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MONDAY, SEPTEMBER 3, 2012 TEL: 213.687.7430 EMAIL: [email protected] WWW.LABASICS.COM VOLUME 1. ISSUE 22 "You are the Christ the Son of the living God" (Matt. 16:16) 믿음의 역사 사랑의 수고 소망의 인내 꿈으로 하나된 영 음악인들 "연습 또 연습," 세상에서 말을 가장 잘 하는 사람 중의 한명 이 조지 버나드 쇼이다. 극작가로 노벨 문학상을 받기도 했고 아주 잘 하는 연설가로도 유명하다. 하지만 그는 처음부터 말 을 잘했던 것은 아니다. 다른 사람 앞에서 말도 못하고 고개도 제대로 들지 못했던 소극적인 자신이 싫어서 방법을 찾았다. 거울 앞에서 자신의 모습을 보며 대화를 나누는 듯이 끊임 없이 연습한 끝에 결국 세계에서 가장 말 잘하는 사람중의 한 명이 되었다. 자신의 최 악의 결점을 자신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최고의 장점으로 만 들어 내었다. "못한다, 안된다" 라는 핑계의 무덤만 쌓아서 좋아지는 것 은 아무것도 없다. 연습 또 연습! 모자란 부분을 최고로 만들 수 있는 모범 답안이다. "음악으로 삶을 나누다" ENSEMBLE MEMO는 처음에는 단순히 학교 프로젝트를 위해 만 났지만 음악을 사랑하는 5명은 같이 모여 음악 뿐 아니라 삶을 나누 고 미래를 나누는 그룹이 되었다. 그룹이 하나가 되어 성숙해 나가는 것이 쉽진 않았지만 하나님을 사랑하고 미래에 대한 비전이 확실한 5명의 영 음악인들은 단순히 부 모님들이 원해서 악기를 연주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그룹을 만들고 그것을 통해 진정한 음악인으로써 스스로 발전해 가고자 하는 몸부 림이 대견하고 아름답다. 그리고 많은 젊은이들에게 도전이 되길 바 란다. 음악을 통해 성숙해 가는 5명에게 진심으로 격려와 함께 박수 를 보내고 싶다. Can you guys tell us about yourself? Can you guys tell us your position? Francisco Lee: I'm a sophomore attending University of Richmond. I'm also known to be called the head of the group but everyone puts the same amount of work or more than me! I'm just the oldest. Jonathan Sim: I'm a senior at Crescenta Valley High School. I go to school with all these other knuckle heads. I was the last member to join this group. They had me just play guitar to fill in for a gig and since then I’ve become the guitarist, songwriter, and I help John arrange our covers. John Chu: I'm currently a senior in CVHS and in the band, I serve as the vice-leader. When Francisco is unavailable I take charge and take care and manage the group. Chris Cho: I'm Chris. I am sixteen years old and I'm the ensemble's cellist and youngest member. Joseph Oh: Hi, I am Joseph Oh, and I play vio- lin in the ensemble. I am usually the loudest and the funniest one. How did you guys meet? Can you tell us each other’s first impressions? How did you decide to form a symphonic quintet? Francisco Lee: We all had the same symphony class and we formed the group for a school proj- ect. We played at weddings and birthday gigs. Jonathan Sim: I knew John for a while play- ing lots of gigs here and there with him. He in- vited me to play with these other guys for some sketchy gig. It was fun though and even though that was the first time we met, they decided to add me to the group. John Chu: We came together through a school project for the orchestra class. We formed an ensemble for the project and we all agreed that it might be a good idea to take the ensemble a step further. Chris Cho: Francisco came up with the idea for a school project and we sounded so good together that we decided to keep playing with each other. Jonathan came along a few months later and that's when we really started to pick up. To be honest, I had my doubts at first with the instrumentation but we blend so well; I think that it's a true blessing. Joseph Oh: Well, Fran asked me to join during a school orchestra rehearsal. I know John Chu well, and I got to know Jonathan and Chris much more! What kinds of instruments do you guys play? When and why did you guys start playing in- struments? Francisco Lee: I play the cello and I started in 4th grade. I liked the sound of the cello. Jonathan Sim: I started with the piano when I was 6 or something. I grew up in a bohemian community be- fore I moved into La Cresecenta, and all my weird artsy fartsy friends got me to start playing guitar. It was hard making friends when I first moved to the suburbs so I just played music. I’ve been singing and writing music since I was 13. I play bass, I guess, and I’m pretty good at sequencing stuff like drums on the computer. John Chu: I started piano when I was 7 and violin when I was 6. I also currently play the drums for my church. Chris Cho: I started playing the cello when I was eight years old. The story goes something like my mom wanted me to play an instrument like a good Korean boy so I picked the cello through "eeniemeenieminey- moe" and ended up with the cello. I haven't really looked back since and I feel so happy that I ended up with such a beautiful instrument. I also picked up other instruments such as piano, guitar, percussion, etc. over the last few years just for fun. Joseph Oh: I play violin and classic piano. I started playing piano as early as in kindergarten. My older brother played piano, so I decided to play piano also! What do you do on a daily basis? Francisco Lee: Right now it's summer so I'm just re- laxing but when I get back to school I just study. Jonathan Sim: I usually play music, record, write, and what not. I also like to eat out. John Chu: I like to hang out with my friends and talk with people. Nowadays, I also began giving lessons to younger kids. 꿈으로 하나된 영 음악인들 Chris Cho: On a daily basis, I try to practice hard yet maintain my studying schedule. It's a real personal battle for me balancing school and a heavy load of practicing, but I manage. I practice in hour-long increments several times dur- ing the day and fit studying, Facebook and other "normal" teenager stuff in between. Joseph Oh: I am in highschool swim team, so mostly I am in water. When I come home, I take a long nap and do my hw. What will happen if some members are going to college next year? Will your group stay together after you guys graduate from high school? Francisco Lee: Well I am already in col- lege and the group has been doing really well without me. I am proud of my mem- bers John and Jonathan that they will be graduating high school and I can see that they will be doing bigger things in life. Jonathan Sim: I’m sure we’ll play to- gether. John and I will definitely be play- ing together and both of us are staying lo- cal for college. We’re just worrying about summer and hopefully the rest will play itself out. John Chu: We still don’t know what will happen yet. It will definitely be harder for us to come together and practice but we will try our best to take our band as far as we can. Chris Cho: I am really proud of my brothers for getting into nice schools and wish them the best in whatever they choose to do. I actually have no idea what we are going to do as a group, but I'm sure that God will light the way. I really don't worry about the fact that three of our members will be heading off to col- lege next year because I don't believe that there will be an end to what we do. We can always hang out or have jam sessions during the summer or something. As for this summer, I plan to spend as much time with them with projects as possible. Joseph Oh: We will last forever: all for one, one for all. What are some positive and nega- tive things about your group? Francisco Lee: We have excellent chem- istry, even though we get in to arguments sometimes. We are like brothers at this stage. We all went through a lot and made a lot of sacrifices in order for this group to happen. I am very proud of my brothers. Jonathan Sim: One good thing is that we’re all the best of friends. We’re usually screwing around together a lot more than practicing. These guys are so talented we don’t worry about the way we sound too much. John is so good I’m always trying to show him up. John Chu: One positive thing is that we really have a good time hanging out together and playing together. The nega- tive thing is everyone’s busy schedules. Because of our conflicting schedules, working together feels very burdensome at times. Chris Cho: Something I would like to work on as a group is our procrastina- tion habits, but that is also our greatest strength. We are able to be flexible on stage and our improvisation is impec- cable as a result of our flexibility. An- other positive is that each member has a role, and playing a gig without one member is hard. Jonathan writes all the songs, plays guitar and comes up with the best lyrics ever. He's the real "ladies man" of the group and I'm actually really jealous. John is respon- sible for the chord progressions and he's the reason why we have so many crazy harmonies. John's also really ver- satile because he can sing, play violin, CONTINUED ON PAGE 3 CHECK OUT ENSEMBLE MEMO'S LOVE LETTER MUSIC VIDEO AT YOUTUBE: WWW.YOUTUBE.COM/MEMOPLAYSMUSIC THE MEMBERS OF ENSEMBLE MEMO FROM LEFT TO RIGHT: CHRIS CHO, JONATHAN SIM, FRANCISCO LEE, JOSEPH OH, AND JOHN CHU. ENSEMBLE MEMO PERFORMING IN 'KOLLABORATION ACOUSTIC 5' AT THE FORD AMPITHEATRE. INTERVIEW 꿈으로 하나된 영 음악인들

ISSUE 22

Embed Size (px)

DESCRIPTION

Volume: 1 Issue: 22

Citation preview

Page 1: ISSUE 22

MONDAY, SEPTEMBER 3, 2012

TEL: 213.687.7430 EMAIL: [email protected]

VOLUME 1. ISSUE 22

"You are the Christ the Son of the living God" (Matt. 16:16)

믿음의 역사 사랑의 수고 소망의 인내

꿈으로 하나된 영 음악인들"연습 또 연습," 세상에서 말을 가장 잘 하는 사람 중의 한명

이 조지 버나드 쇼이다. 극작가로 노벨 문학상을 받기도 했고 아주 잘 하는 연설가로도 유명하다. 하지만 그는 처음부터 말을 잘했던 것은 아니다.

다른 사람 앞에서 말도 못하고 고개도 제대로 들지 못했던 소극적인 자신이 싫어서 방법을 찾았다. 거울 앞에서 자신의 모습을 보며 대화를 나누는 듯이 끊임 없이 연습한 끝에 결국 세계에서 가장 말 잘하는 사람중의 한 명이 되었다. 자신의 최악의 결점을 자신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최고의 장점으로 만들어 내었다.

"못한다, 안된다" 라는 핑계의 무덤만 쌓아서 좋아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연습 또 연습! 모자란 부분을 최고로 만들 수 있는 모범 답안이다.

"음악으로 삶을 나누다"ENSEMBLE MEMO는 처음에는 단순히 학교 프로젝트를 위해 만

났지만 음악을 사랑하는 5명은 같이 모여 음악 뿐 아니라 삶을 나누고 미래를 나누는 그룹이 되었다.

그룹이 하나가 되어 성숙해 나가는 것이 쉽진 않았지만 하나님을 사랑하고 미래에 대한 비전이 확실한 5명의 영 음악인들은 단순히 부모님들이 원해서 악기를 연주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그룹을 만들고 그것을 통해 진정한 음악인으로써 스스로 발전해 가고자 하는 몸부림이 대견하고 아름답다. 그리고 많은 젊은이들에게 도전이 되길 바란다. 음악을 통해 성숙해 가는 5명에게 진심으로 격려와 함께 박수를 보내고 싶다.

Can you guys tell us about yourself? Can you guys tell us your position?

Francisco Lee: I'm a sophomore attending University of Richmond. I'm also known to be called the head of the group but everyone puts the same amount of work or more than me! I'm just the oldest.Jonathan Sim: I'm a senior at Crescenta Valley High School. I go to school with all these other knuckle heads. I was the last member to join this

group. They had me just play guitar to fill in for a gig and since then I’ve become the guitarist, songwriter, and I help John arrange our covers.John Chu: I'm currently a senior in CVHS and in the band, I serve as the vice-leader. When Francisco is unavailable I take charge and take care and manage the group.Chris Cho: I'm Chris. I am sixteen years old and I'm the ensemble's cellist and youngest member.Joseph Oh: Hi, I am Joseph Oh, and I play vio-lin in the ensemble. I am usually the loudest and the funniest one.

How did you guys meet? Can you tell us each other’s first impressions? How did you decide to form a symphonic quintet?

Francisco Lee: We all had the same symphony class and we formed the group for a school proj-

ect. We played at weddings and birthday gigs.Jonathan Sim: I knew John for a while play-ing lots of gigs here and there with him. He in-vited me to play with these other guys for some sketchy gig. It was fun though and even though that was the first time we met, they decided to add me to the group. John Chu: We came together through a school project for the orchestra class. We formed an ensemble for the project and we all agreed that it might be a good idea to take the ensemble a step further.Chris Cho: Francisco came up with the idea for a school project and we sounded so good together that we decided to keep playing with each other. Jonathan came along a few months later and that's when we really started to pick up. To be honest, I had my doubts at first with the instrumentation but we blend so well; I

think that it's a true blessing.Joseph Oh: Well, Fran asked me to join during a school orchestra rehearsal. I know John Chu well, and I got to know Jonathan and Chris much more!

What kinds of instruments do you guys play? When and why did you guys start playing in-struments?

Francisco Lee: I play the cello and I started in 4th grade. I liked the sound of the cello.Jonathan Sim: I started with the piano when I was 6 or something. I grew up in a bohemian community be-fore I moved into La Cresecenta, and all my weird artsy fartsy friends got me to start playing guitar. It was hard making friends when I first moved to the suburbs so I just played music. I’ve been singing and writing music since I was 13. I play bass, I guess, and I’m pretty good at sequencing stuff like drums on the computer.John Chu: I started piano when I was 7 and violin when I was 6. I also currently play the drums for my church.Chris Cho: I started playing the cello when I was eight

years old. The story goes something like my mom wanted me to play an instrument like a good Korean boy so I picked the cello through "eeniemeenieminey-moe" and ended up with the cello. I haven't really looked back since and I feel so happy that I ended up with such a beautiful instrument. I also picked up other instruments such as piano, guitar, percussion, etc. over the last few years just for fun.Joseph Oh: I play violin and classic piano. I started playing piano as early as in kindergarten. My older brother played piano, so I decided to play piano also!

What do you do on a daily basis?

Francisco Lee: Right now it's summer so I'm just re-laxing but when I get back to school I just study.Jonathan Sim: I usually play music, record, write, and what not. I also like to eat out. John Chu: I like to hang out with my friends and talk with people. Nowadays, I also began giving lessons to younger kids.

꿈으로 하나된 영 음악인들

Chris Cho: On a daily basis, I try to practice hard yet maintain my studying schedule. It's a real personal battle for me balancing school and a heavy load of practicing, but I manage. I practice in hour-long increments several times dur-ing the day and fit studying, Facebook and other "normal" teenager stuff in between.Joseph Oh: I am in highschool swim team, so mostly I am in water. When I come home, I take a long nap and do my hw.

What will happen if some members are going to college next year? Will your group stay together after you guys graduate from high school?

Francisco Lee: Well I am already in col-lege and the group has been doing really well without me. I am proud of my mem-bers John and Jonathan that they will be graduating high school and I can see that they will be doing bigger things in life. Jonathan Sim: I’m sure we’ll play to-gether. John and I will definitely be play-ing together and both of us are staying lo-cal for college. We’re just worrying about summer and hopefully the rest will play itself out.John Chu: We still don’t know what will happen yet. It will definitely be harder for us to come together and practice but we will try our best to take our band as far as we can. Chris Cho: I am really proud of my brothers for getting into nice schools

and wish them the best in whatever they choose to do. I actually have no idea what we are going to do as a group, but I'm sure that God will light the way. I really don't worry about the fact that three of our members will be heading off to col-lege next year because I don't believe that there will be an end to what we do. We can always hang out or have jam sessions during the summer or something. As for this summer, I plan to spend as much time with them with projects as possible.Joseph Oh: We will last forever: all for one, one for all.

What are some positive and nega-tive things about your group?

Francisco Lee: We have excellent chem-

istry, even though we get in to arguments sometimes. We are like brothers at this stage. We all went through a lot and made a lot of sacrifices in order for this group to happen. I am very proud of my brothers.Jonathan Sim: One good thing is that we’re all the best of friends. We’re usually screwing around together a lot more than practicing. These guys are so talented we don’t worry about the way we sound too much. John is so good I’m always trying to show him up.John Chu: One positive thing is that we really have a good time hanging out together and playing together. The nega-tive thing is everyone’s busy schedules. Because of our conflicting schedules, working together feels very burdensome at times.

Chris Cho: Something I would like to work on as a group is our procrastina-tion habits, but that is also our greatest strength. We are able to be flexible on stage and our improvisation is impec-cable as a result of our flexibility. An-other positive is that each member has a role, and playing a gig without one member is hard. Jonathan writes all the songs, plays guitar and comes up with the best lyrics ever. He's the real "ladies man" of the group and I'm actually really jealous. John is respon-sible for the chord progressions and he's the reason why we have so many crazy harmonies. John's also really ver-

satile because he can sing, play violin, CONTINUED ON PAGE 3

CHECK OUT ENSEMBLE MEMO'S LOVE LETTER MUSIC VIDEO AT YOUTUBE: WWW.YOUTUBE.COM/MEMOPLAYSMUSIC

THE MEMBERS OF ENSEMBLE MEMO FROM LEFT TO RIGHT: CHRIS CHO, JONATHAN SIM, FRANCISCO LEE, JOSEPH OH, AND JOHN CHU.

ENSEMBLE MEMO PERFORMING IN 'KOLLABORATION ACOUSTIC 5' AT THE FORD AMPITHEATRE.

INTERVIEW

꿈으로 하나된 영 음악인들

Page 2: ISSUE 22

2 |Issue 22 | Monday, September 3, 2012

메세지/Message L.A. BASICS

By: 정은주 목사

다윗 -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선한 목자

다윗은 선한 목자였습니다. 선

한 목자는 그 치는 가축들을 안전하

게 보호하고 풍부한 양식 있는 곳으

로 인도합니다. 다윗은 선한 목자 예

수 그리스도의 예표입니다. 하나님

께서는 우리가 자갈밭을 갈 때에는

그것을 견딜 수 있는 신발을 신고 가

게 하십니다. 우리가 감당하고 견딜

수 있는 시련만을 주시고 우리를 보

호하십니다.

사람이 감당할 시험밖에 당한 것

이 없나니 시험을 당할 때 피할 길을

여사 능히 너희로 감당케 하시느니

라(고전 10:13)

험한 인생길을 갈 때 주님이 우리

의 목자가 되십니다. 내 능력으로 사

는 것이 아니라 주님이 보호하고 인

도하신다는 사실을 깨닫기 바랍니

다. 다윗에게서 희생하고 구원하는

목자의 모습도 나타납니다. 요한복

음 10:11~15을 보면, 목자는 양을

위해서 생명을 아끼지 않습니다. 목

자는 자신의 생명을 걸고 양 떼를 인

도합니다.

성도는 양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은 방향감각을 잃은 채

방황하고, 자기 스스로를 보호할 힘

이 없는 무력한 존재입니다. 주님께

서는 목자가 되시어 길 잃고 세속에

서 방황하는 우리를 인도해 주십니

다. 그러므로 우리는 선한 목자되신

주님을 온전히 만나야 하며, 그의 몸

된 교회에서 예배를 통해 은혜와 인

도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다윗은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자였습니다.(삼상 13:14; 행

13:12). 그는 네 집과 네 나라가 내

앞에서 영원히 보전되고 네 왕위가

영원히 견고하리라 하셨다하라(삼

하 7:16) 하는 하나님의 말씀을 나단

선지자를 통해 들었습니다.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마1:1) - 이 말

씀처럼 예수님은 다윗의 혈통을 통

해 이 땅에 오셨습니다. 이것이 영원

한 왕권입니다.

우리가 아는 대로 다윗과 사울은

신본주의와 인본주의 인물로 명확

히 대비됩니다. 다윗은 하나님께 온

전히 의지했고, 사울은 점쟁이를 찾

아가 답을 구했습니다. 인본주의자

는 하나님께 모든 것을 내어 맡기지

않고, 말씀 밖에서 해답을 찾으려 합

니다. 하나님께 의지하지 않고 말씀

밖에서 답을 찾으면 결국 멸망 길에

접어들게 됩니다. 또한 두 사람은 순

종과 불순종으로 대비되었습니다.

다윗처럼 말씀에 순종하기 바랍니

다. 사울은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지

않았습니다. 말씀에 순종하는 사람

은 아무리 모자라도 하나님께서 책

임지십니다. 그리고 결국은 승리와

멸망으로 갈려졌습니다. 하나님께

모든 것을 의지하고 순종했던 다윗

은 승리했고, 불순종했던 사울은 무

참히 멸망했습니다.

사무엘과 다윗은 큰 영향력을 행

사했습니다. 다윗은 전쟁에서 연전

연승하였으며 사무엘이 사는 동안

에는 거의 전쟁이 없을 정도였습니

다. 그러나 이렇게 큰 영향력을 가

진 사람들이었지만 후대교육에는

실패했습니다. 사무엘은 자신과 같

이 언약을 전달할 수 있는 인물을 키

우지 못했습니다. 다윗도 자식에게

언약을 전달하지 못했습니다. 현재

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교회에 더 이

상 제자가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어떤 사명을 감당해야 합니

까? 후대에게 언약을 전달하는 것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사명입

니다. 이러한 사명 때문에 청소년 공

동체가 중요합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가정이 언약 전

달에 실패하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부족한 부분을 교회가 채워주어야

합니다 사무엘도 못하고 다윗도 못

했던 사명을 우리가 감당해야 합니

다. 복음과 언약을 후대에게 심어주

는 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후대에

게 복음을 전하는 사람은 시대적, 대

표적, 기념비적 축복을 받게 됩니다.

우리는 현장과 가정에서 복음을 전

달하고 후대를 교육할 때 다섯 가지

기초를 세워야 합니다.

시몬 베드로가 대답하여 이르되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

님의 아들이시니이다(마 16:16) -

예수는 그리스도

우리가 세상의 영을 받지 아니하

고 오직 하나님으로부터 온 영을 받

았으니 이는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

께서 우리에게 은혜로 주신 것들을

알게 하려 하심이라(고전 2:12) - 성

도가 받는 복

너희의 허물과 죄로 죽었던 너희

를 살리셨도다 그 때에 너희가 그 가

운데서 행하여 이 세상 풍속을 좇고

공중의 권세 잡은 자를 따랐으니 곧

지금 불순종의 아들들 가운데서 역

사하는 영이라 전에는 우리도 다 그

가운데서 우리 육체의 욕심을 따라

지내며 육체와 마음의 원하는 것을

하여 다른이들과 같이 본질상 진노

의 자녀이었더니 긍휼에 풍성하신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신 그 큰 사

랑을 인하여 허물로 죽은 우리를 그

리스도와 함께 살리셨고 (너희가 은

혜로 구원을 얻은 것이라) 또 함께

일으키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

께 하늘에 앉히시니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에게 자비하심으

로써 그 은혜의 지극히 풍성함을 오

는 여러 세대에 나타내려 하심이니

라 (엡 2:1~7) - 불신자의 상태

열 한 제자가 갈릴리에 가서 예수

의 명하시던 산에 이르러 예수를 뵈

옵고 경배하나 오히려 의심하는 자

도 있더라 예수께서 나아와 일러 가

라사대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내

게 주셨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

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

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볼찌어다 내

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 하시니라 (마 28:16~20)

- 올바른 전도

그가 고난 받으신 후에 또한 저

희에게 확실한 많은 증거로 친히 사

심을 나타내사 사십 일 동안 저희에

게 보이시며 하나님 나라의 일을 말

씀하시니라 사도와 같이 모이사 저

희에게 분부하여 가라사대 예루살

렘을 떠나지 말고 내게 들은 바 아

버지의 약속하신 것을 기다리라 요

한은 물로 세례를 베풀었으나 너희

는 몇 날이 못되어 성령으로 세례를

받으리라 하셨느니라 저희가 모였

을 때에 예수께 묻자와 가로되 주께

서 이스라엘 나라를 회복하심이 이

때니이까 하니 가라사대 때와 기한

은 아버지께서 자기의 권한에 두셨

으니 너희의 알바 아니요 오직 성령

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

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

리아와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하시니라 (행 1:3~8) - 올바

른 기도

이 언약을 잡고 나아갈 때 하나님

께서 모든 성도들에게 넘치도록 복

주실 줄 믿습니다.

사무엘상,하 속의 그리스도(2)

By: 이민규 교수

내가 헛되이 보낸 오늘 하루는 어제 죽어간 이들이 그토록 살고 싶어했던 내일이다. – 랄프 W. 에머슨 –

“저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누군가가 어떤 사람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가장 간단

하고 정확한 방법은 그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면서 시간

을 보내는지를 관찰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러분이

어떤 사람인지를 판단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역시 여러

분이 지금까지 어떤 일에 시간을 투자해 왔는지를 검토

해 보는 것이다.

현재 느끼고 있는 것이 행복이든 불행이든, 많은 경

우 그것은 과거의 산물이다. 만약에 과거의 행적을 바꿀

수만 있다면 우리는 행복하고 근사한 삶을 살아갈 수 있

을 것이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엎질러진 물을 주워 담

을 수 없듯이 어느 누구도 과거로 되돌아가 그것을 바

꿀 수는 없다.

멋진 미래는 지금 만들어야 한다. 왜냐하면 바로 지

금이 머지않은 미래에는 과거가 될 테니까. 성공적인 삶

을 살아가는 사람은 미래의 관점에서 현재를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다. 지금 무엇을 할 것인지를 결

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가 원하는 미래의 모습을 가

져야 한다. 그리고 미래의 관점에서 지금 이 순간에 해야

할 것을 선택해야 한다. 잠시 눈을 감아보자. 그리고 지

금까지 자신이 살아온 삶의 여정을 되돌아보자. 만족스

러운가? 아니면 그 반대인가?

마지막이라 생각하면 일상이 달라진다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죽음

과 타협해야만 한다. 뜬금없이 웬 죽음이냐고? 왜냐하면

죽음이란 존재의 끝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행하는 행동

은 얼마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와 관계가 있다. 왜냐

하면 남은 시간이 얼마인지에 따라 시간을 사용하는 방

식과 챙기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만약 현재의 삶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어떻게 살아왔

는지, 그리고 어떻게 죽을 것인지를 지금 검토해야 한다.

우리가 우리 자신에 대해 가장 확실하게 알고 있는 세

가지가 있다. 우선 우리가 이 세상에 태어났다는 사실이

다(과거). 둘째, 언젠가는 죽는다는 것이다(미래). 그리

고 나머지 하나는 아직 죽지 않았다는 사실이다(현재).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는 하나의 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것을 생명선이라고 하자. 그리고 이 생명선을

통해 우리의 삶을 검토해 보자. 시간이 많이 걸리지도 않

는다. 5분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수많은 통계들은 우리로 하여금 얼마나 오

래 살 수 있는지를 대충이나마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2001년 7월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한국 여성의 평균 수

명은 79.2세, 남성들은 71.7세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

인의 평균 수명만큼 살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남자의 경

우 72세, 여자의 경우 79세로 표기하라. 만약 평균 이상

의 수명을 기입하고 싶다면 그렇게 해도 상관없다.

지난 과거 중 그 어느 것도 이제 여러분이 바꿀 수 있

는 것은 없다. 바꿀 수 있는 것은 오직 ‘이 순간’ 이후의

일들 뿐이다. 지나온 날들보다 남은 날들이 몇 배나 더

많다는 사실을 명심하라.

내가 원하는 나의 묘비명은?이제 눈을 ‘오늘’의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천천히 이동

해서 ‘사망’쪽으로 돌려 보자. 앞으로 우리 앞에 어떤 일

들이 벌어질지 아무도 모르며 우리는 그것을 선택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적어도 우리의 태도와 행동만은 선

택할 수 있다. 그것을 위해서 해야 할 일이 한 가지가 있

다. 지금 당장 죽는다면 자신의 묘비에 어떤 문안이 기록

될 것인지를 생각해 보는 것이다.

혹자는 앞날이 구만리 같은 사람에게 웬 묘비명이냐

고 반발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

은 사람들이 한결같이 고백하는 말이 있다. 그것은 마지

막이라고 생각될 때 일상은 완전히 다른 시각으로 보이

며 예전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행동하게 된다는 것

이다. 그래서 사는 법을 배우려면 반드시 죽음을 진지하

게 생각해 봐야 한다.

받아들이고 싶지는 않지만 이런 묘비명을 감수해야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김철수, 1985년 생. 그는 하고 싶은 것과 갖고 싶은

끝을 생각하면 시작이 달라진다

너희중에 죄가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

텅~

윽!

마리아~

앗, 실수~ 스데반인줄 알았어요

하나님의 계획

각 사람을 향한 하나님의 계획은 다릅니다.

God's Plan

If anyone of you is without sin, let him be the first to throw a stone at her...Pow~ Ouch~!Oops, my bad... I thought it was Stephen.Maria...

God's plan for each person is different.

고민이@Holytoon

것이 너무나 많았다. 그러나 학창 시절의 많은 시간을 TV시청과 인터넷과

게임, 그리고 빈둥거리는 데 사용했다. 그러면서도 되는 일이 하나도 없다

고 평생 투덜거리며 살았고, 마지막 순간까지 투덜거리다가 쓸쓸하게 잠

들었다.

반면, 상상만 해도 뿌듯한 묘비명도 있을 것이다.김효정, 1987년 생. 그녀는 정말로 열심히 일했을 뿐 아니라 기발한 아

이디어를 개발해 엄청난 돈을 벌었다. 자신을 위해, 그리고 불우한 이웃

을 위해 맘껏 돈을 쓰면서 한 평생을 아릅답게 보내다가 평화롭게 잠들다.

이제 자신의 묘비명을 작성해 볼 시간이 되었다. 연필을 들어라. 그리

고 조금 전에 죽었다고 가정하고, 자신을 가장 잘 아는 어떤 사람이 여러

분의 묘비명을 작성한다고 상상해 보자. 그 내용을 추측해서 다섯 줄 이내

로 적어보자.

다 되었는가? 이번에는 앞에서 그렸던 생명선의 사망시기를 다시 한 번

보면서 훗날 죽었을 때 기록되기를 원하는 묘비명을 작성해 보자.

묘비명이 완성되었는가? 다시 한 번 지난 세월을 되돌아보면서 그동

안 시간을 어떻게 보냈는지 돌아보자. 그리고 앞으로 남아있는 시간을 바

라보자.

Page 3: ISSUE 22

Issue 22 | Monday, September 3, 2012

Message/메세지 | 3L.A. BASICS

Jonathan Sim: You need to be lucky enough to have friends who are just as passionate about music as you are. I worked my butt off just playing music all throughout middle and high school. I sacrificed hang-ing out with some of my friends. You’ve got to listen to all types of music and be open for creativity. When you’ve got 4 other guys who are just as passionate as you are, it makes life easier.John Chu: First of all, there needs to be close friend-ship and chemistry. We love working together and we can't imagine what Ensemble Memo will be like if any one of the members were not there. Also, it helps if one of the members can drive.Chris Cho: Don't do it if you can help it. You will be so happy, but so unhappy at the same time.Joseph Oh: YOLO. You Only Live Once!!!

What are your goals/vi-sions?

Francisco Lee: Hang out with my Ensemble Memo brothers until we get old and continue to play music with them. Also hopefully we can release our first EP this summer.Jonathan Sim: Right now I just want to graduate from college. I’m going to USC as a Pop guitar music major so I’m hoping once I graduate I can become a solo artist. As far as Ensemble Memo we’d like to perform as much as we can before we all graduate.

Maybe we’ll release some more stuff on iTunes but probably just more collaborations and youtube work.John Chu: My goal is to live a happy life with a lov-ing family. Chris Cho: An ambition that I have is to be well-rounded yet successful in the music field. I want to use my classical and non-classical sides of music to break the barriers between the genres of music. I want to send a message to the world that the cello is not strictly a classical instrument and show the versatil-ity of the best instrument ever invented. I also dream

of building a school where true talent is valued and nurtured. After decades of teaching, philanthropy and performance, maybe I'll open up a hipster music store/coffee shop on Sunset Blvd. or something. I re-ally like cafes.Joseph Oh: My goal is to live faithfully for God and him only. And marry an extremely hot wife!

By: 류광수 목사

행16:11~15 그와 그 집이 다 세례를 받고 우리에게 청하여 이르되 만일 나를 주 믿는 자로 알거든 내 집에 들어와 유하라 하고 강권하여 머물게 하니라(15)

'나의 비전은 무엇인가?' '나는 이럴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런 질문을 많이 합니다. 그러나 가장 먼저 '도대체 신앙생활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얻어야 합니다. 모든 문제 해결자 되신 그리스도가 누구인가 알고, 하나님께서 나와 함께 하

신다는 사실에 눈을 뜨고, 복음 안에서 모든 것을 볼 때, 삶에 대한 진정한 답을 얻게 됩니다. 우리의 삶을 발견하려면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1. 주일 예배에 성공하라!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이기에 주일 예

배때 집중해서 듣고 그 말씀을 기억하고 기도한다면 시간이 갈수록 놀라운 힘이 생길 것입니다. 한 번이라도 제대로 예배하면 하나님의 뜻이 보이고, '아, 내가 이번 주간에 이런 축복을 받아야겠구나' 하

는 구체적인 말씀에 은혜를 받게 됩니다. 이때부터 다른 사람을 만나서 나눌 말씀이 생기는데 이것을 포럼이라고 합니다. 말씀에 은혜를 받고 삶의 현장 속에서 하나님이 예비하신 많은 역사와 계획을 보게 될 것입니다.

2. 6일간의 삶이 중요합니다. 주일 예배 때 들은 말씀 중에 은혜로웠

던 내용 외에는 한 주간 동안 거의 생각이 나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주일 강단 말씀 중 구체적으로 실천할 제목을 찾는 것이 6일간의 삶에 매우 중요합니다. 구체적인 실천 제목을 말씀에서 찾아내고, 시간을 정해놓고 기도를 하면 그 속에서 많은 주님의 뜻이 발견되고 응답이 계속해서 오기 때문에 저절로 무시로 기도가 되고, 상상치 못할 힘을 얻게 됩니다. 이

때 하나님의 시대적 요청이 무엇인지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되어야 6일간의 삶에서 최고의 응답을 받게 되며 이것이 진정한 신앙생활입니다.

3. 중요한 만남의 축복 주일 예배와 6일간의 삶 속에서 말씀

을 기억하고 삶에 적용하다 보면 만남의 축복이 옵니다. 이때 많은 사람을 돕고 살릴 수 있는 것입니다. 삶 속에서 말씀을 누리던 바울 전도 팀이 마게도냐로 향하자마자 하나님께서는 중요한 만남의 축복을 주셨습니다. 이때부터 모든 환경이 응답으로, 모든 문제가 기회로, 모든 실패가 축복으로, 오늘의 모든 희망이 미래로, 모든 미래가 후대의 것으로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런 응답의 삶을 발견하는 축복을 누려야 합니다.

삶을 발견하는 만남

CONTINUED FROM PAGE 1 piano, guitar, drums and other instruments more skill-fully. Francisco adds nice bass lines to all our pieces and brings us all together for rehearsals and stuff. Joseph is the "jokester" of Ensemble Memo, constantly enter-taining us in rehearsal and keeping the tension down when needed. Because of the efficiency of our group in creating a song, my job is just taking that outline and creating "fillers" such as solos and alto parts as needed.

Joseph Oh: Well, I like the fact that we are very close to each other. Also, we understand each others’ prob-lems and conflicts. It is very fortunate to have a second family like this!

Any advice you could give someone who is in-terested in your field?

Francisco Lee: You need to have close bonding with your members and a little bit of luck.

By: Paul Suh

개인의 삶과 사회를 바꿀 33가지 미래상

“10년 후 세상”은 중앙일보 중앙Sunday 미래탐사팀이 16명의 교수 및 전문인들로부터 크게 일곱가지 분야로 나누어 앞으로 10년 후에는 세상이 어떻게 변화될까를 내다보는 미래예측서이다.

제 1장은 건강과 웰빙에 관하여서 신경 혁명의 시대, 즉 뇌와 기계의 interface 기술의 가능성을 내다 본다. 뇌공학

BOOK REVIEWBY: 중앙일보 중앙SUNDAY 미래탐사팀

의 발전으로 전신마비 환자들이 생각하는 대로 휠체어를 운전 할 뿐 아니라 다리 근육에 기계 장치를 부착하고 뇌파로 움직여서 걸을 수 있는 기술 등이다. 또한 줄기세포로 세포조직을 재생하여서 생명연장 뿐아니라 초장수하게 되는 기술도 가능하다고 본다. 즉 600만 불의 사나이가 현실화 될 가능성을 점친다.

제 2장은 가정과 사회 부분으로써 지금의 남녀 결혼관이 바뀌어 동거와 결혼의 중간 단계인 파트너혼을 선택하는 커플이 많으리라 예상한다. 서로 좋으면 계약을 통해 결혼하고 한 쪽이 파기하면 큰 부담없이 혼인관계가 끝나는 식이다. 또한 개인화 시대가 되어 감에 따라 싱글 쪽의 기호에 맞게 아파트도 작지만 고급스럽게 진화 될것을 예상한다. 또한 쇼핑도 물건을 골라주고 자동계산해주는 쇼핑 도우미 카트가 대신한다. 그리고 남녀 역활의 성벽도 사라지고 점점 더 ‘Cross Over’가 가속될 전망이다.

제 3장은 문화와 교육 부분의 변화로 세계적인 명문대학의 power가 더 세지라 예상한다. 이미 MIT와 Harvard 대학교는 자기 대학 교수들의 강의를 인터넷에 무료로 공개하여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대학에서 캠퍼스가 사라질 것을 예견한다. 또한 성인 재교육이 더욱 필요해지고 보편화 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10년후에는 전문적이나 관리직의 화이트 컬러가 아니라 에너지 전문가, 리사이클링 분석가, 환경 컨설턴트 같은 그린 컬러가 각광 받는 시대가 된다. 비 종교인들이 늘어나고 전통 기독교인이 줄어들고 이슬람의 성장이 둔화되는 대신에 뉴에이지 운동이 확산될 것을 예상한다. 단, 중국에서는 기독교가 급 성장 할 것을 예상한다. 또한 종이책은 전자책으로 인해 거의 사라져 버리리라 예상한다.

제 4장은 첨단 기술 부문으로서 전자 정보 기술이 일반 생활 부분에 보다 더 깊숙히 융합되어서 교통, 의료, 치안 부분을 인터넷을 통하여 콘트롤 할 수 있게 된다. 모든것이 자동화된 스마트 시티의 등장을 예견한다. PC도 키보드나 마우스가 아니라 음성, 눈짓, 몸짓, 손, 소리와 제스처로 사용자가 정보를 주고 받는다. 또한 각 종류의 로봇이 개발되어 몸 속에서 병균과 싸우고 가사 도우미

역할을 하며, 노인들을 돌보는 일을 대신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도 운전대를 잡지 않고 운전 할 수 있게 되어서 시각장애인이나 심각한 지체 장애자도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괄목할 것은 디스플레이가 진화되어 세상의 모든것이 스크린 역활을 하게 될 것이다. 차 앞 유리가 디스플레이가 되는가 하면 스마트 폰으로 군사훈련을 하고 홀로그램으로 미팅을 하게 된다.

제 5장은 소셜 미디어 부문으로 SNS의 보편화를 통해 엄청난 양의 개인정보가 일반인에게 공개 될 것이고 공유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 폰을 통해 무엇이든 할 수 있고 손바닥에서 움직이는 세상이 된다. 명함을 SNS 친구 등록이 대신하고 집안의, 사무실의 모든 전자기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다. 또한 TV도 바보 상자가 아니라, 주인의 음성을 듣고 원하는 것을 척척 보여 주는 Smart TV, 요술 상자로 바뀔것이다. 무제한 콘텐츠 서비스 시대가 오리라 예상한다.

제 6장 환경과 에너지 부분에서는 화학공장에서 굴뚝이 사라지고 부쩍 잦아진 기상이변, 지구 온난화, 생물종 다양성 감소을 비롯한 생태계 환경 악화에대응하면서 경제발전을 추궁하려는 녹색 화학이 경제 성장의 새로운 수단으로 확실하게 자리를 잡을 것이다. 또한, 에너지 대안책으로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인위적으로 재현하려는인공 광합성 연구가 더욱 활발해 질 것이며 태양광 발전이 더욱 호율적으로 개발 될 것이다. 그리고 나노 공학의 발전으로 다양한 소재와 PC의 접목이 가능해 진다.

마지막 제 7장은 글로벌 세상으로 중산층의 붕괴와 빈부의 양극화가 더욱 심각해 질 것을 예상한다. 또한 중국의 공산당도 더 이상 국민위에 군림하는 대신에 타협점을 찾으려 하게 되고 중국의 위안화도 대폭 상승함으로 달러화와 맞먹는 국제 통화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우주여행도 이제는 꿈이 아니라 현실로 다가 올 수 있다. 또한 전쟁도 첨단 무기의 전쟁으로 미사일을 사냥하는 무인 전투기의 개발을 예견한다.

“10년 후 세상”을 통해 이런 여러가지의 변화를 예견 하면서 이에 걸 맞는 각자의 미래상을 그려보고 추구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ENSEMBLE MEMO BROTHERS ARE A CHRISTIAN QUINTET THAT LOVE TO PLAY MUSIC!

'LIBERTANGO' BY ENSEMBLE MEMO

Page 4: ISSUE 22

4 |Issue 22 | Monday, September 3, 2012

교육 & 문화/Education & Culture L.A. BASICS

용서는 사람을 얻는 가장 큰 힘이다

"내 인생은 분노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하지만 내가 겪은 일들로 인해 이성적. 정

서적으로도 깊은 신념에 도달했습니다. 내가 겪은 일이란 화해와 용서였습니다."

- 미첼 바첼렛

천재를 뛰어넘은 연습벌레들 정치가 편

칠레의 여성 대통령

2006년 1월 15일, 미첼 바첼렛은 칠레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습니다.

그녀는 곧바로 용서와 화해의 시대가 열렸음을 선포했습니다. 그날 칠레 국

민들은 거리로 쏟아져 나왔습니다. 그녀의 초상화를 들고 뛰어다니며 기뻐

했습니다.

미첼 바첼렛이 대통령으로서 가장 먼저 용서와 화해를 선포한 것은 아

주 의외의 일이었습니다. 그녀는 누구보다 분노로 가득 찬 삶을 살았기 때

문입니다.

용서하고 화해한다는 것은 잊어버린다는 것이 아닙니다. 지나간 일로 새

로운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살면서 때로는 상처를 받고 때로는 상처를 줍니다. 그리고 이

주고받은 상처 때문에 아파하고 괴로워합니다. 어떤 상처는 너무 깊어 오

랫동안 잊지 못합니다.

하지만 그런 사람들이 서로 어울려 살 수 있는 건, 사람에게 용서하고 화

해할 수 있는 또 다른 힘이 있기 때문입니다.

미첼 바첼렛이 어떻게 용서와 화해의 힘을 쌓을 수 있었

는 지 한번 알아 볼까요?

야만적인 독재의 시대와 맞서

미첼 바첼렛의 아버지는 칠레의 공군 준장이었습니다.

그녀는 어릴 적 미국 대사관에서 근무하는 아버지를 따라 미국

에서 살았습니다. 말이 통하지 않는 미국 생활은 어린 그녀에

게 매우 힘들었습니다. 친구들은 칠레가 어디에 있는지도 몰

랐고, 심지어 인디언이라고 놀렸습니다.

하지만 미첼 바첼렛은 여행을 다니고, 세상을 바

꾸고자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며 활기차게 지냈

습니다. 그리고 칠레에 돌아온 뒤에는 의대에 진학했습니다.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살라는 아버지의

충고를 따른 것이었습니다.

당시 미첼 바첼렛의 아버지는 대통령 살바도르 아옌데

의 신임을 받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칠레에 불행한 역사가 시작되었

습니다. 육군 사령관 피노체트가 쿠데타를 일으킨 것입니다. 대통령

궁에는 폭탄이 떨어지고 아옌데 대통령은 쿠데타군과 싸우다 목숨

을 잃었습니다.

피노체트는 야만적인 독재자였습니다. 자신에게 반대하는

사람들은 무조건 잡아 가두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그의 총칼 아래

목숨을 잃었습니다.

미첼 바첼렛의 아버지 또한 반역죄를 뒤집어쓰고 감옥에 갇혔

습니다. 그리고 매일 고문을 받다 심장 마비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제 그녀에게 남은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재산은 모두 빼

앗겼고, 사람들은 그녀에게 등을 돌렸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녀

의 집에 군인들이 들이닥쳤습니다. 그러고는 두 사람에게 까만 안

대를 씌운 채 어딘가로 끌고 갔습니다.

군인들은 미첼 바첼렛과 어머니에게 잔혹한 고문을 했습니다.

그러나 불행 중 다행으로 그녀와 어머니, 남동생은 가까스로 오스

트레일리아로 망명했습니다.

용서와 화해로 칠레를 치료하다

1979년에 미첼 바첼렛은 다시 칠레로 돌아왔습니다. 사람들은

그녀의 귀국을 말렸습니다. 하지만 조국을 떠난 삶은 그녀에게 큰

의미가 없었습니다. 그녀는 조국에서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가 되

었습니다.

그사이 칠레에

도 봄이 왔습니다.

민주 정권이 수립

된 것입니다. 미첼

바첼렛은 민주 정

부의 보건 복지부

에서 일하게 되었

습니다. 이후 국방

에 관심을 갖고 국

립 정치 전략 아카

데미에 입학했습니

다.

병든 사람을 치

료하듯 국민에게

도움을 주고 싶었

기 때문이었습니

다. 튼튼한 국방이

전쟁을 막고 평화

를 유지한다고 생각한 것이죠. 미첼 바첼렛은 우수한 성적으로 아

카데미를 졸업하고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었습니다.

군대 내에 있는 피노체트 정권 시절의 사람들은 안절부절 못했

습니다. 미첼 바첼렛이 자신들에게 복수할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입

니다. 하지만 그녀의 목표는 복수가 아니라 용서였습니다. 다툼이

아니라 화해였습니다. 그리고 칠레의 국방을 튼튼히 해 평화로운 나

라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용서와 화해를 바탕으로 미첼 바첼렛은 칠레의 군대를 조금씩

바꾸어 갔습니다. 그녀에게 적대적인 감정을 보이던 군인들도 그녀

를 신뢰하기 시작했습니다.

국방 장관 미첼 바첼렛이 전국을 돌 때면 사람들은 거리로 나와

환호를 보냈습니다. 그녀는 스스로 칠레의 상처를 치료하는 약이 되

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대통령에 선출되었습니다. 남성 우월주의

가 강한 칠레에서 그녀의 승리는 또 다른 혁명이었습니다.

우리는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잘해 주지만 미워하는 사람은 거들

떠보지도 않습니다. 그러나 리더의 가슴은 넓어야 합니다. 그 넓은

가슴에서 사람들이 뛰어놀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게 되려면 자신

의 감정만 존중하거나, 자신의 이익에 집착해서는 안 됩니다. 넓은

가슴으로 세계를 품에 안는 통 큰 리더가 되세요.

나를 반대하면 무조건 사형!

Page 5: ISSUE 22

Issue 22 | Monday, September 3, 2012

Education & Culture/교육 & 문화 | 5L.A. BASICS

오늘의 말씀:

디모데후서 1:1~2. 사랑하는 아들 디모데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2)

“성공한 엘리트의 공통점이 무엇인가요?” 첫째, 어릴 때부터 올바른 습관을 배워서 구체적으로 실천했어요. 습관은 어른이 되면 곧 현실로 드러나요. 올바른 습관을 지닌 자는 성공하고, 나쁜 습관을 지녔다면 실패하게 돼요. 둘째, 늘 긍정적으로 생각해요. 어려운 환경에서도 감사의 마음을 잃지 않고, 더 열심히 도전하면서 현장을 변화시켜요. 셋째, 무척 성실하고 부지런해요. 아무도 보지 않아도 누구보다도 일찍 일어나 하루를

시작할 뿐만 아니라 항상 여유를 가지고 생활하는 것이 성공한 엘리트의 특징이예요.

“나는 무엇을 위하여 올바른 삶을 살아야 하나요?” “왜 성공한 엘리트의 삶을 배워야 할까요?” 성공 자체가 목적이 아니기에 여러분들이 주님께서 항상 함께 하셔서 여러분들을 완벽하게 인도하고 계심을 믿고 그 안에서 누리기를 원하신 답니다. 여러분들을 통해 하나님께서는 세계복음화를 하실 것을 믿습니다.

'삶이 되면 참 쉬워요!'

부모님께

배우는 경제교실

By: 박성철

우리가 몰랐던 상술의 법칙들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모든 상점이나 매장은 물건을 보다 많이 팔기 위해 인테리어나 가구 배치를 치밀하게 계산한단다. 백화점이나 할인마트도 마찬가지란다. 매장의 공간과 상품을 배치하는 방식에는 많은 법칙들이 숨어 있다. 도대체 어떤 법칙이 있을까?

첫째, 에스컬레이터는 매장에서 가장 눈에 잘 띄는 한가운데에 있고 엘리베이터는 찾기도 힘든 구석에 있기 마련이란다. 그 이유는 고객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목적지까지 바로 올라가지 않고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한 층씩 올라가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란다. 그래야 고객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지.

둘째, 그 큰 매장에 시계도, 창문도 보지 못했을 거다. 쇼핑을 하는 동안 고객이 시간을 잊게 하기 위해서다. 또 창문이 없기 때문에 밖이 어두워지는 것도 알 수 없단다. 그래서 고객은 자연스럽게 쇼핑에만 집중하게 된단다.

셋째, 시계는 아무리 찾아도 없지만

거울은 도처에 걸려 있다.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거울을 들여다 보는 습관이 있단다. 매장을 걷다가 거울을 보면 자연스레 걸음이 느려지고, 그만큼 매장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겠지? 또 거울은 상품을 더욱 눈에 띄게 하는 효과도 있단다.

백화점이나 할인마트에 갔을 때 이제 더 이상 아무 목적 없이 손 가는 대로 발 가는 대로 움직일 수 없겠지? 매장의 배치를 살펴보면서 어떤 경제법칙이 숨어있는지 생각해보고, 상품 하나마다 어떤 의도에서 그 자리에 놓여있는지 연구해 보세요.

나만의 '경제 놀이터',백화점과 할인마트

나는야하나님의자녀

혀의힘

임금님이 병에 걸렸습니다.

“암사자의 젖을 먹어야 낫는 병입니다.”

의사가 말했어요.

하지만 무서운 사자의 젖을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궁전에서는 사자의 젖을 구해 오는 사람에게

상을 내리겠다고 온 나라에 알렸어요.

한 소년이 결심헀어요.

“반드시 내가 암사자의 젖을 구하고 말 거

요!”

그리곤 산으로 갔습니다.

소년은 사자의 동굴을 발견하고 근처에 숨었

어요.

그리고는 어미 사자가 먹이를 구하러 간 사이

에 새끼들을 훔쳤습니다.

돌아온 어미 사자는 새끼들이 없어진 걸 알았

어요.

새끼를 잃은 어미는 슬픔에 잠겨 먹지도 않고

시름시름 앓았어요.

며칠이 지난 후, 소년은 새끼를 한 마리씩 어

미 사자에게 데려다 줬어요.

그러면서 사자와 소년은 차츰 친해졌어요.

마침내 어미 사자와 소년은 친구가 되었어요.

소년은 사자의 젖을 쉽게 얻어 냈지요.

“이제 상금은 내 몫이라고!”

소년은 사자의 젖을 가지고 궁전으로 향했어

요.

그런데 그 때, 소년의 몸 각 부분들이 서로 말

다툼을 벌이기 시작했어요.

먼저 발이 나서서 말했어요.

“내가 없었다고 생각해 봐. 사자의 굴 근처에

도 가지 못했다고!”

눈도 지지 않고 말했어요

“내가 없었다면 사자가 어디 있는지나 알 수

있었겠어? 내 공이 제일 크다고.”

“내가 튼튼하지 않았더라면 사자를 보자마자

놀라 기절했을 걸!”

심장의 말이었죠. 혀도 나섰어요.

“너희들의 공도 다 내가 말해 줘야 한다는 걸

모르는군!”

그러자 모두 혀를 비웃었어요.

“시끄러워! 조그만 게 뭘 했다고!”

하지만 혀는 기죽지 않았어요.

“흥! 어디 두고 보자!”

드디어 소년이 임금님 앞에 선 순간, 혀는 엉

뚱한 말을 해 버렸어요.

“여기 개의 젖을 가져왔습니다.”

이게 무슨 말이에요? 모두 놀랐지요.

“혀야,우리가 잘못했다!”

몸의 각 부분들은 쩔쩔매며 혀에게 사과했어

요.

그제서야 소년은 이렇게 말할 수 있었답니다

“임금님, 암사자의 젖을 구해 왔습니다. 어서

드시고, 기운을 차리십시오.”

엄마랑 나랑소년이 위험을 무릅쓰고 사자의 젖을 구했군

요! 그런데 몸 각 부분들은 하나같이 자기가

잘났다고 우기면서 보잘 것 없는 혀를 비웃었

어요.

“임금님, 이건 개의 젖이옵니다.”

무시를 당한 혀는 임금님 앞에서 이렇게 말해

버렸죠.

몸의 각 부분들은 그제서야 조그마한 혀가 얼

마나 소중하고 중요한지 깨달았을 거예요.

아무리 작고 하찮아 보여도 저마다 중요한 역

할을 하고 있다는 것, 잊지마세요.

탈무드 이야기

방귀의 70%는 입에서 들이마신 공기로 이루어져 있고, 10%는 장에서 음식이 분해될 때 생기는 가스, 나머지 20%는 혈액 속에 용해되어 있던 가스가 장으로 배어 나온 것이다.

또 방귀의 주성분은 질소로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나머지는 수소, 이

산화탄소, 메탄, 산소, 암모니아 등이다. 이 밖에도 약 400 종류의 가스가 섞여 있다.

방귀가 나오려고 할 때 억지로 참으면 그 가스는 어디로 갈까? 장의 벽을 통해 혈액 속으로 다시 들어간다. 이때 방귀의 대부분이 공기의 구성 성분이기 때문에 큰 문제는 되지 않지만, 방귀를 너무 오래 참

는 것은 몸에 해롭다. 하루에 방출되는 방귀에 양은 약 500ml에 이른다고 하니 이 많은 양을 몸 속에 담아두는 것이 좋을 리 없는 것이다.

그러니 방귀를 참지 마라! 방귀는 정상적인 생리작용이니 너무 부끄러워할 필요 없다.

COMMON SENSECOMMON SENSE

방귀를 참으면 가스는 어디로 갈까?

Page 6: ISSUE 22

6 | L.A. BASICS

Issue 22 | Monday, September 3, 2012

세상을 바꾼 생각 천재들

By: 박성철

프랭크 맥나마라의 신용카드

안녕? 내 소개부터 할게.나는 한국에 1억 5천 장 이상 있단다.어른 1인당 약 4장을 가지고 있지.

나는 현금이 없어도 무언가를 먹거나 살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단다. 그 외에도 사람들이 사용한 만큼 포인트를 적립받거나 특별히 지정된 곳에서는 할인도 받을 수 있지.

내가 누군지 벌써 눈치챘다고?그래, 나는 바로 신용카드란다.

아직은 너희들이 사용할 일은 없겠지만 너희들도 어른이 되면 사용하게 되겠지. 하지만 나를 어떻게 사용하느냐는 정말로 중요한 문제란다.

나로 인하여 세상은 무척 편리해졌지만 반대로 신용불량자가 생기는 등 잘못된 소비문화가 생기기도 했거든. 너

희들도 자라서 카드를 쓰게 되면 계획적으로 꼭 필요할 때만 사용하여 훗날 후회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단다.

그럼 내가 이 세상에 어떻게 태어나게 됐는지 알려 줄게.1949년, 여기는 미국 뉴욕.사업가인 프랭크 맥나마라는 자신의 고객들과 함께 저녁식사를 하러 레스토랑에 갔단다.

"이 집 음식은 정말로 맛있습니다. 뉴욕에서 알아 주는 최고의 레스토랑이지요.""아, 그렇군요. 정말 실내장식도 고급스럽고, 굉장히 좋아 보입니다. 기대되는군요.""오늘은 최고의 요리를 마음껏 드십시오."프랭크 맥나마라는 최고급 요리를 주문했어.자신의 고객들에게 고마운 마음으로 최고급 요리를 대접하고 싶었거든.분위기 있는 음악을 들으며, 맛있는 요리를 먹은 그와 그의 고객들은 매우 흡족했지.

"자, 이제 식사를 다 했으니 그만 자리에서 일어날까요? 웨이터, 여기 계산서 좀 부탁해요."프랭크 맥나마라는 계산을 하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섰어. 그런데 이게 웬일이니? 양복 주머니에서 지갑을 꺼내려고 하는데 지갑이 없는 거야.'어? 내 지갑이 어디 갔지......?'바지를 뒤져 보고, 옷 여기저기를 뒤져 봐도 지갑을 찾을 수가 없었단다. 당황한 프랭크 맥나마라의 얼굴은 빨갛게 달아올랐어.그와 동시에 웨이터의 얼굴도 일그러졌지. 급기야 웨이터의 입에서는 이런 말이 튀어나왔어."혹시 돈이 없는걸 알면서도 일부러 음식을 시켜 드신 건 아니겠지요?""여보게, 지금 무슨 소리 하는 건가? 내가 그런 사람으로 보이나?"조금 뒤, 웨이터는 더 큰 목소리로 말했어."사장님, 이 사람 좀 보세요. 최고급

음식을 시켜 먹고 돈이 없다고 하는데 어떻게 할까요? 경찰에 신고할까요?"당황한 프랭크 맥나마라의 얼굴은 점점 더 빨개졌어. 주위 사람들의 시선도 모두 프랭크 맥나마라에게 꽂혔지.초대받은 손님들도 어쩔 줄 몰라 멍하니 앉아 있었지.그는 카운터 앞으로 가서 아내에게 다급하게 전화를 걸었어."여보, 혹시 내 지갑 집에 있어? 지금 레스토랑인데 음식을 먹고 돈을 못 내고 있어. 당신이 빨리 와 줘야겠어."얼마 후, 그의 아내가 허둥지둥 달려왔지.그리고는 음식 값을 계산했어.프랭크 맥나마라는 그제서야 음식점을 빠져나올 수 있었어.그는 너무도 부끄러워 쥐구멍이라도 들어가고 싶은 심정이었어. 태어나서 처음 당해 보는 수모였기 때문이지.'어휴, 내 고객들 앞에서 이게 무슨 꼴이람? 지갑 하나도 제대로 챙기지 못

하다니.'자신을 한탄하던 그 순간, 그의 머릿속에는 무언가 빠르게 스쳐 지나갔단다.'돈을 직접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음식을 먹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간단한 것으로 돈을 대신할 수 있다면 오늘 같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텐데. 그래, 바로 그거야. 신용이 있는 사람에 한하여 카드를 만들어 주어 그것으로 먼저 결제를 하고, 얼마 후에 돈을 지급하게 하는 거야.'그는 변호사이자 자신의 절친한 친구인 랄프 슈나이더에게 자신의 계획을 이야기했어."나도 얼마 전에 그런 경험을 했어. 그때 얼마나 민망하던지...... 그런 경험은 누구에게나 한 번씩은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그것 참 좋은 아이디어잖아."이렇게 하여 그들은 바로 나, 신용카드를 처음 만들어 냈어. 그때가 1950년이었단다.그리고는 '식사하는 사람들(DINERS)' 과 '회원(CLUB)'을 합성해서 '다이너스클럽 카드 (DINERS CLUB CARD)' 라고 이름 지었단다. 그야말로 '식사하는 사람들을 위한 신용카드'였지.

처음에는 나를 받아 주는 곳이 뉴욕에 있는 14개 식당 뿐이었어. 그리고 회원도 200명에 불과했지.그러던 것이 점점 사람들에게 퍼져나갔고, 이제는 내가 없으면 생활이 불편할 정도로 전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나를 아주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단다.

한국에 신용카드가 처음 들어온 것은 그보다 훨씬 뒤인 1967년이야. 그 당시엔 사람들에게 널리 사용되지 않았지만 1980년대 후반, 경제가 발전하면서 신용카드의 사용 또한 급격히 늘어났단다.

그 결과 현재 한국 사람들이 현금보다 나를 더 많이 사용한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단다.

하지만 내가 처음 현금이 없을 때를 대비하여 꼭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졌듯이 너희들 또한 어른이 돼서 나를 사용하게 되면 꼭 필요할 때,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는 걸 잊어서는 안 된단다.

프랭크 맥나마라의 신용카드

Page 7: ISSUE 22

Issue 22 | Monday, September 3, 2012

종합 | 7L.A. BASICS

L.A. BASICS

고문: 정은주

발행인: 이재천

편집인: Jin Bae

Coordinator: 송우석, Yun Choi, Luis Youn, Andrew Kim

Designer: Oliver Ko, Daniel Lim

Staff: Nick Cho, Brandon Lee, Renee Lee

Interns: Hyun Min Chun, Ye Jin Kim

SPONSORS:

KEY CO(쿠쿠), VALLEY 정관장,

ROLAND HEIGHT 정관장,

DIAMOND BAR 정관장,

Kelly Kim, Sophia Yoo, Susie Yoon,

Janet Lim, Anna Hong,김옥임,김지나

후원자 /구독자

L.A. BASICS는 복음을 위해 헌신하는 성도들의 후원으로

발행되고 있습니다. 후원자가 되시길 희망하시는 분은 아

래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L.A. BASICS를 구독하길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Tel: 213-687-7430E-mail: [email protected]

SUBSCRIBERS / CONTRIBUTORS

L.A. BASICS is published by the contributions of

believers guided to spread the gospel. If you would like

to make a contribution, please contact us.

If you would like to subscribe to

L.A. BASICS, please contact us at:

Tel: 213-687-7430E-mail: [email protected]

By: Renee Lee

많은 분들이 San Francisco Winery를 방문해 보았을 것이다. 아니 가보시지 못한 분들이 더 많을지도 모르지만 LA Downtown 근처에 90년이 넘은 winery가 있다는 것은 Down-town에서 일하는 나에게도 shocking한 것 이었다. 이런 곳이 있다니?

요즘은 많은 사람들에게 입소문이 나고 광고가 되어서 인지 새롭게 단장이 되어 patio에서도 wine과 desert를 즐길 수 있다. San Anto-nio Winery는 cafeteria형식으로 되어있는데 식당 안에 항상 menu가 눈에 보이게 sample로 진열 되어 있어서 먼저 입맛을 자극하고 무엇을 먹을지 선택하는 것을 도와준다. 인테리어가 wine 통으로 되어있고 낮에도 마치 밤 같은 분위기에 반짝거리는 조명과 특별히 항상 live

음악이 있어서 마치 Jazz Bar에 간 것 같은 생각이 들게 한다. 한번 가고 난 후로는 자주 가는 편인데 생선, 파스타, 스테이크, 샌드위치, Seafood, 샐러드, 케잌, 등등. 거의 모든 종류의 음식이 있다고 생각 하면 된다. 서브도 친절하고 가격도 나쁘지 않다. 특히 뱅큇룸이 있어서 웨딩이나 그룹 이벤트도 할 수 있다.

월~목, 일요일은 아침 9시~7시금~토, 아침 9시~ 8시까지

꼭 추천하고 싶은 곳입니다. 방문해 보세요.

For more information visit:http://www.sanantoniowinery.com

My Signature Style패션계 최초의 디자이너는 누구일까?

Charles Frederick Worth

1825년 영국의 링컨셔(Lincolnshire)에서 태어난 찰스

프레드릭 외츠는 디자이너로 최초로 패션계에 스타가 된

인물이다. 20세에 파리로 건너가 1858년에 자신의 이름

을 건 양장점을 오픈했고 이것이 최초의 디자이너 아틀

리에였다.

나포레옹 3세의 황후 유제니 (Eugenie)는 외츠를 신뢰

하며 후원했다. 외츠는 사교계의 총아로 떠오르게 되었

고 왕족, 귀족, 여배우, 신흥재벌 들을 위해 화려한 드레

스를 디자인 했다. 그는 위대한 개척자였다. 처음으로 살

아있는 모델에게 옷을 입혀 패션쇼를 열었고 매년 새로

운 컬렉션을 선보인 최초의 디자이너였다. 1910년 파리

의상조합을 만들었고 디자인을 해외 시장에 수출 하기

위해 활발히 움직였고 이를 위해 일년에 두 번씩 패션쇼

를 개최한 것이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RESTAURANT REVIEW

San Antonio Winery

>>>> SAN ANTONIO WINERY: 737 LAMAR ST. LOS ANGELES, CA 90031 TELEPHONE: (323) 223-1401

Page 8: ISSUE 22

8 |Issue 22 | Monday, September 3, 2012

복음 메세지/Gospel Message L.A. BASICS

2010 W. PICO BLVD. #3

LOS ANGELES, CA 90006

TEL: (213) 365-8787

FAX: (213) 365-8783

2000PRINTING

RETAIL & WHOLESALE결혼예물, 귀국선물, 졸업선물 전문대표 박학재ST. VINCENT JEWELRY CENTER650 S. HILL ST. BOOTH C – 1LOS ANGELES, CA 90014TEL. (213) 627 – 0990FAX. (213) 627 – 0906

민수기 고급시계점

Sophia Yoo640 S. Hill St. Plaza 3C-27

Los Angeles, CA 90021Tel: 213.489.4502

PLATINA DESIGN, INC.National Association of Jewelry Appraisers Fine Jewelry

650 S. Hill St. Booth #B6Los Angeles, CA 90014

Tel: (213) 623-6456Fax: (213) 623-6419

By 정현국

예전 우리가 어릴 때는 천자문(千字文)을 배웠다. 그 후 오랫동안 한문을 가르치지 않았으므로 대학생이 되어도 한문을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요즘 들어 한문공부의 열풍이 부는 것은 중국과 한국과 일본이 한자문화권이기에 세계화로 가는 한부분이기도 하므로 마땅한 일이라고 본다. 천자문은 중국 남조의 주흥사가 글을 지어 4글자로 된 사언고시(四言古詩)로 250구(句)가 합해서 1,000자가 각각 다른 글자로 되어 있다. 습자교본으로 쓰였고 중국에서는 왕희지체로 한국에서는 한석봉체로 되어 있다. 천자문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지만, 사람들의 삶의 지혜를 후대에게 전하는 글에 있어 좋은 교훈을 주고 있는 내용이다.

책을 열면 처음에 天地玄黃(천지현황)으로 시작한다. 그 뜻은 ‘하늘은 위에 있으니 그 빛이 검으며, 땅은 아래 있으니 그 빛이 누르다’이다. 그러나 공부할 때는 天地玄黃을 천지현황으로 읽지 않고 자구를 따로 떼어 하늘 천, 땅 지,

검을 현, 누룰 황 이렇게 읽는다. 이 글자를 빨리 읽다보니 하늘 천 따지 가물 현 누루 황이라고 읽었다. 더군다나 장난끼 많은 아이들은 여기에 더하여 하늘 천 따지 가마솥에 누룽지하며 너스레를 떨다가 훈장님께 벌을 받기도 했다.

지금에 와서 보니 이렇게 사람들이 자연을 보며 발견한 지혜 속에 자연만물을 보는 특별한 혜안이 있었음을 보게 된다. 이것을 자연 은총이라고 하는데 이 발견은 결국 특별 은총인 성경과도 의미를 같이 함을 보게 된다. 성경에 보면 최초의 창조형태가 나오는데 성경의 첫 장 첫 구절에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위에 운행하시니라’라고 되어있다.

성경을 보고 천자문을 만든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천자문의 첫 구절에 정확하게 창조될 때의 하늘과 땅의 상태를 흑암까지 분명하게 밝힌 것은 놀라울 정도이다. 이것이 처음 학문을 접하는 어린아이들의 학습교재였다는 사

실에 더욱 놀라움이 있다. 인간은 누구나 하나님을 바라보는 타성이 있으므로 자연히 하늘아래에서 살아가는 삶의 이유를 찾고자 했음이 발견되는 것이다.

늘 바라보는 하늘에서도 인생의 가치를 찾고자했던 고대인들의 지혜는 오늘이라고 다르지 않다. 정신없이 발전해 나가는 정보혁명시대에 인간의 가치는 그보다 더 풍성해져야 함에도 현실은 너무 동떨어져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도 인간에게는 구원이 필요하다.

하늘을 바라보던 인간은 이제 아이 폰이나 아이패드를 통해 하늘을 보고 땅을 걷는다. 무한한 빛의 자리에서 유한의 인간을 보며 낙망하는 검은 빛의 모습이 고통스런 현대인의 모습이다.

사람들은 자연의 질서를 따라 양심의 의미를 따라간다. 하나님이 주신 양심 속에서 자신을 속이지 않는다면 자연이 드러내는 구원의 본질을 누구나 알 수 있다. 하물며 하나님의 지혜로 주신 참사랑의 그리스도는 모두에게 창조보다 귀한 은혜이다. 하늘 천 따 지 하며 하늘의 의미를 부르던 소년이 이제 그것이 사실임을 말하고 있다.

하늘 천 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