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특집 ․다문화 시대의 언어 정책 ․ 21 특집다문화 시대의 언어 정책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전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8) 1. 서 2012년 7월 현재 국내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 1) 이 24,000명을 넘어섰 다. 그 중 여성은 69%를 차지하고 있다. 문민정부 이전까지 633명에 불과하던 북한이탈주민들이 2006년 이후부터는 그 수가 크게 늘어 매 년 2천 명 이상이 남한에 들어오고 있다(<그림 1> 참조). * 2011년 전주교대 교내연구비 지원을 받은 과제 “남북한 언어문화 차이로 살 펴본 새터민의 언어 사용 경험 조사”로 나온 결과물임. 1) ‘북한이탈주민’은 법률 용어인데, 현 정부에서 2011년 말에 공식 용어로 채 택함에 따라 본고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 그동안 새터민이라는 용어를 공 식 용어로 사용해 오다가 북한이탈주민으로 공식 용어가 바뀜에 따라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용어와 혼돈의 여지가 있다. 북한이탈주민과 새터민의 용 어를 상황과 관점에 따라 같은 대상을 달리 표현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북한 이탈에 초점을 둘 것인지 대한민국 정착에 초점을 둘 것인지에 따라 선별적으로 사용해야 할 용어이지 국가 차원에서 공식 용어를 공표할 문제 가 아니라고 본다.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1

특집bullbullbull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주교육 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8)

1 서 론

2012년 7월 재 국내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1)이 24000명을 넘어섰

다 그 여성은 69를 차지하고 있다 문민정부 이 까지 633명에

불과하던 북한이탈주민들이 2006년 이후부터는 그 수가 크게 늘어 매

년 2천 명 이상이 남한에 들어오고 있다(lt그림 1gt 참조)

2011년 주교 교내연구비 지원을 받은 과제 ldquo남북한 언어문화 차이로 살

펴본 새터민의 언어 사용 경험 조사rdquo로 나온 결과물임

1) lsquo북한이탈주민rsquo은 법률 용어인데 정부에서 2011년 말에 공식 용어로 채

택함에 따라 본고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 그동안 새터민이라는 용어를 공

식 용어로 사용해 오다가 북한이탈주민으로 공식 용어가 바뀜에 따라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용어와 혼돈의 여지가 있다 북한이탈주민과 새터민의 용

어를 상황과 에 따라 같은 상을 달리 표 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북한 이탈에 을 둘 것인지 한민국 정착에 을 둘 것인지에 따라

선별 으로 사용해야 할 용어이지 국가 차원에서 공식 용어를 공표할 문제

가 아니라고 본다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lt그림 1gt 북한이탈주민 입국 황 (통일부 자료 2012년 7월 검색)

지 도 수십만에 이르는 북한이탈주민들이 국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등 제3국에 체류하면서 남한 입국을 계획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

의 수는 북한의 정치경제 상황과 남북 계 주변국 정세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지만 지 추세라면 매년 수천 명이 넘는 북한이탈

주민들이 남한에 들어올 것으로 상된다

북한이탈주민은 한민국에 들어온 이후 남북한의 언어 차이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다 그 남한의 낯선 어휘로 인해 매우 힘들

어한다 특히 수많은 외래어와 외국어는 북한이탈주민의 언어생활에 많

은 부담을 다 그 결과 북한이탈주민은 일상생활 직장 생활 학교생

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에서 경험하게 되는 언어생활의 응 양상을 살

펴보고 행 북한이탈주민의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본 후 독일의 통합

정책을 검토하여 정책 제언을 하고자 한다 남북의 언어 차이는 언어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3

문화 차원에서 근할 필요가 있으며 북한이탈주민의 문제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근할 필요가 있다 겉으로는 언어의 차이로 생각되는

것이 핵심으로 들어가게 되면 사회 체제의 차이 문화의 차이로 발생하

게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2 북한이탈주민의 적응 실태

21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생활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이질 인 남한 문화로 인해 의식주 생활 쇼핑 교

통수단 이용 통신 기기 구입과 사용 공서 이용 등 남한에서의 기본

인 생활을 하는 데 불편을 겪고 있다

먼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 사회에 응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상당 부분이 소비 생활로부터 기인한다 기본 으로 북한 사회와는

다른 경제 체제로 운 되는 남한 사회를 이해하고 이에 응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일상 인 부분에서는 경제 구조나 화폐 단

에 한 이해뿐 아니라 사소한 구매 방식에 있어서도 정착 기에는

어려움을 겪는다 한 지역 사회의 공공 기 이나 간단한 정보화 기

기 교통 시설의 이용은 시행착오와 타인 찰 모방 등을 통해 쉽게

익숙해지기는 하지만 짧은 시간이더라도 당혹감과 심리 스트 스를

경험하며 50 60 주부의 경우에는 자동 매기나 지하철 이용 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남한 사회에서는 이제 거의 필수 인 신용 카드

에 해서 북한이탈주민들은 부분 거부감을 가지고 있으며 신용 카

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북한이탈주민들이 특별히 호소하는

소비 생활의 어려움은 물건 이름이다 상품의 종류가 다양하고 많은데

다가 외래어가 많아서 매우 큰 어려움을 겪는다(이기춘 외 2001) 남한

2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에 유입되는 어 랑스어 이탈리어 등의 외래어는 물건 상품명

의 수입과 더불어 발생한 것이 많다 이는 러시아와 국을 심으로

교역이 이루어지고 문화가 유입되는 북한과 서유럽 아메리카를 심으

로 교역이 이루어지고 문화가 유입되는 남한의 사정을 그 로 반 한

것이다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서 북한이탈주민들은 새로운 환경과 생활에

응해 간다 그동안 겪는 손실과 구매 후 불만족 그리고 당혹감

과 갈등에서 오는 심리 스트 스를 정확하게 측정한 연구는 없지만

상당한 비용과 정서 에 지를 소모하고 있으며 심리 상처를 입고

있다고 북한이탈주민들은 말한다 재 하나원2) 수료 후 북한이탈주민

교육은 주로 취업 훈련에 을 두고 있다 그러나 직업 교육에 앞서

기 인 일상생활 응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직업 교육은 시

간을 두어 이루어져야 할 문제이고 지속 인 지원이 필요한 문제이다

북한 사람들은 억양을 통해 자신의 신분이 드러나게 되면 자신이 북

한이탈주민임을 밝 야 할지 숨겨야 할지 고민하게 된다 이는 자신이

북한이탈주민임을 밝혔을 때 남한 사람들이 무시하거나 견제하는 등 자

신을 이질 인 존재로 인식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과 걱정 때문이다

이로 인해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 주민들과의 교제에 있어서 자신감이

부족한 편이며 남한 주민들이 자신들에 해 편견을 가지고 있고 언어

와 생각이 다소 다르기 때문에 남한 주민들과의 교제가 어렵다고 생각

한다 북한이탈주민들은 특히 자신들이 쓰는 말씨를 남한 주민들이 잘

알아듣지 못할 때에 매우 당혹해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남한 주민들로

부터 말씨가 달라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는다는 말을 듣는 것 자체가 자

신들에 한 무시로 느껴진다고 한다(조정아정진경 2006) 남한 사회

2)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 정착 지원을 하여 설치한 통일부 소속 기 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하나원에서 평균 3개월의 정착 훈련을 받게

되는데 정착 로그램 하나가 언어 응 교육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5

에서 북한이탈주민을 포용 인 태도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

이다 이러한 상은 그동안 북한을 다문화 인 에서 수용하려는

자세에 한 교육 다문화 문식성에 한 교육이 부족하 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남한인에게는 북한이탈주민의 발음과 억양을 수용하려는

태도3)와 언어 훈련이 필요하다 한 북한 말투를 경상도 방언이나

라도 방언과 같이 지역 방언의 일부로 받아들이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언어의 차이 어나 외국어투 표 때문에 북한이탈주민들이 이용

할 수 있는 정보의 범 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이는 남한 사람들과의

의사소통 상황을 두렵게 만듦으로써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 고립을

가속화시킨다 즉 언어가 서로 달라 남한 사람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험들이 반복되면서 자기도 모르게 심리 으로 축

되어 최소한의 의사소통만을 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생기는 것이

다 언어의 장벽 그로 인한 보이지 않는 심리 장벽을 넘어서야 남한

사람들과 의미 있는 계가 시작될 수 있고 이 사회 연결망을 통해

생활 교육 취업 직장 생활과 련된 각종 정보들을 입수할 뿐만 아니

라 문제 상황에서 필요한 사회 지지도 받을 수 있다(Bidet 2009)

22 탈북 청소년의 학교생활 응 실태

2012년 4월 재 탈북 청소년은 총 2202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

국의 고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학생은 1992명이고

일제 안 교육 시설에 210명이다

3) 북한이탈주민의 발음과 억양에 남한인이 익숙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수용하려는 태도와 함께 실질 으로 차이가 나는 발음과 억양을 알

아들을 수 있는 열린 귀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2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lt표 1gt 탈북 청소년 재학 황 (2012년 4월 기 )

구분

정규 학교안 교육 시설

( 일제)계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남 여 남 여 남 여

재학 황

602명 602명 162명 189명 212명 225명

210명(95)

2202명(100)

1204명 351명 437명

1992명(905)

안 교육 시설 재학생은 일제 민간 교육 시설에서 수학하는 학생임

이들 부분은 하나원의 하나둘학교 삼죽 등학교 한겨 고등학

교에서 기 응 교육을 받고 하늘꿈학교 한꿈학교 여명학교 셋넷학

교 등의 일제 안 학교와 성인 야학 그룹홈 방과 후 공부방 등의

안 학교에서 보충 교육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들 부분은 탈북 과정에서 나타난 장기간의 학습 시간 부

족과 공백 그리고 무 다른 북한과 남한 내 학교 문화와 교육과정의

차이로 인해 학생 스스로 자존감을 갖지 못하고 부 응 상태에 놓여

있는 실정이다

탈북 학생들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해 통일부 산하 하나원

교육과학기술부는 lsquo 등교육법시행령 개정rsquo lsquo정규 학교의 맞춤형 교육

사업 지원rsquo lsquo민간 교육 시설 재정 지원rsquo lsquo통일부와 연계한 디딤돌 교육

기 설립을 통한 기 응 교육 지원rsquo 등의 지원 체계를 세우고 있다

특히 2009년 9월 문 인 지원 기구로 lsquo탈북청소년지원센터rsquo를 설립하

여 보다 체계 인 탈북 청소년 교육 지원 체계를 갖추는 한편 기

응을 한 교육과정 운 진로 상담 맞춤형 교육 운 민간단체

지원 안 학교 설립 련 규정 완화 등의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탈북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 의

하나는 학교 공부이다 하나원의 정규 학교 공립 학교 안 학교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7

이 탈북 청소년들의 상황과 수 을 고려한 로그램을 개발 교육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학습 부 응으로 도 탈락하는 사례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응 기간 일반 학교 과정에서 교과 수업에 한 기

학력 부족으로 인한 자신감 상실과 부 응 문제는 탈북 학생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 의 하나이다

많은 수의 탈북 학생들이 밝힌 학교 교과 수업이 어려운 이유 하

나는 배우는 내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내용은 남한과 북

한의 이질 인 삶문화학문 배경에 따른 남한과 북한의 교과 내

용 차이이며 이로 인한 학습 부진과 부 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삶 문화 교과와 련된 배경지식의 이질화를 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탈북 학생들의 상황과 수 을 고려한 맞춤

형 교육과정과 교재를 개발하고 맞춤형 수업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두되고 있다

특히 탈북 학생들에게 학습에 필요한 능력을 키워 수 있는 기

도구 교과인 국어의 요성을 감안할 때 국어과의 보충 학습을 비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며 통일을 비한 교육과정 개발이 실히

필요하다

북한의 국어 교육 내용과 남한의 국어 교육 내용 사이에는 격한 차

이가 있다 북한에서는 특히 말하기 교육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 과

정을 거쳐 말할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자신의 언어 능력을 신장시키

도록 하는 내용보다는 말할 내용을 교과서에 직 제시하고 그 내용의

한 부분을 변형하여 앵무새처럼 외게 하거나 이데올로기 련 내용을 주

입하기 해 이른바 명 사상과 련된 내용을 암송하게 하는 식의 lsquo이

야기하기rsquo 형식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언어 교육을 정치 도구화하여 사

상 교양의 수단으로 삼고 있는 사례이다(박 목이인제 19988)

읽기 교육의 내용은 낭독하기 심으로 선정되었고 특히 읽기 제재

련 독해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는 에서 남한과의 차이 이 확연하

2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게 드러난다 북한에서의 읽기 제재는 주로 김일성과 그 일가의 우상화

와 련된 제재이기 때문에 의 내용에 해 분석하거나 평가하는 이

른바 해석 비 수 의 읽기 능력을 계발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할

수도 있다 이것이 말하기 활동과 유기 인 련성을 갖는 듯하면서

도 특정 내용을 암기하게 하는 방편이라는 에도 주목해야 한다 그

이유는 읽기 교육의 내용으로 읽기 자료에 한 비 해석 수 의

읽기 활동이나 그를 한 교육 내용이 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박 목이인제 19988)

한 쓰기 교육에서도 문장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으

나 담화 구성하기 즉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물론 쓰기의 기 가 문장 수련에 있다는 논리를 개할 수는 있다 그

러나 단순 기계 반복 훈련에 지나지 않는 짧은 짓기 일변도의 내용

선정은 남한의 쓰기 교육 과 차이가 나는 이다 이는 북한이 학생들

의 창의 인 언어 사용을 시하기보다는 특정 인물에 한 우상화의 한

방편으로 그것도 사상 교양과 련되는 특정 내용을 주입하기 해 교

육을 수단으로 삼는 구체 인 가 된다(박 목이인제 19988)

북한의 사상 교육이 어느 정도로 강화되고 있는지는 실제로 북한의

국어 교과서를 분석해 보면 확연히 알 수 있다4) 읽기 말하기 쓰기와

4)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한 분석은 국립국어원(1992144)를 참고

할 수 있다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비해 최근 소학교 국어 교과

서의 사상 교육 모습은 다소 약화되었다 그러나 여 히 사상 교육이 강하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009년 개정된 북한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 2학년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이하 띄어쓰기는 북한 교과서를 따름)

1과-한 가 한시간 되어 수 없을가(동시) 한 령도자 김정일원수님

께서 친히 지으신 시

2과-잊을수 없는 그날(생활문) 집에서 반일지를 쓰고있을 때 김일성 원

수님께서 우리집에 찾아옴

3과-귀 한 45분(생활문) 수학시간 일화 선생님의 설명에 귀담아들어야 함

4과- 한 원수님을 우러러(생활문) 김정일원수님 고맙습니다

5과-우리보다 고운 꽃 없어요(동시) 경애하는 원수님 꽃피워주신 우리보다

고운 꽃 더는 없지요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9

같은 언어 기능 단원에서조차 내용은 모두 직 으로 주체사상과 연

계되어 있다(정주리 19977)

이상과 같이 남북의 국어과 교육의 차이는 북한이탈 학생의 학업

학교생활 응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탈북 청소년 학교생활에 응하지 못하고5) 도 탈락하는 비율

은 2010년 재 등학교 25 학교 44 고등학교 101로 체

탈락률이 47에 이른다 최고치 던 2007년 108에 비해 폭 낮아

진 것은 다행스럽다 이에 비해 남한 학생의 도 탈락률은 등학교

03 학교 08 고교 18이며 체로는 08에 불과하다 그 차

이가 무 크다(한만길 2012)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 비율은 매우 심각한 수 이다 이러한 학

6과-두 친구(동화) 곰을 피해 나무에 올라간 친구와 죽은체 하고있었던

친구 이야기

7과-백두산의 어린 장수( 기문) 김정일원수님의 어린 시

8과-분이와 인민군 아 씨( 화) 인민군 아 씨를 만난 분이와 그들의

9과-잠 못 드는 내 마음(동시) 원수님생각에 김정일장군님 잘 모셔

갈래요

10과-커가는 가방(생활문) 문건을 많이 넣는 가방과 원수님의 건강을 염

려하는 일군 이야기

11과-오소리와 구리(동화) 겨울나이굴을 매일 는 오소리와 일을 미

룬 구리 이야기

12과-꽃니의 인사( 화) 인사말

13과-들국화(동시) 김정숙어머니 오래오래 받들어 모시고 싶어 들국화는

피여난 요

14과-그림속의 룡마( 기문) 한 장군님께서 룡마를 타고 일제 토벌

를 무 름

15과-이름난 화가 솔거( 기문) 황룡사 소나무를 그린 솔거 이야기

16과- 돌이가 한 말(생활문) 철호네 반동무들이 꽃밭을 가꾸기 해

동무들에게 력락함 (이하 생략)

5) 한국교육개발원의 탈북 학생 조사에 따르면 등학생의 68 학생의

66가 탈북자라는 사실을 숨기고 싶어 한다 학부모 역시 62가 자신의

자녀가 탈북 학생이라는 사실을 공개하고 싶지 않다고 한다 그 이유는 탈

북 학생들이 주변 학생들로부터 소외되거나 따돌림을 당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한만길 2012)

3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력 결손은 남한에서의 정규 학교 진학을 어렵게 하여 고등학교 학

령기의 탈북 청소년 가운데 약 493만이 정규 학교에 재학하고 있다

특히 국어 어 수학 등 주요 과목의 학력 결손이 심하다 북한이탈주

민 학생의 경우 수학 과목에서 최소 기 능력 수인 60 에 도달

하지 못하는 비율이 80를 넘는다 그 이유를 분석해 보면 먼 북한

교육의 행 운 을 들 수 있다 90년 반 이후 학교 선생님들조

차 식량을 구하기 해 학교에 출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었기 때

문에 그 기간 동안 제 로 된 교육이 이루어졌을 리가 없다 둘째

국과 제3국에서의 장기간의 난민 생활로 학업 공백 기간이 긴 경우가

많다 셋째 아래와 같은 남북한의 교육 환경의 차이가 향을 미친다

(이향규 2006)

- 남북한 교육 제도의 차이(북한에서는 어를 시하지 않음)

- 교수 용어의 차이(남한-북한 곡선자-주름자 각-맞은각 뺄셈-

덜기 등)

- 수업 방식의 차이(듣고 말하고 발표하는 수업에 익숙지 않음)

- 평가 방식의 차이(북한에서는 객 식 시험이 없음)

- 틀린 것을 찾는 문제 이해하지 못함

(lsquo정답도 찾기 어려운데 왜 틀린 것을 찾아야 하나rsquo라고 반문함)

- 교육 내용과 평가 항목에 있는 문화 요소에 한 몰이해(상인 문화

상업주의 등)

13세에서 24세까지 11명의 탈북 청소년을 상으로 학교 응 실태를

질 으로 조사한 한 연구에서는 단어 자체의 의미가 북한과는 확연히 다

르거나 혹은 남한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나 사용 맥락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업 활동 교사가 제시하는 단어가

생소하고 설명을 이해하지 못하여도 두려운 마음에 질문하지 못하고 결

국 과제를 회피하거나 수업에 소극 으로 참여하게 된다고 응답하 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1

연구자가 2012년 8월말 송 구 거 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등

학생 4명을 상으로 심층 면 을 한 결과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문

제는 어려움이 덜 하나 교사의 설명이 어렵고 김홍도 링컨 등과 같이

북한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문화 배경 지식이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을 어려워하 다 교과서에 나오는 어휘는 정확히 이해

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추론을 하여 연상할 수 있다고 답변하 다 그

러나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교과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

하 다

특히 집단 활동이나 모둠별 활동을 강조하는 교과의 경우에 남한어

에 서툰 탈북 청소년은 집단원의 진행 화를 빨리 이해하지 못하여

본의 아니게 체 모둠 활동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

다 보면 집단원들의 불평과 따돌림이 발생하게 되어 탈북 청소년은 심

리 상처6)를 받게 된다 탈북 청소년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교과목으

로는 수학과 어를 들 수 있고 사회와 국어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국어는 남북한 언어의 차이로 인한 혼란이 반 된 것으로 보인

다(이수연 2008)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의 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 남북한 교과서

용어의 이질성에 해 국립국어원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의 교과서를 바

꿔 읽을 때 학생들의 용어 이해도는 50 이하로 상된다 교과서에는

학술 용어만이 아닌 일반 용어도 등장하는데 이 역시 읽기가 쉽지 않

다 를 들어 lsquo사주(使嗾)하다(남)사 하다(북) 왜곡(歪曲)(남)외곡

(북)rsquo 등의 남북한 간에 다른 용어만 보더라도 남한 학교 교육 과정에

6) 북한이탈주민들은 2음 어휘에서는 두 번째 음 에 3음 어휘에서는 첫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한다 그러나 남한에서는 2음 에서는 첫

번째 음 에 3음 에서는 두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하는 것이

일반 이다 이러한 언어 습 은 탈북 학생이 학 에서 큰 소리로 책을

읽을 때도 드러난다 거 등학교에서는 5학년 탈북 학생인 김학생이

책을 읽으면서 학생들에게 웃음거리가 되면서 아 학교에서 한 학기 이

상 입을 다물어 버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3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서 탈북 학생이 남한의 학생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일반 용어 사

용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수태 외 2008 김건희 외 2008)

남북한 교과서에 드러난 학술 용어의 차이를 세부 으로 검토해 보

면 국사조선력사 교과의 경우는 단순히 학술 용어의 차이를 뛰어넘어

역사 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탈북 청소년들이 사회 교과를 어

려워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 정치 경제 제도의 차이에 기인하기도 하

지만 북한에서 명목상 사회 과목이 있지만 실제 으로는 사회 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는 것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학 교과의 경우도 미국과 서유럽의 향을 받은 남한의 학문

향과 러시아의 향을 받은 북한의 학문 향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 국제 정세 속에서 정치 경제 외교 문화 향을 어떻게 받으

면서 수용해 왔는가에 한 역사가 교과서 학술 용어에 반 된 것이다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 응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은 인터뷰 내용으

로도 알 수 있다

ldquo처음에 많이 심각했죠 알아듣긴 알아듣는데 애들이 제 말을 못

알아듣는 거 요 그래서 많이 바꾸려고 노력했어요rdquo(탈북 청소년A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왔을 땐 조 이상했는데 방 익숙해졌어요 하나원에서

의 교육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rdquo(탈북 청소년B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는 알아듣는데요 애들이 못 알아듣는 거 요 단어도

다르고helliphellip 그래서 북한에서 왔다고 말했어요(탈북 청소년 인터뷰

C 장문강 2008210)

입국 기에 주로 언어 소통의 어려움을 느끼는데 남한 아이들의

말을 새터민 청소년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보다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특유의 억양과 상이한 단어 사용으로 인하여 남한의 아이들이 이해하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3

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교사들은 주로 서를 많이 해주는 데 비해서 남한의 교사들

은 그냥 설명을 하고 요한 것은 학생들이 알아서 필기하는 경우가

많은 문화도 언어의 차이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인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 차이와 함께 남한 학생들의 언어 태도 문제가 탈북 청소년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기도 한다 학교를 퇴한 한 학생의 경험에 의하면

그 학생이 컴퓨터를 하고 있을 경우 ldquo 이거 할 아니rdquo ldquo그 지

네가 당연히 못하지rdquo ldquo 이거 먹어 봤어rdquo 등 남한 학생들의 편견과

선입견에 사로잡 확인하고자 하는 태도가 탈북 청소년에게 큰 상처

를 다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인식이 탈북 청소년에게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문강(2008)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학교 응

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의 사회 교육을 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들이 교육이라는 체제를 통해 융합하고 통합하

고자 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이다(장문강 2008198)

학에서의 응도 쉽지 않다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학에 을 둔

인원은 약 700여 명이며 학업 보충 생활비 마련 등을 이유로 한 휴학

생을 제외한 재학생은 500여 명에 이른다고 무지개청소년센터는 추산

했다(2009년 7월 6일자 연합뉴스) 북한이탈주민은 재외국민 특별 형

상이지만 재외동포 자녀가 치러야 하는 한국어 시험은 보지 않고

어나 수학 등 일부 과목의 시험을 치러 입 자격을 얻는다 국립 등

록 은 면제이며 사립 의 경우는 50를 정부에서 보조하고 있다(통

일부)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입학을 하게 되어도 학 교육을 따라가

기가 쉽지 않다 연구자가 만난 한 북한이탈주민은 간호학과를 들어가

게 되었는데 간호학과 련된 교육 내용에서 어로 된 문어가 무

많아 공부를 계속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했다

3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3 취업 직장 생활에서의 언어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취업을 해 노력하지만 북한에서의 학력과 경력

자격증을 인정받지 못하고 남한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나 기술 등을 갖

추지 못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탈북자라는 신분 때문에 취업의 어

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구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진학이나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에 필요한 직업 기술을 갖추려고 하거나 정부의

지원 과 비정규직 수입에 의존하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 남성은 정규

직 취업을 기 하며 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반면 북한

이탈주민 여성들은 식당 주방일이나 형 마트의 계산원 병원 도우미

가사 도우미 등의 취업 기회가 남성보다 많지만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

고 소득도 낮은 수 이다

한 북한이탈주민이 어렵게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언어 차이로 인한 갈등 컴퓨터와 어 등으로 인한 직무 능력의 문제

남북한의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 차이로 인한 갈등 무 심과 경쟁주의

가 만연한 남한의 직장 문화로 인한 갈등 남북한 사람들 간의 의사소

통 방식의 차이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태도 등으로 인한 갈등

을 겪는다 이로 인해 직장 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고 자주 이직하는 문

제가 나타난다(조정아정진경 2006)

직장 생활 기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은 언어 문제와 편견 차별

우인 것으로 나타났고 3년 이상의 응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장래

성 부재 임 해당 분야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래어를 비롯한 남북한 언어 차이

어 컴퓨터 용어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

가 하는 것은 특히 직장 생활의 기 응을 결정짓는 건이 된다고

한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2: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lt그림 1gt 북한이탈주민 입국 황 (통일부 자료 2012년 7월 검색)

지 도 수십만에 이르는 북한이탈주민들이 국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등 제3국에 체류하면서 남한 입국을 계획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

의 수는 북한의 정치경제 상황과 남북 계 주변국 정세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지만 지 추세라면 매년 수천 명이 넘는 북한이탈

주민들이 남한에 들어올 것으로 상된다

북한이탈주민은 한민국에 들어온 이후 남북한의 언어 차이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다 그 남한의 낯선 어휘로 인해 매우 힘들

어한다 특히 수많은 외래어와 외국어는 북한이탈주민의 언어생활에 많

은 부담을 다 그 결과 북한이탈주민은 일상생활 직장 생활 학교생

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에서 경험하게 되는 언어생활의 응 양상을 살

펴보고 행 북한이탈주민의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본 후 독일의 통합

정책을 검토하여 정책 제언을 하고자 한다 남북의 언어 차이는 언어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3

문화 차원에서 근할 필요가 있으며 북한이탈주민의 문제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근할 필요가 있다 겉으로는 언어의 차이로 생각되는

것이 핵심으로 들어가게 되면 사회 체제의 차이 문화의 차이로 발생하

게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2 북한이탈주민의 적응 실태

21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생활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이질 인 남한 문화로 인해 의식주 생활 쇼핑 교

통수단 이용 통신 기기 구입과 사용 공서 이용 등 남한에서의 기본

인 생활을 하는 데 불편을 겪고 있다

먼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 사회에 응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상당 부분이 소비 생활로부터 기인한다 기본 으로 북한 사회와는

다른 경제 체제로 운 되는 남한 사회를 이해하고 이에 응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일상 인 부분에서는 경제 구조나 화폐 단

에 한 이해뿐 아니라 사소한 구매 방식에 있어서도 정착 기에는

어려움을 겪는다 한 지역 사회의 공공 기 이나 간단한 정보화 기

기 교통 시설의 이용은 시행착오와 타인 찰 모방 등을 통해 쉽게

익숙해지기는 하지만 짧은 시간이더라도 당혹감과 심리 스트 스를

경험하며 50 60 주부의 경우에는 자동 매기나 지하철 이용 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남한 사회에서는 이제 거의 필수 인 신용 카드

에 해서 북한이탈주민들은 부분 거부감을 가지고 있으며 신용 카

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북한이탈주민들이 특별히 호소하는

소비 생활의 어려움은 물건 이름이다 상품의 종류가 다양하고 많은데

다가 외래어가 많아서 매우 큰 어려움을 겪는다(이기춘 외 2001) 남한

2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에 유입되는 어 랑스어 이탈리어 등의 외래어는 물건 상품명

의 수입과 더불어 발생한 것이 많다 이는 러시아와 국을 심으로

교역이 이루어지고 문화가 유입되는 북한과 서유럽 아메리카를 심으

로 교역이 이루어지고 문화가 유입되는 남한의 사정을 그 로 반 한

것이다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서 북한이탈주민들은 새로운 환경과 생활에

응해 간다 그동안 겪는 손실과 구매 후 불만족 그리고 당혹감

과 갈등에서 오는 심리 스트 스를 정확하게 측정한 연구는 없지만

상당한 비용과 정서 에 지를 소모하고 있으며 심리 상처를 입고

있다고 북한이탈주민들은 말한다 재 하나원2) 수료 후 북한이탈주민

교육은 주로 취업 훈련에 을 두고 있다 그러나 직업 교육에 앞서

기 인 일상생활 응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직업 교육은 시

간을 두어 이루어져야 할 문제이고 지속 인 지원이 필요한 문제이다

북한 사람들은 억양을 통해 자신의 신분이 드러나게 되면 자신이 북

한이탈주민임을 밝 야 할지 숨겨야 할지 고민하게 된다 이는 자신이

북한이탈주민임을 밝혔을 때 남한 사람들이 무시하거나 견제하는 등 자

신을 이질 인 존재로 인식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과 걱정 때문이다

이로 인해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 주민들과의 교제에 있어서 자신감이

부족한 편이며 남한 주민들이 자신들에 해 편견을 가지고 있고 언어

와 생각이 다소 다르기 때문에 남한 주민들과의 교제가 어렵다고 생각

한다 북한이탈주민들은 특히 자신들이 쓰는 말씨를 남한 주민들이 잘

알아듣지 못할 때에 매우 당혹해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남한 주민들로

부터 말씨가 달라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는다는 말을 듣는 것 자체가 자

신들에 한 무시로 느껴진다고 한다(조정아정진경 2006) 남한 사회

2)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 정착 지원을 하여 설치한 통일부 소속 기 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하나원에서 평균 3개월의 정착 훈련을 받게

되는데 정착 로그램 하나가 언어 응 교육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5

에서 북한이탈주민을 포용 인 태도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

이다 이러한 상은 그동안 북한을 다문화 인 에서 수용하려는

자세에 한 교육 다문화 문식성에 한 교육이 부족하 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남한인에게는 북한이탈주민의 발음과 억양을 수용하려는

태도3)와 언어 훈련이 필요하다 한 북한 말투를 경상도 방언이나

라도 방언과 같이 지역 방언의 일부로 받아들이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언어의 차이 어나 외국어투 표 때문에 북한이탈주민들이 이용

할 수 있는 정보의 범 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이는 남한 사람들과의

의사소통 상황을 두렵게 만듦으로써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 고립을

가속화시킨다 즉 언어가 서로 달라 남한 사람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험들이 반복되면서 자기도 모르게 심리 으로 축

되어 최소한의 의사소통만을 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생기는 것이

다 언어의 장벽 그로 인한 보이지 않는 심리 장벽을 넘어서야 남한

사람들과 의미 있는 계가 시작될 수 있고 이 사회 연결망을 통해

생활 교육 취업 직장 생활과 련된 각종 정보들을 입수할 뿐만 아니

라 문제 상황에서 필요한 사회 지지도 받을 수 있다(Bidet 2009)

22 탈북 청소년의 학교생활 응 실태

2012년 4월 재 탈북 청소년은 총 2202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

국의 고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학생은 1992명이고

일제 안 교육 시설에 210명이다

3) 북한이탈주민의 발음과 억양에 남한인이 익숙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수용하려는 태도와 함께 실질 으로 차이가 나는 발음과 억양을 알

아들을 수 있는 열린 귀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2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lt표 1gt 탈북 청소년 재학 황 (2012년 4월 기 )

구분

정규 학교안 교육 시설

( 일제)계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남 여 남 여 남 여

재학 황

602명 602명 162명 189명 212명 225명

210명(95)

2202명(100)

1204명 351명 437명

1992명(905)

안 교육 시설 재학생은 일제 민간 교육 시설에서 수학하는 학생임

이들 부분은 하나원의 하나둘학교 삼죽 등학교 한겨 고등학

교에서 기 응 교육을 받고 하늘꿈학교 한꿈학교 여명학교 셋넷학

교 등의 일제 안 학교와 성인 야학 그룹홈 방과 후 공부방 등의

안 학교에서 보충 교육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들 부분은 탈북 과정에서 나타난 장기간의 학습 시간 부

족과 공백 그리고 무 다른 북한과 남한 내 학교 문화와 교육과정의

차이로 인해 학생 스스로 자존감을 갖지 못하고 부 응 상태에 놓여

있는 실정이다

탈북 학생들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해 통일부 산하 하나원

교육과학기술부는 lsquo 등교육법시행령 개정rsquo lsquo정규 학교의 맞춤형 교육

사업 지원rsquo lsquo민간 교육 시설 재정 지원rsquo lsquo통일부와 연계한 디딤돌 교육

기 설립을 통한 기 응 교육 지원rsquo 등의 지원 체계를 세우고 있다

특히 2009년 9월 문 인 지원 기구로 lsquo탈북청소년지원센터rsquo를 설립하

여 보다 체계 인 탈북 청소년 교육 지원 체계를 갖추는 한편 기

응을 한 교육과정 운 진로 상담 맞춤형 교육 운 민간단체

지원 안 학교 설립 련 규정 완화 등의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탈북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 의

하나는 학교 공부이다 하나원의 정규 학교 공립 학교 안 학교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7

이 탈북 청소년들의 상황과 수 을 고려한 로그램을 개발 교육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학습 부 응으로 도 탈락하는 사례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응 기간 일반 학교 과정에서 교과 수업에 한 기

학력 부족으로 인한 자신감 상실과 부 응 문제는 탈북 학생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 의 하나이다

많은 수의 탈북 학생들이 밝힌 학교 교과 수업이 어려운 이유 하

나는 배우는 내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내용은 남한과 북

한의 이질 인 삶문화학문 배경에 따른 남한과 북한의 교과 내

용 차이이며 이로 인한 학습 부진과 부 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삶 문화 교과와 련된 배경지식의 이질화를 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탈북 학생들의 상황과 수 을 고려한 맞춤

형 교육과정과 교재를 개발하고 맞춤형 수업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두되고 있다

특히 탈북 학생들에게 학습에 필요한 능력을 키워 수 있는 기

도구 교과인 국어의 요성을 감안할 때 국어과의 보충 학습을 비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며 통일을 비한 교육과정 개발이 실히

필요하다

북한의 국어 교육 내용과 남한의 국어 교육 내용 사이에는 격한 차

이가 있다 북한에서는 특히 말하기 교육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 과

정을 거쳐 말할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자신의 언어 능력을 신장시키

도록 하는 내용보다는 말할 내용을 교과서에 직 제시하고 그 내용의

한 부분을 변형하여 앵무새처럼 외게 하거나 이데올로기 련 내용을 주

입하기 해 이른바 명 사상과 련된 내용을 암송하게 하는 식의 lsquo이

야기하기rsquo 형식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언어 교육을 정치 도구화하여 사

상 교양의 수단으로 삼고 있는 사례이다(박 목이인제 19988)

읽기 교육의 내용은 낭독하기 심으로 선정되었고 특히 읽기 제재

련 독해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는 에서 남한과의 차이 이 확연하

2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게 드러난다 북한에서의 읽기 제재는 주로 김일성과 그 일가의 우상화

와 련된 제재이기 때문에 의 내용에 해 분석하거나 평가하는 이

른바 해석 비 수 의 읽기 능력을 계발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할

수도 있다 이것이 말하기 활동과 유기 인 련성을 갖는 듯하면서

도 특정 내용을 암기하게 하는 방편이라는 에도 주목해야 한다 그

이유는 읽기 교육의 내용으로 읽기 자료에 한 비 해석 수 의

읽기 활동이나 그를 한 교육 내용이 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박 목이인제 19988)

한 쓰기 교육에서도 문장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으

나 담화 구성하기 즉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물론 쓰기의 기 가 문장 수련에 있다는 논리를 개할 수는 있다 그

러나 단순 기계 반복 훈련에 지나지 않는 짧은 짓기 일변도의 내용

선정은 남한의 쓰기 교육 과 차이가 나는 이다 이는 북한이 학생들

의 창의 인 언어 사용을 시하기보다는 특정 인물에 한 우상화의 한

방편으로 그것도 사상 교양과 련되는 특정 내용을 주입하기 해 교

육을 수단으로 삼는 구체 인 가 된다(박 목이인제 19988)

북한의 사상 교육이 어느 정도로 강화되고 있는지는 실제로 북한의

국어 교과서를 분석해 보면 확연히 알 수 있다4) 읽기 말하기 쓰기와

4)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한 분석은 국립국어원(1992144)를 참고

할 수 있다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비해 최근 소학교 국어 교과

서의 사상 교육 모습은 다소 약화되었다 그러나 여 히 사상 교육이 강하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009년 개정된 북한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 2학년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이하 띄어쓰기는 북한 교과서를 따름)

1과-한 가 한시간 되어 수 없을가(동시) 한 령도자 김정일원수님

께서 친히 지으신 시

2과-잊을수 없는 그날(생활문) 집에서 반일지를 쓰고있을 때 김일성 원

수님께서 우리집에 찾아옴

3과-귀 한 45분(생활문) 수학시간 일화 선생님의 설명에 귀담아들어야 함

4과- 한 원수님을 우러러(생활문) 김정일원수님 고맙습니다

5과-우리보다 고운 꽃 없어요(동시) 경애하는 원수님 꽃피워주신 우리보다

고운 꽃 더는 없지요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9

같은 언어 기능 단원에서조차 내용은 모두 직 으로 주체사상과 연

계되어 있다(정주리 19977)

이상과 같이 남북의 국어과 교육의 차이는 북한이탈 학생의 학업

학교생활 응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탈북 청소년 학교생활에 응하지 못하고5) 도 탈락하는 비율

은 2010년 재 등학교 25 학교 44 고등학교 101로 체

탈락률이 47에 이른다 최고치 던 2007년 108에 비해 폭 낮아

진 것은 다행스럽다 이에 비해 남한 학생의 도 탈락률은 등학교

03 학교 08 고교 18이며 체로는 08에 불과하다 그 차

이가 무 크다(한만길 2012)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 비율은 매우 심각한 수 이다 이러한 학

6과-두 친구(동화) 곰을 피해 나무에 올라간 친구와 죽은체 하고있었던

친구 이야기

7과-백두산의 어린 장수( 기문) 김정일원수님의 어린 시

8과-분이와 인민군 아 씨( 화) 인민군 아 씨를 만난 분이와 그들의

9과-잠 못 드는 내 마음(동시) 원수님생각에 김정일장군님 잘 모셔

갈래요

10과-커가는 가방(생활문) 문건을 많이 넣는 가방과 원수님의 건강을 염

려하는 일군 이야기

11과-오소리와 구리(동화) 겨울나이굴을 매일 는 오소리와 일을 미

룬 구리 이야기

12과-꽃니의 인사( 화) 인사말

13과-들국화(동시) 김정숙어머니 오래오래 받들어 모시고 싶어 들국화는

피여난 요

14과-그림속의 룡마( 기문) 한 장군님께서 룡마를 타고 일제 토벌

를 무 름

15과-이름난 화가 솔거( 기문) 황룡사 소나무를 그린 솔거 이야기

16과- 돌이가 한 말(생활문) 철호네 반동무들이 꽃밭을 가꾸기 해

동무들에게 력락함 (이하 생략)

5) 한국교육개발원의 탈북 학생 조사에 따르면 등학생의 68 학생의

66가 탈북자라는 사실을 숨기고 싶어 한다 학부모 역시 62가 자신의

자녀가 탈북 학생이라는 사실을 공개하고 싶지 않다고 한다 그 이유는 탈

북 학생들이 주변 학생들로부터 소외되거나 따돌림을 당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한만길 2012)

3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력 결손은 남한에서의 정규 학교 진학을 어렵게 하여 고등학교 학

령기의 탈북 청소년 가운데 약 493만이 정규 학교에 재학하고 있다

특히 국어 어 수학 등 주요 과목의 학력 결손이 심하다 북한이탈주

민 학생의 경우 수학 과목에서 최소 기 능력 수인 60 에 도달

하지 못하는 비율이 80를 넘는다 그 이유를 분석해 보면 먼 북한

교육의 행 운 을 들 수 있다 90년 반 이후 학교 선생님들조

차 식량을 구하기 해 학교에 출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었기 때

문에 그 기간 동안 제 로 된 교육이 이루어졌을 리가 없다 둘째

국과 제3국에서의 장기간의 난민 생활로 학업 공백 기간이 긴 경우가

많다 셋째 아래와 같은 남북한의 교육 환경의 차이가 향을 미친다

(이향규 2006)

- 남북한 교육 제도의 차이(북한에서는 어를 시하지 않음)

- 교수 용어의 차이(남한-북한 곡선자-주름자 각-맞은각 뺄셈-

덜기 등)

- 수업 방식의 차이(듣고 말하고 발표하는 수업에 익숙지 않음)

- 평가 방식의 차이(북한에서는 객 식 시험이 없음)

- 틀린 것을 찾는 문제 이해하지 못함

(lsquo정답도 찾기 어려운데 왜 틀린 것을 찾아야 하나rsquo라고 반문함)

- 교육 내용과 평가 항목에 있는 문화 요소에 한 몰이해(상인 문화

상업주의 등)

13세에서 24세까지 11명의 탈북 청소년을 상으로 학교 응 실태를

질 으로 조사한 한 연구에서는 단어 자체의 의미가 북한과는 확연히 다

르거나 혹은 남한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나 사용 맥락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업 활동 교사가 제시하는 단어가

생소하고 설명을 이해하지 못하여도 두려운 마음에 질문하지 못하고 결

국 과제를 회피하거나 수업에 소극 으로 참여하게 된다고 응답하 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1

연구자가 2012년 8월말 송 구 거 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등

학생 4명을 상으로 심층 면 을 한 결과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문

제는 어려움이 덜 하나 교사의 설명이 어렵고 김홍도 링컨 등과 같이

북한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문화 배경 지식이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을 어려워하 다 교과서에 나오는 어휘는 정확히 이해

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추론을 하여 연상할 수 있다고 답변하 다 그

러나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교과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

하 다

특히 집단 활동이나 모둠별 활동을 강조하는 교과의 경우에 남한어

에 서툰 탈북 청소년은 집단원의 진행 화를 빨리 이해하지 못하여

본의 아니게 체 모둠 활동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

다 보면 집단원들의 불평과 따돌림이 발생하게 되어 탈북 청소년은 심

리 상처6)를 받게 된다 탈북 청소년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교과목으

로는 수학과 어를 들 수 있고 사회와 국어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국어는 남북한 언어의 차이로 인한 혼란이 반 된 것으로 보인

다(이수연 2008)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의 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 남북한 교과서

용어의 이질성에 해 국립국어원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의 교과서를 바

꿔 읽을 때 학생들의 용어 이해도는 50 이하로 상된다 교과서에는

학술 용어만이 아닌 일반 용어도 등장하는데 이 역시 읽기가 쉽지 않

다 를 들어 lsquo사주(使嗾)하다(남)사 하다(북) 왜곡(歪曲)(남)외곡

(북)rsquo 등의 남북한 간에 다른 용어만 보더라도 남한 학교 교육 과정에

6) 북한이탈주민들은 2음 어휘에서는 두 번째 음 에 3음 어휘에서는 첫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한다 그러나 남한에서는 2음 에서는 첫

번째 음 에 3음 에서는 두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하는 것이

일반 이다 이러한 언어 습 은 탈북 학생이 학 에서 큰 소리로 책을

읽을 때도 드러난다 거 등학교에서는 5학년 탈북 학생인 김학생이

책을 읽으면서 학생들에게 웃음거리가 되면서 아 학교에서 한 학기 이

상 입을 다물어 버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3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서 탈북 학생이 남한의 학생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일반 용어 사

용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수태 외 2008 김건희 외 2008)

남북한 교과서에 드러난 학술 용어의 차이를 세부 으로 검토해 보

면 국사조선력사 교과의 경우는 단순히 학술 용어의 차이를 뛰어넘어

역사 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탈북 청소년들이 사회 교과를 어

려워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 정치 경제 제도의 차이에 기인하기도 하

지만 북한에서 명목상 사회 과목이 있지만 실제 으로는 사회 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는 것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학 교과의 경우도 미국과 서유럽의 향을 받은 남한의 학문

향과 러시아의 향을 받은 북한의 학문 향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 국제 정세 속에서 정치 경제 외교 문화 향을 어떻게 받으

면서 수용해 왔는가에 한 역사가 교과서 학술 용어에 반 된 것이다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 응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은 인터뷰 내용으

로도 알 수 있다

ldquo처음에 많이 심각했죠 알아듣긴 알아듣는데 애들이 제 말을 못

알아듣는 거 요 그래서 많이 바꾸려고 노력했어요rdquo(탈북 청소년A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왔을 땐 조 이상했는데 방 익숙해졌어요 하나원에서

의 교육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rdquo(탈북 청소년B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는 알아듣는데요 애들이 못 알아듣는 거 요 단어도

다르고helliphellip 그래서 북한에서 왔다고 말했어요(탈북 청소년 인터뷰

C 장문강 2008210)

입국 기에 주로 언어 소통의 어려움을 느끼는데 남한 아이들의

말을 새터민 청소년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보다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특유의 억양과 상이한 단어 사용으로 인하여 남한의 아이들이 이해하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3

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교사들은 주로 서를 많이 해주는 데 비해서 남한의 교사들

은 그냥 설명을 하고 요한 것은 학생들이 알아서 필기하는 경우가

많은 문화도 언어의 차이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인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 차이와 함께 남한 학생들의 언어 태도 문제가 탈북 청소년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기도 한다 학교를 퇴한 한 학생의 경험에 의하면

그 학생이 컴퓨터를 하고 있을 경우 ldquo 이거 할 아니rdquo ldquo그 지

네가 당연히 못하지rdquo ldquo 이거 먹어 봤어rdquo 등 남한 학생들의 편견과

선입견에 사로잡 확인하고자 하는 태도가 탈북 청소년에게 큰 상처

를 다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인식이 탈북 청소년에게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문강(2008)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학교 응

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의 사회 교육을 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들이 교육이라는 체제를 통해 융합하고 통합하

고자 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이다(장문강 2008198)

학에서의 응도 쉽지 않다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학에 을 둔

인원은 약 700여 명이며 학업 보충 생활비 마련 등을 이유로 한 휴학

생을 제외한 재학생은 500여 명에 이른다고 무지개청소년센터는 추산

했다(2009년 7월 6일자 연합뉴스) 북한이탈주민은 재외국민 특별 형

상이지만 재외동포 자녀가 치러야 하는 한국어 시험은 보지 않고

어나 수학 등 일부 과목의 시험을 치러 입 자격을 얻는다 국립 등

록 은 면제이며 사립 의 경우는 50를 정부에서 보조하고 있다(통

일부)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입학을 하게 되어도 학 교육을 따라가

기가 쉽지 않다 연구자가 만난 한 북한이탈주민은 간호학과를 들어가

게 되었는데 간호학과 련된 교육 내용에서 어로 된 문어가 무

많아 공부를 계속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했다

3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3 취업 직장 생활에서의 언어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취업을 해 노력하지만 북한에서의 학력과 경력

자격증을 인정받지 못하고 남한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나 기술 등을 갖

추지 못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탈북자라는 신분 때문에 취업의 어

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구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진학이나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에 필요한 직업 기술을 갖추려고 하거나 정부의

지원 과 비정규직 수입에 의존하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 남성은 정규

직 취업을 기 하며 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반면 북한

이탈주민 여성들은 식당 주방일이나 형 마트의 계산원 병원 도우미

가사 도우미 등의 취업 기회가 남성보다 많지만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

고 소득도 낮은 수 이다

한 북한이탈주민이 어렵게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언어 차이로 인한 갈등 컴퓨터와 어 등으로 인한 직무 능력의 문제

남북한의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 차이로 인한 갈등 무 심과 경쟁주의

가 만연한 남한의 직장 문화로 인한 갈등 남북한 사람들 간의 의사소

통 방식의 차이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태도 등으로 인한 갈등

을 겪는다 이로 인해 직장 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고 자주 이직하는 문

제가 나타난다(조정아정진경 2006)

직장 생활 기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은 언어 문제와 편견 차별

우인 것으로 나타났고 3년 이상의 응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장래

성 부재 임 해당 분야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래어를 비롯한 남북한 언어 차이

어 컴퓨터 용어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

가 하는 것은 특히 직장 생활의 기 응을 결정짓는 건이 된다고

한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3: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3

문화 차원에서 근할 필요가 있으며 북한이탈주민의 문제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근할 필요가 있다 겉으로는 언어의 차이로 생각되는

것이 핵심으로 들어가게 되면 사회 체제의 차이 문화의 차이로 발생하

게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2 북한이탈주민의 적응 실태

21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생활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이질 인 남한 문화로 인해 의식주 생활 쇼핑 교

통수단 이용 통신 기기 구입과 사용 공서 이용 등 남한에서의 기본

인 생활을 하는 데 불편을 겪고 있다

먼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 사회에 응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상당 부분이 소비 생활로부터 기인한다 기본 으로 북한 사회와는

다른 경제 체제로 운 되는 남한 사회를 이해하고 이에 응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일상 인 부분에서는 경제 구조나 화폐 단

에 한 이해뿐 아니라 사소한 구매 방식에 있어서도 정착 기에는

어려움을 겪는다 한 지역 사회의 공공 기 이나 간단한 정보화 기

기 교통 시설의 이용은 시행착오와 타인 찰 모방 등을 통해 쉽게

익숙해지기는 하지만 짧은 시간이더라도 당혹감과 심리 스트 스를

경험하며 50 60 주부의 경우에는 자동 매기나 지하철 이용 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남한 사회에서는 이제 거의 필수 인 신용 카드

에 해서 북한이탈주민들은 부분 거부감을 가지고 있으며 신용 카

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북한이탈주민들이 특별히 호소하는

소비 생활의 어려움은 물건 이름이다 상품의 종류가 다양하고 많은데

다가 외래어가 많아서 매우 큰 어려움을 겪는다(이기춘 외 2001) 남한

2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에 유입되는 어 랑스어 이탈리어 등의 외래어는 물건 상품명

의 수입과 더불어 발생한 것이 많다 이는 러시아와 국을 심으로

교역이 이루어지고 문화가 유입되는 북한과 서유럽 아메리카를 심으

로 교역이 이루어지고 문화가 유입되는 남한의 사정을 그 로 반 한

것이다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서 북한이탈주민들은 새로운 환경과 생활에

응해 간다 그동안 겪는 손실과 구매 후 불만족 그리고 당혹감

과 갈등에서 오는 심리 스트 스를 정확하게 측정한 연구는 없지만

상당한 비용과 정서 에 지를 소모하고 있으며 심리 상처를 입고

있다고 북한이탈주민들은 말한다 재 하나원2) 수료 후 북한이탈주민

교육은 주로 취업 훈련에 을 두고 있다 그러나 직업 교육에 앞서

기 인 일상생활 응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직업 교육은 시

간을 두어 이루어져야 할 문제이고 지속 인 지원이 필요한 문제이다

북한 사람들은 억양을 통해 자신의 신분이 드러나게 되면 자신이 북

한이탈주민임을 밝 야 할지 숨겨야 할지 고민하게 된다 이는 자신이

북한이탈주민임을 밝혔을 때 남한 사람들이 무시하거나 견제하는 등 자

신을 이질 인 존재로 인식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과 걱정 때문이다

이로 인해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 주민들과의 교제에 있어서 자신감이

부족한 편이며 남한 주민들이 자신들에 해 편견을 가지고 있고 언어

와 생각이 다소 다르기 때문에 남한 주민들과의 교제가 어렵다고 생각

한다 북한이탈주민들은 특히 자신들이 쓰는 말씨를 남한 주민들이 잘

알아듣지 못할 때에 매우 당혹해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남한 주민들로

부터 말씨가 달라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는다는 말을 듣는 것 자체가 자

신들에 한 무시로 느껴진다고 한다(조정아정진경 2006) 남한 사회

2)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 정착 지원을 하여 설치한 통일부 소속 기 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하나원에서 평균 3개월의 정착 훈련을 받게

되는데 정착 로그램 하나가 언어 응 교육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5

에서 북한이탈주민을 포용 인 태도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

이다 이러한 상은 그동안 북한을 다문화 인 에서 수용하려는

자세에 한 교육 다문화 문식성에 한 교육이 부족하 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남한인에게는 북한이탈주민의 발음과 억양을 수용하려는

태도3)와 언어 훈련이 필요하다 한 북한 말투를 경상도 방언이나

라도 방언과 같이 지역 방언의 일부로 받아들이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언어의 차이 어나 외국어투 표 때문에 북한이탈주민들이 이용

할 수 있는 정보의 범 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이는 남한 사람들과의

의사소통 상황을 두렵게 만듦으로써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 고립을

가속화시킨다 즉 언어가 서로 달라 남한 사람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험들이 반복되면서 자기도 모르게 심리 으로 축

되어 최소한의 의사소통만을 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생기는 것이

다 언어의 장벽 그로 인한 보이지 않는 심리 장벽을 넘어서야 남한

사람들과 의미 있는 계가 시작될 수 있고 이 사회 연결망을 통해

생활 교육 취업 직장 생활과 련된 각종 정보들을 입수할 뿐만 아니

라 문제 상황에서 필요한 사회 지지도 받을 수 있다(Bidet 2009)

22 탈북 청소년의 학교생활 응 실태

2012년 4월 재 탈북 청소년은 총 2202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

국의 고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학생은 1992명이고

일제 안 교육 시설에 210명이다

3) 북한이탈주민의 발음과 억양에 남한인이 익숙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수용하려는 태도와 함께 실질 으로 차이가 나는 발음과 억양을 알

아들을 수 있는 열린 귀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2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lt표 1gt 탈북 청소년 재학 황 (2012년 4월 기 )

구분

정규 학교안 교육 시설

( 일제)계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남 여 남 여 남 여

재학 황

602명 602명 162명 189명 212명 225명

210명(95)

2202명(100)

1204명 351명 437명

1992명(905)

안 교육 시설 재학생은 일제 민간 교육 시설에서 수학하는 학생임

이들 부분은 하나원의 하나둘학교 삼죽 등학교 한겨 고등학

교에서 기 응 교육을 받고 하늘꿈학교 한꿈학교 여명학교 셋넷학

교 등의 일제 안 학교와 성인 야학 그룹홈 방과 후 공부방 등의

안 학교에서 보충 교육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들 부분은 탈북 과정에서 나타난 장기간의 학습 시간 부

족과 공백 그리고 무 다른 북한과 남한 내 학교 문화와 교육과정의

차이로 인해 학생 스스로 자존감을 갖지 못하고 부 응 상태에 놓여

있는 실정이다

탈북 학생들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해 통일부 산하 하나원

교육과학기술부는 lsquo 등교육법시행령 개정rsquo lsquo정규 학교의 맞춤형 교육

사업 지원rsquo lsquo민간 교육 시설 재정 지원rsquo lsquo통일부와 연계한 디딤돌 교육

기 설립을 통한 기 응 교육 지원rsquo 등의 지원 체계를 세우고 있다

특히 2009년 9월 문 인 지원 기구로 lsquo탈북청소년지원센터rsquo를 설립하

여 보다 체계 인 탈북 청소년 교육 지원 체계를 갖추는 한편 기

응을 한 교육과정 운 진로 상담 맞춤형 교육 운 민간단체

지원 안 학교 설립 련 규정 완화 등의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탈북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 의

하나는 학교 공부이다 하나원의 정규 학교 공립 학교 안 학교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7

이 탈북 청소년들의 상황과 수 을 고려한 로그램을 개발 교육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학습 부 응으로 도 탈락하는 사례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응 기간 일반 학교 과정에서 교과 수업에 한 기

학력 부족으로 인한 자신감 상실과 부 응 문제는 탈북 학생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 의 하나이다

많은 수의 탈북 학생들이 밝힌 학교 교과 수업이 어려운 이유 하

나는 배우는 내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내용은 남한과 북

한의 이질 인 삶문화학문 배경에 따른 남한과 북한의 교과 내

용 차이이며 이로 인한 학습 부진과 부 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삶 문화 교과와 련된 배경지식의 이질화를 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탈북 학생들의 상황과 수 을 고려한 맞춤

형 교육과정과 교재를 개발하고 맞춤형 수업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두되고 있다

특히 탈북 학생들에게 학습에 필요한 능력을 키워 수 있는 기

도구 교과인 국어의 요성을 감안할 때 국어과의 보충 학습을 비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며 통일을 비한 교육과정 개발이 실히

필요하다

북한의 국어 교육 내용과 남한의 국어 교육 내용 사이에는 격한 차

이가 있다 북한에서는 특히 말하기 교육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 과

정을 거쳐 말할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자신의 언어 능력을 신장시키

도록 하는 내용보다는 말할 내용을 교과서에 직 제시하고 그 내용의

한 부분을 변형하여 앵무새처럼 외게 하거나 이데올로기 련 내용을 주

입하기 해 이른바 명 사상과 련된 내용을 암송하게 하는 식의 lsquo이

야기하기rsquo 형식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언어 교육을 정치 도구화하여 사

상 교양의 수단으로 삼고 있는 사례이다(박 목이인제 19988)

읽기 교육의 내용은 낭독하기 심으로 선정되었고 특히 읽기 제재

련 독해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는 에서 남한과의 차이 이 확연하

2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게 드러난다 북한에서의 읽기 제재는 주로 김일성과 그 일가의 우상화

와 련된 제재이기 때문에 의 내용에 해 분석하거나 평가하는 이

른바 해석 비 수 의 읽기 능력을 계발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할

수도 있다 이것이 말하기 활동과 유기 인 련성을 갖는 듯하면서

도 특정 내용을 암기하게 하는 방편이라는 에도 주목해야 한다 그

이유는 읽기 교육의 내용으로 읽기 자료에 한 비 해석 수 의

읽기 활동이나 그를 한 교육 내용이 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박 목이인제 19988)

한 쓰기 교육에서도 문장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으

나 담화 구성하기 즉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물론 쓰기의 기 가 문장 수련에 있다는 논리를 개할 수는 있다 그

러나 단순 기계 반복 훈련에 지나지 않는 짧은 짓기 일변도의 내용

선정은 남한의 쓰기 교육 과 차이가 나는 이다 이는 북한이 학생들

의 창의 인 언어 사용을 시하기보다는 특정 인물에 한 우상화의 한

방편으로 그것도 사상 교양과 련되는 특정 내용을 주입하기 해 교

육을 수단으로 삼는 구체 인 가 된다(박 목이인제 19988)

북한의 사상 교육이 어느 정도로 강화되고 있는지는 실제로 북한의

국어 교과서를 분석해 보면 확연히 알 수 있다4) 읽기 말하기 쓰기와

4)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한 분석은 국립국어원(1992144)를 참고

할 수 있다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비해 최근 소학교 국어 교과

서의 사상 교육 모습은 다소 약화되었다 그러나 여 히 사상 교육이 강하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009년 개정된 북한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 2학년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이하 띄어쓰기는 북한 교과서를 따름)

1과-한 가 한시간 되어 수 없을가(동시) 한 령도자 김정일원수님

께서 친히 지으신 시

2과-잊을수 없는 그날(생활문) 집에서 반일지를 쓰고있을 때 김일성 원

수님께서 우리집에 찾아옴

3과-귀 한 45분(생활문) 수학시간 일화 선생님의 설명에 귀담아들어야 함

4과- 한 원수님을 우러러(생활문) 김정일원수님 고맙습니다

5과-우리보다 고운 꽃 없어요(동시) 경애하는 원수님 꽃피워주신 우리보다

고운 꽃 더는 없지요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9

같은 언어 기능 단원에서조차 내용은 모두 직 으로 주체사상과 연

계되어 있다(정주리 19977)

이상과 같이 남북의 국어과 교육의 차이는 북한이탈 학생의 학업

학교생활 응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탈북 청소년 학교생활에 응하지 못하고5) 도 탈락하는 비율

은 2010년 재 등학교 25 학교 44 고등학교 101로 체

탈락률이 47에 이른다 최고치 던 2007년 108에 비해 폭 낮아

진 것은 다행스럽다 이에 비해 남한 학생의 도 탈락률은 등학교

03 학교 08 고교 18이며 체로는 08에 불과하다 그 차

이가 무 크다(한만길 2012)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 비율은 매우 심각한 수 이다 이러한 학

6과-두 친구(동화) 곰을 피해 나무에 올라간 친구와 죽은체 하고있었던

친구 이야기

7과-백두산의 어린 장수( 기문) 김정일원수님의 어린 시

8과-분이와 인민군 아 씨( 화) 인민군 아 씨를 만난 분이와 그들의

9과-잠 못 드는 내 마음(동시) 원수님생각에 김정일장군님 잘 모셔

갈래요

10과-커가는 가방(생활문) 문건을 많이 넣는 가방과 원수님의 건강을 염

려하는 일군 이야기

11과-오소리와 구리(동화) 겨울나이굴을 매일 는 오소리와 일을 미

룬 구리 이야기

12과-꽃니의 인사( 화) 인사말

13과-들국화(동시) 김정숙어머니 오래오래 받들어 모시고 싶어 들국화는

피여난 요

14과-그림속의 룡마( 기문) 한 장군님께서 룡마를 타고 일제 토벌

를 무 름

15과-이름난 화가 솔거( 기문) 황룡사 소나무를 그린 솔거 이야기

16과- 돌이가 한 말(생활문) 철호네 반동무들이 꽃밭을 가꾸기 해

동무들에게 력락함 (이하 생략)

5) 한국교육개발원의 탈북 학생 조사에 따르면 등학생의 68 학생의

66가 탈북자라는 사실을 숨기고 싶어 한다 학부모 역시 62가 자신의

자녀가 탈북 학생이라는 사실을 공개하고 싶지 않다고 한다 그 이유는 탈

북 학생들이 주변 학생들로부터 소외되거나 따돌림을 당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한만길 2012)

3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력 결손은 남한에서의 정규 학교 진학을 어렵게 하여 고등학교 학

령기의 탈북 청소년 가운데 약 493만이 정규 학교에 재학하고 있다

특히 국어 어 수학 등 주요 과목의 학력 결손이 심하다 북한이탈주

민 학생의 경우 수학 과목에서 최소 기 능력 수인 60 에 도달

하지 못하는 비율이 80를 넘는다 그 이유를 분석해 보면 먼 북한

교육의 행 운 을 들 수 있다 90년 반 이후 학교 선생님들조

차 식량을 구하기 해 학교에 출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었기 때

문에 그 기간 동안 제 로 된 교육이 이루어졌을 리가 없다 둘째

국과 제3국에서의 장기간의 난민 생활로 학업 공백 기간이 긴 경우가

많다 셋째 아래와 같은 남북한의 교육 환경의 차이가 향을 미친다

(이향규 2006)

- 남북한 교육 제도의 차이(북한에서는 어를 시하지 않음)

- 교수 용어의 차이(남한-북한 곡선자-주름자 각-맞은각 뺄셈-

덜기 등)

- 수업 방식의 차이(듣고 말하고 발표하는 수업에 익숙지 않음)

- 평가 방식의 차이(북한에서는 객 식 시험이 없음)

- 틀린 것을 찾는 문제 이해하지 못함

(lsquo정답도 찾기 어려운데 왜 틀린 것을 찾아야 하나rsquo라고 반문함)

- 교육 내용과 평가 항목에 있는 문화 요소에 한 몰이해(상인 문화

상업주의 등)

13세에서 24세까지 11명의 탈북 청소년을 상으로 학교 응 실태를

질 으로 조사한 한 연구에서는 단어 자체의 의미가 북한과는 확연히 다

르거나 혹은 남한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나 사용 맥락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업 활동 교사가 제시하는 단어가

생소하고 설명을 이해하지 못하여도 두려운 마음에 질문하지 못하고 결

국 과제를 회피하거나 수업에 소극 으로 참여하게 된다고 응답하 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1

연구자가 2012년 8월말 송 구 거 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등

학생 4명을 상으로 심층 면 을 한 결과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문

제는 어려움이 덜 하나 교사의 설명이 어렵고 김홍도 링컨 등과 같이

북한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문화 배경 지식이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을 어려워하 다 교과서에 나오는 어휘는 정확히 이해

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추론을 하여 연상할 수 있다고 답변하 다 그

러나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교과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

하 다

특히 집단 활동이나 모둠별 활동을 강조하는 교과의 경우에 남한어

에 서툰 탈북 청소년은 집단원의 진행 화를 빨리 이해하지 못하여

본의 아니게 체 모둠 활동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

다 보면 집단원들의 불평과 따돌림이 발생하게 되어 탈북 청소년은 심

리 상처6)를 받게 된다 탈북 청소년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교과목으

로는 수학과 어를 들 수 있고 사회와 국어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국어는 남북한 언어의 차이로 인한 혼란이 반 된 것으로 보인

다(이수연 2008)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의 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 남북한 교과서

용어의 이질성에 해 국립국어원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의 교과서를 바

꿔 읽을 때 학생들의 용어 이해도는 50 이하로 상된다 교과서에는

학술 용어만이 아닌 일반 용어도 등장하는데 이 역시 읽기가 쉽지 않

다 를 들어 lsquo사주(使嗾)하다(남)사 하다(북) 왜곡(歪曲)(남)외곡

(북)rsquo 등의 남북한 간에 다른 용어만 보더라도 남한 학교 교육 과정에

6) 북한이탈주민들은 2음 어휘에서는 두 번째 음 에 3음 어휘에서는 첫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한다 그러나 남한에서는 2음 에서는 첫

번째 음 에 3음 에서는 두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하는 것이

일반 이다 이러한 언어 습 은 탈북 학생이 학 에서 큰 소리로 책을

읽을 때도 드러난다 거 등학교에서는 5학년 탈북 학생인 김학생이

책을 읽으면서 학생들에게 웃음거리가 되면서 아 학교에서 한 학기 이

상 입을 다물어 버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3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서 탈북 학생이 남한의 학생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일반 용어 사

용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수태 외 2008 김건희 외 2008)

남북한 교과서에 드러난 학술 용어의 차이를 세부 으로 검토해 보

면 국사조선력사 교과의 경우는 단순히 학술 용어의 차이를 뛰어넘어

역사 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탈북 청소년들이 사회 교과를 어

려워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 정치 경제 제도의 차이에 기인하기도 하

지만 북한에서 명목상 사회 과목이 있지만 실제 으로는 사회 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는 것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학 교과의 경우도 미국과 서유럽의 향을 받은 남한의 학문

향과 러시아의 향을 받은 북한의 학문 향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 국제 정세 속에서 정치 경제 외교 문화 향을 어떻게 받으

면서 수용해 왔는가에 한 역사가 교과서 학술 용어에 반 된 것이다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 응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은 인터뷰 내용으

로도 알 수 있다

ldquo처음에 많이 심각했죠 알아듣긴 알아듣는데 애들이 제 말을 못

알아듣는 거 요 그래서 많이 바꾸려고 노력했어요rdquo(탈북 청소년A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왔을 땐 조 이상했는데 방 익숙해졌어요 하나원에서

의 교육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rdquo(탈북 청소년B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는 알아듣는데요 애들이 못 알아듣는 거 요 단어도

다르고helliphellip 그래서 북한에서 왔다고 말했어요(탈북 청소년 인터뷰

C 장문강 2008210)

입국 기에 주로 언어 소통의 어려움을 느끼는데 남한 아이들의

말을 새터민 청소년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보다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특유의 억양과 상이한 단어 사용으로 인하여 남한의 아이들이 이해하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3

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교사들은 주로 서를 많이 해주는 데 비해서 남한의 교사들

은 그냥 설명을 하고 요한 것은 학생들이 알아서 필기하는 경우가

많은 문화도 언어의 차이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인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 차이와 함께 남한 학생들의 언어 태도 문제가 탈북 청소년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기도 한다 학교를 퇴한 한 학생의 경험에 의하면

그 학생이 컴퓨터를 하고 있을 경우 ldquo 이거 할 아니rdquo ldquo그 지

네가 당연히 못하지rdquo ldquo 이거 먹어 봤어rdquo 등 남한 학생들의 편견과

선입견에 사로잡 확인하고자 하는 태도가 탈북 청소년에게 큰 상처

를 다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인식이 탈북 청소년에게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문강(2008)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학교 응

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의 사회 교육을 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들이 교육이라는 체제를 통해 융합하고 통합하

고자 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이다(장문강 2008198)

학에서의 응도 쉽지 않다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학에 을 둔

인원은 약 700여 명이며 학업 보충 생활비 마련 등을 이유로 한 휴학

생을 제외한 재학생은 500여 명에 이른다고 무지개청소년센터는 추산

했다(2009년 7월 6일자 연합뉴스) 북한이탈주민은 재외국민 특별 형

상이지만 재외동포 자녀가 치러야 하는 한국어 시험은 보지 않고

어나 수학 등 일부 과목의 시험을 치러 입 자격을 얻는다 국립 등

록 은 면제이며 사립 의 경우는 50를 정부에서 보조하고 있다(통

일부)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입학을 하게 되어도 학 교육을 따라가

기가 쉽지 않다 연구자가 만난 한 북한이탈주민은 간호학과를 들어가

게 되었는데 간호학과 련된 교육 내용에서 어로 된 문어가 무

많아 공부를 계속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했다

3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3 취업 직장 생활에서의 언어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취업을 해 노력하지만 북한에서의 학력과 경력

자격증을 인정받지 못하고 남한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나 기술 등을 갖

추지 못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탈북자라는 신분 때문에 취업의 어

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구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진학이나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에 필요한 직업 기술을 갖추려고 하거나 정부의

지원 과 비정규직 수입에 의존하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 남성은 정규

직 취업을 기 하며 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반면 북한

이탈주민 여성들은 식당 주방일이나 형 마트의 계산원 병원 도우미

가사 도우미 등의 취업 기회가 남성보다 많지만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

고 소득도 낮은 수 이다

한 북한이탈주민이 어렵게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언어 차이로 인한 갈등 컴퓨터와 어 등으로 인한 직무 능력의 문제

남북한의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 차이로 인한 갈등 무 심과 경쟁주의

가 만연한 남한의 직장 문화로 인한 갈등 남북한 사람들 간의 의사소

통 방식의 차이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태도 등으로 인한 갈등

을 겪는다 이로 인해 직장 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고 자주 이직하는 문

제가 나타난다(조정아정진경 2006)

직장 생활 기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은 언어 문제와 편견 차별

우인 것으로 나타났고 3년 이상의 응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장래

성 부재 임 해당 분야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래어를 비롯한 남북한 언어 차이

어 컴퓨터 용어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

가 하는 것은 특히 직장 생활의 기 응을 결정짓는 건이 된다고

한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4: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2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에 유입되는 어 랑스어 이탈리어 등의 외래어는 물건 상품명

의 수입과 더불어 발생한 것이 많다 이는 러시아와 국을 심으로

교역이 이루어지고 문화가 유입되는 북한과 서유럽 아메리카를 심으

로 교역이 이루어지고 문화가 유입되는 남한의 사정을 그 로 반 한

것이다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서 북한이탈주민들은 새로운 환경과 생활에

응해 간다 그동안 겪는 손실과 구매 후 불만족 그리고 당혹감

과 갈등에서 오는 심리 스트 스를 정확하게 측정한 연구는 없지만

상당한 비용과 정서 에 지를 소모하고 있으며 심리 상처를 입고

있다고 북한이탈주민들은 말한다 재 하나원2) 수료 후 북한이탈주민

교육은 주로 취업 훈련에 을 두고 있다 그러나 직업 교육에 앞서

기 인 일상생활 응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직업 교육은 시

간을 두어 이루어져야 할 문제이고 지속 인 지원이 필요한 문제이다

북한 사람들은 억양을 통해 자신의 신분이 드러나게 되면 자신이 북

한이탈주민임을 밝 야 할지 숨겨야 할지 고민하게 된다 이는 자신이

북한이탈주민임을 밝혔을 때 남한 사람들이 무시하거나 견제하는 등 자

신을 이질 인 존재로 인식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과 걱정 때문이다

이로 인해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 주민들과의 교제에 있어서 자신감이

부족한 편이며 남한 주민들이 자신들에 해 편견을 가지고 있고 언어

와 생각이 다소 다르기 때문에 남한 주민들과의 교제가 어렵다고 생각

한다 북한이탈주민들은 특히 자신들이 쓰는 말씨를 남한 주민들이 잘

알아듣지 못할 때에 매우 당혹해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남한 주민들로

부터 말씨가 달라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는다는 말을 듣는 것 자체가 자

신들에 한 무시로 느껴진다고 한다(조정아정진경 2006) 남한 사회

2)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 정착 지원을 하여 설치한 통일부 소속 기 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하나원에서 평균 3개월의 정착 훈련을 받게

되는데 정착 로그램 하나가 언어 응 교육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5

에서 북한이탈주민을 포용 인 태도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

이다 이러한 상은 그동안 북한을 다문화 인 에서 수용하려는

자세에 한 교육 다문화 문식성에 한 교육이 부족하 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남한인에게는 북한이탈주민의 발음과 억양을 수용하려는

태도3)와 언어 훈련이 필요하다 한 북한 말투를 경상도 방언이나

라도 방언과 같이 지역 방언의 일부로 받아들이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언어의 차이 어나 외국어투 표 때문에 북한이탈주민들이 이용

할 수 있는 정보의 범 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이는 남한 사람들과의

의사소통 상황을 두렵게 만듦으로써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 고립을

가속화시킨다 즉 언어가 서로 달라 남한 사람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험들이 반복되면서 자기도 모르게 심리 으로 축

되어 최소한의 의사소통만을 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생기는 것이

다 언어의 장벽 그로 인한 보이지 않는 심리 장벽을 넘어서야 남한

사람들과 의미 있는 계가 시작될 수 있고 이 사회 연결망을 통해

생활 교육 취업 직장 생활과 련된 각종 정보들을 입수할 뿐만 아니

라 문제 상황에서 필요한 사회 지지도 받을 수 있다(Bidet 2009)

22 탈북 청소년의 학교생활 응 실태

2012년 4월 재 탈북 청소년은 총 2202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

국의 고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학생은 1992명이고

일제 안 교육 시설에 210명이다

3) 북한이탈주민의 발음과 억양에 남한인이 익숙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수용하려는 태도와 함께 실질 으로 차이가 나는 발음과 억양을 알

아들을 수 있는 열린 귀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2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lt표 1gt 탈북 청소년 재학 황 (2012년 4월 기 )

구분

정규 학교안 교육 시설

( 일제)계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남 여 남 여 남 여

재학 황

602명 602명 162명 189명 212명 225명

210명(95)

2202명(100)

1204명 351명 437명

1992명(905)

안 교육 시설 재학생은 일제 민간 교육 시설에서 수학하는 학생임

이들 부분은 하나원의 하나둘학교 삼죽 등학교 한겨 고등학

교에서 기 응 교육을 받고 하늘꿈학교 한꿈학교 여명학교 셋넷학

교 등의 일제 안 학교와 성인 야학 그룹홈 방과 후 공부방 등의

안 학교에서 보충 교육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들 부분은 탈북 과정에서 나타난 장기간의 학습 시간 부

족과 공백 그리고 무 다른 북한과 남한 내 학교 문화와 교육과정의

차이로 인해 학생 스스로 자존감을 갖지 못하고 부 응 상태에 놓여

있는 실정이다

탈북 학생들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해 통일부 산하 하나원

교육과학기술부는 lsquo 등교육법시행령 개정rsquo lsquo정규 학교의 맞춤형 교육

사업 지원rsquo lsquo민간 교육 시설 재정 지원rsquo lsquo통일부와 연계한 디딤돌 교육

기 설립을 통한 기 응 교육 지원rsquo 등의 지원 체계를 세우고 있다

특히 2009년 9월 문 인 지원 기구로 lsquo탈북청소년지원센터rsquo를 설립하

여 보다 체계 인 탈북 청소년 교육 지원 체계를 갖추는 한편 기

응을 한 교육과정 운 진로 상담 맞춤형 교육 운 민간단체

지원 안 학교 설립 련 규정 완화 등의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탈북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 의

하나는 학교 공부이다 하나원의 정규 학교 공립 학교 안 학교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7

이 탈북 청소년들의 상황과 수 을 고려한 로그램을 개발 교육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학습 부 응으로 도 탈락하는 사례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응 기간 일반 학교 과정에서 교과 수업에 한 기

학력 부족으로 인한 자신감 상실과 부 응 문제는 탈북 학생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 의 하나이다

많은 수의 탈북 학생들이 밝힌 학교 교과 수업이 어려운 이유 하

나는 배우는 내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내용은 남한과 북

한의 이질 인 삶문화학문 배경에 따른 남한과 북한의 교과 내

용 차이이며 이로 인한 학습 부진과 부 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삶 문화 교과와 련된 배경지식의 이질화를 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탈북 학생들의 상황과 수 을 고려한 맞춤

형 교육과정과 교재를 개발하고 맞춤형 수업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두되고 있다

특히 탈북 학생들에게 학습에 필요한 능력을 키워 수 있는 기

도구 교과인 국어의 요성을 감안할 때 국어과의 보충 학습을 비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며 통일을 비한 교육과정 개발이 실히

필요하다

북한의 국어 교육 내용과 남한의 국어 교육 내용 사이에는 격한 차

이가 있다 북한에서는 특히 말하기 교육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 과

정을 거쳐 말할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자신의 언어 능력을 신장시키

도록 하는 내용보다는 말할 내용을 교과서에 직 제시하고 그 내용의

한 부분을 변형하여 앵무새처럼 외게 하거나 이데올로기 련 내용을 주

입하기 해 이른바 명 사상과 련된 내용을 암송하게 하는 식의 lsquo이

야기하기rsquo 형식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언어 교육을 정치 도구화하여 사

상 교양의 수단으로 삼고 있는 사례이다(박 목이인제 19988)

읽기 교육의 내용은 낭독하기 심으로 선정되었고 특히 읽기 제재

련 독해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는 에서 남한과의 차이 이 확연하

2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게 드러난다 북한에서의 읽기 제재는 주로 김일성과 그 일가의 우상화

와 련된 제재이기 때문에 의 내용에 해 분석하거나 평가하는 이

른바 해석 비 수 의 읽기 능력을 계발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할

수도 있다 이것이 말하기 활동과 유기 인 련성을 갖는 듯하면서

도 특정 내용을 암기하게 하는 방편이라는 에도 주목해야 한다 그

이유는 읽기 교육의 내용으로 읽기 자료에 한 비 해석 수 의

읽기 활동이나 그를 한 교육 내용이 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박 목이인제 19988)

한 쓰기 교육에서도 문장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으

나 담화 구성하기 즉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물론 쓰기의 기 가 문장 수련에 있다는 논리를 개할 수는 있다 그

러나 단순 기계 반복 훈련에 지나지 않는 짧은 짓기 일변도의 내용

선정은 남한의 쓰기 교육 과 차이가 나는 이다 이는 북한이 학생들

의 창의 인 언어 사용을 시하기보다는 특정 인물에 한 우상화의 한

방편으로 그것도 사상 교양과 련되는 특정 내용을 주입하기 해 교

육을 수단으로 삼는 구체 인 가 된다(박 목이인제 19988)

북한의 사상 교육이 어느 정도로 강화되고 있는지는 실제로 북한의

국어 교과서를 분석해 보면 확연히 알 수 있다4) 읽기 말하기 쓰기와

4)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한 분석은 국립국어원(1992144)를 참고

할 수 있다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비해 최근 소학교 국어 교과

서의 사상 교육 모습은 다소 약화되었다 그러나 여 히 사상 교육이 강하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009년 개정된 북한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 2학년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이하 띄어쓰기는 북한 교과서를 따름)

1과-한 가 한시간 되어 수 없을가(동시) 한 령도자 김정일원수님

께서 친히 지으신 시

2과-잊을수 없는 그날(생활문) 집에서 반일지를 쓰고있을 때 김일성 원

수님께서 우리집에 찾아옴

3과-귀 한 45분(생활문) 수학시간 일화 선생님의 설명에 귀담아들어야 함

4과- 한 원수님을 우러러(생활문) 김정일원수님 고맙습니다

5과-우리보다 고운 꽃 없어요(동시) 경애하는 원수님 꽃피워주신 우리보다

고운 꽃 더는 없지요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9

같은 언어 기능 단원에서조차 내용은 모두 직 으로 주체사상과 연

계되어 있다(정주리 19977)

이상과 같이 남북의 국어과 교육의 차이는 북한이탈 학생의 학업

학교생활 응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탈북 청소년 학교생활에 응하지 못하고5) 도 탈락하는 비율

은 2010년 재 등학교 25 학교 44 고등학교 101로 체

탈락률이 47에 이른다 최고치 던 2007년 108에 비해 폭 낮아

진 것은 다행스럽다 이에 비해 남한 학생의 도 탈락률은 등학교

03 학교 08 고교 18이며 체로는 08에 불과하다 그 차

이가 무 크다(한만길 2012)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 비율은 매우 심각한 수 이다 이러한 학

6과-두 친구(동화) 곰을 피해 나무에 올라간 친구와 죽은체 하고있었던

친구 이야기

7과-백두산의 어린 장수( 기문) 김정일원수님의 어린 시

8과-분이와 인민군 아 씨( 화) 인민군 아 씨를 만난 분이와 그들의

9과-잠 못 드는 내 마음(동시) 원수님생각에 김정일장군님 잘 모셔

갈래요

10과-커가는 가방(생활문) 문건을 많이 넣는 가방과 원수님의 건강을 염

려하는 일군 이야기

11과-오소리와 구리(동화) 겨울나이굴을 매일 는 오소리와 일을 미

룬 구리 이야기

12과-꽃니의 인사( 화) 인사말

13과-들국화(동시) 김정숙어머니 오래오래 받들어 모시고 싶어 들국화는

피여난 요

14과-그림속의 룡마( 기문) 한 장군님께서 룡마를 타고 일제 토벌

를 무 름

15과-이름난 화가 솔거( 기문) 황룡사 소나무를 그린 솔거 이야기

16과- 돌이가 한 말(생활문) 철호네 반동무들이 꽃밭을 가꾸기 해

동무들에게 력락함 (이하 생략)

5) 한국교육개발원의 탈북 학생 조사에 따르면 등학생의 68 학생의

66가 탈북자라는 사실을 숨기고 싶어 한다 학부모 역시 62가 자신의

자녀가 탈북 학생이라는 사실을 공개하고 싶지 않다고 한다 그 이유는 탈

북 학생들이 주변 학생들로부터 소외되거나 따돌림을 당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한만길 2012)

3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력 결손은 남한에서의 정규 학교 진학을 어렵게 하여 고등학교 학

령기의 탈북 청소년 가운데 약 493만이 정규 학교에 재학하고 있다

특히 국어 어 수학 등 주요 과목의 학력 결손이 심하다 북한이탈주

민 학생의 경우 수학 과목에서 최소 기 능력 수인 60 에 도달

하지 못하는 비율이 80를 넘는다 그 이유를 분석해 보면 먼 북한

교육의 행 운 을 들 수 있다 90년 반 이후 학교 선생님들조

차 식량을 구하기 해 학교에 출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었기 때

문에 그 기간 동안 제 로 된 교육이 이루어졌을 리가 없다 둘째

국과 제3국에서의 장기간의 난민 생활로 학업 공백 기간이 긴 경우가

많다 셋째 아래와 같은 남북한의 교육 환경의 차이가 향을 미친다

(이향규 2006)

- 남북한 교육 제도의 차이(북한에서는 어를 시하지 않음)

- 교수 용어의 차이(남한-북한 곡선자-주름자 각-맞은각 뺄셈-

덜기 등)

- 수업 방식의 차이(듣고 말하고 발표하는 수업에 익숙지 않음)

- 평가 방식의 차이(북한에서는 객 식 시험이 없음)

- 틀린 것을 찾는 문제 이해하지 못함

(lsquo정답도 찾기 어려운데 왜 틀린 것을 찾아야 하나rsquo라고 반문함)

- 교육 내용과 평가 항목에 있는 문화 요소에 한 몰이해(상인 문화

상업주의 등)

13세에서 24세까지 11명의 탈북 청소년을 상으로 학교 응 실태를

질 으로 조사한 한 연구에서는 단어 자체의 의미가 북한과는 확연히 다

르거나 혹은 남한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나 사용 맥락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업 활동 교사가 제시하는 단어가

생소하고 설명을 이해하지 못하여도 두려운 마음에 질문하지 못하고 결

국 과제를 회피하거나 수업에 소극 으로 참여하게 된다고 응답하 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1

연구자가 2012년 8월말 송 구 거 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등

학생 4명을 상으로 심층 면 을 한 결과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문

제는 어려움이 덜 하나 교사의 설명이 어렵고 김홍도 링컨 등과 같이

북한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문화 배경 지식이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을 어려워하 다 교과서에 나오는 어휘는 정확히 이해

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추론을 하여 연상할 수 있다고 답변하 다 그

러나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교과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

하 다

특히 집단 활동이나 모둠별 활동을 강조하는 교과의 경우에 남한어

에 서툰 탈북 청소년은 집단원의 진행 화를 빨리 이해하지 못하여

본의 아니게 체 모둠 활동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

다 보면 집단원들의 불평과 따돌림이 발생하게 되어 탈북 청소년은 심

리 상처6)를 받게 된다 탈북 청소년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교과목으

로는 수학과 어를 들 수 있고 사회와 국어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국어는 남북한 언어의 차이로 인한 혼란이 반 된 것으로 보인

다(이수연 2008)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의 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 남북한 교과서

용어의 이질성에 해 국립국어원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의 교과서를 바

꿔 읽을 때 학생들의 용어 이해도는 50 이하로 상된다 교과서에는

학술 용어만이 아닌 일반 용어도 등장하는데 이 역시 읽기가 쉽지 않

다 를 들어 lsquo사주(使嗾)하다(남)사 하다(북) 왜곡(歪曲)(남)외곡

(북)rsquo 등의 남북한 간에 다른 용어만 보더라도 남한 학교 교육 과정에

6) 북한이탈주민들은 2음 어휘에서는 두 번째 음 에 3음 어휘에서는 첫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한다 그러나 남한에서는 2음 에서는 첫

번째 음 에 3음 에서는 두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하는 것이

일반 이다 이러한 언어 습 은 탈북 학생이 학 에서 큰 소리로 책을

읽을 때도 드러난다 거 등학교에서는 5학년 탈북 학생인 김학생이

책을 읽으면서 학생들에게 웃음거리가 되면서 아 학교에서 한 학기 이

상 입을 다물어 버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3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서 탈북 학생이 남한의 학생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일반 용어 사

용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수태 외 2008 김건희 외 2008)

남북한 교과서에 드러난 학술 용어의 차이를 세부 으로 검토해 보

면 국사조선력사 교과의 경우는 단순히 학술 용어의 차이를 뛰어넘어

역사 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탈북 청소년들이 사회 교과를 어

려워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 정치 경제 제도의 차이에 기인하기도 하

지만 북한에서 명목상 사회 과목이 있지만 실제 으로는 사회 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는 것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학 교과의 경우도 미국과 서유럽의 향을 받은 남한의 학문

향과 러시아의 향을 받은 북한의 학문 향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 국제 정세 속에서 정치 경제 외교 문화 향을 어떻게 받으

면서 수용해 왔는가에 한 역사가 교과서 학술 용어에 반 된 것이다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 응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은 인터뷰 내용으

로도 알 수 있다

ldquo처음에 많이 심각했죠 알아듣긴 알아듣는데 애들이 제 말을 못

알아듣는 거 요 그래서 많이 바꾸려고 노력했어요rdquo(탈북 청소년A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왔을 땐 조 이상했는데 방 익숙해졌어요 하나원에서

의 교육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rdquo(탈북 청소년B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는 알아듣는데요 애들이 못 알아듣는 거 요 단어도

다르고helliphellip 그래서 북한에서 왔다고 말했어요(탈북 청소년 인터뷰

C 장문강 2008210)

입국 기에 주로 언어 소통의 어려움을 느끼는데 남한 아이들의

말을 새터민 청소년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보다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특유의 억양과 상이한 단어 사용으로 인하여 남한의 아이들이 이해하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3

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교사들은 주로 서를 많이 해주는 데 비해서 남한의 교사들

은 그냥 설명을 하고 요한 것은 학생들이 알아서 필기하는 경우가

많은 문화도 언어의 차이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인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 차이와 함께 남한 학생들의 언어 태도 문제가 탈북 청소년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기도 한다 학교를 퇴한 한 학생의 경험에 의하면

그 학생이 컴퓨터를 하고 있을 경우 ldquo 이거 할 아니rdquo ldquo그 지

네가 당연히 못하지rdquo ldquo 이거 먹어 봤어rdquo 등 남한 학생들의 편견과

선입견에 사로잡 확인하고자 하는 태도가 탈북 청소년에게 큰 상처

를 다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인식이 탈북 청소년에게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문강(2008)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학교 응

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의 사회 교육을 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들이 교육이라는 체제를 통해 융합하고 통합하

고자 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이다(장문강 2008198)

학에서의 응도 쉽지 않다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학에 을 둔

인원은 약 700여 명이며 학업 보충 생활비 마련 등을 이유로 한 휴학

생을 제외한 재학생은 500여 명에 이른다고 무지개청소년센터는 추산

했다(2009년 7월 6일자 연합뉴스) 북한이탈주민은 재외국민 특별 형

상이지만 재외동포 자녀가 치러야 하는 한국어 시험은 보지 않고

어나 수학 등 일부 과목의 시험을 치러 입 자격을 얻는다 국립 등

록 은 면제이며 사립 의 경우는 50를 정부에서 보조하고 있다(통

일부)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입학을 하게 되어도 학 교육을 따라가

기가 쉽지 않다 연구자가 만난 한 북한이탈주민은 간호학과를 들어가

게 되었는데 간호학과 련된 교육 내용에서 어로 된 문어가 무

많아 공부를 계속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했다

3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3 취업 직장 생활에서의 언어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취업을 해 노력하지만 북한에서의 학력과 경력

자격증을 인정받지 못하고 남한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나 기술 등을 갖

추지 못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탈북자라는 신분 때문에 취업의 어

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구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진학이나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에 필요한 직업 기술을 갖추려고 하거나 정부의

지원 과 비정규직 수입에 의존하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 남성은 정규

직 취업을 기 하며 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반면 북한

이탈주민 여성들은 식당 주방일이나 형 마트의 계산원 병원 도우미

가사 도우미 등의 취업 기회가 남성보다 많지만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

고 소득도 낮은 수 이다

한 북한이탈주민이 어렵게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언어 차이로 인한 갈등 컴퓨터와 어 등으로 인한 직무 능력의 문제

남북한의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 차이로 인한 갈등 무 심과 경쟁주의

가 만연한 남한의 직장 문화로 인한 갈등 남북한 사람들 간의 의사소

통 방식의 차이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태도 등으로 인한 갈등

을 겪는다 이로 인해 직장 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고 자주 이직하는 문

제가 나타난다(조정아정진경 2006)

직장 생활 기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은 언어 문제와 편견 차별

우인 것으로 나타났고 3년 이상의 응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장래

성 부재 임 해당 분야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래어를 비롯한 남북한 언어 차이

어 컴퓨터 용어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

가 하는 것은 특히 직장 생활의 기 응을 결정짓는 건이 된다고

한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5: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5

에서 북한이탈주민을 포용 인 태도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

이다 이러한 상은 그동안 북한을 다문화 인 에서 수용하려는

자세에 한 교육 다문화 문식성에 한 교육이 부족하 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남한인에게는 북한이탈주민의 발음과 억양을 수용하려는

태도3)와 언어 훈련이 필요하다 한 북한 말투를 경상도 방언이나

라도 방언과 같이 지역 방언의 일부로 받아들이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언어의 차이 어나 외국어투 표 때문에 북한이탈주민들이 이용

할 수 있는 정보의 범 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이는 남한 사람들과의

의사소통 상황을 두렵게 만듦으로써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 고립을

가속화시킨다 즉 언어가 서로 달라 남한 사람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험들이 반복되면서 자기도 모르게 심리 으로 축

되어 최소한의 의사소통만을 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생기는 것이

다 언어의 장벽 그로 인한 보이지 않는 심리 장벽을 넘어서야 남한

사람들과 의미 있는 계가 시작될 수 있고 이 사회 연결망을 통해

생활 교육 취업 직장 생활과 련된 각종 정보들을 입수할 뿐만 아니

라 문제 상황에서 필요한 사회 지지도 받을 수 있다(Bidet 2009)

22 탈북 청소년의 학교생활 응 실태

2012년 4월 재 탈북 청소년은 총 2202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

국의 고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학생은 1992명이고

일제 안 교육 시설에 210명이다

3) 북한이탈주민의 발음과 억양에 남한인이 익숙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수용하려는 태도와 함께 실질 으로 차이가 나는 발음과 억양을 알

아들을 수 있는 열린 귀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2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lt표 1gt 탈북 청소년 재학 황 (2012년 4월 기 )

구분

정규 학교안 교육 시설

( 일제)계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남 여 남 여 남 여

재학 황

602명 602명 162명 189명 212명 225명

210명(95)

2202명(100)

1204명 351명 437명

1992명(905)

안 교육 시설 재학생은 일제 민간 교육 시설에서 수학하는 학생임

이들 부분은 하나원의 하나둘학교 삼죽 등학교 한겨 고등학

교에서 기 응 교육을 받고 하늘꿈학교 한꿈학교 여명학교 셋넷학

교 등의 일제 안 학교와 성인 야학 그룹홈 방과 후 공부방 등의

안 학교에서 보충 교육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들 부분은 탈북 과정에서 나타난 장기간의 학습 시간 부

족과 공백 그리고 무 다른 북한과 남한 내 학교 문화와 교육과정의

차이로 인해 학생 스스로 자존감을 갖지 못하고 부 응 상태에 놓여

있는 실정이다

탈북 학생들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해 통일부 산하 하나원

교육과학기술부는 lsquo 등교육법시행령 개정rsquo lsquo정규 학교의 맞춤형 교육

사업 지원rsquo lsquo민간 교육 시설 재정 지원rsquo lsquo통일부와 연계한 디딤돌 교육

기 설립을 통한 기 응 교육 지원rsquo 등의 지원 체계를 세우고 있다

특히 2009년 9월 문 인 지원 기구로 lsquo탈북청소년지원센터rsquo를 설립하

여 보다 체계 인 탈북 청소년 교육 지원 체계를 갖추는 한편 기

응을 한 교육과정 운 진로 상담 맞춤형 교육 운 민간단체

지원 안 학교 설립 련 규정 완화 등의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탈북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 의

하나는 학교 공부이다 하나원의 정규 학교 공립 학교 안 학교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7

이 탈북 청소년들의 상황과 수 을 고려한 로그램을 개발 교육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학습 부 응으로 도 탈락하는 사례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응 기간 일반 학교 과정에서 교과 수업에 한 기

학력 부족으로 인한 자신감 상실과 부 응 문제는 탈북 학생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 의 하나이다

많은 수의 탈북 학생들이 밝힌 학교 교과 수업이 어려운 이유 하

나는 배우는 내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내용은 남한과 북

한의 이질 인 삶문화학문 배경에 따른 남한과 북한의 교과 내

용 차이이며 이로 인한 학습 부진과 부 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삶 문화 교과와 련된 배경지식의 이질화를 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탈북 학생들의 상황과 수 을 고려한 맞춤

형 교육과정과 교재를 개발하고 맞춤형 수업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두되고 있다

특히 탈북 학생들에게 학습에 필요한 능력을 키워 수 있는 기

도구 교과인 국어의 요성을 감안할 때 국어과의 보충 학습을 비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며 통일을 비한 교육과정 개발이 실히

필요하다

북한의 국어 교육 내용과 남한의 국어 교육 내용 사이에는 격한 차

이가 있다 북한에서는 특히 말하기 교육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 과

정을 거쳐 말할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자신의 언어 능력을 신장시키

도록 하는 내용보다는 말할 내용을 교과서에 직 제시하고 그 내용의

한 부분을 변형하여 앵무새처럼 외게 하거나 이데올로기 련 내용을 주

입하기 해 이른바 명 사상과 련된 내용을 암송하게 하는 식의 lsquo이

야기하기rsquo 형식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언어 교육을 정치 도구화하여 사

상 교양의 수단으로 삼고 있는 사례이다(박 목이인제 19988)

읽기 교육의 내용은 낭독하기 심으로 선정되었고 특히 읽기 제재

련 독해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는 에서 남한과의 차이 이 확연하

2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게 드러난다 북한에서의 읽기 제재는 주로 김일성과 그 일가의 우상화

와 련된 제재이기 때문에 의 내용에 해 분석하거나 평가하는 이

른바 해석 비 수 의 읽기 능력을 계발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할

수도 있다 이것이 말하기 활동과 유기 인 련성을 갖는 듯하면서

도 특정 내용을 암기하게 하는 방편이라는 에도 주목해야 한다 그

이유는 읽기 교육의 내용으로 읽기 자료에 한 비 해석 수 의

읽기 활동이나 그를 한 교육 내용이 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박 목이인제 19988)

한 쓰기 교육에서도 문장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으

나 담화 구성하기 즉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물론 쓰기의 기 가 문장 수련에 있다는 논리를 개할 수는 있다 그

러나 단순 기계 반복 훈련에 지나지 않는 짧은 짓기 일변도의 내용

선정은 남한의 쓰기 교육 과 차이가 나는 이다 이는 북한이 학생들

의 창의 인 언어 사용을 시하기보다는 특정 인물에 한 우상화의 한

방편으로 그것도 사상 교양과 련되는 특정 내용을 주입하기 해 교

육을 수단으로 삼는 구체 인 가 된다(박 목이인제 19988)

북한의 사상 교육이 어느 정도로 강화되고 있는지는 실제로 북한의

국어 교과서를 분석해 보면 확연히 알 수 있다4) 읽기 말하기 쓰기와

4)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한 분석은 국립국어원(1992144)를 참고

할 수 있다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비해 최근 소학교 국어 교과

서의 사상 교육 모습은 다소 약화되었다 그러나 여 히 사상 교육이 강하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009년 개정된 북한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 2학년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이하 띄어쓰기는 북한 교과서를 따름)

1과-한 가 한시간 되어 수 없을가(동시) 한 령도자 김정일원수님

께서 친히 지으신 시

2과-잊을수 없는 그날(생활문) 집에서 반일지를 쓰고있을 때 김일성 원

수님께서 우리집에 찾아옴

3과-귀 한 45분(생활문) 수학시간 일화 선생님의 설명에 귀담아들어야 함

4과- 한 원수님을 우러러(생활문) 김정일원수님 고맙습니다

5과-우리보다 고운 꽃 없어요(동시) 경애하는 원수님 꽃피워주신 우리보다

고운 꽃 더는 없지요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9

같은 언어 기능 단원에서조차 내용은 모두 직 으로 주체사상과 연

계되어 있다(정주리 19977)

이상과 같이 남북의 국어과 교육의 차이는 북한이탈 학생의 학업

학교생활 응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탈북 청소년 학교생활에 응하지 못하고5) 도 탈락하는 비율

은 2010년 재 등학교 25 학교 44 고등학교 101로 체

탈락률이 47에 이른다 최고치 던 2007년 108에 비해 폭 낮아

진 것은 다행스럽다 이에 비해 남한 학생의 도 탈락률은 등학교

03 학교 08 고교 18이며 체로는 08에 불과하다 그 차

이가 무 크다(한만길 2012)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 비율은 매우 심각한 수 이다 이러한 학

6과-두 친구(동화) 곰을 피해 나무에 올라간 친구와 죽은체 하고있었던

친구 이야기

7과-백두산의 어린 장수( 기문) 김정일원수님의 어린 시

8과-분이와 인민군 아 씨( 화) 인민군 아 씨를 만난 분이와 그들의

9과-잠 못 드는 내 마음(동시) 원수님생각에 김정일장군님 잘 모셔

갈래요

10과-커가는 가방(생활문) 문건을 많이 넣는 가방과 원수님의 건강을 염

려하는 일군 이야기

11과-오소리와 구리(동화) 겨울나이굴을 매일 는 오소리와 일을 미

룬 구리 이야기

12과-꽃니의 인사( 화) 인사말

13과-들국화(동시) 김정숙어머니 오래오래 받들어 모시고 싶어 들국화는

피여난 요

14과-그림속의 룡마( 기문) 한 장군님께서 룡마를 타고 일제 토벌

를 무 름

15과-이름난 화가 솔거( 기문) 황룡사 소나무를 그린 솔거 이야기

16과- 돌이가 한 말(생활문) 철호네 반동무들이 꽃밭을 가꾸기 해

동무들에게 력락함 (이하 생략)

5) 한국교육개발원의 탈북 학생 조사에 따르면 등학생의 68 학생의

66가 탈북자라는 사실을 숨기고 싶어 한다 학부모 역시 62가 자신의

자녀가 탈북 학생이라는 사실을 공개하고 싶지 않다고 한다 그 이유는 탈

북 학생들이 주변 학생들로부터 소외되거나 따돌림을 당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한만길 2012)

3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력 결손은 남한에서의 정규 학교 진학을 어렵게 하여 고등학교 학

령기의 탈북 청소년 가운데 약 493만이 정규 학교에 재학하고 있다

특히 국어 어 수학 등 주요 과목의 학력 결손이 심하다 북한이탈주

민 학생의 경우 수학 과목에서 최소 기 능력 수인 60 에 도달

하지 못하는 비율이 80를 넘는다 그 이유를 분석해 보면 먼 북한

교육의 행 운 을 들 수 있다 90년 반 이후 학교 선생님들조

차 식량을 구하기 해 학교에 출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었기 때

문에 그 기간 동안 제 로 된 교육이 이루어졌을 리가 없다 둘째

국과 제3국에서의 장기간의 난민 생활로 학업 공백 기간이 긴 경우가

많다 셋째 아래와 같은 남북한의 교육 환경의 차이가 향을 미친다

(이향규 2006)

- 남북한 교육 제도의 차이(북한에서는 어를 시하지 않음)

- 교수 용어의 차이(남한-북한 곡선자-주름자 각-맞은각 뺄셈-

덜기 등)

- 수업 방식의 차이(듣고 말하고 발표하는 수업에 익숙지 않음)

- 평가 방식의 차이(북한에서는 객 식 시험이 없음)

- 틀린 것을 찾는 문제 이해하지 못함

(lsquo정답도 찾기 어려운데 왜 틀린 것을 찾아야 하나rsquo라고 반문함)

- 교육 내용과 평가 항목에 있는 문화 요소에 한 몰이해(상인 문화

상업주의 등)

13세에서 24세까지 11명의 탈북 청소년을 상으로 학교 응 실태를

질 으로 조사한 한 연구에서는 단어 자체의 의미가 북한과는 확연히 다

르거나 혹은 남한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나 사용 맥락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업 활동 교사가 제시하는 단어가

생소하고 설명을 이해하지 못하여도 두려운 마음에 질문하지 못하고 결

국 과제를 회피하거나 수업에 소극 으로 참여하게 된다고 응답하 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1

연구자가 2012년 8월말 송 구 거 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등

학생 4명을 상으로 심층 면 을 한 결과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문

제는 어려움이 덜 하나 교사의 설명이 어렵고 김홍도 링컨 등과 같이

북한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문화 배경 지식이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을 어려워하 다 교과서에 나오는 어휘는 정확히 이해

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추론을 하여 연상할 수 있다고 답변하 다 그

러나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교과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

하 다

특히 집단 활동이나 모둠별 활동을 강조하는 교과의 경우에 남한어

에 서툰 탈북 청소년은 집단원의 진행 화를 빨리 이해하지 못하여

본의 아니게 체 모둠 활동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

다 보면 집단원들의 불평과 따돌림이 발생하게 되어 탈북 청소년은 심

리 상처6)를 받게 된다 탈북 청소년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교과목으

로는 수학과 어를 들 수 있고 사회와 국어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국어는 남북한 언어의 차이로 인한 혼란이 반 된 것으로 보인

다(이수연 2008)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의 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 남북한 교과서

용어의 이질성에 해 국립국어원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의 교과서를 바

꿔 읽을 때 학생들의 용어 이해도는 50 이하로 상된다 교과서에는

학술 용어만이 아닌 일반 용어도 등장하는데 이 역시 읽기가 쉽지 않

다 를 들어 lsquo사주(使嗾)하다(남)사 하다(북) 왜곡(歪曲)(남)외곡

(북)rsquo 등의 남북한 간에 다른 용어만 보더라도 남한 학교 교육 과정에

6) 북한이탈주민들은 2음 어휘에서는 두 번째 음 에 3음 어휘에서는 첫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한다 그러나 남한에서는 2음 에서는 첫

번째 음 에 3음 에서는 두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하는 것이

일반 이다 이러한 언어 습 은 탈북 학생이 학 에서 큰 소리로 책을

읽을 때도 드러난다 거 등학교에서는 5학년 탈북 학생인 김학생이

책을 읽으면서 학생들에게 웃음거리가 되면서 아 학교에서 한 학기 이

상 입을 다물어 버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3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서 탈북 학생이 남한의 학생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일반 용어 사

용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수태 외 2008 김건희 외 2008)

남북한 교과서에 드러난 학술 용어의 차이를 세부 으로 검토해 보

면 국사조선력사 교과의 경우는 단순히 학술 용어의 차이를 뛰어넘어

역사 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탈북 청소년들이 사회 교과를 어

려워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 정치 경제 제도의 차이에 기인하기도 하

지만 북한에서 명목상 사회 과목이 있지만 실제 으로는 사회 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는 것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학 교과의 경우도 미국과 서유럽의 향을 받은 남한의 학문

향과 러시아의 향을 받은 북한의 학문 향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 국제 정세 속에서 정치 경제 외교 문화 향을 어떻게 받으

면서 수용해 왔는가에 한 역사가 교과서 학술 용어에 반 된 것이다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 응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은 인터뷰 내용으

로도 알 수 있다

ldquo처음에 많이 심각했죠 알아듣긴 알아듣는데 애들이 제 말을 못

알아듣는 거 요 그래서 많이 바꾸려고 노력했어요rdquo(탈북 청소년A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왔을 땐 조 이상했는데 방 익숙해졌어요 하나원에서

의 교육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rdquo(탈북 청소년B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는 알아듣는데요 애들이 못 알아듣는 거 요 단어도

다르고helliphellip 그래서 북한에서 왔다고 말했어요(탈북 청소년 인터뷰

C 장문강 2008210)

입국 기에 주로 언어 소통의 어려움을 느끼는데 남한 아이들의

말을 새터민 청소년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보다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특유의 억양과 상이한 단어 사용으로 인하여 남한의 아이들이 이해하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3

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교사들은 주로 서를 많이 해주는 데 비해서 남한의 교사들

은 그냥 설명을 하고 요한 것은 학생들이 알아서 필기하는 경우가

많은 문화도 언어의 차이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인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 차이와 함께 남한 학생들의 언어 태도 문제가 탈북 청소년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기도 한다 학교를 퇴한 한 학생의 경험에 의하면

그 학생이 컴퓨터를 하고 있을 경우 ldquo 이거 할 아니rdquo ldquo그 지

네가 당연히 못하지rdquo ldquo 이거 먹어 봤어rdquo 등 남한 학생들의 편견과

선입견에 사로잡 확인하고자 하는 태도가 탈북 청소년에게 큰 상처

를 다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인식이 탈북 청소년에게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문강(2008)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학교 응

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의 사회 교육을 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들이 교육이라는 체제를 통해 융합하고 통합하

고자 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이다(장문강 2008198)

학에서의 응도 쉽지 않다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학에 을 둔

인원은 약 700여 명이며 학업 보충 생활비 마련 등을 이유로 한 휴학

생을 제외한 재학생은 500여 명에 이른다고 무지개청소년센터는 추산

했다(2009년 7월 6일자 연합뉴스) 북한이탈주민은 재외국민 특별 형

상이지만 재외동포 자녀가 치러야 하는 한국어 시험은 보지 않고

어나 수학 등 일부 과목의 시험을 치러 입 자격을 얻는다 국립 등

록 은 면제이며 사립 의 경우는 50를 정부에서 보조하고 있다(통

일부)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입학을 하게 되어도 학 교육을 따라가

기가 쉽지 않다 연구자가 만난 한 북한이탈주민은 간호학과를 들어가

게 되었는데 간호학과 련된 교육 내용에서 어로 된 문어가 무

많아 공부를 계속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했다

3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3 취업 직장 생활에서의 언어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취업을 해 노력하지만 북한에서의 학력과 경력

자격증을 인정받지 못하고 남한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나 기술 등을 갖

추지 못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탈북자라는 신분 때문에 취업의 어

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구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진학이나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에 필요한 직업 기술을 갖추려고 하거나 정부의

지원 과 비정규직 수입에 의존하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 남성은 정규

직 취업을 기 하며 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반면 북한

이탈주민 여성들은 식당 주방일이나 형 마트의 계산원 병원 도우미

가사 도우미 등의 취업 기회가 남성보다 많지만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

고 소득도 낮은 수 이다

한 북한이탈주민이 어렵게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언어 차이로 인한 갈등 컴퓨터와 어 등으로 인한 직무 능력의 문제

남북한의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 차이로 인한 갈등 무 심과 경쟁주의

가 만연한 남한의 직장 문화로 인한 갈등 남북한 사람들 간의 의사소

통 방식의 차이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태도 등으로 인한 갈등

을 겪는다 이로 인해 직장 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고 자주 이직하는 문

제가 나타난다(조정아정진경 2006)

직장 생활 기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은 언어 문제와 편견 차별

우인 것으로 나타났고 3년 이상의 응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장래

성 부재 임 해당 분야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래어를 비롯한 남북한 언어 차이

어 컴퓨터 용어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

가 하는 것은 특히 직장 생활의 기 응을 결정짓는 건이 된다고

한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6: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2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lt표 1gt 탈북 청소년 재학 황 (2012년 4월 기 )

구분

정규 학교안 교육 시설

( 일제)계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남 여 남 여 남 여

재학 황

602명 602명 162명 189명 212명 225명

210명(95)

2202명(100)

1204명 351명 437명

1992명(905)

안 교육 시설 재학생은 일제 민간 교육 시설에서 수학하는 학생임

이들 부분은 하나원의 하나둘학교 삼죽 등학교 한겨 고등학

교에서 기 응 교육을 받고 하늘꿈학교 한꿈학교 여명학교 셋넷학

교 등의 일제 안 학교와 성인 야학 그룹홈 방과 후 공부방 등의

안 학교에서 보충 교육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들 부분은 탈북 과정에서 나타난 장기간의 학습 시간 부

족과 공백 그리고 무 다른 북한과 남한 내 학교 문화와 교육과정의

차이로 인해 학생 스스로 자존감을 갖지 못하고 부 응 상태에 놓여

있는 실정이다

탈북 학생들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해 통일부 산하 하나원

교육과학기술부는 lsquo 등교육법시행령 개정rsquo lsquo정규 학교의 맞춤형 교육

사업 지원rsquo lsquo민간 교육 시설 재정 지원rsquo lsquo통일부와 연계한 디딤돌 교육

기 설립을 통한 기 응 교육 지원rsquo 등의 지원 체계를 세우고 있다

특히 2009년 9월 문 인 지원 기구로 lsquo탈북청소년지원센터rsquo를 설립하

여 보다 체계 인 탈북 청소년 교육 지원 체계를 갖추는 한편 기

응을 한 교육과정 운 진로 상담 맞춤형 교육 운 민간단체

지원 안 학교 설립 련 규정 완화 등의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탈북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 의

하나는 학교 공부이다 하나원의 정규 학교 공립 학교 안 학교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7

이 탈북 청소년들의 상황과 수 을 고려한 로그램을 개발 교육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학습 부 응으로 도 탈락하는 사례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응 기간 일반 학교 과정에서 교과 수업에 한 기

학력 부족으로 인한 자신감 상실과 부 응 문제는 탈북 학생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 의 하나이다

많은 수의 탈북 학생들이 밝힌 학교 교과 수업이 어려운 이유 하

나는 배우는 내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내용은 남한과 북

한의 이질 인 삶문화학문 배경에 따른 남한과 북한의 교과 내

용 차이이며 이로 인한 학습 부진과 부 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삶 문화 교과와 련된 배경지식의 이질화를 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탈북 학생들의 상황과 수 을 고려한 맞춤

형 교육과정과 교재를 개발하고 맞춤형 수업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두되고 있다

특히 탈북 학생들에게 학습에 필요한 능력을 키워 수 있는 기

도구 교과인 국어의 요성을 감안할 때 국어과의 보충 학습을 비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며 통일을 비한 교육과정 개발이 실히

필요하다

북한의 국어 교육 내용과 남한의 국어 교육 내용 사이에는 격한 차

이가 있다 북한에서는 특히 말하기 교육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 과

정을 거쳐 말할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자신의 언어 능력을 신장시키

도록 하는 내용보다는 말할 내용을 교과서에 직 제시하고 그 내용의

한 부분을 변형하여 앵무새처럼 외게 하거나 이데올로기 련 내용을 주

입하기 해 이른바 명 사상과 련된 내용을 암송하게 하는 식의 lsquo이

야기하기rsquo 형식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언어 교육을 정치 도구화하여 사

상 교양의 수단으로 삼고 있는 사례이다(박 목이인제 19988)

읽기 교육의 내용은 낭독하기 심으로 선정되었고 특히 읽기 제재

련 독해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는 에서 남한과의 차이 이 확연하

2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게 드러난다 북한에서의 읽기 제재는 주로 김일성과 그 일가의 우상화

와 련된 제재이기 때문에 의 내용에 해 분석하거나 평가하는 이

른바 해석 비 수 의 읽기 능력을 계발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할

수도 있다 이것이 말하기 활동과 유기 인 련성을 갖는 듯하면서

도 특정 내용을 암기하게 하는 방편이라는 에도 주목해야 한다 그

이유는 읽기 교육의 내용으로 읽기 자료에 한 비 해석 수 의

읽기 활동이나 그를 한 교육 내용이 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박 목이인제 19988)

한 쓰기 교육에서도 문장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으

나 담화 구성하기 즉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물론 쓰기의 기 가 문장 수련에 있다는 논리를 개할 수는 있다 그

러나 단순 기계 반복 훈련에 지나지 않는 짧은 짓기 일변도의 내용

선정은 남한의 쓰기 교육 과 차이가 나는 이다 이는 북한이 학생들

의 창의 인 언어 사용을 시하기보다는 특정 인물에 한 우상화의 한

방편으로 그것도 사상 교양과 련되는 특정 내용을 주입하기 해 교

육을 수단으로 삼는 구체 인 가 된다(박 목이인제 19988)

북한의 사상 교육이 어느 정도로 강화되고 있는지는 실제로 북한의

국어 교과서를 분석해 보면 확연히 알 수 있다4) 읽기 말하기 쓰기와

4)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한 분석은 국립국어원(1992144)를 참고

할 수 있다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비해 최근 소학교 국어 교과

서의 사상 교육 모습은 다소 약화되었다 그러나 여 히 사상 교육이 강하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009년 개정된 북한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 2학년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이하 띄어쓰기는 북한 교과서를 따름)

1과-한 가 한시간 되어 수 없을가(동시) 한 령도자 김정일원수님

께서 친히 지으신 시

2과-잊을수 없는 그날(생활문) 집에서 반일지를 쓰고있을 때 김일성 원

수님께서 우리집에 찾아옴

3과-귀 한 45분(생활문) 수학시간 일화 선생님의 설명에 귀담아들어야 함

4과- 한 원수님을 우러러(생활문) 김정일원수님 고맙습니다

5과-우리보다 고운 꽃 없어요(동시) 경애하는 원수님 꽃피워주신 우리보다

고운 꽃 더는 없지요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9

같은 언어 기능 단원에서조차 내용은 모두 직 으로 주체사상과 연

계되어 있다(정주리 19977)

이상과 같이 남북의 국어과 교육의 차이는 북한이탈 학생의 학업

학교생활 응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탈북 청소년 학교생활에 응하지 못하고5) 도 탈락하는 비율

은 2010년 재 등학교 25 학교 44 고등학교 101로 체

탈락률이 47에 이른다 최고치 던 2007년 108에 비해 폭 낮아

진 것은 다행스럽다 이에 비해 남한 학생의 도 탈락률은 등학교

03 학교 08 고교 18이며 체로는 08에 불과하다 그 차

이가 무 크다(한만길 2012)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 비율은 매우 심각한 수 이다 이러한 학

6과-두 친구(동화) 곰을 피해 나무에 올라간 친구와 죽은체 하고있었던

친구 이야기

7과-백두산의 어린 장수( 기문) 김정일원수님의 어린 시

8과-분이와 인민군 아 씨( 화) 인민군 아 씨를 만난 분이와 그들의

9과-잠 못 드는 내 마음(동시) 원수님생각에 김정일장군님 잘 모셔

갈래요

10과-커가는 가방(생활문) 문건을 많이 넣는 가방과 원수님의 건강을 염

려하는 일군 이야기

11과-오소리와 구리(동화) 겨울나이굴을 매일 는 오소리와 일을 미

룬 구리 이야기

12과-꽃니의 인사( 화) 인사말

13과-들국화(동시) 김정숙어머니 오래오래 받들어 모시고 싶어 들국화는

피여난 요

14과-그림속의 룡마( 기문) 한 장군님께서 룡마를 타고 일제 토벌

를 무 름

15과-이름난 화가 솔거( 기문) 황룡사 소나무를 그린 솔거 이야기

16과- 돌이가 한 말(생활문) 철호네 반동무들이 꽃밭을 가꾸기 해

동무들에게 력락함 (이하 생략)

5) 한국교육개발원의 탈북 학생 조사에 따르면 등학생의 68 학생의

66가 탈북자라는 사실을 숨기고 싶어 한다 학부모 역시 62가 자신의

자녀가 탈북 학생이라는 사실을 공개하고 싶지 않다고 한다 그 이유는 탈

북 학생들이 주변 학생들로부터 소외되거나 따돌림을 당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한만길 2012)

3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력 결손은 남한에서의 정규 학교 진학을 어렵게 하여 고등학교 학

령기의 탈북 청소년 가운데 약 493만이 정규 학교에 재학하고 있다

특히 국어 어 수학 등 주요 과목의 학력 결손이 심하다 북한이탈주

민 학생의 경우 수학 과목에서 최소 기 능력 수인 60 에 도달

하지 못하는 비율이 80를 넘는다 그 이유를 분석해 보면 먼 북한

교육의 행 운 을 들 수 있다 90년 반 이후 학교 선생님들조

차 식량을 구하기 해 학교에 출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었기 때

문에 그 기간 동안 제 로 된 교육이 이루어졌을 리가 없다 둘째

국과 제3국에서의 장기간의 난민 생활로 학업 공백 기간이 긴 경우가

많다 셋째 아래와 같은 남북한의 교육 환경의 차이가 향을 미친다

(이향규 2006)

- 남북한 교육 제도의 차이(북한에서는 어를 시하지 않음)

- 교수 용어의 차이(남한-북한 곡선자-주름자 각-맞은각 뺄셈-

덜기 등)

- 수업 방식의 차이(듣고 말하고 발표하는 수업에 익숙지 않음)

- 평가 방식의 차이(북한에서는 객 식 시험이 없음)

- 틀린 것을 찾는 문제 이해하지 못함

(lsquo정답도 찾기 어려운데 왜 틀린 것을 찾아야 하나rsquo라고 반문함)

- 교육 내용과 평가 항목에 있는 문화 요소에 한 몰이해(상인 문화

상업주의 등)

13세에서 24세까지 11명의 탈북 청소년을 상으로 학교 응 실태를

질 으로 조사한 한 연구에서는 단어 자체의 의미가 북한과는 확연히 다

르거나 혹은 남한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나 사용 맥락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업 활동 교사가 제시하는 단어가

생소하고 설명을 이해하지 못하여도 두려운 마음에 질문하지 못하고 결

국 과제를 회피하거나 수업에 소극 으로 참여하게 된다고 응답하 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1

연구자가 2012년 8월말 송 구 거 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등

학생 4명을 상으로 심층 면 을 한 결과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문

제는 어려움이 덜 하나 교사의 설명이 어렵고 김홍도 링컨 등과 같이

북한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문화 배경 지식이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을 어려워하 다 교과서에 나오는 어휘는 정확히 이해

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추론을 하여 연상할 수 있다고 답변하 다 그

러나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교과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

하 다

특히 집단 활동이나 모둠별 활동을 강조하는 교과의 경우에 남한어

에 서툰 탈북 청소년은 집단원의 진행 화를 빨리 이해하지 못하여

본의 아니게 체 모둠 활동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

다 보면 집단원들의 불평과 따돌림이 발생하게 되어 탈북 청소년은 심

리 상처6)를 받게 된다 탈북 청소년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교과목으

로는 수학과 어를 들 수 있고 사회와 국어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국어는 남북한 언어의 차이로 인한 혼란이 반 된 것으로 보인

다(이수연 2008)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의 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 남북한 교과서

용어의 이질성에 해 국립국어원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의 교과서를 바

꿔 읽을 때 학생들의 용어 이해도는 50 이하로 상된다 교과서에는

학술 용어만이 아닌 일반 용어도 등장하는데 이 역시 읽기가 쉽지 않

다 를 들어 lsquo사주(使嗾)하다(남)사 하다(북) 왜곡(歪曲)(남)외곡

(북)rsquo 등의 남북한 간에 다른 용어만 보더라도 남한 학교 교육 과정에

6) 북한이탈주민들은 2음 어휘에서는 두 번째 음 에 3음 어휘에서는 첫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한다 그러나 남한에서는 2음 에서는 첫

번째 음 에 3음 에서는 두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하는 것이

일반 이다 이러한 언어 습 은 탈북 학생이 학 에서 큰 소리로 책을

읽을 때도 드러난다 거 등학교에서는 5학년 탈북 학생인 김학생이

책을 읽으면서 학생들에게 웃음거리가 되면서 아 학교에서 한 학기 이

상 입을 다물어 버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3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서 탈북 학생이 남한의 학생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일반 용어 사

용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수태 외 2008 김건희 외 2008)

남북한 교과서에 드러난 학술 용어의 차이를 세부 으로 검토해 보

면 국사조선력사 교과의 경우는 단순히 학술 용어의 차이를 뛰어넘어

역사 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탈북 청소년들이 사회 교과를 어

려워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 정치 경제 제도의 차이에 기인하기도 하

지만 북한에서 명목상 사회 과목이 있지만 실제 으로는 사회 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는 것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학 교과의 경우도 미국과 서유럽의 향을 받은 남한의 학문

향과 러시아의 향을 받은 북한의 학문 향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 국제 정세 속에서 정치 경제 외교 문화 향을 어떻게 받으

면서 수용해 왔는가에 한 역사가 교과서 학술 용어에 반 된 것이다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 응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은 인터뷰 내용으

로도 알 수 있다

ldquo처음에 많이 심각했죠 알아듣긴 알아듣는데 애들이 제 말을 못

알아듣는 거 요 그래서 많이 바꾸려고 노력했어요rdquo(탈북 청소년A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왔을 땐 조 이상했는데 방 익숙해졌어요 하나원에서

의 교육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rdquo(탈북 청소년B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는 알아듣는데요 애들이 못 알아듣는 거 요 단어도

다르고helliphellip 그래서 북한에서 왔다고 말했어요(탈북 청소년 인터뷰

C 장문강 2008210)

입국 기에 주로 언어 소통의 어려움을 느끼는데 남한 아이들의

말을 새터민 청소년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보다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특유의 억양과 상이한 단어 사용으로 인하여 남한의 아이들이 이해하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3

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교사들은 주로 서를 많이 해주는 데 비해서 남한의 교사들

은 그냥 설명을 하고 요한 것은 학생들이 알아서 필기하는 경우가

많은 문화도 언어의 차이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인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 차이와 함께 남한 학생들의 언어 태도 문제가 탈북 청소년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기도 한다 학교를 퇴한 한 학생의 경험에 의하면

그 학생이 컴퓨터를 하고 있을 경우 ldquo 이거 할 아니rdquo ldquo그 지

네가 당연히 못하지rdquo ldquo 이거 먹어 봤어rdquo 등 남한 학생들의 편견과

선입견에 사로잡 확인하고자 하는 태도가 탈북 청소년에게 큰 상처

를 다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인식이 탈북 청소년에게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문강(2008)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학교 응

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의 사회 교육을 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들이 교육이라는 체제를 통해 융합하고 통합하

고자 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이다(장문강 2008198)

학에서의 응도 쉽지 않다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학에 을 둔

인원은 약 700여 명이며 학업 보충 생활비 마련 등을 이유로 한 휴학

생을 제외한 재학생은 500여 명에 이른다고 무지개청소년센터는 추산

했다(2009년 7월 6일자 연합뉴스) 북한이탈주민은 재외국민 특별 형

상이지만 재외동포 자녀가 치러야 하는 한국어 시험은 보지 않고

어나 수학 등 일부 과목의 시험을 치러 입 자격을 얻는다 국립 등

록 은 면제이며 사립 의 경우는 50를 정부에서 보조하고 있다(통

일부)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입학을 하게 되어도 학 교육을 따라가

기가 쉽지 않다 연구자가 만난 한 북한이탈주민은 간호학과를 들어가

게 되었는데 간호학과 련된 교육 내용에서 어로 된 문어가 무

많아 공부를 계속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했다

3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3 취업 직장 생활에서의 언어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취업을 해 노력하지만 북한에서의 학력과 경력

자격증을 인정받지 못하고 남한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나 기술 등을 갖

추지 못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탈북자라는 신분 때문에 취업의 어

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구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진학이나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에 필요한 직업 기술을 갖추려고 하거나 정부의

지원 과 비정규직 수입에 의존하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 남성은 정규

직 취업을 기 하며 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반면 북한

이탈주민 여성들은 식당 주방일이나 형 마트의 계산원 병원 도우미

가사 도우미 등의 취업 기회가 남성보다 많지만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

고 소득도 낮은 수 이다

한 북한이탈주민이 어렵게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언어 차이로 인한 갈등 컴퓨터와 어 등으로 인한 직무 능력의 문제

남북한의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 차이로 인한 갈등 무 심과 경쟁주의

가 만연한 남한의 직장 문화로 인한 갈등 남북한 사람들 간의 의사소

통 방식의 차이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태도 등으로 인한 갈등

을 겪는다 이로 인해 직장 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고 자주 이직하는 문

제가 나타난다(조정아정진경 2006)

직장 생활 기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은 언어 문제와 편견 차별

우인 것으로 나타났고 3년 이상의 응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장래

성 부재 임 해당 분야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래어를 비롯한 남북한 언어 차이

어 컴퓨터 용어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

가 하는 것은 특히 직장 생활의 기 응을 결정짓는 건이 된다고

한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7: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7

이 탈북 청소년들의 상황과 수 을 고려한 로그램을 개발 교육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학습 부 응으로 도 탈락하는 사례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응 기간 일반 학교 과정에서 교과 수업에 한 기

학력 부족으로 인한 자신감 상실과 부 응 문제는 탈북 학생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 의 하나이다

많은 수의 탈북 학생들이 밝힌 학교 교과 수업이 어려운 이유 하

나는 배우는 내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내용은 남한과 북

한의 이질 인 삶문화학문 배경에 따른 남한과 북한의 교과 내

용 차이이며 이로 인한 학습 부진과 부 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삶 문화 교과와 련된 배경지식의 이질화를 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탈북 학생들의 상황과 수 을 고려한 맞춤

형 교육과정과 교재를 개발하고 맞춤형 수업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두되고 있다

특히 탈북 학생들에게 학습에 필요한 능력을 키워 수 있는 기

도구 교과인 국어의 요성을 감안할 때 국어과의 보충 학습을 비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며 통일을 비한 교육과정 개발이 실히

필요하다

북한의 국어 교육 내용과 남한의 국어 교육 내용 사이에는 격한 차

이가 있다 북한에서는 특히 말하기 교육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 과

정을 거쳐 말할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자신의 언어 능력을 신장시키

도록 하는 내용보다는 말할 내용을 교과서에 직 제시하고 그 내용의

한 부분을 변형하여 앵무새처럼 외게 하거나 이데올로기 련 내용을 주

입하기 해 이른바 명 사상과 련된 내용을 암송하게 하는 식의 lsquo이

야기하기rsquo 형식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언어 교육을 정치 도구화하여 사

상 교양의 수단으로 삼고 있는 사례이다(박 목이인제 19988)

읽기 교육의 내용은 낭독하기 심으로 선정되었고 특히 읽기 제재

련 독해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는 에서 남한과의 차이 이 확연하

2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게 드러난다 북한에서의 읽기 제재는 주로 김일성과 그 일가의 우상화

와 련된 제재이기 때문에 의 내용에 해 분석하거나 평가하는 이

른바 해석 비 수 의 읽기 능력을 계발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할

수도 있다 이것이 말하기 활동과 유기 인 련성을 갖는 듯하면서

도 특정 내용을 암기하게 하는 방편이라는 에도 주목해야 한다 그

이유는 읽기 교육의 내용으로 읽기 자료에 한 비 해석 수 의

읽기 활동이나 그를 한 교육 내용이 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박 목이인제 19988)

한 쓰기 교육에서도 문장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으

나 담화 구성하기 즉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물론 쓰기의 기 가 문장 수련에 있다는 논리를 개할 수는 있다 그

러나 단순 기계 반복 훈련에 지나지 않는 짧은 짓기 일변도의 내용

선정은 남한의 쓰기 교육 과 차이가 나는 이다 이는 북한이 학생들

의 창의 인 언어 사용을 시하기보다는 특정 인물에 한 우상화의 한

방편으로 그것도 사상 교양과 련되는 특정 내용을 주입하기 해 교

육을 수단으로 삼는 구체 인 가 된다(박 목이인제 19988)

북한의 사상 교육이 어느 정도로 강화되고 있는지는 실제로 북한의

국어 교과서를 분석해 보면 확연히 알 수 있다4) 읽기 말하기 쓰기와

4)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한 분석은 국립국어원(1992144)를 참고

할 수 있다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비해 최근 소학교 국어 교과

서의 사상 교육 모습은 다소 약화되었다 그러나 여 히 사상 교육이 강하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009년 개정된 북한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 2학년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이하 띄어쓰기는 북한 교과서를 따름)

1과-한 가 한시간 되어 수 없을가(동시) 한 령도자 김정일원수님

께서 친히 지으신 시

2과-잊을수 없는 그날(생활문) 집에서 반일지를 쓰고있을 때 김일성 원

수님께서 우리집에 찾아옴

3과-귀 한 45분(생활문) 수학시간 일화 선생님의 설명에 귀담아들어야 함

4과- 한 원수님을 우러러(생활문) 김정일원수님 고맙습니다

5과-우리보다 고운 꽃 없어요(동시) 경애하는 원수님 꽃피워주신 우리보다

고운 꽃 더는 없지요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9

같은 언어 기능 단원에서조차 내용은 모두 직 으로 주체사상과 연

계되어 있다(정주리 19977)

이상과 같이 남북의 국어과 교육의 차이는 북한이탈 학생의 학업

학교생활 응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탈북 청소년 학교생활에 응하지 못하고5) 도 탈락하는 비율

은 2010년 재 등학교 25 학교 44 고등학교 101로 체

탈락률이 47에 이른다 최고치 던 2007년 108에 비해 폭 낮아

진 것은 다행스럽다 이에 비해 남한 학생의 도 탈락률은 등학교

03 학교 08 고교 18이며 체로는 08에 불과하다 그 차

이가 무 크다(한만길 2012)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 비율은 매우 심각한 수 이다 이러한 학

6과-두 친구(동화) 곰을 피해 나무에 올라간 친구와 죽은체 하고있었던

친구 이야기

7과-백두산의 어린 장수( 기문) 김정일원수님의 어린 시

8과-분이와 인민군 아 씨( 화) 인민군 아 씨를 만난 분이와 그들의

9과-잠 못 드는 내 마음(동시) 원수님생각에 김정일장군님 잘 모셔

갈래요

10과-커가는 가방(생활문) 문건을 많이 넣는 가방과 원수님의 건강을 염

려하는 일군 이야기

11과-오소리와 구리(동화) 겨울나이굴을 매일 는 오소리와 일을 미

룬 구리 이야기

12과-꽃니의 인사( 화) 인사말

13과-들국화(동시) 김정숙어머니 오래오래 받들어 모시고 싶어 들국화는

피여난 요

14과-그림속의 룡마( 기문) 한 장군님께서 룡마를 타고 일제 토벌

를 무 름

15과-이름난 화가 솔거( 기문) 황룡사 소나무를 그린 솔거 이야기

16과- 돌이가 한 말(생활문) 철호네 반동무들이 꽃밭을 가꾸기 해

동무들에게 력락함 (이하 생략)

5) 한국교육개발원의 탈북 학생 조사에 따르면 등학생의 68 학생의

66가 탈북자라는 사실을 숨기고 싶어 한다 학부모 역시 62가 자신의

자녀가 탈북 학생이라는 사실을 공개하고 싶지 않다고 한다 그 이유는 탈

북 학생들이 주변 학생들로부터 소외되거나 따돌림을 당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한만길 2012)

3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력 결손은 남한에서의 정규 학교 진학을 어렵게 하여 고등학교 학

령기의 탈북 청소년 가운데 약 493만이 정규 학교에 재학하고 있다

특히 국어 어 수학 등 주요 과목의 학력 결손이 심하다 북한이탈주

민 학생의 경우 수학 과목에서 최소 기 능력 수인 60 에 도달

하지 못하는 비율이 80를 넘는다 그 이유를 분석해 보면 먼 북한

교육의 행 운 을 들 수 있다 90년 반 이후 학교 선생님들조

차 식량을 구하기 해 학교에 출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었기 때

문에 그 기간 동안 제 로 된 교육이 이루어졌을 리가 없다 둘째

국과 제3국에서의 장기간의 난민 생활로 학업 공백 기간이 긴 경우가

많다 셋째 아래와 같은 남북한의 교육 환경의 차이가 향을 미친다

(이향규 2006)

- 남북한 교육 제도의 차이(북한에서는 어를 시하지 않음)

- 교수 용어의 차이(남한-북한 곡선자-주름자 각-맞은각 뺄셈-

덜기 등)

- 수업 방식의 차이(듣고 말하고 발표하는 수업에 익숙지 않음)

- 평가 방식의 차이(북한에서는 객 식 시험이 없음)

- 틀린 것을 찾는 문제 이해하지 못함

(lsquo정답도 찾기 어려운데 왜 틀린 것을 찾아야 하나rsquo라고 반문함)

- 교육 내용과 평가 항목에 있는 문화 요소에 한 몰이해(상인 문화

상업주의 등)

13세에서 24세까지 11명의 탈북 청소년을 상으로 학교 응 실태를

질 으로 조사한 한 연구에서는 단어 자체의 의미가 북한과는 확연히 다

르거나 혹은 남한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나 사용 맥락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업 활동 교사가 제시하는 단어가

생소하고 설명을 이해하지 못하여도 두려운 마음에 질문하지 못하고 결

국 과제를 회피하거나 수업에 소극 으로 참여하게 된다고 응답하 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1

연구자가 2012년 8월말 송 구 거 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등

학생 4명을 상으로 심층 면 을 한 결과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문

제는 어려움이 덜 하나 교사의 설명이 어렵고 김홍도 링컨 등과 같이

북한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문화 배경 지식이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을 어려워하 다 교과서에 나오는 어휘는 정확히 이해

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추론을 하여 연상할 수 있다고 답변하 다 그

러나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교과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

하 다

특히 집단 활동이나 모둠별 활동을 강조하는 교과의 경우에 남한어

에 서툰 탈북 청소년은 집단원의 진행 화를 빨리 이해하지 못하여

본의 아니게 체 모둠 활동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

다 보면 집단원들의 불평과 따돌림이 발생하게 되어 탈북 청소년은 심

리 상처6)를 받게 된다 탈북 청소년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교과목으

로는 수학과 어를 들 수 있고 사회와 국어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국어는 남북한 언어의 차이로 인한 혼란이 반 된 것으로 보인

다(이수연 2008)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의 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 남북한 교과서

용어의 이질성에 해 국립국어원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의 교과서를 바

꿔 읽을 때 학생들의 용어 이해도는 50 이하로 상된다 교과서에는

학술 용어만이 아닌 일반 용어도 등장하는데 이 역시 읽기가 쉽지 않

다 를 들어 lsquo사주(使嗾)하다(남)사 하다(북) 왜곡(歪曲)(남)외곡

(북)rsquo 등의 남북한 간에 다른 용어만 보더라도 남한 학교 교육 과정에

6) 북한이탈주민들은 2음 어휘에서는 두 번째 음 에 3음 어휘에서는 첫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한다 그러나 남한에서는 2음 에서는 첫

번째 음 에 3음 에서는 두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하는 것이

일반 이다 이러한 언어 습 은 탈북 학생이 학 에서 큰 소리로 책을

읽을 때도 드러난다 거 등학교에서는 5학년 탈북 학생인 김학생이

책을 읽으면서 학생들에게 웃음거리가 되면서 아 학교에서 한 학기 이

상 입을 다물어 버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3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서 탈북 학생이 남한의 학생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일반 용어 사

용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수태 외 2008 김건희 외 2008)

남북한 교과서에 드러난 학술 용어의 차이를 세부 으로 검토해 보

면 국사조선력사 교과의 경우는 단순히 학술 용어의 차이를 뛰어넘어

역사 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탈북 청소년들이 사회 교과를 어

려워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 정치 경제 제도의 차이에 기인하기도 하

지만 북한에서 명목상 사회 과목이 있지만 실제 으로는 사회 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는 것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학 교과의 경우도 미국과 서유럽의 향을 받은 남한의 학문

향과 러시아의 향을 받은 북한의 학문 향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 국제 정세 속에서 정치 경제 외교 문화 향을 어떻게 받으

면서 수용해 왔는가에 한 역사가 교과서 학술 용어에 반 된 것이다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 응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은 인터뷰 내용으

로도 알 수 있다

ldquo처음에 많이 심각했죠 알아듣긴 알아듣는데 애들이 제 말을 못

알아듣는 거 요 그래서 많이 바꾸려고 노력했어요rdquo(탈북 청소년A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왔을 땐 조 이상했는데 방 익숙해졌어요 하나원에서

의 교육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rdquo(탈북 청소년B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는 알아듣는데요 애들이 못 알아듣는 거 요 단어도

다르고helliphellip 그래서 북한에서 왔다고 말했어요(탈북 청소년 인터뷰

C 장문강 2008210)

입국 기에 주로 언어 소통의 어려움을 느끼는데 남한 아이들의

말을 새터민 청소년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보다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특유의 억양과 상이한 단어 사용으로 인하여 남한의 아이들이 이해하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3

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교사들은 주로 서를 많이 해주는 데 비해서 남한의 교사들

은 그냥 설명을 하고 요한 것은 학생들이 알아서 필기하는 경우가

많은 문화도 언어의 차이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인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 차이와 함께 남한 학생들의 언어 태도 문제가 탈북 청소년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기도 한다 학교를 퇴한 한 학생의 경험에 의하면

그 학생이 컴퓨터를 하고 있을 경우 ldquo 이거 할 아니rdquo ldquo그 지

네가 당연히 못하지rdquo ldquo 이거 먹어 봤어rdquo 등 남한 학생들의 편견과

선입견에 사로잡 확인하고자 하는 태도가 탈북 청소년에게 큰 상처

를 다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인식이 탈북 청소년에게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문강(2008)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학교 응

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의 사회 교육을 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들이 교육이라는 체제를 통해 융합하고 통합하

고자 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이다(장문강 2008198)

학에서의 응도 쉽지 않다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학에 을 둔

인원은 약 700여 명이며 학업 보충 생활비 마련 등을 이유로 한 휴학

생을 제외한 재학생은 500여 명에 이른다고 무지개청소년센터는 추산

했다(2009년 7월 6일자 연합뉴스) 북한이탈주민은 재외국민 특별 형

상이지만 재외동포 자녀가 치러야 하는 한국어 시험은 보지 않고

어나 수학 등 일부 과목의 시험을 치러 입 자격을 얻는다 국립 등

록 은 면제이며 사립 의 경우는 50를 정부에서 보조하고 있다(통

일부)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입학을 하게 되어도 학 교육을 따라가

기가 쉽지 않다 연구자가 만난 한 북한이탈주민은 간호학과를 들어가

게 되었는데 간호학과 련된 교육 내용에서 어로 된 문어가 무

많아 공부를 계속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했다

3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3 취업 직장 생활에서의 언어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취업을 해 노력하지만 북한에서의 학력과 경력

자격증을 인정받지 못하고 남한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나 기술 등을 갖

추지 못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탈북자라는 신분 때문에 취업의 어

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구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진학이나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에 필요한 직업 기술을 갖추려고 하거나 정부의

지원 과 비정규직 수입에 의존하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 남성은 정규

직 취업을 기 하며 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반면 북한

이탈주민 여성들은 식당 주방일이나 형 마트의 계산원 병원 도우미

가사 도우미 등의 취업 기회가 남성보다 많지만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

고 소득도 낮은 수 이다

한 북한이탈주민이 어렵게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언어 차이로 인한 갈등 컴퓨터와 어 등으로 인한 직무 능력의 문제

남북한의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 차이로 인한 갈등 무 심과 경쟁주의

가 만연한 남한의 직장 문화로 인한 갈등 남북한 사람들 간의 의사소

통 방식의 차이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태도 등으로 인한 갈등

을 겪는다 이로 인해 직장 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고 자주 이직하는 문

제가 나타난다(조정아정진경 2006)

직장 생활 기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은 언어 문제와 편견 차별

우인 것으로 나타났고 3년 이상의 응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장래

성 부재 임 해당 분야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래어를 비롯한 남북한 언어 차이

어 컴퓨터 용어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

가 하는 것은 특히 직장 생활의 기 응을 결정짓는 건이 된다고

한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8: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2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게 드러난다 북한에서의 읽기 제재는 주로 김일성과 그 일가의 우상화

와 련된 제재이기 때문에 의 내용에 해 분석하거나 평가하는 이

른바 해석 비 수 의 읽기 능력을 계발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할

수도 있다 이것이 말하기 활동과 유기 인 련성을 갖는 듯하면서

도 특정 내용을 암기하게 하는 방편이라는 에도 주목해야 한다 그

이유는 읽기 교육의 내용으로 읽기 자료에 한 비 해석 수 의

읽기 활동이나 그를 한 교육 내용이 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박 목이인제 19988)

한 쓰기 교육에서도 문장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으

나 담화 구성하기 즉 수 의 쓰기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물론 쓰기의 기 가 문장 수련에 있다는 논리를 개할 수는 있다 그

러나 단순 기계 반복 훈련에 지나지 않는 짧은 짓기 일변도의 내용

선정은 남한의 쓰기 교육 과 차이가 나는 이다 이는 북한이 학생들

의 창의 인 언어 사용을 시하기보다는 특정 인물에 한 우상화의 한

방편으로 그것도 사상 교양과 련되는 특정 내용을 주입하기 해 교

육을 수단으로 삼는 구체 인 가 된다(박 목이인제 19988)

북한의 사상 교육이 어느 정도로 강화되고 있는지는 실제로 북한의

국어 교과서를 분석해 보면 확연히 알 수 있다4) 읽기 말하기 쓰기와

4)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한 분석은 국립국어원(1992144)를 참고

할 수 있다 북한의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비해 최근 소학교 국어 교과

서의 사상 교육 모습은 다소 약화되었다 그러나 여 히 사상 교육이 강하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009년 개정된 북한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 2학년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이하 띄어쓰기는 북한 교과서를 따름)

1과-한 가 한시간 되어 수 없을가(동시) 한 령도자 김정일원수님

께서 친히 지으신 시

2과-잊을수 없는 그날(생활문) 집에서 반일지를 쓰고있을 때 김일성 원

수님께서 우리집에 찾아옴

3과-귀 한 45분(생활문) 수학시간 일화 선생님의 설명에 귀담아들어야 함

4과- 한 원수님을 우러러(생활문) 김정일원수님 고맙습니다

5과-우리보다 고운 꽃 없어요(동시) 경애하는 원수님 꽃피워주신 우리보다

고운 꽃 더는 없지요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9

같은 언어 기능 단원에서조차 내용은 모두 직 으로 주체사상과 연

계되어 있다(정주리 19977)

이상과 같이 남북의 국어과 교육의 차이는 북한이탈 학생의 학업

학교생활 응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탈북 청소년 학교생활에 응하지 못하고5) 도 탈락하는 비율

은 2010년 재 등학교 25 학교 44 고등학교 101로 체

탈락률이 47에 이른다 최고치 던 2007년 108에 비해 폭 낮아

진 것은 다행스럽다 이에 비해 남한 학생의 도 탈락률은 등학교

03 학교 08 고교 18이며 체로는 08에 불과하다 그 차

이가 무 크다(한만길 2012)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 비율은 매우 심각한 수 이다 이러한 학

6과-두 친구(동화) 곰을 피해 나무에 올라간 친구와 죽은체 하고있었던

친구 이야기

7과-백두산의 어린 장수( 기문) 김정일원수님의 어린 시

8과-분이와 인민군 아 씨( 화) 인민군 아 씨를 만난 분이와 그들의

9과-잠 못 드는 내 마음(동시) 원수님생각에 김정일장군님 잘 모셔

갈래요

10과-커가는 가방(생활문) 문건을 많이 넣는 가방과 원수님의 건강을 염

려하는 일군 이야기

11과-오소리와 구리(동화) 겨울나이굴을 매일 는 오소리와 일을 미

룬 구리 이야기

12과-꽃니의 인사( 화) 인사말

13과-들국화(동시) 김정숙어머니 오래오래 받들어 모시고 싶어 들국화는

피여난 요

14과-그림속의 룡마( 기문) 한 장군님께서 룡마를 타고 일제 토벌

를 무 름

15과-이름난 화가 솔거( 기문) 황룡사 소나무를 그린 솔거 이야기

16과- 돌이가 한 말(생활문) 철호네 반동무들이 꽃밭을 가꾸기 해

동무들에게 력락함 (이하 생략)

5) 한국교육개발원의 탈북 학생 조사에 따르면 등학생의 68 학생의

66가 탈북자라는 사실을 숨기고 싶어 한다 학부모 역시 62가 자신의

자녀가 탈북 학생이라는 사실을 공개하고 싶지 않다고 한다 그 이유는 탈

북 학생들이 주변 학생들로부터 소외되거나 따돌림을 당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한만길 2012)

3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력 결손은 남한에서의 정규 학교 진학을 어렵게 하여 고등학교 학

령기의 탈북 청소년 가운데 약 493만이 정규 학교에 재학하고 있다

특히 국어 어 수학 등 주요 과목의 학력 결손이 심하다 북한이탈주

민 학생의 경우 수학 과목에서 최소 기 능력 수인 60 에 도달

하지 못하는 비율이 80를 넘는다 그 이유를 분석해 보면 먼 북한

교육의 행 운 을 들 수 있다 90년 반 이후 학교 선생님들조

차 식량을 구하기 해 학교에 출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었기 때

문에 그 기간 동안 제 로 된 교육이 이루어졌을 리가 없다 둘째

국과 제3국에서의 장기간의 난민 생활로 학업 공백 기간이 긴 경우가

많다 셋째 아래와 같은 남북한의 교육 환경의 차이가 향을 미친다

(이향규 2006)

- 남북한 교육 제도의 차이(북한에서는 어를 시하지 않음)

- 교수 용어의 차이(남한-북한 곡선자-주름자 각-맞은각 뺄셈-

덜기 등)

- 수업 방식의 차이(듣고 말하고 발표하는 수업에 익숙지 않음)

- 평가 방식의 차이(북한에서는 객 식 시험이 없음)

- 틀린 것을 찾는 문제 이해하지 못함

(lsquo정답도 찾기 어려운데 왜 틀린 것을 찾아야 하나rsquo라고 반문함)

- 교육 내용과 평가 항목에 있는 문화 요소에 한 몰이해(상인 문화

상업주의 등)

13세에서 24세까지 11명의 탈북 청소년을 상으로 학교 응 실태를

질 으로 조사한 한 연구에서는 단어 자체의 의미가 북한과는 확연히 다

르거나 혹은 남한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나 사용 맥락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업 활동 교사가 제시하는 단어가

생소하고 설명을 이해하지 못하여도 두려운 마음에 질문하지 못하고 결

국 과제를 회피하거나 수업에 소극 으로 참여하게 된다고 응답하 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1

연구자가 2012년 8월말 송 구 거 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등

학생 4명을 상으로 심층 면 을 한 결과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문

제는 어려움이 덜 하나 교사의 설명이 어렵고 김홍도 링컨 등과 같이

북한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문화 배경 지식이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을 어려워하 다 교과서에 나오는 어휘는 정확히 이해

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추론을 하여 연상할 수 있다고 답변하 다 그

러나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교과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

하 다

특히 집단 활동이나 모둠별 활동을 강조하는 교과의 경우에 남한어

에 서툰 탈북 청소년은 집단원의 진행 화를 빨리 이해하지 못하여

본의 아니게 체 모둠 활동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

다 보면 집단원들의 불평과 따돌림이 발생하게 되어 탈북 청소년은 심

리 상처6)를 받게 된다 탈북 청소년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교과목으

로는 수학과 어를 들 수 있고 사회와 국어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국어는 남북한 언어의 차이로 인한 혼란이 반 된 것으로 보인

다(이수연 2008)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의 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 남북한 교과서

용어의 이질성에 해 국립국어원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의 교과서를 바

꿔 읽을 때 학생들의 용어 이해도는 50 이하로 상된다 교과서에는

학술 용어만이 아닌 일반 용어도 등장하는데 이 역시 읽기가 쉽지 않

다 를 들어 lsquo사주(使嗾)하다(남)사 하다(북) 왜곡(歪曲)(남)외곡

(북)rsquo 등의 남북한 간에 다른 용어만 보더라도 남한 학교 교육 과정에

6) 북한이탈주민들은 2음 어휘에서는 두 번째 음 에 3음 어휘에서는 첫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한다 그러나 남한에서는 2음 에서는 첫

번째 음 에 3음 에서는 두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하는 것이

일반 이다 이러한 언어 습 은 탈북 학생이 학 에서 큰 소리로 책을

읽을 때도 드러난다 거 등학교에서는 5학년 탈북 학생인 김학생이

책을 읽으면서 학생들에게 웃음거리가 되면서 아 학교에서 한 학기 이

상 입을 다물어 버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3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서 탈북 학생이 남한의 학생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일반 용어 사

용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수태 외 2008 김건희 외 2008)

남북한 교과서에 드러난 학술 용어의 차이를 세부 으로 검토해 보

면 국사조선력사 교과의 경우는 단순히 학술 용어의 차이를 뛰어넘어

역사 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탈북 청소년들이 사회 교과를 어

려워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 정치 경제 제도의 차이에 기인하기도 하

지만 북한에서 명목상 사회 과목이 있지만 실제 으로는 사회 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는 것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학 교과의 경우도 미국과 서유럽의 향을 받은 남한의 학문

향과 러시아의 향을 받은 북한의 학문 향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 국제 정세 속에서 정치 경제 외교 문화 향을 어떻게 받으

면서 수용해 왔는가에 한 역사가 교과서 학술 용어에 반 된 것이다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 응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은 인터뷰 내용으

로도 알 수 있다

ldquo처음에 많이 심각했죠 알아듣긴 알아듣는데 애들이 제 말을 못

알아듣는 거 요 그래서 많이 바꾸려고 노력했어요rdquo(탈북 청소년A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왔을 땐 조 이상했는데 방 익숙해졌어요 하나원에서

의 교육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rdquo(탈북 청소년B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는 알아듣는데요 애들이 못 알아듣는 거 요 단어도

다르고helliphellip 그래서 북한에서 왔다고 말했어요(탈북 청소년 인터뷰

C 장문강 2008210)

입국 기에 주로 언어 소통의 어려움을 느끼는데 남한 아이들의

말을 새터민 청소년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보다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특유의 억양과 상이한 단어 사용으로 인하여 남한의 아이들이 이해하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3

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교사들은 주로 서를 많이 해주는 데 비해서 남한의 교사들

은 그냥 설명을 하고 요한 것은 학생들이 알아서 필기하는 경우가

많은 문화도 언어의 차이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인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 차이와 함께 남한 학생들의 언어 태도 문제가 탈북 청소년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기도 한다 학교를 퇴한 한 학생의 경험에 의하면

그 학생이 컴퓨터를 하고 있을 경우 ldquo 이거 할 아니rdquo ldquo그 지

네가 당연히 못하지rdquo ldquo 이거 먹어 봤어rdquo 등 남한 학생들의 편견과

선입견에 사로잡 확인하고자 하는 태도가 탈북 청소년에게 큰 상처

를 다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인식이 탈북 청소년에게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문강(2008)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학교 응

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의 사회 교육을 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들이 교육이라는 체제를 통해 융합하고 통합하

고자 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이다(장문강 2008198)

학에서의 응도 쉽지 않다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학에 을 둔

인원은 약 700여 명이며 학업 보충 생활비 마련 등을 이유로 한 휴학

생을 제외한 재학생은 500여 명에 이른다고 무지개청소년센터는 추산

했다(2009년 7월 6일자 연합뉴스) 북한이탈주민은 재외국민 특별 형

상이지만 재외동포 자녀가 치러야 하는 한국어 시험은 보지 않고

어나 수학 등 일부 과목의 시험을 치러 입 자격을 얻는다 국립 등

록 은 면제이며 사립 의 경우는 50를 정부에서 보조하고 있다(통

일부)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입학을 하게 되어도 학 교육을 따라가

기가 쉽지 않다 연구자가 만난 한 북한이탈주민은 간호학과를 들어가

게 되었는데 간호학과 련된 교육 내용에서 어로 된 문어가 무

많아 공부를 계속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했다

3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3 취업 직장 생활에서의 언어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취업을 해 노력하지만 북한에서의 학력과 경력

자격증을 인정받지 못하고 남한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나 기술 등을 갖

추지 못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탈북자라는 신분 때문에 취업의 어

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구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진학이나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에 필요한 직업 기술을 갖추려고 하거나 정부의

지원 과 비정규직 수입에 의존하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 남성은 정규

직 취업을 기 하며 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반면 북한

이탈주민 여성들은 식당 주방일이나 형 마트의 계산원 병원 도우미

가사 도우미 등의 취업 기회가 남성보다 많지만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

고 소득도 낮은 수 이다

한 북한이탈주민이 어렵게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언어 차이로 인한 갈등 컴퓨터와 어 등으로 인한 직무 능력의 문제

남북한의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 차이로 인한 갈등 무 심과 경쟁주의

가 만연한 남한의 직장 문화로 인한 갈등 남북한 사람들 간의 의사소

통 방식의 차이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태도 등으로 인한 갈등

을 겪는다 이로 인해 직장 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고 자주 이직하는 문

제가 나타난다(조정아정진경 2006)

직장 생활 기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은 언어 문제와 편견 차별

우인 것으로 나타났고 3년 이상의 응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장래

성 부재 임 해당 분야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래어를 비롯한 남북한 언어 차이

어 컴퓨터 용어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

가 하는 것은 특히 직장 생활의 기 응을 결정짓는 건이 된다고

한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9: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29

같은 언어 기능 단원에서조차 내용은 모두 직 으로 주체사상과 연

계되어 있다(정주리 19977)

이상과 같이 남북의 국어과 교육의 차이는 북한이탈 학생의 학업

학교생활 응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탈북 청소년 학교생활에 응하지 못하고5) 도 탈락하는 비율

은 2010년 재 등학교 25 학교 44 고등학교 101로 체

탈락률이 47에 이른다 최고치 던 2007년 108에 비해 폭 낮아

진 것은 다행스럽다 이에 비해 남한 학생의 도 탈락률은 등학교

03 학교 08 고교 18이며 체로는 08에 불과하다 그 차

이가 무 크다(한만길 2012)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 비율은 매우 심각한 수 이다 이러한 학

6과-두 친구(동화) 곰을 피해 나무에 올라간 친구와 죽은체 하고있었던

친구 이야기

7과-백두산의 어린 장수( 기문) 김정일원수님의 어린 시

8과-분이와 인민군 아 씨( 화) 인민군 아 씨를 만난 분이와 그들의

9과-잠 못 드는 내 마음(동시) 원수님생각에 김정일장군님 잘 모셔

갈래요

10과-커가는 가방(생활문) 문건을 많이 넣는 가방과 원수님의 건강을 염

려하는 일군 이야기

11과-오소리와 구리(동화) 겨울나이굴을 매일 는 오소리와 일을 미

룬 구리 이야기

12과-꽃니의 인사( 화) 인사말

13과-들국화(동시) 김정숙어머니 오래오래 받들어 모시고 싶어 들국화는

피여난 요

14과-그림속의 룡마( 기문) 한 장군님께서 룡마를 타고 일제 토벌

를 무 름

15과-이름난 화가 솔거( 기문) 황룡사 소나무를 그린 솔거 이야기

16과- 돌이가 한 말(생활문) 철호네 반동무들이 꽃밭을 가꾸기 해

동무들에게 력락함 (이하 생략)

5) 한국교육개발원의 탈북 학생 조사에 따르면 등학생의 68 학생의

66가 탈북자라는 사실을 숨기고 싶어 한다 학부모 역시 62가 자신의

자녀가 탈북 학생이라는 사실을 공개하고 싶지 않다고 한다 그 이유는 탈

북 학생들이 주변 학생들로부터 소외되거나 따돌림을 당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한만길 2012)

3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력 결손은 남한에서의 정규 학교 진학을 어렵게 하여 고등학교 학

령기의 탈북 청소년 가운데 약 493만이 정규 학교에 재학하고 있다

특히 국어 어 수학 등 주요 과목의 학력 결손이 심하다 북한이탈주

민 학생의 경우 수학 과목에서 최소 기 능력 수인 60 에 도달

하지 못하는 비율이 80를 넘는다 그 이유를 분석해 보면 먼 북한

교육의 행 운 을 들 수 있다 90년 반 이후 학교 선생님들조

차 식량을 구하기 해 학교에 출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었기 때

문에 그 기간 동안 제 로 된 교육이 이루어졌을 리가 없다 둘째

국과 제3국에서의 장기간의 난민 생활로 학업 공백 기간이 긴 경우가

많다 셋째 아래와 같은 남북한의 교육 환경의 차이가 향을 미친다

(이향규 2006)

- 남북한 교육 제도의 차이(북한에서는 어를 시하지 않음)

- 교수 용어의 차이(남한-북한 곡선자-주름자 각-맞은각 뺄셈-

덜기 등)

- 수업 방식의 차이(듣고 말하고 발표하는 수업에 익숙지 않음)

- 평가 방식의 차이(북한에서는 객 식 시험이 없음)

- 틀린 것을 찾는 문제 이해하지 못함

(lsquo정답도 찾기 어려운데 왜 틀린 것을 찾아야 하나rsquo라고 반문함)

- 교육 내용과 평가 항목에 있는 문화 요소에 한 몰이해(상인 문화

상업주의 등)

13세에서 24세까지 11명의 탈북 청소년을 상으로 학교 응 실태를

질 으로 조사한 한 연구에서는 단어 자체의 의미가 북한과는 확연히 다

르거나 혹은 남한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나 사용 맥락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업 활동 교사가 제시하는 단어가

생소하고 설명을 이해하지 못하여도 두려운 마음에 질문하지 못하고 결

국 과제를 회피하거나 수업에 소극 으로 참여하게 된다고 응답하 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1

연구자가 2012년 8월말 송 구 거 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등

학생 4명을 상으로 심층 면 을 한 결과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문

제는 어려움이 덜 하나 교사의 설명이 어렵고 김홍도 링컨 등과 같이

북한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문화 배경 지식이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을 어려워하 다 교과서에 나오는 어휘는 정확히 이해

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추론을 하여 연상할 수 있다고 답변하 다 그

러나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교과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

하 다

특히 집단 활동이나 모둠별 활동을 강조하는 교과의 경우에 남한어

에 서툰 탈북 청소년은 집단원의 진행 화를 빨리 이해하지 못하여

본의 아니게 체 모둠 활동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

다 보면 집단원들의 불평과 따돌림이 발생하게 되어 탈북 청소년은 심

리 상처6)를 받게 된다 탈북 청소년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교과목으

로는 수학과 어를 들 수 있고 사회와 국어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국어는 남북한 언어의 차이로 인한 혼란이 반 된 것으로 보인

다(이수연 2008)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의 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 남북한 교과서

용어의 이질성에 해 국립국어원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의 교과서를 바

꿔 읽을 때 학생들의 용어 이해도는 50 이하로 상된다 교과서에는

학술 용어만이 아닌 일반 용어도 등장하는데 이 역시 읽기가 쉽지 않

다 를 들어 lsquo사주(使嗾)하다(남)사 하다(북) 왜곡(歪曲)(남)외곡

(북)rsquo 등의 남북한 간에 다른 용어만 보더라도 남한 학교 교육 과정에

6) 북한이탈주민들은 2음 어휘에서는 두 번째 음 에 3음 어휘에서는 첫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한다 그러나 남한에서는 2음 에서는 첫

번째 음 에 3음 에서는 두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하는 것이

일반 이다 이러한 언어 습 은 탈북 학생이 학 에서 큰 소리로 책을

읽을 때도 드러난다 거 등학교에서는 5학년 탈북 학생인 김학생이

책을 읽으면서 학생들에게 웃음거리가 되면서 아 학교에서 한 학기 이

상 입을 다물어 버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3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서 탈북 학생이 남한의 학생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일반 용어 사

용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수태 외 2008 김건희 외 2008)

남북한 교과서에 드러난 학술 용어의 차이를 세부 으로 검토해 보

면 국사조선력사 교과의 경우는 단순히 학술 용어의 차이를 뛰어넘어

역사 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탈북 청소년들이 사회 교과를 어

려워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 정치 경제 제도의 차이에 기인하기도 하

지만 북한에서 명목상 사회 과목이 있지만 실제 으로는 사회 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는 것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학 교과의 경우도 미국과 서유럽의 향을 받은 남한의 학문

향과 러시아의 향을 받은 북한의 학문 향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 국제 정세 속에서 정치 경제 외교 문화 향을 어떻게 받으

면서 수용해 왔는가에 한 역사가 교과서 학술 용어에 반 된 것이다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 응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은 인터뷰 내용으

로도 알 수 있다

ldquo처음에 많이 심각했죠 알아듣긴 알아듣는데 애들이 제 말을 못

알아듣는 거 요 그래서 많이 바꾸려고 노력했어요rdquo(탈북 청소년A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왔을 땐 조 이상했는데 방 익숙해졌어요 하나원에서

의 교육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rdquo(탈북 청소년B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는 알아듣는데요 애들이 못 알아듣는 거 요 단어도

다르고helliphellip 그래서 북한에서 왔다고 말했어요(탈북 청소년 인터뷰

C 장문강 2008210)

입국 기에 주로 언어 소통의 어려움을 느끼는데 남한 아이들의

말을 새터민 청소년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보다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특유의 억양과 상이한 단어 사용으로 인하여 남한의 아이들이 이해하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3

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교사들은 주로 서를 많이 해주는 데 비해서 남한의 교사들

은 그냥 설명을 하고 요한 것은 학생들이 알아서 필기하는 경우가

많은 문화도 언어의 차이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인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 차이와 함께 남한 학생들의 언어 태도 문제가 탈북 청소년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기도 한다 학교를 퇴한 한 학생의 경험에 의하면

그 학생이 컴퓨터를 하고 있을 경우 ldquo 이거 할 아니rdquo ldquo그 지

네가 당연히 못하지rdquo ldquo 이거 먹어 봤어rdquo 등 남한 학생들의 편견과

선입견에 사로잡 확인하고자 하는 태도가 탈북 청소년에게 큰 상처

를 다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인식이 탈북 청소년에게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문강(2008)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학교 응

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의 사회 교육을 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들이 교육이라는 체제를 통해 융합하고 통합하

고자 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이다(장문강 2008198)

학에서의 응도 쉽지 않다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학에 을 둔

인원은 약 700여 명이며 학업 보충 생활비 마련 등을 이유로 한 휴학

생을 제외한 재학생은 500여 명에 이른다고 무지개청소년센터는 추산

했다(2009년 7월 6일자 연합뉴스) 북한이탈주민은 재외국민 특별 형

상이지만 재외동포 자녀가 치러야 하는 한국어 시험은 보지 않고

어나 수학 등 일부 과목의 시험을 치러 입 자격을 얻는다 국립 등

록 은 면제이며 사립 의 경우는 50를 정부에서 보조하고 있다(통

일부)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입학을 하게 되어도 학 교육을 따라가

기가 쉽지 않다 연구자가 만난 한 북한이탈주민은 간호학과를 들어가

게 되었는데 간호학과 련된 교육 내용에서 어로 된 문어가 무

많아 공부를 계속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했다

3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3 취업 직장 생활에서의 언어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취업을 해 노력하지만 북한에서의 학력과 경력

자격증을 인정받지 못하고 남한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나 기술 등을 갖

추지 못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탈북자라는 신분 때문에 취업의 어

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구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진학이나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에 필요한 직업 기술을 갖추려고 하거나 정부의

지원 과 비정규직 수입에 의존하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 남성은 정규

직 취업을 기 하며 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반면 북한

이탈주민 여성들은 식당 주방일이나 형 마트의 계산원 병원 도우미

가사 도우미 등의 취업 기회가 남성보다 많지만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

고 소득도 낮은 수 이다

한 북한이탈주민이 어렵게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언어 차이로 인한 갈등 컴퓨터와 어 등으로 인한 직무 능력의 문제

남북한의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 차이로 인한 갈등 무 심과 경쟁주의

가 만연한 남한의 직장 문화로 인한 갈등 남북한 사람들 간의 의사소

통 방식의 차이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태도 등으로 인한 갈등

을 겪는다 이로 인해 직장 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고 자주 이직하는 문

제가 나타난다(조정아정진경 2006)

직장 생활 기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은 언어 문제와 편견 차별

우인 것으로 나타났고 3년 이상의 응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장래

성 부재 임 해당 분야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래어를 비롯한 남북한 언어 차이

어 컴퓨터 용어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

가 하는 것은 특히 직장 생활의 기 응을 결정짓는 건이 된다고

한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10: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3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력 결손은 남한에서의 정규 학교 진학을 어렵게 하여 고등학교 학

령기의 탈북 청소년 가운데 약 493만이 정규 학교에 재학하고 있다

특히 국어 어 수학 등 주요 과목의 학력 결손이 심하다 북한이탈주

민 학생의 경우 수학 과목에서 최소 기 능력 수인 60 에 도달

하지 못하는 비율이 80를 넘는다 그 이유를 분석해 보면 먼 북한

교육의 행 운 을 들 수 있다 90년 반 이후 학교 선생님들조

차 식량을 구하기 해 학교에 출근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었기 때

문에 그 기간 동안 제 로 된 교육이 이루어졌을 리가 없다 둘째

국과 제3국에서의 장기간의 난민 생활로 학업 공백 기간이 긴 경우가

많다 셋째 아래와 같은 남북한의 교육 환경의 차이가 향을 미친다

(이향규 2006)

- 남북한 교육 제도의 차이(북한에서는 어를 시하지 않음)

- 교수 용어의 차이(남한-북한 곡선자-주름자 각-맞은각 뺄셈-

덜기 등)

- 수업 방식의 차이(듣고 말하고 발표하는 수업에 익숙지 않음)

- 평가 방식의 차이(북한에서는 객 식 시험이 없음)

- 틀린 것을 찾는 문제 이해하지 못함

(lsquo정답도 찾기 어려운데 왜 틀린 것을 찾아야 하나rsquo라고 반문함)

- 교육 내용과 평가 항목에 있는 문화 요소에 한 몰이해(상인 문화

상업주의 등)

13세에서 24세까지 11명의 탈북 청소년을 상으로 학교 응 실태를

질 으로 조사한 한 연구에서는 단어 자체의 의미가 북한과는 확연히 다

르거나 혹은 남한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나 사용 맥락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업 활동 교사가 제시하는 단어가

생소하고 설명을 이해하지 못하여도 두려운 마음에 질문하지 못하고 결

국 과제를 회피하거나 수업에 소극 으로 참여하게 된다고 응답하 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1

연구자가 2012년 8월말 송 구 거 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등

학생 4명을 상으로 심층 면 을 한 결과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문

제는 어려움이 덜 하나 교사의 설명이 어렵고 김홍도 링컨 등과 같이

북한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문화 배경 지식이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을 어려워하 다 교과서에 나오는 어휘는 정확히 이해

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추론을 하여 연상할 수 있다고 답변하 다 그

러나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교과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

하 다

특히 집단 활동이나 모둠별 활동을 강조하는 교과의 경우에 남한어

에 서툰 탈북 청소년은 집단원의 진행 화를 빨리 이해하지 못하여

본의 아니게 체 모둠 활동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

다 보면 집단원들의 불평과 따돌림이 발생하게 되어 탈북 청소년은 심

리 상처6)를 받게 된다 탈북 청소년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교과목으

로는 수학과 어를 들 수 있고 사회와 국어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국어는 남북한 언어의 차이로 인한 혼란이 반 된 것으로 보인

다(이수연 2008)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의 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 남북한 교과서

용어의 이질성에 해 국립국어원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의 교과서를 바

꿔 읽을 때 학생들의 용어 이해도는 50 이하로 상된다 교과서에는

학술 용어만이 아닌 일반 용어도 등장하는데 이 역시 읽기가 쉽지 않

다 를 들어 lsquo사주(使嗾)하다(남)사 하다(북) 왜곡(歪曲)(남)외곡

(북)rsquo 등의 남북한 간에 다른 용어만 보더라도 남한 학교 교육 과정에

6) 북한이탈주민들은 2음 어휘에서는 두 번째 음 에 3음 어휘에서는 첫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한다 그러나 남한에서는 2음 에서는 첫

번째 음 에 3음 에서는 두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하는 것이

일반 이다 이러한 언어 습 은 탈북 학생이 학 에서 큰 소리로 책을

읽을 때도 드러난다 거 등학교에서는 5학년 탈북 학생인 김학생이

책을 읽으면서 학생들에게 웃음거리가 되면서 아 학교에서 한 학기 이

상 입을 다물어 버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3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서 탈북 학생이 남한의 학생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일반 용어 사

용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수태 외 2008 김건희 외 2008)

남북한 교과서에 드러난 학술 용어의 차이를 세부 으로 검토해 보

면 국사조선력사 교과의 경우는 단순히 학술 용어의 차이를 뛰어넘어

역사 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탈북 청소년들이 사회 교과를 어

려워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 정치 경제 제도의 차이에 기인하기도 하

지만 북한에서 명목상 사회 과목이 있지만 실제 으로는 사회 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는 것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학 교과의 경우도 미국과 서유럽의 향을 받은 남한의 학문

향과 러시아의 향을 받은 북한의 학문 향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 국제 정세 속에서 정치 경제 외교 문화 향을 어떻게 받으

면서 수용해 왔는가에 한 역사가 교과서 학술 용어에 반 된 것이다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 응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은 인터뷰 내용으

로도 알 수 있다

ldquo처음에 많이 심각했죠 알아듣긴 알아듣는데 애들이 제 말을 못

알아듣는 거 요 그래서 많이 바꾸려고 노력했어요rdquo(탈북 청소년A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왔을 땐 조 이상했는데 방 익숙해졌어요 하나원에서

의 교육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rdquo(탈북 청소년B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는 알아듣는데요 애들이 못 알아듣는 거 요 단어도

다르고helliphellip 그래서 북한에서 왔다고 말했어요(탈북 청소년 인터뷰

C 장문강 2008210)

입국 기에 주로 언어 소통의 어려움을 느끼는데 남한 아이들의

말을 새터민 청소년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보다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특유의 억양과 상이한 단어 사용으로 인하여 남한의 아이들이 이해하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3

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교사들은 주로 서를 많이 해주는 데 비해서 남한의 교사들

은 그냥 설명을 하고 요한 것은 학생들이 알아서 필기하는 경우가

많은 문화도 언어의 차이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인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 차이와 함께 남한 학생들의 언어 태도 문제가 탈북 청소년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기도 한다 학교를 퇴한 한 학생의 경험에 의하면

그 학생이 컴퓨터를 하고 있을 경우 ldquo 이거 할 아니rdquo ldquo그 지

네가 당연히 못하지rdquo ldquo 이거 먹어 봤어rdquo 등 남한 학생들의 편견과

선입견에 사로잡 확인하고자 하는 태도가 탈북 청소년에게 큰 상처

를 다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인식이 탈북 청소년에게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문강(2008)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학교 응

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의 사회 교육을 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들이 교육이라는 체제를 통해 융합하고 통합하

고자 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이다(장문강 2008198)

학에서의 응도 쉽지 않다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학에 을 둔

인원은 약 700여 명이며 학업 보충 생활비 마련 등을 이유로 한 휴학

생을 제외한 재학생은 500여 명에 이른다고 무지개청소년센터는 추산

했다(2009년 7월 6일자 연합뉴스) 북한이탈주민은 재외국민 특별 형

상이지만 재외동포 자녀가 치러야 하는 한국어 시험은 보지 않고

어나 수학 등 일부 과목의 시험을 치러 입 자격을 얻는다 국립 등

록 은 면제이며 사립 의 경우는 50를 정부에서 보조하고 있다(통

일부)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입학을 하게 되어도 학 교육을 따라가

기가 쉽지 않다 연구자가 만난 한 북한이탈주민은 간호학과를 들어가

게 되었는데 간호학과 련된 교육 내용에서 어로 된 문어가 무

많아 공부를 계속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했다

3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3 취업 직장 생활에서의 언어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취업을 해 노력하지만 북한에서의 학력과 경력

자격증을 인정받지 못하고 남한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나 기술 등을 갖

추지 못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탈북자라는 신분 때문에 취업의 어

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구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진학이나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에 필요한 직업 기술을 갖추려고 하거나 정부의

지원 과 비정규직 수입에 의존하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 남성은 정규

직 취업을 기 하며 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반면 북한

이탈주민 여성들은 식당 주방일이나 형 마트의 계산원 병원 도우미

가사 도우미 등의 취업 기회가 남성보다 많지만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

고 소득도 낮은 수 이다

한 북한이탈주민이 어렵게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언어 차이로 인한 갈등 컴퓨터와 어 등으로 인한 직무 능력의 문제

남북한의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 차이로 인한 갈등 무 심과 경쟁주의

가 만연한 남한의 직장 문화로 인한 갈등 남북한 사람들 간의 의사소

통 방식의 차이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태도 등으로 인한 갈등

을 겪는다 이로 인해 직장 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고 자주 이직하는 문

제가 나타난다(조정아정진경 2006)

직장 생활 기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은 언어 문제와 편견 차별

우인 것으로 나타났고 3년 이상의 응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장래

성 부재 임 해당 분야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래어를 비롯한 남북한 언어 차이

어 컴퓨터 용어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

가 하는 것은 특히 직장 생활의 기 응을 결정짓는 건이 된다고

한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11: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1

연구자가 2012년 8월말 송 구 거 등학교에 재학 인 탈북 등

학생 4명을 상으로 심층 면 을 한 결과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문

제는 어려움이 덜 하나 교사의 설명이 어렵고 김홍도 링컨 등과 같이

북한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문화 배경 지식이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을 어려워하 다 교과서에 나오는 어휘는 정확히 이해

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추론을 하여 연상할 수 있다고 답변하 다 그

러나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교과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

하 다

특히 집단 활동이나 모둠별 활동을 강조하는 교과의 경우에 남한어

에 서툰 탈북 청소년은 집단원의 진행 화를 빨리 이해하지 못하여

본의 아니게 체 모둠 활동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

다 보면 집단원들의 불평과 따돌림이 발생하게 되어 탈북 청소년은 심

리 상처6)를 받게 된다 탈북 청소년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교과목으

로는 수학과 어를 들 수 있고 사회와 국어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국어는 남북한 언어의 차이로 인한 혼란이 반 된 것으로 보인

다(이수연 2008)

탈북 청소년의 학력 결손의 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 남북한 교과서

용어의 이질성에 해 국립국어원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의 교과서를 바

꿔 읽을 때 학생들의 용어 이해도는 50 이하로 상된다 교과서에는

학술 용어만이 아닌 일반 용어도 등장하는데 이 역시 읽기가 쉽지 않

다 를 들어 lsquo사주(使嗾)하다(남)사 하다(북) 왜곡(歪曲)(남)외곡

(북)rsquo 등의 남북한 간에 다른 용어만 보더라도 남한 학교 교육 과정에

6) 북한이탈주민들은 2음 어휘에서는 두 번째 음 에 3음 어휘에서는 첫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한다 그러나 남한에서는 2음 에서는 첫

번째 음 에 3음 에서는 두 번째 음 에 악센트를 두어 발음하는 것이

일반 이다 이러한 언어 습 은 탈북 학생이 학 에서 큰 소리로 책을

읽을 때도 드러난다 거 등학교에서는 5학년 탈북 학생인 김학생이

책을 읽으면서 학생들에게 웃음거리가 되면서 아 학교에서 한 학기 이

상 입을 다물어 버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3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서 탈북 학생이 남한의 학생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일반 용어 사

용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수태 외 2008 김건희 외 2008)

남북한 교과서에 드러난 학술 용어의 차이를 세부 으로 검토해 보

면 국사조선력사 교과의 경우는 단순히 학술 용어의 차이를 뛰어넘어

역사 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탈북 청소년들이 사회 교과를 어

려워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 정치 경제 제도의 차이에 기인하기도 하

지만 북한에서 명목상 사회 과목이 있지만 실제 으로는 사회 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는 것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학 교과의 경우도 미국과 서유럽의 향을 받은 남한의 학문

향과 러시아의 향을 받은 북한의 학문 향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 국제 정세 속에서 정치 경제 외교 문화 향을 어떻게 받으

면서 수용해 왔는가에 한 역사가 교과서 학술 용어에 반 된 것이다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 응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은 인터뷰 내용으

로도 알 수 있다

ldquo처음에 많이 심각했죠 알아듣긴 알아듣는데 애들이 제 말을 못

알아듣는 거 요 그래서 많이 바꾸려고 노력했어요rdquo(탈북 청소년A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왔을 땐 조 이상했는데 방 익숙해졌어요 하나원에서

의 교육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rdquo(탈북 청소년B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는 알아듣는데요 애들이 못 알아듣는 거 요 단어도

다르고helliphellip 그래서 북한에서 왔다고 말했어요(탈북 청소년 인터뷰

C 장문강 2008210)

입국 기에 주로 언어 소통의 어려움을 느끼는데 남한 아이들의

말을 새터민 청소년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보다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특유의 억양과 상이한 단어 사용으로 인하여 남한의 아이들이 이해하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3

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교사들은 주로 서를 많이 해주는 데 비해서 남한의 교사들

은 그냥 설명을 하고 요한 것은 학생들이 알아서 필기하는 경우가

많은 문화도 언어의 차이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인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 차이와 함께 남한 학생들의 언어 태도 문제가 탈북 청소년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기도 한다 학교를 퇴한 한 학생의 경험에 의하면

그 학생이 컴퓨터를 하고 있을 경우 ldquo 이거 할 아니rdquo ldquo그 지

네가 당연히 못하지rdquo ldquo 이거 먹어 봤어rdquo 등 남한 학생들의 편견과

선입견에 사로잡 확인하고자 하는 태도가 탈북 청소년에게 큰 상처

를 다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인식이 탈북 청소년에게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문강(2008)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학교 응

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의 사회 교육을 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들이 교육이라는 체제를 통해 융합하고 통합하

고자 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이다(장문강 2008198)

학에서의 응도 쉽지 않다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학에 을 둔

인원은 약 700여 명이며 학업 보충 생활비 마련 등을 이유로 한 휴학

생을 제외한 재학생은 500여 명에 이른다고 무지개청소년센터는 추산

했다(2009년 7월 6일자 연합뉴스) 북한이탈주민은 재외국민 특별 형

상이지만 재외동포 자녀가 치러야 하는 한국어 시험은 보지 않고

어나 수학 등 일부 과목의 시험을 치러 입 자격을 얻는다 국립 등

록 은 면제이며 사립 의 경우는 50를 정부에서 보조하고 있다(통

일부)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입학을 하게 되어도 학 교육을 따라가

기가 쉽지 않다 연구자가 만난 한 북한이탈주민은 간호학과를 들어가

게 되었는데 간호학과 련된 교육 내용에서 어로 된 문어가 무

많아 공부를 계속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했다

3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3 취업 직장 생활에서의 언어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취업을 해 노력하지만 북한에서의 학력과 경력

자격증을 인정받지 못하고 남한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나 기술 등을 갖

추지 못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탈북자라는 신분 때문에 취업의 어

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구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진학이나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에 필요한 직업 기술을 갖추려고 하거나 정부의

지원 과 비정규직 수입에 의존하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 남성은 정규

직 취업을 기 하며 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반면 북한

이탈주민 여성들은 식당 주방일이나 형 마트의 계산원 병원 도우미

가사 도우미 등의 취업 기회가 남성보다 많지만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

고 소득도 낮은 수 이다

한 북한이탈주민이 어렵게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언어 차이로 인한 갈등 컴퓨터와 어 등으로 인한 직무 능력의 문제

남북한의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 차이로 인한 갈등 무 심과 경쟁주의

가 만연한 남한의 직장 문화로 인한 갈등 남북한 사람들 간의 의사소

통 방식의 차이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태도 등으로 인한 갈등

을 겪는다 이로 인해 직장 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고 자주 이직하는 문

제가 나타난다(조정아정진경 2006)

직장 생활 기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은 언어 문제와 편견 차별

우인 것으로 나타났고 3년 이상의 응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장래

성 부재 임 해당 분야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래어를 비롯한 남북한 언어 차이

어 컴퓨터 용어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

가 하는 것은 특히 직장 생활의 기 응을 결정짓는 건이 된다고

한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12: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3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서 탈북 학생이 남한의 학생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일반 용어 사

용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수태 외 2008 김건희 외 2008)

남북한 교과서에 드러난 학술 용어의 차이를 세부 으로 검토해 보

면 국사조선력사 교과의 경우는 단순히 학술 용어의 차이를 뛰어넘어

역사 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탈북 청소년들이 사회 교과를 어

려워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 정치 경제 제도의 차이에 기인하기도 하

지만 북한에서 명목상 사회 과목이 있지만 실제 으로는 사회 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는 것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학 교과의 경우도 미국과 서유럽의 향을 받은 남한의 학문

향과 러시아의 향을 받은 북한의 학문 향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 국제 정세 속에서 정치 경제 외교 문화 향을 어떻게 받으

면서 수용해 왔는가에 한 역사가 교과서 학술 용어에 반 된 것이다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 응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은 인터뷰 내용으

로도 알 수 있다

ldquo처음에 많이 심각했죠 알아듣긴 알아듣는데 애들이 제 말을 못

알아듣는 거 요 그래서 많이 바꾸려고 노력했어요rdquo(탈북 청소년A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왔을 땐 조 이상했는데 방 익숙해졌어요 하나원에서

의 교육이 도움이 된 것 같아요rdquo(탈북 청소년B 인터뷰 장문강

2008209)

ldquo처음에 는 알아듣는데요 애들이 못 알아듣는 거 요 단어도

다르고helliphellip 그래서 북한에서 왔다고 말했어요(탈북 청소년 인터뷰

C 장문강 2008210)

입국 기에 주로 언어 소통의 어려움을 느끼는데 남한 아이들의

말을 새터민 청소년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보다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특유의 억양과 상이한 단어 사용으로 인하여 남한의 아이들이 이해하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3

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교사들은 주로 서를 많이 해주는 데 비해서 남한의 교사들

은 그냥 설명을 하고 요한 것은 학생들이 알아서 필기하는 경우가

많은 문화도 언어의 차이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인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 차이와 함께 남한 학생들의 언어 태도 문제가 탈북 청소년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기도 한다 학교를 퇴한 한 학생의 경험에 의하면

그 학생이 컴퓨터를 하고 있을 경우 ldquo 이거 할 아니rdquo ldquo그 지

네가 당연히 못하지rdquo ldquo 이거 먹어 봤어rdquo 등 남한 학생들의 편견과

선입견에 사로잡 확인하고자 하는 태도가 탈북 청소년에게 큰 상처

를 다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인식이 탈북 청소년에게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문강(2008)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학교 응

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의 사회 교육을 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들이 교육이라는 체제를 통해 융합하고 통합하

고자 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이다(장문강 2008198)

학에서의 응도 쉽지 않다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학에 을 둔

인원은 약 700여 명이며 학업 보충 생활비 마련 등을 이유로 한 휴학

생을 제외한 재학생은 500여 명에 이른다고 무지개청소년센터는 추산

했다(2009년 7월 6일자 연합뉴스) 북한이탈주민은 재외국민 특별 형

상이지만 재외동포 자녀가 치러야 하는 한국어 시험은 보지 않고

어나 수학 등 일부 과목의 시험을 치러 입 자격을 얻는다 국립 등

록 은 면제이며 사립 의 경우는 50를 정부에서 보조하고 있다(통

일부)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입학을 하게 되어도 학 교육을 따라가

기가 쉽지 않다 연구자가 만난 한 북한이탈주민은 간호학과를 들어가

게 되었는데 간호학과 련된 교육 내용에서 어로 된 문어가 무

많아 공부를 계속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했다

3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3 취업 직장 생활에서의 언어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취업을 해 노력하지만 북한에서의 학력과 경력

자격증을 인정받지 못하고 남한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나 기술 등을 갖

추지 못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탈북자라는 신분 때문에 취업의 어

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구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진학이나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에 필요한 직업 기술을 갖추려고 하거나 정부의

지원 과 비정규직 수입에 의존하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 남성은 정규

직 취업을 기 하며 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반면 북한

이탈주민 여성들은 식당 주방일이나 형 마트의 계산원 병원 도우미

가사 도우미 등의 취업 기회가 남성보다 많지만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

고 소득도 낮은 수 이다

한 북한이탈주민이 어렵게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언어 차이로 인한 갈등 컴퓨터와 어 등으로 인한 직무 능력의 문제

남북한의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 차이로 인한 갈등 무 심과 경쟁주의

가 만연한 남한의 직장 문화로 인한 갈등 남북한 사람들 간의 의사소

통 방식의 차이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태도 등으로 인한 갈등

을 겪는다 이로 인해 직장 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고 자주 이직하는 문

제가 나타난다(조정아정진경 2006)

직장 생활 기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은 언어 문제와 편견 차별

우인 것으로 나타났고 3년 이상의 응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장래

성 부재 임 해당 분야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래어를 비롯한 남북한 언어 차이

어 컴퓨터 용어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

가 하는 것은 특히 직장 생활의 기 응을 결정짓는 건이 된다고

한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13: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3

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교사들은 주로 서를 많이 해주는 데 비해서 남한의 교사들

은 그냥 설명을 하고 요한 것은 학생들이 알아서 필기하는 경우가

많은 문화도 언어의 차이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인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 차이와 함께 남한 학생들의 언어 태도 문제가 탈북 청소년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기도 한다 학교를 퇴한 한 학생의 경험에 의하면

그 학생이 컴퓨터를 하고 있을 경우 ldquo 이거 할 아니rdquo ldquo그 지

네가 당연히 못하지rdquo ldquo 이거 먹어 봤어rdquo 등 남한 학생들의 편견과

선입견에 사로잡 확인하고자 하는 태도가 탈북 청소년에게 큰 상처

를 다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인식이 탈북 청소년에게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문강(2008)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학교 응

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차원에서

의 사회 교육을 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들이 교육이라는 체제를 통해 융합하고 통합하

고자 하는 것이 다문화 교육이다(장문강 2008198)

학에서의 응도 쉽지 않다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학에 을 둔

인원은 약 700여 명이며 학업 보충 생활비 마련 등을 이유로 한 휴학

생을 제외한 재학생은 500여 명에 이른다고 무지개청소년센터는 추산

했다(2009년 7월 6일자 연합뉴스) 북한이탈주민은 재외국민 특별 형

상이지만 재외동포 자녀가 치러야 하는 한국어 시험은 보지 않고

어나 수학 등 일부 과목의 시험을 치러 입 자격을 얻는다 국립 등

록 은 면제이며 사립 의 경우는 50를 정부에서 보조하고 있다(통

일부)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입학을 하게 되어도 학 교육을 따라가

기가 쉽지 않다 연구자가 만난 한 북한이탈주민은 간호학과를 들어가

게 되었는데 간호학과 련된 교육 내용에서 어로 된 문어가 무

많아 공부를 계속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했다

3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3 취업 직장 생활에서의 언어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취업을 해 노력하지만 북한에서의 학력과 경력

자격증을 인정받지 못하고 남한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나 기술 등을 갖

추지 못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탈북자라는 신분 때문에 취업의 어

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구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진학이나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에 필요한 직업 기술을 갖추려고 하거나 정부의

지원 과 비정규직 수입에 의존하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 남성은 정규

직 취업을 기 하며 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반면 북한

이탈주민 여성들은 식당 주방일이나 형 마트의 계산원 병원 도우미

가사 도우미 등의 취업 기회가 남성보다 많지만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

고 소득도 낮은 수 이다

한 북한이탈주민이 어렵게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언어 차이로 인한 갈등 컴퓨터와 어 등으로 인한 직무 능력의 문제

남북한의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 차이로 인한 갈등 무 심과 경쟁주의

가 만연한 남한의 직장 문화로 인한 갈등 남북한 사람들 간의 의사소

통 방식의 차이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태도 등으로 인한 갈등

을 겪는다 이로 인해 직장 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고 자주 이직하는 문

제가 나타난다(조정아정진경 2006)

직장 생활 기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은 언어 문제와 편견 차별

우인 것으로 나타났고 3년 이상의 응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장래

성 부재 임 해당 분야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래어를 비롯한 남북한 언어 차이

어 컴퓨터 용어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

가 하는 것은 특히 직장 생활의 기 응을 결정짓는 건이 된다고

한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14: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3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23 취업 직장 생활에서의 언어 응 실태

북한이탈주민들은 취업을 해 노력하지만 북한에서의 학력과 경력

자격증을 인정받지 못하고 남한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나 기술 등을 갖

추지 못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탈북자라는 신분 때문에 취업의 어

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구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진학이나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에 필요한 직업 기술을 갖추려고 하거나 정부의

지원 과 비정규직 수입에 의존하기도 한다 북한이탈주민 남성은 정규

직 취업을 기 하며 무직으로 지내는 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반면 북한

이탈주민 여성들은 식당 주방일이나 형 마트의 계산원 병원 도우미

가사 도우미 등의 취업 기회가 남성보다 많지만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

고 소득도 낮은 수 이다

한 북한이탈주민이 어렵게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언어 차이로 인한 갈등 컴퓨터와 어 등으로 인한 직무 능력의 문제

남북한의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 차이로 인한 갈등 무 심과 경쟁주의

가 만연한 남한의 직장 문화로 인한 갈등 남북한 사람들 간의 의사소

통 방식의 차이 남한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 태도 등으로 인한 갈등

을 겪는다 이로 인해 직장 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고 자주 이직하는 문

제가 나타난다(조정아정진경 2006)

직장 생활 기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은 언어 문제와 편견 차별

우인 것으로 나타났고 3년 이상의 응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장래

성 부재 임 해당 분야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래어를 비롯한 남북한 언어 차이

어 컴퓨터 용어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는

가 하는 것은 특히 직장 생활의 기 응을 결정짓는 건이 된다고

한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15: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5

1 남북한 언어 차이로 인한 직무 수행과 인 계의 어려움(lsquo사오정rsquo)

2 lsquo ( 어)맹rsquo과 lsquo컴맹rsquo으로 인한 직무 수행의 어려움

3 남북한 직장 문화

차이

983791북한의 lsquo그럭 럭 시간 때우기rsquo남한의 lsquo죽기 살

기로rsquo (노동 강도와 노동 규율의 차이)

983791공동체 문화무 심과 경쟁

983791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lsquo솔직하게rsquolsquo이 인rsquo

lt표 2gt 북한이탈주민 직장 응의 어려움

다른 연구에서는 lsquo의사소통 방식의 차이rsquo와 련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인 계 방식은 직장 내 갈등 상황을 조성하는 경향이 있

다고 지 한다 즉 북한식의 갈등 해결 기제는 타 없이 결로 치닫

는 구조여서 남한의 직장 문화에서는 수용되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화

인 장벽을 북한이탈주민들 입장에서는 북한 사람이어서 차별받는 것

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남한 사람들의 북한 사람들에 한 부정

인 인식과 편견도 여기에 복합 으로 작용한다(김화순김 수 2004)

2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응 실태

재까지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실태 조사는 정경일(2001) 문

이홍식김경령(2005) 문 (20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태 조사

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차이로 인한 불편의 정도 구체 인 어

려움의 원인 기존 언어 교육의 만족도와 개선안 남한어 학습 노력 여

부와 방법 응 기간 등을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악하고자 했다 다음

은 정경일(2001)이 남한 입국 5년 이내의 남녀 북한이탈주민 90명을

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16: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3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설문 항목 응답 추가 응답

언어 차이 실감 정도

실감 898실감 못함 56

언어 차이 상 정도

상보다 매우 크다 529비슷하다 218

생활 불편 경험도

불편 719

말하기 응도

내 말을 남한 주민이 이해 못함 416이해함 169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발음과 억양 343 생소한 단어 294 단어 의미 차 259

듣기 응도

나는 남한 주민의 말을 기에 거의 이해 못함 448

충분히 제법 이해함 241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생소한 단어 339 발음과 억양 274 단어 의미 차 196

어에 한 응도

응 안 됨 759

외래어 표기 간 상표

ldquo물건 살 때 알아들을 수가 없다(특히 화장품 가게) 음식 이름이 북과 남이 달라 애로이 많다rdquo(여51세회령 출신)ldquo간 명칭을 어로 쓰니 이해하기 어렵다rdquo(남63세신의주 출신)

한자에 한 응도

응 안 됨 696

lt표 3gt 정경일(2001)의 실태 조사 결과

북한에 거주할 당시부터 534가 남북한 간에 언어 차이가 있으리

라고 생각하 다고 응답하 다 그런데 남한에 도착하여 경험하게 된

언어 차이는 입국하기 에 상했던 것보다 lsquo매우rsquo 차이가 나기도 하

고(529) lsquo비슷rsquo하기도 하다(218)고 응답하고 있다 따라서 남한 입

국 이후 실제로 하게 된 남북한의 언어 차이는 그들이 생각했던 것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17: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7

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719가 언어 차이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착 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 lsquo rsquo 는 lsquo거의rsquo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lsquo생소한 단어rsquo를 지

한 응답자가 339 lsquo발음과 억양rsquo이 274 lsquo의미 차이rsquo가 196이었

다 이때 lsquo생소한 단어rsquo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회 문화 체제에

기인한 낯선 단어 등을 꼽았으며 외래어 특히 어로 인한 어려움이

심각하다고 반응하 다 그 결과 외래어와 어가 많은 간 과 고 상

표에 한 응도가 상 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북한 언어 차이를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되기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568가 2년 이내에 언어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한다

고 보고하 다(정경일 2001) 다른 조사에서는 52가 2년 이내라고

하 으나 3년 이상이 걸린다고 응답한 비율도 37로 나타났다(문

2006) 이는 언어 응의 기 이 개인 인 기 치에 따라 주 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 진학 후 취업을 상하는 청소년층 고학

력자와 같이 직업 기 치가 높은 상자들은 언어 응의 기 도 높아

상되는 언어 응 기간을 길게 잡고 있었다(Kim 2007)

반면 주로 생산직에 종사하는 학력자들은 언어 응의 기 이 높

지 않아 언어 응 기간을 짧게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상자의 학

력 수 직업 유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응 교육이 차별화되어야 함

을 보여 다 실제 문장 내 어휘를 주고 그 어휘를 아는지 검사한 연구

(문 외 2005)에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어휘력이 좋아졌는데 19

개월 이상 그룹은 남한 사람의 수 에 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18: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3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국어 능력 향상 로그램

(30시간)

어휘표 학습lt남북한 언어 비교gt 8

983791남북한 어문 규정 차이983791남북한 어휘표 비교

lt외래어gt 14

발음억양 교정 lt표 발음 연습gt 4

983791발화 문제 악하기983791발음억양

교정 방법 연습

3 북한이탈주민 대상 어휘 교육의 현황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재 하나원에서 공식 으

로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센터7)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

구(NGO) 등에서 자체 으로 혹은 국립국어원과 조하여 언어 응

로그램을 개설하고 이 로그램에 자발 으로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어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1 하나원에서의 어휘 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은 의무 으로 3개월 동안 하나원에 머무르면서 남한

사회 응 교육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어휘 교육을 포함하여 언어

응 교육을 받게 된다 2011년 4월 개편된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은 lt표 4gt lt표 5gt와 같다(신명선 외 2012 참조)

lt표 4gt 하나원의 언어 응 교육 로그램(필수 기 학습)

7) 하나센터는 거주지에서 기 응 취업진로 지도 등 종합 인 정착

지원을 통해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하기 해 북한이탈주민 지역 응

교육을 실시하는 기 이다 하나원에서 지역으로 입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3주간의 기 집 교육과 1년간의 착된 사후 리 서비스를

실시한다 2011년 11월 재 국에 31곳의 하나센터가 있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19: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39

구분 과목명 시간 내용

사회 언어 학습 lt언어와 문화gt 4

983791언어 상황별 인사 화법983791호칭지칭어

익히기

주 교재 lt새로운 언어생활gt 2011 5(개정 )

기타 기 어(2시간)

lt표 5gt 하나원의 상담 로그램(선택 심화 학습)

구분 내용

우리말상담실로그램

어휘표 학습(22시간)

lt우리말 교실gt (매주 월-수 0교시(8시-9시 사이) 총22시간)

- lsquo 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어식 표 200rsquo

- lsquo남한 말 그 숨은 의미를 찾아서rsquo( 용구 익히기)

- lsquo문장 부호―기호 익히기rsquo - lsquo생활 문화 련 어휘 100선rsquo - 분야별 어휘 풀이 보충 - 뉴스 속 어휘 익히기(주 1회) 견본 모형을 통해 어휘 익히기(상담실

내 비치) 교재 사 여제 실시 원내 게시 에 lt우리말 우리 gt (주 1회

교체) 게시식당 배식 에 lt오늘의 외래어gt (1일 1회 교체) 게시

발음억양 교정(3시간)

맞춤형 발음 교정(11 혹은 집단) 상담실 내 Lab실 운 음원 이용 반복

학습

사회 언어 학습

상담 신청 수 11 상담 - 면 화법―직장 화법 등 상황별 화법

심화 학습 상담 면 직장 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은 진로 분야에서 1차 으로 다루고 있음

화법 련 도서 여제 실시

기타 한 교실(11 학습 주3~4회)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20: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4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하나원 정규 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수를 차지하는 것이 lsquo외래어rsquo

학습이다

32 하나센터에서의 어휘 교육

일부 하나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표 어

휘를 포함한 표 어를 교육한다 하나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의무

으로 남한 어휘를 학습해야 하지만 하나센터에서는 자원하는 사람에

한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한다는 차이 이 있다 아직까지 표 화된 어

휘 교육 내용이나 교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 의 사정에

따라 어휘 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센터에서

어휘 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한 표 모델을 제시하기는 힘들다

33 국립국어원 주 로그램에서의 어휘 교육

국립국어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언어 응을 돕기 해 2005년부

터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연구하고 북한이탈주민 상

특별 과정을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이 어휘 교육과 련된 연구 성

과물로는 2010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

구(신명선 외)rsquo와 이를 바탕으로 2011년에 수행한 lsquo새터민 어휘 학습용

실물 교재 개발(권순희 외)rsquo이 있다 이 연구 결과 2012년에는 ≪북한이

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 1권 2권 3권rsquo이 출간되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하나센터 주민 센터 종교 기 비정부 기구

(NGO) 등 련 기 과 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을 한 표 어 교실을

운 하여 로그램 기획 강사 견을 담당하고 있다 표 어 교육과

정에는 기본 으로 표 발음과 억양 표 어휘와 표 남북 어문 규

정 비교 등의 내용이 들어가는데 각 역의 시수는 기 의 사정에 따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21: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1

라 유동 이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공식 으로는 유일하다 그러나 하나원에 머무르는 동안 북한이탈주민

은 남한 사회 진출에 한 희망과 걱정 때문에 어휘 교육에 집 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김석향 2006) 이러한 실을 감안할 때 북한이

탈주민 상 어휘 교육은 특정 기간에 특정 기 을 심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장기 인 안목에서 체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로 살펴본 시사점

지 까지 우리나라 북한이탈주민의 응 실태와 어휘 교육 황을

살펴보았다 분단 40여 년에 통일 20여 년이 지난 독일의 통합 정책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 을 것이다 독일의 통합 정책

의 기본 방향은 동독이탈주민의 기 정착 시 기본 인 삶을 유할

수 있도록 서독 주민과 동등한 수 의 사회 보장 제도를 용하는 수

용 정책이 바탕이 되고 직업을 매개로 궁극 인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직업 통합 정책이 핵심이었다(허 20111) 경제 자립을 사회 통

합의 기 로 삼은 것이다 통일 표 인 독일의 통합 정책은 lsquo동독

이주민의 서독 통합을 한 특별 로그램rsquo(1986년 10월 16일 독일 의

회 의결)이다 의식주 언어 습득 지원 학제 경제계 편입과 실향민

단체 자선 사업 단체를 통한 개별 상담과 리 분야에서 이주민 정

착 지원에 한 개선책을 포함한 것이다(허 20119)

그런데 이 통합 정책 안에는 독일어 통합이 함께 맞물려있다 동서

독 언어 이질화 문제는 주로 어휘 역에 집 되어 있다 이념과 무

한 정서법 문법은 동서독 언어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특히 말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 다 반면 어휘 역에서는 그 차이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22: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4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가 한데 일상어보다는 공 언어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이

원경 2010) 남북한의 경우는 독일의 사정과는 다르지만 기 정착기에

는 일상생활 어휘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만 차츰 정착하면서부터는

문 직업 어휘 학습 어휘 등과 같이 문성이 드러난 어휘에서 어려움

을 겪는다 언어 통합과 더불어 언어 정책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문화

소통 상담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내 인 의식의 형성 문화 통합이

요하다 언어 통합을 흡수 통합하는 방식으로 일방 으로 강요했을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존을 한 언어 의식의 형성이 요하다 이론 이고

추상 인 정책의 이면에서 통합을 진시켜 온 것의 핵심에는 문화 상

징 기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제 언어 통합은 단순히 개인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응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간의 소통 융합과 포용

을 한 실천 인 방안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1993년 할 의 마틴 루터 학 독어독문학과에 언어 상담소를 설립

하고(이원경 201035) 상담소에서 동독인의 궁 증을 풀어주고 새로운

어휘 습득을 지원하는 상담 교육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사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이후 20년이 지난 재 독일은 서독의 체계에 흡수 통합되는

형국을 이루었다 생활의 거의 모든 역에서 새로운 상황에 응해야

했던 것은 동독 지역 거주자들이었다(이원경 201032) 언어 역도

외가 아니다

언어 정책과 더불어 문화 다양성과 문화 통합이 논의되어야 한

다 다문화 시 국제화 시 라는 실을 반 하여 남북 언어 통합의

문제와 더불어 아시아 문화의 심지로서의 언어정책을 논의할 때가

되었다 모국어로서의 국어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에 한 언어 교육 정책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23: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3

5 결 론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 에서 한반도에 평화와

번 을 정착시킬 통일 시 를 미리 비해야 한다 이에 국어 교육

한 통일 시 를 비하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역사 유산을 계

승하여 민족의 미래를 능동 으로 개척하고 비하는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와 직 으로 연 된 일이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언어

응을 돕는 것이다 지 까지 남한 정착 2년 이내의 성인 북한이탈주민

을 상으로 한 어휘 교육은 나름 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이들을

한 어휘 교재도 개발되었으나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논의는 아직 미흡한 수 이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문

어휘를 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등

국어 교육에서 더 많은 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청소년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육은 그 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력 결손 원인 하나가 어휘력 부족과 남북 교과

서의 용어 차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이수연 2008) 이들을

상으로 한 학습 어휘 교재 학습 보충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언어에 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

제들은 통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언어 문제를 반 한다 따라서 북

한이탈주민을 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통일 후에 어떤 언어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

요한지를 견하고 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

일을 비하기 해서는 방향 인 에서 남북한 언어를 검토하여

남북한 모두의 언어문화 언어생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24: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4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1992) 북한의 언어 정책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1―공공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2―문화 생

활》 도서출 하우

권순희 외(2012)《북한이탈주민의 한민국 정착을 한 생활 어휘3―개인 생

활》 도서출 하우

김건희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김석향(2006) 새터민의 언어 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 방안《새국어생활》16-1

국립국어원

김은경허석재(2010) 특집 한국의 다문화의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심리

응―문화 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1)《민족연구》41 한국민족연구원

김화순김 수(2004) 북한 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한 질 연구― 한공업교육학회 공동학

술 회 한공업교육학회

문 (2006)《새터민 언어 실태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문 (2007) 새터민의 어휘 화용 표 교육 방안《새국어교육》76 한국국

어교육학회

문 이홍식김경령(2005)《새터민의 언어 응을 한 실태 연구》 국립

국어원

박성열(2007)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 황 지원 체계에 한 연구 서울

석사 학 논문

박 목 이인제(1998) 통일에 비한 국어 교육 방안 연구《이 언어학》15 이

언어학회

박종갑(2007)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하여

《한민족어문학》51

신명선 외(2010)《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한 기 연구》 국립국어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25: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특집다문화 시 의 언어 정책 45

신명선 외(2012)《새터민을 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양수경(2010)《새터민 언어 응 지원을 한 새터민 교사 연수 7월 자료집》

국립국어원

양수경권순희(2007)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국어교육

학연구》28 국어교육학회

이기춘 외(2001)《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출 부

이수연(2008) ldquo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질 분석rdquo《청소년학연구》

15-1 한국청소년학회

이원경(2010) 독일 통일기의 독어 교육《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규(2006) 논단 새터민 청소년 학교 응 실태와 과제《교육비평21》 교육

비평사

장문강(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응에 한 연구―다문화교육 을

심으로―《청소년 문화포럼》19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수태 외(2000)《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어휘》 국립국어원

수태 외(2008)《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정경일(2001)《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 부

정종남(2000)《북한 주민이 알아야 할 남한 어휘 3300》 종로서

정주리(1997) 북한의 국어와 국어 교육《한국어학》6 한국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한국어 교육》17-3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조용 (2004) 북한 정치 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 응에 미친 향

《한국정치외교사논총》25-2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정아정진경(2006)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한국

심리학회지 사회문제》14-1 한국심리학회

최경은(2003)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독일언어문학》21

한만길(2012) 국내 탈북 학생부터 제 로 보듬어야 동아일보 2012년 3월 10일 자

허용(2009)《여성결혼이민자를 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허 (2011)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 정책 FES information Series 2011-06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

Page 26: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 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사용‧학습 실태 및 정책적 제언* 권순희 ․ 전주교육대학교

4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2012년 가을)

Friedrich Ebert Stiftung

홍순혜이숙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 변용과 심리사회 응에 한

연구《청소년학연구》15-6 한국청소년학회

Bidet(2009)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PERSPECTIVE

33-2

Kim Kyung-Ryung(2007) ldquoA Study of Language Assimilation Process for

North Koreans in South Koreardquo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