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사회의 실업문제가 심각한 상황이 다. 단적으로 문재인 대통령도 취임 일 성이 일자리위원회 창설이었다. 자리 대통령 이 되겠다는 의지를 분명 하게 드러낸 것이다. 그만큼 우리사회 의 일자리 창출이 얼마나 절박한 문제 인지 방증한다. 구직자들은 일자리를 얻지 못해 아우성인데 도내 중소기업 들은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해 큰 어 려움을 겪고 있다. 중소기업진흥공단 제주지역본부가 최근 도내 3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인력 애로 및 해소 실태조사 결과 력이 부족하다 는 기업이 81.1%에 달 했다. 인력 부족의 주요 원인으로는 직무에 적합한 핵심인력 확보 어려 이 24.8%로 가장 높았다. 이직으로 인한 인력공백(21.9%),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2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인력 부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정규직원 채용(3 8.9%)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 일시적 인 아르바이트 및 파트타임 직원 고용 (36.1%), 정부의 인력지원사업 활용(1 2.5%) 등의 순이었다. 특히 이번 조사업체의 87.8%가 인력 채용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문제는 이같이 인력난에 직면했는 데도 내일채움공제사업 에 대해 가입 의사를 밝힌 기업은 23.9%에 불과했 다. 내일채움공제사업은 사업주와 로자가 2대 1의 비율로 5년동안 일정 금액을 적립한 공제금에 복리이자를 더해 만기 때 성과보상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그러니까 이 사업은 중소기업 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정부가 핵심인 력의 장기재직을 유도하기 위한 시책 이다. 하지만 업체들은 비용부담(86%) 때문에 내일채움공제사업에 가입하는 것도 기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금 도내 중소기업들이 겪는 어려움 이 어느 정도인지 극명하게 비춰주고 있다. 중소기업들이 구인난에 허덕이고 있으나 정작 직무에 필요한 핵심인력조 차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잖은가. 게다가 극심한 인력난에 시달리면서도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시책을 이용하지 못하는 형편이니 안타까운 노릇이다. 그렇다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보다 적극 강구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보 조금을 통해 비용부담을 덜 수 있다면 핵심인력을 확보하는 등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상대로 제주형 대중교통체계가 총체 적인 난국을 맞았다. 지난 26일부터 전 면 개편된 대중교통체계가 본격 시행 되면서다. 도내 곳곳에서 표출되는 문 제들이 한 둘이 아니다. 도민과 관광객 들은 달라진 버스노선과 환승 방법 등 을 알지 못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대중교통체계 개편 첫날이자 주말 인 26일과 휴일인 27일 제주시내 주요 버스 정류장에서는 버스기사에게 선지를 묻는 이용객들로 북적거렸다. 이용객이 많은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 선 도민이 관광객에게 버스노선을 물 어보는 진풍경까지 벌어졌다. 기존 노 선에서 전혀 다른 노선과 번호로 바뀌 면서 노선을 제대로 몰라 버스를 놓치 거나 잘못 타는 등 혼선이 빚어지기 일쑤였다. 때문에 이용객들은 재차 운 전기사에게 행선지를 확인한 후 버스 에 오르곤 했다. 제주시 민속오일시장 에 가기 위해 터미널에서 버스를 기다 리던 80대 노파의 얘기가 실감난다. 괜히 노선을 바꿔 불편하다 고 토로 한 것이다. 달라진 환승 체계에 대한 불만도 쏟 아졌다. 개편된 대중교통체계의 주요 내용중 하나는 버스노선을 대폭 줄이 는 대신 버스 대수를 늘려 배차 간격 을 줄인 것이다. 그러나 시민들은 버스 환승이 잦아져 이전보다 목적지에 더 늦게 도착하게 됐다고 볼멘소리를 냈 다. 40대 주부는 환승을 위해 제주시 청 정류장에 내렸지만 정작 목적지로 가는 버스가 10분 넘게 오지 않는다 배차간격이 짧아졌다는데 뭐가 달 라진 것인지 모르겠다 고 반문한다. 심 지어 개편이 급하게 진행되면서 버스 기사들도 자신이 운행하는 노선을 숙 지하지 못하는 사례까지 빚어지는 등 적잖은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물론 이같은 혼란은 충분히 예상됐 던 일이다. 대중교통체계가 완전히 달 라진데다 30년만에 이뤄진 대수술이 니 어쩌겠는가. 문제는 제주도가 3년 동안 새로운 대중교통체계를 준비했 다는데 도대체 무엇을 준비했는지 지 적하지 않을 수 없다. 단적으로 아직 도 노선안내도와 시간표 등 기본적인 인프라조차 갖추지 않은 정류장이 많 다는게 말이 되는가. 특히 대중교통의 핵심인 중앙차로제의 경우 일부 구간 에서 혼선이 빚어지자 시행 첫날부터 수정을 가했다. 준비 없는 교통행정의 민낯을 드러낸 것이다. 앞으로 바꾸고 보완해야 할 문제들이 얼마나 불거져 나올지 갈수록 걱정된다. 중소기업 인력난 심각, 지원대책 강구할 때 인프라도 부실, 3년 준비한 대중교통 맞나 문화광장 열린마당 그래픽 뉴스 홍정호 한국관악협회 제주지회오피니언 면의 외부필자 기고는 본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않을 수도 있습니다. 공동체 예술-Community arts은 호 예술-interaction art , 지역 사회 기반 예술 community-based art 라고도 불리며 지역 사회 환경에 기반 한 예술 활동을 나타낸다. 이 용어는 1960년대 후반에 정의되었으며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영국, 아일랜드 호주에서 전문예술가와 함께 지역 예 술 애호가 층을 중심으로 성장한 시민 예술운동을 말한다. 소극적으로는 예술 적 과정에 시민의 직접 참여나 활동을 목표로 하며, 적극적으로는 지역 사회 사건이나 변화를 촉발시키는 촉매 역 할을 한다. 지역 공동체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공동체 예술은 문화 민주 주의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 독재자에게 예술은 위험하다. 대부 분의 예술작품에는 예술가의 고의적이 의식적으로 동기 부여된 기능인 비유-analogy 은유-metaphor 를 포함하고 있다. 특정 감정이나 기분 을 전달하는 수단과 함께 사회의 한 측면을 논평할 수 있으며, 정치적 변화 를 가져오기도 한다. 독재자에게 예술 이 위험한 이유는 은유, 비유 그리고 모방을 통해 생각하는 인간으로 변화 를 이끌어 내기 때문이다. 지난 정권이 블랙리스트를 만든 이유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헌법 제34조 1항은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 진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누려야 할 당연한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문화 예술 향유에 관한 사항은 인간다운 생 활의 품위를 유지하기 위한 보편적인 활동이다. 인간의 일생과 함께 하는 매 우 긴 호흡의 활동이다. 문화예술 향유 는 헌법이 추구하고 있는 인간다운 생 활의 권리이며, 인류가 인류에게 전해 준 사상과 가치를 공유하는 장이요, 예 술의 세계를 직접적으로 만나고, 표현하 며, 나눌 수 있는 교류의 장인 것이다. 모던아츠가 김정문화회관 상주단체 로 활동하면서 시민참여 예술 프로그 램으로 서귀포 시민 오케스트라를 시 작한다. 단기적인 사업이 아니며 지속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장기적 안목의 시민 참여예술 프로그램이다. 서귀포 시민 오케스트라의 지향점은 음악예술 을 통한 소통과 화합이다. 서귀포시민 오케스트라는 단순하게 악기를 다룰 수 있는 서귀포 시민의 모임보다 더 깊은 의미를 지닌 시민 예술 활동이다. 서귀포시민오케스트라의 꿈은 서귀포 시민이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한 서귀 포시민합창단과 연합으로 베토벤 교향 곡 제 9번을 공연하는 것이다.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베토벤의 합 창 교향곡이 울려 퍼질 날을 기대한다. 나아가 서귀포 시민 오케스트라를 시 작으로 서귀포 시민 연극단 등 예술의 세계를 직접 경험하고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서귀포 시민 예술활동 으로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이다. 김정문화회관은 서귀포 시민예술 활동의 공간으로서 이상적이라는 견을 내고 싶다. 서귀포 예술의 전당 이 전문가 그룹에 의한 월드 클래스의 공연을 추구하는 공연장이라면, 김정 문화회관은 설립 기부자의 뜻인 서귀 포 문예진흥의 꿈을 담은 서귀포 예술 작당(作黨)의 본거지로서 서귀포 시민 예술 활동의 역할을 충분히 감당 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소망한다. 김정문화회관이 공연장으로서의 위상 에는 투자가 필요하다. 노후된 무대시 설, 시민참여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공간 및 관객 편의 시설에 대한 투자 가 이루어지길 요청한다. 언젠가 김정문화회관에서 서귀포 시 연극단이 공연하는 셰익스피어의 햄릿과 안톤 체호프의 벚꽃동산을 보 고 싶다. 서귀포 예술의 작당(作黨)과 시민 오케스트라 강현윤 제주시 이도2동 부끄러웠다. 슬펐다. 이내 먹먹해졌다. 언론학을 배웠음에도 그저 겉핥기로 주 변을 맴돌기만 했던 나로서는 그 어떤 단어도 쏟아낼 수 없었다. 아니 쏟아낼 수 있는 염치가 없었다고 함이 맞을지 도 모른다. 간만의 비 소식이 뜨거워진 아스팔트를 식혀줬던 지난 19일 늦은 저녁 공범자들 을 보면서 영화 속 장겸은 물러나라 를 외쳤던 MBC 김민 PD처럼 외쳐야겠다고 생각했다. 공범자를 보러가자 라고 말이다. 사실을 직시한다는 것은 언제나 고 통을 수반한다. 그것은 개인 또는 사회 내의 치부를 마주해야 하고 문제를 확 인함과 동시에 개인적이든 사회적이든 일정 부분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의미의 방증이기 때문이다. 공범자들 은 MB 정권부터 박근혜 정권까지 일련의 공 영방송에 대한 장악, 통제와 탄압을 다 루고 있다. 하지만 영화는 거기에서 멈 추지 않는다.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채 널이 이전보다 다양화, 확장된 시점에 서 불편하기만 한 사실들을 외면하고 있는 모두에 대한 경고음이자 한 편의 일기로 반성될 수 있음이었다. 지역사회를 한번 돌아본다. 특별자 치도라는 특별한(?) 자치권 하에서 더 욱 필요한 것은 주민들의 참여, 감시, 비판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보았 다. 그것은 거시적으로 지자체의 정책 부터 미시적인 지역주민센터의 운영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공공기 관, 언론 등 범주에 있어서 제한이 있 는 것은 아닐 것이다. 문제는 다르게 보려는 생각과 이를 행동에 옮길 수 있는 실천력일 것이다. 소위 저예산 영화, 특히 다큐멘터리 영화에 대한 접근 기회가 적은 제주지 역에 있어 개봉관이 2곳, 더구나 시간 대도 하루에 3차례 정도 되니 골라보 는 재미가 쏠쏠할 것이다. 필자는 언론 학을 잠시 공부했던 부분이라 침식해 오는 먹먹함을 안은 채 영화를 봤다면, 그 어떤 사람은 다른 생각을 톺아봄으 로써 작은 실천으로 연계될 수 있는 징검다리 영화가 됐으면 한다. 징검다리 같은 영화 보기 오피니언 2017년 8월 29일화15

서귀포예술의작당(作黨)과시민오케스트라pdf.ihalla.com/sectionpdf/20170829-72375.pdf · 2017-08-28 · 우리사회의 실업문제가 심각한 상황이 다.단적으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서귀포예술의작당(作黨)과시민오케스트라pdf.ihalla.com/sectionpdf/20170829-72375.pdf · 2017-08-28 · 우리사회의 실업문제가 심각한 상황이 다.단적으로

우리사회의 실업문제가 심각한 상황이

다. 단적으로 문재인 대통령도 취임 일

성이 일자리위원회 창설이었다. 일

자리 대통령 이 되겠다는 의지를 분명

하게 드러낸 것이다. 그만큼 우리사회

의 일자리 창출이 얼마나 절박한 문제

인지 방증한다. 구직자들은 일자리를

얻지 못해 아우성인데 도내 중소기업

들은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해 큰 어

려움을 겪고 있다.

중소기업진흥공단 제주지역본부가

최근 도내 3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인력 애로 및 해소 실태조사 결과 인

력이 부족하다 는 기업이 81.1%에 달

했다. 인력 부족의 주요 원인으로는

직무에 적합한 핵심인력 확보 어려

움 이 24.8%로 가장 높았다. 이직으로

인한 인력공백(21.9%),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2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인력 부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정규직원 채용(3

8.9%)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 일시적

인 아르바이트 및 파트타임 직원 고용

(36.1%), 정부의 인력지원사업 활용(1

2.5%) 등의 순이었다.

특히 이번 조사업체의 87.8%가 인력

채용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문제는 이같이 인력난에 직면했는

데도 내일채움공제사업 에 대해 가입

의사를 밝힌 기업은 23.9%에 불과했

다. 내일채움공제사업은 사업주와 근

로자가 2대 1의 비율로 5년동안 일정

금액을 적립한 공제금에 복리이자를

더해 만기 때 성과보상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그러니까 이 사업은 중소기업

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정부가 핵심인

력의 장기재직을 유도하기 위한 시책

이다. 하지만 업체들은 비용부담(86%)

때문에 내일채움공제사업에 가입하는

것도 기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금 도내 중소기업들이 겪는 어려움

이 어느 정도인지 극명하게 비춰주고

있다. 중소기업들이 구인난에 허덕이고

있으나 정작 직무에 필요한 핵심인력조

차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잖은가.

게다가 극심한 인력난에 시달리면서도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시책을 이용하지

못하는 형편이니 안타까운 노릇이다.

그렇다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보다 적극 강구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보

조금을 통해 비용부담을 덜 수 있다면

핵심인력을 확보하는 등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상대로 제주형 대중교통체계가 총체

적인 난국을 맞았다. 지난 26일부터 전

면 개편된 대중교통체계가 본격 시행

되면서다. 도내 곳곳에서 표출되는 문

제들이 한 둘이 아니다. 도민과 관광객

들은 달라진 버스노선과 환승 방법 등

을 알지 못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대중교통체계 개편 첫날이자 주말

인 26일과 휴일인 27일 제주시내 주요

버스 정류장에서는 버스기사에게 행

선지를 묻는 이용객들로 북적거렸다.

이용객이 많은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

선 도민이 관광객에게 버스노선을 물

어보는 진풍경까지 벌어졌다. 기존 노

선에서 전혀 다른 노선과 번호로 바뀌

면서 노선을 제대로 몰라 버스를 놓치

거나 잘못 타는 등 혼선이 빚어지기

일쑤였다. 때문에 이용객들은 재차 운

전기사에게 행선지를 확인한 후 버스

에 오르곤 했다. 제주시 민속오일시장

에 가기 위해 터미널에서 버스를 기다

리던 80대 노파의 얘기가 실감난다.

괜히 노선을 바꿔 불편하다 고 토로

한 것이다.

달라진 환승 체계에 대한 불만도 쏟

아졌다. 개편된 대중교통체계의 주요

내용중 하나는 버스노선을 대폭 줄이

는 대신 버스 대수를 늘려 배차 간격

을 줄인 것이다. 그러나 시민들은 버스

환승이 잦아져 이전보다 목적지에 더

늦게 도착하게 됐다고 볼멘소리를 냈

다. 40대 주부는 환승을 위해 제주시

청 정류장에 내렸지만 정작 목적지로

가는 버스가 10분 넘게 오지 않는다

며 배차간격이 짧아졌다는데 뭐가 달

라진 것인지 모르겠다 고 반문한다. 심

지어 개편이 급하게 진행되면서 버스

기사들도 자신이 운행하는 노선을 숙

지하지 못하는 사례까지 빚어지는 등

적잖은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물론 이같은 혼란은 충분히 예상됐

던 일이다. 대중교통체계가 완전히 달

라진데다 30년만에 이뤄진 대수술이

니 어쩌겠는가. 문제는 제주도가 3년

동안 새로운 대중교통체계를 준비했

다는데 도대체 무엇을 준비했는지 지

적하지 않을 수 없다. 단적으로 아직

도 노선안내도와 시간표 등 기본적인

인프라조차 갖추지 않은 정류장이 많

다는게 말이 되는가. 특히 대중교통의

핵심인 중앙차로제의 경우 일부 구간

에서 혼선이 빚어지자 시행 첫날부터

수정을 가했다. 준비 없는 교통행정의

민낯을 드러낸 것이다. 앞으로 바꾸고

보완해야 할 문제들이 얼마나 불거져

나올지 갈수록 걱정된다.

중소기업 인력난 심각, 지원대책 강구할 때

인프라도 부실, 3년 준비한 대중교통 맞나

문화광장

열린마당 그래픽 뉴스

홍 정 호

한국관악협회 제주지회장

※ 오피니언 면의외부필자기고는본지의편집방향과일치하지않을수도있습니다.

공동체 예술-Community arts은 상

호 예술-interaction art , 지역 사회

기반 예술 community-based art 이

라고도 불리며 지역 사회 환경에 기반

한 예술 활동을 나타낸다. 이 용어는

1960년대 후반에 정의되었으며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영국, 아일랜드 및

호주에서 전문예술가와 함께 지역 예

술 애호가 층을 중심으로 성장한 시민

예술운동을 말한다. 소극적으로는 예술

적 과정에 시민의 직접 참여나 활동을

목표로 하며, 적극적으로는 지역 사회

사건이나 변화를 촉발시키는 촉매 역

할을 한다. 지역 공동체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공동체 예술은 문화 민주

주의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

독재자에게 예술은 위험하다. 대부

분의 예술작품에는 예술가의 고의적이

고 의식적으로 동기 부여된 기능인

비유-analogy 와 은유-metaphor

를 포함하고 있다. 특정 감정이나 기분

을 전달하는 수단과 함께 사회의 한

측면을 논평할 수 있으며, 정치적 변화

를 가져오기도 한다. 독재자에게 예술

이 위험한 이유는 은유, 비유 그리고

모방을 통해 생각하는 인간으로 변화

를 이끌어 내기 때문이다. 지난 정권이

블랙리스트를 만든 이유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헌법 제34조 1항은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

진다 며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누려야

할 당연한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문화

예술 향유에 관한 사항은 인간다운 생

활의 품위를 유지하기 위한 보편적인

활동이다. 인간의 일생과 함께 하는 매

우 긴 호흡의 활동이다. 문화예술 향유

는 헌법이 추구하고 있는 인간다운 생

활의 권리이며, 인류가 인류에게 전해

준 사상과 가치를 공유하는 장이요, 예

술의 세계를 직접적으로 만나고, 표현하

며, 나눌 수 있는 교류의 장인 것이다.

모던아츠가 김정문화회관 상주단체

로 활동하면서 시민참여 예술 프로그

램으로 서귀포 시민 오케스트라를 시

작한다. 단기적인 사업이 아니며 지속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장기적 안목의

시민 참여예술 프로그램이다. 서귀포

시민 오케스트라의 지향점은 음악예술

을 통한 소통과 화합이다. 서귀포시민

오케스트라는 단순하게 악기를 다룰

수 있는 서귀포 시민의 모임보다 더

깊은 의미를 지닌 시민 예술 활동이다.

서귀포시민오케스트라의 꿈은 서귀포

시민이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한 서귀

포시민합창단과 연합으로 베토벤 교향

곡 제 9번을 공연하는 것이다.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베토벤의 합

창 교향곡이 울려 퍼질 날을 기대한다.

나아가 서귀포 시민 오케스트라를 시

작으로 서귀포 시민 연극단 등 예술의

세계를 직접 경험하고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서귀포 시민 예술활동

으로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이다.

김정문화회관은 서귀포 시민예술

활동의 공간으로서 이상적이라는 의

견을 내고 싶다. 서귀포 예술의 전당

이 전문가 그룹에 의한 월드 클래스의

공연을 추구하는 공연장이라면, 김정

문화회관은 설립 기부자의 뜻인 서귀

포 문예진흥의 꿈을 담은 서귀포 예술

의 작당(作黨)의 본거지로서 서귀포

시민 예술 활동의 역할을 충분히 감당

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소망한다.

김정문화회관이 공연장으로서의 위상

에는 투자가 필요하다. 노후된 무대시

설, 시민참여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공간 및 관객 편의 시설에 대한 투자

가 이루어지길 요청한다.

언젠가 김정문화회관에서 서귀포 시

민 연극단이 공연하는 셰익스피어의

햄릿과 안톤 체호프의 벚꽃동산을 보

고 싶다.

서귀포 예술의 작당(作黨)과 시민 오케스트라

강 현 윤

제주시 이도2동

부끄러웠다. 슬펐다. 이내 먹먹해졌다.

언론학을 배웠음에도 그저 겉핥기로 주

변을 맴돌기만 했던 나로서는 그 어떤

단어도 쏟아낼 수 없었다. 아니 쏟아낼

수 있는 염치가 없었다고 함이 맞을지

도 모른다. 간만의 비 소식이 뜨거워진

아스팔트를 식혀줬던 지난 19일 늦은

저녁 공범자들 을 보면서 영화 속 김

장겸은 물러나라 를 외쳤던 MBC 김민

식 PD처럼 외쳐야겠다고 생각했다.

공범자를 보러가자 라고 말이다.

사실을 직시한다는 것은 언제나 고

통을 수반한다. 그것은 개인 또는 사회

내의 치부를 마주해야 하고 문제를 확

인함과 동시에 개인적이든 사회적이든

일정 부분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의미의

방증이기 때문이다. 공범자들 은 MB

정권부터 박근혜 정권까지 일련의 공

영방송에 대한 장악, 통제와 탄압을 다

루고 있다. 하지만 영화는 거기에서 멈

추지 않는다.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채

널이 이전보다 다양화, 확장된 시점에

서 불편하기만 한 사실들을 외면하고

있는 모두에 대한 경고음이자 한 편의

일기로 반성될 수 있음이었다.

지역사회를 한번 돌아본다. 특별자

치도라는 특별한(?) 자치권 하에서 더

욱 필요한 것은 주민들의 참여, 감시,

비판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보았

다. 그것은 거시적으로 지자체의 정책

부터 미시적인 지역주민센터의 운영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공공기

관, 언론 등 범주에 있어서 제한이 있

는 것은 아닐 것이다. 문제는 다르게

보려는 생각과 이를 행동에 옮길 수

있는 실천력일 것이다.

소위 저예산 영화, 특히 다큐멘터리

영화에 대한 접근 기회가 적은 제주지

역에 있어 개봉관이 2곳, 더구나 시간

대도 하루에 3차례 정도 되니 골라보

는 재미가 쏠쏠할 것이다. 필자는 언론

학을 잠시 공부했던 부분이라 침식해

오는 먹먹함을 안은 채 영화를 봤다면,

그 어떤 사람은 다른 생각을 톺아봄으

로써 작은 실천으로 연계될 수 있는

징검다리 영화가 됐으면 한다.

징검다리 같은 영화 보기

오피니언 2017년 8월 29일 화요일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