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5, No. 4, pp. 335~349, 2016.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 * 정 재 훈 ** < 요 약 >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상군 50명과 외상성 뇌손상군 5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4판(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Ⅳ: K-WAIS-Ⅳ)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외상성 뇌손상군은 정상군에 비해 인지기능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두 집단간의 조합점수를 비교한 결과 언어이해지수에 비해 작업기억지수, 지각추론 지수와 처리속도지수에서 큰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처리속도지수에서의 수행이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검사별 환산점수 비교에서는 기호쓰기, 동형찾기, 퍼즐, 행렬추론, 토막짜기, 숫자, 산수에서 외상성 뇌손상군이 매우 유의하게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정 환산점수 비교에서는 숫자 순서대로 따라하기,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 시간보너스 없는 토막짜기에서 외상성 뇌손상군이 상대적으로 수행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저하가 있으며, 인지재활 중재를 계획할 때 처리속도, 지각추론, 작업기억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을 제시한다. 핵심어 : 외상성 뇌손상, 인지기능, K-WAIS-* 이 논문은 주저자의 박사학위논문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 경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Professor,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Kyungwoon University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5, No. 4, pp. 335~349, 2016.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

정 재 훈**

< 요 약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상군

50명과 외상성 뇌손상군 5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4판(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Ⅳ: K-WAIS-Ⅳ)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외상성 뇌손상군은 정상군에 비해 인지기능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두 집단간의 조합점수를 비교한 결과 언어이해지수에 비해 작업기억지수, 지각추론

지수와 처리속도지수에서 큰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처리속도지수에서의 수행이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검사별 환산점수 비교에서는 기호쓰기, 동형찾기, 퍼즐, 행렬추론, 토막짜기, 숫자, 산수에서 외상성 뇌손상군이 매우 유의하게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정 환산점수 비교에서는 숫자 순서대로 따라하기,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 시간보너스 없는 토막짜기에서 외상성 뇌손상군이 상대적으로 수행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저하가 있으며, 인지재활 중재를 계획할 때 처리속도, 지각추론, 작업기억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을 제시한다.

핵심어 : 외상성 뇌손상, 인지기능, K-WAIS-Ⅳ

* 이 논문은 주저자의 박사학위논문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경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Professor,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Kyungwoon University

Page 2: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36 -

Ⅰ. 서 론

외상성 뇌손상은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 인해 뇌조직이 손상되는 것으로 (Ghajar, 2000), 이로 인해 인지기능장애, 신체기능장애, 심리사회적기능장애 등의 다양한 문제가 나타난다(Parker, 1990; Timmons, 2012). 그중 인지기능장애는 가장 빈번하며 주의기능과 기억기능의 저하로 인하여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기 어렵고, 판단력과 계획력이 저하되어 계획을 실행하는 것도 어렵게 되며(Parker, 1990), 직업이나 교육에서 매우 큰 장애물이 된다(Hurt, 1991). 예를 들어 주의력 결손은 산만함으로 인해 과제에 집중할 수 없게 하며, 기억손상으로 작업과제를 기억하고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시각적 처리 손상으로 시각적 정보를 잘못 해석할 수 있으며, 청각적 처리 손상으로 언어 지시를 이해하기 어려워 반복적인 지시가 필요하다. 조직화하고 계획, 모니터링 능력의 손상은 복합적 혹은 반복적이지 않은 과제를 어렵게 하며, 추론능력의 손상으로 추상적 개념을 이해하는데 어렵게 된다(Hurt, 1991). 또한 신체기능장애 보다 오래 지속되고 사회기능의 저하를 초래하여(Alexander, 1995), 환자는 물론 가족에게도 심리적 및 경제적 부담을 주게 되고(Chua 등, 2007), 다양한 측면에서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Tipton-Burton, Mclaughlin, & Englander, 2012).

뇌영상 기법을 통해 현재까지 밝혀진 인지기능과 관련된 뇌영역은 다음과 같다. 주의기능은 양측 전두-두정엽의 신경망이 담당하고(Fan 등, 2005), 기억기능은 측두엽과 관련된다(Budson & Price, 2005). 언어이해는 브로카 영역과 좌측 측두엽, 공간지각은 우측 두정엽이 담당하고 처리 속도와 관련된 운동 처리는 운동피질이 담당한다(Barbey 등, 2012). 관리기능은 전전두엽영역 중 배외측전두와 관련된다(Cummings, 1993). 그 외 상세로다발(superior longitudinal fasciculus)이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을 연결하며, 전두-후두다발(fronto-occipital fasciculus)은 배외측전두와 두정엽을 연결한다(Barbey 등, 2012). 이와 같이 인지기능은 전두엽 뿐만 아니라 전체 뇌영역간의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Luders 등, 2009). 뇌구조에서 외상에 취약한 영역은 전두엽과 측두엽으로 알려져있지만(Lezak 등, 2004), 뇌영역을 광범위하게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손상으로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한 인지기능장애는 주의기능, 기억기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정보처리속도, 관리기능 등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난다(Dikmen 등, 2009).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의 인지기능은 기능적 회복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Konigs, Engenhorst, & Oosterlaan, 2016), 인지기능에 대한 분석을 통해 효과 있는 재활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의 인지기능을 다양한 검사도구를 통해 분석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한국판

Page 3: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

- 337 -

기억평가척도(최성혜, 이현수, 2003), 웩슬러 기억척도(오상우 등, 2000), Rey-Kim 기억검사 Ⅱ(정재훈, 김홍근, 2015) 등으로 기억기능을 분석하였으며,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 런던 탑과제, 언어유창성 검사, 선추적검사, 스트룹검사 등을 이용하여 관리기능의 저하를 규명하였다(Bivona 등, 2008; Brooks 등, 1999; Raskin, Mateer, & Tweeten, 1998). 이와 같은 검사도구는 인지기능의 개별 영역에 관한 것으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을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국내외에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종합적인 인지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웩슬러 지능검사인 WAIS-R, WAIS-Ⅲ, K-WAIS를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졌다(도진아, 류설영, 김희철, 2005; 백재설, 오상우, 노승호, 2000; 오상우, 강종구, 박민철, 1998; 오상우, 이소영, 2001; 오상우, 이소영, 권혁철, 2002; Donders, Tulsky, & Zhu, 2001; Greve 등, 2003). 웩슬러 지능검사는 국내외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인지기능검사이다(남덕현 등, 2016). 하지만 국내에서 사용된 K-WAIS는 언어성지능(VIQ)과 동작성지능(PIQ)으로 구분되는 2요인적 해석을 근거로 하여 구성적 타당도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김홍근, 2002). 이에 비해 WAIS-Ⅳ는 언어이해,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로 구성된 4가지의 척도로 이루어져있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감별하는데 유용한 검사도구이다(Carlozzi 등,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신 한국판 웩슬러 지능검사인 K-WAIS-Ⅳ를 이용하여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을 분석하고 인지 영역별 손상정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3년 6월부터 2014년 7월까지 D시와 B시에 소재한 7개의 병원에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외상성 뇌손상군의 대조군은 뇌손상을 포함한 신경과 및 정신과적 병력이 없는 정상인으로 연령, 학력 및 성별을 고려하여 50명을 선정하였다. 외상성 뇌손상군은 전산화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이나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과 같은 뇌영상 기법에 의해 외상성 뇌손상으로 진단 받은 자이며,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인지기능검사 적용이 가능한 16세에서 69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았다. 1) 사고이전에 뇌 이상이 없는 자 2) 정신과적 병력이 없는 자 3) 의사소통이 되지 않을 정도의 심한 언어장애가 없는 자

Page 4: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38 -

4) 시력 또는 청각장애가 없는 자 5) 의식장애가 없는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 절차

대상자 표집을 위해 외상성 뇌손상군은 7개 병원 작업치료실에 연구 협조를 의뢰하여 동의한 병원에 입원한 대상자로 하였으며, 정상군은 지역사회와 대학교에서 모집하였다. 연구의 윤리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연구로 얻어진 개인적 정보 및 결과는 연구 이외에 사용하지 않을 것을 서약하였다. 또한 외상성 뇌손상군은 담당 작업치료사를 통하여 검사결과를 송부하였으며, 정상군은 이메일로 송부 후 유선으로 설명하였다.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하고 선정기준에 맞는 대상자에게 인지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인지기능검사는 테이블과 의자가 있는 조용한 방에서 시행하였으며, 외상성 뇌손상군은 병원 내 인지재활치료실에서 실시하고, 정상군은 K대학교의 인지재활실습실에서 실시하였다.

3. 연구 도구

1)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4판(K-WAIS-Ⅳ)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4판(이하 K-WAIS-Ⅳ)은 원판인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4판(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Ⅳ: WAIS-Ⅳ)(Wechsler, 2008)을 황순택 등(2012)이 우리말로 번안하여 표준화하였으며, 16세에서 69세의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K-WAIS-Ⅳ의 조합점수는 언어이해지수(Verbal Comprehension Index: VCI), 지각추론지수(Perceptual Reasoning Index: PRI), 작업기억지수(Working Memory Index: WMI), 처리속도지수(Processing Speed Index: PSI)와 같이 4개의 지수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황순택 등, 2012). 언어이해지수는 핵심 소검사인 공통성(Similarity: SI), 어휘(Vocabulary: VC), 상식(Information: IN)과 보충 소검사인 이해(Comprehension: CO)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각추론지수는 핵심 소검사인 토막짜기(Block Design: BD), 행렬추론(Matrix Reasoning: MR), 퍼즐(Visual Puzzles: VP)과 보충 소검사인 무게비교(Figure Weights: FW), 빠진곳 찾기(Picture Completion: PC)로 이루어져 있다. 작업기억지수는 핵심 소검사인 숫자(Digit Span: DS), 산수(Arithmetic: AR)와 보충 소검사인 순서화(Letter-Number Sequencing: LN)로 이루어져 있으며, 처리속도지수는 핵심 소검사인 동형찾기(Symbol Search: SS), 기호쓰기(Coding: CD)와 보충 소검사인 지우기(Cancellation: CA)로 구성되었다. 전체 지능지수(Full Scale IQ: FSIQ)는 각 지수척도의 합으로 산출하게 된다. 점수를 산출할 때는 핵심 소검사를 실시하며, 추가적인 임상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보충 소검사를 실시한다(황순택

Page 5: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

- 339 -

등, 2012). 본 연구에서는 10개의 핵심 소검사만 시행하여 조합점수를 산출하였다. 과정점수는 소검사 수행을 위한 인지기능에 대해 보다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

어진 것으로 표준검사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특성을 판단하고 구체적인 정보처리 유형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준다(황순택 등, 2012). 과정점수는 시간보너스 없는 토막짜기(Block Design NO Time Bonus: BDN), 숫자 바로 따라하기(Digit Span Forward: DSF),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Digit Span Backward: DSB), 숫자 순서대로 따라하기(Digit Span Sequencing: DSS), 최장 숫자 바로 따라하기(Longest Digit Span Forward: LDSF), 최장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Longest Digit Span Backward: LDSB), 최장 숫자 순서대로 따라하기(Longest Digit Span Sequencing: LDSS), 최장 순서화(Longest Letter-Number Sequence: LLNS)로 구성되며(황순택 등, 2012), 본 연구에서는 BDN, DSF, DSB, DSS를 산출하였다.

소검사들의 환산 점수는 각각 M = 10, SD = 3인 점수단위를 사용하며 언어이해,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 전체 지능지수는 각 척도별로 M = 100, SD = 15의 점수 단위를 사용한다(황순택 등, 2012). K-WAIS-Ⅳ의 신뢰도는 소검사 Cronbach α = .73~.94, 조합점수 Cronbach α = .87~.94로 나타났으며, 타당도는 교정 후 상관계수 r = .47~.68로 나타났다(황순택 등, 2012).

4.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for window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통계 처리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정상군과 외상성 뇌손상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정상군과 외상성 뇌손상군 간 K-WAIS-Ⅳ 조합점수, 핵심 소검사별 환산점수, 과정

환산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효과의 크기(effect size)는 Cohen`s d를 이용하였다. d의 공식은 d = (M1 - M2) /

SDpooled 이며, 일반적으로 값이 .20이면 작은 수준 .50이면 중간 수준 .80이면 큰 수준의 효과이다(Cohen, 1988). 통계학적 유의 수준 α는 .05로 하였다.

Page 6: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40 -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정상군 46.82±11.16세, 외상성 뇌손상군 47.12±15.02세였으며, 학력은 정상군 12.30±2.28년, 외상성 뇌손상군 11.60±3.58년이었다. 성별은 두 집단 모두 남자 41명(82.0%), 여자 9명(18.0%)이었다. 외상성 뇌손상군에서 발병 후 경과기간은 14.52 ±13.72개월이었다. 두 집단 간 일반적 특성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일한 집단으로 확인되었다(p > .05)<표 3-1>.

<표 3-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00)

정상군(n=50)

외상성 뇌손상군(n=50) t p

M SD M SD

연령 46.82 11.16 47.12 15.02 .15 .25

학력(년) 12.30 2.28 11.60 3.58 1.17 .91

경과기간(개월) 14.52 13.72

성별 대상자수 백분율 대상자 수 백분율 Χ ² p

남 41 82.0 41 82.0 .00 1.00

여 9 18.0 9 18.0

2. 정상군과 외상성 뇌손상군 간 조합점수 비교

집단 간 조합점수 비교에서는 전체지능, 언어이해,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 모두에서 외상성 뇌손상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 < .001). 효과의 크기(Cohen`s d)를 기준으로 전체지능이 2.25로 가장 높았으며, 언어이해가 1.20으로 가장 낮았다<표 3-2>.

Page 7: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

- 341 -

<표 3-2> 정상군과 외상성 뇌손상군 간 조합점수 비교 (N=100)

정상군(n=50)

외상성 뇌손상군(n=50) t d

변인 M SD M SD전체지능 105.38 11.96 77.66 12.70 11.24*** 2.25언어이해 104.68 10.38 91.06 12.20 6.01*** 1.20지각추론 105.92 13.08 82.04 13.15 9.11*** 1.82작업기억 109.30 13.33 87.62 14.35 7.24*** 1.57처리속도 99.98 17.71 68.08 11.93 10.57*** 2.11

*** p < .001

3. 정상군과 외상성 뇌손상군 간 핵심 소검사별 환산점수 비교

집단 간 핵심 소검사별 환산점수는 공통성, 어휘, 상식, 토막짜기, 행렬추론, 퍼즐, 숫자, 산수, 동형찾기, 기호쓰기 모두에서 외성상 뇌손상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 < .001). 효과의 크기(Cohen`s d)를 기준으로 기호쓰기가 2.29로 가장 높았으며, 상식이 0.91로 가장 낮았다<표 3-3>.

<표 3-3> 정상군과 외상성 뇌손상군 간 핵심 소검사별 환산점수 비교 (N=100)

정상군(n=50)

외상성 뇌손상군(n=50) t d

변인 M SD M SD공통성 11.26 2.51 8.56 2.71 5.17*** 1.03어휘 9.92 2.86 7.12 2.38 5.32*** 1.06상식 11.20 2.20 9.18 2.26 4.54*** 0.91

토막짜기 10.36 2.76 6.54 2.96 6.68*** 1.33행렬추론 11.56 2.82 7.64 2.69 7.11*** 1.42

퍼즐 10.86 3.13 6.88 2.29 7.26*** 1.45숫자 12.40 2.77 8.04 3.16 7.33*** 1.47산수 10.94 2.77 7.32 2.20 7.23*** 1.45

동형찾기 9.06 4.37 4.14 2.06 7.20*** 1.44기호쓰기 10.44 3.56 3.74 2.12 11.43*** 2.29

*** p < .001

Page 8: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42 -

4. 정상군과 외상성 뇌손상군 간 과정 환산점수 비교

집단 간 과정 환산점수 비교에서는 BDN, DSF, DSB, DSS 모두에서 외성상 뇌손상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 < .001). 효과의 크기(Cohen`s d)를 기준으로 DSS가 1.81로 가장 높았으며, DSF가 0.47로 가장 낮았다<표 3-4>.

<표 3-4> 정상군과 외상성 뇌손상군 간 과정 환산점수 비교 (N=100)

정상군(n=50)

외상성 뇌손상군(n=50) t d

변인 M SD M SD

시간보너스없는 토막짜기(BDN) 10.46 3.18 6.46 3.39 6.09*** 1.22

숫자 바로 따라하기(DSF) 13.44 2.92 11.90 3.57 2.36*** 0.47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DSB) 11.74 3.21 7.30 3.02 7.13*** 1.42

숫자 순서대로 따라하기(DSS) 10.80 3.09 5.80 2.40 9.04*** 1.81*** p < .001

Ⅳ. 논 의

국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발생률과 유병률의 정확한 통계 수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외상성 뇌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의 빈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용노동부, 2014; 통계청, 201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검사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박재설, 오상우, 노승호, 200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WAIS-Ⅳ를 이용하여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K-WAIS-Ⅳ를 이용하여 외상성 뇌손상군과 정상군간의 수행을 비교한 결과 전체지능을 비롯하여 하위 척도인 언어이해,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에서도 외상성 뇌손상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효과의 크기(Cohen`s d)를 기준으로 봤을 때 전체지능 2.25, 처리속도 2.11, 지각추론 1.82, 작업기억 1.57, 언어이해 1.20으로 나타나 다른 지수에 비해 언어이해 지수가 상대적으로 덜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지능에서 효과의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외상성 뇌손상군의 전반적인 인지

Page 9: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

- 343 -

기능이 정상군에 비해서 현저히 저하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일반적으로 전체지능은 모든 인지적 능력의 측정치 중 가장 타당한 것으로(황순택 등, 2012)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본 연구에서 하위 척도 중 처리속도지수에서 효과의 크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이것은 Donders, Tulsky, & Zhu(2001)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처리속도는 시각적인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훑으며, 순서를 변별하는 능력으로 외상성 뇌손상 중 전두엽 손상 환자에서 정보처리 속도가 느리며 작업기억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한 Perbal 등 (2003)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처리속도지수의 하위 소검사인 기호쓰기는 전체 하위 소검사 중 효과의 크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형찾기도 높은 효과의 크기를 나타냈다. Nelson 등(2009)의 연구에서 처리속도가 관리기능(executive function)을 검사하는 선추적검사와 스트룹검사의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한 것과 처리속도의 저하가 관리기능저하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남덕현 등, 2016)으로 봤을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관리기능이 저하되어 있다는 선행연구(김귀애, 이명주, 2005; 정재훈, 김홍근, 2014; Bivona 등, 2008; Brooks 등, 1999)의 결과를 지지한다.

지각추론지수에서도 효과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소검사인 토막짜기, 행렬추론, 퍼즐에서도 효과의 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지각추론지수는 기존의 동작성 지능에서 대체된 것으로 동작성 지능이 뇌손상에 더 민감하다는 선행 연구(노승호, 1999; 오상우, 이소영, 권혁철, 2002; Kaufman & Lichtenberger, 2006)의 결과와 일치한다. 지각추론은 유동적 추론, 공간 처리능력 및 시운동 통합을 측정하는 것으로 학습된 것이 아니라 조작력과 새로운 것에 대한 문제해결력을 요구하는 과제로 구성되어있다. 김홍근(2006)은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관리기능과 비관리기능에 관련된 소검사를 구분하였으며, 토막짜기는 유동지능(fluid intelligence), 비유지(don`t hold)지능, 동작성 지능을 구성하는 소검사로서 관리기능에 민감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군과 외상성 뇌손상군 간 과정 환산점수를 비교하였으며, 그 중 시간보너스 없는 토막짜기(BDN) 수행에서도 외상성 뇌손상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효과의 크기에서도 높게 나타나 관리기능의 결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관리기능의 결손이 있다는 선행연구를 다시 한번 지지한다.

작업기억지수에서도 효과의 크기가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소검사인 숫자와 산수에서도 높은 효과의 크기를 보였다. 특히 정상군과 외상성 뇌손상군 간의 과정 환산점수 비교에서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DSB), 숫자 순서대로 따라하기(DSS)는 효과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숫자 바로 따라하기(DSF)는 작은-중간정도의 효과의 크기이며 과정 환산점수 중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숫자 바로 따라하기가 주의기능을 기반으로 즉시 회상하는 과제라고

Page 10: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44 -

하면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와 순서대로 따라하기는 인지적 작업을 한번 더 수행하여 숫자를 재배열하는 과제이다. 김홍근과 박태진(2003)은 숫자 바로 따라하기는 결정지능검사이며,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는 복잡한 인지능력이 필요한 유동지능검사에 해당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고 조작하는 작업기억 회로가 외상성 뇌손상에서 취약한 부분과 일치하여 작업기억의 저하가 나타난다는 선행연구(Leclercq 등, 2000; Park, Moscovitch, & Robertson, 1999)의 결과와 일치한다. McDowell, Whyte, & D'Esposito(1997)는 작업기억이 정보를 유지하는 동시에 언어이해나 문제해결과 같은 다른 인지적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전전두엽의 기능과 관련이 되어 관리기능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언어이해지수는 다른 하위 척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효과의 크기가 낮게 나타났으며, 하위 소검사인 공통성, 어휘, 상식에서도 효과의 크기가 낮았다. 특히 상식은 전체 소검사 중 가장 낮게 나타났다. 외상성 뇌손상군의 언어이해지수는 평균 91.06으로 기술적 분류에서는 평균 범위에 들어간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이해지수가 다른 지수에 비해 손상이 덜 하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노승호, 1999; 송주원 등, 1990; 오상우, 이소영, 권혁철, 2002; Kaufman & Lichtenberger, 2006). 언어이해는 개인의 언어적 개념 형성, 언어적 추론 및 획득된 지식에 대한 것으로(황순택 등, 2012), 김홍근(2006)은 언어이해의 소검사가 결정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 유지(hold)지능, 언어성지능이며 비관리기능으로 재해석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외상성 뇌손상 후 언어이해에 관련된 인지기능은 다른 인지기능에 비해 유지가 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김홍근(2006)은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추출한 관리기능지표가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관리기능에 전문화된 검사에 비해서는 부족하다고 하여 관리기능에 전문화된 검사의 실시를 강조했으며, 남덕현 등(2016)도 관리기능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검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K-WAIS-Ⅳ를 이용하여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관리기능을 검사하려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인지기능을 분석하고자 한점을 다시 한번 밝혀둔다. 임상적으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을 분석하기 위해서 다양한 인지영역에 세분화된 개별 검사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합적인 인지기능을 분석하고 하위 인지영역 중 어느 인지영역이 더 손상되었는지 알아볼 수 있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에서 뇌손상의 심도(severity)를 알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를 얻기가 어려워 뇌손상의 심도에 따라 집단을 세부적으로 나누지 못하였다. 따라서 50명의 대상자를 한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다른 연구들과 비교하면 오상우, 이소영, 권혁철(2002)의 연구에서는 LOC를 기준으로 하여 20분이하는 가벼운 뇌손상, 21분~6시간 미만은 중간정도의 뇌손상, 6시간 이상은 심한 정도의 뇌손상이라고 분류하였으며, 결과에서는 중간

Page 11: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

- 345 -

정도의 뇌손상에서 전체지능지수 84.35점이며 심한 정도의 뇌손상은 전체지능지수 79.73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전체지능지수 77.66점으로 나타나 심한 정도의 환자로 유추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추는 검사도구의 점수가 분류변인이자 종속변인이 된다는 점에서 순환적 오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러한 점은 추후 연구에서 보완해야 할 사항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뇌손상의 심도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인지기능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연구 대상자들의 뇌 병변측, 병인, 뇌손상 부위 등과 같은 다양한 변인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활환경, 직업 등과 같은 일반적 특성에 대한 변인을 충분히 조사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론 및 제언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한 인지기능장애는 기본적인 일상생활에서부터 보다 복잡한 사회적 기능과 직업기능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작업(occupation)에서의 기능 저하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종합적인 인지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성 뇌손상군은 정상군에 비해 전반적인 인지기능이 유의하게 낮았다.둘째, 외상성 뇌손상군과 정상군의 조합점수를 비교한 결과 언어이해지수에 비해 처리

속도지수, 지각추론지수, 작업기억지수에서의 결손이 더 심했으며, 특히 처리속도지수에서 상당히 저조하게 나타났다.

셋째, 외상성 뇌손상군과 정상군의 소검사별 환산점수를 비교한 결과 처리속도지수, 지각추론지수, 직업기억지수의 소검사인 기호쓰기, 동형찾기, 퍼즐, 행렬추론, 토막짜기, 숫자, 산수에서 매우 저조하게 나타났다.

넷째, 외상성 뇌손상군과 정상군의 과정 환산점수를 비교한 결과 숫자 순서대로 따라하기,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 시간보너스 없는 토막짜기에서 상대적으로 수행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전반적인 인지기능에 저하가 있으며, 인지재활 중재를 계획할 때 처리속도, 지각추론, 작업기억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

Page 12: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46 -

참 고 문 헌

고용노동부 (2014). 2013년 산업재해 발생현황. 서울: 고용노동부.김귀애, 이명주 (2005).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기억기능과 실행기능: 뇌손상의 심각도에 따른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4), 849-867. 김홍근 (2002). K-WAIS의 3요인 해석을 위한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3), 631-645.김홍근 (2006). Wechsler지능검사에서 관리기능과 비관리기능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1), 257-271. 김홍근, 박태진 (2003).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와 거꾸로 따라 외우기의 차이에 관한 규준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22(3), 599-613.정재훈, 김홍근 (2014).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관리기능의 차별적 결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3(3), 211-230.정재훈, 김홍근 (2015).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기억기능의 결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2), 385-403.남덕현, 이한별, 김지혜, 황순택, 홍상황 (2016). 양극성장애 환자의 K-WAIS-Ⅳ 프로파일 분석. 한국

심리학회, 35(2), 393-410.노승호 (1999).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 원광정신의학, 15(2), 15-26.도진아, 류설영, 김희철 (2005).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의 K-WAIS와 K-MAS수행패턴 비교. 생물치료

정신의학, 11(2), 165-171.박재설, 오상우, 노승호 (2000). 외상성 뇌손상 심도에 따른 인지 장애와 시간 경과 후 변화. 원광정신

의학, 16(1), 3-11.송주원, 나은우, 신정빈, 조경자 (1990).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에 대한 검토. 대한재활의학회지,

14(2), 310-315.오상우, 강종구, 박민철. (1998). 두부외상 환자의 K-WAIS 분산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7(2),

123-132.오상우, 이소영 (2001). 뇌손상 심도에 따른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지능과 기억장애. 한국예술치료학회:

정신의학, 1(1), 61-70.오상우, 이소영, 김지영, 권혁철 (2000). 외상성 두뇌 손상 환자의 지능 장애와 기억 장애. 한국심리

학회지: 임상, 19(2), 341-350.오상우, 이소영, 권혁철 (2002). 뇌손상 심도에 따른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지능 장애와 기억 장애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349-360.최성혜, 이현수 (2003).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기억기능 연구: 뇌손상의 심각도에 따른 비교. 한국심리

학회지: 임상, 22(1), 33-56.통계청 (2014). 2013 한국의 사회지표. 서울: 통계청.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2013년도 환자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황순택, 김지혜, 박광배, 최진영, 홍상황 (2012). K-WAIS-Ⅳ 실시 및 채점 요강. 대구: 한국심리주식회사. Alexander, M. P. (1995). Mild traumatic brain injury: pathophysiology, natural history, and

clinical management. Neurology, 45(7), 1253-1260.

Page 13: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

- 347 -

Barbey, A. K., Colom, R., Solomon, J., Krueger, F., Forbes, C., & Grafman, J. (2012). An integrative architecture for general intelligence and executive function revealed by lesion mapping. Brain, 135(4), 1154-1164.

Bivona, U., Ciurli, P., Barba, C., Onder, G., Azicnuda, E., Silvestro, D., Mangano, R., Rigon, J., & Formisano, R. (2008). Executive function and metacognitive self-awareness after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14(5), 862-868.

Brooks, J., Fos, L. A., Greve, K. W., & Hammond, J. S. (1999).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mild traumatic brain injury. The Journal of Trauma and Acute Care Surgery, 46(1), 159-163.

Budson, A. E., & Price, B. H. (2005). Memory dysfunctio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2(7), 692-699.

Carlozzi, N. E., Kirsch, N. L., Kisala, P. A., & Tulsky, D. S. (2015). An examination of the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s, (WAIS-IV) in individuals with complicated mild, moderate and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TBI).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29(1), 21-37.

Chua, K. S., Ng, Y., Yap, S. G., & Bok, C. (2007). A brief review of traumatic brain injury rehabilitation. Annals of the Academy of Medicine Singapore, 36(1), 31-42.

Cohen, J. (1988). Sta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ition. Hillsdate, NJ: Erlbaum.

Cummings, J. L. (1993). Frontal-subcortical circuits and human behavior. Archives of Neurology, 50(8), 873-880.

Dikmen, S. S., Corrigan, J. D., Levin, H. S., Machamer, J., Stiers, W., & Weisskopf, M. G. (2009). Cognitive outcome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The Journal of Head Traumatic Rehabilitation, 24(6), 430-438.

Donders, J., Tulsky, D. S., & Zhu, J. (2001). Criterion validity of new WAIS–III subtest score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7(7), 892-898.

Fan, J., McCandliss, B. D., Fossella, J., Flombaum, J. I., & Posner, M. I. (2005). The activation of attentional networks. Neuroimage, 26(2), 471-479.

Ghajar, J. (2000). Traumatic brain injury. Lancet, 356(9233), 923-929. Greve, K. W., Bianchini, K. J., Mathias, C. W., Houston, R. J., & Crouch, J. A. (2003). Detecting

malingered performance on the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Validation of Mittenberg’s approach in traumatic brain injury.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18(3), 245-260.

Hurt, G. D. (1991). Mild brain injury: critical facto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57(4), 36-40.

Page 14: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4호)

- 348 -

Kaufman, A. S., & Lichtenberger, E. O. (2006). Assessing adolescent and adult intelligence. 3rd edition. NJ: Wiley.

Konigs, M., Engenhorst, P. J., & Oosterlaan, J. (2016). Intelligence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meta‐analysis of outcomes and prognosis.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23(1), 21-29.

Leclercq, M., Couillet, J., Azouvi, P., Marlier, N., Martin, Y., Strypstein, E., & Rousseaux, M. (2000). Dual task performance after severe diffuse traumatic brain injury or vascular prefrontal damage.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2(3), 339-350.

Lezak, M. D., Howieson, D. B., Loring, D. W., Hannay, H. J., & Fisher, J. S. (2004).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4th edition. NewYork: Oxford University Press.

Luders, E., Narr, K. L., Thompson, P. M., & Toga, A. W. (2009). Neuroanatomical correlates of intelligence. Intelligence, 37(2), 156-163.

McDowell, S., Whyte, J., & D'Esposito, M. (1997). Working memory impairments in traumatic brain injury: evidence from a dual-task paradigm. Neuropsychologia, 35(10), 1341-1353.

Nelson, L. A., Yoash-Gantz, R. E., Pickett, T. C., & Campbell, T. A. (2009). Relationship between processing speed and executive functioning performance among OEF/OIF veterans: implications for postdeployment rehabilitation. The Journal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24(1), 32-40.

Parker, R. S. (1990). Traumatic brain injury and neuropsychological impairment. New York: Springer-Verlag.

Park, N. W., Moscovitch, M., & Robertson, I. H. (1999). Divided attention impairment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Neuropsychologia, 37(10), 1119-1133.

Perbal, S., Couillet, J., Azouvi, P., & Pouthas, V. (2003). Relationships between time estimation, memory, attention, and processing speed in patients with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Neuropsychologia, 41(12), 1599-1610.

Raskin, S. A., Mateer, C. A., & Tweeten, R. (1998).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f individuals with mild traumatic brain injury.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12(1), 21-30.

Timmons, S. D. (2012). An update on traumatic brain injuries. Journal of Neurosurgery Science, 56(3), 191-202.

Tipton-Burton, M., Mclaughlin, R., & Englander, J. (2012). Traumatic brain injury. In W. Schultz-Krohn, & H. Mchugh Pendleton (Eds.),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pp. 881-915). St. Louis, Missouri: Elsevier.

Wechsler, D. (2008).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4th edition. San Antonio, TX: Pearson.

Page 15: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isers.org/common/fileDown.aspx?f=17-%C1%A4%C0%E7%C8%C6...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 K-WAIS-Ⅳ를 중심으로

- 349 -

<Abstract>

Cognitive Function in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Using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Ⅳ

Jung, Jae-Hu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ficits of cognitive function in Traumatic Brain Injury(TBI) patients. To this end, 50 TBI patients and 50 normal subjects were compared on the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Ⅳ(K-WAIS-Ⅳ).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BI patients showed a lower cognitive function compared to normal subjects.Second, comparing the index scale of the two groups, the group difference in

Working Memory Index, Perceptual Reasoning Index, Processing Speed Index were larger than the group difference in Verbal Comprehension Index. In particular, they showed the lowest performances on PSI.

Third, the performances with TBI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poorer results compared to the normal patients in Coding, Symbol Search, Visual Puzzles, Matrix Reasoning, Block Design, Digit Span and Arithmetic.

Fourth, in process scaled score, the performances in Block Design NO Time Bonus, Digit Span Forward, Digit Span Backward and Digit Span Sequencing, TBI patients were poorer than the other group significantly.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that TBI patients are associated with a deficit in the cognitive function. These results suggest application to the intervention focused on speed of processing, perceptual reasoning and working memory.

Key Words : Traumatic Brain Injury, Cognitive Function, K-WAIS-Ⅳ

논문접수 : 2016. 10. 27 / 논문심사일 : 2016. 11. 22 / 게재승인 : 2016.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