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사회연구 통권23 (2012 2 ),pp.67~96 전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에 대한 현장 실무자의 인식 이중섭모지환김용민 이 연구는 전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관련 사회복지 현장 실무자의 인식을 살 펴보는 연구로,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초점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시설 인증제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연구 대 상자의 64.3%가 인증제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증제 도입 가장 먼저 고려 할 사항으로는 객관적인 평가지표의 개발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셋째, 인증제의 비용부담 방법에 대해서는 대상자의 87.7%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전액 지원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인증방식으로는 이용시설 종사자의 경우 3등 급으로 구성된 인증제를 더욱 선호하고 있는데 반해, 생활시설 종사자는 5등급으로 구성 된 인증제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증시효에서는 3년이 52.6%가장 많았다. 여섯째, 인증제의 활용방안에서는 우수시설에는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하 위시설에는 교육 및 컨설팅을 제공해 주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일곱째, 인 증 결과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으로는 이용시설 종사자는 인력보강비에 대한 지원을 더욱 선호하였고, 생활시설 종사자는 시설환경개선 자금에 대한 우선지원을 더욱 선호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인증제의 제도화 방안에서는 단기적으로는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되, 장기적으로는 의무적 참여를 병행하는 방안이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 대로,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방안을 모색하였다. 주제어 :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설문조사, 초점집단인터뷰 이중섭 전북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email protected] 모지환 세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email protected]( 교신저자) 김용민 세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email protected]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사회연구 통권23호(2012년 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에 한

장 실무자의 인식

이 섭․모지환․김용민

이 연 는 전라북도 사회복 시설 인 제 도입 련 사회복 현장 실무자의 인식을 살

펴보는 연 로, 사회복 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초점 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 시설 인 제가 필요한 에 대해서는 연 대

상자의 64.3%가 인 제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 인 제 도입 시

가장 먼저 고려 할 사항으로는 객 적인 평가 표의 개발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셋 , 인 제의 비용부담 방법에 대해서는 대상자의 87.7%가 가 또는 방자치단체가

전액 원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넷 , 인 방식으로는 이용시설 종사자의 경우 3등

급으로 성된 인 제를 더욱 선호하고 있는데 반해, 생활시설 종사자는 5등급으로 성

된 인 제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 인 시효에서는 3년이 52.6%로

가장 많았다. 여섯 , 인 제의 활용방안에서는 우수시설에는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하

위시설에는 육 및 컨설팅을 제공해 주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일곱 , 인

결과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으로는 이용시설 종사자는 인력보강비에 대한 원을

더욱 선호하였고, 생활시설 종사자는 시설환경개선 자금에 대한 우선 원을 더욱 선호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 , 인 제의 제도화 방안에서는 단기적으로는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되, 장기적으로는 의무적 참여를 병행하는 방안이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

대로, 사회복 시설 인 제 도입방안을 모색하였다.

주 어 : 사회복지시 , 인증 , 문조사, 초 집단인터뷰

이 섭 북발 연구원 부연구 원[email protected]

모지환 세한 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email protected](교신 자)

김용민 세한 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email protected]

Page 2: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68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1.서론

민간사회복지시설은국가가제공할수없는 문 이고미시 인복

지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그동안 속도로 양 으로 많은 성장을 거듭해

왔다. 한 이러한 사회복지시설의 양 인 성장과 더불어 서비스 이용

자들의 높은 권리의식으로 사회복지시설에 한 효율 조직운 과 효

과 서비스 달체계에 한 심이 증 하게 되었다(오충순,2010).

즉,지역의 사회복지시설이 취약계층의 사회 보호를 해 상당히 많

은노력과결실을이루어온것은사실이지만시설이용자를비롯한취약

계층의 변화하는 다양한 가치를 사회복지시설이 충분히 구 하고 있는

지,그리고사회복지시설이 얼마나효율 으로운 되고있는지에 해

서는 확신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 같은 사회 분 기에서 정부는 1998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을

통해 체 사회복지시설을 상으로 1999년부터 3년마다 1회 이상의

평가를실시하고있다.1999년부터2010년까지제4차에걸쳐사회복지

시설 평가가 시행되었고,2011년부터 2013년까지 제5차 평가가 시행되

고 있다.사회복지시설평가제가 시행된 이후 사회복지 장에서는 다

양한변화가있었다.평가지표에따라운 자의의식개선을통해기

운 이나사업 리가표 화되고투명성을가져오게된 ,사회복지시

설 리자의조직 리능력의향상,사회복지사업의 문화 시설간

연계 활성화,시설간의 선의의 경쟁을 통해 시설 운 개선 리체

계 마련 등은 평가 제도를 시행한 이후 사회복지사업 반의 정 인

성과로 평가된다(최재성,2001;선은애,2012).

그러나사회복지시설평가제도가도입되어,올해로약14년이되어가

는데,평가로인한사회복지서비스의질 향상이나제공주체인사회복

지시설 운 의 개선이라고하는소기의성과를거두고있는지에 해서

는 여 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사회복지시설 평가제도에 한 비

은 부분 지역 실을 반 하지못하는평가지표의문제나평가 원의

Page 3: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69

비 문성,상시 평가가 아닌 평가시기에 임시 으로 구성되는 평가체계

의 모순,사회복지시설 평가가 시설의 반 인 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

하지못하고있다는 등으로요약된다(김혜연,2010).이같은이유때

문에최근 사회복지시설 평가제의 존치 혹은 다른 안의 모색을 둘

러싸고 쟁 과 여러 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러한 안으로 사회복지

시설 인증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공감 가 형성되고 있다.

인증제도의 목 은 일정한 기 에 근거하여 체 인 품질을 평가하

고교육 자문을통해좀더좋은서비스를제공할수있도록 진하는

것이다.즉사회복지시설이자원의한계에도불구하고품질개선을 한

지속 인노력을추구하도록하는것이다(정무성외,2010).서비스의질

수 을 향상시키려는목 을갖는 복지인증제도는인증을받은것으

로 마무리 되는 것이 아니라 매년 사후 리가 이루어지는 제도로서,복

지시설이 이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제공할여건을갖추고양질의 서

비스를 제공하고있는지를 경 역,재정회계 역,서비스 역 등 반

이고 세부 인 인증기 을 마련하고이에 따라 심사하고인증을부여

하는제도이다.그리고인증결과의세부내역에 해이용자들이언제든

지 확인 가능하도록 공개함으로서 이용자의 서비스 선택권을 확 하고,

정보제공의 도구로 이용되는 장 을 갖고 있다(강일신,2010).

이에 지역복지정책의변화를 요구하는 환경에발맞춰 서울,경기,부

산 등일부지방자치단체들은 자체 인증지표를개발하여사회복지시설

을 평가해 오고 있다. 앙단 의 평가지표와 평가 체계가 가지고 있

는 한계를 인식하고 지역복지서비스의 질 인 성장을 도모하기 해

도입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 인증제도는 사회복지시설 운 의 상당한

변화를 유인하고 있다.평가인증제도는 시설의 단 을 부각시키는 평

가제도와는 달리 심사와 교육 그리고 지도와 컨설 을 통해 시설 서비

스의질 수 을 한단계향상시킬수 있다.이에더해사회복지시설

의 재원을 합리 이고 효율 으로 운 할 수 있도록 합리 인 재정보

Page 4: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70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조의 칙을 설정해 수 있다는 에서 사회복지행정 리 측면에서

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지방자치단체의 체사회복지재정의평균30%정도를사회복지시설에

지원하고있지만,사회복지시설재정운 의효율성이나합리성에 한객

인평가는이루어지지않고있다.사회복지시설의운 은 부분민

간에의해서주도되고있지만운 재원은 부분 정부지원 으로충당되

고있어 사회복지시설의책임있는운 을유도하기 한체계 인평가

제도의운 이불가피하다.이러한 에비추어볼때평가인증제도는사

회복지시설간의선의의경쟁을유도하여복지서비스구매자의 선택의 폭

을넓 주고,투명하고공정한운 을제도화함으로써지역사회와의긴

한연계 속에서 사회복지시설이지역의 추기 으로자리 잡을 수있도

록견인하는역할을수행할 수있다는 에서주목받고있다.

최근 보건복지부도 사회복지시설 평가제도의 안으로 인증 제도를

검토하고 있는데,인증제도가 소기의 목 을 달성하기 해서는 무엇보

다도인증제도에 한피평가시설인사회복지시설의수용성을높이는것

이 요하다.지방자치단체차원의평가나인증제도의실시는사회복지

시설에 일정한 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에서피평가시설인사회복지시

설들과의 의견 의는 필수 인 것이다.사회복지시설들과의 충분한

의없이인증제가도입될경우제도시행자체가어려울뿐만아니라시

행된 이후 결과에 한 사회복지시설의 수용에도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특히,인증제는인증심사를원하는사회복지시설의신청에의해서

인증제가 개시되기때문에인증제도에 한 충분한 사 의가 되지 않

을 경우 인증제도의 도입은 어려워 질 수 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그동안 라북도를비롯한많은지방자치단체에서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련 논의가 극 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실

무자들의인식 련연구 한이루어지지않았다.이에이연구는 라

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의 도입 련사회복지 장실무자의 인식을

Page 5: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71

살펴보는데 그 목 이 있다.이를 통해 궁극 으로는 사회복지시설 인

증제 도입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 이 있다.

2.선행연구 고찰

1)사회복지시설 평가제도

가.사회복지시설 평가제도의 의의

평가에 한 정의는 평가의 목 , 상,내용,기능을 포함한 평가방

법을개념화한 평가모형이나 이론에 따라각기 달라질 수 있다(곽미 ,

2006).사회복지시설에서의평가는사회복지시설혹은시설의계획,수

행,활동 등의 포 인 활동들을 체계 으로 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Rossi&Freeman,1993).이러한 사회복지시설평가의 목 은 효율

이고효과 인사회복지시설의운 기반을정착시키고,시설간선의의

경쟁을 유도하며 시설이용자의 인권이 보호되고자 하는 것이다.그리

고 지역사회와의 긴 한연계 속에서사회복지시설의 운 이이루어질

수있는기반을마련하며,사회복지시설실태를 악하여국가지원수

에 한과학 근거를마련하는것이다(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

의회,2010b).

사회복지시설평가는시설의의사결정권자의책임성을높이고,의사결

정과정을합리 으로개선하는기회를제공한다.결과 으로시설이자

원을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시키며,자원을 보다 효율 으로 활용

할수있게한다.따라서시설이보다효과 이고체계 이며지속 으

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한다.더불어 시설의운 자와 리자의 경우,평

가를통해서시설의시설,운 ,인력 리, 로그램의 황에 해진단

해보고앞으로 로그램의수정,보완, 단,개선등시설의나아갈방향

을재고할수있는기회를갖게될것이다.그리고사회복지시설평가는

재정을 지원하는 정부의 입장에서도 요한 기능을 한다.평가를 통해

Page 6: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72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시설의 반 인실태를 악하고정부지원 이효율 으로사용되고있

는지 단할 수 있다(이선우ㆍ최상미,2002).

이러한 사회복지시설 평가의 유용한 기능들을 우리나라에서 도입된

것은지방자치단체로서울시가1996년부터실시하 고,그리고정부차원

에서는 1998년 8월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으로 사회복지시설 평가가

1999년부터 실시되었다.세부 으로 살펴보면,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

칙 제27조에서는 “보건복지가족부 장 시·도지사는 법 제43조의 규

정에의하여 3년마다1회 이상 시설에 한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있다.이같은법 근거하에1999년부터2010년까지제4차에

걸쳐사회복지시설평가가시행되었고,2011년부터2013년까지제5차평

가가 진행 에 있다.

나.사회복지시설 평가의 문제

사회복지시설평가가 가지고있는문제 에 해서는 체로 리상

의문제,평가 상의문제그리고평가시행혹은과정상의문제로제시

되고 있다.

이를 세부 으로 살펴보면,첫째,평가지표의 타당성 평가방법의

문제 ,둘째,평가 련 문인력 확보 문제,셋째,독립 으로 수행된

시도평가의질 편차에 의한문제(담기구의부재로인한문제)이다

(변용찬,2001). 한 이러한 시설 평가의 문제 과 련하여 임성옥

(2003)은 평가에 참여했던 간 리자(과장,부장,사무국장)들을 상

으로평가자원,평가수행,평가결과,평가활용의각 역별만족도를조

사한결과,평가자원 역에서는 평가도구와 평가자의 질 우수성,평

가 간의 편차 측면이 매우 부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이 평가도

구에 한 만족도 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시설의 특성을 반 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지 되었다.

Page 7: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73

리상의문제

- 문평가인력의 부족- 문평가인력들의 일정 리문제-평가인력의 처우개선문제-평가 문기술의 축 불가능-보건사회연구원의 업무과 /이 업무-평가인력에 한 충분한 교육 부족

평가 시행상문제

-평가기 부재로 자의 해석-정성 자료의 평가에서 주 성 개입-시설별로 상이한 평가 역 평가항목-작은 기 들에 불리한 평가 내용-표 화된 최소한 기 의 부재로 지나친 정 평가-실 수치의 표 편차가 지나치게 높음-상충되는 평가지표들-평가지표에 해 평가자가 다르게 이해-각 개별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평가지표들-목표달성수치의 부 성- 장평가 원 간의 격차 조정 보완부족-평가지표에서 시설별 특수성을 반 못함- 로그램 질 인 측면에서 심도 있는 평가가 미흡-정량 평가항목들이 지나치게 많음

평가 상의문제

-시설종사자들의 추가 업무부담-서류조작 등 정성 문제-거주자조사와 종사자조사에서 사실과 다르게 응답-이용자만족도조사의 신뢰성 부족-입소자의 지 능력 부족으로 응답불가능-서류 문서화 미비-서식 등이 통일되어 있지 않음

자료:김통원(2001:136-137)

<표 1>사회복지시설 평가의 문제

평가수행 역은 평가 차상에는 정 인반응을보 으나평가수

행방법의 신뢰성 수행기간의 성과 련하여 평균 1일 이내의

단시간 평가에 한 신뢰성과 평가 상 시설의 의견수렴 평가자와

의 의사소통에서도 문제가 있음을 지 되었다.

평가결과 역에서는 평가결과 보고서가 구체 이지 못하다는 문제

이 지 되었는데,이는 결과가 충실하지 못함으로 인해 결과 활용이

제 로이루어지지않은것과도연결된다.그리고평가결과정보의

근성에 문제가 있음이 지 되었다.

그리고보건복지부와한국사회복지 의회(2010a)의연구에서지 된사

회복지시설평가의문제 은①표 성미비,②지역의고유한특성의미반

,③평가 간의 격차,④ 문 평가역량의미흡,⑤ 복 평가,⑥

Page 8: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74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담기구의미설치,⑦평가제도운 목표의미정립,⑧비교의어려움,⑨평

가에 한신뢰성부족,⑩사후 리체계의미흡등으로지 되었다.

이상과 같은 평가제의 문제로 최근 사회복지계의 실무자들과 문가

들이 행 평가제도의 보완책으로 인증제도의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사회복지시설 평가의 문제 들을 극 으로 보완하기 해서 인증제

를 도입하게 되면,객 성 확보를 통해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

니라,이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각 역별로 세

부 인인증기 을마련하고이에따라심사하고인증을부여하게된다.

그리고 인증결과의 세부내역에 해 이용자들이 언제든지 확인 가능하

고,인증심사 후에도 매년 사후 리가 이 지게 될 것이다.

2)사회복지시설 인증제

가.인증제의 의의

인증제도는 평가제도의 여러 유형 의 하나이다.그리고 인증제도

가 평가의 형태로 이루어지든지,아니면 인증에 을 두든지,그 궁

극 인목 은사회복지시설에서제공하는서비스의질을높이고,사회

복지행정의 책임성을 확보하는 것이다(정기원ㆍ유성렬,2001).

인증(accreditation)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 등이 일정한 기 이나 규

격에 합하다는것을공인받은제3의인증기 에의해서객 으로표

기 을 설정,심사를 통해 기 을 충족할 경우 공인된 시설을 증명

하는것이다(정무성외,2010;류명석,2006;보건복지부와한국사회복지

의회,2010a).사회복지시설에서 인증제(accreditationsystem)는국가혹

은 지방자치단체가 정한 문기 이 사회복지서비스의 기 을 수립하고

그 기 에 부합되는 요건을 충족한 개별 사회복지시설이 자발 으로 신

청하여 인증기 이 설정한 표 이 요구하는 수 을 충족하 을 때 인증

하는증서를부여하는제도를말한다(김세곤,2007).즉,인증은평가단

계의 이 에 이미 선행되어야 하는 일종의 자격부여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수있다.이러한인증은서비스질개선의벤치마크(benchmark)이고

Page 9: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75

강력한 로그램 개선의 도구가 된다.인증을 받은 시설은 공식 으로

인정을받은 것이라는인식이 차확산된다.이에 따라민간단체가실

시하는인증제도가정부의정책수립과연결되고된다.즉,지방정부에서

는인증 비 인시설을지원하거나,인증을받은시설과그이외시설

의 정부지원 을 차등화 하는 등의 정책과 연결된다(서문희,2001).

인증의주요목 은①서비스와서비스제공을 한부 시설이규정

된 기 을 충족시킴으로써 최상의 목표달성 서비스의 질을 개선함,

②서비스의통합과 리를 진하고개선함,③인증 상을비교하고분

석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함,④서비스 제공의 효율성과 효과성에

을 둔 비용 감,⑤서비스 제공 시설, 리자,종사자,등의 문가에게

서비스의질개선 략과최상의서비스제공을 한자문 교육을실

시함,⑥소비자가서비스를믿고사용할수있도록함,⑦사회복지서비스

제공자나이용자의안 추구등이다.이러한서비스질개선의목 을

달성하기 해 사회복지시설 인증은 첫째,실천 지침서,실행기 확립

그리고 개별서비스,재정,인사 련등에 해 사회복지시설에게기

되는결과를미리수립하도록하게함으로가능 한다.이는시설과시

설 종사자들이 우수한 질의 서비스 제공을 해체계 이고지속 으로

근하도록돕는다.둘째,인증의 결과가 공개됨으로 인해서비스의 질

향상을 가능 한다.이러한 결과의 공개는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의

유형 질을 비교해보는 요한 자료로 사용되어 진다(Rooney와

Ostenberg,1999;서울복지재단,2005b에서 재인용).

선진복지국가들에서 이미 시행되고 있는 여러 인증제도들의 인증효

과에 한 연구들에서 제시된 인증효과들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서

울복지재단,2005a).

첫째,인증제도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로 하여 서비스의 품질향

상 면에서 이용자 만족을 해 극 으로 노력하게 하여 시설 심에

서 이용자 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Page 10: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76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둘째,인증제도는 업무의 차,표 화 기 의수립으로 효과 인

업무 수행체계를 수립하게 하여 복지시설 경 의 기 를 확립할 수 있

도록 한다.

셋째,인증제도는 일반 인 차를 수립하고 이를 활용하게 함으로써

업무 역이 구체 으로 정해지며 이로 인해 책임회피 상이 사라지고

수평 간 업무 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책임과권한을 명백히 한다.

넷째,인증제도는 실질 이고 실 인 규칙을 문서화함으로써 일

성있는업무처리와복지시설운 에서업무의투명성을높임으로써업

무의 흐름을 쉽게 악하게 하는 등 조직 리를 용이하게 한다.

다섯째,인증제도는업무향상을 한부서간 는직원간의의사소통

을 원활하게 하여 향상된 직원 간의 의사소통을 형성한다.

여섯째,인증제도는시설종사자들에게서비스품질에 한직원윤리

를 형성하게 하고 지속 으로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인증제도는인증서를제공함으로써시설의이미지를향상

시킬수 있으며 한 인증결과는 행정 역에서 시설 서비스질을 객

으로 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되어 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객 성과 합리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효과성과 련하여 인증제의 장 을 제시하면,첫째,정부

민간지원단체는신뢰할수있는복지시설에사업비 운 비지원을용

이하게할수있고,인증을못받은시설은 리운 의개설을통해인증

을받고자하는노력을경주하게된다.둘째,인증제에서의사회복지시설

체계는품질 심과고객 심의체제로 환된다.셋째,인증제는평가업

무의 통일성이 기할 수 있는 장 과 지역의 특수성을 반 할 수 있으며

평가 의 문성과 일 성을유지할수 있다.아울러 인증은품질과고

객 심의제도로서사회복지서비스이용자의선택권을확보하고정보제

공의 도구로 이용되는 장 이 있으므로 기존 평가제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복지 의회,2010b).

Page 11: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77

이상과같은 사회복지시설인증의의의와 효과성과장 들에비추어

보았을 때, 행 사회복지시설 평가제의 문제 에 한 보완책으로 인

증제도의 도입이 실히 요구된다.

나.평가제도와 인증제도의 차이

평가와인증의개념 차이를살펴보면,우선평가는일반 으로특정

한 사물이나그 속성에 한 가치 단을의미하는데이러한가치 단을

일정한 거에의거해야한다는것이다.이에비해인증은어떤제품이

나서비스등이일정한기 이나규격에 합하다는것을객 으로확

인하는 차를말한다(서문희,2002).일부의견해에서는인증을평가와

분리하여 악하고있지만인증은 평가의 과정을 통해서 수행된다는

에서인증과평가는일련의연속 인과정으로이해하는것이옳다.다

만 제도로서 평가와 인증은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첫째,평가는반드시인증의 차를수반하는것은아니지만인증이라는

행 는반드시평가라는과정을필요로한다(김세곤,2007).Nichols(1980)

는사회공공기 의인증은 문가들이기 을설정하고이것을기 에

용하는과정으로본다.이는기 이공익에부합하는목표와목 을달성

할것을보장하기 한것이며,인증의실용 목 은기 과 로그램이

일반인과 문가모두에게신뢰성을주고있는지식별하는것,그리고이

상 인목 은기 과 로그램의우수성을추구하기 한 진제로작용

하는것이라고하 다.그는이러한내용을통하여인증의목 이사회복

지시설 서비스에 한 내ㆍ외부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공공의 이익을

보호하며 문성과기 의우수성을 진하기 한제도라는 을강조한

다(최일섭외,2008).따라서인증제는시설운 반 서비스표 기

을설정하고심사를통해기 을충족할경우공인된기 이증명하는

것이며인증 차를통해조직스스로운 체계를개선하고서비스의질을

향상시키는 총체 품질 리를가능 하는제도라고할 수있다.

Page 12: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78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구분 평가제도 인증제도

-시설운 의 효율성 향상-사회복지시설 서비스의 수 향상-정부의 사회복지사업에 한 엄 한재검토-공공자원 투입에 한 효율성 제고

-시설의 장 과 단 평가-달성 가능한 목표의 설정-종사자들의 문성 제고 사기진작-지역사회와의 연계성 확보-이용자의 선택권 확

상 - 로그램 -조직

주체

방법-정부 평가단에 의한 평가

- 문가 집단에의한단계별평가/인증·1단계:자체평가·2단계:자체평가에 한 타당성 검증·3단계:인증여부의 결정

활용 -재원배분의 근거

-서비스 수 자 이용자:양질의서비스 선택-사회복지시설:제공하는 서비스여건에 한 자체평가를 바탕으로개선 확인-지역사회:자체평가에 지역사회성원을 참여시킴으로써 사회복지문성에 한가치 인정

-정부:재원배분의 근거 등 필요에따른 활용

자료:정기원ㆍ유성렬(2001:68)

<표 2>평가제도와 인증제도의 비교

둘째,평가는평가이후사후피드백이존재하지않는반면,인증은심

사 이후에도 인증기 과 상시설이 사후 심사나 정기 인 진단을 통해

서 지속 인 계를 유지하고 자문과 교육을 제공한다는 에서 차이가

있다.여기에 시설유형별 평가지표를 통해 시설 간 평가가 이루어지는

평가제도의 단 도인증제 하에서는 시설들의공동지표를 근거로서로

다른 사회복지시설 간에도 일정한 비교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평가와 인증의 가장 큰 차이 은 심사결과에 한 활용

에 있다.평가제도는 일회성 심사를 통해 시설ㆍ기 간 서열화가 나

타나지만,인증제는 신청 기 에 한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결과

으로 사회복지시설 운 구조를 개선하고 사회복지서비스의 품질을 향

상시키기 한 교육과 자문의 후속 책과도 연동되어 있다.

Page 13: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79

3.연구방법

1)연구 상 자료수집 방법

이 연구는 설문조사와 집단인터뷰를 병행하는 연구이다.먼

설문조사는 사회복지시설 평가인증제도의 직 이해 당사자인 사회

복지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를 상으로 실시하 다.조사 상

기 은 생활시설과 이용시설로 범주화하여 아동복지시설,노인복지시

설,장애인복지시설,장애인복지 ,종합사회복지 종사자 500명을

상으로 실시하 다.조사방식은 5개 유형의 사회복지시설을 상으로

한 개 유형당 최소 7개소에서 최 15개소까지 지역과 운 법인의 형

태를 기 으로 유의표집하여 각 시설의 유형별로 100개씩 할당하 다.

조사는 비조사를 포함하여 2011년 9월 25일부터 10월 14일까지 진행

되었고,조사방법은우편조사방법이 활용되었다.지역별 조사 상과응

답 회수를 보면, 체 조사 상 501명 도시지역이 256명 234

명이 응답하 고,농 지역은 245명 229명이 응답해 체 응답률은

90.6% 다.

한편 집단인터뷰는사회복지시설 표와사회복지시설직능단체

표,사회복지 련 의체 표등5명의 문가를 상으로실시하

다.인터뷰에 참여한 5명 3명은 재 보건복지부가 실시하고 있는

평가제도의 지역평가 원으로 참여한 경력이 있는 실무자로 구성하

다.인터뷰는사회복지시설평가제도의필요성,필요한이유,평가인증

방식,고려사항 등에 맞추어 진행되었다.

2)설문구성

일반 으로 개인의 심리ㆍ정서 특성을 알아보기 해서는 신뢰도

와 타당도가 확보된 측정도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 이나,이 연구

는 사회복지시설 평가인증에 한 장 문가의 인식을 알아보는 연

구로,사 비 조사를 통한 설문 문항 개발 과정을 거쳤다.

Page 14: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80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구체 으로사회복지시설의 표성을가진 연합회실무자10명을

상으로 비조사를 실시한 후,문항 수정을 거쳐 사회복지시설 평가인

증제의필요성과평가인증제도입시고려사항 제도화방안등을

심으로 구성하 다.

3)자료분석 방법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15를 활용하여 분석하 다.우선

연구 상자의인구사회학 특성을확인하기 하여기술통계분석과빈

도분석을실시하 다.둘째,이용시설과 생활시설 종사자간 사회복지

시설 평가인증제에 한 인식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기 해 교차분석

을실시하 다.마지막으로사회복지시설평가인증제도에 한 집

단인터뷰 내용 주요 사항을 분석하 다.

4.분석결과

1)연구 상자의 인구사회학 특성

연구 상자의 일반 특성을 보면,성별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

았고,학력에서는 장 실무자의 73.2%가 4년제 학 졸업자이었고,

18.8%는 2년제 학 졸업자이었다.

항목 빈도 % 항목 빈도 %

성별남성여성

154309

33.366.7

시설유형

이용시설생활시설

190273

41.059.0

학력고졸

2년제 졸4년제 졸

3787339

8.018.873.2

근무년수

5년 이하6-10년 이하11년 이상

19318486

41.739.718.6

직시설장간 리자일반 실무자

28139296

6.130.063.9

연령

30세 미만30-40세 미만40-50세 미만50세 이상

1102159741

23.846.421.08.9

<표 3> 상자의 인구사회학 특성(n=463)

Page 15: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81

직 에서는 간 리자와 일반 실무자의 비율이 90%를 상회하 고,

사회복지시설의 형태에서는 이용시설 종사자가 41.0%이었고,생활시설

종사자는 59.0% 다.조사 상자의 연령은 40세 미만이 체 조사 상

자의약 70%를 차지하 고,사회복지시설 근무연수는5년 이하 종사자

의 비율이 41.7% 고,6년 이상 10년 이하 종사자가 39.7% 다.

2)사회복지시설 평가인증제에 한 설문조사 결과

사회복지시설 평가제도와 인증제도에 한 선호경향을 살펴보기

해다양한연구(최일섭외,2007;정무성외,2010;이지숙,2010)에서제

시된평가제와인증제의특성에 기 하여사회복지시설의 형태별 계

를 검정하기 해 ²분석을 실시하 다.

분석결과,심사기 ,심사자 구성,심사자 자격,평가유형,평가지표

교육,평가제도선호,평가목 ,평가결과의공개,시설간정보공유그리

고평가 차의경우는기존의평가제도보다는인증제도를더욱선호하

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가령,심사기간의 경우 인증제의 특성인

상시 담기구에 의한 심사는 조사 상자의 73.0%가 동의한 반면,평가

제의 특성인 문가 용역에 의한 심사는 27.0%에 불과했다.

심사기간,평가주체,심사자 배경,환경변화 반 등은 평가제도

를 더욱 선호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특히,사회복지시설의 유형

별로는 평가주체와 심사자 배경,환경변화에 한 반 정도,평가

결과의 공개 그리고 평가 차에서 유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가령,평가주체에서는 이용시설이 민간 주 의 인증제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심사자 배경에서는 생활시설이

평가제보다는 인증제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변화에 한 반 정도에서는 이용시설이 평가의 주된 내용으로

보편 사업보다는특수한사업에 한평가를원하는인증제를 선호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 으로 보면,이용시설과 생활시설 모두 심

사방법으로 평가제도보다 인증제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6: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82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구분체n(%)

이용시설(n=190)

생활시설(n=273)

² p

심사기간일회성 304(65.7) 123(64.7) 181(66.3)

.121 .727역별 여러번 159(34.3) 67(35.3) 92(33.7)

평가주체국가주 300(64.8) 105(55.3) 195(71.4)

12.834 .000***민간주 163(35.2) 85(44.7) 78(28.6)

심사기문가 용역 125(27.0) 57(30.0) 68(24.9)

1.474 .225상시 담기구 338(73.0) 133(70.0) 205(75.1)

심사자구성

장 차출 184(39.7) 76(40.0) 108(39.6).009 .924

상시 건담기구 근무 279(60.3) 114(60.0) 165(60.4)

심사자자격

장경험 353(76.2) 145(76.3) 208(76.2).001 .975

공인된 정규자격 110(23.8) 45(23.7) 65(23.8)

심사자배경

지역 장 문가 274(59.2) 126(66.3) 148(54.2)6.794 .009**

타지역 문가 189(40.8) 64(33.7) 125(45.8)

평가유형상 평가 207(44.7) 86(45.3) 121(44.3)

.040 .841평가 256(55.3) 104(54.7) 152(55.7)

평가지표교육

평가 1회 교육 119(25.7) 44(23.2) 75(27.5)1.092 .296

지속 교육 344(74.3) 146(76.8) 198(72.5)

기 설정업무 매뉴얼 불필요 425(91.8) 169(88.9) 256(93.8)

3.463 .063업무 매뉴얼 필요 38(8.2) 21(11.1) 17(6.2)

평가사후 리

업무에 부담 374(80.8) 159(83.7) 215(78.8)1.735 .185

업무에 도움 89(19.2) 31(16.3) 58(21.2)

평가제도선호

기존평가제도 188(40.6) 68(35.8) 120(44.0)3.098 .078

인증제도 275(59.4) 122(64.2) 153(56.0)

환경변화반

보편 사업 237(51.2) 82(43.2) 155(56.8)8.316 .004**

특수한 사업 226(48.8) 108(56.8) 118(43.2)

평가목책임성 검증 56(12.1) 26(13.7) 30(11.0)

2.242 .326복지 서비스질 검증 406(87.9) 163(86.3) 243(89.0)

평가결과공개

서열화 48(10.4) 13(6.8) 35(12.8)4.309 .038*

일정기 통과 415(89.6) 177(93.2) 238(87.2)

시설간정보공유

기 간 정보제한 97(21.0) 36(18.9) 61(22.3).781 .377

기 간 정보공유 366(79.0) 154(81.1) 212(77.7)

평가 차국가주도 292(63.1) 134(70.5) 158(57.9)

7.698 .006**자발 참여 171(36.9) 56(29.5) 115(42.1)

*p<.05,**p<.01,***p<.001

<표 4>인증제도의 선호 비율(n=463)

Page 17: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83

다음으로사회복지시설심사방법으로서인증제도의필요성에 해서

분석하 다.분석결과 첫째,연구 상자의 64.3%가 인증제도의 필요

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은 13.8%에 불

과해 반 으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은 인증제도의 도입에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시설형태별로는 이용시설 종사자가 생활시설 종

사자에 비해 인증제가 필요하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다소 높았으며,이

는 유의 수 .05수 에서 통계 으로 유의하 다(p<.05).

둘째,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도입시에가장먼 고려해야할사항

으로는 객 인 평가지표의 개발이라는 응답이 42.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인증제에 한 공감 형성 23.3%,평가결과의 효율 활용

20.8%,공정한 심사 원 13.6%의 순이었다.시설형태별로는 이용시설

종사자의 경우 객 인 평가지표의 개발,인증제에 한 공감 형성

이 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높았으나,생활시설 종사자의

경우 객 인 평가지표의 개발,평가결과의 효율 활용이 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여 다소의 차이를 보 으며,이는 유의 수 .001

수 에서 통계 으로 유의하 다(p<.000).

셋째,사회복지시설 인증제도의 비용부담 방법에 해서는 연구

상자의 87.7%가국가 는지방자치단체가 액 지원해야 한다고응답

했고,다음으로 국가와 시설의 공동부담 9.5%등의 순이었다

넷째,사회복지시설 인증제의 인증방식으로는 최우수에서 불가에 이

르는 5단계가 45.8%로 가장 많았고,다음으로 인증,조건부 인증,불가

등의3등 37.1%로그뒤를이었다.이용시설종사자의경우3등 으

로 구성된 인증제를 더욱 선호하고 있는데 반해,생활시설 종사자는 5

등 으로 구성된 인증제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이는 유

의수 .01수 에서 통계 으로 유의하 다(p<.01).

다섯째,사회복지시설인증제의 인증시효에서는 3년이 52.6%로가장

많았고,다음으로 5년 33.5%,2년 6.7%등의 순이었다.

Page 18: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84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항목체 시설형태별

² pn(%)

이용시설(n=190)

생활시설(n=273)

인증제필요성

필요하지 않다필요하지 않다모르겠다다소 필요하다매우 필요하다기타

13(2.8)51(11.0)98(21.2)215(46.4)83(17.9)3(0.6)

0(0.0)22(11.6)36(18.9)91(47.9)39(20.5)2(1.1)

13(4.8)29(10.6)62(22.7)124(45.4)16.10.4

11.067 .034*

인증제도입 시고려사항

공정한 심사 원객 인 평가 지표평가결과의 효과 활용인증제 공감 의 형성기타

63(13.6)195(42.1)96(20.7)108(23.3)1(0.2)

12(6.3)93(48.9)34(17.9)51(26.8)9(0.0)

51(18.7)102(37.4)62(22.7)57(20.9)1(0.4)

19.816 .001***

인증제비용부담방법

국가,지자체 액지원각 사회복지시설 회비사회복지시설 액 부담정부와 복지시설 공동부담기타

406(87.7)10(2.2)1(0.2)44(9.5)2(0.4)

165(86.8)5(2.6)0(0.0)19(10.0)1(0.5)

241(88.3)5(1.8)1(0.4)25(9.2)1(0.4)

1.204 .877

인증제인증방식

2등 (인증,불가)3등 (인증,조건부인증,불가)5등 (최우수~불가)기타

56(12.1)172(37.1)212(45.8)23(5.0)

33(17.4)79(41.6)72(37.9)6(3.2)

23(8.4)93(34.1)140(51.3)17(6.2)

15.620 .001**

인증제인증시효

1년2년3년5년기타

7(1.5)31(6.7)242(52.6)154(33.5)29(6.2)

0(0.0)9(4.7)92(48.4)76(40.0)13(6.8)

7(2.6)22(8.1)150(54.9)78(28.6)16(5.9)

12.202 .016*

평가인증결과활용방안

서비스 리 참고자료 활용인증결과 인센티 부여결과만 통보하고,비활용기타

67(14.5)381(82.3)10(2.2)5(1.1)

34(17.9)153(80.5)2(1.1)1(0.5)

33(12.1)228(83.5)8(2.9)4(1.5)

5.476 .140

인증결과에한

인센티부여방안

인증시설 홍보시설환경 개선자 지원로그램 사업비 지원인력 보강비 지원시설평가 근거자료 체기타

33(7.1)135(29.2)98(21.2)154(33.3)33(7.1)10(2.1)

13(6.8)36(18.9)47(24.7)72(37.9)17(8.9)5(2.6)

20(7.3)99(36.3)51(18.7)82(30.0)16(5.9)5(1.8)

17.408 .004**

인증제제도화방안

시설의 자발 참여시설의 의무 참여단기자발 참여,장기의무 참여단기의무 참여,장기자발 참여기타

53(11.4)69(14.9)244(52.7)83(17.9)14(3.1)

22(11.6)33(17.4)107(56.3)24(12.6)4(2.1)

31(11.5)36(13.4)137(50.9)59(21.9)6(2.2)

7.120 .130

인증제도입 시신청여부

가능한 빨리 신청할 정지켜보다 신청할 정신청하지 않을 정기타

117(25.3)311(67.2)34(7.3)1(0.2)

51(26.8)127(66.8)12(6.3)9(0.0)

66(24.2)184(67.4)22(8.1)1(0.4)

1.480 .687

*p<.05,**p<.01,***p<.001

<표 5>사회복지시설 인증제에 한 설문조사 결과

Page 19: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85

여섯째,사회복지시설 인증제의 활용방안에서는 우수시설에는 인센

티 를 부여하고 하 시설에는 교육 컨설 을 제공해 주는 것이 좋

다는 의견이 82.3%로 가장 많았고,사회복지시설의 서비스 질 리를

한 참고자료로의 활용은 14.5% 다.일곱째,사회복지시설 인증 결

과에 한인센티 부여방안으로는 33.3%가인력보강비의지원을 제

시하 고,다음으로 시설환경 개선자 의 우선 지원 29.2%, 로그램

사업비 지원 21.2%등의 순이었다.이용시설 종사자는 인력보강비

에 한 지원을 더욱 선호하 고,생활시설 종사자는 시설환경개선 자

에 한 우선지원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이는 유의수

.01수 에서 통계 으로 유의하 다(p<.01).

여덟째,사회복지시설 인증제의 제도화 방안에서는 단기 으로는 자

발 참여를 유도하되,장기 으로는 의무 참여를 병행하는 방안이

52.7%로 가장 많았고,다음으로단기 으로는의무 참여를 유도하되,

장기 으로는 자발 참여를 병행하는 방안이 17.9%로 뒤를 이었다.

마지막으로,사회복지시설 인증제의 도입 시 신청할지의 신청가능성

에서는 67.2%가 지켜보다가 신청하겠다는 유보 인 입장을 보 고,가

능한 한 빨리 신청하겠다는 응답은 25.3%로 나타났다.

3)사회복지시설 인증제도에 한 집단인터뷰 결과

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에 한인식을심층 으로 탐색하기 해

표성 있는 장의 실무자를 상으로 집단 인터뷰를 진행하 다.

집단 인터뷰는 사회복지시설 평가 인증제도에 한 주 평

가와인증제도도입의필요성그리고인증제도도입을 한과정

차 등을 인터뷰 하 다.

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에 한 집단인터뷰결과,사회복지시설인

증제가 필요한 이유에 해서는 생활시설 종사자의 경우 공 과잉의 문

제로인해,이용시설은사회복지서비스의품질개선의시 성때문에평가

가필요하다고지 하 다.사회복지시설 생활시설의경우정원을충

Page 20: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86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소속 업무 근무경력 근무지

노인복지시설 회 회 사무 5년 노인양로시설

사회복지 회 회 총 8년 노인복지

아동복지연합회 회 사무 3년 아동복지연합회

노인복지 회 회 총 10년 노인복지

사회복지 의회 회 총 10년 사회복지 의회

<표 6>인증제도 인식에 한 집단 인터뷰 상자

족하지못한시설들이많고,특히노인복지시설의경우장기요양보장제도

의도입이후상당히많은시설들이수요를고려하지못하고설치되어수

요와 공 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어 노인요양서비스의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고있다는것이다.노인생활시설의실무를담당하고 있는 문가

도 노인복지시설의 공 과잉의 문제에 해 공감하고 있었다.

“노인복지시설,특히 재가복지시설이 과다하게 공 되어 있는 실에

해서는노인복지시설차원에서도무척고민하고 있는부분이다.수요보

다 공 이 많다보니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지 않는

다.아마건강보험공단의평가도이부분때문에실시하고있는것으로안

다.인증제가필요하다는 주장에는원론 으로동의하지만정부의 산을

지원받고 있지 않는 노인복지시설의 입장에서는 인증제의 시행에 따른 효

과가 있을지는 의문이다.”<노인복지 련 연합회 D국장>

특히 인증제를 원하는 이유에 해서는 인증시설의 여부가 사회복지

서비스에 한이용자의선택권을강화시켜사회복지시설이품질을기

으로경쟁하는시스템을만들어낼수있을것이라는기 감때문으로보

고하 다.물론인증제에 한선호는 재의사회복지시설평가제도에

한 반감에 한 반사 결과라는 의견도 있었다.

“사회복지시설의 공 과잉은 어떤 형태로든 해소될 필요가 있다.과잉

공 으로 인한 사회복지서비스의 질 수 은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이

로인한사회복지시설의 기감도분명히 있다.사회복지시설의공 과잉

은인증제도를통해서일정부분해소될수있을것이라고본다.인증여부

Page 21: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87

에따라이용자가사회복지시설을선택할수있도록해 다면이용자가

거나받지못한시설은자연스럽게경쟁에서도태될수밖에없다(사회복지

련 연합회 E국장).”

인증제 도입 시 검토해야 할 사항으로는 인증은 사회복지시설들의

합의가 필요하다는 에서 긴 시간을 가지고 진 으로 시행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았고,인증의 단계도 5단계보다는 인증,조

건부인증,불가로구성된세단계가인증의목 을달성하는데 합하

다는데 의견이 모아졌다.

“인증제가사회복지시설의질 수 을향상시키는데그목 이있다면

인증시설에게는무언가특별한인센티 가부여되어야 한다.그리고인증

시설이되었다고하는것에 한자부심,뭐 이런게있어야 한다.이러려

면 인증의 기 을 무 세분화시키면 안 되고 세 단계정도로 구분해서 인

증심사가 이루어지면 인증을 한 사회복지시설들의 노력이 강화될 것이

다.”<노인복지 D 장>

“인증의주체는공신력을가지고있는행정기 이하되별도의인증기

을설치하는것보다는상시 이고권한이부여된인증심사기구를 라북도

에 두는 것이 좋다.인증기 을 둘 경우 산상의 문제도 있고…….(략).

사회복지 의회나 도출연기 일부가 인증기 이 될 경우 체계 인 인

증은 될지 모르지만 객 성과 문성을 갖출 수 있을지....의문이 있다.오

해의소지가있을수있지만 표성을가진사회복지 련 회나단체가인

증기 이 되는 것도 객 성을 가지지 어렵다.”<종합사회복지 A 장>

인증 심사 원과 주체에서는 조사에 참여하는 문가들마다 의견이

달랐는데,인증심사 원으로 지역 문가를 배제하는 것이 객 성을 가

질수있다는의견도있었고,지역 문가를배제할경우지역사회복지

시설의 고유한 특성이 반 될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도 함께 제기되었

다.특히인증이사회복지시설의품질을결정하는 요한기 이된다

는 에서 지역 문가가 인증 원으로 참여하는 것 자체를 꺼릴 것이

라는 의견도 있었다.

Page 22: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88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인증제도는인증요원이 매우 요한데,인증요원이 객 으로심사를

하려면지역 문가의 참여를제한하는 것이 좋다. 부분의 지역에서사

회복지시설은지역 문가들간의교류가활발하고서로에게흠이되는말

을하지않는분 기팽배하다.이같은인간 계가인증심사에서공정

한심사로 이루어지지 못하게할 수 있다.인증요원이 객 으로심사할

수 있도록 하기 해서는 문성을 갖춘 제3자의 문가가 참여하는 것이

좋다.”<노인복지 D 장>

한편,인증제도의 성공은 인증시설에 한 인센티 에달려 있다는 지

이많았다.인센티 가사회복지시설의인증에 한기 치를높여주지

못할경우인증제도의 실효성은담보하기어렵다지는지 도많았다.

“인증제도든 평가제도든 사회복지시설의 입장에서는 평가를 통한 시설

개선의 의지가 결국은 인센티 와 연결될 수밖에 없다.노인요양시설의

경우 건강보험공단이 평가를 해서 인센티 를 제공해주고 있는데,제공되

는 재정 지원이 고,총량도 이미 설정되어 있어서 불만이 많다.이런

인센티 라고한다면평가를받을이유가있느냐?결국은인증제도도인증

기 에 한 매력 인 인센티 가 동반되지 않으면 성공하기 힘들다.이

을 행정기 이 잘 알아야 한다.”<노인복지 련 연합회 D국장>

한 재 사회복지시설 평가제도가 평가를 받은 사회복지시설로부

터 정 인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도 평가결과에 따른 인센티

가매우취약하기때문이라는지 이있었다.평가든인증이든결과에

따른재정 인센티 가평가를 받는사회복지시설에게명확하게확인

되지 않을 경우 평가나 인증의 효과는 반감될 것이라는 이다.

5.결론 논의

이 연구는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의 도입 련 사회복지

장 실무자의 인식을살펴 으로써 사회복지시설 인증제도입방안을 모

색하는 데 연구의 목 이 있다.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사

Page 23: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89

회복지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으며,이와동시에사회복지시설,직능단체, 련 의체 표7인을

심으로 집단인터뷰를 실시하 다.

분석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첫째,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가필

요한지에 해서는 연구 상자의 64.7%가 인증제도의 필요성에 공감하

는것으로나타났으며,특히 이용시설종사자가생활시설종사자에 비해

인증제가필요하다는응답자의비율이다소 높았다.사실사회복지시설

들과의충분한 의가없이인증제가도입될경우제도시행자체가어려

울뿐만아니라시행된이후결과에 한사회복지시설의수용에도큰문

제가발생할수있다.특히,인증제의경우인증심사를원하는사회복지

시설의 신청에 의해서 인증제가 개시되기 때문에 인증제도에 한 충분

한사 의와교육이선행되어야한다.따라서향후인증제도가도입될

시생활시설종사자들의실행의지를높일수있는방안을마련하여야한

다.인증제도가도입되더라도인증의결과에따른행정기 의 한조

치가 수반되지 못한다면 평가와 인증은 시행정이 될 가능성이 높음을

숙지하여야 할것이다.사회복지시설이인증의정확한목 을이해하지

못할경우인증이주된목 인사회복지서비스의품질향상이나사회복지

시설 운 의 개선효과는 거들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도입시에가장먼 고려해야할사항

으로는 객 인 평가지표의 개발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평가지

표의객 성 문제는 재 보건복지부의 평가지표에서도상당한 문제로

지 되고 있는 바,인증제의 도입과정에서 이는 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부분임을 보여 주는 결과이다.사회복지시설의 인증은 객 이고

공정한 지표의 개발을 제로 실 된다.따라서 보건복지부의 사회복

지시설 평가 기 과타시도의 사회복지시설 인증기 을토 로 라북

도 지역 실정에 맞는 인증지표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인증지표의 개

발 시 지역의 사회복지 문가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시민사회 활동

Page 24: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90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가,학계등다양한이해 계자의참여를보장하고의견을수렴하는민

주 차가 확보되어야 한다.경기도와 서울시의 사례에서처럼 인증

지표개발 원회를 통해서 지역의 다양한 사회복지 문자원들이 결합

하여지표를 개발하는 것도 한방안이 될수 있다.지표개발과정에 지

역의다양한자원이결합할경우지표의객 성뿐만아니라지표에

한 수용성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사회복지시설 인증제도의 비용부담 방법에 해서는 연구

상자의 88.1%가국가 는지방자치단체가 액 지원해야 한다고응답

하 다.사실 지방자치단체가 인증 제도를 시행할 경우 보건복지부의

평가제도에 더하여 사회복지시설은 다른 평가심사방식인 인증제를

받을수밖에없는부담이있다.따라서지방자치단체가인증제를시행

하고자 한다면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시설 평가제와의 계설정이

제되어야한다. 재의제도하에서보건복지부의평가제도를지방자

치단체의인증제도가완 히 체할수없다면,인증제도는사회복지시

설의 하드웨어를 심으로 심사하여 격여부를 심사하고 인증자격을

부여하는 기능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보건복지부의 평가제도는

사회복지서비스나 로그램 등의 소 트웨어를 평가하여 품질을 개선

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양자의 계를 재정립하는 것도 하나

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넷째,사회복지시설 인증제의 인증방식으로는 이용시설 종사자의 경

우 3등 으로 구성된 인증제를 더욱 선호하고 있는데 반해,생활시설

종사자는 5등 으로 구성된 인증제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순히 인증을 받았느냐의 여부에 그치지 않고 정 수 의 등

제를 도입하여 사회복지시설의 지속 인 노력이 자체 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사회복지시설인증제의인증시효에서는3년이52.6%로가장많

았다.따라서인증제도입시사회복지사업법상실시하고있는3년주기

Page 25: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91

의사회복지시설평가와연동하여 실시하되 보건복지부의평가지표에 더

하여지방자치단체의 환경을 고려한 련 지표를 병합하여 활용함으로써

평가와인증과정에불필요한행정비용낭비를 이도록해야한다.

여섯째,사회복지시설 인증제의 활용방안에서는 우수시설에는 인센

티 를 부여하고 하 시설에는 교육 컨설 을 제공해 주는 것이 좋

다는의견이가장많았다.이는일회성평가로사회복지시설의사후

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기존 평가제도의 한계가 인증심사 이후

지속 인 리가 이루어지는인증제도에 한일종의 기 감으로나타

나고있음을보여주는결과이다.따라서사회복지시설인증결과는공

개하여 모든 사회복지시설이 공람할 수 있도록 하되,사회복지시설 인

증을받은기 은 지방자치단체가 공인한우수사회복지시설임을인정

하는 을 수여하고 인증이후 지속 인 사후 리를 통해 사회복지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사회복지시설 인증 결과에 한 인센티 부여 방안으로는

이용시설종사자는인력보강비에 한지원을더욱선호하 고,생활시

설 종사자는 시설환경개선 자 에 한 우선지원을 더욱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사회복지시설에서는 인증을 통한 인센티 가 없는 상

황에서 보건복지부 평가 이외의 인증까지를 받고자 하는 유인동기가

약할수밖에없다.때문에우수시설로인증된사회복지시설은행정

ㆍ재정 인센티 를 제공함으로써 여타사회복지시설의 인증제참여

를독려하고,인증결과에따른보조 의차등배분을통해사회복지서비

스의 질 수 개선에 노력하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여덟째,사회복지시설인증제의제도화방안에서는단기 으로는자발

참여를유도하되,장기 으로는의무 참여를병행하는방안이가장

많았다.인증의 효과는 공 자 심 혹은 시설 심에서 이용자 심으

로의 환을 유도할 수 있고,복지서비스의 품질을 재고하여 이용자의

만족도를향상시키며,사회복지서비스의책임과권한을명확하게제시할

Page 26: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92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여기에 사회복지서비스 조직의 에서도 직

원 리가용이하고,사회복지시설의이미지가향상되는효과를가져다

다.이용자 측면에서도 사회복지시설 이용의 선택권을 확 하여 보다

훌륭한양질의서비스를제공할수있다.따라서인증제의 정 측면

에 한 인식을 리 확산시킴으로써 사회복지시설 인증제에 한자발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사회복지시설인증제의 도입 시신청의사에서는 67.3%가

지켜보다가 신청하겠다는 유보 인 입장을 보 다.사회복지시설 인증

제는사회복지시설운 의상당한변화를 래한다는 에서피평가시설

인일선사회복지시설들의동의를 제로출발해야한다.사회복지시설

인증제도가 도입될 경우 사회복지시설은 상당한 변화를 경험할 수밖에

없고,인증여부에 따라 사회 인지도나 행정 ㆍ재정 인센티 와 연

동될수있기때문에매우민감한사안이된다.따라서인증제도가효과

으로운 되기 해서는인증제도에 한사회복지시설의수용성이

제되어야 하고,이를 해서는 많은 토론과 논의의 과정이 필수일 것이

다.아울러,인증제도의 시행도 강제 시행보다는참여를희망하는 신

청 기 을 상으로 실시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 동안 서울과 경기를 비롯한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사회복지시

설인증제와 련한정책 논의는 극 으로개진되지못했다.특히,

인증제도나 평가제도의주된이해당사지인 실무자들의인식 련연구

한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다.이러한 에 비추어 볼 때,이 연구는

비록 라북도에 국한된 지역 한계를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사회복

지시설 인증제의 도입과 련하여 사회복지 장 실무자의 인식을 탐

색했다는 그리고이를기반으로인증제도입시요구되는정책 과

제들을 제시하고 있다는연구의 의의를찾을수 있다.여기에 이연구

는 설문조사와함께 집단 인터뷰를 병행하여 설문조사에서 충분히

포착되지 못한 민감한 인증제도의 쟁 들을 구체화하 고,지방자치단

Page 27: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93

체 차원에서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시 요구되는 정책 안들을

세부 으로 제시하 다는 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이상의 의의에도불구하고 이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내

포하고 있으므로,이를 보완한 후속연구를 기 한다.

첫째,평가제도나 인증제도에 한 인식을 조사하기 해 시설의 유

형별로 100명을 할당해 총 500명의 표본을 비확률로 추출해 조사를 실

시했고,이로 인해 조사의 결과를 체 모집단으로 일반화하기는 어렵

다는 한계를 가진다.조사 상자를 사회복지시설의 종사자로 제한한

이유는 사회복지시설 평가제의 주요 이해당사자가 사회복지시설 운

자와종사자라는 에서정책의 이행여부를 결정하는 요한인구학

변수이기 때문이다.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인증에 한 주요 이해당

사자와 함께 학계 문가와 사회복지서비스의이용자까지를포 한 보

다 범 한 조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인증의 명확한 개념의 부재에따른 논의 개상의 한계이다.평

가제와인증제는목 과방법그리고지향하는가치에상당한차이가있

어양자를개념 으로는구분하는것이타당하다.하지만인증제도도일

련의평가 차와과정이수반된다는 에서넓은의미의평가제도의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특히 정책 의미에서 사회복지시설의 인증은

공 인 행정기 의 책임 있는 평가의 결과로 결정된다는 에서 기존의

인증제와 인증제와의 의미론 차이 들에 한 이론 ㆍ과학 논의가

선행되어야하지만인증제에 한선행연구의부족과정책연구의활용성

을먼 고민하여이같은과정을깊이있게탐색하지못했다.추후연구

에서는인증제와평가제그리고평가인증제간의이론 개념화가추가

으로 논의되고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Page 28: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94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 참고문헌 ▣

강일신.2010.“사회복지시설 평가와 인증.” 서울시복지재단 블로그

<blog.daum.net/seoulwelfare7/458>자료,서울시복지재단

곽미 .2006.“아동복지시설(국공립보육시설)의질향상을 한평가

인증을 한 기 연구.”『21세기사회복지연구』3:1-25.

김세곤.2007.“보육시설평가인증에 한한일간 비교연구.”동국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김통원.2001.“한국과미국의사회복지평가체계의특성비교.”『한국

사회복지학』45:126-155.

김혜연.2010.“사회복지시설인증사업의성과 과제:서울시복지재단

인증사업을 심으로.”『한국복지분권실천 의회 심포지엄 자료집』.

류명석.2006.『사회복지시설 인증제도』.서울복지재단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복지 의회.2010a.사회복지시설평가개선 연

구Ⅲ(사회복지시설 평가 담기구 설치방안).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복지 의회.2010b.사회복지시설평가개선 연

구Ⅳ(인증제 도입 평가체계 개선방안).

변용찬.2001.“아시설평가결과 정책방안.”『보건복지포럼』56:26-35.

서문희.2001.“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실시 방안.”

『보건복지포럼』52:64-72

서문희.2002.“보육시설 평가 인증제의 실시 방안.”『한국보육학회

2002년 추계학술 회 자료집』.

서울복지재단.2005a.『사회복지시설 인증체제 수립연구』.서울복

지재단.

서울복지재단.2005b.『사회복지시설 인증 경 컨설 세미나 자

료집』.서울복지재단.

선은애.2012.“사회복지시설의 평가제도에 한 연구.”『토지공법연

Page 29: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 95

구』56:401-420

오충순.2010.“사회복지시설 유형별 최소기 안 연구.”『사회복지시

설평가 개선방안 공청회 자료집』.한국사회복지 의회.pp.7-37.

이선우ㆍ최상미.2002.“사회복지시설평가의 실과 개선방안.”『사

회복지정책』15:133-154.

임성옥.2003.“ 앙정부의 사회복지시설 평가에 한 비 분석:

메타평가를 심으로.”『정부학연구』9(2):261-296.

이지숙.2010.“사회복지시설인증체제수립에 한연구.”『복지시설

평가인증제도 도입 세미나 자료집』.서울복지재단.

정기원ㆍ유성렬.2001.“사회복지 평가제도의 개선을 한 인 제도

도입방안의 모색”『한국사회복지행정학』.4:61-87

정무성ㆍ성기옥.2010.『사회복지시설평가개선연구:인증제도입

평가체계 개선방안』.보건복지부.

최일섭 외.2008.“사회복지시설평가 체계개선에 따른 운 모델 개발

연구.”『충청복지정보』7.

최재성.2001.“사회복지분야의 평가 경향과 과제.”『한국사회복지행

정학』4:99-115.

Nichols,A.W.1980.“AccreditationintheFieldofSocialWelfare:

anAppoachtoSelfRegulationandSocialControl.” Unpublished

DoctoralDissertation.ColumbiaUniversity.

Rooney,A.L.,&R.Ostenberg.1999.Licensure,Accreditation,and

Certification:Approachesto Health ServicesQuality.Quality

AssuranceProject.

Rossi,P.&H.Freeman.1993.Evaluation:ASystematicApproach(5th

ed.).BeverlyHills,SagePublication

Page 30: 전라북도사회복지시설인증제도입에대한 현장실무자의인식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23/03_Lee_Mo_Kim.pdf사회연구통권23호(2012년2호),pp.67~96

96 사회연구 통권 23호(2012년 2호)

이 섭은 부산 학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 를 받고, 북발 연구원 부연구

원으로재직하고 있다.최근 연구로 “지방정부의 복지재정 자율성에 향을 미

치는요인”(2010),“지역별복지의식에 향을미치는요인연구:자기이해,사회

화,이데올로기,수 자에 한 태도요인을 심으로”(2010),“부모의 학력이 청

소년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향:빈곤,비행,부모자녀 계,자아존 감의

매개효과를 심으로”(2011)등이 있다.

모지환은 앙 학교에서 문학 박사학 를 받고,세한 학교(구 불 학교)사회

복지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일본 法政 학 大原사회문제연구소 객원연

구원과東京都 人総合研究所특별연구원을역임했으며,최근연구로“자살행동

향요인:성별,연령별집단비교를 심으로”(2011),“사회복지사의재교육이소

진에미치는 향:자기효능감의매개효과를 심으로”(2011),“ 료 조직풍토

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공직 비윤리행동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심으

로”(2011)등이 있다.

김용민은 성균 학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 를 받고,세한 학교(구 불 학

교)사회복지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월드비 과 어린이재단의 사회복지

에서 사회복지사로 재직 했으며,최근 연구로는 “사회복지사가 인지한 문

능력이 윤리 책임에 미치는 향”(2011),“사회복지 조직풍토인식이 사회복

지사의 문성에 미치는 향”(2011)등이 있다.

[2012.6.29. 수;2012.8.25.수정;2012.8.27.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