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유전자치료제 임상시험 승인 을 위한 규정 30 BIOSAFETY Vol.8 No.3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유전자치료제의임상시험승인을위한규정

30 BIOSAFETY Vol.8 No.3

Page 2: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최근 눈부신 발전을 이룩한 유전자변형기술은 1983년 E.coli에서 인슐린

생산 유전자를 삽입하여 생산된 인슐린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의 의약품 허가를 받은 것을 시작으로 의약

품생산의수준을넘어유전자자체를치료의방편으로임상에적용하기

에 이르 다. 많은 질환이 유전자의 결함에 의해서 일어나며, 이러한 결

함이‘유전자치료’에의해근본적으로치유될수있다는이론에따라선

천적인 유전 질환, 암과 같은 만성 질환, 에이즈와 같은 감염성 질환 등

기존의치료법으로는만족할만한치료효과를얻지못하는난치성질환

및 치명적 질환의 치료에 커다란 희망을 주고 있다. 유전자치료제는 인

체의 유전자변형을 수반하기 때문에, 적절히 사용되지 않을 경우 인류에

게 도움을 주는 기술이 아니라 인류의 장래에 위협이 될 수도 있다. 따라

서, 유전자변형기술의잠재적위험을최소화하기위하여윤리적, 생물안전

(환경 및 인체위해) 및 인체적용 의약품으로서의 품질 및 안전성·유효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수적이다. 본고에서는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

험승인을위한검토항목및이와관련된제도에대해고찰해보고자한다.

“유전자치료제”란 일반적으로 질병 치료 등을 목적으로 유전물질 또는 유전물

질을 이입한 세포를 인체에 투여하는 의약품을 말한다. 유전자치료는 신개념

의획기적인치료로기존의약물들이질환의증상치료에초점을맞춘다면유

전자치료는 질병의 원인을 유전자 차원에서 분석하여 직접적이고 근본적으

로 치료하고자 하는 혁신적 치료로 볼 수 있다. 유전자치료제의 핵심적인

요소는 치료 효과를 지니고 있는 유전자, 즉 치료 유전자와 유전자를 효

율적으로 세포에 전달하는 운반체인 즉 유전자 전달 벡터(Gene

transfer vector), 그리고 세포배양기술 및 유전자변형기술

등을들수있으며, 투여하는방법에따라치료유전자를

전신적 혹은 국소적으로 환자에 직접 투여하는

in vivo 유전자치료제와체외에서먼저대상

세포에 유전자를 도입하여 형질전환

최 민 정 보건연구사

식품의약품안전청 유전자치료제팀[email protected]

기획 |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규정

31KBCH

머리말

유전자치료제개요 및 임상시험 현황

Page 3: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Scheme 03Scheme 02Scheme 01

시킨 후 선별적으로 증식시켜 유

전자가 도입된 세포를 환자에 투

여하는 ex vivo 유전자치료제로

크게나눌수있다.

유전자치료제의 종류로는 유전자

전달 벡터에 따라 레트로바이러

스, 렌티바이러스, 백시니아바이

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아데노부

속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성 벡

터, 플라스미드 DNA(naked

DNA) 및양이온성폴리머에DNA

를 결합시킨 리포좀(Liposome)과

같은 비바이러스성 벡터, 그리고

이러한 벡터로 형질전환된 유전자

가 도입된 세포 등을 들 수 있다.

각 벡터의 종류에 따라 유전자 전

달 효율, 병원성기원에 따른 안전

성 문제, 자손으로의 유전자 전달

가능성, 도입할 유전자의 크기에

대한 제한, 도입된 유전자의 발현

지속율 등에 따라 장단점이 다르

다. 그러므로, 치료하고자 하는 질

병의 종류나 치료 유전자의 특성

에따라벡터가선택되어야한다.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은 2007

년 9월 기준으로(자료:www.

wiley.co.uk/genmed/ clinical)

전 세계적으로 1,309건이 진행되

고 있으며, 이중 882건(약 68%)

이 아메리카 대륙에서, 358여건

(약 28%)이 유럽에서, 37여건(약

2.8%)이 아시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naked

plasmid DNA 4건, 백시니아바

이러스 벡터 1건, 레트로바이러

스 벡터 2건, 아데노바이러스 벡

터 1건에 대해 임상시험이 승인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임상허가

를 받은 유전자치료제의 분야별

건수는 암 치료 목적이 871건으

로 약 67%를 차지하여 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이외에도 심혈관계

질환이 약 9.1%, 단일 유전체 질

병(monogenic disease) 이 약

8.3%, 감염성 질환이 약 6.5%를

차지하고있다.

유전자치료제가 실험동물에서는 어

느정도효과가인정되고있지만, 임

상시험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

지못하는몇가지장애요인이있다.

이는현재사용하고있는유전자전

달 벡터가 표적세포로 전달되는 효

율이낮고, 암세포등원하는표적세

포에만선택적으로유전자를전달하

지못하며, 체내에서제대로발현이

되지않는경우등이있다. 또한아직

까지기능이알려진유전자들은소수

에불과하며, 유전질환의경우인종

간의차이가크므로이를어떻게규

명할것인가도걸림돌이되고있다.

32 BIOSAFETY Vol.8 No.3

Cancer(diseases(66.5%((n=871)

Cardiovascular(diseases(9.1%((n=119)

Monogenic(diseases(8.3%((n=109)

Infectious(diseases(6.5%((n=85)

Neurological(diseases(1.5%((n=20)

Ocular(diseases(0.9%(n=12)

Other(diseases(1.6%(n=21) Gene(marking(

3.8%((n=50)

Healthy(volunteers(1.7%((n=22)

WILEY

그림 1·질환별 유전자치료제 임상시험 현황

* 출처: www.wiley.co.uk/genmed/clinical

Page 4: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유전자치료는 도입세포와 목

적에 따라 ▲ 체세포 유전자치료

(Somatic cell gene therapy) ▲

생식세포 유전자치료(Germ-line

gene therapy) ▲ 형질 향상을 위

한 유전자 도입(Enhancement

genetic engineering) ▲ 우생 형

질 유전자 도입(Eugenic genetic

engineering) 등 네 가지 분야로

도나눌수있다.

하지만 현재 유전자치료 임상시험

은 체세포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로 제한되어 있다. 생식세포나 태

아(fetus)를 대상으로 유전자변형

을시도한다면인류에게어떤 향

이 미칠 것인지, 또 유전자변형이

난치병 등의 치료가 아닌 다른 목

적, 이를테면 우생학적(eugenic)

시각에서타고난형질의강화를위

해 이루어진다면 윤리적 측면에서

고려되어야하며, 원천적으로모든

국가에서금지하고있다.

비교적윤리적문제가배제된체세

포 대상 유전자치료에서도 다음과

같은 잠재적 문제가 있다. 유전자

전달 벡터로 가장 널리 쓰이는 바

이러스의 경우, 유전자 전이에 많

이쓰이는플리스미드중에는자기

들끼리재조합또는결손을일으키

는경우가있는데, 이경우복제가

능바이러스생산의위험성과함께

새로운 종류의 바이러스가 재조합

될위험성이상존해있다.

또한 치료 유전자가 원하지 않는

위치에 삽입되어(Insertional

mutagenesis) 발암 유전자를 활

성화시키거나, 발암억제 유전자를

비활성화시켜 새로운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도 가지고있다. 따라

서 임상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개

발하고자 하는 유전자치료제가 인

체에 안전하고 질병 치료에 효과

가있을것으로예측할수있는안

전성·유효성 평가자료와 특성 분

석 및 규격에 맞는 품질을 확보하

기 위한 기준 및 시험방법에 관한

자료가검토되어야한다.

한편 유전자변형으로 제작된 신·

변종 생물체인 유전자치료제는 아

직 인체와 환경에 대한 위해성 여

부가 확인되지 않아 제조 및 사용

시 변이 생물체의 전파, 확산에따

른 생물학적 위험 발생 예방을 위

해 사전평가를 통한 생물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평가항목으로는

시설, 장비, 안전기술을 포함한 적

절한 폐시설 확보와 연구자의

위해성 평가 및 관리능력, 규정,

조직, 인력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

안전관리운 체계를들수있다.

정부 및 관련기관에서는 유전자변

형(유전자재조합) 연구 및 유전자

치료제 임상시험의 관련 절차와

안전에 대한 지침 등을 마련하여

유전자변형기술 개발시 발생가능

한 위험이 최대한 배제될 수 있도

록 올바른 제도와 규정을 정립하

고 있다. 또한, 과학자들은 유전자

변형기술 개발의 잠재적 위험성을

인지하고 관련지침에 따라 연구를

수행해야 유전자변형기술을 이용

한 유전자치료제를 제대로 개발할

수있을것이다.

1. 미국

1990년 선천성면역결핍증(ADD;

Adenosine Deaminase Deficiency)

환자에 대한 최초의 유전자치료를

시도했던 미국은 유전자치료제의

연구 및 임상 시도에 있어서는 단

연 앞서 있지만, 미국의 유전자치

료제가 현재의 수준에 이르기까지

많은 우여곡절과 진통을 겪어 왔

다. 1980년 당시 UCLA 대학의

클라인(Cline) 교수는 탈라세미아

(thalassemia)1) 환자에 대한 유

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을 승인받

기획 |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규정

33KBCH

유전자치료제 임상시험승인을 위한 검토사항

각국의 유전자치료제임상시험에 관한 규정및 절차

1) 탈라세미아(thalassemia) : 혈액 유전병의 일종.헤모 로빈 구성요성인 베타 헤모 로빈쇄(β-hemoglobin chain) 유전자의 점 돌연변이(point mutation) 및 결실로 인한 적혈구의 헤모 로빈 부족에 의한 것으로 α와 β타입이 있다.

Page 5: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Scheme 03Scheme 02

기 어렵다고 판단한 뒤, 이스라엘

로 가서 재조합 치료 유전자를 환

자의 골수에 이입 유전자치료를

시도하 다. 이 임상 시도는 효과

도 없었지만, 아무런 부작용 없이

끝났다. 그러나, 이같이 재조합 유

전자를사람에게이입하는것이안

전한가에대해충분한사전검토없

이 임상시험이 실시된 것에 대해

의학자들은 비윤리적인 행위라고

클라인교수를심하게비난하 다.

이 사건으로 인해 1990년 첫 임상

시험이 승인될 때까지 유전자치료

제에 대한 임상은 심한 규제와 좌

절을 겪어야 했다. 이후 학계와 미

국정부의조화된노력으로지금의

규정이제정되었으며, 미국의유전

자치료제 임상시험 승인을 주관하

는 기구는 미국국립보건원(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의

재조합 유전자 자문위원회(RAC;

recombinant DNA advisory

committee)와 식의약품국(FDA)

의 생물학적제제 평가연구센터

(CBER; Center for Biologics

and Research)가있다.

가. NIH - 재조합유전자

자문위원회(RAC)

유전자 전달체 연구를 시작한 처

음 5년 동안에는 연구의 안전성에

대해 많은논란들이 있었다. 이 때

문에 NIH에 등록한 모든 유전자

전달체 임상시험은 공개적으로

RAC의 심의와 승인을 받아야 했

다. 그러나 이후 관련지식의 축적

에 따라 NIH는 RAC의 요구에 입

각하여 새로운 연구만 정식으로

RAC의 심의와 승인을 받도록 하

는 관리 체제를 재정립했다. 새로

운 연구인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심사자는 과학적 근본 원리와 생

체내 및 생체외 실험의 안전정보

가 적절한 방법으로 얻어졌는지,

또한 그 정보가 충분한지, 그리고

사회적 및 윤리적 문제가 없는지

등을조사한다. RAC은 1989년연

구자들이 유전자 전달체 연구계획

서를 작성함에 있어 안내서의 역

할을 하고, NIH에서 유전자치료

연구계획서를 심사할 때 기준이

되는「인간유전자에재조합DNA

를 전달하는 연구계획서의 제출과

계획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관한

지침」(Point to Consider in the

Design and Submission of

Protocols for the Transfer of

Recombinant DNA into the

Genome of Human Subjects)을

발표하 다. 이 지침은 1997년 10

월에 개정되었고, 연구자들은 연

구계획서 사본을 NIH에 제출한

후, 부작용 보고를 포함해서 NIH

지침에 명시된 인간 유전자 전달

체 임상연구의 수행에 대한 모든

방침과 절차를 따라야 한다. NIH

지침은 기관내 생물안전위원회

(IBC; Institutional Biosafety

Committees)에도적용된다. 대개

의실험들은 IBC에서재실험등의

검증과정을 통해 승인된다. 그러

나 사람, 동물, 농업에서 병원체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의약품을 만

드는 미생물에 자연적으로 일어나

지 않는 방식으로 약제내성 유전

자를 의도적으로 전달하는 실험은

NIH의 승인을 얻어야 하며, 이때

RAC은 재실험 등의 검증과정을

통해 그 안전성을 NIH에게 확인

해주는역할을한다.

NIH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유전

자변형 실험은 내용에 따라 다음

의 6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NIH Guidelines for Research

Involving Recombinant DNA

Molecules, 2002).

❶ 실험 개시 전에 IBC 승인, RAC심의, 그리고 NIH의 승인이 요구되는 실험

❷ 실험 개시 전에 NIH/OBA(Officeof Biotechnology Activities)와IBC 승인이 요구되는 실험

❸ 실험 개시 전에 IBC,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과 NIH/OBA의 등록이 요구되는실험

❹ 실험 개시 전에 IBC 승인이 요구되는 실험

❺ 실험 개시와 동시에 IBC 통보가요구되는 실험

❻ 면제 실험

위의 실험 중 3번째 항목에 해당

하는 유전자변형 실험은 재조합

유전자 또는 재조합 유전자로부터

34 BIOSAFETY Vol.8 No.3

Scheme 01

Page 6: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파생된 DNA 또는 RNA를 1명 이

상의 사람에게 의도적으로 전달하

는 것과 관련된 실험으로 모든 유

전자치료제는 여기에 해당된다.

그리고 임상시험 실시기관내 기구

인 IRB에서 윤리적인 사항을

IBC에서 생물안전성을 확보 받은

뒤 NIH/RAC에 등록되며, 새로운

특징(새로운 벡터, 유전자 전달 시

스템, 질병, 유전자 전달의 특이한

적용 등의 사항이 포함된 경우)으

로 판단되는 경우 RAC의 심의를

거치게된다.

RAC은 아직도 모든 새로운 연구

계획에 대해서는 공개심의를 하지

만, 승인 기능은 더이상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유전자치료에 관한

정책회의(GTPC; Gene Therapy

Policy Conference)를 소집하여

유전자치료 연구와 관련된 새로운

생물 안전과 윤리 문제에 대한 과

학적 기초에 관해 필요한 방침을

제시하는데중점을두고있다.

나. FDA - 생물학적제제

평가연구센터(CBER)

1986년 미국 FDA는 유전자치

료를 생물학적제제(biological

product)라고 규정한 후 FDA

에허가받아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FDA내 생물학적제제

의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생물

학적제제 평가연구센터(CBER)

는 1991년에 인간 체세포치료

및 유전자치료에 관한 고려사항

(Point to Consider in Human

Somatic Cell Therapy and

Gene Therapy), 1998년에는 관

련지침(Guidance for Human

Somatic Cell Therapy and

Gene Therapy)을 만들어 유전자

치료제의 임상시험 승인을 위해

품질관련 자료(CMC) 및 안전

성·유효성 평가를 위한 비임상

자료, 임상 총론, 임상시험계획

서, 이전 임상시험 경험 등에 대

한 자료를 제출토록 하 다. 즉

NIH는 유전자치료의 윤리·법적

인 측면을 평가의 주안점으로 하

는 반면, FDA는 주로 유전자와

변형된 세포의 품질 규격 및 피

험자에 대한 안전성·유효성을

평가대상으로 한다는 차이점을

갖는다(표 1).

기획 |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규정

35KBCH

NIH FDA

표 1·미국 NIH와 FDA의 검토사항 비교

고유 검토사항

공통사항

공개토론새로운 유전자치료에대한 과학적 타당성,위해성(인체, 환경), 윤리성

① 연구의 목적 및 원리② 연구계획③ 예상 위험성④ 임상시험계획서⑤ 임상동의서⑥ 연구자의 이력⑦ 비임상 개요⑧ 벡터, 세포의 구조, 특성 및 유전자 도입의 과학적 타당성⑨ 공중보건에 대한 고려⑩ 실험실 및 임상시설의 적합성

유전자치료용 세포, 벡터의 품질 및 안전성

① 제조방법

② 생산과정

③ 품질검토(검사방법, 민감도, 규격 등 포함)확인역가생존율순도이상 독성내독소동결세포주 은행의 품질 검토

④ 비임상시험 결과 및 자료⑤ 임상시험 진행 여부 결정⑥ 임상2상, 임상3상 진행 여부 검토(용량,

효력, 시험 디자인, 위약 보다 우수성등 검토)

Page 7: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Scheme 03Scheme 02

2. 유럽연합(EU)

유럽연합의 의약품 허가기구

(EMEA; The European Medicines

Agency)는 아직 임상시험 승인 기

능이 없어 아직 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유전자치료제는 각 나라별

승인대상이 된다. EMEA에서는

유럽 내의 통합된 임상시험 지침

발간(지침 2001/20/EC)을 통해

임상시험 승인 절차를 명확하고

단순하며조화롭게하 다. 이로써

국가간 보건당국이 허가받는 시간

을절약함으로써유럽의약품시장

을 활성화 하고자 하 다. 임상시

험을위해유럽에서공통적으로요

구하는 지침과 대표적으로 국의

적용사례를살펴보고자한다.

가. 윤리위원회의승인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유전자치료

제의 윤리적 타당성 검토는 대부

분 국가중앙기관에서 담당하며,

다음과같은사항이고려된다.

● 의약품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

● 프로젝트의 목적

● 임상시험계획서의 전반적인 사항

● 임상치료 이외의 부가적인 치료계획서

● 잠재적인 위험성, 즉 불편과 고통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

● 피험자 정보

● 피험자 동의서

● 피험자 안전성에 관한 추적관리계획

진행과정은 서류가 제출된 뒤 합

리적인 의견이 60일 내에 제기되

고, 보완자료가 필요하면 검토시

간은 멈춘다. 유전자·세포치료제

및 LMO인 경우 추가 30일이 가

능하고(90일), 위원회의 전문가가

동의한 경우 추가 90일이 가능하

다(180일). 윤리위원회는 서류의

검토뿐 아니라 윤리사항에 관해

규정적으로도 지원한다. 윤리위원

회에서 국가별로 윤리적 사항을

검토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국가

별, 제제별로 (표2)와같다.

국에서는 1989 CEGT(Committee

on the Ethics of Gene Therapy)

가 설립되어 인간 체세포를 유전적

으로 변형시켜 질병 치료를 하는데

대한 윤리적 지침서를 작성하 다.

이에따라1992년1월“인간을대상

으로 하는 유전자치료 연구제안서

작성 지침(Guidance on Making

Proposals to Conduct Gene

Therapy Research on Human

Subjects)”이공포되었다.

36 BIOSAFETY Vol.8 No.3

보통 생명공학제품 유전자치료제 LMO 세포치료제 이종이식제

국 60일 60일 90-180일 90-180일 90-180일 제한 없음

벨기에 28일 28일 28-58일 28-118일 미확인 제한 없음

체코 60일 60일 60-180일 60-180일 60-180일 미확인

덴마크 60일 60일 90-180일 90-180일 90-180일 제한 없음

핀란드 60일 60일 약 60일 약 60일 약 60일 제한 없음

프랑스 60일 60일 90일 미확인 90일 제한 없음

독일 30-60일 30-60일 90-180일 90-180일 90-180일 제한 없음

네덜란드 60일 60일 90일 90일 90일 제한 없음

스페인 60일 60일 90-180일 90-180일 90-180일 제한 없음

표 2·유럽의 국가별 윤리적 사항 검토시 소요 일수

* 출처 : Informa Life Sciences/Gene therapy conference 2006

Scheme 01

Page 8: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이 지침서에 따르면 체세포 유전

자치료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

이나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는 질

병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며, 또한

국에서의 유전자치료 연구를 감

시하기 위한 새로운 기구의 설립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이에 따라, 국 정부는 국에서

실시되는 유전자치료를 규제하기

위해 1993년에 유전자치료 심의위

원회(GTAC; Gene Therapy

Advisory Committee)를 설치하

여, 유전자치료연구가치료를목적

으로하는지의여부와상관없이인

간을대상으로하는연구에대해일

반적으로인정된윤리기준에합당

하느냐 하는 점에 중점을 두고 그

연구를 평가한다. 그리고 유전자치

료연구의발전에대하여 국보건

부장관에게조언을하기도한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여 체세포 유

전자의 치료나 유전자의 전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

구자는 이 실험을 수행하기 전에

GTAC의 승인을 얻어야 하고 현

재까지GTAC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생식세포(난자나 정자)의 유

전자치료는허용하지않고있다.

나. 환경 향평가

EU 내에서는 LMO의 생산과 사

용이 환경방출 위해도에 따라 다

음두가지지침의적용을받는다.

이 지침에서는 EU의 중앙절차에

따른 판매 허가(MA; Marketing

Authority) 시에 요구되는 바에

따라, LMO 함유 유전자치료제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위한 과학적

원칙과방법을제시한다.

국에서도 유전자치료제의 임

상시험을 위해 회사와 지역 사

회는 바이러스 확산(shedding)

을 포함한 제품과 관계된 위해

성을 평가해야 한다. 위해성 평

가서는 제품의 분류를 위해서

지역의 Genetic Modification

Safety Committee(GMSC)/the

Biological Safety Officer(BSO)에

제출되어야한다.

국의 보건안전청(HSE; Health

and Safety Executive)은 지역

대표위원으로 구성된 국가위원회

이며, 유전자치료제를 분류(class)

2(분류 1은 환경위해성이 적은 보

통의 생명공학 의약품을 의미한

다. 분류 2는 유전자치료 의약품

을나타낸다)로분류한다. “ 폐용

으로 사용되는 LMO에 관한 규정

(The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Contained Use)”에

의거하여HSE에서사람의건강과

안전에 관련된 사항을 담당하고

있다. HSE는 국에서 행해지는

모든 재조합 DNA를 이용하는 생

명공학 제품 개발과 관련된 분야

를 규제하는데, 특히 고용인이 작

업환경에서의 생물학적 매체에 대

한 위해성을 평가하고, 이에 대하

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는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임상시험 실시기

관은 첫 번째 임상시험 시작 전에

HSE에 임상시험을 알려야 하며,

HSE는 병원 실사를 통해 제품의

기획 |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규정

37KBCH

(1) 폐 사용(Contained Use) ---------- (지침 90/219/EEC)

적절한 폐시설을 갖추어야 하며 LMO가 환경으로 방출되어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며, 회사는 제품의 정보(바이러스

shedding 유무를포함할것)를포함하여위해성을평가해야한다.

(2) 의도된 방출(Deliberate Release) ------ (지침 90/220/EEC)

환경오염 및 일반적인 오염보호를 위해서는 지역의 특정한 법의 적

용을받는다. 지침90/220/EEC는다음내용을담고있다.

①LMO의임상시험승인과품목허가를위한환경위해성평가규정

(동유럽은아직이규정을따르지못함)

②환경위해성(Environmental Risk) 평가항목● LMO의 속성●환경에 노출될 경우 위해성 평가●활성을 포함한 속성

Page 9: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Scheme 03Scheme 02

분류(class)에 맞게 적합한 시설이

갖추어져있는지를평가한다.

다. 임상시험승인

국가별 승인기구에 승인을 위한

자료를 제출하는데, 윤리위원회와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제출한

다. 임상시험 승인을 위하여 유럽

에서 요구되는 일반적인 핵심문서

목록은 (표3)과같다.

● 임상시험계획서와요약서

(국제어로표기할것)

● 증례기록서(Clinical record form): 피

험자 식별코드, 환자가 읽을 수 있는

언어로 쓰여진 삶의 질 향상(Quality

of life) 요건

● 시험자 자료집(Investigator’s

brochure)

● 피험자정보와동의서

● 모니터링 실시계획(몇몇 국가에서는

국제어로표기)

● 임상시험기관과의계약서

● 국제적인 보험/지역 보험/보상에 관

한 문서

● 의약품의허가등록상태

● 배치수, 분석시험법의보증

● GMP 인증서, 제조 수입허가증

● 바이러스안전성시험

● 의약품의라벨링(국제적언어)

● 임상시험기관, 시험자와 연구간호사

등에관한정보

● 피험자모집광고및소견등

● 환자에 대한 금전적 보상과 임상시

험자에대한사례비지급

국에서도 2003년 국에서의

임상시험을 위해 설립된 MHRA

(Medical and Health care

products Regulatory Agency)에

서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을 허

가하며, 의약품과의료기구의허가

또한담당하고있다.

3. 일본

일본에서는 1991년 10월부터 후생

노동성 산하 과학위원회에 유전자

치료에 관한 전문위원회를 발족시

켰다. 전문위원회에서는 유전자치

료에관한연구를추진하면서발생

할 수 있는 기본적 문제에 대해 폭

넓게 조사·검토하 다. 이후 이러

한활동내용에기반하여후생노동

장관의심의를거쳐 1993년 4월에

는“유전자치료 임상연구에 관한

지침”을 확정하 다. 지침에서는

다음의모든요건에적합한질환에

대해서만 유전자치료를 적용하도

록그적용범위를한정하고있다.

● 치사성 유전성 질환, 암, 후천성 면역겹

핍증후군, 기타생명을위협하는질환

● 유전자치료 임상연구에서 치료 효과가

현재 가능한 다른 치료 방법과 비교했

을때우수함이충분히예측되는질환

● 피험자에게는 유전자치료 임상연구

에서 얻는 이익이 불이익을 상회할

것으로 예측되는 질환

또한 유전자치료제는 임상시험 전

에환경위해성평가를받아야한다.

일본은 의정서 국내이행법(카르타

헤나법) 하에“산업이용 등과 관련

한제2종사용등에있어취해야할

확산방지조치를 정한 성령”(재무,

후생, 농림, 경제, 환경성 공동)을

2004년 1월에공포하 고, 세부고

시를정해유전자치료제의생산공

38 BIOSAFETY Vol.8 No.3

보통 생명공학제품 유전자치료제 LMO 세포치료제 이종이식제

국 15-60일 15-60일 90-180일 90-180일 90-180일 제한 없음

벨기에15-28일 15-28일

28-58일 28-118일 28-58일 제한 없음(30일) (30일)

덴마크 30일 30일 30일 30일 30일 제한 없음

핀란드 60일 60일 약60일 약60일 90-180일 제한 없음

프랑스 30-60일 30-60일 약90일 미확인 미확인 제한 없음

60일60일 60일 60일독일 30-60일

90-180일 90-180일 90-180일제한 없음

스페인 60일 60일 90-180일 90-180일 90-180일 제한 없음

표 3·유럽의 국가별(임상시험) 승인시 소요 일수

* 출처 : Informa Life Sciences/Gene therapy conference 2006

Scheme 01

Page 10: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정과정에서의구조설비가2종규제

운 통지를 준수하는지의 여부와

임상투여시 1종으로환경방출되는

점(환자의 분뇨 등)을 고려하여 생

물다양성에대한평가를받고적합

성을인정받아야한다. 현재까지일

본에서유전자치료제의환경위해성

을 평가받은 임상시험용 유전자치

료제는(표4)와같다.

기획 |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규정

39KBCH

표 4·일본의 환경방출용 LMO 중 유전자치료제 승인 현황 (2007년 5월 기준)

레트로바이러스

인간 아데노신 데아미나아제(adenosinedeaminase:ADA) cDNA 유전자 배열을포함, 긴팔원숭이 백혈병 바이러스 env 단백질을 표피(envelope)에 갖는 비증식성유전자변형 몰로니 마우스 백혈병 바이러스 (GCsapM-ADA)

홋카이도대학병원

후생노동성& 환경성 치료용 ’04.07.05 ’05.09.011

레트로바이러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1형 티미딘 키나아제 및 세포내 역 결손 인간 저친화성 신경성장인자 수용체를 발현, 마우스 안포트로픽 바이러스 4070A의 env 단백질을 표피에 갖는 비증식성 유전자변형 몰로니 마우스 백혈병 바이러스 (SFCMM-3)

츠쿠바대학부속병원

후생노동성& 환경성

치료용 ’04.04.14 ’05.09.012

레트로바이러스

인간 다제내성 유전자 MDR1 유전자배열을포함하며, 마우스 안포트로픽 바이러스4070A의 env 단백질을 표피에 갖는 비증식성 유전자변형 하베 마우스 육종 바이러스 (HaMDR)

(재)암연구회유메이병원

후생노동성& 환경성

치료용 ’04.05.06 ’05.09.013

아데노바이러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티미딘 키나아제유전자 배열을 포함한 비증식성 유전자변형인간 아데노바이러스 5형 (Ad-OC-TK)

고베대학의학부부속병원

후생노동성& 환경성

치료용 ’04.07.16 ’05.09.014

아데노바이러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티미딘 키나아제를 발현하는 비증식성 유전자변형 인간아데노바이러스 5형 (Adv.RSV-TK)

오카야마대학의학부 치의대

부속병원

후생노동성& 환경성

치료용 ’04.06.04 ’05.09.015

센다이바이러스

인간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인자(hFGF-2)를 발현하는 비전파성 유전자변형 센다이바이러스 (SeV/dF-hFGF2)

규슈대학병원

후생노동성& 환경성

치료용 ’04.06.22 ’06.01.316

아데노부속

바이러스

인간 아미노산 탈탄산효소 유전자를 발현하는 비증식성 유전자변형 아데노부속 바이러스 2형(AAV-hAADC-2)

자치의과대학부속병원

후생노동성& 환경성

치료용 ’06.01.25 ’06.10.317

아데노바이러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티미딘 키나아제유전자를 발현하는 비증식성 유전자변형아데노바이러스 5형 (Adv.RSV-TK)

기타사토대학병원

후생노동성& 환경성

치료용 ’06.01.19 ’07.03.268

No 생물명 유전자재조합생물등의 신청자 승인자 신청일 승인일종류의 명칭

제1종사용등의주요내용

* 출처 : www.bch.biodic.go.jp

Page 11: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Scheme 03Scheme 02

일본 후생노동성에서는“유전자치

료 임상연구에 관한 지침”을 1994

년 고시하여 유전자치료제의 임상

시험 시행 상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이 지침을 바탕으로 일본에

서 실시되는 모든 유전자치료 임

상연구는 과학적 타당성 및 윤리

성을 후생과학심의회(그리고 문부

과학성 심의회)에서 심사하도록

되어 있다. 기존에는 임상연구에

사용하는 유전자치료제에 대한 특

별한 심사 제도는 없었고, 그 품질

은 제약업자의 자체 관리에 맡기

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후

생노동성에서는 유전자치료제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제품의 품질

및 안전성 확보에 관해 사전에 평

가하고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인

정하고, 심사 체제인 중앙약사심

의회 생명공학기술 특별부회를 설

치하여 유전자치료제 제조법의 타

당성 및 품질, 안전성평가에 관하

여심의하고있다. 또한 1995년 11

월“유전자치료제의 품질 및 안전

성 확보에 관한 지침”을 마련하여

임상연구용 약제의 적합성을 확인

받고자 할 때 제출해야 하는 정보

를아래와같이제시하고있다.

40 BIOSAFETY Vol.8 No.3

■ 유전자치료제의 품질 및 안전성 확보에 관한 지침 내용

(1995년 11월)

1) 총칙(목적, 정의)

2) 유전자치료제의 제조방법

3) 유전자치료제의 규격, 시험방법 및 제제 설계

4) 유전자치료제의 안정성

5) 유전자치료제의비임상안전성시험

6) 유전자치료제의 효능 시험

7) 유전자치료제의 체내 동태 등

8) 유전자치료제의 제조시설 및 설비

9) 기타

10) 별첨내용

① 기원또는발견의경위및외국의사용현황

② 제조방법

③ 규격, 시험방법 및 제제 설계

④ 안정성 시험

⑤ 비임상 안전성 시험

⑥ 효능 시험

⑦ 체내 동태 등

⑧ 비임상 시험결과 등의 총괄

⑨ 유전자치료 임상시험의 개요

Scheme 01

Page 12: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기획 |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규정

41KBCH

※출처(:(후생노동성(후생과학심의회의(과학기술부회(인간줄기세포를(이용한(임상연구방식에(관한(전문위원회,((((((((((인간줄기세포(치료임상(연구지침(책정에(관한(작업그룹(2006년(1월(18일(개최)(배포자료

연구기관 연구실시시설

후생노동성

후생과학심의회

개인정보보호에관한(감독

④(실시계획서(등의(제출(약사법(상의(시험에(해당하는(것은(제외)

연구실시기관의(장

총괄책임자

실시시설의(장 시설내(심사위원회

후생노동장관

신규성(판단((전문가(집단)

신규성(있음 신규성(없음

심의회(의장)

과학기술부

유전자치료임상연구(작업위원회

30일(이내장관의견(회답((⑦로)

개별(실시계획에(대해(작업위원회로부터(보고를(받아(윤리적인(측면(등도(고려해(종합적으로(심의

과학적(타당성(검토

①(실시계획서(등의(제출②

③(승인완료

⑧(승인완료

⑦(의견(회신)

⑥(답신 ⑤(자문

의결/보고

①(신규(벡터(또는(신규(유전자(투여법을(이용하고(있는지Or(②(신규(질병을(대상으로(하고(있는지Or(③(신규(위전자치료법을(이용하고(있는지(①,(②제외)Or(④(기타(개별(심사를(필요로(하는(등의(문제를(포함하는지

그림 2·일본「유전자치료 임상연구에 관한 지침」에 따른 절차

4. 국내 현황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유전자

치료제는 치료 유전자가 원하지

않는 위치에 삽입되어(Insertional

mutagenesis) 발암 유전자를 활

성화 시키거나, 발암억제 유전자

를 비활성화 시켜 새로운 암을 유

발할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기원세포(예를 들면, 자가 유래 또

는 동종 유래)의 다양성 및 유전적

복잡성, 외래성 물질의 오염가능

성, 무균공정이 요구되나 최종 제

품이 살아있는 세포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멸균과정을

거치기 어렵다는 등 인체 투여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가 수없이 많다.

아울러, 유전자치료의 윤리적·과

학적 타당성, 유전자변형생물체

(LMO)의 환경위해성 여부도 적절

히평가되어야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유전자치료는 대

체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로서 심

각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

을 가진 환자에게 제한적으로 적

용되도록「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

한 법률」(2007년 4월)로서 규정

Page 13: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Scheme 03Scheme 02

하고 있다. 법률에서 정하는 유전

자치료의 대상 및 제한대상은 (표

5)와같다.

식품의약품안전청(KFDA)에서는

임상시험계획 승인과 품목허가

과정을 통해 유전자치료제의 안

전관리를 실시한다. 현재 국내에

서 허가받은 유전자치료제는 아

직 없으며, 임상시험계획이 승인

되어 임상시험이 진행 중인 제품

은 (표 6)과같다.

42 BIOSAFETY Vol.8 No.3

표 6·유전자치료제 국내 임상시험 현황 (2007년 10월)

제품명 개발사 치료유전자 및작용기전 대상질환 국외임상

VMDA-3601동아제약 VEGF 허혈성 임상 2상바이로메드 혈관신생 유도 족부궤양증 (2003. 12)

GX-12동아제약

HIV항원, IL-12에이즈 임상 1상

포항공대 치료 백신 (2005. 1)

JX594동아대 종양선택적 복제,

간암임상 1상 미국

제네렉스 GM-CSF (2005. 8) 임상 진행

VM202RY 바이로메드간세포성장인자, 허혈성 임상 1상 미국

혈관 신생 심혈관 질환 (2006. 10) 임상 동시진행

티슈진C 코오롱생명과학 TGF-β, 퇴행성 임상 1상 미국동종유래 연골세포 관절염 (2006. 12) 임상

VM-106 바이로메드gp91 만성육아종 임상 1/2a상

결손유전자 (유전 질환) (2007. 1)

쎄라젠 뉴젠팜종양선택적 복제,

전립선암임상 2상 미국

CD/TK 자살 유전자 (2007. 3) 임상 1상 완료

HB-110동아제약

HBV항원, IL-12 만성 B형간염임상 1상

포항공대 (2007. 2)

허가 대상 제한 대상

표 5·우리나라의 유전자치료 대상 및 제한대상

유전질환, 암, 후천성 면역결핍증 및 그 밖에 생명을 위협하거나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는 질병

현재 이용 가능한 치료법이 없거나 유전자치료의 효과가 이용 가능한 다른 치료법과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할 것으로 예측되는 질병

그 밖에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질병의 예방이나치료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정자·난자·배아 또는 태아

(승인년월)임상단계

Scheme 01

Page 14: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식품약청에서 임상시험계획(IND;

Investigational New Drug) 심

사를 하는 1차 목적은 모든 임상

시험 단계에서 피험자의 안전과

권익을 보호하고, 특히 2상 및 3

상 임상시험에서 임상시험용 의약

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과학적으

로 평가하기에 충분한 수준으로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임상시험은 목적과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되

기도한다.

1“임상시험계획 승인 신청

(Investigational New

Drug Application)”은 인체를

대상으로 한 안전성·유효성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해당 의약품을

사용하여 임상시험을 실시하고자

하는 자가 식약청장의 승인을 신

청하는과정

2“연구자 임상시험(Sponsor-

Investigator Trials)”은 임

상시험자가 외부의 의뢰없이 안

전성·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의약품에 대해 독자적으로 수행

하는임상시험

3“품목허가 전 임상시험용 의

약품의 치료목적 사용(Treat

ment Investigational New

Drug)”은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

한 질환 등을 가진 환자를 치료하

기 위하여 임상시험용 의약품 또

기획 |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규정

43KBCH

는 시판이 허가되지 않은 의약품

을 동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것

4“응급상황의 임상시험용 의

약품 사용(Emergency Use

Investigational New Drug)”은

임상시험계획 승인 전에 응급시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것

임상시험 승인을 위해 제출되어야

할 자료요건이 조금씩 다르나, 일

반적으로는약사법시행규칙28조

에 따라 ▲ 임상시험계획서 ▲ 시

설기준령 및 시설기준령 시행규칙

에 적합한 시설을 입증하는 자료

▲ 자가기준 및 시험방법 ▲ 안전

성·유효성 관련자료 등을 식약청

에 제출해야 하고, 식약청 생물의

약품본부 생물의약품안전팀과 유

전자치료제팀에서 이를 심사하여

임상시험을 승인한다. 이때 필요

한 경우 중앙약사심의위원회(유전

자치료제 임상윤리평가분과위원

회 및 유전자치료제 평가분과위원

회)의자문을받는다.

가. 임상시험계획서

임상시험계획서는 해당 임상시험

의 배경이나 근거를 제공하는 문

서이며,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다

음각호와같다.

Page 15: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Scheme 03Scheme 02

나. 시설기준령 및 시설기준령 시

행규칙에 적합한 시설을 입증

하는자료

약사법 시행규칙 28조 1항 2호에

따라 임상시험용 유전자치료제의

제조는 시설기준령 및 시설기준령

시행규칙에 적합한 시설에서 관리

되어야 하며, 동법 시행규칙 제29

조에 따르면 임상시험용 의약품은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별

표 4) 및 생물학적제제 제조 및 품

질관리기준(별표4-4)에적합하게

생산되고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

이에 따라 의뢰인 역시 어디서 어

떻게 유전자치료제가 제조되었는

지기술해야한다.

유전자치료제를 제조하는 의약품

등 제조소에서는 다음의 시설 및

기구등을갖추어야한다.

다. 자가기준및시험방법

IND 신청시 구조결정, 물리

화학적 및 생물학적 성질에 관

한 자료 중 특성분석, 제조 및

44 BIOSAFETY Vol.8 No.3

품질관리(CMC; 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

부분에 대한 자료는 유전자치료제

의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다

양한 제조과정 및 품질관리 상의

문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에 적합함을 보이

기 위해 벡터, 세포, 세포은행 시

스템및다른시약또는첨가제등

유전자치료제 제조과정 중에 사용

되는 모든 성분들에 대해 기록한

다. 또한, 제조과정 중의 모든 절

차에 대해 평가하고 문서화해서

기록해야 한다. 이러한 절차의 예

로 벡터의 생산과 정제, ex vivo

유전자변형 세포의 준비, 완제 의

약품의 조성 등에 관한 내용을 문

서화하여자료로제출해야한다.

현재 임상시험용 유전자치료제 및

생물학적제제에 대한 자가기준 및

시험방법에 대한 평가지침 작성을

위해·임상시험용 생물학적제제

등 품질평가체계 개선(안)을 마련

중에있다.

추가적인정보를얻고싶다면‘유

전자치료제의 품질평가 가이드’,

미국 FDA의‘체세포치료제 및 유

전자치료제 지침’, ‘특성이 잘 규

명된 생명공학제품을 포함한 의약

품 임상 1상을 위한 IND 양식’,

‘인간 체세포치료제의 임상시험계

획 승인신청(INDs) 중 물리·화학

적 성질, 생산, 품질관리(CMC) 평

가자들의평가지침및서식’을참

조할수있다.

1) 임상시험의 명칭 및 단계

2) 임상시험의 실시기관명 및 주소

3) 임상시험의 책임자, 담당자 및

공동연구자의 성명 및 직명

4) 임상시험용 의약품 등을 관리

하는 약사의 성명 및 직명

5) 임상시험의 의뢰자명 및 주소

6) 임상시험의 목적 및 배경

7) 임상시험용의약품등의코드명이나

주성분의 일반명, 원료약품 및

그 분량, 제형 등

8) 대상 질환

9) 피험자의 선정기준, 제외기준,

목표한 피험자의 수 및 그 근거

10) 임상시험의 기간

11) 임상시험의 방법(투여·사용량,

투여·사용방법, 투여·사용기간,

병용요법 등)

12) 관찰항목·임상 검사항목 및

관찰검사방법

13) 예측부작용및사용상의주의사항

14) 중지·탈락 기준

15) 효과 평가기준, 평가방법 및

해석방법(통계분석방법)

16) 부작용을 포함한 안전성 평가

기준, 평가방법 및 보고방법

17) 피험자 동의서 양식

18) 피해자 보상에 대한 규약

19) 임상시험 후 피험자의 진료

및 치료기준

20) 피험자의안전보호에관한대책

21) 그 밖에 임상시험을 안전하고

과학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

1) 제조작업을 행하는 작업소

2) 원료·자재 및 제품의 품질관리

를 행하는 실험실

3) 원료·자재 및 제품을 보관하는

보관소

4) 제조 및 품질관리에 필요한

시설 및 기구

Scheme 01

Page 16: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기획 |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규정

45KBCH

라. 안전성·유효성관련자료

유전자치료제는 첨단 생명공학기

술을 이용하여 인류의 난치성 질

병을 치료하고자 하는 새로운 형

태의 의약품으로 기존의 화학물질

의약품과는 다른 개념을 가지고

안전성·유효성에 대하여 평가가

이루어져야만 적절한 평가가 이루

어질수 있다. 현재 임상투여에관

한 축적된 경험이 부족한 상황에

서 유전자치료제의 안전성·유효

성 평가시 고려해야할 사항은 비

임상 시험자료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비임상시험은 임상시험 시

작 이전뿐만 아니라 개발의 모든

과정을 통하여 사람에게 미칠 수

있는 독성학적·약리학적 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된다. 비임

상 독성연구의 목적은 임상투여의

안전성, 임상시험에서의 최초 투

여용량, 투여용량을 증가시킬 경

우 용량 증가를 계획하는데 적절

한정보를제공함에있다.

또한 비임상 연구를 통해 유전자

치료제의 표적 장기를 결정하여

임상시험에서 검사할 독성 평가

항목의 결정을 위한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으며, 독성을 나타낼 위

험성이 큰 대상 환자군을 결정할

수 있다. 비임상 약리연구의 목

적은 사람에서의 유효성 반응을

예측하고, 임상시험에서의 유효

한 투여용법(투여경로, 투여횟수

등) 및 용량을 결정하며, 효과 발

현의 작용기전 및 신체 각 부위

(계) 및 기능 등에 미치는 향을

관찰함에 있다.

비임상독성및약리시험의시험계

획을위해고려해야할사항으로는

▲투여하고자하는세포군▲임상

의효능·효과와제품군을가장잘

반 할 수 있는 동물 종 및 생리적

인조건 ▲투여용량, 투여경로, 투

여횟수, 제형등이있다.

유전자치료제는 독특하면서도 다

양한 본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

통적인 약리시험 또는 독성시험은

유전자치료제의 안전성과 생물학

적활성을결정하는데적절하지않

을 수도 있다. 따라서 비임상 연구

를 시작하기 전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심사평가담당자와충분히상담

한 후에 수행하기를 권고한다. 긴

급한 모집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

대한임상시험의경우도적절한비

임상시험이반드시선행되어야한

다. 특히 혈관생성인자 등의 종양

형성 가능성(tumorigenicity)에

대하여충분히고찰하여야한다.

유전자치료제 비임상 시험의 경

우 독성시험을 효력시험과의 조

합시험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고

려될 수 있다. 효력시험과의 조합

시험법이라 함은 효력모델에서

독성학적 지표를 확인하는 독성

시험을말한다.

Page 17: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Scheme 03Scheme 02

46 BIOSAFETY Vol.8 No.3

마. 생물안전관리

정부에서는“바이오안전성에 관한

카르타헤나의성서”의 시행과 유전

자변형생물체(LMO)의 개발·생

산·수입·수출·유통 등에 관한

안전성을 확보하여 LMO로 인한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적인 이용에 미치는 위해

를 사전에 방지하고, 국민생활의

향상 및 국제협력을 증진하기 위

하여“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LMO법)을

제정, 2008년 1월부터 시행할 예

정이다. 동 법률 및 시행령에따라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정하도

록 위임된 사항을 공동으로 고시

한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

동등에관한통합고시(LMO 통합

고시)가 마련되었고, 식약청에서

는총 10장으로구성된LMO 통합

고시 중 제6장의 보건의료용

LMO의수출입등에관한사항중

제1절 (수입·생산 승인) 제2절

(인체위해성 평가 및 심사) 제4절

(보고 및 검사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하 다.

보건의료용 LMO는 식품용 LMO

와 기타 보건의료용 LMO로 구분

되며, 기타 보건의료용 LMO에는

의약품 제조용, 화장품용, 의료기

기용, 기타 등이 해당된다. 유전자

치료제와 재조합 생백신 등 의약

품으로 사용되는 LMO의 경우,

LMO법률 제3조에 인체용 의약품

으로 사용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에 대하여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약사관계

법령에 의하여 생물안전관리가 수

행될 것이다. 식약청에서는 의약

품으로 사용되는 LMO의 적절한

생물안전관리를 위하여 약사관계

법령의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발

굴·반 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유전자치료제의 위해성은 환경방

출 정도에 따라 폐시설로 관리

할 수 있는 생산과정 단계와 환경

방출 가능성이 있는 환자투여 시

점으로 나누어 평가되어야 한다.

생산과정은 전술했듯이 약사법

시설기준령 및 시설기준령 시행

규칙에 적합한 시설에 대한 심

사·승인을 통해 관리되는데, 동

법 시행규칙 제29조에 따르면 임

상시험용 의약품은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별표 4) 및 생물

학적 제제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별표 4-4)에 따라 폐시설 기준

에 맞게 관리되는지 검토 및 평가

되어야 한다. 환자투여 시점에서

는 환자의 분뇨, 혈액 등에 의해

서 환경에 방출될 가능성이 있으

므로 유전자치료제의 특성에 맞

는 환경위해성에 관한 타당성 심

사가 임상시험 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2008년 1월 LMO법률이시

행됨에 따라 식약청에서는 임상

시험용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유

전자치료제의 위해성이 적절히

심사될 수 있도록 관련규정 개정

(안)을마련중에있다.

Scheme 01

Page 18: New ,yW D P & ÷ %K8$ à Ïvol.8)/No.3/... · 2008. 8. 29. · XJMFZ DP VL HFONFE DMJOJDBM y Á x 5 ý d I Ó ï : S 5 t I º d ¡ I k ; ) À ² È d ¡ I, ã À ² È d ¡ I & À

기획 |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규정

47KBCH

전통적으로‘약’이란 화학적 제

제(chemical products)가 주

를 이루어 왔으나, 생명공학기

술이 발전됨에 따라 여러 가지

생물학적 제제 등(biologics and

biotechnological products)이

환자의 치료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되었다. 더 나아가 인간의세

포를 적절히 체외에서 조작한 뒤

환자에게 재주입하는 등 새로운

개념의치료법이탄생되었다.

특히 유전자치료제는 기존의 의약

품과는 달리 질병의 원인을 밝혀

유전자 레벨에서 근본적으로 치료

하는 혁신적인 기술로 희귀성 및

난치성 질환의 치료가능성을 제시

하 고, 선진 각국에서 동 분야개

발에 지속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

고 있다. 또한, 관련학술 문헌의

발표 건수나 특허출원 건수의 증

가 추이로 볼 때 성장가능성이 큰

것으로예상되고있다.

가장 많은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아직 시판허가

된 유전자치료제는 없지만, 제2상

및 제3상 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제품들이 상당수 있어 수년내 상

품화될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인

간 게놈 프로젝트의 성공으로 유

전자의 기능과 질병과의 연관성이

지속적으로 규명되고, 안전성과

유전자 전달 효율이 증가된 벡터

시스템이 꾸준히 개발되며, 질병

의 치료가 궁극적으로는 원인 유

전자치료를 통해 이루어질수 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일단 유

전자치료제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

하면 기존 의약품 시장을 대체하

는 막강한 제품군으로 성장할 것

으로기대되고있다.

유전자치료를 위한 기술개발은 많

은 노력과 실패, 좌절을 겪기도 하

지만 꾸준히 지속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타 분야

에비하여선진국과의기술격차가

비교적작은것으로평가받고있는

유전자치료제 분야에서 우리나라

가원천기술을가진치료제가개발

될 수 있기를 희망하면서, 식약청

에서는 안전하고 유효한 유전자치

료제가 개발되어 난치성·희귀성

환자에게사용될수있도록유전자

치료제의 생물안전관리, 심사허가

체계의선진화를위한노력을지속

적으로추진하고자한다.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