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 14호 ] [후 ] [발간일] 2014년 11월 11일 [발행처] KoFID Post-2015분과 [집필진] 사)글로벌발전연구원 ReDI 강경아, 오수현 전문연구원 아름다운 커피 김진환 처장 KoFID 포스트 분과 이슈브리프 Post-2015와 기업 ‘KoFID Post 2015분과’는 Post-2015 개발의제의 전체적인 논의 및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시민사회 입장에서 해석할 수 있는 관점을 기르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정책 제안 활동을 하고자 관심 있는 12개 단체 및 개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번 Post-2015 개발목표 특별판으로 기획된 KoFID이슈브리프 11호-15호는 현재 Post-2015 분과에서 활동하고 있는 단체 및 개인이 공동으로 구상하고 토론하는 열린 과정을 통해 진행되었습니다. Post-2015 개발의제의 현황과 쟁점, 시민사회, 정부, 기업의 역할과 과제라는 4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총 6개의 기관이 협력하여 원고를 작성했습니다. 1. 들어가며 1) MDGs의 한계 2000년에 수립된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이하 MDGs)는 전 지구적으로 빈 곤 문제 및 관련 이슈들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개발도상국들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았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경제·사회적 불평등의 근본적인 문제 를 짚기보다 좁은 의미의 사회개발(교육, 보건 등) 및 인간개발 목표들만을 담았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 다. 뿐만 아니라 8번째 목표인 ‘개발을 위한 글로벌파트너십(Global Partnership for Development)’은 개 발에 참여하는 각 주체(정부, 기업, 시민사회 등)들에 대한 역할구분 및 파트너십 형태를 명확하게 제시 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새롭게 논의되는 Post-2015 개발의제는 이러한 한 계를 수렴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중 하나의 특징은 빈곤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경제 성장과 이를 위한 비즈니스 섹터의 중요성 그리고 기업의 역할과 책임이 대두되었다는 점이다. 2) Post-2015개발의제 내 경제개발 논의 현재까지 Post-2015 개발의제 논의는 UN을 중심으로 진행 중에 있으며 그 중에서도 지속가능발전목 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를 중심으로 한 개발의제 선정이 가장 유력할 것으 로 전망되고 있다. SDGs는 1992년 ‘리오지구정상회의 (Rio Earth Summit)’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 한 행동방안인 ‘아젠다 21 (Agenda 21)’에 근거한 제안서로 시작되어 20주년만인 2012년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 내용이 담긴 ‘우리가 원하는 미래(The Future We Want)’란 제목의 결과 문서를 채택하여 Post-2015 개발의제로 다루어야 할 원칙과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후 17차에 걸친 지속가능개발목표 공 개작업반 (OWG-SDGs)을 통해 경제ㆍ사회ㆍ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과 관련된 17개 세부목표와 결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 SC4 5 KoFID Post-2015분과Issue BriefIssue Brief [14호] D. 금융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8.10 모두를 위한 은행, 보험 및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 SC4 5 KoFID Post-2015분과Issue BriefIssue Brief [14호] D. 금융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8.10 모두를 위한 은행, 보험 및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후 원]

[발간일]

2014년 11월 11일

[발행처]

KoFID Post-2015분과

[집필진]

사)글로벌발전연구원 ReDI

강경아, 오수현 전문연구원

아름다운 커피

김진환 처장

KoFID 포스트 분과 이슈브리프 Post-2015와 기업

‘KoFID Post 2015분과’는 Post-2015 개발의제의 전체적인 논의 및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시민사회 입장에서 해석할 수 있는

관점을 기르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정책 제안 활동을 하고자 관심 있는 12개 단체 및 개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번 Post-2015 개발목표 특별판으로 기획된 KoFID이슈브리프 11호-15호는 현재 Post-2015 분과에서 활동하고 있는

단체 및 개인이 공동으로 구상하고 토론하는 열린 과정을 통해 진행되었습니다. Post-2015 개발의제의 현황과 쟁점, 시민사회,

정부, 기업의 역할과 과제라는 4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총 6개의 기관이 협력하여 원고를 작성했습니다.

1. 들어가며

1) MDGs의 한계

2000년에 수립된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이하 MDGs)는 전 지구적으로 빈

곤 문제 및 관련 이슈들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개발도상국들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았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경제·사회적 불평등의 근본적인 문제

를 짚기보다 좁은 의미의 사회개발(교육, 보건 등) 및 인간개발 목표들만을 담았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

다. 뿐만 아니라 8번째 목표인 ‘개발을 위한 글로벌파트너십(Global Partnership for Development)’은 개

발에 참여하는 각 주체(정부, 기업, 시민사회 등)들에 대한 역할구분 및 파트너십 형태를 명확하게 제시

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새롭게 논의되는 Post-2015 개발의제는 이러한 한

계를 수렴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중 하나의 특징은 빈곤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경제 성장과 이를 위한

비즈니스 섹터의 중요성 그리고 기업의 역할과 책임이 대두되었다는 점이다.

2) Post-2015개발의제 내 경제개발 논의

현재까지 Post-2015 개발의제 논의는 UN을 중심으로 진행 중에 있으며 그 중에서도 지속가능발전목

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를 중심으로 한 개발의제 선정이 가장 유력할 것으

로 전망되고 있다. SDGs는 1992년 ‘리오지구정상회의 (Rio Earth Summit)’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

한 행동방안인 ‘아젠다 21 (Agenda 21)’에 근거한 제안서로 시작되어 20주년만인 2012년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 내용이 담긴 ‘우리가 원하는 미래(The Future We Want)’란 제목의 결과 문서를 채택하여

Post-2015 개발의제로 다루어야 할 원칙과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후 17차에 걸친 지속가능개발목표 공

개작업반 (OWG-SDGs)을 통해 경제ㆍ사회ㆍ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과 관련된 17개 세부목표와 결

Page 2: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 SC4 5 KoFID Post-2015분과Issue BriefIssue Brief [14호] D. 금융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8.10 모두를 위한 은행, 보험 및

2 3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2 3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정내용을 공개하였다.1)

MDGs와 비교하여 SDGs는 다양한 층위와 범주에서 진행되어온 노동, 성평등(젠더), 인권, 장애, 빈곤, 환경, 개발과 관

련된 논의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SDGs는 기존의 MDGs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다양한 경제관련 목

표들과 관련하여 기업과 같은 새로운 주체들의 역할과 책임이 제시되어 있다. 이번 이슈브리프에서는 지금까지 작성된

SDGs 목표 내에서 경제사회 개발을 위한 기업활동과 관련된 목표와 세부내용을 살펴보고 국·내외 국제개발협력 활동

에 참여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업에게 시사하는 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기업과 국제개발협력 혹은 비즈

니스와 국제개발협력의 논의에서는 기업과 비즈니스의 개념을 혼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본 브리프에서는 개념

사용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 비즈니스활동을 하는 주체를 기업이라고 명시하고 기업이 하는 활동을 비즈니스라는 개

념을 사용하는 걸로 통일한다.

2. 새로운 개발 패러다임에서 기업의 역할

1) 기업과 개발협력의 최근 동향

A. 기업의 역할 강조

최근 빈곤 감소를 위한 기업의 역할이 대두되면서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 국제적 자선 기관, 공여국 내 원조기관 역시

글로벌 빈곤 퇴치를 위해 보다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기존의 접근 방법이 단편적이거나 소규

모였다면 전세계의 가장 빈곤한 사람들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진정성 있고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 어떤 방법이 있는

지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기업을 경제성장과 빈곤감소에 기여하는 개발의 핵심 주체로 보는 관점은 아래

World Bank 의 문건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는 개발협력의 개별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성과와 비교하여 규모면에서 다양한 기업들이 사회·경제 개발에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경제개발의 주체로서 기업의 역할 (출처: World bank, 2005)

사기업 (농부, 작은 기업가, 지역 제조 회사 및 다국적 기업)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시설에 투자함으로써 경제 성장

및 번영의 토대를 강화시킨다. 일자리의 90%를 제공하며, 사람들이 재능을 발휘하고 처한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와 더불어 삶의 지속가능성과 개선을 위한 재화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주요한 세금 재원으로써 의료, 교

육 기타 서비스 분야의 공공 펀딩에 기여한다. 따라서 기업은 빈곤 감소와 성장을 위해 탐구 하는 주요 행위자다.

1) UNECLAC (UN Economic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2011) <Issue Brief: Post-2015 개발의제란 무엇인가 -

한국 시민사회의 관점에서(저자: 이성훈)

Page 3: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 SC4 5 KoFID Post-2015분과Issue BriefIssue Brief [14호] D. 금융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8.10 모두를 위한 은행, 보험 및

2 3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2 3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B. 기업의 상업적 성공과 개발의 이익을 동시에 누리는 상생 효과

최근, 기업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은 상업적 성공과 개발 영향을 결합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

델 발굴을 하고 있다. 정부는 기업이 사회 이슈에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독려하고 있으며, 시민사회는 기업과 협력하

여 경제, 사회, 환경적 이익을 전달하려고 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제개발을 수행하는 주체들은 빈곤 퇴치를 위한

기업활용 지식 및 기업과의 연계성을 강화해야만 한다.

C. 개발재원 마련에 기여

2005년 이후부터 시작된 세계적 경기침체와 글로벌 금융위기 그리고 유럽 재정위기 확산 등과 맞물리면서 지속적으

로 증가세를 보였던 공여국의 ODA 역시 다소 주춤한 상황을 보이고 있다. MDGs를 구상하기 시작한 2000년과 현재

의 글로벌 경제 환경이 상당히 변화되면서 공여국이 ODA를 지속적으로 늘리는데 재정적 압박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

이다. 이와 더불어 개도국의 경제성장에 있어 ODA의 한계도 거론되면서 Post-2015 논의 과정에서 기존의 공적개발원조

(ODA) 및 민간자금과 더불어 혁신적 개발재원(Innovating Development Finance)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World Bank (2009)에서는 혁신적 개발재원을 4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① 공공민관파트너십

(PPP), ② 연대형 메커니즘(Solidarity), ③ 촉진형 메커니즘 (Catalytic), ④ 순수민간투자이다. 이 가운데 국·내외로 민

관협력(PPP)의 일환으로 민간 기업과의 협력확대가 강조되고 있으며 다양한 사례들이 제시되고 있다.

2) Post 2015 목표와 기업의 역할

새로운 개발목표로써 SDGs에서는 MDGs에서는 중점을 두지 않았던 경제·사회개발의 기업의 역할 및 책무를 여

러측면에서 강조하고 있다. 이는 불평등 해소 및 빈곤감소는 경제성장과 사회발전의 동시에 추구하는 포괄적 성장

(Inclusive Growth)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즉 MDGs가 극빈층과 소외계층을 충분히 배려하

지 못했다는 인식에서 거버넌스나 고용창출을 위한 포괄적 개발의 필요성을 담으려고 노력 한 것이다.2)

2014년 7월 19일 발표된 제 17차 SDGs 공개 작업반 문건 내 17개 주요 목표와 하위 세부목표 내에는 기업의 역할과 책

임을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을 달성할 수 있는 내용들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빈곤

층에게도 혜택이 돌아가는 포괄적 경제성장과 품위 있는 일자리 창출, 지속가능한 인프라 설립 등이었으며, 그 외 세부

목표를 통해서는 금융서비스 지원 확대, 수출 보조금 지급 철폐 등 국가 내 혹은 국가간의 활동을 통해 지속가능한 개

발을 이룰 수 있는 목표를 제시하였다.

2) Annan, K. A. (2013) The report of the High-Level Panel of Eminent Persons on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

United Nations, New York.

Page 4: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 SC4 5 KoFID Post-2015분과Issue BriefIssue Brief [14호] D. 금융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8.10 모두를 위한 은행, 보험 및

4 5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4 5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B. 품위 있는 일자리 창출 및 증진

목표 8. 모두를 위한 지속적이고, 포괄적이며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 완전하고 생산적인 고용,

품위 있는 일자리 증진

8.5 2030년까지 청년,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여성과 남성을 위한 완전하고 생산적인 고용과 품위 있는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공평한 가치 노동에 따른 공평한 임금을 지급한다.

8.6 2020년까지 고용, 교육 혹은 훈련 상태에 있지 않은 청년 비율을 감소 시킨다.

8.7 최악의 형태의 아동 노동의 금지 및 근절을 보장하고 강제노동 퇴치하기 위한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취하고 2025년까지 채용 및 소년병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아동 노동을 근절한다.

8.8 노동권 보호 및 모든 노동자(이주 노동자, 특히 여성 이주민과 불안정한 고용에 있는 사람들 포함)의 안전하고

보장된 노동 환경을 증진한다.

8.b 2020년까지 청년 고용을 위한 글로벌 전략을 개발 및 운영화하고 ILO Global Job Pact를 실행한다.

9.5 2030년까지 혁신을 장려하고 인구 백 만명당 R&D 종사자 수 및 공공 민간 R&D 지출 증가를 포함하여

모든 국가의, 특히 개발도상국의 과학적 연구 강화, 산업 분야의 기술 역량 업그레이드 한다.

C. 기술 이전 및 혁신에 기여

8.2 고부가가치, 노동집약적 분야 중점을 포함하여 다양화, 기술 업그레이드, 혁신을 통한 높은 수준의

경제 생산성을 이룩한다.

8.3 생산적 활동, 품위 있는 일자리 창출, 기업가정신, 창조와 혁신을 지원하고 재정서비스 접근성을 포함한

마이크로/중소기업 형성 및 성장을 장려하는 개발 지향적 정책을 증진시킨다.

A. 저소득층 빈곤퇴치를 위한 포괄적이고 지속적인 경제성장

목표 1. 모든 곳에서 모든 형태의 빈곤 퇴치

1.1 2030년까지, 현재 하루에 1.25불 미만으로 살아가는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의 극심한 빈곤 퇴치

1.4 2030년까지 모든 남성과 여성, 특히 빈곤층과 취약계층에게 경제적 자원, 기초 공공서비스, 소유권,

토지 및 기타 유형의 자산 관리, 천연 자원, 최신 기술, 소액금융을 포함한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권을

동등하게 보장 한다.

2.3 2030년까지 토지, 생산적 자원 및 기술, 지식, 금융서비스, 시장, 부가가치 및 비농업 부문

고용의 기회 등에 대한 접근을 안정적 이고 동등하게 보장함으로서 농업생산성과 소작농, 특히 여성과

소수민족, 가족농, 축산농가, 어부 등의 소득을 2배로 늘린다.

8.9 2030년까지 직업을 창출하고 지역 문화와 생산품을 창조하는 지속가능한 관광 증진을 위한 정책을

개발하고 시행한다.

9.2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화를 증진하고 2030년까지 국가 상황에 따라 고용 및 GDP의 산업 비중을

상당히 증가, 최빈국의 경우 해당 비중을 2배로 증가 시킨다.

Page 5: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 SC4 5 KoFID Post-2015분과Issue BriefIssue Brief [14호] D. 금융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8.10 모두를 위한 은행, 보험 및

4 5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4 5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D. 금융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8.10 모두를 위한 은행, 보험 및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장려와 확장을 위한 자국내 금융 기관 역량을 강화한다.

9.3 소규모의 산업 및 기타 기업의 금융서비스(지불가능한 신용 및 가치 사슬과 시장으로의 통합을 포함)에 대한

접근성을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확대 한다.

E. 지속가능한 인프라 개발

목표 9. 지속가능한 인프라 수립,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화 및 혁신 촉진

9.1 모두를 위한 지불가능하고 공평한 접근에 초점을 맞추어 경제 개발과 인간의 삶의 질(Well-being)을 지원하는

지역 및 국가 간 인프라를 포함한 품질 높고, 신뢰성 있으며,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인프라를 개발한다.

9.a 아프리카 국가, 최빈개도국(LDCs),후발개발도상국(LLDCs), 소도서국(SIDS)의 강화된 금융, 기술 지원을

통해 개발도상국 내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인프라 개발을 촉진한다.

9.4 각각의 역량에 따라 행동을 취하는 모든 국가들이 증가된 자원 활용 효율성과 깨끗하고 환경적으로 견고한

기술과 산업과정과 함께 2030년까지 그들을 지속가능하기 하는 인프라를 업그레이드하고 산업을 새롭게

발전시킨다.

F. 개발재원 지원

8.a 최빈국을 위한 강화된 통합 프레임워크(enhanced integrated framework)를 포함하여 개발도상국, 특히

최빈국의 무역을 지원하기 위한 원조를 증가시킨다.

10.b ODA 및 외국인직접투자(FDI)를 포함한 기타 재정적 흐름이 가장 필요가 많은 국가 즉 최빈국,

아프리카 국가, 군소도서개발도상국가 및 내륙중계개발도상국가에 지원될 수 있도록 장려하며 수혜국의

계획과 사업에 일치시킨다.

17.3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개발도상국을 위한 추가적인 금융 재원을 마련한다.

G. 초국가적 연대 책임

8.4 소비, 생산에 있어 2030 글로벌 자원 효율성을 통한 진보적인 향상과 선진국이 선두하는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의 10년 프레임워크에 따른 환경 침해로부터의 경제성장을 분리시킨다.

17 이행수단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재활성화한다.

[ 무역 부분 ]

17.12 WTO의 원칙에 따라서 모든 최빈국의 발전을 위해 관세와 할당량이 없는 시장접근을 적시적으로 이행하며

최빈국 원산지와 관련한 특혜가 투명하고 단순하게 적용되므로 시장접근성 촉진에 기여한다.

12.6 대기업 및 다국적기업을 포함한 모든 기업이 지속 가능한 개발 원칙을 적용하고 지속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담아 기업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Page 6: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 SC4 5 KoFID Post-2015분과Issue BriefIssue Brief [14호] D. 금융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8.10 모두를 위한 은행, 보험 및

6 7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6 7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6 7

3) Post-2015 이행과정에서 기업활동 영향의 명확한 구분 필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비즈니스 활동을 하는 기업의 역할 및 책무가 Post-2015 논의 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바, 이

에 대한 역할 수행에 있어 기대효과 및 잠재적인 문제점은 무엇인지 짚어볼 필요가 있다.

위의 SDGs 목표들은 지속가능한 개발에 참여하는 기업의 역할을 경제성장을 위한 산업과 인프라투자부터 인권, 노동,

환경과 관련하여 책임을 지는 주체, 빈곤층을 위한 다양한 시장기반의 접근방식을 활용한 비즈니스 활동까지 다양한

층위가 섞여 있다. IDS Working Paper에 따르면 개발에 참여하는 기업활동을 크게 do more business, do no harm,

do more good 로 분류하였다. 하나의 기업활동은 위의 3가지 분류 중 하나의 목적을 취할 수 있으나 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영향은 위의 것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3)

예를 들어, 세계 여러 나라의 GDP를 기업들의 매출액과 나란히 배치 해 보면, 100위 안에 드는 기업의 수가 무려 37개

이다. 따라서 기업의 매출액이 한 국가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며 개발도상국의 경우 그 영향의 정도가 더

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기업이 개발도상국에 진출하여 비즈니스를 할 경우 이는 해당 국가의 경제성장에 도움을 준다

는 것이 전제이지만 조세회피 등을 통해 이익을 국가 외로 가져간다면 이는 do no harm의 문제가 제기 될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방글라데시의 경제 자유 구역에서 발생한 라나 플라자 참사 역시 개발도상국의 고용창출이라는 허울아래 가치

사슬의 최 정점에 있는 다국적기업들이 비용절감 압력은 전가하면서 책임은 지지 않는 모습을 있는 그대로 드러낸 상

징적인 사건이었다. 방글라데시 참사를 계기로 전 세계의 많은 활동가들이 기업의 무책임한 관행을 고발하고 시정을

요구하는 행동을 취했으며, 이 중 캐리 소머스가 제안한 “패션 레볼루션” 캠페인은 공정무역 진영과 결합하여 소비자

인식 확산 캠페인에 큰 역할을 했다.

그러나 기업이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개발도상국에서의 경제발전을 위해 노력하기 시작한다면, 고용 창출과 투자를

활용하여 해외의 정부 기관들보다 더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기업의 활동이 주

는 영향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은 Post-2015 목표와 관련해서도 중요하다. 다음은 이와 같은 영향을 살펴보는 것의 중

요성을 보여주는 옥스팜(OXFAM)의 빈곤발자국 사례이다.

<사례> 옥스팜(Oxfam)의 빈곤발자국 프로젝트를 통한 기업의 개발 영향 측정

2010년부터 시작된 옥스팜의 ‘빈곤발자국’ 프로젝트는 기업이 가치사슬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평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기업활동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를 평가하고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할 것을 목표로 시작되

었다. 1) 양성평등과 다양성 존중, 2) 지속 가능한 생계, 3) 건강과 웰빙(Well-being), 4) 자력화 (가난한 사람들의

정치적 참여) 5) 안정성 (위기에 대한 대응능력) 다섯 개의 주요 항목을 기준으로 양적, 질적 조사 방법을 통해 한

기업의 빈곤 발자국을 평가하고 개선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데, 기존 시민단체들의 접근방식과 다른 점은 조

사 대상이 되는 기업을 평가 과정과 개선 계획 수립 과정에 참여하도록 한다는 점이다.

3) Humphrey, John, et al. “Understanding and Enhancing the Role of Busines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 Conceptual Framework and Agenda for Research.” (2014)

Page 7: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 SC4 5 KoFID Post-2015분과Issue BriefIssue Brief [14호] D. 금융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8.10 모두를 위한 은행, 보험 및

6 7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6 7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6 7

기업, 생산자, 소비자가 서로 동등한 주체로 지속 가능한 생산과 소비의 모델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기

업은 커진 영향력만큼 그를 둘러싼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노동자들의 조

합이나 생산자 단체를 비롯한 가치 사슬 내 다른 파트너들의 성장이 기업 스스로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에도 중요한 요

소라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3. 맺음말

Post-2015 개발의제 논의 내용에서 경제·사회개발을 동시에 강조함으로써 포괄적 경제성장 및 이를 위한 거시경제정책

문제, 고용이슈를 목표로 다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무역, 투자, 역량 및 기술개발과 관련하여 비즈니스 섹

터의 중요성이 증대되었으며 이에 비즈니스의 주요 행위자인 기업이 개발주체로써 긍정적인 역할과 동시에 활동에 대한

책무성도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비즈니스와 개발과의 관계와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Post-2015에서 기업의 역할

을 어떻게 구체화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아직도 멀리 있는 상태이다.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듯이 기업의 활동은 양면

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정책형성 및 사업수행을 실시하는 모든 주체들이 기업과 함께함에 따라 개발 효과성을 증대

하기 위해서는 본 브리프에서 제시한 다양한 이슈들을 짚고 제안들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고려해 나

가야 할 것이다.

‘빈곤발자국’ 프로젝트에 참여한 기업 중 모범 사례로서 유니레버를 들 수 있는데, 유니레버는 옥스팜의 네덜란드

파트너인 옥스팜 노빕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인도네시아의 빈곤문제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회사와 관련된 거시지

표의 분석, 원료 생산자, 공급사, 피고용인, 외주계약사, 소매상, 소비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한 질적 조사 등을 거쳐

수집한 자료들을 놓고 토론을 통해 기업이 한 국가의 빈곤퇴치와 발전전략에 기여할 수 있는 로드맵을 그릴 수 있

도록 했다.

흥미로운 점은, 유니레버 인도네시아와 옥스팜 노빕의 보고서가 발간된 같은 해에, 인도의 차 산업 붕괴와 차 생산

소농의 위기를 다룬 액션 에이드(Action Aid)의 보고서에서 인도의 차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힌두스탄 레버의 시장

지배력을 위기의 중요 원인 중 하나로 진단하고 있다는 점인데, 위기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에 큰 역할을 한 것은 트

레이드크래프트(Tradecraft)의 ‘홍차 농민을 위한 지속 가능한 생계 구축사업’이었다. 이 사업의 중요한 목표 세

가지는 농민들의 조직화와 이에 바탕한 협상력 강화 및 품질 관리능력 강화였다. 각 마을 단위 농민조합, 농민회를

조직하고, 다시 이 조직들을 주 단위 농민조합 연맹, 전국 차 생산자 연맹 등으로 조직화 하여, 차 생산 소농들의 목

소리가 국가의 정책 결정 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고, 농민들의 조직은 구매자들에 대한 협상력과 정책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화하여 차 수매가격의 폭락 사태를 진정시키고 차 산업을 안정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Page 8: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 SC4 5 KoFID Post-2015분과Issue BriefIssue Brief [14호] D. 금융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8.10 모두를 위한 은행, 보험 및

8

KoFID Post-2015분과 Issue Brief [14호]

참고문헌

● 공여기관의 시각에서 본 분야별 Post-2015 개발목표 (Post-MDGs) 2013.10 / ODA연구팀 : 임소진 편저.

● 효과적인 공공-민간 파트너십 사업 모델 연구 2011.8 /한국국제협력단 민관협력실;곽재성;김상태;김영기;김용빈.

● 경실련_Post 2015의제와 한국사회 토론회 자료집 (2013)

● Annan, K. A. (2013) The report of the High-Level Panel of Eminent Persons on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 United Nations, New York.

● KCOC, KoFID, GCAP 공동 발간 <Issue Brief: Post-2015 개발의제란 무엇인가 - 한국 시민사회의 관점에서

(저자: 이성훈)

● Oxfam (2009) Oxfam Poverty Footprint: Understanding Business Contribution to Development.

Briefings for Business No. 4.

● Proposal of the Open Working Group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SD2015 Position Paper_Business & Industry

● UN OWG-SDGs Proposal - 17 Goals and 169 Targets (July 2014)

● UNECLAC (UN Economic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2011).

● Hulme, D. (2007). The Making of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Human Development Meets

Results-Based Management in and Imperfect World. BWPI Working Paper 16. Manchester, BWPI

● Humphrey, John, et al. “Understanding and Enhancing the Role of Busines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 Conceptual Framework and Agenda for Research.” (2014)

● Rio+20: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Proposal by the Government of

● Colombia for Consideration by the Participating Countries. LC/L.3366.

● World Bank (2005) World Development Report 2005: A Better Investment Climate for Everyone, Washington,

DC: World Bank, http://wdronline.worldbank.org/worldbank/a/c.html/world_development_report_2005/

abstract/WB.0-8213-5682-8.abstract (last accessed March 2014)

KoFID 소개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KoFID: Korea Civil Society Forum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은 대외원조와 개발협력

의 효과성 증진을 위하여 2010년 9월 29일 출범한 한국의 시민사회단체 네트워크입니다. 한국 시민사회의 역량 강화를 통하여 한국 정부의

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정책을 감시하고 보편적 가치에 기반한 원조와 개발 정책을 제안하는 일을 하고 있

습니다.

KoFID Post-2015 분과 소개

Post-2015 분과는 Post-2015 개발의제의 전체적인 논의 및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시민사회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관점을 기

르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정책 제안 활동을 하고자 합니다. 국내외에서 일어나는 Post-2015 논의 및 형성 과정을 학습하고 참여한 분과원들

이 단체 내에서 확산하는 역할을 하도록 이끌며 Post-2015에 대한 한국 시민사회의 공통적인 입장을 바탕으로 정책 자료를 발간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자 합니다.

※ 이 이슈브리프는 한국국제협력단 (KOICA) 의 후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