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 1 -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권원순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과) 1. 에너지 관련 연방프로그램 푸틴 집권하의 러시아는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에 대한 관심과 국가이익을 강조 하는 경향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1) . 특히 시베리아발전의 전략적 개념을 강조 하며, 러시아의 통합과 발전을 위한 극동지역과 시베리아 지역의 발전의 중요성 이 강조되었다. 이에 따라 러시아정부는 극동지역의 발전을 위하여 1996년 4월 15일에 승인하였던 승인된 『극동 및 자바이칼 경제사회발전 연방프로그램 1996-2005』를 수정하여 『극동 자바이칼 경제사회발전 연방프로그램 1996-2005 및 2010』을 작성하였다 2) . 이는 단지 기간을 연장한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목표, 과제, 실행을 위한 조치들을 모두 수정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 고 있다. 또한 러시아 정부는 시베리아 지역의 발전을 위해서는 『시베리아 경제 발전 전략』을 수립하였다 3) . 이 두가지 연방프로그램은 러시아의 지역개발 전략 의 중요개념이다. 특히 동 프로그램들은 자원개발과 관련하여 지역의 발전과 국 가발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최근 러시아정부의 시베리아에 대한 관심은 러시아가 꾀하고 있는 동북아지역 으로의 진출과 이를 통한 아시아태평양지역으로의 영향력 확대라는 국가적 목표 와 함께 증대하고 있다. 이런 배경하에 러시아 정부는 시베리아 개발을 위해 국 1) 2000년 11월 17일 노보시비르스크에서 시베리아연방지구 지역대표와의 회의에서 “시베리아의 전략적 발전개 념”의 필요성과 시베리아지역의 자원개발과 에너지단일통합망의 구축의 중요성과 이를 통한 극동 및 시베리 아지역의 발전을 강조 하였다. В ы с т у п л е н и е П р е з и д е н т а Р о с с и и В .П у т и н а н а с о в е щ а н и и с р у к о в о д и т е л я м и р е г и о н о в С и б и р с к о г о ф е д е р а л ь н о г о о к р у г а п о в о п р о с у "О п е р с п е к т и в а х с о ц и а л ь н о -э к о н о м и ч е с к о г о р а з в и т и я С и б и р и " (http://www-sbras.nsc.ru/HBC/2000/n46/f3.html) 2) Ф е д е р а л ь н а я ц е л е в а я п р о г р а м м а "Э к о н о м и ч е с к о е и с о ц и а л ь н о е р а з в и т и е Д а л ь н е г о В о с т о к а и З а б а к а л ь я н а 1996-2005 и 2010 г о д а "п о с т а н о в л е н и е П р а в и т е л ь с т в а Р о с с и й с к о й Ф е д е р а ц и и о т 15 а п р е л я 1996 г . 480, В р е д .П о с т а н о в л е н м я П р а в и т е л ь с т в а Р о с с и й с к о й Ф е д е р а ц и и , о т 19 М а р т а 2002 169(http://www.primorsky.ru/admin/econ/prog_FZP/) 3) 러시아연방정부, “시베리아경제발전전략”, 참조. р а с п о р я ж е н и е м П р а в и т е л ь с т в а Р о с с и й с к о й Ф е д е р а ц и и , С Т Р А Т Е Г И Я Э К О Н О М И Ч Е С К О Г О Р А З В И Т И Я С И Б И Р И ,” о т 7 и ю н я 2002 г . N 765-р (http://www.sfo.nsk.su/strategia/strpress.php?action=art&nart=354)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1 -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권원순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과)

1. 에너지 관련 연방프로그램

푸틴 집권하의 러시아는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에 대한 관심과 국가이익을 강조

하는 경향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1) . 특히 시베리아발전의 전략적 개념을 강조

하며, 러시아의 통합과 발전을 위한 극동지역과 시베리아 지역의 발전의 중요성

이 강조되었다. 이에 따라 러시아정부는 극동지역의 발전을 위하여 1996년 4월

15일에 승인하였던 승인된 『극동 및 자바이칼 경제사회발전 연방프로그램

1996-2005』를 수정하여 『극동 및 자바이칼 경제사회발전 연방프로그램

1996-2005 및 2010』을 작성하였다2). 이는 단지 기간을 연장한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목표, 과제, 실행을 위한 조치들을 모두 수정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

고 있다. 또한 러시아 정부는 시베리아 지역의 발전을 위해서는 『시베리아 경제

발전 전략』을 수립하였다3). 이 두가지 연방프로그램은 러시아의 지역개발 전략

의 중요개념이다. 특히 동 프로그램들은 자원개발과 관련하여 지역의 발전과 국

가발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최근 러시아정부의 시베리아에 대한 관심은 러시아가 꾀하고 있는 동북아지역

으로의 진출과 이를 통한 아시아태평양지역으로의 영향력 확대라는 국가적 목표

와 함께 증대하고 있다. 이런 배경하에 러시아 정부는 시베리아 개발을 위해 국

1) 2000년 11월 17일 노보시비르스크에서 시베리아연방지구 지역대표와의 회의에서 “시베리아의 전략적 발전개

념”의 필요성과 시베리아지역의 자원개발과 에너지단일통합망의 구축의 중요성과 이를 통한 극동 및 시베리

아지역의 발전을 강조 하였다. Выступление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и В.Путина на совещании с руководителями реги

онов Сибирского федерального округа по вопросу "О перспективах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Сиби

ри" (http://www-sbras.nsc.ru/HBC/2000/n46/f3.html)

2) Федеральная целевая программа "Экономическое и социальное развитие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и Забакал

ья на 1996-2005 и 2010 года"постановление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15 апреля 1996 г.

№ 480, В ред.Постановленмя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19 Марта 2002 №

169(http://www.primorsky.ru/admin/econ/prog_FZP/)

3) 러시아연방정부, “시베리아경제발전전략”, 참조. распоряжением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ТРАТЕГИЯ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СИБИРИ,” от 7 июня 2002 г. N 765-р

(http://www.sfo.nsk.su/strategia/strpress.php?action=art&nart=354)

Page 2: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2 -

가 전략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시베리아개발이라는 러시아의 국가전략의 틀 속

에서 동시베리아의 에너지 자원개발이 핵심 사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

러한 이유는 시베리아지역이 상대적으로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고 인구의 유

출이 증가하고 있어 러시아 연방정부 차원의 동 지역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더 이상 방치하면 러시아의 경제발전을 위해 장애가 될 뿐

만 아니라 국가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을 제공할 것이라는 전망 하에서 국가차원의

발전계획을 수립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러시아는 경제발전계획을 수립하고 러시아연방정부의 프로그램

으로 『시베리아 경제발전 전략』을 2002년 6월에 확정하였다. 『극동 및 자바

이칼 경제사회발전 연방프로그램 1996-2005 및 2010』은 천연자원기지로서의

잠재력을 활용하여 러시아 경제의 국내수요의 충족과 자원의 수출을 통한 수입으

로 러시아 연방 및 지방예산을 확충하는 동시에 동북아 및 아태지역으로의 진출

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었다. 반면, 동 프로그램은 시베리아지역의 장기 경제

발전방향을 규정하고 러시아의 국가 전략적 이해를 관철하기위해 중요한 시베리

아에 대한 경제정책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동 전략은 3단계의 계획을 담고 있다. 1단계(2002-2004년)는 시베리아의 개

발을 『러시아연방 사회-경제 발전 중기프로그램 2002-2004』에 근거하여 시

베리아경제의 근본적 발전을 위한 사회경제 및 제도적 기반의 마련을 위한 정책

을 계획하고 마련하는 단계로 규정하고 있다4). 또한 시베리아 지역의 경제발전

을 위한 조치들은 관련된 연방정부 프로그램들의 범위 내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매년 지방정부의 발전계획을 작성하여 정책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재

정적 지원을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5). 2단계(2005-2010)는 적정수준의 경제성

장율을 달성하도록 시베리아 경제의 구조조정과 현대화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

다. 끝으로 3단계(2011-2020)는 지역의 경제 발전에 수준에 따른 격차의 해소

와 이를 위한 경제정책의 실시를 골자로 하고 있다.

여기서 시베리아 경제발전의 주요수단으로 동 지역의 천연자원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 동지역은 러시아 전체 매장량 대비 원유의 77%, 가스의 85%, 석탄의

80% 등이 매장되어 있어 천연자원의 잠재력이 큰 지역이기 때문이다.

4) 러시아연방정부, 『러시아연방 사회-경제 발전 중기프로그램 2002-2004』참조, Правительство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рограмма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на

среднесрочную перспективу 2003-2005 годы", Распоряжение от 15 августа 2003 г. N 1163-р

(www.csr.ru/materials-economy/05-02-03.html)

5) 이 단계에서는 러시아 연방정부 로그램인, 『효율 에 지경제 2002-2005 2010 망』,(“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а

я экономика" на 2002 - 2005 годы и на перспективу до 2010 года), 『러시아운송시스템 화 2002-2010』

(“Модернизация транспортной системы России 2002 - 2010 годы"), 『e-러시아 로그램 2002-2010』(“Электро

нная Россия 2002 - 2010 годы"), 『러시아 환경 자연자원 로그램 2002-2010』(“Экология и природные ре

сурсы России 2002 - 2010 годы") 등과 련하여 시베리아의 경제발 을 추구하도록 하고 있다.

Page 3: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3 -

그러나 이러한 시베리아 지역의 원유 및 가스를 개발하기 위해서 러시아는

철도운송 및 에너지운송망의 확충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삼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 정부는 이를 위해 파이프라인망 건설에 주력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

다. 『극동 및 자바이칼 경제사회발전 연방프로그램 1996-2005 및 2010』

와『시베리아 경제발전 전략』의 실현을 위하여 러시아 정부는 『러시아 에

너지전략 2020』을 수립하였다6). 동 전략은 연방프로그램으로 2001년에 승

인된 『에너지효율적 경제 2002-2005 및 2010전망』을 수정하여 “에너지

전략 2020”의 실천프로그램으로 하고 있다7). 동 프로그램은 2001년 11월

에 작성되어 같은해 12월에 수정된 프로그램으로 에너지자원의 개발과 이용 및

에너지전략의 실천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마련되었다.

『러시아 에너지전략 2020』은 러시아정부의 장기 에너지 정책에 대한 방향제

시와 목적, 과제 등을 문서화 하고 있다. 『러시아 에너지전략 2020』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러시아는 풍부한 에너지 자원과 연료-에너지망은 대내-외 정책과 경제

발전의 기반 이다.

-. 에너지는 국가 운영 전반을 보장하며 러시아 연방의 각 주체를 통합시켜

준다.

-. 국가의 재정-경제적인 기본 지표들을 만들어낸다. 즉, 에너지 분야의 잠

재력의 효과적인 이용은, 경제 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전제이며 국민의

생활수준의 향상을 보장한다.

-. 경제적 성장은 국내 에너지 자원에 대한 수요 급증을 초래할 것이며, 이

는 세계화와 경쟁을 극대화시키고, 에너지 시장과 자원에 대한 각축의

심화로 수 년 동안 축적된 경제 문제들에 대한 해결을 필요하게 한다.

-. 연료-에너지 전반을 쇄신하고, 안정적 재정운용과 경제적 효율성 제고의

요구에 상응하여야 한다.

-. 이와 더불어 생태적인 기준에 부합하는 것도 필요하다.

-. 연료-에너지 자원의 이용과 국민의 삶의 향상을 위한 에너지분야의 잠

재력과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것이 에너지 정책의 목적이다.

6) 『러시아에너지전략 2020』 참조.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стратег

ия России на период до 2020 года,” РАСПОРЯЖЕНИЕ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28 августа 2003 г. № 1234-р)

7) 러시아연방 프로그램『에너지효율적 경제 2002-2005 및 2010전망』 Федеральная целевая программа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ая экономика" на 2002 - 2005 годы и на перспективу до 2010 года, Правите

льство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остановлением от 17 ноября 2001 г. № 796 (с изменениями и

дополнениями от 29 декабря 2001 г. № 923)

Page 4: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4 -

동 전략은 다음과 같은 전략 우선 사항을 담고 있고 이와 관련한 시장에서의 정

부의 역할을 강조 하고 있다.

-. 에너지 자원에 의한 국민과 국가경제 보장, 에너지 보장에 있어서의 위

험 가능성 감소.

-. 생산과 에너지 자원 이용에 있어서의 소비 축소, 연료-에너지 전반의 채

굴, 가공, 수송, 제품생산의 경제적 손실의 최소화.

-. 에너지 분야의 잠재력 개발에 있어서의 재정적 건전성과 효율 제고, 국

가의 사회 경제적인 발전 보장을 위한 노동 생산성 증진.

-. 생산구조의 완성, 채굴, 가공, 수송, 제품생산, 이용 등에 있어서의 신기

술 개발 및 적용.

-. 효율적 에너지 시장의 형성과 정부와의 상호작용이 주요한 과제의 해결

책임.

따라서 동 전략은 러시아 정부의 에너지 정책의 목표를 국민과 경제 주체에 대한

법적 이익과 권리의 보호, 국방 보장, 국가 안보, 국가 재산의 효율적 운용, 에너

지 분야의 새로운 질적 접근 등으로 설정하고 장기 국가 에너지 정책의 실현을

위한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ㅇ. 국가의 에너지 발전에 관한 중대한 전략 실현에 있어서의 일관성.

ㅇ. 정부와 에너지 관련 기업들과의 건설적인 대화 기회 마련에 대한

관심.

ㅇ. 투자 분야를 포함한 국가 정책에 있어서의, 기업의 활동 활성화

위한 국가 규제 확립.

ㅇ. 에너지 및 생태 안보와 효율성 등이 장기 국가 에너지 정책에 요

구되는 전략임.

ㅇ. 에너지 정책 실현을 위해 연료-에너지 전반의 자원 구조의 재구

성 필요. 또한, 국가 지하자원 자산의 주식화.

동전략은 에너지 안보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기도 하다. 이는 러시아의 국가 안보

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임 반영하고 있다. 에너지 안보는 에너지 보장에 대

한 위협으로부터 국가와 국민 그리고 경제, 사회를 보호하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Page 5: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5 -

있다. 또한 러시아 지역전체에 있어서의 에너지 자원의 불균등한 분포는 에너지

보장에 대한 위협요인 이라고 밝히고, 극동과 시베리아 그리고 유럽 지역간의 에

너지 수송로 부족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에너지 안보 정책의

목적과 주요 원칙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 에너지 안보 정책의 목적

ㅇ. 적정 품질과 가격으로 국내외의 에너지수요를 보장.

ㅇ. 소비 분야에서 에너지 자원의 효과적 이용.

ㅇ. 국내외의 기술적 자연적인 위협에 대한 에너지 분야의 건전성 확보.

▷ 에너지 안보를 위한 주요 원칙.

ㅇ. 평시 국민 경제에 완벽한 에너지를 보장, 비상시 최소한의 필수 에너지 보장.

ㅇ. 국가의 안보를 위한, 중앙 정부의 연방의 조직들 통제.

ㅇ. 소비된 연료 에너지의 보충.

ㅇ. 연료와 에너지 이용의 다각화 (한가지 자원의 집중 이용 방지).

ㅇ. 생태적 안보의 관심.

ㅇ. 비이성적인 에너지 자원 이용 방지.

ㅇ. 국내 시장과 국외 시장에 있어서의 균형 있는 소득 보장.

ㅇ. 기술적 공정과 경쟁적 국가 시설에 있어서의 최대한의 가능성 활용.

동 전략은 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할 두 가지 시급한 문제를 들고

있다. 첫째는, 연료-에너지 분야의 노후 된 기술적 기반의 현대화와 자원 기반의

재생산 보장이다. 둘째는, 소비구조의 변화와 연료-에너지 자원 생산에 있어서의

분배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는 문제이다. 러시아에 있어서의 에너지 안보의 위

협에 대한 러시아 정부의 적절한 대처를 위해서는, 국내외적인 위협을 방지할 수

있는 장기간의 적절한 시스템을 고안하고, 에너지안보에 관한 정보를 활용하는

것, 그리고 안정된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는 모니터링이나 메커니즘 시스템을 마

련하는 것 등의 내용도 담고 있다.

또한 동전략은 에너지의 생태 안보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 북동

지역을 새로운 에너지 생산기지화 하기 위해 생태적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고, 북

극과 사할린, 카스피 해, 발틱 해안 등의 석유가스산지의 개발 프로젝트에 있어

서 생태적 안보를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로 지적하고 있다.

동전략은 실천을 위해 국가의 에너지 정책의 주요 상황에 대한 현실적 구체화

를 규정하고 있으며, 정부의 정보를 이용한 에너지 전략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

Page 6: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6 -

자료: Институтом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ТЭК, Аналитический доклад по проблема

м освоения месторождений углеводородного сырья и е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в регионах В

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февраль 2003 г

지역 가채매장량 확인매장량 채굴량

사하공화국 309.1 2653 0.358

에벤키 자치공화국 494.6 4937 0.057

이르쿠츠크 주 232.2 1849 0.042

톰스크 주 453 1449 7.396

크라스노야르스크 주 223.5 856 -

계 1712.44 11744 7.853

장하는 시스템의 구축과 이를 위해 러시아 연방정부는 매년 모니터링의 결과를

"에너지전략실천보고서"에 반영하여 작성 하고 에너지 전략의 완성과 정확성 점

검을 위해 적어도 5년마다 전략을 재작성 할 것을 규정하고 있기도 하다.

2.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가스가 26.7조 입방미터 정도

매장 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원유는 8-10십만톤정도가 매장되어

있고 1.5-2십억톤의 콘덴세이트가 매장 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동지역의 광상은 유전, 가스유전, 원유가스전, 가스전, 가스콘덴세이트전등으

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동지역의 유전 및 가스전은 코빅틴스크, 베르호네촌

스크, 야락틴스크, 둘린시민스크등이 이르쿠츠크 주에 위치 하고 있다. 또한

유릅첸코-타홈스크와 소빈스크등이 각각 에벤키자치주와 크라스노야르스크

주에 위치하고 있다. 사하공화국에는 탈라칸스크, 스레드네보투오빈스크, 스

레드네빌류이스크, 스레드네튱그스크, 차야딘스크 등의 가스전 및 유전이 존

재 한다.

시베리아 연방지구에는 117개의 광상이 존재하는데 그중 유전이 90개소 4

개소의 가스유전, 23개소의 원유가스콘덴세이트전이다. 원유매장량은

A+B+C1카테고리가 5억8천만톤이고 C2 카테고리가 6억7940만톤이다. 또

한 극동연방지구에는 55개의 광상이 존재하는데 이중 유전이 13개, 원유가

스전이 13개, 가스원유전이 16개, 원유가스콘덴세이트전이 13개이다.

<표1> 동시베리아 및 사하공화국의 원유매장량 (단위:백만톤)

Page 7: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7 -

자료: Институтом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ТЭК, Аналитический доклад по проблема

м освоения месторождений углеводородного сырья и е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в регионах В

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февраль 2003 г

지역 가채매장량 확인매장량 채굴량

사하공화국 2280.5 12098 1.57

에벤키 자치공화국 1009.7 8328 -

이르쿠츠크 주 2194.5 6401 0.028

톰스크 주 326 1034 3.552

크라스노야르스크 주 228.1 3156 -

계 6038.8 31017 5.150

<표2> 동시베리아 및 사하공화국의 가스매장량 (단위:십억입방미터)

동시베리아 지역의 자원잠재력을 개발하고 이를 러시아의 경제발전과 연계

시키기 위해서는 동지역의 교통물류망 및 에니지운송망의 구축이 절대적으

로 필요한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이를 위해 러시아는 1992년부터 추구해온

“가스 단일통합운송망”의 구축을 위해 가스수출을 담당하는 가스프롬주도의

계획과 “원유 단일통합운송망”의 구축을 위해 트란스네프트사의 원유파이프

라인망 구축 계획을 통합하는 “원유가스단일통합운송망”을 동 지역에 계획

하고 있다8).

동지역의 파이프라인 구축계획은 4가지 정도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앙가라스크-다칭 라인으로 1999년 2월 YUKOS, Transneft 및 중국

국영석유공사(CNPC) 간에 합의된 러중 송유관계획 타당성조사에서 시작되

었다. 송유관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끝난 뒤 2001년 7월 러시아 에너지성,

Transneft, Yukos 및 중국 국가계획 위원회 및 중국국영석유공사(CNPC)

등은 송유관 루트, 송유관 건설 후 25년간 원유공급의 보장 및 송유량 등

가격 송유관 건설의 기본 원칙에 서명하였다.9) 정확한 송유관 건설가격, 관

8) 이 내용은 세가지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다. 첫째는 가스프롬이 만든 "Программы создания в Восточно

й Сибири и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единой системы добыч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аза и газоснабж

ения с учетом возможного экспорта газа на рынки Китая и других стран Азиатско-тихоокеан

ского региона" 이고 둘째는 Институтом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ТЭК가 작성한 “Аналитический

доклад по проблемам освоения месторождений углеводородного сырья и е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в

регионах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이고 셋째는,러시아 에너지 부가 작성한 “Об основн

ых направлениях развития нефтегазового комплекса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с

учетом реализации перспективных международных проектов” 이다.

9)YUKOS: Refining &Marketin [http://www.yukos.com, May 9, 2003

Page 8: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8 -

1999년 2월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러 중 정부 수뇌부 4차 정기 회의에서 에너지 협력에 관한 일련의 협정에 조인. YUKOS, Transneft 및 중국국영석유공사(CNPC) 등이 러중 송유관 건설계획의 경제성을 검토하는 협정에 서명함

2000년 1월 경제적 검토가 완료되어 경제성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함

2001년 7월러중 송유관에 대한 타당성 검사로부터 도출된 기본원칙에 대해 러시아측의 에너지 장관, Transneft 및 YUKOS 등과 중국측의 중화인민공화국 국가계획위원회와 중국국영석유공사(CNPC)가 국가주석 장쩌민의 모스크바 방문시 서명함양측은 향후 25년 동안의 송유관의 노선, 에너지 공급보장, 석유공급량 및 가격 등에 대해 합의

2001년 9월 주룽지 총리의 러시아 방문시 타당성 조사의 기본적 합의에 양측이 서명2002년 타당성 조사의 전반부 완료: 송유관 건설의 정확한 비용, 관세 및 양국 협력의

사업적 및 법적 양식 등 투자의 실제적 내용 포함2003년 후반기

타당성 조사의 후반부 완료: 세부 설계 및 예비 지역조사 등에 합의

2003‐2005년 매년 2천만 톤(1억4천6백만 배럴)의 석유를 공급할 수 있는 송유관 건설의 1단계 공사 완료

2010년 매년 3천만 톤(2억1천8백만 배럴)의 석유를 공급할 수 있는 송유관 건설의 2단계 공사 완료

세, 투자의 세부사항 등에 관한 검토는 2002년까지 완료하기로 하였다. 이

어 2003년까지는 양국정부의 동의를 얻어 세부적 설계조사와 현지조사를 마

치기로 하였다.

그러나 앙가르스크‐다칭 송유관 계획이 뒤틀려지기 시작한 것은 2002년

말 이었다. 2002년 11월 러시아의 유력 일간지 이즈베스찌야는 러시아 국

가안보회의(Совет Безопасности)에서 앙가르스크‐다칭 라인을 앙가르스크‐나홋카 라인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하였다.10) 또한 앙가르스크‐다칭 송유관 건설의 타당성조사를 담당하고 있던 러시아 국영 석유회사

Transneft는 앙가르스크‐나홋카 송유관 건설을 제안하였는데, 이러한 주장의

이면에는 러시아 극동지역의 경제적, 정치적 및 국가 안보적 이익을 고려할

경우 나홋카로 연결하는 송유관이 최선이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여진

다.

<표 3> 시베리아‐중국 송유관 건설 계획 일정표

자료: YUKOS: Refining &Marketing (http://www.yukos.com , May 9, 2003)

그러나 2003년 6월 러시아의 동부 시베리아의 앙가르스크에서 중국의

다칭을 연결하는 송유관을 건설하는 예비계약을 중국과 체결했다는 보도가

발표되었다. 이는 2003년 6월 29일 중국 관영 신화사 통신이 후진타오 국

가 주석의 러시아 국빈방문에 시 중국측이 다칭 송유관 건설비로 17억 달

10) “Нефть пойдет другим путе:Маршрут крупнейше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может быть изменензвести,Decembe 9, 2002 htt:/wwizvestireconomicsarticl27560].

Page 9: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9 -

러를 지원하기로 하고 Yukos가 중국국영석유공사(CNPC)에 25년간 원유를

공급하기로 했다는 발표로 이어졌다. 러시아 최대의 석유회사 Yukos가

2005년부터는 연간 2000만 톤의 원유를 중국측에 공급하고, 2010년에서

2030년까지는 원유 공급량을 늘려 하루 60만 배럴의 원유를 공급한다는 것

이다. 원유공급을 위해 2005년까지 앙가르스크에서 중국의 다칭을 연결하

는 2,400km 길이의 송유관이 건설한다는 것이다11).

<표 4> 앙가르스크‐다칭 송유관과 앙가르스크‐나홋카 송유관의 비교

앙가르스크‐나홋카 송유관 앙가르스크‐다칭 송유관

길이 (km) 3,765 2,400

용량 (단위: 연간 백만 톤) 50 20(2005년부터)30(2010년부터)

건설비용 (단위: 10억 불) 3.6‐5.0 2.0

공사시작연도 2004‐2005 2003

석유수송개시연도 2008‐2010 2005

자료: “Восточный экспресс:“Транснефть” форсирует работу над проектом трубопровода

из Ангарск к Японскому морю” RUSENERGY, May 29, 2002

[http://www.rusenergy.com/projects/a29052002.htm].

위의 <표4>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계획에 따르면 앙가르스크‐나홋카 송유

관은 2008년부터 매년 5천만 배럴의 석유를 수송할 수 있는데 이 라인은

부리야트 공화국, 이르쿠츠크주, 치타주, 아무르주, 하바로프스크 지방 및

연해주 등을 가로지르는 길이 약 3,765 km의 송유관으로 중국 다칭에 이르

는 송유관 길이 2,400km보다 훨씬 더 길다. 따라서 나홋카 라인의 건설비

또한 36억- 50억불로 다칭라인의 건설비 추정액 20억불 정도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시베리아의 송유관이 시작되는 앙가르스크는 우랄지역에서

이곳으로 연결되는 Transneft의 석유시설의 종점이 있는 곳이며, 또한

YUKOS가 운영하는 정유 및 석유화학공장 시설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

송유관으로 수송되는 석유의 원산지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지역, 동 시베리아

의 이르쿠츠크 지역, 그리고 YUKOS가 소유하고 있는 석유매장지역인 서부

시베리아의 톰스크 지역 등이다.

11) 중국석유공사의 총 대표인 류훈빈은 2003년 9월 15일 다칭 송유관 건설은 현재 무기 연기된 상태라고 말했

다. «Ангарск‐Дацин» не будет построен к 2005 году, Деловая Недел, Sep. 22, 2003

[http://dn.kiev.ua/economics/world/dazin_0922.html]

Page 10: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10 -

자료: 러시아 에너지부, Об основных направлениях развития нефтегазового комплекса Восточной С

ибири 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с учетом реализации перспективных международных проектов, правите

льства РФ 13 марта 2003

<표5> 동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파이프라인 계획

프로젝트용량

(백만톤) 거리( km) 지름( mm) 투자비용(백만불) 공사기간 참여회사

1앙가라스크-페레보즈나야 50 3885 1020

1220 5817 2004‐2008 Транснефть

앙가라스크-스코보로지노 80 2047 10201220 3430 2004‐2006 Транснефть

2 앙가라스크-다칭1단계 ‐ 202단계 ‐ 30 2290 820

1020 2912 2004‐2006 ТранснефтьЮКОС

3 사할린 1 (데카스트리- 콤소몰스크나아루르) 12.5 207 500 500 2004‐2005

ЕххоnNeftegazRosneft

Rosneftь‐skhalinmopneftegaz

SODECO

4 사할린 2 (유즈노사할린스크-프리고로드느이) 10 800 500 1000 2005

sakhalinenergy investment Ltd.

최근에는 <그림1>에서 표시된 바이칼 호수 남단을 거치는 앙가르스크‐다칭

노선과는 달리, 2개의 송유관이 모두 바이칼 호수의 북쪽을 지나도록 함으

로써 장래 이곳에서 까자친스꼬에, 틘다, 스꼬보로지노, 하바롭스크를 통해

나홋카로 송유관의 지선이 연결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둔 것으로 알려 졌

다.

<그림1> 앙가르스크‐다칭, 앙가르스크‐나홋카 송유관 루트 개요도12)

자료: [http://www.eraa.ru/EraaRus/kitay43.htm]

12) Igor Kozin,Energy Cooperation in Asia‐Pacific Region Symposium on Pacific Energy Cooperation

(SPEC) 2003 [http://eneken.keej.or.jp/en/forum/spec2003/030303e01.pdf, 2003‐06‐08]

Page 11: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11 -

동지역의 원유 수출을 위해 러시아 에너지부는 3가지의 프로그램을 계획되

고 있다13). 첫째는 앙가라스크-다칭 송유관의 건설로 2010년까지 2000만톤

의 원유를 중국에 수출하고 2030년까지 3000만톤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둘

째, 앙가라스크로부터 태평양연안까지 송유관을 건설하고 일본과 한국, 중국

과 미국의 태평양 연안에 년간 5000만톤의 원유를 수출하는 것이다. 시베리

아와 야쿠티아의 원유와 사할린의 원유를 각각의 개별 프로그램으로 개발하

여 수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셋째는 사할린 지역의 원유생산을 2010년까

지 2000내지 2500만톤 규모로 확대하고 그중 일부(5백만톤)을 콤소몰스크나

아무르의 정유시설에서 정제하여 지역에 공급하고 1500만톤 내지 2000만톤

을 일본과 비국에 수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림2> 이르쿠츠크지역 가스전 분포

또한 이러한 계획과 함께 러시아 에너지부는 현재 <표5>에서 보는 바와 같

이 4개의 원유 파이프라인망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러시아의 가즈프롬사

의 주도로 계획되고 있는 “가스단일공급망”은 <그림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르쿠츠크지역에 산재해 있는 가스전들을 하나의 단일망으로 연결하여 이를

사하공화국 지역과 연결하고 이를 다시 극동지역의 가스파이프라인망 <그림

13) “Об основных направлениях развития нефтегазового комплекса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с учетом реализации перспективных международных проектов”

Page 12: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12 -

3>의 정비와 함께 원유파이프라인망의 루트와 결합하는 계획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림3> 극동지역의 원유 및 가스 파이프라인망

이는 다음의 <표6>에서 보는바와 같이 세 가지 정부 프로그램에 의한 가스

생산이 예측되고 이는 동지역이 향후 러시아의 가스 생산 중심지의 역할을 하

게 될 것으로 전망되는 점에 대응하기 위함이라고 보여 진다. <표6>에서 보

는 바와 같이 2010년까지 동시베리아와 극동지역의 가스 생산은 541억 입방

미터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2020년 까지 1064억 입방미터를 생산하게 될 것

으로 전망된다.

Page 13: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13 -

<표6> 20202년까지 동시베리아 극동의 가스 생산 비교 (가스프롬 프로그램, 시베리아발전전략, 에너지전략2020 비교, 십억 M3 )

자료:ОАО "Газпром","Программы создания в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и на Дальнем В

остоке единой системы добыч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аза и газоснабжения с учето

м возможного экспорта газа на рынки Китая и других стран Азиатско-тихоокеа

нского региона"

지역 시베리아 개발 전략 가스프롬 프로그램 러시아에너지전략2020

동시베리아 78‐91 48,3 28,0

극동 35‐40 58,1 30,0

계 113‐131 106,4 58,0

  또한 이러한 “가스단일통합공급망”의 실현을 위해서는 상당한 액수의 투자

가 필요하다. 이러한 투자 소요는 가스프롬이 작성한 『대 아시아태평양지역

및 중국시장 가스수출을 위한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가스 단일통합 채굴

및 운송시스템 구축 프로그램』에 의하면 <표7>과 같다14).

<표7> 20202년 까지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가스개발 투자재원 소요 (십억불)

자료:ОАО "Газпром","Программы создания в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и на Дальнем Вос

токе единой системы добыч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аза и газоснабжения с учетом

возможного экспорта газа на рынки Китая и других стран Азиатско-тихоокеанск

ого региона"

투자지역 총투자액

В том числе

가스전개발 가스 운송 가스채굴 LNG 헬륨공정

계 30,6 15,1 12,7 1,2 0,2 1,3

동시베리아 15,5 8,4 5,4 0,8  ‐ 0,8

극동 15,1 6,7 7,3 0,4 0,2 0,5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에서의 가스의 개발을 위해서 가즈프롬은 4단계의 계

획을 가지고 있다15). 이는 첫째, 2007년부터 코빅틴스크가스전을 개발하고

540km의 파이프라인을 건설하여 이르쿠츠크 중부 지역에 가스를 공급하고 콘

텐세이트의 처리를 위해 220km의 파이프라인을 앙가라스크 정유화학콤비나

14) 동프로그램의 작성에는 가즈프롬, 로스네프트, 루크오일, 유코스, 트란스네프트, TNK, 루시아페트롤륨,사하네

프티가스 등의 기업이 참여 하였다.

15) ОАО "Газпром","Программы создания в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и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единой сист

емы добыч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аза и газоснабжения с учетом возможного экспорта газа на рынк

и Китая и других стран Азиатско-тихоокеанского региона"

Page 14: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14 -

트까지 운송하는 계획이다. 또한 헬륨의 처리를 위해 발라간스크에 연간 25억

입방미터 처리 규모의 가스화학공장을 건설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극

동지역으로 “가스단일통합공급망”을 확대하고 발라간스크-프로코코보(케메로

보주 남부) 구간의 1419km의 가스파이프라인 망 구축이다.

또한 사하공화국의 차얀딘스크가스전을 2009년부터 개발하고 이로부터 밤

철도노선을 따라 가스파이프라인을 건설하여 중국과 한국에 공급하고 2010년

부터 국가 가스피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사하린-하바롭스크-블라디보스톡구

간의 가스파이프라인건설을 완료 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는 2012-2013 기간동안 크라스노야르스크 지역의 소빈스코-

토홈스크가스전의 73억 입방미터의 가스를 개발하여 생산하고 유룹첸코-토홈

스크가스전의 107억 입방미터의 가스를 개발하여 발라칸스크-프로코코보 가

스파이프라인과 링크 시키는 단계이다. 또한 극동지역의 사할린 4,5,6 광구를

개발하여 연해주 지역의 가스피케이션을 완료하고 사할린의 계절적 수요를 충

족시키기 위해 코르사코프에 가스 저장시설을 건설한다. 또한 하바롭스크의

말로시틴스크 LNG공장과 사할린의 툰고르스크LNG 공장을 건설한다.

네 번째 단계는 2014년부터 2020년 까지로 사할린가스를 이용해 극동지역

의 가스피케이션을 완료하고 동시베리아의 크라스노야르스크지역과 하카시 지

역을 가스피케이션한다. 또한 동지역의 최대 가스전인 코빅틴스크의 가스전을

개발하여 동시베리아 지역 뿐만아니라 유럽 러시아 지역에도 공급하는 구조를

구축한다.

3. 동시베리아 지역 개발에 대한 대응방안

일단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동시베리아 지역을 향후 러시아의 주요 에너

지 생산 지역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원유 및 가스의 생산은 주로 이르쿠츠크,

사하공화국, 사하린등을 축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고 이 세 축을 연결하는

“단일통합에너지 공급망(가스 및 원유)”가 구축될 것으로 전망 된다. 또한 이

를 통하여 러시아 정부는 지역과 지방간의 통합을 이루고 지역의 발전을 위하

여 에너지자원을 개발하여 이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이러한 단일통합에

너지망은 러시아의 동북아지역 및 아태국가들과의 협력관계의 구축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 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에너지 공급국가로써 동북아 지역의

역내 국가들간의 경쟁을 조정하는 역할과 함께 동 지역의 일원으로 영향력을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러시아가 동시베리아 및 극동지역의 발전을

에너지자원의 개발 및 수출과 연계하고 있는 데서 기인한다고 보여진다.

Page 15: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15 -

이는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지방발전략의 검토와 함께 동지역의

지방정부의 발전전략을 에너지협력에 있어서 동시에 고려하여 협상에서 이익

을 극대화 하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동시베리아 및 극동의 에너지개발 전략은 러시아의 국가

발전 전략이라는 큰 구도(grand design)속에서 추구되고 있다. 이 전략의 정

책목표를 정리하여 보면 첫째, 러시아의 동부 지역에서 대규모의 에너지 자원

을 개발하여 에너지 산업 및 에너지 소요 산업을 활성화하고, 안정된 지역 에

너지 공급망을 확보하는 것이다. 둘째, 아태지역 특히 동북아 국가들의 에너지

자원 시장의 주요 공급자로 진출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구상은 모스크바 자

신의 의도로만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동북아 관련 국가들 모두에게 호혜적인

에너지원 생산 및 시장 메커니즘이 존재할 때 가능한 것이다. 현재 아태지역의

통합적인 에너지 시장이나 시장형성 전략이 부재한 조건에서 러시아는 자신이

동아시아 지역 최대의 에너지 수요처인 일본, 중국, 한국 시장을 목표로 주요

한 시장 조정자 이자 공급자로 나서는 전략을 구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동 지역의 에너지개발 전략은 동 지역의

지역발전전략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따라서 동 지역의 경제발전전략의 충분

한 고려가 한러간의 전략적 협력의 필수불가결한 고려요인이다.

따라서 중앙정부의 극동․시베리아지역 개발전략이나 극동․시베리아지역 장

기발전 프로그램을 면밀히 검토하고 고찰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1996년에 수립된 극동 자바이칼 프로그램은 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천연자원

기지로서의 역할 및 아․태 경제와의 연결고리를 강조한데 비해, 2002년 수립

된 푸틴정부의 구상은 우선 분야에 집중투자, 탈중앙집중보다는 연방관구의

관리기능을 활용, 상호연계가 약한 지역복합체를 단일 조직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 지도부내에 동 지역이 향후 러시아 미래의

향방을 좌우할 것이라고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신속

한 경제안정을 위해 제한된 자금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몇몇 산업에 집중적으

로 투자될 것으로 예상되고, 연방 내 지방정부들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경

제개발을 촉진함으로써 러시아의 아시아․태평양지역 경제체제로의 편입을 가

속화을 꾀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점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지역단

위의 개발전략과 함께 지방정부 혹은 주정부 차원의 개발 전략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각 지방정부의 자체 개발전략은 아래와 같다.

Page 16: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16 -

□ 하바로프스크지방

◦ 95년 연방정부에서 발표한 극동시베리아(자바이칼)지역의 장기발전계획에 따라 외국투자유치에 노력하고 있음. 특히, 군수산업에 대한 외국기업 투자를 유도하고, 외국기업에게 다양한 면세혜택을 제공하려 하고 있음(예, 지방세: 순익 신고기간부터 2‐3년 면세, 연방정부세금은 예외)

◦ 사할린‐콤소몰스크‐아무르‐하바로프스크 가스파이프 라인 건설: 1999년 6월 연방대통령령 “사할린, 프리모리, 하바로프스크 가스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사업 진행.

□ 프리모리지방(연해주)

◦ 광역블라디보스톡 자유경제구역계획: UNIDO(유엔공업개발기구)의 지원하에 일본 컨설팅회사협회가 1991년 12월 작성

‐ 물리적․제도적 기반 조성을 통해 남부 프리모리지역과 러시아와 중국 및 북한 국경지역의 발전도모 ‐ 자유경제구역은 세 개의 하부지역으로 구분되며, 블라디보스톡은 연구, 교육, 서비스 중심으로 개발하고, 나호트카는 대규모 토지집약적 산업에 특화하며, 핫산은 중국, 북한과의 국경과 인접한 지리적 입지를 활용하여 경공업, 농업, 수산업 및 식품가공에 특화함. 

◦ 남부프리모리 발전 계획: 러시아 체제전환이후 러시아 극동의 경제, 정치, 국제관계 상황을 반영하여 남부프리모리지역의 10~15년 사회경제 발전전략을 수립할 필요성 대두.

‐ 포괄적 내용은 사회경제발전을 위한 구조적 목표 및 투자정책, 계획집행을 위한 기제와 방법 등을 포함하여 구체적으로 자본 및 금융자원조달문제, 경제 특화, 시장경제로의 조속한 전환, 인프라건설을 위한 계획 및 조정의 도시개발 계획을 포함.

□ 캄차트카주: 관광, 산림, 광업 등의 분야에 발전우선 순위를 두는 개발전략을 갖고 있음.

◦ 캄차트카 주정부는 어업에 편중된 주 산업구조를 개선시키기 위해 관광산업개발이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음.

◦ 에너지 분야 ‐ 지열 전력 발전소, 가스파이프 라인

‐ 캄차트카의 전력 가격은 러시아에서 가장 높아 지역정부는 이를 대체할 에너지에 관심을 갖고 지열 전력 발전소 개발에 기대하고 있음. ‐ 현재 11 MW급 발전소(파우제츠키 발전소‐1967)와 12 MW 발전소(베르히네‐무트놉스키 발전소)가 가동 중이며, 50 MW 전자동 무트놉스키 지역 전력발전소가 무트놉스키 화산기슭에 건설되었음.(프로젝트는 EBRD(99억9천만 달러)와 RAO UES(16억 8천만 달러)로부터 재정 지원 받았음). 캄차트카주정부는 EBRD의 재정지원으로 총 100 MW급 무트놉스키 발전소 건설 2단계 프로젝트를 진행 중임. ‐ 가스 파이프라인 건설 프로젝트 : 체코 기업의 참여로 캄차트카 북서쪽에 약100 km지점에 건설하였으며, 현재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카까지 파이프라인을 추가 건설하는 계획을 세워놓고 재정지원을 요청중임.

Page 17: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17 -

4. 결론에 대신하여

이상에서 살펴 본바와 같이 대러시아 에너지협력은 제도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양국간의 신뢰관계의 회복과 양국간 협력체널의 구축이 필요하

다. 현재까지 에너지협력실무협의회등의 제안이 있어왔으나 부진하게 이루

어져왔고 경제체제 및 제도의 이질성으로 구체적인 협력사업의 추진이 더

디게 진행되어 왔다. 양국간의 에너지협력을 위해서는 양국간의 정치적 경

제적 안정성의 기반위에 한러간 혹은 동북아 지역에 맞는 제도의 틀 또는

협력의 틀을 제정할 필요성이 중요하다. 또한 역내의 에너지 협력을 다자간

차원에서 주도할 국가가 부재함에 따른 양자관계의 강화와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러시아아의 에너지 개발 및 협력은 메가프로젝트(MEGA PROJECT)인

반면 충분한 재원조달 여부 불투명하다. 파이프라인사업은 통과로의 안정성

을 확보하는 지정학적 고려가 우선이지만, 건설에 소요되는 막대한 투자재

원을 마련하는 재정 문제가 주요 이슈이다. 기업들의 컨소시엄을 통해 투자

재원을 마련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인프라의 공유는 해당 기업들뿐만 아니라

해당 기업들이 소재한 국가들 사이에도 공동의 이해관계가 형성된다. 따라

서 해당국가와 통과국가의 양국관계 뿐만 아니라 통과국들간의 정치군사적

관계도 고려에 넣어야 하는 복합적인 사안이기도 한점을 재원조달 여부 불

투명함의 요인과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파이프라인 통과로의 선택을 통해 자국의 영향력 증대를 도모해야 한다

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통과 지역의 정치군사적 안정성이 보장되어야 한

다는 것은 운송안보의 필수적 조건으로서 에너지원 생산국의 부담으로 작

용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개발 인프라 및 파이프라인 건설에서 통과국들의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형성한다면, 해당 국가들간에 에너지자원의 생산 및

운송에서 상호의존의 고리를 갖게 되며 생산지국가는 통과국이나 주된 시

장이 되는 국가들에 대해 에너지원의 수급과 관련된 영향력을 확보하게 된

다. 파이프라인 통과국들은 통과료를 수입으로 갖거나 통과료 만큼의 에너

지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러시아의 경우, 중국, 일본 및 한국의 에너지 안보에 중대한 행위자로 등

장하게 되며, 명실공히 동북아 지역국가로서는 취약한 지경학적․정치군사적

위상을 보강하게 될 것이다.

시베리아‐중국 송유관 건설과 관련하여 현재까지의 경과를 살펴보면서

러시아의 에너지이용을 둘러싼 앙가르스크‐다칭 노선과 앙가르스크‐나홋카

Page 18: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에너지개발 전략 · 동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자원개발과 운송망 구축 동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자원 잠재력은 대략

- 18 -

노선사이에 전개되고 있는 중국과 일본의 유치경쟁과 관련하여 러시아 국

내적 요인으로는 러시아 정부, Ykos, Transneft, 환경보호론자들 및 관련

지역주민들의 입장에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국제적 요인에서는 안보적, 국제정치학적 및 경제적 관점에서 러시아 정

부가 어떤 상황에 있는지를, 그리고 시베리아 송유관 건설과 관련한 중국과

일본의 입장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다.

여기서 요구되고 있는 몇가지 과제가 존재한다고 보여진다.

우선 이러한 송유관 건설과 관련한 정치경제학이 현재 많은 관심이 집중

되고 있는 시베리아 천연가스의 도입문제에는 어떤 함의를 가지는지에 대

한 재고찰이 필요하다. 송유관 건설을 둘러싼 국제적인 이해관계의 맥락에

서 한국 또한 완전히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특히 한반도의 정치적 상황과

관련하여 러시아 극동지역, 북한 및 남한간의 에너지 공급문제가 급부상하

고 있는점 또한 고려하여야 할 요인이다.

다음으로 송유관 문제와 관련하여 동북아에서의 파이프라인망 구축과 관

련하여 카스피해의 파이프라인망 구축과 이에 따른 갈등 및 협력구도를 벤

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이에 대한 조사 또는 연구가 국내에는 존재 하

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살펴본 러시아의 에너지 자원개발 프로젝트들이 주로

우랄 시베리아 지역과 극동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점을 중요시하여 시베리

아, 특히 동시베리아지역의 에너지 자원개발에 관한 러시아의 정책과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향후 동북아 경제협력 및 동북아에

너지협력 또는 동북아에너지공동체 논의의 기초 연구로서 동시베리아 극동

의 에너지 자원개발과 이에 대한 러시아정부의 정책에 대한 연구와 자원개

발과 관련된 매장량등의 데이터와 자료의 축적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판단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