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 , 손 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Vojta’s Reflex Forward Movement on the Ontogenesis Spontaneous Pathologic Locomotion, Vital Capacity, Hand Function, Balance and Gait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송창호 * 김헌정 ** Song, Chang Ho Kim, Hun Jung *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조교수 교신저자 (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hmyook University **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박사과정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9, No. 1, pp. 89~111, 2010. < >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들을 대상으로 보이타 치료법을 적용하여 개체발생학적 병적 자발이동능력 폐활량 손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 , . 연구의 대상자는 만 6 ~ 세 평균 세 의 경직형 하지마비와 편마비 타입의 뇌성 10 ( 7.4 ) 마비 아동들로 혼자서 최소 보행이 가능한 아동들 중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3m 에서 이상 수 (ontogenesis spontaneous pathologic locomotion; OSPL) 6 stadium 준의 완전한 독립보행이 안 되는 명의 아동들을 선별하였다 운동은 회당 9 . 30 , 4 주간 실시하였으며 검사는 치료 전 후로 각 회씩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6 1 얻었다 운동 후 뇌성마비아동들의 명중 명에서 각각 단계씩 상향되었고 . OSPL 9 5 1 , 폐활량 소아 균형 척도의 유의한 증가 , (p 서고 걷기 시간 검사의 유의한 감소 <.05), (p 를 보였으며 젭센 타일로 가지 손 기능 평가 항목 중 작은 물건 옮기기와 <.05) , - 7 먹기 흉내내기 크고 가벼운 깡통 들어올리기는 비우세손과 우세손 모두 통계적으로 유 , 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 크고 무거운 깡통들어올리기 항목은 우세손에서만 유 <.05), 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폐활 손기능 균형 및 보행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좀 더 다양한 질환 및 , , .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5-%BC%DB%C3%A... ·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

    손 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ojta’s Reflex Forward Movement on the Ontogenesis

    Spontaneous Pathologic Locomotion, Vital Capacity, Hand Function,

    Balance and Gait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송 창 호* ᆞ 김 헌 정**

    Song, Chang Ho ᆞ Kim, Hun Jung

    *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조교수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hmyook University

    **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박사과정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Vol. 49, No. 1, pp. 89~111, 2010.

    요 약< >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들을 대상으로 보이타 치료법을 적용하여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능력 폐활량 손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 , .연구의 대상자는 만 세6 ~ 세 평균 세 의 경직형 하지마비와 편마비 타입의 뇌성10 ( 7.4 )마비 아동들로 혼자서 최소 보행이 가능한 아동들 중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3m

    에서 이상 수(ontogenesis spontaneous pathologic locomotion; OSPL) 6 stadium준의 완전한 독립보행이 안 되는 명의 아동들을 선별하였다 운동은 회당 분 주9 . 30 , 4회 주간 실시하였으며 검사는 치료 전 후로 각 회씩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6 1ᆞ얻었다 운동 후 뇌성마비아동들의 은 명 중 명에서 각각 단계씩 상향되었고. OSPL 9 5 1 ,폐활량 소아 균형 척도의 유의한 증가, (p 서고 걷기 시간 검사의 유의한 감소

  • ( 49 1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90 -

    Ⅰ 서 론.

    연구 배경 및 필요성1.

    뇌성마비란 뚜렷한 원인이 밝혀져 있는 어떤 하나의 특정질환이 아니고 포괄

    적 개념의 신경질환이다 또한 원인 및 정도에 따라 미성숙한 뇌에 단일 또는.

    여러 부위에 비진행성 결함 또는 영구적 손상이지만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이는

    질환으로서 신경발달장애가 변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즉 출생 전 또는 출생 직. ,

    후 이러한 결함과 손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어린 영아에서 운동손상과

    감각결핍 가능성을 보이며 대부분 아동들의 근골격 손상은 진행된다, (Scherzer

    또한 뇌성마비아동들은 대부분 약한 호흡 등으로 인하& Tscharnutrt, 1990).

    여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쉬우며 정상아동에 비해 호흡곤란 등의 원인으로 사망

    률이 높다 오랜 기간 동안 장애가 고착될 경우 근(Graham & Selber, 2003).

    활동이 극히 제한되거나 결함을 보이는데 흔히 관절가동역 연부(Vojta, 2004) ,

    조직의 움직임 근력 협응 그리고 균형 장애로 인해 쓰기장애, , , (Kirk & Chalfant,

    지각기능 운동기능 파지기능 조작기능 도달기능 지지기능 등 상지관1984), , , , , ,

    련 장애등이 나타난다 이계존 조상현 비정상적인 운동 양상은 활동량( , , 1998).

    이 증가할 때나 앉거나 서려고 할 때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며 덜 손상된 신체,

    부위가 보상작용을 하게 됨으로서 기본적인 운동발달과정을 방해하여 심하게 지

    연될 경우 14 ~ 세에 걷게 되기도 한다 결국 대부분 뇌성마비아동이 자라서15 .

    좀 더 독립적 삶을 원하지만 지역사회참여 및 활동에서의 제약만큼 기능적인 제

    한 또한 두드러지게 된다 김세주 등( , 2000).

    위와 같은 뇌성마비아동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신경발달치료법이 사용되는데 루드의 신경생리학적 접근법 보바스,

    의 운동조절과 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법 브룬스트룸법 보이타(Bobath) , , (Vojta)

    의 반사적 이동운동 치료법 등이 있다 민경옥 김순희 이러한 방법들은( , , 1997).

    대부분 신경성숙 이론에 근거하여 정상 자세조절 근육활동을 촉진 억제하기, ᆞ

    연령에 보이타 치료를 적용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핵심어 : 뇌성마비 보이타 균형 보행, , ,

  •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손 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

    - 91 -

    위한 촉각 자극 저항운동을 이용한 집단 운동의 촉진 그리고 외부 자극에 의한, ,

    반사적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황성수( , 1997).

    임상에서 신경발달치료가 우세하는 동안 뇌성마비아동들의 근력 약화는 잘 알

    려져 왔으나 경직과 비정상 운동의 증가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근력강화가 강조

    되지 않아 이들의 운동조절이 방해된다고 하였고 또 다른 문제(Semans, 1967)

    는 뇌성마비 아동은 정상발달이 안 되므로 정상적인 움직임을 경험할 기회가 없

    을 뿐 아니라 비정상적인 패턴만 기억되어 매번 똑같은 움직임을 반복 할 때 비

    정상적인 운동만 야기될 뿐이라고 하였다 박경희 안용팔( , , 1989).

    이러한 비정상적인 운동형태가 뇌세포에 고정되는 것을 가능한 한 제지하고

    기능적 향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보이타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은 학습 또는 반복 훈련이 아닌 선천적으로 가지.

    고 있는 정상운동 모형을 무의식적으로 불러내고 되풀이하는 형식이며 자극에,

    대응하는 신체 자동운동을 이용하여 생리적 운동을 촉진하는 방식이다(家森百合

    또한 근 신장의 자극을 주어 손 발을 포함한, , , 1997). ,子 神田豊子 弓削 子マリ

    전신의 자세나 운동패턴이 나타나게 하는 것이며 협조( , , 1977)富雅男 江林俟和

    성 네발기기 협조성 보행 협조성 파악기능 섭식기능 등 일상생활 동작에 필요, , ,

    한 근 결합 기능 관절운동 느낌 모두 포함되어져 있다, ( , 1992).松本隆之

    반사적 기기나 뒤집기에 반응하고 참여하는 근육들이 위와 같은 기능과 더불

    어 걸을 때도 사용되어지는 근육들이기 때문이다( , ,家森百合子 神田豊子 弓削マ

    결국 반사적 기기와 뒤집기 접근법은 단지 배밀이와 뒤집기를 못, 1997).子リ

    하는 아동들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전신적 근육의 균형적인 수축(balanced

    을 유도하기 때문에 보행이 가능한 아동들에서도 보행패턴이 나쁜contraction)

    경우에 보이타 치료를 적용한다 박경희 안용팔 선행연구를 통해 보이( , , 1989).

    타 치료를 받은 학령기 아이들은 신체의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며 보행 속도의

    개선을 보고하였다 보이타운동치료를 뇌성마비에 치료에 임상적(Vojta, 2004).

    으로 많이 적용하고 있으나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국내 연구

    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제 중심 또는 운동훈련 치료가 아닌 인간이 가지고 있는

    선천적 프로그램인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을 통한 근 활성화로 개체발생

    학적 병적자발이동단계 폐활량 손 기능 균형 및 보행능력과 같은 기(OSPLS), , ,

    능적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 49 1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92 -

    연구의 목적1)

    본 연구의 목적은 중추신경계의 결함으로 인해서 관절가동역 연부조직의 움,

    직임 근력 협응 그리고 균형에 장애가 있어서 운동조절력에 문제를 보이는 경, , ,

    련성 뇌성마비아동들을 대상으로 과제 중심 또는 운동훈련 치료가 아닌 인간이

    가지고 있는 선천적 프로그램인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을 통한 근 활성

    화로 신체 전반에 걸친 기능적 변화를 아래와 같이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련성 뇌성마비 아동의 에 미치는 영향을, OSPL

    규명한다 둘째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련성 뇌성마비 아동의 폐활량에 미치. ,

    는 영향을 규명한다 셋째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련성 뇌성마비 아동의 손기. ,

    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넷째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련성 뇌성마비 아. ,

    동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다섯째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련성 뇌. ,

    성마비 아동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용어의 정의2)

    반사적 전진이동(1) (reflex forward movement)

    인간의 반사적 전진이동은 반사적 기기 와 반사적 뒤집기(reflex creeping)

    라는 가지의 반사적 협동운동복합체(reflex turning) 2 (reflex coordination

    라는 모형을 말한다 각 모형에는 특정한 출발자세와 자locomotions complex) .

    극점이 사용되어진다(Vojta, 1986).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2)

    (ontogenesis spontaneous pathologic locomotion; OSPL)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은 보이타에 의해 정의된 비정상적인 발달과정을

    단계로 분류한 것이다 이것은 두 가지 발달 경향으로 기술되어있는데 하나는10 .

    비정상이지만 신생아기부터 정상발달과 거의 유사한 패턴으로 발달하는 이동과

    정이고 또 다른 하나는 신생아기부터 병적발달이 두드러지면서 발달하는 이동과

    정이다(Vojta, 1987).

    폐활량(3)

    본 연구에서 폐활량은 아동이 노즐에 입을 대고 초간 불면 노력성호기량1

  •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손 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

    - 93 -

    을 의미한다(forced expiratory volume 1sec; FEV1) .

    손기능(4)

    본 연구에서의 손 기능은 젭센 타일로 손기능 검사- (Jebsen-Taylor hand

    결과를 의미한다function) .

    균형(5)

    본 연구에서의 균형은 소아 균형 검사 의 결과를 의미(Pediatric Balance Scale)

    한다.

    보행(6)

    본 연구에서의 보행은 서고 걷기 시간 검사 의 결과(Timed Up and Go test)

    를 의미한다.

    Ⅱ 연구 방법.

    연구 대상1.

    본 연구는 경직형 뇌성마비로 진단받고 서울 복지관을 이용하는 만S 6 ~ 10

    세 아동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시수행이 가능하고 혼자서 최소 이상9 3m

    보행이 가능하며 특별한 내과적 문제인 심장 이상 또는 폐질환을 앓지 않은 아

    동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성별은 여아 명과 남아 명 장애유형은 뇌성마비 경직형 하지마비7 2 ,

    명 경직형 편마비 명이었다 이들 중 보이타에 의한 개체발생학적 병적이동6 , 3 .

    운동 발달 단계 즉 잡고 수평이동단계는 도달되었지만 아직 완전한6 stadium ,

    에 도달하지 못한 아동은 명 에 있는 즉 독립보행7 stadium 2 , OSPL 7 stadium

    이상 가능한 아동은 명 한발서기 초 이상 가능한 아동6 , OSPL 8 stadium 3 1

    명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평균 연령은 세였고 평균 체중은7.4 24.1

  • ( 49 1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94 -

    이었으며 평균 신장은 이었다 성별은 여아가 였으±4.7kg 120±15.3cm . 77.8%

    며 남아는 였다 뇌성마비 유형은 경직형 하지마비는 였고 경직형22.2% . 66.7%

    편마비가 였다 우세손은 우측편마비 아동 한명을 제외한 명 의33.3% . 88.9%(8 )

    아동이 우측 우세손이었다 이들 중 의 아동들에게서 경계선급 인지지연. 33.3%

    을 보였고 전체 아동들 중 가 하지 인대수술을 받은 아동들이었으며 보이44.4%

    타 치료 경험 유무에서 의 아동이 보이타 치료 경험이 없는 아동들이었다44.4% .

    연구 방법2.

    실험 절차1)

    실험 전 대상자 및 보호자의 동의를 받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사전 검사로 폐활량 손 기능 균형 보행을 검사하였다 실험은 보이타OSPL, , , , .

    전문요원교육을 받고 임상 년 된 전문 치료사에 의해 주 회 회당 분 주18 4 30 , 6

    표< 2-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9)

    분류 대상자 수(%)

    연령 세( )6 ~ 7 5(55.6)

    8 ~ 10 4(44.4)

    성별남 2(22.2)

    여 7(77.8)

    뇌성마비 유형경직형 하지마비 6(66.7)

    경직형 편마비 3(33.3)

    우세손우측 8(88.9)

    좌측 1(11.1)

    인지정상 6(66.7)

    경계선급 인지지연 3(33.3)

    수술유 4(44.4)

    무 5(55.6)

    보이타 치료 경험유 5(55.6)

    무 4(44.4)

  •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손 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

    - 95 -

    간 걸쳐서 시행되었다 실험 장소는 외부의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조.

    용하고 구분된 곳으로 복지관의 소아치료실에서 시행되었다 사후검사는 사전검.

    사와 동일한 항목을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2)

    실험 방법으로는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중 반사적 기기 와 유(reflex creeping)

    사패턴인 첫 번째 자세 반사적 뒤집기 상(erste position), 1 (reflex turning 1

    반사적 뒤집기 상 가지 동작을 각각 분phase), 2 (reflex turning 2 phase) 3 5

    씩 실시하였다.

    첫 번째 자세(1) (erste position)

    이 자세는 반사적 기기와 유사패턴이며 일종의 변형자세로서 출발자세는 테이

    블 모서리에 무릎 꿇어 엎드린 자세이다 먼저 양측 하지 고관절과 무릎관절은.

    중립 선에서 최대 굴곡 양 발은 발등이 테이블에 닿지 않도록 테이블(neutral) ,

    아래로 떨어뜨리며 발목관절이 중립자세가 되도록 하였다 머리는 팔이 올라간.

    쪽으로 회선 되어야 하고 앞이마가 닿도록 하고 머리가 돌아간 얼굴측 팔30°

    을 견관절에서 120°~ 구부리고 손목은 정도 바깥으로 돌려진 상태130° 30° ,

    상완골 내측상과가 바닥에 놓이도록 했으며 각도는 45°로 굴곡 시켰다 후두측.

    팔은 몸통 옆에 가지런히 두었다 유발점은 가지 자극점 중 후두측 다리 발꿈. 9 ,

    치 자극점 얼굴측 다리 대퇴골의 내측상과 얼굴측 팔 상완골 내측상과 후두, - , -

    측 견봉 후두측 중둔근의 중앙부 건막 얼굴측 상전장골극 을 척추신- , - ( ), - (ASIS)

    전과 견갑대와 골반대가 정립이 되도록 자극을 가하였다.

    반사적 뒤집기 상(2) 1

    출발자세는 바로 누운 자세이며 고개를 회전 하게 두었다 유발점은 고개30°

    가 돌아간 즉 얼굴쪽 늑간근, 6 ~ 또는7 7 ~ 사이를 자극하였으며 자극방향8

    은 배측 내측 머리측 방향 즉 척추 중심 쪽으로 자극을 가하여 복근의 활성화, , ,

    와 척추신전이 활성화 되도록 하였다.

    반사적 뒤집기 상(3) 2

    출발 자세는 옆으로 누운 자세이다 몸통은 바닥과 수직 상태가 되게 하며 아. .

    래측 팔은 체중부하를 받은 상완은 각도로 위치팔꿈치는 구부리거나 펴져90°

  • ( 49 1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96 -

    있고 손은 중립 자세로 두어 몸통과 직각이 되게 하였다 아래쪽 다리는 몸통과.

    나란히 일직선 상태에서 가볍게 굴곡 되게 두었다 위측 팔은 몸통측면에 나란.

    히 두었다 위쪽 다리의 고관절은. 30 ~ 40° 무릎은 정도로 구부러지게 하, 40°

    고 발꿈치는 위쪽 고관절 선상에 있게 두었다 유발점은 위쪽 견갑골의 내측 연.

    견갑골의 하각에서 지점 과 상전장골극을 적용 하였으며 이때 복근의 대( 1/3 ) ,

    각선 수축의 활성화로 척추신전과 아래쪽 견관절과 고관절부위에 지지가 일어나

    도록 자극을 가하였다.

    측정 도구 및 방법3.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단계1)

    아동의 자발이동 단계는 보이타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단계 척도에10

    따라 실시하였으며 검사는 검사자의 지시에 따른 아동의 독립적인 자발이동능력

    을 보고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단계 를 판단하였다(stadium) .

    폐활량2)

    폐활량은 을 사용 하였으며 성별 나이VCM-10(CHESTM. I. INC., Japan) , ,

    신장을 입력하면 표준폐활량 값이 나오며 아동이 노(Standard Vital Capacity)

    즐에 입을 대고 초간 불면 노력성호기량1 (forced expiratory volume 1sec;

    이 측정되어 나타나는데 이와 같이 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내었다 검사FEV1) 3 .

    방법은 노력성 폐활량에서 피검자로 하여금 최대한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여 폐

    활량계에 공기를 빠르고 끝까지 내뱉도록 하여 측정하였다.

    손 기능3)

    손 기능은 젭센 타일로 손기능 검사 도구를- (Jebsen-Taylor hand function)

    사용하였다 손의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검사는 짧은 문장 쓰기. ,

    카드 뒤집기 작은 물건 옮기기 먹는 흉내내기 장기말 쌓기 크7.6×12.7cm. , , , ,

    고 가벼운 깡통 옮기기 크고 무거운 깡통 옮기기의 개의 소검사로 이루어져, 7

    있다 각각의 소 검사를 실시한 후에는 실시한 시간을 재었다 결과는 스톱위치. .

    를 사용하여 객관적으로 측정하며 연속적인 점수로 나타내어진다 밝은 방에서, .

    높이의 책상과 높이의 의자에 대상자를 앉힌다 발이 닿지 않는 아76cm 46cm .

    동일 경우 발바닥이 닿도록 발판을 대어주었다 지시사항은 환자가 확실히 이해.

  •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손 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

    - 97 -

    하도록 설명해주고 질문에 대답해준다 소 검사는 항상 같은 순서로 비우세손부. ,

    터 실시하였다.

    균형4)

    균형 검사는 소아 균형 검사 를 사용하였다 이 검(Pediatric Balance Scale) .

    사 도구는 학교 집과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기능 활동의 수행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전체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항목마다 최대14 . 3

    회까지 시도하였고 아동이 그 항목에 대하여 정확히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

    두로 설명하거나 시범을 보여주거나 연습기회를 제공하였다 각각의 항목에서, , .

    아동이 시도하지 못하거나 최대의 도움을 필요로 할 때는 점으로 처리하였다0 .

    각 항목에 부여되는 점수는 독립적인 수행정도에 따라 점에서 점까지 점 척0 4 5

    도로 처리하였다 만일 첫 번째 시도에서 아동이 최고 점수 점을 받았다면 더. 4

    이상 시도하지 않았다.

    보행5)

    보행속도를 알기 위해 서고 걷기 시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팔.

    걸이가 있는 의자에 앉게 하고 실험자의 출발신호와 함께 의자에서 일어나, 3m

    거리를 걸어가 다시 되돌아와 의자에 않는 속도를 측정하였다 이 검사의 측정.

    자 내 신뢰도는 r 이고 측정자 간 신뢰도는=.99 , r 로 높았으며 초 이상=.98 , 30

    이면 기초 이동능력이 의존적이어서 혼자서 실외 이동을 할 수 없다(Podsiadlo

    의자의 높이와 형태의 차이에 따라 서고 걷기 시간 검& Richardson, 1991).

    사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의자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하되 대상자의 고관절

    과 무릎관절이 도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회 연습과정을 거친 후 회 반복측90 . 1 3

    정을 하였으며 평균값을 구하였다 각 항목별 측정은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1

    명의 검사자가 훈련 전과 후에 검사를 하였다.

    자료 처리4.

    본 연구는 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 하였다 반사적 진행SPSS (version 12.0) .

    동작패턴 적용 전후 결과에 대한 정규분포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규성 검정

    을 한 결과 폐활량과 균형은 정규 분포하여 대응표본 t 를 이용하였으며 손-test

    기능과 보행은 정규분포하지 않아 를 이용하였다Wilcoxon Signed Ranks test .

  • ( 49 1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98 -

    통계적 검정을 위한 유의수준 를 이하로 하였다0.05 .α

    Ⅲ 연구 결과.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전후의 기능적 변화1.

    반사적 진진이동운동 전 후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의 변화1) (OSPL)ㆍ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전 후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단계의 변화(OSPL)ᆞ

    는 그림 과 같다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전 검사에서 단계는 명 단계는3 . 6 2 , 7 6

    명 단계는 명이었다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후엔 단계는 명 단계는 명, 8 1 . 6 0 , 7 5 ,

    단계는 명으로 나타났으며 명의 아동들에서 단계씩 향상 되었다 그림8 4 5 1 <

    3-1>.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전 후 폐활량의 변화2) ㆍ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전 후 폐활량의 전 후 측정값의 변화는 표 과< 3-1>ᆞ ᆞ

    같다 운동 전 검사에서 폐활량은 로 나타났다 운동 후 검사에서 폐활량. 0.93 .ℓ

    그림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전 후 변화< 3-1> (OSPL) ᆞ

  •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손 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

    - 99 -

    은 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1.22 (ℓ p, , ,

    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 우세손 전 후 측정값 결과는 표 과 같

  • ( 49 1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00 -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전 후 균형의 변화4) ㆍ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실시 전 소아 균형 척도에서 점으로 나타났으며 반44.11

    사적 전진이동운동 실시 후 소아 균형 척도에서 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49.78

    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표.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전 후 보행의 변화5) ㆍ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전 후 서고 걷기 시간 검사의 전 후 측정값의 변화는ᆞ ᆞ

    표 와 같다 운동 전 검사에서 서고 걷기 시간 검사는 초로 나타났< 3-5> . 19.11

    표< 3-4> 반사적 전진이동 운동 전 후 균형의 변화 점( )ᆞ (N=9)

    검사운동 전

    평균 표준편차±운동 후

    평균 표준편차±t

    소아 균형 44.11 ± 5.64 49.78 ± 3.35 -6.01*

    주, *p 반사적 전진이동 운동 전 후 손기능의 변화 우세손( )ᆞ (N=9)

    검사운동 전

    평균 표준편차±운동 후

    평균 표준편차±Z

    단문장 쓰기 6.22 ± 4.76 6.67 ± 5.22 -1.30

    카드 뒤집기 1.11 ± 2.08 3.00 ± 4.00 -0.45

    작은 물건 옮기기 8.00 ± 3.74 10.89 ± 0.78 -2.03*

    먹기 흉내내기 3.11 ± 3.44 8.44 ± 2.65 -2.00*

    말장기 쌓기 11.67 ± 3.91 13.67 ± 0.50 -1.84

    가벼운 깡통 들기 6.56 ± 2.88 9.56 ± 1.81 -2.21*

    무거운 깡통 들기 4.56 ± 3.32 9.33 ± 1.87 -1.84

    주, *p

  •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손 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

    - 101 -

    다 운동 후 검사에서 서고 걷기 시간 검사는 초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 10.91

    의한 차이를 보였다(p 반사적 전진이동 운동 전 후 보행의 변화 초( )ᆞ (N=9)

    검사운동 전

    평균 표준편차±운동 후

    평균 표준편차±t

    서고 걷기 시간 검사 19.11 ± 21.26 10.91 ± 7.77 -2.52*

    주, *p

  • ( 49 1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02 -

    보이타 치료의 목적은 어떤 움직임을 위한 선행조건을 확립하는 것으로서 자

    세발달의 기초가 된다 즉 중추신경계 속에 내재되어 있는 반사와 유사한 움직. ,

    임을 기초로 한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은 그 어떤 대상패턴보다 질적이고도 경제

    적인 운동과 자세능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결국 보(Vojta, 1986).

    행과 한발서기 훈련을 실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을 통해 아이들은 개체발생학적 이동패턴에 향상을 보인 것은 위와 같은 이론을

    입증하는 것이다.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2.

    뇌성마비 아동에게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전 폐활량 평균 수치가 에서0.93ℓ

    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1.22 (ℓ p 각 정상 표준 폐

  •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손 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

    - 103 -

    준다 따라서 반사적 뒤집기 시발은 종격 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Mediastinum)

    호흡활동의 활성화를 포함한다 보이타는 더불어 얻어지는 생리(Vojta, 1987).

    적 효과는 구강안면활성화로 사시교정과 삼킴 활성화 원활한 방광활동이 일어,

    난다고 하였으며 깊은 심호흡활동은 결국 폐기능 뿐만 아니라 척추신전 체간,

    안정화를 얻을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Vojta, 2004).

    연구 결과에서도 알 수 있었듯이 실험 전에 참여한 아동들이 대체로 경도의

    장애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생체기능과 관련된 폐활량이 정상에 훨씬

    못 미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으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적용 후 호흡근이 강

    화되면서 폐활량이 향상 되었다.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3.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전 후 손 기능의 변화를 년 에 의1969 Jebsen-Tylorᆞ

    해 고안 된 손 기능 평가를 비우세손과 우세손 각각 수행한 후 측정된 시간에,

    표준화 된 점수를 준 후 비교한 결과 작은 물건 옮기기 먹기 흉내내기 크고 가, ,

    벼운 깡통 들기 항목에서 비우세손과 우세손 양측 모두 그리고 크고 무거운 깡,

    통 들기에서는 우세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그러나

  • ( 49 1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04 -

    의 부활로 사지성장의 불균형을 조정한다고 하였는데 실제 이번 연구muscle)

    대상 아동들에게서도 위와 같은 사실이 부분적으로 입증되었다 작은 물건 옮기.

    기 먹기 흉내내기 크고 가벼운 깡통 들기 항목 수행에서 양손 모두 유의한 차, ,

    이를 보인 것(p 은 기본적으로 체간의 안정성은 확보되어 있고 견관절의

  •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손 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

    - 105 -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4.

    연구 결과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실시 전 후 균형의 변화는 소아 균형 척도, 44.11ᆞ

    점에서 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5.64 49.78±3.35 (p

  • ( 49 1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06 -

    서고 걷기 시간 검사의 사전 평균 측정값 초에서 사후 측정값 초19.11 10.91

    로 단축되어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균형감각에 장애를 가

  •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손 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

    - 107 -

    Ⅴ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아동들을 대상으로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

    을 적용하여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능력 폐활량 손기능 균형 및 보행에, , ,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만 세. 6 ~ 세 평균 세 아동들10 ( 7.4 )

    로 혼자서 최소 보행 가능한 아동들 중 완전한 독립보행이 안 되는3m OSPL

    의 이상 수준인 아동 명이었으며 경직형 하지마비와 편마비 타입6 stadium 9 ,

    의 뇌성마비아동들을 선별하여 실험하였다 개체발생학적 자발이동능력 폐활량. , ,

    손기능 균형 및 보행 검사 등을 통해 주간의 운동 전후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 6

    였고 운동 후 뇌성마비아동들의 의 향상 폐활량의 증가 균형의 증가 보OSPL , , ,

    행능력의 향상 손기능의 향상을 보였다,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의 폐활량 손기능 균형 및 보행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개체발생학적, ,

    병적자발이동에 발전을 가져왔다 본 연구는 단기간 제한된 연령에 적은 수의.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들에게만 실시되었다 앞으로 좀 더 장기간 많은 대상자.

    수와 다양한 뇌성마비 유형에게 적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 49 1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08 -

    참 고 문 헌

    김선호 고영호 윤영복 수중운동이 경련성 뇌성마비인의 신체구성 체력, , (2005). ,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5(3), 37-44.

    김세주 이창형 나진경 이상헌 성인영 박병규 치료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 , , , (2000).

    뇌성마비아의 치료 현황. 대한재활의학회지, 24(2), 200-207.

    김혜경 권도하 호흡근 강화 훈련 프로그램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2005).

    구어산출에 미치는 효과. 언어치료연구, 14(2), 89-109.

    민경옥 김순희, (1997). 질환별 물리치료 2. 서울 대학서림: .

    박경희 안용팔 뇌손상환자 치료에 있어서 법의 가능한 효과 기전, (1989). Vojta .

    대한재활의학회지, 13(1), 1-10.

    이계존 조상현, (1998). 뇌성마비장애인의 직업영역 활대를 위한 조사연구. 한국

    장애인고용촉진공단.

    조미숙 박래준 복부 근육의 기능적 전기자극이 경직형 뇌성마비인의, (2005).

    복직근 활동량과 호흡능력 및 발성에 미치는 효과. 언어치료연구, 14(3), 9.

    황성수 전정각 자극이 중추 신경계 기능부전 아동의 균형과 기본적 심리(1997).

    작용에 미친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 .

    , (1977).富雅男 江林俟和 新生兒及 乳兒期 運動發達診斷 腦性運動障び における と

    ( ).害 早期診斷 早期治療の ᆞ Ⅱ . 30小兒科臨床 (5), 825-833.

    (1992). 2. .松本隆之 法 法 運動療法 實際ボイタ ボイタ による の 9理學療法 (3),

    217-223.

    , , (1997). .家森百合子 神田豊子 弓削 子 子 姿勢運動發達マリ どもの .書房ネルウァ

    138-141.

    Blumberg. M. (1955). Respiration and speech in the cerebral palsied

    child. American journal of diseases of children, 89(1), 48-53.

    Gan, S. M., Tung, L. C., Tang, Y. H., & Wang, C. H. (2008). Psychometric

    properties of functional balance assess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urorehabilitation Neural Repair, 22(6), 745-753.

    Graham, H. K., & Selber, P. (2003). Musculoskeletal aspects of cerebral

    palsy.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85(2), 157-166.

    Kembhavi, G., Darrah, J., Magill-Evans, J., & Loomis, J. (2002). Using

    the berg balance scale to distinguish balance abiliti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ediatric Physical Therapy, 14(2), 92-99.

  •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손 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

    - 109 -

    Kirk, S. A., & Chalfant, J. C. (1984). Academic and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Denver, CO: LOVE.

    Liao, H. F., Jeng, S. F., Lai, J. S., Cheng, C. K., & Hu, M. H. (1997).

    The relation between standing balance and walking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Child Neurology, 39(2), 106-112.

    Neumann, K. G. (2008). Gehen verstehen-Ganganalyse in der Physiotherpie.

    Germany. Georg Thieme.

    Ostensjo, S., Carlberg, E. B., & Vollestad, N. K. (2004). Motor impairments

    in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elationship to gross motor

    function and everyday activities.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6(9), 580-589.

    Podsiadlo, D., & Richardson, S. (1991).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39(2), 142-148.

    Scherzer, K. E., & Tscharnuter, I. (1990). Early diagnosis and Therapy

    in cerebral palsy: A primer on infant developmental problems, 2nd

    ed. New York: Marcel Dekker.

    Semans, S. (1967). The Bobath concept in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46(1), 732-785.

    Smith-Zuzovsky, N., & Exner, C. E. (2004). The effect of seated positioning

    quality on typical 6- and 7-year-old children’s object manipulation

    skill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8(4), 380-338.

    Vernazza-Martin, S., Martin, N., Vernazza, A., Lepellec-Muller, A., Rufo,

    M., Massion, J., & Assaiante, C. (2005). Goal directed locomotion and

    balance control in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tal

    Disorders, 35(1), 91-102.

    Vojta, V. (1986). Is there any therapy for cerebral palsy children?

    Results of the reflex locomotion therapy in 328 children with

    cerebral palsy(Vortrag am 4.11.1986 Korea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Seoul, Süd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10(2), 87-95.

    Vojta, V. (1987). Zur Prognose der spätbehandelten cerebral partischen

    Kinder. Z Kinderarzt, 18(1), 1161-1172.

  • ( 49 1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 110 -

    Vojta, V. (2004). Die Zerebralen Bewegungsstörungen im Säuglingsalter,

    Germany, Thieme.

    Vojta, V., & Peters, A. (2007). Das Vojta- Prinzip. Germany, Springer.

    Woollacott, M., Shumway-Cook, A., Hutchinson, S., Ciol, M., Price, R.,

    & Kartin, D. (2005). Effect of balance training on muscle activity used

    in recovery of st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Developmetal Medicine Child Neurolology, 47(7), 455-461.

  •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학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손 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

    - 111 -

    The Effect of Vojta’s Reflex Forward Movement on the Ontogenesis

    Spontaneous Pathologic Locomotion, Vital Capacity, Hand Function,

    Balance and Gait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Song, Chang Ho ᆞ Kim, Hun J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Vojta’s

    reflex forward movement on ontogenesis spontaneous pathologic locomotion

    (OSPL), vital capacity, hand function, balance and gait for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Nin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ges 6

    to 10 years, participated in Vojta’s reflex forward movement program 4

    times per week for 30 minute for 6 weeks, and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outcome measures included OSPL, Forced

    expiratory volume 1sec(FEV1),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Pediatric

    balance scale and Timed up and go te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SPL, vital capacity, hand function, balance and gai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can improve their OSPL, vital capacity, hand function, balance and

    gait after Vojta’s reflex forward movement.

    Key Words : Cerebral palsy, Vojta, Balance, Gait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 승인: 2010. 1. 29 / : 2010. 3. 11 / : 2010.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