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제 55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세미나 47 위장관 림프종 진단과 병기설정 조 수 정 국립암센터 위암센터 Diagnosis and Staging of Gastrointestinal Lymphoma Soo-Jeong Cho Center for Gastric Cancer, National Cancer Center, Goyang, Korea A-III. 위장관 림프종 Room A 서 론 림프종은 전통적으로 크게 호지킨 림프종(Hodgkin’s lym- phoma)과 비호지킨 림프종(non- Hodgkin’s lymphoma)으 로 나눈다. 호지킨 림프종이 비교적 동질성을 지닌 질환군임 에 반해 비호지킨 림프종은 다양한 질환의 집합체이다. 발생 위치에 따라서 림프절 림프종(nodal lymphoma)과 림프절외 림프종(extranodal lymphoma)으로 나누는데, 림프절외 림 프종은 위장관에서 가장 흔하다. 원발성 위장관 림프종은 촉지되는 림프절이 없고, 간이나 비장비대가 없으며, 단순흉부촬영에서 림프절비대가 없고, 말초혈액 백혈구가 정상이면서 위장관 및 국소림프절에 국 한될 경우로 정의한다. 1 원발성 위장관 림프종은 발병 위치 와 조직학적 종류가 다양하여 그 경과와 예후도 다양하다. 원발성 위장관 림프종 371예를 분석한 보고에서 74.8%가 위 에서 발생하였으며, 이어서 소장(8.6%), 회맹부(7.0%), 위장 관의 다발성 침범(6.5%), 직장·결장(2.4%) 순서였다. 림프종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지속적으로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악성 종양으로 주로 림프절외 림프종의 증가에 기인하 고 있다. 이전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림프절외 림프 종은 전체 비호지킨 림프종의 63.3%이며, 이 중 원발성 위장 관 림프종이 차지하는 비중이 20.7%로 가장 높았다. 2 2011년 도에 발표된 국내 림프종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림프종 중 비호지킨 림프종이 95.4%였고 림프절외 림프종이 69.6% 였다. 림프절외 림프종 중 위 림프종이 가장 많았는데, 세포 형으로는 MALT 림프종(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of MALT type)이 56.1%, 미만성 거대 B-세포 림 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이 35.1%였다. 3,4 본 론 1. 분류 여러 질환의 집합체인 림프종을 정확히 파악하고 분류하 려는 노력은 크게 병리학적인 분류와 원발 부위에 따른 구분 의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다. 병리학적 접근법은 역 사적으로 Rappaport의 분류방식 5 이 널리 이용되어 오다가, 미국 국립암연구소의 분류체계(National Cancer Institute Working Formulation) 6 로 대체되었다. 이 체계는 병리학적 인 악성도를 임상적인 소견과 연계시켜, 크게 3등급으로 분 류하면서 임상의사들이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지 만 림프종이 발생한 세포의 근원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여 1994년 Revised European American Lymphoma (REAL) 분류법 7 이 제안되었고, 2001 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REAL 분류법을 발전시켜 형태학적 소견, 세포의 기원, 임상 소견과 유전자형까지 고려한 새로운 분류를 제안하기에 이 르렀고, 8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분류체계가 되었다. 현재 2008 년도에 발표된 4차 개정판이 사용되고 있다(Table 1). 9 2. 진단 위장관 림프종은 40-60대에 호발하며 남녀 모두에서 비슷 하게 분포한다.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을 갖지 않아 위 림프종 의 경우 건강 검진을 목적으로 시행한 내시경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의 국내 보고 10 에 따르면, 검진자 105,194

위장관 림프종 진단과 병기설정 · 2016-10-10 · 위장관 림프종 진단과 병기설정 조수정 48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Table 1. WHO Classification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제55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세미나 47

위장관 림프종 진단과 병기설정

조 수 정

국립암센터 위암센터

Diagnosis and Staging of Gastrointestinal Lymphoma

Soo-Jeong Cho

Center for Gastric Cancer, National Cancer Center, Goyang, Korea

A-III. 위장관 림프종 Room A

서 론

림프종은 전통적으로 크게 호지킨 림프종(Hodgkin’s lym-

phoma)과 비호지킨 림프종(non- Hodgkin’s lymphoma)으

로 나눈다. 호지킨 림프종이 비교적 동질성을 지닌 질환군임

에 반해 비호지킨 림프종은 다양한 질환의 집합체이다. 발생

위치에 따라서 림프절 림프종(nodal lymphoma)과 림프절외

림프종(extranodal lymphoma)으로 나누는데, 림프절외 림

프종은 위장관에서 가장 흔하다.

원발성 위장관 림프종은 촉지되는 림프절이 없고, 간이나

비장비 가 없으며, 단순흉부촬영에서 림프절비 가 없고,

말초혈액 백혈구가 정상이면서 위장관 및 국소림프절에 국

한될 경우로 정의한다.1 원발성 위장관 림프종은 발병 위치

와 조직학적 종류가 다양하여 그 경과와 예후도 다양하다.

원발성 위장관 림프종 371예를 분석한 보고에서 74.8%가 위

에서 발생하였으며, 이어서 소장(8.6%), 회맹부(7.0%), 위장

관의 다발성 침범(6.5%), 직장·결장(2.4%) 순서였다.

림프종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지속적으로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악성 종양으로 주로 림프절외 림프종의 증가에 기인하

고 있다. 이전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림프절외 림프

종은 전체 비호지킨 림프종의 63.3%이며, 이 중 원발성 위장

관 림프종이 차지하는 비중이 20.7%로 가장 높았다.2 2011년

도에 발표된 국내 림프종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림프종

중 비호지킨 림프종이 95.4%였고 림프절외 림프종이 69.6%

였다. 림프절외 림프종 중 위 림프종이 가장 많았는데, 세포

형으로는 MALT 림프종(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of MALT type)이 56.1%, 미만성 거 B-세포 림

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이 35.1%였다.3,4

본 론

1. 분류

여러 질환의 집합체인 림프종을 정확히 파악하고 분류하

려는 노력은 크게 병리학적인 분류와 원발 부위에 따른 구분

의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다. 병리학적 접근법은 역

사적으로 Rappaport의 분류방식5이 널리 이용되어 오다가,

미국 국립암연구소의 분류체계(National Cancer Institute

Working Formulation)6로 체되었다. 이 체계는 병리학적

인 악성도를 임상적인 소견과 연계시켜, 크게 3등급으로 분

류하면서 임상의사들이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지

만 림프종이 발생한 세포의 근원을 제 로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여 1994년 Revised European

American Lymphoma (REAL) 분류법7이 제안되었고, 2001

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REAL 분류법을 발전시켜 형태학적 소견, 세포의 기원, 임상

소견과 유전자형까지 고려한 새로운 분류를 제안하기에 이

르렀고,8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분류체계가 되었다. 현재 2008

년도에 발표된 4차 개정판이 사용되고 있다(Table 1).9

2. 진단

위장관 림프종은 40-60 에 호발하며 남녀 모두에서 비슷

하게 분포한다.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을 갖지 않아 위 림프종

의 경우 건강 검진을 목적으로 시행한 내시경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의 국내 보고10

에 따르면, 검진자 105,194

위장관 림프종 진단과 병기설정 조수정

48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Table 1. WHO Classification of Lymphoid Neoplasms, 4th Edition9

B cell neoplasmsPrecursor B-cell neoplasm

• B-lymphoblastic leukemia/lymphomaMature (peripheral) B-cell neoplasms

• Chronic lymphocytic leukemia/small lymphocytic lymphoma• B-cell prolymphocytic leukemia• Lymphoplasmacytic lymphoma• Splenic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Hairy cell leukemia• Splenic lymphoma/leukemia, unclassifiable• Plasma cell myeloma/plasmacytoma• Heavy chain diseases• 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of MALT typea)

• 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Follicular lymphomaa)

• Primary cutaneous follicle center lymphoma• Mantle cell lymphomaa)

•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a)

• Burkitt lymphomaa)

• B-cell lymphoma, unclassifiableT-cell and NK-cell neoplasmsPrecursor T-cell neoplasm

• T- lymphoblastic leukemia/lymphomaMature (peripheral) T/NK-cell neoplasms

• T-cell prolymphocytic leukemia• T-cell large granular lymphocytic leukemia• Aggressive NK-cell leukemia• Systemic EBV positive T-cell lymphoproliferative disease of childhood• Hydra vacciniforme-like lymphoma• Adult T-cell lymphoma/leukemia (HTLV 1+)• Extranodal NK/T-cell lymphoma, nasal typea)

• Enteropathy-type T-cell lymphomaa)

• Hepatosplenic T-cell lymphoma• Subcutaneous panniculitis-like T-cell lymphoma• Mycosis fungoides/Sezary syndrome• Primary cutaneous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Primary cutaneous aggressive epidermotropic CD8 positive cytotoxic

T-cell lymphoma• Primary cutaneous gamma-delta T-cell lymphoma• Primary cutaneous small/medium CD4 positive T-cell lymphoma• Peripheral T-cell lymphoma, not otherwise characterizeda)

• Angioimmunoblastic T-cell lymphoma•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ALK-positive•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ALK-negative

a)Gastrointestinal lymphomas.

Fig. 1. Gastric MALT lymphoma.

Fig. 2. Gastric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명 중 내시경으로 발견된 위 림프종은 52예(0.049%)로, 외래

에서 진단된 위 림프종에 비해 MALT 림프종의 빈도가 높고

(98.1% vs. 60.0%),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로 치료된 예가

많았으며(98.1% vs. 48.1%), 5년 생존율도 유의하게 높았다

(100.0% vs. 89.3%). 이외에도 초기에는 비특이적인 소화불

량, 속쓰림 등의 상부 위장관 증상을 호소할 수 있고, 소장 또

는 장에 발생한 림프종의 경우 초기에는 변잠혈반응검

사에서 양성을 보일 수 있다. 개 림프종에 특징적인 B 증상

(발열, 야간 발한, 체중감소)을 호소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병변이 진행하는 경우 복통, 위장관 출혈, 체중 감소, 복부 종

괴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천공이 발생하는 경우는 상 적

으로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시경에서는 모든 위치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

다. 위 림프종의 경우 주로 전정부에 호발하지만 체부 및 분

문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MALT 림프종의 경우 주로 미란,

조수정 위장관 림프종 진단과 병기설정

제55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세미나 49

궤양 등의 점막 변형 형태로 나타나나(Fig. 1), 미만성 거

B-세포 림프종의 경우에는 종괴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Fig. 2). MALT 림프종에서의 궤양 또는 미란은 일반적인 양

성 위궤양 또는 조기 위암과 달리 불규칙하거나 지도상 모양

을 갖는 경우가 많으며, 다양한 형태의 궤양 또는 미란이 다

발성으로 발생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외에도 불규칙한 점

막의 요철이나 색조 변화만을 보이는 경우도 있어 의심되는

경우 조직검사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침범과 진행 정도

에 따라서 용종 또는 상피하 종양, 종괴를 형성할 수 있다. 미

만성 거 B-세포 림프종은 진행성 위암 또는 상피하 종양과

유사한 형태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미만성 거 B-세포 림

프종의 경우 진행형 위선암과는 달리 궤양 또는 종괴의 심한

정도에 비해 위 신전도가 비교적 유지되며, 선암과 달리 주위

점막에 침습에 의한 변화가 적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위 림

프종의 침범 범위가 넓은 경우에는 위 주름의 비후를 보이기

도 하여 보만 4형 위암과의 감별이 중요하다.

면역염색을 포함한 조직검사에서 림프종이 확인되면 병기

설정을 위해 적절한 문진과 신체검진이 필수적이다. 검사실

검사로는 일반혈구검사, 일반화학검사, 간기능 및 신기능검

사, ESR, CRP, 혈청 LDH 등을 시행한다. 면역결핍과 관련된

림프종 감별을 위해 HIV 검사, 향후 rituximab 등의 치료를

위해 Hepatitis B serology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내시경초

음파를 이용하여 침윤 깊이를 알아볼 수 있다. 림프종의 침

윤 깊이에 한 내시경초음파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

각 89%, 97%, 95%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T, N 병기 결정에

있어 CT보다 우수하다.11,12

림프종의 주위 림프절 및 주변 장

기의 침범 여부는 목, 흉부, 복부를 포함한 전산화단층촬영으

로 확인할 수 있고, 이외에 골수검사가 필요하다. 미만성 거

B-세포 림프종, 소포성 림프종(follicular lymphoma), 외

투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의 경우 fludeox-

yglucose (FDG)-PET가 도움이 된다.13,14

최근 International

Harmonization Project에 의해 림프종에서 치료반응 평가방

법으로서의 PET 사용 권고안이 발표되었으며,14

FDG-PET

및 PET-CT을 포함한 림프종 병기설정과 치료 반응 평가 방

법의 표준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15

한편, 골수검사가 모든 환자에 해 필요한지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미만성 거 B-세포 림프종의

경우 골수 침범 범위가 넓지 않을 때에 PET-CT가 골수검사

에 비해 더 민감하다는 보고들이 있고, 초기 림프종의 경우

골수 침범이 드물기 때문에 PET 양성일 경우에만 골수검사

를 하자는 주장도 있다.16,17

PET-CT와 골수검사를 시행한

130명의 미만성 거 B-세포 림프종을 분석하였을 때,

PET-CT의 골수 침범 진단에 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94%와 100%로 골수검사의 40%와 100%에 비해 높았으며,

PET-CT 양성(focal-uptake) 환자는 골수 침범이 없는 IV기

환자의 생존율과 유사하였으므로 골수검사가 필요하지 않고,

PET-CT 양성(diffuse uptake)이면서 다른 나쁜 예후인자가

없을 때에 골수검사를 하는 것이 진단적 도움이 된다고 주장

하였다.18

또한, PET-CT 양성 환자는 이미 다른 검사에서

개 진행된 병기를 가지기 때문에 골수검사로 병기가 달라지

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18

최근 국내 보고19

에 따르면 위

MALT 림프종으로 진단받은 105명 중 1명에서만 골수검사에

서 골수 침범이 있었으며, 점막이나 점막하층에 국한된 위

MALT 림프종 91명에서는 골수 침범이 없었다.19

그러나 임

상에서 행해지는 standard practice를 바꾸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데이터와 논의가 필요하겠다.

3. 병리 진단

진단의 기본은 조직검사를 통한 병리학적 진단이다. 특히

위 MALT 림프종의 경우 내시경 소견이 위염과 감별이 어려

워 조직검사를 시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진단이 어렵다. 림프

종이 점막하층에 국한된 경우에는 조직 생검에서 위 음성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큰 겸자를 이용하거나 경우에 따

라 점막절제술과 같은 보다 적극적인 조직 생검을 시도하는

것도 필요하다.20

MALT 림프종은 주로 작은 크기의 림프구가

모여 이루어진 종양으로, 중심구 유사세포(centrocyte-like

cell) 증식, 형질세포 침윤, 주위 조직과 분비선에 침투하여 파

괴하는 특징적인 림프상피병변(lymphoepithelial lesion)이 동

반된다. 중심모세포(centroblast)나 면역모세포(immunoblast)

처럼 보이는 거 세포가 증식된 소견이 있으면 미만성 거

B-세포 림프종으로 진단한다. WHO classification9에서는

MALT 림프종에서 거 세포가 보이면 미만성 거 B-세포 림

프종으로 진단하도록 권고하며, MALT 림프종 동반 여부를

반드시 기입하도록 하고 있다. 이전에 많이 사용되던 고등급

MALT 림프종은 혼란의 여지가 있어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

고 미만성 거 B-세포 림프종으로 진단한다. MALT 림프종

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유전 변이는 t(11;18)(q21;q21)/

API2‐MALT1, t(14;18)(q32;q21)/IGH‐MALT1, t(1;14)(p22;q32)/

IGH‐BCL10이며, 헬리코박터 제균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림

프종과 연관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기에 p53 불활성화 및

p16 결손 등과 같은 추가적 유전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미만성 거 B-세포 림프종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21,22

Wotherspoon 등23

이 발표한 5등급 체계가 MALT 림프종

위장관 림프종 진단과 병기설정 조수정

50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Table 2. Histologic Scoring of Lymphoid Infiltrations in the Stomach23

Score Diagnosis Histological features0 Normal Scattered plasma cells in lamina propria. No lymphoid follicles1 Chronic active gastritis Small clusters of lymphocytes in lamina propria. No lymphoid follicles. No

lymphoepithelial lesions2 Chronic active gastritis with florid lymphoid follicle

formationProminent lymphoid follicles with a surrounding mantle zone and plasma cells. No lymphoepithelial lesions

3 Suspicious lymphoid infiltrate, probably reactive Lymphoid follicles surrounded by small lymphocytes that infiltrate diffusely in lamina propria and occasionally into the epithelium

4 Suspicious lymphoid infiltrate, probably lymphoma Lymphoid follicles surrounded by marginal‐zone cells that infiltrate diffusely in lamina propria and into the epithelium in small groups

5 MALT lymphoma Presence of dense diffuse infiltrate of marginal‐zone cells in lamina propria with prominent lymphoepithelial lesions

MALT,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Table 3. Groupe d'Etude des Lymphomes de l'Adulte (GELA) Histological Grading System for Post‐Treatment Evaluation of Gastric MALT Lymphoma24

Score Lymphoid infiltrate LEL Stomach changesCR Absent or scattered plasma cells and small lymphoid cells in the LP − Normal or empty LP and/or fibrosispMRD Aggregates of lymphoid cells or lymphoid nodules in the LP/MM and/or SM − Empty LP and/or fibrosisrRD Dense, diffuse or nodular extension around glands in the LP −/+ Focal empty LP and/or fibrosisNC Dense, diffuse or nodular + No changes

CR, complete histological remission; LEL, lymphoepithelial lesions; LP, lamina propria; MM, muscularis mucosa; NC, no change; pMRD, probable minimal residual disease; rRD, responding residual disease; SM, submucosa.

의 진단에 필요한 조직 기준으로 널리 사용되며, score 3, 4

병변은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이용하여 B세포 단클론성

이 증명되어야 MALT 림프종으로 진단할 수 있다(Table 2).

보다 공격적인 미만성 거 B-세포 림프종에 비해 MALT

림프종은 위에 많이 발생하고 초기인 경우가 많아 치료 반

응 평가에 있어서 영상의학 또는 핵의학적 진단보다 병리적

진단이 중요할 때가 많다. 특히 제균 치료에 반응하는 위

MALT 림프종의 경우 림프구 침윤과 림프상피병변이 줄어

들고 lamina propria가 없어지거나 섬유화 된다. 최근 치료

반응 평가에 한 객관적 지표를 위해 Groupe d'Etude des

Lymphomes de l'Adulte (GELA) histological grading sys-

tem이 사용되고 있다(Table 3).24

이 시스템에서 “probable

minimal residual disease (pMRD)” 카테고리는 기본적으로

림프종이 활성화되지 않고 remission이 진행되는 상태로 보

기 때문에 다른 치료를 시작하기보다는 적절한 follow-up을

권유하고 있다.21

4. 병기 결정

위장관 림프종 병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임상에서 림프종 병기에 널리 쓰이는 Ann Arbor system25

해부학적 분류법으로서 병기를 stage I-IV까지 분류하며,

stage I은 한 개의 림프절이나 림프기관만 침범했을 때,

stage II는 횡경막을 기준으로 한쪽에 두 개 이상의 림프절

그룹을 침범했을 때, stage III은 횡경막을 기준으로 흉부와

복부의 림프절 그룹을 동시에 침범했을 때, stage IV는 골

수, 뇌, 간, 척수, 흉막 등의 원격전이가 있을 때로 분류하

며, 림프절 밖의 장기(extranodal organ)를 침범하면 stage

옆에 E를 붙여 표기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점막에 국한된

MALT 림프종의 경우 stage IE로 표기한다. 그러나 Ann

Arbor system은 원래 호지킨 림프종의 분류를 위해 개발된

병기체계로서 비호지킨 림프종, 특히 림프절외 비호지킨 림

프종인 원발성 위장관 림프종의 병기 설정에 사용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내시경초음파검사로 평가한 림프종 침윤도가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 후 예후를 예측하는 중요 인자임에

도 불구하고 Ann Arbor system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Ann Arbor system을 개정하여

the Musshoff modified Ann Arbor system26

이 발표되었으

나 주변 조직 침범 등을 고려하지 못하는 병기 시스템이었

다. 장막 침범 등의 위장관의 해부학적 측면을 고려한

Lugano system27

이 이 역시 제안되었으나 임상의사들에게

혼선을 주어 지지를 얻지 못하였다. 이후 제안된 것이 Paris

staging system28

이다(Table 4). Paris staging system은 원

조수정 위장관 림프종 진단과 병기설정

제55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세미나 51

Table 4. Paris Staging System for Primary Gastrointestinal Lymphoma28

Stage Gastrointestinal lymphomasTX Lymphoma extent not specifiedTO No evidence of lymphomaT1 Lymphoma confined to the mucosa/submucosaT1m Lymphoma confined to mucosaT1sm Lymphoma confined to submucosaT2 Lymphoma infiltrates muscularis propria or subserosaT3 Lymphoma penetrates serosa (visceral peritoneum) without invasion of adjacent structuresT4 Lymphoma invades adjacent structures or organsNX Involvement of lymph nodes not assessedNO No evidence of lymph node involvementN1 Involvement of regional lymph nodesN2 Involvement of intra-abdominal lymph nodes beyond the regional areaN3 Spread to extra-abdominal lymph nodesMX Dissemination of lymphoma not assessedMO No evidence of extranodal disseminationM1 Non-continuous involvement of separate site in gastrointestinal tract (eg, stomach and rectum)M2 Non-continuous involvement of other tissues (eg, peritoneum, pleura) or organs (eg, tonsils, parotid gland, ocular adnexa, lung, liver,

spleen, kidney, breast etc.)BX Involvement of bone marrow not assessedB0 No evidence of bone marrow involvementB1 Lymphomatous infiltration of bone marrowTNM Clinical staging: status of tumour, node, metastasis, bone marrowpTNMB Histopathological staging: status of tumor, node, metastasis, bone marrowpN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will ordinarily include 6 or more lymph nodes

Table 5. Comparison of Lugano stage,27 modified Ann Arbor stage,26 and Paris classification28

Stage Lugano system modified Ann Arbor system Paris classification Extent of lymphomaStage I Stage I IE1 T1 N0 M0-1 B0 Mucosa, submucosa

IE2 T2 N0 M0-1 B0 Muscularis propria, subserosaIE2 T3 N0 M0-1 B0 Serosa penetration

Stage II Stage II1 IIE1 T1-4 N1 M0-1 B0 Regional lymph nodesStage II2 IIE2 T1-4 N2 M0-1 B0 Intra-abdominal distant lymph nodesStage IIE IE2 T1-4 N0 M0-1 B0 Invasion of neighboring organ

Stage IV Stage IV IIIE T1-4 N3 M0-1 B0 Extra-abdominal lymph nodesIVE T1-4 N0-2 M2 B0 Diffuse/disseminated spreadIVE T1-4 N0-2 M01-2 B1 Bone marrow involvement

발장기의 심달도와 림프절 침범 뿐만 아니라 원격장기의 침

윤 양상도 자세히 분류하고 있으며 임상의들에게 익숙한 상

피암 분류체계인 TNM staging을 근간으로 하여 보다 익숙한

점이 장점이다. Table 5는 여러 병기 시스템을 비교하여 보

여준다.

5. 예후 예측

위 MALT 림프종의 경우 내시경초음파 검사로 평가한 침윤

도가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 후 치료 반응을 예측하는 중요

인자이다. 또한, 점막이나 점막하층에 국한된 MALT 림프종

에서 헬리코박터균이 양성일 때에 제균치료만으로 약 80%의

관해에 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통적으로 림프종의 예후예측인자로 유명한 것이 inter-

national prognostic index (IPI)29

이다(Table 6). 예후가 좋고

전신질환이 거의 없는 위 MALT 림프종에 적용할 필요는 없

지만, 위장관 미만성 거 B-세포 림프종에서는 적용 가능하

다. 국내의 한 보고에 따르면 원발성 위장관 미만성 거 B-

세포 림프종 76명을 상으로 IPI를 적용하였을 때 5년 생존

율이 low risk, low-intermediate, high-intermediate, high

risk 순서로 각각 78.4%, 63.7%, 30.0%, 0%로 IPI가 강력한

예후인자라고 보고하였다.30

위장관 림프종 진단과 병기설정 조수정

52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Table 6. Internaional prognostic index for non-Hodgkin lymphoma29

Prognostic factors Risk category Complete remission rate (%) 5-year overall survival (%) Age ≥60 years Low (0 or 1) 87 73 Reduced performance status (ECOG ≥2) Low-intermediate (2) 67 51 Elevated LDH High-intermediate (3) 55 43 ≥2 Extranodal sites High (4 or 5) 44 26 Ann Arbor stage III or IV

ECOG ≥2; Ambulatory and capable of all self-care but unable to carry out any work activities. Up and about more than 50% of waking hours.ECOG,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LDH, lactate dehydrogenase.

결론

최근 20여 년 동안 위장관 림프종의 진단, 병기, 치료에 있

어 많은 변화가 있었다. 최근 내시경 건수의 증가로 인해 증

상이 거의 없는 위장관 림프종의 발견율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진단기기의 발전으로 임상 접근 방법의 변화가 예

측된다.

참고문헌

1. Dawson IM, Cornes JS, Morson BC. Primary malignant lym-

phoid tumours of the intestinal tract. Report of 37 cases with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prognosis. Br J Surg 1961;49:

80-89.

2. Ko YH, Kim CW, Park CS, et al. REAL classification of malig-

nant lymphomas in the Republic of Korea: incidence of re-

cently recognized entities and changes in clinicopathologic

features. Hematolymphoreticular Study Group of the Korean

Society of Pathologists. Revised European-American lymphoma.

Cancer 1998;83:806-812.

3. Kim JM, Ko YH, Lee SS, et al. WHO classification of malig-

nant lymphomas in Korea: report of the third nationwide

study. Korean J Pathol 2011;45:254-260.

4. Lee Y, Lee J. Gastrointestinal Lymphoma.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12;12:158-165.

5. Rappaport H. Atlas of tumor pathology. Tumors of the hema-

topoietic system. Washington DC: Armed Forces Institute of

Pathology, 1966.

6. National Cancer Institute sponsored study of classifications of

non-Hodgkin's lymphomas: summary and description of a

working formulation for clinical usage. The Non-Hodgkin's

Lymphoma Pathologic Classification Project. Cancer 1982;49:

2112-2135.

7. Harris NL, Jaffe ES, Stein H, et al. A revised European-

American classification of lymphoid neoplasms: a proposal

from the International Lymphoma Study Group. Blood

1994;84:1361-1392.

8. Jaffe ES, Harris NL, Stein H, et al. WHO classification of tu-

mours of haematopoietic and lymphoid tissues. Lyon: IARC

Press; 2001.

9. Swerdlow SH, Campo E, Harris NL, et al.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of Haematopoietic and lymphoid tissues, 4th

edition. Lyon: IARC Press; 2008.

10. Yang HJ, Lee C, Lim SH, et al.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imary gastric lymphoma detected during screening for gas-

tric cancer in Korea. J Gastroenterol Hepatol 2016 [Epub

ahead of print].

11. Caletti G, Ferrari A, Brocchi E, et al. Accuracy of endoscopic

ultrasonography in the diagnosis and staging of gastric can-

cer and lymphoma. Surgery 1993;113:14-27.

12. Palazzo L, Roseau G, Ruskone-Fourmestraux A, et al. Endoscopic

ultrasonography in the local staging of primary gastric

lymphoma. Endoscopy 1993;25:502-508.

13. Isasi CR, Lu P, Blaufox MD. A metaanalysis of 18F-2-de-

oxy-2-fluoro-D-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the

staging and restaging of patients with lymphoma. Cancer

2005;104:1066-1074.

14. Juweid ME, Stroobants S, Hoekstra OS, et al. Use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response assessment of lymphoma:

consensus of the imaging subcommittee of international har-

monization project in lymphoma. J Clin Oncol 2007;25:571-

578.

15. Cheson BD, Fisher RI, Barrington SF, et al. Recommendations

for initial evaluation, staging, and response assessment of

Hodgkin and non-Hodgkin lymphoma: the Lugano classification.

J Clin Oncol 2014;32:3059-68.

16. Carr R, Barrington SF, Madan B, et al. Detection of lympho-

ma in bone marrow by whole-bod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Blood 1998;91:3340-6.

17. Pelosi E, Penna D, Douroukas A, et al. Bone marrow disease

detection with FDG-PET/CT and bone marrow biopsy during

the staging of malignant lymphoma: results from a large mul-

ticentre study. Q J Nucl Med Mol Imaging 2011;55:469-75.

18. Khan AB, Barrington SF, Mikhaeel NG, et al. PET-CT staging

of DLBCL accurately identifies and provides new insight into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one marrow involvement. Blood

2013;122:61-7.

19. Park JY, Kim SG, Kim JS, et al. Bone marrow involvement is

rare in superficial gastric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Digestive and Liver Disease 2016;48:81-86.

20. Choi M, Kim G. Diagnosis and Treatment of Gastric MALT

Lymphoma. Korean J Gastroenterol Vol. 57 No. 5, 272-280.

21. Bacon CM, Du MQ, Dogan A.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lymphoma: a practical guide for pathologists. J

Clin Pathol 2007;60:361-72.

조수정 위장관 림프종 진단과 병기설정

제55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세미나 53

22. Zucca E, Bertoni F, Roggero E, et al. The gastric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of MALT type. Blood 2000;96:410-9.

23. Wotherspoon AC, Doglioni C, Diss TC, et al. Regression of

primary low-grade B-cell gastric lymphoma of mucosa-asso-

ciated lymphoid tissue type after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Lancet 1993;342:575-7.

24. Copie-Bergman C, Gaulard P, Lavergne-Slove A, et al.

Proposal for a new histological grading system for post-treat-

ment evaluation of gastric MALT lymphoma. Gut 2003;52:

1656.

25. Carbone PP, Kaplan HS, Musshoff K, et al. Report of the

Committee on Hodgkin's Disease Staging Classification. Cancer

Res 1971;31:1860-1.

26. Radaszkiewicz T, Dragosics B, Bauer P. Gastrointestinal ma-

lignant lymphomas of the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

sue: factors relevant to prognosis. Gastroenterology 1992;

102:1628-38.

27. Rohatiner A, d'Amore F, Coiffier B, et al. Report on a work-

shop convened to discuss the pathological and staging classi-

fications of gastrointestinal tract lymphoma. Ann Oncol 1994;

5:397-400.

28. Ruskone-Fourmestraux A, Dragosics B, Morgner A, et al.

Paris staging system for primary gastrointestinal lymphomas.

Gut 2003;52:912-3.

29. A predictive model for aggressive non-Hodgkin's lymphoma.

The International Non-Hodgkin's Lymphoma Prognostic

Factors Project. N Engl J Med 1993;329:987-994.

30. Koo J, Ko O, Lee D, et al. Primary gastrointestinal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a clinical analysis of 76 patients with

special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for

survival. Korean J Medicine 2007;72: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