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
서울특별시 청년허브 서울의 청년정책과 청년활동 지원 아카이브 2013 2017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

서울특별시

청년허브

서울의 청년정책과

청년활동 지원 아카이브

20132017

Page 2: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Page 3: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서울특별시 청년허브 2013-2017

: 서울의 청년정책과 청년활동 지원 아카이브

Page 4: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목차 여는 글

Part I 서울, 청년, 정책

1 청년정책의 등장

2 서울특별시 청년허브 설립

3 통계로 보는 서울청년

Part 2 청년허브 2013-2017

1 지원사업

1.1 청년허브 지원사업 2013-2017 통계 분석

1.2 청년허브 지원사업 2013-2017 사업별 목록

1.3 2013 청년참, 프로젝트 그 이후

2 연구사업

2.1 청년허브 연구사업 2013-2017 통계 분석

2.2 청년허브 연구사업 2013-2017 목록

2.3 2013-2017 연구 내용

3 교육사업

3.1 N개의 청년학교 2013-2017

3.2 청년강연플랫폼 2013-2015

3.3 서울신택리지사업 2013

4 교류사업

4.1 청년허브 국제컨퍼런스: 삶의 재구성 2013-2017

4.2 삶의 재구성: 우리가 알던 성장은 더 이상 정상이 아니다

5 정책사업

5.1 청년정책네트워크 2013-2017

5.2 서울청년의회 2015-2017

5.3 서울청년주간 2015-2017

6 일자리사업

6.1 서울JOB스

6.2 워킹그룹 프로젝트

6.3 청년혁신활동가 양성사업

4

8

14

21

31

38

88

95

100

106

147

152

155

159

164

175

177

181

185

187

189

Page 5: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4 5

여는 글

서울의 청년정책은 2013년 <청년 일자리 허브>와 함께 본격적인 막을 열었습니다.

박원순 시장의 당선 직후, 2011년 12월 6일에 열렸던 ‘청년 일자리정책 수립을 위한

정책 워크숍’에서 청년허브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 있었고, 이후 2012년 1월 발표된

「희망서울 시정운영계획(2012~2014)」에 따르면, ‘청년의 창조 역량 극대화’ 목표 아래

선정된 ‘서울형 미래 혁신 직업 발굴’ 사업의 일환으로, ‘청년 일자리 허브 센터 설립’이

등장했습니다. 이후 2012년 4월 구체적인 계획으로 입안되었고, 서울시의회와 사업 및

예산심의 과정을 거쳐 2013년 4월 현재의 공간에 문을 열게 되었습니다.

서울시가 청년들에게 ‘수당’을 지급한다고 했을 때, 많은 기성세대들은 우려했고, 세금이

낭비될 것이라고 걱정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조사에 따르면, 청년들은 청년수당이

그야말로 ‘기회’였고, 사회로 진입하기 위한 ‘준비 시간’을 제공했다고 말했습니다.

청년들에게 공적 자원이 지원된다는 사실에 대해서 여전히 의문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면, 이전과 비교했을 때 지금 우리 사회의 청년들이 얼마나 더 치열하게 경쟁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더 적은 기회를 가질 수 있는지 먼저 질문해보아야 할 것입니다.

이 책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특별시 청년허브가 연구하고, 지원하고, 교류했던

모든 청년지원 활동의 기록입니다. 공적 자금과 자원이 오직 ‘서울 청년’이라는 이유로

지원되었던 만큼, 그 쓰임의 사유는 공정하고 공평해야만 했습니다. 사업 하나하나, 단체

하나하나에 청년허브의 깊은 고민이 담겨 있습니다. 하지만, 청년들의 고민은 청년허브의

것보다 더 크고, 더 무겁습니다. 이 책에 담긴 수 백, 수 천 개의 이름들 속에 얼마나 많은

청년들의 삶과 꿈이, 희망과 좌절이 담겨 있는지 모릅니다. 의미 없는 작명도 없고, 고민

없는 계획도 없습니다. 「서울특별시 청년허브 2013-2017: 서울의 청년정책과 청년활동

지원 아카이브」는 그 모든 것들의 기록입니다.

지난 5년의 경험과 도전, 성과와 반성을 기반으로 이제 다시 새로운 단계를 맞이한 서울의

청년정책과 청년허브의 각오를 여는 글에 담습니다. 새로운 각오는 전효관 초대 센터장이

「2013 청년허브성과보고서」에 썼던 첫인사로 대신합니다. 뜨겁고 성실하게 청년과 함께

살았던 2013-2017 청년허브가 고스란히 담긴 인사이자, 앞으로도 변함없이 청년허브가

지향하는 바가 이 속에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청년의 위기는 사회의 위기이고 미래의 위기입니다. 청년들의 든든한 비빌 언덕, 일과

삶과 자활의 플랫폼이 되고자 청년허브는 지난 한 해를 뜨겁고 성실하게 살았다고

자부합니다. 주변 분들을 만나다 보면 청년허브의 이 같은 노력을 많이 알아주시는

듯합니다. 열심히 뛰는 모습이 보기 좋고 기대가 크다고 응원을 하십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물어보면 정확히 무슨 일을 하는지는 잘 모른다고 답하십니다. 뭔가 좋은 일,

청년들을 힘나게 하는 일인 것은 같은데 구체적으로는 잘 모르겠다는 것이죠. 한편으로

이해가 갑니다. 청년허브는 청년정책의 혁신을 지향합니다. 혁신은 아직 무르익지 않은

현실 조건에서 낯선 얼굴로 등장하곤 합니다. 기존 청년정책의 효과와 한계는 어느

정도 분명해 보입니다.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만만치 않은

곤란과 공백이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높은 수준의 비경제활동 인구, 이전 세대와는

질적으로 다른 청년세대의 감수성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이제는 사회간접자본을 새롭게

구성하는 차원으로 접근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과거 산업사회에서는 철도, 도로를

의미했지요. 하지만 오늘날에는 더불어 사는 시민들의 자율 공간, 돌봄과 상생의 기획이

가능한 창조적 공유 지대가 사회간접자본입니다. 청년들이 이러한 자율적이고 창조적인

공유 지대로 모여 함께 서울을 건강하게 변화시켜 나간다면 거기서 진정으로 좋은 일,

좋은 삶이 잉태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2018 서울특별시 청년허브

센터장 안연정

Page 6: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6

part 1 서울,

청년,

정책

1 — 청년정책의 등장

2 — 서울특별시 청년허브 설립

3 — 통계로 보는 서울청년

본 장의 내용은 2017년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정책 결정 및 집행체계에 대한 경험연구:

효율성, 참여성, 적합성의 원리에 따른 협력적

거버넌스 모델 제안」과 2016년 청년허브 기획연구

「2016 서울청년인포그래픽스-청년 통계 분석 및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https://youthhub.kr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Page 7: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8 9

청년정책의 등장

2017년 기준, 13개 광역시도에는 조례를 바탕으로 청년정책위원회, 청년발전위원회,

청년정책심의위원회 등의 명칭을 가진 청년정책결정기구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들은

지방 행정부 담당자, 지방의회의원, 청년 당사자와 외부 전문가집단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방정부의 조례에 따라 집단별 구성 비율은 상이하지만 대체로 해당 지방정치공동체의

장단기 청년정책의 심의 및 결정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6개 광역 지방정부에는

청년정책네트워크, 청년원탁회의 등의 명칭을 가진 청년 당사자 참여조직이 활동하고

있으며, 지방정부에 따라 조례에 명시된 공식조직이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청년정책 거버넌스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것이 지방정부 청년정책 집행을

지원하는 외부기관으로 서울시, 광주시, 대구시에서 이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한국에서 청년을 대상으로 특화한 정책이 등장하기 시작한 역사는 길게 잡아도 10여 년에

불과하다. 하지만 지난 10여 년간 청년 정책을 바라보는 관점과 정책 내용에는 상당한

변화가 발견되며 현재도 그 변화는 진행 중에 있다. 안정기 정책들은 이미 확립된 정책

패러다임에 대한 경로 의존성이 강하게 작동하고 변화를 위한 제도와 과정에서 새로운

가치와 규범이 침투하기 쉽지 않다. 반면 형성기 정책은 정책 패러다임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정책과정에 참여하는 행위자의 범위를 어디까지 허용할 것인지, 어떤 상호작용과

절차를 거쳐 정책 결과에 이를 것인지 등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만들어낼 수

있다.

정책결정과정이 민주적 책임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기대되는 좋은

거버넌스의 규범들이 작동해야만 한다. 다양한 모델과 정의들이 사용되긴 하지만,

전통적인 수직적 정책결정모델이 아닌 수평적인 파트너십과 결정과정의 민주성, 책임성,

반응성을 강조하는 거버넌스 모델은 우리나라 지방정부들이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규범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그런데 이 모델을 정책과정에 적용하려면 정부가 정책을

서울

충북

지역

지역

광주

충남

대구

전북

경기

제주

대전

전남

세종

경남

서울혁신기획관/청년정책담당관(1)/

청년정책팀(7)/활동지원팀(4)/

공간지원팀(5)

행정국/청년지원과(1)

청년정책팀(4)/청년일자리팀(3)/

청년복지팀(4)

전담부서

(부서명/인원)

전담부서

(부서명/인원)

청년기본조례를 제정한 지방정부 청년정책 결정·집행기구 비교

자치행정국/청년정책과(1)

청년정책팀(5)/청년지원팀(5)/

교육지원팀(4)

미래정책과/청년정책팀(3)

시민행복교육국/청년정책과

청년정책팀(5)/청년소통팀(3)/

교육사업팀(3)

일자리경제산업국/일자리경제정책관/

청년정책팀장(1)/청년정책팀(4)

여성가족국/아동청소년과/

청년지원팀(3)/일자리노동정책과/

일자리경제정책과/청년일자리팀(3)

특별자치행정국/평생교육과

정책기획관/대학청년담당(5)

일자리경제과/청년일자리담당(4)

기획조정실/청년정책담당관(1)

청년정책팀(4)/인재육성팀(4)/

교육지원팀(6)

기획조정실/정책기획관/

저출산정책팀(2)

기획조정실/교육지원담당관/

서민자녀교육지원담당(2)

경제통상국/고용정책단/

청년일자리담당(5)

청년정책위원회

(20)

청년위원회(20)

심의기구

(기구명/인원)

심의기구

(기구명/인원)

청년정책위원회

(25)

청년정책위원회

(20)

청년정책심의

위원회(20)

청년정책위원회

(20)

청년위원회(30)

청년정책위원회

(20)

청년발전위원회

(20)

청년정책위원회

(30)

청년정책위원회

(20)

청년허브(22)

청년활동지원센터

(19)

지원기관

(기관명/인원)

지원기관

(기관명/인원)

광주청년센터더숲

(6)

대구청년센터(7)

청년정책네트워크

(300)

참여기구

(가구명/인원)

참여기구

(가구명/인원)

청년위원회(50

청년정책네트워크

(30)

청년정책네트워크

(100)

청년정책네트워크

(80)

청년원탁회의 (55)

청년정책네트워크

(102)

1

Page 8: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0 11

매개로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는 대상이 특정되어야 하며, 그 대상과의 수평적

정책과정을 보장할 수 있는 공식적 제도와 비공식적인 규범의 작동이 필요하다.

정책대상이 되는 이해당사자들이 정책과정 개시 이전에 이미 조직화되어 있는 경우는

정책과정으로 초대하고 논의공간을 제공하며 협의에 제도적 권한을 부여하는 등의

장치를 고민하는 데에서부터 출발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이미 조직된 집단이

이해당사자들을 얼마나 포괄하고 있는가, 그 집단이 표방하는 정책수요가 이해당사자들의

실제적인 지지에 기반하고 있는가 등에 따라 다양한 제도 디자인이 고민되어야 한다.

한편 이해당사자 집단이 조직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정부는 선택에 직면한다. 전통적인

관 주도 정책결정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방법, 이해당사자 집단 대신 이들의 이익을

대변한다고 가정되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파트너십을 설정하고 정책과정을 진행하는

방법, 이해당사자들을 직접 조직화하여 정책 파트너의 지위를 부여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거버넌스 모델은 관주도 모델에 대한 비판적 접근으로부터 등장했지만, 현실에서 이

세 가지 접근들은 뚜렷이 구분되지 않으며 혼재되어 나타난다.

전통적 관료중심 모델에서도 전문가집단, 이익주창(advocacy) 단체의 정책결정과정

참여는 일반적이었다. 또한 거버넌스를 실현하려는 여러 시도들에서도 이해당사자의

참여와 전문가 집단의 결합은 배타적이지 않으며 동시에 추진되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관료집단, 전문가집단, 이해당사자 중 누가, 얼마나 더 제도적 권한을 행사 하는가 혹은

보장 받는가이다.

정부-시민사회 관계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는 미국 등 서구 국가들과는

다른 경로를 걸어왔다. 1960년대 이래 권위주의 발전국가 모델을 지속하다가 민주정체로

전환된 우리나라의 전통적 모델은 관료 중심의 자의적, 시혜적 정책결정 모델이다.

전문가집단이나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은 투입과정에서 배제되어 있었고, 관료들이

정책결정과정을 주도했다. 1987년 민주정부의 탄생과 1995년 지방자치정부의 탄생이

이런 전통을 일거에 뒤바꿀 수는 없었다. 민주화 이후로도 오랫동안 이해당사자들의

결사는 제도적, 관행적으로 제한되었고 결사의 시도들은 많은 정치사회적 비용을 대가로

해야만 했다.

중앙·지방정부와 개별 시민들 사이에 다양한 이익결사체들이 존재하고, 이들이 원자화된

시민들의 정책수요를 집단화하며 정부 정책결정의 파트너로서의 지위를 획득하고 압력과

영향력을 행사하는 모델은 적어도 한국에서는 오랫동안 낯선 어떤 것이었다. 그러나

민주화는 정치과정과 정책과정에 대한 개별 시민들의 참여 욕구를 추동했다. 더 많은

참여에 대한 시민적 욕구는 중앙·지방정부의 정책결정 모델에도 변화를 강제했다. 하지만

그 자리를 차지하고 들어설 이해당사자들의 결사체들은 대개 정책과정에 결합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정부들이 마련한 다양한 제도적 공간은 시민적 참여욕구를 대리해

전문가, 이익주창자들로 채워졌다.

수많은 중앙·지방정부의 기구들에 전문가, 비영리단체 활동가들이 참여하고 있지만,

이해당사자들의 모습은 잘 눈에 띄지 않거나 참여하고 있더라도 그 제도적 권한은

왜소하다. 이해당사자들을 회원으로 가진 조직이라고 하더라도 그 포괄범위는 협소하기

때문에 현실의 이해당사자들로부터 대표성을 확인받기도 쉽지 않다. 정부 정책결정과정에

누가 시민이자 이해당사자인 나를 대표하고 있는가, 무슨 내용으로 대표하고 있는가는 잘

보이지 않는다.

이런 조건에서 최근 우리나라 다수의 지방정부들이 추진하고 있는 청년 정책들은, 어떻게

정부의 민주적 책임성을 담보하고 절차적 정의를 구현하며 정책 실효성을 높여나갈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흥미로운 소재가 아닐 수 없다.

거버넌스에 관한 기존연구와 유형들은 미(未)조직된 청년집단을 대상으로 한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에 관한 중요한 함의들을 전달한다. 결사체 거버넌스(associate

governance)모델과 사례들은 정부가 미(未)조직 이해당사자들이 스스로 결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모델에서는 정부가 이해당사자들의 결사에

다양한 유인을 제공하고 결사를 위한 비용을 대신 지불하며, 그 과정에서 발굴된 능력있는

조직에게 정책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함으로써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주체가

된다. 이 모델이 제대로 작동된다면 정부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주체를 세우고 보다

포괄적이며 정책수요에 반응적인 정책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하지만 결사에 대한 지원이

정부에 우호적인 특정 블록에 국한되거나, 수평적 파트너십의 대상이 아니라 수직적

위계의 하위 파트너로서의 지위로만 활용하게 된다면, 정책과정에 대한 신뢰는 하락하고

정책결과에 대한 광범위한 저항에 직면할 수 있다.

Siriani의 협력적 거버넌스(collaborate governance) 모델은 시민적 지원자(civic

enabler)로서 정부의 역할을 강조한다. 협력적 거버넌스를 위해서는 공공재의

공동생산이나 전문지식의 공유, 안정적인 파트너십의 구축, 전략적인 네트워크 강화,

상호 책임성 담보 등의 원칙을 가지고, 지방정부가 주민들에게 실질적 권한을 부여하고

강화하며 참여를 유도하고 자기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프로그램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Somerville의 공동 거버넌스(co-governance) 모델도 지방 정부와

주민참여자 사이의 수평적 파트너십이 가능하려면 당사자 참여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아야

Page 9: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2 13

하고 핵심 정책결정영역에서 갖는 대등한 권한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권한부여형 참여 거버넌스(empowered participatory governance) 모델은 기본적으로

이해당사자인 시민들의 상향식 참여를 강조하지만, 상향식 참여가 거버넌스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정책과정의 심의(deliberation)가 제대로 작동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정부의 조정(coordination)과 감독(supervision) 기능이 중요하다고 본다. 구체적인

정책과정에 누구를 참여시킬 것인가, 참여자들의 권한과 책임성을 어떻게 부과할 것인가,

효율적이면서도 공평한 심의가 가능하도록 하려면 어떤 지원이 필요한가 등을 결정하는

주체는 정부일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다.

한편 이전 저서들을 통해 민주적 거버넌스에는 이미 만들어져 있던 시민 공동체의

사회자본(social capital)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발견을 내놓았던 퍼트남은,

펠트스타인과의 공저 “Better Together”에서 사회자본의 새로운 형성이 어떤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관한 여러 사례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들에 의하면, ‘새로운

사회자본 형성은 선도적 주역들의 행동과 보다 넓은 환경에서 사회자본 형성에 유리한

구조적 조건에 달려 있으며’, ‘(구조적 조건 중 하나는) 시민들의 참여 요구에 반응적이고

더 많은 참여를 고무시키는 반응적인 정부’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시민 공동체의

자치역량을 뒷받침하는 사회 자본은 여전히 거버넌스의 핵심요소이지만, 정부의 행위와

선택은 사회 자본을 형성시킬 수도, 해체시킬 수도 있는 한 요소라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다양한 거버넌스 모델은 공통적으로 정부의 정책결정과정에 시민들을

초대하는 과정 자체가 시민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 유인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정부와 시민사회가 상호불신상태에서 출발한다고 하더라도, 다양한 거버넌스

기제들을 통한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은, 한편으로 정부의 정책 반응성을

높여주고 다른 한편으로 시민들 사이의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게 만들며, 더 나아가 이렇게

구축된 사회신뢰가 정부신뢰와 정치신뢰로 이어져 사회전체의 선순환구조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까지는 가능성의 영역이다. 어떤 민관협치는 오히려 시민사회의 참여역량을

소진시키기도 하며, 어떤 민관협치는 강화시키기도 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모델들은

각기 강조점이 다르기는 하지만, 관의 협치 파트너로서 개인 혹은 조직을 민간주체로

형성해내는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정부가 주도하는 거버넌스 모델들이 시민사회의 참여주체 형성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이는 전통적 위계구조에 ‘이미 조직되어 있는 이익들의 초대‘ 이상을 넘어서기

힘들다는 것이다. 이미 조직된 집단의 이익을 대표하는 위원회에 ’들러리’로만 존재하는

시민참여는 오히려 시민들의 정치 불신을 강화시키고 정치 효능감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거버넌스 모델이 기본적으로 가정하는 ‘참여(성)’는 그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거버넌스의 목표가되어야 하며, 목표수행을 위한 적절한 제도와

사업, 인력이 배치되어야 하는 영역이 된다. 어떻게시민참여를 조직화, 제도화할 것인가가

정책목표로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복지, 노동, 청년 등 다양한 정책영역의 거버넌스 모델들이 다양한 형태로 시민사회의

정책참여 주체 형성의 노력을 기울일 때, 이런 노력이 전체적으로 사회자본의 축적 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그 결과로 정부신뢰가 구축되고 정부와 시민사회가 위계적 구조가 아닌

수평적 파트너십의 구조로 점차 변화해갈 수 있다는 것이 거버넌스 이론의 기본 가정이

되는 것이다.

또한 거버넌스 이론이 가정하는 시민참여의 사회적 효과가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추상적

시민’이 아닌 현실의 ‘구체적 시민’이 정책대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거버넌스 제도에 실체적 시민들이 아닌 ‘추상적 시민’이 호명된다는 것은, 전체로 혹은

특정 집단의 시민의 이해를 대변한다고 자임하는 이익옹호집단의 대표자나 전문가집단의

구성원들만이 거버넌스 채널을 독점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이익옹호집단이나

전문가들이 이해당사자들의 정책수요를 일정 정도 대변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이해당사자

시민들이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정식화하고 참여를 통해 구체화하는 과정이 없이 누군가에

의해 대리되는 방식으로만 정책과정이 구성된다면, 평범한 시민들은 영원히 수동적 객체로

남게 되며 민관협치의 수평적 주체로서의 지위는 사라지게 된다.

거버넌스 모델을 통한 정부-시민사회 관계변화

위계적관계

정부불신

정책수요투입

사회자본형성

정부신뢰구축

참여주체형성

정부

시민사회 시민사회

정부

시민사회

정부

정책채널

정책채널

Page 10: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4 15

거버넌스 모델의 핵심이 현실에 존재하는 구체적 시민들의 목소리를 통해 정책과정의

반응성을 높이고 시민적 효능감을 고양하는 것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구체적 시민을

호명할 수 있는 제도의 현실 적합성은 중요한 기준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청년정책에

대입해 보면, 서울의 청년과 부산의 청년, 대도시의 청년과 농촌의 청년이 갖는 정책수요가

항상 동일할 수는 없으며 당사자 참여의 형식 또한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서울 청년허브는 서울시 청년정책의 생성단계에서부터 함께 출발한 기관으로, 서울시

청년정책 거버넌스의 모판 역할을 담당해 왔다. 청년, 노년처럼 이익이나 의견을 매개로

조직되어 있지 않은 세대집단을 대상으로 한 거버넌스 체제는 공적 주체와 협력을 할 수

있는 민간주체를 어떻게 형성하느냐에 따라 그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울시 청년정책에 대한 출발이 2011년 박원순 시장의 보궐선거 당선이었다면, 거버넌스

모델에 기반한 정책의 입안 및 집행 체제의 기원은 청년허브였다고 볼 수 있겠다. 한편으로

서울시 청년정책의 집행단위이면서 다른 한편에서는 다양한 청년 커뮤니티를 지원하고

네트워크를 연계시켜 청년정책의 정치과정 투입을 가능하게 만들었던 것이 청년허브의

독특한 위상이었던 셈이다.

공식문서에서 청년허브에 대한 아이디어는 2012년 1월 발표된 「희망서울 시정운영계획

(2012〜2014)」에서 최초 발견된다(이하 ‘계획 2012’). ‘계획 2012’에서 청년정책 관련

내용은 창업 및 취업 지원에 맞춰져 있으며, 그 방식은 청년 당사자들과의 협력 모델이

아니라 관, 기업, 전문가 주도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청년의 창조 역량 극대화’ 목표

아래 선정된 ‘서울형 미래 혁신 직업 발굴’ 사업의 일환으로, ‘청년 일자리 허브 센터 설립’

이 등장한다. 당시만 하더라도, ‘청년 일자리 허브 센터(이하 ‘청년 허브’)’는 청년 맞춤형

좋은 일자리를 공모하고 이 가운데 선별하여 사업화 컨설팅, 사업개발비를 지원하는

목적의 기관으로, 취업·창업 지원이라는 전체적인 청년정책 프레임 하에 놓인 하나의

사업 집행기관처럼 묘사되어 있었다.

그러나 서울시의 초기 청년 거버넌스 형성과정을 추적했던 한 연구는, ‘서울시 청년

일자리 허브는 청년문제의 관리를 전담하기 위한 장치이자 서울시 청년정책 전반의 물질적

구현물’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청년 허브’에 대한 논의는 박원순 시장의 당선 직후인

2011년 12월 6일 ‘청년 일자리정책 수립을 위한 청책 워크숍’에서 최초로 언급되었고, 이

자리에서 전문가들은 ‘청년들이 새롭고 창의적인 일을 발굴하는 커뮤니티 센터’, ‘청년들이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의 필요성을 역설했고, 참여한 청년들도

모일 공간의 절실함에 관해 말했다. 이 자리에서 박원순 시장은 공간마련에 대한 대안을

약속했고 영국의 더 허브(The Hub)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고 한다. ‘더 허브’는 2005년

영국 런던에서 최초로 만들어졌고 2014년 당시 전 세계에 50개 이상의 지부를 가진 사회

혁신 네트워크 공간이다.

이렇게 출발한 ‘청년 허브’에 대한 고민은 2012년 4월 계획으로 입안되었고 서울시의회와

사업 및 예산심의과정을 거쳐 2013년 4월 현재의 공간에 개소를 하게 된다. 계획수립

시점 서울시의 구상을 보면 연구조사, 청년 네트워크 구축, 사업 발굴 및 지원의 세 가지

역할에 주목했는데, 이후 청년정책 관련 사업기획 및 지원 기능은 서울시의 다른 기관들로

확장되어 나간 반면 연구조사와 네트워크 기능은 점차 청년허브의 고유한 기능으로 남게

되었다.

청년 허브의 기능변화는 한편으로 서울시와 의회의 제도변화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청년 허브는 2013년 10월 「서울특별시 청년일자리 기본 조례」제정과 함께 아래와 같은

제도적 기능을 부여받았다.

1. 청년 고용, 직업 및 근로환경 등에 관한 연구, 자료집적 및 홍보,

2. 청년을 위한 커뮤니티 환경 조성, 청년 일자리 네트워크 구축·관리,

3. 청년 맞춤형 아카데미 실시 및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4. 시의 정책과 연계될 수 있는 청년일자리 정책 개발,

5. 새로운 청년일자리 모델 발굴 및 육성을 위한 기구

또한 당시 ‘일자리 조례’는 청년허브를 민간위탁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하였으며,

기능

역할

연구·조사 등 청년일자리 기반조성(Lab)

청년교류·관련기관·단체 네트워크 구축(Hub)

신규 사업 발굴·지원 사업(Factory)

새로운 청년일자리 모델제시

시(市) 정책과 청년 일자리의 연계

청년을 서울 일자리 경제 활성화의 주체로 양성

계획 수립 시점 ‘청년 일자리 허브’의 역할과 기능 (2012.04)서울특별시 청년허브 설립2

Page 11: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6 17

사업영역

지원사업

교육사업

일자리사업

청년 정책

사업명

청년참

청년활

미닫이사무실

청년학교

연구공모

사회혁신청년활동가

기획연구

국내외네트워크

서울JOB스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사업내용

모임 지원 사업

3명 이상 모임에 최대 1백만 원

단체 지원 사업

프로젝트를 가진 단체에 최대 1천만 원

청년단체·기업에 청년허브 공간 지원

공통교육 및 현장교육 지원

청년과 사회문제 연구에 5백~1천만 원

사회적 기업, 비영리단체 등 9~11개월 일자리

전문기관 및 단체와 청년정책 연구

국내외 포럼, 컨퍼런스 개최 및 지원

서울소재 일자리 정보 제공 및 박람회 운영

청년정책네트워크 모집 및 운영 지원

서울시 청년허브의 기본사업 (2017년 기준)

실제 민간위탁기관으로 그 출발을 알렸다. 이후 2015년 「서울특별시 청년 기본조례」

가 제정되면서 법적 근거도 기본조례로 옮겨오게 되었고, 제도적 기능도 아래와 같이

변화하였다.

1. 청년허브 사업의 계획 수립 및 시행

2. 청년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조사 및 자료·정보 집적과 공유

3. 청년의 참여 확대를 위한 청년활동 지원 및 민관협력 활성화

4. 청년의 능력 개발 및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실행·지원

5. 청년의 취업·창업 등 일자리 진입 지원을 위한 시의 정책개선 및 혁신사업 실행

6. 청년의 주거안정, 부채경감, 문화활성화 등의 자립 지원을 위한 시의 사업 지원 및

혁신사례 발굴

7. 청년을 위한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 및 기반 조성

8. 기타 그 밖에 청년정책에 관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2013년 제정 ‘일자리 조례’와 비교해 보면 고용 및 일자리정책 관련 내용은 대폭 축소된

대신 교육 및 네트워크 기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2017년 청년허브의

사업을 보면, ‘청년참’, ‘청년활’, ‘미닫이사무실’, ‘서울잡스’, 청년정책네트워크 지원,

국제컨퍼런스 ‘청년보장포럼’ 개최 등으로 국내외 청년들의 정책적, 공간적, 커뮤니티적

네트워킹을 진행하였고, ‘N개의 청년학교’ 등의 기획 아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설,

운영하였다. 또한 청년정책 관련 연구기획을 공모하고 그 성과를 공유하는 등의 활동으로

연구조사사업의 영역 또한 기본 기능으로 담당하고 있다.

서울시가 청년정책을 선도하고 각 지자체가 이를 근거삼아 청년정책 도입에 적극적이었던

분야는 무엇보다도 청년 관련 조례의 재정비라고 할 수 있다. 법 제도는 청년정책의 정의,

청년의 대상범주 규정, 청년정책 분야 설정 등 정책실행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규정이

된다. 하지만 현재 중앙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청년정책의 기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서울시는 청년정책과 청년의 현실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미래 예방적 관점에서 청년정책을

재구성하기 위해 새로운 제도적 기반 구축을 우선적 과제로 삼고 청년정책의 과감한

변화를 시도하였다.

2015년 이러한 배경으로 새롭게 도입된 「서울시 청년기본조례」가 하나의 기준이 되어

지난 3년 동안 많은 지자체들이 이를 준거로 청년 관련 조례를 재정비 하는 등 새로운

정책기획에 나서고 있다. 대단히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청년 관련 조례의 변화과정을

좀 더 면밀히 비교분석함으로써 지방정부 청년정책의 변화과정을 중간 평가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서울시의 청년 관련 제도는 자치구 단위에선 2011년 『서울시 강남구 청년창업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 조례』, 이듬해 광역 단위의『서울시 청년 미취업자 중소기업 취업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면서 최초로 도입되었다. 다만 이때 도입된 청년 관련 조례는 중앙 정부의

청년일자리창출이라는 국정과제 수행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관 주도의 기존 제도 도입

경로와 큰 차이가 없었다.

서울시 청년정책 초기 형성과정이 기존의 행정부 및 의회, 전문가 주도의 통상적인

경로에서 민관의 협력적 거버넌스 주도로 전환을 시작한 것은, 2011년 보궐선거로

당선된 박원순 시장의 민선 5기부터다. 임기를 시작한 박원순 시장은 ‘소통’과 ‘협력’을

주요시정방향으로 내세우면서 시민참여의 공간을 열기 시작하는데, 청년정책 분야에서는

△청년명예부시장 도입, △서울시 청년일자리허브 설치, △청(聽)책토론회 연속 개최

등으로 압축된다.

서울시와 청년층 사이의 소통과 협력은 2013년 1월 서울시와 서울청년유니온)의

『서울시 청년일자리 정책협약서』 체결(2013.01.18.)로 이어지는데, 당해 제정된 『서울시

청년일자리 기본 조례(2013.10.04.)』는 타결된 협약사항 중 하나로 청년일자리조례제정

Page 12: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8 19

TF (서울시-서울청년유니온)의 공동 운영을 통해 제정되었다.

『서울시 청년일자리 정책협약서』에는 ▲청년일자리 기본 조례 제정 추진, ▲청년일자리

권리선언 공동 발표, ▲서울시 산하기관 신규채용 시 표준이력서 사용, ▲노동존중문화

확산을 위한 사업주 등 대상 노동교육 실시 추진, ▲청년구직자를 위한 취업코칭프로그램,

▲서울시 공공기관 청년의무고용제 단계적 추진방안 수립 등이 담겼다.

같은 해 서울시는 정책과정에 대한 다양한 청년층의 참여와 소통을 확대하기 위해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청년정책 시민참여기구)’를 구성하고 자율적 운영 지원을

시작했다. 일회적인 시정참여가 아닌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시정참여 모델로 거버넌스를

발전시키고자 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일 년 간의 거버넌스의 결과로 청년당사자들이 2014년 11월 서울시 청년기본조례

제정을 제안하였고, 이후 서울시의회가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2015년 1월 『서울시

청년기본조례』를 제정, 시행하게 된다.

새로운 청년정책의 도입에 대한 청년들의 열망으로 도입된 서울시 청년기본조례는

▲정책대상을 기존의 미취업청년에서 15세 이상~34세 이하의 청년으로 보다 일반화하고,

▲청년정책의 범위를 참여확대, 능력개발, 고용확대, 주거안정, 부채경감, 생활안정, 문화

활성화, 권익보호로 포괄적으로 확대하며, ▲청년정책 거버넌스 구성·운영을 의무화하고,

▲청년정책 수행기관의 설치·운영할 것을 명시하였다.

이는 기존 청년 관련 법 제도가 청년을 ‘취업을 원하는 청년 – 미취업자, 구직자,

저소득취업자’으로 특수한 상태의 집단으로 제한하고, 일자리정책의 하위범주화 하여

정책목표를 취창업률 상승으로 수렴하던 것과 뚜렷이 구분되는 것으로 청년정책을

독립적인 정책 범주로 이동 및 격상시키는 획기적 진전이었다.

서울시 청년허브는 「2012년 희망서울 시정운영계획」을 근거로 설치되었으나, 2013

년 서울시청년일자리기본조례를 통해 자치법규상 설치근거를 마련하고, 이후 서울시

청년기본조례를 통해 2015년 서울시 청년허브로 명칭 및 목적과 사업이 변경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제정연도

2011

2012

2013

2015

2016

광역

서울특별시 청년 미취업자

중소기업 취업지원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청년일자리 기본 조례

서울특별시 청년기본조례

서울특별시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지원에 관한 조례

기초(자치구)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년창업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 조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청년인턴제 운영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서초구 청년 중소기업 취업지원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중구 청년일자리 창출 촉진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청년 기본 조례

서울특별시 동작구 청년일자리 촉진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강동구 청년 기본 조례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년일자리 창출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은평구 청년 기본 조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년일자리 창출 촉진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성북구 청년지원 기본 조례

서울특별시 광진구 청년일자리 창출 촉진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강동구 청년일자리 창출 촉진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마포구 청년일자리 창출 촉진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강동구 청년일자리 창출 촉진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서초구 청년일자리 창출 촉진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관악구 청년 지원 기본 조례

서울특별시 도봉구 청년 기본 조례

서울특별시 양천구 청년인턴제 운영 조례

서울시 청년 관련 조례 제정 연혁

Page 13: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20 21

2017

서울특별시 구로구 청년지원 기본 조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청년일자리 창출 촉진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금천구 청년일자리 창출 촉진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성동구 청년 소셜벤처기업 육성 및 생태계 조성

지원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구로구 청년일자리 창출 촉진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년 기본 조례

서울특별시 강서구 청년지원 기본 조례

서울특별시 금천구 청년 기본 조례

서울특별시 성동구 청년 기본 조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청년인턴제 운영에 관한 조례

29개

제정연도

합계

광역

4개

기초(자치구)

서울시 청년 관련 조례 제정 연혁

2005 2015 2025 2035

15,543,037 3,618,528 2005

20152025

2035

전국전국

2005

20152025

2035

서울서울

13,808,4552,995,109

20~39세 40~59세 60세 이상

2005

2015

전국 및 서울 2030 인구수

전국 및 서울 2030 인구수 서울 2030 인구수 감소

지난 10년 인구 변화 (단위:명)

자료: 인구총조사 (2005년, 2015년), 시도별 추계인구 (2014년)

자료: 인구총조사 (2005년, 2015년), 시도별 추계인구 (2014년)

2030 인구

2030 인구

4050 인구

60+ 인구

<299만

17%감소

311만

58%증가

2005년 대비

11% 감소2005년 대비

17% 감소 서울 203020년 후200만 명으로 감소

통계로 보는 서울청년3

가장 많은 인구 집단이었던 청년층(2030)이 300만 이하로 줄어들어,

처음으로 장년층(4050)보다 적어진 서울의 청년인구

서울의

청년인구 — 1

10년 동안 2030 인구 17% 이하 감소,

60세 이상 인구 58% 증가

2035년에는 서울 2030 인구가 200만 명 내외로 감소할 전망

서울의

청년인구 — 2

전국 평균보다 약 1.5배 빠른

서울 2030 인구 감소 속도

1백만

2백만

3백만

Page 14: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22 23

서울의

청년 일자리 — 2

서울의

청년 일자리 — 1

서울의

청년인구 — 3

청년의 1/4이

첫 취업까지 2년 이상 소요

청년들의 첫 취업 주요 직종은

서비스·판매

28세 넘으면 서울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

지난 5년간 주민등록상 전입 및 전출 통계를 보면, 20대부터 전입이 전출보다 많지만 28-29세 전후로

전출이 더 많아진다. 대학 진학 등으로 서울에 유입되었다가, 높은 주거비용 부담 등으로 20대 후반부터

서울을 떠나기 시작한다.

청년들의 첫 취업 직종은 주로 관리자, 전문가, 사무종사자, 서비스, 판매 종사자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2013년 이후로는 서비스·판매 종사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사무 종사자는 서서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다수의 서비스·판매 종사자가 이후 승진이나 체계적인 직업 훈련 등이 부재하고 상시적으로

고용불안을 겪고 있다.

2011-2015년 연령별 전입 및 전출 인구 (단위:천명)

첫 취업 주요 직종 (단위:천명)

첫 취업 소요기간 (단위:천명)

자료: 국내인구이동통계 (2011-2015년)

대상: 전국 15-29세 / 자료: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부가조사 (2010-2016년)

대상: 전국 15-29세 / 자료: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부가조사 (2010-2016년)

3534302720 33323129282625242322211918171615

1,400

100

80

60

40

20

1000

2000

3000

1,200

1,000

800

시도간 전입

2011 2015

서비스.판매 종사자

관리자.전문가

사무종사자

시도간 전출

20세전입 > 전출

28세전입 < 전출

2010.5 2011.5 2012.5 2013.5 2014.5 2015.5 2016.5

6개월 미만 6개월~1년 1~2년 2~3년 3년 이상

19%2015년기준

5명 중 1명이 2년 이상 취업 준비

전국 2030 인구는 2005년 1,554만 3,307명에서 2015년 1,380만 8,455명으로, 11% 감소하였다.

서울의 2030 인구는 2005년 361만 8,528명에서 2015년 299만 5,109명으로 17% 감소하였다. 청년

인구 감소 추세는 더욱 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보다 서울에서 2030 인구 감소 속도가 더욱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 20년 후(2035년)에는 서울 2030 인구가 200만 명을 조금 넘는 수준으로 예측된다.

Page 15: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24 25

서울의

청년 일자리 — 4

서울의

청년 주거 — 1

서울의

청년 주거 — 2

공무원시험 응시 동기,

직업의 안정성이 61%

서울, 세 가구 중 하나는

1인 가구

5년간 서울 청년 1인 가구

22% 증가대졸 청년 공무원시험 응시 동기

서울의 가구원 수 별 비중

2010-2015, 서울의 1인 가구 수 변화

대상: 전국 2-3년제, 4년제, 교육대 전년도 졸업자

자료: 한국고용정보원(2015), 2015년 6월 고용패널브리프 (2012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분석)

자료: 인구총조사 (2015년)

자료: 인구총조사 (2010년, 2015년)

9급 공무원 시험 접수 인원은 한 해 대학 졸업생의 절반에 이르고 있다. 공무원 시험 응시 동기는 고용안정성

이 압도적으로 높다. 이에 반해, 좋은 근무환경에 대한 기대 또는 선발과정에서의 공정함 등에 대한 동기는 높

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고용안정성이 청년들의 일자리 선택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알 수 있다.

1인 가구는 급격한 증가로 이제 전국적으로도 가장 흔한 가구 형태가 되었다. 서울은 전국 평균보다 1인 가

구 비율이 높은데, 그중에서도 청년세대에서는 1인 가구 비율이 압도적이어서 60%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

청년 1인 가구는 지난 5년 동안 22% 증가하여 42만여 가구에 달하고 있다.

0% 20% 40% 60% 80% 100%

직업의 안정성 61%

좋은근무환경 유리한 보수 3%

공정한기회

기타 18%9% 9%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이상 가구

29.5% 59.9%

전체

75,328

261,138

280,193

가구수의 증가량

22.1%

30.6%

8%

증가율

1인 가구 1인 가구

20-34세

29.5%

59.9%

24.6%

22%

11.9%

6.2%

21.6%

24.3%

1인 가구20-34세

1인 가구전체

전체가구수

서울의

청년 일자리 — 3

공무원 시험 응시자 수,

대학 졸업생의 절반 수준

공무원 시험 응시자 현황 (단위:천명)

대상: 전국 15-29세, 재학생 제외 / 자료: 인사혁신처, 교육기본통계

100

200

300

400

500

2011 2012 2013 2014 20162015

9급 국가공무원 시험 접수인원 7급 국가공무원 시험 접수인원신규대졸자 (전문대학 + 교육대학 + 대학교)

공무원 시험 응시자 수:대학 졸업생의 절반 수준

7만명

22만명

52만명

Page 16: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26 27

서울의

청년 여성 — 2

서울의

청년 여성 — 3

서울의

청년 여성 — 4

임금 200만 원 미만,

청년 여성은 51%, 남성은 37%

근속연수가 길수록 커지는

남녀 임금 격차

결혼·임신·출산,

청년 여성의 퇴사 이유의 44%취업 청년의 성별 임금 분포

근속연수에 따른 성별 임금 비교 (단위: 만원)

남녀 직장 퇴사 사유 비교

지역별 고용조사 2015년 상반기 기준에 따르면, 서울 거주 20-34세 남성과 여성의 임금 격차는 동일 직종

또는 산업 분야라도 최소 20만 원, 최고 63만 원의 차이를 보인다. 다만, 임금 수준 자체가 상대적으로 낮은

직종이나 산업에서는 성별 임금 격차도 낮다.

근속연수가 길어져도 오히려 남녀 임금격차는 더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한 지 1년 미만인 경우부

터 평균 월급의 차이가 26만 원인데, 3년 이상이 되면 격차가 34만 원으로 더욱 커진다. 5년 이상인 경우만

보면 임금격차는 54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4세 서울 거주 청년 남성이 직장을 퇴사하는 첫 번째 이유는 근로조건 불만족(41.5%), 두 번째는 개

인적 사유(29.4%)였는데 반해, 여성은 결혼, 임신, 출산이 24.9%로 가장 높았고, 육아, 가사, 자녀교육이

18.1%로 나타났다. 이 두 가지에 대해 남성은 각각 0.1%, 0.3%가 퇴사 이유로 꼽았다.

대상: 전국 15-29세 / 자료: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부가조사 (2010-2016년)

대상: 20-39세 / 자료: 인구주택총조사 (2015년)

대상: 서울 거주 20-34세 / 자료: 지역별 고용조사 (2015년 상반기)

10%

100

20%

200

30%

300

남성

남성

남성

여성

여성

여성

100만원 미만

1년 미만

100~150만원

1~2년

150~200만원

2~3년

200~250만원

3~4년

250~300만원

4~5년

300만원 이상

5년 이상

2630 32 34 33

54

휴업, 폐업, 사업부진, 심신장애, 기타

계약 만료

근로조건 불만족

기타 개인적 사유

가족돌봄

육아, 가사, 자녀교육

결혼, 임신, 출산 24.9%0.1%

0.3%

0%

29.4%

41.5%

18.6%

10.1%

18.1%

1.2%

17.3%

24.2%

9.8%

5.4%

서울의

청년 여성 — 1

전국 성비에 비해

여성 비율이 높은 서울

남 남여 여

성별 2030 인구

대상: 20-39세 / 자료: 인구주택총조사 (2015년)

2030 인구는 전국으로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많지만, 서울에서는 거의 비슷하다.

전국 성비에 비해서 서울은 청년 여성이 많은 도시이다.

전국 서울

6,635,418 명7,173,037 명 1,495,420 명1,499,689 명

Page 17: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28

part 2 청년허브 20132017

1 — 지원사업

2 — 연구사업

3 — 교육사업

4 — 교류사업

5 — 정책사업

6 — 일자리사업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https://youthhub.kr

에서는 본 장에서 소개하고 있는 모든 청년활동단체와

청년 모임에 대한 소개를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허브에서 지원·발행한 연구자료를 포함하여,

다양한 정책 및 사업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Page 18: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31

1

지원사업

청년지원사업 연도별 총 수 (단위: 팀)

100

200

300

400

2013

청년청 청년활 청년참미닫이사무실 우리동네무중력지대

143

273

322

380

408

2014 2015 2016 2017

112

12 11

9 109

19 23

28

27

25

1114

275

229

56 57 68

239

292

청년허브 지원사업 2013-2017 통계 분석1.1

Page 19: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32

청년지원사업 연도별 주제 비율 (단위: 팀/%)

공동체/지역 미디어/출판

공예/제조 복지/인권

교육/학습 생태/환경

노동/정치 IT/기술

문화/예술 기타2013

16(11%) 18(13%)

8(6%)

25(17%)

4(3%)

11(8%)

8(6%)

5(3%)

13(9%)35(24%)

2017

33(8%)

9(2%)

32(8%)

33(8%)

12(3%)

21(5%)

21(5%)

185(46%)

50(12%)

12(3%)

2015

30(9%) 14(4%)12(4%)

25(8%)

18(5%)13(4%)

12(4%)

58(18%)

12(4%)

128(40%)

2014

32(12%)

9(3%)

54(20%)

13(5%)72(26%)

26(10%)

19(7%)

15(5%)

6(2%)

27(10%)

2016

33(10%)

9(2%)

10(3%)

68(18%)

137(36%)

32(8%)

31(8%)

16(4%)

16(4%)

28(7%)

Page 20: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34 35

청년지원사업 주제별 연간 통계 (단위: 팀)

공동체/지역 공예/제조

2013 2014 2015 2016 2017 2013 2014 2015 2016 2017

33

8 9

12

9 9

33

14

32

18

10 10

20 20

30 30

10

20

30

노동/정치

2013 2014 2015 2016 2017

13 13 1210

12

교육/학습

2013 2014 2015 2016 2017

50

68

5854

25

10

20

30

40

50

60

70

문화/예술

2013 2014 2015 2016 2017

185

137

128

72

35

10

20

30

IT/기술

2013 2014 2015 2016 2017

21

1612

651010

2020

3030

복지/인권미디어/출판

2013 2014 2015 2016 20172013 2014 2015 2016 2017

33

11

26 25

32 32 31

1819

4

10

20

30

생태/환경

2013 2014 2015 2016 2017

8

15 1316

12

170

180

190

200

110

10

120

20

130

140

150

160

30

40

50

60

70

80

90

100

Page 21: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36 37

상품개발

제작워크숍

공유경제

대안공간

지역공동체

국제교류

도시재생

교육프로그램

멘토링

페미니즘

업사이클링

네트워킹장애

독립출판 공공예술

문화콘텐츠

독립예술

예술교육

전통문화 청년문화

청년지원사업 키워드 2013/2017 분석 비교

국제교류

공유경제

대안공간

상품개발

제작워크숍

멘토링교육프로그램

독립출판

네트워킹

사회적경제

사회참여

사회혁신 일

청년정책

청년자립

전통문화

공공예술

예술교육문화콘텐츠

노동환경

사회적경제

사회참여

사회혁신청년정책

청년자립

2013 2017

Page 22: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38 39

청년허브 지원사업 2013-2017 사업별 목록1.2

공간

지원

구분

미닫이사무실

지원사업명

2013

지원연도

교육/학습

생태/환경

미디어/출판

복지/인권

공동체/지역

IT/기술

문화/예술

생태/환경

노동/정치

2013 -

2014

2014

2015

2014 -

2015

2015 -

2016

2016 -

2017

문화/예술

교육/학습

공예/제조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노동/정치

교육/학습

IT/기술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기타

기타

주제

레디앤스타트

에코서당

헤드에이크

소리디

인액터스코리아

크리에이티브커먼즈코리아 (CCKOREA)

나너울

옮김

청년유니온

크리에이트서울 (K/REATE SEOUL)

뚜루 (THRU)

수산업

평화교육프로젝트모모

퍼블릭그라운드

예술생성소 폴

민달팽이유니온

넥스트젠에듀케이션 (NEXTGEN EDUCATION)

텀블벅

라이프브릿지그룹 위즈돔

아이들랏

디피 (DIFFY)

고함20

참새의상실

씨닷

비어스 (Beus)

활동가/단체명

공간

지원

구분

미닫이사무실

우리동네

무중력지대

청년청

지원사업명

2016 -

2017

지원연도

생태/환경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생태/환경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2016

2017

2017

2016 -

2017

2015 -

2016

2015 - 17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IT/기술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미디어/출판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주제

약속의 자전거

판타문필름

세븐픽쳐스 (7Pictures)

오늘공작소

프라운드

나인로드 (9Road)

동사무소

인포숍카페별꼴

리마크프레스

게임학습공방 비따비

데이그래피

이문동청년공동체도꼬마리

협동조합 마을공방사이

문화기획 신촌

코데브 (Codev)

헤드플로

기억발전소

프랙클스

가거지지연구소

설리번교육연구소

블랭크건축사무소

최게바라기획사

강북청년자립협동조합

소셜테이블

피에이지 (P-AGE)

17717바람꽃

로컬디자인무브먼트

꿈꾸는나비

활동가/단체명

Page 23: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40 41

공간

지원

구분

청년청

지원사업명

2015 -

2017

지원연도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기타

문화/예술

IT/기술

기타

문화/예술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IT/기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IT/기술

노동/정치

교육/학습

기타

노동/정치

공예/제조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주제

그라픽피엘에프

남산별장

더블스페이스

모마

내가여기잇-다

마이리얼짐

더블유페인팅 (W.painting)

무게임스튜디오

부부공작단

노들유령

메이크유업 (Make U up)

도원교육

미음

비에이티 (BAT)

쌍방

라이프스퀘어

박준호

소셜씨어터

아망

담이

모두모두

땡미의 달콤한 작업실

바이제로

삼사이워크

씬에디트

롬바드 (lombard)

밝히는고래

신아트커뮤니케이션

활동가/단체명

공간

지원

구분

청년청

지원사업명

2015 -

2017

지원연도

IT/기술

교육/학습

생태/환경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2017

문화/예술

IT/기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문화/예술

공예/제조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IT/기술

교육/학습

복지/인권

IT/기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주제

아트바바

아트온어스

옮김

표류_민

예술친구

탈탈탈

위드쌤

품 ㅅ

하이헷 (Hi-hat)

오운

테크리포트

이준규

풋노트 (footnote)

학습공동체 아카데미쿱

극단 호밀

저스트프로젝트 (JUST PROJECT)

필름모색

행복한 운동장

나른유홍

오피오티픽쳐스 (OPOT Pictures)

포스트카드

인디씨에프

프로젝트위기

한국장애인관광협회

깍두기단

카야스튜디오

필수요소

청드림넷

활동가/단체명

2016 - 17

Page 24: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42 43

공간

지원

활동

지원

구분

청년청

청년활

지원사업명

2017

2013

지원연도

미디어/출판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교육/학습

공예/제조

IT/기술

공예/제조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노동/정치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생태/환경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노동/정치

공예/제조

교육/학습

생태/환경

교육/학습

노동/정치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공예/제조

공동체/지역

주제

도서출판 이김

독립문예지 베개

몸의대화

마인드스토밍

라슈즈 (LAR)

다이나믹노리

미노하나

방뮤즈

아트버스킹

마그네틱파이브 (MAGNETIC 5)

더넥스트

생활밀착연구소 여음

블랭크 + 프랑꼬

어반비즈서울

청년마을연구소

연희집단갱

소소모모

원더로드

팀포퐁

만들이

레디앤스타트

약속의 자전거

사회적기업가포럼

우리동네

최게바라기획사

오헤제건축

수산업

인액터스코리아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활

지원사업명

2013

2014

2015

지원연도

미디어/출판

미디어/출판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공예/제조

노동/정치

복지/인권

노동/정치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공예/제조

생태/환경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기타

미디어/출판

노동/정치

복지/인권

생태/환경

미디어/출판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주제

포스트컴퍼니

프로젝트노아

농장빈

영상문화연구청년네트워크

강동아지트청년팟 (청춘의대나무숲)

소셜그레인

대학생주거권네트워크

오디에이워치 (ODA Watch)

청년들이 만들어가는 새로운 정치 (청새치)

공공미술삼거리

소셜잼

문화예술커뮤니티 동네형들

원투트리

파릇한절믄이

20대 다큐멘터리여성작업자연대 언덕

바투

철학하는예술가협동조합

한일청년포럼

고함20

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

아프리카인사이트

바스큘럼

책읽는라디오

프로젝트그대로

고이 + 아티스트프루프

사회복지에스엔에스 (Social welfare Network Sharing)

청년극단 더더더

협동조합 성북신나

활동가/단체명

Page 25: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44 45

활동

지원

구분

청년활

지원사업명

2015

2016

지원연도

기타

IT/기술

공예/제조

복지/인권

생태/환경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노동/정치

기타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생태/환경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생태/환경

주제

국제개발협력학교

넨플

릴리쿰

이로움 (ELOUM)

농사펀드

싱클레어

마이너스플러스백 (Miners+100)

정치발전소

팔레스타인평화연대

대학극회연합

아현동쓰리룸

몽키비지니스

지구를위한디자인

퍼블릭그라운드

게임학습공방 비따비

생각버스

청소년참여활동단체 혜욤

학습공동체 아카데미쿱

굿즈

동대문청년

여성다큐멘터리제작자모임 깨나

미스핏츠

철학하는예술가협동조합

프로젝트룩

공영그래픽스튜디오

스몰웍스

컨트롤티 (Ctrl.T)

핫핑크돌핀스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활

지원사업명

2016

2017

지원연도

생태/환경

공동체/지역

노동/정치

복지/인권

기타

생태/환경

공동체/지역

IT/기술

교육/학습

기타

문화/예술

IT/기술

복지/인권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미디어/출판

복지/인권

미디어/출판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노동/정치

생태/환경

생태/환경

공동체/지역

주제

그린플레이그라운드 (greenplayground)

꿈지락네트워크

매니페스토청년협동조합

에이유디사회적협동조합

두보이즈

약속의 자전거

배움나눔공동체 율곡과신사임당

오대오 (5vs5)

청소년참여활동단체 혜욤

마이리얼짐

어느정도의 빈틈

비에이티 (BAT)

우드리머

청춘상담소 좀놀아본언니들

가치교육컨설팅

소시민워크

인스팅터스

협동조합 이로운발전소

나는 (It’s about me!)

매거진뒤로

어스맨

세븐픽쳐스 (7Pictures)

이십할페스티벌

코다코리아 (CODA Korea)

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

써클활동

지구를위한디자인

88한다리

활동가/단체명

Page 26: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46 47

활동

지원

구분

청년활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7

2013

지원연도

복지/인권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IT/기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기타

기타

생태/환경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기타

문화/예술

IT/기술

노동/정치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IT/기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공예/제조

복지/인권

복지/인권

노동/정치

공동체/지역

주제

동행숲 (동물이행복한숲)

뮤르 (MuR)

세븐픽쳐스 (7Pictures)

이디엇 (Ediots)

베리잼컴퍼니

우 (WOO)

신야

제로베이커리

피플액트랩

비밀 (BEE:蜜)

음악친구들의사회

아뜨뜨!불씨

쪽프레스

15도

관심가들

아웃오브인덱스(Out Of Index)

칠리펀트

골목상영회

극단 푸른달

비에이티 (BAT)

이년씨 (SEE)

아시아청년제작자네트워킹

청년다락

고백 (go bag)

그루터기

열림

키다리그룹

공주곰띠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3

지원연도

노동/정치

공예/제조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공예/제조

문화/예술

노동/정치

공예/제조

생태/환경

교육/학습

기타

복지/인권

교육/학습

문화/예술

기타

생태/환경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예/제조

노동/정치

교육/학습

생태/환경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노동/정치

문화/예술

주제

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

길공방

누가내빵을옮겼을까

동네책장

꼬랑내 프로젝트

대학영상연합 유브이에이 (UVA)

뉴스레터특공대

동대문원정대

메이킹모션 (Making Motion)

날마다 글쓰기

도시樂

늘품

리플

모임명

바투

달달버거

매거진파노라마

문화생태계꿀

병(丙)소사이어티

낭만메이커

돌쌓기

다크투어리즘 (Dark Tourism)

맛있는숲

모질이와 찌질이와 민선이

밴드사이시옷

매니페스토 청년의회

바냐

활동가/단체명

Page 27: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48 49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3

지원연도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교육/학습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공예/제조

교육/학습

교육/학습

기타

교육/학습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기타

생태/환경

문화/예술

노동/정치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노동/정치

미디어/출판

미디어/출판

주제

비기너즈 (Beginners)

빌리지디자인스쿨

서울창업연합동아리 PEUM

쉘터스터디 (Shelter Study)

생각버스 (Thinking Bus)

속살속살시네마

성북구동 초록옥상

스위트핑거스디아이와이 (Sweet Fingers D.I.Y)

아프리카인사이트

서울라이트러닝

수리수리마술이

세움

스잉프

아현동 쓰리룸

영화식당

소란소란

슬렁슬렁

에코솔담이

오페스트라 (Ofestra)

서울메이트 114

쉐낏

세컨드북클럽 (second book club)

스포츠문화연구소 대중사업기획단

어린이공연연구집단 앙꼬

영화연출모임

소셜잼

쏘웰 (SOWEL)

여잉추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3

지원연도

미디어/출판

생태/환경

기타

문화/예술

기타

미디어/출판

복지/인권

문화/예술

교육/학습

교육/학습

노동/정치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IT/기술

기타

기타

교육/학습

문화/예술

노동/정치

노동/정치

노동/정치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주제

오픈라디오

옮김

이꿈

작은 영화사 벗

요리와

자치언론네트워크

이름짓다이어지다

작은영화협동조합 공공씨네 (OoCine)

청숨

우리랑

작당

이웃랄라라

정신과 시간의 방

청어

춤추는제자리표

자아실현프로젝트 V

참웹

청중진담

커뮤니티섬 (Community ㅅ+ㅁ)

위메이크유니버시티 (We Make University)

작심

일단은비빌자리 '단비'

정치 스튜디오

청정모임

츄잉룸

자전거문화살롱

채널 뭅진

청춘멘탈강화프로젝트

활동가/단체명

Page 28: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50 51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3

지원연도

IT/기술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기타

기타

복지/인권

교육/학습

2014

기타

문화/예술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미디어/출판

IT/기술

문화/예술

생태/환경

공동체/지역

복지/인권

기타

기타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기타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주제

코빌

키치포레스트

파란바람

한량

토철이

프레킹

파편과 성좌

할 (HAL)

히스토리 헌터

투명가방끈

프리필름팩토리 (Free Film Factory)

페퍼트리

호두와트마법학교

66100

3두미오 (Duino)

품스

훈훈하네

3355영화제

가시부시

파라디수스 테라 (PARADISUS TERRA)

한남동729

포유 (4U)

홍대청년반상회

19시홍대

549라디오

풍류아치

흑석동의 모든 것

3교시사회탐구영역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4

지원연도

복지/인권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복지/인권

기타

교육/학습

생태/환경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기타

교육/학습

기타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기타

문화/예술

주제

강남역 11번 출구

개발새발

경의선숲길지기

그루터기

거지들

관악구클래스

고로케

극단 작은나무

꿈톡

건들건들

구내서점

곤지

깨작깨작작당모임

나들이

내삶의ACE

공공기숙사별난작당

꾸준한그림

나불나불

넥스트브레드

겟잇뷰티 (get it beauty)

공간몸냥

꽃소풍

나무로만든필름

네이비클로버 (navy clover)

공주곰띠

꿈대신이뤄드립니다

낯선카메라

활동가/단체명

Page 29: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52 53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4

지원연도

문화/예술

생태/환경

교육/학습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노동/정치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교육/학습

노동/정치

기타

교육/학습

미디어/출판

복지/인권

공예/제조

복지/인권

문화/예술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IT/기술

미디어/출판

생태/환경

공동체/지역

주제

노트브이엘 (NOTEVL)

농땡이

니나노

도레미파솔토

누가내빵을옮겼을까

대학영상연합 유브이에이 (UVA)

다리밑

도문연

돌쌓기

누룩 (NuLook)

더블랭크콜렉티브 (The blank collective)

다이나믹바디

도시락까먹기

동동프로젝트

디에프와이 (DFY)

담넘어

독박

두런두런

땡스띵스 (ThanksThings)

누어도

도란도란

다이빙 (DIVing)

독립공연예술가네트워크

동방골바람

디엑스디(DXD) 세미나

대학언론협동조합

돌돌가든

디아이와이(D.I.Y.)꼬물락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4

지원연도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노동/정치

공동체/지역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생태/환경

교육/학습

교육/학습

기타

교육/학습

교육/학습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기타

주제

뚤ㅎ린입

라디오글방

마간당요리사

뮤지토리

로운

먼데이재즈유닛 (Monday Jazz Unit)

마을이장모임

미소지움

발뉴 (Valnew)

리딩 (Reading)

모의국가 준비위원회

마을카페통 청년기획단

미술독립출판

백수문화생활

보이스오버 (Voiceover)

마중물

바다사슴

보목회

부끄럽지 않아요

리플

문라이즈킹덤

마음여행

밍글라바

베스틸

보통우리

만들DA

바톤터치

보소편지

활동가/단체명

Page 30: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54 55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4

지원연도

생태/환경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노동/정치

기타

기타

미디어/출판

공동체/지역

기타

공동체/지역

노동/정치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기타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공예/제조

미디어/출판

기타

문화/예술

교육/학습

생태/환경

문화/예술

주제

북한산청년농민회

불량식품연구소

비빔밥

생각이나서

불편한연구소

산산

비우기모임

서른숲

서울프로젝트

브라더후드커뮤니케이션

산소같은가게

비전 (Vision)100

서울100

서울프리워킹투어 (Seoul FreeWalkingTour)

소리샘

빛나는부엌

서울순 (Seoul SOON)

셀프브랜딩 (Self branding)

소리지기

브오인

살림꾼

빈센트

서울리즘 (Seoulism) 국제학생잡지

세컨드북클럽

소리와 몸짓

사기단

서울시티파머즈 (Seoul City Farmers)

소리디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4

지원연도

기타

문화/예술

기타

공동체/지역

생태/환경

미디어/출판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생태/환경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주제

스토리온파운데이션

스트릭뮤직

썸데이 (Ssoomeday)

아현동쓰리룸

스푼걸즈

아임 매거진

쏘웰 (SOWEL)

암중모색

에코솔담이

슬렁슬렁

아트아뜰리에

아는이야기

어글어글

엠엔피 (MNP)

영화잡지 아노 (anno)

아시아를 그리다

에듀케이션트렌즈 (Education Trends)

여행자의집

오프라인

시도

아트피어 (ART PEER)

아띠패

어른이들

여보텃밭

예술놀이

아이리쉬문화 커뮤니티

에이로그

연하남&연하녀

활동가/단체명

Page 31: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56 57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4

지원연도

공예/제조

복지/인권

교육/학습

생태/환경

복지/인권

노동/정치

미디어/출판

미디어/출판

공예/제조

IT/기술

교육/학습

교육/학습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복지/인권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교육/학습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복지/인권

주제

옥상실험실

올라이트프로젝트 (Alright project)

요리와

이상한사이

와토토왕구

윗동네아랫동네이야기

요리조리

이십떼

인포멀 (INFORMEL)

왈카워터프로젝트 (Warka Water Project)

유엔클로니크코리아 (UN Chronicle Korea)

우리같이점프

이야기놀이터

일단만나

재밌는모임

우리랑

인공지능

자립연구모임

접촉사고

외대알리

이로움 (ELOUM)

우리동네노동권

이주민독립영화제작소

일러스트파이

전격서울사람들

인어프로젝트

작당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4

지원연도

문화/예술

공예/제조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생태/환경

노동/정치

미디어/출판

기타

미디어/출판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기타

공동체/지역

기타

기타

노동/정치

미디어/출판

IT/기술

노동/정치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기타

기타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주제

제멋대로

지음

차자공

청년지음

지이와이케이 (GEYK)

청기와포럼 season2

찰나연구소

청년템578

청춘백화

짓수다

청년예술가 수다모임 경계와 사이

참기름

청심환

청출어람

커뮤니티섬 (Community ㅅ+ㅁ)

채소

청연

취업학개론

코드포서울 (Code for seoul)

쪼가리

청년자취회

창의적예술행동기획단 작심

청어

추억만들기

케이청년리더스

책읽는 사람들 북토크

청춘Bㅏ보

친절한이웃들

활동가/단체명

Page 32: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58 59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4

지원연도

복지/인권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복지/인권

기타

IT/기술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교육/학습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복지/인권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생태/환경

교육/학습

교육/학습

공예/제조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노동/정치

문화/예술

생태/환경

공동체/지역

주제

터무니

토락토락

통통통

플레어 (FLARE)

토토팜

포스트식민퀴어연구회

파라디수스테라

플레이더스토리 (play the story)

한물간유흥가

통일상상프로젝트 쌍

포유 (4u)

파란바람

피아트

한바탕

허그네이션

펀치 (Funchee)

한국대학생멘토연합

해가짐

현실탐구단

통일스터디액션

프롬소잉

파랑산

피타팻

함께노래한다면

헌법팀

페퍼트리

한땀

해보아연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4

2015

지원연도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문화/예술

기타

기타

복지/인권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복지/인권

노동/정치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미디어/출판

미디어/출판

공예/제조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주제

호두와트마법학교

홀로

희망참

계피자매

환장모임

5만원으로 찍는 영화

희희랑독

고 작

글.꽃.연

효덱스

가이딩라이트

힐링이되는세상봉사단

고고씨어터

글빛

깨작깨작작당모임

3355마을극장

그루터기

기업소개팅 잡다

꿈.나.무프로젝트

희곡읽수다

개꿈연구단

414

그랜-스트릿 (Grand-Street)

긍지

꽃소풍

40,000키로미터 (KM)

극단 꾼

김댄스프로젝트

활동가/단체명

Page 33: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60 61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5

지원연도

교육/학습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생태/환경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생태/환경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문화/예술

생태/환경

주제

꿈톡

나누기

노들유령

다큐풀이

남산골해방촌

누룩 (Newlook)

노미공

다크투어리즘

더 연지

내코가석자

다섯손가락

노버트크루 (NOVART CREW)

달덩이들

데이오프 (Day-off)

동상이몽

농樂청樂 (농락청락)

당신의 하루는 안녕하십니까

독수리오자매

둘러앉아 프로젝트 (sit-around project)

넥스트젠 스터디모임

다온

놀 줄 아는 떡대

달자공방 (달리는 자전거 공방)

도란도란

두런두런

누: 망 (noumangn)

댄스 에이레 (Dance Eire)

돌돌가든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5

지원연도

교육/학습

복지/인권

문화/예술

IT/기술

교육/학습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기타

기타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기타

교육/학습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주제

드리머스드라마 (Dreamer's Drama)

드림브릿지

랍스타

문라잇

디모

멋집 즐겨찾기

랏도의 밴드뮤직

문화 어울림 발전소 (문어발)

미래와 소통하다_미소

디스커버리서울 (Discovery_Seoul)

몰락

루트 (Root)

문화기획밴드 픽스쿼럴

미래의 마음

배꼽티

만들DA

뮤니브

미미미미 (美味味美)

백수넷

라온SI교육연구소

몽롱한모임

리딩홀

문화사냥단

미묘한 삼각관계

백수남실수녀

멋 (MUTT)

뮤직 할:

밥포츠

활동가/단체명

Page 34: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62 63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예/제조

미디어/출판

미디어/출판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기타

교육/학습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노동/정치

노동/정치

기타

기타

교육/학습

공예/제조

교육/학습

문화/예술

기타

주제

변방의 씨네필

별의별

부귀영화

산모임

보이스오버 (VOICE OVER)

비파트 (b-part)

북(Book)치고 미치고(Go)

삼삼오오 게릴라 출판

소공녀와 영공사

복덕방

사놀자

북플러스

상모

소공디

수상한 오빠들의 미심쩍은 상담소

비우기모임

세컨드북클럽

소울플레이스

수직상승

사회적노동의 장그래들

블로우플라이 (Blowfly)

세상을 밝히는 광고

소리지기

수신소

비정상책담

셰익스피어

소풍가는 길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5

지원연도

문화/예술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교육/학습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공예/제조

공예/제조

복지/인권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복지/인권

IT/기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복지/인권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복지/인권

기타

복지/인권

주제

쉼표밴드

슈쿨 (SWUCHOOL)

시건방

아트풀 (ArtPool)

스터디허니

아마추어9인제 대학배구리그

시도

액팅랩 (Acting Lab)

에듀케이션트렌즈 (Education Trends)

스튜디오 태키 (studio tacky)

아무 날

시리아의 창

야성의 꽃다방

에멘탈 치즈

에프씨차차 재능기부단

신촌타이쿤

언니모자

에어디 (air4)

스티커

아트제안

시소

어글어글

에스이(SE)수련원

엠엠씨 (MMC)

아띠패

언더독 (Underdog)

엄마의 레시피

에이비씨 (A.B.C-Asian Bridge for Children)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5

지원연도

Page 35: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64 65

공예/제조

문화/예술

기타

생태/환경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기타

복지/인권

생태/환경

노동/정치

기타

교육/학습

기타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주제

영점영 (0.0)

영화는 알고 있다

오지랖놀이터

유미공방

예술놀이

우주만화

옥상프로젝트

유에이씨 (UAC-United Amateur Choir)

이매진 (Imagine)

오늘도 호로록챱챱

워밍즈 (WARM WINGS)

옮김

유엔클로니크코리아 (UN Chronicle Korea)

이상한 동아리

이화여대인문사회학회 박하

요리와

이동공간몸냥

이음프로젝트

오늘의잔업

위로주 (welojou)

왜왜왜프로젝트

음악을배우고알자

이십세

인디언 계모임

우얕무지

이들이 사는 세상

이음협동조합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5

지원연도

문화/예술여행자의 집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예/제조

공예/제조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기타

생태/환경

교육/학습

공예/제조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기타

문화/예술

복지/인권

생태/환경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복지/인권

문화/예술

노동/정치

주제

인북스 (IN:Books) 도서협동조합

인어 프로젝트

작은극장H

지그앤릴 (Jig & Reel)

인포멀 (INFORMEL)

종점목공소

재미난조합

지금여기

창작집단 너와같은

있다-잇다 프로젝트

중독

정점 (JEONGJEOM)

지이와이케이 (GEYK)

책읽는사람들

청년재활용목공동호회

조조의 마을

집단오찬

청년들의 한 끼

인디펭귄즈

자유인문캠프 여성주의 모임

지구를위한디자인

제멋대로

지천년견오백

청년관을 위한 예술행동

청년창업마을

좀놀아본언니들

차가운니트

청년사이다제작소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5

지원연도

Page 36: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66 67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기타

교육/학습

노동/정치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IT/기술

IT/기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노동/정치

교육/학습

복지/인권

문화/예술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복지/인권

미디어/출판

생태/환경

문화/예술

주제

청춘523

친절한 이웃

코드블루 (CodeBlue)

파란바람

카이로스

티피에이 (T.P.A)

콩닥콩닥

페이지 라이터스

프로젝트그룹수수

카페크리틱

팀런닝독스 (Team Luninng Dogs)

쿤스트 (KUST-Kookmin University Solarcar Team)

페퍼트리

프로젝트룩

하하하

투포인트 (2point)

프로젝트 쌍

프로젝트알오디 (Project R.O.D)

코다인코리아 (CODA in Korea)

팀펀거스 (Team Fungus)

토크로 해결하는 라디오 with All-live T

풍물패 자랑

프로젝트스쿨

한국농아대학생연합회

티에이치(TH)의 옐로저널리즘

프로젝트 언프리티 아토피스타

필름모색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5

지원연도

미디어/출판청진기 프로젝트

기타

교육/학습

교육/학습

생태/환경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기타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주제

한량

한앎

현실탐구단

가든프로젝트 (Garden project)

한여름밤의꿀

희망찾기

혜화동은근작곡

가움 (GAWUM)

검정고무신

핸콕

46에비뉴바자르

화정인

같이 가치

계피자매

골목한쪽

희곡 읽수다

건축만담

고시촌대학18길

한국대학생멘토연합

헌책방고고(gogo)학 (archeology)

C20 청년문화기획단

효덱스

개방회로

고고메타몽운동회

곳간

희곡목소리가들려

건축소년소녀우주혁명단

골드광개토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5

2016

지원연도

Page 37: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68 69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기타

문화/예술

복지/인권

복지/인권

문화/예술

복지/인권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교육/학습

IT/기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기타

문화/예술

주제

광씨

그냥하면되지!

글 빛

너비조아 (너도 비포선라이즈를 좋아했으면 좋겠어)

그래서 (GRESO)

끼다 (끼니를 다함께, 끼니 다이어리)

기타배우지

네팔프로젝트 (Never-Ending Peace And Love)

노원지역청소년인권동아리 화야

그림형제

나는 (It’s about me!)

꺼따꺼이부라더스

노뉴워크

노잉커뮤니케이션즈

다리밑이멀전시

꿈꾸는붓

노리즌팩토리

느티나무

극단 꾼

너나들이

꽃소풍

노들유령

느리게세상속으로

다리밑프로젝트

꿈으로가는파란문

노시 (NOSH)

다락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6

지원연도

IT/기술공간나누미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교육/학습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복지/인권

노동/정치

미디어/출판

복지/인권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복지/인권

복지/인권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IT/기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복지/인권

복지/인권

교육/학습

주제

다큐분해

달숨

더나은 네트워크

디스 (디자인스터디)

달의여자들

동화밥

던전스터디

디스어빌리티 아이덴티티 (Disability Identity)

딴짓매거진

달콤한도시

드림브이

데밀리 (Damily)

디스커버리서울 (Discovery_Seoul)

뜨거운청춘

레인

독립다큐멘터리를 만들기 시작한 사람들의 모임(독만사)

디자인이후

램프 (LAMP)

다큐나이트 (자유인문캠프 다큐나이트)

대학영상연합 유브이에이(UVA)

드림포레스트

델타고 (DeltaGO)

디오에스 (D.O.S)

라인매거진

로컬스텝

동행동(同行動)

딱소리

러빙코리아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6

지원연도

Page 38: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70 71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IT/기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기타

문화/예술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공동체/지역

복지/인권

문화/예술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교육/학습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주제

만들DA

만화수목금토일

모도무드

뮤(Mhu) 게임스튜디오

말그레

무비트래블러스

모비딕

미대의외침

보보세븐

머그 (MUG)

무지한 동료

모아

미음

보이미디어 (VOY MEDIA)

북이온앤온

목캔디

별의별

본색 소사이어티

메이크유업 (MAKE U UP)

문어발

목요영화회

베이스캠프

복통

북치고미치고 (Book치고 미치Go)

몸의대화

별헤는낮

북두칠성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6

지원연도

교육/학습리드 (READ)

생태/환경

생태/환경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기타

문화/예술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기타

생태/환경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미디어/출판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주제

불꽃농부

비밀

사일사 (414)

센(SEN)중앙

빈집

설레밭

산모임

소공녀

스스로 빛나는 배우 (광대놀다)

사람책방

세븐픽쳐스 (7Pictures)

삼포니오케스트라

소셜씨어터 청년극장

스터디허니

신(信)시장 프로젝트

서론이 길다

손커

슬기로운생활

불금엔 커피한잔

사스 (SARS)

세종대학교언론협동조합

소풍가는길

스페이스100

신기-술

서울가면

순하리

시작하기도전에멸망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6

지원연도

Page 39: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72 73

공동체/지역

기타

문화/예술

교육/학습

복지/인권

생태/환경

복지/인권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생태/환경

교육/학습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공예/제조

복지/인권

문화/예술

복지/인권

미디어/출판

생태/환경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공예/제조

미디어/출판

기타

주제

실리나

실패를즐기는사람들

씨네파종171

안단테리딩

십시일냥

아씨밭

씨앗

알삼공이팔 (R3028)

어뮤즈맨

썬플로웨르

아워

씨에스이공삼 (CS 203)

액팅랩 (Acting_Lab)

어반그라운드

에더블 (EDIBLE)

아띠

얌행어사

언니모자

쓰고그리다

아토피스타

씨유엘피 (CULP)

약광조건

어쩌다극장

에듀케이션트렌드 (Education Trends)

아무 날

어니언스

얼떨결에 떠나자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6

지원연도

문화/예술신나는다큐모임

기타

복지/인권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공예/제조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공예/제조

복지/인권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문화/예술

복지/인권

복지/인권

교육/학습

주제

에이에이에스케이 (AASK)

에이프릴세컨드

엠티

영장 (0장)

엘사일이 (L412)

연구소자몽

여기모꼬지

영화는알고있다

와우산로 (WOWSANRO)

엠씨티씨 (MCTC 몸치탈출)

연극실험 의미심장

여백

예술공간 서로

왓에버온페이퍼 (whatever on paper)

월간스댕

여행자의 집

오돌오돌

우리랑

에스엔엘 (SNL-Small New Library)

엠채플린 (M_Chaplin)

영일일이(01_12)

여성주의감성공동체 난달

예술수색단

우리가치

웨이컵

연(緣)

오봉

우행시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6

지원연도

Page 40: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74 75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예/제조

미디어/출판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기타

문화/예술

기타

문화/예술

교육/학습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기타

노동/정치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IT/기술

문화/예술

주제

은신내

음악을 배우고 알자

이것이프로젝트

인프론트오브유

음악침대

이왕이렇게태어난거

이너디렉션무버스 (Inner_Direction_Movers)

일대일점육

자유프로젝트

응쓰

이정국움직임연구소

이대알리

일렁이

자표자기

즐(KIN)프로젝트

이디엇 (Ediots)

임팩터스

이것은소설혹은에세이혹은시

인터플

이들이사는세상

읽고쓰기

전자경련

지비에스(GBS)

이미오트 (IbiOT)

자뷰 (JAVIEW)

조단탁시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6

지원연도

기타위클리만다라 (Weekly Mandala)

생태/환경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노동/정치

공동체/지역

기타

복지/인권

미디어/출판

노동/정치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교육/학습

미디어/출판

공예/제조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IT/기술

교육/학습

공예/제조

문화/예술

주제

지이와이케이 (GEYK)

진동젤리

찬란

청경채 (볼랑말랑세미나)

진정땐스

책읽는사람들

참을 수 없는 즐거움

청년네트워크 流(류)

춘식이

진정한여행

책읽당

창작그림책 모임

청년정치크루

취함20

책(은맥거핀)모임

청춘라떼

캣앤택 (CAT and TAC)

지엘북스 (GL books)

차가운니트

챌리티

창작집단 Hereyouare

청춘다방

캐즐

케이벤쳐스 (K-ventures)

책읽는대학

초우상회

커튼콜을 울려라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6

지원연도

Page 41: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76 77

교육/학습

기타

문화/예술

복지/인권

교육/학습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IT/기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문화/예술

기타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기타

문화/예술

기타

복지/인권

노동/정치

생태/환경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주제

톨레레게

파수꾼

페테라이팅

픽서 (FIXER)

파워포인트클리닉

플레이스플라스크

포스트카드

핀콩 (pinKong)

한국을사랑하는여행자를위한안내서

판타문필름

피움 프로젝트

프랑수다

하고싶어

한끼

함께 노래한다면

프로젝트알오디 (Project R.O.D)

하하하

한솔

패쓰파인더

피타팻

프레어 프로젝트

하터 (HEARTOR)

한배

해밭똥프로젝트

프로젝트하자

한국농아인대학생연합회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6

지원연도

문화/예술콘모토콰이어 (Con Moto Choir)

교육/학습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IT/기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기타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문화/예술

주제

홀로그램

홈보야지

회대알리

걷기왕

odsh!

희곡읽수다

고리

공중그늘

홍익한복

가까이

7202

고운이야기

광씨

극단 비행술 리딩클럽

303 프로젝트

공예기획비평연구 영롱살롱

극단 놀음

혁신의 아이들

화정인

같이다동

#감각하다

공공+미술 연구

극단 60

극단 종이인간

Maj!

공자

극단 동심기행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6

2017

지원연도

Page 42: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78 79

공예/제조

공동체/지역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IT/기술

문화/예술

노동/정치

IT/기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교육/학습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복지/인권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주제

꽃과 책

나만 없어 고양이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노는 사람 1,2,3,4,5

나쁜 뇬

네필림

내-일은 가볍게

노는모임노모

다시금

낫뎃시리어스 (not that serious)

넷메이드

내조각네조각

노동권+도시권연구모임 뾰족

다함께 참참참

대학로문화축제

네사전

늘꿈 꿈 발전소

당신의 물건

낫인어프타임 (NOT ENOUGH TIME)

노뉴워크

내편애(愛)

노릇노릇

달덩이

대학연극축제 기획단

네얼간이

다생

대중트랙스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7

지원연도

문화/예술글래니언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생태/환경

교육/학습

복지/인권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문화/예술

복지/인권

IT/기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주제

더별빛

더블유프로젝트

도담도담

둥근달

더예술

동그란자취

도미니

드림피스 (Dram-piece)

뚜벅이들

더인터네셔널 (The Internatiiional)

동네산책가

독깨비

디자인띵커 (Design Thinker)

띵가띵가

론니바나나 (Lonely Banana)

돌곶이뚱땅맨

따뜻한마음을가진자원봉사모임

라이터스

더나은 네트워크

데나리온은행

될놈스

독아니스

따또 (따로또같이)

라온브랜드

루즈콜렉티브 (Loose Collective)

돌곶이요괴협회

따발총

러빙코리아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7

지원연도

Page 43: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80 81

문화/예술

기타

교육/학습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교육/학습

노동/정치

노동/정치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복지/인권

주제

리플 (책 읽는 사람들)

마음과시선

메이크유업 (MAKE U UP)

뮤직라움

만리동걱정모임

문어발 (문화어울림발전소)

메카닉스

미대의외침

민주주의 디자이너

망원물생활연구소

문화보따리

모난돌프로젝트

미러 (MIRROR)

바주카포 서울

밥상머리

모션 (motion)

미싱링크

밤모임

메이저리그 멘토단

뭐든 내맘대로

모든모던

미술관 밖 관람자들

바퀴 위 여자

방구석

목요일오후한시

미아

밤의 피크닉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7

지원연도

문화/예술리버브

공동체/지역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노동/정치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IT/기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미디어/출판

노동/정치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주제

방방봉봉

배우고

베타프로젝트 (Beta Project)

비디오20

배태람

브렉시트 (Blexit)

변현태, 김윤기와 정상권

비보이세마리

사운드진 (sound-zine) 모임

백수남실수녀

블랙 냉장고

별책불혹

비어캣

사운드트랙 프로젝트

상쾌지수100퍼센트

부유자들

사람사이가전부다_사이다

삶의꽃 (Elämän Kukka)

방방방 프로젝트

베드타임워커 (Bedtime Worker)

블랙헤드

볼풀

빈민 비건요리 연구회

사월애

샘프로젝트

불꽃학교

사소한 오월

상상파티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7

지원연도

Page 44: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82 83

교육/학습

IT/기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노동/정치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IT/기술

교육/학습

교육/학습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복지/인권

복지/인권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기타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주제

서울라이트러닝

서울인디즈

소스티비

스탑 키스 프로젝트

서울정책스튜디오

쉐어박스 (Share box)

소프트팔레트 (Soft Palate)

스터디부레옥잠

시파 프로젝트

선과선분

쉐어엑스

소행단

스터디허니

신나는 다큐 모임

써니사이드

수연의 방

슬기로운생활냥데뷰

심심한그림모임

소공녀

스낵뮤비

수머 878

스펙타클

심(心)마니

씨네클럽 FoFF

숨아트

시O

쌀롱쌀롱다이닝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7

지원연도

교육/학습생선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IT/기술

문화/예술

생태/환경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교육/학습

복지/인권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기타

문화/예술

복지/인권

생태/환경

교육/학습

공동체/지역

주제

아트메이커

아트제안

알음알음

얼굴들

아티크

어메이징아메바

알피엠 (RPM)

에코크리에이터

엡실론

악어 프로덕션

언디

애드파워 디자인부

에프티스터디 (FTSTUDY)

여(女)토피아

예술로공감하다

앨라이 (ALL.Y)

엘(L)412

영혼탈출 드로잉

아-키비스트

악어들

언엔딩

앤아트

엑티브 엑스

여자여자여자

오(Oh!)-봉

약속의 자전거

엠앤에스 (MNS)

옆집식탁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7

지원연도

Page 45: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84 85

미디어/출판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공동체/지역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교육/학습

복지/인권

복지/인권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IT/기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주제

온더무브 as AA

온점

요란한 빈수레

유음

올 컴퍼니

유스엠 (Youth M)

우연한 이웃

유즈풀 (USEFUL)

이스크라

와우산 쌈바 클럽

유시컬 (U-SICAL)

원 핑거스

을지로콜렉트

익시피터 (exhibitor)

일렁이

유기농맥주

음악을 배우고 알자

인디 리서치 (월간인디)

외줄산책

유유 (You有)

위펫

음악사회공헌프로젝트 별하

인간 (INGAN)

일상

유레카

이디에이 (EDA)

일러스트 파이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7

지원연도

문화/예술오프너 (OPENER)

문화/예술

복지/인권

복지/인권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문화/예술

교육/학습

교육/학습

복지/인권

문화/예술

교육/학습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생태/환경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복지/인권

기타

노동/정치

생태/환경

생태/환경

교육/학습

교육/학습

주제

작은사회

장애여성정체성연구소 공간

젠더문제팀

창작집단 현재

재준이프로젝트

지하소문 (So mooN)

주님이하셨습니다

창작집단ㄱ해

청년독서문화커뮤니티 쿱

전하고 싶은 우리학교

집단와이 (Y)

죽지도 않고 또 왔네

책 읽는 대학

청년아띠

청춘공방

중앙대학생기록연대 세기다

청년 스트리트클리너

청록클럽

자표자기 (자기표현하는 자기들)

제로베이스

창작그림책모임

중앙대학교 여성주의 학회 여백

청년 곧 점프

청년정치크루

쳇식 (食)

지에프지에프 (GFGF)

청년! 나도 강사다

청심환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7

지원연도

Page 46: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86 87

기타

기타

문화/예술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IT/기술

기타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문화/예술

IT/기술

생태/환경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복지/인권

문화/예술

복지/인권

공예/제조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주제

췸길만 걷자!

캣앤택 (Cat And Tac)

콤비보 (Combibo)

타타난타

커튼콜을 울려라

클레이서울

쿤스트-새나 프로젝트

토닥토닥

팀크리에이티브아티스트 (Team CREATIVE artists)

케플러49 그림책 프로젝트

키덜트

쿨레칸 에스쁘와 무용단

투피엠 (2PM)

파남보

프로젝트알오디 (Project R.O.D)

클라우드 나인

티오엘 (T.O.L)

프랑수다

콘모토콰이어 (Con Moto Choir)

키린지 (KIRINJI) 커뮤니티

퀴어-페미니즘스터디

특수반

페미위키

프롬블랙

클럽 유디니즈

티타임 (teatime)

프로젝트 이다 (IDA)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7

지원연도

미디어/출판출판 정언

공예/제조

복지/인권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공동체/지역

복지/인권

공예/제조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미디어/출판

문화/예술

기타

교육/학습

기타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문화/예술

주제

플라스틱티켓제작위원회

피펫 (peopet)

하터

행복을 주는 나무

핏어팻 (Pit-A-Pat)

해보아연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혼익인간

하나마루

해외 문학 나누기

한국외대 방송학회

환여 출판

한달 프로젝트

흔들림

프리고 (Prigo)

하태하태

해피니스

한글장수

휴먼아트뮤지엄

한류스타

활동가/단체명

활동

지원

구분

청년참

지원사업명

2017

지원연도

Page 47: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88 89

2013 청년참, 프로젝트 그 이후1.32013년 청년참 활동 종료 후, 청년참 커뮤니티 전체 회원들을 대상으로 가장 좋아하는 커뮤니티를

물었고, 그 결과는 <아현동쓰리룸>과 <바투>였다. <바투>는 아프리카 부룬디 아이들을 위한 문화콘텐츠를

만드는 곳이고, <아현동쓰리룸>은 재개발예정지인 아현동에서 공연과 요리를 하는 뮤지션들의 모임이다.

이 인터뷰는 <아현동쓰리룸>이 <바투>에게, <바투>가 <아현동쓰리룸>에게, 서로에게 궁금한 점과 청년참

활동에 대해 묻고 답한 인터뷰이다. [아현동쓰리룸 (아), 바투 (바)]

아현동쓰리룸이 바투에게

아 이름 뜻이 뭐예요?

바 두 가지 뜻이 있어요. 순우리말로 ‘사이를 가깝게 하다’라는 부사적인 의미가

있고, 영어로는 ‘Band Across The Universe’의 약자예요. 사전을 뒤지며

만들었는데 재밌는 사실이 부룬디에 반투라는 단어가 있는데 한국어 바투와

의미가 똑같더라고요. 반투라는 말이 어떠한 연합을 말하는 거였어요.

아 역시 애초에 언어가 하나였나 봐요. 사실 저도 바투 회원이거든요.

구체적으로 하는 일이 회원으로써 궁금합니다.

바 아, 반상회 때 가입하셨죠. 하하. 원래는 ‘Books for Burundi’라는 이름으로

부룬디 아이들을 위한 동화책을 만들었어요. 그런데 책만으로는 전달하는데

한계를 느꼈어요. 그래서 활동영역을 넓혀서 미술, 음악, 놀이, 스포츠와 같은

콘텐츠로 부룬디의 교육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요. 또 일 년에 한번

부룬디에 직접 가려고 하고요.

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뭔가요?

바 친구가 부룬디에 단기선교를 다녀왔어요. 그래서 부룬디를 알게 됐는데,

아이들이 책이 없는 걸 보고 마음이 아팠다고 하더라고요. 부룬디에

‘키룬디어’라는 고유 언어가 있는데 그 나라의 언어로 책을 만들어주면

어떨까 서로 얘기하게 됐고, 바로 동화책을 만들었어요.

아 출판하신 거죠? 출판을 하며 애로점은 없었나요?

바 콘텐츠가 있어야 출판을 할 수 있잖아요. 처음엔 콘텐츠가 없고,

만들어낼 수 있는 역량도 없었어요. 그래서 부룬디 아이들에게 동화책을

선물하고자 한다며 동화 작가님들께 연락을 드렸어요. 책에 대한

출판권을 써도 되겠느냐고요. 캐나다의 로버트 먼치 작가가 허락해주셨고,

베스트셀러이기도 한 <언제까지나 너를 사랑해>를 득템했죠.

아 부룬디어로 번역은 어떻게 했나요?

바 부룬디 사람들이 국내에 살고 있어요. 초창기엔 9명, 지금은 20명이 넘게

한국에 살고 있어요(2013년말 기준). 그래서 유학생들이 도움을 주었고,

오히려 번역할 거 없냐고 물어오기도 해요.

아 부룬디에 가서는 어떤 활동을 했나요?

바 책만 주기보다 책을 통해서 아이들과 소통하고 싶은 생각이 있었어요.

2011년에는 인형극과 연극을 준비했어요. 인형극은 주변에 까맣게 천을

쳐놓고 손가락 인형만 보아야 하는데, 아이들이 너무 궁금하니까 뒤로 와서

보는 거예요. 그래서 실패 아닌 실패를 했죠. 2013년에는 핸드 페인팅을

이용한 미술교육을 했는데, 부모님들이 선생님들께 뭐라고 하시는 거예요.

뭐가 문제지 싶었는데, 내전을 겪은 지 얼마 안 되어서 아이들의 지문을

가져가거나 납치할까 봐 그런 거라고 하더라고요. 한국에서 어렸을 때 했던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얼음 땡도 했는데, 설명에 실패했어요. 그래서

한국에 돌아와서 놀이를 설명하는 영상과 설명서를 만들고 있어요. 같이 놀고

싶어서요.

아 아이들이나 현지인들에게 배우거나 알게 되는 것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바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게, 이 사람들은 불쌍하고 가난한 사람들이다, 우리는

가르쳐주어야 한다,는 식으로 높은 위치에서 보기 쉬워요. 부룬디 아이들의

꿈을 들었는데 꿈이 명확했어요. 커서 이 나라를 위해서 뭔가 하고 싶다는

거예요. 그리고 대학생들과 얘기를 많이 했는데, 한국 대학생들이 과제에

치인다면 부룬디의 대학생들은 나라를 많이 생각해요. 어떻게 하면 공부한

것을 많이 나눠줄까 생각하더라고요. 또 부룬디는 종족 갈등이 심한 곳이기도

했는데, 청년들이 위원회를 만들어서 프로젝트를 한다고 해요. 우리나라의

남북문제도 청년들이 이런 모습을 배울 필요가 있겠구나 싶었어요.

아 바투가 바투가 청년참에 지원하게 된 동기는 뭔가요?

바 흐흐흐흐. 솔직히 돈 때문에 들어왔어요. 그래서 매달 하는 반상회가

귀찮았는데, 9월 시청 반상회 이후, 청년참을 보는 시각이 많이 달라졌던 거

같아요.

아 그때 저도 회원으로 가입하게 되었죠.

바 시청에서 윷놀이, 땅따먹기 등의 게임들을 했어요. 같이 하면서 서로 필요한

걸 나누고 공유하고 시너지를 내더라고요. 이제는 돈을 안줘도 매달 갈 수

있어요. 돈 때문에 왔지만, 돈보다는 사람의 허브더라고요.

아 바투는 100만원 때문에 왔다고 하지만 숭고한 목적으로 사용한거네요.

저희는 천박한 100만원이었어요.

바 힘들어서 단체가 6개월 동안 활동을 쉬었었어요. 그런데 청년참 지원을 받고

재정뿐 아니라, 관계적인 측면에서 저희가 할 수 없었던 일들을 외부에서

Page 48: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90 91

끌어오게 됐어요. 지금 기획하고 있는 것들은 대부분 청년참을 통해 만난

단체들과 함께 하고 있어요.

바투가 아현동쓰리룸에게

바 무슨 일을 하시나요?

아 아현동의 쓰리룸에 같이 살고 있어서 만들어졌는데요, 피터 아저씨라는

뮤지션 활동을 하고 있어서 동네에서 공연을 하는 게 어떨까 하고

시작했어요. 그런데 살고 보니까 재개발 예정지더라고요. 언젠간 없어진다고

생각하니까 그전에 기록으로 남기자, 동네 풍경을 영상으로 담자고

얘기했어요. ‘우리동네가요’라는 프로젝트를 하며 마을 풍경, 주민들 인터뷰,

공연 모습들을 담았어요. 그리고 추워져서 콘셉트를 바꿨어요. ‘목요일엔

식당’으로요. 그러다 보니 공연만 하는 커뮤니티라기보다 쓰리룸이라는

공간을 가진 커뮤니티가 되고 있어요. 사람들이 밥 먹으러 오는 게

재밌더라고요. 그러면서 연애도 하고요.

바 한간의 소문이, 한명씩 ‘피터 아저씨’를 맡고 있다고요?

아 원래 피터 아저씨로 혼자 활동했는데, 같이 살고 있는 초사마와 산이

오랜 친구에요. 우연히 친구들과 같이 살게 되었는데 공연도 같이 하자고

말해왔고, 그래서 휘재가 ‘피’, 초사마가 ‘터’, 산이 ‘아저씨’를 맡게 되었어요.

바 청년허브 관계효과에서 청년참이 다같이 ‘조그만 다락방’을 불렀잖아요.

선정이 됐을 때 어땠어요?

아 원래는 다른 노래를 하기로 했었어요. 반주를 해달라기에 피아노 연습을 해서

가겠다고 했는데, 갑자기 ‘조그만 다락방’을 부르자고 해서 황당했지만 기분

좋았죠.

바 조그만 다락방을 쓴 배경이 궁금해요.

아 친구 집에 놀러갔는데 쓰지 않는 다락방이 있었어요. 거기서 많이 놀았고요.

요즘에는 친구들과 놀지도 못하는데 옛날처럼 다락방이라는 공간에서 마음껏

놀았으면 좋겠다 싶었어요. 그때를 떠올리며 마음을 표현했죠.

바 ‘목요일엔 식당’은 어떤 건가요?

아 목요일에 식당을 열어요. 공연을 하는 걸로 시작하다가, 아현동 쓰리룸을

오픈하게 되면서 공간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됐어요. 우리들만의 공간에

대한 생각이오. 식당을 중심으로 한 공연 공간을 만들고 싶어요. 그래서 연습

삼아 시작하게 됐고, 2014년에는 커뮤니티 키친을 만들려고 해요. 메뉴는

김산의 헝가리 수프, 간간이 휘재 스파게티, 상업적으로 쓰이기 힘들지만

먹을 만한. 3,000원, 5,000원씩 받고 있어요. 사실 단가가 센데, 청년참

지원을 받으니까 5,000원 이하로 해요.

바 청년참 지원금은 어떻게 활용하시나요?

아 여기서부터 흑역사가 나오는데, 원래는 길거리 공연을 하고 싶었어요.

장비가 필요했는데 100만 원을 지원해준다고 해서 지원한 거예요. 그런데

실제적으로 10만 원 이상의 물품 구입이 안 되기 때문에 장비는 다 저희

돈으로 샀어요.

바 저희도 그래요. 원래는 부룬디에서 쓰려고 잡아놨는데, 한국을 떠나면 쓸

수가 없는 거예요. 외국은 안 된다고 해서...

아 저희도 장비는 카드 할부로 샀어요. 청년참은 먹는 데에 다 쓴 거 같아요.

카메라 장비 대여와 목요일엔 식당 장 보는 데 썼어요.

바 활동 내용이 달라지고 있는 것 같아요.

아 청년참에 신청할 때는 ‘우리동네가요’라는 프로젝트로 재개발 예정지인

서울의 동네를 돌아다니면서 공연을 하고 실황을 영상으로 기록한다고

밑그림을 그렸죠. 원래는 한 달에 한 번 갈까 했는데 너무 힘들어서 두 달에

한 번으로. 또 공연을 하려면 짐이 한 차예요. 그런데 저희는 차도 없고,

다들 직장인이라 하는 일들이 있어서 돌아다니는 게 부담스러웠어요. 그래서

아현동에서 공연을 하고 집에 들어와서 밥을 먹고 다시 나가고 그랬죠.

만약에 다른 곳으로 돌아다녔다면 행사비가 많이 들고 저희도 지쳤을 거예요.

아현동에서 길거리 공연 2번, 하우스 공연을 2번 정도 했어요. 어떻게

보면 처음 계획한 걸 못했다고 볼 수도 있을 텐데, 그보단 변형이 되었다고

생각해요. ‘목요일엔 식당’도 아마 카페를 빌려서 했다면 지금처럼 연애를

못했을 거예요. 그런데 “가정집으로 놀러 오세요”라고 하니까 사람들이

초대를 받았을 때도 기쁘고, 놀러 오기도 더 친근했던 거 같아요.

바 ‘목요일엔 식당’은 어땠나요?

아 처음엔 시험 삼아 ‘집밥’이라는 사이트에 “공연을 하고, 밥과 차를 드려요”

라고 올렸는데, 29살 커플과 엄마 아빠 아들 가족 3명이 오셨어요. 그리고

개개인의 친구들이 모여서 18명 가까이 왔어요. 일반인과 뮤지션의 비율이

반반이었죠. 손님접대를 두 세 번 하다보니까, ‘목요일엔 식당’을 꿈꾸게

되었어요. 지금은 이미 커뮤니티 식당이 됐죠.

바 청년참을 하면서 달라진 것은 무엇일까요?

아 일단은 피터 아저씨가 홍보되었죠. 청년참의 100명이 넘는 사람들에게

알려졌고요. 개인적으로는 사회 부적응자라고 생각해왔어요. 그런데

청년참의 다양한 사람들을 훑어보며 참 묘하게 벅찼어요. 위로와 용기를

얻었죠. 나 같은 사람이 많구나, 해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사회적 이슈에

관심이 생겼어요. 이전에 살고 있던 세계에서 한 발짝 나온 것 같아요.

Page 49: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92

또 청년참을 통해 우리가 바투를 알게 되었고, 그래서 부룬디 아이들을 위한

곡을 만들 수도 있고요.

바 어! 만들어주세요.

아 네. 내년에 바투 식당을 하면 좋을 것 같아요. 아현동에 와서 식당 해볼래요?

현지 음식 할 수 있어요?

바 저 요리 잘해요.

아 청년참이 없었다면 못했을 거예요. 위기가 없었던 것이 아닌데, 각자

직장인이라 바쁘다 보니 흐지부지되기도 하고, 다음으로 미루기도 했어요.

그런데 청년참이 약속 같달까? 100만 원이라는 책임감도 있고, 하나의 틀이

생겨서 꾸준히 할 수 있었어요.

바 또 하고 싶어요. 대기업에서 지원해주는 프로그램들이 있지만, 그건 스펙

같달까? 거기선 분명 1위, 2위, 3위 등수를 매겼을 거예요. 그런데 청년참은

경쟁이 없어서 좋았어요. 그리고 서로 알게 되어서 좋고. 계속 참여하고

싶어요.

Page 50: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95

2

연구사업

청년연구 연도별 주제 비율 (단위: 건/%)

공동체/지역 복지/인권

교육/학습 생태/환경

노동/정치

문화/예술

기타

2013

1(13%) 1(13%)

1(13%)

5(62%)

2017

2(13%)

7(44%)

6(37%)

1(6%)

2015

2(13%) 2(13%)

3(18%)

7(44%)

1(6%)

1(6%)

2014

6(35%)

2(12%)4(23%)

1(6%)

1(6%)

3(18%)

2016

2(10%)

10(50%)

3(15%)

3(15%)

2(10%)

청년연구 연도별 총 수 (단위: 건)

10

20

2013

공모형연구 기획형연구

8

17 16

20

16

2014 2015 2016 2017

6

11 101112

5

8

59

청년허브 연구사업 2013-2017 통계 분석2.1

Page 51: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96

청년연구 주제별 연간 통계 (단위: 건)

공동체/지역

문화/예술

교육/학습

복지/인권

노동/정치

생태/환경

2013

2013

2013

2013

2014

2014

2014

2014

2015

2015

2015

2015

2016

2016

2016

2016

2017

2017

2017

2017

2013

2013

2014

2014

2015

2015

2016

2016

2017

2017

2

6

7

2

0

01

0 0 0

2

10

3

0

3

2

7

1

1

3

6

4

2

0

1

1

5

0

0

1

5

5

5

10

10

10

Page 52: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98 99

청년연구 키워드 2013/2017 분석 비교

도시재생

지역공동체청년복지

노동환경

인포그래픽

청년통계

사회적경제

사회적일자리

사회참여

이행기

청년정책

대안공간

지역공동체

주거

장애

청년복지

페미니즘

노동환경

청년통계

청년정책

청년자립

사회혁신

청년문화

2013 2017

Page 53: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00 101

1

번호

2

3

4

5

6

7

8

9

11

10

12

2013

지원연도

2013

2013

2013

2013

2013

2013

2013

2014

2014

2014

2014

공공운영 취업정보사이트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청년구직자들의 구직과정에서 나타나는

탐색비용의 비대칭성을 중심으로

연구제목

복지국가의 청년복지정책과 청년의 사회참여

방안 조사 연구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청년 현장리서치:

청년 니트현상 문제해결을 위한 현장리서치

청년 비전형노동실태 현장리서치:

서울지역 학원 강사 근로조건 실태조사

청년의 사회적 일자리 형성을 위한 문화분야

커뮤니티 일자리 연구

청년 협동조합 생태계지원 프레임워크 설계를

통한 서울시 지원체제 구축 방안 조사 연구

서울시 공간 리서치 & 플래닝

서울, 청년 인포그래픽스

이행기 청년이 걸어갈 길:

유형과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 청년세대의 사회적 노동 경험: 2010년대

청년들의 자기 서사와 노동 서사를 중심으로

대졸(대안학교 졸업생)이 사는 이야기

시민사회 직업활동가의 삶

청년허브 기획연구

지원사업명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이병일

책임연구원/단체

복지국가

청년네트워크

공공상담소

청년유니온

(사)문화사회

연구소

새로운사회를

여는연구원

티팟, 새동네연구소

청년유니온,

슬로워크

지식순환협동조합

이영롱

오창민

이안홍빈

청년허브 연구사업 2013-2017 목록2.2 번호

14

15

18

19

21

22

23

24

25

20

16

17

13

지원연도

2014

2014

2014

2014

2014

2014

2014

2014

2014

2014

2014

2014

2014

연구제목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고립’이 만든 ‘사회적 죽음’에 대한 고찰,

‘경한아저씨, 안녕’

표준 원룸 관리비 기준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관리비, 얼마 내세요?

장애청년예술정책:

욕망과 표현을 위한 실천과 정책론

서울 청년일자리 정책 새 방향과 과제 연구

청년 사회혁신가의 자기주도적 성장과 역량

강화를 위한 심층조사 및 교육과정 사례 연구

유휴공간을 활용한 ‘장소만들기’ 국내외 사례

리서치

청년의 노동경험에 근거한 한국형 블랙기업

지표개발 연구

청년 삶터의 질적 인식을 위한 '살기좋은 동네'

사례 및 지표개발

업사이클링은 삶이다

청년들, 청년세대담론을 해체하다

청년 예술가-창업가들의 골목길 고군분투기

마을로 간 청년들

지원사업명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책임연구원/단체

신지연

천다연

민달팽이유니온

장애문화예술

연구소짓

새로운사회를

여는연구원

(사)사회혁신

공간데어

김지아

청년유니온

글린트

사부작연구소

김선기

김혜정

BLANK

26 2015 청년도 늙는다 청년허브 공모연구강지웅

Page 54: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02 103

번호

27

28

29

39

30

31

33

35

37

36

34

32

38

지원연도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2015

연구제목

젊은 시각 예술가들의 현재는 지속 가능한가:

생산자와 소비자, 그리고 제도적 측면에서

목동 행복주택 사례를 통해 본 청년 주거문제와

시민성

학교 밖으로 나와 청년이 되다

청년층 부채악성화 경로 추적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대한민국을 텅텅 비우고 난 뒤: 싱가포르로

해외취업을 떠난 청년들의 노동과 삶

청년, 해외, 노동: 워킹홀리데이 관련

재현물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청년 독립생활자 식생활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밥, 잘 먹고 있나요?

청년 성소수자 인식실태조사 및 청년 성소수자

활동가 당사자의 욕구조사

‘청년 담론’ 분석에 기초한 청년 활동 전망 연구

혐오의 대상에서 혐오의 주체로: 디지털

여성청년주체(Digital Female Youths

Subject)의 탄생

청년창업가의 '곁'은 누구인가

첨단·지식산업 노동자들을 위한 노동표준

마련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울디지털산업단지

노동자조사연구

청년 문제의 ‘역량접근법’적 해석과 제언

지원사업명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책임연구원/단체

장동녁

신지예

청년협동조합

드림아토

청년지갑

트레이닝센터

이규호

우승현

차해영

강현주

정치스튜디오

장민지

박일주

구로노동자

조사그룹

(사)사회혁신

공간데어

번호

40

41

42

43

45

46

47

44

지원연도

2015

2015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연구제목

청년의 문화·사회 커뮤니티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공간 형성 방안 연구:

성북지역을 중심으로

청년 일자리, 진실과 거짓: 10가지 질문

‘청년세대’ 담론 속에서 없어진

‘청년퀴어’의 삶 드러내기

대형 복합상업시설과의 결합을 통한 청년

문화공간의 지속성, 다양성 확보

신문 아카이브를 통해 본 청년주거사:

1970년대부터 2016년까지 주택정책의

흐름을 중심으로

청년창작자들이 만드는 도시형 장터의 양적,

질적 현황조사

예술인 지원의 사각지대 극복을 위한 대안적

창작공간 공급모델 연구

학자금 대출로 발생하는 삶의 불안을

감축시키기 위한 정책대안 모색:

상환과 삶의 안정성, 그 균형을 위하여

지원사업명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책임연구원/단체

(사)문화사회

연구소, 협동조합

성북신나

청년유니온

강동희

김예람

마민지

박주연

백지연

남궁정

48 2016 조건없는 공적 재정지원을 받은 청년들의 삶

경험 탐구: 삼선재단 지역 청년활동가 인턴십과

성남시 청년배당 참여자를 중심으로

청년허브 공모연구송하진

49

50

51

2016

2016

2016

청년 주거지로서 1세대 아파트의 가능성 탐색

2016년 남성 중심적 대학문화와 변주하는

여성성: 성균관대학교와 서강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나는 여성인가, 장애인인가, 청년인가:

여성장애청년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이다솔

정서인

홍서윤

Page 55: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04 105

번호

60

61

63

64

62

52

53

54

55

56

57

58

59

지원연도

2016

2016

2017

2017

2017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2016

연구제목

지방정부 청년정책 변화분석을 통한 서울시

청년정책 2.0 과제 도출

청년정책·청년활동 쟁점정리

청년 주거 질 향상을 위한 청년맞춤중개 및

주택관리서비스 제안

직장 내 남성 동성사회의 구조와 의례:

여성과 게이남성들의 경험을 경유하여

친밀공동체로서의 공동주거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탐색: 장기간 공동주거를 하고 있는

청년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결혼하지 않는 가족: 2,30대 비혼 청년문화를

중심으로

구로공단 노동자의 일과 삶에 관한 연구:

첨단지식 산업 청년 노동자를 중심으로

청년세대 다차원적 불평등 연구

청년 연구과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연구동향 메타분석을 바탕으로

청년참 3년: 공공성, 사회성, 시민성

청년창업가를 위한 정책 현황: 해외 청년 창업

지원기관을 중심으로

2016 서울청년 인포그래픽스:

청년통계 분석 및 인포그래픽스 구성

청년지원 플랫폼 설계를 위한 구조적

프레임워크 도출 및 이슈 분석 연구

지원사업명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책임연구원/단체

글로벌

정치경제연구소

불평등과

시민성연구소

임하은

임동현

박범기

황윤지

구로노동자

조사그룹

복지국가

청년네트워크

고함20

이규호

박일주

청년유니온

청년자립지원센터

브리지협동조합

번호

65

66

67

68

69

지원연도

2017

2017

2017

2017

2017

연구제목

직장이 아닌 직업을 찾기로 한 독립적인 청년들:

나는 청년 프리랜서다

청년 조리사 노동자의 노동 경험에 관한 연구

대학에 재학 중인 장애여성의 물리적·심리적

공간에 대한 연구

국산 야동/ 디지털 성범죄를 통해 재구성되는

여성들의 경험과 인식

청년 퀴어 예술가의 생존과 활동의 지속가능성

지원사업명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책임연구원/단체

이윤영

문수연

박은영

양대은

이동경

70

71

2017

2017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 경험이 여성 구직자에게

미치는 영향: 서울 4년제 대학 여성을 중심으로

군대가 남긴 흔적: 청년들의 군 경험은

시민의식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청년허브 공모연구

청년허브 공모연구

진선민

강태영

75

77

76

73

74

72

2017

2017

2017

2017

2017

2017

청년세대 통일의식 조사연구

서울특별시 청년공간 조성 및 운영 계획:

청년공간 무중력지대를 중심으로

청년의 진로탐색과 갭이어에 관한 기초연구

청년정책 결정 및 집행체계에 대한 경험연구:

효율성, 참여성, 적합성의 원리에 따른 협력적

거버넌스 모델 제안

입퇴양난: 입사도 퇴사도 어려운 시대 -

2030 청년 퇴사의 원인과 대안 모색

청년활동의 확장과 고민: 서울시 자치구

청년거버넌스 사례집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청년허브 기획연구

고강섭

프로젝트노아

커리어투어

(사)사회혁신

공간데어

퇴사학교,

청춘상담소

좀놀아본언니들

김선기

Page 56: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06 107

제목 공공운영 취업정보사이트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청년구직자들의

구직과정에서 나타나는 탐색비용의 비대칭성을 중심으로

주제 노동/정치

내용 노동시장을 둘러싼 전반적인 조건의 악화 속에서 청년고용의 양과

질은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더 좋은 취업

정보의 획득이 취업성공의 키워드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취업 정보 업체와 관련 시장도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많은 청년 구직자들이 취업과 관련된 정보의 탐색을

각종 인터넷 사이트에 의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청년 구직자들의

취업 정보탐색의 양상을 구직자 측면에서는 청년 패널 데이터와

구직자들에 대한 FGI를 통해, 구인자 측면에서는 실제로 인터넷 취업

정보사이트들에 구인자들이 등록한 구인광고의 분석을 통해 알아본다.

키워드 #청년정책 #일 #노동환경

제목 복지국가의 청년복지정책과 청년의 사회참여 방안 조사 연구

주제 복지/인권

내용 이 연구는 복지국가 청년의 삶을 전방위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청년이 직면한 4대 불안(교육, 일자리, 주거, 의료)을

해소하는 방안과 삶의 질 향상에의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내용은 크게

3개의 파트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복지국가에서 살아가는 청년을

교육, 일자리, 주거, 문화 전 영역을 살펴본다. 두 번째는 복지국가

청년이 이러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어떻게 정치 경제 및 시민사회

영역에 참여하는지를 관찰한다. 세 번째는 우리나라 청년의 삶을 더

좋아지게 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할 수 있는지 제안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청년복지 # 사회참여

1

2

2013-2017 연구 내용2.3 제목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청년 현장리서치: 청년 니트현상 문제해결을

위한 현장리서치

주제 노동/정치

내용 국제노동기구 ILO는 한국 청년(15-29세)들 중 19.2%가 니트 상황에

있다고 발표, 이는 OECD 국가 중 7번째로 니트 문제가 심각한

일본보다 2배가 많은 수치이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니트 현상에 대한

현장 연구로, 사회적으로 니트라고 불리는 상황에 처하게 된 원인, 현재

상태, 그 상태에 변화를 주는 개인과 외부의 요인과 상호작용의 결과

등의 과정을 밝힌다. 그리고 사회구조적 문제로 인한 청년문제로서의

니트 현상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이행기 #일

제목 청년 비전형노동실태 현장리서치: 서울지역 학원 강사 근로조건

실태조사

주제 노동/정치

내용 비정규직 문제의 심화와 함께 한국의 노동시장 내에 다양한 비전형

노동이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노동시장에 최초로 진입하는 청년층이

‘비전형 노동’의 당사자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대한 진단과

제도적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 연구는 고학력 대졸

구직자들이 많이 진출하는 ‘교육서비스업 내 학원 강사’ 또한 표준화된

고용형태가 업계 내에 자리 잡지 못했다는 점에서 청년 비전형 노동의

한 사례로 보고, 학원 강사의 근로조건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문제를

진단하고 (1) 근로기준법 적용 강화, (2) 교육의 질과 학원 업계 문화에

대한 사회적 문제 제기, (3) 당사자 조직을 통한 개선이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대안을 제시한다.

키워드 #노동환경 #청년정책 #일

제목 청년의 사회적 일자리 형성을 위한 문화분야 커뮤니티 일자리 연구

주제 노동/정치

내용 사회적 위기를 해결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일자리 정책 및 사업이

활성화되고 있지만 “사회적” 일자리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과 새로운

(창의적) 접근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단기적인 사업 및

3

4

5

Page 57: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08 109

프로젝트에 기반한 공급형 일자리 창출, 정책 집행 및 성과 중심의

일자리 만들기 등에서 벗어나 실질적으로 사회적 가치와 역할을 창출할

수 있는 청년 문화 분야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서울시 문화 분야

청년 사회적 일자리 지원 사업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청년의 사회적

일자리 형성을 매개로 지역 내 커뮤니티 재생 및 문화적 관계의 복원을

모색할 수 있는 사회 전략을 연구하고 제시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사회적일자리 #일

제목 청년 협동조합 생태계지원 프레임워크 설계를 통한 서울시 지원체제

구축 방안 조사 연구

주제 노동/정치

내용 우리나라의 창업 환경은 상당히 열악하고, 특히 경제 수준에 비해

혁신형 창업 비율이 낮고 생계형 창업이 주를 이룬다. 일부 청년들이

‘대안적 선택’으로써 협동조합 창업을 고려하거나 뛰어들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청년 창업에 대한 공적 지원 체계는 ‘벤처 주식회사’ 창업에

맞춰져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청년 취업에서 협동조합이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다른 세대들에 비해 청년들에게 협동조합이 유리한

대목과 불리한 대목이 어디인지, 그리고 청년 협동조합 창업과정에 공적

조직은 어떤 지원체계를 가지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조사 연구를 통해,

협동조합이 청년을 위한 ‘하나의 사회진출 선택의 기회’가 될 수 있는지

연구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사회적경제 #일

제목 서울시 공간 리서치 & 플래닝

주제 공동체/지역

내용 서울시의 유휴공간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서울 중심부로 개발

및 재생사업이 편중되면서 주변부의 공동화과 소외 현상이 가속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정치적 목적과 자본의 이해관계 속에서 생산된

도시공간들이 시민들의 뜻이나 생활의 필요로부터 소외되고 있다는

문제의식 출발했다. 지금까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립된 활용

계획안은 산발적이면서도 단기적이라는 한계를 보여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재생의 차원에서 서울시 공간 자산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청년활동과 연계 가능한 창의적 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6

7

계획을 수립하고 제안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유관 유휴공간 4-5개를

대상으로 전문가와 청년 당사자가 직접 참여하여 공간 조사 및 활용

방안을 수립했다.

키워드 #지역공동체 #도시재생

제목 서울, 청년 인포그래픽스

주제 기타

내용 이 연구는 지속적인 청년의제 발굴을 위해 청년허브, 청년유니온,

슬로워크가 공동 기획한 청년 관련 통계 연구이다. 청년의 일/노동,

생활/삶 전반에 걸쳐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통계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청년의 현실을 청년 당사자 및 시민들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다음과 같은 주제를 인포그래픽으로 제공한다: (1) 청년,

어디에 사는가 (2) 청년, 어떻게 움직이는가 (3) 청년, 어떻게 살고 있나

(4) 청년, 어떻게 일하고 있는가 (5) 청년 아르바이트, 이대로 괜찮을까

(6) 청년, 구직의 어려움 (7) 아프니까 청년이다 (8) 빚쟁이 청년들.

키워드 #청년통계 #인포그래픽

제목 이행기 청년이 걸어갈 길: 유형과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주제 기타

내용 이 연구는 다양한 청년 ‘세대’들에 대한 담론들이 그들의 현실과 삶 그

자체를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기존의

청년세대 담론들을 분석하면서 그 담론들의 성과 및 한계를 정리해보고,

‘이행기 청년’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이행기 청년의 다양한 유형을

분류한 뒤 현재 이행기의 상태에 놓인 청년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이를 환경, 관계, 진로라는 세 가지의 관점으로 분석하고,

이들이 삶의 방향을 결정할 때 필요한 것들에 대해 논의한다.

키워드 #청년담론 #이행기 #세대론

제목 대졸(대안학교 졸업생)이 사는 이야기

주제 교육/학습

내용 대안교육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나, 대안학교를 졸업한 청년들이

사회와 만나 경험하고 느끼는 현실적인 고민에 대한 이야기는 아직

8

9

10

Page 58: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10 111

수면 아래에 있다. 본 연구는 대안학교 졸업생, 비대안학교 졸업생,

대안학교 예비 졸업생, 대안학교 학부모 등과 인터뷰 또는 대담을 통해

대안학교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키워드 #사회참여 #이행기

제목 한국 청년세대의 사회적 노동 경험: 2010년대 청년들의 자기 서사와

노동 서사를 중심으로

주제 노동/정치

내용 이 연구는 ‘청년’이라는 범주와 담론이 담고 있는 여러 겹의 함의를

검토하고, 이것이 ‘사회적 노동자/활동가’라는 범주와 만났을 때

발생시키는 긴장과 역동을 살펴본다. 또한 사회운동의 힘이 극도로

축소되었고 동시에 ‘노동’ 자체가 기본적인 불안을 담지하게 된 시대에

‘청년 활동가’로 산다는 것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심층 인터뷰이고, 인터뷰 참가자는 1년 이상, 협동조합,

시민사회단체 그리고 사회적 기업이라는 세 영역에서 사회적 노동을

지속해온 20-30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키워드 #사회적일자리 #사회적경제 #사회참여

제목 시민사회 직업활동가의 삶

주제 노동/정치

내용 한국의 시민사회운동이 본격화된 지 2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현재

시민사회운동은 전환기에 들어섰고, 이런 과정에서 시민사회운동 내/

외부의 문제를 해결해가고자 시민사회단체와 활동가들의 노동환경

문제가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직업 활동가들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했고, 서울권역에서 활동하는

271명의 직업 활동가들의 응답을 인포그래픽으로 정리했다.

키워드 #사회적일자리 #노동환경 #사회참여

제목 마을로 간 청년들

주제 공동체/지역

내용 청년실업이 심화되고 있는 시기에 스스로 마을과 관계를 맺으며, 마을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청년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는 다양한

11

12

13

분야에서 스스로 일을 만들어 나가는 청년들과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발굴하여 새로운 관계와 일을 만들어나가는 내용에 대한 기록이다.

1부에서는 마을에 들어가 고군분투 한 BLANK의 이야기가, 2부에서는

마을아카데미 대담집이 수록되어 있다.

키워드 #지역공동체 #사회적일자리 #인포그래픽

제목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주제 기타

내용 이 연구는 복잡하게 뒤얽힌 사회적 시간과 개인적 시간의 그물망 속에서

우리가 잃어버린 채 지내온 시간의 틈새를 발견하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페이스북 리서치와 타임라인 갈무리 등을 통해 동시대의

사람들이 살고 있는 시간의 단면과 흐름들을 감각하고 수집하였다.

키워드 #청년문화

제목 ‘고립’이 만든 ‘사회적 죽음’에 대한 고찰, ‘경한아저씨, 안녕’

주제 공동체/지역

내용 이 연구는 2013년 가을, 서울의 한 영구임대 아파트에서 고립사한

주민의 유품을 정리한 청년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복잡한 도시 서울

한복판에서 홀로 죽음을 맞이한 사람의 삶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유품을

통해 현대사회에 등장한 고립사/고독사에 대한 문제를 관찰한다.

고인의 유품을 정리하고 하루 동안 상주가 되어 장례를 치른 청년들을

카메라로 담은 영상기록이다.

키워드 #지역공동체 #세대론

제목 청년들, 청년세대담론을 해체하다

주제 기타

내용 이 연구는 사람들이 세대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생각할 때 갖게 되는 몇

가지 전제 혹은 가정들이 왜 세대주의적인지, 다시 말해 어떤 면에서

세대 문제가 아닌 것을 세대 문제로 위장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보고서는 다양한 수준의 세대 담론들 중에서도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는 청년세대 담론을 당사자인 청년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해체시키는 작업을 담고 있다.

14

15

16

Page 59: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12 113

키워드 #청년담론 #청년문화 #세대론

제목 청년 예술가-창업가들의 골목길 고군분투기

주제 공동체/지역

내용 이태원 회나무길과 우사단길은 최근 문화적 감수성을 지닌 작업자들과

소자본창업자들이 모여 터를 이루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새로운

활력이 살아나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여러 미디어와 소셜네트워크

상에서 언급되고 회자됨으로써 그 변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해당 지역에서 청년들이 어떤 방식으로 지역 만들기에

동참하는지 살펴본다.

키워드 #지역공동체 #도시재생 #사회참여

제목 표준 원룸 관리비 기준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관리비, 얼마

내세요?

주제 공동체/지역

내용 청년 가구는 다른 연령층의 가구와는 구별되는 특성이 나타난다.

청년 가구의 대부분은 학업 혹은 취직을 위해 부모로부터 독립한

가구이고, 상대적으로 다른 가구에 비해 주거안정성이 약하다. 따라서

청년 가구는 다른 가구에 비해 자가 비율이 매우 높고, 임차 비율이

매우 높다. 또한 주거비 부담이 큰 월세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문제는 월세 비율이 해가 갈수록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연구는 원룸 관리비를 둘러싼 (1) 과다 부과 (2) 불공정 부과의 현실을

짚어보면서 세입자의 권리를 회복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키워드 #주거 #사회혁신 #청년자립

제목 장애청년예술정책: 욕망과 표현을 위한 실천과 정책론

주제 복지/인권

내용 현재, 장애청년들은 교육 기회, 노동 기회 등에서 일정 부분 열린

사회를 경험하고 있지만, 동시에 역사적으로 유례없이 인간의

신체가 노골적으로 전시되고 상품화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이러한

장애청년들의 상황 속에서, 이 연구는 두 가지를 서술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인의 권리를 넘어 장애인의 욕망과 ‘표현’의 측면에서 예술이

갖는 의미를 드러낸다. 이를 위해 장애를 가지고 예술적 체험에 참여한

17

18

19

장애인들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둘째,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감각과 고유한 감수성, 그리고 그 장애의 신체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는 예술적 실천이 무엇인지를 탐색한다.

키워드 #장애 #청년복지 #청년정책

제목 업사이클링은 삶이다

주제 생태/환경

내용 업사이클링(Upcycling)의 사전적 의미는 Up 과 Recycle 이란 단어가

합쳐진 합성어로, 버려지는 자원이나 쓸모없는 제품을 더 좋은 품질의

제품 또는 더 높은 가치가 있는 제품으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이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업사이클링을 실천하고 있는 20개의 관련 기관 및

단체를 인터뷰한다. 이를 통해 업사이클링이 단순ㅎ한 재활용의 의미를

벗어나 재료를 얻는 방법에서부터, 기획, 생산, 소비, 폐기, 환원의 순환

주기를 고려하는 의미로 확장되고, 환경 문제뿐 아니라 우리 사회와

삶에 대한 고민을 내포하고 있는 단어라는 점을 탐구한다.

키워드 #업사이클링 #사회혁신 #사회적경제

제목 서울 청년일자리 정책 새 방향과 과제 연구

주제 노동/정치

내용 전 세계적으로 청년고용문제는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주요 선진국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정책 방안들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청년고용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정부 차원,

지방정부 차원에서 여러 가지 청년 일자리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이어지고 있는 청년 인구감소 속도보다 더 빠른 청년취업자 수,

청년 일자리 감소세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 청년

일자리 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논의하고, 서울 청년 일자리 정책의 새

방향을 제안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노동환경

제목 청년 사회혁신가의 자기주도적 성장과 역량 강화를 위한 심층조사 및

교육과정 사례 연구

20

21

22

Page 60: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14 115

주제 교육/학습

내용 이 연구는 한국 사회 혁신의 차세대 주체인 청년 사회혁신가들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과 조건을 진단하고, 분석된 현황을 기반으로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사회혁신가의 성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동향과 좋은 교육 모델의 사례를 조사/분석한다. ‘사회혁신

(Social Innovation)’이란 기존 방식으로 해결하기 어렵거나 새롭게

발생하는 사회문제들을 ‘새로운 방법(New Ideas)’으로 체결하고,

사회의 전반적인 시스템을 변화시킴으로서 공공선을 실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동안 사회문제는 정부와 비정부조직(NGO), 사회적

경제 조직들이 각각의 고유 활동에 기반하여 해결책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최근 각 섹터의 조직적/구조적 한계가

확인되면서,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 사회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정체의 시기에 놓였다. 사회혁신은 이러한 한계 속에서

사회문제 해법의 진화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등장했다.

키워드 #사회혁신 #사회참여 #청년정책

제목 유휴공간을 활용한 ‘장소만들기’ 국내외 사례 리서치

주제 공동체/지역

내용 점점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도시공간에서 더 이상 활용되지 않거나, 공간으로서의 기능이 사라진

유휴공간을 재발견함으로써 도시의 활력을 증진시키는 일은 대도시들의

중요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따라 유휴공간의 재생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면서 유휴공간을 재정의하고 유형화시키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장소만들기(placemaking)’란 그 장소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할 때 시행하는 방법으로, 그 대상에 내재된

긍정적인 장소성을 유지·보전·강화하거나 또는 새로이 긍정적인

장소성을 삽입·창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유휴공간을 활용, 장소만들기를 시행한 국내외 사례를 보여준다.

키워드 #지역공동체 #도시재생

제목 청년의 노동경험에 근거한 한국형 블랙기업 지표개발 연구

주제 노동/정치

내용 ‘블랙 기업’이라는 표현은 일본의 청년들이 자신의 부당한 노동현실을

표현하기 위해 인터넷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다. 본 연구는 한국의

23

24

노동시장이 가진 구조적/제도적 문제와 기업집단에 의해 청년들이

겪고 있는 부정적 노동 경험을 ‘블랙 기업’이라는 용어를 통해 최초로

문제 제기함으로써 청년들의 입장에서 일련의 기업들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 그러한 사회적 논의와 운동을 확장시켜 개별 블랙

기업에 대한 고발을 시작으로 그것을 뒷받침하고 있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법/제도적 대책이 마련되도록 촉진하는

것을 장기적인 목적으로 삼고 있다.

키워드 #노동환경 #청년정책 #사회혁신

제목 청년 삶터의 질적 인식을 위한 ‘살기좋은 동네’ 사례 및 지표개발

주제 공동체/지역

내용 살기 좋은 지역(Best to Live)이 언론매체나 학계를 통해 이슈화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삶의 질, 지속 가능한 주거 환경에 대한 욕구가

확산하면서 어디가 살기 좋은 지역인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청년에게는 사회적 관계망을 위한 일터(취업) 만큼

일상적 관계망을 위한 삶터(주거) 또한 중요한 문제이며 이 두 가지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개인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의 질적 평가에 관한 연구는 개념의 모호성과 불일치성, 자료수집의

어려움 때문에 학자들 간 연구가 일치되지 않은 채 다양한 개념과

방법론으로 전개되어왔다. 이에 이 연구는 ‘살기 좋은 동네’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및 지료, 사례를 살펴보고, 평가 지표의 개선 방향을

제안한다.

키워드 #지역공동체 #도시재생

제목 청년도 늙는다

주제 기타

내용 일반적으로 다루어지는 ‘청년’의 범위는 20대와 30대 중반 사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 사회생활을 시작한 이들과 대학생, 그리고

사회 초년생 정도로 간주되고 있다. 그리고 ‘청년문제’는 아르바이트

처우 문제, 대학 등록금 문제, 취업, 주거 및 결혼 문제가 대표적으로

제시된다. 그런데 이러한 범위들은 모두 사회적인 배경에서 설정된

범위들이다. 20대와 30대 중반, 다시 말해 인간이라면 누구나 거쳐

가는 보편적 의미에서의 청년에 대한 해석과 이해의 관점이 현재

25

26

Page 61: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16 117

청년정책에서 보이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인간은 누구나 청년의 시기를 겪으며, 청년은 언젠가 늙는다’는 전제

아래, 시대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청년의 보편적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주제와 방향에

부합하는 문헌의 내용들을 개별 단락 또는 복수의 문단 단위로 발췌 및

조합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키워드 #청년담론 #세대론

제목 젊은 시각 예술가들의 현재는 지속 가능한가: 생산자와 소비자, 그리고

제도적 측면에서

주제 문화/예술

내용 이 연구는 젊은 시각 예술가의 현재를 진단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문제의식이 동시대를 살아가는 젊은 시각

예술가에게도 의미 있는 것인지, 또 그들은 어떻게 예술가로서

살아가는지에 대한 조사이며 또 이러한 문제에 제도와 소비자는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그 안에 실체들을 하나하나

마주하여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세 가지 관점으로

진행한다: (1) 젊은 시각 예술가들의 현재와 생각 (2) 그에 대응하는

제도와 변화 (3) 이를 받아들이는 대중의 시각.

키워드 #대안공간 #청년자립 #노동환경

제목 목동 행복주택 사례를 통해 본 청년 주거문제와 시민성

주제 공동체/지역

내용 목동 행복주택 건설 사업은 지역 주민의 반대로 공공임대주택 건설

계획이 무산된 대표적인 사례다. 이 과정에서 양천구청과 지역구

국회의원 및 여야당 지역위원회는 적극적으로 행복주택 건설에

반대했다. 이 연구는 ‘시민성(citizenship)’과 ‘주거권’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목동 행복주택 사례의 갈등 조정 과정을 분석한다.

이는 목동 행복주택 사례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주거권의 보장

정도에 따라 시민의 권리 또한 불평등하게 보장되고 있음을 밝혀,

주거 취약계층 등 소외계층을 위한 복지정책을 요구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민주적인 정부가 지역주민의 의견을

존중하면서도 공익적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적 방안을

27

28

제안한다.

키워드 #주거 #지역공동체 청년정책

제목 학교 밖으로 나와 청년이 되다

주제 교육/학습

내용 국가적 차원에서 청소년들의 학업성취는 양질의 노동력 확보를 위해

중요한 사회적 과제이며, 청소년기는 청소년 개인이 학교교육을 통해

상급학교로 진학할 준비를 하거나 직업을 가질 준비를 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그런데 서울에서만 매년 만 삼천 명 이상이 학교

밖으로 나오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들을 전부 수용할 수 있는

대안학교나 공간은 부족하다. 대다수의 학교 밖 청소년은 검정고시를

통해 졸업학력을 취득하고 검정고시 성적을 비교내신으로 대학에

가기도 한다. 학교 밖 청소년이 청년이 되기까지의 과정이 순탄치

않은 것처럼 학교 밖 청소년이 청년이 되었을 때의 삶은 무엇이

달라져있을까? 이 연구는 (1) 학교를 다니지 않는 이유만으로 이들에게

‘위기’라는 낙인을 찍을 수 있는지 (2) 사회는 왜 이들을 ‘문제’라고

보고 있는지 조사한 후 (3) 그들이 범죄와 같은 위기에 빠지지 않도록

사회에서 보호해 주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들이 사회에서 당당하게

서려면 어떤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본 후 해결책을 제시한다.

키워드 #이행기 #청년정책 #사회혁신

제목 대한민국을 텅텅 비우고 난 뒤: 싱가포르로 해외취업을 떠난 청년들의

노동과 삶

주제 노동/정치

내용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5년 3월 중동 국가 순방 이후 청와대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대한민국에 청년이 텅텅 빌 정도로 한 번 해보라.

다 어디 갔냐고, 다 중동 갔다고...”라고 언급하면서 청년 실업 문제에

있어 정부의 역할을 국내의 노동 시장의 안정성 구축과 확대보다는

해외 취업을 알선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는 발언을 한 바 있다.

이에 발맞추어 고용노동부는 청년 해외취업 지원 사업인 ‘K 무브’

정책을 국정 과제로 삼아 자원을 쏟아붓고 있으며, 대한무역진흥공사인

KOTRA 또한 해외 취업 알선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관료주의적 성과주의가 강조되고 있는 상태에서 해외 취업은

29

30

Page 62: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18 119

단순히 그 숫자로만 기록되어 성과의 지표로만 사용될 뿐 정작 이렇게

해외로 취업을 떠난 청년들이 해외에서 어떤 노동을 경험하고 있고,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해외 취업을 떠난 청년들이 청년 담론에서 배제되거나

단편적으로 ‘성공적인 사례’로 소개되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싱가포르로 해외 취업을 한 청년들이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현지에서의 노동과 삶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정부에서 추진 중인 해외

취업을 통한 청년 실업 해결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이와 동시에 한국

사회의 청년 세대에 대한 담론을 논의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노동환경 #일

제목 청년, 해외, 노동: 워킹홀리데이 관련 재현물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주제 노동/정치

내용 다양한 방식으로 해외를 ‘경험’하는 청년들이 부쩍 늘어났으며, 그에

따라 그들의 삶을 해외에서 꾸려나가고자 하는 청년 혹은 해외에서

꾸릴 수밖에 없는 청년들 또한 생겨나고 있다. 이 양상은 국내 청년

실업 문제를 해외 취업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정부의 움직임, 유학 및

이주 등 해외로의 이동(mobility)에 대한 산업의 확장과 함께 더욱

확장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워킹홀리데이 제도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추적하며 국가 간 협약으로서 이 제도가 어떻게 형성,

활성화되었는지 그 양상을 밝히고, 둘째, 실제로 워킹홀리데이를

떠난 한국 청년들이 현지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그들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제도의 형성과 그 실제 이용 양상의 간극을 밝히는 데에

있다.

키워드 #청년정책 #노동환경 #일

제목 첨단·지식산업 노동자들을 위한 노동표준 마련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울디지털산업단지 노동자조사연구

주제 노동/정치

내용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노동조건은 매우 열악하다. 한국 경제의

심화되는 불안정 노동 문제, 첨단, 지식산업의 산업적 특성에 비롯되는

노동 문제, 서울디지털산업단지 산업 재편의 실패 문제가 삼중으로

중첩되었기 때문이다. 노동자의 미래에서 발표한 2015년 실태 조사

31

32

결과에 따르면, 서울디지털산업단지 노동자들의 근속연수는 평균

2.6년에 불과한데 이는 전체 고용인구 평균인 5.6년에 훨씬 못 미치는

수치이다. 특히 근속연수 1년 미만인 노동자의 비율이 무려 41.9%

에 달한다. 이 연구는 면접과 시간일지를 통해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첨단, 지식산업 노동자들의 구체적인 노동 행위와 행위 양상을 분석하고

이슈를 도출하며 대안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는 통계적

연구에 의해서는 추출 불가한 문제에 대해 새로운 쟁점을 제기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개별 표본에 대해서 이로부터 도출 가능한 모든

문제들에 관해 목록을 작성하는 방식으로 탐색적 연구를 진행했다.

키워드 #노동환경 #일 #사회혁신

제목 청년 독립생활자 식생활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밥, 잘 먹고 있나요?

주제 기타

내용 식생활이란 인간의 생활 중에서 생명의 유지 및 생체의 활동에 필요한

영양분을 섭취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음식을 먹는 일이다. 이 연구는

청년 독립생활자의 식생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만 19세~39세 청년의

식사시간(식재료를 사고, 먹고, 치우는 시간) 및 외식 횟수 등의 식생활

실태를 조사하여 향후 관련 내용에 필요한 평가·연구·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1차

기초 조사로 만 19세~39세, 1인 독립생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차 기초 조사는 청년활동가 그룹 및 밥상모임을 통해

청년들에게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심층 조사는 물가조사

및 한끼 식사로 적당한 가격 설문조사와 함께 전문가 인터뷰 등을

진행하고, 국민표준식생활지침, 한국인 영향섭취기준을 참고하여

집밥의 정의, 건강한 밥상의 기준을 마련하고 한끼 식사에 대한

적당가격을 제안하였다.

키워드 #청년자립 #청년통계

제목 청년창업가의 ‘곁’은 누구인가

주제 노동/정치

내용 OECD의 ‘2015 Better Life Index’에 따르면 한국은 11개 세부 평가

부문 가운데 ‘사회적 연계’ 즉, 어려움에 부딪혔을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친척, 친구 또는 이웃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에서

33

34

Page 63: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20 121

36개 조사 대상국 중 꼴찌를 기록했다. 누구와 함께 중요한 문제를

상의하는지 살펴보는 것은 곧 그 사람이 어떤 사람들의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는 작업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이 연구는 그중에서도

개인의 의지가 상당히 필요하다고 간주되는 ‘창업활동’을 하는 개인에

대해 연구한다. 중요한 문제를 상의하는 집단을 ‘중심 논의 네트워크

Core discussion network’라고 칭할 때, 이 네트워크의 크기, 강도 및

네트워크 구성원의 인구통계학 및 사회학적 속성 등을 살펴보는 것은

향후 사회 구성원들이 갖는 사회적 자본이 창업 및 경영 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관련 정책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 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사회적일자리 #청년자립

제목 청년 성소수자 인식실태조사 및 청년 성소수자 활동가 당사자의

욕구조사

주제 복지/인권

내용 2013년 국제여론조사 기관 PEW 리서치 센터에서 ‘사회가 동성애를

수용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59%가 ‘수용해서는 안

된다’고 답했다. 미국 갤럽에선 2014년 123개국에 동성애자가 살기

좋은 나라인지를 질문했는데, 한국은 18%만이 좋다고 응답했고, 전

세계 순위 69위를 기록하면서 방글라데시, 앙골라와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 성소수자의 존재를 부인하는 사회에서 청년 성소수자로서

살아간다는 것은, 청년으로서 자신이 꿈꾸는 미래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과 성소수자로서 자신의 존재 자체를 인정받기 위한 투쟁을 동시에

해나가야 함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정책 수립 과정에서 성소수자 인권은

‘인권의 한 영역’으로만 취급될 수밖에 없었다. 그렇기에 젠더 이원화

문제, 정체성의 문제 등 성소수자와 관련된 전반 이해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않아, 성소수자 대상 정책적 접근은 단순

‘보호’ 혹은 ‘보장’의 측면만 강조하게 된 측면이 있다. 그렇다면 청년

성소수자는 어떠한가? 어떠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사회는

이들을(혹은 우리를) 어떻게 바라보는가?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우선 비당사자를 중심으로 한 양적 연구를 통해 비당사자의

성소수자 인식, 이해도를 살펴본 후, 정책적 개입 지점을 알아보기 위한

기반 작업으로 레즈비언, 트랜스젠더, 헤테로섹슈얼리티, 후죠 정체성의

당사자의 삶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청년과 성소수자의 교차지점을

35

드러내고, 청년 성소수자에 대한 정책적 접근을 제안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청년복지 #청년통계

제목 혐오의 대상에서 혐오의 주체로: 디지털 여성청년주체(Digital Female

Youths Subject)의 탄생

주제 복지/인권

내용 한국 사회에서 20~30대의 여성들은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이중 억압과

결합되어 있다. 그들에게는 남성의 (잠재적) 결혼 상대자로서의 정숙한

여성-가부장 질서 하에 보호를 받아야 할 존재로서의 여성-과 성적

대상으로서 접근 가능한 여성-언제든 성적 욕구를 위하여 소비될 수

있는 대상으로서의 여성-이라는 사회적 수사가 동시에 존재한다.

가부장적 질서 내의 젠더 규범은 자신의 아내, 딸, 어머니로 위치

지어지는 여성의 성적 정숙함을 강요함과 동시에 보편적인 젊은 여성에

대해 끊임없이 성적 대상화를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구조 하에서 여성 혐오를 반박하고 페미니즘 정서를 공유하는 이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메르스 갤러리에서부터 시작된 여성 혐오를 반박

(혹은 혐오) 하는 형식은 이전까지 일간 베스트(일베)나 네이트 판과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게재되었던 유명한 여성 혐오 글들을 젠더

패러디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언어들, 즉 여성 혐오의 짝인

‘여성 혐오를 혐오’하는 언어들은 여성들이 현실에서 마주하는 문제들과

직결되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 혐오와 이를 또다시 혐오하는

사회적 현상을 미디어 경험을 매개로 살펴보는 것이다. 메갈리아라는

미디어 공간, 그리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미디어 수행과 생산물(이는

비/물질적인 성질을 모두 갖는다)을 관찰하여 디지털-페미니스트

운동의 성격을 갖는 메갈리아라는 집단의 특정한 사회적 정체성을

서술한다.

키워드 #페미니즘 #사회혁신 #청년문화

제목 ‘청년 담론’ 분석에 기초한 청년 활동 전망 연구

주제 노동/정치

내용 우리는 사물의 범주를 나누어 이름을 붙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잘 알고 있다. 더구나 그 대상이 사회 집단이라면 더 말할 필요도 없다.

한 사회가 자신의 구성 부분을 나누고 규정하는 방식에 그 사회의 모든

37

36

Page 64: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22 123

것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지금 한국 사회가 집단을 나누고 이해하는

방식을 알고 싶다면 청년을 분석하면 된다. 세대 범주는 이천 년대

중반 사회적 상황에서 비롯된 매우 특수한 개념적 생산물이다. 청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과정을 우회해야 한다. 그것의 의미는

단일하지 않으며, 다층적으로 구조화된 의미들이 경제적, 법적, 정치적,

문화적 수준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재배열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1장에서 ‘청년’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경제적/법적 의미로서의

접근을 시도하고, 정치문화적 기원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청년 활동가

집단의 내부 목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것을 사회적으로 합의하기

위한 이상적 논의 모델로써 ‘시민의 평등한 권리’를 제시한다. 3장은

청년정책 수립의 원칙을 재구성하기 위해 ‘청년의 의미를 재정의하고

시민권을 사회 갈등 관리의 토대로 삼는다면, 청년정책은 어떻게

기획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

키워드 #청년담론 #청년정책 #세대론

제목 청년 문제의 ‘역량접근법’적 해석과 제언

주제 노동/정치

내용 이 연구는 청년들이 졸업 후 안정적인 취업에 이르는 기간 동안에

제공되는 서울시와 공적기관들의 정책방안들을 재검토해보고,

<청년들의 실질적 사회경험 쌓기>의 차원에서 그 효과성을 평가한다.

나아가 이 기간 동안 기존 정책들이 임시 일자리 제공을 통한

부분적인 ‘소득지원’ 수준에 그치거나, 매우 불만족스러운 ‘일 경험’

쌓기로 제한되어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청년들의 사회활동 역량’을

만들어간다는 차원에서 정책이 재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살펴본다. 특히 본 연구는 이미 직관적 판단에 의해 이론을 앞서가면서

제출된 성남시와 서울시의 청년정책을 온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확립할 목적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학을 오랫동안 추구해왔던 원로 석학 아마티아 센의 이론을 빌려

연구를 진행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사회적일자리 #노동환경

제목 청년층 부채악성화 경로 추적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주제 복지/인권

38

39

내용 한국은 소득격차, 자산 격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한

경제적 불평등은 단군 이래 최대의 ‘격차사회’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동시에, 아이러니하게도 청년들은 단군 이래 최고의 스펙을

자랑하고 있다. 이 연구는 수많은 청년문제 중에서 청년층의 금융생활,

특히 부채 문제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현재 청년들은 고용불안, 소득

불안, 주거불안 등 생산과 소비를 할 수 없는 경제적 조건과 부실한

사회안전망의 간극을 ‘대출’이라는 응급처치로 메우고 있다. 청년

부채 문제는 다양한 관점과 접근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연구는 상당히 좁은 시야로 문제를 진단하고 처방을 내리고 있다. 또한

무엇보다 이를 지속적으로 연구하는 집단이 없다 보니 더욱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청년층의 흩어져 있는 부채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부채가 악성화되는 원인을 사례를 통해 찾고,

이를 위한 해결방안을 다양하게 모색한다.

키워드 #청년통계 #청년정책 #청년복지

제목 청년의 문화·사회 커뮤니티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공간 형성 방안

연구: 성북 지역을 중심으로

주제 공동체/지역

내용 청년의 문화·사회 커뮤니티 일자리는 현재의 한국 사회를 관통하는

다양한 의제와 현안들과 연계하여 새로운 대안들을 제시하고 사회

혁신의 디딤돌이 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지속 가능한 일자리 모델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구체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청년의

문화·사회 커뮤니티 일자리는 지역 활동이 밀접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만큼 지역 내의 청년 일자리를 실험할 수 있는 공간의 유무가 중요하다.

성북구는 관내에 8개 대학교가 있으며 약 8만 6천 명의 대학생 수를

보유하여 서대문구와 더불어 서울시 최고 밀도를 형성하고 있다. 이

연구는 청년의 문화·사회 커뮤니티 일자리 활성화 관점에서 서울시

성북구 내 청년 공간의 현황 및 실태를 조사하고, 청년 당사자들의 공간

관련 설문조사 및 인터뷰 결과, 성북 지역의 현장 사례 조사 분석 결과

등을 바탕으로 청년의 문화·사회 커뮤니티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공간

지원 정책 방안을 제시한다.

키워드 #지역공동체 #사회적일자리 #청년정책

40

Page 65: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24 125

제목 청년 일자리, 진실과 거짓: 10가지 질문

주제 노동/정치

내용 청년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으로 논의되는 과정은 다양한 세부

의제와 쟁점들을 파생한다. 청년 일자리 문제의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진단부터 해법에 이르기까지 논쟁적이지 않은 영역은 없다.

청년이라는 세대 집단에 가해지는 오해와 편견에 갇혀 소모적인 논란에

빠져버린 쟁점들도 존재한다. 앞으로 각각의 논의 지점들이 풍부하게

이야기될수록, ‘우리의 관심사’인 대안, 즉 정책적·실천적 과제 또한

다방면에서 제기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정치적으로 소비되고 있는 청년

일자리 문제에 대해 이제 청년 자신에 의한 이야기를 시작함으로써

사회적 논의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가 청년 일자리를 둘러싼 다양한 쟁점 하나하나에 단계적인 합의에

이르기를 기대하며, 청년 일자리 문제의 세부 의제들을 기초적인

수준으로 정리하여 사회 그리고 대중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는

‘왜 청년 일자리 문제인가?’에서 시작하여 청년 일자리 문제를 대표할

수 있는 10가지의 상징적인 질문을 선정하고, 그에 ‘정답’을 만들어

제시하기보다는 질문마다 담겨있는 사회적 의미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노동환경 #일

제목 ‘청년세대’ 담론 속에서 없어진 ‘청년퀴어’의 삶 드러내기

주제 복지/인권

내용 오늘날 한국 사회는 ‘청년’이라는 단어가 범람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청년’을 위한 각종 정책을 만들고, 지자체 규모의 지원 사업이 서울,

성남 등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호명하는 ‘청년’은

이성애/남성 중심의 생애 주기를 상정하고 있다. 이것은 한국 사회에서

청년문제의 심각성을 결혼율의 감소, 저출생의 문제, 노령 인구의 증가

등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과 관련성을 가진다.

이 연구는 이성애/남성 중심의 ‘청년세대’ 담론의 논의를 살펴보고,

LGB 청년의 삶의 양식과 의미, 그리고 불안을 조명하여 기존의

‘청년세대’ 담론의 한계를 드러내고, LGB 청년들에게 필요한 제도와

정책적 대안을 탐구한다. 특히, ‘청년세대’ 담론 속에서 주요하게

차지하고 있는 결혼/가족에 대한 이슈는 이 연구의 주요 주제이다.

42

이를 위해서, 기존의 청년세대 담론 속에 등장하는 젠더, 섹슈얼리티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를 경제적 자립, 사랑의 실천, 가족, 결혼과의

관계에서 살펴본다.

키워드 #청년문화 #사회혁신

제목 대형 복합상업시설과의 결합을 통한 청년 문화공간의 지속성, 다양성

확보

주제 문화/예술

내용 청년문화의 주체들은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지속적으로

점유하기 어려워지고 그곳에서 발산되는 문화를 수용하는 청년들,

더 나아가 청년문화를 선호하는 계층들은 문화적 선택의 다양성을

박탈당하고 있다. 그러나 여타 문화가 그러하듯이 청년문화도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생태계 교란 요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름의

자정작용을 통해서 자신의 모습을 변모시키는 모습이 드러난다.

음악·영화·출판 등 여러 대중문화들을 클라이언트(의뢰인)로 삼아

작업을 진행하기도 하고 자신들이 주체적으로 프로그램이나 행사를

기획하여 상업 전선에 뛰어드는 대담함을 보여주는 시도들도 등장하고

있다. 이 연구는 청년문화 프로그램을 대형 복합상업시설 내에 도입해

공존을 유도하는 새로운 건축적 대안을 제시하여 청년문화의 사회적

안전망을 확보하는 동시에, 청년들이 다양한 문화를 발산하고 영위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를 위해 위에 언급한

목표에 부합하는 도시계획을 가지고 있는 대지를 임의로 선정하여

설계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도면을 작성하는 설계 작업에 앞서,

서울 내 청년문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공간을 점유하는지를

분석하였다.

키워드 #청년문화 #도시재생 #대안공간

제목 학자금 대출로 발생하는 삶의 불안을 감축시키기 위한 정책대안 모색:

상환과 삶의 안정성, 그 균형을 위하여

주제 노동/정치

내용 한국 사회에서 학자금 대출은 청년들의 삶의 불안을 증폭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자리 잡았다. 이미 많은 기존 연구와 언론 보도를 통해

밝혀졌듯이, ‘고등교육 기회의 평등’을 보장해주기 위해 시행된 학자금

44

43

41

Page 66: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26 127

대출은 겉으로는 그 목적을 달성한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학자금

대출을 받은 수많은 청년들을 빚의 노예로 만들어 학업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하며, 자신의 학자금 대출을 상환할 수 없는 여러

상황 속에서 ‘불안’을 갖고 살아가게 만들었다. 이 연구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학자금 대출을 갖고 살아가고 있는 청년 채무자들의 ‘삶의

불안’을 감축시키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궁극적으로는 채권자(금융)나 정부(국가)가 아닌, 청년 채무자의

입장에서 ‘상환’과 ‘삶의 안정성’의 균형을 확보하는 방법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키워드 #청년정책 #사회혁신 #청년통계

제목 신문 아카이브를 통해 본 청년주거사: 1970년대부터 2016년까지

주택정책의 흐름을 중심으로

주제 노동/정치

내용 2000년대 이후 1인 가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1인 가구에 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한국의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의 비중은 약 24%에 달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 3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약 10배 넘게 증가한 수치이다. 과거 한국 사회의 가구

구성원의 구조가 3인 이상의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이행했다면,

오늘날의 한국 사회는 핵가족에서 1~2인의 소형 가구로 이행 중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청년 1인 가구와 관련한 연구는 최근 들어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년 1인 가구의 존재는

오늘날에 와서야 두드러지게 등장한 새로운 인구로 조명되는 경향을

보인다. 과거 청년 1인 가구의 존재는 지워져 있으며 과거에서

오늘날까지 청년 1인 가구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그 계보를

살펴보기가 쉽지 않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서 출발, 과거부터

오늘날까지 청년 1인 가구의 존재를 추적하고 도시 청년 1인 가구의

계보를 연결한다. 특히, 청년 1인 가구의 주거 문화에 초점을 맞추어

청년 1인 가구의 주거 문화사의 계보를 정리하는 것을 주요한 목표로

한다. 또한, 정부의 주택 정책이 청년 1인 가구의 주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기 위해 과거 정부의 주요한 주택 정책의 흐름을

정리하고, 그에 따른 청년 1인 가구의 주거 문화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키워드 #청년정책 #주거 #청년통계

45

46 제목 청년창작자들이 만드는 도시형 장터의 양적, 질적 현황조사

주제 문화/예술

내용 시장은 교환, 거래가 이루어지는 유통기구로서의 경제적인 역할 외에도

지역의 특성이 반영되며, 주민 간의 네트워크가 이루어지는 교류의

장이기도 하다. 최근 도시가 성장하면서 새롭게 등장한 문화적인 소비

형태가 도시형 장터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콘텐츠와 성격만큼

부르는 이름도 플리마켓(flea market), 프리마켓(free market),

거리 마켓(street market), 커뮤니티 마켓(community market),

파머스마켓(farmer’s market), 공공 마켓(public market) 등 여러

가지이다. 이 연구는 최근 도시에서 주로 나타나는 의도적인 기획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지는 일종의 문화기획 시장을 도시형 장터로

지정하고 이 시장의 분포도와 현황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도시형

장터가 청년 창작자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청년 창작자들이 지향해야 할 도시형 장터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키워드 #지역공동체 #청년통계

제목 예술인 지원의 사각지대 극복을 위한 대안적 창작공간 공급모델 연구

주제 문화/예술

내용 <2015 예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의 1/3 비율이 넘는 36.1%의

예술인이 연간 예술 활동으로 벌어들이는 수입이 ‘없음’이라 응답했다.

그런데 이는 예술인 전체를 아우르는 평균치로, 수입 분위에 따른 차이,

그리고 예술 분야 간 차이를 고려한다면 상황은 더욱 좋지 않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예술인의 소득을 일렬로 나열하였을 때 중앙에

위치하는 중간값 기준으로는 미술가의 연간 수입이 0원, 사진가

0원으로 소득이 전혀 없는 상황이며, 문학인은 수입이 10만 원에

그쳤다. 따라서 많은 예술인들은 수입을 위해 필수적으로 비 예술

활동의 겸업을 해야 하는 상황이며, 조사 결과 전체 예술인의 50%

가 실제로 겸업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예술인이 작업의 자율성과 무관한 기획에 참여해야 하거나, 경력이

많은 예술인에게 우선적으로 공간이 지원되는 현 지원 방식의 대안이

47

Page 67: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28 129

될 수 있는 예술 활동 공간 지원 모델을 구상하면서, 서울시와의 논의를

바탕으로 신진 예술인들을 지원하는 대안공간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키워드 #청년정책 #대안공간 #사회적일자리

제목 조건없는 공적 재정지원을 받은 청년들의 삶 경험 탐구: 삼선재단 지역

청년활동가 인턴십과 성남시 청년배당 참여자를 중심으로

주제 노동/정치

내용 기본소득은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지급되는 현금 소득’을

의미한다. 기본소득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인

양극화와 분배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 구성원들에게 사회적 안전망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더 나아가 기본소득의 보장으로

줄어든 노동시간을, 보다 창조적인 활동과 사회 참여를 통해 채워가면서

사회 발전을 도모하고 개인의 시민성을 발현할 수 있는 기회를 확장시켜

줄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한국의 경우, 기본소득에 대한 관심은

서울시와 성남시에서 추진하는 청년 대상의 기본소득 정책인에서

촉발되었다. 이 연구는 조건 없는 공적 재정 지원을 받은 청년들의

경험을 각자가 처한 개인적, 사회적 상황에서 최대한 입체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 이해를 통해서 청년의 더 나은 삶을 만드는데

사회의 공적 재원이 어떤 효용을 가지는지 살펴보고, 더 나아가 이러한

효과들이 개인적 차원에서 머무르지 않고 실제 사회 통합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 어떤 조건들이 필요한지 검토한다.

키워드 #청년복지 #청년정책 #사회혁신

제목 청년 주거지로서 1세대 아파트의 가능성 탐색

주제 공동체/지역

내용 2010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의 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만 19~34세

청년 1인 가구(340,817가구) 중 36.3%(123,591가구)는 주택법에

규정되어 있는 최저 주거기준에 미달하거나 주택 이외의 거처(지하,

옥탑, 비닐하우스, 고시원 등)에 거주한다. 동일 수치가 2000년에는

31.2%, 2005년에는 34.0%였다는 점을 고려할 때, 청년 주거

빈곤의 상황은 시간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불안한 일자리와 낮은 소득으로 인해 서울 청년들의 지불 능력이

49

떨어진다는 점에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으나, 동시에 지불 가능한

수준의 주거지가 마련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라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청년 주거지로서 가능성을 탐색할 ‘1세대 아파트’

의 개념을 정의하고, 청년 주거지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1세대 아파트를 시민아파트, 시범아파트, 맨션아파트, 상가아파트로

구분하여 유래를 밝히고, 청년 주거 전문가들의 심층 면접을 통해 1세대

아파트를 활용한 청년 주거지 모델에 대한 정성평가를 실시했다.

키워드 #주거 #지역공동체 #청년자립

제목 2016년 남성 중심적 대학문화와 변주하는 여성성: 성균관대학교와

서강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주제 복지/인권

내용 이 연구는 대학 사회의 변화하는 주체들을 ‘비체’ 개념을 통해

가시화하고자 한다. 비체란 ‘어떤 규정된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존재를 특정하게 규정하지 않고, ‘무엇이 아니다’라고

말하는 방식이다. 대학 학부생인 본 연구자들이 관찰하건대 2016년을

살아가는 여대생들은 더 이상 단순히 남성에 의해 대상화되고

타자화되는 ‘착한 타자’ 역을 맡지 않는다. 요컨대 여성들은 스스로

‘여성스럽지 않다’ 규정하며 넷 페미니즘 혁명 이후 소위 말하는

‘미러링’을 체현하며 자신을 향한 혐오에 대항하기 시작했다. 또한

신자유주의적 성취 논리 하에서 새로이 등장한 여성 리더들은 여성성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전유하며 후배 여성들을 길러내기 시작했다. 기존

공고화된 주체로서의 남성을 당황시키는 이들은 누구인가? 새로운

주체인가? 혹은 여전히 가부장제적 질서 하의 타자인가? 선뜻

‘무엇이다’라고 말할 수 없는, 오히려 경계의 열림에 위치하는 이들은

바로 ‘비체(abject)’이다. 이 연구는 비체 개념을 사용하여 대학 내

남성 중심 문화와 그 속에서 변이하고 서로 다른 행위자성을 수행하는

비체들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이미 관찰되고 있는 균열을 어떻게

확장시킬 수 있을지, 어떻게 언어화하고 공론화할 수 있을지, 대학 내

공고한 젠더 체계에 어떻게

‘흔적’을 남길 수 있을지를 탐구한다.

키워드 #청년문화 #페미니즘 #사회혁신

제목 나는 여성인가, 장애인인가, 청년인가: 여성장애청년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51

50

48

Page 68: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30 131

주제 복지/인권

내용 이 연구는 그동안 기존의 연구에서 탐색되지 않았던 여성장애청년의

정체성에 대해 관찰함으로써 이후 관련 연구 및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례 분석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다섯 명의 연구 참여자를 통해 그들의 정체성

경험에 관한 질적 탐색을 시도한다. 자료 분석은 사례 내 비교와 사례

간 비교를 토대로 주제를 추출하고 분류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로는

성인 진입기 독립, 직업, 사랑, 세계관에 대한 인식과 여성장애인으로서

몸의 이미지에서 비롯되는 장애 정체성 및 여성성 논의가 이루어진다.

키워드 #장애 #사회혁신 #청년복지

제목 결혼하지 않는 가족: 2,30대 비혼 청년문화를 중심으로

주제 공동체/지역

내용 2014년 서울시 통계 자료에 따르면, 결혼이 선택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전체의 41%를 차지했으며,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단 지 13.5%에 불과했다. 비혼의 정의에 대한 의견은

다양하지만, 기본적으로 결혼을 ‘못한’ 상태로 규정하는 ‘미혼’이라는

단어 대신 쓰이는 ‘비혼’은 자신의 선택에 의해 결혼을 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이제 비혼은 소수만의 이색적 선택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현상으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비혼자들의

이미지는 긍정적인 면보다는 부정적인 면이 대부분이다. 부정적인

담론에는 비혼자들에 대한 편견과 비혼을 사회문제시하여 관리와

통제의 대상으로 삼고자 하는 전력이 내포되어 있다. 이 연구는 청년

비혼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비혼

가구에 관련한 국내외의 정책을 비교, 분석하여 청년 비혼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2,30대 청년비혼자들의

비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결론적으로 청년 비혼자들에게 필요한

실질적 정책 방안을 제안한다.

키워드 #청년문화 #청년정책 #사회혁신

제목 구로공단 노동자의 일과 삶에 관한 연구: 첨단지식 산업 청년 노동자를

중심으로

주제 노동/정치

52

53

내용 이 연구는 구로공단의 첨단지식산업 노동자들의 생명과 안전, 존엄을

위한 노동 표준을 제기함으로써, 노동자들이 침해받고 있는 권리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6년 구로공단의

넷마블 사와 넷마블 자회사에서 일하던 20대, 30대의 노동자들이

연이어 돌연사, 과로사, 자살로 사망했다. 넷마블은 잦은 야근으로 인해

밤에도 회사의 불빛이 꺼지지 않는다고 해서 ‘구로의 등대’라고 불리는

회사이다. 구로공단의 노동환경에 대한 수년간의 조사연구에 따르면,

구로공단의 노동자들은 저임금 노동, 장시간 노동, 불안정노동의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본 연구는 노동자들이 처한 현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노동자들이 인간답게 일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구로공단 첨단지식산업 노동자들의 노동환경을 분석하여 그

구조적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키워드 #노동환경 #사회혁신 #청년복지

제목 청년세대 다차원적 불평등 연구

주제 노동/정치

내용 OECD가 발표한 ‘Income Inequality: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보고서(2016)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실증 분석

결과 회원국들의 지니계수는 1980년대 이후 20년간 평균 0.030포인트

높아졌는데, 이러한 불평등 심화는 국내총생산(GDP)을 8.5%가량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보고서는 소득불평등의 확대가 경제성장에

장기적으로 해를 끼치며, 불평등이 짙어지면 정치·사회적 불안 조성과

그에 따른 투자 감소를 낳고 사회 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인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청년 세대 불평등

문제의 다차원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청년복지 #청년통계

제목 청년 연구과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연구동향 메타분석을 바탕으로

주제 노동/정치

내용 1997년 IMF 이후 청년실업이 사회적 문제로 급격하게 대두되면서

청년실업 해소, 즉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한 청년정책들이 도입됐다.

2016년 1월 일간지들은 일제히 신년 기획으로 ‘청년’에 관련된

기사들을 내놓았고, 20대 국회에서 새누리당이 1호 법안으로 발의한

54

55

Page 69: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32 133

법안은 청년 기본법이었다. 그러나 정책적 연구나 입법안들을 살펴보면

청년정책을 단순히 ‘경제적으로 궁핍하고 불쌍한 청년들’을 지원하는

시혜적인 복지정책이나 일자리 제공 정책으로만 여기는 등 ‘청년정책’

이나 ‘청년’, ‘청년세대’, ‘청년문제’에 대해 사회적 합의가 가능한

수준의 의미론을 생산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는 이러한 문제

상황의 가능한 원인 중의 하나로, 청년정책을 뒷받침하는 담론을

생산하는 관련 연구의 부재 혹은 편향을 지목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일차적인 목표는 청년정책을 설계하고 집행하는 정책 담당자나,

청년정책과 관련한 사회운동을 하는 청년단체 활동가들, ‘청년’ 문제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청년’, ‘청년문제’,

‘청년정책’ 등 관련 개념들이 기존에 사용되어 온 방식들을 정리하고, 또

효과적인 청년정책의 추진을 위해서 그러한 개념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 탐색하고 제안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청년담론 #사회참여

제목 청년참 3년: 공공성, 사회성, 시민성

주제 기타

내용 2010년대 이후 정치적 행정적 차원에서 청년 실업을 필두로 청년

문제가 본격적으로 대두되면서 점차 청년 지원 프로그램들에 대한

필요성과 공적 자금을 사용하는 정당성이 점차 확보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각종 청년 지원 프로그램들이 우후죽순 쏟아지고 있는

상태이다. 하지만 대다수의 이런 프로그램들은 지원 대상에 대한 깊은

이해나 고민 없이 급속하며 산발적으로 만들어지고 있거나 때로는

참고할 수 있는 모델들의 부족으로 인해서 난항을 겪게 되는 경우가

여럿 관찰되었다. 이 연구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청년허브에서

청년커뮤니티 활동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청년참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

3년간의 청년참에 참가한 참여자들의 생애사적 접근과 문화기술지적인

형식으로 참여자들의 삶을 그려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는 참여자들의 생애사를 몇 가지 주제로 나누어서 여러 생애사들을

병렬하고 또 교차시키면서 논의한다. 크게 보았을 때 청년이라는 것을

단순히 특정한 시점에서 살고 있는 특정 연령대의 주체라는 것에서

벗어나 각각이 갖고 있는 의미화 과정으로서의 시간성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서울이라는 공간에서의 청년이라는

56

시간성의 구축 과정과, 청년참에서의 경험 등을 중심으로 각각의

생애사를 통해서 논의를 전개한다.

키워드 #이행기 #사회참여 #청년정책

제목 청년창업가를 위한 정책 현황: 해외 청년 창업 지원기관을 중심으로

주제 노동/정치

내용 한국은 2015년 기준 특히 청년층의 창업률이 다른 나라 대비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장년층들이 재취업의 대안으로 생계형 창업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장년층의 높은 창업률 역시

반드시 바람직한 현상으로 바라보기 어려우나 청년층의 경우 생계형

창업마저도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반적인 창업률이 낮은 상황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청년 창업가들이 많지만 이들은 마치 ‘초인’

처럼 이상적인 존재로 인식되곤 한다. 청년창업 또는 창업에 대한

기존 연구들과 통념들은 창업가들이 다른 사회구성원들보다 모험적

(adventurous)이고 위험을 감수할 용의가 있다고 여겨왔으나 최근의

해외 실증연구들은 이들 역시 위험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갖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고자 다양한 기제들을 활용하려 한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창업가 개인의 창업 외 일상에 대한 지원은 전무한

수준이다. 이 연구는 한국의 청년창업가를 위한 정책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먼저 해외 공공 창업지원기관의 사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청년창업가를 위한 공공 지원 정책이 세심한 정책적 배려와 고민이

전제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청년자립

제목 2016 서울청년 인포그래픽스: 청년통계 분석 및 인포그래픽스 구성

주제 기타

내용 이 연구는 서울시 청년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및 지속적인 청년의제

발굴을 위해 청년문제 및 현황에 대해 폭넓게 조사한 통계 연구이다.

청년의 일/노동, 생활/삶 전반에 걸쳐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통계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청년의 현실을 청년 당사자 및 시민들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다음과 같은 주제를 인포그래픽으로

제공한다: (1) 서울 청년 인구 (2) 청년의 일자리 (3) 청년 직장인의

불안 (4) 청년들이 사는 곳 (5) 청년의 빚 (6) 여성으로서의 청년

57

58

Page 70: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34 135

(7) 미래의 청년.

키워드 #청년통계 #인포그래픽

제목 청년지원 플랫폼 설계를 위한 구조적 프레임워크 도출 및 이슈 분석

연구

주제 노동/정치

내용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한국의 청년세대를 ‘문화세대’로 정의한다.

이들은 한국 사회가 소비문화로 고속 진입하는 시기에 태어나

성장과정에서 디지털문화와 만나게 되며 인터넷 공간을 매개로

동호회 등의 문화 활동을 공유하고 지식과 의사를 공론화하는 디지털

문화부족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대 청년들의 경제적 삶과 사회적

삶이 위기에 처해 있다고 진단한다. 이 위기 상황은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서서 구조적 문제에 기인하는 측면이 매우 강하다. 따라서 이러한

청년들의 삶을 변화시키고 미래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청년들에

대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지원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요구된다.

하지만 청년 지원을 위한 여러 가지 방식들이 개별적으로 추진되는

측면이 강하고 구조적 연결성이나 통합적 지원의 관점에서는 선순환적

관계 형성에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청년 지원 플랫폼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기능에 대한 분석이 부족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과 플랫폼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청년지원 플랫폼의 하나인

청년허브의 사업성과 및 계획을 분석하면서 청년 지원 플랫폼의 구조적

프레임워크 및 분석 도구를 설명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청년복지 #청년자립

제목 지방정부 청년정책 변화분석을 통한 서울시 청년정책 2.0 과제 도출

주제 노동/정치

내용 2008년 이후 10년째 지속되고 있는 대침체(Great Recession)가

1929년 대공황 이래 세계 경제의 최대 재앙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한국 청년층의 현실은 성인과의 상대 비교 면에서

특별히 더 열악한 상황에 놓여 있다. 예를 들어 성인 실업률과 비교한

실업률 격차가 3배를 넘고 있으며, OECD 국가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서울은 전국의 청년정책을 선도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본 연구는

60

급변하고 있는 청년층의 현실과 글로벌 대응 정책을 확인하기 위해

OECD의 최근 보고서 <Society at a Glance 2016>을 비롯한 최신

자료를 분석 평가하고, 서울시가 전국의 청년정책을 선도하는 과정에서

각 지방 정부 차원에서는 어떠한 정책적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경험과 시도를

바탕으로 향후 서울시 청년정책 2.0을 모색하고 제안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사회혁신

제목 청년정책·청년활동 쟁점정리

주제 노동/정치

내용 이 연구는 청년정책과 청년활동의 주요 쟁점들을 살펴보고 이해하기

위해 5개의 대담, 60개의 쟁점을 다루고 있는 대담집이다: 대담 (1)

청년에서 시민으로, 대담 (2) 청년, 혐오, 소통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시선, 대담 (3) 민주주의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대담 (4) ‘경제’

의 현재, 대담 (5) 청년정책, 사회정책. 이 대담집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활동과 청년정책 영역에서 마주치게 되는

다양한 쟁점을 정리한다. 둘째, 이러한 쟁점을 논의하기 위한 지식과

언어를 제공한다. 셋째, 청년 연구자 양성을 위한 기본 커리큘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대담이라는 형식을 선택한 이유는 최소한의

자원으로 가장 넓은 쟁점을 포괄할 수 있기 때문이다. 5개의 대담은

청년정책과 청년활동에 대해 청년활동가가 주로 제기하는 문제는 물론,

한국 사회의 뜨거운 쟁점 대부분을 포괄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청년담론 #사회혁신

제목 친밀공동체로서의 공동주거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탐색: 장기간

공동주거를 하고 있는 청년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주제 공동체/지역

내용 2010년 기준, 1인 청년 가구 34만 가구 중 3분의 1이 넘는

12만 3천591가구(36.3%)가 주거 빈곤 상태였으며 이들 중 5만 8천여

명은 주택이라고 부를 수 없는 열악한 곳에 살고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이 상당수의 청년층이 주거 빈곤 상태에 놓여 있다. 청년층의 주거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는 대표적인 방안이 공동주거이다.

공동주거는 넓은 집을 임차하여 임대료를 함께 분담하는 형태로, 한

61

62

59

Page 71: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36 137

집에 여러 명이 함께 생활한다는 점에서 공간의 공유를 통해 서로

간의 관계를 만든다. 이때 생겨나는 관계는 각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청년 주거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써 공동주거가 거론될

때, 공동주거 안에서 이루어지는 구성원 상호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말해지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주거를 통해 맺어지는 관계의

성격과 그 안에서 생겨나는 친밀성의 형태와 역할에 대해 탐구한다.

이를 통해 청년 주거 문제의 대안으로 제시된 공동주거의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본다.

키워드 #주거 #지역공동체 #청년문화

제목 청년 주거 질 향상을 위한 청년맞춤중개 및 주택관리서비스 제안

주제 복지/인권

내용 2016년 서울시의 전입인구는 453,687명, 전출인구는 593,944명으로

전입인구에 비해 전출인구가 140,257명이 더 많다. 특히 20-29세

구간의 전입인구가 많은데, 이것은 대학 진학과 취업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청년 주거 질

향상을 위한 청년 맞춤 공인 중개, 주택관리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공인 중개서비스의 개선과 주택관리 서비스의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찾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는 서울에

살고 있는 청년의 주거문제와 중개시장을 조사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한다. 다양한 선행연구와 함께 청년 주거문제를 다룬

통계자료와 설문 자료, 보고서를 활용하고, 특히 청년 주거문제의

당사자와 관련자들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문제의 실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한다.

키워드 #주거 #청년정책 #청년통계

제목 직장 내 남성 동성사회의 구조와 의례: 여성과 게이 남성들의 경험을

경유하여

주제 복지/인권

내용 “회식은 업무의 연장이다”라는 한국 사회에서 흔하게 통용되는 말에서

알 수 있듯 한국 기업문화에서 사적 관계와 공적 관계는 그 단절선이

불분명하다. 사적 관계를 바탕으로 한 비공식적 네트워크가 공식적인

위계구조의 한 축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친밀감과

이해관계를 기반으로 남성 개인들이 형성한 사적 관계망의 총체적

63

64

결합을 ‘남성 네트워크(old-boys networks)’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남성 네트워크는 무엇을 매개로 형성되고 재생산되는가. 이

연구는 한국의 술자리가 갖는 시공간적 맥락과 신체 기술을 통해

술자리가 상호 간의 경계를 허물도록 구조화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연구는 집단 내의 친목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에 다양한 의례가 중요한

장치로 기능하고 있다는 이론적 통찰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18세기와 19세기 영문학 분석을 통해 개진된 세즈윅(1985)의 이론적

틀을 차용하여 한국 남성들의 동성 사회성을 탐구한다. 남성 중심적

문화가 팽배해 있는 직장에서의 남성 동성 사회성과 남성 유대에 대한

경험적 수준에서의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이 사회에 이성애 중심주의가

그렇게도 강고한 이유는 무엇인지, 또 그것이 어떻게 유지되고

재생산되는지, 이성애 중심주의와 호모포비아(homophobia), 미소

지니(misogyny)가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규명한다.

키워드 #노동환경 #페미니즘 #사회혁신

제목 직장이 아닌 직업을 찾기로 한 독립적인 청년들: 나는 청년 프리랜서다

주제 노동/정치

내용 IT와 미디어 등 고도화 산업은 현대의 노동 형태를 변화시켰다.

한국노동연구원의 선행연구는 종속관계 성립여부 하나만으로

근로형태를 나누는 기존의 기준에 비판적 화두를 던진다. ‘프리랜서’

는 이러한 변화와 함께 자연스럽게 등장한 노동 형태의 하나이다.

프리랜서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 용례 상 프리랜서는

사업주의 구체적인 관리 감독을 받지 않는(법률구조공단) 소속 없는

자유 계약자(국립어원)이며, 개인적인 이익에 따라 다양한 사업주의

일을 받는다(외래어원). 그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월급을 받지 않는

비임금근로자(선행연구)부터 자영업자, 기업의 용병(해외 현대의미)

까지 다양하다. 이 연구는 4명의 영화/영상을 창작하는 프리랜서와의

심층 인터뷰와 옴니버스 영화 제작 실험을 통해, 사회초년생 개인에게

부과되는 고비용 취업 구조과 20대 사회진입 계층의 경제적, 심리적

불안정성을 탐색한다.

키워드 #일 #청년자립 #청년문화

65

Page 72: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38 139

제목 청년 조리사 노동자의 노동 경험에 관한 연구

주제 노동/정치

내용 한국은 서비스 산업화로의 전환과 함께 외식업의 성장이라는 산업

구조의 변화를 겪어 왔다. 한국의 외식업은 양적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했는데, 외식업 양적 성장의 지표로서 종사자 수를 살펴보면

2015년 전체 서비스업 종사자 1,540만 명 중 ‘음식점업’ 종사자는

151만 명(10%)으로 지난 10여 년 동안 30만 명 이상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최근 청소년과 청년들 사이에서 조리사는 각광받는

직업으로 부상하였고 이와 함께 대학의 조리 관련 학과 및 요리 유학

프로그램이 증가하는 등 전문적인 교육·훈련 과정들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전문화된 직업으로서의 조리사, 그리고 ‘스타 셰프’라는

이름으로 미디어를 통해 화려하게 재현되는 모습의 이면에 놓여있는

‘노동’의 측면은 거의 드러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실제 청년 조리사의

노동 환경은 이러한 사회적·문화적 변화들에 부합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조리사는 실제로 어떠한 환경 속에서 노동을

수행하는지, 이는 청년 조리사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들은 직업과 삶을 둘러싼 구조 속에서 자신의 노동을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키워드 #일 #노동환경 #청년자립

제목 대학에 재학 중인 장애여성의 물리적·심리적 공간에 대한 연구

주제 복지/인권

내용 2017년 서울 시내 대학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수는 3,073명이며,

그중 40%인 1,254명이 여성 장애인이다. 이들은 향후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의 다양한 영역으로 진출할 것을 희망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 특별전형 실시 이후 학생의 증가 추이를 볼 때, 고등교육을

받고자 대학에 입학하는 장애여성들도 계속 증가할 것이다. 대학은

장애학생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장애학생 도우미 제도를 실시하는

등 각종 제도와 서비스를 통해 장애학생의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한편, 장애학생의 자치모임도 구성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장애학생들이 대학 공간에서 보장받아야 할 학습권과 이동권 등

학생으로서의 권리 보장을 위해 이루어지는 지원은 대학마다

천차만별이다. 그중에서도 장애여성의 경우, 더 복합적인 요인들을

67

68

만나게 된다. 여성 장애대학생은 (1) 여성, (2) 장애인, (3) 청년이라는

세 영역에서 차별을 경험하는 삼중 차별의 사회적 맥락 속에 살아가고

있다. (4) 청년기 장애여성들은 여전히 학습과 진로 선택, 연애를

포함한 인간관계와 자아정체성 확립 과정에서, 사회적 편견과 대면하는

경험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여성

장애인들의 삶을 통해 한국 사회 속 청년여성 장애인들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한다.

키워드 #장애 #페미니즘 #사회혁신

제목 국산 야동/디지털 성범죄를 통해 재구성되는 여성들의 경험과 인식

주제 복지/인권

내용 텔레비전 방송과 같은 다양한 미디어들에서 ‘야동’은 대화의 소재로

빈번하게 등장한다. 다양한 방식으로 미디어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야동’은 이제 한국 사회에서는 더 이상 숨기지 않아도 되는 하나의

유희 대상으로 자리 잡았다. 특이한 지점은 앞선 많은 예시들에서 이를

자유롭게 언급하고 주위의 공감을 얻는 사람들이 전부 ‘남성’이었다는

것이다. 야한 동영상이라는 소재가 대중 앞에서 자연스러워졌다는

이야기를 한다면, 그 대중의 구성원인 여성들의 목소리는 거의 드러나지

않고 있다는 것에 의아함을 가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렇게 남성들에

의해 가벼운 방식으로 전유되어 온 ‘야동’이라는 용어가 ‘국산’이라는

표현과 결합되어 ‘국산 야동’이라는 단어가 탄생하게 되었을 때, 이는

‘야동’의 한 장르로 존재하게 될 뿐, 그것이 가진 불법적이고 비윤리적인

측면들은 지워진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연구는 ‘국산 야동’이란

키워드를 중심으로 여성들이 어떻게 자신을 인식하고, 자신을 둘러싼

공간을 인식하게 되며, 또 자신이 맺는 관계를 어떻게 재구성하는지를

면밀하게 탐색한다. 또한 대중매체에서 구현되고 유통되는 ‘국산 야동’

의 담론들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여성들의 경험과 인식을 살펴본다.

키워드 #페미니즘 #청년문화

제목 청년 퀴어 예술가의 생존과 활동의 지속가능성

주제 복지/인권

내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연구 보고서 「2016년 청년 사회·경제

실태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내 여러 지표 가운데 청년의 성 정체성

69

66

Page 73: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40 141

항목은 없으며, ‘청년+예술가’ 키워드로 검색한 학술 자료 중 어느 것도

퀴어/성소수자/성 정체성 논의를 중점적으로 다루지 않았다. 더구나

‘2~30대(청년)+퀴어+예술가’를 다룬 학술 자료는 발견할 수 없었다.

퀴어 미술전, 퀴어 영화 등 특정한 작업을 기반으로 언론사에서 진행한

단발성 인터뷰를 몇 건 찾을 수 있었지만, 작업물의 소개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관련 연구의 절대적 수가 부족하고, 퀴어/성 정체성

논의를 다루더라도 계급적으로 편향된 경우가 많았다. 이런 상황에서

청년 ‘퀴어’ 예술가는 최초 예술 지원 사업이나 신인상 지원 시 ‘퀴어’

를 노출시켰다가 아웃팅을 당하거나 부당한 탈락 혹은 배제를 겪지는

않을까 자기검열을 하게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청년 퀴어 예술가’에 대한 개별적 사례와 경향을 분석, 탐색하여 그간

‘청년 예술가’라는 포괄적인 프레임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던 정체성과

노동환경, 계급과 정책, 청년 생애 주기의 문제 등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키워드 #청년복지 #청년문화 #사회혁신

제목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 경험이 여성 구직자에게 미치는 영향: 서울

4년제 대학 여성을 중심으로

주제 복지/인권

내용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여성 청년들은 공적 영역에서의

성차별을 마주한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2007년 8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전문대 및 4년제 일반대학을 졸업한 취업자(교대 졸업자

제외) 가운데 20%가 좋은 일자리에 취업했다. 4년제 대학 남자 졸업자

(24.4%)가 여자 졸업자(14.7%)보다, 전문대 남자 졸업자(13.3%)가

여자 졸업자 (9.2%)보다 더 많은 ‘좋은 일자리’ 취업 기회를 가졌다.

청년 세대의 고용의 질 자체가 낮지만, 여성 청년은 상대적으로

더 열악한 상황에 놓인다. 주목해야 할 점은 많은 여성들이 취업

시장에서의 성차별을 분명하게 인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성차별을 인지한 여성들은 어떤 감정을

느끼고, 그것은 앞으로의 그들의 구직 활동에 있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고용차별과 직장 내 성차별이 명시적·정황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전제하고, 그것이 여성들의 인식과 구직 활동 및 생애

과정에서의 선택에 어떤 식으로 제재를 가하는지 검토한다.

키워드 #노동환경 #페미니즘 #사회혁신

70

제목 군대가 남긴 흔적: 청년들의 군 경험은 시민의식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주제 복지/인권

내용 이 연구는 주변 남성 청년들의 군 경험이 심리적 상흔을 남기는

모습을 자주 목격하게 된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군대에서의 경험이 시민 의식의 실질적 저해의 주요 원인으로

작동하는 상황을 지켜보면서, 군 경험이 청년들의 시민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것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사회과학적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관련, 군대

구성원들의 절대다수는 단기적으로 복무하는 이른바 “60만 장병”

들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직업군인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 기본적 한계가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군

복무를 앞둔 20대 청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군 경험을 통해 어떠한

정치, 사회, 심리적 변화를 겪는지를 추적했다. 이는 군대에 대하여

이미 수행된 여러 연구들, 가령 군대 인권, 군인의 심리 및 심리치료,

군대 조직문화 내지 병영문화, 군 섹슈얼리티 등의 문제와 연관성을

가진다.

키워드 #청년복지

제목 청년활동의 확장과 고민: 서울시 자치구 청년거버넌스 사례집

주제 노동/정치

내용 서울시 청년정책의 핵심은 정책의 설계와 추진이 기본적인 공무원

사회 및 시 의회의 절차 내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민간의 청년

당사자들이 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민관의 거버넌스 구조를 구축하는

일을 청년정책 설계의 핵심적인 요소로 고려했다는 데 있다. 서울시의

이러한 제도적 지원은 청년이 사회적으로 실존하는 집단이지만

정책파트너로 특정하기 어려운 미조직 집단이라는 점을 이해한 데서

나온 협력적 거버넌스를 위한 결정이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서울시의 청년정책 거버넌스 모델이 민간 역량과 행정의 의지가

결합하여 적어도 1년 이상의 갈등 및 조정, 숙의 과정을 거쳐서 탄생한

결과물인 데 비해, 대다수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거버넌스 설계는

서울시의 조례, 관련 정책 및 체계를 참조하여 다소 급하게 이식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이다. 특히 서울시의 청년 거버넌스가 상대적으로

71

72

Page 74: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42 143

성공적이라고 평가받을 수 있는 기반에 서울 및 수도권이라는 지역적,

공간적 경계 내에 청년층 인적자원과 시민사회의 사회자본이 밀집되어

있다는 ‘서울의 특수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러한 사회적

조건과 역사적 경험 및 맥락이 부재한 상태로 시작된 다양한 지역의

청년 거버넌스에 대한 현실적인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 거버넌스가 점점 더 전국에 미세 조직망으로 퍼져

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자치구, 즉 기초 단위에서 추진되고 있는 청년

거버넌스의 현황을 살펴보고 실제 정치 및 행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질적인 어려움들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자치구 청년 거버넌스의

형성기에 이미 드러나고 있을지도 모르는 기획의 난점들을 조기에

발견해함으로써, 더 ‘좋은’ 지역 단위의 청년 거버넌스를 위해 필요한

제도적 조건과 관련 주체들의 태도 등을 탐색한다.

키워드 #청년정책 #청년문화 #사회혁신

제목 청년정책 결정 및 집행체계에 대한 경험연구: 효율성, 참여성, 적합성의

원리에 따른 협력적 거버넌스 모델 제안

주제 노동/정치

내용 한국에서 청년을 대상으로 특화한 정책이 등장하기 시작한 역사는

길게 잡아도 10여 년에 불과하다. 하지만 지난 10여 년간 청년 정책을

바라보는 관점과 정책 내용에는 상당한 변화가 발견되며 현재도 그

변화는 진행 중에 있다. 안정기 정책들은 이미 확립된 정책 패러다임에

대한 경로 의존성이 강하게 작동하고 변화를 위한 제도와 과정에서

새로운 가치와 규범이 침투하기 쉽지 않다. 반면 형성기 정책은 정책

패러다임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정책과정에 참여하는 행위자의

범위를 어디까지 허용할 것인지, 어떤 상호작용과 절차를 거쳐 정책

결과에 이를 것인지 등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만들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민-관 공동 참여형 청년정책결정기구,

정부 지원 당사자 조직, 정책집행 외부 위탁 기관을 골력으로 하는

지방정부 청년정책 결정 및 집행 모델의 확산이라는 현실을 배경으로,

현재적 상황을 진단하고 더 나은 모델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이

모델의 원형을 제공했던 서울시 사례를 제도와 제도의 실천 단계별로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서울 이외 지방정부들의 다양한 제도적 변형

형태를 범주화한다. 그리고 청년정책 결정 및 집행 각 과정에 참여했던

당사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상황과 주체의 인식을 분석한다.

73

키워드 #청년정책 #청년통계 #사회혁신

제목 입퇴양난: 입사도 퇴사도 어려운 시대-2030 청년 퇴사의 원인과 대안

모색

주제 노동/정치

내용 최근 미디어에서 청년 조기 퇴사 문제를 다루면서 ‘청년 퇴사’라는

이슈가 사회적 문제로 공론화되고 있다. 2016년 청년 조기 퇴사 문제에

대해 다루었던 두 편의 공중파 다큐멘터리를 비롯해서 뉴스, 포털,

SNS 등 다양한 언론 매체를 통해 ‘청년 퇴사’에 대한 고민과 화두를

던져 ‘청년 퇴사 및 취업’이라는 주제를 공론화했다는 점에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만하나, 대부분 피상적인 문제 제기 및 현상 묘사 정도로만

다루어지는 한계를 보인다. 그 결과, 청년 조기퇴사 문제가

‘개인의 인성 VS 경직된 기업문화’ 두 주체만의 문제, 또는 ‘청년

개인의 잘못된 진로설계의 결과물’로 결론지어지는 데 대해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미디어에서 가볍게 다루는 청년 퇴사에 대한 내러티브와

실제 현장에서 만난 청년 조기 퇴사자(퇴사 희망자)들 사이에는 분명한

간극이 존재한다. 이 연구는 청년 당사자, 퇴사 경험자이자 해당 세대

청년들의 취업, 퇴사 문제를 가장 많이 듣고 보며 목격하는 관찰자의

입장에서 청년 조기퇴사 문제를 다양한 관점으로 조망하고 이를

둘러싼 원인을 분석하여 대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청년 퇴사에 대한

근본적인 관찰과 원인 분석을 통해 전 세대가 문제의 당사자임을 인지케

하고 대안 모색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함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키워드 #일 #사회혁신 #청년문화

제목 청년세대 통일의식 조사연구

주제 노동/정치

내용 지난 2013년 재단법인 한국청년정책연구원의 조사 결과 20대

청년세대의 40%는 통일을 반대하고 있으며,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약 32%의 청년세대가 통일은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이렇게

통일을 반기지 않는 수준을 넘어, 통일보다는 현재의 분단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청년세대도 상당수 존재한다. 실제로 지난해

조사에서 성급한 평화구축이 더 중요하다는 응답이 70%를 넘어서고

있었다. 한국의 20대 청년세대들은 통일이 남한의 정치·경제·사회·

74

75

Page 75: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44 145

문화적 측면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낮다.

또한 청년세대들은 통일이 경제 위기를 발생시키고, 세금 부담을 늘리는

등 경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도 강하게

나타난다. 급변하는 동아시아의 환경과 인구노령화, 성장 동력의 부재를

비롯한 대한민국이 처해 있는 여러 가지 경제·사회적 환경과 북한

체제의 불안정성, 북핵 문제의 시급성 등을 고려하면 통일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한민국의 최대 과제이자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통일에 대해 청년세대들의 인식을

확인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키워드 #청년문화 #청년통계 #사회혁신

제목 청년의 진로탐색과 갭이어에 관한 기초연구

주제 교육/학습

내용 세계적인 금융위기 이후 청년층 실업은 여러 나라에서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었다. 유럽연합 통계청(Eurostat) 자료에 의하면 유럽의

청년실업률은 2014년 말 21.4%, 청년 실업자 수는 약 560만 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2014년 7월 청년실업률은 14.3% 2,

한국의 경우는 2015년 4월 10.2%로 역대 최고치를 보였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요즘 청년들은 취업전쟁의 전초전으로 스펙 경쟁을 하고

있다. 졸업 직후 바로 취업하기 어려운 청년실업의 현실 속에서, 전공

공부 이외의 취업 준비를 별도로 해야 하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하지만 ‘스펙 쌓기’와 같은 취업 준비 행동들은 직업을 찾는 ‘구직 행동’

과 다르게, 구체적인 진로를 결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무작정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년의 진로탐색 과정을 밝히고 올바른

진로탐색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

휴학/이직의 경험이 있는 청년들의 상태, 동기, 어려움 등을 알아보고,

갭이어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 경험 정도, 제안점 등을 논의한다.

키워드 #일 #청년정책 #청년문화

제목 서울특별시 청년공간 조성 및 운영 계획: 청년공간 무중력지대를

중심으로

주제 공동체/지역

내용 최근, 사회적으로 청년이 커뮤니티를 바탕으로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도전, 청년이 마주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 과제의 해결을 위한

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서울시가 시도하고 있는

도시재생뉴딜정책과 함께 주목받고 있다. 2016년 청년의회 및 서울시

청년정책네트워크 등등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새로운 활동을 시도할

수 있는 청년 공간의 신규 조성을 공식적으로 서울시에 요구하였고,

이에 서울시는 5개소의 신규 무중력지대 및 청년교류공간을 새롭게

조성하기로 확정하였고, 지역 민간 공간을 활용한 청년 거점 활동

지원 사업인 ‘우리 동네 무중력지대'사업’ 신설하였다. 그러나 청년

공간 조성 및 운영계획에 대한 선행 연구가 없어, 서울특별시 청년

공간의 효율적인 정책 구현을 위해 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연구는 ‘청년공간조성-무중력지대’의 사례조사를 통해 공간의 의의

및 기대효과를 제시하고, 공간 활성화를 위한 운영방안 및 장기전략을

제안한다.

키워드 #대안공간 #청년정책 #청년문화

77

76

Page 76: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47

3

교육사업

N개의 청년학교 2013-20173.1사업 목적

새로운 사회변화에 대응하는 현장에 기반하며 사회적, 공공적 활동과 문제 해결형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청년 인재 양성 학교의 운영

사업 개요

청년허브 청년학교는 ‘사람은 사람이 키우고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서 성장’한다고 믿으며,

작은 현장을 세밀하게 들여다보고 새로운 변화와 대안을 만들어나가는, 이론·경험·

현장을 횡단하는 프로젝트 학교이다. 강좌·워크숍·아이디어 기획 등 구상 중심의

청년주체 양성과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현장기반의 문제 해결형 프로젝트 수행을 목표로

하였다. 그래서 청년학교는 경험·활동을 통해 학습할 현장과 현장에서의 경험을 해석하고

길잡이 역할을 해줄 담임을 핵심 운영전략으로 채택하였다.

청년학교는 사회적·공공적 활동에 대해 관심과 의지를 갖고 새롭게 시작해보고자 하는

만 34세 이하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했다. 삶의 위기 속에서 위축되고 고립되는 청년들이

다양한 일과 삶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고, 의지와 비전을 공유하는 동료와 담임선생님을

만나 능동적으로 배우며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의 장으로 기획되었다.

청년학교 참가자 수 (단위: 명)

500

1,000

1,500

2013

142

553

1,292

99

1,301

2014 2015 2016 2017

Page 77: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48 149

2013

지역자치학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지역과 마을 단위의 혁신적 공간과 현장을 살펴보고, 지역

자치를 위해 사람들을 연결하고 변화의 촉매제 역할을 하는 청년 커뮤니티 리더들을

양성하기 위한 학교

협동경제학교

취업이나 통상적 창업이 아닌 ‘사회혁신’의 관점으로 ‘사회적 경제’라고 하는 사회 진출의

또 다른 경로를 이해하고 함께 탐색하는 학교

듣보잡 문화학교

문화 영역의 프로젝트 전체 과정을 이해하고 예술가와 시민 생활 사이의 접점을 넓히는

공간 제작, 이벤트 기획 등의 원칙과 방법을 직접 현장 활동에 참여하며 배우는 학교

새로운 산업학교

미래의 산업, 미래의 직업에 대한 통찰을 습득하고 스스로 창의적인 가치와 아이디어를

기획하며, 넘쳐나는 정보의 시대 사람들이 스스로 마을을 열고 다가오게 만드는 상황

디자인을 배우는 학교

YLA(Young Leaders Academy) 학교

수년간 축적한 아름다운서당의 ‘사회가 환영하는’ 인재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업무능력, 성품, 사명감의 삼박자를 고루 갖춘 청년 리더를 육성하는 학교

생산혁신학교

청년세대의 새로운 문화감성으로 정체된 도심 제조업, 소상공업을 혁신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청년 직업군을 양성하는 학교

도시재생학교

도시개발의 방향이 도시재생, 장소 재생의 방향으로 큰 틀에서 전환되는 현실 조건을

고려하여 공간재생, 혁신적 도시개발, 창조적 공간문화 형성에 전망을 두고 있는

청년인재를 양성하는 학교

2014

공공현장학교

사회적 현장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보고 새로운 변화와 대안을 만들어 나가는 이론·경험을

시작해보는 현장 학교

생산혁신학교

도심 제조업이나 소상공업 현장에 적극 개입하여 새로운 가치와 방식을 창출하는 인력양성

학교

도시재생학교

공공주도형 도시개발에서 공공+민간+전문가+청년이 함께하는 새로운 도시재생 모델을

만들어나갈 혁신청년주체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학교

인문경영학교 YLA

사회가 환영하는 ‘업무능력(Competence)’, ‘성품(Character)’, ‘사명감(Commitment)’

을 갖춘 3C형 인재를 양성하고 청년 리더를 키우는 학교

사회혁신가양성학교

서울사회혁신가의 자립적 성장과 서울혁신과제 해결을 지원하고 혁신가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함께 성장하는 학교

2015

국제교류학교

사례가 아닌 사람, 시뮬레이션이 아닌 실전, 경쟁적 개인이 아닌 팀을 중심으로 연대와

협동에 기초한 현장성학습(Learning by Doing) 학교

도시재생학교

재개발, 재건축 등 공간 중심의 도시개발에서 탈피하여 삶의 질을 생각하고, 공동체를

돌보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사람 중심의 도시재생 현장을 만들어나갈 청년을 양성하는

학교

Page 78: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50 151

IT기술학교

노동, 데이터, 디지털제조, 지리정보, 해킹 등 기술사회를 살아가는 청년들이 알아야할

기술을 배우는 학교

생활제작학교

폐목재를 재활용하여 만들고-배우며-공유하는 행위를 통해 삶의 지속가능성을 실험하고

제안하는 학교

인문경영학교 YLA

아름다운서당의 ‘사회가 환영하는’ 인재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업무능력, 성품,

사명감의 삼박자를 고루 갖춘 청년 리더를 육성하는 학교

2016

국제교류학교

사례가 아닌 사람, 시뮬레이션이 아닌 실전, 경쟁적 개인이 아닌 팀을 중심으로 연대와

협동에 기초한 현장성학습(Learning by Doing) 학교

도시재생학교

재개발, 재건축 등 공간 중심의 도시개발에서 탈피하여 삶의 질을 생각하고, 공동체를

돌보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사람 중심의 도시재생 현장을 만들어나갈 청년을 양성하는

학교

창업학교

삶의 지속가능성과 ‘일’의 관계를 탐구하면서, ‘창업’에 대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실행

단계를 배우고 설계하는 학교

인문경영학교 YLA

아름다운서당의 ‘사회가 환영하는’ 인재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업무능력, 성품,

사명감의 삼박자를 고루 갖춘 청년 리더를 육성하는 학교

2017

생산작업장학교

바느질, 물감 생산, 쓰레기 등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를 통해 생산과 소비의

순환구조를 파악하며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로서의 삶을 배우는 학교

공공건축학교

공공 공간이 만들어지는 기본 원리를 실습을 통해 익히며, 공공 공간과 도시의 상호작용에

대한 토론을 통해 공공/공유 공간 청년 기획자를 양성하는 학교

IT생활기술학교

전자음악의 원리를 파악하고 기술을 익혀 창작물을 생산하여 유통하는 과정을 경험해보는

학교

발상의전환학교

삶에 대한 목표와 기준을 사회에서 주어진 것이 아닌 스스로 탐색하고 계획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여 삶의 진로를 설계하는 학교

미디어혁신학교

와이파이진 등 새로운 미디어 기술을 익히며 대안 미디어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탐구해보는 학교

네트워크형학교

청년의 다양한 진로와 삶의 방식을 모색하고, 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주, 강화도,

지리산, 무동학교, ACC, 홍콩, 서울 보광동 등 7개 지역에서 진행한 네트워크형 학교

개방형학교

‘삶의재구성학교’로 국내외 청년 관련 주요 이슈인 ‘민주적인 조직, 재난과 지역활동,

마이너리티, 청년안보교육, 창의활동’ 등을 주제로 포럼, 특강, 토크쇼, 현장탐방 등의

다양한 형태로 진행한 개방형 학교

Page 79: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52 153

청년강연플랫폼 2013-20153.2사업 목적

감동적인 도전과 혁신 사례, 청년 연사를 발굴하고 이를 사회적으로 확산하는 온·

오프라인 청년 강연 플랫폼 운영

사업 개요

청년허브의 청년강연플랫폼은 청년의 감동적인 혁신 사례와 도전 스토리, 청년 연사를

발굴하여 15-20분간 청중에게 전달하는 프레젠테이션 강연회로, 오프라인 강연뿐만

아니라 강연을 동영상 콘텐츠로 제작하여 웹과 모바일, 멀티케이블 채널 등을 통해서 일반

대중에게 무료로 배포되었다. 청년 강연 플랫폼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되었고,

2013년과 2014년은 미디어 파트너 CBS와 함께 <세바시청년>으로, 2015년은 EBS와

함께 <20X20#청년>으로 진행되었다.

2013년에는 총 4회 강연에 참여 관객 2,731명, 2014년에는 총 6회 강연에 6,084명,

2015년에는 총 5회 강연에 2,056명의 참여 관객을 기록했다. 청년 강연 플랫폼에 연사로

선 청년들은 자신의 조건과 한계를 뛰어넘는 노력과 도전, 혁신을 이뤄낸 인생 스토리로

청중에게 감동을 선사했다. 청중들 또한 같은 청년들로 매회 강연장은 빈자리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만원을 이뤘다. 청년이 직접 청년에게 삶의 역경을 이겨낸 과정, 사회적

성취와 경제적 혁신을 일궈낸 사례를 전달하는 ‘세바시 청년’은 청년 맞춤형 강연

플랫폼으로서 지속적인 대중의 관심과 주목을 이끌어냈다.

청년강연플랫폼 참가자 수 (단위: 명)

2,000

4,000

6,000

2013

2,731

6,084

2,056

2014 2015

2013

1회. Shoot The Future

안준희 (핸드스튜디오 대표), 강민혁, 최종언 (오픈크리에이터즈 공동대표), 피터 리

(놀공발전소 대표), 이환희 (개포고등학교 2학년), 장동우 (현대고등학교 1학년)

2회. 당신의 능력이 무엇인지는 시도하기 전까지 절대 알 수 없다

박재현 (UN보안담당관), 김미균 (LiveRe 대표), 박진숙 (소풍가는고양이 대표), 안시준

(한국갭이어 대표), 박혜린 (이노마드 대표)

3회. 절대로 포기하지 마 Never Give Up

김세진 (장애인 국가대표 수영선수), 강문수 (애로우에드 코리아 대표), 한수지 (뮤지션),

최재웅 (폴앤마크 대표), 이진화 (JR연구소 대표)

4회. 즐기는 자를 당할 자 없다! Shoot The Future

김필범 (삿갓유통 공동대표), 최현우, 이영준 (스프레이아티스트 The Bus 팀), 이효찬

(스타서빙 소년), 김잔디 (스윙댄서), 손상원 (트리움 이사)

2014

1회. Fearless Challenge! 두려움을 넘어선 도전

정진호 (‘철들고 그림 그리다’ 작가), 이동진 (모험가, 경희대학교 4학년), 윤소정

(인재양성교육기업 인큐베이팅 대표), 김덕성 (모든 마음 연구소 소장), 문현우

(아리랑유랑단 단장)

2회. Meet the New Ways, 새로운 길을 만나다

김성민 (‘장미와찔레’ 저자), 정예솔 (낵쏘 대표), 최형욱 (매직에코 대표), 임현

(드론전문가), 김영경 (서울잡스 총괄매칭디렉터)

3회. 나비효과, 작은 선택이 만들어내는 거대한 차이

김승수 (똑똑도서관 관장), 하용호 (SK Telecom), 박주혁 (서강대학교 학생), 김재연

(작가, 칼럼니스트), 이의헌 (JUMP 대표운영위원)

Page 80: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54 155

4회. 쓸모없음의 소중함, 무용지용無用之用

강윤정 (더플레이컴퍼니 대표), 이신혁 (Project SH 치프디렉터), 최윤현 (최게바라

기획사 대표), 이준행 (coroke.net 개발자), 김용하 (스마일게이트모바일 프로젝트

디렉터)

5회. 보이지 않는 것을 보다 Discover Undiscovered

김지양 (‘66100’ 발행인/편집장, 플러스사이즈 모델), 이충한 (유자살롱 공동대표), 유덕수

(열정대학 총장), 안승준 (한빛맹학교 교사), 송정수 (인포그래픽웍스 대표)

6회. 관심의 힘

김윤규 (청년장사꾼 대표), 김지윤 (서울아산병원 수간호사), 로저멜로 (동화작가,

크리스챤 안데르센상 2014년 수상자), 기여운 (삼성전자 선임), 강효진 (서울시

디자인지원실 실장)

2015

1회. 돌파구가 필요할 때

최준호 (그레이트퍼시픽 레이스 챔피언), 제제미미 (에어비앤비코리아 슈퍼호스트),

이미정 (스탠딩피플 대표), 조금득 (청년연대은행 토닥 초대이장)

2회. me치고 싶을 때

성지환 (72초 TV 대표), 송근목 (드론레이서), 정회도 (타로마스터), 유정은

(한국내면검색연구소 대표)

3회. 차이를 만들고 싶을 때

이정욱 (레드불 페이퍼윙스 챔피언), 신동일 (인재양성소 인큐 이사), 윤승철

(무인도테마연구소 소장), 퍼니밴드 (브라스밴드)

4회. 기회를 만나고 싶을 때

이지언 (한복 매니아), 이진화 (JR 대표), 김주영 (R food 대표), 이근수 (the 화려한스냅

대표)

5회. 선택의 순간에 마주할 때

메이트리 (아카펠라 그룹), 문지원 (뮤지컬배우), 고주선 (카지노딜러), 김윤규

(청년장사꾼 대표), 김진우 (아우름플래닛 대표)

서울신택리지사업 20133.3사업 목적

마을과 마을공동체의 자원, 스토리, 도시 콘텐츠를 청년조사원들이 직접 조사하고

아카이빙하며 새로운 일 탐색의 경험 마련과 비전 수립

사업 개요

서울 신택리지 사업은 마을 자원 조사이면서 동시에 청년들에게 새로운 일 경험과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젝트로 기획됐다. 5월부터 8월까지 약 4개월 동안 60명의 청년

조사원들이 마을을 화두로 서울의 14개의 동네를 조사했으며, 조사 계획부터 결과물

제작까지 전 과정을 참여한 청년들이 직접 주도했다. 청년 조사원들은 3주간의 기본 교육,

조사 계획 수립을 위한 대상지 탐방을 거쳐 문헌조사와 주민 예비 인터뷰를 더해 동네

조사 계획을 수립한 후 2개월에 걸쳐 본격적인 조사활동을 벌였다. 그리고 활동의 과정과

결과물을 시민들과 함께 나누는 전시회 <신택리지뎐(展)>을 개최했으며 마을 탐사 내용을

총정리하는 스토리북 원고를 작성했다.

서울 신택리지는 옛 마을공동체에 대한 과거 기억만이 아니라 살기 좋은 마을공동체의

미래를 만들고 있는 주민들의 현재 활동 또한 소중하게 기록한 역사 프로젝트이자 마을

아카이브이다. 주민들의 일상생활사나 마을사의 관점에서 의미 있고 중요한 것들, 살기

좋은 마을공동체를 꿈꾸는 지역 주민들의 마을활동과 커뮤니티 공간들을 기록에 담았다.

서울 신택리지 사업은 도시 콘텐츠의 원천을 발굴하는 공공서비스 사업의 새로운 전형을

보여주었으며, 주민들과 청년들로 하여금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공간을 한층 깊게

바라보며 마을에서의 생활과 역할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일조했다.

조사 규모와 체계

- 조사 대상지: 서울시 15개 동네/마을

- 조사원 규모: 총 87명 참여, 최종 64명 완수

- 조사 방법: 마을살이형 자원 조사

- 사업 기간: 2013년 5월 ~ 12월

- 자문 위원: 상시자문 2인, 전문자문 4인

Page 81: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56 157

강서구

강남구

은평구

용산구

양천구

도봉구

영등포구

방화동

삼성동

산새마을

산골마을

한남동

목2동

방학2동

신길3동

마을명

마을별 조사 내용

인터뷰(3)

사진(54)

인터뷰(14)

사진(198)

인터뷰(7)

사진(38)

인터뷰(3)

사진(89)

인터뷰(12)

사진(19)

인터뷰(9)

사진(25)

인터뷰(5)

사진(254)

인터뷰(5)

사진(11)

축적자료

- 개화산, 치현마을,

상사마을 이야기

- 숲속도서관, 강서생협 등

마을공동체

- 강서습지생태공원

- 4개 여행코스

- 남원 윤씨와 철거민

이야기

- 이웃 커뮤니티

- 삼성산 나들길

- 마을 만들기 사업 경험

- 마을 형성 역사

- 고 이은성 작가 이야기

- 마을역사 이야기

- 산골마을 8경

- T자 골목과 패션숍

- 우사단길 청년마을

- 도깨비시장

- 큰한강부군당 이야기

- 마을 사랑방 ‘영진목용탕’

- 지역아동센터 협동조합

‘나무와숲’

- 문화공간 ‘청청청’

- 안동 권씨, 함열 남궁씨

이야기

- 양말공장, 도깨비시장

- 마을만들기 활동 사례

- 신풍시장 시장사

- 신풍시장 가게

마을 자원 사례

- 상대적 발전은 늦지만 대신 마을

공동체의 모습 간직

- 고려시대부터 새마을운동까지 기억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전통마을 존재

- 공항시장 등 다양한 시대적 흔적

- 조선시대 ‘남원 윤씨’ 집성촌에 1970

년대 철거민 이주가 더해진 곳

- 무허가 주택과 일반 주택지구, 부분적

개발 진행된 아파트지구로 구성

- 서울 마지막 달동네 중 하나인 밤골

- 일제 공동묘지였다가 1960년대

철거민과 수재민 이주로 마을 형성

- 주민참여형 주거재생사업 시범마을 선정

- 6.25 이후 판잣집으로 형성

- 주민참여형 주거재생사업 시범마을 선정

- 서울 대표적 부촌이나 빈촌과 공존

- 이슬람 성원, 각국 대사관, 미군부대 등

여러 문화가 어우러져 있음

- 최근 젊은 문화예술인들이 주목

- 고도가 낮은 주택, 운치 있는 골목길,

소소한 일상이 존재하는 동네

- 주민들의 자발적 커뮤니티 공간과

마을축제

- 안동 권씨, 함열 낭궁씨 집성촌

- 도봉산 조망을 위한 고도제한으로 아파트

부재

- 상대적으로 많은 노년층, 젊은 주부들의

마을만들기 활동

- 신길3동 신풍시장

- 끈끈한 상인 공동체 문화 존재

조사 내용 요약용산구

서대문구

강북구

성북구

금천구

관악구

해방촌

가재울

마을

인수동

정릉1동,

2동

독산3동

대학동

마을명

인터뷰(1)

사진(79)

인터뷰(2)

사진(227)

인터뷰(15)

사진(62)

인터뷰(10)

사진(155)

인터뷰(5)

사진(57)

인터뷰(2)

사진(108)

축적자료

- 월남민, 서북청년회

이야기

- 가내수공업과 신흥시장

- 해방촌 청년층

- 모래내시장과 좌원상가

- 남이마을 공동텃밭,

친환경 행복나눔농장

- 각종 커뮤니티 공간

- 마을문화장터,

작은도서관, 4.19공원

- 아름다운마을공동체

- 다수의 동네 슈퍼

- 교수단지와 부흥주택

- 정릉 숲, 집단 체조

- 다수의 휴게실

- 중국동포거리

- 독산자락길

- 남문시장

- 새터공동체

- 녹두거리

- 대학가 서점

- 고시공원

마을 자원 사례

- 해방 이후 북에서 내려온 사람들이 만든

동네

- 급속한 도시화 시기 지방민 유입

- 저렴한 집을 찾는 청년층 유입

- 베드타운의 성격이 강한 지역

- 1970년대까지 수재민, 철거민 대거 이주

-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과 활동 존재

- 북한산 자락, 단독주택과 빌라로 이뤄진

주거 중심 지역

- 자연녹지가 동 전체 70% 차지

- 녹지, 지역대학, 2개의 대안적

마을공동체의 조화

- 정릉(조선 태조 계비 신덕왕후 능)

- 교수단지와 부흥 주택 위치

- 토박이와 노년층 인구 다수

- 1964년 구로공단 조성, 노동자들의

주거공간으로 기능

- 소규모 봉제시장과 남문시장

- 노동자 문화의 지역적 특성

- 신림동 고시촌으로 유명

- 로스쿨 제도로 공동화 현상 심각

- 1인 생활자들을 위한 공간으로 변화

조사 내용 요약

Page 82: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59

4

교류사업

청년허브 국제컨퍼런스: 삶의 재구성 2013-20174.1

2013

일시 2013. 11. 6-8

프로그램 세미나, 워크숍, 전시, 현장답사, 대담 등

참가자 7개국 20여 명의 해외 연사와 일반참가자 700여 명

주요 행사

- 기조연설: 미국 탈탄소연구소의 리처드 하인버그의 “제로성장, 우리의 해법은?”

- 홍콩의 사회혁신: 홍콩에 기반을 둔 아시아의 젊은 체인지메이커들을 위한 플랫폼 MAD

와 청년허브 청년들의 사례 발표와 아이디어 워크숍

- 개발자가 사회혁신을 실행하는 방법: 태국의 IT 사회적기업인 오픈드림이 공유하는 IT

기술로 사회의 과제를 풀 수 있는 방법

- 도쿄 R부동산, 알박기의 이론과 실제: 소비보다는 생산으로, 소유보다는 공유로 지속

사업 목적

청년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해외 기관, 단체들의 사례 탐구와 교류 증진을 통한 새로운

사업과 사업 주체의 발굴

사업 개요

청년 이슈와 관련해 변화하는 시대의 국제적 흐름과 동향을 파악하고, 상호 교류의 장을

통한 청년그룹의 발굴과 실질적 경험 확장을 목표로 기획되었고, 양방향 교류를 통해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국제 네트워크 사업은 단순 프로그램

참여로 이루어지는 기존 교류 사업과 달리 자기 활동을 기반으로 청년그룹 스스로

교류를 원하는 해외 전문가 및 단체를 찾고, 직접 프로그램을 기획·실행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기점으로 국내외 청년그룹 간 쌍방향 워크숍 참여 등 자발적 활동을 통해

교류의 지속성이 확보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국제 교류에 대한 청년그룹의 니즈 파악

및 지속적인 교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해외 청년그룹·청년 관련 기관과 자연스럽게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이는 곧 청년활동에 대한 구체적 지식 및 정보·기술과 경험

공유로 이어지고 있다.

Page 83: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60 161

가능한 삶의 방식과 감각들을 키워나가는 도쿄 R부동산의 사례 발표

- 일의 재구성: 일에 대한 개념에 균열을 일으키고, 일의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는 한국과

일본의 사례 발표와 대담

- 에즈원 커뮤니티를 통해 본 사이좋은 마을공동체 만들기: 인간 본성에 맞는 사회 구현을

모토로 공동체 운동을 하고 있는 일본의 에즈원 커뮤니티의 이야기

- Next Party! 미래의 정치이야기: 독일 해적당 유럽위원장인 줄리아 레다가 이야기하는

미래, 청년, 정치 이야기

- ‘일이 오너라 ‘업’과 놀자: 일과 놀이의 구분 없는 삶을 추구하는 오픈팩토리와 영국

팩스트먼트의 칼 와버튼과 싱가포르 쏘츠 콜렉티브의 샤오윈의 만남

- 일하는 방식의 재구성: 공유경제와 코워킹 오피스 등의 문화를 통해 새로운 방식의

커뮤니티를 디자인하는 일본의 사회적 기업가들의 경험 공유

- 청년리더포럼: 연대, 협력, 공유위 시대, 청년리더들에게 필요한 새로운 리더십인 위더십

(WEadership)을 소개하고 실천 방법을 모색하는 포럼

2014

일시 2014. 9. 25-27

프로그램 대중강연, 세미나, 워크숍, ,현장답사, 대담 등

참가자 5개국 8명의 해외 연사와 일반참가자 800여 명

주요 행사

- 기조연설: 미국 졸리 피트 재단 사무국장,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 창립자인 카메론

싱클레어의 “실천과 액션, 변화를 만드는 힘”

- 용기학교 & 존-폴 플린토프: 삶을 디자인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디자인 학교이자

새로운 배움의 방식을 제안하는 교육 컨텐츠 플랫폼, 용기학교와 영국 인생학교의 ‘존-폴

플린토프’가 함께 한 참여형 워크숍과 강의

- (주)앤스페이스 & 알렉스 힐먼: 인디홀(Indy Hall)의 공동 창업자 알렉스 힐먼. 코워킹

스페이스에서 커뮤니티의 중요성과 조직 방법, 커뮤니티가 함께 일할 수 있는 법 등에

관한 워크숍과 대중강연

- 문화로놀이짱 & 톰 한싱: 제작워크숍과 제작자 활동강화에 주력하는 ‘오픈제작소연합’

의 공동 창립자 톰 한싱.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DIY 문화가 지지되고 연결되는 방법,

오픈 워크샵의 네트워크와 형성방법에 대한 대중강연

- 평화교육프로젝트 모모 & 서칫 로찬 자, 정성미: 지속가능한 농업기술을 보급하고

농촌 여성과 청년들을 지원하는 비욘드네팔의 공동설립자, 서칫 로찬 자와 정성미. 삶의

재구성을 위해 일상 속에 스며있는 구조적 폭력을 감지하고 그것을 바꿔나갈 수 있도록

평화감수성과 연대를 경험하는 참여형 워크숍

- 정다방프로젝트 & 에밀리 홉킨스: 실험적이고 대안적인 예술활동을 지향하는

정다방프로젝트와 예술가로 구성·운영되는 비영리 기관, 사이드스트리트프로젝트의

총괄디렉터 에밀리 홉킨스가 진행하는 문래동 예술워크숍

- 종로4가 청년가게 업사이클링·제작이 만든 변화 A부터 Z까지: ‘종로4가 청년가게’와

필리핀의 사회적기업 랙스투리치스가 ‘제작’, ‘업사이클링’, ‘사회혁신’ 3가지 키워드와

‘손’으로 만드는 변화에 대해 이야기하는 대중강연

2015

일시 2015. 11. 18-19

프로그램 강연, 세미나, 대담 등

참가자 8개국 14명의 해외 연사와 일반참가자 300여 명

주요 행사

- 빌려쓰는 도시: 서울 시민들이 공공 공간을 얼마나 다양하게 ‘빌려 쓰고’ 있는지 연구한

이탈리아 건축가 시모네 카레나, 자본과 공간이 교환되는 임대 방식을 넘어 사회적

관계를 통해 동대문 옥상에서 살아가고 있는 동대문옥상낙원DRP와 함께 도시에서

살아가는 이야기, 도시에서 살아갈 이야기를 나누는 대중강연

- 모두의 도시, 우리의 사용법-도시 실험가들의 사람책: BMW구겐하임랩 연구원 찰스

몽고메리, 독일 마더센터 창립자이자 아쇼카 펠로우인 힐데가르드 슈쉬, Strategic

CommunityIntervntion 창립자 윌리엄 존슨 등 국내외에서 역동적으로 활동하는

사회혁신가 9인에게서 듣는 사람과 공간에 대한 사회혁신

- 청년X지역-커뮤니티 발란스: 일본의 커뮤니티 디자이너 코스게 류타, 니시카와 료,

나카무라 유스케가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필요한 청년X지역X주민 또는 청년X커뮤니티X

디자인의 커뮤니티 발란스 사례

Page 84: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62 163

2016

일시 2016. 12. 8-9

프로그램 전시, 대중강연, 세미나, 워크숍, 대담 등

참가자 7개국 70명의 해외 연사와 일반참가자 1,000여 명

주요 행사

- 동아시아 포럼: (1) 정당정치의 새 지형: 변화의 정치, 헬조선, 귀도, 같은 좌절, 다른

대안 (2) 고령화 사회의 민주주의: 청년들은 체제를 바꾸어낼 수 있을까 (3) 동아시아

취재진들의 못다한 이야기, 앞으로의 과제들

- 이슈 포럼: (1) 공유와 사유, 그 사이 (2) 청년지원의 재구성 (3) 일상의 민주주의: 활동,

일, 직업에서 선거와 운동까지

- 불편한 고리들-폭력의 예감: 여성이라는 이유로 당할 수 있는 다양한 폭력의 형태를

이미지로 표현한 노뉴워크의 전시

- 프레셔스 플라스틱: 폐플라스틱 가공기계의 도면을 공개, 누구나 직접 업사이클링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한 네덜란드 디자이너 데이브 하켄스의 프로젝트 ‘프레셔스 플라스틱’

의 오픈스튜디오와 강연

- 아토피안이 말하는, 우리가 살아가는 방법: 아토피 환자의 건강한 삶을 위한 프로그램 및

자조모임을 운영하고 있는 아토피스타의 아토피 대안찾기 한일포럼

- 해외 코다 단체의 설립과 활동에 대하여: 코다 CODA는 Children of Deaf Adults

의 줄임말로 청각장애를 갖고 있는 부모 아래서 태어난 청인 자녀를 일컫는 말. 영국과

홍콩에서 관련 모임과 캠프 등을 진행하고 있는 해외 활동가이 직접 들려주는 코다의

잠재력과 역할, 코다 커뮤니티 활동 노하우

- 무국경 바다의 친구들: 멸종 위기 해양생물 보호와 해양 생태계 보존 활동을 펼치고 있는

청년 환경단체핫핑크돌핀스, 중화고래류보호협회 활동가 켈리 쳉, 북방 한계선의 듀공을

지켜보는 모임의 마사코 스즈키 등 동아시아 해양 포유류 보호단체 활동가의 세미나

- 프랙클스의 전시와 강연: 성소수자 관련 콘텐츠를 제작, 판매하는 햇빛서점의 커뮤니티

공간 프랙클스에서 진행한 일본 HIV/AIDS 커뮤니티 센터 akta에서 제작 및 배포하고

있는 에이즈 예방 월간페이퍼 ‘akta: monthly paper’ 전시와 청소년/청년 감염인

커뮤니티 ‘R’ 활동가를 초청한 열린 강연

- 목욕관-타인의 목욕을 엿보다: 누구의 시선도 신경 쓰지 않고 벌거벗은 몸으로 내 몸에

붙어 있는 필요없는 것들을 벗겨내고 씻어 내는 행위 ‘목욕’을 주제로 한 아트워크 그룹

홉의 전시와 토크

2017

일시 2017. 10. 12-13

프로그램 대중강연, 세미나, 워크숍, 대담 등

참가자 4개국 10명의 해외 연사와 일반참가자 800여 명

주요 행사

- 야코 블룸버그_최악의 상황이 기회를 만든다: 공간의 경계를 허물어 도시가 잃어버린

것들을 예술로 되찾아 그 공간에 사람들을 모이게 하는 핀란드 헬싱키의 공공 예술.

예술로 도시와 사람을 연결하는 공공예술 활동가 야코 블룸버그의 오픈 살롱

- 리켄 고마쓰_하루 아침에 유명해진 후쿠시마에서 내 삶의 기본을 찾다: 활기를 잃은

후쿠시마에 퇴근 후 직장인들이 올 수 있는 누구나의 거실 UDOK를 만들고, 바다에서

물고기를 낚아 방사능을 측정하는 실천적인 일상 문제 해결사 리켄 고마쓰의 오픈 살롱

- 김윤진_몸의 숲: 춤을 자유이자 삶을 진화시키는 질문의 도구로 사용하는 안무가

김윤진의 오픈 살롱

- 린첸 다와_우리가 스스로를 여행할 때 생기는 지혜: 행복의 나라 부탄에서 온 젊은 현자.

세상의 모든 것들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고 우리가 본질에 대한 탐구를 계속할 때에

평화가 온다고 믿는 행복 실천가 린첸의 오픈 살롱

- 위라_먼저 어깨에 힘을 빼고 용기있게, 단순하게: 어려운 환경을 도전으로 극복하여

자기화시키며 더 나아가 자신의 커뮤니티에 영향력을 펼치고 있는 발리 청년 위라의 오픈

살롱

- 지은성_진심이 만드는 비즈니스: 사람과 사람의 진정한 본질을 연결시키고, 본질에

충실한 제품을 만드는 관계 직조공 청년 기업가 지은성의 오픈 살롱

- 박요셉_농사천하지대본, 모든 것의 건강한 생태계: 땅을 바꾸는 근본적인 일의 힘을

인정하고 자신의 다름을 통해 진짜 통일을 그리며 생태순환농업을 통해 땅을 회복시키는

농부, 요벨팜 박요셉의 오픈 살롱

- 줄리아 프롭_내 안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며 꿈을 이루는 법: Think Globally, Act

Locally 쓰레기로 만든 업사이클링 보트 플랫폼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재미난 일을

꾸미는 공동체 Geek 줄리아 프롭의 오픈 살롱

- 공간 만들기 부트캠프: 도쿄의 경제지구 한복판에 회사원들의 친구만들기 프로젝트

‘아침대학’을 만들어 이어온 유키 우디 우다가와의 워크숍

Page 85: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64 165

삶의 재구성: 우리가 알던 성장은 더 이상 정상이 아니다4.2이 글은 리차드 하인버그 Richard Heinberg의 2013년 청년허브 컨퍼런스의 기조연설문이다. 리차드

하인버그는 미국 탈탄소연구소 수석 연구원으로 석유 정점 분야의 세계 최고 전문가이자 환경운동가들에게

영감을 주는 지식인이다. 그는 에너지 교육, 경제 위기, 식량과 농업 문제, 공동체 복원, 기후변화 등 폭넓은

분야의 전문가로, 2002년부터 전 세계를 돌며 화석 연료 고갈을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고, 유럽연합 의회를

포함한 각종 의회와 강연회, 라디오와 텔레비전 등에 출연하며 700회 이상의 강연을 진행했다.

성장의 종말

21세기는 20세기와 아주 다른 모습을 띠게 될 것입니다. 21세기가 어떤 모습일지

맛보기만 보았을 뿐인데도 우리는 21세기의 경제가 20세기와 매우 다른 것은

이미 인식하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저는 우리가 알고 있던 경제 성장을

끝으로 몰고 가는 세 가지 중요한 요소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첫 번째는 에너지입니다. 인간은 항상 에너지를 사용해 왔습니다. 주로

태양열을 식용작물, 가축, 장작불로 변환해 사용하였는데, 화석연료가 모든

것을 변화시켰습니다. 화석연료는 강력하고 농축된 에너지원이며 저렴하기까지

하였습니다.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우리는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 사회를 탈바꿈시킨 산업혁명은 사실 화석연료 혁명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1인당 국내 총생산과 인구도 짧은 기간 동안 급속히

증가했습니다. 화석연료는 고갈되는 자원이기 때문에 만약 모든 경제 성장이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다면 문제가 있습니다. 모든 교통수단이 석유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고 모든 무역은 수송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지구

표면에 존재하는 석유, 석탄, 가스가 고갈될 위험에 처해있고, 우리는 가장 쉽고

저렴한 자원을 먼저 추출하였기 때문에 앞으로 각각의 자원을 추출하는데 드는

비용이 점점 높아질 것입니다. 다시 얘기하면, 석유 1배럴을 시추하는데 드는

에너지양이 1배럴의 석유가 제공하는 에너지 양보다 커진다는 말입니다. 이것은

성장을 멈추는 요소 중 하나로 미국과 유럽 국가들과 같이 오래된 산업국가들에게

특히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한국은 석유와 천연가스를 모두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원자력은 한국의 에너지 일부분을 생산하고 있지만 원자력을

생산하는 우라늄은 수입되고 있습니다. 재생 가능한 수력은 한국의 에너지의

일부분을 제공하고 있지만 그 양이 늘어나고 있지는 않습니다. 한국의 에너지

소비량 증가는 거의 모두 수입된 화석연료에 따른 것이며, 이는 고갈되고 있는

자원입니다.

두 번째는 부채입니다. 산업혁명 초기 저렴하고 풍부한 에너지(화석연료)가

많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상품을 제조할 수 있었습니다. 과잉생산이 일어났고

광고를 통해 사람들이 더 많은 상품을 원하게, 물건을 사는데 더 많은 돈을 쓰도록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와 같이 가격이 높은 상품은 사람들이 한 번에 돈을

낼 수 있는 시간을 넘었습니다. 그리하여 제조업자들과 은행들은 사람들이 더

많은 소비상품을 살 수 있도록 부채를 갖기 쉽게 만들었습니다. 지난 20세기 동안

우리는 소비 증가를 목적으로 한 경제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국가 경제는

모두 소비를 증가시키는데 의존하지만 사람들이 더 이상 돈이 없다면 어떻게

경제를 계속해서 키울 수 있을까요? 답은 부채입니다. 1980대를 시작으로 미국과

몇몇 다른 산업경제국가의 부채는 GDP 성장률의 3배로 늘어났습니다. 2008년에

그 시절이 끝났습니다. 많은 국가들이 부채의 한계에 도달하여 가계부채를 더

이상 감당하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빌린 돈을 갚지 못하고 은행들도

더 이상 대출을 해 줄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부동산 거품이

터졌을 때 그것은 우리의 글로벌 시스템이 매우 중 요한 금융 및 경제의 변화를

겪고 있다는 신호였습니다. 소비자 부채가 더 이상 자라지 않았기 때문에 경제

가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정부가 뛰어들어 자금을 대고 있습니다. 만약 정부

장치들을 없앤다면 경제는 축소될 것이고 이것이 미래의 꾸준한 성장을 힘들게

만들 것입니다.

세 번째는 환경적 요인입니다. 지구가 산업 생산과 소비가 가져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은 한계가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가장 먼 저 기후변화를

통해서 봅니다. 화석연료를 연소시킬 때 우리는 이산화탄소를 대기에 유출시키며

이 과정은 지구온난화를 발생시킵니다. 점점 더 기상이변의 횟수가 늘어나고

북극의 빙하는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화석연료를 연소하는 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을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많은 예측 자료에 의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기상이변은 더욱 심해지고 횟수가 늘어날 것이라고

합니다. 그것은 우리 후손들에게 실제 경제 비용으로 작용하고, 경제성장을 막을

것입니다.

삶의 재구성

성장의 종말은 굉장한 도전이 될 것입니다. 너무나 자명한 일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지금 일어나고 있는 현상은 유례없는 일이라는

Page 86: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66 167

것입니다. 지속적인 경제성장이야말로 인간 역사에 없었던 일입니다. 우리는 다시

정상으로 돌아가는 것이지요. 우리는 성장경제 이후의 삶으로 전환(transition)

하기 위하여 몇 가지 노력을 할 수 있습니다.

GDP를 경제 성공의 지표로 사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소비가 늘어나면 GDP가

증가하고 모든 사람들이 우리가 잘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더 이상 그런

기준을 지속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얼마나 행복한지를 지표로 삼아 웰빙을

측정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교육의 질이 어떤지, 얼마나 적은 숫자의 사람들이

교도소에 있는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가 평화로운지 또는 폭력적인지,

사람들이 굶주리고 있는지, 영양 상태가 좋은지? 이러한 것들을 직접 측정하고

경제 성공을 제대로 된 기준을 통하여 볼 수 있다면 우리 사회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삶의 경험을 개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GDP 성장이 둔화되고

감소되더라도 말이지요.

제가 여기 노동자 소유권을 포함하는 이유는 요즘 많은 기업들이 주식회사이며

투자자들이 소유한 회사입니다. 그 회사가 성장하지 않는다면, 주식의 가치가

오르지 않고, 회사는 생존할 수 없습니다. 회사는 인수합병되거나 망하겠죠.

이러한 회사들에게 성공이란 수익에 달려 있을 뿐입니다. 좋은 상품을 생산하고

직원들의 근로 환경이 좋은지는 별로 신경 쓰지 않습니다. 그것들은 부수적인

부분들이죠. 회사가 만약 그런 것들을 주된 요소로 보는 것은 어떨까요?

가족경영기업 또는 노동자 소유 기업은 성공의 척도를 사회에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 직원들의 삶의 질과 상품의 품질로 둘 수 있습니다.

또한 인구수를 줄이거나 안정화시키는 차원에서 생각해 봐야 합니다. 경제가

더 이상 성장하지 않는데 인구 증가는 계속된다면 1인당 돌아갈 수 있는 양이

줄어듭니다. 그것은 사회적 불안정을 낳고 사람들은 불행해지고, 비난과 책임의

대상을 찾을 것입니다. 그리고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하게 될 것입니다. 이런

문제를 우리가 인구증가를 억제함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투기성 투자를

줄여야 합니다. 사회적 가치가 있는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는 필요하지만 투기성

금융이 사회의 방향성을 좌지우지하도록 내버려 둘 수는 없습니다.

또한 우리는 더 많은 재생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동시에 우리가 어떻게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화석연료, 석유에 의존하는 우리의

교통운송 시스템, 식량 체제를 재구성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더 많은 전기차를

생산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람들이 자전거를 타고 걸어 다니기 편한 환경을 만드는

것도 중요합니다. 유기농 제품을 생산하고 로컬에서 생산하여야 합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들을 다 시 디자인하고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이미 이런 것들을 실행하고 있지만 속도도 느리고 규모가

작습니다. 중요한 것은 변화의 규모와 속도를 늘려 이러한 변화의 잠재적 이득을

가시화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현재 경제 성장이 최고점을 치고 줄어들고 있을지 모릅니다. 세계 석유 생산량도

최고점을 치고 줄어들고 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앞으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많습니다. 우리의 삶을 가치있게 만들 수 있는 것들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행복운동이라는 새로운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데, 그것은 사람들과 커뮤니티의

삶의 만족도를 직접 측정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제품을 소비한다고 해서 더

행복해지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삶을 재구성하여 더욱 협력하고 나눌 수

있다면, 우리는 더욱 행복해질 것입니다. 소비가 줄어들어도 말이죠. 또 하나의

올바른 세계적인 움직임은 트랜지션 마을/이니셔티브입니다. 수 천 개의 트랜지션

타운들이 영국, 유럽, 북미에 생겨나고 있습니다. 일본과 다른 수많은 국가에서

트랜지션 마을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시민들의 힘으로부터 나오는

것이지 정부가 주도하는 것이 아닙니다. 정부가 문제를 풀어주기만을 기다린다면

아주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매우 신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특히 청년들에게는 더더욱 신나는

시간입니다. 왜냐하면 여러분들의 삶 동안, 우리는 우리 사회의 기본적 시스템

– 금융 체계, 식량체계, 교통 체계를 모두 재구성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시스템은 20세기에 디자인되었으며 그 당시의 변화하는 경제상황을 반영한

것이었습니다. 사람들과 자연 그리고 우리 후손을 위한 세계를 재구성할 수 있는

엄청난 기회의 시간입니다.

Page 87: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Page 88: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Page 89: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Page 90: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75

5

정책사업

청년정책네트워크 2013-20175.1사업 목적

청년 당사자들이 직접 청년 정책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민간 청년 거버넌스 구축과

청년문제 해결의 새로운 민관협력 기반 조성

사업 개요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이하 청정넷)은 서울의 청년들이 모여 자신들의 문제를 이야기하고

이를 서울의 청년정책으로 풀어보기 위해 시작되었다. 2013년, 공개모집을 통해 모인

249명의 ‘서울시 청년정책위원’은 청정넷을 출범시키고 청년정책 논의를 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정책 테이블을 열었다. 청정넷의 각 정책 테이블은 청년의 삶과 현장을

들여다보고 문제를 발견하여 정책을 만드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청정넷은 단순히 정책 개발을 넘어 청년들의 당사자 네트워크를 지향했다. 전문성을 갖춘

청년단체들이 서울시, 청년허브와 함께 청정넷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거버넌스의 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다양한 차원의 정책 교육을 진행하여 청년정책위원들이 정책에 대한

감수성과 전문성을 담보하고자 했다.

청정넷의 활동은 네 가지의 성과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청년과 서울시정이 함께

지방정부 차원에서 청년정책 생산의 플랫폼을 구축하는 정책 거버넌스를 만들어냈다.

둘째, 시민사회 담론 수준에 머물렀던 청년 문제의 정책화와 제도화의 일정한 모델을

제시했다. 셋째, 정책 교육이라는 당사자 시민교육의 과정을 설계했다. 넷째, 단일한

의제가 아닌 다양한 경험과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 청년들의 네트워킹을 통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생산을 시도했다.

청년정책위원 수 (단위: 명)

200

300

400

2013

249271 271

376

316

2014 2015 2016 2017

Page 91: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76 177

2013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1기

청년의 시정참여, 서울시와의 정책협력을 위한 상시적인 시민참여 플랫폼, ‘서울청년정책

네트워크’가 시작되었다. 249명의 정책 위원이 만든 249개의 정책 아이디어를 8개 분야

20개 정책과제로 제안하였다.

2014 - 15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2기

청년 당사자가 주도하는 일상적인 시정참여의 장이자, 청년정책의 방향전환을 이야기하는

공론의 장으로서 ‘2015 서울청년주간’과 ‘2015 서울청년의회’를 처음으로 개최하였다.

그리고 최초의 청년정책 종합계획인 ‘2020 서울형 청년보장’이 만들어졌다.

전국 최초로 ‘청년’을 대상으로 한 법적 근거인 ‘서울특별시 청년기본조례’가 서울시

의회를 통과해 공포되었다. 그동안 일자리 외에는 청년에 관한 법률 조항이 없어 일자리에

국한된 정책만 존재하였으나 청년기본조례 제정을 통해 종합적인 사회정책으로서의

청년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한 토대가 마련되었다.

2016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3기

‘2020 서울형 청년보장’이 만들어진 이후, 다른 지자체에도 청년정책이 점차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청년정책의 사회적 공감대 확산을 위한 ‘지역 청년활동가 네트워크’

가 시작되었고, 서울시의회와 청년의회 공동 개최 등을 통해 당사자-시의회-서울시의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민관협치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2017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4기

청년정책이 전국화되면서 각 지차체는 물론 중앙정부에서도 청년정책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제도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문제가 제기된 현장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서울 광역단위를 넘어 자치구에서 청년이 정책에 개입할 수 있도록 참여의

거리를 좁혔다.

서울청년의회 2015-20175.2사업 개요

서울청년의회는 청년 당사자가 청년정책을 직접 제안하고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청년 당사자들과 서울시의회 시의원, 서울시 실·국 담당자가 만나 청년문제 해결을 함께

논의하는 자리이다. 멤버십 캠프를 통해 구성된 분과 활동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정책을 제안하거나 기존 정책 모니터링 결과를 담당 서울시 실·국에 질의,

발표한다.

존중하길 바람

관계 맺길 바람

하고 싶은 일을

하기 바람

oo하기 바람

성소수자 바람

여유 있길 바람

걱정 없길 바람

분과

2015 서울청년의회 10대 정책 제안

지금 시행하고 있는 정책을, 청년들이 존중받는 방식으로 반드시 개선해주십시오.

청년이 관계맺음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청년활동, 청년활동 공간의 조성을

닿기 쉽게 규모화해야 합니다.

청년이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청년의 삶을 반영한 일자리 정책으로 쌍방향 혁신을

확고히 해야 합니다.

장애인 의무고용제도의 현장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 하고, 고용의 양이 아닌 ‘질’에

대한 의무를 보다 높여야 합니다.

차별 없는 서울을 위해 서울시 공문서부터 성별표시를 떼고 공공이 성평등 교육에

모델이 되는 시정 혁신을 추진해야 합니다.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여유있는 일상의 틈을 넓히는 퍼포먼스가 아닌 실효성

있는 정책을 새롭게 마련해야 합니다.

청년의 주거안정, 청년의 신용회복 등 청년의 자립을 위해 촘촘한 안전망을 과감히

구축해야 합니다.

제안내용

배울 수 있길 바람 배우고자 하는 사람의 주체성 향상을 위해 청년교육, 시민교육 지원을 확대하고

참여를 열어야 합니다.

Page 92: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78 179

신뢰하길 바람

신뢰하길 바람

분과

지속가능한 청년의 시정참여를 위해 서울청년의회를 독립적으로 상설화하고 안정적

운영을 지원해야 합니다.

청년의, 청년에 의한, 청년을 위한 청년정책 수립을 위하여 청년참여예산실링제를

도입해야 합니다.

제안내용

청년수당

부채

보건

미세먼지

분과

2016 서울청년의회 10대 정책 제안

- 단순 취업지원이 아닌 사회참여를 위한 청년의 다양한 욕구와 필요를 지원하는

정책으로 정책방향, 목료를 분명히 제시

- 시범사업의 한계를 벗어나 보다 보편적으로 서울시 청년수당 지원 대상 및 지원

내용 대폭 확대

- 청년의 현실을 반영해 신청자격 기준 완화, 선정 심사기준 가이드라인 수립 및 공개

- 지역기반의 거점별 청년활동지원 활성화 및 후속 연계를 위한 다방면의 지원내용

마련

- 부채가 있는 청년지원대책 수립을 위해 서울 청년의 금융 및 신용 현황 조사 및

통계화

- 졸업유예, 장기구직 등 사회 정착 기간이 지연되는 청년층의 현실을 반영해 대학(원)

생 학자금 대출 이자 지원 기간 연장

- 연체자를 위한 협소한 신용회복지원사업에서, 청년층의 위기예방지원으로

청년부채경감지원사업의 문턱을 완화

- 1인 청년 가구 건강에 대한 실태 연구조사 실시

- 전통시장과 연계한 ‘서울형 푸드 쉐어링’ 사업 (공유부엌, 식재료 소분 판매 등)을

통한 1인 청년가구 건강한 식생활 지원

- 시민 건강권 인식 전환 캠페인(1인 가구 필수 상비약 지원, 1인 가구 건강키트 배포

등) 실시

- 미세먼지 수치 안심 정보 제공 위해 측정소를 시민들이 주로 활동하는 공간에 설치

- 시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실내 초미세먼지 위험 기준의 설정

- 지하철 역사 내 미세·초미세먼지 측정 관리 강화로 실내 공기 질 개선

제안내용

장애인

자전거

시민교육

주거

공간

일자리

분과

- 문자통역 등 청각장애인 의사소통지원서비스 확대

- 장애인의 평등한 문화 관광 참여를 위해 책임부서 및 예산의 편성

- 서울자전거 따릉이 등의 이용률이 높은 2030청년층 대상 체험형 자전거 안전교육

신설

- 자전거 횡단도·안전표지 등 자전거 안전시설 지역 편차 해소 및 안전시설 확충

- 단기, 단시간 위주의 현행 자전거 안전교육을 도로주행실습, 안전수신호 교육 등의

체험형 안전교육으로 질적 개선

- 기획, 실행, 평가까지 청년과 함께 만드는 참여형 교육 운영을 통해 시민참여율과

만족도 제고

- 독립적인 사회구성원인 청년층의 시민력 제고를 위한 청년민주시민교육 신설 및

확대

- 사회로 진입하는 청년층이 능동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시민의 권리,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 참여를 통한 민주주의 학습을 제공

- 집을 구하는 청년 세입자에게 필요한 주택정보를 한 손에 제공하는 온라인

주거정보통합플랫폼 구축

- 사업별로 대학생, 창업자, 취업 준비생, 사회 초년생으로 칸막이 쳐져 있는 청년

공공주택 입주자격을 청년 일반으로 일원화

- 서울시가 조성 및 지원하는 청년 공간의 운영 안정성, 공간문화 자율성,

지속가능성을 제고하는 표준안 마련 및 적용

- 심화되는 취업난으로 인해 학습공간, 모임공간, 실습공간 등에 대한 청년층의

수요가 폭증함에 따라 생활권에 가까운 지역 청년 공간을 대규모 확대 조성

- 청년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서울시 청년수당 지원 대상 확대 및 자율 운영 강화

- 서울시가 제공하는 청년 공간 인프라 중 일부를 진로·심리상담, 교육, 관계 형성 등

취업 준비생 지원 특화형으로 운영

-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의 짐을 덜어주는 취업날개서비스의 지속적 운영, 지원내용과

규모의 확대

제안내용

Page 93: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80 181

청년수당(니트)

교통분과

장애인

마음건강

일자리

부채

주거

분과

2017 서울청년의회 10대 정책 제안

- 청년수당 참여인원 내 비구직/저활력 니트청년 참여 쿼터 마련

- 비구직/저활력 니트청년 대상 특화 프로그램 및 아지트(작은 공방) 운영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협력에 기반한 서울형 청년수당 전국화 추진

- 권리, 시간 보장, 신뢰, 배려라는 청년수당의 원칙, 원리 공론화 제안

- 대중교통 조조할인 시간대 확대(조조할인 시간을 06:30분에서 07:45분으로 확대)

를 통한 교통비 부담 절감 및 정책 체감도 강화

- 버스정책시민위원회 청년분과 신설로 대중교통 이용 빈도가 높은 청년층 참여

제도화

- 안전 취약계층의 재난 및 안전 관리 지침 별도 수립을 통한 장애인 재난안전 관리

현실화

- 재난 및 안전 관리 담당 공무원, 서울시 산하 다중이용시설 관계인 안전 취약계층

관련 위기 상황 매뉴얼 교육 훈련 강화

- 장애시민도 함께하는 재난대비 훈련 및 위기 상황 매뉴얼 교육 실시

- 알기 쉬운 장애인 재난대응 안전 매뉴얼 제작 및 배포처 확대

- 청년층 대상 민간 심리상담 비용 부담 완화를 위한 <청년 마음건강 바우처> 도입

- 서울시 관내 청년 마음건강 공공 인프라(시설, 전문 인력, 프로그램) 확대 및 안정화

- 마음건강 시민인식개선을 위한 마음건강 캠페인 및 매뉴얼 제작·배포

- 전년대비 두 배 이상 규모화된 뉴딜일자리, 일자리카페사업에 대해 청년 참여

기반의 전면적인 특별점검 실시

- 서울시 청년취업지원 사업 분야 이해당사자(서울시-서울시의회-청년참여-운영기관)

협의체 구성 및 사업 조정 권한 부여

- 서울시 관내 고금리 대부업 규제를 위한 관리 감독 강화: 대부 업체 관리 감독 및

교육 강화, 불법 사금융 피해 예방 캠페인 및 피해자 구제

- 중앙정부에 고금리 대부업 처벌 및 자격요건 강화 법령 개정 촉구

- 부채 위기 청년 긴급생활지원 사업 신규 도입: 과도한 부채와 소득 단절 등 위기

상황에 놓인 청년 긴급구제 사업 마련

- 공공 주택 청년 입주자격 기준 현실화를 위해 중앙정부에 청년 주거권 TF 구성 공동

제안(서울시, 서울청정넷)

- 선계약 후지원에서 선지원 후계약, 전월세전환률 반영 유연 기준 적용 등 서울시

보증금 지원 절차 및 기준 개선

- 청년 세입자 주거안정을 위한 자치구/지역사회 주거복지 인프라를 인프라답게,

접근성은 높게 개선

제안내용시민교육

갭이어

청년대표

기조연설

분과

- 청년 밀집 지역/생활권역 등 접근성 좋은 장소성 기반의 청년 종합생활상담교육

프로그램 <서울 청년 오픈 더 프로젝트> 추진

- 청년생활상담 코디네이터 <청년고민나누미> 양성 및 활동 활성화

- 서울시 청년정책 시행 시 사전 단계에서 정보제공 및 상담 필수 운영

- 2018년 신규 정년 정책으로 서울형 청년 갭이어 도입을 위한 3type 갭이어

프로그램 시범 운영: (1) (대학 재학생) 서울시립대 자유학기제 시범 도입 (아주대

파란학기제 참조) (2) (휴학생·졸업생·비진학자) 진로 재설계 기회 제공형 갭이어

프로그램 운영 (3) (취업경험유퇴직·이직자) 진로 재설계 기회 제공형 갭이어

프로그램 운영

- 2017년 하반기 <서울, ‘갭이어(gap_year)’ 포럼> 개최로 공론의 장 형성

- 숫자가 아닌 자존, 서울시 청년정책 형식이 아닌 원칙과 원리를 전국으로 확장

- 고용보장에서 소득 보장(사회보장)으로, 서울시 청년정책의 혁신성 더 아래로, 더

단단히 확대

- 청년정책의 고도화가 아닌 보편화를 위한 서울시정 내 세대 인지적 관점 확립 청년

참여 할당제 도입

- 취업률 등 정량적 목표 달성 위주의 기존 성과 지표를 새로운 청년정책의 원칙과

원리에 맞게 정성적으로 재설계

- 정책 수립 단계 위주의 거버넌스에서 정책 실행 단계의 거버넌스로 발전을 위한

제도 장벽 완화

제안내용

서울청년주간 2015-20175.3사업 개요

서울청년주간은 청년문제 해결을 시도했던 다양한 방법을 가지고 청년들이 광장에

나와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시민들을 만나는 자리이다. 청정넷 분과 멤버들과

청년단체를 비롯한 청년 주체들이 모여 토론회, 세미나, 컨퍼런스, 박람회, 전시 등

독창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청년들의 삶을 이야기한다.

Page 94: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82 183

서울청년주간 청년·시민 참가자 수 (단위: 명)

2,000

6,000

10,000

3,9242,643

10,000

2015 2016 2017

2015 서울청년주간

일시 2015.7.13-18

주제 바람과 함께 살아지다

소개 서울청년들의 다양한 바람이 모인 축제의 장, 2015 서울청년주간 ‘바람과 함께

살아지다’는 청년 공간 투어 ‘오픈하우스 인 서울’, 청년문제에 대한 쟁점과 현장의

이야기가 담긴 20여 개의 컨퍼런스, 먹거리 장터 제작 워크숍 그리고 콘서트를 포함한

도심 캠핑과 문화축제 등 일주일간 청년이 만들고 함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서울혁신파크를 비롯해 서울 곳곳에서 2천여 명의 시민들과 함께 진행되었다.

2016 서울청년주간

일시 2016.11.11-13

주제 너를 듣다

소개 전대미문의 국정농단 사태를 맞아 수많은 시민들이 광장에서 촛불을 들었고,

청년수당은 큰 사회적 논란으로 부각되었다. 전국의 지자체로 청년정책이 확산되는

과정에서도 마찰과 갈등이 빚어졌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2016 서울청년주간은 다양한

형태로 펼쳐진 청년정책위원들의 활동이 소개되었고, 청년들이 만들어온 거버넌스 과정과

그 의미가 ‘청정넷 뮤지엄’을 통해 공유되었다. ‘너를 듣다’라는 부제처럼 현재 한국

사회와 청년의 삶을 관통하는 이슈와 의제들을 두고 청년 당사자 주도의 공론장인 ‘N개의

컨퍼러스’를 통해 서로의 견해를 듣고 말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전국 곳곳에서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청년활동가들과 함께 진행한 ‘무지방 파티’를 통해 연대와 교류의 장을

열었다.

2017 서울청년주간

일시 2017.10.28-29

주제 변화를 감각하다-당연한 것들에 대한 문제 인식

소개 2017년 청년주간에서는 시민들과 함께 실제로 청년들이 감각하는 변화는 무엇인지,

청년과 사회가 함께 공통으로 감각하는 자리가 만들어졌다. 청년문제와 청년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세대와 지역의 경계를 넘는 대화와 토론의 장을 열어

청년정책의 변화를 널리 알리고 지지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Page 95: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85

6

일자리사업

서울JOB스6.1사업 목적

구인 업체와 청년의 굿매칭(good matching)을 실현하는 새로운 일자리 플랫폼

사업 개요

‘서울JOB스’는 일본의 ‘일백화점’이라는 구인 사이트를 벤치마킹한 온라인 일자리

플랫폼으로, 2013년 12월 18일 오픈했다. 서울JOB스는 구인 업체에 대한 사실 중심의

정보 제공을 통해 구인구직 간의 정보 비대칭성을 줄이고 청년 고용 미스매칭(miss

matching)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적 사이트이다.

공공의 구인구직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는 양적으론 성장하였으나 구인기업의 임금,

지원 자격 등의 단순 정보 전달이 주를 이루고 있어, 중소기업중앙회의 보고서(2012)

에 따르면, 공공 취업 정보 사이트에서 중소기업 관련 정보를 얻는 청년 구직자는 17%

에 불과하다고 한다. 공공 취업 정보 사이트에 반영되는 강소기업·우수기업들의 선정

기준 역시 매출액, 임금수준, 고용 창출, 신용등급 등 수량적 지표만을 기준으로 삼고 있어

조직문화, 기업의 가치관 등의 질적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그

결과 청년층의 80%는 중소기업에 취업할 의향이 있지만 청년 구직자의 53.2%는 중소기업

구인 정보에 만족하지 못하는 등 중소기업 부문에서 구인구직 간의 정보 미스매치의 갭이

확대되고 있었다.

서울JOB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새로운 일자리 플랫폼으로서 자리 잡기 위해 ‘청년

취재단’을 통해 구인 업체를 직접 방문 취재하여 회사의 설립 취지, 비전, 조직문화, 업무,

직원들의 생각 등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구직자들의 ‘인지적 취업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서울JOB스 구인 콘텐츠 제작 수 (단위: 건)

100

200

300

2013

35

180

227246

187

2014 2015 2016 2017

Page 96: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86 187

청년 취재단

서울JOB스의 청년 취재단은 만 19세부터 만 34세까지의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청년들로

서울지역의 구인 정보를 취재하고 기사화하는 활동을 하였다. 공개 모집을 통해 선정되는

취재단은 주로 대학생이나 구직자들이 주를 이루었고, 이들은 청년 구직자의 시선으로

사업장의 현장 취재를 통해 구직자들이 궁금해 할 구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다.

서울JOB스 청년 취재단 수 (단위: 명)

채용정보 공고의 구체적 평가 (단위: %)

50

100

150

2013

연봉 등 급여 수준에 대한 설명

구체적이다 보통이다 구체적이지않다

채용 전형별 준비 요건

복리후생, 복지제도에 대한 설명

지원 직무 분야에 대한 설명

채용 인원에 대한 설명

지원 자격 요건에 대한 설명

면접, 합격 발표 등 전형의 날짜 및 시간에 관한 공지

30

102

123

9668

2014 2015 2016 2017

청년 구직자가 느끼는 기업의 채용 관행 실태조사 중

대상: 취업준비생 505명 / 출처: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 2015.8.31

대상: 1년 이내에 신입사원으로 근무한 적이 있는 20-30대 2,437명 / 출처: 잡코리아 2015

61.4 31.7

16.6 31.7

33.5

44.4

49.3

52.5

55 35

38

37.6

35.3

41.2

6.9

9.9

9.5

13.1

20.2

25.3

51.7

중소기업 퇴사의 결정적 이유 (단위: %)

실제 업무가 생각한 것과 달라서

회사의 비전이 없어서

상사, 동료와 사이가 안 좋아서

업무 강도가 세서

연봉이 낮아서

워킹그룹 프로젝트6.2사업 목적

청년문제 해결형의 사회서비스 형 일자리, 서울시 정책 방향과 연계된 일자리를 구체적

실행(working)으로 현실화하려는 청년 그룹(group) 지원

사업 개요

워킹그룹 프로젝트는 ‘혁신적인 일자리 모델’을 상상하고 발굴한다는 것을 목표로,

능동적인 실행(working)을 통해 일자리 모델을 현실화하겠다는 청년 그룹(group)

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기존의 창업, 창직과 구분되는 워킹그룹 프로젝트의

혁신성은 청년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창출을 추구했다는 점,

서울시의 다양한 정책적 흐름 속에서 청년들의 역할을 모색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주거와 복지 등 청년층이 당면한 삶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생활을 안정시킬 수 있는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개발하고, 청년들이 자기 적성과 재능을 살려 서울시 정책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접점을 넓힘으로써, 단기적 시장 적응이 아닌 지속가능한

사회적 모델로서의 일자리를 구조화하려는 시도가 주를 이뤘다.

청년층의 필요에 대응하는 직무 개발, 공익적 활동, 다양성 시장 개척과 인프라의 활용을

통해 각각의 프로젝트는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풍부한 경험과 성과를 축적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단체들이 실험적인 첫 시도 이후의 발전적인 전망을 수립하는 데까지

나아갔으며, 일부는 안정적인 기반을 형성하고 확장성 있는 모델로 안착하기도 했다.

전반적 성과는 청년층이 직접 주도하는, 지역 내 선순환적이고 지속가능한 일자리 모델의

가능성과 과제를 폭넓게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20.3%

17.3%

14.6%

12.1%

11.1%

Page 97: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88 189

종로4가 생산혁신기지

‘종로4가 생산혁신기지’는 도심 제조업이 점차 쇠퇴하면서 제조업의 중심이었던 종로 내

종로4가 지하상가의 공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시설공단과 청년허브가

협력하여 단순 관리 차원을 넘어서는 새로운 운영과 활성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

프로젝트이다. 이것은 ‘생산’과 ‘제작’에 주목하는 문화가 새롭게 떠오르고 청년의 감각과

재능, 감수성이 더해지면서 청년 메이커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를 배경으로 하였다.

‘종로4가 생산혁신기지 프로젝트’는 공공자원인 종로4가 지하상가의 빈 공실들을 ‘

생산’과 ‘제작’의 콘텐츠를 가진 청년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통해 청년의

자립과 상가 활성화라는 두 가지 목표를 연계하여 해결하고자 하였다. 프로젝트를 통해

지하상가에 입점한 청년들은 동료 창업가들, 주변 상인들과 협업하며 자립의 가능성을

키워나갔고, 이전까지 각자 다른 공간에서 자기 작업에 몰두해왔던 청년들이 ‘종로4가

생산혁신기지’에 모여 종로4가 지하상가를 청년 메이커 문화의 명소로 자리 매김하기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였다.

동대문 옥상낙원 DRP(Dongdaemun Rooftop Paradise)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개관을 앞두고 변화하고 있는 동대문 지역의 축적된 자원과 공간

조건을 활용하여 소유가 아닌 전유, 활용을 통해 자생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청년

일터를 만들기 위해 시도된 사업이다. 사회적, 지역적 문제를 새롭고 다양한 방식으로

보여주고 해결하기 위한 시도를 통해 가치를 발견하고, 특히 비어있는 곳에서의 자생 시도

및 교환 등 증여형 경제 방식을 혼합한 발전 모델로 만들고자 하였다.

동대문 신발종합도매상가 옥상 공간을 리뉴얼하는 전 과정을 콘텐츠화하고 모든

프로그램의 유료화를 시도한 작업으로써, 공간을 유머스럽게 사용하기, 대안적으로

사용하기, 쾌적하게 사용하기, 공중도시로 사용하기 등으로 개발하였다.

이 사업을 통해 동대문에 관심 있는 전문가 및 청년 등 다양한 주체들과의 네트워크망이

구축되었고, 공간 대여, 워크숍, 문화기획행사 등 동대문 생태계 내에서 청년들이 지속할

수 있는 일거리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청년혁신활동가 양성사업6.3사업 목적

청년들에게 사회적·공공적 현장의 능동적 일 경험, 경력 형성, 역량 배양의 기회를

제공하고 청년일자리 사업의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사업

사업 개요

청년혁신활동가 양성사업은 기존의 청년 행정 인턴의 한계로 지적되던 단순 반복적 업무가

아닌 주도적인 일 경험을 통해 다음 진로를 모색해볼 수 있는 진로 디딤돌 사업으로

진행됐다. 이를 위해 협력 사업장으로 선발된 현장은 프로젝트의 기획과 실무부터 최종

평가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주도적 역할을 청년혁신활동가들에게 부여했다. 청년허브는

사회적 현장에 대한 이해를 돕는 공통 교육, 참여자가 직접 기획하여 실행하는 커뮤니티형

교육, 활동의 마무리 및 진로 설계를 위한 매듭 교육을 진행하여 현장에서 필요한 교육을

지원하고 참여자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기존 일자리 사업과 달리 청년혁신활동가 양성사업에 참여한 협력 사업장과

혁신활동가들의 만족도는 무척 높았다. 2013년의 경우, 전체 참여자 117명 중 53.5%가

고용 승계 되거나 취·창업으로 이어지는 등 후속 연계도 안정적으로 이뤄졌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혁신활동가 양성사업이 공공성 증대라는 지방자치단체의 과제와 청년의 고용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청년일자리 사업 모델로서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전반 과정의 진행과 관리를 뒷받침할 수 있는 지자체-중간지원조직-민간

거버넌스의 사례를 만들어낸 것도 중요한 성과 중 하나이다.

청년혁신활동가 참가자/협력사업장 수

100 20

150 40

200 60

2013

117

4850

2027 31

188

144

89 86

2014 2015 2016 2017

참가자수(명) 사업장수(개)

Page 98: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190 191

20

40

60

취업/창업

유리

생활자금

필요

새로운

일자리 경험

적성 및

잘할 수 있는 일

적정한

근무시간

기타

혁신활동가 참여 동기 (단위 %)

4.2 3.2

52.6

34.7

2.1 3.2

전반적 만족도

임금

근무강도

업무량

근무시간

일경험

청년혁신활동가 사업 만족도 (단위 %)

43.2

22.1 60.0 15.8

27.451.6

51.6

43.215.8

25.3 44.2 26.3

30.5

28.415.8

14.7

47.4 6.3

5.3

8.4

1.1

1.1

1.1

2.1

1.1

2.1

3.2

2.1

3.2

매우 불만족 매우 만족불만족 보통 만족

사업 종료 후 상황적극적 구직자의

진로 현황

적극적 구직

81%

기타

4%군입대

2%

취업

12%

진학

13%

취업 준비

36%

고용 승계

45%

협동조합 및 창업

7%

청년혁신활동가 참가 현황 및 만족도 조사 (단위: %)

조사 시기: 2013년 11월~12월 / 조사 참가자: 총 117명 (남성 46명, 여성 71명)

연령대

혁신활동가 참여 이전구직활동 경험 여부

학력

30-34세

21.1

20세 이하

6.3

고졸

6.3

21-24세

20

구직활동

무경험

46.3

25-29세

46.3

구직활동

경험

46.3

35-39세

4.2

대학원

졸업이상

3.2대학원 재학

8.4

대학 졸업

68.4

대학 재학

12.6

무응답

2.1

무응답

1.1

중졸

이하

1.1

Page 99: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서울특별시 청년허브 2013-2017

: 서울의 청년정책과 청년활동 지원 아카이브

발행일 2018년 10월 23일

판명과 판수 초판 1쇄

지은이 서울특별시 청년허브

디자인 그라필로그

인쇄 미래상상

펴낸곳 4CC LAB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길 50 2층

웹사이트 www.4cclab.com

등록번호 제2018-000064호

Ⓒ 2018 서울특별시 청년허브

이 책의 저작권은 지은이에게 있으며 무단 전재와 복제는 법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서울특별시 청년허브의 제작 지원을 받았습니다.

ISBN 979-11-965252-0-0 (03300)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

(http://seoji.nl.go.kr)와 국가자료종합목록시스템(http://www.nl.go.kr/kolisnet)

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IP제어번호 : CIP2018036563)

Page 100: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Page 101: 서울특별시 2013 2017 - youthhub.kr€¦ · 인포그래픽스 구성」에서 일부 발췌 및 인용되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청년허브 온라인 플랫폼 에서

ISBN 979-11-965252-0-0 W 10,000

9 791196 525200

03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