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
연구자료 D412 | 2016. 2. 뉴질랜드 원예산업 구조 - 키위·사과 연구위원

뉴질랜드 원예산업 구조 - 키위 사과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587/1/뉴질랜드 원예산업 구조...- 뉴질랜드 키위 단수는 2000년까지는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연구자료 D412 | 2016. 2.

    뉴질랜드 원예산업 구조

    - 키위·사과

    국 승 용 연구위원

  • 연구 담당

    국승용 연구위원 연구 총괄

  • i

    요 약

    ○ 뉴질랜드 농업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며 뉴질랜드 농업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도 부족함.

    - 우리나라에 인접한 중국이나 일본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

    어지고 있으며, FTA·선진 농업시스템 벤치마킹 등의 이유로 EU나 미국

    등의 농업에 대한 연구도 다수 수행된 바 있음. 이에 비하여 뉴질랜드 농

    업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지 못함.

    - 최근 한·뉴질랜드 FTA 체결 등 뉴질랜드 농업에 대한 관심이 과거에 비해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뉴질랜드 농업 구조 전반에 대한 정보는 많지 않음.

    - 경영체 벤치마킹 차원에서 제스프리, 폰테라 등 뉴질랜드 농기업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나 개별 경영체의 경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뉴

    질랜드 농업 구조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음.

    ○ 이 연구는 뉴질랜드 농업, 특히 과수산업의 발전과정과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돕고 상호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됨.

    - 뉴질랜드를 대표하는 농산물 중의 하나인 키위와 비교적 내수시장의 규

    모가 큰 사과산업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뉴질랜드 원예산업의 발전과

    정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도모함.

    - 뉴질랜드 과수산업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교역, 기술 교

    류, 다양한 농업 분야 협력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함.

    - 뉴질랜드 과수산업의 다양한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나라 과수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키위 재배면적은 1980년대 후반, 사과 재배면적은 1990년대 후반에 최고점이

    형성됨.

    - 키위 재배면적은 1970∼80년대 수출 시장 확대 등으로 빠르게 확대되어

  • ii

    1980년대 후반 18,000ha 이상을 유지하였으나 1990년대부터 재배규모가

    축소되어 2000년대 중반부터 12,000ha대를 유지하고 있음.

    - 사과 재배면적은 1990년대 후반 15,000ha 규모까지 확대되었으나 2000

    년대에 들어 재배면적이 축소되어 최근 9,000ha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뉴질랜드 키위와 사과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꾸준히 증대되고 있으며, 세

    계 평균 단수와 비교하면 키위는 2배 이상, 사과는 3배 이상 많은 수량을

    생산하고 있음.

    - 뉴질랜드 키위 단수는 2000년까지는 세계 평균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었

    으나 2000년 이후 세계 평균과 단수 격차가 확대되기 시작함. 이 같은

    키위 생산성 향상은 1990년대 추진된 키위산업 구조 개혁과 밀접한 관련

    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뉴질랜드 사과 단수는 과거에 비해서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나 세계

    평균과의 격차는 확대되고 있지 못함. 뉴질랜드 사과 단수는 1970년대에

    세계 평균에 비해 3배 이상 많은 수준이었으며 그와 같은 추세가 현재에

    도 유지되고 있음.

    ○ 키위와 사과의 공급사슬에서 가장 커다란 차이점은 이들 품목의 수출 비중임.

    키위와 사과의 수출 비중은 각각 90%, 50%를 넘는 수준임.

    - 수출 단가가 내수 단가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키위와 사과 모두

    수출을 통한 수익규모가 크나 그 의존도는 상이함. 특히 생산자 측면에

    서 키위 생산자는 수출을 하지 않고서는 영농이 곤란한 수준인 반면, 사

    과 생산자는 내수 비중이 큰 생산자가 존재함은 물론 내수에 초점을 맞

    춘 소규모 농가도 존재하는 구조임.

    - 수출 의존도의 차이 때문에 유통기구의 기능에도 차이가 발생함. 키위의

    경우 호주를 제외한 세계 수출을 전담하는 제스프리는 대부분의 수출 마

    케팅을 담당하고 내수에는 관여하고 있지 않음. 반면 사과 마케팅 업체

    는 내수와 수출을 병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 iii

    ○ 2011년 기준 뉴질랜드 키위는 2,706호의 생산자가 12,825ha 규모로 재배하

    고 있으며, 사과는 406호의 생산자가 8,470ha 규모로 재배하고 있음.

    - 키위 생산자의 호당 평균 재배면적은 약 5ha이며, 사과의 호당 평균 재배

    면적은 약 21ha임. 키위 농가는 연간 평균 164톤을, 사과 농가는 808톤을

    생산함.

    - 호당 수출 규모는 키위 약 30만 달러, 사과 약 70만 달러 규모이며, ha

    당 소득은 키위 13,320달러, 사과 2,948달러임. 이를 호당 소득으로 환산

    하면 키위는 66,600달러, 사과는 61,908달러임.

    ○ 키위산업과 사과산업의 수직계열화(vertical coordination) 방식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임.

    - 두 산업은 상이한 발전 과정을 경험했고 특히 수출 단일 창구, 생산자조

    직의 역할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수직계열화 방식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음.

    - 키위산업은 제스프리가 수출 단일 창구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공급

    사슬의 각 주체들이 독립적으로 자신의 사업 영역을 담당하고 있음. 즉

    제스프리는 수출을 위한 선적 이후의 마케팅 과정을 담당하고, 수확 후

    관리조직은 농가에서 출하한 이후 수출 선적 이전까지의 과정을 담당하

    며, 농가는 선과장에 출하하기 이전까지의 과정을 담당함.

    - 사과산업은 다양한 형태의 수직계열화 방식이 공존하고 있음. 최대 사과

    수출기업인 T&G는 독자적인 품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수원을 직영하

    고 있고, 자체 선과장을 활용하여 국내외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음. 업체

    의 전략에 따라 선과장 운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업체도 있고, 과원 경

    영에 전문화된 업체도 있으며, 공급사슬의 일부를 통합한 기업도 존재함.

    ○ 생산자조직은 마케팅보드나 마케팅 회사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키위와 사과

    생산자조직은 모두 회사(Incorporated)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

    - 생산자조직은 시장 정보 제공, 해당 산업의 발전을 위한 의견 수렴, 연구,

  • iv

    제도 제안 등의 역할을 수행함. 마케팅보드에 파견할 생산자 대표를 선출

    하며 대표단을 통해 마케팅보드에서 생산자의 이해관계를 반영하도록 함.

    - 생산자조직은 농산물 판매금에 부과하는 자조금을 재원으로 운영됨. 생

    산자조직은 2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키위는 New Zealand Kiwifruit

    Growers Incorporated, 사과는 Pipfruit New Zealand Incorporated가 생산

    자조직임. 이들 과실과 채소 생산자조직들로 구성된 Horticulture New

    Zealand라는 협의체가 존재함.

    ○ 생산자조직의 역량에 따라 공급사슬에서 상이한 기능을 수행함.

    - 사과 부문은 생산자가 출자한 마케팅 조직을 민간 기업이 인수하는 등

    민간 부문이 마케팅을 주도하고 있음. 또한 민간 부문이 다양한 방식으

    로 공급사슬의 수직통합을 추진하고 있어 이 과정에서 생산자조직의 역

    할은 제한적임. 일상적인 산업활동은 마케팅 회사가 주도하고 있으며 협

    력기구(Pipfruit New Zealand)를 통한 기본적인 이해관계의 조율이 이루

    어지고 있음.

    - 키위 부문은 제스프리가 마케팅에서 준 독점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고,

    생산자가 제스프리를 소유하고 있어 공급사슬의 전 과정에 대한 생산자

    조직(New Zealand Kiwifruit Growers Inc.)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강하

    게 작용함. 생산자들은 선과장에 대한 선택 권한을 가지고 있고, 제스프

    리는 선과장의 성과에 따라 인센티브를 차별화함으로써 선과장 간의 경

    쟁을 촉진하여 공급사슬 전반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있음.

  • v

    차 례

    제1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4. 연구 내용 ······································································································4

    5. 연구 방법 ······································································································5

    제2장 뉴질랜드 농업 개황

    1. 뉴질랜드의 지리적 특성 ··············································································7

    2. 뉴질랜드의 농업용지 ····················································································9

    3. 뉴질랜드의 농업생산 ··················································································10

    4. 농산물 수출입 ·····························································································18

    제3장 뉴질랜드 키위 산업 구조

    1. 세계 키위 시장 구조 ··················································································23

    2. 뉴질랜드 키위산업 현황 ············································································28

    3. 뉴질랜드 키위산업의 구조 개혁과 영향 ··················································33

    4. 뉴질랜드 키위산업 공급사슬 ····································································48

    제4장 뉴질랜드 사과산업 구조

    1. 세계 사과산업 구조 ···················································································53

    2. 뉴질랜드 사과산업 현황 ············································································55

    3. 뉴질랜드 사과산업의 발전 과정 ·······························································61

    4. 뉴질랜드 사과산업 공급사슬 ····································································66

  • vi

    제5장 뉴질랜드 키위산업과 사과산업 비교

    1. 키위·사과 생산 ···························································································71

    2. 키위·사과 공급사슬 ····················································································75

    3. 키위·사과산업 구조 변천 ··········································································78

    4. 수직계열화 방식 ·························································································81

    제6장 주요 현안과 시사점

    1. 뉴질랜드 생산자조직의 특징 ····································································87

    2. 단일 창구에 대한 검토 ··············································································89

    3. 브랜드 마케팅 ·····························································································93

    4. 생산자조직의 역할 ·····················································································95

    참고 문헌 ···········································································································100

  • vii

    표 차례

    제2장

    표 2-1. 뉴질랜드 과수 재배면적 ·································································13

    표 2-2. 뉴질랜드 채소 재배면적 ·································································15

    표 2-3. 뉴질랜드 시설원예 면적 ·································································16

    표 2-4. 뉴질랜드 축산 현황 ·········································································18

    표 2-5. 뉴질랜드 교역액 추이 ·····································································19

    표 2-6. 축산물 품목별 수출액 추이 ···························································22

    제3장

    표 3-1. 세계 키위 생산 추이 ·······································································24

    표 3-2. 국가별 연평균 키위 생산량 ···························································25

    표 3-3. 주요국의 수출입 의존도 비교 ························································26

    표 3-4. 키위 국가별 수출입 메트릭스, 2011 ·············································27

    표 3-5. 1980년대 키위 수출량과 농가수취가 추이 ··································42

    표 3-6. 뉴질랜드 키위 생산구조 변화 ························································45

    표 3-7. 뉴질랜드 키위 농가수취가 변화 추이 ··········································47

    표 3-8. 키위 재배면적의 지역별 비중 추이 ··············································48

    제4장

    표 4-1. 세계 사과 생산 추이 ·······································································54

    표 4-2. 세계 교역량 추이 ············································································54

    표 4-3. 수출량 상위 10개국 ········································································55

    표 4-4. 뉴질랜드 사과 품종별 재배면적 추이 ··········································58

    표 4-5. 뉴질랜드에서 재배되는 사과 품종 ················································60

  • viii

    표 4-6. 뉴질랜드 사과 수출 지표 추이 ······················································65

    표 4-7. 뉴질랜드 사과 지역별 재배 비중 추이 ········································66

    표 4-8. 뉴질랜드 사과 수출 추이 ·······························································66

    제5장

    표 5-1. 뉴질랜드 키위·사과 단수 추이 ······················································73

    표 5-2. 뉴질랜드 키위·사과 공급사슬 비교, 2011 ····································77

  • ix

    그림 차례

    제2장

    그림 2-1. 뉴질랜드 행정구역 ·········································································8

    그림 2-2. 북섬과 남섬의 농업용지 이용 유형 ··········································10

    그림 2-3. 뉴질랜드 원예 재배 지역별 특성 ··············································11

    그림 2-4. 뉴질랜드 원예 농산물 소비 구조 ··············································17

    그림 2-5. 뉴질랜드 농산물 수출액 상위 10개, 2012 ·······························20

    그림 2-6. 뉴질랜드의 원예 농산물 수출 시장 ··········································21

    제3장

    그림 3-1. 뉴질랜드 키위 생산 추이 ···························································29

    그림 3-2. 키위 출하량과 단수 추이 ···························································30

    그림 3-3. 키위 품종별 출하 추이 ·······························································31

    그림 3-4. 2014년산 뉴질랜드 키위 국가별 수출 비중 ·····························32

    그림 3-5. 뉴질랜드 키위 수출 관련 조직의 변천 ·····································41

    그림 3-6. 베이 오브 플렌티 지역 키위 과원의 ha당 가격 추이 ············44

    그림 3-7. 선과장과 저온저장고 변화 추이 ················································46

    그림 3-8. 뉴질랜드 키위산업 가치사슬 ······················································50

    제4장

    그림 4-1. 뉴질랜드 사과 생산 추이 ···························································56

    그림 4-2. 수출용 사과 품종별 생산량 추이 ··············································59

    그림 4-3. 뉴질랜드 사과 수출 시장 비중, 2014 ·······································61

    그림 4-4. 사과 마케팅보드 구조 개혁안 ····················································64

    그림 4-5. 남반구 사과 수출국 수출단가 추이 ··········································67

  • x

    제5장

    그림 5-1. 뉴질랜드 키위·사과 생산 추이 ··················································72

    그림 5-2. 뉴질랜드 사과 수출 단가 추이, 1991∼2005 ···························74

    그림 5-3. 키위·사과산업 구조 변천 과정 비교 ·········································79

    그림 5-4. 키위와 사과산업의 수직통합 변천 과정 ···································83

    제6장

    그림 6-1. 프랑스 브레타뉴 협동조합의 활동 ············································98

  • 제1 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

    ○ 뉴질랜드는 남반구에 위치한 인구 약 450만 명 규모의 나라임. 남반구에 위

    치하고 있다는 점, 내수시장의 크기가 그리 크지 않다는 점이 뉴질랜드 농

    업의 주요한 특징을 좌우하는 요소임.

    - 남반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북반구의 계절과 상반되는 기후 특성을 가

    지고 있어, 신선 농산물의 경우 북반구에서 생산이 어려운 시기에 오히

    려 활발한 특징이 있음. 즉, 북반구는 12월 전후가 한겨울인 반면 남반구

    는 해당 시기가 한여름임.

    - 뉴질랜드는 위도(남위) 34∼47°의 중위도 지방에 위치하여 비교적 뚜렷

    한 사계절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작물의 재배가 가능함.

    - 내수시장의 규모가 작은 반면, 북반부의 계절적 틈새 시장에 접근하기 유리

    한 특성이 있어 오래전부터 북반구 국가와 농산물 교역이 활발하게 추진됨.

    ○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뉴질랜드 농업 시스템은 북반구 여느 나라와는 상이한

    독특한 발전 과정을 겪음.

    - 20세기 초반부터 북반구 시장에 대한 농산물 수출을 활발하게 전개하면

  • 2

    서 수출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제도, 산업 인

    프라 등이 형성됨.

    - 오랜 기간 동안 북반구 틈새 시장에서 비교적 높은 수익이 창출될 수 있

    었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규모의 농지에서 다양한 품목이 재배되는 농업

    구조가 유지될 수 있었음.1

    - WTO 출범을 전후하여 농업 및 농정 구조에 대한 명시적인 국가 간 기준

    이 형성되기 이전까지 뉴질랜드는 다른 나라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

    한 농업 및 농정 시스템을 발전시킴.

    ○ 뉴질랜드 농업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며 뉴질랜드 농업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조차도 다른 나라에 비해 접근이 어려움.

    - 우리나라에 인접한 중국이나 일본, FTA·선진 농업시스템 벤치마킹 등의

    이유로 최근 비교적 활발하게 연구가 추진되고 있는 EU나 미국 등에 비

    하여 뉴질랜드 농업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지 못함.

    - 최근 한·뉴질랜드 FTA 체결 등 뉴질랜드 농업에 대한 관심이 과거에 비해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뉴질랜드 농업 구조 전반에 대한 정보는 많지 않음.

    - 경영체 벤치마킹 차원에서 제스프리, 폰테라 등 뉴질랜드 농기업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나 개별 경영체의 경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뉴

    질랜드 농업 구조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음.

    ○ 이 연구는 뉴질랜드 농업, 특히 과수산업의 발전과정과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돕고 상호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됨.

    - 뉴질랜드를 대표하는 농산물 중의 하나인 키위2와 비교적 내수시장의 규

    모가 큰 사과산업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뉴질랜드 원예산업의 발전과

    1 축산업의 경우 겨울철에도 얼음이 얼지 않는 지역이 폭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 지역

    에서는 초지 유지가 용이하여 방목형 축산업이 발달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2 kiwifruit을 의미함.

  • 3

    정과 구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

    - 뉴질랜드 과수산업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교역, 기술 교

    류, 다양한 농업 분야 협력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함.

    - 뉴질랜드 과수산업의 다양한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나라 과수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2. 연구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뉴질랜드 과수산업의 발전 과정과 산업구조의 특성을 분

    석하여 뉴질랜드 농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양국 농업 협력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것임.

    - 뉴질랜드의 대표적인 과실인 키위와 생산규모가 크면서도 내수의 비중

    이 상대적으로 큰 사과산업 구조를 분석함.

    - 뉴질랜드 과수산업의 발전 과정과 발전 과정의 산물인 현재 산업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뉴질랜드 과수산업의 이해를 높이고 양국의 농업 협

    력 방안 모색을 위한 기반 지식을 제시함.

    ○ 나아가 뉴질랜드 농업의 다양한 경험과 이를 통해 추진된 농업 및 농정 시

    스템 혁신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과수산업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함.

  • 4

    3. 연구 내용

    ○ 뉴질랜드 농업 개황

    - 토지 이용

    - 농업 구조

    ○ 뉴질랜드 과수산업의 발전

    - 뉴질랜드 과수산업 약사

    - 1990년대 농정개혁과 과수산업 구조 혁신

    ○ 뉴질랜드 키위산업

    - 현황

    - 공급사슬

    - 산업구조

    ○ 뉴질랜드 사과 산업

    - 현황

    - 공급사슬

    - 산업구조

    ○ 뉴질랜드 키위산업과 사과산업 비교

    ○ 시사점

  • 5

    4. 연구 방법

    ○ 뉴질랜드 농업 개황

    - 토지 이용

    ○ 문헌연구

    - 뉴질랜드 농정 개혁

    - 생산자조직과 농업 기업, 지원 체계

    - 관련 통계

    ○ 인터뷰

    - 교수 등 연구자

    - 협동조합, 기업 등 담당자

    - 농업인

    ○ 사례 조사

    - 키위(제스프리 등)

    - 사과(Mr Apple, ENZA 등)

  • 제2 장

    뉴질랜드 농업 개황

    1. 뉴질랜드의 지리적 특성

    ○ 뉴질랜드는 남섬과 북섬, 그 밖의 소규모 섬들을 영토로 하고 있으며, 남위

    34∼47°, 동경 116∼179°에 위치함.3

    - 뉴질랜드의 총면적은 약 26.8백만 ha이며 북섬의 면적은 11.5백만 ha, 남

    섬의 면적은 15백만 ha임.

    - 북섬면적의 약 10%가 산지이며, 남섬의 절반 이상이 산지임. 뉴질랜드 전

    체 면적의 약 3/4이 해발 200m 이상의 고도에 위치하고 있음.

    ○ 뉴질랜드 영토는 남북으로 약 1,600km, 동서로 약 400km에 이르고 있어 지

    역에 따라 기후 편차가 큼.

    - 전반적인 기후 특성은 온화한 온대성이나 북섬의 노스랜드 지역은 여름철

    아열대 기후에 가까우며, 남섬의 내륙 산악지방은 겨울에 추위가 극심함.

    3 뉴질랜드 인구는 2014년 6월 기준 약 451만 명이며, 인구의 86%가 도시지역에 거주

    하고 있음. 오클랜드(141만 명), 웰링턴(39만 명), 크라이스트처치(38만 명), 헤밀턴

    (21만 명) 등이 대도시이며, 카우랑가, 네이피어, 더니든 등이 인구 10만이 넘는 도시

    임. 오클랜드 웰링턴, 헤밀턴, 타우랑가, 네이피어 등은 북섬에 있으며, 크라이스트처

    치, 더니든 등은 남섬에 위치함.

  • 8

    그림 2-1. 뉴질랜드 행정구역

    - 북섬 중앙의 지형이 비교적 높고, 남섬 서북편 해안을 따라 높은 산맥이

    형성되어 있음. 이들 산악지역 서쪽의 강수량이 비교적 높고 동쪽의 강

    수량이 비교적 적은 특징이 있음.

    - 남섬의 캔터베리 지역에는 대규모 평원이 형성되어 있음.

  • 9

    2. 뉴질랜드의 농업용지

    ○ 뉴질랜드의 농업용지 면적은 약 14.4 백만 ha로 북섬은 7백만 ha, 남섬은

    7.4백만 ha의 농업용지를 보유하고 있음.

    - 농업용지의 이용 유형별 비중은 초지4 74%, 조성림5 11%, 자연숲6 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곡물 재배면적7은 3%인 약 47만 ha, 원예 작물 재배면적은 1%인 13만 ha임.

    ○ 북섬과 남섬의 경지 이용 구성비가 다소 상이하며, 남섬의 곡물 재배면적은

    남섬 농업용지 면적의 5%인 약 38만 ha임.

    - 캔터베리 평원 일원에 대규모 곡물 재배지역이 분포하고 있어 남섬에서

    상대적으로 곡물 재배가 활성화됨.

    4 Grassland와 Tussock and danthonia used for grazing (whether oversown or not)을 합한

    면적임.5 Plantations of exotic trees intended for harvest.

    6 Mature native bush 와 Native scrub and regenerating native bush로 분류된 면적을 합산함.7 Grain, seed and fodder crop land, and land prepared for these crops.

  • 10

    초지

    79%

    곡물

    5%

    원예

    1%

    조성림

    6%자연숲

    6%기타

    3%

    초지

    68%곡물

    1%

    원예

    1%

    조성림

    17%

    자연숲

    9%

    기타

    4%

    그림 2-2. 북섬과 남섬의 농업용지 이용 유형

    자료: Statistics New Zealand(2013). 2012 Agricultural Census.

    3. 뉴질랜드의 농업생산

    3.1. 원예

    ○ 뉴질랜드의 과수 재배면적은 71,706ha, 채소 재배면적은 49,707ha임(Fresh

    Facts 2015).

    - 채소 재배면적에는 감자, 스위트콘 등이 포함되며, 시설원예(과실, 채소,

    화훼 등) 재배면적은 2,771ha임.

    ○ 오클랜드, 와이카토, 캔터베리 지역을 제외하면 채소보다는 과수의 재배면

    적이 넓음.

    - 오클랜드와 와이카토는 대규모 소비지에 인접하여 근교 원예의 비중이

    비교적 높음.

  • 11

    - 와이카토, 캔터베리 등은 감자, 양파, 스위트콘 등 비교적 조방적인 경종

    작물의 생산 비중이 높음.

    그림 2-3. 뉴질랜드 원예 재배 지역별 특성

    자료: Horticulture New Zealand(2015). Fresh Facts 2014.

    ○ 과수의 재배면적은 와인포도(34,562ha), 키위(12,757ha), 사과(8,845ha)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12

    - 와인포도는 남섬의 말보로(22,627ha)와 캔터베리(1,550ha), 오타고(1,577ha),

    북섬의 혹스베이(4,936ha)와 기스본(1,685ha) 등에서 활발하게 재배되고 있음.

    - 키위는 베이 오프 플렌티(9,912ha)의 재배 비중이 현저하게 높은 가운데

    와이카토(726ha), 노스랜드(574ha) 등에서도 재배되고 있음.

    - 사과는 북섬의 혹스베이(5,115ha)와 남섬의 테스만-넬슨(2,496ha) 지역에서

    대부분 재배되고 있음.

    ○ 와인포도와 아보카도는 재배 규모에 힘입어 과수 총 재배면적이 최근 확대됨.

    - 수출 시장에서 경쟁이 격화되어 수익성이 하락하고, 뉴질랜드 국내 농업 인력

    이 감소하는 등 뉴질랜드의 농업 규모는 전반적으로 축소되는 추세에 있음.

    - 하지만 최근 뉴질랜드의 와인 수출이 확대되면서 와인포도 재배면적이

    급격히 확대되었으며, 와인포도는 생식용 포도에 비해 기계화가 가능한

    부분이 많아 상대적으로 재배가 확대되고 있음.

    - 아보카도는 최근 키위 과수원의 경영다각화 측면에서 재배면적이 확대

    되고 있음. 아보카도는 키위와 수확 기간이 상이하여 노동력 분산이 용

    이하고, 단일 작물에 소득을 의존하는 것보다는 소득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키위 과수원의 일부에 아보카도를 재배하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음.

  • 사과

    와인포도키위

    서머프루트아보카도감귤류베리류견과류올리브기타 열대과일기타 과일

    합계

    노스랜드

    17

    82574

    171,547

    295

    22

    62

    201

    117

    292,963

    오클랜드

    96

    300

    363

    50148

    103

    137

    112

    250

    91

    291,679

    와이카토

    141

    26726

    37176

    20342

    44

    55

    79

    151,661

    베이 오브 플렌티

    5-

    9,912

    62,081

    106

    45

    72

    42

    112

    3412,415

    기스본

    110

    1,685

    326

    -60

    1,151

    -8

    -115

    143,469

    혹스베이

    5,1154,936

    222

    854

    2813

    23

    14

    321

    222

    2511,773

    타라나키

    --

    00

    62-

    --

    -17

    -79

    마나와투-

    왕가누이

    34

    8-

    2122

    530

    53

    43

    50

    -266

    웰링턴

    -895

    -29

    164

    833

    216

    49

    301,280

    타스만-넬슨

    2,496

    821

    497

    227

    1688

    59

    129

    284

    475,051

    말보로

    18

    22,627

    -68

    -0

    -31

    134

    15

    -22,893

    웨스트 코스트

    -0

    00

    00

    -6

    05

    -11

    캔터베리

    226

    1,550

    -102

    --

    1,008

    639

    240

    18

    233,806

    오타고

    459

    1,577

    01,046

    -0

    27

    116

    22

    16

    133,276

    사우스랜드

    --

    0-

    0-

    533

    0-

    -38

    기타

    128

    55137

    242

    159

    263

    62

    475

    137

    1,046

    합계

    8,84534,56212,7572,276

    4,149

    1,857

    2,5981,3441,657

    1,265

    396

    71,706

    2007 년 합계

    9,24729,61613,2502,294

    4,004

    1,834

    2,4971,4842,173

    1,500

    398

    68,297

    2007 년 대비

    -4%

    17%

    -4%

    -1%

    4%

    1%

    4%-9%

    -24%

    -16%

    -1%

    5%

    표 2

    -1

    . 뉴

    질랜

    드 과

    수 재

    배면

    단위: ha

    자료

    : H

    orti

    cult

    ure

    New

    Z

    eala

    nd(2

    015)

    . F

    resh

    F

    acts

    20

    14.

  • 14

    ○ 채소의 재배면적은 감자(11,578ha), 콩류(7,858ha), 호박(6,837ha), 양파(5,718ha),

    스위트콘(4,664ha) 등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 남섬 캔터베리 지역은 채소 총 재배면적의 26%를 차지하고 있으며 감자,

    양파 등의 재배 비중이 높음.

    - 스위트콘과 호박의 재배 비중이 높은 기스본과 혹스베이 지역에서도 채

    소 재배가 비교적 활발함.

    - 대규모 소비지에 인접한 오클랜드와 와이카토 지역 역시 채소 재배가 활

    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2007년 총조사와 비교하여 채소의 총 재배면적은 커다란 변화가 없었으나

    (49,779→49,707ha), 품목에 따라서 변화 양상은 상이함.

    - 당근, 양파, 감자는 각각 55%, 24%, 15% 재배면적이 증가함.

    - 스위트콘, 호박은 각각 25%, 12% 감소함.

  • 아스파라거스브로콜리

    당근

    콩류

    양상추

    양파

    감자

    호박

    스위트콘기타 채소

    합계

    노스랜드

    -28

    62

    --

    22

    -84

    1,354

    1,496

    오클랜드

    -940

    194

    79

    469

    1,621

    1,444

    -38

    572

    5,357

    와이카토

    459

    75

    166

    273

    1,837

    2,074

    -42

    298

    5,026

    베이 오브 플렌티

    -53

    0-

    0-

    --

    1594

    162

    기스본

    0-

    0283

    --

    -2,406

    2,493

    429

    5,611

    혹스베이

    110

    85

    -2,506

    10

    662

    589

    3,248

    1,050

    537

    8,797

    타라나키

    --

    --

    --

    23

    --

    -23

    마나와투-왕가누이

    173

    859

    429

    43

    339

    392

    1,260

    241

    23472

    4,231

    웰링턴

    039

    -1

    41

    -19

    --

    32

    132

    타스만-넬슨

    4346

    --

    132

    5513

    14

    37203

    804

    말보로

    --

    -742

    --

    2-

    601

    109

    1,454

    웨스트 코스트

    00

    00

    -0

    00

    00

    0

    캔터베리

    29

    323

    823

    4,155

    23

    1,035

    5,754

    -255

    651

    13,048

    오타고

    -149

    --

    25

    4153

    --

    2333

    사우스랜드

    0-

    300

    0-

    -210

    00

    -510

    기타

    45

    1,238

    129

    333

    138

    167

    28

    942

    63560

    2,723

    합계

    820

    3,622

    2,047

    7,858

    1,250

    5,718

    11,578

    6,837

    4,664

    5,313

    49,707

    2007년 합계

    871

    3,875

    1,320

    7,515

    1,309

    4,594

    10,050

    7,774

    6,210

    6,261

    49,779

    2007년 대비

    -6%

    -7%

    55%

    5%-5%

    24%

    15%

    -12%

    -25%

    -15%

    0%

    표 2

    -2.

    질랜

    드 채

    소 재

    배면

    단위: ha

    자료

    : H

    orti

    cult

    ure

    New

    Z

    eala

    nd(2

    015)

    . F

    resh

    fa

    cts

    2014

    .

  • 16

    ○ 뉴질랜드 시설원예 면적은 약 277ha에 불과하며 대부분 북섬, 특히 대규모

    소비지인 오클랜드 인근에 형성되어 있음.

    - 남섬의 캔터베리 지방에 토마토 등을 재배하는 시설이 일부 운영되고 있

    으나, 대부분의 시설원예는 북섬에서 이루어짐.

    - 오클랜드와 이에 인접한 와이카토 지역의 시설면적이 1,708ha로 뉴질랜드

    총 시설면적의 62%를 점유하고 있음.

    - 토마토와 고추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고추 오이 상추 버섯 토마토 기타 합계

    노스랜드 - 18 21 - 109 21 169

    오클랜드 327 144 63 - 483 138 1,155

    와이카토 85 46 31 - 348 43 553

    베이 오브 플렌티 - - 29 - 6 - 35

    기스본 0 0 0 0 - 0 0

    혹스베이 3 2 1 - 6 2 14

    타라나키 - 0 - 0 - - 0

    마나와투-왕가누이 - - - 0 - 4 4

    웰링턴 1 - 1 0 - 7 9

    타스만-넬슨 50 - 7 0 - - 57

    말보로 0 0 - 0 - - 0

    웨스트 코스트 - 0 - 0 - - 0

    캔터베리 22 31 35 - 49 28 165

    오타고 - - 9 - 6 - 15

    사우스랜드 0 0 - 0 - - 0

    기타 84 28 41 152 174 116 595

    합계 572 269 238 152 1,181 359 2,771

    표 2-3. 뉴질랜드 시설원예 면적

    단위: 천 ㎡

    자료: Horticulture New Zealand(2015). Fresh facts 2014.

    ○ 뉴질랜드 원예 농산물 판매 규모는 연간 71.6억 뉴질랜드 달러로 추정됨.8

    8 2014년 6월 인구 기준, 2013년 가구경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된 수치임(Fresh

    facts 2014). 1뉴질랜드 달러는 약 850원이므로 약 6조 원에 해당함.

  • 17

    - 채소는 수출보다 내수의 규모가 크며, 과일과 와인은 내수보다는 수출

    시장의 규모가 큼.

    과일(내수), 8.2

    과일(수출),

    18.3

    채소(내수),

    11.7

    채소(수출),

    6.1

    기타(내수),

    5.2

    기타(수출),

    1.4

    와인(내수), 7.5

    와인(수출),

    13.2

    그림 2-4. 뉴질랜드 원예 농산물 소비 구조

    단위: 억 뉴질랜드 달러

    자료: Horticulture New Zealand(2015). Fresh Facts 2014.

    3.2. 축산

    ○ 농가수 기준 농가의 44%는 양, 소 등 육류를 생산하고 있으며, 21%의 농가

    는 낙농에 종사하고 있음.

    - 곡물 재배에 종사하는 농가는 5%, 원예 농가는 15%를 차지함.

    ○ 9,328ha의 초지에서 양, 소 등 비육 가축이 사육되고 있으며, 낙농에 소요되는

    토지는 2,415ha임(Beef+Lamb NZ, 2014년 추정치).

    - 젖소 사육두수는 675만 두, 양 사육두수는 2,956만 두, 소 사육두수는

  • 18

    364만 두임.

    - 2004년 대비 젖소 사육두수는 31% 증가하였으나, 양, 비육우, 사슴 사육

    두수는 각각 25%, 18%, 46% 감소함.

    농가수 면적 사육두수

    낙농 12,150 2,415 6.75

    양25,113 9,328

    29.56

    소 3.64

    사료작물 3,297 284 -

    사슴 1,128 287 0.95

    양돈 225 11 0.67

    가금 135 3

    합계 42,048 12,327 88.67

    표 2-4. 뉴질랜드 축산 현황

    단위: 호, ha, 천 두

    자료: Beef + Lamb New Zealand(2015). Farm facts 2015.

    4. 농산물 수출입

    ○ 뉴질랜드 전체 상품 교역액은 균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농산물 수출이 전체

    상품 수출액의 50%를 넘어섬.

    - 품목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농산물은 수입액에 비해 수출액이 현저

    하게 큼. 인구 증가 등으로 내수시장이 성장하면서 농산물 수입 규모가 지

    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농산물 수출 규모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 19

    1980 1990 2000 2005 2010 2012

    상품계수입 5,089,845 9,257,284 13,389,013 25,211,098 30,616,823 38,253,652

    수출 5,069,557 8,900,974 11,868,640 21,566,044 31,396,365 37,304,869

    농산물계수입 340,169 667,700 1,095,645 2,011,711 3,203,876 4,031,411

    수출 3,322,808 4,780,274 5,957,685 10,829,892 16,608,670 20,310,597

    과일, 채소수입 66,795 136,466 190,128 362,742 518,784 562,845

    수출 126,751 616,510 722,678 1,171,863 1,553,310 1,815,312

    와인수입 6,150 28,954 60,993 108,201 106,590 126,174

    수출 1,012 11,091 89,860 331,970 789,130 985,849

    유제품수입 2,586 4,791 17,946 47,806 85,284 143,122

    수출 674,915 1,210,421 2,126,595 3,633,261 7,439,458 9,259,864

    육류수입 6,653 13,922 57,342 110,657 145,450 169,923

    수출 1,111,993 1,323,052 1,668,871 3,169,554 3,654,035 4,193,413

    표 2-5. 뉴질랜드 교역액 추이

    단위: 천 달러

    자료: FAO. FAOSTAT(faostat3.fao.org).

    ○ 농산물 수출 규모가 전반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와인 수출이 빠

    르게 증가함.

    - 1980년대 이후 전반적으로 농산물 수출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였으며,

    2010년대 들어 그 속도가 완만해짐.

    - 1990년대까지 뉴질랜드는 남반구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을 활용하여 북

    반구 농식품 시장을 대상으로 비교적 경쟁이 치열하지 않은 마케팅을 전

    개할 수 있었음.

    - 1990년대 이후 남반구의 칠레, 아프리카 남부 국가들의 농산물 수출이

    확대되면서 과거에 비해 뉴질랜드의 주요 시장의 경쟁이 격화되는 경향

    이 있음. 이것이 최근 뉴질랜드의 농산물 수출 성장 속도가 완만해지고

    있는 요인 중의 하나임.

  • 2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기타 EU 미국 독일 일본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중국본토 벨기에

    그림 2-5. 뉴질랜드 농산물 수출액 상위 10개, 2012

    단위: 십억 달러

    자료: FAO. FAOSTAT(faostat3.fao.org).

    ○ 뉴질랜드 원예 농산물은 주로 EU, 아시아, 호주, 미국 등으로 수출되고 있음.

    - 2014년 FOB 가격 기준 상위 10개 농산물 수출국은 호주(872백만 뉴질랜

    드 달러), 미국(489), 일본(445), 영국(398), EU 대륙(247), 중국(175), 대

    만(132), 네덜란드(108), 캐나다(99), 스페인(76)임.

    - 10년 전과 비교하여 아시아 시장은 확대되었으나 나머지 시장은 수출규

    모가 축소됨. 칠레 등 남반국 국가와 수출 시장에서 경쟁이 격화되는 등

    전반적인 원예 농산물의 수출이 침체를 겪고 있는 데 반하여 중국의 내

    수 확대 등 아시아 시장의 성장이 아시아권 수출 확대의 주요 요인인 것

    으로 판단됨.9

    9 중국 수출 규모는 2005년 15백만 뉴질랜드 달러에서 2014년 175백만 뉴질랜드 달러

    규모로 성장함.

  • 21

    - 영국, 호주, 미국 등으로는 와인 수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키위, 사과 등이 주요 수출 원예 농산물로 나타나고 있으며, 꿀의 수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그림 2-6. 뉴질랜드의 원예 농산물 수출 시장

    자료: Horticulture New Zealand(2015). Fresh Facts 2014.

    ○ 지난 5년간 축산물 수출액은 연평균 26% 규모로 빠르게 성장함.

    - 양모, 육류의 연평균 수출 증가율이 각각 8%, 7%에 이르는 등 축산물

    수출액이 전반적으로 증가함.

    - 낙농품 수출 성장률은 연평균 38%로 축산물 수출액 중 규모와 성장 기

    여도 측면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침.

    - 우유와 분유 46%, 버터 41% 등 낙농품 수출액이 큰 폭으로 증가함.

  • 22

    2010 2011 2012 2013 2014 증감률

    양모 552.1 716.9 776.3 678.3 733.2 8.1%

    육류

    어린 양고기 2,454.5 2,436.4 2,309.9 2,263.2 2,485.4 9.8%

    양고기 348.4 473.9 329.4 395 488.4 23.7%

    우육 1,822.4 2,035.8 2,009.5 2,142.8 2,199.4 2.6%

    사슴고기 208.7 215 205.3 171.2 186.8 9.1%

    부산물 188.1 197.7 211.2 208.7 216.7 3.8%

    기타 174.9 193.7 221.6 225.9 220.9 -2.2%

    소계 5,197.0 5,552.5 5,286.9 5,406.9 5,797.6 7.2%

    낙농품

    우유, 분유 5,757.8 7,575.6 7,910.7 7,967.6 11,648.3 46.2%

    버터 1,746.9 2,400.9 2,294.8 1,909.9 2,699.3 41.3%

    치즈 1,330.8 1,354.2 1,419.6 1,441.2 1,482.2 2.8%

    카세인 628.4 705.1 830.1 858.7 1,029.8 19.9%

    소계 9,463.9 12,035.8 12,455.3 12,177.4 16,859.7 38.5%

    축산물 계 16,021.6 19,294.2 19,690.9 19,439.4 24,443.0 25.7%

    표 2-6. 축산물 품목별 수출액 추이

    단위: 백만 뉴질랜드 달러

  • 제3 장

    뉴질랜드 키위산업 구조

    1. 세계 키위 시장구조

    ○ 키위 생산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재배면적은 최근 다소 축소

    되었으나 생산량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 세계에서 가장 재배면적이 넓은 중국의 키위 생산통계가 2000년부터

    FAO 통계에 포함되면서 2000년부터 세계 키위 생산면적이 급격하게 증

    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10

    - 중국 생산통계를 감안하여 2000년대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의 키위 생산

    규모를 집계하여도 키위 생산 규모는 확대되고 있음.

    - 2000년대 재배면적에 비하여 2011∼2013년 평균 재배면적이 다소 축소

    된 것으로 나타남. 이는 키위 생산량 증가로 수익성이 저하되어 키위 생

    산 규모 확대 속도가 완만해진 요인과 더불어 2010년 발생한 키위 궤양

    병의 확산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11

    10 FAO는 2000년 중국 키위 재배면적을 7만 ha로 추정하고 있으며, 2013년 재배면적

    을 14만 ha로 추정하고 있음. 11 2010년 뉴질랜드를 비롯한 다수 국가에서 키위 궤양병(Pseudomonas syringae pv.

  • 24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1~2013

    면적 1,966 34,885 65,379 143,977 137,556

    생산 9,019 320,050 997,900 2,327,345 2,973,140

    표 3-1. 세계 키위 생산 추이

    단위: ha, 톤

    ○ 키위 생산량 상위 10개국의 생산량이 전 세계 생산총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8% 수준임.

    - 키위는 소수의 국가에서 집중적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중국의 생산량이

    전 세계 생산총량의 50% 수준에 달함.

    - 생산량 상위 5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91%, 상위 10개국이 차지하는 비

    중은 98%임. 소수의 주산지에서 키위가 집중적으로 생산되고 있음.

    ○ 10년 전과 비교하여 키위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생산 규모가 큰 나

    라에서 집중적으로 생산량이 증가함.

    - 지난 10년간 키위 연평균 생산량은 99만 톤이 증가하여 약 50%의 성장세

    를 보이고 있음.

    - 키위 생산량 증가분의 94%가 생산량 상위 5개국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주산지를 중심으로 키위 생산 규모가 증대됨.

    - 국가별로 중국의 키위 생산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뉴질랜드,

    칠레, 그리스 등에서도 생산량이 연간 10만 톤 이상 증가함.

    actinidiae: PSA)이 발병함. 이 병에 감염되면 과수가 괴사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적

    정한 방제법이 개발되지 않아 키위 농장에 심각한 위험을 야기함. 키위 과수를 완전

    히 베어내거나 감염 부위를 베어내고 접목을 하는 방식으로 PSA에 대처할 수밖에

    없어 키위 재배규모가 감소되는 현상을 야기함.

  • 25

    2000~2003 2010~2013

    국가 생산량 국가 생산량

    1 중국 1,000,000 중국 1,491,329

    2 이탈리아 343,828 이탈리아 421,321

    3 뉴질랜드 252,399 뉴질랜드 392,989

    4 칠레 129,333 칠레 244,287

    5 프랑스 76,810 그리스 154,867

    6 그리스 44,316 프랑스 64,911

    7 일본 39,633 이란 47,534

    8 미국 22,952 미국 29,451

    9 이란 22,328 일본 28,375

    10 대한민국 13,167 터키 35,882

    상위 5개국1,802,370 (91.1)

    2,704,793 (91.0)

    상위 10개국1,944,766 (98.3)

    2,910,947 (97.9)

    총 생산량 1,977,869 2,973,140

    표 3-2. 국가별 연평균 키위 생산량

    단위: 톤, (%)

    자료: FAO. FAOSTAT(faostat3.fao.org).

    ○ 중국이 세계 1위의 키위 생산국이지만 대부분의 키위가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으며, 수출입량도 미미함.

    - 중국의 수출 의존도는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중국에서 생산된

    키위의 대부분은 자국 내에서 소비됨.

    - 중국의 수입 의존도는 최근 6% 수준으로 과거에 비해 수입 의존도는 증

    가하였으나 절대적으로는 높지 않은 수준임.

    - 최근 중국 내 키위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증대된 자국

    내 생산량, 수입량 증가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뉴질랜드, 칠레, 이탈리아 등은 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수출하고 있음.

    - 뉴질랜드의 수출 의존도는 90%를 상회하고 있으며, 칠레는 10년 전에

  • 26

    비해 수출 의존도가 낮아지긴 하였으나 생산량의 80% 이상을 수출하고

    있음. 이탈리아도 최근 생산량의 80% 수준을 수출하고 있음.

    - 최근 그리스의 키위 생산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였는데 생산량의 상당 부

    분이 수출되고 있음. 10년 전 그리스는 생산량의 45%를 수출하였으나

    최근 수출 의존도가 79% 수준으로 상승함.

    ○ 호주, 미국, 일본, 한국 등은 수출 의존도보다 수입 의존도가 크게 높은 국가임.

    - 호주의 수입 의존도는 88%수준이며, 미국은 74%, 일본은 69%로 비교적

    수입 의존도가 높음.

    - 한국은 10년 전 수입 의존도가 35% 수준이었으나 최근 수입 의존도가

    74% 수준으로 빠르게 상승함.

    수출 의존도 수입 의존도

    국가명 2000~2003 2010~2013 국가명 2000~2003 2010~2013

    뉴질랜드 98.6 93.3 스페인 110.7 94.8

    칠레 95.1 83.8 호주 93.3 87.5

    이탈리아 74.6 81.1 미국 77.3 73.5

    호주 71.1 11.7 포르투갈 53.2 38.5

    스페인 67.7 62.9 일본 50.7 68.7

    그리스 45.2 79.4 프랑스 42.9 55.0

    미국 45.1 32.1 대한민국 34.7 73.7

    프랑스 36.2 32.9 이탈리아 29.9 38.4

    포르투갈 4.4 25.2 그리스 4.9 19.1

    대한민국 0.2 0.0 중국 2.3 6.2

    중국 0.1 0.3 뉴질랜드 1.9 2.4

    일본 0.1 0.0 칠레 0.0 0.0

    표 3-3. 주요국의 수출입 의존도 비교

    단위: %

    자료: O’Rourke, Desmond(2013). “World Kiwifruit Review 2013.”

    ○ 뉴질랜드(401,498톤), 이탈리아(358,784톤), 칠레(186,643톤) 등의 수출 규모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큼.

  • 27

    - 뉴질랜드와 칠레를 제외한 국가는 주로 인근 국가로 키위를 수출하고 있음.

    유럽의 수출국들은 대부분의 물량을 유럽과 인근 국가에 수출하고 있으

    며, 중국은 러시아와 대만에 대부분의 물량을 수출하고 있음.

    수입국

    수출국

    이탈리아 그리스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뉴질랜드 칠레 미국 중국 기타 합계

    미국 14,691 180 22 86 0 20,334 22,180 0 0 29 57,522

    북미 23,278 282 292 86 0 24,975 30,371 6,526 0 29 85,837

    중남미 17,700 0 39 57 21 0 27,420 375 0 0 45,612

    벨기에 8,376 386 4,723 32 0 101,727 332 0 0 6,639 122,215

    프랑스 20,709 1,435 0 3,514 124 272 3,563 0 0 22,207 51,824

    독일 63,392 4,746 2,973 964 0 0 628 0 0 39,111 111,811

    이탈리아 0 1,349 254 828 0 16,955 23,682 0 0 4,821 47,889

    네덜란드 8,532 1,563 1,510 163 10 0 22,732 0 52 47,318 81,880

    스페인 37,204 2,125 3,723 0 6,880 38,945 14,960 0 16 13,948 117,801

    영국 15,375 595 487 1,016 322 0 7,772 0 16 6,190 31,773

    EU-27 227,681 25,687 15,964 12,439 7,366 158,002 78,174 137 84 180,577 706,111

    러시아 16,483 21,838 55 2 0 1,276 16,082 25 940 0 56,701

    기타

    유럽6,578 11,388 280 0 0 0 0 0 0 0 18,246

    중동 10,531 4,853 65 0 13 3,635 10,717 0 68 0 29,902

    아프리카 5,994 378 477 3,869 94 0 0 0 0 0 10,812

    중국 1,506 39 1,291 0 0 29,153 11,122 0 0 1 43,112

    홍콩 4,644 157 2,039 0 0 n/a n/a 0 0 0 22,834

    일본 0 0 0 0 0 63,733 2,126 510 0 0 66,369

    대한민국 0 0 0 0 0 25,743 4,056 119 0 0 29,918

    대만 2,514 0 1,966 0 0 26,124 292 71 589 0 31,566

    기타

    아시아3,946 0 360 0 0 25,917 6,246 0 211 0 36,680

    호주 4,576 0 714 0 0 15,337 17 15 0 0 20,659

    뉴질랜드 457 0 0 0 0 0 0 58 0 71 586

    기타 31,886 1,236 0 0 0 17,603 0 0 0 0 50,725

    합계 358,784 65,858 23,542 16,453 7,494 401,498 186,643 7,836 1,892 180,678 1,250,678

    표 3-4. 키위 국가별 수출입 메트릭스, 2011

    단위: 톤

    자료: O’Rourke, Desmond(2013). “World Kiwifruit Review 2013.”

  • 28

    ○ 아시아 지역 수출은 주로 뉴질랜드, 이탈리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칠

    레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남반구와 북반구, 수출국의 지정학적 위치에 따라 키위의 수확시기가 상

    이하여 북반구 출하시기에는 주로 이탈리아가, 남반구 출하시기에는 주

    로 뉴질랜드와 칠레가 아시아권 국가에 키위를 수출함.

    - 뉴질랜드는 유럽, 아시아, 북미, 호주 등 전 세계 시장을 폭넓게 활용하고

    있음.

    - 칠레는 지리적으로 인접한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수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운데 아시아, 유럽 시장으로 진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

    2. 뉴질랜드 키위산업 현황

    ○ 뉴질랜드 키위 재배면적에 대한 FAO 통계는 1970년부터 존재하며 당시 400ha

    규모에서 80년대 후반까지 지속적으로 규모가 확대됨.

    - 평균 재배면적 기준 70년대 2,000ha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1981∼1985년

    기간 13,000ha를 넘는 규모로 성장하였고, 1980년대 후반에는 19,000ha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빠르게 재배 규모가 확대됨.

    - 199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 키위산업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키위 재배규모는 1995∼2000년 기간에 11,000ha 수준까지 축소됨.

    - 2000년대 들어 키위산업의 수익성이 향상되면서 키위 재배 규모가 완만하

    게 확대되어 최근 12,000∼13,000ha 수준의 재배 규모가 유지되고 있음.

    - 2010년 키위 PSA의 영향으로 성목을 베어내면서 재배 규모가 소폭 축소

    되었으나, 고접(高接, graft)을 통해 새로운 품종으로 전환이 이루어져

    PSA가 키위 재배 규모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 29

    7,924

    392,989

    1,767

    18,226

    12,475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20,000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71-80 81-85 86-90 91-95 96-00 01-05 06-10 11-13

    생산(톤) 면적(ha)

    그림 3-1. 뉴질랜드 키위 생산 추이

    자료: FAO. FAOSTAT(faostat3.fao.org).

    ○ 키위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최근 재배면적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함에도 불

    구하고 생산량은 증가함.

    - 1970∼1980년대의 키위 생산량 증가는 재배면적 증가의 영향이 크게 작용함.

    - 키위산업 구조조정기인 1990년대에는 재배면적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

    나 생산량의 변화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키위

    과원을 폐원하는 과정에서 생산성이 낮은 한계농지나 소농 소유 과원이

    주로 폐원하게 되어 키위 생산성이 전반적으로 향상됨.

    - 연구개발 투자 확대, 농가기술 교육 강화, 과원에 대한 현장 밀착형 기술

    지도 확산 등이 키위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추진되면서 키위 생산성이

    지속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판단됨.

  • 30

    ○ 최근 재배면적의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출하량과 단수는 비슷한 추이를

    보이고 있음.

    - 키위 출하량과 단수는 2000년 들어 지속적으로 증가함. 이는 연구개발

    투자에 따른 생산성 향상 효과, 체계적 과원 관리에 따른 개별 과원의

    생산성 향상 등의 영향으로 판단됨.

    - 키위 출하량은 2012년 120만 트레이가 출하되어 최고점을 형성한 후 최

    근 출하량이 감소함. 최근의 단수 감소는 PSA의 확산과 그 방제 과정에

    서 일시적으로 나타난 영향이 주된 것으로 판단됨.

    8,023

    87.8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0

    20

    40

    60

    80

    100

    120

    1992 1995 2000 2005 2010 2011 2012 2013 2014

    단수(trays/ha) 출하량(백만tray)

    그림 3-2. 키위 출하량과 단수 추이

    주: 1tray = 3.6kg

    자료: Horticulture New Zealand(each years). Fresh Facts.

    ○ 키위는 그린키위의 출하량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골드

    키위의 출하 비중이 상대적으로 확대됨.

    - 2005년 이후 골드키위의 출하 비중이 확대되면서 키위 출하량 증가를 견

    인하였으나, 2010년 PSA 발병 이후 골드키위 출하량이 급격히 감소함.

  • 31

    - 2014년산 생산량은 전년산에 비해 16% 감소하였으며, 이는 PSA의 영향이

    크게 작용함.

    - 2013년까지 PSA에 감염된 키위 성목에 새로운 품종의 골드키위를 고접하

    는 작업이 마무리되어 2015년산 출하량부터는 골드키위 비중이 점진적

    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백만 트래이

    Zespri 그린 키위

    Zespri 골드 키위

    Zespri 유기농 그린 키위

    Zespri 유기농 골드 키위

    그림 3-3. 키위 품종별 출하 추이

    단위: 백만 트레이

    ○ 2014년산 기준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 아시아 국가로 수출되는 뉴질랜드

    키위의 비중이 50%를 상회하고 있음. 2014년산 키위 수출액은 931백만 뉴

    질랜드 달러로 전년산 대비 0.4% 감소함.

    - 북반구 시장 중에서 유럽은 해당 지역 국가의 생산이 늘면서, 미국은 칠

    레의 수출이 증가하면서 뉴질랜드 키위와 경쟁이 격화되고 있음.

    - 아시아권 시장은 상대적으로 경쟁 수준이 낮고 제스프리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 최근 뉴질랜드 수출에서 중요한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음.

    - 중국의 생산량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준이나 품질 수준이 높지 않고

  • 32

    뉴질랜드의 주요 출하시기에 출하되지 않으며, 최근 중국의 내수가 확대

    되면서 제스프리 키위의 중국 수출이 증가하고 있음.

    한국5%

    미국2%

    기타

    그림 3-4. 2014년산 뉴질랜드 키위 국가별 수출 비중

    자료: Horticulture New Zealand(2015). Fresh Facts 2014.

  • 33

    3. 뉴질랜드 키위산업의 구조 개혁과 영향

    3.1. 뉴질랜드 키위산업의 발전과정

    ○ 키위 종자는 1904년 중국에서 들여왔으며 1925년 뉴질랜드 원예사 헤이워드

    라이트가 육질이 녹색인 헤이워드종을 개발함. 헤이워드종은 현재 가장 광범

    위하게 재배되는 그린키위 품종을 지칭함.

    - 1940년대에 최초로 상업적인 과수원에서 내수 시장에 키위를 판매하기

    시작하였으며, 1952년 영국으로 수출하기 시작함.

    - 키위산업의 수익성이 향상되면서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사이에

    키위 수출량이 빠르게 증가함. 1964년 4개에 불과하던 수출업체 수가

    1974년 14개로 증가하였고, 1976년 수출량이 내수량을 초과하는 현상이

    나타남.

    ○ 1953년 1차 생산물 마케팅 법(Primary Product Marketing Act)이 제정되었고

    이 법에 따라 키위산업에 대한 보호와 육성이 이루어짐.

    - 위 법에 의거하여 1977년 New Zealand Kiwifruit marketing Authority(이하

    NZKA)가 설립되었으며 이 기구에 의해 생산자가 시장을 관리할 수 있

    는 권한을 부여받음.

    - NZKA는 제한된 수의 수출업체에 수출 자격을 부여하고 수출 대상국이나

    물량 조정, 품질 기준(standard) 제정, 판매, 포장, 연구 개발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함.

    - NZKA는 산업 구조 조정을 통해 1988년 New Zealand Kiwifriut Marketing

    Board(이하 NZKMB)가 설립될 때까지 운영됨.

    - NZKA는 등록된 수출업체의 수를 제한하고 시장 진입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였으며 운영재원은 생산자와 수출업자의 의무 부과금으로 마련함.

    - 수출 시장에서 출혈 경쟁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자 수출업체에 대한 등록

  • 34

    권한을 활용하여 수출업체의 수를 14개에서 7개로 감축하는 역할을 수

    행하기도 함.

    - 기존 수출 업체의 기득권이 유지되면서 신규 수출업체의 진입을 억제하

    는 부작용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수출업체 간 경쟁을 통한 뉴질랜드 키위

    수출의 경쟁력 향상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는 비판이 제기됨.

    ○ NZKMB는 1977년 제정된 Kiwifruit Marketing Regulations에 의해서 설립됨.

    - 1980년대 금융 불안과 세계 키위 공급 증대에 따른 키위산업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취한 구조 개혁의 결과물로 1988년 NZKA가 활동을 중단

    하고 NZKMB가 설립됨.

    - NZKMB는 호주를 제외한 전 세계에 구매, 분산, 판매와 관련된 독점적

    권한을 행사하였으며 수출 규격에 적합한 생산자의 구매 요청 전량을 구

    매할 의무가 부여됨.12

    - 생산자들은 구매, 수출, 소매까지를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단일 조직의 설

    립을 요구하였으며, NZKMB는 출하대금에서 비용을 공제하여 운영되는

    단일 창구 조직의 기능을 수행함.

    - 생산자의 참여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은데, 생산자 4, 비생산자 4(정부지

    명 1인, 산업 관련자가 지명한 3인)으로 구성됨.

    - NZKMB 이전인 1988년까지는 수출업체가 공급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

    기 위해서 생산자와 선도거래를 했음. 법적으로는 창고에 입고될 때 소

    유권이 수출업자에게 넘어가지만 실제로 생산자의 과실에 대한 소유권은

    선도거래가 이루어진 이후에 수출업체에 귀속됨. 이 같은 생산자의 수확

    물이 특정 수출업체에 귀속되는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서 새로운 체계를

    12 호주와의 별도 협약에 의해 호주 수출에 대해서는 제도적인 보호 장치를 제거하였

    으며, 마케팅보드는 호주를 제외한 국가에 대한 수출 단일 창구 역할을 수행함.

    1989년 마케팅보드에 수출 독점권을 부여하는 구조 개혁 과정에서 기존의 수출업체

    에 570만 뉴질랜드 달러 규모의 보상금이 지급됨(ACIL 1992).

  • 35

    도입함. 마케팅보드에서 수출 등급의 키위를 전량 구매하며, 수출 선적

    이전까지 생산자의 소유권이 인정되는 사업체계가 구축됨. 패킹하우스,

    저온저장고 등은 키위를 소유하지 않고 처리에 따른 수수료를 수취하는

    체계로 전환됨.

    ○ 198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 농업 부문 구조 개혁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

    루어졌고, 그와 궤를 같이하면서 키위산업 구조 개혁에 대한 논의가 확산됨.

    - 시장개방, 경쟁촉진, 산업 보조 폐지 등으로 요약되는 경제구조 개혁 논

    의가 키위산업 부문에도 적용되면서 자유로는 경쟁을 저해하는 제도의

    개혁이 주된 현안으로 부각됨.

    - 생산자조직 측면에서는 마케팅보드가 출하대금과 보조금을 묶어서 농가

    에 지불하면서 시장의 가격 변화가 농가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를

    구조 개혁의 주요한 과제로 제시함. 또한 유통위원회가 제도적으로 보장

    된 의사결정과 수출 등 상업적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에 대한 문제

    점도 제기됨. 즉, 유통위원회가 자기 책임하에 일정 물량을 수출하는 상

    황에서 제도에 의해 부여된 본연의 임무인 제도, 표준, 수출 조정 등의

    역할을 공정하게 수행할 수 없다는 비판이 제기됨.

    - 또한 제도적 기구인 유통위원회가 마케팅 활동을 위한 자산을 보유하게

    되는데, 자산의 소유권에 대한 문제가 향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해

    소하기 위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됨. 논의 과정에서 모

    호한 자산 소유권 문제 해소를 위해 지분 거래가 가능한 생산자가 소유

    한 기업 설립의 필요성이 제기됨.

    - 유통위원회에 의한 제도적 방식의 수출 창구 단일화에 대한 비판도 강하

    게 제기됨.13

    13 수출 대상이나 물량 조정, 수출 농산물의 품질 기준 관리 등은 제도적 장치 없이도

    브랜드 마케팅 차원에서 가능하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으며, 이와 같은 논의는 최

    근에도 지속되고 있음. 키위산업은 제스프리를 통해 준 제도적인 창구단일화가 이루

  • 36

    어져 있으나, 수출 창구가 단일화되어 있지 않는 사과산업 부문도 다수의 수출업체

    가 수출 시장을 원활하게 관리하고 있다는 면에서 제도에 의한 창구단일화와 브랜

    드 마케팅 차원의 수출 시장 관리 중 어떤 것이 적절한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지속

    되고 있음.

    ○ 뉴질랜드 경제는 2차 세계대전 이후 1980년대에 접어들기 이전까지 지

    속적으로 성장하였으며, 이 시기 비교적 강한 산업 보호 정책이 전개되

    었고 농업 역시 정부의 보호하에서 육성됨.14

    - 2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세계적으로 식품 공급이 중요하였고 뉴질

    랜드는 지속적으로 식량 생산이 가능했기 때문에 식품 공급 국가의

    역할을 수행함. 2차 대전 이후에도 세계 식품 시장이 계속 성장하여

    뉴질랜드 경제도 활황을 이어갔고 한국 전쟁도 뉴질랜드 농업의 성

    장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됨.

    -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뉴질랜드는 외국에 비해 성장이 둔화되었지

    만 여전히 성장을 지속하고 있었고, 인플레이션도 5% 수준, 실업률도

    낮은 수준이 유지되어 경기 침체를 심각하게 인식하지 않음.

    - 이 같은 여건에서 농업을 포함한 산업 전반에 대한 보호정책을 지속

    할 수 있었음. 보호 정책의 일환으로 고정 환율이 유지되었고 뉴질랜

    드 달러의 가치를 높게 유지하여 농산물 무역 조건은 악화되었으나

    낮은 임금, 낮은 투입재 가격이 유지되어 이를 상쇄할 수 있었음. 실

    업률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기 때문에 산업보호에 대한 비판 의견이

    일부 있었으나 이를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음.

    ○ 1970년대 오일쇼크를 계기로 점진적으로 하강하였으나 명시적으로 나타

    나지 않았던 뉴질랜드 경제구조의 취약성 문제가 1980년대 들어 가시화

  • 37

    되면서 국가 전반의 경제구조 개혁이 추진됨.

    - 교역조건이 급격히 악화되어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인플레이션율

    이 15% 수준으로 상승함. 1973년 순외채는 0이었으나 1984년 GDP의

    50% 수준까지 증가함.

    - 이 같은 상황에서 1980년대 산업 전반에서 시장 자유화(market liber-

    alization)와 산업보호정책에 대한 구조조정이 이루어졌고 농업도 이

    와 같은 사회적 변화를 수용하게 됨.

    ○ 농업 부문은 타 산업 부문에 비하여 구조 개혁을 뒤늦게 추진하면서 문

    제를 심화시켰다는 견해가 존재함.

    - 1980년대 세계 경제 전반의 자유화가 확대되면서 뉴질랜드 농산물

    수출 여건에 긍정적인 작용을 함. 구조 개혁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

    에서도 농업 부문 수출이 꾸준하게 이루어지면서 뉴질랜드 농업 전

    반에서 과거의 산업 보호 정책을 유지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됨.

    - 국제 농산물 가격은 하락하고 있는 반면, 뉴질랜드가 과거와 같이 수

    출 단가와 기준가격의 차액을 보상하는 등의 농업보호 정책을 지속하

    면서 농업 보조금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재정 적자를 심화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함.

    - 즉, 전반적으로는 수출 규모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출보조

    금의 영향으로 농민의 소득 수준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스스로 농업

    구조를 개혁할 수 있는 동기가 형성되지 못함.

    ○ 뉴질랜드 정권이 노동당으로 교체되고 로저 더글러스 재무장관이 부임

    하면서 1984년부터 이른바 로저노믹스(Rogernomics)가 추진됨.

    - 경제침체, 재정적자, 외환위기 등 경제 위기가 정권교체의 주된 이유

    였으며, 이 같은 사회적 분위기에 편승하여 전면적인 경제개혁 조치

    가 취해짐.

  • 38

    14 Ron Sandrey et al.(1994)의 ‘seeds of change’ 장에서 인용.

    - 경제 개혁 차원에서 1984년 수입 라이센스 제도를 폐지하고 관세를 부

    과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였으며, Supplementary Minimum Price(SMP)

    제도를 폐지함. SMP는 생산자 대표가 참여하는 유통위원회(marketing

    board) 등에서 정한 농가의 경영이 가능한 수준의 최저보장가격으로,

    국제 농산물 시장가격이 하락함에도 SMP 때문에 농가 수익이 유지되어

    공급과 정부 보조금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됨.

    - 또한 당시 추진된 농업 개혁의 내용에는 비료, 농업용수 등에 대한

    투입 보조 폐지, 자문·연구개발·검역 등의 비용 현실화 등이 포함됨

    (Mark Kilgour et al. 2008).

    - 로저노믹스 이후 경제 전반의 호전에도 불구하고 1987, 1988년 낮은

    국제 농산물 가격의 영향으로 농업 부문 구조 개혁의 성과가 분명하

    게 나타나지 않음.

    - 1988년 증시 폭락으로 수상 롱이가 사임하고 재무장관이 사퇴하는

    등 뉴질랜드 경제 개혁이 실패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으나

    1989년 중반부터 거시지표 전반이 호전되고, 특히 실업률이 하락하

    면서 경제 개혁의 성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확산됨.

    ○ 폰테라, 제스프리 등 뉴질랜드를 대표하는 농업협동조합 또는 농기업이

    뉴질랜드 경제 개혁 시기에 설립됨.

    - 농업 관련 제도, 연구 개발 체계와 정부 지원, 민간 주도 농업기술 지

    도(extension service) 등 현행 뉴질랜드 농업구조의 근간이 1980∼90

    년대의 경제 개혁 기간에 형성됨.

    - 이 시기 생산자에 대한 직접 지원은 물론 국가 기관에서 수행하던 연

    구개발, 농업기술 지도 등도 민영화되었으며, 이들 부문에 투입되던

    정부 보조금이 큰 폭으로 감소함.

  • 39

    ○ 키위산업 구조 개혁의 일환으로 1999년 Kiwifruit Industry Restructuring

    Act(이하 KIRA)와 Kiwifruit Export Regulations(이하 KER)이 제정됨.

    - KIRA는 1999년 11월 제정되어 2000년 4월 1일부터 발효되었으며 NZKMB

    의 상업적인 운영 조직이면서 생산자 간 지분 거래가 가능한 제스프리라는

    회사 설립의 제도적 기반이 됨.

    - KER에 의하여 제스프리(Zespri)를 준단일(near sole)15 수출 창구로 인정함.

    ○ 키위 수출규정은 제스프리의 역할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함.

    - 제스프리를 제외한 수출업체는 수출권(export license)을 신청할 자격이

    있으며 제스프리는 수출되는 키위를 생산자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준독

    점권한을 가짐.

    - 수출업체가 생산자로부터 키위를 구매할 수 없는 제약을 유지하면서 생

    산자 보호를 위해서 제스프리의 마케팅 활동, 정보 공개 등에 대한 규정

    을 포함함.

    - 기존 키위 마케팅보드(NZKMB)는 상업적 기능을 분리한 후 Kiwifruit

    New Zealand(KNZ)로 전환함. 이는 제스프리와 독립적이며 제스프리의

    규정 준수를 모니터링하는 권한과 책임을 가짐. 또한, 제스프리가 타 마

    케팅 회사(approved collaborative marketers)와 협력하여 시장개척

    (collaborative marketing)할 수 있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됨.16

    ○ 2004년 1999년 제정된 키위 수출규정에 대한 일부 개정이 이루어짐.

    - Horticulture Export Authority(이하 HEA)가 호주에 키위를 수출하는 권

    리를 부여함.

    15 호주를 제외한 수출에 대한 단일 창구.16 KNZ는 키위 산업의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제도적인 협의 기구라는 위상을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산업 활동을 제스프리가 주도하고 생산자 협의 기능은 NZKGI가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일상적으로는 드러나는 활동을 하고 있지 않음.

  • 40

    - HEA는 특정 원예 농산물의 수출 권리를 인증하며, 키위도 이에 해당함.

    HEA는 등급 표준, 가격 등을 관리하며 규정 준수 여부를 모니터링함.

    ○ 뉴질랜드 키위 수출 관련 조직의 변천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뉴질랜드 키위 수출 조직은 처음 수출업체 등록권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으나, 수출업체 등록권 관리의 비효율성이 부각되면서 마케팅

    보드 체제로 전환됨.

    - 마케팅보드는 초기 수출 관련 의사결정과 직접적인 수출 관련 상업적 기

    능을 동시에 수행하였으나, 상이한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

    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마케팅보드에서 수출 관련 상업적 기능을 독

    립하여 Zespri International을 설립함.

    - 마케팅보드를 의사결정을 전담하는 조직으로 재편하면서 수출등급의 키

    위 구매 기능을 독립시켜 Zespri Group을 설립함. 이는 향후 제스프리 계

    열사에 대한 지주 회사로 전환됨.

    ○ 키위산업 구조 개혁 과정에서 전국 규모 생산자조직 체계도 변화됨.

    - Fruitgrowers Federation이 키위 생산자를 대표하는 조직이었으며, 이는

    지역 생산자의 대표들이 사업을 집행하고, 키위 생산 비중이 높은 베이

    오브 플렌티 지역의 대표가 전체를 대표하는 형태로 운영됨. 이 체계하

    에서 마케팅보드에 파견하는 4명의 대표를 선출하는 투표는 3만 트레이

    이상 농가에게는 3표, 2∼3만 트레이 규모의 농가에는 2표, 2만 트레이

    미만의 농가에는 1표를 부여하는 선거 제도가 적용됨.

    - 지역 대표 체제를 생산 규모에 따른 조직 구성으로 변경하면서 1994년

    생산자가 전액 지분을 보유한 형식인 Kiwifruit Growers Inc.(NZKGI)라는

    이름의 조직을 설립함. 1 트레이당 1 투표권을 부여하는 체계로 전환함.

  • 41

    NZKA NZKMB

    NZKMB

    ZespriInternatonal

    KNZ

    ZespriGroup Ltd

    1977 1988

    1997

    2000

    그림 3-5. 뉴질랜드 키위 수출 관련 조직의 변천

    3.2. 뉴질랜드 키위산업 구조 개혁의 영향

    ○ 뉴질랜드 키위산업 구조 개혁은 80년대 수출 체계에 대한 개혁에서 시작되

    어 90년대 키위산업 전반의 구조 개혁으로 이어짐.

    - 80년대 키위 마케팅보드 설립 등 수출 체계에 대한 개혁이 이루어지면서

    80년대 후반 비교적 큰 폭의 수출 성장이 이루어짐.

    - 1988년 키위 마케팅보드 설립 이후 뉴질랜드 키위 수출량이 과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1980년대 초중반 뉴질랜드 키위

    수출량은 10만 톤 미만이었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연간 15만 톤 이상

    의 키위를 수출함. 키위 수출량은 1990년대 연평균 약 22만 톤 규모에

    달함. 이 같은 뉴질랜드 키위 수출량의 증가는 키위 수출 체계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 42

    - 즉, 키위 마케팅보드가 수출 등급의 키위 전량을 수매하고 키위 수출 시

    장, 수출 단가 등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체계를 수립한 것이 키

    위 수출량 확대에 일정한 기여를 한 것으로 판단됨.

    연산 수출량 농가수취가(명목) 농가수취가(실질)

    1980 15 221 221

    1981 22 217 184

    1982 16 289 229

    1983 37 195 151

    1984 48 239 162

    1985 82 202 124

    1986 109 280 165

    1987 162 156 86

    1988 180 146 79

    1989 170 186 95

    표 3-5. 1980년대 키위 수출량과 농가수취가 추이

    단위: 천 톤, 센트/kg

    자료: Sandrey et al.(1994).

    ○ 수출량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1980년대 후반 농가수취가는 초중반에 비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며, 특히 실질가치 측면의 농가수취가는 같은 기간 큰

    폭으로 하락함.

    - 이는 수출이 양적으로는 성장하였으나 수출 단가, 수익성 등의 측면의

    지표는 오히려 악화되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임. 뉴질랜드화 가치 하

    락,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현상이 같은 기간 나타나면서 농가의

    실질 소득은 오히려 하락함.

    - 1984∼1989년 기간 농가 수취가 변화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는 국제시장

    가격이 39%, 환율이 28%, 수출비용(Offshore costs)이 25%, 국내비용이

    8%인 것으로 분석됨(Sandrey et al. 1994). 즉, 농가수취가 하락의 대부분

    이 국외 요인에서 발생한 것임.

  • 43

    - 특히 1984년부터 농업보조금 감축이 빠른 속도로 추진되면서 농가의 소

    득이 급격하게 하락함.

    ○ 농가 소득 감소와 함께 농가 자산 가치의 하락도 동시에 발생하였고 이는

    생산성 낮은 과원의 폐원 등 키위 생산구조 변화를 야기함.

    -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키위 시장 가격의 폭락, 정부 보조금

    철폐 등으로 농가의 소득이 큰 폭으로 감소한 상황에서, 경제 위기로 인

    한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서 농가의 금융비용이 증가하고

    농지 가격은 하락하는 현상이 지속됨.

    - 이 시기 농업 금융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높은 인플레이션에 의해 많은

    농가가 자산 위기에 봉착했고, 1987년 당시 8% 농가의 자산 가치가 마이

    너스였으며, 35% 농가의 부채비율이 50%를 넘는 것으로 조사됨(Kilgour

    et al. 2008: 17).

    - 키위 재배면적은 1988년 18,905ha로 정점을 기록한 후 1995년 11,873ha,

    2001년 10,100ha로 빠르게 축소됨. 반면, 1994년부터 베이 오브 플렌티 지

    역의 키위 과원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함.

    - 이 같은 사실로부터 키위 농장의 자산 가치 하락, 키위 농업의 소득 하락

    등으로 키위 과원의 폐원이 빠르게 추진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음. 산업

    구조 개혁 이후 키위 생산 소득이 증가하면서 키위 과원의 면적이 확대

    됨에 따라 키위 과원의 가격도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남.

  • 44

    그림 3-6. 베이 오브 플렌티 지역 키위 과원의 ha당 가격 추이

    자료: Kilgour et al.(2008).

    ○ 뉴질랜드 키위산업 개혁은 개별 경영체의 수익성을 제고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음.

    - 키위 농가의 수익성이 하락하면서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중반에 걸

    쳐 농가수가 큰 폭으로 감소함. 키위산업이 수익성을 회복하면서 1990년

    대 중반부터는 2,500호 내외의 농가가 키위를 생산하는 구조가 유지됨.

    - 호당 평균 재배규모는 약 2000년대 초반 약 4ha 수준으로 감소한 바 있

    으나 2010년 이후 4.7ha 규모의 평균 재배면적이 유지되고 있음.

    -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면서 농가당 생산량도 지속적으

    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농가 수익성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됨.

  • 45

    구 분 1992 1995 2000 2005 2010 2011 2012 2013 2014

    생산자 3,327 2,205 2,541 2,760 2,711 2,706 2,662 2,636 2,350

    호당 재배면적 4.4 4.6 4.0 4.0 4.6 4.7 4.7 4.7 4.7

    단수 4,636 5,756 5,295 7,847 8,546 8,255 9,556 8,621 8,023

    표 3-6. 뉴질랜드 키위 생산구조 변화

    단위: 명, ha, 트레이/ha, 개소

    자료: Horticulture New Zealand(each years). Fresh Facts.

    ○ 1990년대 구조 개혁 이전까지 키위 마케팅보드에서 책정하는 최저보상가격에

    따라 시장가격과의 차액이 농가에 보조금으로 지급되었으며, 국제 시장가격

    의 약세가 지속되면서 보조금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남.

    - 1990년대 키위산업 구조 개혁은 키위 생산에서 수출에 이르는 가치사슬

    (Value Chain) 전반에 대한 개혁으로 나아가게 됨.

    - 1990년대 키위산업 구조 개혁의 핵심 내용은 수출 마케팅 역량 제고를

    위해 수출 창구 일원화와 키위 마케팅보드의 마케팅 기능을 독립 법인으

    로 분리, 지분 거래가 가능하고 지분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는 생산자

    조직 설립 등으로 요약할 수 있음.

    - 제스프리는 호주를 제외한 해외 시장 마케팅을 단일 관리하는 체계를 갖

    추었으며, 저온저장고 등 유통 관련 설비를 보유하지 않고 마케팅만 담

    당하는 체계를 갖춤.

    - 키위 공급사슬의 출발점인 생산자조직과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