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갑상선 결절은 성인 인구의 약 4-10%에서 발견되는 비교 적 흔한 질환으로, 최근 고 해상 초음파의 발달로 만져지지 않 는 결절까지도 발견됨으로써 갑상선 결절 환자 수가 증가되고 있다. 결절은 병리조직학적으로 양성임이 확인되면 결절의 부 피감소와 성장억제를 목적으로 치료가 이루어지며 현재까지는 약물요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논란 이 많다(1-4). 초음파 유도 경피적 에탄올 주입은 비교적 안전하고 간편한 치료법으로 갑상선 낭종, 자율기능성 결절, 냉 결절 등의 치료 효과에 대한 많은 보고가 있다(2, 5-8). 그러나 주위조직으로 의 에탄올 누출에 의한 여러 부작용 발생, 여러 차례 시술이 필요한 점, 통증이 심한 점 등의 제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9). 고주파 열치료법은 간 종양, 근 골격계, 신장, 폐 그리고 유 방 등 광범위한 분야의 종양 치료에 유망한 미세 침습 치료술 의 한 방법으로써, 현재 간 종양, 특히 원발성 간암 치료에는 국내를 비롯해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시술되고 있다(10). 저자들은 이미 여러 분야에서 치료효과가 입증되었고, 예측 가능한 괴사범위와 우수한 국소치료효과를 갖는 고주파 열치 료법으로 갑상선 양성 결절을 치료한 후 치료성적에 대한 후 향적 분석을 통해 효과와 안전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2년 6월부터 2004년 7월까지 병리 조직검사에서 양성 으로 판명되고 초음파 유도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법을 시행한 총 187명 환자 중 추적검사가 가능하였던 148명의 200개 갑 상선 결절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 는 15-71세(평균연령; 41세)이었고 남녀 성별은 여자 132명, 남자 16명이었다. 초음파 추적검사는 시술 후 1-19개월 사이 (평균 5.21개월)에 시행되었다. 회색조초음파검사(gray scale ultrasonography)에서 결절의 부피 감소와 에코 변화를 관찰 하였고, 도플러 초음파 검사로 결절 내와 주위의 혈관성 379 대한영상의학회지 2005;52:379-384 갑상선 양성 결절의 고주파 열치료법 1 백정환·정현조·김윤숙·곽민숙·임현철 2 ·장선희 3 목적: 갑상선 결절의 치료로써 초음파 유도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법(sonoguided percutane- ous radiofrequency ablation)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초음파 유도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법을 받은 148명 환자, 200개 결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결절은 병리조직학적으로 양성으로 확진되었다. 고주파 열치료법은 결절 한 개 당 1-5회 시행하였고 추적 초음파검사는 시술 후 1-19개월에 시행하여 결절 부피의 감소와 변화 그리고 시술에 따른 부작용을 확인하였다. 결과: 고주파 열치료법 시행 전 결절의 부피는 0.01-95.61ml(평균 6.83±SD 10.63 ml)이었 고, 시술 후 결절의 부피는 0.00-46.56 ml(평균 1.83±SD 4.69 ml)로 감소하였다. 평균 부피 감소율은 73.2% 이었다. 결절의 부피가 50%이상 감소한 경우가 180개(90%) 이었고, 이중에 서 결절이 완전히 소실된 경우는 17개(8.5%)였다. 반면에 부피가 49% 이하로 감소한 경우가 20개(10%)였다. 시술후 모든 예에서 결절은 열치료법 이전보다 더 검은 저에코로 변하였고 결절의 혈관성이 사라졌다. 시술 도중과 직후 대부분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약물치료로 모두 호 전되었다. 두 예에서 시술직후 목소리 이상이 발생하였으나, 각각 1주일, 2개월후에 정상으로 되었다. 결론: 갑상선 양성 결절 치료의 한 방법으로써 초음파 유도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법은 안전하 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 생각된다. 1 대림성모병원 영상의학과 2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3 대림성모병원 해부병리학과 이 논문은 2004년 12월 7일 접수하여 2005년 5월 2일에 채택되었음.

갑상선양성결절의고주파열치료법 - :: JKSR · 2016. 6. 21. · 사용된초음파기기는prosound SSD-5000(Aloka, Wallingford, CT, U.S.A.)와aplio SSA-770A(Toshiba,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갑상선 결절은 성인 인구의 약 4-10%에서 발견되는 비교

    적 흔한 질환으로, 최근 고 해상 초음파의 발달로 만져지지 않

    는 결절까지도 발견됨으로써 갑상선 결절 환자 수가 증가되고

    있다. 결절은 병리조직학적으로 양성임이 확인되면 결절의 부

    피감소와 성장억제를 목적으로 치료가 이루어지며 현재까지는

    약물요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논란

    이 많다(1-4).

    초음파 유도 경피적 에탄올 주입은 비교적 안전하고 간편한

    치료법으로 갑상선 낭종, 자율기능성 결절, 냉 결절 등의 치료

    효과에 대한 많은 보고가 있다(2, 5-8). 그러나 주위조직으로

    의 에탄올 누출에 의한 여러 부작용 발생, 여러 차례 시술이

    필요한 점, 통증이 심한 점 등의 제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9).

    고주파 열치료법은 간 종양, 근 골격계, 신장, 폐 그리고 유

    방 등 광범위한 분야의 종양 치료에 유망한 미세 침습 치료술

    의 한 방법으로써, 현재 간 종양, 특히 원발성 간암 치료에는

    국내를 비롯해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시술되고 있다(10).

    저자들은 이미 여러 분야에서 치료효과가 입증되었고, 예측

    가능한 괴사범위와 우수한 국소치료효과를 갖는 고주파 열치

    료법으로 갑상선 양성 결절을 치료한 후 치료성적에 대한 후

    향적 분석을 통해 효과와 안전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2년 6월부터 2004년 7월까지 병리 조직검사에서 양성

    으로 판명되고 초음파 유도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법을 시행한

    총 187명 환자 중 추적검사가 가능하였던 148명의 200개 갑

    상선 결절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

    는 15-71세(평균연령; 41세)이었고 남녀 성별은 여자 132명,

    남자 16명이었다. 초음파 추적검사는 시술 후 1-19개월 사이

    (평균 5.21개월)에 시행되었다. 회색조초음파검사(gray scale

    ultrasonography)에서 결절의 부피 감소와 에코 변화를 관찰

    하였고, 도플러 초음파 검사로 결절 내와 주위의 혈관성

    ─ 379 ─

    대한영상의학회지 2005;52:379-384

    갑상선 양성 결절의 고주파 열치료법1

    백정환·정현조·김윤숙·곽민숙·임현철2·장선희3

    목적: 갑상선 결절의 치료로써 초음파 유도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법(sonoguided percutane-

    ous radiofrequency ablation)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초음파 유도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법을 받은 148명 환자, 200개 결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결절은 병리조직학적으로 양성으로 확진되었다. 고주파 열치료법은 결절 한 개

    당 1-5회 시행하였고 추적 초음파검사는 시술 후 1-19개월에 시행하여 결절 부피의 감소와

    변화 그리고 시술에 따른 부작용을 확인하였다.

    결과: 고주파 열치료법 시행 전 결절의 부피는 0.01-95.61ml(평균 6.83±SD 10.63 ml)이었

    고, 시술 후 결절의 부피는 0.00-46.56 ml(평균 1.83±SD 4.69 ml)로 감소하였다. 평균 부피

    감소율은 73.2% 이었다. 결절의 부피가 50%이상 감소한 경우가 180개(90%) 이었고, 이중에

    서 결절이 완전히 소실된 경우는 17개(8.5%)였다. 반면에 부피가 49% 이하로 감소한 경우가

    20개(10%)였다. 시술후 모든 예에서 결절은 열치료법 이전보다 더 검은 저에코로 변하였고

    결절의 혈관성이 사라졌다. 시술 도중과 직후 대부분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약물치료로 모두 호

    전되었다. 두 예에서 시술직후 목소리 이상이 발생하였으나, 각각 1주일, 2개월후에 정상으로

    되었다.

    결론: 갑상선 양성 결절 치료의 한 방법으로써 초음파 유도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법은 안전하

    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 생각된다.

    1대림성모병원 영상의학과2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3대림성모병원 해부병리학과이 논문은 2004년 12월 7일 접수하여 2005년 5월 2일에 채택되었음.

  • (vascularity)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시술 도중 또는 시술 후

    부작용을 환자의 증상 유무로 평가하였다.

    고주파 열치료법의 대상 환자는 1) 갑상선 결절로 인한 증

    상이 있는 경우(통증, 이물감, 압박증상) 2) 결절로 인한 미용

    상의 문제 3) 결절의 악성변화에 대한 불안감이었다.

    시술 전과 시술 후 24시간 이내에 갑상선 기능 검사를 시행

    하여 고주파 열치료법으로 인한 갑상선 기능의 변화는 없는지

    살펴보았다.

    사용된 초음파기기는 prosound SSD-5000(Aloka,

    Wallingford, CT, U.S.A.)와 aplio SSA-770A(Toshiba,

    Otawara-shi, Japan)의 10MHz 선형탐촉자를 사용하였다. 고

    주파 열치료법에는 Radionics cool-tipTM RF system

    (Burlington, MA, U.S.A.)과 17 gauge 냉각극침, 1 cm 혹은

    2 cm 활성화 tip을 사용하였다. 결절의 부피는 결절의 장축, 단

    축, 높이를 측정한 후 타원체의 체적을 구하는 공식(장축×단

    축×높이×π/6)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특별한 전 처치 없이 2% lidocaine(휴온스, 화성, 대한민국)

    으로 천자 부위를 국소마취하고 초음파 유도하에 냉각극침을

    결절 안에 위치시킨 후 결절의 내부가 모두 열치료 시 발생하

    는 고에코(hyperechogenicity)로 결절 전체가 채워질 때까지

    치료하였다. 시술 도중 내내 초음파로 실시간 관찰하였고, 결

    절의 크기와 위치, 주위 구조물과의 관계, 통증 등을 고려하여

    환자마다 다양한 power(20-130Watt)와 시간(10분-2시간)

    이 소요되었다.

    대부분의 결절들(156개, 전체 결절의 78%)은 1회 시술로

    치료를 끝냈으며 46개 결절들(46/200, 23%)은 2회 이상의 시

    술이 시행되었다. 이 중 2회 시술이 38개, 3회 시술이 5개, 4

    회 시술이 2개, 5회 시술이 1개의 결절에서 시행되었다. 추가

    열치료법은 추적검사상 결절이 불완전 치료된 경우 즉 추적검

    사상 결절 내 남아있는 부분이 보이거나 도플러 검사 상 혈관

    성이 보이는 경우, 부피 감소가 미미한 경우에 시행되었다.

    고주파 열치료법후 평균추적기간은 5.21개월(범위, 1-19개

    월)이었고 초음파검사로 결절의 부피 감소율을 다음 공식에 따

    라 측정하였다.

    부피 감소율(%)=감소부피(치료 전 부피- 치료 후 부피)/

    치료 전 부피×100

    또한 추적관찰시 환자의 증상유무로 치료 도중, 치료 후에

    있었던 부작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결 과

    고주파 열치료법 시행 전 결절의 부피는 0.01-95.61 ml(평

    균 6.83±SD 10.63 ml)이었고 시행 후 결절의 부피는 0.00-

    46.56 ml(평균1.83±SD 4.69 ml)로 평균 부피 감소율은

    73.2% 였다.

    결절의 부피가 50%이상 감소한 경우가 180개(90%)이었고

    (Fig. 1), 이중에서 추적 초음파상 결절이 완전히 소실된 경우

    는 17개(8.5%)였다. 반면에 부피가 49% 이하로 감소한 경우

    가 20개(10%)였다(Table 1).

    회색조초음파검사상 열치료법 후 결절 에코는 모든 예에서

    열치료전 보다 더 검은 저 에코로 변하였고, 열치료법 후 도플

    러검사 상에서 결절 내부 혈관성(vascularity)이 사라졌다(Fig.

    2).

    고주파 열치료법 도중 혹은 직후 대부분 경우에서 정도의 차

    이는 있지만 시술부위의 통증을 대부분의 환자가 호소하였고

    머리, 귀, 이빨 등으로 방사통이 있었다. 그러나 시술을 중지하

    거나 고주파 출력을 낮추면 통증은 줄어들거나 없어졌고 통증

    이 남아있는 경우도 진통제를 경구로 투여함으로서 잘 조절이

    되었다. 시술 후 2예에서 목소리 이상이 발생하였으나 특별한

    치료 없이 각각 1주일, 2개월후 완전 회복되었다. 그 외 다른

    ─ 380 ─

    백정환 외: 갑상선 양성 결절의 고주파 열치료법

    A BFig. 1. A 28 year-old man with recurrent hemorrhagic nodule. A. On sonogram before RF ablation, a huge complex mass (solid 60%) is seen in the left thyroid lobe( size: 2.3×3.7×4.6 cm , vol-ume: 20.49 ml). B. On sonogram 7 months after RF ablation, the volume of nodule was decreased by 99% (0.5×0.8×1.3 cm, 0.27 ml).

  • 특별한 증상이나 영구적인 문제를 일으킨 합병증은 없었다.

    고주파 열치료법 시행 전에 148명중 이전에 갑상선호르몬

    제로 결절을 치료하던 환자를 제외한 102명에서 갑상선 기능

    검사를 시행하였고, 1예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예에서 정상

    이었다. 고주파 열치료법 시행 후 24시간 이내에 갑상선 기능

    검사가 다시 시행되었고 모두 정상이었다. 1예에서 갑상선 기

    능 항진이 있었는데 외부병원에서 중독성(toxic) 자율기능성

    결절 진단받고 I131 핵의학 치료를 권유받았으나 치료 후 영구

    갑상선 기능 저하증, 피폭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본원에서 고

    주파 열치료법을 받았다. 이 결절은 solid 70%정도의 복합성

    결절로 부피 5.09 ml 였는데, 열치료법 후 3개월 추적 검사에

    서 결절 부피 0.76 ml으로 85% 부피 감소율을 보였다. 또한

    열치료법 후 다음날과 3개월 후 다시 시행한 갑상선 기능검사

    는 정상이었다.

    고주파 열치료법으로 치료한 뒤 새로 생긴 유두상암종 때문

    에 수술한 경우가 한 예가 있었다. 이 경우는 고주파 열치료법

    후 4개월째 열치료된 결절과는 무관하게 새로 생긴 3 mm 결

    절을 추적검사 하던 중 11개월째 결절이 5 mm로 커져서 조

    직검사를 하였고 유두상암종으로 밝혀져 수술을 하였다. 이 환

    자에서 열치료법 후 완전 괴사된 결절 표본을 얻을 수 있었다.

    고주파 열치료법으로 치료하였던 결절은 전체적으로 잘 괴사

    되어 있었으며 흰색을 띤 섬유성 가벽만 남기고 정상 갑상선

    조직에서 쉽게 분리되어 떨어졌다. 현미경 소견(×40 배율)에

    서 결절은 완전 괴사되어 있고 섬유화, 육아조직, 만성염증세

    포로 이루어진 섬유성 가벽에 의해 주변 정상 조직과 구분되

    어졌다(Fig. 3).

    고 찰

    갑상선결절은 성인 인구의 약 4-10%에서 발견되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연령이 증가 할수록 그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결절이 발견되면 조직검사로 양성과 악성을

    판정하여 악성인 경우 수술을 시행하며 양성인 경우 치료 목

    표는 결절의 부피감소와 성장억제이다(1). 약물치료로는 갑상

    선호르몬에 의한 억제요법이 대표적인 치료법이지만 별 임상

    증세 없이 촉지 되거나 외관상으로 보이는 경우 그 크기를 감

    소시키는 치료효과는 기대하기 힘들다(3, 4).

    1990년대 이후로 간암치료에 이용되어오던 에탄올이 초음

    파유도하에서 경피적 주입으로 갑상선 결절 치료에 적용되어

    왔다(2, 11). 갑상선 결절에 대한 경피적 에탄올 주입 치료에

    대한 국내 보고들의 경우 부피 감소율은 41-64%였고(2, 5,

    7), Yasuda 등(12)이 50%이상 부피 감소율을 보인 경우를

    ─ 381 ─

    대한영상의학회지 2005;52:379-384

    A BFig. 2. A 24 year-old female with a benign follicular lesion of left lobe of thyroid gland proven by sonoguided gun-biopsy .A. On doppler sonogram obtained before RF ablation, increased vascularity within the huge solid mass(volume: 21.67 ml) is seen. B. On doppler sonogram obtained 9months after RF ablation, vascular flow within mass is not seen and volume of mass is de-creased(volume; 2.76 ml). These finding suggest successful treatment.

    Table 1. The Results of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yroid Nodules

    Group of No. of patients Mean volume of Mean volume of volume change (%) nodules before RFA (ml) nodules after RFA (ml)

    Mean reduction rate (%)

    100 017 1.63 0.00 10050-99 163 7.26 1.64 0801-49 019 8.04 5.13 038≦0 001 0.82 0.85 0-4

    Total 200 6.83 1.83 73.2

  • 73%로 보고했고, Papini 등(6)의 보고는 중독성 자율기능성

    결절 64-85%, 비중독성 자율기능성 소결절은 80-100%의

    치료효과, 양성 낭종의 경우 재발율 2.5-5%로 보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여러 국내외 보고에 의해 갑상선 결절에 대한 경

    피적 에탄올 주입치료는 그 안전성과 효과가 입증되었으나, 그

    사용에 있어서 몇 가지 제한점들이 있어 왔다. 즉 에탄올 주입

    ─ 382 ─

    백정환 외: 갑상선 양성 결절의 고주파 열치료법

    A B

    C D

    E

    Fig. 3. Histopathologic change of thyroid nodule after RF abla-tion.A. On sonogram obtained before RF ablation, a large complexmass (solid 70%) is seen in right lobe of thyroid gland (size: 2×3.2×4.2 cm, volume:14.07 ml). This mass is proven benign byfine needle aspiration biopsy.B. On sonogram obtained during procedure, the electrode is po-sitioned within nodule and round hyperechogenicity from ac-tive tip is appeared.C. On sonogram obtained 4 months after RF ablation, the vol-ume of nodule was decreased by 71%. D. On gross specimen, the nodule was totally replaced bynecrotic materials and whitish pseudo-wall was formed.F. Magnification microphotogram shows a necrotic cavity and fi-brotic pseudo-wall consisting fibrosis, granulation tissue andsome chronic inflammatory cells (×10).

  • 시 통증이 비교적 심하다는 점, 병변 주위조직으로 에탄올이

    새어나가 여러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여러 차례 시술을 반

    복해야 하는 점 등이다.

    최근에는 간질고온치료법의 하나인 레이저(laser)를 이용한

    새로운 치료법이 소개되었다. Pacella 등은 25명의 환자를 대

    상으로 초음파유도 경피적 레이저 열치료법(US-guided

    percutaneous laser thermal ablation)으로 62-63%의 평균 부

    피 감소율의 성적을 보고하였다(9). 또한 Døssing 등은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부피가 6개월 후 10 ml에서 5.4 ml

    로 감소하였음을 보고하였다(13).

    최근까지 광범위한 영역에서 종양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고

    주파 열치료법이 갑상선 암과 부갑상선 종양 치료에 이용된 보

    고들이 있었으나(14-16), 갑상선 양성결절의 치료에 이용된

    보고는 없었다.

    저자들은 이미 광범위한 영역에서 우수한 국소 치료효과가

    입증된 고주파 열치료법을 갑상선 양성결절 치료에 적용하였

    고, 그 결과 평균부피감소율 73.2%, 50%이상의 부피 감소율

    을 보인 경우가 전체 환자의 90%로 갑상선 결절 부피감소에

    고주파 열치료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주파 열치료법후 추적관찰 동안 새로 생긴 유두상암종으

    로 인해 외과적 절제술을 받은 1예에서 병리조직학적으로 열

    치료법에 의한 결절의 완전괴사와 주위 섬유화 소견을 보여,

    고주파 열치료법에 의한 갑상선 결절 자체의 치료효과는 우수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Livraghi 등(8)이 4년간의 자율기능성 결절에 대한 경피적

    알코올 주입술 치료결과를 보고하였는데 총 101명 중 59명이

    완치되었고, 모든 예에서 임상상이 호전되었으며 치료 후 재발

    한 경우나 영구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생긴 예가 없었다고 하

    였다. 또한 자율기능성 결절에 대해 수술 혹은 핵의학 치료를

    대체할 수 있을 걸로 주장하였다. 본 증례에도 1예 중독성 자

    율기능성 결절이 포함되었는데 갑상선기능이 정상화 되고, 결

    절이 3개월 추적 검사에서 85%의 부피감소율을 보여 그 치료

    효과가 우수했다.

    치료 도중과 치료 후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환자

    들이 통증을 호소했으나 경구용 진통제로 비교적 잘 조절이 되

    었다. 두 예에서 시술 직후 목소리 이상이 발생하였으나 각각

    1주일, 2개월 내에 아무 치료 없이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그

    외 다른 특별한 증상이나 영구적인 문제를 일으킨 합병증은 없

    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후향적 분석이라는 점, 비교적 작은 크

    기의 결절이 다수 포함되었다는 점(결절 부피 2 ml 이하인 경

    우가 83개로 전체 결절의 41.5%), 추적관찰이 규칙적으로 이

    루어지지 않았다는 점 등이다.

    결론적으로 갑상선 결절 치료에 있어서 고주파 열치료법은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된다.

    감사의글

    이 논문이 나오기까지 많은 도움을 주신 한상국 강남성모내

    과 원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참 고 문 헌

    1. Weiss RE, Lado-Abeal J. Thyroid nodules: diagnosis and therapy.Curr opin Oncol 2002;14:46-52

    2. 나혜경, 김윤숙, 이신형, 윤종현, 김종순, 서원현. 갑상선 결절내의경피적 알코올 주입 치료.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89;25:848-856

    3. Burman KD. Is long term levothyroxine therapy safe? Arch InternMed 1990;150:2010-2013

    4. Gharib H, James EM, Charboneau JW, Naessens JM, Offord KP,Gorman CA. Suppressive therapy with levothyroxine for solitarythyroid nodules. N Eng J Med 1987;317:70-75

    5. 김정곤, 이호규, 안일민, 이명준, 최충곤, 서대철. 양성 갑상선 냉결절의 치료: 초음파유도 경피적 에탄올 주입의 효과와 안전성.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8;39:479-483

    6. Papini E, Pacella CM, Verde G. Percutaneous ethanolinjection(PEI): what is its role in the treatment of benign thyroidnodules? Thyroid 1995;5:147-150

    7. 조용수, 이호규, 안일민, 임수미, 김대홍, 최충곤, 등. 양성 갑상선 낭종에서의 초음파 유도 무수에탄올 경화술: 22예에서의 치료성적.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9;40:225-229

    8. Livraghi T, Paracchi A, Ferrari C, Reschini E, Macchi RM,Bonifacino A. Treatment of autonomous thyroid nodules with per-cutaneous ethanol injection; 4-year experience. Radiology 1994;190:529-533

    9. Pacella CM, Bizzarri G, Spiezia S, Bianchini A, Guglielmi R,Crescenzi A, et al. Thyroid tissue: US-guided percutaneous laserthermal ablation. Radiology 2004;232:272-280

    10. Gazelle GS, Goldberg SN, Solbiati L, Livraghi T. Tumor ablationwith radiofrequency energy. Radiology 2000;217:633-646

    11. Livraghi T, Paracchi A, Ferrari C, Bergonzi M, Garavaglia G,Raineri P, et al. Treatment of autonomous thyroid nodules withpercutaneous ethanol injection: preliminary results. Radiology1990;175:827-829

    12. Yasuda K, Ozaki O, Sugino K, Yamashita T, Toshima K, Ito K.Treatment of cystic lesions of the thyroid by ethanol instillation.World J Surg 1992;16:958-961

    13. Døssing H, Bennedbæk FN, Karstrup S, Hegedüs L. Benign soli-tary solid cold thyroid nodules: US-guided interstitial laser photo-coagulation- Initial experience. Radiology 2002;225:53-57

    14. Dupuy DE, Monchik JM, Decrea C, Pisharodi L Radiofrequencyablation of regional recurrence from well differentiated thyroidmalignancy. Surgery 2001;130:971-977

    15. Solbiati L, Goldberg SN, Ierace T, Giangrande A, Dellanoce M,Gazelle GS. Percutaneous US-guided ablation of parathyroid hy-perplasia; improved results using radiofrequency and ethanol in asingle session (abstr). Radiology 1997;205(p):334

    16. Solbiati L, Ierace T, Dellanoce M, Pravettoni G, Goldberg SN.Percutaneous US-guided radiofrequency ablation of metastaticlymph nodes from papillary cancer of the thyroid gland: initial ex-perience in two cases (abstr). Radiology 1998;209(p):385

    ─ 383 ─

    대한영상의학회지 2005;52:379-384

  • ─ 384 ─

    백정환 외: 갑상선 양성 결절의 고주파 열치료법

    J Korean Radiol Soc 2005;52:379-384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Jung Hwan Baek, M.D., Department of Radiology, Daerim St. Mary’s Hospital978-13 Daerimdong, Yeongdeungpo-gu, Seoul 150-070, Korea.Tel. 82-2-829-9363 Fax. 82-2-829-9166 E-mail: [email protected]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for Benign Nodules of the Thyroid Gland 1

    Jung Hwan Baek, M.D., Hyun Jo Jeong, M.D., Yoon Suk Kim, M.D., Min Sook Kwak , M.D., Hyun Chul Rhim, M.D.2, Sun Hee Chang, M.D.3

    1Daerim St. Mary’s Hospital Department of Radiology2Hanyang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Radiology3Daerim St. Mary’s Hospital Department of Pathology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using ultrasound guided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for the benign nodules of the thyroid gland.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148 patients with benign thyroid nodules (200 total nodules) that wereconfirmed histopathologically, and we performed ultrasound guided radiofrequency ablation. The radiofre-quency ablation was done 1 to 5 times per one nodule, and follow-up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one tonineteen months after the ablation procedures. The physical changes and the decrease of volume of the nod-ules were evaluated, and the complications related to radiofrequency ablation were observed. Results: The mean initial nodule volume was 0.01-95.61 ml (mean; 6.83±SD of 10.63 ml) and the nodulevolume after radiofrequency ablation was decreased to 0.00-46.56 ml (mean; 1.83±SD of 4.69 ml). The meanvolume reduction rate was 73.2%. Reduction of more than 50% was noted in 90% of all cases. For 180 nodules(90%), the decrease was 50% or more, in 20 nodules (10%), the decrease was 49% or less. On gray-scale ultra-sonogram obtained after ablation, the echogenicity of the nodules changed to darker, and on the doppler-sono-gram, the vascular flow within the nodules disappeared in all cases. Most patients complained pain during orright after the procedure, but the pain was transient and subsided after medication. Two patients developedhoarseness that was improved in 1 week and 2 months, respectively. Conclusion: Sonoguided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can be one of the treatments for benign nod-ules of the thyroid gland.

    Index words : Thyroid Radiofrequency ab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