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대한골절학회지 제 23 권, 제 3 호, 2010년 7월 증례 보고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Vol. 23, No. 3, July, 2010 317 통신저자서울시 영등포구 대림 1948-1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학교실 Tel02-829-5165Fax02-834-1728 E-mail[email protected] 접수: 2010. 2. 18 심사 (수정): 2010. 2. 23 게재확정: 2010. 5. 3 Address reprint requests toJi Hyo Hwang,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angnam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948-1, Daerim-1-dong, Yeongdeungpo-gu, Seoul 150-950, Korea Tel82-2-829-5165Fax82-2-834-1728 E-mail[email protected] 청소년에서 발생한 양측 경골 조면 골절의 수술적 치료 - 증례 보고 - 김홍균유정한박용욱박진수노규철정국진장근종황지효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학교실 양측 경골 조면 골절은 매우 드문 골절로써 국내 문헌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길에서 넘어지면서 발생한 14세 청소년 남아 환자의 양측 경골 조면 골절을 금속 나사를 통한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여 골유합을 얻었으며 수술 이후 6개월째 금속 제거술을 시행하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은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색인 단어: 경골 조면 골절, 양측, 청소년 Operative Treatment of Bilateral Tibial Tuberosity Fractures in Adolescent A Case Report Hong Kyun Kim, M.D., Jung Han Yoo, M.D., Yong Wook Park, M.D., Jin Soo Park, M.D., Kyu Cheol Noh, M.D., Kook Jin Chung, M.D., Keun Jong Jang, M.D., Ji Hyo Hwang,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angnam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Seoul, Korea Bilateral avulsion fractures of the tibial tubercles are extremely rare. There is no case report about this in Korean literature. We present simultaneous bilateral tibial tuberosity fractures in 14-year-old adolescent male fell on the ground during running. These fractures were managed by open reduction and screw fixation. We gained complete union and removed metal after 6 months. Functional results were excellent 6 month after surgical treatment. Key Words: Tibial tuberosity fractures, Bilateral, Adolescent 경골 조면 골절은 청소년기에 대퇴 사두근의 강한 수축 에 의한 슬개 인대의 견열로 발생하는 드문 골절이다. 저 자에 따라 약 0.252.7% 정도의 발생율을 보인다 5,8,9) . 양 측에 동시에 발생하는 경골 조면 골절은 극히 드문 골절로 이제까지의 국내외 문헌 고찰에 의하면 아직까지도 10 명 남짓의 보고가 있을 정도이다 110) . 저자는 14세 남아 환자 의 전형적인 경골 조면 골절을 경험하고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고 골유합술을 얻었으며 술 후 6개월째 금속 제거술 이후 정상적인 근력과 관절 운동을 회복하였다. 아직까지 는 국내 보고가 없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증례 보고 14세 남아 환자가 길에서 뛰다가 양측 무릎으로 넘어져 양측 슬부 동통으로 응급실 통해 입원하였다. 이학적 검사 에서 개방창은 없었으나 중등도의 종창과 슬관절의 완전 신전에 제한이 보였다. 환아는 174 cm의 신장과 80 kg의 체중으로 체중 질량 지수 (BMI)는 27.1로 과체중이었다. 과거력상 정형외과 진료 기록이나 슬부 동통의 병력은 없 었다. 응급실에서 촬영한 양측 슬관절 전 후면 사진과 측 면 사진에서 우측은 약 2 cm 크기의 골편이 전방 근위부

청소년에서 발생한 양측 경골 조면 골절의 수술적 치료 - :: JKFS · 2013. 8. 26. · K, Provelengios S, Dounis E: Simultaneous bilateral ti-bial tubercle avulsion

  • Upload
    others

  • View
    5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대한골절학회지 제 23 권, 제 3 호, 2010년 7월 ■ 증례 보고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Vol. 23, No. 3, July, 2010

    317

    통신저자:황 지 효서울시 영등포구 대림 1동 948-1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학교실Tel:02-829-5165ㆍFax:02-834-1728E-mail:[email protected]

    접수: 2010. 2. 18심사 (수정): 2010. 2. 23 게재확정: 2010. 5. 3

    Address reprint requests to:Ji Hyo Hwang, M.D.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angnam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948-1, Daerim-1-dong, Yeongdeungpo-gu, Seoul 150-950, KoreaTel:82-2-829-5165ㆍFax:82-2-834-1728E-mail:[email protected]

    청소년에서 발생한 양측 경골 조면 골절의 수술적 치료- 증례 보고 -

    김홍균ㆍ유정한ㆍ박용욱ㆍ박진수ㆍ노규철ㆍ정국진ㆍ장근종ㆍ황지효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학교실

    양측 경골 조면 골절은 매우 드문 골절로써 국내 문헌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길에서 넘어지면서 발생한 14세 청소년

    남아 환자의 양측 경골 조면 골절을 금속 나사를 통한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여 골유합을 얻었으며 수술 이후 6개월째 금속 제거술을

    시행하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은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색인 단어: 경골 조면 골절, 양측, 청소년

    Operative Treatment of Bilateral Tibial Tuberosity Fractures in Adolescent − A Case Report −Hong Kyun Kim, M.D., Jung Han Yoo, M.D., Yong Wook Park, M.D., Jin Soo Park, M.D.,

    Kyu Cheol Noh, M.D., Kook Jin Chung, M.D., Keun Jong Jang, M.D., Ji Hyo Hwang, M.D.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angnam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Seoul, Korea

    Bilateral avulsion fractures of the tibial tubercles are extremely rare. There is no case report about this in Korean literature. We present simultaneous bilateral tibial tuberosity fractures in 14-year-old adolescent male fell on the ground during running. These fractures were managed by open reduction and screw fixation. We gained complete union and removed metal after 6 months. Functional results were excellent 6 month after surgical treatment.

    Key Words: Tibial tuberosity fractures, Bilateral, Adolescent

    경골 조면 골절은 청소년기에 대퇴 사두근의 강한 수축

    에 의한 슬개 인대의 견열로 발생하는 드문 골절이다. 저

    자에 따라 약 0.25∼2.7% 정도의 발생율을 보인다5,8,9). 양

    측에 동시에 발생하는 경골 조면 골절은 극히 드문 골절로

    이제까지의 국내외 문헌 고찰에 의하면 아직까지도 10 명

    남짓의 보고가 있을 정도이다1∼10). 저자는 14세 남아 환자

    의 전형적인 경골 조면 골절을 경험하고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고 골유합술을 얻었으며 술 후 6개월째 금속 제거술

    이후 정상적인 근력과 관절 운동을 회복하였다. 아직까지

    는 국내 보고가 없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증례 보고

    14세 남아 환자가 길에서 뛰다가 양측 무릎으로 넘어져

    양측 슬부 동통으로 응급실 통해 입원하였다. 이학적 검사

    에서 개방창은 없었으나 중등도의 종창과 슬관절의 완전

    신전에 제한이 보였다. 환아는 174 cm의 신장과 80 kg의

    체중으로 체중 질량 지수 (BMI)는 27.1로 과체중이었다.

    과거력상 정형외과 진료 기록이나 슬부 동통의 병력은 없

    었다. 응급실에서 촬영한 양측 슬관절 전 후면 사진과 측

    면 사진에서 우측은 약 2 cm 크기의 골편이 전방 근위부

  • 318 김홍균, 유정한, 박용욱, 박진수, 노규철, 정국진, 장근종, 황지효

    Fig. 1. (A) (Rt): Fracture ac-ross the proximal tibial apo-physis is completely displaced upward and rotated. (B) (Lt): Fracture line propa-gates upward across the pri-mary proximal tibial epiphysisinto the knee joint.

    Fig. 2. (A) (Rt) Avulsion fracture of the tibial tube-rosity with infrapatellar tendontear is definite in T1WI. (B) (Lt) Tibial tuberosity shows comminuted intraarti-cular fracture with avulsion. Fracture related bone and soft tissue edema is also seen, especially anteromedial asepct. Patella tendon reveals diffuse swelling with normal continuity.

    로 완전 전위된 비 관절면 골절의 Ogden 분류 type I의

    골절이었으며, 좌측은 약 4.5 cm 크기의 골편이 새 부리

    모양으로 근위부를 축으로 전방 전위되어 있으며 관절면이

    침범되어 있는 Ogden type III 골절이 관찰되었다 (Fig. 1).

    슬관절 종창은 중등도로 있었으나 혈종 흡인술은 시행하지

    않았다. 슬관절 내의 손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자

    기 공명 영상 (MRI)을 촬영하였고 좌측 슬관절에서 경골

    고평부 전 내측에 골 부종 소견과 연부 조직 종창 소견이

    관찰되었고 십자 인대나 반월상 연골판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우측에서는 슬개하 슬개 인대 (infrapatellar liga-

    ment) 및 관절 지대 (retinaculum)의 부분 손상이 관찰되

    었다 (Fig. 2). 역시 십자 인대와 반월상 연골판의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영상학적 검사에서의 전위 정도와 이학

    적 검사에서 신전 제한이 관찰되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

    였다. 입원 다음날 전신 마취하에 경골 조면 위로 약 10

    cm가량 슬개 인대 근처로 종 절개를 하여 접근하였다. 골

    편이 작았던 우측을 먼저 시작하였으며 상당히 두터운 피

    판형의 골막이 골편 사이에 끼여 있었으며 혈종과 끼인 연

    부 조직을 제거하니 해부학적 정복이 가능하였다. 골편의

    크기에 합당한 5.0 mm 유관 나사 하나를 삽입하여 정복하

    였고 어느 정도 견고함을 확인하고 파열된 연부 조직 및

    골막을 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였

    다. 골편이 크고 관절면이 침범된 좌측 골편은 같은 접근

    법으로 절개를 하였으며 골편은 분쇄되어 있었으며 지지대

  • 청소년에서 발생한 양측 경골 조면 골절의 수술적 치료 319

    Fig. 4. Completely union of previous avulsed fragments at 3 months after operations are seen in the plain AP and lateral view of both knees.

    Fig. 3. Intraoperative photograph shows large communited avulsed fragment and ruptured retinaculum and thick perio-steum in the left knee.

    의 부분 파열과 골편 원위부의 두꺼운 골막도 완전히 파열

    되어 있었다 (Fig. 3). 혈종과 연부 조직을 어느 정도 정리

    하고 이동형 수술용 엑스 레이 (C-arm)하에 해부학적으로

    정복하였고 우측에 비해 골편이 커서 6.5 mm 유관 나사

    하나로 고정을 하였으며 파열된 골막과 연부 조직 지대를

    흡수성 봉합사로 고정 보강하였다. 수술 직후, 완전 신전

    상태에서 장 하지 석고 고정을 2주간 하면서 수술 부위 상

    태를 관찰하였다. 수술 후 2주째 봉합사를 제거하고 cylin-

    der cast로 전환하여 귀가하였다. 귀가 이후에는 목발 보행

    을 허용하였으나 환아는 휠체어 보행을 위주로 하였다. 수

    술 후 6주에는 석고 고정을 제거하고 관절 운동을 허용하

    였으며 대퇴 사두근 근력 강화 운동도 시작하였다. 수술

    후 약 12주에 임상적과 방사선학적으로 유합 소견이 관찰

    되었고 환아의 관절 운동도 많이 향상되었다 (Fig. 4). 수

    술 후 6개월째 금속 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9개월

    째 수술 전의 정상 활동력을 회복하였다. 관절 운동과 근

    력은 100% 회복되었으며 가벼운 달리기나 체육 활동은 가

    능하다고 하나 술자에 의해 수술 후 일 년까지는 가급적

    축구나 농구 등의 과격한 구기 운동은 제한할 것을 당부하

    였다.

    고 찰

    급성 경골 조면 골절은 청소년 남자에 있어서 운동 손상

    중 하나로 드문 손상이며 최초 1853년 보고되었으나 양측

    동시 골절은 최초 1955년에 보고될 정도로 매우 드문 골절

    이다7,9)

    . 경골 근위부 조면은 성장기 때 아골단판 (apo-

    physis)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후방에서

    전방부로 유합이 이루어지며 이는 여아에서는 13∼15세에

    남아에서는 15∼19세에 유합이 이루어진다2). 따라서 이러

    한 아골단판이 유합되기 전인 청소년 시절에 흔히 발생한

    다. 경골의 조면 골절은 경골 근위부의 아골단판이 경골

    간단부와 유합되기 전에 슬개 인대의 과도한 견인력에 의

    해 발생한다. 발생 기전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

    째는 슬관절이 신전된 상태에서 사퇴 사두근이 과도하게

    견인하여 발생하는 경우이며 둘째는 사퇴 사두근이 수축하

    고 있는 상태에서 급작스런 수동적 슬관절의 굴곡이 원인

    이 된다6,7,10). 저자들의 경우에서는 후자로써 넘어지면서

    슬관절이 굴곡 상태에서 대퇴 사두근의 강한 수축으로 발

    생한 경우이다. 이 때 슬관절의 굴곡 정도는 30도 이상이

    라고 한다. 남아에서 더 자주 발생하며 농구, 축구, 배구

    등의 충격이 가해지는 운동 시에 잘 발생할 수 있다3). 발생

    의 위험 질환으로는 만성적으로 반복적인 외력이 가해질 때

  • 320 김홍균, 유정한, 박용욱, 박진수, 노규철, 정국진, 장근종, 황지효

    아골단판에 견열 손상과 염증이 생기는 Osgood-Schlatter

    질환으로 급성 외상성 손상과는 구분된다. 양측 경골 조면

    골절은 극히 드문 골절이기에 그 유발 인자를 밝히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과거 Osgood-Schlatter 질환의 병력이

    있다면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1,4). 골 형성 부전증 (oste-

    ogenesis imperfecta)은 또 다른 위험 질환으로 이는 두 개

    의 다른 골 핵이 유합되는 과정에서 아골단판의 섬유 연골

    성분이 약하기 때문에 골절이 좀더 쉽게 발생할 수 있다.

    2003년 Cyrus 등이 15세의 골 형성 부전증에서 발생한 양

    측 경골 조면 골절을 보고한 바 있다3). 골 조면 골절 분류

    는 1976년 최초 Watson-Jones에 의해 세가지 형태로 구분

    되었으며 그 이후 1980년 Ogden에 의해 기존 분류를 변형

    하여 전위 정도와 분쇄 정도를 추가하여 세 구분하였으며

    최근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이다. 제1형은 이차 골화

    중심을 관통하는 골절이나 슬개 인대 부착 후면 수준에서

    골절이 발생하며 제2형은 이차와 일차 골화 중심 경계면

    근처까지 골절 선이 근접한 경우이며 제3형은 일차 골화

    중심뿐만 아니라 더 근위부인 슬관절면까지 침범한 골절을

    말한다. 각각의 골절은 전위 정도와 분쇄 유무에 따라 A와

    B로 세 구분된다2∼4,7∼9). 저자의 경우 우측은 제1형이 좌

    측은 제3형이 관찰되었다. 치료로는 전위 정도에 따라 cyl-

    inder cast와 같은 고정 치료로 가능하나 전위가 심한 경우

    와 제2형, 3형에처럼 대퇴 사두근의 신전 기전에 장해가

    오는 경우에는 근력과 관절 운동 회복을 위하여 관혈적으

    로 해부학적인 정복과 고정이 필요하다. 수술 이후 생길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경골 근위부 각 형성, 하지 부동, 슬

    관절 후방 각 형성 (genu recurvatum), 조기 성장판 유합

    등의 치명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5). 저자의 경우에서는

    제1형의 심한 전위과 제3형의 전위와 동반된 신전 기능의

    저하로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였으며 특별한 합병증 없이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양측 경골 조면 골절은

    극히 드물어 역학적인 의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되나 운동

    을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나 청소년에게 발생하는 매우 심

    각한 손상이며 일측에 비해 상당히 오랫동안 운동으로의

    복귀가 힘들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임상적으로 의의

    있는 질환이라고 생각된다. 저자는 기저 위험 인자가 없고

    흔한 스포츠 손상이 아닌 넘어지면서 발생한 굴곡 손상을

    처음 경험하였고 관혈적 정복에 의한 골유합을 얻었으며

    그 이후 금속 나사 제거술 이후 거의 정상적인 운동 능력

    의 회복을 보인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

    께 보고한다.

    참 고 문 헌

    1) Ahmed D, Rangan R, Hagen J: Simultaneous bilateral

    tibial tuberosity avulsion-over 6-year follw-up. J. Eur J

    Trauma, 32: 78-79, 2006.

    2) Anja N, Oliver JM, Ulf B, Holger T: Bilateral avulsion

    fractures of the tibial tuberosity: A double case for open

    reduction and fixation. Eur J Trauma, 34: 83-87, 2008.

    3) Cyrus KK, Robert M, Micheal R, Norbert H:

    Simultaneous bilateral tibial tubercle avulsion fractures in

    a boy with osteogenesis imperfect. A case report and liter-

    ature review. Eur J trauma, 29: 164-167, 2003.

    4) Ergün M, Taşkiran E, Ozgürbüz C: Simultaneous bi-

    lateral tibial tubercle avulsion fracture in a basketball

    player.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11: 163-

    166, 2003.

    5) Georgiou G, Dimitrakopoulou A, Siapkara A, Kazakos

    K, Provelengios S, Dounis E: Simultaneous bilateral ti-

    bial tubercle avulsion fracture in an adolescent: a case re-

    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15: 147-149, 2007.

    6) Hamilton SW, Gibson PH: Simultaneous bilateral avul-

    sion fractures of the tibial tuberosity in adolescence: a

    case report and review of over 50 years of literature.

    Knee, 13: 404-407, 2006.

    7) Hanley C, Roche SJ, Chhabra J: Acute simultaneous bi-

    lateral avulsion fractures of the tibial tubercles in a

    15-year-old male hurler: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Ir J Med Sci, 2008 Dec 4: [Epub ahead of print].

    8) Slobogean GP, Mulpuri K, Alvarez CM, Reilly CW:

    Comminuted simultaneous bilateral tibial tubercle avulsion

    fractures: a case report. J Orthop Surg (Hong Kong), 14:

    319-321, 2006.

    9) Tulic G, Sopta J, Bumbasirevic M, Todorovic A, Vucetic

    C: Simultaneous bilateral avulsion fracture of the tibial

    tubercle in adolescent: a case report. J Pediatr Orthop B,

    19: 118-121, 2010.

    10) Yoon JR, Kim TS, Kim HJ, Noh HK, Oh JK, Yoo JC:

    Simultaneous patellar tendon avulsion fracture from both

    patella and tibial tuberosity: a case report.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15: 225-227,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