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32 삼일PwC 감사위원회 Excellence Series: 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 Chapter 4 ‘감사위원회 Excellence Series’는 감사위원회 운영 시 실무에 실제 적용하여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아이디어와 팁을 제공하고, 감사위원회 활동의 가치를 최대화하는 것을 지원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외부감사 업무와 관련된 감사위원회의 활동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감사위원회의 가장 근본적인 역할은 고품질의 재무보고가 가능하도록 감독하는 것이다. 재 무보고 감독은 내부적으로 적절한 인력과 절차를 통해 재무정보가 생성되도록 하고, 효과적 인 내부통제를 구축하여 이를 감독하는 것과 외부적으로 외부감사인의 감사업무가 적절하 게 수행되고 있는지 감독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재무정보의 작성자인 경영진, 내부 감독기관인 감사위원회 및 독립적인 외부감사인이 충실 히 역할을 수행하여야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재무보고가 가능하다. 지금까지 회계부정에 대 해 경영진과 외부감사인에게 주로 책임을 묻고, 두 당사자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제도 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회계부정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회계투명성은 낮은 순위 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최근 감사위원회의 역할이 조명 받고 있 다. 감사위원회는 재무보고 감독과 관련하여 내부 기관으로서 외부감사인과 비교하여 회사 정보에 대해 우위에 있으며 회사 정책이나 운영에 미치는 영향이 더 직접적이다. 따라서 감 사위원회 역할을 강화하는 것은 재무보고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 건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감사위원회는 이사회에 대한 업무집행 감독과 재무보고 감독을 동시에 수행하 므로 감사위원들은 회사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와 지식 및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필요 로 한다. 따라서 감사위원회의 충실한 역할 수행을 위해서 내부적으로 충분한 지원과 보고 를 받아야 하고, 외부전문가의 활용도 필요하다. 특히 재무보고 감독과 관련하여 감사위원 회는 외부감사인과 협력하고 외부감사업무를 적절히 감독하여 업무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2015년 12월 금융감독원은 외부감사와 관련하여 감사위원회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외·내 부감사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외부감사 관련 감사 및 감사위원회 운영 모범사례」(이하, 모범사례)를 발표하였다. 동 모범사례는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및 회계감사기준 의 관련 내용을 반영하여, 외부감사에 관한 감사위원회의 재무보고 감독 책임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감사인 선임 단계부터 외부감사 실시, 종료 및 사후관리 단계 에 이르기까지 감사위원회의 업무를 정리하였다. 모범사례에서 제시하는 감사위원회의 역할 은 외부감사인의 업무 단계별로 <표 1>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감사위원회 Excellence Series: 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 · 감사위원회의 가장 근본적인 역할은 고품질의 재무보고가 가능하도록 감독하는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32 삼일PwC

감사위원회 Excellence Series: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

Chapter 4

‘감사위원회ExcellenceSeries’는감사위원회운영시실무에실제적용하여행동으로옮길

수있는아이디어와팁을제공하고,감사위원회활동의가치를최대화하는것을지원합니다.

이번호에서는외부감사업무와관련된감사위원회의활동에초점을두었습니다.

감사위원회의 가장 근본적인 역할은 고품질의 재무보고가 가능하도록 감독하는 것이다. 재

무보고 감독은 내부적으로 적절한 인력과 절차를 통해 재무정보가 생성되도록 하고, 효과적

인 내부통제를 구축하여 이를 감독하는 것과 외부적으로 외부감사인의 감사업무가 적절하

게 수행되고 있는지 감독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재무정보의 작성자인 경영진, 내부 감독기관인 감사위원회 및 독립적인 외부감사인이 충실

히 역할을 수행하여야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재무보고가 가능하다. 지금까지 회계부정에 대

해 경영진과 외부감사인에게 주로 책임을 묻고, 두 당사자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제도

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회계부정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회계투명성은 낮은 순위

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최근 감사위원회의 역할이 조명 받고 있

다. 감사위원회는 재무보고 감독과 관련하여 내부 기관으로서 외부감사인과 비교하여 회사

정보에 대해 우위에 있으며 회사 정책이나 운영에 미치는 영향이 더 직접적이다. 따라서 감

사위원회 역할을 강화하는 것은 재무보고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

건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감사위원회는 이사회에 대한 업무집행 감독과 재무보고 감독을 동시에 수행하

므로 감사위원들은 회사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와 지식 및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필요

로 한다. 따라서 감사위원회의 충실한 역할 수행을 위해서 내부적으로 충분한 지원과 보고

를 받아야 하고, 외부전문가의 활용도 필요하다. 특히 재무보고 감독과 관련하여 감사위원

회는 외부감사인과 협력하고 외부감사업무를 적절히 감독하여 업무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2015년 12월 금융감독원은 외부감사와 관련하여 감사위원회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외·내

부감사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외부감사 관련 감사 및 감사위원회 운영 모범사례」(이하,

모범사례)를 발표하였다. 동 모범사례는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및 회계감사기준

의 관련 내용을 반영하여, 외부감사에 관한 감사위원회의 재무보고 감독 책임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감사인 선임 단계부터 외부감사 실시, 종료 및 사후관리 단계

에 이르기까지 감사위원회의 업무를 정리하였다. 모범사례에서 제시하는 감사위원회의 역할

은 외부감사인의 업무 단계별로 <표 1>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감사위원회와 지배구조 33

Contact

선임연구위원 하 미 혜

E-mail: [email protected]

Phone: 02-709-8599

기술내용은집필자개인의

견해가포함되어있으므로

삼일회계법인의정책이나입장과

일치하지않을수있습니다.

<표 1> 「외부감사 관련 감사 및 감사위원회 운영 모범사례」 요약

외부감사인

선임 단계

외부감사인선임및계약내용의적절성검토

감사인의독립성및전문성,투입인력의경력,투입시간등을검토하여평가

외부감사인과세부감사계획에대해협의하고그과정을문서화

분반기검토및감사일정,감사투입인원,주요감사절차내부감사결과의활용

외부감사

실시 단계

외부감사인과주기적인커뮤니케이션수행

•감사위원회구성원은외부감사인과주기적으로의견교류.최소분기당1회정도경영진의

참석없이외부감사인과주요사항논의

•각자의직무수행과정에서부정행위나회계기준위반행위등이발견되는경우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은이를공유

•경영진의적격성과성실성에관한특이사항에대해외부감사인과논의

회사의재무제표작성에대한모니터링

외부감사과정에대한모니터링및평가

•외부감사인이경고사항(WarningLetter)을제공한경우검토수행.필요시내부감사를수행하고

외부감사인에게결과제공

•외부감사가감사계약대로이행되고있는지여부를감시

외부감사

종료단계

외부감사주요결과에대한검토

•감사보고서,외부감사인의권고사항및이에대한경영진의입장에대한평가

•판단과추정이필요한회계처리에대한검토

•외부감사종료후감사의견의변형사유에대하여독립적인내부감사를실시하고외부감사인에게

결과통보

기타

내부회계관리제도운영실태평가

정보모니터링,평가및외부감사인과공유

•환율,유가,원자재가격등외부시장상황과회사의사업계획,주요계약사항의변경여부등회사

내부정보

34 삼일PwC

므로 감사위원회는 이에 대해 외부감사인과 논의하고 대비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사전에 정해지지 않은 자유로운 논의도 효과적이다.

이러한 접근법은 예상치 못한 사안들을 등장시켜 회의의 효

율성을 떨어뜨릴 수도 있으나, 사전에 정해진 논의만을 하는

경우 활발하고 열린 논의를 저해하므로 각각의 논의 방식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외부감사인에게 개

방형 질문을 하고, 다양한 주제에 대해 개별적인 의견을 청

취하면서 유연하게 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

● Private Session

Private session은 CEO, CFO 및 다른 경영진의 참석 없이

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 만의 회의시간을 의미하며, 이는

감사위원회의 역할 수행을 위해 필수적이다. 금감원의 모범

사례에서도 최소 분기당 1회 정도 경영진의 참석 없이 외부

감사인과 주요 사항 논의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감사위원회

가 감시·감독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독립성

을 보유하여야 하나, 우리나라 상법상 감사위원회는 이사회

의 소위원회로서 독립성에 한계를 갖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감안할 때 Private session은 회의 이상의 의미를 갖

는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기업의 문화, 재무보고 이슈, 기업의 운영에 관한 사항

등의 문제들은 Private session에서 더욱 솔직하고 깊이 있

는 논의가 가능하다. Private session의 시기는 공식적인 감

사위원회 회의 직후가 좋다. 별도의 시간을 정해서 따로 시

간을 정하는 것보다 어색함을 줄일 수 있고 자연스러운 논의

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앞서 긴 회의가 이어져 시간적

외부감사인과의 커뮤니케이션

외부감사인과의 효과적인 업무 협력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이다. 금융감독원의 모범사례에서도 외부

감사인과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한다. 회계감사기

준은 외부감사인과 커뮤니케이션할 사항으로 (1) 재무제표

와 관련된 감사인의 책임 (2) 계획된 감사범위와 시기 (3) 감

사에서의 유의적 발견사항 (4) 감사인의 독립성으로 나누어

열거한다.1) 외부감사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감사위

원회는 재무보고에 관한 현안을 적시에 파악하고 적절한 대

응 방안에 대해 조언을 제공 받을 수 있다. 감사위원회는 커

뮤니케이션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의 실무적인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 감사기준에서 외부감사인과의 논의를 요구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회의 전에 그 내용을 미리 문서로 받아서 사전

에 검토한다.

• 회의에서는 사전 회의자료를 단순히 읽어나가는 것이 아

니라 판단을 요하는 영역이나 민감한 사안에 대해 집중적

으로 외부감사인과 논의한다.

• 외부감사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례, 감사 범위 및 중요한

사실과 상황에 대해 조사하고 심도 있게 논의한다.

중요한 이슈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감사위

원회는 외부감사인과 자주 만나 감사업무의 진척도를 이해

하고 있어야 한다. 이때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인이 재무제

표 왜곡표시위험이 크다고 판단한 회계나 감사이슈에 대해

초점을 두고 논의를 해야 한다. 그리고 매년 말 감독기구는

‘회계 현안 설명회’ 등을 통해 주요 이슈들을 안내하고 있으

1) 감사기준서260‘지배기구와의커뮤니케이션’은외부감사인이지배기구(감사위원회)와수행하는커뮤니케이션에대하여포괄적인체계와구체적인내용을설명

하고있으며재무제표감사를위해효과적인양방향커뮤니케이션이중요함을강조한다.또한보론을통하여지배기구와의커뮤니케이션을요구하는품질관리

기준서1과다른감사기준서의내용을제시한다.

최근 재무보고와 관련된 제도의 변화는 더 많은 양질의 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것을 요구하

는 시장의 바람을 반영하고 있다.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경제 현상과 거래를 적절히 반영하

기 위하여 회계기준도 고도화되고 있으며, 주석 공시양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

는 감사위원회에 의한 재무보고 감독 활동의 중요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감사위원회는 회계

기준뿐만 아니라 재무정보 감사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보유하고 제도 및 시장의 지속적인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 이때 회계와 감사 분야의 전문가인 외부감사인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협력하는 것은 재무보고 감독 업무의 가치를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본 Excellence

Series에서는 외부감사인과 관련된 감사위원회 활동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주요 고려

사항들에 대해 살펴본다.

감사위원회와 지배구조 35

제약을 받게 된다면 제대로 된 Private session을 가질 수 없

게 된다.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고 의미 있는 상호 논의가 오

고 갈 때 Private session의 목적을 성취할 수 있으므로 감사

위원회는 충분한 시간과 에너지가 Private session에 할애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

● 감사위원회 위원장과 업무수행이사(회계법인의 담당파트

너)간의 관계

감사위원회 위원장(이하, 위원장)과 업무수행이사(회계법인

의 담당파트너)간의 관계는 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팀 및 회

사 전체 간 관계의 분위기를 결정짓는다. 잘 형성된 관계는

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 간에 솔직한 논의를 가능하게 하

고, 감사위원회 업무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위원장과 업무수행이사는 분기 또는 반기별로 만날 수

있다. 반드시 공식적인 회의 안건을 가지고 만날 필요는 없

으며, 최근 분·반기 검토 내용이나 기말감사 관련 이슈를 소

재로 대화를 시작한다면 논의를 발전시키기 쉬울 것이다. 위

원장과 업무수행이사는 각자의 우려사항에 대해 이야기 하

고 상대방의 관점을 들으면서 서로의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외부감사인의 선임을 승인하고 평가하는 것은 감사위

원회의 중요한 업무 중에 하나이다.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

인의 선임 전에 외부감사인 후보자의 독립성과 적격성에 대

한 정보를 보고받아 외부감사인의 적절성을 평가하며, 외부

감사인의 선임 후에는 외부감사업무 수행에 대해서 지속적

으로 평가한다. 이를 위해 위원장은 업무수행이사와 효과적

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했는지를 검토해야 한다. 또한 업무

수행이사의 업무수행능력은 외부감사인에 대한 중요한 평

가 항목이 된다.

<표 2> Audit Committee Check Point (1)

•외부감사인과의회의에서활발한논의를나누었는가?

•외부감사인과정기적인Privatesession을갖는가?

•개방형질문을하여외부감사인의의견을이해하였는가?

•외부감사인이우려를표시한회계,내부통제및공시

항목에관하여깊이있게논의하고충분히이해하였나?

•위원장과업무수행이사간일대일면담의빈도와

필요성이평가되었나?

•감사위원회가회계법인과업무수행이사의결정에얼마나

관여할것인가?

사전승인을 요하는 비감사용역

외부감사인의 독립성에 대해서 외부감사인과 감사위원회

는 함께 책임을 부담하며, 독립성은 기업과 외부감사인 간

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하다. 외부감사인이 감사업무를 수행

할 때 객관적이고 공정한 판단을 할 수 있는지 여부는 독립

성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인의 독립

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외부감사인과 기업, 경영진

및 임원 간의 모든 관계를 고려하여 독립성을 평가해야 한다.

특히 외부감사인에 의한 비감사용역은 외부감사인의 감사

대상기업에 대한 의존도를 높여 독립성을 훼손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공인회계사법은 <표 3>과 같이

감사대상기업에 제공할 수 없는, 금지된 비감사용역을 열거

하고 있다. 그리고 제한적으로 허용된 비감사용역을 외부감

사인이 수행하려면 해당 업무를 수행하기 전에 감사(감사위

원회)의 동의를 직접 얻어야 한다. 외부감사인이 공인회계사

법을 준수하여야 할 주체이긴 하지만, 감사위원회는 외부감

사업무를 감독해야 하는 책임자로서 관련 법규를 숙지하고

36 삼일PwC

2) 5월입법된공인회계사법개정안에는매수목적의자산등실사·가치평가업무,자금조달·투자관련알선및중개업무,경영자의역할이나의사결정을수반하

는업무도비감사용역금지대상업무에포함되었다.

3) 강조사항은재무제표에적절하게표시되거나공시되어있어감사의견에는영향을미치지않지만,이용자가재무제표를이해하는데근본이될정도로중요한

사항이라고판단되어감사인이이러한사항을언급하는감사보고서에포함된문단임.

것을 그룹감사라고 하며, 대표적으로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감사가 이에 해당한다.

그룹감사를 수행할 때 외부감사인의 감사전략은 여러 요인

에 영향을 받는다. 감사전략은 영업의 성격, 부문의 개수, 지

리적 분산정도, 기업의 조직화 정도, 영업 관리와 통제, 법정

감사 요건 및 각 부문의 상대적인 중요성에 따라 달라진다.

기업의 부문들이 여러 국가에 분산되어 있는 경우 지배기업

또는 본사의 외부감사인이 모든 감사업무를 수행하기는 어

렵다. 따라서 국가별 법과 제도의 차이 및 감사업무의 효율

성을 고려하여 타감사인인 부문감사인의 업무를 활용한다.

타감사인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가진 지배기업 외부감사인의

Member Firm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지배기업 또는 본사의 외부감사인은 그룹감사인으로서 외

부감사업무에 대한 주된 책임을 부담하며, 그룹감사업무 지

시서를 통해 타감사인이 수행한 감사업무를 관리·감독한다.

타감사인인 부문감사인이 감사업무에 참여하는 경우 감사

위원회는 부문감사인의 업무 범위와 시기에 대해 이해하고

재무보고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업무가 계획되고 있는지 파

악하여야 한다. 만약 연결감사보고서가 발행된 후 각 부문

의 감사업무가 종료된다면 연결감사보고서의 감사의견을 뒷

받침하는 감사증거로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

다. 또한 부문감사인의 적격성과 주요 발견사항도 감사위원

회가 검토해야 한다.

핵심감사항목(Key Audit Matter)

우리나라는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의 일환으로

수주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에 한해 핵심감사항목을 2016년

에 부분적으로 도입하였다. 핵심감사항목은 외부감사인이

유의하여 감사를 수행해야 한다고 판단한 사항 중 감사위원

회와 논의하여 선정한 항목으로 감사보고서상 강조사항3) 에

기재된다. 핵심감사항목은 외부감사인의 감사보고서에 근본

적인 변화를 유도한다. 종전의 감사보고서처럼 단순히 감사

의견만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감사절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현행 감사기준은 위험 중심 감사접근법4)

에 기반하고 있는데, 이 접근법에 따르면 감사인은 왜곡표

시위험에 대응하여 감사절차를 수행하며, 위험의 크기에 따

라 감사인이 투입하는 노력이 달라진다. 왜곡표시위험이 높

은 항목들은 주로 복잡하고 중요한 경영진의 판단 및 추정

독립성을 평가해야 한다.

<표 3> 공인회계사법 제21조(직무제한)2)

1.회계기록과재무제표의작성

2.내부감사업무의대행

3.재무정보체제의구축또는운영

4.회사의자산등을매도하기위한실사·재무보고·

가치평가및매도거래또는계약의타당성에대한

의견제시

5.회사의인사및조직등에관한지원업무

6.재무제표에계상되는보험충당부채금액산출과관련되는

보험계리업무

7.회사의민·형사소송에대한자문업무

기업은 자체적으로 외부감사인에 의한 비감사용역을 사전

에 승인하는 절차를 구비하고, 법률상 금지된 서비스를 받

지 않도록 내부통제를 갖추어야 한다. 감사위원회는 비감사

용역에 대한 승인 절차와 내부통제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특히 다국적기업의 경우

비감사용역과 관련된 절차의 준수는 까다로운 일일 수 있으

므로 주의를 요한다. 국가별로 금지 또는 제한하는 비감사용

역과 이와 관련된 법적 요구사항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표 4> Audit Committee Check Point(2)

•감사위원회,외부감사인,경영진모두외부감사인에게

제한된비감사용역에대해숙지하고있는가?

•비감사용역보수에대한금액적한도나이에대한사전

승인절차가있는가?

•다국적기업인경우적절한환율을적용하여

비감사보수금액을산정하고있는가?

•비감사용역의내용과보수금액이사업보고서에정확하게

공시되고있는가?

그룹감사

기업은 종속기업, 지역본부 또는 지점 등의 형태로 여러 지

역 및 국가에 부문(component)을 보유할 수 있다. 부문은 고

유의 지리적 위치, 사업 분야, 법적 특성을 가진 기업의 단위

로 볼 수 있다. 여러 부문이 포함된 기업의 감사를 수행하는

감사위원회와 지배구조 37

4) 2014년도입된회계감사기준은국제회계기준(InternationalStandardsonAuditing)과정합된기준으로,위험중심(Risk-based)감사접근법을택하고있다.위

험중심감사접근법은경영전략,경영진특성및사업위험등기업전반수준의위험을먼저평가하고,재무제표및계정과목수준에서의왜곡표시위험을파악

하여감사계획을수립하고감사절차를수행하는하향식(top-down)위험접근방식이다.상대적으로위험이높은감사항목에감사인이시간과노력을집중하도

록하는방식으로효율적이고효과적인감사를가능하게한다.

5) PwCpublication‘Anoverviewofthenewglobalauditorreportingmodel’.2015년1월

<그림1>핵심감사항목의선정5)

출발점:지배기구와논의하는모든사항

극히예외적인경우에한함

감사업무를수행하면서감사인의중요한주의를필요로했던사항의결정

그중가장중요한사항의결정(핵심감사항목의모집단)

민감한사안의제외

감사보고서에핵심감사항목으로기재

}}

핵심감사항목

을 필요로 하는 재무제표 항목이다. 핵심감사항목은 감사대상기업과 외부감사인의 감사절

차에 대해 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여 기업의 재무제표에 대한 정보이용자의 신뢰를 높이

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진행 중인 ‘회계 투명성과 신뢰성 제고를 위한 종합대책’에서는 수

주산업뿐만 아니라 전체 업종에 대하여 기업 규모에 따라 순차적으로 핵심감사항목을 도입

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2015년 감사보고서를 기준으로 상장기업의 99%에 대하여 외부감사인은 적정의견을 표명

하였고, 일부 강조사항을 제외하고는 천편일률적인 감사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적정의견이 아

닌 감사의견이 제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보이용자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만한 정보가 제공될 수 없다. 적정의견을 받았더라도 각 기업마다 감사인이 파악한 재무제

표 왜곡표시위험과 수행한 감사절차가 다를 것이고, 이러한 정보는 정보이용자들의 의사결

정에 차이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감사인이 위험을 높게 평가한 항목과 이에 대한 감사인

의 대응이 구체적으로 기술되는 핵심감사항목은 감사보고서의 유용성을 근본적으로 변화

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감사위원회는 핵심감사항목과 관련하여 결정적인 책임을 갖는다. 외부감사인은 감사보고

서에 포함시킬 핵심감사항목을 선정하기 위하여 감사위원회와 반드시 논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외부감사인은 감사위원회와의 논의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감사 유

의 항목을 결정하고, 그 중에서 기업에 현저하게 불리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민감한 사안은

제외하여 핵심감사항목을 선정한다. 이때 감사위원회는 감사 유의 항목들에 대해 충분히 숙

지하고 특정 항목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핵심감사항목의 선정에 적극적으로 참

여해야 한다. 감사위원회는 감사절차가 수행되는 기간의 이른 시점부터 핵심감사항목에 대

한 논의를 시작해야 하며, 감사보고서가 완료되기 전까지 여러 번의 논의를 외부감사인과

가져야 한다.

38 삼일PwC

6) http://www.thecaq.org/reports-and-publications/audit-committee-annual-evaluation-of-the-external-auditor

내부감사 업무의 활용

회계감사기준에 따르면 내부감사기능은 기업 운영의 일환

으로 수립되었거나 제공되는 평가활동을 의미하며 내부통

제의 적합성과 효과성에 대한 조사, 평가 및 모니터링이 포

함된다. 내부감사의 책임과 활동이 재무보고와 관련되어 있

고 외부감사절차에 영향을 미치거나 범위를 줄여줄 수 있는

경우, 외부감사인은 내부감사인이 수행한 업무를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내부감사의 기능이 기업 경영의 경제성, 효율성

및 효과성 검토에 국한 되어 있는 경우 외부감사에 활용될

업무는 거의 없을 것이다.

외부감사인이 내부감사 업무를 활용하기 위해서 내부감사

담당자의 적격성과 객관성을 평가하고, 내부감사의 업무를

검증해야 한다. 또한 내부감사인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이 가능할지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이러한 사전 절차는 상

당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내부감사의 업무는 외부감

사와 관련된 업무에 국한되지 않으므로, 내부감사의 업무를

외부감사에 활용하기 위해서 외부감사인의 감사방법론이나

문서화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수도 있다.

감사위원회는 내부감사 및 외부감사의 업무 가치를 최대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주기적으로 내

부감사와 외부감사의 업무 협력에 대해 질문하고 개선 방안

에 대해 논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외부감사인 평가

외부감사인의 업무를 철저하게 평가하는 것은 기업 재무정

보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위한 감사위원회의 핵심적인 역할이

다. 외부감사인의 업무 수행과 감사위원회와의 커뮤니케이션

이 기대를 충족시키는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는지를 평가한

다. 그리고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객관성 및 전문가적 의구심

도 고려하여 평가한다.

외부감사인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위해 공식적인 측면뿐

만 아니라 비공식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6) 공식적

인 측면은 비경상적인 거래를 평가하는데 적용된 외부감사

인의 전문가적 의구심, 회계 및 감사 이슈에 대한 적절한 대

응 및 회계법인의 인력 관리 등이 해당된다. 비공식적인 측

면은 감사위원회 위원장과 업무수행이사 간의 관계가 감사

위원회와 외부감사인 간의 건설적이고 상호 존중하는 분위

기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가 여부로 평가할 수 있을 것

이다. 외부감사인의 평가는 평가질문지를 작성하여 정량화

하고, 감사위원회 위원들이 각자 평가한 내용을 회의를 통해

최종 확정한다. 본 고의 마지막에 첨부한 평가표 예시를 외

부감사인 평가에 활용할 수 있다.

감사위원회와 지배구조 39

<표 5> 외부감사인 평가시 고려요소

•회계법인명성

•기업이속한산업에대한전문성

•업무수행이사의역량,지식및경험

•담당팀원의역량,지식및경험

•회계법인의국제적인네트워크,이를통해국제적인영업부문에대해서도높은품질의

감사서비스를제공할수있는가?

•업무수행이사는필요한경우회계법인내다른전문가를적절히활용하여이슈에대응할수

있는가?

•감사위원회는업무수행이사와신뢰관계를구축하고업무수행이사와편안하게연락할수

있는가?

•공식적인감사위원회회의및privatesession에서업무수행이사는이슈및우려사항에

대하여명확하고효과적으로커뮤니케이션하는가?

•회계법인의감사업무수행팀은대표이사및비재무분야의경영진과도객관성을유지하고,

업무협조를적절히받으며업무를수행하는가?

•감사업무수행팀은일정을준수하고이슈에대해적시에대응하는가?

•회계법인의품질관리절차

•회계법인의최근품질관리감리결과,감리지적현황및국제적인네트워크에의한품질

점검결과

•회계법인의독립성과독립성을확보하기위해회계법인이갖추고있는시스템

외부감사인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경영진이나 내부감사 등 기업 내부 사람의 의견을 들어

보는 것도 필요하다.7) 특히 경영진으로부터 외부감사인에 대한 정보를 입수할 때에는 외부감

사인이 효과적인 감사업무를 수행하는지 뿐만 아니라 객관적이고 전문가적 의구심을 견지하

고 있는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만약 경영진이 외부감사인에 대하여 매우 강한 선호나 불

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그러한 상황에 대한 후속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외부감사인에 대한

평가는 감사보고서가 발행된 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감사절차가 수행되는 전 기간에 걸쳐

서 이루어 져야 한다.

외부감사인 평가를 위한 외부 정보로 회계법인의 사업보고서 및 금융감독원이 실시한 품

질관리감리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사업보고서는 공시된 정보로 자유롭게 열람이 가능하

나, 품질관리감리 결과는 현행 법규 하에서 공개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감사인에게 최근

품질관리감리 결과를 직접 질문하여 이슈 사항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7) 별첨2참조

40 삼일PwC

별첨 1. 외부감사인 평가표(External Auditor Assessment Tool)

아래 제시하는 외부감사인 평가표는 미국의 Audit Committee Collaboration이 개발하고, Center for Audit Quality(이하,

CAQ)가 발표한 평가표를 우리나라 제도에 맞게 수정하여 번역한 것이다. 2012년 최초로 발표된 평가표에 PCAOB의 감사

품질 지표(Audit Quality Indicator, AQI)에 대한 논의를 반영하고, 미국 감사위원회의 활동에 초점을 두어 2017년 4월에 새

롭게 발표된 평가표를 기초로 하였다. 동 평가표는 외부감사인의 선임, 감독 및 감사보수 결정 등을 위해 활용될 수 있으며,

네 개의 Part로 나뉜다.8)

Part 1 감사업무의 품질과 투입되는 인력 및 자원의 충분성 - 감사업무 수행팀

항목 평가

1

•업무수행이사와업무수행팀원은감사를수행하는데필요한지식과경험(기업이속

한산업,기업,회계,감사등)을갖추고있는가?

•적절한인원이배정되었나?(회계법인경력,해당기업감사경력,직급)

•외부감사인은감사품질에대한피드백을요청하였고이에적절히대응하였는가?

•업무수행이사는감사위원회및경영진과자주접촉하면서,외부감사에충분한주의

를기울이도록노력하였나?

2

•업무수행이사는감사일정및감사시간의추세에대하여논의하였나?(1)직급별투입

시간(2)전년및예산대비감사시간변동(3)감사시기별투입시간등

•업무수행이사는주요팀원의업무량에대해논의하였나?

3

•업무수행이사는감사계획과부정위험을포함한주요위험(기업이속한산업,기업,

회계,감사등)에어떻게대응하여감사절차를수행할것인지논의하였나?

•업무수행이사는감사계획에위험을적절하게식별하였나?

•재무제표와관련된부정위험가능성을감사계획에반영하였나?

4

•업무수행이사는그룹감사등을위해타감사인을활용하는경우타감사인의적격성,

경험및객관성에대한정보를감사위원회에제공하였나?

•업무수행이사는타감사인의업무를어떻게검토하고감독하는지설명하였나?

•업무수행이사는타감사인과의중요한논의사항에대해정보를제공하였나?

5•업무수행이사나주요팀원의변경이나교체를어떻게관리하는가에대해충분히설

명하였나?

6

•업무수행이사는감사계약에따른절차를충족하였나?

•외부감사인은상황이나위험의변화에따라감사전략을적절히조정하였고,감사위

원회는조정에대해이해하고동의하였나?

7

•업무수행이사는회계법인내부의전문팀(예를들어,회계및감사자문,품질관리,공

정가치평가)의자문을받는경우그결과를감사위원회와공유하였나?

•그러한자문은적시에적절한방법으로이루어졌는가?

•외부감사인은유의적인위험과관련하여적절하게업무배정을하였는가?

8) http://www.thecaq.org/external-auditor-assessment-tool-reference-us-audit-committees-0

감사위원회와 지배구조 41

Part 2 감사업무의 품질과 투입되는 인력 및 자원의 충분성 - 회계법인

항목 평가

8

•감독기관에의한감리또는내부심리(또는국제네트워크에의한감사품질검토)를

받은경우외부감사인은감사위원회와해당감사업무의선정여부,발견사항,감사결

과에미치는영향등을알려주었는가?

•동종산업에속하는다른기업의감독결과가기업에미치는영향이있는지감사위

원회와논의하였는가?

•발견사항이있는경우외부감사인이어떻게대응할것인지감사위원회에설명하였

는가?

•업무수행이사는회계법인리더쉽이‘toneatthetop’을통하여감사품질의중요성을

강조하고,품질관리시스템에관한책임을부담하고있다는것을설명하였는가?

9•회계법인은기업의중요한회계정책을다룰수있는전문성과산업경험을보유하

고있으며,여러지역(지방,해외)에서업무를수행할수있는가?

10

•외부감사인은필요한경우전문가를충분히활용하였는가?

•적시에감사업무를종료하기위하여추가인력이필요한경우적절하게투입하였는

가?

11

•기업의규모,복잡성및위험에비추어볼때감사보수가합리적이고충분한가?

•감사보수에변동이있는경우그이유(예를들어,업무범위의변경)에대해감사위원

회와논의하였는가?또한감사위원회는그이유에동의하였는가?

Part 3 외부감사인과의 커뮤니케이션

항목 평가

12

•업무수행이사는감사위원회및감사위원회위원장과전문적이며개방적인대화를하

는가?

•업무수행이사는회계나감사이슈를이해하기쉽게전달하는가?

13

•외부감사인은회계추정과판단의합리성을포함하여기업재무보고의품질에대해

적절히논의하였는가?

•외부감사인은기업의회계정책이산업동향이나업계선도기업과비교하여어떠한지

설명하였는가?

•외부감사인은감사받은재무제표를포함하고있는문서내의기타정보(예를들어,사

업보고서)와관련된감사인의책임을설명하였는가?

14

•비공개회의(privatesession)를통해서외부감사인은민감한사안(경영진의재무보

고절차에대한우려사항,내부고발자정책,재무보고담당부서의능력)을전문적이

고솔직하게논의하였는가?

•업무수행이사는업무협조를충분히받지못한경우이를감사위원회에즉시알렸는

가?

15•외부감사인은재무제표와관련이있거나감사에잠재적인영향을줄수있는회계기

준이나감사기준의제·개정에대하여논의하였는가?

42 삼일PwC

Part 4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객관성 및 전문가적 의구심

항목 평가

16

•외부감사인은독립성과관련된모든문제를예외사항을포함하여감사위원회에보

고하는가?

•회계법인의독립성을위한안전장치에대하여논의하였는가?

17

•경영진과외부감사인간의중요한의견차이가있었는가?만약있었다면외부감사인

은회계이슈에대하여분명한의견을표시하였는가?

•의견차이를좁혀가는과정이전문적이고적시에이루어졌는가?

18

•외부감사인이내부감사업무에의존할경우감사위원회는그러한의존의범위에동

의하였는가?

•내부감사와외부감사인간에중요한의견차이가있었는가?만약그렇다면전문적인

방법으로해결하였는가?

•내부감사의발견사항으로인해외부감사인은감사전략을변경하거나범위를확대하

였는가?

19

•모든비감사용역에대하여감사위원회의사전승인을받는과정에서,업무수행이사

는독립성,객관성및전문가적의구심을지킬수있는회계법인의안전장치에대하

여논의하였는가?

감사위원회와 지배구조 43

별첨 2. 외부감사인 평가를 위한 질문서

외부감사인과 실질적인 업무 관계가 있는 경영진이나 내부감사팀에게 본 양식을 이용하여 외부감사인 평가를 위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마지막 13번 항목을 제외하고 아래의 그림을 참조하여 평가 점수를 기입하도록 한다.

외부감사서비스의 품질 점수

1 외부감사인은업무에충실한가?(예를들어,기일준수,논의필요시연락가능)

2

외부감사인과의소통이원활한가?(예를들어,산업관련사업위험및이슈를파악하기

위하여기업에정보를요청하는지여부,이슈를적절히파악하고적시에대응하는지

여부,변화하는위험에빠르게적응하는지여부)

3적극적으로기회와위험에대응하는가?(예를들어,잠재적인사업위험에대해예측하고

이에대한직관및접근법을전문적으로제공)

4감사보수에상응하는감사서비스를받고있다고판단하는가?외부감사인은

원가측면에서효과적인업무를수행하고있는가?

회계법인의 자원 점수

5

외부감사인은전문적인지식을갖추고이를실무에적절하게적용하는가?(예를들어,

전문적인지식과독립적인판단을통해이슈에대해현실적인분석을하는지여부,각

감사팀원들은적절한역량을갖추었는지여부)

6

외부감사인은기업이속한산업과영위하는사업에대해이해하고있는가?(예를들어,

사업위험,절차,시스템과운영에대해이해하는지여부,관련산업경험을공유하는지

여부,회계법인전문가를산업이슈에활용하는지여부)

7

적시에충분한인원을배정하여업무에투입하는가?(예를들어,업무경력에기반을둔

적절한인원구성,공정가치평가및보험수리적계산등특수분야에대한전문가활용,

일정준수를위한충분한인원투입)

8

효과적인커뮤니케이션을하였는가?(예를들어,적절한수준의연락을지속적으로

취하는지여부,구두또는문서상적합한커뮤니케이션여부,상호존중하는분위기

여부,회계기준등에대하여시의적절하고유용한정보를제공하는지여부)

9

회계법인이나그명성과관련된문제에대한커뮤니케이션(예를들어다른고객사에

대한비밀유지를엄수하면서회계법인과관련된중요한문제에대해조언하였는지

여부,공인회계사관련규정과법규를준수하였는지여부,기업이감리대상에선정된

경우회계및감사이슈에대한결과를공유하였는지여부)

독립성, 객관성 및 전문가적 의구심 점수

10

외부감사인은성실성과객관성을보여주었나?(예를들어,감사기간동안적절하게

질문하고,적합한담당자에게해결이될때까지적극적으로중요한이슈를제기하였는지

여부,이슈에대한외부감사인의의견을충분히설명하였는지여부)

11외부감사인은독립적인가?(예를들어,독립성문제를적극적으로논의하고,독립성

준수와관련된예외사항이있는경우보고하였는지여부)

12

어려운문제를다루는데있어솔직하고명확하였나?(예를들어적극적으로이슈를

파악하고소통하여해결하고자하였는지여부,중요한이슈에대하여조직의적합한

직급의담당자와논의하였는지여부,민감한문제를잘다루었는지여부)

권고사항 답변

13 감사품질의향상을위해외부감사인이개선할사항이있는가?

(1) (2) (3) (4) (5)

불만족한다 보통이다 매우만족한다

S/N:1706A-NL-002

©2017SamilPwC.Allrightsreserved.PwCreferstothePwCnetworkand/oroneormoreofitsmemberfirms,eachofwhichisaseparatelegalentity.Pleaseseewww.pwc.com/structureforfurtherdetails.

www.samil.com

박 기 태파트너

센터장,총괄

[email protected]

황 택 현파트너

제조및일반업종

[email protected]

임 성 재파트너

금융업

[email protected]

이 건 재선임연구위원

센터상근

[email protected]

하 미 혜선임연구위원

센터상근

[email protected]

삼일 감사위원회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