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 1)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륙집 • 외래어 .).!-용 실태와 순화 방안】

상호 ·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이선영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1.서론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매일 접하는 상호와 상표는 우리의 언어 생활에 적

지 않은 영향을 준다. 그런데 그 상호와 상표를 검토해 보면 외래어가 무분

별하게 남용되거나 오용되는 사례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고

에서는 상호와 상표에 나타난 외래어의 사용 실태를 살펴보고 거기에서 드

러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l

이 연구를 위해 이용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호의 경우는 1996년

11월 한국통신 서울본부에서 발간한 『서울 업종편 전화번호부』에서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6개 업종인 경양식집, 피자 • 햄버거집, 제

1) 본고에서는 서구어에서 온 외래어를 대상으로 하였고 일본어나 중국어에서 온

외래어는 논의에서 제외하였다.

Page 2: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104 새국어생활 제8권 제2호(’~년 여름)

과점, 의상실, 미용실, 노래방의 상호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12.3967ß 가

운데 7.304개가 외래어를 포함한 상호(이하 외래어 상호)임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조사 대상 상호의 58.9%에 해당한다.

상표의 경우는 1997년 11월 한 달간 텔레비전에서 방영된 광고 즉 KBS2.

:MBC. SBS에서 방송된 광고에 나타난, 외래어를 포함한 상표(이하 외래어

상표)를 검토하였다,.2) 논의 대상 자료를 텔레비전 광고로 정한 것은, 텔레

비전 광고가 다른 어떤 매체의 광고보다 일반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3) 본고에서는 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난 상표를 수집함

에 있어서 시간대나 방송사를 한정하지 않고 가능한 한 많은 예를 수집하고

자 하여 총 448개의 외래어 상표를 확인하였다.

2) KBSl 방송은 광고를 방영하지 않아 검토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3) 텔레비전 광고는 짧은 시간이지만 인상적인 내용이 반복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그 광고를 계속 보는 사람이 상표에 나타난 언어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

다. 일례로 몇 년 전 어느 오렌지 주스 광고에 나왔던 .따봉’이라는 단어의 경우

를 보자. 이 단어는 그 후 임시어의 위치를 벗어나 어느 정도 생명력을 가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따봉노래연습장’, ‘따봉오락실’, ‘따봉민포카주점’ 등 ‘따봉’이 들어

간 상호가 확인되는 것이 그 예이다. ‘따봉’의 예는 텔레비전 광고가 일반인의

언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를 가시적으로 보여 준다.

Page 3: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상호 ·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105

a 외래어 사용실태

2.1 상호

먼저 통계를 낼 때 정한 외래어 상호의 기준을 밝히면 다음과 같다. 외래

어가 들어간 상호이기는 하나 그 외래어가 그에 해당하는 고유어나 한자어

가 없는, 이른바 ‘기본 외래어’일 때는 이를 외래어 상호로 분류하지 않았다.

그래서 ‘피자 • 햄버거집’의 경우, ‘피자’나 ‘햄버거’는 기본 외래어이기 때문

에 고유어나 한자어에 ‘피자’나 ‘햄버거’가 연결된 상호는 외래어 상호로 보

지 않았다. 반면 ‘경양식집’의 경우는 ‘레스토랑’을 ‘경양식집’에 대응되는 외

래어로 보아 고유어나 한자어에 ‘레스토랑’이 연결된 상호를 외래어 상호로

보았다.4)

이제 각 분야별로 전체 상호 중 외래어 상호의 비율을 보기로 하겠다. 먼

저 피자 • 햄버거집의 경우는 전체 884개 가운데 8497ij(96.0%)가 외래어 상

호이고 경양식집은 전체 3,675개 가운데 2,8457ij (77.4%)가 외래어 상호이

다. 그리고 제과점은 전체 1,606개 가운데 1,131개 (70.4%)개 의상실은 전체

884개 가운데 뼈8개 (55.2%)개 미용실은 전체 4,364개 가운데 1,651개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검토해 본 결과, ‘레스토랑’ 못지 않게 ‘경양식’도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예를 제시하면 ‘뜨락경양식 / 뜨락레스토랑’, ‘목마경양식 / 목마레스토랑’

등과 같다. 여기에서 ‘경양식’이 사용된 전자의 상호와 ‘레스토랑’이 사용된 후자

의 상호가 동일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문화체육부(1994)에서도 .레스토랑’은

될 수 있으면 순화한 용어인 '(양)식당’으로 써야 한다고 하고 있다.

Page 4: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106 새국어생활 제8권 제2호(’~년 여름)

(37.8%) 개 노래방은 전체 983개 가운데 3417ß(34.7%)가 외래어 상호이다.

여기에서 보면 피자 • 햄버거집이나 경양식집, 제과점 등과 같이 외국에

서 들어온 음식 문화의 경우 외래 음식 문화의 번성과 더불어 외래어 상호

도 많이 생겨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미용실은 전체 조사 상호수

가 4.3647ß로서 6개 업종 중에서 가장 많은데 이는 소규모의 동네 미용실을

다 포팔한 것으로 아직까지 이 분야에서는 고유어나 한자어를 이용한 상호

가 강세임을 알 수 있다. 노래방은 서구에서 들어온 문화가 아니기 때문에

외래어 사용 비율이 다른 업종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다음으로 외래어 상호 작명 방식의 특징을 일곱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기

로 하겠다.5) 첫째는 고유어나 한자어가 존재하는 업종명을 외래어로 대체

한 상호이다. 즉 ‘경양식집’을 ‘레스토랑(restaurant)’으로(가야레스토랑, 둥

지레스토랑 등) . ‘제과점’이나 ‘빵집’을 ‘베이커리(벼kery)’로(궁전베이커리,

독일베이커리 등) • ‘의상실’을 ‘부티크(boutique)’로(뷰티부띠끄 손석화부띠

끄 등) . ‘미용실’을 ‘헤어숍(hair shop)’이나 ‘헤어살롱(벼ir salon)’으로(개성

시대헤어숍, 앙드레헤어살롱 등) 나타낸 상호이다. 그런데 경양식집이나 제

과점은 그에 대당하는 용어가 ‘레스토랑’이나 ‘베이커리’로 비교적 단순한 편

이나 미용실은 외래어가 무분별하게 쓰이고 있어 ‘헤어’에 ‘뉴스’, ‘라인’, ‘모

드’ 등 적당한 외래어를 연결시칸 것이 마치 ‘미용실’을 의미하는 용어인 것

처럼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남산헤어뉴스 가위손헤어라인, 하이센스헤어

모드、 뷰티헤어센스、 소피아헤어아투 하나헤어월드’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5) 지연 관계상 예는 최소한의 것만 제시하였다. 자세한 예는 졸고(1997)을 참고하

기 바란다.

Page 5: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상호 •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107

상호는 우리 고유어로 충분히 나타낼 수 있는 업종명을 외래어로 표현함으

로써 차별화 • 고급화의 느낌을 주려는 듯이 보인다. 이는 고유어보다는 외

래어를 써야 더 고급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의 태도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 、“

로보인다.

둘째는 외국 지명이나 인명 등의 고유명사를 이용하여 만든 상호이다-.6)

지명을 이용한 상호로는 ‘뉴욕뉴욕레스토랑(경), 시카고피자(피) , 런던베이

커리(제) , 비엔나헤어타운(미)’ 등이 있고 인명을 이용한 상호로는 ‘루이14

세(경), 나폴레옹제과점(제), 에스더헤어뱅크(미)’ 등이 있다. 그리고 영화

명으로는 ‘라스트콘서트(경), 벤허(경) , 나인하프위크스(경)’ 등, 차명으로는

‘비앵더블유(경), 포탠샤(경)’ 등이 았다.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고유명사가

사용되는 것은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는 고유명사를 이용해 친숙함을 느끼

게 하고 동시에 기억도 하기 쉽게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그러나 ‘미시령’,

‘바보 온달’, ‘아리랑 별곡’ 등의 예를 보면 고유어로도 얼마든지 정감 있고

기억하기 쉬운 상호를 지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가자 미용실, 한

혜련 의상실, 김충복 과자점’ 등과 같이 자신의 이름을 붙인 상호도 소비자

에게 신뢰감과 친근감을 주는 상호이다.

셋째는 어원이나 의미를 알 수 없는 외래어식 단어를 이용한 상호와 고유

어를 외국어처럼 변형한 단어를 이용한 상호이다. 전자의 예로는 ‘꼬방스

(경), 팔리마쏟(경), 끌레모아(경)’ 등이 있는데 이것들은 외래어처럼 보이

나 어원을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어느 나라 말인지도 알 수 없다. 후자의

6) 이하의 예에서 (경)은 경양식집, (피)는 피자 • 햄버거집, (제)는 제과점, (미)는 미용실, (의)는 의상실, (노)는 노래방을 의미한다

Page 6: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108 새국어생활 제8권 제2호(’00년 여름)

예로는 ‘보니조아(경) , 포그니(경) , 누네띠네(미), 까꼬뽀꼬(미) , 뽀꾸레

(미)’ 등이 있는데 이것들은 각각 ‘보니 좋아 포근히, 눈에 띄네, (머리를)

깎고 복교 (머리를) 묶을래’에서 형태를 변형하여 외래어처럼 보이게 만든

상호들이다. 이러한 것들은 국적 불명의 말들로 우리 언어 생활을 혼란스럽

게 하고 있다.

넷째는 외래어 단어들의 일부를 잘라 결합시킨 혼성어를 이용한 상호인

데 그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번째는 ‘레까소 레스빠, 패스토

랑’과 같은 말들이다(뜨레모아레까소(경) 스위스레스빠(경) , 세네모패스토

랑(경) 등) . ‘레까소.는 ‘레스토랑’의 ‘레-’와 ‘까페’7) 의 ‘까-’와 ‘소주방’의 ‘소

-’를 결합시켜 만든 말이고、 ‘레스빠’는 ‘레스토랑’의 ‘레스-’와 ‘빠’8)를 결합

시켜 만든 말이다. 그리고 ‘패스토랑’은 ‘패스트푸드’의 패스-’와 ‘레스토랑’

의 ‘-토랑’을 결합시칸 말이다. 이 말들은 마치 음식점의 종류를 이르는 말인

것처럼 쓰이고 있다. 두 번째는 ‘유토피아(Utopia)’의 ‘-피아나 ‘-토피아를

떼어 내어 만든 상호들로、 ‘예스피아(경), 스노피아(제) , 헤어토피아(미), 뷰

토피아(미)’ 등이 확인된다. 세 번째는 ‘카페테리아(cafeteria)’의 ‘-리아나 ‘­

테리아를 이용하여 만든 상호로 ‘피자리아(피) , 롯데리아(피), 피자테리아

(피)’ 등이 었다.

다섯째, 아예 외국어 구나 문장을 그대로 이용한 상호이다. 이러한 예들

은 경양식집에서 두드러지는데 ‘러브미댄더(Love me tender) , 잇츠뷰티풀

데이(It’s beautif버 day) , 휠마이송(Feel my song) , 까페라테라스(Café la

7) ‘까페.는 ‘카패’가 바른 표기이다. 8) ‘빠’는 ‘바’가 바른 표기이다.

Page 7: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상호 •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109

teπ잃se) , 몽웰통통(Mon cher tonton) , 써1라비 (C’est la 띠e) ’ 등이 나타난다.

이것들은 외국어 구나 문장을 사용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외국어 지식

이 없는 사람은 그 의미도 제대로 알 수 없게 만든 상호들로 외래어의 남용

이 두드러지는 예들이다.

여섯째, 알파뱃 자모의 배열이나 영어 숫자의 배열을 이용한 상호이다.

알파뱃 자모를 이용한 상호로는 ‘에스엠(경) , 제이제이피자(피), 에스티의상

실(의) , 디엘디헤어라인(미)’ 등이 있고1 영어 숫자를 이용한 상호로는 ‘투투

쓰리(경), 나인티냐인피자(피), 원투쓰리노래방(노)’ 등이 있다.

일곱째, 두 개 이상의 외국어가 함께 사용된 상호이다. 프랑스어와 영어

를 섞어 만든 ‘꼬레후라이드라이스(Corée(불) +fried-riæ( 영))(경) , 르크럽

(le(불)+club( 영))(경)’ 등,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섞어 만든 ‘몽블랑호프레

스토랑(Mont-B때lC(불)+Hof(독) +restaurant (불))(경)’ 등이 있다. 그리고

심지어는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가 섞인 ‘투쓰리호프레스토랑(two-three

(영 )+Hof(독)) +restaurant(불))(경)’,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가 섞인

‘피자 부페 하우스(p없a(이 )+buffet(불)+house(영))(피)’ 등도 확인된다.

그리고 O빼 표기가 로마자로 되어 있는 상호도 보이는데 ‘BOSS(경),

CF(경), JOY피자(피), HOW(의), YB미용실(미), OK노래방(노)’ 등이 그

예이다.

2.2.상표

1997년 11월 한 달간 텔레비전 광고에 나온 상표를 검토해 본 결과, 우리

Page 8: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110 새국어생활 제8권 제2호(’98년 여름)

는 거의 대부분의 분야에서 외래어 상표가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여기에서 확인된 μ8개의 외래어 상표를 분야별로 나누어 표시하면 다

음과 같다. 외래어 상표가 가장 많이 확인된 분야는 화장품(43개)과 의류

(43개)이다. 의류의 경우는 남성복, 여성복, 아동복 등으로 분。바 세분되므

로 사실 단일 분야로 가장 심각하게 외래어의 남용을 보여 주는 분야는 화

장품이다. 그리고 다음으로 외래어 상표가 많이 확인된 분야는 의약품(35)

과 과자(35) 이고, 그 디음은 간식 • 부식류(32) , 위생 용품(ZJ) , 잡화류(25) ,

건축(2이, 기계 (20) , 가전 제품 • 컴퓨터(19) , 유제품(1이, 통신 기기 • 회사

(17) , 음료(6) , 신발 • 가방(15) , 장난감(12) , 연쇄점 (12) , 가구(11) , 학습 교

재 (11) , 운송업체 (8) , 속옷(6) , 회사(6) , 신용 카드(2) , 휘발유(2) , 보안 설비

(2) , 영화(1)의 순서로 외래어 상표가 확인되었다~9)

다음으로 외래어 상표 작명 방식의 특정을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하겠다. 첫째는 어원이나 의미를 알 수 없는 외래어식 단어를 이용한 상표와

고유어를 외국어처럼 변형하여 만든 상표이다. 전자의 예로는 ‘롱스(과자) ,

생크(과자), 미네뜨(초콜릿) , 뿌요(요구르트), 모몽(가구)’ 등이 있다. 후자

의 예로는 ‘코엔, 타코나, 고프레’ 등의 감기약이 있는데 이 상표들은 각각

‘코에는, 타고난, 고뿔에’리는 우리말을 변형하여 만든 것들이다.

둘째는 단어의 일부를 잘라 결합시킨 혼성어로 된 상표로 ‘미네피아(정수

기) , 니코스탑(금연용품), 텔레PC(컴퓨터) , 하스본(과자) , 노비드(삼푸)’ 등

이 이에 속한다. ‘미네피야는 ‘미네랄’의 ‘미네-’와 ‘유토피아의 ‘-피야를 결

9) 상표의 전체 목록은 졸고(1997)을 참고하기 바란다.

Page 9: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상호·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111

합시킨 상표이고、 ‘니코스탑’은 ‘니코틴’의 ‘니코-’와 ‘스탑(stop) ’10)을 결합시

킨 상표이다. ‘텔레PC’는 ‘텔레비전’의 ‘텔레-’와 ‘PC’를 결합시킨 상표이고

‘하스본’은 ‘웨하스’11) 의 ‘하스-’와 ‘본(本)’을, ‘노비드’는 ‘노(no)’와 ‘비듬’의

‘비드’를 결합시킨 상표이다.

셋째는 외국어 구나 문장을 이용한 상표이다. ‘이츠(과자)’는 ‘It냥에서,

.조이너스(여성복)’와 ‘후아유(화장품)’는 각각 ‘Join 뻐’와 ‘Who 없e you?’에

서, ‘디어베이비(아동복)’와 ‘해피베이비(아동복)'는 각각 ‘d않r baby’와

‘happy baby’에서 온 상표이다. 그리고 ‘화이트키스(치약)’와 ‘크린앤화이트

(치약)’는 ‘white kiss’와 ‘cl않n 없d white’에서 온 상표이다.

넷째는 알파뱃 자모의 배열을 이용한 상표로 ‘씨앤더블유(화장품) • 아이

씨에스(화장품)’ 등이 확인된다. 그리고 의약품에서는 ‘까스활명수 큐, 화이

투벤 에스 화콜 에프’ 등과 같이 상표 뒤에 알파뱃 자음을 붙이는 경우가 많

다.

또한 ‘D모.NEW헬로우ABC. U&C 트윈케이크’ 등과 같이 표기가 로마

자로 되어 있는 상표도 보인다.

다음으로 상표 작명에서 외래어 사용이 두드러지는 몇 분야의 특정을 살

펴보기로 하자. 먼저 화장품을 보면.라네즈 소프트터치파운데이션, 아이오

페 에너자이정에센스, 아일렛 훼이스라인디자인크림, 칼리 링클리프트크림’

등과 같이 외국 제품과 구별이 가지 않을 정도로 외국어를 많이 사용히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또한 첨단 산업에 속하는 통신이나 컴퓨터에서도 외

1이 .스탑’은 ‘스톱’이 바른 표기이다.

11) ‘웨하스’는 ‘웨이퍼’가 바른 표기이다.

Page 10: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112 새국어생활 제8권 제2호(’98년 여름)

래어 상표가 많이 쓰이고 있어 ‘L<ft\}이언.LG프리웨이, 애니콜디지털, 애니

콜PCS. 현대걸리버’ 등의 통신기기, ‘대우코러스프로넷, 삼보드림시스61체인

지업, 삼성텔레PC매직스테이션, 현대멀티캡’ 등의 컴퓨터 상표가 보인다. 그

리고 가전제품에서도 ‘LG가스오븐레인지 쁘레요 린나이타이머세이플. LG

에어컨 컬러&컬러. LG와이드비전 라이브, 삼성명품 플러스원TV.LG테크

폰OK’ 등과 같이 외래어 상표가 많이 확인된다.

그런데 가전 제품의 경우는 외래어 상표 못지 않게 고유어 상표도 많아

‘LG통돌이세탁기, 대우공기방울세탁기 올리고때라고, 삼성손빨래세탁기 수

중강타, 삼성압력밥솥 母情~ LG동글이청소기 윗’ 퉁이 보인다. 여기에서 흥

미 있는 사실은 가정의 필수품이라기보디는 사치품에 속하는 에어컨이나 대

형 텔레비전 등에서는 외래어 상표를, 필수품으로 분류되는 세탁기나 청소

기 등에서는 고유어 상표를 주로 쓴다는 것이다. 특히 주부를 대상으로 하는

가전 제품의 경우는 가스오븐레인지를 제외하고는 고유어 사용이 두드러지

는데 여기에서 우리는 소비자가 누구이냐에 따라 상표 작영 방식이 달라짐

을 알수 있다.

그리고 화장품 분야에서도 최근 ‘식물나라, 과일나라, 꽃을 든 男子’ 등과

같이 고유어와 한자어로 된 상표가 등장하였는데 이 부분은 우리에게 시사

하는 바가 적지 않다. 화장품의 경우, 외국 제품 같은 이름을 지나치게 선호

하다 보니 이제는 외래어 상표로 소비자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기가 어렵게

되어 오히려 고유어로 된 이름이 더 차별화된 상표로 등장하게 된 것이 아

닌가한다

Page 11: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상호·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113

κ 외래어 오표기 샤례

1986년에 고시된 외래어 표기법은 외래어뿐 아니라 새로 들어오는 외국

어도 체계적으로 통일성 있게 표기하는 데 지침이 되는 규정이다. 그러나 실

제 상호나 상표의 표기를 보면 외래어 표기법에 맞지 않는 예가 상당히 많

이 확인된다. 여기에서는 그 오표기 사례들 가운데 특징적인 것 몇 가지를

검토해 보기로 하겠다.

첫째, 된소리를 쓰지 않。싸 히는데 이를 된소리로 표기한 경우이다. 파

열음 표기에 된소리를 쓴 경우로 ‘까페(카페). 부띠끄(부티크). 바게뜨(바게

트)’ 등의 예가 확인된다}2) 이 규정은 특히 프랑스어에서 온 외래어의 경우

잘 지켜지지 않는다. 그리고 발음이 [s]인 외래어를 ‘λ’으로 표기하지 않고

.λA’으로 표기한 것도 많아 ‘싸롱(살롱). 쩨븐(세븐). 써비스(서비스). 씬칩

(선칩)’ 등의 예가 확인된다~ [s]를 된소리로 표기하는 것은 [s]가 들어간

거의 대부분의 상호에서 확인되는바 이는 외래어 표기법보다는 외국어로서

의 발음을 따른 것으로 외래어 표기법이 제대로 홍보되지 않은 결과 생긴

현상으로 보인다. 그리고 [g]도 ‘까스등(가스등). 까스 활명수 큐(가스-)’ 등

과 같이 된소리로 표기한 예가 보인다.

둘째, 어중의 [1]을 ‘ëë’로 적지 않고 ‘E’로 적는 경우가 많다. ‘피자 크

럽(-클럽). 선 프라자(-플라자). 헤어 크리닉(-클리늬). 가그린(가글린) • 아

트라스(아틀라스) • 푸레이크(플레이크)’ 등의 예가 있다.

12) 팔호 속에 제시한 표기가 바른 표기이다.

Page 12: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114 새국어생활 제8권 제2호(’98년 여름)

셋째. [f]는 모음 앞에서는 ‘표’로 자음 앞 또는 어말에서는 ‘프’로 표기하

여야 하나 이를 ‘승’와 ‘후’로 표기한 경우가 많다. ‘훼미리 햄버거(패밀리- ).

후레쉬 피자(프레시-). 훼이스라인 디자인크립(페이스-). 텔몬트 후루츠 소

다( -프루츠-). 바로구이 갈비맛 후랑크(-프랑크)’ 등이 그 예이다.

넷째. [f]의 경우 어말에서 ‘시’를 ‘쉬’로 잘못 표기한 ‘골드러쉬(골드러

시). 쥬시 후레쉬(주시 프레시)’ 등의 예와 모음 앞에서 ‘셰’를 ‘세’로 오표기

한 ‘세리톤(셰러턴)’, ‘쉐’로 오표기한 ‘미니헬(미니젤)’ 등이 보인다.

다섯째, 단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을 받침으로 적지 않고 ‘으’를 붙

여 적은 ·도너스(도덧) • 로보트(로봇)’ 등의 예와 앞 경우 이외의 어말과 자

음 앞에서 ‘으’를 붙여 적지 않고 이를 받침으로 적은 ‘케익(케이크). 랍스타

(로브스터). 크랩(크래브)’ 등의 예가 확인된다)3)

여섯째, 단모음을 이중 모음으로 적는 경우가 었다~ [3]와 [1fJ. [여]는 후

행 모음에 이중 모음을 쓰지 않아야 하나 ‘큐 뮤직 비션(-비전) • 봉쥬르(봉

주르). 차밍 양장점(차밍-). 델몬트 콜드 쥬스(-주스) • 펄비취(펄비치). 벤

취(벤치). 트라스트 패취(-패치)’ 등과 같은 오표기가 나타난다.

일곱째, 모음의 경우 철자에 이끌려 잘못 표기하는 예가 상당히 많다. 모

음 [æ]는 ‘애’로 표기해야 하나 원어의 철자 ‘i에 이끌려 ‘하이클라스(하이

클래스) • 파라다이스(패러다이스) . 금강 샤시(-새시) • 세원 바이오 판넬(-패

널)’ 등과 같이 표기하고 있다. 그리고 모음 [a]는 ‘어’로 표기하여야 하나

13) 그런데 특이한 것은 빵의 종류인 ‘케이크’는 ‘케익타운, 생크림케익’ 등과 같이

대부분의 경우 ‘케익’으로 잘못 표기되었으나, 화장품의 종류인 ‘트윈케이크.는

‘트윈케익’으로 잘못 표기된 예가 없었다는 사실이다.

Page 13: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상호·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115

철자 ‘a’에 이끌려 ‘터미날(터미널), 미라클(미러클) , 로얄(로열) , 로타리(로

터리) , 스페살(스패셜)’ 등과 같이 ‘아로 표기하거나 철자 ‘o’에 이끌려 ‘로손

(로션) , 콘트롤 크림(컨트롤- ), 헤어 콜렉션(-컬렉션)’ 등과 같이 ‘오’로 표

기하고 있다.

그런데 모음 [J]의 경우는 ‘오’로 표기하는 것이 맞는 표기이나 영어 철자

의 ‘o’를 ‘아나 ‘어·로 표기하고 있어 철자에 이끌린 앞의 경우와는 다른 오

표기의 예를 보여 주고 있다. ‘원삿 각테일(원솟-), 헤어삽(헤어숍) , 참존 탑

뉴스(-톱뉴스), 니코스탑(니코스톱), 레드락(레드록)’ 등의 ‘oF와 ‘EQ 항균

블럭(-블록)’의 ‘어’ 표기가 그 예이다. 그리고 이외에도 모음의 발음이 잘못

된 예로 ‘초콜렛(초콜릿) , 팔레스(펠리스), 메세지(메시지) , 부페(뷔페), 데

뷰(데뷔) , 칼라(컬러), 랑데뷰(랑데부) , 스프(수프)’ 등이 보인다.

여닮째, 중모음의 경우 ‘죽염 포테토칩(-포테이토칩)’과 같이 ‘에이’를 ‘에’

로 잘못 표기하거나 ‘스노우(스노) , 투모로우(투모로) , 프리흔(프리존)’ 등

과 같이 ‘오’로 표기해야 하는 [ou]를 ‘오우’나 ‘요’로 잘못 표기한 예가 확인

된다.

4. 개선 방안

이상에서 우리는 외래어 상호 • 상표의 사용 실태와 남용 및 오용 사례들

을 검토해 보았다. 상호와 상표에 쓰이는 외래어는 우리의 언어 생활에 긍정

적인 영향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부정적인 면을

살펴보면 첫째, 외래어 상호 • 상표의 사용은 언어의 주체성을 상실하게 한

Page 14: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116 새국어생활 제8권 제2호(’.~년 여름)

다. 이것은 국민인 동시에 소비자인 우리의 의식과도 관련이 있는데 무분별

하게 외래어 상호 • 상표를 좋아함으로써 외래어가 고유어보다 고급스렵다

고 생각하게 된다면 자칫 언어 사대주의로 흐를 위험이 있다 둘째, 외래어

상호 • 상표를 선호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우리의 아름다운 고유어에 대한 관

심이 줄어들게 되어 결과적으로 고유어 어휘의 사용 빈도가 감소하고 또한

새로운 고유어의 생성도 줄어들게 된다. 셋째, 외국어 구나 문장을 국어에서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게 되어 일상 대화에서도 고유어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을 외국어로 표현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넷째, 외래어식으로 만든

국적불명의 단어가 양산됨으로써 언어 생활의 혼란을 야기한다.

이러한 외래어 상호와 상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크게 세 가지

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사업주의 의식 전환이 필요함을 지적할

수 있다. 즉 고유어 상호나 상표로도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가게나 제품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 있어야 한다". 19981난 5월 12일자 동아일보의 “‘애국심에

호소해야 픈다” 우리말 상표 붐’이라는 제목의 기사는 최근의 사회 상황으

로 인하여 이러한 인식의 변화가 생기고 있음을 보여 준다)4) 둘째, 소비자

도 외래어 상호의 가게나 외래어 상표의 제품을 더 고급으로 생각하고 선호

하는 태도를 바꾸어야 한다. 위의 기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소비자의 태도가

14) 이 기사에 의하면, 최근 우리말 상표가 큰 인기를 끌자 담배인삼공사에서도 92 년 ‘하나로’ 이후 처음으로 ‘시나브로’, ‘아라리오’라는 우리말 상표의 신제품을

내놓았고 롯데제과도 올 들어 내놓은 신제품에서 우리말 이름이 작년보다 두

배 이상 늘었다고 한다. 그리고 LG생활건강에서도 ‘이지업, 이자녹스’ 등의 이

국풍 작명과는 l백80도 달라진 발상으로 ‘오휘’라는 고급 여성용 화장품을 선보

였다고한다.

Page 15: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상호 •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117

바뀌어야 외래어 작명을 선호하는 사업주의 태도가 변하는 것이다.

셋째로 정부 및 관계 기관, 국어학자의 차원에서도 외래어 상호와 상표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국립국어연구원과 같은 정부 기곤에

서는 외래어 사용 범위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여 홍보하고 또한 상호에 대한

허가를 내어 주는 구청 등의 관련 업무자들을 교육시킴으로써 고유어로 나

타낼 수 있는 업종명을 외래어로 대체한 상호나 지나치게 외래어가 사용된

상호 등에 대하여 고유어 상호로 바꾸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

어학자들은 좋은 고유어 상호와 상표의 사례집, 직접 작명한 좋은 이름의 용

례집, 외래어 이름의 순화 자료집15) 등을 만들어 배포하여야 할 것이다016 )

좋은 고유어 상호와 상표의 목록화 작업은 사실 가장 시급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잘 만들어진 상호나 상표는 다른 이름을 만들 때 이용되는 경우가 많

아 그 파급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식물나라’의 경우를 보면, 이

상표가 호응을 얻자 ‘ 00나라’라는 이름이 다양하게 생겨나 ‘과일나라(화장

품) • 나무나라(바닥장식재). 깨끗한나라(화장지)’ 등의 상표가 생겼으며, ‘머

리나라(미용실). 한복나라(한복집). 소주나라(술집)’ 등의 상호도 생겼다.

또한‘노래방’의 경우도 이 이름이 호응을 얻자‘ 00방’ 식의 업종명이 적지

않게 생겨 ‘소주방, 안마방, 찜질방’ 등의 이름이 탄생하였다.

그리고 외래어 표기의 오용 문제를 보면, 일반적으로 외래어는 사용을 줄

15) 우선적인 순화 대%써는 고유어 업종명을 외래어로 대체한 ‘레스토랑, 베이커리,

부티크、 헤어숍’ 등이다.

16) 이런 작업은 예산면에서나 홍보면에서 볼 때 정부 기관과의 협동으로 이루어지

는것이 바람직하다.

Page 16: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118 새국어생활 제8권 제2호(’%년 여름)

여야 할 대상으로만 생각할 뿐이지 실제로 외래어를 표기한다면 어떻게 써

야 하는지는 별로 홍보가 되어 있지 않은 듯하다. 그래서 3장에서 본 바와

같이 상호와 상표의 표기에서 외래어 표기법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

고, 그 오표기 또한 ‘부띠끄, 부티끄 부틱’ 등과 같이 한 단어 안에서도 혼란

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오표기는 언어 생활의 혼란을 야기하고 표기의 통일

성을해친다.

그러므로 외래어 표기의 오용을 막기 위해서는 정부나 관계 기관, 국어학

자의 차원에서 상호와 상표에서 많이 사용되는 예들을 중심으로 외래어 표

기 용례집과 오표기 사례집을 만들어 배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

호의 경우는 앞서의 논의처럼 해당 기관에서 허가를 받아야 동}는 것이므로

관계 기관의 담당.À}를 교육시킬 때 외래어 표기법을 숙지시켜 허가 절차시

외래어의 오표기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이런 지속

적인 노력과 관심이 결실을 맺을 때 상호와 상표에 나타나는 외래어의 남용

과 오용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강신항(1983). r외래어의 실태와 그 수용 대책」. 『한국어문의 제문제~ . 일

지샤

__ (1991). w현대 국어 어휘 사용의 양상~ . 태학샤

국립국어연구원(1991) . W상후 상품 이름, 아파트 이름 등의 광고에 나타

난 국어 사용의 실태 조사 연구~ .

Page 17: 상호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 korean.go.kr · 4) ,레스토랑’은 국립국어연구원(1995)에 기본 외래어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자료를

상호 · 상표 분야의 외래어 시·용 119

(1995). u'기본 외래어 용례집.JI .

국어연구소(1986). u'외래어 표기 용례집(지명 • 인명h

___ (1988). r외래어 표기 용례집(일반 용어) .1 .

김세중(1992). r신문 광고와 외래어」. 『새국어생활 . .1 2권 2호、

김윤학 외(1988). r가게 • 물건 • 상호 • 상품 이름 연구.1 . 과학λk

김혜숙(1991) . Ii'현대국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1 . 태학사

문화체육부(1994) . u'생활 외래어 순화집.1.

___ (1995). u'일본어투 생활용어 순화집 .1 .

이기문(1976). r국어순화와 외래어」. 『어문연구.1 4-2. 일조각

이선영(1997). r상호 • 상표 분야의 외래어 사용 실태와 순화 방안」. 『외

래어 사용 실태와 순화 방안.1 . 국어학회.

이주행(1992) . r신문 • 잡지 광고에 나타난 언어의 문제」. 『새국어생활 . .1 2

권 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