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김 영 연 * 최 남 정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생태유아교육연구

2014. 제13권 제1호 , 87 - 108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과

유아교육적 의미

김 영 연* ․ 최 남 정**

요 약

본 연구는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

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의 회의록을 수집하고, 2011년 4월부터 10월까

지 진행된 농촌체험활동을 참여관찰하였으며, 및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실무자, 유아와 교

사, 농민을 대상으로 면담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문화기술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

과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은 농촌문화의 이해 및 먹을거리의 소중함에 대한 인

식을 목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요구와 농촌마을의 특성, 계절 및 절기를 고려하여 다양한 활

동으로 농촌체험활동의 내용을 구성하였고, 유아교육기관과 실무자들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

고 있었다.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유아교육적 의미를 유아와 성인의 입장에

서 살펴 본 결과 유아들은 자연과 농촌을 사랑하게 되었으며, 교사와 실무자를 포함한 성인

은 농촌체험활동의 목적달성과 생태적 감수성이 회복되는 행복을 경험하게 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양질의 농촌체험활동을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실무자, 농촌마을의 상호협력과 교

류의 필요성 및 유아 체험교육의 중요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주제어 농촌체험활동(rural experience activities)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metropolitan area eco-early childhood co-operatives)

유아교육(early childhood education)

※ 논문 접수 : 2014. 01. 31 / 수정본 접수 : 2014. 03. 08 / 게재 승인 : 2014. 03. 15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 수료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연구교수

Page 2: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8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근대 계몽주의와 산업혁명의 결과라고 할 수 있는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삶에 편리

성과 안정성을 제공하였다. 반면, 지나친 인간중심주의 세계관은 더이상 자연을 인간과 대

등한 관계로 생각하지 않고, 자연과 인간의 공존관계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 즉, 이제 자

연은 그 본래의 가치와 의미를 상실하고, 철저하게 인간의 목적을 위해 지배받는 도구적

존재로 전락하게 되었다. 그 결과 인간의 삶은 표면적으로 편안함과 안락함을 유지하는 것

처럼 보이나, 그 이면에는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자연환경의 파괴의 가속화되고 있으며, 궁

극적으로 인간의 생존 자체를 위협받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문제와 생태계 파괴 문제가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된 이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단체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생존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

하는 것은 몇 몇 시민단체의 노력이나 여론형성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자연과 인간에 대

한 우리들의 의식 전환이 요구된다. 한편, 자연과 인간이 더불어 살아가는 환경과 생태계에

대한 고민과 실천은 단시간에 변화되는 것이 아니며 특히, 인식의 변화가 즉각적으로 실천

되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인간과 자연이 상호협력 가능한 환경을 유지하고, 자연생태계

를 보존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안은 무엇일까? 아마도 이 문제에 대한 궁극적 해결책은 아

주 어린 연령에서부터 환경과 자연의 중요성을 스스로 깨닫고, 자연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생태적 소양과 실천력을 기르는 것일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생명적 관점에서 인간의 삶의 터전인 자연과 환경오염으로 인한 자연 파

괴에 대한 문제의식 함양과 이에 대한 대안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자연을

근간으로 한 농촌의 삶에 관심을 가지고, 일상적 삶에서 자연을 회복시키는 것은 생태계

파괴로 인해 잃어버린 인간의 삶을 회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자 인간과 자연의 관계 회

복을 위한 노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많은 교육단체에서는 농촌의 문화

에 대한 내용을 교육과정에 포함시키기 위한 실천으로 식생활 교육과 농촌체험확대, 친환

경 급식 등 다양한 시도들을 하고 있다(곽노의, 문원자, 백정희, 박대근, 2007; 김유경, 심기

현 2013). 그 중에서도 자연을 몸으로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체험학습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

면서, 각 학교에서는 교육과정 내에 농촌체험 프로그램을 연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실제

로 농촌체험활동과 관련된 설문조사에 의하면 부모의 74.3% 정도는 자녀를 농촌체험에 보

Page 3: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과 유아교육적 의미․89

내겠다는 의향을 지니고 있으며, 주말농장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경우 자녀교육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주말농장을 이용하겠다는 의향을 밝혔다(유찬주, 장동헌, 2002). 또한 그러나,

농촌체험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은 참여 목적이 농촌에 대한 호기심 12.00%, 체험활동의

재미 28.3%, 부모님 권유 18.5%로 대체로 수동적으로 참여하고 있었으며(설윤환, 2012), 농

촌체험활동에 참여하는 자녀들의 연령대는 첫째 자녀를 기준으로 했을 때, 대학생 31.4%,

직장인 15.3%, 초등학생 14.5%, 유치원 10.1%, 유치원 이하 7.2%의 순으로 나타나(농촌진

흥청, 2004), 유아의 농촌 체험의 참여가 미미하다.

앞서 환경과 자연, 생태계의 문제에 대한 인식과 실천을 위해서는 어린 연령에서부터 교

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농촌체험활동은 초․중등 뿐 아니라 영유아에게도 확대되

어야 할 것이다. 다행히, 최근 식생활교육지원법 제정과 (사)식생활교육 국민네트워크의 전

국적인 활동으로 녹색식생활교육과 농촌체험이 초·중등학교 및 유아교육 현장으로 확대되

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 하겠다. 그 가운데 생태유아공동체는 유아들을 대상

으로 한 농촌체험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국내 단체이다.

생태유아공동체는 200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약 10년간 농촌체험활동을 꾸준히 실천하

고 있다. 전국의 생태유아공동체 중에서도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는 건강하고 밝게 자라야

할 영유아들의 삶이 위협받고 있다는 위기의식을 가진 수도권의 학부모, 교육자, 시민들이

지속 가능한 농사, 생태적인 유기농법으로 기른 건강한 먹을거리가 아이와 자연을 살릴 수

있다는 신념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친환경 급식을 공급하는 사회적 기업 중 하나이다.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는 2005년 기획재정부의 ‘소비자 생활협동조합 법인’으로 인가를 받

으면서 서울,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에 있는 약 500개의 기관들이 뜻을 모아 친환경

먹을거리와 생태유아교육 운동의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는 소비 공동체와 생산 공동체를 하나로 묶어 상호 교류하

면서 교육과 체험 및 토론을 통한 상호신뢰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들은 소비자구성원(교

사, 학부모, 원장)과 생산자구성원(농민)의 의식변화와 새로운 생활문화운동을 전개함으로써

유아교육기관구성들과 농촌의 생산자들이 더불어 살아가는 대안적 공동체를 꿈꾸고 있다.

또한 먹을거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친환경급식과 더불어 농업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의 일

환으로 유아와 교사가 직접 참여하는 농촌체험 활동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는 단체이다.

한편, 학습자의 삶과 생활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텍스트 중

심의 교실 안 학습에서 교실 밖 경험 중심의 체험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상

을 직접 몸으로 경험하는 체험학습은 경험과 경험에 대한 반성과 변형, 통합의 과정을 동

반하는 앎의 방식이자 의미를 생성해 가는 과정이다(고미숙, 2009; 송하인, 2008;

Page 4: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9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roudman, 1995; Usher, 1993).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체험학습을 현장학습으로 받아

들이고, 체험의 의미를 교과교육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함으로써 교과교육과 체험

학습, 교실교육과 교실 밖 교육, 지식교육과 경험교육, 이론과 실제, 사고와 행동이 이분화

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미숙, 2009). 따라서 직접 몸을 움직이는 타자나 상황과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구성해 가는 체험학습은 행함으로서의 배움(learning by doing,

Dewey, 1938)이며, 일차적 경험1)뿐 아니라 이차적 경험2)을 모두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송도선, 2004). 따라서 체험학습의 본질을 고려한다면, 경험으로 인한 반성과 의식의 변화

를 야기하지 못하는 일회성이나 행사성으로 진행되는 체험학습은 지양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진 체험은 방법론적 입장을 강조하여 박물관이나

전시관 등 가상적 상황에서의 체험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체험의 내용이 학습자의 생

활세계를 반영하지 못하고 탈맥락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유의미한 학습이 되지 못하는 사례

들이 많았다(강인애, 설진성, 2012; 김민하, 2013; 정윤경, 2011). 따라서 우리의 인식의 변화

와 존재의 변화를 야기하는 체험이 되기 위해서는 타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체

험, 학습자의 경험에 근거한 체험, 체험 이후의 반성으로 의미구성이 가능한 체험, 실천적

이고 체화된 지식 구성이 가능한 체험 학습이 전개되어야 하며(고미숙, 2009), 학습자의 적

극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체험 학습을 구성하기 위하여 교사의 개입을 적극적으로 인

정하는 체험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유아기에 획득한 농촌과 자연에 대한 태도와 지식이 이후 성인 되었을 때의 사고

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농촌체험은 자연과 인간의 공존적인

관계에 대한 인식과 자연 친화적인 태도와 가치관을 형성하며 이후 자연의 친화적인 삶의

방식을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오현석, 2004; Campbell, 1999). 그러나 유아는 스

스로 환경을 선택하거나, 구성하지 못하므로 유아 주변의 성인들의 배려가 있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체험의 의미와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할 때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의

농촌체험활동은 유아교사와 수도권생태유아공동체 교육국 실무자들이 유아들이 일상생활에

서 경험하는 봄, 여름, 가을, 겨울과 관련한 계절별 농촌활동을 구성한 체험활동이며, 교사

와 생태유아공동체 실무자들에 의해 구성된 농촌체험활동에 유아들이 온 몸으로 참여함으

로써 실천적 지식을 체화하는 유의미한 학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1) Dewey(1938)는 경험이 형성되는 과정에 따라 일차적 경험과 이차적 경험으로 구분하였다. 일차적 경험은 거칠고

거시적이며 가공되지 않은 소재들 즉, 인간의 삶 속에서 직접 보고 듣고 느끼는 것으로 반성적 탐구 이전의 경험

을 말한다(송도선, 2004).

2) 반면, 이차적 경험은 일차적 경험 내용을 소재로 하여 마음속에서 반성이나 숙고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사고나 판

단 등의 내적 경험을 말하는 것으로 ‘반성적 경험’(reflective experience)이라고도 한다(송도선, 2004; Dewey,

1938).

Page 5: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과 유아교육적 의미․9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과 자연생태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 시대적 과제를

실천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앎과 실천이 통합된 지속가능한 유아들의 농촌체험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과 농촌체험활동의 유아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들의 자연과 환경에 대한 의식전환과 생태적 감수

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농촌체험활동의 유아교육학적 의미와 바람직한 농촌체험활동의 방

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유아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2. 연구방법

1) 연구현장

본 연구의 연구현장은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와 농촌체험활동이 진행되는 농촌마을이다.

본 연구의 연구현장인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와 농촌마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⑴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는 ‘아이 살림’과 ‘교육 살림’을 지향한다. 아이살림과 교육살림을

위하여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에서는 농촌체험활동 연간 프로그램 수립, 친환경 농가 선정,

프로그램 진행 등의 구체적인 일을 담당한다.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에서 진행하고 있는

농촌체험프로그램은 감각적, 감성적, 인지적, 행동적, 관계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총체적인 체험을 구성하도록 교육국에서 연구원들과 함께 논의 된다. 또한 수도권 생태유

아공동체의 체험프로그램은 ‘동기- 경험- 결과’라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체험현장

에서 이루어지는 경험 뿐 아니라 체험 이전과 이후의 활동까지 포함하고 있다. 또한 체험

은 직접 보고, 듣고, 느끼고, 만들어 볼 수 있는 직접 체험 중심이며, 체험의 대상에 환경적

요소들도 포함하고 있다.

⑵ 농촌마을

본 연구의 참여현장이 된 농촌마을은 한국의 경기도 양평과 여주에 있는 2개 마을과 인

천에 있는 1개의 마을로서, 마을 지도자와 주민을 중심으로 마을 공동체가 형성되고 지방

자치단체의 협력 아래 성공적인 농업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각 마을에서 친환경 농사

Page 6: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9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로 수확된 농작물은 도시의 생활협동조합과 직거래를 하고 있으며, 협동조합의 회원들이

마을에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도록 마을단위 지원시스템을 갖고 있다. 도시 소비자들이 농

촌의 바쁜 시기에는 직접 찾아가 농촌의 일손을 돕기도 하고 마을의 생산물을 직접 소비하

고 각 가정에서는 주변의 이웃들에게 소비를 위한 홍보활동을 하고 있다. 각 마을별 농촌

체험활동 참여 가구 수와 주 재배작물은 표 1과 같다.

<표 1> 참여 마을 현황

마 을 참여가구 수 재배 작물

경기도 양평 A마을 5 쌀, 땅콩, 고구마, 감자, 양파, 고추, 딸기, 토마토, 옥수수

경기도 여주 B마을 7 쌀, 딸기, 토마토, 감자, 고구마, 양파, 마늘

인천 강화 C마을 2 쌀, 고구마, 감자, 강화순무

2) 자료 수집 및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 수집은 농촌체험활동을 위한 수도권 생태유아공동

체의 회의록을 수집하고, 2011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에서 진

행된 농촌체험 활동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체험활동의 전 단계에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는 문

화 기술적 방법(ethnographic method)으로 진행되었다.

구체적인 자료 수집을 위하여 2011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10회기 동안 진행된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 활동에 참여관찰하였고, 농촌체험활동에 참여한 유아와

교사, 농민 중에서 유아 10명, 교사 및 원장 10명, 농민 5명, 생태유아공동체 실무자 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관찰 자료와 면담자료는 모두 전사하였다. 그 외 수도

권 생태유아공동체 홈페이지에 수록된 내용과 생태유아공동체에서 발송한 공문, 농촌체험

활동에 관한 사진자료 등을 수집하였으며, 연구자 일지를 작성하였다.

이상의 과정으로 수집된 자료는 Fetterman(1989)와 Spladley(1988)의 문화 기술적 자료분

석 과정과 절차를 참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제 영역별로 범주화된 자료는 원 자료와 비교 검토하였고, 유아교육전문가 2인과

생태교육전문가 1인으로부터 동료 검토의 과정을 거쳤다.

Page 7: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과 유아교육적 의미․93

Ⅱ.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가장 큰 특징은 유아교육기관, 생태유아공동체 교육국

실무자, 그리고 농민들이 질 높은 농촌체험활동을 위해 협력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국 실무자들은 유아교육기관의 의견을 수렴하고, 체험이 가능한 농촌 마을

을 직접 방문한 후 농촌체험활동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참여 유아교육기관

유아들의 특성 및 계절과 절기, 농촌체험마을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체험활동을 구성하

고 있었다. 이는 농촌체험활동 구성 시 농촌의 사회경제적 특성이나 체험자의 특성을 고려

하여 자연에 근거한 직접 경험을 체험활동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따르

는 것이라 하겠다(이상엽, 2003; 이혜현, 박덕병, 이민수, 2006).

이 장에서는 수도권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목적과 내용, 평가를 중심으로 수도

권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의 목적과 내용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목적은 오감을 통한 농촌체험을 통해 농촌문화를

이해하고, 먹을거리의 소중함 알며, 나아가 자연과 생명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생태적 감수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내용은 농사 일정에 따라 농민과 협의하여 시기와 작물을 선정하고 체험활

동에 필요한 자료와 인원, 비용 등을 산정하여 참여자에게 공지하고 시행하였다.

농사는 계절에 따른 온도, 강우량, 일조량 등의 자연의 순리를 따른 일이며, 농경의 1년

주기는 태음력의 24절기를 따르는데, 각 절기는 농사의 풍년과 건강을 소원하는 의례, 놀

이, 음식으로 구성되어 있다(김영연, 한미라, 2008). 따라서 농촌체험활동은 1년을 단위로,

주제와 계절 및 절기에 따라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된다.

주제에 따른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의 농촌체험활동으로는 농사체험, 자연생태체험, 농가

생활, 전통놀이, 먹을거리, 공예품 만들기와 교사교육을 들 수 있다. 특히, 자신의 고유한

세계관을 확립하지 못한 유아는 그들의 부모나 교사들의 가치관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자

연과 생태 그리고 농촌과 먹을거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유아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

칠 수 있기 때문에 자연이나 농촌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생태유아

공동체 교육국 실무자들은 행사성이나 일회성 농촌체험이 아니라 자연과 환경에 대해 장기

Page 8: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9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표 3> 계절 및 월별 월별 농촌체험활동 내용

계절 활동명 세부내용 일시

딸기 따기․딸기 생산자 “딸기” 이야기 ․딸기 따기

․딸기 포장 ․딸기잼 만들기5월14일

모내기․풍물놀이 ․소원지 달기

․떡치기 ․경운기 타기5월27일~29일

여름

우렁이와 오리 입식․풍물놀이 ․떡치기

․줄다리기 ․오리 입식하기6월1일~2일

감자 캐기․감자 캐기 ․감자 쪄먹기

․마을 돌아보기6월17일~18일

옥수수 따기․옥수수 따기 ․옥수수 쪄먹기

․마을 돌아보기7월1일~2일

여름들살이

․마을 숲길 산책 ․신나는 물놀이

․깻잎 따기 ․경운기 타기

․움막집에서 감자 구워먹기

․소에게 먹이주기

7월15~17일

적으로 생각하며, 고민할 수 있도록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농촌체험활동에 관한 사전 및

사후 교육을 운영하고 있었다.

<표 2> 농촌체험 활동 유형

주제 세부내용

농사체험

모내기, 감자 캐기, 옥수수 따기, 깻잎 따기, 벼 베기, 볏단 나르기, 땅콩 캐

기, 고구마 캐기, 과수 따기(딸기 사과 포도 등), 누에 기르기, 전통추수방

법(손벼타작, 홀개, 도리깨 타작)

자연생태체험 농작물성장과정관찰, 숲 생태관찰, 산책, 계곡/물놀이, 자연현상관찰(별자리)

농가생활전통가옥체험(황토방, 움막집) 방아 찧기 봉숭아물들이기, 지게지기, 경운기

타기, 가축먹이주기

전통놀이마당놀이(팽이치기, 제기차기, 그네타기), 전통음식 만들기(두부, 된장, 간장,

메주), 떡메치기, 비석치기, 풍물놀이, 줄다리기, 원두막체험, 쥐불놀이,

먹을거리 효소 만들기, 음식 만들기 체험, 농산물 구워먹기

공예품 만들기자연물 공예, 짚공예, 염색하기, 풀잎피리, 도자기체험, 새총 만들기,

허수아비 만들기

교사교육 농촌체험활동의 이론과 실제, 건강한 먹을거리, 자연의 소중함

다음으로, 계절과 절기에 따른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의 농촌체험활동은 월별활동으로

모내기, 우렁이와 오리 입식, 감자 캐기, 딸기 따기, 옥수수 따기, 여름 들 살이, 땅콩 캐기,

고구마 캐기, 가을걷이 등이 있다.

Page 9: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과 유아교육적 의미․95

가을

고구마 캐기 ․고구마 캐기 ․고구마 쪄먹기 9월24일~25일

땅콩 캐기 ․땅콩 캐기 ․땅콩 삶아 먹기 ․땅콩염색 9월15일~16일

가을걷이

․풍물놀이 ․떡 치기

․벼 베기 ․볏짚 나르기

․어린이 쌀 소비 선언식

10월15일~16일

또한 농촌체험 이후 마을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주변 향토문화를 경험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체험은 유아들이 우리의 먹을거리가 되는 농산물을 직접 보고 유아교육기관과 생태

유아공동체의 실무자 그리고, 농촌마을이 서로 신뢰하는 가운데 우정을 쌓아가는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가는 것이다(김태순, 1999).

2.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평가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을 마치고 나면 체험활동에 참여하였던 유아교육기

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체험활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생태유아공동체 교육국

실무자들은 그들의 체험과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체험활동의 계획, 목표, 성과와

아쉬움 등에 대한 총평으로 평가회를 진행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의 설문조사 결과와 토의

내용은 이후의 농촌체험활동 구성에 반영하여 양질의 농촌체험활동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그림 1]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구성 순서 및 역할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은 특정기관이나 단체

가 기획한 체험활동에 유아나 교사들이 일회성으로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농촌체험활동을

요구하는 유아교육기관과 체험활동을 제공하는 농촌마을 그리고, 체험활동을 기획하고 실

Page 10: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9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행하는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실무자들이 농촌체험활동의 주인으로서 체험활동 구성의 전

과정에 참여하고 있었다. 이는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의 농촌체험활동은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기획사가 주최하는 일회성 행사가 아니라 사계절의 변화와 농촌의 문화를 참여자들이

오감으로 직접 체험하는 장기 프로젝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 본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구성 및 추진과정은 다음의 그

림 1 및 그림 2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그림 1]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구성

[그림 2]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추진 과정

또한 위에서 제시한 농촌체험 추진과정의 준하여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에서 진행한 농

촌체험활동의 하나인 모내기 체험을 위한 추진일정 및 세부일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Page 11: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과 유아교육적 의미․97

<표 4>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 “모내기” 체험을 위한 추진 일정

주 요 내 용 기 간 비고

세부 내용 협의 조정 4월 15일(금)~5월 9일(월) 농민회와 공동체

검토 및 내부 결재 5월 9월(월) 공동체 내부 논의

안내문 및 신청서 공지 및

홍보5월 9일(월)

어린이집, 유치원에 체험안내

자체 홈페이지, 메일 홍보

신청 접수 5월 9일(월)~5월 19일(목) 2주간/선착순 접수

행사 준비 점검신청~5월 25일(수) : 여주

신청~5월 31일(화) : 파주

현수막, 떡, 수박, 돼지고기 등 제사 의례

에 관련한 물품 주문 간식 및 식사에

필요한 물품 준비

교사 사전 교육 5월 신청자 확정

모내기 의미, 기원행사, 세시풍속등의 내

용으로 사전 교사교육

당일 행사에 관한 사전 공지 및 주의점

그리고 사전 수업에 대한 내용 공유( 팻

말 만들기, 허수아비 만들기 , 농부님 편

지쓰기 등)

행사 진행5월 26일(목) : 여주

6월 1일(수)~2일(목) : 파주

결산 및 결과 보고서 6월 3일(금) ~ 6월 10일(금)자체 평가 설문 분석 및 농민회와 실무

자 평가를 토대로 평가서 작성

<표 5>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예: “모내기” 체험을 위한 세부 일정

시 간  세부 일정 비 고

9:30~10:30

공동체 실무자 도착, 사전 주변정리,

체험도구 배치, 식사 및 간식, 식수, 화장실 점검,

전체 일정 농민회와 점검

전체 행사진행표 배부 및

점검

10:30~11:00 생산지 도착, 농부님과 정겨운 만남 유아-농부 간 만남

11:00~11:50풍년 기원문 만들기, 새끼 꼬기, 경운기 타기

모내기 체험(원 팻말 세우기)

농부님의 설명

도착 시간에 따라 진행

11:50~12:00 정리 및 식사 준비

12:00~13:00 점심식사 2부 활동에 필요한 준비 점검

13:00~14:30풍년 기원문 만들기, 새끼 꼬기, 경운기 타기

모내기 체험(원 팻말 세우기)

농부님의 설명

도착 시간에 따라 진행

14:30~ 농부님과 인사 후 귀가체험 장소 주변 및 각종 기구

정리와 청소

Page 12: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9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Ⅲ.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유아교육적 의미

오감을 통한 직접 체험으로 농촌문화를 이해하고, 먹을거리의 소중함 알며, 생태적 감수

성을 회복하기 위한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유아교육학적 의미를 유아와

교사와 실무자를 포함한 어른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자연과 농촌을 사랑하게 된 유아

1) 생태적 환경의 중요성을 깨닫는 유아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이 이루어지는 농촌은 사라져가는 전통 농사법과 생

활양식을 유지하고, 인공적인 자연 환경 구성을 지양하고 있었다. 특히, 농민들은 체험 온

유아들에게 우리 전통의 오래된 농기구와 농촌의 생활 방식들을 알려주고 있었다. 이를 통

해 우리 조상들의 생태적 지혜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유아: 선생님 오줌 마려워요.

교사: 오줌을 밭에 눠도 돼 그럼 거름이 되거든 너희들 오줌은 채소들이 자라는데 좋은 영

양분이 돼서 더 잘 자라고 맛도 좋아지게 해.

유아: 선생님 그럼 똥은 요? 응 그것도 마찬가지로 좋은 거름이 되는데 너희들이 몸에 안

좋은 콜라나 과자 같은 것을 먹으면 채소들이 잘 못자라니까 몸에 좋은 음식을 항상

먹어야 건강해 지는 거야. (2011. 7. 1. 옥수수 따기 활동 관찰일지)

유아1: (흙과 돌맹이를 던지며) 지렁이다! 아이냐 뱀이야!

농민: 지렁이가 있어야 흙이 건강하고 좋아져. 곤충들도 죽이면 안 되지. 다 같이 잘 살아

가야 하잖아.

유아1: (지렁이를 흙으로 돌려보내면서) 지렁이도 죽이면 안 되고, 나무도 꺾으면 안 되죠!

유아2: 곤충들도 죽이면 안 되죠? (2011. 7. 16. 여름들살이 활동 관찰일지)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은 도시에서 편리한 생활을 하던 유아들에게 불편함

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농민들의 안내를 받으면서 진행하는 농촌체험은 농사에 필요한

거름을 모으기나, 퇴비를 만드는 과정, 소들의 먹을거리를 위해 풀을 채집하는 과정 등 생

Page 13: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과 유아교육적 의미․99

태적 농사법과 생태환경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습득하는 과정을 서서히 알아가는

과정이 되었고, 우리의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해주는 생태적 환경의 중요성과 고마움을 깨

닫을 수 있었다. 또한, 지렁이와 곤충 등 보잘 것 없어 보이는 작은 생물조차도 인간과 더

불어 살아가야 하는 생명을 가진 존재이자, 이러한 존재들이 있음으로 인해 생태적 환경이

유지 보전될 수 있음을 알아가면서 자연과 생태의 소중함을 온 몸으로 체득하였다.

[그림 4]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 체험 활동: 오리입식 및 모내기

2) 먹을거리를 기르고 가꾸는 농부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갖게 된 유아

현대사회의 유아들은 자신들이 먹는 먹을거리의 재료가 되는 농산물들이 어떤 과정을 거

쳐 우리의 식탁에 오르는지 알지 못한다. 즉, 대부분의 유아들은 농산물이 생산되는 과정은

생략한 채 단지 슈퍼마켓에 진열된 재료들로 요리하는 것이 전부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

다. 농촌체험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은 우리의 먹을거리가 생산되는 과정을 직접 경험하면서

건강한 먹을거리를 기르는 농부들의 수고를 알고, 감사와 고마움을 알아가고 있었다.

어... 농부님이 안계시면 지푸라기로 공도 못 만들어 주시잖아요. 난 그 공이 좋은데... 그리

고 슬퍼요. 그리고 감자도 없고, 땅콩도 없고 먹을 게 조금 밖에 없잖아요.

(2011. 10. 16. 가을걷이 활동 후 유아 면담)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을 통해 농사짓기에 직접 경험한 유아들은 보잘 것 없어 보

이던 감자와 땅콩 등의 먹을거리들이 식탁에 오르기까지는 농부들의 수고와 사랑이 필수적

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건강하고 맛있는 먹을거리를 생산하기 위해 일 년

내내 수고를 아끼지 않는 농부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가질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농

촌체험 활동 경험한 유아들은 그들의 생활터전인 도시로 돌아 간 후에는 하찮은 쌀 한 톨

이라 속에 담긴 농부의 땀과 열정을 생각하면서 음식을 남기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Page 14: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10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보이면서,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농부아저씨께 감사의 마음을 담은 편지를 보내기도 하였다.

3) 자연을 경외하던 우리 문화를 배우고 익히는 유아

우리의 민족문화의 고유한 전통은 대부분 농경문화를 통해서 형성되었다. 각종 세시풍속

이나 일생의례, 민속신앙, 민속놀이, 품앗이, 두레 등 어느 하나 농촌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

고 있다.(임재해, 2001). 그러나 이 시대의 유아교사들은 민속 문화를 경험할 있는 기회와

교육이 부족하여 우리 민족문화를 유아들에게 전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유치원에서 장구를 배웠는데요. 여기 농부 아저씨랑 형들이 풍물을 해주셔서 신났어요. 친

구들이랑 선생님이랑 신나게 춤을 추며 풍물치는 사람들을 따라다니니까 신이 났어요. 저

는 선생님이 깃발 같은 것을 들라고 하셔서 들고 다녔어요. 친구들이 하고 싶다고 해서 친

구들과 같이 들었어요. (2011. 5. 29. 모내기 활동 후 유아 면담)

여름에 아이들이 오면 마을 선생님이라고 이름표를 하나씩 주며 나보고는 짚을 꼬는 방법

을 알려주라고 하더구만. 우리 집 사람한테는 두부 만드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선생님이라

고 하고 ……. (중략) 학교에서도 배우지만 농촌에 오면 우리들이 알려 줄 것도 참 많고

나도 마이크 잡으면서 아이들 보니까 꼭 선생이 된 것 같다 기분이 좋기도 하고...... 유치원

교사들도 우리 것을 알아야지. 그래야 토종으로 아이들을 키울 것 아냐! 안 그래?

(2011. 7. 16. 여름들살이 활동 후 농민 면담)

이 시대 유아교사들은 민속 문화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다. 왜냐하면 교사들 스스

로가 민속놀이를 직접 체험하기 보다는 텍스트를 통해 지식으로 학습했기 때문이다. 그러

나 삶 그 자체가 문화인 우리 문화는 교과서를 통한 학습이 아니라 일상적 삶 속에서 더불

어 살아가는 성인들을 통해 전수받아야 한다. 이런 점에서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

험활동은 농민들이 농촌을 찾은 유아들에게 우리 문화를 전달해주는 학습의 장이 되고 있

었다. 즉, 생태유아공동체의 농촌체험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은 계절과 절기마다 농촌에서 이

루어지는 다양한 민속활동을 보고, 듣고, 직접 참여함으로써 우리의 문화를 직접 배우고 익

혀 나가고 있었다. 특히, 계절의 순환성, 삶의 지혜, 공동체 의식과 자연의 조화를 담고 있

는 세시풍속을 통해 유아들은 자연과 우주가 움직이는 원리를 체험할 수 있었다(김명자,

2003; 편해문, 2003). 이와 같이 유아와 농민들이 직접 만나는 농촌체험활동은 사라져 가는

농촌문화 및 전통문화를 다음세대로 전달하는 기회가 되었고, 유아들은 우리 문화의 특성

과 소중함을 발견해 나가고 있었던 것이다.

Page 15: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과 유아교육적 의미․101

[그림 5]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 체험 활동: 가을걷이

2. 목적 달성과 생태적 감수성 회복으로 행복한 성인

1) 농촌체험활동의 보람을 느끼는 교사와 실무자

모든 교육의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수도권 생태유

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 또한 농촌문화에 대한 이해, 먹을거리의 소중함 알기라는 목적을

지식이 아닌 삶의 방식으로 체화해 나가는 유아들을 보면서 농촌체험활동을 계획하고 실행

한 보람을 느낀다고 하였다.

아무래도 아이들이 밥도 잘 먹게 되고 교사들은 친환경농업에 대해 점점 알아간다는 거죠.

그래서 농사의 중요성과 바른 먹을거리에 대해 알아가게 된다는 게 저희 공동체 소기의 목

적을 달성하는 것 같아 보람되기도 하죠.

(2011. 11월 생태유아공동체 교육국 평가회 자료)

수도권생태유아공동체의 농촌체험활동에 직접 참여해 보니 친환경으로 농사를 짓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그리고 이렇게 귀한 농산물들이 제 값을 못 받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마음도 조금 불편했어요. (중략) 유아교사들도 자연과 농업의 소중함을 알

고 이런 것들에 대해 아이들과 많은 이야기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2011. 9. 24. 고구마캐기 활동 후 교사 면담)

농촌체험활동도 교육의 일부분이라는 점에서 농촌체험활동이 추구하는 교육목적의 달성

은 본 활동의 의미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교육의 전반적인 과정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본다면, 교육목적의 달성은 교사로서의 보람을 느낄 수 있는 가

장 큰 요인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유아들이 직접 농부들이 농사짓는 모습을 보고, 농사에

같이 참여하는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결과로 유아들이 바른 먹을거리의

Page 16: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10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중요성을 알아가고, 밥과 음식을 잘 먹는 모습으로 변화되는 것은 농촌체험활동의 목적이

달성된 것이며, 이러한 교육적 효과의 검증은 교사들의 가장 큰 보람이 되고 있었다. 한편,

농촌체험활동을 경험한 교사들이 친환경농업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유아들과 함께 이

와 관련된 이야기를 더 많이 나누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농촌체험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을 계획한 생태유아공동체 실무자들의 보람으로 환원되기도 하였다.

2) 생태적 감수성을 회복하는 교사와 실무자

생태적 감수성이란 자연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통하여 자연을 사랑

할 수 있는 마음,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즐길 수 있는 태도, 자연에 대한 문제를 인식

하고 자연에 대하여 긍정적 감정을 가지는 것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따라서 생태적 감수

성은 지식, 가치, 태도의 기초가 되는 정서적 반응양식이자, 행동의 모티브로 작용한다(변영

호, 2008; 임상희, 2004). 이러한 생태적 감수성은 현대 사회의 문제로 대두된 농촌과 자연

생태계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다. 특히, 유아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성

인들의 생태적 감수성이 어떠하냐의 문제는 유아들의 생태적 감수성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송순재, 2002).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

동 성인인 교사와 실무자들이 잊고 있었던 어린 시절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면서 생태적 감

수성을 회복시켜 주고 있었다.

가끔 체험을 하다가 예전에 굴뚝 연기 냄새가 어릴 적 외할머니 아궁이 생각나고요. 푸른

나무와 황금빛 물든 벼가 익어가는 모습을 보면 마음이 편안해지기도 하구요.

(2011. 11월 생태유아공동체 교육국 평가회 자료)

농촌에 와보니 내가 어렸을 때 생각이 나네요. 우리 부모님도 농사를 지으셨거든요... 힘들

게 농사를 지으시는 농부들을 보니까 미안하다는 생각도 들고, 부모님 생가도 나고... (중

략) 농촌이 너무 고맙다는 생각을 했어요. 우리 농산물들이 제 값이라도 받아야 할 텐데

하는 생각도 드네요.

(2011. 9. 24. 고구마 캐기 활동 후 원장 면담)

우리나라는 70년대 경제발전이 부흥되기 전까지 농업위주의 사회였다. 따라서 80년 초반

까지 유년시절을 보낸 성인들에게는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농촌문화에 대한 아련한 기억

하나씩은 가지고 있기 마련이다. 농촌체험활동은 각박한 도시생활로 인해 잊어버렸던 유년

기의 기억과 추억을 되살려주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을 온 감각으로 느끼면

Page 17: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과 유아교육적 의미․103

서 자연의 아름다움이 주는 편안함을 맛볼 수 있었다. 또한 농사를 직접 지으면서, 우리 땅

에서 바른 먹을거리를 생산해 내는 농민들의 수고와 농촌마을과 자연과 하나되어 살아가는

우리 문화를 사랑하고, 지켜내기 위한 실천에 힘을 보태고자 다짐하기도 하였다.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가 실천하고 있는 농촌체험활동의 특성과 의미를 살펴

보는 것이었다. 연구결과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의 농촌체험활동의 목적은 농촌문화에 대

한 이해, 먹을거리의 소중함 알기, 생태적 감수성 회복하기 등이었으며, 농촌체험활동의 내

용은 유아교육기관의 요구와 농촌마을의 특성을 고려하여 계절과 절기에 따른 다양한 활동

으로 구성되었고, 체험 후 유아교사와 실무자들의 평가 결과는 다음 농촌체험활동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었다. 한편,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은 생

태적 환경의 중요성을 깨닫고 농부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며 우리문화를 배우고 익히면

서 자연과 농촌을 사랑하게 되었고, 교사와 실무자들은 농촌체험활동의 목적을 달성하고

생태적 감수성을 회복하면서 행복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수도권 생태유아공동

체의 농촌체험활동은 ‘체험을 위한 체험’이 아니라 유아교육기관, 농민 그리고 생태유아공

동체 교육국 실무자들이 체험활동의 주인으로서 앎과 행함을 통해 의미를 구성하는 체험의

본질을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의 농촌체험활동의 유아교육학적 의의를

몇 가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체험활동의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농사는 일회성의 특별활동이 아니라 일 년 동안 지속되는 삶이다. 일 년 단위 농촌체험 활

동이 가지는 의의는 자연의 순리와 생태계의 순환을 체험하며, 자연의 순리에 따라 지속가

능한 생태계 유지를 위한 우리 농업의 가치와 지혜를 터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

재 우리나라에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농촌체험의 대부분이 특정 기간을 이용

하여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체험활동은 특정 계절의 농사 체험과 문화 활동에만

치중하게 되므로, 농촌체험의 궁극적 목적인 농업에 대한 이해를 달성하기 어려우며, 유의

미한 농촌체험활동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유아들의 삶에 기반을 둔 농촌체험활동이 되

기 위해서는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과 같이 일 년을 기본 단위로 동일한 농

촌마을에서 다양한 체험활동을 구성함으로써 체험활동 참여자들이 생명의 순환 과정을 스

Page 18: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10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스로 깨달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머리로 인식한 앎이 가슴과 몸으로 체화되는 의미

있는 농촌체험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동일한 참여자들의 지속적인 방문이 보장되어야 한다

는 점이다. 지속적 방문이 아닌 일회성 행사위주의 농촌체험활동은 농촌을 방문하는 도시

민을 위한 편의 시설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체험활동은 있는 그대로의 농촌이 아니라

보여주기 위한 농촌 마을 정비를 야기하며, 그 결과 농촌을 살리기 위한 체험활동이 오히

려 농촌을 파괴하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식과 태도 및 습관 형

성이라는 ‘체험’의 의미를 고려한 농촌체험활동을 위해서는 도시의 유아들과 농촌의 농민들

이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마음과 마음을 교류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농촌을 방문

하는 유아들은 농촌의 주민들을 자신의 할머니나 할아버지로 생각하고, 농민들 또한 체험

에 참여한 유아들을 자신의 손자손녀와 같이 여기는 것은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임을 깨

닫게 하는 하나의 경험(an experience)을 선사할 때 농업과 농촌 나아가 자연을 보존하고

살리기 위한 공감대 형성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앞서 효과적인 농촌체험활동을 위해서는 한 농촌마을을 지속적으로 방문해야 한다

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과 농촌마을을 연계해 줄 수 있는 기관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도시의 유아와 교사들이 직접적으로 농촌과 연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도시화 현상으로 인한 농촌 주민 수가 감소됨으로써 실제 농사에 참여하는

농촌이나 농민의 수가 절대 부족하여, 기관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농촌마을을 찾는 것

도 쉬운 일은 아니다. 게다가 농촌체험활동이 도시의 유아들과 농촌의 농민들 모두에게 유

의미한 농촌체험활동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양자 간의 요구가 적절히 조화될 수 있도록 양

자 간의 소통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과 이를 통한 협력적 관계 유지가 요구된다. 이러한 점

에서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는 농촌체험을 위해 필요하지만 유아교육기관이 직접 진행하는

데 한계가 있는 -농촌체험이 가능한 마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직접 답사하여 농촌체험

마을을 선정하는 일 등- 일을 수행하여, 유아교육기관과 농촌마을 간의 원활하고 지속적인

교류를 돕는 매개기관이자 지원기관으로서 그 역할을 충분히 담당하고 있었다. 따라서 실

질적이고 지속적인 농촌체험활동 진행을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에서처럼 유아교육기관-수도

권 생태유아공동체-농촌마을 등 사회 각 기관의 협력을 통한 사회학적 접근과 소비자단

체․환경단체 등의 다양한 NGO의 역할이 요구된다는 하겠다(박시현, 2003; 이상엽, 2003).

셋째, 유아들의 농촌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 및 생태적 환경의 소중함을 깨닫을 수 있

는 농촌체험활동을 위해서는 유아들의 삶의 맥락에서 농촌의 일상을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

는 기회가 자주 마련되어야 한다. 즉, 틀에 얽매인 지식 교육보다는 교실을 벗어난 농촌을 교

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그 안에서 다양한 체험을 제공함으로써 유아들에게 농촌과 농사가 자

신과 동떨어진 별개의 세계가 아니라 자신의 삶의 일부라는 것을 일깨워 주는 것이 필요하

Page 19: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과 유아교육적 의미․105

다. 이를 위해서는 유아들의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그들의 흥미와 요구

를 반영한 다양한 농촌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들이 자연과 삶과 모든 대상에 대한 고

마움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을 도울 수 있어야 할 것이다(채영숙, 임재택, 2006).

마지막으로 체험학습의 의미에 대한 고찰이다. 오늘날 농촌이 가지고 있는 생태학적 관

점에서의 체험교육은 유아기 때부터 다루어져야 한다. 체험학습은 교실 안에서 교사의 설

명을 듣는 교육이 아니라 학습자가 교실 밖 현장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행하는 일체의 심

적 과정이며, 학습자의 주체적 문제제기와 문제해결의 과정을 통해 지식 획득을 목표로 하

고 있다. 그러나 이때의 지식을 개념적․명제적 지식으로 국한해서는 안되고 실천적․과정

적․암묵적 지식이라는 광의의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다시 말해 체험은 학습의 단면이

아니라 삶의 구체성을 몸으로 겪어본다는 것에 중요한 의미가 있기 때문에 앎과 삶의 논리

적 일체감을 강조함으로써 앎을 더욱 견고하게 하고, 새로운 상황에 대한 문제 해결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되어야 한다. 특히, 새로 개정된 누리과정에서도 인류의 삶의 터전인

자연과 환경의 파괴와 오염에 대한 생명적 관점이 필요성과 이를 위한 교육과정의 변화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으므로 감각으로 세상을 인식하는 유아들을 위한 체험학습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할 수밖에 없다. 또한 유아기에 경험한 직접 체험은 인간의 일생 중에 가장 오래

기억되며 인격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김태순, 1999). 유아기에 획득한 농촌과

자연에 대한 태도와 지식이 이후 성인되었을 때의 사고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생

태학적 관점에서의 농촌체험은 자연과 인간의 공존적인 관계에 대한 인식과 자연 친화적인

태도와 가치관을 형성하며 이후 자연의 친화적인 삶의 방식을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의 밑거

름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농촌의 자연과의 상호의존적이고, 순

환적인 삶을 영위하는 조화로운 관계를 몸으로 익히는 체험활동은 도시와 농촌, 자연과 인

간의 상생적 관계를 인식하는 삶의 방식으로 배우고 이는 가치관과 태도 등의 함양에 기여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의 서두에서 진술하였듯이 체험은 교수방법이 아니라 교육철학이

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본 연구는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은 유아와

교사와 생태유아공동체 실무자와 농민 등 체험의 주체들이 일 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지속

적으로 온 몸을 감각적으로 사용하는 체험을 통해 농촌문화와 먹을거리의 중요성과 생태적

감수성을 함양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수도권 생태유

아공동체라는 한 단체가 제공하는 농촌체험활동만이 분석대상이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제한

점을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차후에는 다양한 기관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여러 유형

의 농촌체험활동의 장단점을 분석해 봄으로써 이 시대가 요구하는 가장 바람직한 농촌체험

활동의 모형을 도출해 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age 20: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10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참 고 문 헌

강인애, 설진성(2012). 가상박물관을 활용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수업사례연구. 교육방법연구,

22(1), 27-54.

고미숙(2009). 체험교육의 의미. 아시아교육연구, 7(1), 133-162.

곽노의, 문원자, 백정희, 박대근(2007). 교육부 고시 제7차 유치원교육과정 ‘건강생활영역’

시안 개발, 유아교육연구. 27(1), 73-95.

김명자(2003). 세시풍속의 교육적 의의와 실천화. 비교민속학, 25, 175-208.

김민하(2013).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농경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국악교육연구, 7(1),

21-49.

김영연, 한미라(2008). 유아교육기관의 도농교류활동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유

아보육행정보육학회, 12(2). 97-136.

김유경, 심기현(2013). 청소년의 농촌체험활동을 통한 식생활교육 현황. 한국생활과학회지,

22(1), 231-243.

김태순(1999). 더불어 사는 지혜와 사고의 폭을 넓혀주는 체험학습 운영, 열린교육연구,

7(2) 69-81.

농촌진흥청(2004). 농촌관광: 실태 및 선호도 조사연구. 서울: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박시현(2003).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 한국형 농촌관광의 중장기 비젼을 위한

대안 모색.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세미나 자료집.

변영호(2008).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학교 내 자연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진주교육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설윤환(2012). 농촌체험프로그램에 대한 도시민의 의식조사 연구. 전북대학교 생명자원과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도선(2004).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 서울: 문음사.

송순재(2002). 자연의 길을 따르는 생명교육 -유아교육을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1(1), 1-28.

송하인(2008). 사회과 체험학습의 의미 및 구성방향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현석(2004). 도농교류활동의 유형화와 발전 방향. 대산농촌문화재단 연구용역보고서. 서

울: 대산농촌문화재단.

Page 21: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농촌체험활동의 특성과 유아교육적 의미․107

유찬주, 장동헌(2002). 주말농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12(1), 63-88.

이상엽(2003). 도농교류 체험학습 대중적 확산 방안.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4(3). 197-457.

이혜현, 박덕병, 이민수(2006). 농촌관광 방문객의 선호 체험프로그램 분석. 문화관광연구,

8(1), 305-326.

임상희(2004).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 체험과 환경적 감수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재해(2001). 농촌 공동체 문화의 활성화 방향 구상과 실천 과제. 한국민속학, 33,

255-297.

정윤경(2011). ‘창의적 체험 활동’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체험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중심

으로. 한국교육학연구, 17(2), 73-95.

채영숙, 임재택(200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태적 식생활 프로그램 운영 및 효과 연구. 생

태유아교육연구, 5(1), 105-148.

편해문(2003). 마을 공동체 속에서 살펴 본 배움과 나눔의 교육. 서남재단 국제 유아교육

심포지움 자료집, 270-312.

Campbell, I. M.(1999). Ecotourism in rural developing communitie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6(3), 534-553.

Dewey, J.(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Company.

Fetterman, D. M.(1989). Ethnography: Step by Step.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Proudman, B.(1995). Experiential Education as Emotionally Engaged Learning. In Karen

Warren, Mitchell Sakofs, & Jasper S. Hunt, Jr.(Eds.), The theory of experiential

education. Iowa: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240-247.

Schmitt, B.(2001). 체험 마케팅. (윤성준 역) 서울: 세종서적. (원저 1999년 출판)

Spradley, J. P.(1988).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이희봉 역). 서울: 대한교과서주식

회사. (원저 1980년 출판)

Usher, R.(1993). Experiential learning or learning from experience. In David Boud, Ruth

Cohen & David Walker(Eds.), Using experience for learning. Buckingham: The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 Open University Press, 169-180.

Page 22: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cô õ'/Í)h89 ö k' d(,òe tÈ!ó>\÷æMl /·[8C ö k' d(ô õ'øù ú k û ü ¤ M34 ý e $34Z[ MA wH ( (,òþ (CA C [8C34()hi89ðÿ´

10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Abstract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rural experience activities in

eco-early childhood cooperatives in the metropolitan area

Young Yoen Kim, Nam Jung Cho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rural

experience activities in eco-early childhood cooperativ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minutes of

the eco-early childhood cooperatives meetings in a metropolitan area were collected and analtzed. .

Observations of participants were conducted while the eco-early childhood cooperatives provided

rural experience activities from April through October 2011. Hands-on workers of the eco-early

childhood cooperatives, preschoolers, teachers, and farmers were interviewed. The data were

analyzed via ethnographic metho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co-early childhood cooperatives, and rural communities were involved in every

process during these activities. Moreover, the goal of the rural experience activities was to

understand rural culture and acknowledge the preciousness of food. The rural experience activities

consisted of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that took into consideration the need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villages, season, and specific time of

the seas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hands-on workers evaluated the

experienc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ir evaluations were reflected in subsequent planned

activities. The preschoolers who engaged in the rural experience activities had the opportunity to

cherish nature and learn about rural communities. Moreover, the teachers were able to achieve

their objectives and reported feeling happy about regaining ecological sensitiv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hands-on workers, and rural

communities work together for high quality rural experience activities and experience activities

was very importa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