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대한내분비학회지: 20 권 제 3 2005 - 261 - 7) 갑상선 자극 호르몬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유발하는 드문 질환으로 모든 뇌하수체 선종 1% 미만을 차지한다[1].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임상 소 견과 혈중 갑상선 호르몬 농도의 증가를 보이면서 TSH억제되어 있지 않는 경우 의심해볼 수 있으며 갑상선 호르 몬 저항증후군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진단은 뇌하수체 선종 접수일자: 2004811통과일자: 200541책임저자: 박지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의 유무를 뇌하수체 CTMRI로 확인해야 하고 TSH α subunit의 측정이나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분비 호르몬 (TRH) 에 대한 TSH α subunit의 반응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 [2]. 일차적인 치료법은 선종을 제거하는 수술이며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는 방사선 치료나 octreotide 같은 somatostatin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2,3]. 수술 후 예후에 는 종양의 크기와 침습성, 갑상선 항진증의 정도 및 증상의 발현기간이 관련되고, TSH α subunit의 상승 정도나 다른 뇌하수체 호르몬들의 동시 분비 (cosecretion) 여부는 연관 성을 보이지 않는다[2,4].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의 일차 치료법인 수술을 시행 갑상선 자극 호르몬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환자에서 수술 전처치 약물로 단기간 사용한 항 갑상선 약제가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영향 : 증례보고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이 민 희박 지 현 The Change of Thyroid Hormone by Short-term Antithyroid Drug Treatment for Preoperative Euthyroidism in TSH-secreting Pituitary Adenoma Min Hee Lee, Ji Hyun Par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Jeonju, Korea ABSTRACT Preoperative euthyroidism is needed to minimize the risk of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thyroid storm by surgery. Antithyroid drugs or steroid hormones are commonly used in primary hyperthyroidism for euthyroidism. However, there is no definite consensus for the preoperative management of a TSH secreting pituitary adenoma for the restoration of euthyroidism. Antithyroid drugs are not used for long-term the management of a TSH secreting pituitary adenoma, as they may cause rapid growth and greater invasiveness of the tumor due to a feedback mechanism, but they can be used for short-term management before neurosurgery. We experienced one case of a TSH secreting pituitary adenoma, which showed rapid free thyroid hormone increase due to the short term administration of antithyroid drugs for only 10 days. A somatostatin analogue, octreotide at a dose of 0.1 mg, twice a day, was then tried. About 4 weeks later, her serum TSH and free T4 had normalized, with a concomitant clinical improvement. She subsequently underwent an uncomplicated trans-sphenoidal resection of the pituitary adenoma. Antithyroid drugs can induce a rapid thyroid hormone increase, but can only be used for a short-term period, so they should be administered with caution or their use reconsidered (J Kor Soc Endocrinol 20:261267, 2005). Key Words: Thyrotropin, Pituitary adenoma, Surgery, Antithyroid agent

갑상선 자극 호르몬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환자에서 수술 ... ·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은 약 88%가 거대 선종으로 발 견되며, 60%이상에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대한내분비학회지: 제20 권 제 3 호 2005 □ 증 례 □

    - 261 -

    7)서 론

    갑상선 자극 호르몬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유발하는 드문 질환으로 모든 뇌하수체 선종

    의 1% 미만을 차지한다[1].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임상 소

    견과 혈중 갑상선 호르몬 농도의 증가를 보이면서 TSH가

    억제되어 있지 않는 경우 의심해볼 수 있으며 갑상선 호르

    몬 저항증후군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진단은 뇌하수체 선종

    접수일자: 2004년 8월 11일

    통과일자: 2005년 4월 1일

    책임저자: 박지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의 유무를 뇌하수체 CT나 MRI로 확인해야 하고 TSH α

    subunit의 측정이나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분비 호르몬 (TRH)

    에 대한 TSH α subunit의 반응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 [2]. 일차적인 치료법은 선종을 제거하는 수술이며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는 방사선 치료나 octreotide 같은

    somatostatin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2,3]. 수술 후 예후에

    는 종양의 크기와 침습성, 갑상선 항진증의 정도 및 증상의

    발현기간이 관련되고, TSH α subunit의 상승 정도나 다른

    뇌하수체 호르몬들의 동시 분비 (cosecretion) 여부는 연관

    성을 보이지 않는다[2,4].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의 일차 치료법인 수술을 시행

    갑상선 자극 호르몬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환자에서

    수술 전처치 약물로 단기간 사용한 항 갑상선 약제가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영향: 증례보고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이 민 희․박 지 현

    The Change of Thyroid Hormone by Short-term Antithyroid Drug Treatment

    for Preoperative Euthyroidism in TSH-secreting Pituitary Adenoma

    Min Hee Lee, Ji Hyun Par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Jeonju, Korea

    ABSTRACT

    Preoperative euthyroidism is needed to minimize the risk of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thyroid storm by surgery. Antithyroid drugs or steroid hormones are commonly used in primary

    hyperthyroidism for euthyroidism. However, there is no definite consensus for the preoperative management

    of a TSH secreting pituitary adenoma for the restoration of euthyroidism. Antithyroid drugs are not used for

    long-term the management of a TSH secreting pituitary adenoma, as they may cause rapid growth and greater

    invasiveness of the tumor due to a feedback mechanism, but they can be used for short-term management

    before neurosurgery. We experienced one case of a TSH secreting pituitary adenoma, which showed rapid free

    thyroid hormone increase due to the short term administration of antithyroid drugs for only 10 days. A

    somatostatin analogue, octreotide at a dose of 0.1 mg, twice a day, was then tried. About 4 weeks later, her

    serum TSH and free T4 had normalized, with a concomitant clinical improvement. She subsequently

    underwent an uncomplicated trans-sphenoidal resection of the pituitary adenoma. Antithyroid drugs can induce

    a rapid thyroid hormone increase, but can only be used for a short-term period, so they should be

    administered with caution or their use reconsidered (J Kor Soc Endocrinol 20:261~267, 200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Thyrotropin, Pituitary adenoma, Surgery, Antithyroid agent

  • - 대한내분비학회지: 제 20 권 제3 호 2005 -

    - 262 -

    하기 위해서는 상승된 갑상선 호르몬을 정상 범위로 조절해

    주는 전 처치가 필요하다[2,3]. 갑상선 기능이 항진된 상태

    에서 수술이나 마취는 수술 중 또는 수술 후 합병증의 위험

    성을 증가시키고 갑상선 중독 발작 (thyroid storm)의 원인

    이 될 수 있어 수술 전 갑상선 호르몬을 정상 범위로 조절

    해야 한다[5~7]. 수술과 같은 스트레스상황에서 갑상선 호

    르몬의 상승은 심혈관계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특히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의 발생이 11세부터 84세의 고연

    령까지 다양하게 발생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고 보여진

    다[8].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 환자에서 수술 전 갑상선 기능

    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propranolol과 같은 베타 차단제와

    함께 somatostatin 유도체나 항 갑상선 약제를 사용하는 방

    법이 알려져 있다[2,3,7]. 본 증례에서는 TSH 분비 뇌하수

    체 선종 환자의 수술 전 처치를 위해 매우 짧은 기간 사용

    하였던 항 갑상선 약제에 의한 갑상선 호르몬의 변화에 대

    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증 례

    환 자: 32세 여자

    주 소: 갑상선 자극 호르몬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

    의심 하에 종양 제거술을 위해 내원하였다.

    현 병력: 외부병원에서 내원 6개월 전 실시한 혈액 검사

    상 갑상선 호르몬 수치의 상승이 있으면서 경한 TSH 상승

    소견이 동반되어 내원 3개월 전 뇌하수체 MRI를 실시하였

    고, 뇌하수체 우측에 약 1.1 cm의 종양을 확인하였다 (Fig.

    1). 약 1년 전부터 생리불순, 체중 감소, 두통 및 불면 등의

    증상이 있었으며 내원시 불안정하고 고양된 감정 상태를 보

    였다. 유즙분비는 없었으며 쿠싱 (Cushing)병이나 말단비대

    증을 의심할만한 임상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입원 전 약물

    복용 기왕력은 없었다. 이학적 검사상 안구돌출은 없었고

    촉진상 매우 경한 미만성 갑상선 종대가 있었으나 결절이나

    갑상선의 잡음은 없었다.

    과거력 및 가족력: 과거력 및 가족력상 특이 사항 없었다.

    신체검사: 내원시 혈압은 110/70 mmHg, 맥박은 100회/

    분, 호흡은 20회/분, 체온은 36.5℃이었고 의식은 명료하였다.

    검사소견: 갑상선 기능 검사상 free T4 341 nmol/L (정

    상치 94~250 nnmol/L, Competitive radioimmunoassay,

    AMERLEX-MAB FT4 kit), free T3 7.0 pg/mL (정상치

    1.4~4.4 pg/mL, Radioimmunoassay, DPC kit), TSH 1.94

    mU/L (정상치 0.17~4.05 mU/L, Immunoradiometric assay,

    Immunoteck kit, Detection limit 0.01 mU/L)이었고, 항 갑

    상선 과산화효소 항체, 항 갑상선 글로불린 항체 및 항 갑상

    선 자극 호르몬 수용체 항체 (Immunoradiometric assay,

    Immunoteck kit)는 음성이었다. Prolactin은 24.7 μg/L (정상

    치 2~15 μg/L, Immunoradiometric assay, SPAC-S prola-

    ctin kit)로 약간의 상승 소견을 보였고 혈중 ACTH 22.1

    pg/mL (정상치 10~90pg/㎖, Immunoradiometric assay, Im-

    munoteck kit), FSH 5.13 mU/mL (정상치 3.1~19.7 mU/

    mL, Competitive fluororescence EIA method, MODUL-

    AR-E170), LH 6.04 mU/mL (정상치 1.1~11.1mU/mL, Co-

    mpetitive fluororescence EIA method, MODULAR-E170),

    IGF-1 419 ng/mL (정상치 114~492 ng/mL, Radioimmuno-

    assay, IGF-1-D-RA CT), ADH 0.65 pg/mL (정상치 0~4.7

    pg/mL, Radioimmunoassay, Vasopressin kit), HGH 0.23

    ng/dL (정상치 0.06~3.68 ng/dL, Immunoradiometric assay,

    GH kit) 같은 다른 뇌하수체 호르몬들의 이상소견은 보이지

    Fig. 1. Preoperative sellar MRI. (A) 12.1x8.6mm sized mass in sellar and suprasellar area in T2

    weighted enhanced sagittal section image. (B) 10.6×11.5 mm sized mass in sellar and

    suprasellar area in T2 weighted enhanced coronal section image.

    A B

  • - 이민희․박지현: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환자에서 수술 전처치 약물로 단기간 사용한 항 갑상선 약제가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영향 -

    - 263 -

    않았다. 혈중 cortisol (정상치 5~25 ng/mL, Electrochemilu-

    minescence method, MODULAR-E170)은 8.67 ng/mL이었

    다. 모든 호르몬의 측정은 아침 8시경 공복상태로 이루어졌

    다. TSH α-subunit는 0.47 mU/mL (정상치 < 0.9mU/mL)이

    고 α subunit와 TSH의 몰 (M) 비는 0.80이었다. 시야 검사

    에서 이상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임상경과: 환자는 갑상선 호르몬 저항 증후군의 가족력

    이 없었고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뚜렷한 임상증상이 있었으

    며 이 증상이 최근 1년 전부터 발생한 점 및 MRI상 뇌하수

    체에 1.1 cm 종양이 동반된 점들을 고려할 때 갑상선 호르

    몬 저항 증후군보다는 뇌하수체 선종에 의한 이차적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보다 적합한 소견이었다. 심장 박동 수를 감

    소시키고 갑상선 기능 항진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해 β-차단

    제인 propranolol 10 mg을 하루에 3회 경구 복용토록 하였

    다. 경비적 뇌하수체 선종 절제술의 수술 전 처치로써 갑상

    선 호르몬치를 감소시키고자 일차적으로 10일간 propyl-

    thiouracil 200 mg씩 하루에 2회 경구 복용하였다. 혈액 검

    사상 free T4치는 복용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였고 빈맥이

    나 불안증과 같은 갑상선 기능 항진에 의한 증상들의 악화

    소견을 보였다. Propylthiouracil 투여 10일째 free T4는 889

    nmol/L로 내원시의 약 2.6배로 증가되었고 (Fig. 2-A) TSH

    값은 0.98 mIU/L이었으며 악화된 임상소견들도 지속되었다

    (Fig. 2-B). 이어 항 갑상선 제제를 중단하였고 somat-

    ostatin 유도체인 octreotide를 0.1 mg씩 하루 2회 피하투여

    를 시작하였다. Octreotide 사용 18일째 혈중 free T4는 316

    nmol/L로 저하되고 25일째 94 nmol/L로 정상화되었으며

    (Fig. 3-A) 이 때 TSH는 0.94 mIU/L이었다 (Fig. 3-B). 또

    한 정신적인 불안 증세, 불면증, 심계항진 등의 증상이 호전

    되는 소견을 보였다. Octreotide사용 34일째 뇌하수체 선종

    절제술을 경비 접근법으로 실시하여 수술시 육안소견상 약

    2×2 cm 크기의 종괴를 제거하였다. 종괴는 육안상 회색의

    부서지기 쉬운 성상을 보였고 면역 조직학적 염색상에서

    TSH에 대한 염색에서는 강양성을 보였고 ACTH, LH,

    FSH, GH, prolactin에 대한 염색에서는 반응이 없어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Fig. 4). 수술 후

    갑상선 호르몬은 정상화 되었고 이후 10 개월째 실시한 뇌

    하수체 MRI (Fig. 5) 및 갑상선 기능 검사와 임상소견에서

    재발의 증거는 보이지 않고 있다.

    Fig. 2. (A) Free T4 levels during PTU administration (normal

    range 94~250 nmol/L) (B) TSH levels during PTU

    administration (normal range 0.17~4.05 mU/L).

    0100200300400500600700800900

    1000

    admission 3day 8day 10day

    free T

    4 (n㏖

    /L)

    A

    0

    0.5

    1

    1.5

    2

    2.5

    admission 3day 8day 10day

    TSH

    (mIU

    /L)

    B

    Fig. 3. (A) Free T4 levels during octreotide treatment.

    (B) TSH levels during octreotide treatment.

    0100200300400500600700800900

    1000

    before 4day 13day 18day 25day

    free T

    4 (n㏖

    /L)

    A

    0

    0.5

    1

    1.5

    2

    2.5

    before 4day 13day 18day 25day

    TSH

    (mIU

    /L)

    B

  • - 대한내분비학회지: 제 20 권 제3 호 2005 -

    - 264 -

    고 찰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은 약 88%가 거대 선종으로 발

    견되며, 60%이상에서 침습적인 성질을 가져 비교적 빠른

    치료가 요구되는 드문 질환이다[4,9]. 일차적인 치료법은 선

    종을 제거하는 수술이며 수술만으로 완치가 어려운 경우 방

    사선 치료나 octreotide 같은 somatostatin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2,3].

    혈중 갑상선 호르몬 과다 상태에서 수술이 시행되는 경

    우 가장 우려되는 수술 관련 합병증은 갑상선 중독 발작의

    유발이다[2,5~7]. 갑상선 중독 발작은 갑작스러운 발병을 하

    며 혈중 유리 호르몬 농도와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다 [10].

    갑상선 중독 발작은 일단 발생하면 치료가 어렵고 사망률이

    높으며 특히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과 같은 질환에서 발

    생할 경우 일차성 갑상선 항진증과는 달리 갑상선 호르몬을

    빠르게 낮추는 확립된 방법이 없어 더욱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2,5,6].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에서 신경외과적인 수술의 전

    처치로써는 Somatostatin 유도체의 사용이나 항 갑상선 약

    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이 두 약제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

    들이 권고되고 있다[2,11]. Thionamide 계열의 항 갑상선

    약제는 음성 되먹이기 억제 효과를 소실시켜 TSH 분비 뇌

    하수체 선종에서 TSH 분비와 종양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 장기간의 치료 방법으로는 사용하지 않

    는다[2,7]. 하지만 최근까지도 단기간의 수술 전 처치 약물

    로써는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2 cm의 거대

    선종을 가진 환자에서 methimazole사용 후 유리 T4치의 감

    소가 보고된 바 있고, 고용량의 propylthiouracil 제제를 루

    골 (Lugol) 용액과 함께 사용하여 갑상선 기능을 조절한 경

    우도 있었다[11,12].

    본 증례에서는 10일 동안의 비교적 짧은 기간의 항 갑상

    선 약제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유리 T4 값이 급격하게 증가

    되고 임상 증상이 뚜렷이 악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TSH분비 뇌하수체 선종이 감소되는 방향의

    Fig. 4.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tumor tissue. (A) Hematoxylin & eosin stai-

    ning of tissue shows chromophobe adenoma of solid

    type (×100). (B)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tumor

    shows positive staining with antibodies to TSH

    (×200).

    A

    B

    Fig. 5. Postoperative sellar MRI. (A) T1 weighted enhanced

    sagittal section image. (B) T1 weighted enhanced

    coronal section image.

    A

    B

  • - 이민희․박지현: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환자에서 수술 전처치 약물로 단기간 사용한 항 갑상선 약제가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영향 -

    - 265 -

    말초 갑상선 호르몬 변화에 대해 과장된 반응을 보임으로써

    나타나는 결과일 것으로 추정된다[13,14]. 음성되먹이기 과

    정에 대한 TSH분비선종의 악화에 대해서는 이전에 갑상선

    절제술이나 방사성 옥소치료와 같은 갑상선의 소작 (abl-

    ation)치료를 받은 군에서 아직 말초 갑상선 호르몬은 증가

    되어있는 상태라도 치료를 받지 않았던 군에 비하여 상대적

    으로 TSH치가 높고, 주변조직을 침범하는 침습적인 거대선

    종이 뚜렷하게 많다는 점을 통해 알 수 있다[14]. 즉 상승된

    말초갑상선호르몬의 음성되먹이기의 억제효과에 대해서는

    저항성을 보이지만 말초호르몬 감소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유지되거나 증가되어 있을 수 있다고 하였다[14]. 종양의 상

    승된 말초 갑상선 호르몬에 대한 음성 되먹이기 저항성은

    뇌하수체에서 T3를 생성하는 탈 요오드화 효소나 갑상선호

    르몬 수용체의 alternative splicing의 이상이 관련된다는 연

    구들이 있다[3,15,16]. 그러나 갑상선 호르몬이 감소되는 방

    향으로 작용하였을때 어떠한 역동학적인 변화가 있을 것인

    지와 그 구체적인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없었다.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환자에서 유리갑상선호르몬치와

    TSH치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다고 보고된바 있는데[3],

    본 증례에서도 유리 T4가 상승되는 동안 TSH 상승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는 뇌하수체선종에서 분비되

    는 TSH는 단백질의 번역 (translation)후 당화 (glycosyla-

    tion)과정에 영향을 미쳐 면역학적 활성도에 비하여 생물학

    적 활성도는 정상이거나 감소 또는 증가되어 있을 수 있다

    는 보고가 있다[14]. 즉 TSH의 절대값 변화가 없이 말초호

    르몬이 상승되는 경우 생물학적 활성도가 증가된 TSH가 생

    성됨을 추정하여 볼 수 있다. 수술 전 MRI에서 1.1 cm이었

    던 뇌하수체 선종이 수술시 육안 소견상 2 cm로 증가된 것

    은 측정의 척도가 달라 단순 비교를 할 수는 없으나 본 증

    례의 종양은 항 갑상선 제제의 사용 후 음성 되먹이기 기전

    의 변화에 보다 빠르고 많은 영향을 받는 특성을 지녀 유리

    T4가 상승되는 시기에 종양이 성장했을 가능성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1991년 α subunit가 정상인 첫 증례가 보고되었으며 현

    재는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 환자에서 35~60%까지 α

    subunit이 정상이라고 보고되어 있다[2,17,18]. 이것은 아마

    도 미세선종의 발견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결과로 생각

    된다[18]. 본 증례도 α subunit및 TSH 에 대한 α subunit의

    비가 모두 정상인 소견을 보이고 있어 수술 전 갑상선호르

    몬 저항증후군과의 감별은 앞서 증례의 임상경과에 언급하

    였던 이유들과 octreotide에 대한 반응성이 참고가 되었다

    [8].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의 약 28%는 성장호르몬이나

    prolactin을 동시에 분비한다[2]. 본 증례에서도 prolactin의

    경한 상승소견이 관찰되었다. 종양에 의한 분비와 시상하부-

    뇌하수체 줄기의 손상에 의한 경우 및 생리적 과분비 (ph-

    ysiologic hypersecretion)를 감별하여야 하나 입원 중 실시

    한 검사이고 불면증과 같은 증상이 있었으며 시상하부-뇌하

    수체 줄기의 손상에 의한 경우는 30 ug/dL 이상 prolactin이

    상승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생리적인 상승을 일차적으로

    고려했다[6]. 수술 후 종양의 면역염색에서도 prolactin은 음

    성소견을 보였다.

    Somatostatin 유도체의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에 의한

    증상 조절 및 종양의 크기 감소에 미치는 효과는 잘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경우 혈중 TSH 치가 감소하고 약 반수에서

    종괴 크기의 감소가 보고되어 있다[2,7]. 이러한 현상은

    somatostatin 유도체가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에서 기저

    TSH 분비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TRH 자극에 의한 TSH

    분비도 억제함으로써 나타난다[2,7]. 하지만 혈중 갑상선 호

    르몬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TSH 절대값의 변화는 적거나 다

    양한데 somatostatin 유도체가 TSH의 번역 후 과정에 영향

    을 미쳐 생물학적 활성도에는 변화를 일으킨다고 하였다

    [3]. 본 증례에서도 octreotide 치료 4주 후까지 뚜렷한 TSH

    값의 변화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Somatostatin 유도체 사용

    후 혈중 갑상선 호르몬 치의 정상화에는 약 1개월 정도가

    소요되며 본 환자에서도 비슷한 기간에 정상화되었다 [19].

    Somatostatin 유도체의 부작용으로는 구역이나 복통, 무른

    변 등이 투여 초기에 나타날 수 있고 주사 부위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 담석이나 내당능 장애 또는

    점차적인 약물의 효과저하 등이 보고된바 있다[2,7]. 수술

    전 처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비교적 장시간의 치료가

    요구된다는 점과 일부에서 반응이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

    고 또한 경구투여가 불가능하다는 것 및 비용적인 부분을

    단점으로 들 수 있겠다.

    수술 전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의 정상 갑상선호르몬

    수치를 얻는 시기와 관련하여 최근 구강 복용용 담낭 조영

    제인 iopanoic acid가 약 2~5일안에 갑상선 호르몬을 정상

    화시킴을 보고하였다[20]. 부작용 없이 경구복용만으로 비

    교적 빠른 시간 동안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점이라

    생각되어 향후 수술 전 처치 약물로써 가능성이 있을 수 있

    으나 이 역시 음성되먹이기 기전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

    로 보여 향후 추가자료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 환자의 수술 전 혈

    중 갑상선 호르몬의 정상화를 유도하기 위한 치료로써 항

    갑상선 제제는 단기간 투여만으로도 혈중 갑상선 호르몬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사용에 대한 주

    의나 재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ctreotide는 항 갑상선

    제제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나 조절에 소요되는 기간

    과 비용 및 무 반응군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향

    후 각 약제들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TSH 분비 뇌하수체 선

    종 환자에서 빠르고 적절한 수술전 갑상선 기능 조절 방법

    과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 대한내분비학회지: 제 20 권 제3 호 2005 -

    - 266 -

    요 약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에서 수술 중 혹은 수술 후의 갑

    상선 중독 발작과 같은 합병증들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술

    전 갑상선 기능의 정상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일

    차성 갑상선 기능 항진증인 경우 항 갑상선 약제나 스테로

    이드 제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을 가진 환자의 수술 전 처치는 아직 면밀히 규정된 바

    가 없다. 이러한 환자들에서 항 갑상선 약제는 음성 되먹이

    기 과정의 억제를 통하여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의 성장

    과 진행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 장기 치료로는 사

    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신경외과 수술의 전 처치와 같은 단

    기간 동안의 사용은 갑상선 호르몬 수치를 낮추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저자들은 TSH 분비 뇌하수

    체 선종 환자의 신경외과 수술의 전 처치 목적으로 10일간

    항 갑상선 약제를 사용한 후 급격하게 유리 T4가 상승되는

    1예를 경험하였다. 이어 항 갑상선 약제를 중단하였고 som-

    atostatin 유도체인 octreotide를 각 회당 0.1 mg씩 하루 2회

    사용하였다. Octreotide를 약 4주 사용한 후 증상의 호전과

    함께 TSH 및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정상화되어 합병증 없

    이 뇌하수체 선종 제거술을 실시하였다. 본 증례는 TSH 분

    비 뇌하수체 선종에서 항 갑상선 약제의 투여는 단기간 사

    용하는 경우라도 급격한 갑상선 호르몬 상승을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들의 사용에 대한 주의나 재고가 필요하

    리라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Larsen PR, Kronenberg HM, Melmed S, Polonsky

    KS: Endocrinology. 10th ed. pp250-252, Philadelphia,

    WB Saunders Co, 2002

    2. DeGroot LJ, Jameson JL: Endocrinology. 4th ed. pp

    321-327, Philadelphia, W.B. Saunders, 2001

    3. Beck-Peccoz P, Brucker-Davis F, Persani L, Smallr-

    idge RC, Weintraub BD: Thyrotropin-secreting pitui-

    tary tumors. Endocr Rev 17:610-38, 1996

    4. Brucker-Davis F, Oldfield EH, Skarulis MC, Dopp-

    man JL, Weintraub BD: Thyrotropin-secreting pituitary

    tumors: diagnostic criteria, thyroid hormone sensit-

    ivity, and treatment outcome in 25 patients followed

    at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J Clin Endocrinol

    Metab 84:476-486, 1999

    5. Ronald D M, Allan R: Anesthesia. 5th ed. pp928-929,

    Churchill Livingston, 2000

    6. Yoshida D: Thyroid storm precipitated by trauma. J

    Emerg Med 14:697-701, 1996

    7. Braunwald E, Fauci AS, Kasper DL, Hauser SL, Lo-

    ngo DL, Jameson JL: Harrison's Principles of Int-

    ernal Medicine. 16th ed. pp2084-2096, McGraw Hill,

    2005

    8. Mannavola D, Persani L, Vannucchi G, Zanardelli M,

    Fugazzola L, Verga U, Facchetti M, Beck-Peccoz P:

    Different responses to chronic somatostatin analogues

    in patients with central hyperthyroidism. Clin Endo-

    crinol (Oxf) 62:176-181, 2005

    9. Sarlis NJ, Gourgiotis L, Koch CA, Skarulis MC,

    Brucker-Davis F, Doppman JL, Oldfield EH, Patronas

    NJ: MR imaging features of thyrotropin-secreting

    pituitary adenomas at initial presentation. Am J

    Roentgenol 181:577-582, 2003

    10. Hirvonen EA, Niskanen LK, Niskanen MM: Thyroid

    storm prior to induction of anaesthesia. Anaesthesia

    59:1020-1022, 2004

    11. Inukai T, Fujiwara Y, Aso Y, Yamamoto A, Take-

    mura Y: A rare case of a thyrotropin-secreting pitu-

    itary tumor which responded to methimazole. J Med

    29:185-198, 1998

    12. Sunthornthepvarakul T, Prachasilchai P, Komindr A,

    Ngowngarmratana S, Dansirikul R: A case of thyro-

    tropin-secreting pituitary macroadenoma. J Med Assoc

    Thai 84:897-906, 2001

    13. Shimon I, Melmed S: Management of pituitary tumors.

    Ann Intern Med 129:472-483, 1998

    14. Braverman LE, Utiger RD. The thyroid: 9th ed. pp

    500-507.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15. Gittoes NJ, McCabe CJ, Verhaeg J, Sheppard MC,

    Franklyn JA: An abnormality of thyroid hormone

    receptor expression may explain abnormal thyrotropin

    production in thyrotropin-secreting pituitary tumors.

    Thyroid 8:9-14, 1998

    16. Tannahill LA, Visser TJ, McCabe CJ, Kachilele S,

    Boelaert K, Sheppard MC, Franklyn JA, Gittoes NJ:

    Dysregulation of iodothyronine deiodinase enzyme

    expression and function in human pituitary tumours.

    Clin Endocrinol (Oxf) 56:735-743, 2002

    17. Beckers A, Abs R, Mahler C, Vandalem JL, Pirens G,

    Hennen G, Stevenaert A: Thyrotropin-secreting pitui-

    tary adenomas: report of seven cases. J Clin Endoc-

    rinol Metab 72:477-483, 1991

    18. Socin HV, Chanson P, Delemer B, Tabarin A, Roh-

    mer V, Mockel J, Stevenaert A, Beckers A: The

  • - 이민희․박지현: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환자에서 수술 전처치 약물로 단기간 사용한 항 갑상선 약제가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영향 -

    - 267 -

    changing spectrum of TSH-secreting pituitary adeno-

    mas: diagnosis and management in 43 patients. Eur J

    Endocrinol 148:433-442, 2003

    19. Kuhn J, Arlot S, Lefebvre H, Caron P, Cortet-Rudelli

    C, Archambaud F, Chanson P, Tabarin A, Goth M,

    Blumberg J, Catus F, Ispas S, Beck-Peccoz P:

    Evaluation of the treatment of thyrotropin-secreting

    pituitary adenomas with a slow release formulation of

    the Somatostatin analog lanreotide. J Clin Endocrinol

    Metab 85:1487-1491, 2000

    20. Kimvir S, Pejman C, Daniel F, Christine H, Kris V,

    Inder J: Treatment of Hyperthyroidism Associated

    with Thyrotropin-secreting Pituitary Adenomas with

    Iopanoic Acid. J Clin Endocrinol Metab 89:708-711,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