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Procedures for Supplemental Type Certificate OD 17-2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PUBLIC OF KOREA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Procedures for Supplemental Type Certificate

OD 17-2

국 토 교 통 부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PUBLIC OF KOREA

Page 2: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국토교통부 훈령 제 호39

이 훈령은 항공법 제 조 및 제 조의 에서 규정한 업무 수행에 필요한 구체적인17 17 2

절차를 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정합니다.

년 월 일2013 4 15

국토교통부장관

Page 3: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개정 기록표

(RECORD OF AMENDMENTS)

개정차수(RevisionNo.)

개정일자(RevisionData)

철입일자(InsertionData)

철입자(Insertion by)

근 거(Refernce)

원 판 2005.06.17제정 항공안전본부 훈령(

제 호70 )

차1 2005.12.07개정 항공안전본부 훈령(

제 호75 )

차2 2007.10.08개정 항공안전본부 훈령(

제 호143 )

차3 2008.01.29개정 항공안전본부 훈령(

제 호169 )

차4 2008.04.08개정 항공안전본부 훈령(

제 호205 )

차5 2008.04.08개정 항공안전본부 훈령(

제 호213 )

차6 2008.04.18개정 항공안전본부 훈령(

제 호221 )

차7 2008.04.25개정 항공안전본부 훈령(

제 호226 )

차8 2008.07.24개정 항공안전본부 훈령(

제 호249 )

차9 2009.06.05개정 국토해양부(

훈령 제 호271 )

차10 2012.05.31 박영운

항공안전공무원 교육훈「

련규정 등 개 국토해30」

양부 훈령 재발령안 국토(

해양부 훈령 제 호829 )

차11 2012.08.31개정 국토해양부 훈령(

제 호878 )

차12 2013.04.15개정 국토교통부 훈령(

제 호39 )

Page 4: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목 차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Procedures for Supplemental Type Certificate)OD 17-2

제 조 목적1 (Purpose) ········································································································1

제 조 정의2 (Definition) ······································································································1

제 조 형식증명위원회3 (TC review board) ···································································2

제 조 전문 기관4 (Authorized inspection organization) ·············································2

제 조 신청 자격5 (Eligibility) ·····························································································3

제 조 부가형식증명의 신청6 (Application for STC) ····················································3

제 조의 부가형식증명승인의 신청6 2 (Application for STCV) ···································3

제 조 신청 유효기간7 (Duration of application) ·························································3

제 조 부가형식증명 승인 과제부여 등8 ( ) (Task assignment for STC(STCV)) ······4

제 조 기술기준의 지정 등9 (Certification basis of airworthiness standard) ······5

제 조 특수기술기준10 (Special requirements) ·····························································5

제 조 기술기준의 적합성 입증방법11 (Methods to show the compliance to

airworthiness standard) ·····················································································6

제 조12 적합성 평가 및 결과 보고 (Compliance evaluation and result report) ·· 6

제 조 부가형식증명 발행을 위한 검증13 (Verification for STC issuance) ···········6

제 조의13 2 부가형식증명승인 발행을 위한 검증 (Verification for STCV issuance) ··· 7

제 조 적합성 평가의 일부 생략14 (Skip part of compliance evaluation) ···········9

제 조 검사 및 시험15 (Inspection and test) ································································9

제 조 합치성 증명 자료의 제출16 (Submission of confirmity report) ················10

제 조 비행시험17 (Flight test) ························································································10

제 조 비행시험 조종사18 (Flight test pilot) ································································11

제 조 계측장비의 검19 ․교정 (Calibration of measurement equipment) ···········11

제 조 부적합한 사항20 (Deficiencies) ··········································································11

제 조 부가형식증명서21 (Supplemental type certificate) ·······································12

제 조의 부가형식증명승인서21 2 (Supplemental type certificate validation) ·····14

제 조 부가형식증명 소지자의 감독22 (MLIT oversight to STC holder) ··············15

Page 5: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제 조 부가형식증명의 양도23 (Transfer of STC) ······················································15

제 조 부가형식증명의 유효기간24 (Terms of STC) ··················································16

제 조 부가형식증명 신청의 취소25 (Cancellation of STC application) ··············16

제 조 제조 시설의 위치26 (Location of manufacturing facility) ··························16

제 조 부가증명자료의 사용27 (Use of STC data) ····················································16

제 조 성능자료의 개정28 (Amendment of performance data) ·····························16

제 조 감항성개선지시서29 (Airworthiness directives) ··············································17

제 조 국제공동개발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30 (STC on an aircraft developed

under the international consortium) ····························································17

제 조 유효기간31 (Expiration date) ················································································17

부칙(Addenda) ···················································································································17

별표 부가형식증명 대상 작업[ 1] (List of that require STC) ·····························19

별지 제 호 서식 부가형식증명서[ 1 ] (Supplemental Type Certificate) ················26

[별지 제 호 서식2 ] 부가형식증명승인서(Supplemental Type Certificate Validation)

·············································································································································29

Page 6: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1 -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Procedures for Supplemental Type Certificate)

제정 항공안전본부훈령 제 호2005.06.17( 70 )

개정 항공안전본부훈령 제 호2005.12.07( 75 )

개정 항공안전본부훈령 제 호2007.10.08( 143 )

개정 항공안전본부훈령 제 호2008.01.29( 169 )

개정 항공안전본부훈령 제 호2008.04.08( 205 )

개정 항공안전본부훈령 제 호2008.04.08( 213 )

개정 항공안전본부훈령 제 호2008.04.18( 221 )

개정 항공안전본부훈령 제 호2008.04.25( 226 )

개정 항공안전본부훈령 제 호2008.07.24( 249 )

개정 국토해양부훈령 제 호2009.06.05( 271 )

재발령 국토해양부훈령 제 호2012.05.31( 829 )

개정 국토해양부훈령 제 호2012.08.31( 878 )

개정 국토교통부훈령 제 호2013.04.15( 39 )

제 조 목적1 ( ) 이 규정은 항공법 이하 법 이라 한다 제 조제 항 및 항공법 시행( “ ” ) 17 4

규칙 이하 규칙 이라 한다 제 조의 의 규정에 의한 항공기발동기 또는 프로( “ ” ) 33 2 ․

펠러 이하 항공기등 이라 한다 의 형식증명 소지자가 설계를 변경하고자 하거( “ ” )

나 형식증명을 얻은 항공기등에 다른 형식의 장비품 또는 부품을 장착하기 위,

하여 설계를 변경 하고자 하는 자가 받아야할 부가형식증명과 법 제 조의 제17 2

항 및 규칙 제 조의 의 규정에 의한 법4 35 7 제 조에 따른 형식증명 또는 법 제17

조의 제 항에 따른 형식증명승인을 받은 항공기등으로서 외국정부로부터 설계17 2 1

에 관한 부가적인 형식증명을 받은 사항이 있는 경우에 국토교통부장관이 발급하

는 부가적인 형식증명승인 이하 부가형식증명승인 이라 한다 의( " " ) 발행을 위한 세

부절차와 검증방법 등을 정하여 증명업무의 효율화 및 증명절차의 국제적 표준

화를 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 조 정의2 ( ) 이 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부가형식증명 이라 함은 형식증명을1. “ (Supplemental Type Certificate, STC)”

받은 항공기등의 형식설계에 중대한 변경 사항을 반영하여 개조하고자 하는

경우 변경하고자 하는 사항이 해당 항공기기술기준의 요구조건에 적합함을

증명하는 것을 말한다 부가형식증명은 단수 부가형식증명 과 복수 부가형. “ ” “

Page 7: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2 -

식증명 의 두 가지로 구분한다” .

단수 부가형식증명 이라 함은 한 대에만 적용되는 부가형식증명을 말한다2. “ ” .

단수부가형식증명은 설계변경의 내용으로 보아 당해 항공기등 이외의 다른

항공기등에는 계속 적용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발행한다 단수부가형.

식증명은 개정을 할 수 없으며 그 소지자에게는 기술표준품형식승인이나 부

품등제작자증명 등과 같이 양산을 승인하는 증명을 발급하지 않는다.

복수 부가형식증명 라 함은 당해 형식의 모든 항공기등에 적3. “ (multiple STC)”

용될 수 있는 부가형식증명을 말한다.

경미한 변경 이라 함은 중량 및 평형 구조강도 신뢰성 운4. “ (minor change)” , , ,

용특성 감항특성 동력 소음특성 연료 및 배기가스의 배출에 심각한 영향, , , ,

을 주지 않는 변경사항을 말한다.

중대한 변경 이라 함은 경미한 변경을 제외한 모든 변경 사5. “ (major change)”

항을 말한다.

6. 부가형식증명승인“ (Supplemental Type Certificate Validation, STCV)”이란 외국국적

의 제작자가 항공기 등의 설계변경에 관하여 외국정부로부터 받은 부가형식증

명을 대한민국 국적의 항공기등에 적용할 경우 항공기등의 형식별로 외국정부

의 부가형식증명이 기술기준에 적합한 지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승인을 받는 것을 말한다.

제 조 형식증명위원회3 ( ) 국토교통부장관 이하 장관 이라 한다 은 부가형식증명( “ ” )①

승인 을 발행하기 위하여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사항에 대한 심의가 필요하다고( )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항공기형식증명위원회 이하 위원회 라 한다 를 소집한다( “ ” ) .

제 항의 규정에 의한 위원회는 위원장 부위원장 각 인을 포함한 인 이내1 , 1 20②

의 위원 당해건과 관련된 공무원 민간업계 및 연구원등 으로 구성한다( , ) .

위원장은 항공기술과장이 되고 부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위원장이 지명하는③

자가 된다.

위원회의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장관이 별도로 정한다.④

제 조 전문기관4 ( ) 장관은 법 제 조제 항 및 시행령 제 조의 규정에 의하여154 2 60①

부가형식증명 승인 업무의 전문성( )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설계적합성 평가,

시험분석 및 검사 이하 검증 이라 한다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검사기관 이하( “ ” .) (․

전문기관 이라 한다 을 지정할 수 있다“ ” ) .

제 항의 규정에 의한 전문기관은 규칙 제 조의 의 전문검사기관의 지정1 326 3②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Page 8: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3 -

제 조 신청자격5 ( ) 부가형식증명을 받고자 하는 자 이하 신청자 라 한다 의 자격은( “ ” )

법 제 조제 항 부가형식증명승인을 받고자 하는 자의 자격은 법 제 조의 제17 4 , 17 2

항의 규정에 의한다4 .

제 조 부가형식증명의 신청6 ( ) 신청자는 규칙 제 조의 의 규정에 의한 별지 제33 2①

호 서식의 부가형식증명신청서를 작성하여 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15 .

부가형식증명신청서에 첨부되어야 하는 서류는 규칙 제 조의 제 항의 규정33 2 2②

에 의한다.

다음 각호의 경우에는 부가형식증명의 신청을 수락하지 아니할 수 있다.③

경미한 변경사항의 승인 또는 동일한 대체품의 승인 다만 그 장착으로 인1. . ,

하여 형식설계에 중대한 변경이 유발되는 경우에는 부가형식증명의 신청을

수락한다.

기술표준품에 대한 설계변경 다만 설계변경 된 기술표준품의 장착을 위한2. .

부가형식증명의 신청은 수락할 수 있다.

부가형식증명 대상 작업의 사례는 별표 과 같다1 .④

다음 각 호의 작업은 신규 형식증명을 받아야 한다.⑤

항공기에 장착되는 발동기의 수를 변경하는 경우1.

추진원리가 다른 발동기로 교환되는 경우2.

회전익항공기 로터 의 수를 변경하는 경우3. (Rotor)

회전익항공기 로터 의 추진원리를 변경하는 경우4. (Rotor)

발동기의 경우 작동원리를 변경하는 경우5.

6. 프로펠러의 경우 블레이드의 수 또는 피치에 대한 작동원리를 변경하는 경우

장관이 설계7. ․중량 ․형상 ․동력 ․발동기의 동력한계 ․발동기의 속도한계 등에

대한 설계변경이 기술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구체적이고 광범위하게 검

증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

제 조의 부가형식증명승인의 신청6 2( ) 신청자는 규칙 제 조의 의 규정에 의한35 5①

별지 제 호의 서식의 부가형식증명승인신청서를 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17 2 .

부가형식증명신청서에 첨부되어야 하는 서류는 규칙 제 조의 제 항 및 제35 5 1 2②

항의 규정에 의한다.

제 조 신청유효기간7 ( ) 항공기 감항분류가 수송 인 항공기의 부가형식증명“ (T)”①

신청유효기간은 년 기타 항공기등에 대한 부가형식증명의 신청유효기간은5 , 3

년으로 한다.

Page 9: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4 -

신청자는 설계개발 또는 시험 등으로 인하여 부가형식증명 신청유효기간의② ․

연장이 필요한 경우 제 항의 규정에 의한 부가형식증명 신청유효기간의 연장을1

장관에게 신청할 수 있다.

장관은 제 항의 규정에 의한 부가형식증명 신청유효기간의 연장신청이 타당2③

하다고 인정될 경우 부가형식증명 신청유효기간의 연장을 승인하여야 한다.

제 조 부가형식증명 승인 과제부여등8 ( ( ) ) 장관은 부가형식증명 승인 신청서를 접( )①

수한 경우 과제명 및 과제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전문기관의 장에게 통보한다.

과제번호는 부가형식증명의 경우 자리로 부가형식증명승인의“x STC yy nn”8 ,

경우 자리로서 구성은 다음 각 호와 같다“x STCV yy nn”9 .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의 해당 문자를 표시1. x : A( ), E( ), P( )

2. 부가형식증명을 의미STC : , 부가형식증명승인을 의미STCV :

해당연도를 자리로 표시3. yy : 2

해당연도별 자리 일련번호4. nn : 2

전문기관의 장은 제 항의 규정에 의한 통보가 있는 경우 과제책임자 및 기1 ,②

술분야별 담당자를 임명하고 신청자와 협의하여 부가형식증명 승인 계획서를 작( )

성한 후 이를 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장관은 제 항의 규정에 의하여 전문기관의 장으로부터 부가형식증명 승인 계2 ( )③

획서를 제출받은 경우 이를 검토하고 위원회가 구성된 경우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승인한다) .

신청자는 장관이 승인한 부가형식증명 승인 계획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 )④

록 지원을 하여야 하며 전문기관의 장은 부가형식증명 승인 계획의 변경사유가( )

발생되었을 때 지체 없이 이를 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제 항의 규정에 의한 부가형식증명 승인 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다2 ( )⑤

음 각 호와 같다.

과제명 및 과제번호1.

항공기등의 형식2.

신청자 및 신청자의 주소 전화번호 포함3. ( )

신청일자4.

과제책임자 및 과제책임자의 연락처5.

부가형식증명 승인 의 개요6. ( )

주요 형상7.

부가형식증명 승인 을 위한 기준8. ( )

특수기술기준 해당되는 경우9. ( )

Page 10: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5 -

위원회 개최일정 구성되는 경우10. ( )

부가형식증명 승인 발행예정일11. ( )

합치성 검사 및 시험계획12.

법규칙기술기준 등에 부적합한 사항 해당되는 경우13. ( )․ ․

제 조 기술기준의 지정 등9 ( ) 장관은 부가형식증명 신청이 있을 경우 해당 항공①

기등에 적용할 다음 각호의 기준을 지정하여야 하며 신청자는 해당 항공기등,

이 이 기준에 적합함을 입증하여야 한다.

기술기준1.

제 조의 규정에 의한 특수기술기준 해당되는 경우2. 10 ( )

연료 및 배기오염방지기준 해당되는 경우3. ( )

기타 장관이 감항성을 확인하는데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운용기준 등4. .

장관은 항공기등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부가형②

식증명 신청 이후 새로 개정된 법규칙 또는 기술기준 등 관련규정을 적용할 수․

있다.

제 조 특수기술기준10 ( ) 장관은 항공기등의 설계가 새롭거나 특이하여 기술기준①

을 적용할 수 없다고 인정하는 경우 또는 기술기준을 적용할 경우 항공기등에

불안전한 비행특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특수기술기준을 정

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제 항의 규정에 의한 특수기술기준은 법 또는 규칙에서 정한 안전기준과 동1②

등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수준이어야 한다.

장관은 제 항의 규정에 의하여 특수기술기준을 제정하는 경우 다음 각호의1③

절차에 따라야 한다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 . .)

장관은 제 항의 규정에 의한 해당 기술기준을 적용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1. 1

경우 특수기술기준에 관한 기술검토를 전문기관의 장에게 의뢰한다.

전문기관의 장은 장관으로부터 제 호의 규정에 의한 기술검토 의뢰가 있는2. 1

경우 특수기술기준의 당위성 및 특수성 등을 명시한 특수기술기준제안서를

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장관은 전문기관의 장으로부터 제출받은 특수기술기준제안서를 위원회에서3.

심의토록 한다.

위원회는 해당 항공기등의 설계에 관한 기술기준 등을 검토한 후 특수기술4.

기준제안서를 심의하여 특수기술기준의 제정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전문기관의 장에게 특수 기술기준안을 작성 제출토록 한다.

Page 11: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6 -

전문기관의 장은 제 호의 규정에 의한 요청이 있는 경우 특수기술기준안을5. 4

제정하여 위원회에 제출하고 위원회는 이를 심의의결한다, .․

장관은 제 호의 규정에 의하여 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한 특수기술기준을 승6. 5 ․

인하고 전문기관의 장 및 신청자에게 통보한다.

제 조 기술기준의 적합성 입증방법11 ( ) 신청자는 부가형식증명 신청 항공기등에①

대하여 기술기준에 적합성 여부를 입증하기 위한 방법과 절차를 작성하여 장관

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장관은 제 항의 규정에 의한 기술기준적합성입증방법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1②

를 전문기관의 장에게 의뢰하여 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 이를 승인하고 신청자

에게 통보한다.

제 조 적합성평가 및 결과 보고12 ( ) 전문기관의 장은 장관이 승인한 기술기준적합

성입증방법에 따라 항공기등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장관에

게 보고하여야 한다.

제 조 부가형식증명 발행을 위한 검증13 ( ) 장관은 부가형식증명을 받고자 하는①

항공기등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해당기준에 대한 적합여부를 검증하여 이에

적합하다고 인정될 경우 신청자에게 별지 제 호 서식의 부가형식증명서를 교부1

한다.

항공기등의 부가형식설계가 기술기준소음기준연료 및 배기오염방지기준특1. ․ ․ ․

수기술기준 등 제 조 및 제 조에서 지정한 해당 기술기준에 적합한지 여부9 10

부가형식검사 결과 원형기와 관련된 모든 요건 충족 여부2.

장비 및 부속품등이 해당 기술기준에 대한 적합성3.

시험비행 수행 및 해당 기술기준의 모든 성능요구조건에 대한 적합성 해당4. (

되는 경우에 한함)

신청자가 제출한 시험비행 자료의 적합성 시험비행을 한 경우에 한함5. ( )

신청자가 제출한 시험에 사용한 계기의 오차 수정 표준대기조건에 따른 시6. ,

험결과 보정 등에 사용한 계산 및 시험에 관한 보고서의 적합성

신청자가 작성한 비행교범부록의 승인 여부7.

기술기준에서 규정한 운용한계 부가형식증명의 발행을 위하여 필요한 기타8. ,

제한사항의 적절성 여부

신청자가 작성한 서비스교범 수리교범 정비교범 등의 부록이 항공안전감9. , ,

독관 및 감항엔지니어의 검토를 거쳐 승인되었는지 여부

Page 12: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7 -

생산도면에 대한 장관의 승인 여부10.

장관이 요구한 모든 형식설계자료 및 기록서가 제출되었고 또한 승인인가11. ․

되었는지 여부

장관은 제 항의 규정에 의한 검증을 함에 있어서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사항1②

에 대한 전문가의 심의가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이를 위원회에서 심의하도록

하거나 항공기등의 설계국가 감항당국 또는 그리고 설계기, (State of Design) ( )

관과 협의할 수 있다.

다음 각호의 사항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한 형식에 대한 부가형식증명이 다③

른 형식의 항공기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변경에 관한 설계자료 인증자료 장착자료 등과 같은 주요 자료가 다른 형1. , ,

식의 항공기등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경우

각 형식 간의 차이점이 설계 자료와 장착자료 등에 명확히 구분되어 있는2.

경우

장착 작업의 복잡도가 유사한 경우3.

당해 부가형식증명을 적용하고자 하는 항공기등의 형식 중 별도의 재평가4.

가 필요한 형식이 없는 경우

비행 및 또는 운용특성의 변화가 없는 경우5. /

항공기등의 소음특성의 변화가 없는 경우6.

제 항의 경우에 적용되는 항공기등의 형식명을 승인모델목록3 ‘ (approved④

로 작성하고 장관의 승인을 받은 후 부가형식증명서에 첨부하여야model list)’

한다.

제 항의 경우에 대상 모델이 추가 삭제 개정될 때는 반드시 승인모델목록을3 , ,⑤

개정하고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제 조의 부가형식증명승인 발행을 위한 검증13 2( ) 장관은 항공법제 조의 제17 2 4①

항 및 규칙 제 조의 에 따라 부가형식증명승인서 발행을 위한 검증에 있어서35 7

당해 부가형식증명이 이미 외국감항당국의 부가형식증명을 취득하였다면 규칙

제 조의 규정에 따라 다음 각 호를 검증하여 이에 적합하다고 인정될 경우35 6

신청자에게 별지 제 호 서식의 부가형식증명승인서를 발급한다2 .

설계국 감항당국이 인증기준으로 설정한 기술기준1. ․소음기준 ․연료 및 배기

오염방지기준 ․특수기술기준 등의 적절성 평가결과 불안전한 설계 및 제작

특성 여부

2. 설계국 감항당국이 인증 시 승인한 면제사항 예외인정사항(waivers),

의 적절성(variations)

Page 13: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8 -

설계국 감항당국이 인증 시 지정한 특수기술기준 의 적3. (special condition)

절성

장관이 항공기등의 감항성 확보를 위해 정하는 운용조건 감항정책 등 부가4. ,

적인 기준에 대한 해당 부가형식설계의 적절성

장관은 제 항의 승인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 각 호를 확인하여야 한다1 .②

당해 부가형식증명에 부과한 특수기술기준 준수 및 감항성 자료 설계자료1. (

및 비행교범 등)

당해 부가형식증명에 부과한 요건을 포함하여 적용되는 소음기준 배출가스2. ,

기준에 대하여 설계국 감항당국이 검사시험한 인정서 등․

장관 또는 설계국 감항당국이 적용하도록 지정한 감항성 요구조건 및 수3. “

입항공제품에 대한 특별요건 안내서 에 대한 적합성”

신청자가 제출한 부가형식증명서 사본 외국감항당국이 발행한 증명서를 말4. (

한다 및 다음 각 호의 형식설계기록서의 적합성)

가 적용 요건 적합성이 입증된 항공기등의 형상 및 설계특성을 정의할 수.

있는 도면 규격서 및 그 목록,

나 적용 요건 적합성 확인에 관한 분석 및 시험보고서.

다 항공기 제작에 사용한 정보 자재 및 공정. ,

라 최소장비목록 형상일탈목록 및 승인을 받은 비행교범 또. (MMEL), (CDL)

는 비행교범과 동등한 문서 해당되는 경우에 한함( )

마 설계국의 정비프로그램검토위원회 보고서 정비프로그램 또는 이와. (MRB) , (

동등한 문서 제작자의 권고지침이 상세하게 명시된 정비교범 및 정비점),

검계획서와 절차서 해당되는 경우에 한함( )

바 같은 형식 제품에 대하여 감항성 및 소음 특성을 비교하는 경우 이에.

필요한 관련자료 해당되는 경우에 한함( )

사 장관이 고시한 기술기준과의 차이점 또는 불일치 사항에 대한 설계국 감.

항당국의 확인서

아 적용 감항성 요건 및 소음요건에 따라 요구되는 교범 게시물 목록 및. , ,

계기표시가 관련 규정에 따라 국문 또는 영문으로의 표시되었는지 여부

자 감항성개선지시 목록.

장관은 제 항의 규정에 의한 검증을 함에 있어서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사항1③

에 대한 전문가의 심의가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이를 위원회에서 심의하도록

하거나 항공기등의 설계국가 감항당국 또는 그리고 설계기, (State of Design) ( )

관과 협의할 수 있다.

Page 14: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9 -

제 조 적합성 평가의 일부 생략14 ( ) 장관은 우리나라와 상호항공안전협정 또는 이

와 동등하다고 인정되는 협정을 체결한 국가로부터 부가형식증명을 받은 항공

기등에 대하여는 법 제 조의 제 항의 규정에 따라 일부를 생략할 수 있다17 2 5 .

제 조 검사 및 시험15 ( ) 장관 또는 전문기관의 장은 검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신①

청자에게 자료 또는 관련 시제품 등을 제출하도록 명할 수 있다.

신청자는 장관 또는 전문기관의 장이 제 항의 규정에 의한 검증을 수행하기1②

위하여 필요한 자료 및 관련 시제품 등의 제출요구가 있는 경우 이를 지체 없

이 제출하여야 한다.

신청자는 장관 또는 전문기관의 장에게 제출한 자료 또는 관련 시제품을 임③

의로 변경 또는 수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장관은 제 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사항을 검증 또는 확인하는1④

데 필요한 검사 또는 시험 등을 신청자가 수행 후 그 결과를 서면으로 제출하

게 할 수 있다.

기술기준연료 또는 배기오염방지기준 등에 적합여부1. .․

재료 또는 제품이 형식설계상의 규격과 일치하는지의 여부2. .

제품에 사용되는 부분품이 형식설계의 도면과 일치하는지의 여부3. .

제조공정구조 및 조립이 형식설계에서 기술하고 있는 요구사항과 일치하는4. ․

지의 여부.

신청자는 제 항의 규정에 의한 검사 또는 시험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검사4⑤

또는 시험계획서를 전문기관의 장에게 제출하며 전문기관의 장은 검토 후 장관

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제 항의 규정에 의한 검사 또는 시험계획서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포함하여5⑥

야 한다.

검사 또는 시험품목에 대한 설명1.

검사 또는 시험수행에 필요한 검사시험장비 목록2. .․

검사 또는 시험에 사용되는 장비의 검교정에 관한 사항3. .․

검사 또는 시험품목의 합치성 입증방법에 대한 설명4. .

검사 또는 시험의 절차 및 방법5.

6. 당해 부가형식증명 이전에 이루어진 설계 변경과 당해 부가형식증명으로

인한 설계 변경이 상충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대한 설명

7. 당해 항공기발동기프로펠러에 적용된 감항성개선지시서 의 이행에 대(AD)․ ․

한 설명

제 항의 규정에 의한 시험은 신청자가 직접 수행하되 장관 또는 전문기관의4⑦

Page 15: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10 -

장이 지정한 자가 입회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항공기등의 안전에 중요한 영.

향을 미친다고 인정하는 시험은 장관이 전문시험기관을 따로 지정하여 시험하

게 할 수 있다.

장관 또는 전문기관의 장은 기술기준 또는 제 항의 규정에 의한 검사 또는4⑧

시험 중 중대한 부적합한 사항이 발생하였거나 또는 기타 사유로 인하여 검사

또는 시험을 중단하여야 하는 경우 이를 신청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신청자는 부적합한 사항을 수정한 후 재검사 또는 재시험을 원하는 경우 이⑨

를 장관 또는 전문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제 조 합치성 증명자료의 제출16 ( ) 신청자는 부가형식증명을 위해 사용되는 항공①

기등이 비행시험에 적합하다는 합치성 증명자료를 인증비행시험 전에 전문기관

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비행시험을 요구하지 않는 부가형식증명의 경우.

합치성 증명자료의 작성이 완료되면 즉시 전문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전문기관의 장은 제 항의 규정에 의해 제출된 합치성 증명자료를 검토하여1②

적합할 경우 비행시험 허가를 장관에게 요청하여야 한다.

제 조 비행시험17 ( ) 항공기의 부가형식증명을 위한 비행시험은 장관 또는 전문기①

관의 장이 기술기준에 적합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비행시험 이하 인증비행시( “

험 이라 한다 과 신청자가 비행적합성확인 비행자료획득 및 계기 검교정 등을” ) , ․

위하여 실시하는 비행시험 이하 개발비행시험 이라 한다 으로 구분한다( “ ” ) .

제 항의 규정에 의한 인증비행시험은 장관이 승인한 비행시험계획에 의하여1②

실시한다.

신청자는 제 항의 규정에 의한 개발비행시험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규칙1③

제 조제 항의 규정에 의거 비행시험허가신청서를 장관에게 제출하여 허가를20 2

받아야 한다.

제 항의 규정에 의한 비행시험허가신청서에는 규칙 제 조제 항의 규정에3 20 2④

의한 사항과 다음 각호의 서류를 첨부하여야 한다.

개발비행시험계획서1.

기술기준에 대한 구조적 요구사항에 대한 적합성을 증명하는 자료2.

항공기 지상상태 검사 결과보고서3.

항공기 형식설계와의 합치성을 증명하는 자료4.

신청자는 제 항의 규정에 의한 개발비행시험을 하고자 하는 경우 제 항에 대1 4⑤

한 적합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한 동일 형식의 항공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신청자는 비행시험을 수행하는 조종사 등 탑승자가 유사시 비상탈출 장비를⑥

Page 16: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11 -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신청자는 다음 각호의 에 해당되는 경우 모든 수정조치가 완료될 때까지 개1⑦

발비행시험을 중지하여야 한다.

비행시험조종사가 요구된 비행시험을 수행할 능력이 없거나 비행시험을 수1.

행할 의사가 없는 경우

기술기준에 부적합한 사항 발생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비행시험이 무의미하2.

거나 또는 비행시험이 어떤 위험한 상황을 야기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신청자는 개발비행시험을 종료한 경우 개발비행시험보고서를 장관에게 제출⑧

하여야 한다.

신청자는 장관이 제 항의 규정에 의한 인증비행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비행2⑨

시험조종사의 지원을 요청하는 때에는 이를 지원하여야 한다.

신청자는 제한하중 이상을 적용한 구조시험에 사용한 바 있는 항공기 또는⑩

항공기용 부품을 비행시험에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 조 비행시험조종사18 ( ) 제 조제 항의 규정에 의한 비행시험을 위한 조종사17 1①

는 법 제 조 제 호 내지 제 호의 규정에 의한 자격을 소지한 자로서 비행시26 1 3

험을 위한 전문교육을 이수하거나 비행교관 또는 운항검열 승무원 이상의 자,

격을 보유 하여야 한다.

신청자는 제 항의 규정에 의한 비행시험조종사를 확보하여야 한다1 .②

제 조 계측장비의 검19 ( ․교정) 신청자는 비행시험 전에 비행시험에 사용되는 계①

측장비를 검교정하여야 한다.․

신청자는 제 항의 규정에 의한 계측장비를 검교정하는 경우 검교정결과를1② ․ ․

표준대기조건으로 환산하는데 필요한 계산자료 및 검교정결과보고서를 전문기․

관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 조 부적합한 사항20 ( ) 장관 또는 전문기관의 장은 부가형식증명 수행과정에①

발생하는 모든 부적합한 사항을 신청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신청자는 장관 또는 전문기관의 장으로부터 통보받은 부적합한 사항을 부가②

형식증명 발행 전까지 수정조치하고 그 결과를 장관 또는 전문기관의 장에게

서면으로 보고하여야 한다.

전문기관의 장은 부가형식증명 수행과정에 발생하는 다음 각호의 에 해당하1③

는 주요사항에 대한 문제점이 있는 경우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을 작성하여 위

원회의 심의를 받아야 한다.

Page 17: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12 -

부가형식증명을 위한 기술기준에 관한 사항1.

적합성 결정에 관한 사항2.

법 또는 규칙에 관한 사항3.

특수기술기준의 제정에 관한 사항4.

환경문제에 관한 사항5.

비행안전에 관한 사항6.

신기술에 관한 사항7.

기타 위원회의 심의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8.

제 조 부가형식증명서21 ( ) 부가형식증명서 번호 는 자로 하‘ ’ 'STC x yyyy nn' 10①

고 구성은 다음과 같다.

부가형식증명서를 의미1. STC: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의 해당 문자를 표시2. x: A( ), E( ), P( )

발행연도를 자리로 표시3. yyyy: 4

해당연도별 자리의 일련번호4. nn: 2

관련형식증명번호 에는 항공기등 부가형식증명의 대상이 되는 항공제품의‘ ’②

원 형식증명서 발행기관과 형식증명서 번호 또는 국토교통부로부터 형식증명,

승인을 받은 경우 형식증명승인 번호를 기재한다.

별지 제 호 서식의 세부작성 요령은 다음과 같다1 .③

1. 구분 에는 소형비행기 수송비행기‘ (classification)’ (small airplane), (transport

회전익항공기 활공기 비행선 엔진airplane), (rotorcraft), (glider), (airship),

및 프로펠러 를 구분하여 기재한다(engine) (propeller) .

형식 또는 모델 에는 부가형식증명의 대상이 되는 항공기2. ‘ (type or model)’

등의 형식 또는 모델을 기재한다.

3. 감항분류 에는 부가형식증명의 대상이 항공기일‘ (airworthiness category)’

때에 적용되며 부가형식증명의 대상이 되는 항공기에 대하여 항공안전본,

부 고시 항공기기술기준 에서 정한 항공기의 감항분류를 기재한다‘ ’ .

설계자의 성명 또는 명칭 에는 부가형식증명을 신청4. ‘ (name of designer)’

한 설계자의 성명 또는 회사의 명칭을 기재한다.

설계자의 주소 에는 부가형식증명을 신청한 설계자5. ‘ (address of designer)’

또는 설계 회사의 주소를 기재한다.

설계변경 승인 내용 에는 부가형6. ‘ (description of modification approval)’

식증명으로 인한 설계 변경에 대한 설명과 설계 변경의 한 부분으로써 참

조하여야할 다음의 관련 문서를 기재한다.

Page 18: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13 -

가 항공기비행교범 보충판. (AFM) (supplements)

나 지속 감항성 지침. (instruction for continued airworthiness)

다 화물탑재지침. (loading instructions)

라 도면 및 도면목록 등. (drawings) (drawing lists)

마 표준최소장비목록. (MMEL; Master Minimum Equipment List)

바 기타 설계변경으로 항공기 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 등.

기타 에는 설계변경으로 인하여 대상 항공기등에 적용되는 제한7. ‘ (remark)'

사항 및 조건 과 인증기준 을(limitation and condition) (certification basis)

기재한다 인증기준과 제한사항 및 조건의 기재 방식은 별지 제 호 서식. 1

계속 을 참조하여 작성 한다( ) .

제한사항 및 조건 은 부가형식증명에 적합하게8. ‘ (limitation and condition)’

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제한사항과 조건들을 표시하는 것으로 최소한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가 이전의 설계변경에 대한 내역을 명확히 기술할 것 이전 설계변경들. . “

은 금번 개조된 항공제품에 대하여 감항성 확보가 가능토록 하는 설계

변경이었거나 또는 당해 장착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것이

다 부가형식증명서에 형식증명자료집 상의 제작사 모델 시리즈. (TCDS) - -

별로 명시된 항공제품보다 더 특정한 항공제품들에 대하여 제한적으로

적용되는지 여부를 구분하여 기술하여야 한다.”

나 복수의 항공제품에 적용되는 부가형식증명서의 경우 다음의 주의.

사항을 기재할 것 신청자는 본 설계변경 이전에 승인되었던(note) . “

설계변경과 모순되지 않는지를 확인할 것 만약 본 부가형식증명서의” “

소유자가 타인이 어떤 항공제품을 개조하는데 이 증명서를 사용하는

것을 허락할 경우 본 증명서 소유자는 서면으로 된 허가서를 상대방에

게 제공하여야 한다.”

다. 단일 부가형식증명을 하는 경우에는 다음 주의 사항을 기재할(note)

것 단일 부가형식증명서 소유자는 다른 항공제품에 본 설계 변경에서. “

기술된 자료를 사용할 수 없다 본 부가형식증명서는 명기된 항공제품.

의 제작사 명칭 모델명칭 및 일련번호에만 장착이 가능하고 복수의 장, ,

착작업을 위하여 부품을 제작하는 것을 금지한다.”

라 당해 부가형식증명이 장비품 자체에 대한 설계승인을 포함하지 않고.

장비품의 장착만을 위한 경우 다음과 같이 기재할 것 항공안전본부는. “

장비품의 장착에 대해서만 부가형식증명을 하였을 뿐 장착되는 장비품

자체에 대해서는 설계승인을 하지 않았다 설계승인 되지 않은 장비품.

Page 19: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14 -

을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추가적인 승인을 받아야

한다.”

마 부가형식증명으로 인하여 형식증명자료집 의 개정이 필요한 경. (TCDS)

우 신청자는 해당 부가형식증명에 대한 개정된 정보를 작성하고 이, ,

정보는 해당 부가형식증명서의 본 항에 기재하여야 한다.

인증기준 은 부가형식증명의 근거가 되는 항공기술기준9. (certification basis)

의 조항으로 해당 항공제품의 형식증명자료집 에 수록된 기준과 동(TCDS)

일하지 않다면 이를 부가형식증명서 별지 제 호 서식 계속 에 기재하여야1 ( )

한다 인증기준에는 또한 모든 동등한 안전수준 판정. (equivalent level of

예외적용 및 직접 관계되는 개정판safety finding), (exemptions)

도 포함시켜야 한다(amendment) .

제 조의 부가형식증명승인서21 2( ) 부가형식증명승인서 번호 는‘ ’ 'STCV x yyyy①

자로 하고 구성은 다음과 같다nn' 11 .

부가형식증명승인서를 의미1. STCV: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의 해당 문자를 표시2. x: A( ), E( ), P( )

발행연도를 자리로 표시3. yyyy: 4

해당연도별 자리의 일련번호4. nn: 2

관련형식증명번호 에는 항공기등 부가형식증명의 대상이 되는 항공제품의‘ ’②

원 형식증명서 발행기관과 형식증명서 번호 또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형,

식증명승인을 받은 경우 형식증명승인 번호를 기재한다.

별지 제 호 서식의 세부작성 요령은 다음과 같다2 .③

1. 구분 에는 소형비행기 수송비행기‘ (classification)’ (small airplane), (transport

회전익항공기 활공기 비행선 엔진airplane), (rotorcraft), (glider), (airship),

및 프로펠러 를 구분하여 기재한다(engine) (propeller) .

형식 또는 모델 에는 부가형식증명승인의 대상이 되는 항2. ‘ (type or model)’

공기등의 형식 또는 모델을 기재한다.

3. 감항분류 에는 부가형식증명승인의 대상이 항공‘ (airworthiness category)’

기일 때에 적용되며 국토교통부 고시 항공기기술기준 에서 정한 항공기, ‘ ’

의 감항분류를 기재한다.

설계자의 성명 또는 명칭 에는4. ‘ (name of designer)’ 부가형식증명승인 신청

자의 성명 또는 회사의 명칭을 기재한다.

설계자의 주소 에는 원 부가형식증명을 소지한 설5. ‘ (address of designer)’

계자 또는 설계 회사의 주소를 기재한다.

Page 20: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15 -

설계변경 승인 내용 에는 원 부가6. ‘ (description of modification approval)’

형식증명 발급기관 및 부가형식증명서 번호를 기재한다.

기타 에는 원 부가형식증명서 등 부가형식증명승인과 관련된 문7. ‘ (remark)'

서목록을 기재한다.

제 조 부가형식증명소지자의 감독22 ( ) 장관은 부가형식증명을 교부받은 자 이하(

부가형식증명소지자 라 한다 가 항공기등의 부가형식설계의 안전에 책임을 갖“ ” )

고 동일 형식으로 제작 생산된 항공기등의 감항성을 계속 유지하기 위한 다음,

각 호의 의무를 이행하는지 감독하여야 한다.

운용자 정비조직 또는 감항당국으로부터 고장 기능불량 또는 결함사항 등을1. , ,

보고받은 경우 이에 대한 분석 및 계속 감항성 유지를 위한 방안 제공

2. 계속감항성 확보에 필요한 부가형식설계 자료의 활용 능력 유지 및 기술관리

제 조 부가형식증명의 양도23 ( ) 부가형식증명소지자는 계약에 따라 부가형식증명①

을 제 자에게 양도할 수 있다3 .

제 항의 규정에 의하여 부가형식증명소지자가 부가형식증명을 양도하는 경우1②

양도인은 계약일로부터 일 이내에 계약서의 사본을 첨부하여 장관에게 부가30

형식증명의 양도 및 양수에 관한 사항을 신고하여야 한다.

부가형식증명을 양수하는 자는 이전 부가형식증명의 권리 및 의무를 승계하③

며 이미 동일 형식설계로 제작 생산된 항공기등의 감항성 유지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승인모델목록이 수록된 부가형식증명서의 경우 분할 양도를 할 수 없다.④

부가형식증명 양도⑤ ․양수가 국내에서 이루어진 경우 장관은 형식설계자료 및,

인증 자료를 포함하여 부가형식증명에 관한 자료 일체를 양도자가 양수자에게

이관하였음을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부가형식증명 양수자가 항공기등의 계속. ,

감항성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일체의 설계자료 인증자료 등의,

기술자료와 관리체계를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

하여야 한다.

부가형식증명의 양도양수가 국제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장관은 해당 국가의,⑥ ․

감항당국과 상호 협의를 통하여 우리나라와 해당 국가 간의 형식증명 절차 및

정책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

을 수립하여야 한다.

부가형식증명소지자가 도산 등의 사유로 인하여 부가형식증명소지자로서 부⑦

과된 책무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장관은 해당 형식의 항공,

Page 21: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16 -

기등이 계속감항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제 조 부가형식증명의 유효기간24 ( ) 법 제 조제 항의 규정에 의하여 교부된 부가17 4

형식증명서는 그 소지자가 포기하거나 장관이 취소하지 않는 한 계속 유효하다.

제 조 부가형식증명 신청의 취소25 ( ) 장관은 제 조의 규정에 의하여 부가형식증6①

명을 신청한 후 개월 간 과제 추진 내용이 없을 경우에는 신청자에게 이를 고6

지한 후 신청을 취소할 수 있다.

장관은 제 항에 의거 취소하는 경우에는 신청자가 제출한 자료를 반납하여야1②

한다.

제 조 제조시설의 위치26 ( ) 장관은 우리나라와 상호항공안전협정 또는 이와 동등한

협정을 체결하지 아니한 국가에 항공기등의 제조시설이 있는 경우 행정적 또는

재정적인 부담 등을 고려하여 부가형식증명을 발행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제 조 부가형식증명 자료의 사용27 ( ) 부가형식증명소지자는 부가형식증명을 위한①

검증에 사용된 자료를 영구 보관하여야 한다.

부가형식증명소지자는 장관으로부터 항공사고조사 또는 기술적인 검증을 위②

하여 제 항의 규정에 의한 자료제출요청을 받은 경우 이를 지체없이 제출하여1

야 한다.

부가형식증명을 위하여 제출된 모든 자료는 제출한 자의 동의 없이 부가형식③

증명 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장관은 부가형식증명의 신청으로부터 발급에 관한 다음의 자료를 영구 보관④

하여야 한다.

가 부가형식증명서.

나 설계자료 승인서.

다 수리개조 승인서.

라 기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문서.

제 조 성능자료의 개정28 ( ) 부가형식증명 신청자는 부가형식증명으로 인한 성능①

변경이 있는 경우 이를 명시한 비행교범부록을 작성하여야 한다 다만 비행교, . ,

범부록의 작성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원 비행교범의 해당 성능자료가 변경

되었음을 명시하여야 한다.

부가형식증명 신청자는 부가형식증명으로 인한 성능변경 사항을 수록한 정비②

Page 22: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17 -

교범 또는 비행교범 등의 부록에 대해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항공기 소,

유자에게 이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개정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다. .

장관은 부가형식증명으로 인한 성능변경이 있는 경우 개조되는 항공기의 작,③

업계획서 평가 및 감항성 유지를 위한 정비프로그램 지속감항성지침서 등의,

변경에 대한 검토 과정에 감항엔지니어와 감항분야 항공안전감독 부서가 참여

하여 이를 확인하도록 하여야 한다.

제 조 감항성개선지시서29 ( ) 부가형식증명소지자는 부가형식증명을 교부받은 항①

공기등이 운용 중 설계상의 중대한 결함이나 문제점이 발견되는 경우 이를 수

정하기 위한 정비개선회보 를 지체 없이 발행하고 이를 장관에(Service Bulletin)

게 보고하여야 한다.

제 항의 규정에 의한 보고가 있는 경우 장관은 이를 검토하여 설계상의 보완1②

이나 동일 형식의 항공기등에 근본적인 수정조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감항성개선지시서를 발행하여야 한다.

제 조 국제공동개발 항공기등의 부가형식증명30 ( ) 국내의 제조업자가 외국의 제①

조업자와 기술제휴 또는 면허생산 방식 등으로 기술협력을 통하여 항공기등을

공동개발 또는 생산하는 경우 항공기등의 부가형식증명을 해당 외국의 정부와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 항의 규정에 의하여 부가형식증명을 하는 경우 부가형식증명 절차 및 방1②

법 등은 해당 외국의 정부와 협의하여 별도로 정한다.

제 조31 유효기간( ) 이 훈령은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 대통령훈(「 ․ 」

령 제 호 에 따라 이 훈령을 발령한 후의 법령이나 현실 여건의 변화 등을248 )

검토하여야 하는 년 월 일까지 효력을 가진다2015 5 31 .

부 칙 제정( 2005.06.17)

제 조 시행일1 ( ) 이 개정규정은 공포일로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05.06.17)

이 규정은 발령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07.10.08)

이 규정은 발령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Page 23: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18 -

부 칙 개정( 2008.01.29)

이 지침은 발령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08.04.08)

이 지침은 발령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08.04.08)

이 지침은 발령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08.04.18)

이 지침은 발령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08.04.25)

이 지침은 발령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08.07.24)

이 지침은 발령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09.06.05)

이 지침은 발령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부 칙(2012.5.31)

제 조 시행일1 ( ) 이 훈령은 발령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12.08.31)

제 조 시행일1 ( ) 이 훈령은 발령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13.04.15)

이 지침은 발령한 날부터 시행한다.

Page 24: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19 -

별표[ 1]

부가형식증명 대상 작업

아래 개조작업은 항공법 제 조제 항에서 규정한 수리개조 범위를 벗어나는 것19 1

으로서 항공법 제 조제 항의 규정에 의한 부가형식증명을 받아야 하는 사례들17 4

이다 다만 부가형식증명 사례에 포함되지는 아니하나 중대한 변경이라고 판단. ,

되는 경우에 지방항공청장은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부가형식증명 대상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소형 항공기1.

다음의 목록은 항공기기술기준 및 또는 과거의 동KAS Part 23, 14 CFR Part 23 31(

등한 것 또는 유럽 연합 규정 의 규정에서 인증된 항공기에 적용), SFAR 41, (JAR) 22

한다.

가 무게 및 평형.

인증된 최대 중량 한계 최대 총중량 최대이륙중량 또는 착륙중량 가 증가되는(1) ( , , )

개조작업

인증된 무게 중심 범위 한계 예 전방 한계의 감소 도는 후방한계의 증가 의 변(2) ( , )

경되는 개조작업

운용 한계(3) (VA, VFE, VNE와 같은 최대 속도 한계 실속속도와 같은 최소 속도 한,

계 운용 상승 한계의 증가 등등 가 증가하는 개조작업; : )

나 구조 강도.

기체의 차 구조 자재의 대체(1) 1

엔진 및 프로펠러 대체 왕복 엔진을 터빈 엔진으로 교체하는 것과 같은(2) ( )

마력이 이상 증가하는 왕복기관의 대체 또는 개조(3) 10%

여객운송 항공기를 화물전용 또는 여객 화물 겸용 항공기로 개조(4) /

다 신뢰성.

아래의 변경과 같은 신뢰성 또는 감항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가된 항공 전자 장(1)

비의 개조

설계 환경 성능으로부터의 일탈․

구성품 제작사의 운영 한계로부터의 일탈․

항행 및 지형 데이터베이스 이외의 소프트웨어 변경․

라 운영 특성.

동적 및 또는 정적 평형에 영향을 미치는 가동 조종면의 개조 가동 조종면의 공(1) / ,

기역학적 외형을 개조하는 변경 또는 중량 배분의 변경,

조종면의 작동경로 조종계통의 기계적 보조장치 조종 계통 구성 부품의 배치(2) , , ,

Page 25: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20 -

또는 운동 방향에 대한 변경

날개 및 꼬리 평면형상 또는 받음 각 캐노피 같은 항공기 외부의 공기역학적(3) , ,

외형 구성 형상의 변경 또는 기본치수의 변경 날개 및 꼬리 페어링 윙렛 날개/ , , ,

양력 지지대 팁탱크 윈도우 및 도어의 위치 곡률반경 또는 외형의 변경, , ,

(4) 전자비행제어 또는 엔진제어계통, Full Authority Digital Engine Control(FADEC),

플라이 바이 와이어 등과 같은 조종에 치명적인 전기 전자 계통의 변경/

아래 부품의 장착(5)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다른 계통과 복잡한 공유를 수반하는 항공전자 계통․

기본적인 비행을 위해 사용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강화된 비행시계계통(HUD),․

또는 통합시계계통(EFVS), (SVS)

공중 경보 또는 충돌 방지 시스템 (TCAS )Ⅱ Ⅱ․

자동조종․

비행 자료 기록 장치(FDR)․

지상접근경고장치(GPWS)․

전자 비행 계기 시스템(EFIS)․

긴급 시각 보증 시스템(EVAS)․

섬광탄 을 포함하는 테러 방지 대응 품목(6) (flare)

회전익 항공기2.

다음의 목록은 항공기기술기준 및 또는 과거KAS Part 27, 29 14 CFR Part 27, 29

에 동등한 규정에 의거 인증된 회전익 항공기에 적용한다.

가 무게 및 평형.

구조 성능 취급 능력 및 기타 예 최대 총 중량 최대 이륙 중량 또는 착륙 중(1) , , ( , ,

량 에 영향을 미치는 인증된 최대 중량 한계가 증가하는 변경)

인증된 무게 중심 범위 한계 예 전방 한계의 감소 도는 후방한계의 증가 의 변경(2) ( , )

운용 한계(3) (VA, VFE, VNE와 같은 최대 속도 한계 실속속도와 같은 최소 속도 한,

계 운용 상승 한계의 증가 등등 가 증가하는 변경; : )

나 구조 강도.

차 구조 비행 지상 또는 압력 하중을 전달하는 구조물 변경 뿐만 아니라 다음(1) 1 ( , , )

의 부가적인 개조 또는 구조 부재의 변경

내부 프레임 세로대 또는 구조 부재, (longeron),․

앞서 언급한 어떠한 변경에 대한 플러터 및 진동의 고려․

대체 엔진 프로펠러 로터 또는 기체 주요 구조 자재(2) , , ,

(3) 사용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패널 및 하중 담당 구성품의 변경

성능 상태 감시 시트템 의 장착(4) (HUMS)

Page 26: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21 -

꼬리 회전날개 구동축으로부터 생성된 공기 조화계통 출력과 같은 구동 시스템(5)

으로부터 출력을 사용하는 시스템 장착

다 신뢰성.

엔진 냉각 공기의 흐름 및 기화기 점화 온도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매니폴드 공(1) / ,

기 흡입 계통 또는 공기 흡입 도어 엔진 카울링 또는 배플의 변경, ,

기본 엔진 로터 또는 프로펠러 설계 조절 및 작동 한계의 변경(2) , , ,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엔진 프로펠러 조정 및 설정 한계를 포함하는 변경(3) /

아래의 변경으로 신뢰성 또는 감항성에 영향을 미치는 승인된 항공 전자 장비의(4)

개조

설계 환경 성능으로부터의 변화․

구성품 제작사의 운영 한계로부터의 변화․

항행 및 지형 데이터베이스 이외의 소프트웨어 변경․

라 운영 특성.

시스템 유압 오일 및 연료 시스템 변경 또는 재배열 및 구조 강도 비행 지상(1) ( , , ) , ,

취급 특성 또는 항공기의 소음 음향에 영향을 미치는 장비의 변경 또는 재배열, /

동적 및 또는 정적 평형에 영향을 미치는 가동 조종면의 개조 가동 조종면의 공(2) / ,

기역학적 외형을 개조하는 변경 또는 중량 배분의 변경,

조종면의 작동경로 조종계통의 기계적 보조장치 조종 계통 구성 부품의 배치(3) , , ,

또는 작동방향에 대한 변경

날개 및 꼬리 평면형상 또는 받음 각 캐노피 같은 항공기 외부의 공기역학적(4) , ,

외형 구성 형상의 변경 또는 기본치수의 변경 날개 및 꼬리 페어링 윙렛 날개/ , , ,

양력 지지대 팁탱크 윈도우 및 도어의 위치 곡률반경 또는 외형의 변경, , ,

전자 비행 제어 또는 엔진 제어 시스템 플라이 와이 와이어 등과 같은(5) , FADEC,

조종에 치명적인 전기 전자 계통의 변경/

아래 부품의 장착(6)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다른 계통과 복잡한 공유를 수반하는 항공전자 계통․

기본적인 비행을 위해 사용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보강된 비행시계계통(HUD),․

또는 주요 항행을 위해 사용된 통합시계계통(EFVS), (SVS)

공중 경보 또는 충돌 방지 시스템 (TCAS )Ⅱ Ⅱ․

자동조종․

비행 자료 기록 장치(FDR)․

지상접근경고장치(GPWS)․

긴급 시각 보증 시스템(EVAS)․

섬광탄 을 포함하는 테러 방지 대응 품목(7) (flare)

마 감항성.

Page 27: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22 -

주 회전날개 또는 꼬리 회전날개 시스템 트랜스미션 시스템 기어박스 구동축(1) , , , ,

구동축 지지 베어링 및 주 및 꼬리 회전날개 블레이드의 특성 하중 진동 피로, , , , ,

손상 허용 한계 연료 유량 허용 한계와 같은 로터의 동적 구성품의 변경,

엔진 보조동령장치 의 회전 부품을 포함하는 주요 또는 수명한계 부품의 변경(2) / (APU)

여객운송용 항공기를 화물전용 또는 승객 화물용 콤비 항공기로 변경(3) -

다음의 항목 추가(4)

인적 요소 이행검증 예 조종실 계기 및 조종면 이 요구될 수 있는 변경( , )․

야간용 고글 사용을 지원하기 위한 조종실 조명 변경 또는 야간용 고글과 관련된․

어떠한 승인

특별한 형식 설계의 고유 특성에 의해 필요한 엔진 항공기 계기의 변경 또는 대체/․

주 취급 성능 특성 그리고 또는 소음 또는 방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 및 꼬: /

리 회전날개의 변경RPM

바 내충격성.

내충격성 그리고 또는 비상탈출에 영향을 주는 항공기 구조 객실 내부 또는 장(1) / , ,

비 재배열에 대한 변경 좌석 초도 장착 및 재배열 포함( )

운송용 비행기3.

다음의 목록은 항공기기술기준 또는 과거에 동등한KAS Part 25, 14 CFR part 25

규정에서 인증된 항공기에 적용한다.

가 무게 및 평형.

인증된 최대 중량 한계 예 최대 총 중량 최대 이륙 중량 또는 착륙 중량 그리(1) ( , , ,

고 최대 영 연료 무게 가 증가하는 변경)

인증된 무게 중심 범위 한계 예 전방 한계의 감소 도는 후방한계의 증가 의 변경(2) ( , )

운용 한계 예(3) ( , VA, VFE, VNE, VMO, 및 VMO/MMO와 같은 최대 속도 한계 실속속도와,

같은 최소 속도 한계 운용 상승 한계의 증가 등 가; ) 증가하는 개조작업

나 구조 강도.

주요 또는 차 구조부재 비행 지상 또는 압력 하중을 담당하는 주요 부재 의(1) 1 ( , , )

변경

엔진 프로펠러 또는 기체 차 구조 자재의 대체(2) , , 1

승객운송용 항공기를 화물전용 또는 승객 화물 겸용 콤비 항공기로의 개조(3) /

다 신뢰성.

엔진 냉각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매니폴드 공기 흡입 계통 또는 흡입 도(1) ,

어 엔진 카울링 또는 배플의 중대한 변경, ,

엔진 또는 프로펠러 기본설계 조절 및 운용한계의 변경(2) , ,

엔진 프로펠러의 조정 및 설정 한계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변경(3) /

아래의 변경과 같은 신뢰성 또는 감항성에 영향을 미치는 승인된 항공 전자 장(4)

Page 28: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23 -

비의 개조

설계 환경 성능으로부터의 일탈․

구성품 제작사의 운영 한계로부터의 일탈․

항행 및 지형 데이터베이스 이외의 소프트웨어 개조․

라 운영 특성.

구조 강도 비행 지상 취급 특성 또는 항공기의 소음 음향에 영향을 미치는 시(1) , , , /

스템 유압 오일 및 연료 시스템 또는 장비의 변경 또는 재배열( , , )

동적 및 또는 정적 평형에 영향을 미치거나 가동 조종면의 공기역학적 외형을 개(2) /

조 또는 중량 배분을 변경하는 가동 조종면의 중대한 변경,

조종면의 작동경로 조종 계통의 기계적 보조장치 또는 작동방향에 대한 변경(3) , ,

비행 또는 성능의 재평가를 필요로 하는 기본 치수 또는 날개 및 꼬리 평면형상(4) ,

또는 받음각 외형 또는 작동반경과 같은 항공기 외부의 공기역학적 외형 구성 형, /

상 및 날개 및 꼬리 페어링 윙렛 날개 양력 지지대 팁탱크 윈도우 및 도어의, , , ,

배치에 대한 변경

및 플라이 바이 와이어 같은 조종에 치명적인 새로운 전기 전자 계통(5) FADEC / ,

전자비행제어 또는 엔진 제어 시스템의 장착,

항공기 성능 항력 엔진 출력 또는 배기 머플러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6) , , , RPM,

아래 부품의 장착(7)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다른 계통에 대한 복잡한 공유를 수반하는 항공전자․

계통

주요 항행을 위해 헤드 업 디스플레이․

공중 경보 또는 충돌 방지 시스템 (TCAS )Ⅱ Ⅱ․

자동조종․

비행 자료 기록 장치(FDR)․

지상접근경고장치(GPWS)․

긴급 시각 보증 시스템(EVAS)․

섬광탄 을 포함하는 테러 방지 대응 품목(8) (flare)

마 감항성.

다음과 같은 운항 또는 장착 및 가연성 요구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오일 유압(1) , ,

공유압 및 연료 도관 또는 시스템의 변경

새로운 가연성 유류 탱크 또는 시스템 구성품․

다음과 같이 작동 또는 장착 및 가연성 요구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시스(2)

템의 장착

․ 영구적인 연료 탱크 또는 연료 시스템 구성품의 변경 또는 추가

비상 예비 전력 공급원․

Page 29: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24 -

승무원 또는 승객 산소 시스템․

보조 동력 장치(APU)․

새로운 소화기 또는 탐지 시스템의 장착 또는 소화 약품의 종류 변경․

중요하거나 또는 사용시한 한계 부품의 변경(3)

기존의 방빙 시스템의 신규 장착 또는 개조(4)

엔진 보조동력장치 회전부품을 포함하는 중요하거나 또는 사용 한계 부품을 개조(5) /

하는 변경

항공기 외부 및 내부의 차압 한계를 증가하는 변경(6)

바 내충격성.

내충격성 그리고 또는 비상탈출에 영향을 주는 항공기 구조 객실 내장재 또는(1) / , ,

장비 재배열에 대한 변경 좌석의 초도 장착 및 재배열 포함( )

엔진 프로펠러 및 보조동력장치4. , (APU)

다음의 목록은 항공기기술기준 및 또는KAS Part 33, 34, 35, CFR Part 33, 34 36,

의 규정에서 인증된 엔진 또는 의 규정에서 인증된 프로펠JAR E , CFR Part 35 JAR P

러 또는 또는 의 규정에서 승인된 에 적용한다, FAA TSO-C77a b APU .

가 무게 및 평형 인증된 무게 또는 무게 중심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변경. .

나 구조 강도 엔진 또는 프로펠러의 차 구조부재 또는 주요 구조에 대한 변경. . , APU, 1

다 신뢰성 및 감항성.

승인된 한정 또는 작동 또는 장착 한계에 대한 변경(1)

엔진 프로펠러 또는 제어 시스템의 변경(2) , , APU

출력 또는 제어 기능 또는 작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엔진 프로펠러 또는(3) , , APU

조정 및 설정 한계에 대한 변경

어떠한 블레이드 또는 베인의 공기역학적 외형 또는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역학(4) ,

적 표면을 개조하는 변경

흡입구 또는 배기구 구성품에 대한 변경(5)

다음과 같은 구성품 조립품 또는 시스템에 대한 변경(6) , ,

새로운 것이거나 또는 다른 유압 구성품 펌프 또는 터보 또는 슈퍼과급기 사용, ,․

외부 중요 점검창 램 에어 나셀 블로우아웃 도어 블리드 포트 및 도어 등, APU , ,․

새 제품 장착 또는 기존의 방빙 시스템의 개조․

구조강도 낙뢰보호 운항특성 화재보호 또는 소음 방음에 영향을 미치는 엔진(7) , , , , /

프로펠러 자재의 대체를 포함하는 변경/APU/

프로펠러의 대개조(8)

중요하거나 또는 수명시한 한계 부품의 변경(9)

새로운 프로펠러 및 엔진의 조합 진동 승인(10) ( )

Page 30: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25 -

다음과 같이 승인된 전기 장비에 대한 개정(11)

설계 환경 성능 적합 요구조건으로부터의 일탈․

부품 제작사의 운용한계로부터의 일탈․

또는 낙뢰 적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선피복 또는 부품의 변경HIRF, EMI․

전자 제어와 같은 비행에 치명적인 전기 전자 시스템의 변경 또는 과 같/ FADEC․

은 엔진 프로펠러 또는 제어 시스템의 변경, APU

구조 강도 작동 특성 소음 음향 화재 보호 또는 배기물질 및 연료 주입에 영(12) , , / , ,

향을 미칠 수 있는 시스템 유압 오일 및 연료 시스템 포함 및 장비에 대한 변( , , )

경 또는 위치 변경

지속감항성을 위한 지침의 감항성 한계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13)

라 기타 고려사항.

배기가스에 영향을 주는 변경(1)

엔진 소음에 영향을 주는 변경(2)

Page 31: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26 -

별지 제 호 서식[ 1 ]

대 한 민 국

국 토 교 통 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public of Korea

증명서번호

Certificate No. :

관련형식증명번호

Type Certificate No.

부가형식증명서

Supplemental Type Certificate

구분1. (Classification)

형식 또는 모델2. (Type or Model)

감항분류3.(Airworthiness Category)

설계자의 성명 또는 명칭4.(Name of Designer)

설계자 주소5.(Address of Designer)

설계변경 승인내용6.(Description of Modification)

기타7. (Remarks)See attached Limitations and Conditions,

and Certification Basis

위의 항공기 발동기 프로펠러 는 항공법 제 조제 항 및 동법시행규칙 제 조제[ , , ] 17 4 34 3

항의 규정에 의한 기준에 적합한 형식임을 증명합니다.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4, Article 17 of Aviation Act and Paragraph 3, Article

34 of Enforcement Regulation of Aviation Act, the Head of Civil Aviation Safety

Authority hereby certifies that the abovementioned [aircraft, engine, propeller]type

design meets airworthiness requirements of Aviation Act.

년 월 일yyyy mm dd

Date of issuance : month dd, yyyy

국 토 교 통 부 장 관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 of 3

Page 32: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27 -

대 한 민 국

국 토 교 통 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public of Korea

증명서 번호Certificate No.

부가형식증명서 계속( )

Supplemental Type Certificate (Continuation Sheet)

제한사항 및 조건8. (Limitations and Conditions):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다음의 문서는 개조된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의 영구 기[ , , ]

록문서로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이후에 개정된 문서도 동일하다. , .

The following MLTM approved documents or later MLTM approved revisions,

as indicated, must be maintained as part of the permanent record for each

modified [aircraft, engine, propeller].

인증 기준9. (Certification Basis) :

와 주요 설계 변경에 대한 대한민국의 정책에 근거하여 항공기 엔진 프로Part XX [ , .

펠러 모델] 의 개조에 대한 인증기준은 다음과 같다.

Based on Part xx, and the Republic of Korea policy for major design

changes, the certification basis for the [aircraft, engine, propeller] Model

, as modified is as follows;

본 개조작업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거나 변경되지 않은 부품들 또는 영역들a.

에 관한 모델 시리즈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인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의 형[ , , ] [ , , ]

식증명 인증기준은 형식증명자료집(TCDS) 에 기록되어 있다.

a. The type certification basis for [aircraft, engine, propeller] Model series [aircraft,

engine, propeller] is shown on Type Certificate Data sheet for parts

or areas not affected or changed by the modification.

신청일자 년 월일 이후 본 개조작업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거나 변경된 부품들에b. ( / )

대한 인증기준은 개정판에 근거하며 본 개조에 대한 인증기준Part XX, XX-98 ,

문서번호Document Number

제목 및 내역Description

개정번호Revision

Page 33: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28 -

3 of 3

은 다음과 같이 정해졌다:

b. The certification basis for parts affected or changed by the modification

since the date of application (mm/dd/yy) is based upon Part XX, as

amended by Amendment XX-98. The certification basis for this modification

was determined to be:

항공기기술기준 최근 개정판 내지XX-0 XX-98

XX.1-XX.31, XX.301-XX.307, XX.561-XX563, XX.601-XX.625

(Korean Airworthiness Standards at the latest amendment XX-0 through

XX-98 XX.1-XX.31, XX.301-XX.307, XX.561-XX563, XX.601-XX.625)

항공기기술기준중 임시 개정판

개정판XX.573 XX-54

개정판XX.629 XX-26

부록 개정판X XX-58

(Korean Airworthiness Standards at an intermediate amendment

XX.573 Amendment XX-54

XX.629 Amendment XX-26

Appendix X Amendment XX-58)

형식증명자료집 에 기록된 개정수준의 항공기기술기준

XX.25, XX.321-XX.373, XX.471-XX.519

(Korean Airworthiness Standards at the amendment level in TCDS

XX.25, XX.321-XX.373, XX.471-XX.519)

끝--------------------- (END) -------------------

Page 34: ProceduresforSupplementalTypeCertificateatis.casa.go.kr/acs/document4/STC_OD.pdf · 2013-05-09 · 1.“ (SupplementalTypeCertificate,STC)”부가형식증명 이라함은형식증명을

항공기 등의 부가형식증명 지침

제정 : 2005.06.17 개정 : 2013.04.15- 29 -

별지 제 호 서식[ 2 ]

The Republic Korea

증명서 번호

Certificate No.:

관련형식증명번호

Type Certificate No.: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upplemental Type Certificate Validation

구분1. (Classification)

형식 또는 모델2. (Type or Model)

감항분류3. (Airworthiness category)

설계자의 성명 또는 명칭4.

(Name of Designer)

설계자 주소5. (Address of Designer)

설계변경 승인내용6.

(Description of Modification)

7. 기 타(Remarks)

위의 항공기 발동기 프로펠러 는 항공법 제 조의 제 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 , , ] 17 2 5「 」

조의 에 따른 기준에 적합한 형식임을 증명합니다35 7 .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5, Article 17-2 of Aviation Act and Article 35-7 of

Enforcement Regulation of Aviation Act, the Minister of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ereby certifies that the above mentioned [aircraft, engine, propeller]

type design meets airworthiness requirements of Aviation Act.

년 월 일

Date of Issuance

직인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보존용지 종210mm×297mm[ (1 ) 120g/ ]㎡