 접어들게 되자, 국가적으로 원자력 선진국 진입을

위한 새로운 장기 정책과 비전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원자력 이용 개발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정・관리하고 원자력 기술 및 산업의 선진화를 위해 종합적이고 일관된 장기

정책을 수립했다. 그것이 바로 1994년에 수립된 「2030년을 향한 원자력 장기 정책 방향」이었

Page 28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75

다. 여기에서 원자력 발전 산업을 총체적으로 선진화시키기 위한 국가 정책의 기본 방향으로

2030년까지 장기 원자력 정책 방향 및 4대 기본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10대 부문별

정책 방향이 제시되었다(원자력위원회, 1994, pp.9~12).

원자력 장기 정책 방향에 따른 국가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정부는 원자력 산업의 전반적인

진흥과 국제 경쟁력 향상을 위한 종합계획인 「원자력 진흥 종합계획」 도 수립했다. 이를 위해

1995년 1월 「원자력법」 개정을 통해 「원자력 진흥 종합계획」 의 수립 및 시행 근거를 마련했

다. 「원자력 진흥 종합계획」은 원자력 이용 개발에 관한 국가 최상위 계획으로서, 5년 동안의

계획을 수립・시행하고 매 5년마다 개정되도록 규정했다. 1996년 11월에 제246차 원자력위원

회에서 1997년부터 2001년까지 5년 동안 이행될 「제1차 원자력 진흥 종합계획」이 심의・의결

되었다(이태준 외, 2012, p.14).

1996년 12월까지 원자력 선진국 진입을 위한 조직 체제가 정비되었다. 한국원자력연구소에

서 수행하던 방사성 폐기물 관리 사업, 원자로 계통 및 원전 연료 개발 관련 사업과 전문

인력은 산업체로 이관되었다. 이와 함께 1996년 12월 「원자력법」을 개정하여 원자력 연구개

발 사업의 재원 확보를 위한 원자력 연구개발 기금을 설치했다. 이로써 그동안 추진되어 온

원자력 기술 자립을 완수하고 그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 능력을 바탕으로 세계적 수준의 원자력

기술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정책 기반이 구축되었다. 즉 「원자력법」의 개정을

거쳐서 「원자력 연구개발 중장기 계획」 및 「원자력 진흥 종합계획」이 수립되었고, 원자력

연구개발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원자력연구개발기금이 설치되었으며,

원자력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조직이 정비된 것이다.

「2030년을 향한 원자력 장기 정책 방향」과 함께 정부는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상실된

원자력의 안전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1994년 9월에 과학기술처 장관 선언으로

‘원자력 안전 정책 성명’을 발표했다. 이 성명을 통해 정부는 안전 최우선의 원자력 안전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독립성, 공개성, 명확성, 효율성 및 신뢰성 등 안전 규제 5대 원칙과 이를

구체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11개 항목의 안전 규제 정책 방향을 공표했다(오장진, 2014, pp.179~180).

이 성명의 후속 조치로 「원자력법」을 개정하여, 1997년 8월 원자력 안전 규제의 객관성과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과학기술처장관 소속의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설립되었고, 2001년에

는 ‘원자력 안전 정책 성명’에서 제시했던 주기적 안전성 평가가 제도화되었다(이태준 외, 2012,

p.15; 오장진, 2014, p.179).

Page 29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76

<표 5-1> 「2030년을 향한 원자력 장기 정책 방향」 주요 내용

항목 주요 내용

2030 장기

정책 방향

평화적 목적으로 안전하게 이용하는 국민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국민과 함께하는 에너지

4대 목표◦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향상 ◦ 원자력 기술 자립 역량 확립

◦국제 경쟁력 확보 및 수출산업화 ◦ 창조적인 과학기술 발전 선도

10대 부문별

정책 방향

(원자로) 차세대/미래 원자로 기초연구

수명연장, 폐로기술 개발(안전) 안전 최우선의 원자력시책 구현

(핵주기) 핵 비확산성 핵주기 기술 확립 (기술혁신) 독자 기술 자립 및 선진화

(방폐관리) 대국민인식 제고 (인력 양성) 기술 인력 양성, 확보

(RT & RI) 원전기술과 균형발전 도모 (문화) 국민의 알권리 존중 문화 조성

(산업) 국제 경쟁력 제고 및 수출산업화 (정책) 국제 신뢰도 및 투명성 확보

출처: 원자력위원회 (1994), p.9; 이태준 외 (2012), p.14.

나아가 정부는 2001년 9월에 ‘원자력 안전 헌장’을 제정・선포했다. ‘원자력 안전 헌장’의

취지는 원자력 안전이 원자력 사업 추진에 우선하는 최고의 목표임을 명백히 밝히며, 원자력

업계에 종사하는 모든 이로 하여금 안전성 확보를 위한 사명감과 책임 의식을 고취시켜 일반

국민의 원자력 안전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는 데 있었다(오장진, 2014, p.179).

<표 5-2> ‘원자력 안전 정책 성명’ 5대 원칙과 주요 내용

원 칙 주요 내용

독립성 규제 기관의 정치적 독립 및 객관적/기술적 근거 기반 업무 수행

공개성 국민의 알 권리 존중, 원자력 행정 공개・민주화, 객관적 사실 기반 홍보

명확성 선명한 정책과 명확한 근거를 토대로 체계적인 원자력 안전 규제 수행

효율성 ‘원자력 위험도 감소’ 목표 하에 가용 자원을 최대한 활용, 적기에 규제 결정

신뢰성 전문적・기술적 판단에 근거한 신속・공평한 규제로 범국민적 신뢰 확보

출처: 원자력안전협약실무추진단 (2007), p. 135-141; 이태준 외 (2012), p. 15.

1990년대 초반에 이라크, 북한 등의 핵개발 의혹을 계기로 세계적으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핵 비확산 체제가 강화되기 시작했다. IAEA는 1971년의 ‘전면적 안전 조치 모델

협정’을 보충하는 ‘안전 조치 모델 추가 의정서’를 1994년에 작성함으로써 원자력 안전 조치의

실효성을 강화했다. 우리나라도 2004년 2월 IAEA의 ‘안전 조치 모델 추가 의정서’를 발효시켰

고, 2004년 9월 통일・외교・과학기술 3부 장관의 합동 기자 회견을 통해 ‘핵의 평화적 이용

4원칙’을 발표했다(과학기술부, 2006, pp.17~18).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핵무기 비보유, 핵 투명성, 핵

Page 29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77

비확산 및 평화적 이용 확대를 국제적으로 약속했다. 정부는 ‘핵의 평화적 이용 4원칙’ 성명의

후속 조치로 독립적인 원자력 통제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조직을 정비했다. 2005년 12월에는

과학기술부 원자력국에 원자력통제팀을 신설했고, 2006년 7월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KINAC)을 개원했다.

<표 5-3> ‘핵의 평화적 이용 4원칙’ 주요 내용

4원칙 주요 내용

핵무기 비보유 과거와 마찬가지로 핵무기 개발 및 보유 의사 전혀 없음을 확인

핵투명성 확고한 핵투명성 원칙을 바탕으로 안전 조치협정 등 국제조약 준수

핵 비확산 NPT 및 한반도비핵화선언 등 핵 비확산에 관한 국제규범 철저히 준수

평화적 이용확대 국제적인 신뢰를 바탕으로 핵의 평화적 이용범위 확대

출처: 과학기술부 (2005), p. 17~18; 이태준 외 (2012), p. 16

2000년대에 들어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더욱 고조되면서 원자력 에너지의

역할이 다시금 높아졌다. 원자력 발전은 건설부터 운전・폐로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편이다. 단위 전력(1,000kWh) 생산 당 원자력 발전은 2~59k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데,

이는 수력 발전과 동일한 수준이다. 반면에 천연가스와 석탄 발전은 각각 389~511kg과

790~1182k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OECD/NEA, 2008). 따라서 1,000MWe급 원전 1기를 가동

하면 연간 약 6백만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축할 수 있다. 2003년 기준으로 우리나라도

원자력 발전소 가동으로 국내 이산화탄소 연간 배출량(약 5억 톤)의 20%를 감축했다.

원자력 발전이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대안으로 확인되면서 정부는 기존의 에너지안보

강화 이외에 저탄소 국가 성장을 위한 핵심 동력으로 원자력을 상정했고, 여기에 지난 30년

이상 축적된 원자력 건설・운영 기술 능력을 바탕으로 원자력 발전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더욱

강화했다.

정부는 2006년에 수립된 「제3차 원자력 진흥 종합계획」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안정적

인 에너지 공급을 위해 원자력 발전의 이용 확대 및 원자력 산업 경쟁력 강화, 핵 비확산성

원자력 시스템의 핵심 기술 확보, 원자력 이용 다변화를 통한 기술 주도형 에너지 공급 체계

추구, 방사성 폐기물의 책임 관리 체계 구축을 정책적으로 추진했다(과학기술부, 2006, p.15). 2008년에

는 「제1차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국가 전체의 전력 생산에서 원자력 발전이 차지하

는 비중을 2030년까지 대폭 늘리기로 결정했다. 「제1차 에너지 기본계획」에서는 에너지 안보,

경제 성장, 환경을 동시에 고려하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중장기 에너지 정책의 최대 목표로

Page 29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78

설정했다. 이를 위해 원전과 신재생 에너지를 최대한 확대하고, 수요를 억제하여 원단위를 획기

적으로 개선하는 한편, 녹색 기술 개발로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것을 주요 정책 방향으로

삼았다. 특히 환경 보호 및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한 원자력 발전을 가능한 범위에서 최대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에 따라 설비 용량은 2007년 26%에서 2030년 41%로, 발전량은

2007년 36%에서 2030년 59%로 원자력 발전 비중을 높이기로 했다(국무총리실 외, 2008, p.44; p.103).

2008년 2월에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대안으로 원자력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했다. 저탄소 녹색 성장을 새로운 국가 발전 패러다임으로 설정하고, 원자력이 이에

부합하는 가장 최선의 에너지임을 확인했다. 그리고 2009년 7월에는 2050년까지의 「녹색

성장 국가 전략」과 2014년까지의 「녹색 성장 5개년 계획」을 수립했다. 녹색 성장 국가 전략의

비전을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 강국 진입’으로 제시했고, 탈석유・

에너지 자립 강화를 위해 원자력의 신뢰성 제고 및 원자력 발전 설비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하

기로 했다(녹색성장위원회, 2009, pp.21~22).

원전 이용 개발 확대에 따라 관련 제도 및 행정 체계도 정비되었다. 2001년에는 원자력

손해 범위를 확대하고 사업자의 책임 한도를 국제 기준에 부합하도록 「원자력 손해 배상법」을

개정하여, 사고당 3억 SDR2) 배상 및 무한 책임에서 유한 책임 제도로 전환했다. 방사성 폐기물

관련 지역을 지원하고 규제하기 위해 2003년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 시설의 유치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과 2008년 「방사성 폐기물 관리법」이 각각 제정되었다. 또한 2009년에는

「방사성 폐기물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공론화 절차를 포함하도록 「방사성 폐기물 관리법」

을 개정했으며, 방사성 폐기물 관리를 전담하기 위한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을 설립했다.

21세기에 들어 전 세계적으로 원자력 발전 산업이 정체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2000년

말 기준으로 세계적으로 438기의 원전이 운전되면서 전력 생산의 16%를 담당했으며, 이외에

31기의 원자력발전소가 신규 건설되었다(과학기술부, 2001, p.5). 아울러 교토의정서 체결로 지구온난

화 방지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강화되면서, 저탄소 에너지인 원자력에 대한 관심도 더욱

높아졌다. 이에 따라 선진국들은 원자력 발전 수요 및 신규 원자력 발전소 건설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전략적 제휴를 통한 조직 정비 및 신형 원자로 개발과 출력 상승 및 수명

연장 등의 기술 혁신을 추진했다.

우리나라도 세계적인 원자력 발전소 건설 시장의 회복에 대비해서 원자력 산업을 수출 산업

으로 육성하기로 정하고, 2001년에 수립된 「제2차 원자력 진흥 종합계획」에 이를 명시했다.

본격적인 원자력 수출 산업화를 위해 원자력 연구개발을 바탕으로 기술 경쟁력을 제고하고,

Page 29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79

효율적인 산업 체제를 구축하며 효과적인 수출 전략을 추진하기로 한 것이다. 2015년까지 원자

로 기술과 핵연료 관련 기술을 고도화하여 원자력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고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을 원자력 정책의 5대 기본목표 중 하나로 설정했다(과학기술부, 2001, p.10). 원자력 발전의

확대와 더불어 선진국 수준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선도형 기술 혁신 정책도 추진되었다.

「원자력 진흥 종합계획」 에 의거하여 정부는 독자적으로 연구용 원자로에 대한 혁신 능력을

축적하고 차세대 경수로 APR 1400을 개발했다. 그 결과 원자력 시스템의 국내외 공급 능력을

확보하게 되었다. APR 1400은 신고리 3, 4호기에 적용되어 건설이 추진되어 3호기는 2016년

12월에, 4호기는 2017년에 준공되었다.

이런 원자력 선진국 진입을 위한 중장기 정책의 지속적인 추진 결과, 2009년 12월 연구용

원자로 및 상용 원전을 수출하게 되었다. 2009년 12월 초 한국은 요르단의 연구용 원자로

건설을 위한 주계약자로 선정된 것이다. 2016년 12월까지 5MWt급의 연구로를 건설하여

원자력의 과학기술적 연구와 의학・산업용 동위원소 생산에 사용하기로 계획했다. 연구로 수출

직후 200억 달러 규모의 원전 4기도 수출하게 되었다. 세계 제3대 석유 수출국인 아랍에미레이

트 연합은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서 원자력 발전의 도입을 결정했고, 우리 정부는

세계적인 공급국들과 접전을 펼친 끝에 1400MWe 급 원전 4기를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설계・건설하는 주계약자로 선정되었다.

2000년 이후에도 국제 환경 변화에 따른 원자력 안전 규제 및 통제 정책이 정비되었다.

1999년 일본의 도카이 촌 방사능 누출 사고와 2001년 미국의 9.11 테러 이후 정부는 2003년

에 방사능 방호 체계를 강화했는데, 먼저 「원자력 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을

제정했다. 그리고 2005년에는 방사선 비상 대응 강화를 위해 「원자력법」을 개정하고 방사성

물질 운반 사고 관련 비상 대응 계획을 수립했다. 2010년에는 「제1차 원자력 안전 종합계획」

(2010~2014)이 심의・의결됨으로써, 중장기적으로 예측가능하고 최적화된 원자력 안전 규제

정책 수립 및 업무 수행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국제적으로 핵투명성 강화를 위한 노력이 확산되

면서 2006년 정부는 원자력통제기술원을 분리・독립시켰다.

한편 정부는 원자력 발전 이후 만들어지는 사용 후 핵연료를 환경 친화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핵 비확산 순환형 핵연료 주기 시스템’ 기술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했

다. 2008년 12월 정부는 「미래 원자력 시스템 개발 장기 추진 계획」을 확정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2011년까지 공학 규모 파이로 일관 공정을, 2016년까지는 공학 규모 파이로 실증시설

을, 그리고 2025년까지 종합 파이로 건식처리 시설을 구축하기로 했다.

Page 29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80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진도 9의 동일본 대지진으로 일어난 일본 후쿠시마의 제1원전

사고는 정상 가동 중인 원자력 발전소에서 중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서, 당사국인 일본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또한 원자력 발전의 경제사

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도 급속히 악화되었다. 중단기적으로는 신규 원전의 도입이 정체되었고,

특히 유럽을 중심으로 독일, 이탈리아 등이 원자력 발전 계획을 재검토했다. 동시에 원자력

시설을 운영하는 거의 모든 나라가 원자력 시설의 안전성을 점검했다. 우리 정부 역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73명의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점검단을 조직하여 국내 원자력 발전소를

비롯한 시설의 안전을 점검했다. 그리고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원자력 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총 50개의 장단기 개선 대책을 도출하여 시행했다3).

이런 모든 개선 대책들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 동안 1조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하여

추진되었고, 그 이후에도 이동형 디젤 구동 펌프 확보, 장기 전원 상실 대비 비상 통신 설비

확보 등 10개의 추가 개선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권맹섭, 2015, pp.146~149).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해 우리나라의 원자력 정책 체계는 원자력 시설의 안전성을 강화하

는 방향으로 대폭 개편되었다. 2011년 9월 이명박 대통령은 UN 원자력 안전 고위급회의

기조연설에서 원자력 안전성 확보를 위해 원자력 안전 규제의 강화 및 이를 전담할 독립적인

조직을 출범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2011년 7월에 「원자력법」이 전면 개정되어, 「원자력 진흥

법」과 「원자력 안전법」으로 분리되었다. 원자력 이용에 관한 사항만을 규정하여 「원자력 진흥

법」으로 개칭했고, 기존 「원자력법」에 포함되었던 원자력 안전 관리 사항은 별도로 분리하여

「원자력 안전법」으로 제정한 것이다. 새로 제정된 「원자력 안전법」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포함되었다. 원자력 안전 종합계획 및 부문별・연도별 시행 계획 수립・시행, 원자력 안전 관리

전문 기관 및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의 설립, 원자력 관련 시설의 건설 운영 허가 및 물질의

사용 등 허가에 관한 안전 규제, 핵물질의 계량 관리 규정, 발전용 원자로 및 관계 시설의

건설・운영, 핵주기 시설의 설치・운영, 핵연료 물질 사용・소지, 폐기물 시설의 설치・운용 및

관련 특정 핵물질 계량 관리 관한 사항의 검사에 관한 안전 규제 사항 등이 그것이었다.

정부의 원자력 행정 체계 역시 기존 원자력위원회 중심의 단일 체제에서 원자력진흥위원회

와 원자력안전위원회로 이원화되었다. 원자력진흥위원회는 「원자력 진흥법」에 의해 설립된

국무총리실 소속의 정부 중앙 행정 기관이었다.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며, 당연직 위원을

포함한 9인 이상 11인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되었다.4) 원자력진흥위원회가 설립되면서 1959

년 출범한 원자력위원회는 폐지되었다. 2011년 11월 제1차 원자력진흥위원회가 개최되어

Page 29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81

「제4차 원자력 진흥 종합계획」 을 심의・의결하였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대통령 직속 중앙

행정 기관으로서 「원자력안전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11년 10월에 설립

되었다. 위원장 및 부위원장 각 1명을 포함한 7명 이상 9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되고 위원장과

부위원장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그 밖의 위원은 위원장의 제청으로 대통

령이 위촉했다. 이에 따라 원자력진흥위원회를 중심으로 교육과학기술부가 원자력 이용・진흥

에 관한 정책 총괄 및 원자력 연구개발을 담당하고, 지식경제부는 원자력 발전 산업을 담당하게

되었다. 그리고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원자력 안전 규제 및 통제를 담당하게 되었다.

「원자력법」이 「원자력 안전법」과 「원자력 진흥법」으로 분리된 후, 2013년에는 박근혜

정부의 출범에 따른 정부 조직 개편 내용을 반영하고 위원회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원자력 관련 법령이 일부 개정되었다. 특히 개정된 「원자력 안전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서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독립성을 유지하되 국무총리 소속으로 정하고, 부위원

장 제도를 폐지하되 상임위원을 두어 상임위원이 사무처장을 겸임하도록 하였다. 또한 위원장

은 대통령이 임명하되, 상임위원 1명을 포함한 4명의 위원은 위원장이 제청하고, 나머지4명은

국회에서 추천하여 대통령이 임명 또는 위촉하도록 하였다(이진호, 2014, p.183).

한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세계적으로 신규 원전 건설이 일시적으로 축소되었으나,

많은 국가들은 안전성 강화 등 보완 대책과 함께 기존 원자력 발전 정책을 계속 추진했다.

독일, 벨기에, 스위스는 원전 폐지를 천명한 반면, 한국, 미국, 프랑스 등 상당 국가는 기존

원자력 발전 정책을 그대로 유지했고 베트남, 요르단 등 신규 원전 도입국도 기존 계획대로

원전을 도입하기로 했다. 국제원자력기구는 2011년 9월 제55차 IAEA 총회에서 2030년까지

전 세계에서 90~300여기의 원전이 추가로 건설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일본, 프랑스 등은 기술혁신을 통해 기존 원전 시장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고, 대형 원전에

비해 더욱 안전한 중소형 원자로를 개발하여 소규모 전력망 및 화력발전소 대체 등 신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했다. 또한 원자력 선진국들은 제4세대 원자력 시스템의 원천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면서 미래 원자력 시장을 대비했다(교육과학기술부・지식경제부, 2012, pp.8~10).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2011년 11월 「제4차 원자력 진흥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2012년

부터 2016년까지 원자력 시설의 안전성을 최상으로 확보하면서 ‘세계 일류의 원자력 모범국가’

를 지향하는 국가 계획을 수립했다. 「제4차 원자력 진흥 종합계획」은 원자력 신뢰 확보, 고부가

가치 성장 동력 창출 및 지속 가능한 기반 강화 등 3대 목표 아래 6개의 추진 전략과 15개의

핵심 과제를 설정했다(교육과학기술부・지식경제부, 2011, p.8). 또한 2011년 11월에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Page 29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82

등 국내외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미래 원자력 시스템 개발 장기 추진 계획」을 수정했다.

당초 2028년 300㎿e 이상 실증로를 건설・운영하겠다는 계획을 100㎿e급 원형로로 축소했고,

인허가 체제 법령 개정을 전제로 기존의 표준 설계 개념에서 특정 설계 개념을 도입했다. 반복

건설을 고려한 상업성 입증(표준 설계)에서 기술성 입증(특정 설계)으로 전환한 것이다. 파이로

공정의 경우 국내에서 사용 후 핵연료를 사용하는 공학 규모 파이로 시설(ESPF) 건설 계획은

취소하고, 종합 파이로 시설은 2025년까지 계획대로 건설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2012년 10월

에는 「원자력 안전법」에 근거하여 원자력 안전 관련 중장기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최상위 국가

계획으로 「제1차 원자력 안전 종합계획」(2012~2016)도 확정했다(오장진, 2014, p.180).

2014년 1월 정부는 「제2차 에너지 기본계획」을 수립했는데, 여기에는 2008년에 수립된

제1차 계획의 성과를 평가하고 국내외 에너지 환경 변화를 반영했다. 원자력 이용 개발과

관련해서는, 2012년 전력소비의 연평균 증가율이 19.3%까지 급등한 사실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 정책의 변화 그리고 교토 체제 이후를 다루게 될 신기후 체제 협상 현황 등이

반영되었다. 이에 따라 「제2차 에너지 기본계획」에는 수요 관리 중심의 에너지 정책 전환,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구축, 환경 및 안전과의 조화를 모색, 에너지 안보의 강화와 안정적

공급, 에너지원별 안정적 공급 체계 구축 및 국민과 함께 하는 에너지 정책 추진 등 6대 중점

과제가 제시되었다. 그리고 2035년까지 전력 수요의 15% 감축 및 발전량의 15% 이상을

분산형으로 공급,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제고와 원전 안전성 강화 그리고 신재생 에너지 보급

11% 달성을 주요 목표로 설정했다.

정부는 미래 원자력 시스템 개발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을 추진,

2015년 6월 미국과의 협상을 마무리하고 개정에 성공했다. 신 한・미 원자력 협정은 1972년에

맺어진 협정을 전면 대체하는 것으로서 본문 21개 조 및 2개의 합의 의사록(Agreed Minute)

으로 구성되었으며, 우리나라의 발전된 기술 수준과 국제적 위상을 반영해 한・미간 원자력

협력에 필요한 사항들을 규정했다.

신 한・미 원자력 협정은 특히 사용 후 핵연료의 재활용 옵션에 대해 한・미 간의 합의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녔는데, 우리나라의 고속로 순환 핵연료 주기 시스템 실현을

위한 추진경로에 대한 국제적 추진 근거를 확보했기 때문이다. 이 협정에 따라 우리 정부는

국내 14개의 연구시설에서 미국산 사용 후 핵연료를 이용한 전처리, 전해환원 등에 대한 장기

동의를 확보했다.5) 또한 파이로 활동6)에 대해서는, 한・미 핵연료 주기 공동 연구 결과를 바탕

으로 양국 간 고위급 위원회 협의를 통해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체제를 마련했다. 한・미 핵연료

Page 29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83

주기 공동 연구의 결과를 기술적 타당성, 경제성, 핵 비확산성, 액티나이드 축적 회피7) 등의

세부 기준과 구체적 절차에 따라 평가하여, 파이로 활동에 대해 장기 동의를 부여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기로 했다. 또한 신협정 합의 의사록에 한・미 핵연료 주기 공동 연구가 명시됨에

따라 한・미 핵연료 주기 공동 연구 추진 기반이 확고해졌으며, 한・미 핵연료 주기 공동 연구

완료 후 파이로 실증 시설8)의 국내 건설을 위한 양국 간 협의가 가능해졌다. 포괄적으로 신협정

은 호혜적, 선진적, 미래 지향적, 전략적 측면에서 원자력 분야의 한・미간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를 구축・유지하는 법적・정치적 틀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호혜성의 측면에서 1972년 협정

이 미국의 일방적인 통제권을 규정하고 있는 반면 신협정은 쌍방 간 통제권을 규정했다. 신협정

은 미국이 원자력 선진국에 적용하고 있는 장기 동의 방식을 도입했다. 예를 들면 조사후

시험, 파이로 전처리 및 전해환원, 재이전 등에 대한 장기 동의를 확보했다. 미래 지향적인

측면에서 보면, 이 협정을 통해 우리나라는 향후 지속 가능한 원자력을 위해 필요한 사용

후 핵연료의 효율적 관리, 원전 연료의 안정 공급, 원전 수출 증진 등에 있어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옵션의 추진 가능성을 확보했다. 미국의 동의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 장기 동의나 그

추진 경로를 확보함으로써 신뢰성 있고 예측 가능한 장기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 것이다.

2013년 10월에는 사용 후 핵연료 관리 방안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의견 수렴을 위하여

사용 후 핵연료 관리공론화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사용 후 핵연료 관리공론화위원회는 「방사성

폐기물 관리법」 제6조의 2에 따라 설치된 민간 자문 기구로서, 공론화를 주관하고 권고안을

작성・제출하는 것이 그 핵심 기능이었다. 인문사회, 과학기술, 시민사회, 원전 지역 등 각계

대표 9명으로 구성된 사용 후 핵연료 관리공론화위원회는 2015년 6월까지 사용 후 핵연료

문제를 공론화하고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한편 국민의 이해도를 제고하는 활동을 수행했

고, 이를 정리하여 정부에 ‘사용 후 핵연료 관리에 대한 권고안’을 제출했다. 이 권고안에서

사용 후 핵연료 관리공론화위원회는 국민의 안전을 사용 후 핵연료 관리 정책의 최우선 원칙으

로 명시하고, 사용 후 핵연료는 국가의 책임 아래 관리되어야 하며 미래 세대에게 부담을

주면 안 된다고 권고했다. 그리고 정부는 2051년까지 처분 시설을 건설・운영해야 하며, 이를

위해 지하연구소 부지를 2020년까지 선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한 이 권고안은 처분 시설

운영 전까지 지하연구소 부지에 처분 전 보관 시설을 마련해야 하며, 불가피한 경우에는 각

원전 안에 단기 저장 시설을 설치・운영할 것을 권고했다. 그리고 정책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 후 핵연료 특별법」(가칭)을 제정하고 사용 후 핵연료 관리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의사결정 기구인 「사용 후 핵연료 관계 장관 회의」(가칭) 및 실무 추진단인

「사용 후 핵연료 관리 대책 추진단」(가칭)을 구성・운영할 것을 권고했다.

Page 29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84

2. 원자력 R&D 주요 성과

가. 연구용 원자로 자력 건설과 수출

한국의 연구용 원자로에 대한 연구는 1958년 미국에서 도입한 TRIGA MARK-II에서부터

시작되었다. 1962년 3월에 TRIGA MARK-II가 초기 임계를 거쳐서 100kWt의 정격 열출력

에 도달하면서 우리나라는 마침내 역사적인 원자력 시대를 열었다(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p.113; 한국원자

력연구원, 2009, pp.186~187, 동력자원부, 한국전력, 1990, p.216). 연구력 원자로의 가동으로 방사성 동위원소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고, 중성자속에 대한 요구도 많아졌다. 이에 정부는 1969년 4월에 우리나

라 두 번째 연구용 원자로인 TRIGA MARK-Ⅲ 건설에 착수하여, 1972년 3월 2MWt의 정격

열출력 운전을 시작했다. TRIGA MARK-Ⅲ 건설에는 한국원자력연구소와 국내 기업이 설계

와 제작에 적극 참여하여 기자재의 75% 정도를 국산화하면서 연구용 원자로 건설 기술을

축적했다(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pp.116~120).

1980년대 초에 원자력 발전과 연구개발이 급속하게 커지면서 연구용 원자로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었다. 1983년 정부와 한국원자력연구소는 수십 MWt급의 새로운 다목적 연구용 원자

로의 건설과 운영에 대한 타당성 연구를 수행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원자력연구소는

1985년에 열출력 30MWt 급 연구용 원자로 설계와 건설에 착수했다. 캐나다의 AECL과 협력

해 시작했으나 설계와 건설 대부분은 국내 연구진들의 노력으로 이뤄졌다. 이렇게 해서 1995

년 4월에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HANARO)‘가 준공되었다(한국원자력연구원, 2009, p.196; p.204). 하나로

건설로 우리나라는 연구용 원자로 설계와 건설, 운전, 유지에서 독자적인 기술 능력을 축적했

다. 그 결과 2010년 3월 요르단에 연구용 원자로를 처음으로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나. 원자력 발전 기술 자립과 수출

우리나라가 고리 1, 2호기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할 당시에는 국내에 축적한 인력과 기술이

전혀 없었다. 그래서 이른바 턴키 방식의 계약을 체결할 수밖에 없었다. 원자력발전소 공급업체

인 미국의 웨스팅하우스가 원자력발전소에 쓰이는 기자재 제작과 건설, 초기에 장전될 핵연료

공급을 책임지고 수행하는 반면, 국내 업체는 원자로 계통과 터빈 발전기 계통 공사 중 일부를

하도급 받아서 수행했다. 한국원자력연구소는 원자력 발전소 운영 인력을 대상으로 원자력

발전 기초 훈련 과정을 제공했다. 설계에서부터 제작, 건설과 시운전까지는 거의 모든 일을

외국 공급업체가 주도했고, 국내 업체는 마지막에 완공된 발전소의 열쇠를 넘겨받아 운전만

Page 29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85

하는 방식이었다. 1970년대 말 제2차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우리나라는 원자력 기술 자립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깨달았다.

원자력 기술 자립의 핵심은 원자력발전소의 핵 증기 공급 계통 설계와 제작을 국산화하는

것이다. 핵 증기 공급 계통 국산화 계획은 영광 원자력 발전소 3, 4호기인 국내 원전 11,

12호기부터 적용했다. 1984년 9월에 내려진 정부 결정에 따라 핵 증기 공급 계통과 초기

노심 설계는 한국원자력연구소가 담당했고, 전체적인 발전소 설계와 제작, 건설 책임은 한국전

력이 맡았다. 종합 설계는 한국전력기술이, 기기 제작은 한국전력기술과 한국중공업이, 핵연료

제조는 한국핵연료가 수행하기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역할을 분담시켰다.

1985년 3월에 확정한 원전 개발 계획에 따라 영광 3, 4호기를 1995년 3월과 1996년 3월에

각각 준공하고, 1995년까지 95%의 원자력 발전 기술 자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KHNP,

2011, pp.208~209). 이를 위해 한국전력의 종합 사업 관리 아래 국내 업체를 주계약자로 하고 외국

업체를 하도급자로 참여하도록 하며 국내 주도의 기술 자립 계획을 추진했다. 원자로 계통

설계와 기자재 공급은 미국의 CE가, 플랜트 종합 설계는 미국의 서전앤룬디(Sargent &

Lundy)가, 터빈 발전기 계통은 미국의 GE가, 초기 노심 핵연료 공급은 CE가 맡기로 각각

결정했다(KAERI, 2007, pp.135~143).

기술 전수 계약에 따라 한국원자력연구소는 CE와 공동으로 핵 증기 공급 계통 설계를 수행하

였다. 한국원자력연구소의 연구진들은 “핵증기 공급 계통 필 설계 기술 자립”을 다짐하며 CE로

부터 기술 이전을 받기 위해 CE가 위치한 미국 코네티컷 주의 윈저까지 날아갔다. 혼신을

다한 연구원들의 땀과 노력 덕택에 마침내 우리나라는 개발도상국으로는 처음으로 원자력

발전소 설계・제조・건설 능력을 확보했다(이광석 외, 2007, p.89).

영광 3, 4호기의 건설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나라는 최초로 한국 표준형 원자력 발전소인

울진 3, 4호기를 국내 기술 능력으로 설계하고 건설했다. 울진 3, 4호기는 각각 1998년과

1999년에 준공해 지금까지 우수한 실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울진 3, 4호기의 핵연료 또한

독자적으로 설계했다. CE의 기술 자문만을 거친 뒤 자체적으로 울진 3, 4호기의 핵연료를

설계하고 제작해 1997년 11월과 1998년 10월에 각각 원자로에 장전했다(이광석 외, 2007, p.99).

이처럼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드물게 매우 짧은 기간에 적은 투자로 원자력 발전 기술 자립을

이룩했다. 2015년 7월 신월성 2호기가 상업 운전을 시작함으로써, 한국 표준형 원전은 총

10기, 울진 3, 4호기부터 영광 5, 6호기, 울진 5, 6호기, 신고리 1, 2호기, 신월성 1, 2호기를

건설해 운영하고 있다(미래창조과학부, 2016, p.6).

Page 30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86

1990년대 후반까지 우리나라는 외국과 공동으로 연구하며 원자력발전소 제작과 건설, 운영

기술 자립에 성공했다. 이후 원자력 발전 기술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더 향상시키고, 세계시장에

진출하겠다는 야심을 가지고 2002년도에 차세대 경수로인 APR 1400을 독자적으로 개발했

다. 이는 세계 최초로 개발한 것으로, 선도 기술 개발 사업의 주요 성과 중 하나이다. APR

1400은 신고리 3, 4호기에 처음으로 적용되었고, 2009년에는 아랍에미레이트연합에 수출되

어 약 200억 달러의 수출 성과를 달성하였다.

다. 중소형 일체형 원자로 세계 최초 표준 설계 인증과 수출

SMART(System-integrated Modular Advanced ReacTor)는 우리나라가 원자력 분야에

서 세계적으로 선도하는 기술 혁신을 이룬 대표 사례이다.9) SMART는 1997년부터 우리나라

가 독자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한 소형 일체형 원자로(integral reactor)로 증기발생기와 냉각재

펌프, 가압기를 비롯한 원자로 냉각재 계통의 주요 기기를 단일 원자로 압력용기 내에 설치한

원자로이다(미래창조과학부, 2016, p.188). 대형 상용 원전과 달리 원자로 1차 계통의 주요 기기들을

한 개의 압력 용기 안에 설치해 배관의 파단 사고 가능성을 근원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SMART는 소형이면서 일체형으로 시스템 유연성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세계적인 원자력 기술 혁신 모델이다. 열출력 330MWt, 전기출력 100MWe로 대형

상용 원전의 10분의 1수준인 소형 원전으로, 소규모 분산형 독립 에너지 수요에 매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김긍구, 2014, p.363). SMART를 운전하면 9만 kW의 전력과 하루 4만 톤의 담수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인구 10만 명의 도시에서 필요한 물과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이다.

3. 원자력 분야의 미래 전망

1990년대 후반 우리나라는 한국 표준형 원전(OPR 1000) 개발로 대형 원자력 발전 기술

자립에 성공했다. 이후 원전 산업체를 중심으로 경수로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APR 1400 사업을 추진했다. 이와 별도로 한국원자력연구원 주도로 소규모 전력 생산과 해수

담수화 시장을 겨냥한 ‘수출 전략형 원자로’인 SMART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특히 2009년부터

3년 동안 1700억 원을 투자해 SMART 기술 검증과 표준 설계를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한국원자

력연구원과 한국전력기술, 한전원자력연료, 두산중공업 등 국내 최고 수준의 원자력 기술 능력을

결집한 결과 2012년 7월에 SMART 표준 설계 인가를 획득했다(미래창조과학부, 2016, pp.188~189).

Page 30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87

이후 2014년 12월까지 SMART 사업과 수출 업무를 전담하기 위한 법인으로 스마트파워를

설립하고 SMART 기술 수출과 상용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그 결과 2015년 3월 우리나라

는 사우디아라비아와 ‘한-사우디 SMART 파트너십 구축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이 양해 각서

에 따른 한-사우디 SMART 협력의 첫 단계로 2015년 9월 ‘SMART 건설 전 설계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SMART 설계 기술을 수출하기로 했다(미래창조과학부, 2016, pp.189~190). 사우디는 2023

년에 최초 상업 운전을 시작해 2032년까지 총 1만 7600MW 규모의 원전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원전 부지 조사, 규제 기관 설립 같은 관련 인프라를 정비하고 있다(황수돈, 2014, p.150).

2011년 후쿠시마 사고 이후에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높으면서도 다양한 수요

에 대응할 수 있는 소형 원자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형 원자로는 전력생산, 열병합

발전, 해수 담수화와 산업용 열원 공급, 선박 동력 등에서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소형 원자로가 18GWe(SMART

원자로 180기 규모), 2050년까지 중소형 원전이 500∼1000기가 건설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김긍구, 2014, p.358; 미래창조과학부, 2016, p.188). SMART 설계 기술의 수출은 향후 세계적으로 크게

형성될 전망인 소형 원자로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으로 매우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원자력 시설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운영과 더불어서,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용후 핵연료의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인 처리는 원자력 이용개발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서 2008년 12월 「미래 원자력 시스템 개발 장기 추진 계획」을 확정하고,

한국원자력연구원을 중심을 본격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해 오고 있다. 미래 원자력시스템의 핵심

시설은 파이로 건식 공정기술과 소듐냉각고속로(SFR)이다. 즉 미래원자력시스템은 원자력 시설

에서 발생한 사용후 핵연료를 파이로 건식 공정기술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사용후 핵연

료로부터 우라늄 및 TRU 원소 등의 핵물질을 회수한 후에, 이를 소듐냉각고속증식로에서 반복적

으로 연소시키고, 잔여 핵분열생성물(세슘 등 약 5%)만 최종적으로 처분하는 기술이다.

파이로 건식 공정기술은 방사성 독성을 단기간에 감소시키면서 폐기물을 적게 발생시키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이며, 그 공정이 단순하고 시설규모가 작아서 안정성과 경제성이 높다.

또한 파이로 건식 공정기술은 고순도의 플루토늄을 단독으로 회수할 수 없기 때문에 핵확산저

항성이 매우 높다. 소듐냉각고속로는 경‧중수로에 비해 높은 에너지의 중성자(고속중성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방사성 독성물질의 연소에 매우 효율적이다. 소듐냉각고속로는 세계적으로

우라늄자원 이용률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증식로(breeder) 개념으로 개발이 시작되었으나,

Page 30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88

최근에는 프랑스와 일본을 포함한 한국에서 사용후 핵연료를 포함한 고준위폐기물을 소각해서

소멸시키는 연소로(burner) 개념으로 개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계획대로라면, 파이

로 건식 공정기술은 2025년 년산 30톤 규모의 실증시설이 완공되고, 이와 함께 연관기술(고속

로 및 핵연료 제조 기술)의 개발이 차질 없이 추진된다면 2040년대 중반 경에 상용화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듐냉각고속로는 우리나라에서 2028년까지 원형로 건설이 완공되면,

2040년대에 상용로가 국내에 건설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같이 파이로 건식 공정기술과

소듐냉각고속로를 기반으로 미래원자력시스템이 성공적으로 개발되면, 고준위폐기물 양을

1/20로 줄일 뿐만 아니라 처분장 면적을 1/100로 줄이고 독성 감소기간을 1/1000로 대폭

축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한국원자력연구원, 2015, p. 1-12).

제3절 에너지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매년 에너지 기술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국가 에너지 정책과

에너지 기술의 발전이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 체계를 구축함에

있어 변화를 주도하는 동력이라고 강조한다. 특히 IEA는 혁신적인 에너지 기술 개발과 이의

보급에 정부와 민간이 지속적으로 투자를 늘려나감으로써,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증가를 2도

이내로 제한하는 2도 시나리오를 달성하여 전지구적인 기후 문제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10)

[그림 5-2] 에너지 기술 개발을 통한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

자료: 국제에너지기구 (2016), �에너지 기술 전망(Energy Technology Perspectives)�, p.33.

Page 30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89

에너지 기술 R&D는 기후변화, 국제유가 등 에너지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에너지 산업의

신성장 동력화를 달성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에너지 기술개발 사업은 신재생

에너지, 에너지 효율 향상(수요 관리), 전력・원자력, 기반 조성이라는 4대 분야로 나뉜다. 정부

의 에너지 R&D 행정을 살펴보면, 미래창조과학부는 에너지 전 분야의 기초연구와 기후변화

대응 핵심 기술 분야(탄소저감11), 탄소자원화 및 기후변화적응 등) 및 원자력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산업통상자원부는 신재생 에너지, 전력・에너지 효율 향상 등 기술별 실증

등 실용화를 지원하고 있다.

본 절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에너지 기술별 연구개발 행정 및 지원체

계, 정책 및 주요 사업의 변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본 후, 미래 에너지 기술개발 분야에 대하여

정리한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에너지원인 석유, 석탄 및 천연가스

와 관련된 과학기술 분야 및 공기업과 민간 기업의 과학기술 개발 부분은 여기에 서술하지

않았다.

1. 에너지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행정 및 지원 체계의 변천

우리 정부의 에너지 연구개발 지원은 1967년 설립된 과학기술처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이 시기는 본격적인 연구개발이 지원되기 이전으로 에너지 연구개발 분야 중에서 기초연구,

기계연구, 전기전자연구, 화공연구 및 동력자원연구 등을 중심으로 부분적인 지원이 이루어졌

다. 그리고 1973년 석유파동 이후 에너지 수급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상공부,

과학기술처, 공업진흥청 등에 분산되었던 기능을 통합한 동력자원부가 1977년 설립되었다.

이후 본격적인 에너지 기술 개발은 동력자원부에 의해 1988년부터 신재생 에너지 기술 개발

사업이 시작되면서 지속되었다. 현재는 에너지 분야의 기초・원천 연구가 미래창조과학부를

중심으로 지원되고 있으며, 실용화 기술 개발은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중점적으로 추진

되고 있다. 그 외에 건물에너지를 담당하는 국토교통부, 온실가스 감축기술 중 Non-CO2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환경부, 중소기업의 에너지 실용화 R&D를 지원하는 중소기업청

등에 의해 다양한 에너지 관련 연구들이 촉진되고 있다.

에너지 기술 개발을 관리하는 조직은 사업 규모의 증가에 따라 과학기술처, 동력자원부와

Page 30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90

같은 정부 부처에서 한국에너지공단(KEA), 한국전력공사(KEPCO)의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와 같은 전담기관 중심으로 변화해 왔다. 전담기관 체계는 1987년 12월 「대체 에너지 개발

촉진법」이 발효된 이후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한전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와 같

은 전담기관이나 조직을 중심으로 2009년까지 약 20여 년 동안 지속되었다. 이후 정부는

2008년 「제2차 공공기관 선진화 방안」을 통해 기초・원천 분야의 에너지 기술개발 관리는

한국연구재단(NRF)이 담당하고, 실용화 기술 분야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이 담당

하는 것으로 하였다.

에너지 연구개발 관련법은 전력산업 관련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전기 사업법」(1962년),

에너지 이용 합리화를 위한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에너지 이용 합리화법」(1980년), 신・재생

에너지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신에너지 및 대체 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 촉진법」(1987년),

에너지 기술 개발 계획과 에너지 기술 개발을 정의하고 있는 「에너지법」(2006년) 및 에너지

기본계획 수립 및 기후 변화 대응 기본계획 수립의 근거인 「저탄소 녹색 성장 기본법」(2010년)

등이 있다. 에너지 기술 개발과 관련된 정부 계획으로는, 「저탄소 녹색 성장 기본법」에서 명시

한 「에너지 기본계획」을 중심으로 「에너지법」에서 명시한 「에너지 기술 개발 계획」, 「에너지

이용 합리화법」에서 명시한 「에너지 이용 합리화 계획」, 「신에너지 및 대체 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 촉진법」에서 명시한 「신재생 에너지 기술 개발 및 보급 계획」, 「전기 사업법」에서 명시한

「전력 수급 기본계획」 등이 있다.

[그림 5-3] 에너지 연구개발 체계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참조

Page 30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91

[그림 5-4] 정부 에너지 연구개발 주요 담당 부처 변천

자료: 두산백과, 행정학사전 등의 부처설명 자료를 참조하여 집필진이 재구성

Page 30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92

나. 정책 및 R&D 지원사업의 변천

정부의 에너지 기술 관련 주요 계획과 이에 따른 정책의 내용 및 변화를 시기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정부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국가 경제를 발전시켰고,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에너지 기술개발도 국가 계획의 큰 틀 내에서 진행하였다.

1967년 4월 정부는 과학기술처를 설립하고 과학기술 장기 전망과 종합적 기본정책을 수립했

다. 당시 지원받은 에너지 기술 분야는 석유화학, 광업, 기계, 금속 분야의 관련기기 개발,

송전방식과 수화력 운용 자동제어와 같은 전력 개발, 천연가스 제조기술 개발 등이었다. 1970

년대는 두 차례의 석유파동으로 인해 우리 경제가 타격을 받았는데, 정부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에너지 다원화, 절약, 에너지 비축을 근간으로 하는 에너지안보 정책을 추진했다. 동시에

탈석유화를 위한 노력도 지속되었는데, 석유 대체 에너지원(원자력 등)을 확보하거나 석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를 집중 지원했으며, 동력자원부와 한국전력을 중심으로 석유

화력 발전 비중을 낮추기 위해 석탄 화력 발전, 천연가스 발전 연구를 지원했다.

1980년대에는 이전부터 진행되던 에너지 다원화 및 탈석유화 정책을 위한 기술 개발 지원뿐

아니라, 신재생 에너지의 연구개발 지원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80년대 에너지 R&D

주요 계획은 다음과 같다. 1984년 12월 정부는 「에너지 절약 3개년 계획」(1984~1987)을

수립하고 에너지 다소비 기기의 효율 향상, 석유 대체용 저가 에너지의 이용 확대, 산업 공정의

개선과 전기 이용 효율 증대를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했다. 이는 1984년 말 수립된 「중장기

기술개발 계획」(1995~1991)으로 이어져, 에너지 10% 절감을 위한 연구개발이 추진되었다.

1987년 12월 정부는 탈석유 정책을 지속하고 대체 에너지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대체 에너지

개발 촉진법」을 제정했고, 1989년 8월에는 2001년까지 국내 에너지 수요의 3%를 대체 에너

지로 공급하기 위한 「대체 에너지 기술 개발 기본계획」(1988~2006)을 수립했다.

1988년부터 본격 추진된 신재생 에너지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태양전지, 수소・연료전지,

풍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핵심 분야를 중점 지원하였고, 산・학・연 공동 연구 및 R&D 역량

제고를 위해 특성화대학원과 핵심기술연구센터를 선정・지원하였다. 또한 수소경제국제파트너

십(IPHE) 공동 연구 사업, 아시아・태평양 6개국 기후변화 파트너십(APP) 신재생 에너지 태스

크포스 의장국 활동, 국제에너지기구 연구개발위원회(IEA/CERT) 참여 등 다양한 사업이 추진

되었다.

Page 30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93

1990년대는 경제 성장과 국민 생활, 산업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를 안정적이고 저렴하게

공급하는 것이 정부 정책의 최대 목적이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단기간 내 효과적인 양적 성장을

위해, 에너지 산업 구조는 공기업 독점 체제를 유지하는 한편 에너지 가격은 정부가 직접 규제하

는 정책을 추진했다. 1992년 10월 정부는 「에너지 절약 기술 개발 기본계획」(1992~1996)을

수립하고 산업, 수송, 건물, 전기 분야의 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 개발을 지원했다. 그리고 1994

년 6월에는 「청정 에너지 기술 개발 기본계획」(1994~ 1998)을 수립하여 전력, 시멘트, 제철,

정유 등에서 사용하는 화석 에너지의 청정 이용 기술 개발을 지원했다. 또한 정부는 1997년

「에너지 기술 개발 10개년 계획」(1997~2006)을 수립했는데, 이 계획의 주요 골자는 2006년

까지 총에너지 수요의 2%를 신재생 에너지로 공급하고 최종 에너지의 10%를 절감하며 화석연

료 청정화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이 시기에는 에너지 절약 및 이용 합리화 시책이 적극

추진되었으며,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 사용 규제에 대처하기 위해 천연가스 보급을 위한 기술

개발, 지역난방 및 열병합 발전 사업을 위한 기술 개발도 지원되었다.

1990년대는 목표 지향적 연구개발 체계로 전환하는 시점이었고, 정부는 연구사업단과 국가

지정연구실사업 등을 통해 핵심 에너지 기술 개발을 지원했다. 그리고 1992년부터 2001년까

지 9년 동안 3단계로 진행된 선도 기술 개발 사업은 선진 7개국(G7) 수준의 기술력 확보를

목표로 연료전지, 태양광 기술을 지원했다.

2000년대는 선진국 대부분이 에너지 기본계획과 같은 장기 에너지 정책을 수립했던 시기이

다. 미국은 2001년 국가에너지보고서를 통해 중동 등 해외자원 관련 정책을 마련했고, 일본은

2003년 「제1차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에너지 공급과 수요관리 균형화를 추구했

다. 우리 정부도 2003년부터 준비하여 2008년 에너지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이 시기 동안

전력산업 구조개편 등 에너지 산업의 경쟁 활성화가 주요 현안으로 떠올랐고,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이 에너지 정책의 최대 화두로 급부상했다. 게다가 에너지

기술과 IT, BT, NT 등 첨단기술과의 융・복합 이슈도 출현했다.

2000년대 에너지 R&D 주요계획은 다음과 같다. 2006년 2월 정부는 「에너지법」에 의거하

여 10년의 계획 기간을 갖는 「국가 에너지 자원 기술 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동 계획은

21세기 에너지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고 에너지・자원 기술 개발 혁신을 통해 기술자

원 보유국으로 전환한다는 목표 아래 추진되었다. 핵심전략으로는 대형 융・복합화 프로젝트

(ETI program)의 추진 및 108개 에너지 기술 로드맵(TRM) 수립을 통한 에너지 분야의 산업

화 촉진, 공기업 R&D 투자 권고제도의 활성화를 통한 에너지 협력체계 구축, 에너지 분야

Page 30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94

인력 양성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등이 있었다.

다음으로 정부는 2008년 8월 「저탄소 녹색 성장 기본법」에 의거하여 20년을 계획 기간으로

하는 「1차 에너지 기본계획」(2008~2030)을 수립했다. 「에너지 기본계획」은 에너지 정책 관

련 최상위 국가전략으로서, 중장기 에너지 정책의 기본방향을 설정하여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필요한 에너지 자원 확보, 국내 수급안정 및 공급 인프라 확충, 에너지 이용 합리화

등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에너지 안보, 효율, 환경 등 국가에너지 정책목표를 효과적

으로 달성하는 데에도 기여하기 위함이었다. 「에너지 기본계획」 중 에너지 기술 개발 분야와

관련해서는, 에너지 기술 혁신을 통한 차세대 에너지 산업 육성을 정책목표로 2030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기술 확보를 통해, 에너지 수입국에서 에너지 기술 수출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가 제시되었다. 이는 당시 미국의 기후변화기술 프로그램(2006년), 유럽의

전략 에너지 기술 계획(2007년), 일본의 Cool Earth(2008년) 등 선진국 에너지 정책의 핵심이

에너지 기술 개발이라는 점을 반영한 것이었다. 이 계획은 「에너지법」 제정,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등의 제도 마련 및 신재생 에너지, 원전 산업의 양적 성장에 기여했지만, 지나치

게 낙관적인 수요 예측으로 인해 전력수급 불안정을 초래하기도 했다.

2002년 정부는 온실가스 포집・저장(CCS) 기술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 이산화탄소저감및

처리기술개발사업단(CDRS)을 발족하여 관련 연구를 지원했으며, 2011년에는 이산화탄소포

집및처리연구개발센터(KCRC)를 출범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그림 5-5] 에너지 분야 중장기 계획

자료: 국무총리실 등(2008), �제1차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 p.5.

Page 30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95

2010년대는 녹색 성장과 창조 경제 중심의 정부 정책이 강조되던 시기로, 에너지 기술

분야에서도 융・복합화가 적극 추진되고 이를 산업으로 연계하기 위한 에너지 신산업이 강조되

었다. 국제적으로는 이 시기에 국제에너지기구(IEA)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을 중심으로

에너지 기술 혁신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대응 협력의제가 중요하게 논의되었다.

2010년대 에너지 R&D 주요계획은 다음과 같다. 2011년 11월 정부는 「제1차 에너지 기본

계획」의 지속적인 이행을 위해 「제2차 에너지 기술 개발 계획」(2011~2020)을 수립했다.

동 개발 계획은 기술 개발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기후 변화에 대응할 에너지 기술

혁신을 통해 5대 그린 에너지 산업 강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했다. 추진 전략은 대형・상용화

에너지 R&D 추진, 중소・중견기업의 참여 확대, 실증연구 지원과 선진국과의 공동연구 프로젝

트 발굴, 에너지 R&D 시스템 선진화 등이었다. 동 개발 계획의 실행수단으로 주요 에너지

기술 15개 분야의 청사진인 그린 에너지 전략 로드맵,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15개 기술 분야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 기술 전략 로드맵을 만들어 이에 기반을 둔 과제 기획 및 지원을 추진했다.

2012년에는 에너지 R&D Warehouse를 구축하여 로드맵에 바탕을 둔 정부 과제지원 현황을

점검했다.

그리고 2014년 1월 정부는 「제2차 에너지 기본계획」(2014~2035)을 수립했다. 동 계획은

에너지 산업과 정책의 지속가능성 강화, 국민 삶의 질 제고 및 국민신뢰 회복을 비전으로

수요관리 중심의 에너지 정책전환, 분산형 발전시스템의 구축, 환경 및 안전과의 조화 모색,

에너지 안보의 강화와 안정적 공급, 국민과 함께하는 에너지 정책 추진 등을 목표로 제시했다.

에너지 기술 개발 측면에서 보면, 온실가스 감축기술 확보, ICT 수요관리 시스템 구축, 2035년

까지 분산형 발전 비율 15% 이상 공급, 신재생에너지 보급 11% 달성 등이 주요과제였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국내 원자력 발전 비중의 적절성에 논의가 활발해졌고,

동시에 선진국의 공격적인 신재생 에너지 투자에 대응할 국내 신재생 에너지 발전 비중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2014년 12월에는 「제2차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에 따른 정책 변화와 기술 패러다임에

대응하고 기술 융합에 의한 창조 경제 실현을 목표로 「제3차 에너지 기술 개발 계획」(2014~

2023)이 수립되었다. 제2차 기본계획이 에너지 믹스와 정책 방향에서 1차 기본계획과는 차별

화되었기 때문에, 「제3차 에너지 기술 개발 계획」은 원래 계획보다 조기에 수립되었다. 동

개발 계획은 신산업 창출과 혁신 생태계 구축으로 에너지 기술 선진국으로의 도약이라는 비전

아래, 산업 경쟁력의 강화, 기술 혁신을 통한 기후 변화 대응, R&D 생산성의 향상을 정책

Page 31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96

목표로 제시했다. 주요 전략은 공급-수요 관리-융합 혁신의 3대 구조로 새로운 R&D 체계

구축, 실증 R&D 확대 등 시장 창출을 위한 사업화 R&D 강화, 공공 분야 R&D 효율성 강화와

성과의 확산을 위한 생태계 중심의 협력 R&D 기반 마련, 전략적 국제 공동 연구 추진과

창의 융합 인재를 양성하는 혁신 인프라 구축 등이다. 동 개발 계획의 실행 방안으로 17개

에너지 기술 분야에 대한 에너지 기술 이노베이션로드맵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개발을

지원했다.

2014년 7월 정부는 제11차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 핵심 기술

개발전략」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하였다. 동 전략에서는 온실가스 저감 및 성장 동력 확보

를 위한 기후변화대응 6대 핵심 기술(태양전지, 연료전지, 바이오연료, 이차전지, 전력IT,

CCS)의 2020년까지 개발 목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2015년 4월에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신산업 및 핵심 기술 개발전략 이행계획」이 경제장관회의를 통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되었다. 동 계획에서 에너지 신산업 모델로 수요자원 거래시장, ESS 통합서비스, 에너지

자립섬, 전기자동차,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태양광 대여, 제로에너지빌딩, 친환경에너지타운

이 제시되었으며, 2014년에 발표된 핵심 기술 개발 전략의 구체적인 기술 개발 로드맵 등

세부 이행계획이 아울러 제시되었다.

2015년 11월 정부는 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COP21)에 참석하여,

미국, 일본을 비롯한 20개 주요국이 참여하는 미션이노베이션 선언에 동참했고 나아가 국제사

회에 청정에너지 기술 투자 확대를 약속했다. 이는 2016년 기준으로 2021년까지 정부・공공의

청정 에너지 기술 R&D 투자 규모를 2배로 확대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와 에너지

공기업의 청정에너지 R&D 투자 규모는 2016년 5,600억 원 수준에서 2021년 1.12조 원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미션이노베이션 동참 선언 이후 2016년 6월에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각 부처의 기후변화대응 기술 관련 R&D 활동을 종합적・체계적으로 공유・조율・결집하여 동태

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후변화대응 기술 확보 로드맵(CTR)을 수립하였고, 8월에는 13개

분야의 청정 에너지 기술 로드맵을 구축했다.

참고로 정부는 에너지이용합리화 기본계획,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 등

에서도 에너지 효율향상 및 수요관리, 신재생에너지, 전력 분야의 기술 개발 추진방향을 일부

제시하고 있다.

Page 31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97

[그림 5-6] 기후변화대응 기술 확보 로드맵(CTR) 개요

자료: 관계부처 합동 (2016)

정부의 에너지 R&D 사업은 신재생 에너지, 에너지 효율 향상, 전력 분야에서 추진되었다.

기술의 트렌드가 급격히 변화하는 산업 분야와 달리, 에너지 분야의 경우 에너지안보,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에너지 자립, 기후변화 대응 등 국가 차원의 추진 방향과 목표가 존재한다. 정부의

에너지 R&D 사업은 1970년대~1980년대에는 단위과제나 프로그램 단위로 지원되던 형태를

벗어나 본격적인 에너지 R&D 사업화가 이루어진 1988년 이후 30여 년 동안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탄소저감을 위한 신재생 에너지 기술에 더하여 스마트 그리드, 에너지 저장장

치, 전기 자동차 등의 신기술은 물론 CCUS, 기후 변화 적응과 같은 기후 기술 분야까지 연구

범위가 확대되면서 에너지 R&D 사업은 세분화하고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에너지 R&D 사업은 다음과 같은 분야를 지원해 왔다. 첫째, 태양전지, 수소・연료전지, 바이

오 에너지, 이차전지, 온실가스 포집・활용・저장(CCUS),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중심의 온실가

스 저감 및 기후변화 대응 기술 개발을 지원하였다. 둘째, 에너지의 생산・변환・저장 및 수송・소

Page 31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298

비에 이르는 과정 중 에너지 사용 기기와 공정의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의 최종 사용량을 절감하

여 에너지 절약을 유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지원했다. 그리고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공해물

질 배출을 낮추는 기술이나 에너지 수요 관리 기술 개발도 지원해 왔다. 셋째, 전력 설비 성능

향상, 전력 공급 능력 확충, 환경 친화적 전력 부분을 지원하는 전력 송・배전, 기존의 미래

혁신 전력IT 기술과 연계되는 스마트그리드, 화력 발전 고효율화를 위한 청정 화력 등의 전력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기타 분야로는 산업생산 과정에서 에너지 및 자원의 순환이용을 촉진하

기 위한 에너지 자원 순환 기술, 가스 안전 및 전기 안전과 같은 에너지 안전 기술, 에너지국제

기구와의 다자간 협력 및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과의 양자 간 국제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에너지

국제 공동 연구, 에너지 R&D 분야의 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에너지 인력 양성 등이 있다.

정부의 에너지 R&D 사업은 미래창조과학부의 경우에는 「기후변화 대응 종합 기본계획」에

근거한 기후변화 대응 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주요 기후변화대응 기술에 대한 R&D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미래창조과학부는 기초・원천 연구개발 단계를 중점 투자하여 차세대 핵심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기존 단위기술별 과제 지원방식에서 진일보하여 기획 단계부터 민간

확산을 고려한 기후 산업 육성 모델 단위로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산업자원부의 경우 매 5년마

다 수립되는 에너지 기술 개발 계획에 근거하여 매년 에너지 기술 개발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에너지 기술 기반 전문 위원회를 중심으로 에너지 기술 개발 실행 계획의 추진 전략을 점검하고

있다.

2. 에너지 R&D 주요 성과

가. 태양광 기술 개발과 산업화 기반 확립

1980년대에 태양 일조량에 대한 자원 조사에 착수했다. 이와 함께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와 도서, 오지 같은 국내 일부 지역에 독립형과 계통연계형 시범사업을

전개했다. 초기에는 정부 주도로 태양광 기술 개발을 진행했다.1987년 12월에 제정한 「대체

에너지 기술개발 촉진법」을 근거로 1988년부터 「대체 에너지 기술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태양광 가치사슬별 전 분야에 대한 기술 개발을 추진했다.

대표적인 기술개발 내용으로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국산화, 신형 박막 태양전지 개발,

주변장치 국산화, 계통연계 이용기술 개발이다. 태양광 발전은 1989년부터 범국가적 연구

사업으로 중점적으로 지원했다. 1990년대 초를 기점으로 일부 산업화를 진행해 수백kW~수

Page 31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299

MW급으로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와 모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국내보다는 수출용이 대부

분이었다. 박막 태양전지는 카드뮴텔루라이드(CdTe)와 구리・인듐・갈륨・셀레늄(CIGS), 비정

질 실리콘 등으로 기술개발을 추진했으나 실용화까지 가지 못하고 현재 연구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후 침체기를 겪던 태양광 기술개발은 고유가가 지속되고 지구온난화 이슈가 커짐에

따라 다시 주목 받았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많은 나라에서 태양광 발전 보급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우리나라도 2003년 「제2차 신재생 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을 확정

하고 2004년부터 태양광 기술개발을 전담하는 태양광사업단이 발족되어 핵심 기술개발과

산업 기반 강화에 주력했다. 2009년에는 「신성장 동력 비전 및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태양전

지 분야는 6대 분야 22개 신성장 동력 산업으로 채택해 기술개발을 가속화했다. 이후 태양전지

소재・소자를 비롯한 태양광 분야는 대표적인 신재생 에너지 신산업 분야로 인식해 국내 보급

확대와 기술 개발에 많은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미래부에서는 고효율의 무・유기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연구 성과를 보였고, 특히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를

선도하는 성과를 올리고 있다.12) 산업부에서는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방안」 대책의 일환으로

RPS 제도의 이행력을 증진시키고, 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현재 국내 태양광 분야 기술 수준은 선진국대비 80~85% 수준에 이른다. CIGS, 유기, 페로

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같은 차세대 태양전지 분야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기반을 바탕으로 산업화도 많은 부분 이뤄내고 있다. 국내에 오씨아이(OCI),

웅진에너지, 한화큐셀, LG전자, 신성솔라에너지, 에스에너지, 다스테크 같은 다수의 태양광

관련 전문기업이 연구에 박차를 가하며 성장하고 있다(산업자원부 신재생에너지센터, 2014, pp. 273~294). 최근

들어 특히 한화큐셀은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분야의 생산규모와 품질 부문에서 공히 세계를

선도하는 수준까지 발전하였다.

향후 정부는 핵심 기술과 신산업 활성화가 긴밀히 연계되도록 관련 부처 및 산하기관 간

협업을 강화하는데 역점을 둘 계획이며, 기업이 주도하는 실리콘 태양전지는 중소기업 애로기

술 등으로 한정하고, 페로브스카이트 등 차세대 태양전지는 국내의 높은 기술력을 살릴 수

있도록 기초・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국가 R&D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나. 다양한 연료전지 이용기술 개발

연료전지는 연료의 화학 에너지를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로 직접 변환시키는

발전장치다. 연료전지 스택, 연료변환장치, 주변보조기기(Balance of Plant, BOP), 제어기술

Page 31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00

을 포함하는 통합기술을 요한다. 기존 화력발전과 비교할 때 연료전지 발전은 온실가스 주범인

이산화탄소 발생을 40% 줄이고, 에너지 사용량을 26%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신에너지

기술로 미국과 일본, EU에서 경쟁적으로 연구개발에 나서고 있다. 전 세계 연료전지 시장은

최근 5년간 연평균 36%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 발표한 지식경제부 ‘15대 녹색 기술’ 중 연료전지 관련 분야가

연료전지 발전, 그린카, 에너지저장, 지능형 전력망 분야에 이를 정도로 경제와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2010년 녹색성장위원회는 10대 핵심 녹색기술에 그린카, 지능형 전력망과

함께 연료전지를 선정했다. 앞으로 기술 개발을 위해 정부지원을 확대하면 시장 진입을 그만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Fuel Cell Today, 2013).

연료전지를 이용한 분산형 발전기술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가 주도하고 있다. 2006

년 상용화에 성공한 이후 생산 설비 확장, 제품 성능 개선, 수명 연장, 시스템 최적화 등을

통해 가격을 낮추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백kW급이던 발전용량을 MW급으로

대용량화하고 있는 추세다. 개발초기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력연

구원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상업용 발전을 위한 제품개발은 포스코에너지가 미국 FCE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전 세계

MCFC 발전소 보급을 주도하고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자체기술과 선진기술 인수를 통해 2008

년에 MCFC용 BOP 공장을 포항에 건설했다. 2010년에는 연간 생산 100MW 규모의 MCFC

스택 공장을 착공했다. 포스코에너지는 현재 1.4MW, 2.8MW 등 분산발전형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2011년까지 시행한 발전차액제도를 발판으로 국내 17개소에 총 45MW에 이르는 시스

템을 설치해 운영하면서 47% 발전효율과 90%가 넘는 운전실적을 발휘하고 있다. 2014년에는

두산퓨얼셀이 PAFC 기술을 인수해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은 PEMFC 시스템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2009년 상용 제품을

판매한 일본을 중심으로 빠르게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두산퓨얼셀, 현대하이스코,

에스퓨얼셀이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 보급을 주도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가정용 보급이

줄어드는 대신 5~10kW에 이르는 건물용 발전시장 진출을 도모하고 있다. 가스비용 저감을

위한 연료전지 전용 가스 요금제, 셰일가스 도입, REC 제도 시행 같은 조건이 갖춰지면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이 활성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SOFC시스템이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는 PEMFC 시스템에 비해 약 7% 정도 높은 42%

Page 31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301

전력변환효율을 보이고 있다. 온수 온도도 약 75℃로 저장탱크 용량을 100리터 이하로 줄일

수 있어 PEMFC보다 향후 전망이 밝다.

국내 연료전지 자동차 기술 수준은 완성차 수준에서 세계 정상급이다. 연료전지 자동차에

사용하는 일반부품도 국내기업의 서플라이체인이 완성단계에 이르렀다. 하지만 연료전지 스택

에 쓰이는 막-전극 접합체, 가스확산층 소재 등 핵심 소재는 아직까지 외국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료전지 자동차 성능은 수소 1회 충전으로 주행거리 600km, 연비 26km/L(휘발유 환산

에너지), 영하 20℃ 시동성, 내구성 3,200시간 이상을 달성했다. 수도권에 70대, 수소가

풍부한 울산지역에서 30대를 운영했다. 실증사업과는 별도로 연료전지 자동차의 성능을 향상

시키고, 기본 소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개발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특히 막-전극접합체

의 성능 향상과 가격 저감을 위해 탄화수소계 전해질막 개발, 백금저감 촉매 기술 등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사업이 미래부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실용화 연구가 산업부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다. 에너지 저장용 이차전지 기술 개발

이차전지는 한번 쓰고 버리는 일차전지와는 달리 전기를 저장했다가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다. 양극, 음극, 전해액, 분리막 4대 핵심 소재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서로 다른

양극과 음극 소재의 전압 차이를 통해 전기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로 19세기 중반 납축

전지로 시작했다. 휴대 전자기기와 함께 급속하게 보급하며 시장을 주도한 니켈수소전지

(Ni-MH)가 최근에는 에너지 저장 밀도와 가격 경쟁력, 경량화, 소형화, 안전성을 확보한 리튬

이차전지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리튬이온전지는 기존의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30~40Wh/kg)보다 더 높은 에너지 밀도(약 230Wh/kg)를 갖고 있다. 또한 자가 방전이나

기억효과가 다른 배터리보다 적어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핸드폰과 같은 전자기기에서 광범위

하게 사용하고 있다.

에너지산업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에너지 효율 향상과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는 에너지

신산업으로 전기자동차(EV)와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스마트그리드

의 핵심 기술인 이차전지가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다. 리튬이온전지는 강력한 ESS 후보다.

국내 ESS 시장은 2013년 28MWh에서 2015년 239MWh로 약 8배 이상 증가하며 급성장했

다. 세계 이차전지시장은 2015년 661억 달러에서 2020년 1031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Page 31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02

예측되고 있다. 리튬이온전지는 배터리 제조기술과 생산량에서 우리나라가 세계 1위를 차지하

고 있다. 기존 휴대폰 중심의 소형전지 시장이 대용량 ESS를 위한 중대전지 시장으로 빠르게

이동하며, 2020년에는 현재보다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미래창조과학부, 2015).

라. 에너지 ICT 기술 개발

에너지 ICT는 2005년부터 산업자원부에서 추진한 전력IT 기술 개발 사업과 2009년 이후

녹색기술 개발로 진행한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근간으로 확대 발전했다. 우리나라는 2009년에

제주시 구좌읍의 6000가구를 대상으로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을 시작했다. 2010년에는 제주

시 행원 풍력 발전단지에서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국내외 홍보와 녹색기술의 상징으로 스마트

그리드 실증사업을 추진했다.

이 실증사업은 지능형 전력망(Smart Power Grid), 지능형 소비자(Smart Consumer),

지능형 운송(Smart Transportation), 지능형 신재생(Smart Renewables), 그리고 지능형

전력서비스(Smart Electricity Service)로 구분해 핵심 기술을 실증하는데 주력했다. 이 실증

사업은 풍력발전을 비롯한 신재생발전, 에너지 저장 장치,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같은 계통

연계 전력, 통신과 제어 기술을 통합적이고 대규모로 실증한 사례다.

또한 2011년부터는 한국형마이크로에너지그리드(Korea-Micro Energy Grid, K-MEG)

로 불리는 정부 사업으로 에너지 생산과 사용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자족 건물과 에너지자립형

도시를 구현할 수 있는 토털 솔루션을 목표로 추진했다. 연료전지 중심의 전력 가스 네트워크,

직류 배전에 대한 기술도 포함되었다. 구로 디지털단지와 서울대 캠퍼스 등에서 실증사업을

진행했다.

에너지 ICT는 2010년 이후 기후변화 대응에 필요한 중요한 국가적 수단으로 관심이 높아졌

다. 또한 에너지의 공급에서 수요관리로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더욱 부각됐다. 정부는 1980년

대의 건물관리기술 등에서 출발한 건물에너지관리기술(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을 필두로 다양한 xEMS 기술을 기후변화대응 핵심 기술로 지정해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xEMS 기술 범주에는 기존의 BEMS외에 HEMS(Home EMS), FEMS(Factory

EMS), CEMS(Community EMS)를 포함한다. 스마트그리드의 전력용 EMS와는 다른 분류의

EMS 기술이지만 에너지 네트워크가 점점 확대되고 통합화되는 과정에서 전력용 EMS와도

점차 연계하고 있다. xEMS기술은 2011년 이후 실증사업으로 사무용 건물, 아파트, 대학 캠퍼

스, 공장 등에 적용해 추진되었고, 평균 11%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보였다(에너지관리공단, 2014).

Page 31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303

마. 바이오 에너지 생산기술 국산화와 산업육성

급격한 도시화와 저장 및 운송이 용이한 석유의 본격적인 보급으로 바이오 에너지 사용이

급격하게 줄었다. 1995년부터는 사용량을 통계에 기록하지 않을 정도다. 1970년대 석유파동

은 바이오매스를 양질의 신재생 에너지인 바이오 에너지로 전환하는 연구 붐을 전 세계에

촉발시켰다. 국내에서 바이오 에너지 연구는 1988년에 수립한 「대체 에너지 기술개발 기본계

획」에 따라 시작되었다. 1990년대 초부터 국내 여건과 기술 수준, 환경 영향 등을 고려하며

본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단기로는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소화, 매립지 가스 활용, 바이오

에탄올 보급을 목표로, 장기적으로는 저급 유지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바이오수소 생산,

바이오매스 가스화 기술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이어갔다(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2000).

1세대 바이오 연료 기술이라 할 수 있는 전분계 에탄올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한 뒤, 1990

년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국내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한 2세대 에탄올

연구를 소규모로 진행했다. 하지만 유가가 내려가고, 바이오매스 수급에 문제가 생기며 기술

보급으로 이어가진 못했다. 하지만 이때 진행한 목질계 에탄올 연구 경험은 다른 바이오에너지

분야에서 기술을 개발하는데 기반이 됐다. 2015년 GS칼텍스가 폐목재를 이용한 바이오부탄올

실증플랜트를 건설해 상업화에 나서고 있다.

한편 현대엔지니어링은 고효율 메탄 발효공정을 혐기성 여상공정으로, 대우는 상향류 슬럿

지 층상 반응기(UASB) 공정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도로 저급

유지인 폐식용유, 우지, 돈지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을 개발한 뒤 기업인 가야에너지에

이전해 상업화했다.

정부와 연구 지원 기관, 산・학・연이 공동노력으로 달성한 연구개발 성과에 힘입어 바이오

에너지 보급은 2005년 전체 신재생 에너지의 4%인 18만 TOE에서, 2014년 전체 신재생

에너지의 25%인 280만 TOE로 대폭 증가했다. 현재 바이오 에너지는 폐기물에너지에 이어

국내 2위의 신재생 에너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2015).

바. 청정연료와 온실가스 저감

운송 수단을 제외하면 화석 연료를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곳은 발전소다. 우리나라는

석탄을 이용한 화력 발전을 주로 하고 있다. 1980년대 정부 정책에 따라 500MW급 석탄

화력 발전에 대한 기술을 확보한 뒤 발전소를 건설했다. 1990년대에는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Page 31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04

포함하는 환경문제와 효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나섰다. 그 결과 대용량화와

초임계압 발전 기술을 적용해 2000년대부터 1000MW급 석탄 화력 발전소를 건설했다.

석탄을 이용한 효율적인 발전과 화학 원료 생산을 위해 순산소연소, 가스화 기술 등도 연구했

다. 한국서부발전은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해 300MW급의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소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를 건설해, 2016년 시운전을 시작하며

IGCC에 관한 시공과 운영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다. 포스코는 코노코-필립스 가스화기를 도입

해 석탄가스화를 통한 연간 50만 톤 규모의 합성천연가스(Synthetic Natural Gas, SNG)

생산 공장을 2015년 준공했다. 이산화탄소 회수와 오염물질을 줄이기 쉬운 순산소연소는

2006년부터 연구를 진행해 2007년부터 실증을 위한 플랜트 최적화에 도달했고, 시스템 개념

설계를 진행해 순산소연소 관련 기술능력을 축적했다(서상일, 2011, pp.590~594).

기후 변화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적인 합의가 이뤄짐에 따라 정부는

2000년대부터 이산화탄소 포집과 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에 예산을 적극

투자하고 있다. 2010년에는 「국가 CCS 종합 추진계획」을 발표하며 관련 기술개발을 진행했다.

2010년 기반 구축과 핵심 요소기술 개발을 마친 뒤, 정부와 국내 기업이 기술 실증과 실용화

기반 확보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일부 요소기술은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다. 또한

미래창조과학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2016년 4월 「탄소자원화 발전 전략」을 수립하여 배출된

온실가스를 기초화학 연료 등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CO2 전환, 부생가스 전환, CO2

광물화를 추가적인 감축수단으로 포함하여 실증사업 및 차세대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3. 에너지 분야의 미래 전망

에너지 R&D 정책을 보면, 지난 50여 년 동안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에너지 R&D 와 관련된

각종 법률 및 정부 계획이 마련되었고, 주요한 기술개발 사업도 체계적으로 추진되었다. 그리고

에너지 기술개발을 담당하는 주요 부처와 전담기관도 설립하는 등 외형적인 성과도 보였다.

또한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대학・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기초・원천기술 확보, 기업의 수출경쟁

력 강화, 에너지 원단위 개선, 신재생 에너지 보급 확대, 안전하고 안정적인 전력공급 등의

성과도 얻을 수 있었다. 정부 부처 및 에너지 공기업을 중심으로 추진된 에너지 기술개발의

경우, 그 사업화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민간 주체들도 자체적인 연구뿐 아니라 정부의 사업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과 국제적인 협력 연구까지 추진하여,

우리나라 에너지 기술의 위상도 높아지고 있다.

Page 31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305

정부는 혁신적인 에너지 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에너지 산업의 기반기술을 확보하고 에너지

산업을 성장 동력의 새로운 축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예산을 지원해 왔다. 그 결과

2016년 기준 정부 에너지 R&D 예산은 약 1.5조 원 규모까지 증가했다. 다만 전체 R&D

예산대비 에너지 기술 분야13)의 비중은 최근 감소하였으나14), 우리나라의 미션이노베이션

참여와 이의 시행을 위한 「청정 에너지 기술 발전 전략」 수립을 통해 보다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에너지 기술 분야의 중장기 투자는 분산형・지능형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 신재생 에너지의 확산과 보급, 효율 향상 기술의 지속적 발전에 집중될 것이며, 이를

통해 에너지 저소비 사회를 실현하고 글로벌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와 민간은 다가올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에너지 기술 분야에 대해 과감하

고 전략적인 투자를 진행해야 하며, 이를 통해 확보되는 성과는 온실가스 감축과 신산업 창출의

주요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에너지 기술 부문을 보면, 2015년 12월에 개최된 UN 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21)에서는 2020년에 만료되는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기후체제로 파리협정을 채

택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산업에서 많은 정책 변화가 나타날 것이다. 이 협정에는 지구 평균

온도의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2℃ 보다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1.5℃까지 제한하기

위한 노력을 추구할 것을 포함하고 있다. 전 세계 196개 협약 당사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현재 전 세계 배출량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앞으로 5년마다 상향된 감축 목표를 설정해

UN에 제출한 뒤 대책을 실행해야 한다. 세계 각국에 비용을 부과하고자 했던 교토의정서는

탄소 배출량 감소에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강제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반면 탄소 감축에

시장경제원리를 도입해 각국에 인센티브를 부여하겠다는 파리협정의 방향성은 세계 각국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usiness as Usual,

BAU) 기준으로 37%를 감축하겠다는 자발적 감축 목표(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INDC)를 제출했다. 2023년부터 5년 단위로 파리협정 이행 전반에 대해

국제사회의 종합적인 이행점검(Global Stocktaking) 결과에 따라 연간 1000억 달러 규모의

국제기금 지원이 달라진다. 우리나라는 탄소가격이 주요 시장을 포괄하는 국제 표준이 될

것에 대비해 탄소세 도입 등 관련 정책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다(변천석, 2016, pp.4~21). 따라서

주요 에너지 신산업 분야에서 이를 대비한 기술 개발을 이뤄야 한다. 주요 미래 에너지 기술개

발의 전망과 관련하여 아래의 여섯 가지 미래 이슈를 언급하며 글을 맺고자 한다.

Page 32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06

첫째, 차세대 태양광 기술개발과 신산업 육성을 해야 한다. 태양전지를 비롯한 태양광 분야는

신재생 에너지에서 기술 경쟁이 가장 심한 분야다. 저가격화와 고효율화를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다. 태양전지 기술은 시장에서 90%를 차지하고 있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중국기

업이 대량생산하여 시장을 독점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출력 제품 개발과 저가화를

위한 차세대 기술개발에 전 세계가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또한 건물용과 자동차용, 모바일용

같은 새로운 태양광 응용분야에 적합한 차세대 태양전지를 활용해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과

기술우위를 바탕으로 한 신산업을 창출하고자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2050년에는 전

세계에서 생산하는 전력의 약 16%를 태양광 발전으로 대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태양광 분야는 중장기적으로 중요한 미래 신성장 동력 분야다(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2014, pp.64~70). 따라서 정부와 민간이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기술개발에 나서야 한다. 이와 같은

기술 선도 전략을 바탕으로 미래 먹거리 산업에 대한 관심을 키워나가야 한다.

둘째, 가스 인프라를 활용한 연료전지 보급화가 필요하다. 경제성이 기존 기술에 비해 아직

미흡한 신재생 에너지 보급에는 정부 지원이 결정적이다. 우리나라는 녹색 성장에 대한 의지가

확고하고, 신재생 에너지 공급 의무화(RPS)와 기타 지원제도가 연료전지 보급을 촉진하고

있다. 특히 분산 전원과 소형 열병합 분야는 정부 지원에 힘입어 빠른 속도로 보급을 늘리고

있다. 특히 수송용 연로전지시장은 2015년 이후 본격적으로 형성돼, 2020년 약 8,000억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녹색기술센터, 2016).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기후변화에 따른 각국의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빠르게 강화되고 있다. 둘째는 국제에너

지기구(IEA)가 선언한 가스 황금시대(The Golden Age of Gas)가 오고 있다. 연료전지는

가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최고 기술이다. 셋째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전력

망 안정성을 위해 대용량 에너지 저장기술이 필요하다. 연료전지는 여기에 적합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와 상용화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 정부는 2016년부터 에너지

저장 장치(ESS) 상용화를 촉진하고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서 다양한 이차전지 활성화와

지원 정책을 추진한다. 또 전력 품질 개선을 위해 ESS 660MWh 대규모 보급사업, ESS를

활용한 에너지 자립섬 조성, 스마트 그리드 확산, 외국 진출을 위한 인프라 확보, 국제 기술협력

강화 등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관계부처 합동, 2016, pp.54~55).

에너지 저장 기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차전지의 국내 생산과 제조 순위는 세계

1위다. 하지만 핵심 소재 국산화율은 41%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리튬이차전지는 최근 들어

Page 32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307

폭발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안정성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증폭되고 있다. 미래 전기자

동차나 스마트그리드를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기존의 리튬이온전지보다 5배 정도

의 에너지 밀도와 출력 밀도, 그리고 더 나은 안정성이 필요하다. 현재 리튬이온전지는 휴대전

화 1~2일 사용, 전기 자동차로 150~180km 주행이 가능한 수준이므로 새로운 시장 창출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재와 성능, 가격, 안정성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차세대 이차전지 시스템

이 필요하다. 또한 핵심 기술개발과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 정책을 긴밀하게 연계해 이차전지

원천기술과 상용화 기술을 동시에 확보해야 한다.

넷째, 에너지 ICT 상용화 기술의 확보가 필요하다. 에너지 ICT는 앞으로 국가 주요 육성

기술로 등장할 것이다. COP21 이후 기후변화 대응 목표를 위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하고, 신재생 에너지와 ESS, 전기 자동차 등 본격적으로 성장할 미래의 스마트에너지 사회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에너지 체계는 에너지 생산과 소비의 효율화를 추구하여

전력 네트워크를 더욱 확장해 지능화하고, 이종 간 에너지 네트워크가 통합될 것이다. 또 분산

발전 위주로 에너지 공급체계를 전환하면서 양방향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고 수요하는 시스템이

보편화할 것이다(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16, pp.22~126). 대표적인 예가 현재 진행 중인 진천 친환경 에너

지타운 사업이다. 여기에는 국내 최초로 계간축열, 태양광, 연료전지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

설비를 마련하고 전력IT와 연계시켜 해당 지역의 에너지 수요를 자체적으로 해결하는 에너지

자립형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과 열을 저장하는 ESS 기술과 수요 변동 및 잉여

에너지 등을 관리하는 전력IT가 핵심 기술로써 적용되고 있다.

최근 ICT 분야에서 IoT, 클라우드, 모바일, 빅데이터 외에 인공지능 같은 신기술이 등장했

다. 이들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면 스마트그리드와 EMS 기술을 한 단계 도약시키고 에너지프로

슈머와 가상발전소 기술을 성숙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이들은 에너지통합기술(Energy

System Integration), 스마트시티(Smart City), 제로에너지(Zero Energy) 빌딩 분야와 연계

해 에너지와 기후변화 관련 국가적 아젠다 해결과 신산업 창출에서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한다(심성희, 2016).

다섯째, 국내 고유 바이오 에너지 기술로 세계를 선도해야 한다. 국내 바이오 에너지 기술

보급에서 가장 큰 걸림돌은 자원량이다. 충분한 바이오매스를 확보하기 어렵다.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저유가일 때 경쟁력을 갖출 수 없다. 하지만 신기후 체제에 따라 정부는 2015년

부처 간 협업을 통해 향후 바이오 에너지 기술 개발의 핵심 과제로 바이오연료 생산기술 경제성

확보, 신규 바이오매스 대량 생산을 도출했다.

Page 32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08

미래 사회의 키워드는 지속가능성이다. 바이오 에너지는 온실가스 배출 걱정이 없고, 석유

고갈 걱정이 없는 지속가능성을 중심에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발전소와 연계해 연료와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석유계 연료 대비 경제성을 갖는 고효율

바이오 연료 생산 플랜트, 버려지거나 비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미활용 자원에서 생산하는 청정

에너지 생산 연구 등을 연구계와 산업계에서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미래창조과학부, 2015). 다양한

협업을 통해 성공적으로 바이오 에너지를 연구개발하면 2030년 즈음부터는 석유 연료보다

경제성 있는 차세대 바이오 연료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섯째, 차세대 청정연료 발전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저등급 석탄의 고품위화, 석탄가스화

응용,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초임계압 석탄 화력 발전 같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각 분야에

서 기술적 성과를 얻고 있으며 상용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순산소연소는 미래창조과학부

융합연구단 사업으로 저급 석탄을 활용해 고효율 초임계압 이상에서 발전할 수 있는 청정화력

발전소의 핵심 원천기술 개발로 진행하고 있다. 향후 상용화를 통해 이산화탄소 대량 감축과

고청정, 고효율 발전 기술을 가능케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CCS는 대부분 국가 주도 지원 R&D로 추진되고 있다. 2010년 수립된 「국가

CCS 종합 추진계획」에는 2020년까지 2개의 실증 플랜트가 건설될 예정이지만, 현재 이 계획

은 지연되고 있어 전망이 불확실한 상황이다. 그러나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부분을 발전

(37.7%)과 산업공정(36.0%)이 차지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15),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배출된 온실가스를 기초화학 연료 등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탄소자원화(CO2 전환, 부생가스 전환, CO2 광물화)를 추가적인 감축수단으로 포함하

여 차세대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산업계에서 발생하고 있는 탄소원(CO2, CO,

CH4)을 유용제품으로 전환・생산하여 온실가스 감축과 경제적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미래창조과학부, 산업자원부, 환경부 공동으로 탄소자원화 국가 전략 프로젝트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집필 이 태 준 (원자력)

양 훈 철 (에너지)

이 재 구 (에너지)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책임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Page 32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309

참 고 문 헌

과학기술부 (2001), �제2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2002~2006)�.

과학기술부 (2005). �2005년 원자력백서�.

과학기술부 (2006), �과학기술 40년사�.

관계부처 합동 (2016), �청정 에너지 기술 로드맵: 신기후 체제의 에너지 연구 개발 투자 포트폴리오�, 한

국에너지기술평가원.

교육과학기술부・지식경제부 (2012), �2012~2016 제4차 원자력 진흥 종합계획�.

권맹섭 (2015), ‘2. 후쿠시마 사고 이후 안전대책 현황,’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15 원자력연감, pp.146~152.

김긍구 (2014), ‘중소형 원자로 연구개발’, 2014원자력연감, 제6장, 한국원자력산업회의, pp.358~367.

국무총리실 외 (2008),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08­2030”, 제3차 국가에너지위원회, 의안번호 제1호.

국제에너지기구 (2016), �에너지 기술 전망�.

녹색기술센터 (2016), �녹색・기후기술백서 2017�.

녹색성장위원회 (2009),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

동력자원부, 한국전력㈜ (1990), �1990 원자력 발전 백서�.

미래창조과학부 (2015), �기후변화 대응 기술 혁신과 산업화 지원 계획�.

미래창조과학부 (2016), �2016 원자력 백서�.

미래창조과학부 외 (2015), ‘기후변화대응 기술혁신과 산업화지원 계획’ 2015.8.7.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

박익수 (2002), �한국 원자력 창업사: 1955~1980�, 도서출판 경림.

변천석 (2016),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에너지 신산업 확산전략 및 향후 정책과제”, �에너지포커스� 13(1), pp.4~21.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센터 (2014), �신재생에너지 백서�, 산업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2015), �2014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통계�.

서상일 (2011),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순산소 연소를 통한 이산화탄소 회수 기술”, NICE 29(5), pp.590~594.

심성희 (2016), “ICT 융・복합 기술과 연계한 에너지수요관리 추진 전략연구 성과”(발표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관리공단 (2014), �에너지 관리시스템 성과 분석 연구�.

오장진 (2014) ‘제1장 안전규제 현황 및 정책동향 - 2. 정책 및 제도 개선현황’,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1

4 원자력 연감, pp.175~183.

원자력위원회 (1994), �2030년을 향한 원자력 장기 정책방향�.

이광석 외 (2007), �원자력 50년의 전개 과정 고찰�, 한국원자력연구원.

이진호 (2014) ‘제1장 안전규제 현황 및 정책동향 - 3. 원자력 안전규제 법령’,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14

원자력 연감, pp.183~187.

이태준 외 (2012), 국가 원자력 정책 현황 및 변천과정,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2014), �재생에너지 현황 보고서�.

Page 32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2000), �바이오매스 에너지 활용 기술 개발 기획 연구�, 과학기술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12), �2012 발전 전략 보고서 연료 전지�.

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한국원자력연구소 30년사�.

한국원자력연구원 (2009), �한국원자력연구원 50년사�.

한국원자력연구원 (2015), �미래원자력시스템 기획보고서 - 미래원자력시스템 기술개발 장기 로드맵�, 내부보고서

원자력안전협약실무추진단 (2007), �원자력안전협약 국가보고서(안) -제4차 검토회의-�, 6월.

황수돈 (2014) ‘1. 한국전력공사’, 2014 원자력연감, 제1장, 한국원자력산업회의, pp.147~152.

Fuel Cell Today (2013), The Fuel Cell Industry Review http://fuelcelltoday.com/media/1889

744/fct_review_2013.pdf, 2017년 5월 30일 접속)

KAERI (2007), Nuclear Power Project: Policy and Korean Experience, 1st (ed.), KAERI.

KHNP (2011), Korean Experience & Recommendation for the first Nuclear Power Project Dev

elopment, KHNP, Seoul, Korea

Kim, B.-K. (2011), Nuclear Silk Road: The Koreanization of Nuclear Power Technology, Charleston, USA

OECD/NEA (2008), Nuclear Energy Outlook 2008, Paris: OECD.

Page 32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5장원자력・에너지

311

미 주

1) 공식적인 영문 명칭은 ‘Agreement for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

ea and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concerning the Civil Uses of Atomic Energy’이다.

2) 계산단위(Special Drawing Right): 국제통화기금의 특별인출권에 상당하는 금액(1 SDR ≒ 1.4$)

3) 50개의 장단기 개선 대책 중 46개는 한수원㈜에 적용되는 대책이었고, 4개는 그 밖의 기관에 적용되는 대책이었다.

4) 당연직 위원: 기획재정부장관・교육과학기술부장관・외교통상부장관・지식경제부장관

5) “전처리 및 전해환원”이란 용어가 협정문에 명시되어 있지는 않았다. 협정문 합의의사록1 제5절에는 “초우라

늄원소 또는 그 밖의 특수핵분열성물질이 분리될 수 없는 형상 또는 내용 변경을 수반하는 물질의 수집(cons

olidation) 및 처리(treatment)”로 되어 있다. 파이로 공정의 전처리 및 전해환원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 공

정에서는 초우라늄원소 또는 그 밖의 특수 핵분열성 물질이 분리되지 않는다.

6) “파이로”라는 용어가 협정문에 명시되어 있지는 않았다. 협정 제11조의 “재처리 및 그 밖의 형상 또는 내용

변경”의 범주에 파이로가 해당된다.

7) “액티나이드 축적 회피”는 파이로 공정에서 나오는 액티나이드(Pu, Np, Am, Cm)가 고속로에서의 핵변환

계획 등에 근거하여 합리적 수준의 재고 이상으로 축적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한다.

8) TRU 핵연료 제조시설 포함

9) 한국형 표준 원전 기술(KSNP)과 연구용 원자로(HANARO)는 추격형 기술 혁신의 성공사례에 해당한다.

10) 2DS: 장기적 기온상승을 2℃ 이내로 제한하는 시나리오, 6DS: 현재 수준의 정책을 유지하는 시나리오

11) 태양 전지, 연료 전지, 바이오 에너지, 이차 전지, 전력 IT, CCS 등 신재생 에너지 관련 기술

12)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하고 있는 글로벌프론티어사업의 멀티스케일에너지시스템 연구단과 기후변화대응기술

개발사업의 지원을 받고 있는 화학연구원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에서 세계 기록을 4번이나 갱신하

였고, ’16년 8월에는 22.1%의 세계최고 효율을 발표

13) 정부 에너지 R&D 예산은 신재생, 효율향상, 전력 분야 외에 원자력, 자원 분야까지 포함

14) 정부 R&D 내 에너지 R&D 비중 : 11.8%(2010) → 11.3%(2012) → 10.0%(2014)

15) 2016년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NIR)는 1990~2014년의 통계를 수록하고 있으며, 2014년도 총 국

내 온실가스 총 배출량은 690.6 백만톤 CO₂eq.이었고, 발전분야(에너지산업)는 260.4 백만톤 CO₂eq., 산

업분야(제조 및 건설, 광물, 화학, 금속산업 등)는 248.7 백만톤 CO₂eq.를 배출하였다.

Page 32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32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지질 자원・환경

│제6장│

Page 32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32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6장지질 자원・환경

315

제6장 ❚ 지질 자원・환경

제1절 개요

이 장에서는 1960년대 이후 한국의 공업화 전략의 뒷받침이 되었던 원료 광물 자원 개발을

이끈 지질 자원 분야 전 지구적으로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는 환경 분야의 과학기술 발전사를

다룬다. 두 분야는 발전 경로나 성격이 달랐지만, 자원의 활용과 그 지속가능성을 연구하는

지구과학 분야의 연구 주제라는 점에서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다. 지질 자원 기술은 지질

조사, 자원 탐사 및 개발 등 자원을 확보하고 정제하기 위한 개발부터 시작되었지만, 2000년대

이후에는 전 세계적으로 자원 확보뿐만이 아니라 환경보전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지질과 환경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먼저 지질 자원 분야를 보면, 해방 이후 지질 자원 분야에 관한 행정을 담당했던 국가 부처는

상공부의 광무국과 국립지질조사소였다. 국립지질조사소는 1945년 11월 출범 이래, 중앙지질

광산연구소, 국립중앙지질광산연구소, 중앙지질광물연구소, 국립지질조사소, 국립지질광물연

구소로 계속 변해왔고, 1976년 이후에는 정부 출연 연구기관으로 자원개발연구소, 한국동력자

원연구소, 한국자원연구소 그리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으로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조직, 인력, 연구 영역 등도 함께 변화했다(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6).

1950년대 후반부터는 광업이 다시 살아나고 지질 및 지하자원 탐사 분야의 조사・연구가

활성화되면서, 연구 인력도 증원되고 지질 자원 연구도 성장기로 접어들었다. 특히 초기의

성장에는 UN 한국재건단(UNKRA)의 역할이 중요했다. UN 한국재건단은 6.25 전쟁으로 황

폐해진 한국의 광업을 발전시키고자 1954년 3월 29일 대전광물시험소를 설립했다. 대전광물

시험소는 선광 시험 및 광물을 분석・감정하는 업무를 성공리에 수행하면서 영세한 광산들을

도왔다. 또한 UN 한국재건단은 1951년부터 7년간 중앙지질광물연구소, 대한석탄공사 등을

통해 국내의 금속 광물, 석탄 사광 등을 탐사하고 개발하는 데 총 1,000만 달러 상당의 원조를

제공했다. 이후 1961년부터 1976년 사이에는 UN 산하 기관들(UNDP, CCOP, RMRDC)과

미국, 영국, 일본,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이 무상으로 관련 기술을 원조했고, 그 이후

Page 33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16

차관에 의한 시설 및 장비의 도입과 현대화가 이루어졌다.

환경 분야는 급속한 공업화가 추진된 이후 조금씩 논의되기 시작했다. 1950년대부터 1960

년대까지 국가 경제가 빈약하고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할 정도의 산업 기반도 존재하지 않았으

며, 국민의 물자 소비도 환경오염을 일으킬 정도는 아니었다. 하지만 1962년부터 시작된 정부

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따라 고도 경제 성장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국토 훼손과 각종

산업 시설의 오염 물질 배출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환경 문제가 서서히 대두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의 환경 문제는 학계 및 언론이 먼저 문제를 제기하면서 사회적 의제로 부각되었다.

이에 1977년에 기존의 「공해 방지법」을 폐지하고 환경 전반에 대한 적극적이고 종합적인

관리와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환경 보전법」이 새로 제정되었다. 「환경 보전법」은 종래의

공해를 대신하여 환경오염이라는 개념을 새로 도입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점점 복잡해져

가는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 보전법」을 폐지하고 환경 정책의 기본 이념과 방향을

정하는 「환경 정책 기본법」의 제정 및 개별 환경 및 오염 물질을 규제 관리하는 복수법 주의로

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1980년 환경청이 환경 정책 및 연구와 관련한 행정, 정책, 연구개발을 조정, 관리하는 행정

기관으로 발족했다. 이와 함께 1978년 설립된 국립환경연구소는 몇 차례의 조직 확대를 통해

현재 국립환경과학원으로 명칭을 바꾸어 국내 유일의 종합 환경 연구기관으로 자리 잡고 있다.

G7 프로젝트의 관리 운영을 위해 1998년에 설립된 환경기술개발관리센터는 이후 몇 차례의

변화를 거쳐 한국환경기술진흥원으로 명칭을 바꾸며 국가 연구개발 사업을 기획, 평가, 관리하

는 역할을 담당했다. 2009년에는 친환경상품진흥원과 통합하여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으로 출

범했다.

환경 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사업은 2017년 현재까지 세 차례에 걸친 「환경 기술 개발 종합계

획」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이외에 정부의 다양한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하여 21세기 글로벌

한 환경 위기 속에 대처해 나가고 있다.

제2절 지질 자원

정부는 1962년도에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한 이후 지속적인 고도 성장을

Page 33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6장지질 자원・환경

317

이룩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특히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기간에는 농어업 및 경공업

중심의 산업 구조에서 중화학 공업 중심으로 국내 산업 구조를 개편하고자 했다. 중화학 공업을

육성하기 위해 원료 광물의 수요가 증가했고 이에 따라 광산 개발도 활성화되면서, 1973

년~1977년 사이에 광산물 수출액이 연평균 23.6% 증가했고, GNP에서 광업이 차지하는 비중

도 1.3% 수준으로 성장할 정도로 광업이 중요한 산업으로 부상했다. 1970년대 포항제철 준공

전에는 국내 생산 광산물에 대한 내수 비율이 높지 않았으나, 포항제철 가동 이후에는 내수

비율이 80%까지 올라가고 광산물의 수입 규모도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포항제철의 2기 확장

사업이 완료된 1977년도의 수입은 1973년도 대비 7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우리나라의 에너지 정책은 1960년대만 해도 주탄종유 정책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무연탄

이 에너지 생산의 주연료였고 유류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1970년대 들어 원유 가격이

내려가고 중화학 공업이 성장하자 그 원료 확보를 위해 주유종탄으로 전환해 유류를 주종

에너지로 이용했지만, 제1차 중동전쟁으로 1973년 유가가 급격히 상승하자 석탄 수요가 다시

증가하여 강원도를 중심으로 전국적인 탄광 조사 사업이 추진되었다. 그 일환으로 정부는

1972년~1975년 사이에 주요 탄전에 대한 정밀 지질 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하여 채탄 작업을

지원했다. 한편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 및 국내

우라늄 부존 조사 사업을 계속해서 수행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정부는 국립 연구소 체제로는 인력,

장비, 효율성 등 모든 면에서 광물・에너지 분야의 연구개발 기능을 전담하기 어렵고 국가적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효율적인 지질 조사 및 광물에너지

탐사 개발을 위해 과감하게 국립 연구소를 출연 연구소 체제로 개편했다. 1973년 12월 31일

법률 제2671호로 제정된 「특정 연구기관 육성법」에 근거하여 1976년 한국자원개발연구소와

핵연료개발연구소가 정부 출연 연구기관이 되었다.

1. 지질 자원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행정 및 지원 체계의 변천

일제 강점기를 지나고 해방이 되었을 때 지질 자원 분야의 인프라는, 노량진 철교 부근에

남겨진 국립지질조사소 전신의 연구 시설과 소수의 전문가, 그리고 교육기관으로는 경성광업

전문학교 뿐이었다. 그마저도 미군정과 정부 수립 혼란기 및 6・25 전쟁을 겪으면서 체계적인

Page 33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18

연구나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지 못했고, 국립 연구소 역시 예산과 인원 부족으로 간신히

명목만 이어가고 있었다. 5.16 군사 정변 직후인 1962년 2월,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

는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위한 에너지 자원 확보를 전담할 국립지질 조사소를 방문하

여 아낌없는 지원을 약속했다. 그리고 국가 핵심 사업으로 태백산 지구 지하자원 조사 사업을

추진하면서 막대한 인력과 예산이 지원되는 등 지질 자원 분야의 인프라 및 연구개발 여건이

빠르게 갖춰졌다. 1967년~1972년 사이 45매의 �국가 기본 지질도�가 발간되었다.

1967년 과학기술처가 신설되고 상공부 소속이었던 국립지질조사소가 과학기술처 산하로

편입되면서 지질 자원 분야의 조사, 연구의 제도적 기틀이 갖춰졌다. 국립지질조사소가 자연과

학 분야 연구에 치중하게 되자, 상공부는 1967년 5월에 국립대전시험소에서 국립광업연구소

를 분리, 설립하여 선광, 제련 및 분석 연구와 더불어 채광과 광산 조사를 담당하도록 했다.

두 연구소의 설립 초기에는 국내 지질자원 분야의 연구가 열악했기 때문에 국립지질조사소와

광업연구소의 업무 활동은 연구보다는 행정 업무에 많이 치중되어 있었다.

두 연구소가 설립될 무렵 국내에 학술 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도 조성되기 시작했다. 1968년

새로이 대한광산지질학회가 창립되었고, 그에 따라 1947년에 설립되었던 대한지질학회와 광

산공학회가 함께 경쟁하면서 발전하게 되었다. 국영 기업으로는 1967년 5월 대한광업진흥공

사가 설립되었고, 지하수개발공사가 1969년 2월에 발족한 후 토지개량조합연합회와 통합하여

농업진흥공사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지질 자원 분야는 획기적으로 발전할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어 대통령령 제4627호에 의해 지질 자원 분야 연구소에 해양 지질 분야를 신설했고,

미 해군으로부터 5년간 무상 임대받은 예인선을 해양조사선으로 개조하여 대륙붕 자원 탐사

개발을 추진했다. 육상에서는 지속해서 포항 석유 자원 탐사도 이뤄졌다. 1973년 1월 대통령

령 제6464호에 의해 지질 자원 분야 양대 연구소였던 국립지질조사소와 국립광업연구소를

통합하여 국립지질광물연구소가 발족했고, 지질 조사, 선광, 제련, 채광 분야를 모두 관장하게

되었다.

1970년대 포항제철이 준공되기 전까지는 내수 기반이 취약하여 국내에서 생산되는 광산물의

절반 정도가 주로 일본으로 수출되었지만, 포항제철 가동 이후에는 내수 비율이 80% 수준까지

증가했다. 원료 광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광산 개발도 활성화되었으며, GNP의 1.3%를

광업이 차지할 정도로 그 산업적 중요성이 높아졌다. 이스라엘과 아랍 간의 제1차 중동전쟁으로

인해, 1973년 유가가 급격히 상승하여 국민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이에 따라 다시 석탄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고, 강원도 탄광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탄광 조사 사업이 정책적 차원에

Page 33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6장지질 자원・환경

319

서 진행되었다.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기간에 주요 탄전에 대한 정밀조사 사업이 추진되

었으며,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소를 계속 건설했고, 미군 철수 움직임

에 대응한 원료 자원 확보 차원에서 국내 우라늄 자원의 부존 조사 사업도 수행되었다.

이런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국립 연구소 체제였던 지질 자원 전문연구기관은 인력 운용,

장비 및 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1973년 12월 「특정 연구기관 육성법」에 근거하여

정부 출연 연구기관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연구 인프라가 획기적으로 확충되었는데, 한반

도 연근해 지역의 대륙붕 지질탐사를 위해 탐사선 ‘탐해호’를 새로 건조했고, 구로동 연구소

청사를 증・개축했으며 아시아개발은행(ADB) 차관으로 연구 장비를 개선했다. 정부 출연 연구

기관으로 조직이 바뀌었으나 중화학 공업에 필요한 광물 에너지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당시

정부의 주요 정책적 목표였기 때문에, 자원개발연구소는 국책 연구기관으로서 정부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지질 자원 분야에 가능한 역량을 집중했다.

1990년대부터는 전략적 선택과 집중이라는 과학기술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고유기능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1992년 첨단 요소 기술 개발 사업이 시작되었다. 1993년

정부는 「신경제 5개년 계획 기술 개발 전략 부문 계획」을 수립했고, 과학기술의 국제화, 일류화,

전문화를 위해 연구소 별 역할을 정립했다. 각 연구소는 주 기능과 부 기능으로 나눠 목표를

설정했고 대형 연구 중심의 연구 시스템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지질 자원 분야 전문 기관은

국내 유일의 지질 조사 및 지하자원 개발 전문 기관으로의 도약이라는 목표를 설정했다. 1995년

에는 경쟁에 의한 과제 수주를 통해 연구개발 투자 효율성을 증대시킨다는 목적에서

PBS(Project Based System)가 정부 출연 연구기관에 적용되었다. 이에 따라 지질 자원 분야의

연구소들도 과제를 수주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했다. 그러던 중 1997년 국가 외환위기가

발생하면서 정부 출연 연구기관 예산이 대폭 축소되는 등 전반적인 연구 환경이 불안정하였다.

2003년 이후 중국의 고속 경제 성장으로 원료 광물 자원에 대한 수요가 많이 증가했지만

지질 자원 분야에서 신규 자원 개발을 위한 투자가 미약했던 탓에 이 수요에 대응하기가 힘들었

다. 이에 따라 원료 광물 자원의 가격이 급격히 올라갔다. 이런 와중에 과학기술부와 교육부가

교육과학기술부로 통합되면서 지질 자원 분야 전문 연구기관은 산업자원부 소관으로 이관되었

다. 정부는 자원 외교 후속 조치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중앙아시아 등에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활발히 활동했다. 2013년에는 다시 미래창조과학부가 신설되면서 과학기술 담당 부처가

교육부와 분리되었고, 산업자원부에 속했던 지질 자원 전문연구기관도 다시 미래창조과학부

산하로 옮겨 왔다.

Page 33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20

나. 정책 및 사업의 변천

지질 자원 분야에 대한 과학기술 연구는 1967년 4월 과학기술처가 신설되면서 시작되었는데,

국립지질조사소의 광업 개발 연구 및 자연과학 연구가 대표적이었다. 부수적으로 상공부의 광업

연구소가 산업 기술의 측면에서 자원 탐사 개발을 현장에서 진행했다. 1960년대 중반 이후에는

국제기구들과 미국의 원조에 힘입어 여러 시설을 확보할 수 있었고 기기 도입도 이루어졌다.

<표 6-1> 지질 자원 분야 연구개발 주요 정책들

시기 주요시책 등

1967◦ 국립지질조사소가 상공부에서 과학기술처로 이관

- 국립광업연구소 상공부 산하 신설로 지질조사소에서 채광 및 선광 연구 기능 분리

1973◦ 국립지질광물연구소 발족

- 국립광업연구소와 국립지질조사소 통합

1974 ◦ 국립지질광물연구소, 북한 남침용 땅굴 탐지 탄성파 탐사 실시

1976◦ 상공부 소속의 국립지질광물연구소가 과학기술처 소속으로 이관

◦ 국립 지질광물연구소를 재단법인으로 전환

1976 ◦ 재단법인 자원개발연구소 출범(과학기술처 소관) (소장 현병구)

1978◦ 재단법인 자원개발연구소, 과학기술처에서 동력자원부 소관으로 변경

◦ 재단법인 자원개발연구소, 공업시험원 광업기술부를 흡수하여 광산개발부/광산보안부 설치

1980 ◦ 재단법인 자원개발연구소가 과학기술처 소관으로 변경

1981 ◦ 자원개발연구소와 한국종합에너지연구소를 한국동력자원연구소로 통합 발족(과학기술처 소관)

1984 ◦ 「국가 채탄 기계화 중장기 계획」(1984~2001) 수립

1991◦ 한국동력자원연구소의 자원 분야와 에너지 분야 분리 ・ 독립, 재단법인 한국자원연구소 발족,

과학기술처 소관

1994 ◦ 영국지질조사소(BGS), 프랑스 지질광물연구소(BRGM)와 MOU 체결

1995◦ 원주지진관측소(KSRS)를 UN에서 National Data Center로 지정

◦ 한・러 자원공동 연구센터(러시아 하바로프스크) 개소

1997 ◦ 탐해2호(해양조사선) 취항

1999 ◦ 과학기술부 재단법인 한국자원연구소가 국무총리실/공공 기술연구회 소속으로 이관

2000 ◦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단(산업폐기물자원화・재활용기술 개발사업단) 발족

2001 ◦ 한국자원연구소에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으로 명칭 변경

2004 ◦ 국무총리실소속에서 과학기술부/공공 기술연구회 소속 이관

2005 ◦ 가스하이드레이트개발사업단 출범

2008 ◦ 과학기술부 소속에서 지식경제부/산업기술연구회 소속 이관

2012◦ ICDP(국제공동대륙지각시추프로그램) 회원국 가입

◦ 북극권 자원개발위원회 발족

2013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미래창조과학부, 산업기술연구회 소관 연구기관으로 변경

자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5.

Page 33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6장지질 자원・환경

321

1979년의 제2차 석유파동의 여파로 자원 부국들의 자원 민족주의가 팽배하면서, 에너지

자원을 해외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국가 경제는 위기에 처했다. 게다가 정부 출연 연구기관

중복 논란 및 합리화 조치에 따라 자원개발연구소는 태양열 연구 등을 주로 수행하던 대체재생

에너지연구소와 통합되었다. 국가 성장에 필수적인 주요 전략 자원을 확보・개발하고 합리적으

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원 개발 연구 부문과 대체 에너지 개발 및 에너지 절약 기술 부문을

통합하여 인력・장비・정보의 공동 활용 시너지 효과를 기대한다는 것이 그 명분이었다. 이

시기까지 지질 자원 분야의 연구 재원은 과학기술처 출연금인 기관 고유 사업과 산업자원부

출연 사업인 지질 조사・자원 탐사 개발 사업이 있었다. 또한 자유 공모 사업으로는 응용개발연

구를 위해서 과학기술처의 특정 연구개발 사업, 산업자원부의 산업 기반 조성 사업, 기초연구를

위한 사업의 재원으로는 학술진흥재단의 학술 조성 사업과 한국과학재단의 기초연구 사업이

있었다.

1993년 과학기술처는 첨단 기술로 창조적이고 원천적인 기술을 연구하는 특정 연구개발

사업을 시행했고, 지질 자원 분야는 연 10~30여 개 과제를 수행했다. 1996년 정부는 정부

출연 연구소의 전문화, 일류화 사업으로 스타 프로젝트(Star Project)를 추진했고, 동아시아

지역의 자원 확보를 위해 하바롭스크에 한러 자원개발공동연구센터를 설립했다. 지질 자원

분야에는 2000년부터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으로 산업폐기물재활용기술개발사업단,

국가 연구개발 대형 연구 사업으로 자연재해방재기술개발사업단이 구성되었다. 그리고 산업자

원부와 한국가스공사, 한국석유공사가 출연하여 가스하이드레이트 탐사 개발 사업이 시작되었

다. 이 시기에는 정부의 6T 분야 선택과 집중 전략에 부합하는 지질 자원 분야 연구 활동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2011년도에는 21세기프론티어자원재활용사업단 후속으로 새로이 환경부

에서 주관하는 폐금속유용자원재활용기술 개발사업단이 발족했다.

2. 지질 자원 R&D 주요 성과

가. 태백산 지구 자원 조사・탐사 개발

우리나라는 1961년 국립지질조사소 발주로 석탄과 석회석, 철광이 풍부하게 매장된 것으로

알려진 태백산 지구를 조사했고, 1962년에는 태백산 지질도와 보고서를 발간했다. 처음에는

국토건설처에서 조사를 할 예정이었으나 기술과 전문성 때문에 국립지질 조사소로 계획과

예산을 배정해, 대한지질학회와 공동으로 추진했다.

Page 33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22

광범위한 지역과 짧은 기간 때문에 국립지질 조사소와 대한지질학회는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지질전문가 43명을 확보해 조사에 들어갔다. 이를 통해 정부는 지하자원 조사와 개발의 중요성

을 인식했다. 또 조사에 나선 국립지질 조사소와 학계, 광업계는 직간접적으로 서로 협력하는

문화를 만들었다. 보고서에는 지역 별로 석탄, 석회석, 돌로마이트, 철광의 분포와 부존량을

제시해 큰 성과를 얻었다. “태백산 지구 지하자원 조사”는 1962년도에 성공적인 국가사업으로

선정되었다.

태백산 지구 지하자원 조사는 우리나라의 지질학과 광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우선

지하자원 개발을 위한 지질도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며 도폭 지질 조사를 활성화시켰다. 이에

발맞춰 국내 석탄 자원과 광물 자원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는 1961년 12월 31일자로

「석탄 개발 임시 조치법」을 제정하고, 중석 같은 수출용 광물의 개발을 촉진하는 「광업 개발

조성법」도 제정했다. 또 조사에 관한 소식을 신문 같은 매체를 통해 널리 알려 지하자원 탐사와

개발, 지질학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와 관심을 높였다.

나. 국책 지질 조사 및 국가 기본 지질도(Geological Map) 발간

지질 자원 분야 전문기관에 의한 국책 지질 조사는 해방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

1945년 광복부터 1976년까지 가장 중요한 활동은 남한의 지질도 작성과 한반도 지질 계통의

정립이었다. 남한에서 5만분의 1 지질도 작성은 1937년까지 25매에 불과했고 북한 지역도

37매였다. 정부 수립 직후부터 경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서는 국토 부존자원의 확보가

무엇보다 시급했기 때문에 지질 도폭 미발간 지역에 대한 신속한 지질 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

었다. 1962년부터 1975년까지 163매를 조사, 발간하여 일제 강점기에 조사한 도폭을 포함해

서 총 188매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특히 1972년부터 1975년까지 정부는 대한지질학회에

용역을 의뢰하여 도폭 당 416km2에 이르는 면적을 1년 만에 조사를 끝내도록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1972년부터 1975년까지 모두 53개 도폭이 조사되었고, 그중

16개 도폭은 발간되었으나 37개 도폭은 발간되지 못하였다. 이 시기까지 1/5만 축척의 국토

기본 지질도가 발간되지 않은 지역은 경기・강원 북부, 충청・경상 내륙, 그리고 서남 해안 평야

지역 등이었으며, 이들 지역은 주로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심성암류가 널리 분포하는 지역들로

서 전체 국토면적의 약 40%에 해당하였다.

Page 33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6장지질 자원・환경

323

[그림 6-1] 1/5만 국가 기본 지질도 발간 (2016년말 기준)

자료: 한국지질 자원연구원 내부자료, 2016

그러나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들도 지질 도폭 1매 작성에 평균 3~5년씩 걸리는 조사를

1년 만에 완료함에 따라 이 시기에 조사된 지질도의 품질에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1976년 재단법인 출연 기관으로 자원개발연구소가 발족한 이후에는

지질 도폭 조사 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연장했고, 기존에 발간되지 못하였던 37개 도폭은

1년의 추가적인 보완 조사 후에 발간하였다. 특히 지질도의 품질 유지를 위하여 1988년부터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직영 체제로 전환하여 지질도를 발간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이 시기에는 일제 강점기 등 과거에 발간된 도폭들 가운데 영동, 밀양 등 지질시대나

층서학적 해석에 변화가 있는 일부 지역에 대한 재조사도 병행하여 수행되었으며, 앞서 대한지

질학회에서 조사된 후 미발간 도폭으로 남아있던 37개 도폭 중 12개 도폭은 연구원 직영으로

조사가 보완된 후 발간되었다. 이에 따라, 2016년 말 기준으로 1/5만 국토기본지질도는 총

발간 대상 도폭 359매에서 312매 발간으로 86.9%가 완료되었고, 전체 국토 면적 대비로는

98% 이상이 완료되었다.

Page 33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24

다. 에너지 자원 조사 탐사 개발과 광물 선광 제련 기술 고도화

1970년대 석탄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탄광 개발에 필요한 탐사 수요도 증가했다.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탄광 조사 사업이 국가 차원에서 필요했다. 이에 정부는 1972년부

터 4년간 주요 탄전에 대한 정밀 지질 조사를 실시하여 채탄 작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

다. 1975년부터 시작한 탄전별 정밀 지질 조사 사업을 1977년에 완료하면서 가채 매장량

규모도 확정했다. 이 사업의 효과로 1982년 석탄 2,000만 톤, 1988년 2,430만 톤을 생산할

수 있었다. 이 사업은 1989년 탄광 합리화 사업을 시작할 때까지 지속했다. 지질 자원 연구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도 꾸준히 이어갔다. 외국과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지질 재해 방재

분야 연구도 강화했다.

1977년~1980년에는 경상계에서 석유 존재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기초적인 지질탐사,

고생물 조사, 근원암 연구와 물리 탐사를 수행했다. 1980년에는 동력자원부 주관으로 대륙붕

한일 공동 개발 구역 중 일부 광구인 제5 소구, 제7 소구와 제4 광구를 대상으로 국내 최초로

석유 자원을 탐사하며 석유 자원 연구에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 한일 공동 개발 구역에서

중요 지역의 석유 탐사 자료를 해석하며 퇴적 분지의 심도와 구조를 파악하는 기술 수준에

도달했다.

핵연료 자원의 조사 사업은 옥천계 지층 내에서 정밀 탐사와 더불어 다른 지역에서의 부존

가능성을 밝히기 위한 광역 탐사로 이어졌다. 1979년에 과거 탐사에서 고품위대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한 괴산 지역과 양수리 6호 지역을 대상으로 탐광 굴진 연구와 일 1톤 처리 규모의

공장급 준일관 공정 시험을 시행해 우라늄 침출과 회수 공정도 확립했다.

2000년대 들어 과학기술부는 21세기 프론티어 사업으로 산업폐기물재활용사업단을 출범시

켰다. 지질 자원 분야에서는 무기물 소재화, 금속 회수, 고분자 원료화, 유기물 자원화 등

다양한 기술 개발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폐전자 제품의 백금 금속 회수와 자원화, 폐전지의

귀금속 회수와 유가 금속 자원화, 알루미늄 드로스의 세라믹 원료화 처리 기술, 철강 산업

슬러지의 복합 처리에 의한 실용화 기술, 마찰 하전형 정전 선별법을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재질 별 선별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를 통해 개발한 기술은 관련 업체에 이전해

폐기물 자원화에 기여했다.

2009년도에는 세계 최초로 해수에 미량(0.17㎎/ℓ)으로 녹아 있는 리튬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고성능 흡착제 제조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그리고 포스코와 기술 실시 계약을

Page 33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6장지질 자원・환경

325

체결했다. 현재 강원도 옥계 앞바다에 2011년 연구 센터를 준공하고 연간 10톤의 리튬을

회수 생산하는 실증 플랜트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2010년부터는 리튬 외에

마그네슘 추출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그림 6-2] 해수용존 리튬추출 실증 플랜트

출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0

<표 6-2> 연도별 지질 자원분야 과학기술 주요성과(1945년~2016년)

시기 주요 연구개발(R&D) 성과

1967 � 포항 지역 퇴적 분지 석유 탐사 시추

1969 � 한・일 공동 우라늄 방사능 탐사 옥천계 이상대 발견

1970 � 황해 대륙붕 탐사

1971 � 한・영 합동 지질광상 탐사(황강리 광화대 지역)

1972 � 충북 괴산군 덕평리 지역에 대한 우라늄 자원 정밀 조사

1974 � 북한 남침용 땅굴 탐지 탄성파 탐사

1975 � 포항 지역 석유 시추 3개 공구

1977 � 「제 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1977~1981)으로 본격 자원 탐사와 탐해호(해양조사선) 건조

1983 � 옥천계 우라늄 원광 3200만 톤과 제철용 석회석 5800만 톤 신규 확보

1985 � 고순도 텅스텐과 몰리브덴 첨단 전자 소재 개발

Page 34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26

3. 지질 자원 분야의 미래 전망

미래사회에서 지질 자원 분야에 대한 이슈는 현저히 증가할 것이다. 우리 국토의 지진과

단층재해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기존의 지진재해 대책이 현실적으로 한계에

봉착할 가능성도 있으며 북한 핵실험 등 안보 위협에 신속히 대응할 필요도 높아지고 있다.

지질 자원 분야에는 수많은 현안도 존재한다. 광물 자원 분야의 경우, 핵심 탐사 개발 기술

부족으로 인한 자원 개발 기업 사업 운영의 어려움, 부존자원의 심부화, 고난이도 광상 탐지를

위한 4D 지구과학 기술의 필요, 지구 모방 기술을 이용한 생산성 제고 기술의 개발, 석회암

지대와 폐광산 지대, 도로 함몰 싱크홀에 의한 인명 및 재산 피해에 대한 대응, 국내 희유

금속 수요량 급증 및 경제적 선광・고순도화의 필요, K-뷰티・헬스・푸드 산업에 사용할 점토

원료 개발 등이 중요한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석유 가스 자원 분야에는 다음과 같은 현안들이 있다. 유전 노후화에 따른 생산량 감소

및 온실가스 감축 움직임에 따른 잔류 석유 회수 및 회수율 증진 기술 개발, 고유가 시대에

대비하여 상업화가 가능한 탄산염 유전 및 저류층을 평가・개발할 기술의 확보,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양 석유・가스 탐사 개발・이용・보전을 위한 해저 지구조 규명과 분지 해석, 육상・천해

시기 주요 연구개발(R&D) 성과

1988 � 채탄법 개선 산연 공동 시험 착수(경동탄광)

1991 � 한국 석재 분포도 발간(1/50만 축척)

1992 � 지질표본관 개관과 한국 지질도 개정판 발간(1/100만 축척)

1995� 원주지진관측소(KSRS) UN국립데이터센터 지정

한・러 자원공동 연구센터(하바로프스크) 개소

2000 �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산업폐기물 자원화・재활용 기술 개발사업) 착수

2001 � 전국 지구화학적 재해 평가 기준도 작성과 국내 최초 지구화학 지도책 발간

2004 � 과학대중서 발간(�우리돌 이야기�, �공룡이야기�, �한국의 지질노두 150선�)

2007 � 동해 퇴적 분지에서 세계 5번째로 가스하이드레이트 실물 시료 채취 성공

2011 � 해수용존 리튬 원천기술 포스코 기술 이전과 실증 플랜트 준공(강릉시 옥계면)

2014� 네이처 논문 게재, 과거 55만년 북반구-남반구 중위도 지역의 수리학적 변동

� 네이처 논문 게재, 거대 타조 공룡류 데이노케이루스 미리피쿠스의 오랜 수수께끼 해결

2016 � 사이언스 논문 게재, 세계 최초 박막 트랜지스터(TFT) 제조 전 공정 저비용 용액공정 구현

자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보(1976~2016)

Page 34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6장지질 자원・환경

327

자원 고갈 및 글로벌 에너지 수요 증가에 따른 심해 자원 개발 등이 그것이다.

지구환경 분야에도 수많은 현안이 있다. 수자원의 안정적 공급의 불확실성, 신 기후체제에

대응할 재생 가능 에너지 자원에 대한 수요의 증대, 2030년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에 대비한

37% 감축 목표 실현, 기후・경관의 변화에 따라 지질­생태계의 물질 순환이 불확실해지면서

발생하는 생태계 훼손 및 재해 그리고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손실의 증가,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산업 및 인구 밀집 지역의 연안 범람, 글로벌 심부지하 활용에

대한 수요의 증가, 방사성 폐기물의 지중 처분 요구 등이 그것이다.

미래사회 10대 이슈 중 국가 간 환경 영향 증대, 에너지・자원의 고갈,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북한의 안보・통일문제 등 4개 이슈는 지질 자원 분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이광형 외, 2016).

그만큼 미래 사회에서 지질 자원의 역할이 더욱 커질 전망이며, 여기에 대한 기회 요인으로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등의 신흥국에서 중산층이 많이 늘어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소비 증가로 이어져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한다. 사물인터넷(IoT) 관련

제품 개발로 초연결 사회가 등장하고, 이로 인해 글로벌 디지털 경제 통합과 전 산업에 걸쳐

새로운 기회가 대두하며 광물과 에너지 자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전망이다.

위협 요인으로는 전 세계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어 글로벌 경제성장률이 하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산성 충격과 동시에 노동과 복지 등 전 영역에서 새로운 변화가 일어난다. 신흥국

중산층의 급성장과 함께 에너지와 물, 원자재 같은 자원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가격도

크게 상승해 고비용 산업 구조가 등장할 수도 있다. 이는 곧 새로운 위협이 될 것이다.

미래사회에서는 고품위 광석 고갈로 인한 생산비 상승, 광업 메이저들의 독과점 심화 등으로

수급과 가격 불안요인이 잠재해 있다. 지난 10여 년 간 수요 증가로 광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했으나, 최근 세계 경기가 침체하면서 하락하는 추세로 바뀌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매장량이 풍부한 셰일가스를 북미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개발하면서 2035년에 석유에 이어

제2의 에너지원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한다. 또 셰일가스 같은 비전통 에너지원 개발에 따라

에너지 시장 판도가 바뀔 것으로 예측했다.

신 기후변화 체제 등장은 화석 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패러다임을 지속 가능한 청정 에너지

중심으로 전환할 것이다.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40%가 발전 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 중 80% 가량이 석탄 발전에서 발생하므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석탄발전 비중 축소가

불가피하다.

Page 34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28

한편 2050년 세계 인구는 약 90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로 인한 환경과 자원

위기를 극복하고, 인류의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해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자원 순환형

사회 구현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제3절 환경

1. 환경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법제도 및 정책의 변천

경제개발 초기 환경 문제는 학계 및 언론의 문제 제기를 통해 사회적 의제로 떠올랐다.

환경 문제가 공식적으로 다루어진 것은 1967년 과학기술처가 발주하고 대한산업보건협회가

수행한 ‘공해에 관한 연구’를 들 수 있다. 이 연구를 전후로 대학 부설 예방의학 교실들이

서울 지역과 울산 공단 등의 오염도를 조사・발표하기 시작했다. 한편 1971년 학술원의 공해문

제연구위원회가 설립된 후 이듬해 제1차 학술보고서를 발간하였는데, 여기에는 대기・수질・생

태 등에 관한 논문들이 게재되었다. 그 후 여러 전문가가 환경 각 분야에 대한 논문을 지속적으

로 발표했다. 국립환경연구원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1966년까지 28편에 불과하였던 국내

환경 분야 논문 수는 1974년까지 연평균 60편으로 증가했고, 1975년부터 1979년까지는

매년 150편 이상까지 증가했다(환경부, 2009, p.48).

초창기 환경법의 범주에 포함할 수 있는 법은 1961년 제정되어 시행 중이던 「오물 청소법」

인데, 이 법의 제정 취지는 생활 쓰레기와 분뇨 처리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후 1963년

11월에 「공해 방지법」이 제정되었고, 같은 해 12월에 「독물 및 극물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

다. 1963년에 처음 제정된 「공해 방지법」은 우리나라 최초의 환경법이라 할 수 있는데 제정

후 바로 시행되지 못하다가, 1967년에 시행 규칙이 마련되고 당시 보건사회부에 환경위생과

공해계가 설치되면서 비로소 법 시행을 위한 행정적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공해 방지법」은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고 거의 유명무실한 상태로 있다가 1977년에 「환경

보전법」으로 대체되었다.

Page 34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6장지질 자원・환경

329

1970년대 중반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환경 문제가 급속히 확산하고 「공해 방지법」으

로는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게 되자, 1977년 「공해 방지법」을 폐지하는 대신 「환경

보전법」을 제정했다. 「공해 방지법」은 공중 보건에 대한 위해를 예방하고 생활상의 방해 요소

를 제거하거나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는 등 인간의 행동을 규제한다는 측면에서 개별적・소극

적・대증 요법적 성격을 지녔다. 이에 비해 「환경 보전법」은 환경 전반에 대해 환경 그 자체를

적극적・종합적으로 관리・보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환경 보전법」을 제정함으로써 종래의

소극적인 공해 방지 위주의 공해법에서 적극적이고 환경 보전적 성격의 환경법으로의 전환이

이뤄지게 되었다. 또한 환경문제가 발생한 이후의 사후적 규제뿐만 아니라 환경 훼손이 일어나

기 전 사전 예방적 기능까지 채택하게 되었다.

「환경 보전법」은 대기, 수질, 폐기물 등 오염요인, 영향 및 대처 방식이 각각 다름에도 불구하

고 이질적인 분야의 환경 관리를 하나의 법률에 모두 담아 규정해 왔다. 따라서 빈번하게

법 개정이 필요했고, 점점 복잡 다양해져가는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곤란했다. 이에 따라 1990

년에 「환경 보전법」을 폐지하고, 환경 시책의 기본 이념과 방향을 정하는 「환경정책 기본법」,

그리고 대기, 수질, 폐기물, 소음・진동, 식수, 유해 화학 물질 등을 규제 관리하는 다수의 법률

을 제정하는 복수법주의로 전환했다(환경부, 2009, p.94).

환경 기술개발 정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1990년대 이후였다. 1994년 12월 「환경

기술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제정을 계기로 환경 기술의 개발 및 보급을 촉진하고 환경

산업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후 이 법에 근거하여 정부는 환경부,

산업자원부 등 14개 부처가 참여하는 범정부 계획으로서 「제1차 환경 기술 개발 종합계획」

(2003∼2007)을 수립했다. 제1차 종합계획 기간 동안 환경부, 산업자원부 등 14개 부처는

75개 사업에 대하여 총 2조 4,282억 원(정부 1조 7,950억 원, 민간 6,332억 원)을 투자했으며,

5년간 실적을 5년간 투입된 정부 예산으로 나누어 산정한 예산 1억 원당 실적(SCI 논문 게재

건수, 특허 출원 건수, 기술 이전 실시계약 건수, 기술료 수입 등)은 국가 연구개발 사업 전체

성과 대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환경부 외, 2008, p.17).

「제1차 환경기술 개발 종합계획」(2003~2007)의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기술이 선도하

는 21세기 에코 유토피아(Eco-Utopia) 구현을 위해 「제2차 환경기술 개발 종합계획」(2008∼

2012)이 수립되었다. 이 계획의 추진으로 SCI 논문 8,670건(국내 1,269건, 국외 7,401건),

특허 출원・등록 8,794건의 연구 성과를 달성했으며, 매출액 3조 632억 원(연평균 19% 증가),

수출액 3,434억 원(연평균 204.6% 증가), 기술료 963억 원(연평균 58.7% 증가) 등의 경제적

성과도 달성했다(환경부 외, 2012).

Page 34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30

<표 6-3> 환경 기술 개발 성과와 국가 연구개발 사업 전체 성과 비교

구분

제1차 환경기술 개발

종합계획 성과

(1억원 당 실적)

2006년

국가 연구개발 사업

전체 성과

(1억원 당 실적)

SCI 논문 게재(건) 0.27 0.12

특허 출원 건수(건) 0.20 0.06

기술 이전 실시계약(건) 0.05 0.01

기술료 수입(억 원) 0.04 0.01

고용창출 실적(명) 0.89 0.14

기술 개발에 의한 매출액 발생(억 원) 1.03 0.55

자료: 환경부 외 (2008), �제2차 환경기술 개발 종합계획(2008∼2012)�, p.17.

[그림 6-3] 국가 환경 R&D 사업 추진 현황

자료: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6). �2016년 환경기술 개발 추진계획�, p.3

2011년 4월 환경산업 육성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주 내용으로 하는 「환경 기술 및 환경

산업 지원법」이 국회에서 통과되었는데, 이로써 환경 기술에서 환경 산업 분야에 이르기까지

국가 종합계획 수립 분야를 확대하고 첨단 신기술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우수 환경 산업체의

Page 34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6장지질 자원・환경

331

지정・지원 등 환경 산업을 육성할 근거를 마련했다. 법 개정의 주요 내용을 보면, 체계적인

환경 산업을 지원・육성하기 위해 「환경 기술 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환경 기술 및

환경 산업 지원법」으로 바꾸고, 환경 산업의 범위를 명확히 규정했다. 또한 이전에 수립한

「환경 기술 개발 종합계획」을 「환경 기술 및 환경 산업 육성 계획」으로 확대 및 보완했다.

특히 환경 기술 및 환경 산업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환경 기술 및 환경 산업에 대한

실태조사 근거를 마련했다. 그리고 환경 산업의 국제 협력 및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관련

조사・연구, 기술・인력 및 정보 교류, 해외 시장 개척과 이를 위한 재정 지원의 근거도 마련했다.

이외에도 녹색 기업 등에 대한 환경 정보를 작성・공개하도록 하여 환경 경영을 유도하고,

공개된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검증할 수 있는 체계도 만들었다.

나. 환경 R&D 지원체계의 변천

1960년대부터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중공업 위주의 성장 지향적 근대화 정책이 추진되면서

공해 문제는 점차 악화되었고 다양한 부문으로 확대되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하였다. 이러

한 공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환경오염에 관한 조사 연구 및 시험 검사, 교육 훈련, 자료

수집 평가 등을 주요 업무로 하는 국립환경연구소가 보건사회부의 직속 연구기관으로 발족했다.

1978년 7월 28일 대통령령 제9117호로 설립된 국립환경연구소는 이후 국내 환경 문제

및 환경부의 직제 개편 등과 맞물리면서 몇 차례에 걸쳐 명칭 변경 및 조직의 확대 개편을

겪은 뒤 명실상부 국내 유일의 종합 환경 연구기관으로 발전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민간

부문에서는 수익성이 없어 외면하는 공공 성격의 조사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주로 오염

실태 조사, 오염 원인 규명, 오염 발생 기작, 선진국 제도의 적용 가능성, 신기술에 대한 효율성

등을 조사・평가한다.

1978년 출범 당시에 국립환경연구소는 오염 물질을 조사하고 시험 분석하는 업무를 수행하

는 정도였다. 국립환경연구소는 정원 44명에 1과(서무), 5담당관실(대기 분석, 소음 진동, 수질

분석, 특수 공해, 폐기물 처리)로 구성되었고, 국립보건원에서 담당하던 공해 업무를 인수하여

출범했다. 1970년대~1980년대 우리나라의 경제개발과 공업화 계획이 성공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내륙 및 임해 공단 등이 조성되면서 공장이 건설되었고 운송 시설도 증가했다. 또한

인구의 도시 집중 현상도 빨라져서 도심지의 수질 및 대기 오염이 갈수록 심해졌고, 이에

따라 도처에서 환경 파괴 및 오염을 걱정하고 쾌적한 환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에

Page 34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32

정부에서는 적극적인 환경 대책을 세울 필요를 느끼고, 1980년 1월 18일 대통령령 제9731호

로 환경청을 발족했다. 환경청의 발족과 더불어 국립환경연구소도 정원 93명의 3부 2과 14연

구 담당관실로 조직을 대폭으로 확대하고 환경 보전과 환경오염 방지 사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시행했다.

1986년 10월에는 국립환경연구소는 국립환경연구원으로 승격했고, 국내 환경 관련 연구기

관이나 대학 연구소에서 수행하던 환경 연구를 포괄하고 조정하는 기능을 담당했다. 조사

연구에 필요한 식물을 확보하고 표준 식물을 보전하기 위해 표준 식물 재배동을 만들었고,

댐 건설로 생긴 호수의 수질 및 수생태를 심층조사하고 식수원으로서의 수질을 보전하기 위한

장기적 관측 연구를 진행할 수질 검사소를 1990년 한강, 낙동강, 금강 및 영산강에 설치했다.

2005년 국립환경연구원은 국립환경과학원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기후변화, 오존층 파괴,

황사 등 장거리 이동 오염 문제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지구환경연구소를 설치했다. 또한

환경오염 물질이 환경 매체 사이를 이동하면서 영향을 미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연구할 수 있는 다학제적, 다매체적인 통합 연구 시스템을 구축했다. 현재 국립환경과학원은

5부 17과 5연구소 3센터로 조직되어 있다.

1980년대에는 환경 대응 능력이 매우 취약했고 환경 기술의 개발은 우선순위에서 밀려

있어 해외 의존도가 매우 높았으며, 국내 환경 관련 산업 대부분이 중소기업 규모로 영세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낙후된 환경 기술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2년부터 2001년까지

범정부 차원에서 국가 경쟁력이 필요한 기술을 중점 개발하는 10개년 계획인 선도 기술 개발

사업에 환경 기술 개발 사업을 포함해 추진했다.

환경부는 환경 기술 개발 사업의 기획・평가・관리를 위해 총괄, 주관 기관을 1992년부터

국립환경연구원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1998년에 실시된 G7 자문위원회 평가 및 감사원 감사

당시, 환경부는 과제 성패의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다는 등 관리상의 문제점을 지적받았다.

이를 계기로 환경부는 1998년 9월 G7관리운영단을 확대・개편하여 환경기술개발관리센터를

설치했다. 환경기술개발관리센터가 환경기술 개발사업의 관리 체계를 개선・발전시키는 데 기

여했지만, 소속 전문위원의 신분상 불안정 등으로 이직률이 높았고, 이에 따라 책임감 있는

조직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2000년 비영리 법인인 한국환경기술진흥원이 설립되었다. 한국환

경기술진흥원은 2005년 「환경 기술 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기관 설립과 출연에 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2005년 법정기관으로 승격했다. 2005년에 환경부는 환경 산업에 관한

산하 기관 업무를 조정하여, 환경관리공단의 환경 신기술 평가, 환경 벤처센터, 국가환경기술

Page 34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6장지질 자원・환경

333

정보센터 및 환경기술 인력 교육 업무를 한국환경기술진흥원으로 이관했다. 이를 계기로 업무

도 차세대 핵심 환경 기술 개발 사업 외에도 토양 오염 확산 방지 사업, 장기 생태 조사 연구

사업, PCBs 연구 사업 등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환경 기술 인력 교육 혁신 사업, 수출 지원을

위한 국제 공동 연구 사업, 환경 신기술 평가, 환경벤처센터 및 국가환경기술정보센터 운영

등 다양한 업무를 맡게 되었다.

2007년 4월에 공공 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 한국환경기술진흥원은 준정부 기관으로

지정되어, 국가 연구개발 사업을 기획・평가・관리하는 전문 기관으로서의 위상이 높아졌고

공공기관으로서 면모도 갖추게 되었다. 2009년에는 환경 산업의 육성을 위한 정부의 일관된

지원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한국환경기술진흥원과 친환경상품진흥원을 통합하여 한국환경산

업기술원(KEITI)이 출범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국가 주도의 환경기술 개발 사업을 통합・

관리하고 녹색기술과 녹색 상품의 개발과 공급을 담당하고 있다(환경부, 2009, p.113).

2. 환경 R&D 주요 성과

가. G7 환경 기술 개발 사업(1992년~2001년)

1990년대 들어 급격한 산업화의 결과로 나타난 환경 문제는 복지 국가 건설에 큰 걸림돌로

작용했다. 환경 문제 해결은 범국가적 차원의 주요 관심사로 떠올랐다. 그러나 1990년대 초반

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환경 문제 대응 능력은 매우 취약했다. 특히 기술적으로 외국 의존도가

매우 높았다. 당시의 국내・외 환경 기술 동향을 보면 주요 선진국에서는 이미 1960년대 후반부

터 환경 보호 기술을 개발해 실용화 단계에 있었다. 또 자국 내 환경 문제에 국한하지 않고

지구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는 산성비와 온난화 방지, 프레온가스(CFC) 대체 제품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었다.

반면 우리나라는 전반적인 규제 기준이나 오염 방지 기술 수준이 매우 낙후해 있었다. 국내

환경 관련 산업은 대부분 중소기업 규모로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술과 산업적으로 낙후해 있는 환경 분야를 활성화하기 위해 선도 기술 개발 사업

과제로 환경 기술 개발 사업을 선정했다(국립환경과학원, 2008, p.71). G7 환경 기술 개발 사업은 환경부

가 1992년부터 2001년까지 10년간 3단계로 구분해 추진한 최초의 환경기술 개발 사업이다.

환경기술이 선진 7개국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1단계(1992년∼1994년)에는 기반

Page 34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34

기술을 확보하고, 2단계(1995년∼1997년)에는 핵심 기술 개발과 실용화 기반을 구축하고,

3단계(1998년∼2001년)에는 실용화와 상품화, 종합 환경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정부는 1,809억 원, 민간은 1,764억 원, 총 3,573억 원을 투자했다.

<표 6-4> G7 환경 기술 개발 사업 개요

구분1단계

(1992∼1994)

2단계

(1995∼1997)

3단계

(1998∼2001)

기본 목표환경기술 선진

7개국 수준 도달기반기술 확보

핵심 기술 개발과

실용화기반 구축

실용화, 상품화,

종합환경관리체계 구축

투자

(억 원)

계 3,573 556 1,332 1,685

정부 1,809 255 637 917

민간 1,764 301 695 768

자료: 환경부 (2006), �환경백서�, p.283.

이 사업을 통해 고효율 집진 기술, 탈황 기술을 개발했으며, 개발 기술 중 200MW 급 배연

탈황 기술은 국내 발전소 6기에 장착해 성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국내 기술 자립과 더불어

외국 기술 수입에 따른 외화 유출도 방지하는 부가적인 효과도 달성했다. 또 내수 시장과

수출 시장에 당장 내놓을 수 있는 장치 또는 기술로 대기 오염 방지 기술 분야 17개, 상하수도

기술 분야 24개, 폐기물 처리 기술 분야 17개, 사전 오염 예방 기술 분야 17개, 공공 기술

분야 13개 등 총 121개 기술을 확보했다(환경부 외, 2002).

<표 6-5> G7 환경기술 개발 사업 주요 성과

구분

기술실시계약 지식재산권 산업체 기술

이전

(건)

학술지 게재와 학술회의 발표

과제수

(개)

징수금

(억원)

출원

(건)

등록

(건)국내 국외

건수 157 929.5 529 292 301 3,520 1,046

출처: 환경부(2006), �환경백서�, p.284.

G7 환경 기술 개발 사업은 또한 낙후한 국내 환경 기술 수준을 높이고 환경 연구 기반을

구축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이 사업을 통해 1992년 당시 선진국의 10~30%에 불과했던 국내

환경기술 수준은 2001년 40∼50% 수준으로 향상돼 국내 환경기술을 본격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환경부, 2016, p.92).

Page 34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6장지질 자원・환경

335

[그림 6-4] 주요 환경 R&D 사업의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자료: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6), �2016년 환경기술 개발 추진계획�, p.2.

나. 차세대 핵심 환경 기술 개발 사업(2001년~2010년)

G7 환경 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오염 방지 기술 같은 사후 처리 기술 분야의 환경 기술은

크게 발전했다. 그러나 환경 보전・복원, 사전 오염 예방 같은 분야는 여전히 선진국보다 많이

뒤처져 있었다. 또 미세 먼지와 내분기계 장애 물질 같이 2000년대 들어 새롭게 떠오른 환경

현안 문제를 해결하고, 국제 환경 여건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새로운 환경 기술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정부는 G7 환경 기술 개발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2001년부

터 10년간 국고 1조 원 투자를 목표로 후속 사업인 차세대 핵심 환경 기술 개발 사업에 착수했

다(환경부, 2016, p.92).

<표 6-6> 차세대 핵심 환경기술 개발 사업 투자 실적

구분1단계

(2001~2003)

2단계

(2004~2007)

3단계

(2008~2010)

추진 목표핵심 환경 기술 수준 세계

5위권 진입

현안 환경오염 처리

기술 확보

중장기 전략적 환경

기술 개발

미래 원천

환경 기술 확보

투자

(억원)

계 12,367 2,800 5,231 4,336

정부 8,791 1,950 3,777 3,064

민간 3,576 850 1,454 1,272

출처: 환경부 (2016), �환경백서�, p.93.

Page 35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36

이 사업에 10년간 정부 지원금 8791억 원과 민간 부담금 3576억 원을 투자해 경유차

배기가스 후처리 기술, 전자 산업 폐수 무해화 시스템, 중대형 막분리 고도 정수 처리 기술,

매립지 폐기물 고효율 선별 재활용 기술 같은 환경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환경 정책에도

바로 반영해 기술개발 성과를 현안 해결과 기업 사업화 양쪽에 적용하는 성과도 거뒀다. 또

선진국 대비 국내 환경기술 수준을 2001년 40~50%에서 2010년 58~68%로 향상시켰다.

2015년 말 기준 정부 투자액 8791억 원 대비 4.5배인 3조 9594억 원의 사업화 성과도 거뒀다

(환경부, 2016, p.94).

<표 6-7> 차세대 핵심 환경 기술 개발 사업 주요 성과

구분

기술실시계약 지식재산권 학술지 게재 사업화 실적

과제 수

(개)

계약금

(억 원)

징수금

(억 원)

출원

(건)

등록

(건)

SCI

(건)

비SCI

(건)

국내

(억 원)

국외

(억 원)

건수 954 929.5 864.5 2,558 1,593 2,109 2,602 35,594 2,073

출처: 환경부 (2016). �환경백서�, p.94

또한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시장성과 성공 가능성이 높은 전략 기술을 발굴해 대형

사업단 과제로 추진하는 Eco-STAR 사업단을 구성하고 운영했다. Eco-STAR 사업단 과제는

공동 또는 다학제 간 연구를 통한 기술 개발의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목표로 사업단장에게

사업 추진의 모든 권한과 책임을 주되 철저한 목표 관리를 해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했다.

Eco-STAR 사업단은 무・저공해 자동차사업단, 수처리 선진화사업단, 수생태 복원 사업단,

폐자원 에너지화 및 non-CO2 온실가스 사업단을 운영했다(환경부, 2016, p.93).

다. Eco-Innovation 기술 개발 사업(2011년~2020년)

환경부는 2010년으로 종료한 차세대 핵심 환경기술 개발 사업의 후속으로 에코 이노베이션

(EI) 기술개발 사업에 착수했다. 에코 이노베이션(EI) 기술개발 사업은 2011년부터 2020년까

지 10년간 정부지원금 1조 5,530억 원과 민간자금 7,000억 원을 투자하는 환경부의 주력

연구개발 사업이다. 환경 정책 목표 달성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이를 통해 국내 환경 기술을 선진국의 70~80% 수준으로 끌어올려 세계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코 이노베이션(EI) 기술 개발 사업은 환경

보전과 녹색 성장이라는 양대 정책 목표를 균형 있게 달성하기 위하여 글로벌탑 환경 기술

Page 35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6장지질 자원・환경

337

개발 사업, 환경 산업 선진화 기술 개발 사업, 환경 정책 기반 공공 기술 개발 사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글로벌탑 환경 기술 개발 사업은 2020년까지 정부에서 7,820억 원을 지원해 환경

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수출 사업화를 도모한다. 이를 통해 세계 수준의 기술을

개발해 국내 환경 산업이 국제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글로벌탑 환경

기술 개발 사업은 사업단을 중심으로 외국 수요 맞춤형 패키지 제품화를 위해 중대형 과제를

지원하고 있다. 사업단 과제는 시장성 또는 파급 효과가 큰 유망 환경기술 개발을 사업단장의

책임 하에 추진하는 과제를 말한다. 현재 정수(에코스마트 상수도 기술), 하폐수(하・폐수 고도

처리기술), 자동차 배출가스(친환경 그린카 기술), 폐기물(폐금속・유용 자원 회수・재활용 기

술), 온실가스 감축(Non-CO2 온실가스 저감기술), 측정 장치와 기기(U-녹색환경 통합 관리를

위한 그린 패트롤 기술) 등 6대 유망 환경기술을 대상으로 6개 사업단을 운영하고 있다. 글로벌

탑 환경 기술 개발 사업은 성장기에 접어든 2015년까지 지식재산권 출원・등록 1,031건, 사업

화 실적 1조 3,893억 원의 성과를 도출했다(환경부, 2016, pp.94∼95).

<표 6-8> 글로벌탑 환경 기술 개발 사업 주요 성과

구분지식재산권 학술지 게재 사업화 실적

출원(건) 등록(건) SCI(건) 비SCI(건) 국내(억 원) 국외(억 원)

건수 728 303 263 323 7,885 6,008

출처: 환경부(2016), �환경백서�, p. 96.

둘째, 환경 산업 선진화 기술 개발 사업은 국내에서 실용화하고 실증할 수 있는 환경 기술을

개발해 현안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국내 환경 산업을 선진화하기 위해 추진했다. 사업 완료시

수입 대체 효과와 시장 파급 효과가 큰 대기질 개선과 지구환경 대응 기술, 생활 환경질 향상

기술, 생태계 복원 관리 기술, 에코 공정 기반 기술, 위해성 평가 관리와 감축 기술 5대 분야에

2020년까지 10년간 3,91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환경부, 2016, p.96).

<표 6-9> 환경 산업 선진화 기술 개발 사업 주요 성과

구분지식재산권 학술지 게재 사업화 실적

출원(건) 등록(건) SCI(건) 비SCI(건) 국내(억 원) 국외(억 원)

건수 484 245 183 173 2,101 125

출처: 환경부 (2016), �환경백서�, p.97.

Page 35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38

셋째, 환경 정책 기반 공공 기술 개발 사업은 국민의 삶의 질을 저해하는 오염 물질을 조절하

는 오염 물질 제어, 안전하고 깨끗한 물 관리같이 정부 정책과 관련해 필요한 공공 환경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국가 환경 정책을 실현하고 환경 보전과 국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 크게 대기 환경, 물 환경, 상・하수도, 자연 순환, 자연 보전 5개 분야에

2015년까지 1,140억 원을 지원했으며, 2015년까지 지식재산권 출원・등록 363건, 사업화

실적, 348억 원 등 매우 우수한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환경부, 2016, p.97).

<표 6-10> 환경 정책 기반 공공 기술 개발 사업 주요 성과

구분지식재산권 학술지 게재 사업화 실적

출원(건) 등록(건) SCI(건) 비SCI(건) 국내(억 원) 국외(억 원)

건수 250 113 263 265 1,326 22

출처: 환경부(2016), �환경백서�, p.97.

라. 정책 이슈 전담형 환경 기술 개발 사업

환경 분야는 관련 학문 분야와 다루는 범위가 방대하고 긴급하게 발생하는 현안이 많다.

이에 분야 별 환경 정책이나 규제와 연계하고 특화한 환경 이슈별로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이에 따라 2000년 중반부터 환경 이슈 별로

특화한 전담 기술 개발 사업을 기획해 신규 사업화하고 있다. 토양 지하수 오염 방지 기술

개발 사업, 환경 융합 신기술 개발 사업, 미래 유망 환경 기술 산업화 촉진 사업, 생활 공감

환경 보건 기술 개발 사업, 기후변화 대응 전략 기술 개발 사업,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 개발

사업, 조류 감시 및 제거 활용 기술 개발 실증화, CO2 저장 환경 관리 기술 개발, 화학사고

대응 환경기술 개발 사업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환경부, 2016, p.98).

3. 환경 분야의 미래 전망

EBI(Environmental Business International)의 2013년도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환경

시장은 지난 5년간 약 3%의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하여 2009년 8,010억 달러, 2013년에는

9,240억 달러에 이르렀다. 이런 시장 규모 및 성장률에 의하면 2020년에는 1조 1,610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하고,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동유럽 등 신흥 국가를 중심으로 한 환경

시장은 향후 10년간 연간 7% 이상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Page 35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6장지질 자원・환경

339

국내 환경 산업의 분야별 수요를 살펴보면, 상하수도와 폐기물 분야가 전체 시장의 약 6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앞으로는 청정 기술 및 공정, 재생 가능 에너지, 환경 측정・분석

및 환경 컨설팅업 서비스 분야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지구온난화로 청정 에너지

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바이오매스, 폐기물 에너지, 연료 전지 등의 재생 에너지 분야가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환경부, 2016, p.105).

[그림 6-5] 세계 환경 시장 규모 전망 및 성장률

자료: 환경부 외 (2012), �제3차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육성계획�, p.3.

이러한 환경 산업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국내 환경 산업체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우선 환경 산업을 육성할 전략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는 2012년 12월

법정 중장기 계획인 「제3차 환경기술 및 환경 산업 육성 계획」(2013∼2017)을 수립하여 환경

산업 부문별 육성 시책, 해외 진출 활성화 투자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국내 환경 기업의

기술 개발 단계부터 사업화, 해외 시장 진출까지 전 과정을 지원할 체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환경 산업 및 기술의 중심지로 활용하기 위해 환경산업연구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2017

년 상반기 내에 완성을 목표로 인천 종합환경연구단지 내에 총 사업비 1,464억 원을 투입하여

대지 180,000㎡, 연건평 44,000㎡ 규모로 조성 중이다. 그리고 국내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

하기 위해, 우수 환경 기술을 개발하고도 사업화 전략이 미흡하거나 자금을 확보하지 못해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환경 기업의 시장 진입을 지원하는 등 사업화 단계에 따른

맞춤형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나아가 사업 실적과 기술력이 우수하고 성장 잠재력이

Page 35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40

높은 유망 환경 기업을 우수 환경 산업체로 지정하여, 금융・수출・인력・마케팅 등 패키지 지원

을 통해 글로벌 환경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고 국내 환경 산업을 견인하도록 돕고 있다. 마지막

으로 환경 산업 정책 자금 지원 등을 추진하고, 2006년 1조 2,759억 원 규모에서 2014년에

8조 1,941억 원으로 커진 우리나라의 환경 산업 수출 규모를 더욱 확대하기 위해 해외 현지

실증화 사업을 강화하고 민・관 파트너십을 통한 수주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환경 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환경 기술 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하여 인력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전체 환경 일자리의 56.1%가 폐기물, 물, 대기 관리 등 전통적인

환경 산업에 집중되어 있어, 고부가 가치 환경 서비스 분야의 일자리가 부족한 상태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환경부에서는 고용률 70% 로드맵에 따라 환경 분야 일자리 창출을 추진하는

등 국내 환경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직접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환경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환경기술 인력 취업 연계 등 인프라 구축에도 노력하고

있다(환경부, 2016, pp.105~114).

IoT, 인공지능 등 새로운 과학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환경 기술의 혁신을 통해 다변화・복합화

되는 환경 이슈의 해결이 필요하다. 초미세먼지, 화학물질 등 새로운 환경 이슈 해결에 대한

요구와 기존 환경 이슈의 다변화・복합화 경향에 따라 환경 기술 개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기후변화 심화, 산업 활동 및 생활패턴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환경이슈도 다변화되어

융・복합적 대응기술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전통 지식・기술에 기반을 둔 환경 문제의 해결에는

한계가 있어 제4차 산업혁명 등 새로운 과학기술 접목을 통한 문제해결이 필요하며, 사물인터

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제4차 산업혁명 촉발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환경 기술의 혁신

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과학기술의 발전, 산업 활동 변화, 인구 구조 변화, 기후변화 등에 따라 환경 이슈가

다변화되고 상호 복합적인 형태로 발생하고 산업 활동 변화 및 기후변화 등으로 새로운 환경

위협 요인이 증가하고 인구구조 및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한 다양한 환경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의 경우, 매체별 오염물질 관리 중심에서 수용체 영향 관리 중심

으로 환경관리 정책의 패러다임이 변화되어지고 있으며, 환경오염 문제의 해결 중심에서 환경

성 강화 및 환경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책이 추진되어지고 있다. 첨단 기술과 융합을 통한

지능형 환경관리 기반 마련 및 신수요 창출에 따른 환경산업의 육성이 강화되어지고 있다.

집필김 성 용 (지질자원)

홍 유 덕 (환경)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실장

국립환경과학원 과장

Page 35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6장지질 자원・환경

341

참 고 문 헌

국립환경과학원 (2008), �국립환경과학원 30년�.

이광형 외 (2016), �미래 전략 보고서: 10년 후 대한민국, 뉴 노멀 시대의 성장 전략�, 시간여행.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6), �한국지질 자원연구원 30년사(정부출연연구기관 30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5), �지질 자원연구 100년사 초고�(미발간 자료).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6), �2016년 환경기술 개발 사업안내 및 추진계획�

환경부 (2006), �환경백서�.

환경부 (2009), �환경 30년사�.

환경부 (2016), �2016 환경백서�.

환경부 외 (2008), �제2차 환경기술 개발종합계획(2008­2012)�

환경부 외 (2012), �제3차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육성계획(2013­2017)�

환경부 외 (2002), �제1차 환경기술 개발종합계획(2003­2007)�

환경부 외 (2016), �2016년도 환경기술인력 육성 시행 계획�

미션이노베이션 사무국(2016) 홈페이지, www.mission-innovation.net

Page 35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35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생명공학・보건의료

│제7장│

Page 35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35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45

제7장 ❚ 생명공학・보건의료

제1절 개요

이 장에서는 생명공학과 보건의료 분야의 과학기술 발전사를 다룬다. 기초연구로 시작된

생명공학 연구는 1980년대 이후 신약 개발 등의 보건의료 산업 발전으로 연결되어 종합적인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생명공학 기술(Biotechnology, BT)은 여러 생명체가 갖고 있는 다양한 생명 현상의 원리와

생명체 기능을 활용해 산업에 응용하는 모든 기술을 말한다. 생명공학에는 크게 2개의 기술축

이 있다. 하나는 생명체 자체를 개량하고 활용하는 생체 이용 기술이고, 다른 하나는 생명체

기능을 모방해 전자와 기계 등에 응용하는 생체 모방 기술이다. 따라서 생명공학기술 분야에서

연구개발은 생명 현상 원리와 생명체 기능을 찾고 이해하려는 목적 지향형 기초연구와 이들을

산업에 활용하는 응용연구로 나눌 수 있다(과학기술부, 2008, p.552). OECD의 The Bioteconomy

to 2030 보고서는 건강・의료・식품 관련 이슈의 부상과 함께 생명공학 기술과 타 기술의 융합

을 통해 2030년경이 되면 바이오경제 시대로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OECD, 2009, pp.5~6). 생명

공학 기술은 고령화, 식량문제, 석유자원 고갈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기 때문에

향후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생명공학 및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본격적인 지원은 1983년 「유전공학 육성법」 및 이후

제정된 「보건의료 기술 진흥법」(1995년) 등 중요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면서부터였다. 생명윤

리 및 안전 측면에서도 「생명 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2004년),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

기술 진흥법」(2015년) 등이 제정되면서, 과학기술과 규제 사이에 균형점을 찾으려는 노력도

지속되어 왔다.

최근 보건의료 분야의 주요 성과를 살펴보면 논문과 특허의 숫자가 현격히 증가했다. 신약

분야에서는 국산 신약 1호 항암제 선플라주(1999), 미국 FDA 승인 신약 팩티브(2003), 세계

최초 줄기세포 치료제 하티셀그램-AMI(2011) 등 지속적인 개발 성과가 있었다. 2015년에는

Page 36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46

한미약품이 8조 원대에 이르는 6건의 기술 수출로 가시적인 성공 사례를 창출했다. 임상의료

기술 측면에서는, 2014년 기준으로 임상시험 인프라 수준이 세계 7위에 이르렀고, 장기이식과

암 치료 성적은 선진국과 비교해 동등하거나 우월한 수준으로 성장했다. 향후 10년은 지금까지

축적된 연구개발 경험 및 정부와 민간의 투자를 통해 다양한 성공사례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2절 생명공학

우리나라 생명공학은 분자생물학에서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분자생물학은 1962년 한국생

물과학협회 학술대회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이기녕 박사가 “핵산지식의 진보와 생물학”이라는

특강을 통해 DNA 염기비에 의한 미생물 분류가 가능함을 제시한 것이 국내 분자생물학의

시초가 되었다(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11, p.6). 1974년 한국원자력연구소(KAERI) 내에 분자생물학연구

실을 창설하면서 국내에 최초로 분자생물학 분야의 정부 연구기관이 설립되었다. 분자생물학

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 활동은 1980년 한국생물과학협회가 주최한 유전공학 심포지엄에서

시작됐다(한국바이오협회, p.222).

심포지엄 이후 정부는 1983년 12월 「유전공학 육성법」을 제정해 제도적 지원 장치를 마련

하였고, 1985년 2월 유전공학센터를 설립했다. 이 센터는 이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으로 승격

하여 현재까지 30년 동안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국가 바이오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의 생명공학기술은 1994년 「제1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 수립 이후 과학기술부

중심으로 바이오 분야 기초 기반연구가 중점 추진되었다(범부처, 2006, pp.7~34, 범부처, 2012, pp.10~32).

2006년에는 「제2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 두 차례의 기본계획의 결과, 생명

공학 분야의 SCI(E) 논문 수는 3만 1,972건(1차)에서 6만 7,541건(2차)로 증가했으며 우수

저널에 게재되는 논문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특허의 경우도 미국 등록 특허 수를 기준으로

「제2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의 1단계에서 558건이었던 것이 2단계에서는 889건으로

증가했다. 이 절에서는 이와 같이 성장한 한국 생명공학의 50년 역사를 행정사 중심으로 돌아

보고 향후 생명공학의 미래상을 그려보고자 한다.

Page 36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47

1. 생명공학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주요 정책의 변화

생명공학기술 분야에 대한 본격적인 정책적 지원은 1980년대 초반부터였는데, 그 시발점은

1983년 유전공학 기술 육성의 법적 근거인 「유전공학 육성법」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

되었다. 교육부의 지원을 통해 대학에 유전공학과와 유전공학연구소가 만들어져 학계의 생명

공학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이와 함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물공학부가 1985년 유전

공학연구센터로 확대 개편되었다. 정부와는 별도로 민간에서는 1982년 한국유전공학연구조

합이 설립되었고, 1991년에는 관련 기업이 참여하는 한국생물산업협회가 만들어졌다. 2000

년도에는 한국바이오벤처협회가 결성되어 생명공학 기술을 연구하는 바이오벤처 기업의 활성

화 및 교류 등을 지원하기 시작했다(과학기술부, 2008, pp.553~555).

<표 7-1> 우리나라 생명공학 정책 개요

연도 주요 정책내용

1983년 「유전공학 육성법」 제정 (1995년 「생명공학 육성법」으로 개정)

1985년 KIST 부설 유전공학센터 설립

1994년 「제1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BIOTECH 2000)」 수립

1998년 「뇌연구 촉진법」 제정 및 「제1차 뇌연구 촉진 기본계획」 수립

2004년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의 하나로 바이오신약・장기 산업 선정

2006년 「제2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Bio-Vision 2016)」 수립

2007년 「제2차 뇌연구 촉진 기본계획」(2008~2017) 수립, 「국가생명자원마스터 플랜」 수립

2008년 「과학기술 기본계획 577 전략」 수립,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 BT위원회 운영

2009년 「생명연구 자원의 확보 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정,

「신성장 동력 비전과 발전 전략」의 3대 분야 17개 신성장 동력 발굴

2010년 NBIC 국가융합기술지도 작성

2011년 대통령 상설 행정위원회로 개편하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출범,

「생명연구 자원의 확보 관리 및 활용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2012년 「제2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 2단계 계획」(2012∼2016) 수립

2013년 「제3차 과학기술 기본계획」

2016년 제11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심의를 통해 바이오특별위원회 설치

자료: 현병환 (2013),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와 생명공학”. 「제40회 생명공학정책연구 포럼」 발표 자료를 재구성

생명공학 기술 분야의 발전을 위해 과학기술부를 비롯한 7개 부처가 각 부처별로 적합한

연구개발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또한 산업자원부는 1987년 공업 기반 기술개발 및 대체

Page 36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48

에너지 기술 개발 사업에서 일부 생물 산업을 지원하기 시작하여, 1990년에는 본격적으로

생물 산업을 첨단 산업으로 고시하고 지원하기 시작했다. 1999년에는 난치성 유전자 치료제

개발 사업, 산업용 초소형 단백질 및 DNA 칩 시스템 생산 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의약품

개발 사업과 나노바이오텍 사업 등의 지원으로 사업 규모가 확대되었다.

정부의 생명공학 지원 정책은 10년 주기로 두 단계로 구분된다. 초창기 10년 동안 과학기술

부를 중심으로 연구기반을 조성했고, 후기 10년 동안에는 다양한 부처에서 독자적 연구계획을

수립하고 투자를 확대했다. 전반 10년에 해당하는 단계에서는 각 부처별로 산재되어 있던

관련 생명공학 사업을 정비하기 위해 1994년 「제1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Biotech 2000,

1994~2006)」을 수립하고 정부의 R&D 지원을 크게 확대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바이

오 R&D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기초를 탈피한 응용연구별 육성계획이 부처별로 수립되었

으며, 2004년에는 ‘차세대 신성장동력’의 하나로 생명공학이 선정되면서 바이오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개발 활동이 크게 증가했다. 2006년에는 「제2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Bio�

Vision2016)」의 1단계 계획(2007~2011)이 수립되었다. 뒤이어 수립된 2단계 계획

(2012~2016)은 1단계 계획을 통해 확보한 원천기술력과 산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선정된

중점분야를 육성하기로 했다. 또한 다부처 연계체제를 확립하고 생물 산업을 국가최우선 개발

과제로 지정하여, 바이오산업의 활성화를 추진하기로 했다(과학기술부, 2008, pp.553~555).

「제2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의 2단계는 ‘건강한 생명 중심 사회와 풍요로운 바이오경제

구현’을 비전으로 삼아 시작했다. 이를 위한 4대 추진 전략으로 ①국가 생명공학 육성 추진

체계 혁신, ②연구개발 일류화 기반 확충, ③바이오산업의 발전 가속화 및 글로벌화, ④법과

제도 정비 및 국민 수용성 제고 등이 제시되었다. 구체적인 목표는 2016년까지 과학기술

논문발표 세계 7위, 특허기술 경쟁력 13위, 바이오산업 시장 23조원 및 의약품 시장 26조원

창출 등이었고, 이를 위한 15대 실천 과제도 제시되었다(교육과학기술부 외, 2012).

2013년 6월 박근혜 정부는 창조 경제 구현을 위한 「제3차 과학기술 기본계획」

(2013~2017)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창조적 과학기술을 여는 희망의 새 시대’를 비전으로

하여 R&D 경제 성장 기여율 40%, 신규 일자리 64만 개 창출, 과학기술 혁신 역량 세계

7위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①국가 R&D 투자 확대 및 효율화, ②국가 전략 기술

개발, ③중장기 창의역량 강화, ④신산업 창출 지원, ⑤과학기술 일자리 확대 등 5대 추진

전략을 세웠다. 이를 통해 국민소득 3만 달러를 견인하고,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며, 선도형

연구개발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을 이 계획의 큰 방향으로 설정했다(미래창조과학부 2013, pp.13~17).

Page 36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49

이 기본계획의 5대 전략 분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미래 성장 동력 확충, 둘째, 깨끗하고

편리한 생활환경 구축, 셋째, 건강 장수 시대 구현, 넷째, 걱정 없는 안전 사회 실현, 다섯째,

IT 융합 신산업 창출 등이 그것이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30대 중점기술을 중심으로 범부처

전략 로드맵이 수립되었다. 여기에 포함된 바이오관련 기술에는 ①바이오 에너지, ②의료 기기,

③맞춤형 신약 개발, ④생명시스템 분석, ⑤유전체 정보이용, ⑥줄기세포, ⑦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⑧유용 유전자원 이용, ⑨식량자원 보존 및 식품가치 창출, ⑩오염물질 제어 및 처리기

술 등 10개 분야가 있다(김흥열 외, 2014, p.76).

나. 정책의 결과

「제1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이 수립된 1994년 생명공학 분야의 정부 R&D 투자는

536억 원이었던 반면 제1차 계획의 최종년도인 2006년에는 8,270억 원으로 약 15배 증가했

다. 2012년에는 그 규모가 1조 6,814억 원으로 무려 31배나 늘어, 지난 20년 동안 약 14조

원 이상이 생명공학 분야에 투자되었다(미래창조과학부, 2014). 이 분야의 인프라 구축 및 제도 개선에

서도 공공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부 지출은 1998년 121억 원에서 2006년 1,600억 원으로

약 13배 증가했고, 산업화 지원 인프라 및 기존 인프라의 범부처적 연계 활용을 위한 노력도

강화되었다. 지난 10년간(2006년~2015년) 공공 인프라 부문의 총 투자는 2조 1,851억 원으

로, 특히 2010년과 2013년에 오송 및 대구 첨단 의료 복합단지 조성으로 그 금액이 현격하게

늘어났다. 이런 공공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 투자로 바이오 시설 구축 및 산업화에 대한 지원이

더욱 확대되었다.

R&D 인프라를 살펴보면, 기초・응용연구 단계의 인프라로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식품

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등이 있으며, 분석 기능을 지원하고 있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연구개발 검증에 필요한 세포주를 지원하고 있는 한국세포주은행도 구축・운영 중이다. 산업화

지원 인프라는 개발・시생산 및 산업화 단계를 지원하는데, 생물 산업 실용화, 바이오 안정성,

산업기술 기반 등이 있다. 신뢰성을 평가하는 바이오 제품 평가 인프라에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GLP・GCP 인증기관들이 포함된다. GLP(비임상시험관리기준, Good Laboratory

Practice) 시험기관으로 지정된 기관은 2015년 9월 말 현재까지 23개이며, GCP(임상시험관

리기준, Good Clinical Practice) 임상시험실시기관으로 지정된 국내 기관은 2015년 9월

말 현재 173개이다.

Page 36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50

생명공학을 육성할 정부의 정책 및 법적 근거도 마련되었다. 「제1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

」에서는 유전자 변형 농산물(GMO), 복제기술 등 바이오 안전・윤리 등 세계적인 이슈를 국내의

법제도에 반영했고, 「제2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에서는 바이오 헬스 산업을 국가 성장

동력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기술 혁신 촉진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좀 더 자세하게 개선 실적을 살펴보면, 제1차 기본계획의 1단계(1994년~1997년)는 생명공학

육성을 위한 제도 정비의 시기로, 1995년 「생명공학 육성법」이 개정되어 생명공학 육성을

위한 기반 조성 및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었다. 제1차 기본계획의 2단계(1998년~2001년)에서

는 생명공학의 안전성 문제에 대한 국내 법적 기반이 마련되었고, 2001년 유전자 변형 생물체

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3단계에서는 국제 수준의 규범과 제도를

정비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2004년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제2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 기간에는 첨단 기술 분야의 진입 규제를 낮추고 기술과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2005년)을 개정했다. 법 개정을

통해 유전자 치료의 연구 범위 허용 기준을 완화하여 연구의 폭을 확대했고, 예방목적의 유전자

검사를 예외적으로 허용했다. 2008년 제정된 「첨단 의료 복합단지 지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은 의료 연구개발의 활성화 및 연구 성과의 상품화를 촉진하기 위해 첨단 의료 복합단지를

지정하고 이를 체계적・종합적으로 지원하기로 규정했다. 2011년 제정된 「제약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은 제약 산업의 체계적인 육성・지원과 혁신성 증진 및 국제협력 강화를

통해 제약 산업의 발전 기반을 마련할 토대가 되어, 바이오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법적

지원 근거가 마련되었다. 생명공학 기술 발전의 근간이 될 생명 연구 자원 확보 및 활용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 「생명 연구 자원의 확보 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2009)과 「농수산

생명 자원의 보전・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2011),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2012) 등도 제정되었다.

2. 생명공학 R&D 주요 성과

가. 논문과 특허 성과1)

생명공학 분야의 논문 성과는 매년 꾸준히 성장하여 우수 저널 게재 논문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제1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을 시행하던 지난 1994년부터 2016년

까지 SCI(E) 논문은 연평균 16.1%의 증가세를 보였다. 상위 7개국과 비교하면 출판된 전체

Page 36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51

논문 수에 격차가 존재하지만 논문 증가율 면에서는 중국(1.7배)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

(1.1배)을 보였다.

<표 7-2> 생명공학 분야 SCI(E) 논문 주요국 비교

주요국

2012-2015

논문 창출(건)

(a)

2007-2011

논문 창출(건)

(b)

증가

(a/b)주요국

2012-2015

논문 창출(건)

(a)

2007-2011

논문 창출(건)

(b)

증가

(a/b)

한국 35,982 31,559 1.1배 독일 73,433 80,180 0.9배

미국 293,223 369,197 0.8배 프랑스 48,759 56,129 0.9배

일본 61,538 78,777 0.8배 중국 160,577 96,032 1.7배

영국 69,875 80,731 0.9배

출처: 범부처 (2016년), 「제3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2017~2026)

<표 7-3> 2007년~2015년 국내외 NSC 논문 발표 현황

제2차 1단계 제2차 2단계총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NSC 총합계 26 28 38 47 46 45 62 59 57 408

BT 관련 NSC 19 15 21 28 24 22 35 40 27 231

BT비중(%) 73.1 53.6 55.3 59.6 52.2 48.9 56.5 67.8 47.4 56.6

출처: 범부처 (2016년), 「제2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2017~2026)

우리나라가 세계 유명 과학 저널(Nature, Science, Cell)에 게재한 총 논문 수는 2007년부

터 2015년까지 408건이다. 이중 생명과학 분야 논문이 231건으로 전체에서 약 56.6%를

차지했다. 생명과학 분야의 NSC 논문 건수는 꾸준히 증가해 「제2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

1단계에 비해 2단계의 논문 수가 1.2배 정도 증가하는 성과를 나타냈다.

나. 생명공학 R&D 성과2)

1) 생체시계에 관여하는 PLCβ-4 유전자 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신희섭 박사팀은 2003년 생체시계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연구하여

2003년 3월 유명 과학저널 Nature Neuroscience 홈페이지에 그 연구 성과를 실었다. 신희

섭 박사는 “생체시계에 관여하는 PLCβ-4 유전자를 없앤 생쥐와 정상적인 쥐를 똑같은 조건에

Page 36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52

서 24시간 관찰한 결과 이 유전자가 생체시계와 생체리듬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증명했다”고 밝혔다. 실험에서 정상적인 쥐는 24시간 동안 깜깜한 상자에 갇혀서도

밤과 낮을 주기적으로 구분해 잠을 자고 활동한 반면, 이 유전자를 없앤 쥐는 생체리듬이

깨져 활동과 정지를 불규칙하게 반복했다.

신 박사는 “생체시계 유전자들이 시계추나 톱니바퀴에 해당한다면 PLCβ-4 유전자는 여기

에서 생산한 정보를 생체리듬 유전자들에게 전해주는 시계바늘과 같은 역할을 한다”며 “이

PLCβ-4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면 시차적응 등 생체리듬과 관련된 인간의 행동

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국민일보, 2003).

2) 세계 최초의 마이크로 RNA 생성과정 규명

서울대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은 DNA와 단백질 외의 주요 생명현상조절 인자로 새롭게

떠오르는 마이크로 RNA 생성 과정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마이크로 RNA는 세포 기능을

제어하는 조절물질의 하나다. 지난 1993년에 처음 발견했을 당시 선충에서만 일어나는 특이

생명 현상으로 인식했다. 그러나 최근 모든 동물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 전 세계

생명과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해당 마이크로 RNA의 기능을 밝히면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지

않는 수많은 유전체가 왜 존재하고, 인간의 유전자수가 왜 3만~4만개에 불과한 지 등 생명

현상에 대한 해답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기대하고 있다.

김 교수는 “최근 RNA의 조절 기능이 밝혀지면서 DNA와 단백질만이 생명현상의 주요 인자

라는 통설이 깨졌다”며 “특히 이번 연구는 소규모 국내 연구팀이 짧은 기간 안에 독자적으로

일궈낸 성과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김빛내리 교수의 연구결과는 저명 과학

저널인 EMBO Journal 2002년 9월호에 수록됐다(연합뉴스, 2002).

3) 에이즈・암 치료를 위한 ‘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유도 만능 줄기세포(iPS Cell)의 핵심 기술로 활용할 수 있는 유전체 공학기술을 국내 연구진

이 독자 개발했다. 김진수 서울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세포 내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특정

위치를 선별해 절단할 수 있는 ZFN(Zinc Finger Nuclease) 대량 합성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상용화하면 유전병과 암처럼 유전자 변이로 인한 질환 치료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유전자 가위는 DNA의 특정 부분을 잘라내 DNA 재조합을 가능케 한다.

대표적인 것이 제한효소다. ZFN은 천연 유전자 가위인 제한효소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한 ‘인공

Page 36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53

유전자 가위’라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생명공학 기술 분야 학술지인 Nature Method에

게재됐다(한국경제, 2011).

4) 젖산을 활용한 질병치료제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진이 젖산이 세포 성장과 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신호물질로 작용하

고, 암을 약화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유전체구조연구센터 염영일 박사팀은 2015년 4월

저탄소 환경에서 암세포 발현을 증가시키고, 암세포 성장과 주변 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발암성

단백질 NDRG3을 새롭게 발견했다. 그리고 이 단백질이 젖산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도 확인

했다고 밝혔다. 염영일 박사는 “암과 염증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려면 젖산 생성을 조절하

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라며 “새로 발굴한 NDRG3 조절로 암세포 대사과정과

신호전달체계를 동시에 표적으로 하는 효율적인 암 치료제뿐만 아니라 염증 질환과 심혈관

질환, 고산병, 근위축증, 근육노화 관련 질환 같은 질병 치료제 개발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Cell에 수록됐다(연합뉴스, 2015).

3. 생명공학 분야의 미래 전망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중요성을 선진국을 비롯한 전 세계가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우리나라도 바이오 경제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경쟁에 뛰어들었다. 최근 국내 기업들이

신약 개발에서 임상에 성공하거나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을 수출하는 등 결실을 맺어가고 있다.

최근 화두로 떠오르는 키워드인 융합, 혁신, 인공지능 같은 키워드와 생명공학 기술이 맞물린다

면 우리나라도 성공적으로 바이오 경제 시대를 이끌어갈 수 있을 것이다.

정부는 1994년 수립된 「제1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생명공학의 성장 기반

을 마련했다. 그동안의 노력을 통해 행정체계 및 조직이 만들어졌으며 주요한 성과도 창출되었

다. 대기업들도 바이오 및 의료 기기 분야를 신성장 사업으로 채택하고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하

면서 바이오 산업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바이오 산업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일련의 상황들은 생명공학 기술과 바이오 산업이 향후

국가의 신성장 동력 산업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이다. 제2, 제3의 성공 사례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서는 생명공학 기반 미래 산업에 대한 비전과 전략이 필요하며 각

부처의 협력을 통해 부처별・연구 단계별 효율적인 R&D 연계를 강화할 필요도 있다. 앞으로

Page 36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54

부처 간 장벽을 해소하고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협력을 기반으로 생명공학 기술을 다양한 산업

에 활발하게 응용한다면, 생명공학 기술과 바이오 산업이 우리나라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제3절 보건의료

본 절에서는 생명공학 연구에서 시작된 한국 보건의료 분야의 과학기술 발전사를 정책・제도

적인 차원에서 다루며, 주요 기술 발전의 성과를 의료 기기・약학・임상의학으로 나누어 다룬다.

먼저 정책적인 측면에서는 1994년 과학기술처가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을 기획하면허

본격적인 중장기 전략이 수립되었다. 이후 「중장기 보건의료 기술 발전 계획」(1997년), 「뇌연

구 촉진 기본계획」(1998년), 「21세기 바이오 사회 구현을 위한 생물 산업 발전 종합 대책」

(2000년),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별 추진 전략 수립 및 종합 실천 계획」(2004년), 「범부처

신약 개발 R&D 추진 전략」(2006년), 「줄기세포 연구 종합 추진 계획」(2006년), 「국가 감염병

위기 대응 기술 개발 추진 전략」(2012년), 「국민 건강을 위한 범부처 R&D 중장기 계획」(2013

년), 「바이오 미래 전략」(2014년) 등이 수립되었다.

연구개발 사업은 과기처 선도 기술 개발 사업의 신의약・신농약 개발 사업, 의료공학 기술

개발 사업이 그 시발점이었다. 이후 보건 의료 기술 진흥 사업, 뇌과학 연구 사업, 기초의과학연

구센터 설립, 바이오 스타를 위한 Total Solution 지원 사업, 바이오・의료 기술 개발 사업

등 각 부처별로 경쟁적으로 보건의료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2010년대부터는 범부처 전주

기 신약 개발 사업,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 사업 등 다수의 부처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사업이 추진되었다.

보건의료 분야의 의료 기기 산업은 제품 설계와 제조에 관련된 다학제 간 기술 기반 산업이

다. 기초의학, 임상의학, 기초과학과 함께 전기, 전자, 기계, 재료, 광학 같은 공학을 융합한

응용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미래 전략 산업이다. 특히 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 임상적 효능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분야다(과학기술부, 2008, pp.562~563).

또한 우리나라 제약 산업은 완제 의약품을 수입해서 판매하는 방식에서 의약품 원료를 수입

Page 36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55

해 국내에서 약으로 만들어 공급하는 단계를 거치며 기초 제약 기술을 확보했다. 1962년

한독약품이 서독의 훽스트와 처음으로 기술 제휴를 맺고, 훽스트의 최신 의약품을 국내에서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후 국내 다수의 제약 기업이 외국의 유명 제약 기업과 기술 제휴를

체결했다. 합자 회사를 설립해 국내에 선진 기술과 외국 자본 도입도 추진했다.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고령화 사회 진입과 만성 질환, 희귀 질환이 늘어나면서 앞으로 크게 커질 전망이다.

2014년 글로벌 제약 시장은 1027조 2000억 원의 규모로 처음으로 1000조 원을 돌파했다.

2005년부터 2014년인 최근 10년 동안 연평균 6.2%로 성장했다.

임상의학 분야에 대한 정부 연구개발 지원은 1995년에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그 역사가

길지 않다. 과거 많은 임상의학 분야의 발전은 의료인들의 노력과 병원에서 받은 지원으로

이뤄냈다. 국내 임상의학 분야는 외국 기술을 도입하면서 이를 우리 것으로 만들고 새로운

의료기술로 발전시켜 왔다.

1. 보건의료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법・제도적 체계의 변천

1975년 정부는 지역별로 보건환경연구원을 설치하여 보건・환경에 관한 검사 및 연구 업무

를 합리적으로 운영할 목적으로 「보건연구소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1991년 「보건환경연구

원법」으로 전문 개정되었고, 보건환경연구원은 환경과 관련된 감염병, 의약품, 화장품, 의료

기기, 식품, 식육, 식수, 대기 등 보건과 관련된 제품 및 환경에 대해 검사, 시험, 조사,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1970년 후반부터 선진국에 생명공학 관련 첨단 벤처기업의 설립, 관련 연구 결과의 가시화

등 전 세계적으로 유전공학 기술의 중요성이 새로이 인식되었다. 우리나라도 이런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제도적 차원에서 관련법 및 시행령의 제정을 서둘렀고 1983년 12월 「유전공학

육성법」을 제정했다. 그 후 생명공학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과학기술처 이외의 다른 부처의

역할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과학기술처는 1994년을 ‘생명공학 도약의 해’로 선언하

고 1995년에 「유전공학 육성법」의 명칭을 「생명공학 육성법」으로 변경했다. 법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초기 「유전공학 육성법」의 제정 목적은 ‘유전공학 연구의 기반을 조성하여 유전공학

을 보다 효율적으로 육성・발전시키고 그 개발 기술의 산업화를 촉진하여 국민 경제의 건전한

Page 37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56

발전에 기여하게 하는 것’이었고, 유전공학의 정의는 ‘유전자 재조립・세포 융합・핵치환 등의

기술과 발효 기술・세포 배양 기술 등을 사용하여 생명과학 분야 산업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학문과 기술’로 한정되어 있었다. 1995년 「유전공학 육성법」이 「생명공학 육성법」으로 개정

할 당시 그 목적은 ‘생명공학 기술의 산업화 촉진 및 국민 경제 기여’로 비슷했으나, 생명공학의

정의는 ‘산업적으로 유용한 생산물을 만들거나 생산 공정을 개선할 목적으로 생물학적 시스템,

생체 또는 그들로부터 유래되는 물질을 연구・활용하는 학문과 기술’로 보다 포괄적인 정의가

이루어졌다. 아울러 이 법은 생명공학 연구 및 유전 자원의 이용과 보전에 관한 연구의 중추적

기능을 담당할 생명공학연구소를 설립할 근거도 마련했다. 1997년에는 생명공학의 개념에

‘생물학적 시스템, 생체’ 외에 ‘유전체’라는 표현이 추가되었고, 2003년에는 이 법에서 정의하

는 생명공학이 기초 의과학 분야까지 확대되었다.

1986년에는 「특허법」이 개정되어, 오랫동안 미뤄왔던 물질 특허 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동안

한미 간의 합의에 따라 의약 또는 의약 조제 방법 등은 특허 대상에서 제외되어 왔지만, 이

제도의 도입으로 국내 관련 산업의 연구개발을 유도할 필요성도 인정되었다(정차호, 2004, p.9).

이 법의 개정으로 인해 국내 제약 기업도 자체적인 신약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했다(심창구

외, 2007, p.369).

1995년 보건복지부는 의료 기술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보건의료 법률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보건의료 기술 진흥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보건의료 체계의 하부 구조인 의료 자원

중 의료 지식과 관련된 사항을 명시적으로 규정한 최초의 법률이었다(손명세, 2000, p.12). 이 법은

보건의료 기술의 진흥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보건의료 기술 연구개발 사업의 수행 및 보건의

료 정보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보건의료산업의 건실한 발전과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목적으로 제정 되었다. 이 법의 제정 당시 보건의료 기술의 정의는 의약품・의료용구・식품・의료

등 국민의 건강 및 생명의 유지・증진에 필요한 상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이었다. 2016년

현재 「보건의료 기술 진흥법」의 목적에는 보건 신기술 인증과 보건의료연구원 설립에 관한

내용도 추가되어 있다. 보건의료 기술의 정의 또한 “가. 의과학・치의학・한의학・의료공학 및

의료정보학 등에 관련되는 기술, 나. 의약품・의료 기기・식품・화장품・한약 등의 개발 및 성능

향상에 관련되는 기술, 다. 그밖에 인체의 건강과 생명의 유지・증진에 필요한 상품 및 서비스와

관련되는 보건・의료 관련 기술”로 확대되어 명시되어 있다. 이 법의 주요 내용에는 보건의료

기술 연구 진흥 시책, 연구중심병원의 육성, 보건의료연구원 설립 등이 포함 되었다.

1998년 과학기술부는 뇌연구 촉진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목적으로 「뇌연구 촉진법」

Page 37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57

을 제정했다. 이 법은 뇌연구 촉진의 기반을 조성하여 뇌연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육성・발전시

키고, 그 개발 기술의 산업화를 촉진하여 국민 복지의 향상 및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 법의 주요 내용은 「뇌연구 촉진 기본계획」 수립, 뇌연구 촉진

심의회 설치・운영, 뇌연구 투자 확대, 뇌연구소 설립 등이었다. 2011년에는 「뇌연구 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한 후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의 심의를 거치도록 이 법을 개정했다.

2000년 보건복지부는 전염병의 발생과 유행을 방지하여 국민 보건을 향상・증진시키기 위한

「전염병 예방법」을 개정했다. 이 법에는 국가 및 지방 자치 단체가 전염병의 예방을 위해

신속하고 정확한 방역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전염병에 관한 조사・연구’에 관한 사업을

수행하는 의무 조항이 추가되었다. 이후 2009년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로

대체되면서 ‘기후변화에 따른 감염병 발생 조사・연구 및 예방 대책 수립’ 및 ‘감염병 예방접종

약품 연구를 지원’할 수 있는 조항도 신설되었다.

2000년 보건복지부는 「천연물 신약 연구개발 촉진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천연물학의

육성 등 천연물 신약 연구개발의 기반을 조성하고 천연물을 이용한 신약 연구개발 및 산업화를

촉진하여 국민 건강의 증진과 국가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2013년에

는 「보건의료 기술 진흥법」 제6조에 따른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천연물

신약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이 법을 개정했다.

2003년에는 「암 관리법」이 제정되어 보건복지부 장관이 암의 예방과 진료 기술 발전을 위한

암 정복 연구・개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 법의 목적은 국가가 암의

예방・진료 및 연구 등에 관한 정책을 종합적으로 수립・시행함으로써, 암으로 인한 개인적 고통

과 피해 및 사회적 부담을 줄이고 국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는 데 있다. 「암 관리법」은 국민의

보건의료 측면이 강조된 법으로서, 암의 예방과 진료 기술 발전을 위한 것이었다. 또한 암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와 암환자 진료 등을 위해 국립암센터를 설립할 수 있는 근거도 마련했다.

2004년 보건복지부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보건의료 연구개발에

있어 생명윤리와 국민의 안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이 법의 제정

사유는, 생명과학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생명윤리 및 안전을 확보하여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하고,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질병 치료 및 예방 등에 필요한

생명과학기술을 개발・이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었다(곽순헌, 2003, p.152). 이

법의 가장 큰 쟁점은 인간복제, 이종 간 착상, 배아의 생성 및 연구, 유전자 검사・치료 및

유전 정보의 보호 등 4가지였다(곽순헌, 2003, p.154).

Page 37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58

같은 해에 보건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을 제정하여 한의약 기술 연구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그동안 한의약은 서양의약과 구별되는 고유의 특성이 있음에도 불구하

고, 한의약 관련 법률은 서양의약과 함께 「의료법」과 「약사법」에 분산, 규정되어 있었다. 이에

서양의약과는 다른 한의약 고유의 특성에 따른 발전적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새로운 단일법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 법은 한의약 육성의 기본 방향 및 육성 기반 조성과 한의약 기술 연구・개

발의 촉진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국민 건강 증진과 국가 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또한 이 법에는 한의약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한방임상센터를

설치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

2004년에는 「국민 건강 증진법」이 개정되어, 국민건강증진기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업이

건강 증진 및 만성 퇴행성 질환의 예방을 위한 조사・연구 및 보건 통계의 작성・보급, 보건의료

관련 조사・연구 및 개발까지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국민 건강증진기금을 활용하

여 보건의료 연구개발 사업의 재원을 충당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2008년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3개 부처는 함께 「첨단 의료 복합단지

지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의료 연구개발의 활성화 및 연구 성과의

상품화를 촉진함으로써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세계적인 의료연구개발의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

한 근거를 마련했다. 첨단의료복합단지는 참여 정부가 출범한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의 활동의

결과로 미래 성장 동력 산업인 의료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기획되었다(의료산업발전기획단 외, 2007,

p.194). 이 법에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및 입주 기관 등에 대한 지원, 규제 특례에 관한

사항이 담겨 있었다.

같은 해에 보건복지가족부는 「실험 동물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이 법은 실험 동물 및

동물 실험의 적절한 관리를 통해 동물 실험에 대한 윤리성 및 신뢰성을 높이고 생명과학 발전과

국민 보건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했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 소관의 주요 내용으로는

실험 동물의 과학적 사용, 동물 실험 시설, 실험 동물의 공급, 안전 관리, 기록 및 정보의

공개 등이 포함되어있다.

2009년 과학기술부는 「생명 연구 자원의 확보 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이 법의 목적은 생명 연구 자원의 효율적인 확보와 체계적 관리를 통해 지속 가능한 활용을

도모하고 생명공학의 발전 기반을 조성하는 데 있었다. 이 법은 생명 연구 자원 관리 및 생명

연구 자원 관련 분야의 육성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2010년에는 보건복지부가 「제대혈

관리 및 연구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이 법은 인간 제대혈의 안전한 관리・이식 및 연구

Page 37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59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인간 제대혈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의학의 발전 및

국민 보건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 법은 제대혈 기증・위탁 및 채취, 제대혈

은행 및 제대혈 관리, 이식, 감독 등을 주요 내용으로 했으며, 특히,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제대혈 기증 및 이식을 활성화하기 위한 관련 연구에 관한 내용도 포함했다.

2011년 보건복지부는 「제약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제약 산업 육성

을 위해 혁신형 제약 기업의 신약 연구개발, 연구・생산 시설 개선 등에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혁신형 제약 기업은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이 일정 규모

이상인 제약 기업인데, 연구 자원 및 활동이 우수한 기업으로 인증 받게 되었다. 2013년 식품의

약품안전처는 「의료 기기법」을 개정하여 “보건복지부 장관 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의료

기기 품질 평가 기반 구축, 의료 기기 기준 규격화 사업 지원, 그 밖에 의료 기기 산업의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 사업을 「한국보건산업진흥원법」에 따른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위탁하

고 이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다”는 조항을 신설했다.

2015년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 기술 진흥법」을 제정하여 식품・의약

품 안전 기술을 출연금으로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이 법의 목적은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 기술 발전 기반을 조성하고 체계적인 진흥 방안을 마련하며,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 기술 연구개발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국민이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데 이바지하는 것이었다. 이 법을 통해 미래 유망 제품에 대비한 식품의약품 안전 기술을

확보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제정 이유에서도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 기술에 대한 산업현장

등의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 기술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기

관 등에 출연금을 지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고 설명했다.

나. 행정 지원 체계의 변천

1960년대부터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출범 이전까지 정부 연구개발 예산은 복지, 국방, 노동

등 다른 분야의 정부 예산과 동일한 편성 절차에 따라 재정 담당 부처에서 편성했다(안승구 외,

2017, p.32). 이후 과학기술 정책의 주요 결정 기구로 종합과학기술심의회, 과학기술장관회의

등이 운영되었으며 종합 조정의 역할을 하였다.

1999년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출범하여 2004년까지 과학기술

분야 최상위 국가 연구개발 사업 종합 조정 제도를 운영했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과학기술

Page 37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60

전반을 아우르는 관점에서 국가 연구개발 사업 조사・분석・평가 및 사전 조정을 통해 신규

사업과 계속 사업에 대한 투자 우선순위를 설정했고, 예산 배분에 대한 의견을 기획예산처에

제시했다. 여기서 보건의료 분야의 R&D는 기초・공공 연구개발 사업으로 분류되어 심의・조정

되었다. 2001년에는 바이오기술・산업위원회가 신설되었는데, 이 위원회는 산하에 실무위원

회, 분과위원회를 두었다. 분과위원회는 기술분과위원회와 산업분과위원회로 나뉘어서, 기술

과 산업 중심으로 운영되었다(과학기술부, 2001, p.2).

[그림 7-1] 과학기술혁신본부 출범에 따른 생명 분야 부처 간 역할

자료: 과학기술부 (2005), 『2005 생명공학백서』, p.70

참여정부에 들어서 2004년 10월 18일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가 신설되어 국가과학기술위

원회와 함께 과학기술 정책 조정의 핵심 역할을 맡았다(성지은, 2006, p.255). 또한 국가과학기술위원

회 사무국 조직으로서 과학기술혁신본부를 과학기술부 내에 설치하고, 차관급 본부장이 국과

위의 운영위원장을 겸직했다. 과학기술혁신본부 내에는 연구개발 조정관을 두었고, 그 아래

생명해양심의관이 연구 분야별로 업무를 관장했다(김성수, 2005, p.12). 당시 보건의료 분야와 관련해

서, 생명해양심의관은 국장급 개방형 직위로 민간 전문가를 발탁하여 보건의료를 포함한 생명

과학 전체 분야에 대한 부처별 예산 배분 및 조정의 역할을 맡았다.

참여정부에서는 대통령 직속기구가 활발하게 운영되었는데, 보건의료 분야와 관련해서는

2005년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이 위원회는 의료 산업을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

으로 육성하여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범정부적인 발전 전략을 마련하고 강력하게

Page 37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61

추진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만들어졌다(의료산업발전기획단 외, 2007, p.192).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가 설

치된 이후, 이를 지원하기 위해 의료산업발전기획단 및 보건의료서비스제도 개선기획단이 발

족했다(의료산업발전기획단 외, 2007, pp.193~194). 사상 처음으로 공공복지가 아닌 산업 측면에서 보건의료

분야가 강조되기 시작한 것이다.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는 위원장으로 국무총리를 두고, 재정

경제부 등 관련부처 장관과 민간 위원 20인을 포함한 30인 이내로 구성되었다. 이 위원회는

2007년 말까지 의약품・의료 기기・의료서비스 산업 발전 대책,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의료

분야 연구 및 개발, 의료 산업 관련 제도 개선 등 의료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폭넓은 정책을 수립하고 심의했다. 당시 수립된 보건의료 R&D 분야의 주요 정책으로는 첨단

의료복합단지 조성 방안, 보건의료연구원 설립, 의약품 비임상・임상 시험 기반 확충, 의료

기기 임상 시험 기반 구축, 성과 중심의 전주기적 국가 의료 R&D 관리 체계 구축, 임상 연구

활성화, 의료 연구 전문 인력 양성, 의료 R&D 분야 연구 윤리 확립, 혁신 신약 창출을 위한

연구・개발 촉진, 한의약 R&D 역량 향상 방안, 의료 기기 성장 유망 분야에 대한 전략적 R&D

투자 강화, 첨단의료 기술 육성을 위한 중개 연구 활성화 방안, 산업화 연계 추진을 위한 기술

개발 위험 분담 및 기술 거래 활성화 방안 등이었다(의료산업발전기획단 외, 2007, pp. 200-202).

[그림 7-2] 의료산업발전기획단 및 보건의료서비스제도 개선기획단 조직 및 업무 체계도

자료: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 외 (2007),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 활동 백서』, p.198.

Page 37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62

이명박 정부에 들어서는 교육과학기술부 체제가 신설됨에 따라,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역할

은 부처별 예산안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는 것으로 축소되었다. 실질적인 예산 편성 권한은

과학기술혁신본부의 일부 기능이 이관된 기획재정부로 넘어간 것이다. 2011년 3월부터 대통

령 직속으로 상설화된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주요 국가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예산배분・조정

권을 가졌으며, 기획재정부로부터 성과 평가 업무를 이관 받았다(안승구 외, 2017, p.41). 국가과학기

술위원회는 분야별 전문위원회를 두었는데, 생명공학 분야와 관련해서는 2008년 12월 민간

위원으로 구성된 BT위원회가 설치되어 보건의료 분야를 함께 검토했다. 이후 BT위원회는

생명복지전문위원회로 바뀌었다(미래창조과학부, 2013, p.6).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기능 중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사업 종합 조정 기능은 미래부로

이관되었고, 국가과학기술심의회는 심의회의체 기구로서 기능하게 되었다(안승구 외, 2017, p.42).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산하에는 분야별 전문위원회를 두었는데, 보건의료 분야의 경우 생명복지

전문위원회가 관련된 업무를 담당했다(미래창조과학부, 2013, p.7). 그리고 미래창조과학부 산하에 연구

개발조정국을 두고, 생명복지조정과에서 보건의료 R&D 예산배분・조정을 담당했다. 2014년

12월에는 생명복지전문위원회가 생명・의료전문위원회로 변경되면서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고(미래부, 2014, p.6), 이듬해 3월 생명복지조정과가 생명기초조정과로 개편되면

서 기초 R&D 예산 배분・조정을 함께 담당했다. 2015년 9월 국가과학기술심의회의 간사로서

미래창조과학부 소속 과학기술전략본부가 출범하여 범부처 과학기술 R&D 정책을 총괄・조정

하게 되었다. 이는 R&D 예산 배분・조정 역할을 했던 연구개발투자조정국의 위상이 낮아 R&D

예산 배분・조정을 전담할 컨트롤 타워가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 기존 보건의료 R&D의

예산 배분・조정은 연구개발투자심의관 소속 생명기초조정과에서 담당하게 되었다(미래창조과학부,

2015a, p.5).

2016년 3월 국가과학기술심의회는 바이오특별위원회를 신설했다(국무조정실 외, 2016, p.1). 바이오

특별위원회가 설치된 것은 2015년 한미약품의 대규모 기술 수출 성공에 힘입은 바가 크다.

바이오특별위원회의 설치는 바이오 분야가 성장 동력으로서 가지는 중요성을 인식한 것에

따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바이오특별위원회는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을 위원장으로 삼고,

보건복지부, 산업자원부, 농림부, 해양수산부, 식약처 등 관계 부처 7인을 포함한 정부 위원

8인, 민간 위원 12인 등 20인의 위원으로 구성되었다. 바이오특별위원회의 주요 기능은 부처

별로 분산된 바이오 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종합・조정하는 것이었다.

정부 각 부처에는 보건의료 R&D 분야 정책을 심의하는 기구가 별도로 운영되고 있다. 미래

Page 37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63

창조과학부의 경우 1984년 「유전공학 육성 기본계획」 및 「유전공학 육성법」에 근거하여 과학

기술처 장관 아래 유전공학종합정책심의회를 두었다. 이 심의회는 1995년 「유전공학 육성법」

이 「생명공학 육성법」으로 개정되면서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로 변경되었다. 1998년에는

「뇌연구 촉진법」에 근거하여 과학기술부장관 소속의 뇌연구촉진심의회를 설치했다. 2011년

「뇌연구 촉진법」과 「생명공학 육성법」이 개정되면서, 뇌연구촉진심의회는 폐지되었고 그 기능

은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로 통합되었다. 대신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에 상정할 안건을 사

전 심의하기 위해,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소속으로 뇌연구 실무 추진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생명

공학종합정책심의회는 미래부 장관 및 관계부처 차관이 참여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1995년 「보건의료 기술 진흥법」에 근거하여 보건복지부 장관 소속 보건의료

기술정책심의위원회를 설치했다. 이 위원회는 보건의료기술 진흥을 위한 시책 수립 등 보건의

료 기술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했다. 2000년에는 「천연물 신약 연구개발 촉진법」에 근거하

여 관련된 정책을 심의하기 위해 보건복지부 장관 소속 천연물신약연구개발정책심의회를 만들

었는데, 이 위원회는 2013년 「천연물 신약 연구개발 촉진법」이 개정됨에 따라 폐지되고 그

기능은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회로 통합되었다.

생명윤리 및 안전과 관련해서는 소관 심의를 위해 대통령 소속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이 위원회는 복지부 장관 등 부처 관계자 6인, 민간 위원 14인 등 20인으로

구성되었고, 심의위원회 간사 위원으로 미래부장관, 수석간사위원으로 복지부 장관을 배정하

여 과학기술과 생명 윤리 모두를 균형 있게 검토하게 했다.

다. 주요 정책의 변화

한국 정부가 유전공학을 경제 개발에 기여할 수단으로 인식하면서 이 분야에 대한 육성

의지를 처음 표명한 것은 「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1982~1986)에서였다. 이 계획에

는 유전공학을 포함하는 생물 공업 기술이란 분야가 처음 등장했다. 생물 공업 기술은 국가가

주도해야 할 핵심 전략 기술로 제시한 반도체 및 컴퓨터 기술, 정밀 화학 공업 기술, 기계

공업 고도화 기술, 기타 공업 기술 가운데 기타 공업 기술의 하나로 분류되어 있었다. 과학기술

처는 1982년 1월 특정 연구개발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유전공학을 국책 연구 사업의 중점과제

로 채택했다(김훈기, 2010, pp.191~192). 1981년 과학기술처는 KAIST 생물공학연구부의 한문희 교수

에게 정책 연구를 맡겨 「생명과학 및 생물 공업 기술의 육성을 위한 연구개발 계획」을 수립했

다. 이 보고서는 이후 과기처가 유전공학을 비롯한 국내 생물학 분야의 육성계획을 세울 때마다

Page 37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64

기본 자료로 자주 인용되었다(김훈기, 2010, p.193.). 이후 1989년 통상산업부는 「생물 산업 발전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생명과학 분야의 산업화를 위한 밑그림을 제시했다.

1993년 과기처는 생명공학 분야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 「유전공학

육성법」에 근거해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1994~2007)을 수립하면서 그동안 관련 분야를

지원해 온 정부 부처들을 종합 조정하기로 한 것이다(김훈기, 2010, p.188). 그리고 1994년부터 2007

년까지 14년간 정부가 5조 7,650억 원, 민간이 10조 2,750억 원을 투자하여 생명공학 시장

점유율을 5%까지 올리겠다고 계획을 세웠다. 과학기술처는 기초연구를 담당했고, 상공자원부

는 산업화 기술을 담당하는 등 7개 부처 사이에 역할 분담도 이루어졌다. 이 기본계획에 의거하

여 과학기술처 국책 연구개발 사업의 형태로 생명공학 기술 개발 사업이 신규 추진되었는데,

이 사업은 그 후 타 부처에서 관련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촉매제 역할을 했다. 1995년

2월 보건복지부는 기존에 소규모로 지원하던 연구비를 재정비하여 보건의료 기술 연구개발

사업을 시행하고, 연구관리 전담 기관으로 보건의료기술기획평가단을 설립했다(국회예산정책처,

2005, p.8). 1997년 보건복지부는 「중장기 보건의료 기술 발전 계획」을 확정하여 단계별 전략과

목표를 제시하고 본격적으로 보건의료 기술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과학기술부, 2008, p.359).

1998년 과학기술부의 주관 하에 「제1차 제2단계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1998~2001)이

수립・확정되었다. 과학기술부를 비롯한 7개 부처가 협조하여 기초연구는 교육부, 원천연구는

과기부, 실용화 기술개발은 각 부처에서 추진하도록 하였다. 보건의료 등 분야 별로 중점 연구

를 지원하는 한편 조직공학기술 등 특성화 기술・과제를 지정하여 범국가 차원에서 지원하는

계획이었다. 2단계 계획의 기본목표는 ‘생명공학 원천기반기술의 선진국 수준 확보’로 설정되

었다(과학기술부 외, 1998, pp.11~12).

2000년 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등 8개 부처는 합동으로 「유전체 연구 지원・육성 지원

대책」을 수립했다. 이 대책은 한국인 다발성 질환 치료 기술 개발, 노인성 질환 치료 기술

개발, 대체장기 생산 기술 개발, 국내 자생 생물의 다양성 확보와 응용 기술 개발, 분자 육종

기술 개발 등을 중점 연구개발 분야로 선정하여 질병의 예방・진단・치료법과 신약을 개발하는

것이 주된 목표였다(과학기술부 장관 외, 2000, p.4). 같은 해에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생명공학의 연구

개발 지원 대책」을 수립했다. 이 대책의 주요 개발 대상 분야는 유전체 기능 분석을 통한

신의약 개발 기술, 노화 조절 등 생명 연장 기술, 인공 장기 및 조직의 체외 대량 생산 기술,

암, 에이즈, 뇌 순환계 질환 등의 치료 기술, 생체 모방 기술, 바이오칩 기술, 유전자 단위의

Page 37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65

질병 예방 기술, 세포 및 유전자 치료 기술 등이었다. 이를 위해 보건의료 기술 연구개발 사업에

2000년부터 2010년까지 11년간 1조 3,000억 원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보건복지부, 2000, p.2).

2001년 정보통신부 등 5개 부처는 「IT 기술이 접목된 전통 주력 산업의 기술 개발 혁신

전략」을 수립하였다. 보건의료 분야의 경우, 보건복지부가 전통 보건의료 산업과 IT를 접목시

킨 의료공학 융합 기술 개발 사업을 수립, 지원하기로 했다. 보건 산업은 과기부와 복지부가

함께 추진하여 신의약품 개발, 고부가 가치의 기능성 첨단 바이오 소재 개발, 새로운 기관

생산 기술 개발, 한약재 등 천연물 자원 활용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과학기술부 외, 2001, p.6). 아울

러, 과학기술부 등 12개 부처가 「나노기술 종합 발전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에 따르면

과학기술부는 기초기술 개발을 중점 추진하되, 보건바이오 분야는 보건복지부가 응용 기술과

산업화 기술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과학기술부 외, 2001, p.6).

같은 해에 과학기술부는 「기초 의과학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의대 학부생들

을 대상으로 기초 의과학자 지원을 확대하여 인력 양성, 연구개발, 결과 활용을 원활히 하고,

소규모 개별 연구 과제에서부터 기초의과학센터(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Center, MRC) 등 중장기・대규모 연구 센터에 이르기까지 연구개발 자원을 집중화

하며, 연구 결과를 활용하기 위한 기술 이전 및 실용화 촉진, 바이오 벤처 창업을 활성화 시키는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과학기술부, 2001. pp.2~5).

2001년 12월에 수립된 「과학기술 기본계획」(2001~2006)에는 6개의 유망 분야로 정보

기술(IT), 생명공학 기술(BT), 나노 기술(NT), 우주항공 기술(ST), 환경공학 기술(ET), 문화콘

텐츠 기술(CT)이 선정 되었는데, 이를 통해 BT도 주요 전략 기술의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보건의료 유관 분야로는 BT 분야 중에 유전체 기반 기술, 단백질체 연구, 생물정보학 기술,

생물 공정 기술, 뇌시경 과학 연구, 바이오 신약 개발 기술, 한방 응용 기술 등이 있고, NT

분야 중에는 나노 바이오 보건 분야가 이에 해당했다. 공공복지 기술개발 분야 중에서는 건강

수명 70세 연장과 독자적 신의약품 2~3개 품목 개발, 마이크로형 치료 기기 개발, 침술 등

한방 의료 기술 개발 등을 보건의료의 핵심 기술로 개발하게 되었다(과학기술부 외, 2001, pp.5~6).

2003년 「산업기술 혁신 5개년 계획」이 수립되면서, 10대 차세대 성장 동력 분야 중 하나로

바이오 신약・장기 산업이 선정되었다(산업자원부 외, 2003, p.8). 그리고 2004년 5월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별 추진 전략 수립 및 종합 실천 계획(안)」이 마련되었다(www.archives.go.kr). 이 계획

중 바이오 신약・장기 산업은 바이오 신약, 바이오 장기, 바이오 칩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과학

기술부 주관으로 보건복지부, 산업자원부, 농림부가 참여했다.

Page 38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66

2006년 5월에는 과학기술부 등 5개 부처가 「줄기세포 연구 종합 추진 계획」(2006~2015)

을 마련했다. 2015년까지 줄기세포 분야 글로벌 Top 3 진입이라는 비전 아래 원천기술 확보,

체계적인 임상 연구, 인프라 구축, 생명 윤리 정착 등 4대 중점 추진 전략이 제시되었다(과학기술부

외, 2007, pp.2~3). 이후 2009년 7월 교육과학기술부 등 5개 부처가 「줄기세포 연구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줄기세포 분야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다시 고조되었다. 이 방안은 줄기세포 연구의

R&D 투자를 2015년까지 1,200억 원(2009년 기준 410억원)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

했다. 이 방안은 당시 신성장 동력을 찾으려 했던 이명박 정부의 계획과 줄기세포 상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국내 기업의 이해관계를 반영한 것이었다. 그 일환으로 11월에는 「줄기세

포 기술 개발 투자 전략(안)」이 관계 부처 합동으로 발표되었다. 중점 추진 전략으로 줄기세포

핵심・원천기술 개발, 실용화 지원 및 인프라 확충, 부처 별 연계・협력 강화 등이 제시되었다(교육

과학기술부 외, 2012, pp.15~25).

2006년 11월에는 과학기술부 등 8개 부처가 「제2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

(2007~2016)을 수립했다. 건강한 ‘생명 중심 사회’ 및 ‘풍요로운 바이오 경제’ 구현을 위해

국가 생명공학 육성 추진 체계 혁신, 연구개발 선진화 기반 확충, 바이오 산업의 발전 가속화

및 글로벌화, 법・제도 정비 및 국민 수용성 제고 등 4대 전략이 제시되었고, 생명과학, 보건의

료, 농축산・식품, 산업 공정/환경・해양 수산, 바이오 융합 등 5대 분야의 로드맵도 제시되었다.

2006년 12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국가 R&D 사업 Total Roadmap」을 발표했다. 「토

탈 로드맵」은 향후 15년 정도를 바라보며 국가 R&D 사업의 중장기적인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

는 것으로서, R&D 사업 기획・평가 예산 배분의 기본지침을 수립하는 것이었다. 이 로드맵에

따르면 생명 분야 중 보건의료 분야의 경우, 난치성 질환 치료 및 경제・사회적 파급 효과가

큰 신약 개발 등 의약・의료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도록 투자 전략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국가 중점 육성 기술(안) 중 보건의료 분야 특성화 기술로는 줄기세포 응용 기술, 신약 개발

전임상・임상 기술, 신약 타겟 및 후보 물질 도출 기술, 약물 전달 기술, 암 조기 진단 기술,

인체 안전성・위해성 평가 기술 등이 선정되었다(과학기술부 장관, 2006, p.20).

2007년 3월 정부는 「인수 공통 전염병 범부처 R&D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조류 인플루엔

자의 유행으로 인수 공통 전염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조류 인플루엔자, 브루셀라증,

공수병을 우선 대응 전염병으로 선정하고, 연구개발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이 전략에는

관계 부처 및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인수공통전염병 R&D 협의회를 구성・운영하여 인수

공통 전염병에 대한 협동 연구 체계를 구축하고, 인의・수의 간 공동 연구 및 정보 공유를

촉진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과학기술부, 2007, p.2).

Page 38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67

<표 7-4> 「국가 중점 육성 기술(안)」 중 보건의료 분야 특성화 기술

특성화 기술 특성화 기술 후보군

줄기세포 응용기술 유전체 응용기술

단백체 응용기술신약 개발 전임상/임상 기술

유전자 치료 기술 (맞춤의학)

면역 생체 방어 및 감염 질환 제어 기술신약 타겟 및 후보 물질 도출 기술

생체 정보 응용기술*

약물 전달 기술* 바이오 칩・센서 기술 (U-Health)*

생물 소재 및 공정 기술암 조기진단 기술

식품 안전성 평가 기술

임상시험 기술인체 안전성・위해성 평가 기술

뇌과학 연구 및 뇌질환 치료 기술

자료: 과학기술부장관 (2006), �국가 R&D사업 Total Roadmap�, p.20.

2007년 8월에는 과학기술부 등 12개 부처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함께 「기술 기반

삶의 질 향상 종합 대책」을 발표했다. 이는 2006년 8월에 발표된 「함께 가는 희망 한국 Vision

2030」에서 제시된 세계 10위 복지국가 실현을 과학기술로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된 정책이었

다. 기술 기반 삶의 질 10대 분야에 의료와 식품 분야가 선정되었으며, 중점 추진 과제에는

노인성 질환 치료・관리, 의료 진료 신뢰성 향상, 정신질환 극복, 식품 관리, 성인병 상시 건강

모니터링, 신종 감염성 질환 대응, 불임 예방 및 치료가 포함되었다(과학기술부 장관 외, 2007, p.14).

2007년 12월에 이명박 정부는「제2차 과학기술 기본계획」(2008~2012)을 수립했다. 이

계획에서는 10대 부문 60개 과제를 도출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위한 기술 개발 등을

15개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이 중 보건의료 분야는 40개 중점 전략 기술에는 9개, 60개

전략 기술에는 12개 기술이 포함되어 그 중요성을 인정받았다(재정경제부 장관 외, 2008, p.16).

2008년 5월 보건복지가족부는 「보건의료 R&D 중장기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삶의 질

중심의 생명 복지 대한민국을 구축하기 위해 건강 수명 증대, 암환자 5년 생존율 제고, 기술

수준 제고, 보건의료 연구 인력 확대 등이 주요 목표로 설정되었다. 또한 3대 추진 전략으로는

질환・예방 중심의 보건의료 R&D 지원 시스템 구축, 보건의료 R&D 전주기적 조정・관리 체계

정비, 선택과 집중에 의한 투자 전략화 및 수익 창출이 제시되었다. 특히 이번 추진 전략에서는

부처 간 장벽과 R&D 중복・분산 지원 등을 해소하기 위해, 단계 별 역할이 아닌 분야 별로

역할을 조정하기로 했다(보건복지가족부 장관, 2008, pp.7~9).

Page 38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68

<표 7-5> 「제2차 과학기술 기본계획」 중 보건의료 분야 중점 전략 기술 및 전략 기술

중점 전략 기술 (11/40개) 전략 기술 (12/60개)

단백체・대사체 응용 기술

약물 전달 기술

암 질환 진단 및 치료 기술

세포 기능 조절 기술

식품 안전성 평가 기술

신약 개발 기술

신약 타겟 및 후보 물질 도출 기술

인체 안전성・위해성 평가 기술

줄기세포 응용 기술

바이오 칩・센서 기술(U-Health)

뇌과학 연구 및 뇌질환 진단・치료기술

면역 및 감염 질환 진단・치료기술

유전자 치료 및 대체 의학 기술

유전체 응용 기술

의료 기기 개발 기술

생물 소재 및 공정 기술

나노바이오 소재

식품 자원 활용 및 관리 기술

한방 의약 및 치료 기술

임상 시험 기술

생체 정보 응용・분석 기술

자료: 재정경제부 장관 외 (2008), �제2차 과학기술기본계획�, p.16.

지식경제부는 「경제 살리기를 위한 산업 R&D 전략」을 발표했는데, 보건의료 분야의 경우

바이오・의료 기기 및 모바일 건강관리 기기와 개인 휴대 원격 진료 기기, 로봇 분야는 의료용

로봇 등이 전략 기술에 포함되었다. 2008년 5월에 설치된 미래기획위원회의 민간자문회의는

2009년 1월 「신성장 동력 비전 및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보건의료 분야의 경우, 첨단 융합

산업에 바이오 제약(자원)・의료 기기와 고부가 서비스 산업에 글로벌 헬스 케어 등이 포함되었

다(기획재정부 장관 외, 2008, pp.10~11).

2009년 9월에는 보건복지가족부 등 4개 부처가 합동으로 「신종 플루 등 감염병 대응 범부처

R&D 체계화 방안(안)」을 발표했다. 2009년 9월까지 신종 플루의 전세계적 유행으로 국내에

서도 9,770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총 7명이 사망한 상황에서 이에 대처할 범부처 추진 체계가

필요했던 것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평상시와 비상 시기를 대비한 감염병 대응 R&D 추진단

구성 및 운영,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 농식품부, 식약청 등 관계 기관 간의 역할

분담, 범부처 중장기 인수 공통 감염병 R&D 추진 전략 마련, 비상시 부처 간 교차 지원 등이

포함되었다(보건복지가족부 외, 2009, pp.1~11).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는 「과학기술 미래 비전 및 전략」을 발표했다. 4대 미래 비전 중

하나인 ‘건강한 세상 구현’을 위해 25개 미래 핵심 기술이 선정되었는데, 중단기적으로는 신종

전염병 대응 기술, 유해성 물질 관리 기술, 안전한 생활환경 구축 기술이, 장기적으로는 신개념

의약 기술, 뇌연구 및 뇌질환 치료 기술, 실버 산업 및 U-health 기술 등 6개 기술이 포함되었다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2010, p.4). 2010년 12월에는 질병 관리본부장 외 관계부처 국장급 및 전문가 20여명

Page 38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69

으로 구성된 범부처 감염병 대응 연구개발추진위원회가 구성되었고, 2012년 7월 이 위원회에서

「국가 감염병 위기 대응 기술 개발 추진 전략(안)」을 마련했다. 이 전략(안)에서는 신종 인플루엔

자, 다제 내성균, 결핵, 인수 공통 감염병, 만성 감염 질환, 기후 변화 생물 테러, 원인 불명

감염병 등 8대 감염병을 우선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감염병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 전략적

R&D 투자 강화, 감염병 R&D 실효성 제고를 위한 범부처 협력 강화, 미래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신변종 감염병 조기 대응, 감염병 대응 기반 기술 및 인프라 강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2013년 7월 「제3차 과학기술 기본계획(안)」(2013~2017)이 수립되

었다. 이 계획에는 국가 전략 기술 개발을 위해 20개 추진 과제가 선정되었는데, 보건의료

분야에서는 미래 성장 동력 확충을 위한 ‘보건의료 글로벌 시장 선점’ 과제 및 건강 장수 시대

구현을 위한 ‘난치성 질병 극복’, ‘환자 맞춤형 의료서비스 실현’, ‘저출산・고령화 대응 강화’

과제 등이 선정되었다(기획재정부 장관 외, 2013, p.8). 이 계획의 후속 조치를 위해 2014년 4월 범부처

차원의 「국가 중점 과학기술 전략 로드맵」이 수립되었는데, 보건의료 분야의 경우 의료 기기

기술, 맞춤형 신약 개발 기술, 생명 시스템 분석 기술, 유전체 정보 이용 기술, 줄기세포 기술,

맞춤형 건강관리 기술, 식품 안전 및 가치 창출 기술 등이 주요 기술로 선정되었다(기획재정부

장관 외, 2014, pp.1~7).

[그림 7-3] 「국민 건강을 위한 범부처 R&D 중장기 추진 계획」의 건강 범위, 비전 및 목표

자료: 보건복지부 장관 외 (2013), �국민 건강을 위한 범부처 R&D 중장기 추진 계획(안)�, p.15.

Page 38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70

보건복지부 등 7개 부처는 「국민 건강을 위한 범부처 R&D 중장기 계획」을 수립했다. 이는

보건의료 R&D 전반을 다루고 있는 최초의 범부처 중장기 계획으로 기존 보건의료 R&D가

생명공학의 일부 분야로서 다루어지고 있는 한계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보건의료 R&D

관점도 질병 극복 중심에서 건강 증진, 공공 안전, 돌봄까지 범위가 확대되었다. 건강 R&D

투자의 지속적 확대, 글로벌 수준의 기술 개발을 위한 선택과 집중, 성과 창출형 R&D 지원

시스템 고도화, 연구 생태계 조성, 건강 산업 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 등 5대 추진 전략이

이 계획에 포함되었다.

라. 주요 사업의 변화

우리나라에서 신약 개발은 1987년 물질 특허 도입 이후 과학기술처가 특정 연구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글로벌 신약 연구 과제를 시작하면서 정부 차원의 지원이 시작되었다. 당시 과학기술

처는 국내 연구개발 중심 혁신형 제약 기업, 바이오 기업, 정부 출연 연구소, 대학교 등을

모아 신약 개발 컨소시엄을 구성했고, 여기에서 항생제・항암제・심장순환계질환 치료제・항궤

양제・항진균제 등 5대 치료제를 개발하기로 했다.3)

1991년 12월 과학기술부는 선도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했는데, 이 사업은 1992년부터

2001년까지 특정 제품 및 기술 분야에서 세계 일류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선진

7개국 과학기술 수준으로의 진입’이라는 명시적 목표를 정하고 10년간 추진한 연구개발 사업

이었다(과학기술부, 2008, p.251). 보건의료 분야의 경우, 신의약・신농약 개발 사업 및 의료공학 기술

개발 사업이 지원 사업으로 선정되었다(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2, p.15). 신의약・신농약 개발 사업의

경우 과학기술부가 총괄하고 보건복지부가 협조하여 1997년까지 신의약・신농약 제품을 개발

하는 것을 목표로 33개 기업이 참여했고 총 1,522억 원이 투자되었다(고등기술연구원, 2003, p.128).

이 사업은 향후 미래창조과학부와 보건복지부의 신약 개발 지원 관련 사업의 모태가 되었다.

의료공학 기술 개발 사업의 경우 보건복지부가 총괄하고 과학기술부와 산업자원부가 협조하

여, 영상진단, 계측・치료 기기, 재활 기기, 인공 장기, 치료용 재료 개발을 목표로 40개 기관,

472개 기업이 참여했으며 총 1,185억 원이 지원되었다(고등기술연구원, 2003, p.206).

보건복지부는 선도 기술 개발 사업으로 추진된 의료공학 기술 개발 사업의 후속으로 2002년

부터 의료공학 융합기술 개발 사업(Human Tech 21)을 추진했다. 주요 지원 분야는 재택

재활 복지, 생체 계측, 생체 재료 인공 장기 등이었다. 이 사업은 2004년부터 의료 기기기술

Page 38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71

개발 사업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추진되고 있다. 2008년부터는 국내 의료 기기 임상 시험

기반의 향상을 위한 의료기기임상시험센터, 2009년에는 의료 기기 임상시험 지원을 지원하는

등 의료 기기의 임상 시험 지원도 강화되었다. 2010년 의료기기개발촉진센터, 2011년 의료

기기 신뢰성 평가 기반 구축 등 의료 기기 개발을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들도 시도되었다.

2014년부터는 의료 기기 개발 전주기에 걸쳐 융합・협력 연구 플랫폼을 구축하는 의료기기중

개・임상시험지원센터로 통합되었다.

1995년 2월 보건복지부는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보건의료 기술 진흥 사업을 시작했고

143억 원을 이 사업에 지원했다. 1995년 12월에 「보건의료 기술 진흥법」이 제정되면서 보건

의료 기술 진흥 사업은 법적 근거를 갖추게 되었다. 당시 보건의료 기술 진흥 사업의 일환으로

신약 개발 연구 지원도 이루어졌는데 기초 탐색부터 전임상 시험, 임상 시험까지 신약 개발의

전 단계를 지원했다(이상원, 2001, p.142). 이후 2004년부터는 바이오 신약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었

으며, 2006년부터 비임상, 임상1상, 임상2상 등 단계 별로 연구 기간과 연구비를 차등 지원하

는 신약 개발 비임상・임상 시험 지원 사업이 시작되었다. 이는 신약 개발 단계별로 연구비를

차등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방식이었다. 한편 2004년부터는

신약 개발의 핵심 인프라로서 지역임상시험센터도 지원되었다. 서울대학교 병원과 인제대학교

병원 2개소 선정을 시작으로 2009년에는 총 14개소까지 확대하였다. 2007년에는 지역 임상

시험센터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국가임상시험사업단을 선정했으며, 2014년 3월 국가임

상시험사업단 종료를 앞두고 재단법인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를 출범하여 독립적인 임상시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4)

1998년 과학기술부는 인체의 생리 및 질병의 기전을 분자 수준에서 밝히고,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필요한 기반 지식을 확보하기 위한 분자 의과학 연구 사업을 시작했다. 2001년에는

2단계 분자 의과학 연구 사업을 추진하여 게놈 의과학, 인체 유전 질환, 질환 세포 모델, 질환

동물 모델, 면역 제어, 감염 질환 연구 분야를 지원했다. 2001년 미국 생물정보센터(NCBI)

등을 벤치마킹하여 유전체 연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국가유전체정보센터

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설치했다. 2007년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고

그 기능을 확대하였으며, 2010년에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로 명칭을 변경했다.5)

1999년 과학기술부는 선도 기술 개발 사업의 후속으로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보건의료 분야의 경우, 1999년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

사업단, 2000년 자생식물사업단, 2001년 생체기능조절물질사업단, 2002년 세포응용연구사

Page 38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72

업단, 프로테오믹스사업단, 2003년에는 뇌기능활용및뇌질환치료기술 개발사업단을 차례로

선정하여 지원하였다(과학기술부, 2010, pp.20~21).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는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의 후속으로 글로벌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원천연구를 수행하는 연구 거점 구축 및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연간 100억~300억 원 규모의 연구단을 9년 동안 지원하는 사업이었다

(교육과학기술부, 2010, p.1). 보건의료 분야의 경우 약물 타겟 발굴 등 신약 개발 플랫폼 구축을 위한

혁신형 의약 바이오 컨버젼스 사업, 합성생물학을 위한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 등이 포함되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pp.98~107). 2011년 「국제 과학 비즈니스 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고 장기・대형・집단 기초 과학 연구를 통해 세계적 성과 창출을

주도한다는 목적으로 기초과학연구원이 설립되었다. 보건의료 분야는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 RNA 연구단,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혈관 연구단, 유전체 교정 연구단, 나노의학연구단이 포함되었다.6)

보건복지부는 2000년부터 보건의료 유전체 연구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한국인 다발 질환에

대한 질환군별 유전체연구센터 12개소(2000년)를 시작으로 병원성 미생물 유전체연구센터

3개소(2001년), 약물 유전체 연구사업단 1개소(2003년), 질병 유전 단백체 연구지원센터

1개소(2003년)에 대한 지원이 차례로 진행되었다. 이런 보건의료 유전체연구는 2001년 바이

오보건 기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2011년에는 보건의료 유전체 연구 지원의

후속 사업으로 「차세대 맞춤 의료 유전체 사업단」을 추진했다. 기존 약물 유전체 사업단은

약물유전체센터로, 질병 유전 단백체 연구지원센터는 인간단백체센터로 이어졌고, 질환군별

유전체연구센터는 질환유전체 중개・임상 연구 사업으로 임상 현장에서의 중개 임상 연구를

강화한 개별 과제 지원 체계로 재편되었다.

2003년 과학기술부는 국책 연구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다양한 사업을 진행했는데 그 중

보건의료 분야는 다음과 같았다. 신의약 개발 및 소재 발굴을 위한 바이오 디스커버리사업,

분자의약 후보물질 발굴 및 유전자원 제품화를 위한 바이오 챌린저 사업, 시스템 생물학 연구

및 생물정보 연구를 위한 바이오 퓨전 사업, 바이오 인프라 사업, 기능성 식품 소재 기술 개발

사업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들 사업은 2004년에 뇌과학 연구 사업 등과 함께 나노・바이오

기술 개발 사업으로 통합되었다(과학기술부, 2004, p.5). 2006년에는 바이오 연구개발 사업과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 바이오 인프라 사업으로 다시 분리되었고(과학기술부, 2006, p.12), 2007년에는 바이

오 연구개발 사업을 바이오 원천기술 개발 사업으로(과학기술부, 2007, p.34), 2008년에는 바이오

Page 38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73

기술 개발 사업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08, p.39). 바이오기술 개발 사업에는 신약

타겟 디스커버리 사업, 바이오 소재 연구사업, 오믹스 연구 사업, 바이오 재생 연구 사업,

노화 연구 사업 등이 포함되었다. 2009년에는 바이오 기술 개발 사업이 미래 기반 기술 개발

사업으로 변경되었고, 2011년에는 다시 바이오・의료 기술 개발 사업으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신약 개발 관련 사업들이 확대되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p.81).

2004년 보건복지부는 임상 현장의 근거 창출을 위한 질환별임상 연구센터 3개소를 선정하여

지원했다. 이는 당시 경험 의학에 머물러 있던 의료를 근거 중심 의학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의료 현장에서의 임상 연구를 지원했던 최초의 사업이었다. 2012년에는 「근거 창출 임상 연구

국가 사업단」으로 개편한 후 2015년부터는 국민 건강 임상 연구 사업으로 재개편하였다. 2005

년에는 기초와 임상을 연계하기 위한 질병 중심 중개 연구 사업을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이

사업은 12개 주요 질환을 중심으로 개인 연구자의 질병 지향적이고 환자 적용을 목적으로

하는 창의적인 연구를 지원하는 상향식 연구 사업이었다. 2006년에는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에

서의 논의를 토대로 병원의 자원을 활용하여 기초�임상을 연계하는 병원의 중개 연구를 강화하

고자 선도형 연구 중심 병원 육성 사업을 시작하였고, 2013년부터는 진료 중심의 병원을 연구

중심의 병원으로 시스템을 혁신하고자 서울대 병원 등 10개의 연구 중심 병원을 법적으로

지정하고 2014년부터 지정된 병원 중 8개 병원에 대해 R&D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2009년 지식경제부는 바이오・차세대 의료 기기 분야의 산업 원천기술 R&D를 지원하기

위해 바이오 의료 기기 산업 핵심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이 사업은 의약・융합・산업・그린

바이오 분야의 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진입을 위한 바이오 산업 원천 사업, 영상 진단 및 치료

기기, 고령 친화・재활・복지 의료 기기, u-헬스케어・한방 의료 기기 등의 기술 개발을 위한

의료 기기 산업 원천 사업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2010년부터는 지식경제부 R&D 전략기획

단에서 천연물 신약 개발을 위한 조기 성과 창출형 사업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p.3).

같은 해에 교육과학기술부는 50억 원을 지원하여 공공복지 안전 분야의 기초・원천기술 확보

를 위한 공공복지・안전 연구 사업을 새롭게 추진했다. 이는 고령 친화, 장애 극복, 사회・재해

안전 분야를 중심으로 핵심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사업이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pp.1~5). 기존 과학

기술부 사업과 달리 기술 중심에서 수요 중심으로, 질병 중심에서 복지 및 안전 분야까지

확대했다는 점에서 이 사업은 큰 의미를 지녔다. 같은 해 지식경제부에서도 유사한 개념으로

장애인을 비롯한 일반 국민의 복지 증진 등에 대한 기술 개발 지원을 위한 QoLT기술 개발

Page 38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74

사업을 시작했는데, 이 사업은 이듬해 국민 편익 증진 기술 개발 사업과 인력 양성으로 분리되

었다(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p.3).

2011년에는 신약 개발 지원 체계에 큰 변화가 있었다.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지식경

제부 등 3개 부처가 공동 추진하는 범부처 전주기 신약 개발 사업, 보건복지부의 시스템 통합적

항암 신약 개발 사업과 같이 새로운 신약 개발 지원 사업이 시도되었다. 범부처 전주기 신약

개발 사업단은 3개 부처가 독립 법인을 만들어 신약 개발 단계의 자금 지원을 전문가에게

위임하는 NRDO(No Research Development Only) 방식이었고, 시스템 통합적 항암 신약

개발 사업단은 물질 개발 단계를 거친 항암 후보 물질의 전임상, 임상 1상, 임상 2상 시험을

직접 수행하는 방식이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pp.291~294). 당시 신약 개발 지원 단계가 유사한 두

개의 신약 개발 지원 사업이 동시에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것도 이례적인 일이었다.

2014년 보건복지부 등 7개 부처가 합동으로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는 그동안 부처 별로 산발적으로 지원하던 유전체 사업의 투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과

학기술위원회에서 다부처 유전체 사업의 추진 필요성이 제기되어 시작된 사업으로 참여 부처

가 범부처 협의체를 만들어 부처 간 사업을 조정하고 있다(보건복지부 외, 2014, p.1).

2015년 미래창조과학부는 신시장 창조 차세대 의료 기기 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의료 기기

분야는 지금까지 산업자원부와 보건복지부가 주로 지원해 왔는데, 2014년부터 이 분야를 바이

오 미래 전략의 일환으로 미래창조과학부가 본격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한 것이다. 미래창조과

학부는 이 사업을 통해 원천기술이 확보된 신개념・차세대 의료 기기 품목의 실용화 기술 개발

및 조기 상용화, 글로벌 도약을 지원했다. 아울러 비R&D 요소를 패키지 지원하고 기타 연구

과제 행정, 국내 의료 기기 분야 네트워크 및 개별 구성 요소 육성 지원 등 연구지원과제의

코디네이팅 센터를 같이 지원했다.

2. 보건의료 R&D 주요 성과

가. 의료 기기 R&D 기술 개발 성과

1) 의료 영상 기기 연구와 상용화

의료 영상 기기는 시장 규모가 가장 큰 의료 기기 기술 중 하나다. 우리나라는 초음파 진단기

기, 치과용 엑스레이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MRI에 대한 연구개발도 지속적으로 추진하

Page 38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75

고 있다. 먼저 초음파 진단기기는 1985년에 메디슨이 창업하면서 기술 발전의 전기를 마련했

다. 메디슨은 1986년 4월에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며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그 결과 2001

년 11월 3차원 초음파 진단기기에 대한 임상 공로를 인정받아 산업통상자원부 선정 ‘세계

일류상품’에 이름을 올렸다. 2003년 2월에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우수제조기술연구센터로

지정받았다.

2010년 삼성전자에 인수된 뒤에는 투자가 늘면서 CT와 MRI 같은 타 장비 상품화를 추진하

며, 크게 성장하고 있다. 제품의 80%를 수출하는 메디슨의 2012년 기준 매출액은 1.4억 달러

로 세계 의료 기기 시장에서 3.1%를 차지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39.6%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 p.4).

치과용 엑스레이는 1992년 4월에 설립한 바텍이 세계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2015년

에 2100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하며 세계 5위에 올랐으며, 국내 시장에서는 점유율 1위를 차지

하고 있다. 바텍은 2003년 국내 최초로 디지털 파노라마 장비를 개발했다. 2005년에는 세계

최초로 파노라마, CT, 세팔로 기능을 탑재한 3 in 1 장비를 개발했다. 2012년에는 2D와 3D

영상을 한 번에 얻는 PaX-i를 선보였다(스페셜경제, 2016). 바텍 외에도 제노레이와 포인트닉스 같은

업체가 기술력을 발휘하며 치과용 액스레이 의료 기기 시장에 뛰어들어 시장을 분할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MRI 연구도 추진했다. 1995년 9월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의료영상

공학연구센터 안에 메디슨 MRI 연구소를 출범시켰고, 2000년 4월 메디너스로 분사했다. 메디

너스는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보건복지부 선도 기술 의료공학 기술 개발 사업으로 수출형

고자장(1.0T) 핵자기공명진단 기기의 완성 과제를 진행해 제품명 MAGNUM 1.0T를 개발했

다. 또 1997부터 2001년까지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 기반 기술 개발 사업으로 초고속 핵자기

공명진단 기기 개발 과제를 수행해 MAGNUM 3.0T를 개발했다(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2004, p.230).

아이솔테크놀러지는 국내 최초, 세계 두 번째로 능동형 마그넷을 활용한 3.0T MRI를 개발해

상용화하여 이란과 카자흐스탄, 태국, 페루, 러시아 등 10여개 국가에 수출했다(중소기업청, 2013,

p. 84). 사이메딕스는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1.5T MRI를 중국, 이란, 이집트, 멕시코 등 15개국

에 수출하며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헬스코리아 뉴스 2015-1).

이밖에 영구 자석 시스템을 생산하는 에이아이랩이 0.3T 전신촬영 MRI를 상용화하며, 기반

기술을 확보했다(중소기업청, 2013, p. 84). 마그넥스는 11.7T MRI 원천기술을 확보해 가천대길병원

과 함께 장비 개발에 나섰다. 오는 2022년까지 11.7T MRI를 이용한 임상 적용 기술을 개발할

Page 39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76

계획이다(인터넷 의협신문, 2016). 국내 시장과 중국, 인도 같은 아시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가격 경쟁력이 우수해야 한다. 이에 크기와 가격은 컴팩트 MRI 급이면서 성능은 다채널 시스템

수준인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 이와 같은 제품을 개발한다면 저가형 수요가 큰 아시아 시장에

서 국산 제품이 경쟁력에서 우위를 차지할 것이다(중소기업청, 2013, p.84).

2) 의료용 임플란트 개발

정밀 가공 기술과 표면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용 고정 장치/스크류와 치과용 임플

란트도 국내 연구진이 연구개발에 성공한 우수 사례로 꼽는다.

솔고바이오메디칼은 1997년 4월 의공학연구소를 설립하고 의료 기기 개발에 나섰다. 그리

고 2001년 4월에 연구소가 개발한 척추 고정 나사와 전기화학 암 치료기가 2001년 차세대

세계 일류 상품으로 인증 받았다. 척추 내 고정 장치와 내강 확장용 스텐트 제조 방법을 개발하

는 성과를 이뤄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회사를 2004년 우수제조기술연구센터(ATC)로 선

정했다(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2004, p.231). 2007년에는 세계적인 컨설팅 그룹인 프로스트앤설리번

(Frost&Sullivan)이 임플란트 제품 혁신성을 인정해 아태지역 최우수 헬스케어 기업으로 선정

했다. 현재 척추와 골절 부문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세계 20개 국에 수출하고

있다(기호일보, 2015).

교정용 미니 스크류 제조와 생산 기술을 보유한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은 치과뿐만 아니라

구강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분야의 의료 기기를 개발하고 생산해 세계에 판매하는 의료계

대표 기업이다. 지난 1990년에 등장해 2003년 수출 유망 중소기업 선정, 2006년 벤처기업과

INNO-BIZ 기업 지정, 2006년 백만 달러 수출탑에 이어 2008년 3백만 달러 수출탑 달성,

치과 교정용 고정 장치의 차세대 세계 일류 상품 생산 기업 선정 등으로 뛰어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로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데일리덴탈, 2010).

치과용 임플란트도 국내 기업들이 기술력으로 시장을 점유한 분야다. 국내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은 2012년 3,296억 원 정도인데, 국내 기업이 전체 시장의 93.9%를 차지한다. 수출

비중도 24.3%에 달한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3, pp.18~19). 치과용 임플란트 기업에는 1997년에 설립

해 대표 기업으로 성장한 오스템임플란트와 덴티움, 신흥, 네오바이오텍, 메가젠, 디오, 바이오

칸 등이 있다.

최근 정부는 임플란트 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바이오 의료 기기 산업 원천기술 개발 사업으로 생체융합형 차세대 치과용

Page 39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77

임플란트 기술 개발(2009년~2014년)을 진행했다. 또 글로벌 전문 기술 개발 사업으로 혈액

조직 친화형 표면 활성화 기술을 적용한 골 유착 성능 향상 치과용 임플란트 개발(2011

년~2016년)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 부품 소재 산업 경쟁력 향상 사업으로 바이오 메디컬

소재(2010년~2019년) 과제도 진행하고 있다. 또 중소기업청의 지원을 받아 치과 임플란트

수술기구 개발(2012년~2014년), 생체활성 상온 초박막 HA 임플란트 개발(2011년~2013년)

도 완료했다.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기술 연구개발 사업으로 치과 임플란트의 표면 활성을

위한 대기압 플라즈마 표면 개질법에 관한 연구(2010년~2012년), 흡수성 치과 임플란트 기술

개발(2008년~2012년)을 지원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3, pp.38~40).

3) 의료용 소프트웨어 국산화

우수한 정보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우리나라는 의료영상정보시스템(PACS)이나 전자의무기

록(EMR) 같은 의료용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수행한 선도 기술 개발 사업은 의료 환경을 디지털화해 새로운 보건의료 환경을 구축한 우수

사례다. 의료 정보 표준화, 전자건강기록(EHR), 의과학 지식과 온톨로지, 바이오 전자의무기록

(EMR) 등에 연구개발비를 지원했다. 이 과제들은 우리나라가 추격형 연구개발에서 벗어나

선도형 연구개발로 나아가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 사업들이다. 한국형 PACS도 이 사업을

통해 개발했다(허영, 2016, p.67).

인피니트헬스케어는 1997년 PACS 개발을 시작한 이래 국제 표준인 DICOM, HL7, HIPAA

와 완벽하게 호환하는 제품을 만들었다. 그리고 통합 의료 환경 구축(IHE) 테스트를 거쳐

기술력을 입증 받았다. 그 결과 2008년 대한민국 10대 신기술로도 선정됐다. 국내 PACS

시장에서 70%를 점유하고 있으며, 1998년부터 외국에 진출해 우리나라를 포함해 총 44개국,

3500여 의료 기관에 인피니트헬스케어 솔루션을 공급했다(인피니트헬스케어, 2016).

비트컴퓨터는 28년 간 의료 IT 분야에서 국내 전자의료기록(EMR) 시장을 선도해 왔다.

비트컴퓨터는 온라인 어플리케이션 임대(ASP) 방식으로 EMR 사업을 강화하고, 처방 전달

시스템(OCS)을 도입해 중형 병원을 집중적으로 공략했다. 이를 통해 의료 정보 선도 기업이라

는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다. 비트컴퓨터는 EMR 시스템을 성빈센트병원, 가톨릭대학

교, 성광의료재단, 구로성심병원에 구축했다. 이지케어텍은 500 병상 이상을 갖춘 대형 병원을

대상으로 웹 기반으로 호환성과 확장성을 높인 EMR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국공립 병원과 대형 병원을 중심으로 확장하고 있다(중소기업청, 2013, p.195).

Page 39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78

최근 국내 대기업들이 차세대 신성장 동력 사업 관점에서 의료용 소프트웨어 산업에 진출하

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삼성 SDS는 유헬스케어(U-Health Care)를 유비쿼터스시티(U-City)

사업의 하나로 진행하고 있다. LG CNS는 병원 정보화와 U-병원 의료 스마트 카드, 원격

진료를, KT 유헬스 서비스(U-Health Service)는 나노 바이오 정보통신 기술(NBIT)을 분당

서울대 병원, 카톨릭대와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한국형 디지털 병원 수출을 위한

전략도 적극적으로 수립하고 있다(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p.17).

4) 의료용 로봇 연구와 임상 실험

2000년 수술 로봇으로서 세계 최초로 미국식품의약국(FDA)에 승인을 받은 다 빈치(da

Vinci) 수술 시스템(Intuitive Surgical Inc)은 본격적으로 로봇 수술 시대의 문을 열었다.

또 로봇 수술 대중화와 관련 기술의 발전도 촉진시켰다(정성현, 2013, p.66). 우리나라에서도 의료

로봇에 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뤄졌다. 국립암센터는 2008년 초소형 복강경 수술로봇 시스

템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레보는 복강경 수술로봇을 국산화하고 있으며, 제품화에 가장

근접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헬스코리아뉴스, 2015b).

큐렉소는 미국 내 자회사인 씽크서지칼(Think Surgical)을 통해 인공 관절 수술 로봇인

로보닥을 생산하고 있다(코리아에셋투자증권, 2016, p.4). 현대중공업은 기존의 산업용 로봇을 개발한

경험을 살려 서울아산병원과 공동으로 연구하고 협력하며 다양한 의료용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피앤에스미캐닉스는 보행 재활훈련 로봇인 스위스 호코마(Hocoma)의 로코맷(Lokomat)을

국산화한 워크봇(Walkbot)을 개발했다. 헥사시스템은 상지, 하지 착용형 재활로봇을 개발했고,

NT리서치는 수술용 로봇과 의료용 무인이송 로봇을 개발 중이다(정성현, 2013, p.69).

산업자원부는 2011년부터 의료 로봇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산업자원부

주요 과제에는 고영테크놀로지가 주관하는 의료영상 기반 이비인후과 및 신경외과 수술로봇

시스템 개발, 미래컴퍼니가 주관하는 단일 통로 복강경 수술 로봇 시스템 개발이 있다. 2012년

시작한 과제는 현대중공업이 주관하는 골절 및 인대 수술 로봇 시스템과 서울아산병원이 주관

하는 영상 유도 바늘 삽입 로봇시스템 개발 사업이 있다. 2014년에는 각막 이식과 인공 각막

제조를 위한 수술 로봇 개발 사업을 포항공대 주관으로 시작했다(서준범, 2016). 고영테크놀로지의

수술 보조 로봇인 뇌 수술용 네비게이션 로봇의 연구개발은 막바지 단계에 이르렀다. 올해

식약처 허가와 내년에 미국 승인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래컴퍼니는 복강경 수술

로봇 시스템을 개발해 전임상 실험을 마치고 2016년 현재 식약처에 임상 시험 계획을 제출한

상태다(코리아에셋투자증권, 2016, p.4).

Page 39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79

대학과 연구소에서도 기반기술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

(KAIST)은 실용성에 주안을 두고 수술 로봇 아폴론(Apollon)을 개발했다. 로봇 팔을 원하는

개수만큼 수술 침대에 탈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게 고안했다. 전자식 구성품을 최대한 배제하고

기계 메커니즘으로 대체함으로써 저가 시스템도 개발할 수 있다(권동수, 2016). 한국과학기술연구

원(KIST)은 재활 보행 보조 로봇인 코워크(COWALK)를 개발했다. 서울아산병원과 미국 시카

고재활센터에서 임상 실험을 준비하고 있다. 또 KAIST와 공동으로 뇌수술에 쓰일 수 있는

굴곡형 미세 수술 로봇을 개발해 세브란스 병원에서 전임상 실험을 수행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6, pp.277~279).

나. 약학 분야 R&D 성과7)

1) 세계 최초의 발기부전 치료제 작용 메커니즘 규명

2003년 9월 바이오벤처인 크리스탈 지노믹스는 비아그라, 시알리스, 레비트라 등 3가지

발기부전 치료제가 체내에서 약효를 나타내는데 관여하는 PDE(포스포디에스터라제) 단백질

과의 작용 메커니즘을 원자 수준에서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조중명 사장은 “PDE5와 비아그라

간 결합체의 입체 구조를 백만분의 1mm 단위로 분석했다”며 “이에 따라 부작용 없는 차세대

발기부전 치료제 연구는 물론 PDE 단백질이 관여하는 천식과 심장질환, 정신질환에 관련된

신약 개발 연구에 전기를 마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당시의 연구팀은 방사광 가속기, 핵자기 공명 영상 장치, 슈퍼컴퓨터 등 첨단 장비를 동원해

비아그라와 PDE5가 결합하는 모습을 입체적으로 밝혀냈다. 연구 결과는 2003년 9월 세계적

인 과학저널인 네이처에 수록됐다(한국경제, 2003).

2) 세계 최초 바이오시밀러 ‘램시마’ 개발

바이오시밀러 분야 대표기업 셀트리온이 10년 동안 노력한 연구의 결실을 맺었다. 관심을

모았던 관절염 치료제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인 ‘CT-P13’이 ‘램시마’라는 정식 명칭을

달고 국내에서 시판 허가를 받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난 2012년 7월 20일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레미케이드의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주 100mg의 허가를 승인했다. 이에

따라 램시마는 국내 첫 항체 바이오시밀러가 됐다.

셀트리온은 지난 2010년 11월부터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임상 시험을 진행해 2012년 2월

Page 39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80

식약청에 제품 허가를 신청한 바 있다. 유럽 류마티스 학회에서 램시마가 오리지널인 레미케이

드와 약효 동등성을 입증했다는 발표가 나오기도 했다. 셀트리온이 램시마 국내 허가를 받으면

서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본격적인 항해를 시작했다. 램시마는 2013년 6월 유럽의약품청

(EMA)으로부터 판매 승인을 받았다(메디파나뉴스, 2012).

3) 세계 최초 유행성출혈열 원인 발견과 이를 해결한 ‘한타박스’ 개발

1969년도부터 유행성출혈열을 연구하기 시작한 이호왕 박사의 연구팀은 그동안 원인을

알 수 없었던 유행성출혈열의 원인인 ‘한탄바이러스’를 한탄강 유역의 등줄쥐에서 발견하여,

백신을 개발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이는 세계 최초의 업적으로, 이후 계속된 연구를 통해 ‘한타

박스’라고 명명된 예방 백신을 개발하였다(광복 70년 과학기술 대표 성과 70선, 2015).

4) 신약 및 희귀 의약품 개발 성공과 해외 진출

1999년 항암제인 선플라주 개발 성공으로 2000년대 신약 개발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폭발

적으로 증가했다. 기업과 연구자들이 보건의료 기술 개발 연구 사업으로 신약과 천연물 신약

연구개발에 뛰어들었다. 대부분 국내 제약 기업이 암을 비롯한 만성질환 신약 개발에 집중한

반면, 일부 기업은 희귀 의약품에 관심을 돌렸다. 이 시기는 만성질환 관련 신약 대비 희귀

의약품이 새로운 시장 창출 영역으로 부상하며 외국 기업들이 관심을 갖기 시작한 때이기도

하다.

[그림 7-4] 녹십자 헌터라제 국가 연구개발 우수성과 선정

자료: 데일리 팜 가인호 기자

녹십자에서 개발한 헌터라제가 대표적인 성공 사례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2010년~2012년

에 보건복지부의 보건의료 기술 개발 연구 사업에 참여해 2년 간 약 26억 원의 연구비를

Page 39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81

지원 받았다. 제품을 시판한 뒤 2014년에는 100억 원이 넘는 매출액을 달성했으며, 최근

중남미 같은 외국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청(FDA)도 헌터라제를 희귀 의약품

으로 지정했다. 헌터라제 개발 기술은 기술적으로 유사한 라이소좀 축적 질환 치료제 개발에

활용되고 있다. 이 같은 희귀 의약품 개발은 경제적으로는 고가의 의약품을 국산화해 국가

보험 재정에 기여하고, 세계 시장 진출로 이익을 창출했으며, 국내 제약사들이 희귀 의약품에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과학기술처의 특정 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1987년부터 정부의 지원을 받은 SK케미컬의 항암

제 선플라주가 1999년에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우리나라 국산 신약 1호로 승인 받았다.

민간 자본만으로 연구를 진행한 LG화학의 퀴놀론계 항균제 팩티브는 2003년에 미국 FDA로

부터 승인 받아, 우리나라 글로벌신약 1호로 쾌거를 이뤘다.

[그림 7-5] 퀴놀론계 항균제 팩티브정8) 320mg

이후에 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 산업자원부에서 지원받은 보령제약의 고혈압 치료제 카나

브정 개발, 일양약품의 위궤양 치료제 놀텍정 개발, 백혈병 치료제 슈펙트캡슐 개발, 동아ST의

항생제 시벡스트로정 개발, 당뇨병 치료제 슈가논정 개발, 한미약품의 폐암 치료제 올리타정

개발, 짧은 약효 지속 시간을 최대 월 1회까지 늘려주는 차별화한 독자적 기반 기술인

LAPSCOVERY를 적용한 다양한 바이오베터의 플랫폼기술 수출, 종근당 항암제 캄토벨주 개

발, 당뇨병 치료제 듀비에정 개발, LG화학 당뇨병 치료제 제미글로정 개발, 동화약품 항생제

자보란테정 개발, 항암제 밀리칸주 개발, 신풍제약 말라리아 치료제 피라맥스정 개발, JW중외

제약의 항암제 큐록신정 개발, 이외에도 스타트업의 수많은 신약 파이프 라인이 개발 단계를

거쳐서 국내와 외국 시장에서 계속 출시되고 있다.

Page 39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82

[그림 7-6] 우리나라 제약・바이오BT 신약 개발 난관 극복

자료: 여재천 (2015), 국회 환경 포럼 발표 자료

2015년 8월 일양약품은 슈펙트정을 콜롬비아 바이오파스에 완제의약품 형식으로 공급하는

2,200만 달러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중국과 터키, 러시아 등에도 원료와 기술 또는

완제의약품의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슈펙트정으로만 총 4,0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2016

년 9월 놀텍을 러시아 1위 제약회사 R팜에 2억 달러 규모로 수출했다.

2015년 7월 보령제약은 카나브정을 동남아 13개국 제약 시장을 총괄하는 쥴릭파마와 1억

2,900만 달러 규모로 계약했다. 12월 사우디아라비아 SPC와 14만 달러, 2016년 5월 카나브

플러스를 쥴릭파마와 2,846만 달러에 수출한다고 계약했다. 2015년에서 2016년 2년 동안

총 8건의 외국 기술수출로 약 2억 7,918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성사시켰다.

5)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과 상용화

줄기세포 치료제는 기존의 의학과 차별화된 작용 기전을 바탕으로, 기존의 의학적 치료법으

로는 해결할 수 없었던 영역에서 치료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생명을 위협하거나 삶의 질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난치성 질환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를 통한 고부가 가치 창출의 기대로 국제 사회에서 치열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승인된 4개의 제품을 포함하여 국제적으로 총 6종의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제

Page 39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83

가 시판 허가를 취득한 데에 이어, 2016년 일본에서 조건부 승인 제도를 본격 시행함에 따라

‘신재생 의료등 제품’으로 2품목이 시판 허가되었다.

2011년 심근경색 환자에게 쓰이는 자가 줄기세포 치료제인 하티셀그램 AMI를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시판 허가하였고, 이듬해인 2012년에는 무릎 연골 치료제인 카티스템을 허가했는데,

이 또한 동종 줄기세포 치료제로 세계 최초 사례이며, 자가 줄기세포 치료제인 크론성 누공

치료제 큐피스템(2012)에 이어 루게릭병 치료제 뉴로나타-알주(2014)가 허가받아 시판되고

있다.

[그림 7-7] 국내 줄기세포 치료제 상용화 현황

자료: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산업은행 재작성

다. 임상의학 분야 R&D 성과

1) 장기 이식 기술 성과

1969년 서울 명동성모병원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신장 이식이 이루어졌다. 1954년 미국에

서 신장 이식에 성공한지 15년째 되던 해였다. 미국에서 외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이용각

교수가 집도한 신장 이식으로 환자는 5년을 더 생존했다. 1988년에는 간 이식, 1992년에는

심장 이식과 췌장 이식을 우리나라 최초로 진행했다.

Page 39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84

[그림 7-8] 국내 최초의 신장이식9)

출처: 조선일보 (2010.1.8.) 김철중 기자

면역 억제제와 이식 기술의 발달로 2015년에는 1,891건의 신장 이식, 1,398건의 간 이식,

145건의 심장 이식, 64건의 폐 이식을 진행했다(보건복지부, 2015, p.31). 현재 우리나라 장기 이식은

이식 건수와 생존율 등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 모두에서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렀다. 최근

보건복지부 만성병 관리 기술 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장기 이식 등록 연구를 하며 이식 장기

생존률 향상을 위한 임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 근거 기반 임상 진료 지침 개발을 통한 뇌졸중 장애 감소

근거를 중심으로 의료 행위를 하는 근거 기반 의료의 확산과 함께, 보건의료 연구개발 분야에

서는 국민 건강 증진과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2004년부터 임상 연구를

정부가 지원하기 시작했다. 2013년 근거창출임상연구사업단의 세부 과제로 뇌졸중임상연구

센터는 2006년부터 축적된 뇌졸중 환자의 임상 자료 분석을 통해 혈전용해제 투여 시간을

증상 발생 시간으로부터 3시간에서 4시간으로 확대하는 지침을 발표했다. 이는 4.5시간 이내

의 환자에게 혈전용해제를 투여하는 것이 뇌졸중 환자의 장애, 합병증 발생을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시킨다는 근거를 확보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새롭게 혈전용해제를 사용해야

하는 환자의 장애로 인한 재활 치료비, 간병비, 추가 약제비를 감소시켜 경제적 효과뿐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생산성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외에도 뇌졸중 자가 진단 프로그램 보급처럼 뇌졸중을 예방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여러

연구 성과를 도출했다. 또 심혈관과 호흡기계 임상 연구를 통해 근거창출임상연구사업단의

성과가 진료 지침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성과도 도출했다.

Page 39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85

[그림 7-9] �뇌졸중 진료 지침(요약본)� 표지

3. 보건의료 분야의 미래 전망

한국인이 보건의료 분야에서 최초로 발표한 국제 학술지 논문은 1930년 서재필 박사가

“Sarcoma of Ovary in a Child Eight Years Old"라는 제목으로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JAMA)에 수록한 논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1970년대 초중

반만 해도 보건의료 분야에서 한국인의 SCI 논문 수는 전무했으나, 1977년 SCI 논문 3편

발표를 시작으로 매년 급속히 증가했다. 1987년 143건으로 100건을 돌파하였고 1995년에

1,353건으로 1,000건을 상회하기 시작하여 2004년 기준으로 6,750건에 달했다(대한민국의학한림

원, 2007, p.25).

보건의료 분야의 주요 기술 성과를 살펴보면, 2002년 동아제약이 개발한 천연물 신약 위염

치료제인 스티렌정이 국내 신약 중 최초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어, 2014년까지 13년 동안

6,90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보령제약의 고혈압 신약인 카나브정, 세계 최초의 줄기세포

치료제로 승인을 받은 파미셀의 하티셀그램-AMI(2011년)에 이어 동종 줄기세포 치료제 카티

스템(2012년), 크론성 누공 치료제 큐피스템(2012년), 세계 최초 루게릭병 치료제인 뉴로나타

-알주(2014년) 등 신약과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에서도 괄목할만한 성과가 나오고 있다. 2015

년에는 한미약품이 8조 원대에 이르는 6건의 기술수출로 국내 신약 개발 분위기를 완전히

Page 40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86

바꿔 놓았고, 2015년 12월에는 SK케미컬이 세계 최초 세포 배양 4가 독감 백신을 허가 받았

다. 이로써 2015년 말까지 국내에서 총 26건의 신약이 개발되었다. 이와 더불어 임상시험

인프라도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2014년에는 임상 시험 건수 기준으로 한국이 7위, 서울이

1위에 등극하는 성과도 이루어냈다.

의료 기술 분야에 있어서도, 일부 기관은 세계적 수준의 임상의료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1969년 3월 서울 명동의 성모병원에서 이용각 교수가 신장 이식 수술에 성공한 이래 1988년

뇌사자 간 이식, 1992년 췌장 및 심장 이식이 성공하면서 장기 이식이 본격화 되었다. 현재

장기 이식 성공률을 보면, 신장 97%(미국 95%), 간 85%(미국 88%), 심장 86%(미국 86%),

췌장 95%(미국 85%)로 미국보다 비슷한 수준이거나 앞서 있다.10) 암의 5년 생존율에 있어서

도 모든 암의 평균 생존율은 세계 최고 수준이며, 그 중 갑상선암, 위암, 대장암은 선진국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최근 보건의료 분야의 과학기술 관련해서 잇따른 성공 사례가 나오면서 그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보건의료 분야에서는 BT, NT, IT 등 기술 융합이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IC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화는 기존 가설 기반 연구에서 데이터 기반 연구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구글, 애플, MS, GE, IBM과 같은 글로벌 ICT 기업뿐만 아니라

삼성, LG, SK, KT 등 국내 대기업들도 보건의료 분야에 활발히 진출하고 있으며, 나아가

산업 간의 경계도 희미해지고 있다. 미래에는 급속한 인구 고령화와 의료비 증가로 인해 비용

대비 효과가 높은 보건의료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10년은 지금까

지 축적된 연구개발 경험 및 정부와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로 다양한 성공 사례가 창출될 것이

다. 따라서 창업으로 인한 글로벌 성공 사례가 증가할 수 있도록, 그리고 성공한 창업가가

재투자할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는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혁신 생태계는 대한민국에서 창업 기업 기반의 경제 성장을 이끄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집필 김 흥 열 (생명공학)

김 현 철 (보건의료)

박 세 형 (의료기기)

여 재 천 (약학)

박 현 영 (임상의학)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센터장

보건산업진흥원 수석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전무이사

국립보건연구원 과장

Page 40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87

참 고 문 헌

고등기술연구원 (2003), �선도기술 개발 사업의 프로그램 종합분석에 관한 연구 II�, 과학기술부.

과학기술부 (2001), “國家科學技術委員會 바이오技術・産業委員會運營細則(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바이

오기술산업위원회 제1호.

과학기술부 (2007), �2007년도 생명공학 육성 시행 계획�

과학기술부 (2008), �과학기술 40년사�

과학기술부 외 (1998), �생명공학육성 제2단계(1998-2002) 기본계획�

과학기술부 외 (2001), “과학기술기본계획(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9회 제2호.

과학기술부 외 (2001), “나노기술 종합발전 계획(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8회 제4호.

과학기술부 외 (2001), “전통산업 육성을 위한 생명공학접목 기술 개발방안(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7회 제2호.

과학기술부 외 (2007), �2007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 계획�

과학기술부 장관 (2004), �BT 분야 국가 연구개발 심층 분석・평가결과(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15회 제11호.

과학기술부 장관 (2006), “국가 R&D 사업 Total Roadmap”,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22회 제1호

과학기술부(2004), �2004년도 생명공학 육성 시행 계획�

과학기술부(2005), �2005년도 생명공학 육성 시행 계획(요약)�

과학기술부(2006), �2006년도 생명공학 육성 시행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외 (2008), �2008년도 생명공학 육성 시행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외(2012), �2012년도 생명공학 육성 시행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2010), “과학기술 미래비전 및 전략(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32회 제5호

교육과학기술부(2010a), �공공복지안전사업 주요내용�

교육과학기술부(2010b), �21C 프론티어 사업, 10년을 말하다�

국무조정실 외 (2016), “정부, 바이오 컨트롤타워 설치”, 보도자료 2016. 3. 7.

국회예산정책처 (2005), �보건의료기술진흥사업의 평가�

권동수 (2016), “감쪽같은 수술? 원격수술 로봇”, �미래창조과학부웹진 미래이야기�

기획재정부 장관 외(2013),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1회 제2호.

기획재정부 장관 외(2014),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안)”,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제5회 제4호.

김훈기 (2010), “한국 생명공학정책의 형성과 과학자집단의 정책활동”, �한국과학사학회지� 32(2).

김흥열 외 (2014), “바이오경제 시대의 생명공학 육성과제”, �학술원 논문집�(자연과학편) 제53집 2호, pp.6~102.

대한민국의학한림원 (2007), �한국의학연구업적 보고서 2006�

미래창조과학부 (2015), “9월 25일, 과학기술전략본부 공식 출범”, 보도자료 2015. 9. 25

범부처 (2006), �생명공학 육성 시행 계획�

범부처 (2012), �생명공학 육성 시행 계획�

범부처 (2016), �제3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2017-2026)�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2008), “보건의료 R&D 중장기 추진 전략”,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27회 제3호.

Page 40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88

보건복지부 (2000), 보건의료생명공학의 연구개발 지원대책(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5회 제4호.

보건복지부 (2015), �2015년 장기등 이식 통계 연보�,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

보건복지부 외 (2014), “(2014-2021)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추진 계획(안)”,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제8회 제8호.

보건복지부 장관 외 (2013), “국민 건강을 위한 범부처 R&D 중장기 추진 계획(안)”,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제1회 제4호.

산업자원부 외 (2003), �산업기술혁신 5개년 계획�,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14회 제8호.

서준범 (2016), “의료 로봇의 현재와 미래: 국산 의료 로봇의 가능성”, �후생신보�

성지은 (2006), “과학기술 정책결정구조의 변화: 참여정부 과학기술행정체제개편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4(1).

손명세 (2000), “보건의료법제의 변천”, �법제� 2000년 7월.

심창구 외(2007), “한국 약학사”, �약학회지� 51(6).

안승구 외 (2017), �2016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조사자료 2017-001

의료산업발전기획단 외 (2007),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 활동백서�

이상원 (2001), “보건복지부 신약 개발 관련 연구개발 사업 현황”, �보건산업기술동향� 2001 가을호

재정경제부 장관 외 (2007), “제2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08-2012)(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26회 제1호

정성현(2013), “고도의 산업기술과 의학기술의 융합체, 의료용 로봇의 현황과 전망”, �기술과 경영�

정차호(2004), “한국 특허제도의 변천: 특허권 강화의 역사”, �과학기술정책� 147(3), pp.79~107.

중소기업청 (2013), �의료 기기 산업(시장) 분석�, 2013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수립 사업

코리아에셋투자증권 (2016), “이슈:의료용 로봇”, �주간 금융시장 동향�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KISTEP 동향 브리프: 삶의 질 향상 및 국가 10대 미래유망기술과 연계

된 의료 기기 개발 동향�, KISTEP.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02), �선도기술 개발 사업의 프로그램 종합분석에 관한 연구 I�, 과학기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4), �2014 국가 연구개발 사업 특정평가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5), �2015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보고서 국민편익증진기술 개발 사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6), �KIST 50년사 1966-20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2011), �寒國分子生物學 30年의 課題와 展望�

한국바이오협회 (2013), �한국바이오협회 30년의 발자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3), “치과용 임플란트 (Dental Implants)”, �의료 기기 품목 시장 리포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 “초음파영상진단장치 (Ultrasound Imaging System) 국내외 시장분석”, �보

건산업브리프, 의료 기기・ IT헬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2011), �의료 기기산업 경쟁력 실태조사 보고서�, 지식경제부 무역위원회

허영 외 (2016), “Big data of Medical Imaging for Customized Smart Healthcare,” PD ISSUE RE

PORT, KEIT

현병환 (2013),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와 생명공학” (ppt자료 재구성).

Page 40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7장생명공학・보건의료

389

미디어 기사

국민일보 (2003), “‘생체시계 비밀’ 첫 규명”.

기호일보 (2015), “우리 힘으로 만든 의료 기기로 ‘세계무대’ 공략”.

데일리덴탈 (2010), “[인터뷰]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박재일 대표이사”.

메디파나뉴스 (2012), “셀트리온, 국내 첫 항체 바이오시밀러 ‘결실’”

스페셜경제(2016), “[중견기업 지배구조 21탄]치과용 엑스레이 ‘바텍’, 국내점유율 1위 비결”.

연합뉴스 (2002), “마이크로 RNA 생성과정 세계 최초 규명”.

연합뉴스 (2015), “피로물질 젖산이 암세포 성장・혈관생성 촉진한다”

인터넷 의협신문 (2016) “Doctor’s News: 국산 MRI, 글로벌 업체와 경쟁 충분하다”

한국경제 (2003), “발기부전 치료제 작용메커니즘 밝혔다 .. 크리스탈지노믹스, 세계최초”

한국경제 (2011), “에이즈・암 싹둑...‘유전자 가위’ 치료시대 열린다”

헬스코리아 뉴스(2015b), “의료용 로봇 개발 붐: 100억불 시장 눈앞”

웹페이지

http://www.archives.go.kr

http://www.ibs.re.kr

http://www.kobic.re.kr/history

http://www.law.go.kr

http://www.nstc.go.kr

http://www.kirams.re.kr

http://www.kiom.re.kr

http://www.kbio.kr

http://www.kcomwel.or.kr

http://www.kdra.or.kr

http://www.bioin.or.kr/board.do;jsessionid=105A049CDB39420EE3BE7C99BC6DC95F?num=1

16239&cmd=view&bid=industry&cPage=288&cate1=all&cate2=all2

http://m.hellodd.com/?md=news&mt=view&pid=24913

http://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View.jsp?cid=61858&menuIds=HOME001-MNU1

175-MNU1072-MNU1917-MNU1919

http://www.motie.go.kr/motie/ne/announce2/bbs/bbsView.do?bbs_seq_n=13922&bbs_cd_n=6

http://www.konect.or.kr

http://www.kh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1080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184

http://vcic.kvca.or.kr

http://www.infinitt.co.kr/about/summary(인피니트헬스케어)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 Detail.do?idx_cd=1533 (국가지표체계 SCI논문

발표수, 최종갱신일 2016-07-19)

Page 40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90

미 주

1) 「제3차 생명공학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어 발간하지 않은 내부 자료를 활용해 정리함.

2) 본 소절의 생명공학 R&D 성과들은 기존 언론 보도의 성과 소개글을 발췌 및 정리하였음

3) 이에 대해서는 www.kh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1080 을 참조.

4) www.konect.or.kr

5) www.kobic.re.kr/history

6) www.ibs.re.kr

7) 본 소절의 약학 R&D 성과들은 기존 언론 보도의 성과 소개글을 발췌 및 정리하였음

8) LG화학이 1991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2001년에 뉴질랜드, 2002년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신약 승

인을 받고, 2003년 FDA의 승인을 받았다. 국제적 공인을 위해 40여 개국 1500개 병원에서 임상시험을 거

쳤으며 개발과 임상시험 등에는 총 2800여 억 원이 들었다. 페니실린계 항생제보다 약효가 뛰어난 만성기관

지염, 폐렴 등의 호흡기질환치료제로서 국산신약 수출1호로 2011년 150억 원의 해외매출을 기록했다.

9) http://srchdb1.chosun.com/pdf/i_service/pdf_ReadBody.jsp?Y=2010&M=01&D=08&ID=201001

0800052

10) 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184

Page 40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농업과학・식품

│제8장│

Page 40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40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393

제8장 ❚ 농업과학・식품

제1절 개요

이 장에서는 인류의 식생활과 밀접한 관련된 과학기술인 농업과학과 식품 분야를 다룬다.

농업과학 분야는 농업, 축산업, 수산업, 임업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먹거리를 확보하고

식생활 안정화를 목표로 한다. 식품 분야는 이러한 농업 과학의 발전 및 성과물들을 통해

가공・제조, 보관・운반・유통, 조리 및 소비 단계로 이어지는 제반 연구개발 및 산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한국식품연구원, 2015, p.51).

우리나라는 1960년까지 식량이 부족해 국민들이 굶주림에 시달려 식량자급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시급했다. 이에 정부는 1962년 4월 농촌진흥청을 설립하며 식량증산 정책을 적극적으

로 추진했다. 이 정책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농업기술을 개발해 현장에서 지도하고 보급하는

체계도 전국적으로 구축해나갔다. 또 시험 연구 조직을 전문화하고 체계화했다.

1970년대 농업 분야에서 최대 목표는 부족한 식량 해결, 즉 주곡 자급자족을 달성하는

것이었다. 1980년대에는 겨울에도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비닐 농법을 시작하며 첨단 유리

온실 같은 시설 원예 농업을 확립했다. 이를 통해 농산물과 화훼 생산의 계절성을 극복하는

‘백색혁명’을 이뤄냈다. 1990년대에는 소득 수준이 올라간 국민들이 농산물에 대해서 고품질

과 안전성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는 농업분야에 생명공학 기술(BT), 정보통신 기술

(ICT) 같은 첨단기술을 접목하기 시작했다. 누에를 이용한 인공 고막, 나노 기술을 활용한

식품포장재 같은 제품을 개발했다. 2010년대는 ICT, BT 같은 첨단기술과 농축산의 융합을

가속화한 시기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갖춘 ICT 기술을 농업기술에 접목한 창조농업

을 추진하여, ICT 기술로 자동화한 시설 원예와 지능형 축산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사업을

펼쳐나갔다. 또 배추와 벼, 고추 같은 주요 경제 작물의 유전체를 해독해 표준 유전체 지도도

작성했다. 게다가 바이오 장기 생산용 형질 전환 복제 돼지 생산과 같은 새로운 고부가 가치

산업을 발굴했다. 이를 통해 농・축산업이 국가의 신성장 동력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김두호, 2015, p.12).

Page 40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94

최근 농업은 농작물 재배, 가축 사육에 한정하지 않고, 종자나 농기계, 유통, 식품, 서비스

등을 포괄하는 복합 산업(complex industry)으로 변모했다 즉 농업・농촌이 고도의 기술과

서비스가 결합한 융・복합 센터가 된 셈이다. 농축산 연구개발의 패러다임도 연구 성과를 농・축

산업에 접목시켜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젊은 후계 농업인을 육성하는 시대 흐름에 따라

변하고 있다.

한편 식품 산업은 원료 농・수・축・임산물의 수확 이후 이런 1차 원료 산물의 유통・판매를

통해 부가 가치를 높이고 2차 가공 생산・제조 및 3차 서비스 활동을 영위함으로써 직접적인

고용과 부가 가치를 창출하고 국가 경제에 기여하며 국민건강 증진과 소비자 편익을 제공한다.

국내 식품 산업은 시장 확대와 생산 여건의 개선으로 과거에 비해 비약적인 도약을 했지만,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낮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타 제조업의 성장 속도와

비교할 때 다소 낮은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로 내수 시장에 의존하여 전반적인 국제

경쟁력이 높지 않다. 더욱이 그동안 식품 산업은 관리・감독과 규제 위주의 정책 대상이었을

뿐, 산업 진흥 및 장기 육성을 위한 정부 정책이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2008년 이후 정부는 식품 산업의 발전을 적극 도모하고 있다. 조직 개편, 국정 과제

채택, 「식품 산업 진흥법」 시행 및 종합대책 수립, 식품 R&D 중장기 계획 수립 및 별도 기술개

발 사업 신설, 신(新)식품 정책 추진 등의 노력이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특히 식품 산업의

성장은 농・수・축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며 서비스 산업의 활성화로 직접 연계되므로, 정부는

농산업 선진화와 식품제조・서비스업의 체질 개선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식품 분야 R&D

지원을 강화했다. 식품 분야의 민간 R&D 투자가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정부는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했으며, 공급자 위주의 연구개발에서 벗어나 산업계 수요를 적극 반영

하고 기업체가 직접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연구 결과의 실용・상용화를 지향했다. 그렇지만

이런 정부 R&D 지원이 여러 부처에 걸쳐 중복되고 세부 지원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의

전략이 미흡하다는 지적도 있어, 정부 R&D 투자의 효율화를 꾀할 필요도 있다. 농림수산식품

(그린바이오)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활성화된 식품 산업은 지속 성장이 가능한 신성장 동력

창출 분야로 선정되어 정부 R&D 투자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만큼, 무엇보다 산업발전과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 성과 도출이 요구된다.

Page 40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395

제2절 농업과학1)

우리나라에 근대적 농업 기술은 19세기 말부터 도입되었다. 최초의 농업 교육기관과 농사

시험 연구기관이 설립되었고, 전문적인 농업 연구 조직도 체계를 갖추기 시작했다. 고종 황제의

칙서에 따라 1904년 농상공학교가 설립되었으며 1905년에는 농상공학교 부속 농업시험장

관제가 발표되었다. 1906년에는 「권업모범장 관제」 공포로 수원에 권업모범장이 설치되면서,

근대적 농업 연구 사업을 위한 기초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대한제국 시대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농업 연구조직은 주로 일본인에 의해 일본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그 결과 이들

농업 연구조직은 우리나라 농업의 순수한 발달보다는 식민지 수탈의 목적으로 운영되었고,

일본 자국의 식량 조달 지원과 일본 농업기술의 전시장 역할을 했다.

일제에 의해 도입된 서구식 농업 과학기술은 증산과 기술 발전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냈지만,

동시에 울 전통 농업과 기술 근간의 상실이라는 부정적 효과를 낳기도 했다는 양면적인 평가를

받아 왔다. 일제가 식민지에서 집중적으로 생산하고자 했던 산물의 증산과 이를 지원하는

기술은 향상・확대되었지만, 그 결과가 우리 농업의 발전으로 뿌리내리지는 못했던 것이다.

이 시기의 농업은 일본식 농업기술과 품종의 단순한 이식 수준에서 이루어졌고, 그 전개 과정

역시 일본인 연구원들의 주도적인 조사와・연구・시험 과정을 통한 것이어서, 우리 인력이 충분

히 양성되지 못한 아쉬움도 크다. 해방 후 한국의 농업은 이와 같은 빈약한 기반 위에서 시작되

었다.

1. 농업과학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행정 및 지원 체계의 변천

광복과 더불어 시작된 미군정의 농업 기술개발 정책의 기본 틀은 일제강점기에 수립된 농업

연구조직의 직제와 목표를 답습한 것이었다. 1946년 미군정은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중앙농사

시험장을 미 군정청으로 소속만 이관하여 다시 개청했다. 그 후 미군정청은 농업 시험 사업

및 지도 사업의 효율적 연계를 위해, 1947년 「농업 기술 교육령」을 공포하고 분산 독립된

각종 농업 시험 연구기관을 통합하여 농사개량원이라는 명칭으로 새로이 설립했다.

Page 41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96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1949년 중앙농업기술원의 직제가 새롭게 공포되었다.

농사개량원, 국립농사시험장, 국립농사교도국 및 중앙토지행정처 농민훈련소가 폐지되고, 시

험부와 기술 교도부로 구성된 중앙농업기술원이 새로 출범했다. 이 과정에서 농사개량원은

교육기관인 농과대학을 문교부로 이관했고, 연구와 지도 기능을 통합하여 시험장과 교도국을

양축으로 하는 중앙농업기술원으로 발전적으로 개편되었다.

1949년 국가 농업 연구 기구로서 발족된 중앙농업기술원과는 별도로, 그 일부 기능들을

따로 분리하여 농림부 소속의 중앙토양연구소, 중앙가축위생연구소가 설립되었고, 연이어 중

앙축산기술원(1952년) 및 중앙원예기술원(1953년) 등도 설립되었다. 이에 따라 농업 연구

기구가 중앙농업기술원과 농림부 산하의 기관들로 이원화되는 체계가 갖추어졌다.2) 이들 농림

부 직속 연구조직들은 기술 개발 연구조직인 중앙농업기술원과 이원적인 체계를 갖추기는

했으나, 후일 농사원으로 통합되어 우리나라의 현대적인 농업기술 연구조직의 기본체계를 구

성하는 일부로서 기여했다.

<표 8-1> 광복 후 농업 연구개발 조직의 변천

조직 연도 주요내용

중앙농사시험장 1946 조선총독부에서 미 군정청으로 소속이관 후 개청

농사개량원 1947 미 군정청, 국립농사시험장 「농업기술 교육령」 제정

중앙농업기술원 1949 「중앙농업기술원 직제」 제정

농사원 1957「농사교도법」 제정

「농사원 직제」 제정

농촌진흥청 1962「농촌 진흥법」 제정

「농촌진흥청 직제」 제정

1953년 한국전쟁 휴전 후 한국경제의 부흥을 위해서는 농업 생산이 중요하다는 미국인

경제자문관 네이산(Robert Nathan)의 보고서에 따라 「농업 증산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다.

이에 1957년 「농사 교도법」이 제정되고 농사원 직제가 공포되어, 현대적 농업 연구 조직의

기초가 된 농사원이 발족했다. 농사원은 이원화 체제로 운영되어 오던 중앙농업기술원과 농림

부 산하의 모든 연구소와 기술원, 그리고 각 도농사원 시험국, 전국의 29개 시험 연구기관을

모두 통합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제 시험연구 사업을 한 곳에서 기획하고 여기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당시 전국의 모든 농업 관련 연구 조직을 일원화 체제로 통합한 농사원은 정부 일반

Page 41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397

회계, 경제 부흥 특별 회계 및 미국의 경제 원조로 막대한 재정을 확보하여 각 시험장의 연구시

설 및 연구 기자재를 확충했다. 이를 바탕으로 농사원은 연구원들의 직무 훈련을 강화하고

시험 연구 사업의 적절한 관리 방법과 연구 목표 및 절차의 설정 등 시험 연구 방법의 발전에

힘을 쓸 수 있었다.

농사원 체제는 농사 시험 연구와 기술 보급 체계를 통합해 효율적인 농업 기술개발과 보급을

천명했으나, 기술지도 사업이 농사 교도 기관으로 통합되지 못한 아쉬움도 있었다. 당시의

교도 사업은 농사원, 농림 행정기관, 농업협동조합 중앙회와 토지개량조합연합회 등 3~4개

채널로 분리 되어 있어 횡적인 연계 조정이 원만하지 못하였고, 동일한 농민 지도 교육 사업의

행정 지도 방식이 서로 다르게 진행되기도 했다.

중앙의 농업 연구개발 및 교육기관의 조직 변화에 따라 지방 단위의 조직도 함께 변화했다.

1947년 농사개량원의 발족으로 중앙에 중앙농사시험장이 설치되자, 각 도에는 이에 대응하는

기관인 농사시험장과 지방교도국이 설치되었다. 시군에는 농사교도소를 설치함으로써 지역의

농업 연구와 농업 기술 지도를 각각 전문화할 수 있었다. 이와 유사한 형태로 1949년에는

중앙농업기술원의 직제가 공포되면서 중앙농사시험장은 중앙농업기술원으로 개편되었고, 각

도의 도 농사시험장은 도 농업기술원으로 개편되었다.

도 농업기술원의 주요 업무로는 농사시험연구와 조사, 농업기술의 보급, 농업기술공무원

및 농촌청년의 기술수련 등 지역농민과의 접점에서 지역농업 발전을 위한 농무 전반을 총괄하

는 것이었다. 중앙농업기술원장의 지휘감독을 받게 함으로써, 도 농업기술원은 중앙과 지역의

연계를 강화하고 국가 농업 발전의 일원화에도 기여했다. 아울러 시군읍면에는 도 농업기술원

산하의 모범표장을 설치했다. 군 농사교도소는 폐지하고 시설과 인력을 도 농업기술원이 모두

승계하는 작업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런 농업기술원으로의 개편은 관련 예산이나 연구원 인력을 제대로 확보할 수 없었

던 데다가 한국전쟁으로 인해 충분한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특히 한국전쟁의 발발로 농업

연구시료와 자료가 소실되고 시설이 파괴되어 농업 연구 사업은 암흑기에 접어들었다. 이

같은 혼란은 1957년 농사원이 설립될 때까지 계속되었고, 1962년 농촌진흥청이 발족된 후에

야 비로소 본격적으로 국가의 농업 연구개발체계를 재정비하게 되었다.

Page 41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398

나. 정책 및 사업의 시대별 변천 및 결과

1960년대는 농촌 진흥 조직의 확대 발전기로서 시험 연구 조직이 전문화되고 체계화되었으

며, 농업 연구 지도 분야 조직이 그 어느 분야보다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하여 현대 농업기술

발전의 기틀이 다져지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었던 중요한 시기였다.

1961년 정부는 경제 정책의 대전환을 위해 농업 발전과 공업 발전을 동시에 추진하는 농공

병진 정책을 채택했다(농촌진흥청, 2008, p.286). 공업 발전을 위해서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실행하여 제조업 발전의 기틀을 잡고 국토의 균형 발전을 도모했다. 농업 발전을 위해서는

중농 정책을 추진했는데 중농 정책의 핵심은 농가 소득을 향상시키고 농업 생산력을 증대시키

는 것이었다.3)

당시 정부는 1957년 설립된 농사원이 제 기능을 못한다고 판단하고, 농사원의 개혁을 위해

서는 농촌 진흥 조직의 획기적 개편과 체계화가 필요하다고 결정했다.4) 농사 시험 연구와

기술 보급 체계를 일원화하고 전문 분야 별 기능을 분화한다는 원칙 아래 최고회의의 의결을

거쳐 1962년 3월 21일 「농촌 진흥법」을 제정했고, 「농촌진흥청 직제」를 공포하고 연구기관과

지도 기관을 단일화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1962년 4월 1일 농촌진흥청을 발족했다.5)

「농촌 진흥법」과 「농촌진흥청 직제」에 따라 각급 연구 지도 기능의 통합 개편이 단행되었다.

농림부 소속이던 지역사회국, 훈련원, 제주목장과 중앙전매연구소의 연초시험장이 농촌진흥청

으로 통합되었다. 지방에는 각 도에 도 농촌진흥원을 설립하여 각 도의 시험연구 사업과 수련

사업을 도 농촌진흥원으로 통합했다.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각 시군에는 농촌지도소가 설치되

었다. 농촌진흥청 산하 시험 기관으로 수련소, 식물환경연구소, 작물시험장, 원예시험장, 임업

시험장, 잠업시험장, 축산시험장, 가축위생연구소, 농공이용연구소, 고령지시험장, 제주시험장

등 11개 전문 시험장과 연구소를 설치했고, 전문 분야 별로 독립적인 시험과 연구를 위한

조직 체계를 편성했다.

연구 조직의 개편과 함께, 1960년대 정부는 식량 자급을 국가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

고6) 식량자급과 농촌 진흥을 위한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했다(농촌진흥청, 2008, p.292). 박정희 대통령

은 1964년 3월 농촌진흥청 대강당에서 개최된 식량증산연찬대회에서 20세기 하반기에 들어

선 오늘 세계의 모든 국가는 ‘자주’라는 목표의 달성을 위해 경제적 자립을 서두르고 있는

추세이며, 경제적 자립은 식량의 자급자족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큰 명제 아래 일대

증산정책을 지시했다.

Page 41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399

[그림 8-1] 광복 이후 농업과학 기술 연구기관 변천

Page 41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00

식량 증산을 위한 정부 정책으로 1964년부터 1976년까지 통일벼 육성 사업이 진행되었다.

잘 쓰러지지 않고 병에 강하며 내비성7)이 강한 다수성 신품종을 육성하고 보급하는 것이 목표

였다. 필리핀의 국제미작연구소(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IRRI)는 한국으로

57명을 파견했고, 한국에서는 IRRI로 157명을 파견하여 벼의 신품종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했다. 혈연이 다른 인디카와 자포니카의 생태형 간 교잡 불임성을 3원 교배로 극복하는

기술이 적용되었고, 생태 조건이 서로 다른 수원과 필리핀에서 선발과 세대 진전을 시키는

육종 기술인 교환육종(Shuttle Breeding) 기술 체계도 도입되었으며, 해외 종자 증식 체계도

확립되었다. 1971년 드디어 통일벼가 개발되었고, 이후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1977년 국내

쌀 생산량이 600만 톤을 넘어서면서 식량 자급을 달성 할 수 있었다. 1977년 ‘한국형 녹색혁

명’이 성공했던 것이다(농촌진흥청, 2012, p.9).

<표 8-2> 주요 통일형 품종 개발 현황 및 쌀 수량성

연대 주요 육성 통일형 품종쌀 수량

(kg/10a)범위

1972~1975 통일, 조생통일, 영남조생, 유신, 밀양22호, 통입찰 491 449~554

1976~1980

밀양21호, 밀양23호, 황금벼, 그강벼, 만석벼, 노풍, 샛별벼,

내경, 밀양30호, 호남조생, 삼성벼, 팔광벼, 밀양42호, 청청벼,

태백벼, 추풍벼, 한강찰벼, 서광벼, 백운찰벼

510 439~581

1981~1986풍산벼, 백양벼, 수정벼, 남풍벼, 신광벼, 가야벼, 삼강벼, 영품

벼, 원풍벼, 칠성벼, 용문벼, 장성벼, 용주벼, 남영벼562 496~605

자료: 농촌진흥청 (2012b), �우리 농업의 역사를 새로 쓴 50대 농업기술과 사업�, p.9.

통일벼 개발로 1977년 국가적 숙원사업인 쌀 자급자족을 달성하여 만성적인 식량부족에서

탈출했다.8) 1971년 통일벼 개발에 뛰어든 지 6년 만에 거둔 성과였다. 이는 단순히 통일벼라는

품종을 개발한 결과가 아니라, 통일벼의 단점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면서 빠른 농가 보급을

위해 증식과 보급 체계를 국가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확립한 농업 연구개발과 농정이 함께

거둔 종합적 성과였다. 안정적 식량공급이 가능해지면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통해 추구

하는 산업 구조 고도화와 경제 성장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었다.

1960년대~1970년대에는 통일벼 이외에도 원예 기술과 농업 기계화 기술, 양잠 기술의

연구기반도 빠르게 축적되었고 우수한 성과도 도출되기 시작했다. 원예 분야에서는 우장춘

박사팀에 의하여 1960년 ‘원예 1호’와 ‘원예 2호’가 개발되어 중국에서 도입된 품종이 대체되

면서도 품질과 수량이 크게 개선되었다. 공공 분야에서 유능한 육종가들이 다수 배출되어

Page 41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01

민간으로 이동하면서 흥농종묘와 중앙종묘와 같은 민간 육종 연구개발 사업의 기반도 조성되

기 시작했다. 농업 기계화 분야에서는 1960년대 기계화된 동력 경운기가 개발되어 전국의

농가에 빠르게 보급됨으로써, 과거 인력과 축력에 의존하던 경운 작업, 운반 작업 등을 대체하

기 시작했다. 농지 확대를 위한 개간・간척 사업, 생산 기반 정비를 위한 경지 정리・관배수

작업 등 농업 공학 분야도 빠르게 성장했다. 양잠 분야도 빠르게 성장했는데, 1960년 제1차

「잠업 증산 5개년 계획」이 수립되어 뽕밭 조성, 전국 양잠 기술자 배치, 누에 품종 육성 등이

진행되었다. 지금은 거의 자취를 감추었지만 양잠은 1960년대 전체 수출액의 3.4~8.8%를

차지했고, 농산물 수출액의 약 20%를 비단류가 차지할 정도로 농가 소득과 농업 생산에 없어서

는 안 될 중요 종목이었다(농촌진흥청, 2012a, p.26).

1980년대는 국민 소득이 증대되면서 생활수준이 올라갔고, 국민 복지 증진 등이 강조되던

시기였다. 농업 부문에서도 식량의 지속적 자급 달성, 생산 기반 확충 등을 추진하는 한편,

농가 소득원 개발, 농촌 생활환경 개선, 다양한 국민 식재료 공급 등에 중점을 두고 제도 정비와

개발 여건을 조성해 나갔다.

1980년대 농업기술을 둘러싼 주된 환경 변화는 국민소득의 증대로 소비자의 식품 소비

형태의 고급화와 다양화에 대한 요구가 크게 증가했다는 것이다. 또한 1980년대에는 식량

자급 달성을 기반으로 국민 경제가 성장하고 국민의 식생활이 크게 향상되면서, 신선 채소가

단순한 부식에서 기호 식품으로 바뀌어 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고

신선채소가 식탁을 주도하면서 시설 원예가 급속하게 발전했다. 이런 사회 변화에 따라 신선

채소를 연중 공급하기 위한 멀칭 재배 및 비닐하우스 설치와 관련된 다각도의 연구 및 농가에

관련 기술을 보급할 필요성이 커졌다. 그 결과 딸기, 봄 무, 감자, 고추 등의 멀칭 재배와

수박, 참외의 소형 터널 재배, 죽재하우스를 이용한 채소의 주년 생산 등 다양한 연구와 기술

보급으로 농사의 생산성이 증대되었고 농가 소득도 늘어났다. 시설 면적도 대폭 증가하여

우리나라 들판 곳곳이 비닐하우스로 덮이면서 ‘백색혁명’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였다.9)

이 시기에는 벼 기계 이양도 보편화되면서 경운 작업부터 파종・이앙까지 논농사의 기계화

기술이 완성되어 벼농사에 투입되는 노동력이 획기적으로 절감되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은

늘면서 생산비는 절감되는 효과를 보았다. 축산 분야에서는 사양 기술이 발전하면서 품질

고급화가 이루어졌고, 과수 분야에서는 과수 봉지 재배 및 비가림 재배로 국산 과일의 품질이

빠르게 개량되었다.

이외에도 1980년대의 주요 농업과학 기술의 주요 성과와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Page 41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02

첫째, 냉해에 약하고 품질이 낮은 다수성 통일형 벼 품종의 연구와 농가 재배가 중단되었고,

품질이 좋은 자포니카 품종의 연구로 전환하여 이들의 품질과 수량성 향상, 재배 안전성 측면에

서 큰 발전이 있었다. 둘째, 국민 식량의 안정적 공급과 농촌 경제 구조의 향상으로 농가 소득이

크게 증대되었고 상업 농시대가 시작되었다. 셋째, 산업화와 도시화로의 신속한 사회 구조

변화에 따른 농촌과 농업 인구의 급속한 감소에 대응하여 「농업 기계화 촉진법」(1978년)과

동 시행규칙(1980년)을 제정 공포했고, 농업기계화연구소의 개편으로 농업 생력기계화 체계를

위한 기술적 기반이 확립되었다. 넷째, 국제적인 기술 협력 사업이 활성화되고 생명공학 첨단기

술 연구의 기틀을 마련했다.

1990년대에는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타결에 따른 개방화 시대가 도래하면서 우리 농업의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가 되었다. 이에 농업 연구개발 정책의 초점도 시장

개방에 따른 우리 농산물의 품질 향상 및 경쟁력 있는 지방 특산물을 육성하여 고부가 가치화하

는 데 맞추어졌다.

1990년대 농업 연구개발의 중요한 특징으로 그 대상이 다양해지고 외연이 확대된 것을

들 수 있다. 1970년대의 연구개발이 식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미곡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1980년대의 연구개발은 밭작물과 원예 작물의 증산 중심이었다면, 1990년대의 농업 연구개발

은 작목의 다양화와 농업 인프라 연구의 확대로 특징지을 수 있다.

세계 최첨단 무병씨감자 생산 기술, 비파괴 품질 검사 기술, 국산 종돈 개발 기술, ‘홍로’와

‘감홍’ 등의 과수 신품종 육성, 일 년 내내 균일한 채소를 대량 생산하는 공정육묘 기술 등

농산물의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현장에 보급되었다. 농업 인프라의

유지・관리를 위한 전국 농업 토양 및 병해충에 대한 종합 관리도 이 시기에 본격적으로 시작되

었다.

1990년대는 농업 연구의 대상과 영역이 다양해지면서 농업연구 인력과 예산이 지속적으로

늘어났지만, 개방화로 인해 농업의 여건과 실적이 급속히 악화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이전과는 다른 몇 가지 특징들이 나타났다. 첫째, 농업 생산에 대한 농업 연구개발의 기여도가

이전 시기보다 하락하면서 농업 연구개발의 효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둘째, 현장의

기술 수준이 높아지고 기술 요구는 다양해졌지만, 국가의 농업 연구개발 체계가 이를 충분히

뒷받침하지 못하면서 공급자 중심의 농업 연구개발 체계에 대한 불만이 나왔다. 셋째, 연구

대상이 소수 작목에서 다수 작목으로 확대되고 연구의 목적이 생산성 위주에서 지속 가능성으

로까지 확대되면서, 뚜렷한 대표 성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농업 구조 개선,

Page 41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03

농어촌 발전 특별 대책 등에 막대한 예산 투입에도 불구하고 우리 농업의 상황이 계속 악화되면

서, 농업 연구개발 체계에 대한 비판의 수위도 높아졌다.

1990년대 농업 연구개발에 대한 비판은 농엽을 둘러싼 국내외적 환경의 변화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 농업은 빠른 속도의 전면적 시장 개방으로 인해 이전에

비해 상황이 악화되었다. 농업 연구개발의 기여도 하락은 전 세계 농업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

던 현상으로, 이는 연구개발의 목적이 생산성 일변도에서 지속 가능성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되면서 나타난 변화였다. 이런 연구목적의 변화로 인해, 생산성 중심으로 환산된 농업

연구개발의 편익은 선진국일수록 크게 하락하는 식으로 나타났다. 이에 농업 선진국일수록

1990년대부터는 농업 연구개발의 효과를 외형적 수치만으로 평가하던 것을 지양하고, 다원적

기능을 포함한 다채로운 성과로 농업과 농업 연구의 가치를 판단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에는 전면 시장 개방에 따른 무한 경쟁 시대가 가속화되었다. 이에 농림업 발전의

패러다임도 농산물 생산업에서 종합 생명산업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아울러 국내뿐 아니라

해외 시장과 소비자의 수요에 부응하는 고품질・친환경・안전 농산물과 식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기술 개발이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2000년대부터는 농업 분야에 유전자 기술, 전기전자제어 기술 등 첨단 신기술이 본격적으로

접목되기 시작했다. 유전자 기술은 다양한 기능의 새로운 품종을 짧은 기간 내에 개발해내는

데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나노 기술에서도 바이오칩과 같은 IT・BT 융합기술과의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첨단기술과 농업의 접목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고 점차 많은 연구가 시도되는 것은 미래

농업 발전을 위해 매우 긍정적이다. 그러나 첨단기술이 농업 분야에 도입되면서 발생하는

현상 중 하나는 농업 연구개발 재원(財源)의 탈영농 현장화가 가속화 된다는 것이다. 타미플루

등의 의약 소재, 레티놀 등의 기능성 소재, 나노 기술을 활용한 식품 포장재, 누에를 이용한

인공 고막 등은 첨단기술을 농업과 접목되는 우수사례이지만 실제 영농현장의 발전에 대한

기여가 미흡하다는 점을 예로 들 수 있다.

2000년대는 농업 연구개발이 본격적으로 다양해지기 시작한 시기이도 하다. 개방화 시대에

진입하면서 농업 생산만으로는 농가 소득을 보전하기 어려워지면서 6차 산업화에 대한 연구개

발이 시작되었고, 농업과 농촌의 다원적 기능을 활용하는 농촌 어메니티도 새로운 연구주제가

되었다. 농업 부산물과 농업 폐기물 재활용 등 환경 생태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연구와 귀농귀

Page 41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04

촌 장려 등 농업농촌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연구 등 농업 연구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2010년대의 농업연구개발은 IT, BT, NT 등 첨단기술과 농업 연구의 융합이 가속화되었다.

과학기술과 ICT의 접목을 통한 경쟁력 확충과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창조 경제의

국정 기조에 맞춰, 우리의 강점인 ICT 기술과 농업 기술을 접목하는 창조 농업이 추진되었고,

시설 원예와 지능형 축산 등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연구개발 과제들이 확대되었다.

BT 관점에서는 배추, 벼, 콩, 고추 등 주요 경제 작물의 유전체가 완전 또는 일부 해독되어

표준 유전체 지도가 완성되었고, 비교 유전체를 활용한 형질 전환과 품종 개발의 전 단계에

진입했다. 동물 분야에서도 바이오 장기 생산용 형질 전환 복제 돼지 생산 기술 연구 등 농업과

의학이 접목된 새로운 고부가 가치 산업이 발굴되기 시작하면서 국가 신성장 동력원으로서의

역할도 주목받고 있다(매일경제신문사, 2009, p.260).

<표 8-3> 시대별 농축산식품 기술 개발 동향

시대 변화 연대별 연구동향

[1960년대]

◦산업화 시동 * 경제 개발 계획

◦국가농업연구・지도체계도입 *1962년 농촌진흥청 발족

- 중앙・지도 기능 통합, 연구기반 마련, 양잠수출

[1970년대]

◦수출지향, 산업화 * 이촌향도

◦식량증산, 품종개량 *녹색혁명

- 통일벼 개발・보급, 배추 일대잡종 품종육성, 한우개량

[1980년대]

◦고도성장 * 민주화

◦농업의 계절성 극복, 노동생산성 향상 *백색혁명

- 비닐하우스 도입 시설재배, 벼농사 기계화, 과수봉지재배

[1990년대]

◦개방화, 세계화 * IMF

◦고품질 생산, 저비용 농업 *품질제고

- 병해충 종합관리, 무병 씨감자, 과수신품종육성, 국산종돈개발

[2000년대]

◦벤처, IT * 복지・삶의 질

◦친환경, 건강기능성 *가치확산

- 흙토람 시스템구축, 쌀고급화(탑라이스),

한국가축사양표준제정, 사업영역다각화(전통식품, 테마마을),

원예・특용작물 국산 자급화

[2010년대]

◦녹색성장, 창조 경제 * 첨단화

◦ICT, BT 융・복합 *지식융합

- 스마트팜 기술 표준화, 무인이동체, 온실가스 감축,

곤충・식량작물 이용 식의약소재, 유전체해독, 반려동물

산업화, 도시(치유)농업

친환경과 건강 중시, 국제화, 도시 농업도 2010년대부터 주목받는 연구 키워드로 등장했다.

농업이 환경에 주는 부담을 줄이고자 벼 부산물을 이용한 생분해성 비닐 개발, 가축 분뇨를

Page 41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05

에너지화하는 기술, 안전 농산물 생산을 위한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작물 보호제 개발 등

친환경과 건강 분야의 농업 연구가 확장되었다. 국제화 측면에서는 2009년에 해외농업기술개

발센터(KOPIA)가 설립되어 2012년 기준 15개 국가에 KOPIA가 설치되었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는 도시 농업도 새로운 영역으로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2013년에

「제1차 도시농업 육성 5개년 계획」이 수립되고, 2014년에는 「농촌 진흥법」 시행령에 도시 농업

연구 근거가 반영되는 등 도시 농업의 연구 기반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 성적 평가 기술 등 다양한 농업 분야 국제 협약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연구가 빠르게 확대되는 것도 2010년대 농업 연구의 주요 특징이다.

2. 농업과학 R&D 주요 성과

가. 기초 기반 분야

정부는 1964년부터 1999년까지 전 국토에 대해 토양 조사 사업을 펼쳐 1:5,000 축척의

세부 정밀 토양도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를 전산화해 2006년 세계 최초로 필지 별 토양 정보

시스템인 ‘흙토람(soil.rda.go.kr)’을 열었다. 이렇게 탄생한 흙토람은 비료 사용 처방서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농산물 인증 시스템과 연계해 친환경 농산물 인증에 필요한 비료

사용 처방서 발급 비용 80억 원을 절감했다. 1990년대 초부터는 주요 작물에 대해 병해충종합

관리체계(IPM)를 활용한 친환경 종합 방제를 실시했다.

1970년대 우리나라 잡초와 잡초 방제에 대한 연구와 기술개발도 본격화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에 걸쳐 전국 농경지 잡초 분포 조사와 생리생태 같은 기초 조사 연구도

광범위하게 진행했다.

양잠산업은 1960년 「제1차 잠업 증산 5개년 계획」을 수립해 뽕밭 조성, 전국 양잠 기술자

배치, 누에 품종 육성을 진행했다. 1960년대 양잠은 전체 수출액에서 3.4∼8.8%를 차지할

정도로 큰 산업이었다. 양잠・양봉 산업은 1980년대 이후 사양 산업으로 바뀌었다가 2000년대

에 BT와 결합해 누에 분말 혈당 강화제, 봉독 함유 화장품, 여드름 치료제 같은 신상품을

개발하며 최첨단 산업으로 변하고 있다. 2010년 「곤충 산업 육성법」 시행에 따라 곤충을

활용한 다양한 식품과 의약용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갈색거저리 같은 곤충 자원을 식품 원료로

등록하고 곤충을 이용한 식의약품 개발에 나선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Page 42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06

농업기계화 분야에서는 1970년대에 소나 말을 대신할 수 있는 동력 경운기를 개발해 전국

농가에 빠르게 보급했다. 이와 함께 농지 확대를 위해 개간과 간척 사업, 경지 정리를 펼쳐나갔

다. 1980년대 들어 벼 기계 이앙을 보편화하고, 경운 작업부터 파종・이앙까지 논농사 전반을

기계로 처리하는 기계화를 이뤄냈다. 1990년대는 벼농사에서 기계화율이 건조 작업을 제외하

고 90%를 넘어섰다. 원예와 축산 분야에서도 기계 장치를 개발해 보급하면서 장치 시설화와

기계화를 활발하게 추진했다. 2014년에는 밭농사 기계화도 56% 수준까지 높였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밭작물 파종과 이식, 수확작업 같은 전 과정을 기계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 재배기술을 표준화하는 연구개발도 시작했다.

1962년 농촌진흥청 발족과 함께 작물 육종 사업도 활발하게 진행했다. 이를 통해 유전자원

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졌다. 그 결과 1970년까지 확보한 품종수가 총 1만 2,131

자원으로 1951년 2014 자원의 6배에 달했다. 2016년 6월 현재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

가 보존하고 있는 작목별 종자 유전 자원은 총 9,350종 27만 9,096 자원에 이른다. 작물

유전체 주요 성과로는 2004년부터 국내 자체 기술로 배추의 유전체 해독 프로젝트를 시작해,

2011년 중국과 공동으로 배추의 전체 유전체를 완전하게 해독해 낸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유전체 정보와 분자 육종 기술을 접목시켜 세계 최초로 고추 탄저병 저항성 품종을 개발하여

고추 수출 증대와 고부가 종자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2014년부터 7개 부처 공동으로

다부처 유전체 해독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데, 2017년까지 17품목에 대해 유전체를 해독할

계획이다.

나. 식량 작물 분야

1970년대에 병충해에 강하고 많이 수확할 수 있는 통일벼 품종을 개발하여 쌀자급화에

성공했다. 통일벼 개발과 보급은 2009년 교과부가 선정한 ‘국가 연구개발 반세기 성과 탑

10’에서 1위를 차지했고, 2015년 미래창조과학부의 ‘광복70년 과학기술 우수성과 70선’에

선정되기도 했다. 1977년 전국 농가의 평균 쌀 수량은 1헥타르(ha) 당 4.94톤으로 세계 최고

를 기록했다. 쌀 총생산량은 6백만 6,000톤으로 국가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1980년대

에는 벼 도열병에 대한 방제법을 찾아 식량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갖췄고 기계이

앙 육묘 기술도 개발했다.

1990년대에는 최첨단 무병씨감자 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농

Page 42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07

업기술 발달로 쌀 생산량이 소비량을 초과함에 따라 쌀 생산 전략에 변화를 가해, 소비자가

좋아하는 밥맛 좋은 쌀을 생산하는 방향으로 바꿨다. 2005년부터 재배 기술과 수확 후 관리

기술을 투입하는 완전미 브랜드인 ‘탑라이스’를 출범시켜 쌀 고급화를 추진했다. 해마다 남는

쌀이 많아져 정부는 벼 재배 면적을 줄이고 육종・가공 제품 개발을 통해 쌀 소비 촉진 운동을

벌였다. 최근에는 밀가루를 대체할 수 있는 쌀가루 제품을 연구개발하고 있고, 컵반, 냉동밥

같은 쌀 가공 제품의 외국 수출 증대에도 힘쓰고 있다.

식량 자급률 향상을 위해 맥류, 두류, 잡곡도 품종 육성을 해오고 있다. 이로 인한 성과로

콩 수량은 1970년 1헥타르(ha) 당 79kg에서 2014년 187kg으로 2.4배 증가했다. 최근에는

식량 작물을 이용한 식의약 소재와 효능 발굴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새싹보리 추출물

에서 간 기능 개선 물질 발굴, 콩 발아 배아 추출물로 골다공증 개선, 설갱벼를 이용한 전통주

개발 등을 통해 농가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다. 원예・특용 작물 분야

1960년에 배추와 양파를 이용해 1대 잡종 배추 품종을 육성했다. 이후 1970년 중후반까지

거의 모든 채소류에 대해 1대 잡종 품종을 육성했다. 1대 잡종 배추 품종 육성은 2015년

미래창조과학부가 선정한 ‘광복 70년 과학기술 우수 성과 70선’에 선정되었다. 1980년대에는

신선 채소가 식탁을 주도하면서 시설 원예가 빠르게 발전했다. 딸기와 고추 같은 채소의 멀칭

재배, 수박과 참외 같은 작물의 소형터널 재배, 죽재하우스를 이용한 채소의 주년(周年) 생산

등 다양한 기술 개발과 연구로 1년 내내 신선한 채소를 생산했다.

1990년대는 1년 내내 같은 품질의 채소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공정육묘 기술을 개발해 보급

했다. 또 2006년에는 외국 품종을 대체한 우수한 딸기 품종을 개발해 농가에 보급하여, 딸기

국산 품종 보급률은 2003년 4.1%에서 2015년 90.8%로 크게 향상되었다. 최근에는 ICT와

융・복합한 시설 원예 농장의 작물 생육 관리 모델 개발,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 활용 모델

개발 등 한국형 스마트팜 핵심 기반기술 개발 사업을 중점해서 추진하고 있다.

과수 분야에서는 1980년대 과수 봉지 재배와 비가림 재배로 국산 과일의 품질을 빠르게

향상시켰다. 1990년대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타결 이후 원예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과수 신품종 개발을 활발하게 펼쳤다. 사과 ‘홍로’를 개발해 보급한 것을 비롯해 30년도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수많은 품종을 개발했다.

Page 42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08

화훼류 분야에서는 국산 국화 품종 ‘백마’를 개발해 일본에 수출을 확대하여 2015년 수출액

기준 5억 4,000만 원을 달성했다. 1989년 세계 최초로 원형질 융합 품종인 원형 느타리를

육성해 농가로부터 큰 인기를 얻었고, 이후 버섯 산업이 크게 성장했다. 최근 2010년부터

2015년까지인 5년 간 원예・특작 분야 342품종의 국산 품종을 개발해 종자 로열티를 줄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수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농산물 수출에 필요한 신선도와 장기간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저장 유통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딸기의 이산화탄소 처리를 통한 저장 기간

연장, 에틸렌 발생제를 이용한 참다래 후숙 기술 적용이 대표적이다. 이 기술들은 수출 경쟁력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또 도시 환경 개선과 공동체 활력화 같은 도시 농업과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원예 활동 프로그램 개발, 농촌 마을 치유 프로그램 적용 등 치유 농업을

추진하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도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려고 작물의 재배지

변동 예측(17작물), 열대・아열대 작물의 도입과 적용, 돌발 병해충 피해 발생 특성과 영향

평가 같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라. 축산분야

1960년대 인공수정 기술을 이용해 한우 육용화 개량을 추진했다. 1970년대는 수정란 이식,

한우 개량 단지 조성, 한우 능력 검정 조사를 통해 한우 개량과 사양 기술이 한 단계 발전했다.

2002년에 한국 가축 사양 표준 제정, 2007년 1차, 2012년 2차 개정으로 우리나라도 자체

개발한 가축 사양 표준을 이용했다. 한우 고기의 품질 향상을 위해 섬유질 배합 사료 개발

보급, 고급육 생산 첨가제 개발에도 나섰다. 이렇게 개발한 제품을 농가에 보급해 한우 출하

체중이 1993년 538kg에서 2015년 650kg으로 늘었다.

등급 검사에서 1등급 이상 출현율이 2000년 52%에서 2015년 84.6%로 늘었다. 한우가

논과 밭에서 일할 때 사용하는 일소에서 고급육을 생산하는 육우로 완전히 바뀌었다. 1992년

7월 돼지도 등급제(안)를 시범적으로 실시한 뒤 돼지 등급 제도를 정착시키고, 이후 등급 제도

를 꾸준하게 보완하고 개정했다. 이를 통해 국내 돼지 거세율을 95% 이상 높여 품질 고급화와

국제 규격화에도 기여했다.

국산 목초・사료 작물 신품종을 개발해 수입 사료를 대체해 자급률을 높였다. 또 가축 유전

자원과 우량종축의 안전한 보존을 위한 중복 분산 배치, 초저온 냉동 보존 기술 같은 연구도

Page 42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09

펼쳐가고 있다. 형질 전환 돼지 생산과 알츠하이머 질환 모델 같은 장기 이식 돼지 생산, 마약

탐지견・수색견 같은 특수 목적견의 복제 생산과 공급(으로 고부가 가치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또한 가축 분뇨 냄새 감소와 자원화, 친환경 축산을 통한 동물 복지 향상, 반려 동물

대상 고품질 사료 개발 추진 등 지속 가능한 축산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림 8-2] 농업 과학기술의 성과와 지향점 다양화

3. 농업과학 분야의 미래 전망

오늘날 우리는 식생활을 제외한 의생활과 주생활을 대부분을 석유 화학물과 탄화수소로부터

공급받는 석유경제(Petro Economy) 시대에 살고 있다. 석유경제 시대에 인류는 유래 없는

풍요를 경험했지만, 자연에 과도한 부담을 안기는 석유경제는 환경오염, 인구증가, 기후변화

등으로 지구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이 같은 맥락 속에서 현재 우리가 직면한 많은 문제의 대안으로서 농업과 농업 기술이 다시금

주목받기 시작했다. 농업이 주도하는 바이오 경제(Bio Economy)와 농업의 생명산업화, 그리

고 다원주의 농업 등 이전과는 다른 농업 기술 패러다임이 전개되고 있다.

가. 농업이 주도하는 바이오 경제

OECD는 The Bioeconomy 2030 보고서에서 농업 기술의 가장 주요한 변화로 보건의료

(Red Bio), 농업 생산(Green Bio), 산업 바이오(White Bio)의 융・복합화를 지목했다. 현재

이들 3가지 바이오 영역은 기초연구, 응용연구, 실용화 연구, 기업화, 산업화 등 거의 전 단계에

Page 42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10

서 독립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제한적인 협업 형태이지만 점차 이들 사이의

칸막이가 사라지고 하나의 통합된 유기체로 움직일 것이라는 것이 OECD 주장의 핵심이다.

OECD의 주장은 점차 현실이 되고 있다. 듀퐁(Du pont), 다우(Dow), 바스프(BASF) 등은

세계 10대 종자 기업(Green Bio)인 동시에 세계 10대 효소 기업(White Bio)이다. 바이엘

(Bayer)은 세계 유수의 제약 기업(Red Bio)이지만, 바이엘 크롭사이언스(Bayer CropScience)

는 종자기업(Green Bio)이며, 노보자임스(Novozymes)는 세계 최대의 효소 기업(White

Bio)이지만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는 세계적인 제약 기업(Red Bio)이다. 또 다른

예로, 바이오 에너지 가치 사슬을 살펴보면, Feedstock(농업생산)➝ Deconstruction(전처

리)➝ Fermentation(당화 및 발효) 단계마다 Green Bio 기술과 White Bio 기술이 복잡하게

얽히고 있으며, 농업은 에너지와 소재를 공급하는 원천이 되었다.

나. 농업의 생명산업화와 고부가 가치화

농업 기술과 관련된 미래 변화의 하나는 농업과 농업 기술이 생명산업으로 확장된다는 것이

다. 일반적으로 농업은 1차 산업 부문으로 인식되었으나, 점차 생명체의 유전 정보에 기반을

둔 신성장 동력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잭 클로펜버그 2세, 2007, p.32). 농업이 먹거리 생산의 전통적

역할 외에 에너지 절감 및 신재생 에너지원 개발, 고부가 형질 전환 동물・식품 개발 및 유전자

변형 생물의 안정성 확보, 보건・의약 생명 자원 개발 등 새로운 역할로 확장되는 것이다. 농업

에서 이용하는 자원의 범위 역시 동・식물 및 미생물 등의 생물자원, DNA 등을 포함하는

생명 정보, 광석 등의 천연 물질, 자연 경관, 생태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해지고 있다(과학기

술정책연구원, 2013, p.14).

글로벌 기술 혁신이 물리과학에서 생명과학 중심으로 전환하는 흐름 속에서 농업은 가치

사슬의 출발점이자 핵심이며, 과거와 달리 높은 부가 가치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OECD

분석에 따르면, 2003년 기준 바이오 기술 R&D 지출 규모에서 농업 기술의 비중은 고작 4%이

지만 2030년 농업 기술의 총 부가 가치 추정치 비중은 26%이다. 2003년 지출 비중이 87%인

보건의료의 2030년 총 부가가치 추정치 비중이 25%에 불과한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농업

기술에서 높은 부가 가치가 기대되는 주된 이유는 농업 기술의 생산물이 이전에는 식량(feed)

에만 국한되었으나, 이제는 식량을 포함하여 원료와 연료까지 확장(feedstock)될 것이기 때문

이다. 많은 미래학자들이 석유화학 공정의 30% 정도가 생화학 공정으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하

Page 42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11

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농업 기술의 생산물은 우리 주변의 다양한 물질과 에너지 소재의

원료로 확장될 전망이다(농림수산식품부, 2013, p.197).

다. 생산주의 농업에서 다원주의 농업으로

지난 70년간 우리 농업을 지배하는 패러다임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생산주의였다. 생산주의

시대에는 자본・기술・과학의 결합을 통해 생산량을 늘리고 농촌・보건・복지 문제 해결에 기여한

다는 신념에 따라 각국에서는 농업 연구와 기술에 막대한 투자를 집행해 왔다. 우리나라 역시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투입, 고수확 농법에 기초한 증산이 농업의 최대 목표였고,

단위 요소당 생산량을 높이는 것이 관건이었다.

그러나 생산주의 농업은 한계를 맞이하고 있다. 환경, 식품 안전, 보건・건강, 농촌 문제 등을

넘어 전 지구적 식량 위기, 에너지・자원 위기, 기후변화 등 전례 없이 새롭고 광범위한 문제들이

불거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생산주의와 시장주의 농업은 이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오래 전부터 유럽을 중심으로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걱정하고, 농업의 비교역

적 기능과 공공적 기능을 강조하는 다원주의 농업이 주목받고 있다. 생산성과 성장을 일부 양보하

고라도 농업의 지속 가능성과 농촌 공간의 가치를 더 크게 인정하는 것이다(농촌진흥청, 1995, p.16).

농업 기술 혁신에서도 선진국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성과 다원주의적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유럽을 중심으로 에너지와 환경 등 지속 가능성 증진을 위해 농업의 투입

요소를 저감하고 투입 요소를 재활용하여 효율을 높이는 연구가 각광받고 있으며, 동물 복지

등 인간과 자연의 공생을 위한 연구가 경제적 이익만을 목적으로 하는 기존 연구를 대체하고

있다. 농민들의 자발적 혁신을 통해 지역 공간의 활용성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우리의 미래 농업 기술 혁신도 중장기적으로 생산주의와 다원주의의 조화 및 균형을 지향하

는 방향으로 흐르기 시작했다. 농촌에서는 농민 주도의 성공 모델이 확산되고 있으며, 농업의

생산 기능에 더해 환경 기능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고 있다. 도시와 농촌의 상호작용을 통한

국토 공간의 효율적 활용과 안전한 푸드 시스템에 대한 혁신 요구도 커지고 있다. 생산주의에서

다원주의로의 변화는 미래의 우리 농업과 기술혁신을 설명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고 있는

것이다.

Page 42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12

제3절 식품

식품 산업에 대한 법적 정의는 “농산물에 인공을 가하여 생산・가공・제조・조리 및 이로부터

생산된 산물을 포장・보관 ・수송・판매하는 산업”으로 규정되나10), 식품 산업의 가치사슬은

1차 생산물 단계에 해당하는 농림업, 축산업, 수산업을 제외한 식품가공업, 식품제조업, 식품판

매 및 서비스업 등에 이르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4, p.13). 즉 식품 제조

투입물에서 식품의 판매 및 서비스, 식품 원재료의 생산 단계에서부터 식품의 가공・소비 단계

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식품 분야 R&D의 대상은 국민이 소비하는 식품이라는

관점에서 제품 가공・소비 단계인 ‘1차 가공’, ‘2차 가공’, ‘판매 및 식품 서비스’를 포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식품 산업의 정의에 따라 식품 분야 R&D의 범위는 미래창조과학부

국가 과학기술 표준 분류 상 ‘농림수산식품’의 ‘식품과학’, ‘식품영양과학’, ‘식품조리・외식・식

생활개선’과 식품 품질 및 안전 관리, 영양관리 연구개발로 ‘보건의료’의 '식품안전관리’, ‘영양

관리’ 분야를 포함한다(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2015, p.7).

식품 R&D와 관련하여 정부 연구개발비를 지원하거나 관리하는 주체는 미래창조과학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촌진흥청,

산림청, 중소기업청 등이 있다. 주요 연구 수행 주체로는 한국식품연구원, 농촌진흥청, 식품의

약품안전처, 대학 등의 공공기관과 사단법인, 협동조합, 식품회사 등의 민간 기관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정부의 식품 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관련 기관의 개별법에 근거를 두고 각각

운영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 기본법」과 「과학기술 분야 정부 출연 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 산업 기본법」과

「식품 산업 진흥법」,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안전 기본법」과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 기술

진흥법」, 농촌진흥청은 「농촌 진흥법」, 산림청은 「산림 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13년 기준으로 식품 분야에 대한 정부

R&D 투자는 1,692억 원이고, 민간 기업에서 투자한 연구개발비는 5,149억 원으로 조사되어,

정부 대비 민간 R&D 투자 비율이 약 3배로 민간 투자가 상당히 활발한 편이다(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6, p.77).

Page 42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13

1. 식품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해방과 식품 산업의 태동기(1950년대~1960년대)

일제강점기 동안 주로 일본인에 의해 제한적으로 운영되던 식품 산업은 195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본 궤도에 올라갔다. 삼분(三粉)에 해당하는 설탕과 제분 사업을 시작으로 청과음료,

빙과류, 조미료, 맥주 등이 출시되면서 국내의 식품 산업이 서서히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이에 맞춰, 공공 부문에서는 중앙농업기술원의 농산물 가공 분야에 종사하는 연구자가 늘어나

며 시험 조사 연구 결과가 나오기 시작하였고, 국방부 과학연구소에서 군대 급식과 관련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중앙공업연구소에 식품공업과가 설치되어 식품 가공 기술에 관한 연구

가 이루어졌다. 또한 국립화학연구소는 보건사회 및 복지와 관련된 시험 연구기관으로서 식품

영양 분야의 연구를 수행했다(한국식품과학회, 1998, p.273). 한편 민간 부문에서는 샘표식품이 1958년

2월 국내 최초로 장류 전문 연구소를 개설하여 제품 품질 개선, 기술 및 제품 개발 업무를

담당했다(한국콩연구회, 2001, p.4).

1960년대에 들어 우리나라의 식품 산업은 본 궤도에 올랐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식품 산업, 축산업에 대한 진흥 정책들이 발표되어 정책적 토대가 마련되었다. 우리나

라 식품 위생 행정의 기본법이 될 「식품 위생법」이 1962년 1월 20일에 제정되었고, 식품

첨가물과 식품 제조 가공 규격과 기준에 대한 각종 법률적 체계들이 완비되기 시작했다(이은경

외, 2013, p.149). 「식품 위생법」은 식품으로 인해 생기는 위생상의 위해를 방지하고 식품 영양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며 식품에 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국민 보건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제정된 법이다. 이 법의 제정을 계기로 식품 관련 행정 업무가 경찰에서 보건사회부로

이관되었으며, 이전까지 치안과 관련된 감시 행정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했던 식품 행정은

비로소 식품 위생 행정이라는 본연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1960년대에는 각 분야의 식품 회사들이 창업되며 생산 품목도 다양해졌다. 이런 기업

의 다양화는 고용 창출 측면에서도 크게 기여해 1960년대 말에는 국내 제조업 종사자 중

약 12% 정도를 식품 산업에서 고용했다.

아직까지 본격적인 연구개발은 미약했으나, 1966년 원자력청 산하에 설립된 방사선농학연

구소에서 식품보존 연구가 이루어졌고, 1966년 법인체로 출범한 최초의 정부 출연 연구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의 식량자원연구실과 수산물이용연구실, 1967년 설립된 농어촌개

발공사의 연구개발부에서 식품의 과학기술, 특히 산업화와 관련된 종합적인 조사 연구가 수행

Page 42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14

되었다. 수산물의 저장 및 가공 연구는 국립수산진흥원이, 식품 규격 및 위생 연구는 국립보건

원이 담당하여 식품 분야의 연구가 여러 공공 기관에서 산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국립공업

연구소의 식품공업과 및 농촌진흥청의 농산물이용과에서 수행하던 식품 연구는 신설 연구소의

업무 확대에 따라 상대적으로 위축되어 갔다(한국식품과학회, 1998, p.274).

한편 1967년 12월 2일 한국영양학회가 국민의 영양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그 결과를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내세우면서 창립총회를 열고 발족했다. 1968년 6월 1일에는 식품에

종사하고 있는 과학자, 교육자, 산업인이 한 자리에 모여 공동의 문제를 토의하고 기술 정보를

교환하며 상호 친목으로 굳게 결속하여 식품공업 발전에 공헌하고자 한국식품과학협회가 창립

되었다. 한국식품과학협회는 1970년 5월 30일 4차 총회에서 공식 명칭을 한국식품과학회로

변경했고, 기술 정보지인 �식품뉴스�와 학술지인 �한국식품과학지�를 출간하여 국내의 식품

과학 연구를 진척시키고 식품 관련 연구 인력의 네트워크 형성에 이바지했다(한국식품과학회, 1998,

p.4). 아울러 1969년 9월 22일에는 우리나라 식품공업의 발전과 공동 문제를 해결하고 친목

도모와 공동 이익 추구를 위해, 대표적 식품기업 10개사가 모여 한국식품공업협회를 설립하였

다(한국식품공업협회, 2000, p.184).

나. 식품 산업의 성장기(1970년대~1990년대)

1970년대에는 우리나라에서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룩하며 수출이 급증했고, 1인당 국민소득

1천 달러를 넘어서면서 식품 산업도 크게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1970년대에는

쌀이 자급되면서 식생활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고 그에 따라 식문화도 변화했다. 이런 식문화의

변화는 다양한 맛을 추구하는 식품 산업의 발전에 밑거름이 되어 인스턴트식품과 기호 식품,

유지 가공품 시장이 크게 성장했다(이은경 외, 2013, p.170). 소득 수준의 향상에 따른 내수 시장의

팽창과 함께 중동 건설과 수출 시장 개척을 위한 근로자의 해외 파견 및 해외 교민의 증가로

가공 식품의 수출 시장도 확대되었다. 공급 측면에서 경제 성장에 따른 대규모 자본의 형성,

운수, 통신, 도로 등의 사회간접자본 확충 등이 이루어져 식품 산업이 근대적 대규모 생산

체제를 갖출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 아울러 외환 사정의 개선과 1970년대 후반에 나타난

개방 농정으로 인해 해외 원료 농산물의 수입이 보다 용이해졌다.

국내 식품 산업은 해방 이후 생존조차 어려운 식량난을 거쳐, 1970년대 경제 개발이 성공적

으로 이루어지면서 식품의 양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서구 사회가 오랜 기간 동안

이룩한 농경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의 변화를 우리 사회는 단기간에 압축하여 겪었는데, 이에

Page 42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15

따라 식품의 질적인 차별화에 대한 욕구도 빠르게 표면화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식품

기술이 아직 외국기술의 모방 단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고, 기업들도 품질을 통한 경쟁보다

는 급증하는 소비를 충족하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한 양적 팽창에 보다 주력했다.

이 시기 공공 부문의 식품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와 농어촌개발공사의 식품연구

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KIST에 초창기 설치된 14개의 연구실 가운데 식품 분야와 연관된

것은 수산물이용연구실, 식량자원연구실이 있었으며, 이들은 식품・사료연구부, 식품생물공학

연구부 등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1985년까지 계속 유지되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6, p.195). UN식량

농업개발기구(UNDP/FAO)의 지원으로 1973년 1월에 농어촌개발공사 부설 식품연구소가

설치되어 농수산물 저장・처리 및 가공에 대한 시험 연구, 식품 제조 공정 및 품질 개선, 가공

기계 연구개발, 식품 포장에 관한 연구 조사 사업 등을 수행했다. 식품연구소는 국내외 선진

기술 정보의 수집・전파, 산업계에 대한 용역 지원과 현장 기술애로사항 해결, 교육 및 훈련

등 다양한 기술 지원 사업도 실시했다(농수산물유통공사, 2007, p.153). 또한 국공립 연구기관인 중앙전매

기술연구소는 1978년 3월에 인삼의 효능 연구와 인삼 가공제품 개발을 전담하는 재단법인

형태의 고려인삼연구소로 분리, 개편되었다.

민간 부문에서는 이미 여러 식품 기업들이 자체 연구소를 개설하여 신제품 개발 및 품질

개선 관련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자사의 매출 신장에 크게 기여했다. 가령 1973년 10월 진로주

조는 주류의 주질 개선과 신제품 개발, 한국 전래 주류의 과학적인 연구, 양주류 연구개발,

이와 관련된 발효 및 식품 연구를 목적으로 주류업계 최초로 주류연구소를 설치했다(진로그룹

70년사 편찬위원회, 1994, p.257).

1980년대 식품 산업은 1970년대까지의 품목 다양화를 넘어 국제화의 물결에 동참하기

시작했다. 경제 규모의 성장과 함께 계속된 식문화의 고급화와 다양화는 제품군을 더욱 확대시

켰고, 가계 소득 증대에서 비롯된 외식의 증가는 식품 산업의 규모를 급신장시켰다. 이런 국내

의 수요 증가와 함께 우리나라 식품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는데, 바로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올림픽이었다. 경기 기간 동안 선수촌에 공급된 국내의 각종 가공 식품

들은 우리나라 식품의 우수성과 좋은 맛을 세계인에게 알리는 기회가 되었고, 이는 다양한

판로를 통한 수출 증대로 이어졌다. 하지만 반대로 1989년 정부의 농림축수산물 수입 자율화

정책으로 인해 우리나라 식품 산업은 외국 식품의 도전에 직면하기도 했다. 이런 변화를 통해

국내의 식품 산업은 내수 시장만을 바라보던 시대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산업으로의

체질 개선을 요구받았다(이은경 외, 2013, p.215).

Page 43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16

한편 1970년대에 이룬 우리 사회의 급격한 산업화는 1차 산업의 생산력 증가라는 토대를

바탕으로 이루어졌고, 이렇듯 먹는 문제의 해결과 선진 산업화를 이루기 위해 1차 산업은

반드시 필요한 바탕으로 집중 육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농업 생산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했고

수확량도 크게 늘었지만, 1980년대 중반 이후 농어민의 소득은 늘어나지 않거나 다른 산업

종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문제점도 드러났다. 따라서 새로운 농어업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농어업 종사자의 소득 증대를 위해서는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했는데, 정부는

증산 위주의 농어업 정책을 가공 산업 육성으로 전환하여 각종 현실적 대안을 내놓았다. 그리고

농수축산물 생산자들도 원료 농수축산물의 판매에만 의존하던 방식을 벗어나 농수산물 가공

산업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전문성이 부족한 농어민이 직접 식품 가공 산업에 뛰어드는 일은

많은 위험을 안고 있었으며, 정부가 대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진행하는 상태에서 방향을

잘못 잡을 경우 농업 정책의 실패와 함께 자칫 농어촌의 기반도 흔들릴 수 있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식품 산업의 기반기술 개발과 기술 지원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국책연구소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한국식품연구원, 2008, p.106).

이 시기 국내에서는 KIST 유전공학센터의 식품 관련 연구 부문과 농수산물유통공사 종합식

품연구원, 농촌진흥청의 농업기술 개발연구소 농산물이용과, 농촌영양개선연구원, 축산시험장

이용가공과, 수산진흥원 이용가공연구실, 보건사회부 식품공업협회 식품연구소 등이 공익적

차원의 식품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KIST는 연구실 단위로 설치・운영해 왔던

식량 자원, 식품 가공, 수산물 이용, 농산 가공, 수산 자원, 축산 가공, 동물 사료, 응용 미생물,

응용 생화학, 응용 세포생물 등의 연구 분야를 1985년 2월 생명공학 부문으로 확대 개편하여

부설 유전공학센터에 합류시켰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6, p.471). KIST 유전공학센터의 식품 관련 연

구는 식품공학연구실, 식품생화학연구실, 식량시스템연구실, 영양생리연구실에서 수행했고

주로 산업계가 위탁한 용역연구와 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했다. 주요 연구 주제는 새로운 식량

가공과 식품 보존 기술 개발, 식품 소재 기능성 변환, 식품 제조 공정 자동화, 식품 신소재

개발, 식품 미생물 및 효소 이용 기술 개발, 기능성 축산물 생산을 위한 사료 개발 등이었다.

한편 농수산물유통공사 종합식품연구원은 국내 농수산물 가공 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적

해결 방안을 찾고자 설립되었다. 그렇지만 정부 투자 기관의 부설 연구소라는 한계를 벗어나기

어려웠으며 무엇보다 공사 입장에서는 매년 막대한 연구비 지출 및 국가가 부담할 기초 연구비

까지 떠안는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종합식품연구원은 이화학연구실, 미생물연구실, 응용연구

실, 유통연구실로 이루어진 연구부서와 기획정보실, 기술보급실, 규격관리실로 이루어진 기술

Page 43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17

관리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종합식품연구원에서는 농산물의 가공, 저장, 포장 연구와 농산물

가공업체들에 대한 기술지도, 교육 훈련 등의 기술지원, 식품 KS 표준화 사업과 같은 정책

연구를 수행했다(농수산물유통공사, 2007, p.155).

농촌진흥청과 수산진흥원에서는 일선 농어가에 적용 가능한 저장과 가공 기술 개발, 품종

및 육종에 따른 가공적성 연구, 농촌의 영양 개선 연구, 식품의 조리 가공 적정법 개발, 수산물의

위생 처리・저장・이용 연구 등 주로 생산과 연계된 단순 저장과 가공 수준의 연구를 수행했다.

공익적 식품 연구 관련 민간단체로서 1986년 7월 한국식품연구소가 「식품 위생법」 제52조

및 제53조에 의거하여 한국식품공업협회 부설 기관으로 설립되었는데,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식품 위생 검사 기관으로 지정되어 검사 업무도 수행했다(한국식품공업협회, 2000, p.269).

이들 연구기관의 연구 내용은 소속 기관의 주 기능을 보조하는 부분적인 식품 연구에 한정되

었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의 식품 종합 연구기관의 설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마침내

1987년 12월 농림수산부 산하의 국책 연구기관으로 재단법인 한국식품개발연구원이 설립되

면서 KIST 유전공학센터의 식품 및 사료 연구 부문과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종합식품연구원이

통합, 이관되었다(한국식품연구원, 2008, p.112). 한국식품개발연구원은 「과학기술분야 정부 출연 연구

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항에 의거 설립되었다. 이 연구원은

식품과 관련되는 분야의 공공적, 산업적, 과학적 가치를 지닌 연구개발 업무를 종합적으로

수행하여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조하고 국가 과학기술과 식품 산업 발전 및 농어민 소득

증대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식품 산업과 관련된 광범위한 연구 사업을 수행했다.

민간 부문의 경우, 식품 제조업체들이 자체적으로 설립한 20여개의 기업 부설 연구소나

연구실에서 자사 제품 개발과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으나, 몇몇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기술 개발 전문 인력의 부족과 연구개발 투자 부족으로 연구 활동이 전반적으로 부진하여

기술 수준도 낮은 편이었다(이계호, 1983, p.53).

1990년대에 들어 국내 식품 산업은 국제화의 물결에 큰 영향을 받았다. 수입 자유화로 인해

밀어닥치는 외국산 식품들에 맞서 국내 식품 산업계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한 제품들을 출시하는 전략을 취했다. 외국과의 경쟁에 대한 또 하나의 대응전략은

전통 식품의 상품화였다. 1980년대 말에 출시된 김치 및 각종 장류 등이 속속 상품화되어

품목이 다양해졌고, 제과류에서도 조청 유과 등의 상품이 개발되었으며 음료류에서는 식혜,

수정과 등의 전통 음료가 상품화되며 큰 인기를 끌기도 했다(이은경 외, 2013, p.259). 이런 전통 식품의

Page 43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18

상품화 움직임과 연계하여 1991년 10월 농림수산부는 우수한 전통 식품에 대해 정부가 품질을

인정해주는 전통 식품 상징 표지를 부착하도록 하는 전통 식품 품질 인정 표시 제도를 실시했다.

1990년대 중반은 한국 사회가 세계화의 물살로 급변하는 시기였다. 1993년 12월 우루과이

라운드 타결은 모든 농산물의 수입 개방이라는 충격을 주었으며, 1995년 공식 출범한 WTO

체제로 우리 농산업과 식품 산업이 국제화라는 강한 파고를 직접 경험하기 시작했다. 이에

정부는 기술과 자본이 집약된 선진 농식품 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과감하게 투자하기 시작했

고, 농어민에 대한 융자도 크게 늘였다. 구체적으로 농림부는 농어촌 특별세를 재원으로 하여

농림 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 이용하고 농림업의 국제 경쟁력을 향상시킨다는 목표 아래

R&D 사업으로서 농림 기술개발 사업을 출범시켰다. 또한 농림기술개발 사업을 관리・운영하

기 위해 1995년 9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설 기관으로 농림수산기술관리센터(ARPC)를 개

소했다(한국원예학회, 1996, p.36). 이 기관은 1998년 4월 소관 부처의 변경으로 인해 농림기술관리센

터로 개편되었다.

다른 한편 1990년대에는 고름 우유 논란 및 컵라면 용기 환경 호르몬 논란이 발생하며

식품의 안전성 문제가 부각되었고, 점차 유전자 변형 식품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이와 관련하

여 1995년 12월 정부는 「식품 위생법」 제 32조 2항으로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조항을 신설함

으로써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제도를

도입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또한 1996년 12월부터 식품 위해 요소 중점 관리

기준을 고시하여 본격적인 적용 체제를 구축했으며, 1997년 11월에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을

HACCP 교육, 훈련 및 기술 지원 기관으로 지정했다. 그리고 1996년 9월 보건복지부는 시중에

유통 중인 불량 식품을 회수, 폐기 처분하는 식품회수(recall) 제도를 본격적으로 실시했다.

축산물에 대한 HACCP은 농림수산부가 2006년에 축산물 HACCP기준원을 별도로 설립하여

운영하다가 2008년에는 축산물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으로, 2014년에는 축산물안전관리인

증원으로 변경하였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07년에 HACCP 사업 지원단을 설립 운영하

다가 2014년에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으로 독립시켰다. 식품위생법에 따른 한국식품안전관

리인증원과 축산물 위생관리법에 따른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법률 제14026호)에 의거 2017년 통합되어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이 되었다.

이 무렵 정부는 종래의 식품 관리 행정의 한계를 경험하면서 1996년 4월 보건복지부 내에

식품의약품안전본부를 설치하고 5개의 안전평가실(식품, 식품첨가물, 의약품, 생약생물학적제

Page 43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19

제, 의료기기)과 6개 지방청을 두어 가공 식품의 안전성에 관한 시험 평가 및 전반적인 관리

체제를 갖추었다(이철, 성락춘, 2007, p.366). 이후 식품의약품안전본부는 1998년 2월 식품의약품안전

청으로 승격되어 식품 안전성에 대한 조사・연구・평가를 포함한 식품 및 의약품의 안전 관리

전반에 관한 업무를 총괄했다.

1990년대 중반의 식품 R&D는 국내 식품 산업의 대외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산

농수산물의 가격을 지키고 농어민의 소득을 증대하기 위해 새로운 수요 창출에 초점을 맞추었

다. 경제 성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장 동력이 떨어지는 농업 소득을 보전하기 위해 정부는

성장의 여지가 많은 식품 산업의 부가 가치를 농외 소득원으로 개발하고자 적극적인 R&D

투자를 추진했다. 이에 한국식품개발연구원은 정부에서 추진 중인 농어업 기반 구축을 위한

기술 개발 사업을 적극 수행했다. 연구원은 농어민이 실제 가공 사업에 참여하면서 겪는 기술적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했으며, 식품 수입에 대응하고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국내산

농수산물의 고부가 가치 상품을 개발하는 데 주력했다. 아울러 농수산물 유통 및 가공 분야의

현장 애로사항을 타개하는 기술 개발과 전통 식품의 수출 상품화 연구, 중장기적 식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첨단기술 개발 등에 역점을 두고, 출연금 사업을 포함한 농림부의 농림

기술 개발 사업, 과학기술처 특정 연구 사업, 보건복지부의 보건의료기술연구 사업 등 다양한

정부 R&D 사업을 수행했다(한국식품연구원, 2008, pp.138~148).

이렇듯 다양한 변화를 겪던 식품 산업은 1990년대 후반 소위 IMF시대에 진입하게 되면서

큰 위기를 맞았다. 전통적인 식품 기업은 물론이고 수많은 중소업체들이 인수 합병되었고,

이 과정을 통해 국내 식품 산업계는 대기업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국내 식품 시장이 전면

개방되면서 무한 경쟁 시대에 직면했고, 정부의 과학기술 육성 정책에 따라 한국식품개발연구

원을 포함한 대부분의 과학기술계 정부 출연 연구소는 1999년 1월 국무총리실 산하 연합이사

회11)로 그 소속이 변경되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6, p.87).

다. 식품 산업의 성숙기(2000년대 이후)

2000년대 식품 산업계의 화두는 웰빙(well-being)이었다. 국민의 식생활에서 식품의 양적

섭취보다 건강이나 안전을 고려한 식품의 질적인 측면으로 관심이 옮겨지면서, 고품질 농산물

에 대한 수요 증대는 물론, 각종 식품분야에서 건강과 웰빙, 다이어트 등을 표방한 건강 보조

식품들이 출시된 것이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해 정부도 각종 법규 및 제도 제정을 통해 식품의

안전성을 중시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에 쏟아져 나온 건강 기능 식품을 관리하기 위한 「건강

Page 43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20

기능 식품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으며, 유전자 재조합 식품에 대한 표시 기준도 마련되었다.

「제조물 책임법」 제정을 통해 식품 분야에서도 생산자가 제품에 책임을 지도록 하는 법규를

마련했으며, 「식품 안전 기본법」이 제정되었다(이은경 외, 2013, p.298).

이 시기에는 거스를 수 없는 개방의 대세 속에서 식품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첨단 핵심 기술 개발이 필요했다. 또한 식품의 생리 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 기능 식품 개발이 요구되었고, 농수산물의 장기 저장 기술과 신선 농산물

의 일관 유통 시스템 구축 지원에 대한 기술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우리 식탁을 넘나드는

유전자 변형 농산물과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원으로부터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

는 기술연구개발도 이 시기에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었다(한국식품연구원, 2008, p.159).

2004년 10월 「과학기술 분야 정부 출연 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

공포, 시행됨에 따라 한국식품개발연구원은 그 명칭을 한국식품연구원으로 변경하고, 식품

안전성과 품질 평가가 강화된 건강 기능 식품, 국가 전략적 중심연구 분야인 식품생명공학

등의 연구개발 분야를 확대했다. 이에 따라 설립 초기부터 가져왔던 기관의 임무를 ‘농어민의

소득증대에 기여’에서 ‘식품의 가치 향상을 통한 국민 삶의 질 제고’로 바꾸는 등의 변화를

시도했다(한국식품연구원, 2008, p.190).

한편 2007년 12월 정부는 「식품 산업 진흥법」을 제정하여 국내 식품 산업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했다. 그동안 식품 산업은 관리・감독과 규제 위주의 정책 대상이었을

뿐 산업진흥 및 장기육성을 위한 정부 정책이 부족했으나, 2008년 이후 정부는 정부조직

개편에 따른 농림수산식품부 신설, 국정과제 채택, 「식품 산업 진흥법」 시행 및 종합 대책

수립, 식품 R&D 중장기 계획 수립 및 별도의 식품 기술 개발 사업 신설, 신(新)식품 정책

추진 등의 노력을 통해 산업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식품 산업의 성장은 농수축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며 서비스산업의 활성화로 직접 연계되므로, 정부는 농산업 선진화와 식품제조・

서비스업의 체질 개선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식품 분야 R&D 지원을 강화했다. 이와

관련하여 농림수산식품부의 연구관리 전담기관인 농림기술관리센터는 2009년 9월 기존 농림

축산 분야에 수산과 식품 분야를 포괄하는 형태로 개편되어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iPET)으로 재출범했다. 이후 2013년 12월 「해양 수산 발전 기본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수산 식품 연구개발 사업을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KIMST)로 이관했다(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2013). 현재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에서는 농식품 분야의 R&D 정책 수립, 추진, 기획,

관리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Page 43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21

2000년대 후반 이후 식품 산업계의 또 다른 특징은 식품의 고급화였다. 즉 빈번한 해외

여행을 통해 외국 식품들을 접하며 너무나 다양해진 소비자의 입맛을 충족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새로운 제품 개발에 공을 들였던 것이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각종 즉석 식품의 다양화

와 소스류의 생산이었다. 즉석 식품은 즉석 밥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다양한 상품들로 개발되었

고, 소스류 역시 서구화된 식생활을 반영하여 매우 다양하고 고급화된 품목들이 생산되기

시작했다. 고급화 열풍은 장류 저염화 바람으로 이어졌고, 주류 시장에도 영향을 미쳐서 전통주

막걸리가 고급화를 통해 큰 인기를 얻었으며 수출을 통해 외국에서도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이은

경 외, 2013, p.298). 앞으로도 식품의 고급화, 건강 중시, 편의성 제고 경향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8-3] 농림식품 R&D 추진체계

자료: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홈페이지 (http://www.ipet.re.kr/Policy/Propel.asp),

현재 정부의 식품 R&D 투자는 여러 부처에 거쳐 중복되고 세부 지원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의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국가과학기술심의회를 통해 정부 R&D

Page 43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22

투자의 효율화를 꾀하고 있다(김은정 등, 2013, p.46). 「제3차 과학기술 기본계획」(2013~2017)은

농림축산 식품의 고부가 가치화, 해양 수산의 미래 산업화, 식량 안보와 식품 안전 향상을

추진 과제로 선정하여, 정부의 국정 과제 속에 식품 분야를 정책적으로 연계하고 있다. 또한

2013년 이후 수립된 부처의 중장기 계획은 추진 전략 및 중점 투자 분야를 과학기술 기본계획

의 전략과 연계하여 추진 근거 및 정합성을 확보했다. 예를 들어 「농림식품 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15~2019)은 R&D 시스템 혁신, 기술 기반 창업 생태계 조성, 중장기 R&D 활성

화 토대 마련을 추진 전략으로 설정하고, 농식품 과학기술 수준을 세계 최고국 대비 2014년

76%에서 2019년 87%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해양수산 R&D 중장기계획」(2014~2020)은

해양수산 생명 자원의 산업화 및 전통 수산업의 미래 산업화를 추진 전략으로 설정했으며,

이를 위해 수산 종자 육성 및 산업화 기술, 수산물 안전 및 유통 선진화 기술 등에 집중한다.

또한 「제3차 식품 안전 관리 기본계획」(2015~2017)은 위해 요소 사전 예방, 환경 변화 선제

대응 및 소통 확대, 상시 안전 관리 강화, 건강한 식생활 환경 확충을 추진 전략으로 설정하고

식품 안전 관련 R&D를 진행한다(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6, p.78).

구체적으로 정부 지원의 식품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식품의 안정적 공급과 품질・안전관리

및 기술 융합을 통해 고부가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식품 산업을 성장 동력 산업으로 육성하고자

추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농림축산식품부의 고부가 가치 식품 기술 개발 사업, 농촌진흥청의

농축산물 부가 가치 향상, 친환경 안전 농축산물 생산 기술 사업,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

등 안전 관리, 축・수산 안전 관리 과학화 사업, 해양수산부의 수산식품 산업기술 개발 사업,

미래창조과학부의 한국식품연구원 연구 운영 사업 등이 대표적이다.

2. 식품 R&D 주요 성과

가. 해방 이후 식품 산업의 태동기

일제 강점기 동안 우리나라의 식품 산업은 일본인이 투자한 공장에서 생산한 제과나 음료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그렇지만 이들 회사는 일본인에 의해서 운영되었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

에서 우리나라의 식품 산업이라고 부르기 힘들고 제조된 물품 또한 매우 제한적이었다. 해방을

맞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식품 산업이 자리 잡기 시작했으나, 곧이어 터진 한국전쟁으로 인해

식품 산업 역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우리나라의 식품 산업은 195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1950년대에 식품

Page 43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23

산업계에서는 먼저 삼분(三粉)에 해당하는 설탕과 제분 산업이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이어

청량음료와 빙과류, 조미료, 맥주 등도 출시되어, 우리 손으로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1950년대는 한국 식품 산업의 태동기라고 평가할 수 있다(이은경 외, 2013, p.130).

1960년대에 들어서 식품 산업이 본 궤도에 오르며 정착하기 시작했다. 1961년 이후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한 경제 개발 계획에 힘입어 식품 산업도 크게 발전했다. 미국에서 무상 원조로

들여온 밀을 가공하는 제분 산업과 함께 제당 산업을 필두로 이를 활용한 제과, 제빵, 유지가공

품, 조미료, 수산물 통조림, 장류, 두부류, 음료 산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제2의 주식이라고도

일컫는 라면 산업도 이때인 1963년에 시작했다. 1960년대 식품 산업은 매년 평균 약 18%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고속 성장했다. 이는 중화학 공업, 광업, 경공업 성장률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였다.

그러나 원료를 공급하는 농업 성장률이 3.8%에 그쳐, 이 시기에는 식품 산업에 필요한 원자

재를 외국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는 경제가 좋아지면서

기호품, 유가공품, 유지 가공품 등 고가 식품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기 시작했다(한국식품과학회,

1998, pp.279~280). 하지만 이때까지도 식품 산업에서 기술 개발과 연구는 매우 미약했다.

나. 고도 성장기의 식품 산업 발전

1970년대 우리나라는 고도의 경제 성장을 이루며 수출을 크게 확대했다. 1인당 국민소득

1000 달러를 넘어서면서 식품 산업도 크게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1970년대 식품

산업과 관련한 가장 큰 특징은 쌀 자급을 달성하면서 식생활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점이다.

다양한 식문화가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맛을 추구하는 식품 산업이 성장 동력을 얻게

되어 인스턴트식품과 기호식품, 유지 가공품 시장이 크게 성장했다(이은경 외, 2013, p.170).

소득 수준 향상에 따라 내수 시장도 팽창하고, 월남 파병과 중동 건설 등으로 해외로 거주하

는 교민이 늘게 되자 가공 식품에 대한 수출시장도 커졌다. 월남전에 쓰이는 전투식량을 국내

기업이 공급함에 따라 통조림 업계는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이때 축적한 기술은 이후 과실

통조림 기술로 이어졌다. 기술면에서 아직은 본격적인 연구개발 단계에까지 이르진 못했지만,

가공 기술과 발효 기술을 중심으로 몇몇 성과를 도출하기도 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1970년 홍삼과 홍삼정 건조 연구를 시작했다. 1975년에는

홍삼 공장 제품 가공실을 무균으로 운영할 수 있는 위생 설비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연구를

Page 43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24

통해 홍삼을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기술과 시설을 개발했다. 이로써 전매청이 관할하는 홍삼

수출과 내수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6, p.66).

농어촌개발공사의 식품연구소는 보리 소비를 확대하려고 보리 후레이크와 청량음료를 개발

해 기술을 전수했다. 또 양송이와 밤, 복숭아 같은 농산물을 가공하는 기술과 수산물 건조

기술을 개발해 산업계에 보급했다(농수산물유통공사, 2007, p.156). 제일제당은 1972년부터 6년 동안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세계 두 번째로 직접 발효 배양법으로 핵산을 제조하는데 성공하여,

핵산 조미료를 만들어 판매했다(전북대학교, 2013, p.207).

1980년대 식품 산업은 국제화 물결에 동참하여, 식문화의 고급화와 다양화에 맞게 제품군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국내적으로는 가계 소득 증대와 외식의 증가 등으로 식품 산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고,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을 통해 한국 식품 산업의

세계화와 수출 증대를 꾀하기도 했다.

이 시기에 괄목할만한 현상은 레토르트 식품의 출현이다. 라면과 같은 즉석 건조 식품과

달리 레토르트 식품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더운 물에 덥히거나 전자레인지 오븐에서 가열만

하면 바로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큰 호응을 얻었다. 산업계에서는 경제적인 레토르트

식품을 생산하기 위해 멸균 공정과 무균 포장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했다(한국식품과학회, 1998,

pp.280~282).

또 건강을 염려하는 다이어트 열풍에 힘입어 설탕을 대신하는 아스파탐, 올리고당, 솔비톨

같은 감미료에 대한 연구개발과 제품 생산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유가공 산업에서는 유통

체계를 혁신한 콜드체인 시스템을 도입하기도 했다(이은경 외, 2013, p.215).

1990년대 들어 국내 식품 산업은 국제화 물결에 큰 영향을 받았다. 수입 자유화로 인해

밀어닥치는 외국산 식품에 맞서기 위해 국내 식품 산업계는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며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한 제품을 출시하는 전략을 취했다.

자유무역에 의해 대량으로 유입하는 수입 농수축산물과 외국 식품에 대한 안전성은 전 국민

의 관심사였다. 이에 따라 생물학적, 화학적 위해 물질 검출과 평가 기술에서도 수준 향상이

이어졌다. 또 위해 미생물과 해충을 제거할 수 있는 살균과 방제 방법, 천연 소재 식품 첨가물

같은 연구개발도 추진해 기술을 확보했다. 특히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절차에 따라

농약, 중금속, 미생물, 아플라톡신 규격 등을 설정했다. 다이옥신과 내분비계 장애 물질 함량

측정과 평가기술도 확립했다(과학기술부, 2008, p.556).

Page 43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25

외국과의 경쟁에 대한 또 하나의 대응 전략은 전통 식품의 상품화였다. 1980년대 말에

출시한 김치와 각종 장류를 속속 상품화하며 품목을 다양화했다. 과자류에서도 한과, 유과

같은 상품을 개발했다. 음료에서는 식혜와 수정과 같은 전통 음료를 상품화해 큰 인기를 끌었다

(이은경 외, 2013, p.259).

국내 기술로 개발한 벼 수확 후 일괄 처리 시스템인 미곡종합처리장을 정부의 농어촌 구조

개선 사업의 하나로 1991년 시범사업 2개소로 출발해 1999년 말 전국에 300여 개소를 설치하

고 운영했다. 이로써 1년 내내 품질이 균일한 쌀을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1993년에는 상온에서 6개월 이상 보관할 수 있고 간편하게 갓 지은 밥맛을 느낄 수 있는

무균 포장밥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이로써 국내에 즉석 취반 포장밥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초석을 마련했다. 한편 신선 농산물의 품질을 관리하기 위해 수확 후 처리 기술로

예냉 기술과 차압 예냉 시설 표준 설계도를 개발했다. 이를 정부의 산지 유통 시설 건설 사업과

시설 원예 생산 유통 지원 사업에 활용했다(한국식품연구원, 2007, pp.11~22).

[그림 8-4] 한국형 미곡종합처리장

다. 웰빙과 글로벌 시대의 식품 산업 고도화

2000년대 식품 산업계가 웰빙을 화두로 삼으면서 식품에서도 기능성과 안전성, 편의성을

추구하는 고부가 가치 가공 식품 생산과 시장이 크게 늘어났다. 또 WTO 체제에서 수입 식품과

치열하게 품질 경쟁을 벌이게 되면서, 소비자의 식품 건전성과 안전성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졌다. 이에 유전자재조합 식품을 구별할 수 있는 공인검사법, 대규모 식품 제조업소와

단체 급식처에 대해 위해 요소 중점 관리 기준(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HACCP) 지정 확대, 방사선 조사 식품 검지 기술, 식품 유래 병원성 미생물을 신속하

게 검출하는 기술 등을 확립했다.

Page 44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26

이어서 식품을 통한 항생제 내성에 관한 연구와 항생제 내성 저감 기술, 식육 원산지 판별

기술도 개발했다(과학기술부, 2008, p.557). 또한 정부 지원 사업을 통해 위생적인 고품질 고춧가루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첨단 가공 기술과 청결 고춧가루 제조 시스템을 개발해 보급했다.

2006년 전국 주요 고추 산지에 다수의 청결 고춧가루 가공 공장과 고추 종합 처리장을 설립했

다(한국식품연구원, 2007, p.12).

2000년대 후반 식품 산업계는 다양해진 입맛에 맞춰 식품 고급화에 나섰다. 식품 산업계는

매우 다양하고 까다로워진 소비자 입맛을 충족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데 공을 들였는데, 특히 즉석식품이 매우 다양해졌고 소스류 생산도 크게 늘었다. 즉석식품은

즉석 밥 시장 성장과 더불어 다양한 상품 개발로 이어졌다. 소스류에서는 서구화한 식생활을

반영해 매우 다양하고 고급화한 품목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레토르트식품은 저조한 판매로

사양길로 접어들었다. 그런데 이때 대규모 상용 동결 건조 기술을 개발하면서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즉석 동결 건조 식품의 출현으로 전통 식품을 인스턴트식품으로 변화시키는 일이

급속하게 진행되어, 이 시장이 크게 확대되었다.

고급화 열풍으로 장류 저염화나 막걸리의 고급화 등 전통 식품의 고급화가 이어졌고 수출로

이어지기도 했다(이은경 외, 2013, p.298). 또한 한식 세계화 정책의 영향으로 전통식품에 대한 과학적

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청국장의 당뇨 예방 효능, 김치의 혈류 개선 효능과 조류

인플루엔자 억제 효능, 인삼의 당뇨 합병증 예방과 항스트레스 효능, 홍삼의 신규 유효 성분

규명과 증진 같은 전통 식품의 과학적 우수성을 규명한 다수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전통식품

의 상품가치 제고에 크게 기여했다(한국식품연구원, 2008, pp.188~222).

최근에는 생물공학기술(BT), 나노기술(NT), 정보기술(IT) 같은 신기술을 식품 산업에 접목

시켜가고 있다. 이 기술들은 일반 식품은 물론 건강 보조 식품, 특수 영양 식품 같은 건강

기능 식품의 생산기술에 이용하며, 신선 농식품의 저장, 유통 기술과 안전성 향상에도 한몫을

하고 있다. 기업들은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효소 생물 전환 공정을 독자적으로 구축했다. 이

시스템으로 타가토스, 알룰로스, 자일로스 같은 기능성 대체 감미료를 생산하고 있다(CJ 제일제당

블로그, http://blog.cj.net/1878).

한편 정부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식품 섭취에 의한 한국인 체내 건강 유지와 질병 발생에

관여하는 바이오마커 정보를 확보했다.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개인 맞춤형 질병 예방

식품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개발하고 있다. 새로운 생리 기능 소재 연구개발 성과로 해조류

Page 44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27

감태로부터 추출한 플로로탄닌 같은 성분에서 수면 유도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 이어서

국내 최초로 수면 개선 건강 기능 식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개별 인정을 획득해 부작용이

없는 천연 수면제를 상품화하는데 성공했다. 이 외에도 감귤 과피 추출물로부터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기능의 나리루틴 발굴, 쌀겨인 미강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의 면역 증진 효과, 복령

피 추출물의 알레르기 억제 효능,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피부 미백 효과, 생물 전환 기법에

의한 발효 마늘의 항암과 항동맥경화 기능 성분 증가 등을 확인했다.

식품 유통 분야에서는 세계 최초로 웹기반의 포장 식품 품질 모니터링 기술과 품질 예측

시스템을 개발해 단체 급식용 식자재를 관리하는데 유용한 스마트 품질 유통 시스템을 구축하

는데 활용했다. 또 벌레나 플라스틱 같은 연질성 식품 이물질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광학 영상 기술도 개발했다. 앞으로 식품 안전사고 예방과 불량 식품 근절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전통 장류에서 혈당 상승 억제 효능 물질을 생산하는 미생물 발굴, 콩 발효 식품의 생체

이용 해석, 청국장 고분자 다당류 성분의 면역력 증진 효과 입증, 막걸리 항암 성분인 파네졸,

스쿠알렌 발견 같은 연구 성과 도출로 전통 식품을 세계화하는 데에도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다(한국식품연구원, 2014, pp.15~95;한국식품연구원, 2015, pp.12~53;한국식품연구원, 2016, pp.10~52).

3. 식품 분야의 미래 전망

우리나라 식품 산업은 식품 제조 및 외식 부문을 포함하여 그 시장규모가 2012년 기준

153조 원으로 국가 전체 GDP의 12.0%를 차지하는 필수 산업이다. 또한 국가 GDP 성장률

대비 높은 성장을 이루어 왔으며 관련된 농산업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

평가원, 2015, p.11).

그동안 식품 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정부의 지원이나 배려를 충분히 받지 못한 채, 사회

환경의 변혁에 대응하는 자생적 노력을 통해 국민의 영양 공급과 즐거운 식생활 영위에 크게

기여했으며, 식품 산업체와 소비자인 국민의 공동노력으로 오늘날까지 발전해 왔다고 볼 수

있다. 다행히 근래에 들어 정부는 식품 산업의 성장이 농수축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며 서비스산

업의 활성화로도 직접 연계됨을 인식하고, 농산업 선진화와 식품제조・서비스업의 체질 개선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R&D 투자를 비롯하여 다양한 식품 산업 진흥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비록 규모 면에서 민간 부문의 R&D 투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신제품

Page 44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28

개발이나 제품 개선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정부 R&D 지원은 식품의 공공재

적 성격, 비전유성 등을 감안하여 공익적 기초 기반 연구에 무게 중심을 둘 수밖에 없다. 이런

측면에서 식품 산업은 그동안 식품 R&D를 통해 식품에 관한 폭넓고 깊이 있는 지식, 정보를

축적하여 국민에게 제공함으로써 산업화 사회에서 지식기반의 정보화 사회로 전환하는 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과거의 단순가공 제조업에서 벗어나 고부가 가치 식품 산업으로

도약, 발전한 식품 산업은,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서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 왔고, 국민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공헌해 왔다고 볼 수 있다.

세계적으로 식품 산업은 건강, 장수, 즐거움, 안전성, 편리성, 지속 가능성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 소비자・인간 중심의 R&D를 통해 식품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

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주요 선진국에서는 인체 유전자 정보를 활용하는 유전체학

(genomics), 단백질체학(proteomics), 대사체학(metabolomics) 등의 omics와 생물정보

학 기술을 기반으로 각종 질환 예방, 노화 억제, 영양 관리 등과 연계한 기초・응용연구를 확대

하고 있다. 우리도 성별, 연령, 체질 등의 소비자 맞춤형 기능성 식품 소재와 제품 개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가공, 저장 중 기능성 성분의 변화, 생체 내 이용률 증진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따라서 생산-가공-섭취-체내 전달-효능에 이르는 일련의 연구를 통해 기초・응

용연구와 제품 개발, 산업화를 연계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산업적 측면에서 볼 때,

융・복합 기술 확산, 식품 생산 가공 기술 고도화, 수출 지향 글로컬리제이션(glocalization),

소비 트렌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으며,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도 식품 및

영양 안보, 식품 안전 확보, 사회적 신뢰 및 공유가치 확산 등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 성과의 도출이 요구된다.

집필 이 주 량 (농업과학)

박 교 선 (농업과학)

홍 석 인 (식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농촌진흥청 과장

한국식품연구원 책임연구원

Page 44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29

참 고 문 헌

과학기술부 (2008), �과학기술 40년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농업의 신성장 동력화를 위한 기술 혁신의 역할과 기능�.

국가과학기술심의회(2016), �2017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미래창조과학부

김두호 (2015), “농업 R&D로 농・생명산업의 지속적 발전과 변화 선호”, �과학기술정책� 208, pp.12~19.

김은정, 홍미영, 안지혜 (2013), “식품분야 정부R&D 투자 전략성 제고방안 연구”. �R&D Inside and Insi

ght� 7, pp.46~66.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2015), �식품 R&D 중장기전략 수립연구�.

농림수산식품부 녹색성장정책관 (2013), �저미래 농업 포럼 보고서: 농업 5.0시대 미래농업 메가트렌드 대

전망�,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 (2016), �농업・농촌 70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수산물유통공사 (2007), �aT농수산물유통공사 40년사�.

농촌진흥청 (1995), �광복 50주년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엄 종합보고서�.

농촌진흥청 (2012a), �농촌진흥 50년사�.

농촌진흥청 (2012b), �우리 농업의 역사를 새로 쓴 50대 농업기술과 사업�.

농촌진흥청.(2008), �한국농업 근현대사 제 11권: 농업관련 조직 변천사�.

이계호 (1983), “식품연구사업 현황과 향후 추진 방향”, �식품공업� 71, pp.52~55.

이은경, 정원, 신미영, 김화선, 김민지, 박상일, 최현주 (2013), �한국 산업기술사(에너지 및 의약・바이오산

업군: 바이오・식품・양조산업) 조사 연구�, 한국산업진흥원.

이주량 (2013), “미래 농업 R&D의 이해와 우리의 선택,” �과학기술정책� 23: 4-18.

이철, 성락춘 (2007), �인간과 식량�, 고려대학교출판부.

잭 클로펜버그 2세, 허남혁 역 (2007), �농업 생명공학의 정치경제�, 나남.

진로그룹 70년사 편찬위원회 (1994), �진로그룹 70년사�, 진로그룹.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3), �2012년 기술수준평가 - 120개 국가전략 기술�, 미래창조과학부, pp.347~34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6), �KIST 50년사 1966-2016�.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4), �2013 식품 산업 R&D 현황 조사�, ㈜코리아데이타네트워크.

한국식품공업협회 (2000), �식품공업협회 30년사(1969∼1999)�, 한국식품공업협회

한국식품과학회 (1998), �한국식품과학회 30년사�, 한림원.

한국식품연구원 (2007), �한국식품연구원 우수 연구성과 20선�,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2008), �한국식품연구원 20년사�,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2014), �한국식품연구원 2013년 연보�,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2015), �한국식품연구원 2014년 연보�, 한국식품연구원.

Page 44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30

한국식품연구원 (2016), �한국식품연구원 2015년 연보�,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원예학회 (1996), “기관소개�농림수산기술관리센터”, �원예학세계� 1(3), pp.36~37.

한국콩연구회 (2001), “식품 업체 탐방: ㈜샘표식품 부설연구소”, �한국콩연구회 소식� 179, pp.4~5.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2013), “수산식품 R&D관리, 해수부 산하 KIMST로 이관”, 한국해양과학기술진

흥원 보도자료(2013.12.24.)

OECD (2013), The Bioeconomy 2030

웹페이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홈페이지 http://www.ipet.re.kr/Policy/Propel.asp (2017년 5월 31일 최종 접속)

CJ 제일제당 (2016), “CJ 제일제당 ‘스위트리’ 알룰로스, 타가토스, 자일로스 3총사 이야기”, (http://blo

g.cj.net/1878, 2017년 5월 31일 최종 접속)

Page 44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8장농업과학・식품

431

미 주

1) 본 장의 정책사 부분은 농림축산식품부가 광복 70주년을 기념하여 2015년에 발간한 �농업・농촌 70년�의

제13장 농업 R&D에 수락된 저자의 원고의 내용을 요약, 재구성한 것이다.

2) 현재도 국가 농업 연구개발 기능은 농촌진흥청과 농림축산식품부로 이원화된 체계를 갖추고 있는데, 1950년대 초

에도 농업 연구개발 기능이 행정기관(농림부)과 연구기관(중앙농업기술원)으로 이원화된 체계였음을 알 수 있다.

3) 농가 소득 향상과 농업 생산력 증대를 위한 세부 정책으로는 적정 농가 유지, 경지 확대, 농산물 가격의 적정

유지, 영농 자금 확대 및 비료 보상 확보, 축산업의 기업화, 임산 자원 조성과 임야 복구, 농정의 민주화와

농업 단체의 민주적 관리, 수산업의 현대화 등이 추진되었다. 이러한 농업 정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제반

제도를 개선했는데, 「토지 개량 사업법」, 「개간촉진법」, 「식물방역법」, 「잠업법」, 「주요농산물 종자법」, 「농

산종묘법」 등을 제정 공포했고, 경지확대, 수리개량, 종자갱신에 대하여 정부의 지원을 제도화했다. 「비료단속

법」, 「농업창고법」, 「농산물검사법」, 「잠사가격 기금안정법」, 「농어촌 고리채 정리법」, 「토지개량사업 장기채

정리 특별조치법」, 「농사 대여양곡법」, 「축산법」, 「가축전염병 예방법」, 「수의사법」, 「축산물 가공처리법」 등

농업과 농촌진흥을 위한 임시조치법도 서둘러 제정되었다.

4) 1957년 「농사교도법」 시행에 따라 각종 시험 연구 조직을 통합하여 농사원이 설립된 후에도 농민 기술 지도

사업이 농사원의 농사교도사업, 농림부 행정계통의 농사교도사업, 농림부 지역사회국의 지역사회개발사업, 농협

또는 토지개량조합 등의 농사지도 및 생활개선사업 등으로 일원화되지 못하고 다양하게 추진됨으로써 중복 내

지 비효율의 문제가 컸다. 방법에 있어서도 새로 도입된 민주적, 교육적 방식과 행정기관의 전통적인 행정 지도

방식이 혼재함으로써 농민들에게 혼란을 주고 관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는 등의 복잡한 문제를 낳기도 했다.

5) 1961년 군사정보 최고회의 국정감사에서 농촌지도체계의 일원화 문제가 제기되었고, 1962년 2월 국가재건

최고위원회의 내각사무처에 입법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농림부에 농촌지도기구 통합심의회의를 설치하여 지

도사업기구를 일반 행정기구에 통합하는 방안(농림부 안)과 일반 행정기구에서 독립하는 방안(농사원 안)을

대상으로 무려 6차에 걸친 심의와 검토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농림부(안)이 농사원(안)보다 다수를 차지했으

나 결론을 얻지 못하고 두 가지 안을 동시에 농림부 장관에게 보고하게 되었다. 그러나 행정력을 바탕으로

한 권위주의적 농촌지도로는 지속적인 기술혁신의 성과를 기대할 수 없고 민주적인 교육방법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이미 경험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험연구와 기술보급의 연계가 필수적이라는 데 기초하여 농사시험연구와

지도기능을 통합하여 행정기구(농림부)의 외청으로 설치하는 방안이 최종 결정되었다.

6) 당시 국가 3대 핵심부처가 청와대, 국방부, 농림부이었을 정도로 식량자급은 국가정책의 최우선 과제였다.

7) 작물이 비료가 끼치는 해를 견디어 내는 성질을 의미한다.

8) 1977년은 우리나라가 식량자급에 성공한 해로서 녹색혁명이 완성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단보(10a)당 쌀

수량성(kg/10a)은 1960년 304에서 1977년 494로 62% 증수되었고, 1965년 350만 톤 수준이던 쌀 생산

량은 1977년 600만 톤을 넘어섰다.

9) 우리나라의 시설면적은 1970년 1300ha에서 1985년 28,588ha로 22배 증가하였고, 2012년 기준으로는

우50,598 ha로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이다(비닐온실 기준).

10) 「식품 산업 진흥법」 제2조,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 산업기본법 제3조

11) 3대 연구회(기초・산업・공공) 체제

Page 44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44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국방・재난안전

│제9장│

Page 44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44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35

제9장 ❚ 국방・재난안전

제1절 개요

이 장에서는 국방과 재난안전 분야의 과학기술 발전사를 다룬다. 두 분야의 발전 경로는

다르지만, 두 분야 모두 국가 안위와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한 장으로 묶었다.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사적 관점에서 보면, 국방과 재난안전 모두 과학기술적으로 미약한

상태에서 출발하였으나 연구개발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과 국가적 활용을 통한 종합적인

체계로 발전하였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분야들은 과학기술부와 별개로 각종 연구개발이 추진되어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

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지만 발전 역사와 행정사에 대한 내용들이 1,2권에 잘 다루질 수 없는

내용도 많아 여기에 포함하였다.

먼저 국방 과학기술은 군이 사용하는 고성능 장비의 소요 기획부터 최첨단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Research), 개발(Development), 생산 및 30~40년간의 운영 유지 후 폐기까지의 전

순기(Life Cycle) 동안 높은 신뢰도가 보장되도록 하는 기술적 특성이 있다. 여기에는 물론

국내 개발 대신 해외에서 도입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국방 ‘획득

체계’(acquisition system)이라고 한다. 군용 장비의 해외 도입의 경우는 전 수명주기 동안

기술적 경제적 국외 의존이 불가피 하지만, 국내 연구개발은 국가 과학기술 발전과, 고용 창출

및 수출을 통한 경제적 파급 효과는 물론, 안정적 군수 지원을 보장하는 획득 방법이다(방위사업청,

2008, pp.3~9, pp.56~59). 또 무기체계의 연구개발은 연구 개발 시험 평가(Research, Development,

Test and Evaluation, RDT&E)의 단계를 거쳐 완성되므로 높은 신뢰도를 보장하게 된다.

평가는 개발자의 개발 시험 평가(Development Test and Evalutaion, DT&E)가 끝나면 운용

자인 군이 직접 시험하는 운용시험(Operation Test and Evaluation, OT&E)에서 합격하여야

만 개발이 끝나고, 이어서 생산시의 공정 및 품질 보증 규격서를 만들어 양산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생산이 진행 되는 동안 개발자들은 소요군이 운용 및 정비 유지 할 수 있도록

각종 교범도 작성한 후 운용자에 대한 교육도 실시 하여야 최종적으로 개발이 완료된다.

Page 45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36

우리나라 국방 과학기술의 시대별 발전을 살펴보면, 1970년 당시의 안보 환경 변화에 따라

국방과학연구소(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ADD)를 설립하면서 체계적인 국방

연구개발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획득제도도 발전하여 왔다. 이후 2006년 방위사업청이

발족되면서 ADD주도에서 관주도로 국방연구개발 제도도 바뀌었다. 국방연구개발은 KIST보

다 4년 늦게 출범한 ADD를 중심으로 소총 화포 등의 기본 병기 국산화에서 출발하였으나

이제는 세계 최고 수준의 미사일, 전차, 전투함정, 전투기, 헬기, 군 통신 및 감시 정찰 장비

등을 개발하고 수출할 수 있는 세계 8~10위권의 국방연구개발 강국으로 부상하였다(신진교,

2011, pp.101~135).

한편 재난안전 과학기술은 정부의 안전 행정 체계 속에서 발전해 왔다. 해방 후 재난안전

행정의 초창기에는 풍수해나 가뭄 등 주로 자연 재난 중심의 방재 정책이 이루어졌다면, 1970

년대 이후에는 방재 및 소방 행정에서 과학적 대응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관련 연구개발

활동이 생겨났다. 특히 1990년대 삼풍백화점 붕괴 등 대형 재난이 발생하면서 재난안전 사건

에 대한 예방과 대응에서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부상했다. 이러한 활동들은 자연 재난과 인적

재난의 두 축으로 수행되어 오다가, 2004년 소방방재청의 설립을 계기로 재난안전 관리 행정

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재난안전 과학기술은 우리나라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사고와 재난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보호

하기 위한 특정 과학기술 분야로 볼 수 있다. 법적으로는 「재난 및 안전 관리 기본법」에서

정의하는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과학기술을 뜻한다. 행정 조직의

측면에서는 2017년 현재 국민안전처가 담당하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과학기술, 특히

방재와 소방 분야에 필요한 과학기술을 가리킨다. 재난안전 과학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종합적

인 정책으로는 2007년에 처음으로 수립된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이 있다.

이 계획은 국가 차원에서 재난안전 관련 연구개발을 포괄하고 있는 범부처적 정책이다. 국방

분야에 비한다면 재난안전 분야의 과학기술은 비교적 최근에 종합적으로 발전되기 시작했지

만, 향후 국가적, 사회적으로 필요한 공공 기술개발의 큰 축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Page 45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37

제2절 국방

1. 국방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초창기 국방 연구개발의 태동 (1970년대 이전)

우리나라의 국방 연구개발은 1948년 국군의 설립과 함께 시작되었다. 1948년 말 정부는

국군의 독자적인 무기 개발과 생산을 위해 육군 특별부대 산하에 육군병기공창을 창설하고,

육군, 해군, 공군과 경찰의 무기에 대한 정비 지원과 탄약 생산 업무를 수행했다. 이후 국방부

장관 직속의 국방부 병기행정본부로 개편하고, 산하에 제1조병창(부산)과 제2조병창(인천)을

두었다. 그리고 서울에 과학기술연구소를 신설하여 본격적인 무기 생산과 연구개발 기구로

새롭게 출발했으나, 불과 10일 후 6.25 전쟁을 맞이했다(국방과학연구소, 1989, pp.40~41).

이후, 과학기술연구소와 제1, 제2조병창은 여러 번의 조직 변화를 거친 후 1954년 7월

국립 국방부 과학연구소로 발전하였다. 국방부 과학연구소의 설립 시 중점 연구 분야는 무기와

탄약이었으나, 1950년대 후반 소유즈 위성 발사의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1,2,3단 로켓을 개발하고 1959년 7월 27일 인천 앞바다에서 발사시험도 성공하였다. 국방부

과학연구소는 1961년 8월 6일부로 해체되어 이후에는 육군, 해군, 공군 중심으로 무기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졌다(국방과학연구소, 1989, pp.46~47).

육군은 1961년 육군기술연구소를 신설하면서, 비상식량, 군용 피복 등에 관한 연구개발과

국방 규격 작성, 표준화 사업, 시험분석 등의 업무를 수행했으며, 1970년에는 육군 연구발전사

령부로 발전하였다(국방과학연구소, 1989, pp.48~49).

6.25 전쟁 이전에 제1충무공호를 건조하는 등 독자적 연구개발을 추진했던 해군은 1951년

3월에 함정국 산하에 해군과학연구소를 창설하여 독자적 연구를 시작했다. 해군과학연구소는

함정 건조, 특수 무기, 함정 전기, 전자 장비 등에 관해 연구했다. 해군은 미군의 잉여 항공기

부품들을 이용하여 ‘서해’ ‘해취’ 등의 수륙 양용 비행기도 개발하고 운영하였다(국방과학연구소,

1989, pp.49~50).

공군은 1952년 젊은 장교들이 자체 설계 제작한 ‘부활’호 경비행기를 이시영 부통령 임석

하에 초도비행을 실시하고 운영하였으며, 1958년 3월 제81항공수리창 내에 공군기술연구소

Page 45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38

를 창설하고 실험용 소형 로켓, 시험 전단 살포용 풍선, 2인승 글라이더 등을 개발했다. 한편

공군사관학교에서는 1970년대 초 교관들이 중심이 되어 무유도 로켓을 개발하고 실험하였으

며, 참여 교관들은 ADD 미사일 개발에도 기여하였다.

1960년대 말까지의 우리나라 국방 연구개발은 비록 당시의 국가 경제 능력, 과학기술 수준

과 산업 능력의 미흡으로 괄목할 만한 성과가 없었지만, 다양한 제도 발전과 항공기 로켓

분야 발전에서 초석을 거둔 의의가 크다(국방과학연구소, 1989, pp.50~51).

나. 국방과학연구소 중심의 국방 연구개발 체제 구축(1970년대)

1960년대 말이 되면서, 우리나라는 국방 연구개발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무엇보

다 북한은 1960년대 초 ‘4대 군사노선’(전 인민의 무장화, 전 국토의 요새화, 전 군의 간부화,

전 장비의 현대화)을 내세워 1961년부터 10여 년 동안 매년 GNP의 11~18%가 넘는 막대한

군사비를 투입, 군사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면서 1.21 무장공비 침투 등 다양한 도발을 하고

있었다. 한편 1969년 7월 25일 미국은 “미국은 아시아에서 맡아온 역할을 수행하되 아시아

각국의 안전은 자국의 자위와 지역의 협력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닉슨 독트린을 발표했고,

이로 인해 주한 미군의 철수 가능성이 고조되었다. 이런 대외 안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주

국방이 시급한 과제로 등장했으며, 방위산업 육성과 국방 과학기술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국방과학연구소, 1989, pp.57~69).

이에 정부는 1970년 초 KIST와 같은 민간 주도 국방 과학기술 연구소 설립을 추진하고,

그해 8월 특수법인으로 국방과학연구소(ADD)를 설립하였다(국방과학연구소, 1989, pp.57~69). ADD 창

설 이후 박정희 대통령은 방위산업과 중화학공업을 동시에 추진하기 위해 1971년 말 청와대에

경제 제2비서관을 임명하고 국방 연구개발에 대한 컨트롤타워로 하였다. 이에 따라 ADD는

1970년 말에 1차 번개사업과 1972년 초에 2차 번개사업을 추진하면서 기본 병기 국산화를

추진하여 우리도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이때 각 군의 유능한 초급 장교들

을 품질 검사 요원으로 차출하여 ADD에 복무하게 하였으며, 풍산금속 한화 등의 방산 전문

업체를 지정하여 정부가 지원하는 방위산업체 제도를 시작 하였다.

또 재래식 병기 국산화에 자신감을 가진 정부는 당시로서는 무모한 도전이었던 장거리 지대

지 미사일(백곰) 개발을 1973년부터 추진하여 추진제 공장, 기계가공공장, 풍동, 장거리 미사

일시험장 등을 건설하고, 전문가 초빙 제도 및 전문 연구원제도를 도입하여 우수 연구 인력을

Page 45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39

확보하여 1978년 9월 27일 역사적인 시사회를 가졌다. 연구개발 조직 측면에서도 ADD의

서울기계창은 육군용 장비를 특화하고, 대전기계창은 미사일 개발을, 진해기계창은 해군용

장비를 개발하도록 특화 하였다.

1970년대에는 「한국군 현대화 계획」(1971~1975)과 국군의 전력증강사업인 제1차 율곡 사

업을 통해 군 현대화에 주력했다(방위사업청, 2008, pp13~21). 이를 위해 1972년 국방부 방위산업 담당관

실과, 합동참모본부 작전기획국을 신설했다. 국방부 방위산업 담당관실은 1977년 방위산업차관

보실로 발전하고, 합참의 작전기획국 연구개발과도 제7국(연구개발국)으로 증편되었다.

긴급한 전력 증강을 위한 특별 예산 확보를 위해 1975년 7월 16일 정부는 1990년까지의

한시적 목적세인 방위세 제도를 신설하여 무기의 해외 도입 및 국내 개발 예산으로 충당하였으며,

이의 효율적 집행과 관리 감독을 위해 ‘대통령 특명 검열단’을 신설하여 운영하였다. 또한 상공부

의 방위산업 담당관실도 1979년 방위산업국으로 증편되었다(국방과학연구소, 1989, p.89; pp.121~122).

제1차 율곡사업의 추진을 위해 1972년부터 소요 기획 제도, 국방 획득 관리 제도, 국방

기획 관리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했다(방위사업청, 2008, pp.13~21).

초기 연구개발은 미국에서 제공한 개발 대상 장비의 기술 자료를 한국화하거나 견본품을

역설계하는 모방형 개발 방식을 채택했다. 1970년대 국방 연구개발의 경우, 국내 업체의 기술

력 부족으로 국방과학연구소가 기본 설계, 상세 설계, 시제 제작, 시험 평가, 품질 보증, 양산

지원 등 연구개발의 모든 단계를 전담했다. 심지어 생산 공정도 개발하여 관련 방위산업체에

이관하였다. 특히 품질보증 기술은 기업체의 민수품 규격화 정립에도 크게 영향을 주어 우리나

라 공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국방과학연구소, 1989, pp.90~96).

1976년 2월에는 방위산업체들의 대정부 협의 기구인 사단법인 한국방위산업진흥회가 발족

되고 정부는 방위산업 진흥 확대회의를 구성하여 자주국방과 방산지원을 적극 추진하였다(국방과

학연구소, 1989, p.122). 그리고 방산 장비와 물자에 대한 품질검사, 생산, 감독 등을 위해 1979년

11월에는 품질검사단을 국방과학연구소 부설로 창설했다(국방과학연구소, 1989, pp.135~137).

다. 국방 연구개발 체계의 발전과 정립(1980년~2005년)

1980년대에 들어 제5공화국 출범과 함께 국방 연구개발과 방위산업은 많은 변화를 가져왔

다. 방위 산업의 사령탑 역할을 했던 청와대의 경제 제2 수석실을 폐지하고, 국방부와 합참의

관련 부서도 축소하였다. ADD의 연구개발 방향도 수정하여, 미사일 관련 모든 개발을 폐지하

Page 45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40

고 1단계로 관련 연구원들을 퇴출한 후, 핵심 기술 연구를 위주로 하는 연구소로 바꾸어 본소를

대전으로 옮기고 연구원의 1/3을 감축하는 2단계 조직 정비를 단행했다(국방과학연구소, 1999,

pp.15~33).

그러나 1983년 북한의 버마 아웅산 폭탄테러 사건, 88 올림픽의 서울 개최 결정 등 변화된

안보 환경에 의해 국방 연구개발에 대한 정부 정책이 다시 강화되어 일부 축소되었던 국방

연구개발 사업은 다시 활기를 찾기 시작했다(국방과학연구소, 1999, pp.57~60).

무기가 복잡해지고, 그리고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주요 연구개발 사업들의 예산 규모가 커졌

고 개발 기간도 길어졌다. 정부는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미국의 획득 관리 체계인

PPBEES(Plan, Program, Budget, Execution, Evaluation System)를 도입했다. PPBEES

의 도입으로 국방 기획 관리 체계1)를 확립함에 따라, 1985년 국방 연구개발의 사전 분석

기능을 강화했고, 기술 도입 생산 및 해외 구매 절차도 체계화했다. 국방부는 획득제도를 제도

화하기 위해 해외 도입 또는 국내 개발 제품에 대한 전 순기 관리 규정인 「무기체계 획득

관리 규정」을 제정하여 PPBEES에 기반획득 제도를 확립하였다(방위사업청, 2008, pp.13~21).

국방 연구개발의 범위가 확대되면서 사업의 성격에 따라 정부와 방산업체가 연구개발을

분담하는 제도를 도입하여, ADD는 고도 정밀 병기와 경제성이 없거나 기밀을 요하는 분야를

담당하고, 업체는 모방개발이나 기술 도입 생산 등을 담당하였다(국방과학연구소, 1999, p.30). 또한

국방과학연구소 부설 기구로 운영 중이던 품질검사단을 모체로 1981년 7월 국방품질검사소가

창설되고, 1989년 10월 명칭을 국방품질관리소로 바꾸었다(국방기술품질원, 2011, pp.130~143).

1990년 초 세계적으로 독일 통일 및 소련의 붕괴 등으로 탈냉전 시대를 맞았으나, 북한은

지속적인 도발을 감행하였다. 국방연구개발도 많은 발전을 거듭했다. 체계적 연구개발을 위해

무기 연구개발은 개념 연구, 탐색 개발 및 체계 개발 단계로, 핵심 기술・부품 연구 개발은

기초연구, 응용연구 및 시험 개발 단계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다. 냉전 체제 종식은 국방비의

상대적 감축으로 이어져, 국방 부문의 연구개발 투자만으로는 필요한 무기 체계를 개발하는

데 부족했다. 또한 민수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개발 무기의 고도 정밀화에 따라 산・학・연과

의 실질적인 연구 협력 체계도 요구되었다. 따라서 정부는 국방 분야의 기초・원천기술 확보와

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대학을 중심으로 1990년 11월부터 국방 기초연구사업을 시작했다.

그리고 이를 확대한 개념으로 특정 연구 분야를 집중 육성하기 위해 1994년 12월에 기초연구

특화연구센터를 설립했다. 또한 1998년에는 민수와 군수 양쪽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민군 겸용 기술 개발을 추진했다. 과학기술부, 국방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가

Page 45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41

공동으로 「민군겸용기술사업 촉진법」 시행령 및 규정을 제정하여 법적 근거를 마련했으며,

같은 해 10월 민군겸용기술센터를 발족시켜 연구개발을 추진했던 것이다(국방과학연구소, 2007,

pp.115~119; pp.129~131).

한편 국방부는 기존의 장기 연구개발 목표 기획서를 정립하기 위해, 2004년에는 30년 장기

연구개발 대상과제를 식별하고 정부와 방위산업체 및 학계가 주도하는 과제를 사전 선별하여

공지하는 �국방 연구개발 정책서�를 발간하였다. 이 정책서는 후에 방위사업청이 개청된 후

�국방 과학기술 진흥 정책서�로 발전하였다.

다. 방위사업청 개청과 현재의 국방 연구개발 체제(2006년~현재)

정부는 2004년 초 무기 도입시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방위사업의 부정부패를 해결하기 위해

민・관・군 합동 국방획득제도개선위원회가 구성하고, 기존 획득 체계 전반의 문제점을 검토하

였다.(방위사업청, 2015a, pp.34~42).

국방획득제도위원회는 획득 사업의 투명성, 공정성, 효율성,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국방

부, 합동참모본부, 각 군, 조달본부 등 8개 기관에 분산되어 운영되던 획득 관련 기관 및 부서를

모두 통폐합하여 통합 무기체계 획득 주관 정부기구 설립을 건의하였고, 2005년 말 국회는

방위사업법과 방위사업청의 설립을 확정하였다. 이에 따라 2006년 1월 방위사업청이 개청되

었다. 방위사업청의 임무는 방위력 개선 사업의 효율적 추진, 군수 물자의 조달, 방위 산업의

육성 및 방위 사업과 관련된 사무를 추진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방위 사업 정책

및 집행 계획 수립, 방위력 개선 사업 중기계획 작성, 예산 편성 및 집행, 분석평가, 시험

평가 등 6개 기능을 수행하기로 규정되었다. 획득 업무의 투명성을 강조하기 위해 방위사업청

설립 이후 방위력 개선 사업의 추진은 관련 정부 부처, 국회, 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방위사

업추진위원회의 결정을 통해 진행되도록 법제화되었다(방위사업청, 2015a, pp.43~45).

국방 획득 체계의 중심이 국방부에서 방위사업청으로 옮겨감에 따라 국방 연구개발 절차도

변했다. 방위사업청이 무기체계 도입 및 생산 관리 뿐만 아니라 연구개발 사업의 승인, 조정,

통제 등의 전반적인 관리를 담당하게 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방위사업청은 연구개발

사업의 승인, 조정, 통제 및 사업 관리 등을, 국방과학연구소와 방산업체는 무기 연구개발

사업 주관을, 국방기술품질원은 품질관리를 책임지는 쪽으로 획득 업무의 역할이 정해졌다(방위

사업청, 2014, pp.50~51). 기술개발 사업의 경우, 방위사업청은 연구개발 사업의 승인, 조정 및 통제

Page 45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42

등을, 국방과학연구소는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핵심 기술의 연구개발 및 관리, 기초연구, 산・

학・연 주관 핵심 기술에 대한 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산・학・연은 기초연구 및 핵심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국방기술품질원은 방위사업청의 기획, 평가 등에 대한 지원을 담당하게 되었

다(방위사업청, 2016b). 즉 이제까지의 민 주도(ADD 주도)의 연구개발이 관 주도(방위사업청)로 전환

하게 되었다.

또한 국방과학연구소는 국가가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분야(전략・비닉 분야 무기 및

신기술 분야와 핵심 기술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방산업체는 기술 수준이 성숙한 일반 무기

및 핵심 기술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것이다.

방위사업청의 설립 과정에서 국방과학연구소의 부설 기관인 국방품질관리소는 2006년 2월

에 국방기술품질원으로 독립했다. 무기 품질 보증 역할에 한정되던 국방품질관리소는 국방

과학기술 및 무기에 관한 정보의 확보・유통・관리와 품질 보증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되었다(국방

기술품질원, 2011, pp.164~181). 또한 일반 무기 분야에 대한 방위사업청 및 군에 대한 기술 지원과

방산업체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2014년 4월에 국방과학연구소 부설 기구로 방위산업기술

지원센터를 설립했다. 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는 일반 무기 개발에 대한 기술 지원뿐 아니라

산・학・연 주관 핵심 기술개발 관리와 일반 무기에 대한 기술 관리도 담당하고 있다.

방위사업청과 ADD는 산・학・연의 우수한 연구 자원을 국방 연구개발에 활용하기 위해 민군

기술 협력 사업 확대, 국제공동연구개발 활성화 등 개방형 국방 연구개발 정책을 추진했다.

이 시기 우리나라는 최신 전술 미사일인 대함 미사일 ‘해성’, 휴대용 대공 미사일 ‘신궁’, 중거리

대공 미사일 ‘천궁’, 대전차 미사일 ‘현궁’, 대잠 미사일 ‘홍상어’ 등을 개발하고 전력화 했다.

세계적 조선 기술을 기반으로 대형 구축함도 전력화하였다.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한 기본

훈련기 ‘KT-1/KA-1’을 개발하고 수출했다. KT-1 기술 및 미국 LM사의 기술 지원 하에

초음속 고등 훈련기 ‘T-50/FA-50’도 개발하여 해외에 수출했다.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을

개발해 전력화했고 후속 경전투헬기도 개발에 착수했다. 각종 무인기도 개발완료 또는 개발

중이며, 4세대급 전투기인 KFX(한국형 전투기)를 개발하면서부터 우리나라는 군용항공기 최

대 수입국에서 자립국으로 발전하였다.

육상 장비에서도 K-9 자주포와 K-2전차를 개발하여 해외 수출을 이루었으며, 선진국에서

도 개발이 진행 중인 K-21 보병전투 장갑차와 K-11 복합 소총을 개발하였다. 또한 세계적

IT 강국으로서 전술 군 통신체계 및 민군 겸용 위성통신 체계도 개발하여 선진국 수준의 국방

연구개발 역량을 확보했다. 이런 연구 성과는 방산수출 증대로 이어져, 2006년 2.53억 달러에

Page 45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43

서 2015년 35.41억 달러로 괄목할 만하게 성장했다(방위사업청, 2016a, p.213).

2010년대 초부터 국방 연구개발은 방산비리 척결 강화의 정책 기조가 강화되면서 규제가

강화되어왔다. 방산 업체 전문화 계열화 폐지에 따른 출혈 경쟁의 유도 등으로 국방 연구개발을

보호하고 육성하는 환경은 어려워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 항공 관련

방위산업체의 통합과 M&A로 국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규모의 발전이 눈에 띈다. 2000년대

만 해도 세계 100대 방산 기업군에서 국내 기업을 찾기 어려웠으나, 2010년대 들어서는 한국

항공우주산업, LIG Nex1, 한화테크윈 등 국내 주요 방위산업체들이 세계 100대 기업 내에

순위를 올려 왔다. 이렇듯 그간의 국방 과학기술 발전으로 우리나라는 한국형 전투기, 각종

전투 함정, 기동 장비, 전술 전략 미사일, 전술 통신 체계, 첨단 감시 정찰 장비 등을 독자

개발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

국방 연구개발은 군이 필요로 하는 무기와 미래 전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관련 기술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기획・계획・예산 편성 및 집행 절차를 거쳐 이루어진다(신진교, 2011,

pp.101~135). 이런 국방 연구개발의 사업은 크게 무기체계 개발과 기술개발로 구분된다.

무기체계의 경우 군이 신규 무기를 요청하면 합동참모본부가 국방 정책과 안보상황 및 군사

전략 등을 고려하여 전력화 시기 및 적정 물량의 필요성을 검토하여 국방부로 제기하고, 국방부

장관이 최종 소요를 결정한다. 소요가 결정된 무기에 대해서는 연구개발의 가능성, 국방 과학기

술 수준, 방위산업 육성 효과,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비용 대비 효과 등에 대한 선행 연구를

거쳐, 국내 개발이나 해외 도입 등 획득 방안에 대한 사업 추진 기본전략을 수립한다. 개발로

획득 방안이 결정된 무기는 탐색・체계 개발 기본계획서를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통해 승인받

은 후 협상 우선 순위업체를 결정하고, 업체와의 적정 개발 가격 협상 후 실행계획서를 작성하

며 실행계획서에 의거하여 연구개발을 수행한다.

무기체계 개발은 개발 단계에 따라 무기에 대한 목표 성능과 추진 방법 등을 연구하는 선행

연구, 무기체계를 구성하는 구성품 개발과 무기체계의 기본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탐색 개발,

실제 군에서 운용할 무기체계를 개발하는 체계 개발, 이미 성숙된 무기를 단기간에 개발하는

신개념기술시범사업(ACTD) 등이 있다(방위사업청, 2015b, pp.6~8). 무기체계 개발은 연구개발 주체에

따라서는 방위사업청의 조정・통제 아래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하는 경우와 방위사업청의 관

리 아래 업체가 주관하여 개발하는 형태로 나누어진다.

기술 개발은 국방과학연구소를 포함한 각 군, 국방기술품질원, 산・학・연이 제안한 소요를

국방 과학기술 진흥 정책과 합동 군사 전략 및 군사력 혁신에 필요한 기술인지를 방위사업청이

Page 45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44

검토・심의한 후, 국방과학연구소 혹은 산・학・연이 주관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각 사업 및 과제의 연구개발 예산은 대내외 안보 여건을 고려하여 긴급하게 편성되어야 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5개년 중기계획과 당해 연도 예산 편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기술 개발 과제는 이론적 학술연구가 수행되는 기초연구, 기술의 타당성과 실용성을 입증하는

응용연구, 그리고 무기에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는 시험 개발이 있다. 기술 개발은 국방과학연구

소, 정부 출연 연구기관, 대학, 산업체 등의 참여가 가능하다.

또한 민군 기술 협력을 통한 국가 연구개발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 민과 군에서 공통으로

활용되는 기술을 개발하는 민군기술협력사업, 국방 분야 핵심 부품을 국산화하기 위한 핵심부

품 국산화 개발지원 사업이 있다. 국방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절차와 기술 개발과제의 분류는

[그림 9-1]과 <표 9-1>에 표시된바와 같다.

[그림 9-1] 국방 연구개발 절차

자료: 국방부 (2016a), �국방 기획 관리 기본 훈령�; 국방부 (2016b), �국방 전력 발전 업무 훈령�; 방위사업청 (2016b),

�방위 사업 관리 규정� 참고.

Page 45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45

<표 9-1> 국방 기술 연구개발 사업

연구개발 구분 개 요 비 고

기초연구

개발

개별

기초

일반기초국방 과학기술분야의 원천기술 확보 및 신개념 무기

체계 개발에 활용 가능한 미래 원천기술을 확보

� 무기 체계 활용

목적

� 대학교, 정출연

순수기초물리, 화학, 생물, 수학 등의 국방 과학기술분야에 대

해 착수년도 자유 공모를 통해 과제 응모 후 추진� 자유공모 과제

국제공동

연구

일반 대학 교수 및 특화 연구센터 참여 교수 대상으로

해외 교수와 국제 공동으로 착수년도 자유 공모를 통

해 과제 응모 후 추진되는 연구 과제

� 자유공모 과제

특화

연구실

미래 핵심 기술 분야에 필요한 기초 연구 분야 5개

내외의 과제로 구성한 국방 특화 연구센터의 연구실

단위의 집단 연구 체계

� 유사기초기술 집합

� 대학교, 정출연

특화

연구센터

특정 기술 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도록 학계연구소

및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에 위촉된 연구센터

� 국방중기계획 과제

� 대학교, 정출연

핵심

기술

개발

무기 체계

연계형

무기 체계 전력화 시기에 부합하도록 체계 개발에 요

구되는 기술을 사전에 개발하기 위해 국방기획관리

(PPBEE)체계에 따라 단위 과제별로 추진하는 사업

� 국방기획관리

체계 (PPBEE)

선도형 기술

개발

미래 무기 체계 핵심 기술群을 산・학・연 위주로 신속

하게 착수하여 개발한 후 무기 체계 소요를 선도하고

자 하는 기술 개발 사업

� 산・학・연 위주

선행핵심 기술

미래 전장 운영 개념을 혁신할 수 있는 창의・신개념의

국방과학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국과연 주관으로 신속

착수하여 개발하는 개별 과제

� 국과연 자체연구

국제공동

기술 개발

세계의 우수기술을 활용하여 무기 체계 핵심 기술을

협력 대상국과 신속하게 공동 기술 개발하는 사업

� 국제협력

(응용, 시험)

민・군겸용기술민과 군에서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소재, 부품,

공정 및 소프트웨어 등의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 민・군 협력사업

신개념기술시범(ACTD)

이미 성숙된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개념의 작전운용

능력을 갖는 무기 체계를 개발하고, 군사적 실용성평

가를 통하여 3년 이내의 단기간에 입증하는 사업

핵심부품

국산화

개발지원

핵심부품

국산화개발

무기 체계에 적용되는 해외 도입 핵심부품을 국내에서

개발・생산하도록 지원하는 사업

핵심

소프트웨어

무기 체계에 소요되는 핵심소프트웨어를 국산화 개발

하거나 다수 무기 체계에 공통적으로 소요되는 핵심기

반SW개발 사업

� 산・학・연 위주

자료: 방위사업청(2015b), �국방기술 연구개발 소개�, p.8.

Page 46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46

2. 국방 R&D 주요 성과

[그림 9-2] 국방 과학기술의 전개

자료: 국방부 (2014), �2014~2028 국방 과학기술 진흥정책서�, p.17

가. 국방 연구개발 모방기의 주요 성과(1970년대)

1970년대 초에는 북한의 도발과 닉슨의 주한 미군 철수 등 급박한 국가 안보를 위해 우리나

라가 우선 할 수 있는 육군용 기본 병기를 국산화하는 것이 우선 과제가 되었다. 당시의 낙후한

공업 여건과 기술 수준에도 불구하고 1971년 말 청와대 경제 제2수석실을 중심으로 추진한

‘번개사업’은 참여 연구원들의 노력으로 미군의 장비를 역설계하고 국산화하는 모방개발을

달성했다. 그 당시에는 현재와 같은 지적소유권 문제가 없었기에 M-1 소총 박격포 3.5인치

로켓 발사기 등을 역설계하고 단기간에 국산화하여 시험할 수 있었다.

또 미국은 미군 감축 대신에 F-5A/B 전투기와 Nike-Hercules와 Hawk 지대공 미사일

및 전차를 군사원조로 제공했으며, M-16 소총 공장을 허가했다. 또한 한국군 현대화 계획을

지원하면서 ADD에 수많은 무기관련 기술자료 묶음(Technical Data Package, TDP)을 제공

했고 미 군사 고문단 기술자도 파견하여 초창기 연구개발을 도왔다. 당시의 M-16 기술도입

생산은 우리나라 총신 가공 및 후처리 등 정밀 기계 공업을 한 단계 상승 시키는데도 기여를

Page 46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47

하였다. 이때 개발한 트랜지스터형 군용 단거리 통신기는 우리나라 무선 통신 기술 개발의

효시였고, 복합재 헬맷은 각종 복합재 생활 용품 산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표 9-2> 1차 번개사업 시제 목록(1971년 11월 16일~1971년 12월 24일)

M1 소총 Mx 2정

카빈 소총 M2 10정

기관총 M1919 A4,M1919 A6 5정/5정

박격포 60mm M19,81mm M29 4문/6문

수류탄 MK2 300발

지뢰 M18A1(크레모아)/M15대전차지뢰 20발/20발

3.5인치 로켓 발사기 M20A1/B1 2문/2문

국방 무기 모방개발의 효시였던 번개사업은 1971년 말에 시작하여 1972년 중반까지 3단계

로 진행되었다. 번개사업 이후에는 좀 더 대형 복합 장비인 105미리 곡사포와 벌컨 대공포의

국산화를 추진하여 단기간에 군에 배치한 성과도 이루었으나, 청와대 비서관의 순직과 같은

안타까운 사건도 있었다. 이러한 초창기 모방 개발은 다양한 무기 체계 개발로 이어졌으며,

관련 기술이 인접 공업 분야로 파급되는 효과도 있었다(안동만, 2015).

총포 분야에서는 소화기로부터 155mm 곡사포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기본 화기를 개발했

다. 탄약 분야에서는 5.56mm 탄에서부터 8인치 포탄까지, 통신 분야에서는 소대급에서 군단

급까지 통신 장비를 개발했다. 기동 분야에서는 군용 일반 차량 전부와 일부 특수차량에 이르기

까지 거의 모든 기본 장비를 개발해 양산 체제까지 확보했다. 또 특수 탄약, 피복과 개인 장구

류, 군용 식량도 개발했다(국방과학연구소, 1989, pp.138~149).

기존 장비의 성능 개량도 이루어졌는데, 곡사포 사거리 연장, 40mm 함포 명중률을 제고하

는 사격 통제 장치,전차 화력과 기동성 개량, 각종 탄약의 사거리 연장과 명중률 향상 및

위력 증대를 위한 개량 개발이 진행되었다. 1976년부터는 당시로서는 너무나 큰 도전이었던

장거리 지대지 유도탄(백곰) 개발을 착수하여 1978년 9월에 성공적인 시사회를 가지고 초도

생산 배치에 들어갔다. 이때 백곰이외에 단거리 무유도 로켓(황룡)과 다연장로켓(구룡) 및 대전

차 로켓(KLAW)도 개발하여 시사회를 가졌으며, 이중 구룡은 우리나라 무기체계 최초로

Jane’s 지에 수록 되고 개량을 거쳐 현재 우리 포병의 주력 무기중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미사일과 로켓 개발 시험을 위해 대전 지역에 별도 연구시설과 서해안에 종합 시험장을 건설하

Page 46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48

여 첨단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백곰 개발 이후 ADD는 백곰의 개량형인 ‘백곰-II’와 단거리

함대함 유도탄 ‘해룡’ 및 기만용 무인기 ‘솔개’ 개발을 착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3대 사업은

80년대 초 신군부에 의해 모두 중단 되었다. 이와 같은 군 장비 기술 개발로 소화기와 총포류

2만 5000여 문,각종 탄약 1700만 발, 전투 차량 1만대, 통신 장비 10만여 점,군용 물자

48만 점을 생산했다. 또 소량이지만 약간의 유도탄과 로켓 병기도 생산했다.

무기 체계 분야별로 확보한 주요 기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총포류에서는 기계 가공

기술을 1μm급의 초정밀 수준으로 발전시켰고, 미국 도면을 소화해 독자적인 설계와 제작

능력을 확보했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 상황에 적합한 K-2 소총 등 차세대 한국형 무기 체계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도 갖추고 수출까지 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총열 또는 포열의 생산성을

제고시킨 쌍축 건드릴(Gun Drill) 방법,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크롬 도금 기술, 고주파

열처리 공정 기술 같은 기술 발전은 민수산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했다. 포의 강내 압력을

증가시켜 발사 속도를 높이고 사거리를 연장시키는데 꼭 필요하나 선진국이 기술 이전을 해

주지 않던 자긴 가공(Autofettage) 기술도 개발하여 화포의 경량화 및 사거리 연장 등 새로운

화력 장비 개발에 활용 하였다. 대구경 포신의 심공 가공(Deep Boring & Rifling) 기술,

모방 밀링(Copy Milling)과 수치 제어 기계 가공 기술 개발로 중장비 유압 장치를 개발하는

등 민수산업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큰 파급 효과를 가져왔다.

기동 분야에서는 1/4톤 등 각종 전술차량을 국산화 하였으며, 이는 1980년대 초 우리나라

자동차 공업 초기 단계에서 민수용 차량 개발에 큰 기여를 하였다.

탄약 분야에서는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경제적인 한국형 탄약 개발이 이루어지며 관련 기술

의 발전을 가져왔다. 고강도 탄체 개발은 강재와 비철금속류 기계 가공, 열처리 기술을 향상시

켰다. 신관에 들어가는 정밀 부품 개발은 가공 정밀도를 10배에서 최대 100배까지 향상시켰

다. 코일과 토션 스프링 제작 능력과 감도가 높은 소형 뇌관과 기폭관 제작 기술은 민수산업에

서도 활용하며 관련 기술 발전에도 크게 기여했다.

유도・로켓 병기 분야에서는 백곰 개발을 통해 필요한 핵심 기술인 고체 추진기관, 풍동

및 공력 설계 기술, 비행체 구조 설계 및 구조시험, 유도조종 및 시뮬레이션 기술 등 분산형

탄두와 특수 탄두에 대한 개발력도 갖췄다. 유도탄 기체 및 로켓 추진 기관과 연소관 개발로

구성 성분이 일정한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와 대응력, 부식성을 개선할 수 있는 가공과 열처리

기술을 확보했다. 내경, 두께, 진직도가 고른 이음새 없는 알루미늄 튜브 압출, 인발, 교정과

열처리 기술 발전은 각종 소형 로켓 비행체 국산화로 이어졌다. 품질을 향상시킨 얇은 알루미늄

Page 46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49

판재는 민수산업에도 이용했다. 이러한 기술들은 오늘날 세계 수준으로 발전한 각종 미사일들

과, 무인기 훈련기 등의 항공기 및 우주 발사체 기술의 밑거름이 되었다.

통신기와 같은 군용 전자 장비도 민수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군용 규격 적용으로 각종

전자 부품의 신뢰도 수준이 한층 높아졌으며, 전원 공급 장치, 크리스털, 세라믹, 용량기의

품질 향상과 특수 PCB 제작과 실장 기법 개발, 전자계 간섭 시험, 성능과 환경시험 기법

발전은 민수 장비의 성능과 신뢰도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또 품질 보증 제도 적용과 품질

관리 체제 정착, 공정 관리에 따른 원가 절감으로 이어져 전자산업이 선진국 수준으로 성장하는

발판을 제공했다.

조준경 및 야건 관측 장비를 개발하면서 정밀렌즈 가공과 220mm 규모의 대형 렌즈 가공,

대물부 조립 조정 기술을 발전시키며 낙후한 광학공업 기술을 육성했다. 또 광학 장비 개발에서

얻은 다속 증착 기술, 프리즘과 렌즈 가공, 수포와 광선 가공, 반사경 제작 기술을 민수에

전파해 카메라와 쌍안경, 측량기기에 활용했다.

화생 방호 장비 분야에서는 야전에서의 작용제 탐지와 제독키트 개발, 신속한 확인 동정법과

예방 치료법 정립 등에서 성과를 보였으며, 신경 작용제의 탐지 식별에 사용하는 효소를 국내

기술로 개발했다. 이를 통해 외국에 의존하던 원료를 국내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했다.

또 보호의와 입자 여과기 같은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얻은 활성 탄소 침윤과 시험방법은

공해 예방 장비 연구 발전에도 기여했다.

꾸준한 연구개발로 생산해 낸 방대한 양의 병기 장비는 기본적으로 안정적인 군사력을 확보

하는데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장비 운용과 정비 기술 유지와 향상에도 기여했다. 특히 병기

개발 과정에서 습득한 새로운 기술과 공법, 품질 관리 기법은 외국의 군사 원조에 의존했던

군사 장비와 군용 물자를 자급자족할 수 있게 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병기 장비의 연구 개발

과정에서 얻은 기술은 민수산업으로 전파되어 민간 기술의 발전에도 기여했다.

나. 국방 연구개발 성장기의 주요 성과(1980년대)

1980년대 무기 체계가 대형화, 복합화하고, 기술이 고도화 되면서 주요 연구개발 사업의

비용 규모가 커지고 연구개발 기간도 장기화되었다. 또한 선진국들의 기술보호정책 강화와

기술 이전 기피 현상이 심해져 국방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위기에 봉착했다. 이에 국방

관련 기술을 선진국에 의존해야 하는 예속 경향이 심화되기 시작했다.

Page 46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50

<표 9-3> 연도별 기술 자료 도입 현황

(단위: 건)

분야 \ 연도 1971~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1990 계

도입 건수 677 85 56 22 17 7 - 864

자료: 국방과학연구소 (1999), �국방과학연구소약사 제2권�, p.94.

따라서 미국으로부터 기술 자료를 도입해 재래식 기본 병기를 모방해서 개발하고 생산하던

1970년대와 달리, 1980년대에는 개량 개발과 독자 개발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1981년을

기점으로 기술 자료 도입 실적은 1970년대 677건에서 1981년 85건으로 크게 감소했으며,

이는 미국 같은 선진국으로부터 기술 이전 기피 현상이 심화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처럼 1980년대는 기본 병기 개발이 주를 이루던 1970년대와는 연구개발 양상이 달라졌

다. 당시 군이 운용하는 기본 병기의 성능 개량과 한국형 독자 무기 체계 개발에 착수하는

등 기본 병기 단계에서 고도 정밀 병기 단계로 한 단계 발전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고도

정밀 병기 연구개발은 곧 큰 장애에 부닥쳤다. 기술 선진국, 특히 미국이 기술 자료 제공을

기피하고, 서방 선진 7개국인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가 「유도탄

관련 기술 이전 금지 협정(MTCR)」을 체결하며 핵을 운반할 수 있는 미사일 장비와 관련한

기술 이전을 통제했던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1983년 아웅산 사태 후 재착수한 현무 지대지

유도탄을 개발 완료 후 생산하기 위한 부품 도입단계에 미국은 현무 및 모든 방산 제품에

들어가는 미국산 부품의 수출을 금지하고 현무에 대한 미국의 사찰 수용을 요구하였다. 이에

한국은 현무의 사거리를 180km로 제한하고 생산 배치 현황을 미국의 사찰 대상에 포함시키는

조건으로 현무와 다른 방산 제품의 부품 수출을 승인했다. 이 사건은 고도 정밀 무기체계

개발의 기술 자립에 대한 필요성을 일깨우는 큰 전환점이 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핵심

국방 기술 개발을 추진하게 하였다. 또한 단거리 지대공 유도 무기 ‘천마’ 개발도 착수하였다(국

방과학연구소, 1999, pp.94~95).

지상 무기 분야는 각종 소화기와 탄약 같은 기본 병기 개발에서 탈피해 우리나라 지형과

전술 전략 개념에 적합한 차세대 장비나 무기를 개발하거나 성능을 개량해 나갔다. 130mm

다연장로켓 기본형, 105mm, 155mm 견인 곡사포, 한국형 소총 K-2, 한국형 장갑차 K-200

을 개발했다. 장갑차 개발 과정에서 주재료인 강판이나 알루미늄 합금 판재에 대한 특수 용접

기술과 궤열 부위 보수 방법이 발전했고, 장갑 판재 국산화를 통해 저 합금 고장력강 제강과

압연 기술이 향상되어 품질 좋은 원자재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기동 분야의 연구개발

Page 46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51

성과는 시험과 측정을 위한 시설과 기술 인력 양성으로 이어져 당시 발전 초기 단계에 있던

국내 자동차 업계와 부품 업체의 생산 기술 발전과 품질 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30mm

자주 대공포인 ‘비호’ 개발도 착수하여 대공포 계열의 고도화를 추구하였다. 또 미국의 GDLS

의 지원 하에 한국형 전차 K1 ‘88전차’를 국방부 주관 업체주도로 개발하여 우리나라의 주력

전차가 되었다. K1 전차는 미국의 기술지원으로 개발하여, 120mm 주포로 성능 개량한 K1A1

개발 시 미국의 간섭을 받아야 했다.

함정 분야는 자력으로 해안을 경비하는데 필요한 중소형 함정을 개발하는 단계를 넘어,

잠수함을 포함한 해군에 필요한 모든 함정을 자체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무기로 소형 잠수함 ‘돌고래’와 한국형 경어뢰를 개발했다. 돌고래는 우리

나라 최초의 잠수정으로 잠수함 설계 기술을 진일보 시키는 계기를 만들었으나 이후 중형

잠수함의 해외 도입으로 기술의 발전을 지속 시키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 수중 병기의 탐지기

에 쓰이는 고투자율 금속 환봉 소재를 국산화하고, 이를 통해 고속정용 프로펠러 등에 사용하는

소재를 생산해냈다. 또 자기 특성 측정기술을 응용해 여러 형태의 측정과 컴퓨터 기억 소자에

쓰이는 자성 박막도 개발했다.

항공기 분야는 1980년대 초 신군부에 의해 국내 최초의 무인기인 솔개 개발이 중단된 후,

1986년 국가 항공 산업 발전 정책과 연계하여 정부는 육군의 500MD 헬기 면허 생산과 공군의

F-5A/B(제공호) 면허 생산 의 후속으로 F-X 기술 도입 생산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에 ADD는

군의 노후 항공기를 대체하고 나아가 항공전력 자립화를 위한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훈련기와

차세대 항공기를 국내 기술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기본 훈련기 KTX-1 개발을 착수 하였다(안

동만, 2015, p.16).

유도 무기 분야는 신군부에 의해 백곰-II 지대지 유도탄과 단거리 함대함 유도 무기 해룡

개발이 중단 되었으나 아웅산 사태로 독자적 장거리 정밀 타격체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백곰-II

를 현무로 개칭하고 1984년부터 개발하여 1988년에 완료 후 1차 배치하였다. 비호 차체에

유도탄과 탐지 레이더 및 적외선 추적 장치를 장착한 단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체계인 ‘천마’

개발도 착수하였다.

조기 경보・전자전 분야는 무전기 개발에서 한국적인 C3I 체계의 자동화기술 개발에 착수하

는 등 연구개발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대표적인 무기 체계로 주파수 도약형 소대용

무전기를 개발했다.

Page 46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52

1980년대는 세계적으로 방산 기술 수출 제한 및 비확산 체제의 정립시기로, 우리에게는

국방과학기술 자립의 필요성을 일깨워준 시기 이면서 88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안보의

중요성이 부각된 시기였으며 주요 무기체계의 도입과 함께 현무와 같은 전략 자산을 독자적으

로 개발한 시기였다.

다. 국방 연구개발 도약기의 주요 성과(1990년대)

1990년대는 국방 연구개발에서 핵심 기술 자립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핵심 부품 및 기초

기술 등 기술 개발을 적극 추진하였고, 수입에만 의존해 왔던 고도 정밀 무기체계 개발을

착수하여 국방연구개발의 자립화를 추구한 시기였다. 또 2002년 월드컵 대비 신무기 도입과

1997년 말의 외환 위기에도 불구하고, 국방연구개발 분야는 첨단 무기체계 개발, 신기술 개발

및 시험 평가용 인프라 구축 등에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1990년대 무기체계 분야별 성과는 다음과 같다(국방과학연구소, 2007, pp.202~308). 먼저 지상 무기

분야는 각종 소화기와 탄약 같은 기본 병기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동시에 우리나라

지형과 전술 전략 개념에 적합한 무기 체계도 개발했다. 사거리 40km에 최대 발사 속도가

분당 6발인 신형 155mm 자주포 K9를 개발했고, K1 전차 성능 개량, 30mm 자주대공포

비호, 81mm 박격포 개발도 이 시기에 추진했다. K1 전차의 포신을 기존 105mm 강선포에서

120mm 활강포로 바꾸어 관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구형 전자 장비를 당시의 신형으로 교체하

며 장갑 능력 등을 향상시킨 K1A1으로 성능 개량하는 사업이 추진되었다. K1A1 추진에는

어려움이 따랐는데, 왜냐하면 이것이 미국의 M1 에이브람스 전차 기술을 기반으로 미국 GDLS

가 지원하여 개발했던 K1 전차를 개량한 것으로,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하는 것이라는

미국 측 주장이 있었기 때문이다. 현무와 마찬가지로 K1A1 추진에는 기나긴 협상이 걸렸으며

그 과정에서 기술 자립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다. 이때부터 지상 장비 분야도 방호 장갑,

사격 통제 장치 및 각종 센서 등의 핵심 기술 연구를 추진하여 차기전차 흑표(K2) 개발을

준비하였다. 한편 155mm 견인 곡사포 대신 미국으로부터 도입해 운용 중이던 K55 155mm

자주포를 우리나라 지형에 맞고 최신 전자 기술이 접목된 한국형 155mm 자주포인 ‘K9’

개발을 착수하였다. 독자적 개발품인 K9은 터키에 수출되어 한국산 무기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K2 및 KT-1 수출을 견인하였으며, 2016년 이후에는 세계 각지로 수출하는 명품 무기가

되었다. 열상 감시 장비 TOD도 개발 배치하여 전방 및 해안 감시 체계를 효율화 하고 많은

성과도 이루었으며, 민간 분야 열상 장비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Page 46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53

[그림 9-3] KT-1 기본 훈련기 [그림 9-4] K-9 자주포

자료: 국방과학연구소, 내부자료 자료: 국방과학연구소, 내부자료

함정 분야에서는 수 미터의 장갑판재도 뚫을 수 있는 잠수함 발사용 중어뢰 ‘백상어’를 개발

하여 실전 배치하였으며, 이를 발전시켜 수상함 및 항공기 에 발사하여 적 잠수함을 격침

시킬 수 있는 경어뢰 ‘청상어’도 개발하였다. 또한 잠수함을 탐지할 수 있는 예인형 음탐기

및 어뢰 음향 대응 체계 등 음향 무기체계도 개발하여 실전에 배치하였다. 한국형 구축함

KDX-2, KDX-3에서 적 잠수함의 어뢰 사거리 밖에서 경어뢰를 발사하여 적 잠수함을 침몰

시킬 수 있는 장거리 대잠어뢰 ‘홍상어’의 개발도 착수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무기체계를 전투

함의 다양한 장비와 연동하여 군함의 전투 효율성을 높이는 함정 전투체계(Battle Ship

Combat System) 해외 도입에서 탈피하고 국산화를 추진하게 되었다.

ADD의 항공기 분야에서는 훈련기 헬기 전투기 개발로 단계별로 발전하는 군용항공기 개발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첫 개발 대상으로 550마력급 터보프롭 기본 훈련기(KTX-1) 탐색 개발

을 시도했다. 하지만 1990년대 초 공군의 요구로 군용항공기 개발 사업은 950마력급 KT-1의

체계개발로 추진되었다. KT-1은 공군의 각종 시험평가를 거쳐 우리나라 최초의 국산 훈련기

로 채택되고 T-38을 대체하면서 공군에 배치되었다. KT-1은 비행 성능, 훈련 효율성, 부대

운용성 측면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고 있으며, 무장이 가능한 KA-1으로 개량 개발 되었고,

2000년대 초부터 해외 수출을 시작하였다. ADD는 기본 훈련기에 이어 노후한 F-5B/F 고등

훈련기(KTX-2)에 대한 개발 가능성을 연구한 후 1990년대 초부터 탐색개발을 착수하였다.

KT-1 개발 시와 마찬가지로 군용 항공기의 국내 개발에 대한 우려가 강했지만 KT-1 개발

경험과 영국 BAE사 및 미국 Lockheed Martin(LM)사 등 유수 해외 항공 업체로 부터 HAWK

기와 F-16 전투기 도입 절충교역을 이용하여 설계 기술을 전수하여 추진하였다. 그러나 1990

년대 중반 막대한 비용이 드는 고등 훈련기 개발을 미국 LM사의 Know-How 투자를 받는

조건으로 공군관리 업체(삼성항공, 후에 한국항공우주) 주도의 국내 개발로 추진하게 되고

Page 46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54

사업명도 T-50으로 변경했다. 즉 T-50 개발은 ADD가 기술지원을 담당하는 방위사업체 주도

사업으로 변경되고 2002년 국내 연구개발 역사상 최대 규모인 2조 1000억 원이 투입된 체계

개발이 완료되었다. T-50은 2000년대 이후 FA-50으로 개량 개발되어 공군의 F-5를 대체해

가고 있으며, 이라크 등 해외 수출도 활발히 이루어 졌다. 뿐만 아니라 미국의 차세대 훈련기

획득 사업인 T-X 사업에 주요 경쟁 기종 중 하나가 되었다.

한편 무인항공기 분야에서는 1980년대 초 중단된 공군용 대신 육군 군단급의 정찰용 무인기

(비조) 개발이 착수되어 탐색개발 기간 중 시제기를 비행시험 하는 등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 국방부의 업체 주도 활성화 정책에 의해 무인기 분야도 업체

주도 사업으로 전환하였는데 1997년 말의 외환위기로 참여 업체의 부도 등 어려움을 겪으며

2000년대 초에야 개발을 완료할 수 있었다. 또 다른 한편 UH-60의 기술 도입 생산 시 ADD는

기술관리 업무와 헬기 전자장비 성능개량 사업 지원을 통해 헬기 설계 기술을 축적하여 세계

최대 군용 헬기 보유국으로서 국산 헬기 개발을 위한 준비를 하였다. 1990년 초에는 당시

최고의 전투기인 F-4 팬텀 전투기의 공대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KPU(Korean Phantom

Upgrade)사업을 추진하였으나 2003년 정권이 바뀌면서 소요를 삭제하여 사업을 중단한 경우

도 있었는데, KPU 사업이 추진되었더라면 훗날 FA-50 개발이나 KF-16 레이더 성능 개량

사업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었을 것이다.

1990년대 유도 무기 분야는 현무 생산 배치 시의 미국의 간섭으로 터득한 기술 자립을

위해 유도조종 추진기관 비행체 사격통제 등 각 분야에서 핵심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기술적

도약기였다. 관성장치 기술, 지형대조 기술, 적외선 및 마이크로파 탐색기 기술, 초음속 비행체

기술, 추진제 원료 국산화 기술, 레이더 기술 등 첨단 기술 개발을 착수하고, 그러한 기술이

적용되는 유도무기도 개발을 착수 하였다. 단거리 지대공 유도탄 천마도 개발을 완료하고

본격적 양산에 착수 하였다. 1990년대 초에는 2002년 월드컵 대비 전술 지대지 체계 탐색

개발을 착수하였으나 미국의 MLRS/ATACMS 도입으로 중단하고 현무 이후의 장거리 유도무

기 개발을 준비하였다. 천마 이후의 대공 전술 유도 무기로 적외선 추적 단거리 휴대용 대공

유도탄 ‘신궁’ 개발을 착수하였으며, 중거리 지대공 유도탄 HAWK를 대체할 MSAM(철매2)

개발도 착수하였다. 신궁에 적용된 2중 대역 적외선 탐색기 기술, 공중 점화 추진 기술, 경량

발사관 기술, 회전 비행체 설계 및 제어 기술 등의 신기술은 현재까지 나온 선진국 동종 휴대용

대공 유도무기보다 우수하였다. 철매2에 적용된 유도조종 탄두 신관 등 유도탄 기술과 수많은

표적을 탐지 및 추적 할 수 있는 다기능 레이더 기술 등을 자체 개발하거나 해외 협력 개발로

Page 46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55

국산화에 성공하였다. 대함 유도 무기 분야에서도 그동안 도입에 의존해오던 미국의

HARPOON 함대함 보다 우수한 성능의 대함 미사일인 ‘해성’ 개발에 착수하여 관련 핵심

기술인 마이크로파 탐색기, 소형 소모성 제트 엔진, 전파고도계, 관성 센서 등을 개발하여

해외 의존을 최소화 하였다.

통신・조기경보・전자전 분야에서는 1990년대에 컴퓨터 기술과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

전함에 따라 이를 군의 지휘 통제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선진국에서 활발하게 진행했다. 우리

군도 C3I 지휘소 자동화 체계를 개발하고, 포병의 사격 지휘 체계를 전산화하기 시작했다.

이에 C3I지휘소 자동화 체계와 포병 사격 지휘 장비를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했으며 1990년대

초에 전술용 전자식 교환기 TTC-95K와 전파 반사 매체로 전리층을 이용하는 차기 AM 무전기

(PRC-950K, VRC-950K)도 개발했다. 1980년대 중반에는 공・지 입체 전투 개념에 부합하는

그물망 형태의 전술 통신망을 구축한 전술 통신 체계(SPIDER, MSC-500K)를 개발했다.

라. 국방 연구개발 고도화기의 주요 성과(2000년대 이후)

2000년대에는 21세기를 조망해 연구개발 대상을 전략적으로 선별하고, 첨단 연구개발 인프

라를 구축하며, 국방 기술 개발을 위한 민간 기술과의 협력 체계 구축을 추진했다. 중점 연구개

발 분야는 군사혁신(RMA)과 국가 과학기술 선도 분야, 미래 핵심 체계와 소요 핵심 기술

분야, 기반 전력의 지능화/정밀화 분야, 기술 파급 효과 대비 낙후 분야 등으로 일부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무기 체계를 개발하는 단계에까지 진입했다(국방과학연구소, 2010, p.222).

국방 획득 제도 개선 방안으로 국방 획득의 투명성, 효율성, 전문성,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2006년 방위사업청이 발족된 후, 국방부와 국방과학연구소가 중심이 되어 수행하던 연구개발

업무도 방위사업청 중심으로 바꾸었다. 이에 따라 기술 기획 지원 기능과 체계 개발 사업에

대한 사업 관리에 많은 변화가 발생했다.

국방 연구개발에 대한 국가 차원 관리 체제도 개방화 정책에 따라 2004년에는 과학기술부

혁신본부에서 국가 연구개발 통합 관리하도록 바뀌었다가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 폐지의

여파로 방위사업청 관리로 되었다가 2017년부터는 다시 과학기술심의회 심의 대상으로 바뀌

는 행정 변화도 있었다.

2000년 이후의 분야별 성과는 다음과 같다(국방과학연구소, 2010, p.225). 먼저 통신 분야에서는 그동

안 국력의 발전으로 해외 주둔 부대가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해외 상용 통신망에만 의존해

Page 47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56

오던 장거리 군 통신 확보를 위해 KT와 민군 합동 위성 통신망 개발에 착수하여 2006년

8월 통신위성 무궁화 5호를 발사해 위성통신 시대를 열었다. 또한 늘어나는 군 데이터 통신

소요를 구축하기 위해 SPIDER 체계를 대치할 합동 전술통신체계(TICN) 개발을 착수하였다.

지상 장비 분야에서는 K2 차기전차 흑표가 성공적으로 개발되고 2007년 3월에는 차기

전차 흑표 출고식을 하며 국방 연구 개발 역량을 보여 주었으며 터키에 수출하는 쾌거를 이루었

다. 흑표는 표적 자동 탐지 장치, 능동 유기압 현수 장치, 능동 방호, C4I 연동 기능과 함께

잠수 도하 능력, 방탄 장갑 능력, 피탄 방지 능력, 사격 통제 능력, 탄 운반 능력, 운용 인력

최소하 등 세계 최고 기술 수준의 전차를 우리 손으로 개발한 것이다. 흑표 전차의 핵심 구성품인

1500마력 엔진과 트랜스미션의 업체 주도 국산화도 착수되어 진행 중에 있다. 노후화된 K200

장갑차의 후속으로 도하 기능과 무장이 된 K21 보병 전투 장갑차도 개발하여 전력화 하였으며,

미군이 10여년 이상 개발 중인 복합 소총도 개발하여(K11 차기 복합소총) 우리군의 야간 작전

능력을 크게 향상 시키고 있다. 무인화와 자율화 기술 추세에 따라 견마 로봇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한 후 각종 전방 감시 정찰용 로봇을 개발하기 시작하여 우리나라 로봇 산업 발전을 선도하였

다. 작전 지역에서 정확한 측지 제원을 산출할 수 있는 자동 측지 장비를 개발했다.

함정 분야에서는 빔 스티어링 기능을 위한 음향 배열 센서를 갖춘 신형 경어뢰 청상어를

실전 배치하였으며, 선체 고정형 음탐기 체계도 개발하여 울산-I급 함정에 장착하였다. 그동안

극심히 해외에 의존해 왔던 전투체계 분야도 발전을 거듭하여 대형 수송함(LPH)와 참수리급을

대치할 신형 유도탄 고속정(PKG)의 전투체계를 국산화 했으며, 최근에는 전천후 대공 대함

대잠 대지 전자전 전투 지휘 통제와 무장 통신 능력을 갖춘 울산-II급 전투 체계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늘어나는 북한의 잠수함 위협에 대처할 항만 감시 체계를 개발하여 전력화 하고,

대형 잠수함의 설계 기술도 확보하여 미래형 잠수함의 국내 건조뿐 아니라 우리나라가 잠수함

정비 수출국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항공기 분야에서는 1990년대에 개발을 시작한 KO-1(후에 KA-1) 전술 통제기와 T-50

고등 훈련기 개발을 완료했다. KO-1과 T-50은 2000년 이후 우리나라가 세계적 군용 항공기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발전하도록 하였으며, 민간 항공기 산업 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였다.

한편 우리나라는 60-70년대의 UH-1 기동헬기와 AH-1 공격 헬기 및 500MD 경헬기의세계

적인 보유국으로 노후 헬기의 시급한 교체가 필요하였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 ADD는 한국형

다목적 헬기(KMH)에 대한 국산화 가능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방부는 2004년 이 개념 설계

를 기반으로 한국형 헬기 사업(KHP)단을 산업통상부와 같이 만들어 국책 사업화를 추진하였

Page 47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57

다. 이 KHP사업은 약 1조원의 예산으로 기동헬기를 우선 개발하는 정책을 결정하고 KUH

사업단으로 발족하였다. KUH는 해외 의존형 항전 장비를 최대한 국산화하고 유로콥터사의

기술협력을 받아 2012년 개발을 성공하고 군에 전력화 중에 있다. KUH의 후속으로 경공격

헬기 및 민수용 소형 헬기를 국책사업으로 개발하는 LAH/KCH 사업도 착수 하여 진행 중이다.

전투기 분야에서는 ADD가 2000년대 초반부터 T/A-50의 후속으로 노후화하는 우리나라의

주력 전투기 F-4와 F-16을 대체할 4세대급 전투기 개발 가능성을 조사하고 스텔스 기술 등

핵심 기술 연구를 수행했다. 이를 근거로 우리도 Medium 급 전투기의 자립화에 대한 가능성

을 확인하고 도입할 F-35 전력을 보완해 줄 한국형 전투기 ‘보라매(KFX)’ 사업의 탐색개발을

수행하였다. 이 탐색개발 결과와 수많은 경제성 타당성 분석을 거친 후 정부는 2015년 한국항

공우주산업 주도의 한국형 전투기 개발 사업을 승인하고 추진 중에 있다. 보라매용 첨단 AESA

레이더는 기술의 중요성과 영속성을 위해 ADD가 주관하여 개발하고 있다.

무인기 분야에서도 군단급 무인기 개발에 이어 육군의 차기 군단급과 사단급 및 공군용

무인기들이 개발 또는 생산 중에 있어 우리도 세계적 무인기 강국이 될 것이다. 항공 무장

분야도 많은 발전을 해 왔는데 항공기 탑재 전자전 장비도 개발 배치되어 독자적 전자전 능력을

갖출 수 있게 되었으며, 적외선 및 레이더 탑재 전투기 외장형 장비도 개발 되었고, 일반 항공

투하 폭탄의 정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GPS 유도키트도 개발하였다.

유도 무기 분야는 축적한 유도 무기 기술을 바탕으로 원거리 공격이 가능한 함대함 유도

무기 해성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해성은 대전자전 레이더, 스트랩다운형 관성 항법 위성항법

장치, 전파 고도계를 갖춘 최고 수준의 유도 무기로 평가받고 있으며 유도무기 최초로 해외

수출을 이루었다. 장거리 대잠어뢰 홍상어의 개발은 KDX 급 구축함에 장착하여 장거리 대잠

능력 향상은 물론 개발된 수직 발사대 기술은 함정의 스텔스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다양한

함정 무기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획기적 시스템이 되었다. HAWK 대체를 위해 개발한 철매2

(천궁)는 우리나라 중고도 방공 시스템의 중추가 되었으며, 성능 개량을 통해 고도와 사거리를

연장할 수 있는 중요한 시스템이 되었으며 다기능 레이더는 우리나라 레이더 기술의 도약을

가져왔다. 우리나라 유도무기 기술은 미국에서도 인정을 받아 2.75인치 단거리 소형 무유도

로켓을 적외선 탐색기를 장착하여 저가의 유도 무기화하는 과제(LOGIR)를 공동으로 수행하였

다. LOGIR는 우리군의 전력화는 물론이고 해외 수출도 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다.

통신・조기 경보・전자전 분야에서는 민군 겸용 위성을 이용한 한국군 최초의 군용 위성통신

체계인 URC-700K를 개발했다. 이를 통해 대전자전 능력을 갖춘 전술 통신 회선과 보안성을

Page 47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58

강화한 고속 통신 회선을 제공하게 됐다. 또 전장 환경과 다양한 무기 체계 운용 조건에 적합한

감시 체계, 지휘 통제와 타격 체계 간 전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한국형 전술 데이터 링크

체계도 개발했다. 적 전술 통신망에 대한 전파 탐지 수집과 교란 임무를 수행하는 차량형

통신 전자전 장비인 차기 전자전 장비도 개발했다.

[그림 9-5] 함대함 유도 무기 해성 [그림 9-6] K2 전차 흑표

출처: 국방과학연구소, 내부자료 출처: 국방과학연구소, 내부자료

3. 국방 분야의 미래 전망

1970년대 불모지였던 국방 과학기술은 국방과학연구소의 창설과 함께 정부의 투자 확대

및 방위산업의 역량 축적으로 발전했고, 그 결과 지난 45년간 현무, K9 자주포, 군 위성 통신

체계, 철매 등 군 핵심 무기 174종을 국내 연구개발로 전력화했다. 또한 북한의 위협에 대비한

무기 전력화 중심뿐만 아니라, 통일 이후 미래를 대비하고 전장 운영 개념의 혁신을 도모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 및 민간 첨단 기술을 국방 분야에 접목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이런 노력의 결과, 우리나라 국방 과학기술 수준은 세계 주요 16개국 중 이탈리아와 함께

공동 9위이다. 또한 최고 선진국인 미국 대비 평균 81%의 기술 수준을 확보했으며(국방기술품질원,

2015, pp.24~30), 국산 무기 수출 등을 통해 국가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했다. 1970년에

서 2015년까지 국방과학연구소 연구개발 투자비 25.4조 원 대비 약 12배인 295.5조 원의

경제 효과를 창출해 냈다. 무기의 국내 연구개발에 따른 무기 획득비 및 운영 유지비 절감액은

228.5조 원이고 34.7조 원의 전력 증대 효과와 2.3조 원의 기술 파급 효과도 얻었다(국방과학연구소,

2015, pp.12~18).

Page 47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59

또한 국방 분야에서는 「국방과학기술 진흥 실행계획」에 따라 미래 전장 환경을 고려한 지휘

통제, 감시 정찰, 정밀 타격과 무인화 분야에 대해 전략적 발전 방향을 도출했다. 미래의 군

요구 능력과 전략・전술적 가치와 현존하는 위협인 북한의 핵탄두와 장거리 유도탄, 사이버

공격, 장사정포 등으로부터 미래 위협을 고려했고, 국내 기술 수준과 산업과 경제 파급도를

반영했다.

핵심 기술 연구개발 4대 중점 분야로 군 요구능력 대비 취약 분야인 감시 정찰 센서 기술,

전략・전술적 가치가 높은 정밀 타격기술, 북한의 위협에 대비할 수 있는 방호 기술, 미래전

대비와 산업・경제적 파급도가 높은 무인화 기술을 선정했다. 지속적으로 개발 중인 지휘 통신・

기동・함정・항공・화력(화포) 같은 기술은 무기 체계 소요에 따라 민군 기술 협력을 강화하고,

군 전용 기술 위주로 선택적이고 집중적인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국방부, 2014, p.72; 방위사업청, 2015c,

p.251).

감시 정찰 분야는 여러 기술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레이더・합성 개구 레이더(SAR) 센서

기술 분야에서는 유・무인 항공기, 유도탄과 은폐 표적에 대한 탐지・식별과 위성 기반 장거리

관측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전자광학・적외선(EO・IR) 센서 기술

분야에서는 실시간 정밀 탐지・추적, 표적・지형 정보에 대한 전자광학 탐지 능력 향상이 필요하

다. 또 수중 센서 기술 분야에서는 수상함・잠수함・어뢰와 해저 감시체계에 필요한 음향・비음향

센서 같은 수중 탐지 능력 증대 기술을 연구개발 할 예정이다(방위사업청, 2015c, p.251).

정밀 타격 분야에서는 우선 징후 판단 후 신속한 발사로 적의 핵심 표적에 대해 원거리에서

정밀하게 타격할 수 있는 관련 기술을 유도 무기 분야에서 개발해야 한다. 어뢰 분야에서는

고속・고기동・장거리항주, 정밀 탐색・추적, 은밀・저소음 주행이 가능한 수중타격 성능 구현을

위한 기술을 개발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 경량・소형화와 사거리 증대, 종말 단계 유도 조종

같이 지능화한 정밀 타격을 위한 탄두와 탄약도 개발할 예정이다(방위사업청, 2015c, p.251).

방호 분야 중 대공 방호 분야에서는 중장거리 대공 유도 무기와 대공포를 이용한 다층 방공

체계와 다수 표적에 동시에 대응할 수 있는 무장 통제 기술과 체계 소요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

다. 화생・전자충격파(EMP) 방호를 위해 실시간 무인 원거리 탐지가 가능하고, 자가 제독이

가능하며, 지능형 보호 재료를 적용한 복합 예방・면역 치료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 EMP

무기에 의한 고출력 전자파에 대응할 수 있는 비핵 EMP 방호 기술 개발에도 나선다(방위사업청,

2015c, p.252).

Page 47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60

무인화 분야에서는 무인기 관련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수 플랫폼에서 연동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공통화, 임무 통제와 비행 제어, 적지종심 타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지상 무인 체계 개발을 위해 임무 지역에서 정찰・교전・구조・전투 지원

과 화생방 정찰・제독, 폭발물 탐지・제거 능력을 군으로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에도

나설 예정이다. 무인 수상함과 잠수함 개발을 위해 해양 무인 기술로 장시간 자율 임무 수행이

가능한 무인 감시 정찰, 대잠과 대기뢰 전투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도 개발할 예정이다

(방위사업청, 2015c, p.252).

향후 미국 주도의 국제 질서가 유지되는 가운데 중국 등 신흥 강국들의 성장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대규모 전쟁의 가능성은 줄었으나 국지 분쟁의 가능성은 오히려 커질 것이며,

초국가적, 비군사적 위협이 증대되고 위협의 양상도 복잡해지고 다양해질 것이다. 또한 북한의

핵, 장거리 미사일 개발과 도발이 지속되어 남북 관계의 교착 상태도 장기화될 전망이다. 미래

전은 그 전장이 지상・해상・공중에서 우주・사이버 공간까지 확장되어, 다양하고 복잡한 다차원

으로 계속 진화될 것이다. 그리고 첨단 정보 매체의 등장에 따라, 정보 공간에서의 우위 확보를

위한 정보 작전의 중요성도 더욱 증대될 것이다(국방부, 2014, pp.22~24).

급격히 변화하는 국내외 안보 환경과 다차원으로 진화하는 미래전 환경에서, 우리 군의

독자적인 작전권 행사와 새로운 안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국방 과학기술에 대한 지속적

인 투자와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목표 지향적 국방 연구개발, 국방 연구개발 기반

확충, 민군 기술 협력 활성화, 국제 경쟁력 강화와 방위산업의 창조 경제 추진 동력화, 그리고

연구 성과의 관리, 공유와 확산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첫째, 목표 지향적 국방 연구개발을

위해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하며, 국방 과학기술 역량과 개발 재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선택과 집중(시스템 복합체계(C4ISR+PGM), 전략무기 및 무인화체계, 신기술 무기 체계

분야에 대한 집중)이 필요하다. 둘째, 국방 과학기술 기획・조정・관리 체계를 고도화하고 관련

인력 양성 및 육성 체계, 그리고 연구 인프라를 보강하는 국방 연구개발에 대한 기반 확충이

추진되어야 한다. 셋째, 제한된 국방 연구개발 역량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 민군 기술 협력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넷째, 국방 과학기술의 국제경쟁력

강화와 방위산업의 창조 경제 추진 동력화를 위해 국방과학연구소를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시

키고 방산업체의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방 연구 성과의 관리, 공유와 확산을

위해서 국방 과학기술 연구 성과에 대한 정보 공유와 활용성을 제고하고 적극적인 기술 이전이

필요하다(국방부, 2014, pp.40~53).

Page 47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61

제3절 재난안전

1. 재난안전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지난 50년 간 우리나라 재난안전 분야 행정 조직은 지속적으로 통합되고 확장되어 왔다.

이는 국민의 안전관리가 국가의 중요한 목표로 등장하면서 나타난 세계적 경향이라고 볼 수

있다. 미국의 예를 들면, 다양한 조직에 분산되어 있던 재난 관리 업무가 1970년대에 연방재난

관리청(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로 통합되었고, 2001년 9/11

테러 이후에는 국경 경비 및 테러 예방에 대한 업무까지 확장되어 국토안보부(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DHS)가 창설되었다. 우리나라 또한 소방 분야와 방재 분야가 2004

년 소방방재청 설립으로 통합되었고, 2014년 세월호 사고 이후 해양경찰청까지 포괄하는 국민

안전처가 설립되었다.

가. 방재 행정 체계의 변화와 R&D

방재(防災)는 풍수해, 지진, 화재 등 모든 재난을 막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방재 행정

초기에는 다양한 재난 중에서도 특히 풍수해 대응에 집중해 왔다. 이는 한편으로는 ‘치산치수는

군왕의 덕목’이라고 인식했던 동양적 사고와 관련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어떤 재난보다도 풍수

해가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입혔기 때문이다. 초창기 우리나라의 방재 업무는 건설 업무의

일부로 인식되었고, 토목・건설 분야 조직이 관련 업무를 맡았다. 이후 방재 업무가 수해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지방 자치 단체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내무 행정으로

이관되었다.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방재 행정 체계는 내무부 건설국(1948년~1961년), 국토건설청 수자

원국(1961년~1962년), 건설부 수자원국 방재과(1962년~1991년), 내무부 민방위본부 방재

국(1991년~1998년), 행정자치부 민방위 재난관리국(1998년~2004년), 소방방재청과 안전행

정・행정안전부(2004년~2014년), 국민안전처(2014년~현재)의 순서로 변화해 왔다(임현우,

2015). 재난안전 관리 분야에서는 2004년에 제정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및 소방방재청의

개청이 관련 업무의 통합과 체계화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Page 47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62

방재 관련 R&D 역시 이러한 변화를 따라왔다. 초기에는 풍수해 등 자연 재해 방재에 대한

연구들이 건설, 토목 분야에서 소규모로 진행되었다. 풍수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자연 재해로 태풍 사라호(1959년, 사망 924명), 태풍 루사(2002년, 사망 213명, 피해액 5조

1,497억원), 태풍 매미(2003년, 사망・실종 115명, 재산피해액 4조원) 등이 큰 피해를 입혔다.

따라서 방재 관련 연구도 자연스럽게 수해에 대한 예방, 대비, 대응, 복구에 중심을 두었다.

방재 연구가 양적으로 그리고 질적으로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라고 볼 수 있다. 해방 이후 고속으로 압축적 경제 성장에 치중했던 우리나라는 고속

성장의 부작용으로 인해 다양한 재난에 시달렸다. 특히 1990년대 들어 발생한 대형 사고들,

예를 들어, 부산 구포 열차탈선사고(1993년, 78명 사망), 서해 페리호 침몰(1993년, 294명

사망), 성수대교 붕괴(1994년, 32명 사망), 삼풍백화점 붕괴(1995년, 502명 사망), 씨랜드

수련원 화재(1999년, 23명 사망), 대구 지하철 화재(2003년, 192명 사망)는 우리나라 행정

체계 전반에 큰 영향을 주었고 재난 관리 전담 기관의 창설을 촉진했다.

방재 관련 R&D가 전담기관에 의해 본격화된 데에는 1997년 국립방재연구소 출범이 중요한

계기였다. 1990년대 후반부터 국립방재연구소는 우리나라의 다양한 자연 재해 관련 제도들(풍

수해 대책, 소하천, 사면 관리, 내진 설계, 재해보험 등)의 도입 및 관련 자료 확보를 위한

연구들을 진행했다. 이와 함께 행정 조직에서도 연구 개발을 전담하는 조직으로 1977년에

방재 기본계획의 수립 및 조사 연구를 전담토록하기 위해 건설부 수자원국장 아래에 방재계획

관을 신설했다(정지범, 2012, p.103).

국립방재연구원은 재난안전 관리 전담 기관이 어디냐에 따라 그 소속도 변해 왔다. 1997년

5월 설립 당시에는 내무부 소속이었지만, 1998년에는 행정자치부로 소속이 바뀌었고, 2004년

재난 관리 전담 기관으로 소방방재청이 개청하면서 방재청으로 소속을 옮겼다. 그 이후 2011년

우면산 산사태 이후,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재난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국립재난안전연구

원은 행정안전부 소속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으로 확대・개편되었다. 2014년 세월호 사고 이후

국민안전처가 설립되면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소속 역시 국민안전처로 바뀌었다. 2015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공공 기관 이전 정책에 따라 울산으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나. 소방행정 체계의 변화와 R&D

소방은 화재의 진압이라는 고유의 목적과 함께 응급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

는 직접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해방 이후 우리나라 소방 조직은 경찰 조직의 일부로 시작하여,

Page 47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63

1970년 「정부 조직법」 개정으로 내무부의 소방사무는 자치 단체의 업무로 이관되었다.2)

1975년에는 「정부 조직법」과 내무부 직제 개정으로 민방위본부가 설치되었다. 당시 민방위본

부는 북한 등의 도발에 대비하기 위한 민간 조직을 활성화 하겠다는 것이 목표였고, 여기에는

국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들도 포함되었다. 이에 따라 소방 조직도 내무부 치안본부 소방과

에서 민방위 본부내의 소방국으로 이전되어 경찰 조직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했다.

1991년 12월에 소방법이 개정됨에 따라 1992년 4월 10일 각 도에 소방본부가 설치되었고,

소방 업무는 시・도지사의 책임으로 일원화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소방방재청, 2009, pp.19~21).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재난 업무에 대한 전문화 요구가 강해지자 2004년 행정자치부

소속 민방위재난통제본부를 소방방재청으로 독립시켰다. 2014년 세월호 사고 이후 소방방재

청은 해양경찰청과 함께 독립 청이 아닌 소속 기관으로 국민안전처에 통합되었다.

방재 분야와 소방 분야는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큰 사고에 영향을 받아 조직이 개편・신설・확

대되곤 했다. 관련 R&D 역시 마찬가지였다. 1970년대에는 서울 대연각 호텔 화재(1971년,

163명 사망), 대왕코너 화재(1974년, 88명 사망) 등 대형 화재로 인해 건물의 가연성 구조

및 고층 빌딩에 대한 소화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 시기에 본격적으로 보급된 소방 시설로는

자동 소화 스프링클러 등이 있었고, 고가 사다리차, 헬기 등 신형 소방 장비가 있었다(류충,

2015). 소방 분야에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는 중앙 기관으로 1978년 중앙소방학교가 신설되었

다. 특히 중앙소방학교는 1991년 소방연구실을 설치하여 소방 분야 R&D를 주도해 왔다.

소방 분야 R&D에서는 특히 장비에 대한 연구가 중심이 되었다. 소방 장비 국산화를 목표로

관련 계획이 추진되었는데, 「제1차 소방 장비 보강 5개년 계획」은 1972년부터 추진되었다.

다. 통합 행정 체계에서의 R&D

2004년 소방방재청의 개청은 우리나라 최초로 재난 관리 전문 기관의 창설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후 행정안전부, 안전행정부, 국민안전처를 거치면서 소방, 방재뿐만 아니라 비상

대비, 생활 안전, 기반 시설 관리, 해양 경비 안전 부문까지 포괄하면서 국민의 안전을 위한

다양한 업무를 종합하려는 노력이 진행되었다. 물론 아직까지도 유관 업무가 실질적으로 통합

되어 시너지를 만들고 있다고는 볼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 안전을 위한 포괄적이고

종합적 행정을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재난안전

분야 R&D 역시 마찬가지이다.

우리나라에서 재난안전 관리 관련 R&D가 체계적으로 진행된 데에는, 2004년 재난안전관리

Page 47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64

분야에서 과학기술의 진흥을 규정한 것이 중요한 계기였다고 볼 수 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71조(안전 관리에 필요한 과학기술의 진흥 등)는 “정부는 재난의 예방・원인 조사

등을 위한 실험・조사・연구・기술 개발 및 전문 인력 양성 등 안전 관리에 필요한 과학기술의

진흥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고 규정했고, 후속 시행령3)은 5년마다 관계 중앙 행정 기관의

안전 기술 개발에 관한 계획을 만들도록 규정했다. 이에 따라 「제1차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이 2007년 12월에 발표되었다.

라. 국가 재난안전 관리 계획의 변천 과정

우리나라의 재난안전 분야에서 수립되었던 국가 계획을 중심으로 재난안전 분야 R&D 정책

의 흐름을 살펴보자. 이를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재난안전 관리 계획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를 짚어봐야 한다. 국가적 차원으로 최초 수립된 방재 계획은 1967년 「풍수해 대책법」이

제정되면서 시행된 「방재 기본계획」 제도였다. 그러나 당시 「방재 기본계획」은 형식적 계획

수준이었다. 이후 1977년 대통령령 제8793호로 “국토와 국민의 생명 및 재산을 재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재 기본계획의 수립 및 조사 연구」”를 전담하는 방재계획관실을 신설하면서

계획이 체계화되기 시작했다(정지범, 2012, p.103). 이와 함께 1974년 설립된 한강 홍수통제소는

홍수 통제를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을 수행했다. 「제1차 방재기본계획」(1977~1981)은 「제4차

경제 사회 발전 5개년 계획」과 주기를 같이 했고, 주로 풍수해 등 자연 재난을 대상으로 수립되

었다(정지범, 2012, p.103).

1990년대에 들어와서 삼풍백화점 붕괴 등 대형 재난이 빈발하면서 정부는 1995년 「재난

관리법」을 제정했고, 이에 따라 「국가 재난 관리 계획」을 수립했다. 「재난 관리법」은 자연

재난이 아닌 인적 재난에 대한 관리를 위한 법이었고, 「국가 재난 관리 계획」 역시 화재,

폭발, 붕괴 등 인적 재난 관리를 위한 국가계획이었다. 이후 2004년 「재난 및 안전 관리 기본법

」 제정과 소방방재청 개청 이후 우리나라 재난안전 관리 계획의 종합화, 체계화가 획기적으로

진전되었다. 자연 재난과 인적 재난의 계획이 분리되어 존재하는 불합리성을 해소하고자 「방재

기본계획」과 「국가 재난 관리 계획」을 통합하여 「제1차 국가 안전 관리 기본계획

(2005~2009)」을 작성했다. 이 계획부터 현재 우리나라가 활용하고 있는 재난 관리의 4단계인

예방-대비-대응-복구의 단계가 뚜렷하게 정립되었다.

제1차 계획의 성과를 종합하면, “재난 및 안전 관련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계획의 토대를

제공하였으며, 국가 안전 관리를 위한 정보망 구축, R&D 사업 추진을 활성화하는 계기”가

Page 47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65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중앙안전관리위원회, 2009, p.184).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1차 계획은 다른 부처

의 안전 관리 계획들과의 연계성이 매우 부족하고 실효성이 떨어지는 서류상의 계획이었다는

비판도 많았다(정지범, 2012, p.108).

이후 제2차 계획은 2010년에 수립되었다. 제2차 계획에서는 1차 계획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강조했으나, 이 역시 다양한 타 부처 계획과의 연계성이 떨어졌

고 계획 자체로서의 실효성도 부족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차 계획에서는 기존 1차 계획이

가지고 있는 자연・인적 재난 대응 중심의 관리 범위가 ‘전반적 안전 분야’로 확장되었고, ‘자치

단체 중심의 자율적 안전 관리 체계 마련’, ‘국민의 안전 의식 제고’, ‘기업의 안전 관리 참여와

활동 영역 확대’ 등의 전략을 천명하면서, 재난안전 관리에 있어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참여’를

강조했다(정지범, 2012, p.113).

제3차 계획 수립을 앞둔 2014년도에 세월호 사고가 발생했고, 이 사고는 우리나라 전체

안전 관리 체계의 완전한 혁신을 요구하는 「안전 혁신 마스터 플랜」 수립을 이끌어냈다. 「안전

혁신 마스터 플랜」은 “재난・안전 체계를 원점에서 재검토하여 개선하는 중・장기 혁신 계획”,

그리고 “모든 유형의 재난・안전에 대한 전(全)과정을 혁신하는 종합계획”을 표방했다(국민안전처,

2015, p.1). 그리고 계획 주기에 따라 수립되는 「제3차 국가 안전 관리 기본계획」은 「안전 혁신

마스터 플랜」의 실현을 위한 계획으로 「안전 혁신 마스터 플랜」의 내용을 그대로 반영했다.

[그림 9-7] 우리나라 재난안전 관리 계획의 변천

자료: 중앙안전관리위원회 (2009), �제2차 국가 안전 관리 기본계획�, p.182의 내용을 수정.

Page 48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66

마. 국가 재난안전 관리 R&D 계획의 변천 과정

「제1차 국가 안전 관리 기본계획」의 수립이 우리나라 재난안전 관리 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 큰 틀이라면, 2007년 수립된 「제1차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은 당시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던 재난안전 관련 R&D를 집대성하고 체계화하기 위한 계획이라는 의의

를 갖는다. 1차 계획은 기상 이변, 건물의 초고층화・지하 공간 확대, 테러・사스의 확산 등

재난 환경 변화에 따라 재난 피해가 대형화되고 있지만 국가적 차원의 재난・안전 R&D 비중이

매우 낮다는 점을 지적하면서4), 관련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 이 계획은

이미 부처별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재난안전 관련 R&D가 분산되고 중복되어 있으며

서로 연계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따라서 이 계획을 통해 “부처별 사업의 중복,

연계 부족 등을 정부 차원에서 총괄・조정할 수 있는 추진 체계를 마련하고 종합적 추진 전략

및 투자 계획”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

이 계획은 총 4개의 전략으로서 “전략 1: 국가 재난・안전 기술 개발 육성 추진 체계 구축,

전략 2: 재난 관리 전략 기술 중점 개발, 전략 3: 재난・안전 기술 선진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전략 4: 재난・안전산업 경쟁력 강화”를 내세웠다(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 특히 이 계획에서 강조했

던 것은 재난안전 R&D 관련해서 범 부처 차원의 총괄・조정 시스템 구축이었다. 따라서 각

부처에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관련 연구들을 소방방재청이 총괄하여 조정할 수 있기를 기대했

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부처의 관련 연구들에 대한 현황 파악과 모니터링 정도에 머물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차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은 우리나라 재난안전 R&D

를 집대성하고 총괄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보다 중요한 점은 이런

종합적 시각을 통해 관련 연구 분야의 사회적 필요성을 부각시킬 수 있었고, 그 필요성에

비해 투자가 매우 부족했다는 사실을 환기시켜, 향후 관련 분야 투자 확대에 기여했다는 것이

다. 이와 함께 재난・안전 관리 기술 분야 분류 체계, 표준화, 평가제도 연구 전반의 토대를

확립하는 데 기여한 바도 크다. 1차 계획은 다양한 부처에서 진행되는 연구들을 종합하여

각 기술들을 예방-대비-대응-복구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기술들로 분류했다. 이를 통해 재난안

전 R&D의 전략 기술로서 재난 발생 메카니즘 규명, 재난 예방 및 피해 저감, 재난 대응

능력 제고, 재난 복구 기술 효과성 제고를 제시했다.

2차 계획은 국민 의견조사를 하는 등 1차 계획에 비해 방법론적으로 진화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제2차 국가 안전 관리 기본계획」, 「국가 과학기술 기본계획」등 상위 계획들과의

연계성을 점검하는 등 계획 자체의 체계성이 높아졌다. 2차 계획에서 제시한 전략은 총 5개로,

Page 48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67

“전략1: 맞춤형 기술 개발로 재난 피해 저감, 전략2: 선제적 기술 개발로 신종 재난 대비,

전략3: 생활 밀착형 기술 개발로 국민 안전 확보, 전략4: 기술 개발 역량 강화로 재난 관리

효율화, 전략5: 재난 안전 기술 활용 기반 구축” 등이었다.

[그림 9-8] 제1차 및 2차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 비교

자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 �제1차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3), �제2차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

2차 계획은 관련 국가 재난안전 정책인 「제2차 국가 안전 관리 기본계획」이 지향하는 재난안

전 관리 대상 영역의 확대를 반영했다. 즉 1차 계획이 자연 재난과 사회 재난 등 전통적 위험들

을 주 대상으로 했다면, 2차 계획은 국민들의 생활 안전 전반을 포괄했고, 불확실성이 높은

미래 재난이나 복합 재난에 대한 기술 개발을 강조했다. 그리고 다학제 연계를 통한 문제

해결 전략을 제시한 점 역시 진일보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제2차 국가 안전 관리 종합계획」

(2013∼2017)에서는 총 2조 1,526억 원을 투자할 계획을 제시하여, 1차 계획 기간의 총

8,803억 원에 비해 예산이 대폭 증가하였다.

2014년 세월호 사고는 재난안전 분야 R&D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는데, 2014년 7월에는

미래창조과학부를 중심으로 재난안전 분야 국립 연구기관 및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 TF가 구성

되어, “과학기술을 활용한 효과적인 재난대응”, “재난재해 과학기술 역할강화 3개년 실천전략”

Page 48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68

과 “재난과학기술 개발 10개년 로드맵”을 마련하는 등 과학기술을 재난관리에 활용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국민의 안전한 삶의 확보, 국가 방재시스템에 대한 대국민

신뢰도 향상 및 재난안전산업육성 및 기술 경쟁력 제고에 노력하였다.

세월호 사고 이후 2014년 국민안전처 발족으로 전 국가적 안전혁신 계획인 「안전혁신마스

터 플랜」이 수립되었고, 이런 환경 변화에 따라 2016년 「제2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 수정(안)」이 마련되었다. 이 계획은 세월호 사고 이후 긴급하게 필요하게 된 사회적

수요를 반영하여 기존 전략을 수정했고, 관련 예산도 대폭 확대했다. 주요 전략의 변화는 다음

의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9-4> �제2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 수정안�의 전략 변화 내용

기존안 수정안

전략1: 맞춤형 기술 개발로 재난 피해 저감전략 1.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총괄 조정・협력

체계 구축

전략2: 선제적 기술 개발로 신종 재난 대비 전략 2. 재난 유형별 핵심 피해 예방 기술 확보

전략3: 생활 밀착형 기술 개발로 국민 안전 확보전략 3. 대국민 안전 확보 지원을 위한 재난 관리

핵심 기술 확보

전략4: 기술 개발 역량 강화로 재난 관리 효율화 전략 4. 재난 대응 휴먼 역량 제고 및 안전 산업

육성전략5: 재난 안전 기술 활용 기반 구축

자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3), �제2차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6), �제2차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 수정안�.

이런 전략의 변화는 국민안전처 설립으로 다부처 총괄 조정의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세월호

사고 등으로 나타난 국민 불안감을 극복하기 위한 필수 기술 확보를 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하나의 두드러진 변화는 관련 예산이 대폭 증가했다는 것이다. 당초 종합계획의 총

사업비 2조 1,526억 원이었으나 「제2차 종합계획 수정(안)」에서는 총 2조 5,965억 원으로

약 20% 증가했다.

또한 최근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방향 및 기준에서는 재난・재해 대형화・복합화 추세에

대응하여 협업 중심의 재난・재해 대응체계 혁신을 9대 중점 투자방향으로 설정하고 아래 표와

같이 역할 분담형, 공동 기획형, 현장-기술 개발 소통형 등 3가지 협업 유형을 재난안전 R&D

수행부처에 적용하여 연구개발을 통한 재난대응 체계 확립에 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Page 48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69

<표 9-5> �재난・재해 R&D 협업모델(안)�

구분 ① 역할 분담형 ② 공동 기획형 ③ 현장-기술 개발 소통형

재난

유형

∙ 재난, 사고발생 등으로 R&D

투자가 급등한 분야

(예시: 지진 R&D)

∙ 다수부처가 공통의 기술

개발 목표를 갖는 분야

(예시: 재난치안용 무인기)

∙ 수요부처와 기술 개발

부처가 상이한 분야

(예시: 소방구조장비)

협업

전략

∙ 유사・중복 조정 및 부처 간

역할분담 등

∙ 부처 간 협의체 등 초기단계

부터 부처 간 협력 유도

∙ 기술 개발의 기획, 진행,

완료 단계별 소통을 제도화

자료 : 2018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미래창조과학부, 2017.3월 발표)

이는 국가 차원의 재난・재해 및 안전관리 분야 연구개발의 체계적 추진전략 수립을 위한

Control Tower 역할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 개발 종합계획”의 실효성 확보와 부처 간 역할분담 및 연계성 강화를 위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2. 재난안전 R&D 주요 성과

가. 재난안전 기술의 발전

우리나라 재난안전 R&D는 과학기술부에서 자연재해 방재 기술 개발 사업으로 절취사면의

붕괴예측 및 피해방지를 위한 분석 및 시스템 개발 등 4개 과제와 인위재해 방재 기술 개발

사업으로 가스 누출・폭발사고의 위험성 평가 및 예측기술 개발 등 7개 과제를 2003년 6월부터

출연금 R&D로, 소방방재청 국립방재연구소에서 방재 기술 연구개발 사업으로 재난피해조사

자동화기술 개발 과제를 2004년 1월부터 직접수행 R&D로 시작한 것이 최초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소방방재청 출범을 계기로 두 개의 과학기술부 출연금 사업이 소방방재청으로 이관되

었으나, 재난안전 기술에 대한 개념정립 및 역할 구분이 미흡하였으며, 2006년부터 재난안전

기술 개발사업 기획 등을 통해 본격적으로 중장기 전략수립에 착수하여, 차세대 핵심소방안전

기술 개발사업(2007년), 재난안전기술 개발 기반구축사업(2008년)이 신설되면서 현재의 국민

안전처 R&D 사업으로 이어져 2017년에는 사업 수 10개, 투자규모 600억 수준에 이르고

있다.

또한 2008년부터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른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 개발 종합계획」

및 연도별 시행계획 수립을 통해 재난・재해의 글로벌화, 복합화・대형화 및 안전사고에 효율적

Page 48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70

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전략 수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으며,

이러한 계획을 기반으로 재난안전 분야 범부처 R&D를 총괄・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제1차 및 제2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의 수립・시행으로 재난 및 안전 분야

범정부 기술 개발 추진체계를 확립하고 재난안전관리 기술 인프라를 구축하였으며, 재난안전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도 소정의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또한 제2차 종합계획에서는 재난안전 산업의 체계적 관리・육성 및 안전산업 활성화의 기반

이 되는 재난안전산업 특수 분류 제정을 주요과제로 추진하였으며, 재난안전 분야 투자현황

파악을 토대로 재난안전 분야 R&D 기획・관리・평가, 기술 예측・수준평가를 위하여 국가과학

기술분류체계에 재난・안전 중분류를 신설하는 등 제도개선 및 표준화에도 기여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발전된 ICT 기술을 기반으로 첨단 가용기술을 융합, 실시간으로 통합제어

가 가능한 재난안전관리 스마트 시스템이 공공복지 분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선정되어 국민안

전처, 미래창조과학부, 국토교통부 등이 공동으로 개발하고 실제 재난관리에 시범 운영하고

있으며, 현장의 다양한 상황정보 공유를 통한 신속・정확한 의사결정 지원으로 국가의 재난관리

수준을 업그레이드하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그림 9-9] 재난 안전 관리 스마트 시스템 개념도

이러한 노력의 결과, 재난・재해 분야의 세계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과학기술 수준과 기술격

차도 아래 표와 같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국가 핵심 기술

분야에서 우주・항공 분야를 제외하면 여전히 최저 수준으로 재난안전에 대한 국민적 요구수준

을 고려할 때 기술수준 향상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역량 결집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Page 48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71

<표 9-6> �우리나라의 재난・재해 분야 과학기술 수준�

구분재난・재해 분야 전략 기술 전체 최저 기술수준

기술수준 기술격차 기술수준 기술격차 기술수준(분야) 기술격차(분야)

2008년 66.1% 9.1년 72.8% 6.8년 66.1%(재난・재해) 9.1년(재난・재해)

2010년 71.2% 8.4년 76.5% 5.4년 71.2%(재난・재해) 8.4년(재난・재해)

2012년 72.0% 6.3년 77.8% 4.7년 66.8%(항공・우주) 10.4년(항공・우주)

2014년 73.0% 6.0년 78.4% 4.4년 68.8%(항공・우주) 9.3년(항공・우주)

자료 : 2008년 기술수준평가 보고서(’09.2월,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년도 기술수준평가 결과(국과위 운영위, ’11.1월), 2012 기술수준평가(’13.2월,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기술수준평가(’15.4월,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나. 하천 방재 기술의 발전

우리나라에서 방재를 이야기할 때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홍수 통제다. 일제강점기인

1925년에도 경성 대홍수로 인한 하천 범람으로 사망자가 무려 647명에 이르렀다(국토교통부,

2014, p.14). 해방 이후에도 1959년 태풍 사라로 750명이 사망했고, 1972년 태풍 베티로 516명

이 사망하며 큰 홍수 피해를 입었다. 이렇게 우리나라에서 홍수 피해가 심각하게 발생하자,

UN태풍위원회(ESCAP/WMO Typhoon Committee)5)는 1968년 한강 유역을 홍수 예경보

시설 자동화 시범 지역으로 선정했다(국토교통부, 2014, p.52). 이처럼 우리나라의 최초 홍수 통제

기술은 국제기구의 도움을 받은 바가 컸다. 특히 일본의 도움이 컸다.

정부 역시 홍수 방제를 위해 댐을 건설하며 특단의 노력을 기울였다. 대표적인 것이 1973년

에 준공한 소양강댐이다. 소양강댐의 총 저수량은 29억㎥에 이르러 건설 당시 동양 최대 규모

를 자랑했다. 갈수기에는 용수 공급을, 홍수기에는 한강 수위 조절 기능을 담당했다. 5억㎥의

홍수 조절 능력으로 한강 수위를 1.69m까지 조절할 수 있다(국토교통부, 2014, p.75). 이후 1976년

안동댐, 1981년 대청댐 등 16개의 다목적댐을 건설했다(국토교통부, 2014, p.75).

정부는 지속적인 발생하는 홍수 피해를 줄이고자 1967년에 「풍수해 대책법」을 공포했다.

또 홍수통제소를 설치해 ① 하천 조사, ② 홍수 통제 조치, ③ 수문 관측과 수방 통신 관리

같은 업무를 담당토록 했다(국토교통부, 2014, p.77). 그리고 홍수 예경보 능력 제고를 위해 1974년

건설부 소속으로 한강홍수통제소를 열었고, 낙동강과 섬진강, 금강, 영산강에도 홍수통제소를

설치했다.

홍수통제소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홍수 통제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홍수통

Page 48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72

제소는 체계적으로 수문자료를 수집하고, 홍수 예경보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위한 주요

기술은 위의 그림과 같이 수문조사, 수문조사자료 전송, 홍수분석, 예보 전파 등으로 구성된다.

[그림 9-10] 홍수 통제를 위한 주요 기술

자료: 국토교통부 (2014), �대한민국 홍수 통제 40년� 발표자료

홍수 통제를 위한 관측 장비는 1990년대까지도 아날로그 방식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최근에

는 초음파유량계, 강우레이더 같은 첨단 기술과 디지털 방식을 상용화해 활용하고 있다. 특히

강우레이더는 대기 중의 강수입자를 강수량 자료로 변환하는 간접적 방식으로 강우량을 예측할

수 있어 직접 강수량계를 설치할 수 없는 북한 지역의 강우량도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임진강 강우레이더를 2001년부터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국토교통부, 2014, p.127).

[그림 9-11] 임진강 강우 레이더 관측 영상

자료: 국토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 외 (2014), �한국의 홍수 통제 40년사�, p.136.

수문 자료 전송과 홍수 예측에서도 많은 발전이 있었다. 현재는 현장에서 관측한 기초자료를

30분 단위로 초단파(VHF), 상용망(CDMA) 같은 무선통신과 위성(VSAT)을 통해 전송할 수

Page 48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73

있다(국토교통부, 2014). 특히 1990년대 들어 컴퓨터 발전과 더불어 홍수예보 기술도 빠르게 발전했

다. 전후 처리 프로그램을 추가해 예보 효율성을 높였고, 수문 모형을 중심으로 조석과 구조물

영향을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해 예측하는 등 정확도를 대폭 향상시켰다(국토교통부, 2014, p.54).

국민안전처에서는 하천 피해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하천 유역의 효율적인 재해

예방 및 재난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홍수 예・경보 시스템 개발을 연구개발 사업으로 추진하여

우리나라 중・소하천 유역에 적합한 실시간 홍수 예・경보 모델 및 소하천 정보시스템을 개발하

였다.

[그림 9-12] 중・소하천 홍수 예・경보 체계 구축 시스템

이처럼 우리나라는 국제기구와 일본을 도움을 받아 홍수 통제 기술을 익혀나가는 국제 원조

의 수혜국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관련 기술 발달로 해외 저개발국에 홍수 통제 기술을 지원하는

공여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4년부터는 태풍위원회의 공식 요청에 의거, 회원국의 홍수

예보 모형 신뢰성 확보와 사회・경제적 여건을 고려한 구조물적 치수 대책을 위한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국토교통부, 2014, p.57).

다. 소방 장비 기술의 발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본격적인 소방 장비로 활용한 장치는 증기 펌프인 완용 펌프로 구한말

일본에서 들여온 것이다. 1912년에는 스웨덴에서 가솔린 펌프를 도입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Page 48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74

최초의 동력 소방 기계였다(소방훈련발전위원회, 2016, p.4). 또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의 도요타, 닛산,

그리고 독일의 다이뮬러에서 제작한 소방 펌프 자동차를 운영했다(소방훈련발전위원회, 2016, p.4).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소방 장비는 일본이 사용하다 남기고 간 100여 대의 낡은 소방차와

수동식 완용 펌프가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이들마저도 한국전쟁 과정에서 대부분 파손됐다(국민

안전처 화재정보자료관). 한국전쟁 이후에는 미군에서 여유 차량을 확보한 다음 소방차로 개조해 사용

했다. 1971년 서울 대연각 호텔 화재로 163명이 사망하고, 1974년 대왕코너 화재로 88명

사망하는 등 대형 화재를 겪으면서 소방 장비의 중요성을 절감했다. 이에 1974년 주요 도시를

우선적으로 소방 장비 보강을 추진해 116대의 신예 소방차를 일본과 서독에서 도입했다(국민안전

처 화재정보자료관).

1975년 「정부 조직법」과 내무부 직제 개정으로 민방위본부를 설치하면서 소방 업무도 민방

위본부로 이관했다. 이후 민방위본부는 본격적으로 소방 장비보강 작업에 착수하면서 소방

장비 체계를 분류하고 소방력 기준을 제정하는 등 소방 분야를 과학화하는데 필요한 기틀을

마련했다(국민안전처 화재정보자료관).

[그림 9-13] 소방 장비 국산화

미군양여 소방차(1948년)

나무바퀴 완용펌프(1940년대)

68m 굴절차(2013. 에버다임)

내폭화학차(2013. 로젠바워)

자료: 소방훈련발전위원회, 2016, pp.5~19.

Page 48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75

소방 연구개발 대표 계획은 「소방 장비 보강 5개년 계획」이었다. 1972년 시작한 1차 계획

(1972년∼1976년)부터 제6차 추진 계획(1997년∼2001년)까지 추진한 결과 소방 장비를 보

강하고 관련 연구개발을 진행할 수 있었다.

소방 장비 개발은 미군의 잉여 차량을 개조해 소방차로 사용하는 형태로 시작했다. 1976년

동아자동차에서 펌프차와 물탱크차, 화학차, 굴절 사다리차를 국내 최초로 생산했다. 1977년

에는 소형 펌프차와 동력 소방 펌프를 국내 최초로 생산했다(국민안전처 화재정보자료관; 소방훈련발전위원회,

2016). 「제3차 소방 장비 보강 4개년 계획」(1982∼1985) 기간에는 소방차를 국산화하는데

집중했다. 그 결과 1984년도 32m 고가 사다리차와 배연차, 조명차를 국내 최초로 생산해서

공급했다(국민안전처 화재정보자료관). 이러한 기술 개발을 바탕으로 현재는 고가차와 굴절차, 고성능

화학차 등 거의 모든 차량을 국내에서 제작하고 있으며, 외국 수출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소방훈

련발전위원회, 2016, p.5).

3. 재난안전 분야의 미래 전망

가. 국가 재난안전 관리 R&D의 종합성과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R&D는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연구로서, 직접적인 상업화와

해외 수출 시장 개척을 위한 연구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대형 인적재난이 빈발하

는 등 압축적 경제 발전의 부작용을 경험하면서 국민 안전의 확보, 삶의 질 제고 등 사회적

필요성을 위한 과학기술 R&D가 태동했다. 재난안전 R&D 역시 여기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2004년 소방방재청 개청 이후 관련 연구는 꾸준히 확대되어 왔고, 2011년 우면산

산사태, 2014년 세월호 사고를 겪으면서 지속적인 양적 확대가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 재난안

전 R&D의 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안전 R&D 예산이 대폭 증가했고, 각종 연구의 양적 증가가 두드러졌다. 「2015년

도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개발 시행 계획」에 따르면 2014년 재난안전 R&D의 총 투자액은

13개 부처에서 4,165억 원이었고, 2015년 계획에서는 5,542억 원이었다. 부처별 투자액은

국토부 638억 원(15.3%), 미래창조과학부 597억 원(14.3%), 안전처 556억 원(13.4%), 산업

부 451억 원(10.8%), 농식품부 432억 원(10.4%) 순이었다(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5). 2015년의 투자

계획을 「제1차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2008~2012)」이 마련되었던 2007년

Page 49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76

(1,098억 원)과 비교하면 무려 5배 이상 R&D 투자액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9, p.4). 이에 따라 국가 전체 R&D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높아졌고 2015년에는 약 2.93%

에 달했다.

<표 9-7> 최근 재난・안전 R&D 투자액과 전체 R&D에서의 비중 추이

구분 국가 전체 R&D 재난・안전 R&D 재난・안전 R&D 비중

2013년 16조 8,777억원 2,174억원 1.29 %

2014년 17조 7,793억원 4,165억원 2.35 %

2015년 18조 9,231억원 5,542억원 2.93 %

자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5), �2015년도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개발 시행 계획�.

이런 양적 증가는 1990년 중반부터 지속적으로 발생한 대형 자연・사회 재난에 따른 사회적

필요성에 기인한 바가 크다. 즉 2011년 우면산 산사태의 경우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재난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워줬고 이를 위한 연구 예산이 대폭 증가했다. 또한 2014년 세월호

사고는 국가 전반의 안전 혁신을 강요하면서 재난안전 분야 전반의 연구 수요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이런 급격한 양적 증가가 바로 질적 성장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연구 예산이 급격히

증가하고 관련 연구 과제 수도 많아졌으나 아직까지 연구 결과의 활용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2014년 소방방재청 국감에서는 2009년부터 6년간 재난안전 R&D를 위해

1,318억 원의 예산을 투자했지만 실제 재난, 방재 현장에서 제대로 사용되는 연구 성과물은

매우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다(소방방재신문, 2014).

둘째, 국가적 차원에서 재난안전 R&D를 종합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아직까지도

과학기술 분류로서 재난안전 분야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난안

전의 범위를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것으로 폭넓게 해석하면서 정부의 거의 모든

부처에서 수행하는 관련 연구를 포괄할 수 있게 되었다(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5). 이에 따라 재난안전

분야에서 어떤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 포괄할 수 있는 거시적 안목을 갖게 된 것은 이제

이 분야에서 나무만 보는 것이 아니라 숲을 볼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각 부처의 재난안전 R&D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은 부족하다. 최초 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각 부처에서 진행되는 R&D를 포괄적으로 확인했고, 2차 계획에서는 국민

수요 조사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수정안에서는 세월호 사고로 인한 긴급한 수요를

반영하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관련 분야의 종합적 조정 체계가 확립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향후 보다 효과적인 조정 방안을 마련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할 것이다.

Page 49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77

나. 향후 과제 및 미래 R&D 수요

미래의 재난안전 R&D는 어떤 방향으로 추진해야 하는가? 이는 많은 학자들이 지적하고

있는 미래의 사회 모습을 반영한 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미래 한국사회 그리고 세계적

필요성에 따른 우리나라 재난안전 R&D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사회가 가진 사회적 취약성을 고려한 연구를 선제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최근의

경주 지진에서 경험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이제 지진의 안전 지대가 아닐 수 있으며, 매년

심해지는 기후변화로 인한 대형 재난에 대해서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런 자연 환경의 변화와

함께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은 사회적 취약성의 증가이다. 미래 우리가 경험할 가장 어려운

문제는 사회 전반의 고령화일 것이다. 고령화는 필연적으로 사회적 약자의 급격한 증가로

이어질 것이고 우리나라의 재난안전 관리 역시 이런 사회적 약자의 폭발적 증가를 고려해야

한다. 이와 병행하여 우리 사회의 다민족화 역시 중요한 문제이다. 이미 일본, 미국 등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재난 매뉴얼을 다양한 국가의 언어로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사회적

약자 및 다문화에 대한 배려는 향후 재난안전 R&D의 중요한 테마가 되어야 한다.

둘째, 회복력(resilience) 관점의 재난안전 R&D가 필요하다. 회복력 개념이 강조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현대 사회는 불확실성의 시대이고, 따라서 그 어떤 위험도 리스크(risk)를 0으로

산정할 수 없다. 즉 재난을 완벽히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인류가 아무리 예방을

위해 노력한다 하더라도 대지진의 발생을 막을 수 없고, 이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사고를 완벽히

통제할 수 없다. 회복력 관점에서는 모든 위험은 발생 가능하며, 따라서 예방에 노력을 기울여

야 하지만 재난이 발생한 다음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대형 원자력발전

소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고, 초대형 직하 지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 우리는 예방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지만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이런 극한 재난 상황에서도 우리 사회가 생존하고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

셋째, 재난안전 R&D는 그 무엇보다도 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 재난은 단순히 과학기술의

문제가 아닌 모든 사회 문제가 결합된 융・복합적 사회 현상이다. 지진의 예측을 위해서는

지질학적 연구가 필요하지만, 지진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내진 설계가 필요하고, 사회적으로

내진 설계를 요구하기 위해서는 효과적 규제 정책과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사회적 비용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지진을 경험한 우리 국민들의 공포를 이해할 수 있는 심리적

접근과 함께 공동체가 재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협력하기 위한 사회학적 접근도 필수이다.

Page 49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78

이처럼 재난이 융・복합적 성격을 가진 만큼 관련 R&D 역시 융・복합적일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R&D는 철저히 과학기술적 방법론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재난안전

R&D의 성과는 단순히 기술이 아니라 사회적 규제, 효과적 정부 정책인 경우가 더 많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재난안전 R&D에 대한 학제적 접근 및 새로운 성과측정 방법론이 필요하다.

넷째, 재난안전 R&D의 연구 관리 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앞서 언급한 바대로 재난안전

R&D는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했으나 아직까지 질적인 면에서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부처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고 조정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현재 재난안전 R&D의 경우 일반적 과학기술 R&D에서 수행하고

있는 기획, 관리, 평가, 정책 연구 기능이 전문적으로 분화되어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재난안전 분야에서 사회적 필요성에 따라 어떤 연구가 필요한지를 준비하는 기획

기능, 다양한 연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연구 관리 기능, 그리고 연구 성과를 냉철하고

독립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 기능 및 정책 제안 능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방재와 소방 분야의 R&D는 다양한 재난으로부터 우리 국민들의 생명을 지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해방 이후 외국 원조에 의존했던 우리의 방재・소방 기술은 이제 해외 저개발국을

돕고, 수출을 통해 경제 성장에도 이바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부족한 점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향후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선제적인 R&D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환경과 사회의 변화를 고려한 미래 R&D 수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에 대응한 방재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2011년 7월 수도권 집중 호우와 우면

산 산사태는 기후변화로 인한 우리나라의 재난 양상이 어떻게 변할지를 보여준 경고로 해석할

수 있다. 우리나라 홍수 통제 기술은 크게 발전했으나 아직까지는 대부분 하천 홍수 방재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하천 중심의 홍수 통제는 국지성 집중 호우와 이로 인한 돌발 홍수(flash

flood) 방재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국지성 집중 호우를 사전에 예측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이면서도 지속 가능한 방재 기술 개발에도 힘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경험하지 않았고 가능성도 낮지만,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재난에 대한 대응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방재 기술은 대부분 이미 익숙한 상황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

로 발전했다. 따라서 홍수 통제나 화재 예방이 중심이었던 것은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2016년 경주 지진 사태와 같이 우리가 경험하지 않았지만 엄청난 피해가 예상되는

Page 49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79

재난에 대한 대비는 매우 부족하다. 대규모 지진이나 해일로 인한 원자력발전소 파괴와 같은

대형 복합 재난 상황에서의 대응 기술 역시 매우 부족하다. 방사능이나 유해화학물질에 노출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상황을 파악하고 사고를 수습할 수 있는 무인 장비에 대한 연구개발도

매우 중요하다.

집필 이 찬 찬 (국방)

유 진 호 (국방)

정 지 범 (재난안전)

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교수

Page 49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80

참 고 문 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3), �2차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5), �2015년도 재난 및 안전 관리 기술 개발 시행 계획(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6), �제2차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 개발 종합계획 수정(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 �1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 개발 종합계획(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9), �2009년도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 개발 시행 계획(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민안전처 (2015), �안전혁신마스터플랜�, 국민안전처.

국방과학연구소 (1989), �국방과학연구소약사 제1권�,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1999), �국방과학연구소약사 제2권�,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2007), �국방과학연구소사 제3권�,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2011), �국방기술품질원 30년사�.

국방기술품질원 (2015), �국가별 국방 과학기술 수준 조사서�.

국방부 (2014), �2014~2028 국방 과학기술 진흥 정책서�, 국방부.

국방부 (2016), �국방 기획 관리 기본 훈령 제1511호�, 국방부.

국방부 (2016), �국방 전력 발전 업무 훈령 1896호�, 국방부.

국토교통부(2014), 『대한민국 홍수통제 40년』발표자료, 국토교통부.

류충 (2015), �한국의 소방 행정 체계 발전 과정 및 과제�, 한국행정연구원 내부 자료.

방위사업청 (2008), �방위사업 개론�,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 (2014), �튼튼한 국방과 국민경제에 기여하는 World Best 방위 사업�,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 (2015a), �개청 10년 방위사업청 백서�,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2015b), �국방기술 연구개발 소개�,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2016a), �2016년 방위사업 통계 연보�,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2016b), �방위사업 관리 규정 훈령 제366호�, 방위사업청

소방방재신문 (2014), “[국감]노웅래 의원, 소방 방재청 R&D 사업 연구 성과 없어 돈만 쏟는 꼴”, 2014년 10월 9일.

소방방재청 (2009), �소방 정책 개발 소방 교육 체계 구축을 위한 소방학 정립 연구�, 소방방재청.

소방훈련발전위원회(2016), 『2016 신임교육과정 소방차량장비실무』, 소방훈련발전위원회.

신진교 (2011), �정부 R&D 투자의 효율성 제고 방안 연구 – 3장 국방 R&D 투자의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안동만 (2015), ‘우리나라의 국방연구개발 역사 뿌린대로 거둔다’,『우리도 할 수 있다』, 박정희대통령기념재

단, pp.10~15.

임현우 (2015), “한국 재난 관리 체계의 발전 과정 및 변화 관리 과제”, 한국행정연구원 내부 자료.

정지범 (2012), �범정부적 국가 위기 관리 시스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Page 49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9장국방・재난안전

481

중앙안전관리위원회 (2004), �제1차 (2005~2009) 국가 안전 관리 기본계획�,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중앙안전관리위원회 (2009), �제2차 (2010~2014) 국가 안전 관리 기본계획�, 중앙안전관리위원회.

통계청, KOSIS, http://kosis.kr/, 2016년 9월 30일 접속.

통계청, 국가지표체계, http://www.index.go.kr/, 2016년 9월 30일 접속.

국민안전처, 화재정보자료관 (소방장비의변천현황), http://www.nfds.go.kr/hi_con_0003.jsf?tp=c,

2016년 10월 2일 접속.

Page 49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82

미 주

1) 국방기획관리체계(PPBEES, Plan, Program, Budget, Execution, Evaluation System)는 현존 군사력의

좌표를 분석하여 새로운 국방 목표를 설계하고, 국방 목표 달성을 위해 군사력 건설과 유지, 운영 방향을 종합

적이고 체계적으로 모색, 최선의 방안을 선택해 가용한 국방재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분 및 관리하기 위한

통합적 자원 관리 업무 체계로, 기획, 계획, 예산, 집행, 평가 체계라고 불리기도 한다. 기획 관리 제도는 각

부서 간 유기적인 업무 수행 체계 및 절차를 규정하여 국방 요원의 노력을 체계적으로 결집시킴과 동시에 국방

목표 구현을 위한 최선의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가용 국방 재원의 효율적인 배분・운영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방위사업청 (2008), p. 13.

2) 그러나 제도적 절차가 미비하여 서울과 부산에서만 소방본부가 발족되어 지방사무로 실시되고 다른 도에서는

계속 경찰기구에서 소방업무를 관장했다. 소방방재청 (2009), p. 20.

3) 관련 시행령 77조는 2012년 폐지되었고, 대신 법 제71조의2(재난 및 안전관리기술 개발 종합계획의 수립 등)

가 제정되었다.

4) 2006년도 재난・안전 R&D 비중은 전체의 1. 2%(1,056억 원)로, 이 예산은 단순히 소방방재청에서 수행하는

소방과 방재 분야의 연구가 아니라, 다른 모든 부처에서 수행하고 있는 재난안전 관련 연구를 포괄한 것이다.

5)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태풍 피해를 최소한으로 경감시키기 위한 기술 교류와 공동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한 UN 산하 단체이다.

Page 49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건설・철도・도로

│제10장│

Page 49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49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485

제10장 ❚ 건설・철도・도로

제1절 개요

이 장에서는 한국 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한 건설 분야와 교통 분야의 과학기술 발전사를

다룬다. 먼저 건설 기술을 보면, 지난 수십 년간 경제・사회적 여건 및 산업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우리나라 건설 기술 개발의 방향도 변해왔다. 1950년대에는 전재복구를 위한 도로

보수, 하천 개수, 항만의 긴급 보수 등 산발적인 건설 공사 위주로 진행되었으므로, 건설 기술

축척 및 개발보다는 공사에 중요한 일부 중요 건설 재료에 대한 품질 시험이 이루어지는 정도였

다. 1962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시작되면서 부터는 대규모 토목 공사, 철도 복구,

고속도로 건설, 고층 건물의 신축, 중화학 공업을 위한 공업 단지 조성, 주택 단지 개발, 나아가

해외 건설 수출 등 본격적인 건설 기술 개발이 시작되었다.

교통 분야는 한국에서 교통수단으로 철도와 도로의 중요성이 컸고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므로 이 장에서는 철도와 도로, 두 분야를 별개의 절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철도 기술에 대한 연구는 1899년 경인선 개통을 한국 철도 교통의 시작으로하여 1990년대

고속철도 기술 개발로까지 이어졌다. 이후 KTX 개통과 함께 한국형 고속철도를 비롯해, 한국

형 경량 전철 K-AGT, 1500V 급 에너지 저장장치 등의 핵심 기술 개발에 성공했고, 첨단

연구시설과 인프라를 구축해 나갔다. 또한 LTE-R 철도 통합 무선망, 무선 급전 등 혁신 기술을

잇달아 선보이며 세계 철도 기술의 중심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도로교통 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1970년대 후반부터 교통 신호 체계 운영 시스템 개발로

시작되었다. 1990년대에는 지능형 교통 체계(ITS)의 개발로 이어졌으며, 1999년에는 「교통

체계 효율화법」이 제정되고 2000년에는 「ITS 기본 계획 21」이 수립되어 지능형 교통 체계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중교통 분야의 연구개발은 대중교통 수단의 효율적인 운영 관리를 목표로 이루어지고

있다. 첨단 대중교통 시스템 구축을 통해 버스의 운행 간격 및 정류장 도착 시간 조정, 교통카드

Page 50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86

관리 등의 연구개발을 수행하여 성과를 거두었다. 화물자동차에 대한 운행 관리나 종합 물류망

구축 연구개발도 도로교통 연구개발 활동의 한 분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로교통 분야의 연구개발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등 국책 연구기관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80년대 이전까지는 개별 연구기관 단위의 소규모 연구개발 사업으

로 이루어졌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사업 규모와 예산이 늘어나자 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건설기술평가원이 설립되었다. 2000년대 도로교통 분야의 연구개발 사업의 변화 추이를

보면 2000년대 전반에는 관련된 국책 연구기관들이 연구개발 사업 확대에 주력했고, 2000년

대 후반부터는 전담 관리 기관을 통한 연구개발 사업의 고도화가 추진되었으며 2010년대에는

연구개발 사업의 실용화를 위한 제도와 계획이 마련되었다.

위와 같이 건설 분야와 철도 및 도로 교통 분야는 한국 경제 발전의 핵심적인 기술 분야들로

볼 수 있으며, 이제는 선진 기술을 확보하는 단계에서 더 나아가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을

위한 연구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제2절 건설

1962년 건설부 창설 당시 건설 부문 예산 규모는 정부 총예산의 6.0%인 65억 원 규모였으

며, 이 가운데 약 35%를 댐, 치수, 상・하수도 등 수자원 개발에 투자하고, 22%를 도로, 철도

등 교통 시설에, 11%가 주택 건설에 투입했다. 1960년대 후반에는 경인고속도로 및 경부고속

도로 건설이 추진되면서 도로 부문의 투자가 크게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후 1970년에는 교통

부문 투자가 건설예산의 64.1%를 차지했으며, 1970년대 들어와서는 중화학 공업 육성을 위해

공업 단지, 공업용수, 공업항에 대한 투자가 활발해졌다. 이로 인해 1975년 산업 입지 관련

투자가 건설 예산의 24% 수준까지 증가했다.

1980년대 들어서는 정부는 수도권 정비에 주력했고, 80년대 후반에는 주택 200만호 건설을

시작했다. 이로 인해 SOC 투자는 상대적으로 축소되었으나, 1990년대에는 세계화 및 지방화

에 대비하여 SOC 투자가 대폭 확대되었다. 이 시기에 인천국제공항, 광양항, 가덕 신항만

등이 건설되었다. 2000년 이후에는 국가 균형 발전, 녹색 국토를 지향한 건설 투자가 강조되었

고, 세종시 및 혁신 도시 건설과 광역 교통 체계 구축 등이 추진되었다. 2000년대 후반 들어서

Page 50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487

는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경기 침체를 경험하고 있으며, 복지 위주의 예산 편성이 강조되면서

SOC 투자가 위축되고 있다.

<표 10-1>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SOC 투자 정책의 변화

구분 계획기간 계획목표 기본방향 SOC 투자 정책방향

제1차1962~

1966

・ 사회경제적

악순환 시정

・ 자립 경제 개발

구축

・ 경제 자립과 공업화

기반 조성

・ 기간 사업과

사회간접자본의 확충

・ 국토 건설 사업의

적극 추진

・ 6.25로 파괴된 도로교량건설과 항만과

철도를 연결하는 주요간선도로의 포장

중점 투자

・ 자원과 생간지를 연결하는 철도망

우선 확충

・안벽, 방파제 등 항만기초시설 확충

・ 공업항 개발 시작 : 울산항

제2차1967~

1971

・ 산업 구조

근대화

・ 자립경제 확립

・ 산업 구조 근대화와

자립경제 확립

・ 기간산업 및

사회간접시설 확충

・ 도로망의 정비와

유지보수 강화

・ 신규건설 억제, 도로망 정비 및

유지보수 강화

・ 산업도로 및 유료도로 건설 촉진

・ 고속도로 건설 : 경인 경부고속도로

착공

・철도 신설건설 및 복선 개량공사 확대

・ 지구별 철도 종합개량사업 추진

・항만기초시설의 지속적인 투자

・ 인천항 선거공사 및 포항신항 착공,

울산항 완공

제3차1972~

1976

・ 성장, 안정,

균형의 조화

・ 자립적

경제구조의 실현

・ 국토종합개발과

지역개발의 균형

・ 중화학 공업육성 등

산업 구조의 고도화

・ 자력성장의 기반조성

・농어촌 개발

・ 고속도로 건설 확대 및 국도포장 촉진

・ 수도권 광역전철망의 확장 : 복선전철

및 지하철 건설사업 추진

・ 주요 항만 중점 개발, 부산 및 인천항

컨테이너 전용부두 건설

제4차1977~

1981

・자력성장구조의

실현

・ 사회개발을 통한

균형 증진

・ 기술혁신과

능률향상

・ 중화학 공업육성 등

산업 구조의 고도화

・ 자력성장의 기반조성

・농어촌 개발

・ 고속도로 건설을 통한 간선도로망

확충

・ 국도와 주요지방도 포장 촉진 및

유지관리 강화

・철도복선화 사업 : 호남선 복선화사업

추진

・ 부산항 및 포항신항 확장 투자, 국제

및 연안여객 부두 완공

제5차1982~

1986

・안정 기조 장착

・ 고용기회 확대

・ 계층간, 지역간

균형발전

・ 경제안정 기반구축

・민간의 자율과 경쟁

촉진

・ 국민복지 및 형평

증진

・ 도로시설 지속적 확충 및 각급 도로의

상호연계 강화로 종합공로 수송체계의

확립

・철도복선화사업 지속 추진:경의선,

광양제철선건설

Page 50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88

자료: 집필진 작성

1. 건설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행정 및 지원 체계의 변천

건설 분야 기술의 모태는 1948년 8월 정부 수립 당시 발족한 내무부 건설국 산하 토목시험소

로 볼 수 있으며, 1956년 대통령령에 의해 국립토목시험소로 승격・개편되었다. 국립토목시험

소는 우리나라 건설 기술 발전과 건설 공사 품질 향상을 위한 국립 시험 기관의 역할을 수행했

다. 당시 우리나라는 주로 전재복구를 위한 소규모 도로 보수, 하천 개수, 항만 긴급 보수

등의 건설 공사 위주로 건설기술이 축적되고 있었다. 1958년 8월 미국의 국제협력국

구분 계획기간 계획목표 기본방향 SOC 투자 정책방향

・ 경제의 개방화,

국제화

・ 주요항만 지속 확장, 대형 수입석탄

부두 완공

・ 신항 개발 계획 수립, 연안화물부두,

여객부두 확장

제6차1987~

1991

・ 형평성 제고와

공정성 확보

・균형발전과

서민생활향상

・ 경제의 개방화

・ 경제사회의

제도발전과 질서의

선진화

・ 산업 구조의 개편과

기술입국의 실현

・ 지역사회의

균형발전과

국민복지의 증진

・ 사회간접자본과 국민

편익시설의 균형 확충

・ 수송수요증가에 대비 도로, 철도 등

수송능력향상

・ 지역균형발전을 고려한 고속도로 및

국도 건설

・철도복선화사업 지속 추진 및 수도권

지하철 확충

・ 부두시설과 배후수송시설을 동시 건설

・군산신항 및 아산항 착공으로 물류난

해소

제7차1992~

1996

・ 산업경쟁력 강화

・ 사회적 균형발전

・ 국제화,

자율화와

통일기반 조성

・ 산업의 경쟁력 강화

・ 사회적 형평제고와

균형발전

・ 국제화 자율화의

추진과 통일기반

조성

・ SOC 투자 GDP 대비 5% 수준까지 확대

・ 동서 9개축, 남북 7개축으로

이루어지는 격자형 전국간선도로망

체계 수립

・ 지역 간 연결도로 확충, 기존

교통애로구간 해소, 도로규모의 확대,

도로포장율의 제고 추진

・ 고속철도 건설사업 추진 및 철도복선화

추진

・ 부산항과 광양항의 Two Port

Container System 구축 위한

컨테이너 부두시설 확장

・ 지역거점 항만 육성 및 수도권 항만의

적체해소

Page 50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489

(International Cooperation Administration, ICA)의 협조 자금으로 214종(당시 8만

3,000 달러 상당)의 최신 시험 기구를 도입하여, 비록 완전한 시설과 조직은 아니지만 우리나

라 토목 건설 분야 전반에 걸친 개선과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1959년에는 국립토목시험소 조사 의뢰 규정(내무부 훈령 127호), 토목시험소 시험 의뢰 규정

(내부무 훈령 128호) 및 국립토목시험소 조사 시험 수수료 정액표(내무부 고시 494호) 등을

제정, 정비하여 공사 현장의 품질 관리를 위한 시험 및 재료 개발을 위한 물성시험을 의뢰받아

처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1960년대 경제개발 계획의 시행으로 건설 공사의 규모와 양이 증가하고 건설기술 및 관련

시험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1961년 국립토목시험소와 국방부 지리연구소를 통합하여 국립

건설연구소로 개편하였다. 국립건설연구소는 이전의 시험 업무 위주에서건설기술 신공법의

도입 개발 및 기준화 연구 등의 연구개발 업무 중심 체제로 발전했고, 건설 공사의 설계 및

시공에 관한 각종 기준 제정, 선진국의 신공법・기술의 도입과 보급, 국산 자료의 특성에 맞는

시험 방법과 한국 공업 표준 규격화 등 활발히 업무를 추진했다. 또한 각종 연구 보고서를

비롯하여 각종 시방서, 설계 기준, 기술 지침서, 설계 편람, 기준도 등 건설 기술자들이 필독해

야 할 기술 자료를 발간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 들어 건설 공사의 기계화 시공이 활발해짐에 따라 국립건설연구소에 기계시공과

가 설치되었다. 또한 측량, 항공 측량 및 지도 제작 업무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측지부를 국립지

리원으로 분리, 승격시키는 대신, 건설교육원을 통합하고 훈련부를 신설하여 건설기술 연구와

건설기술자의 기술 향상을 위한 교육 업무도 진행했다. 당시는 경부고속도로 건설 완공, 다목적

댐의 축조 등 대규모 건설 공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고, 국내 건설기술의 축적된 노하우를

통해 중동 해외 건설 사업 진출이 활발해진 시기였다. 현대건설을 비롯하여 경남기업, 고려개

발, 대림산업, 삼부토건, 삼환기업 등 국내 유수의 건설업체가 중동에서 벌어들인 외화는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나 1978년 15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중동에 진출한 건설 인력만 20만 명에

달했다. 하지만 이런 중동 건설 붐은 1970년대 말 2차 석유파동으로 인한 세계 경제 위축으로

무너졌으며, 해외 건설과 수출에 크게 의존했던 우리 경제에도 위기가 찾아왔다.

한편 1980년대 들어 정부는 강력한 경기 활성화 정책을 수립하고, 70년대 우리 경제를

이끌었던 해외 건설 부문 활성화를 추진하고자 했으나, 국제 건설 시장이 노동력이 아닌 기술력

을 요하는 추세로 변하여 국내 기술 수준으로는 해외 진출이 쉽지 않았다. 이에 김종호 당시

건설부 장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재준 대한건설협회장을 비롯하여 건설공제조합

Page 50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90

이사장, 해외건설협회장, 건설기술교육원장과 도급 순위 1~11위 건설업체의 대표자들을 초청

하여 건설기술연구원 설립을 논의했다. 이에 건설부는 ① 대통령을 설립자로 하는 재단법인체

로 하고 대통령이 기금으로 100만원을 출연하며, ② 운영 재원은 해외건설진흥기금, 건설공제

조합, 대한건설협회 등 건설부 산하 단체 및 건설업체의 출연금으로 충당하여, ③ 건설기술연구

법을 제정하여 지원 및 육성의 근거를 마련하고, ④ 높은 대우를 통해 해외 우수 인력을 확보한

다는 것을 연구기관 설립의 기본 방향으로 설정했다. 이에 따라, 1983년 6월 11일 건설부는

민간 연구기관인 건설기술연구원을 재단법인 형태로 설립했다. 기존의 국립건설연구소는 국립

건설시험소와 건설공무원교육원으로 분리, 개편하고, 국립건설시험소의 연구기능은 건설재료

의 시험 업무로 축소되었다.

건설 기술 분야의 전문 연구기관으로서 건설 및 국토 관리 분야의 원천기술 개발과 성과

확산을 통한 건설 산업 발전과 국민 삶의 질 향상 및 국가 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설기술연구원이 설립됨에 따라, 건설 기술 분야의 본격적인 연구개발 시대가 열렸

다. 설립 초기 건설기술연구원에는 실험 시설이 전무했고 문헌과 인력도 모두 부족했기 때문에,

국내 건설 기술과 관련된 실태 조사, 현황 조사, 비교 연구 등의 활동을 주로 수행했다. 또한

건설기술연구원은 건설 기술에 대한 국내 실정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간담회도 개최했다.

이 간담회 자리에서 대형 건설업체는 물론 중소 건설업체들도 다양한 요구사항을 피력하였는

데, 이는 건설 기술 연구개발의 방향을 정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 1987년 5월 건설부

의뢰로 수행한 건설 기술 연구 장기발전 방향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업계와 학계의 자문을

받아 건설 기술 전문 분야별 연구개발 계획, 추진 전략, 그리고 소요 자원 및 조달 계획 등을

제시하여 2000년대 건설 산업 재도약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건설기술 관리법」 제정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설립 근거를 마련하고, 1988년 1월에 정부 출연 연구기관 체제로 재출

범하게 되었다. 1999년 1월에는 건설교통부 국립건설시험소와 통합되어, 건설기술과 품질

시험 업무를 함께 수행하고 있다.

이처럼 건설 분야는 「건설기술 관리법」에 의거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연구 관리 전문

기관으로 지정되어 연구개발 사업을 주도해 왔다. 건설 분야 연구개발 투자 확대에 따라 연구

관리를 전문으로 담당할 기관이 필요해짐에 따라 1996년 1월에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내에

건설교통기술정책관리센터를 설치하여 운영했으며, 건설기술관리센터 관련 법령과 「건설기술

관리법」의 개정에 의해 법적 근거가 마련됨에 따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 직속의 건설기술관

리센터를 정식 조직으로 개편했다. 이후 1999년 1월 15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국립건설기

Page 50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491

술시험소가 통합됨에 따라 건설기술품질센터로 조직을 개편・확장하고, 본격적으로 연구개발

관리 업무를 수행했다.

2000년대에 건설기술의 연구개발 예산 규모가 커지고 연구 과제 수가 많아지면서 연구개발

관리와 연구를 분리하여 제3자의 입장에서 공정하고 체계적・전문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요구

가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건설기술 연구개발을 관장하던 건설교통부는 연구개발을 전문적으

로 관리하기 위한 전문기관의 설립을 추진하여, 2002년 12월 30일 재단법인 한국건설교통기

술평가원이 탄생했다. 2004년 1월에는 건설교통기술 연구개발 업무를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

원으로 일원화시킨다는 계획에 따라, 한국교통개발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등 여러 교통 관련 기관에서 분산・추진하던 교통기술 연구개발 업무까지 인계받게

되면서,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은 본격적으로 건설 및 교통기술 연구개발 업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되었다. 이후 2005년에는 재단법인에서 법정법인으로 전환되었고, 2006년에는 정

부 산하 기관으로, 2007년에는 준정부 기관으로 지정되었으며, 2013년에 현재와 같은 국토교

통과학기술진흥원으로 기관명을 변경했다.

한편 2006년 5월에는 건설・교통 부분 각 사업 별로 관리 주체 및 관련 규정과 지침이 다양했

던 문제를 개선하고 건설・교통 산업의 비전과 전략을 통합하여 제시하고자 「건설교통 R&D

혁신 로드맵」을 수립했다. 본 로드맵은 건설・교통 기술의 대형 실용화 과제인 VC-10 사업단

체계를 발굴・도입하고, 산재되어 있던 건설・교통 분야 연구개발 제도의 통합 체계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건설교통 R&D 혁신 로드맵」에 따라 2007년 사업 체계 개편과 함께

건설교통 분야의 모든 연구개발 사업을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건설교통 기술 연구개발

사업 운영 규정」을 제정하게 되었다. 새로운 규정에 따라 사업단・연구단 체계를 확립하여

운영의 기틀을 마련했고, 대규모 사업비가 투입되는 사업단에 대한 관리지침을 제정하여 사업

단 운영 기준을 수립했다. 아울러 과제담당관 제도를 도입하여 실제 연구 과제 및 사업 운영을

총괄하는 부처의 기능을 강화했다. 과제담당관 제도 도입으로 부처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고 연구 성과 실용화를 위한 기틀도 마련하게 되었다.

「건설교통 기술 연구개발 사업 운영 규정」 제정 이후 연구개발 사업 운영의 안정성이 확립되

었고, 기획・ 평가・ 관리 등 사업운영 전반에 있어 보다 선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 방안이

모색되었다. 먼저 기획 분야에 있어서 상시 제안 제도를 도입하여 신규 과제에 대한 제안을

수시로 할 수 있게 했으며, 일정 규모 이상의 과제에 대해서는 기획 연구를 의무화하여 본

연구 추진 시 발생 가능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했다. 또한 사업단・연구단 도입으로 과제가 대형

Page 50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92

화됨에 따라 대형 과제의 관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10개 사업단 조직 성과 관리 운영 체계를

구축하고 통합 진도 관리 시스템인 EVMS의 도입을 추진하여, 사업단 및 연구단 과제 관리를

보다 발전시켰다. 뿐만 아니라 연구 과제 중 일부 세부 과제에 대해 분리 공모 제도를 시행하여

대형 사업단 등에 포함되지 못해 소외될 수 있는 신진 연구자나 지방 연구자들에게도 동등한

연구 참여의 기회를 제공했다. 2010년부터는 연구개발 제도 고도화와 연구 성과 극대화를

위해 연구개발 발전 전략, 연구개발 사업 관리 방안, 연구개발 관리 시스템 종합 개선 방안

등 여러 가지 사업 관리 방안 등을 수립하고 추진했다. 기획 기능 강화를 위해 경쟁 기획

도입, 기획 결과 타당성 검토 제도를 도입하여 신중한 연구개발 투자를 유도했다, 평가에 있어

서는 성과 점검 기준표를 도입하여 성과 중심의 실효성 있는 평가가 되도록 했다. 연구비

관리에서는 실시간 연구비 관리 제도인 e-로미 시스템 도입, 현장 실사 강화 등을 통해 연구비

유・오용을 사전에 방지했다.

[그림 10-1] 건설교통 연구개발 제도 발전 과정

자료: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3), �KAIA 10년사�, p.59.

나. 정책 및 사업의 변천

1945~1960년대는 광복 후 정부 수립에 이어 6.25 전쟁으로 전국토가 황폐화되어 전후

복구 건설 사업에 집중했다. 1962년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시작으로 산업 구조

근대화 및 자립경제 확립을 위해 대규모 토목 공사, 철도 복구, 고속도로 건설, 고층 건물의

신축, 중화학 공업 단지 조성, 주택 단지 개발, 나아가 해외 건설 수출도 시작했다. 이후 1980년

Page 50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493

대까지 중동 건설 붐을 타고 건설 산업은 경제 성장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며 호황기를

누렸지만, 당시에는 노동집약적 건설 공사 위주였기 때문에 현재와 같은 국가 주도의 건설

기술 연구개발 개념이나 정책은 다소 부족했고, 민간업체 주도의 건설 공사를 위한 품질 시험,

공기 단축, 건설자재 절감 등의 연구개발이 수행되었다.

1987년 정부는 건설업의 기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건설기술의 종합 관리와 건설 공사의

품질 확보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건설기술 관리법」을 제정했다. 이는 당시 「건설업법」, 「기술

용역 육성법」, 「국가기술 자격법」 등으로 흩어져 있는 건설업 기술 관련 조항을 하나로 묶어

「건설기술 관리법」으로 일원화 한 것이었다. 당시 건설기술 관련법 중 시공 기술을 주로 다룬

「건설업법」은 건설부가, 조사・설계 기술을 다루는 「기술 육성법」은 과기처가, 건설 기술자와

관련된 「국가 기술 자격법」은 노동부가 각각 관장하고 있어 건설 기술 관리부서와 관계 법

규정이 혼란스러워 정부의 체계적인 기술관리 정책 수립이 어려웠다. 「건설기술 관리법」의

제정으로 건설 기술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 수립과 추진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바뀔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 법의 주요 내용을 보면, 「건설 기술 관리 기본계획」의 수립・추진,

건설 기술 연구개발 체계의 확립, 건설 기술 정보 체제 구축, 건설 공사 품질 관리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정부 주도의 본격적인 건설교통 연구개발은 1994년 12억 원의 예산으로 시작되었다. 1997

년 12월에는 국내 건설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와 경영 혁신, 체질개선의 핵심이 될 수 있도록

「건설 기술 진흥 기본계획」을 마련하여 21세기 지식기반, 정보화 시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 등을 시행했다.

2006년 5월에 수립된 「건설교통 R&D 혁신 로드맵」은 건설교통 연구개발 사업에 중요한

발전을 가져왔다. 「건설교통 R&D 혁신 로드맵」의 비전은 “미래 사회 삶의 질 향상을 위한

Value Creator”로, 이를 위해 2015년까지 10년간 달성할 중장기 목표를 수립했다. 건설

분야 세계 7위권 기술 수준 달성, 건설 공사비 10% 절감, 해외 시장 점유율 10% 달성, 교통사

고 비용 10% 절감, 건설 교통 Global Top 5개 기술 달성, 물류비・ 교통 혼잡비・ 재해 비용

10% 절감 등이 이에 해당된다. 또한 이 로드맵을 통해 건설교통 기술의 대형 실용화 과제인

10대 중점 프로젝트(VC-10)1)를 추진하여 뚜렷한 목적물 위주의 중대형 실용화 과제를 과감하

게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건설교통 연구개발 예산 규모도 2006년 2,280억 원에서 2007년

3,277억 원으로 대폭 증가했다. 또한 나열식으로 일관되지 못했던 기존 연구개발 사업을 7대

R&D 사업군2) 20개 전략 프로젝트로 재편했다. 이처럼 「건설교통 R&D 혁신 로드맵」은 건설

교통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집중되었던 기존 연구개발 체계를 탈피하여, 건설교통 전체

Page 50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94

영역을 다루는 균형 잡힌 연구개발 포트폴리오를 갖게 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최초의

통합 전략이라 할 수 있다.

[그림 10-2] 사업 전략의 발전 과정 및 연도별 예산

자료: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3), �KAIA 10년사�, p.32.

2006년을 건설교통 ‘기술 혁신 원년’으로 삼아 「건설교통 R&D 혁신 로드맵」을 수립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중장기 실행 계획을 세워나가기 시작했다. 혁신로드

맵 실행을 위해 사업별로 과제 위계 간의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추진 방향을 정립하고 단계별

개발목표를 설정함과 동시에, 향후 5년간(2008년~2012년)의 유망 기술 선점을 위한 상향식

(bottom-up)의 체계적인 연구개발 기획을 실시하여 잠재적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중장

기 계획과 기술로드맵을 수립했다. 중장기 계획은 건설 분야와 교통 분야로 나누어 추진되었다.

건설 분야는 건설기술 혁신, 플랜트기술 고도화, 첨단 도시 개발 등 3개 사업, 교통 분야는

교통 체계 효율화, 미래(도시) 철도 기술 개발, 항공 선진화 등 4개 사업으로 추진되었다.

이런 중장기 계획에 기반하여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매년 연차별 시행 계획을 작성, 수립

하고 이를 토대로 체계적인 연구개발 사업을 수행했다.

또한 연구개발 과정을 진단・개선하여 연구개발 투자 효율성을 제고하고 저탄소 녹색 성장

패러다임에 맞는 사업 체계 개편 및 미래 핵심 기술 발굴을 추진하기 위해, 2010년 10월에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국토교통부와 함께 「국토 해양 R&D 발전 전략」을 수립했다. 그동

Page 50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495

안 국토 해양 연구개발 사업은 총괄 법령 부재, 전문기관의 기획・정책 개발 역량 미흡, 연구기

관 간 네트워크 미비 등 전반적인 거버넌스 체계 강화를 요구받아 왔으며, 개발기술의 실용화

실적도 투입된 예산에 비해 미미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수립된 「국토 해양

R&D 발전 전략」의 비전은 “품격 높은 국토해양공간을 창조하는 Green Growth Leader”로

설정되었다. 세부 목표로는 2020년까지 선진국 대비 녹색기술 수준 90% 제고, 세계 1위 기술

10개 보유, 해외 시장 점유율 7% 확대, 글로벌 대표 기업 5개 보유, 사회・경제적 비용 3­5%

절감 등이 제시되었다.

[그림 10-3] 국토해양 연구개발 발전을 위한 장기적 비전 및 목표 설정

자료: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3), �KAIA 10년사�, p.34.

「건설교통 R&D 혁신 로드맵」 수립에 따라 사업 체계가 개편되면서, 산재되어 있던 건설교

통 분야 연구개발 제도 또한 통합된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이와 함께, 「건설 교통 기술 연구개

발 사업 운영규정」이 마련되어 산재되어 있던 건설, 교통 분야의 연구개발 사업을 통일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규정에 따라 사업단・연구단 체계를 확립하여 운영의 기틀을 마련했

고, 대규모 사업비가 투입되는 사업단에 대한 관리 지침을 제정하여 사업단 운영 기준을 수립했

다. 아울러 과제담당관 제도를 도입하여 실제 연구 과제 및 사업 운영을 총괄하는 부처의

기능을 강화했다. 과제담당관 제도 도입으로 부처의 관심이 크게 증가했으며, 연구 성과 실용화

를 위한 기틀도 마련되었다.

이처럼 1994년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온 건설교통 연구개발 사업은 예산 증가와 함께,

단순한 요소 기술 개발에서 연구 환경 조성 및 연구 성과의 현장 적용을 위한 사업화까지

포함하는 전주기적 연구개발 사업으로 질적 성장을 해왔다. 이런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국토해

Page 51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96

양 연구개발 발전 전략의 세부계획으로 「제2차 중장기 계획」(2013~2017)을 수립, 미래 사회

의 변화에 대응하고 녹색 성장 정책에 부합하는 건설교통 연구개발 투자 전략을 마련했다.

새로운 중장기 계획의 비전은 “인간 중심의 미래가치를 창조하는 건설교통 Smart Leader”로

선정되었고, 이 비전에 맞추어 사업 체계는 9개 사업으로 개편되었다. 세부 목표로는 에너지・

자원의 효율적 이용, 인간 중심 사회 및 도시 구현, 미래 경제 가치 창출, 융・복합 첨단기술

확보,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사회 실현 등 5대 목표가 설정되었다. 기존의 평면적인 연구 포트폴

리오에서 벗어나 녹색 실용화 기술, 기초・원천기술, 융・복합 기술 등 기술 특성에 따라 다양한

연구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신성장 동력 창출, 기후변화 대응 등의 사회현안 해결, 국산화・자

립화 및 해외 수출 지원 등 건설교통 정책의 주요 목적과 연동해서 투자 전략도 마련했다.

기존 중장기 계획이 건설교통 기술에 대한 국가 차원의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여 연구개발

사업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었다면, 제2차 중장기 계획은 1차 중장기 계획으로 구축된 연구개발

사업의 체계를 보다 선진화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2014년 3월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면서부터는 창조 경제라는 키워드가 신정부의 주요 정책

기조로 등장했고, 과학기술 기반의 창조 경제 구현 정책의 일환으로 「제3차 과학기술 기본계획

」이 수립・제시되었다. 국토교통 분야도 이에 부합하는 새로운 기술 개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었고, 「국토교통 R&D 중장기 전략」(2014~2023)을 통해 향후 10년간 국토교통 R&D를

대표할 중점과제 발굴 및 추진 전략을 수립했다. 또한 현재의 국토교통 연구개발 사업 체계의

재검토 등을 통해 새로운 추진 방법 및 기술 분야별 연관성을 규명하고 연구개발 사업의 발전

방향도 함께 모색했다.

<표 10-2> 국토교통 연구개발 중장기 전략: 10대 중점 프로젝트

TOP 메가 스트럭처

글로벌 TOP 플랜트 건설기술

한국형 위성항법

자율주행도로

미래 항공기술 인프라 조성

인공지능 국토공간

지능형 인프라 자동관리

분산형 물관리

수요자 맞춤형 주택

스마트 철도교통시스템

자료: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4), �창조 경제 실현을 위한 국토교통 R&D 중장기 전략, 2014­2023�.

본 중장기 전략은 ‘국토교통 기술을 통한 국민행복 및 글로벌 가치 창조’라는 비전과 함께

4대 전략으로 창조 경제를 위한 글로벌 시장 선도, 융・복합 신산업 창출 기반 조성, 안전하고

편리한 국토 공간 조성, 국민 생활 복지 향상을 제시했다. 또한 2006년 수립한 「건설교통

Page 51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497

기술 혁신 로드맵」의 핵심 과제(VC-10)와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토교통의 가치를 새롭

게 창출할 수 있는 10대 중점기술 프로젝트(Value Creator 2.0)를 제시했다. 중점 프로젝트는

미래 기술 예측 조사 및 국토 교통 산업・시장・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 국가 기획과

의 정합성 등을 고려해 전략적 투자가 필요한 연구 과제를 선정했다.

아울러 국토교통 연구개발 투자와 함께 연구 성과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첫째, 국토교통 기술의 수요자가 주로 공공 부문이고 기술의 성능・안정성

및 경제성 검증이 중요하므로, 국제적 수준의 국가 실험 인프라를 구축・운영하여 성능 검증을

강화하도록 계획했다. 둘째, 국토교통 기술은 SOC 인프라 건설, 에너지・탄소저감 규제 도입

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법・제도 개선을 병행하도록 계획했다. 마지막으로 창조 경제 시대의

핵심이자 개발 기술 사용자인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여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을

확대했다. 또한 국토교통 기술의 공공성 및 해외에 동반 진출하는 성격을 감안하여 공공 기관,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 간의 구매 조건부 연구개발도 확대하기로 했다.

2. 건설 R&D 사업의 시대별 주요 성과

가. 1960년대

1960년대는 우리나라 건설 기술 개발사에서 외국 원조를 중심으로 한 기술 도입과 단순

시공을 통한 경험 축적의 시기다. 그럼에도 건설 기술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몇 가지 사건이

있었다. 한국인의 손에 의해 설계하고 시공한 최초의 대형 시설물인 제2한강교 건설, 남산

1, 2호 터널 준공, 경부고속도로 착공이 그것이다. 특히 남산 1, 2호 터널은 1년 4개월의

공사 끝에 준공했다. 2호 터널은 남쪽과 북쪽에서 동시에 굴착해 들어가며 시공했는데, 중간에

서 마주쳤을 때 높이 차이가 10cm 정도 밖에 나지 않음을 발견하고 양측 공사 책임자가

서로 부둥켜안고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터널 시공 기술이 척박한 조건에서도 이만큼 성장했음

을 확인하면서 흘린 감격의 눈물이었을 것이다.

1960년대~1970년대 건설 기술사에서 최고의 성과는 역시 경부고속도로 건설이다. 1968년

2월 1일에 착공한 경부고속도로 공사 중에서 금강과 낙동강을 건너고 소백산맥을 넘어야 하는

대전­대구 간 공사는 설계도 어려웠고, 공사 또한 대단한 난공사였다. 금강과 영동, 낙동

등에 큰 교량을 가설했고, 길지, 아감, 당제, 도내 등에 7개의 긴 터널을 뚫었다. 그리고 대전과

당제에 2대의 육교를 가설하는 등 난공사가 연속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모든 역경을 이겨내고

Page 51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498

마침내 428km에 걸친 대역사를 완공했다. 토공량이 6000여 만㎥, 장대교 32개소, 중소 교량

273개소, 횡단통로 465개소, 터널 12개소, 동원한 연인원 890만 명 등으로 경부고속도로는

1970년 7월 7일에 준공했다.

한강의 기적을 이끈 대표적인 상징물인 경부 고속도로의 완공은 한국 사회에 큰 발전을

가져왔다. 사회경제적으로는 15시간 이상이 걸린 서울­부산 간 통행 시간을 5시간으로 단축

시켜 물류혁명을 이뤘다. 동시에 철도 위주의 국가 교통 체계를 도로 위주로 재편하는 계기를

만드는 등 우리나라 도로 발전의 시금석이 됐다. 또한 자동차 산업 발전, 지방 공업 단지와의

연결, 국토 균형 발전의 토대 마련 등 여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 현재까지도 국가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림 10-4] 경부고속도로의 과거와 현재 모습

▴개통당시 경부고속도로의 모습

▴현재의 경부고속도로

나. 1970년대

1970년대 최대의 건설 관련 이슈는 단연 지하철 1호선 개통이다. 1960년대 후반 서울시는

도로 교통 체증이 심각해지자 서울에서 전차를 없앴다. 하지만 서울로 이주해 온 도시 노동자들

이 이용할 대규모 교통수단이 없어 큰 문제가 됐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지하철이

등장했고, 여러 논의를 거쳐 서울시는 지하철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우리나라 건설

기술은 여전히 외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지하철 건설을 위한 차관을 제공한 일본은 토목

공사도 자국 기술로 진행하려고 했다. 그러나 당시 우리나라의 젊은 기술진은 그들의 제의를

거절했다. 그리고 토목 공사 분야는 우리 기술로, 나머지는 일본과 기술 협력으로 완공해냈다.

1971년 4월 12일에 기공한 이 공사는 기존 교량과 하천, 지하도 등 14개소의 횡단, 신설

등 육교 밑 입체 터널 난공사, 문화재인 남대문, 동대문 보고 공법, 철근 파동 같은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세계 지하철 건설 역사상 최단 공기로 최소 인명 사고(17명) 등의 기록을 세웠다.

Page 51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499

착공한지 3년 4개월 만인 1974년 8월 10일 지하철 1호선을 준공해 개통했다. 개통 당시와

많은 변화가 생겼지만 현재 서울지하철 1호선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지하철 노선이며, 신도

림역은 유동 승객이 가장 많은 지하철역이다.

[그림 10-5] 지하철 개통 당시 모습

이때까지도 여전히 건설 기술은 외국으로부터 도입한 기술을 축적하는 시기였다. 각종 다목

적 댐 건설, 서울 반포, 잠실 같은 신도시 건설 등 대형 토목 공사와 함께 시공 기술도 비약적으

로 성장했다. 그러나 자체적인 건설기술 연구개발 성과는 찾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다. 1980년대

1970년대 중반부터 성장을 거듭하던 건설 산업의 해외 진출은 1980년대 들어 최고의 활황

기를 맞는다. 건설 산업의 외국 진출 성과에서 최고 정점은 리비아 대수로 공사 수주다. 리비아

대수로는 리비아 내륙 사하라 사막에 묻혀있는 지하수를 지하에 매설한 송수관을 통해 지중해

연안에 가까운 지역으로 끌어와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등으로 활용하는 사업이다. 세계 8대

불가사의로도 불리는 놀라운 사건이었다. 리비아 대수로 공사는 총 4단계로 나눠 진행했다.

이 중 1, 2단계 공사인 총 3,624km는 2004년 12월 국내업체에 의해 완공했다(3, 4단계는

경제성과 지하수 고갈 논란 등으로 착공이 지연되고 있다). 이 공사는 총 102억 달러에 달하는

초대형 공사로 국내 업체가 수행한 외국 공사 중 단일 공사로는 최대 규모다. 지름 4m, 길이

7.5m, 무게 75t의 송수관 25만 개를 매설해 물길을 여는 고난이도 공사를 국내 기업이 주도하

고, 미국과 영국 같은 세계 굴지의 대형 업체에게 하도급을 주고 시행했다. 우리 토목 기술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를 마련했다.

Page 51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00

[그림 10-6] 리비아 대수로 공사 현장 모습

1980년대 후반에 나타난 중요한 성과로는 자체 기술 개발 역량이 축적되기 시작한 것을

들 수 있다. 1980년대에 국토 종합 개발과 산업 근대화를 위한 사회 간접 자본(SOC)의 확충이

활발히 일어남에 따라 건설 기술에 대한 수요가 늘었지만, 1987년까지는 주로 선진 기술을

도입하고 소화해 개량하는 데 치중했고 자체 기술은 정부 주도로 품질 시험을 공급하는 정도에

그쳤었다. 하지만 1987년 「건설기술 관리법」의 제정으로 자체 기술 개발을 위한 기반이 마련

되었다. 이 법의 제정 이후 건설 분야 정부 출연 연구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국토

연구원(KRIHS), 한국교통연구원(KOTI),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을 발족시키며 본격적으

로 자체적인 연구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또한 주택공사, 수자원공사, 토지공사,

그리고 주택공사연구소를 설립해 공기업에서도 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추진했다.

라. 1990년대

1990년대는 1기 신도시 개발 및 관련 기술 개발 및 기술력의 축적이 일어난 시기였다.

1988 서울올림픽 이후 200만호 주택 건설 계획을 추진하면서 분당과 일산, 평촌, 산본, 중동

5개 수도권에 30만 호 신도시 건설을 계획했다. 건축, 도로 교통, 환경 등 건설 분야 기술을

총 망라한 최초의 계획 도시 건설을 시도한 셈이다. 1기 신도시는 5개 신도시 5014ha 면적에

117만 명의 인구 규모로 계획되었다. 1990년대에 개발한 신도시 도시 설계는 상업 지역뿐만

아니라 도시 전 지역에 걸쳐 택지 개발과 후속 작업이 이루어졌다.

수도권 5개 신도시 계획의 주된 이슈는 2차원적인 도시 계획과 3차원적인 건축 계획을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하는가에 관한 것이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적용한 것이 도시 설계

제도였다. 수도권 5개 신도시 도시 설계는 주택 유형, 개발 밀도뿐만 아니라 층수와 배치

Page 51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01

형태, 주동의 향과 동선 체계까지 주거 단지 계획과 관련된 제반 계획 요소에 관한 규제를

포함했다. 5개 신도시의 계획 단위 설정 방식도 신도시별로 인간관계 중심주의, 오픈 커뮤니티

개념과 시설 이용의 편리성 추구 등 개발 주체나 계획 주체에 따라 차이가 났다(조진철 외, 2012).

건축 분야에서는 초고층 인텔리전트 빌딩, 홈오토메이션(HA) 등 설비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건물 자동화 체계를 도입했다. 한편 제진・면진 기술을 통해 구조 안전성 강화, 에어돔 등

구조 방식, 설계・시공에서의 CAD, 시공 자동화 같은 기술을 적용했다. 환경 분야는 상수원

보호를 위한 오・폐수 처리 기술과 고도 정수 처리 기술을 개발해 보급했다.

마. 2000년대

198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한 한국 건설 기술은 그 위상을 2004년 버즈 칼리파

(Burj Khalifa) 수주와 영종대교 건설에서 확인시켜 줬다.

버즈 칼리파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건설한 당시 세계 최고층 건물이자 가장 높은 인공

구조물이다. 전체 높이 828m, 160층, 연면적 33만 4000㎡ 규모로, 상업・주거・오락시설 등을

포함한 대규모 복합시설이다. 버즈 칼리파는 규모나 높이에서도 세계 최고일 뿐 아니라 적용한

기술도 세계 최고의 시공 기술을 망라한 건축물이었다. 상층부 첨탑을 올리면서 시공하는

첨탑 리프트업 공법, 3일 만에 1개층 공사를 마무리하는 첨단 시공 기술뿐만 아니라, 자체

개발한 일반 아파트 3배 이상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600m 높이까지 한 번에 쏘아 올리는

콘크리트 압송 기술은 한국 건설 기술의 우수성을 세계 시장에 증명하는 계기가 됐다.

2000년 11월 건설 기술사에서 또 하나의 상징적인 시설물이 등장한다. 바로 영종도와 인천

육지를 잇는 영종대교를 완공한 것이다. 1995년 11월에 착공해 2000년 11월 21일에 완공했

으며 총 길이 4420m에 교량너비 41m다. 상부는 6차선 도로이고, 하부는 2차선 도로와 복선

철도, 2차선 도로다. 현수교 부분은 복층 와렌 트러스 블록을 여러 개 제작해 해상 크레인으로

운반하고 조립하는 방법으로 시공했다. 주탑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교각들은 지질 구조를

고려한 다양한 가물막이 공법을 적용했다. 철도와 도로 병용 교량으로, 교량 아래로 1만톤급의

선박이 통행할 수 있다. 영종대교는 현재 인천 국제공항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2000년대에는 국가 주도로 10년 남짓 이어온 건설 연구개발 분야에서도 주목할 만한 결과물

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다. 유비쿼터스・GIS기반 도시 시설물 관리 기술, 해상 풍력발전기

Page 51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02

건설을 위한 모노 파일 시스템, 터널 굴착기 커터 헤드 설계 기술, 친환경 도로 포장 재료

같은 다수의 우수한 자체 개발 성과물을 만들어냈다(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3).

3. 건설 분야의 미래 전망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을 거듭한 건설 강국이다. 또 첨단기술을 매우

빠르게 발전시키고 있어 건설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10년간 건설기술 연구개발 투자 규모가 정체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건설기술 경쟁력

제고, 지속적인 경제 성장, 국민의 안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건설기술 분야 연구개발

투자에 더 많은 사회적 관심과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 특히 쾌적한 환경과 재해로부터의 안전에

대한 국민의 요구가 커지고 있는 오늘날 신 건설기술의 개발 필요성과 중요성도 더욱 높아지고

있다.

21세기에 우리나라 건설 산업이 미래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관건은 건설사업 전

주기적인 건설 산업체의 기술, 즉 시장분석, 금융설계 등을 포함하는 「조사 및 사전 기획 기술」,

구매 및 조달, 설계/엔지니어링, 시공 등 「건설기술」, 「운영 및 유지관리 기술」들의 경쟁력

강화에 달려 있다. 기존 시공위주의 관행과 건설업계 수익률 저하는 국내시장의 한계를 나타낸

다. 때문에 해외 진출에 미래가 달려있는 건설 산업계에게는 기술 경쟁력에 입각한 고부가가치

시대로의 전환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건설 산업계의 건설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 부재는

단기적으로 수익 개선이라는 효과를 낸다. 하지만 그 후유증은 선진국과의 기술 수준 격차로

나타나 글로벌 경쟁시대에서 탈락자로 남을 수 있다.

또한 건설 부문 정부 연구개발 투자가 획기적으로 늘어도 민간에서 주도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대규모 연구개발 사업 추진과 개발결과 활용・확산・실용화가 불가능하다. 건설 기술

개발은 기업의 경쟁력이자 성장의 원동력이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건설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부족, 시장에서의 업체 수 증가에 따른 경쟁 심화 등을 그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건설업체들이 그 동안 외형 성장 위주의 무조건적인 수주 물량 확보 전략에 치중한

것도 원인으로 지적할 수 있다.

많은 건설 산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기술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전략

적으로 회사를 경영한 업체들은 외환위기 이전보다 오히려 수주와 매출, 이익 등에서 더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건설 산업은 위기 극복을 위해 연구 인력 감축이나

Page 51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03

연구개발 투자비 삭감 같은 대증적 방법이 아닌 획기적이고 전략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제 건설 산업체들이 경영 전략을 과거 양적 성장 위주에서 질적 성장으로, 경영 방침은

수익성 위주의 내실 경영, 핵심 역량 강화, 고객 만족 극대화로 바꿔가야 한다.

그러나 기술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이 중 어느 하나도 실현할 수 없음을 기억해야 한다.

오늘날 국내 건설 산업은 과거 국가 경제 성장에 일조했던 전통 산업에 머물 것인가 아니면

국가 경제를 이끌어갈 미래 핵심 산업이 될 것인가의 기로에 서 있다. 그러므로 건설 산업계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신수종 분야인 사물인터넷, 3D 프린팅, 스마트 시티, 기후변화

같은 새로운 기술과 접목해 미래에도 우리 경제를 이끌어갈 중추 산업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는

일이 될 것이다. 건설기술 연구개발은 건설 산업의 당면 과제 해결책일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

로 국가 경쟁력 확보에도 핵심이 된다.

한편 건설 분야는 다가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도시 경쟁력에서도 큰 역할을 차지하

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국토교통부도 제4차 산업혁명 준비를 위한 7대 신산업(자율

주행차, 드론, 공간 정보, 해수 담수화, 스마트 시티, 제로 에너지 빌딩, 리츠)을 제시한 바

있다. 1994년 12억 원으로 시작한 건설 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2016년 현재 연간 4,458억

원이 투입되고 있으며, 그동안 꾸준히 연구개발 예산을 투입하여 다양한 분야의 건설 기술이

축적되었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인공지능(AI)・정보통신 기술(ICT)과 융합한

연구개발 수행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 있으며,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한 7대 신산업에 연구개발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제3절 철도교통

1899년 경인선 개통 이후 1990년대 고속철도 건설이 시작되기까지 철도 기술 연구는 철도

청 산하의 철도기술연구소에서 명맥을 이어왔다. 철도청, 철도기술연구소, 차량 제작사의 협력

하에 디젤 기관차와 새마을호 동차 등 국산 차량을 개발했다. 경부고속철도 건설과 함께 철도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철도 기술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1994년 한국철도산업기술

연구원이 했다. 한국철도산업기술연구원은 1996년 3월 「국유 철도의 운영에 관한 특례법」이

제정됨에 따라 한국철도기술연구원으로 체제를 전환했다.

Page 51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04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최근까지는 고속 전철 사업이 주를 이루었다. 1996년 고속 전철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한 이후 개발된 고속 전철은 2004년 12월 최고 속도 시속 352.4km를

기록했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형 고속 열차가 2007년 20만 km 시험 운행을 마치고 2010년

3월 KTX-산천으로 상용화했다. 한편 세계 4번째로 개발한 무인 자동 고무차륜 경전철

K-AGT는 1999년 11월 개발을 시작해 2011년 3월 부산 도시 철도 4호선에 상용화해 17편성

102량이 달리고 있다. 차세대 고속열차 HEMU-430X는 2013년 3월 최고 속도 시속

421.4km를 돌파했으며, 이는 2004년 프랑스 기술을 도입해 시속 300km대에 진입한 이래

8년 만에 자체 기술로 세계 4위 수준에 올라선 것이다.

국내 철도의 외형적인 수준은 세계 4위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우리의 기술 수준은 최고

기술 보유국 대비 83.1%, 기술 격차 4.8년(차량 81.6%, 시설 84.3%, 운영과 환경 82.1%)으로

향후 원천기술 연구와 응용 분야에 많은 발전이 필요하다(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5, pp.91~94).

1. 철도교통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대중교통 수단인 철도의 발전

우리나라 최초의 대중교통은 1899년 5월 4일 서울 동대문과 흥화문 사이에 개통한 전차

였으며, 차량을 미국에서 도입하여 운행하였다. 전차 노선은 1900년 남대문을 거쳐 구 용산까

지 연장되었고, 그 후 약 70년간 운행하였으나 도로교통 혼잡과 적자운영의 사유로 1968년

11월 운행을 폐지하였다. 1897년 3월 James Morse는 인천에서 경인철도 기공식을 거행하였

으며, 일본인의 경인철도합자회사는 Morse로부터 경인철도 부설권을 인수받아 1899년 9월

18일 노량진에서부터 제물포까지 33.2km에 달하는 경인선을 개통하였다. 한국최초의 기관차

인 모갈 탱크형 증기기관차는 미국 Brooks 사에서 제작하였으며 중량은 34.3톤, 견인능력은

6,545 kg, 최고속도는 55km/h였다. 1899년 철도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한 증기기관차는

1967년 마지막 운행을 하였으며, 전쟁 중인 1951년 7월 UN 군용으로 디젤전기관차 35대가

도입되어 군사용으로 사용되다가 이중 4대를 철도청이 인수받아 운행을 시작하였다. 동차

운행은 1923년 증기동차부터 1930년 가솔린동차, 1933년 디젤동차 등이 운행되었으며,

1961년 디젤전기동차가 도입되어 사용되었다. 전기기관차는 산업선 전철화와 함께 1972년

도입한 전기기관차를 고한-증산 구간에서 운행을 시작하였다. 새마을호 속도향상을 위해 대우

중공업에서 Push-Pull 형태의 디젤동차가 1987년 최초로 개발되었다. 고속열차 이전의 열차

Page 51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05

이름과 속도 변천에 대한 주요 역사가 표 <10-3>에 나와 있다(손길선, 2004, pp.11~13; p.17; p.41).

<표 10-3> 열차이름과 속도의 변천

열차이름 년도 구간 소요시간 비고

1899.9 노량진-제물포 01:20 최초열차

1905.5 서대문-초량 13:45 직통급행열차

히까리 1935.4 서울-부산 07:45 급행

해방자호 1946.5 서울-부산 09:00 광복기념 특별급행

통일호 1957.8 서울-부산 07:00 특급 운행시간 단축

관광호 1969.6 서울-부산 04:45 1974.8 새마을호로 변경

새마을호 1985.1 서울-부산 04:10 운행시간 단축

무궁화호 1984.1 열차명 개정 우등열차를 무궁화호로 변경

통일호 1984.1 열차명 개정 특급열차를 통일호 열차로 변경

비들기호 1984.1 열차명 개정 보통열차를 비들기호로 변경

나. 철도청 산하 철도 기술 연구기관의 출범

경인선이 개통되기 전 1894년 갑오개혁 당시 ‘철도국’이 공무아문 내에 설치되었다. 철도

기술 연구의 시작은 일제 강점기인 1918년 철도국 공무과 내에 시멘트 시험실이 신설되면서부

터였다. 이후 1941년 철도국 산하의 교통기술연구소가 발족되고, 해방 이후 1963년 철도청이

독립 출범하면서 철도기술연구소가 편제, 운영되었다. 철도기술연구소는 1966년부터 매년

�철도기술연구소 보고�를 발간하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 해결 및 수행 성과물 등을

게시했다. 또한 1987년에는 새마을호 열차의 속도를 시속 120km에서 140km로 향상시키는

등 철도 운행 속도 향상과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1990년대에 경부고속철도의 건설과 함께 철도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철도청과 철도

차량 제작사가 출자하여 1994년 7월 한국철도산업기술연구원을 개원했다. 연구원을 공공

연구기관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에 따라 1995년 11월 「국유 철도의 운영에 관한 특례법」이

국회를 통과했으며, 이 법에 의거하여 이듬해 3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정부 출연 연구기관으

로 출범했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6, pp.44~46).

철도 기술 분야에서 이루어진 주요 연구개발 사업들은 다음과 같다. 1995년에는 도시철도

표준화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당시 도시철도는 다양한 해외 업체로부터 사양이 다른

전동차를 도입하여 건설되었기 때문에, 그 안전성과 경제성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Page 52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06

따라서 도시철도 차량의 조달, 관리 및 유지를 경제적,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표준화 작업

이 매우 시급한 문제였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0년 4월 표준 전동차 기술 개발을

완료했으며 표준 전동차의 10만km 주행 내구성 시험 평가를 완료해 그 성능을 입증했다.

그 외에도 1997년 고속 전철 기술 개발 연구 사업, 1998년 경량 전철 기술 개발 사업, 1999년

기존선 전철화 사업 및 철도 시설 정비 사업 등이 수행되었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6, pp.51~79).

다. 철도 시험 시설 및 시험 인증제도 등의 발전

철도 기술과 산업의 발전을 위해 1999년 철도 종합 연구시설 대한 건설 계획이 수립 및

추진되었다. 이 계획에서는 철도 교육 단지의 13만 2,000㎡ 부지에 연구동, 실험동, 시험동

등 총 5만 6,000㎡ 규모의 연구시설을 신축하기로 했다. 1단계로 2003년 4월 철도 안전

성능 연구시설이 준공되었으며, 2단계로 2007년 9월 철도 안전 시스템 분석동이 완공되었다.

2008년까지 철도 기술 선진화 연구 기반 조성 사업이 동시에 진행되어 궤도/토목/환경 분야의

대규모 연구 시험 장비를 구축하여 세계적 수준의 철도 종합 연구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42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자하여 레일 체결 장치용 4축 피로시험기, 궤도/노반/구조 종합 성능

시험기, 고속 레일/차륜 접촉 시험기, 대형 진동 3축 압축 시험기, 다자유도 진동대, 철도

구조 성능 평가 시험기, 환경 실험용 범용 클린룸, 전차선로 집전계 주행 시험기, 철도 차량

실대형 환경 챔버, 정밀 조사용 지오프로브 등의 대형 장비들을 구축했다.

또 다른 주요 시설로는 경부선 전동역과 서창역을 거쳐 오송역을 경유하는 타원형의 철도

종합 시험 선로가 길이 12.99km에 총 사업비 2,474억 원이 투입되어 구축될 예정이다. 선로

에서는 차량, 궤도, 노반, 교량, 전력, 신호, 전차선로, 소음 등 각종 철도 관련 시설을 종합적으

로 시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송역 인근 3만 6,000㎡ 부지에 철도 완성차 시험 시설도

설치될 예정이다. 이런 시험 시설과 철도 종합 시험 선로는 향후 남북을 잇는 대륙 철도와

연계한 유라시아 철도망 구축 등 미래 철도시스템 개발에 있어 중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6, pp.287~291).

한편 철도 차량의 제작에는 차륜, 차축, 전기 장치, 제동 장치 등 수많은 철도 부품이 필요하

며, 차량이 선로 위를 달리기 위해서는 시설 관련 부품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차량, 궤도, 전기, 신호 등 각 분야에 대한 설계 적합성과 품질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시험 인증이 필요하다. 정부는 철도 안전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고 철도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Page 52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07

위해, 안전 기준 및 인증 체계 등을 국제적 추세에 맞추기 위해 2012년 12월 「철도 안전법」을

전면 개정했으며, 철도연구원은 철도 차량과 용품에 대한 형식 승인 업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주요 내용은 차량 검사 제도를 강화하여 제작 과정 위주의 검증을 설계 단계부터 제작 과정의

품질 관리, 완성품의 사후 관리까지 확대하도록 형식 승인 제도, 제작자 승인 제도, 완성 검사

제도를 도입했으며, 용품에 대한 검증을 신설하여 확대 적용했다(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3). 유예 기간

이 끝난 2014년 4월 이후 제작되는 철도 차량은 차량 설계와 품질 관리 체계, 제작 과정

모두 정부가 고시하는 철도 차량 기술 기준에 적합한 지 승인 받아야 한다. 검증의 기준이

되는 철도 차량 기술 기준은 철도기술연구원과 운영 기관, 차량 제작사의 공동 연구를 통해

마련되었다. 또한 형식 승인 수행 기관으로 지정된 철도기술연구원은 새로운 제도를 차질

없이 수행하도록 안전인증센터의 하부 조직을 기능별, 역할별로 개편하고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전담 조직을 구성했다.

[그림 10-7] 철도궤도노반 종합성능시험기

[그림 10-8] 철도안전성능연구시설 기공식

2. 철도교통 R&D 주요 성과

가. 한국형 고속철도 G7 고속 열차 개발과 KTX-산천 상용화

철도교통 R&D의 대표적인 성과로는 고속 철도의 개발을 들 수 있다. 1994년 정부는 프랑스

고속철도인 떼제베(TGV) 기술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한국형 고속철도 기술을 확보

하려고 1996년 12월부터 선도 기술 개발 사업으로 고속 전철 기술 개발 사업을 시작해 2002년

도에 한국형 고속 열차 HSR-350X를 완성했다. HSR-350X는 최고 속도를 시속 350km로

높였으며, 독자적인 전두부 디자인을 적용했다. 또, 차체를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했으며, 유도

전동기, 디지털 방식의 운전제어, VVVF 인버터의 IGCT 소자 등 독자적인 추진 시스템을

Page 52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08

적용했다. HSR-350X는 차량 제작사와 함께 국산화율을 87%로까지 달성하여 한국형 고속열

차 시대를 열었다.

2002년 시험선 구간에서 시운전 시험을 시작한 지 1년 뒤인 2003년 8월 시속 300km를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2004년 12월 16일 경부고속철도 천안­신탄진 구간에서 최고

시속 352.4km를 기록하여 프랑스, 독일, 일본에 이어 세계 네 번째로 시속 350km대 고속열차

기술 보유국으로서 위상을 높였다. 상용화를 위해 2005년부터 시스템의 신뢰성 및 승차감

향상을 위한 종합 시험을 실시하여, 2007년 9월 시운전 시험 운행 20만km를 돌파했으며

차량의 성능과 안전성을 입증했다. 이후 HSR-350X 기술을 바탕으로 상업 운행을 위한 고속열

차를 제작해 2008년 11월에 처음 출고했으며, 2009년 10월 서울역에서 일반에게 정식으로

공개하고 ‘KTX-산천’으로 명명하여 2010년 3월부터 경부선과 호남선에 투입해 상업 운행을

시작했다. 2009년과 2010년에 호남선과 전라선에 순차적으로 한국형 고속열차의 실용화가

확정되었으며, 2016년 9월 현재 46편성 460량을 운행하고 있으며, 250량을 추가로 제작하고

있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6, pp.155~159).

[그림 10-9] 한국형 고속열차 HSR350X [그림 10-10] 차세대 고속열차 HEMU430X

나. 차세대 고속열차 HEMU-430X

변화하는 국제 환경에 대처하고 선진국과 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철

도기술연구원은 2007년부터 시속 400km 이상으로 달리는 동력 분산식 열차를 개발하는 차세대

고속철도 기술 개발 사업에 착수했다. 2012년 5월 창원중앙역에서 차세대 고속열차의 시제차를

출고했다. KTX와 달리 동력을 분산 배치해 가속과 감속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제동 성능도

산천의 23MJ에서 43MJ로 향상시켰다. 기관차가 필요 없어 앞뒤 차량에도 승객을 탑승시킬

수 있고 편성 당 정원을 KTX-산천 363명에서 533명으로 40% 가량 증가시킬 수 있다.

Page 52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09

이러한 차세대 고속열차 명칭은 High-Speed Electric Multiple Unit를 뜻하는 ‘HEMU’

(해무)로 정했다. 2013년 3월 해무는 최고 속도 시속 421.4km를 돌파해 전국을 1시간 30분대

에 주파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줬다. 2004년 프랑스 기술을 도입해 시속

300km대에 진입한 이래 8년 만에 자체 기술로 프랑스,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4위 수준에

올라섰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6, pp.161~165).

다. 한국형 경전철 K-AGT

한국형 경전철 K-AGT(Korean Automated Guideway Transit)는 세계에서 네 번째로

국내에서 개발한 무인 자동 운전 고무 차륜 경량 전철이다. K-AGT는 운행량이 많지만 교통

상황에 따라 운행 소요 시간이 일정하지 않은 버스와 대용량의 수송 능력을 가졌지만 건설비가

많이 드는 지하철을 절충해 장점을 극대화한 교통 수단이다.

1999년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산・학・연이 힘을 모아 기술 개발을 시작하였으며,

2002년 측면 전력 공급 시스템, 무인 운전 신호 시스템, 경량 구조의 선로 구축물, 고무 차륜형

궤도 등 분야별 핵심 장치 시제품 제작을 완료했다. 2004년 7월에 경상북도 경산에 시험선을

완공해 시험선에서 성능과 안전 인증에 필요한 각종 시험을 실시했다. 개발 차량은 2량 1편성

으로 영업최고 속도 시속 70km를 달성했다. 2005년 9월에는 한국형 경량 전철이 과학기술부

로부터 신기술로 인정받아 KT 마크를 획득했으며, 부산 도시철도 4호선에서 처음으로 실용화

해 무인 운전 경전철로 운용하고 있다. 서울 신림선과 부산 사상­하단선 등에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6, pp.181~185).

라. 표준 전동차 및 도시철도 핵심 기술 개발

표준 전동차가 등장하기 전 전동차의 핵심 기술은 모두 외국에서 들어왔으며, 작은 고장에도

수리가 어려워 외국 차량 제작사로부터 기술 지원을 받기 위해 기다리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상황에서 도시철도의 표준을 정하고 국산화하면 주요 장치나 부품 간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유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안전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정부는

전동차 설계 기술 확보와 부품 및 완성차의 국산화를 목표로 표준 전동차 개발에 나섰다.

도시철도 표준화에 대한 연구는 1995년부터 시작해 1998년 도시철도 차량 표준 사양을 제정

했으며, 1999년 3월에 제작을 완료하고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 개발 목표는 알루미늄 차체의

Page 52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10

실용화, 추진계와 제어계 주요 부품의 국산화, 표준화 설계에 의한 설계비용과 제작비용 절감이

었다. 사업 결과로 표준 전동차는 국산화율 95%를 달성했다. 표준 전동차를 기본으로 해 광주

지하철 1호선, 부산교통공사 전동차, 대전지하철 전동차를 도입했으며, 대구도시철도공사 전

동차, 서울시 메트로 9호선 전동차, 코레일 공항철도 차량, 인천교통공사 전동차가 그 뒤를

이었다.

도시철도 유지 보수 체계 연구개발 사업은 2005년 11월에 서울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

에서 도시철도 유지 보수 정보화 시스템이 시범 운영되면서 실용화되었으며, 인천공항철도의

유지 보수 시스템 구축 사업에 적용되었다. 2009년에는 세계 최초로 개발해 상용화한 1,500V

급 에너지 저장장치가 ‘국가 연구개발 우수 성과 100선’에 선정되었으며 신기술(NET) 인증을

받았다. 에너지 저장 장치는 대전도시철도에 적용되어, 에너지 절감 및 저탄소 녹색교통 실현에

기여했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6, pp.187~189).

[그림 10-11] K-AGT를 실용화한

부산경전철

[그림 10-12] 2004년 표준전동차 본선

시운전

마. 철도 기술 혁신과 도전

2004년 KTX의 개통과 함께 우리 철도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였으며, 철도기술연구원은

고속철도 시대와 함께 철도 신기술 혁신과 미래 교통기술 개발을 주도했다.

2012년 12월에는 LTE 방식을 이용한 세계 최초의 철도 전용 무선 통신망 LTE-R을 개발하

여 일로역­대불역 간 11km에 시험선을 구축하고 기술을 검증했으며, LTE-R 철도 통합 무선

망은 재난망 기술 분석 및 기술 검증을 위한 차세대 통신 방식으로 선정되었다. 2013년 4월에

는 한국형 무선 통신 기반 열차 제어 시스템(KRTCS)의 시연에서 무인운전으로 150km/h까지

운행하는 데 성공했다. 무선 통신 기반 열차 제어 시스템(KRTCS)은 궤도 회로, 신호기, 특수

Page 52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11

케이블을 이용하여 열차를 제어하는 기존 방식과는 달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열차의 위치를 검지하고 속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철도기술연구원에서는 대중교통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시스템 연구개발에도 나섰다. 2014년

에는 대중교통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교통카드 자료를 활용한 대중교통 운영 계획

지원 시스템’을 개발했다. 대중교통 운영 계획 지원 시스템 TRIPS(Travel Record based

Integrated Public transport operation planning System)은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시 사용한 교통카드에 축적된 자료를 활용하여 대중교통 운영 계획에 적용하는 시스템이

다. 대중교통 이용 패턴을 분석하여 노선의 신설, 개편, 정류장 운영, 시간대별・노선별 차량

대수 등 대중교통 운영 전반에 대한 계획과 방향을 정하는 것이었다. 소요 시간대별 대중교통

운행이 필요한 지역, 구간 내 중복 노선, 탑승객의 이동 경로, 우회 경로 노선 등을 분석하여,

현재 대중교통의 상태를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다. DR.METRO(Demand Responsive MEtro

TRain Operation system)는 교통카드에 축적된 자료로 도시철도 승객의 이동 경로 및 탑승

열차를 분석하여 최적의 열차 운행 스케줄을 만드는 시스템이다. 실제로 DR.METRO를 서울

9호선에 적용한 결과, 급행열차 운영방식에 따라 열차별 혼잡도를 매우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게 되어 도시철도의 다양한 운행 패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버스와도

연계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등 종합적인 대중교통 운영 계획 수립도 지원할 계획이다.

TRIPS와 DR.METRO는 2015년부터 서울시 등 일부 지자체에서 시범 사업에 들어갔다.

[그림 10-13] 개량 전 자갈도상궤도와 개량 후 포장궤도

2015년 1월에는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야간에 노후화된 철도 자갈 궤도를 콘크리트 궤도로

교체하는 급속 콘크리트 궤도화 기술을 경의선 아현・의영 터널 1.7km 구간에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 이 터널은 1904년 경의선 철도가 건설될 때 만들어진 국내 최초의 터널이며

1일 290여 회 운행되는 중요 구간으로, 열차 운행에 아무런 지장 없이 야간에 개량 공사가

Page 52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12

진행되었다. 급속 콘크리트 궤도화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노후화된 일반 철도 구간의 자갈

궤도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되었으며 유지 보수 비용의 80%를 절감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같은 해 7월에는 철도시설공단과 공동 개발한 콘크리트 궤도용 KR형 레일 체결 장치를

건설 중인 원주­강릉 철도 건설 사업 구간에 최초로 적용하여 상용화했다. KR형 레일 체결

장치는 철도 하중을 분산시켜 주는 탄성 패드에 개선된 폴리우레탄을 적용해 탄성 패드의

강성이 급격히 높아지지 않도록 했다. 또한 체결 장치에 들어가는 스프링을 새롭게 설계해

열차 주행 방향에 대한 저항력과 체결력을 높였고, 부품 무게를 14% 경량화했다.

2015년 10월에는 철도 및 수송 시스템을 위한 세계 최초 60kHz, 1MW급 대용량 무선

전력 전송 기술 개발이 “2015년 국가 연구개발 우수 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세계 최초로

1MW급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고속철도에 적용함으로써 기존 전철 시스템의 전력 공급 방식

을 개선할 수 있게 되었으며, 향후 이 기술이 완성되면 전차선이 없는 고속열차도 만들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6, pp.85~143).

3. 철도교통 분야의 미래 전망

교통 시스템은 크게 교통 체계와 교통수단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교통 체계가 교통흐름을

제어하는 신호 체계나 스마트 운영 형태로 발전했다면 교통수단은 기존 차량의 성능 개선과

새로운 차량 출현으로 이어졌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새로운 교통수단 개발을 목표로 바이

모달 트램(Bi-Modal Tram), 무가선 트램, 미니 트램 등을 개발하고 있다. 가까운 시일 내에

이들이 중요한 도시 교통 수단으로 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바이모달 트램은 버스와 지하철을 혼합한 신개념 차량으로 직렬형 CNG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을 이용해 버스처럼 일반도로를 달리고 경전철처럼 전용 궤도에서 자동 운전도 가능하

다. 2006년에 연구를 시작해 2009년 10월 전용 시험선에서 시제 차량을 시연했다. 여수

엑스포와 세종시에서 시연과 시운전을 통해 성능을 입증하고 실용화를 추진하고 있다(한국철도기술

연구원, 2016, pp.195~197).

트램은 노면 전차로 길 위를 달리는 궤도 차량이다. 자동차 도로 위에 매립형 레일을 설치해

열차가 운행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차나 보행자가 다닐 수 있다. 또 노면과 실내 바닥의 높이가

30­35cm 정도로 낮아서 별도의 승강장이 필요 없다. 건설비가 지하철의 8분의 1 정도 밖에

Page 52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13

들지 않으며 노약자와 교통 약자에게 유리한 대중교통 시스템이며, 우리나라는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가선 구조물을 없애고 2차 전지를 주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무가선 트램을 개발했다.

한국의 우수한 대용량 2차 전지 기술과 연구원의 무가선 저상 트램 기술을 융합해 35km

이상을 무가선으로 운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형식의 노면 전차이며 현재 여러 지자체에서

실용화를 검토하고 있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6, pp.199~203).

무인 자동 미니 트램은 2014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시험선에서 처음 공개했다. 차량을 안내

하는 자석을 매설한 노선을 따라 무인으로 자동 운전하는 미니 트램은 원격 호출과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어 미래형 철도 택시라고 부른다. 무인 정거장에서 버튼을 눌러 호출하면 선택한

목적지까지 최적의 경로를 따라 자동으로 운행한다. 여러 대의 미니 트램을 운행할 때는 혼잡과

충돌을 막기 위해 통합 관제 센터를 설치해 간격을 조절하고 전체 차량을 통제한다. 배터리로

움직이고 최대 6명까지 탑승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다. 현재 미니 트램 시험 평가와

검증을 위해 3개의 루프형 노선과 정거장 1개소, 임시 승강장 3개소로 구성한 약 670m의

시험 노선에 수직 이송 장치와 100‰의 경사로를 구축해 무인 운전과 연계한 성능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6, p.254).

[그림 10-14] 바이모달트램 청라국제도시

시범운행(2015년)

[그림 10-15] 미니트램

공개시연회(2014년)

4차 산업혁명은 철도와 물류 등 교통시스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통을 예상해 보면, 빠르고, 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의 특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도, 첨단기술의 융합을 통해 승객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수요자

맞춤형 시스템, 공유 경제 기반의 교통 서비스가 실현될 것이다. 물류 분야의 경우, 전통적으로

요구되는 물류 시간 및 비용 최소화는 만족시키면서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물류와

제조가 융합된 생태계가 구축될 것이다. 철도기술연구원은 수요자 요구와 공급자에 대응하기

위한 ‘Rail Mobility 4.0’ 및 물류 수요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Logistry 4.0’을 제안하며,

Page 52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14

인공지능을 이용한 정교한 교통 수요 예측을 기반으로 교통수단을 실시간으로 연계하고, 대중

교통 및 화물 차량의 자율주행 적용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예측 기반의 물류 운영을

추진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자율 운행 트럭, 대량 고속 수송을 위한 고속 화물 열차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보도자료, 2016).

제4절 도로교통

도로교통 분야 연구개발은 1970년대 후반부터 경찰청이 주도로 신호 시스템 개발하면서

시작했다. 이후 신호 체계 개선에 관한 도로교통 연구개발를 추진하다가 1990년대 이르러서는

국토교통부 주도로 지능형 교통 체계3)(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개발로 전환하

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1997년 9월 「국가 지능형 교통 체계(ITS)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이를 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 1999년 8월 「교통 체계 효율화법」을 제정하고, 이후 2000

년 12월 「지능형 교통 체계(ITS) 기본계획 21」을 재수립했다. 현재 전국의 주요 지자체에서도

자체 지능형 교통 체계(ITS) 계획을 수립해 지능형 교통 체계(ITS) 구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 2016, pp.48~52).

대중교통 연구개발 사업은 교통카드, 버스 관리 시스템(BMS),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BIS)

같은 대중교통 수단의 운영관리에 관한 연구개발이라 할 수 있다. 국내 시내버스 운송 사업은

1970년대에 호황기를 누리다가 승용차의 증가와 이에 따른 대도시 교통 혼잡으로 버스의

수송경쟁력이 떨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첨단 대중교통 시스템을 구축해 버스의 운행 간격을

조절하며 버스의 정시성을 보장하는 버스 관리 시스템, 버스의 정류장 도착 시간을 알려주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대중교통 수단 간 요금 결제를 편리하게 한 교통카드 같은 연구개발

사업의 추진은 대중교통 체계의 효율성과 편리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여객 교통 분야 외에도

화물자동차에 대한 운영 관리 연구개발 사업도 비슷한 시기에 착수해, 종합 물류망 구축 연구개

발, 화물자동차 운행 관리(CVO) 등 다양한 연구개발을 이뤄 국가 물류비 증가를 억제하는데

성과를 거뒀다.

한편 도로교통 연구개발 사업 수행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등 국책 연구기

관에서 도로교통 혼잡을 줄이기 위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수행하면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80년대 이전에는 국토부 산하의 개별 연구기관 단위에서 소규모로 연구개발 사업을 관리했

Page 52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15

지만, 1980년 후반부터는 국토부 연구개발 사업의 규모와 예산이 늘어나면서 이를 효율적으로

통합・관리하기 위해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을 설립했다.

2000년대 도로교통 연구개발 사업의 변화 추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2000년대 전반에는

한국교통연구원 등 국책 연구기관이 연구개발 사업의 확대에 주력했다. 2000년대 후반에는

연구개발 사업의 전담 관리기관을 두고 연구개발 사업의 고도화를 추진했으며, 2010년대 이후

에는 연구개발 사업의 실용화를 목표로 각종 제도와 계획을 마련했다. 전체 도로교통 연구개발

사업 가운데 여기서는 도로 인프라 관련 과제를 제외하고 도로 운영 관리 관련 과제에 중점을

두어 서술하고 있는데, 2015년 말 기준 도로 운영 관리와 관련된 과제는 약 60여 개로 추정된

다. 이를 분야별로 구분하면 도로교통 운영 관리 11개, 대중교통 복지 교통 16개, 물류 15개

및 첨단 교통 관리 12개이다.

이런 연구개발 사업의 추진 결과, 기술의 해외 수출이라는 성과는 물론 많은 논문과 특허

등록이 이루어졌다. 특히 지능형 교통 체계(ITS)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알제리 ITS 사업에 진출했

고, 서울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첨단 대중교통 시스템(BMS, BIS, 교통카드 등) 개발로 대중교통

서비스를 한 단계 높이는 성과를 거두었다.

1. 도로교통 R&D 행정과 정책의 변천

가. 법령・계획의 변천

국토교통 연구개발의 경우 2015년에 「국토 교통 과학기술 육성법」이 제정된 이후 하위

법령과 「국토 교통 연구개발 사업 운영 규정」 등을 토대로 연구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구개발 사업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작성된 계획으로는 「건설교통 R&D 혁신로드맵」,

「연구개발 중장기 계획」 및 「국토 교통 연구개발 중장기 전략」 등이 있다.

도로교통 연구개발의 계획과 법령은 「지능형 교통 체계(ITS) 기본계획」과 이를 법적으로

뒷받침하는 「교통 체계 효율화법」이다. 「지능형 교통 체계(ITS) 기본계획」은 1993년 대통령

직속 SOC 투자기획단에서 기본계획을 우선 추진하기로 결정한 뒤, 1995년 초 지능형 교통

체계(ITS) 기본계획 1단계 연구를 완료했다. 이후 대한교통학회, 국토개발연구원, 교통개발연

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4개 기관을 중심으로 2단계 연구를 마무리했다. 이를 토대로

1997년에는 「지능형 교통 체계(ITS) 기본계획」을 마련했고, 원활한 추진을 위해 1999년 2월

「교통 체계 효율화법」을 제정했다(한국교통연구원, 2016, p.129). 「교통 체계 효율화법」이 수립된 이후

Page 53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16

지능형 교통 체계 사업은 빠르게 발전했고 그 적용 범위도 크게 확대됨에 따라, 관련 법률의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교통 체계 효율화법」을 「국가 통합 교통 체계 효율화법」으로

개정했다.

나. 행정 지원체계의 변천

1) 국토 교통 연구개발 행정 조직의 변천

국내에서 국토 교통 관련 연구를 처음으로 수행한 연구조직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산하 조직이라고 볼 수 있다. 1970년대 KIST 산하에 도시계획연구실(1969년 8월), 건설기술

연구실(1970년 2월), 교통경제연구실(1971년 3월) 등이 설치되면서 연구실 특성에 맞는 연구

를 수행했다. 1977년 11월에는 신행정수도 건설과 지역 개발에 관련된 연구 및 타당성 조사를

종합적으로 수행할 목적으로 지역개발연구센터를 KIST 내에 설치하면서 기존의 건설・교통

관련 연구 기능과 조직을 개편했다. 이후 지역개발연구센터는 신도시 건설 타당성 조사, 도시

설계, 국토・지역 계획, 화물 수송 체계, 주택 개량 등의 연구사업과 정책 개발을 담당하다가

1978년 6월 부설 지역개발연구소로 승격되었고, 이후 건설부가 설립한 국토개발연구원에

흡수 통합되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6, pp.58~60).

교통 분야의 경우, 교통부가 1986년 2월에 KIST 산하의 전산개발센터를 개편하면서 교통개발

연구원을 설립했다. 이후 건설부 산하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내무부 산하 도로교통안전협회

교통과학연구원 등 여러 부처에서 교통 관련 연구기관을 설립하면서 국토 교통 관련 연구와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1990년대 지방화 시대가 열리면서 전국 대도시 및 광역 지방 단체

도 산하에 연구원을 설립했고, 도로교통에 대한 정책 및 기술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 도로교통 연구개발 사업관리의 변천

① 도로의 시설투자에서 운영개선으로 연구개발 사업 전환(1990년대 이전)

국내 도로교통 운영 기술에 관한 연구개발 사업은 도로 인프라 건설이나 철도 차량 기술

개발에 비해 사업 규모와 예산 측면에서 매우 초라했다. 1980년대 이전까지는 국가경제 개발

계획에 맞춰 물동량 처리를 위한 교통시설 확충을 최우선 정책 목표로 설정했기에 도로교통

분야 역시 도로 인프라 관련 기술 개발에 주력한 결과, 도로교통 운영 기술 연구 개발은 우선순

위에서 밀려났던 것이다.

Page 53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17

1980년대 자동차가 늘어나 고속도로는 물론 도시 내 도로에서도 교통 상황이 악화되자,

늘어나는 교통 수요에 비례해서 도로 투자를 지속하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

다. 그동안 막대한 도로 투자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도로 정체가 크게 개선되질 않자, 도로

투자 이전에 교통 수요를 절감시키거나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정책적 판단도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기존 투자 시설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교통 운영 관리에 대한 연구개발

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확산되자, 1980년대 초반부터 도로교통 운영관리의 연구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도로교통 운영관리에 관한 초기의 대표적인 연구개발 사업으로 교통 체계 개선사업(TSM,

Transport System Management)을 꼽을 수 있다. 이 사업은 1988년 세계은행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전국 5대 도시 교통 개선 계획」과 「서울시 교통 신호 체계 운영 및 s/w 개발」

등 주요 간선 도로상 교통 정체 해소를 목표로 삼았다(한국교통연구원, 2016, p.106). 물론 1980년대

이전에도 도로교통안전협회가 신호 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지만, 도로의 기하하

적 구조의 개선과 신 신호 시스템을 함께 추진한 연구개발은 1980년대 후반에 가서야 본격적

으로 추진되었다.

② 국가 교통 분야 연구개발 전문 관리 기관 설립 및 통합적 사업 관리 시작(2000년대 전반)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출범하기 이전인 1990년대에 건설・교통 연구개발은 한국건설기

술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 국토교통부 산하의 개별 전문 연구기관별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점차 연구개발 예산 규모가 커지고 연구 과제 수도 많아지자, 연구 수행 기관과 연구

관리 기관을 분리하여 사업을 관리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2002년 12월

30일에 재단법인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이 설립되어 건설교통 연구개발 관리가 체계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3, pp.16~17).

설립 이후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으로부터 건설 분야 연구

개발 사업을 인계받았다. 또한 2004년 1월에는 건설교통기술 연구개발 업무를 국토교통과학

기술진흥원로 일원화시킨다는 계획에 따라, 교통개발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항공우

주연구원 등 여러 교통 관련 기관에서 분산・추진하던 교통기술 연구개발 업무까지 인계받았다.

이로서 2004년부터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본격적으로 건설 및 교통 기술 연구개발 업무

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되었다. 특히 「교통 체계 효율화 사업을 추진하면서 2012년까지

3,063억 원을 투자하여 지능형 교통 체계, 미래형 교통 시스템, 물류 시스템 등 3개 분야의

기술 개발을 추진했다.

Page 53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18

③ 사업단・연구단 체계 구축으로 연구개발 관리의 효율화 기틀 마련(2000년대 후반)

「건설교통 연구개발 혁신 로드맵」 수립 이전에는 건설・교통 부분 연구개발 관리주체가 다양

하여, 관련 규정이나 지침도 사업별로 관리되고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2007년

「건설교통 기술 연구개발 사업 운영 규정」을 제정하고, 사업단・연구단 체계를 확립하여 운영의

기틀을 마련했다. 그리고 사업단・연구단 도입으로 과제가 대형화됨에 따라 대형 과제의 관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10개 사업단 체계를 구축하고 통합 진도 관리 시스템의 도입을 추진하

여, 사업단 및 연구단 과제 관리가 보다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 과제 중

일부 세부 과제에 대해 분리 공모 제도를 시행하여 대형 사업단 등에 포함되지 못해 소외될

수 있는 신진 연구자나 지방 연구자들에게도 동등한 연구 참여의 기회를 제공했다.

④ 연구 성과 실용화 중심의 관리 체계 확립(2010년대)

<표 10-4> 한국의 국토교통 연구개발 추진경과

연 도 단 계 내 용

1990년대

이전연구개발

- 전국 5대 도시교통개선 계획, 서울시 신호운영체계 개선 및 S/W 개발

- 교통 체계개선사업(Transport System Management) 시행

2000년대

전반

연구개발

확산

- 한국건설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개발연구 등에서 독자적인 연구 수행

- 국토교통 연구개발의 개발

2000년대

후반

연구개발

고도화

- 국토교통 연구개발 전문기관 설립(건설교통기술평가원) 및 연구관리 기반 마련

- 건설교통 연구개발 혁신로드맵(2006년) 수립 및 국토교통 연구개발 중장기전

략 수립

- 5년 단위 건설교통 연구개발 중장기계획수립・추진

2010년대

이후

연구개발

실용화

- 국토교통연구개발 사업관리 강화 방안」및 국토교통 연구개발 개선방안

- 국토교통 연구개발 중장기전략 수립

- 연구성과 실용화 제고를 위한 국토교통 연구개발 개선방안

자료: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내부자료(2016)를 토대로 정리

2010년부터 연구개발 제도의 고도화와 연구 성과의 극대화를 위해 연구개발 발전 전략,

연구개발 사업 관리 방안, 연구개발 관리 시스템 종합 개선 방안 등 다양한 사업 관리 방안

등이 추진되었다. 연구개발 기획 기능 강화를 위해 경쟁 기획의 도입, 기획 결과 타당성 검토

제도를 도입하여 신중한 연구개발 투자를 유도했다. 평가에 있어서는 ‘성과점검 기준표’를

도입하여 성과 중심의 실효성 있는 평가가 되도록 했다. 특히 연구비 관리에서는 실시간 연구비

관리제도인 e-로미 시스템의 도입과 현장실사 강화 등을 통해 연구비 유・ 오용을 사전에 방지

했다. 2010년 이후는 국토교통 연구개발의 고도화기로서 연구 성과의 실용화 제고를 위한

Page 53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19

국토교통 연구개발 개선방안을 수립했고, 「국민행복과 창조 경제 실현을 위한 국토교통 연구개

발 중장기 전략」(2014~2023)이 수립되었다.

다. 국토교통 연구개발 사업예산의 변천

<표 10-5> 국토교통 연구개발 예산 추이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정부전체 97,629 110,784123,437137,014148,902160,244168,777177,793188,900 190,942

(A) 증가율 - 13.5% 11.4% 11.0% 8.7% 7.6% 5.3% 5.3% 6.2% 1.1%

국토교통 전체 3,277 3,460 3,924 4,092 4,310 4,159 4,018 4,117 4,500 4,458

(B) 증가율 - 5.6% 13.4% 4.3% 5.3% △3.5%△3.4% 2.5% 9.3% △0.9%

예산비율(B/A) 3.4% 3.1% 3.2% 3.0% 2.9% 2.6% 2.4% 2.3% 2.4% 2.3%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국토

연구개발1,411 1,464 1,879 1,851 1,849 1,746 1,380 1,563 1,758 1,681

교통

연구개발 1,630 1,779 1,816 2,032 2,243 2,212 1,987 1,819 1,827 1,849

공통

연구개발236 217 228 209 218 201 651 735 915 928

2007년도 정부 전체의 연구개발 예산은 9조 7,629억 원인데, 국토교통 연구개발 예산은

3,277억 원에 불과했다. 정부 전체 연구개발 대비 국토 교통 연구개발 예산 규모로 비교하면

2007년 3.4%에서 2016년 2.3%로 감소했다. 국토부의 예산을 기준으로 보면, 연구개발 예산

이 차지하는 비중은 등락을 반복하며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교통 분야의

연구개발 예산은 2016년 기준 1,849억 원으로 국토 분야 연구개발 예산인 1,681억 원보다

다소 높은 편이다. 교통 분야 연구개발 예산은 2010년 이후 국토 분야보다 다소 높은 추세를

유지하고는 있으나, 국토 교통 분야 연구개발 전체 예산이 정부 전체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미미하므로 큰 차이가 있다고 볼 수는 없다(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2016) 내부 통계자료).

라. 정책 및 사업의 변천

교통 관련 연구개발 정책은 교통 정책 환경의 변화와 정부의 대응 정책에 따라 변화해 왔다.

한국전쟁 이후 복구와 경제 개발이 급선무이던 시기에는 경제 활동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Page 53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20

교통 인프라의 확충에 매진했다. 1980년대부터 자동차 대중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교통 정책의

최우선 목표는 ‘도로 교통의 수송 효율성 제고’였다. 이런 정책 기조의 변화로 국내 최초의

고속도로인 경부고속도로가 건설되었고, 전국 어디에서나 30분 이내에 고속도로로 진입한다

는 목표 아래 격자형(7x9) 전국고속도로망 구축도 추진되었다. 아울러 도로건설과 동시에

대도시에도 기존 전차를 철거하고 지하철을 건설하는 등 교통 인프라 확충에 치중했다(한국개발연구

원, 2010, pp.279~284).

그러나 도로 확충으로 자가용 승용차의 편의성은 증진된 반면, 시내버스와 같은 노면 교통

수단의 수송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저하되어 1990년부터 사양화의 길로 접어들었다. 또한 대중

교통이라 하지만 지하철과 시내버스의 운영 기관이 달랐기 때문에 버스와 지하철 간 환승에

따른 불편과 비용 부담도 증가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영 기관 통합이나 버스

공영화도 검토되었으나 실제 시행되지는 않았다. 그 대신 이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인 버스 운영 관리 시스템(BMS) 및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BIS), 교통카드 등 첨단 대중

교통 기술 개발을 통해 대중교통 서비스 경쟁력을 높였다. 그 결과 대중교통 서비스의 향상,

교통 약자의 편의성 증진 등 교통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지구온난화가 글로벌 정책 이슈로 등장하면서 교통 환경 정책도

부각되었다. 특히 이명박 정부에서는 “저탄소 녹색 성장”이 정책기조로 설정되면서, 이산화탄

소 저감과 대기 오염 개선을 위한 전기차 및 자전거 보급 등 녹색 교통수단에 대한 연구 및

기술 개발이 확대되었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에는 창조 경제 실현을 위한 정보통신 기술

기반의 교통 기반 구축 등 정책 환경에 따른 다양한 연구개발이 추진 중이다.

<표 10-6> 교통 부문 연구개발 과제 수행 변화 추이

항목2010년 이전 2011년 이후 전체

과제수 비율 과제수 비율 과제수 비율

도로교통운영관리 5 21.7% 6 16.7% 11 18.6%

대중교통・복지교통 6 26.1% 11 30.6% 17 28.8%

물류 8 34.8% 11 30.6% 19 32.2%

ICT 기반 첨단교통 체계 등 4 17.4% 8 22.2% 12 20.3%

합 23 100.0% 36 100.0% 59 100.0%

자료: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6), 내부 통계자료.

이와 같은 정책 변화 속에서 최근의 도로 교통 관련 연구개발 사업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국토과학기술진흥원 설립 이후 추진된 60여 개 과제를 도로교통 운영 관리, 대중교통

Page 53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21

개선, 화물 교통의 세 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분야별로 보면, 도로교통 운영 관리 11개

(18.6%), 대중교통・복지교통 17개(28.6%), 물류 19개(32.3%) 및 정보통신 기술 기반 첨단

교통 체계 12개(20.3%)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2010년 이전과 2011년 이후로 나누어 비교하면

큰 차이는 없으나, 기본적으로 도로교통 개선보다는 대중교통 개선과 첨단 교통 시스템 기반

조정에 관한 과제 비중이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6, 내부 통계자료).

먼저 도로교통 관련 연구개발 사업은 2004년에 수행된 연속류 도로 체계 연결부 동적운영

제어 시스템 개발 연구를 비롯해, 안전 지향형 교통 환경 개선 기술 개발, 스쿨존 통행 안전

통합 시스템 개발, 교통사고 및 사망자 최소화를 위한 사고 없는 안전교통(Safe Mobility)

로드맵 수립, 교통 혼잡 최소화 및 도로 용량 확대를 위한 막힘없는 첨단교통(Smart Mobility)

로드맵 수립 등이 각각 수행되었다.

<표 10-7> 도로교통의 수송 효율성 제고 관련 주요 연구개발 과제

년도 과제명

2004 연속류 도로체계 연결부 동적 운영 제어 시스템 개발

2005 유비쿼터스 환경의 차세대 국가 교통정보 수집체계 개발 및 시범사업

2006 안전지향형 교통환경개선 기술 개발

2010 도로안전성 평가를 위한 차세대 장비 개발 기획연구

2010 첨단도로교통제어를위한차세대표준기술 개발기획

2011 스쿨존 통행안전 통합 시스템 개발

2011 첨단도로교통 시설물 통합제어 기술 개발

2012 교통사고 및 사망자 최소화를 위한 사고없는 안전교통(Safe Mobility) 로드맵 수립

2012 교통혼잡 최소화 및 도로용량 확대를 위한 막힘없는 첨단교통(Smart Mobility) 로드맵 수립

2013 스마트하이웨이 사업단

2015 2015 스마트 자율협력주행 도로시스템 개발

이 외에도 국토교통부가 직접 발주한 과제도 있는데, 도로 관리 통합 시스템 유지 관리

연구, 국도 지능형 교통 체계(ITS) 연계 시스템 구축 등이 그것이다. 특히 지능형 교통 체계

(ITS) 기본계획 수립 및 지능형 교통 체계 기본계획 수정・보완을 위한 연구를 통해 서비스

제공 계획을 제시하여, 지방자치단체 지능형 교통 체계(ITS) 계획 수립의 지침이 되었다.

그밖에도 연구개발, 표준화, 전문 인력 양성, 홍보 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 관계 기관들이

협력을 통해 지능형 교통 체계(ITS) 연구개발 계획, 지능형 교통 체계(ITS) 표준화 계획을

수립하는 지침이 되었다. 또한 지능형 교통 체계(ITS) 기본계획 수정・보완을 위한 연구는 첨단

Page 53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22

교통 모델 도시 건설 사업의 평가를 위해 각 모델 도시별 건설 사업의 현황을 분석했고, 국내외

ITS 사업 평가 사례를 참조하여 평가를 위한 효과 척도를 선정했다. 이런 척도에 근거하여

모델 도시별로 현장 조사 및 센터 운영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했으며, 사업 효과 분석

및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며 향후 지능형 교통 체계(ITS) 사업의 효율적 운영 방안 및 중장기

추진 계획을 수립하는 데 지침을 제공했다.

[그림 10-16] 고속도로 자동 징수 시스템(ETC), 고속도로 종합 관제실

자료: 한국교통연구원 (2006), �교통, 발전의 발자취 100선�.

대중교통 분야에서는 교통 연계 및 환승 시스템 기술 개발, One Card All Pass 표준 기술

개발 및 테스트베드 운영, 전국 호환 교통카드를 활용한 교통편의 시설 전자 결제 시스템 개발

등이 있다. 복지교통 분야에는 공정하고 이용하기 편리한 차별 없는 복지교통(Welfare Mobility)

로드맵 수립, 교통 약자 보행 지원 시스템 개발, 이동 불편 교통 체계 개선 기술 개발, 중형

저상 버스 표준모델 개발, 초소형 자동차 안전 기준 및 인증기술 개발 등이 수행되었다.

특히 전국 호환 교통카드 연구는 지자체, 교통수단별로 따로 발행하던 교통카드를 대체하여

전국을 하나의 교통카드로 호환할 수 있는 기술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다기능 복합 교통

정보 검지기를 개발하여 국외 수출 등에 적용하는 성과도 거두었다. BIS/BMS 효율적 연계

방안 연구는 버스 운행 현황을 분석하여 BIS/BMS 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

그밖에도 실시간 환승 교통 종합 정보 제공 연구는 시민들에게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를 기준

으로 한 대중 교통 환승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주요 5개

Page 53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23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한 교통수단별 통합 DB 구축, 교통 정보 제공 인터넷 서비스 구축, 건설

교통종합정보센터 H/W, S/W 기능 개선, 다기능 전자 교통 지도 자동 갱신 프로그램 개발

및 국가대중교통정보센터(TAGO, Transport Advice on Going Anywhere)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관련 연구가 수행되었다.

한편 복지교통의 경우 정부는 2005년 1월 말 「교통 약자의 이동 편의 증진법」을 제정하고

관련된 증진 계획을 수립했다. 그 결과 장애인, 고령자 등 교통 약자의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 과제가 수행되었다(한국교통연구원, 2007).

<표 10-8> 대중교통・복지교통 관련 주요 연구개발 과제

년도 과제명

2006 교통연계 및 환승 시스템 기술 개발

2007 One Card All Pass 표준 기술 개발 및 테스트베드 운영

2007 이용자 맞춤형 대중교통서비스 기술 개발

2009 승객여정선택형 대중교통(PRT) 운영기술 개발

2009 자전거 이용활성화 기술 개발 기획

2011 비접촉 전력전달방식 친환경 대중교통 시스템 개발

2012 공정하고 이용하기 편리한 차별없는 복지교통(Welfare Mobility) 로드맵 수립

2012 도로교통 배출가스 최소화를 위한 공해없는 청정교통(Eco Mobility) 로드맵 수립

2012 전국호환교통카드를 활용한 교통편의시설 전자결제 시스템 개발

2014 교통약자 보행지원 시스템 개발

2014 이륜자동차 안전기준 및 검사장비 기술 개발 기획

2014 저비용 무선충전 전기버스 시스템 상용화 기술 개발

2015 이동불편 교통 체계 개선 기술 개발

2015 이륜자동차 안전기준 및 검사장비 기술 개발

2015 중형저상버스 표준모델 개발

2015 초소형 자동차 안전기준 및 인증기술 개발

한편 여객 교통과 함께 도로 교통에서 화물 교통이 차지하는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특히 1990년부터 국가 경제 활동이 크게 늘면서 화물 수송에 차질이 생기자, 효율적인 화물

수송 체계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그러나 경제 활동의 증가에 따른 화물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했

으나, 보관, 수송, 저장, 가공 등 각 단계마다 비효율이 발생하고 전체 화물 수송에 차질이

생기면 국가 물류비용도 증가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1996년에 종합 물류 정보망

사업을 추진하면서, IT 기술을 이용하여 국내 화물 유통과 관련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Page 53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24

했다. 그 일환으로 물류 활동에 수반되는 각종 정보 흐름을 전산화, 자동화함으로써 국가 단위

종합물류정보망을 구축하는 연구개발을 시작했다. 특히 종합 물류 정보망 사업의 첨단 화물

운송 시스템(CVO)은 지능형 교통 체계(ITS)의 서브시스템으로 추진되었다. 첨단 화물 운송

시스템의 세부 시스템에는 화물 차량 운행 관리 서브시스템, 화물 차량 관리 서브시스템, 화물

관리 서브시스템, 화물 행정 서브시스템, 위험물 차량 관리 서브시스템, 화물 전자 통관 서브시

스템 등이 포함되었다(한국교통연구원, 2016, p.131).

[그림 10-17] 종합 물류 정보망 구상도 및 교통 물류 연구 사업 로드맵(Logi Mobility)

자료: 한국교통연구원 (2006); 한국교통연구원 (2014).

물류비용 감소를 위한 연구개발은 국가 물류 기술 혁신 중장기 기본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교통 물류 거점 중심 연계 교통망 구축 기술 개발, 지능형 물류센터 및 고효율 장비 기술

개발, 물류비용 최소화 및 효율 증대를 위한 단절 없는 물류교통(Logi Mobility) 로드맵 수립,

물류 작업 효율 개선을 위한 경량 화물 취급 장비 기술 개발 및 창조 경제 시대의 문제 해결형

물류 연구개발 기술 개발 수요 조사 및 개발 전략 수립 등 다양한 과제가 수행되었다.

이렇게 발전해온 교통 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2010년대를 지나면서 종합적이고 융합적인 형태

로 발전했다. 초기에 단순한 신호등 체계 개선, 자동차 안전도 향상, 도로 관리 개선 등 분야별로

구분되었던 연구가 도시와 교통, 차량과 인프라 등을 연계하여 추진되는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시스템 개발로 전환되었다. 주요 연구로는 U-Transportation 기반 기술 개발,4) 지능형

교통 체계(ITS) 통합 서비스 기반조성을 위한 표준 플랫폼 개발, 스마트 자율 협력 주행 도로

시스템 개발 및 자율 주행 자동차 안전성 평가 기술 및 테스트베드 개발 등이 있다.

Page 53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25

<표 10-9> 물류관련 주요 연구개발과제

년도 과제명

2007 국가물류 표준 종합 시스템 개발

2007 국가물류기술혁신 중장기 기본계획 수립

2009 녹색물류 자동운송 시스템 기술 개발 기획

2010 지능형 물류센터 및 고효율 장비기술 개발 기획

2010 지하 화물운송 시스템 기술 개발 기획

2011 감마선 투과 영상기반의 내륙화물 검색 기술 개발 기획

2011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개발

2011 에너지 절감형 물류시설 기술 개발 기획

2011 화물차 네비게이션용 표준맵 기술 개발 기획

2012 물류비용 최소화 및 효율증대를 위한 단절없는 물류교통 로드맵 수립

2012 화물 컨테이너의 상태 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개발

2013 물류작업 효율개선을 위한 경량화물 취급 장비 기술 개발

2013 지능형 물류센터 상하역 및 이송 시스템 기술 개발

2014 무인 택배 로봇 등 택배산업 고도화를 위한 ICT 기술 개발

2014 창조 경제 시대의 문제해결형 물류 RnD 기술 개발 수요조사 및 개발전략 수립

<표 10-10> ICT 기반 첨단 교통 기반 조성 주요 연구개발

년도 과제명

2006 U-Transportation 기반 기술 개발

2007 ITS 표준구현체계 기획

2008 ITS 통합서비스 기반조성을 위한 표준 플랫폼 개발

2009 교통정책 지원 및 분석 시스템 개발

2012 CCTV를 활용한 광역단위 주차정보 제공 및 안내 시스템 개발

2013 도심지 교차로 혼잡해소를 위한 지능형 신호 시스템 개발 기획

2014 고속 무인 과적단속 시스템의 성능평가체계 개발

2014 고위험군 운전자 행동개선 및 위반억제 기술 개발

2014 스마트 주차정보 시스템 실용화 연구

2015 스마트 자율협력주행 도로 시스템 개발

2016 자율주행자동차 안전성 평가기술 및 테스트베드 개발

2016 차량 ICT기반 긴급구난체계 구축 연구

Page 54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26

2. 도로교통 R&D 주요 성과

가. 지능형 교통 체계(ITS)의 구축으로 도로 소통 제고

도로교통 운영 관리 연구개발 사업은 고속도로와 일반국도로 나눠 각각 진행했다. 먼저

고속도로 교통 관리 시스템(Freeway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s, FTMS)은

고속도로에서의 교통 흐름의 원활화, 안전성 증대를 위해 도로 또는 도로변에 있는 시설과

자원, 인력을 활용해 정보 수집, 정보 처리, 정보 전달과 관련한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교통관제센터(TMC)5), 가변 정보 표시판(VMS), 램프 미터링 시스템(RMS)6)

등을 개발했다.

이후 고속도로 교통 관리 시스템(FTMS)은 도시 교통 신호 시스템(Urban Traffic Control

Systems, UTCS), 국도 교통 관리 시스템 등과 연계 운영함으로써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구축하는 출발점이 되었다. 이후에도 도로 운영 연구개발 사업은 첨단 교통 관리 시스템

(Advanced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s, ATMS)으로 진화하다가, 점차 자동차

-교통 인프라를 연계해 관리하는 새로운 형태의 협력적 지능형 교통 시스템(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C-ITS)으로 발전하는 과정에 있다.

국내 지능형 교통 체계(ITS)의 연구 성과로 교통 흐름 개선, 효과적인 교통 수요 관리 등을

통해 교통 혼잡과 사고 비용, 물류비용을 절감시켜 연간 11.8조 원 이상의 편익이 발생한

것으로 예측된다(한국교통연구원, 2016. pp.48~52). 이는 2010년 기준 연간 교통 혼잡 비용이 26.5조

원, 사고 비용이 14.9조 원, 물류비용이 84.7조 원인 것에 비하면 상당히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서울과 대전, 울산 등 지능형 교통 체계(ITS) 도입 도시에서 평균 통행 속도가 15~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교통 정체와 차량 공회전 등으로 발생하는 불필요한 연료

소모와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킴으로써 환경 측면에서도 크게 기여를 한 것으로 판단된다.

나. 첨단 대중교통 체계의 구축으로 대중교통 편의 증진

대중교통 운영 기술 연구개발의 성과를 분야별로 서술하면, 첫째 교통카드 개발로 대중교통

간 환승 편의를 위해서 버스와 지하철 간 통합 요금 부과와 무료 환승을 가능케 했다. 교통카드

는 대중교통은 물론 택시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일반 은행카드, 휴대폰을 이용해 결재할 수도

있다. 교통카드는 수도권은 물론 전국 대도시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 교통카드

Page 54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27

소지자가 전체 대중교통 이용자의 95%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이용률이 매우 높다. 둘째 버스

관리 시스템(BMS)과 버스 정보 시스템(BIS) 개발을 통해 버스의 운행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

고 승객에게 버스의 운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국내 첨단 대중 교통 기술은 지식 공유 사업(Knowledge Sharing Program, KSP)을 통해

각국의 교통 전문가에게도 전수되었다.7) 이를 바탕으로 외국 도시 개발 사업과 연계해 외국으

로 기술을 수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서울시 버스 체계 개편 사례는 2006년 6월 제5차

국제대중교통협회(Union Internationale des Transports Publics, UITP) 아태 총회에서

지속 가능한 도시교통을 위한 혁신 사례로 ‘UITP 혁신 정책상’을 수상한 바 있다(한국개발연구원,

2009). 이런 성과에 힘입어 페루 리마시의 첨단 대중 교통 마스터 플랜 사업에 참여해 국내

교통카드 기술을 수출하는 성과를 냈다.

3. 도로교통 분야의 미래전망

미래 도로교통은 자동차와 자동차, 자동차와 도로 시설 간 연계를 통한 기술 융합이 급속히

이뤄져 자동차는 물론 대중교통 분야에서도 자율 주행을 도입해 기존 교통 체계에 큰 변화를

줄 것으로 전망한다.

이런 트렌드에 따라 국내 도로교통 연구개발도 자동차 분야의 요소 기술 개발과 병행하여

지능형 교통 체계 기술 개발에서도 이와 관련한 다양한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필요로 할

것이다. 아울러 지구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한 교통수단의 친환경화, 인구 고령화에 따른 교통수

단의 단순화와 소형화, 도시 물류를 지원하기 위한 마이크로 모빌리티 등 다양한 형태의 교통수

단을 개발할 것으로 전망한다.

첫째, 도로 교통 분야에서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서 자동차 연비 규제에서 탄소 배출 규제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유럽연합은 2015년 탄소배출량을 130g/km에서 2020년에는

95g/km로 41% 감축 예정이고, 미국도 2006년 249g/km에서 2020년 144g/km로 약 27%

감축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국내 도로교통 분야에서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의 기술 개발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참고로 IEA와 Frost&Sullivan 등 주요 예측 전문 기관은 2025년 30%,

2030년 50%의 자동차 시장을 친환경차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둘째, 도로교통 분야에서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첨단 자동차와 도로 운영에

Page 54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28

관한 연구개발이 늘어날 전망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자율 주행에 의한 자동차 관련 교통사고의

절감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주요 선진국은 물론 국내에서도 자율 주행차의 기술 개발에

대한 경쟁이 심화될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구글은 전 구간 자율 주행이 가능한 Level 4

기술 개발 중이며, 벤츠 등 주요 제작사는 Level 3 수준의 부분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 중이다.

국내의 현대자동차는 차간 거리 유지, 차로 유지 지원, 자동 제동 Level 2 핵심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도로 시험 운행 중으로, 2020년경 시장에 출시 예상되며 2035년까지 북미, 서유럽,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시장 연평균 성장률은 8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교통수단 운영에도

큰 변화를 예상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교통수단의 공유다. 이를 위해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이용자 특성에 부합한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다. 이와 관련한 차량 운영

시스템 개발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집필 정 준 화 (건설)

황 상 규 (도로교통)

최 강 윤 (철도교통)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소장

한국교통연구원 명예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Page 54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제10장건설・철도・도로

529

참 고 문 헌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3), �KAIA 10년사�.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4), “창조 경제 실현을 위한 국토교통 연구개발 중장기 전략, 2014­2023”,

�대한건축학회지� 58(12), pp.64~69.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5), �2015 국토 교통 기술 수준 분석 총괄보고서�.

국토교통부 (2013), “철도안전과 경쟁력 강화 제도 마련’공청회 열린다”, 보도자료 2013년 5월 29일.

손길선 (2004), �철도이야기�, 정문사

조남건, 이강원 (2011), “토목 인프라 60년의 변화와 전망”, �대한토목학회지� 59(13), pp.37~50.

한국개발연구원 (2010), �한국경제 60년사(국토・환경)�.

한국교통연구원 (2006), �교통, 발전의 발자취 100선�, 한국교통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2007), �교통약자 이동 편의 시설 설치・관리 매뉴얼�.

한국교통연구원 (2014), �미래형 국가 교통기술 연구개발 실행 체계 구축 방안�.

한국교통연구원 (2016), �한국의 교통�.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6a),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통 시스템 변화와 대응 세미나”, 2016년 8월 17일

보도자료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6b),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년사�.

Page 54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30

미 주

1) VC-10(Value Creator): U-Eco City, 초고층 복합빌딩 시스템, 입체형 도심재생 시스템, 지능형 국토 정보

기술 혁신, 스마트 하이웨이, 초장대 교량, 미래 고속철도 시스템,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해수 담수화

시스템, 중소형 항공기 인증 기술 개발

2) 첨단 도시 개발 사업, 플랜트 기술 고도화 사업, 교통 체계 효율화 사업, 미래 철도 기술 개발 사업, 항공 물류

선진화 사업, 건설 기술 혁신 사업, 정책 및 인프라 사업

3) 지능형 교통 체계란 교통 체계의 지능화를 통해 교통 운영의 효율성 극대화, 이용자 편의 및 안전 제고, 환경

친화적 교통 체계 구현을 목표로 하는 교통 체계로, 안전 향상은 물론 환경 개선을 목표로 미국에서 시작되었

다. 초기엔 지능형 차량 도로 체계(IVHS; Intelligent Vehicle-Highway System)로 명명했었다.

4) 이 사업은 U-Transportation의 막힘없는 정보 제공을 위하여 차량-사람-센터-시설물 간의 실시간 연계 및

제공 기술의 Test Bed 시험을 거쳐 컨텐츠, 센터, 통신 네트워크 및 정보 제공 단말기를 포함한 복합 시스템

을 실용화하는 기술 개발이다.

5) 교통관제센터(Transportation Management Center, TMC)에서는 수집한 교통 정보 또는 기상 정보를 근거

로 사고 발생 유무 등을 감지하고 확인한 뒤 그에 대응하는 교통 관리를 수행한다.

6) 램프 미터링 시스템(Ramp Metering Systems, RMS)은 도로 본선에 정체가 발생했을 때 진입로에 설치한

신호등을 운영해 진입 교통량을 제어하며 전체 정체를 줄이는 시스템이다.

7) 대표적인 사례세계은행(World Bank)과 공동으로 추진하는 LUTP(Building Leaders in Urban Transport

Planning)를 들 수 있는데, 정례화한 프로그램으로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Page 54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편찬 참여자 명단

│부록│

Page 54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547: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부록편찬 참여자 명단

533

1. 편찬위원회

성명 소속 및 직위

위원장 이장무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위원장

위원 이윤우 삼성전자 상임고문

이현순 두산 부회장

양윤선 ㈜메디포스트 대표이사

송종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원장

이병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김두철 기초과학연구원 원장

장순흥 한동대학교 총장

김승조 서울대학교 교수

이혜숙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송성수 부산대학교 교수

간사 용홍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국장

2. 집필진

가. 제1편 과학기술의 시대별 전개

제1장해방 후 과학기술 기반의 형성:

1945년~1966년

홍성주

안형준

장필성

강미화

(�과학기술 40년사� 보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전북대학교 과학기술학 박사

제2장과학기술 종합 행정과 기술개발 체제의

확립: 1967년~1970년대

제3장기술 드라이브 정책의 전개와 국가

연구개발 체제의 확충: 1980년대

제4장첨단 기술개발을 위한 과학기술 전략

추진: 1990년대

제5장창조·혁신을 통한 과학기술 선도 역량

강화: 2000년대 이후

황용수

이준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전략과장

제6장대한민국 과학기술 정책 반세기, 성과와

전망송종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원장

Page 548: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34

나. 제2편 과학기술 정책과 행정의 변천

제1장 과학기술 행정 체계

박상욱

윤지웅

성한아

숭실대학교 교수

경희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박사과정

제2장 과학기술 법제도윤종민

양승우

충북대학교 교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제3장 과학기술 연구개발 주체

고영주

권기석

정해혁

한국화학연구원 본부장

한밭대학교 교수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부장

제4장 과학기술 인력

홍성민

변순천

김진용

심정민

이병윤

송완흡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단장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선임연구위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산업기술대학교 교수

포항공과대학 센터장

제5장 국가 연구개발 사업 박구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선임연구위원

제6장 과학기술 성과 확산 및 공공 기여

박종복

류태규

송위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지식재산연구원 본부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단장

제7장 과학기술 인프라

최희윤

구중억

권경훈

박종섭

전병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실장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센터장

국가기술표준원 팀장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기술원

제8장 지역 과학기술 정종석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제9장 과학기술 문화

최연구

허경호

장미경

송성수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위원

한국과학창의재단 실장

한국과학창의재단 선임연구원

부산대학교 교수

제10장 과학기술 국제협력 송치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Page 549: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부록편찬 참여자 명단

535

다.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제1장 기초연구 책임저자

안화용

김두철

이혜숙

김정구

전승준

한국연구재단 실장

기초과학연구원 원장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자문교수

고려대학교 교수

제2장 거대과학 책임저자

김종범

안오성

권문상

이재학

이은정

유민수

장순근

박영득

안홍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실장

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기상청 연구개발담당관

국립기상과학원 과장

극지연구소 명예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부산대학교 교수

제3장 산업기술

책임저자 이병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

참여저자

우창화

이후상

박상진

한유동

고영주

이동헌

송민규

정 인

정도현

조경익

경상대학교 교수

한국기계연구원 전 책임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본부장

재료연구소 부장

한국화학연구원 본부장

한국화학연구원 선임연구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본부장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팀장

자동차부품연구원 본부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제4장 정보통신

책임저자 임명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참여저자

김석환

류호준

유현규

김성운

김상기

김진웅

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제5장 원자력․에너지 책임저자

이태준

양훈철

이재구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실장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Page 550: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50년사 ❚ 제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

536

3. 감수위원 (가나다 순)

성명 소속 성명 소속

감수 김 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이병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김천욱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이은경 전북대학교 교수

문상흡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이현구 충남대학교 명예교수

박철휘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임강원 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신종계 서울대학교 교수 임종태 서울대학교 교수

심재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원장 장승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안동만 전 국방과학연구소 원장 정 원 전북대학교 교수

윤순창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부원장 정진욱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윤호일 극지연구소 소장 한민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이광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명예교수 허보영 경상대학교 명예교수

이돈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허은녕 서울대학교 교수

이무하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제6장 지질자원․환경 책임저자김성용

홍유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실장

국립환경과학원 과장

제7장 생명공학․보건의료

책임저자김흥열

김현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센터장

보건산업진흥원 수석연구원

참여저자

박세형

여재천

박현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전무이사

국립보건연구원 과장

제8장 농업과학․식품 책임저자

이주량

박교선

홍석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농촌진흥청 과장

한국식품연구원 책임연구원

제9장 국방․재난안전책임저자

이 찬

유진호

정지범

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교수

참여저자 이철규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시설연구관

제10장 건설․교통 책임저자

정준화

최강윤

황상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소장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명예연구원

Page 551: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부록편찬 참여자 명단

537

4. 편찬 총괄

성명 소속 및 직위

사업 주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준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전략과장

김용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전략과 사무관

과제 추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홍창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원

안형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5. 편찬 지원

성명 소속 성명 소속

추진 이정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원장 조사 고원태 서울대학교 석사과정(과학사)

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전략기획실장 김슬기 서울대학교 석사과정(과학사)

장필성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김종립 서울대학교 박사과정(과학사)

윤문 박민아 한양대학교 연구교수 엄수홍 서울대학교 박사과정(과학사)

전찬미 캘리포니아대학교 방문연구원 오요한 서울대학교 석사과정(과학사)

박응서 사이언스타임즈 객원기자 원주영 서울대학교 박사과정(과학사)

정세권 서울대학교 박사(과학사) 한별이 서울대학교 석사과정(기술경영)

업무 김지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원

신세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원

안미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원

Page 552: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553: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과학기술

년사3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편

인 쇄

발 행

편집 및 발행

기획 및 제작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7

ISBN 978-89-6112-477-5

2017년 8월

2017년 8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경성문화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3809)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47 정부과천청사

TEL.02)2110-2546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과학·인프라동 5-7F

TEL.044)287-2000

Page 554: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555: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
Page 556: 과학기술 - msip.go.kr · 편집 일러두기 • 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문 용어에 대해 편집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 단어 간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