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이은숙 * · 박형신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 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가 어떠한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월 기준 행정자치부 세 이하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 자녀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된 도 소재의 유아교육기관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개 기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 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를 활용한 조절모형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스트 레스에 대한 적극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이 특정 수준까지 증가할수록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 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화하며 스트레스에 대한 소극대처수준의 경우 일정 수준 이상으로부터 높아질수록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 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더욱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자녀양육에 대한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개인적인 노력과 더불어 그들의 거부적 양육태도 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 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주제어 다문화가정 아버지 양육스트레스 거부적 양육태도 스트레스 대처수준 사회적 지원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새나래어린이집 원장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제 저자 강릉원주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 교신저자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생태유아교육연구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2016. 제15권 제4호 , 71 - 92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이은숙* · 박형신**

요 약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

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가 어떠한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1

월 기준(행정자치부) 만 6세 이하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 자녀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된

K도 소재의 유아교육기관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29개 기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 169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한 조절모형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스트

레스에 대한 적극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이 특정 수준까지 증가할수록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

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화하며, 스트레스에 대한 소극대처수준의

경우 일정 수준 이상으로부터 높아질수록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

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더욱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자녀양육에 대한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개인적인 노력과 더불어 그들의 거부적 양육태도

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 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주제어 다문화가정 아버지(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양육스트레스(parenting stress)

거부적 양육태도(rejective parenting)

스트레스 대처수준(stress-coping levels)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

※ 논문접수 : 2016. 11. 02 / 수정본 접수 : 2016. 12. 05 / 게재승인 : 2016. 12. 17* 새나래어린이집 원장,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제 1저자)

** 강릉원주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7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Ⅰ. 서 론

최근 한국사회는 세계화, 다원화의 흐름과 더불어 급격히 다문화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2015년 1월 기준 국내 거주 결혼이민자 및 인지·귀화자1)수는 305,446명에 달하며 다문화가정

의 자녀수는 207,693명에 달한다(행정자치부, 2015). 이 중 만 6세 이하의 자녀수는 117,877명

으로 전체 자녀수의 56.8%를 차지하고 있고 이와 같은 수치는 2006년 조사 이래 매년 증가하

는 추세이다. 한국사회의 이와 같은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은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사회적

과제를 야기하였다. 이에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안정적 정착과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 각 분야

의 노력이 이어져왔으나 현재까지 다문화가정의 부모들은 자녀양육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

으며 자녀들 역시 학업부진과 학교생활의 부적응, 정체성 혼란과 부모-자녀관계의 어려움 등

을 경험하고 있어 교육과 복지 차원의 종합적인 지원정책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여성 결혼이민자와 귀화자로 구성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는 한국어 사용이 미숙하고,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적응 초기에, 양육환경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취학 전 자녀를 양육해야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박형신, 김정주, 안정숙, 2012). 실제로

취학 전 자녀의 양육을 담당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몇몇 연구자들(김상림,

안효진, 이시자, 2011; 이선애, 최현정, 2016; 정창용, 조미영, 2015)은 연구대상의 대다수가 자

녀양육과 교육을 사회적응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문제로 지목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고 거부적인 양육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다문

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특성은 잠재적으로 아버지의 양육역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이

루어진 몇몇 연구들(양진희, 2016; 최효식, 윤해옥, 연은모, 2016)은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특

성이 상호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존적인 관계임을 주장한 바 있으며, 이러한 연

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아버지의 양육에 관한 심리적 측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자녀양육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호 협

력적인 역할수행을 강조한 선행연구(양진희, 2016; 조은정, 박형신, 2015)의 결과들은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보완적 양육역할의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

전통적으로 자녀양육에 관한 역할은 어머니에 한정되어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 왔다. 이러

한 인식은 다문화가정 내 양육역할에 대한 기대에서도 다름이 없다. 최근 다문화가정의 부모

를 대상으로 한 연구비율이 아버지에 비해 어머니에 집중되어 있다고 보고한 이신동과 성영

화(2015)의 연구를 통해서도 다문화가정 내 부모역할의 중요성이 아버지에 비해 어머니를 중

1) 다문화가족지원법 개정(’11.4.4개정, ’11.10.5시행)으로 인해 '12년부터는 혼인귀화자 외에 기타사유 국적취득자(인지·귀화)도 다문화가족에 포함됨

Page 3: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 73

심으로 조명되어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아버지의 부모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실제적인 참여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조윤경, 민웅기, 2012). 뿐만 아니라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양육특성을 분석한 연구(김낙흥, 장소정, 2012; 서정아, 엄정애, 2016; 이경화,

임희정, 2012; 이현경, 조희숙, 2015) 역시 점차 실행되어지고 있다. 이들 연구들은 공히 다문

화가정의 특수성을 고려한 아버지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일반가정의 아버지 역할과 상

이한 다중적인 역할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즉, 다문화가정의 아버지는 가장으로서 경제

적인 책임을 지고 있는 동시에 어머니의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과 언어적 소통의 한계를

보완하고 자녀양육의 역할을 상당부분 감당해야하므로 그 어려움과 양육스트레스가 더욱 클

수 있다는 것이다(김낙흥, 장소정, 2012; 김선희, 김은하, 김태훈 2014). 이는 일반가정의 아버

지와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를 비교한 한현이(2011)의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된

바 있다.

양육스트레스는 양육역할에서 느끼는 특정한 스트레스의 유형으로 자녀양육으로 인해 부

모가 인지하는 곤란의 정도나 부담감을 의미한다(Abidin, 1992).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양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을 약화시키고 거부적 양육태도를 높이는 등 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행동

에 역기능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미숙, 문혁준, 2005; 이영미, 2009; Crnic

& Greenberg, 1990). 또한 자녀의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변인으로 지

목되고 있다(류다형, 이순형, 2016; 연은모, 최효식, 2014). 한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관련

이 깊은 거부적 양육태도 역시 유아의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보고되고 있어(나은숙, 김경희, 2015; 조채윤, 권연희, 2014; Chang, Schwartz, Dodge &

McBride-Chang, 2003)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다문화가정 아버

지의 자녀들의 경우, 누적적인 결핍을 경험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버

지 스스로가 양육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형성하여 질 높은

양육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자녀들의 안

정적인 발달을 유도해나갈 필요가 있다.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는 개인적 측면의 변인

은 스트레스 대처양식이다. 스트레스 대처양식은 개인의 수용능력을 초과한다고 평가되는 특

정한 외적, 내적 요구들을 관리하기 위해 변화하는 인지적, 행동적 노력(Lazarus & Folkman,

2001)을 의미한다. 또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된 심리적·신체적 불균형 상태를

회복시키고 다시 일상에 적응하려는 개인의 인지적·행동적 노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김선희

외, 2014). Pines과 Aronson(1988)은 스트레스 대처양식을 적극대처와 소극대처로 분류하였

다. 이중 적극대처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노력을 외부로 기울여 좌절이나 장애요소를 극복

Page 4: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7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함으로써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문제 중심의 대처방식과 사

회적 지지에 대한 추구를 포함한다(이영아, 정원철, 2010). 반면 소극대처는 스트레스의 근원

을 무시하고 회피하거나 의기소침해지는 등의 특성이 해당되며, 정서 중심의 대처와 소망적

사고방식이 포함된다. 연구자들(Lazarus & Folkman, 2001; Pines & Aronson, 1988)은 사람

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실제 상황에서 상이한 대처양식을 상호배타적으로 사용하기보다 다양

하게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동시에 사용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상황 특정적이고 다중적인 전략

을 사용하는 것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관

련 선행연구들(김선희 외, 2014; 류다형, 이순형, 2016; Webester-Stratton, 1990)은 이와 같은

대처양식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한편, 최근 자녀양육에 있어서 생태학적 관점과 전 생애적 관점이 강조됨에 따라 부모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체계의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김종한, 2012). 또한

자녀양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부모, 친척, 이웃, 친구, 지역사회 그리고 더 나아가서

사회전체의 여러 기관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사회적 지원체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사회적 지원이란 타인에 의해 제공되는 자원을 일컫는 총체적인 말로써 사회적 관계망 속에

서 개인이나 집단에게 받을 수 있는 정서적 또는 실제적인 도움을 의미한다(강희경, 1998).

특히 양육 상황에서의 사회적 지원은 주위로부터 사랑, 공감, 이해, 격려 등의 정서적으로 지

원을 받는 정서적 지원, 양육과 관련한 경제적인 측면과 집안일 등의 지원을 의미하는 도구

적 지원, 양육과 관련된 유익한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적 지원, 여가나 휴가 때 여행을 함께

가거나 외식을 함께 하는 사교적 지원 등으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연은모, 윤해옥, 최효식,

2016, 재인용). 관련 연구들(김종한, 2012; 연은모 외, 2016; 이재림, 옥선화, 2001; 임현주, 이

대균, 2013; Haslam, Pakenham & Smith, 2006)은 사회적 지원이 부모의 원활한 역할수행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며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부정적 양육행동과는 부적인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특히 부정적인 심리를 감소시킨다고 주장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태도와 실제적인 양육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개인의 심리적 측면과 사회적 지원을 통해

일정부분 변화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상기 언급한 연구들은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사회적 지원이 그들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정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해준다. 그러나 실제로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하며, 그러한 관계 속에서 스트레스 대

처양식의 각 수준과 사회적 지원이 어느 정도의 역할을 수행하는지는 보다 명확히 검증될 필

요가 있다.

Page 5: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 75

최근 국내 다문화가정의 증가추세와 더불어 부모역할의 다양한 측면이 연구를 통해 조명

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김영옥, 임진숙, 정상녀, 2008; 박점자, 2015; 이선미, 이경아,

2010; 임지향, 이흥표, 2010; 정해영, 정옥분, 2011)은 대부분 어머니의 양육특성에 초점을 두

고 있으며, 아버지의 양육경험을 배경으로 한 몇몇 연구들(김낙흥, 장소정, 2012; 김선희 외,

2014; 서정아, 엄정애, 2016; 이경화, 임희정, 2012; 이현경, 조희숙, 2015)이 실행된 바 있으나

이 중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특성 간의 관련성과 상호영향력을 분석한 연구는 이루

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에 관한 심리적 측면의

특성을 규명하고 긍정적인 역할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그들의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에 따른 변인간의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버

지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그들의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

적 지원이 어느 정도 조절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그간 어머니의 양육특성에

집중되었던 다문화가정 부모변인 연구와 차별화된 연구로, 다문화가정 아버지가 자녀양육의

주체이자 어머니의 양육역할을 지원하는 동반자로서 안정적이고 질 높은 양육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적인 지원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수

준(적극대처, 소극대처)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2.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의 조

절효과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2015년 1월 1일 기준 만 6세 이하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 자녀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행정자치부, 2015)된 경기도 소재의 유아교육기관을 임의표집하여 해당 기

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215부 질문지를 가정에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나 회수된 질문지 중 문항이 빠짐없이 완성된 총 169부만을 연구

에 포함하였으므로 해당 질문지의 응답자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확정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

Page 6: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7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적인 배경은 표 1과 같다.

구분 내용 빈도 백분율 내용 빈도 백분율

학력

고졸 이하 119 70.4

직업

관리직 8 4.7

전문대졸 16 9.5 전문가 및 관련직 11 6.5

대졸 25 14.8 사무 종사직 14 8.3

대학원졸 9 5.3 서비스 종사직 26 15.4

경제

수준

인식

하 22 13.0 판매 종사직 6 3.6

중하 72 42.6 농림어업 숙련직 20 11.8

중 69 40.8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직 18 10.7

중상 5 3.0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직 4 2.4

상 1 0.6 단순노무 종사직 25 14.8

연령 46.67(M) 6.326(SD)군인 3 1.8

기타 34 20.1

유아

월령 61.20(M) 13.104(SD) 성별남 87 51.5

82 48.5여

<표 1> 연구대상의 분포

2. 연구도구

1)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를 연구한 김선희와 동료 연구자들(2014)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자들은

Abidin(1990)이 개발한 PSI(Parenting Stress Index; 양육스트레스 척도) 중 부모의 특성에

해당하는 37문항만을 선별하여 사용하였으며, 문항의 배점은 Likert식 5점 평정척도로 이루

어졌고 총점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음을 의미한다.

2)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태도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Rohner와 Khaleque(2005)의 유

아부모용 PARQ(Parental Acceptance - Rejection Questionnaire)를 나은숙과 이종인(2008)이

한국 부모를 대상으로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거부적 양육태도는 수용적인 정서나 행

동이 결여된 상태, 그리고 다양한 방식으로 양육 대상자에게 상처를 주는 상태를 의미한다.

Page 7: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 77

이 척도는 여섯 개의 하위요인(격려, 지지, 애정, 공격/적대, 무관심/방임, 조건적 거부)으로

제작되었으며 격려, 지지, 애정요인의 문항은 역산처리 하도록 구성되었고, 총 25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문항의 배점은 Likert식 4점 평정척도로 이루어졌으며, 총점이 높을수록 아버지

의 자녀에 대한 거부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3) 스트레스 대처수준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스트레스 대처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Pines과 Aronson(1988)이 개발

하고 황인성(1998)이 번안․수정한 스트레스 대처방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4가지

스트레스 대처양식(직접-적극, 직접-소극, 간접-적극, 간접-소극)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각의 대처양식은 5문항으로 이루어져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김선희

와 연구자들(2014)은 기존의 검사지표를 참고하여 스트레스 대처양식을 적극대처와 소극대처

로 분류하여 적용한 바 있으며, 본 연구는 이를 반영하여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스트레스 대

처양식을 적극대처와 소극대처로 구분하였다. 각 문항의 배점은 Likert식 5점 평정척도로 이

루어졌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대처양식의 이용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4) 사회적 지원

다문화가정 아버지가 인식한 사회적 지원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신

숙재와 정문자(1998)가 완성한 검사를 사용하였다. 검사는 배우자 외의 주위사람으로부터 자

녀양육과 관련된 지원을 받는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12

문항의 Likert식 5점 평정척도로 이루어져 검사의 총점이 높을수록 자녀양육과 관련된 주위

의 도움을 많이 받는다고 지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구분 문항 내용 문항수 Cronbach a

독립변수 양육스트레스자녀양육으로 인해 인지하게 되는 곤란의 정도나 부담감

37 .83

종속변수 거부적 양육태도수용적인 정서나 행동이 결여된 상태, 다양한 방식으로 양육 대상자에게 상처를 주는 상태

25 .95

조절변수

스트레스 대처수준

적극대처스트레스의 근원과 대면하여 이를 변화시키거나 자신을 변화시키려고 노력하려는 대처

10 .76

소극대처스트레스의 근원을 무시하고 회피하거나 의기소침해지는 등의 대처

10 .72

사회적 지원배우자 외의 주위사람으로부터 자녀양육과 관련되어 받는 지원

12 .95

<표 2> 연구도구

Page 8: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7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3. 연구절차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의 난이도와 이해도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경

기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 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예

비조사를 통해 질문지의 서술방식과 난이도에 특별한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

구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을 임의표집한 후 기관의 원장과 사전 연락을 취해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29개 기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 21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2016년 6월 20일부터 7월 15일까지 선정된 다문화가정 아버

지를 대상으로 연구목적과 응답방법에 대한 안내지를 포함한 질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

집하였다. 배포된 총 215부의 질문지 중 197부가 회수되었으며, 문항의 답변이 일부 누락되었

거나 부실하게 기재된 28부를 제외한 총 16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4. 자료처리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각 변인의 하위요인과 전체 값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

였다. 또한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을 실시하여 각 변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

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한 조절모형

(moderation model)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 조건부효과의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을 중심으로 ±1SD 지점에서의 영향력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Johnson-Neyman 방법

에 의한 유의성 영역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조절모형은 다음의 그림 1과 같다.

스트레스 대처수준(적극대처, 소극대처),

사회적 지원

양육스트레스 거부적 양육태도

[그림 1] 조절모형

Page 9: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 79

Ⅲ.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 간의 관계에서 스트

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에 앞서 해당 변인에 대한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표 3에 제시한 바와 같다.

구분 문항수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독립변수 양육스트레스 37 46 127 101.13 13.594

종속변수 거부적 양육태도 25 25 67 43.91 10.265

조절변수

스트레스

대처수준

적극대처 10 17 43 29.87 8.948

소극대처 10 12 50 25.42 4.716

사회적 지원 12 15 60 40.41 10.354

<표 3> 각 변인의 평균 및 표준편차

또한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스트레스

대처수준,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에 앞서 해당 변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

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의 표 4와 같다. 제시한 바와 같이 다문화 가정 아버지

의 양육스트레스는 거부적 양육태도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또한 조절변수로 설정한 스트레스 대처수준 중 적극대처 수준은 양육스트레스, 거

부적 양육태도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소극대처 수준은 두 변인과 정적으

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 사회적 지원 역시 양육스트레스, 거부

적 양육태도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해당 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스트레스 대처수준

사회적 지원 거부적 양육태도적극대처 소극대처

양육스트레스 -.624***

.348***

-.511***

.567***

거부적 양육태도 -.564*** .381*** -.480***

사회적 지원 .581***

-.384***

*** p< .001

<표 4>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 스트레스 대처수준, 사회적 지원 간의

상관관계

Page 10: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8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1.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와 스트레스 대처수

준(적극대처, 소극대처)의 조절효과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 스트레스 대처수준,

사회적 지원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으므로 이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살

펴보기 위해 조절모형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 해당 변인의 영향력을 보다 정확히 도출하기

위해서 유아의 성별과 월령, 아버지의 연령, 학력, 경제수준에 대한 인식을 통제변인으로 투

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거부적 양육태도의 관계와 스트레스 적극대처 수준

의 조절효과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대처 수준을 조절변인으로 투입하여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

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다음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조

절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7.685, p<.001), 47%의 설명력을 갖는 것

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t=3.261, p<.01),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대처 수

준이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 -3.006,

p<.01). 또 스트레스 적극대처 수준의 조절효과 역시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t=

-2.795, p<.01), 상호작용항이 투입됨에 따라 거부적 양육태도에 대한 설명력 역시 4.5%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7.813, p<.01). 이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스트레스 적극대처 수

준이 그들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조절효과가 있

음을 의미한다. 또한 표 6에 제시한 바와 같이 적극대처 수준의 조건부효과가 유의한 구간을

살펴본 결과, 적극대처 수준이 평균이하(-1SD, Mean)인 구간에서의 조건부효과가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으며, Johnson-Neyman 검정을 통해 조건부효과의 유의영역을 살펴본 결과, 적

극대처 수준이 33.90이하일 경우의 조건부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

문화가정 아버지가 스트레스를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수준이 33.9까지 증가됨에 따라 그들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완화됨을 의미한다.

Page 11: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 81

<표 5>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

수준(적극대처)의 조절효과

구분 B SE tBC 95% CI

Lower Upper

(constant) 46.662 8.539 5.465***

양육스트레스 .337 .103 3.261**

.133 .541

스트레스 대처수준(적극대처) -.519 .172 -3.006** -.860 -.178

양육스트레스 × 스트레스 대처수준(적극대처)

△R2=.045, F=7.813**-.033 .012 -2.795** -.056 -.010

유아의 성별(남=1) .957 1.259 .760 -1.529 3.443

유아의 월령 -.005 .053 -.095 -.111 .100

아버지의 연령 -.032 .143 -.221 -.316 .252

아버지의 학력 1.014 .918 1.105 -.799 2.827

아버지의 경제수준 인식 -1.986 .825 -2.406* -3.615 -.356

R2=.467, F=17.685***

* p< .05, ** p< .01, *** p< .001

<표 6>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

수준(적극대처)의 조건부효과

유의 구간 Effect SE tBC 95% CI

Lower Upper

-1SD .533 .092 4.481*** .298 .768

Mean .337 .101 3.261*

.133 .541

+1SD .141 .150 1.081 -.117 .399* p< .05, *** p< .001

2)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거부적 양육태도의 관계와 스트레스 소극대처 수준

의 조절효과

다음으로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소극대처 수준을 조절변수로 투입한 결과를 살펴보면, 표 7과 같이 조절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9.978, p<.001), 52%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

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스트레스 소극대처 수준이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t=4.447, p<.001), 스트레스 소극대처 수준의 조절효과 역

Page 12: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8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시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2.427, p<.05). 또 스트레스 소극대처 수준과 양육스트

레스의 상호작용항이 투입됨에 따라 거부적 양육태도에 대한 설명력의 변화량은 12.3%만큼

증가하였으며, 그러한 결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5.890, p<.05). 이는 스트레스 소

극대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가시키는 조절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표 8에 제시한 바와 같이 스트레스 소

극대처 수준의 조건부효과가 유의한 구간을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 소극대처 수준이 평균이상

(Mean, +1SD)인 구간에서의 조건부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Johnson-Neyman 검정

을 통해 조건부효과의 유의영역을 살펴본 결과, 소극대처 수준이 28.7이상일 경우의 조건부효

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버지가 스트레스에 대해 소극적

으로 대처하는 수준이 28.7보다 높을수록 그들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를 증가시

키는 경향이 더욱 커짐을 의미한다.

구분 B SE tBC 95% CI

Lower Upper

(constant) 46.567 8.257 5.639***

양육스트레스 .396 .057 6.957*** .284 .509

스트레스 대처수준(소극대처) .631 .142 4.447*** .351 .912

양육스트레스 × 스트레스 대처수준(소극대처)△R2=.123, F=5.890*

.055 .023 2.427*

.010 .099

유아의 성별(남=1) 1.667 1.241 1.343 -.784 4.120

유아의 월령 .019 .047 .396 -.074 .111

아버지의 연령 -.073 .142 -.515 -.354 .208

아버지의 학력 1.218 .947 1.287 -.651 3.087

아버지의 경제수준 인식 -1.828 .802 -2.280*

-3.411 -.244

R2=.521, F=19.978**** p< .05, *** p< .001

<표 7>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

처수준(소극대처)의 조절효과

<표 8>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

수준(소극대처)의 조건부효과

유의 구간 Effect SE tBC 95% CI

Lower Upper

-1SD .145 .134 1.083 -.119 .409

Mean .396 .057 6.957*** .284 .509

+1SD .648 .100 6.456*** .450 .846*** p< .001

Page 13: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 83

구분 B SE tBC 95% CI

Lower Upper

(constant) 46.005 8.377 5.492***

양육스트레스 .400 .068 5.834***

.264 .535

사회적 지원 -.210 .063 -3.331** -.334 -.085

양육스트레스 × 사회적 지원△R2=.069, F=4.567*

-.018 .009 -2.137* -.035 -.001

유아의 성별(남=1) 1.161 1.278 .908 -1.363 3.684

유아의 월령 .002 .052 .035 -.101 .105

아버지의 연령 -.055 .144 -.381 -.340 .230

아버지의 학력 1.093 .942 1.160 -.768 2.953

아버지의 경제수준 인식 -1.378 .787 -1.751* -2.93 .177

R2=.471, F=14.988***

* p< .05, ** p< .01, *** p< .001

2.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거부적 양육태도의 관계와 사회적 지원의 조절

효과

다음으로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

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표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조절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4.988, p<.001), 47%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원이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t= -3.331,

p<.01),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역시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t= -2.137, p<.05),

상호작용항이 투입됨에 따라 거부적 양육태도에 대한 설명력 역시 6.9%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4.567, p<.05). 이는 사회적 지원이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조절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표 10에 제시한

바와 같이 적극대처 수준의 조건부효과가 유의한 구간을 살펴본 결과, 적극대처 수준이 평균

이하(-1SD, Mean)인 구간에서의 조건부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Johnson-Neyman

검정을 통해 조건부효과의 유의영역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원이 49.9이하일 경우의 조건부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지원이 49.9까지 증가됨에 따라 다문

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완화됨을 의미한다.

<표 9>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Page 14: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8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표 10>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의 조건부효과

유의 구간 Effect SE tBC 95% CI

Lower Upper

-1SD .590 .104 5.699*** .386 .795

Mean .399 .068 5.838***

.264 .535

+1SD .209 .121 1.732 -.029 .447*** p< .001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

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가 어떠한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대처 수준은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는 거부적 양육태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에 대한 적극대처 수준은 거부적 양육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대처 수준은 그들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양육스트레스를 비롯한 양육행동과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주장한 선행

연구자(류다형, 이순형, 2016; Webester-Stratton, 1990)의 관점과 맥을 같이하며,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스트레스에 의한 영향력을 중재하고(김선희 외, 2014; 김지현, 한준아, 조윤주,

2015; Costa, Somerfield & McCrae, 1996), 특히 스트레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경우 스트

레스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한다고 보고한 선행연구자들(이민정, 최진

아, 2013)의 주장과도 유사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버지(김선희 외, 2014)와 어머니(류다형,

이순형, 2016)를 비롯한 일반가정의 아버지(김지현 외, 2015)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를 통

해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적극적, 긍정적 대처가 부모 자신의 심리적 복지를 높이고, 자녀에게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 선행연구자들의 관점을 지지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영향력을 완화

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장애요소를 극복하고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

Page 15: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 85

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개인적인 노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스트레스에 대한 소극대처 수준 역시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스트레스

소극대처 수준은 거부적 양육태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

트레스 소극대처 수준의 조절효과 역시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스트레스 소극대처 수준

이 높아짐에 따라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가시키는 조절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와 그들의 심리적 안녕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소극대처가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못

한 것으로 보고한 김선희와 동료 연구자들(2014)의 연구결과와는 상이하나, 스트레스에 대한

소극대처가 심리적 적응에 대한 부정적 영향력을 극대화시킨다는 선행연구(이민정, 최진아,

2013)의 결과와는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어머니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그들의 정서 및

행동변화를 유발한다는 주장을 근거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대한 소극대처가 우

수한 양육환경을 제공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자녀의 사회적 발달을 제한할 수 있음을 시사한

류다형과 이순형(2016)의 연구와도 맥을 같이한다. 이러한 결과를 적극대처에 대한 조절효과

의 결과와 상호 관련지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의 결과는 동일한 수준의 양육스트레스

를 경험하더라도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에 따라서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

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선행연구(서수균, 김윤희, 2013)의 결과를 뒷받침하며, 다문화가정 아

버지 스스로 양육스트레스에 내재한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화하고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형성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스트레스의 근원과 직면하여 이를 변화시키려 노력하고 사회적 지지

를 촉구하는 등의 적극적인 대처양식을 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

버지로 하여금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과 그 수준이 자신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자녀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인식을 높여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적극대처와 소극대처가 일정수준 내에서 높아짐에 따라 양육

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를 조절하는 조건부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과 각 수준에 따른 영향력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해볼 필요성

을 제기한다. 즉, 각 조절변인의 영향력이 유의영역에 한정된 원인을 면밀히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상이한 대처양식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동시에 사용하며, 상황적 맥락을 고려하여 다중적인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자들(Lazarus & Folkman, 2001; Pines &

Aronson, 1988; Thoits, 1995)의 주장을 고려하여, 다문화가정의 일상적인 양육환경에서 아버

지의 스트레스 대처수준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그러한 측면이 실제적으로 양육스트레

Page 16: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8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스와 거부적 양육태도를 어느 정도 조절하는지 질적으로 분석해볼 필요도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셋째, 사회적 지원의 경우에도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

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원은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태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원의 조절

효과 역시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원이 증가할수록 다문화가정 아

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가 있음을 의

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지원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부정적인 양육행동을 비롯한

부정적 심리를 감소시키며(김종한, 2012; 이재림, 옥선화, 2001; 임현주, 이대균, 2013), 긍정적

인 양육태도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연은모 외 2016; Feeley, Gottlieb & Zelkowitz, 2005;

Haslam, Pakenham & Smith, 2006)는 주장과도 일치한다. 즉,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

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버지가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형성하도

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관계망 내에서 자녀양육과 관련된 실제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

는 지원체계를 구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원이 평균을 상회

하는 수준까지 증가할수록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사회적 지원이 높은 경우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유의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

과 역시 후속연구를 통하여 그 원인을 규명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양육자에 대

한 양육태도가 개인적 요인과 더불어 배우자의 역할을 비롯한 사회맥락적인 요인에 의해 형

성될 수 있음(김지현 외, 2015)을 고려하여,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에 포함되지 않는 어머니

의 양육특성과의 상호효과를 검증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하면,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은 양육스트레스와 거부

적 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조절하며, 스트레스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수록, 사회적 지원이

많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고, 스트레스에 대해 소극

적으로 대처할수록 양육스트레스가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

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인 책임과 함께 어머니의 양육역할의 한계로 인해 일반가정

아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 다문화가정 아버지를

위해, 체계적인 부모교육을 통해 스트레스 대처 효과에 대한 인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겠으며,

그들 스스로 양육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대처능력을 높여나가도록 지원해야 할 것

이다. 또 나아가 그들의 양육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규명하여 자녀양육을 돕

는 실제적인 지원체계를 구성함으로써 사회적 지원을 안정적으로 지속해 나가야 할 것으로

Page 17: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 87

판단된다.

다음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를

통해 조명되지 못했던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고, 양육스트레

스의 부정적 영향력을 완화할 수 있는 접근방안으로써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가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 분석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한된 지역의 다문화가정 아버지만을 대상으로 실행된 연구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

는데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연구결과, 조절변인의 영향력이 특정 유의영역에 한정된 원

인을 면밀히 분석해볼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확장하고, 일반

가정과 상이한 다문화가정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에 영향

을 미칠 수 있는 어머니의 배경 요인과 문화적 특성 및 실제적인 양육역할 등을 반영한 심층

연구를 실행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자

녀양육 관련 변인을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 등 심리적 변인에 한정하여 조절효과

를 분석하였으나 자녀양육에 관한 심리적 특성이 실제적인 양육역할과 자녀의 발달의 다양

한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해볼 때,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포함한 후

속연구를 통하여 유아의 발달과 아버지의 양육역할 간의 관련성을 분석해볼 필요가 있겠다.

Page 18: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8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참고문헌

강희경(1998). 3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사무직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어머니 역할관과 지원체계

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낙흥, 장소정(2012).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양육참여, 양육효능

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4), 121-138.

김미숙, 문혁준(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8), 25-35.

김상림, 안효진, 이시자(2011). 유아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

국보육학회지, 11(2), 147-171.

김선희, 김은하, 김태훈(2014). 다문화가정 한국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와 화병: 스트레스 대처양

식, 분노 반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40(3), 99-121.

김영옥, 임진숙, 정상녀(2008).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양육태도 비교. 열린유아교

육연구, 13(3), 143-164.

김종한(2012). 사회적지원, 부부갈등, 자기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행동간 경

로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9), 3924-3933.

김지현, 한준아, 조윤주(2015). 아버지의 부모로서의 유능감, 역할만족도,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유

아의 정서조절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4(4), 463-476.

나은숙, 김경희(2015).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유아 인성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 공동체 의식

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15-131.

나은숙, 이종인(2008). 부모의 자녀수용-거부와 통제척도에 관한 한국 타당화 검사: 유아부모용.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3), 109-135.

류다형, 이순형(201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의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일반가정과 비교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1(2), 107-131.

박점자(2015).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이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어

머니의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6), 247-258.

박형신, 김정주, 안정숙(2012). 다문화가정 유아의 개인적, 사회·문화적 환경 변인에 따른 국악능력

의 특성 분석. 유아교육연구, 32(2), 5-28.

서수균, 김윤희(2013). 분노대처행동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충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2), 367-381.

서정아, 엄정애(2016).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

니 우울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0(2), 419-447.

Page 19: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 89

신숙재, 정문자(1998).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9(1), 27-42.

양진희(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가족 상호작용, 온정적 양육방식, 우울 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4), 409-433.

연은모, 윤해옥, 최효식(201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원이 양육태도에 미

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특성의 종단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98, 1-28.

연은모, 최효식(2014). 유아의 기질,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참여 간

의 구조적 관계: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유아의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4(6), 229-253.

이경화, 임희정(2012). 다문화가족의 한국인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에 관한 이야기. 열린유아

교육연구, 17(5), 69-98.

이민정, 최진아(2013).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6), 3739-3751.

이선미, 이경아(2010).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3), 71-105.

이선애, 최현정(2016).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연구. 열린유아교육연

구, 21(2), 133-155.

이신동, 성영화(2015). 다문화 가정 유아발달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93, 147-169.

이영미(2009).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에 따른 남녀 유아의 자기조절.

가족과 문화, 21(4), 41-61.

이영아, 정원철(2010). 청소년의 학업 및 가족갈등 스트레스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스트레

스대처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2(4), 257-277.

이재림, 옥선화(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

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5), 49-63.

이현경, 조희숙(2015).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자녀양육하기.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345-381.

임지향, 이흥표(2010).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및 우울의

조절효과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2), 49-70.

임현주, 이대균(2013). 부부특성 및 사회적 지원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후속출산에 미치는 효

과: 모의 취업과 후속출산계획 여부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유아교육연구, 33(2), 121-144.

정창용, 조미영(2015).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에 대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담론분석. 유아

교육·보육복지연구, 19(3), 293-323.

정해영, 정옥분(2011).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

Page 20: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9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8(2), 277-297.

조윤경, 민웅기(2012). 아버지들의 육아휴직 실현과정을 통해 본 가족복지정책 이념의 재구조화.

생태유아교육연구, 11(3), 29-56.

조은정, 박형신(2015).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유아의 성별에 따른 또래유능성과 일상

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1), 27-48.

조채윤, 권연희(2014).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서지

능 및 언어능력의 역할. 한국보육학회지, 14(1), 51-72.

최효식, 윤해옥, 연은모(2016). 아버지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 관련성 종단연구. 육아지원연구,

11(2), 59-84.

한현이(2011). 미취학 자녀를 둔 일반가정 아버지와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비교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행정자치부(2015). 2015년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http://www.moi.go.kr/에서 2016년 6

월 2일 인출.

황인성(1998).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Abidin, R. R.(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1-412.

Abidin, R. R.(199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e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4), 298-301.

Chang, L., Schwartz, D., Dodge, K., & McBride-Chang, C.(2003). Harsh parenting in relation to

child emotion regulation and aggressio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7(4), 598-606.

Costa, P. T., Somerfield, M. R., & McCrae, R. R.(1996). Personality and coping: A

reconceptualization. In M. Zeidner, & N. M. Endler(Eds.), Handbook of coping(pp. 44-61).

NY: Wiley.

Crnic, K. A., & Greenberg. M. T.(1990). Minor parenting stres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 1628-1637.

Feeley, N., Gottlieb, L., & Zelkowitz, P.(2005). Infant, mother, and contextual predictors of

mother-very low birth weight infant interaction at 9 months of age.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26(1), 24-33.

Haslam, D. M., Pakenham, K. I., & Smith, A.(2006). Social support and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atology: 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7(3), 276-291.

Hayes, A. F.(2013). An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Page 21: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 91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Y: Guilford Press.

Lazarus, R. S., & Folkman, S.(2001). 스트레스와 평가 그리고 대처. (김정희 역). 서울: 대광문화

사. (원저 1984 출판).

Pines, A., & Aronson, E..(1988). Career burnout: Causes and cures. NY: Free Press.

Rohner, R. P., & Khaleque, A.(2005). Parental control scale: Test manual. In R. P. Rohner, & A.

Khaleque(Eds.), Handbook for the study of parental and acceptance rejection(pp.

107-135). Storrs, CT: Rohner Research Publications.

Thoits, P. A.(1995).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processes: Where are we? what nex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5, 53-79.

Webster-Stratton, C.(1990). Stress: A potential disruptor of parent perceptions and family

interaction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4), 302-312.

Page 22: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 · 2017-01-02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태도와의

9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Abstract

Moderating effects of stress-coping levels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of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rejective parenting

Eun Sook Lee · Hyoung Shin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moderating effects stress‐coping levels and

social support had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of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rejective parent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169 fa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29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that agreed on research participa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these research subjects, and data were collected.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located in

K province, which was reported as having the highest population rate of children aged six years or

below of marriage immigrants and naturalized citizens as on January 1, 2015 (Ministry of the

Interior).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with the increase in the active coping

level toward stress and social support to a certain degree, the influential power of parenting stress

of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on rejective parenting attitudes decreased. Further, as the passive

coping level toward stress increased, the tendency of the parenting stress of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effect a rise in rejective parenting increased. Th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at it was necessary to reinforce social support to help them change their rejective

parenting into positive parenting as well as individual endeavors of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effectively manage stress over child re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