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수학교수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를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 교수에 대한 전문성 향상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고찰 단계 요구도 분석 단계 모형 구성단계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고찰 단계에서는 유아수학 누리과정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관련문헌을 고찰하여 분석 하였다 두 번째 요구도 분석단계에서는 현직 영유아교사의 수학교육 연수에 대한 현황 및 요 구도를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성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추출된 요소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모형 초안을 구성한 후 유아수학교육 전문가 집단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본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누리과정의 수학개념 에 대한 내용요소를 이해하고 적용하며 이에 따른 수학활동을 계획하고 실시하는 것 더불어 수학교수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이다 교육내용은 누리과정 수학적 탐구하기의 가지 수학개념이며 이를 수학적 탐구하기 및 수학개념 파악하기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활동 살펴 보기 수학활동 적용 및 사례나누기의 단계의 교수 학습방법으로 개발하였다 주제어 누리과정 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이 논문은 년도 춘해보건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춘해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 교신저자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 정 주** 요 약 본 연구는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생태유아교육연구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udcation & Care

2016. 제15권 제1호 , 1 - 22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 정 주**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수학교수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를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 교수에 대한 전문성 향상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고찰 단계, 요구도 분석 단계, 모형 구성단계의 3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고찰 단계에서는 유아수학, 누리과정,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관련문헌을 고찰하여 분석

하였다. 두 번째, 요구도 분석단계에서는 현직 영유아교사의 수학교육 연수에 대한 현황 및 요

구도를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성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추출된 요소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모형 초안을 구성한 후, 유아수학교육 전문가 집단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본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누리과정의 수학개념

에 대한 내용요소를 이해하고, 적용하며, 이에 따른 수학활동을 계획하고 실시하는 것, 더불어

수학교수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이다. 교육내용은 누리과정 수학적 탐구하기의 5가지

수학개념이며, 이를 수학적 탐구하기 및 수학개념 파악하기,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활동 살펴

보기, 수학활동 적용 및 사례나누기의 3단계의 교수-학습방법으로 개발하였다.

주제어 누리과정(Nuri curriculum)

수학(mathematics)

교사교육 프로그램(teacher education program)

※ 논문접수 : 2016. 01. 29 / 수정본 접수 : 2016. 03. 01 / 게재승인 : 2016. 03. 15* 이 논문은 2015년도 춘해보건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 춘해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Ⅰ. 서 론

수학능력은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사회 속에서 인간이 살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사람들은 물건을 살 때, 예술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때, 한달동안 내가 사용

하는 생활비와 저축을 해야 하는 금액을 정할 때, 약속시간을 지키기 위해 몇 시간 전에 나가

야 하는지 결정할 때와 같이 매우 다양한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능력을 활용한

다. 이러한 능력을 수학적 소양이라고 하며 NCTM(2000)에서도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를 개발하고, 주변세계를 탐색하며, 수학적 언어를 사용해 의사소통하며, 논리적으로 추론하

고 문제해결을 하는 수학적 사고능력인 수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교육을 하도

록 권고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이처럼 유아수학교육은 유아가 수학적 소양을 갖추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유

아들이 향후 수학과 관련되거나 수학을 사용하는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라도 인생을 살아가

면서 갖추어야 할 수학적 소양을 갖게 하기 위하여 유아수학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권영례,

이영자, 이정욱, 1998). 영유아의 수학능력은 가정에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하며,

또한 교육이 시작되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 및 다른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

한다. 특히, 최근 들어 맞벌이 가정의 증가와 영유아 교육 및 보육에 대한 국가의 지원을 통

해 영유아들이 가정보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영유아교육기

관에서 수학 경험이 보다 중요해졌다.

따라서 영유아의 수학적 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교사임을 알 수 있다. NCTM(2000)

의 수학교육 표준에 따르면, 교사는 유아들의 사고를 자극하고 일상생활에서 문제를 해결하

는 구체적 경험을 추상적인 수학적 사고로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영유아

의 수학적 발달을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적인 교수기능이 필요하다(정정희, 2001, 재인용). 그

러면 교사들은 어떠한 방법으로 수학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 교사들은 영유

아교육기관에서 놀이나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수학적 상황을 포착하여 교수적 순간으로 활

용하는 의도적 지도를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영유아들의 놀이나 실제상황에서

일어나는 수학적 상황은 발생을 예측하거나 기대하여 교수하기가 어렵다(홍혜경, 2011). 또한

영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하는 통합적 접근에 의한 수학활동도 수학적 대화와 탐색을 제공하

지 못한다면 수학적 지식이나 개념이 획득되기 어렵다(Bredekamp, 2004, 재인용). 따라서 교

사들이 의도적인 수학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수학교육시 교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유아들을 위한 수학교육을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 3

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고, 유아교사의 수학교육 내용지식은 부족하거나 편중되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김경희, 나귀옥, 남현우, 2005; 이정희, 2003; 이지현, 2003). 이영자와 이정욱

(1997)의 연구에 따르면, 유치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학교육 내용은 수와 연산이 전체의

65%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패턴, 확률, 분수, 수조작 등의 수학활동 계획과 실행을 어려워하

고 있다(한종화, 2013; 안진경, 김영실, 2005; 이혜경, 2012), 더불어 실제 수학수업 계획에서

수학교육의 내용을 교육의 목표로 삼거나 의도적인 수학활동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이정욱, 이소정, 2010; 이혜경, 2012). 따라서 유아수학교육과정은 수학에 초점을 둔 학습

활동을 실시하며, 학습활동과정에서 수학적 사고를 요구하는 활동의 개발이 필요하다(홍혜

경, 2010a).

한편, 이러한 유아수학교육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따라 계획되고 실행된다. 국가에서는

일원화된 교육 및 보육지원을 위하여 2011년부터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2011년까지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및 보육과정을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분리하여 실시되어

왔으나, 정부는 유아교육 및 보육의 질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교육과정과 보육과정

을 통합한 공통교육과정인 5세 누리과정을 2011년 고시하였다. 2011년 고시한 5세 누리과정

은 2012년에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5세를 대상으로 1년간 적용한 후, 2013년에 3-5세 누리

과정으로 확대되어 실시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누리과정은 이전의 교육과정과 다르게 추상성이 줄어든 측면이 있으나 여전히 교육

과정을 효율적이며 정확하게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실행의 주체자인 교사들이

문서상의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해석해서 실천에 옮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이윤

옥, 2013). 특히, 5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는 ‘유치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강조하면서 각

유치원의 실정이나 교육여건에 맞는 유치원 교육과정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즉, 유치원 교육

과정은 국가수준의 내용과 일반적인 지침을 따르되, 유아의 발달과 흥미, 유아의 생활경험과

지역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으로 교사의 전문적 지식과 교육과정 운영능력이 반영되어야 한

다(김정주, 2013; 이현숙, 2003). 결국 교육과정은 각각의 기관마다 동일한 국가수준 교육과정

을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새롭게 개편되어 고시되고 난 후, 유아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정확하게 활용하게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정부에서는 이를 위해 현

직교사를 대상으로 대대적인 연수를 실시하였다. 2013년에 실시한 3-5세 누리과정 연수는 누

리과정을 담당하는 3,4,5세반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집합연수와 원격연수를 병행하는 2가지

형태로 실시하였다. 교육과정 연수내용은 3-5세 누리과정의 이해 및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용방안,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실내·외 환경구성,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의 실제, 혼합연령

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학급에서 누리과정 운영 등이었다(울산시 교육청, 2013). 교육과정 연수는 모든 영역에 고르

게 연수를 실시한다는 측면에서 기존 교육과정과 개편된 교육과정의 차이를 알고, 향후 실시

할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돕는다. 그러나 교육과정 연수는 대부분 짧은 기간동안

5개영역에 동일한 시간을 배분하여 교육하므로 획일적이며 유아교사의 필요와 요구에 적합

한 질높은 연수가 되지 않는 측면이 있다(김정주, 2013; 강은구, 2000; Baird & Rowsey,

1989).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측면에서 교육과정 연수 요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그 중

김정주(2013)의 연구에 의하면, 현직 유아교사들이 누리과정 내용요소 중 ‘자연탐구’영역의

‘수학적 탐구하기’에 대하여 교육과정 연수를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유아교사의

특성과도 연결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유아교육과를 진학한 학생들은 대부분 여성이며, 수

학비중이 낮은 인문계열 출신이 다수이어서(김선, 장정애, 김미래, 2013) 수학에 대해서 부정

적이며 소극적인 태도나 경험을 가진 비율이 높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영유아교사의 수학

에 대한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태도는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학경험에 영향을 미치며(안진

경, 김영실, 2005; 정정희, 2001; 한종화, 박찬옥, 2004), 교사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는 교수실

제와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Trice & Ogden, 1987). 따라서 홍혜경(2010a)은 영유아를 위한

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교사교육 강화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교사교육 프로

그램 모형개발을 통해 현직교사 요구를 반영하며, 수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최적화하

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내용은 아래의 연구문제 1과 연구

문제 2와 같다.

연구문제 1.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Ⅱ.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고찰

단계, 요구도 분석단계, 프로그램 모형 구성단계의 3단계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그림 1과 같다.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 5

단계 연구내용 연구방법

문헌

고찰

누리과정 자연탐구영역의 수학내용 문헌분석 문헌고찰 및 분석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문헌분석 문헌고찰 및 분석

영유아교사 대상 교사교육 프로그램 문헌 분석 문헌고찰 및 분석

요구도

분석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요구 파악 설문조사

모형

구성

1차 전문가 협의

-헌고찰 및 요구도 분석시 도출된 프로그램을 기초로 본 프로

그램 초안 구성

1차 포커스

그룹인터뷰

2차 전문가 협의

- 문헌고찰 및 요구도 분석시 도출된 프로그램 적용 내용 및

방법

2차 포커스

그룹인터뷰

최 종 누리과정에 기초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그림 1] 프로그램 개발 과정

1. 문헌고찰

본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문헌고찰 단계는 본 프로그램 개발시 필요한 내용을 문헌분석하

였다. 본 프로그램은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문헌분석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문헌분석의

3가지 방향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첫 번째 방향의 문헌분석은 누리과정에 나타난 자연탐구영

역의 수학내용에 대한 분석과 일반적인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문헌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첫

번째 문헌분석은 본 연구가 누리과정 자연탐구의 수학영역에 기초를 두고 있으므로, 3-5세

누리과정의 해설서를 분석하여 필수적인 수학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수학적 탐구하기’에 속

한 5가지 수학개념 및 수학적 태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개정된 3-4세 누리과정 해

설서를 활용하여 자료분석하였다.

두 번째 문헌분석은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문헌분석으로 누리과정에서 제시한 ‘수학적 탐구

하기’ 내용 외에도 필수적으로 영유아가 알아야 할 수학개념, 수학적 과정기술 등에 대한 분

석을 실시하였다. 본 단계에서는 2000년 이후에 발표된 박사논문 및 학술논문을 통해 프로그

램 개발시 필요한 유아수학교육에 필요한 수학개념, 교수-학습방법, 수학활동 적용방법 등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및 전공서적을 활용하여 자료수집을 실시하였으며, 문헌분석의 결과는 표 1과 같다.

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표 1> 유아수학교육 관련 문헌분석 내용

구분 연구자 연구내용 연구 적용내용

수학 개념교육과학기술부(201

1),

홍혜경(2010b)

§ 수와 연산§ 공간과 도형§ 측정§ 규칙성 § 자료수집 및 결과

본 프로그램의 교사교육내용으로

반영함

영유아발달단계별 수학개념

홍혜경(2010b)§ 만3세 유아의 수학 발달단계§ 만4세 유아의 수학 발달단계§ 만5세 유아의 수학 발달단계

본 프로그램 교사교육 평가내용으로 반영함

수학적 과정기술

NCTM(2000)

§ 문제해결하기, 추론하기, 증명하기, 의사소통하기, 표상하기, 연계하기

본 프로그램의 수학교육 내용 중

교수-학습방법으로 본 내용을 반영함

수학적 태도

김정은(2014)§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태도 형성 본 프로그램의 목적과 교육내용으로 반영함

세번째 문헌분석은 교사교육에 대한 문헌분석으로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근거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유아 수학교육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를 중심

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두 번째 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

용하여 자료수집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문헌분석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유아교사교육 관련 문헌분석 내용

연구자 연구내용 연구 적용내용

이은영(2013)

§ 교사교육 프로그램 교수-학습과정

에서 교사교육 주제와 관련된 수

학활동의 수학적 요소 찾아보기

과정을 강조함

§ 본 프로그램의 수학교육

내용 중 교수-학습방법으

로 본 내용을 반영함

김정은(2014), 김선(2013),

김경본, 박영란, 고연경(2009),

이성아(2006), 조부월(2010)

§ 교사들의 수학교육내용지식 및 수

학교육태도, 수학교수효능감 형성

을 강조함

§ 본 프로그램의 목적과 교

육내용으로 반영함

Carboni(2003), Osmanoğlu, Koc

& Işiksal(2013), Stirling(2001)

§ 수학교사교육에서 교사들 간의 대

화, 토의활동과 협력을 강조함

§ 강의자와 강의참여자간의

토의활동과정을 본 프로

그램의 교수-학습방법으

로 반영함

한종화(2006)

§ 강의, 수업사례분석, 워크샵, 토론

등 다양한 교수전략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함

§ 본 프로그램 교사교육교

수전략으로 반영함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 7

위에서 제시한 3가지의 문헌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2. 요구도 분석

본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요구도 분석 단계는 현직 유치원교사 및 어린이집교사를 대상으

로 수학교육 현직연수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본 설문조사는 유치원 교사 및 어

린이집 교사들의 수학교육 현직연수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응답자의 일반적인 배경,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누리과정에 기초한 교사연수 실

태 및 요구, 누리과정에 기초한 수학활동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요구도의 4가지 항목, 38문항

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부산시, 울산시 및 경상남도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

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들 500명에게 우편 및 인편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 및 수거하였

다.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배경은 만 25세이상 29세 미만인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3.4%), 기관유형은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54.2%)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45.8%)보

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위는 일반 교사( 89.2%)가 가장 많았으며, 2-3년제 대학을

졸업한 교사(52.8%)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더불어 교육경력이 만 5년 이하의 교사(58.7%)

로 가장 많았으며, 담당학급의 영유아 연령은 고른 분포를 나타냈다. 수거된 설문지는 318부

이며 이중 부분적인 무응답이 있는 설문지 32부를 제외한 286부를 통계처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본 프로그램 개발시 현직교사의 요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현직교사들은 수학교육 연수시 수학교육에 대한 실

제적 경험을 많이 가진 경력이 많은 현직교사와 유아수학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가 강의

를 실시하는 것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현직교사들은 연수시 가장 적절한 교수법으로 워크샵, 사례나누기와 같이 실제적으

로 교사들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교수법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수학

교육 내용은 강의식 수업에 대한 선호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현직교사들은 수학교육 연수시 5-6회 정도의 연수 횟수가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였

으며, 연수시간은 3시간이 가장 높은 수요가 나타났다. 또한 연수는 주중 저녁에 실시하는 것

에 가장 높은 수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적용점을 정리하면 본 프로그램은 누리과

정 수학내용을 중심으로 연수내용을 구성하며, 1회기에 3시간씩 총 6회 18시간의 연수시간으

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로 연수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수는 주중에 실시하며, 유아수학교육에 대해

강의경험이 있는 교수나 실제적 경험이 있는 경력이 많은 현장교사가 강의를 하는 것이 필요

하다. 또한 회기별 연수는 누리과정 수학적 탐구하기의 5가지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수학활동

계획안 및 실제를 기초로 하여 구성하며, 교수-학습방법으로는 워크샵, 사례나누기, 강의 3가

지의 형태로 실시하고자 한다.

3. 프로그램 구성

본 프로그램 구성단계는 문헌고찰 및 요구도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초안을 구성한 후 3차

의 전문가 협의 및 검토를 거쳐 최종적으로 본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1) 프로그램 초안 구성

문헌고찰 및 요구도 조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누리과정에 기초한 수학교육 교사

교육 프로그램 초안을 표 3과 같이 구성하였다.

<표 3>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초안

목적 및

목표

[지식]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의 5가지 내용요소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기능]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교육계획에 따른 수학활동을 실시할 수 있다.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교육계획에 적합한 교구를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다.

[태도]

수학에 대해 긍정적인 경험을 갖는다.

수학교수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다.

교육내용

누리과정 5가지 내용요소

유아의 수학 개념 발달 단계

수학적 과정기술 알기

누리과정 지도서 수학활동 알기

교수-학습

방법

강의하기

토론하기

역할극하기

시연활동 하기

VCR시청하기

평가 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 9

표 3과 같이, 본 프로그램은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4가지 요소로

구성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 내용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교육계획에 따른 수학활동을 실시하고, 이에 적합한 교

구를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것, 수학과 수학교수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갖는 것이다. 이

에 따른 교육내용은 누리과정 내용요소와 유아 수학개념 발달단계, 수학적과정기술, 누리과

정지도서의 수학활동을 파악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강의하기, 토론하기, 역할극하기, 시연활

동하기, VCR시청하기의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교사교육하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해서는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학교과교육학지식과 수학교수효능감을 측정

하고자 한다.

2) 전문가 협의 및 검토

본 프로그램에 대한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학교육 강의 경력이 있는 교수 3

명, 1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유치원교사 2명 총 5명의 유아수학교육 전문가와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학교육 전문가 집단은 본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

학습방법, 평가의 적절성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문헌고찰 및 요구도 분석 단계에서 추출

된 반영된 결과를 중심으로 추출된 요소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더불어, 추출된 요

소가 프로그램 초안에 잘 반영되었는지를 논의하였다.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들은 본 프로그램의 핵심내용인 누리과정 ‘수학적 탐구하기’의 5가지 내용에

적절한 교육계획을 실제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누리과정 지도서에 나타난 교육계획안 중

수와 연산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공간과 도형이 기초개념 알아보기, 기초적인 측정하기, 규칙

성 이해하기, 기초적인 자료수집과 결과 나타내기의 교육과정 관련요소가 적용된 교육계획안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적용하는 과정을 토론하고 검토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대부분

의 수학교육 연수에서 강사들은 누리과정의 수학영역에 대한 전반적 개요나 누리과정 해설

서의 내용만을 주된 강의 내용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교사들이 실제로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

학활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므로 구체적 수학활동계획을 통해 수학활동 실제에 대한 워크

샵 및 토론이 가능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는 사전에 실시한 요구도 조사에서도 살펴볼

수 있는데, 대부분의 교사들은 수학교육 연수시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연수가 필요함을 요구

하였다는 측면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

둘째, 전문가들은 수학활동이 사전 수학활동의 평가를 통해 계획하므로 수학활동 실제에

대한 교사교육과 함께 수학활동 평가에 대한 교사교육이 중요한 부분임을 강조했다. 따라서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학활동 평가에 대한 교사교육 주제를 추가하였다.

1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목적 및 목표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의 5가지 내용요소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교육계획에 따른 수학활동을 실시할 수 있다.수학교수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다.

교육내용

[지식]수와 연산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수와 연산의 개념알기- 수와 연산 개념의 유아발달단계별 내용 알기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공간과 도형의 개념알기- 공간과 도형 개념의 유아발달단계별 내용 알기

기초적인 측정하기- 기초적인 측정의 개념알기- 기초적인 측정 개념의 유아발달단계별 내용 알기

규칙성 이해하기- 규칙성 개념알기- 규칙성 개념의 유아발달단계별 내용 알기

셋째, 전문가들은 교사들의 ‘누리과정 수학적 탐구하기’의 실제적 활용에 대한 교육연수 내

용을 구체적으로 다루는 것에는 동의를 하였으나 기본적인 수학개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

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수학교육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개괄적인 강의가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1회기에 수학개념과 영

유아 수학교육 발달단계 등과 같이 유아 수학교육의 전체적인 개요에 대한 이론 강의를 배치

하였다.

넷째, 전문가들은 교수-학습과정이 너무 복잡할 시 짧은 연수시간동안 모든 과정을 달성하

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교사들이 각 단계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토의할 수 있는 시간을 제

시하기 위하여 3단계 교수과정으로 단순하게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제안하여 이를 반

영하였다.

다섯째, 교수-학습자료는 교사들이 실제적 교구 활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실제 활용

할 수 있는 실물자료를 준비하여 제시하는 것을 제안하여 이를 반영하였다.

Ⅲ.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 개발한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표 4와 같다.

<표 4>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 11

기초적인 자료 수집과 결과 나타내기- 기초적인 자료 수집과 결과의 개념알기- 기초적인 자료 수집과 결과 개념의 유아발달단계별 내용 알기

[기술]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교육활동계획 이해 및 활동 구상하기수학활동목표에 적절한 수학활동 교수-학습방법 활용 및 구상하기누리과정 지도서 수학교육활동계획에 적합한 교구 활용 및 고안하기[태도]수학에 대한 흥미 수학교육에 대한 자신감수학교수에 대한 전문성 증진 노력

교수-학습방법

[1단계] 수학적 탐구하기 및 수학개념 파악하기-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 내용 파악하기- 발달단계별 수학개념 이해하기

[2단계]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활동 살펴보기- 누리과정 지도서의 교육과정 관련요소 중 해당 수학개념별 수학활동 살펴보기(수업목표, 교수-학습방법, 교구 활용 및 구성)

[3단계] 수학활동 적용 및 사례나누기- 2단계에서 살펴본 수학활동 적용에 대한 토론하기- 2단계에서 살펴본 수학활동 확장을 위한 사례나누기

[교수전략]강의하기, 토의하기, 분석하기

[교수-학습 자료]누리과정 지도서 수학활동계획안 /해당 수학활동 교구 및 자료

평가 수학적교과교육학지식(PCK)수학교수효능감

1. 목적 및 목표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수학활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전문적인

교수 역량을 함양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의 5가지 내용요소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둘째,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교육계획에 따른 수학활동을 실시할 수 있다.

셋째, 수학교수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다.

2. 교육내용

본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누리과정 중심 수학교육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1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의 3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각 영역에 따른 교육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교수를 위한 지식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수와연산, 공간과 도형, 측정, 규칙성, 자

료수집 및 결과의 5가지 수학내용의 기초개념을 알아보고, 이를 적용하기 위하여 연령별 유

아발달단계에 따른 각 수학내용의 수학내용 범주를 이해하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둘째, 수학교수를 위한 기능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교육활동계획안

을 통해 수학교육활동계획안 구성이 어떠한 형식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할 수 있으며, 도

입, 전개, 마무리의 수업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존의 활동 활용하거나 이를

새롭게 구상해 보는 기능을 갖추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또한 수학활동목표가 5가지 수학개

념에 따라 다르게 제시되므로 목표를 기술하는 방법 및 해당목표에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을

기술하는 방법 등에 대해 이해하고 차이를 구분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살펴본 수학활동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적절한 수학교구가 어떤 것이 있는지, 제작시

어떠한 교구를 제작하여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지에 대한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수학활동은 유아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나 교사의 수학에 대한 두려움, 부정적인 태도

가 있을시 원활하게 수학활동이 진행되기 어렵기 때문에 교사교육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수

학 및 수학교수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을 할 수 있는 즐거운 분위기를 조성한다.

3. 교수-학습방법

1) 교수-학습과정

본 프로그램의 교수-학습과정은 1단계, 2단계,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각 단계에서 이루어

지는 활동에 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1단계: 수학적 탐구하기 및 수학개념 파악하기

①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 내용 파악하기

1단계의 첫 번째 과정에서는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에 제시된 수학내용을 파악하고

이해하게 된다. 이 단계를 통해 유아교사는 수학개념을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분석

해 볼 수 있는 경험을 갖게 된다.

② 발달단계별 수학개념 이해하기

1단계의 두 번째 과정에서는 앞서 ‘누리과정 수학적 탐구하기’에서 살펴본 수개념, 공간과

도형, 측정, 규칙성, 통계의 5가지 개념을 유아발달 단계에 따른 수준을 이해하게 된다. 즉, 5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 13

가지 수학개념은 유아의 개월이나 연령에 따라 발달수준이 다르므로, 학급연령에 따라 5가지

수학개념을 다른 수준으로 제시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형의 개념을 살펴보면, 만3세 전후의

유아는 도형의 각을 구분할 수 있으며, 원과 타원을 구분하고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의 차이를

알게 된다. 하지만 삼각형의 선이 증가하여 사각형이 되거나 원이 둘로 나뉘면 반원이 됨을

인식하지 못한다. 이러한 유아가 6,7세 경이 되면 수학적 상징기호와 같은 복잡한 형태도 구

별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도형을 활용하거나 분할하고 합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도형

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한유미, 2013). 따라서 본 단계에서는 교사는 동일한 수학개념임에도

발달단계별로 다양한 수학개념을 파악하여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학급의 유아들에게 적합한

발달단계별 수학내용을 알게 된다.

(2) 2단계: 누리과정 지도서의 관련 수학활동 살펴보기

2단계에서는 누리과정 지도서에 나타난 활동 중 교육과정 관련요소에 수학적 탐구하기의

내용요소를 가지고 있는 수학 활동을 살펴본다. 더불어, 수학활동계획안을 활동으로 실시할

때, 필요한 수업목표, 교수-학습방법, 적절한 교구 활용 및 적용방법을 실제로 살펴보는 것을

통해 수학활동시 유아교사의 구체적인 교수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수자료 등에 대해 구체적

인 방안을 모색해보는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3) 3단계: 수학활동 적용 및 사례나누기

3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살펴본 누리과정 지도서의 개별 수학활동을 구체적으로 실시하였

을 때 나타날 문제점, 의문점등에 대해 토의해본다. 이 과정을 통해 참여교사들은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해 의견을 나누

는 경험을 통해 수학활동을 수업으로 진행할 때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는 반

성적 사고를 할 수 있다.

2) 교수-학습자료

본 프로그램의 교수-학습자료는 누리과정의 자연탐구영역의 수학적 탐구하기에 대한 내용

을 파악하기 위한 누리과정 총론과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활동계획안 활동을 살펴보기 위

한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활동계획안이다. 더불어, 수학활동을 적용하고 활용하기 위한 수

업자료 및 교구도 교수-학습자료로 활용하였다.

3) 교수전략

본 프로그램의 교수전략은 강의하기, 토의하기, 분석하기의 3가지이다. 강의하기는 먼저 1

1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단계 교수-학습방법인 수학적 탐구하기 및 수학개념 파악하기에서 활용하는 교수전략이다.

강의자는 교사들에게 수학적 개념이해 및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에 대한 내용요소 이

해를 돕기 위해 설명 및 지식전달의 측면에서 활용하였다. 2단계 교수-학습방법인 누리과정

지도서의 관련 수학활동 살펴보기 단계에서는 수업 시연하기 및 분석하기의 교수전략을 활

용하였다. 강의자는 누리과정의 수학적 활동계획안 시연하기 및 분석하기를 위해 그룹토의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교사들은 이미 수학활동에 대해 사전경험이 있으므로 수학교수경험을 바

탕으로 본 교사교육의 수학활동을 분석하게 된다. 3단계인 수학활동 적용에 대한 사례나누기

단계에서 활용한 교수전략은 토의하기이다. 본 단계에 강의자는 수업시연에서 살펴본 활동을

그룹토의를 통해 확장된 교수-학습방법, 활동자료, 연계활동 등의 활동에 대한 반성적 사고

를 가능하게 하였다.

4. 평가

본 프로그램의 평가는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참여 현직교사의

수학적교과교육학지식(PCK)와 수학교수효능감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다. 첫 번째,

검사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교사의 수학적 지식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참고문헌 누락

홍희주(2012)가 개발한 수학교교과교육학지식(PCK) 검사도구를 활용하고자 한다. 본 검사도

구는 설문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성내용은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수학교과내용에 대한 지

식, 수학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학습자에 대한 지식, 전문성 개발에 대한 지식의 5가지

요소로 총 4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번째, 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Luo(2000)의 수학교수효능감 도구를 정정희(2001)가 번안하여 수정한 검사도구를 활

용하고자 한다. 수학교수 효능감 검사도구는 유아의 수학학습 결과에 대해 교사가 갖는 신념

을 나타내는 결과에 대한 기대와 교사 자신이 유아의 수학학습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신념

인 자신의 교수능력에 대한 신념의 2가지 요소로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프로그램

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본 프로그램 적용 전과 적용 후 2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며

그 결과를 통계처리하여 분석한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시안

에서 교육하고자 하는 교육내용은 ‘수학적 탐구하기’의 내용인 ‘수와 연산’, ‘공간과 도형’, ‘측

정’, ‘규칙성’, ‘자료수집과 결과 분석’의 5가지이며, 교수-학습방법은 각 주차별 수학내용에 대

한 이해를 위한 이론 강의 및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활동 적용을 위한 워크샵과 사례나누기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 15

주차별 교육내용 운영방법 시수

1

주차

1단계§ 수학개념 소개 § 5개 수학개념별 유아발달단계 소개 § 누리과정의 자연탐구 영역 중 수학적 탐구하기 소개

강의 1

2단계§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학활동계획 전체를 소개 § (5가지 수학개념별 수학활동계획에 대해 알기)

워크샵 1.5

3단계 § 수학개념별 수학활동계획 사례나누기 0.5

2

주차

1단계§ 수와 연산에 대한 수학개념 소개§ 누리과정의 ‘수와 연산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소개

강의 1

2단계§ 누리과정 지도서의 ‘수와 연산의 기초개념 알아보기’와

관련된 수학활동 실제워크샵 1.5

3단계§ ‘수와 연산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활동계획 적용에 대한

사례나누기 사례나누기 0.5

3

주차

1단계§ 공간과 도형에 대한 수학개념 소개§ 누리과정의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내용

강의 1

2단계§ 누리과정 지도서의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아보기’와

관련된 수학활동 실제워크샵 1.5

3단계§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아보기’활동계획 적용에 대한

사례나누기 사례나누기 0.5

4

주차

1단계§ 측정에 대한 수학개념 소개§ 누리과정의 ‘기초적인 측정하기’ 내용§ 누리과정 지도서의 ‘규칙성 이해하기’ 내용

강의 1

2단계

§ 누리과정 지도서의 ‘기초적인 측정하기’와 관련된 수학활동 실제

§ 누리과정 지도서의 ‘규칙성 이해하기’와 관련된 수학활동 실제

워크샵 1.5

3단계 § ‘규칙성 이해하기’ 활동계획 적용에 대한 사례나누기 사례나누기 0.5

5

주차

1단계§ 통계에 대한 수학개념 소개§ 누리과정의 ‘자료수집과 결과 나타내기’ 내용

강의 1

2단계§ 누리과정 지도서의 ‘자료수집과 결과 나타내기’와 관련된

수학활동 실제 워크샵

1.5

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워크샵 진행시에는 교사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 교육활동

에 적절한 교구를 소개하였다. 워크샵 및 사례나누기는 교사의 경험적 수학교수 지식을 바탕

으로 활동에 대한 충분한 이해 및 공유를 위해 토론시간을 제공하였다. 최종 개발된 프로그

램의 구성은 표 5와 같다.

<표 5>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주차별 내용

1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3단계§ ‘자료수집과 결과 나타내기’ 활동계획 적용에 대한 사례

나누기 사례나누기 0.5

6

주차

1단계§ 수학 활동 평가 개념 소개 § 유아 수학교육 활동 평가 소개§ 수학 활동 시 유아 평가 소개

강의 1

2단계 § 5가지 수학개념에 대한 평가 및 활용 실제 워크샵 1.5

3단계 § 수학활동 평가’ 적용에 대한 사례나누기 사례나누기 0.5

총 시수 18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2012년에 고시된 누리과정인 국가수준 교육과정 적용시, 교사들의 요구에 따른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프로그램의 연구 목적 및 목

표 설정, 내용선정, 교수-학습방법 선정, 프로그램 평가 선정의 과정을 통해 누리과정에 기초

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기초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현재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활용하고 있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누리

과정은 2012년에 고시되어 2013년부터 전국적으로 모든 영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다.

누리과정 배포는 전국적으로 수업의 질적인 수준을 유지하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

한 역할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실시되어 온 교육과정 연수는 단발성이며 집단적

으로 실시하는 집단연수만 실시된 형편이었다. 이로 인해 유아교사들은 누리과정을 적용하면

서 교수학습자료의 부족과 교사들을 위한 연수프로그램이 부족하다고 박혜영(2013)의 연구에

서도 밝히고 있다. 현직교육인 교사연수는 교사가 변화하는 교육현장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하

고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하는 전문성의 기초가 된다(권민정, 2013).

본 연구는 현장교사에게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교사교육을 6회 총 18시간

에 걸쳐 지속적이며 집중적으로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는 교육과정 실

행시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 17

둘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교사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최근 들어 유아교사교육은 교과관련 내용지식

의 습득을 도와 전문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

다(송화진, 2011). 특히, 유아교육은 초·중등학교와 달리 교육내용의 선정과 운영방법의 결정

시 교사의 자율권이 많이 부여되기 때문에 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실천에 따라 수업의

질이 매우 달라진다(유민임, 황해익, 2003). 따라서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정확하게 파

악하여 이에 적절한 교사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질높은 수업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다.

염지숙, 조형숙, 박지희(2014)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예비교사교육 연

구 중에서 수학교과가 포함된 자연탐구영역에 대한 연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통적

으로 유아교사들이 수학과 과학을 어려운 영역으로 인식해 왔으며, 수학 및 과학 교육과정

운영 능력에 대한 개선 요구와 필요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따라서 유아교사가 수

학교육을 적극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수

학교수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직교사가 교

육과정 운영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여 교수에 도움을 줄 수 있

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을 위해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으로 강의, 토론하기 및 워크

샵, 사례나누기 등을 실시하였다. 교사교육에서는 전달식 교육보다는 자신의 교수 실제를 인

식하고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여 개선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문제해결과 참여중심의 교수방

법이 효과적이다(염지숙 외, 2014). 그러나 현재 실시되고 있는 많은 교사교육은 일회성 강의

나 워크샾 형태로 새로운 교수내용과 수업전략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교수전략이 새로운 지식과 교수기술을 전달하지만 유아교사가 매일의 교실일과에서

이러한 아이디어를 통합하여 실행하기 어렵다(한종화, 2006). 최근 요구되고 있는 교사전문성

은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상황을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판단력, 직관력, 재구성하고 해석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를 위해 교사교육에서는 교사들에게 실천을 통한 반성적 사고를 경

험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교사의 능력은 역동적이며 모호한 교실상황에

대한 직관력, 상상력, 심미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성적 사고를 통해 상황을 주관적으로 재

구조화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한다. 강의위주의 일반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교사들

이 이러한 능력을 기르기 어렵기 때문에, 체험 토의, 팀워크 등의 교육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유현숙, 2002). 따라서 최근 유아교사교육 분야에서는 전문가가 모든 주도권을 지닌

채 일방적으로 이끌어가는 방식의 교사교육보다는 전문가와 강의참여자인 현직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사교육을 하고자 노력한다(한종화, 2006). 따라서 본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

1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은 일방적인 강의 및 워크샾을 보완하여 교사가 실제로 본 활동에 대해 실시해보고 본 수업

에 대한 아이디어를 확장해 보는 사례나누기, 토론하기 등을 실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를 통해 현장교사들은 강의자의 수업내용뿐만 아니라 수업에 대한 자신

의 실천적 지식과 반성적 사고를 나누고 공유할 수 있는 경험을 하리라 예상된다. 즉, 본 교

사교육 프로그램에서 현장교사들은 다양한 수학교육 경험을 가지고 있으므로 강의를 듣는

사람뿐만 아니라 강의에 함께 참여하여 피드백 함으로써 또 다른 강의자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국가수

준 교육과정을 활용하며 이를 교육실제에 적용하기 쉽게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방법으로 교

사교육을 실시하고자 한 것에 의의가 있다. 더불어, 현직교사들의 다양한 수학적 경험을 통해

본 활동내용, 교수-학습방법, 자료활용방안 등에 대한 토론을 통해 강의자와 강의참여자가

더 나은 수업방향을 모색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

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본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검증을 실시하지 못하였음으로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

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더불어 본 연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중 누리과정의 수

학영역에만 집중하여 프로그램 모형개발이 이루어졌다. 누리과정은 만 3,4,5세의 유아를 대상

으로 하는 교육과정이므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만 3,4,5세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에게만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은 누

리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이 있으며, 만 3세미만의 영유아는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수학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표준보육과정의 수학영역 내용을 기초로 한 수학교육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더불어, 본 프로그램은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에 치중하여 교사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이로 인해 생활주제에 따른 다양한 영역과의 통합적 활동을 구성하여 교사교육을 실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개발되는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 내용뿐만 아니라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타 영역과의 통합적인 활동을 실시

할 수 있는 프로그램까지 확장하여 개발되는 것이 필요하다.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 19

참고문헌

강은구(2000). 현장적용사례 중심의 과학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조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1). 7차 유치원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

지부.

권민정(2013). 5세 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반응 및 요구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영례, 이영자, 이정욱(1998). 3,4,5세 유아를 위한 수학교육과정 모델 개발의 준거. 서울: 창지사.

김경본, 박영란, 고연경(2009), 유아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교육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비교와

현직교사의 유아수학교육 실천적 지식의 내용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1),

7-29.

김경희, 나귀옥, 남현우(2005). 유아 수학교육의 내용 및 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미래유아교

육학회지, 12(3), 75-106.

김선(2013). 예비유아교사의 교수능력 함양을 위한 탐구중심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선, 장정애, 김미래(2013). 예비유아교사의 수학불안감 및 수학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

육학논집, 17(3), 153-175.

김정주(2013). 효율적인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현직교육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 유아교육

연구, 33(4), 319-336.

김정은(2014). PCK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혜영(2013). 유아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와 운영현황.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송화진(2011).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안진경, 김영실(2005). 수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교육과학연구, 36(1), 199-217.

울산시 교육청(2013). 3,4,5세 누리과정 연수교재. 울산: 울산광역시 교육청.

염지숙, 조형숙, 박지희(2014). 예비유아교사교육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 유치원교사 핵심역량

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165-186.

유민임, 황해익(2003). 유아교사의 과학활동에 대한 수행장애요인의 정도에 따른 수행수준 연구.

2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유아교육논총, 11, 139-156.

유현숙(2002). 교사교육에 대한 새로운 요구와 방향. 한국교원교육연구, 19(3), 127-145.

이성아(2006), 유치원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에 대한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이영자, 이정욱(1997). 유치원 교실에서 관찰된 만 3,4,5세 유아를 위한 언어 및 수학활동의 분석.

교육학연구, 35(4), 195-227.

이윤옥(2013). 누리과정 교육연수 참여경험과 근무기관 형태에 따른 5세 누리과정의 영역별 목표

와 세부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적용. 한국영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6(3),

103-124.

이정욱, 이소정(2010). 유치원 수학 교육의 질 분석. 유아교육연구, 30(4), 341-358.

이정희(2003). NCTM의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따른 우리나라 유아수학교육 내용의 분석. 건국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이지현(2003). 유아 수교육 내용 및 방법에 관한 문화 심리학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19(1),

111-131.

이현숙(2003).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혜경(2012). 유치원 교사들의 수학교수 경험 돌아보기. 유아교육학논집, 16(1), 375-399.

정정희(2001). 유아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수학수업실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2(4),

225-241.

한유미(2013). 유아수학교육. 서울: 창지사.

한종화, 박찬옥(2004). 탐구중심 수학교육의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유아교육

학논집, 8(1), 141-173.

한종화(2006).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 증진을 위한 현직교사교육의 효과: 교육대학원 수업

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0(3), 285-309.

(2013). 유아교사의 수학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에 대한 태도, 수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유

아교육학논집, 17(5), 421-239.

홍혜경(2010a). 영유아수학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14(4), 29-51.

(2010b). 영유아를 위한 수학교육. 서울: 공동체.

(2011). 유아 수학동화책의 반복적 읽기활동 과정에 나타난 수학화 유형의 분석. 열린유아교

육연구, 16(4), 381-504.

홍희주(2012). 유아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Baird, W. E., & Rowsey, R. E.(1989). A survey of secondary science teacher needs. School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 21

Science and Mathematics. 87, 272-284.

Bredekamp, S.(2004). Standards for preschool and kindergarten mathematics education. D. H.

Clements, J. Sarama, & A. Diibiase(Eds.), Engaging young children in mathematics.

Mnhwah NJ: Lawrence Erlbaum Asso.

Carboni, L. W.(2003). “I take comfort in the fact that I’m not alone”: Online discussion as a

context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lementary mathematics. doctoral

dissertation unpublished,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NC.

Luo, F. J.(2000).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reform belief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aiw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Osmanoğlu, A., Koç, Y., & Işiksal, M.(2013). Investigation of using online video case

discussions in teacher education: Sources of evidence of mathematics learning.

Educational science: Theory &practices, 13(2), 1295-1303.

Stirling, D. L.(2001). Toward new norms of professional interaction: Facilitating teacher talk

using multimedia. doctoral dissertation unpublished, Arizona University, AZ.

Trice, A. D., & Ogden, E. D.(1987). Correlates of mathematics anxiety in first-yea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 research quarterly, 1, 2-4.

2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Abstract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model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in accordance with the Nuri curriculum

Jung Ju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model geared toward

improving the mathematics teaching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essentially aimed to

improve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This study was implemented in three stages: literature review, needs analysis, and model

construction. In the stage of literature review, the literature related to early childhood mathematics,

the Nuri curriculum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 were analyzed. In the second stage of the

needs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selected teachers who taught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in order to ascertain their training experiences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ir

needs. In the final stage of the model construction, a draft was drawn up using the components of

the models that were selected in the previous stage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after selecting a group of experts in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in order to finalize the model.

The teachers and objectives of the finalized model were, (a) to understand and apply the content

elements of the Nuri curriculum about the concepts of mathematics, (b) to plan and carry out

corresponding math activities, and (c) to take on a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teaching.

As for the educational content, five concepts related to conducting mathematical inquiry in the Nuri

curriculum were selected, and the three stag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prepared:

making understanding of the mathematical concepts, examining the mathematics activities of the

teacher's manual in the Nuri curriculum, and carrying out the mathematics activities/cillaborative

work. Concerning evaluati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teachers in mathematics and

their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re ass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