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interr●bang

최종수정-87호 국선생전 V5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11.21.pdf · 2012-11-21 · interr bang ;! "! #7H¨ 896 * óp&ô%9JõHt ô%9&DE&> 89JF% t ö U# ÷ø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RDA 87호interr●bang

    본지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RDA Interrobang (87호)

    인터넷(www.rda.go.kr)에서

    컬러판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집필: 권영순(031-290-6272)

    정재아, 최성열, 신학기

    국선생전(菊先生傳)

    2012. 11. 21. (제87호)

    요약

    Ⅰ. 국(菊)선생의 약력(略歷) ······················ 1

    Ⅱ. 국(菊)선생의 업적(業績) ······················· 8

    Ⅲ. 시사점 ··················································· 18

    목 차

  • RDA 87호interr●bang

    권영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email protected]

    정재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email protected]

    최성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email protected]

    신학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email protected]

    RDA 인테러뱅 제87호 국선생전(菊先生傳) 2012. 11. 21. 발간

  • RDA 87호interr●bang

    ≪ 요 약 ≫

    ① 국(菊)선생의 탄생(誕生)과 행적(行蹟)

    국화 재배종은 중국을 중심으로 해서 대략 3천 년 전 교잡에 의해 탄생했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국화과(科)는 2만 3천여 종이 존재하며, 구절초, 감국, 산국 등이

    속하는 국화속(屬)은 약리성분 뿐 아니라 외형의 아름다움도 뛰어나다. 이들은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전파가 되었고, 서양으로 건너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로 1688년 네덜란드 사람이 일본에서 국화를 가져갔다는 기록이 최초이며

    이후 프랑스와 영국, 미국 등지로 전파가 되었다. 국화는 일본, 중국 등 아시아에서

    수요가 특히 많은 작목으로, 물류 기술의 한계로 유럽은 네덜란드가 아시아는 동남아가

    주로 생산을 담당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 화훼작목으로 ‘90년 1천 달러에서,

    ’10년 1천 380만 달러 수출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

    ② 국(菊)선생의 업적(業績)

    국화는 서리에도 굴하지 않고 피어나는 고고함 때문에 지조 높은 선비나 충신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 왔으며, 그러한 사랑은 문학이나 미술의 소재로서 현재까지도 꾸준

    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 중심에 중국의 시인 도연명, 송나라의 양국대가(養菊大家)로

    이름이 높았던 범성대와 유몽, 그리고 우리나라의 문인 정몽주, 이황, 문인화의 대가

    심사정과 초의선사, 김정희 등이 있다. 또한, 현대에 와서는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나

    영국의 시인 토마스 하디의 ‘마지막 국화’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국내의 국화 육종은 관상용 대국의 개량에서 절화용 품종 개발로 발전하여, 대표적

    으로 일월, 백마, 핑크프라이드, 팡팡 시리즈 품종 등을 들 수 있다. 예부터 신선이

    되는 약의 으뜸으로 여러 효능이 알려진 국화는 음식, 목욕 입욕제, 수면 베개 등 일

    상생활이나 건강 기능성 등에 다양한 용도로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늦가을의 정취를

    느끼게 해주는 전시 소재로 축제와 전시회 등을 통해 볼거리 제공과 함께 주민의 화합,

    교육, 교도, 취미 기회를 제공하는 다양한 순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③ 시사점

    세계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3대 화훼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소비는 정체된 상태이다. 화훼 시장을 넓히기 위해서는 세계를 공략할 수준의 신

    품종 개발, 화훼 전문 인력의 육성, 시장 확대를 위한 새로운 화훼문화 창출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세계적인 경기 침체, 국내외 시장 상황, 기술 수준의

    발전 등을 고려한 정책 방향의 정립과 정비가 요구된다.

  • RDA 87호

    1

    interr●bang

    Ⅰ. 국(菊)선생의 약력(略歷)

    국화의 탄생과 탄생지

    □ 국화는 현 재배종과 유사한 모양의 야생종이 없는 것으로 보아

    야생종의 교잡에 의해 재배종이 탄생한 것으로 추정

    ○ 감국 유래설, 산국과 뇌향국화(마키노국화) 교잡설, 감국과 산

    구절초 교잡설 등 5~6가지 기원설이 존재

    - 재배종은 교잡에 의해 탄생했다는 것과 시기적으로는 대략

    3,000년 전 일 것이라는 의견에는 대략 일치

    - 현 재배종이 지닌 염색체 수를 연구한 결과로도 감국, 산국 등

    여러 종의 교잡에 의해 재배종이 탄생했다는 것을 뒷받침

    □ 기원지는 명확하지는 않으나 문헌상의 증거나 야생종의 분포를

    볼 때에 대부분 중국으로 추정하고 있음

    ○ 전 세계적으로 국화에 대한 오래된 신화, 전설, 문학, 기록 등이

    존재하는 것은 중국문화권 뿐

    * 기원전 500년경의 문헌에 이미 국화에 대한 내용이 수록(周禮1))

    ○ 감국 등 야생 국화종이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도

    중국 문화권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

    - 재배종의 조상격인 구절초, 산국, 감국 등이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삼국시대 이전의 국화가 재배되었다는 기록이 근거

    감국 산국 뇌향국화 구절초

    1) 주나라 주공단이 지음. 중국의 국가제도, 관직, 직무를 기록한 최고(最高)의 책

  • RDA 87호

    2

    interr●bang

    국화과(菊花科)와 국화속(屬)

    □ 국(菊)선생의 본가(本家)인 국화과(科)는 모든 식물 중 난초과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2만 3천여 종의 식물이 존재

    ○ 식물 중에서 가장 변이가 많은 과로 초본, 목본이 골고루 섞여

    있으며 대부분 꽃보다 기능성이나 약용으로 유명

    - 국화과에서 유명한 약용식물로는 쑥, 취나물, 구절초, 민들레,

    홍화, 창출(蒼朮, 삽주뿌리) 등이 있으며 나물로도 이용

    □ 국(菊)선생이 가주(家主)가 된 국화속(屬)은 약리성분 뿐 아니라

    인물도 뛰어나며 면면도 다양하여 많은 분류방법이 존재

    ○ 구절초, 감국, 산국 등이 이에 속하며 특히 관상용으로 쓰이는

    것들은 영명 chrysanthemum의 뒤 글자를 따서 멈(Mum)이라 부름

    ○ 꽃 모양에 따라 홑꽃형, 겹꽃형, 아네모네형, 폼폰형 등으로 구분

    하거나 크기에 따라 대국(大菊), 중국(中菊), 소국(小菊)으로 분류

    * 꽃의 형태별 명칭은 워낙 다양하므로 설명하기보다 대표적인 형태를 아래

    그림에 예시하였음

  • RDA 87호

    3

    interr●bang

    국(菊)선생의 행적(行蹟)

    □ 국(菊)선생의 행적이 처음 나타난 것은 중국이며 이후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도 발견

    ○ 주나라의 예법을 기록한 주례(周禮)와 공자가 지었다는 예기(禮記)에

    등장하며, 대략 기원 전 500년 전에는 재배화 된 것으로 추정

    - 굴원(BC 340∼278)의 초사(楚辭)에서 국화를 성인군자에 비유

    하는 표현이 처음 사용

    ○ 송나라의 범성대(范成大)는 그의 저서 범씨국보(范氏菊譜)에서

    신라국, 백제국, 고려국이 사랑받고 있다는 기록을 남겼음

    - 문인이었던 석호(石湖) 범성대는 국화의 모습이 고결한 지조를

    품고 도를 즐기는 선비의 모습과 같다고 국보에 기록

    - 송나라 때 회화에도 국화 그림이 나타나며 주무숙(周茂叔)이

    숨어사는 선비라는 뜻의 은일자(隱逸者)라는 호칭을 처음 사용

    ○ 우리나라에는 백제 제 16대 진사왕 때 5가지 국화 종자를 일본에

    보냈다는 기록(삼국사기)이 최초

    - 고려 충선왕이 왕자시절 원나라에서 귀국하면서 국화를 가져

    왔다는 기록도 있으며 조선시대가 되어서 일반화된 것으로 추정

    ○ 일본의 왜한삼재도회(倭漢三才圖會)와 일본서기에는 백제에서

    국화를 받았다는 내용이 있으며 이후 궁중을 중심으로 재배

    일본에서 국(菊)선생의 지위

    ▷ 가마쿠라 시대의 고토바 상황(後鳥羽上皇)이 국화를 좋아해 자신을 나타내는

    징표로 사용한 이후 황실의 문장으로 정착

    - 고관들을 중심으로 널리 보급되어 황실에서는 매년 국화연을 열어 문무관이

    함께 국화를 즐겼으며 민간에서도 국화를 귀하게 대접

    - 메이지(明治) 2년(1869) 태정관포령에 의해 공식적으로 일본 황실의 문장이 됨

    - 흰 바탕에 동그라미가 있고 주변으로 붉은 줄 열여섯 개가 빛살처럼 표현된

    욱일기(旭日旗)는 해가 아니라 열여섯 장의 꽃잎이 있는 국화로 황실을 의미

  • RDA 87호

    4

    interr●bang

    □ 국(菊)선생이 서양으로 건너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로 1688년

    네덜란드 사람이 일본에서 국화를 가져갔다는 기록이 최초

    ○ 한 동안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가 1789년 프랑스의 블랑카르가

    중국에서 수입한 국화 품종이 프랑스를 거쳐 영국에 전파

    ○ 1795년 영국 첼시지방의 걸부라는 사람이 키운 국화가 식물잡지에

    원색으로 실리면서부터 크게 호응을 얻어 재배가 시작

    - 이후 영국에서는 20여 종에 달하는 국화를 동양에서 도입하여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음

    * 1825년 영국 왕립원예협회가 유럽 최초로 국화전시회를 개최하여 48종

    700여 작품이 전시되었고 1844년에는 국화협회가 창립

    ○ 1827년 프랑스의 베르네가 국화 재배에 성공하고 여러 잡종을

    만들어내면서 오늘날의 유럽종 국화가 탄생

    ○ 미국은 유럽보다 늦은 1820년 경 국화재배가 시작되었으나 일본

    으로부터 많은 우량종을 수입하여 신품종을 자체적으로 육성

    국(菊)선생에 대한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

    ▷ 서양으로 건너간 국화는 정착된 이후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

    드, 미국, 프랑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국화협회가 설립될 정도로 확산

    - 세계 최초의 국립국화협회는 영국의 스토크 뉴잉턴(Stoke Newington) 지방에

    1846년 처음 세워짐

    - 프랑스는 최초 8종의 국화를 수입하여 1824년에 24품종, 1826년에는 48품종이

    개발

    - 미국에서 국화는 1980년대까지 분화시장에서 가장 인기있는 식물이었음

    국(菊)선생을 흠모한 사람들

    □ 국(菊)선생은 서리에도 굴하지 않고 피어나는 고고함 때문에 지조

    높은 선비나 나라를 걱정하는 사람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음

    ○ 국선생 최고의 벗은 중국 동진 때의 시인, 도연명(陶淵明)으로

    국화와 생활하며 지은 많은 시가(詩歌)가 후대에 큰 영향

  • RDA 87호

    5

    interr●bang

    - 국화를 지극히 사랑하여 항시 뜰에 국화를 키웠다는 기록이

    있으며 그의 시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소재

    * 도연명의 시는 한문학이 가장 융성했다는 당(唐), 송(宋)의 8대가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소동파(소식)는 고금의 독보적인 시인이라 평가하기도 하였음

    - 대표작인 귀거래사와 음주(飮酒)의 제 5수 등 중요한 부분은 여러

    문인들이 즐겨 암송하고 인용하여 왔던 명문(名文)

    * 음주의 제 5수 : 동쪽 울타리 아래에서 국화를 따다가(采菊東籬下), 한가로이

    남산을 바라본다(悠然見南山), 산 기운은 저녁 무렵에 아름답고(山氣日夕佳),

    나는 새는 서로 더불어 돌아온다(飛鳥相與還).

    ○ 송나라의 범성대, 유몽(劉蒙 혹은 유몽전)은 양국대가(養菊大家)로

    이름이 높았으며 국화에 대한 책을 저술하기도 하였음

    - 범성대는 범씨국보, 유몽은 유씨국보를 저술하였으며, 범성대와

    유준호는 국화그림(묵국, 墨菊)을 확립시키기도 하였음

    □ 우리나라에서도 국(菊)선생이 지조와 절개가 있는 군자의 기질을

    가졌다하여 흠모한 이가 많았음

    ○ 고려 말의 포은(圃隱) 정몽주 , 목은(牧隱) 이색이 대표적이며,

    포은 선생이 지었다는 국화탄(菊花嘆)은 국화에 대한 사랑이 잘 표현

    ○ 퇴계(退溪) 이황 선생의 많은 작품 중 국화에 관한 시는 훌륭한

    제자들에 대한 각별한 마음이 담겨있는 수작(秀作)

    ○ 문인화가로서는 우리나라 묵국을 완성한 심사정(沈師正)과 초의선사,

    김정희 등이 국(菊)선생을 각별히 아낀 인물들

    국(菊)선생과 대작(對酌)한 신용개

    ▷ 이요정(二樂亭) 신용개는 신숙주의 손자로 글재주가 뛰어나 성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연산군 재위 시 고초를 겪었던 인물로 국화에 대한 사랑이 남달랐음

    - 국화를 8분을 키웠는데 그 향기를 사랑하여 끊임없이 보고 또 보았다고 함

    - 어느 날 손님이 여덟 분 오신다는 말에 식솔들이 준비하고 기다렸으나 손님은

    오시지 않았고 다만 잠시만 기다리라는 말을 들었는데, 달이 뜬 후 국화를 방안에

    모셔놓고 ‘이 꽃들이 나의 손님이다’라고 하며 술을 주고받으며 즐겼다고 함

  • RDA 87호

    6

    interr●bang

    국(菊)선생의 재산 현황

    □ 일본, 중국 등 아시아에서 수요가 특히 많은 작목이며, 물류기술의

    한계로 유럽은 네덜란드가 아시아는 동남아가 주로 생산을 담당

    ○ 일본은 전통적으로 국화 소비량이 많은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자체 생산이 감소해 이를 수입으로 대체하는 추세

    - 국내 생산은 수입산 국화와의 경쟁에 밀려, 면적과 단수가 동반

    감소함에 따라 연평균 2.1%씩 하락

    - 세계에서 국화를 두 번째로 많이 수입하는 나라로, 수입금액이

    연평균(‘09~’11) 23.4%씩 폭발적으로 증가

    * ’11년 국가별 시장점유율을 보면 말레이시아 69.1%, 중국 13.9%, 베트남

    7.8%, 한국 5.9%의 순임

    * 영국은 금액 면에서 최대 수입국으로 분류되나, 물량은 4억 3천만 본으로

    일본의 20억 본에 비해서 매력적이지 않은 시장

    ○ 중국은 ‘00년 생산량이 일본의 30%에 불과한 수준이었으나 ‘09년을

    기점으로 일본을 능가할 만큼 빠른 성장세를 구가

    - 면적뿐만 아니라 토지생산성을 나타내는 단수도 꾸준하게 증가하여

    ‘00년부터 ’10년까지 연평균 생산량은 13.1%씩 상승

    - 일본으로 대국(大菊)을 수출할 때에는 일본의 ‘백선(白扇)’과 ‘신마

    (神馬)’ 품종을 재배해서 유통

    ○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은 주로 고랭지에서 생산하며, 대부분 외국계

    기업이나 중국계 화교에 의한 경영이 주를 이룸

    전 세계의 국화 품종 개발은 누가 하고 있을까?!

    ▷ 동양에서 소비가 많은 대국(大菊)과 소국 품종은 일본에서 주로 개발하며,

    스프레이 품종은 단연 네덜란드가 최고 수준

    - 일본의 국화 육종회사로는 세이코엔(精興園), 슈호엔(秀芳園), 이와다노우엔(岩田

    農園)이 있으며 네덜란드는 Dekker, Fides, RoyalVanZanten, Delifor가 유명

  • RDA 87호

    7

    interr●bang

    □ ‘11년 575ha에서 292백만 본이 생산되며, 734억 원의 생산액을 점유

    하는 우리나라 화훼류의 대표 작목

    ○ 생산량은 ‘90년 139백만 본에서 ’05년 560백만 본까지 증가 후

    소비의 정체, 고유가의 지속에 따라 ‘11년에는 그 절반으로 감소

    - 국화는 장미에 비해, 특정 계절(가을)에 소비하는 경향이 강하며

    그마저도 장미에 비해 소비량이 적음(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 품종별로 보면, 대국(46.7%)에 비해서 스프레이국(53.3%)이 더 선호되며,

    백색과 황색의 국화를 좋아하는 것으로 조사

    - ‘11년 현재, 시설국화의 10a당 경영비에서 광열·동력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6.8%로 전년 대비 1.3%p가 높아진 수준

    * ’07년 209만 원이던 것이 ’11년 273만 원으로 상승하는 등 최근 시설국화의

    10a당 광열·동력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우리나라의 국화 품종개발은 누가 하고 있을까?!

    ▷ ’95년 이후 정부연구기관과 민간업체에서 350여 품종을 개발하였으며 , 국내

    에서는 400∼500품종이 재배되며 연간 50여 품종이 도입

    - 정부기관과 품종수를 보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71품종, 경남도원 화훼

    연구소 61품종, 충남도원 예산 국화시험장 55품종, 경북도원 구미화훼시험장

    23품종, 경기도농업기술원 18품종,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13품종 등임

    ○ 본(本)당 농가 수취가의 연간 성장률은 5%씩 ’90년 이래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생산량의 감소와 대별

    - 본당 수취가의 증가세로 인해, ‘05년 이래 ’11년 생산량은 연간

    10%씩 감소했으나 생산액의 감소폭은 5.5%에 그침

    * 국화의 농가 수취가(원/본): (’90)89.9 → (’95)120 → (’00)131 → (’11)251

    ○ 수출액도 ‘90년 1천 달러에서, ’10년 1천 380만 달러에 이르기

    까지 지속적인 성장세를 구가

    - 주요 수출 대상국인 일본의 대지진 여파로 인해, ‘11년 국화의

    수출은 ’10년 대비 19% 후퇴

  • RDA 87호

    8

    interr●bang

    Ⅱ. 국(菊)선생의 업적(業績)

    군자의 자격(君子之格)을 제시한 국(菊)선생

    □ 세상의 파도에 굴하지 않고 자신의 기개를 꿋꿋하게 지키는 군자의

    의연하고 고결한 정신을 담은 꽃

    ○ 매난국죽(梅蘭菊竹)의 사군자 중 가을을 대표하며, 오상고절

    (傲霜孤節), 상하걸(霜下傑), 오상지(傲霜枝)라는 별명도 존재

    - 서릿발이 심한 추위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홀로 꼿꼿하다는 뜻으로

    군자의 인품에 비유되는 오상고절(傲霜孤節)의 주인공

    - 상하걸(霜下傑)은 서리밑에서도 시들지 않고 꿋꿋하다는 의미이며,

    오상지(傲霜枝)는 서릿발 속에서 꽃을 피운다는 뜻

    도연명과 국화의 끝나지 않은 인연, 중양국(重陽菊)?!

    ▷ 어지러운 세상이 싫어 낙향해 살게 되나, 술을 살 돈이 없어 국화의 향기만 감상

    하던 중 중양절(重陽節)에 맞추어 친구가 보내준 술에 얽힌 이야기에서 유래

    - 술이 없어 우울한 기분을 달래며 살기 위해, 뜰에 국화꽃을 많이 심었는데, 어느 날

    왕홍(王弘)이라는 친구가 이를 알고 중양절에 맞추어 술을 보내주어 도연명은

    술의 그리움을 달래게 되고, 마을사람들은 도연명의 뜰에서 국화를 즐기게 됨

    - 이후 마을 사람들은 도연명의 국화 뜰을 기려 중양국(重陽菊)이라 칭하기 시작

    * 참고문헌: Keatsschool.com

    ○ 당나라 말기, 가렴주구(苛斂誅求)에 대항해 싸운 농민 반란군의

    수령 황소(黃巢)의 시에서는 승리를 위한 축복으로 언급

    - 국화꽃이 피면 모든 꽃은 시들고 그 향기는 온 장안에 퍼져,

    황금갑옷으로 변한다고 하며 결연한 의지를 다짐

    * 중국에서 국화와 관련해 가장 유명한 시이며, 그의 시 국화(菊花)의 전문은

    “待到秋來九月八, 我花開後百花殺, 衝天香陣透長安, 滿城盡帶黃金甲”임

    ○ 조선 후기 강직하기로 이름난 문인, 이정보(李鼎輔)의 시에서

    오상고절로 칭하며 선비로서 자신의 꼿꼿함을 표현

    * “국화야 너는 어이 삼월동풍 다 지내고 낙목한천에 네 홀로 피었는고.

    아마도 오상고절은 너 뿐인가 하노라”라고 읊으며 자신과 국화를 동일시

  • RDA 87호

    9

    interr●bang

    □ 국화의 상징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꽃으로서의 아름다움과 향기도

    예로부터 시의 풍성한 소재로 이용

    ○ 김수장의 해동가요(海東歌謠), 작자미상의 동국가사(東國歌詞)는

    술과 잘 어울리는 국화의 정취를 노래한 것으로 유명

    - 해동가요에서는 달 아래에서 친구와 함께 국화를 감상하며,

    거문고 소리에 밤새 술을 마시는 여유로움을 노래

    - 동국가사에서는 중양절(重陽節)에 맞추어 보름달을 감상하며

    금으로 된 잔에 술을 마시고 거나하게 취하는 여흥을 표현

    * “창밖에 국화심어 국화 밑에 술을 빚어 술 익자 국화피자 벗님 오자 달

    돋아온다 아이야 거문고 청처라 밤새도록 놀리라”(해동가요)

    * “삼월삼일 이백도화 구월구일 황국단풍 금준에 술이 익고 동정에 추월인 때

    배옥배 죽엽주 다리고 완월장취하리라”(동국가사)

    ○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는 갖은 인고의 세월을 견디어 세련되지는

    않으나 원숙한 아름다움을 갖추게 되는 과정을 노래

    - 봄의 소쩍새와 천둥소리, 불면의 밤 그리고 간밤의 무서리를

    통해서 완성되는 꽃의 아름다움을 표현

    ○ 영국의 시인인 토마스 하디(Thomas Hardy)의 ‘마지막 국화’는

    꽃이 피기를 기다리는 초조함과 국화꽃이 지는 안타까움을 표현

    * 토마스 하디는 소설 테스(Tess)로 유명한 소설가이자 시인이며, ‘마지막

    국화’는 과거와 현재의 시집(1901)에 수록

    도연명(陶淵明) 황소(黃巢) 서정주 토마스 하디

  • RDA 87호

    10

    interr●bang

    문학의 소재를 제시한 국(菊)선생

    □ 일상 생활 속의 친근한 존재이기 때문에, 수필 등의 산문으로 국화가

    주는 정겨움, 청초함을 표현한 경우도 많음

    ○ 우리나라의 수필가 피천득 선생은 수필집 인연 중 ‘내가 좋아하는

    것들’에서 꽃 중에서도 국화, 라일락, 수선화의 향기를 언급

    * 일상의 삶속에서, 얻게 되는 작은 액수의 돈, 웃는 얼굴, 아름다운 빛

    그리고 그윽한 자연의 냄새를 사랑한다고 표현

    ○ 정지용은 꾀꼬리와 국화에서 돈만 밝히고 꾀꼬리와 국화 등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지 못하는 세상을 안타까워함

    - 꾀꼬리 우는 동네에 이사 왔다고 자랑을 해도 집값만 묻는 사람

    들에 실망하며, 국화의 감상에 빠져드는 마지막 대목이 백미

    * “꽃도 조선 황국(黃菊)은 그것이 꽃 중에는 새 틈에 꾀꼬리와 같은 것이다.

    내가 이제로 황국을 보고 취하리로다.”로 수필을 마무리

    ○ 수필 ‘들국화’에서 정비석은 가을을 가장 사랑하며 그러기에

    가을꽃을 사랑하고, 그 중에서도 들국화를 가장 사랑한다고 서술

    - 가을 꽃 중 코스모스는 사람이 가꾸어야 피지만 들국화는 누가

    가꾸지 않아도 저절로 피고 살아가는 기품이 있다고 칭찬

    * “봄·여름 다 지나 가을에 피는 기개(氣槪)가 그윽하고, 잡초와 어울려 살면

    서도, 자기의 개성을 끝끝내 지켜나가는 그 지조가 귀여운 것”이라고 언급

    ○ 수필 ‘국화’에서 시인 서정주는 화려하지 않은 빛깔을 지녔으나

    향수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국화의 시골다운 향(香)을 찬미

    존 스타인벡의 국화(The Chrysanthemums)

    ▷ 국화와 한 여인의 자존심에 관한 짤막한 단편 이야기

    - 국화를 기르는 재능은 뛰어나지만 늘 우울한 표정의 엘리사,

    어느 날 떠돌이 수리공으로부터 국화 기르는 재능을 칭찬받고 흥에

    겨워 국화를 기르는 방법을 알려주고 화분 하나를 주어 보낸다.

    - 남편 헨리는 그녀의 표정이 밝아졌다고 즐거워하나, 저녁 먹으러

    나가는 길에 팽겨쳐진 국화를 보고 그녀는 눈물을 감추지 못한다.

  • RDA 87호

    11

    interr●bang

    예술의 영감을 제시한 국(菊)선생

    □ 가을꽃으로서의 상징성과 함께, 모든 식물의 꽃과 잎이 시듦에도

    불구하고 피어나는 국화의 강인함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부여

    ○ 고려시대부터, 상감청자 등의 화려한 도자기에 국화가 등장하여

    당시의 화려한 귀족문화를 꽃피우는 데도 일조

    - 청자상감모란국화문과형병(국보 제114호)은 8개의 면에 각각

    국화와 모란을 번갈아 장식하는 상감기술의 극치

    - 청자상감운학국화문병형주자(보물 제1451호)는 국화, 구름, 학

    문양을 넣어 천계의 아름다움을 담아낸 조형미가 일품

    - 청자상감국화문병에는 꽃과 줄기가 연속으로 수놓아져 있으며,

    청자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에는 화려한 국화무늬가 장식

    ○ 고려 말부터 수묵으로 국화가 그려졌으나, 전해지는 작품은 조선

    중기에 들어 이산해부터 시작

    - 이산해(李山海), 이우(李瑀)의 묵국(墨菊)에서 잎은 몰골법(沒骨

    法)으로 꽃은 구륵법(鉤勒法)으로 표현

    * 몰골법은 윤곽선을 그리지 않고 먹으로 바로 그리는 방법이며, 구륵법은

    그려진 윤곽선 안에 먹으로 짙은 정도를 표현하는 방법

    - 조선후기에는 이인상(李麟祥)의 병국도가 유명하며, 조선말에

    이르러 허련(許鍊), 유숙(劉淑), 안중식(安中植) 등이 등장

    청자상감모란국화문과형병 묵국(이산해) 병국도(이인상) 추국유가색(안중식)

  • RDA 87호

    12

    interr●bang

    건강을 전파한 국(菊)선생

    □ 예부터 신선이 되는 약의 으뜸으로 여러 효능이 알려져 사랑받아

    왔던 국화는 감국(甘菊)과 야국(野菊)만이 약으로 사용

    ○ 약으로 쓰는 감국(또는 진국(眞菊))은 꽃이 노란색이고 맛이 달아

    식용할 수 있으며, 남부지방의 산야나 바닷가에 자생

    * 진국은 꽃이 홑잎이면서 크기가 작고 황색이며, 잎은 진한 녹색으로 작고

    얇으며 늦가을에 핀다고 기록(본초강목)

    ○ 감국은 상약(上藥)의 하나로 쳐 수명을 늘리고 회춘하는 약의

    재료이며, 고열, 두통, 어지럼증, 저림 치료에 효과(신농본초경)

    - 국내에서는 국화는 머리를 맑게 하고 혈액순환을 도우며, 해열,

    이뇨 작용 등이 있다는 기록이 존재(동의보감)

    □ 현대 약리적 연구를 통해 기능성 성분과 효능이 밝혀지고 있으며,

    상업용 품종도 상태와 맛을 살펴 감국 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

    ○ 감국의 꽃과 줄기는 정유, 아데닌, 콜린, 스타키드린 성분을 함유

    하고, 꽃은 크리산테민, 플라노이드와 비타민 A, B1 등을 함유

    - 비타민 A와 B1, 콜린, 스타키드린, 아데닌 등은 눈과 간 기능

    회복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효능

    - 정유(精油, Essential oil)는 중추신경 진정 및 해열 작용이

    있어 우울증, 두통, 현기증, 불면, 전신무력증 등의 치료에 사용

    ○ 항노화 물질인 셀레늄이 많고, 콜레스테롤을 분해하고 체외

    배설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크롬 함량도 높음

    약으로 쓰는 33가지 물, 그중 국화수(菊花水)도 포함!

    ▷ 국화수는 샘 근처에 국화가 만발하여 물맛에 국화 향기가 배어나는 물로

    오래 먹으면 장수하고 늙지 않는다고 기록(동의보감 수품론(水品論))

    - 33가지 물의 성질과 용도를 자세하게 설명하여 물의 중요성을 강조

    - 정화수(井華水), 국화수, 납설수(臘雪水), 춘우수(春雨水), 한천수(寒泉水), 옥정수

    (玉精水), 지장수(地漿水), 생숙탕(生熟湯), 방제수(方諸水) 등으로 구분

  • RDA 87호

    13

    interr●bang

    □ 국화는 좋은 향과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일상생활

    이나 건강 기능성 등에 다양한 용도로 이용

    ○ 서리가 내릴 때가 되면 제철음식으로 국화전, 국화차, 국화주 등이

    가을의 정취를 느끼게 해주는 한편 건강 증진은 덤

    - 국화전은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동글납작하게 빚어 국화 꽃잎을

    올린 후 기름에 지져낸 떡

    - 국화차는 감국 꽃을 말려 뜨거운 물에 넣어 마시며, 수험생이나

    평소 머리가 맑지 않거나 눈의 피로가 있는 사람에게 효과

    - 국화주는 쌀과 감국의 꽃과 잎으로 담근 약용주(藥用酒)로

    중양절(음력 9월 9일)에 마시면 무병장수한다고 전해짐

    ○ 국화 목욕을 하면 국화의 정유 성분이 피부에 작용해서 혈액의

    흐름을 좋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효과

    * 온천에서는 국화를 입욕제로 이용하여 손님을 끄는 이벤트 행사를 진행

    국화전 국화차 국화주 국화 베개 국화 화장품

    ○ 국화 베개와 이불은 불면증을 없애고 숙면을 도우며, 말린 꽃과

    잎은 냄새 제거에, 그리고 분화 국화는 새집증후군 예방에 효과

    * 알레르기 질환의 주범인 집먼지진드기 퇴치 전용 용품인 바이오피톤의

    ‘진드기키퍼’에도 국화 추출물이 포함

    ○ 국화꽃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향기

    성분을 이용한 아로마테라피와 상품화는 시작 단계

    * 소망화장품 에코퓨어 에이디파잉, 결고은 국화바디로션&워시, 시드물 유기농

    레드큐어 화이트닝 토너․에센스, 네이처 리퍼블릭의 바이 플라워 비비 크림 등

  • RDA 87호

    14

    interr●bang

    마음의 평안을 전해준 국(菊)선생

    □ 국화는 늦가을의 정취를 느끼게 해주는 대표적인 전시 소재로서

    다양한 공간을 아름답게 꾸며, 보는 이들에게 감탄을 선사

    ○ 주민자치센터, 기차역, 경찰서․시청 등 관공서, 기업체, 시민공원,

    장례식장 등 생활 주변 곳곳에서 다양한 국화 전시회가 개최

    * 현대삼호중공업은 올해로 9년째 가을국화축제를 회사 내에서 개최하였으며,

    여기에 전시되는 백만 송이 국화는 사내 온실에서 재배한 국화를 이용

    ○ 쓰레기매립지에 대규모로 국화를 재배하고 이를 축제에 활용하여,

    가을나들이와 함께 환경에 대한 살아있는 교육기회를 제공

    - ‘12년 제 9회 드림파크 국화축제는 인천 수도권매립지 내 여의도

    2배 반 면적에 억만 송이 국화를 전시

    주민자치센터 기차역 기업체 농업고등학교 교도소

    □ 국화 전시회는 볼거리 제공을 넘어 주민의 화합, 교육, 교도, 취미

    기회를 제공하는 다양한 순기능을 발휘

    ○ 전시회의 작품 준비는 지역의 예술가, 연구회, 동아리, 재배농가

    등이 참여하고 있어 출품자와 지역민이 함께 즐기는 기회 제공

    * 시군 농업기술센터는 국화 연구회, 동아리 등을 통해 교육과 취미활동을 지원

    ○ 인성 교육과 함께 전문가 양성을 위해 농업계 대학 및 특성화

    고등학교에서는 국화를 소재로 한 작품 전시회를 해마다 개최

    ○ 교도소 수형자들이 키운 국화로 전시회를 열어, 심성순화와 함께

    수익금을 가족관계 회복을 위한 성금으로 사용하는 일석이조 효과

  • RDA 87호

    15

    interr●bang

    □ 국화 축제는 관광객을 유치해 경제 활성화를 꾀하고, 브랜드 품격을

    높이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주체적으로 개최

    ○ 국화 축제는 매년 10월 초순부터 11월 중하순에 개최되며, 국화

    작품 전시와 함께 다양한 체험과 먹을거리를 제공

    - 국화 경진대회는 종사자들에게 관심을 유도하고, 국화 및 농산물

    체험, 문화공연, 농특산물 장터 등은 관람객에게 흥미를 제공

    ○ 전남 함평 ‘대한민국 국향대전’, 경남 창원 ‘가고파 국화축제’, 전북

    익산 ‘천만송이 국화축제’, 전남 영암 ‘왕인 국화축제’ 등이 대표

    * ’12년 가고파 국화축제 관람객은 152만여 명, 경제적 파급효과는 5백억 원 이상

    □ 행사에 전시되는 국화들은 입국작, 현애작, 다륜대작, 분재작 등으로

    구분되며, 대부분 1년 이상 공들여 제작하여 예술 작품으로 인정

    ○ 입국작은 중국(中菊)과 대국(大菊)을 화분에 심고 꽃대를 만들고

    받침대를 세워 꽃을 사방으로 유인하여 만드는 작품

    ○ 현애작은 소국(小菊)을 벼랑이나 낭떠러지에 늘어뜨린 것처럼

    가꾸는 것을 말하며, 완전한 공 모양의 구현애작도 존재

    ○ 다륜대작은 원형의 틀에 심어진 한 줄기 국화에서 여러 송이의

    꽃을 피우게 하는 방법으로 중국과 대국을 주로 이용

    * ‘12년 가고파 국화축제에서 가장 큰 관심을 받은 ‘천향여심’은 한 줄기에

    1,408 송이 꽃을 피워 기네스에 등재한 작품(창원시농업기술센터 제작)

    ○ 분재는 국화를 작은 나무처럼 재배하는 형식으로, 자연의 멋을

    살리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목부작과 석부작으로 구분

    입국작 현애작 구현애작 다륜대작 분재작

  • RDA 87호

    16

    interr●bang

    국(菊)선생의 후예들

    □ 동양에서는 스탠다드, 서양에서는 스프레이 품종이 주류였으나,

    최근 동양에서도 스프레이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추세

    ○ 스탠다드 국화(대국)는 화환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여름 국화로,

    주로 동양 쪽에서 선호하는 국화 형태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들

    ▷ 신마(神馬)는 생장이 빠르고 재배 관리가 용이하나 곁가지 발생이 많아

    노동력이 많이 소요

    ▷ 백선(白扇)은 7월 중순에 자연 개화하는 백색 대국으로, 신마 출하가 어려운

    고온기에 곁가지가 발생하지 않는 국화로 인기

    ○ 색과 모양이 풍부한 스프레이 국화는 전 세계적으로 꽃다발과

    꽃꽂이용으로 이용되며, 수많은 품종이 혼합하여 재배

    - 국내에서는 퓨마와 같은 아네모네형 국화 재배가 대부분이나,

    화란이나 일본과 같이 홑꽃 품종 재배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

    - 꽃의 지름이 4cm 이하로 많은 꽃이 피는 품종을 산티니라 하며

    파티마, 스텔리온, 델릴라, 컬미트 등 많은 품종이 있음

    - 최근, 곁가지를 제거하여 하나의 꽃만 크게 키우는 디스버드

    (Disbud)형 국화를 외국인이 좋아하여 높은 가격이 형성

    ○ 포트멈은 꽃 지름이 3~4.5cm인 중륜종(中輪種)으로, 지주 없이

    화분 재배가 쉽고 꽃을 오래 볼 수 있어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 분화용으로 화단에 재배하는 쿠션멈은 꽃 지름이 3~5cm인

    소륜종(小輪種)으로 반원형 모양으로 자라는 특징이 존재

    추국 ‘신마’ 하추국 ‘백선’ 스프레이 ‘퓨마’ 디스버드 국화 포트멈

  • RDA 87호

    17

    interr●bang

    □ 국내 국화 육종은 국가연구기관을 중심으로 관상용 대국의 개량, 절화용

    품종 개발까지 발전하여, 로열티 부담 감소와 수출 시장 확대에 기여

    ○ 일월은 2001년에 개발한 황색의 아네모네형 스프레이 국화로,

    10월 하순~11월 상순에 개화하는 가을 국화(秋菊)

    - 2003년부터 인기를 얻기 시작하여 국산 품종의 탄생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지금도 주력 품종으로 생산되고 있음

    ○ 백마는 2004년에 개발된 국내 최초의 스탠다드 백색 대국으로,

    9월 하순에 개화하는 여름․가을 국화(夏秋菊)

    - 순백색의 꽃 중심은 녹색이어서 깨끗함을 더하고, 꽃잎이 많아

    볼륨감이 우수하며, 여름 고온기에도 개화 능력이 우수한 특성

    - 2007년 첫 수출을 시작으로 일본 주 수출 품종으로 정착(2010년

    일본 품종등록), 전북 전주와 경남 창원 일대에 수출단지가 조성

    ○ 핑크프라이드는 2005년에 개발한 분홍색의 홑꽃 스프레이 품종으로,

    10월 하순에 개화하는 전형적인 중생의 가을 국화

    - 줄기가 길게 잘 자라고 꽃이 일정 시기에 피며, 경북 구미 국화

    수출단지에서 주로 일본 시장용으로 생산(2010년 일본 품종등록)

    ○ 꽃 모양이 둥근 ‘팡팡 시리즈’ 품종은 2006년 써니팡팡, 휘트니

    팡팡, 핑크팡팡을 개발하였고, 추가로 2010년 3품종이 더 개발

    - 꽃을 하나만 키우는 디스버드형 국화로 일본에 등록 완료되었고,

    유럽과 중국에도 출원중인 품종

    1억 송이 국화 수출을 꿈꾸며!(문화일보, ‘12.2.21)

    ▷ 전주 헤븐FC 화훼 영농조합법인 국중갑 대표는 ‘06년 토종

    국화 ‘백마’ 재배에 성공한 이래 일본 수출이 해마다 증가

    - ‘08년 100만 → ’10년 500만 송이를 수출, 앞으로 대규모 수출단

    지를 만들어 1억 송이를 수출하는 농업회사로 키우는 게 꿈

    - 국중갑 대표의 성공으로 백마 재배가 창원 등 전국으로 확산

  • RDA 87호

    18

    interr●bang

    Ⅲ. 시사점

    국화(菊花)시장에 대한 접근 방법이 달라져야 할 시기

    □ 국화는 오랫동안 우리민족과 함께 해온 화훼이기 때문에 무의식

    속에 매우 강한 선입견이 자리 잡은 화종(花種)

    ○ 대국(스탠다드 품종)만 국화이며 장례식, 추모 등이나 몇몇 동호인의

    취미로만 생각하는 선입견이 강하기 때문

    - 세계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3대 화훼 중의 하나

    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시장에서의 소비는 정체된 상태

    □ 국화를 생산하는 농가나 단체에서는 국화를 한정된 용도가 아닌

    일상적으로 즐길 수 있는 꽃으로 인식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

    ○ 국화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틈새를 찾아낼 것인가의

    문제로 대중화가 가장 큰 화두

    ○ 내수시장을 넓히거나 틈새시장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젊은이나

    일반 가정에서 즐길 수 있는 국화라는 문화(콘텐츠) 창출이 필수

    연구의 방향이 다양화될 시기

    □ 현재 우리나라 전체 화훼시장은 국민소득 대비 매우 작은 편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해야 함

    ○ 세계를 공략할 수준의 신품종 육성 결과가 이제 겨우 결실을

    맺기 시작하는 시기이므로 이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는 필수

    - 품종 육성의 방향을 설정하기 이전에 경제, 경영 전문가가 동참

    하여 시장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의 진행이 요구

    - 수출을 목표로 하는 경우는 농수산물유통공사, 수출업체와 협력하여

    대상국, 성공적인 화훼단지 경영정보 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 RDA 87호

    19

    interr●bang

    ○ 농업계 전반 그 중에서도 화훼 관련 전공인력이 감소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국가연구기관에 투자를 집중할 필요성이 높음

    - 기술이전을 통해 민간 종자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지만,

    현재는 국내 화훼시장을 감당할 능력의 종자회사가 없기 때문

    □ 비농업계의 다양한 전문가들과 함께 시장 확대방안을 모색하여

    새로운 화훼문화를 이끌어 내는 노력이 필요

    ○ 여행, 레저, 레크리에이션, 원예치료, 건축, 도시설계, 인테리어,

    디자인, 한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인력 참여가 필요

    ○ 화훼를 주제로 한 풍성한 콘텐츠의 개발은 시장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성과를 만들 수 있는 중요한 분야

    화훼산업 전반에 대한 정책의 정비가 요구

    □ 세계적인 경기 침체, 국내외 시장 상황, 기술수준 발전 등을 고려한

    정책 방향의 정립 및 정비가 요구

    ○ 우리 화훼산업이 가야할 방향에 따라 국화 등 품목별 맞춤형 목표

    재설정과 육성방안을 일체화한 전략이 필요

    - 품목별로 내수와 수출을 아우르는 분야별 발전 계획을 도출하고

    이에 필요한 예산과 투입시기 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중요

    * 한-EU, 한중일 FTA 등을 고려한 선제적인 정책 대응이 시급

    ○ 특히 화훼분야는 국가의 문화수준과 국민 삶의 질 향상에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농업분야로 집중적인 검토가 필요

    - 생산자와 소비자를 아우를 수 있는 다양한 전문가와 국가농업

    연구기관으로 구성된 전문가 네트워크의 운영이 필요한 시기

    - 소비를 위한 콘텐츠는 민간, 기술개발은 국가연구기관, 제도

    및 지원은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3인 4각의 협조체제가 요구

  • RDA 87호

    20

    interr●bang

    [부록] 국화 즐기기

  • RDA 인테러뱅

    INTERROBANG 2011. 1. 12. 창간

    발행인: 박현출

    편집인: 이병서, 조우석, 강방훈, 이동현

    발행처: 농촌진흥청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26(서둔동)

    전화 031-299-1066 전송 031-299-2899

    인쇄처: 신생용사촌인쇄정보(주) 02-426-4415

    ISSN: 2233-5056

    발간등록번호: 11-1390000-002866-03

    * 본지에 게재된 내용은 필자 개인의 견해이며 농촌진흥청의 공식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본지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