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 1 -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6, Vol.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 1) 이 종 ** (서울대학교 교수) 2) 성 수(서울대학교 박사과정) 김 영 식(서울대학교 석사과정) 요 약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교육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각 단계별로 직면했던 교육적 과제들 에 대한 정책적 선택과 전략을 규명하고, 향후 한국교육이 나아가야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 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교육발전 단계를 크게 교육의 기초 수립 및 재건기, 양적 성장 , 질적 변화 모색기, 재구조화기 등 4단계로 나누었으며, 각 시기별로 사용한 접근방법과 전략을 살펴본 결과 초등의무교육의 조기 완성, 저비용 접근, 평등주의 접근(평준화 정책)같은 양적접근법과 행정적 관리 모형의 적용, 공교육 내실화를 통한 사교육 문제에의 대응 등과 같은 질적 접근법이 있었다. 이러한 전략들을 바탕으로 향후 한국교육의 새로운 과제로 의미 있고 적합한 교육의 질적 발전, 산출성과 측정 시스템의 구축, 학교운영의 패러다임 전 , 과외와 교육의 기회균등 문제, 고등교육의 재구조화, 교원양성체제와 임용 및 인사제도의 혁신, 정치적 영향력의 성숙한 행사 등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 한국교육, 경제발전, 저비용, 평등주의, 평준화, 의무교육 . 서 론 한국은 현재 전 세계적인 주목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국의 놀라운 경제적 성 공은 1960대 초에 100달러에 불과했던 일인당 소득이 불과 40년 후인 2005년에 15,000 달러로 늘어난 점이나, 1970년에 10억 달러였던 수출액이 2005년에는 그 250배인 2500 억 달러로 늘어난 사례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은 다른 개발도상국들에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비전과 전략 모색” 국제학술세미나에서 발표한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작성하였다. ** 『2단계 BK21 역량기반 교육혁신 연구 사업단』 참여교수임.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2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1 -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6, Vol.

한국교육의 발 략과 새로운 과제*1)

이 종 재**(서울 학교 교수)2)

정 성 수(서울 학교 박사과정)

김 식(서울 학교 석사과정)

요 약

이 연구의 목 은 한국의 교육발 과정을 살펴보고, 각 단계별로 직면했던 교육 과제들

에 한 정책 선택과 략을 규명하고, 향후 한국교육이 나아가야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

는데 있다. 이를 해 한국의 교육발 단계를 크게 교육의 기 수립 재건기, 양 성장

기, 질 변화 모색기, 재구조화기 등 4단계로 나 었으며, 각 시기별로 사용한 근방법과

략을 살펴본 결과 등의무교육의 조기 완성, 비용 근, 평등주의 근(평 화 정책)과

같은 양 근법과 행정 리 모형의 용, 공교육 내실화를 통한 사교육 문제에의 응

등과 같은 질 근법이 있었다. 이러한 략들을 바탕으로 향후 한국교육의 새로운 과제로

의미 있고 합한 교육의 질 발 , 산출성과 측정 시스템의 구축, 학교운 의 패러다임

환, 과외와 교육의 기회균등 문제, 고등교육의 재구조화, 교원양성체제와 임용 인사제도의

신, 정치 향력의 성숙한 행사 등을 제안하 다.

[주제어] : 한국교육, 경제발 , 비용, 평등주의, 평 화, 의무교육

Ⅰ. 서 론

한국은 재 세계 인 주목과 심의 상이 되고 있다. 한국의 놀라운 경제 성

공은 1960 에 100달러에 불과했던 일인당 소득이 불과 40년 후인 2005년에 15,000

달러로 늘어난 이나, 1970년에 10억 달러 던 수출액이 2005년에는 그 250배인 2500

억 달러로 늘어난 사례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 한국은 다른 개발도상국들에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 신 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비 과 략

모색” 국제학술세미나에서 발표한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작성하 다.

** 『2단계 BK21 역량기반 교육 신 연구 사업단』 참여교수임.

Page 2: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2 -

비해 균형 잡힌 소득분배를 이룩한 나라로 평가받고 있으며(The World Bank, 2004), 한

국의 산업화와 민주화 과정은 다른 개발도상국들에게 일종의 “모델 사례”로까지 일컬어

지고 있다.

이러한 한국 사회의 발 에 공헌한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교육은 한

국경제의 발 에 가장 큰 공헌을 한 동인으로 인식되고 있다(OECD, 2001). 그리고 이러

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교육에 한 많은 질문들이 제기된다. 이러한 질문들에는 “한

국은 어떻게 그토록 단기간에 교육의 발 을 이룩할 수 있었는가? 한국은 교육의 기회

를 어떻게 확 하 으며, 경제 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어떻게 양 성장을 이룩하 는

가? 경제성장과정에서 교육은 어떠한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 는가? 경제성장 과정 속에

서 한국의 직업교육훈련은 어떻게 발 하 는가? 한국학생들은 PISA와 TIMMS에서 어

떻게 좋은 성 을 낼 수 있었으며 이러한 높은 성취는 한국교육의 질 성장에 어떠한

함의를 지니고 있는가? 오늘의 한국교육은 어떠한 도 에 직면하고 있는가? 다른 개발

도상국들에게 한국의 교육발 은 어떤 교훈을 수 있는가?” 등이 있다.

이 각각의 질문에 한 답은 매우 집 이고 분석 인 연구를 요한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개의 질문에 구체 으로 답하기보다는, 주요 교육발 과정에서

한국교육이 직면했던 여러 도 들과 이에 처하기 한 략 정책들을 개 함으로

써 교육발 에 한 “한국 근방식”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한국

교육의 발 단계를 체계 으로 검토하거나 주요 교육정책과 사업에 한 분석 평가를

시도하기 보다는 교육발 의 흐름 속에서 한국교육이 직면했던 주요 도 들과 이에

한 응으로서 선택했던 교육정책, 그리고 이러한 선택을 이끌어낸 “ 략”을 검토함으

로써 향후 한국교육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II. 한국교육의 발 단계1)

1. 정부 수립 이후 한국교육의 상황

1945년 제2차 세계 의 종식과 함께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 통치로부터 해방되었으

나, 곧 남한과 북한으로 양분되었고, 남한은 미군정청에 의해 1948년까지 신탁통치를 받

게 되었다. 하지만, 이런 신탁통치의 실 속에서도 한국인들로 구성된 “조선교육 원

회”는 주체 으로 미군정청의 트 로서 한국 교육의 실에 합한 정책을 제안하는

한편, 기술 지원도 병행하 다. 미군정청은 “조선교육 원회”의 이러한 조력을 바탕으

1) 오천석(1964). 한국신교육사. 교육총서출 사. pp. 397-407와 한국교육10년사간행회(1960).

한국교육10년사. pp. 70-128을 참고하여 작성함.

Page 3: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3 -

로 문맹퇴치사업, 학제 개발, 국립 서울 학교 설립 등과 같은 교육기회의 확 등을

한 교육 로그램을 수립․실행할 수 있었다. 그 후, 1948년 남한에서는 UN이 승인하는

총선거에 의하여 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고, 정부는 새로운 학교제도 정립과 등의

무교육의 수용능력 확충을 교육의 최우선 과제로 선정하여 실행하 다.

한민국 정부는 교육받은 인간의 모습을 ‘인간의 복리를 증진하기 하여 헌신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홍익인간”으로 설정하는 한편, 미군정 당시 “조선교육 원회”가 제안

한 6-3-3-4제를 학교제도의 기본 틀로 삼았다. 이 기본학제는 세 가지 기 을 바탕으로

설정되었는데 첫째, 교육에 한 근의 용이성(access to education), 둘째, 학생들에게

합한 교육기회 제공(relevance), 셋째, 학교제도 운 에 한 세계 동향과 흐름을 같

이 하고 국제 으로 통용될 수 있는 제도를 만들 것이었다. 이러한 6-3-3-4의 학교제도는

재까지도 유지되고 있으며, 이의 개편 여부에 해서 재 많은 논의가 진행 이다.

기 정부의 이러한 교육발 을 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1950년에 발발한 한국 쟁으

로 인해 한국의 교육발 은 커다란 암 에 부딪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 시교육 특별조치”에 의거하여 피난 임에도 불구하고 수복지역에 학교를

개교하 고, 부산에 “ 시연합 학”을 개설하여 고등교육을 지속시켜 나가는 등 교육의

지속을 하여 끊임없이 노력하 다. 이러한 노력은 1953년 휴 이후 등의무교육완

성 6개년 계획을 수립․실행하기에는 데까지 이르 으며, 한국교육의 양 성장은 바로

그 시 에서부터 출발했다고 할 수 있다.

2. 한국교육의 발 단계와 교육정책의 개과정

이 에서는 한국교육의 발 단계를 살펴보기 해 KDI(1997)에서 제시한 경제개발

단계와 각 학교별 취학자수 변동 자료(그림 1)를 토 로 “교육의 기 수립과 후 재

건기(1945~1960)”, ”양 성장기(1961~1980)“, ”질 변화 모색기(1981~2000)“, ”재구조

화기(2001~ 재)“로 한국의 교육발 4단계를 구안하는 한편, 각 단계별로 교육에 한

주요 도 과 이에 한 정책 응을 개 하고자 한다. 이를 구체 으로 살펴보면,

1945년부터 1960년까지의 시기는 괴된 교육 시설 복구와 등의무교육의 완성을 해

노력한 “교육의 기 수립과 후 재건기”로, 1961년에서 1980년까지의 시기는 등교

육 기회의 확 와 함께 속한 양 팽창을 이룩한 “양 인 성장기”로 볼 수 있다.

한, 1981년부터 2000년까지의 시기는 양 근 방식이 한계 에 도달함에 따라 질

발 을 한 새로운 근과 제도 발 을 시도한 “질 변화 모색기”로, 2001년부터

재까지는 지식기반사회와 세계화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새로운 도 들에 응

해가는 교육의 “재구조화” 시기로 나 어 볼 수 있다.

Page 4: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4 -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948 1950 1955 1960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연도

학생수(천명)

Elementary Middle High Tertiary Total

[그림 1] 한국의 각 학교 학생수 증가추세 망

<표 1> 학생수 증감규모 (단 : 만 명)

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학교 체

기 수립기(1945→1960) +225 +45 - +9 +306

양 성장기(1961→1980) +204 +194 +142 +50 +591

질 변화기(1981→2000) -164 -61 +37 +253 +65

재구조화기(2001→2005) +0.3 +15 -31 +7 +8

가. 교육의 기 수립과 후 재건기: 1945-1960

해방 당시 남한 지역의 문맹률은 53%에 달했으며, 등학교의 취학률 한 64%에 불

과했었다. 게다가 1950년 발발한 한국 쟁의 결과 학교시설의 85%가 괴되어 교육정책

을 수립․시행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 시기의 가장 요한 정책

과제는 괴된 교육시설을 복구하고, 한국 쟁으로 지연된 등의무교육의 완 취학을

달성하는 것이었다. 이에 정부는 “ 등의무교육완성 6개년계획”을 1954년부터 추진하여

1957년에는 등학교 취학률을 90%이상으로 높 다. 그 결과 쟁 직후의 열악한 교육

상황 속에서도 취학 상아동들을 모두 학교에 수용함으로써 지역에 따라서는 학 당 학

생수가 100명을 과하기도 하 다. 이와 같은 문제 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는 등교

육기회를 최 한 많은 학생들에게, 그리고 학습해야 할 시기에 제공함으로써 향후 등

교육에 한 수요를 형성할 수 있었다.

나. 양 성장기: 1961-1980

이 시기는 20년에 걸친 한국의 개발년 로서, 제1차부터 제4차에 이르는 경제개발5개

년계획을 수립․추진함으로써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룩한 한편, 높은 인구증가율과 도

초등의무교육완성기

중등교육 확대기

고등교육 확대기

Page 5: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5 -

시로의 인구집 , 교육에 한 사회 수요 증가 등의 특징을 보인 시기이다.

<표 2> 경제성장기의 사회․경제 지표

도시인구집 률 (%)

1인당

GNP($)

GDP 비 산업비율 (%)

농업

제조업, 기

건설업서비스업

1961 28.0(1960) 82 48.8 12.3 38.9

1965 - 105 44.5 16.4 39.1

1970 41.1 254 32.4 27.1 40.5

1975 48.4 602 26.4 32.1 41.1

1979 57.2 1,676 16.2 40.1 44.1

자료: 통계청 홈페이지(www.nso.go.kr) 자료 활용.

이 당시 한국교육은 등교육의 양 확 로 열악해진 교육의 여건을 개선하는데

을 두었다. 뿐만 아니라 1950년 등학교의 취학률이 증가함에 따라 등교육에

한 수요가 늘어났고, 이로 인해 등학교 진학을 한 치열한 경쟁이 사회문제로 두되

자, 정부는 등교육의 입시교육화 방지와 학부모의 과외 부담 경감이라는 목표 하에

1969년과 1974년에 각각 “ 학교무시험진학제도”와 “고등학교 평 화정책”을 도입하 다.

<표 3> 학교 별 질 변화 양상(1962~1979) (단 : 명)

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학 당 학생수

교사당학생수

학 당 학생수

교사당학생수

학 당 학생수

교사당학생수

1962 62.8 58.6 60.1 40.5 55.8 27.3

1965 65.4 62.4 60.7 39.4 57.0 30.2

1970 62.1 56.9 62.1 42.3 58.1 29.7

1975 56.7 51.8 64.5 43.2 58.6 31.4

1979 52.2 48.0 65.6 45.3 59.4 32.8

자료: 교육통계연보(각연도).

한 고도의 경제성장기에 발맞추어 한국교육은 경제발 과의 계에서 “ 력

응”, “상향식 단계 교육기회 확 ”, “경제성장으로 인한 교육재원 확보” 등과 같은 방

식을 택하 는데 이 방식들이 산업고도와 단계와 매우 잘 들어맞으면서 양 성장기를

이끌었다.

․교육과 경제의 력 응(Cooperative Correspondence)

1960년 이후의 한국교육은 인력개발을 통하여 경제개발계획을 지원하기 한

Page 6: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6 -

“ 력 응”의 계에서 교육발 을 한 정책선택을 해왔다. 1960년 의 “경공

업 심의 노동집약 산업화” 당시, 교육 부문에서는 등교육의 완 취학을 달성

하고, 등교육을 확 하기 시작하 다. 1970년 의 “자본집약 인 화학공업을 육

성하는 시기”에서는 실업계고교를 확충하고 공고를 특성화하 으며, 고등학교 평

화정책을 시행하 다. 한 공공부문에서의 직업훈련을 확충하 다. 1980년 의 “

자산업 심의 기술집약 인 산업화시기”에는 고등교육을 확 하기 시작하 다. 이

와 같은 한국의 경제성장과 산업발달과 교육의 단계 기회확 과정은 국과 싱가

폴의 경우와 흡사하다.

․상향식 단계 교육기회 확 략(Sequential Bottom-up Approach)

등교육부터 시작하여 등교육으로, 그리고 고등교육으로 단계 으로 교육기회

를 확 해 온 “기 교육부터의 상향식 단계 교육기회 확 략”이 경제개발 략

과 교육정책의 응 계를 형성하 다. 즉, 이러한 략을 채택함으로써 산업단계별

로 필요한 노동력을 잉여됨이 없이 시에 공 할 수 있는 교육 로그램을 갖출 수

있었던 것이다. 사실, 이러한 략은 의도 인 정책의 선택이라기보다는 상 학교

교육에 한 폭발 인 사회 수요에 한 정부의 피할 수 없는 정책선택의 결과이

기도 하다. 하지만, 결과 으로 “기 교육으로부터의 상향식 단계 교육기회 확

략”은 한국의 경제발 에 있어 굉장히 요한 역할을 하 다.

․경제성장으로 인한 교육의 재원 확보

한편, ․ 등교육을 지원하기 해 내국세의 12.98%를 지방교육재정교부 재원으

로 확보하는 규정을 신설함으로써 안정 인 교육 재원 확보를 한 제도 장치를 마련

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의 경제발 으로 인한 내국세의 증가는 교육의 재원으

로 활용되어 교육발 에 이바지할 수 있었다. 즉, 경제발 에 따른 안정 인 재원을 확보를

통해 한국교육은 필요한 시설 기반(Infra-structure)을 갖추고 교육 체제를 정비할 수 있었다.

다. 교육의 질 변화모색기: 1981-2000

이 시기는 경제 으로는 안정 성장과 구조 조정을, 정치 으로는 1980년 의

군사정권시기를 지나 민주화 요구를 수용하여 정치 민주화를 이룩한 시기이다. 민주

화에 한 요구는 교육부문에서도 학교운 의 민주화와 지방교육자치에 한 요구로 이

어져 “참교육”을 표방하는 교원노조가 1980년 후반 결성되는 한편, 특별시-도 수 에

서의 교육자치제를 시행하게 되었다(교육부, 1998). 한편, 학생수를 제외하면, 한국교

육의 양 성장은 1980년 에 최 치에 이르러 성장의 한계 에 도달하 다. 학생수를

Page 7: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7 -

기 으로 할 때, 등학교는 1971년, 학교는 1985년, 고등학교는 1989년에 학생수가

최 치로 도달하 다가 그 이후부터는 감소추세로 돌아섰다.

이러한 도 에 하여, 정부는 과외 지와 학입학정원제를 주요골자로 한 “7.30 교

육개 조치”(1980) 이후의 교육발 방향을 설정하고 국민의 참여 속에 문 검토를

거쳐 교육정책의 틀을 정립하기 해 “교육개 심의회”(PCER: Presidential Committee

for Educational Reform)라는 통령자문기구를 설치하 다. 교육개 심의회는 다양한

교육개 방안을 제안하 으나 교육체제운 에 한 새로운 이나 략을 제공하지는

못하 다(교육개 심의회, 1987). 교육의 질 변화를 한 노력의 일환으로 문민정부

때 설치된 “교육개 원회”는 학습자 심 교육․학교 운 의 자율과 책무성․교육의

정보화 등을 그 주요 내용으로 하는 “신 교육체제수립을 한 교육개 방안”(1995)을

발표하 다. “신 교육체제수립을 한 교육개 방안”은 이후 1998년부터 시작된 “국민

의 정부”와 재의 “참여정부”에서도 교육개 추진의 청사진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

만 여러 가지 교육정책들과 요한 사업을 개하는 과정에서 교육개 의 핵심가치와

정책방향, 략 근 등과 같은 교육개 의 정체성은 다소 모호해 졌다.

결론 으로, 이 시기는 이 시기들과는 달리 양 성장으로부터 질 개선으로, 효율

성보다는 합성을, 행정 통제보다는 자율성의 부여와 책무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교육체제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도 에 직면한 시기 다.

라. 재구조화(Restructuring) 시기: 2001- 재

2000년 이후의 시기는 한국이 겪었던 IMF 융 기를 극복하고, 정치․경제․사회 모

든 면에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식기반경제로 환하기 한 “재구조화”의 도 에

응해온 시기 다(The World Bank, 2000). 재의 한국교육은 세계화 추세 속에서 국

가 경쟁력 확보를 한 지원과 인 자원개발이라는 목 에 합한 교육체제의 구축이라

는 두 가지 과제를 안고 있다. 그리하여 정부는 2001년에 교육부를 국가인 자원개발을

총 하는 부총리 의 “교육인 자원부(Ministry of Education and HRD: MOE-HRD)”로

격상시켜 인 자원개발정책을 조정하는 책임을 맡게 하 다(교육인 자원부, 2003). 교

육인 자원부는 우선 으로 고등교육의 개 을 으로 추진하여, 고등교육기 이

교육의 합성을 높여 사회수요에 부응하는 교육 로그램을 운 하도록 하고, 연구역량

을 높여 학의 연구가 국제경쟁력을 갖추는 한편, 지역 신을 선도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게끔 지원해 왔다. 이를 하여 학술연구비를 폭 확충하고, BK21(Brain

Korea)과 NURI(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 등을 통하여 학을 지원하는

체제를 구축하 다(교육인 자원부, 2001). 그리고 세계화 추세 속에서 한국의 국제경쟁

력 확보와 지식기반경제체제에서의 국민역량계발을 하여 평생학습의 진흥을 한 정

Page 8: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8 -

책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하여 성인학습자의 학습, 학력취득 자격취득을 지원

하기 한 학 은행제, 사내 학인정, 원격학습지원과 원격 학설립, 고등교육기 의 평

생교육기능 확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 시기에 들어 과외의 교육기 화와(Mark Bray, 1999) ․ 등교육 단계에서의

“조기유학”이 증가하는 과정에서 공교육에 한 학부모들의 신뢰가 손상되기 시작하

다. 그리하여 학교교육은 활력을 잃고 “공교육의 실패”, “교실 기”에 한 문제가 제기

되었다. 그리하여 한국교육은 학교교육의 질 수 향상과 교육의 합성 제고를 통해

공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그 결과 과외와 이로 인한 계층 간

교육기회불균등에 한 우려(Negative effects)가 교육정책결정의 주요 거로 작용하고

있다(교육인 자원부, 2002).

<표 4> 한국의 교육발 단계 구분

구 분1948~1960

(기 수립 후 재건기)

1961~1980(양 성장기)

1981~2000(질 변화 모색기)

2001~ 재(지식구조사회에 따른 재구조화기)

교육에 한

도▪의무교육

▪ 등교육 확 ▪산업인력 공

▪고등교육의 보편화▪평생학습▪인 자원개발(HRD)

주요 심 ▪교육 기회 확▪교육의 양 성장 ▪효율성과 통제

▪교육의 질▪자율성▪책무성

▪세계화․지식정보화에 따른 경쟁력 확보

주요 정책▪ 등의무교육 완성▪교육시설 복구

▪ 등교육의 팽창 평 화▪직업기술교육 훈련

▪지방교육자치▪고등교육의 보편화▪교육의 질 개선

▪고등교육의 재구조화 - 연구 지원 - 지역 계발 - HRD, 평생학습, 공교육 내실화

자원 수단

▪해외 원조

▪경제개발 5개년계획▪교육세법의 제정▪직업기술교육 지원을 한 해외원조

▪ 통령직속 교육개 원회▪5.31 교육개 (1995)

▪연구활동 지원(BK, NURI, Post BK)

자료: 이종재(2006).

III. 교육발 을 한 략 근법

1. 완 취학의 성취와 련 요인

가. 완 취학의 성취

일본의 식민지 지배 하에서 한국인들의 교육기회는 극도로 억압받았으며, 일제말기

Page 9: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9 -

한국인의 취학률은 등교육이 50.9%, 등교육이 3.2%, 고등교육이 0.18%에 불과하

다. 하지만 이러한 여건 속에서도 한국교육은 근기회의 확 와 양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세계 으로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단기간에 높은 성취를 이루어내었

다. 취학률과 상 학교 진학률이 90%를 과하는 것을 완 취학이라고 규정할 때, 등

교육은 1957년에(김종철, 1989), 학교 교육은 1979년에, 고등학교 교육은 1985년에 보

편화를 달성하 다고 볼 수 있다.

<표 5> 취학 보편화 달성년도

진학률 90% 연도 취학률 90%달성연도

등학교 1957년

등 -> 학교 1979년 학교 1990년

학교 -> 고교 1985년 고등학교 1999년

고교 -> 고등교육 1995년 고등교육 2000년

주: 고등교육, 고->고등교육 - 진학률/취학율 50% 기

나. 한국교육의 양 성장에 기여한 8가지 핵심 요인

완 취학의 성취와 같은 한국교육의 양 성장은 아래와 같은 8가지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교육의 양 성장에 기여한 요인으로 볼 수 있는데, 특히 등교

육의 조기 완성, 비용 근, 평등주의 근 등은 한국교육 양 성장의 핵심요인 이라

고 할 수 있다.

1) 교육성장의 기 단계에 5년이라는 단시간 안에 등의무교육의 보편화를 달성하

다. 이는 등교육의 수요를 형성하는데 기여하 다.

2) 등교육부터 학교 교육으로, 그리고 고등학교교육으로 아래로부터 로의 “순차

인 양 확 방식”을 취하 다(Sequential Bottom-up approach).

3) 학교교육의 질 조건의 희생 하에 ‘취학기회의 양 확 ’를 추구하는 “ 비용

근 방식”을 취하 다(Low Cost Approach).

4) 등학교 단계에서는 사립학교의 확충을 통하여 공립학교만으로는 부족한 수용능

력을 확 하 다.

5) 상 등학교 진학을 한 입학시험제도를 폐지하고, 추첨에 의해 학생들을 인근

등학교에 배치하 다. 이는 한국교육의 평등주의 근(Egalitarian Approach)에

요한 역할을 담당하 다.

6) 지방교육재정교부 법을 통해 ․ 등교육을 한 법정재원을 안정 으로 확보하 다.

7) 학부모들의 자녀들에 한 “교육열”은 교육에 한 높은 수요를 낳아 한국교육의

Page 10: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10 -

Year 학교수 교원수 취학아동수 취학률(%)

1945(해방 당시) 2,807 27,847 1,572,046 64.0

1948(정부 수립) 3,400 41,335 2,405,301 74.8

1951(사변 직후) 3,917 32,371 2,073,844 69.8

1954(계획 실시) 4,053 41,857 2,678,374 82.5

1957 4,369 56,705 3,170,982 91.1

성장 동인으로 작용하 다.

8) 한국경제의 고도성장은 법정 교육재원의 확충과 직업 기회 제공을 통해 교육의 양

성장에 기여하 다.

2. 교육 기회 확 략

가. 등의무교육의 조기 완성(Expansion of Compulsory Elementary Education)

1945년 해방 당시 한국의 등학교 취학률은 64%미만이었다. 미군정과 1948년에 세워

진 한국정부는 등의무교육의 완성을 한국교육의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 으나, 한국

쟁(1950-1953)으로 학교시설의 68%가 괴됨에 따라 이러한 계획은 시작부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휴 직후, 문교부는 “의무교육완성 6개년계획(1954-1959)”을 수립하여 목표연도에 취

학률 96%를 달성하기 한 교원, 시설, 재정확보 계획을 세우고 이를 추진하 다. 취학

아동의 증가상황과 취학율은 아래 표와 같다. 이 기간 동안 정부는 교육 산의 80%수

을 의무교육비에 배정하여 등의무교육의 보편화에 주력하 다. 이 당시의 등교육은

교육법상 무상의무교육형태로 이루어졌기에 학교는 학교구내에 있는 모든 취학 상 아

동들을 학교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과 학 과 이부제․삼부제 수업이라

는 교육의 질 하를 피할 수 없었다. 이와 련해서는 다음에 언 할 “ 비용 근”

이라는 략에서 자세히 언 할 것이다. 당시의 등교육은 무상의무교육이었음에도 불

구하고 학부모들은 교과서비와 학교후원회비 명목으로 학교운 비를 지원하 다. 6년제

등교육을 5년 미만의 단기간에 완 취학의 수 으로 성장시킨 정책 노력은 교육의

양 확 와 성장의 가장 요한 바탕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표 6> 의무교육의 취학 상황 비교(1948년 기 ) (단 : 명, %)

자료: 문교부(1958).「문교월보」. 특집(제41호). p. 57; 김종철(1989). 한국교육정책연구. p. 108.

나. 비용 근(Low Cost Approach)

이 에서는 질 인 교육 조건의 희생을 바탕으로 양 팽창을 추구하는 략을 “

Page 11: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11 -

비용 근”이라고 규정하고자 한다. 1950년 에 한국이 이룩한 등의무교육의 완성은

이러한 “ 비용 근” 방식을 택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당시 한국이 선택한 비용

근은 당시의 열악한 재정 여건상 불가피한 정책선택이었다. 교육법에 의해 등교육이

무상의무교육으로 규정됨에 따라 증한 학생들을 수용하기 해 학 당 수용 학생수는

늘어날 수밖에 없었고, 한 교실을 2-3부제로 활용하기도 하 다. 도시지역의 경우 학

당 학생수가 90명을 과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2부제 이상으로 교실을 이용하는 학

은 체학 의 40%수 에 이르기도 하 다. 하지만, 이러한 비용 근은 한시 ․제한

이었으며, 사후의 질 개선을 제로 하여 성립된 것이었다.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연도

학생수(단위:천명)

0

10

20

30

40

50

60

70

학생수 학급당 학생수 교사당 학생수

[그림 2] 등학교 학생수 련 지표 변화 양상

등학교 학생수는 1945년 137만명에서 1970년 575만명으로 최 치에 이르 다가

2005년에는 400만명 수 으로 계속 감소하여 왔다. 2020년까지 이 감소 추세는 계속되

어 260만명으로 축소될 것으로 망된다. 학교교육여건은 1960년 이후 경제개발계획의

추진과 함께 정부의 특별 재정지원으로 학 당 학생수를 감축하기 시작하 으며, 이후 정

부의 재정지원 확 와 학생수의 감소효과의 두 가지 요인에 의하여 지속 으로 개선되어

학 당 학생수는 1965년의 65.4명에서 2005년에는 31.8명으로 축소되었다. 교사당학생수도

비슷하게 감축되어 왔다.

다. 평등주의 근(Egalitarian Approach)

한국교육의 평등주의 근은 한국교육의 평등지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크게 세 가지

정책모형으로 구성된다. 즉, 첫째, 등교육 단계에서의 입학시험을 폐지함으로써 교육기회

의 평등을 추구하고 둘째, 열악한 교육환경에 놓여있는 지역의 학교들에게 더 많은 자원을

배분하며 셋째, 수업료와 교과서 기타 교육비의 무상 집행은 소득 지역과 가정의

학생수(단위:명)

Page 12: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12 -

학생들에게 우선 으로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모형을 토 로 한국교육의 성장 과

정 속에 드러난 평등주의 근의 양상은 “입시경쟁의 완화”, “ 비용 구조를 통한 교육

기회 확 ”, “ 소득-낙후지역의 무상교육 확 ” 등 크게 세 가지로 드러난다.

1) 입시경쟁의 완화

교육기회 확 과정에서 “ 학교 무시험진학제도”와 “고등학교 평 화정책” 그리고,

“7.30 교육개 ”을 통해 상 학교 진학을 한 입시 경쟁을 완화함으로써 입학경쟁 과정에

서 발생하는 사회 계층간의 격차를 이기 한 노력을 개하 다.

가) 학교 무시험 진학제도(1969)

이 당시의 학교 진학은 학교별로 시행하는 입학시험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그 결과 소

명문 학교진학을 한 입시경쟁은 등교육을 입시 비교육으로 락시켰으며 학교

입학시험을 한 과열과외가 사회문제로 두되기에 이르 다. 그리하여, 정부는 1969년에

“ 학교 입학시험제도”를 폐지하고 “무시험 추첨배정에 의한 진학제도”를 시행하 다. 그

결과 진학을 원하는 등학교 졸업자는 모두 추첨을 통하여 거주지의 인근 학교에 진학

할 수 있게 되었다.

나) 고교평 화 정책(1974)

고등학교 평 화정책은 학교 교육을 입시 주교육의 압박으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학생들을 “입시지옥”(Examination Hell)으로부터 해방시켜주기 하여 도입된 정책이다.

이 정책 이 에 고등학교는 자체 으로 선발을 한 입학시험을 시행하 으나 평 화정

책으로 학생들은 지역별로 추첨에 의하여 학교를 배정받고 진학할 수 있게 되었다. 지

역별로 평 화정책의 여건이 성숙한 지역은 평 화정책을 채택하고 여건이 갖추어 지지

않은 지역에서는 학교별로 학생을 선발한다. 여기서 ’여건‘은 비슷한 수 의 고등학교가

여러 학교가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평 화의 필요조건인 학교 조건의 평 화를 하여,

공립학교의 경우 교사순환근무제를 시행하고, 평 화정책에 참여하는 사립학교에 해

서는 학교운 비에 한 재정보조를 하 다.

평 화정책은 그 시행 기부터 정책의 합성과 련하여 논란의 상이 되어왔다.

평 화정책이 이룩한 성과와 함께 문제 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으며, 이 정책에 한

찬성과 반 의 입장이 서로 립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 7.30 교육개 조치(1980)

“7.30교육개 조치”는 학입학시험을 한 입시경쟁이 과열되어 과외를 하지 않으면

Page 13: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13 -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0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연도

학생수(천명)

일반대학 전문대학

낙오된다는 불안감으로 과외를 받게 되는 “과외열풍”이 사회문제화됨에 따라, 1980년

한국의 정치 혼란기에 등장한 군사정부의 “비상 책 원회”에서 고교교육을 정상화와

과열과외해소를 한 조치로서 발표되었다.

그 주요 내용은 첫째, 개별 학에 의해 시행되던 학별고사를 폐지하고 지원자의

고교내신성 과 국가에 의해 시행되는 “ 학입학 비고사”의 성 을 통해 입학자를 선

발하 고, 둘째, 졸업정원에 따른 학생 입학정원을 유동 으로 결정하는 “졸업정원제”를

시행하 으며, 셋째, 고교재학생들의 과외를 “불법화”하고 지하 으며 학원수강도 불

허하는 조치를 취하 다.

7.30 교육개 조치는 체 학의 정원을 확 하여 고등교육의 양 성장을 한 정

책을 추진하 는데, 이로 인해 학의 학생수는 1980년의 40만명 수 에서 1985년에는

93만명 수 으로 증가하 으며, 문 학의 입학정원도 마찬가지로 확 되었고, 동 기간

에 2년제 교육 학을 4년제 학으로 승격하 다. 한편, 교육방송(EBS)이 사교육을 체

하기 해 개국되어 학교교육에 한 보충수업 내용을 방송하여 “과외방송”의 문을 열

었다. 이러한 내용의 7.30교육개 조치는 졸업정원제를 반 하는 학생들의 반 를 유

발하 고, 그 결과 정부는 졸업정원제를 철회하 다. 이로써 학입학정원의 확 와 졸

업정원제를 제로 하여 30%까지 과 선발한 부분까지 합하여 고등교육의 입학정원은

폭 확 되어 결과 으로 “ 학 개방정책”의 문을 열게 되었다. 이 듯, 한국에서 이러

한 고등교육의 폭 인 확 는 정책의 선택에 따른 결과이기 보다는 “변화하는 상황”

에 의해 발생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림 3] 일반 학 문 학 학생수 변화

2) 비용 구조를 통한 교육기회 확

입시경쟁의 완화 외에도 평등주의 근으로 비용 구조를 통한 교육기회를 확 하

다. 즉, 교육의 “공통수 ”을 정하고 이 수 에 비추어 국 으로 최소한의 질 인 교

Page 14: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14 -

육 수 을 보장(Minimum Quality level Assurance)하기 하여 노력하 다. 이러한 노

력은 한국 "No Area left Behind" 정책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 비용 근(Low

cost approach)”이나 “취학기회의 상향 확 (Sequential Bottom-up approach)"도 크게

보면 평등주의 근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소득-낙후지역 무상교육의 우선 확

교육발 을 한 지원에서 정책의 우선순 를 학습소외계층, 소득계층, 낙후지역에

부여하 다. 교과서무상공 과 학교 의무무상교육의 범 를 낙후지역, 소득 계층을

우선 상자로 하여 시행하 다. 아울러, 교육정보화를 한 지원도 낙후지역의 학교부

터 우선 으로 실시하여 왔다.

한국에서의 교육기회의 확 와 교육의 양 성장은 1950년 의 “ 등의무교육의 완성

계획”으로부터 출발하여, 1960년 와 1970년 의 등교육의 확 를 거쳐, 1980년 의

고등교육의 확 로 교육의 양 성장의 과업을 마감하게 되었다. 한국에서 취학기회의

보편화확 는 등교육은 1957년에, 학교교육은 1979년에, 고등학교 교육은 1985년에

완성하 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고 앞에서 언 한 바 있으며, 고등교육은 1980년 부터

본격 으로 개방하여 1995년에 고교졸업자의 50%이상이 진학함으로써 보편화를 이루었

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결과 한국인의 학력은 높아졌으며, 평균교육연수는 1965년의 5년

에서 2001년에는 10.6년으로 향상하 다(송병락, 2003).

3. 교육의 질 발 을 한 근 방법

1980년 이후 한국교육은 새로운 도 에 직면하게 되었다. 민주화에 한 요구는 교

육의 민주화라는 과제를 제기하 으며, 한국교육의 양 확 가 한계 에 도달함에 따라

그 까지 등한시 되었던 질 인 측면의 발 을 모색하여야 했다. 그리하여 이를 한

새로운 교육 운 체제에 한 요구가 높아져 갔다. 이 장에서는 한국교육에 한 새로

운 도 으로서 민주화, 질 발 , 그리고 운 체제의 변화에 용하여 왔던 근방법에

해 검토한다.

가. 양 근방법의 한계

한국교육의 양 확 를 이끌어 왔던 비용 근은 이미 고비용구조로 환되었으며,

취학기회의 상향 확 도 한국교육이 등교육부터 학교육까지 취학률 면에서 “완

취학”을 달성함에 따라 더 이상 합성을 지니기 어려워졌다. 한 교육에 한 평등주

의 근은 교육의 격차해소를 해 지역별, 계층별로 학습소외 상에 한 차등 보상

Page 15: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15 -

을 정책화하여 추진되어 왔으며, 이 과정에서 학교교육여건을 지속 으로 개선한 결과,

이제는 그러한 격차도 많이 해소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 다면 남은 과제는 고등

학교 평 화 정책과 교육의 질 발 을 조화시키는 문제와 학입학경쟁에서 “과외의

향”을 수용 가능한 범 안으로 제한하는 문제 등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까지는

교육기회를 확 하고 학교교육여건을 개선하기 하여 Top-down식의 “행정 리모형”

을 용하여 왔지만, 이러한 “행정 리모형”은 교육의 민주화 요구와 교육의 질 다양

성 추구와 상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양 근 방식의 한계들로 인해 한

국교육은 질 인 측면을 고려한 새로운 근 방법을 고안하여 교육 장에 용하고 있

다.

나. 질 발 을 한 한국식 근방법

한국교육의 질 발 을 한 략 인 근방법은 유형화하여 정리하는 것은 그리

용이한작업은 아니다. 왜냐하면 ‘질 ’이라는 용어 자체가 객 으로 양화(量化)시켜 유

형화하기에 어려움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 지만, 1980년 이후 지 까지 비교

일 성 있게 용되어 온 질 인 근 방법은 다음 4가지로 유형화될 수 있을 것이다.

1) 교육의 질 발 에 한 행정 리모형의 용

1990년 이후 한국교육은 교육의 질 속성과 그 수 을 평가하기 하여 ‘평가와

그 평가 결과에 따른 차등 보상‘을 통한 “질 리방식”을 용하여 왔다. 학교평가,

시․도 교육청 평가, 학평가, 교육개 평가 등이 여기에 속한다. 하지만, 이런 평가들

은 “실 ”에 한 객 자료 분석보다도 나름의 평가 기 을 설정하고 기 부합 여부

에 한 원회의 평가방식을 용하기 때문에 평가의 임의성이 높고, 평가를 통하여

개선해야만 하는 과제를 설정하기 어려운 문제 이 있다. 평가를 통한 교육의 질 리

방식은 종 의 “투입과 과정”에 한 행정감사 통제보다는 나은 측면이 있지만 본질

상 행정 통제유형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본질 인 문제 을 안고 있다. 그리고, 평가에

의한 교육의 질 리 체제를 운 해 나가가면서도 실질 인 교육의 질을 검하는 장치

(monitoring system)는 빈약하다는 문제 한 안고 있다.

2) 평 화 정책의 유지 보완

교육의 평 화 정책은 교육의 기본조건에서의 “균등한 교육기회”를 보장한다. 이러한

교육의 기회균등과 련하여 문제가 되는 사항은 가정배경의 차이에 따라 학업성취수

의 차이가 발생한다는 이다. 이러한 차이는 인간이라면 겪을 수밖에 없는, 일종의 필

연 상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 문제 삼는 것은 교육의 기회균등성을 훼손

Page 16: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16 -

할 정도의 극심한 ‘차이’이다. 평 화 정책은 이러한 극심한 결과 차이를 유발하는 불

균등한 경쟁을 완화하자는 입장이다. 이 에서 학교무시험 진학제와 고등학교 평

화정책은 진학기회를 평등하게 보장하고, 학교 간에 차이를 최소화하는 “평 화”된 학

교교육을 보장한다.

평 화정책에 한 찬반론의 립 속에 정부는 평 화정책의 기본방침은 유지하되 보

완을 한 과제는 추진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평 화정책의 해체는 고등학교 진학

을 한 입시경쟁을 유발하고, 진학경쟁에서 좋은 학교에 진학하지 못하는 계층이 갖는

화감, 그리고 과열과외를 조장하여 “교육에서의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평 화체제의 해체에는 기본 으로 반 하는 입장을 취하되,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선택

권 신장, 단 학교의 자율 운 권 보장 등을 통하여 평 화로 인해 야기되는 부작용

을 최소화시키기 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3) 공교육내실화를 통한 “사교육 문제”에 한 응

한국사회에서 과외는 “필요악”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국의 학부모들은 “죄수들의 게

임상황”(이희숙, 2003)속에 빠져있는 사람들처럼 원하지 않으나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과외를 한다. 그리하여, 한국의 학부모들에게 교육은 희망의 상이 아니라 “고통의

짐”(한만 , 2003)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의 교육정책에서 “과외유발 가능성”은 교육

정책이 피해야 할 "부정 효과"로서 교육정책결정의 다른 기 이 되고 있다. 이 기

조 에서 국민의 정부에서는 “공교육내실화 책”을 수립하 고, 참여정부에서는 “공교

육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경감 책”을 수립하여 추진하 다.

4) 통령자문 교육개 원회 운 (PCER Approach)

1980년의 7.30 교육개 이후, 교육을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기 하여 “교육에

한 통령자문 원회”를 운 하고 있다. 이 원회는 교육문제에 한 통령의 이해와

지원과 권한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의 변화와 개 을 시도할 수 있는 매우 강력

한 “정책의제설정과 결정과정”으로 활용될 수 있다.

1980년 의 “교육개 심의회”와 “교육정책자문 원회”는 교육정책의 개발과 심의과정

에 사회의 폭 넓은 참여와 문 검토, 공론화과정을 제도화한 계기를 이루었다. 1990

년 의 문민정부의 “교육개 심의회”는 세계화의 흐름에서 지식정보사회로의 이행을

망하여 “교육체제를 운 하기 한 새로운 틀”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교

육개 안은 이후의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에서도 교육정책의 기본지침으로 수용하고

있다(서정화, 2002).

그동안 정부마다 통령교육 련 원회의 명칭과 기능의 을 달리하며 수많은 교

Page 17: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17 -

육정책방안을 양산하 다. 국민의 정부에서는 기에는, 통령자문 원회를 정책추진을

한 “합의 형성기구”로, 후기에는 교육개 의 맥락을 “범정부차원의 인 자원개발”에

두는 인 자원개발 원회로 개칭하여 운 하 다. 참여정부에서는 교육 신 로 개칭하

여 교육 신을 한 핵심과제에 집 하고 있다.

교육부는 “ 통령 교육개 원회”가 제안한 개 방안을 추진하기 하여 100여개 이

상의 정책과제로 분할하여 련조직별로 분담하여 추진하고 있지만, 통령자문 원회

가 개 방안을 설정할 때, “선택과 집 ”보다는 “망라 나열식”의 근방식을 택함으

로써 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의 환이나 과제를 설정 등의 역할에는 미흡함을

보이고 있다.

Ⅳ. 한국교육의 새로운 과제

21세기에 들어서서 한국교육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제기되는 도 에 한

응방식을 모색하고 있다. 경제 으로 한국경제가 지식기반경제로 이행하기 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The World Bank, 2000), 정치 으로는 한국의 정체성을 지켜나

가며 남북 계에 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주권자형성을 한 “시민교육”을 해야 하

는 과제를 안고 있다. 한국의 헌법이 명시하는 “자유민주주의제도”와 “개인과 기업의

자유와 창의를 존 하며 사회 약자를 보호하는 경제사회정책을 수용하는 시장경제체

제의 운 ”(김철수, 1998)을 근간으로 하는 한국의 정체성을 지켜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어야 한다. 사회 으로는 “ 출산․고령화 사회”와 지식기반사회로 이행하는 과

정에서 드러나는 “사회양극화 상” 문제에 한 요한 응방안을 고안해야 한다(박

종렬 외, 2005; 우천식, 2006). 뿐만 아니라 한국교육체제는 인 자원개발을 통하여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우리의 새로운 응을 요구하는 과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의미 있고 합한 교육의 질 발

교육의 질(quality)은 교육 로그램의 다양성 속에서의 합성과 질 수 의 향상과

다양성, 그리고 교육의 본질에 속하는 보살핌(caring)이라는 속성을 갖는다(Lynn Beck,

1994). 그 교육의 합성은 학습자의 교육 필요에 의해 규정된다. 학습자의 교육의

필요는 매우 다양하며, 개인차 수 차가 있기 때문에 교육 로그램은 다양성이 제

되어야 하며 학습자와의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의미 있고 합한 교육

기회”를 제공해야하는 에서는 한국교육은 “다양한 교육 로그램의 개발”과 “선택을

허용”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 문제는 이미 교육수요자의 선택기제에 의하여 움

Page 18: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18 -

직이는 고등교육과 기 교육으로서 공통교육(Common Education)을 심으로 하는

등학교와 학교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교육과 다양성을 추

구할 수 있는 사립학교 운 에 해당하는 문제이다.

교육의 질 수 을 규정하는 한 요소인 학교교육의 여건 측면에서 한국교육은

OECD 수 에 근 하고 있다. 이제 한국교육은 학 당 학생 수, 교사 1인당 학생 수와

같은 학교교육의 여건 개선보다는 다양성, 선택가능성, 보살핌이라는 측면에서의 질

향상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2. 산출성과(Outcomes) 측정 시스템(monitoring system)의 구축

교육의 질 발 을 기하기 해서는 산출성과를 규정하고 검할 수 있어야 할 것이

다. 교육이 성과만을 지향하며 나갈 수는 없다. 그러나 최소한의 성과는 보장할 수 있어

야 한다. 이 제 에서 교육에서 강조하는 “존재의 모습”을 갖추어 가는 합당함

(authentic)이 있어야할 것이다.

한국교육의 산출성과는 여러 가지 “실 평가지표”를 심으로 검토할 수 있다. 한국

학생들의 학업성취뿐만 아니라 습득해야 할 핵심역량(core competency), 그리고 학의

연구역량과 실 도 산출성과로서 검토할 수 있다. 여기서 요한 것은, 한국경제가 지식

기반경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학생 학업성취의 합성을 평가해야 한다는

이다. 이러한 새로운 기 에 부합하는 “합당한 성취”(authentic achievement)나 “핵심학

업역량”(core academic competency)의 에서 학생의 학업성취도의 합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학생들은 PISA나 TIMMS에서 우수한 성 을 보이고 있으나, 학교

단계별로 그 산출성과에 한 검이 필요하다. 이를 하여 교육의 성과를 모니터링

(monitoring) 할 수 있는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체제가 있어야 하며, 그 결과를 분석하

고 그 의미를 공개하여야 한다. 그리고 학교의 교육에 한 평가와 교사의 실 에 한

평가도 이루어져야만 한다. 한국의 교육 실에서 성과에 한 합당한 평가 공개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은 교육의 질 발 을 추진하는데 요한 제

약요인이 되고 있다.

3. 학교운 의 패러다임 환 요구

지식기반사회에서 더욱 요구하는 학업성취를 Authentic Achievement(합당한 성취)라

고 할 때 합당한 성취를 주성할 수 있는 “학교의 변화”를 만들어 내는 일은 무엇보다

요하다. 이러한 문제인식과 근방법의 모색은 “Authentic Achievement 와 학교 신”

을 주제로 하여 논의되고 있다(이종재, 2006). 논의의 은 무엇이 “Authentic

Achievement”의 내용이 되어야 하며, 이를 조성하기 하여 “학교를 어떻게 운 해야

Page 19: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19 -

할 것인가?” 라는 문제이다. 이를 하여 학교운 의 패러다임을 행정통제로부터 단

기 운 의 자율과 책임, 그리고 소비자로서의 학부모와 학생의 선택을 주로 하는 시장

통제로 환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4. 과외와 교육의 기회균등문제

교육의 기회균등의 핵심이 되는 기 을 “부 합한 기 에 의한 차별 행이나 결과

차별”로 규정할 경우에 한국교육은 부 합한 기 에 의한 차별의 행은 없다고 할

수 있으며, 교육기회에 근하는데도 심각한 제약요인이 있다고 볼 수 없다. 하지만,

학입학 형에서 사용하는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본인 이외의 요인에 의한 향으

로 성 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가정배경의 향, 특히 그로 인한 과

외학습의 향이 교육의 기회 불균등에 향을 주는 요한 요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즉, 과외로 인한 성 의 차이, 사교육비 부담문제, 이로 인한 교육기회의 불균등에 한

응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의 해결을 해 기 인 변별 에 실질 인 추첨배정에 의한 학입학 형을 하는

“ 학평 화모형”과 ‘시험성 ’에 근거하여 학생을 선발하는 “자유경쟁모형”의 양 극단

모형 사이에서 고교와 학간에 상호이해와 력 에서 학마다 다양한 기 에 따라

다양한 형기 과 유형으로 합당한 학업성취를 반 하여 학생을 선발하는 새로운 형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2008 학입학 형계획”은 이러한 방향에 따라 새로

운 행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으로 큰 기 를 받고 있다.

5. 고등교육의 재구조화(Restructuring Higher Education)

한국의 고등교육은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역량 있는 인재 양성과 연구역량 강화

. 한국경제와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을 공 할 수 있는 지식의 연구․개

발 센터로서 역할 수행 등의 사회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하여 고등교육기

의 교육․연구 수 과 경쟁력을 높여야 하다. 이는 교수 개인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로그램, 그리고 학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의 고등교육은 이미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 인 경쟁 속에 뛰어든 상태이다. 고등

학교 졸업자의 감소 추세 속에서 고등교육기 은 학생충원을 하여 경쟁해야 하며, 교

육과 연구 성과에 근거하여 정부의 “인재육성을 한” BK21, NURI 사업 등의 재정지

원을 받기 해서도 경쟁해야 한다. 이를 해 학은 경쟁력 있는 연구 교육 사업

단을 구성하여 연구 교육의 실 을 제시해야 하며 이를 하여 역량 있는 교수와 학

생을 충원해야 한다. 이러한 일들은 고등교육의 재구조화, 즉 "Restructuring Higher

Education"을 통하여 추진되고 있다(이종재, 2005).

Page 20: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20 -

6. 교원양성체제와 교원임용 인사제도의 신

교원양성체제와 교원임용 인사제도는 교육의 질 수 을 결정하는 요한 요인이

다. 한국은 이와 련한 연구와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나 련단체의 이해 계 상충으로

정책의 방향을 제 로 설정정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교원노조가 정책결정에 막강한

향력을 행사하고 교직단체들의 동의를 구하면서 교원인사제도에 한 정책결정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한 1인당 국민소득과 련하여 볼 때, 국민 1인당 GDP 비 한국

의 학생 1인당 공교육비는 OECD 국가의 평균수 을 과하고 있다. 공교육비가 본격

인 고비용구조로 환되기 에 인건비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인사제도의 신이 있

어야 한다(한국교육개발원, 2004).

7. 교직단체와 교육 련 시민단체들이 정치 향력의 성숙한 행사

한국의 교육정책의 선택과 집행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교직단체와 교육 련 시민단

체들이 정치 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교원노조가 반 할 경우에 반 투쟁의 과정

에서 정책의 집행은 어려워지고 의도한 성과를 내기 어렵게 된다. 정부는 교원노조와

교섭과정에서 교원노조의 동의와 력을 구하기 하여 당한 타 을 모색하지 않을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 교원노조는 사실상 거부권을 행사하는 권력 집단(power

group)에 속해 있다. 그 결과 이에 한 국민들의 비 평가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한국교육발 과정에서 교원노조가 택하여야 할 입장에 하여 검토해야 할 시 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V. 결 론

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한국교육은 세계에서 그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성공

인 교육 기회 확 를 달성하 다. 한 각 산업화 단계에 부합하는 교육과 경제의 상호

력 인 응 계를 통해, 교육의 경제성장에 한 기여도와 경제의 교육에 한 기

여도가 매우 높은 효율 인 구조를 통해 양 인 성장을 이룩하 다. 이와 같은 양 인

성장을 이룩하기 해 한국교육은 여러 가지 략과 근법을 사용하 는데, 등학교

의무교육을 조기에 완성한 후에 차 학교와 고등학교로 확 하는 취학 기회의 상향

확 략, 교육기회의 확 를 한 사립학교의 확충 략 비용 근법, 학교

무시험 제도와 고교평 화, 과외 지 졸업정원제 등과 같은 평등주의 근법 등이

표 인 것들이다.

이러한 한국의 교육발 모델은 세계 으로 그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한 한국

Page 21: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21 -

이 그동안 견지해왔던 이러한 정책과 략들은 세계 인 심을 끌고 있으며, 특히

한국과 유사한 발 과정을 밟고 있는 개발도상국들에게는 일종의 지침서와 같은 기능

을 수행하기도 하며, 모델 사례로까지 인용이 되고 있다. 하지만 1990년 를 기 으로

이와 같은 양 성장 략이 한계를 맞이하면서 질 발 을 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

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제는 교육의 질, 다양성, 선택, 책무성 등과 같은 새로운 근을 통해 새로운 방향

을 모색해야 할 시 에 놓여 있다. 이러한 도 은 우리 한국교육만의 문제가 아니며, 세

계의 주요 국가들은 이미 이 략들을 실천하고 있다.

한국교육은 이미 고비용 구조에 들어섰다. 이제 교육의 생산성을 다시 높여야 할 시

이다. 이를 하여 수요자 심의 평가, 경쟁력 강화, 책무성 원칙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이러한 일은 운 주체가 단 가 되어 자율 으로 운 되어야 그 실 을 만들

어 낼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실 에 한 평가와 공개 새로운 실험 근을 개

발하여 국가차원의 로젝트로 실험해 보길 기 한다. 한 학교, 학, 지역, 지방자치

단체가 단 가 되어 “참여와 자율과 책임을 수행하는 공동체”를 만들어 가야하며, 과외

의 악순환에서 벗어나기 하여 고교와 학이 함께 하는 한국 “8년 연구”와 같은 실

험 근을 제안한다.

Page 22: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22 -

<참고문헌>

강성국, 이 , 박 정, 김기석, 차정민, 이 미(2005). 한국 교육 60년 성장에 한 교

육지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강 혜, 윤종 , 김미숙, 이혜숙, 김남걸, 김희복, 성열 , 이혜정, 이정선, 김지숙(2005).

고교 평 화 정책의 합성 연구: 학교교육의 실태와 보완과제. 한국교육개발원.

곽 우(1998). 한국에 있어서의 경제성장과 교육발 과의 계에 한 연구: 발 지표

분석연구를 심으로. 교육재정경제연구 7(2). 한국교육재정학회.

교육개 심의회(1987). 10 교육개 (최종보고서 I).

교육개 원회(1996, 1997). 신교육체제수립을 한 교육개 방안.

교육인 자원부(1998). 한국교육 50년.

교육인 자원부(2000). 한국교육개 의 흐름과 향후 발 방향(1995~2010).

교육인 자원부(2001). 국가인 자원개발 기본계획: 사람, 지식 그리고 도약.

교육인 자원부(2003). 국민의 정부 교육인 자원백서.

교육인 자원부(2006). 2006 학입학 형 기본계획.

교육인 자원부, 한국교육개발원(각년도). 교육통계연보.

교육인 자원정책 원회(2002). 교육개 추진 평가연구.

교육재정백서연구 원회(1999). 교육재정백서.

국가경 략연구원(2000). 교육개 의 실천과제.

국민경제자문회의(2005). 한국형 경제발 모델의 변천과 새로운 모색.

김기석, 류방란, 오성철, 류한구, 이향규(1996). 한국교육 100년: 학제 인구통계 변

천. 서울 학교 사범 학 교육연구소 한국교육사고.

김신일, 박부권(2005). 학습사회의 교육학. 서울: 학지사.

김 화(1997). 한국의 경제발 과 교육의 역할. 교육재정경제연구. 6권 1호.

김장호(2005). 한국의 인 자원: 도 과 새 패러다임. 서울: 법문사.

김종철(1989). 한국교육정책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김철수(1998). 헌법학개론. 서울: 박 사.

통령자문 정책기획 원회(2005). 참여정부 2년 평가와 3년 망 심포지엄: 민주 발

모델과 선진한국의 진로.

문교부. 문교통계연보 1965~1996.

박부권(1998). 교육개 의 주체로서 국가, 시장 그리고 시민단체. 한국교육연구소.

박재문(2003). 한국교육사. 서울: 학지사.

박종렬, 이종재, 강성국, 김왕 (2005). 고령화 사회에서의 교육체제 망과 과제: 학생

인구 변화를 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백일우(204). 교육경제학. 서울: 학지사.

Page 23: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23 -

손인수(1993). 한국교육사 Ⅰ․Ⅱ. 서울: 문음사.

송기창, 윤정일(1997). 교육재정정책론. 서울: 양서원.

송병락(2003). The Rise of Korean Economy(3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신 석(2005). 한국의 고등교육 개 정책. 서울: 학지사.

오원철(2006).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을 만들었나. 서울: 동서문화사.

오천석(1964). 한국신교육사. 서울: 교육총서출 사.

우천식(2006). 양극화, 문제인가?. 제262회 “정책과 지식” 포럼. (2006.3.27)

윤정일, 김병주, 김 철, 김윤태, 윤종건, 이 청(2003). 교육개 론. 한국교육행정학회.

윤정일(2000). 교육재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 세 사.

이종각(2006). 새로운 교육사회학 총론. 서울: 동문사.

이종재(1990). 고등학교 체제와 운 개선에 한 연구.

이종재(2004). "사교육문제에 한 책: 공교육 교육력 강화를 심으로". 한국교육개

발원 position Paper vol.1, No.1.

이종재(2005). "University Restructuring in Korea". PPT presentation to UNESCO

Scientific Committee. May.

이종재(2006a). "지식기반사회의 학업성취와 학교 신". 서울 학교 교육학과 교육포럼발표자료.

이종재(2006b).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Korea: Past Achievement and Current". 'East

Asia Study Tour for Senior African Education Policy Makers' 발표자료.

정태수(1991). 7.30 교육개 . 서울: 지각.

정태수, 안길성, 윤정일, 유용식(2000). 교육행정재정사. 한국교육사학회.

조무남(2005). 교육학론. 서울: 학지사.

주상환(2005). 미국의 교장: 미국의 교육행정과 교장론. 서울: 학지사.

Cha, Dong Se., Kim, Kwang Suk., Perkins., & Herald, Dwight.(1997). The Korean

Economy 1945-1995: performance and vision for the 21st century. Seoul: Korean

Development Institute.

한국교육개발원(1998). 국난극복과 21세기 재도약을 한 교육 략.

한국교육개발원(1998). 한국교육평론 1997. 서울: 교육과학사.

한국교육개발원(2004). 평생교육체제 구축을 통한 학교교육 개 방안 연구. 서울: 가람

문화사.

한국교육십년사간행회(1960). 한국교육십년사. 서울: 동문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2001). 교육재정경제학 백과사 . 서울: 하우동설.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2003). “새정부 교육재정 정책의 방향과 과제”. 2003년 한국교육

재정경제학회 연차 회 자료집.

한국교육학회(1984). 韓國敎育三十年史. 서울: 교육출 사.

한숭희(2002).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평생교육론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학지사.

Page 24: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24 -

한 상(1995). 한국교육개 론. 서울: 학지사.

홍후조, 강익수, 김정원, 남 우, 백경선, 이병호(2004). 2008학년도 학입학 형에서

고교내신과 그 활용의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Adams, Don., & E. Gottlieb, Esther. (1993). Education and Social Change in Korea.

New York & London : Garland Publishing, Inc.

Aiken, W. (1942a). Adventure in American Education. Vol. 1, The Story of the Eight

Year Study. New York: Harper.

Aiken, W. (1942b). An Adventure in American Education. California Journal of

Secondary Education, 17(3), 138-43.

Aiken, W. (1942c). Introduction to Adventure in American Education. Vol. 3, Apraising

and Recording Student Progress: Evaluation, Records and Reports in Thirty Schools,

edited by E.R.Smith and R.W.Tyler. New York: Harper.

Aiken, W. (1953). The Eight-Year Study: If We Were to Do It Again. Progressive

Education, 31(1), 11-14.

Audrey Low. et al. (2004). Education for Growth: The Premium on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 in Singapore. The Monetary Authority of Singapore.

KDI. (1997). The Korean Economy 1945-1995: Performance and Vision for the 21st Century.

KOILAF(Korea International Labour Foundation). (1999). Korea's Wage System: A

Practical Guide. Seoul: KOILAF.

Lynn Beck. (1994). Reclaiming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a Caring Profess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Michael J. Seth. (2002). Education Fever: society, politics and the pursuit of schooling in

South Korea.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and Centre for Korean

Studies in University Hawaii.

Ministry of Education&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60 years of Korean Education: Achievements and Challenge.

Edu Expo 2005(June 13, in Kintex) 자료집.

OECD. (2001). The Well-Being of Nations: The Role of Human and Social Capital.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4). Education at a glance.

The World Bank. (2000). Republic of Korea: Transition to a Knowledge-Based Economy.

Report No.20346-KO.

The World Bank. (2004). Republic of Korea: Four Decades of Equitable Growth. no.30781.

The World Bank. (2005). Expanding opportunities and Building Competencies for Young

people: A New Agenda for Secondary Education. Washington: World Bank.

Page 25: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1)´종재.pdf · * 이 논문은 2006년 9월 4일부터 5일에 걸쳐 교육혁신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미래교육의

- 25 -

Abstrac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Korea:

Approaches, Achievement and New challenges

Chong Jae Lee(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 Soo Jung(Doctoral Student at SNU)

Young Sik Kim(Graduate Student at SNU)

This study intents to review the Korean approach to educational development for

the past six decades. Are there any uniqueness of the Korean approaches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is one of the byproducts made to answer that

question of educational development of Korea.

In this paper, the stages of educational development were framed in accordance

with the stages of Korean economic development. They are: 1) Foundation and reconstruction

(1948-1960), 2) Enrollment expansion and Quantitative Growth(1961-1980), 3) Search for

New Paradigms and Qualitative Change(1981-2000), 4) Restructuring(2001-present). This

paper argues that this achievement of enrollment expansion sequentially from elementary edu

cation to secondary education and to Higher education has made the most significant co

ntribution to the develop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r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The Korean approach is composed of the early completion of compulsory educ

ation, low-cost approach, sequential bottom-up approach,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by the law and egalitarian approach. The continued high level of economic growth had

provided funding required for the educational development.

However, the continued egalitarian frameworks intensified the bureaucratic control

of educational Institutes. This resulted in constraining the efforts for quality

development of education. Korean education is facing the new challenges emerged

from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and the coming Knowledge society. In order to meet

to this challenges, this paper argues that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paradigm shift

for school management and the restructuring higher education.

[Key word] Korean Education, Economic Development, Low-cost, Egalitarian,

Equalization, Compulsor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