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
연구보고 96-3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 1996. 11 한국방송개발원 KOREAN BROADCASTING INSTITUTE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연구보고 96-3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

1996. 11

한국방송개발원

KOREAN BROADCASTING INSTITUTE

Page 2: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현 택 수 : 한국방송개발원 선임연구원

조 윤 정 : 보조연구원

참 여 연 구 진

Page 3: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머 리 말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인기는 높은 편이다. 어느 사회

고발성 시사 보도 프로그램의 시청률은 메인 뉴스 시청률을 앞지르기도 하였다. 시청자의

이러한 호응은 일부 프로그램의 아이템이나 내용의 선정성에 연유하기도 하겠지만 무엇보

다도 우리 사회에 만연된 부정부패, 불의와 비리 등 사회악과 사회 문제를 심도 있게 분석

하여 폭로하는 방송 저널리즘의 사회환경 감시의 역할에 대한 국민적 지지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기능에도 불구하고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성

격상 초상권, 프라이버시 침해, 추측보도, 변론 부족 등으로 인해 당사자들의 많은 반발과

억압을 동시에 받고 있다. 또한 객관성과 공정성의 시비와 분석적 접근 방식 결여, 진행 방

식의 문제, 대한 제시의 부족, 내용의 선정성 등으로 프로그램 내용의 문제점 등이 제기되

고 있다.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은 사회문제에 대한 심층 취재와 객관적 분석을 통하여

시청자에게 설득력 있게 고발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성패는 본 연구 보고서

에서 조사 분석한 문제점들을 얼마만큼 개선해 나아가는가에 달려 있을 것이다. 본 연구 보

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문제점 분석,

방송 현장 참여 관찰, 독일 및 미국의 사례 연구를 통한 제언을 담고 있다.

이 연구결과물이 방송 프로그램 제작진과 방송사 경영자들의 의식 변화를 촉발하여 좀

더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에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한 현택수 박사와 박사 과정의 김영욱씨 및 강원석씨, 그리고 이나라 보

조 연구원, 박윤주 보조원에게 각각 사의를 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보고서는 연구자의

개별적 연구 경과이고 한국방송개발원의 공식적 견해가 아님을 밝혀 두는 바이다.

1996년 11월

한국방송개발원

원 장 엄 호 현

Page 4: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목 차 KOREAN BROADCASTING INSTITUTE ..................................................................................1

머 리 말...........................................................................................................................3

목 차 ............................................................................................................................4

Ⅰ. 서 론 ...........................................................................................................................6

1. 사회 고발성 TV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6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9

Ⅱ. 프로그램 내용 분석 결과 .............................................................................................11

1. 아이템 분석............................................................................................................11

2. 인터뷰 방식의 문제................................................................................................14

1) 인터뷰 대상자 범주 설정의 문제 ..................................................................................14

2) 인터뷰의 내용-정보의 왜곡, 과장의 문제 .....................................................................17

3) 인터뷰 방식의 문제.....................................................................................................18

3. 진행방식.................................................................................................................19

4. 설득력 생산 방식 ...................................................................................................22

5. 자료 이용...............................................................................................................25

6. 대안 제시의 경향 ...................................................................................................27

7. 선정성....................................................................................................................30

8. 공정성....................................................................................................................35

9. 인권, 프라이버시 침해............................................................................................36

10. 기타 지적 사항.....................................................................................................39

11. 소 결 ..................................................................................................................40

Ⅲ.〈추적 60분〉제작 현장 참여 관찰 ...............................................................................41

1. 서 론......................................................................................................................41

2. 본 론......................................................................................................................42

1) 아이템 선정 단계..........................................................................................................42

2) 사전 취재 및 섭외 단계................................................................................................45

3) 취재 활동 단계 .............................................................................................................46

4) 편집, 더빙 및 녹화 단계...............................................................................................55

3. 소 결 ....................................................................................................................57

Ⅳ. 독일 사회 고발성 보도 프로그램 .................................................................................59

1. 서 론......................................................................................................................59

2.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분류..................................................................60

1)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형태 ........................................................................60

(1) 배경과 인과관계 ..........................................................................................................61

Page 5: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2) 중요성과 흥미...............................................................................................................63

3)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네 가지 형태 ...........................................................65

3. 독일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방송 현황 .................................................66

1) 독일의 방송체제와 현황................................................................................................66

2)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방송 현황 ................................................................67

(1) 진지한 의미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67

(2)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 ...................................................................................69

(3) 흥미 위주의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 .......................................................................70

3) 독일 정보 프로그램의 방송사별 주제 구조 ...................................................................72

4. 독일의 정치 매거진 프로그램.................................................................................74

1) 독일 정치 매거진 프로그램의 발전 ...............................................................................74

2) <Monitor> 프로그램 분석 .............................................................................................78

(1) 제작환경 ......................................................................................................................78

(2) <Monitor>가 다룬 내용들 ............................................................................................80

5. 소 결 ....................................................................................................................85

Ⅴ. 미국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87

1. 서 론......................................................................................................................87

2. 사회고발성 프로그램의 발전...................................................................................88

1)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발전 과정 ...............................................................................88

(1) Crusade 시대 ..............................................................................................................89

(2) Muckraking(추문 들추기)시대......................................................................................90

(3) 탐사 저널리즘의 휴지기...............................................................................................92

(4) 방송의 등장과 워테게이트 사건...................................................................................93

(5) 소 결 .........................................................................................................................94

2) 사회 고발 프로그램 현황 ..............................................................................................94

3) 이론적 접근 ..................................................................................................................95

4) 순기능과 역기능 ...........................................................................................................98

3. 소 결 ....................................................................................................................99

Ⅵ. 결론 및 제안 .............................................................................................................101

Page 6: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Ⅰ. 서 론

1. 사회 고발성 TV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사회 고발성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어렵다. 그 이유는 사회 고발이 특정한 프로그램의 양식(매거진, 다큐

멘터리, 드라마, 토크 쇼, 코미디 등)에 한정되어 다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과, 다루는

내용이 특정한 분야(정치, 경제, 문화, 법률, 여가 등)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일반

적인 장르에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란 구분은 없다. 따라서 형식과 분야를 막론하고 사

회의 잘못된 점을 지적하는 내용을 담은 프로그램을 모두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라고 지

칭한다.넓게 본다면 모든 뉴스 프로그램은 사회고발의 성격을 갖고 있다. 또한 코미디 프로

그램도 부조리한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속성을 해학적으로 드러내는 내용일 때 다분

히 사회 고발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일일 연속극, 주말 드라마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

두 사회적 문제를 건드리거나 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의 적나라한 모습을 그려냄으로써 사회

고발의 성격을 띠고 있다고도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을

잠정적으로, 사회 전반에서 나타나는 문제 중 부정적이고 개선되어야 할 현상을 알려서 시

청자(또는 공중: public)가 이 문제에 관심과 주의를 가지도록 하는 내용을 주로 다루는 프

로그램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시민이 범죄를 경찰에 고발하듯이 한마디로 사회 고발성 프

로그램은 공중에 범죄 사실을 고발하는 것이다. 민주주의 체제에서 모든 정치권력이 국민으

로부터 나온다는 원칙에서 본다면, 가장 큰 힘을 가진 기관은 여론(public opinion)의 주체

가 되는 공중이다. 단순화시켜서 말한다면 공중은 단기적으로는 선거 등을 통해 권한을 행

사하고, 장기적으로는 사회의 규범과 가치관을 유지하거나 변화 시키는 주체가 된다. 이는

언론이 민주주의 국가에서 ‘제4부의 권력’을 가질 수 있는 근거가 된다.

그렇다면, 이런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유사한 프로그램인 다큐멘터리, 논픽션 드라마

(non-fiction drama),그리고 일반 뉴스와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다큐멘터리는 우선 내용의

객관성이 중요시된다. 이에 반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취재의 객관성도 중요시되나, 옳

고 그름을 판단 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는 것 역시 중요시된다. 또한 다큐멘터리는 정보

전달의 목적이 중시됨에 반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폭로의 목적이 중시된다. <긴급출

Page 7: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동 119>와 같은 논픽션 드라마는 과거의 사건을 재현 하는데 불과하지만, 사회 고발성 프로

그램은 현재와 미래에 영향을 주는 한 사회 현상을 부분별로 종합하여 재조명 한다는 점에

서 차이가 있다. 앞의 두 쟝르와는 달리 일반 뉴스와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취재(reporting)에는 탐사(investigate)라는 단계가 필수적이며 이

는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가장 중용한 부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음 두 가지

의 이유에서 일반 뉴스와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구분할 수 있다. 첫번째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제작상 일반 뉴스 취재보다 마감 시간의 제약을 덜 받고 오히려 장기 기획과 제

작을 요구한다. 두번째로 한 아이템에 초점을 모아 다른 내용보다 그 내용을 부각시키는 경

향이 있다.

그러면 이 내용을 모두 포함 시킬 수 있는 정의란 무엇인가? 3000 명의 언론인을 회원으

로 두고있는 Investigative Reporting and Editors (IRE)에서는 사회 고발 취재를 다음과

같이 정의를 내리고 있다.

“사회 고발 취재란, 비밀로 하고 싶은 조직이나 사람의 의사를 무릅쓰고, 기존

의 자료 보다는 기자가 찾아낸 자료로 기사화 하는 것을 말하며 다음 3 가지

조건을 충족 시켜야 한다. 다른 사람의 조사(Investigation)가 아니라 기자가

직접 조사하여야 하고 독자나 시청자에게 알려 할 중요한 내용이 있어야 하며

이러한 내용이 일반인에게 공개되기를 꺼려하는 집단이 있어야 한다.”

협의의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을 David C. Protess et al.은 “궁극적으로 여론과 국가

정책을 변화시킬수 있는 탐구조사 취재”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정의가 주로 사회 고

발성 프로그램의 내용과 성격에 관한 것이면 ‘형식’의 측면에서 이에 대한 정의를 시도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 고발성 시사 보도 프로그램이란 보도 프로그램의 한 종류로 보

고 있다. 보도프로그램은 방송의 3 대 기능 중 하나인 보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

로 정규 뉴스, 임시 뉴스 또는 특보(Bulletin News), 중계방송(Live Relay), 보도특집

(News Special), 보도 다큐멘터리, 인터뷰 프로그램, 좌담토론 프로그램(Panel

Discussion)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 대상인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

’은 이 중 보도다큐멘터리의 일종이다. 보도다큐멘타리엔 뉴스 다큐멘타리등도 포함되는

데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은 기본 방식에선 뉴스 다큐멘타리를 따르지만 사회

적 문제를 심층적으로 탐사하여 고발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Page 8: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뿌리는 흔히 1870~1880년대 미국의 폭로 저널리즘에서

찾는다. 언론 고유의 기능이라 할 수 있는 환경 감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사건의 공개

적 보도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언론의 폭로적 속성은 근대 신문과 잡지가 생긴 이후 줄곧

지속되었다. 그 중에서도 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지속적이 감시와 문제제기의 시발점이 된

것은 1870 년 <New York Times>의 부정 폭로 라고 할 수 있다. 튀드도당(Tweed Ring)의 부

정한 공금 횡령에 대한 <New York Times>의 폭로는 외압에 굴복하지 않고 지속되어 언론의

승리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후 여러 신문과 잡지는 부정의 폭로에 앞다투어 참가하게 되었

고 미국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권력의 부정과 부패에 대한 언

론의 감시와 폭로작업은 이후 ‘Crusades 부정 추방聖戰’이라고 일컬어졌다. 정치적 권력

이외에도 부조리한 상행위와 같은 사회의 비리사건에 까지 확대되었던 Crusades 는 이후 경

쟁사들간의 과당 경쟁으로 흥미 위주의 사건 보도와 사생활 폭로로 전락하여 진정한 의미를

상징하게 된다. 오늘날 미국의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에는 다음과 같은 두 종류가 있다. 하

나는 Crusade형식을 띠는 사회 부정 부패에 대한 폭로 프로그램이다. 주로 정부의 비리나,

공무원의 비리 등을 파헤치는 이 형식은 미국 CBS 사의 <60 minutes>나, NBC 사 의

<Dateline>, ABC 사의 <20/20> 등이다. 다른 하나는 폭로(expose)형식인데, 타블로이드

(Tabloid)신문에서 볼 수 있는 연예계 비리나 매춘, 범죄 사회 등에 대한 비리를 고발하는

프로그램으로써 ABC 사의 <American Journal>, Fox 사의 <Hard copy>, NBC 사의 <Day and

Date>등이다. 전자의 경우 뉴스의 취재 형식을 닮아 뉴스 매거진 프로그램으로 분류되고 후

자는 르포로 분류된다.

우리 나라의 경우, 1964 년 TBC 의 <카메라의 눈>이 최초의 사회고발성 시사 보도 프로그

램으로 등장하였고, 이후 <TBC 백서>, KBS 의 <카메라 초점> 그리고 1970 년대에 MBC 의 <카

메라 출동> 등이 있었다. 1980년대 이후 90년대에 이르기까지에는 KBS 제 1TV 의 <뉴스 파

노라마>, <르포 60>, <KBS 집중기획>, MBC 의 <레이다 11>, <PD 수첩>, <시사매거진 2580>,

KBS 제 2TV 의 <추적 60 분>, <뉴스비전 동서남북>, <기동취재 현장>, SBS의 <뉴스따라잡기

>등이 방영되었다.

사회고발성 시사 보도 프로그램은 사회문제적 사건현장에 접근하여 생동감 넘치는 영상

언어와 분석적 심층취재를 통하여 사회문제의 발생배경과 그 내용을 시청자들에게 폭로하

는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반사회적 행위의 사회악을 고발함으로써 사회규범을 강화시

켜 사회개혁과 사회통합의 기능을 하고 있다. 즉 방송 언론이 시민사회를 완성하는 파수꾼

Page 9: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들의 역기능 또한 있을 수 있다. 인권침해, 명

예훼손, 사생활 침해 등 개인적 차원에 불이익을 주는 경우 이외에 비리와 범죄의 모방조장,

사회적 불안감 및 불신조장 등이 그것이다. 이때 방송은 무소불위의 권력을 남용하여 사회

악 척결을 위한다는 명목하에 또 하나의 사회악이 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문제점은 바로 이러한 점에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문제점들의 잦은 노출은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 제작의 어려움을 말해 주고 있다. 따

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히 기존 고발 프로그램을 ‘고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내용

분석과 독일과 미국의 사례연구를 통한 대안 마련에 있다.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본 연구는 1995 년 4 월부터 1996 년 3 월까지 1 년에 걸쳐 <추적 60 분>과 <PD 수첩>에서

방송된 내용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보도형식(reporting

formula)상 고발형 즉 공격의 대상이 명백하게 존재하는 경우와 비고발형 다시 말해서 가해

자와 피해자가 분명히 드러나지 않는 경우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비고발형에는 문제제기형,

발굴형, 정보제공형등이 있는데 대부분 문제제기형으로 공통의 문제에 주의를 환기시키고

사회적 이슈화를 의도한다. 발굴형이나 정보제공형은 연구목적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대체

로 제외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고 고발형과 비고발형중 문제제기형을 주고 연구 대상으로 삼

았다.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순기능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역기능을 야기시킬 수

있는 사회구조·제작환경 및 프로그램 내적 요인을 찾아 분석하여야 한다. 프로그램 내용을

정밀히 분석할 때 이런 요인을 밝힐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프로그램 방영

내용에 대해 아이템 선정방식, 진행 방식, 설득력 생산 방식, 자료 이용 방식, 논지전개 방

식 및 대안제시 경향을 살피면서 공정성와 선정성, 인권 및 사생활과 초상권 침해 등의 문

제를 실증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 화면에서 문제 화면을 지적하고 인터뷰 대상자의

범주(당사자, 담당자, 제보자, 목격자, 전문가, 관련 주변인, 불특정 개인)와 기능(대립당

사자의 발언, 사실제공, 평가), 자료화면과 그래프의 이용도 등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진

행방식은 포맷의 변화가 일부 있긴 하지만 대부분 <추적 60 분>과 <PD 수첩> 모두 진행자가

Page 10: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취재자와 스튜디오에서 대화를 나누며 취재화면이 나가는 동안에도 멘트를 하는 방식을 취

하고 있다. 이때 멘트에 가치개입은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는가와 논리전개에 필연적으로 작

용하는지 등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설득력 생산 방식으로는 전문가의 의견이나 관련 연구

자료가 주로 이용되는데 전문가의 정체성과 관련자료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논지 전개와

대안 제시의 경우 프로그램의 논지가 일관되게 전개되고 있는가의 여부와 한 프로그램이 제

기한 아이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는가를 밝혔다.

이러한 수준에서 프로그램 내용상의 한계 및 문제점들이 출현하게 된 배경요인들을 살펴

보면서 개선방안들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Page 11: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Ⅱ. 프로그램 내용 분석 결과

1. 아이템 분석

아이템 선정을 위한 기획 과정에서 주요하게 논의되는 지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선

아이템의 선정시 무거운 것과 가벼운 것을 고려하여 배치하는 경향이 들어 날 수 있다. 그

밖에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인 만큼 시의성 있는 소재들을 선택하게 되는데 좋은 그림이 나

오는 소재를 선택한다든지 시청률을 지나치게 의식하여 센세이셔널한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사회적으로 크게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사안에 대한 아이템과 은폐된

사안에 대해 사회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아이템으로 구분 했을 때 어떤 것이 선호되는가, 아

이템 자체의 선정성을 우려하여 더욱 신중하게 취재방향이 결정되는 경우와 선정성을 더욱

조장하는 경우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 기획 단계에서 제안된 아이템이 경쟁 프로그램

에서 이미 다루어졌던 것이라면 기획방향이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받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인 ’95 년 4 월에서 ’96 년 3 월사이에 방송된 총 136 개의 프로그램을

총 14개 분야의 아이템으로 나누었다.

도표 1.〈아이템 분석 Ⅰ〉

아이템 추적 60분 PD 수첩 합 계 세태, 풍속 20 20 40

인권 10 9 19 보건, 의료 6 8 14

범 죄 6 7 13 생활경제 6 7 13

민족, 국방 5 6 11 교 육 4 5 9 복 지 7 0 7 정 치 3 3 6

문화예술 2 3 5 종 교 2 0 2 언 론 1 1 2 환 경 0 2 2 기 타 0 6 6

Page 12: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위의 표에서 나타나듯이 세태풍속을 다룬 연성아이템의 빈도수가 가장 많다. 그 다음 인

권의 문제와 보건, 의료의 아이템이 절반의 빈도 수를 차지한다.

경제분야도 주로 생활경제에 치중을 하고 경제구조와 경제정책 등에 관련된 경성 주제는

거의 없다. 민족은 주로 해외 교포들이 삶과 망명을 다루었고, 교육 분야에서 교육 정책이

나 대학 비리 등을 심도있게 다룬 것이 없다. 민감한 사안인 종교나 언론을 다룬 프로그램

도 매우 적었고, 특히 날로 그 사태의 심각성이 더해가는 환경 문제도 주제로서 소홀하게

다루고 있음이 나타났다.

정치, 국방, 이념, 언론, 대기업비리 등 경성주제의 빈도가 적게 나타나는 이유는 아직

도 우리 방송 환경이 외적인 힘의 영향을 받고 있어 방송이 환경 감시의 기능이란 제 4부의

저널리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않음을 말해준다. 또한 방송 내용이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며 공정한 심층 조사에 근거하지 못한 이유로 관련기관, 단체, 기업의 반발과 항의

및 소송 압력의 가능성에 위협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연히 연성 아이템을 선택하

는 경향이 강하다. 그리고 연성 아이템을 택하다 보면 서정적 내용에 쉽게 빠질 우려 또한

높다. 그리하여 사회 고발성 시사 보도 프로그램의 문제로 많이 거론되는 내용이 대부분 이

러한 연성 주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비롯하고 있다. 물론 주제 선택보다 다루는 방식이 더

중요하고 문제될 수 있다. 연성 주제도 사회적, 정치·경제적인 거시적 시각에서 접근하면

그 본질적 현상을 규명하면서 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시청률을 의식한 자극적·충

격적·선정적 요소에 의해 고발의 초점이 흐려지고 프로그램의 기획의도가 약화되고 있는 경

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연성아이템의 고발대상으로서 청소년같이 대개 힘없는 자나 불특

정한 집단들이 많이 나타나는 것은 제작진 스스로가 사회적으로 힘있는 자들을 고발하는 것

보다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편의적 사고에도 원인이 있다고 해석된다.

본 연구는 아이템 분류 중에서 40 개로서 빈도수가 가장 많은 세태풍속분야 중 성·폭력·

신앙의 아이템으로 선정하여 도합 3 개 주제에 국한한다. 실제로 연성 아이템을 다룰 때에

보다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각기

주제를 전면적으로 다룬 것을 우선 선택하였고 참고적으로 3가지 주제에 근접한 내용을 다

루었거나 부분적으로 위의 항목이 언급된 프로그램도 활용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성’의

경우 성희롱, 성폭력, 매춘, 음란물, 성과 결혼 등에 대해서, ‘폭력’은 가정폭력, 학원폭

력, 공권력, 폭력과 범죄등에 대해서 ‘신앙’은 유사종교, 사이비종교, 운명론, 기복신앙

등을 다룬 프로그램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Page 13: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도표2.〈아이템 분석 Ⅱ〉

일렬 번호

주제 분류

방 송 프로그램

프 로 그 램 제 목 날 짜

1 性 PD 수첩 여자가 되고 싶은 남자들 -‘게이'들의 삶

‘95. 5. 9

2 性 PD 수첩 동두천의 한 ‘95. 5. 9

3 性 PD 수첩 이발소 퇴폐영업 ‘95. 5. 30

4 性 PD 수첩 나는 게이 – 한 동성애자의 고백 ‘95. 8. 22

5 性 PD 수첩 의붓아버지는 아버지가 아니다 ‘95. 11.14

6 性 PD 수첩 정보의 바다, 인터넷의 함정 ‘95. 11. 21

7 性 추적60분 윤락행위방지법 개정 ‘96. 1. 23

8 性 추적60분 판정의혹 AIDS! 접대부의 사례 ‘95. 5. 7

9 性 추적60분 집이 싫은 아이들 ‘95. 5. 28

10 性 추적60분 버려지는 땅, 이태원 ‘95. 10. 29

11 性 추적60분 위험수위! 10대의 성 ‘96. 1. 7

12 性 추적60분 러브 호텔 ‘95. 4. 5

13 性 추적60분 성희롱시비, 김간호사의 눈물 ‘95. 6. 11

14 性 추적60분 왜색 경보, 3조원 만화 시장 ‘95. 8. 20

15 性 추적60분 뜨거운 논쟁, 인터넷트 ‘95. 6. 25

16 신앙 추적60분 운명론 신드롬, 그 실체 ’96. 1. 14

17 신앙 PD 수첩 ‘격암유록’의 정체 ’96. 9. 26

18 신앙 PD 수첩 해도진인을 기다리는 사람들 ’95. 10. 3

19 신앙 PD 수첩 돌할매, 돈할매? ’95. 10. 10

20 신앙 PD 수첩 점쟁이가 판을 친다 ’96. 1. 29

21 신앙 PD 수첩 대순진리회를 아십니까? ’96.3. 5

22 폭력 추적60분 학교 폭력 서클 ’95. 4. 9

23 폭력 추적60분 왜색경보, 3조원 만화시장 ’95. 8. 20

24 폭력 추적60분 학교 폭력 ’95. 11. 5

25 폭력 추적60분 숨겨진 폭력 – 아내구타 ’96. 2. 4

26 폭력 추적60분 아시아의 범죄 조직 ’96. 2. 18

27 폭력 추적60분 아시아의 범죄 조직 ’96. 2. 25

28 폭력 PD 수첩 용역 업체의 정체 ’95. 5. 16

29 폭력 PD 수첩 구멍뚫린 주권, 미군범죄 ’95. 6. 6

30 폭력 PD 수첩 소쩍새 마을의 진실 ’95. 7. 4

31 폭력 PD 수첩 어느 소년의 죽음 ’95. 8. 22

32 폭력 PD 수첩 갱생원에서의 4시간 ’96. 2. 6

Page 14: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2. 인터뷰 방식의 문제

인터뷰와 관련된 문제제기는 인터뷰 대상자 선정의 기준문제와 인터뷰 방식의 효율성에

관련되어 있다. 실제 모니터 결과 꼭 필요한 인터뷰 범주가 빠지는 경우가 우선 지적된다.

한 예로 <동두천의 한>같은 프로그램에서는 문제의 핵심인 미국 기자에 대한 취재가 이루어

지지 못했다. 또 피고발자가 뚜렷한 경우 공정성을 위해 피고발자의 직접적인 의사 개진(주

로 인터뷰의 형식)이 필요하다. 이때 피고발자를 범죄인이나 부도덕한 인물로 단정하는 말

투나 질문, 어두운 조명, 불안정한 화면 처리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독일 등의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경우 피고발자 혹은 행정 담당관등과의 인터뷰에서는 이름과 얼굴을 그

대로 공개하고 있다. 전문가에 대한 인터뷰가 제시된 경우에도 그 수가 부족하거나 신뢰할

수 없는 인터뷰를 마구잡이로 끼워 넣거나 하는 것도 인터뷰 대상자 선정의 문제에 해당된

다. 프랑스에서의 예를 인용하면 개선문 폭파 사건의 목격자와의 인터뷰에서 목격자에게 앞

으로 또 이런 일이 일어 날 것 같으냐는 질문을 한 것이 문제시 된 바 있다. 일단 인터뷰

대상자가 선정되면 그들이 어떤 이유에서 인터뷰 대상자로 선정되었는지와 인터뷰 대상자

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명시화되어야 한다.

인터뷰 대상 선정의 자의성과 동시에 인터뷰의 기능에 대한 문제는 유도 심문식의 인터

뷰와 인터뷰 내용의 부실성이 제기된다. 그 분야의 전문가라고 보기 힘든 사람이 나와 원론

적인 의견을 말하는 데 그치기는 하는데 이는 인터뷰라는 수단의 기능이 효율적으로 운용되

지 못하는 경우라 할 것이다. 인터뷰가 단편적이고 지엽적인 것들을 밝히는 데에 치중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는 진행의 흐름을 끊고 설득력을 생산하는 기제로서의 인터뷰의 기능을 충

족시키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다. 한편 인터뷰가 프로그램 한 편의 완성도를 높이는 주용한 기제이지만 프로그램이 인

터뷰에만 전적으로 의존한다면 다시 부실성이 문제시 된다.

1) 인터뷰 대상자 범주 설정의 문제

<추적 60분>, 러브 호텔, ’95. 4. 5

속칭 러브 호텔에서 나온 주부를 추적하여 인터뷰하는 과정에서 화면에 ‘불륜주부’라는

Page 15: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자막이 나오는 데 인터뷰 대상자의 정체성을 설정하는 객관적 기준(연령, 직업 등)은 언급

되지 않은 임의적이고 단정적인 표현으로 문제시된다.

<추적60분>, 판정 의혹 AIDS! 접대부의 사례, ’95. 5. 7

인터뷰 대상의 범주는 화제의 당사자인 정모양과 전문가로 제한되어 있다. 정모양과

AIDS 검역 당국을 사건 당사자와 책임소재자로 파악한다면 피해자는 일반 국민 불특정 다수

라 할 수 있는데도 인터뷰 대상 범주에 일반인은 제외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일들이 이 정

OO 양의 행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AIDS 에 대한 인식도는 어느 정도인지 등에

대한 일반인들의 의견 개진이 없다.

<PD 수첩>, 여자가 되고 싶은 남자들, ’95. 5. 9

피고발자가 분명하게 존재하지 않는 문제 제기형인 이 프로그램은 주로 게이들과의 인터

뷰를 통해 그들의 경험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게이들의 삶을 다루고 있고

성전환이라는 논란이 많은 사안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만큼 인터뷰 대상 범주가 균형 잡

혀 있어야 한다. 그러나 게이 주변 인물이나 불특정 피추출인과의 인터뷰가 전무하여 인터

뷰의 기능은 게이들의 주관적인 의견 개진에 국한되었다.

<추적 60분>, 성희롱시비 ? 김간호사의 눈물, ’95. 6. 11

사건의 피고발자인 노동부 관련자와의 인터뷰는 아예 빠져 있고 빠지게 된 이유에 대한

설명도 없으며 또 다른 당사자인 간호 부장과의 인터뷰만 일회(삼사분 정도) 있었다. 반면

피해 간호사의 인터뷰는 십여회 정도 등장하고 있다.

<추적 60분>, 왜색 만화 – 3조원 만화 시장, ’95. 8. 20

일본 만화의 장점에 대해 말하는 두 시민과의 인터뷰에서 인터뷰 대상자의 정체성을 밝

힐 아무런 정보도 소개되지 않았다.

<PD 수첩>, 돌할매, 돈할매?, ’95. 10. 10

Page 16: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가짜 돌할배의 주인과의 인터뷰 내용은 돌할배가 가짜가 아니라는 주장으로 일관하고 있

다. 돌할매를 찾아온 사람들과의 인터뷰 내용은 심약한 인간의 본성에 관한 상투적인 진술

뿐이다. 그 외에 이 아이템의 문제의식을 심화시킬 전문가와의 인터뷰 내용이 전무하다.

<추적 60분>, 버려지는 땅 – 이태원, ’95. 10. 29

이태원의 퇴폐 문화와 경제적 위기, 불법체류자의 현황을 보여주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길거리에서 수많은 외국인을 찍어 보여주면서 그들이 불법체류자임을 전문가로 볼 수 없는

외국인 취업 브로커의 입을 통하여 증명하려 하였다. 프로그램 전편에서 행정부서에 있는

사람은 외무부 직원 한명이었으며 전문가적 정체성을 가진 사람은 전혀 등장하지 않고 있다.

<추적 60분>, 학교 폭력, ’95. 11. 5

폭력 가해 서클 가담 경험자들의 인터뷰가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 및 횟수를 차지하고 있

고 학교 당국 및 관련자들의 인터뷰는 1회에 불과하다.

<PD 수첩>, 정보의 바다 – 인터넷의 함정, ’95. 11. 21

CD–ROM 의 실태를 설명하려는 의도로 여러 번에 걸쳐 제시된 인터뷰의 대상이 집권 여당

의 모 국회의원이었다. 그런데 이 의원이 국회 어느분과 소속이라든지 하는 정체성에 대한

구체적 제시는 없었고 다만 당적만을 나타내었는데 이 문제의 전문가로서 선정한 근거로는

타당하지 않다.

<추적 60분>, 위험수위! 십대의 성, ’96. 1. 7

청소년의 낙태 문제 이외의 문제에서도 산부인과 전문의가 많이 등장하여 극히 원론적인

의견을 말함으로써 그 관련 전문가 선정의 임의성과 비효율성의 문제가 있다.

<추적 60분>, 숨겨진 폭력 – 아내 구타, ’96. 2. 4

인터뷰 대상자의 수는 여럿이었으나 인터뷰 대상자의 범주에서 가해자의 의견 개진이 전

반적으로 빈약했고 주변사람들의 증언과 페미니스트들의 의견개진도 빠져있다.

Page 17: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PD 수첩>, 갱생원에서의 4시간, ’96. 2. 6

구타에 의한 과다 출혈과 목졸임으로 인한 사망이라는 부검 결과를 통해 배씨의 사망 원

인이 타살이라는 주장의 신빙성을 확보하려 한다. 이때 부검 결과에 대해 부검 의사가 직접

진술하지 않고 피해자측 관련자인 처남의 부인이 인터뷰를 통해 주장하였다. 이 경우 피해

자측 입장이 주장된 형식을 띄고 있는 것으로 제 3 자에 의한 사실 확인과 혼동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 프로그램은 사건 당사자인 배씨가 평범한 사람이고 아무런 정신 이상이 없다

는 것을 입증하고자 하였는데 배씨 주변 관련자의 범주가 인터뷰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으므

로 해서 신빙성이 떨어졌다. 배씨의 사인 추적 과정에서는 방안에서 식사 중인 갱생원 수용

인 (정신병자로 격리 중인 자) 한 명을 인터뷰하는데 정상인이 아닌 정신병자의 증언이 갖

는 신빙성의 한계에 대해 언급이 없었다.

2) 인터뷰의 내용-정보의 왜곡, 과장의 문제

<추적 60분>, 판정 의혹 AIDS! 접대부의 사례, ’95. 5. 7

인터뷰 내용의 적절성과 유용성에 있어서도 전문가와의 인터뷰에서는 충실한 설명이나

대안 제시가 미흡했고 AIDS감염자이면서도 접대부 생활을 해 온 것에 대해 그 정당함을 가

정하려는 듯한 정 OO양과의 인터뷰에 상대적인 비중이 쏠렸다.

<추적 60분>, 학교 폭력, ’95. 11. 5

폭력 조직 가담자들이 당당하고 자랑스럽게 인터뷰한 내용이 여과 없이 방송되었다.

<PD 수첩>, 정보의 바다, 인터넷의 함정, ’95. 11. 21

사실 전달을 위한 인터뷰인 ‘YMCA 청소년 유해 환경 감시단’ 간사와의 인터뷰 내용을 우

선 인용해보면 다음과 같다.

간사 : 일단 선정성에 관한 경우에는 요즘 어린이들과 친숙한 캐릭터가 많이 등

장을 해요. 요즈음 학생들이 많이 보는 일본 만화의 주인공들이 컴퓨터 게임에도

Page 18: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나오고 있어요. 그러니까 학생들이 너무 친숙하게 다가설 수 있는데 그 내용을 보

면 거의 다 나체여성들이 많이 나오고 그리고 성적인 관계도 많이 나오고, 특히 문

제가 있는 학교 안에서의 정사장면이 많이 나오고…

취재자 :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내용의 일본 만화들이… 이런 게임들은 국민학교

고학년이면 거의 다 보았을 만큼 퍼져 있다고 합니다. 노노무라 병원이라고 하는

이름의 이 게임도 요즈음 학생들 사이에서 한창 인기가 좋습니다.

간사 : 여성의 화면이 나왔을 때 물론 부분적으로 마우스를 통해서 클릭을 하는

경우에는 이제 부분적으로 확대를 할 수가 있고, 간단하게 손 하나만 누르면 그 여

성의 옷을 벗길 수도 있고, 추행할 수 있는 너무나도 사실적으로 묘사가 되어 있기

때문에 현실에서도 충동을 느낄 수가 있고…

이상의 인터뷰에서 실태의 심각성을 확실하게 전하려는 의도에도 불구하고 그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자세한 방법 소개에 정보의 비중이 주어져 있다. 또한 ‘*** 정보센타’의

PC통신 관리자와의 인터뷰도 자세한 설명과 함께 PC통신으로부터 어떻게 음란물을 얻고 어

떤 시간대에 할 수 있는가 등의 내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3) 인터뷰 방식의 문제

- 불필요한 인터뷰, 강제 인터뷰, 유도식 인터뷰

<PD 수첩>, 여자가 되고 싶은 남자들 , ’95. 5. 9

인터뷰 방식에 있어서는 여장 남자들과의 인터뷰 과정에서 노골적으로 그들의 몸매를 비

추는 카메라 샷이 여러 차례 등장하여 게이들의 정체성을 외모로부터 규정하려는 의도를 강

하게 암시한다.

<PD 수첩>, ‘격암유록’의 정체, ’95. 9. 26

격암유록의 필사자인 이용세씨의 아들인 모대학 교수와의 인터뷰에서 혐의를 추궁하는

식의 질문 방식은 객관적인 진술을 방해한다.

Page 19: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추적 60분>, 버려지는 땅 – 이태원, ’95. 10. 29

심야 지대의 게이바에서 게이들에 대한 인터뷰에서 아무 대답 없는 게이의 모습만 비추

었을 뿐 인터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텍사스 골목에서 술취한 미성년 여자와의 인터

뷰는 꼭 필요한 인터뷰도 아니었고 인터뷰 대상자가 만취하여 몸도 가누지 못한 상황에서

이루어져 눈살을 찌푸리게 하였다. 상점주인과의 인터뷰에서 가짜 상표를 팔 경우 가짜 상

표를 팔지 않을 경우에 비해 매출액이 얼마나 늘어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거의 다죠”

라고 주인이 답한 후 취재진이 다시 “80–90%죠?”라고 반문하여 상점 주인이 “예”라는 답을

하도록 의도한 것은 유도심문식의 인터뷰로 지적할 수 있다. 또 상가 주인이 장사가 잘 안

되어 외국의 유명상표를 위조하여 조금씩 팔 수밖에 없다는 답변에 기자가 웃으면서 취재하

는 장면이 나와 마치 불법행위를 인정하는 듯한 인상을 준다.

3. 진행방식

특집 편성이나 시기상 다소간의 변화가 있긴 하지만 <추적 60 분>과 <PD 수첩> 모두 스튜

디오 안에서의 진행이다. <추적 60분>의 경우 전문진행인이 진행을 하고 <PD수첩>의 경우

프로듀서가 진행을 한다. 구성화면이 나가는 동안이나 스튜디오를 비추는 과정에서 진행자

와 취재 프로듀서가 멘트를 주고받는 형식이다. 진행자의 역할은 프로그램 서두에서 해당

아이템에 대해 화제를 제시하면서 시청자에게 궁금증을 갖게 한 후 담당 프로듀서가 본격적

인 취재 동기를 소개하게 된다. 화면이 나가는 동안엔 주로 진행자가 시청자의 입장에서 취

재자에게 질문을 하면 취재자가 설명을 하게 되며 사건에 대한 접근단계에 따라 스튜디오

내에서 논평을 하게 된다. 따라서 진행자와 취재자는 사실 전달과 논평이라는 이중의 역할

을 하는 것이다. 이 때 사실 전달에선 정확성과 공정성이 요구되며 논평에서는 뚜렷한 결론

을 맺어야 한다.

<추적 60 분>의 경우 스튜디오에서의 진행이 없이 나래이터가 화제를 제시하고 프로듀서

가 현장에서 진행을 하는 방식으로 ’95 년 10 월에서 96 년 2 월까지 방송되었다. 나레이테

가 준비된 원고를 읽는 이러한 방식에선 감정적인 어구 사용이나 추측성 멘트는 줄어들었다.

그러나 대안 제시나 결론을 스튜디오에서 프로듀서와 진행자가 논의하고 정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논평자의 역할을 하던 진행자의 역할이 사라지고 주로 전문가의 인터뷰를 나열한 후

Page 20: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나레이터가 가볍게 멘트하면서 끝맺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었다.

진행 방식의 문제점으로 가장 많이 지적하는 것은 감정적 멘트의 삽입이다. <추적 60분>

의 ‘러브 호텔’(’95. 4. 5)편의 사례를 보면 진행자는 취재자의 설명을 들으면서 시종일관

어이없다는 듯 ‘허허참’, ‘참…’ 등의 반응을 보였다.

진행자 : 단체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는데요?

취재자 : 저희들도 무척 충격적이었습니다

취재자 : 뭐가 그렇게 신기한 일인지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진행자 : 허허참.

취재자 : 더욱 가관인 것은 (…….)

그 밖에도 러브 호텔의 건축과정상에 불법, 탈법이 많다는 설명이 있자 진행자는 “이럴

수가 있습니까?” 라고 이야기하는 대목 등의 감정적 멘트가 자주 나온다.

또한 <추적 60 분>의 ‘성희롱 시비, 김간호사의 눈물’(’95. 6. 11)편에서는 피해자와의

인터뷰가 끝나자 진행자는 “ 참 어처구니가 없고 보통 일이 아니군요. 간호사의 날에 경찰

이나 노동부 직원이 참석하는 것이 말이 안되지 않습니까? 도대체 (……)”라고 말한다. 이

프로그램은 병원, 노동부 관계자 등을 직장내 성희롱의 명백한 가해자로 고발하고 있는데

간호 부장(직접적 고발자 중 유일하게 인터뷰한 인물)과의 인터뷰에 대해 취재자와 진행자

는 논리적으로 반박하기 보다 감정적이고 즉각적인 멘트를 하는 것이 지적된다.

역시 <추적 60 분>의 ‘위험 수위! 십대의 성’(96. 1. 7)편을 살펴보면 진행할 때의 현장

성을 강조하기 위해 <추적 60 분>의 기존 진행 방식인 스튜디오 내 진행자와 취재 프로듀서

의 대화 포맷 대신 현장에서 취재 프로듀서가 멘트를 하는 진행 방식을 채택했다. 청소년의

일탈 행위 원인에 대한 설명과 음란 비디오방 취재, 피해 학생과의 인터뷰에서 취재 프로듀

서의 멘트는 간결한 편이었으나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 보이는 어구가 사용되었고 그 표현방

식은 시청자들의 감정에 호소하는 방식으로 객관적 전달을 힘들게 한다.

이러한 감정적 멘트의 삽입이 지적되는 대목은 대체로 보편적인 윤리의식이나 민족 의식

을 자극하는 사안에 대한 것인 경우가 많다. 그만큼 공통된 정서에 기반한 반응이라고도 할

수 있겠으나 사건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해야 하는 진행자가 감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은

문제가 있다. 한편으로 이런 진행방식이 등장하는 것은 진행자가 시청자의 입장에서 취재자

에게 질문을 하는 것이 시청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과정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모든 멘트가

가치 중립적이라면 이는 프로그램의 취지와도 걸맞지 않으나 취재 화면에 대해 비분강개하

거나 호들갑을 떠는 것은 심층 보도 프로그램에서 지양되어야 하는 진행 방식이다.

Page 21: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또 취재 내용에 대해 부정확한 사실을 추측하여 개인적인 의견을 제한없이 멘트하는 것

이 자주 지적된다. PD 수첩의 ‘용역 업체의 정체’(’95. 5. 16)편에선 진행자가 주관적인

의견을 이야기하여 시청자들을 유도하는데 이 또한 같은 위험을 갖고 있다.

취재자 : 이 지역(전농지구 재개발구역)은 재개발 업체의 내분으로 두 개의 철

거 업체가 상존하고 있다. 용역 업체간의 세입자들은 재물로 이익 다툼이 치열, 철

거를 먼저 강행해 자신들의 계약을 밀어붙일 생각이다. 그 중의 한 곳을 가보았다.

(재개발 용역 업체의 숙소-한 직원에게 인터뷰를 한다)

취재자 : 철거를 하면서 애로 사항 같은 것이 있습니까?

용역 업체 직원 : 할 애기도 없다. 4천만 민족이 우리를 싫어하는데 아저씨에게

애로 사항 얘기한다고 그들(철거민)이 좋아할 리 없다.

진행자 : 본인들도 자신이 하는 일이 떳떳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모양이죠.

<PD 수첩>의 ‘정보의 바다,인터넷의 함정’(’95. 11. 21)편을 예로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진행자 : 이런 화면들은 예고편인데 보고 마음에 들면 연락을 하게 되는 것입니까

취재원 : 예. 그런데 저 정도의 화면은 아주 기초라고 합니다. 이 정도는 예고

편에 불과할 뿐이고 TV에서 보여 줄 수 없는 포르노성 화면들이 무수히 많습니다.

위의 말들은 진행자가 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항상 덧붙이는 멘트인데 “이것은 예고

편에 불과하다, 이것은 기초이다”라는 말이 반복적으로 강조되어 정보 제공의 부정적 역할

을 한다.

진행의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프로듀서들의 떠듬거리는 말투도 너무 매끄럽지 않아 지적

을 받았다. 특히 <PD 수첩>은 전문진행인이 아닌 프로듀서가 진행을 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이 진행되는 동안 대본을 읽고 있는 듯한 억양으로 일관하는 것이 운영의 묘를 떨어뜨리는

난점이 있었다.

Page 22: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4. 설득력 생산 방식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 특정사안을 다룰 때 그 사안에 대한 접근 방식이나 논리 전개,

대안 제시 과정의 타당성을 인정받는 근거가 되는 것을 설득력 생산 방식이라 일컫는다. 공

중파 방식의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으로 자신들의

고발 내용이나 문제 제기 사안에 대해 객관화된 방식으로 시청자들의 동의를 이끌어 내야

한다. 객관적 방식은 법적 근거나 공식화된 가이드나 코드, 전문가의 의견, 통계적 비교에

의하여 증명된 보편성, 학술 및 과학적 개연성에 의해 증명된 보편성, 학술 및 과학적 개연

성에 의해 증명된 보편성, 상식화된 윤리 덕목 등을 꼽을 수 있다. 텔레비전의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 수 있었던 요인의 하나가 카메라의 눈을 통한 이른바 ’좋은 그림’의

확보이다. 따라서 이러한 현장성 있는 화면을 통해 설득력을 생산해 내는 것이 주종을 이루

고 있다. 그러나 현장감과 충격의 강조는 감정을 자극시켜 논리를 사장시킬 우려가 있다.

이런 예를 보여주는 경우를 들어보자. <PD 수첩>의 ‘여자가 되고 싶은 남자들-게이들의

삶’(’95. 5. 9)같은 편에선 논쟁 거리가 많은 소재를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게이들의

생활을 보도하는 기능 이외에 뚜렷한 쟁점 제시와 설득을 이끌어 내지 못하고 있다. 현재의

삶에 만족하며 살아간다는 게이들과의 인터뷰와 밤무대에서의 그들의 생활을 단편적으로

제시했을 뿐이다. 이 프로그램에서 주로 게이가 되게 된 동기를 외모에서만 찾았고 의학계

나 법조계의 의견이 제시되긴 했지만 이에 대한 의학적, 사회과학적 논쟁들은 별반 소개되

지 않았다.

<PD 수첩>의 ‘구명 뚫린 주권, 미군 범죄’(’95. 6. 6)편은 행정 조약에 대한 분석이 필

요한 아이템인데도 불구하고 특정 조항만을 언급하여 표면적이고 단편적인 분석에 그쳤다.

외교적인 조약과 관련되어 있음에도 외교 전문가와의 인터뷰는 하나도 없었으며 법률적으

로도 심도 깊게 다루는 인터뷰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미군 범죄를 고발하는 데

강조점을 두면서 전개해 일반적인 진술과 사건 재구성에 치중하여 분석적인 방식의 설득력

생산에 소홀했다. 비판적인 태도로 미군의 범죄행위와 미군측 반응의 비윤리적인 측면을 강

조함으로써 보편적 윤리에 호소하고 프로그램의 후반부에서는 시청자들의 감성에 호소하는

성격이 짙었다. 진행자의 멘트중 “6 년동안 미국에서 살다가 조국에 뼈를 묻겠다고 돌아온

김금순씨가 내 나라에서마저도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은 분명 바로잡아져야 할 것이다

.”라는 멘트와 함께 김금순씨의 눈물어린 인터뷰가 나오는데 이는 시청자의 감정에 호소하

는 면이 두드러 졌다. 이처럼 일방적인 피해사실이 고발되고 시청자들에게 동의를 구하는데

Page 23: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반해 피의자측의 변론은 거의 취급되지 않았다. 행정협정에 대해 개정만 요구했을 뿐, 그

구체적인 개정안에 대한 내용제시가 없고 외국의 협정(일본, 독일 등 미군이 주둔한 나라)

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보여주는 등의 객관화 방식은 채택되지 않고 있다.

<추적 60 분>의 ‘판정 의혹 AIDS! 접대부의 사례’(’95. 5. 7)에서도 마찬가지의 문제점

이 지적된다. 이 아이템은 일차적으로 에이즈 감염 접대부의 삶을 통해 경각심을 일깨우고

이차적으로 전문가들의 의견 개진을 통해 검역 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하였으나 AIDS

판정 오류에 관한 전문가들의 답변은 명쾌하지 못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전개에 있어서

에이즈가 어떻게 판정이 되는지에 대하여 세부적인 분석은 별반 비중을 차지하지 않고 있으

며 에이즈에 걸린 접대부의 삶에 비중이 맞추어져 있다. 사창가의 매매춘 장면이 지나치게

길게 편집되어 있고 자세히 소개되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에이즈 판정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시청자에게 제기하는 것이 이 아이템의 기획 의도인데 반하여 전반적으

로 산만한 진행 방식과 접대부의 스토리텔링 위주의 구성은 불충분한 설득력 생산의 기제로

작용하였다고 하겠다.

<추적 60 분>의 ‘버려지는 땅, 이태원’(’95. 10. 29)편에선 첫째, 이태원 공중 화장실의

호모들의 성행위 및 성폭력 현장의 실태에 대해 보도, 둘째, 동남아인 및 아프리카인 등 한

국에 취업하려는 불법 체류자의 실태에 대해 보도, 셋째, 세계적인 쇼핑 명소인 이태원의

상가를 대상으로 불경기로 인해 휘청거리는 모습 취재, 넷째, 폭력, 매춘, 게이바 등 심야

의 이태원의 모습 취재, 다섯째, 호모에게 추행 당한 사람을 대상으로 추행 현장 취재, 여

섯째, 이태원에서 위조상품이 얼마나 거래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현장을 중심으로 사실

적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의 발생 이유에 대해서는 별다른 설명을 붙이지

않고 있다. 가짜 상표에 대한 외국인의 견해를 묻는 인터뷰와 고유 상표를 개발해 성공한

사람(세븐이얼스 대표 강정철), 실패한 사람(사계절 무역대표 전덕원)의 인터뷰 등을 통해

불경기와 위조 상표 문제를 언급하였으나 전문가나 정부 관계자와의 인터뷰는 없다. 자료화

면 중 불법 체류자가 늘고 있는 추세를 ’92 년부터 ’95 년 9 월까지 나타낸 불법 체류자 현

황 하나를 제외하면 통계적 자료는 제시되지 않았다.

과학적 개연성에 근거한 보편성에 의거하지 않은 설득력 생산 방식의 예는 <추적 60 분>

의 ‘운명론 신드롬’(96. 1. 14)에서 드러난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시청자에게 운명론에 대

한 왜곡된 믿음이 존재한다는 주장을 하기 위해 운명론 주장자들간의 모순된 주장을 지적하

였는데 동일한 운명에 대하여 상반된 의견을 보이는 운명론에 대한 반박 외의 전문인의 조

Page 24: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언과 객관적 자료 제시는 결여되어 있고 대신 특수한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소녀와의

인터뷰가 긴 시간 편집되어 있다. 이는 인간의 능력이 어느 정도인가를 보여주려는 의도였

으나 일반적인 시청자가 보았을 대 오해의 소지가 많다. 마치 인간의 능력이 무한하여 그

능력의 심오함을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을 입증하면서 어떤 특별한 능력 중에 예언력도 소유

할 수 있는 것이라는 가정을 가능하게 한다.

한대 우리 사회에 그야말로 운명론 신드롬을 불러일으켰던 점성술에 대해 <PD 수첩>과 <

추적 60 분> 모두 아이템을 편성하여 보도하였는데 앞서 지적한 <추적 60 분>의 ‘운명론’에

서와 같이 <PD수첩>의 ‘점쟁이가 판을 친다’(96. 1. 29)편에서도 등장하고 있는 유명한 점

술가들의 잘못된 예언에 의한 피해 사례 정도도 공개하지 않았으며 충분한 반박 자료의 준

비가 이루어지지 않아 잘못된 예언의 확인과 그에 따른 변명만을 듣는 데에 그쳤다. 이처럼

‘점성술’이나 ‘유사종교’의 폐해를 고발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과학적 논거가 부족할 경우

미신에 대해 더욱 광범한 믿음을 유포시킬 위험이 있다. <PD수첩>의 ‘대순진리회를 아십니

까?’(’96. 3. 5)편에선 관련자의 피해를 소개하면서 대순진리회의 문제점을 부각시키는데

종교 연구가나 사회학자와의 인터뷰는 전무하다. 이처럼 법률적 조문이나 통계적 자료의 보

편성, 학문적 연구 결과에 의한 합리적 설명력을 개입시키지 않거나 구색맞추기 식으로 끼

워 넣는 것은 심층 보도를 무색하게 하는 요소이며 뒤에 다시 언급될 선정성이나 공정성에

관련된 시비를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극화(劇畵) 방식이 이용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사건의 단서나 논쟁이 되는 장면을 재연

하는 이 방식은 대단히 적극적으로 시청자에게 호소하는 방식으로 신문이나 라디오에서는

효과적으로 시도할 수 없는 방식이다. 따라서 부족한 취재 화면이나 여타의 자료 화면을 대

체 할 수 있고 시청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지만 흥미 위주로 흐를 우려도 있다는 점이 지

적된다. 이 방 식이 이용된 프로그램의 예를 들면 <추적 60 분>의 ‘숨겨진 폭력-아내 구타

’(’96. 2. 4)편이나 <PD 수첩>의 ‘어느 소년의 죽음’(’95. 8. 22)편을 꼽을 수 있다. ‘어

느 소년의 죽음’편에서는 대역의 연기를 통해 사건을 재구성하여 자살의 동기가 학교측에

의해 제공되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고 ‘숨겨진 폭력-아내 구타’ 편은 아내 폭행 장면을 재

연하고 있다. 상습적인 구타를 하는 남편을 목졸라 죽인 양모씨의 사례가 구타, 목조름, 살

인 장면까지 증언과 함께 자세히 재연되었고 그밖에 피해 여성들의 인터뷰 과정에서도 수차

례 재연 장면이 등장했다. 양씨의 경우엔 ‘증언에 의한 재연’이란 자막으로 재연임을 알렸

으나 그밖에 경우엔 재연임을 표시하지 않아 연출된 화면이 실제 장면으로 혼동될 수 있음

Page 25: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이 지적되기도 했다.

5. 자료 이용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에서 직접적인 취재 이외에 주로 의존하는 자료는 자료화면 이외에

도 기존의 통계와 조사자료이다. 아이템 제작과정에서 촬영한 화면이나 인터뷰등은 주요한

구성요소로 시청자에게 사실을 전달하고 설득력을 생산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기

존의 자료들을 활용할 때 보도의 정통성이 더욱 인정받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이들

자료활용에서 문제로 자주 지적되는 것은 자료의 타당성과 신뢰성이다. 특히 통계를 인용할

때는 조사기관, 의뢰기관, 조사방법, 조사기간 및 오차한계 등을 밝혀야 한다. 방송 심의

제 24조(출처명시)에는 방송은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보도하거나 다른 매체의 보도를 인용

할 때에는 그 출처를 밝혀야 한다고 명시되고 있다. 그리고, 제 25조(보관자료 명시)는 방

송은 보도내용과 설명을 위하여 보관자료를 사용할 때에는 그것이 제작된 시기와 보관자료

임을 밝혀야 하나, 일반적으로 시청자들이 보관자료임과 제작시기 등을 명백히 알 수 있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고 명시되고 있다. 또는 제 27 조(통계인용 보도)는 방송은 통계를 인용

하여 보도할 때에는 조사기관, 의뢰기관, 조사방법, 조사기관 및 오차한계 등을 밝혀야 한

다는 등의 규정이 명시되어 있다.

<PD 수첩>의 ‘여자가 되고 싶은 남자들’(’95. 5. 9)에서는 동성애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데 정확하지 않은 용어를 사용하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동성애자들이 스스로 자긍심을

표현하는 호칭인 ‘게이’라는 말을 성정체성 장애에 대한 의학적 분류인 ‘트렌스섹슈얼’ –

여장 남자와 동일시하고 있으며 ‘동성애’와 ‘동성연애’도 구분하지 않고 혼용하고 있다.

이는 동성애 문제에 대한 기존 사회 인식의 한계를 조금도 넘어서지 못하는 것으로 심층적

이고 다각적인 조사가 미비했음을 입증한다. ’95년 5월 9일 방영된 ‘여자가 되고 싶은 남

자들’편이 이처럼 여장 남자의 삶과 성전환에 대한 논란을 소개하고 있는데 반해 같은 8월

22 일 방영된 ‘나는 게이 – 한 동성애자의 고백’이란 프로그램에서는 성정체성 장애 환자

가 아닌 게이(외양으론 남자와 구별되지 않는)를 등장시켜 일상을 밀착 취재하고 있으며 말

미에선 동성연애자들을 상대로 한 업소의 ‘충격적 성문화’를 고발하고 있다. 앞서 방영된

프로그램에서는 ‘게이’를 남자로 태어난 사람이 여장을 하고 여자로 살아가는 이로 살아가

는 그 자체가 목적으로 혼자서 살아가는 이가 많다고 소개했으며 ‘동성애자는 같은 성끼리

Page 26: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만나서 성생활을 목적’으로 하는 이들이라고 말했으나 3 개월 후 같은 주제를 다룬 프로그

램에선 이에 대해 어떤 확인이나 정정 없이 다른 범주의 인물에 대해 동일한 용어로 지칭하

고 있다. 결과적으로 삼개월 간격으로 방영된 동성애에 관한 프로그램은 동성애에 대한 정

확한 이해 전달에 실패하고 있고 심층보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위와 같은 프로그램에서 “의학계에선 동성애자들을 3,000명에서 5,000명 정도로 추산하

고 있습니다.”라는 취재자의 멘트가 있는데 ‘의학계’라는 표현은 자료원에 대한 정보 전달

이 불충분하다. 이처럼 정보원이 불분명한 경우는 자주 지적되는데 <PD 수첩>의 ‘퇴폐이발

소’(’95. 5. 30) 편에서도 “6,200 여개의 이발소 중 20%가 퇴폐 이발소로 추정되는데

(…..)”라는 멘트에서 근거한 자료의 출처가 아예 언급되지 않았다. <추적 60분>의 ‘판정의

혹! AIDS’ (’95. 5. 7)는 자료화면상의 정보의 불일치를 여지없이 보여주고 있는 프로이다.

에이즈 판정이 난 후에도 계속 접대부 생활을 해온 년수를 시청자들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처음 시작 멘트에는 3 년이라고 설명하였고, 자료화면을 보여주는 과정에서 <KBS 9 뉴스>에

서는 6년, 신문자료에서는 7년이라는 불일치를 부여주고 있다.

조사 통계 자료의 경우 조사 기관은 명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자료의 오차 범위와 한계

등 정확도에 대해선 거의 밝히지 않고 있다. 신뢰도와 타당성에 한계가 있는 경우엔 자막이

나 멘트를 통해 경계를 제시해야 하는데 이행되지 않으며 전적으로 조사의 대표성을 인정하

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PD 수첩>에선 ‘정보의 바다, 인터넷의 함정’편에서 통계 그래프를

제시했는데 출처가 서울 S 중학교 설문 조사라고 조그마한 자막으로 명시되었을 뿐 진행자

는 프로그램 전체에서 이를 통한 음란물의 실태를 보도하여 조사 오차와 신뢰도를 밝히지

않은 채 자료를 일반화하였다. 서울의 어느 한 중학교의 설문 조사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

촌간의 지역적인 차이를 무시했고 남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표본의 대표성에 한계가

있으나 이를 이용해 전국의 청소년에 대한 음란물의 파급효과를 설명한 것이다. 또 국민학

생들도 컴퓨터를 통해서 음란물을 많이 접한다고 하였는데 국민학교 고학년에 대한 조사 방

식은 명시되지 않고 있다.

이처럼 조사의 한계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거의 대부분으로 몇 가지의 사례를 제시한

다.

<추적 60 분>의 ‘위험수위! 십대의 성’(’96. 1. 7)에선 전체 프로그램중 ‘폭력 경험도

조사’와 ‘중고생 성의식 조사’에서 두번의 그래프 제시가 있다. 이때 조사의 전체 대상 집

단과 실시 방법이 명시되지 않았고, 중고생 성의식 조사의 경우에도 역시 조사 집단과 방법

Page 27: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이 제시되지 않은 ’94 천안 YMCA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 음란물이 십대들의 성의식의 문

란함에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하면서 같은 프로그램의 ‘뜨거운 논쟁, 인터넷’(’95. 6. 25)

에서 사용되었던 화면을 ‘자료화면’이란 명시 없이 중복 사용하였다. 교정에서 여학생이

동료 학생을 구타하는 장면과 남학생들이 서로 싸우는 장면은 어디서 어떻게 취재한 화면인

지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고 수십초씩 방송되었다.

<추적 60 분>의 ‘성희롱 시비, 김간호사의 눈물’(’95. 6. 11)편에선 ‘성폭력 가해자 아

는 사람’이라는 ‘성폭력 상담소’의 자료에서 853 명에 대한 조사를 했지만 조사 대상과 시

기를 밝히지 않았다. <PD 수첩>의 ‘점쟁이가 판을 친다’(’96. 1. 29)편에서도 마찬가지로

여론조사 결과 소개 때 조사 기관과 오차의 한계 등을 밝히지 않아 신뢰성이 떨어졌다.

기존의 자료 화면의 이용이나 도표 사용 등에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점들도 있다. <

추적 60 분>의 ‘아시아의 범죄 조직’(’96. 2. 18, 2. 25, 2회 연속 기획) 편에서는 사실과

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 8mm자료 화면이 나레이션 공간을 훌륭하게 메워주고 있지

만 중복해서 사용한 부분과 억지로 멘트에 끼워 맞춘 부분이 있다. <PD 수첩>의 ‘구멍뚫린

주권, 미군범죄’(’95. 6. 6)편에선 삽화와 그래프 그리고 사건과 관련된 문서, 의학적인

자료(사건 피해자의 부상정도를 나타내는 엑스레이 사진, 진단서), 사건현장을 담은 사진

이 자료로 제시된다. 삽화는 당시의 사건 상황을 시청자가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

여 제작자측에서 삽입한 것인데 한쪽의 일방적인 진술과 목격자 증언을 담고 있다. 같은 프

로그램의 ‘갱생원에서의 4 시간’(’96. 2. 6)편에선 순경의 인터뷰로만 경찰행정을 설명하

는데 사건당시의 근무일지나 경찰행정법의 조문을 들어 신빙성을 높여야 했다.

6. 대안 제시의 경향

아이템에 대해 이해와 설득을 목적으로 하는 방송의 진행 과정에서 중요시 생각해야 할

부분의 하나는 체계화이다. 정보 전달이나 이해 전달을 저해하는 요소를 제거하고 간결하면

서 심도 있게 문제의 본질을 전달하는 것이 주어진 시간 내에 방송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의 과제이다.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에서는 서두에 제작의도를 어떤 사안에 대한 ‘

고발’이나 ‘문제제기’로 밝히고 논리를 전개해 결말부에 대안을 제시한다. 이 대안은 당위

적인 차원에 머물기도 하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기도 하며 국민의 관심을 호소하는 방

Page 28: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식이 채택되기도 한다. 그런데 짧은 제작일정 때문인지 대안이 구체적이고 적극적으로 제시

되는 경우는 드문 편이고, 대개의 경우 ‘관심을 갖고 고민해보자’는 호소나 ‘정부당국의

조속한 관심을 갖고 그 사안을 추적하는 경우로는 PD 수첩의 ‘소쩍새 마을의 진실’같은 편

을 들 수 있다.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몇차례에 걸쳐 피고발자인 ‘일력’의 행방을 지속적

으로 추적했을 뿐 아니라 자칫 선정적 보도로 기울 수 있었던 부분들에 대해 최대로 진지하

게 접근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례별로 논리 전개 방식과 이를 통해 도출된 대안 제시 경향의 문제점을 살펴보도록 하

자.

<추적60분>, 판정 의혹 AIDS! 접대부의 사례, ’95. 5. 7

이 아이템에 대한 체계화는 상당히 어수선하다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AIDS의 판정을 잘

못 내린 보건행정을 고발한다”는 나레이션과 함께 시작해서 정양의 내용을 이야기하고 정

양으로 인한 각 분야의 의견들을 담은 내용을 진행하는 과정에 중간 중간 AIDS 판정이 잘못

내려진 허군의 이야기, AIDS 로 잘못 오인하고 범행을 저지른 한 교직자의 이야기, 외국의

AIDS에 의해 발생한 이야기들을 넣음으로 해서 번잡한 느낌을 준다. 허술한 검사와 에이즈

에 대한 인식 부족의 문제에 대하여 보다 중점을 둔 전개라면 꼭 있어야 할 AIDS 에 대한

예방책이나 감염 경로에 대한 설명, 행정당국의 미비함에 대한 개선 방안, 보건 당국의 구

체적인 해답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PD수첩>, 여자가 되고 싶은 남자들 , ’95. 5. 9

‘게이’를 ‘남자로 태어난 사람이 여장을 하고 여자로 살아가는’ 성전환증이라는 질병을

앓고 있는 이들로 규정하고 과연 ‘주어진 성을 바꿀 수 있는가?’라는 문제 제기를 하면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후 주로 밤무대에서 일하고 있는 게이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성장 과정을 밝히고 이들의 현황을 소개한 후 성전환에 관련된 사례와 논쟁을 소개하고 있

다. 이 프로그램은 ‘게이’들의 입을 통해 이들이 가족을 걱정하고 정상적인 삶을 살아가고

싶어한다는 점을 부각시킨 후 의학적, 법적 차원에서 이 문제를 제고해 볼 것을 시청자에게

권유한다. ‘성이 천부적이라는 사실은 당연’하지만 이들은 ‘성주체성 장애 환자’이므로 ‘

개인의 행복 구현권’이란 측면에서 성별 정정 신청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이들에 대해 적

Page 29: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극적으로 논의하기를 기대한다고 끝을 맺고 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게이들의 삶에 대

한 스케치에 비중이 마쳐져 있고 ‘성전환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고 서두에서 제기한 문

제에 대해 새로운 논의를 이끌어 내기보다 간략히 소개하는 것에 그침으로서 적극적 대안

제시보다 ‘적극적 논의를 기대한다’는 차원에 그치고 있다.

<PD수첩>, 이발소 퇴폐 영업, ’95. 5. 30

퇴폐 영업을 하고 있는 이발소를 고발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퇴폐영업 소 단속현장 화

면과 업소직원과의 인터뷰를 통해 퇴폐영업 이발소의 실상을 보도하면서 이발소와 이발재

료상과의 결탁관계를 밝히고 퇴폐영업소가 위생문제등에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또 퇴폐이발소의 영향으로 건전한 이발소가 피해를 당하고 있으며 시민들이 불신

과 불편함을 토로한다고 지적한다. 결과적으로 이 프로그램은 퇴폐이발소 문제에 대해 경각

심을 일깨우는 차원에서 전개되고 행정적 대비책이나 시민 행동사항은 제시하지 않는다.

<추적60분>, 왜색 경보, 3조원 만화 시장, ’95. 8. 20

국내적으로 국제 만화 박람회 이후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한 것은 큰 호응을 얻을 수 있

도록 편성하였는데 시간적인 제약으로 인해서 인지 아니면 자료의 부족 때문인지 너무 쉽게

결론을 내리고 미래에 대한 대안 제시가 없었다.

<PD수첩>, ‘격암유록’의 정체, ’95. 9. 26

프로그램 진행중 허구성을 검증하는 단계에서 이용세씨에 대한 접근이 안이하게 흐르는

경향을 띠고 있다. 예언서가 가지는 사회적 파장에 대한 그의 몰이해를 부각시켜 폐해를 더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책의 가치, 진위 여부를 떠나 자료를 보관하는 국립 중앙 도

서관의 무책임성에 대한 질타도 필요했다.

<추적60분>, 버려지는 땅, 이태원, ’95. 10 .29

프로그램은 나래이터의 “과연 이태원이 이대로 타락과 몰락의 길을 가고 있는 것을 가만

히 구경만 해도 되는 남의 땅인가”라고 하는 멘트로 끝을 맺고 있다. 이태원의 여러 가지

문제, 즉 호모들에 의한 성범죄, 한국에 취업하려는 불법체류자들, 세계적인 쇼핑가인 이태

Page 30: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원의 휘청거리는 모습, 폭력과 매춘 현장의 모습, 위조 상표에 대한 취재 등 단순히 있는

사항을 지역 주민 및 상점 주인의 입을 통해 사실이나 현상을 보도하고 있을 뿐 이런 문제

가 왜 발생되고 또 해결 방안은 무엇인가라는 구체적인 대안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추적60분>, 위험수위! 10대의 성, ’96. 1. 7

프로그램 전반에는 10 대의 개방된 성의식에 관해 언급하고 곧 이어 학교 폭력과 성폭력

의 연관성을 도출해 낸다. 이 과정에서 한 신경 정신과 의원의 뚜렷한 근거 없는 추정에 전

적으로 의지하고 있다. 이토록 ‘충격적’이라고 강조된 이러한 십대들의 성적 일탈에 대해

기성세대의 반성을 당부하며 끝을 맺고 있다.

<PD수첩>, 점쟁이가 판을 친다, ’96. 1. 29

프로그램의 상당 부분을 할애한 점술가 집앞에 문전성시를 이루는 우리나라 정치, 경제

인들에 대한 국민들의 걱정과 우려 그리고 보스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우리의 정치 현실 비

판은 적절했으나 결론 부분에서 점술 정치인들에 대한 국민의 심판 방법으로 투표를 통한

낙선을 이야기하는데 그치고 있다. 점술 정치인의 명단 공개하지 않고 애매하게 국민에 대

한 당부로 끝을 맺는 경향이 있다.

<PD수첩>, 대순진리회를 아십니까?, ’96. 3. 5

전반부에서는 이 종교의 부정적인 면을 지속적으로 부각시키며 종반에는 보여주고 나중

에는 민족 종교로서의 제 기능을 당부한다는 말을 남기고 끝마쳤는데 대순진리회의 간부나

회원이 개선의 의지가 전혀 없는 예만 줄줄이 보여주고 끝으로 당부하겠다고 말을 남긴 것

은 모순이다

7. 선정성

선정성에 대한 우려는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 다루는 아이템 자체에 대해 우선 제기될

수 있다. 지적한 바와 같이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이 다루는 아이템들이 정치, 경제

Page 31: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들의 무거운 것들 보다 세태풍속에 관한 다양한 주제로 다변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때 우려되는 것은 국민들의 관심을 끄는 센세이셔널한 화제들에 대해 정화하고 심층적인 접

근이 아닌 선정적 접근을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아이템 자체가 선정성의 요소를 많이 담

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딱딱한 아이템을 다루는 과정에 불필요하게 선정적인 요소들을 끼

워넣는 경향을 지적할 수 있다.

<추적 60 분>과 <PD 수첩>이 자주 다루는 아이템 중 아이템 자체가 선정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주로 성과 폭력에 관한 문제를 다루는 경우이다. 성에 관련된 문제를 다

룬 경우에 혼외정사, 청소년의 성, 퇴폐영업과 같은 세태풍속에 대한 아이템 이외에 성폭력

이나 성희롱, 매매춘에 대한 문제도 사회적 권력관계에 의한 인권유린에 대한 고발 차원에

서 다루어졌다. 성에 관련된 주제를 다룰 경우엔 제목의 선택에서부터 선정성 시비가 인다.

한 예로 동성애 문제를 다루었던 한 프로그램이 ‘가슴달린 남자, 화장하는 남자’라는 부제

를 달고 기묘한 배경음악 속에 선전되었다. 호기심과 흥미를 강하게 유발하는 제목들은 주

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의도를 희석시킬 수 있다.

그밖에 아이템을 다루는 과정에서도 위와 같은 요소들이 자주 등장한다. 가령 ‘뜨거운

논쟁, 인터넷트’와 같은 아이템을 다룬 프로그램은 정보공간에 대한 규제방식에 대해 진지

하게 접근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통신상의 음란물 실태를 보도할 때 선정적인 몇몇 장면

이 노골적으로 방송되긴 했지만 전체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 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이 아이

템의 도입부에선 음란물에 대한 호기심을 유도하는 멘트가 눈에 띈다. ‘안방에 몰려오는

위험한 정보’라는 자막과 함께 통신상의 음란물이 클로즈업되고 ‘… 인터넷이 위험하다 정

보의 망망대해 인터넷에서 벌이는 음란 폭력물 색출작적!’이라는 멘트가 뒤따른다. 이처럼

섹슈얼리티에 관련된 주제가 전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다루어지는 경우에 그 접근방식

에 따라 선정성의 시비가 일 수 있다.

선정성의 문제는 ‘폭력’과 관련한 부분들에서도 자주 지적되는 문제이다. 가정 내의 폭

력이나 학교폭력, 범죄집단에 대한 묘사가 지나치게 자세하여 흥미를 유발하는 경우가 잦다.

또 피해 사실에 대한 구체적인 묘사도 문제시된다. 이를 리얼리티의 차원에서 바라볼 것인

가, 호기심 유발의 차원에서 볼 것인가? 대역을 통해 사건에 대해 재현하는 것은 예전에 찾

아볼 수 없던 방식인데 이 방식이 특히 많은 지적을 받는다. 이러한 극화 방식은 리얼리티

를 확대시키기 보다 현실을 허구화하는 부작용이 우려된다. 화면 뿐 아니라 ‘말’에 있어서

도 노골적인 말들이 여과 없이 방송되는 것도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Page 32: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추적60분>, 판정 의혹 에이즈! 접대부의 사례, ’95. 5. 7

에이즈에 걸려 살아온 접대부의 삶이란 소재는 흥미를 끄는 요소가 강하고 내용에서 접

대부의 생활이나 윤락가가 자료 화면으로 제시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오락성을 배제하려는

노력이 각별히 필요한 경우이다. 노출이 심한 의상을 입은 윤락여성들과 거리에서의 호객행

위, 매매춘과정의 대화등이 별다른 여과 없이 자료화면으로 등장하고 있다.

<PD수첩>, 여자가 되고 싶은 남자들, ’95. 5. 9

이 아이템은 음악이 나오면서 ‘가슴 달린 남자, 화장하는 남자-게이’라는 선전 문구와

함께 시작된다. 이런 식의 멘트는 시청자에게 호기심과 궁금증을 유발하는 전략으로 지적된

다. ‘게이’가 출연한 영화의 장면 중 강간당하는 장면이 자료 화면으로 채택되었고 ‘게이’

들과의 인터뷰 장면에선 짧은 치마를 입은 게이들을 아래에서 위로 카메라가 훑는 샷이 여

러 번 등장한다. 또 이들이 밤무대에서 춤추고 노래하는 장면이 여러 번 등장하고 취재자가

게이들의 현황이나 논란거리에 대해 멘트를 하는 동안 그 화면이 계속 내보내진다. 이 과정

에서 방송화면에 선정적인 춤동작이 지속적으로 보여졌고 게이인 무희의 양 젖가슴이 살짝

보이는 장면도 있다.

<추적60분>, 집이 싫은 아이들, ’95. 5. 28

청소년들의 가출 문제를 다룬 아이템인데 ‘가출’ = ‘성적 문란함’이라는 생각이 들 정

도로 가출 청소년들의 동거, 혼숙 문제를 부각 시켰다. 경찰서에서 문제가 된 여자아이들을

촬영하면서 짧은 치마를 부각시키거나 청소년들이 기거하는 빈집에서 여자 속옷을 비추어

은연중에 문란함을 암시하기도 한다. 중학생 연배의 가출 청소년에게 인터뷰시엔 여자아이

가 남자아이의 손을 자기 가슴에 가져오는 장면을 클로즈업시켰다. 청소년이 담배를 피우는

장면, 부탄가스를 마시고 몸부림치는 장면 등도 많이 삽입되었다.

<PD수첩>, 구멍 뚫린 주권, 미군범죄, ’95. 6. 6

사건의 진행이나 논리적 전개와는 상관없는 나이트 클럽 장면이나 미군여자의 선정적인

포즈를 보여 주고 있다.

Page 33: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추적60분>, 왜색경보, 3조원 만화 시장, ’95. 8. 20

진행 맨트와 무관하게 일본의 선정적인 만화와 일본 만화 위주로 배경을 사용하였다.

<추적60분>, 버려지는 땅, 이태원, ’95. 10. 29

“버려진 땅-이태원”이라는 제목에선 낙후되어 가는 이태원의 실상을 심층 보도하고 문제

점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려는 기획의도를 암시하고 있으나 실제 내용에 있어서는 선정

성을 다룬 것이 주요내용이었다. 시청자들을 자극적인 방향으로 유도하려는 듯 길거리에서

포웅하고 있는 남녀나 남자들의 모습을 몇번에 걸쳐 반복적으로 보여줬고 어떤 이가 호모에

게 자주 피해를 당했다는 어느 사우나에 잠복 카메라를 설치해서 호모라고 지적한 사람이

행동하는 장면과 게이바에서 게이들의 모습을 직접 공개했다. 이와같은 화면은 시청자들로

하여금 관심을 유발시키는데 적절한 표현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태원의 여러 문제들을

자료화면으로 제공함에 있어 지나치게 감각적이고 선정적인 장면을 담고 있어 시청자에게

호기심과 흥미거리를 만들어 준다. 이런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취재는 자칫 지나치다 보면

사실을 과장해서 보도할 수 있고, 사실이나 현상을 지나치게 에피소드화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PD수첩>, 의붓아버지는 아버지가 아니다, ’95. 11. 14

재혼할 당시 어머니가 데려온 딸과 아버지가 데려온 딸 4 식구가 살고 있었을 당시를 묘

사하는데 있어 아버지의 노골적인 행동과 말들을 불필요할 정도로 자세히 언급하였다. (아

내가 데려온 딸에 대해서는 목욕시 이상한 눈으로 훔쳐본다던가 몸을 만진다 등)

<추적60분>, 학교 폭력, ’95. 11. 5

몸에 새긴 문신이 화면에 자주 잡혔는데 특히 허벅지 및 가슴 부위의 문신이 여과 없이

방영되었다. 집단폭력을 묘사하는 과정에서 발로 사람을 짓밟는 등 여러 차례에 걸쳐 과격

하게 묘사했으며, 폭력조직 가담자들의 인터뷰 과정에서 ‘폭력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등의

이야기를 죄책감 없이 당당하게 말하는 모습을 수차례에 걸쳐서 방영하였다.

Page 34: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PD수첩>, 정보의 바다 인터넷의 함정, ’95. 11. 21

시청자들에게 컴퓨터를 통한 음란물의 실태를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문제가 되고 있는

선정적인 사진, 화면들을 자료 화면으로 제시했다. 이때 불필요한 선정적 장면이 인터넷에

서 구한 자료라며 수십장씩 반복적으로 제시되었고 여자의 가슴부위가 노출된 자료들도 여

과없이 제시되었다.

멘트에서는 “사건의 전개가 모두 성적인 관계로 이루어진다는 거예요. 지금은 이 정도이

지만 갈수록…”등이 지적되는 경우이다. 이것은 ‘노노무라 병원’이란 음란물에 대해 인터뷰

한 내용으로 “지금은 이 정도이지만 갈수록…” 이라고 화면과 함께 말하면서 인터뷰의 내용

이 끊어진다. 음란물의 제목을 직접 소개함과 더불어 모자이크 처리 없는 화면은 간접 광고

와 시청자의 호기심 유발을 조장한다.

<추적60분>, 위험 수위! 10대의 성, ’96. 1. 7

내용을 선정적으로 이끌어 흥미를 끌어 보려는 모습은 보이지 않았으나, 나레이션의 배

경 화면으로 많이 사용된 공원 등에서의 학교 폭력의 장면 (집단 폭행)이나 컴퓨터 통신 음

란물을 여과 없이 그냥 방영하였다.

<추적60분>, 운명론 신드롬, 그 실체, ’96. 1. 14

운명론에 대한 일반인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합리적 판단을 가능케 하려는 의도로 제작된

프로그램인데도 불구하고 한 소녀의 능력에 대한 실험 과정이 사실상 프로그램의 중심이 되

었다.

<추적60분>, 숨겨진 폭력 – 아내 구타, ’96. 2. 4

이 아이템에선 ‘증언에 의한 재연’ 방식이 설득력 생산의 도구로 이용되었는데 극적(劇

的)구성이기 때문에 선정성의 우려가 높다. 흐린 화면 속에서 구타를 당한 여성이 손을 떨

고 있는 모습이 연출되고 몇 장면 뒤엔 실제 피해 여성의 뒷모습을 보여주는데 연출된 장면

과 실제 장면의 구분이 모호하여 혼란을 줄 우려가 있다. 저속한 언어의 여과 없는 방영도

문제된다. 예를 들면 남편을 살해한 양씨가 인터뷰 중에 남편이 한 말을 그대로 옮기는 과

정에서 “…엄마는 화냥년이고…”라든지 피해 여성의 인터뷰 중 과장된 표현 “…칼로 쫓아서

Page 35: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피로 목욕을 했다…”가 있다.

<추적60분>, 아시아의 범죄 조직, ’96. 2. 18

일부에서 공중파 방송에 부적절한 대목이 지적된다. 피살된 사람이 선명히 포착된 장면

및 모방 범죄를 일으킬 소지가 있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문제시된다.

8. 공정성

방송이 다루는 내용은 공정하고 객관적이어야 한다는 사실은 누구나 인정하는 방송의 책

임이다. 특히 방송의 환경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공정성’을 그

생명으로 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회고발성 프로그램에서 공정성이라는 요인이 위협 당

하고 있는 몇몇 사례를 앞서 인터뷰 방식과 진행 방식의 문제에서 이미 지적하였다. 방송

심의 기준에 명시된 공정서의 원칙 (제 5조)을 인용해 보면 아래와 같다.

① 방송은 공정하고 객관적이어야 한다.

② 방송이 사회적인 쟁점이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된 사안을 다룰 때에는

관련된 집단이나 개인의 의견을 균형있게 다루어야 한다.

③ 방송은 특정한 정당이나 집단의 이익, 신념 또한 사상을 지지하거나 옹호할

수 없다. 다만, 종교의 선교를 목적으로 허가받은 방송이, 허가받은 내용에

따라 방송할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④ 방송은 계층간, 지역간의 갈등을 의도적으로 조장하여서는 아니된다.

앞서 지적된 사례들 이외의 공정성을 저해하고 있는 몇 가지 사례를 제시한다.

<추적60분>, 집이 싫은 아이들, ’95. 5. 28

가출 청소년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한 고등학교를 찾았는데 하필이면 그 대상이 상고

였을까? ‘○○고’라고 하면 안됐을까? 그로 인해 대중들이 상업 고등학교에 대한 부정적

인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

Page 36: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추적60분>, 버려지는 땅, 이태원, ’95. 10. 29

취업 소개 브로커와의 인터뷰에서 브로커가 “아주 질 나쁜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요르

단, 모로코, 내가 보기에는 그런 놈들은 범죄 집단 같아요”라고 말하는 부분이 자막과 함

께 방송되었다. 이는 인종차별 적인 언급이며 전문가의 객관적인 진술도 아닌 한 업자의 주

관적인 생각을 아무런 제한 없이 방송한 것이다.

<PD수첩>, 정보의 바다 인터넷의 함정, ’95. 11. 21

청소년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선정적인 CD – ROM 을 제작하는 회사의 입장만을 옹호하고

유통업자와 소비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제작 회사 대표의 견해만을 다루고 유통업자, 또는

소비자들의 의견을 다루지 않았다.

9. 인권, 프라이버시 침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 국내에 하나의 장르로 정착된 이래 그 역기능으로 가장 많이 지

적된 것이 인권침해이다. 80 년대 일정 정도의 성과를 올렸던 <추적 60분>은 당사자에게 알

리지 않거나 보도하지 않을 것을 약속하고 몰래 취재하여 보도하는 방식을 종종 사용하였고

‘국민의 알 권리 보호’라는 명분의 ‘개인의 사생활 보호’ 더 나아가 ‘인권’의 차원을 사

이에 두고 늘 줄다리기를 벌여 왔다. 이제는 개개인의 권리 의식이 신장되어 섣부른 초상권

침해는 당사자의 반발이 직면한다고 한다. 또한 시청자 운동의 성과를 통해 센세이셔널리즘

에 대한 비판적 감시자의 기능이 자리잡아 가고 있다. 제작진은 화면 처리나 음성변조등을

통해 개개인의 초상권을 보호하고 있다. 그런데도 얼굴이 몇 초 정도는 노출되는 일이 잦다

는 지적과 ‘사생활 보호’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를 둘러싼 이견이 드러난다. 앞선 지적의

경우 프로그램 제작 기간의 빠듯함으로 충분히 검토될 수 없는 부분이거나 단순한 기술적

문제점이라고 할 수 도 있지만 지나친 화면 처리가 전체 프로그램의 흐름을 방해할 수도 있

다는 딜레마를 안고 있기도 하다.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에서 가장 보호받아야 할 존재는 누

구인가? 피고발자의 경우에도 인권문제가 제기 될 수 있다. 오늘날과 같은 미디어의 시대에

마녀재판 식의 언론플레이가 나타날 위험은 항존하기 때문이다. 피해자의 경우에도 문제는

있다. 범죄의 피해자이면서도 신고를 기피하는 일이 잦은 한국인들이어서인지 어떤 문제에

Page 37: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연관되었다는 사실 자체를 불명예스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터부시되는 일에 대한 피해

자들은 더욱 (화면에 대한) 보호의 대상이 된다. 여기서 화면처리의 원칙이 당사자의 요구

에 따른다는 것인지 아니면 취재, 혹은 편집진의 기준에 의거한 것인지도 문제 삼을 수 있

는 대목이다. 그 밖에 주요 사안에 대한 이해당사자가 아닌 제 3 자의 경우 과도한 화면처

리 때문에 오히려 범법자처럼 인상 지워진다는 지적도 있다. 개개인에 대한 초상권 보호는

그나마 많은 문제 지적들을 통해 ‘유의해서’ 처리되는 부분이지만 특정 다수에 대한 배려

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다. 특히 이들이 미성년자이거나 사회적 약자인 경우에 더욱 주

의가 필요한 부분이 아닐까? 몰래 카메라나 잠복카메라를 통해 촬영을 하는 경우도 공공연

하게 등장하는데 인터뷰과정에서 먼 곳에 카메라를 설치해놓고 찍거나 카메라를 숨기고 찍

어서 당사자에게 동의없이 보도하는 경우 등이 있다.

<추적60분>, 학교 폭력 서클, ’95. 4. 9

합의를 위해 경찰서에 온 가해자 부모의 얼굴을 모자이크 처리 없이 그대로 방영하였다.

경북 울진의 여상 취재시 폭행 당한 학생들의 진단서를 비추는 과정에서 피해 학생들의 이

름이 자막 처리 없이 그대로 보도되어 인지 가능하였다.

<추적60분>, 버려지는 땅, 이태원, ’95. 10. 29

동남아인 불법체류자 4 – 5 명이 기거하는 좁은 여관방에서 동남아인들의 가방을 기자가

뒤지는 장면은 동남아인에 대한 사생활 침해로 지적된다. 매춘 현장을 찍은 장면은 몰래 찍

은 화면인 듯 한 데 매춘 알선 업자로 추정되는 할머니의 얼굴과 음성이 아무런 처리 없이

그대로 드러났다.

<PD수첩>, 의붓아버지는 아버지가 아니다, ’95. 11. 14

근친상간의 피해자와 가해자인 조씨가 가족들의 이름과 얼굴이 직접 언급되지는 않았으

나 자료 화면에서 노출되었다. 자료화면인 ’92 년 9 월 14 일자 뉴스데스크보도 내용에서

김보은양(집행유예), 김진관군(징역 5 년)의 이름이 화면에서 충분히 식별가능 하였고 이들

의 얼굴화면도 명백히 드러났다. 이 사건의 내용을 다루는 과정에서 다른 피해자의 사례를

살피면서 9살난 어린아이가 한 말을 그림으로 옮겨서 보여주고 피해자(당시 9살 어린이)와

Page 38: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의 전화통화에서 산속에서 의붓아버지가 한 행위를 그대로 묘사하게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저속한 표현들도 그대로 방영되었다.

<추적60분>, 학교 폭력, ’95. 11. 5

금품 갈취 피해자와의 인터뷰에서 모자이크로 화면 처리를 하였으나 얼굴의 인지가 가능

하다. 폭력 때문에 선수 생활을 그만 둔 골프 선수와의 인터뷰에서 화면을 어둡게 하였으나

얼굴의 인지가 가능하다. 공원에서 담배 피우는 청소년들의 얼굴도 식별 가능할 만큼 비춰

진 것은 초상권의 침해이다.

<PD수첩>, 정보의 바다 인터넷의 함정, ’95. 11. 21

청소년에게 성인용 CD 를 판매하는 컴퓨터 통신 게시판 내용을 화면에 담으면서 개인의

신분을 노출시킬 수 있는 주소, 이름, 전화번호 등을 그대로 공개하였다.

<추적60분>, 위험수위! 10대의 성, ’96. 1. 7

십대들의 모습을 취재할 때 그들의 얼굴이 그대로 노출되었다.

<추적60분>, 숨겨진 폭력 - 아내의 구타, ’96. 2. 4

가해자 남편과의 인터뷰 장면에서 모자이크 처리가 늦어져 가해자 남편의 얼굴이 2초 동

안 노출하였고 음성 변조와 모자이크 화면의 처리가 미흡하여 사인에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사람들의 인물들의 존재를 드러냄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오해할 소지를 주었다.

<PD수첩>, 갱생원에서의 4시간, ’96. 2. 6

갱생원에서 근무하는 주방 아주머니가 인터뷰를 거절하는데도 끝까지 쫓아가서 인터뷰를

하려는 장면은 강제적 인터뷰로 문제시된다. 배씨가 정신병자들과 함께 수용되었던 갱생원

의 내부를 화면에 비출 때 갱생원에 수용중인 사람들의 얼굴을 모자이크 처리하지 않고 선

명하게 방송하였다. 배씨의 가정생활을 살피는 과정에서는 관련자료인 가족사진이 확대되

어서 자녀들의 얼굴을 정확히 알아볼 수 있었다.

Page 39: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10. 기타 지적 사항

그밖에 문제로 자주 지적되는 것은 적절치 못한 언어사용이나 문제 행동에 대한 지나치

게 상세한 설명 등이다. 적절치 못한 언어사용은 피해자나 가해자의 감정적인 표현이나 관

련자나 일반 시민들의 비속한 언어사용, 진행자나 취재자의 잘못된 언어사용에서 나타난다.

특히 피해자나 가해자의 격양된 진술 내용을 아무런 여과 없이 자막과 함께 상세하게 보도

하는 경우엔 사건의 정확한 맥락을 알리는 측면보다 시청자의 충격을 기대하는 측면이 존재

함을 지적할 수 있다. ’95년 10월 29일 방영된 <추적 60분>의 ‘버려지는 땅, 이태원’편

에선 여관주인과 인터뷰에서 “한국여자들과 같이 오는 외국인들은 ‘우리는 군인이다. 군인

이다.’하면서 가만히 오는데 오히려 한국 계집애들이 더 좋다고 난리다.”라는 내용이 방송

되었다. 또, ’95년 5월 9일 방영된 <추적 60분>의 ‘학교 폭력 서클’편은 학교 주변 폭력

서클의 실상을 밀착 취재 하고 있는데 폭력학생들과의 인터뷰 내용 중 ‘저년이 사악해서

그런다’, ‘싸가지가 없다’, ‘씹고 다닌다’등의 욕설을 여과없이 보도했다. 이는 폭력 서

클의 실상을 사실적으로 시청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시도되었을 수도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사건의 ‘생생함’이 이런 식의 묘사를 통해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

은 앞서 언급했듯이 진행자나 나레이터가 감정적인 멘트를 하고 카메라가 선정적인 장면을

강조하면서 이런 부분이 시청자에게 주요하게 각인되는 과정이다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사안을 보도하면서 지나치게 상세하게 보도하는 것이

자칫 모방 범죄를 자극하거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도 지적할 수 있다.

한 예로 ’95년 4월 5일 방영된 <추적60분>의 ‘러브 호텔’편에선 러브 호텔 이용 요금과

내부 시설을 자막 처리와 함께 상세히 공개함으로써 시청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96년

2 월 18일 방영된 <추적 60분>의 ‘아시아의 범죄 조직 1’편에선 국제 범죄단(일본 야쿠자,

러시아 마피아, 중국 삼협회)의 불법성을 고발하면서 러시아의 매춘 여성의 접촉 인터뷰 장

면, 일본 야쿠자와의 마약 구매과정 등의 세부 범죄 상황이 나열되었다. 특히 일본 전화카

드 위조 장면을 일부 방영한 것은 모방 범죄 가능성을 제공한다.

Page 40: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11. 소 결

아이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성 아이템의 선정과 과다한 아이템 선정의 문제가 나타났

다. 그리고 정치, 재계 등 사회 권력의 영향이 직접적으로 미치는 분야에 대한 편성이 미약

하였는데 그 원인으로 제작자의 사회책임의식 부족과 외부 압력의 의혹을 들 수 있다. 이외

에 시청률을 의식한 선정적 제목, 내용적 차별이나 발전이 없는 겹치기 아이템 선정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그밖에 피고발자의 변론 기회의 부족, 몰래카메라 사용의 문제, 인식

가능한 화면 처리 및 불충분한 음성 변조로 인한 사생활 침해, 원론적 의견피력에 불과한

불필요한 전문가 인터뷰와 대안제시 부족, 강제적 혹은 유도식 인터뷰, 대역을 통한 과장된

재현 구성, 개인적 인상과 감정적 멘트로 비분강개하거나 호들갑떨며 개입하는 진행자의 문

제, 정확한 출처가 제시되지 않은 자료 사용 문제, 모방범죄를 충동질할 만한 과도하게 상

세한 묘사, 선정성 강조, 편파성 등의 문제가 제기 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의 배경원인에는 기자, PD 및 경영진의 의식문제, 조직운영의 문제, 제작

인력, 특수장비, 제작비의 부족, 취재자와 사회자의 자질문제, 편성의 문제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 중 몇가지 요소를 제작 현장 참여관찰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었

다. 그리고 독일과 미국의 사회고발성 프로그램의 역사 및 그 현황을 분석하여 결론 및 제

언 부분에서 그 결과를 담았다.

Page 41: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Ⅲ.〈추적 60분〉제작 현장 참여 관찰 1)

1. 서 론

처음 참관을 시작할 때 <추적 60 분>팀의 한 제작자에게 이런 말을 들었다. “방송은 이론

이 아닌 실제요, 비판을 위한 비판을 하려면 언론 유관 단체들은 모두 망해야 해.” 참으로

적나라한 거부 반응이었다.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이라는 보고서의 내용연구를 위해

필요한 참여 관찰이지만 현장 방송인들의 이러한 반감을 불식시키는 일이 급선무임을 직감

했고, 동시에 우리나라 방송발전을 위한 학계와 방송계의 건설적 접목에 대한 고민은 참여

관찰 기간동안 하나의 풀리지 않은 숙제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긴장도 잠시, 시간

이 지나면서 <추적 60 분>의 제작진들은 그렇게까지 비우호적인 태도로 일관하진 않았고(물

론 사안에 따라 다르긴 했지만) 참관 후반기엔 오히려 연구에 대해 상당한 정도의 호감과

관심을 가져 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사고발 프로의 제작 전과정을 참관하기 위해 주

어진 약 2 주의 관찰 기간은 너무 짧아 프로그램의 기획에는 참여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남

겼다. 참여관찰법의 가장 커다란 난제 중 하나가 연구 수행 시 가치 중립성을 바탕으로 객

관적 관찰법의 가장 커다란 난제 중 하나가 연구 수행 시 가치 중립성을 바탕으로 객관적

관찰의 신뢰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비록 짧은 관찰 기간이었지만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이러한 객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분명히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요인들을 나름대로

제거하기 위해 하루의 일정이 끝난 상황에서 그날의 일지를 기록했고 그 과정에서 보고 듣

고 인식한 바를 최대한 정확히 기록하기 위해 노력했음을 밝힌다.

앞서 말했듯이 연구를 위한 2 주동안 <추적 60 분> 팀의 취재 활동 및 생활사를 전반적으

로 관찰하기 위해 아침 9시 출근 시간에 맞추어 KBS 신관 TV 제 1국에 소속된 사무실에 나

갔으며 퇴근 시간은 대부분 동행 취재한 프로듀서의 일정에 맞추었다. 재미있었던 사실은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처음에는 인터뷰나 동행 취재를 어색해 했지만 뒤풀이나 반주를 함께

한 식사시간 등 자연스런 상황에서는 오히려 인터뷰에 적극적으로 응해 주었던 점이다.

1) 이 원고는 함께 참여관찰을 한 보조원 박윤주 양이 정리한 것이다.

Page 42: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2. 본 론

본격적인 현장 참관이 시작된 7 월 24 일(화)은 마침 두 명의 프로듀서가 각각 <동아매립

지 20조원 특혜설 진상>과 <가자 유명 브랜드 의류 범람 실태>라는 아이템으로 막 취재 활

동을 시작하려는 시기였다. 이들은 8 월 4 일(일)에 방영되는 제 124 회 프로그램을 준비중

이었다. 이들 외에 6 명의 프로듀서들은 각자의 방송 일정에 따라 아이템을 기획하거나 사

전 취재 및 섭외를 하고 또는 그 주의 방송을 위한 편집 때문에 동분서주하기도 했다.

<추적 60 분>의 프로그램 제작 과정은 평균 4 주 정도이다. 아이템의 성격과 비중에 따라

길게는 2 달에서 짧게는 1 주가 걸리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보통 4 주를 기준으로 했을 때

첫 주는 주로 아이템을 선정하는 기간이 된다. 2 주 째는 아이템이 얼마큼 취재 가능한 것

인지를 알아보는 사전 취재나 자료 수집, 그리고 섭외 등에 소요된다. 셋째 주에서 넷째 주

중반까지는 본격적인 취재와 섭외 활동 기간이다. 그리고 그 주 후반에 편집과 녹화가 이루

어지며 주의 말미에 프로그램에 방영된다.

본격적인 취재에 들어간 두 아이템 중에서 <가짜 유명 브랜드 의류 범람 실태>의 취재

과정을 중심으로 사회 고발 프로의 제작 단계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아이템 선정 단계

대개의 아이템들은 <추적 60 분> 팀에 걸려 오는 (1) 전화나 통신 및 팩스 제보와 (2) 취

재 과정에서 발굴하는 아이템, (3) 신문 및 잡지 등의 타 언론매체를 통해서 선정된다. 기

자처럼 일정한 취재처가 따로 없는 <추적60분>의 프로듀서들은 대신 사회의 각 시민단체들

을 통해 아이템이 될 만한 사건을 제보 받거나 직접 찾아가 알아보기도 한다.

전화나 통신 및 팩스 제보는 국민들이 직접 전하는 제보인 만큼 실생활에의 근접성이 높

긴 하나 대부분이 개인적인 한풀이나 민원성 제보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러한 류

의 제보는 하루에도 끊임없이 꾸준히 오고 있으나 양에 비해 건질 만한 제보는 거의 없다는

게 프로듀서들의 평이다. 개인적 제보를 아이템으로 할 경우에는 특히 그 아이템의 제보자

의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것인지를 각별히 검토해야 하는데 이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제

작 과정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이 방영된 후에도 시비에 걸릴 위험성이 많다. 최근에 한 예를

들어보자. 화장품 유통시장의 내막을 취재했던 한 PD 는 이 아이템을 어떤 개인의 전화 제

Page 43: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보를 통해 발굴해 냈다. 그러나 취재 과정에서 제보자가 경쟁 회사의 관계자였음이 드러났

으며 이 자는 자신이 정보를 준 회사뿐만 아니라 자신의 회사까지 취재를 당하고 그것이 텔

레비전에 방영되자 담당 PD 에게 강력히 항의를 했다. 이러한 사건은 프로듀서를 법정소송

에까지 끌고 가는 경우도 있다. 현재 이 프로듀서는 재판에 회부된 소송 사건만 3 개가 된

다. 이러한 류의 제보자들은 방송을 이용해 경쟁자에게 손해를 입힐 순수하지 못한 의도로

제보를 한 것이며 취재를 위해 금품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취재 과정이나 평소 관심이 있었던 부분에서 아이템을 찾는 경우도 많다. 이번 동행 취

재의 <가짜 유명 브랜드 의류 범람 실태>에 대한 취재도 이러한 동기로 채택된 아이템 중

하나이다. 프로듀서는 일단 이러한 사회 현상을 아이템으로 착안한 후 실제 상황을 확인하

며 아이템에 대한 심증을 더욱 굳혀 갔다.

다른 매체에서 아이템을 찾을 경우는 대부분 신문의 기획 기사나 분석 및 해설 기사보다

는 단신 기사 속에서 키울 만한 아이템을 잡는다. 또한 지방신문의 기사나 해외 신문의 한

국 관련 기사가 많은 도움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 <추적 60분>팀이 구독하는 지방신문

이나 해외 신문은 없는데 이에 대한 논의가 계속 진행 중에 있다.

<동아 건설 매립지 특혜설 진상>은 한 시사 월간지에서 아이템을 처음 접했다. 이 시사

월간지에 의하면 동아 건설 매립지는 원래 농경지 사용을 목적으로 정부에서 동아 건설의

매립 사업을 허가한 간척 토지이다. 약 4 백만 평인 이 토지가 그러나 그 후 농수로 건설

등의 문제로 약 5 년동안 방치되어 왔다. 동아 건설은 최근 이 토지를 산업용 토지로 변경

을 요구하고 나섰으나 농림수산부와 한국 농지 변경 조합, 인천 구청 등의 이해 관계가 서

로 얽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프로듀서는 각 해당 관청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재벌의 특

혜 의혹을 밝히는 데 취재의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아이템 선정 단계에서 문제되는 것 중의 하나가 과연 어떠한 주제를 택할 것인가라는 것

이다. 프로듀서들 역시 근래 들어 추적 60 분의 아이템이 대부분 연성이라는 내외의 비판을

감지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인권이나 정치권, 기업 등에 관련된 아이템들은 사실상 취재

를 위한 접근이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주제를 제외하다 보니 프로그램은 연성으

로 흐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접근이 어려운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프로듀서들

은 스스로 이렇게 말한다.

“권력과 관계된 모든 아이템들에 대한 접근은 여러 가지 위협을 감수해야 하므

로 대부분 힘들어하죠. 또 경제와 같은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한 경우

가 많습니다. (프로듀서H).”

Page 44: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추적 60 분>이 정책적인 부분을 주요 아이템으로 선정해서 정책 개선과 제도 변화에 영

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프로듀서들은 시청률을 의식해서 아이템을 전

략적으로 선정하는 경우도 있음을 시인한다.

<섹스와 종교, 문화에 관련된 아이템은 시청자들이 경성 주제를 대할 때보다는

편안하게 볼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낫죠, 시청자에 대한 서비스 차원이라고 해

야 맞을까요. 그러나 이러한 아이템을 택하는 것 자체가 선정성과 연결된다고는 생

각지 않습니다. 문제는 아이템을 풀어 가는 방식이죠(프로듀서C).”

몇 주전 불방된 아이템 중 전대통령의 비자금과 관련된 <사과 상자>건은 아이템의 선정

과 취재에 있어 권력에의 접근이 매우 어려운 것임을 시사하는 한 예가 된다. 이 아이템이

불방된 가장 큰 이유는 아이템을 폐기하라는 외압과 함께 팀 내부의 의견 내분이 결정적 요

인이었다고 한다. 이 사건으로 <추적 60 분>팀의 인사이동이 서둘러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지금은 CP 의 역할인 차장 자리가 공석인 상태이다. 공영방송이 아직 경영진과 외부(?)영향

에선 완전히 자유롭지는 못함을 보여주는 이 사건은 <추적 60 분>이 연성으로 흐를 수밖에

없는 구체적인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프로듀서와 구성 작가의 업무 분담

프로그램 전과정에 걸쳐서 투입되는 제작진은 다양하지만 프로그램 제작의 구체적인 첫

단계는 프로듀서와 구성 작가가 팀웍을 이루는 일이다. 프로듀서의 업무 주기는 약 4 주이

고 구성 작가의 업무 주기는 2 주이기 때문에 주로 아이템을 선정한 프로듀서가 자신과 함

께 일하게 될 구성 작가와 아이템에 대해 토론을 한다. 구성 작가의 업무와 프로듀서의 업

무는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다. 다만 프로듀서가 전 과정을 이끌어 가는 주도적인 역

할을 한다면 작가는 보조를 맞추어 내부에서 전화로 할 수 있는 사전 취재와 섭외, 프리뷰

작업(취재 내용을 담은 베타 테이프를 원고에 그대로 받아 적은 것)을 주로 한다.

“구성 작가와 프로듀서와의 관계는 업무에 관한 한 비교적 협조적이에요. 각 방

송사마다 차이는 있는데 다른 방송사들은 작가에 대한 의존도가 심하다고 하더군요.

우리는 비교적 생산적인 공조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셈입니다. (구성 작가 A)”

Page 45: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솔직히 구성 작가에게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는 것은 프리뷰작업 정도밖에 없어요

.(프로듀서D)”

“다른 방송사 같으면 따로 프리뷰기사를 둘 텐데 여긴 그렇지 않아 구성 작가의

업무가 과중합니다. 프로그램의 특성상 인터뷰 대상자의 아주 작은 멘트에서 핵심

적인 내용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일일이 받아 적어야 합니다. 프리뷰작업

때문에 구성 작가가 제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것일 수 있죠(구성 작가 B).”

“PD 와 구성 작가는 업무 주기가 다르기 때문에 아이템은 대부분 PD들이 생각해

내요. 시간적인 여유가 구성 작가보다는 좀더 많으니까요.(구성작가C)”

실제로 프로그램에 대한 가장 최종적인 책임은 직접 제작에 임하는 프로듀서 자신에게

있다. 따라서 <추적 60 분>의 경우 프로듀서가 주도적인 위치에서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프로듀서가 정식 직원인 반면 구성 작가는 대부분이 프리랜서이

므로 업무에 관한 서로간의 입장차이가 발생할 경우 합의점을 찾지 못해 상당한 내부적 갈

등을 겪기도 한다는 것이다.

2) 사전 취재 및 섭외 단계

일반적으로 한 아이템을 다룰 경우 취재의 전과정이 일주일 단위로 정확하게 나누어져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사전 취재 및 섭외 단계는 아이템 선정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병행

할 수도 있으며 취재 활동인 본격적인 섭외의 물밑 작업으로서 행할 수도 있다. <가짜 브랜

드>건은 남대문 시장 등의 의류 상가와 검찰 관계자를 중심으로 이 아이템이 과연 프로그램

화 될 수 있는 것인지를 점검하게 된다. 방송의 프로그램화라는 것은 신문의 기사와 달리

영상을 필요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프로듀서들은 화면 (이하 <그림>)을 머릿속

에서 구상하기 시작한다.

<동아매립지>건을 담당한 PD 는 사전 취재 과정에서 농림수산부와 동아 건설, 그리고 한

국 농지 개량 조합 및 건설 교통부, 인천 시청 등의 의견을 전화를 통해 계속 확인했다. 아

이템을 선정할 당시에는 동아 건설이 매립지 이용도 변경을 둘러싸고 재벌의 특혜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있었으나 취재 과정에서 오히려 동아 건설의 입장을 수용하게 되

Page 46: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는 난처한 상황에 빠졌다. 이 토지는 산업용으로 변경될 경우 약 20 조원 가량의 수익을 올

릴 수 있는데 정부가 이제와 중단된 농수로 확장 공사를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동아 건

설 측에 지우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이 단계에서는 PD 는 어떠한 논의 전개

방식을 통해 결론을 이끌어 낼 것인가라는 가장 중요한 문제에 봉착했다. 구체적으로 담당

PD와 구성 작가가 의견을 교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동아 건설 측에 대해 어떠한 입장을 취해야 할 것인가 과연 기업의 손을 들

어줄 것인가.

(2) 시청자가 이 프로에서 어떠한 묘미를 느낄 것인가.

(3) 휴가 시기라는 특수에 과연 적합한 아이템인가.

(4) 논의의 범위를 어디까지 확대시킬 수 있는가.

(1)의 경우 처음의 아이템 선정 의도와 달리 오히려 기업의 페이스에 휘말릴지도 모른다

는 기로에서 가장 심각하게 고려되는 부분이다. 일단 여기에서 작가와 PD는 <노는 땅을 방

치해서는 안된다>는 논의의 출발점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2)는 이 프로가 시청자들에게

줄 수 있는 효과 내지 영향력에 대한 고려이다. 시사 고발 프로그램 하면 폭로 위주의 <사

건>을 먼저 연상하게 되지만 이러한 아이템의 경우 차분한 논리 전개에 의해서만 문제의 해

결이 가능하다. 이러한 내용을 과연 시청자들이 얼만큼 수용 할 수 있는가가 문제가 된다.

(3)은 아이템의 시기성에 관한 내용이다. 여름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방송 3 사의 프로가

귀신일 색인만큼 <추적 60 분>도 납량 특집을 꾸몄으면 좋겠다는 농담 섞인 내부의 의견은

차치하고서라도 휴가를 가볍게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는 톤이 너무 무거운 소재이기

도 하다. 그러나 PD 는 <거대한 녹색 농경지는 스케일이 크기 때문에 가능하다(여의도 6 배

의 땅)>라는 나름대로의 이유를 갖고 있었다. (4)는 결론의 범위를 결정짓는 가장 큰 문제

이다. 여기에 대해서 PD 도 아직은 어떠한 결정을 내리지 못한 상황이므로 취재 상황의 추

이에 따라 논지 전개 과정이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3) 취재 활동 단계

아이템 선정과 사전 취재가 프로듀서의 머릿속에서 사건의 구도를 파악하는 한편 화면을

나름대로 구성해 보는 단계였다면 본격적인 취재 활동 단계는 이를 바탕으로 실물을 구해

Page 47: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오는 것, 즉 카메라를 대동해 화면으로 내보낼 그림들을 찍어 오는 과정이다. 그러나 이는

단지 객관적 사실을 확인해 오는 단순한 절차의 차원으로 보아서는 안될 가장 중요한 단계

이다. 이 기간동안 얼만큼의 취재가 가능한가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프로그램의 질이 결정되

기 때문에 프로듀서들은 가능한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원하는 화면에 담아 내기 위해 노력

한다. 기간은 약 일주일 반 정도가 걸리며 이 기간동안 대부분 20 개 이상의 베타 테이프

(ENG와 8mm카메라의 테이프)를 찍는다.

7 월 24 일(화) <가짜 유명 브랜드>건을 취재하는 담당 PD 는 구성 작가와 함께 검찰에

취재를 나가 압류된 가짜 의류 중 표본을 가져왔다. 이 사건을 조사중인 검찰 관계자를 인

터뷰하고 압류 창고를 촬영하는 과정에서 PD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입수했다. 구성 작가

와 함께 외부 취재를 나가는 일은 적지만 PD가 유명 브랜드를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구성

작가가 취재 활동 초기에 검찰과 매장 등을 함께 동행하기로 했다. 촬영 콘티를 미리 구성

해서 본격적인 취재를 시작하는 프로듀서도 있지만 이를 생략한 채 취재를 대략적으로 끝내

고 프로그램화면 콘티만을 구성하는 프로듀서도 있다고 한다. 이 담당 PD 의 경우 기획안은

철저하나 구체적인 촬영 콘티는 머릿속에 짜여져 있기 때문에 당일 취재 일정은 자신밖에

알 수 없는 상황이었다.

7월 25일(수) 오전 10 시 30 분, KBS신관 앞에 마련된 임시 의류 매장에 여러 가지 외

국 의류 브랜드를 촬영하고 가판 주인에게 유통 경로에 대해 물어 보았다. 홍콩에서 직수입

했다는 옷과 이태리 브랜드, 미국 유명 브랜드 의류가 많았지만 가짜가 섞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잠시 후 외국 브랜드 할인 매장이 밀집해 있는 문정동으로 출발했다. 이 날 역시

구성 작가가 동행했다. 상설할인매장은 진짜 의류를 팔고 있었지만 길거리의 가판대나 여러

상표를 모아 놓은 종합 할인 매장의 옷은 대부분 가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짜와 진짜

의 구별은 얼핏보아서는 매우 어렵지만 옷을 포장한 비닐이나 급조의 흔적이 남는 여러 가

지 부실한 부분을 보고 판별할 수 있다고 한다. 오후에 남대문 시장과 강남 일대의 의류 상

점 및 거리를 스케치할 계획이었으나 갑자기 비가 오는 바람에 남대문 시장 촬영이 취소되

었다.

7월 26일(목) 백화점과 남대문 시장의 유명 브랜드 의류 불법 유통을 촬영하는 날이다.

오늘부터 8mm 카메라가 돌기로 했다. 며칠 전 다른 방송 프로에서 <과소비>를 주제로 백화

Page 48: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점의 값비싼 수입 코너를 치는 바람에 백화점 취재가 어려워져 8mm 카메라를 쓰기로 한 것

이다. 오후 2 시경. 카메라가 손님을 가장한 바람잡이를 앞세워 잠실 한화 백화점의 외제

수입코너를 돌며 유명 브랜드 의류의 가격을 촬영했다. 이 시간에 ENG 카메라와 함께 동행

한 프로듀서는 홍콩 브랜드인 보시니 매장에서 취재를 하기 위해 매장 직원과 한동안 실랑

이를 벌였다. 어떻든 홍보가 아닌 목적의 취재인 것은 분명하므로 대부분의 취재원은 촬영

이나 인터뷰를 매우 꺼린다. 취재원이 배타적이고 비우호적인 것은 프로듀서들을 가장 곤혹

스럽게 하는 것 중의 하나이다. 더구나 인권침해 시비로 ENG 카메라의 사용이 더욱 어려워

져 취재 여건이 상당히 악화되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제작 기술사의 어려움 외에도 현장에서는 ENG카메라의 사용이 훨씬 어려워졌습

니다. 따라서 고발 프로는 더욱 논증적이고 실증적이며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합니

다(부장).”

이러한 어려움이 존재하다 보니 자연 취재 대상을 어려움이 덜할 정도로 가려서 택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을 듯 하다. 그러나 거리 스케치나 인터뷰에서 만나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은 대부분 카메라를 의식해서인지 약간의 호감마저 보이기도 했다.

갤러리아 명품관과 압구정동 거리 스케치를 끝내고 오후 9시경 남대문에 도착했다. 이곳

의 유명 브랜드 의류 대부분이 가짜이고 이 가판을 뒤에서 조정하는 좀더 큰 세력들이 유통

을 책임지고 있다는 검찰의 제보를 확인하고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를 파악하기 위해 8mm카

메라와 프로듀서가 먼저 남대문 시장 안을 답사했다. 요즘 남대문 시장 경기가 나빠 오전

8~9시 개시해 밤 그 시각에 폐시한다는 얘기가 있었다. 검찰의 제보이긴 했으나 정확한 시

장 상황을 알지 못해 무작정 취재를 감행한 경우였으며 덕분에 남대문시장변 도로에서 밤늦

게까지 기다려야 했다. 그러나 운 나쁘게도 취재 대기 중 남대문 일대의 음주자들과 사소한

시비에 휘말려 취재진을 모두 철수하는 불상사가 발생했다. 잠복근무의 비효율적인 단면을

엿볼수 있는 일이기도 했지만 더욱 큰 문제는 이러한 류의 예기치 못한 돌발사건이 다반사

라는 것이고 상당한 정도의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는 반면 이렇듯 비효율적인 취재 관행으로

인해 기대한 만큼의 취재를 하기는 어렵다는 난점이다.

7 월 27 일(금) 오전 11 시 10 분경, 우천관계로 오늘 취재는 상당한 난항을 격을 것을

예상하면서도 일단은 의정부의 공장으로 향했다. 이곳은 가짜 상표를 붙여 파는 소규모 하

Page 49: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청 업체로 평소 프로듀서와 알고 지내던 한 제보자의 제보로 찾아낸 장소이다. 의정부시만

해도 이와 같은 불법 의류 업체가 약 2 백 50 여개가 있으며 창신동이나 월계동, 면목동 일

대도 비슷한 업체가 부지기수란다. 그러나 이곳에서도 역시 촬영을 하기 위해 공장반장을

설득하는데 애를 먹었다. 겨우 설득을 하고 ENG 로 공장 내부를 촬영했으며 업체의 부장이

라는 자와 의류 유통 구조에 대해 인터뷰를 했으나 내용이 시원찮았다. 28 일 제보자의 지

인 중 비슷한 종류의 의류 업체를 운영하는 사람을 인터뷰하기로 했다.

대개 제보자를 활용하는 방법에 있어 프로듀서 각자 취재 방식의 차이점이 나타난다. 취

재의 처음부터 끝까지 제보자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있고 제보자를 적당히 활용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혹자는 제보자로부터의 처음 정보를 제외하고는 모든 정보를 혼자서 캐내려는

경우가 있다.

“제보자를 활용하는 문제는 아이템에 대한 프로듀서의 자신감과 밀접하게 연결

돼 있는 것 같아요. (스텝 A)”

제보자와 PD간의 관계는 사실 애매 모호하다. 제보자는 확실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적 자

원이란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취재 루트가 된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는 관계가 아

니라면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보자도 대부분 나름대로의 이해관계가 있기 때문에

방송사에 제보를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불순한 의도의 제보자를 신중히 판별해 내야만 한

다. 그러나 아무래도 제보자에게 많은 것을 의존하는 경향은 프로듀서들의 제한된 취재 루

트에 있다. 일단 기자들처럼 잘 알고 있는 기자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취재처와의 공

생 관계로부터는 자유로울 수가 있다. 그러나 이것은 또 반대로 프로듀서들의 취재를 가장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취재를 강행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사람을 연결해 취재해야 합니다.

만약 의도치 않은 결과로 인해 아는 사람이 피해를 입게 될 경우 누구든지 마음이

편치 않을 것 아닙니까(프로듀서A)”

이러한 취재 관행은 프로듀서 개인의 사생활 영역과 공적 영역을 무너뜨리는 것으로 상

당한 정도의 부담과 내적 갈등을 가져오는 게 사실이다.

Page 50: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7 월 28 일(토) 오늘 <가짜 브랜드>취재는 진전된 사항이 별로 없다. 오전에 신촌의 의

류 업체가 몰려 있는 상가를 중심으로 스케치하고 오후에 남대문 시장의 유통 과정을 추적

하려 했으나 어제에 이어 오늘도 기상 사정이 너무 좋지 않다. 오후 2~3시경 남대문에 도

착하자마자 비가 내려 시장 가판 현장과 유통 상황을 카메라로 포착하는 데는 여전히 실패

했다. 몇 시간 동안 비가 그치기를 기다리는 사이 프로듀서와 8mm 카메라가 동행하여 신세

계 백화점의 수입 의류 코너를 어제와 같은 방식으로 취재했다.

저녁 때 여의도로 돌아와 베타 테이프를 점검하고 가짜 유통 업체 사장과 전화 인터뷰를

시도했으나 녹음 상태가 매우 불량하여 할 수 없이 내일 문정동에서 만나 직접 인터뷰를 하

기로 했다.

방송사의 지원 체계에 대해

토요일은 밤 7~8시까지 녹화가 있는 날이라 비교적 사람들이 많이 남아 있다. 오전 중

오늘 녹화를 하게 될 담당 PD 2 명과 연출, 그리고 부장이 계속적인 사전 논의를 하는 모습

이 보이기도 했다. 사실 아이템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녹화에 이르기까지 실질적인 논의의

중심 역할은 CP 가 맡는게 원칙이지만 지금은 공석인 상태이기 때문에 부장과 PD 의 직접적

인 의견 교환이 더욱 많아지고 있다. PD 들의 상황보고 중에서 가장어려움을 호소하는 부분

은 취재원이 대부분 비우호적이라 접근이 상당히 어렵다는 점이다. 물론 관공서나 정부를

대상으로 취재할 때는 조직의 공신력에 힘입어 다른 방송사들보다 좀더 수월하게 접근할 수

있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이를 조직이 담당PD를 위해서 수행하는 구체적인 지원 행위로는

볼 수 없다. 예를 들어 PD 개인과 가족에게 신변의 위협이 있다 하더라도 회사에서 구체적

으로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는 취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 일례

로 최근에 열린 제 108 차 공정 방송위원회에서는 시사 고발 프로의 한계를 지적하며 사과

상자 건으로 취재 당시 담당 PD 가 법적인 문제로 시달리는 경우가 있었는데 회사 차원에서

제작진을 최대한 보호해야 고발 프로를 제대로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

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는 시사 고발 프로가 지지부진한 이유중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제일 절실한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시간과 인력 부족이라는 점이다. 현재 추적 60 분의 제작

진은 부장과 프로듀서 8명 AD 한 명, 구성 작가 5명이며 차장은 공석으로 남아 있다. 이러

한 인력으로 평균 제작 기간이 4주라는 것은 제작진에게 상당한 시간적 부담을 안겨 준다.

“납품 기간 내에 상품을 납품하는 기분이랄 까요, 웬만해선 부족한 인력 만큼이

Page 51: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나 시간이 부족한 것도 좋은 프로를 만드는데 결정적인 장애물이 될 수 밖에요(프

로듀서H).”

최근에 발행된 KBS 노보에 따르면(7 월 25 일자) 노조와 사측이 시사 고발 프로를 강화하

는 차원에서 <추적60분>팀에 조만간 인력을 집중적으로 보강하는 한편 소재 빈곤을 극복하

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것을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가 단기간에 해결

될 수 없는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전근대적 취재 방식의 비효율성에 있다. 1회분의 프로그

램을 제작하기 위해 KBS 가 투입하는 비용은 약 1 천만 원 선. 연사 출연료와 작가 원고료,

제작진행비, 지급 수수료 등에 비용 항목이다. 이중 프로듀서의 취재비에 해당하는 제작 진

행비는 약 60 ~ 70만원 정도이다. PD 들은 대부분 적자라고 불평하지만 회사측에서는 현재

의 자원과 인력 배분이 비교적 적정 수준에 있다며 오히려 이번 달을 제작비 질서의 달로

정하기로 했다. 사무실 내에 비치된 386컴퓨터와 노트북, 취재 활동에 들어간 담당 PD 2명

에게만 지급되는 핸드폰 2 개가 정보교환을 위해 주어진 유일한 도구임을 볼 때 물적 장비

또한 매우 열악한 수준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렇듯 열악한 여러 가지 외적 조건 외에도 시사 고발 프로그램 전문가로서의 PD의 전문

성은 또 다른 원형적 한계를 결정짓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프로듀서라는 직업의 특성상 갖

추어야 할 전문성은 특정 분야에 대한 깊은 지식이라기보다는 사회의 다방면에 걸친 폭넓은

차원의 지식을 더욱 요구한다. 그러나 PD 들 스스로 느끼는 문제점 중 하나가 심층 보도를

위해서 필요한 지식의 양이 이미 알고 있는 상식적인 차원보다는 더욱 넓고 깊다는 것이다.

“회계 보고서를 읽을 줄 모르거나 주식에 대해 아는 바가 부족하면 그 쪽 아이

템은 자연히 선정 대상에서 제외될 수밖에 없어요. 경제 분야의 비리나 부정 부패

를 더욱 심층적으로 취재하고 싶어도 알지를 못하면 취재는 불가능하죠(프로듀서

H)”

“실제로 PD 를 재교육시키는 특별한 프로그램은 없어요. 단지 업무에 쫓기면서

시간을 내 컴퓨터나 영어를 배우고 특이한 경우 풍물 등 취미 생활을 하는 경우는

있습니다. 회사의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도 그다지 활성화되어 있지는 않은

듯 해요.(구성 작가 B)”

“아이템을 선정할 때 전문성의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느끼기는 합니다. 그러

Page 52: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나 진실을 확인해 가는 과정 속에서 프로그램이 탄생하는 것이며 거기서 전문성도

보강되는 것이 아닙니까(부장).”

프로듀서에게 가장 요구되는 자질은 저널리스트적 능력 외에 아티스트적 자질, 그리고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구성력이다. 그러나 추적 60 분이라는 시사 고발 프로 팀에서 이러한

자질을 키우기에는 아직 제약적인 여건이 너무 많다. 대부분 프로그램 개편과 인력 요청 및

지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소규모 인사 이동 중 이 팀에 직접 지원하는 예는 흔치 않다고

한다. TV1 국내에서도 <추적 60분>은 3D라 해서 기피 대상 1호로 낙인찍힌 지 오래이기 때

문이다.

7월 28일(일) 여의도에서 스텝진과 PD가 만나기로 약속이 되어 있었다. 오늘은 문정동

의 사장 인터뷰와 남대문 시장의 유통 경로를 그림에 담을 예정이다. 최대한 신변을 보호해

줄 것을 부탁하며 인터뷰에 응한 사장은 30 대 초반의 평범한 주부였다. 올림픽 공원으로

차를 몰아 한적한 벤치에서 인터뷰 촬영에 들어갔다. <장사를 어떠한 방식으로 하는가, 유

통 경로는 어떠한가, 계속할 생각인가>라는 등의 질문에 그녀는 비교적 만족할 만한 답변을

했다. 불법 의류 시장은 점조직 형태이며 유통 과정의 중간도 매상 뒤에는 더 큰 조직이 있

다는 것, 그리고 수익은 매우 높다는 설명이었다. 인터뷰가 끝난 후 솔리드의 공연을 보기

위해 공원을 찾은 10대 청소년들에게 유명 브랜드에 대한 의식을 물어 보았다. 약 4 ~ 5명

정도의 학생들이 요즘 청소년들의 유명 브랜드 선호 심리를 그대로 털어놓았다. 남대문 시

장에 가기 전 문정동에 다시 들려 거리를 스케치했다. ENG 카메라를 매장에 들이대자 대부

분의 상인들은 아연실색했지만 한 매장에서는 이러한 불법 의류 유통의 실태가 공공연한 사

실임을 시인한 종업원을 인터뷰하기도 했다.

오후 비가 약간 내리는 가운데 남대문 시장의 가판 대와 수입 의류 코너를 사전 답사한

후 ENG 를 촬영하기로 했다. 그러나 여기서도 문정동과 같이 대부분의 상인들이 매우 심한

거부 반응을 보였다. 이렇게 소란한 틈을 타서 8mm 카메라가 촬영을 시도했으나 ENG 카메라

는 결국 촬영에 실패하고 철수하였다.

똑같은 장소를 똑같은 내용을 취재하기 위해 몇 번을 찾아가는 취재 과정은 기동력이 방

송의 생명이라고 믿는 일반시청자들로서는 납득할 수 없는 취재 방식일 수도 있다. 이 번

취재의 이같은 비효율성은 비단 여름 장마 비라는 표면적인 이유에서 비롯된 것만은 아닐

듯 싶다. 그 이면에는 제한된 루트를 통해 취재하는 원시적 취재 방식과 지원 체제의 비능

Page 53: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률성이라는 또 다른 이유가 존재한다.

스텝 지원 체계의 문제점

“오늘이 이렇게 굴러가는지 몰랐지. 항상 이런 식이에요.(카메라맨B)”

외부 취재에 지원되는 인력은 약 4 ~ 5명. ENG카메라와 오디오 담당, 조명 담당, 8카메

라맨, 원전기사가 그들이다. 외부 스텝진은 그날의 취재 상황에 관해 거의 알지 못한다. 단

지 취재 장소로 향하는 차안에서 프로듀서가 스텝들에게 예정된 취재 사항과 카메라 촬영에

대해 지시를 하는 정도이다.

“특히 카메라의 보조는 화면의 질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제작의

주체는 PD이므로 무엇보다 PD의 리더쉽이 중요합니다.(부장)”

실제로 프로듀서와 카메라맨의 호흡이 맞지 않으면 프로그램의 질뿐만 아니라 취재 과정

에서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자와 프로듀서의 다른 점은 PD 가 보다 전

문적으로 촬영 현장을 연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추적 60분> 같이 기동력이 요구되

는 취재 현장을 일일이 프로듀서가 체크할 수는 없으므로 의도에 빗나가는 그림이 많이 찍

힌다. 또한 보도국처럼 전담 카메라 팀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그때 그때의 상황에 따라

다른 지원 팀이 배치되므로 추적60분의 화면에 맡는 그림을 찍을 전문성은 기르기 어렵다.

<추적 60 분>이 지원을 받는 영상제작국도 최근 조직을 개편해 스튜디오 카메라와 ENG 카메

라 부서가 한 부서로 합쳐져 카메라별 전문성이 문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영상제작국

에 비치된 카메라로는 부족해 매일 7 ~ 8대의 외부 카메라를 빌려쓰고 있는 것도 전문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솔직히 누가 <추적 60 분> 같은 3D 에 지원하겠어요. 일정표에 따라 배치되니까

그냥 나오는 거지(카메라맨 C).”

전담 카메라 팀제의 도입에 대해서도 스텝을 포함한 제작진의 대부분이 회의적인 견해를

갖고 있었다. 일단은 거기까지 회사의 지원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이고 전담

팀을 자발적으로 지원할 만한 사람은 없다는 것이다. 이렇듯 <추적 60 분>이 프로듀서들 사

Page 54: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이에서 뿐만이 아니라 스텝들 사이에서도 비인기 프로로 낙인찍힌 구체적인 이유는 다른 교

양프로보다 육체노동적인 요소가 많기 때문이다. 즉 취재 일정이 매우 불규칙한데다가 취재

원이 비우호적이기 때문에 신체적인 위협을 감수해야만 한다.

“카메라를 들이댔는데 돌발 상황이 발생했지. 각목이나 쇠파이프를 가지고 휘둘

러 대는 데 정신을 차려 보니 PD고 뭐고 다 도망가고 나 혼자야.(카메라맨 B)”

게다가 몰래 카메라를 많이 사용하는 터에 ENG와 8mm담당, PD간에 보이지 않는

심리적 갈등이 조성될 수 있다는 점도 기피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게 관

계자들의 설명이다.

7월 29일(월), 7월 30일(화) 스텝 중 일부분이 교체된 가운데 오전 10시경 수원과 신

갈 등지의 불법 의류 공장을 취재했다. 밤에는 8mm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대문의 가짜 브랜

드의 유통 현장을 포착하기로 했다. 몰래 카메라는 PD와 동행하기보다는 PD의 지시를 받고

혼자 취재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 가장 우발적이고 위험스런 부분의 취재를 맡고 있

다. 이날도 한 밤 중 동대문 노점상들이 차로 실어 온 옷 꾸러미를 진열하는 모습 등을 8mm

카메라 담당이 혼자서 취재를 했다. 다음날 취재진은 가짜 브랜드의 지방 시장 침투를 취재

하기 위해 청주로 갔다. 여기에서는 경찰의 도움을 받아 압류 현장을 포착할 수 있었다. 처

음 이 프로가 방영될 때 만해도 현장 급습이 통했지만 요즘의 사회 분위기는 이를 용납하지

않아 곧잘 인권침해 시비가 일어난다. 이러한 일을 피하기 위해 대부분 검찰이나 경찰의 도

움을 얻어 압수 수색 영장을 들고 취재를 한다. 그러나 대부분 검찰이나 경찰의 도움이 자

발적이진 않다. 일단 협조를 요청하니까 수사 기관에서 마지못해 도와주는 식이라는 것이다.

청주에서는 불법 의류 하청 업체와 가짜 브랜드를 팔고 있는 매장을 급습했고 이 과정에 매

장 사람들의 인터뷰를 그림에 담았다.

7월 31일(수) 취재의 진척 상황에 대해 오전 중 부장과 간단한 논의를 했으며 구성 작

가와는 계속적인 섭외와 프리뷰작업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취재의 후반기에 다다랐으므로

헤드라인에 대한 얘기도 도마 위에 올려진다. 오늘부터 예고 작업이 시작되는데 이는 AD의

업무이다.

취재의 막바지에 이르러 찾아간 곳은 이화 여대 의류 심리전공인 김모교수. 유명 브랜드

를 선호하는 현대인의 심리에 대한 지극히 상투적인 인터뷰를 했다. 사회 고발 프로의 문제

Page 55: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점 중 하나로 지적되는 것이 전문가의 인터뷰를 빈번하게 사용한다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

러한 취재 방식은 어쩔 수 없는 관행으로 굳어 가고 있는 듯 싶다.

“전문가 인터뷰는 구색 맞추기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해서

는 어쩔 수 없습니다(프로듀서 A).”

“방송은 논설적 기능보다 해설적 기능이 더욱 부각되는 일면이 있죠. 결론을 직

접적으로 PD 가 전하는 것보다는 전문가의 의견을 빌리는 형식을 취하는 것이 프로

그램의 완성도를 더욱 높이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부장).”

“전문가의 입을 빌린다는 것 이외에는 의미가 없는 경우도 있지요. 하지만 시청

자들이 보기에는 훨씬 자연스러워 보이지 않겠습니까(프로듀서D).”

제작진들 사이에서는 전문가를 배제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적 대안은 아직 없는 듯하다.

오히려 이러한 문제를 생각보다 중요하지 않게 여기는 제작진의 관행은 앞으로 좀더 탄탄하

고 의미 있는 구성을 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장애물도 여겨진다.

오후에는 마지막 취재 장소인 삼성동의 특허청에 들렀다. 그러나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위조상품을 조사하는 조사과의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사실만 확인했을 뿐 조사 과장의

인터뷰도 상당히 관변적인 내용으로 흘러 그림에 담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4) 편집, 더빙 및 녹화 단계

편 집

대부분 약 1 주에서 1 주 반 정도의 취재 기간을 거친 후 편집에 들어간다. 그러나 취재

가 한꺼번에 마무리되지는 않으므로 급박한 상황에서는 편집 도중 취재를 다시 해야 하는

일이 생긴다. 1 차 편집이 시작된 1 일(목) 갑자기 불법 의류 공장에 대한 또 다른 제보가

들어와 아이템 선정 작업에 있던 다른 프로듀서와 몰래 카메라가 지원 취재를 나갔다.

편집은 크게 1 차 편집과 제작 편집 두 단계로 나누어진다. 신문의 1 면을 톱기사로 장식

하는 것처럼 편집에서도 시청자의 시선을 끌기 위한 방법으로 두괄식 구성을 주고 사용한다.

즉 테이프의 앞부분에 강한 그림과 멘트를 넣거나 편집 과정에서 눈을 끌 만한 요소를 삽입

Page 56: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하기도 한다. 이 밖에 시청자들이 빨려 들어갈 수 있는 추리식, 의문식 구성이 중요시되는

데 이는 원고를 쓰는 구성 작가들의 역량에 달려 있다.

1 차 편집은 주로 편집실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으로 이제까지 촬영한 몇 십개의 테이프를

18분 정도의 베타 테이프 하나로 축소한다. 대개 1분 화면을 만들기 위해 걸리는 시간은 1

시간이 넘어 밤을 새워 가며 편집을 해도 2 ~ 3일이 지나야 일을 겨우 마칠 수 있다. 프리

뷰 작업을 구성 작가가 했으므로 대부분 구성 작가가 옆에서 보조를 하며 8mm 카메라 담당

이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 화면을 짜집기하는 이 작업은 굳이 프로듀서의 손을 거치지 않아

도 될 단순한 업무이기 때문에 외국의 경우 편집기사가 따로 있어 이 일을 분담해 처리한다.

그러나 편집기사가 따로 없기 때문에 PD 가 직접 일을 하는데 업무 부담이 매우 높아 취재

말기의 가장 심각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듯 싶다. 여기에서 부분적으로 모자이크

화면 처리가 되기도 한다.

제작 편집은 2 일(금)오후 5 시경부터 시작됐다. 제작 편집은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

기 위한 마무리 작업으로 편집의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필요한 자막

을 처리하고 도표를 삽입하며 모자이크 처리를 완성한다. 필요에 따라 흐리기를 하기도 한

다. 취재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면 흐리기나 모자이크 처리 및 음성 변조와 같은

기법들은 대부분 프로듀서의 주관적인 판단과 직접적인 취재원의 요청에 위해 이루어진다.

“초상권 보호를 위한 편집은 대개 취재원의 직접적인 요구와 PD 의 주관적인 판

단에 의해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인물이나 사물에 한해서 합니다. 그러다

보니 PD 의 주관적인 판단과는 별도로 의견이 다른 대상자가 시비를 걸 수 있지요(

프로듀서 D).”

“무작정 보호 처리를 할 수도 없지요. 일반시청자가 보기에는 그래야 한다고 생

각되는 부분도 실제로는 그럴 필요가 없는 게 많아요(프로듀서 C).”

“0.5초의 편집상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부분도 분명 있습니다(프로듀서E).”

결국 화면 보호 처리를 둘러싼 인권침해 시비는 기술적인 문제에서도 발생하지만 프로듀

서의 주관적인 판단과 취재원의 기대가 엇갈리는 상황에서 보다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프로듀서가 제작 편집을 할 동안 구성 작가는 다음날 녹화에 쓰일 원고를 완성시키는데

Page 57: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이 역시 밤샘 작업을 해야 하는 작업이다. 대개 구성 작가는 프로듀서가 완성한 1 차 테이

프를 바탕으로 원고를 완성한다.

이 밖에 실제 상황을 재연하는 방법이 가끔 시도되기도 하는데 이 때 연출은 담당 PD 가

맡는다. 그러나 재연은 드라마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시청자로 하여금 실제와 허구 상황을

혼동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않은 기법이다.

더빙 및 녹화

8월 3일(토) 제작 편집까지 마쳐 완성된 테이프를 헬리칼 테이프이라고 한다. 녹화 전

헬리칼 테이프의 최종 완성은 더빙실에서 하는데 여기서 음성 변조가 이루어진다. 음성 변

조의 정도는 제작 편집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로듀서의 임의성이 상당히 개입하며 이와 함께

더빙 작업자의 기술적인 부분이 고려된다.

녹화까지 불과 몇 시간 전. 더빙 작업까지 모두 끝낸 프로듀서는 완성된 원고를 검토하

고 원고 읽기를 연습한다. 이 프로의 진행을 맡고 있는 시사평론가의 일은 실제로 프로그램

진행 외에 아무것도 없다. 단지 녹화 일 하루 전에 작가나 프로듀서로부터 아이템의 취재

과정과 내용 전개에 대한 대략적인 이야기를 듣고 녹화 당일 원고를 받고 프로그램을 진행

시키는 MC 역할을 하는 것이다. 종전 <추적 60 분>의 진행 방식이 여러 형태로 바뀌었던 것

을 감안할 때 MC 진행의 현 체제에서 진행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별로 높지 않은 것으로 여

겨진다.

오후 5 시경 녹화 작업이 시작됐다. 스튜디오에는 녹화 PD 2 명과 진행자가 대기해 있고

주조정실에서 부장과 연출을 맡은 프로듀서가 녹화 시간동안 스튜디오를 감독한다. 녹화는

대개 2시간에서 2시간 반 정도가 걸리는 데 취재 과정 및 결론에 대한 자신감이 녹화의 끝

시간까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PD 자신의 논의 전개나 결론에 관

한 확신의 정도가 NG의 빈도에 비례함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3. 소 결

약 2주간의 참여 관찰 기간동안 과연 얼만큼 사실에 접근할 수 있었는지는 모르겠다. 마

치 코끼리의 다리를 더듬으며 코끼리가 이렇게 생겼을 것이라고 지레짐작하는 것처럼 내가

Page 58: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보고들은 것은 아주 작은 일부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더구나 동행 취재한 아이템의 성

격 상 시사 고발 프로의 중요한 논쟁 거리가 되어 왔던 선정성 등에 관한 문제를 직접적으

로 짚어 내는데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전반적인 제작 과정 외

에 <추적 60 분> 침의 구체적인 생활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사회 고발 프로가

방송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뒷받침할 만한 실제적인 지원 체

계는 너무도 빈약하다는 것이다. 즉 시간과 인력의 부족이라는 최대의 난제에서 빚어지는

제작진들의 사기 저하, 그리고 비효율적인 전근대적 취재 방식의 고착화가 문제이다. 취재

과정의 이러한 어려움은 시사 고발 프로그램이 빈번히 지탄 받는 사회적 역기능의 원형적

고리가 될 수밖에 없다. 또한 이에 못지 않게 제작진들 스스로의 부단한 자기 쇄신과 전문

성 함양의 노력이 없이는 프로그램의 발전을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다.

케이블 TV 의 확산과 위성방송의 출현은 독점적인 한국방송 시장이 다 변화할 수 있는 가

능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방송시장의 다변화 속에서 나타나는 과도한 시청률 경쟁의 이면에

깔린 상업성은 방송의 엄청남 사회적 영향력을 감안할 때 매우 우려되는 현상이다. 우리나

라의 대표적인 시사 고발 프로인 <추적 60 분>과 <PD 수첩>, <뉴스 따라잡기> 등은 소재와

내용이 엇비슷한 시사 고발 프로그램으로 암묵적인 시청률 경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비쳐지

기도 한다. <추적 60분>팀은 이 프로가 사회 고발 프로의 전범이라는 것을 이유로 자신들의

독자성과 우위성에 대해 상당한 정도의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일반시청자들이 각

방송사의 시사 고발 프로를 별개의 것으로 취급하지는 않음을 제작진들이 간과하고 있을리

는 없다. 다만 공영방송사의 공식적인 조직 목표인 공익성에 대한 책임감은 이들의 개인적

인 직업의식과 연결되어 구체적인 마인드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마인드를 형상

화하는 작업은 상업방송의 범람이라는 외적 환경과 열악한 취재 여건 속에서 상당한 난항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취재 과정에서 발견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조속히 해결되지 않

는 한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여겨진다.

Page 59: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Ⅳ. 독일 사회 고발성 보도 프로그램 2)

1. 서 론

이 글에서는 독일 텔레비전전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

다. 이 글에서는 ‘주제의 중요성’ 및 저널리즘적 전문성의 중요한 전체 조건이 되는 ‘체계

적이고 충분한 조사’의 두 기준을 적용하여 독일의 사회 고발서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잠정

적으로 네 가지 형태로 구분했다. 그 다음으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이 현재 독

일에서 어떻게 편성되어 방영되고 잇는가를 정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이를 위해

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이 ‘몸담고 있는’ 독일 텔레비전전의 현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독일 방송의 체제와 현황을 먼저 간단히 소개하겠다. 독일의 공영방송은 독일의 정

치체제가 연방제라는 데서 기인한 특수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우리 나라에서도

유럽의 방송체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이와 함께 독일의 방송체제와 현황이 어느

정도 알려져 있다고 전제하고, 여기서는 이 글에서 이야기되는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을 이

해하는데 중요한 몇 가지 사항만 간추려 정리했다. 이에 연결해서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

로그램의 네 가지 형태가 방송되는 현황을 정보 프로그램에 한정해서 소개하고, 이 소개를

부분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한다.

이 글에서는 독일 공영의 ‘정치’ 매거진 프로그램을 독일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

램의 전형적인 형태로 규정했다. 독일 텔레비전전 방송의 초기부터 방송되어 온 ‘정치’ 매

거진들은 “정치와 텔레비전전의 관계에 대한 시금석이며, 대중매체가 여론형성에 어떤 역

할을 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Hickethier 1988, p. 91)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독

일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치 매거진이 생겨난 과정과 그

후에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는 “정치’ 매거진의 대표적 예로 ARD 에서 방송되는 <Monitor>을 자세히 소개

한다. (<Monitor>의 5 회분의 주제를 소개하는 난을 만들었다). 이는 이 글에서 제시된 사

항들이 개념의 나열로 끝나지 않고, 독일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가능한 구체

2) 이 글은 독일 지겐 대학 박사 과정의 김영욱씨의 원고를 본원 편집 체계에 의해 약간 수정한 것이

다.

Page 60: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적으로 소개하기 위해서이다.

2.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분류

1)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형태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은 공영방송뿐만 아니라 상업방송 3)에서도 방송한다. 그

러나 흥미롭고도 학자들을 잠시 어리둥절하게 만드는 것은, 적지 않은 독일 시청자들이 상

업방송의 사회 고발성 4)프로그램에도 높은 평가를 해준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상업방송이

사고, 성, 범죄, 분쟁, 개인의 운명 등 흥미를 유발하는 내용을 즐겨 다루면서, “세상에

이럴 수가 있느냐”는 식의 ‘고발적’ 어조를 사용하는 것이 시청자들에게는 사회 고발로 보

이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이런 결과를 놓고 공영의 방송인들은 ‘웃기지도 않은 일’이라

고 통탄을 한다. 하지만 시청자들의 일상생활에서 사고, 범죄, 질병 등이 불안의 요인으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성 또한 인간의 기본적 욕구와 기본적 도덕성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상업방송의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방송사들이 이

런 문제를 다루는 동기와 방식이 어떻든,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 아니다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세분해야 할 필요가 생긴다.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이란 다루는 내용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에 대한 분

류도 외형에 따른 것이기보다는 내용에 따른 것이 더 큰 의미가 있다. 이 글에서는 일반적

으로 프로그램의 질을 말할 때 사용하는 기준을 원용하고자 한다. 프로그램의 질은 규범적

질문을 바탕으로 한다. 즉 ‘이상적’형태의 프로그램을 설정해 놓고, 해당 프로그램이 이

이상형에 얼마나 근접하는 가를 묻는 것이다. 이 방법은 주관성과 임의성이 포함된다는 약

3) 독일의 방송을 크게 공영과 민영으로 구분할 때, 민영은 다시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방송사와 비

영리 방송사로 분류할 수 있다. “열린 채널” 혹은 “시민 방송”이라고 불리는 비영리 민영방송이 차

지하는 비중이 아주 작지만, 이를 다른 상업방송과 분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영리를 목표로 삼고

있는 독일의 민영방송의 특징을 적합하게 나타내는 것이 운영의 주체로 구분하는 “민영”보다는 운

영의 목표로 구분하는 “상업”이라는 점에서 이 글에서는 “상업방송”이라고 표현한다.

4) “사회 고발”에 해당하는 말은 독일에서 “사회의 잘못된 상황을 들추어내는 것”(“Aufdecken

sozialer Misstaende”)이라고 표현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독일어의 이 표현을 “사회 고발”과 같은

의미로 취급했다.

Page 61: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점이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분류가 어디까지나 주관적이고 임의적인 기준을 근거로 한

것이라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주관성과 임의성에 의해 제시된 기

준들이 공동의 동의를 얻을 때에는, 동의를 얻는 만큼 상대적 ‘객관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비교적 자세한 논거가 필요하다. 아래에서는 제한된 지면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이 기준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간단한 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1) 배경과 인과관계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전형적인 형태는 정보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우리는

정보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된 것들을 바탕으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분류를 시도를 해

볼 수 있다. 정보 프로그램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뉴스보도라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뉴스보도와의 비교가 도움을 줄 수가 있다. 뉴스보도의 특징은 시간적

근접성이다. 뉴스 혹은 뉴스 매거진은 새로운 사건에 대한 보도가 중심을 이룬다. 바로 이

점을 우리는 정보 프로그램으로서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이 역시 정보 프로그램

인 뉴스보도 프로그램에 대해 갖는 차별성으로 규정할 수 있다.

정부 등 기관의 발표를 그대로, 혹은 간추려서 신속하게 전달하고 해설해 주는 것은 우

선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주요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사건

이나 행사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관찰한 사항이 주를 이루는 프로그램도 전형적인 사회 고발

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으로 보기 힘들다.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부정적이고 개

선되어야 할 현상을 ‘조직적이고 충분히 관찰하고 조사하여, 누구나 현장에 있으면 관찰할

수 있는 것 이상의 사항들을 분석하고 진단하는 내용’을 주로하는 프로그램으로 규정하는

것이 더 큰 의미가 있다. 이를 단순하게 표현한다면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은 뉴스

가치(아래 참조)에서 지적되는 항목 중 ‘시간적 근접성’ 혹은 ‘신속성’ 대신 ‘배경’ 혹은

‘인과관계’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규정할 수 있다.

이것은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의 하나인 저널리즘의 전문성과 – 사실성, 공평

성, 정확성 혹은 완전성, 이해성(시청자가 방송되는 내용이나 앞뒤 문맥을 이해할 수 있도

록 하는 것) 등과 (Schatz/ Schulz 1992) – 관련이 있는 사항이다. 허보를 방지하고 사실

에 입각한 보도를 위해서는 충분한 조사가 필요하다 (사실성). 확인된 사실만을 보도한다고

해서 전문성이 충족되는 것은 아니다. 사건과 관련된 인과관계에서 빠져서는 안될 내용 중

에서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 있을 때는 이를 충분히 조사하여 제시해야 한다(정확성 및 완전

Page 62: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성). 조사하기 힘든 사항들은 애매한 채로 남겨두거나, 추측으로 대신해 버리거나 또는 상

식적인 지식을 되풀이해서 제시하는 보도들도 자주 볼 수 있다. 조사는 또한 이해성과 관계

가 있다. 충분한 조사를 통해 연관되는 중요한 사항들을 보도지 자신이 충분히 이해했을 때

라야만 시청자가 이해할 수 있은 내용을 제시할 수 있다(이해성). 공평성은 반드시 중립성

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보도의 내용에서 ‘고발을 당한 사람’에게 자신의 입장을 밝힐 수

있는 공정한 기회를 주기 위해서는, 입장 발표를 준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와 공간을 할

애해야 한다. 이것도 넓게는 조사의 한 과정이다. 즉 충분한 조사가 저널리즘의 전문성이

요구하는 모든 요소를 자동적으로 만족시키지 못하지만, 이를 위한 필수적인 전제 조건이

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조사의 정도를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분

류하는 첫째 기준으로 삼겠다.

조사는 크게 세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가장 극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는 감추

어진 사실을 파헤치는 조사이다. 여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 돈이 들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신체적 위협, 범법 행위로 처벌을 받아야 하는 위험도 따른다. 일반적으로 좁은

의미에서의 추적(investigate) 저널리즘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런 조사를 통한 보도를 말한

다.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이미 공개된 사실에 대한 조사이다. 이것은 자체 자료실의

자료나 법률 조항, 경제에 관한 수치일 수도 있고 다른 전문 학술지 혹은 전문 잡지에 발표

된 내용일 수 있다. 전후 독일 언론사나 정치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1962 년의 슈피겔지

가 국가 기밀을 보도했다고 해서 발행인이 체포되고 사옥이 수색을 당함으로 발생했다. 그

러나 ‘국가 기밀’은 이미 발표된 것들을 모은 것이었다.이 사실이 알려지자 검찰은 ‘밝혀

진 사실이지만 이를 모아 놓고 결국 국가 기밀을 누설한 것이다’며 ‘모자이크 이론’이라고

불린 궁색한 논리를 편다. 세번째로는 일반 시민들이 개인적으로 겪은 사실들을 용기를 내

어 카메라 앞에서 진술하도록 설득하는 작업이 있다. 이것은 주로 르포나 다큐멘터리에서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다. 진실성 있는 좋은 정보를 위해서는 해당 언론사나 팀에 대한 신뢰

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독일에서 상업방송 도입후 텔레비전까지 진출한 소위

‘수표책 저널리즘’을 통한 조사가 있다. 이는 거액의 돈을 주어 정보를 사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에는 저널리스트가 정보를 구입해서 재판매하는 중간 상인으로 전락된다. 이러한 수

표책 저널리즘이 불러올 폐해에 대해서는 여기서 자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Page 63: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2) 중요성과 흥미

두 번째 기준은 다루는 내용 혹은 주제의 성격과 관련된 것이다. 뉴스보도 연구의 중요

한 분야로 뉴스 가치(news value) 이론이 있다. 뉴스 가치라는 말은 이미 1922 년 리프만

(Walter Lippmann)이 그의 책 <여론>에서 사용했다. 리프만은 특이성, 연관성, 시간적 제

한성, 단순성, 영향, 유명 인사와의 관련성, 지리적 근접성 등을 뉴스가 될 수 있는 조건으

로 들고, 이 조건들이 충족되면 될수록 해당 현상이 뉴스로 다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

했다. 리프만이 지적한 사항들은 뉴스 가치 이론이라는 이름으로 계속 연구되어, 세분화,

변형 혹은 추가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기준들은 다음과 같이 정

리될 수 있다(Staab, 1990). 시간적 근접성, 지리적 근접성, 유명성 (사건에 연루된 사람들

의 유명도), 특이성(일상적이지 않은, 놀라운 혹은 기이한 사건), 대립성(사건 연루자들간

의 갈등), 중요성(사건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이외에도 학자에 따라서는 긴장성(아

슬아슬하게 전개되는 사건), 감정성(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사건), 텔레비전의 경우 시각성(

좋은 영상자료가 있는 사건) 등을 들고 있다.

맥퀘일(Denis McQuail, 1992)은 대중 매체의 질에 관한 논의를 종합한 결과, 보도 프로

그램에서 가장 강조되는 것이 ‘중요성’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많은 연구들은 사실성, 정확

성, 균형성, 이해성 보다 중요성이라는 측면을 더 많이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위에 제시된

뉴스 가치 항목도 우리는 크게 중요성과 흥미 성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수용자의 삶에

실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이다. 이 측면에 포함될 수 있는 기준은 우선 ‘중요성’이겠다. 지

리적 근접성도 크게는 중요성의 한 측면으로 볼 수 있다. 멀리 떨어진 곳에 벌어진 사건이

어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드물기 때문이다. 유명성도 경우에 따라서는, 즉 유명 인사가

정치인 혹은 문화 엘리트로, 일반 수용자의 경제적, 사회적 혹은 문화적 삶에 결정적인 역

할을 하는 사람일 경우에는 중요성 측면으로 구분되어야 할 것이다.

나머지 항목들은 흥미 측면으로 분류된다. 같은 사건이라고 하더라도 특이한 경우, 즉

진기하거나 놀라운 경우에는 흥미를 유발시킨다. 사건에 관련된 사람들이나 집단의 대립과

갈등 (대립성), 긴장되는 사건의 전개, 감정성, 시각성 등도 주로 흥미 측면과 관련되는 요

소들이다. 여기에 리프만이 든 단순성을 첨부시킬 수 있다. 즉 사건이 얼른 이해하기 어렵

게 복잡하게 묘사될 경우는 수용자들이 흥미를 잃기 쉽다는 것이다. 유명성의 경우 유명인

사에 대한 관심이 단순히 호기심에서 나온 것이라면 흥미 측면으로 분류되어야 할 것이다.

인기 연예인에 대한 관심은 대부분 여기에 속한다. 흥미 측면에 포함되는 요소의 특징은 이

Page 64: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요소들이 반드시 ‘객관적’현상 자체의 성격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같은 현상

이라도 대립성, 긴장성, 단순성, 혹은 유명성이 강조되는 사건으로 묘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잡한 정치.경제적 문제를 유명 정치인(유명성)들간의 대립과 갈등(대립성)으로 단

순화(단순성)시키고 극화(긴장성)하면 흥미가 증가 된다.

중요성은 상대적 개념이다. 따라서 이를 명확하게 규정하기는 힘들다. 샤츠와 슐츠

(Heribert Schatz & Winfried Schulz, 1992)는 프로그램의 질의 평가라는 문맥에서 중요성

에 대한 기준으로 우선 해당 현상이 미치는 영향 범위를 들고 있다. 범위는 사회 전체, 사

회 각 분야(정치, 경제, 학문, 예술 등), 사회 조직 및 기관, 개인으로 구분이 된다. 이 두

학자는 중요성의 수준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 해당하는 사람의 숫자 (전 사회 구성원, 대다수의 사회 구성원, 혹은 소수의 일부 구

성원. 수사가 많을 경우 중요성에서 높은 수준).

– 확률 (사건이 실제 일어날 확률이 높을수록 중요성이 높은 수준).

– 영향력의 강도 (경제적, 정신적 피해 등의 정도)

– 연관이 되는 가치의 중심도 (기본 가치관이 손상될 경우 중요성이 높다. 대다수의 사

회 구성원이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가치를 존중하고 있다면 이 가치에 상처를 입히는 사건

일 경우, 외양적인 영향을 입는 사람의 수는 소수라고 할 지라도, 이는 정신적, 가치관적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봐야 한다. 독일의 경우 외국인에 대한 폭력과 부당한 대우가 한 예가

된다.)

– 비자발성 (피해자가 자발적으로 위험을 감수했을 경우보다는 어쩔 수 없이 혹은 강요

에 의해 그러한 피해를 당해야 하는 상황에 처한 경우 중요성이 높다.)

– 공간적, 인종적 근접성 (시청자의 주변이나 같은 나라 사람 혹은 같은 인종에게 닥친

상황이 감정적으로 높은 중요성을 불러일으킨다.)

– 공간적, 인종적 근접성 (시청자의 주변이나 같은 나라 사람 혹은 같은 인종에게 닥친

상황이 감정적으로 높은 중요성을 불러일으키다.)

– 재현 불가성, 지속성 (환경 문제처럼 한 번 잘못되면 다시 원상 복구가 불가능하거나,

에이즈처럼 치료가 불가능 한 질병 등이 중요성이 높은 현상의 예).

– 유명도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를 결정하는 사람과 관련되는 사건일 경우 중요성이

높다.)

이러한 기준들을 실제 프로그램의 평가에서 지표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더 세밀한 고려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이 기준은 적어도 우리가 피상적으로 생각하는 중요성을 보

Page 65: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다 구체화하고 이를 통해 프로그램들을 비교하는 데 도움을 준다.

3)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네 가지 형태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분류하면서 우리는 지금까지 이야기 된 것을 바탕으로

하나의 ‘이상형’을 설정해 볼 수 잇다. 여기서 ‘이상형’이라고 함은 막스 베버(Max Weber)

가 이야기하는 ‘이상형’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좋다는 의미의 이상적인 형태가 아니라

비교 기준이 되는 ‘원형’이라는 의미에서의 이상형이다. 정보 프로그램으로서의 사회 고발

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은 ‘시청자의 삶에 있어 중요한 문제와 관련된, 부정적이고 개선되어

야 할 현상으로 판단되는 사실을 체계적으로 충분히 관찰하고 조사하여, 그 현상에서 나타

나는 인과관계 등의 배경을 분석하고 진단하는 내용을 알려서 시청자가 이 문제에 관심과

주의를 가지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라고 한 이상형을 설정할 수 있다. 이 이상형을 바탕

으로 독일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은 1) 얼마만큼 체계적이고 충실한 조사를 바탕

으로 하고 있는가와 2) 다루는 내용에서 중요성과 흥미성 중 어떤 것에 중점을 두고 있는

가로 구분할 수 있다. 이것을 간단히 도표화하면 다음과 같다.

도표3. <독일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종류>

다루는 내용의 필요성 다루는 내용의 흥미성

충분하고 체계적 조사 사건의 배경과 인과관계

Ⅰ. 진지한 의미의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

Ⅲ. 흥미 위주의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

단순한 조사 표면적인 사실

Ⅱ. 사회 고발성 보도 프로그램

Ⅳ. 사회 고발을 가장한 흥미성 프로그램

형태 Ⅰ. 진지한 의미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 : 충분하고 체계적인 조사를 바

탕으로 사회 전체, 혹은 사회 분야인 정치, 경제, 문화, 사회 복지, 환경 분야에서 부정적

이고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이는 현상 중 중요성의 수준이 높은 것을 다루는 프로그램

형태 Ⅱ. 사회 고발성 보도 프로그램 : 사회의 많은 구성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정

적 문제를 다루면서 충분하고 체계적 조사보다는 표면적으로 드러난 사항들을 제시하여 시

청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보도성 프로그램

형태 Ⅲ. 흥미 위주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 : 충분하고 체계적 조사를 바탕으

로 개인적인 문제나 사회 기관 혹은 조직 부문에서 발생하는 부정적 현상 중 흥미 있는 내

Page 66: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용이나 그 현상을 흥미 있게 제시하는 프로그램

형태 Ⅳ. 사회 고발을 가장한 흥미성 프로그램 : 충분하고 체계적인 조사가 없음은 물론

이고 다루는 내용에서도 흥미를 위주로 한 것이어서 사회 고발적 요소는 거의 없다. 진행자

가 제시하는 문제 선정 동기나 문제에 대한 해설이 잘못된 것을 지적하고 질책하는 어조라

는 점과 선정된 문제들이 일반적으로 부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현상이라는 점에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으로 분류된다.

3. 독일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방송 현황

1) 독일의 방송체제와 현황

위의 분류에 따라 독일 텔레비전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방송 현황을 살펴

보기에 앞서, 독일 방송의 체제와 현황을 간단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가장 특징적인 것으

로는 1) 연방제적 방송체제 2) 공. 민영의 이중 체제 3) 다 채널을 들 수 있다.

독일의 방송은 연방이 아니라 주의 소관 사항이다. 각 주들은 방송을 위한 국가 협정을

맺어 전국적 통일성을 유지하지만, 각 주 마다 약간 다른 주 방송법에 의해 법적 규제를 한

다. 현재 독일에는 각 주 혹은 몇 개의 주가 합쳐서 만든 11개의 공영 지역방송사가 있다.

NDR(북독방송), WDR(서부 독일 방송) BR(바이에른 방송), SWF(남서부 방송) 등이 지역방송

사로서 ARD의 회원사이다 ARD는 이들 지역방송사가 공동으로 방영하는 전국 텔레비전 채널

로, 각 방송사는 담당한 프로그램을 정해진 시간에 따라 자신의 방송시설을 통해 송신한다.

지역방송사들은 ARD 의 회원사로 ARD 전국방송(제 1 방송)에 참여함은 물론 개별적으로 혹은

몇 개의 방송사가 합쳐 각 지역에서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제 3방송)을 한다. 이에 비해

제 2 방송 ZDF는 각 주들의 협정에 의해 설립된 단일 텔레비전 방송사다. 각 공영 방송사에

는 감독 기관인 방송위원회와 경우에 따라서는 행정위원회가 있다. 이 위원회는 방송사 사

장을 선출하며, 방송 프로그램이 법이 정한 임무를 충실히 하고 있는 가를 감독한다. 이 방

송위원회의 구성원은 주 방송법, 혹은 주들 사이의 협정에 명시된 기관에서 파견한 인사들

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정당의 영향력이 지배적으로 크다.

독일에서는 1984 년에 민영방송이 도입되면서 공민영 이중 체제가 시작되었다. 민영방송

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은 상업 방송사들이다. 방송의 공익성에 입각하여 국민에 대한

Page 67: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다양하고 폭넓은, 소수의 욕구도 충족하는 프로그램 등이 ‘기본 공급’ 임무를 갖고 있는

공영방송에 비해, 민영방송은 저널리즘의 원칙 준수, 다양성 보장 등의 기본적인 사항을 준

수하는 것 외에는 법적으로 다른 임무가 주어져 있지 않다. 다양성 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

치로는 일정한 양의 방송시간을 제 3 의 방송사에 내 주는 규정(‘창문 프로그램’)이 있다.

민영방송의 관리는 각 주의 설치된 매체 관리 공사가 맡고 있다. 매체 관리 공사는 공영 방

송사와 같이 공공기관으로, 여기에도 방송위원회와 같은 원칙으로 위원이 구성된다.

상업방송의 도입 후 텔레비전 채널 수가 급격히 늘어났다. 채널수의 증가에는 유선과 위

성 안테나의 보급이 결정적 역할을 했지만, 그렇다고 독일에서 채널을 공중파, 유선 및 위

성으로 나누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공영은 물론 큰 방송사들은 이 세 경로를 모두 사용하

고 있다. 중요한 것은 기술적 도달율로, ARD와 ZDF가 거의 100%, 상업 RTL과 Set.1은 95%

에 가까운 TV 가구가 시청할 수 있다. 시청률에서 5대 방송사에 포함되는 Pro7의 도달율이

약 85%, 소규모 채널인 Kabel 1, RTL 2, VOX 등의 도달율은 75%–85% 정도다 (1995 년 기준,

Darschin/Frank 1996). 독일 평균 TV가구는 약 30개의 무료(의무적으로 내게 되어 있는 공

영 시청료를 제외하면) 텔레비전 채널을 볼 수 있는데(1995 년 말), 이는 유럽에서는 유일

한 수준이다.

일부 상업방송은 90년대에 들어와 공영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종합 방송 혹은 종합 방송

에 가까운 채널의 1995 년 시청자 점유율은 1995 년 RTL 17.6%, Sat.1 14.7%, ZDF 14.7%,

ARD 14.6%, Pro7 9.9%, ARD 제 3방송 9.7%(8개 채널 종합), RTL 24.6%, VOX 2.6% 순이다.

2)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방송 현황

아래에서는 독일의 종합 방송채널이 방송하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방송 현

황을 정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1) 진지한 의미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

진지한 의미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Ⅰ)에 가까운 프로그램은 독일 공영 텔레

비전의 ‘정치 매거진’이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이다. ‘현실비판’을 목표로 출발한 이 프로그

램들은 이미 독일 텔레비전사의 초창기부터 등장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여기서 ‘정치’

라고 하는 것은 좁은 의미에서의 정치, 즉 정치가, 정당, 정부, 의회 등에 국한되는 것이

Page 68: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아니다. 이보다는 사회 전체의 문제, 예를 들면 좁은 의미의 정치를 포함하여 경제, 환경,

건강 등의 문제를 포괄하고 있다(주제에 관한 구체적 예는 아래 참조). 이를 정치라고 부르

는 것은 오늘날과 같은 법치국가에서 사회의 중요한 문제들이 거의 모두 결국은 정치적 결

정 과정을 통해 조정된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정치 매거진으로

서 진지한 의미의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에 가까운 프로그램으로 ARD 가 방영하는 <Monitor>,

<Panorama> (이 둘은 각 45 분씩 현재 5) 목요일마다 정치 매거진 Kontraste 와 돌아가면서

방영,즉 각각 3 주에 한 번), Report(Baden–Baden)(월요일마다 정치 매거진

Report(Munchen), FAKT 와 돌아가면서 방영)를 들 수 있다. 이 세 개의 프로그램은 Report

aus Munchen 과 함께 1960 년도 초부터 출발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 30 년이 넘는 전통을 가

지고 있다. 이 매거진들은 뉴스보도와 함께 독일 공영의 간판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독

일 방송 저널리즘의 꽃이라고 볼 수 있다. 독일 정치 매거진의 역사는 이에 상응하게, 정치

적, 사회적 세력들의 압력의 역사로 서술하 수 있다. 방송의 독립성과 자유를 추구하고 실

현하려는 독일 방송인들과 방송을 도구로 사용하려는, 혹은 방송으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으

려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세력들의 갈등이 첨예화된 현장이기도 하다. 정치 매거진의

발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다.

형태 Ⅰ에 가까운 상업방송의 프로그램으로는 매주 일요일 방송되는 <Spiegel TV

Magazin>을 들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RTL 에서 방송되지만, RTL 프로그램은 아니다. 이는

상업방송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창문 프로그램’의 하나로, 시사 주간지 슈피겔에 속한

Spiegel TV 가 방송하고 있다. Spiegel TV 는 많은 인력을 동원시킬 수 있고, 매주 방영된

다는 유리한 입장을 이용, 공영 정치 매거진의 동등한 경쟁자로 인정받고 있다. 이 프로그

램은 다루는 주제와 방식에서 공영의 정치 매거진에 비해 흥미성을 다소 강조하고 있어 형

태 Ⅰ 과 형태Ⅲ의 중간 형태라고도 볼 수 있다.

정치 매거진 외에도 형태Ⅰ 로 분류될 수 있는 매거진으로 ZDF 가 매주 일요일 방송하는

Mona Lisa 를 들 수 있다. 프로그램의 진행뿐만 아니라 모든 제작진이 여성으로 구성된 이

프로그램에서는 남성 위주의 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어려움과 문제들을 취급하고 있다.

매거진과는 달리 다큐멘터리, 르포와 같이 한 주제를 다루는 프로그램은 다루는 내용이

다양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구분하기는 힘들다. 이런 프로그램은 몇 개월, 심지어는 몇 년

에 걸친 조사와 준비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그 내용이 사회의 부정적 현상을 다루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정한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이상형에 가장 가까운 프로그램

5) “현재의 방송 현황”은 1996년 8월 17일부터 9월 13일까지 4주를 기준으로 했다.

Page 69: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이 될 수도 있다. ARD 가 정치 매거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 다큐멘터리, 르포 혹은

독일에서 Feature 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은 ZDF 가 많은 비중을 두고 방송한다. ZDF 는 월요

일에서 금요일까지 주시청시간에 매일 한 개씩 이런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방송하고 있다.

이에 비해 ARD 는 일요일 저녁 격주로 한 번, 매주 수요일 다큐멘터리 혹은 Feature, 매주

금요일 exklusiv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있다. 이에 비해 ARD 회원사들이 자신들의 지역

에서 방송하는 제 3방송들에는 많은 다큐멘터리가 방영되고 있다.6)

(2)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

정치 매거진으로 위에서 든 세 개의 대표적인 프로그램과 같은 성격이지만 진지한 의미

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Ⅰ)과 사회 고발성 보도 프로그램(Ⅱ)의 중간 형태로 분

류할 수 있는 공영의 정치 매거진 프로그램들이 있다. 이 프로그램들도 ‘현실 비판’이라는

전통을 내세우며 어두운 곳을 밝힌다는 자기 인식을 하고 있다. 하지만 내용을 비교하면 우

선 고발성 혹은 비판성에서 형태 Ⅰ에 비해 강도가 낮고, 추적 조사 측면에서도 감추어진

사실을 들추어내는 빈도나 내용의 중대성이 형태 Ⅰ에서 제시한 프로그램들보다는 낮은 수

준이다. 이런 프로그램으로는 ARD 의 Report(M nchen), FAKT, Kontraste (방송 일정 위 참

조) 및 ZDF 의 Frontal(매주 화요일 45 분), Kennzeichen D(격주로 수요일 45 분)가 있다.

ARD 와 ZDF 는 각각 한 개씩의 경제 매거진을 방송하고 있다. ZDF 는 매주 목요일 WISO (30

분), ARD 는 격주로 목요일에 Plusminus(35 분)를 방영하고 있다. 경제적 문제가 시청자들

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때, 경제 매거진에서 강한 사회 고발성 내용을 기대할 수

있지만 내용 분석 결과를 보면 실제는 그렇지 못하다(Hoefer 1995). 물론 소비자 보호적인,

경제 정책 비판적인 고발성 내용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주제가 시청자의 생활에

유용한 경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에 그친다.

지금까지 형태 Ⅰ,Ⅱ 혹은 그 중간 형태로 분류한 매거진 프로그램들은 특히 상업방송

도입 후에는 시청자수가 많이 줄어들었지만 꾸준한 시청자를 확보하고 있다. 시청률에서는

프로그램에 따라 적은 경우 평균 10%, 많은 경우 20%를 유지하고, 절대 시청자수는 평균 3

백만에서 4백만 정도를 확보하고 있다 (1995년). 이 수치는 독일의 다 채널 상황과 상업방

송이 제공하는 ‘화려한’ 오락 프로그램의 홍수를 고려할 때, 아주 작은 것은 아니라고 평

6) 이 글에서는 공영 지역방송사들이 방송하는 8개의 제3텔레비전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들은

소개의 대상에서 제외했다.

Page 70: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가할 수 있다.

(3) 흥미 위주의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

흥미 위주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형태 Ⅲ)에 속하는 프로그램으로 RTL 의 인

기 프로그램 <Explosiv>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매일 19 시 10 분에서 30 분간 7) 방영되

는 이 매거진 프로그램은 조사의 추적성이나 체계성에서 어느 정도 높은 수준을 보여, 다루

는 사건의 배경이나 인과관계를 잘 드러내 주는 흥미 있는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다루는 주

제는 위에서 제시한 중요성의 기준에서 흥미에 집중되고 있다. 특이한 질병이나 기이한 운

명, 사고, 범죄, 감정이나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사건, 대립과 갈등 등 인포테인먼트의 특성

에 대한 입문서에 나올 만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 프로그램은 매거진 중 높은 인기를 누

리고 있는데 특히 구 동독 지역에서는 다른 정보 매거진 보다 훨씬 인기가 높아 1995년 평

균 31%의 시청률(평균 시청자 1백 72만)을 기록했다(서독 지역에서는 시청률 19%, 평균 시

청자 3백 15만으로 매거진 중 상위권).

<Explosiv>를 통한 RTL의 성공으로 다른 상업방송들도 매일 방송하는 매거진 프로그램을

도입했는데 Pro7 의 <taff>, VOX 의 <EXAKT>가 그것이다. 이 두 프로그램은 <Explosiv>와

비슷한 주제를 다루지만 불충분한 조사 등 전문성에서는 크게 떨어진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독일의 시청자와는 전혀 관계없는 외국의 사례라도 그것이 선정적이고 특이한 것이면 방송

을 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형태 Ⅲ과 형태 Ⅳ(사회 고발을 가정한 흥미성 프로그램)의 중간

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업방송에는 이 외에도 형태Ⅲ 혹은 형태 Ⅲ과 Ⅳ의 중간 형태로 분류될 수 있는 몇 개

의 매거진 프로그램들이 주 1 회씩 방영되고 있다. 형태 Ⅲ에 속하는 것으로는 RTL 의

<Extra>(매주 월, 55 분) 및 <stern TV)(매주 수, 120분), Pro7의 <Focus> TV(매주 월, 60

분), Sat.1 의 <schreinemakers live>(매주 목, 180 분)가 있다. 형태 Ⅲ과 Ⅳ의 중간에 속

하는 것으로는 Sat.1 의 <Akte 96>(‘기자가 들춰낸다’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매주 월, 60

분), Pro7의 <Die Eeporter> 그리고 RTL2의 (Redaktion>(매주 화, 70분)이 있다.8)

7) 프로그램 중간에 삽입되는 광고방송 포함. 아래에서 제시되는 상업방송의 프로그램 길이도 삽입

광고방송이 포함된 것임.

8) 형태 Ⅲ, Ⅳ로 분류된 프로그램 1999년 8월–9월 사이의 방영분 일부는 한국방송개발원 자료실에

보관되어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대부분의 매거진 프로그램들의 1회분이 한국방송개발원 자료실

에 보관되어 있다.

Page 71: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이 프로그램들의 특징의 하나는 정치. 경제적인 문제나 사회 전반에 걸친 문제보다는 개

인의 사생활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주로 다룬다는 점이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거대한

’ 사회문제만 아니라 시민들의 작은 문제에도 방송이 관심을 가져 준다는 의미에서 좋은

반응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은 문제들이 흥미를 끌기 위해서는 적당량의 특이성

과 선정성을 가미시키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프로그램에 일반적인 관습과 금기를 깨는 사

람이나 사건들이 프로그램에 자주 등장하게 되어, 마치 누가 더 큰 금기를 깨느냐의 경쟁

상태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특히 Ⅲ과 Ⅳ의 중간 형태로 분류된 프로그램에는 성과 관계되

는 문제들이 많이 다루어진다. 성과 관련된 직업이나 영업, 혹은 일반 관습에서 벗어 나는

성적 취향들에 관한 같은 주제의 보도가 새로운 내용은 없이 되풀이된다. 부정적인 측면에

서 지목을 받은 측에 대한 입장 발표의 기회를 주는 것도 카메라를 동반하고 사무실이나 집

에 갑자기 쳐들어가는 형태의 ‘기습 인터뷰’를 사용하는 것도 자주 볼 수 있다.

보다 선정적이고 놀라운 내용을 보도하려는 상업방송의 욕구는 허위 보도를 조장하는 결

과를 낳기도 한다. 1996년 초에는 한 텔레비전 보도 필름 제작자가 조작된 보도 필름을 공

급해 온 혐의로 구속되기도 했다. 이 제작자는 1991 년부터 지금까지 적어도 30 개 이상의

조작된 장면을 독일 TV 의 경우 독일 사냥꾼이 들고 양이를 무자비하게 사살하는 장면, 독

일에도 Ku Klux Klan 이 존재한다며 이들이 십자가를 태우는 장면 등 충격적인 사실들을 보

도했는데, 이는 이 제작자가 주변 인물을 동원하여 연출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에서 위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두개의 프로그램이 있다.

하나는 ARD 가 매우 일요일 방송하는 매거진 프로그램 <ZAK>이다. 이 프로그램은 상업의 선

정적인 방송에 대한 공영의 대답의 하나로, 다루는 주제는 중요성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

이지만, 그 방법에서는 비꼬는 어조, 감정적으로 강한 발언 등으로 사실을 근거로 한 설득

과 증빙을 대신하고 있다. 빠른 영상의 변화와 몽타주 기법을 사용하여 긴박감을 불러일으

키며, 파격적인 스튜디오 배치로 흥미를 주지만, 진정한 의미의 사회고발이라기 보다는 시

청자의 심리적 만족을 주는데 그친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하나의 프로그램은 RTL 이 매주

토요일 방영하는 <Wie,bitte?>(“아니 뭐라고요?”)라는 프로그램이다. 시청자가 관공서, 기

업으로부터 억울한 일을 당한 것을 제작팀에게 편지로 알리면, 스튜디오에서 연기자들이(

주로 코미디언) 코미디로 극화해서 –예를 들면 고자세의 관리, 위축된 시민의 모습을 과장

해서 표현하고 –보여 주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내용이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시청자의 제

보를 충분히 조사하고, 해당 기업이나 관리에게 자신의 입장을 표명할 기회도 주고 있다.

또한 방송한 것으로 끝내지 않고, 그 후 어떻게 처리되었나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러나 중

Page 72: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요성의 측면에서 다루는 내용이 구조적이든 (예를 들면 공무원의 고자세) 우연한 일이든(예

를 들면 한 공무원의 실수) 구분하지 않고, 흥미라는 입장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정보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에 속하는 프로그램으로 여기

서 언급될 만한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카바레 Kabarett>라고 불리는 정치 풍자 프로그램이

다. 공영에서 방송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정치ㆍ사회의 중요한 문제를 풍자라는 형태를

통해 신랄하게 비판한다. 이 프로그램은 독일에서 오락 프로그램으로 분류되고, 또 시청자

에게 미치는 효과에서도 ‘심리적 대리 만족’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정치의식 형성

에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수는 없다. 이 프로그램들은 한 때 선거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

선거 기간동안은 금지되기도 했었다.

3) 독일 정보 프로그램의 방송사별 주제 구조

네 가지 형태로의 분류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소개한 독일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

램 현황은 우선 분류 자체가 구체적으로 지표화되지 않았다는 점과, 또한 각 프로그램에 대

한 객관적 내용 분석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방송 평론가들의 논평, 필자의 ‘정보를 바탕

으로 한 임의적 판단’에 따른 것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아래에서는 이에 대한 보완으로 프로그램 내용 분석(Kruger 1996)결과를 일부 소개하고자

한다. 위의 현황 소개에서 형태 Ⅰ 및 Ⅱ 에 속하는 프로그램은 대부분 공영 ARD 와 ZDF 의

프로그램이며, 형태 Ⅲ 및 Ⅳ 로 분류된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상업방송의 프로그램들이다.

따라서 공영과 상업방송의 정보 프로그램이 다루는 내용의 차이를 살펴봄으로 제시된 프로

그램의 분류에 대한 설득력을 간접적으로나마 보완할 수 있다고 본다.

1995 년 독일 5 대 방송채널의 주시청시간(19:00-23:00)에 방영된 정보 프로그램 중에서

뉴스보도 및 뉴스 매거진을 제외한 프로그램에서 다룬 주제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Page 73: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도표4 <독일 5대 텔레비전 채널 정보 프로그램의 주제 구조(1995)>

방송시간이 차지하는 비율(%)

주 제 ARD ZDF RTL SATI PRO7

정치(정치가, 국가, 정부, 입법부 등) 30 24 3 13 0

경제( 경제 단체, 기업, 생산, 통상 등) 6 5 0 0 0

사회(노조 등 사회단체, 공공단체, 종교단체 등) 24 24 15 21 21

문화/학문(예술, 예술가, 학문, 과학, 학자 등) 12 12 3 0 0

환경/자연(환경문제, 동물세계 등) 8 15 0 0 4

여가/스포츠(여행, 여가 활동, 스포츠 등) 2 2 2 2 8

연예/매체(연예계, 음반 등) 7 2 9 5 17

일상 생활(개인적 일상생활) 4 9 19 29 14

화제/기타(특이한 사건, 사고, 성, 일탈 행위 등) 7 8 48 28 36

합 계 100 100 100 100 100

기초 방송시간 1230 1804 1081 792 557

출처 : KRUGER 1996, P. 367

19:00-23:00 사이의 방송 중에서 뉴스, 뉴스 매거진을 제외한 정보 프로그램. 분석 대상이

된 기간은 1995년 4월 3일-9일, 6월 26일-7월 2일, 9월 11일-17일, 11월 21일- 27일 4주간

이 도표에서 기초가 된 프로그램에는 이 글에서 사회 고발성으로 분류한 프로그램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 외에도 시사적 내용을 다루는 토크쇼, 문화 매거진, 건강 매거

진, 국외 문제를 다루는 매거진, 동물과 관련된 프로그램, 자연과학 문제를 다루는 프로그

램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 도표는 공영 ARD 와 ZDF 가 정치, 사회, 문화, 환경에 중점

을 두고 있는 반면 상업방송 RTL, Sat.1, Pro7 은 공영에 비해 정보 프로그램에 할당하는

시간이 적을 뿐만 아니라, 다루는 주제에서도 화제, 일상, 연예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Sat.1의 주제 구조에서 다른 상업방송에 비해 정치와 사회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은 Sat.1이 이 측면에서 다른 상업방송과 다른 편성을 한 데서 온 것은 아니다. 이

는 Sat.1이 정보 프로그램에 할당하는 시간이 공영은 물론 경쟁 사인 RTL에 비해서도 월등

히 적은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이는 단지 Sat.1 이 방영하는, 주고 정치,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토크쇼인 <Talk Im Turm>의 방송시간이 조사 기간 중 330 분으로 전체의 42%를 차지

하고 있기 때문에 나온 결과이다.

Page 74: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4. 독일의 정치 매거진 프로그램

1) 독일 정치 매거진 프로그램의 발전

독일 텔레비전에서 매거진은 인플레이션이라고 불릴 만큼 숫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매거진 프로그램의 기원이 광고 전후를 흥미 있는 짧은 내용으로 채우는 데서부터 출발한

데에서도 나타나듯이, 제작이 용이하고 신축성이 있다는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

주제를 다루는 다큐멘터리에 비해 매거진은 서로 다른 주제나 내용을 한 프로그램에 함께

다룰수 있어 신축성 있게 편성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제목으로 동일한 진행자에 의해 정기

적으로 방송되어 시청자가 쉽게 프로그램을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chumacher 1994).

1952년부터 방송을 시작한 독일 텔레비전은 60년대에 들어와서 그 동안 ‘안방극장’으로

가벼운 내용만을 취급하던 초창기 형태를 벗어나, 인쇄매체의 본격적인 저널리즘의 전통을

본 받는 방송 저널리즘 도입을 시도한다. 본격적인 방송 저널리즘의 접목 점이 바로 정치

매거진 프로그램이었다. NDR 은 1957 년 영국 bbc 에서 이미 성공을 거두고 있던 같은 제목

의 프로그램<Panorama>(1953 년부터)를 모범으로 삼아 같은 제목의 매거진을 도입한다. 이

프로그램은 1960 년대에 들어와 본격적 정치 매거진 성격을 띠기 시작한다. 이때 내부적으

로 규정한 프로그램의 성격은 ‘프로그램 편성을 갑자기 변경해서 특별 방송을 할만큼 중요

하거나 급박한 사건은 아니지만, 정규적 프로그램 편성 계획에 반영해서 방송할 때까지 미

룰 수 없는 사건’을 취급하는 것이었다. <Panorama>은 1962 년부터는 ard 프로그램으로 전

국적으로 방송되면서 ‘보도 – 분석 – 의견’이라는 부제를 갖게 된다. 이 부제에서 보듯이

<Panorama>은 ‘객관적’ 사실 보도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당시 연방 정부의 집권당인 기

민련(CDU) 및 기사련(CSU) 뿐만 아니라 사민당<SPD)에 대한 비판도 서슴치 않아 ‘의견을

제시하는’ 프로그램으로 독보적인 존재였다.

<Panorama>외에도 이미 1960 년부터 <Anno>라는 제목으로 방송을 시작하여 1962 년에

<Report> 로 이름을 바꾼 정치 매거진이 있다. 이 프로그램의 제작에는 BR을 중심으로 SDR,

HR, WDR, SWF 등의 지역방송사가 이합 집산을 거듭하고 참여했다. 1965 년 WDR 은 단독으로

자체의 정치 프로그램인 <Monitor>(파수꾼 혹은 경고자라는 의미로 1949 년에 시작된 미국

NBC 의 라디오 매거진과 같은 제목)를 출발시켰고, 1966 년에는 BR 이 단독으로 Report (이

프로그램에는 Munchen 에서’라는 추가 명칭이 붙어 있다)를 제작 방영하기 시작했다. 이로

써 ARD 에는 NDR 의 <Panorama>, WDR 의 <Monitor>, BR 의 Report<M Nchen>및 SWF 의

Page 75: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Report(Baden-Baden)(이 프로그램은 1971 년부터 SWF 가 단독으로 제작하여 방영하고 있다)

의 네 개의 정치 매거진이 독일 공영의 대표적 정치 매거진으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방영되

고 있다. 이 프로그램들의 편집진이 가지고 있던 기본적인 생각은 1972 년 당시 <Monitor>

편집장이던 Claus Hinrich Casdorff 가 한 다음 말에서 잘 나타난다; “물론입니다. 우리는

이 사회를 변화시키려 합니다. 우리는 시청자들이 현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용기를 주

려고 합니다.”(Schumacher 1994)

이러한 비판적 자세는 변화를 원하지 않는 세력들의 저항과 압력에 부딪힌다. 독일의 정

치 체제를 비꼬아 ‘정당 민주주의’,’정당 국가’라고 부를 정도로 독일에서 정당이 사회 각

분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것은 방송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거대 정당들은 방송위원회

에서 진출해 있는 정당 소속의 위원들(혹은 다른 단체의 대표지만 자신의 영향력 아래 있는

위원들)을 통해 특히 공영 방송사 인사 문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독일 공영방송의 비판성

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자신을 밀어 준 정치 세력의 ‘기대를 저버리는’ 방송사 사장, 혹은

방송위원회 위원, 방송 언론인의 노력과 투지를 통해, 혹은 그 투지만큼 가능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Paborama>의 경우, ARD 에 방송을 시작 하지 일년 만인 1963 년 편집장 파젠스키(Gert

Von Paczensky)가 평소 그의 보도를 못 마땅하게 여기던 NDR 행정위원회의 기민련 소속 위

원들이 그의 계약 연장을 거부하여 물러났다. 그 후 반년만에 발행인으로 그와 함께 이 프

로그램을 개발하고 함께 진행을 맡아 오면서 역시 미움을 받아 온 프로스크(Rudiger

Proske)가 오보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했다. 1974 년에는 ARD 사장단이 <Paborama>

이 준비해 온 낙태와 관련된 한 보도를 방송하지 말라는 결정을 내렸다. 이 결정에 대한 항

의로 <Paborama>팀은 빈 스튜디오에서 진행자 없이 아나운서가 이 사실을 알리며 나머지 보

도를 소개하는 내용을 읽도록 했다. DER 행정위원회는 이에 대해 편집장이며 진행을 맡은

Merseburger 의 계약 연장을 거부하는 것으로 대응했지만, 당시 NDR 사장은 법정소송을 통

해 계약 연장을 관철시킬 수 있었다.

1983 년에는 Report(Baden-Baden)의 진행자 Franz Alt 가 독일에 원자 탄두 배치에 반대

하며 평화 운동을 일방적으로 지지하자, SWF는 그가 당분간 진행을 맡지 못하도록 하는 결

정을 내린다. 1987 년에는 이 프로그램의 편집인(기자) Wolfgang Moser 가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에 대한 보도가 문제가 되어 다른 부서로 전직되었다가 결국은 방송사를 떠나야 했다.

이후 이 프로그램의 진행자 Alt 역시, 이에 대한 공개적 비판이 기화가 되어 단독 진행자의

위치에서 물러나게 된다. 이러한 조치들은 예외 없이 신문과 잡지의 비판과 방송인들의 공

Page 76: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개적 항의를 동반했다. 또한 일부 사례에서는 방송사 앞에서의 데모 등을 통해 해당 방송사

는 ‘공중(公衆)’으로부터의 압력을 느껴야 했다. 한편 바이에른 방송의 Report(Munchen)는

바이에른주의 장기 집권당인 기사련(CSU)에 대한 노골적인 편향성으로 인해 ‘비판적 저럴

리즘’과는 이별한 프로그램으로 평가받고 있다. 초창기 이 프로그램의 제작에 결정적 역할

을 했고, 현대 독일의 한 원로 언론인으로 인정받는 Dagobert Lindlau 는 이러한 ‘전락’에

대해 ‘정치권력이 방송에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그러

나 지극히 당연한 또 하나의 사실의 방송인들이 이에 반항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이루

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정치 매거진 정당의 도구로 전락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West 3

1992b). 사실 노골적으로 정당의 편을 들고, 이를 통해 직업적으로 성공한 방송인도 없지

않다.

70 년대 초에는 저널리즘의 객관성을 이유로, 각 프로그램에서 의견의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심지어 한 사건에 대한 보도에서도 의견이 균형이 요구되기도 했

다. 이 요청들은 방송인들의 저항을 받지만 그 후 점차 독일 방송에서 보도의 기본 자세로

정착하게 된다(Hichethier 1998). 그러나 이것이 각 정치 매거진의 완전한 ‘중립성’으로까

지 전개되지는 않았다. 각 프로그램들은 한 쪽을 편드는 ‘주장’은 내세우지 않지만, 보도

내용을 통해 해당 보도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것을 시청자에게 ‘논증’하는 형태로 변화되었

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Report 는 우파 쪽으로, <Panorama>과 <Monitor>는 좌파

쪽으로 기운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이로서 ARD 가 전체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

다. ZDF는 전체적으로 우파 쪽으로 기운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이 구분은 각 프

로그램에 전통적으로 깔려 있는 세계관을 어느 정도는 반영하고 있지만, 다분히 오해를 가

져올 수 있는 평가이기도 하다.9) ZDF 의 정치 매거진 Frontal 의 경우, 중립성에 보다 충실

하다며 두 명이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 둘은 서로 마주보고 앉아 각각 ‘좌익’ 혹은 ‘우

익’적 입장에서 사건을 해설하지만, 이것은 단지 약간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정도에 지나

지 않는다. 어떤 사건을, 또는 그 사건의 어떤 측면을 보여주느냐가 이미 특정 의견을 전제

9) 정치적 성향을 “좌우”로 구분하는 것이 점차 의미가 없어져 간다는 사실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지

적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구분은 간편하다는 이유로 아직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 프로그

램의 “정치적 성향”을 “좌우”로 구분할 때 대충 다음의 기준을 사용하면 이 문제가 다소 약화될 수

있다: “좌파적”은 평등의 원칙에 중점을 두고 경제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사람(피고용자, 실업자,

빈민 등)의 편에 서서 이들의 문제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시장 경제 체제가 불러온 폐해(환경,

비인간성)를 지적하는 경향. “우파적”은 자유의 원칙에 중점을 두고 개인의 “능률 및 업적”에 상응

하는 대우와 보상의 실현에 관심을 기울이며, 시장 경제 원칙에 어긋나는 조치의 비효율성을 지적

하는 경향.

Page 77: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객관성은 중립성이 아니라 얼마나 공정하게, 사실에 입각해서 충분

한 증거를 가지고 보도를 하느냐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사실 독일의 정치 매거진의 중립

성을 내세우면서 점차 중요성을 잃어 간 예도 볼 수 있다(Hickethier 1998). 결과적으로 70

년대 이후 정치 매거진의 역할은 60 년대에 비해 축소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사회 고발

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은 환상에 불과하다는

것이 1970 년도 이후 독일 방송인들 사이에서 자각되면서, 이들의 목표는 ‘사회의 지배적

세력들이 조심하도록 만들겠다’는 것으로 축소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West 3 1992b).

1970 년대 이후 독일의 정치와 사회가 안정되면서 사회 세력들의 힘의 관계가 점차 분명해

지고, 매거진들이 굵직한 정치 문제에서 광범위한 사회문제를 다루기 시작한 것도 이 변화

의 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1980년대 후에는 정치 매거진 중 <Monitor>가 가장 큰 주목을 받는다. 이 프로그램은 몇

가지 큼직한 사건들을 일으킨다. 예를 들면 샴푸에 섞인 발암 물질(Dioxan)을 찾아내고 이

물질이 섞인 제품을 공개하여 물의를 일으킨 사건이 잇다. 독일인들이 그 후 이 물질이 없

는 샴푸를 쓰게 된 것이 <Monitor> 덕분이라면, 기생충이 없는 생선을 먹게 된 것도

<Monitor>덕분이다. 화학 공장이 문을 닫고, 베를린 내무장관이 시 재정으로 여행한것이 드

러나 물러난 것도 <Monitor>에 의해서다. <Monitor>가 가장 주목받는 정치 매거진으로 부

상한 데는 물론 이 프로그램을 맡은 편집장과 편집인(기자)들의 역할도 크지만, WDR 사장의

태도에도 기인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공영 방송사 사장은 바깥으로는 정치 세력(정당)

들과 사회 세력(노조, 교회 등)과의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데 반해 편집장과 편집인들은 시

청자로부터 인정을 받는 것이 우선 관심사라는 점에서 이해의 상충이 있게 마련이다. 그러

나 <Monitor>의 현 편집장 Klaus 베드날츠(Bdenarz)(1983 년부터)는 WDR 사장으로부터 아직

한 번도 간섭을 받은 적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즉 외부의 바람을 사장이 막아 준 것이다.

그러나 <Monitor>의 편집진이 ‘압력’을 받지 않는 것은 아니다. 방송 전에 부정적인 보도

에 관련된 기업이나 단체, 당사자가 전화, 팩스 등을 통해 소송을 걸겠다는 위협을 한다.

또 방송 후 실제로 손해 배상 소송을 제기하기도 한다. <Monitor>는 매년 2 – 3 건의 소송

을 치르는데, 이러한 소송 중에는 손해 배상 청구 액이 3 천만 마르크(약 160 억원)짜리도

있었다.10) 위에서 언급한 샴푸 사건과 관련해서는 공격을 당한 독일의 유명 샴푸 회사의 사

10) 이 내용과 아래에서 다룰 <Monitor>의 제작환경 소개는 필자가, 1987년부터 <Monitor>의 편집

인(기자)으로 일하고 있고, <Monitor>에서 가장 오래된 편집인 Volker Happe와 가진 인터뷰 내용

을 근거로 한 것이다. Volker Happe와 <Monitor>에 대한 다른 자료를 제공해 준 Hide Frings에게

이 기회를 통해 감사하는 마음을 표한다.

Page 78: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장이 편집장 Bednarz 를 매장할 빌미를 찾으려고 사립 탐정에게 그에 대한 뒷조사를 의뢰한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그럼 아래에서는 <Monitor>을 좀 더 자세히 소개하겠다.

2) <Monitor> 프로그램 분석

(1) 제작환경

<Monitor>는 ARD의 회원사인WDR에서 제작하여 ARD 전국 채널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이다.

방송시간은 목요일 21:00 – 21:45 로 <Panorama>, <Kontraste>와 돌아가면서, 즉 3 주에 한

번씩 방송된다. 1995 년의 평균 시청자는 약 3 백만으로 시청률은 서독 지역에서 12.3%, 동

독 지역에서 8.5%. 이는 다른 정치 매거진 혹은 정보 매거진 프로그램에 비해 다소 떨어지

는 편이다. 제작진은 고정 직원으로 편집장 겸 진행자인 Bednarz(연극학박사, 전 모스크바

특파원 등 역임)와 6 명의 편집인(편집인이라고 번역할 수 있는 ‘Rdedakteur’는 외부 취재

도 한다. 따라서 편집인 겸 기자라고 볼 수 있다.), 2 명의 비서진, 비고정직원으로 4 – 6

명의 ‘자유 기고가’가 있다. 비고정직원들은 편집인의 조사를 도우며 편집인과 함께 혹은

드문 경우(팀의 신뢰를 얻고 있는 경우) 단독으로도 한 보도를 제작하기도 한다. 편집인은

중견 방송 저널리스트부터 젊은 기자까지 폭넓게 구성되어 있다. 독일 방송계에서 이름을

날리는 방송인의 많은 수가 정치 매거진 편집인 출신이기도 하다. <Monitor>의 편집인 중 2

명이 여성으로, 원래 남녀 비율이 3:3 이나 현재 여성 한 명 임신 휴가 중으로 남성이 더

많다. 카메라맨과 그래픽을 위해서는 WDR 로부터 필요할 때마다 배당을 받는다. <Monitor>

팀은 WDR 의 보도부 소속으로 직계 책임자는 WDR 편집부장과 WDR 사장이다. 방송내용의 감

수는 편집부장의 소관 사항으로 아직까지 한 번도 준비한 내용을 거부한 적은 없다. 제작에

는 경상 경비를 제외하고 한 회 방송에 약 5 –6 천만 원이 드는데, 이는 오락 프로그램에

비해 저렴한 경비다.

주제 선택은 편집회의를 통해 결정되는데 이중 시청자 혹은 제보자가 보낸 정보를 바탕

으로 한 것은 약 5% 미만. 나머지는 편집인들이 찾은 주제들로 이루어진다. 주제 선정에는

이 프로그램의 목표인 1)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 힘있는 세력을 의심의 눈초리로 감시하

며, 2) 자신의 의사나 이해를 개진할 수 있는 기회가 없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3)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부정과 비리를 파헤친다는 원칙(Volker Happe)이 기준이 된다.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진행자 Hednaz 가 카메라를 향한 책상으로 낮으면서도 또박또박한

Page 79: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부드러우면서도 파고드는 듯한’) 어조로 주제를 소개한다(생방송). 이어서 준비된 보도

필름이 방영된다. 한 회 방송이 약 5 – 6 개의 주제가 다루어진다. 준비해야 할 보도 수는

실제 방송하는 숫자보다 크다. 이는 다른 방송에서 다룬 것, 특히 방송일인 목요일에 발행

되는 시사 매거진 슈테른지에서 이미 보도하거나 정부나 해당 기관이 상응하는 문제를 그

사이에 발표해 버릴 경우에는 이를 빼야 하기 때문이다. ARD의 다른 방송사의 정치 매거진

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보도의 주제를 서로 알려준다. 따라서 3 주 동안

방송을 준비하기는 매우 바쁜 일정이다. 주로 한 보도는 두 명이 맡는다(한 명의 편집인,

한 명의 비고정 직원, 혹은 중대한 사건의 경우 두 명의 편집인). 경우에 따라서는 한 보도

를 3 – 4 개월 준비하기도 한다. 1996 년 8 월 29 일 방송의 예를 들면(이날 방송내용은 아

래 참조), 원자로 공사의 부실 공사 보도에서 이 지역에 백혈병 빈도가 높은 사실 확인, 주

변 토지의 방사선 오염 측정, 환경청과의 접촉 등 3 개월 전부터 이미 조사해 오던 중, 관

련자의 제보를 받았다. 그러나 많은 내용은 확실한 증거를 제시할 수 없어 보도를 할 수 없

다. 위에서 언급한 예들에서 나타났듯이 비판적 정치 매거진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오보가

없어야 한다. 손해 배상을 해야 하는 위험은 물론이고, 평소에 이 프로그램을 못 마땅하게

여기는 세력들에게 좋은 빌미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는 ‘모 회사’등의 표현으로 시청자

에게 별 도움을 주지 못하는 보도 방식은 보기 힘들고, 부정적인 문제를 지적할 때에는 이

와 관계되는 인사나 기업의 이름을 분명히 지적하기 때문에 쉬운 일이 아니다. 내용이 법률

적으로 문제가 있을 것으로 예상될 때에는 WDR 의 법률 담당자와 상의를 하는데, 위에서 언

급한 매년 2 – 3 건의 소송에서 <Monitor>가 진 경우는 아직까지 한 번도 없다. 한 사건을

여러 번 보도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독일 연방정보부의 플루토니움 밀수 사건 조작은 5회

에 걸쳐 보도하기도 했다. 보도에서는 WDR 법규 및 노드 라인-베스트팔렌 주의 방송법의 규

정에 따라 당사자가 충분히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때 기습적 인

터뷰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Monitor>의 방송이 끝나면 바로 이어 WDR 에서 방송하는 지역 제 3 텔레비전 방송(WDR

Fernsehen, 유선 및 위성을 통해 전국에서 시청 가능)에서 ‘<Monitor>에 대한 반대 심문’

<Monitor> im Keruzverhor)이 방송된다. 이 방송에서는 편집장 및 보도를 맡은 편집인들이

생방송으로 시청자의 전화 문의 혹은 항의에 답변을 한다. 이 방송에는 매회 몇 백 통의 전

화가 걸려 오는데, 이 전화들은 무작위로 골라져 해당 보도자와 연결된다(단지 전화 내용이

한 주제에 너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주제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한다). 전

화 내용 중에는 보도 내용을 비판하는 것도 자주 있는데 가끔 시청자의 논리 전개에 편집인

Page 80: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이 대답을 못하는 것도 볼 수 있다. 방송 당일 혹은 2 – 일 후까지 보도된 내용에 대한 전

화, 팩스는 매회 1천 통 정도로, 이 중 일부는 편지로 답변을 한다(전부 답변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바쁜 일정으로 모두 처리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 이 외에도 3 주간 약 백

여 통의 편지가 온다. 이 편지는 제보, 억울한 일을 당해 도와 달라는 요청 등 다양한 내용

으로 이에 대해서도 충분히 반응을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2) <Monitor>가 다룬 내용들

그러면 이런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Monitor>가 다루는 구체적 내용은 어떤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아래서는 1996년 4월 18일 이후 방송된 5회분의 주제를 소개한다.11) 이 중

우선 1996년 8월 29일 방송은 비교적 자세히 살펴보고 12) 나머지 방송은 방영된 순서에 따

라 간단한 내용 소개를 하겠다. 여기에서 언급해야 할 사항은 이 내용들에 <Monitor>에 의

해 새로 밝혀진 사실들이 항상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1996년 8월 29일

1. 원자력 발전소 크륨멜 – 금이 간 원자로?: 가동 중인 함부르크 근교의 원자력 발전소

크륨멜의 공사에서 중대한 결함이 있었다는 사실을 공개. 인근 지역에서는 7 년만에 9 명의

어린이들이 백혈병에 걸림(통계적으로는 20 년에 한 명이 걸려야 보통). 이 원자로 공사에

일했던 한 사림이 7월에 <Monitor>에 전화를 해 옴. 원자로를 둘러싼 압력 용기가 운반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굴곡이 생김. 16 년 전 이를 규정에 어긋나게 억지로 펴서 용접하는 과

정에 밀폐에 어려움이 생겼음(결합하는 과정을 그래픽으로 제시). 그 이후에도 몇 차례 보

수. <Monitor>가 조사한 결과 이 전화 내용이 사실이라는 것이 판명됨. 국내외 전문가(Wien

대학의 연구소 소장, 독일원자 문리학자)들은 이를 ‘모험적’으로 지적하면서 앞으로 안전

에 중대한 위험이 있을 것이라는 발언. <Monitor>의 조사 결과에 대해 해당 주의 환경부 장

관, 이 사실을 인정하지만, 자기 부임 전의 결정이라고 발언.

2. 하이티. 독일 약품의 부작용으로 어린이들 사망 : 해열제 ‘Afebril’의 부작용으로 하

이티에서 87 명의 어린이 사망 (하이티의 병원, 공동묘지, 희생당한 어린이의 부모와의 인

11) 내용 소개의 대상이 되는 방송은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방송되는 것이다.

12) 이 방송과 이에 연결된 “반대신문”(시청자 전화)을 녹화한 것은 한국방송개발원이 자료로 소지하

고 있다.

Page 81: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터뷰). <Monitor>의 조사에 의하면 이 약의 원료인 Gylzerin 은 독일 화학 회사 Helm 주식

회사의 자회사인 네덜란드의 Vos B.V 가 판 것으로(해당 물품 발송장 제시, 순수하다는 품

질 표시. 두 회사 전경과 두 회사 모두 인터뷰를 거부했다는 설명) 미국 연구소에 분석을

의뢰한 결과(미국 연구소 직원과의 인터뷰) 불순물이 섞인 것으로 판명(16.4%의 이물질, 부

동액의 원료인 Diathylenglykol). 하이티와 같은 미개발 지역에 의약품 원료를 수출하는 경

우(하이티 제약회사 전경), 판매 회사가 이의 품질을 보장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국제법 전

문가의 의견 소개. 독일 당국은 아직 이에 대한 제재 조치를 하지 않고 있다.

3. 세금. 부자들에 대한 선물 : 연방 총리 콜은 세금 부과에서 혜택 및 예외 규정을 줄

여서 공평한 세금 부과를 하겠다고 선언했다(연방 총리 콜이 검은 양복을 입은 재계의 인사

들과 파티를 하고 있는 장면).그러나 1997 년부터 적용되는 새 세제에는 여전히 최고 소득

층에게 많은 절세의 길을 터놓고 있다. 경제학 교수가 고소득층의 사람들은 여러 가지 방법

으로 세금을 내지 않는 길이 열러 있으나 저소득층은 이런 가능성이 없다는 발언. 세법 전

문 교수도 비슷한 발언. 이에 관한 예 소개(그래픽으로 보여줌). 실제 국가 세수의 대부분

은 중산층의 부담이라는 분석.

4. 기업 연금의 사기 : 많은 기업들이 피고용자들에게 사회 연금에 추가로 기업 연금을

주겠다고 약속해 놓고 실제는 이를 지불하지 않는다. 법적 소송을 통한 지불 명령도 거부하

며 재소(Jung-Werk 에서 일했던 당사자, 이 공장 피고용자 대표 인터뷰, 고용주 JUNG 은 인

터뷰 거부). 같은 입장의 다른 기업 소재. 금속 노조 간부가 이런 회사가 많다는 것을 확인

하는 발언. 추가 연금 약속을 통해 수십 억의 세금을 절약. 기업 연금을 지불하는 회사들도

물가 지수에 연계된 인상액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 Mannesmann, Grundig, Stiebel Eltron,

Olivetti, Hertie, Volkswagen 등 유명 기업이 이런 회사들의 예. 이 회사들도 엄청난 금액

의 세금 혜택(전테 약 3천억 마르크)를 받았다.

5. 대도시. 전철과 함께 도산으로 : 지방자치 단체가 예산 부족을 하소연하지만, 쾰른

시는 그렇지 않다. 쾰른 시는 서로 다른 모델의 전차를 구입하여, 전철역 공사를 이중 삼중

으로 진행했다. 계획된 전철역의 설계가 전차 모델에 맞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강행하

고, 완성된 후에 다시 고치는 공사를 한 정류장이 17개(각종 공사를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화면으로 보여줌). 모두 1천만 마르크 (55억원) 예산을 낭비.

6. 풍자 : 연방 총리 콜과 사민당 당수 라퐁텐이 동독 비밀경찰의 요원이었다는 사실을

문서를 통해 보여줌. 콜의 임무는 서독의 경제를 망치는 것이다. 증거로 실업률 증가 소개.

라퐁텐의 임무는 사민당을 망치는 것이다.

Page 82: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7. 그리스 연락선 : 1995 년에 보도한 그리스의 연락선 안전 문제를 다시 점검. 독일 관

광객이 많이 이용하는 이 연락선의 안전은 아직도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

1996년 4월 18일

1. 독일군(Bundeswehr)이 수십억 낭비 : 사회복지를 위한 예산이 절약되어야 한다면서

독일군은 군 장비 예산을 앞으로 5 년간 100 억 마르크를 늘이고자 한다. 이 내용은 ‘독일

군 계획 1997’이라는 대외비 문서에 나타난 사항. 이 계획에 따르면 이 예산은 국토 방위

보다는 국외 국제분쟁 조정 분야에 필요한 것이다.

2. 브레머하펜 종점에 : 이 달 말에 Vulkan 조선소의 파산이 결정되면 Bremerhaven 시에

끝이다. 20%의 실업률을 기록하고 있는 이 시의 경제 상태는 극심하게 악화된 상황이다. 이

경우 많은 젊은이들은 이 시를 떠나려고 한다.

3. 바드 클라이넨 : 독일 바드 클라이넨에서 테러범 Wolfgang Gram을 체포하는 과정에서

그가 총상으로 사망한 사건에서 범인이 자살했다는 주장의 허구성(저항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인 이 테러범을 특수 요원이 살해했다는 주장과 테러범이 자살한 것이라는 공식적 견해가

맞서고 있다. – 필자 주)

4. 식료품. 유전인자 로비의 승리 : 독일정부가 대외적으로는 소비자 편에 서서 유전인

자 조작으로 생산된 식품에 상응하는 표시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미국에서 유전자 공학

을 이용해서 만든 콩 식품을 특별한 표식 없이 유럽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독일 당

국도 동의했다.

5. 뤼벡 방화 사건의 새 단서 : 이 사건의 용의자로 구금된 리바논 인 Safwan E.대한 혐

의가 근거가 약하다는 사실이 프랑크푸르트 방화 전문가 Ernst Achilles 교수의 감정으로

다시 확인되었다. 이에 따르면 건물 바깥에서 들어온 사람에 의해서 화재가 발생했을 가능

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뤼벡시의 정치망명 지원자 집단 수용소의 방화로 외국인

10 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극우파로 보이는 독일 청년 4 명이 용의자로 구속되자

독일 지역은 비판과 자성의 분위기가 고조되었다. 그러나 검찰이 이 용의자들을 금방 석방

하고 대신 그곳에 거주하는 리바논인 E.를 용의자로 구속하자 이 분위기는 금방 가라앉았다.

그러나 독일의 언론은 이 용의자의 혐의가 불확실하다는 것을 보도했었는데 <Monitor>는 3

월 방송에서 이 점을 지적하는 보도를 한 바 있다.)

6. 풍자 : 연금 수혜자

Page 83: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1996년 5월 30일

1. 연방총리청, 물의를 빗어 물러난 정치가 부양 : 막데부르크 검찰에 의해 사기 혐의로

기소된 작센 – 안할트주의 전 총리 Werner Munch가 국제 노동 연맹(ILO)에 한 직책을 맡는

다. 이는 연방총리청이 추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 직책은 개발국 원조비를 재원으로 하

는 것으로 연방 감사청과 해당 관리들이 이런 식의 재원 사용을 반대하는 의견을 제출했었

다.

2. 관리가 침실 염탐 : 정부의 사회복지비 절감 정책으로 시의 사회복지 부가 예산 절약

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회복지비(빈민 생활비)를 받을 자격이 있는 사

람에게도 생활비 지불이 거부되는 경우가 흔하게 나타난다. 혼자 자식을 키우며 사는 여성

의 경우, 남자와 접촉이 알려지면 생활비 지불이 중단되어 결국 무주택 보호소로 갈 수밖에

없다.

3. 걸프전에 유산. 군인 자녀 장애자로 출생 : 걸프전에 투입되었던 군인들의 반 정도가

걸프전 신드롬이라는 질병을 앓고 있다. 원인은 화학무기 공격에 대비해서 먹은 의약품의

부작용. 유전인자까지 손상시켜 군인들의 자녀들이 장애자로 출생. 이 의약품을 대치할 약

품이 있는데도 독일군은 아직 문제의 의약품을 사용할 계획을 바꾸지 않고 있다.

4. 올림픽의 도핑 트레이너 : 구 동독 시절에 선수들의 도핑을 지시했던 ‘도핑 전문’ 트

레이너들의 여전히 이번 올림픽의 독일 팀 트레이너로 활동.

5. 풍자. 카스토 – 라이트(Light). 독일 연방정보부(BND) 가방에 든 원자재 : 원자재를

담은 Castor 수송이 시민들의 방해 데모로 엄청난 시련을 겪고 있다. 앞으로는 BND 가 이

수송을 맡기로 한 사실을 <Monitor>가 밝혀 냄 (원자탄의 재료의 하나인 플루토니움을 러시

아에서 독일로 밀수한 사건을 독일 경찰이 성공적’으로 검거했다. 그러나 이 사건은 BND가

조작한 것이라는 혐의가 짙어졌다. 정치적인 문제의 초점은 연방총리청의 안보 담당관이 이 사

실을 알고 있었느냐로 <Monitor>는 이 사건에 대해 다섯 차례에 걸쳐 보도한 바 있다.)

1966. 6. 20

1. 팔덴 기야쵸의 고난 : 티벳의 승려 팔덴 기야쵸가 정식 재판도 없이 24 년간 중국 감

옥에서 갖은 고문을 받았다. <Monitor>가 제네바 근교의 한 절에 머물고 있는 그를 찾았다.

2. 외무부 장관 Klaus Kinkel, 중국 정보부에 협조 : 중국에서 행해지는 철저한 인권유

린에도 불구하고 연방 총리 콜과 외무부 장관 킨켈은 중국 집권자에 대한 비판을 삼가고 있

다. 이유는 무역과 군비 산업에서의 중국과의 협력관계 때문. 독일 연방정보부(BND)는 중국

Page 84: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집권자의 협력 작업도 하고 있다. BND 는 중국의 아프가니스탄 국경에 중국과 공동으로 무

전탐지 시설을 운영. 이 시설로 러시아 군의 이동 무전 시설 감시. 이 시설은 현 외무부장

관 Kinkel이 BND 책임자로 있던 시기에 설치된 것이다.

3. 동독 지역의 임금 덤핑 : 동독 지역에서의 임금 체불과, 고용 협정에서 정한 기준 아

래로 임금을 낮추는 실태를 조사 보도.

4. 독일 철도 주식회사의 수십억 이동 : 독일 철도 회사의 민영화 과정에서 수십억 마르

크가 이동되고 있다. 독일연방이 철도 회사의 부채 1천 5백억 마르크를 넘겨받는 반대급부

로 철도 회사가 필요하지 않는 부동산을 연방에 넘김. 이 과정에서 사실은 철도 회사가 수

십억 마르크의 손해를 봄.

5. 경찰 스캔들. 2주간 엉뚱한 사람 감금 : 코소보에서 온 정치 망명자가 피의자와 외모

(눈 색깔)가 다른데도 불구하고 경찰이 피의자로 잘못 알고 2 주간 구금. 경찰의 이런 태만

한 사건 처리로 억울하게 구금된 사람이 많다.

6. 풍자 : 교황 독일 방문

1996. 7. 11

1. 관중 없는 축구? 세계 축구 협회의 음모 : 세계 축구 협회는 기습적인 방법으로 독일

매체 거물 Leo Kirch 에게 2002 년과 2006 년의 월드컵 중계권을 팔았다. 세계 축구 협회는

이 대회의 경기가 디코더가 필요없이 시청 할 수 있는(Pay-TV 가 아닌) 채널로 중계될 것이

라고 하지만 <Monitor>가 입수한 문서에서 Kirch 가 이를 지킬 필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

2. 북해의 원유 오염. 선장 폭로 : 유조선의 원유 찌꺼기 유출로 북해가 오염된다. 유조

선 선장과 승무원이 원유 유출이 선박 회사가 원유 찌꺼기의 청소비 절약 및 입항 기간을

줄이기 위해 선장에게 이를 가용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폭로. 몰래 뿜어낸 원유

찌꺼기가 감시 비행기에 발각되지 않도록 하는 화학약품.

3. 뤼벡 3 – 검찰의 잘못 : 1996 년 3월 <Monitor>는 뤼벡에서 발생한 정치 망명 지원자

거주지 방화 사건에 대한 검찰의 발표가 앞뒤가 맞지 않다고 보도, 4 월에는 잡힌 용의자(

그 집에 살던 외국인)가 무혐의라고 보도한 바 있다. 한 주전에 검찰은 이 용의자를 ‘긴급

한 혐의’가 없어 석방.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는 8월에 재판을 받아야 하는데, 이는 아직 ‘

단순한 혐의’가 있기 때문이라고.

4. 초콜릿 왕 루드비히. 수천만의 수익에도 불구하고 사원 복지 혜택 삭감 : 미술품 수

Page 85: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집을 취미로 하는 Peter Ludwig 교수가 운영하는 아헨의 초콜릿 기업은 1995년에 지금까지

최고인 2 천만 마르크의 수익을 기록.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휴가 삭감, 주당 작업 시간

증가, 해고 방지 조약 완화, 공장연금제 폐지 등을 피고용자 대표 기관에 제시. 이를 받아

들이지 않으면 공장을 폴란드로 옮기겠다고 위협.

5. 터키. 학생 고문자에 대한 비판 (마니사의 새 소식) : 터키 정부는 쿠르덴 족의 정당

RKK 를 약화시키기 위해 고문을 묵인. 고문의 묵인은 결국 비판적인 시민들을 반국가적 인

사로 만든다는 것을 <Monitor>가 보여줌. 다음 화요일 국가 안보 법정에서 Manisa 의 학생

들에 대한 재판이 열리는데 <Monitor>는 이를 계속 추적할 예정(터키에 고문 여부는 독일

국내 문제이기도 하다. 터키 지역에서 독일로 망명 온 쿠르덴 족 피난민을 다시 돌려보내기

위해 독일정부는 터키에 정치적 압박이 없다는 공식적인 견해를 내세우고 있다. 터키 고문

사실의 보도로 터키 우파 신문에서는 <Monitor>의 편집장 Bednarz 를 가만히 내버려둬서는

안된다고 – 죽여야 한다고 – 고무시켜 문제가 되었었다.)

6. 풍자 : 올림픽에서의 승리를 위해 정부가 국민을 괴롭힌다.

5. 소 결

독일 방송인들은 영미에서 정석으로 통용되는 ‘Print leads – TV follows’ 현상이 독일

에서도 적용된다고 말한다. 이것은 단순히 텔레비전이란 매체가 가진 특성이 인쇄매체에 비

해 충분한 자료를 제시하여 차근차근하게 설득시키기가 힘들다는 데서 오는 것만은 아니라

고 말하며 이를 반성의 계기로 이야기한다(Hall/Hufen 1991). 이 글에서 독일의 사회 고발

성 시사 보도 프로그램의 대표적 형태로 규정한 정치 매거진은 정치 사회적 변화와 함께,

또 상업방송의 도입을 통한 방송환경의 변화로 그 기능이 점차 약화되어 왔다. 여기에는 정

당을 비롯한 정치 세력과 기타 사회 세력의 간섭도 한 몫을 했다고 평가된다. 방송의 힘을

장악하려는, 또는 독립적 방송의 힘을 꺽기 위한 정치 세력의 노력은 독일에서 방송정책을

통해, 방송사의 인사 문제에 대한 간섭을 통해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방송 언론인

으로서의 기본적인 의무감에 충실하고자 노력하는 방송인들과 이를 지지하고 감시하는 비

판적 공증의 존재는, 사회의 부정 부패와 비리를 밝혀 내고, 자신의 권리와 이익을 찾을 만

한 힘이 없는 사람들에 대한 대변자로서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이 독일 방송에

지금까지 살아남을 수 있게 만들었다.

Page 86: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독일 사회에도 다른 어떤 사회와 마찬가지로 부정과 부패가 존재한다. 그러나 주로 스캔

들의 형태로 밝혀지는 비리의 사례들은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규모가 그렇게 크지 않다. 이

점에서 독일은 부정 부패가 ‘만연된’ 사회라고 볼 수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사실이

라면 여기에는 여러가지 요인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겉으로 드러난 사실의 전달에 만족하

지 않고, 전체의 흐름에 대한 역행을 시도하는 비판적인 언론 또한 적지 않은 역할을 했다

고 평가할 수 있다. 비판적 언론에서 시사 주간지 슈피겔과 같은 인쇄매체의 비중이 큰 것

은 사실이지만, <Monitor>, <Panorama>, <Report>(Baden-Baden)를 비롯한, 이글에서는 사

회 고발성 보도 프로그램으로 분류된 다른 정치 매거진들의 존재 또한 이러한 비판적 언론

이 유지되는 데 한 몫을 한 것만은 틀림이 없다.

Page 87: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Ⅴ. 미국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 13)

1. 서 론

현재 미국 방송사에서는 다수의 사회 고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오랜 장수 프로그

램인 CBS 사의 <60 minutes>을 비롯하여 ABC 사의 <20/20>, NBC 사의 <Dateline> 등 사회 고

발성 프로그램이 시청률이 가장 높은 프라임 타임에 편성되어 있다. 이 밖에도 FOX 사의

<Hardcopy>, ABC 사의 <American Journal>, NBC 사의 <Day and Date>등 타블로이드

(Tabloid)류의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도 프라임타임 외에 시간에서 몇 시즌을 걸쳐 유지되고

있다. 이렇듯 편성된 프로그램 수만으로 짐작해 봐도,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미국에서 인

기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런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정기능/역기능에

대한 논의 역시 끊이지 않고 활발히 전개됨을 볼 때,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인기 있는 프

로그램 인 동시에 미국 방송계는 물론 미국 사회에서 관심의 대상임이 틀림없다.

그렇다면, 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 미국에서 인기 있으며 관심의 대상인가? 이 글은

이러한 평범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예상외로 미국 사회의 지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에 대한 논문 및 서적은 소수에 불과하였다. 더욱이 기존의 연구 서적들은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사회적 의미, 또는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보다는 사회 고

발 기사 작성법이나 프로그램 제작 방법에 대한 교본 즉 ‘How-to book’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므로, “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 이 미국 사회에서 인기 있는가?”라는 평범한 질문은

기존의 연구들과는 다른 시각을 제시하는 동시에,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사회적 의미를

검토하고, 나아가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본 글은 “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미국 사회에서 인기 있는가?”라는 제기된 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 문제를 접근하였다.

우선, 첫째로 “왜 인기 있는가?” 하는 질문에 앞서, 통시대적 연구를 통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인기도가 현대 사회에만 존재하는 것인지 아니면, 과거에도 인기 있는 프로였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역사 연구는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 언제부터 어떠한 이유로 인

13) 이 글은 미국 위스컨신대학 박사 과정의 강원석씨의 원고를 본원 편집 체계에 의해 약간 수정한

것이다.

Page 88: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기 있게 되었는가는 물론 언제부터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라는 장르가 출현했는지 알 수

있게 할 것이다.

이러한 통시대적 연구가 수직적으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을 보았다면, 두 번째로 수평

적인 관점에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인기도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접근은 나타날 수 있는 현상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위하여 다음의 두 가지 가설로

나누어 설명을 시도하였다. 첫번째로, 시청자들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을 좋아해서 인기

있는 하다면, 왜 사람들은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을 좋아하는가? 두

번째 가설은 방송사에서 시청률과는 상관없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을 다수로 편성했다면,

방송사에게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 인기 있는 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 두 가설 중에서 현

상에 맞는 것은 어떠한 것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를 이론적으로 접근하였다.

사회 고발 프로그램의 인기도를 수직적으로 수평적으로 고찰한 후에 이 글은 인기도 때

문에 생기는 사회 고발 프로그램의 정기능과 역기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앞으로 살펴본 내용을 종합하고,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정기능

을 신장시킬 방향을 제시하였다.

2. 사회고발성 프로그램의 발전

1)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발전 과정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 어떻게 변해 왔으며, 이에 따른 인기도는 어떠했는지 그리고 왜

인기가 있고, 없었는지 살펴보자.

미국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역사는 방송이 있기 전인 신문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영국

식민지 시대인 1700년대 이전에서 그 효시를 찾을 수 있다. 1690년 9 월 25일, 벤자민 헤

리스가 출판한 <Public Occurences>는 프랑스 군대가 영국과 동맹인 인디언들을 잔인하게

학대하는 내용과 이에 대한 영국의 대처방안을 비판했다. 비록 4 일 후에 정간되었지만, 많

은 역사 학자들은 이 <Public Occurences>를 사회 고발 저널리즘의 효시라고 보고 있다. 왜

냐하면, <Public Occurences>는 두 가지의 사회 고발 저널리즘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

이다. 첫번째 특성은 시청자(신문의 경우 독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일이다. <Public

Occurences>는 기사 밑의 4 면을 빈칸으로 남겨 독자들의 의견을 유도했다. 여기에서 시작

Page 89: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된 사회 고발 저널리즘이 현재 CBS 사의 <60minutes>까지 오기까지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변천 과정을 크게 4 시대로 구분해 설명할 수 있다.

(1) Crusade 시대

본격적인 Crusade 시대는 1870 년 <New Tork Times>지가 투위드 도당(Tweed Ring)의 부정

사건에 대항하고 나섬으로써 시작되었지만, Crusade 저널리즘의 근본 정신인 사회 부정 폭

로는 식민지 시대부터 몇 개의 중요한 역사적 전기를 거치면서 발전되어 온 형태이다. 1690

년 <Public Occurrence>지 이후에 1721 년 프랭클린(James Franklin)은 New England

Currant에서 청교도들의 종두법을 비판하는 기사를 몇달동안 연재하여 공공건강에 대한 공

개 토론의 장을 조성하였다. 1735 년 존 젱거는 <New York Journal>에 식민지 총독(Royal

Governer)인 윌리엄 코스비의 부정 부패를 기사화 했다. 또한 Samuel Adams 는 <New York

Jouranl>에 영국 군대의 식민지 학대를 기사화 하였다.

식민지 당시 사회 부정을 고발하는 Crusade 저널리즘은 영국 정부를 그 대상으로 하였으

며, 독립 전쟁 이전 2 년을 정점으로 급격하게 증가(수직적으로)하기 시작했다. 당시 권위

기관인 영국 정부에 대한 비판 기사는 독립 전쟁의 수단으로 이용되었고, 그렇기 때문에 ‘

정부 비판’으로 등식화 할 수 있는 ‘사회 고발’이 미국 언론의 권리이자 의무로 미국 국민

들에게 받아들여졌다. 독립 전쟁 이후 Crusade 저널리즘은 정논지시대를 맞아 연방주의자

(Federalist)와 비 연방 주의자(Democrats)간의 정치적 비판과 폭로로 이어졌다. 당시 신

문들은 정당에서 주는 보조금으로 출간하였기 때문에 모든 신문들은 정치적 색채를 띌 수밖

에 없었다.

이러한 정당 신문 시대에서 Crusade 저널리즘으로 바뀌게 된 이유는 Penny Press의 출현

으로 가판 매수와 광고에 의해 신문이 운영되면서 정당과 경제적 고리를 끊게 되었기 때문

이다. <New York Times>지는 당시 뉴욕 시정에 막대한 권력을 행사하고 있던 민주당 Tommy

파의 보스였던 William M. Tweed 가 2 억달러라는 공금을 횡령한 정보를 입수하고, 이를 폭

로하기 시작했다. Tweed 일파는 자신들의 부정을 은폐하기 위하여 89 개 신문 잡지를 광고

계약금이라는 명목으로 매수하였고 New York Times 와 Tweed 만평을 그리던 Thomas Nast 에

게는 위협과 회유를 하였다. 이를 거절하는 <New York Times>와 이에 합세한 <Harper’s

Weekly>지의 노력으로 Tweed 파 일부는 체포되고 나머지는 유럽으로 도망쳤다. 이러한

Crusade 저널리즘의 승리로 1880 년대에 와서는 Crusade 저널리즘은 ‘사회 정화 운동’으로

Page 90: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까지 발전하여 정치 문제로 발전하였다. 그 예로 <Chicago Tribune>지의 상인들의 곡물 매

점 행위 폭로와 <New York Tribune>지의 대기오염 문제 고발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Crusade시대의 언론은 정당 신문 시대와는 달리 당익을 초월하여 정치 권력자들의 사회 부

정 폭로라는 순수한 의도를 가진 언론이었다.

과거 독립 전쟁이라는 동기가 사회 권력층의 비리에 대한 폭로를 가능케 했지만, 언론의

경제적 독립이 Crusade 저널리즘 나아가 사회 고발 저널리즘의 기반이 되었음은 두말할 나

위가 없다. 그렇다면 Crusade 저널리즘이 정당지가 대중지로 변신하면서 가져온 정기능을

서술한 것이라면, 그 역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Muckraking시대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2) Muckraking(추문 들추기)시대

1980 년대부터 1919 년까지의 소위 ‘황색 저널리즘’(Yellow Journalism)시대 또는

“Muckraking”시대라고 부른다. 이시기에 신문은 상업화되면서 부수 확장과 광고 수익을 위

해 정치적 사회적 부정 폭로보다는 흥미 위주의 가십과 스캔들 사건의 폭로에 치중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의 사생활을 침해 하였다. <New York Journal>의 윌리엄 허스트가 쿠바에 나가

있는 특파원에게 “기사를 써라 전쟁을 만들겠다”라는 말은 선정주의의 극치라고 하겠다.

이 시기를 “Muckraking”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1906 년 루즈벨트 대통령이 그 당시 잡지

들이 너무 이러한 폭로 기사에만 치중하는 것을 비꼬아서 그렇게 표현한 데서 비롯되었다.

“Muck”란 오물 쓰레기 등을 말하며 “Rake”란 샅샅이 찾다 라는 뜻으로 사회 밑바닥에 있는

내용을 들추어 기사화 하는 것을 말한다.

루즈벨트 대통령이 잡지를 염두에 두고 Muckraking 이라는 단어를 만들어 냈듯이 소위 ‘

진보적인 시대’를 이끈 것은 신문보다는 잡지였다. 이러한 대중지들은 사회 고발 기사의

대상을 대기업체, 정치가, 그리고 사회 부정에 두고 심층 보도를 하였다.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은 이 시기에 ‘Yellow Journalism’으로 표방되는 Pulitzer 의 <New York World>나

<New York Journal>과는 달리 Crusade적인 면이 이런 대중지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는 사

실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1902년 11월 <McClure’s>지에 Ida Tardbll이 연재한 “Standard

석유 회사의 역사”라는 기사이다. Tarbell 은 미국 경제 부호인 록펠러(John D.

Rocdefeller)가 어떻게 부와 권력을 갖게 되었는지, 어떻게 다른 작은 석유 회사를 협박과

회유를 통해 헐값으로 매매하여 석유 회사를 확장했는지를 낱낱이 밝혔다. 그런데,

Tarbell 이 18 회 동안 <McClure>에 연재한 내용은 록펠러의 개인사에 대한 폭로가 아니라

Page 91: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모두 독점기업에 일으키는 폐해를 다루었기 때문에, Crusade 성향을 띠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런 기업 비리를 파헤친 기사가 대중들의 환호를 받자 다른 잡지들도 앞을 다투어

정치 경제 사회의 부정 부패를 발굴해 폭로하기 시작하였다. 1905 년 <Cosmopolitan>지는

“International Harvester Company” 의 독점을 폭로하였고 1905 – 1906 까지 World’s Work

지는 6 부작으로 보험회사의 부패상을 연재하였다. <McClure’s>와 <Collier’s>지는 그 당

시 가장 부를 누린 기업 중 하나인 철도 회사의 폭리를 다루었다. <Cosmopolitan>지는 설탕

회사의 독과점과 관리 뇌물을 폭로하였고, <Hampton’s>지는 General Electric 회사의 상수

도 독점하려는 의도를 폭로하였다. 이들 대중지들은 경제 비리뿐만 아니라, 정치비리 역시

파헤쳐 폭로했는데 Harper’s지가 뉴욕 시의 부정을 들추어 낸 것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밖에도 <McClure’s>지는 St. Louis 시와 여러 지방 도시의 부정을 10 부작으로 연재해 전

국의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Muckraking시대가 가능할 수 있던 것은 사회적 조건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었다.

중산층이 권력과 부에서 격리되면서 이들 식자층간의 불만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들은 미국

의 산업 혁명이 가속화되면서 신흥부호가 생기고 이런 신흥 부호들이 경제와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목격하였다. 또한 이로 인한 불만은 이민 인구가 증가하면서 노동

을 통한 영향력 행사의 길도 막히고, 설상가상으로 1897 년경에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중산

층의 불만을 가중 시켰다. 이러한 산업의 급격한 성장과 그것의 비대화, 그리고 도시화로

인한 사회부조리의 증가로 인해 팽배해진 대중들의 사회적 불안감과 좌절감 때문에, 당시

대중지들의 부패 권리남용의 폭로 기사는 대중들에게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대중지들은 신문에 비해 사회 고발 기사를 쓰기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었다.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는 일간지는 폭로 기사 후에 부수 감소나 광고주 감소의 걱정을 해야 했으나,

대중지는 프리랜서 르포 기자를 고용해서 한 도시에 잠입 취재하고 떠나는, 지역에 국한되

지 않은 전국지 였기 때문에 지역에 기반을 둔 일간지와는 달리, 폭로 기사를 실을 수 있었

다. 이러한 잡지의 특성을 미국 National Network TV 가 이어받았으며 <60 minutes>,

<20/20> 등이 뉴스 매거진 프로그램으로 불리는 것만으로도,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 잡지

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를 찾을 수 있다. 지금도 지역방송이 아니라 전국 네트워크

방송에서 사회 고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 것은 그 당시 전통을 이어받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신문, 대중지 Muckraker 들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고 볼 수 있다. 지역 부

패상에 대한 보도는 연방 수사 본부<FBI)가 이를 수사하게 하였고, 연방 정부는 공증 보건

에 대한 기사 이후 식품, 약품 위생법(Pure Food And Drug Act)을 통과시켰다. 이런

Page 92: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Muckraking 저널리즘이 정책 수정으로 이어질 수 있었던 이유가 된 데는 대중뿐만 아니라,

정부 관리들의 호응도 있었기 때문이다. 한 예로 St. Louis시 행정을 파헤친 “The Jungle”

이라는 기사를 쓴 Lincoln Steffens은 Roosevelt 대통령의 친구였다. “Muckraker”라는 이

름은 붙여 이들이 비판했던 바로 그 루즈벨트 대통령은 Steffen 이나 Sinclair 같은 유명한

Muckraker들을 만나서 정책 수립에 자문을 구했었다.

하지만, 정책 수립으로 이어지는 몇 번의 성공 사례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진보의

시대’(Progressive era)라고 불려지는 이 시대에 Muckraker 들이 사회 정의 실현에 성공했

다고 사회학자는 평가하지 않는다. 오히려 부정 부패에 대한 대안 책이 없는 폭로가 시간이

갈수록 대중들에게 허무감만 안겨주었다는 것이 Muckraking 저널리즘의 결과에 대한 다수

의 평가이다.

(3) 탐사 저널리즘의 휴지기

대중들의 허무감은 신문과 잡지 판매 부수의 절감으로 이어졌다. 1916년 2461 개의 일간

지들의 42.6%의 수만이 명백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판매 부수 절감에다 Muckraking 으로 인

한 기업들의 반감이 광고 해약으로 이어져 많은 신문과 잡지들이 폐간하기에 이르렀다. 게

다가 몇 개의 <McClure’s>지 같은 몇 개의 유명한 대중지들은 기업에게 인수되어 자연히

논조가 약해지기 시작했다.

르포 기자들(Muckraker)은 정부 관리와 협조하기에 이르러 1910년도 후반에는 이들이 정

치 운동가로 변신해서 당시 공화당 후보였던 태프트(Taft)대통령, 진보당의 루즈벨트

(Theodore Roosevelt) 후보, 그리고 민주당의 윌슨(Woodrow Wilson) 후보의 선거 운동에

각자 참여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윌슨이 선거에 승리하자, 그를 지지하던 많은 르포 기자들

이 입각해 정책 수립에 영향을 주었다.

사회 고발 기사의 쇠퇴를 초래한 또 다른 변수는 두 차례에 걸친 세계 대전이다. 미국이

직,간접적으로 전쟁에 참여하게 되자 내부의 부패와 부정을 폭로하기보다는 국가 이익에 관

련되는 기사가 독자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더욱이 1 차대전 중에는 윌슨 대통령이

Committee On Public Information(CPI)을 구성하고 <Official Bulletin>이란 신문을 발행

하여 국가 의식을 고취시켰으며 이에 많은 르포 기자들이 참여하여 미국이 직접 개입하기

시작한 1917 년에는 Muckraking 은 사라지게 되었다. 2 차대전 중에도 여전히 사회 고발보다

는 외부의 적에 대한 공격과 국민 의식 고취에 더 중점을 두는 기사가 주를 이루었다. 더욱

Page 93: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이 루즈벨트 대통령에 대한 큰 지지는 기자들로 하여금 정부 비판을 더욱 힘들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1 차대전 이후 나타난 지식 혁명(Intellectual Boom)으로 인해 대중들은 사

회 부정 고발보다는 쏟아지는 지식을 해설해 줄 해설 보도(Interpretive Reporting)잡지를

선호하기 시작했다. 이에 McClure’s 같은 폭로지가 Time지 같은 해설지로 대치되기 시작했

다. 이러한 사회 고발 기사의 쇠퇴는 1950년대까지로 이어졌다.

(4) 방송의 등장과 워테게이트 사건

1950 년대 냉전 시대에는 미국내 공산주의 공포(Red Scare)가 계속되었다. 이 시기에 위

스콘신주 상원 의원 맥카티(Joseph McCarthy)의 발표로 미국 전체는 매우 불안하였다. 당

시 라디오가 해 오던 해설 보도(Interpretive Reporting)의 전통과 1910 년대의 사회 고발

전통을 합쳐서 구성한 CBS 사의 <See it Now>는 사회 고발 방송의 중요한 효시가 되었다.

현재 장수하는 동 CBS 사의 <60 minutes >의 전신인 <See it Now>는 , Fred Friendly 가 제

작하고 Edward R. Murrow 가 사회를 보았으며, 이 프로그램에서는 맥카티 상원 의원의 모순

됨과 왜곡됨을 맥카티 의원의 증언 tape 을 가지고 파헤쳐 맥카티 상원 의원의 지지를 순식

간에 무너뜨렸다. 방송된 후 20 시간 내에 10,000 통의 격려 전화와, 전보를 받은 이 프로

그램은 사회 고발 TV 프로그램의 화려한 개막을 알렸다. 맥카티 의원은 이 프로그램에 대한

반론도 제대로 못하고 의원직을 불신임으로 박탈당하고 1957 년에 사망했다. 이러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부활은 계속 이어져 1968 년 베트남 전쟁까지 이어졌다. CBS 뉴스에서

Cam Ne 마을 전체를 미 해군이 지포 라이터로 태우는 것이 방영되고, MyLai 절에 베트남 승

려와 시민 109 명을 학살하는 것이 방송되자, 미국내 여론은 베트남에서 미군을 철수 시키

는 데로 모아졌다. 이로 인해 확전에 책임을 물고 존슨 (L. Johnson)대통령이 재선 불출마

선언을 하게 되었다. 신문 역시 Pentagon paper 폭로 사건을 통해 닉슨 대통령의 정치적 불

신임을 조장했다.

무엇보다도,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나 기사가 각광받게 한 가장 큰 계기는 역시

Watergate 사건이었다. 1972 년 <Washington Post>지의 두 젊은 기자였던 우드워드(Bob

Woodward)와 번스타인 (Carl Bernstein)이 민주당 선거 운동 본부 도청 사건과 닉슨 행정부

의 은폐 조작을 파헤쳐서 폭로 보도함으로써 급기야는 닉슨(Nixon) 대통령까지 쫓아내게 되

자, 이런 고발 프로그램은 방송 신문 양쪽에서 각광받기 시작했으며, 이들 프로그램과 기사

는 정부, 기업 관리의 부조리 부정을 보도하여 제 2 의 사회 고발 저널리즘의 전성기를 이

Page 94: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루었다. Watergate 사건의 영향은 TV 에도 이어져, 1980 년대 초까지 CBS 사의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인 <60 minutes >은 최고의 시청률을 누렸으며 현재에도 여전히 시청자들의 호응

이 대단하다.

(5) 소 결

미국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역사를 볼 때 시작은 식민지 시대인 1,600 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므로, 지금의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역사는 미국 저널리즘의 역사와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 미국 저널리즘의 한 부분이라고 할만큼

오랜 시간에 걸쳐 발전해 왔지만, 그 성쇠를 살펴보면 사회적 여건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사회의 여러 계층간의 불만이 있을 때 나타난다. 1910 년대의 Muckraking 시대는

그 당시 초기 이민자와 후기 이민자, 상류층의 독점, 횡포 그리고 중산층의 격리에서 비롯

되었다.

두번째로, 외환이 있을 때는,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기사)이 쇠퇴하였다. 1 차대전과 2

차대전 중에는 정부 통제가 정당화되고 신문, 방송은 국가 이익을 반영하는 기사를 우선화

였다.

마지막으로, 가장 큰 결정 변수는 정권의 정통성 또는 인기도와 관련 있었다. 제 2차 대

전중 사회 고발 기사의 부재는 전쟁이라는 이유만 아니라 루즈벨트 대통령의 높은 지지도에

도 기인했다.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부흥기인 1960 년대 중에서도 유달리 1960-1963 년까

지 케네디(Kennedy)집권 기에는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휴식기 였으며, 신문과 방송이 앞

을 다투어 케네디 열풍(Kennedy Craze)을 반영하였다. 이에 반해 인기가 별로 없었던 닉슨

대통령을 베트남 전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 고발 기사와 프로그램에 정치적 타격을 입

고 대통령직까지 물러나게 되었다.

2) 사회 고발 프로그램 현황

미디어 시청률 조사로 유명한 닐슨 미디어 리서치(Nielson Media Research)의 홈 페이지

에 들어가 보면 그 주의 방송 순위를 알 수 있다. 8 월 29 일 현재 공중파 방송인 ABC 사,

CBS 사, NBC 사, FOX 사, Warner Brothers 사, 그리고 United Paramount Network(UPN)사의

Page 95: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프로그램 순위를 보면, 네트워크의 경우 20 위안에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으로 분류될 수 있

는 프로그램이 네 개나 들어 있다. 이들은 <20/20>, <60 minutes>, <Dateline>, <NBC-

Wednesday>, <Dateline NBC-Friday> 등이다. 이중 <20/20>는 2 위, <60 minutes>는 7 위,

<Dateline-NBC Wednesday>는 14 위, 그리고 <Dateline NBC-Friday>는 18 위를 차지하는 것

으로 보아서 이들 프로그램이 상위에서 머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중에서 <60 minutes>의 경우 비록 처음에 방송되자마자 직접적인 관심을 순위 안에서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1976-1977 시즌에 처음으로 닐슨 리서치 20 위안에 들어온 이후,

1979-1980 년 최초의 시청률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으로 발돋움하였고, 이러한 시청률은 20

년이 지난 지금에도 계속되고 있다.

신디케이트가 되어 있는 프로그램들을 보면, 25위안에 <Hard Copy>가 들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앞에서 이야기한 <20/20>, <60 minutes>, <Dateline>등과 같은 프

로그램보다 연예계 비리나 매춘, 범죄 사회의 비리를 고발하는 폭로형을 가지고 있지만, 뉴

스 매거진 프로그램과는 다른 타블로이드 폭로에 가까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지만, 이러

한 사회 고발 성격을 가진 프로그램도 신디케이트 프로그램 순위 안에 들어 있다는 것은 특

이할 만하다.

3) 이론적 접근

앞에서 보았듯이 역사적으로 미국 시청자들은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을 선호해 왔다. 그

렇다면, 이 시점에서 왜 미국의 시청자들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을 선호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과연 미국의 시청자들은 사회적인 정의감을 가지고 사회 고발 TV

프로그램을 접했을까? 아니면, 재미있는 프로그램으로 채널을 돌리다 보니 선정적이고 자

극적인 혹은, 그렇게까지는 되지 않더라도 충격적인 화면과 내용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으로

귀착되었던 것일까?

능동적 수용자와 능동적 수용자

만약, 전자의 경우처럼, 미국의 시청자들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을 자신들의 정보 욕구

와 획득한 정보를 사용하려는 의도로 시청했었고 현재에도 그렇다면, 이러한 접근은 능동적

수용자 이론(Active Audience Theory)과 이용과 충족 이론(Uses and gratifications)등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후자의 경우처럼, 시청자들이 사회 고발성 프로그

Page 96: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램을 자신들의 재미와 프로그램 시청에 따르는 자극 때문에 보게 된다면, 이것은 수동적인

수용자 이론을 적용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능동적 수용자와 수동적 수용자는 실제 TV 시청 형태에서 다른 특성을

가지고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 할 수 있다. 그 특성들 중 첫째로, 시청을 하는데 있어서 시

청자들의 의도성(Intentionality)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의도적인 시청은 대부분 계획

된 그리고 시청 목적을 가진 시청이다. 이러한 시청이라면, 보다 시청 목적에 충실한 시청

이 이루어지리라 예상 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의 특성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은 선택성(selectivity)이다. 미국의 많은 TV 프

로그램 연구에 의하면, TV 시청이 상당히 능동적인 선택을 요구할 것처럼 보이는데도 불구

하고, 이를 대부분 수동적인 선택으로 간주한다. 그 이유는 미국 시청자들의 하루 종일 TV

를 켜 놓고 생활하는 것을 감안할 때 납득이 갈 것이다. 이러한 선택성의 문제는 이용과 충

족의 이론 중 개인적인 필요에 의해서 시청자들이 선택적으로 프로그램에 자신을 노출한다

는 이론으로 설명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자면, 시청자들이 정보를 습득하여 자신들의

정보 욕구를 충족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선택적 노출하며, 특히 뉴스 시청자들은 다른 프로

그램 대신 선택적으로(Selective ezposure) 뉴스를 본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세번째 특성으로는 참여(Involvement)에 대한 것을 볼 수 있다. 시청자들이 시청을 하면

서 자신들이 시청하는 내용에 대하여 어느 정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가 하는 것이 참여도

를 결정한다고 하겠다. 자연적으로, 능동적인 수용자가 수동적인 수용자보다 높은 참여도

를 가질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가진 연구중, 조사 방법을 사용한 연구를 찾아보았다. 우선 TV 사

회 고발성 프로그램과 비슷한 성격을 가지는 TV 뉴스에 대한 시청자수용 연구를 살펴보자.

앞에서 언급한 능동적 수용자와 수동적 수용자 이론은 여론조사 설문지 작성을 위한 개념화

단계에서, 각각 관습적인 TV 시청, 그리고 이용과 충족을 위한 시청의 두 가지의 미디어사

용 패턴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여기에서 관습적인 시청(Ritualized media use)이란, 시

청자들이 미디어를 미디움(매체)으로만 생각하여 그 안에 담긴 내용들을 보기 위하여 시청

하기보다는, 시간을 보내기 위하여, 습관적으로, 그리고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시청하는 것

을 의미한다. 이에 반하여, 도구적인 시청(Instrumental media use)이란 시청자들이 보다

의도적으로 선택하고 심사하여, 특정한 내용을 시청한다는 것을 말한다. 물론, 관습적인 시

청은 수동적인 수용자의 이론 그리고 도구적인 시청은 비교적 능동적인 수용자 이론에 가까

이 포함 될 수 있을 것이다.

Page 97: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이 두 가지 시청 형태에 대한 루빈과 퍼어스(Rubin & Perse)의 연구에 의하면, 미국의

시청자 개인들은 TV 뉴스를 시청할 때, 자신들의 어떠한 시청동기 때문에, 그리고 내용에

대한 기대 때문에 시청한다고 한다. 또한, 그저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 TV를 시청하는 것은

보다 산만한 시청 형태를 낳는 다는 것이다. 반대로 정보를 찾고자 하는 욕구나 동기를 가

지고 하는 시청은 보다 높은 참여도(Involvement)를 보인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들의 연

구에서는 미국 시청자들의 TV 뉴스 시청은 도구적인 시청 패턴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미국의 시청자들이 도구적인 시청을 보다 많이 한다는 것은, 시청자들이 자신들이

시청하는 내용에 대한 기대치(Expectancy value)를 가지고 시청을 한다는 것, 미디어를 이

용하고 그 이용에 대한 충족(Uses and gratifications)을 위한다는 것, 그리고 특정한 믿

음과 평가의 과정을 거치면서 시청을 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Rubin, 1987)

Rubin 은 이어지는 <60 minutes> 같은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경우는 어떠한가’에 대

한 연구에서, 그는 이용과 충족의 이론(Uses and gratifications)을 이용하면서, <60

minutes>을 보는 동기를, 다른 일 대신에 할 수 있는 시간 보내기(Substitution), 정보 사

냥(Information seeding), 오락(entertaining), 그리고 시간 때우기(time consuming)의 네

가지 변수로 나누어서 개념화하여(Conceptualization) 연구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개념의

변수 중 앞에서 던진 의문점인 능동적인 수용자 대 수동적인 수용자의 문제와 관련되는 것

은, 과연 시청자들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을 순수한 정보 사냥(Information seeding)의

욕구를 위해서 시청하는가 혹은, 오락(entertainment )을 목적으로 하여 시청하는가 하는

것이다.

결론 부분에서 Rubin 연구는 <60 minutes>의 주된 시청자 층의 구성을 보여주는데, 이것

은 이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에 시각적이고 역동적인 화면을 보여주는 미디어와 함께 자란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청자 계층들이 <60 minutes>을 보는 이유를 단순

한 정보 사냥을 위한 것으로 볼 수도 없고, 정보 사냥과 오락의 복합적인 목적으로 프로그

램을 시청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다시 말하자면, 이러한 <60 minutes> 프로그램에 대한

친근감을 가진 지속적인 시청자들은,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정보 사냥도 하고, 동시에 오

락적인 요소도 즐기려는 목적을 갖고 시청한다는 것이다.

<60 minutes>의 프로듀서들은 이러한 시청자들의 오락과 정보를 같이 추구하는 성향

(Hybrid type)을 익히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60 minutes>은 TV 가 요구

하는 시각적이고 드라마틱한 요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60 minutes>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기존의 프로그램처럼 전통적으로 혹은, 직접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

Page 98: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라, 모험 영화나, 드라마의 구성같이 꾸미면서 정보를 시각적으로 잘 포장하여 보여주기 때

문이다. 이러한 특성의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 <60 minutes>는 드라마 기법인 발단과

절정의 구성을 이용하기도 하고, 프로그램에 시청자들의 편지나 인터뷰를 통하여 직접 참여

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드라마 적인 구성은 미국 TV 시청자들의 기대와 요

구에 잘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4) 순기능과 역기능

앞에서 고찰해 본 바와 같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60 minutes>, <20/20>같은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부터 <Hardcopy>와 같은 폭로 류의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까지 십

수개에 달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런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 시청자 및 언론에 어떤 영향

을 미치는지 그 정기능과 역기능에 대하여 알아볼 차례이다.

우선 일반 뉴스 프로그램은 여러 아이템을 마감 시간이라는 시간적 제한 속에서 취재하

여 종합적으로 포장하여 한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지지만,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시간적 제

한을 비교적 덜 받고 선택된 몇 개의 아이템을 집중 취재함으로써, 일반 뉴스가 사건에 대

한 묘사에만 그치고 해결책을 제시 못하는 또한 해결책에 미흡한 ‘소방수 저널리즘’일 수

있는데 반하여,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한 사건의 사회적 배경 등 원인 분석에서 시작하여

사건을 다양한 각도에서 재조명하고 마지막으로 사회 정책과 연관시켜 해결 방안을 제시함

으로써, 본래 저널리즘에서 제시하는 바람직한 언론 상을 구현하다는 측면이 있다.

또한 효과론적, 또는 수용자 측면에서 볼 때,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특정 뉴스 아이템

을 재조명 또는 부각시킴으로써 의제 설정 기능(Agenda setting)을 하게 된다. 비록, 여러

다른 뉴스 아이템 속에 묻혀 사회의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전문가적인 명에서 볼 때 집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문제를 부각시킴으로써, 시청자를 계도하는 언론의 또다른 임무를 수행

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이 있다.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본질상 일반 뉴스 기사와 다를

바가 없다. 다만, 기사마감시간 등 현대 방송사 구조의 기계적인 약점을 보완함으로써 더욱

더 언론의 본연의 임무를 잘 수행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몇 가지 역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 아이템에 대한 원인

분석, 다각적 시각 제시, 인터뷰 등을 통한 재조명, 그리고 해결책 제시를 통해, 그 뉴스

아이템에 대해서만큼은 사회적 이슈를 부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모든

Page 99: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아이템들은 그 중요성을 상실하게 된다. 이는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 ‘이 뉴스 아이템이

중요하다’라고 말하는 동시에 ‘다른 뉴스 아이템은 잊어도 좋다’는 말을 하게 되는 것과

같다. 따라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다른 뉴스의 중요성을 희석하며 중요한 이슈를 사회

적 관심으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둘째로, 효과론적인 측면과 관련해서 시청자는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을 통해 현실을 과

장되게 느낄 수 있다. 거브너(George Gerbner)교수의 ‘Cultivation 이론’에 의하면, “TV

프로그램의 많은 양의 시청은 사회를 실제 현실 보다 과장되게 보게 하는 영향이 있다”라

고 말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에서 도시 조직 폭력배 문

제를 다루었을 때, 조직폭력배에게 당할 가능성이 실제 보다 더 많은 것이라고 인식하게 하

여 사회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셋째로, 인터뷰 방법을 통해 진위를 가질 경우 이슈의 진위뿐만 아니라 그 인터뷰에 응

한 사람 또는 취재에 관련된 사람들을 옳고 그르게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서 그

사람들까지도 언론 재판하는 일을 범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시청률이라는 경제적, 조직적 압력 때문에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선정주의

화 될 수 있다. 전문가 입장에서 선택한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아닌 시청자들이 볼 것

같은 선정주의적 주제를 기준으로 정하고, 취재 과정에서의 불필요한 화면 등 시청률을 의

식한 제작을 함으로써 사회 계도나 파수꾼 기능으로서의 언론보다는 오락 기능으로서의 언

론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선정주의화는 그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에만 그치지 않고 전체 뉴

스 프로그램의 신뢰도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3. 소 결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일반 뉴스가 가지고 있는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그리고 바람직한 언론 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정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

런 정기능을 강화하는 일이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법이라

고 하겠다.

본론 첫 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협의의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정책 반영을 전제로

하고 있다.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정책 수립 또는 수정으로 이어져야 하며, 이러한 연계

가 단절될 때,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단순 폭로 기사가 될 뿐이며 시청자의 허무감만 증

Page 100: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가시킬 뿐이다. 그 예로써 1910년대 Muckraking시대 당시 신문들이 일반 독자들에게 준 허

무함이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초반 폭로 기사에 일반 시민들은 그들의 불만을 해소시킬

수 있었으나 정책이 뒷받침되지 못한 계속된 폭로 기사에 오히려 상대적 박탈감의 극대화로

인한 허무감이 가중되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현재 방송사에서 방송되는 사회 고발성 프로그

램이 만약 정책과 연결되지 않는다면 그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사회 불만과 허무감만을

야기할 뿐이다. 반면에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이 여론형성 그리고 이에 대한 정책 수립까지

이어질 때 방송사 역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 주제 설정에 신중을 기할 것이며, 이는 정기

능 강화의 첫번째 방법이 될 것이다.

두번째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정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전반적인 사회 개선이 필요하

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내용일 수도 있으나, 미국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발전 과정을 통

시대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사회 불안이 팽배해질 때 사회 고발 기사(프로그램)가 증가하였

고 정부에 대한 신뢰도의 하락과도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과학적 조사 방법에 따른 연구결과에 의하면, 시청자는 사회 고발 프로

그램을 시청할 때 정보 사냥(Information seeking)의도와 오락 추구(Entertainmemt

seeding)모두를 고려하고 선택한다고 한다. 이미 뉴스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오락적 기

능까지 시청자가 고려한다고 할때,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제작자는 ‘시청률’이라는 변수

를 염두에 두기 때문에 선정주의화의 유혹을 다른 일반 뉴스 제작자보다 많이 받게 된다.

더욱이 미국 방송사가 상업방송임을 고려할 때,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 제작자에게 오는 선

정주의화의 유혹 또는 압력은 더욱 가중된다. 따라서 시청자의 오락 성향을 인식하고 오락

적 요소의 적절한 균형을 통해 선정주의화를 견제하는 것이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순기능

을 강화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Page 101: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Ⅵ. 결론 및 제안

오늘날의 한국사회는 부정, 부패, 불의, 비리 등의 사회악이 사회 전반에 걸쳐 깊숙이

퍼져 있는 병리적 현상을 보이고 있다. 사회 일각에서는 이러한 심각한 상황을 인식하여 자

정 및 개혁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도 사회악을 사회문제로 심각하게 보지 않고 단

순히 한국적 관행쯤으로 여기는 사회 분위기가 지배적인 듯하다. 이러한 한국적 상황에 비

추어 볼 때 진정한 매스미디어의 사회적 감시와 책임의 기능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러므로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통한 방송의 사회 감시역할의 의미는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다.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존재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도덕적 이

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존재만이 능사는 아니다.

왜냐하면 얼마나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사회악과 사회문제를 지적하고 분석하는 지의 과정

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가 주로 ‘폭로’와 ‘탐사’라는 성격을 주요하게

부각시키고 있는데 명확한 주제 의식이 심층적인 취재와 논리적인 과정을 수반하여 전달되

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로 우리나라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제작 과정

과 내용에 있어서 적잖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를 요약하면 소재 선택의 제한성,

임의적인 논거 사용, 센세이셔널리즘에 대한 편승 등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되기 위해

서는 제작진 내부의 의식 변화와 제작진 외부 환경의 변화가 동시에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제작진 내부의 의식 변화가 강조되는 부분은 인터뷰 방식, 진행 방식, 설득력 생산 방

식,자료 이용 방식에서 보여지는 일반적인 문제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 지적과 아울러 선진국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약

사 및 현황을 고찰하여 보다 나은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아래와 같이 몇 가지 제안을 하

고자 한다.

??보다 많은 책임 있는 제보와 객관적 정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내부고발자에 대한 사회

적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아이템 선정에 있어서 시

민의 제보는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사회 각계각층의 조직에 존재하는 비리, 부

정, 부패는 그 조직의 성원이 아니면 그 내막을 잘 알 수가 없다. 흔히 내부 문제라고

생각하는 관행과 사건들이 실제로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문제로부터 발생하는 경우가 많

Page 102: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다. 따라서 내부 문제를 단순한 사적 문제가 아닌 공적인 문제 즉 사회 문제로 인식하여

이를 척결하고자 하는 시민 고발 정신을 권장하고 이를 실천하는 시민들을 격려하고 보

호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 사회의 잘못된 관행 및 부정을 덮어두려는 온정주의적 사

고방식과 태도는 합리적 사회, 건강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불식되어야

한다. 그리고 내부 정보제공자들에 대한 인식도 달라져야 한다. 이들을 고자질하는 나쁜

사람, 의리 없는 사람 정도로 몰아가는 사회적 분위기가 바뀌어야 한다. 공사를 구별하

고 합리적이고 투명한 사회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공익 정보제공자들이 많아지고 이들

을 보호하고 이들이 위신을 갖게 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에 관련된 법규를 제정하는 일

은 궁극적으로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의 아이템을 풍부하게 하고 보다 깊은 심층 취재 및

많은 객관적 증거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제작진이 정치, 경제, 이념 및 국방 등 경성 아이템을 과감하게 다룰수 있도록 방송

사 경영진과 제작진을 포함한 방송 언론인들의 투철한 직업의식이 필요하다. 흔히 경성

아이템이라고 불리는 주제들은 그 사회의 권력 구조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고 그 구조의

결정 과정과 결과가 방송사나 사회 일반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제작진들은 이러한 아

이템의 선택을 스스로 기피하거나 아이템 선정에 있어서 외부의 압력을 받을 수 있다.

독일의 경우 단 한 번도 외압이 없었다는 것은 방송사 경영인이 이를 잘 막아 주는 언론

본연의 자세를 잃지 않았음을 말해 주고 있음을 이미 살펴본 바 있다. 사회악의 고발에

있어서 성역은 있을 수 없다.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독일의 방송 프로그램처럼 자신의

의사나 이해를 개진할 수 없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면서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힘있는 세력의 부정과 비리를 파헤치는 것에 목표를 두어야 한다. 이때 권력 관계의 차

원에서 이용하려는 세력을 경계하여야 하며 만약 이러한 일이 나타날 경우 이 역시 고발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언론의 자유를 수호하고자 하는 방송사 경영진 및 언론

관계인들의 보다 투철한 직업의식과 민주 시민 정신이 요구된다.

??제작진들은 방영된 소재와 제작진의 주장에 대해 상반되는 의견을 가진 이들이나 당

사자들로부터 항의나 법률적인 소송 등을 제기 받는 경우가 있는데 이에 대한 회사측의

법률적 지원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방송사 경영진은 법률적 문제에 대하여 제작 과정에

서 도움을 주고 차후의 문제를 전담할 법률적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

해 제작진이 제시한 논거와 주장의 타당성이 한층 심화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정적이고

자신감 있는 제작 태도가 마련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시청자들의 의문과 항의성 질의

Page 103: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방송 후에라도 제작진이 취재 자료를 토대로 보충 설명과 해명할

수 있는 방송시간도 마련함으로써 시민의 사회참여도를 높이고 불필요한 의혹과 오해를

없애면서 공공성을 제고 하면서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은 ‘사실 전달’에 있어서 객관성과 공정성을 유지하

면서도 해당 사안에 대한 입장 정리가 명확해야 한다. 아무리 고발적 성격을 띤다고 하

지만 시종일관 피고발자를 궁지로 몰아붙이는 식의 취재는 곤란하다. 바람직한 고발 형

식은 균형 있는 취재원의 선택, 가해자에 대한 변론권의 보장, 명확하지 않은 자료에 대

한 보도 자제 등을 통해 객관성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독일의 대표적인 정치 시사

보도 프로그램인 <Monitor>의 경우 <추적 60 분>이나 <PD 수첩>과 제작 기간이 3~4주 정

도로 비슷하다. 독일 공영방송 체계와 한국의 방송 체계가 제작 외부 환경의 전적인 지

원 체계에서 그 차이가 존재함을 전제 하더라도 제작 실무자들이 프로그램 제작에서 가

장 주안을 두고 있는 지점도 상이하다. ‘어떤 식의 접근이 가장 효율적으로 시청자에게

호소할 수 있는가?’의 문제보다 ‘수집된 자료의 타당성은 의심받고 있지 않은가?’와 같

은 점에 비중을 두는 것이다. 이는 짧은 제작 일정에도 불구하고 공신력 있는 사회 고발

프로그램으로서의 전통을 이어가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오보’의 방지이기 때문이다.

취재 내용 중 결정적인 것이 객관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거나 재론의 여지가 많은 것

이라면 방영 시기를 늦추면서라도 자세하게 검토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주일 방영

분 이상의 여유 있는 아이템에 대한 진행이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 취재 내용의

부실함이 의심될 때는 후속 취재가 필수적이다.

??앞서 내용 분석에서 밝혔듯이 인터뷰 범주에서 꼭 필요한 범주 (고발자와 피고발자를

포함하는 당사자, 주장의 신빙성을 검증할 제 3자, 조언의 역할을 할 전문가 등)가 빠트

리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제작진은 일반적으로 고발자나 피고발자가 취재에

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취재에 어려움이 많다는 점을 호소한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도

몰래 찍기나 훔쳐보기 같은 손쉬운 방식의 유혹에 넘어가다 보니 장기적이고 다각화된

방식을 통해 최소한의 대상 점주를 충족시켜야 하며 취재의 완전한 불가능성이 예상될

때는 아이템을 포기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인터뷰는 직접적인 의사 개진

의 방식으로 여타의 의견 개진보다 시청자에게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따라서 인

터뷰의 필수적인 기능은 충족되어야 하지만 전적으로 인터뷰에 의존하여 논리를 전개시

켜 나가는 것에도 문제가 있다. 구체적인 인터뷰 방식으로는 강제적 혹은 유도적 인터뷰

Page 104: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방식을 지양하고 논거 확증과 대안 제시 방향에서 인터뷰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

한 의미에서 전문가 인터뷰는 단순한 원론적, 당위론적 수준에 그치는 내용보다는 구체

적인 정책이나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내용을 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인터뷰 자의 초

상권 보호를 위하여 모자이크나 음성 변조를 많이 하고 있는데 공무원 등 공직 관련 부

서의 인터뷰 자는 공직자로서 응분이 사실 정보를 책임과 의무를 지는 공인임으로 선진

국가의 경우처럼 불필요한 배려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너무 많은 모자이크 처리나 음성

변조는 사실감을 떨어뜨리며 시청자의 피로와 싫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번에 연구 대상으로 삼은 두 프로그램은 모두 심층 고발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에

심층적인 자료 획득이 필요하다. 채택된 소재에 대한 기존 보도 내용을 점검하고 법률적,

학문적 배경 지식이나 논쟁들을 검토하여 소개하거나 기존 자료가 미비할 경우 새로운

조사연구를 수행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기존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 출처를 밝히지 않거

나 오차 한계를 명시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는 시간적, 인적 자원의 부족과 전

혀 무관한 것으로 ‘자료의 타당성과 신빙성’에 대한 의식 제고가 요청되는 점이다. 이처

럼 분석적 도보의 기초적인 부분이 방기 될 때 방송의 신뢰성은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은 뉴스와 비교하여 시간의 제약을 덜 받으면서 심층

취재하여 설득력 있게 시청자들에게 고발하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뉴스보도 중에서 부

족한 부분을 골라 시의성 있는 아이템을 갖고 완전한 탐사가 이루어질 때까지 심도 있게

그리고 필요한 경우 지속성 있게 연속 취재를 하여야 한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한 회

방송에 두 개의 아이템의 편성되는 것이 지배적인 방식이고 겉핥기 식의 보도를 지양하

기 위해 하나의 아이템으로만 편성하거나 연속 기획, 후속 취재 등이 시도된바 있다. 그

러나 두 개의 아이템에서 하나의 아이템으로 줄어들었던 경우에 보도가 깊이 있어 졌다

기 보다 나열된 사실들의 양적 증가가 있었다는 편이 타당하다. 신선한 아이템의 부족을

호소하며 타 방송사 프로그램과 중복된 아이템을 편성하는 것보다 한 아이템에 대한 지

속적인 후속 취재나 연속 기획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 경우 취재 과정에

서 한 사안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심화될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PD 수첩>의 경우

‘소쩍새 마을’에 관한 지속적인 후속 취재를 통해 최초로 비리 사실을 사회적으로 공론

화하고 끝까지 추적하는 개가를 이룬 바 있다. 독일의 경우 5회 연속 방송을 한 적이 있

음을 상기해야겠다. 그런데 이런식의 연속 기획은 시청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있을 때

가능하다. 동시에 방송사 차원의 인적, 재정적,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Page 105: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접근방식은 논리 전개, 논거의 획득, 대안의 제시, 진행 방식과 관련된다. 사회 고발

성 프로그램은 정보제공이나 문제제기에 그치는 표면적 접근방식보다는 원인 규명 및 분

석적 평가와 함께 구체적 대안 제시까지 할 수 있어야 한다. 단순한 사실 정보의 전달이

나 은폐된 사건의 폭로 등 문제제기에만 그치는 접근방식은 선정적으로 흐르기 쉬우며

시청자(국민)를 허탈감에 빠트릴 수 있다. 또한 이미 내용 분석이나 권위적, 계도적 진

행이나 감정적 개입, 불필요한 개입 등 진행 자의 역할에 대해 문제제기를 한 바 있다.

진행자는 취재자에 대해 시청자의 입장에서 질문을 하지만 동시에 문제된 사안에 대해

궁극적으로 논평자의 역할도 하여야 한다. 이러한 논평은 어디까지나 취재 의도 및 취재

내용과 일치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것이지 주관적, 임의적 가치판단 또는 상호 이율배

반적인 논평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은 텔레비전 방송의 공익성과 공공성을 함양할 수 있

는 대표적 프로그램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정보의 제공과 오락

거리의 제공이라는 양면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는데 흔히 시청자는 재미있는 프로그램을

원한다는 통념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도 시청률을 의식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도 있다. 미국 상업방송의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이 높은 시

청률을 올리며 장수하고 있는 것도 그 한 예라 할 수 있다. 반면 공영방송과 상업방송이

공존하는 독일의 경우, 비교적 무거운 주제를 다루고 있는<Monitor>라는 프로그램이 여

타의 시사보도 프로그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시청률을 기록하면서도 우수한 사회 고발

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전형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것은 이번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된

두 개의 한국 프로그램이 각각 공영방송에 의해 제작되었다는 것을 상기 할 때 의미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지나치게 시청률을 의식한 나머지 바람직하지 못한 제작 관행들은 지

양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 고발성 프로그램은 다른 어떤 방송 프로그램보다 상업성보다

는 공익성을 최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프로그램임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건강하

사회 건설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민주 시민은 소수이다. 따라서 비록 낮은 시청률일지

라도 올바른 방송은 소수의 시청자들에게 정의 사회 구현의 사회적 책임감과 자신감을

줄 수 있는 것이다.

Page 106: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참 고 문 헌

한국언론연구원, TV의 사회고발 프로그램, 1991

안광식, “사회고발 프로그램의 개발과 문제점”, 방송연구, 1983 겨울

김원태, “사회고발 프로그램의 윤리적 측면”, 방송연구, 1984 봄

차배근, “폭로저널리즘의 정기능과 역기능”. 언론중재 1986 겨울

이동신, “사회고발 프로그램의 기능과 영역”, 방송연구, 1988 여름

CSA, Rapport d’Activit pour 1995, Paris

J – P Esquenazi, Le pouvoir d’ un media,, 1996, Paris, l’ Harmattan

D. Buxton et al., T l visions : La verite a construire, 1995, Paris, l’

Harmattan,

Cambell, Richard, “Book review : 60 minutes and the news : the mythology for

middle America,”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56, Wint ’92, pp. 552-3

Milavsky, J. Ronald & Rubin, A.M. “A mulitivariate analysis of ’60 Minutes’

viewing Motivations,” Journalism quarterly, 58, 1986, 529-534.

David L. Protess et al. The Journalism of Outrage: Investigative Reporting and

Agenda Building in America, The Guilford, New York, 1991.

Reese, Stephen D. & Grant, Autust 7 Danielian, Lucig H. “The Structure of news

sources on television : a network analysis of ‘CBS News,’ ‘Nightline,’

‘MacNeil/lehrer,’ and ‘This Weed with David Brinkley’,” Journal of

Communication 44, Spr ’94, pp, 84-107

Rubin, Alan M. Perse, Elizabeth M.”Audience activity and television news

gratific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14, F ’87, pp. 58-84

Bleicher, Joan, 1988: Zeittafel zur Geschichte der politischen Magazine in ARD

und ZDF, in : Kreuzer, Helmut,/Helmut Schanze(ed.) : “Bausteine”. Kleine

Beitrage zur Asthetik, Pragmatik, und Geschichte der Bildschirmmedien,

Page 107: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Siegen; Universitat-GH-Siegen, pp. 129-140

Darschin, Wolfgang-Bernward Frank, 1996 : Fernsehgewohnheiten und

Programmbewertung 1995, in : Media Perspektiven, 1996, pp. 174-185

Hagen, M. Lutz, 1995: Relevanz von Nachrichten, in: Rundfunk und Fernsehen, 43,

S. 158-177.

Hall, Peter Christian/Fritz Hufen(ed), 1991: Toleranz – Tabu – Totalitat.

Gereizte Gesellschaft (Mainzer Tage der Fernseh-Kritik, Bd. 22), Mainz;

v. Hase & Koehler.

Hichethier, Knut, 1988: Magazine im Programm-dam Programm ein Magazin.

Uberlegung zur Geschichte der politischen Fernsehmagazine, in: Kreuzer,

Helmut/Heidemarie Schumacher (ed.) : Magazine audiovisuel. Politische

und Kulturmagazine im Fernsehe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Berlin;

Volker Spiess.

Hoefer, Georg, 1995: Wirtschaft audiovisuell. Was leisten Wirtschaftssendungen

im Fernsehen? Coppengrave; Coppi.

Kammann, Uwe (ed.), 1989: Die Schirm-Herren. 12 politische TV – Moderatoren,

Koln; Kiepenheuer & Witsch.

Kruger, Udo Michael, 1996: Nichtaktuelle Inforamtions-und

Infotainmentsendungen bei ARD, ZDF, RTL, SAT.1, PRO SIEBEN 1995.

Boulevardisierung der Information im Privatfernsehen, in: Media

Perspektiven, 1996, pp. 362-374.

Lampe, Gerhard, / Heidemarie Schumacherk, 1991: Das Panorama der 60er Jahre.

Zur Geschichte des ersten politischen Fernsehmagazins der BRD, Berlin;

Volker Spiess

McQuail, Denis, 1992: Media Performance. London.

Rosenstein, Doris(ed.), 1993: Magazine – von morgens bis mitternachts.

Beitrage zur Untersuchung einer flexiblen Sendeform, Siegen; Universitat

– GH- Siegen

Page 108: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Schatz, Heribert,/Winfried Schulz, 1992: Qualitat von Fernsehprogrammen.

Kriterien und Methoden zur Beurteilung von Programmqualitat im dualen

Fersehsystem, in: Media Perspektiven, 1992, pp. 690-712.

Schumacher, Heidemarie, 1994 : Asthetik, Funktion und Geschichte der Magazine

im Fernsehprogramm der Bundeserepublik Deutschland, in : Ludes, Peter, /

Heidemarie Schumacher / Peter Zimmermann(ed.) : Geschichte des

Fernsehens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Bd. 3, Informations- und

Dokumentarsendungen, Munchen; Wilhelm Fink, pp. 101-174.

Staab, Joachim Friderich, 1990 : Nchrichtenwerttheorie. Formale Struktur und

empirischer Gehalt, Freiburg/Munchen; Karl Alber.

West 3, 1992a : Die fruhen Jaher von Panorama. Politische Fernsehmagazine der

ARD 1 (다큐멘타리, 방영일 1992년 12월 26일, 방영채널 West 3 (WDR), 90분).

West 3, 1992b : Report, Monitor und Panorama. Politische Fernsehmagazine der

ARD 2 (다큐멘타리, 방영일 1992년 12월 27일, 방영채널 West 3(WDR), 90분)

Page 109: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고서는 사회 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정의 및 분류, 구체적인 방송 내용의

연구보고 96-03 사회고발성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개선방안 연구

1996年 11月 20日 印刷

1996年 11月 30日 發行

發 行 人 엄 호 현

發 行 處 韓國放送開發院

서울特別市 瑞草區 瑞草洞 700番地

電話 : 5803-800 FAX : 521-6680

主管部署 : 放送政策硏究室

이 책은 방송진흥원을 위한 공익자금을 사용하여 펴낸 책입니다. 본원의 허가없이 무단복제나 전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