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2009 - 2013

Gihun Noh photoworks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Page 1: Gihun Noh photoworks

1TEXT

2009 - 2013

Page 2: Gihun Noh photoworks

2 TEXT TEXT3

Mise-en-scène(2009-2013)

Page 3: Gihun Noh photoworks

4 5

previous pages,Mise-en-scène #20130118, 2013

트라이볼

Mise-en-scène #20090621, 성공회대학교, 2009

Mise-en-scène

Mise-en-scène #20090930, 마로니에공원, 2009

Mise-en-scène

Page 4: Gihun Noh photoworks

6 7

Mise-en-scène #20110430, 서울시청 서소문별관, 2011

Mise-en-scène

Mise-en-scène #20110503, 한나라당 당사, 2011

Mise-en-scène

Page 5: Gihun Noh photoworks

8 9

Mise-en-scène #20110430, 현대자동차, 2011

Mise-en-scène

Mise-en-scène, 2009 -Mise-en-scene 2013

People are loud, but square is silent. Square isa stage where a next scene is prepared afterpreceding scene ends. People rigorously play their role on the stage shouting out their demands together. The play is completed by history and the will of humans, but the story arrives nowhere. The splash of movements becomes meaningless mise-en-scéne.

사람들은 시끄럽지만 광장은 말이 없다.

집회나 시위가 열리는 현장에서 광장은 연극 무대로

써 결말이 없는 시나리오를 위한 씬을 마친 후에 또

다른 씬을 준비할 것이다.

사람들은 광장을 무대로 다양한 요구를 합창하여

배역을 충실히 수행한다. 역사가 가져오고 인간의

의지가 구성한 연극이 완성된다. 희미하게 보이는

사람의 움직임은 의미도 없이 그저 장노출 된 필름

안에서 미장센이 된다.

Mise-en-scène

Page 6: Gihun Noh photoworks

10 11

Mise-en-scène #20110610, 청계광장, 2011

Mise-en-scène

Mise-en-scène #20111024, 광화문광장, 2011

Mise-en-scène

Page 7: Gihun Noh photoworks

12 13

Mise-en-scène #20111027, 여의도광장, 2011

Mise-en-scène

Mise-en-scène #20111103, 국회의사당, 2011

Mise-en-scène

Page 8: Gihun Noh photoworks

14 15

Mise-en-scène #20111116, 보신각, 2011

Mise-en-scène

Mise-en-scène #20111224, 보신각, 2011

Mise-en-scène

Page 9: Gihun Noh photoworks

16 17

Mise-en-scène #20120102, 옛 서울역, 2012

Mise-en-scène

Mise-en-scène #20120924, 중앙대학교, 2012

Mise-en-scène

Page 10: Gihun Noh photoworks

18 19

Mise-en-scène #20121103, 서울광장, 2012

Mise-en-scène Mise-en-scène

Page 11: Gihun Noh photoworks

20 21

Mise-en-scène #20121218, 광화문광장, 2012

Mise-en-scène

Mise-en-scène #20130228, 광화문광장, 2013

Mise-en-scène

Page 12: Gihun Noh photoworks

22 23

Mise-en-scène #20130810, 무교로, 2013

Mise-en-scène

Mise-en-scène #20131025, 인천 자유공원, 2013

Mise-en-scène

Page 13: Gihun Noh photoworks

24 25

Mise-en-scène #20090930, 서울역, 2009

Mise-en-scène

Mise-en-scène #20131005, 서울역, 2013

Mise-en-scène

Page 14: Gihun Noh photoworks

26 27

Mise-en-scène #20131219, 서울광장, 2013

Mise-en-scène

Mise-en-scène #20131228, 서울광장, 2013

정치적 구호를 내세우지 않더라도 여러 명의

사람들이 모여 있으면 무서워요. 2명까지는 참 좋은데 왜

3명이 넘으면 서로가 왜 힘들어지는지 모르겠어요. 20세기

초에 나치가 뉘른베르크 전당 대회에서, 그 <의지의 승리>

라는 영화에서 봤던 어떤 힘과 우리나라에서 2002년에

시청 광장을 보면 붉은 악마가 뒤덮어 버렸는데 제 눈에는

아수라장으로 보였어요. 아수라장은 자연스럽게 집단의

광기를 연상시켰죠.

notes from ARTisT TALK, 2013, sPAce 291

Even without political propaganda, it’s scary to see people gathered around. Oncemore than 3 people gather, for no reason, it gets so hard. The powerful force witnessed in the Nuremberg Rallies at early 20th century, which is depicted in the movie <Triump of the Will>, and the Red Devils occupying Seoul Square in 2002 World Cup. They all seem same to me. Such pandemoniums remind me of sheer collec-tive madness.

Mise-en-scène

Page 15: Gihun Noh photoworks

28 29TEXT TEXT

Father and Son

ARTisT’s TALK Father and Son

Page 16: Gihun Noh photoworks

30 31

518

5살이 좀 넘었을 무렵, 아버지가 <광주학살의 진상>이라는

주황색 책을 안방에 던져놓았어요. 다음날 집에 혼자 남게 됐

을 때 그 책을 펼쳐보았죠. 그 자리에서 얼어붙었어요. 처음

부터 나오는 사람들이 죽어있는 모습에서 그 ‘짓이겨짐’은 정

말 아무것도 못하게 만들었어요. 정육점에서의 피칠갑이 동

물이 아니라 사람이었어요. 지금도 사람이 훼손된 모습을 보

면 그 책이 떠올라요. 그렇게 버려진 고등어처럼 쉽게 갈릴

수 있는 인간의 몸은 지금 저의 멀쩡한 몸과 대비를 이루면서

내 몸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었어요. 군대를 갔다 오기 전까지

그 책이 있는 선반 근처에는 다가가지도 않았죠.

노동

몸을 과하게 사용할 때 야릇한 쾌감을 느낀 적이 있어요. 군

제대 후 전자제품공장에서 3교대 노동자로 10달 동안 일했을

때였어요. 처음에는 일이 너무 힘들었어요. 똑같은 일을 수

백번, 같은 사이클로 반복하거든요. 그런데 시간이 지나니까

이상하게도 몸의 피로는 날이 갈수록 줄어들었어요. 공장 일

도 좀 익숙해지니까 나도 모르게 로봇처럼 딴 생각을 하면서

나사를 박고 있더라구요. 머리는 다른 계획과 상상으로 가득

찼었죠. 몸과 머리가 따로 논다고 생각하니까 일이 그다지 힘

들지 않게 된 거죠.

아버지

아버지는 공장 노동자이기도 했고 스님이기도 했으며 술고래

이기도 했는데, 어느 순간 시름시름 앓던 아버지는 제가 7살

때 돌아가셨어요. 아버지가 없다는 것은 지금 생각해보면 저

의 삶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어요. 남자로 상

징되는 것들에 관한 괜한 반감이 생겼죠. 완력에 의해서 억

눌리는 것들을 보면 절대 참을 수가 없었어요. 그게 정의냐 아

니냐의 윤리적 차원에서의 문제가 아니라 그저 몸이 먼저 반

응하는 것들이었죠. 그래서 학창시절에는 싸움도 많이 했었

어요.

구미

구미는 저의 고향이에요. 구미는 일개 동네 수준이었다가

1970년대 갑작스런 공업화로 도시가 커졌어요. 구미가 고향

인 박정희 대통령 덕택이었죠. 아직도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믿음은 구미 사람들에게 신앙과 같은 것 같아요. 가난한 우리

집에서도 이만큼이라도 사는 것이 박 대통령 덕택이라며 말

ARTisT’s TALK

Father and Son

SPACE 291, December 15th, 2013 (extract)

작가와의 대화

아버지와 아들

공간 291, 2013년 12월 15일 (발췌)

518When I was about 5 years old, my father left a book <The Truth of Gwangju Massacre> in his room. I read the book when I was home alone. And I froze. The dead people, the mangled bodies did not allow me to do anything. The bodies literally covered in blood were like meats in butcher’s. Even until now, when I see damaged human body, it recalls the memory. That human body can be so easily cut into pieces like dis-carded mackerel made me think about the body of my-self. Until I finished my military service, I didn’t even go around near the shelves where the book was on.

LaborI’ve felt peculiar pleasure when I fatigue myself. After my military service, I worked at an electronics manu-facturing factory in three shifts for 10 months. At first, it was exhausting doing the same work hundreds and thousand times over and over again. And then, as time goes by, strangely I became feel less and less tired. Like a machine, I was doing my work without even paying attention to it. All of my mind was full of new plans, thoughts and imaginations. With body and mind being separated, I did not feel so hard like a robot.

FatherMy father was a factory worker, a monk and a booz-er. He got suddenly sick and passed away when I was seven. Looking back, losing him affected my life enor-mously. I became to have serious antipathy toward whatever symbolizes ‘Man’. I just couldn’t bear to see things are repressed by the power. Maybe it’s not about justice or ethics. It was my instinct that respond-ed to it. I fought a lot in my schooldays.

GumiGumi is my hometown. Gumi had been a small town, but in 1970s, it developed rapidly due to the abrupt industrialization. It was because Gumi is hometown of the President Jeonghee Park. The faith that citizens

ARTisT’s TALK

THe TRUTH OF THe GWAnGJU MAssAcRe, 1988

BOOK

28 х 11 cM

182 PAGes

박정희 대통령 생가, 2011

FROM THe seRies secOnD sTReeT (GUMi 2009-2013)

cOLOUR PHOTOGRAPH

80 х 100 cM

ARTisT’s TALK

Page 17: Gihun Noh photoworks

32 33

김윤미 가족, 2010

FROM THe seRies secOnD sTReeT (GUMi 2009-2013)

cOLOUR PHOTOGRAPH

60 х 75 cM

ARTisT’s TALK

을 하죠. 그런 부모님 밑에서 자란 친구들의 성향도 비슷해

요. 한번은 계모임에 나갔다가 박정희 대통령의 정기를 받자

며 우르르 차를 타고 박정희 대통령 생가에 찾아간 적도 있거

든요. 여성비가 가장 높은 도시이자 엄청나게 젊은 도시가 박

정희 대통령으로 대표되는 남성성으로 농축된 분위기의 도시

라는 것이 아이러니한 일이죠.

다큐멘터리

여태까지의 작업 데이터들이 날아간 적이 있어요. 백업 받아

두었던 외장하드까지 동시에 날아가니까 정신이 나갔죠. 마

음을 다잡고 나서 생각해보니 작업이랍시고 했던 것들은 아

깝지 않은데, 군 제대 후에 구미 친구들과 놀면서 찍었던 스

냅사진들이 그렇게 아까울 수가 없더라구요. 예술 사진이 뭔

지 회의가 들었고, 언제 어느 시간에고 만들 수 있는 사진이

아니라 그 때 그 상황이 묻어있는 사진을 담아야겠다고 마

음먹었어요.

대형카메라를 쓰는 이유는 저의 편의에 의한 것이에요. 작업

을 하는 데에 있어서 작업을 진지하게 했구나 하는 저의 심적

인 편의고 그리고 굳이 나중에 수많은 사진 중에 선택을 하는

수고 없이도 현장에서 꼭 찍어야 하는 대상을 찍기 위해서 전

력을 다하니까 효율적이기까지 하죠. 대형카메라를 사용하면

특이하거나 포토제닉한 것들과 어쩔 수 없이 멀어지고, 한 번

생각하게 하는 상황들을 만나면 사력을 다해 담게 만들어요.

그리고 대상의 문제도 빠질 수가 없겠죠. 저의 심적인 편의와

도 유사한데, 대형카메라를 설치하고 이리저리 오랜 시간을

들여서 사물이나 사람들을 찍는 과정은 내가 ‘내가 아닌 대상’에 대해서 관심을 쏟는 과정이고 그것이 아이러니하게도 사

진에서는 즉물적으로 아무 말이 없는 상황만을 담아내고 있

다는 것이 매력적인 포인트에요.

인물사진

특히나 사람을 찍을 때는 묘한 긴장감도 있고 현실과 반음 정

도 떨어진 리듬감이 있어요. 가족사진을 찍으러 가면 처음에

는 신기해 하다가 이내 그들이 가진 기억으로부터 가족사진

이라는 것을 꺼내어내죠. 그 왜 날 잡고 가족사진을 찍으러

가던 그날의 특별함과 사진관 안에서 가득했던 온기와 같은

것들이요. 옛날에 사진관은 무슨 과학실과 같았죠. 가족들이

사진을 찍으러 가면 애 어른이고 할 거 없이 옷을 다시 만지고

표정을 고쳤던 역사적인 순간이 저의 큰 카메라 앞에서 다시

떠올려지는 것이죠. 그들 스스로가 가장 소중해 보이는 모습

을 찾아가는 과정이 생기거든요.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에서 한석규가 고급 디지털백으로 셀프 영정사진을 찍었다면

김이 새지 않았을까 해요. 시대가 변하는데 대형카메라냐 디

지털백이냐는 한시적인 현상이라고 하지만, 분명한 것은 대형

카메라라는 것이 공유되는 지점에 모두가 살고 있다는 점이

겠죠. 제가 어릴 때에 가족사진은 경제적인 능력이었고 가족

in Gumi hold in the President Park is almost religious. People believe that it is his virtue that brought all this material prosperity to the city. My friends who grew under those parents hold on to the same thought. Once my friends and I drove to the birthplace of the Presi-dent to feel his energy. It is ironic that Gumi has a high ratio of female and youth while the city represents the old masculinity of the President Park.

DocumentaryI have lost all of my works once and I was almost out of mind. After coming around, I realized that the most precious photographs were snap pictures that I took with my old friends from hometown after I finish the 2 years of military duty, not my professional works. I sort of feel uncertain about art photography and decid-ed to focus more on shooting pictures that capture the very moment of life, not the ones I can create when-ever I want.

It is for my convenience that I use large format cam-era. I don’t have to pick one single picture out of nu-merous cuts since it requires me to try my best to cap-ture an object on the spot at the very right moment. And by doing so, I feel I do my work sincerely and it makes me feel comfortable. Using large format cam-era, it is inevitably very difficult to promptly approach something photogenic or unusual, and I have to put a great deal of efforts in taking photographs when I meet an impressive moment. And the matter of an ob-ject should be considered too. The process of spending so much time and energy to take picture of an object or people is a process of paying genuine attention to them. And it is ironic but fascinating that the picture shows the pure reality.

PortraitsEspecially when I photograph people, I feel slightly unrealistic and pleasingly nervous. At the first moment I meet a family, they are so new to me. But as soon as I start taking their pictures, I bring out their memory and try to capture the moment. You know, the warmth and special feeling that you have on the day when you go out with your family and take pictures together. Back in the past, photo studio was like a science room. Fam-ily members fix their hair and make-up and adjust their clothes checking out if they are presentable in front of

ARTisT’s TALK

Page 18: Gihun Noh photoworks

34 35

이 화목한가에 대한 지표였어요. 생일 파티를 크게 하는 친

구들이 있으면 가장 부러운 것이 거실에 걸려있는 가족사진

이었어요. 우리집에는 가족사진이 없었어요. 저한테는 좀 더

특별한 의미로 아버지의 부재에 대한 사실을 재차 확인하는

수단에 지나지 않았죠. 저의 작업에서 가족사진을 찍어주는

이유는 사회적으로 가족에 대해 말할 때 온건한 혹은 불온하

다고 일컬어지는 모습을 가족사진을 통해서 보여주고 싶었

기 때문이에요.

클래식한 것

자꾸 인간의 힘이 별로 들이지 않게 만드는 기술들이 불필

요하게 느껴질 때가 있어요. 일종의 유행이라고 해야 될까

요? 너무 세련되어 보이는 것들을 마주하고 있으면 저는 반

대로 너무 구식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삶을 지탱해 주

는 것들도 유행이나 세련된 것들 보다는 오히려 보통의 것들

과 튀지 않는 것들이잖아요. 너무 잘하거나 못하는 것, 세련

되거나 촌스러운 것과 같은 것들 사이에서 잠재적인 가능성

을 품고 있는 가능성을 믿는 편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주목

받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것들에 관심을 가지죠. 애매한

포지션인 것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것도 이 때문이에요. 좀 소

심해 보이기는 하지만 너무 과해서 무섭지 않기 때문에 관심

을 가지는 거죠.

1호선

저는 사진을 지리적인 축을 설정해서 하는 편이에요. 어떠한

로컬이 존재하는 이유나 배경을 조사하고 그 다음에 몸을 투

입해 사진으로 기록하는 편이죠. 대개 생활이나 환경은 큰 지

리적인 배경이 축적해 온 역사와 비슷하게 나가더라고요. 저

는 그냥 눈으로 본 것을 기록하려고 생각해요. 사람들이 어

떤 공간을 만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미리 조성된 지리적인

공간에서 사람들의 색깔이 입혀진다고 보이거든요. 예를 들

면 홍대가 가진 색깔이 점점 돈이 모여들면서 또 다른 양상으

로 바뀌고 하는 것들이요. 송도도 원래는 벌판이었다가 송도

의 도시계획에 적합한 사람들이 모여들어 컨디션을 만들어

MinGi KiM, HAKcHOn THeATeR

Linie 1, 1994

MUsicAL

1994-2008

camera. It is a way of finding out their most precious self, and I want to bring it back in front of my camera.In movie <Christmas in August>, I think it would have been awkward if Seokgyu Han took his portrait for himself preparing his death with high-end digital back. Time changes and large format camera and digital back all have its moments in its time. But it is certain that we live in a moment that we all share the memory of the large camera. When I was a kid, having a family photograph was a sign of family’s affluence and happi-ness. In birthday party of my friends, what I was most jealous of was the big family photo hanging on the wall. My family had no picture. For me, it was confir-mation of the absence of my father. The reason why I take family photographs is to pose a question on what is said to be socially desirable or not as a description of family through my works.

Old and OrdinarySometimes I think technologies making life too easier are unnecessary. It is just a kind of fashion. If some-thing is too sophisticated, it looks ironically so old to me. What truly constitutes life is things that are ordi-nary and modest. I believe in the potential between too good and too bad, and too new and too old. This is why I take care of things that clearly exist but do not attract attention. I also take care of things with ambiguous identity. They are subtle, not too bold or intimidating.

Line 1I set a boundary when I photograph. I investigate how a region has been formed and move into the area and make pictorial records. Life and environment in a certain area goes along with geological history of the place. I try to record what I see. People are assimilated into their background where already has been created rather than creating one. For example, Hongdae has been becoming more and more capitalistic losing its original characteristics. Songdo was an empty plain and now it is developed into a metropolitan city.My recent work <Line 1> is about taking pictures of surrounding sceneries and people along with the train line, which is the first railroad. Whereas <Gumi> is portrayals, <Line 1> is landscape because it photo-graphs sceneries. Since I came to Incheon, The line no.1 has been my primary transportation. As I take the train coming to Incheon from Seoul, it seems like peo-

ARTisT’s TALK

박덕슬, 2013

FROM THe seRies Line 1

cOLOUR PHOTOGRAPH

75 х 60 cM

ARTisT’s TALK

Page 19: Gihun Noh photoworks

36 37

동인천역, 2013

FROM THe seRies Line 1

cOLOUR PHOTOGRAPH

80 х 100 cM

중화팬, 2013

FROM THe seRies Line 1

cOLOUR PHOTOGRAPH

60 х 75 cM

ARTisT’s TALK

가는 것들이죠.

최근에 작업하고 있는 <1호선>도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을 따

라가면서 주변의 풍광이나 사람들을 사진 찍는 작업이에요.

<구미>가 포트레이트 작업이라고 본다면 <1호선>은 풍경으

로 바라보는 대상들을 찍기때문에 랜드스케이프라고 보는 편

이 더 수월할 것 같아요. 처음 인천에 와서 1호선이 주 교통

수단이 되었는데, 1호선을 타고 인천으로 오는 동안 서울에

서 밀려난 사람들이 하나 둘씩 떨어져 나가더군요. 인천으로

갈수록 맥아더 동상을 보러오는 할아버지들이나 중국어와 한

국어를 기묘하게 섞어 쓰는 화교들뿐이었어요. 그 불안한 풍

경 가운데에 저도 있었구요. 하나의 시대적인 풍광 같았어요.

<지하철 1호선> 뮤지컬이 떠오르더군요. 저는 실제 작업을

할 때 이렇게 순간적으로 얻는 착상을 자유롭게 내버려 두는

편이에요. 촬영에 나가면 사전 지식을 모두 없애려고 노력하

죠. 상징들과 너무 맞닿아 있으면 재미가 없는 것 같아요. 더

욱 최악은 예상과 정확히 들어맞는 사진이 찍히는 거죠. 몸으

로, 카메라로 부딪히는 지점은 분명히 처음 작업을 해야겠다

고 마음먹은 당시의 기획들과 차이를 두거든요.

풍경으로서의 시대

1호선을 축으로 하는 것처럼 분명히 우리 주변에는 이런 역

사의 과정에서 비롯된 잔재들이 공존하고 있어요. 국가보훈

처 모자를 쓴 할아버지들과 머리를 분홍빛으로 염색한 힙합

걸이 공존하는 여기 이곳이 역사의 현장으로 존재하기 때문

이죠. 제가 과거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도 언젠가 현재였을 과

거를 상상하는 즐거움에서 시작해요. 과거를 나만의 방식으

로 꼬집고 흡수하는 것이죠. 쉽게 말해 궁금한 것을 알아가고

찝찝한 것을 풀어가는 과정이에요.

어느 날 1호선의 마지막까지 남아있는 할아버지의 모자를 보

고 있자니 얼마 안 지나면 사라질 늙은 암캐를 보는 것처럼

처절히 슬펐어요. 위안부 할머니들이 죽어가는 것과는 다른

문제로 그랬어요. 집회 촬영에서 대한민국 어버이 연합 회원

들의 처절한 외침은 위협적이기보다는 차라리 슬픈 정치 풍

경화로 느껴지더라구요. 목소리가 잘 나오지도 않는데 마이

크에 큰 소리로 소리를 지르거든요. 한 시대를 명멸한 시대

적 동지로서 짠한 인연의 쓴맛을 느끼게 했죠. 머리에 참전

전우회라는 글이 적힌 할아버지도 제가 나이가 들게 되면 과

거의 풍경쯤으로 기억되리라 생각하니 아쉬웠어요. 정말 나

쁜 의미 없이요. 한국적이란 것이 있다면 이런 것이 아닐까

생각합해요.

ple are gradually pushed out of the city. As the train got further from Seoul, people left in the train were elderlies and Chinese immigrants. I was also in the middle of the strange scene. To me, it felt like a scene of the age. It made me think of the musical <Linie 1>. When I work on my photograph, I let myself flow into the inspiration at the moment. When I go out photo-graphing, I tried to erase all my previously held back-ground knowledge about my objects. If things are too symbolic, there is no fun. The worst is taking a picture which is exactly same with what I imagined before. If I am really into what I am doing, it must produce something beyond imagination or expectation.

History of this ageMy special interest in the past starts from the joy of imaging the past, when it had been the present at some point. It is stimulating and absorbing the past in my own distinctive way. So to say it is a process of inquir-ing and figuring out answers. Around us there are rem-nants of history we are living with. History is where war veterans wearing a cap embroidered with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mark and girls with pink hair coexist.One day, I was looking at an old man wearing the cap and It felt so sad as if I had seen a dying dog. It was not something I would feel when I see an old comfort woman. When I was shooting a public outcry by Kor-en Parent Association, the political scenery was rather pathetic than threatening. Their voice was hoarse from yelling out so loud. It felt so bitter to see them fading away. That the old man will be one of those past mo-ments after I get older made me feel somehow sorry for him. If there is something very Korean, I thought maybe this is it.

ARTisT’s TALK

Page 20: Gihun Noh photoworks

38 39TEXT TEXT

Line 1(2013-2014)

Page 21: Gihun Noh photoworks

40 41Line 1

철로, 인천, 2013

previous pages,Line 1 ROUTe, 1897

incHeOn MODeRn ARcHiTecTURe MUseUM

Line 1

목재공장, 인천, 2013

서울에서 인천으로 오는 동안 1호선은 서울에서 밀려난

사람들을 하나 둘씩 떨어뜨린다. 열차가 인천역으로

가까워만 갈수록 열차 안에는 맥아더 동상을 보러

자유공원에 가는 할아버지들이나 한국말과 중국어를

기묘하게 섞어 쓰는 화교와 같이 어딘지 모르게 불안해

보이는 사람들만 남아 있다. 나 역시 그들 중 하나가 되어

인천역을 빠져 나온다. 지하철에 탄 사람들은 단지

동시대의 풍광이 되어 유령처럼 나타났다가 연기처럼

사라진다. 어깨를 부딪히며 옆에 앉아서 스마트폰을 만지

작거렸던 사람들은 플랫폼을 빠져나가 재빨리 어디론가

흩어져 간다.

Coming to Incheon from Seoul, The train line No.1 drops people one by one. As the train gets closer to Incheon, there remains elderly heading to the Libery Park to see the statue of General MacArthur and some Chinese speaking weird mixed language ofChinese and Korean who seems to be somehow restless. I come out through Incheon Station in the middle of them. People on the train are merged into a contemporary scenery. They appear and dissolve like ghosts. Bumping each other on their shoulders,fiddling with their smartphone, people hastilyscattered away.

Line 1, 2013-2014

Page 22: Gihun Noh photoworks

42 43

제 8부두, 인천, 2013

Line 1

삼국지 벽화거리, 부평, 2013

Line 1

Page 23: Gihun Noh photoworks

44 45

주단시장, 동인천, 2013

Line 1

채미전 청과시장, 동인천, 2013

Line 1

Page 24: Gihun Noh photoworks

46 47TEXT

육교, 제물포, 2013

Line 1

모란꽃, 도화, 2013

Line 1

Page 25: Gihun Noh photoworks

48 49

이현신, 동암, 2013

Line 1

부평공원, 백운, 2013

Line 1

Page 26: Gihun Noh photoworks

50 51

아버지와 아들, 백운, 2013

Line 1

아파트, 부평, 2013

Line 1

Page 27: Gihun Noh photoworks

52 53

참이슬, 부평, 2013

Line 1

거실, 부평, 2013

Line 1

Page 28: Gihun Noh photoworks

54 55

이발관, 부평, 2013

Line 1

수집품, 부평, 2013

Line 1

Page 29: Gihun Noh photoworks

56 57

부개역, 부개, 2013

Line 1

서촌공원, 부개, 2013

Line 1

Page 30: Gihun Noh photoworks

58 59

아스팔트, 소사, 2013

Line 1

할로윈, 소사, 2013

Line 1

Page 31: Gihun Noh photoworks

60 61TEXT TEXT

캐치볼, 역곡, 2013

Line 1

입학식, 온수, 2013

Line 1

Page 32: Gihun Noh photoworks

62 63

개봉역, 개봉, 2013

Line 1

남부순환로, 개봉, 2013

Line 1

Page 33: Gihun Noh photoworks

64 65

야지, 개봉, 2013

Line 1

최상일, 개봉, 2013

Line 1

Page 34: Gihun Noh photoworks

66 67

JOHn, 구로, 2013

Line 1

중앙유통단지, 구로, 2013

Line 1

Page 35: Gihun Noh photoworks

68 69TEXT

김수정, 구로, 2013

Line 1

공장 수돗가, 구로, 2013

Line 1

Page 36: Gihun Noh photoworks

70 71TEXT

지하도, 구로, 2013

Line 1

걸레와 종이컵, 신도림, 2013

Line 1

Page 37: Gihun Noh photoworks

72 73TEXT

김경수, 신도림, 2013

Line 1

문레동, 신도림, 2013

Line 1

Page 38: Gihun Noh photoworks

74 75TEXT TEXT

꽃집, 영등포, 2013

Line 1

노점, 영등포, 2013

Line 1

Page 39: Gihun Noh photoworks

76 77TEXT TEXT

냉동설비상가, 영등포, 2013

Line 1

송기병, 노량진, 2013

Line 1

Page 40: Gihun Noh photoworks

78 79TEXT

노들섬, 노량진, 2013

Line 1

한강철교, 노량진, 2013

Line 1

Page 41: Gihun Noh photoworks

80 Line 1

Line 1

인천

인천역

동인천역

도원역

제물포역

도화역

주안역동암역

백운역

부평역

부개역

송내역

중동역

간석역

81Line 1

부천역

소사역

역곡역 온수역

오류동역

개봉역

구일역구로역

신도림역

영등포역

신길역

대방역

노량진역

경기도

Page 42: Gihun Noh photoworks

82 83TEXT TEXT

서울

inTeRVieW Yoonkyung Cho in conversation with Gihun Noh

Page 43: Gihun Noh photoworks

84 85inTeRVieW

previous pages,섬유공장 여공, 2013

FROM THe seRies secOnD sTReeT (GUMi 2009-2013)

cOLOUR PHOTOGRAPH

80 х 100 cM

나무, 2010

inTeRVieW

조윤경(이하 조): 구미를 주제로 사진 작업을 하게 된 계

기가 무엇입니까?

노기훈(이하 노): 구미는 제가 태어난 고향입니다. 그러

니까 1985년부터 학창시절을 그곳에서 보내었고 제가 말

하는 고향 친구라는 의미는 바로 구미에서 사귄 친구들

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대학에 진학하면서 서울에서 타향

살이를 시작했습니다. 서울에서 마주치는 사람들에게 별

다른 흥미를 느끼지 못했던 저로서는 구미에 대한 향수가

다른 이들보다 심했습니다. 좀 더 자세히 얘기하자면 구

미의 친구들로부터 느끼는 친밀한 감정들, 꿈도 작고 문

화적으로 서울 사람보다 풍족하지 못하지만 충분히 행복

해 보이는 인간적인 느낌들이 서울에서는 거대한 도시 구

조 속에 파묻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근간에는

구미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가지는 고향에 대한 향수가 주

된 감정으로 존재했습니다. 때문에 구미를 사진찍는 것에

대해서 당위성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만약 제가 서울에

서 태어났다면 당연히 구미가 아니라 서울을 찍는 당위

성 말이죠. 저의 구미 작업은 구미에 대한 작업이라기보

다 일종에 모든 사람들의 향수에 대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구미는 서울이든 전주든 부산이든 광주

든 어느 곳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주 오랫동안 구

미를 내려가지 않으면 그곳의 사람들을 잊어간다는 느낌

이 들었고 사진술은 그런 면에서 아주 유용한 도구였습니

다. 고향을 방문할 때 사진 촬영이 아닌 목적으로 사람들

을 만났습니다. 오랜만에 친구를 만나서 시간이 나면 사

진을 찍는 단순한 행위였습니다. 고향을 찾아가서 친구들

을 만난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잖아요? 일반인들이 가족사

진을 찍듯, 여행을 가서 셀프카메라를 찍는 것과 같은 목

적으로 촬영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된 사진이 모이

다보니 많은 수의 사진이 남게 되었습니다.

조: 그렇다면 아주 개인적인 접근 방식이라고 생각되는

데, 구미의 특수성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 것입니까?

노: 사실 사진에서 다큐멘터리적인 접근 방식이라고 하

면 과거에 미국의 대표적인 작가군들이 취한 방식이 익숙

합니다. 대표적으로 워커 에반스나 스테판 쇼어, 현대에

와서는 알렉 소스까지 해서 아주 뛰어난 작가들이 많습니

다. 이들의 방식이 객관적이고 표면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inTeRVieW

This interview is put together by editor Yoonkyung Cho who talked to the artist in person at his workroom as well as through email correspondence. December 2011.

인터뷰

이 인터뷰는 에디터 조윤경이 진행하였으며 작가의 작업

실에서 이뤄진 내용과 메일로 회신된 내용을 정리한 인터

뷰이다. 2011년 12월.

Yoonkyung Cho (Cho): What made you choose Gumi as your theme?

Gihun Noh (Noh): Gumi is where I grew up. I went to school there from 1985, and I think of friends there when I say homes. I left Gumi for Seoul when I got into a university. I suffered a bad homesick as I didn't find people in Seoul interesting. I couldn't get the friendly feeling I usually got in Gumi from peo-ple in Seoul. In Gumi, people had smaller dreams, and less cultural infrastructure, but they seemed happy. In Seoul, however, I thought those emotions were buried under the gigantic urban structure. At the bottom of all this lay my nostalgia for Gumi. Therefore it became only natural for me to take pictures of the city. As I would have photographed Seoul if I had been born there. However, my work on the city was not only about the town, but also about everyone's nostalgia for hometown. Gumi in my picture can be Seoul, Jeonju, Busan, Gwangju or any other place. At the times when I had to stay away from Gumi for a long time, I felt I was losing touch with the people there. Fortunately at those times, photography worked really well for me. Whenever I visited Gumi, I went to meet people, not as a photographer but as a friend. It was really natural. I met friends and, when time allowed, I took pictures of them. As normal families would take their pictures, or as you would take your own picture on a trip, I start-ed to take pictures of Gumi and my people there. And as time passed, the pictures stacked up.

Cho: It sounds like a totally personal approach. Does it have anything to do with Gumi’s unique feature?

Noh: In fact, in the field of documentary photography, the approach established by the American photogra-phers still prevail. Walker Evans, Stephan Shore, and, among recent artists, Alec Soth are the big names. As much as they are talented, however, I wanted to stay

Page 44: Gihun Noh photoworks

86 87

away from their methods as their focus was deliver-ing objective information. The people in my pictures are not merely subjects but my close acquaintances. It was not that I took those pictures in a foreign en-vironment to record the situation. Instead, I was in a familiar neighborhood, taking a simple approach like a snap shot. I believe knowing the subject well makes difference in pictures. A question that I frequently get is about how I managed to objectify the city of Gumi. I think that inquiry comes from a hasty idea that Gumi equals the picture of Gumi. It might be easier for the viewers to look at Gumi as a personal memory rath-er than the subject of photography. To be honest, I couldn’t relate to those documentary photographers who would just stay in a town for a few months and shoot pictures as if collecting visual information.

Cho: It is inevitable that photographs show subjects interpreted and tailored by the photographer. What did you have in mind when creating this piece?

Noh: From the technical perspective, these pictures are not of high quality. I used a large 4х5 inch camera. When working on a large scale, photographers tend to focus on technical aspects; they dwell on how big the final picture should be and whether to use movements in order to get a perfect picture. However, I wanted to do it as loose as possible. Of course, using a large camera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aking snap shots with a small camera: it needs a large tripod, an actinometer, a loupe and other aids.

위해 사진을 이용하는 것이라면 저는 그런 방식과 거리를

두고 싶었습니다. 저의 사진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작가가

피사체를 보는 관점이 아니라 저에게 아주 익숙한 가까운

사람들입니다. 저는 처음 가보는 도시에 기록적 차원에서

사진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누구보다도 잘 아는 익숙한

곳에서 일종의 스냅과 같은 취지로 쉽게 접근했습니다.

같은 대상을 촬영하더라도 그 대상에 대해서 많은 경험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과의 차이는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것 중 하나가 바

로 구미를 어떻게 객체화시켜 촬영했냐는 점입니다만, 구

미라는 지형학적인 축을 설정해 놓고 작업을 하고 있기 때

문에 구미=구미사진이라는 등식이 생겨 가지게 되는 문

제라고 생각을 합니다. 사실은 구미를 사진적인 기준에서

분류하는 것보다 개인적인 의미에서의 감상이라고 보는

편이 수월할지도 모릅니다. 직접적으로 얘기하자면 기존

에 다큐멘터리 작가들이 몇 달간 어떠한 지역에 머물면서

이미지 정보를 채집하듯이 사진기를 들이대는 그러한 태

도에 대해서 공감하지 못했습니다.

조: 사진에 담겨지는 대상은 기본적으로 작가에 의해서

재단된 내용일 수밖에 없는데, 어떠한 점을 염두에 두고

작업을 하셨습니까?

노: 흔히 말하는 사진적 테크닉 면에서 잘 찍은 사진이라

고 말할 수 없습니다. 저는 4х5 inch 대형카메라를 사용

했습니다. 다른 사진가들은 대형 포맷을 사용할 때 테크

닉적인 면을 많이 염두에 둡니다. 최종 사이즈라든지 아

니면 무브먼트를 이용해서 사진을 좀 더 완벽하게 만드는

것들이죠. 최대한 힘을 빼고 싶었습니다. 대형 포맷은 필

수적으로 대형카메라와 대형삼각대 그리고 노출계, 루빼

등 등 많은 장비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스냅

사진 시 사용하는 소형카메라와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하지만 저에게는 대형 사진기를 보여주고 만지게 하는 그

것 자체로가 큰 즐거움이었습니다.

지금은 거의 사라져 버린 대형카메라의 모습은 친구들에

게는 오래된 사진관에서나 보았던 이미지였습니다. 스냅

사진이 아닌 대형 카메라 앞에서 노출된다는 것은 그만

큼 클래식하고 집중하게 하는 행위였습니다. 무엇보다도

큰 사진기를 설치하는 10분이 넘는 동안 진행되는 대화들

은 아주 뜻깊은 순간들이었습니다. 인물들은 어떤 순간보

다 진지한 표정을 보이고 자신들이 소중하다는 뉘앙스를

풍기는 순간을 만드려고 노력했습니다. 정말 좋았던 순간

이었습니다. 소중한 사람들이 진지한 자세로 무언가에 임

한다는 것은 무엇보다 저를 감동시키기에 충분했습니다.

조: 작업의 제목을 <Second Street>이라고 지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권기대, 2010

inTeRVieW

However, I sticked to the large camera because I re-ally enjoyed the moments when my friends awed at the big camera. To my friends, those cameras were a thing from the past, reminding them of old neighbor-hood photo studios that are not around anymore. In front of a big camera setting, they got a classic feeling and concentrated deeper to the situation. Above all, I loved the conversations that happened during the ten minutes I set up the big camera. My friends pulled a serious face and tried hard to look important before the camera. I really loved those moments. Looking at friends giving their best shot at something just touches you deeply.

Cho: What made you title your work as Second Street?

Noh: The second street refers to the most vibrant spot in Gumi. As Myeongdong in Seoul and Seomyeon in Busan, Gumi people will tell you the second street is the most youthful and lively place there. The lively place is like youth which is merely a phase in life like a short drama. Isn’t youth like that? as well as one’s prime or heydays? While you don’t realize, the man in the mirror gets old so quick. The second street of Gumi is just like that. It is the most vibrant place, but you do not stay there. It is a place where young people, or young and beautiful girls in their 20s, spend a short period of their lifetime. To a person with history, the street feels bitter-sweet as they will find it has changed a lot since last time they were there. In fact, all places become similar to each other over time. So, if you feel

노: Second Street(2번 도로)는 구미에서 명동과 같은 곳

입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가장 젊음이 넘치고 활발한 곳

을 뜻하자면 서울에서는 명동, 부산에서는 서면 같은 식

입니다. 구미에서 가장 사람들에게 젊음이 넘치는 곳이라

고 하면 2번 도로라고 말합니다. 젊고 밝은 그곳의 생명

력은 한 사람에게 있어서는 한 때에 불과하지만 매번 성

장하는 젊음과 그에 반해 나이가 들어가는 우리 사람들

의 짧은 인생이며, 이것은 마치 하나의 소극과도 같습니

다. 젊음도 청춘도 전성기도 사람에게 이러한 느낌이 아

닐까요? 언제였었나 싶으면서도 거울 속의 피부는 고목

과 같이 쪼글해져 있는 것이요. 2번 도로는 그런 곳이에

요. 구미에서 가장 활기가 넘치는 곳이면서 한편으로 사

람 하나하나는 짧은 순간 스쳐지나가는 그런 곳이죠. 전

국에서 아쉬운 젊은 인생이 그것도 20대의 젊고 아름다

운 여성들이 스쳐가는. 그곳은 젊다가도 때로 나이든 어

떤 사람이 오면 옛날보다 많이 변한 애틋한 곳입니다. 어

떠한 공간이든 시간이 지나면 비슷합니다. 결국 무언가

변한다는 것은 자신이 변했다는 것인 것 같아요. 모든 것

은 나는 어떠한가이죠. 2번 도로는 아쉬운 것이면서도 뒤

쳐져 있다고 하기에는 뭔가 아닌거 같고 조용히 흘러가는

무엇의 메타포입니다. 이것이 화려한 주류로부터 떨어졌

지만 정작 우리에게 더 소중한 것입니다. 아름답고 소중

한 것이요. 유행은 한 순간입니다. 세상에 전부인 듯이 보

이는 세련된 것이 자신하고 많이 어긋나있음을 발견하는

폐자재, 2010

송사랑, 2012

inTeRVieW

Page 45: Gihun Noh photoworks

88 89

something has changed, it means you have changed. In the end, everything depends on how you feel. The second street is bittersweet, but not behind time. It is a metaphor of something that flows calmly. It is some-thing away from the glamorous major stream, but something that matters more to us - something beau-tiful and precious. Fashion dies quickly. Don’t we all have the experience where trendy things, as fine and sophisticated they can be, didn’t suit ourselves. Things get into fashion when they are ahead of others and meet the needs of the time. But in time, they also go out of fashion. What really touches us is something classic, depressing and common. In this regard, the city of Gumi is very beautiful, even more than Paris. Gumi is youth. It is a record of what we cherish. To tell you the truth, I get no emotion from the youngsters on the glamourous streets of Seoul. What is really impor-tant is those that do not stand out but stay where they are quietly: things like bed clothes we see everyday, flowers on the road to work, and traffic lights that light up the bus stop on the way home. Those are the things that attract me as a photographer.

Cho: It seems you have special feelings for Gumi.

Noh: To photographer, taking a picture means tak-ing a moment of an existing subject. Therefore if a photographer’s life mostly happened in Gumi, most of his work should show Gumi on them. Of course, Gumi appears a lot in my pictures. Also before Second Street, many of my works were about Gumi. Well, to

일은 어려운 일이 아니라는 것쯤은 우리 모두가 알고 있

잖아요. 유행이라는 것은 그 때 당시 어떤 것보다 우수하

고 트렌디한 것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단지 유행에 지나지

않습니다. 우리를 정말 겸허하게 만드는 것은 우울하지만

클래식 한 평범함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구미... 또는 다

른 지방 도시가 가지는 아름다움은 파리보다 더 대단합

니다. 이것은 젊음입니다. 우리가 정말 소중하다고 생각

하는 것의 기록이죠. 솔직히 말해서 강남대로를 지나면서

보이는 젊은이들에게 아무런 감정도 느껴지지가 않습니

다. 소중한 것들은 튀지 않지만 묵묵히 그대로 있는 조용

한 것들입니다. 매일 보는 이불이나 출근길에 보는 꽃들

이나 퇴근하고 돌아오는 버스 정류장에 불을 밝히는 신호

등 따위들입니다. 저에게 셔터를 누르게 하는 것은 바로

그러한 것들입니다.

조: 구미라는 곳에 큰 애착을 가진 것처럼 보입니다.

노: 사진가에게 정말 개념적인 작업을 떠나서 사진을 찍

는다는 것은 무엇의 존재를 일순간 찍는다는 행위입니다.

만약 구미에서 그 작가의 삶 대부분이 이루어졌다면 당

연히 구미라는 곳이 많이 찍혀져 있다고 봐야합니다. 구

미는 물론 저에게 많은 사진적인 시선을 형성하게 했습

니다. 이전에도 구미를 다룬 작업을 많이 했습니다. 엄밀

히 이야기하자면 구미에 관한 이야기보다는 저에 관한 이

야기라고 해야지 맞겠지요. 한국은 서울이라는 곳이 마치

세상의 전부인 듯이 얘기하는 곳입니다. 서울에 간다라고

하면 뭔가 성공한 사람처럼 취급받습니다. 서울에서 자라

고 생활하는 사람들이 듣기에는 우스워보이는 얘기일지

몰라도 아직도 지방에서 서울에 대한 이미지는 그렇습니

다. 군대에서 전역하고 저는 줄곧 구미에서 생활해야 했

습니다. 그곳에서 공장을 다니고 돈을 버는 것은 서울에

올라올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하는 것이었습니다. 구미에서

는 당연스러운 공장노동을 하면서 구미라는 곳 때문에 어

떤 특수성이 많이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았습니다. 아

르바이트라고 하면 당연히 공장에 다녀야 되고 주말이면

쏟아지는 공장사람들을 만나야되고 하는 것들입니다. 일

년 가까이 공장을 다니면서 참 많은 것들을 느꼈고 그 중

에서 가장 좋았던 것은 다들 별로 각박하지 않으면서도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는 것입니다. 기꺼이 촬영에 응해

준 친구들은 서울에서 만나는 친구들보다 더 매력적이었

습니다. 저와 같이 공장에서 쉬지 않고 28시간을 생산직

에서 일한 종보보다 4년제 대학을 다니면서 매일같이 취

업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지금의 친구들이 불행해보입니

다. 저의 관점은 지금도 별로 다르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아직도 저는 구미가 좋습니다. 차라리 이렇게 이뤄지지도

않는 꿈을 위해서 아둥바둥 사는 것 보다는 차라리 구미

에서의 소박한 삶이 좋습니다.

2번 도로, 2012

inTeRVieW

모텔, 2012

inTeRVieW

Page 46: Gihun Noh photoworks

90 91

민광과 은미 결혼식, 2012

ALL ABOUT MY DAUGHTeR, 2013

FROM THe seRies secOnD sTReeT (GUMi 2009-2013)

cOLOUR, sTeReO sOUnD

5 Min 30 sec

inTeRVieW

be accurate, they were about myself. In Korea, peo-ple only talk about Seoul as if it’s the only city there. People from Seoul might find this laughable, but in provinces, you are regarded successful when you get to move to Seoul. After completing my military duty, I had to stay in Gumi for a long time. I worked in a factory to earn money for moving to Seoul. In those days, I realized Gumi had its own norm. There, young people get a part-time job at a factory. On weekends they get along with people they met in the factory. I felt a lot during the year I worked in the factory. The best thing that I learned was that all people there were leading a happy, easy-going life. My Gumi friends were happy to model for my photography and, let me tell you, they are far more interesting than my friends in Seoul. Compared to Jong-bo, a friend of mine who worked at a production site for 28 hours straight per day, friends in Seoul looked far less happy; they went to a four-year university, but got anxious about getting a job everyday. I still feel the same for the two groups. I still prefer Gumi. Rather than living hustle and bustle for impossible dreams, I would like to lead a humble, peaceful life in Gumi.

Cho: Your previous photos also showed factories and workers in the friendly light.

Noh: On Mondays(2007) is another piece that I worked in Gumi. In the days working at a factory, monday was the hardest of the week. I had to get up at six and got home no earlier than eleven at night. So, I decided to stay at a dormitory for workers. But, whenever the morning shift ended on Saturday, I felt like the world was mine. Sunday was literally like heaven. Saturday night was joyful partly thanks to the next day. Since those days, I’ve never been in such clear cycle of ups and downs. Just like in every workplace, what mat-ters in the end is how you feel. Because of my mood, everything about Monday was depressing at that time. On Mondays is a recomposition of a Monday using the pictures I took on Mondays at those times. Also, Struc-ture(2007-2009) is a collection of pictures of factory buildings in Gumi. When taking pictures of factories at night, they looked like breathing quietly and I felt as working with human subjects. Neverthe-less I have stronger feelings for Second Street than my previous works. It was done over a long period

조: 예전 작업에도 공장의 풍경 혹은 사람들이 친밀한 모

습으로 등장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노: <On Mondays>라는 작업 역시 구미에서 찍은 사진

입니다. 공장을 다닐 당시 월요일은 저에게 곤혹이었습니

다. 아침 여섯시에 일어나서 집에 들어오면 열시가 넘었

습니다. 그래서 선택한 최선의 방법은 기숙사였습니다.

토요일 오전 일이 끝나면 세상을 손에 쥔 듯한 느낌이었습

니다. 일요일은 말 그대로 환상이었습니다. 토요일 밤을

밝게 해주는 천국의 일면이 일요일이었습니다. 아직도 그

러한 주기적인 기분은 찾지 못하겠어요. 모든 회사원들이

비슷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결국 내가 어떻게 느끼는 가이

잖아요. 그 만큼 월요일의 모든 것은 우울했습니다. 그 때

월요일에 찍은 사진을 모아 시간대별로 배열해 하나의 월

요일을 만든 작업이 <On Mondays(2007)>입니다. 그와

동시에 구미에 있는 공장 건물<Structure(2007-2009)>

를 찍었습니다. 밤이 되면 조용히 숨쉬는 공장을 찍는 동

안 공장이 아니라 인물사진을 찍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

다. 이전 작업보다 이번 <Second Street>은 애착이 큽니

다. 오랜 시간을 찍고 나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

입니다. 구미는 좋은 곳입니다.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은 모

두 좋은 것 같습니다. 특히 고향이라면, 오래 전의 추억이

깃든 곳이라면 그곳은 더 이상 다른 사람의 견해가 들어

가지 못하는 신성한 곳입니다.

조: 작업을 책으로 구성하면서 시를 넣게 된 이유는 무

엇입니까?

노: 시는 좀 더 특별한 의미를 가집니다. 최근에 이창동

감독의 <시>라는 작품을 보고 많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민광과 은미, 2010

inTeRVieW

Page 47: Gihun Noh photoworks

92 93

cHAnGDOnG Lee

POeTRY, 2010

FiLM

139 Mins

of time, and made me look back on myself. Gumi is a fine place. I think everyone would feel the same for the place they live in. If it is even your hometown, or a place of your old memories, no one could come between you and the sacred place.

Cho: What made you include poems when you made a book out of Second Street?

Noh: Poems are special. Lately, I was deeply touched by Changdong Lee’s 2010 film <Poetry>. A poem is a lot more moving than a paragraph. It is ambiguous but delivers feeling completely. It does not explain, but waters your heart with condensed expression. I think the words my female Gumi friends say deserve to be in poems. Women are more like poetry than nov-els. aren’t they? Think about their inherent quality of enduring and keeping things inside, even when they have a lot to say. Nothing is better than poetry for de-scribing a common object that slowly and quietly oc-cupies a corner of your life. They do not yell, but they are a firm, soundless scream. My request was simple. “Write me your poem now. Just write me a poem.” I didn’t ask for anything special, but none of the poems my girl friends wrote were just drifting without focus. I guess poetry tells a lot about the author.

Cho: What is your future plan as a photographer?

Noh: Second Street consists of the pictures that I took at Gumi from 2009 to 2013. The Gumi series is my precious memories. When I take a picture, what mat-ters more than the reality is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me and the subject. With photography, you can record the emotions, and grab the moment that actually existed. Therefore I’d like to take pictures of Gumi continuously over my entire life. I would like to keep the changing scenery of the city, my hometown, the people, roads, buildings and all others about Gumi, even its most trivial things.

시는 긴 문장을 풀어 쓴 문단보다 훨씬 감동적으로 보입

니다. 길게 표현 못하지만 시 하나로도 충분히 표현되는

깊은 모호함이 있습니다. 구태여 구구절절하게 풀어내지

않아도 응축되어 진하게 마음을 적시는 무엇이 있잖아요.

저의 구미 작업에서 여자친구들이 뿜어내는 단어들은 시

로 표현될 때 비로소 제대로 된 대우를 받고 있는 느낌이

듭니다. 여자는 소설보다 시에 가깝잖아요. 할 말이 많으

면서 속으로 삭히며 감내하는 태생적인 애처로움 말입니

다. 느리지만 조용히 삶의 한 켠을 담당하는 평범한 것들

을 표현하기에 시보다 훌륭한 것을 찾기 힘듭니다. 소리

쳐서 외치지않지만 단단하고 확고한 소리없는 외침입니

다. 그들에게 주문은 단순했습니다. 지금 너의 시를 써달

라. 그냥 시를 써달라. 특별히 별다른 주문은 안했습니다.

그렇지만 친구들이 써 준 시는 모두 뜬 구름 잡는 얘기가

아니더군요. 시는 솔직한 것 같습니다.

조 : 앞으로의 작업계획이 어떻게 되십니까?

노: <Second Street>은 구미사진에서 2009-2013년에 해

당하는 사진들로 모아졌습니다. 구미 시리즈는 저의 소중

한 기억들입니다. 사진을 찍는 순간은 현실적인 파악보다

저와 대상간의 감정상태가 더 중요한 순간입니다. 사진은

최종적으로 그것을 기록하고 분명히 존재했었던 한 순간

을 잡아둘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구미 시리즈는 평생

을 지속적으로 촬영하고 싶습니다. 변하는 도시의 모습,

고향의 모습, 그곳 사람들의 모습, 길, 건물 이런 사소한

모든 것들을 담고 싶습니다.

inTeRVieW

권미선, 2009

inTeRVieW

Page 48: Gihun Noh photoworks

94 95TEXTinTeRVieW

공단 삼거리, 2012

Page 49: Gihun Noh photoworks

96 97TEXT TEXT

secOnD sTReeT (GUMi 2009-2013)

Page 50: Gihun Noh photoworks

98 99secOnD sTReeT

도로, 2010

previous pages,샷다, 2012

FROM THe seRies secOnD sTReeT (GUMi 2009-2013)

cOLOUR PHOTOGRAPH

80 х 100 cM

secOnD sTReeT

KeG inc., 2010

Page 51: Gihun Noh photoworks

100 101

풋살, 2009

secOnD sTReeT

김종보, 2009

secOnD sTReeT

Page 52: Gihun Noh photoworks

102 103

거보, 2013

secOnD sTReeT

방진망, 2013

secOnD sTReeT

Page 53: Gihun Noh photoworks

104 105

야적지, 2010

secOnD sTReeT

(주)이화, 2011

secOnD sTReeT

Page 54: Gihun Noh photoworks

106 107

이수현, 2011

secOnD sTReeT

퇴근길, 2011

secOnD sTReeT

Page 55: Gihun Noh photoworks

108 109

배너, 2012

secOnD sTReeT

지산 삼거리, 2011

secOnD sTReeT

Page 56: Gihun Noh photoworks

110 111

이윤미, 2010

secOnD sTReeT

대구공동어시장, 2011

secOnD sTReeT

Page 57: Gihun Noh photoworks

112 113

김진녕, 2011

secOnD sTReeT

추효진, 2011

secOnD sTReeT

Page 58: Gihun Noh photoworks

114 115

거리, 2011

secOnD sTReeT

진구 가족, 2009

secOnD sTReeT

Page 59: Gihun Noh photoworks

116 117

유니폼, 2013

secOnD sTReeT

마세연, 2012

secOnD sTReeT

Page 60: Gihun Noh photoworks

118 119

자재, 2013

secOnD sTReeT

작업복, 2009

secOnD sTReeT

Page 61: Gihun Noh photoworks

120 121

공장 고양이, 2012

secOnD sTReeT

융합기, 2010

secOnD sTReeT

Page 62: Gihun Noh photoworks

122 123

김세라, 2012

secOnD sTReeT

경부선, 2013

secOnD sTR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