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
언어의 역사 - Language in History -

Language in History · 2017. 1. 17. · ‘foot’ padam pes, ped-is poús, pod-ós ‘great’ maha mégas ‘widow’ viduva vidua Sanskrit Latin I am as-mi s-um you are as-i es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언어의 역사

    - Language in History -

  • 언어의 역사

    언어와 인간 남승호 교수

    INDEX 01 언어 변화의 규칙성 Regularity of Language Change

    02 세계 언어의 분류 Classification of the world’s languages

    03 절멸 위기의 언어들: 언어 생태학 Endangered Languages: Linguistic Ecology

  • 1. 언어 변화의 규칙성

    Regularity of Language Change

  • “나라의 말이 중국과 서로 달라 한자(중국의 문자)로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니,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자기 뜻을 능히 표현하지 못할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위하여 가엾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각 사람으로 하여금 쉽게 익혀서 날마다 쓰기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훈민정음(訓民正音, 1446) 서문

  • 14C 말 Geoffrey Chaucer, The Canterbury Tales

    • Whan that Aprille with this shoures soote [명사+ 형용사]

    ‘When that April with its showers sweet

    The droght of March hath perced to the roote … [목적어+동사]

    ‘has pierced the drought of March to the root …

    16C 말 William Shakespeare, A Midsummer Night’s Dream

    • I love thee not, therefore pursue me not.

    ‘I do not love you, therefore do not pursue me.’

    영어의 어순 변화

  • Language change • 어휘 변화 lexical change:

    의미 변화, 신조어 word coinage, 외래어 loan words, 어휘 소실

    • 통사론적 변화 Syntactic change: 어순 word order

    • 형태론적 변화 Morphological change:

    명사 격변화 case paradigm, 접사/어미 변화 affixes

    • 음운론적 변화 Phonological change: 자음과 모음 체계의 변화 consonant/vowel system

    언어 변화 유형

  • 생성의 편의성 ease of articulation/generation

    • 발음과 단어/문장 구조 생성을 더 쉽고 편리하게 하려는 경향

    • 유사한 말소리들이 점차 구별되지 않고 동화된다. (assimilation)

    • 비체계적인 구조가 체계적인 구조로 변화한다.

    • 유추적 변화 analogic change: 불규칙형을 규칙화/일반화

    이해의 편의성 ease of perception/understanding

    • 청각 정보나 문장 구조 처리를 편리하게 하려는 경향

    • 유사한 말소리들을 잘 구분해서 들을 수 있도록 차이를 더해 준다(dissimilation).

    • 문장의 구조가 중의적으로 분석되지 않도록 한다. (영어 명사의 격변화가 소멸되면서 어순이 고정되었다.)*

    언어 변화의 원인

  • 고대 영어 명사 격변화 형태론

    고대영어에서는 명사의 격변화와 함께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을 선호

    현대영어로 오면서 명사의 격변화가 거의 소멸되며, [주어-동사-목적어]의 어순도 고정되었다. 즉, 주어와 목적어를 격변화 형태에 따라 구분하지 않고, 어순에 따라 구분하게 되었다.

    영어의 형태론과 통사론 변화

    Case 고대영어 단수 고대영어 복수

    주격 nominative stān ‘stone’ stānas ‘stones’

    소유격 genitive stānes ‘stone's’ Stāna ‘stones’ ’

    여격 dative stāne ‘stone’ stānum ‘stones’

    목적격 accusative stān ‘stone’ stānas ‘stones’

  • 고대-중세, 현대 영어

    • OldE: Inwæres broϸur ond Healfdenes

    Inwær’s brother and Healfden’s ‘Inwær’s and Healfden’s brother’ (현대 영어)

    • MidE: The wife’s tale of Bath (The Canterbury Tales) ‘The Wife of Bath’s tale’ (현대 영어)

    • ModE: The Wife of Bath’s tale The King of England’s cousin The man whose sister I’m dating’s roommate

    • 소유격이 피수식 명사 앞에서만 허용되기 시작하면서,

    [소유주’s + 피소유물]의 어순이 고정되었다.

    영어 소유격 명사의 어순 변화

  • 현대 브라질-포르투갈어(MBP)

    19C 중엽까지

    • 동사의 주어 일치(인칭, 수) 패러다임이 유지되었고, 당시 문헌에서 80%의 문장에서 주어대명사가 생략되었다.

    20C 말 • 동사의 패러다임이 간소화 되었고 (1인칭 단수: -o, 이외는 모두 –a) • 주어 대명사를 생략하는 경우가 20%로 줄어들었다. • 다른 로만스 언어들은 동사 패러다임이 유지되었고,

    현대에도 주어 생략이 자유롭다.

    동사의 형태 변화와 주어 생략

    MBP English MBP English

    cozinh-o ‘I cook.’ cozinh-amos ‘We cook.’

    cozinh-as ‘You cook.’ cozinh-am ‘They/you(pl) cook.’

    cozinh-a ‘He/She cooks.’

  • • 1350-1600년의 모음 변화 (O. Jespersen 1922-1942)

    • 모음이 연쇄적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변화함

    • 모음 목록의 체계성을 유지하려는 경향

    영어의 “대 모음추이” Great Vowel Shift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 현재

    drive i: ei ɛi ʌi ai

    house u: ou ɔu ʌu au

    feet e: i:

    fool o: u:

    beat ɛ: e: i:

    foal ɔ: o: ǝu

    take a: æ: ɛ: e: ei

    sail ai æi ɛi e: ei

    i: u:

    ei ← ↑ ↑ → ou

    e: o:

    ↑ ai au ↑

    ɛ: ɔ:

    a:

  • 현대 한국어의 모음 목록 변화

    • 모음 목록의 체계성을 유지하려는 경향

    • 남한: 8모음 7모음(1) 6모음(1)

    • 북한: 8모음 7모음(2) 6모음(2)

    • 대칭적 체계를 지향함

    한국어 모음 체계 변화

    8 모음 체계

    이 으/우

    에 어/오

    애 아

    7 모음 체계(1)

    이 우

    에 어/오

    애 아

    6 모음 체계(1)

    이 우

    에 오

    애 아

    대칭

    7 모음 체계(2)

    이 으/우

    애 어/오

    6 모음 체계(2)

    이 으 우

    에 아 오

    대칭

  •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 계통적으로 유관한 언어들을 비교하여 이들의 친족관계를 밝히고,

    • 공통 조어(proto-language)를 재구(reconstruction)하여, 각 언어의 변화 과정을 기술한다.

    19C 역사비교언어학의 등장

    • 18C 말 산스크리트어의 등장(윌리엄 존스 경 Sir William Jones)

    • 산스크리트어와 유럽 제어의 비교 연구

    • 음운 대응의 규칙성 발견 (regularity of sound change)

    • 그림(J. Grimm), 페르너(K. Verner), 그래스만(H. Grassmann)의 법칙 등

    역사비교언어학

  • Sanskrit와 유럽제어의 음운/형태소 대응 주목

    • ‘인도-유럽 언어들이 한 공통조어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주장

    Cœurdoux의 비교 연구 (1767)

    Sanskrit Latin Greek

    ‘god’ devah deus theós

    ‘foot’ padam pes, ped-is poús, pod-ós

    ‘great’ maha mégas

    ‘widow’ viduva vidua

    Sanskrit Latin

    I am as-mi s-um

    you are as-i es

    he is as-ti es-t

    we are s-mas s-umus

    you are s-tha es-tis

    they are s-anti s-unt

  • • “산스크리트어는 경이로운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스어보다 완벽하고 라틴어보다

    풍부하며, 또한 두 언어보다 더 정교하다. 그런데 산스크리트어는 두 언어와 매우

    유사하다: 동사의 어근이 유사하며, 문법의 형식이 유사하다. 이들은 우연이라고

    할 수 없을 만큼 유사하여, 이 세 언어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이들이 동일한 기원에

    서 발생한 언어라고 믿을 수밖에 없다. … 고트어와 켈트어가 산스크리트어와 같은

    기원을 갖는 것으로 보이고, 아마도 고대 페르시아어도 같은 어족에 들어간다고 할

    만하다. …”

    [재인용: Vasunia, Phiroze (2013: 17). The Classics and Colonial India. OUP. p. 17.]

    Sir William Jones 발표 (1786)

  • Germanic languages

    - J. Grimm’s Law: 자음 대응의 법칙

    게르만 제어의 자음 대응

    PIE(초기인구어): bh dh gh b d g p t k

    ↓ ↓ ↓ ↓ ↓ ↓ ↓ ↓ ↓

    후기 게르만어: b d g p t k f θ x(h)

    PIE(초기인구어) Sanskrit Latin English

    *p p p f

    pitar- pater father pad- ped- foot

    piscus fish paśu pecu fee

  • Germanic languages: 복합 모음의 대응 규칙

    게르만 제어의 모음 대응

    English Dutch German Danish Swedish

    [aw] [øy] [aw] [u:Ɂ] [u:]

    house haws høys haws hu:Ɂs hu:s

    mouse maws møys maws mu:Ɂs mu:s

    louse laws løys laws lu:Ɂs lu:s

    out awt øyt aws u:Ɂð u:t

    brown brawn brøyn brawn bru:Ɂn bru:n

  • Romance languages

    • 라틴어에서 기원한 언어들로서 라틴어에서 변화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음 (라틴어 = 로만스 언어들의 공통 조어)

    • 자음 대응의 규칙성

    로만스 제어의 자음 대응

    French Italian Spanish Portuguese English

    [ʃ] [k] [k] [k]

    cher caro caro caro ‘dear’

    champ campo campo campo ‘field’

    chandelle candela candela candeia ‘candle’

  • Language change

    • Lexical change

    • Syntactic change: word order

    • Morphological change: case paradigm, affixes

    • Phonological change: consonants/vowel system

    • Its causes: ease of generation/understanding

    Interaction between morphology and syntax

    • Declension/Inflection paradigm and word order change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 Sanskrit & Indo-European comparative linguistics • Regularity in sound change (Grimm’s Law, Great Vowel Shift)

    summary

  • 2. 세계 언어의 분류

    Classification of the world’s Language

  • (1) 계통적 분류 genetic classification

    • 언어의 발생적 친근성에 따라 분류함

    • 같은 공통조어에서 분화한 언어들을 한 유형으로 분류함

    • 유사한 문법적, 어휘적, 음운적 특징을 공유함

    • 계통 수형도로 나타낼 수 있음

    (2) 문법적 분류 grammatical classification

    • 언어유형론 linguistic typology

    • 특정 문법적 특징(형태, 통사, 음운, 어휘 구조)에 따른 분류

    언어의 분류 방법

  • Indo-European 인구 어족

    • 인도이란 어파 (청색) Hindi-Urdu, Bengali, Punjabi, Marathi, Gujarati, Bhojpuri, Awadhi, Sindhi, etc.

    • 게르만 어파 (적색) English, German, Dutch, Swedish, Danish, Afrikaans, Icelandic, etc.

    • 그리스 어파 (황색) Greek, Armenian, Albanian, etc.

    • 로만스 어파 (갈색) French, Spanish, Italian, Romanian, Portuguese, Catalan, etc.

    • 발트-슬라브 어파 (녹색) Russian, Polish, Czech, Bulgarian, Serbo-Croatian, Latvian, Lithuanian, etc.

    • 켈트 어파 (오렌지색: 영국 북부, 중서부, 아일랜드) Welsh, Irish, Breton, Scottish Gaelic, Cornish, Manx, etc.

    계통적 분류(1)

    출처 : #1

  • Afro-Asiatic 아프로아시아 어족 (진한 갈색)

    • 북부아프리카, 중동 지역 (Hamito-Semitic LF)

    • 3억 5천만 인구

    • Arabic, Tamazight, Hausa, Hebrew, etc.

    Niger-Congo 니제르-콩고 어족 (갈색)

    •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 4억 인구

    • Swahili, Zulu, Xhosa, Yorba, Bambara, etc.

    Nilo-Saharan 나일-사하라 어족 (황색)

    • 차리강과 나일강 상류 지역, 5-6천만 인구

    • Luo, Kanuri, Songhay, Teso, Nubian, Masai, Ngambay, etc.

    Khoi-San 코이산 어족 (연한 갈색)

    • 아프리카 남부, 다양한 클릭음

    • Khoekhoe, Sandawe, Hadza, Kwadi, Khoe, !Xoon, etc.

    계통적 분류(2)

    출처 : #2

  • Altaic languages

    • 튀르크 어파 Turkic (청색) Turkish, Kazakh, Kyrgyz, Uzbek, Azerbaijani,

    Turkmen, Uyghur, Chuvash, Chylym, etc.

    • 몽골 어파 Mongolic (녹색) Mongolian, Buryat, Daur, Oirat, Monguor, Santa, Ordos, etc.

    • 만주-퉁구스 어파 Manchu-Tungushic (적색) Ewen, Ewenki, Oroqen, Solon, Negidal, Oroch, Manchu, Nanai, etc.

    • 만일 “알타이 어족”을 가정한다면, 한국어와 일본어가 알타이 어족에 속한다 할 수 있다.

    계통적 분류(3)

    출처 : #3

  • Sino-Tibetan 중국-티베트어족 • Chinese (Madarin, Cantonese, etc.), Thai, Tibetan, Jingpho, Burmese,

    Garo, 400 여 개 언어, 약 14억 인구

    Austronesian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마가가스카르, 태평양 도서, 연안 지역, 3억 9천만 인구 • Malay, Indonesian, Tagalog, Malagasy, Fiji, Samoan, Hawaiian, etc.

    Trans-New Guinea 파푸아 제어 • 뉴기니아와 주변 도서 지역, 약 8백만 인구, 840여 개 언어 • Melpa, Enga, Western Dani, Ekari, Maksai, etc.

    Uralic 우랄어족 • 우랄 산맥 인근과 스칸디나비아반도 지역, 2천 5백만 인구, 38개 언어 • Hungarian, Finnish, Estonian, Mari, Mordvin, Saami, Samoyed, etc.

    계통적 분류(4) 기타 지역

  • 문법적 유형론 grammatical typology

    • 다양한 문법적 특징에 따라 분류함

    • 문장의 형태-통사 구조

    - 고립어, 교착어, 융합어, 포합어

    - 어순: 핵-선행/핵-후행 언어

    - 정관사/부정관사 유무

    - 명사 성-수-격변화 패러다임

    - 동사 시제-상-양태 패러다임

    • 어휘 구조: 색채어 구성, 신체부위 명사 구성, 대명사/지시사 구성 등

    • 음운 구조: 음운 목록(자음/모음 체계), (비)성조 언어, 음절 구조

    언어의 문법적 분류

  • 고립어 isolating (analytic) languages

    • 단어가 형태변화를 하지 않는 언어

    • Vietnamese, Chinese, etc.

    • 명사의 성-수-격에 따른 형태 변화 없음

    • 동사의 주어/목적어 일치 형태 변화 없음

    • 중국어/베트남어:

    我愛你 (I love you.) 你愛我 (You love me.)

    John yêu tôi (John loves/loved me.) Tôi yêu John (I love/loved John.)

    문법적 유형론(1.1)

  • 교착어 agglutinating (synthetic) languages

    • 단어가 어근과 접사들로 형성된다.

    • 접사는 고유한 의미를 지닌 형태소로 분석될 수 있다.

    • Korean, Japanese, Turkish, Hungarian, Swahili, etc.

    • 동사의 접사들이 각각 주어(인칭/수) 일치, 시제, 양태 등을 나타낸다.

    • 한국어: 기쁘-시-었-겠-습니-다 ‘happy-Hon-Past-Conj-Formal-Decl’

    • 스와힐리어: Ni-na-fika ‘I-Present-arrive’ Ni-ta-fika ‘I-Fut-arrive’ Wa-li-fika ‘You-Past-arrive’

    문법적 유형론(1.2)

  • 융합어 Fusional (synthetic) languages

    • 단어가 어근과 접사들로 형성된다.

    • 접사는 복합기능을 가진 형태소로 분석될 수 있다.

    • English, Latin, Russian, etc.

    • 동사의 접사 하나가 여러 기능(인칭-성-수-시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 명사의 접사 하나가 여러 기능(성-수-격)을 나타낼 수 있다.

    • 영어: John loves Susan. [love-s: 3rd person, Singular, Present]

    • 스페인어: habl-o (I speak.), habl-an (They speak.), habl-é (I spoke.)

    • 러시아어: dom-u (house-단수+여격), dom-ami (house-복수+기구격)

    문법적 유형론(1.3)

  • 포합어 polysynthetic languages

    • 여러 어근과 접사들이 한 단어로 결합하여 한 문장 기능을 가질 수 있다.

    • 북미/호주의 토착언어, 알래스카/에스키모 언어, etc.

    • 아이누어 Ainu

    Kavfi-lior-ninar-umagaluar-punga

    coffee-make-will-enjoy-1st.sg

    ‘I will enjoy making coffee.’

    • 서부 그린랜드어 West Greenlandic

    anigu-ga-ssa-a-junna-a-ngajal-luinnar-simassa-galuar-put

    avoid-pass-part-fut-be-no.longer-almost-really-must-however-3Pl.Decl

    ‘They must really almost have become unavoidable but …’

    문법적 유형론(1.4)

  • VP의 어순 유형:

    [동사V와 목적어]

    PP의 어순 유형:

    [전치사/조사P와 명사]

    NP의 어순 유형:

    [명사N와 관계절R]

    문법적 유형론(2): 핵-선행, 핵-후행 언어

    HEAD/핵-선행 HEAD/핵-후행 영어, 중국어 한국어, 터키어

    V-O vs. O-V

    P-N vs. N-P

    N-R vs. R-N

  • Language typology

    Genetic classification • Indo-European • Afro-Asiatic, Niger-Congo, Nilo-Saharan, Khoi-San • Altaic languages • Sino-Tibetan • Austronesian • Trans-New Guinea • Uralic

    Grammatical classification

    • Isolating, Agglutinating, Fusional, Polysynthetic • Head-initial, Head-final

    summary

  • #1 : Indo-European 어족 분포 지도, https://en.wikipedia.org/

    #2 : 아프리카대륙 언어 분포 지도, https://en.wikipedia.org/

    #3 : Altaic languages 언어 분포 지도, https://en.wikipedia.org/

    저작권 출처

  • 3. 절멸 위기의 언어들: 언어 생태학

    Endangered Languages: Linguistic Ecology

  • endangered language

    • 가까운 미래에 사멸될 수 있는 언어

    • 많은 언어들이 지금도 사멸되고 해당 지역에서 통용되는 다른 언어로 대치된다. 시간이 갈수록 더 빠른 속도로 언어 절멸이 진행된다.

    • 북미지역에서 영어가, 그리고 중남미 지역에서 스페인어가 최근 수 세기에 걸쳐 그 지역의 토착 언어들을 대체하였다.

    • 현재의 추세가 지속되면, 이 지역의 토착언어들 가운데 금세기 말에는 90%가 사라질 위기에 처한 ‘절멸위기의 언어들’이다.

    • 현재 많은 언어들이 차세대로 전수되지 못하고 있어서, 현 세대의 모어화자들과 함께 사라질 운명에 처해 있다.

    절멸 위기의 언어

  • UNESCO 생물 다양성 협약 (1993)

    • 전 인류적으로 생물 다양성의 가치를 인식하고 다양성을 보전하고 지속성을 유지하고, 이용하기 위한 협약

    UNESCO 세계 문화 다양성 선언 (2001)

    • “언어를 포함한 문화 다양성이 인류에게 필요하며 …

    • 문화 다양성은 인류 공동의 유산이며 현재와 미래 세대를 위한 혜택으로서 인식되고 확인되어야 한다.”

    현재의 언어 다양성 문제

    • 근-현대의 언어 절멸 현상 : 17-20세기의 제국주의 식민지화, 20세기 이후 현대화, 세계화

    • 현대 세계 언어의 다변화 현상 : 새로운 언어 변이형의 탄생 – 크레올, 다양한 사회 방언, 중간언어, 수어 등

    생물 다양성과 문화 다양성

  • 희랍어 Greek, 라틴어 Latin

    • 이들은 절멸 위기를 거쳐 사라진 것이 아니다.

    • 이 언어들은 역사적으로 서서히 변화하여, 각각 현대 희랍어나

    현대 이태리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루마니아어 등으로 변화된 것이다.

    • 중세 Chaucer 시대의 영어가 현대 영어로 변화하였고,

    • 고대 삼국 시대의 신라어나 백제어가 절멸된 것이 아니라

    이들이 현재의 한국어로 변화한 것이다.

    변화와 절멸 change and extinction

  • Tasmainian과 Palawa languages의 절멸

    • 호주 동남부 Tasmainia 섬에 살던 태스매니아인들(Tasmainian: Palawa 족)이 19세기 초 유럽인들의 유입이 늘어나고, 1820년대의 원주민 집단학살 genocide로 인해 이 섬들의 많은 언어들이 사멸됨

    • 1905년 최후의 태스메이니아어 화자가 사망하면서 이 언어들이 절멸됨

    • 이후 Palawa족은 영어를 사용함 (현재 26,000 여명)

    20세기 말 부활 운동

    • Palawa Kani Project

    • 구전되어 온 단어 표현들을 중심으로

    • 현재 산 이름이나 마을 이름 등 지명 재생

    Tasmainian의 절멸과 부활 운동

    출처 : #1

  • Greenland (territory of Denmark) • Kalaallisut어가 Danish와의 경쟁에서 밀려남

    북남미의 Native American languages • 모든 공공 영역에서 영어/스페인어가 배타적으로 쓰임 • 최근 1960대까지도 북미 학교에서 토착언어 사용이 금지됨

    Turkey의 Kurdish • 출판과 교육의 권리 제한

    Alaska의 토착언어들 • Yupic어는 20년 전에도 모든 아이들이 습득하고 사용하였지만,

    현재는 20대 이상에서만 남아 있음

    Scotland의 Scots Gaelic • 1940년대까지 Cape Breton Island의 주요 언어였으나,

    1970년대 이후에는 세대 간 전수가 단절됨

    상층어와 하층어의 경쟁

  • 언어 생태계의 양극화

    • 100만 명 이상의 모어 화자 언어: 398개(세계인구의 94.2% 이상)

    • 1,000명 미만(1,070개), 100명 미만(337개), 10명 미만(132개)*

    절멸위기의 언어: 통계

    지역 현재 사용 언어 사용 인구 숫자 비율(%) 인구수 비율(%) 평균/1언어

    Africa 2,139 30.1 847,791,487 13 396,349

    Americas 1,062 15 49,090,069 0.8 46,224

    Asia 2,296 32.4 3,929,931,706 60.4 1,711,643

    Europe 287 4 1,672,591,291 25.7 5,827,844

    Pacific 1,313 18.5 6,854,607 0.1 5,221

    Totals 7,097 100 6,506,259,160 100 916,762

    파푸아 뉴기니아, 호주, 아메리카 지역

    • 소수민족 언어 90% 정도는 현재 세대에 절멸될 위기

    • 유럽의 절멸위기 언어들: Irish, Frisians, Provençal (Occitan), Basque, etc.

  • 최근 조사된 194개 언어 가운데,*

    • 33개만을 성인과 아동 세대가 사용 [“안전” 그룹]

    • 34개는 성인 세대와 소수의 아동 세대가 사용

    • 73개는 50세 이상의 성인 세대만이 사용

    • 49개는 70대 이상의 극소수 화자만 남음

    • 5개는 이미 사멸된 것으로 추정

    사회적 상황

    • 청소년 층이 영어 사용을 강요 받는 사회 구조

    • 직장과 공동체에서의 사회 활동이 상층언어 중심으로 이루어짐

    • 소수 민족의 전통 문화 계발을 저해하는 사회문화적 요소들

    북아메리카 지역의 언어 생태

  • 55개의 소수민족과 한족

    • 한족(漢族) 92%, 22개 민족이 10만 명 미만

    • 회족(回族)과 만주족의 언어 소멸

    •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소수민족 언어의 급격한 쇠퇴

    • 만주어, 푸위 키르기스어: 현재 극소수(10명 미만) 노년층 구사

    • 허저어: 2000년(모어 화자 약 400명 – 전체인구의 10% 노년층)

    만주어 Manchu

    • 중국의 마지막 왕조 청(淸, 1644-1912)의 지배 민족 언어

    • 절대 다수의 한(漢) 족 문화와 언어에 흡수됨

    • 현재 만주족(10,700,000여 명) 가운데 극소수가 구사함

    • 원래의 만주 지역에서는 사멸되었으나, 17C 중엽 동북 변방(헤이룽장성 푸위현)으로 파견된 만주족 군사의 후예들이 전수

    •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공교육에서 사라지고 쇠퇴

    중국의 언어 생태

  • ‘알타이 언어’ Altaic languages: 55개(~65개) 언어

    • 튀르크 어파(34개 언어), 몽골 어파(10개), 만주퉁구스 어파(11개)

    • 유럽 동부, 중앙아시아, 중국 서북부-동북부, 몽골, 시베리아

    • ‘알타이어족’ 설(說)의 근거에 문제제기

    절멸 위기의 알타이 언어

    • 튀르크 어파: Fuyu Kirgiz, Chulym Turkic, Tofa, Shor, Khakas, etc.

    • 몽골 어파: Oirat (Fuyu), Dagur (Sinkiang), etc.

    • 만주퉁구스 어파: Ewen, Solon, Ewenki, Manchu, Orochi, Nanai, Sibe, etc.

    절멸 위기의 알타이 언어들

  • 언어의 절멸은 그 언어 공동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 언어는 사회 문화적 기초: 문화, 지식, 종교, 정치, 교육 등 (신화, 의식, 정보, 감정, 문학, 수사, 일상대화, 농담, 전문용어 등)

    • 언어의 절멸은 사회문화적 정체성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 최근 북미 서부의 Chumash, 영국 Man 섬의 Manx 등이 사멸하고 있지만,

    해당 민족의 정체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 세계 언어의 수가 줄어들수록 언어 연구에 제한을 받고, 인간 이해의 폭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언어의 탄생과 사회 변화

    • 언어 공동체의 역사와 함께 언어가 사라지기도 하고 또한 새로 탄생하기도 한다.

    • Creoles, Sign languages, Language Split (Latin Romance Lgs), etc.

    언어의 절멸과 공동체

  • 언어보존과 부활의 노력 (preservation and revitalization)

    현대 히브리어 Modern Hebrew

    • 수 세기 동안 사적 영역에서 전수되던 문어체 고대 히브리어가 이스라엘 국가 재건과 더불어 모어(mother tongue)로 부활됨

    아일랜드어 Irish

    • 영어 사용인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정책적으로 아일랜드의 국가어로 인정되고 교육되고 있음

    초-중등 학교 교육, 보존 정책

    • 마오리어 Maori (New Zealand), Alaska, Hawaii

    • 언어보존 전문가 양성 (California)

    • 사전, 문법 기술 프로젝트 (UNESCO, 여러 국가기관과 대학 등)

    절멸위기의 언어 보존과 부활

  • UNESCO: Endangered Language Project (1993)

    일본 동경대: 국제 절멸위기 언어 정보센터 (1995)

    미국 절멸 위기 언어 기금 (1995)

    영국 절멸 위기 언어 재단 (1995)

    한국 서울대학교 & 한국알타이학회

    • REAL Project (Researches on the Endangered Altaic Languages)

    • 한국어 계통 구명을 위한 알타이제어 현지 조사 연구 및 음성영상 구축

    • 한국어와 역사적으로 깊은 연관이 있으며, 절멸 위기에 처한 알타이 언어들을 기록하고 보존하기 위한 현지 조사와 분석

    (연구 책임자: 김주원 교수-서울대학교 언어학과)*

    절멸 위기 언어 프로젝트

  • Endangered languages

    • Definition and statistics

    Linguistic diversity

    • Biological, cultural diversity

    Language change vs language extinction

    Competition between higher form and lower form

    Language ecology

    • In North America, China, Altaic languages

    • Language Preservation and Revitalization

    summary

  • #1 : 타스매이니아 섬(Tasmainia) 지도, https://en.wikipedia.org/

    저작권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