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ISSN 2233-4912 2016년 통권 제21EMF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 Newsletter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ISSN 2233-4912

2016년 통권 제21호

EMF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

Newsletter

Page 2: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01

02

03

04

국내 전자파(RF)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동 현황

자동차 환경의 자기장 노출에 관한 연구

전자기장을 이용한 뇌종양 치료 기술 소개: Tumor Treating Field (TTField)

EMF Weekly Brief

Page 3: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03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국내 전자파(RF) 리스크커뮤니케이션 활동 현황

국립전파연구원

최동근

Page 4: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1. 국내 전자파(RF)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동 현황

1. 국

내 전

자파

(RF) 리

스크

커뮤

니케

이션

활동

현황

04EMF Newsletter Vol.21

가. 서론

최근 들어 웨어러블 기기 등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와 신규

무선서비스 이용 증가 등으로 일상생활에서 전자파의 노출 및

인체영향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불안감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잘못된 언론 보도와 인터넷 동영상

유포 등은 국민들이 전자파에 대해 불안감을 지속적으로 가지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국립전파연구원에서는 이러한

전자파에 대한 국민들의 막연한 불안감과 걱정을 해소하고 전자파

안전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국민들에게 효율적으로 알리고

전자파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2015년에 전자파 안전 교육,

포럼, 전자파 실험실 운영 및 전자파 이해 동영상 제작 등 국민과의

양방향 소통을 통한 다양한 전자파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하였다. 이러한 활동에 대하여 소개한다.

나. 전자파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동 내용

1) 어린이 및 주부 대상 전자파 안전 교육 개최

전자파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자파 노출에

취약한 어린이와 가정에서 가전제품을 많이 사용하는 주부

대상으로 전자파 안전 교육을 6회에 거쳐 개최하였다. 어린이

대상 전자파 안전 교육은 “쉽고 재미있게 체험해 보는 어린이

전자파 안전 교육” 이라는 주제로 나주 빛가람 초등학교를

시작으로 서울 교육청에서 지정한 ICT 연구 학교인 이태원

초등학교, 도서 지역인 압해와 지도 초등학교에서 총 26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그림 1). 전자파에 대한 기본 개념과

생활속의 전자파(휴대전화, 가전제품)를 좀 더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전자파 수신기를 직접 만들어 전자파

송·수신 실험(무전기 신호 수신, RC카 리모컨 신호 수신)을 해보는

등 체험형 학습 위주로 진행되어 전자파의 특성을 보다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초등학생 눈높이에 맞춘 전자파에 대한

재미있는 설명과 체험·실습 학습을 통해 학생들과 교사들의

교육 만족도를 높였다. 안전 교육후 설문 조사한 결과(이태원초),

교육 대상 중 ‘재미있었다’가 54%로 가장 많았으며, 전자파를 더

알 수 있어서 유익했다가 23%로 나타났다(그림1(a), (c)).

주부 대상 전자파 안전 교육은 나주, 대전, 서울에서 208명의

주부(시민)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그림 6).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가전제품의 전자파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안전한 사용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전자파를 측정 시연해 보기도 하였다. 또한,

전문가와의 질의응답을 통해 평소 전자파에 대해 가졌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졌다. 안전 교육후 설문 조사한 결과(나주), 교육

대상자 중 교육 후에 전자파가 안전하다고 인식하는 응답이

49%로 교육 전(10%)에 비하여 매우 상승하였으며, 이 교육을 통해

일반인들이 정부가 전자파 안전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체계적으로

전달하고 관리하고 있음을 알게 되어 관련 인식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그림1(b), (d)).

(a) 어린이 대상 전자파 안전 교육 모습

04EMF Newsletter Vol.21

Page 5: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b) 주부 대상 전자파 안전 교육 모습

c)

어린이 설문 조사 결과

(d) 주부 설문 조사 결과

그림 1. 전자파 안전 교육 모습 및 설문 조사 결과

2) 전자파 안전 포럼 운영

전자파 안전 포럼은 1차 휴대전화, 2차 가전제품의 전자파 인체

영향이라는 주제로 총 205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서울 한국과학

기술회관에서 개최하였다(그림 2(a)). 전자파 관련 정부, 전문가(학

계, 연구기관 등), 시민단체 및 일반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휴대

전화 및 가전제품의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이해라는 내용으로

전문가 발표와 패널토론 후 자유롭게 토론하는 시간을 통해 국민

과의 양방향 소통의 장을 마련하였다. 이번 전자파 안전 포럼을

통하여 정부와 국민간의 전자파에 대한 정보 및 인식의 차이를 좁

혀가는 계기가 되었다. 제1차 전자파 안전 포럼을 개최한 결과, 참

석자 중 77.8%가 전자파에 대한 지식을 얻었다고 응답했으며, 주

로 휴대전화의 전자파가 발암가능물질 2B 등급으로 분류된 것과

전자파 저감 방법, 전자파 등급제 등에 대한 정보를 얻어 유익하

였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안전 포럼에 대한 평가는 프로그램 중

전문가 발표가 유익했던 것으로 조사되었으며(51.5%), 전체적으로

만족한 것으로 응답(80.8%)하였다. 또한, 대다수(99%)가 앞으로도

포럼이 계속되었으면 좋겠다고 응답하였다(그림2(b)).

(a) 전자파 안전 포럼 운영 모습

05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Page 6: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1. 국내 전자파(RF)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동 현황

1. 국

내 전

자파

(RF) 리

스크

커뮤

니케

이션

활동

현황

06EMF Newsletter Vol.21

(b) 설문 조사 결과

그림 2. 전자파 안전 포럼 운영 모습 및 설문 조사 결과

3) 전자파의 오해 규명 동영상 제작

인터넷에 공유되고 있는 휴대전화 전자파를 이용해 팝콘을

튀기거나, 철가루를 움직이게 하고, 기름에 불을 붙게 하는 등의

전자파의 오해 동영상에 대하여 실제 실험을 통해 진실을

규명하여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동영상을 제작하였다(그림 3).

또한, 휴대전화 전자파로 물을 끓이고 계란 프라이를 만드는

동영상들이 어떤 속임수(trick)를 써서 제작되었는지 실제로

재현하여 규명하는 동영상도 제작하여(그림 4) 국립전파연구원의

‘생활속 전자파’ 홈페이지와 유튜브에 업로드하여 관련 정보를

일반 국민들에게 공유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올바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국민들의 전자파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게 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a) 팝콘 튀기기 동영상 사례

(b) 철가루가 움직이는 동영상 사례

(c) 기름에 불을 붙이는 동영상 사례

그림 3. 전자파의 오해 규명을 위한 재현 동영상들의 모습

06EMF Newsletter Vol.21

Page 7: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a) 물 끓이기 동영상 사례

(b) 계란 프라이 동영상 사례

그림 4. 전자파의 오해 규명을 위한 검증 동영상들의 모습

4) 전자파 실험실 운영

민원인들이 자주 질의하는 민원 대상인 기지국 전자파와 전자파

차단제품의 차단 효과에 대하여 일반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검증하는 전자파 실험실을 운영하고 전 과정을 동영상으로 제작

하였다. 기지국의 전자파 실험실은 기지국 민원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이해당사자(이통사 등)가 직접 민원인 집을 방문하여

민원인과 함께 기지국 전자파 노출량을 직접 측정해 보고

전문가에게 측정된 값이 전자파인체보호기준과 비교하여 인체에

영향이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듣는 등의 내용을 담은 동영상을

제작하였다. 또한, 전자파를 차단한다고 알려진 숯, 선인장 등의

전자파 차단 효과에 대하여 직접 측정해 보고 전문가로부터 관련

측정 결과 및 차단 효과, 가전제품의 전자파로부터 좀 더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듣는 내용을 담은 동영상도 제작

하였다(그림 5).

(

a) 제1차 기지국 전자파 검증 모습

(b) 제2차 전자파 차단제품 성능 검증 모습

그림 5. 전자파 실험실 동영상들의 제작 모습

5) 어린이용 키즈폰의 전자파 안전이용 가이드북 발간

최근 어린이용 휴대전화(키즈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어린이들이 보다 안전하게 키즈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자파의

개념과 안전한 사용 방법을 담은 가이드북과 어린이들이 자주

사용하는 홍보용 자(15 cm 자, 키즈폰 가이드 내용 포함)를 제작

(그림 6)하여 전자파 안전 교육과 포럼 등을 개최하거나 관련

07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Page 8: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1. 국내 전자파(RF)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동 현황

1. 국

내 전

자파

(RF) 리

스크

커뮤

니케

이션

활동

현황

08EMF Newsletter Vol.21

행사가 있을 때 어린이 및 주부 대상 위주로 제공하여 관련

내용들을 홍보하였다.

그림 6. 키즈폰의 전자파 안전 이용 가이드북 및 홍보용 자의 모습

6) 전자파 관련 최근 이슈 보고서

전자파 인체영향 관련 최근 전자파 이슈 및 동향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한 보고서(4건)를 발간하고 국립전파연구원 ‘생활속

전자파’ 홈페이지에 그 자료들을 게재하여 일반 국민들이 그

내용들을 쉽게 접근하여 볼 수 있도록 하였다(그림 7). 그 내용

으로는 전자파 과민성 증상 관련 최근 동향, WHO IARC(국제암연구소)

휴대전화 전자파 2B 등급 분류의 의미 관련 최근 이슈, EMF 노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FAQ 보고서, 휴대전화 전자파와 뇌암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 등을 다루고 있다.

그림 7. ‘생활속 전자파’ 홈페이지의 전자파 이슈 보고서들 게재 모습

다. 전자파 안전 관련 전문 홈페이지 ‘생활속 전자파’ 운영

‘생활속 전자파’ 홈페이지(www.rra.go.kr/emf)는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자파 인체영향과 관련하여 과장되고

잘못된 정보의 범람으로 전자파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확대되고 있어 휴대전화, 이동통신 기지국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전문적으로 신뢰성 있는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2014년 7월에

개설하였다. 2015년 8월에는 장애인, 고령자 등 취약계층들이

홈페이지의 접근 및 이용이 편리하도록 웹 접근 기능을 개선하여

웹 접근성 품질인증마크를 획득하였다. 그리고 더 많은 이용자가

홈페이지에 접근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최근 트렌드에 따라

홈페이지의 메뉴 구성을 고려하여 메인 화면을 개편하고 메뉴

구성을 변경하거나 신설하는 등 새롭게 단장하였다. 메인화면은

스크롤 형태의 3단 디자인으로 구성하여 홈페이지의 이용자가

국립전파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그림 8).

현재 2015년도에 수행한 전자파 안전 관련 이해 증진 콘텐츠들과

전자파 안전 교육, 포럼, 전자파 실험실 운영 동영상 및 전자파

이슈보고서 등을 홈페이지에 업데이트하여 일반 국민들에게

공유하고 있다(그림 9, 그림 10, 그림 11). 또한, 제작된 전자파

실험실 운영 동영상 등은 유투브에 업로드하여 일반 국민들이

이 정보들을 쉽게 접근하여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앞으로도 이와

같이 ‘생활속 전자파’ 홈페이지를 통해 전자파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정보를 지속적으로 국민에게 제공하여 전자파 안전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08EMF Newsletter Vol.21

Page 9: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그림 8. ‘생활속 전자파’ 홈페이지의 메인화면 첫 번째 단의 모습

그림 9. ‘풍문 제대로 이해하기’ 코너의 전자파 실험실 동영상 제공 모습

그림 10. ‘안전포럼’ 코너의 전자파 안전 포럼 운영 동영상 제공 모습

그림 11. ‘안전 교육’ 코너의 전자파 안전 교육 운영 동영상 제공 모습

라. 전자파 인체영향 관련 민원 대응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궁금한 사항들에 대하여

해결하고 전자파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국민과의

양방향 소통의 민원 창구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민원 상담

창구로는 대표 전화 (☎1899-4828), 국민신문고, ‘생활속 전자파’

홈페이지(www.rra.go.kr/emf)내 자유게시판 등이 있다. 이는

기존에 분산되어 있는 현행 전자파 관련 민원 대응을 일원화하여

민원에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일반 국민들과

양방향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민원 대응의 목적은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과장된 정보를 지양하고 올바르고

정확한 사실만 전달하여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민원 상담 결과들은

전자파 노출기기와 상담 내용별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전자파에

대한 국민들의 주요 관심 대상과 불안 요소들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사전 예방적 정책 수립 등의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2015년의 민원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전화민원

(67건), 국민신문고(21건), 홈페이지 자유게시판(56건) 등 144건의

민원이 접수되었다. 국민들의 주요 전자파 관심 사항은 기지국,

09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Page 10: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1. 국내 전자파(RF)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동 현황

1. 국

내 전

자파

(RF) 리

스크

커뮤

니케

이션

활동

현황

10EMF Newsletter Vol.21

가전제품, 휴대전화, 전자파 차단제품, 전자파 자체, 전자파 과민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 1은 전자파 인체영향 관련 주요 관심사항에

대한 질의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표 1. 전자파 인체영향 관련 주요 관심사항에 대한 질의 현황

관심사항 주요 질문 내용

기지국

· 전자파 인체영향 26건, 기지국 전자파측정 관련 11건, 법제도 6건, 기지국 관련 전자파 지식 6건, 기지국 설치·철거 5건

가전제품· 전자파 인체영향 17건, 전자파

측정값8건, 인체보호기준 4건

휴대전화· 전자파 인체영향 12건, 전자파

측정값1건, 휴대전화 관련 전자파 지식 1건

전자파 자체

· 전자파인체보호기준 17건, 전자파 지식 13건, 인체영향 3건

마. 국립전파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한 휴대전화의 전자파흡수율(SAR)값 공개

국립전파연구원에서는 2011년 9월 ‘안전한 전파환경 조성 종합

대책’ 시행(舊방통위),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7조 및

법률 시행령 제4조(국민의 신체 보호 및 일상생활 관련 정보 공개)에

따라 인증 받은 휴대전화의 SAR값을 2012년 7월 2일부터 연구원

홈페이지(www.rra.go.kr)를 통해 일반인 국민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다. SAR값 홈페이지 공개는 모델별, 제조업체

별로 쉽게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고 SAR 개요, 기준,

올바른 휴대전화의 사용방법, 생활속의 전자파 FAQ 등 관련

정보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그림 12). SAR값 공개 현황은 2009∼

2015년까지 국립전파연구원으로부터 인증 받은 632개 모델

(55개 업체)의 휴대전화 SAR값이 공개되어 있다. 공개 대상은

귀에 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전화와 얼굴에 사용하는 키즈폰 및

와치폰의 SAR값이 해당된다. 키즈폰의 SAR값 공개는 2014년도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유승희 의원의

어린이 전용 키즈폰 관련 이슈 발표로 SAR값 공개 여부에 대하여

검토하게 되었다. 따라서 2012년 이후 확대된 SAR 인증 대상기기,

전자파 등급제 시행 등의 제도 변화와 국민의 관심사를 반영하여

귀에 밀착하지 않고 얼굴에 사용하는 휴대전화 형태의 키즈폰과

와치폰의 SAR값도 2015년 4월부터 공개하고 있다.

그림 12. 국립전파연구원 홈페이지의 휴대전화 SAR값 공개 모습

바. 결론

국립전파연구원에서는 일반 국민들의 전자파에 대하여 막연한

불안감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국민과의 양방향 소통을 통한

다양한 전자파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하였다. 그 활동

결과를 살펴보면, 어린이 및 주부 대상 전자파 안전 교육은

눈높이를 맞춘 이론, 측정, 체험·실습 활동 등을 통하여 어린이,

교사 및 주부들의 교육 만족도를 높였고 전자파 안전 포럼은

국민과 정부간의 전자파에 대한 정보의 습득 및 인식의 차이를

좁혀가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전자파 실험실 운영, 전자파 이해

동영상 제작, 키즈폰의 전자파 안전이용 가이드북 발간 등 전자파

이해 증진 콘텐츠들을 개발하고 일반 국민들에게 제공하여

Page 11: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11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전자파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제작된

콘텐츠들과 운영 동영상 등은 ‘생활 속 전자파’ 홈페이지와

유투브에 업로드하여 일반 국민들이 이 정보를 쉽게 접근하여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활동들은 전자파 안전에 대한

국민과의 공감대를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국민 신문고,

게시판, 전화 민원 등을 통한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민원 대응과

휴대전화의 SAR값을 연구원 홈페이지에 공개하여 전자파에

대한 국민들의 궁금증과 불안감을 해소하고 전자파 인체보호

정책의 국민적 신뢰 형성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일반 국민들의 전자파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도

전자파의 위험성에 대한 과학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건강

위험성 관리를 위한 “사전주의적 접근 방법”을 채택해 나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자파 위험성 평가에 대하여 사전주의

원칙의 엄격한 적용과 위해에 대하여 좀 더 보호적이고 사전의

적극적인 접근 방법”을 고려하도록 각국에 권유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사전주의 원칙에 따라 2015년도에 수행한 것처럼

국민과의 양방향 소통을 위한 다양한 전자파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동들을 하고 있으며, 국민들이 전자파로부터 안전한 환경 속에서

지낼 수 있도록 다양한 전자파 인체안전 기준, 제도와 정책들을

세워 운영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전자파에 취약한 어린이

(영유아)와 임산부 등 취약 계층 및 직업인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화 및 정책 수립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앞으로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전자파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부와 국민간의 양방향 소통을 활성화하고 전자파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다.

Page 12: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12EMF Newsletter Vol.21

자동차 환경의자기장 노출에 관한 연구

자동차부품연구원

박상욱

Page 13: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13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1. 머리말

근래에 자동차는 기계에 기반하던 부분이 점점 전기/전자/정보

통신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편의와 안전을 추구해가면서

전장화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세계 자동차 전자

장치 시장은 2010년 1,586억 달러에서 2019년 3,011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7.4%의 성장률을 가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자동차

내 전자부품 원가 비중은 2005년 19%, 2010년 40%, 2020년 50%로

점점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이처럼 전기 에너지로 동작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전기장, 자기장, 그리고 전자파를 발생할 수밖에

없는 전기/전자/정보통신 장치가 우리들의 자동차에 점점 더

많이 탑재되고 있기에 일반 산업에서 뿐만 아니라 자동차 환경에서도

전자파 인체 영향에 대한 우려는 발생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구체적인 자동차의 기술 동향과 발전 방향에 대해서는 ‘전자파

인체보호 활동 및 표준화 동향’ 보고서[1]에 서술하였으나 직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3가지 정도 들면 다음과 같다.

1. 전기자동차: 내연기관 → 배터리와 전기모터

(고전압 부품 탑재)

2. 충전: 유선 충전 → 무선 충전

(강한 전자기장 발생)

3. 자율주행자동차: 각종 센서 및 통신 장치 탑재

(새로운 주파수 대역)

고전압 부품 및 무선 충전 기기에서는 기존의 자동차 환경과는

달리 더욱 강한 전자기장이 발생할 것이며, 자율주행기술,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등의 기술 발달과 더불어 차량에는 더욱 많은

주파수들이 혼재될 것이다. 자동차 기술은 현재 격변기이며 서두에서

말했듯이 소비자의 편의와 안전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종적으로는 온갖 전기/전자/정보통신 기술의 집합체가 될 것이다.

이는 자연스레 자동차 환경에서의 전자파 인체 영향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이어질 것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관련 연구 중 한 가지를

뽑아 소개하고자 한다.

2. 다양한 차종에서의 자기장 측정 및 분석

국제 표준인 IEC 및 ISO에서 자동차 환경에서의 전자파 인체

영향에 대한 표준이 제정되면 국제사회가 따라가는 것과는 별도로

한 가지 더 주목해야 할 것이 자동차 완성차 업체이다. 완성차

업체는 저마다의 EMC 규격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정 완성차 업체에

전장부품을 납품하기 위해 각 사의 규격을 만족해야 하므로,

각 완성차 업체의 동향도 같이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다만

대중들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전자파 영향에 대한 안 좋은 인식이

확산될 우려가 있고 각 자사가 규격을 보안으로 하고 있어 업체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일부 완성차 업체의

EMC 규격에 이미 EMF에 관한 내용이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CNIRP(International Commission on Non-Ionizing

Radiation Protection) 국제가이드라인에서 전자파의 인체 영향인

자극작용과 열작용에 대해 저주파와 고주파로 분류하여 기준치를

달리 적용하고 있듯이 자동차 환경에서도 마찬가지로 저주파와

고주파로 나누어 고려해야 할 것이며, 완성차는 각각의 전장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특징상 완성차 레벨과 부품 레벨을 구분지어

단계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 문헌 [1]에서 소개했듯이 IEC TC 106의 PT 62764-1(Determining

procedures for the measurement of field levels generated by electronic

and electrical equipment in the automotive environment with respect to

human exposure)에서는 완성차의 자기장 노출 측정 방법에 대해서

현재 제정 중에 있다. 주파수 대역은 1 Hz 혹은 10 Hz부터 400 kHz

Page 14: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2. 자동차 환경의 자기장 노출에 관한 연구

2. 자

동차

환경

의 자

기장

노출

에 관

한 연

14EMF Newsletter Vol.21

까지로서 노출 지수(Exposure Index: 주파수별 국제가이드라인

기준치 대비 측정된 자기장 값)를 차량 내의 영역별로 평가하는

것으로 논의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 환경의 전자파 인체 영향에

관한 연구로서 다양한 주제를 생각해 볼 수 있지만 현재 제정 중인

표준 PT 62764-1에 우선순위를 두어 이와 유사한 주제로 진행된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자동차부품연구원의 전자기파연구

센터에서도 현대자동차와 함께 이 표준과 관련한 공동연구를

진행하였으나, 보안상의 이유로 이스라엘 정부의 Radiation

Protection Department에서 UCLA 및 Melbourne 대학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2]를 소개하는 것으로 대신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총 10대의 자동차(가솔린 차량 4대, 디젤 차량

3대, 하이브리드 차량 3대)에 대해서 극저주파 자기장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EMDEX-II[3]의 극저주파 자기장 측정기를 이용하였으며,

이 측정기의 제원에 의해 40–800 Hz의 대역에 대해 수행되었다.

각 차에 대해 ‘spot measurements(SM)’와 ‘continuous measurements(CM)’

의 두 가지 방법으로 측정되었으며 차량의 조명은 켜고 에어컨과

라디오는 끈 상태로 수행되었다.

SM은 주어진 시간과 지점에서의 측정을 의미하며, CM은 주로

사람이 측정기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연속적인 측정을 의미한다.

SM은 자기장 소스를 파악하기 위해 정차 상태로 6개의 위치(엔진

후드, 트렁크, 좌석 4군데)에서 측정되었다. 또한, 6개의 각 영역에서

측정기를 천천히 움직여 공간에 대해서도 스캔을 실시하여 자기장

레벨의 최대치와 위치를 기록하였다.

CM의 경우에는 정차 상태뿐만 아니라 주행 중인 상태에서도

한 명의 운전자와 세 명의 탑승자의 목과 몸통 부위에 각각

EMDEX-II 측정기를 매달아 일제히 측정하였다. 비하이브리드

자동차(가솔린 및 디젤 차량)가 정차 중인 경우는 시동을 켠 후

가속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와 기어 중립모드에서 2500 rpm으로

가속페달을 밟은 상태 2가지이며, 하이브리드 자동차인 경우에는

비하이브리드 자동차처럼 중립 모드에서 엔진을 작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전원 ON인 상태에서만 진행하였다. 측정은 60초 동안

이루어졌다. 주행 중에서의 측정은 1.3 km 의 구간을 40 km/h와

80 km/h의 속도로 진행하였다.

그림 1. 10종의 차량에 대한 6개의 지점에서의 자기장 측정값

그림 1은 디젤 차량 3종, 가솔린 차량 4종, 하이브리드 차량

3종에 대해 6개의 위치(운전석, 보조석, 뒷자석 2곳, 엔진후드,

트렁)에서의 자기장 측정을 수행한 결과이다. 비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에는 트렁크(0.01-0.02 μT)에서부터 4개의 좌석

(0.02-0.03 μT)을 거쳐 엔진 후드(1.0-1.4 μT)까지 측정된 자기장

강도가 점점 증가하였다. 가장 높이 측정된 지점은 엔진 자체였다.

디젤 차량은 가솔린 차량보다 4개의 좌석에서의 자기장 강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Page 15: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15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자기장 강도가 비하이브리드 차량에

비해서 확연히 높이 나타났으며, 안정적이지 않았다. 차량

내부에서는 대체적으로 0.05-0.30 μT 정도에서 측정되었으며

몇몇 곳에서는 최대 1.9 μT까지도 크게 나타났다. 앞좌석(대략

0.2 μT)에 비해 뒷좌석(대략 0.3 μT)에서 다소 크게 측정되었다.

트렁크와 후드 근처에서는 대체로 0.1-0.4 μT 정도였다.

10대의 차량 모두 내부에서는 바닥 쪽에서 가장 크게 측정되었으며,

몇몇 차량에서는 부분적으로 2-10 μT까지 이르기도 하였다.

표 1. 엔진 타입과 동작 조건에 따른 자기장 측정값에 대한 기술통계 결과

표 1에서는 엔진 종류와 동작 조건에 따라 측정된 자기장 값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N은 측정 반복 횟수, Geometric Mean은

기하평균, GSD는 기하표준편차를 뜻하며 5th percentile은 가령

100회 측정된 값들을 작은 값부터 큰 값 순으로 나열하였을 때

5번째에 해당되는 값이며 95th percentile은 마찬가지로 95번째에

해당되는 값을 의미한다. 결과를 살펴보면, 자기장 레벨의 기하

평균값과 95th percentile 값은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측정값 중 0.2 μT보다 큰 값의 백분율을 보면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두드러짐을 보였다. 자기장은 가솔린 차량에

비해 디젤 차량에서 더 작았다. 디젤과 가솔린 차량에서, 정차 중

가속 페달을 밟지 않은 경우(Idling)와 가속 페달을 2500 rpm으로

유지시킨 경우 모두, 측정된 자기장 평균은 매우 유사하였다.

정차 중보다는 운행 중에서 모든 파라미터들이 컸으며, 엔진

타입과는 무관하게 40 km/h에 비해 80 km/h로 운행 중인 경우가

더 크게 측정되었다.

각 좌석에서의 자기장 강도는 엔진 타입에 따라 달랐다.

표 2에서는 여러 동작 조건에서 각 좌석에서의 자기장 값에 대한

기술통계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림 2는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디젤 차량에서는 운전석과 조수석에서의 자기장 레벨이 유사한

반면, 가솔린 차량에서는 조수석에 비해 운전석에서 다소 크게

나타났다.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앞좌석보다는 뒷좌석에서 특히

뒤쪽 우측 좌석에서 그 레벨이 크게 나타났으며, 0.2 μT보다 큰

자기장 값의 백분율은 더욱 두드러졌다. 정차 중에 비해 운행

중에서 자기장 레벨은 높았으며,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확연히

차이가 나타났다.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속도를 40에서

80 km/h로 올리면 자기장 레벨 또한 올라갔으며, 특히 뒤쪽 우측

좌석에서 가장 컸다. 가솔린과 디젤 차량에서는 속도를 올리면

자기장 레벨이 전체적으로는 증가하였으나, 이 경향은 모든

좌석에서 일관되어 나타나지는 않았다.

표 2. 엔진 타입과 동작 조건에 따른 각 좌석에서의 자기장 값에 대한 기술통계 결과

Page 16: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2. 자동차 환경의 자기장 노출에 관한 연구

2. 자

동차

환경

의 자

기장

노출

에 관

한 연

16EMF Newsletter Vol.21

그림 2. 3종류의 차량에 대해 동작 조건에 따른 좌석별 자기장 측정값의 예

3. 끝맺음

소개한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장 레벨은 디젤 차량에서 가장 낮았고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속도를 올렸을 때 가장 크게

측정되었고 하이브리드 차량은 뒤쪽 좌석에서, 가솔린과 디젤

차량은 앞쪽 좌석에서 가장 높은 자기장 레벨을 보였다.’

이 연구는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얻은 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좀 더 의미있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므로 상당히 참고할 만하기에

소개하였다. 하지만 국제가이드라인과의 비교 분석이 다소 미비한

점, 좁은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한 점과 스펙트럼 분석을 하지 않은

점, 공학적인 분석이 미비한 점 등은 다소 아쉬운 면으로 꼽을 수

있겠다.

자동차부품연구원과 현대자동차의 공동 연구에서도 본 보고서에

소개한 연구와 일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물론, 소개한 연구와

자동차부품연구원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 모두, 궁극적으로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소스의 위치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다를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차량의

뒤쪽에 위치하고 엔진은 앞쪽에 위치한다. 배터리와 엔진을 연결하는

전선은 차량 바닥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 전선은 우핸들

차량에서는 좌측에 위치해 있고 좌핸들 차량에서는 우측에 위치해

있다. 또한, 가솔린과 디젤 차량에서는 일반적으로 엔진과 배터리가

차량 앞쪽에 위치해 있다. 그 중 일부는 배터리가 뒤쪽에 있기도

하다. 이와 같은 소스원의 일반적인 위치로부터 연구 결과의 원인을

찾아볼 수 있으리라 판단되지만,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더욱

면밀한 공학적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보다 많은 종류의 차량에

대해서 더욱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다른 연구들과 비교 분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ICNIRP의 reference level에 의하면 40-800 Hz 대역에서는 그

기준치가 125 μT에서 6.25 μT로 떨어지는 곡선을 갖는다. 소개한

연구에서는 스펙트럼 분석을 하지 않아서 주파수별 자기장의

크기를 알 수는 없지만 40-800 Hz 대역에서의 각 좌석에서 측정된

자기장의 전 차종 전체적인 평균이 0.02-0.05 μT로 기준치를

만족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차량의 바닥에서는 부분적으로

2-10 μT까지도 측정된 지점이 있어 기준치를 초과할 가능성도

Page 17: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17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시사하였다. 대중들에게 전기자동차에 대한 인식은 전자파의

인체영향에 대한 우려로 쉽게 나타날 것이다. 또한 차량을 운행해야

하는 직업인은 물론이거니와 일반 대중들도 자동차 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편의와 안전을 위해 전자화 되어가고

있는 자동차 환경은 더욱 강한 전자파와 보다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가 혼재되는 양상으로 변모할 것이다. 그러므로 머지않아

국제적으로 관련 규제를 시행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앞서 자동차

환경에서의 인체 조사량 평가에 대한 연구 및 전자파 대책 설계

연구 등의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참 고 문 헌]

[1] 박상욱, “자동차 환경에서의 EMF 연구 동향”, 전자파 인체보호 활동 및 표준화 동향, 통권 제12호, 2015.

[2] Ronen Hareuveny, et al., “A preliminary analysis of magnetic fields emitted from non-hybrid and hybrid cars”, BioEM, 2014.

[3] http://www.enertech.net/html/EMDEXII.html

Page 18: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18EMF Newsletter Vol.21

전자기장을 이용한뇌종양 치료 기술 소개:Tumor TreatingField (TTField)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김혜선, 안영환

Page 19: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서론

과학 기술과 무선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의 생활이 편리

해지고 있으나, 그와 더불어 전자파의 유해성 여부에 대한 관심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 세계 모바일 가입자 수는 73억 명으로

전 세계 인구수를 넘어섰다(에릭슨 보고서, 2015년). 휴대전화의 사용

연령층도 급속하게 낮아지는 추세여서 radiofrequency (RF, 무선

주파수) 전자파에 대한 대중의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Extreme low frequency (ELF, 극저주파) 및 RF 전자파 관련 연구는

주로 생체 위해성 여부에 초점을 두고 수행되어 왔다.

최근, 전자기장을 이용한 새로운 암 치료법이 소개되었다.

이것은 저주파 교번 전기장 (low field alternating electric field;

Tumor Treating Field, TTField)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치료법이다(그림 1, TTField 치료기). 이 기술은 이스라엘

공대의 팔티 박사에 의해 고안되었다. 교번 전기장은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임상 시험을 거쳐 암 치료 기술로

개발된 경우는 처음이다. 암을 치료하는 전자파 이용 기술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그림 1] The Novo TTF-100A system (Novocure)

전자파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 및 치료

전자파는 이미 질병 진단 및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저주파는

electrophoration(전기영동), magnetoencephalography(뇌자기도

검사) 등에 이용되고 있다. 300 kHz - 1 MHz의 고주파는 신경근

자극이나 과다한 양의 방사선 발생 없이 조직 내 이온이 진동할 때

발생하는 마찰열로 조직의 특정 부위를 가열시킨다. 이러한

고주파의 선택적 세포 및 조직 파괴의 특성이 인체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라디오파는 자기공명검사 (magnetic resonance imaging)에

이용되고 있다. 인체를 100 MHz 대역의 전자기장 내에 두고 일정한

주파수의 전자파를 발생시키면 공명 현상이 일어난다. 이때

방출되는 에너지의 신호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단층 상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영상화한 것이 자기공명검사다.

최근, 휴대폰에 이용되는 900 MHz 대역의 전자파가 알츠

하이머병을 포함하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동물 실험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이들 연구에서는 유전자

변이를 통해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생쥐를 900 MHz 대역의 휴대폰

전자파에 노출시켰는데,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 쌓이는 독성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베타가 현저하게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생쥐의 기억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되었다. 이 결과는 900 MHz

대역 전자파가 뇌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최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는 3 GHz 대역의 전파를

이용하여 microwave tomography (MT) 기반 유방암 진단시스템을

개발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임상 시험 단계에 진입했다.

19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Page 20: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3. 전자기장을 이용한 뇌종양 치료 기술 소개:Tumor Treating Field (TTField)

3. 전

자기

장을

이용

한 뇌

종양

치료

기술

소개

: Tum

or T

reatin

g F

ield

(TTFie

ld)

20EMF Newsletter Vol.21

이와 같이 전자파는 진단 및 치료에 활용되고 있지만, 주로

진단적 목적으로 활용되었으며 치료적 활용은 제한적인 수준이었다.

그러한 의미에서, 전자기장을 이용한 새로운 암 치료법은 의미

있는 기술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세포 분열과 암의 치료

세포는 성장과 분열을 통해 세포 수를 늘려간다. 이러한 과정은

방향성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진행되는데, 세포질 분열 (cytokinesis)과

유사분열 (mitosis)로 구성된 일련의 과정인 세포 주기 (cell cycle)를

거치면서 세포 분열이 이루어진다. 그 과정 중에 DNA 복제 또는

복제된 염색체 분리에 이상이 발생하면 세포 분열이 정상적으로

마무리 되지 못하고, 단계별 세포주기 감시시스템 (check point)에

의해 세포 사멸 (cell death, apoptosis)이 유도된다.(그림 2. 정상 세포

분열 과정 및 과정별 감시시스템). 만약 세포 사멸이 유도되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면 종양 (tumor)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원인은

아직 분명하지 않다. 종양은 양성 종양 (benign tumor)과 악성 종양

(malignant tumor, cancer, 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암세포는 빠른

속도로 증식하며 원래 세포의 성질을 잃어버리고, 그 종류에 따라

주위 조직으로 침범하여 자라게 된다. 몸속의 다른 장소로 전이되고

암세포의 무한 증식이 이루어지면 숙주가 목숨을 잃게 된다. 암의

치료에는 수술적 제거, 방사선 치료 및 항암 요법 등의 세 가지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 방법은 장단점과 부작용,

그리고 한계점이 있어 종양이 발생한 부위와 조직학적인 진단에

따라 그 치료 방법이 결정된다.

[그림 2] 세포 주기 (cell cycle). 세포분열기 (mitotic phase, M phase)는 크게 유사분열 (mitosis)과 세포질 분열 (cytokinesis)로 나뉨

중간 주파수 교번 전기장과 Tumor treating fields (TTField)

전기장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른 생체 반응을 유발한다.

1 kHz 이하의 매우 낮은 주파수는 근육이나 신경막의 투과성을 높여

세포의 탈분극 (depolarization)을 발생시켜 활동 전위 (action

potential)를 유도한다. 반면 높은 주파수의 전기장은 비교적 세포에

잘 투과되지만, 세포막의 과분극 (Hyper-depolarization)을 유발하여

활동 전위를 유도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10 MHz 이상 주파수의

전기장은 진핵 세포막의 유전분극 (dielectric polarization)을 유발하여

조직에 열을 발생시킨다. 한편, 10 kHz – 1 MHz 대역에 해당하는

중간 주파수 (intermediate-frequency)를 이용한 교번 전기장

(alternating electric field) 유도는 탈분극 현상을 일으키지도 않고,

유전손실을 유발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근육 및 신경을 자극하지도

않고 낮은 강도에서는 조직이나 세포의 변형을 초래할 정도의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즉, 중간주파수 교번 전기장은

정상 세포에서는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중간 주파수

교번 전기장을 암 치료에 적용하면서, 이를 이용한 치료용

전자기장을 tumor treating field (TTField)라 명명하였다. TTField는

20EMF Newsletter Vol.21

Page 21: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매우 낮은 강도 (<2 V/cm)의 100-300 kHz 중간 주파수 대역의

전기장이 정상적인 세포 분열 과정을 지연시키거나, 유전자의

염색분체(chromatid)의 분리를 방해하여 분열 중인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림 3. TTFeield가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원리).

[그림 3] TTField가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원리. 세포 분열 과정에 중요한 분자들의 정상적인 물리적 작용을 방해하여 세포 분열을 막음. 비침습적인 방법

을 통해 암을 치료하는 방법

세포 내에는 단백질 또는 DNA와 같이 전하를 띈 분자가 많다.

교번 전기장이 유도된 환경에서 세포 내 전하를 띄고 있는 분자들은

전기장과 전기장 밀도가 유도된 방향에 따라 진동만 하는 양상을

보인다. 세포 내 전기장이 균일하며 0.1 – 1 MHz 정도의 주파수에서

분열하지 않는 정상 세포에 교번 자기장을 걸어주면, 세포 내의

전기장이 균질한 분포를 보이며 세포 내 이온 (ion)과 쌍극자

(dipoles)의 진동만 유발하여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그림 4 좌).

분열 세포에 교번 전기장이 유도되면, 분열 마지막 단계에 세포 내에

형성된 골 (furrow)로 전기장이 집중적으로 모이게 되어 모든

쌍극자가 골의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배열되는 소견을 보인다.

쌍극자도 분자의 이동 없이 전기장의 방향에 맞추어 배열이 조정된다.

따라서, 세포 내 전기장이 균일하지 않은 양상을 보인다. 이때,

쌍극자를 포함한 전하를 띄는 분자들은 전기장 밀도가 센

쪽으로 움직이게 되는데(그림 4 우), 이러한 현상을 유전 이동

(dielectrophosresis)이라고 한다.

[그림 4] 교번 전기장(alternating electric field)이 분열하지 않는 세포(좌, quiescent cells)와 분열 중인 세포(우, dividing cells)에 미치는 영향. 0.1 – 1 MHz 정도의 주파수에서 분열하지 않는 정상 세포에 교번 자기장을 걸어주면 세포 내의 전기장의 균질한 분포를 보이며, 세포 내 이온 (ion)과 쌍극자(dipoles)의 진동만 유발하게 되어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음. 한편, 분열하는 세포 내에서는 세포 내 전자파가 분열 마지막 단계에 세포 내에 형성된 골 (furrow)로 집중적으로

모이게 되어 모든 쌍극자가 골의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배열됨

중간 주파수(intermediate-frequency)를 이용한 교번 전기장

(alternating electric field)이 분열 중인 세포의 작용기전(2가지;

유사분열 방추체 형성 방해 기전 및 세포질 분열 방해 기전 등)으로서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방추체(mitotic spindle)는 유사분열 시 세포의

염색체(chromosome)를 두 개의 딸세포로 나누어 주는 역할을

한다. 염색체를 붙잡고 있는 줄기는 작은 극성 분자인 미세소관

(tubulin)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세소관이 중합되어 사슬을 형성하고

이것이 세포 중앙의 유전물질(genetic material)에 도달한다. 분열하지

않는 세포 내에서는 전기장이 균질하므로 미세소관 소체(tubulin

subunit)는 전기장의 방향에 맞추어 배열이 조정된다. 따라서

방추사가 형성되지 못하고 유사분열이 비정상적인 시간 소요로

멈추게 된다(그림 5 좌). 일부 세포는 이러한 현상을 통해 사멸하게

된다. 모든 세포가 교번 전자파 유도에 의한 유사분열 방추체

형성 이상으로 사멸하는 것은 아니다. 후기 유사분열(metaphase)에

세포막이 분리되기 시작하여 마지막 단계인 세포질 분열 동안

분열구(mitotic furrow)가 형성돼 두 개의 딸세포로 분리된다. 분열하지

않는 세포 내에서는 전기장이 균질하게 배열되어 있지만, 분열

중인 세포에서는 좁은 세포막으로 연결된 모래시계 형태의 골에

균질하지 않은 전기장이 밀집된다. 이렇게 밀집된 전기장은 전하를

띈 분자와 쌍극자를 분열구로 과도하게 모이게 하여 정상적인 딸

세포의 형성을 막게 되고 결국 세포가 사멸하게 된다(그림 5 우).

21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Page 22: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3. 전자기장을 이용한 뇌종양 치료 기술 소개:Tumor Treating Field (TTField)

3. 전

자기

장을

이용

한 뇌

종양

치료

기술

소개

: Tum

or T

reatin

g F

ield

(TTFie

ld)

22EMF Newsletter Vol.21

[그림 5] 교번 전기장(alternating electric field)내의 (좌) 유사분열중인 세포의 미세포관 소체가 미세소관을 형성하지 못하고 전기장과 같은 방향으로 놓임. (우) 세포질 분열 중 전하를 띈 물질 또는 쌍극자가 전기장 밀도(high field

density) 높은 세포의 분열구로 움직임

이러한 개념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세포 및 동물 실험을

수행하였고, 다양한 종양을 대상으로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TTField가 효과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를 파괴한다는

사실이 in vitro 연구를 통하여 규명되었다. 흑색종(melanoma),

glioma(신경교종), 간암(lung cancer), 전립선암(prostate cancer),

유방암(breast cancer) 등에서 TTField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암세포 배양 실험에서 TTField를

24-72시간 동안 적용한 뒤 모든 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그림 6). 또한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증식억제 효과를

보이는 최적의 주파수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표 1).

TTField를 적용한 암세포의 세포 분열시간이 지연되고, 최종적으로

분열구가 파괴되는 것이 time-laps 현미경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TTField를 처리한 세포에서 화학적 항암제를 처리했을 때와 비슷하게

비정상적 방추사가 형성되는 것을 면역염색을 통해 확인하였고,

세포 분열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즉 TTField는 마우스, 레트, 토끼

등의 동물실험에서 다양한 암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TTField 적용군에서 암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 된 것을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고 보고된 바 있다.->이전 문장과 중복되는 부분.

삭제)

[그림 6] TTField 전기장은 암세포주의 증식을 억제함(http://www.novocure.com/our-therapy/mechanism-of-action.aspx)

Cell lineOptimal frequency

(kHz)

B16F1(mouse melanoma) 120AA8(chinese hamster ovary) 150

VX-2(rabbit breast) 150MCF-7(human breast) 150

MDA-MB-231(human breast) 150F-98(rat glioma) 200

U-87(human glioma) 200U-118(human glioma) 200

[표 1]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세포주별 최적 TTField 주파수

TTFs를 이용한 임상 연구

성공적인 전 임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 1 및 2상 연구가 수행되었다. 팔티 박사는 그의 연구 성과를

환자들에게 활용하기 위해 2002년에 노보큐어(Nobocure) 연구소를

설립하였다. 노보큐어는 2004년 임상 2상 연구에 진입하였고,

현재까지 두 가지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는 뇌암을 치료하기 위한

시스템과 몸에서 발생하는 암을 치료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뇌에 발생하는 암은 신체의 다른 부위에 발생하는 암과 특성이

다르다. 뇌 암은 중추신경계에 발생하는 종양으로서, 중추신경계

밖으로 전이가 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뇌에 가장 흔히 발생하는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glioblastoma multiforme, GBM)은 전체

22EMF Newsletter Vol.21

Page 23: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뇌종양의 12~15%를 차지하고, 뇌 교종의 50~60%를 차지하는

단일 종양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종양이다. 적극적인 치료를

한다고 해도 2년 생존률이 20% 정도이며, 5년 생존 가능성은 5%도

되지 않는다. 대개 7개월 정도 후에 병이 재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보큐어는 재발성 교모세포종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임상 1 및 2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발성 교모세포종 환자는 수술적 치료뿐만

아니라 고강도의 방사선 치료, 항암 화학 요법 등 적극적인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암이 재발한 경우이므로, 추가적인 치료를

적용하기에 제약이 많다. 임상 연구 대상이 된 교모세포종 환자들은

280주일 동안 TTField (NovoTTF -100A, 200 KHz, 20h/day) 치료를

받았다. 결과에 의하면,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병의 진행이 늦어졌으며

병의 진행 없이 생존하는 시기 또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7. TTField 치료를 받은 교모

세포종 환자의 생활 모습과 MRI 영상).

[그림 7] TTField 치료를 받은 교모세포종 환자의 생활 모습과 MRI 영상. 6개월, 12개월간 TTField 치료 받은 후 치료 전(before)과 비교하여 MRI 영상에서

암 세포가 줄어든 것이 확인됨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 3상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이 된 평균 연령 54세의 재발성 교모세포종 환자들을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집단은 다른 치료를 전혀 받지 않은

상태에서 기대 수명을 두 배로 늘려 준다고 알려진 2차 화학요법

치료를 받기로 하였다 (n=117). 두 번째 집단은 오직 TTField

(NovoTTF -100A, 200 KHz, 20-24 h/day) 치료만을 받았다 (n=120).

치료받은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과 1년 생존율, 6개월 간 병의

진행 없이 생존한 환자의 수를 비교 평가하였다.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관찰하였다. 이는 TTField 치료가 항암요법에

버금가는 치료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TTField

치료를 받은 군의 환자들은 항암요법의 일반적인 부작용(매스꺼움,

설사, 변비, 피곤)으로 고통 받지 않았다. 또한 불편함이 없는 일상

생활이 가능했다는 점에서, 화학요법 군에 비해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재발성 교모세포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 TTField 임상 3상

시험은 항암 효능이 확인되면서 임상 연구가 조기 종료되었고,

2015년에 상업화가 추진되어 임상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식약처의 사용 승인이 진행 중에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 개발되어야 할 문제는 많이 남아 있다. 최근 상용 중인

항암제만큼의 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졌으나, 그 효과가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TTField는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현재 임상 2상 연구가 수행 중이다.

폐암의 경우에도 평균 생존율을 기존 항암 요법만 적용한 경우에서의

8.3개월보다 더 긴 13.8개월로서, 생존 기간의 연장을 이루고 있지만,

그 치료 수준이 아직 더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지금까지 보고된 임상 성적에 의하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고 있고 부작용도 낮지만 치료 기기의 가격이 환자가

부담하기에는 너무 비싸게 책정되어 있다. TTField의 치료비용을

고려할 때, 가격 대비 항암 효능이 의미 있게 높은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을 가진 전문가들도 많다.

결론

전자파는 생체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생체 영향을 준다는 의미가

반드시 유해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더구나, 지구에 자기장과

전기장이 없으면 지구 생명체는 생존할 수 없으며, 세포 분열도

일어날 수 없기 때문에 전자파는 생명 유지에 꼭 필요한 중요한

23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Page 24: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3. 전자기장을 이용한 뇌종양 치료 기술 소개:Tumor Treating Field (TTField)

3. 전

자기

장을

이용

한 뇌

종양

치료

기술

소개

: Tum

or T

reatin

g F

ield

(TTFie

ld)

24EMF Newsletter Vol.21

자원이다. 최근 다양한 주파수를 일상과 산업 환경에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다만, 유해성 여부와 무관하게 전자파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전자파를 이용한

암 치료 기술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24EMF Newsletter Vol.21

Page 25: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25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EMF Weekly Brief

Page 26: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4. EMF Weekly Brief

5.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26EMF Newsletter Vol.21

영국, EU Directive에 기반하여 직업인 전자파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의견 수렴

2016.03.31(출처 : HES, Microtek)키워드: Directive 2013/35/EU, EMF, HSE, consultation, Practical guide,

risk assessment, training course

● 영국 HSE(Health and Safety Executive, 보건안전청)에

서 Directive 2013/35/EU의 이행에 대한 자문(consultation)

을 시행 함

- 자문 문서는 HSE에서 발행되었으며 Health and Safety at

Work Act 1974의 section 50( 3)을 준수하여 시행할 것임

- 문서의 주요 목차는 아래와 같음

Contents

•보건안전청의 자문 의뢰

• 자문에 대한 실행 법률

• 답변 방법(how to respond)

• 향후의 절차?

• 품질 보증 및 불만사항

• 자문의 목적

• 배경

• EMF Directive

· Directive가 다루지 않는 것

· 전자기장이란 무엇인가?

· 영국 전자기장에 대한 현 입법 조항

· Directive 도입을 위한 다양한 법·제도로의 전환 접근(transposition

approach)

• 왜 새로운 규정이 필요한가?

• 이해관계자들에게 새로운 규정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 규정 노출 제한치 요구사항의 예외

• EMF 가이드라인

• 영국에 이 Directive가 미치는 영향

• 자문 질문

• 부속서 1 ~ 4

※부속서 1 : EMF 가이드라인(Guidance)

- 작업장에서의 전자기장

- 이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사항은?

- 전자기장이란 무엇인가?

- 다양한 주파수 대역 및 관련 분야에서 전자기장의 영향

- 왜 전자기장이 이슈인가?

- 효과들은 무엇인가?

- 작업장에서의 전자기장

- 전자기장이 위험이 되지 않을 작업장 위치

- 전자기장이 위험이 될 수도 있는 작업장 위치

- 법률이 의미하는 것은?

- 규제값(Action Levels, ALs) 및 노출 제한값(Exposure Limit Values, ELVs)

- 노출 제한값(ELVs)을 초과하는 경우

- 작업장 활동 시 더 낮은 위험

- 노출 및 위험 평가하기

- 위험을 통제하기

- 특별한 위험에 처한 직업인들

•임산부

•능동 이식 의료기기(AIMDs), 수동 이식 의료기기(PIMD) 및 몸에 장착하는

의료 장비(BWMD)

- 예외(exemption)

- 의학적 목적을 위한 MRI 사용

- 기타 목적을 위한 MRI 사용

- 전자기장의 군사적 사용

- 정보 및 훈련

- 건강 감시

- 자세한 지식

- 유용한 링크

- 의회 권고 1999/519/EC

- 부록 A

- 부록 B : 일반적 예외 목록

※부속서 2 : EMF 규정(regulation)

- Part 1 : 소개

- Part 2 : 노출 제한치

- Part 3 : 노출 및 위험

- Part 4 : 기타(정보제공 및 훈련, 건강감시 및 의학 시험, 예외 등)

※부속서 3 : 자문 영향평가(Impact Assessment, No : HSE 0093)

- 영향평가(IA)

- 요약

- 고려 중인 문제들

- 규정의 요구사항

Page 27: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27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최신 위험 관리

•고용주들이 취해야 할 새로운 행동

- 비용(사정 비용, 일반화 비용, 노출 레벨 및 위험 평가 업데이트)

- 혜택

- 추가적 영향(환경적 영향, 건강 및 웰빙 영향, 경제 및 재정적 영향, 사회적

영향 등)

● 또한 영국 전자제품 판매점인 Link Microtek 사는

Directive 2013/35/EU에 기반한 직업인 훈련 과정을 만들어

시행키로 하였으며 2016년 들어 첫 과정은 4월 13일로

예정되어 있음

- 본 과정은 참가자들에게 Directive의 개략적인 내용을 제공하며

특히 EMF 위험 평가를 수행할 때 무엇이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함. 또한 EMF로부터의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

● EU Directive 2013/35/EU에 따르면 모든 고용주들은

EMF 위험 평가를 시행할 것이 요구됨

- 대부분의 사업장에 EU Directive가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지만

몇몇 환경에서 특별한 위험에 처해 있는(수동 또는 능동 의료

장비 등에 노출) 직업인들의 환경에 있어서는 위험 평가가

시행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지님

- 만약 평가 과정을 거쳐서 관리되어야 할 위험이 발견된다면

고용주는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위험에 처했다고 생각되는

직업인들에게 훈련을 시켜야 함

● 한편 Directive 2013/35/EU 실행 가이드는 2015년 11월에

출간된 바 있음

- Directive는 총 두 권이며, 1권은 고용주들에게 EMF 위험

평가를 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함. 그리고 2권에서는 고용주들이

어떻게 평가에 접근하며 몇몇 예방적이고 보호적인 측정을

하는지에 대해 12가지 사례를 들어 설명해 줌

- 또한 중소기업(SMEs)을 겨냥한 집중적인 가이드가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

출처 : http://www.linkmicrotek.com/index.php/emf-safety/blog,

http://www.hse.gov.uk/consult/condocs/cd276.htm

리포터 : 김효진, 채희준, 미래전파공학연구소

호주 연구: 휴대전화 및 무선전화 사용이 초등학교 아이들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2016.03.29(출처 : EMF-Portal)키워드: mobile phone, cordless phone, cognition, Australia, primary

school children, prospective cohort study

● 연구의 목적

- 호주의 Redmayne M 외 연구진은 2016년 출간된 보고서에

서 휴대전화 및 무선전화의 사용과 초등학교 아이들의 인지 기능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수행함

※ 전향적 코호트 연구(prospective cohort study): 특정 인구 집단을 선정, 특정 질병의

발생을 시간경과에 따라 추적·관찰하여 특정 요인에 노출되지 않은 집단에 비해

노출된 집단에서의 질병 발생률을 비교하는 역학 연구

● 종말점/ 위험 평가의 종류

- 인지 기능(신호 탐지, 작업 기억, 학습, 스트룹 검사)

- 유병률 추정(estimate of prevalence)

※ 작업 기억(working memory): 정보들을 일시적으로 보유하고, 각종 인지적 과정을

계획하고 순서 지으며 실제로 수행하는 작업장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기적 기억

※ 스트룹 검사(stroop test): 선택 주의력 평가. 주어진 일에 대한 집중력을 측정하기

위해 심리학에서 일반적으로 실시함

Page 28: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4. EMF Weekly Brief

5.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28EMF Newsletter Vol.21

● 노출

- 휴대전화, 무선전화

- 설문지에 의한 평가(학부모: 아이들의 휴대전화/무선전화 사용,

주 당 통화 및 문자 횟수; 아이들: 휴대전화 소유권 및 사용)

• 노출 그룹

참조그룹 1:

그룹 2:

그룹 3:

주 당 mobile phone 통화 수 : 0

주 당 mobile phone 통화 수 : ≤ 2.5

주 당 mobile phone 통화 수 : > 2.5

참조그룹 4:

그룹 5:

그룹 6:

주 당 cell phone 통화 수 : 0

주 당 cell phone 통화 수 : ≤ 2

주 당 cell phone 통화 수 : > 2

● 인구

- 연구 그룹: 8-11 세 아이들

- 그룹 특성: 37개 초등학교의 4학년 이상의 학급 학생들

- 관찰 기간: 2011년

- 연구 장소: 호주(멜버른, 울런공)

- 질문지에 의해 획득된 더 자세한 파라미터(학부모: 아이들의

건강, 가정 내 발화; 아이들: 운동, 다른 기기의 사용)

연구 크기 코호트

총 숫자

참여 숫자

참여 비율

1,189

619

52%

- 다중 회귀 분석을 이용한 통계적 분석(나이, 사회경제적

지위에 맞춤)

※ 다중 회귀 분석(multiple regresstion analysis): 독립변수가 2개 이상인 추정식을

만들어 분석하는 회귀분석

● 연구의 주요 결과

- 통화를 목적으로 한 휴대전화 사용량은 적었음: 417명의

학생들은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사용자들의 10%만이

한 주에 10번 또는 그 이상의 통화를 하였음. 무선전화는

470명의 아이들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들 중 6%가 한 주에 10번

또는 그 이상의 통화를 하였음

- 인지 측정을 한 전화 사용의 78개 결과 중 5개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음

- 연구진은 초등학교 아이들의 인지 기능이 그들의 휴대전화 및

무선 전화 사용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결론내림

출처 : http://www.emf-portal.de/viewer.php?l=e&aid=28887

원문: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759913/

pdf/12940_2016_Article_116.pdf

리포터 : 김효진, 미래전파공학연구소

호주 연구: 30년의 데이터는 휴대전화와 뇌암 사이에 아무런 연관이 없음을 보임

2016.05.(출처 : Wired Brains)키워드: mobile phone, brain cancer, Australia, Simon Chapman

● 호주의 몇몇 선도적인 암 전문가들의 새로운 역학 연구에

의하면 휴대전화와 뇌암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음

● 시드니 대학의 공공건강학부 명예 교수인 Simon Chapman의

주도로 이루어진 연구는 휴대전화가 도입된 1987년에서

2012년 사이에 호주 내 뇌암 진단을 받은 9,858명의 남성 및

14,222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휴대전화 사용과 뇌암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음

Page 29: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29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호주는 국가적인 암 발생에 대해 매우 상세한 자료를 제공하며

모든 암 진단은 법에 의해 공식적으로 등록됨

● Chapman교수와 동료 연구진인 Lamiae Azizi, Qingwei

Luo, Freddy Sitas는 기간에 따른 뇌암 발생의 나이비(age-

specific rate) 및 성비(gender-specific rate)를 모형화 하였음

- Chapman 교수는 The Conversation 지에, “우리는 100,000명당,

20-84세를 대상으로 한 연령조정 뇌암 발생률(age-adjusted

brain cancer rate)이 남성 내에서 아주 극미하게 증가해 왔음을

발견하였지만 여성들 사이에서는 30년 동안 변화하지 않았음을

보았다.” 라고 언급함

※ The Conversation(더 컨버세이션) : 2011년 출범한 호주의 온라인 언론매체로 학계

연구자들이 비평과 뉴스를 쓰는 필자로 참여하고, 직업 저널리스트들은 편집과 취재

기자로 참여하여 서로 협력해 만듬

- 게다가, 이러한 남성 뇌암 발생의 미세한 증가는 70세 이상의

연령에서만 나타났으며 휴대전화 기술이 호주에 도입되기

수 년 전인 1982년에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함

● Chapman 교수는 이러한 증가는 암 발병 자체의 증가 보다는

암 발생에 대한 선제 발견 기술의 향상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관찰함

● 또한 연구진은 만약 휴대전화가 사실상 암을 유발한다고

한다면 가능한 뇌암 환자의 수를 계산하였음. 배경발생치

(background incidence)의 50% 증가를 추정하고 작업

하였는데, 이것은 잠재적인 암 위험을 암시하는 연구에 기초한

매우 보수적인 추정치임

● 그러나 10년 동안 휴대전화가 광범위하게 사용된 후에도

암의 증가가 없었다는 비교결과가 나타남

- Chapman교수는 “2012년 기록된 사례수는 1,435개지만 사례의

기대숫자는 1,866 개 였다.” 라고 기록함

● 본 연구는 반복되어 잠재적인 관련성을 검토해 왔으며

휴대전화와 뇌암 사이에는 아무 관련성이 없다는 비슷한

결과를 도출함

- 이 연구는 대규모로 진행되었으며 대중의 건강 인식에 있어

참고할 가치가 큰 연구결과임

출처 : http://www.wired.co.uk/article/no-link-between-mobile-phones-brain-cancer

리포터 : 김효진, 미래전파공학연구소

전력선 거리와 소아 백혈병 발생률과의 관계 : 캘리포니아 인구기반 사례-대조 연구

2016.06.03(출처 : EMF Portal)

키워드: California, Childhood leukaemia, Childhood CNS cancer, Power lines, Case-control study

● 연구의 목적

-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의 Crespi CM 교수 외 연구진은

캘리포니아 전력선 근처에 거주하는 주민들 내 소아 백혈병 및

소아 중추신경(CNS) 암 발생률에 대한 사례-대조 연구를 수행함

● 종말점/위험의 종류

- 소아 백혈병

- 소아암/CNS 종양

- 위험 평가의 종류 : 발생 추정(odd ratio(OR))

Page 30: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4. EMF Weekly Brief

5.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30EMF Newsletter Vol.21

● 노출

- 자기장

- 50/60Hz

- 송전선

- 주거지

- 평가

•‌‌측정 : 구글 어스 에어리얼 이미지(aerial imagery)를 사용한

거리 측정; 소아 백혈병만을 위한 사례: 특정 거리의 현장

(on-site) 측정

•계산 : 출산 시 모친의 주거지 주소와 가장 가까운 송전선

사이의 거리를 지오코딩(geocoding) 함

※ 지오코딩(gocoding) : 위치정보지정. 주소 또는 연결된 도로단편의 지리적

좌표를 도출하기 위해 도로주소 또는 다른 지리적 요소를 도로데이터자료에 대응하여

매치시키는 프로세스

● 노출 그룹

그룹 1출산 시 거주지 주소에서 가장 가까운 송전선과의

거리 : 0 - 50 m

그룹 2출산 시 거주지 주소에서 가장 가까운 송전선과의

거리 : 50 – 100 m

그룹 3출산 시 거주지 주소에서 가장 가까운 송전선과의

거리 : 100 – 200 m

그룹 4출산 시 거주지 주소에서 가장 가까운 송전선과의

거리 : 200 – 300 m

그룹 5출산 시 거주지 주소에서 가장 가까운 송전선과의

거리 : 300 – 400 m

그룹 6출산 시 거주지 주소에서 가장 가까운 송전선과의

거리 : 400 – 500 m

그룹 7출산 시 거주지 주소에서 가장 가까운 송전선과의

거리 : 500 – 600 m

참조그룹 8 출산 시 거주지 주소에서 가장 가까운 송전선과의

거리 : ≥ 600 m

● 인구

-- 그룹 : 아이들

- 나이 : 0-15세

- 관찰 기간 : 1986~2008년

- 연구 위치 : 미국(캘리포니아)

- 사례 그룹

•‌‌데이터 출처 : 캘리포니아 암 등록소, 캘리포니아 출산

등록소

- 대조 그룹

•‌‌선택 : 인구 기반

•‌‌매칭 : 성, 나이, 사례군:대조군 = 1:1

•‌‌제외기준(exclusion criteria) : 진단된 암의 종류

- 연구 크기

사례 대조

적격 10,503 -

유효 9,096 9,096

- 기타 : 5788 개의 소아 백혈병 및 3308 개의 소아 DNS 암 사례

- 통계 분석 방법 : 무조건적 논리 회귀(나이, 성, 사회경제학적

지위, 인종에 따라)

● 결론

- 소아백혈병에 대해, 송전선에서 가장 가까운(0-50m) 출산시

거주지에서 22개의 사례군 및 15개의 대조군이 발견되었고

CNS 암에 대해서는 같은 거리에서 7개 대조군 및 8개 사례군이

존재했음

- 통계적으로 크지 않은, 미세하게 증가된 소아백혈병 위험이

Page 31: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31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200kV를 초과하는 송전선 50m 이내에서 관찰되었음(OR 1.4,

CI 0.7-2.7). 송전선 50m 를 초과하는 거리에서, 더 낮은 전압의

송전선에서 또는 CNS 암에 대해서 증가된 위험을 보이는 증거

는 없었음

- 연구진은 본 연구가 다른 연구에서 보고된 200kV를 초과하는

송전선 50m 내에서 거주하는 아이들에 대한 백혈병 증가의

위험성을 가장 미약하게 뒷받침하는 연구라고 결론내림

출처 : https://www.emf-portal.org/en/article/29535

리포터 : 김효진, 미래전파공학연구소

극초단파 휴대전화 전자파가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ffect of Ultra High Frequency Mobile Phone Radiation on Human Health.)

2016.07.07(출처 : EMF Portal)키워드: ICNIRP, Mobile Phone, Mutation, Radiobiological Effects,

Radiofrequency

● 연구의 개요

- 이 논문은 전자 기기의 성장 추세에 따라 전자파의 일반인 및

직업인에 대한 노출이 인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과,

- 특히 휴대전화 전자파에 의한 변이, 성(性)적 외상, 남성의 생

식 세포 불임의 위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음

● 방법

- 섬광 검출기를 사용하여 상이한 주파수에서 고전압 전원 등의

무선 주파수 장치 방출량을 측정하였음

- 고전압 전원 공급기(HVPS)는 단일 광자 단층 촬영(SPECT)*

시스템으로 구축되었음

※ 단일 광자 단층 촬영(SPECT) : 뇌 관류, 심장 관류, 뼈 대사 등 생화학적, 기능적

상태를 볼 수 있는 방사성 의약품을 환자에게 투여한 후 이들의 분포를 영상화함으로써

생체의 생화학적 변화나 기능상의 문제를 평가하는 영상 진단법

- 방사선량 측정을 위해 감마 방사선을 측정할 수 있는

ALNOR사의 신틸레이터를 사용하였음

- 시뮬레이션 수행에는 MATLAB* 소프트웨어를, 시뮬레이션

확인에는 국제비전리방사보호위원회(ICNIRP)의 데이터를 활용

하였음

※ MATLAB : 수치 해석 및 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하는 공학용 소프트웨어

● 연구 결과

- ICNIRP 보고서를 통해 인체의 각 기관에 전자 장치의 빔

(beam)과 전자기 파장이 발생할 위험을 조사하였음

- 그 결과 15분에 걸친 최대 선량은 0.31μSV/h(알루미늄 쉴드)를

초과하지 않는 한 HVPS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방사선의 다른 공급원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연속 작업

시간은 10시간 이상이어야 함

-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보안 모듈 작동 특성 곡선(Characteristic

Curve)*이 보고되었음. 최대 침투 깊이(δ)와 생체 조직의 전자파

흡수율(SAR)에 대한 RF 입력 신호는 각 조직으로부터 얻어졌음

※ 특성 곡선(Characteristic Curve) : 필름에 조사된 방사선량(또는 상대 노출량)의 대

수 logE와 현상 후에 얻어진 사진 농도D와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

● 결론

- ICNIRP 보고서에 의하면 하루에 50분 이상 휴대전화를 사용

하는 사람들의 경우 뇌의 포도당 연소에 의한 조기 치매 또는

Page 32: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4. EMF Weekly Brief

5.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32EMF Newsletter Vol.21

다른 열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

출처 : https://www.emf-portal.org/en/article/29849

리포터 : 고주희 연구원, 미래전파공학연구소

극저주파 자기장에 노출된 산모 : 임신 및 태아의 발달 속도와 관련 (Maternal exposure to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s: Association with time to pregnancy and foetal growth.)

2016.07.11(출처 : EMF Portal)키워드: Birth weight,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s, Short-term

measurements, Small-for-gestational age, Time to pregnancy

● 연구의 배경

- 극저주파 자기장(ELF MFs)이 생식 및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에 이르지 못함

- 이 연구는 극저주파 자기장에 노출된 산모를 대상으로 증가

된 임신 기간(TTP)*, 출생 체중의 감소 혹은 저체중아(SGA)*에

대한 가설을 실험하였음

※임신 기간(TTP=Time To Pregnancy) : 임신에 이르는 기간

※저체중아(SGA=Small for Gestational Age) : 저체중 출생아. 부당경량아. 태어날 때

체중이 2.5kg 미만인 아기

● 방법

- 이 연구의 코호트*는 핀란드의 Kuopio 대학 병원에서

1990년부터 1994년 사이에 출산한 산모로 구성되었음

※코호트(cohort) : 특정 시점을 공유한 인구 집단

- 높은 수준의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 빈도를 늘리기 위해

극저주파 자기장 근원지로 알려진 근처 건물에 거주하는 여성을

포함하였음

- 산모의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 측정은 임신 전후를 기준으로

설문을 통해 단기적으로 측정하였음

- 산모의 흡연, 음주, 사회경제적 지위 등과 같이 임신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택 요인의 조정으로 로지스틱 회귀 분석*(또는

연속 변수 선형 회귀)을 사용하여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과 임신

기간, 출생 체중 혹은 저체중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로지스틱 회귀 분석 : 독립 변수의 선형 결합을 이용하여 사건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통계 기법.

● 연구 결과

- 산모의 자기장 노출은 일반적인 핀란드 주택에 비해 약간 높은

수준이었지만, 매우 높은 노출(>0.4μT)은 드물었음

- 극저주파 자기장과 임신 기간, 출생 체중 혹은 저체중아 간에

일관된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음

● 결론

- 이 연구를 통해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은 주거노출 수준에서

임신 기간 혹은 태아의 발달과 연관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

관측되었음

출처 : https://www.emf-portal.org/en/article/29876

리포터 : 고주희 연구원, 미래전파공학연구소

Page 33: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33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극저주파 자기장이 세포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메커니즘을 제안(RESEARCHER INVESTIGATES EFFECTS OF ELF MF ON CELL STRUCTURE, SUGGESTS MECHANISMS)

2016.08.03(출처 : ELF Gateway)키워드: ELF, in vitro, human SH-SY5Y cells, protein aggregation,

hydrogen bonding, FTIR

● 연구 요약

- 새로운 세포 실험(in vitro)*을 수행한 Emanuele

Calabrò(이탈리아 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50Hz의 자기장

노출이 뉴런 같은 세포의 단백질 구조와 세포 밴드 진동에

영향을 미쳤음을 발견하였음

- 이러한 상호작용의 메커니즘은 수소 결합* 및 단백질 응집*

과 연관될 수 있음

※세포 실험(in vitro) : 시험관이나 페트리 디쉬와 같이 제어가 가능한 환경에서 수행

되는 실험

※수소 결합(hydrogen bond) : 2개의 원자 사이에 수소 원자가 결합함으로서 생기는

강한 분자 간 인력

※단백질 응집(protein aggregation) :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면서 응집체를

형성하는 현상으로 응집체는 독성을 띨 수 있으며 주변 세포들의 기능장애와

세포사멸을 초래해 여러 질환의 원인이 됨

● 방법

- Messina 대학의 Emanuele Calabrò는 SH-SY5Y* 세포계에서

얻은 배양 세포를 인큐베이터에서 4시간 동안 극저주파

자기장에 노출하기에 앞서 추가 세포 그룹을 허위 노출(sham-

exposed)하였음

※SH-SY5Y : 신경 기능 및 분화의 시험 관내 모델로서 사용되는 신경 모세포종

- M자기장 노출 시스템은 전자파 생성 장치에서 두개의

Helmholtz coils*을 포함했음

※Helmholtz coils : 두 개의 동축 코일을 그 반경만큼 서로 떨어뜨려 위치시킴으로써

그 사이의 자기장을 거의 일정하게 만든 것. 자력계의 보정 및 자기장 측정시의 영점

보정 등에 사용

- 장치는 1-mT의 전파를 방출하였고 실험을 통해 균일하게

측정하였음. 온도는 노출 기간 동안 모니터링 하였음

- 노출 후 연구자는 적외선(FTIR) 분광기를 사용하였는데, 그는

진동 밴드의 변화에 관심이 있었음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ry) : 적외 분광법으로 유기화합물,

반도체, 세라믹 등 대상을 불문하고 상온, 상압 하에서 비파괴분석이 가능

- 통계적으로 t 테스트 방법이 활용되었음

● 연구 결과

- Calabrò는 자기장에 노출된 세포들이 메틸렌 그룹*의 진동

밴드에서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세포막의 지질 함

량의 변화와 관계가 있다고 주장하였음

※메틸렌 그룹(methylene group) : 메테인에서 두 개의 수소 원자를 없앤 이가(二價)

의 원자단

- 그는 또한 대조군에 비해 노출된 샘플인 Amide* I 밴드의 변

화를 탐색하고자 하였음

※Amide : 암모니아 또는 아민의 수소 원자가 산기(아실기)나 금속원자로 치환된 화합물

- Amide I 밴드의 경우 낮은 에너지에 충분한 변화를 보였고,

알파 나선구조*에 대한 평행 및 역평행 베타 병풍구조*의 강도

의 증가는 노출 후 관찰되었음

※알파 나선구조(α-helix) : 단백질 2차구조의 하나. 아미노산 잔기 3.6개가 1회전을 하

는 나선이 수소결합에 의해 안정성을 유지

Page 34: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4. EMF Weekly Brief

5.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34EMF Newsletter Vol.21

※베타 병풍구조(β-sheet) : Z자형의 폴리펩티드 사슬이 연속된 병풍구조를 형성하듯

서로 이어져 배열된 구조, 사슬사이에 수소결합으로 고정되어 있음. 병풍구조는 역평

행, 평행형으로 나뉨

- 또한 Amide I은 노출이 일어난 후 상대적으로 통합된 영역이

증가한 반면, Amide II의 경우에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음

- Calabrò는 그의 관찰을 통해 수소 결합과 단백질이 풀어지고

응집되는 것이 세포 손상과 관련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음

출처 : ELF gateway

리포터 : 고주희 연구원, 미래전파공학연구소

휴대전화 전자파에 노출된 쥐의 착상 전 배아의 생존 평가 (Survival Assessment of Mouse Preimplantation Embryos After Exposure to Cell Phone Radiation)

2016.08.03(출처 : EMF Portal)키워드: Cell phone, In vitro, Mice, Preimplantation embryos, RF-EMF,

Viability

● 연구의 배경

- 휴대전화의 사용이 전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여러 국가에서 휴대전화 전자파가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음

- 이 연구는 휴대전화 전자파에 노출된 쥐의 착상 전 배아*의

질과 생존율에 대한 평가를 목적으로 하고 있음

※배아(embryo) : 접합체가 한 번 이상 세포분열을 하기 시작한 시기부터 하나의

완전한 개체가 되기 전까지의 발생 초기 단계를 의미

● 방법

- 성적으로 성숙한 생후 6개월 된 BALB/c 쥐* 40마리(수컷

20마리, 암컷 20마리)를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음

※BALB/c 쥐 : 알비노 근교계 생쥐의 일종. 면역유전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많은 유사유전형 계통을 제작할 수 있음

- 교배 후 다음날 아침, 난소 주머니를 제거하고 접합자*를 해

부하였음

※접합자 : 배우자의 합체라는 유성생식의 결과로 만들어진 생식세포

- 배아는 대조군과 실험군의 두 그룹으로 나누었음

- 900~1800 MHz의 전자파를 CO2 인큐베이터*에서 37℃의

온도로 하루에 30분씩 총 4일 동안 배양하였음

※CO2 인큐베이터 : 세포 및 조직 배양기

- 배아의 상태는 매일 기록하였고, 생존한 배반포*의 식별을

위해 형광염색법*을 사용하였음

※배반포(blastocyst) : 하나의 세포로 시작된 수정란이 세포 분열을 통해서 여러 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것

※형광염색법(fluorescent staining) : 형광표지한 항체를 이용하여 조직이나 세포에서

의 특정한 항원분자의 부분적 분포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

- 데이터는 t-test법과 Mann-Whitney test*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음

※t-test : 두 집단 또는 두 상관적인 표본의 평균치가 동일한 모집단에서 추출되었는지를

검증하는 모수치 통계 기법

※Mann-Whitney test : 두 모집단의 위치모수에 대한 동일성을 검정하기 위한 검정방법

● 결과

- 포배기에서의 배아 생존율은 두 그룹이 유사한 결과를 보였음

- 그러나 2세포기*에서는 전자파에 노출된 실험군의 배아

괴사 비율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세포 생존 능력의

손실 역시 실험 배반포에서 크게 증가하였음

Page 35: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35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2세포기(2-cell stage) : 수정란이 1차 분할시기를 거쳐 2분된 시기

● 결론

- 전자파 노출은 일반적으로 포배기까지의 생쥐의 배아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음

- 그러나 그것은 배반포 세포 생존율의 감소를 유발할 수 있음

출처 : https://www.emf-portal.org/en/article/30008

리포터 : 고주희 연구원, 미래전파공학연구소

쥐의 뇌에 휴대 전화 전자파의 부작용에 대한 생화학적 및 조직학적 연구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studies on adverse effects of mobile phone radiation on rat's brain.)

2016.08.17(출처 : EMF Portal)키워드: Apoptosis, Cerebellum, Hippocampus, Mobile phone, Oxidative

stress, Radiofrequency radiation

● 연구의 목적

- 1800 MHz의 전자파에 노출된 쥐의 산화 스트레스*, 뇌의

조직학 및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음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 체내 활성산소가 많아져 생체 산화 균형이 무너진 상태

● 연구 대상

- 40마리의 수컷 쥐를 두 그룹으로 분류(각 20마리) :

1) 노출군, 2) 대조군

● 종말점(Endpoint)

-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 쥐의 뇌의 손상 및 변화

● 노출

노출 매개변수

노출 1 1,800 MHz전자파 흡수율

(SAR)

0.6 W/kg

(휴대 전화

사용 설명서)

노출 지속 기간3개월 동안,

하루 120분전력 밀도

0.87 mW/cm²

(전자파 측정기)

- 노출 대상

• 쥐

● 방법

- 종말점(Endpoint)/측정 파라미터/방법

• 유전독성*/돌연변이 : 조직 용해물에서의 DNA 분절화

(디페닐아민* 처리, 분광광도법*)

※유전독성 : 유전자에 장해를 주는 독성의 일종

※ 디페닐아민 : 2차 아민의 일종으로서 향기를 가진 잎 모양 무색 결정

※분광광도법 : 단색광을 시료물질에 투사하여 그 시료가 흡수한 빛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 태학적/조직병리학적 변화 : 해마와 소뇌의 조직학

(헤마톡실린-에오진 염색*, 톨루이딘 블루* 염색, 뉴런 염색),

수초와 신경교에 Mallory’s PTAH 염색*, COX-2*

조직화학적 염색(뉴런 손상의 표시, 현미경 사용), 미세구조

(아세트산우라닐*, 시트르산납* 염색, 투과 전자현미경)

※헤마톡실린-에오진 염색 : 조직절편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중염색법

(重染色法)으로 병리형태학적 관찰에서 빼놓을 수 없는 기본적인 염색으로서

관용되고 있음

※톨루이딘 블루 : 리보핵산염색에 이용되는 염기성색소

※Mallory’s PTAH 염색 : 횡문근 염색. 횡문 근육종 등과 다른 근육종의 감별,

교원병, 관절병, 신경교 증명시 활용

※COX-2 : 염증 반응과 관련된 프로스타글라딘(Prostaglandin)의 합성에 관여

※아세트산우라닐 : 전자현미경검사에서 염색시약으로 사용하는 물질

※시트르산납 : 정염 외에 시트르산수소납, 옥시염 등이 알려져 있으며 킬레이트

화합물로서 Pb2C6H4O7도 있음

Page 36: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4. EMF Weekly Brief

5.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36EMF Newsletter Vol.21

•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 산화스트레스(말론디알데히드의

함량, TBA*에 대한 반응)와 조직 세포분쇄액*의 산화

방지제* 파라미터(감소된 글루타티온 함량, 글루타티

온과산화효소의 활성화-방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총 단백질 함량(브래드포드법*)

- 조사물질 : 격리된 생물/화학 물질, DNA/RNA, 해마와 소뇌

의 조직 슬라이스, 세포분쇄액*, 용해물

※TBA : thiobarbituric acid. 티오바르비툴산

※세포분쇄액(homogenate) : 호모지나이저로 세포나 조직을 파괴하여 얻어낸 현탁

※산화 방지제 : 산화에 의한 변질, 노화, 부패 등을 방지, 억제하기 위한 물질

※브래드포드법(Bradford protein assay) : 용액의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

는 분광분석법

- 조사기관 시스템 : 뇌/CNS(중추 신경)

- 조사시간 : 노출 후

● 연구의 주요 결과

- 대조군에 비해 노출군의 해마 및 소뇌 샘플에서 산화 스트레스가

크게 증가하였음

- 대조군에 비해 노출군의 해마 및 소뇌 샘플에서 신경 손상을

나타내는 COX-2의 양이 크게 증가하였음

- 대조군에 비해 노출군의 해마 및 소뇌 샘플에서 DNA 분절화가

크게 증가하였음

- 대조군에 비해 노출군은 혈관의 막힘, 소뇌의 푸르키니에 세포*,

해마 추체 세포*와 암세포의 퇴행성 변화를 보였음

※푸르키니에 세포 : 소뇌 피질에 존재하는 신경세포

※추체세포 : 신경세포는 세포체의 형상으로 몇 개로 분류하는데, 세포체가 원추형 내지

키가 높은 삼각형인 것을 일컬음

- 결론적으로 1800 MHz의 전자파에 노출된 쥐는 산화 스트레

스, DNA 손상, 뇌의 조직학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

출처 : https://www.emf-portal.org/en/article/30004

리포터 : 고주희 연구원, 미래전파공학연구소

휴대전화 사용에 따른 청소년의 집중력과 행동문제 : 전향적 연구 (Mobile phone use, behavioural problems and concentration capacity in adolescents: A prospective study)

2016.09.26(출처 : EMF Portal) 키워드 : Cohort study, Cumulative dose, Personal measurements,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Switzerland

● 연구의 목적

- 휴대전화와 같은 무선통신장치에 의해 방출된 무선주파수

전자파가 청소년의 집중력 또는 행동문제에 관련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전향적 연구*를 수행하였음

※전향적 연구(prospective study) : 역학조사분류의 한 견해로서 조사의 내용이 개시시점

이후인 경우에 사용. 앞으로 일어날 건강상태(健康상태)나 역학요인의 빈도를 계획적으로

조사하기 때문에 객관성이 뛰어나고 신뢰성이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음

● 연구 대상

- HERMES*(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과 관련된 건강 영향) 연구

샘플

• 12세~17세의 스위스 청소년 439명

※HERMES=Health Effects Related to Mobile phonE use in adolescentS

Page 37: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37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 방법

- 행동문제는 강점·난점 설문지(SDQ)*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청소년의 집중력은 FAKT*라는 표준화된 인지 검사를 통해

측정하였음

※SDQ(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 강점·난점 설문지.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를 선별하는 도구로 부모·교사형, 청소년용으로 구분되며 총 25문항으로

구성된 척도

※FAKT(Frankfurter Adaptiver Konzentrationsleistungs-Test) : 집중력에 대한 컴퓨터

기반의 시험방법. 오류 없이 가능한 빨리 시각적으로 관련 기호를 구별하는 테스트

- 횡단 및 종단 연구(추적 조사 1년)를 통해 행동 문제와 집중력,

다른 노출 측정 사이의 연관성에 대하여 조사를 수행하였음

• 자기보고 및 오퍼레이터에 기록된 무선 장치의 사용,

뇌와 전신에 누적된 무선주파수 전자파, 개인적으로

노출된 무선주파수 전자파에 대한 측정

- 횡단 연구에서 행동문제는 자기 보고된 무선 장치의 사용과

관련이 있었지만 오퍼레이터에 기록된 휴대 전화의 사용과는

관련이 없었으며, 집중력은 자기 보고 및 오퍼레이터의 노출

기록과 관련이 있었음

- 종단 연구는 연관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음

● 연구의 주요 결과

- 종단 연구의 일관되지 않은 노출-반응 패턴은 집중력과 행

동문제가 무선 통신 장치 또는 무선주파수 전파 노출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의미함

- 정보 편중* 및 역인과성*은 횡단 연구의 결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음

※정보 편중(information bias) : 정보를 수집하는 사람의 편향된 관점에 따라서 어느

특정한 부문에 정보가 편중되는 현상

※ 역인과성(reverse causality) : 원인을 결과로 보고 결과를 원인으로 보는데서 발생.

인과관계의 오류라고 불림

출처 : https://www.ncbi.nlm.nih.gov/pubmed/27665258?dopt=Abstract리포터 : 고주희 연구원, 미래전파공학연구소

휴대전화 사용에 따른 청소년의 집중력과행약한 수준의 휴대전화 무선주파수 전자파를 식물에 노출 (Review: Weak radiofrequency radiation exposure from mobile phone radiation on plants.)

2016.09.22(출처 : EMF Portal) 키워드 : Base station, RF-EMF, mobile phones,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nges, plant growth, plants,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 연구의 목적

- 비열작용을 일으키는 약한 수준의 무선주파수 전자파가

살아있는 식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음

●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휴대전화 전자파의 비열 작용에 의해 식물의

생리학적, 형태학적 변화가 발견된 169개의 실험 관찰에 대하여

45건의 피어 리뷰를 거친 과학 출판물(1996-2016)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였음

- 연구 대상 : 29종의 식물

※피어 리뷰(Peer Review) : 동료 평가. 논문을 비롯한 학문 연구에서 같은 분야의

전문가들이 저자의 연구물을 심사하는 과정

Page 38: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4. EMF Weekly Brief

5. E

MF W

eekly B

rief (2

014년

1~

6월

)

38EMF Newsletter Vol.21

● 결과

- 상당수의 연구들이 생리학적, 형태학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되었음(89.9%, p < 0.001)

- 분석 결과 옥수수, 로젤*, 완두콩, 호로파*, 좀개구리밥*, 토마

토, 양파 그리고 녹두 식물들이 무선주파수 전자파에 매우 민감

한 것으로 나타났음

※로젤(roselle) :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한해살이풀

※호로파(fenugreek) :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

※좀개구리밥(duckweeds) : 고인 물의 수면에 자라는 아주 작은 식물

- 또한 식물들이 특정 주파수 1) 80~1500 MHz (p < 0.0001), 2)

1500~2400 MHz (p < 0.0001), 3) 3500~8000 MHz (p = 0.0161)

에서 더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결론

- 문헌을 통해 무선주파수가 식물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한 추

세를 관찰하였으며, 본 연구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증거

를 제공하였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선주파수 전자파의 영향에 대하여 전

체 유기체를 대상으로 한 장기간의 노출을 통한 더 많은 실험

과 관찰이 필요함

- 노출의 지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생물학적 영향의 특성에 기

반을 둔 방법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이전 연구와 일치함

- 이러한 연구 결과들 중 어느 것도 직접적으로 인간과 연관될

수 없지만, 한편으로 그로 인한 복잡하고 다양한 영향(칼슘의

대사, 스트레스 단백질* 등)들이 직·간접적으로 인간의 건강과

복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배제할 수는 없음

※스트레스 단백질(stress protein) : 세포가 스트레스에 처했을 때 합성하는 단백질의 총칭

- 본 연구는 무선주파수 전자파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전체

유기체를 대상으로 장기간의 실험을 통해 역학 연구를 수행하

는 연구자들이 참조하기에 유용함

출처 : https://www.ncbi.nlm.nih.gov/pubmed/27665258?dopt=Abstract리포터 : 고주희 연구원, 미래전파공학연구소

근로자의 EMF 노출을 줄일 수 있는 개인 보호 장비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AN DECREASE WORKERS’EMF EXPOSURE)

2016.10.14(출처 : ELF Gateway) 키워드 : ELF, power line, occupational exposure, protective equipment

● 연구 요약

- 핀란드 연구원들은 직업적 ELF 노출의 특성에 대하여 최근

일련의 논문들을 발표하였음(예: 2016.7.6, 2016.5.12. 2016.4.26)

- 본 연구는 아크 플래쉬* 개인 보호 장비(PPE)*가 근로자의

전자파 노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음

※아크 플래쉬(arc flash) : 도체와 도체사이의 단락전류 또는 지락전류로 인하여

발생하는 플라즈마 형태의 에너지 폭발현상. 플래쉬 오버라고도 함

※개인 보호 장비(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보호 의복, 헬멧 고글 또는

착용자의 신체를 부상 및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제작된 의복이나 장비를 의미

- 피실험자가 아크 플래쉬 PPE를 착용한 경우, 일반 옷을 착용

했을 때보다 측정된 전류가 9.5%로, 노출이 명확하게 감소한다

는 사실을 발견하였음

● 방법

- 핀란드의 North Karelia Central 병원의 Leena Korpinen와

Honkalampi 센터, Fingrid Oyj사의 동료들, Tampere University

Page 39: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EMF Newsletter 2016

39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etic Field

of Technologys는 400 kV의 송전선에서 같은 위치에서 두 번,

서로 다른 날에 측정을 수행하였음

- 가장 가까운 가공선과 프로브 사이에 5m의 거리를 두고 1.7m의

높이에서 EFA-300*과 3축 전기장 프로브를 부착하여 전기장을

측정하였음

※EFA-300 : ELF 대역(5Hz ~ 32kHz) 전자파측정기

- 부하 전류*와 전압의 평균은 각각 495.1 MVA, 412.5 kV이었으며,

첫 번째 날에 570.2 MVA, 두 번째 날에 411.7 kV의 값을 보였음

※부하 전류(load current) : 변압기나 전동기에 부하를 걸었을 경우에 흐르는 전류로서,

부하가 커지면 전류도 커지는 특성이 있음

- 근로자가 여러 가지 복장으로 알루미늄 종이 위에 서 있는

동안 측정을 수행하였음 : 일반 옷과 털 양말; 일반 옷과 양말

없이; 일반 옷, 헬멧, 양말 없이; 또는 아크 플래쉬 PPE(접지

상태* 또는 비접지 상태)

※접지 상태(grounded) : 어떤 시스템, 회로 또는 기기가 접지되어 있는 상태

- 아크 플래쉬 PPE는 은으로 덮인, 폴리아미드 섬유 소재의

작업복, 후드, 얼굴 덮개, 양말, 장갑으로 구성되었음

- 아크 플래시는 치명적일 수 있는 근로자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되었음

- 측정의 목적은 근로자의 신체 내 유도된 전류를 추정하는

것이었으므로 근로자는 신발을 착용하지 않았음

● 연구 결과

- 국소전기장 강도*를 측정한 결과 첫 번째, 두 번째 측정일에

각각 4.5kV/m, 4.6 kV/m의 수치를 보였음

※국소전기장(local electric field) : 유전체가 전기장 안에 놓여있을 때 쌍극자 모멘트에

의해 생기는 작은 범위의 전기장

- 피실험자가 헬멧, 일반 옷을 착용하고 양말은 착용하지 않았을

때 지면과 알루미늄 종이 사이의 전류는 64 μA였음

- PPE를 사용했을 경우 지면과 알루미늄 종이 사이의 전류는

6.1 μA였음

- Korpinen 등의 보고서에 따르면 측정된 전류가 9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 그들은 아크 플래시 PPE가 유도 전류* 감소에 '매우

성공적'이라는 결론을 내렸음

※유도 전류(induced current) : 일반적으로, 시변 전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도체에

발생되는 전류

- 가장 높게 측정된 접촉 전류*가 ICNIRP 기준 레벨인 1 mA보다

유의하게 낮았기 때문에 근로자들은 400 kV의 전력선 아래의

직업적 노출로부터 안전하다고 보았음

※접촉 전류(contact current) : 접촉면을 거쳐서 흐르는 전류

- 근로자의 PPE 착용이 번거롭다는 점이 파일럿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음

- 또한 더 많은 측정을 통해 변동성(예: 계절 변동성)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음

- 전기장 강도는 일반적으로 전력선에 비해 변전소가 훨씬

높기 때문에 변전소에서 더 많은 측정에 착수할 것을 권장하였음

출처 : ELF gateway

리포터 : 고주희 연구원, 미래전파공학연구소

Page 40: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www.emf.or.kr

발행처 : 한국전자파학회 전자장과 생체 관계 연구회

발행인 : 김남

편집위원 : 권종화, 김기회, 박미선, 안영환, 이승우, 이윤실

출판사 : 미래전파공학연구소 부설 도서출판 지식제작소

ISSN : 2233-4912

EMF Newsletter

Page 41: EMF · 방법을 제공하고, 생활속의 가전제품(전기장판, 전자레인지, 압력 밥솥 등)의 전자파 세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해하고

www.emf.or.kr

깨끗한 전자파 환경...

전자파에 대한 이해가 우선입니다.

Mobile EMF Consort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