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J Korean Neurosurg Soc/ Volume 33/ March, 2003 264 KISEP Clinical Article J Korean Neurosurg Soc 33264-270, 2003 외상이나 지주막염에 의한 척수공동증의 수술적 치료 한국보훈병원 신경외과 장현동·박관호·지문표·김재오·김정철 OperativeTreatmentsinSyringomyeliaCausedbyTraumaorArachnoiditis HyeonDongJang,M.D.,KwanHoPark,M.D.,MoonPyoJi,M.D., JaeOhKim,M.D.,JungChulKim,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Korea Verterans Hospital, Seoul, Korea ObjectiveMost cases of syringomyelia with arachnoid scarring were related to spinal trauma or inflammatory reac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rachnoid scarring on the altered dynamics of cere- brospinal fluid(CSF) and determine the proper treatment. MethodsBetween Jan 1991 and Dec 2001, We have operated on 15 patients with progressive neurological deficits associated with syringomyelia. We analyze the clinical presentations, radiographic and magnetic reson- ance images. ResultsAs to cause of syringomyelia, 11 patients were related with trauma and 4 patients were tuberculous meningitis. Shunting procedures underwent in 11 patients and 5 showed clinical improvement. Subarachnoid adhesiolysis and expansile duraplasty were performed in 4 patients and 3 experienced clinical improvement. The 6 patients with shunting procedures were neurologically deteriorated and 4 were reoperated. ConclusionThe arachnoid scarring interferes with CSF flow and causes syringomyelia. Successful long-term outcome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syringomyelia caused by focal arachnoid scar appeared to require microsurgical dissection of scar and expansile duroplasty. For extensive arachnoid scarring over multiple spinal levels or after previous surgery, shunting procedure may be indicated only. KEY WORDSArachnoid scarring·Cerebrospinal fluid·Syringomyelia·Shunt·Microsurgical dissection· Duraplasty. 척수공동증에 대한 임상경험과 다양한 치료 법들을 보고 하지만 명확한 기전, 임상 양상 및 적절한 치료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있다. 외상이나 지주막염으로 지주막의 변화 가 유발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척수공동증의 병태생리도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척수공동-지주막하 단락술, 척 수공동-흉강 단락술 및 척수공동-복강 단락술 등이 널리 시행되었다 5,10,23,28) . 외상이나 지주막염으로 지주막이 유착 되면 척수를 속박(tethering)하여 신경학적 이상이 나타나 고 뇌척수액 순환이 해되어 척수공동증이 나타나므로 지 주막유착은 신경학적 이상과 척수공동증의 발생에 중요한 원인이 된다 8,10,13,15,18,20,22,24) . 최근 MRI(자기공명영상)로 쉽 고 정확하게 척수공동증을 진단하고 발견율이 증가하면서 중요한 합병증으로 인식되어, 저자들은 10년간 본 교실에 서 외상이나 지주막염에 의한 척수공동증으로 진단받고 신 경학적 증상이 악화되어 수술받은 15례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통해 임상양상, 영상소견, 척수공동증 및 척수속박 (tethering effect)으로 인한 신경증상 및 수술 법과 수술 후 임상경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문헌고찰과 함께 치료법을 보고한다. 대상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본 교실에서 지주막 유착과 연관된 척수공동증으로 수술을 받은 15례에 대해 의 무기록과 영상진단 검사결과 등을 토대로 후향적 연구를 하 였다. 척수공동증의 원인은 외상성 척추골절이 11례, 결핵성 뇌막염이 4례였다. 수술 전에 척추 단순 사선 사진으로 외상 ReceivedMay 10, 2002 AcceptedSeptember 12, 2002 AddressforreprintsKwan Ho Park, M.D., Department of Neurosur- gery, Korea Verterans Hospital, 6-2 Dunchon 2-dong, Gangdong-gu, Seoul 134-791, Korea Tel02) 2225-1367, Fax02) 2225-1366 E-mail[email protected]

외상이나 지주막염에 의한 척수공동증의 수술적 치료jkns.or.kr/upload/pdf/0042003052.pdf · 2016. 11. 24. · adhesiolysis and expansile duraplasty were performed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외상이나 지주막염에 의한 척수공동증의 수술적 치료jkns.or.kr/upload/pdf/0042003052.pdf · 2016. 11. 24. · adhesiolysis and expansile duraplasty were performed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3/March, 2003 264

KISEP Clinical Article J Korean Neurosurg Soc 33::::264-270, 2003

외상이나 지주막염에 의한 척수공동증의 수술적 치료

한국보훈병원 신경외과

장현동·박관호·지문표·김재오·김정철

Operative Treatments in Syringomyelia Caused by Trauma or Arachnoiditis

Hyeon Dong Jang, M.D., Kwan Ho Park, M.D., Moon Pyo Ji, M.D.,

Jae Oh Kim, M.D., Jung Chul Kim,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Korea Verterans Hospital, Seoul, Korea

Objective:Most cases of syringomyelia with arachnoid scarring were related to spinal trauma or inflammatory reac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rachnoid scarring on the altered dynamics of cere-brospinal fluid(CSF) and determine the proper treatment.

Methods:Between Jan 1991 and Dec 2001, We have operated on 15 patients with progressive neurological deficits associated with syringomyelia. We analyze the clinical presentations, radiographic and magnetic reson-ance images.

Results:As to cause of syringomyelia, 11 patients were related with trauma and 4 patients were tuberculous meningitis. Shunting procedures underwent in 11 patients and 5 showed clinical improvement. Subarachnoid adhesiolysis and expansile duraplasty were performed in 4 patients and 3 experienced clinical improvement. The 6 patients with shunting procedures were neurologically deteriorated and 4 were reoperated.

Conclusion:The arachnoid scarring interferes with CSF flow and causes syringomyelia. Successful long-term outcome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syringomyelia caused by focal arachnoid scar appeared to require microsurgical dissection of scar and expansile duroplasty. For extensive arachnoid scarring over multiple spinal levels or after previous surgery, shunting procedure may be indicated only. KEY WORDS:Arachnoid scarring·Cerebrospinal fluid·Syringomyelia·Shunt·Microsurgical dissection·

Duraplasty.

서 론

척수공동증에 대한 임상경험과 다양한 치료방법들을 보고

하지만 명확한 기전, 임상 양상 및 적절한 치료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있다. 외상이나 지주막염으로 지주막의 변화

가 유발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척수공동증의 병태생리도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척수공동-지주막하 단락술, 척

수공동-흉강 단락술 및 척수공동-복강 단락술 등이 널리

시행되었다5,10,23,28). 외상이나 지주막염으로 지주막이 유착

되면 척수를 속박(tethering)하여 신경학적 이상이 나타나

고 뇌척수액 순환이 방해되어 척수공동증이 나타나므로 지

주막유착은 신경학적 이상과 척수공동증의 발생에 중요한

원인이 된다8,10,13,15,18,20,22,24). 최근 MRI(자기공명영상)로 쉽

고 정확하게 척수공동증을 진단하고 발견율이 증가하면서

중요한 합병증으로 인식되어, 저자들은 10년간 본 교실에

서 외상이나 지주막염에 의한 척수공동증으로 진단받고 신

경학적 증상이 악화되어 수술받은 15례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통해 임상양상, 영상소견, 척수공동증 및 척수속박

(tethering effect)으로 인한 신경증상 및 수술방법과 수술

후 임상경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문헌고찰과 함께 치료법을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본 교실에서 지주막

유착과 연관된 척수공동증으로 수술을 받은 15례에 대해 의

무기록과 영상진단 검사결과 등을 토대로 후향적 연구를 하

였다. 척수공동증의 원인은 외상성 척추골절이 11례, 결핵성

뇌막염이 4례였다. 수술 전에 척추 단순방사선 사진으로 외상

• Received:May 10, 2002 • Accepted:September 12, 2002 • Address for reprints:Kwan Ho Park, M.D., Department of Neurosur-

gery, Korea Verterans Hospital, 6-2 Dunchon 2-dong, Gangdong-gu, Seoul 134-791, Korea Tel:02) 2225-1367, Fax:02) 2225-1366 E-mail:[email protected]

Page 2: 외상이나 지주막염에 의한 척수공동증의 수술적 치료jkns.or.kr/upload/pdf/0042003052.pdf · 2016. 11. 24. · adhesiolysis and expansile duraplasty were performed

HD Jang, et al.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3/March, 2003 265

성 변화를 발견하고, 척추강조영술과 CT 척추조영술 및 조

영제 증강을 포함한 자기공명영상으로 척수공동증과 지주막

반흔을 알 수 있었으며 선천적 기형과 종양은 제외시켰다.

수술받은 15례 중 11례는 척수공동 단락술만을 받았고, 4

례는 지주막 유착박리술(subarachnoid adhesiolysis)과 경

막성형술(expansile duraplasty)을 받았다. 수술 전후의 자

기공명영상에서 공동의 크기를 비교하였으며 만약 임상증상

이 악화되거나 수술 후에 공동의 크기가 줄지 않으면 추적

정밀검사를 하였다. 추적관찰은 5개월에서 83개월이었으며

평균 38개월이었다.

결 과

연령과 성별분포

척수공동증을 진단받을 당시 연령

분포는 24세부터 67세로 평균연령

은 43.1세이며, 40대가 6명, 20대,

30대가 각각 3명, 60대가 2명, 50

대가 1명이었다. 환자 15명은 전부

남자로 상이군인과 전직경찰이었다

(Table 1).

발병원인

척수공동증의 원인은 외상이 11

명이고 지주막염이 4명이었다. 외상

에 의한 경우는 추락사고가 5명, 교

통사고가 5명, 폭발사고가 1명이었

으며 지주막염에 의한 경우는 4명

으로 모두 결핵성 뇌막염이 원인이

었다(Table 1).

임상증상 및 징후

환자의 임상양상은 사지의 근력약화 12례, 사지의 감각이

상 11례, 사지의 동통이 4례로 관찰되었다. 신경증상과 징후

가 진행되면서 사지의 감각이상 13례, 하지의 근력약화 9례,

상지의 근력약화와 동통 6례, 배뇨 또는 배변장애가 6례에

서 나타났다. 신경증세가 양측성인 경우가 11례, 일측성은 4

례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우측은 3례였고 좌측이 1례였다.

원인이 발생된 후 척수공동증을 진단 받기까지 짧게는 23

개월에서 길게는 382개월이었고, 평균 169개월이 경과되었다

(Table 1).

영상진단소견

외상 후 척수공동증의 원인은 척

추골절이 11례이며 골절부위는 경

추 4례, 흉추 3례, 요추가 4례였다

(Table 1). 지주막염성 척수공동증

4례는 결핵성 뇌막염이 원인이었다.

15례 모두 MRI검사를 받았으며

T1-강조영상에서 공동은 동신호

강도의 척수내에 저신호강도로 나

타났지만(Fig. 1C, D) 척수공동증

이 발생되기 이전의 T2-강조영상

에서는 고신호강도(high signal)로

Table 1. Clinical features of 15 cases with syringomyelia

Cases Age/ Sex Cause Interval to

Sx(mo) Extent of

syrinx New presentation at diagnosis

1 30/M L2 Fx 60 C7-T10 Hypesthesia and weakness of Rt. L/Ext.

2 69/M T23 Fx 366 C7-T3 Rt. L/Ext. weakness, Trunk hypesthesia

3 43/M T6 Fx 192 T3-T8 Pain and weakness of Rt. Leg

4 56/M L1 Fx 216 T1-T3 Pain and numbness of Rt. arm

5 67/M L2 Fx 382 C2-T12 Pain and weakness of Lt. U/Ext.

6 49/M C4 Fx 267 C5-T2 Pain and weakness of both U/Ext.

7 49/M C5 Fx 244 C3-C4 Hypesthesia and paraparesis of both L/Ext.

8 42/M C5 Fx 240 Med-C7 Pain weakness and of Rt. arm 9

49/M

C56 Fx

60

C2-T3

Quadriparesis, hypesthesia below C5 dermatome

10 33/M L1 Fx 108 C5-T10 Lt. arm pain

11 46/M T6 Fx 222 C7-T11 Both leg numbness, paraparesis

12 28/M TB Men 44 C5-T4 Paraparesis

13 24/M TB Men 50 T6-T7 Numbness and weakness of Lt. L/Ext.

14 24/M TB Men 23 C3-T7 Pain and weakness of both L/Ext.

15 37/M TB Men 66 C6-T4 Numbness and weakness of both L/Ext. C:cervical, T:thoracic, L:lumbar, MED:medulla oblongata, Fx:fracture, L/Ext.:lower ex-tremity, U/Ext.:upper extremity, Men:meningitis, TB:tuberculosis, Rt.:right, Lt.:left, mo:months, m:male

Fig. 1. Radiological findings in a 67-year-old man who developed the posttraumatic syrinx after L2 burst fracture. Initial magnetic resonance(MR) images revealing enlargement of the cervical spinal cord below C6-7. A:T1-weighted MR image showing no evidence of syrinx. B:T2-wei-ghted MR image showing high signal. C, D:Preoperative MR images show large syrinx ex-tending from C2 to T12. E:MR image obtained 16 months after expansile duraplasty, showinga well-collapsed syrinx.

AAAA BBBB CCCC DDDD EEEE

Page 3: 외상이나 지주막염에 의한 척수공동증의 수술적 치료jkns.or.kr/upload/pdf/0042003052.pdf · 2016. 11. 24. · adhesiolysis and expansile duraplasty were performed

Syringomyelia by Trauma or Arachnoiditis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3/March, 2003 266

보이는“presyrinx”가 관찰되었다(Fig. 1B). 공동의 발생부

위는 경수와 흉수 10례, 흉수 3례, 경수 1례, 연수와 경수

1례로 나타났다. 자기공명영상에 나타난 공동의 범위는 척

추 2분절(segment)에서 17분절까지로 평균 7.8분절이었

다. 11례의 외상 후 척수공동증에서 공동이 수상부위보다 상

부로 확장된 경우는 7례, 하부로 확장된 경우는 2례, 상하부

로 확장된 경우는 2례로 나타났다(Table 1). 횡단면(axial)

자기공명영상에서 척수공동은 중심성(central)이나 부중심성

(paracentral) 혹은 중심성과 부중심성이 복합(central and

paracentral)되어 나타났다. 동일한 모양의 척수공동이 나타

나기도 하지만 공동의 위치가 변하면서 모양이 변하거나 복

합되어 나타났다. 자기공명영상의 횡단면과 시상면에서 지주

막유착이 보이고 척수내에 교질대(gliotic zone)를 나타내는

여러 개의 격막이나 공동내에서 중격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수술방법

외상 후 척수공동증 11례 중 7례는 척수공동 단락술을, 4

례는 지주막 유착박리술과 경막성형술을 받았고, 지주막염

성 척수공동증 4례는 단락술만을 받았다.

초기에는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공동이 가장 크고 척

수가 가장 얇아진 곳을 선택하여 척추 후궁절제술을 하였다.

경막을 절개한 후 척수에서 가장 얇아진 곳이나 후근진입부

(dorsal root entry zone) 또는 후방 정중선에 척수절개를

시행한 후 근위부 단락관(proximal catheter)을 공동내에서

환자의 머리(cephalad)쪽으로 저항이 없는 한도에서 깊게

삽입하고 단락관은 주로 지주막에 봉합하였으나 경막에 봉

합한 경우도 있었다. 원위부(distal) 단락관은 지주막유착이

없고 뇌척수액 순환이 원활한 지주막하강이나 지주막유착을

박리한 후 지주막하강내에 삽입하였으며, 복강이나 흉강에

삽입하기도 하였다.

국소적인 얇은 막성 지주막유착도 있지만 지주막유착으

로 척수가 속박되고(tethering) 박동이 없으며 뇌척수액 순

환이 원활하지 못한 예에서는 유착박리를 시행하였다. 이

경우 미세수술로 지주막유착을 박리하고 척수가 속박되지

않도록(untethering) 경막에 인조경막을 봉합하여 지주막하

강을 넓히고 저항을 낮추어 뇌척수액이 원활하게 순환되도

록 하였다(Fig. 1E). 지주막 유착박리시 척수가 손상되지

않도록 척수후방의 반흔을 박리하고 척수의 동맥혈 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하였지만, 지주막유착이 광범위하거나 척수

에 단단히 붙어 있으면 지주막유착이나 척수속박을 제거하

지 못한다.

수술 후 경과

수술 후 자기공명영상에서 단락술만을 받은 경우에는 11

례 중 6례에서 공동의 크기가 감소되고, 지주막 유착박리술

과 경막성형술을 받은 경우는 4례 중 3례에서 공동의 크기

가 감소되었다. 수술 후 공동의 크기가 감소되지 않았던 6례

중 4례는 시간이 경과하며 공동의 크기가 변하지 않았지만

2례는 공동이 커졌다.

단락술을 시행받은 11례 중 5례는 수술 후 임상증상이 호

전되었으나 6례는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다. 지주막 유착박리

술과 경막성형술을 받은 4례 중 3례는 임상증상이 호전되었

Table 2. Surgical results of 15 cases with syringomyelia

Cases Surgery Postop. syrinx Clinical results F/U(mo) Cause of failure Reoperation

1 SP Unchanged Unchanged 5 Proximal dislocation AL & DP 2 AL & DP Decreased Sensory improvement 6 3 SSA Increased Unchanged 83 Shunt obstruction SPL 4 SSA Decreased Pain improvement 52 5 AL & DP Decreased Motor improvement 8 6 SSA Unchanged Unchanged 54 Septation of syrinx SSA 7 AL & DP Increased Unchanged 10 Arachnoid scarring - 8 SSA Decreased Unchanged 40 Septation of syrinx - 9 SSA Unchanged Improved 25 10 AL & DP Decreased Pain improvement 16 11 SP Decreased Sensory improvement 55 12 SSA Unchanged Unchanged 53 Shunt obstruction SSA 13 SSA Decreased Motor improvement 34 14 SP Decreased Pain improvement 54 15 SSA Decreased Unchanged 68 Shunt obstruction -

F/U:follow-up, AL:adhesiolysis, DP:duraplasty with lyophilized dura, SP:syringo-peritoneal shunt, SSA:syringo-subarachnoid shunt, SPL:syringo-pleural shunt, mo:months

Page 4: 외상이나 지주막염에 의한 척수공동증의 수술적 치료jkns.or.kr/upload/pdf/0042003052.pdf · 2016. 11. 24. · adhesiolysis and expansile duraplasty were performed

HD Jang, et al.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3/March, 2003 267

으나 1례는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다.

수술 후 공동의 크기가 감소된 9례 중 7례에서 증상 및

징후의 호전이 나타났으나 2례는 공동 크기는 감소되었지만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다. 수술 후 공동의 크기변화가 없었

던 4례와 공동이 커진 2례 중 공동의 크기에 변화가 없던 1

례에서 임상증상이 호전되었지만 나머지 5례는 호전되지 않

았다(Table 2).

단락술이 실패한 6례의 원인은 단락관 폐쇄 3례, 공동내

중격(septation) 2례, 단락관 이동 1례로 나타났다. 지주막

유착박리술과 경막성형술이 실패한 1례에서는 지주막유착이

광범위하여 박리가 불충분하고 경막성형술이 제대로 시행되

지 못했다. 척수공동증에 대한 일차수술이 실패한 7례 중 2

례는 환자가 재수술을 원하지 않았고, 1례는 추적관찰이 되

지 않아 4례에서만 재수술을 시행하였다(Table 2).

재수술을 받은 환자의 1차 수술방법은 4례 모두 단락술이

었으며 단락술의 실패 원인은 단락관 폐쇄 2례, 공동내 중격

1례, 단락관 이동 1례였다. 재수술 방법은 척수공동 단락술

3례를 시행하였으며, 감압술이 시도된 이후에는 지주막 유착

박리술과 경막성형술 1례를 시행하였다. 재수술로 지주막 박

리술과 경막성형술을 시행받은 1례와 단락술을 시행받은 1

례는 임상증상이 호전되었으나 공동내 중격이 남아있던 1례

와 척수증이 동반된 1례는 임상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다.

고 찰

Aubin 등은4) 142례의 척수공동증에서 선천적인 경우가

97례, 후천적으로는 외상성이 26례, 염증성이 7례이며 이중

에서 결핵성 뇌막염이 3례라고 하였다. 외상 후 척수공동증

은 수개월에서 수십 년이 지나야 증상이 나타나는 합병증으

로 약 0.3~3.2%에서 발생된다23). El Masry 등은11) 척수

외상 환자 815명 중 28명(3.43%)이 영상진단으로 척수공

동증이 확인되었고, 외상 후 6개월에서 34년(평균 8.6년)이

경과되었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외상 후 척수공동증은 척수손상과 주로 상방으로

진행되는 신경계의 이상 등이 특징적이다6,10,23,29). 염증성 척

수공동증은 서서히 나타나고 때로는 공동이 커져야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났다29). 결핵성 뇌막염에 의한 척수공동증은 해

리성 감각상실을 보이지만 하부 또는 상부 운동신경원 증후

가 나타나기도 한다. 중심관이 대칭적(central)으로 확장되

면 비특이적 증상을 보이지만, 공동이 부중심성(paracentral)

이나 편측으로 확장되면 공동벽에 교질성 변화가 동반되고21)

분절성 징후나 장경로(long tract) 징후가 나타난다. 자기공

명영상에서 보이는 공동의 척추분절 하방에서 감각변화를 보

였지만, 공동의 척추분절 상방에서의 감각변화는 공동이 너

무 작아 자기공명영상에서 발견이 안되거나 다른 원인에 의

한 신경증상으로 사료된다.

뇌척수액순환 변화로 T2-강조영상에서 광범위한 고신호

강도로 보이는 presyrinx가 유발되고 척수공동증의 증상이

나타나면 공동이 발견되지 않더라도 척수공동증이 진행되는

징후라고 하였는데14,19), 본 연구에서도 presyrinx가 척수공

동증으로 진행되기도 하였다(Fig. 1B, C, D). Fischbein 등

은12) presyrinx에서 뇌척수액순환이 원활해지면 임상증상

의 회복이 가능하며, 수술 후 자기공명영상에서 비정상적인

신호강도와 척수직경도 정상으로 회복되므로, 척수공동증으

로 진행되기 전에 치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T2 강조영

상에서 공동내액의 움직임이 flow-void signal로 나타나

면3,26) high pressure type으로 분류하고 수술 후에 공동의

크기 감소가 예상되며 결과가 더 좋다고 하였다3).

외상성 척수공동의 병태생리에도 많은 가설이2,30) 제기되

나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다. 외상에 의한 혈종은 점차

낭성으로 변한다3,18). 일차적 낭종으로 척수가 팽만되어 지

주막하강이 폐쇄되면 공동의 원인이 된다6). 수상당시의 척

수출혈(hematomyelia)이나20,29,30) 허혈이 원인으로30) 추정

되지만 경도의 외상이나 수년 후 발생된 척수공동증은 설명

할 수 없다15). 공동은 골절부위에서 상대적으로 혈관이 없

고21) 조직이 약한 후각과 후삭사이의 회색질에서 흔히 시작

된다2,20,29.30). 척수내 지주막염으로 뇌척수액순환이 방해되

Fig. 2. Magnetic resonance(MR) images obtained in a 24-year-old man showing the syrinx that developed after tuberculousmeningitis. A:Preoperative MR image showing the cervicalspine in a patient who syrinx extending from medulla oblongatato C7. B:MR image obtained 44 months after syringo-subar-achnoid shunt shows that top syrinx collapsed and syrinx inferiorto C4-5 remained.

AAAA BBBB

Page 5: 외상이나 지주막염에 의한 척수공동증의 수술적 치료jkns.or.kr/upload/pdf/0042003052.pdf · 2016. 11. 24. · adhesiolysis and expansile duraplasty were performed

Syringomyelia by Trauma or Arachnoiditis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3/March, 2003 268

고, 지주막염에 의한 동맥염으로 허혈, 괴사와 공동이 나타난

다. 결핵성 뇌막염으로 척수지주막염과 지주막유착이 진행되

며 후기 합병증으로 척수공동증이 발생된다13,22,24)(Fig. 2A).

외상에 의한 척수지주막하강 유착은 뇌척수액 순환장애를

유발하며18) 척수공동증의 원인이 된다고 보고하였다10,15,20).

Cho 등은8) 동물실험에서 외상에 의한 유착성 지주막염이

지주막폐쇄를 유발하여 척수공동증의 주요 원인이라 주장하

였다. Klekamp 등은16) 동물실험에서 제 1~2 경추부 지주

막유착 후 압력차이로 뇌척수액과 세포외액의 순환이 변하면

서 회색질 중앙부(central gray matter)에서 세포간질성 부

종(interstitial edema)을 관찰하였다. 국소적 지주막유착도

뇌척수액과 세포외액의 순환에 영향을 주어 세포간질성 부종

인 presyrinx을 유발하며 최종적으로 척수공동증이 된다고

주장하였다12,19). 뇌척수액의 순환이 방해되면 폐쇄된 상부와

하부의 척수지주막의 압력차이로 공동이 척수실질로 확장하

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30). 뇌척수액은 후근진입부나 Vir-chow-Robin 공간을 통해 척수공동이나 척수공동내로 유

입된다1-4,16,18,26,27).

지주막유착으로 척수가 고정되면 경부운동으로 척수내의

낭종액이나 괴사물질(necrotic pulp)을 밀어내므로 저항이

가장 적은 척수가 파괴되어20) 공동이 형성되고2) 확장된다. 척

수손상에 의한 유착과 견인으로 척수공동에 전단력(shearing

force)이 작용하여 공동은 주로 손상부위의 상부로 확장되

지만7) 하부로도 확장된다6). 본 연구에서도 11례의 외상성

척수공동증에서 6례는 손상부위보다 상부로 공동이 확장되

고, 1례는 하부로 확장되었으며, 나머지 4례는 손상부위를

포함한 상하부로 확장되었다.

Sgouros 등은25) 외상 후 척수공동증 57례 중 약 50%에

서 상부 흉추골절을 보고하였다. 지주막유착이 뇌척수액순

환 장애의 원인이지만 골절에 의한 척추관협착도 척수-척

수간 압력해리(spinal-spinal pressure dissociation)를 초

래하며29) 공동발생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본 증례도 척추

체 골절에 의한 척추관 협착이 공동발생의 주원인일 것으로

추측된다(Fig. 3A).

수년 전까지 척수공동-지주막하 단락술, 척수공동-복강 단

락술 및 척수공동-흉강 단락술이 주로 시행되었다5,10,23,28).

경상대망이식술, 척수절단술, 척수절개술, 공동배액술도 시행

되었으나 시행률도 낮고 경과도 좋지 않았다. 단락술로 공

동을 배액하면 조기에 임상증상이 호전되지만, 배액이 충분

하지 못하면 단기간에 악화되고 수개월 후에도 공동이 감

소되지 않았다.

단락술의 단기적 결과는 양호하지만 감염, 단락관 이동,

척수절개술에 의한 신경학적 결손 외에도 단락관에 의한 척

수속박, 교질화(gliosis)나 단락관의 기계적인 폐쇄로 재발

률이 높았다7,10,15,24,25). 본 연구에서도 단락술을 시행한 11

례 중 5례는 단락기능이 유지되었지만 6례는 도관의 기능

부전이 나타났다. 추적 자기공명영상에서 45%는 공동크기

가 줄었고 49%는 공동이 다시 커졌으며15), 장기적으로 단

락술은 약 50%에서 효과적이었다5,24,25). 경부굴곡으로 고정

된 단락관에 의한 마찰손상, 반흔, 유착 등으로 신경증상이

악화되므로 단락관을 단단히 고정시키지 않고, bajonett-단

락관, 천공이 많은 가는 단락관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최근 외상성 척수공동증에서 지주막하강 확장술과 경막성

형술로 뇌척수액 순환이 원활해지면 공동이 방지되고 신경증

상도 호전된다고 보고하였고7,12,17,18,24,25), 본 연구에서도 이

수술법을 시행받은 4례 중 3례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본

증례는 단락술만을 시행한 경우로 척추체 골절에 의한 척추

관 협착도 공동 발생의 중요한 원인이 되므로, 이로 인한 뇌

척수액 순환장애가 관찰되면 척추체 감압술도 필요할 것으

로 사료된다25)(Fig. 3B). Dolan은9) 41명의 지주막염 환자

에서 지주막 유착박리술과 경막성형술 후 34명에서 결과가

양호하다고 보고하였다. 결핵성 뇌막염에 의한 척수공동증은

척수공동-지주막하강 단락술이나 척수공동-복강 단락술이

효과적이지만16), 최근에는 미세수술로 지주막유착을 박리하

고 경막성형술과 척추궁성형술로 지주막하강을 재건하는 수

술을 시도하여 척수공동이 소실되고 신경증상이 호전되었다

고 보고하였다22).

El Marsy 등은11) 수술 후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척수공동

의 크기가 줄면 이 중에서 85%는 증상이 호전되는데 공동

Fig. 3. Magnetic resonance(MR) images obtianed in a 42-year-old man who developed the syrinx following C5 burst fracture.A:Preoperative MR image showing cervicothoracic syrinx.B:MR image obtained 32 months after syringo-peritoneal shunt,revealing collapsed syrinx and expansion of ventral subarachnoidspace at C6-T1.

AAAA BBBB

Page 6: 외상이나 지주막염에 의한 척수공동증의 수술적 치료jkns.or.kr/upload/pdf/0042003052.pdf · 2016. 11. 24. · adhesiolysis and expansile duraplasty were performed

HD Jang, et al.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3/March, 2003 269

이 거의 배액돼야 호전되는 것은 아니며 공동이 약간 줄어

도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고 하였다. Klekamp 등은15) 지주

막 유착박리술과 경막성형술을 시행하여 지주막유착이 얇은

환자는 83%에서 신경증상이 안정되고 추적 자기공명영상에

서 65%는 공동이 줄지만, 단단하고 광범위한 지주막유착 환

자는 17%만이 안정되고 추적 자기공명영상에서 25%만 공

동이 줄었다고 보고하였다.

수술 후 자기공명영상에서 척수공동의 크기가 줄어도 공동

벽에 비가역적인 교질성 변화가 동반되면 신경증상이 호전

될 수 없으므로21,24,25), 신경학적 장애가 진행되고 척수공동

이 확장되면 수술이 필요하다. 신경학적 진찰 및 척수강 조

영술이나 자기 공명 영화촬영술(Cine MRI)로 뇌척수액 순

환이 방해되는 곳을 발견하여 척수공동증의 원인을 찾는다.

경막성형술로 지주막하강이 확장되지 않고 뇌척수액의 순

환이 막히거나 주위근육에서 유출된 단백질성 물질(prote-inaceous substance)이 지주막하강으로 들어가면10) 지주막

증(arachnopathy)이 악화되고 수술의 효과가 없다고 하였

다15). 신경학적 결손이 심하고 지주막 유착부에 척수위축이

있으면 속박을 전부 제거하기가 위험하고 척수가 다시 속박

될 수 있다. 지주막하강이 감압되고 공동의 크기가 줄어도

척수속박만으로도 신경학적 결손이 심하게 진행될 수 있다.

척수공동과 관계없이 증상이 악화되거나 공동의 크기감소

보다 늦게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도 나타나 공동 외에도 지주

막염, 척수속박 및 척수연화증 등이 임상경과와 연관될 것으

로 사료된다. 척수공동증은 지주막유착에 의한 이차적인 병

소로 예후를 결정할 요소는 아니고, 임상증상은 공동보다는

공동의 원인과 연관이 많으므로 단락술보다는 뇌척수액 순

환장애의 원인을 개선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적은

증례지만 국소적인 지주막유착인 경우에 척수속박 제거와 경

막성형술로 수술 후 발생될 지주막유착을 방지하고 뇌척수액

의 순환을 원활하게 유지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Fig. 1E, F).

결 론

단락술의 장기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지주막하강내의

뇌척수액 순환장애에 의한 척수공동증의 병태생리가 점차 밝

혀지면서 새로운 수술법이 시행되고 있다. 지주막유착이 국

소적인 경우는 지주막 유착박리술과 경막성형술로 임상증상

이 호전될 수 있을 것이므로 일차 수술로 고려되지만, 척수

속박이 광범위하여 척수속박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

차적인 수술법으로 단락술을 선택하는 수술방법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적은 증례의 결과이므로 많은

증례를 통한 평가와 장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

료된다.

References

1. Aboulker J:La syringomyelie et les liquides intrarachidiens. Neuro-chirurgie 25(Suppl):1-144, 1979

2. Anton HA, Schweigel JF:Posttraumatic Syringomyelia:The British Columbia Experience. Spine 11:865-868, 1986

3. Asano M, Fujiwara K, Yonenobu K, Hiroshima K:Post-traumatic Sy-ringomyelia. Spine 21:1446-1453, 1996

4. Aubin ML, Baleriaux D, Cosnard G, Crouzet G, Doyon D, Halimi P, et al:MRI in syringomyelia of congenital, infectious, traumatic or idi-opathic origin. A study of 142 cases. J Neuroradiol 14:313-336, 1987

5. Barbaro NM, Wilson CB, Gutin PH, Edwards MS:Surgical treatment of syringomyelia. Favorable results with syringoperitoneal shunting. J Neurosurg 61:531-538, 1984

6. Barnett HJM, Jousse AT:Posttraumatic syringomyelia(cystic myel-opathy), in Vinken PJ, Bruyn GW(eds):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Vol 26:Injuries of the spine and spinal cord. Part II. Amster-dam:North Holland, 1976, pp113-157

7. Batzdorf U, Klekamp J, Johnson JP:A critical appraisal of syrinx cavity shunting procedures. J Neurosurg 89:382-388, 1998

8. Cho KH, Iwasaki Y, Imamura H, Hida H, Abe H:Experimental model of posttraumatic syringomyelia:the role of adhesive arachnoiditis in syrinx formation. J Neurosurg 80:133-139, 1994

9. Dolan RA:Spinal adhesive arachnoiditis. Surg Neurol 39:479-484, 1993

10. Edgar R, Quail P:Progressive post-traumatic cystic and non-cystic myelopathy. Br J Neurosurg 8:7-22, 1994

11. El Masry WS, Biyani A:Incidence, management and outcome of post-traumatic syringomyelia In memory of Mr Bernard Williams: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60:141-146, 1996

12. Fischbein NJ, Dillon WP, Cobbs C, Weinstein PR:The “Presyrinx” state:A Reversible Myelopathic Condition That May Precede Syringo-myelia. AJNR Am J Neuroradiol 20:7-20, 1999

13. Jang BJ, Haah ES, Chi MP, Kim JO, Kim JC:Surgical Treatment of Syringomyelia Secondary to Tuberculous Meningitis. J Korean Ne-urosurg Soc 25:1905-1909, 1996

14. Jinkins JR, Reddy S, Leite CC, Bazan C III , Xilong L:MR of Pa-renchymal Spinal Cord Signal Change as a Sign of Active Advance-ment in Clinically Progressive Posttraumatic Syringomyelia. AJNR Am J Neuroradiol 19:177-182, 1998

15. Klekamp J, Batzdorf U, Samii M, Bothe HW:Treatment of syringo-myelia associated with arachnoid scarring caused by arachnoiditis or trauma. J Neurosurg 86:233-240, 1997

16. Klekamp J, Volkel K, Bartels CJ, Samii M:Disturbances of Cerebros-pinal Fluid Flow Attributable to Arachnoid Scarring Cause Interstitial Edema of the Cat Spinal Cord. Neurosurgery 48:174-186, 2001

17. Lee KH, Lee JH, Lee JS, Hong SK:Expansile duraplasty for Posttrau-matic Syringomyelia. J Korean Neurosurg Soc 29:274-279, 2000

18. Levi AD, Sonntag VK:Management of posttraumatic syringomyelia using an expansile duraplasty. Spine 23:128-132, 1998

19. Levi El, Heiss JD, Kent MS, Riedel CJ, Oldfield EH:Spinal cord swelling preceding syrinx development. J Neurosurg 92(Suppl 1): 93-97, 2000

20. McLean DR, Miller JD, Allen PB, Ezzeddin SA:Posttrumatic syringo-myelia. J Neurosurg 39:485-492, 1973

21. Milhorat TH, Capocelli AL Jr, Anzil AP, Kotzen RM, Milhorat RH: Pathological basis of spinal cord cavitation in syringomyelia:Aanalysis of 105 autopsy cases. J Neurosurg 82:802-812, 1995

22. Ohata K, Gotoh T, Matsusaka Y, Morino M, Tsuyuguchi N, Sheikh B, et al:Surgical management of syringomyelia associated with spinal adhesive arachnoiditis. J Clin Neurosci 8:40-42, 2001

23. Rossier AB, Foo D, Shillito J, Dyro FM:Posttraumatic cervical syrin-gomyelia:Incidence, clinical presentation,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syrinx proteins and results of conservative and operative treatment.

Page 7: 외상이나 지주막염에 의한 척수공동증의 수술적 치료jkns.or.kr/upload/pdf/0042003052.pdf · 2016. 11. 24. · adhesiolysis and expansile duraplasty were performed

Syringomyelia by Trauma or Arachnoiditis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3/March, 2003 270

Brain 108:439-461, 1985 24. Sgouros S, Williams B:A critical appraisal of drainage in syringomy-

elia. J Neurosurg 82:1-10, 1995 25. Sgouros S, Williams B:Management and outcome of posttrumatic

syringomyelia. J Neurosurg 85:197-205, 1996 26. Sherman JL, Barkovich AJ, Citrin CM:The MR apperarnce of syrin-

gomyelia:new observations. AJR Am J Roentgenol 148:381-391, 1987

27. Stoodley MA, Gutschmidt B, Jones NR:Cerebrospinal Fluid Flow in

an Animal Model of Noncommunicating Syringomyelia. Neurosur-gery 44:1065-1076, 1999

28. Tator CH, Briceno C:Treatment of syringomyelia with a syringosu-barachnoid shunt. Can J Neurol Sci 15:48-57, 1988

29. Williams B:Post-traumatic syringomyelia, an update. Paraplegia 28: 296-313, 1990

30. Williams B, Terry AF, Jones F, McSweeney T:Syringomyelia as a se-quel to traumatic paraplegia. Paraplegia 19:67-80,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