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
BROOKLYN MUSEUM OF ART / Brooklyn Museum of Art, New York, USA / Bridgeman Images MARY STEVENSON CASSATT (1844–1926), Mother and Child (oil on canvas, 1900)

MARY STEVENSON CASSATT (1844–1926), Mother and Child (oil … · 2019. 2. 7. · MARY STEVENSON CASSATT (1844–1926), Mother and Child (oil on canvas, 1900) 181 CHAPTER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BR

    OO

    KLY

    N M

    US

    EU

    M O

    F A

    RT

    / B

    roo

    klyn M

    use

    um

    of

    Art

    , New

    Yo

    rk, U

    SA

    / B

    rid

    gem

    an Im

    ages

    MARY STEVENSON CASSATT (1844–1926), Mother and Child (oil on canvas, 1900)

  • 181

    C H A P T E R

    지각시각

    글상자 5.1:자세히 살펴보기 영아의 얼굴 지각

    청지각

    글상자 5.2:자세히 살펴보기 그림 지각

    미각과 후각

    촉각

    양태 간 지각

    운동발달반사

    운동 이정표

    운동발달의 현대적 관점

    글상자 5.3:자세히 살펴보기 ‘반사 실종 사건’

    확장된 영아의 세계

    글상자 5.4:자세히 살펴보기 “비키세요, 내려갑니다.”

    학습습관화

    지각 학습

    통계적 학습

    고전적 조건형성

    도구적 조건형성

    관찰학습/모방

    합리적 학습

    적극적 학습

    인지대상 지식

    물리적 지식

    사회적 지식

    예측

    요약

    영아기의 보기, 생각하기와 행동하기

    5

  • 이 장의 주제

    ■ 천성과 육성

    ■ 능동적인 아동

    ■ 연속성/비연속성

    ■ 변화의 기제

    ■ 사회문화적 맥락

    ■ 개인차

    ■ 연구와 아동복지

    182 ■ 제5장 영아기의 보기, 생각하기와 행동하기

    부엌 싱크대 위 아기의자에 앉아서 4개월 된 벤저민은 부모가 저녁 먹은 그릇들을 닦고 있는 것을 보고 있다. 그는 사람이 들어 올리거나 조작할 때만 움직이는 크기와 모양이 다른 다양한 잔들과 세라믹과 메탈로 만든 사물들뿐 아니라 스스로 움직이는 두 사람을 관찰한다. 이 장면의 다

    른 요소들은 결코 움직이지 않는다. 사람들이 과제를 할 때 그들의 입술에서 독특한 소리들이 나오

    지만 그들이 식기와 냄비와 잔과 스펀지를 부엌 싱크대 위에 놓을 때는 다른 소리들이 난다. 아버지

    가 잔을 냄비 뒤에 놓을 때 벤저민은 한때 컵이 시야에서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본다. 그 컵은 잠시

    뒤에 냄비를 치우면 다시 나타난다. 그는 또한 사물들이 거품을 통해 물속으로 사라지는 것을 보지

    만 한 번도 한 사물이 다른 사물을 뚫고 지나가는 것을 본 적은 없다. 벤저민의 아버지가 크리스털

    잔의 반 이상을 싱크대 모서리에 끼게 만들기 전까지 대상들은 싱크대 위에 그대로 놓여 있었다. 뒤

    따르는 쨍그랑 소리에 방에 있는 세 사람 모두가 놀랐고 다른 두 어른이 이전에 내던 부드럽고 유

    쾌한 소리와 달리 서로를 향해 날카롭고 큰 소리를 내지를 때 벤저민은 더 놀랐다. 벤저민이 울기

    시작하자 어른들은 그에게로 달려가서 그를 토닥거리며 부드럽고 특별히 유쾌한 소리를 내었다.

    이 장 전체를 통해 우리가 되새길 이 예는 가장 일상적인 장면에서 영아들이 관찰하고 학습할 수

    있는 엄청난 양의 정보를 보여준다. 세상을 학습하는 데 있어 다른 대부분의 영아들처럼 벤저민은

    그가 가진 모든 도구를 사용하여 주변의 모든 사람과 대상을 열심히 탐색한다. 그는 보고 들을 뿐

    아니라 그다음 맛보고 냄새 맡고 만지면서 정보를 탐색한다. 처음으로 대상을 향해 뻗기를 하고 뒤

    에 대상을 조작하게 되면서 그의 탐색은 점진적으로 확장되며 그는 대상들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발

    견하게 된다. 그가 스스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전기 콘센트와 고양이 깔개처럼 그가 만지지 않기를

    부모가 바라는 것까지 포함하여 더 넓은 세계가 열린다. 첫 몇 해 동안 벤저민은 다른 어떤 시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왕성하게 탐구하거나 신속하게 학습한다.

    이 장에서 우리는 지각, 행동, 학습과 인지라는 4개의 서로 관련된 영역들을 다룰 것이다. 우리

    의 논의는 주로 영아기에 집중된다. 첫 번째 이유는 일생 중 첫 두 해 동안에 이 네 영역에서 가장

    급속한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이 네 영역에서 영아의 발달은 특별히 서로 관

    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 영역에서 영아의 행동과 경험을 전환하는 작은 혁신은 다른 영역들에서

    의 작은 혁신들을 이끌어낸다. 예를 들어 첫 몇 달 동안 일어나는 시각능력에서의 극적인 향상으로

    인해 영아들은 주변의 사람과 대상을 더 잘 볼 수 있고 따라서 새로운 정보를 학습할 기회가 훨씬

    늘어나게 된다.

    이 장에서 영아기에 집중하는 세 번째 이유는 지각과 운동발달의 최근 연구들 대다수가 영아와

    어린 아동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이다. 첫 몇 해 동안의 학습과 인지에 대해서 많은 매력적인 연구

    들이 있다. 우리는 이 연구들 중 일부를 여기서 다루고 이 영역들에서의 이후 발달은 후속 장에서

    다룬다. 이 장에서 영아기에 집중하는 마지막 이유는 이 네 영역에서 영아의 발달을 연구하는 방법

    들이 나이 든 아동들을 연구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들과 당연히 사뭇 다르기 때문이다.

    영아기의 주요 발달을 조사할 때 우리는 몇 개의 지속적인 주제들을 다룰 것이다. 능동적인 아동

    의 주제는 영아가 환경을 열심히 탐색하는 데서 생생하게 드러날 것이다. 연속성/비연속성은 영아기

    와 후속 발달 간의 관계를 언급하는 연구들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우리가 영아 발달에서 변이

    와 선택의 역할을 탐구할 때 일부에서 변화의 기제라는 주제가 분명해질 것이다. 초기의 운동발달을

    논할 때 우리는 사회문화적 맥락의 공헌을 조사할 것이다.

    이 장의 대부분에서 천성과 양육의 주제가 다루어진다. 적어도 2000년 동안 인간 발달을 설명하

    기 위해 선천적인 지식을 강조하는 철학자와 과학자들과 반대로 학습을 강조하는 철학자와 과학자

  • 지각 ■ 183

    들 사이에 끊임없는 논쟁이 있어 왔다. 이 해묵은 논쟁을 재조명하는 것이 최근 몇 세기 동안에 영

    아를 대상으로 수많은 연구가 행해진 이유 중 하나이다. 앞으로 보겠지만 이 발견들은 영아 발달이

    이전에 생각하던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놀랄 만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지각

    갓 태어난 아기들의 부모들은 이 아기들이 얼마나 잘 볼 수 있는지, 얼마나 잘 들을 수 있는지, 보

    고 들은 것을 연결시킬 수 있는지(위의 삽화에서처럼) 등을 포함해서 무엇을 경험하는지가 궁금할

    것이다. 초창기 심리학자 중 한 명인 William James는 신생아에게 세계가 ‘꽃이 만개한 것 같이 구

    별이 안 되고, 웅웅거리는 소리의 큰 혼란(a big, blooming confusion)’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초기

    감각과 지각에 대한 연구들의 괄목할 만한 진전으로 현대의 연구자들은 그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

    는다. 연구들은 영아들이 세상에 태어날 때 모든 감각기능이 어느 정도로 기능을 하며 후속 발달이

    매우 빠른 속도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감각(sensation)은 감각기관(눈, 귀, 피부 등)

    의 감각수용기와 뇌가 외부 세계로부터의 기본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말한다. 지각(perception)

    은 대상, 사건, 그리고 우리 주변의 공간적 배열에 관한 감각 정보를 조직화하고 해석하는 과정이

    다. 앞의 사례에서 감각은 벤저민의 눈과 귀의 수용기와 뇌를 활성화하는 빛과 소리 파장을 포함한

    다. 지각의 한 예는 유리잔이 깨질 때 제공되는 청각, 시각 자극을 하나의 일관된 사건으로 경험하

    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주로 시각에 대해 이야기를 할 것인데 그 이유는 인간에게 시각이 특별히 중요하

    고 다른 감각보다 시각에 대한 연구들이 훨씬 많기 때문이다. 우리는 또한 청각에 대해서 이야기하

    고 미각, 후각, 촉각, 그리고 다른 감각을 논할 것이며 이러한 다중 감각양태 간의 조정에 대해서도

    다룰 것이다. 우리 성인들에게 이러한 능력들은 진부한 것처럼 생각되지만 이들은 실제로 생애 첫

    해 동안의 가장 놀라운 성취 중 일부이다.

    시각

    인간은 다른 어떤 종들보다 시각에 더 의존하지만 최근 몇십 년 전까지만 해도 일반적으로 신생아

    의 시각은 거의 기능하지 못할 정도로 나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자들이 신생아와 어

    린 영아의 보기 행동을 조심스럽게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가정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발견했

    다. 실제로 세상에 나오자마자 아기들은 눈을 사용하여 탐구하기 시작한다. 그들은 환경을 주사하

    고 사람이나 대상에 눈길이 멈추면 멈추고 이들을 본다. 신생아들이 성인들처럼 명확하게 볼 수는

    없지만 처음 몇 달 동안 그들의 시각은 극도로 빠르게 향상된다. 나중에 배우겠지만 최근의 연구들

    에 의하면 이러한 미성숙한 시각 체계에도 불구하고 가장 어린 영아들조차 놀랄 만큼 세련된 시각

    능력을 갖고 있다.

    이렇게 우리가 확신을 가지고 말할 수 있게 된 증거들은 다양한 독창적인 연구방법들의 발명 덕

    에 가능해졌다. 어린 영아들은 지시를 알아듣거나 반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영아의 능력을 연구하

    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나이 든 아동들이나 성인들에게 사용했던 것과는 아주 다른 방법을 고안해

    감각 ■ 감각기관(눈, 귀, 피부 등)의 감각수용기와 뇌에서 외부 세계의 기본 정보를 처리하

    는 과정

    지각 ■ 감각 정보를 조직화하고 해석하는 과정

  • 184 ■ 제5장 영아기의 보기, 생각하기와 행동하기

    야 했다. 첫 번째 획기적인 발전은 영아의 시각적 주의를 연구하는 방법인 선호적 보기 기

    법(preferential-looking technique)에 의해 성취되었다. Robert Fantz(1961)가 처음 사용한

    이 방법에서는 보통 2개의 나란히 놓인 스크린에 2개의 다른 시각 자극을 제시한다. 만약

    영아가 두 자극 중 하나를 더 오래 쳐다본다면 연구자들은 아기가 두 자극을 변별하고 다른

    자극에 비해 한 자극을 선호한다고 추론한다. Fantz는 다른 사람들처럼 영아들도 아무 중요

    성이 없는 것보다는 중요한 자극을 더 쳐다본다는 것을 증명했다. 흑백의 줄, 신문용지, 과

    녁, 도식적 얼굴 등 어떤 종류의 패턴이든 단순한 표면과 짝을 지워 제시하면 영아들은 패

    턴을 선호했다(즉 더 오래 쳐다보았다).

    선호적 보기 기법의 현대판은 자동 눈 추적 장치(eye tracker)를 사용한다. 적외선 반사를

    통해 영아의 눈 움직임을 측정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메라를 이용해서 연구자들은 영아가

    스크린의 어느 곳을 쳐다보는지 자동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또한 영아의 머리

    에 눈 추적 장치를 씌워서 아기가 자유로이 눈을 움직여 방 안을 둘러볼 때 아기가 어디를

    쳐다보는지를 알 수 있다.

    영아의 감각과 지각 발달을 연구하는 데 자주 사용되는 또 다른 방법은 습관화(habitua-

    tion)인데 이는 제2장에서 태아 발달을 연구하는 연구 도구로 소개되었다. 이 절차에서는

    영아의 반응이 습관화될 때, 즉 감소할 때까지 어떤 자극을 반복적으로 제시한다. 그런 뒤에 새로

    운 자극을 제시한다. 만약 이 새로운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영아가 탈습관화하면(반응이 증가하

    면), 연구자들은 아기가 옛 자극과 새로운 자극을 변별할 수 있다고 추론한다. 습관화와 선호적 보

    기 절차는 그 단순함 때문에 영아의 지각과 세상에 대한 이해를 연구하는 상당히 강력한 도구로 밝

    혀졌다.

    시력과 색채 지각

    연구자들(과 눈 관리 전문가들)은 선호적 보기 기법을 이용하여 영아들의 시력(visual acuity), 즉 얼

    마나 분명하게 볼 수 있는지를 측정한다. 이 방법은 단순한 패턴과 회색 바탕의 차이를 구별하는

    영아는 일관되게 패턴을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그림 5.1). 패턴을 달리

    하며 영아의 선호를 평가하여 연구자들은 영아들의 시력뿐 아니라 그들의 보기 선호에 대해서도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어린 영아들은 일반적으로 흑백의 바둑판과 같이 시각적 대비

    가 높은 패턴을 선호한다(Banks & Dannemiller, 1987). 이는 어린 영아들의 대비 민감도(contrast

    sensitivity)가 낮기 때문이다. 즉 영아들은 요소들의 대비가 높을 때만 패턴을 탐지할 수 있다.

    이렇게 대비 민감도가 낮은 이유 중 하나는 영아들의 망막 중심와

    에 집중적으로 모여 있고 정교한 것과 색을 보는 데 관여하며, 빛에 민

    감한 뉴런인 원추체(cones) 세포의 미성숙 때문이다. 신생아의 원추체

    이 영아와 양육자는 각각 머리에 눈 추적 장

    치를 쓰고 있다. 보라색 선들이 만나는 지점

    은 관찰자가 어디를 보고 있는지를 보여준

    다. 위의 사진은 양육자의 눈길이 영아의 얼

    굴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아래 사

    진에서는 영아의 눈길이 초록색 대상에 집

    중되고 있다.

    Co

    urt

    esy

    of

    Go

    od

    -Lit

    e C

    om

    pan

    yC

    OU

    RT

    ES

    Y O

    F C

    HE

    N Y

    U

    선호적 보기 기법 ■ 영아의 시각적 주의를 연구하는 방법으로 영아가 둘 중 하나를 더

    선호하는지를 알기 위해 2개의 패턴이나 2개

    의 대상을 동시에 보여준다.

    시력 ■ 시각적 변별의 예민함

    대비 민감도 ■ 시각적 패턴에서 명암의 차이를 지각하는 능력

    원추체 ■ 중심와(망막의 중심부)에 고도로 집중되어 있는 빛에 민감한 뉴런들

    그림 5.1 영아의 시력 검사 영아의 시력 검사를 위해서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작은 패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는 줄무늬가 있고 다른 하나는 단순한 회색 바탕인 2개의 패들을 영아

    에게 동시에 보여준다. 만약 영아가 흑백의 줄들 사이의 대비 차이를 탐지할 수 있다면 영아는

    단순한 색보다는 패턴이 있는 시각장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줄무늬 패들을 더 쳐다보아야만

    한다. 안과 의사나 연구자는 영아가 줄무늬 패들과 회색 패들을 더 이상 구별할 수 없을 때까

    지 영아에게 점점 더 가는 줄무늬의 패들을 연속적으로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변별한 패들에서

    줄무늬의 두께가 영아의 시력 지표가 된다.

  • 지각 ■ 185

    는 성인의 원추체보다 4배나 더 떨어져 있고 그 결과 성인

    의 경우 중심와에 떨어지는 빛의 65%를 잡을 수 있는 데 비

    해 신생아들은 2% 정도만 잡을 수 있다(개관을 위해서는

    Arterberry & Kellman, 2016 참조). 부분적으로는 이런 이유

    때문에 생후 1개월 영아들의 시력은 20/120(성인의 경우 시

    력 검사판의 제일 위에 있는 커다란 E만을 읽을 수 있을 정

    도의 시력)밖에 되지 않는다. 이후 8개월까지 시력은 급속도

    로 발달하여 영아의 시력은 성인의 시력에 접근한다.

    어린 영아들의 시각 경험에서 또 다른 제한점은 처음

    1개월 정도 동안 영아들은 흰색과 다른 색들의 차이를 지각

    하지 못하는 것 같다는 것이다. 그러나 2개월이 되면 영아

    의 색 지각은 성인과 유사해진다. 영아들은 청록색과 같은

    혼합색보다 청색 같은 고유한 색을 선호한다(Arterberry &

    Kellman, 2016). 즉 영아들의 방을 파스텔 톤으로 칠하는 경향은 영아들의 색 선호를 반영하지 않

    으며 오히려 부모의 색 선호를 반영한다.

    영아들의 색 지각에 대한 연구들은 색 범주화의 기원에 대한 오래된 논쟁에 사용되었다. 인간은

    수천 개의 서로 다른 색을 구별할 수 있지만 언어는 광범위한 색 범주들을 구별하기 위해 오직 몇

    개의 용어만을 사용하며 이 범주들은 언어에 따라 다르다. 색 지각은 어느 정도로 언어의 영향을

    받는가? 이는 아직 색 단어를 가지지 못한 영아들의 색 지각에 대한 최근 연구들이 시험하고 있는

    질문이다(Yang et al., 2016). 글상자 3.3에서 논의한 뇌 측정 방법 중 하나인 NIRS를 사용하여 연

    구자들은 5개월 영아가 성인과 동일한 방법으로 색을 범주화하는지를 알아내고자 했다. 결과에 따

    르면 한 범주의 색에서 다른 범주의 새로운 색으로 색이 변화할 때 성인처럼 영아들의 뇌도 반응하

    지만 동일한 범주의 다른 색으로 변화할 때는 반응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언어 습득 이전에

    영아의 뇌가 적어도 어떤 색 범주들을 표상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각적 주사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신생아들은 바로 주변 환경을 시각적으로 주사(scanning)하기 시작한다. 처음

    부터 그들은 움직이는 자극에 매료된다. 그러나 아기들의 눈 움직임이 변덕스럽고 때로는 시각적

    으로 추적하고 있는 사물에 머물지 못하기 때문에 이 자극들을 추적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4개월

    이 될 때까지 영아들은 움직이는 대상들을 부드럽게 추적하지 못하며 대상이 느리게 움직일 때만

    가능하다(Rosander, 2007). 이 발달적 성취는 시각적 경험보다는 성숙의 영향인 듯하다. 신경과 지

    각 체계가 미성숙한 조산아들은 정상적으로 달이 차서 태어난 만삭아들에 비해 부드러운 시각적

    추적의 발달이 느리다(Strand-Brodd et al., 2011). 조산아들로부터의 추가적인 증거들은 시각적

    추적이 신경발달을 반영한다는 견해를 지지한다. 임신주수/재태기간(즉 조산을 고려하여 교정된

    나이) 4개월에 움직이는 대상을 추적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임신 32주 전에 태어난 조산아들은 비

    슷한 조산아들에 비해 3세에 인지적 결과물이 더 나쁘다(Kaul et al., 2016). 따라서 매우 일찍 발달

    하는 지각발달의 이 측면이 이후 인지발달의 중요한 지표일 수 있다.

    시각적 주사가 이렇게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 영아가 자신들이 관찰하고 학습하는 바에 대해 적

    극적 통제력을 가진 몇 개 되지 않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세상(과 따라서 그들이 학습할

    오른쪽의 희미한 사진이 약 1개월 된 영아

    가 지각하는 모습이다. 영아의 상대적으로

    낮은 시력 때문에 이미지 중에서 높은 대비

    를 가진 어떤 특징들(예:여자의 눈과 머리

    선)이 두드러져 보인다.

    Go

    od

    sho

    ot

    RF

    / G

    ett

    y Im

    ages

  • 186 ■ 제5장 영아기의 보기, 생각하기와 행동하기

    수 있는 것)에 관한 어린 영아들의 시각적 경험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 삼각형과 같은 간

    단한 도형의 경우, 2개월 미만의 어린 영아들은 전적으로 한쪽 모서리만을 쳐다본다. 얼굴

    같이 더 복잡한 형태의 경우에는 오직 바깥쪽 가장자리만을 주사하는 경향이 있다(Haith,

    Bergman, & Moore, 1977; Milewski, 1976). 따라서 그림 5.2에서 보듯이 1개월 영아는 선

    으로 그린 얼굴을 볼 때 경계선-즉 배경과 상대적으로 강한 대비가 있는 뺨이나 머리선

    -에 고정되는 경향이 있다. 2개월이 되면 영아는 더욱 넓게 주사를 할 수 있게 되고 전체

    적인 모양과 내부의 세부 항목 모두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게 된다. 실제로 글상자 5.1에서

    논의하는 바와 같이 얼굴은 시각적 환경 중에서 영아가 가장 선호하고 뛰어난 측면들이다.

    영아 학습자들에게 말하는 얼굴들은 특별히 중요한 정보의 원천이다. 말하는 얼굴을 관

    찰하면서 영아들은 궁극적으로는 모국어의 기초가 될 운동 행동과 소리 간의 연결 형성을 시작할

    기회를 얻는다. 말하는 얼굴에 대한 시각적 주사 연구들은 말하는 얼굴이 학습의 원천으로서 점점

    더 중요해지는 것과 일관되는 중요한 행동의 패턴을 보여준다(Lewkowicz & Hansen-Tift, 2012).

    구어가 시작되기 전 4개월경에 말하는 얼굴을 본 영아들은 화자의 눈에 주로 시선을 고정한다. 그

    러나 영아가 옹알이를 시작한 뒤에는 아기들은 화자의 입을 주시하는데 이는 말하는 입에 주목하

    는 것이 영아의 구어발달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지지한다. 흥미롭게도 이중언어 영아는

    시각적 주사에서의 이러한 이동(말하는 얼굴의 눈보다 입을 선호함)을 단일언어 영아들보다 더 일

    찍 나타내는데 이는 여러 언어를 습득하는 영아들이 단일언어를 습득하는 영아들에 비해 더 일찍

    입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한다는 견해를 지지한다(Pons, Bosch, & Lewkowicz, 2015). 우리는 영

    아들이 어떻게 여러 언어를 학습하는 인상적인 공적을 달성하는지에 대해 제6장에서 더 학습할 것

    이다.

    대상 지각

    시지각이 놀라운 이유 중 하나는 어떻게 세상이 안정적으로 보이는지다. 어떤 사람이 우리에게 다

    가오거나 멀어져 갈 때 혹은 천천히 원을 그리며 돌 때 우리의 망막에 만들어지는 그 사람의 상은

    크기와 모양이 변화하지만 우리는 그 사람의 크기나 모양이 변화한다는 인상을 받지 않는다. 오히

    려 우리는 일정한 크기와 모양을 지각하는데 이 현상을 지각적 항상성(perceptual constancy)이라고

    한다. 지각적 항상성의 기원은 경험론자(empiricist)와 선천론자(nativist)들의 논쟁의 전통적인 요소였

    다. 제4장에서 읽은 것처럼 경험론자들은 모든 지식은 경험으로부터 온다고 주장하는 데 비해 생

    득주의자들(특히 핵심 지식 이론가들)은 지식의 주요 측면들은 실제로 타고나거나 혹은 내장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경험론자들은 우리가 환경을 공간적으로 경험함에 따라 대상의 일정한

    크기와 모양에 대한 우리의 지각이 발달한다고 주장하고 반대로 생득주의자들은 이 지각적 규칙성

    은 신경계의 선천적인 특성에서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신생아와 매우 어린 영아들의 지각적 항상성 증거들이 선천론자들의 입장을 지지한다. 크기 항

    상성 연구(Slater, Mattock, & Brown, 1990)에서 신생아들에게 크거나 작은 육면체를 서로 다른 거

    리에서 반복적으로 제시했다. 육면체의 실제 크기는 일정하지만 육면체가 투사하는 망막 상의 크

    기는 시행마다 변화했다(그림 5.3 참조). 문제는 신생아가 이 사건을 동일한 대상을 여러 번 제시하

    는 것으로 지각하는가 혹은 다른 크기의 비슷한 대상을 제시한 것으로 지각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 문제에 답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뒤이어 원래 육면체와 이보다 2배 큰 똑같이 생긴 두 번째 육

    면체를 제시했다. 중요한 요인은 두 번째 육면체가 원래 것보다 2배 더 떨어져 제시되어 원래 육면

    지각적 항상성 ■ 대상의 망막 상이 물리적으로 다른데도 불구하고 대상의 크기, 모양, 색

    등이 변하지 않는 일정한 것으로 대상 지각

    그림 5.2 시각적 주사 이 얼굴 그림들 위에 덧그린 선들은 두 아기가 그림에 시선

    을 고정할 때 나타나는 연령차를 보여준다.

    (a) 1개월 아기는 얼굴의 외부 윤곽과 머리

    를 주로 보고 눈을 몇 번 주시했다. (b) 2개

    월 아기는 얼굴의 내부, 특히 눈과 입을 주

    로 주시했다(Maurer & Salapatek, 1976).

  • 지각 ■ 187

    체와 동일한 크기의 망막 상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영아들은 두 번째 육면체

    를 더 오래 쳐다보았는데 이는 두 번째 육면체와 첫 번째 육면체의 크기를 서

    로 다르게 본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시 첫 번째 육면체를 반복 제시했을 때

    망막 상의 크기가 달라져도 동일한 크기의 하나의 대상으로 지각했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시각 경험은 크기 항상성을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 아니다.

    다른 중요한 지각적 능력은 대상들 간의 경계를 지각하는 대상 분리(object

    segregation)이다. 이 능력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방 안의 주변을 둘러보

    라. 한 대상이 어디서 끝나고 다른 대상이 어디서 시작하는지를 어떻게 아는

    가? 만약 대상들이 시각적 간격으로 분리되어 있다면 대상들 간의 경계는 분

    명할 것이다. 그러나 그런 간격이 없다면? 예를 들어 아기 벤저민이 부모가

    그릇 씻는 것을 볼 때 그는 컵 하나가 접시 위에 놓여 있는 것을 본다. 성인이

    라면 이러한 배열을 보고 2개의 서로 다른 대상을 지각할 것이지만 벤저민도

    그럴 것인가? 도자기 그릇에 대한 경험이 없어서 벤저민은 확신하지 못할 것이다. 모양이 달라서

    2개의 대상인 것 같지만 질감이 같아서 하나의 대상일 수도 있다. 이제 엄마가 비눗물에 넣기 위해

    컵을 들었고 접시는 그대로 상 위에 남아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는 아직도 확신하지 못할까? 아니

    다. 영아들조차 컵과 접시(혹은 어떤 대상이든)의 독립적인 운동을 그들이 별개의 존재라는 신호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식은 선천적인가, 아니면 영아가 주변 환경에서 일상적인 사건들을

    관찰하여 습득한 것인가?

    Kellman과 Spelke(1983)의 고전적인 실험은 처음으로 대상들 간의 경계를 표시하는

    단서로서 운동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처음에 4개월 영아에게 그림 5.4a에서처럼 보

    여주었다. 이는 블록의 양끝에서 2개의 막대가 움직이는 것이나 혹은 하나의 막대가

    블록 뒤에서 왔다갔다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성인들은 이러한 배열을 후자로 본다

    는 것이 중요하다. 이 배열에 습관화를 시킨 뒤에 영아들에게 그림 5.4b의 두 검사 자

    극-하나의 긴 막대 혹은 2개의 잘린 막대-을 제시했다. 이 연구자들은 만약 습관

    화 동안 영아가 성인들처럼 블록 뒤에서 하나의 긴 막대가 움직이고 있다고 생각한다

    면 그들은 2개의 막대가 상대적으로 새롭기 때문에 2개의 막대를 더 오래 쳐다볼 것이

    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아기들은 바로 그렇게 했다.

    습관화 동안 제시된 2개의 막대를 보고 한 막대의 일부라고 영아가 지각하게 만든

    것은 무엇일까? 그 답은 공동의 움직임(common movement), 즉 두 부분은 같은 방향,

    같은 속도로 언제나 함께 움직인다는 사실이다. 막대가 움직이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그림 5.4a와 같은 배열을 본 4개월 영아들은 2개의 검사 자극을 동일하게 쳐다보았다.

    다시 말하면, 공동의 움직임이 없이는 잘 알 수 없었다.

    공동의 움직임은 함께 움직이는 별개의 요소들이 한 대상의 일부라고 영아가 지각

    하게 만드는 강력한 단서이다. 블록 뒤에서 움직이는 대상의 두 부분이 색, 재질, 그

    대상 분리 ■ 시각 배열에서 분리된 대상의 식별

    그림 5.3 만약 이 영아가 더 크지만 더 멀리 있는 육면체를 오래 쳐다본다면 연구자

    들은 이 아기가 크기 항상성을 가지고 있다

    고 결론지을 것이다.

    Co

    urt

    esy

    of

    Ala

    n S

    late

    r

    (a)

    (b)

    그림 5.4 대상 분리 (a)에서 두 요소의 결합을 보는 영아는 블록 뒤에서 움직이는 막대라는 2개의 분리된 대상을 지각한다. 이 배열에 습관화된 다음에 그들은 (b)의 하나의 막대보다 2개의 막대를 더 쳐다볼 것이며 이는 아기

    들이 하나의 막대는 친숙한 것으로 보지만 2개의 막대는 새로운 것으로 본다는 것을 시사한다. 만약 영아들이 처음

    에 움직임이 없는 배열을 본다면 그들은 두 배열을 모두 동일한 만큼 쳐다볼 것이다. 이 결과는 대상 분리에서 운

    동의 중요성을 보여준다(Kellman & Spelke, 1983).

  • 188 ■ 제5장 영아기의 보기, 생각하기와 행동하기

    글상자 5.1 자세히 살펴보기

    영아의 얼굴 지각

    영아의 지각에서 특별히 매력적인 측면은 모든 자극

    중에서 가장 사회적인 자극, 즉 인간의 얼굴에 대한

    인간 영아의 반응과 관계된다. 앞서 본 것처럼 영아

    들은 출생 시부터 얼굴에 끌리기 때문에 선도적인 연

    구자들은 무엇이 처음부터 아기들의 주의를 끄는지

    를 질문했다. 그 답은 아마도 모든 인간 얼굴의 특징

    인 아래 반쪽보다 위의 반쪽에 더 많은 요소를 가진

    배열에 대한 매우 일반적인 편향이다(Macchi Cassia,

    Turati, & Simion, 2004)(첫 번째 열의 그림을 보라).

    얼굴 같은 자극에 대한 일반적인 편향의 증거는 인간

    신생아가 똑바로 제시하기만 하면 인간의 얼굴과 원

    숭이의 얼굴에 동일하게 흥미를 나타내는 것을 보여

    준 연구들에서 나온다(Di Giorgio et al., 2012).

    얼굴에 많은 관심을 보이면서 영아들은 매우 빨리

    자기 엄마의 얼굴을 재인하고 선호하게 된다. 생후

    며칠 동안 엄마에게 노출된 뒤에 영아들은 후각 단서

    들을 통제한 뒤에도 다른 여자의 얼굴보다 엄마의 얼

    굴을 더 쳐다본다(제2장에서 논의한 것처럼 이는 필

    요한 단계인데 그 이유는 신생아가 엄마의 체취에

    고도로 적응되어 있기 때문이다)(Bushnell, Sai,&

    Mullin, 2011). 이후 몇 개월 동안 영아들은 남자

    든 여자든 자신들이 가장 자주 보는 양육자의 성

    을 나타내는 얼굴들에 대한 선호를 발달시킨다

    (Quinn et al., 2002).

    얼굴은 영아의 환경에서 놀랄 만큼 일반적이

    다. 영아들의 머리에 카메라를 씌운 최근 연구들

    은 얼굴이 어디에나 있음을 기록하고 있다. 출

    생 후 처음 몇 개월 동안 영아들은 깨어 있는 매

    시간당 15분간 얼굴을 보고 있다(Jayaraman,

    Fausey, & Smith, 2015; Sugden, Mohamed-

    Ali, & Moulson, 2014). 이 연령에서 영아들은

    주로 동족(96%)의 여자 얼굴(70%)에 노출된다

    (Sugden et al., 2014). 얼굴에 대한 이러한 과도

    한 집중은 나이가 들면서 줄어들어서 첫돌 무렵

    에는 시간당 5분 정도로 떨어진다. 이 시점이 되

    면 영아들은 얼굴보다 손(과 자신이 조작하는 대

    상)에 더 집중한다(Fausey, Jayaraman, & Smith,

    2016).

    돌 이후에 영아의 얼굴 지각은 지각적 협소화

    (perceptual narrowing)라고 알려진 과정을 통해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 즉 영아들은 자신이 자주

    경험하는 종류의 얼굴 변별을 더 잘하게 되면서

    얼굴 전문가가 된다. 지각적 좁히기의 증거는 인

    간과 원숭이의 개별 얼굴을 구별하는 영아와 성인의

    능력을 연구한 아주 흥미로운 연구로부터 나온다. 성

    인과 9개월, 6개월 영아들은 모두 2개의 인간 얼굴

    들을 쉽게 변별했다. 그러나 성인과 9개월 영아는 두

    원숭이의 얼굴을 변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Pascalis, de Haan, & Nelson, 2002). 놀랍게도 6개

    월 영아는 인간 얼굴들을 변별하는 것처럼 쉽게 원숭

    이들의 얼굴을 변별했다. 이 자료들은 6개월 영아들

    은 아직도 만능인(generalist)이지만 9개월 영아들은

    인간 얼굴을 변별하는 데 문제가 되는 차원은 더 잘

    지각하지만 원숭이 얼굴들을 변별하는 데 중요한 차

    원들의 지각은 더 못하는 전문가(specialist)라는 것을

    시사한다.

    지각적 좁히기가 얼굴 지각을 형성한다는 것을 보

    여주는 다른 증거들은 다른 인종의 얼굴 지각에 대한

    연구들로부터 나온다. 사람들은 동족의 얼굴들을 타

    인종의 얼굴들보다 더 잘 구별한다는 타 인종 효과

    (other-race effect, ORE)는 처음에는 성인에게서 관

    찰되었다. 나중에 ORE가 영아기로부터 발생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신생아는 타 인종에 비해 동족의 얼

    굴에 대한 선호가 없는 데 비해 3개월 된 백인, 아프

    리카인, 그리고 중국인 영아들은 동족의 얼굴을 선호

    한다(Kelly, Liu et al., 2007; Kelly et al., 2005). ORE

    의 출현에서 보듯이 첫 번째 해의 하반기 동안에 영

    아의 얼굴처리는 더욱 전문화되어서 9개월경 영아들

    은 동족의 얼굴들을 변별하는 것보다 타 인종의 얼

    굴 변별을 더 어려워한다(Kelly, Quinn et al., 2007;

    Kelly et al., 2009).

    이 효과를 촉발하는 것은 영아의 동족 자체가 아니

    고 오히려 영아가 가까운 환경 속에서 마주치는 사람

    들의 특성들이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로 이주한 3개

    월 된 아프리카 아기는 아프리카와 백인 양육자 모두

    에게 노출되었고 아프리카와 백인 얼굴 모두에 동일

    한 흥미를 보였다(Bar-Haim et al., 2006). 얼굴 지각

    Neuro

    psy

    cho

    log

    ia b

    y P

    ER

    GA

    MO

    N. R

    ep

    rod

    uce

    d w

    ith p

    erm

    issi

    on o

    f P

    ER

    GA

    MO

    N in

    the f

    orm

    at E

    duca

    tio

    nal

    /

    Inst

    ruct

    ional

    Pro

    gra

    m v

    ia C

    op

    yri

    ght

    Cle

    aran

    ce C

    ente

    r.

    3쌍의 자극들을 하나씩 제시하면 신생아들은 왼쪽 열의 사진들을 더 오래 쳐다보는데 이는 인간 얼굴 선호에 공헌

    하는 위가 무거운(top-heavy) 자극에 대한 일반적인 선호를 나타낸다(Macchi Cassia et al., 2004; Simion et al.,

    2002). 이 간단한 선호가 다른 어떤 것보다 엄마의 얼굴을 쳐다보는 데 영아가 시간을 더 소비하는 결과를 가져오

    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이라는 사실에 주목하라. 그러나 3개월경 영아들은 그림의 중간 쌍의 얼굴들을 변별하지 못하

    는데 이는 그들의 시각적 주의가 더 이상 일반적인 위가 무거운 편향에 의해 인도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Macchi

    Cassia et al., 2006).

  • 지각 ■ 189

    에서 시각 경험의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는 집

    에서 두 인종의 얼굴 특성에 노출되는 두 인종 영

    아의 얼굴 주사능력이 단일 인종 영아의 주사능력

    보다 더 성숙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한 연구로부터

    나온다(Gaither, Pauker, & Johnson, 2012).

    영아의 얼굴 선호 중 가장 흥미로운 측면 중 하

    나는 우리들과 마찬가지로 아기들은 예쁜 얼굴을

    좋아한다는 사실이다. 출생 시부터 영아들은 성인

    들이 매우 매력적이라고 평가한 얼굴들을 덜 매

    력적인 얼굴들보다 더 오래 쳐다본다(Langlois et

    al., 1991; Langlois et al., 1987; Rubenstein,

    Kalakanis, & Langlois, 1999; Slater et al., 1998,

    2000). 성인들처럼 나이 든 영아들의 예쁜 얼굴 선

    호는 실제 사람에 대한 그들의 행동에 또한 영향

    을 미친다. 이는 12개월 영아가 매우 예쁜 여자 또

    는 덜 매력적인 여자 실험자와 상호작용했던 한 연

    구에서 볼 수 있다(Langlois, Roggman, & Rieser

    -Danner, 1990). 이 연구의 첫 번째 주요 특징은

    매력적인 여자와 매력적이지 않은 여자가 하나이

    며 동일 인물이라는 것이다! 영아와 여자가 상호작

    용하기 전에 아주 자연스럽게 보이는 전문적인 마

    스크를 사용하여 두 가지 외모를 만들었다. 아기들

    을 검사할 여자는 특정일에 어떤 마스크를 쓰는지

    에 따라 예쁘거나 그렇게 예쁘지 않은 얼굴로 화장

    을 하고 나타났다. 그 마스크들은 성인들이 판단하

    기에 매우 매력적인 얼굴과 상대적으로 덜 매력적

    인 얼굴에 준하는 것이었다.

    그 여자와 상호작용할 때 영아 참여자들은 여자

    가 어떤 마스크를 썼는가에 따라 다르게 행동했다.

    아기들은 여자가 매력적인 마스크를 썼을 때는 덜

    매력적인 마스크를 썼을 때보다 더 긍정적이고 놀

    이에 더 개입했으며 뒤로 빼는 일이 더 적었다. 여

    자는 특정일에 어떤 마스크를 쓸지 미리 알지 못했

    기 때문에 이 연구는 특히 잘 설계된 연구이다. 따

    라서 아동의 행동은 여자의 행동에서 단서를 얻을

    수 없었으며 오직 그녀의 예쁘거나 덜 예쁜 외모의

    탓이었다.

    마지막으로 얼굴 지각은 이상 발달에 대한 중

    요한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autism spectrum disorder, ASD)를 가진 아동

    과 성인들은 자주 얼굴 지각에 어려움을 갖고 있

    으며 종종 얼굴(특히 눈)을 쳐다보지 않는 것을 선

    호하고 얼굴에 대한 손상된 기억을 보여준다(예:

    Jones, Carr, & Klin, 2008; Weigelt, Koldewyn, &

    Kanwisher, 2013). 연구자들은 비얼굴에 대한 영

    아의 선호(특히 기하학적 도형)가 ASD의 조기 지

    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한다. 최근 한 눈

    추적 연구는 정상 발달하는 걸음마기 아이들과 반

    대로 ASD를 가진 걸음마기 아이들은 역동적인 인

    간 이미지의 배열보다 기하학적 배열을 훨씬 더 선

    호한다는 것을 발견했다(Pierce et al., 2016). 흥

    미롭게도 기하학적 이미지를 강력하게 선호하던

    ASD 걸음마기 아이들은 다른 ASD 걸음마기 아이

    에 비해 언어, 인지, 그리고 사회적 능력이 더 낮았

    다. 얼굴에 흥미를 덜 느끼는 영아들은 말소리부터

    사회적 단서까지 얼굴이 전달하는 많은 종류의 정

    보들로부터 학습할 기회가 드물다.

    Co

    urt

    esy

    of

    Oliv

    ier

    Pas

    calis

    남자의 사진들은 같은 사람인가 아니면 다른 사람인가? 두 원숭이의 사진들은 어떤가? 인간 성인들은 두

    얼굴이 서로 다른 사람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지만 두 원숭이 사진이 서로 다른 원숭이인지는 아

    마도 확신할 수 없을 것이다(그들은 서로 다른 원숭이다).

  • 190 ■ 제5장 영아기의 보기, 생각하기와 행동하기

    리고 모양에서 달라도 문제가 되지 않으며 어떻게 움직이는가(옆으로, 위로 등)도 큰 차이를 만들

    어내지 못한다. 영아들에게 공동의 움직임은 이러한 효과를 갖는데 부분적으로는 그것이 그 장면

    에서 관련되는 부분-블록보다 움직이는 부분들-에 주의를 기울이게 만들기 때문이다(S. P.

    Johnson et al., 2008). 그러나 놀랍게도 이렇게 매우 기본적인 시지각의 특징들도 학습해야만 한다.

    그림 5.4에 제시된 것과 위에서 언급한 것과 유사한 배열을 이용하여 검사해보면 신생아들은 공동

    의 움직임을 대상 식별의 단서로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Slater et al., 1990, 1996). 2개월이

    되고 과제가 단순해야만 가려진 막대를 하나의 대상으로 해석하는 데 영아들이 공동의 움직임을

    사용한다는 증거가 보인다(S. P. Johnson & Aslin, 1995). 따라서 공동의 움직임만큼 강력한 단서

    라도 이를 탐구하는 능력을 영아들이 발달시켜야만 한다.

    나이가 들면서 영아들은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포함하여 대상 분리를 위한 추가적인 정

    보의 원천들을 이용한다(Needham, 1997; Needham & Baillargeon, 1997). 그림 5.5에서 상자와 튜

    브 사이의 색, 모양, 재질의 차이는 실제로 확신할 수는 없지만 이들이 2개의 분리된 대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대상이 공중에 뜰 수 없다는 지식은 그림 5.5b가 하나의 대상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즉 튜브가 상자에 부착되었음에 틀림없다.

    여러분처럼 8개월 영아는 두 배열이 서로 다르다고 해석한다. 그림 5.5a에서 손을 뻗어서 튜브를

    잡아당기는 것을 보면, 튜브가 상자로부터 나올 때보다 튜브와 상자가 함께 움직일 때 더 오래 쳐

    다보는데(아마도 그들은 더 놀라는데) 이는 그들이 배열을 2개의 분리된 대상으로 지각한다는 것

    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림 5.5b에서는 반대 패턴이 나온다. 이제 영아들은 튜브가 따로 움직이면

    더 오래 쳐다보며 이는 그들이 하나의 대상으로 지각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 어린 영아들과 그림

    5.5의 배열을 사용한 추적 연구들은 상자나 튜브로 이전에 친숙화를 했을 때에만 더 어린 영아들

    (4.5개월)이 이 배열들을 성인처럼 해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Needham & Baillargeon, 1998). 따라

    서 영아들이 대상의 물리적 특성들을 이해하는 데 특정 대상과의 경험이 도움을 주는 것 같다. 이

    장의 뒷부분에서 운동발달(특히 뻗기와 관련하여)이 영아들의 대상 지식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할

    때 다시 이 결과를 언급할 것이다.

    또 하나의 경험을 구성하는 영아가 자라나는 문화 역시 시각 세계에 대한 그들의 주의에 영향을

    준다. 문화심리학의 수십 년 연구들은 다른 문화에서 서로 다른 시각 주의의 패턴을 보고한다. 예

    를 들어 얼굴의 정서를 처리할 때 동아시아 성인들은 눈의 정보를 이용하는 데 비해 서구 백인 성

    인들은 입의 정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Jack et al., 2012). 시각적 주의에서 이러한 문화적 차이

    는 학습된 것이 틀림없다. 그리고 실제로 얼굴 지각에서 이러한 패턴은 7개월경에 나타난다. 영국

    에서 자라는 백인 영아들은 눈 추적 과제 동안 보여준 얼굴의 입에 더 집중하고 일본에서 자라는

    동아시아 영아들은 눈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Geangu et al., 2016).

    장면 지각에서도 문화적 차이가 발견된다. 서

    구 백인 성인들은 장면에서 중심 대상에 고정

    하는 경향이 있는데 동아시아 성인들은 장면

    의 배경 맥락과 행동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

    다(예:Nisbett & Miyamoto, 2005). 그리고 실

    제로 24개월경 미국 백인 영아와 중국 영아들

    은 역동적인 장면을 볼 때 미묘하게 다른 시각

    적 주의의 패턴을 보인다. 미국 영아들은 대상(a) (b)

    그림 5.5 지식과 대상 분리 (a) 여기서 보는 것이 하나의 대상인지 2개의 대상인지

    확실하게 알 수 없다. (b) 중력과 지지에 대

    한 지식 때문에 여러분은 이것이 (매우 이상

    하지만) 하나의 대상이라고 확신할 수 있다

    (Needham, 1997).

  • 지각 ■ 191

    에 더 집중하고 중국 영아들은 행동에 더 집중한다(Waxman et al., 2016). 이렇게 나타나는 차이는

    부모가 주의를 기울이고 영아들의 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차이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제6장

    에서 보겠지만 동아시아의 엄마들은 미국 엄마들보다 행동을 명명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영아들

    에게 행동을 부각시킬 수 있다.

    깊이 지각

    환경 속에서 길을 찾기 위해 우리는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를 주변의 대상과 주요 지형지물과의 관

    계 속에서 알아야 한다. 우리는 다양한 깊이와 거리 단서들을 이용하여 책상 위에 놓인 커피 잔에

    손이 닿을 수 있는지 또는 다가오는 차와 충분히 거리가 있어서 그 앞을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는

    지를 판단한다. 생의 초기부터 영아들은 이러한 단서 중 일부에 민감하며 나머지 단서들에 재빨리

    민감해진다.

    매우 일찍부터 영아들이 민감한 단서 중 하나는 시각적 확장(optical expansion)인데 이는 사물이

    우리를 향해 다가올 때는 대상의 시각 상의 크기가 더 커지고 배경을 점점 더 가리게 되는 것이다.

    만약 다가오는 대상의 상이 대칭적으로 확장되면 우리는 그 대상이 우리를 향해 정확하게 다가오

    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이때 합리적인 반응은 피하는 것이다. 아기들은 피할 수 없지만 눈을 깜

    박인다. 이 눈을 깜박이는 반응의 시간이 중요하다. 만약 영아가 너무 일찍 혹은 너무 늦게 깜박이

    면 다가오는 대상이 뜨고 있는 아기의 눈에 부딪칠 위험이 있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아기들이 어떻

    게 정확한 시점에 눈을 깜박이게 되는지가 분명하지 않다. 그렇게 하기 위해 영아들은 얼마나 빨

    리 상이 확장되고 있는지와 상이 시야를 얼마나 많이 가리는지를 포함해서 자신 앞에서 커지고 있

    는 시각 상에 존재하는 정보들을 재빨리 활용해야 한다. 놀랍게도 1개월 영아도 자신에게 다가오

    는 듯이 보이는 확장하는 상에 방어적으로 눈을 깜박인다(Náñez, 1988). 조산아들은 다가오는 대

    상에 대한 눈 깜박임에서 발달지연의 패턴을 보이는데 이는 출생 후의 시각적 경험뿐만 아니라 뇌

    성숙이 이 발달적 성취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예:Agyei, van der Weel, & van der Meer,

    2016).

    우리의 눈이 2개라는 간단한 사실도 깊이 지각의 초기 발달을 돕는다. 어떤 경우라도 두 눈 사이

    의 거리 때문에 대상의 망막 상은 결코 완전히 동일하지 않다. 그 결과로 눈들은 뇌에게 동일한 신

    호를 보내지 않으며 이 현상을 양안 부등(binocular disparity)이라 한다. 우리가 바라보는 대상이 더

    가까이 있을수록 두 상 사이의 부등은 더 커지고 대상이 더 멀리 있을수록 부등은 더 작아진다. 입

    체시(stereopsis)라고 알려진 과정에서 시각 피질은 양 눈에서 보내는 서로 다른 신경 신호 사이의

    불일치의 정도를 계산하고 깊이 지각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형태의 깊이 지각은 매우 갑자기 4개월

    경에 발생하고 일반적으로 몇 주 안에 완성된다(Held, Birch, & Gwiazda, 1980).

    입체시의 발달은 제3장에서 논의한 경험 예정적 가소성의 고전적인 예다. 영아들이 정상적으로

    경험하는 시각적 경험의 종류를 고려할 때 양안시의 발달-깊이 단서와 시각적 장면의 다른 측면

    들을 계산하기 위해 두 눈은 함께 일한다-은 뇌 성숙의 자연적인 결과이다. 그러나 영아들에게서

    생후 초기 동안에 정상적인 시각적 입력을 박탈하면 그들은 정상적인 양안시를 발달하는 데 실패

    하고 입체시와 다른 양안의 깊이 단서들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가질 것이다. 시각 발달의 이 측

    면을 위해서는 민감한 시기가 있으며 이는 제3장에서 논의했던 고양이 연구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즉 생후 3개월 전에 한 눈의 시각을 박탈당한 새끼 고양이들은 시각이 회복되었을 때에도 정상적인

    양안시가 발달하지 못한다(Hubel & Wiesel, 1962). 인간의 경우에 유사한 예는 사시(strabismus)라

    시각적 확장 ■ 대상이 점점 더 배경을 가리는 깊이 단서로 다가오고 있음을 의미한다.

    양안 부등 ■ 각 눈에 맺히는 동일 대상의 망막 상들의 차이. 이로 인해 조금 다른 신호가

    뇌로 보내진다.

    입체시 ■ 양안 부등으로 인해 생기는 서로 다른 신경 신호를 시각 피질에서 결합하는 과

    정. 결과적으로 깊이 지각을 느끼게 된다.

  • 192 ■ 제5장 영아기의 보기, 생각하기와 행동하기

    고 알려진 시각적 붕괴인데 두 눈의 시선이 같은 방향으로 정렬되지 못하고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

    는 장애이다. 3세 이전에 사시 치료(주로 교정 수술에 의해)를 받지 못한 아동들은 양안시에서 일

    생 동안 어려움을 겪을 위험에 있다(Banks, Aslin, & Letson, 1975).

    6, 7개월경에 영아들은 다양한 단안 깊이 단서(monocular depth cues, 한 눈만 떴을 때도 깊이를

    지각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부름)에 민감해지기 시작한다(Yonas, Elieff, & Arterberry, 2002). 이

    단서들은 또한 회화적 단서(pictorial cues)라고도 하는데 그림에서 깊이를 그리는 데 사용되기 때문

    이다. 상대적 크기를 포함하여 세 가지 단서를 그림 5.6에 제시한다.

    단안 깊이 단서에 대한 영아들의 민감성을 연구한 초기 연구들 중 하나에서 Yonas, Cleaves, 그리

    고 Pettersen(1978)은 영아들이 둘 중 더 가까이 있는 대상을 향해 손을 뻗는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연구자들은 5개월과 7개월 영아들의 한 눈에 패치를 붙이고(그래서 양안 깊이 정보는 가능하지 않

    음) 한쪽이 다른 쪽에 비해 상당히 긴 사다리꼴 창문을 제시했다(그림 5.7). (성인이 한 눈을 감고

    보면 이 창문은 표준적인 직사각형 창문인데 보는 사람 쪽으로 한 면이 더 가까이 비스듬히 놓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7개월 영아(그러나 더 어린 아기들은 아님)들은 더 긴 쪽으로 손을 뻗었고 이

    는 어른들처럼 영아들이 그쪽을 더 가깝게 지각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영아들이 상대적 크기를 깊

    이 지각의 한 단서로 사용한다는 증거를 제공한다(글상자 5.2는 영아들의 그림 지각에 대한 연구들

    을 개관한다).

    청지각

    세상에 대한 또 다른 정보의 근원은 소리이다. 제2장에서 논의한 바처럼 태아는 자신들의 청각환

    경의 기본 특성들(엄마의 심장소리, 모국어의 리듬 패턴 등)을 학습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잘 들

    그림 5.6 회화적 단서들 이 르네상스 그림 속에는 여러 회화적 단서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중 하나는 중첩으로 가까이에 있는

    대상이 더 멀리 있는 대상을 가리는 것이다.

    먼 거리에서 선들이 수렴하는 것도 또 다른

    단서이다. 세 번째 단서인 상대적 크기의 효

    과를 제대로 인식하기 위해 전경의 계단에

    앉아 있는 사람의 실제 크기와 푸른색 옷을

    입은 여자의 실제 크기를 비교해보라.

    단안 깊이 단서(또는 회화적 단서) ■ (상대적 크기와 중첩과 같은) 한 눈만으로 지각할

    수 있는 깊이에 대한 지각적 단서들

    Em

    pero

    r A

    ug

    ust

    us

    and

    the S

    ibyl,

    1535, B

    ord

    one, P

    aris

    (15

    00

    –71)

    / P

    ush

    kin M

    use

    um

    , Mo

    sco

    w,

    Russ

    ia /

    Bri

    dg

    em

    an Im

    ages

  • 지각 ■ 193

    을 수 있다. 출생 시 인간의 청각 체계는 시각 체계에 비해 잘 발달되어 있다. 영아기 동안에 외이

    와 중이에서 내이로 소리 전도에 상당한 향상이 있다. 유사하게, 첫 1년 동안 뇌의 청각 경로는 상

    당히 성숙한다. 귀와 뇌에서의 이러한 발달은 함께 소리에 반응하고 소리로부터 학습하는 영아의

    능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다른 요인들 역시 영아의 청지각 향상을 돕는다. 한 예는 소리가 나는 근원의 공간적 위치를 지

    각하는 청각적 위치파악(auditory localization)이다. 신생아들은 소리가 들리면 소리 나는 쪽으로 고

    개를 돌린다. 그러나 신생아와 더 어린 영아들은 나이 든 영아나 걸음마기 아이들보다 소리가 나는

    위치를 잘 결정하지 못한다. 소리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청자들은 두 귀에 들리는 소리의 차이에

    의존해야 한다. 즉 오른쪽에서 들리는 소리는 왼쪽 귀보다 오른쪽 귀에 더 먼저 도착하고 오른쪽

    귀에 더 크게 들릴 것이며 따라서 소리가 오는 방향을 알려준다. 어린 영아들은 머리가 더 작기 때

    문에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는 데 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각 귀에 도착하는 정보의 시간과 크기의

    차이가 걸음마기 아이나 머리가 큰 영아들에 비해 더 작을 것이다. 영아가 이 정보를 사용하기 어

    려운 또 다른 이유는 청각 공간 지도(즉 소리들이 물리적 공간에서 어떻게 조직화되어 있는지-왼

    쪽/오른쪽, 위/아래)에 대한 심상의 발달에는 영아들이 보고 만진 것으로부터의 정보와 들은 것으

    로부터의 정보를 통합하는 다중양태의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영아들은 자신들이 듣는 소리의 흐름 속에서 패턴을 지각하는 데 능숙하다. 예를 들어 그들은 인

    간 말소리에서 미묘한 차이를 탐지하는 데 놀랄 만큼 숙련되어 있으며 우리는 이러한 능력을 제6

    장 언어발달에서 개관할 것이다. 여기서는 영아가 인상적인 청각적 민감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영

    역인 음악에 집중한다.

    음악 지각

    전 세계의 양육자들은 영아를 돌보며 노래를 불러준다. 성인들이 아기에게 노래를 들려줄 때에는

    우리가 제6장에서 논의할 영아 지향적 언어처럼 성인에게 노래를 들려줄 때보다 더 느리고 높은 소

    리, 그리고 더욱 긍정적 정서와 같은 특징적인 방법으로 노래를 부른다. 아마도 이러한 특징들 때

    문에 영아들이 성인 지향적 노래보다 영아 지향적 노래를 더 선호한다(Masataka, 1999; Trainor,

    1996). 실제로 영아들은 영아 지향적 언어보다 영아 지향적 노래를 더 듣기 좋아하는 듯한데 그 이

    유는 엄마들이 말할 때보다 노래할 때 더 미소 짓기 때문일 것이다(Trehub, Plantinga, & Russo,

    그림 5.7 단안 깊이 단서들. 이 7개월 영아는 상대적 크기라는 단안 깊이 단서를 사

    용하고 있다. 양안 깊이 정보를 제거하기 위

    해 한쪽 눈에 패치를 붙이고 아기는 사다리

    형 창문의 더 긴 쪽을 향해 손을 뻗고 있다.

    이러한 행동은 아기가 그쪽을 일상적인 직

    사각형 창문의 더 가까운 쪽으로 보고 따라

    서 더 쉽게 잡을 수 있다고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Yonas et al., 1978).

    청각적 위치파악 ■ 공간 속에서 소리의 진원지 지각

    Dr.

    Alb

    ert

    Yo

    nas

  • 194 ■ 제5장 영아기의 보기, 생각하기와 행동하기

    2015). 영아들은 칭얼거리기 전까지 말소리보다 노래를 2배나 더 길게 들었다(Corbeil, Trehub, &

    Peretz, 2015).

    여러모로 영아의 음악 지각은 성인을 닮았다. 많이 연구된 한 예는 불협화 음정(dissonant

    intervals)(예:TV 쇼 ‘심슨네 가족’의 주제곡 시작 부분처럼 증4도이거나 영화 ‘죠스’의 주제곡처

    럼 단2도)보다 협화 음정(consonant interval)(예:ABC 노래의 시작처럼 옥타브 또는 완전 5도)에

    대한 선호이다. 피타고라스로부터 갈릴레오를 거쳐 오늘날까지 많은 과학자들과 학자들은 불협

    화 음조는 불쾌하게 들리지만 협화 음조는 선천적으로 인간에게 유쾌하게 들린다고 주장해 왔다

    (Schellenberg & Trehub, 1996; Trehub & Schellenberg, 1995). 영아들도 그런지를 알기 위해 연구

    자들은 간단하지만 신뢰성 있는 절차를 사용한다. 그들은 시각적으로 흥미로운 자극(예:플래시

    불빛)을 이용하여 오디오 스피커로 아기들의 주의를 끌고 난 뒤에 스피커를 통해 음악을 들려준다.

    영아들이 스피커를 쳐다보는 시간의 길이(실제로는 스피커와 동일한 위치에 놓인 시각 자극)를 스

    피커에서 나오는 음악에 대한 흥미 또는 선호의 지표로 삼는다.

    연구들은 영아들이 포크송이든 미뉴에트든 불협화 버전보다는 협화 버전의 음악에 더 주의를 집

    중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Trainor & Heinmiller, 1998; Zentner & Kagan, 1996, 1998). Masataka

    글상자 5.2 자세히 살펴보기

    그림 지각

    지각발달의 특별한 경우는 그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그림, 스케치, 사진은 도처에 존재하며 우리

    는 이들로부터 엄청난 양의 정보를 습득한다. 영아들

    은 언제부터 이 중요한 문화적 인공물을 지각하고 이

    해할 수 있을까?

    매우 어린 영아들조차 우리들과 마찬가지로 그림

    들을 지각한다. 고전적인 한 연구에서 Hochberg와

    Brooks(1962)는 자신들의 아들에게 그림을 전혀 보

    여주지 않고 키웠다. 예술 사진이나 가족사진도 없고

    그림책도 없고 이불, 옷, 장난감에도 어떤 패턴도 없

    었다. 그들은 음식 깡통의 라벨조차도 제거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18개월에 조사했을 때 아들은 사진과

    선 그림에서 사물과 사람들을 쉽게 알아보았다. 후

    속 연구들은 5개월의 어린 영아들이 사진과 선 그림

    에서 사람과 사물을 알아볼 수 있고(예:DeLoache,

    Strauss, & Maynard, 1979; Dirks & Gibson, 1977)

    신생아조차도 3차원 사물을 2차원으로 표현한 것

    을 알아볼 수 있다는 결과(Slater, Morison, & Rose,

    1984)를 보고했다.

    조숙한 그림 지각에도 불구하고 영아들은 그림

    의 성격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 여기서 보여주는

    4명의 아기들(2명은 미국, 2명은 서아프리카의 시골

    출신)은 모두 사물 그림을 손으로 탐색하고 있다. 이

    9개월 아기들은 사진과 사물의 차이를 지각할 수 있

    지만 아직 2차원성이 의미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

    다. 따라서 이들은 사물의 그림을 마치 실제 사물인

    것처럼 대하려고 시도하고 불가피하게 실패할 수밖

    에 없다.

    영아들이 2차원 이미지의 성격을 완전히 이해하

    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한 증거는 아기들이 때

    때로 사물의 그림을 잡으려고 시도하는 것인데, 이는

    아기들이 사물 그림을 실제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시

    사한다. 주목할 것은 영아들은 실제처럼 보이지 않

    는 것보다 실제처럼 보이는 이미지를 더 잡으려고 시

    도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9개월 영아들은 채색된

    선 그림보다 실제 같은 사진 속의 사물을 더 잡으려

    고 하고 강한 대비의 비사물보다 사물 그림을 향해

    손을 더 뻗는다(Pierroutsakos & DeLoache, 2003;

    Ziemer, Plumert, & Pick, 2012). 그러나 그들은 사물

    의 그림보다 실제 사물을 더 잡는데 이는 적어도 2차

    원과 3차원 이미지 사이의 초보적인 이해는 갖고 있

    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은 또한 동일한 사물의 2차

    원과 3차원 버전 간의 대응관계를 이해하는 것처럼

    보인다. 3차원 사물에 습관화된 9개월 영아들은 동일

    한 사물의 2차원 이미지를 보았을 때 탈습관화되지

    않는다(Jowkar-Baniani & Schmuckler, 2011). 이러

    한 결과는 2차원과 3차원 사물을 동일한 것으로 취급

    하는 영아들의 혼동을 반영할 수 있다. 혹은 영아가

    사물의 2차원과 3차원 표상 간의 대응을 인지하는 것

    일 수도 있다.

    19개월경에 그림을 상당히 경험한 뒤에 미국 영아

    들은 더 이상 그림을 손으로 만지지 않는데 이는 영

    아가 그림은 보고 그에 관해 말하는 대상이지 만지거

    나 느끼거나 먹는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배운 것으

    로 보인다(DeLoache et al., 1998; Pierroutsakos &

    DeLoache, 2003). 간단히 말하면 그림의 상징성을

    이해하고 그림은 실제 사물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아

    채기 시작한다(Uttal & Yuan, 2014). 상징의 발달에

    대해서는 제6장에서 더 깊게 논의할 것이다.

    대부분의 서구 영아들은 사물 그림들로 가득 찬 환

    경 속에서 살지만 다른 문화의 영아들은 이러한 이미

    지의 경험이 결여되기도 한다. 실제로 대단히 흥미로

    운 비교문화 연구에서 집과 지역사회에 그림이 없는

    환경에서 자란 영아들은 그림이 실제 사물의 표상이

    라는 이해에서 동일한 경로를 보이지 않는다. 한 연

    구에서 캐나다의 걸음마기 아이들과 학령전 아동들

    은 인도와 페루의 시골에 사는 또래들보다 사물의 선

    그림을 장난감 사물과 연결 짓는 능력이 더 뛰어났

    다(Callaghan et al., 2011). 유사하게, 그림을 경험한

  • 지각 ■ 195

    의 연구는 생후 2일 된 신생아조차 이러한 선호 패턴을 보인다는 것을 밝혀내었다(Masataka,

    2006). 이 연구는 특히 어머니가 청각장애인 정상 영아를 대상으로 실시되어 영아들이 태내에서

    노출된 음악을 선호할 가능성이 거의 없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불협화 음정

    보다 협화 음정의 선호가 음악적 경험의 탓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로 다른 종들(닭, 짧

    은 꼬리 원숭이, 그리고 침팬지) 역시 협화 음악에 대한 선호를 보여주며 이는 불협화보다 협화에

    대한 선호가 음악적 경험과는 무관하다는 견해를 지지한다(예:Chiandetti & Vallortigara, 2011;

    Sugimoto et al., 2010).

    음악 지각의 다른 면에 있어서 영아들은 성인 청자들과 현격하게 다르다. 가장 흥미로운 차이점

    중 하나는 선율 지각(melody perception)의 영역인데 영아들은 성인이 할 수 없는 지각적 변별을 할

    수 있다. 한 세트의 연구들에서 8개월 영아들과 성인들은 서구 음악의 화성법에 맞는 짧은 선율을

    반복적으로 들었다. 그 뒤에 일련의 검사 시행에서 그들은 동일한 선율을 하나의 음표만 바꾸어서

    다시 들었다. 일부 시행에서는 변화된 음표가 원래의 선율과 동일한 음조였고 다른 시행에서는 동

    일한 음조가 아니었다. 영아와 성인 모두 선율의 음조를 파괴한 변화를 알아차렸지만 동일한 음조

    의 변화는 오직 영아만 알아차릴 수 있었다(Trainor & Trehub, 1992). 이는 영아들이 성인보다 더

    적이 없는 탄자니아 시골의 걸음마기 아이들은 컬

    러 사진 속 사물의 이름을 실제 사물에 일반화하

    는 데 북미의 또래들보다 더 큰 어려움이 있었다

    (Walker, Walker, & Ganea, 2013). 이러한 연구들

    은 2차원 이미지와 3차원 대상 간의 관계를 이해

    하는 데에는 그림 매체와의 경험이 필요함을 시사

    한다.

    오늘날의 많은 영아들은 또 다른 형태의 2차원

    이미지-특히 손에 쥘 수 있는 매체 기기의 스크

    린을 통한 움직이는 이미지-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영아들은 스카이프(Skype) 속의 할머니가

    ‘실제’ 할머니와 동일인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게

    되는가? 2세경이 되면 걸음마기 아이들은 면대면

    상호작용만큼 비디오 챗을 통해 사물의 이름을 능

    숙하게 배우는데 이는 두 경우 모두 정보 제공자가

    유관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때문이다(Roseberry,

    Hirsh Pasek, & Golinkoff, 2014). 걸음마기 아이들

    에게 마치 텔레비전을 보고 있을 때처럼 비유관 상

    호작용을 통해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면 아기들은

    잘 학습하지 못한다. 따라서 영아들과 유관하게 상

    호작용하는 2차원 이미지가 실제 사물을 표상하는

    것으로 더 쉽게 이해된다. 2명은 미국 아기들이고 2명은 서아프리카 아기들인 이 아기들은 사물 그림이 마치 실제 사물인

    양 반응한다. 그들은 아직 그림의 진정한 성격을 알지 못한다.

    All

    court

    esy

    Jud

    y D

    eLo

    ache, P

    ierr

    oust

    ako

    s, U

    ttal

    , Ro

    seng

    ren, a

    nd

    go

    ttlie

    b

  • 196 ■ 제5장 영아기의 보기, 생각하기와 행동하기

    음악적으로 조율이 되었다는 뜻인가? 그런 것은 아닌 것 같다. 영아 참가자들의 높은 음악적 민감

    성은 서양 음악에 대한 암묵적 지식의 상대적 결여를 반영하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음악적인 음조

    구조에 대한 문화특정적 친숙함을 습득하는 데 수년이 걸리기 때문에 동일 음조와 다른 음조의 변

    화가 영아들에게는 똑같이 현저한 것으로 보인다(Trainor & Trehub, 1994). 성인의 경우에는 수년

    간 들은 음악 때문에 동일 음조 내에서의 음표 변화를 탐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다.

    유사하게, 영아들은 성인들에 비해 음악적 리듬의 측면들에 또한 매우 ‘민감하다.’ 음악 체계는

    리듬 패턴의 복잡성에서 다르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서양 음악의 리듬은 아프리카, 인도, 그리고

    유럽 일부 문화의 리듬보다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Hannon과 Trehub(2005a, 2005b)은 성인들과

    6개월 영아들이 간단한 리듬 대 복잡한 리듬에서 운율을 방해하는 변화를 감지하는지를 조사했다.

    특히 연구에 참가한 성인들 중 일부는 지역 음악이 복잡한 리듬 패턴을 포함하는 발칸 지역에 살았

    고 다른 사람들은 더 간단한 리듬 패턴이 유행하는 음악의 특징인 북미 지역에 살았다. 결과는 간

    단한 리듬에서의 변화는 모든 집단이 알아챌 수 있었지만 복잡한 리듬에서의 변화는 북미의 영아

    들과 발칸 지역의 성인들만이 알아챌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북미의 6개월 영아들은 이 과

    제에서 북미의 성인들을 능가했다. 추적 연구에서 북미의 12개월 영아들과 성인들에게 복잡한 리

    듬에서의 이러한 변화를 탐지하는 훈련이 가능한지를 연구했다. 발칸 음악에 2주간 노출된 뒤에

    12개월 영아들은 복잡한 리듬에서의 변화를 탐지할 수 있었지만 성인들은 여전히 실패했다.

    음악 영역에서의 이러한 사례들은 경험과 함께 지각적 협소화(perceptual narrowing)의 과정이 있

    다는 것을 보여준다. 상대적으로 음악에 대한 무경험자인 영아들은 성인들이 탐지할 수 없는 음악

    적 자극들 사이의 차이를 탐지할 수 있다. 경험이 지각 체계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나타나는 발달적

    변화는 다양한 영역에서 관찰된다. 실제로 우리는 지각적 협소화의 과정을 글상자 5.1에서 얼굴 지

    각을 논의할 때 보았고 말소리 지각의 양태 간(intermodal) 양상을 논의할 때, 그리고 아주 확실하

    게는 제6장에서 언어 습득을 시작할 때 동일한 발달의 패턴을 마주칠 것이다. 이 사례들과 다른 영

    역에서 경험은 어린 학습자들이 발달의 초기에 있었던 변별능력을 ‘상실’하기 시작하도록 이끈다.

    각 경우에 이 지각적 협소화는 발달하는 아동이 자신들의 환경에서 중요한 생물학적·사회적 자극

    패턴들에 특별히 조율되게끔 한다.

    제3장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성인 음악가의 뇌는 자신들이 연주하는 악기에 의해 조성되며 이는

    상당한 가소성을 보여준다. 더 일반적으로 음악가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음악과 말소리 모두에서

    리듬과 음색을 더 잘 처리한다(예:Kraus & Chandrasekaran, 2010; Wong et al., 2007). 이 결과는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의 문제를 제기한다. 향상된 청각 처

    리 또는 음악적 훈련 중 무엇이 먼저인가? 즉 아마도 음악적 훈

    련을 계속 지속하는 사람들은 처음부터 비상하게 좋은 청각 기

    술을 가졌을 수 있다. 혹은 반대로 영아들은 일반적으로 청각

    능력이 비슷하지만 음악적 훈련을 받은 아기들의 경우 훈련이

    청지각을 향상시켰을 수도 있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최근

    의 한 연구에서는 9개월 영아들을 음악적 개입(영아 음악 수업

    과 유사하게 연구실에서 12회기 동안 음악적 노출/놀이 활동)

    또는 비음악적 사회놀이 통제조건 중 한 조건에 속하게 했다

    (Zhao & Kuhl, 2016). 다음에 연구자들은 MEG(글상자 3.3에

    서 언급했던 뇌 측정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영아의 뇌가 음

    지각적 협소화 ■ 경험이 지각체계를 미세 조정하는 발달적 변화

    Sp

    eed

    Kin

    gz

    / S

    hutt

    ers

    tock

    이 영아들은 영아 음악 수업의 일부로 음악

    적 활동을 하고 있다. 이 활동들은 즐거울

    뿐 아니라 지각 발달의 잠재적 이득을 제공

    한다.

  • 지각 ■ 197

    악과 말소리 구조의 위반을 얼마나 잘 탐지하는지를 조사했다. 결과는 영아들이 이러한 자료들을

    얼마나 잘 처리하는가에 음악적 개입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즉 추가적인 음악 경험을 한 영아

    들은 음악과 말소리에서의 위배를 더 잘 처리했다. 따라서 이 자료들은 경험이 음악능력의 발달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견해를 지지한다.

    미각과 후각

    제2장에서 배운 것처럼 맛과 냄새에 대한 민감성은 출생 전에 발달하며 신생아는 단 맛을 선호

    한다. 냄새에 대한 선호도 매우 일찍부터 존재한다. 신생아는 인간 영아들의 식량 자원, 즉 모유

    의 냄새를 선호한다(Marlier & Schaal, 2005). 냄새는 다양한 어린 포유류들이 어미 찾기를 배우

    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의 경우도 마찬가지일 것인데 이는 영아가 자신의 엄마와 다른 여

    자의 젖 냄새 중에서 선택하는 연구들에서 볼 수 있다. 이들 중 한 연구에서 엄마의 겨드랑이에 끼

    웠던 패드를 영아의 머리 한쪽 편에 두고 다른 여자가 꼈던 패드를 머리 다른 편에 두었다. 생후 이

    틀이 된 영아들은 자신의 엄마 특유의 냄새가 주입된 패드 쪽으로 2배나 더 머리를 돌렸다(Marin,

    Rapisardi, & Tani, 2015).

    촉각

    영아가 환경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또 다른 중요한 방법은 활발한 촉감을 통하는 것인데 처음에

    는 입과 혀에서 시작하여 나중에는 손과 손가락을 사용하게 된다. 영아가 손에 닿는 거의 모든 사

    물들뿐 아니라 자신의 손가락과 발가락을 입에 넣고 빠는 것처럼 처음 몇 개월 동안에는 입으로 하

    는 탐색이 주를 이룬다(그래서 작고, 삼킬 수 있는 사물들을 아기로부터 멀리 치우는 것이 매우 중

    요하다). 열정적인 구강 탐색을 통해 아기들은 자신이 마주하는 사물들의 질감, 맛, 그리고 다른 특

    성들뿐 아니라 아마도 자신의 신체(혹은 적어도 자신의 입에 넣을 수 있는 신체의 일부분)를 학습

    한다.

    영아들이 자신의 손과 팔 동작을 더 잘 통제하게 되는 4개월경부터 손으로 하는 탐색이 증가하

    고 서서히 구강 탐색보다 우선하게 된다. 영아들은 사물들을 적극적으로 문지르고, 손가락으로 만

    지고, 탐색하고, 두들기며 이러한 행동들은 점차 사물의 특성들에 맞게 구체화된다. 예를 들어 아

    기들은 질감이 있는 사물들은 문지르고 딱딱한 사물들은 두들기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또한 자신

    의 신체에 대한 정신적 지도를 발달시키기 시작하여 몸을 만지면 그 감각과 만져진 신체의 위치를

    연결시킨다(Ali, Spence, & Bremner, 2015). 영아가 뻗기에 능숙해지면 중요한 발달이 일어나는데

    이는 이 장의 후반부에서 논의할 것이다.

    양태 간 지각

    성인과 영아들 모두가 경험하는 대부분의 사건들은 다중의 감각양태를 동시에 자극한다. 이 장의

    처음에서 기술했던 시나리오에서 떨어지는 유리잔은 시각과 청각 자극을 동시에 제공했다. 2개 혹

    은 그 이상의 감각 체계로부터의 정보 결합인 양태 간 지각(intermodal perception)을 통해서 벤저

    민의 부모는 청각과 시각 자극을 하나의 일관된 사건으로 지각했다. 4개월 된 벤저민도 그렇게 한 양태 간 지각 ■ 2개 혹은 그 이상의 감각 체계로부터의 정보들의 결합

  • 198 ■ 제5장 영아기의 보기, 생각하기와 행동하기

    것 같다.

    Piaget(1954)에 의하면 다른 감각양태로부터의 정보는 처음에는 분

    리되어 지각되며 몇 개월이 지난 뒤에야 영아들은 사물의 모양과 소

    리, 냄새, 감촉 사이의 연합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연구들은

    매우 일찍부터 영아들이 다른 감각으로부터의 정보를 통합한다고 제

    안한다. 예를 들어 매우 어린 영아들도 입과 시각의 경험을 연결시킨

    다. 신생아(Kaye & Bower, 1994)와 1개월 영아(Meltzoff & Borton,

    1979)의 연구에서 영아들은 보지 못했던 고무젖꼭지를 빨았다. 그

    런 뒤에 영아들에게 입에 들어갔던 고무젖꼭지의 그림과 그것과 모양

    이나 재질이 다른 새로운 젖꼭지의 그림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영아

    들은 자신들이 빨았던 고무젖꼭지를 더 오래 쳐다보았다. 따라서 이

    영아들은 구강 탐색으로만 경험했던 사물을 시각적으로 재인할 수 있

    었다.

    연구자들은 또한 영아들이 청각-시각 양태 간 지각의 다양한 형태

    를 보유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러한 양태의 지각 연구들에서는 영아

    들에게 동시에 2개의 다른 비디오를 나란히 보여주었는데 이 중 한 비

    디오는 사운드트랙과 일치하지만 다른 비디오는 그렇지 않았다. 만약

    영아가 사운드 트랙과 일치하는 비디오에 더욱 반응한다면 이는 영아

    가 청각정보와 시각정보의 공통 구조를 탐지한 증거로 삼는다. 이 현

    상을 달리 생각하면 영아들이 동일한 사물에서 나오는 것으로 지각되

    는 다중 감각 사건들에 주의하기를 선호한다는 것이다(Murray et al.,

    2016).

    이 절차를 사용한 양태 간 짝짓기의 고전적 연구에서 Spelke(1976)는 4개월 영아들에게 2개의 비

    디오를 보여주었다. 한 비디오는 한 사람이 까꿍놀이를 하는 것이었고 다른 비디오에서는 북채로

    나무토막을 두들기는 손을 보여주었다. 영아들은 자신들이 듣고 있는 소리와 일치하는 영상에 더

    반응하였다. “까꿍”하는 목소리를 들으면 영아들은 사람을 더 쳐다보았지만 두들기는 소리를 들

    을 때는 손을 더 쳐다보았다. 후속 연구들에서 영아들은 더 정교한 변별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4개월 영아는 깡충깡충 뛰는 장난감 동물의 영상을 보았는데 동물이 공중에 있을 때 효과음이 들

    리는 영상보다 동물이 표면에 떨어질 때 효과음이 들리는 영상에 더 반응했다(Spelke, 1979).

    이 연령에서 영아들은 또한 보는 것과 듣는 것 사이에 더욱 추상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

    를 들어 3~4개월 영아들은 호루라기 소리가 높아지고 낮아지는 것과 같은 속도로 공이 튀어 오르

    고 떨어지는 것처럼 각 양태의 차원들이 일치하는 시각적 배열을 더 오래 쳐다보았다(Walker et al.,

    2010; 모순되는 결과는 Lewkowicz & Minar, 2014 참조). 이러한 결과들은 한 양태의 자극이 다른

    양태에서의 지각을 일으키는 현상인 공감각(synesthesia)의 초기 형태로 해석된다. 제2장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영아들은 이러한 종류의 감각적 혼합을 경험할 가능성이 특별히 더 높아 보이는데 이는

    아직 감각 영역 간 신경적 연결의 가지치기가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청각-시각 혼합의 가장 극적인 표출 중 하나는 McGurk 효과(McGurk & MacDonald, 1976)라고

    알려진 착각일 것이다. 이 착각을 유발하기 위해서 음절 ‘가’를 말하고 있는 사람의 비디오에 청각

    적 음절 ‘바’를 더빙한다. 이 비디오를 보는 사람은 ‘바’와 ‘가’의 중간인 ‘다’라는 음절(세 음절을

    Serg

    ejs

    Nesc

    ere

    ckis

    / A

    lam

    yG

    areth

    Bro

    wn /

    Gett

    y Im

    ages

    처음에는 아기가 집는 모든 사물이 입에 넣

    을 만하건 아니건 간에 구강 탐색을 위해 입

    으로 향한다. 나중에는 영아들은 사물을 시

    각적으로 손으로 탐색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사물 그 자체에 대한 흥미를 보여

    준다.

  • 운동발달 ■ 199

    크게 소리 내면서 입에서 소리를 만드는 위치에 주의를 기울여보면 알게 될 것이다)의 소리를 듣

    는다. 이 착각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청각과 시각정보를 함께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실제

    로 4.5개월의 영아들은 이 착각을 경험할 수 있다. 그들은 McGurk 자극에 친숙화된 다음에는 실

    제로 ‘다’ 소리를 듣지 못했는데도 ‘다’ 소리를 친숙한 것으로 취급했다(Burnham & Dodd, 2004;

    Kushnerenko et al., 2008).

    앞서 언급했던 지각적 협소화의 과정들이 양태 간 지각에서도 또한 발생한다. 어린 영아들은 비

    모국어 말소리(모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소리들)에서 말소리와 얼굴 움직임 간의 대응을 탐지할 수

    있지만 나이 든 영아들은 그렇게 할 수 없다(Pons et al., 2009). 유사하게, 어린 영아들은 원숭이의

    얼굴 움직임과 원숭이의 발성이 서로 일치하는지 탐지할 수 있지만 나이 든 영아들은 그렇게 할 수

    없다(Lewkowicz & Ghazanfar, 2006). 따라서 영아들이 탐지할 수 있는 양태 간 대응의 종류를 경

    험이 미세하게 조정한다.

    생의 초기에 한 감각이 존재하지 않을 때 양태 간 지각이 어떻게 발달하는가? 이 흥미로운 질문

    은 시각장애아가 비정상적으로 많은 인도에서 연구되었다. 이 아동의 대다수의 눈은 간단한 백내

    장 수술로 정상이 될 수 있었다. Prakash 프로젝트는 인도에서 예방이 가능한 실명을 치료하기 위

    해 성인과 아동들을 선별하는 데 헌신하는 과학적이며 박애주의적인 기구이다. 그들 연구의 사명

    은 수년이나 수십 년의 실명 후 시력이 회복된 뒤에 어떤 일이 생기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그들

    의 연구 노력 중 하나는 양태 간 지각에 초점을 맞춘다(Held et al., 2011). 특히 그들은 시력을 되

    찾은 성인들이 감각으로 느꼈던 사물들을 자신이 보는 사물과 대응시킬 수 있는지를 질문했다. 결

    과들은 시력을 회복한 직후에 맹인이었던 성인들은 촉각으로 느꼈던 모양을 시각으로 보이는 모양

    과 대응시킬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단 5일간의 시각 경험 후에 성인들은 이 시각-촉

    각 양태 간 대응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은 이전에 시각장애인이었던 학습

    자들이 양태 간의 관계를 발견하는 데 실제로 경험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Piaget가 믿었

    던 것처럼 수개월을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양태 간 과정들은 감각적 경험에 의해 촉진되는 것처럼

    보인다.

    운동발달

    제2장에서 학습한 것처럼 태아가 양수 속에서 무중력으로 떠다닐 때부터, 즉 출생 전부터 인간의

    움직임은 시작된다. 출생 후 신생아의 움직임은 불규칙적이며 상대적으로 통합되어 있지 않은데

    한 가지 이유는 신체적·신경학적 미성숙 때문이고 또 다른 이유는 아기가 중력의 완전한 영향을

    처음으로 경험하기 때문이다. 이제 보겠지만 통합되지 않은 신생아, 중력의 포로가 자신 있게 환경

    을 탐색하는 유능한 걸음마기 아이가 되기까지의 이야기는 대단히 복잡하다.

    반사

    신생아들은 반사(reflexes)로 알려진 엄격하게 짜여진 행동패턴을 가지고 시작한다. 고통을 주는 자

    극들을 회피하는 것 같은 일부의 반사들은 분명한 적응적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다른 반사들은 적반사 ■ 특정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선천적이고 고정된 행동의 패턴들

  • 200 ■ 제5장 영아기의 보기, 생각하기와 행동하기

    응적 중요성이 알려지지 않은 것들도 있다. 잡기 반사(grasping reflex)에서 신생아들은 손바닥에 압

    력을 주는 것은 무엇이든 손가락으로 움켜잡는다(그림 5.8a). 정향 반사(rooting reflex)에서 영아의

    입 근처 뺨을 두들기면 아기들은 자극의 방향으로 머리를 돌리고 입을 연다(그림 5.8b). 따라서 자

    신의 뺨이 엄마의 가슴에 닿으면 가슴 쪽으로 머리를 돌리고 입을 연다. 젖꼭지가 입에 닿으면 빨기

    반사(sucking reflex)(그림 5.8c)가 시작되고 그다음에 삼키기 반사(swallowing reflex)가 뒤따르는데 이

    두 반사가 모두 영양섭취의 기회, 궁극적으로는 생존의 기회를 증가시킨다. 이 반사들은 완전히 자

    동적인 것은 아니어서 예를 들어 정향 반사는 영아가 배고픈 상태에서 더 자주 일어난다.

    영아가 머리를 돌리거나 한쪽으로 돌면 그쪽의 팔이 신장되고 반대편 팔과 무릎이 구부러지는 긴

    장성 목 반사(tonic neck reflex)(그림 5.8d)처럼 그 가치가 알려지지 않은 반사들도 있다. 긴장성 목

    반사는 자신의 손을 시야에 두려는 영아들의 노력을 나타낸다고 생각된다(von Hofsten, 2004).

    출생 시 강력한 반사의 존재는 신생아의 중추 신경계가 잘 작동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비정상적

    으로 약하거나 강한 반사들은 뇌손상의 징표이다. 대부분의 신생아 반사들은 규칙적인 스케줄에

    따라 사라지지만 기침, 재채기, 눈 깜박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